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binary relation ①두 집합 A, B 대한 2항 관계 R는 두 집합의 데카르트 곱 A×B의 집합이다. 즉, R⊆A×B, (a, b)∈R일 때 abc로 표한다. ②차가 2인 관계. 여기 차는 관계 내의 를 말한다 reflexive 적관계 관계 R이 정의된 집합의 모든 원 a 대해 aRa가 립하는 경우 대해 R을 적 관계라고 한다 symmetric 대칭 집합의 두 원 a, b 대해 a R b 관계가 립할 때 b R a의 관계도 립하면 R을 대칭 관계라 한다. transitive 이행 집합의 원 a, b, c 대해 a R b와 b R c 관계가 립하면 a R c의 관계도 립되는 것. equivalence relations 동치관계 (1) 명제 A가 립하기 위한 필요 충 조건이 명제 B일 때, A와 B는 등가라 하고 A|B 또는 A↔B로 나타낸다. 논리 학 A↔B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B)=AㆍB∨~Aㆍ~B. (2) FORTRAN의 문(statement)의 하나. (variable)나 열 요(array element) 등의 데이터 요를 두 개 이 용하여 하나의 기 장(storage location)를 공유키기 위하여 용된다 equivalence class of x relative to R ????????? (뭔지 모르겠음!) irreflexive 관계 R이 정의된 집합 A의 모든 원 a 대하여 a R a의 관계가 립하지 을 경우 R을 적 관계라 한다. antisymmetric 대칭 떤 집합의 2항 관계(binary relation) R이 그 집합 하는 임의의 원 a, b 대하여 aRb이고, bRb이면 a=b일 때의 관계. partial ordering (), 준() 집합으로 정의된 다음 가지 질을 갖는 관계; 각각의

이산치수학 데이터베이스

  • Upload
    mil23

  • View
    302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이산치수학 데이터베이스

binary relation

①두 집합 A, B에 대한 2항 관계 R는 두 집합의 데카르트 곱 A×B의 부분 집합이다. 즉,

R⊆A×B, (a, b)∈R일 때 abc로 표시한다.

②차수가 2인 관계. 여기서 차수는 관계 내의 속성 수를 말한다

reflexive

반사적관계 관계 R이 정의된 집합의 모든 원소 a에 대해서 aRa가 성립하는 경우에

대해 R을 반사적 관계라고 한다

symmetric

대칭성 집합의 두 원소 a, b에 대해서 a R b 관계가 성립할 때 b R a의 관계도

성립하면 R을 대칭성 관계라 한다.

transitive

이행성 집합의 세 원소 a, b, c에 대해 a R b와 b R c 관계가 성립하면 a R c의

관계도 성립되는 것.

equivalence relations

동치관계

(1) 명제 A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 충분 조건이 명제 B일 때, A와 B는 등가라 하고 A|B

또는 A↔B로 나타낸다. 논리 수학에서 A↔B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B)=AㆍB∨~Aㆍ~B.

(2) FORTRAN의 선언문(statement)의 하나. 변수(variable)나 배열 요소(array element) 등의

데이터 요소를 두 개 이상 사용하여 하나의 기억 장소(storage location)를 공유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equivalence class of x relative to R

????????? (뭔지 모르겠음!)

irreflexive

비반사적 관계 R이 정의된 집합 A의 모든 원소 a에 대하여 a R a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을 경우 R을 비반사적 관계라 한다.

antisymmetric

반대칭 어떤 집합에서의 2항 관계(binary relation) R이 그 집합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 a,

b에 대하여 aRb이고, bRb이면 a=b일 때의 관계.

partial ordering

반(半)순서, 준(準)순서 집합상으로 정의된 다음 세 가지 성질을 갖는 관계; 각각의

Page 2: 이산치수학 데이터베이스

원소는 그 자신에 대해서 이 관계에 있을 것; 이 관계는 추이적(推移的)일 것; 두 원소가

서로 이 관계에 있으면 양자는 일치할 것.

ordering

정해진 규칙에 의하여 항목을 배열하는

lexicographic order

사전과 같은 방식의 정렬 순서.

transitive closure

A →B가 폐쇄에 속하고 B→의 생성이 있으면 B→도 폐쇄에 속한다. 이때 B→가 항목을

반사한다고 하고, 이런 형태의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를 전이한다고 일컫는다.

composition

합성 composition 2개 이상인 벡터 또는 텐서에서, 이들의 성분의 합을 성분으로 하는 한

벡터 또는 텐서를 구하는 연산. 또는 2가지 이상인 작용이 동시에 가해질 때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한 작용을 구하는 연산

identitv relation

항등관계

2개의 문자식을 등호( )로 연결한 등식에서 그 중의 각각의 문자에 어떠한 수를

대입하더라도 등식이 성립할 때, 그 등식은 항등식이라 한다.

inverse relation

역관계 집합 A와 B에서 정의되는 관계 R={ <x, y>|x∈A, y∈B} 가 있을 때, 관계

R-1={ <y, x>|<x, y>∈R} 을 관계 R에 대해서 일컫는 말.

function

기능 컴퓨터나 프로그램 작성 언어에서 ㉠프로그램이나 루틴의 목적 또는 수행하는

동작, ㉡서브루틴, ㉢단일 출구를 갖는 단일 변수의 값을 되돌려 주는 서브루틴. 예를 들면

사인, 코사인, 로그 등 함수를 계산하는 서브루틴, ㉣C나 포트란 등 일부 프로그램 작성

언어에서 명칭이나 부호로 호출될 수 있고, 호출 실행문에 하나의 값을 되돌려 주는

실행문의 집합.

image

(1) 기억 매체와 기억 장치의 어떤 부분을 그 상태 그대로의 형태로 다른 장소와 매체로

카피한 것.

(2) 주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그때의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가리킨다. 즉, 메모리

레지스터와 파일 등의 값과 내용, 특히 코어 메모리(core memory) 상에 있는 경우 코어

Page 3: 이산치수학 데이터베이스

이미지라 부른다.

(3) 컴퓨터 그래픽스(CG)에서 취급한다. 주로 점으로 구성되는 그림과 도형.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점(하나의 화소(畵 ))에 1비트를 할당하고 처리한다. 그래픽 디스플레이에 마우스

등으로 입력하는 것 이외에 사진 등을 복사기와 팩스로부터 입력할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을

이미지 데이트(imagedate)라 부른다.

(4) 그래픽 디스플레이와 이미지 프린터 등으로 출력된 영상.

range

범위 ① 해석학:변수 x가 a≤x≤b를 만족하면서 변하는 경우에 변수 x는 이 범위에서

변화한다고 한다. ② 기하학:변수 x와 y가 x2+y2<9를 만족하면서 변하는 경우에는 x와 y를

좌표로 하는 점 (x,y)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그 반지름이 3인 원의 내부(범위)에 있다. ③

통계학:통계자료에 있어서는 자료가 취하는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차를 이 자료의 범위라

한다.

equal

동등 어떤 두 개의 사상(事 )이 모두 같은 것. 이 기호로서 등호(equal sign)「=」를

쓴다. 수학적으로는 좌변과 우변이 같은 것을 표시한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등호

좌변 부분의 연산을 행하고, 그 결과를 우변 부분에 있은 변수(variable), 배열(array) 등에

현재 들어 있는 값과 교환하고, 그 값을 대입하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injective

일대일함수(단사함수) 일대일 함수, 단사함수(單射函數, injection, 또는 injective

function)는 함수의 결과값이 같으면 함수의 인자값도 서로 같은 함수이다. 함수의 인자값이

다르면 함수의 결과값이 다르므로, 다르다는 성질을 보존하는 함수라 할 수 있다. 수학적인

정의는, 임의의 치역의 원소에 대응하는 정의역의 원소가 하나뿐인 함수이다

surjetive

전사함수 전사함수(全射函數, surjection, 또는 surjective function)는 임의의 공역의

원소에 대응하는 정의역이 원소가 한 개 이상 존재하는, 즉 공역과 치역이 같은 함수를

말한다

bijection

수학에서 전단사함수(全單射函數, bijection)는 집합 X에서 Y로의 함수 f 중에서 모든 y에

대해 f(x)=y를 만족하는 x가 하나만 있는 전사함수를 말한다. 일대일 대응이라고도 한다

pernutation

순열 n개의 서로 다른 것 중에서 r개(nr)를 택하여 어떤 순서에 따라 일렬로 배열하는

Page 4: 이산치수학 데이터베이스

것.

pigeonholes principle

비둘기집의 원리 n+1 마리의 비둘기가 n개의 비둘기집에 들어가려면 최소한 한 개의

비둘기집에는 두 마리 이상의 비둘기가 들어가야 한다는 원리.

invertible

전회가 되는,역이 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