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민광동강사 Magis Partners 대표 ㈜레이다솔루션 기술사업화 팀장 (ETRI R&D창업전략팀) 매경 오아시스 창업칼럼니스트 굿모닝충청 창업칼럼니스트 (전)국립한국교통대 창업실무 외래강사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 Upload
    -

  • View
    1.260

  • Download
    4

Embed Size (px)

DESCRIPTI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KOREAN starts-up entrepreneur -A case study on R company based on BMO model-

Citation preview

Page 1: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민광동강사 Magis Partners 대표

㈜레이다솔루션 기술사업화 팀장

(ETRI R&D창업전략팀)

매경 오아시스 창업칼럼니스트

굿모닝충청 창업칼럼니스트

(전)국립한국교통대 창업실무 외래강사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Page 2: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기술사업화의 정의

기술의 의미변천 • 특정의 제조기법 •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 • 지식자산을 포괄 • 경영과정 및 BM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지적노하우 기술사업화 기술이나 제품이 시장에 도입되어 하나의 사업조직 또는 기업의 전략적 사업단위로 자리잡아 본격적으로 사업에 연결되는, 즉 협의의 상용화 개념

Page 3: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창업역량과 시장

Page 4: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Technology-Product-Market

T M P

Page 5: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기술혁신: 상업적이거나 현실적인 목적을 위해 새로운 장치, 방법, 재료를 만들어내는 행위

기술혁신은 경쟁을 성공으로 이끄는 가장 중요한 동인 기업들은 최근 5년 동안 개발된 제품들에게 매출과 이익의 1/3이상을 의존함 Johnson&Johnson: 연간매출의 30%를 최근 5년 동안 출시한 제품들로부터 3M: 연간매출의 45%를 지난 5년 동안 개발된 제품들로부터 혁신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이유: 시장의 세계화 때문

제품혁신-이윤을 지키도록 프로세스혁신-비용을 줄이도록 정보기술의 진보-혁신의 속도를 높여 유연제조기술(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생산의 최소단위를 작게하여 규모의 경제 필요성을 감소시켜

Page 6: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구분 및 사업화 유형 내용

공공부문

공공기술

이전 사업화

정부R&D자금의 투입으로 개발된 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하

여 사업화하는 것으로 정부 R&D사업의 효율성과 경제적 효

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

공공기술

개발자 창업

대학, 공공연구기관이 주관이 되어 개발한 기술을 기술개발

에 참여한 교수, 연구원 등으로 하여금 창업 및 사업화하도

록 하는 방법

민간부문

자체기술

사업화

민간기업이 자체 개발하였거나 공동으로 개발한 기술을 직

접 제품화하여 판매하는 방안

이전기술

사업화

기술의 판매희망자와 기술의 구매희망자가 연결되어 민간부

분에서 해당 기술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이를 사업화하는 방

기술사업화의 유형

자료: 한국기술거래소, 「2004/2005 기술이전사업화 백서」

Page 7: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기술사업화의 성과

연구자 주요내용

Jolly

(1997)

‘아이디어의 제안, R&D, 시제품 제작/시장진입, 대량생산 및 지속적

성장으로 프로세스 전반을 수행하는 것

Kummar et al.

(2002)

장비나 시설을 이용하여 기술의 가치를 올려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키

는 동시에 제품을 최적화시키는 것

Zahra et al.

(2002)

-내부 인적자원과 내부 독점기술 보유여부

-공식·비공식적 통합 메커니즘 보유여부

Yam et al.

(2004)

-R&D 및 자원할당 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가장 중요한 역할

-상대적으로 제조, 마케팅, 전략실행 역량도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중요함

Chen

(2008)

신생벤처기업 성과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조직자원, 혁신역량이 매개

변수로써 기술사업화의 역할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

Page 8: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중국에 소재한 213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성과(혁

신성과, 판매성과, 제품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R&D역량은 중간규모의 기업의 혁신과, 제품에

자원할당 역량은 소기업의 혁신과 제품에

마케팅역량은 소기업의 제품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Yam et al.(2004)

Page 9: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기술사업화 성공요인

경영자의 의지와 사업화 자금 조달능력 (이영덕, 2004) 연구개발능력, 경영관리능력, 기술활용능력, 기술이전기관, 시장적요인, 제도적 요인(손소영, 2002) 민간기업의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술적요인(기술정보능력,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기

술개선능력, 상품성제고능력, 생산기술능력), • 경제적 요인(시장조사능력, 시장조건, 상품의 특성, 마케

팅 능력, 자금능력), • 기업특성적 요인(기업주의 특성, 기업의 규모, 기업의 경

험, 기업의 자금능력, 기업의 기술능력, 기업의 관리능력) (김광두, 1991)

Page 10: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창업기업이 그동안 언급한 기술사업화 성공을 위한 요인

을 모두 제대로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기술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을 물색하고

신규사업 진행여부를 신속히 검토할 수 있어야 함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

Page 11: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BMO 모델

• Merrifield의 제약성분석(Constraint Analysis이 기본모델

• 고성장 가능성을 지닌 벤처를 찾아내는 기준을 양적(Quantitative)으로 나타내는 모델

• 예측 정확도가 실제 연구를 통해 검증됨

• BMO평가는 미국 상무성, 대기업, 비즈니스스쿨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 방법으로 판정된 아이템의 성공률은 83%

• (Merrifield, 1978)

• 다음 페이지 표는 BM구성요소와 BMO평가항목간의 연계도(정화영, 양영석 2007)

Page 12: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매출

규모

시장

경쟁

위험

분산도

업계

재구축

사회적

상황

자금

마케팅

제조

기술

원재료

조달력

경영

지원

제품의

혁신/가치 ○ ○ ○ ○

고객 ○ ○ ○

시장 ○ ○ ○

유통채널 ○ ○ ○

관계 ○ ○ ○

요소역량 ○ ○ ○ ○ ○ ○ ○

핵심역량 ○ ○ ○ ○ ○ ○ ○

네트워킹

역량 ○ ○ ○ ○

수익모델 ○ ○

비용구조 ○ ○ ○ ○

Page 13: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BMO 방법에 의한 신규 아이템의 사업적합도 판정 (35점, 35점, 80점)

사업도(120점 만점)=사업매력도+자사 적합도

사업 매력도(60점) 배점 자사 적합도(60점) 배점

1. 매출 및 이익의 가능성 10 1. 자금능력 10

2. 성장 가능성 10 2. 마케팅능력 10

3. 경쟁상황 10 3. 제조 및 운영능력 10

4. 리스크 분산도 10 4. 기술 및 서비스 기획능력 10

5. 업게 재구축 가능성 10 5. 원재료, 상품, 정보입수 10

6. 특수한 사회적 영향 10 6. 경영지원 10

Page 14: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성장가능성 검토를 위한 4가지 (충족 난해한) 기준

• 다양한 시장 Segment가 존재하고, 그중 어떤 것을 선택

해도 규모가 크며, 5년 후에는 1조원 이상이 되는 사업

• 향후 5년 간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이 매년 2배로 성장하고, 모든 지적재산권을 소유하고 있어서 경쟁상대는 아무도 없는 사업

• 다양한 시장 Segment에 응용할 수 있고, 새로운 업계가 구축될 가능성도 있으며, 세제상의 우대책도 있는 사업

• 1천억 원 정도의 자금이 필요하지만 자사에서 조달 가능하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판매망/제조설비/기술력으로 모든 것을 조달할 수 있으며, 원자재 역시 특별할 것이 없는 사업

Page 15: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Page 16: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Page 17: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예시(매출 및 이익가능성)-FMCW RADAR 기술사업화

구분 시장규모 근거

강우레이다 약 2백억

-2016년까지 강우레이다를 12기로 확충(2013년 국

토교통부 국정과제 실천계획)

-수자원공사의 소형 강우레이다 수요

(최소 600대)

해양레이다 약 2백 80억

(국외 약 500억원)

-실시간 해수유동정보제공시스템 구축계획, 국립해양

조사원(2010. 4)

자동차레이다 약 1조 9천억

(국외 68조원)

-차량용 레이다센서 세계시장

(Global Industry Analysts 2005)

-국내시장의 경우 세계시장 예측규모의 3.9%점유예

측( 원달러 환율은 1,200원 적용)

Page 18: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 시장규모(판매·이익가능성) 평가점수 : 6점 추정시장 규모 : • 강우레이다의 국내 시장은 현재 국내의 강우패턴 변화에

따라 초소형 FMCW강우레이다 수요가 발생되고 있어서 국내시장만 겨냥해도 최소 180억 규모 시장이 예상되며(단가 3천만원에 최소 600대 수요, 수자원공사 수요),

• 해양레이다의 국내 시장은 현재 국토교통부 관련기관에서 해류관측을 위한 해양레이다를 미국의 CODAR사에서 개발한 Seasonde를 전략 수입하고 있으며, 향후 실시간 해수유동정보시스템을 위하여 2017년까지 총 80여대를 구축할 예정이다.

• 24GHz 및 77GHz 대역 차량용 레이다 시장은 기술개발 종료후 3년 이후까지 국내시장 규모 1조 9000억 규모로 추정된다. 따라서 시장규모 평가항목 중 추정시장 규모의 배점은 5점이다.

Page 19: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전세계 자동차용 레이다 센서시장]

출처: “차세대 자동차의 고도화를 위한 지능형 센서 시스템 기술 개발”, 연구기획보고서, 지식경제부, 2011, p.65. 현유진, “자율주행의 시작 능동안전”, AUTOMOTIVE Electronics Magazine, 2009. 11 / 재구성

Page 20: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레이다, LIDAR, 카메라 센서 시장규모 비교

출처: “차세대 자동차의 고도화를 위한 지능형 센서 시스템 기술 개발”, 연구기획보고서, 지식경제부, 2011, p.65. 현유진, “자율주행의 시작 능동안전”, AUTOMOTIVE Electronics Magazine, 2009. 11 / 재구성

Page 21: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자료는 어디서 찾을까?

Page 22: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22

국가통계포털 : http://www.kosis.kr/

통합검색이 아닌,

주제별 검색을

Page 23: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특허정보검색

서비스

http://www.kipi.or.kr/main.do

Page 24: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24

IT관련기술조사: http://www.etri.re.kr

Page 25: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25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www. dart.fss.or.kr

Page 26: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26

Page 27: 대학생을 위한 기술사업화의 이해 2013-11-12 특강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