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연구 및 기술 보급 확대 185 · 2 days ago · 스마트팜 연구 및 기술...

Preview:

Citation preview

스마트팜 연구 및 기술 보급 확대 185정책개요

• 융복합스마트팜이용기술의개발및실용화

• 스마트팜활용농업생산성향상기술개발보급

• 인공지능기반의농업활용기술개발보급

현황 및 정책목표● 현황

-ICT확산정책으로증가하는스마트농가의밀착형지원체계구축·운영

·(농림축산식품부)시설원예:(’14)60ha→(’17)4,000→(’22계획)7,000

·(경기도)스마트팜현장지원센터모니터링:(’16)30호→(’19)100→(’22)200

-IoT,AI,빅데이터,드론등4차산업혁명기술과융합을통해농업의혁신적인변화를초래하는정밀농업시대에부응하는연구필요

● 정책목표

-ICT융복합스마트팜이용기술개발및실용화와4차산업혁명기술의농업적활용을통해농업인의삶의질개선과생산성향상을통한농가소득증대기여

향후 추진계획

• ICT융복합스마트팜빅데이터수집및운용기술개발

-빅데이터수집및분석:(’18)시설원예6작목→(’22)노지작목확대

-데이터기반오이스마트팜재배환경기술현장적용:2개소

-노지스마트팜정밀관수시스템개발:포도,고추,배추등

-스마트팜원격모니터링및운영진단서비스:(’18)50호→(’22)200

• 농업인스마트팜이용활성화및기술보급

-ICT활용스마트팜(원예ㆍ축산)기술보급시범:(’18)24개소/년→(’22)153

※스마트팜테스트베드조성등현장교육장구축:(’18)2개소→(’22)6

• 인공지능,드론기반의정밀농업기술개발및확산

-과수병해충예찰및작물생육진단기술개발:적성병(배)프로그램개발보급

-드론영상활용기술개발:화상병(사과,배)이미지진단알고리즘개발

-딥러닝기법활용오이영양결핍진단:「사이버식물병원」홈페이지에수록활용확대

-인공지능기반환경자율조절기술:스마트반려식물재배기(특허출원)및기술이전

-스마트양봉시스템구축및보급확대:여왕벌추적생력화,벌이동패턴조사등

-고객맞춤형채소재배기술개발:특정질환용(당뇨,신장질환,철분강화등)

-식물공장구축활용기술개발:미세환경정밀제어(밀폐형,태양광병용형,컨테이너형)

-식물공장용적합육묘시스템기술개발:컨테이너형딸기육묘시스템(특허출원)

·고추냉이재배기술개발,토마토육묘적합LED광량조건,육묘매뉴얼제작등

-헬스케어용채소재배기술확대보급:1→3개소(파주,용인등)

-열매채소류육묘시스템사막국가수출추진:카타르등중동국가(육묘테스트중)

105. 농업의 현대화와 기술개발 적극 지원

임기구분 임기내임기외사업주체 국가경기도신규여부 지속 신규사업시기 단기중기장기예산구분 예산비예산이행단계 일부추진 정상추진이행후 계속추진완료

426

공약실천계획서

● 추진일정

세부추진상황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비고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사업추진계획수립및심의

ICT융복합스마트팜빅데이터수집및운용기술개발

농업인스마트팜이용활성화및기술보급

드론,로봇,인공지능기반의정밀농업기술개발및확산

● 소요예산액 (단위:억원)

구분 소계연도별예산액

비고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계 186.1 29 39.2 38.6 33.7 45.6

국비 46.6 10.3 7.5 9.6 9.2 10

도비 85.2 9.7 23.5 19.3 14.6 18.1

시군비 46.7 8 6.7 8 8.5 15.5

기타 7.6 1 1.5 1.7 1.4 2

공약달성 확인지표

확인지표 단위 목표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생육·생장환경빅데이터수집 개소 60 26 35 40 50 60

스마트팜운영지원및컨설팅 농가수 200 50 100 140 180 200

스마트팜시범및테스트베드조성 개소 153 24 48 78 113 153

드론,로봇,인공지능기반의정밀농업기술개발및확산

건 28 6 12 18 24 28

추진실적

• 생육,생장환경빅데이터수집:오이,국화,장미,가지등45호

• 스마트팜현장지원센터운영및컨설팅:오이,국화등150호

• 정밀농업기술개발(’20):기술이전1건,영농활용7건

• 농업인스마트팜이용활성화및기술보급

-ICT활용스마트팜(원예·축산)시범사업및테스트베드조성:78개소

농업인교육용시설제어시물레이터

환경제어장치교육시스템 테스트베드시험재배

426

427

(’20.12.31.기준)

확인지표 단위 실적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이행률

생육·생장환경빅데이터수집 개소 45 26 35 45 - - 75%

스마트팜운영지원및컨설팅 농가수 150 50 100 150 - - 75%

스마트팜시범및테스트베드조성 개소 78 24 48 78 - - 51%

드론,로봇,인공지능기반의정밀농업기술개발및확산

건 20 6 12 20 - - 71.4%

기대효과

• 스마트팜이용기술의개발보급을통한농업생산성향상

-스마트팜도입시생산량27.9%↑,고용노동비16.9%↓가능

• 농업분야의새로운미래직업군발굴및확대

-드론조정사,3D프린터설계사,스마트팜운영사등

원예연구과장원선이 229-5790미래농업팀장정윤경 5806담당자이영석 5808기술보급과장김현기 229-5860원예기술팀장최을수 5871담당자한지희 5872

428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