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승단규정 국제 태권도 연맹 ITF HEADQUARTERS KOREA 일반 ITF 심사 규정 태권도 국제 태권도 연맹 한국 - 태권도의 고향 WWW.KITF.KR

일반 심사규정

Embed Size (px)

DESCRIPTION

일반 심사규정

Citation preview

Page 1: 일반 심사규정

승단규정

국제 태권도 연맹 ITF HEADQUARTERS KOREA

일반

ITF

심사규정

태권도

국제 태권도 연맹한국 - 태권도의 고향

WWW.KITF.KR

Page 2: 일반 심사규정

태권도에 있어서는 기술뿐만 아니라 인격, 인내력, 용기 그리고 성실성 등의 정신적인 면이 정확히 평가되어 단수나 급수가 정해진다.

태권도의 계급은 10개의 급과 9개의 단으로 합하여 19개로 나누어져 있다. 급수는 가장 낮은 급인 10급에서부터 시작되어 1급까지 올라가며 단수는 낮은 단 1단으로부터 최고단수 9단까지이다. 이와 같은 태권도의 단급제도는 다음과 같은 동맹의 철학적 개념과 오랜 관습에 기초한 것이다.

동양에서는 <三>(삼)자가 항상 최고의 숫자로 알려지고 있는데 그것은 위의 선은 하늘을, 가운데 선은 백성을 아랫선은 땅을 각각 의미했다. 이 三자를 종으로 연결하여 <王 >(왕)이라고 했다. 즉 하늘의 명을 받들어 이 지상에 있는 만백성을 보살펴주는 사람을 성인으로 표시하는 글자이다. 이 三자를 다시 三으로 곱한 숫자는 9이므로 9단은 태권도인 으로서 가질 수 있는 마지막 단이며 또한 가장 높은 단으로 정해놓은 것이다. 예로부터 하늘의 높이를 표현하는데 <천장구만리> 혹은 굉장히 키가 큰 사람을 <구척장신>이라고 하던 것으로 보아 9자는 가장 높다는 것을 표시하는 숫자로 되어왔다.

그리고 재미있는 사실은 9자는 아라비아숫자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일뿐더러 다음과 같이 어떤 숫자로 곱하던 지간에 그 답을 합한 숫자는 반드시 9가 된다.

가령 9×1=9, 9×2=18, 1+8=9, 9×3=27, 2+7=9............9×9=91, 8+1=9이렇듯 9자는 절대적 숫자라는 점이다.

태권도는 또한 3자를 근거로 1단부터 3단은 더 높은 유단자에 비해 배우는 단계에 있는 조, 4단부터 6단은 전문가 단계에 들어서는 조, 그리고 7단 부터는 정신과 기술을 통달한 조 등 세 가지로 구분했다.

여기에 3자와 9자를 잘 표현한 개성에 있는 박연폭포를 묘사한 시를 소개하겠다.

<비류직하 삼천척의 시은하 낙구천> 즉 물이 한없이 높은 곳에서 수직으로 떨어지니 마치 은하수가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 같다.

그런데 급 순위에 대해 의문을 가질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급수도 단수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장 적은 숫자인 <1>부터 올라가지 않고 두 개의 아라비아숫자를 합친<10>부터 시작한 점이다.

<1>부터 올라가는 것도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큰 숫자로부터 시작해서 점차 적은 숫자 즉 1급까지 올라가는 제도는 동양무도사회의 오랜 관습

으로 되어있는바 이것은 바꾸기도 어렵거니와 아래와 같은 이유로 해서 바꾸어서는 안 될 것이다. 말하자면 서로 종류가 다른 무도끼리는 물론 같은 무도라 하더라도 지역이나 도장에 따라 급 제도나 심사기간이 각각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만약 1급부터 시작한다면 가장 높은 급이 5급, 8급 혹은 18급.....도 될 수 있겠으나 현재나 같이 1급을 가장 높은 급으로 정해있는 한 몇 급부터 시작하든지 관계없다. 왜냐하면 전자는 실력의 기준이 애매한데 비해 후자는 거의 정확하기 때문이다. <10>은 아라비아숫자 두 개를 합한 가운데서 가장 낮은 숫자이므로 태권도의 최하급을 이보다 높은 11, 12 혹은 19가 아니라 10으로 정한 것이다. 단과 급의 기준이 기준표는 일반 수련생이 1단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날자 수, 달수 그리고 유단자의 단수가 올라가는데 소요되는 해수를 기준한 것으로서 유급자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1. 18개월 하루에 1시간반으로 일주일에 6일씩 하는 것으로 계산하면 총 702시간이다.

2. 30개월 하루에 1시간반으로 일주일에 3일씩 하면 총 585시간이다.

3. 12개월 하루에 4시간으로 일주일에 6일씩 하면 총 1248시간이다.

승 급 기 준 표

급수 적요달수

30 18 12

10 1 1 1

9 1 1 1

8 2 1 1

7 2 1 1

6 3 2 1

5 3 2 1

4 4 2 1

3 4 2 1

2 5 3 2

1 5 3 2

일반

심사규정

국제태권도연맹

EMAIL: [email protected] WEB: www.itfline.org WEB: www.kitf.kr

002I.T.F 유사단증 부여 규정

Page 3: 일반 심사규정

경기대회 규칙

하루에 1시간반으로 일주일에 6

일씩 하는 것으로 계산하면 총 702시간이다.

승 급 기 준 표단 적요 횟수

1 1.5

2 2

3 3

4 4

5 5

6 6

7 7

8

9

타 무도단체에서 발급받은 단증 보유자로서 국제 태권도연맹 제반 규정을 준 수 할 것을 확약하고 그 취지에 적극 찬동하는 자 중 국제태권도연맹 단(단보)증을 받기를 희망하는 자

1단의 의의1단은 전문가인가 혹은 초심자인가? 오늘날 무도계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1단만 되면 마치나 다 배워서 전문가가 된 것 처럼 착각하는 유단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1단이라는 것은 보통 한 사람을 상대하는데 겨우 충분한 기술을 배운 것에 불과하므로 이는 제비가 둥지를 떠날 수 있는 날개를 갖추고 어미의 조그마한 도움을 받아 혼자서 먹이를 구할 수 있는 단계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1단을 사범이 수련생에게 준다는 것은 그만한 정신과 기술이면 자신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그 기술을 남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인정하였을 때에 주는 것이므로 이는 겨우 태권도의 기초 작업을 마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겨우 글이나 읽을 수 있는 초등학생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유단자가 되면 전 세계 수십만의 유단자 대열에 서게 되므로 자기의 행동은 곧 동료유단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항상 염두해 두고 도장 안에서나 밖에서 모든 언행에 있어 하급자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야 할 책임이 있는 것이다.

태권도에 있어서 1단은 정신 수양면은 제쳐놓고라도 기술면에 있어 3000여개의 기본 동작중 겨우 100개 정도의 동작밖에 못배웠고 방대한 용어와 술어, 이론체계 또는 교육방법 등 태권도전반에 걸쳐 볼 때에 실로 초심자에 불과한 것이다.

심사 심사는 급심사와 단심사로 구분하는데 급심사는 소속되어있는 도장에서 실시한다. 단심사는 3단까지는 소속되어있는 협회 또는 자기 나라를 대표하는

단체에서 실시하되 틀, 맞서기, 위력 및 특기만을 심사한다. 그리고 심사위원은 보통 3명에서부터 7명으로 구성된다.

4단이상은 국제태권도연맹에 와서 심사를 받는것이 기본인데 때에 따라 연맹총재가 위임한 심사위원에 의해 현지에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4단부터 6단까지는 실기와 함께 태권도에 관한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9단만은 9명으로 구성된 특별심사위원회의 만장일치의 가결에 의해서만 되며 위원은 국제태권도연맹에서 인정한 9단 혹은 8단 이상의 고단자중에서 선발된다.

아동들에 대한 심사에서는 뼈나 근육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대로 격파를 시켜서는 안된다.

비고 : 관례에 따라 심사원은 자기 단의 반수에 해당되는 즉 4단은 2단까지, 6단은 3단까지를 심사할 수 있다.

급 심 사 내 용

급 틀 맞서기 위력 학력

태도

총계

평균

비고

104주지르기

4주막기

94주막기 3보

혼자서천지틀

8천지틀

3보단군틀

7단군틀 3보

1. 합격기준은 60점이다.

2. 60점을 초과할 때에는 10 점을 기준으로 한 급씩 올라가고 미달할 때에는

10점을 기준으로 한 급씩 내려간다.

도산틀 2보

6도산틀 3보

원효틀 2보

5원효틀 2보

앞차기율곡틀 1보

4율곡틀 1보 손칼

중근틀 반자유 옆차기

3중근틀 반자유 앞주먹

퇴계틀 자유 옆차기

2퇴계틀 1보 등주먹

화랑틀 자유 뛰며옆차기

1화랑틀 자유 돌려차기

충무틀 호신술 반대돌려차기

심사위원

WWW.KITF.KR

Page 4: 일반 심사규정

단 심 사 내 용

단 틀 맞서기 위력 논문 학력 총계 편균

1 광개 앞주먹

포은반대돌려차기

계백뛰며돌려차기

2 의암 손칼

충장 뛰며높이차기

뛰어넘어차기고당

3 삼일 등주먹

유신 뛰어돌며차기

뛰며반대돌려최영

4 연개 뛰어넘어차기

을지뛰며비틀어

문무

5 서산

세종

6 통일

급 심 사 견

서열번호 이름 생년월일 국 적

현급수

승급날자

희망급수

승인급수

548 홍길동 1947. 3. 3

조 선 2 급 1 급

틀 맞서기 위력 학력 태도 총계 평균 비고

퇴 계 65 자유 65 등주먹 65

중학교 양호 345

도장에 더 자주 나올것

화 랑 50 발기술 50

돌려차기

50

심사날자 1979. 12. 8 수석심사원 이름 챨스세레프 서명

단 심 사 견 본

서열번호 이름 생년월일 현계급 국적 승단날

자희망급수

승인급수

509 모하멛빈핫산 1942. 1. 1 1 단

말레이시아

1977. 9. 3 2 단 2 단

틀 맞서기 위력 논문 학력 총계 평균 비고

광 개 65 자유 60 등주먹 65

대학교 490 61

뛰는 기술연습을 더

할 것

포 은 60발기술 60

반대돌려차기

65

계 백 60뛰며돌려차기

60

심사날자 1979. 4. 3 수석심사원 이름 최 중 화 서명

서열번호 이름 생년월일 현계급 국적 승단날

자희망급수

승인단수

7777 안드레부필 1957. 6. 3 1 급 뽈쓰까

1974. 8.18 2 단 1 단

틀 맞서기 위력 논문 학력 총계 평균 평균

화 랑 65 자유 55뛰며옆차기

65

전문학교 370 61.6

뛰는 기술연습을 더

할 것

충 무 60 발기술 70

반대돌려차기

55

심사날자 1979. 8. 24 수석심사원 이름 권 재 화 서명

주의사항1. 급에 한해서는 성적에 따라 한번에 2급을 올릴 수도 있다.2. 단, 급 공이심사결과에 따라 응시자의 현 급이 낮아질 수도 있는데 그것은 심사원이 응 시자의 무도경력을 모를 때에만 해당될 수 있다.

사범 종류

사범은 국제사범과 국내사범으로 구별한다. 국내사범은 4단이상의 유단자로서 국내협회에서 그 자격을 인정하며 국제사범은 국내사범중에서 선출되어 국제태권도연맹에서 실시하는 구제사범교육과정을 마치고 자격증을 받아야 한다.

국제사범만이 국내나 해외에서 지도와 심사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는다. 그리고 자기산하 수련생에게 급증을 발급할 수 있다. 단증은 국제연맹에 요청해야 한다.

국제사범은 또한 필요에 따라 부사범을 임명할 수도 있고 지도권한을 임시 유단자에게 위임 할 수도 있다. 위임받은 유단자는 아래와 같은 한도내에서 지도할 수는 있으나 심사할 권한은 없다.

1단은 5급까지2단은 3급까지3단은 1급까지

I.T.F유사단증 부여 규정

004I.T.F 유사단증 인준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