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수수수수수 수수수수 수수수수 수수수수 수수수수수 수수수수 수수수수 수수수수 부부부부 부부부 부부부부 부부부 부부부부부부부부부부 부부부부부부부부부부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 Upload
    tynice

  • View
    72

  • Download
    3

Embed Size (px)

DESCRIPTION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부산지원 이강태. Contents. 개요. 1. 등록시설 점검 관리계획. 2. 수출등록시설 점검 준비 사항. 3.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 4. 개 요. 1. 관내 생산 ․ 가공시설 등록현황. ① EU 등록선박 (274 척 ) 은 별도 관리 ② 동일업체의 가공시설 중복 등록으로 실제 공장수는 103 개소 임 * 에콰도르 : 12 개소. 개 요. 1. 점검기간 : 2014. 4 .28 ~ 5.21(4 주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부산지원 이강태부산지원 이강태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Page 2: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11 개요

22등록시설 점검 관리계획

33 수출등록시설 점검 준비 사항

44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

Page 3: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기본방향

◇ 수출 수산물 생산․가공 등록시설 위생점검에 대한 사전교육으로

점검 효율성 제고

◇ 약정체결국가의 위생조건에 부합하는 위생관리 체계 확립

관내 생산․가공시설 등록현황

구 분구 분 계계 EUEU 미국미국 일본일본 중국중국 태국태국 인니인니 베트남베트남 러시아러시아 HACCPHACCP

시설시설 (( 개개

소소 ))553553 7272 55 44 156156 7272 7171 8080 1818 7575

부산지원부산지원 320320 2727 -- -- 9595 5353 5353 5656 1111 2525

① EU 등록선박 (274 척 ) 은 별도 관리② 동일업체의 가공시설 중복 등록으로 실제 공장수는 103 개소임 *에콰도르 : 12 개소

11 개 요

Page 4: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11 개 요

점검기간 : 2014. 4 .28 ~ 5.21(4 주 )

점검대상

❍ 관내 수출수산물 생산․가공등록시설 : 103 개소

점검반

❍ 점검반은 2 인 1 조 5 개팀 운영

Page 5: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22 등록시설 점검 관리계획

등록시설별 점검 횟수 및 주기

점검 대상구분 시설수 점검 횟수 및 주기

합 계 320 -

EU 수출 등록시설 27 연 2 회 ( 반기별 1 회 )

약정체결국가 등록시설 268 연 2 회 ( 반기별 1 회 )

대일 넙치육 및 복어시설 - 연 2 회 ( 반기별 1 회 )

HACCP 이행시설 25 연 2 회 ( 반기별 1 회 )

점검결과에 대한 시설 관리 ❍ 지적사항 발생업체 : 지적사항 개 · 보수 명령 및 청문실시 ❍ 지적사항이 없는 우수업체 : 점검 주기 완화 ( 연 2 회 → 연 1 회 )

- 아래의 조건 중 1 개 이상 충족되는 시설은 점검횟수 완화① 최근 2 년간 정기 조사․점검에서 지적사항이 없는 가공시설

② 최 근 2 년 간 부 적 합 이 력 없 어 야 함 ->위 생 관 리 가 우 수 하 다 고 인 정 되 는 등 록 시 설 ※ 단 , EU, FDA, 대일수출넙치육 , 복어시설은 완화대상에서 제외

Page 6: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등록시설 관계자 교육 강화

행정사항

❍ 점검결과 농수산물품질관리법 제 78 조 ( 생산․가공의 중지 등 ) 에 해당될 경우 개선․보수명령 등의 조치

❍ 등록업체 점검대비 등록시설 위생관계자 사전교육 연 2 회 (4, 10 월 )

❍ EU, HACCP 이행시설 등 실험실 보유 등록 시설에 대한 분석 담당자

교육 실시 (8 월 )

❍ 가공공장 , 냉동 창고에 등록시설에 대한 관리자 교육실시 (9 월 )

❍ 등록선박에 대한 관리자 교육실시 (10 월 )

❍ 부적합 등록시설에 대하여는 집중 관리

22 등록시설 점검 관리계획

Page 7: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점검 준비 및 유의사항 - 1

❍ 점검준비물

- 메모장 , 필기도구

- 위생복 , 카메라 , 디지털온도계 , 후레시 등

❍ 유의사항

- 점검관이 등록시설 방문내용을 기록 할수있도록 점검기록부 비치 ( 점검기록부 : * 예규 별지 11 호서식 )

- 해동시설 ( 이동식도 가능 ) 및 온수시설 ( 순간온수기 ) 구비

-해양수산부 신설로 인한 기관명칭 변경에 따른 각종 신청서 및 관리서식은 변경된 것으로 사용

33 수출등록시설 점검 준비 사항

Page 8: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점검 준비 및 유의사항 -2

❍ 점검 순서

- 서류점검 *위생관련기준서 / 기록일지 / 수질검사 성적서 / 온도계 / 저울보정내용

저수조 청소대장 / 공장 청소일지 / 교육일지 / 종업원 보건위생증 등 확인

*공장 담당자로부터 생산시설 전반에 대한 동선 설명

- 생산시설 점검

*생산부 책임자는 점검관에게 작업공정 및 작업장 안내

*점검관 지적사항에 대하여는 사진촬영 및 메모

*담당자는 점검관이 현지시정이라고 지적 할때는 현장에서 즉시 조치

33 수출등록시설 점검 준비 사항

Page 9: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서류점검 - 1

주 요 점 검 내 용

❍ 수질검사 실시여부 - 수질검사는 공인기관에서 실시 하여야함 - 수질검사 성적서는 당해연도에 실시한것 - 부적합 항목이 있는지 - 수질검사 항목은 EU 수질기준 (61 개항목 )

❍ 온도계 보정 실시 여부 ( 공인기관에서 실시 한것 )

❍ 저울 보정 실시 여부 ( 공인기관에서 실시 한것 )

❍ 저수조 청소 및 소독 실시 여부 ( 연 1 회 이상 )

- 콘크리트 저수조는 내면에 인체 무해한 도료로 도포되어 있어야함

Page 10: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서류점검 - 2

주 요 점 검 내 용

❍ 종업원 위생교육 실시하고 있는지 ( 교육시기 , 횟수 , 방법 등 기록유지 )

❍ 종업원 주기적인 건강검진 실시 여부 ( 건강검진결과 관련 자료 비치 )

❍ 점검자는 등록시설점검 방문 대장에 점검일 등 기록 ❍ HACCP PLAN, SSOP PLAN, CCP 관리대장 등 확인 ( 관리기준서 )

- 생산제품에 대한 CCP 결정이 적절한지 - 모니터링 주기 및 방법 등이 적절한지 - 부적합 등 문제 발생시 대처 방안 계획 수립여부

Page 11: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생산시설 점검 ( 내부시설 ) - 1

주 요 점 검 내 용

❍ 손 세척 시설 종업원 수에 맞는 적절한 규모를 갖추고 있는지

❍ 각 냉동창고 온도 ( 자동시스템 관리 온도 & 실제 창고 온도 일치여부 ) → 그 결과를 기록유지 ( 온도기록관리일지 , 표준온도계 , 실측온도계 )

❍ 작업장 출입구 발 소독조 설치 여부 및 소독수 농도 적합한지

❍ 건물의 구조 및 용수배관 등 공장설비의 적정성 여부

❍ 작업장 내부시설 파손 & 노후 → 생산작업 지장여부

❍ 종업원 위생복 , 위생모 착용등 위생관리상태 관리여부 확인

❍ 종업원들이 위생복 착용상태로 작업장 밖으로 외출하고 있는지

Page 12: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생산시설 점검 ( 내부시설 ) - 2

주 요 점 검 내 용

❍ 작업장 천정이나 용수배관 등에서 응축수가 떨어지는지

❍ 작업장 바닥이나 내부시설이 파손되어 작업에 지장이 없는지

❍ 얼음은 항상 뚜껑이 있는 용기에 보관하고 위생적으로 관리 하고 있는지

❍ 유독물질은 별도의 보관함에 잠금장치 하여 관리되고 있는지

❍ 포장재는 종류별로 구분하여 청결하게 관리하고 있는지

Page 13: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냉동보관창고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생산시설 점검 ( 외부시설 )

주 요 점 검 내 용

❍ 공장 주변에 작업잡동사니가 쌓여 있는지

❍ 공장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하고 있는지

❍ 주변에 쓰레기를 방치하고 있는지

❍ 공장주변에 파리 , 모기 서식처 ( 물웅덩이 ) 는 없는지 등

실험실보유 및 운영

주 요 점 검 내 용

❍ 분석가능한 검사항목 및 실질적인 운영 상태

❍ 분석 전문인력 확보 현황 등

Page 14: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서류점검

주 요 점 검 내 용 ❍ 수질검사 실시여부

- 수질검사는 공인기관에서 실시 하여야함 - 수질검사 성적서는 당해연도에 실시한것일것 - 부적합 항목이 있는지 - 수질검사 항목은 일반 음용수 수질기준

❍ 온도계 보정 실시 여부 ( 공인기관 실시 여부 확인 )

❍ 저울 보정 실시 여부 ( 공인기관 실시 여부 확인 )

❍ 저수조 청소 및 소독실시 여부 ( 연 1 회 이상 ) - 콘크리트 저수조는 내면에 인체 무해한 도료로 도포되어 있어야함

❍ 공장전체 대청소 실시여부

❍ 종업원 위생교육 실시여부 ( 교육시기 , 횟수 , 방법 등 기록유지 )

Page 15: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주 요 점 검 내 용

❍ 냉동화물 입․출고 하역장 청소상태 - 하역장 바닥 및 모서리 부분 수산물 찌거기 등 오물 청소여부 - 하역장은 작업 종료 후 매일 청소가 실시되고 있는지

❍ 화물 승강기 전등 및 덮게 관리 상태 - 전등 고장으로 조명이 꺼져 있는지 - 전등덮게 청소는 잘 관리되고 있는지

❍ 화물 승강기는 청결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 냉동창고 각층 복도 바닥 먼지 청소 및 관리상태 - 바닥은 매일 진행되는 화물 입 . 출고 작업에 따른 먼지有 ( 물청소가 필요 )

생산시설 점검 ( 내부시설 ) - 1

Page 16: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주 요 점 검 내 용

❍ 각 층 화장실 청소 및 관리 상태

❍ 각 층 방충망 노후 및 마모 , 먼지 오염 등 훼손 여부 확인 ❍ 각 층 복도에 나무 파레트 등 불필요한 화물이 적재되어 있는지

❍ 각 냉동창고 온도 ( 자동시스템 관리 온도 & 실제 창고 온도 일치여부 ) → 그 결과를 기록유지 ( 온도기록관리일지 , 표준온도계 , 실측온도계 )

❍ 하역장 등 작업장 바닥이 파손이나 마모되어 있는지 - 규정에 적합한 조명시설을 갖출 것 → 신설 및 교체 필요

❍ 각 층 조명이 약해 관능검사에 지장이 있는지

생산시설 점검 ( 내부시설 ) - 2

Page 17: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

가공공장 등록시설

수출등록시설 점검 착안사항44

주 요 점 검 내 용

❍ 중량확인을 위한 해동실 관리상태 - 해동후 어체 잔재물이 방치되고 있는지

❍ 천정 및 벽에 페인트가 벗겨 지거나 훼손된 곳은 없는지

❍ 냉동창고 각 층 천정 배관 등에서 응결수가 떨어지고 있는지

생산시설 점검 ( 내부시설 ) – 3

생산시설 점검 ( 외부시설 )

주 요 점 검 내 용

❍ 공장주변에 파리 , 모기 서식처 ( 물웅덩이 ) 는 없는지 등

❍ 공장 주변 잡동사니가 쌓여있는지

❍ 주변에 쓰레기가 방치되고 있는지

Page 18: 수출수산물 등록시설 점검대비 사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