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
비매품 2015 VOL.8 2015 VOL.8 ARTS MANAGEMENT webzine.gokams.or.kr

2015 VOL.8 - 예술경영지원센터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비매품

2015VOL.8

2015

VOL.8

��

ARTS MANAGEMENTwebzine.gokams.or.kr

2015VOL.8

ARTS MANAGEMENTwebzine.gokams.or.kr

발행인 김선영 재단법인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

편집위원 고정민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콘텐츠산업 전공 교수

권신 경기문화재단 총무회계 팀장

김희선 국민대학교 교수

손숙영 더줌아트센터 아트디렉터

송현민 음악평론가, 월간 《객석》 기획실장

채은영 독립큐레이터

기획ㆍ편집ㆍ운영 경영기획실 전략기획팀

김혜진 전략기획팀 팀장

서정임 《weekly@예술경영》 에디터

박지은 《weekly@예술경영》 코디네이터

신보연 《TheApro》 에디터

이혜진 《TheApro》 코디네이터

김수영 《TheArtro》 에디터

송지현 《TheArtro》 코디네이터

무크지 제작

편집 김연임

교열 양라임

디자인 배지선

발행처 재단법인 예술경영지원센터

발행일 2015년 12월 30일

주소 03082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57(연건동)

홍익대학교 대학로 캠퍼스 교육동 12층

전화 02 708 2285

팩스 02 2098 2904

이메일 [email protected]

© 본지에 실린 글과 사진의 무단전재 및 복사를 금합니다.

ISBN 978 89 98604 29 5

Cred

it

발행인의 글

weekly@ 2008 10 30

.

, ,

.

weekly@

, .

weekly@

,

. 350 2015 .

, KAMS 10

, , ,

.

( ) ,

, , .

,

2015

. ,

,

.

12 <

> 1

.

weekly@ 2016

. .

재단법인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 김선영

5 발행인의 글 / 김선영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13 특집 (재)예술경영센터 해외진출 지원사업 10년 성과와 비전

지난 10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 안주은

18 특집 좌담_세계 속 한국음악의 미래를 위해

해외 진출, 그리고 그 후 / 편집팀

25 하우투 ‘국제행사 참가지원’ 100% 활용 방법

해외 진출을 위한 첫걸음마, 국제행사 참가지원으로부터 / 김은희

31 특집 ‘2015 서울아트마켓’ 미리보기

‘확장과 연결’ 주제로 아시아 공연예술의 창을 열다 / 강일중

36 특집 ‘2015 서울 아트마켓’ 활용법Ⅰ– 국내 참가자 편

나의 팸스 다이어리 / 이수진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43 하우투 한국 현대미술의 세계무대 진출 전략

아트페어를 활용한 아트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 전민경

48 특집 아트페어의 새 유형이 가져올 한국 미술 시장 변화

아시아 아트페어의 현황과 공동 발전 방안 / 서진수

54 특집 좌담_2015 작가미술장터

대안적 아트마켓으로서의 ‘작가미술장터’, 그것을 묻다 / 편집팀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68 리뷰 유럽 축제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

유산이자 첨단의 사조를 담은 예술을, 그들은 “오페라”라고 했다 / 송현민

74 리뷰 유럽 축제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임풀스탄츠 페스티벌

춤이 일상이 되는 7월의 오스트리아 / 정선경

80 리뷰 2015 시비우국제연극제 및 시비우아트마켓

국제적 축제, 배우 한 명의 열망에서 비롯되다 / 홍혜련

86 리뷰 2015 파리가을축제 – 안은미컴퍼니 3부작 리뷰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에 ‘출현’한 한국인들의 몸 정치 / 김남수

92 해외동향 미국 덤보 아츠 페스티벌(Dumbo Arts Festival)의 폐지 결정과 방향 모색

단발성 행사보다 365일 예술지원 시스템으로 / 서정민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99 특집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Ⅰ

제주 문화예술 현장과 관광자원의 공생 / 김지혜

104 특집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Ⅱ

제주에 부는 다양한 문화예술의 바람들 / 백용성

이슈

‘지금, 여기’

예술경영을 말하다

Co

nten

ts

110 특집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Ⅲ

면세 특구와 예술 시장 / 정준모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117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

경제지표와 인구, 국가 투자, 그리고 네티즌ㆍ인프라 건설과 문화 소비, 그리고 정책

/ 유재기

127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

공연 시장의 규모와 동향 파악ㆍ장르별 공연 시장의 특성ㆍ

음악 공연의 유형 및 시장 규모ㆍ근검절약 정책 이후의 공연산업 / 유재기

146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예술품 시장

예술품 시장의 구조ㆍ예술품 시장의 유형별 특징ㆍ

중국 예술품 시장 거래 동향ㆍ중국 예술품 시장 규모 및 주요 정책 / 유재기

164 칼럼 중국 문화산업의 중점 추진 정책 외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관련 정책 / 유재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171 특집 좌담_공연예술 분야의 경제적 효과 분석은 가능한가?

공연예술의 경제적 가치, 무엇으로 측정할 수 있나 / 편집팀

178 리뷰 미국 예술기업가정신 교육협회 학술대회

새로운 학문 분야 ‘예술기업가정신’ / 장웅조

07 문화예술법인 · 단체 살림 노하우

183 특집 예술경영 컨설팅의 미래 10년을 전망하다

예술경영 컨설팅,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의 성장기 / 이경모

188 이슈 2015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마켓&포럼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의 지속 가능한 지원 모델 / 김태진

193 이슈 2015 예술경영 컨퍼런스

전문예술법인 · 단체, 스스로 해결책을 찾다 / 김미라

198 해외동향 영국 장애인 공연예술 단체들의 운영 – 재원 조성, 프로그램 개발, 단원 교육 등

힘들지만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는 원동력 / 박혜신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205 300호 특집 원로 예술경영인 인터뷰 다시보기

그들이 그린 ‘예술경영’의 밑그림 / 편집팀

212 특집 근로자의 날, 예술경영인들의 하루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삶과 직업을 사랑하는 이유 / 김미지

219 특집 ‘2015 서울아트마켓’ 활용법Ⅱ– 예비 예술경영인 편

예술경영인이 되기 위한 실천의 4시간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교육사업팀

국내

226 현장+人 김명수 국립중앙극장 하우스매니저

스펙보다 인성을 먼저 갖춰라 / 김경래

230 현장+人 인재진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예술감독

공무원은 외계인이 아니다 / 편집팀

236 현장+人 이종덕 충무아트홀 사장

1세대 예술경영인을 만나다 / 편집팀

240 현장+人 강선애 하우스콘서트 수석 매니저

세계로 뻗는 하우스콘서트에는 그녀가 있다 / 송현민

해외

246 현장+人 린다 크룩스(Linda Crooks) 영국 트래버스 극장 총괄 프로듀서

트래버스는 왜 국제적 협업에 매진하는가? / 이단비

252 현장+人 라비 므루에(Rabih Mroué) 배우, 연출가, 작가, 미디어아티스트

예술이지만 현실이고, 연극적이면서 정치적인 것 / 김슬기

258 현장+人 리 동(Li Dong) 중국국가화극원 국제교류센터장

새로운 콘텐츠의 교류와 합작으로 저변을 넓혀 가길 기대한다 / 이희진

266 칼럼 소리의 기록, 평창아라리 아카이빙

소리의 기록은 진행형이다 / 황보유미

272 칼럼 예술과 저작권

저작권법의 목적은 ‘문화의 향상 발전’에 있다 / 홍승기

276 칼럼 프랑스 예술영화관 지원 정책

영화와 영화관에 대한 시각 변화가 필요하다 / 김성욱

280 칼럼 장애 예술인 창작 활동의 사회적, 제도적 장벽과 개선 방안

또 하나의 블루오션, 장애인 예술 / 방귀희

284 칼럼 소극장 운영 위기 개선을 위한 담론

대학로 소극장의 곡소리는 멈출 것인가? / 최윤우

290 하우투 매개자의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미술품 경매사

완벽을 완성하는 자의 집념 / 김현희

294 하우투 국제 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Ⅰ

공연예술 해외 진출, 어떻게 할까? / 이희진

300 하우투 국제 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Ⅱ

무대감독에서 국제 교류 전문가로 / 김지명

304 하우투 국제 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Ⅲ

열혈 기획자? 낑낑대는 자립 음악가! / 박지하

현장 + 人

현장에서

사람(人)을 만나다

칼럼

자유로운

발언의 장

하우투

예술현장 노하우

하나 둘 셋!

이.상.공간

문화와 삶이

흐르는 공간

정보창고

지혜를 나누는

곳간

310 하우투 신뢰에 기반 한 기부, 공감을 통한 모금

“모금을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요?” / 장진민

314 하우투 스폰서십을 위한 전략 수립

성공적인 스폰서십 DNA 이식을 위한 기본 준비 / 오승환

320 이.상.공간 강릉 ‘신영극장’, 대구 ‘오오극장’

“끝까지 간다” / 안태훈

325 이.상.공간 수원 제작놀이공간 ‘다시’

삶의 가치를 만들어 가는 우리 동네 쉼터 / 곽봉재

328 이.상.공간 연남동 문화공간, ‘플레이스 막’

균형을 만드는 공간 / 김영훈

333

이슈

‘지금

, 여기’ 예술경영을

말하다

��

×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특집]

글. 안주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장

안주은은 가네사프로덕션에서 2년간 국제현대무용제 (MODAFE) 국제교류 업무를 담당하였고,한국문화예술위원회

대외협력팀을 거쳐 2006년부터(재)예술경영지원센터국제교류사업본부에서 아시아공동제작 파일럿프로젝트,서울아트마켓, 중남미 권역담당으로, 2012년부터시장개발팀장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 10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재)예술경영센터 해외진출 지원사업 10년 성과와 비전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15 ��

1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해외 진출의 전 과정을 지원하다

( ) ( ) < >

2007 . 2005

, < >

,

.

.

,

.

.1)

<

> < :

> ,

10 .

.

› ›해외 진출 기반 마련 네트워크 구축해외 진출 기회 확대단체 자생력 확보

통합홍보물 제작지원

· 해외홍보 홍보물

CD/DVD/애플리케이션

· 홍보물 해외매체 제휴

공연예술 국제교류

지식정보화

· 해외진출 로드맵 제작

· 권역별 진출 전략 정보

· 공연예술지식정보 사이트 운영

국제행사 참가지원

· 기획자지원(마켓 및 축제)

· 해외마켓 공식선정 쇼케이스 지원

(공연예술 특성적 실물 교류 지원)

전문가 교류지원

· 한국음악 이해 증진

· 해외인사 초청

· 한국음악 및 문화프로그램 기획

센터스테이지코리아

· 페스티벌 한국특집 행사

(센터스테이지코리아 포커스)

· EFWMF 협력 투어기금

주요축제/극장 투어(순회)

,

,

. ,

( ), ( ),

( ), ( )

1) 자국 공연 작품의 권역별 시장 개척을 통한 해외 쇼케이스 지원

호주 Australia Arts UK, Australia Festival in New York싱가포르 Singapore Season in London-세계 주요 공연예술마켓 진출지원 프로그램

호주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Market Strategy싱가포르 Marketing Development Grant

.

(Journey to Korean

Music)

. ,

.

해외 진출은 장기전이다

2007 2010

( ), ( ),

(APAP, ), ( )

( )

.

2011 2015

( ), ( ),

( ), ( ), ( ),

( ), ( ),

(EFWMF)

( , , )

.

.

, 2014

18,014 ,

7.48 .

센터스테이지코리아 포커스 해외파트너

17 ��

1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1. 시나르 리셉션과 부스2. 워멕스 부스3. 2013 한국 리셉션 4.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1

3

2

4

. 10

,

. 10 ,

,

10 ,

.

( ), ( ),

( ), ( )

,

.

,

평균 공연 횟수(회)

2009 2011 20140

1

2

3

4

5

6

7

8

5.75

3.27

7.48

0

평균 공연료(USD)

2009 2011 2014

2,000

4,000

6,000

8,000

10,000

16,000

12,000

18,000

14,000

20,000

9,71

5

18,0

14

73건[해외 기관 MOU]

139건[진출 거점]

975건[공연 횟수]

1,360건[매체 보도]

329,525명[관객 수]

단계적 지원을 통한 장르별 해외 진출 사례

* (연극) 판소리 만들기 자

· 2009년 서울아트마켓 공식 쇼케이스 선정 후 해외 진출

본격 시작

· 2010년 폴란드, 미국, 프랑스, 영국 등 해외 진출

· 2011년 프랑스 국립민중극장 공연 전 회 매진,

2012년 <억척가> 극장 정규 레퍼토리 공연으로 소개

· 2013년 - 2014년 프랑스, 브라질, 우루과이 등 해외 투어

· <이방인의 노래> 서울아트마켓 쇼케이스 선정

* (무용) 안은미 컴퍼니

· 2010년 센터스테이지코리아 선정 통한 지원으로

콜롬비아 진출 후 해외 인지도 확립

· 2011년 서울아트마켓 공식 쇼케이스 선정 후 해외시장에

본격 소개

· 2013년 - 2015년 프랑스 대표 축제 초청, 한국 단체

최초로 캐나다 트랜스 아메릭 페스티벌 개막작으로 초청

* (무용) 안성수 픽업그룹

· 2009년 서울아트마켓 공식 쇼케이스 선정

· 2010년 국제협력지원 사업 참여 이후 핀란드 단체와

협력 시작

· 2012년 첫 번째 협력작 <더블 익스포저> 핀란드ㆍ한국

초청 공연 후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지로 해외 투어

· 2015년 두 번째 협력작 <투오넬라의 백조> 핀란드ㆍ한국

초청 공연 예정(10월 예술의전당 기획 공연 확정)

(Journey to Korean Music) 1~2

(WOMEX)

,

( ) - (KAMS-

EFWMF)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특집]

정리.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좌담_세계 속 한국 음악의 미래를 위해

해외 진출, 그리고 그 후

일시 2015년 6월 10일(수) 오후 2시

장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회의실

참석자 *가나다순

김주홍 노름마치 대표

천재현 정가악회 대표

허윤정 블랙스트링, 토리앙상블 대표

사회 김유정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시장개발팀 과장

해외진출 지원사업 성과와 지향점

사회자 ( ) ( ) 10

.

10 .

,

.

김주홍 ,

.

.

. .

10 . ,

.

허윤정 ,

(Journey to Korean Music)

.

.

,

. (PAMS)

.

.

(WOMEX) .

. , ,

. , ,

.

,

.

(Centre Stage

Korea)

.

김주홍 (PAMS Choice)

.

21 ��

2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천재현

. 10

, 10

.

.

,

.

?

사회자 . .

.

.

.

. .

허윤정

. .

.

, .

. .

? ? .

,

.

. .

.

.

천재현 .

,

.

.

사회자

.

.

,

.

.

사회자 ,

?

허윤정

.

. . .

.

해외 진출을 둘러싼 갖가지 고민

사회자 ,

.

.

.

.

천재현

.

. 27

. .

.

.

, .

.

.

사회자

?

천재현

.

.

.

.

.

, .

.

.

.

사회자 (Ethno Sweden)

100

.

.

.

10 ,

노름마치 공연사진 제공. 노름마치 공식 홈페이지

23 ��

2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김주홍

. .

. .

천재현

. .

.

.

.

.

김주홍

.

.

.

사회자

.

.

.

허윤정 .

10 , 20

. .

20~30

. 3~4

.

. .

. 70%

3 . .

.

.

.

천재현

. ,

, .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예술가, 예술 단체들을 위한 제언

김유정 ,

?

김주홍 . ,

.

.

.

정가악회_홍콩아츠페스티벌사진 제공. 월간 《객석》

, ,

, 20~30

. 40~50 .

. . 30

50 .

,

.

.

.

.

, . .

.

.

.

.

.

사회자 ,

.

,

.

아시아 음악 시장 선점해야 허윤정

.

, .

. .

,

.

블랙스트링

사진 제공. Sung Yull Nah

25 ��

24×

.

.

, .

.

, (

.) . ,

.

허윤정

. ,

.

, 50

(WOMAD) .

. .

.

.

.

. .

천재현 .

. ,

,

.

( ) .

김주홍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를 졸업했다. 김덕수, 이광수에게 사물놀이 무속장단 비나리를, 인간문화재 안숙선, 한승호, 박병천에게 판소리를 사사했다. 노름마치의 창단 멤버이며, 현재 노름마치예술단의 예술감독과 대표로 재직 중이다. 2011년 KBS 국악대상에서 연주(단체) 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천재현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에서 거문고를 전공했다. 정가악회 창단 대표이며, 현재 (사)정가악회 대표이사, 남산국악당&남산한옥마을 예술감독으로 재직 중이다. <아리랑, 삶의 노래>, <정가악회, 세계문학과 만나다>, <정가악회, 노닐다> 등 다수 작품의 연출 및 제작을 맡았다.

허윤정은 거문고 연주가, 작곡가이자 부친(연극 연출가 허규)이 남긴 북촌창우극장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거문고와 한국전통음악을 세계에 알리는 일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토리앙상블, 블랙스트링, 모자이크코리아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참석자

소개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하우투]

글. 김은희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

김은희는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에서 근무 중이다.

100% 활용 방법

‘국제행사 참가지원’

해외 진출을 위한 첫걸음마, 국제행사 참가지원으로부터

27 ��

2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국제행사 참가지원 – Resonance Korea

. ( ) ( )

.

.

좌. 탄츠메세 한국관우. 탄츠메세 입구 야외 공연

쇼케이스 참가

2014 8 , 10

(Tanzmesse NRW) 5

.

5

.

. 14

.

탄츠메세는 최대 규모의 마켓답게 전 세계 공연예술계 사람들이 이날만을 기다려 다 모이는 듯했다. 빽빽하게 들어찬 부스들과 부스 사이사이를 오가는 예술가들, 기획자들, 프리젠터들. 예술가들은 한 번이라도 자신의 이름과 작품을 알리는 데 또 축제나 극장은 단기간에 좋은 작품을 만나는 데 이보다 더 좋은 기회는 없겠다는 생각을 했다. (중략) 예술가들과 기획자들에게 있어, 안무가와 작품을 세계 시장에 알리고 또 파는 데에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독일 탄츠메세와 같이 전 세계의 프리젠터들과 기획자들이 모이는 큰 규모의 아트마켓은 분명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작품을 소개할 수 있는, 놓칠 수 없는 기회임이 분명하다.1)

1) 2014 국제행사 쇼케이스 참가지원 이하림(서울세계무용축제/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 국제교류팀) 리서치 보고서 중

, ,

, , ,

.

.

.

, ,

( ),

.

,

,

. 4 ,

.

좌. 워멕스 부스 전시장 전경 우. 워멕스 노름마치 공식 쇼케이스

(The World Music Expo) ,

.

(2009) (2012),

[Su:m] (2013) 2014

. 850 30

.

.

.

29 ��

2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쇼케이스가 올려지는 당일까지도 쇼케이스에서 선보일 45분짜리 프로그램에 대한 고민을 멈추지 않았다. (중략) 이미 다른 한국 전통 음악팀의 공연을 접해 본 전문가들 눈에는 ‘사물놀이’ 세대의 공연 이후 정체된 ‘한국 전통 타악’ 공연으로 비추어질 수 있었기 때문에 ‘노름마치’만의 음악, 그리고 그동안과는 또 다른 새로운 음악을 보여 줄 수 있는 무대여야 한다. (중략) 월드 뮤직 시장으로의 진출은, 초청이 확정된 한 해만 워멕스 참가를 한다고 해서 큰 효과를 이루기는 어렵다. 공식 쇼케이스뿐만 아니라 OFF 워멕스까지 합쳐 60여 개의 쇼케이스가 진행되고, 3,000여 명에 달하는 참가자들이 매해 자신들의 작업을 알리는 홍수 속에서 우리의 음악을 알리고 기억하게 하기 위해서는 색다른 노력들이 필요하다. 2)

.

( )

.

개인 기획자 참가

.

.

,

. , ,

, ,

.

.

* 2015 국제행사 참가지원: 개인 참가 지원 대상 사업 현황

순번 구분 국가명 행사명

1

마켓

프랑스 바벨메드뮤직 Babel Med Music

2 독일 재즈어헤드 Jazzahead!

3 중국 사운드오브더씨티 SOTX

4 네덜란드 클래시컬 넥스트 Classical Next

5 루마니아 시비우 축제 및 공연예술마켓 SIFT & SPAOM

6 스페인 피라 타레가 Fira Tarrega

7 스페인 바르셀로나 뮤직마켓 MMVV

8 중국 상하이공연예술마켓 SPAF

9 헝가리 워멕스 WOMEX

10 이탈리아 메디멕스 Medimex

11 모로코 비자포뮤직 Visa for Music

12 이스라엘 이스라엘 현대 무용 플랫폼 International Exposure

13 미국 미국공연기획자협회 총회 APAP

14

마켓형 축제

스페인 바르셀로나 그렉 축제 Festival Grec de Barcelona

15 프랑스 아비뇽 오프 Festival Off in Avignon

16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The Edinburgh Festival Fringe

17

국제 네트워크

스웨덴 / 덴마크 국제공연예술협회 지역총회 ISPA

18 이탈리아 유럽공연예술회의 IETM (봄 정기총회)

19 미국 전미공연예술네트워크총회 NPN

20 유럽 내 NXTSTP network 멤버 축제

,

.

,

.

2) 2014 국제행사 쇼케이스 참가지원 오성희((사)노름마치 예술단 기획팀) 리서치 보고서 중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특집]

글. 강일중

공연칼럼니스트

강일중은 공연 전문 기자 겸연극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연합뉴스에서 줄곧 일해왔으며 뉴욕특파원, 경제국장등을 지냈다. 저서로 『뉴욕문화가 산책』(2005)과『공연예술축제를 만드는사람들』(2009)이 있다.

사진 제공.

서울아트마켓 사무국

‘2015 서울아트마켓’ 미리보기

아시아 공연예술의 창을 열다

‘확장과 연결’ 주제로

누더존 축제(Nooderzon Performing Arts Festival Groningen) 모습

참가 목적ㆍ NXTSTP 의 8개 축제 협력 모델 분석 및 유럽 축제 간의 주요 공동 제작 및 네트워크 간의 업무 협력 리서치 ㆍ각 축제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유럽 내의 공연예술 변화의 동향 조사 및 한국과 아시아 현대 공연예술에 대한 지속적인 소개 모색ㆍ아시아나우의 국제 공동 제작 작품의 NXTSTP 연계 가능성 조사

추진 방법ㆍ사전 데스크 리서치 ▶ 현지 축제 탐방 및 예술감독 인터뷰 ▶ 타 국가 및 네트워크와의 비교 연구 ▶ 홍보 비디오 클립 및 영문 소개 자료 제작 후 홍보 3)

.

(TheApro)

weekly@

.

3) 2014 국제행사 개인 참가지원 최석규(독립 프로듀서) 리서치 보고서 중

33 ��

3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2014 서울아트마켓 스피드데이팅과 포커스세션 현장

베트남 등 아세안 3국 ‘권역포커스’ 대상

(Extension & Connection) .

.

.

ㆍ ㆍ

3 .

,

.

.

.

3

,

.

.

.

.

ㆍ ㆍ

.

,

, ,

.

.

(LIP)

2015 (Performing Arts Market in Seoul,

PAMS) 10 5 9 .

.

( )

. 2009

5

JW

.

2006 2007

,

.

.

, ,

, ,

.

.

< >, A < , >,

< >

.

.

ㆍ ㆍ

.

JW

,

,

,

.

35 ��

3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248 432 .

100

135

.

13 .

< >( ), <

>( ),

< >( ) 10 6-8

.

40 .

.

.

. 10 6~7 JW

69

.

2015 팸스초이스 선정작 아트 프로젝트 보라의 <꼬리언어학>

사진 제공. 아트 프로젝트 보라

.

,

( , , , )

.

‘희희낙락’ 등 신설 프로그램 여러 개 선봬

.

.

2014

-

.

, . 5

.

,

6

.

( ), (KMP

), ( ),

( ), (HJ ) .

참가 등록 인원 역대 최고 수준 될 듯

2014

.

2,156 2,570

. , ,

2,200 , , ,

, 370

.

( ),

( ),

.

.

2015 팸스초이스 선정작 판소리만들기 자의 <이방인의 노래>사진 제공. 판소리만들기-자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매년 이맘때 즈음 되면 드는 세 가지 생각이 있다. 첫째는 이제 정말 가을이구나, 둘째는 올해도 ‘자라섬 재즈페스티벌’엔 못 가겠구나, 셋째는 올해 서울아트마켓(PAMS, 이하 팸스)에서 어떤 이들을 만나게 될까.

. 10

.

2005

. 1995

, ,

,

.

( )

10 11

. Performing Arts

Market in Seoul (PAMS) .

, (TPAM)

(SPAM)

( 1 )

.

2010 .

( )

.

, ,

.

.

2010

.

CD ,

.

(2010 )

(2010 ) 5 ,

16 .

.

,

.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특집]

글. 이수진

공연칼럼니스트

이수진은 예술경영인으로현재 (재)경남문화예술진흥원문화정책부에서 근무하고 있다.이전에 국제교류 프로듀서로활동하며 거문고팩토리,청배연희단 등의 해외 투어를전담했다.

‘2015 서울 아트마켓’ 활용법 – 국내 참가자 편

나의 팸스 다이어리

39 ��

3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Journey to

Korean Music) .

15

,

. ,

, .

,

.

.

,

.(

.)

10 20 .

, , , ,

,

.

.

팸스 활용 팁 2스피드 데이팅, 부스 전시, LIP 등

10 .

,

. .

,

.

,

.

10

.

.

좌. 2014 서울아트마켓 전경우. 거문고팩토리캐나다 위니펙 포크페스티벌 공연 전경

5

. ,

.

.

,

. 4 .

, ,

.

1 .

( )

. 2 .

.

3 .

팸스 활용 팁 1팸스초이스부터 비공식 쇼케이스까지

. ,

, .

, ?

.

(Journey

to Korean Music)

.

, ,

.

41 ��

4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

. .

,

. .

.

팸스 활용 팁 4팸스버디, 팸스마스터와의 하루

.

,

, , ,

.

,

. ,

.

.

. ,

.

10 5 5

, ,

,

, ,

,

.

2 , 3

.

. ,

, CD .

.

, . ,

. , ,

.

.

2014 서울아트마켓 팸스나이트 전경

팸스 활용 팁 3라운드테이블, 팸스나이트 등

,

. ,

.

. , ,

,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하우투]

글. 전민경

국제갤러리 대외협력 디렉터

전민경은 국제갤러리의 커뮤니케이션 담당 디렉터로 아트페어 홍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아트페어 참가 시 네트워킹 업무를 담당하며, 국제갤러리에서 진행하는 전시 기획에 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 현대미술의 세계무대 진출 전략

아트페어를 활용한 아트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45 ��

4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국제갤러리 칼리토 카르발료사 개인전 전경

사진 제공. Keith Park

미술 시장에 따른 컬렉션 프로모션

,

, .

,

. 3

, 6 , 12

,

21

, 40 (fiac)

, .

.

,

.

.

? ,

.

,

,

.

,

.

,

,

?

,

,

.

전시의 전략적 프로모션

.

,

,

,

, ,

, .

. ,

,

.

?

.

.

, ?

?

1

,

.

2 , 3

.

47 ��

4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Warm Up 2014 at MoMA PS1. 사진 제공. Charles Roussel

.

.

,

.

.

.

.

.

.

, , ,

,

.

Tina Kim Gallery & Kukje Gallery at Frieze Masters 2015사진 제공. ©Charles Roussel & Ocula

아트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소통 전략 및 실천

.

,

, ,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1950년 이후 해외 미술의 국내 전시는 1978년과 1988년 서양미술 소개의 홍수 속에서 열린 중국 작가 장다치엔(張大千)의 개인전과 2001년 상업 화랑 아트사이드에서 열린 중국 현대미술 5인전, 2002년의 근현대 5대가 전시, 2005년의 중국 현대미술 그룹전, 그리고 1981년과 1997년에 개최된 일본 현대미술전, 2009년의 인도 현대미술전 등 국내에서 소개된 아시아 미술에 관한 미술관급 전시가 전부이다.

아시아의 많은 나라가 식민지 시기를 겪으며 경제와 문화 교류의 기회보다 자국의 정치와 경제 발전에 힘을 쏟아 온 것이 20세기 후반의 아시아 대부분 국가의 현실이었다. 아시아 미술계가 작품의 거래를 통해 미술 시장을 공동으로 형성, 발전시키기 시작한 것은 중국이 개방을 선언한 1990년대 초반 또는 아트페어와 경매가 활성화된 21세기 초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에 한국, 일본, 타이완 등 국내 아트페어에 인접국의 몇몇 화랑이 작품을 소개하던 소극적인 시대에서 2000년대 국제화가 급진전되면서 이전의 동양화 전시 교류 시대에서 서양화 교역 중심의 시대로 이행하였다.

아시아의 토종 아트페어와 아트바젤 홍콩

2000 10

,

,

. 2010

,

, , (SEBETO)

3 .

30

.

.

.

, 40

, , ,

,

- - .

.

10~20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특집]

글. 서진수

강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미술 시장연구소 소장

서진수는 서경대 경제학과 이후 단국대 대학원에서 「고전학파 공황론에 관한 연구」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영국 글래스고 대학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2002~2006년 러시아와 몽골의 알타이 암각화를 탐사하고, 일본, 중국, 대만 아트페어에서 한국과 아시아 미술 시장에 대한 특강을 했다. 현재 강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미술 시장연구소 소장, 아시아 미술 시장 연구 연맹 공동대표,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UEA) 한국 수석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아트페어의 새 유형이 가져올 한국 미술 시장 변화

아시아 아트페어의 현황과 공동 발전 방안

51 ��

5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2013

ㆍ ㆍ 3

, 2010

,

2014 ㆍ ㆍ 3

. 2014

, , , , 5

.

(Asia-Pacific Art Gallery

Alliance) .

‘키아프 2014’에 모인 5개국 아트페어 대표자들

사진 제공. 필자

‘키아프 2011’ 갤러리 부스 사진 제공. 한국국제아트페어 키아프

아시아 주요 아트페어의 공동 발전 방안

.

. .

.

. VIP

. , , ,

, ,

.

.

* 아시아 주요 아트페어의 해외 갤러리 참가 수

Art Fair 2009 2010 2015

한국 KIAF중(2), 일(12), 대(1)168개

중(2), 일(17), 대(2)200개

중(3), 일(20), 대(0)182개

중국

Art Beijing한(3), 일(0)71개

한(6), 일(1)92개

한(2), 일(1), 대(4), HK(1)140개

CIGE한(12), 일(7)84개

한(1), 일(1)54개

한(7), 일(0), 대(8)50개

홍콩Art HK(Art Basel HK)

한(12), 일(13), 중(18)116개

한(12), 일(15), 중(18)140개

한(9), 일(17), 대(9)223개

타이완 Art Taipei한(6), 일(14), 중(5)110개

한(7), 일(23), 중(33)110개

한(6), 일(24), 중(28), HK(6)168개

일본 Art Fair Tokyo한(2), 중(1)143개

한(1), 중(1), HK(4)140개

한(2), 중(0)160개

,

.

.

. (KIAF, 2002 )

(Art Taipei, 1992 )

. (Art Fair

Tokyo, 2006 ) (NICAF, Nippo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air, 1992 )

(aTOKYO)

, , ,

.

.

2~3

53 ��

5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아트페어 도쿄

.

,

. .

,

.

. VIP

, , ,

. ,

.

.

,

.

,

.

. ,

.

,

. ,

(Made in Asia) .

.

, , ,

. ,

2, 3

.

아트베이징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2015년 (재)예술경영지원센터가 처음 시도한 작가미술장터 개설 지원 사업은 기존 아트페어와는 달리 미술품 판매액 전부를 해당 작가에게 지급해 작가의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직거래 미술장터이다. 전시장, 공공시설, 유휴 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진행된 10개의 미술장터로는 <자연의 소리 나눔장터>, <해피월 코리아 2015>, <K–ART 거리소통 프로젝트>, <2015 고양미술장터>, <오늘의 살롱 2015>, <2015 비아트마켓>, <굿-즈 2015>, <대구현대미술축제 2015–봉산아트길>, <블라인드 데이트>, <잇장>이 있다. 이에 《weekly@예술경영》은 올해 사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4개 단체의 작가, 기획자 등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겪은 여러 과정을 공유하고 대안적 미술 시장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다.

사회자

,

, , ,

.

,

.

윤율리 < - 2015>( - ) .

< - >

.

.

,

. .

.

,

,

.

.

,

.

.

< - > 80

, .

, ,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특집]

정리.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좌담_2015 작가미술장터

대안적 아트마켓으로서의

그것을 묻다

일시 2015년 12월 8일(화) 오전 10시

장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회의실

참석자 *가나다순

김인선 블라인드 데이트

윤율리 굿-즈 2015

이제 오늘의 살롱 2015

최민영 2015 비아트마켓

사회 채은영 독립큐레이터,

《weekly@예술경영》 편집위원

‘작가미술장터’

57 ��

5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최민영 <2015 >(

) .

.

.

.

.

.

.

, .

.

사회자 ?

최민영 20 . 50 .

.

.

40 10

.

30 . 20 40 .

10 .

( ) .

김인선 .

.

,

.

.

3

.

.

, .

.

.

.

,

.

1/n

. ,

,

.

.

, , .

.

80

.

, < - >

.

, ,

.

<굿-즈 2015> 전경

사회자 ,

?

윤율리 .

. ,

.

59 ��

5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최민영 10%

.

사회자 < - > .

윤율리 100%

.

.

.

.

.

80 . < - >

( ),

.

.

5

. .

5

,

.

.

,

.

사회자 < >

.

.

최민영

.

.

. < - > < >

.

. ,

. 150 .( )

.

,

.

.

. ,

.

.

,

.

. <

>

.

.

.

.

. 3

.

. <블라인드 데이트> 전경

사회자 ,

?

김인선

. < - >

, .

.

.

.

. 1 ,

.

.

,

.

.

.

.

61 ��

6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

,

.

.

,

. ,

. 2010

. ,

. .

<굿-즈 2015> 참여작가 노상호의 작품

사회자

,

,

,

,

.

윤율리 < - >

, .

, 1 6

4 .

.

.

.

.

.

. < - >

.

.

.

.

사회자 ,

?

윤율리 < >

?

?

.

. 20~30

, ,

.

.

30 40, 50

.

63 ��

6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10 . 3

.

,

, .

.

사회자

?

최민영 . .

. 11 ,

9 .

,

3 , 6 , 9 , 0 .

0 .( )

<사다리>전

<2015 비아트마켓>의 참여 작가 포트폴리오

<굿-즈 2015> 참여 작가 조익정 작가

김인선 .

.

.

3 .

. ,

< > .

. < - > ,

,

.

.

.

.

.

.

.

.

사회자

. < >

,

.

최민영 .

.

. .

, SNS .

65 ��

6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회자 ,

?

이제

.

. ,

.

.

. < >

, , , ,

.

.

.

사회자 ,

.

.

. ,

.

.

.

.

,

.

이제

.

. , ,

.

.

,

.

김인선

.

.

사회자

, ,

.

.

, .

.

윤율리 . < - >

67 ��

66×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사회자 < >

.

최민영 4 . 1 5

.

. .

< > .

,

.

.

사회자 .

.

.

윤율리

,

.

.

. ,

.

.

,

.

이제

.

사회자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리뷰]

글. 송현민

음악평론가

송현민은 음악 듣고, 글 쓰고, 음악 하는 사람 만나며 책상과 객석을 오고 간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공부했고, ‘한반도의 르네상스’를 주장했던 음악평론가 박용구론으로 제13회 객석예술평론상을 수상했다.

유럽 축제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

유산이자 첨단의 사조를 담은 예술을, 그들은 “오페라”라고 했다

뮌헨에 떨어진 나의 가방에는, 이상하게도 식민지 조선의 시인 이상(1910~1937)에 대한 두터운 평론집이 들어 있었다. 수많은 책들 중에 나는 왜 하필 식민지 시인에 관한 책을 집어 들고 왔던 걸까. 무자비하게 도래하던 모더니즘이 경성의 거리를 덮을 때, 분열된 자로 그 모든 문화를 받아들이던 식민지의 시인. 그는 강국의 문화와 약국의 현실 속에서 생산, 재생산되는 차이와 간극을 너덜너덜해진 제 몸으로 껴안았다. 그 충격. ‘컬처 쇼크’란 늘 이런 식이다.

나의 부모 세대는 전혜린의 수필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의 주 무대인 슈바빙의 밤거리와 가스등의 낭만으로 뮌헨을 기억한다. 기술에 열광한 테크노 오타쿠들에게 뮌헨은 첨단 기술이 집적된 BMW의 산지이자 성지이고, 인생을 즐기는 젊은 세대에게는 10월에 열리는 맥주 축제인 옥토버페스트와 축구명가 분데스리가이다.

시인 이상이 뮌헨에 왔다면

.

, .

,

.

(Hauptbahnhof)

. ,

, 13

( )

. .

,

.

,

.

. .

음악 천국, 뮌헨

(6 24 ~7 31 )

(Bayerische Staatsoper)

. (Staatsoper) 8ㆍ15

( ) , ,

.

.

.

71 ��

7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바이에른 슈타츠오퍼(Bayerische Staatsoper) 전경

.

OK! .

. .

(1930~2014)

(1943~)

,

2018

(1972~)

.

.

<

> . 2007 ,

,

.

1875 140

.

,

,

.

.

전통으로부터 벗어난 거리를 재보는 오페라하우스의 노인

7 28 < > ,

< >(29 ) < >(30 ) .

,

. 바이에른 슈타츠오퍼의 오페라극장관객의 대부분은 노인이다.

.

.

.

.

1950 !

(1925~) .

.

< >

,

.

(1941~) 19

21 . 4

,

.

.

. 7 29 < >

.

(1962~). 2006 < >

19 .

7월 28일에 오른 푸치니의 <마농 레스코> 테너 요나스 카우프만과

소프라노 크리스틴 오폴라이스

29일에 선보인 차이콥스키의 <오네긴>

렌스키 역의 테너 파볼 브레슬릭(왼쪽)과 타티아나 역의 안나 네트렙코

(왼쪽에서 두번째)

73 ��

7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30 < >

.

.

.

. , .

< >

.

.

< > < > < >

,

.

.

.

발리코프스키는 오네긴과 렌스키를 동성애 코드로 연출하여 관객의 반감을 샀다.

유산이자 첨단의 문화적 산물인 오페라

1

. .

.

.

. .

. 3

Suche Karte( )

.

·

.

. 1943 2

.

.

.

바이에른 슈타츠오퍼(Bayerische Staatsoper)

전경

, .

.

.

. ,

, .

.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리뷰]

글. 정선경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

정선경은 해외 네트워크를통한 국내 공연예술의해외 진출 활성화에 관심을갖고 (재)예술경영지원센터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에서 근무하고있다.

유럽 축제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임풀스탄츠 페스티벌

춤이 일상이 되는 7월의 오스트리아

38도가 넘는 오스트리아, 너무 덥고 힘이 들어 ‘나는 여기를 왜 여름휴가를 내서 왔을까’ 하는 생각에 짜증이 밀려오려는 순간, 강렬한 목소리가 들려온다. 뻘뻘 땀 흘리고 연신 부채질하며 웅성거리던 스튜디오가 쥐 죽은 듯 고요해진다.

피나 바우쉬는 이야기했습니다. ‘무엇이 우리를 춤추게 하는가’. 춤은 언어를 통해 표현될 수 없는 인간의 내면을, 폭력과 테러가 만연한 이 시대에 겪게 되는 다양한 감정들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며 우리는 이 시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비단 무용수, 안무가뿐만 아니라 춤을 경험해 보지 못했던 이들도 춤을 통해 자신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 임풀스탄츠(ImPulsTanz)가 존재합니다.”

순간, 내가 그토록 임풀스탄츠에 오고 싶었던 이유가 다시금 생각났다. 1년 넘게 차곡차곡 저금을 하고, 휴가를 아끼고 아껴 떠나온 임풀스탄츠에서의 나의 첫 여름휴가는 이스마엘 이보(Ismael Ivo)의 강렬한 선언처럼 마음에 거센 요동을 일으키며 시작되었다.

(Vienna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ImPulsTanz)

7 8 1

.

, , ,

,

. 14 50~60

, 150

250 , 12

.

좌. expression15에서는 모든 워크숍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진다

우. 총감독 칼 레겐스부거과 공동 예술감독 이보 이스마엘

사진 제공. KAROLINA MIERNIK

,

.

1980

, ,

77 ��

7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Karl Regensburger)

(Ismael Ivo)

1984 . 6

2 ,

!

1988

, , , , ,

,

.

2015 임풀스탄츠, 무용은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를 탐구하다

, 2015 .

2015

(ImPulsTanz at Museum) .

. (Barbara

Kraus) .

. ,

, .(

800 ).

(Schauspielhaus)

.

.

, 1960~1970

, , , ,

.

샤우슈필하우스

(Schauspielhaus)

(ImPulsTanz at

Museum) , ,

21

.

,

.

(Weltmuseum)

(Choy Ka Fai) <Soft Machine>

.

, 2012 13

100

.

,

.

,

, ,

.

,

.

[8:tension] .

젊은 예술가들의 성장을 장려하기 위한 끊임없는 고민

8 [8:tension]

2011 .

79 ��

7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2014

< > .

[8:tension]

,

.

. [8:tension]

(Prix Jardin d Europe)

. 10,000

( ,

, ) .

[8:tension]

,

! ,

(dance

WEB) , .

1996 20 (dance WEB)

5

65 . ,

, ,

.

임풀스탄츠, 무용을 모두에게 친숙하고 특별하게 만들다

,

!

.

. 150

,

, , , ,

. 9 8

(Arsenal) ,

,

.

.

!

10 4

, DJ

.

.

위. 워크숍 센터 아스날(Arsenal)아래. 워크숍 expression14사진. Karolina Miernik

, .

60

.

,

. 1

,

.

. ,

. 32 ,

.

,

,

,

,

,

.

(impuls)

(tanz) .

,

,

.

위. 페스티벌 라운지아래. 워크숍 공연을 기다리는 관객들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리뷰]

글. 홍혜련

배우, 국제 공연 코디네이터

홍혜련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공연창작집단 뛰다’에서 전속 배우로 활동하며 국제 교류 경험을 쌓기 시작하였다. 이후 국제 공연 코디네이터로 활동의 범위를 넓혀 ‘예술무대 산’ 등의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현재는 프리랜서로 다양한 국내외 아티스트들과 작업하고 있는데, 영국 대시 아츠(Dash Arts)의 상임 연출가 팀 서플(Tim Supple)의 글로벌 셰익스피어 프로젝트인 ‘킹 리어(King Lear)’ 프로젝트에 주력하고 있다.

2015 시비우국제연극제와 시비우아트마켓

국제적 축제, 배우 한 명의 열망에서 비롯되다

2015 , (Sibiu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 Sibiu Performing Arts

Market) 70 , ,

427 67 65,000

. .

.

(Radu

Stanca) (Constantin

Chiriac) 1993 ,

. 1994

8

, 2000 7

54 , 2005

12 68 2,000

. 10

2015 , 6

.

.

,

.

,

,

16

.

.

,

.

시비우 관광청

83 ��

8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루마니아 시비우 국립극단 ‘라두 스탕카’의 활약

, , 70

427 ,

< > , < >, < >,

< >

(Eimuntas Nekrosius) <

(The Book of Job)>,

(Klaus Maria Brandauer)

< (krapp s Last Tape)>

.

(Kolben Amir) <

(Charlie Mandelbaum)>, (Barak Marshall)

< (Wonderland)> .

(Radu

Stanca) , ,

(Silviu Purc rete) < (Faust)> ,

(George Tabori) , (Alexandru

Dabija) < (Mein Kampt)>

, (Mihai Maniutiu) < (The

Lesson)>, ,

< (Oidip)>, , (Armin Petras)

< (Nathan the Wise)>, ,

85 ��

8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Charles Muller) < (Marat/Sade)>

.

< >

< >, < >

.

.

.

, (Kushida

Kazuyoshi)

< (The Ghost is Here)>

(Schauspiel Stuttgart)

< > .

신진 프로듀서 및 축제 기획자들의 교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다

,

,

(Festival Reading)

(Marketing the Arts)

. BAM(Brooklyn Academy of

Music) (Next Wave)

(Joseph V. Melillo)

(Grace Lang) ,

.

20

(Esther Charron)

.

20 ,

.

,

(Kolben Amir), (Barak Marshall)

.

.

19

(Astro Museum)

, , , ,

.

그럼에도 불구하고…

,

. 2021

.

,

. ,

. ,

, ,

,

.

,

.

.

.

. ,

.

,

.

, 11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리뷰]

글. 김남수

무용평론가

김남수는 2003년 무용월간지『몸』 편집위원이었으며, 2006년 퍼포밍아트지 『판』을 창간, 현재까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8년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원, 2011년 국립극단 선임연구원, 2013년 국립아시아예술극장

드라마투르그로 활동했다.<오픈댄스: 달리는 늑대들> (백남준아트센터), <고래-시간의 잠수자>(국립극단)를기획했다. 현재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경기문화창조허브에서

<사슴뿔 도서관> 프로젝트를진행하고 있다.

2015 파리가을축제

안은미컴퍼니 3부작 리뷰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에 ‘출현’한 한국인들의 몸 정치

안은미컴퍼니(예술감독 안은미)가 <조상님께 바치는 땐스>, <사심 없는 땐스> 그리고 <아저씨를 위한 무책임한 땐스>(이하 ‘땐스 3부작’)를 9월 23일부터 10월 3일까지 프랑스 파리의 테아트르 드 라 빌(Théâtre de la ville de Paris, 파리시립극장) 무대에서 속속 공연하는 것을 보고 돌아왔다. 이 ‘땐스 3부작’은 이미 국내에서 보톰업(bottom up), 즉 “아래로부터의 춤바람”이 위로 위로 솟구쳐 오르는 자발적인 춤과 안무의 커뮤니티를 만드는 작업들로 각광받았고, 그 춤바람의 기세등등함은 전방위적으로 퍼져 나갔다. 지난 백 년이란 시간 동안, 근대화라는 이름의 공업화와 서구화 그리고 민주화의 운동, 이어지는 정보화와 디지털 혁명 등등 숨 가쁘게 살아온 한민족의 몸을 마치 선불교에서 말하듯 “있는 그대로” 보여 준다는 취지에 가장 정확하게 부합하는 공연예술이자 시간예술이었다. 백 년의 시간이 온축되어 있는 몸의 주름으로부터 삶의 시간을 춤으로 풀어내는 것. 그러나 이러한 구체적 몸의 역사와 맥락을 모르는 서유럽 사람들, 특히 입맛 까다롭기로 소문난 프랑스, 파리 시민들에게도 이것이 통할까 궁금했다.

무균질의 자발적 안무가 만들어 낸 토론장

,

. ,

. 20 ,

.

, , ,

,

.

,

1 . .

(!)

.

9 23

< > .

.

,

.

,

.

,

.

,

89 ��

8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Non-

Danse] .

,

,

. 10

3

.

.

. ( )

.

. . . ,

. .

,

. 1990

,

안은미컴퍼니 3부작 중<아저씨를 위한 무책임한 땐스> 사진 제공.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사무국

. ? 1789 1913

.

,

.

주름 많은 시간의 춤, 현재적 순간의 춤, 원죄의 춤

3 ,

.

,

,

( 23:34)

.

안은미컴퍼니 3부작 중 <조상님께 바치는 땐스>

사진. 고흥균, 이태사진 제공. 안은미컴퍼니

91 ��

9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3 .

,

,

.

, .

.

130 ,

2015-2016

,

. 1990

, 21

. 10

.

,

2015-2016

.

.

.

안은미컴퍼니 3부작 중 <사심없는 땐스> 사진. 고흥균, 이태사진 제공. 안은미컴퍼니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해외동향]

글. 서정민

트레스아츠 매니지먼트(TresArts Management) 프로듀서

서정민은 트레스아츠 매니지먼트(TresArts Management) 프로듀서이자 3개의 무용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화이트 웨이브 라이징(WHITE WAVE RISING)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2014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개최되는 세계무용경연대회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으며, 뉴욕을 오기 전까지 한국여성국극협회, 서울국제공연예술제, IPAP(국제즉흥춤축제)에서 일했다.

미국 덤보 아츠 페스티벌의 폐지 결정과 방향 모색

단발성 행사보다 365일 예술지원 시스템으로

뉴욕을 대표하는 명소로 지금 가장 핫하게 떠오르는 곳이 있다면 그곳은 브루클린에 위치한 ‘덤보’이다. 덤보(DUMBO, Down Under the Manhattan Bridge Overpass)는 맨해튼 바로 아래에 있다. 맨해튼 전경을 바라볼 수 있으며 많은 영화의 배경으로 등장하면서 더 유명해졌는데 실은, 이곳은 예술가 커뮤니티로 더 유명한 곳이다. 숨겨진 보석과도 같다가 모든 사람이 알아 버린 이 지역은 맨해튼 소호에서 가파르게 상승하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는 예술가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된 예술커뮤니티로 덤보아츠페스티벌(DUMBO Arts Festival)이 이를 상징적으로 잘 보여 주고 있었다.

덤보아츠페스티벌(DUMBO Arts Festival)?

, , (Joy

Glidden) (Tyson Daugherty) ,

(Art Under the Bridge Festival, AUBF) 3

1997 . 2010

2014

(Installation),

, , , .

95 ��

9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좌. 다니엘 템킨(Daniel Temkin)과 로니 몰츠(Rony Maltz)의〈Borges: The Complete Works〉우. 앰버 래(Amber Rae)의〈The World We Want〉를 감상하고 참여를 기다리는 관람객들사진 제공. 필자

100 50 ,

, 9 .

1 8,000 , 2014 , 18

220,000 .

1

.

(Eric Adams)

.

1997 3

AUBF 800 220,000

275 ,

.

왜 마침표일까? , ,

. ,

,

.

?

. (AT&T) , (Tito s

Vodka)

.

,

. ,

(Lisa Kim) . 2014 ,

,

.

, 2009

, (Two Trees)

,

AUBF .

.

1 ,

. , ,

.

메간 말레트(Megan Marlatt)외 5인의〈The Big Head Brigade Marches

on DUMBO〉

사브리나 바리오스(Sabrina Barrios)의〈Degrees of Freedom〉

축제가 아닌 연중 예술과 함께

,

,

(repositioning) .

, (the Walentas Family

Foundation, )

.

, (DUMBO Galleries) .

,

97 ��

9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First Thursday Art Walk)

,

.

,

- (Sharpe–Walentas Studio

Program) .

,

(The Marie Walsh Sharpe Art Foundation

Space Program) –

.

(Brad Kahlhamer), (Sarah

Sze), (Teresita Fernandez) 350

.

, 2014

, ,

50,000 ( 4,645 ) .

10%

.

.

,

, .

(Williamsburg, ) ,

(Kara Walker)

(Subtlety)

. .

,

.

,

. .

1

, .

,

.

톰 프루인과 코어엑트(Tom Fruin and CoreAct)의〈Reflection / Kolonihavehus〉

토마스 스티븐슨(Thomas Stevenson)의〈DiscoTransformer〉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특집]

글. 김지혜

독립큐레이터

김지혜는 홍익대학교 미학과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대안공간 루프 수석 큐레이터등을 거쳐, 현재 독립큐레이터겸 제주대학교 미술학과겸임교수로 일하고 있다. 대표 예술 프로젝트 기획으로는 <아비뇽 페스티벌 오프-예술적 생존법 연구(프랑스, 2015)>, <오래된 명령과 새로운 수행(철학아카데미, 2014)>, <노마딕 레지던시- 안전감시체계(테헤란, 이란,2013)>, <두리안파이공장(호치민미술대학), 서교예술실험센터, 2010~2011)> 등이 있다.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I

제주 문화예술 현장과 관광자원의 공생

101 ��

10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린츠(Linz)’는 오스트리아의 수도도 주요 도시도 아닌, 빈에서 무려 160km 떨어진 중소 도시이지만, 2009년 EU로부터 ‘유럽의 문화 수도’로 선정된 바 있다. 바로 (뉴)미디어아트 분야의 선두 기관인 아르스 일렉트로니카(Ars Electronica)와 2007년부터 시작된 그들의 페스티벌의 영향으로 말이다. 예술가뿐만 아니라 공학자, 과학자들이 가세하여 다양한 예술 작업과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이 페스티벌은 강력한 실험성을 장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회 전 세계에서 온 많은 예술 애호가와 관광객들의 호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프랑스 남부의 작은 도시, 아비뇽 역시 1947년부터 시작된 ‘아비뇽 페스티벌(Festival d’Avignon)’ 로 인해 여름마다 도시 전체가 극장으로 변하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이 지역은 여러 나라에서 온 수많은 인파로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이다. 이웃 나라 일본에도 유사한 사례가 있는데, 시코쿠 가가와 현에 있는 ‘예술 섬’ 나오시마가 바로 그러하다. 1989년부터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예술가들의 재생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다. 이들의 공통점은 문화예술과 관련된 기관과 프로젝트가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였다는 데 있다.

조용히, 조금씩 움직이는 제주 문화예술계

, .

,

.

,

. .

1962

, 1966 10

2013 1000 .

.

1980 ,

2000 . ,

2008 ,

. . ,

.

. ,

( , ,

, )

, .

,

. ,

1980~1990

.

,

.

.

,

,

,

, ,

.

( , ,

)

.

,

.

좌. 문화공간 양 전경우. 제주 본태박물관 전경

ⓒ본태박물관

새로운 유형의 문화예술 관광 트렌드

,

,

, .

2

, .

, ,

.

,

,

.

103 ��

10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2014 10 ( ,

, , )

.

,

.

,

,

.

,

.

,

.

아라리오뮤지엄 탑동시네마, 동문모텔외관 ⓒ아라리오뮤지엄

,

. 2014

,

.

, (The Islander) ,

(Like it)

, .

,

.

2015 제주아트페어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특집]

글. 백용성

아트세닉 디렉터

백용성은 철학자,문화연구자이며 2015년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컨템퍼러리 아즈머시스 [(CON)TemporaryOsmosis] 미디어페스티벌한국큐레이터 등 독립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다.2012년부터 아시아 ·아프리카 · 라틴아메리카문학연구소가 발간하는새로운 세계문학 잡지『바리마』 편집위원이며,2012년부터 3년간 안산원곡동에 위치한 대안공간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디렉터를 역임했고,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객원교수를 역임했다.저서로는 공저 『동서양의문명과 과학적 사유』가 있다.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II

제주에 부는 다양한 문화예술의 바람들 현재 제주는 아주 핫한 곳이다. 관광객은 물론, 해마다 2,000명이

넘는 이주자들이 몰려들며, 시골마다 있었던 빈집들은 새롭게 리모델링하거나 재건축되고 있다. 땅값도 걱정스러울 정도로 오르고 있고, 건축 경기도 최고다. 제주 도민들은 이제 상당히 열린 마음을 갖고 있으며, 교류와 새로운 접촉에 여유롭다. 오랜 세월 어둡고 침체된 근대의 문턱을 넘어서는 순간이기도 하다. 관광만 보더라도 소위 성수기, 비수기의 구분도 희미해지고, 늘 여행객들이 북적인다. 한국인은 물론이거니와 중국인의 관광 양태도 단체에서 개인, 소규모로 진화하고 있다. 제주가 품고 있는 다양한 가치인 이국적 풍경, 올레 길, 생태 공간들이 갈수록 더 귀중해지고 있는 셈이다. 어떤 면에서 여행이 여행자의 삶을 반추해 보는 시간이라면, 제주는 지금 여기 한국 혹은 세계의 삶의 양태를 비춰 주는 하나의 거울이다.

하지만 문화예술의 바람은 어떨까? 얼핏 보면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그렇게 눈에 띄는 변화를 찾아보기 힘들다. 세계적 규모의 비엔날레나 축제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여느 한적한 지방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고 의례적인 행사들만 진행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최근 꾸준히 크거나 작은 흐름들이 만들어지면서 위, 아래로부터 문화적, 예술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전통적인 대형 공연이나 문화제, 정기 전시 외에도 자연농을 하러 온 젊은 농부들과 그들의 새로운 문화 활동들, 생태주의 건축가들 및 생태 예술가들, 심지어 젊은 히피들이 그들만의 소수적 흐름과 이질적 공간을 만들어 가기도 한다. 문화 향유자들도 단순히 한국인만이 아니라 영어 교사 등 제주에 사는 많은 외국인들로 확장되는 추세다. 어딜 가든 약간만 들여다보면 작거나 큰 문화예술의 경험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흐름은 관광 양상의 변화, 시대 가치의 변화와 맞물리면서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제주도의 예술 기관들과 단체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의 흐름을 살펴보려 한다.

107 ��

10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상업 공간의 흐름 : 아라리오뮤지엄, 난타 공연장

. ,

.

, , ,

.

.

, ,

. ,

. ,

,

.

.

.

.

( )

, 2016 8 .

.

모텔을 개조한 아라리오뮤지엄 동문모텔

제주에서 성공적으로 공연되고 있는 난타 ⓒ제주피엠씨

마을, 동네 예술 공간의 흐름

. 3 .

.

,

, ,

, ,

.

10

.

, , , ,

.

,

. 10

. ,

.

( ) 6

. , 3, 4 2,500

. , , ,

. < >

.

109 ��

10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꿈꾸는 고물상, 재주도좋아 활동 전경

문화공간 양과 제주종합문화예술센터 전시 오프닝

축제의 흐름: 해비치 아트페스티벌, 국제실험예술제 외

.

,

.

.

. 8 . ,

,

,

.

14

. , 40

,

. , ,

.

< >

< >

,

.

제8회 제주 해비치 아트페스티벌 개막식 전경 ⓒ해비치 아트페스티벌

제주국제실험예술제 2015 횡단보도 퍼포먼스 ⓒjieaf2015

.

(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특집]

글. 정준모

문화 정책ㆍ미술비평가

정준모는 지난 30여 년간 큐레이터와 미술 비평, 문화정책 분야의 현장에서 뛰어 왔다. 생각과 동시에 움직이는 그는 국립현대미술관학예연구실장(1996~2006),고양문화재단 전시감독,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초빙교수를 거쳐 현재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조원 전시감독, 2015 서울공예박람회 전시감독, 광주비엔날레 이사, 대구사진비엔날레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이다.저서로는 『한국미술, 전쟁을그리다』(2014, 마로니에북스),『한국근대미술을 빛낸그림들』(2014, 컬처북스),『영화 속 미술관』(2011,마로니에북스) 등이 있다.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III

면세특구와 예술시장

피하고 싶은 죽음, 그다음은 세금

. .

.

.

.

(FTA,

Free Trade Agreement)

. FTA

(Trans-Pacific Partnership)

,

. ONE

World .

.

, .

.

홍콩, 세계 미술 시장의 중심이 되다

, 2000

(Lorenzo Rudolf)

. 2010

.

.

.

.

.

(Beijing Artfair Culture co.,

Ltd) 1993 2002

(Dong Mengyang) . 2006

. 1996 .

2008 .

,

. 30%

,

113 ��

11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30% .

.

(hot

place) . 2008

(ART HK) 2012

HMC 60% ,

.

,

,

,

.

.

.

,

.

.

.

.

.

.

2015 아트바젤 홍콩 전경ⓒArt Basel

미술 시장의 중심을 향한 노력

.

(KIAF)

.

.

(Gillman Barracks)

,

,

. .

50 (

8,920 )

.

, , ,

2016 500 .

35% ,

,

.

.

,

.

제주문화예술면세특구

, ,

.

. 30

2013 20%

.

.

,

.

. .

.

,

.

,

.

115 ��

11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에든버러 페스티벌 전경 ⓒLaura Suarez

2 100%

.

.

.

.

.

(Schaulager) .

(Neues Museum

Weserburg)

.

.

· (Conservation)

(Maastricht) (TEFAF-The

European Fine Art Fair)

.

.

,

. ,

. 1

,

.

(JCC)

.

.

, ,

.

,

.

.

디자인 마이애미 ⓒDesign Miami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칼럼]

글. 유재기

(사)한ㆍ중문화예술포럼 회장

유재기는 중국사회과학원에서한 중 문화비교 연구를 했으며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해외홍보원에서 해외홍보과장,문화교류과장으로 근무를 했다.또한, 주중 한국대사관 참사관, 대한민국예술원 사무국장, (재)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사무처장을 거쳐 현재(사)한·중문화예술포럼에서회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저서로는 『수교 이후 한 중 문화교류사』, 『한눈에 알아보는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이 있다.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119 ��

11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중국의 문화산업 범위는 한국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이는 각국마다 자국의 특성에 따라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했으면 한다. 다만 유네스코(UNESCO)와 가트(GATT)는 동시에 문화산업 범위를 7개의 대분류와 42개의 소분류로 하고 있다. 2013년도 중국의 문화산업 부가가치가 GDP의 3.65%인 2조 782억 위안(한화 약 374조 원)에 이른다. 이렇게 방대한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에 대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설명한다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사실을 전제하면서 조심스럽게 접근하고자 한다.

우선 중국의 주요 문화산업 분야별 이해를 위하여 이와 관련된 ‘주요한 환경’을 먼저 이해하고 앞으로 전개될 ‘음악과 공연산업 시장’을 비롯하여 엄청난 규모의 ‘예술품과 화랑(畵廊)시장’, 문화산업 시장을 이끌고 있는 ‘주요 문화기업’들의 운영 실태, 그리고 문화산업 시장에 대한 당(黨)과 정부의 ‘주요 정책’들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와 인구

2014

. 3

GDP 48.19% 30 6739

26 2394 ,

3 8430 .

출처: (1)2014 China Statistical Yearbook of the Tertiary Industry, (2)Statistical Communiqu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2013(2014)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opment 자료 재정리

*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2010 2011 2012 2013 2014

GDP(억 원) 401,512.8 473,104.0 519,470.1 568,845.1 636,436.0

제3차 산업(억 원)GDP 점유율(%)

173,579.043.23

205,20543.37

231,934.544.65

262,203.846.09

306,73948.19

사회 소비상품 총판매액(억 원) 156,998 183,919 210,307 237,810 262,394

수출입 규모(억 원(억 달러))

201,723(29,740)

236,402(36,419)

244,160(38,671)

258,168(41,600)

264,335(43,032)

수출 (억 원((억 달러))

107,023(15,778)

123,241(18,984)

129,359(20,487)

137,131(22,096)

143,912(23,428)

수입 (억 원(억 달러))

94,700(13,962)

113,161(17,435)

114,801(18,184)

121,037(19,504)

120,423(19,604)

외환보유액(억 달러) 28,473 31,811 33,116 38,213 38,430

2014

12.6% 6043

7.6% 2222 15.8%

3821 1599

.

.

2013

977 710 13 6782

.

54.77% 7 4916

1687 .

15 17.5% 2 3957 , 16~59

67.0% 9 1583 65

10.1% 1 3755 .

1 GDP 2012 6,100 2013

6,700 2014 7,000

2014 1 10.1%

20,167 ( 3,283 ) .

.

1 GDP 1%

0.97% .

.

출처: (1)Statistical Communique' of the People's China on the 2014(2010, 2011, 2012, 2013) National Economic Social Development 및 (2)China Travel Agengcy Industry Development Report 2014 자료 재정리

* 중국인들의 해외 여행 변화 추이

2010 2011 2012 2013 2014

중국인 해외 여행자(만 명) 5,739 7,025 8,318 9,819 11,659

증가율(%) 20.4 22.4 18.4 18.0 18.7

중국인 해외 여행자 중 개인(인사)여권 소지자(만 명)

5,151 6,412 7,706 9,197 11,003

증가율(%) 22.0 24.5 22.2 19.3 19.6

전체에 대한 비중(%) 89.8 91.3 92.6 93.7 94.4

95%

.

, ,

경제지표와 인구, 국가 투자, 그리고 네티즌

121 ��

12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국가재정의 문화사업 투자

2009 5

0.36% 0.38% .

, ( ),

( ),

.

.

출처: 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4(文化部 編) 자료 재정리

*국가재정 총지출액은 결산액 기준이며 문화사업비에는 문화재, 출판 및 과학 연구, 기본건설 부문, 행정경상 운영비 미포함(이는 중국의 중앙정부 기관별 관장 분야가 각각 다르고 경상비는 사업비가 아님을 근거로 한 것임)

* 최근 5년간 국가재정의 문화사업비 투자 비중

2009 2010 2011 2012 2013

국가재정 총지출(억 원) 76,299.93 89,575.38 109,247.79 125,952.97 14,021.10

문화사업비 지출(억 원) 292.31 323.06 392.62 480.10 530.49

문화사업비 지출의 국가재정 지출 비중(%)

0.36 0.36 0.36 0.38 0.38

2009 97.95

, 2010 122.44 , 2011 146.54 , 2012

189.06 , 2013 237.86

.

, ,

( ) 2012 11.1%

2520 1.8%

. 2013 607.81

.

.

중국의 네티즌 상황

.

. 2

2014 3117 .

출처: (1)Annual Report on Development of New Media in China(2011, 2012, 2013, 2014) 및 (2)Statistical Communique' of the

People's of China on the 2013(2014) Na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자료 재정리

* 중국의 네티즌 수의 변화 추이

2010 2011 2012 2013 2014

네티즌 수(만 명) 45,730 51,310 56,400 61,758 64,875

인터넷 보급율(%) 34.4 38.3 42.1 45.8 47.9

휴대폰 네티즌 수(만 명) 30,274 35,558 41,997 50,006 55,700

휴대폰 네티즌 비율(%) 66.2 69.3 74.5 81.0 85.9

2014 15

3552 2 4943 ,

12 8609

.

5 8254 2014

1 8093

.

2013

46.1% 1100 ( 180.5 )

( )

R/TV 1387.01

79.3% .

41.9% 128.1 ( 21 1550 )

5600 4.28

. ,

, , ,

.

.

출처: Annual Report on Development of New Media in China(2014) 자료 재정리

* 중국의 네티즌 수의 변화 추이

연령층별 18세 미만 18–23세 24–29세 30–35세 36–45세 45세 이상

동영상 선호율 75.0 79.5 79.7 77.9 68.2 63.9

TV프로 선호율 25.0 20.5 20.3 22.1 31.8 36.1

.

123 ��

12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인프라 건설과 문화 소비, 그리고 정책

문화예술 부문의 주요 인프라 건설

• 국가 음악산업기지 건설 ( ) ( )

2012

, , ( 深圳市)

( ) .

2010 7 ( ) (深圳)

2010 5 , ( ) 12 ( )

.

( ) ( ) ( )

( )

( ) ( /

) ( ) ( )

( ), ( )

.

2011 10 28

( ) ( )

.

2,070,000 ( 626,170 )

3 150

( 24.5 ) 1

15 , ,

(2016-

2020 : 13 5 ) 2020

.

(50

) (47 ) 60%

.

( ) 588,600 (

178,000 ) 5 34

27 61 ,

, , ,

. 2012

( ) 3000

( ) 700

16%

.

( ) 200

( 32 ) ,

.

• 공연장 건립 상황

.

1860

5 ( ) 1920

1940 1949

1960

1976 1990

( ) .

2013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 1998

723 ( 115 ) 266

35 , 14 , 14 ,

7 , 68 ,

152 , 11 . 266

1998~2000 34 ,

2001~2005 61 , 2006~2010 102 , 2011~2012

69 . 10

33 , 24 , 23 , 16 ,

15 , 11 , 10 ,

10 , 10 , 10 6 . 4

162 61%

. .

2011~2013

240 ( 36.24 )

( ), ( ), ( ), ( ),

( ), ( ), ( ), ( ) 13 ,

, 2 29

.

.

중국인들의 문화 소비

( )

( ) 2012

6 10 5

125 ��

12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5,000 . 3,875

3,300

2013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

.

, . 9.31%, . 45.56%,

. 35.92%, . 9.21%

54.87% . 55.16%

.

.

출처: 2013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문화 소비 선택 분야

분야별인터넷

접속TV시청 영화 관람

책, 잡지, 신문열독

문화시설

관람여행

라디오

청취

문화예술

공연 관람예술품

수장

선호도(%) 66 51 48 31 31 28 24 21 10

15% , 12% 20%

5%

.

3

101 ~300 33%

50 ~100 30% .

,

.

출처: 2013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tural Development.

* 학력별 월간 문화 소비 지출 현황

단위(위안)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석사 박사

50위안 이하 27% 21% 9% 6% 12%

51위안–100위안 35% 36% 25% 22% –

101위안–300위안 22% 50% 59% 42% 35%

301위안–500위안 10% 9% 19% 17% 8%

501위안–1,000위안 2% 2% 6% 16% 20%

1,000위안 이상 4% 2% 1% 6% 31%

20

21%, 20 ~30 33%,

30 ~50 25%, 50 22%

.

30 25%, 30~80

38%, 80~200 21%, 200~300 7%,

300~400 3%, 400 1%,

5%

.

.

.

.

( ) , VIP 1 3,000

. 2013 1

700 .

2011 1

21,810 ( 1,817.5 ) 1

6,977 ( 581 ) 2014

1 26,635 (

2,219 ) 2011 22.12%

1 10,489 ( 874 )

3 50.33% . 2014

.

.

주요 정책

.

1992

2003

2009

, .

2014 Chinese Culture Enterprises Report

( < 12 5 :

127 ��

126×

2011 ~2015 >

6

( )

.

2004 ( )

2012 , .

2009 9 26

( )

. 8

.

.

5

( /深圳) ( )

( / )

( / ) ( )

.

2010 3 19 ( ),

, , ( ), ( ),

( ), (証監會), ( ) 9 ( )

( )

.

.

.

,

.

6

.

6

.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칼럼]

글. 유재기

(사)한ㆍ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

129 ��

12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중국의 예술문화 공연 시장의 보다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① 시장의 규모와 동향을 알아보고 ② 예술공연 단체 및 공연장(극장)의 운영 실태와 ③ 주요 장르별 예술공연 시장의 특징 및 ④ 가장 대중적인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演唱會) 시장을 분석토록 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⑤ 중국의 예술공연 시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수도 베이징 시의 예술공연 시장을 일별하고 ⑥ 무한한 문화 자원을 가진 중국 특유의 문화예술과 관광을 접목하여 성공한 인상(印象) 시리즈 공연 행사를 분석하며 ⑦ 앞서 일부 언급하였듯 2013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근검절약 정책 시행 이후의 예술공연 시장에 대한 영향 등을 살펴보고 끝을 맺으려 한다.

시장의 규모와 동향

2013 463

( 75 9402 ) 2012 9%

131.04 ( 21 6405

) 2.9% 2014 Chinese

Culture Enterprises Report

2013 .

, 2013 ( ) 8 3340

.

2012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 2011

239.73 ( 38 469

) 120.83 ( 19

1766 )

44.5 41.7

17.6 15.1

.

2014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 )2014

2013 ,

8,180

260,865

1,651,100

900,642,500 .

139 3,811 (

23 256 ) 82 737 3 (

13 5540 ) ,

, , ,

280 266 ( 46 2449 )

. 49.77% .

10,953

.

( )

( ) 1,344 26,036

1,027,946 ㆍ

. 7776

34.2% 2662 42 6361

( 7 411 )

19.3% 8 2489 .

TV

( ) ( ),

.

( ), ( ), ( ) 3

70%

30%

.

( ) ( ) 2, 3

.

2012 12 (党)

8

( )

( ) 2013 8

( ) ( )

( )

5

( , )

2013 ( ) 10 TV

( ) 69%

2014 ( ) 55% .

(CCTV) 2013 9 12 17 ( )

2014 56 ( )

.

,

61 2,067

공연 시장의 규모와

동향 파악

131 ��

13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3,044 117,004

398,100 0.9% .

3.2% 35.2%

.

예술공연 단체와 공연장(극장)

. 3

.

출처: (1)2014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p.174-175, (2)2013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p.188-189, (3)2012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of Tertiary Industry p.489, (4)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4, (5)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3, (6)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2 자료 재정리

* 최근 3년간 중국의 예술공연 단체 주요 활동 현황

연도단체 수근무자 수

총공연 횟수국내 공연농촌 공연

총관객 수농촌 관객도시 관객

총수입액(천 위안)정부보조금

예술공연 수입

정부공익공연 공연 횟수관객 수

20138,180260,865

1,651,1001,628,1001,050,700

900,642,500529,734,100370,908,100

28,002,66213,938,1098,207,373

91,80090,982,100

20127,321242,047

1,350,2001,249,800811,600

828,050,900521,024,300307,026,600

23,104,60011,407,1826,414804

103,300103,584,800

20117,055226,599

1,547,2001,465,9001,006,700

745,850,500439,235,200306,615,300

15,402,6308,971,0095,267,448

820,70077,998,900

( )ㆍ ( )

60%

.

2013 23,000

1 199

. 8,180

1,357

2011 1,588 , 2012

4,035

( ) .

, ( ) .

( )

.

출처: (1)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2 p.188-189, (2)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3 p.192-193 자료 재정리

* 2011~2012년간 중국의 민간 전문직업 예술단(劇團) 주요 활동 현황

연도예술단 수근무자 수

초연작품 수총공연 횟수국내 공연농촌 공연

관객 수(명)농촌 관객도시 관객

정부재정 보조(천 위안)

공연 수입(천 위안)

20124,550101,006

2,213833,600768,400513,000

365,617,900223,877,000141,740,900

1,473,650 3,578,076

20113,14366,642

237956,500913,800687,300

206,613,900135,158,30071,455,600

75,811 2,100,194

2011 304

2012

188 .

2011 89 7,100 9

0.84% 7,581 1 2012

114 718 2 12.9%

14 7,365

.

2011

39.8% 21 19 4 , 2012

55.78% 35 7,807 6

.

( )

.

3

.

출처: (1)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4, (2)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3, (3)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2 자료 재정리

주: : 2013년도의 데이터는 민영예술공연장(극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임

* 최근 3년간 중국의 예술공연장(극장) 주요 운영 현황

연도단체 수근무자 수

극장 좌석 수총공연(상영) 횟수예술공연 횟수

총관객 수(명)예술공연 관객 수

국가재정 수입(元)예술공연 수입(元)

20131,34426,036

1,027,946829,30066,000

77,763,50026,624,500

1,603,126,000824,888,000

20122,36452,231

1,915,6771,186,900172,700

186,044,10061,187,400

1,331,414,0002,818,807,000

20111,95642,407

1,532,8421,040,700139,000

109,088,30047,566,500

1,144,617,0001,871,884,000

133 ��

13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2013 ( ) 42

6,361

8 2,488 8 19.35% .

( ) ( )

( )

7.96% 34.24% .

( )

.

Cultural Center( 3,315 / : 40,945 )

44,260 .

( ) ( ) Cultural

Center 2,930 ,

ㆍ ( , ) Cultural Center( ) 40,945

.

( )

( ) 366 ( )

( ) 2,853 , ㆍ ( ) 40,466

. Cultural Center

( ) Cultural

Center 50 ( 9 ), ( )

20 ( 3600 ), ( )

5 ( 9 )

2014 (2014 /

) .

2001 Cultural Center( )

1,554 , Cultural Center( ) 32,947

77.9% 34,501 Cultural Center 15

.

장르별

공연 시장의 특성

장르별 공연 시장의 특징

( ),

( ), 2010

5 ( ) ( )

70%

. 2, 3

.

( )

.

(local opera)

.

지방 오페라 보존과 육성을 위한 정부의 과감한 지원

2013 8,180

( ) ( )

( )

29.1% 2,384 33%

86,110 .

( ) 2013 8,180

139 3,811 ( 23

180 )

280 211 1 ( 46 2449 )

49.77% .

8,180

29.3% 82 737 5 ( 13

5540 ) .

( ) ( ,

( ) ( )

.

2013

( )

91.89% 21,300

4.46% 1 6,496 5

( 2724 )

.

135 ��

13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8 ( ) 1,400

1,094 ( 180 7 )

2 1,650 7

( 3575 ) 5.0%

1 7,463 3 ( 2884 )

80.6% ( ) ( )

( )

.

2,067 ( ) 64

( ) 6 . ( )

113 ( ) 8

.

( )

78.39%, ( ) 81.11%

. 2001 , ( )

2010 .

* 2013년도 8,180개 예술공연 단체의 장르별 운영 실태

장르/구분 단체 수 근무자 수(명)총공연 횟수국내공연 횟수농촌공연 횟수

국내 관객 수(명)농촌 관객 수도시 관객 수

총수입(천위안/千元)국가재정보조 수입예술공연 수입

연극(話劇) 및희극(戱劇)

50415,655

59,60059,09028,800

3,378,6501,379,9401,998,710

1,793,465740,712783,750

아동극단261,266

4,6004,51090

2,994,600723,2002,271,400

254,868110,66483,462

가무(歌舞) 및음악류

2,07476,184

285,400279,700146,500

243,118,50070,350,200172,768,300

7,114,6033,804,3632,237,816

징쥐(京劇)1137,201

21,30021,20014,700

12,978,1008,448,4004,529,700

3,699,7613,399,773164,965

쿤취(昆劇)8655

1,4001,300500

474,200143,200331,000

216,507174,63310,940

지방오페라(戱曲)2,38486,110

493,800491,600421,500

377,587,300311,838,30065,749,000

5,481,3213,193,9511,799,062

잡기, 마술 서커스40312,844

180,300170,00044,700

61,881,40024,794,70037,086,700

1,593,994534,016811,308

출처: 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4(中國文化部編) p.241-245 자료 재정리

우란무치(烏蘭牧騎)1203,862

12,30011,900

10,070,3006,139,500

251,553239,278

곡예(曲藝)1683,894

66,50065,40031,200

13,969,1007,892,9006,076,200

545,946244,713248,459

종합예술공연2,38053,193

525,900523,500354,200

143,782,40085,604,50058,177,900

7,050,6431,496,0072,060,676

극장 종류별 운영 실태

(theaters)

(music hall) (cinema)

. (theaters) ( )

42.49% 436,776,000 , (music hall)

(cinema) 44.02% 452,527

. (theaters)

46.42% .

(theaters) 1,344

( ) 77,363,500 30.15%

23,324,400 575 (theaters)

59.83% 13,954,200

( )

.

* 2013년도 중국의 극장 종류별 운영 실태

극장/구분극장 수근무자 수

좌석 수총공연(상영) 수예술공연 횟수

총관객 수(명)예술공연 관객

총수입(千元)국가보조금

예술공연 수입

시어터57511,280

436,776829,30066,000

77,763,50026,624,500

1,603,126,000824,888,000

뮤직홀 및 시어터

61210,437

452,572633,00019,500

41,098,5006,722,700

1,040,090189,38688,249

스토리텔링,리사이테이션 및발라드장소

10136

8081,4001,400

127,600127,600

16,8658,5111,013

곡예(曲藝) 및서커스장

246

3,462100100

85,00085,000

3,116-1,103

콘서트 홀13474

12,8322,0001,700

1,654,9001,378,600

166,87144,85149,715

137 ��

13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출처: (1)2014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p.172-173, (2)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4(中國文化部編) p.224-227 자료 재정리

주: 상기 데이터는 민영예술공연장(극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임

종합공연장1013,213

105,95257,50015,200

10,646,5004,099,000

693,821269,339136,911

기타공연장31450

15,5895,200400

826,500257,300

42,74123,24010,603

3

( )

.

출처: (1)2014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2)2013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3)2012 China Statistical Yearbook of the

Tertiary Industry 자료 재정리

주: 2013년 데이터는 민영예술공연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임

* 최근 3년간 중국의 예술공연장별 수량 현황

연도 시어터뮤직홀 및시네마

스토리텔링,리사이테이션 및발라드장

곡예(曲藝),서커스

콘서트홀종합

공연장

기타

공연장합계

2013 575 612 10 2 13 101 31 1,344

2012 985 776 32 8 40 289 234 2,364

2011 703 802 36 8 34 242 131 1,956

2011

62.27% 8000

1 5%

.

, 3

1

750 , 480

2,000

.

예술공연 작품의 지역성과 브랜드화 성공

. ( )

( ) (粤劇)

( ) ( )

.

.

( )

,

( / ) 2006

( ) ( )

. 1995 ( ),

( ), (李箐在) 3 ( )

( )

1998 . 2003 ( )

( ) 2006

( ) .

2006 1 100

1,000 2007

1,570 , 2008 1 55 ( 1473

) . 2009 ( )

20 2,000

( ) ( )

2 , 6

.

( :impression)

.

139 ��

13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음악공연의 유형 및시장 규모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演唱會) ( )

. ( )

( )

( )1) ( ) 7,000~8,000

( , )

1,000~2,000 .

( ), (拼盤),

( ), TV

( ), TV

( ),

( ),

.

콘서트 유형

3 4 ( ), ( ),

( ), ( ) 1

, ( ), ( ),

( )

( ), ( ),

( ) ,

( ) .

콘서트 티켓 값

( )

VIP 3,000 ( 485 )

.

.

1) www.baidu.com 중국의 검색 포털 사이트

출처: 국제문화시장보고(國際文化市場報告) p.39 자료 재정리

주: 국제문화시장보고(國際文化市場報告)는 중국 문화부 대외문화연락국(中國文化部對外文化聯絡局)의 보조사업인 국제문화시장연구(國際文化市場硏究)의 성과물 보고서임

* 2012년도 베이징 시 상업적 예술공연 장르별 티켓 값과 좌석 점유율

장르별평균티켓값

(위안/元)평균좌석률

(%)

교향악, 실내악, 민족음악 258 76

현장라이브 콘서트 570 76

홍콩, 대만가수 초청라이브콘서트

706 82

노래, 무용(歌舞: 가무) 226 80

뮤지컬 242 86

장르별평균티켓값

(위안/元)평균좌석률

(%)

연극(話劇: 화극) 84 80

현장라이브 콘서트 93 62

징쥐(京剧: 경극) 115 80

지방오페라(戱曲: 희곡) 54 80

아동극 88 81

( )

( )

570 ( 95 ) .

.

콘서트(演唱會) 시장 규모

2012 (Statistical Analysis on

Cultural Development)

( ) ,

, ( )

2011 120.83 (

19 1767 ) ( )

.

출처: 2012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2012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p.52-53 자료 재정리

주: 상기 데이터는 상업 공연을 근거로 하여 작성된 것임

* 2011년도 중국 예술공연 시장 공연장 및 분야별 수입원 현황

구분/분야전문

극장공연

관광

테마공연

음악

콘서트

演唱會

농촌공연 오락공연 인터넷뮤직

페스티벌계

공연 횟수 62,537 72,391 884 1,162,000 40,250 - 124 1,338,000

티켓 판매 수입(억위안)

36.65 27.78 23.49 15.56 10.36 5.0 1.99 120.83

판매 수입 비중(%)

30.3 23.0 19.4 12.9 8.6 4.1 1.7 100.0

회당 평균 수입(위안)

58,605 38,375 2,657,240 1339 25,740 - 1,604,840 9,030

( )

884

23.49 ( 3 7280 ) 1 265

7,240 ( 42 2,000 )

141 ��

14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2012

( ) 800

16 100 4

200 2

.

( )

10 .

, (草莓)

( ) ( )

( )

( )

.

( ) 1997 12

.

( )

( ) 2013 9

3 20 ( )

15,000 20,000 ,

50 . 2014

50

.

베이징 시(北京市) 공연 시장

2013 ,

( ) 123

23,155 1014 14 4237

( 2 3820 ) .

,

5 .

출처 : (1)2011–2012년 중국 연예산업 투자보고(2011–2012年中國演藝産業投資報告) p.6, (2)중국문화산업연도발전보고(中國文化産業年度發展報告,

2012) p.192, (3)중국문화산업연도발전보고(中國文化産業年度發展報告, 2011) p.168, (4)2013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2013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p.68, (5)2014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2014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p.55 자료 재정리

* 최근 5년간 베이징 시 예술공연 횟수 및 수입 현황

연도/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공연 횟수 16,397 19,095 21,075 21,997 23,155

수입(억 위안) 10 10.9 14.05 14.8 14.4237

3

14 .

2012 555

( ) 17 ( ) ( )

7 503

17 11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

2013 11 8662

11% 397

2012 13% 2.0

. 60%

.

출처: 2014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2014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p.56 자료 재정리

* 2012~2013년도 베이징의 예술공연장 규모별 좌석률

연도/구분 평균 좌석률(%)좌석 규모별

1,000석 이하 600-1,000석 400-600석 400석 이하

2013 60 62 53 72 55

2012 65 57 80 67 66

143 ��

14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문화와 관광의 접목 인상(印象) 시리즈

( ) 1)

.

[ / :

( )]

( ) ( ), ( ),

( ) 3

( )

2006 .

( )

( , Impression Sanjie Liu)

( , Impression Lijiang) (

, Impression West Lake) .

(

, Impression Hainan Island), ( )

( , Impression

Dahongpao)

( ) .

( , Impression

Sanjie Liu) 1961 ( )

( ) ( )

( ) (漓江) 12

2 , 3,534

2004 3 20 ( )

2004 2009

2,373 486 4

5673 ( 6689 ) .

60% .

인상 류산제(印象 劉三姐), 인상 리장(印象麗江), 인상 시후(印象 西湖)

1) 중국 각 지방의 천혜절경을 배경으로 그 지역의 설화와 소수민족들의 삶을 다룬 공연

근검절약 정책 이후의

공연산업

2011~2012

(2011~2012 ) 60

( ) ( )

.

( )

,

. ㆍ

.

근검절약 정책 시행 이후의 예술공연산업

8 ( )

.

.

( )

. 1 TV

( ) 1

70%

8 ( )

.

2012 12 8 ( )

2013 8 5 ( : , ,

, , )

( )

7 (7 ) .

( )

145 ��

14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 , ,

( )

( ) .

.

.

TV ( )

2013 TV

.

( ) TV . 2005

9 2 2005 10 15

2

TV .

출처: 2014 중국 TV시청률 연감(2014 China TV Rating yearbook)

* 2013년 중국 주요 위성 TV채널의 우수 가수 선발 대형 음악 쇼프로 7강(强)

방송 채널 음악쇼 프로명 원(原)프로명 저작권 출산국 최초 방송일

후난위성TV 아시가수(我是歌手) 나는 가수다 한국 MBC 2013.1.18

후난위성TV 중국최강음(中国最强音) The X Factor 미국 FOX 2013.4.19

안후이위성TV 아위가광(我爲歌狂) Mad of Music 네덜란드 Talpa 2013.5.2

동방위성TV 차이니즈 아이돌(中国梦之声) American Idol 미국 FOX 2013.5.19

후베이위성TV 아적중국성(我的中国星) Super Star K 한국 CJ&M 2013.7.7

저장위성TV 보이스차이나(中国好声音) The Voice of Holland 네덜란드 Talpa 2013.7.12

베이징위성TV 최미화성(最美和声) Duets 미국ABC 2013.7.20

맺는말

.

.

,

.

출처: 국제문화시장 보고(國際文化市場報告) 자료 재정리

주: 동 보고서는 문화부 대외문화연락국(文化部對外文化聯絡局)의 보조사업인 국제문화시장 연구(國際文化市場硏究)의 성과물임

* 중국의 상업 공연 해외 진출 현황

연도 음악쇼 프로명 공연 작품 수 공연당 수입(USD 1,000) 1회당 평균공연료 수입(USD)

2011 126 8,090 31,719 3,920

2010 302 25,908 27,656 1,067

2009 426 16,373 13,277 811

ㆍ ,

,

. 21

.

후난 위성 TV의 아시가수(我是歌手)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칼럼]

글. 유재기

(사)한ㆍ중문화예술포럼 회장

예술품 시장의

구조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예술품 시장

중국의 예술품 시장 규모 역시 문화산업의 한 분야로 대단히 크다. 예술수권품(藝術授權品), 복제품, 파생 상품 시장 규모 200억 위안을 포함하여 2013년도 시장 규모는 무려 2003억 위안(한화 약 36조 540억 원)에 이른다. 독자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장에서는 ① 시장의 구조 ② 시장의 거래 동향 ③ 예술품 구입 ④ 최근 주요 정책 등의 순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출처: (1)2014 중국 문화 시장 보고서(2014 Chinese Culture Enterprises Report) p.153 (2)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3)중국 문화 산업 연간 성장 보고서 2012, 2013(The Annual Development Report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

2012, 2013) 자료 재정리

* 2011~2013년간 중국 예술품 시장 규모 변화 추이

연도 2011 2012 2013

시장 규모(억 위안) 2108 1784 2003

경매시장 975 422 438

예술수권품, 복제품, 파생품 150 180 200

2013 . ,

, 475 ( 8 5500 )

438 ( 7 8853 )

60 ( 1 800 )

30 ( ) 800 (

14 4000 ) ( ), ,

200 ( 3 6000 ) 2003

2012 12.7% .

1840

( ), 1840~1917 ( ) , 1917~1949

( ) , 1949

( ) .

ㆍ ( ) ,

( ), , , ( ), ,

(Tapestry), , , ,

.

.

2013

3,366 .

100

.

2013

321 677

51 24

47% 438 ( , )

149 ��

14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2013 ,

. 2013 29 ( )

26.42 4

13 .

( )

600 ( 10 8000 )

.

2013 2012 6.23

18.12

190.85% . 2012

87,664,800 7.7

2012 778.35%

.

2012 5.35 10.41

94.58% .

예술품 시장별 특징 – 화랑

3,366

. 631 ,

( ) 545 ( ) 518 ,

218 , ( ) 127 , ( ) 124 ,

( ) 107 , ( ) 153 8

2,423 72% .

2012

1

( ) 35%

7% .

. 2006

2013 ,

. 798 2006

( ) .

0.5~2 5~8

2009 2008

2.5~5 1

.

, , ,

.

2013 10

( ) 10 20

M50 2009

3 5

. 2013

( )

. 55

29 , 14 , ( ) 2 , 1 1 ,

8 127

.

2013

1,000 ( 18 )

23.4% .

1,000

16.8% 4.8%

.

100 ~1,000 63.7%

.

예술품 시장별 특징 – 예술품 박람회

, .

• 베이징 지역 (CIGE:China

Internaional Gallery Exposition)

. 2011 2012

.

개최 박람회 명 개최 기간 참가 규모 등

제3차 아시아예술박람회 2011. 1. 7 – 10 50개국의 화랑 등

제4차 아시아예술박람회 2012. 1. 5 – 8 –

제8차 中藝博국제화랑박람회 2011. 4. 21 – 24 60개 화랑 등

제9차 中藝博국제화랑박람회 2012. 4. 12 – 15 50개 화랑 등

151 ��

15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출처: 중국 문화 산업 연간 성장 보고서 2012, 2013(The Annual Development Report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2012, 2013) 자료 재정리

예술, 베이징당대(當代)예술박람회 2011. 4. 29 – 5. 2 100여 개 화랑과 단체

제7차 예술,베이징박람회 2012. 4. 29 – 5. 2 160개 화랑과 단체

제8차 예술,베이징박람회 2012. 4. 거래액 1.2억 위안

제14차 베이징국제예술박람회 2011. 8. 18 – 22 80여 개 화랑 등

제15차 베이징국제예술박람회 2012. 8. 16 – 20 60여 개 화랑 등

제3차 예술,베이징고전예술박람회 2011. 9. 15 – 18 40여 개 화랑 등 단체

제15차 중국골동품예술박람회 2012. 9. 7 – 9 –

제2차 중국국제문화예술박람회 2012. 11. 2 – 4 –

• 상하이 지역

출처: 중국 문화 산업 연간 성장 보고서 2012, 2013(The Annual Development Report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 2012, 2013) 자료 재정리

개최 박람회 명 개최 기간 참가 규모 등

제15차 상하이 예술박람회 2011. 9. 14 – 18 155개 화랑 참가

제16차 상하이 예술박람회 2012. 11. 1 – 4 155개 화랑 등

제17차 상하이 예술박람회 2013 6만 관객,1.4억 위안 거래

제9차 상하이 춘계예술살롱 2011. 4. 13 – 17 20개국 참가

제10차 상하이 춘계예술살롱 2012. 4. 13 – 17 20개국 참가

제5차 상하이예술박람회당대예술전 2011. 9. 8 – 10 90개 화랑 등 참가

제9차 상하이 비엔날레 2012. 10. 1 – 10 –

• 광저우 지역

16 (2011. 12. 8~12)

300 1.6

17 (2012. 12.

6~10) 23 1.76

. 2013 12 18

10 3

.

5

38 260

. , ,

. 2013

21

4 , 6 , 6 ,

, , , 5 .

예술품 시장의

유형별 특징

예술품 경매

2013 321

677 511,979

243,641 48%

438.07 ( 7 8853 )

2013(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2013) .

(단위: 억 위안)

출처: 중국 예술 시장 연간보고서 2013(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2013) p.8 자료 재구성

* 2007–2013년간 중국 예술품 경매시장 거래액 추이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거래액 223.04 123.38 212.50 588.75 947.50 442.03 438.07

2000 12.50 , 2001 13.74 ,

2002 20.30 , 2003 26.63 , 2004 77.53

, 2005 156.21 , 2006 165.94

2011

.

( ), ,

,

.

.

중국 바오리 경매사의 홍콩 전시 프리뷰 현장사진 제공. 위키피디아

153 ��

15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출처: (1)중국 문화산업 연간 성장 보고서(2012 He Annual Development Report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 p.169 (2)2013 중국 문화산업 연간 성장 보고서(2013 The Annual Development Report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 p.151 자료 재정리

주: 상기 자료는 ‘아창예술품시장감측중심(雅昌藝術市場監測中心, AMMA)’의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표의 ‘구분’과 ‘특별 경매’는 특정 예술품만을 대상으로 경매를 실시한 것을 말하며 ‘경매 횟수’는 다양한 예술품을 한꺼번에 경매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착오 없기 바람

* 2010~2012년간 중국의 예술품 경매시장 현황

구분2010년 2011년 2012년

춘계 추계 춘계 추계 춘계 추계

총거래 금액(만 위안) 2,014,063 3,721,097 4,284,162 4,280,735 2,815,973 2,944,002

개최 횟수 205 300 295 409 296 367

특별 경매 628 1,066 1,103 1,709 1,083 1,361

상정 건수 162,580 259,381 250,970 347,247 234,877 292,433

거래 건수 88,685 133,631 122,984 142,005 112,991 129,540

거래율(%) 55 52 49 41 48.07 43

건당 100만 위안 이상 2,404 4,109 5,254 5,442 3,544 3,190

건당 500만 위안 이상 326 606 723 705 349 371

건당 1천만 위안 이상 223 365 469 424 98 160

건당 5천만 위안 이상 21 30 33 23 9 6

건당 1억 위안 이상 4 16 15 11 4 1

2014 ( ) 295

2013 , , , (1

8246.4 ) (2,540.35 )

.

2013

( )

10 1 ( )

17 4,501 7,300 ( 3,141 )

4 ( ) 8 8,285

6,500 ( 1,589 ) , 10 ( )

( / ) 4 8,861 2,300 ( 879 )

. ,

2013 3,097 92.79

2012 7

.

2013

.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22 자료 재정리

* 2013년 중국 경매 실적 상위 10위 현황

순위 경매회사 개최 횟수특별 경매개최

거래 총액(천 위안)

경매 상정 건수

거래 건수 거래율(%)

1 베이징 바오리 국제경매유한공사 9 156 6,545,875 37,901 24,675 65.1

2 중국자더 국제경매 유한공사 7 145 5,900,872 34,378 25,121 73.1

3 베이징쾅스 국제경매 유한공사 3 58 3,455,159 8,037 5,759 71.6

4 베이징 한하이 경매유한공사 7 66 1,686,536 14,137 9,753 68.9

5 시링인사 국제경매유한공사 3 50 1,497,316 8,059 6,818 84.6

6 상하이 둬윈쉬안 경매유한공사 4 45 1,090,513 9,724 7,529 77.4

7 상하이 자허 경매유한공사 5 23 953,315,1 4,161 3,666 88.1

8 베이징 롱바오 경매유한공사 4 30 816,118.9 5,531 3,876 70.1

9 베이징 거더 경매유한공사 3 21 617,386.4 2,586 1,713 66.2

10 베이징 쥐거 국제경매유한공사 3 25 606,490.5 3,468 1,029 29.7

1 ( )

1 1,782.6

ㆍ 65%

.

예술 투자 기금

2013 ㆍ 44 21

.

(1919~1949) (1949~ ) .

2~3 .

2011 2 6

2013 .

예술품 신탁

2013 29

26.42 ( 4,755.6

) . 10 8.8

, 19

17.62

. 2013 4 13

7

6 . 4

( ), ( ), ( ),

( ) . 2

5 .

155 ��

15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문화재산권 거래소

( )

( )

. 2009

( ), (深圳)

.

.

(淘宝罔)

2013 5

.

.

중국 예술품 시장

거래 동향

예술품 시장 거래 동향

( ) ( ) ( )

( ) , ( ),

.

원작자 예술 작품

, , .

( ), ( ), , ( ), ,

. 2013 1 2

1003 511,979

243,641 48%,

438.07 . .

출처: 2013 중국 예술시장 연간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32 자료 재정리

* 2013년 중국 예술품 경매시장 예술품별 거래 동향

예술품별 경매 상정 건수 낙찰 거래 건수 거래 성사율(%) 거래액(위안)

중국 서화(書畵) 312,037 146,090 46.8 29,711,531,600

유화(油畵) 및 당대(當代)예술 13,403 8,060 60.1 3,358,732,500

자기류 186,357 89,491 48.0 10,736,693,500

합계 511,797 243,641 47.6 43,807,017,600

( )

67.82%, 24.51%, ( ) 7.6%

.

• 중국 서화(中國書畵) 2013

8.67% 29,711,531,600 1

1 2012 3 .

2013

.

157 ��

15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2013년 중국 예술품 경매시장 예술품별 거래 동향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 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34 자료 재정리

예술품별 경매 상정 건수 낙찰 거래 건수 거래 성사율(%) 거래액(위안)

고대(古代) 서화 35,413 15,119 42.69 4,661,729,500

근현대 서화 169,701 74,656 43.99 17,974,120,100

당대(當代) 서화 106,923 56,315 52,67 7,075,682,000

합계 312,037 146,090 46.81 29,711,531,600

1840~1949

( ) 60.49%

1949 ( ) 23.81%,

1840 ( ) 15.70% .

7,130

( 128 3400 ) 2013 6 3

( ) 1508 ( , ) .

2013 12 3 ( )

(黃冑) 1981 ( ) 1

2,880 ( 231 8,400 ) .

2013 12 6 ( )

( ) ( ) 6,325 (

113 8,500 ) .

• 유화(油畵) 및 당대 예술(當代藝術)

2013

1,000

23.40% .

* 2013년 중국 유화 및 당대 예술 시장 거래 동향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 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41 자료 재정리

종류 경매 상정 건수 낙찰 거래 건수 거래 성사율(%) 거래액(위안)

유화 및 당대 예술 12,474 7,441 59.65 3,171,597,800

초상(影像) 86 62 72.09 4,824,100

조각과 소조(雕塑), 장치 843 557 66.07 182,370,600

합계 13,403 8,060 60.13 3,358,792,500

2013

12 1 ( ) 1958 ( )

8,968 ( 161 4,240 ) .

• 예술 수장품(藝術收藏品) , ( ),

(珠宝), ( ), .

. 2013

.

* 2013년 중국 자기류 경매시장 거래 동향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 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44 자료 재정리

예술품 종류 경매 상정 건수 낙찰 거래 건수 거래 성사율(%) 거래액(위안)

도자기 23,389 10,825 46.28 2,348,027,100

옥기(玉器) 28,779 13,797 47.94 1,391,511,900

고적(古籍) 희귀본 20,047 11,362 56.68 740,652,900

코담배통 5,134 1,820 35.45 108,593,000

불교문화재 4,613 2,343 50.79 745,669,800

대나무 상아뿔 제품 8,880 3,560 40.09 361,703,300

고전가구 5,103 2,322 45.50 745,670,600

진주 보석 비취 11,838 4,491 37.93 978,470,600

우표, 금속화폐 35,065 16,383 46.72 295,373,800

공예품 23,610 12,345 52.28 1,859,057,500

시계 2,654 1,153 43.44 128,171,700

문구, 완구 17,026 8,999 52.85 102,453,170

디자인류 219 91 41.55 9,259,600

합계 186,357 89,491 48.02 10,736,693,500

22%

17%, ( ) 13%

.

예술 복제품

2013 , ( ),

200 2012 11%

.

2013

40 2012 7 .

40 ( )

8 , ( ) 4 ,

25 , 3

. ( ) 4 2 ,

1 , 1

.

159 ��

15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예술수권품(藝術授權産品)

. , ,

3 .

2013

300 . ( )

500

.

2013 ,

46.15% 17.95%, ( )

35.90% .

예술품 전자 상거래 ( ),

( ), (淘宝) .

966 , ( ) ,

, ,

(淘宝) ,

.

예술품 수장(藝術品收藏) 현황

중국 최초의 공립현대미술관으로 평가받는 텐진시립미술관

• 공공 수장(公共收藏)

. 1929

( ) ( )

( )

. 1930

( )

. 1978

( ) ,

( ) , (深圳關山月美術館)

2000

( ) , ( ) .

2013 268

1 , ( ) 19 , ( ) 11 ,

( ) 91 , ( ) 146

31 , , , , ,

( ) .

10

( ), 13,000 , , ,

,

( ), 15,000

( ), 5,000

( ) 2,000

( ),

30,000 ( ) ,

3,000

(深圳市關山月美術館), 10,000

( ) , 4,000

( ) , 1,000

( ) .

• 민영 미술관

2013 1,000

, ,

. 베이징진르미술관

(北京今日美術館)

2013 5

4 ( ),

( ), ( ),

(上海証大喜馬拉雅美術館)

161 ��

16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3

( )

( )

( ) .

2012

10 ㆍ

( ) 2013 12 5

9 . 2013

3,473

.

• 기업 수장(企業收藏)

( )

25

2013 ( )

1.72 1950 (兩个小孩)

. (新疆廣滙集團) 1

(上海宝龍集團) 2013

(黃冑) 1.288

.

( )

( )

2012 4.2

3.4 79.61% .

.

• 개인 수장(私人收藏) ,

, , , 5 ( )

.

2013 , , ,

, 21%

2012 15% .

2013

34%, 32%, 29%, ( ) 20%,

18%, 16% 2011 57%,

2012 44% .

중국 예술품 시장

규모 및 주요 정책

예술품 시장 규모

• 예술품 소비

1 GDP 8,000

2013 1

GDP 6,767 2012 11% .

1 GDP

2013 ( ) 16,419 2012 44%

15,216 2012 33%

14,652 24% .

2013 100

.

* 2013년 ‘청년예술100’ 작품 가격 분포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 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66-67 자료 재정리

작품 금액20,000–29,999위안

30,000–39,000위안

40,000–49,000위안

50,000–59,999위안

60,000–69,999위안

전시 작품 비율(%) 16.40 11.70 12.00 7.30 15.20

작품 판매 비율(%) 10.36 15.64 13.00 0.65 13.85

10,000 14.40%,

20.82% 10,000 19,999

18.50%, 20.82% 10

4.50% 4.86% .

81.24% 5

( 9,000,000 )

.

예술품 수출입

• 수입

1985 1600

. 2012 2013

780% 7.7

5%

.

2013 , , 3

3.16 41% .

* 2007–2013년 중국의 예술품 수입 현황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 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66-67 자료 재정리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수입액(천 달러) 21,024.4 22,071.8 10,764.9 25,765.4 190,161.6 87,664.8 770,917.2

163 ��

16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수출

, ( ),

(珠宝), ( ), .

. 2013 .

, , 3

, , 2.53

24% . , , , , ,

, , , .

* 2008~2013년 중국의 예술품 수출 현황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 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70 자료 재정리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수입액(천 달러) 75,752.7 29,022.0 160,486.9 374,777.1 534,517.3 1,041,090.9

2004 29,780.2 , 2005 44,797.3 ,

2006 65,131.9 , 2007 75,053.4

.

최근 주요 정책

• 시장의 관리 감독 강화

( ) 2010 7

1

. , , , , ,

, , , ,

.

2011 11 7

( )

2013 1 5

( ) ( )

, 3 1

,

( )

2001 1 15

101 ㆍ

( ) .

주요 작품 해외 유출 금지

1949

(1949

) ( )

.

• 미술관 수장품 전수조사

2013 12 3 ( )

( ) ,

( )

. ( ) (2011~2015 )

( ) .

• 예술품 시장의 규범화

2013

.

( ) ,

(

)

.

, , , , , ( ) 6

. ,

, .

• 세수 우대

,

2012 6%

2012 87,664,800 2013 7.7

778.35% .

.

맺는말

2007 ( )

( )

20% ( )

1%

. 16 50%

800

( ) 2014

(2014 Chinese Culture Enterprises Report) .

, , ( ), ( )

, ,

.

2~3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칼럼]

글. 유재기

(사)한ㆍ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관련 정책

중국 문화산업의 중점 추진 정책 외

중국은 1992년부터 문화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해 갖가지 사안별 진흥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다, 2003년 전후로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본격적으로 자국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2009년경, 문화산업은 국가 지주산업에 해당될 만큼 대우를 받으면서 여러 가지 시책과 더불어 급속한 발전을 거듭했다. 따라서 2009년 9월 26일 국무원은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문화산업진흥규획’이라는 종합적이고 야심 찬 로드맵을 제시했다.

,

, 8 ,

.

( )

, , ㆍ , , , ,

, . ,

. 2015

.

6

,

( )

.

핵심적인 문화산업 개발 , ,

, , , , ,

, , TV

, ( ), ,

,

.

,

, , ( )

167 ��

16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34

( ) .

,

.

기간(骨干)문화기업 육성

( )

.

.

.

현대화된 문화시장 시스템 구축

.

. 2014

.

,

, .

TV

.

, ,

.

신흥 문화 업종 개발

,

DMB, VOD, TV

, ,

.

.

3 ,

4 , ( , broad band)

.

, ,

, ,

, .

문화산업기지 건설의 가속화

.

,

. 2014

336

.

기타 문화 소비와 대외무역 확대

,

.

.

.

( )

. 2014

192

( 3 4,560 ) , 2009

. , ,

. ,

,

.

.

,

,

,

.

정부의 강력한 의지 담긴 문화산업 진흥책

2014 .

, 2014 2

169 ��

16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3

2014 13 , ,

, ( )

.

4

,

8 , ( ),

( )

. 80%

( ) ,

.

12

.

.

문화산업 진흥을 위한 금융 지원책

2010 3 19

( ) 9 ( )

( ) .

2009 9 26

.

9 ( ) .

9

( /

) (

) ( )

( ) .

9

.

중국 문화산업 투자기금의 분출기

,

( ) 2014 12

192 ( 3 4,560 ) . 2013

2012 41.8% 48 ( 8,640 ),

2014 4.2% 50 ( 9,000 )

.

2015 1 400 (

7 2,000 )

( )

.

2014

116 ( ) , ,

,

. 35 ( )

459 ( 8 2,620 ) ,

2014

.

2014 48

82 , 460.65

( 8 2,917 )

159 , 1,000

.

세수우대 정책

2013 5 , ( )

. ( )

60% .

8 1

( ) 2

. 8

, ( ),

( )

,

. 80%

( )

.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특집]

정리.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좌담_공연예술 분야의 경제적 효과 분석은 가능한가?

공연예술의 경제적 가치, 무엇으로 측정할 수 있나

일시 2015년 5월 8일(금) 오전 10시 30분

장소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회의실

참석자 *가나다순

정철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정헌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사회 김혜진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경영기획실 전략기획팀 팀장

173 ��

17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공연예술 분야의 경제적 효과 분석은 가능한가?사회자

.

1800 , 1966

. ,

,

,

.

정철현

. 19

.

, .

.

. ,

. ,

.

.

,

.

.

SNS

.

.

.

,

.

.

.

사회자 2002

?

정헌일

.

,

.

, . .

,

.

,

.

.

.

.

,

.

10~20

.

10 , 20

.

사회자

WTP(Willingness To Pay) ?

정철현

? .

. (App)

.

,

.

정헌일

, 1,000

(Web Survey)

.

사회자

.

WTP ,

.

?

정헌일 ,

.

,

175 ��

17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정철현

.

.

?

.

예술과 GDP는 관계가 있을까

사회자 GDP ?

GDP ,

,

. .

정헌일 .

GDP

,

.

,

,

,

.

.

.

사회자 , ,

.

.

정헌일

, GDP

,

GDP .

정철현 GDP

, GDP

.

,

,

.

,

.

GDP

.

GDP

. ?

정헌일 ,

.

.

.

.

.

공연예술을 산업적 관점에서 다룰 수 있을까

사회자 ,

.

.

정헌일 ,

.

.

.

.

.

사회자 ,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

177 ��

17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CVM ,

.

,

?

정헌일 .

.

.

.

사회자

. , 1~2

.

.

정헌일

.

.

.

사회자 ,

,

.

정철현 .

,

, .

, ,

.

60

,

.

.

.

사회적 효과에도 관심 가져야

정헌일

.

,

.

정철현 .

.

사회자 .

. ,

10

?

정헌일 ,

. 10~20

(mobility),

. .

정철현

, ,

.

좌담회를 마치며

.

.

.

.

정철현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대학 와그너 스쿨 오브 퍼블릭 서비스(NYU, Wagner School of Public

Services)에서 정책학 석사와 행정학 박사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상임연구원을 거쳐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행정학회와 한국 정책학회의 임원으로 활동하였고, 국무총리실, 정보통신부, 행정자치부,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자문 위원, 일본 동경대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연구 분야는 예술행정, 문화정책이며, 『행정이론의 발전』(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상), 『북한 문화정책』, 『문화정책과 예술경영』 등 10여 권의 저서와, 「Cultural

Policy in the DPRK」, 「문화예술단체의 조직역량과 자원 획득에 관한 연구」 등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정헌일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산업조직론으로 경제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실의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관심 연구 주제는 문화예술과 경제발전이다. 문화경제학회 이사이며 편집위원이다. 「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효과 및 향후 전망」 외 다수의 연구 보고서를 집필하였으며, 계량경제학보, 문화경제연구, 예술경영연구 등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저서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이해』(공저), 『정보통신혁명과 한국의 신산업』(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유럽의 영화산업』(공역), 『할리우드 영화산업론』(공역) 등이 있다.

참석자

소개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리뷰]

글. 장웅조

시애틀대학교 공연예술ㆍ예술리더십학과 교수

장웅조는 서울대에서 중문학학사와 공연예술학 석사를마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에서 예술 정책 및 경영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2012년부터 시애틀대학교의공연예술 및 예술리더십학과교수로 재직하면서, 소규모예술 단체 경영과 정책 연구,그리고 예술기업가정신과관련한 연구와 프로젝트를수행하고 있다.

미국 예술기업가정신 교육협회 학술대회

새로운 학문 분야‘예술기업가정신’

사진 제공. 필자/SAEE

10 16 (Columbus)

(Ohio State University, OSU)

(Society for Ar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EE) . SAEE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Gary Beckmann)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SMU) (Jim Hart)

,

.

SMU 30%

80

.

(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 AAAE)

,

10 (Arts

Entrepreneurship)

.

예술과 기업, 그리고 기업가 정신

SAEE OSU (The

Barnett Center for Integrated Arts and Enterprise,

) ,

.

Entrepreneurship

,

. SAEE

. ,

, ( ) ,

.

10 16 1

(Keith Williams)

2 SAEE

. (Sonia BasSheva

Manjon)

(Willis Bing Davis) .

(Dayton) (EbonNia Gallery)

( ) . 1970

181 ��

18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SAEE

.

.

, (Millikin University)

(Stephen

Frech)

.

. ,

,

,

.

좌. 기조연설 중인 윌리스 빙 데이비스우. 예술벤처창업 수업을 소개 중인 밀리킨 대학교 교수들

2012

Artivate (Arizona State

University) (Linda Essig)

,

.

.

(audience) (customer) ,

.

,

, (Fail early, fail often but fail

cheap) .

SMU

.

.

.

좌. 예술기업가정신 수업을 소개 중인

애리조나 주립대의 린다 에식우. 게임을 이용한 예술기업가정신 교육을

설파하는 SMU의 짐 하트 교수

예술기업가정신(Arts Entrepreneurship)혹은 문화기업가정신(Cultural Entrepreneurship)SAEE 10

,

,

SAEE

.

, (Giep Hagoort)

(cultural entrepreneurship)

. 2000

(Utrecht School of the Arts)

.

(Duluth)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and Learning Cultural Entrepreneurship)

. SAEE

.

, SAEE

,

. SAEE

.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특집]

글. 이경모

인큐베이더(Incubator) 대표, 예술경영 컨설팅 전임 컨설턴트

이경모는 LG그룹에서 홍보,광고, 전략기획 업무를 시작으로, 광고대행사인제일기획, TBWA Korea등에서 프로모션, 브랜드전략기획 일을, PR회사인PRONE Creative & Lab에서 브랜드컨설팅 및 크리에이티브 업무를 했다. 동국대, 한신대 등에서 강의를 하는 한편, 현재는 소셜 브랜딩 그룹(Social Branding Group)인 인큐베이터(Incubator) 대표로 일하고 있다. 2권의 저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프레젠테이션』, 『모든 아빠는 딸들의 첫사랑이었다』를 저술했다.

예술경영 컨설팅의 미래 10년을 전망하다

예술경영 컨설팅,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의 성장기

185 ��

18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기획, 전략, 콘셉트,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문화, 예술…

.

. .

,

.

.

. , 10

. ,

,

.

10 ,

. 10

.

.

10

, ,

3 .

첫째, ‘컨설팅 개념’을 좀 다르게 보자는 것인데, ‘가르치는’ 컨설팅이 아니라 ‘들어 주는’ 컨설팅으로 관점을 전환하자는 것이다

TV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10

.

.

, ( ) ( )

.

.

둘째, ‘컨설팅 방식’의 변화인데, 단기적인 컨설팅이 아니라 좀 더 구체적이면서 긴 호흡이 가능한 방식으로 진화되길 바란다

,

,

, , ,

.

. 1

,

2~3 .

ㆍ ,

2014 3 1 2

3 .

187 ��

18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필자의 컨설팅 노트

2015

8 4

2 3~4 4

.

.

.

2014 2

2015 3 1:1

,

.

,

. ,

,

.

, .

,

.

셋째, ‘컨설팅 성과 창출과 공유’와 관련해서, 일회적인 방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컨설팅 성공 사례 만들기와 확산을 통해 ‘예술경영 컨설팅’의 의미와 가치를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

10 3

.

,

, ,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10 . ,

10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이슈]

글. 김태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예술후원센터 팀장, 아트 펀드레이저(art fundraiser)

김태진은 사회복지와 국제구호 분야에서 펀드레이저(fundraiser)로 활동하다가 2013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예술 분야 펀드레이저로 자리를 옮겨 문화예술 기업 기부와 개인 고액 기부, 후원회 조직 운영, 예술단체 후원 컨설팅, 후원 자문 등 12년 차 펀드레이저로 활동하고 있다.

2015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마켓&포럼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의 지속 가능한 지원 모델

예술과 기업의 가치 창출 상생 조건

, ,

.

( ) ( ) .

.

(positioning)

.

.

( ) 2013

. 1:1 , , ,

& ,

. 3

.

,

.

<2015

& > .

좌. 2015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마켓&포럼의 비즈니스 플랜 전시 부스

우. 1:1 전문가 미팅

사회적경제 마켓 & 포럼의 변화

<2015 & > 1

,

.

& ,

.

191 ��

19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1 1

, 20 -

.

&

200

.

2015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마켓&포럼 강연

&

,

.

& 1

,

1

.

,

.

.

.

,

.

.

.

.

&

.

,

.

.

. .

5

.

, ,

.

㈜공공공간과 ㈜에이컴퍼니의 기업제안서 발표

기업의 문화예술 협력과 지원, 나아가야 할 방향

2015

10 5.3%, 12 5.1%,

14 4.4% .

.

, , ,

,

.

.

. ,

,

.

193 ��

192×

&

,

.

& ,

.

&

, 2016

&

.

.

.

. .

( , ),

( , ) ,

.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이슈]

글. 김미라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문화예술부장

김미라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 석사를취득하고 배재대학교경영대학원 예술행정박사과정을 수료했다.음성문화예술회관

기획운영팀장으로 근무했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운영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에서

문화예술부장으로 근무하고있다.

2015 예술경영 컨퍼런스

전문예술법인 ㆍ 단체, 스스로 해결책을 찾다

195 ��

19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객석의 빈자리가 보이지 않을 만큼 많은 관계자들의 관심과 기대 속에 <2015 예술경영 컨퍼런스> 우수 사례 발표가 포스코센터 아트홀에서 진행됐다. 책자를 받고 9개의 전문예술법인ㆍ단체 참가 팀을 확인한 순간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팀들이 있어 자못 이번 예술경영 컨퍼런스가 기대되었다. 팀마다 만만치 않은 성과를 가지고 오늘을 기다렸던 터라 현장의 분위기는 긴장감과 함께 열기로 가득했다.

조직 경영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필요성

< > ㆍ ,

,

.

<2015 > 4

.

9

3 ,

,

. ,

.

.

<

& >

2012 2015

.

좌. 2015 예술경영 컨퍼런스 전경우. 1:1 전문가 미팅(기업 사회공헌 및 문화마케팅 관계자 만남) 전경

9 ㆍ

2012 2014

ㆍ ,

. 3

ㆍ , ,

.

9 ㆍ

.

. 1 , 13

2

.

.

.

< >

.

. ,

.

9개 전문예술법인ㆍ단체들의 예술경영 우수사례 발표

꾸준한 노력과 수행으로 만들어 낸 자생력

,

,

. , ,

,

,

.

( )

,

.

197 ��

19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ㆍ

.

( )

.

,

(

,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우수 전문예술법인단체 인증서’를 수여받은 9개의 우수 전문예술법인ㆍ단체

3

.

.

.

< >

, ,

. ㆍ

, ㆍ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해외동향]

글. 박혜신

영국 미들섹스대학교 박사과정

박혜신은 이화여대정책과학대학원 석사 졸업,골드스미스 런던대학에서 예술행정과 문화정책으로 석사 졸업하고 현재 런던 미들섹스 대학 공연예술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브리티시 카운실 런던지부에서 근무했다.

영국 장애인 공연예술 단체들의 운영 – 재원 조성, 프로그램 개발, 단원 교육 등

힘들지만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는 원동력

60 ,

, . (Arts

Council England)

3

2015 2018 664

.

3

3

.

, ,

.

.

.

(Greaea Theatre Company)

(Candoco Dance Company) .

평범한 진리가 통하는 극단 그라이아이

‐ 좋은 작품은 풍성한 지원ㆍ후원으로 이어진다 2012

1980

.

,

. 2012

(Jenny Sealey)

(Orbital)

,

201 ��

20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SNS

.

< (Prometheus

Awakes)> 2012

1992

(La Fura dels Baus)

(Simon McKeown)

.

<프로메테우스 잠에서 깨다> 사진 제공. 극단 그라이아이 홈페이지

.

.

.

. (Fingersmiths)

2014 < (Frozen)>

.

2012

< (The Garden)> 2013

< (The Limbless Knight)>

.

. 2012~2013

, 2012~2013 1 <

> < > 2

8 .

977,961 ( 16 6 ) 57%

, 22%

, 13% , ,

, 8%

.

<팔다리가 없는 기사>사진 제공. 극단 그라이아이 홈페이지

단체의 튼튼한 미래를 준비하는 칸도코 무용단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활성

(Candoco Dance Company)

,

. 1991

,

.

203 ��

20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Show Must Go On)>

2015 3

(Sadler s Wells Theatre)

. (Jérôme

Bel) 2001

2015

.

,

5 , 4

.

<쇼는 계속 되어야 한다> 사진 제공. 칸도코 무용단 홈페이지

2014 < ( )

(Let s Talk About Dis)>

.

(Hetain Patel)

4 .

.

.

.

<이것(혹은 대화)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사진 제공. 칸도코 무용단 홈페이지

.

.

13 25 2(Cando2 Youth

Dance Company)

.

(Royal Academy

of Dance)

. ,

DVD , .

2012 2015 3 400,000

.

2~3

.

,

.

.

이슈

01 공연예술 해외 진출 A to Z

02 아트페어와 작가 직거래 장터, 그 사이 03 일상을 흔드는 특별한 시간 – 세계의 축제들

04 제주도에 부는 바람 – 제주도 문화예술의 오늘

05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톺아보기

06 사회 변혁의 동인, 예술

07 문화예술법인ㆍ단체 살림 노하우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300호 특집]

글.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원로 예술경영인 인터뷰 다시보기

그들이 그린 ‘예술경영’의 밑그림

207 ��

20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공연 기획, 관객 개발, 연극경영이 시작되는 - 김의경

이승엽_세종문화회관 사장

(105호, 2010년 12월 2일 발행)

연극인 김의경은 공연 기획과 관객 개발, 연극경영이라는 말을 통해 제작자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국내외 새로운 조직과 행사를 만드는 조직자이자 공연예술계에 이전과는 다른 수준의 기록을 남기는 기록자이기도 하였다.

현대극장 창단, “한창때는 100일, 150일을 공연했다”

.

.

.

,

.

극단, 기획 제작, 공연, 아카데미… 직업 연극, 전문 연극의 길

.

,

.

, ,

.

.

.

.

.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초연은 어떻게 올려졌나

.

.

,

. ,

,

.

,

.

.

기록의 열정, 경영의 과학성

1997 ,

,

. 2001

,

. ,

,

. , ,

. 1960

.

209 ��

20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우리는 어떤 미술관을 갖고 싶었던 것일까” - 박래경

김은영_한국큐레이터협회 이사

(107호, 2010년 12월 16일 발행)

,

.

,

.

뮤지움연구소 체류, 미술관 운영과 경영에 눈뜨다

,

. , ,

.

6

.

“팀워크의 개념도 없었고… ”

,

.

, .

. ,

.

“그때 그 작품들만 모았어도… ”

,

.

(contemporary)

.

, . 2000

,

.

“권한에 따르는 전문성과 윤리 의식이 필요하다”

70%,

30% . ,

,

.

,

.

211 ��

21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그가 시작하면 ‘흐름’이 되었다 - 故 강준혁

김소연_연극평론가

(111호, 2011년 1월 13일 발행)

, .

.

1 ,

2, 3 .

김수근과의 만남, “공간사랑 10년 동안 카페가 내 사무실이었다”

,

. ,

.

,

1 .

, , , ,

. 1

1

.

,

.

공연기획가에서 문화기획가로

,

.

.

.

. 1998 ,

.

,

, , .

.

“문화의집은 우리나라 문화복지 정책 1호”

( )

,

,

. ,

,

.

20세기와 21세기를 잇는 문화예술기획경영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특집]

근로자의 날, 예술경영인들의 하루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삶과 직업을 사랑하는 이유

글. 김미지

이웃문화협동조합 기획홍보팀장

대학에서 연극학을 공부하고 월간 《한국연극》 기자로 활동했다. 현재는 문화, 예술, 놀이를 통해 협동하며 다 함께 잘 놀고 잘 사는 세상을 꿈꾸는 ‘이웃문화협동조합’에서 일하고 있다.

2015년 5월 1일, 김미지 님께서 김진희, 박동광, 오경은 님을 대화방으로 초대하셨습니다.

김미지 !

. 5 1

. . . . !

. . . . ! ,

. .

?

.

(?)

.

, !

김진희

.

.

. , , ,

, .

.

박동광

. ,

, , , .

오경은 LG .

.

.

.

김미지

!

. , ?

김진희 . .

5 . .

, .

,

.

5 1 5 5 .

215 ��

21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오경은

,

. 4 3

5 ,

.

박동광 ! 4

. .

들어는 봤다. 5월이 황금연휴긴 하다고

김미지 5 ,

. 5

?

오경은

.

. ,

. 1

.

. ( )

. 5

. 5 . ^^

박동광 ,

.

5

~^^

김진희 . 5 .

. . ( )

, .

.

,

, ?

.

. ,

.

. .

.

김미지

? ?

박동광 .

.

.

오경은 .

. 5

.

.

, , ,

.

김진희

.

.

.

.( )

,

. ,

,

.

(!)

.

,

,

217 ��

21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휴일에 일한다’는 연민을 뛰어넘은 삶의 의미

김미지 ?

오경은 LG

.

.

,

.

김진희 100% ,

.

.

.

박동광

.

,

.

.

김미지

?

김진희 .

,

.

.

.

.

오경은

.

.

.

박동광 . ,

.

김미지

?

박동광

.

.

.

김진희 . .

.

.

오경은 ,

.

.

. ^0^

김미지

? ?

오경은

.

.

,

. ,

!

박동광 .

.

10

.

219 ��

218×

08 예술경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특집]

활용법 II — 예비 예술경영인 편

‘2015 서울아트마켓’

예술경영인이 되기 위한 실천의 4시간

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2015 예술경영 잡페어

일시 2015년 10월 8일(목) 오후 2~6시

장소 국민대학교 제로원디자인센터

.

김진희

,

.

.

,

.

.

. ,

, , , ,

.

.

김미지

.

!

김진희 ,

! . 7~8

?(

)

, . !

박동광

,

,

.

.

.

.

2015년 5월 1일, 김미지, 김진희, 박동광, 오경은 님께서 대화방을 나가셨습니다.

221 ��

22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올해 서울아트마켓의 협력 행사인 ‘2015 예술경영 잡페어’는 문화예술 분야 취업을 희망하는 예비 인력들에게 예술경영 직무에 대한 이해, 정보 교류, 그리고 취업 준비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자리이다. 예술경영 잡페어를 어떻게 하면 100% 활용할 수 있을지 공연 기획자를 꿈꾸는 A씨를 따라 미리 답사해 보자.

13:48 잡페어 등록

. 10 ,

. ?

.

. & :

.

.

1

.

3 ,

. ?

? ?

.

, .

. A

?

2 .

5 ㆍ

.

14:00 홍보 부스 둘러보기

,

. ㆍ

, .

? ,

?

? , .

? ,

? ,

.

.

. LINK

.

.

.

.

,

, , .

. .

* 2015 예술경영 잡페어 참여 부스

참여 조직

공연창작집단 뛰다 소닉아일랜즈

노름마치 예술경영지원센터

문화프로덕션 도모 인터파크씨어터

사비나미술관 춘천시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서울시립미술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가나다순)

.

?

.

.

( ) ,

.

.

.

3 10 !

.

223 ��

22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15:00 자기소개서 클리닉과 모의 면접

. A

.

. .

,

,

.

.

.

.

.

20 .

.

1.사전 신청 시 자기소개서 제출

2.1:1 자기소개서 첨삭 컨설팅

3.모의 면접

4.개별 피드백

* 자기소개서 클리닉 진행 순서

A 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00 전문가 특강 ‘예술경영 직업의 세계’

,

. 5 ㆍ

.

.

.

.

. ,

,

.

.

,

.

* 전문가 특강 시간

구분 시간 강사

홍보마케팅 14:00 – 14:45 최승희(신시컴퍼니 홍보팀장)

국제교류 15:00 – 15:45 김민경(소닉아일랜즈 대표)

큐레이팅 16:00 – 16:45 함영준(일민미술관 큐레이터)

기획제작 17:00 – 17:45 손신형(국립극단 프로듀서)

17:45 다시 Cheer Up! ,

.

6 .

. ,

.

,

.

?

.

현장

╋ 人

현장에서

사람

( 人) 을

만나다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국내

[현장+人]

글. 김경래

공연기획자

김경래는 하우스매니저협회부회장, 문예진흥원과백암아트홀에서

하우스매니저로 근무하였고,다수의 하우스매니저 교육과공연장 및 대학에서 서비스강의를 진행하였다. 지금은프로듀서와 홍보 일을 병행하고 있다.

김명수

국립중앙극장 하우스매니저

스펙보다 인성을 먼저 갖춰라

“외국에선 하우스매니저라는 직업이 있다고 하는데 우리 극장에 도입하면 안 되나요?”이렇게 외치던 그가 현재 국립극장에서 30여 년 외길 인생을 걷고 있다. 그는 바로, 국내 하우스매니저 1호 김명수이다.

사실 처음부터 하우스매니저로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 1987년, 우연한 계기로 국립극장에 들어가게 되었고 티켓 관리 및 공연 전반적인 일을 하기 시작하면서 공연계에 발을 들여 놓았다. 어떻게 보면 오랜 시간 이 일을 지금까지 행복하게 하고 있는 나에겐 행운과 같은 기회였다. 극장이라는 생소한 곳, 공연이라는 현실과 다른 세상으로의 여행, 이 모든 것이 새롭고 놀라운 하루의 연속이었다. 매일 새로운 경험을 하면서 다양한 관객들과 만나고, 소통하면서 내 안의 새로운 재능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외국에서 발행한 공연예술지를 보다가 하우스매니저라는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별한 직함도 없이 공연 전반적인 일을 하는 내 일이 외국에서는 ‘하우스매니저’라는 이름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모습으로 이미 정착되어 있다는 걸 알게 된 것이다.

나는 바로 극장에 제안을 했다. 국립중앙극장도, 아니 한국에서도 하우스매니저 제도를 도입해야 하고,

공연예술 다른 분야처럼 전문적으로 업무 진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이다. 지금 생각해 보면, 어떻게 그런 용기가 생겼었는지 신기한 생각이 들 정도로 파격적인 제안이었다. 다행히 극장에서는 진지하게 검토했고, 급기야 도입을 허락했다.

업무 특성상, 어느 정도 직급이 높아야 일을 감당할 것으로 보고 상사들이 당시 6급 공무원인 몇몇 직원들에게 제안을 했다. 하지만, 하우스매니저에 대한 인식이 전무한 데다가, 근무 환경(예를 들어, 근무시간 등)이 일반 공무원의 조건보다 열악하다는 이유로 수락하는 사람들이 없었다. 결국 최초 제안자인 나에게 기회가 왔다.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아찔하다. 만약 나에게 그런 기회가 오지 않았다면, 지금의 나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하우스매니저란 무대와 백스테이지를 제외한 프론트 오브 하우스(Front of House, 객석 혹은 관객 담당 업무) 공간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공연 시 무대감독과 유기적으로 공연을 진행하는 사람이다.

하우스매니저라는 이름이 아직 생소한 1987년 국립중앙극장에 입사, 최고의 공연을 위해 치열한 전쟁이 이루어지는 공연장에서, 관객을 위해 누구와도 타협하지 않았던 1인, 그래서 지금은 국내 하우스매니저의 정착과 영역 구축에 큰 기여를 한 김명수 하우스매니저에게 후배들이 묻는다.

김경래 30

?

김명수 8

.

,

.

.

229 ��

22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김경래

?

김명수

.

,

.

, ,

.

,

,

.

,

,

.

.

김명수 2005

.

.

,

,

,

, LG

5

.

김경래

,

.

,

.

김경래

(?)

,

?

김명수

. ,

.

,

. ,

.

김명수 하우스매니저는 전국 각지의 공연장을 다니며 하우스매니저 교육을 하고 있다

김경래

?

김명수 1950

,

.

,

1999

. LG

,

.

.

2005

.

,

,

.

. , , , ,

.

,

, , ( )

.

.

김경래

?

김명수 .

,

. ,

.

.

.

김경래

?

김명수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국내

[현장+人]

글.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사진 제공.

박창현(Chad Park)

공무원은 외계인이 아니다

인재진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예술감독

8 ,

. ,

.

DAM Do! Arts Management

, 10 .

.

,

. ,

, ,

,

.

?

DAM,

.

.

2015 ,

weekly@ .

모든 문제는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로부터

인재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4 ? , ,

, .

. ,

.

.

.

.

?

233 ��

23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11 , .

. ( )

.

.

,

.

? ( )

인재진

? . ?

? ? .

10 .

.

. .

.

. ( )

. ,

. ,

.

.

, . ( ) 1

.

. , ,

. 2,000 , 1,500

, 1,000 .

, ,

.

. .

12 .

.

,

. .

,

. .

,

.

.

.

. ( )

5,000 .

.

.

.

( ) .

.

.

.

.

DAM

?

,

?

인재진

.

.

32~33% ,

.

.

DAM

?

인재진 2003

.

,

.

.

.

( )

.

.

235 ��

23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4

.

,

.

.

.

.

. ( )

. ,

.

DAM

?

인재진

.

.

. . ( )

.

, .

.

.

.

DAM

,

.

인재진

.

.

.

.

.

.

.

DAM의 리더 김성규 한미회계법인 대표이사

DAM

,

.

?

인재진

.

.

,

. ( )

.

?

.

.

.

.

.

, 460

.

.

. ,

. .

. ( )

? .

,

.

,

.

DAM ,

.

?

인재진 20 ,

,

.

3

.

.

. ( )

90

.

10

11 . 7~8

1 . .

. , , ,

.

. ?

. .

.

.

,

.

.

, ,

.

. 60

.

. 20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국내

[현장+人]

글.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사진 제공.

박창현(Chad Park)

1세대 예술경영인을 만나다

이종덕

충무아트홀 사장

여든을 넘긴 나이에도 여전히 예술 현장의 한가운데서 ‘예술경영이란 무엇인지’를 온몸으로 보여 주는 이가 있다. 1960년대 문화공보부 공무원으로 출발해 전통예술의 해외 진출을 위한 첫 단추를 끼우고, 각종 문화예술 기관 및 단체 경영의 모범 답안을 보여 준 이종덕 충무아트홀 사장이다. 국내 유일의 예술경영 전문 웹진 《weekly@예술경영》이 대망의 300호 발행을 앞두었던 2015년 4월 9일, 명실상부한 예술경영 1세대로서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그를 찾았다.

집주인과 세입자를 맞바꾼 파격 인사의 주인공

1961 1

2

.

,

.

,

.

,

.

30 7~9

, ,

, .

,

.

1972 ,

, ,

24

. , ,

, ,

, ,

, 7

.

,

239 ��

23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50 ,

.

1983 1989

( )

1994 .

, , ,

.

,

.

. ,

70

,

.

.

.

.

앉은 자리가 꽃자리니라

.

.

.

.

.

3

.

,

.

.

.

,

.

.

.

.

.

. 35

.

, ,

, ,

. ,

. ,

,

.

,

.

예술경영인에게 가장 중요한 건

.

,

.

.

.

,

.

.

.

100 15

.

3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국내

[현장+人]

글. 송현민

음악평론가

송현민은 음악 듣고, 글 쓰고, 음악 하는 사람 만나며 책상과 객석을 오고 간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공부했고, ‘한반도의 르네상스’를 주장했던 음악평론가 박용구론으로 제13회 객석예술평론상을 수상했다.

세계로 뻗는 하우스콘서트에는 그녀가 있다

강선애

하우스콘서트 수석 매니저

작년 여름의 하우스콘서트. 관객이 가득 찬 작은 공간은 에어컨의 초강력 강풍을 무색게 했다. 하지만 사람들의 표정은 편안했고 진지했다. 바로 눈앞에 있는 음악가들의 연주와 그 울림이 음향의 밀림을 만들었다. 좌식으로 앉은 그 공간은 공연장에서 느끼지 못하던 떨림을 선사했다. 피부로 스며들고 뼈를 울렸다.

하우스콘서트(이하 하콘)를 이끌어 가는 박창수 대표 옆에는 수석 매니저 강선애가 있다. 그녀는 머리보단 가슴으로 먼저 생각하고, 말보다는 몸이 앞서는 이다. 직책은 ‘수석’ 매니저이지만, 하콘을 떠받치는 ‘암석’ 매니저, 혹은 ‘반석’ 매니저라고 부르고 싶을 정도로 하콘 살림에 있어서 일당백이자 전방위적이다.

새로운 ‘음악적 사건’의 발현지가 되고 있는 하콘은 올해도 사건 하나를 터뜨렸다. 7월에 ‘원먼스 페스티벌(ONE MONTH festival)’이 시작되면 한 달 동안 27개국 155개 도시에서 432개의 공연이 이어지는 것이다. 앞서 이야기한 풍경들이 ‘하콘’이라는 이름하에 432개의 시공간으로 복제되어 퍼져 나가는 것이다. 이 ‘하우스(집)’의 정체는 무엇이기에 이런 역사를 만드는 것일까. 나는 강선애에게 ‘하우스’의 ‘How’를 물었다.

하우스콘서트의 시작

.

,

···(2008, ) .

. 2002 3 ,

1 2

.

.

.

,

.

,

.

,

.

.

2008 9 , 200

, ,

.

10cm

.

하우스콘서트 대한민국 공연장 습격 작전

10 . 10

2012 .

. , 400

80% 제436회 하우스콘서트 사진 제공. 더하우스콘서트

243 ��

24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21 100

, .

. ,

.

2012

. 2013 100

.

2013 .

.

.

선애 씨, 꼭 그래야만 했나요?2012

2013

. .

2013

.

. .

. .

, , .

,

.

,

.

.

.

10 1

.

2013 대한민국 공연장 습격 작전사진 제공. 더하우스콘서트

.

.

? .

.

기폭제를 마련하다

,

,

,

10 2

. 100

.

1,000

.

. 2013 7 12 7

30 65 294

1

.

, , , .

( )

( )

( )

.

( ) .

( ) ,

( ),

.

. .

원먼스 페스티벌의 초석을 닦은 원데이 페스티벌

2014

ㆍ ㆍ .

94 ( 47 , 29 , 18 ).

( ) .

!

.

.

.

245 ��

24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220

1~5

.

.

.

2015 ONE MONTH festival사진 제공. 더하우스콘서트

.

, .

.

,

,

.

재미보다 앞서는 의미의 축제 2015년 7월의 원먼스 페스티벌

,

.

. , ,

,

.

7 27 155

432

.

,

, , , , , , ,

, .

, ,

, ,

. 184

( ),

ㆍ ㆍ ( ),

( ), ( ), ( ),

ㆍ ( ) . ,

.

.

3 1 ,

3 2 .

. , ㆍ ㆍ

,

.

.

, .

.

.

.

.

,

.

.

.

.

2014 ONE DAY festival사진 제공. 더하우스콘서트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해외

[현장+人]

글. 이단비

극단 고래 드라마트루그, 번역가

이단비는 영문학과공연예술학을 공부했고, 현재독일어와 영어로 된 희곡들을번역하며 극단 고래의드라마투르그로 활동 중이다.

사진 제공.

박창현(Chad Park)

트래버스는 왜 국제적 협업에 매진하는가?

린다 크룩스 (Linda Crooks)영국 트래버스 극장

총괄 프로듀서

지난 2월 27일 두산아트센터의 ‘스페이스 111’. 스코틀랜드 출신의 젊은 작가인 스테프 스미스

(Stef Smith)의 신작 <스왈로우 (Swallow)>가 낭독 공연으로 초연되었다. 스코틀랜드의 젊은 작가의 신작이 한국에서 초연된다는 것은 궁금증을 불러일으켰고, 이에 대한 답을 두산아트센터와 트래버스 공동 프로젝트에서 찾을 수 있었다. 객석에서 유독 눈에 띄는 금발의 관객, 트래버스 극장(Traverse Theatre)의 총괄 프로듀서인 린다 크룩스가 두 극장을 연계시키는 핵심 인물이다. 비가 오지 않는 한국의 날씨를 만끽하는 그와의 인터뷰를 담아 본다.

국제 무대에서 활약할 젊은 예술가들의 재능 발굴

이단비

. ,

?

린다 크룩스(이하 크룩스)

52 .

, ,

.

. ,

.

. 280

115 .

.

,

(Imaginate) ,

.

8

,

(site specific performance) .

(Breakfast Show)

249 ��

24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Lunch Time Theater)

.

.

.

.

.

이단비

. New

Writing( )

.

?

.

크룩스

.

.

.

(Class Act)

. 6

.

.

.

.

2 , 50

50 (Traverse Fifty)

. 640

. 3~4

, 50

. 7

.

, 3

. (John

McCann)

.

50

(Lachlan Philpott)

,

2016 .

50 7

3

.

.

. 8

.

, .

.

국제적 협업 지향의 핵심은 최고의 작품을 만드는 것

이단비

.

크룩스 .

.

,

.

.

(Fergus Linehan) .

(drama)

. 8

.

.

이단비

.

? ?

크룩스

.

.

, ,

.

(Quebec)

. 2014

(Théâtre La Licorne)

(Jean-Denis Leduc)

4

.

3

.

,

.

251 ��

25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Dot Theater) ,

.

.

3

, 2013

.

< >

.

.

,

.

.

.

.

.

협업의 출발은 인간관계의 신뢰로부터 나온다

이단비

(incubating young artists)

.

?

크룩스

.

.

. ( )

.

.

.

.

.

,

.

.

.

.

.

이단비

< > .

?

크룩스

.

.

.

.

.

.

, .

,

.

. .

( ) ,

.

이단비

?

크룩스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해외

[현장+人]

글. 김슬기

공연저술가

김슬기는 창작을 위한 읽기,기록을 위한 쓰기, 공연예술의창작과 수용 과정에서발생하는 다양한 가치에주목한다. 월간 《한국연극》기자로 근무했고, 국립극단학술출판연구원으로 일하면서연극과 관련된 출판물과아카데미 프로그램을기획했다. 대학원에서 연극이론을 공부하고 있으며, 공연드라마투르그를 비롯해 각종연구와 글쓰기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

박창현(Chad Park)

예술이지만현실이고, 연극적이면서 정치적인 것

라비 므루에

(Rabih Mroué) 배우, 연출가, 작가, 미디어아티스트

2015 두산인문극장 ‘예외’의 첫 번째 공연 <구름을 타고>는, 열일곱 살 때 레바논 내전에서 머리에 총상을 입고 언어 능력을 상실한 야세르라는 인물을 무대에 세운다. 사고 이후 그는 무엇이든 실재하는 것만을 인식했다. 이를테면 사진 속 사물이 무엇인지는 분간해 내지 못했지만, 연극 속 인물의 죽음에는 온몸으로 슬퍼하는 식이었다. 야세르의 형이자, 공연의 연출가인 라비는 이 상황의 모든 국면을 극장으로 끌고 들어온다. 이야기는 가족의 비극이면서 동시에 레바논의 현실이자 인류가 발명해 낸 전쟁이라는 재앙을 꿰뚫는다. 작품은 언어와 재현의 문제를 경유해 결국 연극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현재 베를린에 거주하며 연극과 영상, 설치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레바논 출신의 예술가 라비 므루에를 만났다.

연극은 재현하는가

김슬기 < >

.

,

.

.

므루에

.

.

.

.

.

.

.

.

.

. ,

.

. .

255 ��

25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김슬기

.

, .

.

므루에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재료 그 자체가 형식을 결정하는 건 아니다

김슬기

.

.

므루에

.

,

, .

,

.

,

.

.

.

,

. .

김슬기

.

?

므루에

. < > .

,

.

,

.

?

.

? .

김슬기

?

므루에

.

.

.

. ,

.

.

, , 1

20 ,

,

.

.

.

.

예술 혹은 예술가의 윤리에 대하여

257 ��

25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김슬기

.

므루에

.

.

,

,

.

.

,

,

.

, , ,

.

.

,

.

,

.

. .

, ,

.

김슬기

.

.

므루에

.

. ,

,

.

.

.

, ,

,

.

<구름을 타고>의 배우 야세르 므루에(Yasser Mroué) 사진 제공. 두산아트센터

김슬기

?

므루에 ,

.

.

.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해외

[현장+人]

글. 이희진

프로듀서 그룹 도트 프로듀서

이희진은 프로듀서그룹도트의 프로듀서로한국 공연 단체의공연 투어 매니지먼트 및해외 공동 제작 프로젝트를운영하고 있다. 또한 베세토페스티벌의 국제위원으로도활동하고 있다.

사진 제공.

박창현(Chad Park)

새로운 콘텐츠의 교류와 합작으로 저변을 넓혀 가길 기대한다

리 동(Li Dong)중국국가화극원 국제교류센터장

‘2015 서울아트마켓’에서 진행된 ‘희희낙락’(이 프로그램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가 개최한 ‘한 중 문화예술 포럼’ 및 2014 서울아트마켓의 주빈국 활동의 후속으로 중국과 교류를 지속적으로 이어 가고자 마련한 것이다)에 참석한 리 동(Li Dong)은 중국국가화극원(National Theatre Company of China, NTCC, 이하 국가화극원)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프로듀서로서, 제작 총감독 등을 거쳐 중국국가화극원의 국제 교류를 총괄하는 국제교류센터장을 맡고 있다.

그가 소속되어 있는 국가화극원은 중국청년예술극단과 중앙실험극단이 2001년 통합되면서 창설된 국립 공연예술 단체로서, 현재 중국을 대표하는 연극 단체 가운데 하나이다. 창단 이후, 전통문화의 계승과 더불어 진취적이고 실험적인 공연예술을 추구하고 있으며 신진 예술가들에게 창작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문화 예술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중국 정부의 정책 흐름에 따라, 국가화극원 내에 국제 교류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국제교류센터가 설립되어 있다. 리 동을 만나 국가화극원의 국제 교류의 방향성과 단체의 동향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다.

이희진

< >

.

. < >

?

리 동 < >

. 2013

, 2

.

.

,

. .

.

,

.

.

,

. , 2

.

.

.

이희진

.

?

리 동

,

261 ��

26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중국국가화극원에서 공연한 <워 호스>와 <대추나무>, <기념비> 포스터사진 제공. 중국국가화극원

중국국가화극원 전경사진 제공. 중국국가화극원

.

.

,

.

,

.

< >

.

이희진

.

.

?

리 동

.

< >

.

.

.

,

.

,

.

,

.

,

,

,

.

이희진

, , .

.

리 동

. .

,

,

.

,

.

,

.

.

.

,

. 2013

< >

, < >, < >,

< >

.

,

.

.

이희진

. ·

,

.

?

263 ��

26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리 동 ·

.

.

,

.

.

2

.

1 .

.

,

,

.

,

. ,

.

. ,

.

.

. ,

.

이희진

?

리 동 .

.

.

.

,

.

,

.

,

.

.

.

,

.

.

, 6

.

.

.

자유로운

발언의

칼럼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칼럼] 소리의 기록, 평창아라리 아카이빙

글. 황보유미

(재)예술경영지원센터해외전략사업실

공연유통팀 팀장

국립발레단 기획홍보팀 차장을 거쳐, (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공연유통팀 팀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객석》 및 월간, 일간지 등에 무용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사진 제공. 악당이반(주)

소리의 기록은 진행형이다

11

1940

.

18

.

,

.

.

,

.

, 75

,

.

(Régis

Debray) (Mediology)

,

.

,

.

,

( ) .

,

(= )

.

,

,

.

,

.

MBC

PD .

1989 10 139 ㆍ , 904

1 8,000

269 ��

26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CD 100

, .

.

40

,

, , , , 2

,

.

,

.

( )

.

평창문화올림픽의 견인차, 평창아라리

.

101 .

,

.

.

,

.

.

,

.

( )

( )

( )

. ,

,

.

?

이도화 할머니로부터 평창아라리 구술 채록을 진행 중인 모습

. 3 3

.

,

.

,

.

.

.

,

.

(

1 )

.

.

.

.

.

.

. .

,

.

.

.

.

. 150 .

.

271 ��

27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10

.

우리 소리의 원형을 찾아서

? 5

. < >,

< >

.

5

,

,

.

15

, 70

.

2

.

, ,

, .

.

. ,

평창군 미탄면 ‘청옥산 아라리’를 부르는 어르신들 모습

,

, . ,

.

.

.

? (core)

.

,

. 6

.

2009

,

,

.

.

,

.

.

.

?

( ) . 3

.

. ,

,

, ( ) .

.

5 ~

?

, .

,

,

? ,

.

.

?

,

, .

.

세계 최첨단 기술을 대한민국 제일 깜깜한 동네

미탄에서

DSD256 (Direct Stream

Digital, )

1 .

. .

.

2 8

.

.

. .

.

. (source)

,

. .

.

? .

.

.

(high end)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칼럼] 예술과 저작권

글. 홍승기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임교수

홍승기는 인하대학교 로스쿨 전임교수로 리걸 클리닉 센터장을 맡고 있다.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예술경영 컨설팅 법률 분야의 전임 컨설턴트로도 활동 중이며, 저서 『시네마법정』(2003, 생각의 나무), 역서 『치열한 법정』(2009, 청림출판)을 펴냈다. 논문으로는 「저작권 중재의 수용」(계간 《저작권》 2010년 여름호) 등이 있다.

사진 제공. 필자

저작권법의 목적은

향상 발전’에 있다

‘문화의

예술과 저작권 ‐ <친정엄마> 사건을 보며

( ) .

.

. < > 1

,

.

(creative industry),

(entertainment business)

, .

.

< >

(2014. 12. 11.

2012 16066 ).

K

.

, K

.

K

M .

< > K, M

. K

, K

.

. M

K .

M

. K

M .

K

.

(assistant)

. .

. , M K

.

275 ��

27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K

.

.

.

1

.

.

K M

, K

M

. (license)

?

.

저작권법의 목적은 ‘문화의 향상 발전’에 있다

.

(

1 ).

.

.

.

,

.

.

1,000

,

.

1,000

. ( )

.

,

.

100

.

( ) .

. ,

(original)

2 .

.

,

,

. < >

.

( )

10 .

.

.

,

,

. ( )

.

. ( )

.

20

.

(Legal

Clinic Center) ( )

MOU .

.

,

.

,

.

( )

. ,

.

. 2015

( ) ,

.

(재)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저작권, 저작인접권, 저작인격권에 대해 강의하는 필자 모습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칼럼] 프랑스 예술영화관 지원 정책

글. 김성욱

시네마테크서울 수석 프로그래머

김성욱은 시네마테크서울아트시네마에서 프로그램디렉터로 일하면서 영화평론가로 글을 쓰고 학교에서영화 강의를 하고 있다.

영화와 영화관에 대한 시각 변화가 필요하다

사진 제공. 필자

영화는 1895년 뤼미에르 형제가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기차의 도착>을 처음 상영한 것에서 시작했다. 말하자면, 파리는 영화 탄생의 수도였다. 파리에서 영화가 대중적으로 공개된 이후 전 세계로 상영이 시작해 상설적인 영화관이 만들어진 것이 1905년의 일이었으니, 영화관의 탄생 또한 이미 11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기술의 발전과 산업의 다양화 등 사회적 요인의 변화로 영화관의 모습은 계속 변화해 왔고, 세기말에 시작되어 이제는 보편화된 멀티플렉스의 등장은 영화의 도시, 예술의 도시라는 파리의 영화관에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우리가 파리의 영화관에 여전히 주목하는 것은 산업뿐만이 아니라 영화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관객들과 영화관에 대한 정부의 공적 지원들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화 예술에 대한 사회적 합의

(Cinephile)

1920 .

,

,

. 1936

(La Cinematheque

Française)

.

1950 ,

. 1955

AFCAE(Association Française des Cinema

d Art et d Essai) ,

(Cinema d art et d essai)

. ,

, ,

.

, .

15% .

, ,

,

, .

100

, , , ,

. ,

.

.

프랑스와 한국의 영화관 생태계 비교

,

. ,

, 3

,

.

, 3

,

.

(Quartier

Latin) , 1960

.

,

. , 8 ,

8 45 , 45

.

(Centre National du Cinéma

et de l'image animée, CNC)

, 76% ,

12.9% , 11.1%

. ,

.

2013

5,588 , 2,025 ,

188 .

9.3% ,

38.9%, 40.8%, 59.6% .

279 ��

27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2,184

2,072 94.8% ,

( , ,

) 49 (

24 ) .

(33 )

.

38.9% 94.8%

,

.

(2013

) 374 150

, 89

. 500

, 1 2 7

.

460 ,

17 .

2

5 6 ,

,

.

작은 영화관들의 문화적 가치 인정

,

.

,

.

1946

CNC . CNC

, ,

5.5%, 2%, 11%

. CNC

,

파리의 한 극장 벽에 있는 랑글루아 그림. 극장주는 랑글루아가 유령이 되어 자기 극장에 영화를 보러 와 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림을 놓았다고 한다

.

(Soutien Automatique)

(Soutien Selectif) ,

.

CNC .

(l Agence pour

le Développement Régional du Cinéma)

1983 . ADRC

CNC

, ,

.

,

,

.

ADRC

, 1999

.

. ,

.

.

CNC

.

,

, 2002 40

.

, ( ,

) , 2010

.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칼럼] 장애 예술인 창작 활동의 사회적, 제도적 장벽과 개선 방안

글. 방귀희

솟대문학 대표, (사)한국장애예술인협회 회장

방귀희는 1957년에 태어나 돌 때 소아마비로 휠체어에 의지해 생활하며 일반 교육과정을 거쳐 숭실대학교에서 장애인예술을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 작가 31년, 솟대문학 발행인 25년의 경력 외에 대통령 문화특보,(사)한국장애예술인협회회장, 숭실사이버대학교특임교수 등의 활동을 하며장애인문화예술 전문가로자리를 굳히고 있다.

또 하나의 블루오션, 장애인 예술

사진 제공. 필자

.

.

,

.

,

.

.

.

(

) .

? .

.

( )

.

.

.

.

,

.

사회적 장벽

.

,

283 ��

28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

.

.

제도적 장벽

1981

.

,

,

,

.

.

.

(art worker)

, ,

.

.

(사)한국장애예술인협회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은 2014년 7월 18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문화상품 개발 및 장애인 문화예술 진흥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선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제3회 대한민국 장애인음악제(2013년 4월 20일)에 참여한 아티스트들

아래. 2012 장애인 문화예술축제 <에이블 아트 콘서트>에 참가한 아티스트들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칼럼] 소극장 운영 위기 개선을 위한 담론

글. 최윤우

연극평론가, 웹진 《연극in》 편집장

최윤우는 월간 《한국연극》 편집팀장을 역임했으며 주요 공연예술 매체에 글을 쓰고 있다. 웹진 《연극in》 편집장 및 공연예술 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일하고 있다. 현재 연극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대학로 소극장의 곡소리는 멈출 것인가?

( )

(?)

.

1981 ( )

(1984 ),

(1986 ), (1986 ),

(1988 ), (1987 ),

(1987 ) 80

1

.

( )

. 2007 ,

7

7star 1)

(

)

,

.

.

.

. ,

.

( ) ,

.

.

문화지구 지정 이후 소극장 증가 추이와

변화의 양상

.

2004

.

1) 2007년 8월, 상업주의와 자본에밀려 설 자리를 잃어 가는 현상을 타개하고자 7개의 소극장(가변무대, 글로브극장, 단막극장, 동숭무대 소극장, 우석레퍼토리 극장, 76스튜디오, 혜화동1번지)이 모여 소극장 네트워크인 문화공감그룹 7star를 창립 소극장의 활로를 모색해 보고자 했으나 1년 남짓한 활동 이후 이어지지 못했다.

필자 주

대학로 문화지구 관리 계획

287 ��

28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2004

. 2004 5 8

57 ,

2008 4 50

100 . 2009 2012

140

,

160 .

* 대학로 소극장 증가 추이

연도 공연장 수 비고

1981년–2004년 57개

2004년 이후 2015년 현재까지 약 100여 개 증가

2004년–2008년 110여 개소

2009년–2012년 140여 개소

2013년–2015년 160여 개소

2011 4 7

( 50

) 100

,

,

2004 10 100

.

(?) .

( )

1

.

* 공연장 시설 운영 시 용적률 완화

대상 지원 내용 지원 조건

권장시설 건물 소유자

주차 공간 완화 및 1층 추가 증축 가능

공연장 시설 운영 시

,

. ,

, , 50%

.

* 대학로 문화지구 내 조세 감면

대상 비목 지원 내용

*권장시설 용도 부동산 취득

취득세/등록세

50% 경감

권장시설 용도 도시계획세/재산세

50% 경감

건축물 및 부속토지

* 권장시설: 권장시설이라 함은 문화지구 지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설치가 권장되는 업종이나 용도의 시설을 말한다.

* 대학로 문화지구 내 융자지원

대상 비목 지원 내용

권장시설 건물 소유자

신축비/개축비/대수선비

5천만 원 한도, 비용의 80%까지 융자(연리 3%, 1년 거치 후 3년 균등분할 상환)

권장시설 운영자

시설비 5천만 원 한도, 비용의 80%까지 융자(연리 3%, 1년 거치 후 3년 균등분할 상환)운영비

.

,

,

.

, . 160

, ,

,

130 ,

60~70

.

,

.

.

.

.

, 2009 2012 , 140

,

.

( ) ,

,

,

,

.

,

. 2004

.

,

,

,

.

.

이것은 비단 소극장만의 문제인가?

.

. ,

, ,

,

,

.

.

,

2015

.

.

,

. ,

. 1

,

.

.

.

.

.

,

.

,

,

,

.

.

하우투

��

×

예술현장

노하우

하나

둘 셋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하우투] 매개자의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미술품 경매사

글. 김현희

서울옥션 경매사

김현희는 2003년 경희대학교사학과를 졸업하고 2005년에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수료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옥션에서 재직 중이며, 현재 경매사와 기획마케팅 팀장으로 활동 중이다.

사진 제공. 서울옥션

완벽을 완성하는 자의 집념

Q.

?

A. 2005

.

, 2005

11 .

.

.

.

,

.

Q. ,

.

A.

.

.

.

,

.

.

.

서울옥션 전두환 특별경매 현장

293 ��

29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VIP

.

.

Q.

?

A.

.

.

. ,

.

,

.

.

.

Q. ,

?

A.

.

, .

,

.

.

.

,

.

‘서울옥션 홍콩경매’를 준비 중인 필자(가운데) 모습

.

,

.

2006

,

.

.

20%

.

Q. ( )

,

?

A. 2011 2012

.

,

.

.

.

Q.

?

A.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하우투] 국제 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Ⅰ

글. 이희진

프로듀서그룹 도트 프로듀서

이희진은 프로듀서그룹 도트의 프로듀서로 한국 공연 단체의 공연투어 매니지먼트 및 해외 공동 제작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베세토 페스티벌의 국제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공연예술 해외 진출, 어떻게 할까?

,

.

.

.

. .

,

< >( )

.

.

2009

.

,

,

. ,

,

, -

< >

.

2014

.

, , ,

, ,

.

,

,

<

>, , , ,

< X 5>

.

한 호 합작 <쇼트 필름스(Short Films)>과 한 독 프로젝트 <더 월(The Wall)>

장르별 국제 교류 전문가로서 중요시하는 것‐ 나와 함께 작업하는 예술가는 어떤 국제 교류를 원하는가

2014

< > .

.

,

. < >

2010

,

(InKo Centre, )

.

.

2011 .

, ,

297 ��

29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

.

,

.

, , ,

,

, ,

6

.

, ,

5~10

,

.

,

.

,

,

. 2010

.

.

.

,

<바후차라마타> 포스터

.

,

<

> 2016 .

,

.

‐ 문화적 이해와 절충은 가능한가

2011 < >

.

.

.

.

,

.

.

.

.

< > .

,

.

.

,

,

.

,

30

.

,

.

,

.

, .

30

.

.

.

.

30 ,

.

<보이첵> 2010 이란투어

299 ��

29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

.

‐ 어떻게 국제 네트워크를 만들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제 행사를 어떻게 활용할까

,

.

( ) ( )

10 (PAMS)

.

.

,

, (Looking

for International Partner, LIP)

.

.

,

( ) .

. 2012

2014

(CINARS)

.

,

.

, 2013

< >

, 2015

< >

.

시나르 2014

.

(APAM),

(SPAF),

(TPAM),

(APAP)

, (IETM)

.

.

국제 교류 전문가로서

한국 공연예술 또는 시장에 대한 이상향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하우투] 국제 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Ⅱ

글. 김지명

안은미컴퍼니 제작감독

김지명은 퍼포먼스 공연 <델라구아다>를 시작으로 퍼포먼스, 뮤지컬, 오페라, 연극, 무용, 콘서트 등 다양한 장르에서 무대감독과 기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사업팀 제작기술감독으로 재직 중이며, 안은미컴퍼니, 음악그룹 비빙에서 제작감독으로 작업하고 있다.

무대감독에서 국제 교류 전문가로

출발점

.

.

,

[ (director)

(manager) ,

(stage manager)

( )

]

, (stage)

[ (set)

(scenery)] .

.

(1990 ),

.

< >

< >

.(

안은미컴퍼니 프린세스 바리 2013 파리 여름축제 공연

303 ��

30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전환점

10 ,

,

,

.

.

.

2008

,

.

.

,

.

.

.

(SM) (P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4 2008

.

.

.)

.

,

.

.

.

.

종착점

,

( < >)

,

.

,

.

.

, ,

.

.

.

.

.

.

.

.

.

,

,

.

비빙_폴란드 바르샤바 5 Flavors festival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하우투] 국제 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Ⅲ

글. 박지하

숨[su∶m] 연주자, 기획자

박지하는 피리와 생황, 양금 등 한국 전통악기를 바탕으로 음악을 창작하는 연주자다. 음악 그룹 숨[su∶m]의 대표이자 프로듀서로 연주와 기획을 겸하고 있다.

열혈 기획자? 낑낑대는 자립 음악가!

국제 교류에 관한 원고 청탁을 받고 글을 쓰게 되었다. ‘국제 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보다는 ‘낑낑대는 자립 음악가’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겠다. 황당하겠지만 해외 진출이라는 구체적 계획, 목표는 없었다. 단지 내가 만든 음악을 다양한 무대에서 연주함으로써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스로 무대를 찾아야 했다. 음악인에게 무대는 끼니다.

필자가 이끌고 있는 음악 그룹 숨[su∶m]은 2007년 두 연주자로 시작했다. 지금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 활동도 많아졌지만, 이 자리에 오기까지는 창작 국악을 장려하는 국내의 여러 사업, 음악 레지던시 프로그램, 신진 예술가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하는 문화재단 혹은 극장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 큰 동력이자 자양분이 되었다.

기회란 그저 기다리면 오는 것은 아니었다. 음악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고 형성되는지, 그룹의 활동에 어떤 사업이 필요한지, 또 시기적으로 적절한 작업이 될 수 있는지, 항상 예의 주시하며 정보를 수집했다. 감사하게도 한국 전통음악을 베이스로 한 콘텐츠에 관해서는 많은 기회가 열려 있었고 필자는 그런 기회들에 꾸준히 도전했다.

다양한 만남으로 이어진 ‘2011 서울아트마켓(PAMS)’, ‘2012 울산월드뮤직페스티벌’

2011

(PAMS) .

( ) ( )

(PAMS)

,

, .

[su∶m]

.

.

!

.

307 ��

30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CD .

.

.

.

.

(Earth Beat)

(Jerome Williams) .

[su∶m]

[su∶m]

.

2012

.

2013

(SOTX, Sound of The Xity)

.

, - (ARKO-PAMS) (

)

.

.

(pub) .

[su∶m]

[su∶m]

. ,

.

,

.

(WOMEX, the World Music Expo)

.

Great! ,

.

.

(Cinemasia Festival)

7 (EFWMF)

(WOMAD Charlton Park Festival) ,

(Sfinks

Mixed Festival)

.

2014 Sfinks Mixed Festival

10 5 10

. , , ,

,

[su∶m] .

.

.

.

2014 유럽 투어 단독 공연과 투어 중 네덜란드 VPRO 방송 촬영

8

, 9

.

2013 WOMEX

2013 워멕스 공식 쇼케이스 무대에 서다 ,

[su∶m]

. 2013

. [su∶m] ,

.

. [su∶m]

.

.

.

.

. ,

.

[su∶m]

.

,

.

,

BBC

.

.

2014 4

309 ��

30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2014

.

북미 음악 시장을 향한 첫걸음, 2015 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SXSW)2015

. 2014

(MU:CON)

.

1:1

(SXSW)

(James Minor)

.

.

2015

1

[su∶m]

. [su∶m] 3

.

2015

3 13~22 ,

.

(International Day Stage) ,

[su∶m]

(The Residents)

. [su∶m]

,

,

.

.

.

.

2015 SXSW

3 , 43

. 2012

(Kwok-wan So) .

[su∶m] :

.

,

.

[su∶m] 2015

. 9

. 10

, , 13

. 11

(MIMO Festival) .

[su∶m]

.

. 2013

, (Bang on a Can),

(Found Sound Nation)

(One Beat

2013)

.

25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하우투] 신뢰에 기반 한 기부, 공감을 통한 모금

글. 장진민

(주)이음스토리 이사

장진민은 ㈜이음스토리이사이자 한남대학교겸임교수이다.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나눔부에 근무한적이 있으며, 현재(재)예술경영지원센터 재원조성 전임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요?”

“모금을

“모금을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요?” 많은 예술 단체를 만났을 때 듣는 질문이다. 유사한 질문으로는 “어떻게 하면 사랑할 수 있을까요?” 혹은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할 수 있을까요?” 등이 있다. 모두 질문에 대한 대답이 개별적이고 몇 마디 말로 충족되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리고 모든 질문자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정답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도 궤를 같이한다. 다만, 이 땅 위에서 노력하지만 빈번이 열악한 환경에 직면하는 예술 단체에게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모금의 명분 개발

,

?

,

.

.

.

.

. (value)

(cause) ,

.

.

.

,

.

.

(mission) (vision) ,

(fundraising program) .

,

.

( ).

( ),

( ).

( ).

( )

( ) .

.

모금을 위한 준비 과정

.

.

제도 환경

.

(asking) .

1

/

.

.

( )

.

.

1

ARKO

313 ��

31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legitimacy)

.

내부자원 개발

.

,

.

, ,

,

.

.

.

.

, CMS, ,

.

/ ,

.

잠재 기부자 타기팅

.

.

.

1

.

.

.

2015 예술경영아카데미 LINK 모금스쿨

.

.

. PPT

PPT

.

,

.

.

.

.

,

.

, (Kim

Klein) .

,

.

.

.

. ,

.

.

.

.

, ,

.

.

.

,

.

모금 기획

,

.

(breaking), (impact),

(legitimacy) .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하우투] 스폰서십을 위한 전략 수립

글. 오승환

NS스튜디오 사업개발 실장

오승환은 연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쓰리엠(3M Korea)에서 3년간 마케팅 업무를 하다, 평소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던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전문적인 스폰서십 영업 분야에 뛰어들었다. 03~04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문화 마인드와 비즈니스 마인드를 접목, 성공적인 문화마케팅 사례를 다수 창출하여 주목받았다. 이후 활동 무대를 전 세계로 넓혀 세계 최대 E-sports 대회인 월드사이버게임즈 (WCG)에서 8년간 글로벌 스폰서십을 담당하였고, 현재 게임 개발사인 NS 스튜디오에서 해외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성공적인 스폰서십 DNA 이식을 위한 기본 준비

얼마 전 요청에 따라 문화예술계 모임에서 특강을 진행할 때, 사회자는 “스폰서십은 아마도 많은 수강생들이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어렵게 생각하는 부분”이라고 하며 강사인 나를 소개해 주었다. 나는 강의를 시작하면서 “여러분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아마도 스폰서십이 지금 하고 계신 활동과 가장 동떨어진 영역이어서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쩌면 DNA가 가장 다른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라고 했다. 성공적인 스폰서십을 진행하기 위한 DNA는 어떤 것인지 이 글에서 풀어 보도록 하겠다.

스폰서십의 정의

2003

.

, .

.

,

.

, , ,

,

.

스폰서십을 추진해 보자! ?

,

,

?

,

,

5

? ,

, ?

DNA .

자기 콘텐츠에 대한 충분한 이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7 ��

31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잠재적 브랜드에 대한 충분한 이해

PPL

2

,

?

(

)

.

,

, , ,

.

, ,

,

,

,

/

.

,

.

콘텐츠와 잠재적 브랜드의 접점 찾기

, 2

.

.

, ,

WCG 2013 그랜드 파이널 주무대 로고출처: WCG 2013 그랜드 파이널 포토월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현장사진 제공. BiFan 페이스북

DNA

( ,

, ,

, ),

( ,

, ,

), (

, , , ,

) 3

,

.

, VIP

,

.

,

,

, ,

,

.

,

.

,

,

.

,

PR

.

3 DNA

.

• 2

, /

,

( )

(

, , ,

)

,

이. 상

. 공간

문화와

삶이

흐르는

공간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이.상.공간]

글. 안태훈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안태훈은 연극 이론을 전공하고 연극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끝까지 간다”

강릉 ‘신영극장’

대구 ‘오오극장’

한 시간 관리 전문가가 경영학과 학생들을 상대로 한 ‘항아리에 돌 채워 넣기 실험’을 생각해 본다. 큰 돌 사이사이를 채워 나가는 자갈과 모래에서 자투리 시간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할 줄 알았더니, 큰 돌을 채우지 않으면 자갈과 모래를 채울 수 없으므로 각자 인생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그 우선순위에 맞춰 나의 시간 계획은 수립되었는지 성찰하라는 일화 말이다. 무엇을 경영하든 효율, 관리 편의성, 경제적 가치에 함몰되어 빈틈을 채우는 데 급급한 것이 아니라, 경영의 본질과 철학이라는 큰 줄기를 먼저 세우라는 깨달음이다. 그렇다면 이 이야기를 예술경영적 관점에서 접근하면 어떨까? 예술과 경영이라는 길항 관계의 두 질료로 만들어진 항아리 속을 먼저 채워 나갈 큰 돌들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일까?

이는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 대구 독립영화전용관 ‘오오극장’을 취재하고 난 뒤, 필자에게 주어진 질문이었다. 사실 예술영화 전용관뿐만 아니라, 이런 종류의 예술 공간 운영은 누가 해도 힘에 부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방만한 경영을 탓하는 것이 아니라, 요즘 시대의 경영 논리에 반(反)하는 철학으로 세워진 공간이기 때문이다. 왜 이 공간들은 그 자리를 끝까지 지키려는 것일까? 대답은 “우리가 이 영화들을 상영하지 않는다면, 영화 지역 문화 생태계는 과연 어떻게 되겠는가?”라는 각오였다.

이름을 뭐라고 짓든 우릴 ‘신영극장’이라 부를 것이다 ‐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

2011 ,

,

.

, 10

80

. ,

.

?

. 2012

5

. ,

.

.

,

.

, 1996

,

.

,

,

?

.

신영극장은 ‘나는 주인이다’라는 좌석 후원제를 비롯해 다양한 회원제로 운영되고 있다

숫자의 의미

3 2014 ,

1 . 5,000 1,000

, 5%

.

1

.

, . ,

,

, ,

,

? .

SNS

323 ��

32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SNS

.

40

.

.

,

. 5

,

. ,

.

,

.

하지만 재밌다

,

, ?

. . ?

. ,

.

.

,

.

.

. ,

?

.

.

.

.

.

,

신영극장 매표 데스크와 로비 모습. 극장에 비치된 DVD들은 후원금을 통해 구입한 자료이므로, 회원이라면 누구든 빌려 갈 수 있다고 한다.

대구 오오극장 카페와 로비 모습사진 제공. 대구 오오극장

,

2 11 5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간 운영 지원이 공간의 운명을 좌우한다? 안태훈

?

박광수 ,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

여기, 독립영화 상영관 맞아요? ‐ 대구 오오극장

1

,

325 ��

324×

.

최태규 2 ,

9 .

,

.

,

. 1

. ,

,

, ,

.

.

,

.

. .

,

.

상영관 의자 등받이에 박혀 있는 오오극장 로고. 저 위치에 박은 이유는 멀티플렉스 극장 로고가 박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안태훈

. ,

.

최태규

. ,

.

,

.

.

협동조합 운영은 지역 독립영화 제작, 상영 문화의 자생력을 위한 밑거름

안태훈

,

.

최태규 ?

.

.

.

, ,

,

.

. ,

.

안태훈

?

최태규

.

,

.

.

안태훈

.

최태규

.

.

,

.

. .

안태훈

,

[이.상.공간]

글. 곽봉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곽봉재는 경희대학교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다.현대시를 전공했으며사는 곳에서 마을인문학공동체 ‘문탁네트워크’의운영위원으로 참여하고,학교에서는 ‘시민교육’을가르치고 고민하며,‘이ㆍ문ㆍ협’에서는 사업감사로 함께 조합 활동에참여하고 있다. 세상이 사람을사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세상을 사는 시절을 위해사유하고 실천하고자 교수와학생이 함께하는, 경희대학교실천교육센터 ‘품’의운영진으로 주로 활동 중이다.

사진 제공.

이웃문화협동조합

삶의 가치를 만들어 가는 우리 동네 쉼터

수원 제작놀이공간 ‘다시’

327 ��

32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 ㆍ ㆍ

.

ㆍ ㆍ

.

화성 성벽 위에서 바라본 제작공간 ‘다시’ 전경

복합문화공간을 꿈꾼다

,

.

,

,

.

.

,

2

.

. ㆍ ㆍ

.

,

ㆍ ㆍ

.

,

제작놀이공간 ‘다시’는 수원시 지동마을 도시재생사업 과정에서 버려진 건축 자재를 활용하여 탄생한 공간이다. 마을이 간직한 근현대 유산을 기록하면서, 지역 복합 문화 커뮤니티를 지향한다. 숨 돌릴 시간도, 공간도 넉넉지 못한 일상. 건강한 생산과 소비가 이뤄지는 제작 공방을 추구하는 제작놀이공간 ‘다시’는 ‘아기자기함’과 ‘소소한 재미’를 추구하는 동네 쉼터다.

경계에 자리 잡다

.

100

.

,

( ㆍ ㆍ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간 탄생 과정(시계 방향순으로)

도시의 중심을 세우는 제작놀이

.

.

.

,

.

,

,

,

.

.

1

ㆍ ㆍ ,

1 2

.

.

, ㆍ ㆍ

ㆍ ㆍ ( )

.

.

동네 주민 및 가족들이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다. 도예 워크숍

재생은 창조를 통해 지속 가능하다

(

111 55)

.

.

,

,

.

,

.

.

.

.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이.상.공간]

글. 김영훈

예술의전당 무대감독

김영훈은 인문계 고등학교의이공계열에서(예술대학으로진학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경로인) 한국예술종합학교미술원 건축과에 입학하여공부했다. 재학 중 음악, 무용,연극, 영상, 미술 등 다양한분야의 예술을 경험했고 현재예술의전당에서 무대감독으로근무하고 있다. 많은 예술가와기획자를 만나며, 올바른예술경영은 현장에 대한이해로부터 나온다는 진리를터득하는 중이다.

사진 제공.

박창현(Chad Park)

균형을 만드는 공간

연남동 문화공간, ‘플레이스 막’

.

.

.

막사가 위치한 연남동 동진시장

.

,

.

< >

.

< >

.

플레이스 막(place MAK) 사진 제공. 플레이스 막

.

플레이스 막과 막사는 그대로 막장이다. 지금 바로(막) 무엇인가 마구(막) 펼쳐질,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도시 환경이 변하면서 중 상류층이 도심의 주거지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주거 비용이 상승하면서 비싼 월세 등을 감당할 수 없는 원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밀려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R. Glass)가 노동자들의 거주지에 중산층이 이주를 해 오면서 지역 전체의 구성과 성격이 변하는 것을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했다. 지주계급을 가리키는 젠트리(gentry)가 접두사로 쓰인 것은 근대 자본주의 초기의 인클로저(Encloser) 운동에 따라 영국 지주들이 대량의 양모 생산 및 대규모 공업화 농업을 위해 자영 농민을 울타리 바깥으로 몰아낸 것과 흡사한 과정을 밟기 때문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우선 임대료가 저렴한 도심에 독특한 분위기의 갤러리나 공방, 소규모 카페 등의 공간이 생기면서 시작된다. 이후 이들 상점이 입소문을 타고 유명해지면서 유동 인구가 늘어나고, 이에 대규모 프랜차이즈가 입점하기 시작하면서 임대료가 치솟게 된다. 그 결과 소규모 가게와 주민들이 치솟는 집값이나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동네를 떠나게 되고, 동네는 대규모 상업 지구로 변화된다. 2000년대 이후 서울의 경우 종로구 서촌을 비롯해 홍익대 인근, 망원동, 상수동, 경리단길, 삼청동, 신사동 가로수길 등에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연남동 동진시장, 그리고 ‘플레이스 막’

1970 .

.

.

,

.

.

.

. .

, ,

.

331 ��

33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있다. 예술 공간을 다소 불편하게 여기던 기성세대에게는 감상을 대화로 풀어내며 작품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었고, 아이들이나 청소년들에게는 전시 공간에 대한 이질감의 박탈과 학교 밖 배움의 공간으로 꿈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 .

.

.

.

.

.

.

.

.

막(幕)을 올릴 수 있는 장(場), 막상(막) 전시를 보러 가면 이미 형성되어 있는 어떤 막(膜)에 현기증을 느끼는 대중들을 위해 플레이스 막과 막사는 순수하고 거침없는 막(幕)을 올릴 것이다. 막은 이런 성향을 지녔다. 주저 없고, 거칠지만 대중이 자진해 걷어치울 수 있는 막이 되고자 한다. 막을 걷어 안을 들여다보곤 그곳에서 그들의 예술적 수많은 양상을 찾아 꺼낼 수 있게 하는 것. 그것이 우리 플레이스 막과 막사의 미션이다.

대중들과 예술을 나누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예술계는 동인끼리의 장, 잔존해 있는 엘리트주의, 많은 문화예술 소외지역 등의 모순을 가지고 있다. 예술 소외에 익숙해진 사람의 단기적 허세 의식을 채우기 위한 미술 서비스로 공간도 관람객들의 풍부한 감상의 폭도 쇠퇴해 버렸다. 플레이스 막과 막사는 앞서 이야기한 것들에 대해 대안적인 의의를 갖는다. 연남동이라는 주거지역을 연고지로 삼으면서 예술 불모지에서의 부족한 예술 향유를 해소하는 역할이라는 중요한 임무를 갖게 되었다.

2010년 6월부터 시작된 플레이스 막과 막사는 다채로운 기획 전시와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채워 나가고

.

.

도시의 건강한 긴장과 균형을 향하여

.

,

,

.

(Jane

Jacobs)

.

20 , ,

19

,

,

, .

.

.

.

( )

.

,

.

20 21

. ,

,

.

.

.

그곳에 들어가지 않고 지나가는 이에게 도시가 이런 모습이라면, 그 안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사람에게 도시는 저런 모습이 될 겁니다. 그건 처음으로 도착하는 도시일 수도 있고 한 번 떠나면 영영 돌아오지 않을 도시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각각의 도시는 모두 다른 이름을 가질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어쩌면 제가 이미 다른 이름으로 이레네 이야기를 했는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저는 이레네밖에 이야기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Italo Calvino)

.

.

.

.

.

정보창고

지혜를

나누는

곳간

��

×

335 ��

33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89 0115 2015 예술계에 바란다 ① 전통예술

진지하고 실천적인 고민으로 전통예술 생태계 진화를 기대한다 김희선_국민대 글로벌 한국학 전공 교수

2015 예술계에 바란다 ② 공연예술

편향된 양적 팽창보다는 공정한 창작 지원이 이뤄지길 김일송_《씬플레이빌》 편집장

290 0122 2015 예술계에 바란다 ③ 시각예술

명품보다 미술품 사는 문화 만들고, 예술가가 직업이 이규현_이앤아트 대표, 아트마케터

되는 데 힘 실어야

2015 예술계에 바란다 ④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은 소통을 통해 만들어져야 한다 손상원_(주)이다엔터테인먼트 대표

291 0129 2015 예술계에 바란다 ⑤ 국제교류

문화예술 국제교류 도약기에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 김석홍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정책사업팀

2015 예술계에 바란다 ⑥ 한-불 상호교류의 해

문화예술 국제교류 미래전략의 이정표가 되기를 주재연_(주)난장컬쳐스 대표

296 0312 좌담_예술영화전용관의 과거, 현재, 미래

공간의 자생력은 어디서 나오는가? 송경원_《씨네21》 기자

298 0326 국내 오케스트라 단체의 운영 현황 및 효율성 증대 방안

관객의 마음을 먹고 사는 거대한 생명체, 오케스트라 송현민_음악평론가

300 0409 SNS로 날아온 열혈 독자들의 돌직구

만족보다 치열한 성찰을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발행축전

격려와 분발을 위한 메시지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숫자로 보는 《weekly@예술경영》

8년 차 예술경영 전문 매체의 발자취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04 0507 근로자의 날, 예술경영인들의 하루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삶과 직업을 사랑하는 이유 김미지_이웃문호협동조합 기획홍보팀장

305 0514 좌담_예술행사 평가의 기능과 효과 Ⅰ

예술지원에 대한 파수꾼 ‘평가사업’ 정주연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조사평가팀

좌담_예술행사 평가의 기능과 효과 Ⅱ

개별 행사들의 차별성과 독창성을 고려해야 정주연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조사평가팀

평가전문가의 예술축제 관람법

평가 씨의 하루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조사평가팀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306 0521 좌담_공연예술 분야의 경제적 효과 분석은 가능한가? Ⅰ

공연예술의 경제적 가치, 무엇으로 측정할 수 있나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좌담_공연예술 분야의 경제적 효과 분석은 가능한가? Ⅱ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의 고민 필요해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공연예술실태조사 2007~2015

무형적 산물의 유형화 김인직_(재)예술경영지원센터

경영기획실 전략기획팀

미술시장실태조사 2007~2015

미술시장을 바라보는 거울 조소현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조사평가팀

310 0618 (재)예술경영센터 해외진출 지원사업 10년 성과와 비전 안주은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장

좌담_세계 속 한국음악의 미래를 위해Ⅰ

해외진출, 그리고 그 후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좌담_세계 속 한국음악의 미래를 위해Ⅱ

예술가, 예술단체들이 바라는 실질적 지원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15 0723 칼럼_예술경영 컨설팅의 미래 10년을 전망하다

예술경영 컨설팅,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의 성장기 이경모_ Incubator 대표

예술경영컨설팅 전임 컨설턴트

현장인_설동준 정가악회 운영실장

이상과 현실 사이 접점을 찾는 원칙주의자 남은정_상상놀이터 콘텐츠 기획실장

웹툰_예술경영 컨설팅

절대적이면서 상대적인 예술경영 노하우 백과사전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하우투_예술경영 피어컨설팅 – 모아 모아 노하우!

해외 공연/전시/행사를 위한 입출국 시 사전조치?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16 0730 한국 공공 무용단의 단체 운영 및 공연 프로그래밍 현황

보수적 관점 탈피와 자기 변화 요구 김채현_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321 0903 2015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콘퍼런스

원 아시아 마켓의 필요성과 전망 발제_김병석 전 CJE&M 공연사업부문 대표특집

특집

337 ��

33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322 0910 연대를 통해 예술적 정체성 찾는 아시아 문화예술씬 I

오지에서 아시아 예술 중심으로 탈바꿈한 ‘도가 연극촌’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연대를 통해 예술적 정체성 찾는 아시아 문화예술씬 II

마카오 환경극장, 도시 전체를 무대로! 장혜원_국립안동대학교 교수

연대를 통해 예술적 정체성 찾는 아시아 문화예술씬 III

인도네시아 현대미술을 이끄는 주요 아트스페이스들 전정옥_큐레이터, 인도네시아 수르야대학 강사

연대를 통해 예술적 정체성 찾는 아시아 문화예술씬 IV

‘베트남스러운’ 독립예술공간 편형미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국제교류팀

323 0917 아트 페어의 새 유형이 가져올 한국 미술시장 변화 I

아시아 아트 페어 현황과 공동 발전 방안 서진수_강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아트 페어의 새로운 유형이 가져올 미술시장 변화 II

아트 페어 밖 아트 페어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25 1001 2015 서울아트마켓 미리보기

‘확장과 연결’ 주제로 아시아 공연예술의 창을 열다 강일중_공연칼럼니스트

2015 서울아트마켓 활용법 Ⅰ – 국내 참가자편

나의 팸스 다이어리 이수진_공연칼럼니스트

2015 서울아트마켓 활용법 Ⅱ – 예비 예술경영인편

예술경영인이 되기 위한 실천의 4시간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327 1015 서울아트마켓 ‘라운드 테이블' Ⅰ

기획자와 예술가의 소통법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서울아트마켓 ‘라운드 테이블' Ⅱ

국제공동제작, 어디까지 왔는가?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2015 예술경영 잡페어 참가기

예술경영 전문 인력을 위한 Do & Don’t 김정이, 백설아

331 1112 제주도 문화예술 현장과 관광자원 I

제주 문화예술과 관광자원의 공생 김지혜_독립큐레이터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II

제주에 부는 다양한 문화예술의 바람들 백용성_아트세닉 디렉터

제주도 문화예술과 관광자원 III

면세특구와 예술시장 정준모_문화정책, 미술비평가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335 1210 좌담_2015 작가미술장터 Ⅰ

대안적 아트마켓으로서의 ‘작가미술장터’, 그것을 묻다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좌담_2015 작가미술장터 Ⅱ

‘작가미술장터’의 성과와 개선점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37 1224 2015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세션1. 예술산업이란

예술산업의 개념과 발전 전략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2015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세션1. 예술산업이란

예술산업의 의미와 구조 정리_≪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38 1231 2015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세션1. 예술산업이란

문화예술산업 생태계 분석 정리_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2015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 세션1. 예술산업이란

예술산업의 가능성과 한계 정리_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특집

특집

339 ��

33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89 0115 극장 라인업으로 전망하는 2015년 공연계

을미년(乙未年),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기대 김미지_이웃문화협동조합 이음새

298 0326 오케스트라 전용 공연장 건립은 필요한가

시민들이 사랑하는 콘서트홀은 누가 만드나? 양창섭_음악칼럼니스트

304 0507 5월 주요 극장 라인업

가정의 달, 온 가족과 극장에 가자 김나볏_《뉴스토마토》 기자

321 0903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 행사 톺아보기

아시아의 문화 창조와 지식 교류 허브를 꿈꾸다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26 1008 캐나다 몬트리올 경영대학 주최 ‘올해의 예술경영인상'

문화로 도시 정체성 살리려는 캐나다의 가치관 박신의_경희대학교 예술경영학과 교수

328 1022 2015 전국생활문화제 프리뷰

‘생활문화동호회’가 피우는 문화의 꽃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32 1119 2015 예술경영 컨퍼런스 리뷰

전문예술법인ㆍ단체, 스스로 해결책을 찾다 김미라_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문화예술부장

2015 예술경영 우수사례

이상(理想)이 현실이 되는 예술경영의 힘! 김민후, 성가영, 목홍균

2015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 마켓&포럼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의 지속가능한 지원 모델 김태진_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예술후원센터 팀장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88 0108 소리의 기록, 평창아라리 아카이빙

소리의 기록은 진행형이다 황보유미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공연유통팀 팀장

291 0129 예술과 저작권

저작권법의 목적은 ‘문화의 향상발전’에 있다 홍승기_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임교수

293 0213 북한의 공연예술 환경

북한에서 공연예술은 어떻게 제작, 유통되는가 박영정_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294 0226 팟캐스트(Pod Cast)를 통한 공연 유통과 관객 개발

플랫폼 변화의 노력, 스튜디오뮤지컬 고은령_스튜디오뮤지컬 대표

295 0305 청년예술가의 일자리 부족 현황과 개선 방안

“형 꿈이 4대 보험이었어?” 이용관_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인재양성부 주무관

296 0312 프랑스 예술영화관 지원 정책

영화와 영화관에 대한 시각변화가 필요하다 김성욱_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298 0326 해외 오케스트라 단체의 지휘자 선정과 작품 개발

단원들의 자유로운 참여가 보장되는 오케스트라 이장직_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특임연구원

301 0416 장애 예술인 창작 활동의 사회적, 제도적 장벽과 개선 방안

또 하나의 블루오션, 장애인 예술 방귀희_솟대문학 대표, 문화융성위원회 위원

302 0423 소극장 운영 위기 개선을 위한 담론

대학로 소극장의 곡소리는 멈출 것인가? 최윤우_연극평론가, 웹진 《연극in》 편집장

308 0604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 참가기 – 벨기에

유럽 거점 한국 문화 전문가로의 기지개 김미린_주벨기에 한국문화원 공연/

행사파트 팀장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 참가기 – 나이지리아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소통하다 지미연_주나이지리아 한국문화원

문화기획 전문 연구원

311 0625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 Ⅰ

경제지표와 인구, 국가 투자, 그리고 네티즌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 Ⅱ

인프라 건설과 문화 소비, 그리고 정책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313 0709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Ⅰ

음반시장 및 온라인 음악시장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Ⅱ

무선 음악시장 외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이슈

칼럼

341 ��

340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314 0716 이론과 현장을 잇는 CoP(Community of Practice)Ⅰ

상수 523–1과 스페이스 루바토 성연주, 김윤애, 권효진

이론과 현장을 잇는 CoP(Community of Practice)Ⅱ

APPS Korea, TAM fest와 슬로러쉬 서상혁, 백병철, 채은영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Ⅰ

공연시장의 규모와 동향 파악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Ⅱ

장르별 공연시장의 특성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316 0730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Ⅲ

음악공연의 유형 및 시장 규모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Ⅳ

근검절약 정책 이후의 공연산업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318 0813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예술품시장Ⅰ

예술품시장의 구조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예술품시장 Ⅱ

예술품시장의 유형별 특징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319 0820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예술품시장Ⅲ

중국 예술품시장 거래 동향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예술품시장Ⅳ

중국 예술품시장 규모 및 주요 정책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320 0827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문화기업들의 운영 실태Ⅰ

중국의 주요 문화기업 시장 동향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문화기업들의 운영 실태Ⅱ

중국 문화기업의 상장과 인수합병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321 0903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관련 정책Ⅰ

중국 문화산업의 중점 추진 정책 외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관련 정책Ⅱ

2.0시대의 문화산업단지 모델 외 유재기_(사)한중문화예술포럼 회장

324 0924 현대미술 스타를 만드는 숨은 권력

문화산업 시스템의 ‘스타 작가’ 만들기 서정임_《weekly@예술경영》 에디터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88 0108 김달진 한국아트아카이브협회장

미리 그려보는 2030년 한국의 아트 아카이브 황정인_《미팅룸》 편집장

295 0305 김명수 국립중앙극장 하우스매니저

스펙보다 인성을 먼저 갖춰라 김경래_공연기획자

297 0319 인재진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예술감독

공무원은 외계인이 아니다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린다 크룩스(Linda Crooks)

영국 트래버스 극장(Traverse Theatre) 총괄 프로듀서

트래버스는 왜 국제적 협업에 매진하는가? 이단비_극단 고래 드라마투르그, 번역가

299 0402 라비 므루에(Rabih Mroue)

배우, 연출가, 작가, 미디어아티스트

예술이지만 현실이고, 연극적이면서 정치적인 것 김슬기_공연저술가

301 0416 이종덕 충무아트홀 사장

1세대 예술경영인을 만나다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04 0507 김이삭 헬로우뮤지움 관장

어린이도 예술을 향유 할 수 있다 안태훈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307 0528 필립 바이터 워커아트센터 시니어 큐레이터

예술가를 뒤따르고 관객과 마주하는 우리 시대의 큐레이터 구효진_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커뮤니케이션팀장

푸 웨이보 중국국가화극원 운영센터장,

샤오 저후이 베이징 청년연극제 연출가

민간 플랫폼을 통한 중국 공연예술 생태계의 변화 장혜원_국립안동대학교 교수

311 0625 강선애 하우스콘서트 수석 매니저

세계로 뻗는 하우스콘서트에는 그녀가 있다 송현민_음악평론가

324 0924 예술경영 사람들 I: 이철순 양평군립미술관 관장

“미술관은 철학과 원칙이 있어야 한다” 임학순_가톨릭대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326 1008 예술경영사람들 Ⅱ: 최광일 (사)한국공연관광협회 회장

10년 주기로 확장해 온 예술 기획의 영역 김경훈_(주)예감 대표

327 1015 리 동(Li Dong) 중국국가화극원 국제교류센터장

“새로운 콘텐츠의 교류와 합작으로 저변을 넓혀가길 기대한다” 이희진_프로듀서그룹 도트 프로듀서

328 1022 남인우 연출가, 극단 북새통 예술감독

예술적 발산의 틀을 제한하지 말고 무너뜨리길 김미지_이웃문화협동조합

한지영 무용동작심리치료사, 힐링모션 대표

내가 누구와 무엇을 할 때 유능한가 이가원_연극치료사

칼럼

현장

+人

343 ��

342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329 1029 프랑스와 콜베르 예술경영학자

캐나다 예술 현장과 함께한 예술경영의 자취 박신의_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예술경영사람들 Ⅲ: 정민룡 광주 북구 문화의집 관장

똘똘이 스머프, 문화 기획의 다리를 놓다 전고필_전 대인예술시장프로젝트 감독,

독립기획자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송현민 음악평론가

동시대 예술 현장의 파수꾼 김선영_월간 《객석》 기자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세종문화회관 공연기획 PD 이지향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길은 열린다 김미지_이웃문화협동조합

330 1105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황정인 큐레이터, 《미팅룸》 편집장

비전은 한 발자국 더 가려고 노력했을 때 거기 있는 것 주혜진_인터파크 웹진 《북DB》 기자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김혜진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조사연구팀장

매 순간의 진심이 더해져 오늘이 된다 남은정_공연 프로그램 디렉터

331 1112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전우공 미스터 브라스 대표

하니까, 되니까, 하게 된다 허영균_출판사 ‘1˚C’ 대표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성하영 뮤직인큐베이터 대표

될 만한 것은 누구나 하기 때문에 성공하기 힘들다 이가원_연극치료사

332 1119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장정아 대구문화재단 문화사업부

예술 전공, 변화의 연결 고리를 찾아서 김슬기_공연저술가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김현아 국립발레단 홍보마케팅팀 팀장

사람과 예술 사이의 매개자 김선영_월간 《객석》 기자

333 1126 예술경영사람들 Ⅳ: 안호상 국립중앙극장 극장장

한국 극장경영 진화의 선두에 있는 사람 이용관_(사)한국예술경영연구소장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이희문 소리꾼, 이희문컴퍼니 대표

자기 밥그릇 만들기 김슬기_공연저술가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박귀섭 사진가

남들과 다른 걸 프레임하라 황보유미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공연유통팀 팀장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334 1203 예술경영사람들 Ⅴ: 이승욱 플랜비 문화예술협동조합 상임 이사

‘촌스런’ 지역 문화의 진가를 밝히는 청년(!) 문화기획자 추미경_(사)문화다움 대표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이기쁨 연출가, 창작집단 LAS 대표

연극은 만드는 사람이 가장 즐거워야 한다 전강희_공연칼럼니스트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최보윤 조명 디자이너

신뢰가 쌓이는 시간을 견디는 것 김슬기_공연저술가

335 1210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이홍이 번역가, 드라마투르그

나를 발견하는 즐거움 허영균_출판사 ‘1˚C’ 대표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김현옥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 연구수집부 학예사

오래된 미래를 모으는 사람 허영균_출판사 ‘1˚C’ 대표

336 1217 예술경영사람들 Ⅵ:

오성화 서울프린지페스티벌 대표, 임인자 변방연극제 전 예술감독

전방으로서의 ‘변방’, 주체로서의 ‘프린지’ 강윤주_경희사이버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이경성 연출가, 크리에이티브 VaQi 대표

연극, 자신과의 끊임없는 대화 전강희_공연칼럼니스트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유영봉 연출가, 극단 서울괴담 대표

괴담 찾아 서울을 떠도는 세계적인 마을 총각 오세혁_천하극단 걸판 작가, 연출, 배우

337 1224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윤민철 미디어 디자이너

지금의 현실이 곧 미래인 것은 아니다 김슬기_공연저술가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김지명 무대감독

‘관계’가 나를 필요로 할 때가 있다 김슬기_공연저술가

338 1231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박경린 독립 큐레이터

미술이 새로운 세계를 여는 순간 유정미_독립예술웹진 《인디언밥》 필진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데이트: 양지윤 코너아트스페이스 디렉터

대안공간부터 미술관까지, 큐레이터 분투기 탁영준_전 월간 《아트인컬처》 기자

현장

+人

현장

+人

345 ��

344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90 0122 2015 센터스테이지코리아 신청 방법 및 혜택

체계적 해외진출 준비, 센터스테이지코리아 정선경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

292 0206 국제행사 참가지원 100% 활용방법

해외 진출을 위한 첫 걸음마, 국제행사 참가지원으로부터 김은희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장개발팀

2015년 상반기 주요 문화예술 지원사업 총정리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 안태훈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303 0430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이용가이드

이용 편의성, 정보 정확성을 개선하여 재탄생 김현진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예술정보팀 팀장

예술 유통의 보이지 않는 손 – 고미술 스페셜리스트

스페셜리스트의 ‘스페셜’은 무엇으로 완성되나? 이보름_서울옥션 미술품경매팀

한국 고미술 스페셜리스트

매개자의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미술품 경매사

완벽을 완성하는 자의 집념 김현희_서울옥션 경매사

307 0528 현대미술계 주요 제도

갤러리, 아트페어, 옥션, 미술관, 대안공간 김인선_윌링앤딜링 대표

현대미술계 주요 직업

큐레이터, 전시코디네이터, 레지스트라, 아키비스트 외 김인선_윌링앤딜링 대표

309 0611 국제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Ⅰ

공연예술 해외진출, 어떻게 할까? 이희진_프로듀서그룹 도트 프로듀서

국제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Ⅱ

무대감독에서 국제교류 전문가로 김지명_안은미컴퍼니 제작감독

국제교류 무대의 열혈 기획자들 Ⅲ

열혈 기획자? 낑낑대는 자립 음악가! 박지하_숨[su∶m] 연주자, 기획자

313 0709 신뢰에 기반 한 기부, 공감을 통한 모금

“모금을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요?” 장진민_(주)이음스토리 이사

318 0813 스폰서십을 위한 전략 수립

성공적인 스폰서십 DNA 이식을 위한 기본 준비 오승환_NS스튜디오 사업개발 실장

322 0910 공연예술 분야 레지던시

유럽에서의 펀딩과 이슈, 동향에 대한 단상 마리 르 수르_온더무브 사무국장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328 1022 청년예술인 지원사업 정보

문화예술청년, 인생 UP 지원사업 가이드 황보유미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공연유통팀 팀장

333 1126 한국 현대미술의 세계무대 진출 전략 Ⅰ

아트페어를 활용한 아트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전민경_국제갤러리 대외협력 디렉터

한국 현대미술의 세계 무대 진출 전략 Ⅱ

미술시장과 네트워크:

해외 컬렉터, 갤러리, 미술관, 한국 작가 연결하기 최선희_Choi&lager 갤러리 디렉터

한국 현대미술의 세계 무대 진출 전략 Ⅲ

글로벌 아트 무대와 한국 동시대 미술의 해외 진출을 위한 과제 박만우_플랫폼엘 현대미술센터 관장

하우투

하우투

347 ��

346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88 0108 2014 《weekly@예술경영》 콘텐츠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따끔한 지적을 채찍삼아 달린다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290 0122 2014 미술시장실태조사 – 해외편

세계미술시장, 회복에서 성장으로 이슬기_2014 미술시장실태조사

해외조사 공동연구원

291 0129 2014년도 미술시장실태조사(2013년 기준)

위기는 성장의 신호 김봉수_(재)예술경영지원센터

해외전략사업실 시각진흥팀

292 0206 2014년 공연예술경기동향조사 하반기 결과

회복과 성장, 안정과 변화의 과도기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조사평가팀

301 0416 국내 장애 예술인 취업 분석과 단체 운영 현황

자생력이 예술 의지를 보장한다 안태훈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302 0423 2015 뮤지컬 실태조사(2014년 기준) I

뮤지컬 기초조사에 대한 목마름, 6년 만에 해소 김인직_(재)예술경영지원센터

경영기획실 전략기획팀

2015 뮤지컬 실태조사(2014년 기준) II

고속 성장세의 변곡점, 그러나 도약은 얼마든 가능 김인직_(재)예술경영지원센터

경영기획실 전략기획팀

318 0813 2014년도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현황 조사

불황에도 현상 유지는 다행, 그러나 새롭게 인식되는 과제들 이충관_한국메세나협회 사무국장

330 1105 2014 중국 공연산업 총정리 Ⅰ

공연산업 현황 자료 제공_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

2014 중국 공연산업 총정리 Ⅱ

공연 단체별 현황 자료 제공_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

2014 중국 공연산업 총정리 Ⅲ

공연 장르별 현황 자료 제공_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

2014 중국 공연산업 총정리 Ⅳ

공연 관련 정책 환경 자료 제공_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93 0213 네덜란드 지방 미술 기관의 지역과 세계 연결하기

지역성과 세계성의 간극 좁히기 윤주희_작가, 기획자

294 0226 미국 덤보 아츠 페스티벌(Dumbo Arts Festival)의

폐지 결정과 방향 모색

단발성 행사보다 365일 예술지원 시스템으로 서정민_트레스아츠 매니지먼트 프로듀서

298 0326 영국과 일본 오케스트라의 티켓 판매 마케팅 실제

그들은 클래식 팬들을 어떻게 사로잡나 한정호_공연칼럼니스트

301 0416 영국 장애인 공연예술 단체들의 운영

힘들지만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는 원동력 박혜신_런던 미들섹스대학교 박사과정

302 0423 일본의 소극장 분포와 운영 현황

마니아 문화가 만드는 극장의 존재 방식 이홍이_Directurg42, 드라마터그, 번역가

303 0430 홍콩 시주룽문화지구(西九文化區)

모두의 소유이므로 모든 이가 발전의 주체 리 씨우이_시주룽문화지구 관리국

동유럽 현대예술 거점 탐방

동유럽 예술계를 긴장하게 만드는 축제와 공간들 고주영_독립기획자

312 0702 중국 아트스페이스의 번영과 쇠퇴

미술시장의 기본이자 핵심 고리, 중국의 아트 스페이스 위판_북경성시학원 조교수

중국 현대미술의 형성 과정과 미술시장의 흥기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부터 현대까지 오영민_중국 중앙미술학원 인문학원 조교수

통계짚어보기

해외동향

349 ��

348

이슈

칼럼

. 상. 공간

현장

+ 人

하우투

정보창고

×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93 0213 복합문화공간 어반 세렌디피티 반쥴

도심의 빌딩숲에서 발견한 뜻밖의 즐거움 황정인_《미팅룸》 편집장

296 0312 강릉 ‘신영극장’, 대구 ‘오오극장’

“끝까지 간다” 안태훈_(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기반실 교육컨설팅팀

299 0402 수원 제작놀이공간 ‘다시’

삶의 가치를 만들어가는 우리 동네 쉼터 곽봉재_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317 0806 연남동 문화공간, ‘플레이스 막’

균형을 만드는 공간 김영훈_예술의전당 무대감독

발행호 일자 기사 제목 필자

294 0226 넥스트 아카데미(NEXT ACADEMY)

– 아시아 현대미술 지형도 그리기

이국적 풍경과 사람, 그 뒤에 숨겨진 복잡한 맥락들 김진주_독립기획자

295 0305 《weekly@예술경영》 2기 독자모니터링위원 활동기

엄격한 책임감으로 편집팀을 청문한 9개월 김영훈_예술의전당 음악부 무대감독

297 0319 2015 제1회 국악포럼

– 국악음반 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국악 활성화를 위한 솔직한 이야기 김선영_월간 《객석》 기자

299 0402 국제문화교류 아카데미 넥스트 살롱

– 아시아 현대미술 지형도 그리기

아시아 문화 정체성은 하나가 아니다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08 0604 제25회 I AMA(Internationl Artist Managers' Association)

콘퍼런스

작은 기획사들이 생존할 수 있는 길 윤동진_더 브릿지 대표

312 0702 예술단체경영연구회 DAM

공부하면서 일하는 예술경영인들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313 0709 웹진 《weekly@예술경영》 독자모니터링 시스템

너의 목소리가 들려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및

7인의 독자모니터링 위원

317 0806 유럽 축제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

유산이자 첨단의 사조를 담은 예술을, 그들은 “오페라”라고 했다 송현민_음악평론가

유럽 축제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임풀탄츠 페스티벌

춤이 일상이 되는 7월의 오스트리아 정선경_(재)예술경영지원센터

319 0820 2015 시비우국제연극제 및 시비우아트마켓

국제적 축제, 배우 한 명의 열망에서 비롯되다 홍혜련_배우, 국제 공연 코디네이터

320 0827 제33회 FACP 서울총회 2015

‘아시아 공연예술의 산업화 비전과 전망’을 논하다 박제성_음악칼럼니스트

328 1022 2015 파리가을축제 안은미컴퍼니 3부작 리뷰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에 ‘출현’한 한국인들의 몸 정치 김남수_무용평론가

329 1029 미국 예술기업가정신 교육협회 학술대회

새로운 학문 분야 ‘예술기업가정신’ 장웅조_시애틀대학

공연예술ㆍ예술리더십학과 교수

337 1224 2015 《weekly@예술경영》 콘텐츠 만족도 조사 결과

열혈 독자들의 애정 어린, 날카로운 시선 《weekly@예술경영》 편집팀

이. 상

. 공간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