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The Fine Art of Advertising ch 1. The high art of class lust

광고와 예술 Ch 1

  • View
    810

  • Download
    6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광고와 예술 Ch 1

The Fine Art of Advertisingch 1. The high art of class lust

Page 2: 광고와 예술 Ch 1

I. 학습에 앞서…

Page 3: 광고와 예술 Ch 1

학습개요

이 단원에서는 순수 예술 작품이 광고에 활

용 되어진 동기와 어떻게 활용 되었는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그 예로 그 대로 순수

예술이 활용된 여러 가지 광고를 접할 것

이다.

Page 4: 광고와 예술 Ch 1

학습목표

최초로 광고에 순수작품을 이용한 Pears soap의 광

고와 그 마케팅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순수 예술작품을 변형하지 않고 광고에 그대로 차용한 사례들을 설명할 수 있다.

Page 5: 광고와 예술 Ch 1

이 단원에 나오는 중요 인물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rett Millais)

19세기 후반 몰락하는 유럽 미술계를 개혁해 르네상스 시대로 돌

아가자고 주장했던 영국의 대표 화가다. 사회적으로 격동의 시기

인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절에 활동을 한 밀레이는 중세 예술이

가지고 있는 순수 예술을 지향한다는 1848년에 설립한 라피엘로

전파예술의 중심에 있었다. 그는 감성적인 주제의 작품을 많이 제

작했다. 또한 그의 그림들은 치밀한 묘사와 청교도적 내용으로 유

명하며, 순수미와 숭고미를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Page 6: 광고와 예술 Ch 1

II. 학습하기

Page 7: 광고와 예술 Ch 1

토마스 배럿(Thomas Barratt)

빅토리아 시대 영국 브르조아의 계급적 갈망을 간파

“현대 광고의 잊혀진 아버지”

페어스 비누(Pears’ Soap)의 마케팅 기법 구사

250,000불란서 동전에 회사명 주조

전국적 증언 광고 캠페인 (Sir Wilson, Langtry)

최초로 광고에 순수미술작품 이용

….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rett Millais)

<아이의 세계 (A Child’s World)>

Page 8: 광고와 예술 Ch 1

Pears’ Soap의 “A Child’s World”활용

- 광고가 예술을 이용하는 방법의 지침이 됨

- 제품(회사명)은 작고 부수적으로 배치

- 일종의 브랜드 슬로건 사용

Sir John Evrett Millais (artist)

(President of the Royal Academy, 1896)

Sir William Graham

(Owner of Illustrated London News)

Thomas Barratt

(Marketer of Pears’ Soap)

Page 9: 광고와 예술 Ch 1

Sir John Everett Millais (1829 – 1896),

영국 라파엘전기파의 화가, 대표작 <오필리어>

Page 10: 광고와 예술 Ch 1

존 에버렛 밀레이 경,

<아이의 세계>

Page 11: 광고와 예술 Ch 1
Page 12: 광고와 예술 Ch 1

밀레이의 그림을 활용한페어스 비누 광고

Page 13: 광고와 예술 Ch 1

Sir Edwin Landseer

(1802-1873)

동물화를 주로 그렸던

영국의 낭만주의 화가

Page 14: 광고와 예술 Ch 1

페어스의 경쟁사인배빗 비누는 에드윈랜드시어의 동물그림을 많이 활용

Page 15: 광고와 예술 Ch 1

Joseph Christian Leyendecker (1874 – 1951)

미국의 일러스트레이터

Saturday Evening Post의 커버일러스트 등 작품 다수

Page 16: 광고와 예술 Ch 1

레옌데커의 일러스트를 활용한 아이보리 비누 광고

Page 17: 광고와 예술 Ch 1

계급적 갈망은 대량제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고급예술을 이용하는 주요한 동기

오늘날에도 여전히 자사 브랜드의 품격을 광고하기위해 고급에술을 그대로 사용

Sungard: 예술의 명성이 아니라 그 자체의 의미를활용

Tabu: 예술의 영원성과 사랑을 통해 브랜드 가치 표현, 예술 뿐 아니라 에술가의 이미지도 활용

Page 18: 광고와 예술 Ch 1
Page 19: 광고와 예술 Ch 1

Coypel : “Perseus and Andromeda",

Page 20: 광고와 예술 Ch 1

Zurbaran: “Struggle of Hercules with the Hydra of Lerna “

Page 21: 광고와 예술 Ch 1
Page 22: 광고와 예술 Ch 1

현대 광고에서 순수미술을 그대로 활용한 사례

에두아르 마네 (1831-1883) Campari

에드가 드가 (1834-1917) St. Regis Hotel

조르주 피에르 쇠라 (1859-1891) United Airline

Page 23: 광고와 예술 Ch 1
Page 24: 광고와 예술 Ch 1

에두아르 마네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

Page 25: 광고와 예술 Ch 1
Page 26: 광고와 예술 Ch 1

드가 ““주악석의 악사들”

Page 27: 광고와 예술 Ch 1
Page 28: 광고와 예술 Ch 1

조르쥬 피에르 쇠라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Page 29: 광고와 예술 Ch 1

III. 평가하기

Page 30: 광고와 예술 Ch 1

1.토마스 배럿과 그가 전개했던 페어스 광고 전략에 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

1)토마스 배럿은 현대 광고의 잊혀진 아버지라 불릴 정

도로 마케팅의 선구자였다.

2) 페어스 비누 광고는 순수 예술을 본격적으로 광고에

활용했다.

3) 페어스 비누 광고가 예술을 활용하는 전략은 아이러

니한 방법이었다.

4) 페어스가 고급예술을 활용한 것은 브르조아의 계급

적갈망을 간파했기 때문이다.

Page 31: 광고와 예술 Ch 1

정답 및 해설

페어스 비누 광고가 예술을 활용하는 전략은 아이러니한

방법이 아니라 순수예술 작품을 그대로 활용한 것이다.

답: 3)

Page 32: 광고와 예술 Ch 1

2. 페어스 비누광고 중 최초로 이용한 순수작품은 존 에

버렛 밀레이의 ( )이다.

정답 및 해설

광고에 최초로 순수작품을 차용한 광고는 페어스 비누광

고인데 최초로 이용된 순수작품은 존 에버렛 밀레이의

‘아이의 세계(A child’s world)이다.

답 : 아이의 세계

Page 33: 광고와 예술 Ch 1

IV. 정리하기

Page 34: 광고와 예술 Ch 1

“현대광고의 잊혀진 아버지” 토마스 배럿

최초로 광고에 순수작품 이용- 존 에버렛 밀레이의

‘아이의 세계’ (A child’s world)

페어스 비누의 ‘A child’s world’ 활용

-광고가 예술을 이용하는 방법의 지침

-일종의 브랜드 슬로건 사용

계급적 갈망- 고급예술을 이용하는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