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ICT 이슈 - itfind.or.kr · 최신ICT이슈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39 ARkit이...

Preview:

Citation preview

38 www.iitp.kr

주간기술동향 2018. 8. 1.

IV. 애플의 ARkit, 구글의 ARCore를 통한 혼합현실(MR) 기술 트렌드

◾ 증강현실의 부족한 사실감을 극복한 혼합현실(Mixture Reality) 개발자 키트(ARkit, ARCore

등)의 공개로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음

▸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객체가 현실 공간과 어울리지 못하고 어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기술이 증강현실이었다면, 현실의 객체(형태, 크기 등)와 환경(깊이, 거리, 공간 넓

이)을 인식하여 가상의 객체가 정말 현실에 있는 듯한 착각이 들게끔 만드는 기술이

혼합현실임

▸ 2017년 구글 및 애플이 공개한 혼합현실 개발 툴에 의해 혼합현실 서비스 개발이 용이해

지고, 이로 이해 혼합현실을 통한 응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일의 질과 삶의 질이 향상

될 것으로 예상

◾ 2017년 9월 공개된 애플의 혼합현실 개발자 키트(ARkit)로 인해 수많은 혼합현실 앱들이

개발되었고, 최근 공개된 ARkit2.0은 또 다른 혼합현실의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산업분석팀(☎ 042-612-8296)과 최신ICT동향 컬럼리스트 김범수 집필위원(baemsu@gmail.com ☎ 010-7230-7901)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최신 ICT 이슈*

ARkit 다운로드 수(누적) 분야별 ARkit 다운로드 비중

<자료> 센서타워리서치

[그림 1] ARkit 다운로드 현황

최신ICT이슈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39

▸ ARkit이 공개된 지 6개월 만에 2,000개 이상의 혼합현실 앱이 개발되었고 다운로드 수는

1,300만 회가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ARkit로 개발된 혼합현실 서비스가 특히

게임을 중심으로 사용자들에게 새롭고 충분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임

▸ 이와 같은 ARkit를 통한 혼합현실 앱의 증가 원인은 바로 사실감 때문인데, 한 예로써

포켓몬고의 과거 버전이 현재의 위치, 시간 등을 활용하여 주변 객체/환경과 관계없이

가상의 포켓몬을 스크린 상에 보여주기만 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였음에 반해, 애플의

ARkit로 만든 혼합현실 포켓몬고는 주변 환경과 잘 어울려 마치 포켓몬이 내 앞에 있는

느낌을 주고 있음

▸ ARkit가 활성화되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만으로도 객체를 인지하고 주변의 3D 환경을 분석할 수 있어 특수 장비 없이도 혼합현

실이 가능하므로, 기업체가 원하는 서비스를 아이폰만 가지고 있다면 모든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임

▸ 실제 다운로드 상위 ARkit로 개발된 앱들 중 우리집 인테리어에 적합한지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이케아의 플레이스(Place)나 구매하기 전에 실제 레고를 만들어 놀고 있다는 착

이전 포켓몬고 ARkit로 개발된 포켓몬고

[그림 2] 포켓몬고 버전

[그림 3] 이케아 플레이스 [그림 4] 레고AR스튜디오

40 www.iitp.kr

주간기술동향 2018. 8. 1.

각을 느끼게 하는 레고AR스튜디오(Lego AR Studio)의 경우에서 보듯, 기업체들이 구매

전 간접 체험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효용성이 커질것으로 예상됨

▸ 2018년 초반에 공개된 ARkit1.5는 바닥뿐만 아니라 벽(Wall) 자체와 벽에 있는 객체까지

인식이 가능하여, 그림을 구매하기 전에 실제 진열했을 때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를 미리

볼 수 있는 서비스 등이 가능해졌음

▸ 2018년 후반에 공개될 ARkit2.0은 멀티플레이어 AR 서비스가 가능한 기능을 추가할 예정

이어서, 한 공간 안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게임 또는 서비스에 참여하여

혼합현실을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이 가능해질 것임

▸ 구글도 비슷한 시기에 ARCore라는 안드로이드 혼합현실 개발 툴을 공개하였는데, 이는

이전에 탱고(Tango)라는 기술을 기반으로 혼합현실 개발을 주도하고자 하였으나, 전용

카메라, 전용 스마트폰 등이 필요하여 대중에게 확산되기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직시하

고 애플과 같이 일반 스마트폰만으로도 가능한 혼합현실 툴을 개발한 것으로 판단됨

▸ 특히, ARCore로 개발된 혼합현실 서비스는 객체의 움직임과 주변 빛의 강도까지 포착할

수 있는 기술이 들어가 있어, ARkit와는 또 다른 혼합현실 서비스 구현이 가능한데, 처음

[그림 5] ARKit1.5 벽(Wall) 인식 [그림 6] ARkit2.0 다수 사용자 환경

[그림 7] 구글의 ARCore의 특징

최신ICT이슈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41

공개 당시 가상의 사자가 주변의 불을 껐을 때 반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시연하는 등 애플

과의 차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듯함

▸ 구글(ARCore)과 애플(ARKit)의 혼합현실을 위한 개발도구의 공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홀

로렌즈와 같이 추가적인 디바이스 없이 스마트폰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게 만든

혁신적인 개발 플랫폼으로 새로운 개발 영역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구글과 애플의 혼합현실 개발 도구를 기반으로 한 혼합현실앱 개발 이외에도 MS의 홀로렌

즈 등의 전문 디바이스를 통해 혼합현실을 구현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디즈니의 매직벤치는 가상의 디즈니 캐릭터들이 벤치에 앉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놀이를

함께 즐길 수 있는 혼합현실 장비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였는데, 벤치에는 가상의 객체가

의자에 앉았을 때 느낌을 주는 진동소자나 스피커 등을 설치하고, 앞에는 커다란 스크린

을 설치하여, 벤치에 앉아 스크린을 보면서 동물들과 함께 상호 교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

▸ 일본의 테오먼(Teomirn)은 피아노 교육에 혼합현실을 활용하고 있는데, 마이크로소프트

의 홀로렌즈를 머리에 착용한 후 실제 피아노를 바라보면 현실의 피아노 건반과 사람

손을 인식하며, 가상의 강사의 손이 건반 위에 보이고, 강사의 손을 따라 함께 피아노를

치면서 스스로 훈련할 수 있음

◾ 이제 혼합현실 서비스 구현은 단순히 한 가지 모바일 OS에만 대응하지 않고 모든 OS에

대응해야 할 것임

▸ 모든 OS에 대응하기 위해 서비스 개발자는 애플의 ARkit, 구글의 ARcore 또는 탱고

(Tango), MS의 홀로렌즈를 활용한 앱을 준비하고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

[그림 8] 디즈니의 매직벤치 [그림 9] 테오먼의 AR 활용 예

42 www.iitp.kr

주간기술동향 2018. 8. 1.

▸ 예를 들어, 테오먼(Teomirn) 같이 그림 그리기를 가르키는 스케차(Sketchar) 역시, ARkit,

Tango, 홀로렌즈에 대응하는 모든 앱을 만들어 제공하고 있음

▸ 한편, 구글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다른 종류의 OS에서도 혼합현실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크로스플랫폼 방안으로, 2018년 1월 아티클(article)이라는 웹브라우저를 위한

3D모델링 뷰어를 공개했음

▸ 혼합현실 서비스 확대의 장벽으로 여겨지는 제한된 OS 환경과 낮은 모바일 네트워크

성능은 각각 모바일 OS 업체의 크로스플랫폼 전략과 5G 인프라의 확대로 점차 해소될

것으로 예상됨

[ 참고문헌 ]

[1] https://www.cnet.com/news/wwdc-apple-pokemon-go-looks-even-better-with-arkit/ - 포켓몬고(ARkit)

[2 ]https://sensortower.com/blog/arkit-six-months - ARKit 트랜드 (센서타워리서치)

[3 ]https://itunes.apple.com/kr/app/lego-ar-studio/id1296734986?mt=8 - 레고AR스튜디오 사례

[4] https://itunes.apple.com/kr/app/ikea-place/id1279244498?mt=8 - 이케아 플레이스 사례

[5] http://www.idownloadblog.com/2018/01/25/arkit-1-5-features/ - ARkit 1.5 사례

[6] https://www.businessnewsdaily.com/10952-augmented-reality-apple-arkit-2-for-business.html - ARkit2.0

설명

[7] https://unity3d.com/kr/partners/google/arcore - ARcore에 대한 설명

[8] https://tech.co/disneys-magic-bench-mixed-reality-2017-07 - 디즈니의 매직벤치사례

[9] https://curiosity.com/topics/teomirn-is-the-worlds-first-augmented-reality-piano-teacher-curiosity/ -

테오먼 사례

[10] https://sketchar.tech/ - 스케차 사례

[11] https://www.vccircle.com/google-unveils-3d-model-viewer-for-web-browsers-in-augmented-reality-push/

- 구글 혼합현실 구동 웹브라우저 아티클

사례 제공 OS

[그림 10] 그림 그리기를 가르치는 스케차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