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 - 현창원 황제 국사 금수저 특강 1. 선유도 특강 (12월 8일 화요일) (선사시대 유적지 정 리 특강) 2. 교과서 특강 (12월 15일 화요일) (역사서와 사서 정리 특강) 3. 기독교 특강 (12월 25일 금요일) 기출문제로 독립운동사 정리 - 2016년 1~2월 강의 일정 - 종합반 : 특별집중반 - 매주 목, 금 - 단과반 : 지엽사특강(문화사 중심) - 매주 목(18:40~22:20) 2달과정 → 7,9급 한국사 100점을 위한 필수 특강 - 문제풀이 : 단원별 문제풀이 - 매주 금(14:00 ∼18:00) 2달과정 → 핵심문제 기출 + 예상, 문제풀이 스킬 연습 - 카페 : 다음에서 현창원 현창원쌤과 함께 한다면 2016년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기상직, 세무직, 법 원서기보, 군무원, 계리직, 사회복지직, 경찰직, 소방직 모든 직렬 한국사 100 점! 가능합니다.!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현창원 황제 국사 금수저 특강 - att.eduspa.comatt.eduspa.com/FileData/CM/RscFile/0201/020120156122M/6a.pdf · - 카페 : 다음에서 현창원 현창원쌤과 함께 한다면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 -

현창원 황제 국사 금수저 특강

1. 선유도 특강(12월 8일 화요일)(선사시대 유적지 정리 특강)2. 교과서 특강(12월 15일 화요일)(역사서와 사서 정리 특강)3. 기독교 특강(12월 25일 금요일)기출문제로 독립운동사 정리

- 2016년 1~2월 강의 일정- 종합반 : 특별집중반 - 매주 목, 금- 단과반 : 지엽사특강(문화사 중심) - 매주 목(18:40~22:20) 2달과정 → 7,9급 한국사 100점을 위한 필수 특강- 문제풀이 : 단원별 문제풀이 - 매주 금(14:00 ∼18:00) 2달과정 → 핵심문제 기출 + 예상, 문제풀이 스킬 연습- 카페 : 다음에서 현창원현창원쌤과 함께 한다면 2016년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기상직, 세무직, 법원서기보, 군무원, 계리직, 사회복지직, 경찰직, 소방직 모든 직렬 한국사 100점! 가능합니다.!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2 -

암살과 실존 인물사건① - 데라우치 총독 암독미수사건 : 염석진이 시도, 강인국(친일파)이 데라우치 구출 → 실제 역사 : 안명근과 신민회 회원들의 데라우치 암살미수사건, 105인사건으로 신민회 해체

안악 사건(데라우치 총독암살 미수사건)안명근 의사는 안중근 의사와 사촌으로, 국권이 피탈되자 서간도(西間島)로 이주하여 그곳에 무관학교를 세울 목적으로 10년 국내에 잠입, 황해도 일대의 부호들로부터 자금을 모금하던 중 1만원의 군자금을 요구받은 신천(信川) 출신의 한 부호의 밀고로 전국에 지명수배되었다. 은신중이던 안명근은 그 해 12월 27일에 있을 압록강 철교 준공식에 데라우치가 참석한다는 정보를 듣고 그를 선천역(宣川驛)에서 암살할 계획을 세우다가 체포되었다. 일제는 이 사건을 기화로 11년 1월 민족지도자 유동열 ·윤치호 ·양기탁 ·이승훈 ·이동휘 등을 비롯한 600여 명을 검거하고, 심한 고문 끝에 105인을 기소한 ‘105인 사건’을 조작하였다.결국 안명근은 종신징역, 김구·김홍량·배경진·이승길·박만준·원행섭(元行燮) 등은 징역 15년, 도인권 징역 10년, 등은 징역 7년, 최익형(崔益馨)·고봉수(高奉守)·박형병(朴衡秉)·장윤근(張倫根)·한정교(韓貞敎) 등은 징역 5년 등의 형량을 언도받았다. 그 뒤 김구·김홍량·최명식 등은 감형과 특사로 1915년을 전후해 출옥하였다.

사건② - 임시정부는 윤봉길의사의 의거이후 상해에서 탈출한 이동기(항저우 시기) 였다. - 김원봉과 김구가 합작시도 경성에서 암살을 계획하다 → 실제 역사 : 김구와 김원봉은 임시정부의 이동기 민족통일전선운동을 시도하였다.

사건③ - 염석진이 속사포와 황덕삼 감옥에서 조우, 한국독립군을 찾아가 안윤복 접촉할 때 일본군과의 전투 → 실제 역사 : 만주사변이후 항일 한중합작부대 - 한국독립군 + 호로군과 연합하여 일본군 격퇴

사건④ - 상해 미라보여관(호텔, 상해 프랑스 조계)에서 안윤복과 하와이 피스톨 우연히 만남, 프랑스 조계지의 일본 깡패들을 경찰들이 검문 → 실제역사 : 임시정부의 위치 (상해 → 이동기 → 중경기)

사건⑤ - 상해 미라보여관에서 김원봉과 조우, 안옥윤의 어머니가 간도참변 때 사망, 간도참변을 이야기함 - 생매장, 솥에 삶아 죽이고, 칼로 죽이고 → 간도참변을 일으킨 장본인이 가와구치 마모루 이야기한다. 강인국과 가와구치 암살 작전을 계획한다. → 실제역사 :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패배한 일본군이 간도에 살던 한국인들을 무차별 살상한 사건

사건⑥ - 서울에서 암살단원들은 강인국과 가와국치 암살을 시도한다. → 실제역사 : 의열단 단원들이 1920년대 국내에 들어와서 일제의 지배기구에 폭탄을 던지고 저격을 하였다.

사건⑦ - 염석진이 해방 후 반민특위에 의해 체포되어 재판을 받는 과정, 무죄 판결하여 석방된다. 기다리고 있던 안윤옥에 의해 척결된다. → 실제역사 : 반민특위에 노덕술등 친일파들이 체포되었지만, 이승만 정권의 방해 공작으로 실패로 끝남.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3 -

임시정부

의열단

배우

김홍파 이정재

역할김구

- 임시정부

염석진

- 데라우치 총독암살 시도(안악사건, 신민회 해체) → 실패 → 일제의 밀정이 되어(탈옥

하였다고 함, 종로경찰서 탈옥 1호) → 임시정부 잠입, 임시정부 경무국 대장 → 암살단

원 제거 시도

실존인물

김구

- 염동진

1934년 낙양군관학교 한인반 입학, 1935년 졸업

- 민족혁명당에 가입하여 남경에서 활동, 1935년 민족혁명당조직

에 반대하여 화북방면으로 감

- 1936년 만주에서 독립운동하다가 일본 관동군 헌벙대에 붙잡

혀 고문으로 눈이 멀었다고 한다. 이후 밀정 노롯을 하였다는데

이와 관련된 자료는 알려진바 없다. 1943년 평양에서 박고봉과

함께 대동단이라는 항일 비밀결사를 결성하였다.

- 해방이후 북한에서 약탈과 부녀자 겁탈한 현준혁 암살, 월남하

여 극우 테러조직 백의사를 조직했는데, 임시정부 세력과 연계하

여 김일성등 요인 암살시도 하였다. 박헌영 남치를 시도하였고,

여운형 암살하는데 권총을 제공하였다.

- 백범 기구 선생을 암살한 안두희 역시 백의사 단원 이었다. 그

러나 염동진이 김구를 살해할 만한 정황이 없다고 하여 염동진의

지시 가능성은 적다고 한다. 1949년 반민특위 체포 시 청부업자

를 고용하여 반민특위 간부들을 암살하라고 지시하였다. 이승만의

비호로 석방, 이 과정에서 반민특위 와해되었다.

- 노덕술

- 경남 울산 태생, 1928년 통영경찰서 사법주임, 서울, 인천, 개

성, 종로 등 경찰서의 사법 주임거쳐 1934년 평남 보안과장으로

승진, 광복 후 평양경찰서장이 되었다가 월남, 1936년 장택상에

의해 수도경찰청 수사과장에 기용되어 反 이승만세력 숙청과 좌

익분자 검거주도, 동아일보 송진우의 암살범을 검거, 1949년 반

민특위에 체포, 특위 와해 후 경기도 경찰부 보안주임, 이후 헌병

중령으로 변신하여 1955년 서울 15범죄수사대 대장을 지냈다.

1968년 사망

- 1947년 김원봉을 남로당이 주도한 파업에 연루되었다는 죄목

으로 체포해 빨갱이 두목이이라며 뺨을 때리고 모역하였다. 김원

봉은 수모에 사흘을 꼬박 원통해 했다고 한다. 이후 김원봉은 북

한에서 열린 남북협상에 갔다가 북에 남았다 숙청되었다.

배우

조승우

역할김원봉 - 강인국과 가와구치 처단 시도하기 위해 김구와

접촉, 사건 계획을 주도하였다.

실존인물

김원봉

- 1919년 의열단 조직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4 -

합작- 강인국과 가와구치 암살을 시도해라.

배우

전지현조진웅 최덕문

역할

안옥윤

- 강인국의 딸, 어머니가 데라우치총

독 암살 시도함.

- 지(이)청천의 한국독립군 제 3지대

저격수, 상관쏘아 감옥에 갇힘

- 암살 대장

미츠코

- 강인국의 딸, 가와구치와 결혼하기

로함, 강인국의 총에 의해 사망

속사포(추상옥)

- 신흥무관학교 마지막 졸업생

- 천진 국민혁명군 감옥

황덕삼

- 폭탄제조 업자

- 천진 국민혁명군 감옥

실존인물

남자현 지사- 3.1운동때 적극적

시위운동, 만주로 망

명하여 서로군정에서

참가하였다.

- 여자 “안중근”으

로 불리었다.

- 1925년 사이토 마

코토 암살계획 실패,

만주로 도망갔다.

의열단원들의 활동

서울

배우

김해숙 김인우

역할- 서울 아네모네 마담

기무라

- 아네모네에서 웨이터? 김해숙을 모시고 있는 일본인, 조선독

립을 찬성하다.

실존인물

박자해 - 신채호 부인, 의열단 나석주

의 활동을 서울에서 도움

- 아네모네 : 임시정부의 연락

기관이었던 부산의 백산상회,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임시정부

운영자금을 지원하였다.

후세 다츠지

- 한국 독립운동과 한국인의 인권을 위해 투쟁한 일본의 인권

변호사이다.

- 1919년 2∙8독립선언으로 인해 체포된 조선 유학생을 변론

하기 시작하여, 제 1∙2차 조선공산당 사건, 한신 교육투쟁사건

등 광복 전후 재일본 한국인과 관련된 사건의 변론을 도맡았

다. 1946년 <조선건국 헌법초안>을 저술하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5 -

기타

총독과 친일파

배우

하정우

역할 하와이 피스톨

실존인물

김상옥

의열단 으로,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총독 암살을 준비하던 중

그를 뒤쫓던 상하이 주재 일본 경찰의 추적으로 사망, 총알을

맞고도 대한독립 외치다 스스로 자결

배우

이경영 박병은

역할

강인국

- 광산채굴권을 얻어 부를 축적

- 데라우치총독 암살시도 시 총독을 구출하여 신망을 얻음

- 총독부 최고의 친일파

- 비행기 10대 헌납하고 작위를 받음

허구의 인물

가와구치 마모루

- 강인국과 사돈이 되는 인물,

간도참변을 일으킨 일본장군, 조

선주둔군 사령관

가와구치

- 조선주둔군 사령관 가와구치

마모루의 아들

- 강인국의 딸(미치고)과 결혼

예정

실존인물

- 방응모 : 금광업과 조선일보 경영권, 일제의 지배와 침략을

찬양한 잡지<조광>을 방행, 1933년 거액의 고사기관총 구입

- 최창학 : 금광 개발, 일제에 거액의 국방헌금 헌납하여 전쟁

물자 지원

- 김연수 : 김성수의 동생, 경성방직 사장 김연수는 비행대 1

대 값인 10만원을 헌납하였다.

- 김성수 : 동아일보 설립, 언론 매체에 징병과 학병을 선전,

선동하는 일제의 침략전쟁 승리를 위해 총력하자는 글을 수차

례 기고

- 방응모 -

- 김성수 -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6 -

1. 1910년대 상황(독립운동기지의 건설)1. 한일합방 -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 2. 국내 무단통치 - 국내 비밀결사와 최후의 의병운동

중국본토 이르쿠츠크 : 1918년 볼세비키당 한인지

부에서 출발한 이르크츠크파 공산

당 한인지부. 1920년 전로한인공산당

으로 변경. 이르크츠크파 고려공산당은

한인 군사조직의 장악 과정에서 하바로

브스크 지역의 상해파 고려공산당과 노

골적으로 부딪치며 자유시참변을 야기

하바로브스크 : 한인사회당, 1918, 시베리아 망

명인사, 한국 최초 사회주의 정당, 위원장

이동휘, 1920년 일본군대 시베리아 출병으로 활

동 중지, 상해로 피신하였다가 임시정부에 참여하

였고, 임시정부 전면개편을 주장하였다가 거부되

자. 1921. 1 고려공산당(상해파)으로 개명

미주

강북(북경) - 강북혁명! • 신민회(하와이, 1903)

- 하와이 사탕수수농장에서 일하던

한인들은 친목도모와 상호부조 등

을 위하여 신민회를설치

• 합성협회 - 1907년에는 하와이 한인의 통일

적 정치운동기관인 한인합성협회를

창립하였다.

• 공립협회- 190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직

- 1903년 안창호등이 상호친목 목

적으로 만든 상항친목회가 기원

- 애국 운동의 전개, 동족간의 상

부 상조, 환난상구(患難相救)

• 국민회 - 1909 .2 - 1908년 전명운과 장인환

의사의 스티븐스 저격이 배

- 공립협회(1903, 샌프란시스코, 안창호, 본토, 전명운이 회원, 공립신보) + 한인합성협회(하와이)의 통합- 신한민보, 국민보 발행

• 한인소년병학교 - 1909. 6, 박용만이 네브라스카주 헤이스팅스 설립

• 대한인국민회

- 1910년 결성 - 국민회가 발전(대동보단회 흡수)- 샌프란시스코에 중앙본부(북미, 하와이, 멕시코, 시베리아 총회 구성)- 신한민보 발행, - 독립군사관양성(소년병학교, 숭무학교, 국민군사관학교)

• 흥사단 - 1913년 설립- 안창호, 신민회 해산후,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

- 계몽단체- 국내 지부(수양동우회)

• 대조선국민군단 - 1914년 박용만 - 하와이에 건립- 대한인국민회 연무부를 개편- 군대양성(목총들고 훈련)- 국내 조선국민회와 연계- 이승만의 외교론 밀림, 박용만 극동으로 실전참가

• 동지회- 1921.7년 - 이승만이 상해에서 돌아온 직후, 호놀롤루에 설립 - 동지회는 임시정부 대통령을 종신총재로 추대하고 총재에 대하여 절대 복종할 것을 신조로 했다.

•신한혁명당 : 1915,

북경 or 상해에서 조직,

성낙형 + 동제사의

간부, 본부가 북경, 지

부(상해, 장춘, 국내에도

존재), 1차세계대전에

서 독일이 승리할것

이라 판단, 독일과

중국이 대전후 일본

공격할것으로 판단,

고종이 당수(중국과

독일이 아직 황제국

가), 대동단결선언(1917,

신규식, 조소앙, 복벽주

의 극복하고 국민주권설

공화주의 선택 임정필요

성, 의병 + 애국계몽),

만주

밀산부

한흥동- 이상설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서간도북간도(용정,왕청)

독립운동가들이 가장 먼저 개척한 독립운동기지

•신한촌 : 이상설

- 해조신문 : 1908년, 블라디보스토

크, 신민회 지부 활동하던 이강 등이

주도하였다. 장지연이 주필, 러시아

거주 한국인 발행한 최초의 순한글 신

•삼원보 : 1911,

-이회형, 이시

형 6형제가 이

- 신민회의 독

립운동 기지

•서전서숙

- 1906∼1907, 이상설, 이동녕

•13도의군

- 1910.6 유인석, 의병통합체

• 성명회

- 1910. 8∼9,

- 일본천황에 편지, 항일투쟁시도, 러

시아 당국에 폐쇄

• 경학사

- 1911, 자치기관

- 신흥강습소

• 명동학교

- 1908, 서전서숙을 이음. 김학

연이 주도, 3.1운동에 참여,

1925년 폐교기출Ⓟ 강남(상해)

강남 제동 청년!•기출Ⓟ 중광단

- 1911, 대종교 중심,

- 무오독립선언발표

(대한독립선언서, 1918.

12), 우리나라 최초의 독립

선언서, 만주 길림에서 주

로 중광단의 인사들을 중심

으로 독립운동가 39명의 이

름으로 발표되었다. 조소앙

이 집필하였다.

• 부민단

- 1912

- 신흥중학교

(신흥학교)

• 기출Ⓟ 권업회

- 1911∼1914,

- 의병과 계몽 운동가 연합

- 권업신문 발행

- 러시아가 강제해산

•동제사

- 1912, 상해 유학생

이 조직

- 이사장 신규식(신해혁

명에 참여 중국 혁명

인사와 교류)이 주도

- 상해 프랑스 조계에서

만들어짐. 총재 박은식,

신채호, 조소앙 + 손

문의 협력(신해혁

명),

- 박달학원을 설립

- 임정수립에 큰역할

▪기출Ⓟ 대동보국단

- 1915년 신규식이 박은

식과 조직

- 진단이라는 잡지를 발

간하기도 했다.

• 신한청년당

- 1918, 윌슨 민족자

결주의 후,

-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독립청원서 파리 및

미대통령에 보냄

• 기출Ⓟ 대한광복군정부 :

1914, 러일 전쟁 10주년, 망명정부의

효시,

- 권업회에서 세움,

- 대통령 이상설(노령정부라 불림),

부통령 이동휘,

- 사관학교를 설치․운영, 독립전쟁에

대비하여 노령과 만주에서 양성된 광

복군을 망라하는 전투편성계획까지 수

립, 그러나 1차 세계대전 발발과 더불

어 일본과 함께 연합국으로 참전하게

된 러시아 당국이 한인 탄압하여 대한

광복군 정부는 권업회와 함께 해체

• 한족회

- 1919.4

- 신흥무관학교

서로군정서 :

1919, 한족회 산하

군대

• 대한정의단

- 1919,대종교 중심, 중광단이

개편

• 의민단

- 1919, 왕청현

- 천주교도 중심, 의병, 자

유시참변으로 해산

•기출Ⓟ 대한독립단- 1919, 유하현이

본거지

- 복벽주의

- 국내에서 의병활

동을 주도했던 박

장호, 백삼규조직,

- 국내진공작전

• 북로군정서

- 1919년, 왕청현에 조직

- 김좌진

- 대한정의단이 개편

• 대한독립군 - 1919, 홍범도

• 전로한족중앙총회 :1917,러시아혁명

영향

•광복군사령부

: 1920, 한족회등

을 통합, 임시정부

직할 내무부직속

군무부직할, 해체

후 일부 광복군 총

영 구성

•대한국민의회

- 1919.3∼8 연해주지역 설치된 임시

정부(정부수립선언)

- 의장에 문창범, 부의장에 김철훈,

- 손병희가 대통령, 부통령 박

영효 선출

•국민회군

- 안무, 대한국민회 산하단체

•군무도독부: 최진동

•간도국민회

- 1919년, 대한국민회,

- 국민회군조직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7 -

해외독립운동기지 건설

연해주

1995 - 법원서기보 - 독립군의 무장항일운동의 터전을 마련하고 임시정부 수립의 길을 열어 놓은 것으로 이상설과 이동휘 등이 조직

한 단체는?

① 대한광복군정부 ② 대한국민의회 ③ 한성정부 ④ 만주의 군정부

2009 - 경찰직(정보통신) - 4. 해외 독립운동 기지와 관련되어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지역은?

□ 대한광복군정부가 수립되었다.

□ 권업회(勸業會)가 조직되어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 3.1운동 이후 대한국민의회가 결성되어 독립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① 연해주 ② 북간도 ③ 밀산부 ④ 미주

2011 - 법원서기보 - 6. 밑줄 친 ‘이곳’에서 한인들이 전개한 활동만을 <보기>에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 ㉢ ② ㉡, ㉣ ③ ㉠, ㉡, ㉣ ④ ㉡, ㉢, ㉣

2008 - 모의평가(6월, 평가원) 근현대사 - 12. 다음 두 단체가 활동한 지역에서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 정통령 이상설, 부통령 이동휘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군대를 비밀리에

편성하고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다.

□ 손병희를 대통령으로 추대하고 처음으로 임시 정부 수립을 선포하였다.

①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② 명동 학교, 서전 서숙이 한인 교육을 담당하였다.

③ 한인들이 신한촌을 건설하고 권업회를 결성하였다.

④ 대한인 국민회는 의연금을 모아 임시 정부를 지원하였다.

⑤ 신한 청년당이 결성되어 파리에 대표를 파견하는 활동을 하였다.

한국사검정능력 - <3차 1급> - 40. 지도에 표시된 지역으로 이주했던 동포들과 연관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9세기 중, 후반부터 이주하기 시작하여 간민회를 조직하고 서전서숙을 운영하였다.

② 1937년 소련은 한국인의 일본 첩자 활동을 우려하고 이 지역에 거주하던 한인을 강제이주 시켰다.

③ 20세기 초 사탕수수 농장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동포들은 자금을 모아 독립 운동에 기부 하고, 신문과 잡지를 발행하여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④ 해방 당시 230만 명에 달하던 이 지역의 동포 가운데에서 60만여 명이 해방 이후 잔류하였으나, 영주권조차 부여되지 않았다.

⑤ 1960년대 중반 이후 외화 획득을 목적으로 수천 명의 광부와 간호사가 이주하였다.

국권 피탈 이후 많은 한국인이 이곳으로 이주하였다. 일제가 만주 침략에 이어 중․일 전쟁

을 도발하자 일본군이 이곳을 침략하기 위해 한국인을 첩자로 이용한다는 소문이 떠돌기

시작했고 이것이 강제 이주의 구실이 되었다. 이곳의 한인들은 두 달 동안 곡식 씨앗과 옷

가지, 책꾸러미들만을 보따리에 싸든 채 화물 열차에 실려 중앙 아시아로 끌려갔다.

<보기>

㉠. 성명회 조직 ㉡. 대한 국민 의회 조직

㉢. 대조선 국민군단 창설 ㉣. 대한광복군 정부 결성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8 -

상해2011 - 서울시 - 12. 다음 중 같은 지역에서 결성된 민족운동 단체로 바르게 묶은 것은?

ㄱ. 신한청년당 ㄴ. 의열단 ㄷ. 권업회 ㄹ. 한인사회당 ㅁ. 동제사

① ㄴ,ㄷ,ㄹ ② ㄱ,ㄴ,ㅁ ③ ㄱ,ㄷ,ㄹ ④ ㄷ,ㄹ,ㅁ ⑤ ㄱ,ㄴ,ㄷ

전체

1998 - 입법시 - 다음 중 독립운동단체에 관한 설명으로 타당한 것은?

① 북간도에 있었던 동제사는 비밀무장결사체였다.

② 간도의 경학사는 독립군 양성의 기반이 되었다.

③ 대한광복군정부는 1914년 상해에서 설립되었다.

④ 공립협회는 연해주에 설립된 천주교 결사체였다.

⑤ 참의부는 1924년 조직된 연해주 무장단체이다.

2008 - 행안부 7급 - 16. 1910년대 독립운동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15년 신규식은 박은식과 함께 대동보국단을 만들었다.

② 1910년대 서울에서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조선산직장려계를 결성하였다.

③ 1913년 안창호는 뉴욕에서 흥사단을 조직하였다.

④ 1910년대 만들어진 독립의군부를 대한제국의 회복을 추구하였다.

2006 - 모의평가(9월, 평가원) 근현대사 - 13. 다음 자료와 관련된 지역의 동포 사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한국 정부와 농장주를 연결시켜 준 사람은 주한 공사 알렌이었다. 그는 1902년 고향으

로 휴가차 건너갔다가 사탕수수 농장주 협의와 한국인 노동자를 불러들이는 문제에 대

해 의견을 나누었고, 그해 4월에 한국으로 돌아와 고종을 설득하여 이민 사업을 성사시

켰다.

①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많은 한국인이 학살당하였다.

② 신흥 무관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 전쟁을 준비하였다.

③ 대한인 국민회를 조직하여 독립 운동 단체를 지원하였다.

④ 토지 조사 사업으로 경작지를 잃은 농민들이 주로 이주하였다.

⑤ 신한촌을 건설하고 한인 학교를 세워 민족 의식을 고취시켰다

2010 - 모의평가(10월, 서울시교육청) 근현대사 - 7. 밑줄 친 ‘이 지역’에서 일어났던 사실로 옳은 것은?

내부대신 김규홍이 아뢰기를, “이 지역은 수십 년 전부터 우리 백성이 이주하여 이

제는 수만 호에 십여만 명이나 됩니다. 그래서 지난해에 시찰관 이범윤을 파견하여 황

제의 교화를 선포하고 호구를 조사하게 하였습니다. …(중략)… 시찰관 이범윤을 이 지

역에 계속 주재시켜 사무를 관장하게 하여 백성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라고 하니, 황제가 윤허하였다.

① 의열 투쟁을 목표로 한인 애국단이 결성되었다.

② 이상설이 서전서숙을 세워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③ 박용만이 대조선 국민 군단을 조직하여 군사 훈련을 하였다.

④ 장인환이 일제의 침략 행위를 미화하던 스티븐스를 저격하였다.

⑤ 망명한 의병과 계몽 운동가들이 권업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2013 - 국가직 9급 - 13. 밑줄 친 ‘여러 단체와 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경학사 ② 권업회 ③ 부민단 ④ 신흥무관학교

1907년 설립된 신민회 회원들은 1909년 말 이후 일본의 한국 병합이 목전에 있다고 보고, 국외로 나가 독립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이에 따라 신민회 회원들은 1910년 초 이후 국외로 나가기 시작하였다. 신민회의 이회

영, 이시영, 이상룡 등을 1911년 압록강 건너 서간도로 옮겨가 삼원보에 자리 잡았다. 이들은 여러단체와 기관을 설립하여 독

립 운동 기지 건설 운동을 전개하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9 -

2. 국내 비밀결사

국내(무단통치에 따른 비밀결사, 최후의 의병)

비밀

결사

복벽

주의

•민단조합

•대한(독립의군부)

- (1912∼1914), 고종의 밀명, 임병찬이 조직한 군대식 조직,

- 국권반환 요구서 발송(일본총리, 조선총독)

- 대한제국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복벽주의

•기출Ⓟ 대한광복회

(1915.7∼1918발각해체)

- 대구에서 조직

- 조선국권회복단의 박상진(한말 의병장 허위의 문인) 주도(총사령)

+ 대한광복단의 채기중의 연합,

- 의병계열과 계몽주의 계열이 통합 의의

강 령 ① 부호의 의연(義捐) 및 일본인이 불법징수하는 세금을 압수하여 무장을 준비한다. ② 만주에 사관학교를 설치하여 독립전사를 양성한다. ③ 중국·러시아 등에 의뢰하여 무기를 구입한다. ④ 무력이 준비되는 대로 일본인 섬멸전을 단행하여 최후 목적을 달성한다.

- 1916년부터 충청도·경기도·강원도·황해도 등으로 확대

- 연락기관으로 곡물상․잡화상(미곡상점- 대구 상덕태상회, 영주의 대

동상회) 설치

- 군자금모집

- 친일부호 처단(전 관찰사 장승원과 도고 면장 박용하 사살 사건)

- 독립전쟁론에 입각 독립군과 만주 사관학교 설립 목

적, 서간도의 부민단, 신흥 학교 등과 연계

•(대한)광복단

- 1913, 풍기에서 결성되어 풍기광복단이라고도 불

- 채기중, 유창순등 주도

- 의병계열중심 + 유림 + 계몽운동가

- 공화국건설 목표군자금모집, 친일파숙청

•조선국권회복단

- 1915, - 대구 달성에서 결성,

- 이시영, 윤상태, 서상일등 계몽주의인물주도 + 유

림으로 구성

- 단군숭배

- 임원을 만주와 연해지방에 파견

- 3․1운동을시 각지방에서 3․운동과 4․3 창원만세운동

주도하여 일본군경에 대항,

- 군자금모금하여 임정지급

- 파리강화회의 독립청원서 작성

서약내용"첫째 한국의 국권을 회복할 것, 둘째 매년 정월 15일 단군의 위패 앞에 목적 수행을 기도할 것, 셋째 단원은 마음대로 탈퇴하지 않을 것, 넷째 비밀을 누설하지 않을 것, 만약 이를 위반할 경우는 신명(神明)의 주벌(誅罰:죄가 있는 사람을 꾸짖어 벌을 내림)을 받을 것, 다섯째 결사대로 하여금 살육하게 할 것"

•조선국민회

(1915∼1918)

- 평양 숭실학교의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항일 비밀결사단체, 공화주의,

- 미주 박용만과 연결 대조선국민군단의 국내 지부의 성격

여성

단체•송죽회(1913∼1919) 평양 숭의여고 교사 중심, 독립자금모금, 여성계몽

경제

운동

•조선산직장려계

(1915~1917)

- 1915, 경성고등교원양성소 재학생 이우용이 주동,

- 자급자족 통한 민족경제자립 목적, 일본에 탈취당한 경제권 되찾고 국내 토착산업 발전 강조, 항일비밀결사조직체

- 1914년 일본 수학여행이 계기

- 1915년, 양성소 수료뒤 학교교사 발령 후 최남선, 남형우와 단체를 조직함

- 각지 교사와 학생중심,

- 계의 운영은 주식제도 채택(1주에 20원), 국민보 비밀리 반입, 동유지 간행, 1917년 발각 해체

대한독립의군부2005 - 경기도 9급 - 9. 다음 중 독립의군부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ㄱ. 복벽주의를 견지하였다.

ㄴ. 임병찬을 중심으로 군대식 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ㄷ. 일본 패망 후 공화정치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ㄹ. 만주지역에 무관학교를 건립하기 위해 군자금을 모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2014 - 법원서기보 - 4.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공화제를 지향하였다.

② 민족 자본의 육성을 강조하였다.

③ 의병 운동을 계승한 비밀 결사였다.

④ 의연금을 받아 군자금을 확보하였다.

임병찬은 고종의 지시로 독립 의군부를 몰래 조직하였다. 그는 안

으로 의롭고 용감한 사람들을 선발하여 기회를 보아 조선의 독립을

선언하고, 밖으로는 문명 열강의 도움을 받아 독립을 회복하려 하

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0 -

2014 - 경간부 - 30. 다음 중 복벽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조직된 독립운동 단체는?

① 신간회 ② 신민회 ③ 독립의군부 ④ 대한광복회

대한광복회2012 - 경찰 3차 순경 - 16. 다음 자료는 어떤 단체의 활동이다. 밑줄 친 ㉠에 들어 갈 단체로 옳은 것은?

㉠ 은(는) 경주에서 대구로 향하던 일제의 수송 차량을 습격하여 거액의 현금을 빼앗은 뒤 이 자금으로 무기를 구입하였고,

각 지방 부호들의 재산 상태를 조사한 후 그 재산에 비례하여 독립 운동 자금을 납부하도록 배당하였다. 이 과정에서 ㉠ 은

(는) 독립 운동에 비협조적이거나 자금 제공을 거부하는 자, 또는 일제에 밀고하는 친일파를 처단하여 광복의 의지를 온 세상

에 밝혔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전 관찰사 장승원과 도고 면장 박용하 사살 사건이었다.

① 조선 국권 회복단 ② 의열단 ③ 국민군단 ④ 대한광복회

2011 - 모의평가(10월, 서울시교육청) 근현대사 - 10.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제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였다.

② 삼원보에 신흥 무관 학교를 설립하였다.

③ 일제가 제정한 치안 유지법에 의해 해체되었다.

④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을 행동 지침으로 삼았다.

⑤ 비밀 결사로서 공화 정체의 국가 건설을 지향하였다.

2013 - 경찰간부 - 35. 1910년대 항일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주지역에서는 동포사회를 중심으로 대한인국민회가 조직되었다.

② 서간도 지역에서는 이회영이 중심이 되어 삼원보에 경학사를 조직하였다.

③ 1912년 유생들이 중심이 되어 대한광복회를 조직하고 복벽주의 운동을 전개하였다.

④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이상설과 이동휘 등이 대한광복군정부를 조직하였다.

2015 - 국가직 - 10. 밑줄 친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일제의 가혹한 탄압으로 독립 운동은 큰 제약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제약 속에서도 비밀 절사의 형

태로 독립 운동 단체가 결성되었다. ㉠ 독립의군부와 ㉡ 대한광복회는 모두 이러한 비밀 절사 단체였다.

① ㉠은 공화국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② ㉡은 고종의 비밀 지령을 받아 조직되었다.

③ ㉠과 ㉡은 모두 1910년대 국내에서 결성된 단체이다.

④ ㉠은 박상진을 중심으로, ㉡은 임병찬을 중심으로 한 조직이었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1 -

1920년대 상황(무장투쟁과 민족유일당 운동)1. 만주에서의 승리와 시련 및 3부의 성립 2. 3.1 운동의 영향 ⇒임시정부의 수립·활동 국민대표대회 후 몰락 3. 중반부터의 민족유일당운동(민족통일전선운동) - 국내(신간회), 만주( 혁신의회, 국민부))

중국본토 만 주강북 - 군사적 통일 입다물어!

승리, 시련기 - 오춘천간대 자유3야!

3부의 성립(군정, 민정기관) - 신정참

3부의 통합운동(민족협동전선)-3부통일협의회

• 북경군사통일회(군사통일주비회) : 1921. 박용만, 신채호, 무장독립투쟁, 국민대

표대회소집 요구

• 다물단 : 1923. 북경, 김창숙, 비밀단

원, 친일파 암살단체(무정부조직)

•봉오동전투

- 1920. 7, 대한독립군(홍범도), 국민회군(안

무), 군무도독부(최진동)

∙통의부 : 1922. 6. 남만주 독립군(서로군정서, 대한독립단, 광복군총영, 보합단, 광한단 등) 통합하여 대한 통군부 결성, 8월에 통의부로 변경, 단원들이 탈퇴하여 참의부, 정의부를 구성하였고 결국 참의부에 편입

•신민부

- 1925∼1929

- 북만주지역(영안현)

- 자유시참변후 돌아온 대한

독립군단이 중심

- 민정파(국민부에 참여)

- 군정파(혁신의회에 참여)

•전민족유일당

촉성회(개인본위조

직, 참의부 중심)

→ 혁신의회 : 참

의부의 주력, 신

민부의 군정파와

정의부의 일부,

- 1928, 한족총연

합회(김좌진) →

한국독립당, 한국독

립당, 한국독립군(지

청천)

→ 혁신의회가 국민

부에 통합됨.

•훈춘사건

- 1920. 10 - 중국마적을 시켜 훈춘 일본인살해

와 일본공사관 불태움

강남 - 3.1운동 ⇒ 상해임시정부

상해대한민국임시정부(1919. 4)

한성정부

(1919.4)

대한국민의회(19

19.3 연해주)

•청산리전투

- 1920. 10. 21∼26, 북로군정서(김좌진), 대한

독립군(홍범도)

•간도참변(경신참변) - 1920. 10∼ 21. 5 - 보복

- 동포1만여명 학살, 민가 2500채, 학교 30채 불태움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 1919. 9. 상해(외교독립노선의 승리!)→ 외교론자들이 승리하여 외교활동하기 좋은 상해로 정해짐, 프랑스가 당시 일본과 대립, 프랑스 조계지에 임시정부 수립- 최초 3권분립의 공화정부- 임시의정원(임시헌장), 국무원, 법원(3권분립)- 한성정부의 법통계승- 대통령(1대-이승만, 2대-박은식)- 활 동 : 독립신문, 사료편찬소<한일관계사

료집>, 연통제(국내외 연결-지방행정조직) - 1921년 발각, 교통국

- 구미위원부(미국), 런던위원부(영국), 파리

위원부(프랑스), - 파리강화회의 대표단 파견, 애국공채,

•대한독립군단

1920. 12. 총재 서일, 밀산부 한흥동 자유시로 이동, 부총재 홍범도·김좌진·조성환이었으며, 총사령관에 김규식, 참모총장에 이장녕이 추대되었다. 총병력은 3,500여 명이었다.

•자유시참변(흑하사변)

1921. 6. 27. 자유시(알렉셰프스크), 당시 러시아는 적군과 백군의 내전중이었다. 일본군은 백군을 도우러 출병하여 독립군을 토벌하였다. 독립군은 적군을 도왔다. 그러나 적군의 무장해제요구 주장, 독립운동가 내부에 주도권을 둘러싼 대립발생. 자유대대(이르쿠츠크파)가 사할린 부대(상해파)를 공격하여, 수백명이 죽고 포로가 되었다. 서일은 이 자책감으로 자결을 하였다.

•전민족유일당

협의회(단체중심)

→ 국민부(정의부

주도, 신민부 민정

파, 참의부 일부세

력) : 1929, 조선

혁명당, 조선혁명당,

조선혁명군(양세봉)

•국민대표대회(1923)

- 북경군사통일회제기

- 독립운동 노선문제(외교론회의 무장투쟁론)

- 이승만 불신임(국제연맹 위임통치건의)

- 국무총리 이동휘 모스크바 자금유용사건

• 정의부

- 1925∼1927

- 남만주 지역(길림성 반석

현)

- 군사행동 주목적, 초등학교

의무실시, 흥화중학, 동명중

학, 화성의숙

- 3부통합운동때 협의회의 중

심세력 - 국민부

↓ 국민대표대회 과정

•창조파- 무장투쟁론- 북경과 연해주 근거- 신채호

→ 국민대표대회 소집-“한”국 설립. 블라디보스토크로 갔지만 승인받지 못함

•개조파- 실력양성론(애국계몽계열)-상해와 만주 근거- 자치와 외교- 창호

•유지파- 국민대표대회 개최자체를 반대하여 불참- 국민대

표대회 해

산 명령

(1923)

- 김구,

이시영

• 대한통군부

- 1922. 서로군정서+대한독립단+광복군사령부

•대한통의부 - 1922. 8

- 정의부와 참의부로 분열

∙ 3부의 성립 : 1923∼1925•미쓰야 협정

- 1925. 장작림과 총독부 경무부장 미쓰야, 독립

군 체포시 상금 지불

•참의부

- 1923∼1929, 압록강유역

- 임시정부 직할 육군주만참

의부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2 -

• 만주에서 승리 및 시련기, 3부 성립2007- 법원서기보 - 23. 다음은 1920년대 만주와 연해주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나열한 것이다 사건들을 발생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 ② ㉢-㉠-㉡-㉤-㉣

③ ㉢-㉠-㉡-㉣-㉤ ④ ㉢-㉡-㉠-㉤-㉣

2009 - 서울시 - 12. 다음 ( )에 들어갈 말이 적절하게 이어진 것은?

(가) (나) (다) (라)

① 홍범도 - 북로군정서군 - 간도참변 - 참의부

② 간도참변 - 홍범도 - 북로군정서군 - 참의부

③ 홍범도 - 간도참변 - 북로군정서군 - 참의부

④ 북로군정서군 - 홍범도 - 간도참변 - 참의부

⑤ 참의부 - 홍범도 - 북로군정서군 - 간도참변

2013 - 소방직 - 17. 다음 보기의 내용 뒤에 일어날 사건으로 알맞은 것은?

① 자유시 참변이 발생하였다.

②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결성되었다.

③ 간도참변이 발생하였다.

④ 한국 광복군을 결성하였다.

2014 - 서울시9급 - 17. 다음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 자유시 참변 ㉡ 봉오동 전투

㉢ 간도 학살(경신 참변) ㉣ 청산리 전투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⑤ ㉢ - ㉠ - ㉡ - ㉣

2014 - 기상직 - 19. 다음 중 만주지방에서 군정기관과 민정기관의 기능을 함께 한 독립군 3부가 조직되기 이전의 사건으로 옳은 것

을 모두 고르면?

㉠ 연합군과 인도와 미얀마 전선에 참전하였다.

㉡ 적색군에 의해 무장 해제를 당하였다.

㉢ 중국군과 연합하여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 봉오동과 청산리 전투에서 큰 승리를 하였다.

㉤ 일본군이 만주에서 우리 동포를 학살하였다.

① ㉠,㉢ ② ㉡,㉣ ③ ㉡,㉢,㉣ ④ ㉡,㉣,㉤

서일은 이동하던 중 북만주 밀산현에서 각각의 독립군 부대를 통합하여 이 조직을 조직

하였다. 청산리대첩 이후 북로군정서를 비롯한 여러 독립 부대들이 밀산부에 집결하여

러만 국경지대로 이동하였다.

1920년에는 (가)의 대한 독립군과 김좌진 의 (나) 등이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일본군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다)을 일으켜 우리 동포를 학살하고, 독립군을 토벌하려

하였다. 이에, 독립군 부대들은 연해주의 자유시로 옮겨 갔으나, 적색군에 의해 무장

해제를 당하였다. 이후 독립군은 다시 만주로 이동하여 각 단체의 통합 운동을 추진하

여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의 3부를 조직하였다. 이 가운데 (라) 임시정부가 직할하였

다.

㉠ 대한 독립 군단 결성 ㉡ 간도참변 ㉢ 청산리 전투

㉣ 삼부의 성립 ㉤ 자유시 참변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3 -

2015 - 국회직 - 17. 다음의 사건이 발생한 순서대로 올바르게 배열된 것을 고르시오.

가. 봉오동 전투

나. 자유시 참변

다. 정의부 조직

라. 통의부 조직

① 가 – 나 – 다 - 라

② 가 – 나 – 라 - 다

③ 가 – 라 – 나 - 다

④ 나 – 다 – 라 - 가

⑤ 나 – 라 – 다 - 가

•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외교, 공화정부, 국민대표대회2011 - 서울시 7급 - 7. 오늘날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는 우리 국가의 정통성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운동 이후 일제의 통치에 조직적으로 항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다음 중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화제 정부라고 할 수 있다.

②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외교를 통한 독립의 성취에 중점을 두고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에 각각 위원부를 두었다.

③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간행하고 사료편찬소를 두어 민족의 독립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④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육군무관학교, 비행사양성소, 간호학교 등을 세워 군사를 양성하는 한편 독립군을 후원하였다.

⑤ 국내외 동포를 모두 관할하기 위한 기구로 연락기관인 교통국을 두고 지방행정제도인 연통제를 실시하였다.

2012 - 경찰순경 2차 - 19.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운동 이후 일본 통치에 조직적으로 항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외교를 위해 미국, 이탈리아, 독일에 각각 위원부를 두었다.

② 교통국을 두고 연통제를 실시하였다.

③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간행하였다.

④ 우리 역사상 최초의 공화제 정부였다.

1998 - 경기도 9급 - 19. 임시정부 활동으로 관계가 먼 것은?

① 연통제를 실시하여 국내의 군자금을 조달했다.

② 만주의 이륭양행과 백산상회를 통해 자금이 전달되기도 하였다.

③ 구미위원회에서 이승만을 중심으로 외교활동을 전개하도록 했다.

④ 간도 삼원보, 밀산부 한흥동을 통해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2012 - 서울시9급 - 14. 1919년에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설명한 것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삼권분립에 기초한 민주공화국이다.

②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 국무총리는 김구였다.

③ 본국과의 연락을 위해 연통제를 실시했다.

④ 사료편찬부에서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간행하였다.

⑤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발행하였다.

2013 - 경찰순경 2차(8월) - 16. 다음 중 1919년 9월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 국무총리에 이동휘가 임명되었다.

② 3·1운동 이전에 설립되어 국내외의 3·1운동을 주도하였다.

③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키자 군사조직인 조선혁명군을 조직하여 무력으로 대항하였다.

④ 1925년 이승만을 해임시킨 뒤 두 번째로 헌법을 개정하여 주석제를 채택하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4 -

1930∼40년 상황(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1941태평양전쟁)1. 만주사변으로 만주에서 항일한중합작부대 탄생 2. 임시정부의 도약 - 한인애국단과 한국광복군3. 1937년 중일전쟁과 관내 독립운동 + 1935년이후 민족통일전선운동이 일어남 - 강남(조선민족전선연맹,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동북(조국광복회) 4. 1940년대 강북 - 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 5. 연해주교민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중국본토(민족통일전선운동과 임시정부의 도약)만주(1931년 만주사변이후 한중연합부대 구성과

민족통일전선운동)

강 북(군) 만주지역 동북지역

조 선 의 용 대

일부(2/3) 화

북이동

•화북조선청년연합회(1941)

-조선의용대 화북지대(1941) + 중국 팔로군 →호가장 전투(1941)

• 조 선 독 립 동 맹(1942)- 김두봉, 김무정 주도 - 조 선 의 용 군(1942)

•북한 연안

•항일유격대 : 1932

•동북인민혁명군 : 1934

•동북항일연군 : 1936, 1935년

중국공산당은 8·1선언을 발표

했다. 중국 소비에트 정부와 동

북 각지의 항일정권을 단일적·

전국적 국방정부로 조직하고,

홍군과 동북인민혁명군 및 각지

의 반일의용군을 하나로 전 중

국적 항일연군으로 조직하라’

는 것을 골자로 하는 항일구국

선언이었다. 동북항일연군은 일

제와 그리고 만주괴뢰국의 강력

한 압박으로 1940년경 거의 궤

멸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강 남(대)

1925~26년

황포군관학교입교

•한국대일

전선통일

동맹(1932)

•조선민족혁명당(1935, 의열단 중심-김원봉 +한국독립당(조소앙)+조선혁명당(지청천))

•조선민족전선연맹(1937) - 조 선 의 용 대(1938) -무한(우한,한커우) : 관내 최초 한인독립군

전국연합진

선협회→ 통

합실패

(1939)

•조선혁명간부학교(1932)(남경)

•한국독립당(1930)• 한 국 국 민 당(김구1935)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1937)

•조국광복회 : 1936, 동북항

일연군 내 조선인 공산주

의자 + 함경도 민족주의

자(민족통일전선 그러나

공산계열위주)

→ 보천보전투(1937) : 동북항

일연군 내 항일유격대 + 조국

광복회

•한국광복군(김구1940)

•한국독립군 + 호로군 → 경박

호전투(1933. 2), 대전자령(1933.

7), 사도자하(1933. 4), 쌍성보

(1932.8, 11), 동경성(1933. 6)

→ 중국 낙양군관학교 한인

특별반 입교 위해 중국 관내

로 들어감(1933. 10 지청천등)

- 독립해서 홀로사는 경박

이는 대전 사쌍동 살아요!

임시정부의 도약

한인애국단 윤봉길의 의거! 한국광복군 조직!

재정비• 이승만 퇴임 → 2대대통령 박은식(1925)• 개헌 : 2차(1925, 국무령중심 내각), 3차(1927, 국무위원중심 집단지도체제)

연해주 지역(중앙아시아 강제이주)

한인애국단

• 한인애국단- 배경 : 임시정부의 몰락, 만보산 사건으로 나빠진 이미지 개선•1931년 조직- 과정 : 이봉창 의사(천왕의 마차에 폭탄 실패) → 상해 국민신보(아깝다!) → 일본승려 구타사건 → 상해사변 → 상해사변 전승축하식 겸 천장절 → 윤봉길의사 의거(물폭탄, 도시락 폭탄) → 중국국민당(장개석)의 지원 약속

→ 국민당(장개석)의 지원 : 낙양군관학교(중국 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한인훈련반 설치 입교(1년만에 해산) →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입학(남경) → 한국광복군(1940)

1937년 일제가 중일전쟁

을 일으키자, 일본 첩자

을 막기위해, 그리고 연

해주 지역(극동)에서 항

일독립운동을 벌이고 있

던 한인을 저지하고, 일

본과의 마찰을 사전에 방

지하기 위해 한인에게 일

본의 스파이라는 명목을

붙여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시켰다.

1940

•한국독립당 조직(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한국광복군 조직 - 중경에서 창설, 지청천을 사령관, 이범석을

참모장으로 함.

1941

• 건국강령발표 :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균권, 균부, 균학)

1장 총강에서는 ①민족공동체로서의 한국 ②삼균제도의 역사적 근거 ③토지국유제의 전통 등 7개항이 있음.(1) 대산업기관의 공구와 시설을 국유로 하고, 토지, 광산, 어업, 수리, 임업 소택과 수상, 공중의 운수사업과 은행, 전신, 교통 등과 대규모의 농, 공, 상, 기업과 성시, 공업구역의 공용적 주요산업은 국유로 하고, 소규모 혹 중소기업은 사영으로 함.

• 일본이 세계 태평양 전일 일으키자, 대독, 대일 선전포고문을 발표하였다. 일본군과의 직접적인 전투 외에도 대적선전, 포로심

문, 선전전단의 작성, 암호문 해독등 활동을 전개함.

•조선혁명군 + 의용군 → 영릉

가(1932. 2), 흥경성(1933. 5) -

1934. 9(양세봉 사망)

- 혁명의 영흥!1942

• 김원봉의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 흡수 - 김원봉을 부사령관 임명

1943 • 미얀마, 인도전선에서 영국군과 연합작전

1945• 미국 첩보전략기구인 oss와 연합 특수훈련, 비행대를 동원해 국내진입작전 계획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5 -

• 만주사변 - 한중합작부대 : 한국독립군과 조선혁명군2014 - 경간부 - 34. (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932년 3월 12일, (가)와 중국 의용군이 한․중 연합군은 영릉가 뒷

산에 대기하여 있다가 일본군을 요격하여 수 시간의 격전을 벌였

다. 적은 마침내 30여명의 사상사를 내고 일몰과 함께 패퇴하고

말았다.

① 양세봉을 총사령관으로 하여 남만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② 지청천의 지휘 아래 북만주와 간도 일대에서 주로 활약하였다.

③ 김원봉을 위원장으로 한 조선 독립 동맹의 산하 무장 단체로 조직되었다.

④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창설한 군대로, 연합군과 함께 대일전에 참전하였다.

2009 - 모의평가(6월, 평가원) 근현대사 - 17. (가), (나) 독립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양세봉 일파는 1소대 100명씩 3소대로 나누어 만주국유 철도를 파괴하고 고관을 암살하여 만

주국을 교란시키고자 극비리에 책동하고 있다. -��일보-

(나) 우리 독립군은 험준한 고개인 대전자령에서 1년 간 주둔하던 일본군 제 73`연대가 1주일 후

연길현으로 돌아 간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곧바로 전투 태세를 갖추었다.

-『백강회고록』-

① (가) - 흥경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② (가) - 한ㆍ중 연합 작전을 전개하였다.

③ (나) - 국민부 산하의 군사 조직이었다.

④ (나) - 지청천의 지휘하에 활동하였다.

⑤ (가), (나) - 3부 통합 운동의 결과로 조직되었다.

2011 - 모의평가(9월, 평가원) 근현대사 - 14.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국내 진공 작전을 실시하였다.

② 지청천의 지휘 아래 활동하였다.

③ 조선 혁명당 소속의 무장 독립 부대였다.

④ 일본군의 공세가 강화되자 소련령으로 이동하였다.

⑤ 중국 화북 지방으로 이동하여 조선 의용군으로 개편되었다.

1931년 12월 (가) 의 지휘부는 길림성 자위군 총지휘관과 만나 연합 전선을 결성할 것을 합의하고, 이듬해

카오펑린 부대와 합작하여 쌍성보를 공격하였다. 연합군은 이 전투에서 많은 물자를 노획하는 성과를 거두었

으나 중국인 부대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 후퇴하였다. 전열을 재정비한 연합군은 쌍성보를 다시 공격하여 일

본군을 섬멸하고 만주군 전원을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다.

• 임시정부 이동로- 1919~1932 : 상해 임시정부기→ 윤봉길의사의 홍커우 공원 의거이후, 일본의 프랑스 조계 압박으로 김구와 임정요원들 임시정부 탈출

- 1932~1940 : 중일 전쟁으로 이동기

- 1940~1945 : 중경시기

상해시기 중요 사건 :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1923년 국민대표대회, 1차 개헌(1925), 2차 개헌(1927), 한인애국단

이동기 중요사건 : 민족통일전선운동 - 한국국민당(1935),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1938)

중경시기 중요 사건 :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 1940년 한국독립당 창설, 1941년 대한민국건국 강령 발표, 1941년 대독대일 선전포고

• 임시정부 개헌과정임시헌장(1919.4) → 1차개헌(1919.9, 대통령중심)→ 이승만탄핵(1925. 3)과 2대 대통령 박은식 선출. → 2차(1925년 4월, 국무령중심 내각책임)→ 3차(1927,국무위원중심 집단지도) → 4차(1940, 주석) → 5차(1944, 주석, 부주석)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6 -

• 임시정부의 도약(한인애국단과 한국광복군 중심)2012 - 지방직9급 - 9. 밑줄 친 ‘그’가 일으킨 사건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이를 계기로 신간회가 결성되었다. ② 한국 광복군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③ 민족 유일당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④ 미쓰야 협정이 체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2014 - 경간부 - 32. (가)에 대한 설명을 가장 옳은 것은?

당시 정세로 말하자면, 우리 민족의 독립사상을 떨치기로 보나, 만보산 사건, 만주 사변 같은 것으로 우리 한인에 대해 심히

악화된 중국인의 악감정을 풀기로 보나, 무슨 새로 국면을 타개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우리 임시정부에서 회의한 결과

(가)을(를) 조직하여 암살과 파괴 공작을 하되, 돈이나 사람이나 내가 전담하고, 다만 그 결과를 정부에 보고하도록 위임을

받았다.

①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② 단원들이 황푸군관학교에 입교하여 간부 교육을 받았다.

③ 중국 국민당의 북벌에 참가하여 장제스의 지원을 이끌어냈다.

④ 단원인 이봉창이 도쿄에서 일본 국왕을 향해 폭탄을 투척하였다.

2015 - 법원서기보 - 23. 다음과 같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었을 때의 사실로 옳은 것은?

- 주석 : 김구- 부주석 : 김규식- 국무위원 : 이시영, 조성환, 조소앙 ··· 김원봉, 김성숙

①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 강령이 공포되었다.

② 국내 정진군을 통한 국내 진입 작전이 추진되었다.

③ 조선 의용대원의 일부가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었다.

④ 의열 활동 전개를 위하여 한인 애국단이 조직되었다.

2015 - 서울시 9급 - 14. 밑 줄 친 ‘이 단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김원봉이 이끄는 조선의용대의 일부를 통합하여 군사력을 증강하였다.

② 초기에는 중국군사위원회의 지휘와 간섭을 받았다.

③ 중국의 화북 전선에서 일본군에 대항하여 팔로군과 연합작전을 전개하였다.

④ 중국 주둔 미국전략정보국(OSS)과 합작하여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2015 - 기상직 7급 - 15.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43년 광복군은 영국과 군사협정을 맺고 일부 병력이 인도와 버마전선에 참전하였다.

② 상하이 임시정부 시기 4차 개헌을 통해 국무위원제에서 주석제로 바뀌어 김구가 주석을 맡았다.

③ 1940년 충칭에서 광복군을 창립했는데, 김원봉이 이끄는 조선의용대가 1942년 5월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④ 1940년 5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기초 정당을 한국 국민당에서 한국독립당으로 확대∙개편하였다.

일제는 1월 28일 일본승려사건을 계기로 전쟁을 도발하였다. 일본은 이때 시라카와(白

川) 대장을 사령관으로 삼아 중국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는 이해 봄 야채상으

로 가장하여 일본군의 정보를 탐지한 뒤 4월 29일 이른바 천장절 겸 전승축하기념식에

폭탄을 투척하기로 하였다. 식장에 참석하여 수류탄을 투척함으로써 파견군사령관 시라

카와,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다 등은 즉사하였다.

대한 민국 임시 정부에서는 만주 지역의 독립군과 각 처에 산재해

있던 무장투쟁 세력을 모아 충칭에서 ‘이 단체’를 창설하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7 -

• 1930~45년 중국 본토의 활동조선의용대2012 - 법원서기보 - 22. 밑줄 친 ‘이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유시 참변으로 피해를 입었다.

② 일부 대원이 한국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③ 3부 통합으로 성립된 국민부 산하의 군대였다.

④ 쌍성보, 대전자령 등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2012 - 수능근현대사 - 15. 밑줄 친‘독립군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국 관내에서 활동하던 독립 운동 세력은 1930년대 초부터 중국 국민당 정부와 협조하며 항일 역

량을 키우고 있었다. 1935년에는 민족주의 계열 단체와 사회주의 계열 단체들이 하나로 뭉쳐 민족

협동 전선 단체를 결성하였다. 그들은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항일전에 뛰어들겠다는 강력한 의지

를 보였다. 마침내 1938년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중국 관내에서 최초로 독립군 부대를 조

직하였다.

① 양세봉의 지휘하에 활동하였다. ② 대전자령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③ 자유시 참변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④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직할 부대였다.

⑤ 부대의 일부가 조선 의용군으로 편성되었다.

2010 - 모의평가(9월, 평가원) 근현대사 - 10. 다음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계기 :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4개 단체가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을 결성하고 한∙중

연합 전선의 필요성을 제기

□ 창설 : 한인 군사 조직으로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중국 관내에서 최초 결성

□ 활동 : 중국 전선에 배치, 중국군과 항일 전쟁 수행, 정보 수집, 포로 심문, 후방

교란, 선전 활동

① 미군과 함께 국내 진공 작전을 꾀하였다.

② 김원봉의 지휘하에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③ 옌안에서 창설되어 중국 팔로군과 함께 활동하였다.

④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⑤ 일부 병력을 황포 군관 학교에 보내 군사 교육을 받게 하였다.

조선의용군2009 - 지방직 - 16. 1942년 중국 화북지방에서 결성된 조선독립동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선의용군을 거느리고 중공군과 연합하여 항일전쟁에 참가하였다.

② 조국광복회를 결성하고 보천보 전투를 수행하였다.

③ 중국 국민당군과 합세하여 중국 각 지역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④ 시베리아 지방으로 이동하여 소련군과 합세하여 정탐활동을 전개하였다.

2015 - 기상직 - 20. 다음의 강령과 관련된 단체의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본 동맹은 조선에 대한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를 전복하고 독립 자유의 조선 민주주의 공화국을 수립할 목적으

로 다음 임무를 실현하기 위해 싸운다.

(1) 전 국민의 보통 선거에 의한 민주 정권의 수립

(6) 조선에 있는 일본 제국주의자의 일체 자산 및 토지를 몰수하고, 일본 제국주의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대기업

을 국영으로 귀속하며, 토지 분배를 실행한다.

① 중국 공산당의 팔로군과 함께 활동하였다.

②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창설되었다.

③ 미국 전략 정보처와 함께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다.

④ 중국 의용군과 함께 영릉가와 흥경성 등지에서 일본군을 물리쳤다.

중국 한커우[漢口]에서 이 부대가 조직되었다. 부대는 1개 총대, 3개 분대로 편성되었는데 100여 명의 대원은 대부분 조선 민족혁명당원이다. 총대장은 황포 군관 학교 제4기 출신인 진국빈이며, 부대는 대일 선전 공작과 대일 유격전을 수행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8 -

전체

2009 - 법원서기보 - 24. 아래 지도는 1930년대 이후 중국 본토에 있는 우리의 무장 독립군 부대를 나타낸 지도이다. 빈 칸에 들어

갈 독립군 부대의 명칭이 바르게 된 것은?

   ㄱ        ㄴ       ㄷ ① 조선 의용군 한국 광복군 조선 의용대

② 조선 의용대 한국 광복군 조선 의용군

③ 조선 의용대 한국 독립군 조선 의용군

④ 조선 의용군 한국 독립군 조선 의용대

2010 - 후기 대학연구원 - 일제 강점기 민족독립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한독립군은 봉오동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여 승리하였다.

② 의열단은 식민통치기관을 파괴하고 일본인 고관과 친일파를 처단하였다.

③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무장투쟁 세력을 모아 충칭에서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였다.

④ 조선독립동맹의 조선의용대는 중국 국민당 군대와 연합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의열투쟁

1. 애국지사들의 의거

장인환ㆍ전명운 1908 일본의 통감정치를 찬양한 외교고문 스티븐스를 샌프란시스코에서 사살, 국민회 창립의 배경

안중근1909

- 1909년 단지동맹(동의단지회)- 1909년 만주 하얼빈에서 이토히로부미 사살, 1910년 여순감옥에서 사형, 시신을 찾지못하여, 효창공원내 삼의사 묘역에 가묘가 설치됨.

이재명 1909 매국노 이완용을 명당성당에서 습격해 부상 입힘.

강우규 1919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노인(동맹)단 소속으로, 제3대 총독으로 부임하는 사이토 마코토[齊藤實]에게 영국제 수류탄(폭탄)을 던졌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체포되어 1920년 서대문 형무소에서 사형 당했다.

박열 1923 불령사 조직, 애인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동경에서 일본 천왕과 왕세자 암살 계획을 세우다가 체포되었다.

조명하 1928 일본 육군 대장 구니노미야(왕족)가 육군 특명 검열사로 타이완에 오자, 행렬 차에 뛰어들어 독검으로 찔렀다.

2. 의열단

① 설립 : 1919년 11월 만주 길림성 독립지사들은 항일비밀결사인 의열단을 조직 ,단장은 김원봉② 의열단의 경륜과 강령을 체계화한 신채호는 1923년 1월 발표한 <조선혁명선언 - 의열단선언>에서 외교론, 준비론, 문화주의를 비판민중은 우리 혁명의 대본영(大本營)이다. 폭력은 우리 혁명의 유일 무기이다. 우리는 민중 속에 가서 민중과 손을 잡고 끊임없는 폭력 - 암살․파괴․폭동으로써, 강도 일본의 통치를 타도하고, 우리 생활에 불합리한 일체 제도를 개조하여, 인류로써 인류를 압박치 못하며, 사회로써 사회를 수탈하지 못하는 이상적 조선을 건설할지니라. <조선혁명선언 - 1923>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19 -

③ 활동박재혁 1920년, 부산 경찰서에 폭탄을 투척.최수봉 1920년, 밀양 경찰서에 폭탄.김익상 1921년 조선총독부에 폭탄, 1922년 상해에서 다나카 대장 저격김상옥 1923년, 종로경찰서에 폭탄김지섭 1924년, 일본 궁성의 니주바시[이중교, 二重橋]에 폭탄나석주 1926년, 동양척식주식회사에 들어가 폭탄, 식산은행에 폭탄 투하

④ 김원봉은 연합투쟁 및 조직투쟁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1926년 계급타파와 토지평균 등을 지도이념으로 하는 20개조의 강령을 발표하고 민족협동운동에 참여할 것을 선언했다. 그리하여 1926년에는 황푸(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광주) 훈련생으로 입소하여 투쟁노선을 변경 하였다.

3. 여성독립운동가

박자혜 - 신채호 부인, 의열단의 국내활동 지원(나석주 지원)

박차정 - 김원봉 부인, 조선의용대 활동

경기도 고양군(현재 강북구 수유리) 출생, 한성부에서 자라던 그녀는 어린 시절 아기나인으로 입궁해 약

10여년 궁중생활을 하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궁녀 신분을 벗어난 후 숙명여학교 기예과에 입학해 근

대교육을 받고, 졸업 후 사립 조산부양성소를 다녔다. 졸업 후 경제적인 독립을 위해 조선총독부의원 산

부인과의 간호부로 취업하였다.

1919년, 간호부 근무 당시 3·1 만세 운동으로 병원에 부상 환자들이 줄을 잇자, 많은 부상자들을 치료하

던 과정에서 민족의 울분을 느끼고 함께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모아 만세 시위에 참여할 것을 주장하였다.

직접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간우회’를 조직하였으며, 동 병원의 의사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갖

고 간호사들에게 동맹파업에 참여할 것을 주창하였고, 이로 인해 일경에 체포되었다가 병원장의 신병인도

로 풀려났으며, 이후 북경으로 건너갔다.

- 1919년 봄 북경에 있는 회문(匯文)대학 의예과에 입학

- 1920년 봄, 평생의 반려자 신채호 선생을 만나 결혼하였고 대학을 중퇴, 이듬해 첫아들 신수범(신채호

의 차남) 선생을 출산하였다. 그러나 1922년 둘째를 임신한 채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남편과 헤어져

국내로 들어오고 말았다.

- 한편 신채호는 1923년 김원봉을 만나 의열단 활동에 가담하였고, 박자혜도 남편 신채호와의 연락을 계

속하면서 국내에서 가능한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 나석주 의사의 폭탄 투척 당시에도 서울의 길 안내를 지원한 것이 박자혜 였다.

- 신채호가 체포 되어 1936년 2월 21일 여순 감옥에서 운명을 달리하기까지 옥바라지는 물론 자녀 교

육, 생계를 모두 떠맡아야만 했다.

- 신채호 선생이 세상을 떠난 후 둘째아들 신두범(신채호의 삼남) 선생마저 14세의 어린 나이로 생을 마

감하자 유일한 희망인 조국의 독립도 보지 못한 채 평생의 회한을 뒤로하고 1943년 병고로 홀로 세상을

떠났다.

부산 동래 출신, 15세때 조선소년동맹 가입 활동, 1925년 일신여학교 입학 조선청년동맹과 근우회 동

래지부 회원, 신간회 동래지회 회원 활동,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전국적인 반일학생운동을 확대시키려다

경찰에 체포

- 중국 베이징으로 건너가 의열단 단장 김원봉과 결혼해 의열단원으로 활동

- 1932년에는 한중 연합 항일투쟁의 일환으로 설립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제1기 여자부 교관으

로 임명되어 사관생도 양성에 주력하였다.

- 민족혁명당 부녀부 주임

- 1936년 7월 이성실과 함께 남경조선부인회를 조직해 부녀자들의 민족의식 고취와 대동단결을 주도하

였다.

- 1937년 11월에는 의열단 한중민족연합전선의 대(對) 일본 라디오 선전방송을 맡아 활동하였다.

- 1938년 의열단 기관지 《조선민족전선》에 글을 투고해 무장궐기를 촉구하였다.

- 1938년 10월부터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단장을 맡아 항일 투쟁에 주력하였다.

- 1939년 2월 장쑤성(강소성) 쿤룬산[崑崙山]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다 부상을 입고, 그 후유증으로

고생하다 1944년 5월 사망하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20 -

김마리아 -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회장, 근화회 회장

윤희순 - 의병의 며느리, 의병활동 적극 지원

남자현 - 서로군정서, 사이토 마코토 암살 계획, 국제연맹 리턴조사단에 혈서와 끊어진

손가락 동봉, 만주국 일본장교 살해시도

- 1910년 서울 정신여학교를 졸업한 후 모교의 교원으로 있다가 1914년 일본으로 건너가 히로시마의 여

학교를 거쳐 도쿄의 메지로[目白]여자학원 전문부에 입학하였다.

- 1919년 귀국, 황에스터[黃愛施德]와 함께 각지를 돌며 독립사상을 고취하다가 체포되었으나 면소(免

訴)되어 모교에 복직하였다. 그 후 대한민국애국부인회 회장이 되었으나, 비밀조직의 탄로로 1920년, 징

역 3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 병보석으로 출감하였다.

- 이듬해 상하이로 탈출, 대한민국임시정부 황해도 대의사(代議士)와 상하이의 대한민국애국부인회 간부

등으로 있으면서 남경(난징)의 금융(진닝)대학에 입학하였다.

- 1923년 미국으로 건너가 파크대학교 문학부에서 2년간 수학하였고 1928년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뉴욕 비브리컬 세미너리에서 신학을 공부하면서 황에스터 등 8명의 옛 동지들

과 함께 근화회(槿花會:재미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조직하여 회장에 선임되었다.

- 1935년 귀국하여 원산(元山)의 마르타윌슨신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여생을 그리스도교 전도사업과 신

학발전에 진력하였다.

한일

합방전

- 1876년 16세 때 한말 의병장으로 활동한 유홍석의 장남인 강원도 춘천사람 유제원과 결혼하였다.

- 1895년 을미사변에 비분강개해 시아버지가 의병으로 출정하자 의병들에게 음식과 옷을 조달하는 한

편, 《안사람 의병가》 《병정의 노래》 등을 창작 보급하면서 의병들의 사기를 북돋우는 데 진력하였

고, 여성들의 의병활동을 이끌어내는데도 적극 앞장섰다. 이어 경고문 《왜놈 대장 보거라》를 써서 여

성들도 의병활동에 나설 것임을 천명하였다.

- 1907년 정미의병이 일어나 시아버지가 의병장으로 싸울 때는 춘천시 남면에서 30여 명의 부녀자를

동원해 군자금을 모아 의병 활동을 지원하고, 나아가 쇠와 구리를 구입해 화약과 탄약을 만드는 등 항

일 투쟁에 참가하였다.

중국

- 1910년 일제가 나라를 강점한 후, 시아버지 외당이 자결하려 하자 남편 유제원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할 것을 설득하고 1911년 가족 모두가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 중국으로 망명 후 독립운동의 주도권은 그녀에게 있었으며 1912년 운영자금을 모금하여 동창학교 분

교인 노학당을 설립하였다.

- 1935년 7월 큰아들 돈상이 제사를 지내러 집에 들렀다가 중국 푸순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고문

당하고 끝내 숨을 거두었다. 아들의 죽음 앞에서 울분을 참지 못하였던 그녀는 《해주윤씨 일생록》을

지어 삶을 기록하고, 후손들에게 당부하는 말을 정리한 후 곡기를 끊어 숨을 거두었다. 1935년 7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 경상북도 영양에서 출생하였다. 1895년 남편 김영주가 의병으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하여 유복자

(遺腹子)를 길렀다.

- 1919년 3·1운동 때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으로 건너가 서로군정서에서 활약하는 한편, 12곳에 교

회를 건립하고 10개의 여성교육회를 조직하여 독립운동과 여성계몽에 힘썼다.

- 1925년 박청산과 국내로 잠입, 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의 암살을 계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 1932년 국제연맹 리턴조사단이 하얼빈에 도착하자 무명지를 끊어 ‘조선독립원(朝鮮獨立願)이란 혈

서를 써서 끊어진 손가락과 동봉하여 전달,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 1933년 만주 괴뢰정부 건국일(3월 1일)에 이규동(李奎東) 등과 함께 일본장교 부토 노부요시[武藤

信義]를 살해하려고 폭탄과 무기를 휴대하고 가다가 체포되었다. 옥중에서도 단식으로 항쟁하다가 병

보석으로 석방되었으나 하얼빈에서 객사하였다.

현창원 한국사 박문각 남부 고시학원

- 21 -

2014 - 지방직 9급 - 9. 다음 선언을 지침으로 삼았던 애국 단체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는 ‘외교’, ‘준비’ 등의 미련한 꿈을 버리고 민중 직접혁명의 수단을 취함을 선언하

노라. 조선 민족의 생존을 유지하자면 강도 일본을 내쫓을 지며, 강도 일본을 내쫓을지

면 오직 혁명으로써 할 뿐이니, 혁명이 아니고는 강도 일본을 내쫓을 방법이 없는 바이

다.

① 이재명이 이완용을 습격해 중상을 입혔다.

② 나석주가 동양 척식 주식 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③ 장인환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사살하였다.

④ 안중근이 만주 하얼빈 역에서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2015 - 경간부 - 34. 다음 선언문에 입각한 독립운동 단체의 활동내용으로 맞는 것은?

민중은 우리 혁명의 대본영이다. 폭력은 우리 혁명의 유일 무기이

다. 우리는 민중 속에 가서 민중과 손잡고 끊임없는 폭력, 암살, 파

괴, 폭동으로써 강도 일제의 통치를 타도하고, 우리 생활에 불합리한

일체 제도를 개조하여 인류가 인류를 압박하지 않으며, 사회가 사회

를 수탈하지 않는 이상적 조선을 건설할지니라. <조선혁명선언(신채

호)>

① 1926년 계급타파와 토지평균 등을 지도이념으로 하는 20개조의 강령을 발표하고 민족협동운동에 참여할 것을 선언했다.

② 유화현 삼원보에 경학사와 부민단을 세우고 신흥강습소를 설립하여 독립군 간부를 양성했다.

③ 독립자금과 국내 정보를 모으기 위해 교통국을 설치하고 연통제와 해외 동포를 대상으로 한 거류민단제 등을 실시했다.

④ 두만강과 압록강 부근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고 때로는 국경을 넘어와 국내진공작전을 펴기도 하였다.

2015 - 국가직 7급 - 문 15. 다음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했던 단체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우리는 일본 강도 정치 곧 이족(異族) 통치가 우리 조선 민족 생존의 적(敵)임을 선언하는

동시에, 우리는 혁명 선언으로 우리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을 살벌(殺伐)함이 곧 우리의 정

당한 수단임을 선언하노라.

① 박재혁이 부산 경찰서를 공격하였다.

② 김상옥이 종로 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③ 강우규가 사이토 총독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④ 나석주가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조선식산은행을 공격하였다.

2015 - 기상직 7급 - 19. 다음 독립운동가와 그 활동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박차정 : 김원봉의 부인으로 1938년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으로서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② 박자혜 : 1919년 2∙8독립운동에 가담하였으며,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근화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③ 윤희순 : 「안사람 의병가」, 「병정의 노래」 등의 의병가를 지어 의병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직접∙간접으로 춘천의병 활동을 적

극 후원하였다.

④ 남자현 : 1932년 국제연맹 리튼조사단이 하얼빈에 오자, 흰수건에 ‘한국독립원(韓國獨立願)’이라는 혈서를 써서 조사단에 보내 우

리의 독립을 호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