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널리세미나] 장애 환경의 온라인 체험 및 활용 방법

Preview:

Citation preview

장애 환경의 온라인 체험 및 활용 방법

김보민

Word Wide Web은?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Everyone

Anytime

Wherever

Easily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Everyone Anytime

Wherever

Easily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Everyone Anytime

Wherever

Easily

Present Future

Web accessibility

Past

도전의 웹

기회의 웹

생활의 웹

모두의 웹

웹을

모두의 공간으로

열어주자

다양한

장애인의

웹 환경

전맹 시각장애

중증 운동장애

손 운동장애

눈 앞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 상태

스크린리더, 점자정보단말기 (센스리더, 싱크 브레일)

눈앞이 뿌연 상태로 안경 등으로 시력 교정이 불가능한 상태

화면 확대 프로그램 (줌 텍스트)

팔,다리를 못 쓰고 목만 움직일 수 있는 상태

마우스 스틱용 키보드, 헤드포인터

손 떨림, 한 손만 사용 가능한 상태 트랙볼 마우스, 한 손 키보드

저시력 시각장애

저시력 66.76%

전맹 27.05%

청각장애 4.03%

지체장애 1.92%

장애인구에 따른 웹 접근성 필요 요소 비율

출처: 서지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술의

품질에 관한 실증적 연구,2011,p10-12

체험 Flow 웹 이용의 %가 높은 순으로 진행

온라인 장애 체험관

웹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Special User

오프라인 장애 체험관

스페셜 유저가 되어 보니 장애인들에게 어떤 표현방식들이

도움이 될지 알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다

황우경

최근에 저시력자를 위한 폰트를 만들 수 있을지 생각했다.

음. 많은 힌트를 줬다.

김혜빈

시력이 매우 안 좋은데 다양한 효과로 웹 환경을

좀 더 잘 이용할 수 있다는 게 놀랍습니다

이세린

헤드 포인터용 키보드가 별도로 존재하는지 처음 알았네요.

특문은 어떻게 쓸까요

유현욱

장애인 복지 전공자로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어요.

네이버 짱이에요 이런 거 많이 만들어주세요.

지인

특수교육학을 배우는 학생입니다

체험해보니 막연히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사용이 어렵네요ㅠㅠ

휘아

SPECIAL USER EXPERIENCE BOX 방명록

중증 운동 장애

Thanks to... (온라인 장애 체험관을 오픈하며...)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