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보건에서의 혁신과 기술 활용 소개 Summary

Preview:

Citation preview

국제보건에서의 Innovation 과 Technology의 활용 소개 MHEALTH 및 KOICA의 사업을 중심으로

이훈상

보건전문관 KOICA (한국국제협력단)

M-Health 의 정의

M-Health

개발도상국에 있어서의 M-Health 원격으로 진료를 대신하는 고도의 기술력(high technology)을 요구하는 고가 장비로서의 측면보다는, 기초적인 보건서비스 활용의 증진이나 지역사회와 보건의료 서비스 시설 연계를 활성화 시키는 도구로서, 쉽게 보급되고 활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로서의 측면이 더욱 큼

보건의료적인 목적의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모바일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것(use of mobile and wireless technologies to support the achievement of health objectives, WHO) M-Health자체가 보건의료서비스라거나 보건의료서비스를 대체한다기 보다는, 건강한 보건의료 행태를 증진시키거나 보건의료 서비스 체계를 강화하는데 활용되는 보조적인 도구로 이해

개도국 보건의료의 M-Health 활용

기초적인 보건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과 지역사회 및 수혜자와 보건의료 서비스 체계와의 연계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은 활용 가능한 접근 방식으로 최근 활발히 대두

최근 개도국에서의 급격한 모바일 통신 이용의 향상 -특히 아프리카 및 아시아 지역 모바일 통신 환경 급격 증진개도국에서 모바일 기기 활용 보건서비스로서 M-Health관심 증대

통신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반의 구축이 아시아와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 급격하게 확대 -이러한 상황은 새로운 무선통신 기반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M-Health에 대한 관심을 더욱 촉진

아프리카 M-Health 기반 현황

아프리카 말라위의 경우 2012년도 현재 국토의 74%에, 인구의 85%에게 모바일 통신이 보급

2010년 기준으로 해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우 전체적으로 76% 이상의 인구가 모바일 통신이 가능한 상황 Mobile Observatory 2012) (Deloitte (2012), Sub-Saharan Africa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환경과 M-Health 활용의 증가 요인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향상에 있

어서의 M-Health의 기술적 발전

보건의료 인력간의 역할 이전(task

shifting) 및 보건의료체계적 필요

개도국 보건분야 M-Health 활용

M-Health 활용의 6가지 유형

① 사회 및 행태 변화 커뮤니케이션 도구

(Social and behavior change communication (SBCC) applications)

② 인력 양성 및 지원도구

(Workforce Development and Support)

③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지원

(Service Delivery Support)

④ 비용 지불 및 인센티브 제공

(Financial transactions and incentives)

⑤ 의료 용품 조달관리

(Supply management)

⑥ 보건정보 관리

(Health Information System)

사회 및 행태 변화 커뮤니케이션 도구 (Social and behavior change communication (SBCC))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보건의료 서비스 대상자나 일반 대중에게 직접 보건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거나 지역 주민이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자들과 연결이

될 수 있도록 역할

Mobile for Reproductive Health (m4RH)

– 가족계획을 위한 피임법의 종류에 대한 안내의 제공과 함께 문자 기반의 보건소 위치 확인 서비스 등을 제공

– Family Health International(FHI) 이라는 국제 NGO를 통해서 케냐와 탄자니아, 르완다 등에서 추진

– 초기 사업형성조사(Formative Research)등의 질적 조사연구 과정을 통해서 개발된 가족계획 및 피임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메시지 등을 핸드폰을 통해서 대상 여성들에게 직접 제공

투약순응도 지원도구(Support for Treatment Adherence)

- 서비스 대상자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결핵이나 에이즈 치료를 위해 약품 투약에 대한 순응도(adherence)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식

- 보건의료 서비스 방문에 대한 상기(reminder) 문자메시징 서비스 제공 등

케냐의 WelTel Kenya1 trial 시범사업

– 사업지역 보건소 간호사가 최근 HIV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에게 매주마다 지속적으로 약품 투약에 대한 문자(SNS)를 보낼 수 있도록 함

– 구체적인 작용 방식 ▪ 문자메시지는 환자가 어떠한지를 질문하고 환

자는 이틀 내에 답장을 하도록 함

▪ 보건소 간호사는 문자 답신을 안하거나 문제가 있다고 답신한 환자에게 전화를 함

– 문제메시지를 받은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관리된 환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HIV 치료 순응도를 보였으며, 효과적으로 체내 HIV 바이러스 억제도(rate of viral suppression)를 증진시킬 수 있었음

사회 및 행태 변화 커뮤니케이션 도구 (Social and behavior change communication (SBCC))

인력 양성 및 지원도구 (Workforce Development and Support)

케냐 mHealth 사업 사례 -지역 보건지소에 배치된 지역사회 보건

요원에게 말라리아 환자 진단과 치료에 대해서 교육받았던 정보를 매일 지속적으로 받도록 함

• 목적

– 지역사회 보건요원들이 외래 기반 아동 말라리아 치료에 대한 국가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도록 하기 위함

• 방식 – 매주마다 지역사회 보건요원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루에 두개씩 10개의 다른 메시지를 받도록 함

– 메시지는 말라리아 국가 가이드라인과 교육훈련 교재 내용의 핵심 권고사항을 반영하는 내용

인력 양성 및 지원도구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자 교육 훈련 시행, 업무계획 수립과 스케줄 지원, 지도관리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지원 (Service Delivery Support)

• mHealth 방식의 접근 – 보건의료 인력이 진단하고 치료하며 질환을 관리하고 환자를

전원하는 것을 돕도록 함

– 원격진료(telemedicine: 원격의 의료인-환자 진료), 의료서비스 제공자 간 커뮤니케이션(provider-to-provider communication)등

•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지원의 사례 – 환자관리 체크리스트의 제공이나 치료 알고리즘의 제공

– 다양한 치료서비스 접점에서의 지원 도구(point-of-care tool)및 업무보조 도구(e-FP Job Aid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보건의료 인력의 서비스 제공이나 설사 아동 치료나 호흡기 감염 아동 진단과 항생제 투약 등에 있어서의 보건의료 인력간의 역할이전(task-shifting)을 돕는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함

Nokia 전화기 상에서 운용되는 전자 가족계획 업무보조 도구(e-FP Job Aid)

e-IMCI Interface

비용 지불 및 인센티브 제공 (Financial transactions and incentives)

사업사례: 마다가스카 Marie Stope International 가족계획 모바일 바우처

- 문자메시지를 기반으로 하여 가족계획 서비스 요원들에게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mHealth 기반의 모바일 바우처 프로그램을 운용

- 2013년 3월까지 마다가스카의 12곳의 도서지역에서 29,000건의 비용지원이 제공된 바우처를 배포

- 이를 통해 최극빈층의 이용자들이 가족계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수월하게 만듬

- 가족계획 요원들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문자 메시지 기반의 비용 이전 시스템(SMS-based money transfer system)을 사용함

비용지불과 금전적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mHealth활용 -서비스 제공자에게 비용지급이 신속하게 되도록 하며 현금을 통해 운용하는 것에 비해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활용의 사례는 저축계정과 의료보험 운용 및 보건의료 인력에 대한 성과에 기반한 금 전적 인센티브 제공 등이 있음

• Voucher Activation

• Voucher Sale

• Voucher

Redemption

Cycle of a

Voucher

Service

Admin

Client

BlueStarManager

BlueStar Clinic

Activation

CBD sells Voucher to Client

Report of Clients Seen

BCC sells to CBD

Marie Stopes Voucher Program

의료 용품 조달관리 (Supply management)

약품과 다른 필수 의료용품 조달의 추적과 관리를 돕는데 모바일 기기를 활

- 약품과 의료용품 재고고갈(stock-out)의 방지와 의료기기 유지보수를 원할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

탄자니아의 통합 조달관리 시스템(ILS: Integrated Logistics System) 사례

– 실행기관: JSI(John Snow International) • 모바일 폰 기반의 신속 보고 시스템인 ILS Gateway시

스템을 개발하여 운용

• 현재 탄자니아에서는 2,300개의 보건의료 시설에서 보건인력들이 모바일 폰을 활용하여 20개의 필수 의약품 및 의료용품 목록에 대한 재고고갈(stock-out)현황을 보고

– 시스템의 작동 방식 • 현재의 재고현황에 대한 상황 보고 요청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받은 후, 담당자는 무료 문자번호(toll-free short code)로 재고현황에 대한 현재 정보를 문자로 보고

• 이 데이터는 사용자 친화적인 웹사이트로 전달되고, 웹사이트는 보건체계 관리를 위한 정보를 분석하여 게시

• 본 시스템은 월별 문자와 이메일 보고서를 구역과 주, 그리고 중앙 레벨의 관계자에게 보냄

ILS Gateway 운용방식에 대한 인포그래픽

보건정보 관리 (Health Information System)

M-Health 기반의 보건정보 시스템(Health Information System) 적용

-환자 건강 및 보건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보 수립과 보고, 기초 보건정보 보고체계(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환자 정보 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s), 임신과 출산 등 인구 동태(vital event) 추적과 등록체계(registries) 운용, 질병 감시(surveillance), 가구 조사(household survey) -보건정보체계에 있어서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mHealth의 적용 ● 보건정보 보고의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보건인력들을 번거로운 종이 기반의 관리체계(paper based system)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음. ●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은 중앙의 서버로 실시간으로 입력이 될 수 있어 지역, 주립, 국가 차원의 보건의료체계와 서비스 제공현황, 질병 통계의 모 니터링과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함

보건정보 관리 (Health Information System)

방글라데시의 mCare의 사례 (Johns Hopkins University Global mHealth Initiative)

– 방글라데시의 모자보건 솔루션

• 지역사회보건요원과 서비스 수혜자(산모와 신생아)들의 연결을 활성화 하는 프로그램

• 임산부 등록(pregnancy registry)의 향상과 함께 조기 신생아의 생존을 지원

– mCare 보건정보 시스템 : 대여섯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

• 임신 감시 및 등록 • 산전 및 산후 관리의 스케줄 관리와 서비스 제공 지원 • 산전 및 산후 관리를 위한 자동 상기(Automated reminder) 서비스 • 가정 기반의 신생아 관리 체크리스트 • 진통과 출산 통보 시스템 • 전원과 응급후송 시스템

* 보건정보체계(감시와 등록: Surveillance and Registration), 보건인력 개발(스케

줄 관리), 사회 및 행태적 변화 커뮤니케이션(자동 상기 서비스), 서비스 제공 (체크리스트, 통보시스템, 전원)과 관련된 활용이 복합된 프로그램

르완다 핸드폰(RapidSMS)을 이용한 모자보건 개선사업(2013-2015/450만불)

“Using SMS to Save Lives”

KOICA 지원 르완다 유니세프 M-Health 사업 사례

사업개요

– 사업명 :

• Saving Mothers and Babies in Rwanda through Rapid SMS

– 사업운용 : UNICEF Rwanda 및 Rwanda 보건부

– 분야 : 보건, 영양(MDGs 1, 4, 5, 6 달성 기여)

– 사업목적

• 핸드폰 기술을 이용하여 산모의 임신-산전관리-출산, 영유아의 생후 2년까지 질병예방-영양공급 상태를 정기적으로 추적하여, 산모의 안전한 임신과 출산 및 영유아의 올바른 성장을 지원

– 사업기간 : 2013년-2015년 (3년)

– 사업대상 : 르완다 전국 10개 지역 7,000개 마을

(전국 30개 지역, 15,000개 마을)

• 7,000명의 지역사회 보건요원(Community Health Worker, CHW), 산모 및 신생아 각 12만명, 2만4천 가구

– 소요예산 : USD4,500,000

르완다 유니세프 M-Health 모자보건 사업의 모식도

르완다 M-Health 사업 지역사회 보건요원 보건소 및 중앙 보건정보 시스템

• 산모, 신생아 건강상태 tracking • 적시에 적절한 의료서비스 가능

• 보건의료정보 실시간 업데이트, 데이터베이스화 가능 • 보건정책 수립 기반

사업 주요특징

지역사회 기반의

모자보건 향상 기여

• 현재 각 마을마다 양성되

어 배치되어 있는 마을 당

3명의 지역사회 보건요원

(CHW)들을 활용하여 지

역사회 기반의 아동 및 모

성 건강관리와 아동의 영

양관리 체계를 활성화

보건시스템 개선 및

강화에 기여

• 마을단위 모자보건 및 영

양관리 사업의 실시간 모

니터링을 통해 사업추진

이 미진한 지역이나 분야

를 즉각적으로 찾아내어

개선

Global Care International

+ The purpose of Morocco TB project with mHealth

• MDG 6 목표 성취 및 결핵의 퇴치

• Empowering을 통하여 북서아프리카에 보건사업의 확대를 위한 기반확보

• mHealth(모바일보건)을 통한 한국 Technology위상고취

• Mobile-Health business model의 실현 (한국 중소기업 제품의 활용)

Tuberculosis control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Region

Progress report 2009

WHO-EM/TUB/256/E

Tuberculosis control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Region

Progress report 2009

WHO-EM/TUB/256/E

Tuberculosis control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Region

Progress report 2009

WHO-EM/TUB/256/E

mHealth Trachoma in Malawi

Key Components of mHealth Pilot in Kasungu

• mHealth trachoma pilot currently has four components.

1. Patient Registration 2. Pre operation notes 3. Operation note 4. Post operation note

7/2/2015 29

M-Health 활용의 이점

한국의 ICT 비교우위 활용을 통한 한국 기여 가시도 제고

지역사회 기반의 소프트웨어 형 사업 경험의 축적 가능

국내 ICT기업의 PPP역량 향상 및 KOICA 민관협력 확대에 기여

M-Health 활용의 고려사항

– 단발적인 새로운 사업의 지속적인 시도보다는, 이미 검증된 사업 모델을 활용하여 국가적 차원의 확대(scale-up)에 집중

– M-Health를 활용한 지원의 추진 시 해당 수원국의 기존 M-

Health 관련 정책 및 전략과 연계하여 추진

– 타 원조파트너들과 사업의 내용을 공유하고 소통을 통해 국제적

기준에서 동떨어지지 않는 접근의 방식을 추진

국가적 차원의 확대를 염두

국가 정책과의 연계

원조 파트너들과의 지원과 연계 및 협력

개도국 M-Health사업 추진 시 확인이 필요한 여건

무선이동통신 활용 여건

정부 및 이동통신사의 추진의지 및 준비 여건

M-Health 관련 보건의료체계 준비태세

국제보건사업에 있어서의 M-Health 의 활용에 있어 유의할점(1)

- M-Health 는 하나의 tool로서 supporting mechanism임

• 보건의료 서비스 자체를 대체할 수 없음

- M-Health 는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기존의 보건의료체계와 연계되었을 때 역할 극대화

• ‘병원-보건소-보건지소-지역사회보건요원’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사회 보건체계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이를 더욱 활성화 시키는 보조적 메커니즘임으로서 보건의료체계와 연계되어 의미

M-Health 는 만병통치약(Panacea)이 아님

보건의료체계(Health System)와의 연계가 중요

국제보건사업에 있어서의 M-Health 의 활용에 있어 유의할점(2)

기술 디자인은 사용자의 수요를 반드시 반영할 것

모바일 기술 솔루션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자원을 조달해야 함

- 모바일 기술은 지역 기술과 정책 환경과 일관성을 가져야 함 - M-Health가 보건 정책 우선순위에 기여하고 기존의 방식 보완하도록 함 - 궁극에 M-Health를 통해 성취된 발전이 보건정책 발전을 견인토록 함

- 문맹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텍스트 기반이 아닌 음성기반의 방식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 - 전송되는 정보 내용을 지역문화를 고려해 맥락과 관계 짓는 것이 중요

국제보건사업에 있어서의 M-Health 의 활용에 있어 유의할점(3)

기술자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요소, 시장기반의 인센티브, 규제 구조도 고려되어야 함

오픈 솔루션이 디자인에 있어서의 기술적, 경제적 위험을 최소화 함

- 오픈소스의 소프트웨어 솔루션, 유저와 시스템의 표준화된 요소, 기술과 경험 기반의 자원 공유는 정보 시스템간 상호 운용성 촉진

- 이러한 요소들이 결국 사용자와 기술간의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냄

보건분야 혁신적 사업모델 사례

• 기업: BD(Becton, Dickinson and Company)社

• 제품: Odon Device – 분만 시 합병증으로 인해 산모와 아기가 위험해 질 수 있는 상황

에서 아기를 안전하게 분만시키는 저렴한 의료 도구

http://www.odondevice.org/

• 국제공모 – USAID가 영국, 노르웨이, 게이츠재단, 세계은행 등과 함께 진행

한 Saving Lives at Birth Grand Challenge for Development 국제공모에서 대표적인 혁신 사례로 입상 http://savinglivesatbirth.net/summaries/38

보건분야 혁신적 파트너쉽 모델 사례

Odon Device 의 개발과 관련 혁신적 PPP 모델

• 의료기기 회사인 BD

– 동 기기의 개발과 대량 생산을 통한 저가 보급을 위해 적정규모 생산시설 구축

• WHO

– Odon Device의 개발 및 임상실험에 필요한 경비 제공

• USAID, Grand Challenges Canada, DFID, Bill & Melinda Gates 재단

– 동 기구의 구매 및 분배를 책임지기로 사전 약정

• CSOs

– Odon Device의 광범위한 활용과 관련한 인식증진 활동을 담당

각각의 장점에 전문성에 바탕을 둔 상생 협력이 가능.

MOM Incubator

Cola-life

• Anti-diarrhoea kit

– Each kit contains ORS, zinc, a plastic cup for water

Cola-life

Re-Engineered Health Care Worker Suit

KOICA 창의적 가치창출 프로그램

공모주제

공모일정

보건분야 국내 기업의 UN 시장 조달 사례

단위 : 백만달러

UN Top 10 Agencies 구매실적

주요 조달 기관 2006년 2007년 2008년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유엔조달국(UNPD) 1,995.16 21.2% 1,904.26 18.8% 3,172.27 23.3%

세계식량계획(WFP) 1,762.66 18.7% 1,808.45 17.9% 3,063.92 22.5%

유엔개발계획(UNDP) 2,251.10 23.9% 2,424.10 24.0% 2,859.77 21.0%

유엔아동기금(UNICEF) 1,207.41 12.8% 1,368.51 13.5% 1,540.48 11.3%

유엔연구사업소(UNOPS) 557.72 5.9% 658.94 6.5% 862.85 6.3%

범미주보건기구(PAHO) 227.24 2.4% 293.76 2.9% 376.66 2.8%

유엔난민기구(PAHO) 89.11 0.9% 127.49 1.3% 366.10 2.7%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244.44 2.6% 231.18 2.3% 261.19 1.9%

유엔인구기금(UNFPA) 130.66 1.4% 223.75 2.2% 252.92 1.9%

유엔난민구제사업국(UNRWA) 164.25 1.7% 180.08 1.8% 205.31 1.5%

기타 774.25 8.2% 891.48 8.8% 632.53 4.7%

합계 9,404.00 100.0% 10,112.00 100.0% 13,594.00 100.0%

우리기업의 진출사례

(주)캬라반이에스

품목 : 조립식 숙소 텐트

수요기관 : UNPD

2008년 계약 수주 규모 : 약 $9,752,342.49

성공 요인 : 우수한 품질, 적극적인 입찰 활동

문제점 : 10% 이행 보증보험요구에 따른 자금확보

우리기업의 진출사례

(주)엘지생명과학

품목 : B형 간염백신 공급

수요기관 : UNICEF(유엔아동기금), PAHO(범미보건기구)

2008년 계약 수주 규모 : 약 $ 6,486,597.65

성공 요인 : 우수한 품질, WHO 제품 인증

문제점 : WHO의 승인을 얻기 까지의 까다로운 실사절차

유니더스

• 기업규모 – 매출 217억원

– 세계시장 30% 점유

– 생산량: 11억 5천만개 (연간

• UN 산하기구 조달 1위 –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인구활동기금

(UNFPA), 국제인구협회(PSI) 등

– 연간 5억 개 이상 콘돔을 발주

LGLS Vaccine in the present & Future

DTwP-HebB / Hib

Euforvac TM

Eutravac TM

Euvax B TM

Euhib TM

Flu Vaccine

Approval in 1992 & WHO Prequalification (1996)

Supply to WHO / UNICEF & PAHO over 10 years

More than 500 Mil. Dose have been used in 75 countries.

Hepatitis B vaccine

DTP-Hep B tetravalent combined vaccine

1’st combined vaccine approved in Korea, in 2008.

DTP-Hep B Combined Vaccine

Prevention of disease caused by Hib infection.

Approved in 2011

Hemophilus influenza Type B Vaccine

DTwP-Hep B / Hib pentavalent combined vaccine

Proposed WHO prequalification in 2012.

DTwP-Hep B / Hib Combined Vaccine

Innovative and Adult Vaccine

Strategic alliance with qualified partners

Novel manufacturing technologies

Sabin IPV Sabin Inactivated Polio Vaccine

Co-development with WHO and RIVM

Replacement of Oral Polio Vaccine

Hexavalent / Flu

Key Success Factors.

To Enhance the Role of Emerging Vaccine Manufacturers

for Public Health in Asia – Pacific Region…

In house innovation

Individual firm, group and public efforts and investments are highly needed

Explicit and consistent strategy regarding public market

Well-developed de-risking strategy

Close & frequent communication with various public stakeholders

Technological performance

Compliance to cGMP procedures and standards.

Relatively low cost infrastructures

말라리아 모기장 생산 관련 사례

• Olyset Net: 아프리카에서의 모기장 생산 사례 – 일본의 회사인 ‘수미모토 화학’은 로열티를 받지 않고 탄자

니아의 방직회사 A to Z Textile에 ‘말라리아 장기유지 약품처리 모기장(LLIN: Long Lasting Insecticidal Net)’ 생산 라이선스를 제공하여, 2003년부터 탄자니아에서 말라리아 약품처리 모기장이 Olyset Net라는 상품명으로 아프리카 현지에서 생산되기 시작

– 초반에는 년간 30만장의 모기장 생산을 목표로 하였음. – 현재는 UN 말라리아 퇴치 프로그램에 제공하기 위해 연간

3천만장의 모기장을 탄자니아에서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는 중임.

2011: New factories jointly built by Sumitomo Chemical and A to Z Textiles in response to scale-up requests by UN Special Envoy /international community now produce 30 million nets/year in Arusha, Tanzania.

Olyset Net Manufacturing in Africa

2004: Sumitomo Chemical provided A to Z Textiles with a

royalty-free technology license for local manufacture of Olyset. Manufacturing Objective: 300,000 nets/year.

감사합니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