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seoul museum · 2018-03-14 · Tel 02)724-0274~6 1.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Preview:

Citation preview

일제강점기 당시 사용하던 태극기와 현재의 태극기를 비교해 보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 희생하셨던 독립운동가들을 생각하며 태극기를 그립시다.

발행인 송인호 서울역사박물관장

발행부서 서울역사박물관 교육대외협력과

총괄 박상빈 학예연구관

기획 송지현 학예연구사

*서울역사박물관과 협의 없이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

발행일 2017년 6월

제작 맥코웰

발행처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Tel 02)724-0274~6 www.museum.seoul.kr

<소장 : 대한민국역사박물관>1.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경교장의 원래 이름은 ( )이었으나, 훗날 개명했다.

•경교장은 1945년 해방 후 ( ) 청사였으며, ( )와

임정 요인의 숙소로 사용했다.

2. 다음을 읽고 맞으면 ○, 틀리면 ×를 하세요.

•경교장은 1938년 친일파 최창학이 건립했다. ( )

•경교장이란 이름은 동대문 근처에 있던 ‘경교’라는 다리 이름에서 따왔다. ( )

•김구는 경교장에 머물던 기간 동안 신탁통치 운동에 찬성하였다. ( )

•김구는 1949년 경교장에서 안두희의 흉탄에 맞아 서거하였다. ( )

헤이그 하얼빈

봉오동

도쿄 청산리

상하이충칭

파리

필라델피아

샌프란시스코

쿠바

독립운동가들은 일제에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하여, 세계 곳곳에서 치열한 독립운동을 벌였습니다.

자 그럼, 독립운동 장소와 인물을 찾아 떠나 볼까요?

한인애국단의 윤봉길이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 폭탄을 던지기 3일 전에 쓴 선서문입니다.

함께 읽으면서, 우리 가족도 독립운동 선서에 참여해요!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1 네덜란드 헤이그 : 1907년 만국평화회의 참석 – 이준, 이상설, 이위종

2 미국 샌프란시스코 : 1908년 스티븐슨 암살 - 전명운, 장인환

3 중국 하얼빈 : 1909년 이토 히로부미 사살 - 안중근

4 조선 : 1919년 3.1운동 – 유관순

5 중국 상하이 :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 김구

6 중국 봉오동 : 1920년 봉오동 전투 – 홍범도

7 중국 청산리 : 1920년 청산리 전투 – 김좌진

8 일본 도쿄 : 1932년 일본 국왕 폭살기도 사건 – 이봉창

9 중국 상하이 : 1932년 일본전승기념식 폭탄 투척 – 윤봉길

10 중국 충칭 :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

전명운 장인환

이준, 이위종, 이상설 김좌진김구

윤봉길

유관순

이봉창

한국광복군

홍범도안중근

독립의 그날 스티커최종 6.14.indd 1 2017-06-14 오후 3:36:09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