Transcript

대한신경과학회지 제26권 제1호, 200892

단신보고

하방 안진만을 보인 척수소뇌성 실조증 6형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김창헌 이규용 이영주 고성호

A Case of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Presenting Downbeat

Nystagmus Alone

Kim Chang-Hun, M.D., Lee Kyu-Yong, M.D., Lee Young-Joo, M.D., Koh Seong-Ho, M.D.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Guri, Korea

J Korean Neurol Assoc 26(1):92-94, 2008

Key Words: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Downbeat nystagmus

Received October 4, 2007 Accepted November 7, 2007*Koh Seong-Ho, M.D.

Department of Neurology,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249-1 Gyomoon-dong, Guri-si, Gyeonggi-do, 471-701, KoreaTel: +82-31-560-2267 Fax: +82-31-560-2267

E-mail: [email protected]

척수소뇌성 실조증 6형(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SCA6)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방식을 따르는 신경 퇴행성 질환

이다. 이는 19번 염색체 단완 13(19p13)의 P/Q형 전압의존칼슘

통로의 alpha 1A subunit gene의 CAG 삼핵산 서열 반복이 비

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1,2

임상적으로는 다른 유형의 척수소뇌성실조증(spinocerebellar

ataxia, SCA)보다 늦은 나이에 발생하고, 주로 구음 장애와 안

진을 동반하는 순수 소뇌성 실조증을 보여 우성 유전성 소뇌 실

조증 제3형(autosomal-dominant cerebellar ataxia type III,

ADCA type III)으로 분류되어 있다.3 저자들은 가족력이 뚜렷

하지 않고 소뇌성 실조증이나 구음 장애 없이 하방 안진만을

보인 SCA6를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

이다.

증 례

47세 여자 환자가 약 5개월 전부터 악화된 어지럼증과 진동

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4년여 전부터 간헐적인 어지

럼증으로 이비인후과에서 보존적인 치료를 받고 큰 불편없이

지냈으나 약 5개월 전부터는 진동시가 발생했고 이전과 같은 보

존적인 치료에도 뚜렷한 증상의 호전이 없으며 오히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상이 서서히 나빠지는 양상을 보여 신경과를

방문하게 되었다. 머리를 움직이거나 특히 아래를 쳐다볼 때

어지럼증이 심해지고 물체가 흔들려 보이는 증상이 악화되었다.

5년 전부터 고혈압으로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나 다른 과거

력은 없었다. 가족력도 특이한 병력은 확인되지 않았다(Fig.

1-A).

내원 당시 이학적 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의식은 명료하였고 고위피질기능 역시 정상이었다. 뇌신경 검

사에서 자발성 하방 안진이 보였고, 이는 고개를 돌리거나 누울

때 더 심해지는 양상이었다. 반면 구음 장애는 보이지 않았다.

기타 다른 뇌신경 장애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근력 및 감각 기능

검사도 모두 정상이었다. 심부건 반사는 양측 모두 정상 범위

였고 병적 반사는 보이지 않았다. 소뇌기능 검사에서도 양측

모두 겨냥이상(dysmetria)이나 되풀이운동장애(dysdiadocho-

kinesia)는 보이지 않았으며 보행 시에도 운동실조(ataxia)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일반 혈액 검사 및 일반 화학 검사, 요검사, 단순 흉

부 촬영, 심전도 검사에서 모두 정상 범위였다. 전기눈떨림 검

사(electronystgmography)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 자발성 하방

안진을 확인하였고 곧 바로 앙아위(supine position)로 환자를

눕혔을 때 하방 안진의 빈도와 진폭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Fig. 1-B). 뇌 자기공명영상촬영에서 소뇌 위축은 없었으나

하방 안진만을 보인 척수소뇌성 실조증 6형

J Korean Neurol Assoc Volume 26 No. 1, 2008 93

(A) (C)

(B)

(D)

Figure 1. Pedigree, Electronystagmography, Brain MRI and PCR analysis of SCA6 patient with downbeat nystagmus alone.In family history, there is no child between III-3 and III-4. No one shows any symptoms or signs except III-4 (proband) (A). Downbeat nystagmus on supine position (H:horizontal, V:vertical) is shown in electronystagmography (B). Brain MRI does not show any abnormal finding including cerebellar atrophy (C) and PCR analysis of CACNA1A on chromosome 19p13 reveals 22 copies expanded (CAG)n of CACNA1A which are compatible with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D).

(Fig. 1-C) SCA를 감별하기 위해 각 유형에 대한 중합효소 연

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를 시행하게 되었고,

그 중 SCA6에 해당하는 19p13에 위치한 CACNA1A 유전자의

CAG 삼핵산 반복서열이 22개로 증폭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

다(Fig. 1-D).

김창헌 이규용 이영주 고성호

대한신경과학회지 제26권 제1호, 200894

고 찰

하방 안진은 다른 퇴행성 운동 실조증과 구별되는 SCA6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1 수직 안구 운동

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뇌구조물이 있지만 소뇌 피질의 Purkinje

세포 소실로 인해 발생하는 안구 운동의 장애를 하방 안진의

기전 중 하나로 설명할 수 있다.1 수직 전정안구반사(vestibulo-

ocular reflex, VOR)의 중추는 전정 신경핵(vestibular nucleus)

이며, 이는 말초 전정계(peripheral vestibular system)로부터

흥분성 자극을 받고 전정소뇌(vestibular cerebellum)의 Pur-

kinje 세포로부터 억제성 자극을 받고 있는데 SCA6의 경우

Purkinje 세포의 신경세포 소실이 상대적으로 많아 수직 VOR

의 억제능력 상실로 인하여 하방 안진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1 실제로 신경병리학적으로 SCA6 환자가 SCA2, SCA3/

Machado-Joseph 병 환자보다 소뇌피질의 이상이 두드러지고

상대적으로 뇌교의 이상은 덜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5

유전학적으로 SCA6로 확진된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

구에서 SCA6의 초기 임상 증상은 일시적 현훈의 반복적인 삽화

(72%), 보행 장애(28%)였고 신경학적으로는 모두 소뇌성 운동

실조가 있는 상태에서 주시 유발 안진(92%), 일시적 두위 안진

(83%), 주기 교대 안진(4%)이 동반되어 있었다.6 본 증례의 경

우 간헐적인 어지럼증 및 하방 안진은 SCA6의 초기 증상에 합

당하나 소뇌성 운동실조가 동반되지 않고 순수하게 하방 안진

만을 보였다는 점이 이전 SCA6 환자들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물론 대부분의 SCA6 환자들이 나이가 들면서 소뇌성

운동실조가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본 증례의 경우도

좀 더 긴 시간이 지나면서 구음 장애와 소뇌성 운동실조 같은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적 관찰할 필

요가 있다. 하지만 환자는 간헐적인 어지럼증이 시작됐을 때로

부터 SCA6를 진단하기까지 약 4년 정도 동안 오로지 하방 안진

만 발생하였고 운동 실조 증상이 생기지 않았다는 것은 일반적인

SCA6 환자의 임상 양상과는 거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증례

의 뇌자기공명영상 촬영에서 SCA6 환자에서 흔히 보이는 소

뇌의 위축 소견조차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 소뇌성 운동실조와

구음 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것과의 연관성을 생각해 볼 수 있

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 있어서 모든 가족 구성원의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

지 못하였지만 3대에 걸친 가족력 조사에서 어지럼증이나 평형

장애를 호소하는 사람은 없어 가족력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

다. 또한 가족력 여부에 따른 CAG 반복서열의 개수 차이를 비

교한 연구를 근거로 할 때(가족력이 있는 경우 22~29개, 산발

성인 경우 21~22개), 본 증례의 CAG 반복서열 증가수(22개)가

비교적 낮은 점도 산발성 SCA6일 가능성을 뒷받침한다.4

저자들은 산발성으로 추정되는 소뇌성 운동실조와 구음 장애

없이 하방 안진만을 보인 SCA6 환자를 유전자 검사로 확진하

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REFERENCES

1. Yabe I, Sasaki H, Takeichi N, Takei A, Hamada T, Fukushima

K, et al. Positional vertigo and macroscopic downbeat positioning

nystagmus in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SCA6). J Neurol 2003;

250:440-443.

2. Koh SH, Noh HJ, Kim SH, Kim HT, Shin DJ, Kim MK, et al.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in two Korean families. J Korean

Neurol Assoc 2000;18:298-303.

3. Nagai Y, Azuma T, Funauchi M, Fujita M, Umi M, Hirano M, et

al. Clinical and molecular genetic study in seven Japanese families

with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J Neurol Sci 1998;157:52-59.

4. Shin DI, Lee TY, Lee SH, Lee SS, Han SH. A case of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J Korean Neurol Assoc 2000;18:345-348.

5. Harada H, Tamaoka A, Watanabe M, Ishikawa K, Shoji S. Downbeat

nystagmus in two siblings with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SCA

6). J Neurol Sci 1998;160:161-163.

6. Yabe I, Sasaki H, Yamashita I, Takei A, Fukazawa T, Hamada T,

et al. Initial symptoms and mode of neurological progression in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SCA6). Rinsho Shinkeigaku 1998;38:

489-494.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