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http://kostat.go.kr 보도자료 2011. 11. 24.() 11:00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1. 11. 24.() 09:00 담당부서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담 당 자 : 정동명 (042.481.2233) 사무관 : 황해범 (042.481.2272) 2011년 사회조사 결과 (나눔문화) 이 결과는 2011년 사회조사의 사회참여 부문 중 기부자원 봉사에 대하여 전국 약 17,000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13 세 이상 가구원 약 38,000 명을 대상 으로 2011. 7. 15. 29.(15 ) 동안 조사된 내용을 집계한 결과입니다 . 2011년 조사부문(5) :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http://kostat.go.kr

보도자료

2011. 11. 24.(목) 11:00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1. 11. 24.(목) 09:00

담당부서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담 당 자 과 장 : 정동명 (042.481.2233)

사무관 : 황해범 (042.481.2272)

2011년 사회조사 결과

(나눔문화)

이 결과는 「2011년 사회조사」의 사회참여 부문 중 기부․자원

봉사에 대하여 전국 약 17,000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8,000명을 대상으로 2011. 7. 15.~29.(15일) 동안 조사된

내용을 집계한 결과입니다.

※ 2011년 조사부문(5) :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Page 2: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Page 3: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자료 이용시 유의사항

이 결과는 사회조사의 사회참여 부문 중 기부․자원봉사에 대하여

전국 약 17,000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8,000명을

대상으로 2011. 7. 15.~7. 29.(15일) 동안 조사된 내용을 집계한 결과입니다.

2011년 사회조사에서 처음으로 조사된 나눔문화 관련 항목의 경우

시계열 분석이 곤란하므로 자료 이용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항목명

기존항목

(3개 항목)

기부경험 기부경로별 기부횟수, 자원 사활동 분야별 참여인구

횟수(시간), 향후 자원 사활동 참여여부

신규항목

(14개 항목)

기부하지 않은 이유, 기부경로별 기부 액, 정기기부, 물품기부,

물품 정기기부, 기부이유, 기부 희망 분야, 기부 상 인지경로, 향후

기부의사, 유산기부 의사, 기부 문화 확산, 정기 자원 사, 자원 사활동

인지경로, 문성을 활용한 자원 사

각 통계표에서 지표의 성격에 따라 조사대상 연령 및 기간(시점) 등에

차이가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조사 상 연령․기 간 】

◦ 조사 상 연령 : 2011년 사회조사는 13 세 이 상 인 구 로 작성하 음(2010년 이

자료는 15세 이상 인구로 작성되었음)

◦ 조사 상 시 : 2011. 7. 15. 재

◦ 조사 상 기간 : 2010. 7. 15. ~ 2011. 7. 14 .(1년간 )

조사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으며,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Page 4: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 ● 차 례 ● ● ●

□ 기 부 자 원 사 정 의 ·········································································· 1

□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요약 ························································ 2

□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 ························································ 4

Ⅰ. 기 부활 동 ···································································································· 4

1. 기부경험 ································································································· 4

2. 기부 ································································································· 6

3. 물품기부 ································································································· 10

4. 기부동기 분야 ················································································· 13

5. 향후 기부의향 ······················································································· 16

6. 기부문화 확산 ······················································································· 17

Ⅱ. 자 원 사활 동 ··························································································· 18

1. 참여 황 ································································································· 18

2. 활동분야 ································································································· 20

3. 인지경로 ································································································· 24

4. 문성 활용 ··························································································· 25

Page 5: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 -

● ● ● 기부 및 자원봉사 정의 ● ● ●

기 부

「기부」란 직접 여부와 관계없이 개인이나 단체에 현금이나 물품을 대가없이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함

【 포함】

◦ 보육원, 개인 등 상자 직 후원, ARS 등 언론기 을 통한 후원, 월드비 등 모 단체를

통한 후원, 직장(기업)을 통한 후원, 기부의 정의에 부합된 바자회, 일일찻집티켓 구입 등

◦ 구세군, 길거리 선, 부랑인, 노숙인 등을 한 기부

◦ 종교단체에서 모 하는 특별․구제헌 , 학교발 기 , 십자회비 등

【 제 외】

◦ 친구․친척․직장동료 등에 한 경조사비, 각종 회비

◦ 종교단체 운 목 인 헌 , 십일조, 보시, 시주 성당신축 후원, 교회건축헌 , 사찰건축헌 등,

헌 , 장기기부 등 생명나눔, 지

◦ 선거, 정치단체, 정치인을 한 정치후원 ,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는 포인트 기부

◦ 형마트에서 제품 구입후 수증을 함에 넣은 경우

자 원 봉 사

「자원봉사」란 개인 또는 단체가 지역사회․국가 및 인류사회를 위하여 대가없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제공하는 행위를 말하며, 무보수성,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의 원칙 아래 수행(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3조 1항 및 제2조 1항)

【 포함】

◦ 무보수인 반장, 동 표, 새마을 남녀지도자 활동

◦ 지식 나눔, ․고등학생의 자원 사활동 등

【 제 외】

◦ 법 행 로 벌 신 공공 사 명령을 받고 자원 사기 에서 사하는 경우

Page 6: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2 -

● ● ●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요약 ● ● ●

기 부 활 동

기부경험

◦ (기부인구) 지난 1년간 13세 이상 인구 중 기부경험이 있는 사람은 약 36.4%

◦ (기부형태) 물품보다는 현금을 더 많이 기부

◦ (기부하지 않은 이유)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62.6%)

기부

◦ (기부경험) 현금기부 경험이 있는 사람은 34.8%로 2009년에 비해 증가

◦ (기부경로) 주로 ‘모금단체’(46.9%)를 많이 이용

◦ (기부횟수와 금액) 기부횟수는 평균 6.1회, 1인당 기부금액은 평균 16만 7천원

◦ (기부주기성) 주기적으로 기부한 사람은 31.2%이며, 주기는 ‘월 단위 이하’가 64.1%

물품기부

◦ (기부경험) 물품을 기부한 사람은 약 8.5%

◦ (기부경로) 주로 ‘종교단체’(35.6%)를 가장 많이 이용

◦ (기부횟수) 물품기부자의 평균 기부횟수는 3.4회

◦ (기부주기성) 주기적으로 기부한 사람은 34.6%이며, 주기는 ‘반기 단위’가 54.9%

기부동기 분야

◦ (기부동기) 기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43.3%)

◦ (기부 희망분야) 주로 ‘사회복지분야’(82.2%)에 기부

◦ (인지경로) ‘언론매체’(29.4%)를 통해 기부대상을 인지

Page 7: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3 -

향후 기부의향

◦ (기부의향) 향후 계속 기부의향이 있는 경우는 45.8%

◦ (유산기부) 향후 유산을 기부할 의향이 있는 경우는 37.3%

기부문화 확산

◦ (확산요인)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증대’가 가장 필요

자 원 봉 사 활 동

참여 황

◦ (참여율) 자원봉사 참여율은 19.8%로 2009년보다 약간 증가

◦ (참여횟수) 자원봉사 평균 참여횟수는 연간 7.1회

◦ (참여시간) 1회 평균 참여시간 4.4시간

◦ (참여의향) 향후 2년 이내 참여의향이 있는 경우는 45.6%

활동분야

◦ (활동분야)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등 관련분야’(58.2%)가 최다

◦ (분야별 참여횟수)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등 관련분야’가 7.0회로 최다

◦ (분야별 참여시간) ‘재해지역주민돕기 및 시설복구분야’가 5.2시간으로 최장

◦ (참여주기) 주기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은 45.9%

인지경로

◦ (인지경로) 절반 이상이 ‘직장․학교’(52.4%)를 통해 인지

문성 활용

◦ (전문성활용) 전문성을 활용하여 자원봉사 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5.9%

◦ (활용분야) ‘아동학습지도’(24.1%)가 최다

Page 8: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4 -

● ● ●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 ● ● ●

◈ 이 결과는 지난 1년간(2010. 7. 15. ~ 2011. 7. 14.) 13세 이상 인구를

상으로 표본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것임

Ⅰ. 기부활동

1. 기부경험

기부를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약 36.4%이며, 주로 현금을 기부

지난 1년 동안 13세 이상 인구 중 기부를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약

36.4%로 나타났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 도시(동부)지역이,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많음

◦ 40대가 45.7%로 기부경험이 가장 많은 반면, 60대 이상이 24.0%로 가장 적음

기부 경험자들은 주로 물품보다 현금(34.8%)을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음

◦ 현금기부는 남자, 물품기부는 여자의 비중이 더 높음

< 기부경험과 형태* >

(단위 : %)

구 분기부 경험 기부 형태

없음 있음 현금기부 물품기부

계 63.6 36.4 34.8 8.5

지역별도 시(동 부) 62.6 37.4 35.8 8.9

농어촌(읍면부) 68.2 31.8 30.2 6.9

성별남 자 61.3 38.7 37.4 7.0

여 자 65.8 34.2 32.1 10.0

연령별

13 ~ 19세 58.9 41.1 39.6 4.0

20 ~ 29세 74.5 25.5 23.7 5.2

30 ~ 39세 59.8 40.2 38.3 10.2

40 ~ 49세 54.3 45.7 43.9 12.6

50 ~ 59세 58.9 41.1 39.5 10.8

60세 이상 76.0 24.0 23.0 5.8

* 기부형태는 복수응답임

Page 9: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5 -

기부를 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기부한 경험이 없는 사람들 중 기부를 하지 않은 이유로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62.6%)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기부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18.6%),

‘기부단체를 신뢰할 수 없어서’(8.9%)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10대의 경우 ‘기부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와 ‘직접적인 요청을 받은 적이

없어서’, ‘기부방법을 몰라서’ 등의 응답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

으로 많음

< 기부하지 않은 이유 >

(단위 : %)

구 분기부경험

없음

기부하지 않은 이유

경제적여유가없어서

기부에 대한관심이없어서

기부방법을몰라서

기부단체를신뢰할 수없어서

직접적 요청을받은 적이없어서

기타

계 63.6 62.6 18.6 3.7 8.9 5.7 0.5

지역별도 시(동 부) 62.6 61.8 18.8 3.7 9.4 5.9 0.5

농어촌(읍면부) 68.2 66.1 18.2 3.4 6.6 5.2 0.5

성별남 자 61.3 62.1 19.9 3.5 9.0 5.1 0.4

여 자 65.8 63.0 17.5 3.9 8.7 6.3 0.6

연령별

13 ~ 19세 58.9 43.0 24.9 11.9 5.9 13.4 0.7

20 ~ 29세 74.5 58.0 21.1 3.8 9.9 6.7 0.5

30 ~ 39세 59.8 56.8 20.4 2.7 14.6 5.2 0.4

40 ~ 49세 54.3 63.6 16.6 2.5 11.3 5.2 0.7

50 ~ 59세 58.9 67.3 17.5 2.4 7.6 4.8 0.5

60세 이상 76.0 75.8 14.7 2.4 3.9 3.0 0.3

Page 10: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6 -

2. 기부

현금기부자는 34.8%로 2009년에 비해 증가

기부경로는 주로‘모금단체’를 많이 이용

현금을 기부한 사람은 34.8%로, 2009년(32.3%)에 비해 2.5%p 증가하였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많이 기부함

◦ 40대(43.9%)의 비중이 가장 많으며, 60대 이상이 23.0%로 가장 적음

기부경로는 ‘모금단체’(46.9%)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이어서 ‘언론기관’(21.8%)과

‘종교단체’(21.1%) 등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음

< 현금기부자(복수응답) >(단위 : %)

구 분현금

기부자

기부 경로대상자에게

직접 언론기관 모금단체 종교단체 기업(직장) 기타

2009년1) 32.3 15.9 29.5 39.7 23.2 16.8 2.9

2011년 34.8 12.1 21.8 46.9 21.1 13.8 8.1

지역별도 시(동 부) 35.8 12.1 22.7 45.5 22.0 13.8 8.5

농어촌(읍면부) 30.2 12.2 17.2 54.8 16.5 13.7 6.2

성별남 자 37.4 12.3 17.8 50.4 18.4 17.8 8.7

여 자 32.1 11.9 26.3 43.0 24.3 9.2 7.5

연령별

13 ~ 19세 39.6 4.2 6.4 31.3 5.1 1.3 58.2

20 ~ 29세 23.7 12.5 27.4 40.6 15.7 20.9 0.3

30 ~ 39세 38.3 13.1 25.1 45.2 19.1 21.6 0.7

40 ~ 49세 43.9 14.7 24.4 50.7 23.5 16.9 0.9

50 ~ 59세 39.5 14.5 23.3 50.7 29.1 12.9 1.0

60세 이상 23.0 9.1 19.9 57.7 28.4 2.5 1.7

주: 1) 조사대상이 15세 이상 인구임

Page 11: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7 -

현금기부자의 기부횟수는 평균 6.1회

지난 1년간 현금기부자의 평균 기부횟수는 6.1회로, 2009년(5.6회)에 비해

0.5회 증가하였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음

◦ 40대가 7.1회로 가장 많으며, 10대(3.7회)가 가장 적음

기부경로는 ‘대상자에게 직접’이 6.5회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종교단체’와

‘기업(직장)’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현금기부횟수(복수응답) >(단위 : 회)

구 분현금기부자

평균기부횟수

기부 경로

대상자에게직접 언론기관 모금단체 종교단체 기업(직장) 기타

2009년1) 5.6 5.1 3.2 4.0 5.6 4.4 6.1

2011년 6.1 6.5 4.1 4.4 5.7 5.7 3.8

지역별도 시(동 부) 6.2 6.6 4.1 4.7 5.7 5.7 3.9

농어촌(읍면부) 5.2 5.9 4.2 3.3 5.6 5.7 3.7

성별남 자 5.9 6.3 4.3 3.8 6.0 5.8 4.0

여 자 6.2 6.7 4.0 5.2 5.4 5.5 3.6

연령별

13 ~ 19세 3.7 3.6 2.2 3.0 3.3 2.6 3.8

20 ~ 29세 6.0 5.9 3.2 5.9 5.2 5.6 4.2

30 ~ 39세 6.9 7.1 3.7 5.7 6.1 6.0 3.6

40 ~ 49세 7.1 7.2 4.0 5.2 6.1 5.6 3.6

50 ~ 59세 6.3 6.2 4.9 3.5 5.7 5.7 6.9

60세 이상 4.6 5.4 5.4 2.5 5.2 4.0 3.5

주: 1) 조사대상이 15세 이상 인구임

Page 12: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8 -

현금을 기부하는 사람은 1인당 평균 16만 7천원 기부

지난 1년간 현금기부자는 1인당 평균기부금액은 16만 7천원을 기부하였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많음

◦ 50대가 23만 4천원으로 가장 많고, 10대(1만 7천원)가 가장 적음

기부경로는 ‘대상자에게 직접’이 35만 5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종교

단체’(23만 9천원), ‘기업(직장)’(13만 3천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현금기부금액(복수응답) >(단위 : 천원)

구 분1인당평균

기부금액

기부 경로

대상자에게직접 언론기관 모금단체 종교단체 기업(직장) 기타

계 167 355 33 96 239 133 38

지역별도 시(동 부) 171 354 32 102 238 141 35

농어촌(읍면부) 148 360 45 73 247 91 59

성별남 자 188 436 38 91 263 157 58

여 자 144 259 29 104 218 81 12

연령별

13 ~ 19세 17 41 8 27 47 22 5

20 ~ 29세 118 149 23 115 187 81 43

30 ~ 39세 160 206 30 120 256 99 231

40 ~ 49세 210 358 37 113 257 171 120

50 ~ 59세 234 592 38 83 253 120 873

60세 이상 185 505 41 81 225 649 236

Page 13: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9 -

현금을 기부한 사람 중 31.2%가 주기적으로 기부

지난 1년 동안 현금을 주기적으로 기부한 적이 있는 사람은 31.2%로 나타났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더 주기적으로 기부함

◦ 40대가 39.9%로 가장 많았고, 상대적으로 10대(9.3%)가 가장 적은 편임

기부의 주기는 ‘월 단위 이하’가 64.1%로 가장 많고, 이어서 ‘반기 단위’와

‘분기 단위’의 순으로 나타났음

◦ ‘월 단위 이하’는 주로 30대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10대와 60대 이상의

경우 ‘반기 단위’의 비중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편임

< 현금기부 주기성 >(단위 : %)

구 분주기성 기부 주기

없음 있음 월 단위 이하 분기 단위 반기 단위 기 타

계 68.8 31.2 64.1 14.7 20.7 0.5

지역별도 시(동 부) 68.1 31.9 64.3 15.0 20.1 0.5

농어촌(읍면부) 72.2 27.8 62.8 12.6 24.3 0.4

성별남 자 68.7 31.3 62.5 14.7 22.2 0.5

여 자 68.8 31.2 65.9 14.7 18.9 0.5

연령별

13 ~ 19세 90.7 9.3 48.2 13.5 35.0 3.3

20 ~ 29세 67.6 32.4 67.9 17.5 14.1 0.5

30 ~ 39세 62.1 37.9 73.6 11.0 15.4 0.1

40 ~ 49세 60.1 39.9 67.2 12.8 19.6 0.4

50 ~ 59세 68.0 32.0 56.5 19.0 24.1 0.4

60세 이상 77.7 22.3 44.7 19.9 34.1 1.3

Page 14: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0 -

3. 물품기부

물품을 기부한 사람은 약 8.5%이며, 주로‘종교단체’를 많이 이용

지난 1년간 물품을 기부한 사람은 약 8.5% 정도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음

◦ 40대가 12.6%로 가장 많고, 10대가 4.0%로 가장 적음

기부경로는 ‘종교단체’(35.6%)를 이용한 사람이 가장 많고, 이어서 ‘대상자에게

직접’(30.3%), ‘물품후원단체’(23.9%)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물품기부자(복수응답) >(단위 : %)

구 분물품

기부자

기부 경로

대상자에게직접 언론기관 물품

후원단체 종교단체 기업(직장) 기타

계 8.5 30.3 4.5 23.9 35.6 12.8 4.1

지역별도 시(동 부) 8.9 28.3 4.7 24.6 36.4 12.9 4.2

농어촌(읍면부) 6.9 42.0 3.3 19.4 31.1 11.9 3.4

성별남 자 7.0 27.6 6.2 21.9 33.8 18.9 3.0

여 자 10.0 32.1 3.4 25.2 36.8 8.6 4.9

연령별

13 ~ 19세 4.0 20.9 4.5 33.8 25.3 5.5 20.5

20 ~ 29세 5.2 28.4 6.1 33.7 29.3 14.4 2.0

30 ~ 39세 10.2 31.5 5.1 25.3 29.6 17.2 3.7

40 ~ 49세 12.6 34.1 3.6 21.2 33.0 15.3 3.7

50 ~ 59세 10.8 27.3 5.3 22.5 42.9 12.0 2.3

60세 이상 5.8 29.8 3.0 18.8 48.9 2.0 3.6

Page 15: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1 -

물품을 기부한 사람의 기부횟수는 평균 3.4회

지난 1년간 물품을 기부한 사람은 평균 3.4회를 기부하였음

◦ 지역별 및 성별로는 큰 차이가 없음

◦ 40~50대가 평균 3.7회로 가장 많고, 10대가 1.8회로 가장 적음

기부경로는 ‘대상자에게 직접’이 3.6회로 가장 많고, 이어서 ‘종교단체’와

‘언론기관’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물품기부횟수(복수응답) >(단위 : 회)

구 분물품기부자

평균기부횟수

기부 경로

대상자에게직접 언론기관 물품

후원단체 종교단체 기업(직장) 기타

계 3.4 3.6 3.1 2.8 3.2 2.5 1.8

지역별도 시(동 부) 3.4 3.6 2.9 2.8 3.2 2.4 1.8

농어촌(읍면부) 3.6 3.6 5.2 2.4 3.5 3.0 1.7

성별남 자 3.2 3.5 2.8 2.5 3.1 2.4 2.0

여 자 3.6 3.7 3.5 2.9 3.3 2.5 1.7

연령별

13 ~ 19세 1.8 2.0 2.2 1.5 1.8 1.8 1.3

20 ~ 29세 3.4 3.7 3.5 2.7 2.7 3.0 1.6

30 ~ 39세 3.3 3.3 2.7 2.8 3.3 2.2 1.9

40 ~ 49세 3.7 3.8 3.2 3.2 3.3 2.6 2.1

50 ~ 59세 3.7 4.0 3.1 2.9 3.4 2.3 2.2

60세 이상 3.3 3.3 4.0 2.5 3.1 4.3 2.1

Page 16: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2 -

물품을 기부한 사람 중 34.6%가 주기적으로 기부

지난 1년 동안 음식, 옷, 장난감 등의 물품을 주기적으로 기부한 적이 있는

사람은 34.6%로 나타났음

◦ 도시(동부)지역보다는 농어촌(읍면부)지역이,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주기적으로

기부함

기부의 주기는 ‘반기 단위’가 54.9%로 가장 많고, 이어서 ‘분기 단위’와 ‘월 단위

이하’의 순으로 나타났음

< 물품기부 주기성 >(단위 : %)

구 분주기성 기부 주기

없음 있음 월 단위 이하 분기 단위 반기 단위 기 타

계 65.4 34.6 15.7 27.9 54.9 1.5

지역별

도 시(동 부) 65.6 34.4 14.6 28.4 55.3 1.7

농어촌(읍면부) 64.7 35.3 21.6 24.8 53.0 0.6

성별

남 자 64.0 36.0 13.0 22.3 63.4 1.3

여 자 66.4 33.6 17.7 31.9 48.7 1.7

Page 17: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3 -

4. 기부동기 분야

기부하는 가장 큰 이유는‘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

기부하는 이유는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가 43.3%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기부단체․직장 등으로부터 요청 받아서’(28.3%), ‘개인적 신념 때문’

(14.9%)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대부분의 연령이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 기부를 하는 반면, 10대의

경우에는 ‘기부단체․직장 등으로부터 요청 받아서’가 가장 많음

< 기부하는 이유 >(단위 : %)

구 분어려운사람을

돕고 싶어서

기부단체나직장 등의

요청을 받아서

개인적신념 때문에

종교적신념때문에

세제혜택때문에

지역사회나국가에 기여하고 싶어서

기타

계 43.3 28.3 14.9 7.9 1.3 3.9 0.4

지역별도 시(동 부) 43.0 27.7 15.5 8.4 1.3 3.6 0.4

농어촌(읍면부) 44.6 31.9 11.5 5.3 0.9 5.3 0.5

성별남 자 41.4 31.2 14.4 6.8 1.4 4.4 0.3

여 자 45.4 25.1 15.4 9.2 1.2 3.2 0.5

연령별

13 ~ 19세 30.8 56.4 8.6 1.6 0.1 2.0 0.5

20 ~ 29세 52.1 20.3 15.0 6.0 2.4 3.4 0.8

30 ~ 39세 45.7 26.3 16.3 6.4 1.7 2.8 0.7

40 ~ 49세 43.2 23.5 18.6 9.1 1.7 3.6 0.4

50 ~ 59세 42.8 24.1 14.4 11.5 1.1 6.1 0.2

60세 이상 45.3 26.3 12.2 11.0 0.1 5.1 0.1

Page 18: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4 -

주로‘사회복지분야’에 기부하기를 희망

기부 희망분야는 ‘사회복지분야’가 82.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의료분야’(32.1%), ‘해외구호활동분야’(24.5%), ‘지역사회발전분야’(20.4%)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농어촌(읍면부) 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남자보다는 여자가 ‘해외

구호활동분야’에 기부하기를 더 희망함

< 기부희망분야(복수응답) >

(단위 : %)

구 분 사회복지 분야 의료분야 해외구호

활동분야지역사회발전분야

공익활동분야

교육 및연구활동분야

문화 및예술분야 기타

계 82.2 32.1 24.5 20.4 11.0 12.8 3.6 0.3

지역별도 시(동 부) 82.3 32.1 25.5 20.2 11.3 13.2 3.7 0.3

농어촌(읍면부) 81.4 32.2 19.3 21.0 9.4 11.0 3.4 0.4

성별남 자 82.2 32.6 21.5 20.7 10.3 12.2 3.6 0.3

여 자 82.2 31.6 27.9 20.2 11.7 13.5 3.6 0.4

연령별

13 ~ 19세 69.8 28.6 27.6 12.7 8.1 14.2 7.9 0.3

20 ~ 29세 86.0 37.8 26.3 18.6 14.0 14.8 4.6 0.6

30 ~ 39세 84.7 36.2 26.3 22.8 11.1 15.5 3.2 0.3

40 ~ 49세 82.3 32.3 26.9 21.7 12.3 14.0 2.8 0.3

50 ~ 59세 84.1 29.4 21.2 23.5 11.7 10.4 3.2 0.4

60세 이상 84.1 27.7 17.0 18.0 7.3 6.3 1.6 0.3

Page 19: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5 -

주로‘언론매체’를 통해 기부대상을 인지

기부대상은 ‘언론매체’를 통해 인지한 경우가 29.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직장․학교’(24.5%), ‘종교단체’(19.8%)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남자는 ‘직장․학교’(28.2%)를 통해서, 여자는 ‘언론매체’(32.2%)를 통해서

기부대상을 많이 알게 됨

◦ 20대 이상은 주로 ‘언론매체’를 통해 기부대상을 알게 되지만, 10대는

대부분 ‘직장․학교’(79.1%)를 통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기부대상 인지경로 >

(단위 : %)

구 분 언론매체 종교단체 직장/학교 시설/단체의직접 홍보

가족/친구 및동료의 권유 인터넷 기타

계 29.4 19.8 24.5 14.6 8.6 2.2 0.8

지역별도 시(동 부) 29.9 20.7 25.1 13.4 7.7 2.4 0.8

농어촌(읍면부) 26.9 14.7 21.5 21.3 13.3 1.2 1.0

성별남 자 27.0 16.8 28.2 17.3 7.9 2.1 0.8

여 자 32.2 23.0 20.5 11.7 9.4 2.4 0.8

연령별

13 ~ 19세 7.8 4.7 79.1 2.9 3.7 1.4 0.4

20 ~ 29세 34.8 13.7 25.5 9.7 8.9 6.4 0.9

30 ~ 39세 33.0 17.1 23.4 12.2 9.4 4.1 0.8

40 ~ 49세 32.7 21.5 18.6 15.5 9.7 1.5 0.6

50 ~ 59세 31.4 27.9 11.0 19.7 8.4 0.6 0.9

60세 이상 31.3 28.8 2.8 25.3 10.0 0.2 1.5

Page 20: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6 -

5. 향후 기부의향

향후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45.8%

유산을 기부할 의향이 있는 사람은 약 37.3%

향후에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45.8%로 나타났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 도시(동부)지역이,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음

◦ 30~4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 향후 기부의향에 긍정적인 반면, 60대 이상의

경우에는 74.0%가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

향후 ‘유산을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37.3%로 나타났음

◦ 향후 유산의 기부의향에 대해 60대 이상은 78.8%가 부정적인 반면, 10대는

49.2%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어, 유산기부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음을 보여줌

< 향후 기부의향 >(단위 : %)

구 분향후 기부의향 유산 기부의향

있음 없음 있음 없음

계 45.8 54.2 37.3 62.7

지역별도 시(동 부) 47.5 52.5 39.1 60.9

농어촌(읍면부) 38.2 61.8 29.2 70.8

성별남 자 45.2 54.8 38.2 61.8

여 자 46.4 53.6 36.5 63.5

연령별

13 ~ 19세 49.2 50.8 49.2 50.8

20 ~ 29세 47.7 52.3 41.3 58.7

30 ~ 39세 52.6 47.4 39.4 60.6

40 ~ 49세 54.3 45.7 42.6 57.4

50 ~ 59세 46.2 53.8 35.0 65.0

60세 이상 26.0 74.0 21.2 78.8

Page 21: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7 -

6. 기부문화 확산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 증대’가장 필요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 증대’(54.8%)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이어서 ‘기부단체의 자금운영 투명성 강화’(20.6%),

‘나눔에 대한 인식 개선’(16.1%)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대부분의 연령층이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 증대’에 이어서

‘기부단체의 자금운영 투명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10대의

경우에는 ‘나눔에 대한 인식 개선’(23.6%)이 더 우선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 기부문화 확산 >(단위 : %)

구 분

사회지도층과부유층의모범적

기부 증대

나눔교육/대중캠페인 등나눔에 대한 인식개선

기부단체의자금운영

투명성 강화

소득공제확대등 정부지원

강화

기부방법의편리성 증대

경조금기부/유산기부 등

다양한기부방법홍보

기타

계 54.8 16.1 20.6 4.9 2.0 1.1 0.6

지역별도 시(동 부) 54.7 16.3 20.6 4.9 2.0 1.1 0.5

농어촌(읍면부) 55.1 15.2 20.5 4.8 1.9 1.1 1.4

성별남 자 56.4 14.6 20.6 5.0 1.8 1.1 0.4

여 자 53.2 17.5 20.5 4.7 2.2 1.1 0.8

연령별

13 ~ 19세 48.2 23.6 14.5 5.7 5.8 1.9 0.4

20 ~ 29세 52.2 14.5 23.6 6.4 2.1 0.9 0.3

30 ~ 39세 50.9 15.3 26.0 5.8 1.3 0.5 0.2

40 ~ 49세 54.4 16.8 21.8 4.4 1.3 1.0 0.2

50 ~ 59세 57.8 15.4 19.9 4.3 1.3 0.9 0.5

60세 이상 62.3 13.5 15.5 3.4 1.8 1.7 1.8

Page 22: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8 -

Ⅱ. 자원봉사활동

1. 참여 황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19.8%

지난 1년 동안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9.8%로 나타났으며, 10대(77.7%)가 가장 높고 60대(7.2%)가 가장 낮음

향후 2년 이내 ‘자원봉사에 참여할 의향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45.6%로 나타났음

< 참여현황 >(단위 : %)

구 분자원봉사 참여경험 향후 2년 이내 참여의향

있음 없음 있음 없음

2009년1) 19.3 80.7 - -

2011년 19.8 80.2 45.6 54.4

지역별도 시(동 부) 19.9 80.1 47.1 52.9

농어촌(읍면부) 19.4 80.6 38.9 61.1

성별남 자 19.6 80.4 45.3 54.7

여 자 20.1 79.9 46.0 54.0

연령별

13 ~ 19세 77.7 22.3 77.2 22.8

20 ~ 29세 13.2 86.8 54.0 46.0

30 ~ 39세 11.2 88.8 45.6 54.4

40 ~ 49세 17.0 83.0 50.2 49.8

50 ~ 59세 14.6 85.4 42.3 57.7

60세 이상 7.2 92.8 18.3 81.7

주: 1) 조사대상이 15세 이상 인구임

Page 23: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19 -

자원봉사활동은 평균 7.1회 참여하였고, 1회 평균 참여시간은 4.4시간

지난 1년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횟수는 평균 7.1회로 나타났으며, 여자가

7.6회로 남자보다 더 많이 참여하였음

◦ 60대 이상은 평균 12.4회로 가장 많이 참여하였고, 상대적으로 10대가

4.3회로 가장 적게 참여하였음

자원봉사활동 1회당 평균 4.4시간을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도시(동부)지역보다는 농어촌(읍면부)지역이,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오랜

시간을, 연령별로는 20대가 평균 5.3시간으로 가장 오랜 시간을 참여하였음

< 참여횟수와 시간 >(단위 : 회, 시간, %)

구 분 평균참여횟수

평균참여시간

1회 2~3회 4~5회 6회이상 1~2시간 3~4시간 5~6시간 7시간

이상

2009년1) 6.6 22.1 36.0 15.2 26.7 5.1 25.3 37.6 14.7 22.5

2011년 7.1 17.1 35.0 18.8 29.0 4.4 31.3 36.4 14.2 18.1

지역별도 시(동 부) 7.1 18.1 34.5 18.4 28.9 4.4 31.6 37.0 13.6 17.9

농어촌(읍면부) 7.2 12.4 37.4 20.7 29.5 4.7 30.1 33.8 16.8 19.3

성별남 자 6.5 17.0 36.9 19.2 26.9 4.6 30.6 35.5 13.8 20.2

여 자 7.6 17.2 33.3 18.5 31.1 4.3 32.0 37.3 14.6 16.2

연령별

13 ~ 19세 4.3 17.1 39.5 23.6 19.9 4.2 35.2 37.4 12.4 15.0

20 ~ 29세 8.1 22.5 34.2 14.7 28.6 5.3 21.0 32.0 17.5 29.4

30 ~ 39세 8.7 21.6 32.1 12.9 33.5 4.2 32.3 37.0 14.6 16.1

40 ~ 49세 8.3 17.7 29.9 17.1 35.3 4.7 28.6 36.0 14.9 20.6

50 ~ 59세 10.1 12.1 30.6 15.2 42.1 4.9 25.0 37.2 15.9 21.9

60세 이상 12.4 10.0 33.7 14.7 41.5 4.0 37.8 34.9 15.2 12.1

주: 1) 조사대상이 15세 이상 인구임

Page 24: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20 -

2. 활동분야

자원봉사는‘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관련 분야’에서 절반 이상 활동

지난 1년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분야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과

관련된 분야’(58.2%)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환경보전․범죄예방

등과 관련된 분야’가 다음으로 나타났음

◦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과 관련된 분야’에 이어서, 10대와 50대 이상은

‘환경보전․범죄예방 관련분야’에 많이 참여하였고, 20대는 ‘국가 및 지역행사

관련분야’, 그리고 30~40대는 ‘자녀교육 관련분야’에 많이 참여하였음

< 자원봉사활동 참여분야(복수응답) >(단위 : %)

구 분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환경보전범죄예방

자녀교육관련

국가 및지역행사

재해지역주민돕기 및시설복구

기 타(무료상담)

2009년1) 43.7 25.4 12.1 11.3 11.3 16.1

2011년 58.2 20.6 8.8 7.7 4.4 16.0

지역별도 시(동 부) 59.5 18.4 9.3 7.7 4.0 16.3

농어촌(읍면부) 52.1 31.3 6.1 7.7 6.3 15.0

성별남 자 55.1 24.4 4.4 8.6 6.2 17.7

여 자 61.0 17.1 12.9 6.7 2.6 14.5

연령별

13 ~ 19세 58.3 21.9 1.9 7.0 1.8 26.4

20 ~ 29세 74.8 8.3 4.0 11.9 7.0 8.4

30 ~ 39세 54.2 14.2 29.0 6.3 4.8 5.3

40 ~ 49세 55.1 18.5 20.8 7.6 5.9 8.0

50 ~ 59세 57.5 26.6 6.6 8.1 8.1 10.5

60세 이상 48.6 35.7 1.5 6.8 6.0 8.0

주: 1) 조사대상이 15세 이상 인구임

Page 25: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21 -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관련분야’의 평균 참여횟수가 7.0회로 최다

지난 1년 동안 자원봉사활동 분야별 평균 참여횟수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관련분야’가 7.0회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자녀교육 관련분야‘(6.2회),

’환경보전․범죄예방‘(5.4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남자는 ‘자녀교육 관련분야’(9.3회)에, 그리고 여자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관련분야’(7.9회)에 주로 많이 참여하였음

◦ ‘자녀교육 관련분야’는 20대(10.6회)가, ‘환경보전․범죄예방 관련분야’는

40대(8.7회), 60대이상(8.8회)이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음

< 분야별 평균 참여횟수 >(단위 : 회)

구 분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환경보전범죄예방

자녀교육관련

국가 및지역행사

재해지역주민돕기 및시설복구

기 타(무료상담)

2009년1) 6.3 5.0 5.9 3.2 2.6 7.1

2011년 7.0 5.4 6.2 4.0 2.9 5.7

지역별도 시(동 부) 7.1 5.3 6.1 4.1 2.9 5.6

농어촌(읍면부) 6.9 5.7 6.9 3.7 2.8 6.0

성별남 자 6.0 5.9 9.3 3.6 2.6 5.0

여 자 7.9 4.8 5.2 4.6 3.4 6.4

연령별

13 ~ 19세 4.1 2.9 3.9 1.9 2.4 4.1

20 ~ 29세 8.2 3.5 10.6 5.2 3.4 4.7

30 ~ 39세 9.2 6.7 5.8 6.5 2.6 9.2

40 ~ 49세 7.7 8.7 5.5 3.8 2.7 11.2

50 ~ 59세 10.1 7.2 10.0 7.2 2.9 8.8

60세 이상 15.0 8.8 12.3 5.0 3.2 15.8

주: 1) 조사대상이 15세 이상 인구임

Page 26: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22 -

‘재해지역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분야’의 평균 참여시간이 5.2시간으로 가장 길어

지난 1년 동안 자원봉사활동 분야별 평균 참여시간은 ‘재해지역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분야’가 5.2시간으로 가장 길었고, 이어서 ‘국가 및 지역행사

분야(4.6시간),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관련분야‘(4.0시간)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남자는 ‘재해지역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분야’(5.4시간)에, 그리고 여자는

‘국가 및 지역행사 분야’(4.9시간)에 가장 많은 시간을 참여하였음

◦ 대부분의 연령대가 ‘재해지역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분야’에 많이 참가한

반면, 10대는 ‘국가 및 지역행사 분야’(4.2시간)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음

< 분야별 평균참여시간 >(단위 : 시간)

구 분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환경보전범죄예방

자녀교육관련

국가 및지역행사

재해지역주민돕기 및시설복구

기 타(무료상담)

2009년1) 4.5 3.5 2.8 4.9 5.9 4.0

2011년 4.0 3.4 3.0 4.6 5.2 3.7

지역별도 시(동 부) 3.9 3.4 3.1 4.6 4.9 3.7

농어촌(읍면부) 4.0 3.6 3.0 4.9 6.1 3.6

성별남 자 4.1 3.5 3.2 4.5 5.4 3.8

여 자 3.8 3.3 3.0 4.9 4.8 3.6

연령별

13 ~ 19세 3.7 3.2 3.7 4.2 3.9 3.4

20 ~ 29세 4.5 4.2 3.8 5.1 6.0 5.0

30 ~ 39세 4.0 3.4 2.5 4.9 6.1 4.4

40 ~ 49세 4.1 3.7 3.2 4.8 5.4 4.7

50 ~ 59세 4.2 3.7 3.4 5.1 5.3 4.4

60세 이상 3.8 3.5 3.5 4.4 4.4 3.7

주: 1) 조사대상이 15세 이상 인구임

Page 27: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23 -

자원봉사활동자 중 45.9%가 주기적으로 참여

지난 1년 동안 45.9%정도가 자원봉사활동에 주기적으로 참여하였음

◦ 도시(동부)지역보다는 농어촌(읍면부)지역이,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음

◦ 50~60대 이상의 경우 60%보다 많은 반면, 10대는 33.7%로 적은 편임

주기적인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사람은 주로 ‘분기 단위’ 또는 ‘반기 단위’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도시(동부)지역과 여자는 ‘분기 단위’로, 그리고 농어촌(읍면부)지역과

남자는 ‘반기 단위’로 꾸준히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 10대와 30대는 ‘반기 단위’로, 20대와 40대는 ‘분기 단위’로, 그리고 50대

이상은 주로 ’월 단위‘ 주기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자원봉사활동 주기성 >(단위 : %)

구 분주기성 활동주기

없음 있음 주 단위 월 단위 분기 단위 반기 단위 기 타

계 54.1 45.9 8.5 24.7 31.6 31.6 3.6

지역별도 시(동 부) 55.2 44.8 8.9 25.1 31.5 30.7 3.7

농어촌(읍면부) 49.1 50.9 7.0 22.8 31.8 35.0 3.3

성별남 자 55.0 45.0 7.5 21.6 31.8 34.9 4.2

여 자 53.3 46.7 9.5 27.5 31.4 28.5 3.1

연령별

13 ~ 19세 66.3 33.7 2.1 14.2 39.7 40.7 3.3

20 ~ 29세 55.4 44.6 13.4 26.7 29.6 27.3 3.0

30 ~ 39세 50.4 49.6 12.5 26.5 25.6 31.3 4.1

40 ~ 49세 43.0 57.0 8.7 29.9 30.6 28.1 2.7

50 ~ 59세 38.4 61.6 12.7 33.3 26.0 23.6 4.4

60세 이상 37.1 62.9 12.8 29.0 25.5 27.1 5.6

Page 28: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24 -

3. 인지경로

자원봉사는 절반 이상이‘직장과 학교’를 통해 인지

자원봉사활동을 알게 된 경로는 ‘직장․학교’가 52.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가족, 친구 및 동료의 권유’(20.0%), ‘종교단체’(12.1%)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40대 이하는 대체로 ‘직장․학교’를 통해 알게 되었고, 50대 이상은

주로 ‘종교단체’를 통해 알게 된 것으로 나타났음

< 자원봉사활동 인지경로 >

(단위 : %)

구 분 언론매체 종교단체 직장/학교시설/단체의

직접 홍보

가족/친구 및

동료의 권유인터넷 기타

계 3.3 12.1 52.4 8.0 20.0 3.1 1.1

지역별도 시(동 부) 3.4 12.6 54.2 6.5 18.8 3.5 0.9

농어촌(읍면부) 2.6 9.8 43.9 14.8 25.6 1.2 2.0

성별남 자 3.3 9.5 56.7 7.7 19.3 2.3 1.3

여 자 3.3 14.6 48.4 8.2 20.6 3.9 0.9

연령별

13 ~ 19세 1.6 2.5 72.4 2.6 17.0 3.7 0.2

20 ~ 29세 4.3 9.9 53.5 3.9 18.5 9.0 1.0

30 ~ 39세 4.8 13.8 58.1 6.3 14.3 2.2 0.5

40 ~ 49세 4.5 19.3 39.6 9.7 23.5 1.9 1.5

50 ~ 59세 3.9 26.1 20.2 20.9 25.7 0.7 2.5

60세 이상 6.0 30.9 4.3 23.0 30.6 0.1 5.1

Page 29: 2011년 사회조사(나눔문화) 결과_보도자료

- 25 -

4. 문성 활용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하여‘아동학습지도’를 한 경우가 가장 많아

자원봉사에 참여한 사람 중에서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자원봉사를 한

경우가 15.9%로 나타났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음

전문성을 활용한 자원봉사활동 중 ‘아동학습지도’가 24.1%로 가장 많음

◦ 도시(동부)지역과 여자는 ‘아동학습지도’를 위해, 그리고 농어촌(읍면부)

지역과 남자는 ‘주택수리’에 각각 전문성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음

< 전문성을 활용한 자원봉사 >(단위 : %)

구 분

활용경험 전문성 활용분야

없음 있음 이/미용 요리 의료아동학습지도

통역/ 번역

공연평생학습관련

전문상담

운전주택수리

기타

계 84.1 15.9 4.6 9.7 11.6 24.1 2.8 9.1 7.7 5.0 9.6 10.1 5.7

지역별도 시(동 부) 83.5 16.5 4.3 9.8 12.1 25.3 3.0 8.5 7.9 5.3 9.4 8.9 5.6

농어촌(읍면부) 86.6 13.4 6.3 9.1 8.7 17.2 1.9 12.3 6.4 3.2 11.1 17.3 6.5

성별

남 자 86.5 13.5 3.0 6.0 8.8 14.5 2.3 7.7 8.4 7.0 15.9 22.0 4.3

여 자 81.8 18.2 5.8 12.3 13.6 30.8 3.1 10.0 7.2 3.6 5.2 1.8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