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3 장 완전경쟁하의 요소시장

Preview:

DESCRIPTION

제 13 장 완전경쟁하의 요소시장. 이 기 성. 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의 특징. 생산요소시장 또는 요소시장이란 생산요소가 거래되는 시장(예 : 토지, 노동, 자본 등) 생산물시장과 요소시장에서는 수요자와 공급자의 위치가 바뀜.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의 크기는 생산물에 대한 수요의 크기에 달려있음. 즉, 생산요소는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재화에 대한 수요가 우선 정해지고 2차적으로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가 정해짐.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제제 1313 장 완전경쟁하의 장 완전경쟁하의요소시장요소시장

제제 1313 장 완전경쟁하의 장 완전경쟁하의요소시장요소시장

이 기 성이 기 성이 기 성이 기 성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의 특징 생산요소시장의 특징 생산요소시장 또는 요소시장이란 생산요소가 거래되는 시장 ( 예 : 토지 , 노동 , 자본 등 ) 생산물시장과 요소시장에서는 수요자와 공급자의 위치가 바뀜 .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의 크기는 생산물에 대한 수요의 크기에 달려있음 . 즉 , 생산요소는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재화에 대한 수요가 우선 정해지고 2 차적으로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가 정해짐 .

→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를 파생수요 (derived

demand) 라 함 .

생산요소시장 또는 요소시장이란 생산요소가 거래되는 시장 ( 예 : 토지 , 노동 , 자본 등 ) 생산물시장과 요소시장에서는 수요자와 공급자의 위치가 바뀜 .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의 크기는 생산물에 대한 수요의 크기에 달려있음 . 즉 , 생산요소는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재화에 대한 수요가 우선 정해지고 2 차적으로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가 정해짐 .

→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를 파생수요 (derived

demand) 라 함 .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한계수입생산물 (marginal revenue product : MRP)

생산요소를 1 단위 추가적으로 고용할 때 총수입의 증가분 MRPX=dTR/dX=(dQ/dX)·(dTR/dQ)=MPX·MR

- 여기서 MRPX 는 다른 생산요소 투입량은 고정한 채

생산요소 X 투입량을 1 단위 증가시킬 때 총수입 증가분 , dQ/dX 는 생산요소 X 의 한계생산 , dTR/dQ 는 추가적 생산물에 대한 한계수입 (MR) 임 .

한계수입생산물 (marginal revenue product : MRP)

생산요소를 1 단위 추가적으로 고용할 때 총수입의 증가분 MRPX=dTR/dX=(dQ/dX)·(dTR/dQ)=MPX·MR

- 여기서 MRPX 는 다른 생산요소 투입량은 고정한 채

생산요소 X 투입량을 1 단위 증가시킬 때 총수입 증가분 , dQ/dX 는 생산요소 X 의 한계생산 , dTR/dQ 는 추가적 생산물에 대한 한계수입 (MR) 임 .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한계수입생산물 (marginal revenue product : MRP)

생산요소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한계생산 (MPX) 은

감소하므로 한계수입생산물 (MRP) 도 함께 감소함 .

- 한계수입은 생산물시장이 완전경쟁이면 일정 - 한계수입은 생산물시장이 불완전경쟁이면 감소 → 한계수입생산물곡선은 우하향의 형태로 도출됨 .

한계수입생산물 (marginal revenue product : MRP)

생산요소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한계생산 (MPX) 은

감소하므로 한계수입생산물 (MRP) 도 함께 감소함 .

- 한계수입은 생산물시장이 완전경쟁이면 일정 - 한계수입은 생산물시장이 불완전경쟁이면 감소 → 한계수입생산물곡선은 우하향의 형태로 도출됨 .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한계요소비용 (marginal factor cost : MFC)

생산요소를 1 단위 추가적으로 고용할 때 총비용의 증가분 MFCX=dTC/dX=(dQ/dX)·(dTC/dQ)=MPX·MC

한계요소비용 (marginal factor cost : MFC)

생산요소를 1 단위 추가적으로 고용할 때 총비용의 증가분 MFCX=dTC/dX=(dQ/dX)·(dTC/dQ)=MPX·MC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생산요소시장의 분석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생산요소시장에서의 기업의 행동원리 이윤극대화 원리 기업의 이윤극대화는 MRPX =MFCX 일 때 달성됨 .

따라서 생산요소의 고용량도 MRPX =MFCX 일 때 달성

MRPX >MFCX 일 때 요소 고용량 증가 : 이윤 증가

MRPX <MFCX 일 때 요소 고용량 감소 : 이윤 증가

→ 따라서 생산요소시장에서의 이윤극대화 조건과 생산물시장에서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동일함 .

MRPX =MFCX : 생산요소시장의 이윤극대화 조건

MR=MC : 생산물시장에서의 이윤극대화 조건

이윤극대화 원리 기업의 이윤극대화는 MRPX =MFCX 일 때 달성됨 .

따라서 생산요소의 고용량도 MRPX =MFCX 일 때 달성

MRPX >MFCX 일 때 요소 고용량 증가 : 이윤 증가

MRPX <MFCX 일 때 요소 고용량 감소 : 이윤 증가

→ 따라서 생산요소시장에서의 이윤극대화 조건과 생산물시장에서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동일함 .

MRPX =MFCX : 생산요소시장의 이윤극대화 조건

MR=MC : 생산물시장에서의 이윤극대화 조건

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 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

완전경쟁의 의미 완전경쟁의 의미 생산물시장 생산물시장이 완전경쟁이면 개별기업은 가격순응자 이므로 주어진 가격에서 원하는 만큼 재화 판매 가능 따라서 한계수입은 가격과 일치 (P=MR)

MRPX =MPX · MR

MRPX =MPX · P=VMPX

한계생산물가치 (value of marginal product : VMPX) :

생산요소의 한계생산 (MPX) 을 시장가치로 환산한 값

- 완전경쟁일 때 MRPX 와 일치

- 불완전경쟁일 때 MRPX 보다 큼 .

생산물시장 생산물시장이 완전경쟁이면 개별기업은 가격순응자 이므로 주어진 가격에서 원하는 만큼 재화 판매 가능 따라서 한계수입은 가격과 일치 (P=MR)

MRPX =MPX · MR

MRPX =MPX · P=VMPX

한계생산물가치 (value of marginal product : VMPX) :

생산요소의 한계생산 (MPX) 을 시장가치로 환산한 값

- 완전경쟁일 때 MRPX 와 일치

- 불완전경쟁일 때 MRPX 보다 큼 .

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 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

완전경쟁의 의미 완전경쟁의 의미 생산요소시장 생산요소시장이 완전경쟁이면 개별기업은 가격순응자 이므로 주어진 가격에서 원하는 만큼 요소 고용 가능 따라서 한계요소비용 (MFCX) 은 생산요소가격과 일치

MFCX =PX

생산요소시장 생산요소시장이 완전경쟁이면 개별기업은 가격순응자 이므로 주어진 가격에서 원하는 만큼 요소 고용 가능 따라서 한계요소비용 (MFCX) 은 생산요소가격과 일치

MFCX =PX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완전경쟁의 의미 완전경쟁의 의미 이윤극대화 조건 - 생산물시장과 생산요소시장이 모두 완전경쟁인 경우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음 .

MRPX=MFC=VMPX=PX

- 이윤극대화 요소수요 조건은 VMPX=MPX·P=PX

VMPX>PX 일 때 요소 수요량 ( 고용량 ) 증가

VMPX=PX 일 때 요소 수요량 ( 고용량 ) 불변

VMPX<PX 일 때 요소 수요량 ( 고용량 ) 감소

- 완전경쟁기업의 요소 수요 ( 고용 ) 곡선은 우하향하는 VMPX 곡선이 됨 .

이윤극대화 조건 - 생산물시장과 생산요소시장이 모두 완전경쟁인 경우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음 .

MRPX=MFC=VMPX=PX

- 이윤극대화 요소수요 조건은 VMPX=MPX·P=PX

VMPX>PX 일 때 요소 수요량 ( 고용량 ) 증가

VMPX=PX 일 때 요소 수요량 ( 고용량 ) 불변

VMPX<PX 일 때 요소 수요량 ( 고용량 ) 감소

- 완전경쟁기업의 요소 수요 ( 고용 ) 곡선은 우하향하는 VMPX 곡선이 됨 .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이윤극대화 고용량의 결정 이윤극대화 고용량의 결정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 가변요소 하나인 경우 )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 가변요소 하나인 경우 ) 횡축은 요소 ( 노동 ) 투입량 , 종축은 한계생산물가치 (VMPL=PL ) 임 .

횡축은 요소 ( 노동 ) 투입량 , 종축은 한계생산물가치 (VMPL=PL ) 임 .

임금과 노동수요량이 서로 반대인 이유는 수확체감 의 법칙 때문임 .

임금과 노동수요량이 서로 반대인 이유는 수확체감 의 법칙 때문임 .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요소수요곡선의 변화 요소수요곡선의 변화 생산요소의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이윤극대화 요소수요 ( 고용 ) 조건인 VMPX=MPX·P=PX 에서 세 가지

PX, MPX, P 임 .

PX 의 하락은 VMPX 곡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

PX 의 상승은 VMPX 곡선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

( 요소수요량의 변화 ) MPX 의 증가와 P 의 상승은 VMPX 곡선 자체가 오른쪽

으로 이동하고 , MPX 의 감소와 P 의 하락은 VMPX 곡선

자체가 왼쪽으로 이동 ( 요소수요의 변화 )

생산요소의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이윤극대화 요소수요 ( 고용 ) 조건인 VMPX=MPX·P=PX 에서 세 가지

PX, MPX, P 임 .

PX 의 하락은 VMPX 곡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

PX 의 상승은 VMPX 곡선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

( 요소수요량의 변화 ) MPX 의 증가와 P 의 상승은 VMPX 곡선 자체가 오른쪽

으로 이동하고 , MPX 의 감소와 P 의 하락은 VMPX 곡선

자체가 왼쪽으로 이동 ( 요소수요의 변화 )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 가변요소가 둘 이상 )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 가변요소가 둘 이상 )

자본량이 고정되어 있다면 단기의 요소수요곡선은 VMPX 곡선임 .

최초에 임금이 80 만원이면 노동수요량은 3 단위인 A 점 만약 임금이 40 만원으로 하락하면 단기적으로 노동수 요량은 5 단위로 증가하여 C 점으로 이동함 . 장기에는 노동사용량 증가와 더불어 자본사용량도 증 가함 . 자본설비가 증가하면 노동생산성 (MPL) 이 향상됨 .

따라서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 (VMPL=MPL·P) 가 상

승하면서 VMPL 곡선이 우측 ( 상방 ) 이동

자본량이 고정되어 있다면 단기의 요소수요곡선은 VMPX 곡선임 .

최초에 임금이 80 만원이면 노동수요량은 3 단위인 A 점 만약 임금이 40 만원으로 하락하면 단기적으로 노동수 요량은 5 단위로 증가하여 C 점으로 이동함 . 장기에는 노동사용량 증가와 더불어 자본사용량도 증 가함 . 자본설비가 증가하면 노동생산성 (MPL) 이 향상됨 .

따라서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 (VMPL=MPL·P) 가 상

승하면서 VMPL 곡선이 우측 ( 상방 ) 이동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 가변요소가 둘 이상 )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 가변요소가 둘 이상 )

자본과 노동이 모두 가변적일 경우 노동수요곡선은 VMPL 이 아니라 A 와 C’ 를 연결한 DL 곡선이 됨 .

장기 노동수요곡선은 더욱 탄력적인 형태로 도출

자본과 노동이 모두 가변적일 경우 노동수요곡선은 VMPL 이 아니라 A 와 C’ 를 연결한 DL 곡선이 됨 .

장기 노동수요곡선은 더욱 탄력적인 형태로 도출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개별 기업의 요소수요곡선

대체효과 , 산출량효과 , 이윤극대화 효과 대체효과 , 산출량효과 , 이윤극대화 효과 대체효과 : L1L’, 산출량효과 : L1’L2

이윤극대화 효과 : L2L3

대체효과 : L1L’, 산출량효과 : L1’L2

이윤극대화 효과 : L2L3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시장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시장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생산물시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

- 시장전체의 요소수요곡선은 개별기업의 요소수요 곡선을 수평으로 단순 합계하여 도출 - 일반적으로 시장전체의 요소수요곡선은 개별기업 의 요소수요곡선보다 탄력적인 형태

생산물시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

- 시장전체의 요소수요곡선은 개별기업의 요소수요 곡선을 수평으로 단순 합계하여 도출 - 일반적으로 시장전체의 요소수요곡선은 개별기업 의 요소수요곡선보다 탄력적인 형태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시장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시장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생산물시장을 고려하는 경우 :

- 개별기업의 요소수요곡선이 주어졌을 때 임금이 하락하면 요소 ( 노동 ) 고용량 증가 - 노동고용량 증가는 산출량 증가를 통하여 재화의 가격 하락 - 재화가격의 하락은 VMPL 곡선의 하방 이동

- 생산물시장을 고려하는 경우 요소수요곡선은 단순 수평합계보다 비탄력적임 .

생산물시장을 고려하는 경우 :

- 개별기업의 요소수요곡선이 주어졌을 때 임금이 하락하면 요소 ( 노동 ) 고용량 증가 - 노동고용량 증가는 산출량 증가를 통하여 재화의 가격 하락 - 재화가격의 하락은 VMPL 곡선의 하방 이동

- 생산물시장을 고려하는 경우 요소수요곡선은 단순 수평합계보다 비탄력적임 .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시장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시장 요소수요곡선의 도출 생산물시장을 고려하는 경우 생산물시장을 고려하는 경우

생산물시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보다 비탄력적임 . 생산물시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보다 비탄력적임 .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시장의 요소수요곡선시장의 요소수요곡선

요소수요의 가격탄력성 요소수요의 가격탄력성 요소수요의 가격탄력성 :

요소가격이 변화할 때 요소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반응도 요소수요 가격탄력성의 결정요인 :

- 대체 생산요소의 존재여부 및 다소 - 생산물시장에서 재화의 가격탄력성과의 관련성 - 대체 생산요소 공급탄력성의 크기 - 총생산비 중 그 생산요소의 지출비중 - 장단기 여부

요소수요의 가격탄력성 :

요소가격이 변화할 때 요소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반응도 요소수요 가격탄력성의 결정요인 :

- 대체 생산요소의 존재여부 및 다소 - 생산물시장에서 재화의 가격탄력성과의 관련성 - 대체 생산요소 공급탄력성의 크기 - 총생산비 중 그 생산요소의 지출비중 - 장단기 여부

생산요소의 공급곡선생산요소의 공급곡선 생산요소의 공급곡선생산요소의 공급곡선

근로시간과 여가시간간의 최적선택 근로시간과 여가시간간의 최적선택

생산요소의 공급곡선생산요소의 공급곡선 생산요소의 공급곡선생산요소의 공급곡선

생산요소의 개별 공급곡선 생산요소의 개별 공급곡선

개별 근로자의 노동공급곡선은 임금이 상승할 때 노동 공급량은 증가하기 때문에 우상향의 기울기 그러나 임금이 일정 수준 이상 상승하면 노동공급량은 감소하기 때문에 노동공급곡선은 좌상향의 기울기

개별 근로자의 노동공급곡선은 임금이 상승할 때 노동 공급량은 증가하기 때문에 우상향의 기울기 그러나 임금이 일정 수준 이상 상승하면 노동공급량은 감소하기 때문에 노동공급곡선은 좌상향의 기울기

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 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완전경쟁하의 요소수요곡선

임금 인상에 따른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임금 인상에 따른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임금 인상에 따른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대체효과 : 임금 인상 → 여가의 상대가격 상승 → 여가소비 감소 → 노동공급 증가 - 소득효과 : 임금 인상 → 실질소득 상승 → 여가소비 증가 → 노동공급 감소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크기에 따른 노동공급곡선 형태 - 임금 인상 → 대체효과 > 소득효과 → 노동공급곡선 우상향 - 임금 인상 → 대체효과 < 소득효과 → 노동공급곡선 후방굴절

임금 인상에 따른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대체효과 : 임금 인상 → 여가의 상대가격 상승 → 여가소비 감소 → 노동공급 증가 - 소득효과 : 임금 인상 → 실질소득 상승 → 여가소비 증가 → 노동공급 감소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크기에 따른 노동공급곡선 형태 - 임금 인상 → 대체효과 > 소득효과 → 노동공급곡선 우상향 - 임금 인상 → 대체효과 < 소득효과 → 노동공급곡선 후방굴절

생산요소의 공급곡선생산요소의 공급곡선 생산요소의 공급곡선생산요소의 공급곡선

생산요소의 시장공급곡선 생산요소의 시장공급곡선

노동시장의 노동공급곡선은 개별 근로자의 공급곡선 을 수평으로 합계하여 도출 일반적으로 시장노동공급곡선은 우상향의 기울기임 .

그러나 임금이 아주 높으면 좌상향의 기울기로 역전

노동시장의 노동공급곡선은 개별 근로자의 공급곡선 을 수평으로 합계하여 도출 일반적으로 시장노동공급곡선은 우상향의 기울기임 .

그러나 임금이 아주 높으면 좌상향의 기울기로 역전

생산요소시장의 균형생산요소시장의 균형 생산요소시장의 균형생산요소시장의 균형

생산요소의 균형가격과 고용량 생산요소의 균형가격과 고용량

노동의 가격은 노동의 한계생산력에 의해 결정 → 생산요소 가격과 고용량 결정이론을 한계생산력이 론 (marginal productivity theory) 이라 함 .

노동의 가격은 노동의 한계생산력에 의해 결정 → 생산요소 가격과 고용량 결정이론을 한계생산력이 론 (marginal productivity theory) 이라 함 .

생산요소시장의 균형생산요소시장의 균형 생산요소시장의 균형생산요소시장의 균형

경제적 지대 , 전용수입 , 준지대 (quasi-rent) 경제적 지대 , 전용수입 , 준지대 (quasi-rent)

경제적 지대 (economic rent)

- 생산요소가 현재 용도에 공급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금액을 초과하여 생산요소에 지불되는 금액 - 생산요소 공급자의 잉여에 해당 전용수입 (transfer earnings)

- 어떤 생산요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급해야 하는 최소의 금액 - 생산요소 공급에 따른 기회비용 준지대 (quasi-rent)

- 단기에 고정되어 있는 생산요소에 지불되는 금액

경제적 지대 (economic rent)

- 생산요소가 현재 용도에 공급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금액을 초과하여 생산요소에 지불되는 금액 - 생산요소 공급자의 잉여에 해당 전용수입 (transfer earnings)

- 어떤 생산요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급해야 하는 최소의 금액 - 생산요소 공급에 따른 기회비용 준지대 (quasi-rent)

- 단기에 고정되어 있는 생산요소에 지불되는 금액

생산요소시장의 균형생산요소시장의 균형 생산요소시장의 균형생산요소시장의 균형

경제적 지대와 전용수입 경제적 지대와 전용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