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우리 나라 종합병원의 QI사업의 내용과 개선효과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우리 나라 종합병원의 QI사업의

내용과 개선효과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최 지 혜

Page 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우리 나라 종합병원의 QI사업의

내용과 개선효과분석

지도 서 준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12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최 지 혜

Page 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최지혜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년 12월 일

Page 4: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감사의

저에게 2003년을 허락하시고 늘 좋은 것들로 감사의 조건들로 채워주신 하나

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연대 보건행정 학부를 졸업하고 모교인 대학원 졸업까지

생각해보면 꽤 긴 시간들이었지만, 한순간 한순간들이 제게 너무나도 소중했고 가

슴 깊은 추억과 미래에 대한 소망의 시간들이었습니다.

보건행정이라는 재미있는 학문을 접할 수 있게 배움의 길과 열정을 심어주신

모든 교수님들께 이 자리를 빌어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먼저 저의 부족한 논문을 지도해주시고 격려와 질책을 아끼지 않으시며 참 스

승의 본을 보여주셨던 서 준 교수님, 아버지와 같은 자상함으로 힘을 주셨던 이

규식 교수님, 힘들 때 용기를 북돋아주시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신 이해

종 교수님 정말로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학문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셨던 진기남

교수님과 김재수 교수님, 이동우 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이 자리에 설 수 있게 사랑과 기도를 아끼지 않으셨던 부모님과 저의

오빠, 학부와 대학원 선후배님들, 반월교회 모든 섬김의 지체들과 제가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지나고 보면 모든 것들이 아쉽다고 하더니, 더 열심히 최선을 다하지 못한 제

자신이 부끄럽지만 이 기회를 발판 삼아 더 힘있게 도약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제게 도움을 주셨던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리며, 그 은혜 잊

지 않고 베풀며 살겠습니다. 앞으로 펼쳐질 저의 남은 인생동안 최고보단 최선으

로 진실된 모습으로 다시금 학문을 접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003년. 제게 주신 귀한 한해입니다. 헛된 꿈이 아니라 확연한 vision을 바라보

며 나아갈 것이며, 저에게 허락된 시간과 재능을 허비하지 않고 배움과 사랑을 실

천하며 살겠습니다.

2002년 12월

Page 5: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i -

차 례

표차례...........................................................................................................................ⅲ

국문요약.......................................................................................................................ⅴ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목적 ·························································································································3

제2장 이론적 고찰 ····································································································4

2.1. 개념적 이론과 역사적 배경 ·······················································································4

2.2. 선행연구고찰 ···············································································································10

2.2.1. QI 사업의 내용에 대한 기존연구 ······································································10

2.2.2. 우리나라 병원 질 향상 사업의 현황 ································································14

제3장 연구방법 ········································································································19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19

3.2. 분석에 사용된 변수 : QI 사업의 내용 ··································································20

3.3. 설문지 작성 ·················································································································22

3.4. 분석방법 ·····················································································································23

제4장 연구결과 ········································································································24

4.1. 병원 및 응답자 특성 ·································································································24

4.2. 설문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25

4.2.1. QI 사업주제의 시행빈도 ······················································································25

4.2.2.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25

4.2.3.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27

4.2.4. 업무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28

4.2.5. 비용절감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29

4.2.6.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30

4.2.7. QI 사업의 장애요인 ······························································································31

4.3.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병상규모별, 사업활동기간별 및

QI 사업주제 시행여부 ·································································································32

Page 6: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ii -

4.4.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병상규모별, 사업활동기간별 및

QI 사업 시행 후 개선효과정도 ·················································································35

5장 결론 ····················································································································37

5.1. 요약 ·····························································································································37

5.2. 고찰 및 제언 ···············································································································40

5.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 ···········································································42

참고문헌 ····················································································································43

부 록 ····················································································································46

ABSTRACT ··············································································································62

Page 7: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iii -

<표차례>

표 1. 질 평가의 범주 ··········································································································11

표 2. QI 활동 주제 내용 범위 ··························································································12

표 3. 병원규모별 QA 전담부서 설치율 ··········································································15

표 4. QA 전담부서의 설치 목적 ······················································································16

표 5. 직종별 QA 전담자 분포 ··························································································16

표 6. 병상규모별 QI 활동 성과 ························································································17

표 7. QI 성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 ············································································18

표 8. 독립변수 - QI 사업주제 별 사업내용 ···································································20

표 9. 설문문항의 8가지 카테고리 ····················································································22

표 10. 조사대상 병원의 특성 ····························································································24

표 11. QI 사업주제의 시행빈도 ························································································25

표 12.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26

표 13.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27

표 14. 업무 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28

표 15. 비용절감 관련주제 ··································································································29

표 16.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30

표 17. QI 사업의 장애요인 ································································································31

표 18.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QI 사업주제 시행 t-test ·····································33

표 19. 병상규모별 QI 사업주제 시행 t-test ···································································33

표 20. 사업활동기간별 QI 사업주제 시행 t-test ···························································34

표 21.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 t-test ·················35

표 22. 병상규모별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 t-test ···············································36

표 23. 사업활동기간별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 t-test ·····································36

표 24.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질향상 위원회 QI 경진대회, 1회 ·····················47

표 25.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질향상 위원회 QI 경진대회, 2회 ·····················48

표 26.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의 QI 사업주제 ······················································49

표 27.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의 QI사업주제 ························································49

표 28. 강북삼성병원의 QI사업주제 ··················································································50

표 29. 대전선병원의 QI사업주제 ······················································································50

표 30. 삼성서울병원의 QI사업주제 ··················································································51

표 31. 아주대학교병원의 QI사업주제 ··············································································52

Page 8: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iv -

표 32. 동세브란스병원의 QI사업주제 ··········································································53

표 33. 전남대학교 병원의 QI사업주제 ············································································53

표 34. 파티마병원의 QI사업주제 ······················································································55

Page 9: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v -

국문요약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QI 사업의 내용과 개선효과분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질 향상(QI) 사업의 내용의 정리와 개선효과분

석을 통해 우리나라 QI 사업의 실태와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제시하고자 하 다.

연구자료는 대한병원협회에서 발행한 전국병원명부 중 전국 264개의 종합병원

을 대상으로 2001년 10월 27일부터 11월 10일까지 우편설문을 하 으며, 최종분석

에 사용된 자료는 59개 병원의 응답자료를 사용하 다. 본 연구에 사용된 QI 사업

의 주제는 외부고객만족,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업무효율성, 비용절감,

Risk Management와 관련된 주제들을 사용하 으며, 세부적으로는 총 52개의 사

업내용들을 사용하 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각각의

QI 사업의 내용별로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 으며, QI 사업의 시행과 시행

후 개선효과정도를 빈도분석하 다. 또한 응답병원의 특성을 이용하여, QI 시행여

부 및 시행 후 개선효과정도와 설정한 변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T-TEST

하 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병원의 QI 사업주제의 시행빈도는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가 80.4%의 가

장 높은 빈도를 보 고, 비용절감 관련주제가 66.1%,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

향상 관련주제가 62.4%, 업무효율성 관련주제가 54.2%, Risk Management 관련주

제가 39.9%의 순으로 나타났다.

2. QI 사업내용에 대한 시행빈도와 시행 후 개선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있어서는 대부분의 병원들이 친절도 향상과 관

련된 사업들을 많이 시행하고 있었으며, 그 중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에는 만족을

크게 느끼는 반면, 주치의의 친절도 향상에는 낮은 만족도를 보 으며, 환자 급식

만족도 향상 또한 낮은 만족도를 보 다. 두 번째,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

Page 10: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vi -

상 관련주제에 있어서는 감염관리활동이 가장 높은 시행빈도와 만족도를 보여주

었으며, 표준진료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활동과 진료과정에서의 Critical Pathway

정착화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 다. 세 번째, 업무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에 있어서는 인사고과제도 개선과 QI 사업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사업내용이 낮은

만족도를 보 다. 네 번째, 비용절감 관련주제에 있어서는 재촬 건수 감소 활동

과 재원일수 단축 활동에 대해서 낮은 만족도를 보 다. 다섯 번째,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있어서는 폐기물관리 사업내용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만

족도가 낮았으며, 그 중 독립적인 계약자 및 자문가를 통한 검토 사업이 가장 낮

은 만족도를 보 다.

3. QI 사업주제 시행여부와 병원 특성에 대하여 T-TEST한 결과, QI 사업 활동

기간이 2년미만일 때 보다 2년이상일 때,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를 더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는 통계

학적으로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 다.

4. QI 시행후 개선효과정도와 병원 특성에 대하여 T-TEST한 결과, QI 사업 활

동기간이 2년미만일 때 보다 2년이상일 때,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

주제는 개선효과부분에서 만족도가 더 높다라고 나타났다.

위의 주요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제언하고 싶은 부분은 가장 낮은 시행

빈도를 보여주었던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에 대해 인식도를 높이고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각 의료기관들은 다양한 대안 방법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특별

히 개선효과부분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 던 사업내용들을 중점으로 QI 사업을 보

완․진행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으로 가장 중점을 두고

싶은 점은 모든 의료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개선효과 분석의 표준화된 지표개발

과 효과를 분석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시간의 여유를 두어 연구를 진행해야 된

다는 점이다.

핵심되는 말 : 질향상, 외부고객만족,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업무효율성,

비용절감, 위험도관리

Page 1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 -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최근 보건의료계에서는 ‘의료의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이란 의료의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적극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개념인데, 의료계의 양적인 발전과

변화하는 사회 제반 여건에 부응하기 위해 현재 보건의료계에서 이슈가 되고 있

으며 관심과 연구가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질 향상 개념이 소개된 시기는 병원표준화심사가 처음 실시된

1981년 이후로 볼 수 있으나, 의료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기는 전국민의료

보험이 실시된 1989년 이후로 볼 수 있다. 전국민의료보험 실시로 재정적 접근성

(financial accessibility)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들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고, 정부와 의료기관은 의료의 질 관리를 우리나라 보건정책의 핵심과제로 삼

게 되었다. 이러한 의료 환경의 변화 속에서 보건복지부는 1995년부터 의료기관서

비스 평가제를 실시하여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하고 의료기관들이 의료서비스 향

상에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하여 왔다(조성현 외, 1997).

선진국에서도 이미 1970년대부터 의료의 질 관리 또는 향상에 대해 국가적 차

원에서 관심을 가지고 여러 가지 사업을 개발하고 시행하고 있으며(신 수, 1992),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종합병원급 의료기관들을 대상으로 QI

활동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많은 의료기관들이 전담부서와 전담

인력을 배치하는 등 적극적으로 QI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그 성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일부에서는 QI 활동의 양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많은 증가를 보이기는 하

지만, 질 향상 활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부족으로 내실 있는 사업이 되지 못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QI 활동이 가지고 있는 소기의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의료기관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이선희, 1998).

Page 1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 -

또한, 짧은 역사만큼이나 질 향상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자료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QI의 더욱더 진보된 발전을 위해서는 그 간의 우리나라

의료기관에서 행해왔던 의료의 질 향상 사업의 총체적인 내용 검토와 개선효과분

석(성과분석)이 일차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Page 1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 -

1.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QI 사업의 내용들을 정리․검토해서 이를 토

대로 표준화된 설문지를 작성하고, QI 사업의 시행 후 나타나는 만족도를 통해 개

선효과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의료기관 중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QI 사업

의 실태를 분석한다.

둘째, QI 사업의 시행결과 나타난 효과를 분석하고 추후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Page 14: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 -

제2장 이론적 고찰

2.1. 개념적 이론과 역사적 배경

1.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의 기본개념

‘의료의 질 향상 활동’이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의료의 질적 수준이 어떠한 지

를 파악하는 활동과, 사전에 설정한 기대 수준(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이를

개선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활동을 'Quality Assurance(QA)'라고 칭하 으나, 이 용어가

최소한의 질적 수준(minimum standard)을 보증한다는 소극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최근에는 적극적인 질적 수준 향상을 목표로 한다는 뜻

에서 ‘질 향상’ 또는 ‘질 관리(Quality Management)'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있

다(한국의료 QA학회, 1960).

QA(Quality assurance)는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수행한 어떤 업무에 대해서 소

급검토(Retrospective inspection)개념으로 단순한 조사 또는 감사하는 개념으로 활

용되어 끝나는 지점(End point)이 있고, 업무수행자인 사람을 대상으로 평가 또는

징계하는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QI(Quality Improvement)는 현재의 문제점을 인정하고 앞으로 이런 문

제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예방측면의 활동이며, 문제에 대한 동시검토가 가능

하고, 검사실 전체의 체계(System)와 업무진행과정(Process)을 조사해서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켜 나가는 한 단계 발전된 활동으로 QI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

했다. 이런 활동이 일회성이 아닌 계속적(Endless)으로 수행한다는 의미로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로 발전되었고, 현재는 더 앞선 개념으로는

QA & PI(Quality Assessment & Performance Improvement), 혹은 QI(Quality

Innovation)라는 용어까지도 사용하고 있다.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은

관리 철학의 의미이고, QI는 수행(Performance) 활동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Page 15: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 -

2. 의료의 질관리 역사

의료의 질 관리 개념과 방법론이 개발되기 시작한 시기는 관점에 따라, 이를

정의하는 역사가에 따라 다르다. 산업적 관점에서는 질 활동이 인간의 출현과 함

께 시작되었다고 말하는 반면, 의료의 역에서 질 관리 활동의 시작은 의학사의

기록시기와 함께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1) 고대

고대 이집트, 앗시리아, 중국, 그리스, 로마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며, 이때는 암

묵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이 안된 시기이다. 조직화된

체계를 적용하여 의료의 질을 평가하고 향상시키려는 노력은 고대부터 있어 왔다.

이러한 사례로 히포크라테스는 전문직의 행동에 관한 규정을 문서화하 고, 이집

트의 파피루스의 행동지침, 주나라의 결과관리, 페르시아의 질 평가와 향상 활동

에 대한 기록 등을 들 수 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에도 유사한 QA 활동이 보

고되었다.

2)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

몇몇 역사가들은 근대 전문간호의 창시자인 나이팅게일을 질관리자의 시조로

보고 있다. 국의 간호사이자 병원 개혁자 던 나이팅게일은 1854년 크리미아 전

쟁 발발 후 부상병을 간호하고 불결한 병원 환경을 개선하여 환자 사망률을 100

명당 42명에서 2.2명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상병 및 사망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진단별 사망률(diagnosis specific mortality)을 산출하고 병원간 사망률의 차이를

비교하 다. 그 밖에도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했으며, 정부의 지원을 받

아 질평가와 질향상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어떤 학자들은 나이팅게일이 사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질 관리 활동의 “출현”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3) 플렉스너(Abraham Flexner)

미국내 의과대학의 표준을 제안하고 의학 교육기관의 질 평가를 시행한 결과

Page 16: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6 -

를 담은 Flexner 보고서(1910년)는 부실 교육기관의 정화 및 교육기관의 질적 수준

향상의 계기를 마련하 다.

4) 코드만(Ernest Avery Codman)

많은 역사가들은 통념상 코드만은 QA의 연대기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미국

Me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의 외과의사 던 코드만(1916년)은 수술을 받고 퇴

원한 환자를 1년 후에 추적하여 ‘최종결과’를 평가하 다. 즉 치료의 편익과 위험

및 부작용을 평가하여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료의 질을 평가하 다. 또한 의사의

능력만으로 의료의 질일 결정되지 않는다고 피력했으며, 그밖에 의사와 병원의 신

임제도, 질병의 중증도, 의료제공의 경제적 장애 요인 등을 연구하 다.

코드만은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병원에서 파면되기는 하 으나 질 관리 활동

의 주요 과제 중의 하나인 결과평가(outcome assessment)를 개척한 선구자로 현대

QA의 기본틀을 마련한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5) 미국외과학회(American College of Surgeons)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1919년)을 개발하 으며 이는 자발적인 의료

기관 신임제도의 효시로 간주하고 있다.

6) JCAH(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ospital)

병원 표준화사업(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을 전담하는 기구로 1952년

설립된 JCAH(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ospital )는 현재 미국의 보

건의료기관 신임기구인 JCAHO(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의 전신이며 통상적으로 Joint Commission으로 불리운다.

7) PSRO(Professional Standards Review Organization)

신임제도와 함께 미국 의료의 질관리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거론되는 의료 이

용평가(Utilization Review)를 수행한 조직이다. Medicare/Medicaid 환자들에게 의

학적으로 필요한 의료서비스가 효율적,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목

Page 17: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7 -

적으로 1972년도에 설립되었다.

의료인들의 진료 침해라는 반대의견과 의료비 절감효과에 대한 의회의 부정적

평가로 인해 폐지되고 1982년부터 이를 대신할 PRO (Peer Review Organization)

가 생겨났다. PRO 역시 Medicare 환자의 진료가 의학적으로 필요한 것인지, 적절

한 환경에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지, 전문가들이 사전에 설정한 질적기준을 충

족시키는지를 확인하고 의료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

다.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의료의 질향상, p20-p22)

Page 18: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8 -

3. 우리 나라의 QI 현황

1) 우리 나라 병원표준화 심사

병원 표준화심사는 1981년 대한병원협회의 주관 하에 실시되었다. 병원표준화

심사는 대한병원협회가 1963년부터 시행했던 수련병원 지정을 위한 심사를 확

대․발전시킨 것으로, 1981년부터 매년 전국의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일

종의 병원평가제도이다. 이 제도는 ‘병원의 진료윤리, 건물 및 기능의 안전도, 의

사업무의 조직화, 진료수준, 시설장비 및 경 관리 면에서 일정한 수준을 설정하

여 모든 병원이 여기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병원의 수준을 향상․발전시켜 환자

에게 최선의 진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제도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제도는 우리 나라 보건의료계 전반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혁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1994년 6월까지 한시적으로 운 된 의료보장개혁위

원회에서 개혁과제의 일환으로 제기된 것이다. 이는 의료기관의 서비스 제공 행태

를 환자중심으로 변화시키고 쾌적한 진료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의료기관의 질

적 향상을 도모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3) 병원단위 질 관리 사업

의료기관 평가제도와 함께 의료기관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의료기관 차원의

질 향상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의료기관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의료기관

은 의료기관 평가에 대처하면서 의료기관이 처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질

향상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데, 특히 의료기관 평가의 대상자이자 치열한 경쟁에

직면한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질 향상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병원들은 병원 내 질 향상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시행할 목적으로 질 향상 전

담부서를 설치하거나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질 향상 전담자 및 전담부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설치되기 시작하여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들 전담부서

는 병원단위의 질 향상 사업을 기획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부서별

Page 19: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9 -

질 향상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Page 20: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0 -

2.2. 선행연구고찰

2.2.1. QI 사업의 내용에 대한 기존연구

QI 사업의 내용에 대한 기존 연구 중 「업무수행도의 평가」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1996년 6월 대한병원협회에서 발행한 ‘전국병원명부(7)’를 이용하여

400병상 이상의 병상을 확보하고 있는 100개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질 평가의

주제를 조사하 다(표 1).

25개 병원에서 수집한 질 평가의 주제는 총 417가지로 나타났으며, 주제의 내

용에 따라 8가지 범주로 분류하 다. 가장 많은 비중(31.4%)을 차지한 것은 임상

의 질 지표를 이용한 업무수행도의 평가로서, 이는 해당 병원이 95년도와 96년도

에 한국의료 QA 학회에서 실시한 「의료기관의 질 향상 사업 조사 연구」에 참

여하여 동시에 조사한 것이다. 질 지표 중에서 ‘응급실 재원시간’과 ‘수술취소율’,

‘계획에 없던 재원’ 등이 높은 빈도를 보 다.

다음으로는 이용도조사에 관한 평가가 23.4%를 차지하 다. ‘입원 및 재원의

적절성’, ‘장기 재원환자분석’ 등이 이 범주에 속하는 대표적인 질 평가 주제 다.

약품사용과 혈액사용도 넓은 의미에서는 이용도조사에 포함되는 조사이나 여기에

서는 별도로 계산하 다. 또한 질 지표에서도 의료이용에 관한 지표가 포함되어

있어(예를 들어 제왕절개술률), 의료이용도조사는 위에서 분류한 값보다 더 높다고

하겠다. 환자만족도 및 직원 만족도에 관한 조사도 20.0%의 높은 비중을 보 다.

여기에는 입원 및 외래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한 경우와 환자의 불만사항을 조사한

사례, 각종 대기시간 조사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의무기록의 완성도와 효과

적 질에 관한 질 평가 주제가 5.3%룰 차지하 다(조성현 외, 1996).

Page 2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1 -

표 1. 질 평가의 범주

범 주 사 례 빈도백분

질 지표 조사

(Quality Indicator)

⇒ 임상의 질

지표조사

수술 취소율 17

30.0

응급실 재원시간 17

계획에 없던 재입원율 16

계획에 없던 재수술률 15

제왕절개술률 15

신생아 합병증률 14

교차시험/수혈비(C/T ratio) 10

응급실 환자의 Brain CT/MRI 촬 시간 8

균혈증 7

수술후 창상감염 6

이용도 조사

(Utilization

Review)

입원 및 재원의 적절성, 장기재원환자 분석 52

22.3 검사 및 의료장비 25

기타 진료수익 9

기타 7

환자 및 직원

만족도

외래 및 입원 환자 만족도 41

19.6 각종 대기시간(투약, 검사, 진료) 33

직원(무) 만족 6

의무기록평가 의무기록의 완성도 및 의무기록관리 21 5.0

약품사용 항생제, 항응고제 사용 21 5.0

혈액사용 수술중 수혈의 적절성 및 혈액 관리 9 2.2

감염관리 병원감염발생률 5 1.2

사망사례분석 사망환자 분석 3 0.7

기타 QA 인식도, 급식 등 40 9.6

분 류 불 가 20 4.8

합 계 417 100.0

자료원 : 서울대 보건대학원, 조성현. 1997 (자료연구 1995년과 1996년)

다음은 2001년 9월 25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주체로 개최

한 임상교수 QI 워크숍에서 발표한 QI 활동 주제 내용과 범위, 예들이다(표 2).

Page 2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2 -

표 2. QI 활동 주제 내용 범위

주 제 내 용 범 위 예

외부고객만족

관련주제

입원 및 외래환자,

보호자, 방문객의

편익을 도모하여

만족을 향상시키는 주제

진료대기시간 단축 활동

환자급식 만족도 향상

고객접점 개선활동

친절도 향상방안 등

임상진료의 질 향상

관련 주제

임상각과와 간호부문

및 진료부문과

관련된 질 향상 주제

혈액사용 적절성

재원의 적절성

항생제 사용 적절성

의무기록 충실성

감염관리

수술 취소율 등

내부고객만족 관련

주제

직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주제

효율적인 간호인계방법

의무기록 간소화

행정절차 간소화

전공의 업무개선 활동

인사고과제도 등

비용절감 관련 주제

업무 프로세스 개선

으로 재작업률 감소,

절약 또는재활용등의

활동으로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주제

재촬 건수 감소

의료보험 삭감률 감소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재원일수 단축 등

Risk Management

관련 주제

사람이나 기계로 인한

직원 및 외부고객

안전관리에 관련된 주제

환자 낙상 방지

프로그램 개발

의료사고 감소방안

욕창 발생감소

의료기기 관리

자료원

일시 : 2001년 9월 25일 (화)

주관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적정진료관리실)

임상교수 QI 워크숍 중 CQI팀 구성 및 진행의 실제(이원수 QI 실장)

Page 2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3 -

부록에 실려있는 표 24 ∼ 표 34는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질 향상 위원

회의 QI 경진대회 내용 (99년 6월 7일, 1회,2000년 1월 27일, 제2회)과 이화여자대

학교 예방의학교실/한국의료 QA학회에서 조사한 「국내병원 질 향상 사업의 현

주소와 성공전략」에서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

원, 강북삼성병원, 대전선병원, 삼성서울병원, 아주대학교병원, 동세브란스병원,

전남대학교 병원, 파티마병원의 QI사업주제들이다.

Page 24: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4 -

2.2.2. 우리나라 병원 질 향상 사업의 현황

다음은 QA 학회지에 게재된 ‘우리나라 병원의 질 향상 사업에 관한 연구’에서

조사된 우리나라 QI 사업에 관련된 현황이다(조성현 외, 1997). 이 연구에서는

1996년 6월 대한병원협회에서 발행한 ‘전국병원명부’를 이용하여 400병상 이상의

규모를 가진 종합병원의 명단과 각 병원의 특성을 파악하여, 400병상 이상의 병상

을 확보하고 있는 종합병원 100개를 대상으로 연구하 다.

1. QA 전담자 및 전담부서의 설치 현황

100개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전화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QA 전담자 및 전

담부서를 설치하고 있는 병원은 28개로, 그 중 23개 병원은 독립된 형태로 전담부

서를 설치하고 있었다. 나머지 72개 병원은 QA 전담부서를 설치하지 않고 QA 팀

이나 의료질향상위원회 등의 질 향상 관련 위원회를 운 하고 있었다.

1) 병원규모별 QA 전담부서 설치율

조사대상 병원의 병상수를 기준으로 병원 규모별 QA 전담부서의 설치율을 비

교하 다. 1997년 자료에서 설치율이 가장 높은 병원군은 1000병상 이상의 대형병

원으로, 8개 병원 중 7개 병원이 QA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87.5%의 높은 설치율을

보 고, 다른 병원군에서도 병원 규모가 클수록 전담부서의 설치율이 높았다.

2000년도에 발표된 자료에서는 보면, 설치율이 가장 높은 병원군은 600 ∼ 799병

상을 가진 병원군이며, 12개 병원 중 9개 병원이 QA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75.0%

의 높은 설치율을 보 으며, 1000병상 이상의 병원군을 제외하고, 1997년보다 전

담부서 설치율이 모두 높았다. 따라서 전체적인 합계를 볼 때 전담부서 설치율이

많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표 3).

Page 25: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5 -

표 3. 병상규모별 전담부서 설치현황 단위 : 개(%)

병 상

1997 2000.9

병원수

(개소)

전담부서

설치병원

(개소)

전담부서

설치율

(%)

병원수

(개소)

전담부서

설치병원

(개소)

전담부서

설치율

(%)

400 - 599 62 7 11.3 16 8 50.0

600 - 799 18 7 38.9 12 9 75.0

800 - 999 12 7 58.3 10 7 71.4

1000이상 8 7 87.5 5 4 71.4

합 계 100 28 28.0 43 28 62.3

2) 진료기관 수준별 QA 전담부서의 설치율

조사대상 100개 병원을 3차 진료기관 여부로 분류하여 각각의 전담부서 설치

율을 살펴보았다. 2차 진료기관의 설치율은 11.7%인 반면, 3차 진료기관의 설치율

은 52.5%으로, 진료기관의 수준에 따라 QA 전담부서의 설치율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QA 전담부서의 설치시기 및 활동기간

QA 전담부서의 설치 시기 및 활동기간을 조사한 결과, 28개 병원 중 19개 병

원이 96년도 이후에 설치되었으며, 95년도 이전에 설치된 병원은 9개 병원이었다.

1997년 4월을 기준으로 전담부서의 활동 기간을 분류했을 때, 활동 기간이 6개월

미만인 병원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1년에서 2년 미만 동안 활동한 병원이 10곳

(35.7%)이었다. 2년 이상의 활동 기간을 보인 병원은 6개 곳으로, 이들 병원은 모

두 서울과 부산에 소재한 병원이었으며, 이중 4개 병원은 1,000 병상 이상의 대형

병원 이었다.

28개 병원의 평균 활동 기간은 1년 1개월이었으며, 최소 1개월에서 최대 3년

11개월의 넓은 분포를 보 다. 10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의 평균 활동기간이 25개

월로 가장 길게 나타난 반면, 400-599병상 규모의 병원은 평균 5개월의 활동기간

을 보 다. 따라서 본 결과를 통해 대형병원일수록 질 향상 활동에 먼저 관심을

Page 26: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6 -

가지고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4) QA 전담부서의 설치 목적과 직종 별 QA 전담자 분포

QA 전담부서의 설치목적을 조사한 결과 ‘환자 만족도 향상’과 ‘의료 서비스의

평가와 향상’이 전담부서의 설치목적으로 지적되었다(표 4).

QA 전체 전담자수는 46명이었으며, 병원당 평균 1.6명의 전담자가 근무하고

있었다. QA 전담자를 직종별로 분류했을 때 간호사가 26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 다(표 5).

표 4. QA 전담부서의 설치 목적(이중응답) 단위 : 명 (%)

항 목 응답수 백분율

① 의료서비스의 질 평가 및 향상 20 38.5

② 환자만족도 향상 21 40.4

③ 병원 표준화 및 의료기관 서비스 총괄 4 7.7

④ 경 상태 개선 5 9.6

⑤ 부서간의 갈등 해소와 협력 도모 0 0.0

미상 2 3.8

합 계 52 100.0

표 5. 직종별 QA 전담자 분포 단위 : 명(%)

직종 전담자수 백분율

간호사 26 56.5

행정직 13 28.2

의무기록사 5 10.9

의사 1 2.2

QA consultant 1 2.2

합계 46 100.0

Page 27: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7 -

2. 질 향상 활동 성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

다음은 ‘질 향상 활동 성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QI 성과에 관련된

부분이다(이선희, 2001). 이 연구에서는 QI 활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

은 400병상 이상의 표준화심사 대상병원(총 108개 병원)을 조사대상으로 우편설문

하여, 응답한 79개 병원(73.1%)을 토대로 연구되었다.

QI 성과를 의료기관의 병상규모별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병상규모가 클수

록 QI 활동 성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

었다. 전반적으로 QI 활동을 통하여 고객만족도와 진료절차가 효과적으로 개선되

었다고 응답한 의료기관이 많았다. 특히 병상규모가 큰 의료기관일수록 QI 활동을

통하여 진료절차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고 평가한 의료기관이 많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표 6).

표 6. 병상규모별 QI 활동 성과

평균

(N=65)

병상규모

F-값400∼600

미만

600∼800

미만

800병상

이상

(N=31) (N=13) (N=21)

임상진료의 질 향상 3.06±0.72 2.93±0.66 2.95±0.73 3.29±0.77 1.76

진료지원 부서의 질 향상 3.32±0.71 3.28±0.61 3.23±0.87 3.44±0.75 0.44

진료절차의 효과적 개선 3.39±0.72 3.07±0.69 3.64±1.00 3.70±0.79 4.83*

고객만족도의 향상 3.59±0.77 3.47±0.75 3.77±0.83 3.64±0.76 0.75

병원의 효율성 증대 3.00±0.67 2.92±0.62 2.99±0.78 3.13±0.69 0.65

서비스 제공방식과 업무의 표준화 달성 3.12±0.75 2.98±0.69 3.13±0.70 3.31±0.84 1.23

조직문화의 합리적 개선 2.94±0.73 2.86±0.74 2.97±0.61 3.05±0.79 0.43

평 균 3.20±0.63 3.07±0.57 3.24±0.68 3.37±0.68 1.40

* : P<0.05

한편, QI 활성화 정도와 QI 기본원칙의 실천정도, 병원장의 참여, QI 활동예산

등이 QI 성과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카이제곱 검

Page 28: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8 -

정을 실시하 다. 이때 QI 성과가 3점 미만인 경우 성과가 낮은 군으로 정의하

으며, 3점 이상을 성과가 높은 군으로 정의하 다. 분석결과, QI 기본원칙에 대한

실천도가 높을수록, QI 활동이 활성화 될수록 QI 성과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병원장의 참여정도와 QI 활동 예산, QI 사업기간,

병상규모는 모두 QI 성과에 별 다른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7).

표 7. QI 성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

변 수

QI 성과

낮음

(N=20)

높음

(N=45)

t-값

x2-값

QI 활성화 정도 2.98±0.39 3.54±0.46 4.75***

QI 기본원칙에의 부합정도 3.06±0.63 3.75±0.52 4.61***

병원장 참여 3.41±0.69 3.72±0.80 1.49

QI 활동예산

없음 12(60.0) 26(57.8)0.03

있음 8(40.0) 19(42.2)

QI 사업기간

3년 미만 7(35.0) 10(22.2)

1.40 3년 이상∼6년 미만 7(35.0) 16(35.6)

6년 이상 6(30.0) 19(42.2)

병상규모

400이상∼600미만 11(55.0) 20(44.4)

0.80 600이상∼800미만 4(20.0) 9(20.0)

800이상 5(25.0) 16(35.6)

* p<0.05, ** p<0.01, *** p<0.001

Page 29: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19 -

제3장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우리 나라 종합병원의 QI 사업의 내용과 개선효과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대

한병원협회에서 발행한 전국병원명부(99年) 중 전국 264개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 다. 우편설문은 2001년 10월 27일 모두 발송하여 2001년 11월

10일까지 반송할 수 있도록 우표를 부착한 반송봉투와 설문지를 동봉하여 설문하

다. 최종 수거한 설문지는 59부이며, 22.3%의 응답률을 보 다.

설문지에 사용된 QI 사업의 내용 분류는 우리나라 의료기관에서 시행하고 있

는 실질적인 QI 사업의 내용과 QI 경진대회 자료들을 조사(전화, 직접방문) 하여,

주제 내용별로 내용을 분류 정리하 고, 또한 분류할 수 없는 내용들은 따로 분류

항목들을 개발토록 하 다.

Page 30: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0 -

3.2. 분석에 사용된 변수(QI 사업의 내용)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은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 향상 관련 주제, 업무 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 Risk

Management 의 QI와 관련된 사업주제에 대해 세부적인 52개의 사업내용들을 독

립변수로 사용하 다(표 8).

표 8. 독립변수 - QI 사업주제 별 사업내용

사업 주제 사업 내용

1. 외부고객만족

관련주제

1. 진료대기시간 단축 2. 주치의의 친절도 향상 3.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 4. 행정(원무)직원의 친절도 향상 5.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을 위한 개선 6. 환자의 보호자를 위한 개선 7. 병원 방문객을 위한 개선 8. 환자 급식 만족도 향상 9. 병원약국 약제서비스의 질 향상 10. 퇴원 후 환자추후 관리 11. 지역민을 위한 건강교실 활성화 및 효율성 증진 12. 각종 민원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신속성

2.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13. 수술취소율 감소 14. 계획에 없던 재입원률 감소 15. 계획에 없던 재수술률 감소 16. 신생아 합병증률 감소 17. 혈액의 적절 사용 18. 항생제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활동 19. 감염관리 활동 20. 정도관리 활동 21. 식이처방오류개선 22. 투약오류 감소 23. 재원의 적절성 유지 24. 응급실 재원시간 단축 25. 의무기록 충실성을 얻기 위한 활동 26. 정확한 간호기록 27. 진료과정에서 Critical Pathway 정착화 28. 표준진료 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활동

Page 3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1 -

사업 주제 사업 내용

3.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29.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 30. primary nursing method 31. 의무기록 관리 효율성 향상 32. 행정절차 간소화의 활동 33. 전공의 업무개선 활동 34. 인사고과제도 개선 35. 정규적인 직무만족도 조사 36. 직원들의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 37. QI 사업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38. film 관리의 효율성

4. 비용절감

관련주제

39. 재촬영건수 감소 40. 진료비 삭감률 감소 41. 재원일수 단축 42.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활동 43. 물자절약을 위한 활동 44. 의료장비수명 연장을 위한 활동

5.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45. 의료사고 감소 활동 46. 의료기기 관리 47. 환자낙상 방지 프로그램 개발 48. 욕창발생감소 49. 폐기물 관리 50. 격리병동 관리 51. 화재점검 52. 독립적인 계약자 및 자문가를 통한 검토

Page 3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2 -

3.3. 설문지 작성

독립변수로 설정한 QI 사업 주제를 중점으로 해 크게 8가지의 카테고리(표 9

참고)를 정해 설문을 작성하 다. 처음의 1∼5 카테고리까지는 QI 사업 주제에 관

한 시행여부와 시행 후 개선효과 정도를 ‘매우 불만족(1점)’∼‘매우 만족(5점)’의 5

점 척도로 측정하 다. 6번째 카테고리에서는 본 병원에 해당하는 QI 사업의 장애

요인들에 대해 5가지 문항에 대해 ‘매우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의 5

점 척도로 나누어 측정하 으며, 기술한 문항 외에 본인이 생각하는 의견은 따로

서술할 수 있도록 주관식 문항도 만들었다. 7번째 카테고리에서는 본 병원에서 특

별히 수행되고 있는 자랑할 만한 QI 사업을 직접 기술할 수 있도록 문항을 만들

었으며, 마지막 8번째 카테고리에서는 QI 사업과 연관져 볼 수 있는 병원 및 응답

자 특성에 대한 문항을 만들어 설문을 작성하 다.

표 9. 설문문항의 8가지 카테고리

주 제 내 용 세부항목

1.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입원 및 외래환자, 보호자,

방문객의 편익을 도모하여

만족을 향상시키는 주제

12개

2.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 향상 관련 주제

임상각과와 간호부문 및

진료부문과 관련된 질향상주제16개

3. 업무 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업무 프로세스 개선으로 재작업

률 감소, 절약 또는 재활용 등의

활동 관련주제

10개

4. 비용절감 관련주제 병원 내에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관련주제6개

5.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사람이나 기계로 인한 직원 및

외부고객 안전관리에 관련된 주제8개

6. QI 사업의 장애요인 6개

7. 본 병원의 특별한 QI 사업 1개

8. 병원 및 응답자의 특성 8개

Page 3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3 -

3.4.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10.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각각의 QI 사업의 내용별로 빈도분석과 백분

율을 산출하 으며, QI 사업의 시행과 시행 후 개선효과정도를 빈도분석하 다.

또한 병원 및 응답자 특성을 이용하여, QI 시행여부 및 시행 후 개선효과정도

와 설정한 변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T-TEST 하 다.

Page 34: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4 -

제4장 연구결과

4.1. 조사대상 병원의 특성

분석의 단위로 사용된 조사대상 병원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표 10).

먼저, 병상규모는 직접기입하는 방법을 택하 고, 회수 후에 평균을 내어 400

병상 기준으로 다시 recording 하여 재분석한 결과 400병상 미만은 47.5%, 400병

상 이상은 50.8%의 비율을 보여주었다. QI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에 따라서는

전담부서 및 전담자가 있는 경우에는 49.2%, 없는 경우에는 49.2%로 같은 빈도를

보 다. QI 사업 활동기간에 대해서도 직접 기입하는 방법을 택해, 회수 후에 평

균을 내어 2년 기준으로 다시 recording하여 재분석 한 결과 사업 활동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는 25.4%, 2년 이상인 경우에는 55.9%의 비율을 보여주었다.

표 10. 조사대상 병원의 특성

특 성 범 주 빈 도 비 율(%)

병상규모 400병상 미만 28 47.5

400병상 이상 30 50.8

계 58 98.3

QI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

있다 29 49.2

없다 29 49.2

계 58 98.3

QI 사업의 활동기간 2년 미만 15 25.4

2년 이상 33 55.9

계 48 81.4

Page 35: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5 -

4.2. 설문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4.2.1. QI 사업주제의 시행빈도

본 연구의 QI 사업주제에 대한 59개 병원의 시행빈도는 다음과 같다(표 11).

이 중 QI 사업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고 있는 사업주제는 외부고객

만족 관련주제로써 59개 병원 중 평균 47.4개 병원이 외부고객만족 관련주제에 대

한 QI 사업을 시행하고 있어 80.4%의 시행빈도수를 보 다. 그 다음 순으로는 비

용절감 관련주제, 임상 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업무 효율성 관련주

제,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5가지 QI 사업주제 중 4가지

QI 사업주제는 50% 이상의 시행빈도수를 보이고 있었는데, Risk Management와

관련해서는 아직도 많은 병원들이 부족한 시행빈도수(39.0%)를 보이고 있었다.

표 11. QI 사업주제의 시행빈도

순위 QI 사업주제 %

1 외부고객만족 관련주제 80.4

2 비용절감 관련주제 66.1

3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62.4

4 업무 효율성 관련주제 54.2

5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39.0

4.2.2.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에 대한 각 12개의 사업내용에 대한 시행빈도수와 시행

후 개선효과(표 12. 참조)를 보면, 모두 62.7%이상의 높은 실행 빈도 퍼센트를 보

여주었으며, 특히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은 98.3%,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을

위한 개선은 96.6%, 행정 직원의 친절도 향상과 환자 급식 만족도 향상은 93.2%의

높은 실행빈도 퍼센트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병원들이 친절도 향상과 관

Page 36: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6 -

련된 QI 사업내용들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그 중에서도 간호

사의 친절도(98.3%), 행정(원무)직원의 친절도(93.2%), 주치의의 친절도(72.9%) 순으

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사업내용에 관한 시행후 개선효과는 매우 불만족과 불만족한편을 “불만족”,

보통을 “보통”, 만족한 편과 매우 만족한편을 “만족”으로 다시 recording하여 분

석하 다.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와 관련된 사업 시행 후 개선효과를 보면, 역시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이 시행 후 만족도가 69%로 가장 높았으며, 지역민을 위한 건강교실

활성화 및 효율성 증진(64.1%), 퇴원 후 환자추후 관리(59.5%), 병원 방문객을 위

한 개선활동(52.0%), 행정(원무)직원의 친절도 향상(51.0%)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

다.

비교적 만족도가 낮은 사업내용은 환자 급식 만족도 향상과 주치의의 친절도

향상이 불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병원약국 약제 서비스의 질 향상 역시

이렇다할 만족도를 보이지 못하 다.

표 12.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단위 : 개(%)

위 사업내용

빈도

(n=59)%

시행후개선효과(%)

불만족 보통 만족

1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 58 98.3 0 31.0 69.0

2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을 위한 개선 57 96.6 12.3 42.1 45.6

3 행정(원무)직원의 친절도 향상 55 93.2 10.9 38.2 51.0

환자 급식 만족도 향상 55 93.2 23.6 34.5 41.8

4 진료 대기시간 단축 50 84.7 14 42.0 44.0

병원 방문객을 위한 개선 50 84.7 12.0 36.0 52.0

5 환자의 보호자를 위한 개선 45 76.2 15.6 42.2 42.3

6 주치의의 친절도 향상 43 72.9 23.3 32.6 44.2

7 퇴원 후 환자추후 관리 42 71.2 7.1 33.3 59.5

8 지역민을 위한 건강교실 활성화 및 효율성 증진 39 66.1 7.7 28.2 64.1

9 병원약국 약제서비스의 질 향상 38 64.4 10.5 60.5 28.9

10 각종 민원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신속성 37 62.7 8.1 48.6 43.2

Page 37: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7 -

4.2.3.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두 번째 카테고리인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표 13. 참조)를 보면, 각각의 16개의 항목 중에서 13개 항목이

50.8%이상의 시행 빈도 퍼센트를 보여주었으며, 임상의 질과 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한 기본적인 감염관리 활동(수술․검사기구의 소독 철저, 손씻기, 장

갑착용 등)이 93.2%로 가장 높은 시행 빈도 퍼센트를 보여주었으며, 병리과 업무

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정도관리 활동과 정확한 간호기록이 83.1%, 응급실 재원시

간 단축이 79.7% 순으로 시행되고 있었다.

시행 후 개선효과 만족도를 보면, 역시 가장 많은 실행 빈도를 보 던 감염관

리 활동이 58.2%의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 으며, 정도관리가 53.1%, 정확한 간호

기록 51.0% 순으로 만족도를 보 다.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인 사업내용은

아직 전문적으로 정착이 되지 않은 표준진료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활동과 진료

과정에서의 Critical Pathway 정착화가 낮은 만족도를 보 다.

표 13.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단위 : 개(%)

위 사업내용

빈도

(n=59)%시행후개선효과(%)

불만족 보통 만족

1 감염관리 활동 55 93.2 5.5 36.4 58.2

2 정도관리 활동 49 83.1 6.1 40.8 53.1

정확한 간호기록 49 83.1 8.2 40.8 51.0

3 응급실 재원시간 단축 47 79.7 17.0 48.9 34.0

4 투약오류 감소 40 67.8 7.5 55.0 37.5

5 의무기록 충실성을 얻기 위한 활동 38 64.4 23.7 55.3 21.0

6 항생제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활동 37 62.7 24.3 59.5 16.2

재원의 적절성 유지 37 62.7 21.6 54.1 24.3

7 혈액의 적절 사용 36 61.0 2.8 50.0 47.3

8 수술취소율 감소 33 55.9 9.1 60.6 30.3

9 계획에 없던 재수술률 감소 31 52.5 16.1 64.5 19.3

진료과정에서 Critical Pathway 정착화 31 52.5 35.5 38.7 25.9

10 계획에 없던 재입원률 감소 30 50.8 16.7 66.7 16.7

11 식이처방오류개선 27 45.8 0 59.3 40.7

12 표준진료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활동 25 42.4 36.0 40.0 24.0

13 신생아 합병증률 감소 24 40.7 12.5 62.5 25.0

Page 38: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8 -

4.2.4. 업무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세 번째 카테고리인 업무효율성 향상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표 14. 참조)를 보면, 각각의 10개의 항목 중에서 6개 항목이 54.2%이상의 실행

빈도 퍼센트를 보여주었으며, 의무기록 관리 효율성 향상 주제가 78.0%로 가장 높

은 빈도 퍼센트를 보 다. 이 사업내용의 예에는 의무기록 완성시간 단축을 위한

협조 체제구축, 당일퇴원명단 출력 및 퇴원챠트 회수확인, 대출․반납 작업 등이

포함된 주제로써 병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대부분의 병원들이 의무기

록의 효율성을 높이는 QI 활동에 많이 신경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순위로써는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이 76.2%, Primary Nursing Method가 66.1%

의 순위를 보 다.

시행후 개선효과 만족도를 보면, 대부분의 다른 사업주제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이 46.7%로 가장 높은 퍼센테이지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로 높은 만족도를 보여준 것은 행정절차의 간소화의 활동과 필름 관리의 효율성

주제 다.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사업내용은 인사고과제도가 가

장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두 번째로 QI 사업참여를 위한 인센티브와 전공

의 업무개선 활동주제에 관하여 낮은 만족도를 보 다.

표 14. 업무 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단위 : 개(%)

위 사업내용

빈도

(n=59)%

시행후개선효과(%)

불만족 보통 만족

1 의무기록 관리 효율성 향상 46 78.0 21.7 50.0 28.2

2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 45 76.2 13.3 40.0 46.7

3 Primary Nursing Method 39 66.1 15.4 48.7 35.9

4 행정절차의 간소화의 활동 33 55.9 18.2 42.4 39.4

Film 관리의 효율성 33 55.9 18.2 42.4 39.4

5 직원들의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 32 54.2 25.0 53.1 21.9

6 정규적인 직무만족도 조사 28 47.5 21.4 60.7 17.9

7 인사고과제도 개선 24 40.7 41.7 45.8 12.5

QI 사업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24 40.7 37.5 50.0 12.5

8 전공의 업무개선 활동 16 27.1 37.5 37.5 25.0

Page 39: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29 -

4.2.5. 비용절감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네 번째 카테고리인 비용절감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표 15.

참조)를 보면, 각각의 6개의 항목이 모두 52.5%이상의 실행빈도 퍼센트를 보여주

었으며, 물자절약을 위한 활동이 74.6%,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활동이 72.9%, 재원

일수 단축이 71.2% 순으로 가장 높은 빈도 퍼센테이지를 보여주었다.

시행 후 개선효과 만족도를 보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활동이 44.2%의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고, 물자절약을 위한 QI 활동이 43.1%로 두 번째 순위의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사업내용은 재촬 건수 감소활동과 재

원일수 단축 활동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표 15. 비용절감 관련주제 단위 : 개(%)

위 사업내용

빈도

(n=59)%

시행후개선효과(%)

불만

족보통 만족

1 물자절약을 위한 활동 44 74.6 4.5 52.3 43.1

2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활동 43 72.9 7.0 48.8 44.2

3 재원일수 단축 42 71.2 16.7 57.1 26.2

4 진료비 삭감률 감소 40 67.8 12.5 60.0 27.5

5 재촬 건수 감소 34 57.6 17.6 50.0 32.4

6 의료장비수명 연장을 위한 활동 31 52.5 9.7 67.7 22.6

% : 소수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Page 40: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0 -

4.2.6.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과

다섯 번째 카테고리인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

효과(표 16. 참조)를 보면, 각각의 8개의 항목 중 6개의 항목이 52.5%이상의 실행

빈도 퍼센트를 보여주었으며, 폐기물 관리가 72.9%, 욕창발생감소와 화재점검이

66.1%, 의료 기기 관리가 57.6% 순으로 시행빈도 퍼센테이지를 보 다.

시행후 개선효과 만족도를 보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 던 폐기물 관리가

51.2%의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 으며, 화재점검 사업이 41.0%의 만족도를 보

다.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를 보인 사업내용은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 던 독립적

인 계약자 및 자문가를 통한 검토 사업이었는데, 이 사업은 불만족도가 40.0%로

나타났다. 또한 격리병동 관리와 의료사고 감소활동에 관해서도 낮은 만족도를 보

다.

표 16.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단위 : 개(%)

위 사업내용

빈도

(n=59)%

시행후개선효과(%)

불만족 보통 만족

1 폐기물 관리 43 72.9 4.6 44.2 51.2

2 욕창발생감소 39 66.1 10.3 53.8 35.9

화재점검 39 66.1 7.7 51.3 41.0

3 의료기기관리 34 57.6 8.8 61.8 29.4

4 격리병동관리 31 52.5 22.6 45.2 31.3

5 의료사고 감소 활동 31 52.5 20.0 53.3 26.7

6 환자낙상 방지 프로그램 개발 22 37.3 13.6 54.5 31.8

7 독립적인 계약자 및 자문가를 통한 검토 15 25.4 40.0 46.7 13.3

% : 소수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Page 4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1 -

4.2.7. QI 사업의 장애요인

여섯 번째 카테고리인 QI 사업의 장애요인(표 17-1. 참조)을 보면, 5가지 항목

에 대해 “매우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까지의 5개의 척도로 나누어 질의하

으며, 각 문항에 대해 대부분의 답변이 “보통이다”, “그런편이다”라는 일관된

분포를 보여주었다.

다시 “매우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은편이다”를 “그렇지 않은편”, “보통이

다“를 ”보통“, ”그런편이다“와 ”매우 그렇다“를 ”그런편“이라고 다시 정의하여 보

았을 때(표 17-2. 참조), 순위를 보면, QI 사업의 장애요인과 관련하여서 QI 활동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의 부족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뽑았으며, 대부분의 기타 본

인이 생각하는 의견에서도 중소병원의 종합병원으로서 예산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 다음 순위로는 QI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의 부족이 59.3%, QI 활

동에 대한 병원경 진의 지원부족과 직원들의 관심과 참여 저조가 55.9%, 서비스

평가와 표준화심사에 시간․예산을 많이 소비가 44.1%를 보여주었다.

표 17-1. QI 사업의 장애요인 단위 : 개(%)

QI 사업의 장애요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합계

1. QI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의 부족 1 8 15 31 4 59

2. 직원들의 관심과 참여 저조 1 5 20 22 11 59

3. QI 활동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의 부족 1 4 13 22 19 59

4. QI 활동에 대한 병원경 진의 지원부족 1 8 17 22 11 59

5. 서비스평가와 표준화심사에 시간․예산을 많이 소비

2 7 24 21 5 59

합 계6

(2.0)

32

(10.8)

89

(30.2)

118

(40)

50

(16.9)

295

(100)

Page 4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2 -

표 17-2. QI 사업의 장애요인(표 17-1를 recording) 단위 : %

QI 사업의 장애요인그렇지

않은편보통 그런편

1. QI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의 부족 15.3 25.4 59.3

2. 직원들의 관심과 참여 저조 10.2 33.9 55.9

3. QI 활동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의 부족 8.5 22.0 69.5

4. QI 활동에 대한 병원경 진의 지원부족 15.3 28.8 55.9

5. 서비스평가와 표준화심사에 시간․예산을 많이 소비 15.3 40.7 44.1

4.3.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병상규모별, 사업활동기간별 및 QI 사업주제 시행

여부

연구대상병원의 특성에 따른 QI 시행여부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보기 위해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와 병상규모, 사업활동기간을 종속변수로 정

하고, QI 사업주제 던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

련주제,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시행을 독립변수로 정하 다.

그러나, X2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주제에 대해서는 case의

숫자들이 5미만의 빈도를 보여, 유의성의 차이를 검증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독립

된 두 개의 표본평균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T-TEST를 실시하 다.

먼저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에 따라 각각의 5가지 QI 사업주제의 시행여

부를 보았을 때는 5가지 모두다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8).

Page 4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3 -

표 18.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QI 사업주제 시행 t-test

변 수

전담부서 및 전담자

(Mean±S.D.) t-값

있다(n=29) 없다(n=29)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9.86±1.38 9.41± 2.91 0.749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10.62±4.33 9.24 ±5.07 1.114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5.55±2.44 5.41± 3.41 0.177

비용절감 관련주제 4.00±1.711 3.97 ±2.20 0.067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3.83±2.69 4.72 ±2.98 -1.204

병상규모별로는 400병상을 기준으로 각각의 5가지 QI 사업주제의 시행여부를

보았을 때 역시 5가지 주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9). 이 중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에 대하여서는 유의수준이 0.065가 나왔지만, 역시

0.05보다 크므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었다.

표 19. 병상규모별 QI 사업주제 시행 t-test

변 수

병상규모별

(Mean±S.D.) t-값

400병상 미만

(n=28))

400병상 이상

(n=30)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9.68±2.11 9.60± 2.44 0.131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8.75±4.93 11.03±4.32 -1.880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5.39±3.26 5.57±2.66 -0.223

비용절감 관련주제 3.79±2.30 4.17±1.58 -0.740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4.61±2.82 3.97±2.88 0.854

Page 44: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4 -

마지막으로 사업활동기간별로는 2년을 기준으로 각각의 5가지 QI 사업주제의

시행여부를 보았을 때, 2개 종속변수간의 평균에 대하여 5가지 주제 중 4가지 주

제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표 20).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에 대하여서는 유의수준이 0.030, 업무효율성관련주제는

0.011, 비용절감 관련주제는 0.025로 모두 0.05보다 작은 값을 가졌으며, 특별히 임

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에 대하여서는 0.001로 0.01보다 작아 통계

적으로는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 다.

따라서, 외부고객만족관련 QI 사업주제 시행과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 향

상, 비용절감과 관련된 QI 사업주제 시행에 대하여 사업활동기간이 2년 미만이거

나 2년 이상이었을 때에 대한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라고 볼 수

있었으며, 사업활동기간이 2년 미만일 때보다는 2년 이상일 때 외부고객만족관련

주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를 더 시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Risk Management 관련주제는 사

업활동 기간이 2년 이상일 때, 2년 미만일 때보다 평균적으로는 약간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20. 사업활동기간별 QI 사업주제 시행 t-test

변 수

사업활동기간

(Mean±S.D.) t-값

2년미만

(n=15)

2년이상

(n=33)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8.47±2.615 10.00±2.00 -2.233*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6.53±4.531 11.18±4.21 -3.463**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3.73±2.69 5.97±2.73 -2.642*

비용절감 관련주제 2.93±2.19 4.27±1.71 -2.310*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3.40±2.72 4.39±2.90 -1.120

* p<0.05, ** p<0.01, *** p<0.001

Page 45: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5 -

4.4.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병상규모별, 사업활동기간별 및 QI 사업 시행 후

개선효과정도

연구대상병원의 특성 중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에 따라 병상규모에 따라 사

업활동기간에 따라 QI 사업 시행후 개선효과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 다. 처음과정으로는 x2검정

을 실시했지만,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평균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

는지 검정하기 위해 다시 t-test를 실시하 다.

독립변수로는 QI 사업의 5가지 주제인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의 시행 후 개선효과정도를, 종속변수로는 전담부서 및 전

담자 유무, 병상규모, 사업활동기간을 변수로 정하 다.

시행후 개선효과정도는 ‘매우 불만족(1점) ∼ 매우 만족(5점)’의 5점 척도로 코

딩하 으나, 분석을 위해 ‘매우 불만족’과 ‘불만족’은 0점, ‘보통’과 ‘만족한편’과 ‘매

우만족’은 1점으로 recording해 분석하 다.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에 따라, 병상규모가 400병상미만과 400병상이상에 따

라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를 t-test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표 21, 22).

표 21.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별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 t-test

변 수

전담부서 및 전담자

(Mean±S.D.) t-값

있다(n=29) 없다(n=29)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8.93±2.00 7.97±2.61 1.581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8.93±4.03 8.00±4.47 0.833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4.31±2.47 4.37±2.75 -0.086

비용절감 관련주제 3.79±1.64 3.92±1.55 -0.305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2.30±1.22 2.35±0.98 -0.143

Page 46: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6 -

표 22. 병상규모별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 t-test

변 수

병상규모별(Mean±S.D.)

t-값400병상 미만

(n=28))400병상 이상

(n=30)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8.50±2.01 8.40±2.67 0.160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7.57±4.22 9.30±4.16 -1.570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4.18±2.82 4.50±2.36 -0.463

비용절감 관련주제 3.96±1.60 3.76±1.60 0.453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2.28±1.02 2.38±1.16 0.314

사업활동기간별로는 2년을 기준으로 각각의 5가지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

도를 t-test 하 을 때, 5가지 주제 중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가

유의수준이 0.014로 0.05보다 작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따라서 임

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는 사업활동기간이 2년 이상일 때 개선효

과부분에서 만족도가 더 높다라고 할 수 있으며, 업무효율성 관련주제는 유의수준

이 0.05의 수치를 보여주었지만, 0.05보다는 작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었다. 나머지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 Risk

Management 관련주제는 사업활동기간이 2년 이상일 때, 평균적으로는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23).

표 23. 사업활동기간별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 t-test

변 수

사업활동기간(Mean±S.D.)

t-값2년미만(n=15)

2년이상(n=33)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7.60±2.50 8.82±2.46 -1.584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6.20±4.07 9.52±4.19 -2.561*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3.21±2.08 4.88±2.74 -2.019

비용절감 관련주제 3.64±1.43 3.91±1.65 -0.482

Risk Management 관련주제 2.17±0.94 2.46±1.22 -0.728

* p<0.05

Page 47: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7 -

5장 결론

5.1. 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90년대부터 시행되고 있는 의료의 질 향상(QI)사업에 대

한 내용의 정리와 개선효과분석을 하기 위해, 현재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QI 사업의 주제들을 정리해보고, 내용(주제)에 대한 표준화된 설문지를 작성

하여 대한병원협회에서 발행한 전국병원명부(99年) 중 전국 264개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 다. 우편설문은 2001년 10월 27일에 모두 발송하여

2001년 11월 10일까지 회수하 으며, 최종 수거한 설문지는 59부이며, 22.3%의 응

답률을 보 다.

본 설문에 사용된 QI와 관련된 사업주제는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 향상 관련 주제, 업무 효율성 향상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

Risk Management의 5가지 주제로 각각의 세부적인 사업내용은 총 52개이다.

이 52개의 QI 사업내용에 대해 병원들의 시행여부와 시행 후 개선효과 정도를

‘매우 불만족(1점)’∼‘매우 만족(5점)’의 5점 척도로 측정하 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병원의 QI 사업주제의 시행빈도는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가 80.4%의

가장 높은 빈도를 보 고, 비용절감 관련주제가 66.1%,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가 62.4%, 업무 효율성 관련주제가 54.2%, Risk Management 관련

주제가 39.0%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가지 카테고리의 QI 사업내용에 대한 시행빈도와 시행 후 개선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QI 사업주제인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 후 개선효과

를 보면, 대부분의 병원들이 친절도 향상과 관련된 QI 사업 주제를 많이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 고,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이 시행 후 만족도가 69%로 가장 높았

으며, 지역민을 위한 건강교실 활성화 및 효율성 증진이 64.1%, 퇴원 후 환자추후

Page 48: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8 -

관리가 59.5%, 병원 방문객을 위한 개선활동이 52.0%, 행정(원무)직원의 친절도 향

상이 51.0%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두 번째 QI 사업주제인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의 시행빈도

와 시행 후 개선효과를 보면, 감염관리 활동이 93.2%로 가장 높은 시행 빈도 퍼센

트를 보여주었으며, 병리과 업무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정도관리 활동과 정확한

간호기록이 83.1%, 응급실 재원시간 단축이 79.7% 순으로 시행되고 있었다. 시행

후 개선효과 만족도를 보면, 역시 가장 많은 실행 빈도를 보 던 감염관리 활동이

58.2%의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 으며, 정도관리가 53.1%, 정확한 간호기록 51.0%

순으로 만족도를 보 다.

세 번째 QI 사업주제인 업무효율성 향상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선효

과를 보면, 의무기록 관리 효율성 향상 주제가 78.0%로 가장 높은 빈도 퍼센트를

보 다. 두 번째 순위로써는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이 76.2%, Primary Nursing

Method가 66.1%의 순위를 보 다. 시행후 개선효과 만족도를 보면, 대부분의 다

른 사업주제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높

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이 46.7%로 가장 높은 퍼

센테이지를 보여주었다.

네 번째 QI 사업주제인 비용절감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 후 개선효과를

보면, 물자절약을 위한 활동이 74.6%,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활동이 72.9%, 재원일

수 단축이 71.2% 순으로 가장 높은 빈도 퍼센테이지를 보여주었다. 시행 후 개선

효과 만족도를 보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활동이 44.2%의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고, 물자절약을 위한 QI 활동이 43.1%로 두 번째 순위의 만족도를 보여주

었다.

다섯 번째 QI 사업주제인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의 시행빈도와 시행후 개

선효과를 보면, 폐기물 관리가 72.9%, 욕창발생감소와 화재점검이 66.1%, 의료 기

기 관리가 57.6% 순으로 시행빈도 퍼센테이지를 보 다. 시행후 개선효과 만족도

를 보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 던 폐기물 관리가 51.2%의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 으며, 화재점검 사업이 41.0%의 만족도를 보 다

셋째, QI 사업주제 시행여부에 대하여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와 400병상 미

Page 49: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39 -

만과 400병상 이상의 병상규모, 사업활동 기간별 2년미만과 2년이상에 대한 각각

의 평균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를 하 다. 그

결과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와 병상규모에 대하여서는 5가지의 QI 사업주제 모

두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사업활동기간별 QI 사업주제 시행여부는 5가지 주

제 중 4가지(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 향상관련주제, 업

무 효율성 관련주제, 비용절감관련주제)가 유의한 차이를 보 다. 따라서, 외부고

객만족관련 QI 사업 시행과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 향상, 업무 효율성, 비용

절감과 관련된 QI 사업시행에 대하여 사업활동기간이 2년 미만이거나 2년 이상이

었을 때에 대한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라고 볼 수 있었으며, 사

업활동기간이 2년 미만일 때보다는 2년 이상일 때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진

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업무효율성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를

더 시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넷째, QI 사업 시행후 개선효과정도에 대하여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와 400

병상 미만과 400병상 이상의 병상규모, 사업활동 기간별 2년미만과 2년이상에 대

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를 하 다.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에 따라, 병상규모가 400병상미만과 400병상이상에 따라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사업활동기

간별로는 2년을 기준으로 QI 사업시행후 개선효과정도를 T-TEST 하 을 때, 5가

지 주제 중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 다. 따라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는 사업활동기간이

2년 이상일 때 개선효과부분에서 만족도가 더 높다라고 할 수 있었다.

Page 50: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0 -

5.2. 고찰 및 제언

연구대상병원의 QI 사업주제의 시행빈도를 보면,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임상

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 업무 효율성 관련주제, 비용절감 관련주제

는 대체적으로 각각의 주제에 대하여 50% 이상의 시행빈도를 보여주었지만, Risk

Management와 관련된 주제는 낮은 비율을 보 다.

병원들이 Risk Management의 관련주제에 대해 낮은 비율은 보인 것은, 다른

주제들에 비해 아직까지 Risk Management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고려되

어진다. 따라서 병원들은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에 대한 다양한 사업주제들

을 연구하며, 이 주제를 시행하 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benefit)들에 대한 연구

가 지속적․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 자료들을 바탕으로 Risk

Management 관련주제에 소홀하지 않도록 인센티브를 부여하며, 각 부서별로 장

려해야 할 것이다.

Risk Management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위험을 발견(risk identification)’하

고 ‘평가(risk assessment)’하고 ‘관리’하는 활동들이며, 다시 ‘위험관리 활동에 대한

평가’로 피드백 시켜 지속적인 개선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마리루 해

리건, 1992). 또한 병원 내․외부적으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체계와 전략들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에 있어, 제일 많이 시행되었던 QI 주제는 친절도 향상과

관련된 주제들이었다. 본 연구 자료에서는, 간호사와 일반 행정(원무) 직원의 친절

도에 비해 주치의의 친절도 향상에 대한 만족도가 현저히 낮았다. 친절교육 시 주

치의에 대한 집중교육이 필요할 것이며, 실천에 옮길 수 있는 훈련과정 역시 QI

활동에 포함시켜 교육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 중 낮은

만족도를 보 던 환자 급식에 대해서는 환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급식의 자료 조

사를 통해 급식의 질과 시설에 장기적으로 투자를 하여야 할 것이다.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주제에 대해서는 양질의 진료와 적절한

의료자원의 이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환자관

Page 5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1 -

리도구로 특정 진단명의 진료순서와 치료시점 등을 미리 정해 둔 ‘critical

pathway의 정착화’가 낮은 만족도를 보 는데, 이는 아직 전문적으로 정착이 되지

않아 이렇다할 성과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여지며, 앞으로 진료과정에 있어서

표준진료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활동이 활발히 진행 될 수 있도록 병원 차원의

지원과 인센티브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업무효율성관련주제에 대해서는 인사고과제도 개선에 대해 만족도가 높지 못

하 는데, 효과적인 인사고과제도가 되기 위한 표준화된 지침을 모든 직원들에게

균등하게 적용 할 수 있도록 각 병원에 맞는 효율적인 방안들을 마련․시행하여

야 할 것이다.

비용절감 관련주제 있어서 중요한 것은 COPQ(Cost of Poor Quality)의 중요성

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것이다(박안숙, 2000). Deming, Juran 등은 여러 사업장에서

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수, 태만, 헛된 노력, 부적합한 체계, 미숙함 등의 질 문제

를 해결함으로써 조직 내 비용의 20∼40%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낮은 질은 엄청나게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비록 이러한 비용들이 외

형적으로 드러나지 않더라도 모든 의료기관들은 이러한 비용에 주목하여야 할 것

이다. 분야를 불문하고 전체 비용의 20-40%에 이르는 COPQ를 줄이는 기관만이

생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병원전체 내에서는 COPQ가 될 수 있는 모든 예

들을 정리하여 대처함으로써 병원 내 비용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QI 사업의 시행후 개선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QI 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개발하고 QI 사업 지원을 위한 경 방침, 예산확보, 다

양한 자료와 연구들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최고 경 자는 QI의 기본적

인 이해와 확고한 시행의지를 가지고 참여적인 리더쉽을 발휘하여 직원들이 QI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강한 동기를 부여 해주고 QI 활동에 대한

물적, 인적의 아낌없는 지원을 뒷받침 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CQI 팀

을 만들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으로 무장하여야 할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비단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있어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Page 5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2 -

5.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

현재 우리나라 의료기관에서 QI 사업과 관련된 주제들은 다양하게 나오고 있

지만, 이러한 주제들에 관하여 시행 후 개선효과분석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의 병원들은 QI 사업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QI 사

업이 완전히 정착된 단계는 아니며, QI와 관련된 자료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표본에서의 QI 사업의 활동기간은 2년을 기준으로 나누어졌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행 후에 올 수 있는 성과들이 간과 될 수 있었다. 또한 눈에 띄지 않

는 무형의 변화에 대해서도 인식하지 못 할 수 있다.

셋째, 개선효과분석에 사용한 값들이 객관적인 값들이 아니라 설문작성자의 주

관적인 생각들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넷째, 최종 설문회수율이 적어, 적은 데이터를 가지고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

가 있었고, 병원과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QI사업의 시행여부에 대한 X2 검증은

case의 숫자들이 5미만의 빈도를 보여, 유의성의 차이를 검증할 수 없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방향으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점은, 우리나라 종합병원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QI 사업을 실시하는 모든 의료기관을 포함하여 사업 시행

후 개선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지표 개발이 일차적으로 필요할 것이고,

기간적으로는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의 여유를 두어 연구를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Page 5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3 -

참고문헌

강진경, 1998, 의료의 질향상 사업의 새로운 방향, 한국 의료 QA 학회

김신희 (이대동대문병원 간호 과장), 2001, QI 사례 자료

김창엽, 의료기관 평가의 방법, 1994, 한국의료 QA 학회지

김혜숙, 2001,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의료의 질 측정지표분석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 연세대 보건대학원 보건정보관리학과

마리루 해리건 지음, 이상일 외 옮김, 1992, 의료의 질 관리, UUP

문옥륜, 1990, 의료의 질관리, 대한병원협회지

박안숙, 2000, COPQ 사례 및 대처방안(QI 활동사례), 2000년 제1회 QA 의료질

향상 실무교육

박연옥 외, 1998, 환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QI 활동의 효과 평가 (일개 병원을

중심으로), 한국의료 QA 학회지

박연옥 (아주대학교병원 QI팀 과장), 2001, 임상간호실무적용을 위한 QI

송인자, 1996, QA 현황과 실제 (세브란스병원 간호부), 간호학탐구

신 수, 1992, 의료의 질 향상 세미나, 한국의료관리연구원

신 수 외, 1991, 적정진료보장을 위한 의료의 질관리 연구, 보건사회부

안선경, 1996, 병원 QI업무의 경험과 발전 방안, 한국의료QA학회지

이계융, 1999, 의료기관서비스평가제도에 대한 병원근무자의 의견,

연세대 대학원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삼용, 2000, 새로운 QI 방향의 정립, 2000년 제1회 QA 의료의 질 향상 실무

교육

이선희, 2000, 병원 질 향상 사업의 성공요인, 한국의료 QA 학회 1998년

가을정기 학술대회 및 연수교육, 한국의료 QA 학회

이선희, 2001, 질향상 활동 성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 제53차 대한예방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이소정, 1994, 병원급식․ 양 서비스 향상을 위한 질 관리 기준 및 도구

Page 54: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4 -

개발과 평가, 연세대 대학원 식품 양학과 박사학위논문

장현숙, 2000, QI 이해와 실무적용, 2000년 제1회 QA 의료질 향상 실무교육

조성현, 1997, 우리나라 병원의 질 향상 사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승흠, 1993, 양질의 의료관리 (적정진료 보장의 이론과 실제)

홍준현, 2001, 의무기록관리학 (4차 개정판)

홍창기, 이상일, 1996, 병원내에서의 질 향상 활동, 한국의료 QA 학회지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질향상위원회, 1999, IMPROVEMENT

99봄 QI 경진대회, 제2회 QI 경진대회

보건복지부 의료기관서비스평가협의회, 1996,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지침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1995, 의료기관의 질향상 사업조사 연구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2001.9.25, 임상교수 QI 워크숍 자료

이화여자대학교 예방의학교실/한국의료 QA학회, 2001.4, 국내병원 질 향상

사업의 현주소와 성공전략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1998.6, 의료의 질 향상 연구보고서

한국의료QA학회, 1996, 96 의료기관의 질 향상 사업(참고자료)

한국의료QA학회, 1996,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10단계-병원에서의 실행전략-

Vuori HV,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역, 1996, 의료의 질 :

개념과 방볍론

Brook RH, Avery AD, 1977, Quality of medical care assessment using

outcome measure, National Center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Donabedian A, 1989, Institutional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in Quality

Assurance,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Donabedian A, 1980,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Health Administration Press

Donabedian A, 1982, The criteria and standard of quality, Health

Administration Press

Donabedian A, 1985, The methods and findings of quality assessment and

Page 55: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5 -

monitoring, Health Administration Press

Donabedian A, 1990, The Seven Pillars of Quality, Arch Pathol Lab Med

Duncan A, 1980, Quality assurance : what now and where next? Br Med J

Gaucher, E.J. & Coffey, R.J. 1993, Total Quality in Healthcare,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Lee, R.I. & Jones, L.W. 1993, The Fundamental s of good Medical Ca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jicago

Ingelfinger FJ, 1971, Measur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N Engl J Med

Jessee WF, 1981, Approach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

organization change, QRB

Philip Tovey, 1994, Quality Assurance in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London and New York

Robert Dingwall and Paul Fenn, 1992, Quality and Regulation in Health

Care, London and New York

Rowland H.S. & Rowland B.L. 1994, Hospital quality assurance manual

Ⅰ& Ⅱ, Aspen publishers Inc., gaitherburg, Maryland

Sanazaro PV, et al, 1972, Research and development in quality assurance,

the experimental medical care review organization program,

N Engl J Med

Sniff D. 1980, The evolution of a quality assurance program, QRB

Stern, Z. & Raz, S. 1991, "Learning from experience-A Revised Approach to

Quality Assurance",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Straker D. 1995, A Toolbook for Quality improvement and problem solving,

prentice Hall International Limited

Vuori H, 1982, Quality assurance of health services, EURO, WHO

William J. Rudman, PhD, 1997, Performance Improvement in Health

Information Services, W.B. Saunders Company

Page 56: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6 -

부 록

Page 57: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7 -

※ 국내 질 향상 사업 사례분석 - QI 사업주제

표 24.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질향상 위원회 QI 경진대회

(99년 6월 7일, 1회)

부 서 내 용

QI PROJECT

수술재료의 정확한 관리

전일퇴원예고제

야간 응급실 내원환자의 신속한 전공의 진료를 위한 환경 개선

기획홍보팀 지역민을 위한 건강교실 활성화 및 효율성 증진

구매관리팀 부서 미 출고 줄이기

임상병리팀 응급실 검사 보고시간 단축

건진업무팀 건진 예약자 부도율 줄이기 방안

양팀 환자 국의 만족도 향상

기관팀 효율적인 난방 공급

약제팀

신속하고 정확한 투약

약제팀의 서비스 개선

복약서비스 지원

의료정보팀 의무기록 완성기간 단축 및 질 향상

간호부

수술환자의 불안감소를 위한 간호 중재개발

식이처방오류개선

식이처방오류중 간호사의 오류율을 0%로 하자

Primary nursing care를 통한 효율적 병동 운

간호부 수술실

아침 첫 수술 개시시간 지키기

수술취소율의 감소를 위한 기초조사

검사물의 효율적인 관리

간호부 중앙공급실 내부 고객만족도 향상

간호부 신생아실 적극적인 모유수유권장

간호부 내과 중환자실 기본 위생 간호의 효율적 제공

간호부 인공신장실 동정맥루의 효율적 관리

Page 58: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8 -

표 25.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질향상 위원회 QI 경진대회

(2000년 1월 27일, 제2회)

부 서 내 용

간호부 외래 협진환자의 진료시간 단축방안

퇴원환자 추후 검사물의 효율적 관리방안

내과 응급실을 내원한 내과환자들의 진료대기시간단추

내과 입원환자의 퇴원예고제

양팀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에 대한 지식과 실천력의

향상을 위한 양상담과 CP 개발

기관팀 효율적인 침대관리

배전팀 효율적인 적정 조명

의료정보팀 의무기록의 완성기간 단축 및 질향상

방사선팀

야간 근무시 응급환자 촬 대기 시간 단축

재촬 률을 감소시키자

Film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자

사명구현팀 자원봉사자의 적절한 교육을 통한 효율적 봉사

임상병리팀 응급실 검사보고시간 단축 및 응급검사 표준안 마련

구매관리센타 내부 고객 친절만족도 향상

응급실 효율적인 진료를 위한 응급실 공간 배치

진료비관리팀 내과 진료비 삭감율 감소를 위한 방안

OR 수술취소율 9% 이내 유지

아침 첫 수술 개시시간 지키기

9W 당뇨환자 교육을 통한 자가 행위 능력 향상시키기

SICU 중환자실 환자를 위한 새로운 억제대 개발

5W 정상분만의 critical pathway 사용의 정챡화

MICU 심혈관 조 술 및 중재적 시술환자의 CP 제공

6W 하지 SPLINT 파손율 줄이기

HDR 반복 교육을 통한 효율적인 고칼륨 혈증 예방

NR, OB 외래 모유 수유를 증가 시키자

10W 정확한 간호기록

약제팀 복약상담 업무 및 흐로그램 개발

8W 소아환자 간호 중재에 대한 보호자 만족도 향상

인력관리,행정지원 별관 7층 강당 A/V SYSTEM 사용법

Page 59: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49 -

표 26.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의 QI 사업주제

사 업 주 제 1. 중심정맥관 관리

2. 고객감동을 위한 친절활동

3. 투약관리

4. DRG

5. 장애인 편의 제공

6. 복약지침서 발간

7. 흡입기 복약지도

8. 퇴원약 복약지도

9. 방사선 종양학과 정도강화 (기계 QA, 나누리팀)

10. 입원환자 식사 만족도 개선

11. 통약예약업무

12. 외래대기시간 단축

13. 휠체어 통합 관리

14. Critical Pathway

표 27.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1. 수술진행 상황 안내 시스템 운

2. 외래약국 투약대기시간 단축

3. 수술전 검사자에 대한 One stop service

4. 각 과별 표준진료지침서 개발 후 적용방안

5. 중환자실, 병실, 응급실의 효율적인 운 방안

6. 효과적인 원내 심폐소생술

7. 의료분쟁환자 진료과정 분석

8. 전일퇴원예고제 활성화 방안

9. 웅급실 재원기간 및 응급실 현황분석

10. 정규적인 입원 또는 수술 처방에 대한 공통 protocol 개발 및 적용방안

11.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 실태 파악과 대책마련

12. 혈관삽입 카테토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13.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을 위한 QI, 활동(표준화된 대화형 중심으로)

14. Critical Pathway 개발 및 적용을르 통한 재원일 단축

Page 60: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0 -

표 28. 강북삼성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1. 단순폐렴과 늑막염 환자 표준지침서 개발활동

2. 소아 단순폐렴 및 늑막염 환아 표준지침서 개발

3.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환자 표준지침서 개발

4. 백내장 환자를 위한 표준지침서 개발

5. DRG 시행전 후 편도선 및 아데노이드 적출술 시행시 비용 산출/ 비교

6. 일반외과 DRG 팀

7. Nutrition support team(NST) 운

8. 환자중심의 효율적인 치과 진료체계 연구

9. 건강진단항목의 타당성 연구를 통한 수익증대와 건진 신모델 개발

10. 입원환자의 자급식사 감소방안

11. 간호기록의 효율화

12. 오류처방전의 원인분석 및 개선활동을 통한 오류처방 감소

13. 치료식 처방환자의 식사순응도 향상을 위한 선택식단제 실시

14. 방사선 필름 재촬 율 감소

15. 주말 병상가동율 제고를 위한 병상운용지침 개발

표 29. 대전선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1. 환자만족도 조사

2. 물품환경 감사

3. 간호기록 감사

4. 효율적인 물품절약방안

5. 호흡기 병동내 금연방안

6. 정맥염 예방을 위한 정맥주입로의 관리

7. 항암화학요법 실례를 활용한 투약오류처방

8. 기계소독

9. 정맥염과 접촉성 피부염 예방을 위한 정맥주입로의 관리

10. 신생아 액와 및 직장의 적정체온과 적정시간간의 비교

11. 욕창방생률의 감소

12. 처치실 활성화

13. 처방전 재발을 줄이기 위한 질 개선 활동

14. 간호사의 설명 및 경청부족

15. 중환자실에서의 간호사 업무 수행시 호흡기 간호행위의 서비스 향상 계획서

Page 6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1 -

표 30. 삼성서울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QI 전담부서

1. 중환자실에서의 MRSA균 감염관리

2. 방광적출술 및 인공방광형성술 표준진료지침 개발

3. 심근경색증 환자를 위한 표준진료지침서 개발

4. 동종골수이식 환자를 위한 표준진료지침 개발 및 적용

5. 수술용 방포의 일회용 대체

6. 핵의학 외부 수탁검사 활성화

7. 건진결과 상담 차별화로 고객만족 향상

8. 상의학검사 병동예약 전산화

9. 진단병리과 외래 추가검사(2차 검사)에 따른 문제점 해결

10. 소화기센터의 진료흐름 재정립을 통합 진료업무 효율화 및 환자편의 극대화 모색

11. note book을 이용한 간호기록 전산화

12. 검사 예약데스크 정착

13. 정확한 연구논문 작성 지원을 위한 연구지원 전문사서제

부서 QI 사업

1. Quality improvement of soft-copy display

2. 판독결과 approve time 단축

3. 환자대기시간 단축

4. 환자만족도 향상

5. 간호 QA 도구의 개발 및 수정

6. 물품관리

7. 안전관리 점검

8. 접촉성 감염관리

9. 감염예방 set 준비

10. 감염예방 dessing cart 관리

11. 감염예방 유치도뇨

12. 감염예방 호흡기 관련 물품관리

13. 감염예방 인공호흡기 관리

14. 간호기록

15. 손씻기

Page 6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2 -

표 31. 아주대학교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1. 48시간내 응급실 재방문율

2. 의무기록의 질 평가

3. 퇴원심의팀 운 현황

4. 해부병리 검사접수 및 결과 현황 분석

5. 응급의료센터에서의 ABGA & CT 실행건수

6. 비예약 CT 촬 현황 조사

7. CVP catherter 삽입 후 pneumothrax 발생현황

8. 60일 이상 장기재원환자 모니터링

9. 정규시간외 의무기록 반납현황 조사

10. 검사실 운 현황 조사

11. 외래운 개선방안

12. 외래 진료시 당일 결과확인을 위한 대기시간 조사

13. 중환자 보호자 대기실 운 실태 조사

14. X-ray film library 운 현황조사

15. 주차장 및 주차료 운 현황조사

16. 자주대차 사용에 관한 설문조사

17. 에스컬레이터 운 현황 조사

18. 전화예약센터 신설 운 검토

19. 의료보험수가 개정에 따른 수입증감 분석 및 대처방안 검토

20. 퇴원환자 차트의 반납 및 정리시간 단축(의무기록팀)

21. 환자급식의 만족도 향상( 양팀)

22. 뇌정위방사선 수술/치료에서 lsocenter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

(치료방사선과)

23. 임상병리 검사결과 만족도 조사(임상병리과)

24. 시설장애 접수시 조치시간의 단축(시설관리팀)

25. 복부수술환자의 수술전후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간호의 질 향상

(7층 병동)

26. vestibular function test 환자의 내원일수 단축(이비인후과 외래)

27. 수술환자 2분이내 방문하기(10층 병동)

28. 미숙아 보호자를 위한 체계적인 feeding training(NICU)

Page 6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3 -

표 32. 동세브란스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QI 전담부서(공모과제)

1. 효율적인 환자이송체계 수립

2. 내과 의료진과 간호사간 의사소통 개선

3. 신생아실 환경개선

4. 중환자실 호흡기 감염 감소

5. 신경외과 진료비 관리(삭감율 감소 및 지급보류건 감소)

6. 환자식 오류율 줄이기

7. 조 제 투여방법 개선

8. 외래이중 처방 감소

9. 소음감소

10. DRG 대비 특별사업으로 DRG 대상질환 Critical Pathway 개발

해당부서(기본과제)

1. 의무기록 미비율 감소

2. 외래약국 조제업무 효율성 증대

3. 임상병리과 분리수거 강화

4. 환자식사 만족도 향상

5. 소아입원환자 병실생활 안내문 개발

6. 외래환자 안내자료개발

표 33-1. 전남대학교 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QI 전담부서 1. Clinical indicator의 개발 및 모니터링

계획에 없던 재수수률, 응급실 재원시간, 제왕절개술율, 수술취소율

2. 임상지표의 개발

계획에 없던 재수수률, 수술후 창상감염, 응급실의 CT 촬 소요시간,

퇴원예고제, 12시 이전 퇴원율

3. 진료 및 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

4. 주민반응측정함 운

5. 병원경 분석지표 개발

6. 직원 직무만족도 평가

7. 업무환경 평가

Page 64: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4 -

표 33-2. 전남대학교 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해당부서(1999년도 QI경진대회 참가부서 및 주제) 1. 방사성 의약품 분할사용에 의한 예약시간 단축과 재료비의 절감방안

(핵의학과)

2. 방사성 검사 대기시간 단축(진단방사선과)

3. 인화친절 및 환경관리(임상병리과)

4. 검체취급시의 감염예방(임상병리과)

5. 소아입원환자 병실생활 안내문 개발

6. 암 환자 방사선 치료 중단 예방을 위한 방법 모색(치료방사선과)

7. 물자적약(임상병리과)

8. 세포병리검사 5시간 보고체계 확립(해부병리과)

9. 임상검사 오차율 감소방안(임상병리과)

10. 진료비 자동계좌이체 확대실시 방안, 원무과 직원 친절서비스 방안

(원무과)

11. 급식의 질 만족도 향상( 양실)

12. 신생아 TPN monitoring(약제부)

13. 임상미생물검사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감염관리

(임상병리과, 감염내과, 전산실, 감염관리실)

14. 정형외과 병동의 질적 간홍 p대한 자가 평가 활동(정형외과 병동)

15.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표준 진료 지침서의 개발 및 임상적용

(성형외과)

16. 제왕절개분만 환자의 표준진료지침(산부인과)

17. 퇴원요약지 기재사항 충실성 조사(의무기록실)

18. 전산 중단시간 단축을 위한 시스템 장애 최소화(전산과)

19. 임상병리과의 turnaround time과 병원환자의 대기시간 단축

(임상병리과)

20. 신생아중환자실 감염관리(신생아실, 소아과)

21. 이비인후과 특정 질환에 있어서 표준진료지침(이비인후과)

22. 백내장수술환자의 불만족 개선(안과)

23. 암 환자 방사선치료 중단 예방을 위하여(치료방사선과)

24. 방사선필름의 화진 향상을 위한 정도관리(진단방사선과)

25. 내원환자의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한 TAT 단축(임상병리과)

26. 양수세포 배양기간 단축(해부병리과)

27. 재 촬 률 감소를 위한 방안(핵의학과)

28. 급식의 질 만족도를 위한 QI( 양실)

29. 비위관 양환자의 방법개선을 위한 QI 활동(간호부)

30. 유료주자장 이용고객 만족도 향상(총무과)

31. 친절서비스를 통한 환자만족(원무과)

32. Infusion pump Quality Assurance(의공학과)

Page 65: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5 -

표 34. 파티마병원의 QI사업주제

사 업 주 제

TQM 위원회 과제 1. 응급환자 진료의 신속성과 적절성 조사

2. 신생아 합병증 조사

3. 계획에 없던 재수술률 조사

4. 재입원 환자의 특성 분석

5. 제왕절개 수술률 조사

6. 입원환자의 질병별 재원일수의 타당성

7. 수술의 합병증과 재원일수 평가

8. DRG별 재원일수의 적정성 검토

부서별 과제 1. 누락 및 미비로 인한 의무기록의 부적정성

2. 차트실 업무의 효율화에 장애가 되는 요건

3. 환자만족도 조사(상, 하반기 조사)

4. 처방오류 분석

5. 투약 미수령 평가

6. 조제 및 투약 오류 분석

7. 해부병리과 TAT 검토

8. 동결생검 진단의 불일치 정도 분석

9. 교차시험/수혈비

10. 수술후 관리(마취과)

11. 치료과정의 문제점 검토

12. 치료장비 성능관리

13. 행려환자에 대한 escape 실태조사

14. 식사만족도 조사

15. 잔식량 조사

16. 실제 제공되는 식사의 양가 분석

17. 검식평가(당뇨식)

18. 식사만족도 조사(선택기회 부여)

19. 당뇨환자의 식사인지도 조사

20. 생검보고서 작성 추이 분석

21. 전력적정 부하관리

22. 일차 제왕절개분만의 감소방안

23. 충두돌기 질 평가

24. 위장관 내시경의 적절한 관리

25. 자외선 치료실 이용의 효율성

Page 66: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6 -

No □□□□

안녕하십니까?

저는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석사과정에 있는 최지혜입니다.

본 설문지는 “우리 나라 종합병원의 QI(Quality Improvement)

사업의 내용과 개선효과분석”을 위해 작성된 설문문항입니다.

본 설문을 통해 우리 나라 종합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QI 사업이

어느 정도 개선효과가 있었는지 알아봄으로써, 우리 나라 QI 사업

이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바쁘시더라도 우리 나라 병원의 QI 사업의 발전을 위한 협조라고

생각하시고 설문에 솔직히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설문은 설문응답에 5∼10분 정도의 소요시간이 걸리며, 본 설문

결과는 연구 자료로만 사용될 것이고, 여러분의 개인적인 신상 사항

에 대해서는 철저한 비 이 보장될 것입니다.

응답하신 설문지는 동봉한 반송봉투에 넣어 11월 10일까지 보내주

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01년 10월

연구자 최 지 혜 드림

(지도교수 : 서 준)

◎ 연락처 : 연세대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연구실 033-760-2867

HP (019-384-6469), E-mail ([email protected])

청지

Page 67: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7 -

Ⅰ. 다음 항목들은 QI 사업의 내용과 관련된 외부고객만족관련주제들

입니다. 해당하는 사항에 (∨) 표 해주십시오.

사업 내용

시행 여부

시행 후 개선효과 정도

시행

미시행

매우 불만족

불만족한 편

보통

만족한 편

매우 만족

1. 진료대기시간 단축 ㉮ ㉯ ① ② ③ ④ ⑤

2. 주치의의 친절도 향상 ㉮ ㉯ ① ② ③ ④ ⑤

3. 간호사의 친절도 향상 ㉮ ㉯ ① ② ③ ④ ⑤

4. 행정(원무)직원의 친절도 향상 ㉮ ㉯ ① ② ③ ④ ⑤

5.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을 위한 개선 (주차시설․휴게실․화장실 등의 청결․편리 등) ㉮ ㉯ ① ② ③ ④ ⑤

6. 환자의 보호자를 위한 개선 (보호자 식당․침대 개선, 보호자 상담 등) ㉮ ㉯ ① ② ③ ④ ⑤

7. 병원 방문객을 위한 개선 (안내판 개선, 곳곳에 자원봉사단과 요원배치 등) ㉮ ㉯ ① ② ③ ④ ⑤

8. 환자 급식 만족도 향상 (급식의 질, 배식시간, 다양한 메뉴 등) ㉮ ㉯ ① ② ③ ④ ⑤

9. 병원약국 약제서비스의 질 향상 (복약상담이나 약품식별, 의약정보제공 등 환자중심의 정보제공기능 등)

㉮ ㉯ ① ② ③ ④ ⑤

10. 퇴원 후 환자추후 관리 ㉮ ㉯ ① ② ③ ④ ⑤

11. 지역민을 위한 건강교실 활성화 및 효율성 증진 (무료건강교실, 무료 1차 검진 및 무료 간 기능검사, 이벤트 등)

㉮ ㉯ ① ② ③ ④ ⑤

12. 각종 민원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신속성 ㉮ ㉯ ① ② ③ ④ ⑤

Page 68: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8 -

Ⅱ. 다음 항목들은 QI 사업의 내용과 관련된 임상진료의 질과 의료의

질향상 관련 주제들입니다. 해당하는 사항에 (∨) 표 해주십시오.

사업 내용

시행 여부

시행 후 개선효과 정도

시행

미시행

매우 불만족

불만족한 편

보통

만족한 편

매우 만족

13. 수술취소율 감소 ㉮ ㉯ ① ② ③ ④ ⑤

14. 계획에 없던 재입원률 감소 ㉮ ㉯ ① ② ③ ④ ⑤

15. 계획에 없던 재수술률 감소 ㉮ ㉯ ① ② ③ ④ ⑤

16. 신생아 합병증률 감소 ㉮ ㉯ ① ② ③ ④ ⑤

17. 혈액의 적절 사용 (교차시험/수혈비 지표이용 등) ㉮ ㉯ ① ② ③ ④ ⑤

18. 항생제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활동 (항생제 사용의 최소화, 폐렴환자의 의사처방의 적절한 항생제 사용 등)

㉮ ㉯ ① ② ③ ④ ⑤

19. 감염관리 활동 (손씻기, 장갑착용, 수술․검사기구 소독철저 등) ㉮ ㉯ ① ② ③ ④ ⑤

20. 정도관리 활동 (병리과 업무의 질적인 향상 등) ㉮ ㉯ ① ② ③ ④ ⑤

21. 식이처방오류개선 ㉮ ㉯ ① ② ③ ④ ⑤

22. 투약오류 감소 (일회분 조제 포장 제도 등) ㉮ ㉯ ① ② ③ ④ ⑤

23. 재원의 적절성 유지 ㉮ ㉯ ① ② ③ ④ ⑤

24. 응급실 재원시간 단축 ㉮ ㉯ ① ② ③ ④ ⑤

25. 의무기록 충실성을 얻기 위한 활동 (전공의들에게 의무기록 이용도의 중요성을 인식 등)

㉮ ㉯ ① ② ③ ④ ⑤

26. 정확한 간호기록 (간호기록 감사평가지, 개인별 간호기록 평가 등) ㉮ ㉯ ① ② ③ ④ ⑤

27. 진료과정에서 Critical Pathway 정착화 ㉮ ㉯ ① ② ③ ④ ⑤

28. 표준진료 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활동 ㉮ ㉯ ① ② ③ ④ ⑤

Page 69: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59 -

Ⅲ. 다음 항목들은 QI 사업의 내용과 관련된 업무 효율성 향상 관련

주제들입니다. 해당하는 사항에 (∨) 표 해주십시오.

사업 내용

시행 여부

시행 후 개선효과 정도

시행

미시행

매우 불만족

불만족한 편

보통

만족한 편

매우 만족

29.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 (효율적인 간호인계방법, critical pathway의 정착화, 간호기록과 업무의 표준화 등)

㉮ ㉯ ① ② ③ ④ ⑤

30. primary nursing method (효율적인 병동운영위해 필요, 담당간호제와 일차적 간호 제공 등)

㉮ ㉯ ① ② ③ ④ ⑤

31. 의무기록 관리 효율성 향상 (완성시간 단축을 위한 협조 체제구축,당일퇴원명단 출력 및 퇴원챠트 회수확인, 대출․반납 작업 등)

㉮ ㉯ ① ② ③ ④ ⑤

32. 행정절차 간소화의 활동 ㉮ ㉯ ① ② ③ ④ ⑤

33. 전공의 업무개선 활동 ㉮ ㉯ ① ② ③ ④ ⑤

34. 인사고과제도 개선 ㉮ ㉯ ① ② ③ ④ ⑤

35. 정규적인 직무만족도 조사 ㉮ ㉯ ① ② ③ ④ ⑤

36. 직원들의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 (업무환경의 개선 등) ㉮ ㉯ ① ② ③ ④ ⑤

37. QI 사업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 ㉯ ① ② ③ ④ ⑤

38. film 관리의 효율성 (OCS를 적극 활용(특히, 입원환자) 등) ㉮ ㉯ ① ② ③ ④ ⑤

Ⅳ. 다음 항목들은 QI 사업의 내용과 관련된 비용절감 관련주제들입

니다. 해당하는 사항에 (∨) 표 해주십시오.

사업 내용

시행 여부 시행 후 개선효과 정도

시행미시행

매우 불만족

불만족한 편

보통

만족한 편

매우 만족

39. 재촬영건수 감소 ㉮ ㉯ ① ② ③ ④ ⑤

40. 진료비 삭감률 감소 ㉮ ㉯ ① ② ③ ④ ⑤

41. 재원일수 단축 ㉮ ㉯ ① ② ③ ④ ⑤

42.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활동 ㉮ ㉯ ① ② ③ ④ ⑤

43. 물자절약을 위한 활동 ㉮ ㉯ ① ② ③ ④ ⑤

44. 의료장비수명 연장을 위한 활동 ㉮ ㉯ ① ② ③ ④ ⑤

Page 70: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60 -

Ⅴ. 다음 항목들은 QI 사업의 내용과 관련된 Risk Management 관련

주제들입니다. 해당하는 사항에 (∨) 표 해주십시오.

사업 내용

시행 여부

시행 후 개선효과 정도

시행

미시행

매우 불만족

불만족한 편

보통

만족한 편

매우 만족

45. 의료사고 감소 활동 ㉮ ㉯ ① ② ③ ④ ⑤

46. 의료기기 관리 ㉮ ㉯ ① ② ③ ④ ⑤

47. 환자낙상 방지 프로그램 개발 ㉮ ㉯ ① ② ③ ④ ⑤

48. 욕창발생감소 ㉮ ㉯ ① ② ③ ④ ⑤

49. 폐기물 관리 ㉮ ㉯ ① ② ③ ④ ⑤

50. 격리병동 관리 ㉮ ㉯ ① ② ③ ④ ⑤

51, 화재점검 ㉮ ㉯ ① ② ③ ④ ⑤

52. 독립적인 계약자 및 자문가를 통한 검토 ㉮ ㉯ ① ② ③ ④ ⑤

Ⅵ. 다음 항목들은 QI 사업의 장애요인들입니다. 본 병원에 해당하는

사항에 (∨) 표 하시거나, 직접 기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I 사업의 장애요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53. QI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의 부족 ① ② ③ ④ ⑤

54. 직원들의 관심과 참여 저조 ① ② ③ ④ ⑤

55. QI 활동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의 부족 ① ② ③ ④ ⑤

56. QI 활동에 대한 병원경 진의 지원부족 ① ② ③ ④ ⑤

57. 서비스 평가와 표준화심사에 시간․예산을

많이 소비① ② ③ ④ ⑤

58. 기타 (본인이 생각하는 의견)

Ⅶ. 본 병원에서 특별히 수행되고 있는 자랑할 만한 QI 사업이 있다면?

(직접기입)

예) 고객감동차원의 모유수유율 증가 사업 등

Page 71: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61 -

Ⅷ. 다음은 귀하의 병원 및 응답자 특성에 대한 문항입니다. 해당하는

사항에 (∨) 표 하시거나, 직접 기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귀 병원의 병상의 규모 ( ) 병상

2. 귀 병원의 QI 전담부서 및 전담자 유무

□① 전담부서 또는 전담자가 있다 □② 전담부서 또는 전담자가 없다

3. 귀 병원의 QI 사업의 활동기간 ( ) 년 ( ) 개월

4. 귀하의 연령은? 만 세

5. 귀하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6. 귀하의 학력은?

□① 전문대졸 □② 대졸

□③ 대학원졸(석사/박사) □④ 기타 ( )

7 귀하의 직종은

□① 의사 □② 간호사 □③ 의무기록사

□④ 행정직 □⑤ 기타 ( )

8. 현 병원에서 근무기간? ( ) 년 ( ) 개월

◈ 바쁜 시간을 할애해 응답해 주신 것을 깊이 감사드립니다 ◈==- 11월 10일 (토요일)까지 반송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이 논문의 결과를 받아보시고 싶으신 분은 E-mail 주소를 남겨 주시면 꼭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귀하의 E-mail 주소 :

Page 72: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62 -

ABSTRACT

The performance of QI Programs in general hospitals

Choi, Ji Hea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quality

improvement programs.

The data from in this study was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264 in general hospitals from Oct. 27 to Nov. 10 in 2001.

A total of 59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by frequency distribution and

t-tes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Such programs as custome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improvement,

work efficiency and cost containment were being conducted in over 50% of

respondent hospitals, while risk management program were in only 39.9% of

the hospitals.

2. Among the customer satisfaction programs, customer-oriented behavior of

physicians and the quality of food services were found to be enforced

programs in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Page 73: ; a Ä ä ý D 2* ¸D · P x r D D Õ ñ 2s I Æ d : S × D D Õ x û ³ I ¯ à 2 ³ ~ ´ I ¯ > I % × | \ % ¿ 7

- 63 -

3. With regard to the clinical practice improvement activities, the programs

of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s guidelines should be enforced among

the respondent hospitals. shall

4. With regard to the work efficiency improvement activities, the program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incentive system were found to be

enforced ones in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5. Among the cost containment activities, the programs of lessening the

length of stay and waste of radiographics were found to be enforced ones in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the respondent hospitals.

6. With regard to the risk management activities, almost all of the programs

were found to be enforced ones.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Korean hospitals still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tal services through the various programs of the quality

improvement.

Key words : quality improvement, custome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improvement, work efficiency, cost containment, risk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