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1.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aneunhee1/... · 2016. 9. 9. ·...

Preview:

Citation preview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Chapter 11. 공간과 시각2014 Space Design Seminar1

가천대학교실내건축학과

담당 Prof. 안은희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공간과 모더니티

“모더니티는 진보에 대한 확신의 정신이다 ”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1. 근대성(modernity)과 탈근대성(post-modernity)

(1) 개념정의

- 모더니티(현대성, 근대성) : 17~20C 서양의 정신생활을 규정하는 ‘시대정신’. 모더니즘은 모더니티의 하위개념으로 모더니티의

문화예술계의 발현을 의미

- 포스트모더니티(탈 현대성ㆍ근대성) : 최근의 시대정신

- 근대화 : 새로운 욕구, 새로운 소비, 새로운 생산을 끊임없이 창조하고 그 창조를 영속적인 것으로 만드는 과정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1. 근대성(modernity)과 탈근대성(post-modernity)

(2) 모더니티의 시대정신

- 고대 중세와 다른 시대라는 역사의식의 표현, 근대를 나누는 근거 (르네상스, 종교개혁, 활자발명, 프랑스혁명, 산업혁명, 과학의

진보 등)

- 이성적 능력에 대한 신뢰 : 18C 계몽주의 사조의 영향 (데카르트, 칸트, 로크)

- 자연관의 변화 : 유기체적 자연관 → 기계적 자연관

- 진보에 대한 믿음 : 과학기술과 산업문명 이후 물질적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세계는 진보한다는 의식 (다윈의 진화론)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1. 근대성(modernity)과 탈근대성(post-modernity)

(3) 포스트모더니티의 시대정신

- 1950ㆍ60년대 전개된 정보화사회, 후기산업사회와 대응

- 이성중심주의의 한계 비판 : 이성에 의해 억제된 비이성의 영역을 개방하고 활성화할 것을 강조

- 진보사관 거부 : 이전부터 내려오는 진보적 입장의 권위와 체계에 대한 전면 거부

- 개인의 무한대적 자유 강조 : 원자적 개인의 자유 강조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1. 근대성(modernity)과 탈근대성(post-modernity)

(4) 철학사상 논쟁

- 모던과 포스트모던의 시대정신은 중첩되어 있음

- 모더니티를 미완의 프로젝트로 보고 중첩된 구조 속에서 변증법적으로 조망할 것을 주장 (하버마스)

- 서구에서 진행되었던 ‘서구의 시대정신’이 우리나라에 적용될 때의 문제점 : 모더니티가 전면적으로 구현된 적이 없었던 동시에

정보화 사회라는 포스트 모던 단계로 진입하며 두 양상이 혼란스럽게 중첩됨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공간과 시각

“우리는 경계를 만들고 경계는 우리를 만든다.”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2. 시각의 문제 or 주체의 문제 or 구조의 문제

- 문제 제기 : 시각의 성격은 정말 변화하고 있는가? 어떤 형태 혹은 양식은 버려지고 있는가? 어떤 종류의 단절인가? 현재의

이미지와 예전의 시각 조직을 연결하는 연속성의 요소는 무엇인가?

- 시각의 문제 : 육체와 사회 권력의 작동에 대한 문제 → 인간 주체의 생산적, 인식적 능력과 욕망하는 능력을 변화시켰던 지식과

사회적 실천의 대규모 재조직화와 뗄 수 없는 관련을 가짐. cf. 알타미라 벽화와 로마네스크 시대의 성화 비교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2. 시각의 문제 or 주체의 문제 or 구조의 문제

- 근대적 시각 혁명 개념의 전제 : 초연한 시점을 가진 주체(관찰자)의 현존에 의존 → 영구히 동일자의 지위를 갖는 관찰자에 의해

모더니즘이라는 거대담론이 형성됨 → 즉, 지각은 관념적인 개념의 문제가 아니라 관찰자라는 주체의 문제로 이해되어야 함

- 시각에 대한 배치․구조적 접근 : ‘인식이나 시각은 자신의 자발적인 역사를 가지지 않는다. 변하는 것은 인식이 발생하는 장을

구성하는 복수의 힘과 규칙들이다.’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2. 시각의 문제 or 주체의 문제 or 구조의 문제

- 시선 or 시각 : 볼 수 있는 것(le visible)과 볼 수 없는 것(l'invisible)을 가르고, 보아야 할 대상과 보는 방식을 정의하며, 그에

따라 특정한 방식으로 보도록 만드는 체제(régime)의 문제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2. 시각의 문제 or 주체의 문제 or 구조의 문제

- 근대화 속에 내재되어 재구성되는 주체 : 19세기의 풍경에서 관찰자는 재구성됨 → 근대 이전의 고정된 사회적 위계 속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지위를 누렸던 기호들(이탈리아 극장, 선투시법, 카메라 옵스큐라 등)이 끊임없이 불안정적이고 유동적이

됨에 따라 모방이 등가가 되는 새로운 유형의 기호(사진, 영화 등)가 필요하게 됨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3. 근대적 시선의 체제

- 투시법(perspective)

① 직선적 투시법(르네상스) : 이상적 시점(소실점) 강조

② 바로크적 투시법 : 상이한 위상적 가치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시점 사용. 보는 시점에 따라 상이한 상이 만들어짐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3. 근대적 시선의 체제

- 권력의 배치 : 바로크적 시선의 체제에서는 다수의 시점이 인정되는 동시에 다양성을 통일시키는 하나의 단일한 중심(특권적

시점)이 마련됨 → 주체의 자리

- 권력의 시선 : 푸코가 분석한 판옵티콘은 감시의 시선 즉, 권력의 시선으로 주체를 훈육하는 건축 공간적 장치임 → 타자의

시선에 의한 규제/통제는 주체 스스로의 통제 및 검열로 이어짐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3. 근대적 시선의 체제

- 정상성에 대한 욕망 : 불완전한 인간의 시각이 갖는 결점을 과학(생리학적 광학) 을 통해 정상성을 획득하려 함 → 정상성의

윤곽들을 정의하고 표준적인 시각을 관찰자에 부여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

- 배치의 ‘기계화’ : 카메라의 발전과 더불어 렌즈의 초점에 시선의 초점을 일치시키며 기계적 장치에 의한 시선의

동일성(identité)이 생성됨 (사진을 보는 것은 나요, 언제나 내가 보는 것이라는 가상이 만들어짐. 영화의 메카니즘과 동일)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4. 근대적 시각과 현대적 시각의 경계

- 촉각의 배제를 통한 시각의 자율화 : 1차적 접촉을 통해 견고하게 구현되었던 공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 관계에서 추상화되기

쉽고 조작되기 쉬운 시각적 공간으로 변화됨 → 스펙터클공간이 등장하고 소비의 대상이 되고 그러한 소비가 의무인 새로운

관찰자들이 훈육됨.

제 4의 벽(스크린)

내부화 된외부공간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4. 근대적 시각과 현대적 시각의 경계

- 시각의 수동성 : 본다(seeing)는 우발적이고 사적인 행위는 현대에 들어서며 점차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직접적 접촉에서

단절되어 감 → 본다는 신체감각은 세계(외부)를 향하지 않고 상호성을 잃고 있음. 즉, 밖에 있는 대상을 향해 자신을 움직이지

않고, 보는 것 자체에서 대상을 재구성함 (시뮬레이션의 극대화)

- 우리가 보는 것은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들이 아니라 우리들 내부(사회적․ 구조적 체제)에서 만들어진다.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근대성과 시각 : 경계와 관찰자

4. 근대적 시각과 현대적 시각의 경계

- 새로운 시각현상(CG)의 등장․침투 :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질 정도의 리얼리티를 가짐 → 점차 근대적 테크놀러지가

인간의 신체를 대체하며 손발뿐 아니라 눈․귀까지 배제된 ‘기관없는 신체’의 커뮤니케이션 시대가 도래할지도...

- 새로운 시각의 위상 : 육체를 지니고 외부와 끊임없이 커뮤니케이션하는 눈(보는 것)의 위상 회복 필요성이 대두됨.

공간과근대성

2014 Space Design Seminar1

참고도서

- 위르겐 하버마스, 이진우 역,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 M. 칼리니스쿠, 이영욱 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1993

-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3

- 기 드보르, 유재흥 역, <스펙타클의 사회>, 현실문화연구, 1996

- 존 버거, 박범수 역, <본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2000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