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서울소재 대학의 중앙도서관 출입 시큐리티 시스템 조사 정진명 KAIST 08

서울소재 대학의 중앙도서관 출입 시큐리티 시스템 조사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서울소재 대학의 중앙도서관출입 시큐리티 시스템 조사

정진명

KAIST 08

목차

• 서술방식 소개

• 중앙도서관 조사

• 우리 학교의 경우에 대한 촌평

• 발전 방향

서술방식

• 국내의 몇몇 대학, 및 그 중앙 도서관에 얼마나 많은 외부인들이 접근할지에 대해 알기 위해 입지 조건을 설명함.

• 각 대학 중앙도서관 입구의 사진을 첨부하고 설명을 첨부함.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 학교 자체가 외진 곳에 위치해 있고, 학교 입구에서중앙도서관까지 이동하는데 언덕을 몇번이고 넘어야 하기 때문에 외부 이용인구는 많지 않아보임

경희대학교 수원캠(계속)

• 중앙도서관 자체의 규모가 꽤 큼

경희대학교 수원캠(계속)

• 입구로 들어가면 넓은 홀이고, 1층에 있는문을 통해 열람실로 들어갈 수 있음.

• 가운데 보이는 탁자가 학생 자원봉사 도서관 관리. ‘외부인 출입금지’등이 써진 A4용지를 부착하고 있다.

• 학생이 아닌 사람을 구별하기 힘들어보임

경희대학교 수원캠(계속)

• 외부인과 학생을 구분할수단이 없음

• 현재는 지도 좌하단의아파트 단지가 조성중이라외부인의 접근이 적지만

•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는대로 유입인구가 증가, 도서관이용에 혼란이 올 것이라고예상할 수 있음

성균관대학교 서울캠퍼스

• 성균관대 서울캠퍼스는 대학로에 위치하고 있어 외부인의 접근이 비교적 용이함

• 중앙도서관 정문. 직원 + 개찰구 형식의시큐리티로 되어있다.

성균관대학교 서울캠(계속)

• 같은 건물의 다른 출입구.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이곳에도직원이 상주하고 있다.

숭실대학교

• 숭실대학교 역시 시내 한복판에 위치하고있어 외부인의 접근이 용이함.

• 사진에서 보는대로 직원 + 개찰구 형식.

아주대학교

• 입지 조건은 우리학교와 비슷한 편. 주거시설은 상대적으로 우리보다 적지만 버스등을통한 접근성이 우수.

• 개찰구 형식,직원 미상주

중앙대학교

• 학교가 주택가와 바로 근접해 있음.

• 직원 미상주, 개찰구 형식

중앙대학교(계속)

• 같은 건물의 후문. 개찰구 형식이지만좌측 통로가 열려있는 등 관리가 되어있지않음.

• 직원 미상주.

홍익대학교

• 신촌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음. 도서관에 가는 것 자체는 산을올라야 해서 선호되지 않음.

• 직원이 상주하는개찰구 형식.

홍익대학교(계속)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은 타 건물과 연결되어 있는 식이라 입구가 여러 곳 있다.

• 이 입구는 현재 공사중(계단 시멘트 공사)이지만, 우측 상부에 보이는 초소에 직원이 상주하고 있음.

우리 학교의 경우에는?

• 아파트단지 등 대규모 주거단지가 근접해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출입통제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사진생략)

• 결과, 도난사건 및 소란으로 인한 민원이 다발함

어떻게 하면 좋을까

• 시큐리티 강화는 절대적으로 필요함

• 그러나, 현재 교양분관 등 기존에 학교에서 이용하던 출입문 신분인증방식으로는Tailgating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없음

• 따라서 지하철 개찰구 형식의 출입문을설치하는 것이 최선으로 보임

More…

• 좀 더 나아가서 출입구에 직원등을 상시배치하는 것이 얼마나 효용이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외부 이용자 등의 출입 편의 및 출입시스템 보호를 위하여 입구에 직원이 한 명 이상 상주하면 매우 편해짐

• 인건비가 문제가 되지만, 현행 근로장학생체계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 않을까 함

총학여러분 수고하십니다

• 공감 총학 여러분들이 학생들을 위해 여러가지 일들을 하시는데 부디 좋은 결실을맺기를 기원합니다.

• 사진 저작권 정진명

• 지도 저작권 NHN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