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2012학부대학생을 위한 전공안내서 www.yonsei.ac.kr/fresh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Upload
    lamnhi

  • View
    283

  • Download
    17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012학부대학생을 위한 전공안내서

www.yonsei.ac.kr/fresh

Page 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수많은전공가운데나의전공에서는무엇을배울수있을까? 나의전공과학문적으로연계된전공은무엇일까? 어떤전공을이중전공해야진로에도움이될수있을까? 자신의전공뿐아니라타전공에대한학생들의관심은나날이깊어지고있습니다. 학생들의이러한성향은현재대학의학문적경향과맥을같이합니다. 대학에서는학문의융합, 통섭, 학제간연구가광범위하게확산되고있는데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은물론인문학에까지과학적, 수리적, 계량적방법론이확대적용되면서이러한학문분야간의융·복합은더욱가속화되고있는상황입니다. 이러한대학교육의변화에발맞추어학부대학에서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발간했던

「Click! 전공찾기」를 2010년부터 올해까지「Click! 전공」으로 개정하여 발간하여 왔습니다. 「Click! 전공찾기」가아직전공이결정되지않은학생들에게전공선택을위한가이드역할을했다면「Click! 전공」은전공을결정하여입학한학생들이자신의전공뿐아니라여러학문 역에대한지식과이해를넓히는데큰역할을할것입니다. 「Click! 전공」에서는 학부대학 내 모든 전공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전공의교과과정뿐아니라졸업후전망과진로, 자랑스러운동문부분에서학생들의 역할모델을 제시하 고, 특히 전공내의 소모임이나 특별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재학생선배들의경험담을추가함으로써좀더생생한정보를전달하고자하 습니다. 이와함께학생들의관심을반 하여캠퍼스내복수전공, 연계전공, 부전공등의전공제도를구체적으로소개하 습니다. 최근전공제도에대한관심은점차높아지고있는추세이나제도에대한대학교 1학년학생들의이해는매우추상적이기때문입니다. 또한자신의전공과함께공부하면좋은타전공을소개하고있는데, 이를잘활용하여관련학문 역을찾는다면보다넓은학문적시야를지닐수있을것입니다.여러전공과각학문 역에대한막연한기대나단편적인지식에서벗어나나의전공은

무슨과목을배우는지, 어떤기초지식을지니고있어야하는지, 어떠한 역을탐구해야하는지에대해이해하고더나아가나의전공과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이나학문 역은무엇인지, 현재내가이중전공하고싶은전공에서는어떠한과목을배우는지등각전공에대한구체적인지식을얻는것은매우중요한일입니다. 「Click! 전공」은대학교 1학년학생들이이러한지식과이해를얻는데가장도움이될중요한도구가될것입니다. 아울러「Click! 전공」제작을위해여러도움을주신여러교수님들과재학생들께감사

를드립니다.

연세대학교 학부대학「Click! 전공」편집진

「Click! 전공」을펴내며

2012학부대학생을 위한 전공안내서www.yonsei.ac.kr/fresh

Page 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➊ 캠퍼스 내 복수전공 ············································ 11

졸업 예정자 복수전공 ········································· 12

부전공 ······························································· 12

연계전공 ·····························································13

캠퍼스 간 복수전공 ············································ 14

➊ 인문계열

문과대학인문학부국어국문학 전공 ······················································· 20사학 전공 ······························································· 24철학 전공 ······························································· 29문헌정보학 전공 ······················································· 35심리학 전공 ····························································· 39

외국어문학부중어중문학 전공 ······················································· 45어 문학 전공 ······················································· 50

독어독문학 전공 ······················································· 56불어불문학 전공 ······················································· 61노어노문학 전공 ······················································· 66

교육과학대학교육학 전공 ···························································· 71

Contents2012 학부대생을 위한 전공안내서 클릭! 전공

Ⅰ. 다양한전공제도

Ⅱ. 전공안내

Page 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상경계열

상경대학경제학부 ································································· 86응용통계학 전공 ······················································· 92

경 계열

경 대학경 학 전공 ····························································· 96

사회과학계열

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 전공······················································· 108행정학 전공···························································· 115사회복지학 전공······················································· 122사회학 전공···························································· 130문화인류학 전공······················································· 134언론홍보 상학부····················································· 138

이학계열

이과대학자연과학부수학 전공······························································· 144물리학 전공···························································· 150화학 전공······························································· 155지구시스템과학 전공················································· 160천문우주학 전공······················································· 165대기과학 전공·························································· 170

새내기를 위한 대학생활 안내 클릭! 연세 Contents

공학계열

공과대학화공생명공학부화공생명공학 전공···················································· 178

전기전자공학부전기전자공학 전공···················································· 184

건축·도시공학부건축공학 전공·························································· 189도시공학 전공·························································· 195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토목·환경공학 전공················································· 202

기계공학부기계공학 전공·························································· 209

신소재공학부신소재공학 전공······················································· 217

컴퓨터정보공학부정보산업공학 전공···················································· 223컴퓨터과학 전공······················································· 231

생명시스템계열

생명시스템대학시스템생물학 전공···················································· 238생화학 전공···························································· 242생명공학 전공························································· 246

Contents2012 학부대생을 위한 전공안내서 클릭! 전공 2012 학부대생을 위한 전공안내서 클릭! 전공

Page 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I. 다양한전공제도➊ 캠퍼스 내 복수전공

졸업 예정자 복수전공부전공연계전공캠퍼스 간 복수전공

새내기를 위한 대학생활 안내 클릭! 연세 Contents2012 학부대생을 위한 전공안내서 클릭! 전공

신학계열

신과대학신학전공································································ 258

생활과학계열

생활과학대학의류환경 전공·························································· 266식품 양 전공·························································· 270주거환경 전공·························································· 279아동·가족 전공······················································· 283생활디자인 전공······················································· 290

간호계열

간호대학간호학 전공···························································· 300

연세대학교 내 연계전공······································· 305

Ⅲ. APPENDIX

Page 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Page 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Page 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함께 공부하면 좋은 전공

15

클릭전공─다양한전공제도

● 연계전공 홈페이지:http://web.yonsei.ac.kr/yongei

● 이수 학점:36학점

● 신청 관련 사항① 연계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서울캠퍼스 학생은‘연계전공 이수원’(소정양식)을 작성하여

해당 책임교수의 승인을 받은 후, 교무처 수업지원부에 제출하여야 한다. ② 연계전공으로 졸업하고자 하는 학생은 마지막 학기 수강신청기간에‘연계전공 졸업 예 비승

인 신청원’(소정양식)을‘학점이수 일람표’(소정양식)와 함께 각 책임교수에게 제출하고이수학점 점검을 받아야 한다.

③ 졸업예비승인을 받은 학생은 마지막 학기 졸업신청(학사포탈시스템)시에 연계전공을 신청하면 된다.

● 유의사항연계전공은 제 1전공이나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없으며, 제 2전공으로 이수가능하다.

캠퍼스 간 복수전공

캠퍼스 간 복수전공은 서울캠퍼스 소속 재학생이 서울 캠퍼스에 없는 전공에 한해 원주캠퍼스의전공을 선택하여 전공하는 제도이다. 단, 소속은 제1전공이며 상호 없는 학과(전공)에 한하여 지원할 수 있다.

<서울캠퍼스 ↔ 원주캠퍼스간 복수전공이 가능한 학과 및 전공>

14

국어국문학과 어문학(중문, 문, 독문, 불문, 노문)사학, 철학 및 경 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등

중어중문학과 어문학(국문, 문, 독문, 불문, 노문)어 문학과 어문학, 철학, 역사학 등 인문학

독어독문학과 어문학, 사학 등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국어국문학, 외국문학( 문, 독문, 노문, 중문), 서양사학, 정치외교학, 유럽지역학(연계전공), 상예술학(연계전공)

노어노문학과 유럽지역학, 문화인류학, 비교문학, 디지털예술학, 문화비평학사학과 어문학(국문, 중문, 문, 독문, 불문, 노문)철학과 인문·어문학, 사회과학, 공학 등문헌정보학과 언어학, 인지학, 심리학, 공학 등심리학과 생물학, 물리학, 경제학, 통계학

교육과학대학 교육학부 심리학, 철학, 사회학, 통계학 등

상경대학 경제학부 응용통계학, 경 학, 심리학, 수학, 인문학응용통계학과 경제학, 경 학, 심리학

경 대학 경 학과 경제학, 응용통계학, 심리학수학과 물리학, 전자공학, 언어학, 경제학, 경 학, 컴퓨터공학, 철학물리학과 수학, 경제학, 화학, 재료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생명공학 등화학과 물리학, 생물학, 수학

이과대학 지구시스템과학과 화학, 물리학, 통계학, 컴퓨터과학, 경제학천문우주학과 물리학(고전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현대물리, 수리물리 등)

대기과학과 수학: 미적분학, 수치해석, 선형대수, 확률, 통계, 편미분방정식물리: 열통계, 일반역학, 수리물리, 유체역학, 전자공학, 광학

화공생명공학과 경 학, 화학, 신소재공학, 생명공학전기전자공학과 수학, 물리학, 컴퓨터공학건축공학과 도시공학, 토목공학, 심리학도시공학과 경제학, 통계학, 토목공학, 사회학, 건축공학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기계공학, 건축공학, 도시공학기계공학과 전기전자공학, 정보산업공학, 신소재공학, 경 학 등신소재공학과 화공학과, 물리학과, 화학과정보산업공학과 경 학 등 사회과학, 수학, 물리학, 통계학, 컴퓨터공학컴퓨터과학과 수학, 생물학, 물리학시스템생물학과 수학, 물리학, 화학, 공학, 인문사회학 등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화학, 물리학생명공학과 생물학, 의학, 약학, 생화학, 농학, 화학 등

신과대학 신학과 종교학, 철학, 사학, 심리학, 인류학, 생태학, 사회학 등정치외교학과 경제학, 사회학, 어문학행정학과 경제학, 사회학, 정책학, 외교학, 국제관계학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경제학, 경 학, 심리학, 사회학, 행정학, 법학사회학과 철학, 사학, 문학, 정치학, 경제학, 문화인류학문화인류학과 심리학, 경제학, 관광학, 생태학, 상학언론홍보 상학부 인문·사회과학 전반 학문의류환경학과 경 학, 생활디자인학식품 양학과 생화학, 생물학, 화학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학과 건축학, 생활디자인학, 경 학, 심리학아동·가족학과 심리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사회학, 문화인류학생활디자인학과 경 학, 심리학, 사회학

간호대학 간호학과 의학, 사회학, 심리학, 사회산업, 신학

대학 학과 함께 공부하면 좋은 전공

대학 학과(전공) 대학

문과대학중어중문학, 독어독문학, 불어불문학, 노어노문학, 문헌정보학, 심리학

상경대학 응용통계학신과대학 신학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 신문방송학, 사회복지학, 사회학, 문화인류학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교육과학대학 교육학이과대학 지구시스템과학, 천문우주학, 대기과학

화공생명공학, 전기전자공학, 건축공학, 도시공학,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 기계공학, 신소재공학,

컴퓨터과학, 정보산업공학생명시스템대학 시스템생물학, 생화학, 생명공학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 식품 양, 주거환경, 생활디자인언더우드국제대학 동아시아국제학부

구분 서울캠퍼스 원주캠퍼스

인문·사회 인문예술대학

정경대학과학기술대학보건과학대학※ 단, 동일계열(인문/자연)의 전공지원 가능

자연

Page 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연세대학교 전공 관련 문의

16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http://web.yonsei.ac.kr/kor 2123-2265중어중문학과 http://web.yonsei.ac.kr/chinese 2123-2285어 문학과 http://web.yonsei.ac.kr/yenglish 2123-2300

독어독문학과 http://web.yonsei.ac.kr/ysgerman 2123-2330불어불문학과 http://web.yonsei.ac.kr/franys 2123-2345노어노문학과 2123-2360사학과 http://webold.yonsei.ac.kr/history 2123-2370철학과 http://web.yonsei.ac.kr/philosophy 2123-2390문헌정보학과 http://lis.yonsei.ac.kr 2123-2405심리학과 http://psylab.yonsei.ac.kr 2123-2435

교육과학대학 교육학부 http://edu.yonsei.ac.kr 2123-3170상경대학 경제학부 http://economics.yonsei.ac.kr/economics 2123-2465

응용통계학과 http://web.yonsei.ac.kr/stat 2123-2535경 대학 경 학과 http://cob.yonsei.ac.kr 2123-5454이과대학 수학과 http://math.yonsei.ac.kr/math 2123-2580

물리학과 http://phya.yonsei.ac.kr 2123-2605화학과 http://chem.yonsei.ac.kr 2123-2630지구시스템과학과 http://geo.yonsei.ac.kr 2123-2665천문우주학과 http://galaxy.yonsei.ac.kr 2123-2680대기과학과 http://web.yonsei.ac.kr/atmos 2123-5680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http://chemeng.yonsei.ac.kr 2123-2750전기전자공학과 http://ee.yonsei.ac.kr 2123-2875건축공학과 http://arch.yonsei.ac.kr/main 2123-2780도시공학과 http://www.urbankorea.com 2123-2890토목·환경공학과 http://civil.yonsei.ac.kr 2123-2795기계공학과 http://me.yonsei.ac.kr 2123-2810신소재공학과 http://mse.yonsei.ac.kr 2123-2830정보산업공학과 http://ie.yonsei.ac.kr 2123-4010컴퓨터과학과 http://cs.yonsei.ac.kr 2123-2710

생명시스템대학 시스템생물학과 http://165.132.32.25/~biology 2123-2650생화학과 http://biochem.yonsei.ac.kr 2123-2695생명공학과 http://biotech.yonsei.ac.kr 2123-2880

신과대학 신학과 http://yonshin.yonsei.ac.kr 2123-2898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http://politics.yonsei.ac.kr 2123-2940

행정학과 http://yupa.yonsei.ac.kr 2123-2955사회복지학과 http://web.yonsei.ac.kr/welfare 2123-2920사회학과 http://web.yonsei.ac.kr/sociology 2123-2420문화인류학과 http://web.yonsei.ac.kr/anthro 2123-5420언론홍보 상학부 http://www.yonsei.ac.kr/~comm 2123-2970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http://che.yonsei.ac.kr 2123-3100식품 양학과 http://che.yonsei.ac.kr 2123-3115주거환경학과 http://che.yonsei.ac.kr 2123-3130아동·가족학과 http://che.yonsei.ac.kr 2123-3145생활디자인학과 http://che.yonsei.ac.kr 2123-3097

간호대학 간호학과 http://nursingcollege.yonsei.ac.kr 2228-3235

대학 학과 함께 공부하면 좋은 전공

Page 1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II. 전공안내1. 인문계열

2. 상경계열

3. 경 계열

4. 사회과학계열

5. 이학계열

6. 공학계열

7. 생명시스템계열

8. 신학계열

9. 생활과학계열

10. 간호계열

Page 1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문과대학인문학부국어국문학 전공사학 전공철학 전공문헌정보학 전공심리학 전공

외국어문학부중어중문 전공어 문 전공

독어독문 전공불어불문 전공노어노문 전공

교육과학대학교육학 전공

인문계열1

Page 1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0

클릭전공─인문계열

등의응용국어학분야의공부도병행하게된다

3. 교과과정

전공학생들은 전공기초 과목에서부터 일반전공 과목, 심화전공 과목 순으로 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공기초 과목│세부전공과상관없이, 국어국문학을전공으로선택하는학생들은반드시수강해야하는과목이다. 이과목들은 각 세부전공분야의 과목을 수강하기 위한 길잡이로 적합할 뿐 아니라, 국어국문학 전공자라면 누구나 갖춰야 할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다. 국어학, 현대문학, 고전문학에서 각각 한 과목씩으로구성되어있다.

●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 국어학의 가장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인간에게 언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로부터 국어학의 목적, 분야, 기초적 개념과 용어 등을이해할수있도록한다.

● 문학이란 무엇인가 : 문학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넓고 깊게 하기 위한 과목으로, 작품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통하여 문학에 대한 친근감을 갖고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시·소설·희곡·시나리오와같은개별장르에대해서도이해를증진시킨다.

●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고전문학 전반에 걸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과목으로, 고전작가와 작품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과 감상을 통해 고전문학에 좀 더 친근해 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있다.

│일반전공 과목│각세부전공에대한개괄적인이해와배경지식을습득하도록하기위한과목들이다.

● 국어학 분야 : [국어 음운론]·[문자학]·[국어 형태론]·[국어 정서법]·[국어 통사론]·[국어의미론] - 어학, 문학을전공하는학생들모두에게중요하다.

● 현대문학 분야 : [현대사회와 문학]·[한국현대문학의 배경]·[한국문학해석론]·[시 읽기]·[시 쓰기]·[소설 읽기]·[소설 쓰기]·[ 화문학론]·[ 쓰기의 이론과 실제] - 한국 근현대문학의역사·사회적배경과주요장르에대한지식을배운다.

● 고전문학 분야 : [한문과 고전의 이해]·[한문학의 이해]·[한국고전작품의 이해]·[야담과 설화의강독] - 한국고전문학의세부장르에대한구체적인이해를도모한다.

21

1. 국어국문학이란?

국어국문학 전공은 인문학 정신에 바탕을 두고 이 사회와 역사에 이바지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국어학과 국문학에 대한 전통적인 학문적 분위기는 연세대학교를 우리나라 국학의요람으로발전시킨바있다.

2. 세부전공및 역

국어국문학의 전공 역은 크게 국문학과 국어학으로 구성되는데, 국문학은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세부전공으로이루어져있다.

│국문학│● 현대문학현대 한국문학이란 근대 이후 서양 문물의 압도적인 향으로 형성되었으나 또한 한국적 환경 속에서 독자적인 양태로 개발되고 진화해 온, 20세기 이후의 새로운 언어문화를 가리킨다. 이 새로운 언어문화가 오늘날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며 누리고 있는 한국문학 전반을 형성하고 있으니, 현대문학을 탐구한다는 것은 현대 한국인의 정신사적 문제 틀과 미적 감수성을 이해하여 한국의 사회 현실의제반문제를성찰하고창조적으로재구성하는언어미학적실천을실감하고체득한다는뜻이다.

● 고전문학고전문학은 고대부터 근대 계몽기까지의 한국문학 및 한국문학과 관련된 제반 문제를 다룬다. 고전문학은 기록문학과 구비문학으로 구성되는데, 기록문학은 다시 국문문학인 고전소설과 고전시가, 한문문학인 한국한문학으로 나뉜다. 고전문학 연구 및 교육은 문화 전체로 그 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현대문화와의접맥도활발히시도되어문화콘텐츠개발과연구가활발하다.

│국어학│국어학은 고대에서 현재까지 우리가 사용하는 한국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으며 그 안에서 언어와관련된제반문제를다룬다. 국어학에서는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어휘론, 문자론 등의국어의 구조와 체계에 관한 이론적인 공부뿐 아니라 국어정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사전편찬학

국어국문학전공01 인문계열

Page 1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선배의한마디│심화전공 과목│국어국문학에 대해 좀 더 깊은 이해를 원하는 학생들과 앞으로 대학원에 진학하여 본격적인 학문을연마하고싶은학생들에게필요한과목들이다.

● 국어학에 관심이 많은 경우 : 문법론 중심의 이론국어학과 언어와 실제 생활을 중시하는응용국어학 분야의 과목들로 구성된다. [국어 방언학]·[사회언어학]·[국어화용론] 등 언어-사회관련 강의, [국어정보학]·[자료 전산처리 방법론] 같은 컴퓨터 관련강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국어사전편찬학] 등 타 역과연관된강의가흥미롭다.

● 현대문학에 관심이 많은 경우 : 작가와 문학이론, 근대문학사에 대한 심화 지식을 추구하는 [한국근대문학사]·[현대작가연구]·[문학이론의 기초], 원전 연구와 현대문학사에 대한 심화지식을 제공하는 [한국현대비평사]·[문예사조사]·[남북한현대문학사]·[한국근대문학원전읽기]등의강의가개설된다.

● 고전문학에 관심이 많은 경우 : 문학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한국고전문학사]·[고전시가문학사]·[한문학사] 등의 문학사 강의, 원전에 대한 독해와 심화된 이해를 제공하는 [고전시가강독]·[조선후기소설강독]·[한국한문수필강독] 등 강독 강의, 문학작품에 대한 분석과 감상을위주로하는 [한국한시의감상] 등 감상 강의등이개설된다. 이밖에도고전문학세부장르에대한이해를 심화하는 [한국시화의 이해]·[고려가요론]·[향가론입문] 등 강의가 제공된다. 학계의 최근연구추세를반 하는 [국문학특강]도 개설된다.

4. 졸업후의진로

우리대학국어국문학과졸업생의사회진출은크게연구분야와일반분야로나눌수있다.연구 분야에서는 전국 대학의 국어국문학과와 각 대학 부설 연구소 및 부설 교육기관, 국립국어원·한국학중앙연구원 등 정부 관련 연구소의 교수와 연구원으로 진출할 수 있고, 대학 및 공공기관의 전문직사서등으로도일할수있다. 일반 분야에서는 교육 분야로의 진출이 가장 두드러진다. 중·고등학교의 국어교사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로도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또한 신문이나 방송 등의 언론계에서의 활동은 국어국문학 분야의 오랜 역사와 함께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의 하나이며, 광고계 등에도 괄목할만한 진출을 하고 있다. 출판사의 운 ·기획·전문편집 등 출판계에서의 활동도 활발하다. 창작 활동 분야도 빼놓을 수 없다. 해마다 우수한 시인, 소설가, 극작가 등이 등단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문학비평과 화비평, 연극비평 등의 비평 역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최근에는 국어정보학과 관련된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정보통신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문화 산업에 종사하며 문화 정책에 관여하거나 문화 현장에서 활동하는 이들도 많다. 또 콘텐츠개발및연구분야도국문학전공자에게유망한분야로떠오르고있다.

2322

클릭전공─인문계열

●● 정현비, 02학번

나는 수시모집으로 대학에 입학했다. 먼저 학과를 선택하고 응시하는 방식이었기때문에국어국문학과에대한정확한정보도없이그저국어과목이좋아서국어국문학과를 선택했다. 그래서 학부대학 시절에는 학과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2학년이되고처음국문과수업을받았다. 역시내가생각하던것과는거리가있었지만오히려그렇기때문에내선택에후회가없는것같다. 국어국문학과는국문학과국어학으로나누어볼수있다. 문학시간에는창작, 비평, 문학사연구등등, 문학에대한전반적인지식을배울수있다. 단순한지식의전달이아니라학생스스로문학작품을연구하거나창작을하게된다. 외국어학과에비해부담감도덜할뿐아니라언어에 대한 감각적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즐거운 마음으로 문학을 대할 수 있다.국어학은외솔최현배선생님으로부터이어져오고있는깊은역사와전통을가지고있다. 이런토대위에공부할수있다는것은국어국문학과의자랑이다. 또한모국어를대상으로하기때문에언어에대한선천적직감을가지고있어서다른언어를연구하는것보다이점이많다고할수있다.우리말연구나문학을공부하는학회, 세미나활동도활성화되어있다. ‘우리말연구회’나‘시학회’등의 학회는 학생 스스로 지적 욕구를 채우기 위해 만든 모임이다. 또한국어국문학과학생을대상으로동경외국어대학교에 1년정도좋은조건으로 교환학생을 다녀올 기회가 주어진다.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좋은기회가될수있다.국어국문학과는막연히국어를공부하는학과가아니라모국어를바탕으로문학과언어학에 대한 지식의 근본을 쌓는 곳이다. 국어국문학은 인문학뿐만 아니라 모든학문의기초가되는학문이다. 그래서나는국어국문학과를선택한내결정에만족한다. 또한후배들에게도자신있게국어국문학과에오라고말해주고싶다.

Page 1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3. 교과과정

1) 전공자들의 다양한 관심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교과목들을 시대별·분야별·단계별로 나누어 개설하고 있다. 한 과목의 개설 주기는 개략 2년 안팎이다.

2) 한국사 분야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한국사의 시대별 흐름을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고, 경제·사회·사상·문화 등을 이해하는 과목들을 단계별 난이도를 고려하여 개설하고있다.

3) 동양사 분야는 중국사와 일본사를 중심으로 시대별 흐름을 이해하면서, 서남아시아·동남아시아까지 시야를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4) 서양사 분야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유럽사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고, 미국과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등 현대 세계정세를 역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과목을 포함하여 문화사 방면으로도 폭넓은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운 하고 있다.

5) 역사공간을 직접 확인하고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매 학기 문화유산 답사를 실시하고 있다.

4. 졸업후의진로

대부분의 인문학이 그렇듯이, 역사를 공부하는 자체가‘직업교육’이 되지는 못한다. 그렇다고 해서, 역사 공부가 졸업 후에 어떤 직업을 선택하고 자기 인생을 꾸려나가는 데서‘쓸모없는’(?) 경험이 되는 것은 아니다. 사회든 인생이든 거시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역사학의 핵심은“사실을 정확하게 밝혀낸 뒤에 바르고 종합적으로 해석하기”라고 할 수 있다.역사 공부를 통해 원사료를 비판하고 해독하는 훈련을 거치고, 어떤 부문과 다른 부문 사이의 구조적·시간적 연관관계를 생각하며, 사회구조 전체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따라서 역사를 충실히 공부한 사람은 어떤 일에 종사하더라도 일의 흐름과 방향을 정확히 짚어내고, 주어진조건 속에서 향후 방향을 잘 전망할 수 있다.또 역사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대화·토론·문제의식의 공유 등을 통해 관심 역이확대되기 마련이다. 그래서 졸업 후 전공을 살려 대학원 진학을 포함한 전문연구직(역사학 관련연구소 및 박물관 학예연구사 등), 각 시도사 편찬 위원회, 각종 역사 관련 위원회 등에 나아갈수 있다. 또한 교사, 문화콘텐츠 개발사업자, 언론ㆍ방송인, 출판인, 외교관 및 유네스코 등 국제기구 전문가, 비정부기구(NGO) 활동가, 전국 지방자치 단체에서 주관하는 각종 문화 사업의 전문 강사 등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수 있다. 현재 많은 동문들이 이들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있다.

1. 사학이란?

인간의 구체적인 삶과 생각, 그리고 그 삶이 꾸려지는 사회의 구조, 그 속에서 싹트고 자란 문화의 특징 … 이들의 상태와 변화를 시간의 흐름과 함께 다루는 학문이 역사학이다. 멀든 가깝든,주로 과거를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과거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지금의 상태에 이르게 된 배경과 원인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런 작업을 통해 현실을 더 정확히 진단할 수 있으며, 미래에 대한 전망도 가능하다. 학부과정의 교육은 기초적인 지식과 함께 인간과 사회를 구조적으로이해할 수 있는 안목·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역사 연구의 결과(역사지식)를 수렴하는 한편, 창의력 있는 상상력과 재구성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것이 목표이다. 사학과에서는 그를 위해 1차 사료와 기초적 사실에 대한 접근방법 탐색, 의미와 해석을 둘러싼 서로 다른 시각에 대한 토론, 현장답사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담은 커리큘럼을 운하고 있다.

2. 세부전공및 역

어느 학문이나 비슷하겠지만, 종합적인 성격을 갖는 역사학이 다루는 대상은 특히 방대하다. 동서양의 역사에 대한 모든 지식을 아우르며 원리를 파악하는 것은 벅찬 일이다.그래서 사학과의 전공 역을 크게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로 분리하여 운 하고 있다. 역사학을 전공하려는 학생은 이 가운데 한 분야에서 48학점을 수강해야 한다. 물론 그중 15학점까지는나머지 두 분야에서 수강한 학점이 인정된다(03학번 이후). 학점규정과 졸업요건 등은 사학과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고대나 중세·근대·현대 등의 특정 시대에 관심을 갖는 경우나 대학원 진학을 계획하는 경우에는한국사와 동양·서양의 시대사를 고르게 수강하면서 비교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 경제나 문화 등 특정 주제에 대해 공부하려는 학생에게도 선택의 폭이 넓게 주어져 있다.

2524

클릭전공─인문계열

사학전공02 인문계열

Page 1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7

클릭전공─인문계열

5. 전공선배의한마디

26 ●● 이수진, 03학번

▶졸업하고지금어떤일을하시나요?

현재 동 대학원에서 동양사를 전공하고 있습니다. 학부대학을 졸업하자마자, 대학원에입학한것이작년가을학기라벌써 2학기를꽉채웠습니다. 세부전공은일본근대사인데, 젠더나섹슈얼리티, 신체, 의료 등에대한역사에관심이많아서아직까지는 여러 가지분야를 폭넓게 공부하려고‘노력’중입니다. “무엇을 공부할것인가?”라는질문에답하기위해서고민하고있는입장이니, 이 을읽으시는여러분들과같다고도할수있겠네요.

▶대학원에진학한이유는무엇인가요?

고등학교 3학년때문득역사를공부해야겠다는생각이들었고앞뒤볼것없이연대사학과에수시를지원했습니다. ‘다행스럽게’입학하게되어그이후에도역사를계속공부해야겠다는생각에는변함이없었던지라대학원에입학하게되었습니다.‘처음에는막연하기만한결심이었는데왜그러한생각이바뀌지않았을까?’자문해보면사실, 고 3때사학을전공하기로했던이유에는지적욕구가가장크게작용했던것같습니다. 세상을가장잘이해할수있는창이저에게는역사 고그렇기때문에가장매력적인분야로느껴졌으니까요. 학부에올라와서그런저의흥미를놓지않도록도와준것은, 수업을통해서느꼈던다양한반전들(제상식과는달라서놀라움을안겨줬던), 기대했던것보다방대했던역사학의주제들, 그리고무엇보다도지금내가살고있는이사회가교과서에서만보던역사와긴 하게연결되어있는고리들을발견했을때의즐거움이었습니다. 물론, 학부과정때인턴이나교환학생을경험하면서졸업후에무엇을해야할까라는질문에여러가지답안을적어보기도했습니다만, 결국(가끔씩과제의무게때문에고달프기도하지만) 가장즐겁게할수있는일은역사공부라는결론에이르게되었습니다. 대학원에입학한지금도그런생각은여전히유효합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석사졸업이후에도전공분야를심화시켜공부를계속할생각입니다. 유학에대한욕심이있지만아직구체적인계획이세워지지않은상태이고, 일단석사과정에서저의관점들을정리해나가고그것을좋은논문으로완성하는데에집중하려고합니다. 원래 큰 계획보다는 단기적인 계획들을 차례차례 밟아나가는 성격인지라 장기적인계획에관해서는차차고민해나가야할것같습니다.

●● 손가연, 03학번

안녕하세요. 사학과동양사를전공한03학번손가연입니다.

▶졸업하고지금어떤일을하시나요?

제 전공과는 거리가 먼 진로를 택한 저는 현재 금융권에서 일하고 있어요. 진로에대한고민때문에힘든시간을보내고있는후배님들이많이계시리라생각돼요. 물론사학전공을살려서평생학자의길을택한분도있을거에요. 제주위의많은동기들도대학원을선택했지만, 저는우선사회생활을해보고싶었어요. 입사한지겨우3개월밖에안된사회초년생이지만학생때와는전혀다른세상에서다양한사람과일을접하고있어요. 제가하고싶은일은해외사업부에서근무하는것이고, 현재신입사원시절반드시겪어야하는지점생활을하는중입니다.

▶지금하고있는일이전공과연관되는부분이있나요?

역사를공부하는것은진로의다양한분야에맞닿아있다고확신합니다. 방송미디어분야를꿈꾸는분들에게는주체적인사고는물론실제적인지식을쌓게해주기때문에, 사학전공자가‘언론고시’에강할수밖에없겠죠. 경 및금융권역시기본적으로뚜렷한문제인식과넓은시야를배울수있는사학전공과연관되어있다고생각합니다. 저의경우사학전공을통해문제의식을가지고금융권의변화와방향을짚었던것이은행취업에큰도움이되었습니다. 특히, 금융권에대한관심을갖게된후부터경 학수업을병행하며들었고경제신문과잡지를꼬박꼬박챙겨읽곤했습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떻게해야하나요?

전공공부를잘하기위해서는우선수업에대한적극적인참여와관심이제일중요하다고생각합니다. 주제의난이도를떠나서함께수업을들었던친구들과함께힘들게준비하고발표했던수업이가장기억에남습니다. 다양한관심과지식을필요로하기때문에어렵기도하지만, 준비하는과정자체가전공공부를잘할수있는방법이라고생각되네요. 전공학점이그리좋은편은아니었지만, 매수업마다발표준비를하면서교수님들의도움은물론친구들을통해배우는것이많았습니다. 짧지만길었던인문학부사학전공수업을들으면서많은책을읽었고, 까다로운논문형식레포트쓰기를익힐수있었습니다.

▶학부때전공과관련된추억이있나요?

진로를위해경제경 수업을들어야했지만, 사학이라는인문학적기본소양을갖추며공부할수있어얼마나다행인지모릅니다. 대학교2학년때, 국내모자동차회사에서해외파견프로그램을통해직접중국으로가게된일이가장기억에남네요.

Page 1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철학이란?

오늘날과 같이 사회와 문화가 급격히 변화하고 학문이 다양하게 분과되고 있을수록, 근본적이면서종합적인 관점에서 세계와 우리 자신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모든 학문의 기초인 철학은 모든 주제 역과 관련하여 가장 근본적인 물음들을 제기하여 그 물음들에 대해 가장 엄 한방식으로 깊이 있는 사고를 통해서 대답해 나아가는 학문이다. 즉 철학은 세계에 대해 개별적이고파편적인 지식들을 축적하는 데에 만족하지 않고 그 근본 원리와 토대를 탐구한다.연세대학교 철학과는 학생들이 철학사에 대한 지식들을 쌓는 것 못지않게 스스로 철학적 사고를할 수 있는 능력을 하도록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그런 능력 계발을 중요한 교육 목적으로 삼는다. 학생들은 철학을 공부함으로써 논리적 사고와 비판력을 고양시키고, 세계와 인간에 대한 참신하고 바람직한 견해와 가치관을 계발시킬 수 있다. 철학은 또한 우리 사회에서 당연시되는고정 관념을 깨뜨리고 모든 것들에 대해 새로이 바라볼 수 있게 하는 학문이기도 하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철학 전공은 끈기와 열정, 집중력, 문제의식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학생에게 적합하며, 논리적, 지성적 사유가 필요하다. 또한 국어, 어, 제2외국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다른 사람이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들에 대해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크게 동양 철학과 서양 철학으로 나눌 수 있지만, 학부과정에서는 다양한 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학원에서는 위의 두 분야로 나뉘어 연구하게 된다.동양 철학은 중국 철학과 한국 철학 등으로 나뉘기도 하고, 유학 철학, 불교 철학, 도가 철학 등으로 나뉘기도 하며 분야별로 서양 철학의 역 구분과 비슷한 구분이 적용되기도 한다. 서양 철학은시대적으로는 고대, 중세, 근대, 현대 철학으로 나뉘고 현대 철학은 다시 미 철학과 유럽 대륙 철학으로 크게 나뉘며, 분야별로는 논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등의 큰 역들이 있다.

29

클릭전공─인문계열

6.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역사 공부는 자신의 삶을 사회 전체 속에서 파악하면서 올바른 가치관을 지니고 건강하게 사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를 전공으로 선택하지 않은 학생일지라도 대학생활을 하면서 역사 공부에 관심을 갖기를 권한다.특히 어문계열을 전공하는 경우, 자신이 전공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와 지역의 역사에 대한 공부는 빼놓을 수 없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와 문학,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배경이 되는 역사 이해가 불가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분야를 전공하려는 학생들은 사학전공에서 개설되는 교과목들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28

역사가아우르는것은너무나도넓고다양합니다. 학부때파트타임으로학교박물관에서큐레이터선생님, 고고학석사선배들의전시작업을도와드린일역시기억에남습니다. 제일친한제동기는학부시절사립미술관에서큐레이터활동을직접하기도했으며, 현재서울대학교에서미학을전공하고있습니다. 이처럼사학전공으로나아갈수있는분야는무척이나다양합니다. 어떠한진로를택하든, 사학을전공하고 있는 후배님들은 꿈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제가드리고마지막으로드리고싶은말은학부때즐길수있는자기만의취미와즐거움을찾을것과전공에얽매이지않은다양한경험을통해진로를진지하게그러나즐거운마음으로탐색하고주저하지않을것. 후회없는대학생활을보내세요.

Be ambitious!

철학전공03 인문계열

Page 1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31

클릭전공─인문계열

4. 교과과정

다양한종류의철학과목을개론수준에서전문적인수준까지고르게개설하고있다.철학전공과목들은단계별로전공필수, 일반전공, 심화전공과목으로나뉘어져있다.전공필수과목으로는 <동양철학의 문제>과 <서양철학의 문제>이 있고 그 밖의 과목들은 다음의 표에나타나있다.30

전필 PHI3203 논리학 3 3(0) 3000전필 PH1001 서양철학의 문제 3 3(0) 1000전필 PH1002 동양철학의 문제 3 3(0) 1000전선 PH2101 그리스철학의 근본개념들 3 3(0) 2000전선 PH2103 문학철학 3 3(0) 2000전선 PH2104 역사철학 3 3(0) 2000전선 PH2106 종교철학 3 3(0) 2000

2 전선 PH2107 화철학 3 3(0) 2000전선 PH2161 중국고대철학 3 3(0) 2000전선 PH2201 서양중세철학서 3 3(0) 2000전선 PH2204 플라톤철학 3 3(0) 2000전선 PH2205 사회철학 3 3(0) 2000전선 PH2206 예술철학 3 3(0) 2000전선 PH2207 여성주의철학 3 3(0) 2000전선 PH2253 동아시아철학의 문제들 3 3(0) 2000전선 PH3102 아리스토텔레스철학 3 3(0) 3000전선 PH3103 국경험론 3 3(0) 3000전선 PH3104 인식론 3 3(0) 3000전선 PH3105 응용윤리학 3 3(0) 3000전선 PH3109 형이상학 3 3(0) 3000전선 PH3110 서양고대철학사 3 3(0) 3000전선 PH3151 노장철학 3 3(0) 3000전선 PH3153 한국유학사상 3 3(0) 3000

2, 3 전선 PH3154 한국철학사 3 3(0) 3000전선 PH3156 중국철학사 3 3(0) 3000전선 PH3201 칸트철학 3 3(0) 3000전선 PH3202 정치철학 3 3(0) 3000전선 PH3208 헤겔철학 3 3(0) 3000전선 PH3209 인간철학 3 3(0) 3000전선 PH3212 서양미학사 3 3(0) 3000전선 PH3213 윤리학 3 3(0) 3000전선 PH3214 서양근대철학사 3 3(0) 3000

학년 학기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점강의 과목

종별 번호 실습 구분

전선 PH3215 불교철학입문 3 3(0) 3000

전선 PH3216 유교철학입문 3 3(0) 3000

전선 PH3217 도교철학입문 3 3(0) 3000

2, 3 전선 PH3218 분석철학 3 3(0) 3000

전선 PH3219 대륙합리론 3 3(0) 3000

전선 PH3252 중국불교사상 3 3(0) 3000

전선 PH3255 사서의철학 3 3(0) 3000

전선 PH4103 현대윤리학 3 3(0) 4000

전선 PH4106 언어철학 3 3(0) 4000

전선 PH4107 현대형이상학 3 3(0) 4000

전선 PH4108 수학철학 3 3(0) 4000

전선 PH4109 선불교 3 3(0) 4000

전선 PH4110 법철학 3 3(0) 4000

전선 PH4111 헤겔미학 3 3(0) 4000

전선 PH4112 인도철학 3 3(0) 4000

전선 PH4113 해석학 3 3(0) 4000

전선 PH4114 위진현학 3 3(0) 4000

전선 PH4115 한국실학사상 3 3(0) 4000

전선 PH4116 남북한철학사의 쟁점 3 3(0) 4000

3, 4전선 PH4117 화엄철학 3 3(0) 4000

전선 PH4118 심리철학 3 3(0) 4000

전선 PH4119 현대인식론 3 3(0) 4000

전선 PH4151 조선성리학과 실학 3 3(0) 4000

전선 PH4152 주역의 철학 3 3(0) 4000

전선 PH4154 동아시아통합철학사 3 3(0) 4000

전선 PH4203 과학철학 3 3(0) 4000

전선 PH4205 현대 미철학 3 3(0) 4000

전선 PH4206 현대프랑스철학 3 3(0) 4000

전선 PH4207 철학교육방법론 3 3(0) 4000

전선 PH4208 서양윤리학사 3 3(0) 4000

전선 PH4209 텍스트의 철학 3 3(0) 4000

전선 PH4210 현상학 3 3(0) 4000

전선 PH4211 생명의료윤리 3 3(0) 4000

학년 학기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점강의 과목

종별 번호 실습 구분

Page 1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전공선배의한마디

33

클릭전공─인문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서양철학사 세미나

● 윤리학 세미나

● 칸트 순수이성비판 강독 세미나

● 독일어 강독 세미나

● 라틴어 세미나

● 고전 강독 세미나

● 중세철학 세미나 등

6. 졸업후진로

6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철학과는 그 동안 사회 각계에서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많은 인재들을 배출하 다. 전국 각 대학 철학과에서 활동하고 있는 철학자를 비롯하여, 소설가, 평론가, 연극 연출가,화 감독 등의 예술가들, 그리고 언론인, 출판인, 경 인, 광고 기획자, 국가고시 관리자 등 언론사와

기업과국가기관의지도급인사들이배출되었다.

1) 연세대 학부 철학 전공자는 대학원 과정에서 철학을 더 깊이있게 공부함으로써 교수, 연구원, 번역/저술가 등 철학자가 되어서 한국 철학계의 앞날을 짊어지면서 인류의 철학적 사고의 발전에 기여할수있다.

2) 연세대철학과에는교직과정이개설되어있다.3) 교육계에서논술의중요성이강조됨으로해서논술을전담하는교수, 강사에대한수요가증가하고있으며그수요의많은부분이철학전공자로부터채워지고있고, 철학 전공자에대한요구가앞으로더욱많아질것이다.

4) 각종 국가시험들이 개별적 지식들을 요구하는 시험에서 논리적 사고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바뀌고있는 등, 논리적 사고를 훈련 받은 철학 전공자들이 국가 기관에 진출하는 데에 있어서도 유리한추세가마련되고있다.

5) 법학전문대학원진학에유리한과정이개설되어있다.

32 ●● 졸업생 선배, 엄성우

▶철학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철학의역사는인간이지니고있는근본적인궁금증때문에시작되었습니다. ‘이세상은무엇으로이루어져있을까?’, ‘나는누구인가?’, ‘세상은왜존재하는가?’등이러한근원적인질문을던지며그에대한나름대로의설명을시도하는것이곧철학이죠. 다른학문들도역시이러한궁금증으로부터갈라져나왔기때문에철학을모든학문의뿌리라고도하는것입니다. 이러한철학을공부하기에좋은사람은우선이세상에존재하는모든것들이우리에게주는경이로움을느낄줄아는사람입니다. 어떤것이우리앞에주어져있을때, 보통사람들은만약그것이익숙한것이라면무심코지나쳐버리겠죠. 하지만철학적소질을품고있는사람은익숙함에가려진존재의신비를놓치지않습니다. 경이로움을간직한채바라보면발밑에놓인흔히보던돌멩이도, 나무에매달린잎사귀하나도아찔한신비감을안겨주는존재로변하게됩니다. 이것들은도대체어디서부터온것일까? 왜하필이면이런모양이되었을까? 세상이주는경이로움이이를체계적으로설명해보려는욕구로승화되어철학이성립된것입니다. 그래서그옛날아리스토텔레스도‘사람은경이로인하여철학을시작한다’라고말했던것이죠. 이런의미에서세상모든것에서신기함을느끼는마음을지니고, 그것을‘왜?’라는질문을끊임없이던지는자세로변화시킬줄아는사람이라면철학을전공으로하기에적합하다고할수있습니다. 철학전공에맞는또한가지의적성으로비판적인자세가있습니다. 흔히들비판을좋지않은뉘앙스로받아들이지만실은그렇지않습니다. 비판적으로사고한다는것은어떤것을나쁘게만보는것이아닙니다. 그것은내게어떤상황, 의견등이주어졌을때이를그저아무런의문도없이그냥받아들이지않는것을말합니다. 자신의질문에대해부모님께서‘그건그냥원래그런거야’라고하실때라든가신문에서납득이안가는내용의기사를보았을때를떠올려보십시오. 그때도저히그것을있는그대로는받아들일수없어서, 가슴속에의문을품고그에대한자기만의의견을내보려고노력해본경험이있는사람이라면철학을공부하는데필요한비판적인자세를지니고있다고할수있습니다. 물론언어능력, 논리적사고력, 토론능력등그밖에도철학을공부하는데필요한여러능력들이있습니다. 하지만이런능력들은후천적인노력으로도습득할수있는부차적인것들이라고볼수있습니다. 자신의머리가그리좋지않다고생각해도걱정할필요는없습니다. 어차피철학계의소문난천재비트겐슈타인도‘철학하기에충분히좋은머리는없다.’라고했으니까요. 만약여러분이세상이존재한다는그자체에대한경이로움을느낄수있고, 주어진것들에대해진지한의문을가지고비판적으로받아들이는자세만지니고있다면철학적소질을충분히갖춘것이라고할수있습니다.

Page 1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문헌정보학이란?

문헌정보학은인간의지적인활동에필요한정보의수집, 축적, 검색 및 이들의 효과적인전달을위한지식 커뮤니케이션현상에학문적기초를두고 인간의정보요구에효과적으로대응할수 있는 다양한과학적 방법에 대한 연구를 주도하는 학문이다. 특히 컴퓨터와 통신기술 및 뉴미디어를 포함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수집, 조직, 축적, 검색, 이용, 전송과 관련된 연구 및 기술적 발전도 끊임없이이룩하여 왔다. 문헌정보학의 전문교육은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교육을 통해 배출된 정보전문가들 사이의 공식,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전문 학회나 협회 및 연맹 등을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문헌정보학이 오늘에 이루기까지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성장되어왔고, 앞으로도계속성장하고발전할것임을보여주는것이다.

2. 세부전공및 역

│정보조직 역│정보가 담겨져 있는 자료를 정리하는 업무로서 문헌검색도구인 목록에 대한 기술작업, 분류작업에관련된일련의 과정을말한다. 정보조직학은다양한 형태의 1차 정보원(문헌, 컴퓨터 파일,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시청각자료등)의 주제및내용분석과이를위한분류및색인이론의응용(분류및색인코드, 주제명 표목, 시소러스 등)과 2차 정보원(초록, 색인, 컴퓨터 색인파일, 도서관 목록 등)의 작성과특성에관한연구이다. 최근에는웹을대상으로한메타데이터연구가활발히이루어지고있다.

│정보학 역│정보 검색 이론 및 검색 기법, 정보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 등 정보의 생산, 수집, 검색, 배포에관련된 역이다. 또한 다양한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오퍼레이팅 시스템,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래밍언어, 데이터베이스 이론 및 설계, 컴퓨터 통신 등)과 정보의 디지털화를 위한 웹페이지 제작과 기획(학술정보 웹사이트 구축론, 웹 인터페이스 설계, 디지털 콘텐츠 기획 및 제작 등)에 관한 이론과 실무교육과실습을통한실질적인실무응용능력을키운다.

│정보조사제공 역│정보사회와 환경, 이용자의 정보요구 및 정보추구 행태 분석, 그리고 이용자 행위와 이들 행위에

35

클릭전공─인문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윤후명 소설가

● 이상호 KBS 아나운서

● 허진호 화감독

● 조성우 화음악감독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철학공부의특성상, 어떠한전공분야의학문과함께공부해도무관합니다.

34

▶철학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철학에서는다른과목에서라면어느정도효과를볼수있는벼락치기공부가통하지않습니다. 시험을위한공부가아닌진정한학문을추구하는사람들이철학전공공부를잘할수있죠. 철학은정해진답이아니라철학사상에대한이해력과자신의 독창적이면서도 논리적인 사유 능력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철학 전공에서는 학업성취도를주로 로써평가하기때문에자신의사유를논리적이고체계적인로옮기는능력또한필요합니다. 그렇기때문에다른과목들처럼교과서의시험범위에있는것들을암기해서옮겨적는방법으로는절대좋은학점을받을수없습니다. 평소에전공과관련된책들을많이읽고, 그에대해많은생각을해보고, 또 그것을 로표현하는연습을열심히해야하죠. 그리고어떤주제에대해각자생각한바를토대로친구들과열띤토론을하는것도가장효과적인철학공부방법중의하나입니다. 때로는어려운전공서적을붙잡고씨름할때보다다른사람들과토론을하며자신의사유를활성화시킬때더욱많은것을얻는경우도종종있습니다.게다가혼자서공부할때는느낄수없는재미도덤으로가져갈수있죠. 이에덧붙여또한가지철학전공공부를잘하는데아주중요한것은바로철학을즐기는자세입니다. 일상생활을하면서도항상철학적인자세를잃지않은채흥미를갖고탐구한다면따로시간을내어공부를하지않아도철학적인소양을쌓는데큰도움이될것입니다. 이렇게해서얻어진 쓰기실력, 논리적사고력, 토론능력등은철학공부를할때뿐만아니라앞으로어떤일을하더라도도움을줄보물이될것입니다.

▶철학전공에대한20자평

세상에존재하는모든것을문제삼는유일한학문

문헌정보학전공04 인문계열

Page 2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도서관 봉사활동│문헌정보학과에서는 지원이 필요한 소규모 도서관을 대상으로 학부생, 대학원생이 주축이 되어 방학기간을 이용해 도서관 봉사 활동을 벌이고 있다. 주 활동은 도서 정리, 도서관 이용 교육, 독서 지도,방학 과제 지도로 이루어지며, 현지에서 다른 봉사팀과의 교류도 이루어진다. 현재 태백시 철암 어린이도서관을지원하고있으며, 추후 다른도서관과의연계를통해활동을지속해나갈예정이다.

│M.T 행사│•가장큰행사로매년 5월스승의날이있는주금요일에학부생과대학원생, 교수님들이모두참여하는 1박 2일간의 M.T가 있다. 이 행사는 학부제로 인한 동급생 간의 소원했던 관계를 다지고 교수님및대학원선배들과의친목을도모할최고의기회이다.

•학부생만의모임으로는문헌정보학과실습실을운 하는자봉단의M.T가 있다.자봉단원들은 매 학기 자체적인 M.T와 학과장 교수님 및 대학원 및 대학원 선배들과의 간담회를통해문헌정보학과전공자로서의정체성을확인할수있다.

5. 졸업후의진로

●매년 문헌정보학과 졸업생 중 90%이상이 취업하고 있고, 다음의 모든 분야에서 지도적 위치를점유하면서 활동 중이다.•첫째, 정보산업분야의 주요 기업 및 벤처기업에서 정보 전문가로서 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정보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계 및 분석, 또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뉴미디어의 활용과 관련된정보기술분야로진출한다.

•둘째, 각종도서관과정보센터의정보전문직으로나가는길•셋째, 언론사, 기업체, 연구소의정보담당기자혹은전문정보봉사직으로진출하는길,•넷째, 대학원의석·박사과정에진학하여학자로서의기반을닦을수도있다.

●정보화와 세계화가 급진전되면서 최근 새로운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노하우(Know-How) 대신 바로 노웨어(Know-where)이다. 노웨어란 산재된 지역에서 어디에 누가 필요한 전문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필요할 때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정보의 수집과 분석, 검색, 배포를 위한 효율적 정보활용기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문헌정보학의 역할과 책임은 더욱 무거워지고 있다. 초고속 정보통신 시대에 폭증하고 있는 정보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것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미래의시대에 정보가힘이라면정보를다루는문헌정보학은힘의 학문이요, 이를 통해 배출되는정보 전문직은힘의직업이될것이다.

37

클릭전공─인문계열

향을 주는 역사적,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기술적 요인 등에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정보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론, 설계 및평가에도관심을두고있다.

│도서관·정보센터 경 역│도서관과 정보센터의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이다. 도서관의 목적 달성에 직접 필요한 제반 업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계획, 조직, 지휘, 조정, 통제 등의활동을뜻한다.

3. 교과과정 (전공과목연계도)

36

전공 기초 및 탐색 문헌정보학 입문, 정보기술론

정보조직 역 정보조직:분류, 정보저직:목록

정보조직연습

문헌정보통계

정보학 역 학술정보네트워크의기초, 웹인터페이스설계

학술정보웹사이트 구축론, 데이터베이스시스템

정보처리연습, 정보표준화론

정보검색론, 디지털도서관 구축론,디지털콘텐츠 기획 및 제작

정보조사제공 역 정보이용지론, 뉴미디어, 정보조사제공론

기록관리 역 기록관리론

도서관, 정보센터경 역

장서구성론

인문과학정보, 과학기술정보

도서관정보센터경 론, 전문정보센터경

공공도서관경 , 학교도서관매체센터경

Page 2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심리학이란?

│개 요│‘인간은 어떻게 사고하고, 느끼고, 또 행동하는 것일까?’이러한 질문은 고대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끊이지않고있어왔습니다. 심리학은바로이질문에대한대답을과학적인방법으로알아보는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심리학의 연구범위는 인간의 기본적 감각 중 하나인 시각 연구에서부터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요구되는 전문성 훈련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습니다. 이러한 심리학 연구는 인문과학에서부터 자연과학, 공학, 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분야와연계하여인간에대한이해를돕는중요한역할도담당하고있습니다.

│교육 목적│심리학의 교육목표는 인간 행동과 인지 기능의 기본 원리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사람들이앞으로보다나은삶을 위할수있도록하는데있습니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심리학 전공은 인문학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를 모두 갖춘 학생에게 적합하고 인간 행동을 과학적으로이해하려는관심이필요하다. 이 전공은다양한학문분야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지만특히국어, 과학, 어의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사회 및 성격 심리학│● 교과목

- 동기와정서, 사회심리학, 사회문제와심리학, 성격심리학, 주관적안녕감외.

● 연구과제 예- “왜 서양과동양인은같은사건을보고도다른해석을할까?”/ 사회심리

39

클릭전공─인문계열

6. 전공선배의한마디

7. 기타

문헌정보학 전공 역에서는 실습을 필요로 하는 교과목의 효과적인 운 및 문헌정보학 전공자들의컴퓨터 처리능력을 위해 30대 정도의 최신 컴퓨터 기종으로 설비된 문헌정보학과 컴퓨터 실습실을운 하고 있다. 컴퓨터 실습실은 문헌정보학 전공자를 대상으로만 이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문헌정보학 전공자로 구성된 자원봉사단에 의해 운 되고 있다. 또한 실습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동계 및 하계 방학 동안에는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시스템에 관한 특강을주관하고있다.

38 ●● 이진화, 03학번

지상에존재하는최후의성역.어느 작가는 도서관을 가리켜 이렇게 말했다나요. 어린 마음에 어찌나 이 말에 끌리던 지.복작복작하고 떠들썩한 건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성격이라, 탑처럼 높게 쌓인 거대한 책장앞에앉아조용히책을보고있는저자신을상상만해도어떤지마음이훈훈해지더군요. 그래서 이 길이 내 천직이다!하고 뛰어들었는데….왠걸, 도서관학은 어느새 문헌정보학으로 이름을 바꾸고 도서관 사서만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웹 검색엔진 개발 등등으로 그 진출 분야를 넓혀나가고 있었습니다. 먼지를 풀풀 날리면 케케묵은 책들을 다루겠거니..하고왔는데 이제는 시대의 흐름이란 것에 발맞추어 전혀 눈에 보이지도 않는“정보”라는 놈을 다루어야 한다나요. 덕분에 저는 전혀 듣지도, 보지도 못한 생소한 용어와 정보처리기술을 배워나가느라이리저리분주한나날들을보내고있는실정입니다.솔직히 말하자면, 수업내용이오히려재미있는편입니다. 문헌정보학은언어학, 인지학, 심리학, 공학 등등 여러 학문에 기반을 두고 있는 학제적 성격이 강한 학문이기 때문에, 여러 학문에관심이많은저로서는이것저것찔러볼수있다는생각에들뜨기도한답니다.즉, 우리 문헌정보학과는 고대의 도서관에서 현대의 웹 검색 사이트까지, 그리고 신학을 제외한거의모든학문을망라하고넘나들수있는학문이라는겁니다. 바로 그렇기에한가지학문에구속되고싶지않고, 여러 가지를 접하고싶은학문적인호기심이강한분께저희문헌정보학과를강력히추천합니다.

심리학전공05 인문계열

Page 2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인지 심리학│● 교과목

- 학습심리학, 인지심리학, 언어심리학외

● 연구과제 예- “왜 장미꽃을보면그녀생각이날까?”/ 연합기억- “시끄러운곳에서도나를부르는소리를단번에알아들을수있다!”/ 주의- “인간은이성적인가?”/ 의사결정

│산업 심리학│● 교과목

- 전문성과의사결정, 인적요인심리학, 산업 심리학, 소비자심리학외.

● 연구과제 예- “가장효과적인전문기술훈련방법은?”/ 훈련- “어떤사람이일에서스트레스를많이받는가”/ 스트레스- “승진하는여성리더의특징은?”/ 리더십

│학교 및 상담 심리학│● 교과목

- 학교심리학, 진로발달이론, 심리검사법, 심리연구법, 직업심리학세미나외

● 연구과제 예- “졸업후무엇을해야할까요? 진로선택을도와주세요!”/ 진로상담- “꿈을이룰까요? 돈과명예를이룰까요?”/ 직업가치- “때리는학생과맞는학생중누가문제일까요?”/ 학교상담- “행복한학교만들기. 그 방법은?”/ 학교심리

│상담 심리학│● 교과목

- 상담 이론및실제, 집단치료

● 연구과제 예- “다른사람하고잘어울리고싶어요!”/ 집단치료- “나의가치를평가할때내자신의목소리에귀를기울이는가?”/ 가치감과정신건강- “낙관성과희망이높은사람이정신적으로더건강한가?”/ 긍정적성격특성과정신건강

41

클릭전공─인문계열

- “왜 외향적인사람들이행복한가?”/ 성격- “행복한사람들은어떤성격/사고습성을갖고있는가?”/ 주관적안녕감

│지각 심리학│● 교과목

- 지각심리학, 정보 처리이론, 예술과디자인심리학외.

● 연구과제 예- “줄무늬옷을입으면날씬해져요!”/ 시각- “왜극장에서나오면눈이부신가요?”/ 시각

│임상 심리학│● 교과목

- 임상심리학, 이상심리학, 진단 및평가, 행동평가및수정외.

● 연구과제 예- “시험때만되면불안해져요!”왜그런가요? / 불안- “학교에서는왕따를당하고인터넷만하고있는데어찌할까요?”/ 심리치료- “문제행동을너무많이보이는아이들은어떻게다루나요?”/ 행동수정- “운동을규칙적으로하고몸무게를줄이고담배를끊고싶습니다.”/ 건강심리, 자기관리

│인지공학 심리학│● 교과목

- 인지공학심리학, 색채 심리학, 인간요인심리학, HCI 외.

● 연구과제 예- “휴대폰으로문자를보낼때자꾸오타가생겨! 왜 그럴까?”/ 인지공학, 감성공학- “인터넷사이트에서내가찾는메뉴는어디에있을까?”/ HCI, 사용성연구

│발달 심리학│● 교과목

- 언어발달, 인지발달, 사이버공간의심리, 현대사회와청소년심리외.

● 연구과제 예- “다른사람의마음을이해하는능력은어떻게발달할까?”/ 마음이론- “아동들이어떻게모국어및외국어를배울까?”/ 언어습득- “나는누구일까?”/ 자아인식

40

Page 2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졸업후의진로

•심리학연구및교육직 •학교및청소년관련기관에서자문및연구원•병원및상담소근무 •기업연수원및인사교육분야업무•멀티미디어개발및연구업무 •광고, 소비자여론조사, 매스컴효과연구•방송사를비롯하여기타인간의마음과행동에대한이해를바탕으로하는여러직업들

6. 전공선배의한마디

43

클릭전공─인문계열

│인지신경과학│● 교과목

- 생리심리학, 사회-정서신경과학

● 연구과제 예- “사랑에빠진사람의뇌활동은어떻게다를까?”/ 사회와정서신경회로- “뇌손상이일어나면자의식도달라질까?”/ 인지신경과학- “왜나이가들수록건망증이심해지나요?”/ 뇌기능의노화

4. 교과과정

학생들은 기본적으로‘심리학 입문’과목을 통해 심리학이란 무엇인지 아는 기회를 가지게 되며, ‘심리학의실험연구방법’과목을통해심리학을연구하는방법적측면에대해알게됩니다. 이 기본적두과목의지식을바탕으로심리학전공자들은관심있는다양한전공과목들을선택하여공부합니다.

42

●● 원주식, 97학번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제가심리학을공부하면서느낀것은심리학을공부하려는많은분들이심리학기초과목의중요성에대한인식이부족하다는점이었습니다. 우선, 심리학개론은학부졸업후에심리학을더구체적으로전공하길원하는분들에게심리학의여러분야들을전반적으로살펴볼수있는기회를제공합니다. 심리학개론을통해여러분들의 관심분야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부 전공과목 들을 찾아서 들으신다면보다내실있는심리학공부를하실수있으리라생각합니다. 또한심리학실험연구방법이나심리통계와같은과목은심리학을전공함에있어서반드시필요한방법론적 지식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과목들 수강하셔서 열심히 공부하시는 것이많은도움이되리라생각합니다.

●● 안진경, 99학번

▶어떤일을하시나요?

한국갤럽조사연구소(Gallup Korea)의연구원으로주로중앙부처및관공서산하기관/국 기업, 지방행정기관을고객으로하는사회조사(실태조사, 만족도조사등)업무를담당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무엇인가요?

사회 심리 연구와 관련된 지식 및 프로젝트 경험이 있으면 더욱 좋지만, 독립적인프로젝트를담당할수있는열의와성실성, 통계적인마인드를가지고있다면충분하다고생각합니다.

임상 심리

심리학 개론 / 심리학의 실험 연구 방법

적응과 심리학, 성격심리학, 건강심리학, 이상심리학, 임상심리학 외

사회 및 성격 심리 동기와정서 / 사회심리학 / 사회문제와심리학 / 성격심리학 / 주관적안녕감외

학교 및 상담 심리 학교 심리학, 진로발달이론, 심리검사법, 심리연구법 외

산업 심리 전문성과 의사결정 / 인적요인 심리학 / 산업 심리학 / 소비자 심리학 외

인지 심리 학습심리학, 인지심리학, 언어심리학 외

지각심리 지각 심리학 / 정보처리 이론 / 예술과 디자인의 심리학 외

인지공학 심리 인지공학 심리학 / 색체 심리학 / 인간요인 심리학 / HCI 외

발달 심리 언어발달, 인지발달, 사이버공간의 심리, 현대사회와 청소년 심리 외

상담 심리 상담 이론 및 실제, 집단상담, 긍정심리학과 상담 외

인지 신경과학 신경심리학, 사회-인지-정서 신경과학, 기억과 뇌 외

Page 2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중어중문학이란?

중국은 우리나라와 정치·경제·사회·문화·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해왔다. 근대의 침체기를 지나 20세기 후반을 거치면서 중국은 다시 강대국이 되었고, 21세기에는 세계무대에서 더욱확실한 지위를 차지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이해는 그러한 변화에 발맞추지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어중문학 전공에서는 중국학의 중심인 언어와 문학 전반에 걸친 지식을 습득하고, 상고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중국 문학사조의 흐름, 작가 및 작품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는한편, 중국어의 음운·문자·어법을 분석하여 중국어 구조를 정확히 익힘으로써 중국어학 및 문학의깊고 넓은 소양을 바탕으로 한 인재를 양성한다. 또한 인접 전공 역과의 관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하는가운데중어중문학전공 역을동양학의중심으로자리매김하는작업을진행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중어중문학은 언어와 문학을 통해 문화를 이해하는 학문이다. 이 전공은 언어현상이나 문학에 대한이해력을 가진 학생에게 적합하다. 국어, 제2외국어, 한문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중국어 실력은 필수적이며 언어에 대한 이해와 문학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감수성과비판적자세역시요구된다.

3. 세부전공및 역

│중국문학│중국의 문명을 이해하는 데에 가장 필수적이고 유효한 분야이다. 중국문학은 다시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으로 나뉘며, 두 분야 모두 공통적으로 중국문학의기본이 되는 시를 비롯하여 산문, 소설, 희곡,신화등을수업내용으로다룬다.

│중국어학│음운학·문자학·어법학으로 세분되며 이 분야는 중국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된다. 단순한 수준의회화구사에만족하는것을지양하고, 고전중국어와현대중국어를총체적으로이해할수있도록한다.

45

클릭전공─인문계열

7. 자랑스러운동문

● 안우경(81학번) 예일대심리학과(인지심리학) 교수

● 이성강(81학번) 애니메이션감독, 제26회 프랑스안시애니메이션페스티벌대상

● 백지연(83학번) 백지연스피치코리아대표, 전 MBC 아나운서

● 천명우(85학번) 예일대심리학과(인지심리학) 교수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 생물학

● 물리학

● 경제학

● 통계학

9. 기타

심리학을 독심술, 심령 과학 등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심리학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서 인간을연구하는 과학입니다. 심리학은 첫째, 실험을 설계하고 둘째, 객관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셋째, 다양한 통계 방법을 이용해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면서 인간에 대해 더 이해하고 법칙을 만들어 내는 학문입니다.

44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일단향후3~4년간은사회조사경력을많이쌓으면서마케팅조사에대해서도공부를할계획입니다. 통계청이할수있는일에는한계가있기때문에앞으로는각공공기관에서도연구및통계조사를할수있는인력이필요할것으로예상됩니다.계속적으로그러한업무를담당할수있다면좋겠죠

중어중문학전공06 인문계열

Page 2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졸업후의진로

졸업 후의 전망이 무척 밝은 편이다. 졸업 후의 취업은 외국어 전공자로서의 이점을 살린 곳이 가장많으며, 사회 모든분야에서중국관련인재들에대한수요가급증하고있으므로선택의폭이매우넓다. 현재 졸업생들중에서대기업이나벤처기업의중국관련업무를담당하는이들이대부분이고, 외교관, 국내외 항공사, 금융계, 문화예술계등에도많이진출했다. 졸업생들중일부는국내외중국어문학전공대학원에진학하여심도있는연구를수행하고있으며이미교수가된사람이 40여 명이며, 중고등학교 교사도 40여 명이 활동 중이다. 뿐만아니라 직접 회사를 운 하는 기업의 CEO들도 여러 명있다. 앞으로 중국과의 관계가 보다 우호적으로 발전하리라는 전망 하에 중어중문학을 전공한 이후의진로는현재보다더욱확장될것으로보인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47

클릭전공─인문계열

4. 교과과정

│전공기초(필수)│중국어학입문, 중국문학입문, 중급중국어말하기, 중급중국어쓰기, 고급중국어말하기, 고급중국어쓰기

│전공선택│● 중국문학경서강독, 노장사상과 중국문화, 당송산문선독, 당시, 시경, 역대산문선독, 제자강독, 중국고대문학사,중국근세문학사, 중국문언소설선독, 중국문학비평, 중국문학특강, 중국문화개론, 중국문화론특강,중국백화소설선독, 중국사곡선독, 중국소설사, 중국역대시가선독, 중국전통극예술, 중국현대문학사,중국현대문학사조, 중국현대산문선독, 중국현대소설선독, 중국현대 상예술, 중국희곡선독, 초사,현대시선독

● 중국어학대조언어학과 중국어교육, 제2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론, 중국문언문법, 중국어교육어법연구방법론,중국어실용교육어법, 중국어음성학, 중국어음운론, 중국어통사론, 중국어품사론, 중국언어학사, 한자학, 현대한자론

● 중국어 도구 과목고급중국어독해, 고급중국어듣기, 비즈니스중국어, 시사중국어, 실용중국어, 중급중국어듣기, 중급중국어독해

● 교직과목중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동일전공자간의네트워크구축•멘토링프로그램운 등을통한졸업생과의네트워크구축및진로모색•원어연극(중문학술회연중행사)•학기중관심분야별스터디운•한국내중국유학생과의언어교환프로그램

46

●● 조은혜, 03학번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기본적으로 중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흥미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중국어가 좋아서시작할수도있고, 중국 화나음악이좋아서시작할수도있습니다. 어떤동기로시작하든여러분은중문과에서중국전문가로서의소양을충분히기르실수있을것입니다. 그리고당장은중국적인것에관심이없다하더라도언어와문학일반에대한탐구심, 그리고새로운것에도전해보고자하는열정이있다면중문학도가되는데에전혀손색이없습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문학과목의경우『중국문학입문』, 『중문학어떻게공부할까』등의개설서를한번읽어본다면좀더능동적이고재미있게수업을들을수있을것입니다. 순수중국어도구과목의경우에는초급강의부터개설되어있기때문에중국어를처음배우는학생이라도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미리 조금이라도 공부를 해두는 것이 좋겠지요.학생회가중심이되어매학기개설되는각종스터디모임도큰도움이될것입니다.더욱깊이있는공부를원한다면연계전공으로중국학을선택할것을추천합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중국을거울삼아한국과세계를바로보게해주는전공

Page 2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중국신화전설」(1,2)(민음사), 「중국 변형신 화의 세계」(범우사), 「중국신화의 이해」(아카넷), 「김선자의 중국신화이야기」(1,2)(아카넷), 「만들어진 민족주의 황제신화」(책세상), 「중국 소수민족 신화기행」(안티쿠스) 등의 저술을 통해 중국 신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강의 및 답사를 진행하고있다.

● 정경수 (MBC 보도국 부장, 77학번)1957년 12월 28일 경북 주출생1984년 연세대중문과졸업1984년 MBC 입사( 보도국기자직)1993년~1994년년 해외연수(중국칭화대) 1994년 차장승진2000년~2003년 베이징특파원2004년 부장승진2005년~2008년 중국지사장(상하이)현재보도국부장(라디오밤 9시뉴스프로그램편집담당)

● 이준일 (대우국제주식회사 중국청도대표처 수석대표, 82학번) 1963년 2월 8일생1994~2000년 중국해우석판파견2000.8~2009.1 본사 철강본부근무(팀장)2006.6 철의날산자부장관상수상2009.1~현재 중국청도지사지사장 (현직급이사)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어문학 전공(국어국문학, 어 문학 등)은 문학 간의 비교를 통해 중어중문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중국은 예로부터 文, 史, 哲을 하나로 이해하 으므로 사학, 철학도 도움이 된다. 경 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등 사회과학 분야를 함께 전공하면 중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중국학전공도우리대학에개설되어있다.

10. 기타

열정과노력! 이 두 단어를반드시가슴속에넣고생활하시기바랍니다.

49

클릭전공─인문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 80학번) 1955년 8월 3일생2007.04 대한올림픽위원회(KOC) 부위원장2007.04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환경분과위원회위원장2004 유진그룹회장대한철인3종경기연맹회장

● 김익겸 (주중국한국문화원 원장, 77학번) 1986년 한국외국어대학교통번역대학원졸업국제민간경제협의회와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활동디지틀조선일보의인터넷중국어뉴스창간과운한, 중 수교와한, 중 경제협력의토대를다지는데크게기여

● 김선자 (신화연구가, 75학번)1957년 12월 15일생1986년 국립대만대학교중문연구소졸업(석사)2001년 연세대학교중어중문학과박사

48

●● 중문과 99학번, 04년도 졸업생

▶어떤일을하시나요?

삼성물산상사부문화학본부근무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적극적인성격, 커뮤니케이션능력및유창한외국어실력이필요합니다. 중문과졸업생의경우, 실용중국어이외에도중국에대한문화적이해를갖추고있기때문에중국바이어들과거래를할때친화력을발휘할수있어서유리합니다. 구직시에도전공덕을많이봤습니다. 다양한분야에서널리환 받을수있으니까요.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학부때중문학을전공하면서미국으로교환학생을다녀와서중국어와 어를모두배울수가있었습니다. 앞으로일본어도배워서해외무역분야에서더욱활발하게활동하고싶습니다.

Page 2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미문학 역│미문학 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어로 씌어진 시, 소설, 희곡 작품들을 다양하게 읽고 비평함으로

써, 인문학적 교양과 시각을 넓히는 것이다. 미 문학작품 속에서 문학의 보편적 가치와 의미를 경험하고문학작품의다양한해석과비평을배운다.

│기타│미문학 커리큘럼은 미국문화와 국문화, 미사상, 대중매체의 문화 역, 현대문예비평 과목들을

포함한다. 고전문학에의관심도중요하게다뤄진다. 어학 분야에서는응용언어학분야인 어교수법, 사회언어학에의관심도증가되는추세이다.

4. 교과과정

│ 어학 역│학생들이 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며, 다양한 언어 자료의 분석을 통해 논리적이며 체계적인사고를하도록한다.

● 전공필수 과목 < 어학입문> : 어에 대한 기초적 사실들을 소개하는 과목으로 어문학을 전공하는 모든 학생이 수강할 필요가 있다.

● 전공선택 과목 : 전공선택 과목이 3000단위와 4000단위로 세분화된다. 3000단위의 과목은 < 어어법연구>, < 어변천사>, < 어음성학>, < 어화용론>, < 어사용과사회>, < 어담화분석>, < 어문법론>, <역사속의언어연구>, <문체론의입문>, < 어교육접근법>, < 어발표와의사소통>, <고급 어 쓰기>가 있으며, 4000단위의 과목은 < 어구조론>, < 어교육론>, <언어학과문학>, < 어학특강>, <정치상황에서의 어담화>, <코퍼스의분석과활용>, <언어와성>,<대화분석기관내에서의대화>가 있다.

│ 문학 역│문학에대한인문학적접근과동시에 어의사소통능력이향상되도록구성되어있다.

● 전공필수 과목 < 문학입문> : 문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한 기초 과목. 시, 소설,희곡 작품을 폭넓게 감상하며, 비평적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문학을 전공하고자 하는학생들에게는 이 과목이 자신의 적성과 자질을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이다.

● 전공선택 과목 : < 국문학개관(1)>, < 국문학개관(2)>, <미국문학개관>은 문학의 기초로서, 미문학의 역사적 맥락과 흐름을 문학 작품을 통해 파악한다.

● 전공선택 과목 중에서 시대, 장르, 작가별로 세분화되어 3, 4학년을 위하여 개설된다. 전공선택과목은 2000단위, 3000단위, 4000단위로 세분화 된다. 2000단위의 과목은 <미국문화>, < 국문화>가 있으며, 3000단위의 과목은 <서정시의기본>, <제2언어로서의시>, <현대 국소

51

클릭전공─인문계열

1. 어 문학이란?

어학과 미문학, 그리고 어문화권의 지역학과 문화연구를 통하여, 어의 본질과 실제사용, 문학텍스트의이해와문학의문화적쓸모를교육한다. 언어학에서는 어를구성하는내적요소(소리, 낱말,문장, 의미)와 외적 요소(역사, 사회, 성, 인종), 습득, 학습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문학 분야에서는 중세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미문학의 주요한 작가와 시대적 특성을 배운다. 더불어, 대중매체와 멀티미디어의활용, 지역문화학에의관심을반 하는과목들의범위가넓혀지고있음을지적할만하다.

언어연구와문학의 이해를주로하는 어 문학은언어, 역사, 인식론 등의 인문학적교양 및 상상력의 배양과 깊은 연관이 있다. 특정한 언어와 문학작품은 그것의 아름다움을 인식케 하는 미학적 상상력과, 이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직관을 동시에 요청한다. 언어와 문학은 그것이 위치한 지리적·역사적맥락과의긴 한연관관계속에서파악되어야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어 문학전공은 넓게는인간과사회에대한 인문학적성찰과사고의능력이 있는학생에게적합하다. 보다 세부적으로이 전공은 미문학과 어학에대한관심에많을수록유리하다. 이 전공을 잘하려면 미문학, 어학 및 기타 인문학에 대한 어원문을 독해할 수 있고 어 쓰기와 토론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국어, 어, 제2외국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입학후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 어학 역│어의 소리 특성과 체계, 어휘 및 문장 구조와 의미를 비롯, 과거와 현재의 어의 모습 및 사용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어학은 어 문법의 이해나 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 방안등실용적응용분야이외에도, 어를 주대상으로하여언어의본질과보편성을밝히는학문이기도하다. 따라서 어학은 문학, 철학, 커뮤니케이션 이론, 사회학, 심리학, 인지과학 등 여러 다른 분야에서중요한이론적토대가되고있거나연계해서연구되고있다.

50

어 문학전공07 인문계열

Page 2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S.Wine와인에 대해서 관심이 있거나 친목을 도모하고 싶은 학생들을 위한 , 와인 소모임.(와인 이외의 주류도다룸)

● 홀트봉사각자에게부여된번역작업을하고모임을갖는아동복지회번역자원봉사소모임.

● 난쏘공문제적인사회현상이나현이슈를분석하고토론하는사회과학토론학회.

● 쏘아컬와인도마시고 화도보고연극도보고!! 이렇게경험한것들에대해이야기나누는문화소모임.

● A-OP직접작사작곡도하고정기공연도하며고대와의교류도활발한힙합소모임.

● 쏘시오 유나이티드타과나타학교와시합을함으로써구성원들사이의친목을도모하는축구소모임.

● 신촌역 삼번출구한 학기에 한번씩 정기공연을 하는 밴드 동아리. 악기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면 참여 가능. 정기공연때대부분의소모임멤버들이한곡이상을연주하는기회를가지게하는밴드소모임

● JC걸즈힙합댄스소모임. 대동제기간과정기공연을한다.

● Floreal문학작품을통해세상을바라보는문학소모임. 정기적인세미나를통해책을깊게탐독하고토론도진행한다.

6. 졸업후의진로

현재까지의 졸업생은 문과 졸업생이 3천 8백여 명이며, 인문학부를 포함하면 4천 5백여 명에 이른다. 이 중 약 500여명을 대상으로 졸업생 취업 및 활동 상황을 조사한 결과, 회사 경 인 및 직원300명, 교수 및 교사 200명, 언론방송인 20명, 작가 10명, 목사 10명, 외교관 3~4명 정도로 파악된다. 어 문학은학생들이진출하는모든분야에서유용하게사용될기본적소양을제공하며, 미래를여는데 가장 탁월한 바탕학문으로 봉사해 왔다. 아울러 어학은 어교육, 통역과 번역학, 인지과학등과관련, 그 실용성과중요성이증가하고있어학생들의취업이나진로선택에더도움이된다.

53

클릭전공─인문계열

설>, < 문학과신화>, < 국사상>, <현대 국희곡>, < 국소설과 화>, <서양고전강독>, < 어연극>, <중세 문학>, < 국르네상스문학>, <17세기 국시>, <19세기 국소설(2)>, <20세기미국소설>, <현대미국희곡>, <서양고전강독>, <중세 문학>, <20세기 미시>, <낭만주의문학>, ><18세기국소설>, <19세기미국소설>, <최근 국소설>, <19세기미국시>, <빅토리아조 시>, < 국근대희

곡>, <중세유럽문학>, <셰익스피어>가 있으며, 4000단위의 과목은 < 문학특강>, <서양문화와희곡사>, <언어학과문학>, <세계희곡과인간의계보학>, <근대 국소설주제연구>, <미국소설특강>, <빅토리아문학과문화>, 비교 문학특강 등이 있다. 또 주제별 연구 과목들 < 미과학공상문학>,<페미니즘문학비평>, <소설과 화의플롯>, <아동문학/문화연구>, <문화와예술의정신분석>, < 미포스트모더니즘>, <근대성과오리엔탈리즘>, <문화연구: 주요개념과쟁점>, <현대비평이론>, <한국문학의 어번역> 등 학생들의 다양한 관심과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용 어 역│● 실용 어 교육 : 원어민 강사와 어강의 교수들에 의한 과목은 학생들에게 어로 읽고 쓰

고 말하는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준다. 어 쓰기(1), 어 쓰기(2), CAREERDEVELOPMENT SKILLS AND STRATEGIES, 어말하기와토론 등이 있다.

52

미문학(작가, 시대, 텍스트)

고전문학 현대비평

문화지역학

화와연극

어의 역사 음성학

사회언어학 음운론

어교육

의미론

문장론

어 학

Page 2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 오혜령 극작가

● 차범석 극작가

● 최인호 소설가

● 강은교 시인

● 공지 소설가

● 심재옥 한미교육위원단단장

● 봉두완 방송언론인

● 정세진 KBS 아나운서

● 김우옥 연출가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어문학과철학, 역사등입문학

55

클릭전공─인문계열

7. 전공선배의한마디

54 ●● 이 주, 02학번

▶전공에잘맞는적성이있나요?

어 문학도로서적합한성격이따로있다고할수는없지만아무래도 어텍스트를읽고분석하려면시간도걸리고해석의어려움도있기때문에섬세함과끈기가필요하다고생각됩니다. 또한작품해석을할때다른사람의의견을그대로받아들이기보다는그것을바탕으로자신의생각을더욱펼칠수있는비판적이고창조적시각이요구되지요. 하지만이러한능력은시간을들여노력을기울이면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 생각됩니다. 어 문학을 전공으로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어를좋아하고 문학작품을읽고즐길수있어야합니다. 문학을좋아하고즐긴

다면문학작품을자주접하면서쌓은인문학적소양과가치관으로작품을보다수월하게분석, 비평할수있을것입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를해야할까요?

당연한말이겠지만 어로된교과서를읽으려면아무래도 어실력이필요할것입니다. 특히읽기능력이중요한데요, 복잡한문장구조를이해하고그속에있는의미를파악할수있을정도의능력이면됩니다. 물론, 틈틈이단어공부와문법, 독해공부를 병행한다면 훨씬 커다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덧붙이자면, 작품을 읽을 때어렵다고해서번역본부터보는것은그다지추천하고싶지않습니다. 처음에는얼른이해가되지않더라도우선줄거리를먼저파악한후자세히되풀이해서읽으면자연스럽게머릿속에어느정도커다란그림이그려질것입니다. 그런점에서1학년때입문, 필수과목을듣고학년에올라가더라도각학년의수준에맞는과목을수강할것을선배로서조언하고싶습니다.

●● 강원빈, 96학번

▶지금어떤일을하고계시나요?

미국시카고대로스쿨졸업후현재뉴욕로펌변호사(Associate; Cleary, Gottlieb,Steen & Hamilton, New York, NY; Graduate The University of ChicagoLaw School, Jurisprudence Doctorate.)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무엇인것같나요?

가장필요한것은 어. 변호사생활을할때는별로필요없겠지만, 미국로스쿨의Socratic Method에서살아남기위해서는 어가가장중요합니다. 다음중요한것은하루에10시간 (수업시간을제외) 공부할각오가있어야합니다. 덕분에저는술을끊을수가있어서너무좋았습니다. 셋째, 몸매관리를포기할수있는정신-로스쿨첫해에10 킬로정도살찔것을각오해야합니다.

▶앞으로어떠한계획이있으신가요?

1년 동안 변호사 생활하면서 생긴, 로스쿨 때문에 생긴 빚을 빨리 갚고 TheUniversity of Chicago Graduate School of Business PhD 1년차입학예정입니다.

Page 3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독일 문화/지역학 역│오늘날 복잡, 다양하며 전문화되어 가는 사회에서는 독일 사회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 이역은 독일어 회화나 문학에는 물론, 졸업 후 독일, 유럽 관련 업무에 종사할 때에도 큰 도움이 된

다. 독일의역사, 문화, 예술, 사회, 경제, 정치 등여러분야를다룬다.

3. 교과과정

독어독문학을제대로하려면네 가지 세부 역의 강의를골고루병행하여들으면서상호보완이되도록하는것이가장바람직하다. 전공과목들은수준에따라전공기초, 일반전공과심화전공으로나뉘며대체로 전공기초와 일반전공은 2, 3학년을 위한 강의이며, 심화전공은 3, 4학년을 위한 강의이다. 일반전공 과목들을 먼저 이수하고 나서 심화전공 과목들을 수강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과목들이 서로독립적인 성격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적성과 관심에 맞는 강의를 자유롭게 선택수강하면된다.

│주요 전공 교과목│

*2003학번부터 전공학점이 48학점으로, 2006학번부터 57학점으로 상향 조정되고, 다음 여섯 과목이 필수과목으로 지정됨: 독어독문학의 이해, 문학텍스트의 이해 및 해석, 인간과 언어, 독어연습, 독일어말하기와쓰기1, 독문법의이해

*주의) 2006학번부터‘독일어말하기와쓰기2’과목대신에‘독문법의이해’가필수과목으로지정됨.

57

클릭전공─인문계열

1. 독어독문학이란?

독어독문학 전공의 교육은 전통적인 독어독문학 분야의 전문지식인을 길러내는 한편, 실용적으로는독일어권(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문화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 독일어로 쓰여진 독일어권문학작품을이해하고분석하는능력과함께독일어의구조와쓰임에대한 이론적인접근을통해독일어구사능력을배양하는것을일차적인목표로하며, 2) 고급수준의독일어해독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독일어권의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 전반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을 전수하는것을이차목표로삼는다.

2. 세부전공및 역

크게 독문학 역, 독어학 역, 독일어 훈련 역, 독일 지역학 역으로나뉘어져있다. 독문학 역과독어학 역이핵심이며네 역이서로유기적인연관관계를지니고있다.

│독문학 역│문학이란 무엇인가에서시작하여 독일문학의 역사, 독일의 주요 작가와 작품에 대한 강독과 해석, 독일 문학이론등독일문학의전분야를다룬다.

│독어학 역│독일어를 대상 언어로 하여 언어의 기능과 언어의 구조에 대해 다룬다. 언어의 형태와 의미의 관계,문장의 구조, 언어학과 인지, 언어와 매체, 번역의 이론과 실제, 인문학도를 위한 컴퓨터 활용의 방법등에대한강의를제공한다.

│독일어 훈련 역│독문학과독어학을잘하기위해아주기본이되는 역이다. 독일어를말하고, 쓰고, 읽는 연습강의들로 이루어져 있다. 독어독문학 전공과목을 들으려면 독일어 지식은 필수적이므로 이 역은 누구나들어야한다.

56

독어독문학전공08 인문계열

전공 탐색 및 기초 일반전공 심화전공

독문학

독어학

독일어권

문화/지역학

독일어 훈련

독어독문학의 이해*

현대독일신문

독일문학사

독일 작가세미나(1)

인간과 언어*

독일어 문장연습

독일의 문화와 역사

독어연습*

독일어 말하기와 쓰기1*, 2

시청각 독일어

문학텍스트 이해 및 해석*

독일 사실주의 문학

독일 남만주의 문학

카프카의 문학세계

최근 독일문학 동향

광고언어의 이해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독일어 문장 구조의 이해

독일지역학 1

독일학 특강

문학과 화

독일어 문장연습

독일어 문장 구조의 이해

독문법의 이해*

독일고전주의 연구

파우스트 연구

독일문학 주제연구(1)

독일시의 이해

소설이론과 분석

언어와 매체

번역의 이론과 실제

번역의 이론과 실제

신문방송 독일어

고급 독문법

Page 3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전공선배의한마디

59

클릭전공─인문계열

│단계별 독일어 학습 전략│

4.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매년 5월 학부생과대학원생, 모든 교수님들이참여하는 1박 2일간의독문학전공자총M.T.가있다.

•독문4반 : 소모임, 학회 개최, EINHEIT, JUGENDIDEE 발간•Apfelitiks : 사회과학학회•그외 Squall(Rock), 보이소( 화), Domari(댄스), Eins(농구), 산사랑등

5. 졸업후의진로

1) 졸업생들은사회의각계각층, 다방면에서활동하고있다. 현재 계명대학교총장으로재직중인동문을 포함하여 학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30여명의 대학교수가 있고, 방송국, 신문사 등 언론기관에서 PD와 기자 및 외국특파원으로 활약하는 다수의 동문들이 있는가 하면, 외교관으로혹은중견기업인으로사회의지도층에서활동하는동문들이있다.

2) 유럽연합(EU)의 탄생으로 유럽은 세계사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독일은통일되면서 이 유럽연합의 핵심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또 동부유럽 국가들과 접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서 독일의 비중이 점차 커져가고 있으므로 독일/유럽 전문가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있다. 대기업과 금융계, 언론계에 진출한졸업생들중많은사람들이독일이나동구권의지사로파견되고있다.

3) 독어독문학을 계속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대학원에 진학, 석/박사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대학원생을 위한 장학금이 있으며 대학원을 마치고 독일유학을 희망하는 사람은 독일의 여러기관에서제공하는장학금을받을수있는기회도있다.

58 ●● 이세인, 01학번

안녕하세요? 이렇게 을통해서나마후배님들과만날수있어너무반갑습니다. 제가 새내기 을 때를 돌이켜보며, 지금 여러분들의 기분이 어떨지 생각해보면 학교생활과미래에대한기대와설렘으로그어느때보다도들떠있을것같아요. 여러고민중에학과선택에대해서조금이라도도움을드리기위하여저희독어독문학과를소개할까합니다.우선독어독문학과라는이름에서알수있듯이독일어와독문학을모두심도있게배우는과입니다. 독일어와독일문학을통하여독일인들의생각, 삶의방식을읽어낼수있는바탕을준비하며, 현재독일의모습을읽어낼수있는감각을키워학교를졸업하고사회에진출하게되었을때, 독일아니나아가서유럽의전문가로서손색이없는멋진모습으로거듭날수있게됩니다. 독일이유럽뿐아니라세계를이끌고있는시점에서능숙한외국어능력, 학문적소양에국제적감각까지갖추고있다면사회의여러분야에진출하여활약할수있는무한한가능성의기회를갖게된다는것은말 드리지않아도아시겠죠?̂ ^또한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의 가장 큰 자랑거리를 꼽자면, 선후배간 사제 간의끈끈함입니다. 서로도와주고존경하며, 나이불문, 학번불문의화목함! 1년내내활발하게이어지는독문과의행사를함께하면서연세대학교독문인으로성장해있는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게다가 독문과를 졸업하신 많은 선배님들께서 후배님들을위해내주시는장학금과방학독일어학연수기회등독문과는후배님들을위한지원을아끼지않습니다.새내기여러분! 지금품은가슴의뜨거운열정을언제나간직하시길바라며, 시작되는여러분들의빛나는시절을저희독어독문학과와함께할수있기를바랍니다.

1학년 생활독일어 1,2 인문 독일어 1,2

2-1 독어연습 독일어 문장연습시청각 독일어 현대독일신문

2-2 말하기와 쓰기 1 독문법의 이해

3-1 말하기와 쓰기 2 독일어 문장 구조의 이해번역의 이론과 실제

3-2 독일어 회화 1 신문방송 독일어

4-1 독일어 회화 2 고급 독문법

학년-학기 말하기 / 쓰기 읽 기

Page 3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불어불문학이란?

프랑스 문화의 우수한 부분인 합리성, 감수성, 창의성 등을 여러 종류의 문헌을 통하여 깊이 이해한후 스스로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 궁극적으로 훌륭한 인문인을 키우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삼고있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불어불문학 전공은 상상력이 풍부하고 논리력을 갖춘 학생에게 적합하며, 학업에 정진하고자 하는 열정과 끈기가 필요하다. 또한 국어, 어, 제2외국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될것이며특히프랑스문화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불어불문학 전공은 크게 보아 불문학과 불어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문학의 세부 전공으로는 프랑스시, 소설, 희곡, 비평 등이 있으며, 불어학에는 불어학사, 의미화용론, 통사론 등이 세부 전공으로있다.

4. 교과과정

불어불문학전공의교과과정은크게보아 문법, 독해, 작문, 회화와 관련 있는 어학 강의들, 프랑스 언어학 및 프랑스 문학과 관련 있는 강의들, 프랑스 문화, 역사, 정치, 경제, 사회, 시사 등 다양한 분야와관련있는강의들로구성되어있다. 전공기초과목, 일반전공과목및심화전공과목순으로수강하는것이바람직하다.

61

클릭전공─인문계열

7. 기타(어학연수)

우리과의동문장학금으로매년독어독문학전공자중 10여 명을 선발하여독일대학교에서어학연수를하고있다.

● 연수기관 : 독일 Freiburg대학교부속기관

● 연수내용•정규수업 : 15명 내외의소그룹으로, 주 5일 매일 4시간씩 4주간총 80시간의수업•보충수업 : 어학실습실듣기연습(총 20시간)•기타문화프로그램: 개별선택

● 연수기간 : 매년 8월 1일~31일. 매년 5월중독어독문학전공자중신청을받아 10명의학생을선발

60

불어불문학전공09 인문계열

Page 3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전공선배의한마디

63

클릭전공─인문계열

│전공 기초 과목│● <프랑스문학의이해>:프랑스 문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문제들을 테마별로 나누어

다룸으로써학생들의프랑스문학전반에대한이해를도모한다.

● <프랑스어학의이해>:프랑스어학및프랑스언어학에대한학문적연구의바탕을쌓게한다.

│일반 전공 과목 및 심화전공과목│《일반전공과목》은 초급 프랑스어와 중급 프랑스어를 학습한 학생들이 프랑스 문학 및 어학 그리고프랑스문화전반에접근하는데도움이되도록짜여져있다.《심화전공과목》은 기초단계를 넘어선 학생들이 프랑스 문학, 프랑스 어학에 대한 전공지식을 심화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수준 높은 실용 프랑스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 배양에 역점을둔강의들이개설되어있다.

● 2000단위 과목들:<프랑스어문법과작문>, <기초/중급/고급프랑스어회화>, <프랑스어와문화> 등

● 3000단위 과목들:<프랑스어문장구조>, <프랑스어문법연습>, <프랑스상징주의시>, <프랑스근대연극>, <프랑스현대소설>, <프랑스문학비평> 등

● 4000단위 과목들:<프랑스어텍스트담화연구>, <프랑스어문장연구>, <프랑스사실주의소설> 등

5. 졸업후전망과진로

● 불어불문학과는학과가세워진이후지금까지능력있고참신한인재들을사회각분야에꾸준히배출하고있다. 전국 대학에서교수로재직하고있는 30여명의동문들을비롯하여, 시인, 소설가,문학비평가 등 문인, 출판사 대표, 일반 기업 대표, 문화사업가, 문화행사 기획자, 신문사 논설위원, 특파원, 방송사/광고회사 PD, 공무원, 은행 등 금융 회사 직원, 여행사 운 , 대기업 직원 등졸업생들은사회각분야에서활동하고있다.

● 프랑스어는프랑스 외에도 벨기에, 스위스, 캐나다 퀘벡 지방, 그리고 아프리카의많은 불어권 국가/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올림픽 공식 언어이고 여러 국제기구의 공용어로서 해외진출에 필수적인 국제어이다. 세계화를 지향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앞으로 졸업생들이 활동할수있는분야는더욱넓어질것이다.

● 동문 사회 진출 현황

62 ●● 조선형, 4학년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우선은불어에대한관심이라고생각합니다. 불어불문학과수업은문학과어학으로크게나누어지지만기본적으로는외국어에대한관심이있어야하고외국어공부에흥미를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국어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가지는 공통점은섬세하며논리적이라는것입니다. 물론일반화시키기는어렵겠지만‘불어’라는언어자체에대해서세 한관찰력을가지고, 언어학의논리성을즐길수있으면좋습니다. 뿐만아니라불문학은문학에관심이많고독서를즐기는사람이라면공부할때보다즐거울수있을것같습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기본적으로 불어 실력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불어 실력이라는 것은 프랑스 사람처럼 말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록 불문법이나 어휘에 부족한부분이 있더라도 그것을 차근차근 체계적으로 습득하며, 새로운 문법이나 어휘를접했을때당황하지않고이미알고있는것과새로배운것을잘조화시켜머리에잘 조직화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을 말합니다. 하나를 익히더라도 정확하게,체계적으로정리하고자신만의언어노트를만들어서차곡차곡쌓아가는것이좋습니다.그외에는자기가듣는수업에대해서충분히예습하려는자세가있어야합니다. 문학수업의경우는시간적으로여유가있을때불문학작품을많이접해두는것이좋습니다. 동시에프랑스역사나철학에대해서도같이병행해서공부해둔다면전공공부에대한학습속도가빠를것입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불어불문학은 전공자들에게 여러 가지 능력을 키우게 합니다. 수많은 작가들의 작품을접하고문학적소양을기를수있는것은물론이고, 언어학수업에서는불어체계뿐만아니라논리적으로사고하는방법에대해철저하게공부하게됩니다. 무엇보다불어라는아름다운언어를대학에서배우는것은모국어나 어이외에도자신만의언어를가질수있다는점에서큰매력입니다. 유럽문화나현대정치, 경제분야에서유럽의역할에관심이많은학생이라면불어는필수적인언어로더욱좋

비율(%) 15.89 46.36 6.36 34.98 23.85 3.18 2.07 0.96 4.77 1.59 100

분야 학계 언론계 금융계 일반회사 사업 공무원 문화예술계 광고출판 프리랜서 기타 총계

Page 3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타전공과의연계성: 자신의관심에따라다양하게이중전공을선택할수있다.

● 불어불문학 + 국어국문학비교문학적인관점도생기고, 한국문학을보다깊이있게외국에소개할수도있다.

● 불어불문학 + 외국문학( 문학, 독문학, 노문학, 중문학)유럽문학을 거시적으로 살펴보면서 유럽의 국민문학들간의, 유럽문학과 아시아문학간의 관계를 살펴볼수있다.

● 불어불문학 + 서양사학프랑스문화에대한전문적인지식을바탕으로해당분야의전문가가될수있다.

● 불어불문학 + 정치외교학, 불어불문학 + 유럽지역학(연계전공)프랑스지역학의전문가가될수있고, 국제무대에서활동할수있는기본을다질수있다.

● 불어불문학 + 상예술학(연계전공)이미지의시대인현대사회에필요한프랑스 화, 문화에대한지식을마련할수있다.

65

클릭전공─인문계열

7. 자랑스러운동문

● 전용택 화감독 (제4회 한불 화제대상)

● 이기언 연세대불문과교수겸르몽드디플로마티크편집위원회원

● 임재호(임선기) 연세대불문과교수겸시인

● 신명수 작곡가

● 양민효 KBS 기자

64

은선택이될수있습니다. 무엇보다다른학과와는다르게수업이나전공친구들의관계가매우가족적이며따뜻합니다. 다른전공과유기적인관계를맺을수있다는것도장점입니다. 불어에대한관심만있다면더없이좋은전공이될거라고생각합니다.

●● 김이석, 88학번

▶어떤일을하시나요?

현재동의대학교 화 상대학 화학과교수로재직중입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화학관련학위, 화에대한관심과애정그리고지식, 예술전반에대한이해력과지식, 화에대한독자적심미안. 작품을볼때텍스트뿐만아니라 화제작과정, 상장비, 상산업등에대한이해를바탕으로 화를생각하는시각이필요합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재직중인동의대 화학과의발전을위한일들, 화담론의발전을위한연구, 화제작(상황에따라)

Page 3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교과과정

노어노문학의교과과정은교과목의특성에따라 4개분야로나눌수있다.

│러시아어학│러시아어의생성기원과발전과정, 그 구조와기능을다룬다.

│러시아문학│러시아문학의시대별장르별특성과대표적인작가들의작품을공부한다.

│러시아문화│러시아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분야로서 러시아의 전반적 지식과 문화적 특성을다룬다.

│러시아어 학습│러시아어의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4개 역을연습한다.

5. 졸업후의진로

1990년 공산주의를 버리고 자본주의로 전환한 이래 러시아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혼란과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러시아는 여전히 정치적으로는 UN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G7의 한축을 이루고 있으며, 동북아 질서의 큰 기둥을 담당하고 있는 나라이다. 최근 들어 러시아는 오랜 불황 탈출에 성공하며 외환보유고만도 646억 달러(2003년기준)에 달하는 등 최근 5년간 고속 성장세에있다.

67

클릭전공─인문계열

1. 노어노문학이란?

노어노문학과는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 문화와예술, 러시아 역사와지역학을공부하면서인간에대한 깊은 통찰과 공감적 태도를 기반으로 사회에서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시킨다. 그리하여 노어노문학 전공 학생들은 러시아어의 기초실력을 향상시키고, 러시아인들의 민족적 정서나민족의식, 장구한 시련과 극복의 서사시적인역사, 인간 존재와 주변적상황에의해정립된수준높은문화와철학에대한종합적인탐구능력을향상시킨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과기초능력

노어노문학은 고전을 많이 읽은 학생에게 적합한 전공으로 외국어 능력 함양과 독서 능력이 필요하다. 국어, 제2외국어, 사회·국사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언어, 문학, 역사, 국제 문제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노어노문학은크게러시아어학과러시아문학으로나뉜다.

│러시아어학 역│러시아어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다룬다. 다양한 문장 활용법과 함께러시아역사와언어의상관관계, 변화과정을연구한다.

│러시아문학 역│문학의일반적기능과의의에서출발하여러시아문학의역사와위대한작가들의 작품을 다룬다. 화나 연극 등 상매체 속에 담긴 러시아 문학과 비평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진다.

66

노어노문학전공10 인문계열

•슬라브세계와 언어 •러시아어 어휘론

노어학 •러시아어학 이해 •러시아사전의 이해 •러시아어의 어제와 오늘

•러시아어학특강 등 •러시아어의 구조 등

•노벨문학상수상작가 •러시아현대시

노문학 •러시아문학의 이해•러시아문학과 한국문학 •러시아모더니즘

•혁명과 문학 •21세기러시아문학

•똘스또이 등 •도스또예프스끼 등

•러시아 민속학 •러시아공연예술

문화학 •러시아 화 •세계신화와 상예술 등

•러시아 비주얼아트 등

•러시아어(1)(2)(3)•중급러시아어(1)(2) •고급러시아어회화(1)(2)

러시아어 학습 •중급러시아어회화(1)(2) •비즈니스러시아어•생활러시아어(1)(2)

•러시아텍스트강독(1)(2) 등 •러시아어작문 등

기 초 일 반 심 화

Page 3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자랑스러운동문

│학계│● 안지 (90학번) 경희대학교교수(문화학)

● 남혜현(90학번) 연세대학교연구교수(노어노문학)

● 이혜승(90학번) 수원대학교교수(러시아학)

● 강 철(90학번) 연세대학교미디어아트연구소전임연구원

● 안 혁(90학번) 연세대학교언어정보연구원전임연구원, 그 외 다수

│언론계│● 정혜승(90학번) 다음커뮤니케이션대외협력실장

● 이 미(91학번) 국민일보기자

● 강 선(91학번) 문화방송 PD

● 김옥곤(92학번) Ongamenet PD

● 문소현(93학번) 문화방송기자, 그 외 다수

│국제기구│● 양용호(90학번) 국제변호사

● 정지희(92학번) 유네스코카자흐스탄지부근무, 그 외 다수

│MBA 출신 금융계, 전문 경 인│● 김석봉(90학번) 시티그룹증권상무

● 신성원(90학번) (주)클라우드나인크리에이티브대표이사

● 박지웅(90학번) 삼성전자차장

● 유일한(90학번) 파세코전무

│공직│● 윤재삼(91학번) 행정고시

● 류동희(92학번) 행정고시, 식품안전의약청

● 홍미루(92학번) 행정고시, 그 외 국가정보원과청와대에서근무하는동문다수

69

클릭전공─인문계열

러시아가 세계 경제에 있어 크나큰 매력과 힘으로 다가서는 것은 그들이 가진 엄청난 양의 지하자원과 과거 소련 시절 축적한 최첨단 항공우주 기술을 비롯한 뛰어난 선진 과학기술이다.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는 최근 많이 회자되고 있는 브릭스(BRICs) 국가 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들이 가진 시장성은 이미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로 하여금 꾸준한 투자와 현지 진출을 이끌어왔으며, 앞으로도더욱 더 그 교류 규모는 증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근래의 이러한 러시아의 상황은 사회에서 한 몫을 담당하려는 많은 학생들에게 크나큰 매력과 좋은 여건, 기회로서 다가오고 있다.사회에서는 러시아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인재를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노어노문학 전공생들이 능숙한 러시아어 구사능력과 러시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면, 러시아전문가로서의 장래는 밝다 하겠다. 실제로도 많은 노어노문학과 출신 동문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나름의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6. 전공선배의한마디

68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무엇보다도자기가좋아하는것을선택하세요.•러시아를사랑할수있는마음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노어노문학은러시아어학과문학을전공하는학과이기때문에, 꾸준한러시아어공부와많은러시아문학작품을읽는것이중요합니다.

•노어노문학전공에대한흥미를잃지않고, 성실하게열심히하는자세가필요합니다.

•언어교환(러시아어-한국어), 러시아교환학생, 러시아언어연수

▶전공에대한20자평

•러시아를깊게이해할수있는전공과정•미래가밝은작지만강한노어노문학과•대륙의성격과문화를배우면서인간에대해생각하게하는전공•후회없는선택의노어노문학과

Page 3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교육학이란?

첫째, 학교 및 교실 속에서의 교육현상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는‘사범’교육학과는 달리, 관심의 폭을 사회, 문화, 역사 등 학교 밖의 현상까지 확대하여, 폭넓은 시야에서 한국교육을 이해하고 전망하는‘인문학적’이며‘사회과학적’인교육학을지향한다.

둘째, 한국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전통과 특성에 걸맞고 동시에 세계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한국적이면서세계적인교육이론을연구, 개발하기위해노력한다. 한국적 상황을반 하는교육학의연구와실천을 도모함과 아울러, 세계의 교육학 담론들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그 형성에 참여하면서 세계교육문명의진보를이끌어내기위해노력한다.

셋째, 실천교육학을 지향한다. 교육학의 생명은, 교육학 이론 자체에 있지 않고 생생한 교육현실에 있다는 이해를 기저로, 학문을 위한 학문을 넘어서서 현존하는 한국교육의 병폐를 적절하게 진단하고치유할수있는실천적힘을지닌교육학을지향한다.

넷째, 인접 학문분과와의 역동적인 소통을 지향한다. 역사, 철학, 심리학, 사회학, 행정학, 경제학, 공학, 통계학 등 인접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연구 관점과 성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교육현상의이해를 심화하는 동시에, 교육학적 눈으로 본 역사, 사회, 문화, 행정에 대한 연구 성과를 인접학계에제공한다. 이와 같은 교육학의 종합 학문적 특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학문에 대한 소양을 갖추도록이끈다.

다섯째, 졸업생들의 다양한 진로를 모색한다. 중등교원만이 아니라 교육학자, 교육행정가, 기업체의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전문가, 산업교육및평생교육분야컨설턴트, 카운슬러, 평생교육사, 청소년지도자, 대안교육실천가등다양한분야에종사할교육전문가양성을꾀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교육학 전공은 따뜻한 성품을 가지고 있으면 사람에 관심이 많은 학생에게 적합하다. 도덕, 사회, 어의 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71

클릭전공─인문계열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 유럽지역학

● 문화인류학

● 비교문학

● 디지털예술학● 문화비평학

9. 기타

1)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러시아어 습득과 문화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러시아 대학과의 교류를하고 있으며, 연세대학과 러시아 대학과의 복수 졸업 인정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매 학기 2~3명정도의학생들이러시아의대학에서공부를하고있다.

2) 다양한 강연회행사를시행하고있다. 저명한 문학작가나평론가뿐아니라 화인등도초청하여문학에 대한 폭넓은 세계를 경험하는 기회를 갖게 하며, 러시아 지역 전문가들도 초청하여 직접적인러시아의이해를도모하기도한다.

70

교육학전공11 인문계열

Page 3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구분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지는 것은 그다지 현명한 일은 아니다. 오히려, 마치 진리는 하나라고해도 거기에 이르는 길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듯이, 바람직한 인간형성의 양식은 매우 다양할수 있으며, 각 문화권의 교육문명은 그 나름의‘바람직한’인간형성의 양식을 표출해 왔다고 이해함이 좋을 것이다.21세기를 맞은 현 시점에서 모든 문화권과 국가는, 그 구성원들로 하여금, 문화적 정체성을 지니고서‘문화 특수적’생명력을 발하는 국민인 동시에 세계와 조화할 수 있는 건강한 인류로 성장하도록 이끄는 일을 과제로 안고 있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이를 위해 동양 및 한국의 고유하면서도 보편적인 인간형성 양식의 실체 및 그 의미와 한계를 점검하면서, 현재의 당면한 교육 문제를 이해하고 풀어 가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동양 및 한국의 교육사와 교육철학 연구의 현재적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교육과정, 교수방법│교육학연구에서 교육과정분야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교수방법분야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 분야이다. 교육과정분야에서는 학교교육을 포함한 모든 형식교육과정현장에서의교육과정개발을위한역사적, 철학적, 사회적, 심리적 기초를세우고, 교육과정의다양한이론을탐색한다음, 교육과정개발의구체적인절차와과업을연구한다. 한편 교수방법분야에서는 교수방법의 효율성과 효능성을 최대한 고양하기위한 최적의 교수학습조건과 방법을 이론적으로모색한다음, 그것을교수학습상황에실제로적용하여최적의교수방법을개발한다.

│교육공학│교육공학이란전통적교육에대한체제접근(systms approach)을 통한 대안적교육방법으로교육의효과성 및 효율성을 도모하는 분야(technology of education)이다. 다시 말하면, 흔히 말하듯이 하드웨어로서의 교육적 테크놀로지를 단순히 교육에 적용하는 것을 탐구하는 교육기술이 아니라 다양한대안적방안으로지금까지의교육을다시재구축(re-engineering)한다는 의미로서의’교육공학(educational engineering)’이다. 교육훈련 프로그램개발모형(ISD), 교수학습설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 정보통신(ICT) 활용교육, 원격교육(distanceeducation), 전자교육(e-Learning), 통합학습(blended-learning) 등은 오늘날 교육공학의 학문적정체성을대표하는개념들이다.오늘날 교육공학은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기업교육, 군 및 정부기관의 교육훈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육훈련 상황에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학문 분야로서 부각되고 있다. 이 가운데 기업교육에 대한 교육공학적 접근은 기업교육공학이라는 개념으로 정립되어, 기업교육에 대한 체제접근을통한 대안적 교육방법으로 종사자의 직무행동의 변화 즉, 효과성과 효율성을 도모하는 방안을 탐구하는분야로강조되고있다.

│교육심리학│교육심리학은 교육현장에 내재하는 모든 심리적인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교육심리학은 심리학의 방법과 이론을 응용하거나 그 자체의 이론과 방법을 활용하여 교수-학습과정(teaching and learning process)에 내재하는 심리적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교육심리학의 근본목

73

클릭전공─인문계열

3. 세부전공및 역

│교육철학·사학│교육사와 교육철학의 개념과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견해가제시되어 왔고 또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의 하나는 교육사를‘인간형성의 역사’로, 그리고 교육철학을‘인간형성의 철학’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물론 이 규정에는‘교육’을‘인간형성’으로이해하는 전제가 깔려 있다. 말하자면, 교육사학은 과거의 역사 속에서 드러난 인간형성의 궤적을있는 그대로 들여다보면서 그 현재적 의미를 반추하는 학문이며, 교육철학은 개인의 삶, 사회, 우주의 문제와 연관하여 인간형성으로서의 교육의 본질을 탐색하는 학문이다. 교육의 본질에 대한철학적 탐색은 곧 모든 교육현상 및 교육학의 근본 문제틀에서 대한 성찰과 직결된다. ‘인간형성’의 역사와 철학으로서의 교육사와 교육철학은 상호 긴 한 보완관계를 형성한다. 역사적 감각을배제한 철학하기는 관념적이기 쉽고 철학적 전망이 결여된 역사 이해는 맹목적이기 쉽기 때문에,철학과 역사학은 상호 보완과 침투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인간의 삶 자체의 이해와 창조의 바탕을이끌어 낸다. 교육사와 교육철학의 관계도 일반 역사와 철학의 관계와 일맥상통한다. 양자는 상호보완과 침투 관계를 통해서‘인간형성’이라는 주제를 둘러싼 제반의 교육적 문제를 설명하고 해명한다. 그런데, ‘인간형성’의 역사이며 철학으로서의 교육사철학은, 전 인류의 지평에서 볼 때, 보편성을 지니는 동시에 각 문화권을 배경으로 한 특수성을 지닌다. 즉 각 문화권과 국가는, 다른 문화권이나 국가와 서로 상통하면서도 동시에 고유한 특성을 지닌 교육사와 교육철학을 제기해 왔다. 어떤 문화권이라고 해도, 거기에‘인간’이라는 종의 본성이 보편성을 지니는 한, 각 문화권의교육문명 역시 보편성의 요소를 지니지 않을 수 없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각 문화권은 그들 나름의 삶의 양식 및 사유의 양식과 연관된 특수한 교육문명을 지닌다. 그 특수성에 대해서 그 우열

72

삶으로서의 교육

학교(중등/고등)·교육연구기관

기 업 체

교육으로서의 삶

교육철학·교육사학교육과정·교육공학교육심리·상담교육학교육사회학, 산업교육학교육행정학, 교육경제학

교육측정·평가학, 교육인류학고등교육· 재교육

Page 3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인적자원개발(HRD), 일의 교육학│● 인적자원개발(HRD : Human Resource Development)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인간은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인간에게 잠재된 능력을 개발하여 조직의 경쟁력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차원의 투자가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인적자원개발은 기업조직의 핵심활동으로 부각되고 있다. 인사관리라는 포괄적인틀 속에 일부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왔던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기업은 인적자원개발에 대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은“조직의 수행역량, 능력, 경쟁력,변화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조직적인 조치들과 활동들, 그리고 경 관리 행위들을 통해 조직의 학습, 수행, 변화를 촉진하는 과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개인개발, 경력개발, 수행관리, 조직개발 등 다양한 역을 포괄하는 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한 다양한 차원의활동을 포함한다. 기업조직은 물론이고 다양한 조직에서 인적자원개발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학문으로서의 역사가 짧은 만큼 수요에 대한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학문적 체계화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인적자원개발은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통하여 시도되고 있고 학제 간 접근을 통하여 학문적 발전을 꾀할 수 있다. 특히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은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여타의 접근이인간을 다른 물적 자원과 동일시하는 인간의 도구화라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라 할 수 있다. 교육학적 접근은 인간과 조직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의 철학을 마련하고 학문적체계화를 시도한다.나아가 이러한 이론적 체계를 기반으로 조직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인적자원개발의 전략들을 만들어내는 실천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

● 일의 교육학전통적으로 교육은 일을 준비하는 통로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일은 교육의 목적이기도 하지만동시에 수단으로 역할을 한다. 일의 과정 속에는 교육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동시에 일과 교육은 공통적으로 인간화를 지향한다. 사람은 교육을 통해서 그리고 일을 통해서 비로소 인간이 된다. 그리고 그러한 일과 교육의 과정에서 인간과 인간이 더불어 사는 사회가 형성된다. 결국, 일과교육은 필연적인 관계를 가지며, 그런 관계 속에서 인간과 사회가 성장한다.일의 교육학은 전통적인 형태의 직업교육에 대한 반성과 포스트 산업사회의 새로운 관점에서의 교육학을 재구조화하기 위한 시도에서 출발한다. 포스트 산업사회에서 사람들은 비인간적 노동사회의현실, 과학기술에 의한 인간 지배현상에 당면하게 된다. 일의 교육은 일의 본질과 일의 세계 변화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통해 인간이 일의 주체로서 회복되기 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 직업교육은 직면한 현실의 문제에 급급하여 시장 메커니즘이 요구하는 도구로서의 인간을 만들어내는데 치중하여 이론이나 철학이 부재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일의 교육학은 직업교육에서간과되어 온 이론 및 학문적 체계를 갖추어 현재의 직업교육과 노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일의 교육학에서의‘일’은 시장 메커니즘이 간과해 온 폭넓은 사회적 의미와관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생존을 위한 수단이 아닌 삶의 자연스러운 방식이다. 따라서 일의 교육학은 인간이‘의미 있는’일을 통해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시민이 되어갈 수 있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즉 일의 교육학은 일과 교육의 과정 속에서 인간과 인간

75

클릭전공─인문계열

적은 교육에 대한 이해와 개선에 있는데, 그 핵심은 교수-학습과정의 심리적 이해와 개선이다. 실제로 오늘날의 교육심리학자들은 실험실에서, 유치원에서 대학까지의 각 급 학교에서, 그리고 산업체,군대등에서일어나는교수와학습에대한연구를하고있다.교육심리학의 구체적 연구 역은 크게 학습자특성, 학습, 교수, 평가에 대한 이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학습자특성의이해 역은, 교육과 접하게관련되어있는학습자의심리적인속성인지능,창의력과 같은 인지적 측면과 성격, 사회성, 도덕성, 자아개념과 같은 정의적 측면을 연구한다. 둘째,학습에 관한 이해 역은, 학습이론과 학습이론의 적용,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습자의동기화과정을 연구한다. 셋째, 교수(instruction) 역은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수모형과 교수방법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실수업 전개와 교사의 역할 등을 연구하고 넷째, 평가(assessment) 역은 교육이 목표로 하는 행동을 성취하 는지를 신뢰 있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심리 측정적인 부분과 평가의 결과가 앞으로의 학습활동과 수업활동에 어떻게 향을 미치는지평가의 실제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연구한다. 이와 같이 교육심리학은 학습자, 학습, 교수,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의 과정과 관련된 광범위한 역에서 이론체계를 확립하고 그것을 실제 교실에 효과적으로적용하기위한학문이라고할수있다.

│상담교육학│상담은 상담 전문가와의 면대면의 대화를 통하여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개인적, 교육적, 직업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스스로 결심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과정이다. 달리 표현하면 상담이란 사적인 관계에서 내담자의 필요가 만족스럽게 충족되도록하기 위해서 내담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목적으로상담자와내담자가상호작용하는과정이다.이에 상당 교육학은 효율적인 상담의 이론을 배우고 상담사례를 통하여 상담의 과정과 기술을 배워서도움이필요한사람을전문적으로조력하는태도와기술을가르치는전공분야이다.상담이론에는 정신분석학적인 상담, 개인 심리학적 상담, 행동주의 상담, 내담자중심/인간중심상담,형태주의상담, 실존주의상담, 현실치료, 교류분석, 인지행동상담, 가족 상담등이있다. 인간관과성격형성에대한관점에따라상담이론이차별화된다.

│교육사회학, 인적자원개발│● 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은 교육의 기능 및 현상을 사회학적 눈으로 파악하는 학문이다. 교육의 사회학은 변화하는 교육현상을 이해하려고 한다. 따라서 교육의 사회학은 유동적인 교육현상에 동원되는 집단, 집단간의 이해관계, 갈등, 집단과정, 체제의 향력, 교육과정,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와 기능을 이론적 그리고 경험적으로분석 파악하는 학문인 것이다. 교육의 기능은 사회화와 기술훈련, 선발과 분배 지식전수 그리고 학교 조직 관리 등 넷으로 요약된다. 교육에 의한 사회화와 훈련기능, 선발과 분배의 기능, 지식전수, 학교 조직 관리의 네 가지 기능은 서로 다른 사회학적, 이론적 틀에 따라 다양하게 파악되고 이해되어 왔다. 또한 교육사회학은 세 가지 중요한 사회학적 견해를 바탕으로 발전하여 왔다.즉 질서유지이론, 갈등이론, 지위집단 이론에 의해 발전해 온 것이다. 이 이론들에 터하여 교육사회학은교육의네가지기능을파악한다.

74

Page 4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다. 교육의 외적효율성은 교육체제를 통해 배출된 인적자원이 과부족 없이 노동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교육 분야와 경제 분야 간 협조를 통한 인적자원의 효율적 운 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교육의 외적 효율성은 교육과 생산성, 교육과 임금수준, 교육과 현직훈련, 교육과 고용의 안정성 문제 등과 같이 교육과 노동시장 전반에 걸친 구조적 연관관계와 접한 관련이 있다.다시 말해 교육의 외적효율성은 좁게는 인력수급 정책에 국한시켜 이해할 수도 있으며 넓게는 개인소득 증대와 국가 경제성장을 연계시켜 이해할 수도 있다.교육의 내적효율성은‘교육을 어떤 방법으로 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효율적인가’를 탐구하는 역이다. 즉, 교육의 내적효율성 추구란“교육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투입과 산출의 관계를 파악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경제적 효과를 얻고자하는 일체의 행위”를 의미한다. 교육의 내적효율성 분석의 대표적 방법으로는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과 교육생산함수(education production function)분석 등이 있다.

│교육평가·양적연구방법│● 양적연구방법교육학에서 양적연구방법(Quantitative Research Methods)은 교육현상을 설명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교육현상의변화를추구하는모든교육연구활동이의미있는과학적연구활동이되는조건을탐구하며, 보다 더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개발하며, 연구도구를 발명하고, 연구자들에게 바람직한 연구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중세기 이후부터 인류의 지식탐구 방법은 실험과 경험적 자료에의하여 기존의 지식과 이론을 검증하는 과학적 절차에 따라 지식을 축적하는 방법으로 전환되었다.교육학에서 양적연구방법 분야는 교육통계학과 연구방법론으로 구분된다. 교육통계학은 사실상 자연과학에서의 통계학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나, 교육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수집하는 다양한 자료의 성격에 교육학적 고유성이 있으므로, 교육 자료의 과학적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을 다룬다. 교육통계학과 교육학과의 관계는 타 학문에서처럼 계량경제학과 경제학, 심리측정학과 심리학, 의학통계학과의학과의관계와동일하다. 교육통계학의기본적인소양은또한모든교육학연구에서요구된다.연구방법론은 특별히 학위과정으로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양적연구방법 프로그램이 포괄하는 역이다. 모든 과학적 연구는 연구결과 해석의 논리적 필연성을 의미하는 내적 타당도와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의미하는 외적타당도를 추구한다. 교육 연구방법론은 교육학의 다양한 연구유형에서연구의내외적타당도문제를주제로삼는다. 연구의 내외적타당도는한연구의시작에서종료시점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구단계에서 적용되는 주제이다. 양적연구방법 분야는 교육현상을 탐구하는데 적절한 고급통계방법의 응용방법, 새로운 통계모형의 개발, 교육연구방법의 양호도 검정, 교육연구물의방법론적평가등의 역을다룬다. 양적연구방법의연구유형을예시하면다음과같다.

▶ 조직및기관의효과를측정하는통계적방법탐구▶프로그램의효과를측정하는통계적방법탐구▶개인의성장과발달궤적을측정하는통계적방법탐구▶조직및기관의변화궤적을측정하는통계적방법탐구▶실험설계방법의탐구▶조사설문지의개발, 표집이론, 조사방법의탐구▶연구의내외적타당도향상방안의탐구

77

클릭전공─인문계열

이 더불어 성장할 수 있기 위한 교육학의 새로운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일의 교육학에서는 인간의삶의 방식으로서의 일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보고, 사회의 변화에 따라 일이 어떠한 의미를 갖게 되는지 공부한다. 또한 일과 교육과의 관계를 고찰하고 일의 교육이 무엇인지 연구하게 된다.

│교육행정학│교육행정학은 교육행정에 관한 모든 현상을 객관적이며 실증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해 나가는 독특한 응용과학의 한 분야이다. 교육행정학의 연구대상인 교육행정은교육활동을 지원하는 실천적, 실제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 이를 운 하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지원하며이러한 과정에서 지도력을 발휘하는 모든 활동이 교육행정에 속한다. 교육이 있는 곳에는 교육 행정도 동시에 일어나며 현대사회가 점차 다양화, 전문화됨에 따라 교육행정의 역할은 계속 증대되고 있다. 교육행정학의 목적은 실제 교육행정 과업을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여러 교육행정과 행정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교육 행정에 관한 체계적 연구는 20세기 중엽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교육행정학은 독립된 학문 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교육행정학은 미국, 유럽 등지에서 교육행정이론과 방법론이 도입됨에 따라 1960년대 초부터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이후 공교육 제도의 계속적인 발전과 함께 교육행정이 전문화되어야 한다는 요청이 증대하 고 학문의 국제간 교류가 활발해져 교육행정학의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교육 행정에 관한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이러한 교육행정학의 특성은 인간의 행동과 사고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을 조직이라는 틀과 관련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러 교육활동이 조직을 통하여 어떻게 수행되며 조직 안의 개인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 지를 연구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추론하며 예측하는 것이 교육행정학의독자적인 역이라 할 수 있다. 연구 분야는 교육정책, 교육제도, 교육조직, 교육인사행정, 학교,학급경 , 교육재정, 교육지도성, 장학, 교육행정평가 등에 이르며 유아교육,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사회교육, 특수교육, 해외교육 행정의 전 과정을 다룬다고 할 수 있다.현재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는 교육변화와 개혁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행정은 전통적 방식이나 법규치중의 방식을 탈피하는 과정에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 및 학교경 의 자율화와민주화가 주장되는 사회 풍토 속에서 교육행정의 전문화는 더욱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육행정 현상을 이해하고 교육행정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진단하고 합리적 방안을 창출하기 위하여 계속적인 이론적 지식의 발전과 실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전문가들이 요청되고 있다.

│교육경제학│교육경제학은‘교육서비스 재화를 생산 및 배분하기 위해서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일체의 경제행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를 좀 더 광범위하게 정의하면, ‘교육활동에 대한 일체의 경제적사고 행위를 교육경제학’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경제적 사고는 경제주체인 학생(또는 학부모), 학교, 정부가 교육활동과 관련된 의사결정(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선택이든지 거기에는반드시 득과 실이 있음을 인식하고, 최소의 비용을 들여 최대의 효과를 거두려고 노력하는 의사결정과정을 의미한다. 교육경제학의 핵심 역은 교육의 외적효율성과 내적효율성으로 대표될 수 있

76

Page 4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려고 하는 곳에는 평가 행위가 개입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평가 전문가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는 평가전문가가쉽게 대체될 수 없는 전문 지식과 기술의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육을 통해 양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현재교육평가학분야에서새롭게강조되고있는세부연구 역을요약하면다음과같다.

▶ 국가수준의학업성취도평가또는 TIMSS나 PISA와 같은국제비교연구 역▶사법시험, 의사자격시험과같은자격증부여를위한합격선설정과자격시험관리 역▶병원, 상담실, 진로ㆍ진학지도등각종지능, 인성, 적성, 성격분석을위한심리검사개발 역▶대학, 학교, 기업체등의기관평가와각종프로그램의효과검증을위한프로그램평가 역▶다양한평가 역의연구를지원하기위한통계및연구법등의기초연구 역

│교육인류학│교육인류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교육현상과 사회문화현상간의 상호 관계를 연구한다. 교육인류학은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인간의 행동과 문화를 참여관찰, 심층면담 등의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해서 연구한다. 문화인류학의 응용학문분야로 출발한 교육인류학은 최근 들어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며 독자적인 학문 역으로서의위상을 갖추게 되었고 연구 논제들은 교육문제에 관한 문화적 관점의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이 반 되는 교육현상을 분석하는 것을주로다룬다. 이와 더불어비교문화적견지에서세계여러문화권의교육에대한정의, 이해, 및 실행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알아보고 오늘날 교육현장에서의 여러 쟁점들에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한다. 방법론적으로는 문화기술지연구를 비롯하여 생애사연구, 현상학, 상징적상호작용, 근거이론등이사용된다.

│고등교육│고등교육은 대학과 관련된 것을 연구하는 새롭게 성장하는 응용 학문분야이다. 고등교육과 관련된현상과 문제들을 탐구하기 위해서 고등교육 연구자들은 매우 다양한 이론과 학문적 관점들을 활용한다. 따라서 학문분야로서의 고등교육의 역은 매우 폭 넓게 발전하고 있다. 고등교육의 세분 전공역에는 고등교육 행정 및 경 , 고등교육 정책, 비교 고등교육, 고등교육의 사회학, 고등교육 교육

과정 등이 있으며, 고등교육 체제를 구성하는 모든 역은 고등교육 연구의 대상이 된다. 즉, 고등교육 연구자들은 학생과 교수, 대학조직 및 의사결정구조, 정부의 역할, 대학평가, 질 확보 및 관리, 대학의 향 등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학문분야로서 고등교육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세부 역에 앞서 고등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심리학적 기초와 더불어 대학조직과 정책 등에 대해 포괄적인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기초로 세부적인 연구 역에서 고등교육과 관련된 현상을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하게된다.

│ 재교육│재교육은 개인의 잠재성 계발을 도모하는 학문이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능력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위해서 효과적인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재교육에 대한 최대의 편견은 재교육이 극소수의 천재들만을 위한 교육이라는 것이다. 재교육은 천재

79

클릭전공─인문계열

● 교육평가학우리나라 교육학에서는「교육평가」전공이 교육연구방법론, 교육통계, 교육측정,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를 포괄하는 전공분야로 분류한다. 그러나 국제적인 기준에서 교육평가(Educational Evaluation)는 개인(예:학생, 교원)평가, 조직 및 기관평가(예:학교평가), 그리고 프로그램 및 정책평가를 의미한다. 교육평가 전공은 양호한 경험적 증거에 기초하여 의사결정과 가치판단의 주제를 다루므로, 교육통계와 교육 측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요구되고, 평가대상과 평가맥락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필요한종합적인학문적성격을갖는다.교육평가학에서의연구유형을예시하면다음과같다.

▶ 다양한교수-학습프로그램평가▶대학입시, 고교평준화, 교육격차해소정책등의교육정책평가▶학교평가, 시도 교육청평가, 대학평가, 기업체평가, 평가인정제연구▶ TIMSS, PISA의 국제비교연구와교육청및국가수준에서의교육실태및수준분석연구▶다양한프로그램및기관평가이론의탐구

│교육측정·평가학│● 교육측정학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는시대적변화에따라교육측정의패러다임이바뀌어가고있다. 즉, 학생들이 기계적으로 학습할 내용을 받아들이고, 학생이 학습한 것의 양을 구별하여 성적을 내거나 등수를 매기는 것으로 교육측정을 이해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개별 학생들의 진정한 교육적 성장과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이와 관련된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한다는 관점으로의 전환이다. 이러한 변화는 최근 문항반응이론과 일반화가능도 이론 등 현대 측정이론의 도입과 적용, 컴퓨터활용검사, 수행평가의도입과활성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강조등의발전과그맥을 같이 하고 있다. 현재 교육측정학 분야에서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세부 연구 역을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 문항반응이론, 일반화가능도이론같은현대측정이론의등장과적용 역▶ TOEFL, GRE 등에적용되고있는컴퓨터를활용한맞춤검사 역▶교실에서적용되는지필검사나수행평가도구개발과타당화연구 역▶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신뢰있는내신성적산출과같은대학입시관련측정 역▶다년간의측정결과를비교하고자료를해석할수있도록하는척도개발과동등화 역

● 교육평가학교육평가학은 이제 단순한 학생 평가를 넘어서서 그 역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시·도교육청 평가, 학교 평가, 교원 평가, 대학 평가, 학과평가, 교육과정 평가, 교육정책 평가,기업체프로그램평가등교육평가의적용범위가날로확장되고있다. 이러한확장된교육평가 역은 이미 서구 사회에서는 매우 중요한 평가 역으로 인정되고 있고, 법적으로 해당 기관에 평가의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 사회에서 평가는 우리 삶의 전 역에서 접하게 되는 매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즉, 주요한 의사결정을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그러한 정보를

78

Page 4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돋움 교육학학회

● 배움누리 사회과학학회

● 지여인 인문학학회

● 집현전 교지편집

● 쏠림덩크 농구

● 신촌크로우저 족구

● 예첸 악기와운동

● 용재필 클래식악기

81

클릭전공─인문계열

교육이아니라개인이가지고있는 재성, 창의성및재능들의다양함과개인간의차이를인정하고이를지속적으로계발시키려는학문이다. 따라서 재교육은다음의연구과제들을포함하고있다.

▶ 재아들에대한정확한판별▶ 재아들의인지적, 학문적, 정서적그리고사회적특성들에대한이해▶ 재아들의 개인적인 재성, 창의성과 재능계발을 위한 교육 서비스(프로그램, 교육과정, 교수법등)의 개발및이에대한효과적인활용

▶지속적인 재성, 창의성그리고재능계발을위한교육적인지원▶ 재성, 창의성및재능계발이개인의행복, 더 나아가장기적으로국가, 사회 그리고인류사회에도움이되는방향으로나아갈수있도록지도

4. 교과과정

80

한국교육사상사 한국고·중세교육사

교육철학·사학(동양, 한국) 황금종동양교육사상사 한국근세교육사

한국교육고전연구 한국근대교육사

동양교육고전연구

교육과정개발론 교육과정 이론세미나

교육과정·교수방법 이성호 고등교육연구 고등교육 교육과정

교육과정특강 교수방법연구

원격교육연구 교육공학연구방법

교육공학·기업교육 이명근 전자교육개발 교수학습환경설계

하이퍼미디어의 교육적활용

교육심리학연구 창의력연구

교육심리학 신명희 발달심리학연구 우수아교육연구

개인차연구 학습장애연구

상담과심리요법 가족상담

상담교육학 서 석 집단상담 인간관계세미나

상담심리연구 인간중심상담원서강독

교육사회학·배움학한준상

유아교육의 교육사회학적 이해 학교학

평생교육의 HRD 교육사회학연구특강 HRD프로그램개발

인적자원개발(HRD)산업교육기초 인력개발연구론

장원섭 산업교육연구 평생직업교육세미나일의교육학

산업교육특강 일의교육학연구

교육정책론 교육정책과교육의 정치학

교육행정학 김혜숙 교육지도성의 이론과 실제 교육행정이론

교육인사행정

세부전공 교수진 주요개설과목

교육정책자료분석 여성교육과 가족경제

교육경제학 백일우 교육과 경제발전 교육경제학세미나

계량교육체제분석 교육경제학연구

교육평가다층분석방법 교육측정이론

강상진 교육연구방법 통계적방법양적연구방법

다변량분석방법

교육측정평가이론 일반화가능도이론

문항반응이론 척도개발과 동등화

교육측정·평가 이규민 컴퓨터활용검사

요인분석과 공변량구조 모형

교육연구방법론 통계적방법

교육인류학박순용

교육의 질적연구방법 교육인류학연구

질적연구방법 교육현장연구방법

고등교육 이병식고등교육개론 한국의 고등교육

고등교육 변화론 비교고등교육론

재교육 이선 재성과 재능개발 이론

세부전공 교수진 주요개설과목

Page 4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전공선배의한마디

83

클릭전공─인문계열

6. 졸업후의진로

│중등학교 교사│교육학과를 제1전공으로 선택한 후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교과목 관련 전공에 대해 이중전공을 하면 교사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교사자격증을 획득한 다음 임용고시를 통과하거나 아니면 소정의공채과정을통해서중등학교의교사로서취업할수있다.

│기업체의 HRD 전문가│교육학과의 학부개설과목 중에는 HRD 및 산업교육공학 관련 교과목이 다수 있다. 이 과목들을 통해최근 기업체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교육, 연수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식견을 쌓고서 기업체의 해당 부서에 취업할 수 있다. 이 분야의 경우 국내 교육학과 중에서 본 학과의 진출이 가장 활발한편이다.

│사회교육전문가│특정 기관에 소속되어 있든 그렇지 않든, 산업교육 및 평생교육관련컨설턴트로 활약하기도하고, 대학원에서상담관련학업을더한후상담가로서활약하기도한다.

│국가고시를 통한 진출│교육분야행정고등고시를통해서교육행정전문가로진출할수있다. 1982년 이후에매년교육행정고시 합격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그 합격자수(현재 총 32명)는 단일학과로서는 가장 많다. 또한 최근 3년부터는 사법고시, 법무사, 공인회계사 등의 다양한 국가고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그 합격생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교육학과가 다양한 인접학문과 연계되어 있어서 더욱 가능한 일이다. 교육학과에는 각종 고시준비생들을 위한 연구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학교차원에서 상당한 재정지원이이루어지고있다.

│대학교수 및 교육연구전문가│대학원을 진학해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대학교수가되거나 교육연구기관의연구원이 되는 길이 있다. 교육학은 어떠한 인문학 관련 학과에 비해서 대학과 연구기관의 수요가 많은 편이어서 상대적으로이분야의진출이유리하다. 그리고석사학위만을취득한경우도연구원으로진출할수있는길이열려있다.

│기타:언론 및 방송계, 기업체 일반│

82 ●● 제남모, 03학번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무엇보다도‘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넓은 시야와 인간에 대한 관심’이 아닐까 합니다.교육학은‘교육’을다양한학문적시각에서바라보고있습니다. 심리학, 사회학, 철학, 사학, 통계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등대부분의인문사회과학분야의관점이교육을 조망하는데 활용됩니다. 따라서 전공수업을 들을 때, 각 분과 학문에 관한흥미와이해가있을경우좀더재미있고수월하게공부할수있음을느끼게됩니다. 한가지현상을여러가지관점에서볼수있는능력이중요한것이라고생각되네요. 물론교육과인간에대한관심과열정은기본이겠죠.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특별한준비라기보다는다만일반적인교양을쌓는것에중점을두시면될것같습니다. 여러분야의책을읽고다양한관심사를열어두는것, 거기에교육관련이슈에대한신문이가주간지의기사를읽고나름대로의고민을해보는것정도면충분합니다. 그리고기회가된다면친구들과그이슈에관해서토론을해볼수있다면더욱좋겠죠.

▶전공에대한20자평

교육을통해서인간과사회를바라보는따뜻한학문.

●● 이일 , 96학번

▶어떤일을하시나요?

대학을졸업한후대기업계열의백화점과 IT업체에근무하다현재는서울시내의한중학교의교사로근무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교사를하기위해서는무엇보다학생에대한사랑과공감적이해, 교사로서의소명의식이필요할것입니다. 여기에더해서자신이가르치는과목에대한전문적지식,그지식을학생들의여러배경요인을고려하면서효과적으로전달하는교육방법에

Page 4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인문사회계열의모든전공

84

대한 이해를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이 완벽해야만 교사를하는것은아닙니다. 교사도매일매일학생들과더불어새롭게배우면서성장해가는존재입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대학을 다니면서 지금 가르치고 있는 교과지식과 교수법에 대해 충분히 공부하지못했음을 아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건이 되면 대학원에 진학하여 부족한 부분을보충하면서미래한국사회에서필요로하는다양한인재를키우는데조금이나마보탬이되고싶습니다. 많은시간이지나은퇴를하게된다면교육관련사회운동에도참여하고싶습니다.

Page 4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상경대학경제학부응용통계학 전공

상경계열2

Page 4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6

클릭전공─상경계열

4. 교과과정

•필수교양 : 통계학입문•경제학전공기초 : 경제수학(1), 미시경제원론, 거시경제원론•경제학전공필수 :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87

1. 경제학이란?

연세대학교 경제학부는 우리나라 경제학의 역사를 대표하는 교육기관으로서 학생들이 이론경제학과 응용경제학을 두루 섭렵함으로써, 경제현상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이해하고 경제학 이론을 현실에 실용적으로 적용하도록 강조한다. 이론과 현실을 결합한 경제학 교육을 통해 한국과 세계를 이끌 경제전문가를 양성한다. 또한 경제학 분야 뿐 아니라 캠퍼스 내 복수전공제도나 부전공제도를통해 경 학이나 응용통계학 등 다양한 인접학문에 대한 폭넓은 지적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부여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교양 교육을 통해 다각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연세대학교 경제학부의 체계적이면서도 폭넓은 경제학 교육은 사회경제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졸업후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학문적 소양으로 역할하게 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경제학 전공은 논리적 추론능력, 수리적 능력, 자립적 학습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국어, 수학, 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다각적인 시각을 가지고, 사회 경제현상에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경제주체들의 미시적인 경제행위에 대한 분석과 이를 종합한 거시경제 전체의 흐름을 분석할 수있도록 교과 과정이 편성되어 있으며, 경제학의 전통적인 학문 역에서부터 최신 조류의 학문분야에 이르기까지 총 60여개의 세부전공과목을 40여분의 교수들이 개설하신다. 필요에 따라 응용통계학과의 일부 과목 및 대학원 경제학과에 개설된 과목도 전공 선택 과목으로 수강할 수 있다.

경제학부경제학전공

01 상경계열

1 1, 2 전기 ECO1101 경제수학(1) 3 1000

전기 ECO1103 미시경제원론 3 1000

전기 ECO1104 거시경제원론 3 1000

필교 STA1001 통계학입문 3 1000

2 1 전선 ECO2103 경제사개설 3 2000

2 전선 ECO1102 경제수학(2) 3 1000

전선 ECO3132 근대경제사 3 3000

1, 2 전선 ECO2001 주니어세미나 1 2000

전필 ECO2101 거시경제학 3 2000

전필 ECO2102 미시경제학 3 2000

전선 ECO2113 국민경제론 3 2000

3, 4 1 전선 ECO2104 경제학설사개설(1) 3 2000

전선 ECO2109 한국경제사 3 2000

전선 ECO3102 경기변동과경기예측 3 2000

전선 ECO3103 경제발전론 3 3000

전선 ECO3106 노동경제학 3 3000

전선 ECO3109 자원및환경경제학 3 3000

전선 ECO3114 후생경제학 3 3000

전선 ECO3115 인적자원관리경제학 3 3000

전선 ECO3123 계약및조직이론 3 3000

전선 ECO3129 경제고전강독 3 3000

전선 ECO4103 경제동학 3 3000

전선 ECO4113 거시경제동학 3 3000

2 전선 ECO3108 수리경제학 3 3000

전선 ECO3120 금융공학의이해(2) 3 3000

전선 ECO2112 시장경제의 이해 3 4000

학년 학기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점강의 단위

종별 번호 실습 구분

Page 4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경제학부가 소속된 상경대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동아리 및 학회가 활동하고 있다. 각 동아리는연극·언론·음악·종교 등 각 분야별로 특성에 맞게 활동한다. 학회는 이론적인 연구에서 다양한응용분야까지 해당 전문분야에 따라 학습과 연구를 한다. 학기 초에 상경대 일정 구역에서 개별 동아리와 학회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회원들을 모집한다.

│동아리│연상극우회, 향 , YCV, Slayers, 헤드락, AIR, 덩더쿵, 상경논충, 아침향기, 한누리, 상크모, 연세통,KCC

│학회│ISSU, MARP, YMCG, GMT, Y.F.L, JSC Econ, BIT, BLT, S&D, CFRC, JRC BIZ, Y-FORM,KUSEA, RoAD, YIG, OPUS YONSEI, MSC, 연세벤쳐, AIESEC, SIFE

6. 졸업후의진로

현대사회를산업사회라고부르는것에서알 수 있듯이사회조직이나구성원 중에서경제행위를 위하지 않는 조직이나 구성원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거의 모든 사회분야에서 경제학적 지식을 필요로한다. 따라서경제학부졸업생은졸업후매우다양한분야로진출하여자신의성취를이루고또한사회발전에기여하고있다.

졸업생들은 먼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을 위시해서 금융감독원·산업은행·수출입은행·신용보증기금·수출보험공사·예금보험공사·자산관리공사·한국투자공사 등 각종 경제관련 공공기관에 진출하고있다. 각종 국책금융기관이외에도시중은행, 증권회사를비롯한각종금융기관들로진출하고있으며, 이외에도 국내외 주요기업체에 진출해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경제학 전공자는 민간에 다양한 수요가 있어서 4천여 경제학부 동문 가운데 약 50%가 각종 기업체에 근무하고 있으며 약 20%가금융계통에 종사하고 있다. 특히 연세대학교 경제학부는 경제학 각 분야가 민간실무에도 연결될 수있는다양한교과목을국내타교와비교할수없는수준으로제공하고있다.

또한 행정고시를 통한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공정위·국세청·지식경제부 등 경제관련 정부부처로의 진출과 외무고시를 통한 외교통상 분야로의 진출도 두드러진다. 특히 연세대학교 경제학부의 행정고시 재경직렬 합격률은 탁월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각종 자격시험 및 대학원 과정 이후,IMF·ADB 등 국제기구·국제통상·국제금융 분야로의 진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매해 약 200여명의졸업생가운데 50여명 내외의학생들이대학원에진학해서공부를계속하고, 대학원진학자를포함해서 20여명 내외가 이후 해외유수대학의 박사과정에 진학하고 있다. 이들 졸업생 상당수가 경제학에대한 전문적 지석을 바탕으로 학계나 연구소로 나아가고 있다. 이외에도 경제학부 졸업생들은 경제분야를중심으로언론·방송계로도진출하고있다.

8988

클릭전공─상경계열

3, 4 2 전선 ECO3105 금융경제학 3 4000

전선 ECO3111 지역경제론 3 4000

전선 ECO3113 인구경제학 3 4000

전선 ECO3121 경제학설사개설(2) 3 4000

전선 ECO3128 금융계량 경제학 3 4000

전선 ECO4104 계량경제학(2) 3 4000

전선 ECO4105 맑스경제학 3 4000

전선 ECO4114 금융자산투자의이해 2 4000

전선 ECO4115 기업금융론 3 4000

1,2 전선 STA2103 수리통계학(1) 3 2000

전선 ECO3101 게임이론과응용 3 3000

전선 ECO3104 계량경제학(1) 3 3000

전선 ECO3110 재정학 3 3000

전선 ECO3112 한국경제론 3 3000

전선 ECO3116 경제정책 3 3000

전선 ECO3118 금융리스크측정과관리 3 3000

전선 ECO3119 금융공학의이해(1) 3 3000

전선 ECO3127 법경제학 3 3000

전선 ECO3130 국제금융론 3 3000

전선 ECO3131 국제무역론 3 3000

전선 ECO3133 산업조직론 3 3000

전선 ECO3134 화폐금융론 3 3000

전선 ECO4107 비교경제제도론 3 3000

전선 ECO4110 공공및정치경제 3 3000

전선 ECO4116 산업과전략 3 3000

전선 ECO4117 시장경제포럼 3 3000

학년 학기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점강의 단위

종별 번호 실습 구분

Page 4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현직 장/차관급 연세 경제학 동문 (2011년 현직)│● 김대식(66학번) 한국은행금융통화위원회위원

● 최경환(75학번) 한나라당국회의원

● 임종룡(78학번) 정부중앙청사국무총리실장

● 이인실(79학번) 통계청장

│주요 기업 현직 CEO 연세 경제학 동문 (2011년 현직)│● 김동수(55학번) 한국도자기회장

● 박삼구(63학번) 금호아시아나그룹회장

● 구학서(66학번) 신세계회장

● 남상태(68학번) 대우조선해양사장

● 임기 (71학번) 대우증권대표이사

● 한찬희(74학번) 딜로이트컨설팅대표이사

● 김 민(74학번) 한진해운대표이사사장

● 이창규(75학번) SK네트워크사장

● 조동길(77학번) 한솔그룹회장

● 77학번 AT커니코리아대표이사회장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응용통계학, 경 학, 심리학, 수학, 인문학

10. 기타

연세대경제학부는국내에서상경계열로최초개교한역사적전통위에한국에서경제학교육의역사를열어왔으며, Harvard, Yale, Princeton, Chicago, Columbia, Cornell, Penn, Oxford,Cambridge 등 대부분 세계적 명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거나 해외 주요 대학에서 이미 교수를 역임한학자들로교수진을구성하고, 이들은연구및교육에있어서탁월한성과를내고있다.

91

클릭전공─상경계열

7. 전공선배의한마디

90 ●● 이샛별, 07학번

‘인간으로서잘먹고잘사는것’은삶을살면서해결해야하는가장중요한문제이고, 그러기위해서‘경제’를알아야한다고생각했습니다. 저는경제학을전공하며사회현상에서경제가작동하는방식에대한기본적인이해를할수있게되었고이를통하여생활속의현상들을논리적이고합리적으로볼수있는시각을가지게되었습니다. 현실에서발생하는경제문제들을경제학적으로접근하여원인을분석하고그결과가도출되기까지의과정을여러이론들을통해검증하면서논리성과합리성을키울수있기때문입니다. 또한, 우리주변의크고작은문제들이대부분경제와 접한관련이있기에, 경제학을공부하다보면보다넓은안목으로세상을볼수있는능력을갖출수도있습니다. 이제, 이해하기어렵다는경제신문을읽으면서공감할수있는능력을갖게된것에도자부심을느끼게됩니다.경제학을전공하고자하는학생들은전공탐색인경제수학(1), 전공기초인미시경제원론과거시경제원론을철저히공부해두는것이필요합니다. 경제학을공부하는것은성을짓는것과같습니다. 때문에학부대학생일때경제학의가장기본이되는경제수학, 미시경제원론, 거시경제원론으로성의기반을탄탄하게다져놓지않으면, 심화단계의경제학을배울때어려움이생기게됩니다. 2학년때미시경제학과거시경제학까지배우게되면경제학에서구체적으로무엇을다루는지알수있게됩니다. 그후에본인의적성과가장잘맞는분야를선택하여심도있게배우면됩니다. 또한, 경제학에서사용되는수학적분석의틀을이용하기위해서는계량과관련된과목을배우게되는데, 이때수리적인능력을필요로하기때문에수학공부도게을리해서는안됩니다. 경제학과는다른학과에비해상대적으로조모임과같은활동적인과제는적고, 중간고사와기말고사의비중이매우높으니참고하시길바랍니다.전공선택을앞두고고민이많을것같습니다. 현재연세대학교에는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등자신의주전공외에도학위를인정받으면서공부할수있는방법이있습니다. 경 학이나통계학같은경제학을공부하는데도움이될수있는과목들도들어보고복수전공이나부전공으로고려해보길바랍니다. 대학생활을성공적으로하기위해서는스스로자신에게도움이될수있는정보를찾아내는능력이필요합니다. 진로를위해서많이알아보고, 많이생각한후현명한선택을하길바랍니다. 그 과정에서 어려움이 생기면 학사지도교수님께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방법입니다. 새내기여러분! 연세대학교에서많은것을보고, 배우고, 느끼고, 행하면서후회없는대학생활을누리길바랍니다.

Page 4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수리통계학(1)을 수강하기 위해선 선수과목으로서 미분적분학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합니다. 또는이와유사한과목을반드시수강하셔야합니다. (예 : 미적분학, 고등미적분등)

※ 교과목이개설되는학기에유의하셔야합니다.※ 위교과목외에도다양한선택교과목이개설됩니다.

4. 졸업후전망과진로

1) 과거 국내에서는 정보기술력의 부재와 주관적 의사결정에 따라 data 분석에 그다지 관심을 두지않았고, 따라서 통계학의 활용분야는 사회과학(심리학, 사회학, 가정학)등에서의 Survey 자료 분석및자연과학에서의실험 data분석 정도로국한되었다. 선진국에서는 1990년을 기업활동에 data를활용하기 시작한 시기라고 규정 하듯이 Information Technology에 따라 미래는 정보 확보자와아닌 자와의 구분이 심화될 것으로 예견된다. 때문에 세계 경 의 필두에 있는 미국에서는 기업경진 직책에 CIO(Chief Information Officer:최고 정보 책임자)를 두고 관리를 하는 추세에 있다.

본 학과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기존의 통계 방법론 이외의 Tree Model, Neural Network,Genetic Algorithm등의 방법론 및 DB, Network등 전산부분을 강조하여 응용분야를 점차 확대하고있다.

2) IMF 이후 Risk Management가 대두되면서 Data Warehousing, Data Mining, DatabaseMarketing 등 Database에 관련한 data분석에 따라 기업활동의 관리(고객관리, 계량적 의사결정,Risk 관리)가 주가 되고 있다. Data의 분석모형의 우월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이라고 판명이되면서통계의중요성이부각되었고동시에수요가급부상하고있다.

3) 응용통계학 전공자들의 가장 큰 장점은 상경대 졸업생으로 경 , 경제 전공자들과 같이 취업할 수도 있고 또한 통계학전공자로 전문적인 직업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IMF 이후 극심한 구직난에도 불구하고 통계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응용통계학과 출신은 전원 취업을 하 다. 현재는 많은기업체등에서통계학전공자의개별적추천의뢰가있으나추천할학생이너무부족한상태이다.

4) 대학원 졸업 시에는 학부 졸업보다 통계학 응용에 관련한 전문적인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주어지고 있으며, 현재 국내 보험계리와 신용평점 분야에서는 학과동문들이 독점하여 선의의 경쟁을 하고 있다. 또한 DB 설계에 따른 자료 분석, 위험관리에 대한 계량분석, Data Mining을 통한고객관리분야로점차취업이늘어나는추세이다.

5) 최근 미국 경기 호전으로 장학금 수혜가 늘어나면서 미국 유학생(통계학, 생물통계학)이 늘고 있으며, 취업에서는특히고객평점모형(국내신용평가기관, 시중, 외국계은행등). 보험계리(국내외보험회사 등) 쪽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연구소(경제, 경 , 의학통계) 및 위험관리(증권회사, 은행) 등으로의취업이두드러지고있으며, 2000년 1학기졸업자중 70%가금융계로진출하고있다.

6) 금융시장(Financial Market)에서 전통적인 금융상품인 주식, 채권 외에도 다양한 파생상품이 거래되기 시작하면서 금융공학(Financial Engineer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 응용통계학과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통계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금융공학 관련 프로그램을준비하고있으며, 경 및 경제학과의관련프로그램을복합적으로이수할경우좀더차별화된커리어를만들수있을것이다.

1. 응용통계학이란?

교육의 목적은 Data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 및 방법을 교육하여 국내통계학의 응용분야에 있어선도적인역할을할전문인력을배양한다.

2. 세부전공및 역

통계학은 응용분야가 대단히 다양한 학문으로서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는 경제학, 경 학과 접한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문과와 이과의 구별 없이 거의 모든 분야에 응용할 수 있어 인문사회와 이공계계통의 많은 학생들이 이중전공을 하고 있다. 응용통계학과에서는 통계학의 기본적 지식을 쌓을 수있을 뿐만 아니라, 전산분야를 통해 SAS. SPSS. LISREL. E-MINER. AMOS. S_PLUS, Matlab 등을 다룰수있는기본자질을소양하고있다.

3. 교과과정

9392

클릭전공─상경계열

응용통계학전공02 상경계열

겨열기초 통계학 입문

전공필수 수리통계학(1)

전공기초 미분적분학, 선형대수

전공 컴퓨터자료처리,선택 통계방법론

1학년 2학년 3학년~4학년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경제통계론베이즈 통계통계적 품질관리다변량통계분석확률과정회귀분석표본조사론데이터분석 입문데이터마이닝금융통계탐색적 자료분석

수리통계학(2),범주형자료분석정보분석론통계적 품질경층용통계학연습통계자료분석시계열분석토ㅊ계의사결정실험계획법응용확률모형론

Page 5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선배의한마디

94 ●● 곽효정, 02학번

응용통계학과를선택한처음의기대감과부푼마음이지금은현실과많이부딪히고있지만만족감이후회보다훨씬더크고앞으로도계속더커질것이라고생각됩니다.지금 저는 심리학의 실험연구방법이란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데, 교수님께서 심리실험에서의 통계의 중요성을 계속 부각해주셔서 뿌듯함을 느낄 때가 많이 있습니다. 정치학을수강할때도마찬가지 고요. 이처럼응용통계학은여러학문에필요하기때문에졸업후진로는통계학분야의전문직뿐만아니라경 , 경제, 의학, 생물, 심리등여러분야로도다양하게열려있습니다.현재통계학의중요성은점점더높아지고있는상황입니다. 그러나사실우리나라에서통계라는학문이전문적으로연구되기시작한지오래되지않았기때문에통계전문가의 공급은 수요보다 턱없이 모자란 상태입니다. 기업에서 뿐만 아니라 학회에서도 같은 실정이구요. 그렇기 때문에 응용통계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이미 개척된길을걸어가는것보다는앞으로스스로개척해나가는것이기때문에앞으로의가능성이더무궁무진하게잠재되어있다고할수있습니다.또응용통계학과는전체인원이적기때문에같은과사람들끼리더욱친합니다. 그리고개설과목의분반도적기때문에서로과목에대한정보공유나공부도함께할수있어서친해질기회도많고요. 이렇게아담한인원으로서로도와가며함께같은길을걸어갈수있는학과는많지않다고여겨지는데요. 그렇기때문에사람들이더응용통계학과에애착이가는것일지도모르겠네요. 문과이지만수학에관심이많은학생들은 특히 응용통계학과를 고려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비록 공부하면서 힘든점과어려운점이많은것도사실이지만, 무엇보다배움을통해얻을수있는값진것들이많기때문에저는응용통계학과를지원한것이현명한선택이었다고생각합니다. 후배님들도 앞으로 잘 생각해서 응용통계학과를 선택하시면 아마 절대 후회하지않으실겁니다.

경 대학경 학 전공

경 계열3

Page 5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또한 마케팅의 과제가 된다. 그리고 장사가 너무 잘 되어서 해외 분점을 내게 될 수도 있다. 해외 분점의 로벌 경 에 필요한 지식들을 갖추는 것이 국제경 이다. 마케팅 분야의 세부 전공으로는 마케팅과국제경 이있다.

│매니지먼트│아무리 자금이 풍부하고 입지가 좋은 음식점이더라도 종업원들이 불친절하고 의욕이 없다면 장사가잘 되지 않는다. 매니지먼트는 사람에 대한 내용이다. 종업원들의 근로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어떤 인센티브가 필요한지, 좋은 인재를 어떻게 고 하고 육성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등을 생각하게된다.

│ODI (Operations, Decision and Information)│음식점을 찾는 손님들이 원하는 서비스와 상품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Operation Management(OM) 전공과 관련된 내용이다. 음식의 원자재를 구입하는 단계에서부터최종적으로 손님이 식사는 마치고 음식점을 나갈 때까지의 과정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우리 음식점에원자재를공급하는도소매상에게도신경을써야한다.현대 사회에서 각종 정보들의 도움 없이 음식점을 잘 운 해 나가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올바른 의사 결정을 위해 정보의 수집과 분석기술 등을 Information Systems(IS) 전공에서 다루어지게 된다.수집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수한 정보 소스를 적절히 분류하여 의미 있는 지표로서 제시할필요가 있다. 이는 Operation Research(OR) 전공에서 다루는 내용으로 A음식점이 처한 상황에서과학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ODI 분야는 OperationManagement(OM), Operation Research(OR), Information Systems(IS) 전공이있다.

97

클릭전공─경

계열

1. 교육의목적과개요

연세대학교는 1919년 국내 최초의 상과 졸업생을 배출한 이래 지금까지 항상 최고의 경 학 교육을추구해 왔다. 경 대학은“세계적 수준의 경 교육·연구기관”이라는 비전과 함께 탁월한 교육과 선도적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시각을 지닌 창의적이고 윤리적인 리더를 육성하기 위한 세부 미션을 실행하기위해노력하고있다.

2. 분야및세부전공

경 학은‘기업’이라는 조직을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합리적이고 전략적으로 운 해나가는 방법들에대해연구한다.고등학생들이‘경 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A라는 음식점 경 을 예로 들어 경학의 분야와 세부 전공에 대해 설명해본다. 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학문적인 경 학의정의와는다소차이가있을수있다.

│재무│음식점을 개업하려면 우선 사업 자금을 마련해야 하며, 자금의 원활한 운 이 필수적이다. 장사가 잘되어주식이나채권을발행할수도있다. 더 나아가예상치못한사태에음식점이큰손해를보는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보험도 생각해야 한다. 이와 관련된 분야가 재무이며, 세부 전공으로재무와보험이있다.

│회계│각종 재고와 자산들, 그리고 음식점이 지고 있는 부채들의 목록을 정리할 필요도 있다. 가게의 매출과 생산 원가를 기록, 분석하면서 음식점이 건강하게 경 되고 있는지도 파악해야 한다. 이런 내용을다루는것이회계이다.

│마케팅│손님들의 다양한 욕구를 분석하고 그에 맞춘 새로운 메뉴를 기획하는 일은 마케팅 담당자에게 맡겨지게 된다. 광고 전단을 만들고 판매 전략을 세우는 일, 적당한 선에서 메뉴의 가격을 결정하는 일

96

경 학과01 경 계열

Page 5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6. 졸업후의진로

각종 금융기관(은행, 증권, 보험, 투신), 일반제조업체, 재무기획, 자금관련부서, 신용평가기관, 컨설팅회사, 회계법인, 개인 사무소, 기업체 간부, 벤처 사업가, 인사/노무 전문가, 국내외 유수 컨설팅 기관의 정보시스템/인터넷 전문요원, 정보시스템/인터넷 관련 벤처기업, 대기업 내의 인터넷/정보시스템분석가, 교수, 대기업 마케팅부서, 조사업체, 인터넷 마케팅 분야, 다국적 기업, 정부부서, 전략분석 전문가, 법률회사, 병원, 지식제공전문기업등다양한곳에종사할수있다.

99

클릭전공─경

계열

3. 교과과정

4. 전공에대해더자세히알고싶으면

● 경 대학사무실(대우관 211호): 123-5452~5● 경 대학홈페이지 http://cob.yonsei.ac.kr

98

관련세부전공 과 목

회계재무회계연습, 원가회계연습, 회계학연습, 중급회계(1), 중급회계(2), 원가회계,

조세개론, 고급회계, 회계감사, 법인세법, 회계학포럼

재무/보험 기업재무, 파생상품론, 보험경 론, 투자론, 국제금융시장론, 금융시장론, 보험총론

정보시스템경 정보시스템전략,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계, 데이터베이스관리론, 텔레커뮤니케이

션과 기업경 , E-BUSINESS전략

매니지먼트인전자원관리, 사회심리학, 벤처창업론, 경 협상론, 노사관계론, 조직구조와 설계,

전략경 세미나

소비자행동분석, 시장조사론, 신제품마케팅, 광고론, 유통경로론, 소매관리, 업관리,

마케팅/국제경마케팅전략, 브랜드관리론, 하이테크마케팅, 인터넷마케팅, 관계마케팅, 웰빙마케팅,

국제경 론, 국제마케팅, 세계경 환경론, 국제무역결제론, 세계기업현장실습,

해외 신흥시장의 이해와 진출전략, 로비지니스포럼

Operations 수리및확률계획, 경 시뮬레이션, 디지털비즈니스개론, 디지털상품론, 기술경 ,

Research 네트워이론,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불확실성과 최적의사결정

공통분야 상법(1), 회사법, 연경리더스포럼, 창조경 포럼,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기업윤리포럼

전공기초(2학년)

조직행동론, 마케팅, 회계원리(1), 재무관리, 생산및운 관리, 경 과학

전공필수(3,4학년)

회계원리(2), 경 정보시스템, 전략경

전공선택(3,4학년)

연세벤처 벤처창업 http://www.yventure.co.kr

한누리 사회과학 http://cybernuri.cyworld.com

향 (BUMA) 경 학술 http://home.freechal.com/bumaism

AIESEC 국제경상학생협회 http://www.aiesccys.com

CFRC 기업재무사례연구 http://club.cyworld.com/cfrc

ISSU 정보시스템 http://www.issu.or.kr

JSC 경 학술동아리 http://www.jscian.org

KCC 경 경제학술 http://www.ykcc.co.kr

MARP 마케팅학술 http://www.marpian.com

MSC 물류및공급체인 http://www.yonseimsc.com

SIFE 경제적가치창출 http://www.yonseisife.org

YFL 재무학회 http://www.yflnet.com

YCV 전산자원봉사회 http://iris.yonsei.ac.kr

YIG 실전투자 http://www.yig.in

YMCG 컨설팅 http://www.ymcg.org

De Ma Studio 디자인 경 학회

RoAD 유통전략학회 http://club.cyworld.com/yonseiroad

동아리명 설명 홈페이지

Page 5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01

클릭전공─경

계열

│2008년 8월 및 2009년 2월 졸업생 취업자 분석│

7. 사회에첫발을내딛는연세경 인

100

●● 이세린, 04학번 _ 한국수출입은행 입행

Target - 학창시절저는금융전문가가되는것이꿈이었습니다. 증권회사나 투자은행에서 일하는 것이 꼭 금융저문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수출입은행과같이정부의정책과연계된다양한금융을경험할수있는곳도있습니다.Action - 우선재무, 회계와관련된수업을위주로들었으며금융산업에

대해실제경험을쌓기위해Barclays, Citi-group에서인턴을하 습니다. 또한미국의UCSD에교환학생으로있는동안학교의Accouting Office에서도인턴을했습니다. Recommendation - 연세대학교경 대학에서는다양한수업뿐만아니라여러특강이나선배와의만남을통해이미사회에성공적으로진출한분들의이야기를들을수있습니다. 특히GMT라는경 대학공식트랙에서활동하면서멘토링프로그램을통해관심분야에대한궁금증을해소할수있었으며실질적인조언을들을수있었습니다.

●● 정재원, 02학번 _ Oiiver Wyman Financial Services Consulting

Target - 저는대학생활동안다양한경험을통하여 로벌금융산업내에서 향력있는한국인으로성장하고자하는목표를갖게되었습니다. 금융산업내다양한섹터중어느분야에서전문성을키우고싶은지에대한고민을했고, 그결과금융기관컨설팅사에입사를하면특정금융섹터에국한되지않고금융산업전반에대한수많은배움의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한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무대로

국내 금융권우리은행, 국민은행,신한은행, 하나은행,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동양종합금융 등

32% 대기업삼성전자, LG전자,현대자동차, SK텔레콤,포스코, GS칼텍스, 대한항공, KT 등

17%

외국계금융, 컨설팅, 기업JP Morgan, UBS, 피델리티,Accenture, Bain%Co., ATKearney, 로레알, BMW,한국 P&G 등

12% 정부/공기업행정안전부, 금융감독원,한국은행, 한국수출입은행,한국산업은행 등

14%

회계법인삼일회계법인, 삼정KPMG,딜로이트안전회계법인,한 회계법인 등

12%진학 6%

일하고싶었기때문에그기회를제공해주는Oliver Wyman Financial Services에입사를결정하게되었습니다.Action - 먼저회계및재무관련수업을통하여금융관련기초지식을습득하 고미국공인회계사 자격증을 취득하 습니다. 이를 토대로 외국계 투자은행, 외국계신용평가사, 국내자산운용사에서인턴경험을쌓을기회를얻게되었으며금융산업내다양한섹터에서실질적인경험을쌓을수있었습니다. 또한시간에허락될때마다 금융산업 내 다양한 분야에서 종사하시는 연세대학교 동문 선배님들을 찾아다니며상담을하고조언을얻었습니다.Recommendation - 제가이렇게목표를찾아힘차게사회에첫발을내디딜수있었던것은연세대경 대학에서허락된소중한인연덕분인것같습니다. 훌륭하신교수님들의가르침, 선배님들의인생상담, 친구들과늦은밤까지계속되는대화들과후배님들의의욕넘치는에너지가한곳에어우러져대학생활내내지속적인성장을도모할수있었던것같습니다. 여러분도꼭연세대경 대학에서여러분의인생에향을미칠소중한만남을통하여본인의발전에최대한많이활용하시기를바랍니다.

●● 김덕산, 02학번 _ 공인회계사, 안진회계법인 입사

Target - 학창시절의꿈은처음에는막연하게나마사회에도움이되는사람이되고싶습니다. 어린시절부터어머니의가르침하에봉사활동을해왔고, 사회의리더가될사람들은나보다못한이들에게나의재능을베풀줄알아야된다고배웠습니다. 공인회계사를택하게된것은내나이 24살여름, 제대학고 1년이지나서입니다. 경 대학에서공인회

계사준비를많이한것도있었지만, 직업이기업에있어서전문가적인 역을구축할수있었기때문에준비를하게되었습니다. 전역후저소득층자녀멘토링교사를 2년조금넘는기간동안했습니다. 2년의경험을통해직업을가지고적절한소득을얻을수있는것이가장좋은복지라는제3의길저자앤서니기든스의주장을이해할수있게되었습니다. 적절한작업을얻을수있게하려면, 기업이잘되어야한다고 생각하며, 특히 중소기업이 잘 되어야 일자리를 많이 창출할 수 있습니다.이러한기업들을돕고키울수있는좋은직업중하나가공인회계사 습니다.Action - 2년이조금넘는수험기간동안, 남들이하는것보다조금빨리시험에합격할수있었던이유는꾸준함이었던것같습니다. 하루도빠지지않고꾸준히공부하 고, 어떤친구들은가끔술을마시고며칠동안학업을소홀히할때나는꾸준히내일을하 다. 이러한차이는처음에는느껴지지않으나시간이지나며차이가남을느낄수있었습니다.Recommendation - 연세대경 대학에대한정보는외삼촌에게많이얻었다. 사회에 진출한 우수한 동문들이 많고, 인지도가 높기에 본인의 역량을 키우는 데 좋을것이라고 추천해주셨습니다. 연세대학교 경 대학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고, 우수한동문들이사회곳곳에포진해있습니다. 졸업이다가오면서느끼는것이지만,

Page 5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03

클릭전공─경

계열

102

사람이가장큰재산이라는생각이듭니다. 우수한동료들과결쟁하며, 그들의좋은점을 배우고, 내가 잘하는 것을 그들에게 가르쳐주면서 교류할 수 있는 곳이 이곳연세대학교 경 대학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대학교에 와서 이룰 수 있었던 모든 성과들도 지도교수님들과 동료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들이고, 이런 도움이없었고, 동료들과경쟁할수없었다면불가능했을것입니다.

*정지은, 02학번_ 제52회행정고시재경직합격(수석), 현재기획재정부근무

Target - 학교다닐때부터공무원말고다른길을생각해본적은없는것같습니다. 이제는정부가여러섹터들중하나로기능하는만큼여러분야에대한다양한지식이필요하고여러사람들과교류하는것이중요하다고생각하는데그런점에서경 학을전공하여도움이되는것같습니다.

Action - 사실학교에서할수있는모든경험들은당시엔그렇지않은것같더라도시간이 지나면 무슨 일을 하든 자산으로 기능하는 것입니다. 전공공부가 고시과목과직접연관되지는않지만다양한분야에대한경험과지식들은언젠가도움이될거라는 생각에서 학교수업을 들을 때에도 열심히 했습니다. 상대 행정고시 고시반인경우회에서공부를하 는데그곳에서선배, 후배들을보며자극을받았었고학교수업과고시공부를병행하면서시간관리를하는데큰도움이되었습니다.Recommendation - 우선연세대학교경 대학의큰장점은훌륭한교수님, 선배, 동기, 후배들이항상주변에있다는점입니다. 주변에나보다훨씬뛰어나고열심인친구들은나자신이나태해지지않고정적으로살수있는큰동기가되었습니다. 또한학교내의학회, 동아리활동, 또전공수업뿐만아니라다양한특강, 프로그램들은수업만으로는얻을수없는다양한시각을갖는데도움을주었습니다.

*신성호, 03학번_ STX 지주사전략기획본부공채입사

Target - 유년시절부터대기업의Leader들을바라보며커다란매력을느꼇습니다. 사회적, 경제적으로 Global Company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변화와강도또한그만큼증대되고있기때문입니다. 저역시세계를 무대로 활약하는 대기업의 Leader로서 세상을 움직이는 변화에제가가진비전과열정을보태고싶었기에학창시절부터지금의진로를

선택하게되었습니다.Action - 다양한경험을쌓고나누는것에가장커다란의미를두고많은시간을할애하 습니다. 먼저, 세계적으로 복잡하게 전개되는 경 환경 속에서 다양하게 펼쳐지는경 전략들을현장에서배우고직접실행해보기위해경여대학공식트랙인GMT(Global Management Track)에서 18개월간활동하며함께꿈을나눌경여학도들과인생의멘토들을만날수있었습니다. 또한저보다먼저Leader로서활약하고계신선배님들을마주하며배울수있는기회도적극활용하 습니다. 연세경

대학의가장커다란강점중하나인Global CEO들을주축으로한다양한세미나수업과포럼수업을적극적으로수강함으로써가능한값진시간이었습니다.Recommendation - 연세대학교, 그리고그중심의경 대학이바로대한민국경대학과Leader들의나침반이라고저는자부합니다. 연세경 대학을통해치열하고뜨겁게경쟁하며배워나가는열정을제가슴과머리에담을수있었고, 그러한뜨거운꿈을함께나눌평생의친구들을제마음과인생에담을수있었습니다. 단순한경강의들을보유하는것에그치지않고, 학생들이가진지식과탐구에대한갈증을

채워주기위해앞서서새롭고도전적인프로그램들을마련해놓은곳, 그리여진취적이고창의적인경 학도를키워내는곳이바로제인생의연세경 대학입니다. 세련되고 시크한 Leader의 패션감각은 연세경 동문만이 체득할 수 있는 또 하나의Must Have Sense라고생각합니다.

*이혜승, 04학번_ 연세대학교법학전문대학원입학

Target - 저는전공기초과목들을들으면서각분야들이전부매력있고재미있어서앞으로경 학의어떤분야를더심도있게공부할것인지에대해매우고민을했어요. 그러다가어려서부터관심이있던법도함께공부하고싶은욕심에기업법전문변화사가되고싶어학부졸업후연세대로스쿨에진학사 습니다.

Action - 경 대학을노할때프리젠테이션과그룹과제를빼놓을수없겠죠. 저도2학년때처음전공과목을들으면서발표를해야하고그룹과제가부여되면자신이없었고학번선배들의뒤에숨기도했지만, 프리젠테이션은많이하면할수록그실력이눈에띄게좋아진다는생각하에, 3학년이후의모든과목에서프리젠테이션을앞장서서했고, 덕분에전달력있는음성으로자신감있게발표하는능력을기를수있었던것같아요. 프리젠테이션을하고나면2학년후배등에게발표잘하는법을알려달라는메일등을받기도하 답니다. 또한법학과이중전공을하기도했지만경 대학에서개설되는상법, 회사법등의과목을수강하기도했는데, 이렇게경 대학에서개설되는경 관련법을미리수강해보시는것도큰도움이될것이라고생각되네요.Recommendation - 연세대경 대학을졸없했다는사실자체만으로도큰힘이되고자부심을느낍니다.̂ _̂ 재학중에멋진교수님들로부터강의를듣고, 교수님들께질문을할수있3다는것도참좋고, 함께수업을듣는동기, 선후배들에게배울점도정말많습니다. 무엇보다도주변에교환학생을다녀오지않은친구가없을정도로해외교환학생으로의기회도많은것이빼놓을수없는장점인것같아요. 저와같이로스쿨진학을통해훗날법조계에진출하고싶은후배님들께는, 일단경 학전공과목을충실히공부하여전문성을쌓으시는게좋다고말하고싶어요. 특히우리학교법학전문대학원의 경우 로벌비즈니스를 특성화 분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경 대학동문들이매우많답니다. 로벌YSB를표항하는우리경 대학은 로벌비즈니스전문변화사가되는데에도훌륭한밑거름이될것이라고생각해요.̂ _̂

Page 5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동문멘토링│사회 각계에서 선두적인 동창회원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매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동문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동문 선배 3분이 13명의 신입생을 맡아 격려와 지도를 병행하는 동문멘토링 프로그램은 사회 각계에서 훌륭한 역군이 된 선배의 모습을 통해 대학생활뿐 아니라 사회에서 건강한인재가되기위한소양과인격을배워가는과정이다.

● 멘토링 참여 주요 동문멘토

│연경리더스포럼│사회각계에서선두적인위치에있는리더를매주초빙하여세미나형식의과목을개설한다. 매주 다양한 산업군 리더가 강의를 담당하여 자신의 삶을 통해 본 Creative Leadership의 의미를 전달함으로써후배후학들에게도전정신과리더십을전달하는포럼강의이다.

105

클릭전공─경

계열

8. 경 대학특별프로그램:Creative Leadership Curriculum

Creativity, Integrity, Global perspective를 경 대학의 3대 핵심가치로 정하고, 탁월한 교육과 선도적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시각을 지닌 창의적이고 윤리적인 리더의 육성을 교육의 미션으로 삼고있다. 이를 경 대학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Creative LeadershipCurriculum을 운 하고있다.

│uGET(undergraduate Global Experience Team-Project)│로벌로 향하는 학생들의 수요를 모아 학생들에게 단순한 해외여행이나연수에서 벗어나 특별한 미

션을 가지고 그에 적합한 외국의 단체(기업, 특정 단체 등)를 방문하여 로벌 시장의 변화를 인식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경쟁력을 함양하고자 해외현장프로젝트 수행활동으로운 하고있다.

● 프로그램 개요1. 세계화활동의중추적인프로그램, 여름 또는겨울방학기간에운 (4주 혹은 8주)2. 참여기업(단체)가 제안한 해외프로젝트를 학생들이 직접 수행하며 3학점 혹은 4학점을 이수하는프로그램

3. 해외프로젝트(국내인턴십 포함 가능) 활동을 통해 대학생의 시각에서 본 해외시장 진출 및 발전전략을후원기업에제공

4. 프로젝트기획에서실행까지독립적인문제해결능력함양, 참여후후원기업에채용기회

104

송 자 55 상학 전 연세대학교 총장 구본걸 76 경 LG패션 사장

심재혁 65 상학 레드캡투어 대표이사 허용석 76 경 관세청 청장

정병철 65 상학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최 한 77 경 국민은행 부행장

맹무섭 66 경 리츠칼튼서울 대표이사 서창우 78 경 한국파파존스 대표이사

이재찬 67 상학 세종나모여행 대표이사 사장 허인철 79 경 신세계 부사장

선종구 68 경 하이마트 대표이사 서경배 81 경 아모레퍼시픽 대표이사 사장

조남준 68 경 풍진아이디 회장 박 숙 82 경 플레시먼힐러드코리아 대표

김정수 69 경 JS & F 회장 손범수 82 경 방송인

김학수 71 경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대표 이병남 82 경 Boston Consulting Group 대표

이병규 72 경 문화일보사 대표이사 사장 구재상 83 경 미래에셋자산운용 대표이사 사장

임주재 72 경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 서정호 83 경 하나은행 부행장

김 진 75 경 한독약품 대표이사 회장 오상진 96 경 MBC 문화방송 아나운서

이름 학번 현 직 이름 학번 현 직

Page 5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CL 포럼│업계선도자들과함께하는특강/토론포럼으로, 이를 통해창의성과현장성을체험하고진로탐색의기회가되도록하여기업으로의취업이나학계로의진입, 또는 창업 등 다양한 진로를 꿈꿀 수있도록하고있다. 매 학기 경 대학 학생들이 가장 관심을보이는주제를선정하여진행한다.

│Class MVP│Class MVP 제도는 경 대학 전임교원이강의한 학부 과목을 대상으로 과목 담당교수로부터가장 탁월한성과를 낸 경 학과학생을 추천받아 경 대학 자체 심사를 통해 Class MVP학생을선발하는제도이다.Class MVP로 선발된 학생에게는 학장 명의의“경 대학 Class MVP 상장”을 수여하며,학장 주최 MVP Award Party에 MVP학생을 초청하여 축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106

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 전공행정학 전공사회복지학 전공사회학 전공문화인류학 전공언론홍보 상학부

사회과학계열4

Page 5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국제정치 및 외교정책(International Politics & Foreign Policy):국제관계의 기본적인 이론을 배우고 세부적으로 국제정치사, 국제법, 국제기구, 국제분쟁 등을 배운다. 아울러 외교사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배양하고 외교정책의 분석을 통해 협상과 설득, crisis assessment, prediction 능력을배양한다.

•한국정치(Korean Politics):한국정치의 이론, 역사, 사상에 대한 전반적 검토와 함께 정당, 의회,선거, 북한정치연구를통해정치권의분석과변화예측, 상황판단력을배양한다.

109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1. 정치외교학이란?

1950년대부터 오늘까지연세대정치외교학과는해방정국의혼미 속에서도한국의 정치교육을선도하여 국가건설의 나침반 역할을 해왔다. 정치외교학과는 21세기에 들어서 보다 창조적이고 적극적인 인재를양성하기위하여다음의교육목표를통해노력하고있다.

•21세기급변하는국내외의정치적문제를연구함으로써각분야에서활약할인재양성•종합적사회과학으로서세계를이해하는통찰력과전문능력배양•한국의민주화와통일한국을이끌미래의국가와사회지도자양성•넓어진 세계의 무대를 대비하는 정치지도자, 외교관, 언론방송인, 국제기구공무원, 국제협상전문가,국제변호사등전문인력양성

이를 위하여 다각도의교육을통한 세계화배양 전략에 주력하고있다. Bilingual 능력을 겸비하고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각국의 젊은 지성인들과 함께 하는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적 Mind를 갖는것에중점을둔전략이다. 이러한전략을통해 21세기정치와외교에서은은한빛을발하는연정인이육성될것이라믿는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정치외교학전공에진학하고자한다면논리적사고력과종합적사고력이있고사회문제와국제정치에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특히 다양한 외국어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어, 제2외국어, 사회·국사의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정치사상 및 이론(Political Theory):정치학전반의 근본이 되는 정치사상과 이론으로 동서양의 정치사상을시기별, 쟁점별, 사상가별로다루며계량·조사방법론등도배운다.

•비교정치(Comparative Politics):비교정치연구에 사용되는 이론과 방법론을 배우고 세부적으로정치경제, 지역정치, 선거정당론등을배우며정치현상에대한분석력을배양한다.

108

정치외교학전공01 사회과학계열

정치사상 및 이론 한국정치 비교정치 국제정치 및 외교정책

고대·중세서양정치사상

계량정치분석

근대서양정치사상

정치학방법론

민주주의정치이론

동양정치사상

한국정치사상

탈근대정치사상

정치이론과철학

현대정치사상

동아시아의시장, 권위,

문화

근대자유주의 어원강

유교, 자유주의, 민족주

의 어원강

시장의정치이론 어원강

정치이론입문

한국정치론

한국정치사

북한정치

한국의선거와의회

한국의정치경제

한국의정당정치

시민·사회운동입문

시민·사회운동의이념

과실제

한국정치과정세미나

문화에나타난정치

유럽정치

러시아정치

한국의시민·사회운동

제3세계정치경제론

비교정치론

국가론

중동정치

정보사회의정치

국제협력과발전 어원강

정치와 화

정치변동론

비교정치경제론

일본정치와외교

Introduction to

American Govemment

The Capitalist

Development in North

& South East Asia

외교론

국제관계론

중국정치외교 어원강

국제기구론

근대국제정치사

국제분쟁의이해와적용

외교정책론

한국외교정책

현대국제정치사

국제정치경제

한국과동아시아국제관계사

국가안보와정보

21세기동북아시아국제관계

동아시아국제관계 어원강

미국정치와외교

한국외교정책 어원강

국제법과국제기구 어원강

국제정치이론세미나

외교안보와미디어

국제정치경제 어원강

북한정치 어원강

시사정치외교 어원강

Modemity, Culture, and

Politics in East Asia

Nationalism: Theory

and Practice

Page 5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학과 연중 행사│

● 연정공동체수련회:매해 10월 말 또는 11월 초에 1박 2일로 교외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연정의유대감과결속력을향상시키고있다.

● 무악민국 모의국회:1, 2학년생들이 주축되어 역할극의 형태로 매해 2학기 11월에 한국민주주의의새로운모습을함께모색하는행사이다.

● 연정의 밤:1956년부터 이어진 행사로서 1년에 한번 씩 학생, 교수, 동문 선배들이 모여서 연정의어제와오늘, 내일을공유하는자리이다.

이 외 매년 5월에 대동제 기간에 열리는 연정주점과 12월 말에 열리는 사은회 등이 있고, 응원제나연고전등에도연정의이름으로단합하고있다.

│과내 모임│

● 국제정치학회(inp.cyworld.com):정기적으로 매주 국제정치에 대한 세미나와 함께 타대학국제정치학회와의교류등을통해서국제정치를공부하는모임이다.

● 시간공간학회:1985년 정치경제학회로 시작하여 2003년부터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공부하는학회로서, 매주 정기적인세미나및여러행사를통해서친목을다지고있다.

● WASEYON(cafe.daum.net/waseyon):일본 와세다대학교 정경학부 학생들과 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학생들의교류모임으로서매년여름, 겨울에상호방문세미나를하고있다.

● 화백실:외무·행정·사법고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화백실이라는 고시연구실을 운하고있으며이를통하여정치외교학과학생들의관계진출을돕고있다.

6. 졸업후의진로

본 학과의 졸업생들은 학계를 필두로 하여 정관계, 언론계, 재계, 시민단체계 등 각 분야에 진출하여두드러진 활동을 하고 있다. 정치외교학과는 연세대학교의 국회의원 그룹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만섭전 국회의장과김원기전국회의장도본과출신이다. 17대 국회에 11명, 18대 국회에 5명의 동문이활약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국무총리, 주일대사 등 다수의 고위공직에서도 동문들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외교통상부 진출 연세 동문의 70%이상이 본과 출신으로 전국대학 단일학과로는 두 번째이다. 언론계에서도 170여명의 본과 출신들이 활약하고있으며, 200여명의 정치학 박사를 배출하여정치학계를주도하고있다.본과에서는학생들이사회에서보다경쟁력이있는 전문가가되기 위하여다음과같은 제도를실시하고있다.

111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4. 교과과정

110

정치학개론 국제관계론 한국의정치경제 러시아정치

근대국제정치사 국제정치경제 한국정치사상

비교정치론 근대서양정치사상 국가안보와정보

외교론 21세기동북아시아국제관계 중국정치경제

정치이론입문 러시아외교정책 한국정치과정세미나

문화와정치 민주주의론

전쟁과평화 북한외교정책

계량정치분석 유럽정치

북한외교정책 중국외교의이해

외교정책론 일본과동아시아

동남아정치론 The Capitalist Development in North & South East Asia

법과정치

POLITICS OF COOPERATION AND INTEGRATION IN EUROPE

한반도통일정책론

UNITED STATESF OREIGNPOLICY

대통령리더십론

정치학개론 정보사회의정치 국제분쟁의이해와적용 중동정치

정치경제론 동양정치사상 정치이론과철학

한국정치론 일본정치와외교 정치이론과철학

중국정치의이해 정치변동론 국가론

한국외교정책 한국과동아시아국제관계사

한국의선거와의회 국제정의론

현대국제정치사

미국정치사상

과학기술과국제정치

비교헌정연구

국제기구와개발협력

민족분쟁론

정당론

미국정치

COSMOPOLITANISM AND CRITICS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Page 5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이만섭(李萬燮)│대구 대륜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1963년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 국회의원(전국구)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 고, 그 후 제7·10대 국회의원(대구 중구)에당선되었다. 1981년 구 공화당 출신의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한 한국국민당의 창당에 참여하여 부총재가 되었고, 제11·12대 국회의원에 연속 당선되었으며, 1985년에는 한국국민당 총재를 지냈다.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낙선하 으나, 그 후 민주자유당에 입당하여 제14대 국회의원(전국구)에 당선되어국회의장을지내기도하 으며, 그 후 신한국당의제15대 국회의원(전국구)로 다시 당선되었다. 1997년 국민신당의 총재가 되었으며, 1998년 국민신당과 새정치국민회의의 합당 이후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권한대행을 지냈다. 2000년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제16대 국회의원(전국구)에 당선되어다시국회의장을지냈다. 2009년 12월에는 연세대 연희관(사회과학대) 401호에서 이 강의실을 국회 회의실 분위기로 리모델링해 이만섭 전 국회의장의 모습을 새긴 부조를 설치하고 저서 등을 비치하는‘이만섭홀 헌정식’이열렸다. 정치외교학과졸업생인이전의장의공적을기리고자동문기금등을모아홀을만들었다.

1957년 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졸업1958년 동아일보정치부기자1963년 제6대 민주공화당국회의원1967년 제7대 민주공화당국회의원1979년 제10대 민주공화당국회의원1985년 제12대 국회의원1985년 한국국민당총재1992년 제14대 국회의원1997년 국민신당총재2000년 제16대 국회의원2000년 국회의장

113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 지역전문 지도교수제:모든 학생들이 관심지역(한국,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유럽, 중동/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북한)을 하나씩 정하고 이에 대한 전문지식을 늘릴 수 있도록 지역마다 담당교수가배정되어있다.

● 트랙 지도교수제:학생들의졸업후진로와관련하여학자, 국가공무원(고시), 정치 지도자(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언론방송인, 국제기구, 정치경제, 시민운동 등의 관심분야에대해서담당교수가전문적인지식과네트워크를가지고학생들을지도하고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112

●● 명석 , 01학번

전문적이고실직적인기술들을연마할수있는학과들이폭발적으로늘어나고있는이때, 정치학은뜬구름잡는학문으로보일수도있고, 정치외교학과는취직이잘되지않는과로인식될지도모른다. 그러나2년째정외과에몸을담고있는나로서는이런생각을가지고있는사람들을보면답답하기만하다. 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가단일학교, 학과중외무고시최다합격자를배출했고, 국내뿐아니라국제적으로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교수님들이 계시며, 뛰어난 학생들의 모여 있는곳이기때문만은아니다. 정치외교학이어떤학문인지에대해, 또멋진연정인들의모습에대해1년동안의생활을돌이켜봄으로써소개해보고자한다.우선연정인들은정치외교학과수업들을통해세상을보는눈을뜨게된다. 다양한정외과수업들을통해국내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모습뿐만아니라, 세계가어떻게돌아가고있는지를깊이있게탐구할수있는기회를제공받기때문이다. 그리고정치학이정확한답이있고문제해결방식에정석이있는학문이아니기때문에각상황에대해많은방안들을생각해낼수있고, 그에대해다른판단을내릴수있는능력을기를수있다. 이처럼정치외교학과에서는삶을살아가는지혜와인생의철학을가르쳐주고있다고해도과장된말이아니다.학교내에서정외과만큼결속이강하고다양한행사를하고있는과도드물것이다.우선학기별로열리는신입생환 회와, 1년에한번씩있는“연정수련회”를통해서로에대해알수있게된다. 이때에는어렵게만느껴질수있는교수님들께서도인생의선배이자든든한선배님들이되어주신다. 그리고“무악민국모의국회”는한국정치에대한근심과고민을신랄한비판과풍자를통해보여준다. 또다양한학회와동아리활동을통해대학생활의묘미를즐길수있다.

연정인들은정치외교학과에서배운학문적기반과자신감을가지고사회각계에활발한진출을하여자랑스러운모습들을보여주고있다. 사회과학은모든학문의기본이며교차로인데그중에서정치학이차지하고있는비중은막대하다. 이런학문적기반은그들이무슨일이라도훌륭히해낼수있는능력의원천이되어주며, 자주적이고 당당한 연정인으로서의 삶의 자세는 자신들의 열정과 숨은 재능을 사회곳곳에서마음껏발휘하게끔만들어주고있다. 우리는이렇게자신의인생을만들고있으며, 동시에세계를움직여가고있다. 우리나라가비좁다고생각하는사람과자신의 능력을 확인해 보고 싶은 사람들은 자랑스러운 연정인이 되어라. 그렇다면당신은21세기세계의주인공이될것이다.

Page 6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행정학이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는 1958년에 창설되었다. 이는 한국에서 행정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학부차원에서교육하기시작한효시에해당한다. 그 후 연세대학교장기발전계획에따라 1981년 3월 정법대학에서법학과가법과대학으로분리되면서행정학과는신설된사회과학대학에포함되었으며, 2008년창립 50주년에이르게되었다.행정학과에서 국제화, 개방화, 지방화시대를 대비하여 (1)창의적 기획관리능력, (2)합리적 문제해결능력, (3)따뜻한 인화능력, (4)능동적 변화대응능력, (5)건실한 업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교육목표로하고있으며, 실질적 교육내용에있어서정부기관만이아니라정부투자기관, 금융기관은물론각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각급 조직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교과과정의 핵심으로 하여 교육하고 있다. 또한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재택강의가 가능한 사이버강의의 활성화와 국제화시대에맞추어 어로만진행되는강의의제공으로가장경쟁력있는 인재를만들기위한 교육서비스를제공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행정학 전공은 판단력, 기획력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학생에게 적합하고 정부의 기능과 역할그리고 공공리더십에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국어, 어, 사회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며특히사회현상과정책에대한이해와관심이필요하다.

3. 세부전공및 역

│기획·연구·조사·분석에 관한 연구│기획론 강의를 통하여 장단기 사업계획, 실시계획 및 업무진단과 심사분석 등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교육한다. 조사방법론과 정책평가론 등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연구조사의 설계, 자료수집 및 분석, 그리고결과의해석및적용방법을교육한다.

115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한승수(韓昇洙)│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나 춘천고를 졸업하고 1960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와 국요크대대학원을졸업후 1975년부터 1988년까지서울대경제학과교수로재직했다. 1988년제 13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으로 당선되며 1990년까지 상공부장관을 지냈다. 이후 1993년에는 주미국대사로 발령받았으며, 1994년에는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냈고, 2001년에 외교통상부장관을 엮임하며 2001년 제56차 유엔 총회에서의장을맡았고 2004년 명예 KBE 작위(honorary KBE)을 받았다. 2008년 2월 29일 대한민국의국무총리로임명되었다.

1960년 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졸업1963년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졸업1968년 국요크대학교경제학박사1971∼1988년 서울대학교경제학과교수1987∼1988년 상공부무역위원회초대위원장1988∼1992년 제13대 국회의원2008∼2009년 제39대 대한민국국무총리

│김원기(갏元基)│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1979년 신민당 10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한 후 11대 국회에서 민주한국당 의원으로 재선되었으나, 1985년 12대 총선에서는 3위로 낙선하 다. 이후 김대중이 1987년창당한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13대 총선에서 당선되었고 14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1997년 제15대 대선 직전에 노무현, 김정길 등과 함께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여 1998년에는장관급인 노사정 위원장에 임명되었고,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는 정읍시 후보로 공천되어 당선되었다. 이후 2003년 열린우리당의 창당준비위원장을 맡았고,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당선되어최다선의원이되었다. 17대 국회전반기국회의장을지냈다.

1955년 전라북도전주전주고등학교졸업1960년 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졸업1960년 동아일보기자1979년 제10대 국회의원당선. 2004년 제17대 국회의장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 경제학과

● 사회학과

● 어문학과

114

행정학전공02 사회과학계열

Page 6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인접 사회과학의 교육│경제학(경제원론·한국경제론·경제정책), 법학(헌법·민법·행정법·국제법). 정치학·사회학·심리학 등 인접 사회과학을 교수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로써 어떠한 상황의 변화에도 적응할수있는기본소양을갖추도록교육한다.

4. 교과과정117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인사 및 조직 연구│인사제도·인사관리·교육훈련·보수체계·노사관리·복지후생 등에 관한 지식을 교육한다. 조직의편성과 운 ·조직진단·조직발전·관리전략·동기부여 및 리더십 등에 대한 이론 탐구와 실무훈련을 시킨다.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인사 및 조직이론을 개발하여, 조직 내 상하관계와 동료관계에 있어따뜻한인간관계를특별히강조하는교육을시킨다.

│재정분석│예산제도·예산의 편성과 운 ?결산 및 회계검사 등에 관한 제반이론과 실무기법과 재원조달 및 배분·재정상황및추세분석등을교육한다.

│정책결정 및 정책분석│정책분석과 평가의 방법에 대한 이론과 사례를 교육한다. 정책결정 및 의사결정의 기법과 실제응용과정에대하여교육한다.

│국제화 시대에의 대응│정치경제학·이데올로기·경제사상사·현대사조의 이해 등 기초교육을 바탕으로 국제적 관계를 발전론적인차원에서비교·연구하여우리나라가대응해야할방향을모색한다.

│정보화시대의 대응│컴퓨터 기초지식을 비롯하여 IT, 전자정부 등을 교육하고 조사방법 통계학 등을 통하여 고도의 과학적진단과분석및예측능력을기른다.

│지방화시대에의 대응│지방자치 실시에 대응하여 지방행정·지방자치론·도시행정·지역개발론 등을 교육함으로써 지역실정을이해하고이에대응할수있는창조적능력을갖도록한다.

│사회적 책임성의 강조│행정은 공공성을 전제로 하며, 따라서 공익과 사회적 책임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행정 철학·공직윤리·행정사등을교육한다.

│정부-기업관계의 강조│정부-기업관계론을 통하여 기업의 정부관계, 정부의 기업관계를 교육하고 공기업을 통하여 공공성과더불어 기업성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사회적 책임 하에 기업의 이익을 도모하는 정신과 철학을가르친다.

116

전공기초 행정학개론

공공관리경제학 행정통계학

정책학개론

전공선택 공공관리경제학 정책학개론

인력관리론 주니어세미나

정보체계론 재정학

한국정부론 조직론

행정법(1) 지방행정과공동체

조직과환경

1학년 2학년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전공기초

전공선택 미래준비를위한기획 사람과도시 과학기술정책론 문화정책론

정책분석및평가론 복지정책론 리더십과거버넌스 정부개혁론

정부규제론 행정과정론 정부회계학 세계거버넌스와국제행정

행정법(2) 국제통상정책의이론과실제

행정학 어특강(2) 정부와재정

공공관리이론과사례

1학년 2학년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Page 6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기업·금융계│많은 수의 졸업생들이 현대, 삼성, LG, 대우, SK, 한일은행, 장기신용은행 등 국내 굴지의 기업 및금융계는 물론 세계 유수 기업들에 진출하여 국가발전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한국통신, 한국전력, 포항제철, 한국은행, 한국수출보험공사등국가의근본을이루는산업의현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중소기업은행장, 경총회장(동양화학제척사장), 벽산그룹 부회장 등이행정학과동문이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119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행정학과 학생회에서는 3월 신입생 환 행사와 5월 대동제를 지원하고, 행정학과의 자랑인「모의국무회의」를 비롯하여, 여름 농촌활동과 MT를 시행하는 등 각종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행정학과의주요 3개 학회에는 역사학회(PROS), 철학학회, 문예학회가 있으며, 통일에 대하여 함께 고민하는‘서릿발’과행정학과의신문(뉴스레터)을 만드는편집부가있다.

6. 졸업후의진로

행정학과에서는 세계화·정보화·지방화 그리고 민주화라는 시대적 변화의 추세를 능동적으로 감지·수용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조직전반에 대한 이해력을 토대로 각종 업무들을 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교육훈련을 시키고 있다. 현재까지의 졸업생들이 진출한 대표적인 분야를 보면, 금융 및 대기업 분야가 가장 많은 가운데, 정부 각 부처, 언론, 한계 등 다양하게 분포되어있다.

│관계│행정고시를 비롯한 각종 국가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국가와 국민에 봉사하는 길을 택한 졸업생들은현재 300여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외 100명의 동문이 공직자로 재직하고 있다. 이들은 차관을 비롯하여관리관, 이사관, 부이사관, 서기관, 사무관, 판사, 검사 등으로행정부, 입법부및사법부의각요직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무조정실장, 중앙공무원 교육원장, 서울 강남 구청장, 전 건교부 장관, 산업자원부차관, 국세청장, 조달청장, 행정자치부장관등이모두행정학과동문이다.

│학계│학문의 길을 선택하여 본교 행정학과를 비롯한 국내외 많은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재직하고 있는 졸업생들은 170여명이며, 전국 각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는 100여명에 달한다. 학계에 종사하는졸업생들은 좀 더 종합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연구활동을 하고자 1989년‘연세행정연구회’라는 학술단체를설립하여한국국정관리학회로확대·개편하여현재에이르고있다.

│언론계│최근에 언론계로 진출하는 졸업생들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행정학은 학제 간 연구를 중요시하는바, 언론계에서도 많은 행정학과 졸업생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행정학과 동문들이조선일보 광고국장(이사), 정치부장, 전 (주)MBC사장, 스포츠조선편집국장, 문화방송 심의국장, KBS파리지국장, 서울방송보도제작국부장, 대구매일신문총무국장등을맡고있거나역임한바있다.

118

●● 안현선, 00학번

행정학과라고하면대부분행정고시를떠올리게됩니다. 저도처음에는행정고시를준비하는사람들만이행정학과에가는것이라고생각했습니다. 물론행정학과의수업이행정고시와연관이있는것도사실입니다. 하지만행정학자체의학문적매력도매우큽니다. 행정학은사회과학의한분야로서사회과학제분야의다양한학문적성과를기반으로하고있습니다. 따라서사회과학에관심이많은사람이라면행정학수업을통해특정분야에국한되지않은다양한지식을접할수있습니다. 그리고우리의실생활이행정과유리될수없기때문에행정학수업을통해사회를보는보다깊이있는시각을가질수도있습니다. 더불어서행정학이국가를어떻게경해나가느냐의문제에대한탐구라고할때그스케일또한광대하다고할수있습니다. 또한여러학문의성과를고루접하게된다는점때문에졸업이후취업을생각할때에도선택의폭이넓어집니다. 많은사람들이관심을가지는고시의경우에도단일학과로서는최대의합격자를배출하고있습니다. 장학금수혜율은다른학과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그리고 최초로 학부과정에 행정학이 개설된 연세대학교의 행정학도라는 자부심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행정학과 모임도 활발해지고있습니다. 다양한모임을통해여러교수님들과보다가까운자리에서만날수있고이미사회에진출한선배들께실질적인조언을듣는기회또한얻을수있습니다.

Page 6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0. 기타

│장학제도│대학본부에서배정되는일반장학금은학교방침에의거공정한심사과정을거쳐학업성적이우수하거나(성적우수장학금) 가계사정이 어려워 학비조달이 곤란한 경우(가계곤란장학금)지급된다. 성적우수장학금은 등록금의 1/2액과 1/3액이 지급되며, 가계곤란장학금은 전액과 1/2액, 1/3액이 지급된다.이외행정학과는 2010년 현재총 6억 4천만원에이르는자체장학기금을보유하고있다.

ⓛ 행정학과특별장학금 : 2억 3천만원의 기금 이자 수익을 바탕으로 운 되며, 성적우수생과 가계곤란학생에게지급된다.

② 행정학과동문장학금: 그동안 행정학과를 위해 동문 및 외부단체에서 개별적으로 희사한 장학금과재상봉행사에 참가한 동문들이 매년 1,000만원씩 희사한 기금 2010년 현재 1억 9천만 원)의 기금에의해운 되며, 성적우수생과가계곤란자그리고학과발전에기여한학생에게지급된다.

③ 김성찬 장학금: 故 김성찬 동문(64학번)의 유지를 받들어 유족들이 모교 행정학과에 희사한 1억원의 기금으로 출발하여 현재 1억 7천만 원의 장학기금으로 성장, 최우수 성적 혹은 학과의 명예를드높인학생에게지급된다.

④ 행정학과 총동창회 장학금: 2004년 행정학과총동창회(회장 박부일, 62학번)가 2004년 조성한2,300만원의 기금으로 출발하 다. 현재 지속적으로 모금활동 중이며, 성적우수생과 가계곤란자그리고학과발전에기여한학생에게지급된다.

⑤ 기타 4,400만원에 달하는 장학기금(삼호, 안용식, 오림) 의 운용수익은 성적우수자와 가계곤란자에게지급된다.

│국가고시 후원제도│①행정학과화백실 : 화백실은 1958년 정법대학행정학과가창설된후, 1962년에 현재 법과대학건물인 광복관 3층에 설치되어 운 되어 오다가 1984년 사회과학 대학이 연희관으로 이전하면서빌링슬리관 3층에 자리하게 되었다. 현재 40명의 행정학과 학생들이 국가고시 합격을 위해 매진하고있다.

② 국가고시 기숙사 : 1998년 2학기부터 고시준비생들을 위한 기숙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행정학과를 포함하여 국가고시 준비생이 많은 사회과학대에는 남자 46명, 여자 12명이 배정되어, 좋은 환경에서각종국가고시를준비할수있는기회가열려있다.

121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엄종식(77학번) 현통일부차관

● 문정호(75학번) 현환경부차관

● 김봉경(74학번) 현대.기아차부사장

● 김상진(88학번) 외교부(리비아) 1등 서기관

● 이수 (60학번) 동양제철화학(주) 회장● 김동열(61학번) 아세아시멘트전고문

● 최정훈(63학번) 前교보생명사장

● 원건수(64학번) 前제일화재대표

● 이 복(64학번) 우리 농조합법인대표이사

● 이홍석(67학번) 前문화관광부차관보

● 이춘식(69학번) 국회의원● 조 택(69학번) 국회의원● 이재균(73학번) 해외건설협회회장

● 이재웅(73학번)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 김 희(79학번) 헌법재판소법원서기관

● 김성일(81학번) (주)CJ홈쇼핑상무

● 김상학(85학번) 행정자치부의정관실

● 김순식(88학번) 감사원연구실실장

● 이준재(88학번) 감사원감사과장

● 홍성모(89학번) 감사원감사관

● 최현준(93학번) 감사원감사관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 경제학

● 사회학

● 정책학

● 외교학

● 국제관계학

120

Page 6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3. 세부전공및 역

4. 교과과정

123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1. 사회복지학이란?

사회복지학과는 현대사회가 직면하는 각종 사회문제를 이해·분석하고, 새로운 사회문제들을 예측하며, 이들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응책을 모색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전문인력을양성하는데그목적을둔다.실업·빈곤·사회보험·장애인복지·노인복지·아동 및 청소년복지·가족복지·산업복지·정신건강·의료사회사업·사회복지행정·사회복지정책등이 사회복지학에서다루는 분야에 포함되며, 본 학과에서는 이러한 분야들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와 분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안녕을증진할수있는방법모색을위해매진하고있다.사회전반의다원화경향과더불어사회복지학과에서교육을받은인재들의활동 역은전통적인사회복지기관을 주축으로 대학, 연구소, 정부기관 및 비 리조직, 국제기구, 언론기관, 일반기업 등으로 비교적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역이 폭넓다는 사실과 사회복지와 관련된문제들이거의모든분야에실질적으로연관성을갖기때문일것이다. 더하여서, 사회복지학과에서는 사회의 제반현상에 대해 분석적인 시각을 갖추고 이해력을 강화하는 것을 강조하고, 인류애에 근거한 헌신을 강조하는 정서가 다양한 분야에서 수용되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언론매체에서 사회현상및 문제와 관련된주제를다루는비중이적지 않다는사실과공공부문에서도사회복지와관련된기능을수행하는 역의비중이적지않다는사실은쉬운예가된다. 또한 세계화와더불어국제적인 사회문제(빈곤, 의료, 인권보호 등)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비 리국제기구의 역할과 비중이증가하면서, 사회복지학의배경을갖춘전문가들의진출이두드러지는것도좋은예가될것이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사회복지학 전공은 남을 돕는 일에 전문가가 되기 위한 학생에게 적합하고 사람과 세상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특히 따뜻한 마음과 더불어 비판적 사고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어, 도덕, 사회의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122

사회복지학전공03 사회과학계열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학과 교과과정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전공탐색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과학과 사회복지사회문제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제론,한국복지론, 빈곤론, 비교사회복지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정책평가,프로그램개발과 평가, 비 리조직 관리와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아동복지론, 청소년복지론,가족복지론, 노인복지론, 학교사회사업론, 산업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사회보장론,자원봉사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사회복지조사론

전공기초

행정 역

실천 역

정책 역

심화 역

•가족복지•아동 및 청소년복지•노인복지•장애인복지•산업복지•학교 및 의료사회복지

•정책의 개념과 목표•정책의 가치와 이론•사회복지 정책의 대상•사회보험 및 사회서비스•정책대안의 가능성 조망

•조직의 기획과 의사결정•리더쉽 및 조직관리이론•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사회복지조직과 환경•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행정

Page 6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사회복지학과 졸업생들의 사회진출 현황을 보면 사회복지계, 언론 및 방송계, 금융계, 기업체 등 다양하다. 특히 사회복지전공 관련 진출현황을 보면 대학원이나 연구원 혹은 대학교원으로 진출하는 학계와사회복지기관이나사회복지전문요원등으로진출하는사회복지현장으로분류된다.가장많은학생들이지원하는졸업후의진로는사회복지학을계속공부하는것이다.학부를 마치고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사회복지 관련 연구기관으로 진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현실에맞는 제도와 전문적 기술 개발을 위해 일하게 된다. 또한 사회복지전문요원이나 행정고시의 사회복지계열로진출함으로써공적인사회복지전달체계내에종사하기도한다.사회복지와 관련된 현장으로는 노인, 장애인, 가족, 산업, 아동 분야 등에서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와우리사회가 갖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현장에 종사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을 이해하고, 돕는 일을할수도있다.최근에는 병원의 사회사업과로 진출하여 정신과의사, 임상심리사 등과 팀을 이루어 활동하기도 한다.또한기업의사회공헌팀이나 NGO 등에서도사회복지전공자의진출현황이두드러지고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125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사회복지학과에는총 4개의학회가있는데그주요활동사항은다음과같다.

● 산사람사회적 약자를 향한 도덕적 당위나 자본주의에 대한 사회의 주류적인 분위기로부터 자유로운 공부를추구하는 모임으로 나름대로의 가치관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능력을 가지기 위해 1990년 만든 학회이다.

● 담쟁사회복지에 대한 정의를 만들어가기 위해 사회복지정책과 행정, 실천의 조화를 위해 2000년 순수사회복지학회를지향하며만든학회이다.

● 파랑새학생들의 사회복지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다양한 분야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을방문하고 각 분과별로집중적인학습을하기위해 2002년에만든학회이다.

● Barrier-free다양한 학문과의 접근을 시도하여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적, 심리적, 제도적 장벽을 허물기 위한 방안을모색하기위해 2003년에만든학회이다.

6. 졸업후의진로

124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전공에잘맞는적성이라어떻게답변을드려야할지... 사람에대해깊게생각해보는습관을가지는것이중요하다고생각해요. 사회복지과목을수강하게되면한번쯤은들어보았을말이라고생각하는데요. 냉철한판단력과따뜻한가슴, 그리고실천력이상세가지의중요성을늘잊지않는다면훌륭한사회복지인이되리라생각해요.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늘실천과연결할수있는방법을생각해보셨으면합니다. 책에있는지식은실제로제때이용하기어렵거든요. 항상고민하고경험해보기위해노력한다면전공공부도잘할수있을거라생각합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늘다양한것을생각하는학문이다.

Page 6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 경제학● 경 학● 심리학● 사회학● 행정학● 법학

10. 기타

│장학제도│교내장학금외에학과동문장학금, 기업이나학술재단으로부터지급되는외부장학금등이있으며, 매년 70% 정도의재학생들이수혜를받고있다.

│연구소와 복지관 운 │다양한 사회복지분야에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매달 월례학술세미나를개최하여 국내 사회복지연구 활동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우리 학교는 가양4 종합사회복지관을 서울시로부터위탁 운 하는데 이에 대한 운 총책임을 사회복지학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덕분에 사회복지실천을위해 공부한 이론들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실천의 장은 물론 학부생들이 사회복지 현장을 이해할 수있는교육의장이되고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① 복지에 대한 욕구 증가와 사회 전반의 사회복지 관심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학과의 급격한 양적팽창에대해사회복지의질을높이기위한방법으로 2003년 도입된 사회복지사자격증제도는사회복지사와사회복지서비스의전문성에이바지하고있다.

② 사회복지사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필수 10과목과 선택 4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학부 기준).필수과목과선택과목은다음과같다.

127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강일신 서울복지재단심사평가부장

● 권 찬 (주)마이크로소프트법무정책실이사

● 김은미 CEO Suite 최고경 자

● 남경필 국회의원

● 윤인구 KBS 아나운서

● 이명신 월드비전해외사업본부장

126

●● 졸업생 선배

▶어떤일을하시나요?

지금연세대학교가양4종합사회복지관에서사회복지사로일하고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7년째일하고있습니다. 지금까지후원, 홍보, 자원봉사, 재가복지업무를경험하고현재는가족복지업무를담당하고있습니다. 구체적으로아동복지를중점사업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한부모가정 및 장애인가정 아동에 대한 집중 프로그램을운 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무엇보다사회복지에대한개인적비젼을가지고일을해야한다고생각합니다.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다양한대상자를만나고다양한업무를해야하기때문에자신만의목적과목표를가지고있지않으면그저당시의상황과프로그램을해내기만할뿐, 자신이가진능력과관심분야에대한발전을할수있는기회를놓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사회복지기관은 행정업무 중심이 아닌, 대상자중심의 조직이기때문에원만한대인관계를 위하고적극적인자세가다른조직에비해무척중요하다고생각합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사회복지사로써지역사회복지관에서하는업무는모두경험을하 고현재연세대학교사회복지전문대학원에재학중이기때문에, 공부를하면서지금까지의경험을바탕으로어떠한분야가가장자질에맞고비전에맞는지발견하고발견한세부분야에대한공부와실무를집중적으로하고자합니다. 또한늘노력하는사회복지인으로살고자하는소망이있습니다.

필수과목

선택과목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아동복지론, 청소년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여성복지론, 가족복지론, 산업복지론,

의료사회사업론, 학교사회사업론, 정신건강론, 교정복지론, 사회보장론, 사회문제론, 자원

봉사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사회복지지도감독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Page 6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항상열려있고문제해결을추구하는방향에서진행된다는것입니다. 셋째, 학우들이상호지지적이어서 학우와의 교류를 통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고 스스로를 성찰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것입니다. 넷째, 대학원과의연계가원활하여사회복지학과학생들은사회복지대학원의대학원학우들과도 학문적인 관계 및 선후배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사회를 사랑하고 인간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가 사랑할 수 있어야 하기에 사회복지학과는항상 진실되고 가족같은 인간관계를 지향하며 서로 사랑하는 구성원으로 존재합니다. 학문적 깊이역시이러한인간사랑을토대로만더큰의미를가질수있기에사회복지학과학회“파랑새”역시그러한전통을따라갑니다.

사랑으로 함께하는 연세사회복지라는 공동체 의식 속에서 연세 사회복지인으로서 함께 성장과 발전을이뤄나갈수있게되길기대합니다.

여러분과 앞으로 함께할 사회복지학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학과 홈페이지 http://www.yonsei.ac.kr/~welfare/ 또는 사회복지학과 싸이월드 클럽 http://yswelfare.cyworld.com으로와주세요.

129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③ 사회복지 시험은 1년에 1회 실시하며 총 3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역별과락 40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소개 │연세대학교사회복지학과는 2010년도부터 학부제에서학과제로변환되면서학과에소속되는신입생을 새롭게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복지학에 소속된 사회복지인이 증가하게 되어 전반적으로는 연세 사회복지인의 규모가 더 커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습니다. 사회복지학을 접할 수 있는학우들이 더 많아져서 다양한 학문적 활동을 함께 전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은 참으로 반가운일이라할수있습니다.

사회복지학이라는 전공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보통 사회복지라고 하면 봉사활동이라든지남에게 봉사하는 서비스 등을 떠올리면서 사회복지학에대한 이해를 매우 제한적으로 하시는 이들이있습니다. 사회복지학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 제도와 원조직업을 총괄하는 사회현상에 관한 학문입니다. 즉 자선, 상호부조, 공적부조, 사회보험, 사회서비스 등과 같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social institutions)에 대한 학문이며 동시에 이러한 제도들을 이용하여 인간의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원조직업(helping profession)에 대한 학문입니다. 이렇게 인간의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두는 사회복지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정치학, 행정학,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등의 학문들과 폭넓게 교류하는 학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사회복지학에 관심을 두는 학우들은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사회적 제도에 대해 관심을 두고 제도의 발전을 연구하는 방향으로 스스로를 개발시킬 수도 있고, 원조전문직업에 관심을 두고 이러한 직업을 선택해서 실제의 사회문제현장에서 인간의 문제해결에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갖고 참여하는 방향으로 스스로를 개발시킬수도있습니다. 사회복지학은 이와 같이 폭넓은 학문적 역을 기반으로 하면서 다양한 인간의 문제를 대상으로하기 때문에 전공 졸업생들의 진로는 다양합니다. 기본적인 방향은 지식의 개발과 교육에 집중하는 학자의 길, 국가정책을 연구하는 연구원의 길, 사회복지정책개발과 집행을 담당하는 공무원의길, 사회복지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공무원의 길, 민간의 역에서 각종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길, 기업에 소속되어 기업의 사회 공헌을 이끄는 길, 공동모금회나재단의 전문인으로 일하는 길, 국내 및 해외 NGOs에서 전문인으로 일하는 길 등 다양한 방향이있습니다.연세사회복지학과의특징은다음과같이매우독특합니다. 첫째, 교수님들과언제어디서나편안하게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교수님들은 여러분의 옆에 항상 서 계십니다. 둘째, 수업은 토론 중심으로

128

Page 6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세부전공 분야│정치사회학, 경제사회학, 사회조직, 사회계층과 불평등, 문화이론, 정보화사회, 대중문화연구, 경제사회학, 발전사회학, 종교사회학, 집합행동과 사회운동, 산업사회학, 역사사회학, 사회심리학, 의료사회학등

4. 교과과정131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1. 사회학이란?

사회학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여러 개인들이 사회라는 집합 속에서 살아가는 방식을 이해하고 보다나은 사회를 위해 다양한 대안을 찾아가는 학문이다. 따라서 사회학은 인문·사회과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학문이며 인접 학문들과 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사회학에서 제시된 여러 이론, 방법론들은다른 인문·사회 과학에 응용될 뿐만 아니라, 이들 학문에서 논의된 여러 주장들은 다시 사회학에서포괄되고있다. 이러한특성으로인해사회학은우리가살고있는사회에대한이론적접근은물론경험적 분석을통해종합적으로사회를이해하고여러 정책을개발한다. 즉, 사회의 여러 역에서일어나고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들의 탐구를 통해서 사회 전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이해와 대안을제시하는것이사회학의학문적목표이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사회학 전공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력을 지닌 학생에게 적합하고 많은 독서와 성찰력이 필요하다. 또한 수학, 어, 사회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인간의다양한사회활동과관계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크게방법론, 이론, 세부 전공의세분야로나뉘어질수있다.

│방법론 분야│설문지 조사나 면접조사와 같이 다양한 사회조사의 기법을 배우고,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수있는방법을학습

│이론 분야│사회의 구성과 변화에 관한 기본이론들을 학습하는 분야. 칼 맑스나 막스베버, 에 뒤르껭 등의 고전사회이론과푸코, 부르디외, 기든스등의현대사회이론포함

130

사회학전공04 사회과학계열

1 1 전기 SOC1002 사회학의이해 3 3(0) 1000 3,4 1 전선 SOC4204 현대사회학이론특강 3 3(0) 40001 전선 SOC1003 사회문제 3 3(0) 1000 전선 SOC4303 일과직업 3 3(0) 4000

2 1,2 전기 SOC2102 사회조사입문 3 3(0) 2000 전선 SOC4501 집합행동과사회운동 3 3(0) 40001 전필 SOC2103 사회통계학 3 3(0) 2000 교직 TTP3809 일반사회교재연구및지도법 2 3(0) 3000

학기 UCA1103 채플(3) 0 1(0) 2 전선 SOC3201 사회학의역사 3 3(0) 30002 학기 UCA1104 채플(4) 0 1(0) 전선 SOC3304 도시공간과사회 3 3(0) 3000

3,4 1,2 전선 SOC4101 사회연구논문 3 3(0) 4000 전선 SOC3310 노동과여가의사회학 3 3(0) 3000전필 SOC4103 사회조사연습 3 3(0) 4000 전선 SOC3312 한국사회론 3 3(0) 3000

1 전선 SOC3202 사회사상 3 3(0) 3000 전선 SOC3313 비교조직연구 3 3(0) 3000전선 SOC3204 사회학이론 3 3(0) 3000 전선 SOC3314 해외지역연구(2) 3 3(0) 3000전선 SOC3302 인구와사회 3 3(0) 3000 전선 SOC3401 사회변동 3 3(0) 3000전선 SOC3305 해외지역연구(1) 3 3(0) 3000 전선 SOC3501 사회정책 3 3(0) 3000전선 SOC3306 사회구조와행위론 3 3(0) 3000 전선 SOC3606 과학기술사회학 3 3(0)전선 SOC3307 조직이론 3 3(0) 3000 전선 SOC3610 대중문화연구 3 3(0) 3000전선 SOC3311 문화와사회 3 3(0) 3000 전선 SOC3611 성과사회 3 3(0) 3000전선 SOC3315 사회학특강(2) 3 3(0) 3000 전선 SOC3614 상과사회 3 3(0) 3000전선 SOC3402 동아시아사회비교 3 3(0) 3000 전선 SOC3701 사회학특강(1) 3 3(0) 3000전선 SOC3404 환경과사회 3 3(0) 3000 전선 SOC3703 북한사회와통일 3 3(0) 3000전선 SOC3503 정치사회학 3 3(0) 3000 전선 SOC4102 종교사회학 3 3(0) 4000전선 SOC3601 사회심리학 3 3(0) 3000 전선 SOC4112 문화연구와문화산업 3 3(0) 4000전선 SOC3603 가족사회학 3 3(0) 3000 전선 SOC4113 시장과사회 3 3(0) 4000전선 SOC3604 지식·정보사회 3 3(0) 3000 전선 SOC4114 사회현장실습(인턴쉽) 3 3(0) 4000전선 SOC3613 예술과사회 3 3(0) 3000 전선 SOC4115 역사사회학 3 3(0) 4000전선 SOC3702 지리 3 3(0) 3000 전선 SOC4116 비교사회학 3 3(0) 4000

전선 SOC3615몸의사회학1:성(sezuality)

3 3(0) 3000전선 SOC4117 현대사회론 3 3(0) 4000

의사회학적구조 전선 SOC4118 사회계층과불평등 3 3(0) 4000전선 SOC4104 시민사회론 3 3(0) 4000 전선 SOC4119 법과사회 3 3(0) 4000전선 SOC4106 현대조직연구 3 3(0) 4000

전선 SOC4120몸의사회학2:건강과

3 3(0) 4000전선 SOC4107 사회문제 3 3(0) 4000 질병의사회학적과정전선 SOC4108 사회과학방법론 3 3(0) 4000 전선 SOC4304 동양사회와사상 3 3(0) 4000전선 SOC4109 경제사회학 3 3(0) 4000 전선 SOC4404 발전사회학 3 3(0) 4000전선 SOC4110 의료사회학 3 3(0) 4000 전선 SOC4305 동아시아의대안적근대성 3 3(0) 4000

전선 SOC4111 문화이론 3 3(0) 4000전선 SOC4503 일탈과통제 3 3(0) 4000전선 SOC4604 지식사회학 3 3(0) 4000

학 학 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 강의 단위 학 학 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 강의 단위년 기 종별 번호 점 실습 구분 년 기 종별 번호 점 실습 구분

Page 6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 이상경(75학번) 현대리서치대표이사

● 봉준호(88학번) 화감독

그외모든졸업동문들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철학, 역사, 문학, 정치, 경제, 문화인류

133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사회학회 (사회학스터디동아리)

● 여자농구팀

6. 졸업후의진로

조직정보사회에서 사회학 지식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고, 따라서 사회학 전공 졸업자들의 진로는더욱다양해지고동시에우리사회의중요한역할을맡아갈것으로예상된다.

1) 졸업 후 진로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학계로의 진출이다. 사회학은 인문학과 사회과학에서 기본 학문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계로 진출하는 경우, 정치학, 경 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행정학등다양한분야를포괄할수있다.

2) 사회로 진출하는 경우, 일반 기업, 관계, 정계, 방송계, 언론계, 문화계, 금융계, 교직, 회계사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언론계, 광고계로의 진출이 눈에 띠기 시작하고, 자유직업을 선호하는경향도강하다.

3) 행정고시에서 사회학 분야가 추가된 이후 관계로의 진출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고, 특히여성동문들의사회진출도각계로넓혀지면서활발해지고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132

●● 한승욱, 01학번

많은 사람들에게 사회학을 한다고 하면, 대부분‘사회학은 무엇을 하는 학문입니까?’라고 되묻는다. 이 질문은 사회학의 광범위함을 단편적으로 보여준다. 심리학에서인간의 심리를 배우고, 경 학에서 경 하는 방법을 배우듯, 사회학에서는 사회를배운다. 정확히사회를구성하는개인들과개인으로구성된사회의관계에대해배운다. 즉, 사회학은우리가살아가는사회안에서발생하는모든일에대해관심을갖는다. 또한 사회학의 짧은 역사는 사회학의 발생 원인과 그 의미에 대해 파악케한다. 사회학의 역사는 불과 200년 남짓한데, 그 시기는 전 세계가 변화의 급류를탄시기와일치한다. 즉, 사회가급변함에따라자연스레인간에게는사회에적응하

기위해그것을변동케하는힘의원천과그변화방향에대한예측이요구됐다. 이에대한간단한예로, C.W Mills의‘사회학적상상력’이란주변에서발생한사건을단순히개인의차원에서파악하는것이아니라, 사회와의관계를통해분석하고그진행방향을예상하는것이다.실질적인예를들어, ‘사회학적상상력’을가진부모는자식이공부를안할경우,자식을탓하기이전에, 공교육의붕괴를인식하고곧사교육이기승을부릴것을미리예측할수있게된다.모든학문이그렇듯이사회학은그나름의객관적인틀을가지고사회를분석하고그안에서활동하는개인들의모습과관계된변화의원인과그방향에대해연구하는 학문이다. 하지만 사회학만의 독특함은 타학문이 특정 분야에 치중하는 것이라면, 사회학은 일정분야에 집중하기보다는 넓은 시각을 갖기 때문에 어느 분야에나적용될수있다.가장빈번한비교가일어나는심리학을예로들어설명하면, 흔히심리학은개인의내부모습에관심을가지고, 사회학은개인외부에주목한다고대부분인식하고있다. 하지만, 시각을살짝돌려보면, 외부를향한객관적틀을자기자신에게맞추어봄으로써스스로를판단할기제를가진다. 즉, 그자체로서도의미를가지고사회에존재하는모든분야와연계되어의미를확충하는학문이사회학이다.

Page 7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중점 교육 분야│지역연구중심으로부터전지구화적개념으로전환하여, 6개의집중연구 역설정

● 아시아의 근대성과 문화연구- 아시아지역의근대성(Asian Modernities)을 인류학적관점에서비교연구한다. - 서구 중심의 시선에서 벗어나 내부의 시선으로 아시아 지역 내 근대성의 다양함과 상호 연관성을이해하도록한다.

- 개설과목 : 지역연구, 로벌이슈와인류학적전망, 동아시아지역연구등

● 이주 및 문화다양성 연구- 이주및이민, 유학을통한전지구적이동과한국사회의변화를연구한다.- Diversities in Us : 단일민족의 국민국가적 관점으로부터 다문화적 로벌 관점으로 한국 사회의다양성과이질성을이해한다.

- 개설과목 : 로벌라이제이션과이주, 민족과종족, 현대사회의정체성등

● 젠더 연구(Gender Studies)- 성 역할이분법에근거한근대산업사회의해체과정에서일어난다양한사회적현상을연구한다. - 성 평등적인미래사회를주도하는성찰적이고창의적인사회적아젠다를마련한다.- 개설과목: 가족과문화, 성과문화, 몸의인류학등

● 대중문화연구- 일상적인문화를형성하는대중매체의생산, 소비, 수용과정을분석한다.- ‘한류’를 비롯한 초국가적(transnational) 대중 문화가 제공하는 문화적 상상력을 해석하고 이해한다.

- 개설과목 : 대중문화와문화산업, 상인류학, 문화기획실습(인턴십) 등

● 문화생태연구- 인류의지속가능한생존을위한문화생태연구- 개설과목 : 환경과문화등

● 창의적 응용성 교육- 정책, 경 , 복지, 언론, 문화 인프라, 환경, 국제 이해등의전 역에서의문화전문가배출- 개설과목 : 네트워크사회의문화기획, 문화갈등과 로벌가바넌스등

135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1. 문화인류학이란?

문화인류학은 문화적 감수성과 소통 능력을 기반으로 인류 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을 이해하고 이론화시키는 학문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아우르는 포괄적이고 학제적인 성격의 학문이다. 전통적인문화인류학은 서구 학자들이 급격히 사라져가는 비서구 사회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기록, 파악하려는시도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로벌라이제이션이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문화인류학의 연구 역은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신기술의 발달과 로벌라이제이션이라는 사회 문화적 환경의 변화는 국가 간의경계를 넘나드는 복잡한 문화 현상을 생산해내며, 사람들의 일상적 삶의 형태를 급진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는 단일 지역 문화 연구에서 벗어나 지역, 국가, 초국가를 아우르는 시공간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새로운 문화를 기획하는문화 전문가들을 길러낸다. 학생들은 국내외의 다양한 현지 조사의 경험과 인턴십을 바탕으로 문화해석 및 기획자로서 훈련을 받게 된다. 서구에서 인류학이 자리를 잡은 시대가 국민국가적 산업사회던 데 반해,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는 로벌리제이션과 정보네트워크 사회로 진입한 21세기에

‘비서구/한국/아시아’지역에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기존의 서구 중심적 이론과 방법론을 크게 수정보완함으로세계적학문발전에기여하게될것이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문화인류학은호기심이많고끊임없이질문을많이 하는학생에게적합한전공으로인간에대한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어, 사회·국사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될것이며특히관찰력과자기성찰이필요하다.

3. 세부전공및 역

│기본 역│문화인류학의기초방법론의심화및체계화

134

문화인류학전공05 사회과학계열

Page 7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졸업후의진로

문화인류학과를졸업한사람들은주로기업, 언론, 학계, 국내 및국제 NGO 등에서활발한활동을벌이거나 화감독이나 작가처럼‘문화 생산물’을 만들어내는 일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문화의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적 감수성과 방법론을 훈련한 문화 인류학자들은 지역 전문가, 문화 기획자, 문화생산자등‘문화적관점’을요구하는전분야에서가장요구되는인재이다. 이들은문화가고부가가치의 상품이 되는 현 시대에 다양한 문화 생산 역에서 창의성과 민주성을 발휘할 문화 생산자가 될것으로기대된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상식과틀에얽매이지않고자유롭게사고하는통찰력있는사람이되고싶다면!

8. 자랑스러운동문

2008년 개과한학과라아직졸업생이없습니다만, 우리는서로를자랑스럽게여기고있다.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문화인류학은 간학문적 접근이 활발합니다. 심리인류학, 경제인류학, 관광인류학, 생태인류학, 상인류학등다양한전공과함께새로운가능성을열어가고있다.

137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4. 교과과정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학회(스리슬쩍)인류학관련도서읽기및토론모임

● 공연 감상 소모임정기적으로공연이나전시회를보러다니는모임

● 막 쓰기 소모임온라인상에서자신에대한 을정기적으로써보는모임

136

2 1,2 전필 ANT2101 문화기술자 3 3(0) 2000 3 1 전선 ANT3112 대중문화와문화산업 3 3(0) 30001 전선 ANT2102 한국문화낯설계보기 3 3(0) 2000 2 전선 ANT3113 상인류학 3 3(0) 30001 전선 ANT2103 가족과문화 3 3(0) 2000 2 전선 ANT3114 네트워크사회의문화기획 3 3(0) 3000

1 전선 ANT2104로벌라이제이션과

3 3(0) 20001 전선 ANT3115 인류학특강 3 3(0) 3000

이주 4 1 전선 ANT4101 현지조사실습(2) 3 3(0) 30003 1 전선 ANT3101 문화인류학의역사 3 3(0) 2000 2 전선 ANT4102 지역연구 3 3(0) 3000

1 전선 ANT3102 현지조사방법론 3 3(0) 2000 1 전선 ANT4103 문화와소비 3 3(0) 30002 전선 ANT3103 현지조사실습(1) 3 3(0) 2000 1 전선 ANT4104 문화기술지감독 3 3(0) 30001 전선 ANT3104 성과문화 3 3(0) 2000

1 전선 ANT4105현대사회의돌봄과

3 3(0) 30002 전선 ANT3105 몸의인류학 3 3(0) 2000 친 성의구조1 전선 ANT3106 민족과종족 3 3(0) 2000 2 전선 ANT4106 문화기획실습(인턴십) 3 3(0) 30002 전선 ANT3107 현대사회의정체성 3 3(0) 2000 1 전선 ANT4107 로벌이슈와인류학적전망 3 3(0) 30002 전선 ANT3108 동아시아지역연구 3 3(0) 2000

2 전선 ANT4108문화갈등과 로벌

3 3(0) 30001 전선 ANT3109 종교와문화 3 3(0) 2000 커버넌스1 전선 ANT3110 환경과문화 3 3(0) 2000 2 전선 ANT4109 문화비평적 쓰기 3 3(0) 30002 전선 ANT3111 역사인류학 3 3(0) 2000 2 전선 ANT4201 졸업논문 3 3(0) 3000

학 학 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 강의 단위 학 학 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 강의 단위년 기 종별 번호 점 실습 구분 년 기 종별 번호 점 실습 구분

Page 7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3. 교과과정

우리학부의교과과정은처음에는‘커뮤니케이션론분야’중심으로구성되었다. 그 후‘방송제작’분야와‘뉴미디어’분야, ‘출판’분야 등이 추가되어 이론과 함께 실제를 겸비하도록 발전해왔다. 학과창립10주년에 즈음한 1981년 11월 당시 학과장 박흥수 교수는 교과과정을 이론 분야에 중심을 두고, 실습과정은언론기관연수를통해보충한다는내용의학과발전방안을제시하 다.1980년대 후반부터는 그동안 쌓아온 커뮤니케이션 지식을 사회적으로 응용해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교과과정에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실무에 적용하고 실습교재를 확충하고 실습과목을 늘리게되었다. 또한 정보사회의 도래와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방송과 뉴미디어 중심의 교과과목, 실습 중심의 광고홍보 분야,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전통 등도 교과과정에 새롭게 추가되었다. 특히1990년대중반부터교과과목중실무중심과목이증가하면서, 언론 관련분야에진출하는데필요한전문지식을기르도록하고있다.최근에는 비쥬얼 커뮤이케이션이나 미디어 아트와 같은 상분야를 보강하 을 뿐만 아니라, 한국게임산업진흥원과미국카네기멜론대대학원과연계한게임관련학사석사통합과정도추진하는등새로운변화를지속적으로모색하고있다.

139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1. 언론홍보 상학이란?

우리 학부는 인간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할 목적으로 1972년 정법대학에 신문방송학과라는 명칭으로 창설되었다. 1980년 12월 법과대학이 독립함에 따라 사회과학대학으로 소속대학의 명칭이 바뀌었다. 1976년에 신문방송학과 석사과정이 개설되었으며, 1979년에 박사과정을 개설하면서 학문의 장으로 기본 틀을 마련하 다. 2006년에는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와 연구 분야의확장을 반 하기 위해 학과명을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홍보 상학부로 개정, 승격시켰고, 대학원 과정은일반대학원과 상대학원(전문대학원)을 통합한커뮤니케이션대학원으로확대발전시켰다.

우리학부의교육목표는다음과같다.

1) 매스커뮤니케이션현상을과학적으로연구할수있는이론과방법론, 실제를배우도록한다.

2) 전통매체 뿐아니라인터넷, 모바일 등 뉴미디어에대한이해와그에따르는사회적 향을이론적으로분석하고해당분야에필요한전문적지식과자질을기르도록한다.

3) 언론인으로필요한윤리의식및합리적인비판의식을고취하도록한다.

4) 사회의지도자로서봉사할수있는참된교양교육을실시한다.

5) 건전한시민의식을가진인격체로서성장할수있는참지식과지혜, 인간됨을기르도록한다.

2. 세부전공및 역

138

언론홍보 상학부06 사회과학계열

•신문(Press : Print Media) •인터넷/게임/모바일(Internet/Game/Mobile)

•방송(Broadcasting Media) • 상매체(Visual Communication : Flim Graphic)

•광고홍보(Advertising PR) •뉴미디어 정보통신

•정치 커뮤니케이션 (New Media Telecommunicaation)

(Political Communication) •스피치(Speech Communication)

전공 언론학탐색 개론전공 현대화법 언론학연구 미디어와기초 방법론 여론

광고론 뉴미디어론 국제 고급방송제작 디지털광고실습 광고/{R조사론방송의이해 대중문화론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와 디지털방송론 디지털민주주의신문취재보도 상제작실습 로벌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문화산업기획 사이버언론사특강 상제작이론 미디어비평론 미디어법제론 방송산업론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론 사회통계실습 미디어윤리 미디어와 방송편성론 화론여론과선전 방송보도실습 사회변동 비교 PR 기획실습정보사회론 비ㅍ판커뮤니케이션 보도사진론 커뮤니케이션 게임기획실습

신문제작실습 설득 텔레 카메팅커뮤니전 온라인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케이션캠페인

조직 신문제작실습 매체기획론공 커뮤니케이션 언론통제론 게임의이해

미디어심리학 비쥬얼선 문화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상 어기사작성택 정치

커뮤니케이션PR론

탐사보도저널리즘실습미디어, 예술&사회인터랙티브스토리텔링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Page 7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선배의한마디

141

클릭전공─사회과학계열

4. 졸업후의진로

언론홍보 상학부를 졸업한 후에는 신문사, 방송사와 같은 언론사에서 기자, 아나운서, PD 등 언론인으로서 활동하거나, 광고회사에 입사하거나, 일반기업체의 홍보실에서 일하게 된다. 또한 대학원에 진학해 연구자로서의길을걷기도한다. 최근의 급속한 매체환경변화는기존의분야 외에도인터넷, 게임, 상산업분야등, 졸업 후진출이더욱다양해졌으며, 방송통신융합등과관련한 IT산업 정책수립이나연구분야에도진출이활발해지고있다.

│진로변화추세│본격적으로 졸업생을 배출하기 시작한 것은 1979년 27명의 학생들이 사회로 진출 하면서부터이다.1970년대 말에는 사회적으로 언론기관에 대한 선호도가 그리 높지 않았기 때문에 언론계에 진출한졸업생들의 비율이 높지 않았으며, 일반기업 취직이 주종을 이루면서 100%의 취업률을 보 다. 외국유학을 결심하는 동문들이 많아진 것이 당시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1회 졸업생을 비롯하여 매년3~4명의 동문이 유학을 떠났고, 최근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하여 본교를 비롯하여, 타 대학이나 연구소 등 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1980년대에 언론계 입사시험을 언론고시로 비유할정도로언론계진출에대한사회일반의선호도가매우높아졌다. 우리 학과는그동안최단시일내에최다 졸업생을 언론계로 배출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졸업생의 수가 매년 60~79명에 이르게 되자 우리 학과의 졸업생은 더욱 본격적으로 신문과 방송, 광고, 기업홍보 분야 등으로 진출하고있다.1990년대에 언론과 관련된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신문방송학과의 위상이 높아지고 이와 더불어 동문들이 언론관련 직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대학원과 언론홍보대학원을 통한 학계로의 진출도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다. 90년대 중반이후 시작하여 2000년대에 점차 가속화되는 근본적인 사회구조의 변화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언론홍보상학부졸업생들에대한수요는기존매체는물론뉴미디어관련분야까지확장일로에있다.

│분야별 진출│졸업생들 중 많은 수가 종합일간지, 전문지, 방송사, 방송프로덕션, 광고회서, 출판사, 기업체 홍보,사보담당, 정부기관 공보담당, 프리랜서 분야 등 전공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최근에는 케이블이나 인터넷과 같은 뉴미디어와 IT 산업 진출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외에 신문방송학을비롯한학계, 일반기업, 공무원, 개인사업등의 역에서활동하고있는동문들도상당수에이른다.

140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세상에모든것에대한관심과사랑이야말로신문방송학을공부하는데가장중요한것이라고생각합니다. 어릴때부터책이나미디어를통해많은것들을보고듣고, 또여행이나 봉사활동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몸으로 부딪히면서 세상을 알아가고 또그세상속의사람들을알아가는것이즐거웠던사람들이라면더할나위없겠죠.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한가요?우선남들보다훨씬더부지런해야할것같습니다. 전공과관련된분야는모든인문, 사회과학이라고 할 정도로 다른 학문으로부터 많은 것들을 차용해오기도 하고공유하기도하고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기본적인인문, 사회과학적소양을쌓는것이중요할것입니다. 그리고이는스스로해야하는것이기때문에부지런함이요구되는것이죠. 그리고다른사람들을배려하고맡은바에책임을질줄알아야겠습니다. 아무래도 팀 프로젝트가 다른 어떤 과보다 많기 때문에 조원들 간의 화합과서로에대한배려가중요하죠.남들보다한발더뛰어다니고내것이소중한만큼다른사람의것도소중하다는인식을가지는것, 말처럼쉬운것이아니니까평소부터준비를해야겠죠.

▶전공에대한20자평세상과세상속사람들을향한프로포즈! 신문방송학!

●● 졸업생 선배(박창훈, 97학번, MBC 편성국 PD)

▶어떤일을하시나요?방송의꽃인편성일을하고있습니다. 흔히편성이라고하면봄/가을개편때프로그램배열을하거나시간대조정을하는것으로생각을하는데이는좁은개념의편성의의미일뿐사실편성은프로그램의기획/제작/구매는물론유통에이르기까지전반적인부분의일을담당하고있는매력있는일입니다. 저는그중에서여러분들이잘아시는좁은개념의편성일을하고있구요.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필요한자질은통찰력과남들보다조금은뛰어난분석력정도면될것같습니다. 여러분들이흔히아는다른피디들의생활과는달리업무가과다하게많지도않을뿐

Page 7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자랑스러운동문

142

더러높은창의력이요구되지도않습니다. 그러나추가비용없이프로그램의시간대배열만으로최대의효과를거두는것이목표인만큼타사의프로그램편성전략분석을통해대응전략을세우는것이주된일이기때문에통찰력과분석력이요구된다고할수있습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결혼해야죠.̂ ̂앞으로다매체다채널시대가되면서방송사의핵심은기획과편성에집중될것입니다. 저에게는기회라고할수있죠. 조금더배우고공부해서여러채널들을 위해 편성을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편성전문 outsourcing회사를 차리는것이단기적인계획입니다.

김기서(2기) 연합뉴스 사장, 강만생(2기) 한라일보 사장,신문사 홍은희(3기) 중앙일보 논설위원, 현 명지대 교수,

(통신사포함) 이병종(4기) Newsweek 특파원, 조명식(5기) 디지털타임즈 사장,오명철(7기) 동아일보 편집부국장 등 100여 명

PD 이관희(4기) 이관희프로덕션 사장, 이창순(6기) MBC PD:<신데렐라>, <애인> 등 연출그 외 90여 명

방송사 기자 한수진(17기) SBS 앵커우먼, 이언주 MBC 등 30여 명

아나 이윤철(1기) MBC 아나운서국 국장, 정혜정(13기) 전 MBC 앵커우먼, 신방과 박사과정,운서 정용실(16기) KBS 선임아나운서, 최승현(22기) KBS

유재홍(1기) MBC 애드컴 대표, 홍우식(1기) 서울광고기획 대표,

광고홍보김종립(4기), HS Ad(전 LGAd) 부사장, 임 석(9기) 대흥기획 이사,한기훈(8기) Lee&DDB 부사장, 이승희(13기) 커뮤니케이션워스 대표,정현순(15기) 시너지 힐앤놀턴 대표, 그 외 다수

IT 안화균(10기) SK텔레콤 인터넷전략본부 상무 외 다수

외교관, 관료 한상만(4기) 외교통상부, 김흥수(10기) 통상투자진읗과, 백범흠(19기) 외교통상부 북핵외교기획당 등 소수

외국대학김광호(11기) 일본 게이오대, 황성빈(15기) 일본 릿교대,김용천(16기) 미국 아이오와대, 백혜진(13기) 미국 조지아대,

교수여은호 미 텍사스대, 박남기 미 오클라호마대, 우지숙(14기) 서울대

기타민인기(10기) 화감독 겸 학교법인 휘문의숙재 이사장이 외에도 다수의 동문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맹활약 중

분 야 졸업 동문 일례

Page 7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이과대학자연과학부수학 전공물리학 전공화학 전공지구시스템과학 전공천문우주학 전공대기과학 전공

이학계열5

Page 7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44

클릭전공─이학계열

3. 세부전공및 역

4. 교과과정

145

1. 수학이란?

수학은자명한명제에서출발한논리적인추론과정을통하여수와 연산, 공간, 함수 등의 수학적 대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수학은 그 자체로서도 흥미로운 학문일 뿐 아니라 여러 자연현상 및 산업문제를 수량화하고 추상화함으로써 과학적 연구의 논리적 기초와 언어를 제공한다. 정부의 고등인력 양성을 위한 두뇌한국 21 (Brain Korea 21) 사업의 수리과학 선도 분야로 선정된 본 수학과는 모든 수학의 기초가 되는 전통적인 순수수학의 제 분야와 아울러 고차원의 수학적 응용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제 응용수학분야를교육하고연구함으로써장래한국 수학계를이끌어갈수 있는 수학자를양성하고21세기지식정보화사회를리드할첨단과학기술창조에공헌하고자한다.우리대학 수학과의 교수진은 현재 24명의 전임교수와 8명의 명예교수, 다수의 계약교수 및 박사후연구원 그리고 강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생은 학사과정 112명(2학년 수학전공자포함), 석사과정 85명, 박사과정 4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2007학년도 1학기 기준) 교수진의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교육과 더불어 학생들의 폭넓은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타 전공과목들 중 일부를 수학전공 과목으로 인정하여 학생들이 현대 정보화 사회가요구하는다양한관점과종합적안목을갖도록적극장려하고있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수학 전공은 집중력과 호기심이 필요하며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이 뛰어난 학생에게 적합하다. 또한 수학, 과학, 어의 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수학전공01 이학계열

Ⅰ. 대수학 가환대수, 표현론, 대수기하학, 호몰로지대수, 결합대수, 정수론

Ⅱ. 기하학/위상수학 호모토피이론, 퍼지수학, 리이만기하학, 엽층이론

Ⅲ. 해석학 적분론, 평미분방정식, 조화해석, 복소함수론

Ⅳ. 확률/통계학 수리통계학, 회귀 및 시계열분석, 확률론, 확률미분방정식

Ⅴ. 응용수학/수리물리 통계역학, 동력학계, 웨이브렛, 상처리, 전파이론, 금융수학, 유체역학

Ⅵ. 이산수학/전산수학 조합론, 수치해석, 암호론, Parallel계산, DNA계산, 컴퓨터논리

전공 역 세부 전공 역

1 1 필교 MAT1001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1) 3 2(2) 20001 1 필교 MAT1016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심화)(1) 3 3(1) 20001 1 필교 PHY1103 일반물리학및실험(1) 3 3(1) 20001 1 필교 CHE1001 일반화학및실험(1) 3 3(1) 20001 1 필교 MAT1002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2) 3 2(2) 20001 1 필교 MAT1017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심화)(2) 3 3(1) 20001 1 필교 PHY1104 일반물리학및실험(2) 3 3(1) 20001 1 필교 CHE1002 일반화학및실험(2) 3 3(1) 2000

2 1 전선 SCI2001 *전자계산(1) 2 2 20002 1 전선 MAT2001 *고등미적분학(1) 3 3(1) 20002 1 전선 MAT3111 *확률론 3 3(1) 30002 1 전선 MAT *상미분방정식 3 3(1) 30002 1 전선 MAT2102 *선형대수(1) 3 3(1) 20002 1 전기 MAT2104 집 합 론 3 3(1) 20002 1 전기 MAT2108 이산수학 3 3(1) 20002 1 전기 MAT2003 주니어세미나 1 1 20002 2 전선 SCI2002 *전자계산(2) 2 2 20002 2 전선 MAT2002 *고등미적분학(2) 3 3(1) 20002 2 전필 MAT3104 해석학(1) 3 3(1) 30002 2 전선 MAT3120 선형대수(2) 3 3(1) 3000

학년 학기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점강의 단위

종별 번호 실습 구분

Page 7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6. 졸업후의진로

현재 세계는 커뮤니케이션(인터넷 및 정보통신), 전산, 금융, 생명과학 등의 획기적 발전이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근본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제2의 산업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 현상은 에너지기반 사회에서 지식정보기반 사회로의 변혁을 유도하고 있는것이다. 그런데 현재 구미 각 국의 많은기술 및 경제보고서는앞으로전개될지식기반사회발전의밑바탕에수학이차지하고있음을지적하고있다. 이와 같은의미에서이미 UNESCO가 21세기가막시작되는서기 2000년을수학의해(Theyear of Mathematics)로 정한 것이다. 미국의 경우 전체 수학자 중 산업계에 종사하는 수학자가 75년 11%, 85년 18%, 95년 21%의 비율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앞으로 이와 같은 추세는 더욱심화될것으로예상된다. 1999년 Krantz에 의해보고된미국의직업 250개에대한랭킹에서수학자가 5위로 껑충 뛰었다는 사실이 수학자에 대한 첨단산업의 수요기반이 얼마나 강한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21세기에는 수학이 그 이론적 아름다움과 제 학문에 대한 공헌을 넘어 이제는 국가경쟁력확보의원천으로인식되고있다.역사적으로 1919년 첫 졸업생이 배출되기 시작하여 수많은 동문들이 연세수학을 거쳐 갔지만, 1946년 종합대학 승격이후 현재까지 연세대 수학과를 졸업한 동문 수는 학사 1,000여명, 석사 750여명,박사 110여명이다. 이들은 학계, 산업계 등 전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산업화 이전 시기에는 주로 학계 및 교육계로 취업하여 후진 양성에 힘써 왔고, 산업화 과정 속에서는 은행, 보험 등의산업계에서도 진출하기 시작하여 수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활동을 하여 왔으며, 지식과 정보의 사회로 접어드는 최근에는 컴퓨터, 정보기술, 금융 등의 분야로의 취업이 두드러져 수학과 졸업생의진출분야가더욱다양해지고확대되고있다.

147146

클릭전공─이학계열

2 2 전선 MAT2103 통계학 3 3(1) 20002 2 전선 MAT3121 정수론 3 3(1) 30002 2 전필 MAT 미분기하(1) 3 3(1)2 2 전선 MAT2003 주니어세미나 1 1 2000※ 1,2 MAT6200 대수학 I 3 3

MAT6250 대수학 II 3 3MAT6400 실해석학 I 3 3MAT6450 실해석학 II 3 3

3 1 전필 MAT3405 해석학 (2) 3 3(1) 30003 1 전필 MAT3109 현대대수 (1) 3 3(1) 30003 1 전선 MAT4117 전산통계학 3 3(1) 40003 1 전필 MAT 위상수학 3 3(1) 30003 1 전선 MAT 푸리에해석및응용 3 3(1)3 1 전선 MAT3114 수치해석 3 3(1)3 2 전필 MAT3110 현대대수(2) 3 3(1) 30003 2 전선 MAT3112 복소해석학 3 3(1) 30003 2 전선 MAT3113 확률과정론 3 3(1) 30003 2 전선 MAT3102 미분기하(2) 3 3(1) 30003 2 전선 MAT3101 대수적위상수학 3 3(1) 30003 2 전선 MAT2105 과학계산 3 3(1) 20004 1 전선 MAT4119 금융수학 3 3(1) 40004 1 전선 MAT4112 체론 3 3(1) 40004 1 전선 MAT 대수기하 3 3(1)4 1 전선 MAT4105 수학특강(1) 3 3(1) 40004 1 교직 TTP3812 수학교재및연구지도법Ⅰ 2 24 2 전선 MAT3119 조합론 3 3(1) 30004 2 전선 MAT4116 보험수학 3 3(1) 40004 2 전선 MAT4115 암호론 3 3(1) 40004 2 전선 MAT4108 응용대수 3 3(1) 40004 2 전선 MAT4106 수학특강(2) 3 3(1) 40004 2 전선 MAT3117 수리논리 3 3(1) 30004 2 전선 MAT3118 편미분방정식 3 3(1) 3000

※ 선수과목:확률론, 상미분방정식, 선형대수 (1) ※ 전공필수:해석학(1),(2), 현대대수(1),(2) 미분기하(1), 위상수학 모두 이수※ 전자계산(1),(2), 고등미적분학(1),(2) 수학뿐만 아니라, 이과대학 전공선택 과목임.※ 고등미적분학(1),(2)와 상미분방정식은 교차인정 되지 않음. ※ 수학전공자는 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심화) I, II를 이수해야 함. ※ 대수학Ⅰ,Ⅱ, 실해석학Ⅰ,Ⅱ는 학부-대학원 연계과목을 나타냄

학년 학기과목 학정

교과목명 학점강의 단위

종별 번호 실습 구분

•보험계리인 시험 준비 •지도교수:이승철

•보험관련 스터디 그룹 활동 (교내:4489,

•CPA, FRM 시험 준비 [email protected])

Active Math •금융관련 스터디 그룹 활동 •공간지원(학부동아리 방)

•외부 인사 초청강연회 개최 •홈페이지 제작 지원

•사이버상 활동 •홈페이지 운 지원

•MT등의 친목 활동

•전국 대학생 수학경시대회 •지도교수:기하서

기출문제 풀이(여름방학) (교내:2604,

Mathphia•William Lowell Putnam Mathematical [email protected]

Competition 기출문제 풀이(겨울방학) •공간지원(학부동아리방)

•외부 인사 초청강연회 개최 •홈페이지 제작 지원

•사이버 활동 •년 535만원 지원(교무처)

동 아 리 활 동 실 적 지 원 내 역

Page 7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 박해춘(69년 입학, 76년 졸업)제12대 국민연금관리공단이사장07.3~08.5 우리은행장삼성화재해상보험기획, 마케팅담당이사제12회 중소기업금융지원상은탑산업훈장제14회 기업혁신대상최우수경 자상

● 김성순(78년 입학, 82년 졸업)Universite Paris 7 : Ph.D파리 7대학수학과교수

● 오문석(78년 입학, 82년 졸업)위스콘신대학경제학박사LG경제연구원상무, 경제연구그룹상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물리, 전자공학, 언어학, 경제, 경 , 컴퓨터공학, 철학

7. 전공선배의한마디

149148

클릭전공─이학계열

●● 졸업생 선배, 02학번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논리적이고비판적인사고, 지속적인노력을기울일수있는끈기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고, 세계를 수학적으로 보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생각합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자체로는근본적이고철학적이며다른학문에는실용적인도구가되는학문

●● 졸업생 선배, 96학번

▶어떤일을하시나요?

삼성전자무선사업부에취업해서무선통신개발업무를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기본적인 논리적 이해력과 적용력이 필요하며,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이 가능하면더욱좋습니다. 또한, 수학적인마인드를가지고, 더욱 간편하고효율적인프로그래밍을할수있으면더좋습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일차적으로는지금있는회사에서인정을받을수있도록, 새로운개념을이용한무선통신을개발하는데있으며, 부수적으로회사에서인정받는고급임원이되고싶습니다.

Page 7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3. 세부전공및 역

물리학은 연구대상에 따라서 입자물리학, 핵물리학, 원자 및 분자 물리학, 고체 물리학, 광학, 생체 물리학등으로 역을분류할수있다.

● 입자물리학 : 물질의 근본 구성 단위인 소립자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예견된 소립자

의 발견을 추구하는 연구 분야로서 우주의 생성과 궁극적 실재 및 블랙홀 등을 밝히는 데 큰 기

여를하고있다.

● 핵 물리학 : 원자를구성하고있는핵과관련하여원자핵구조, 원자핵 반응, 방사성 붕괴 등을

규명하고자 하며, 원자로, 핵융합 등의 핵 에너지 개발 및 핵 물질 처리 등에 적극적으로 응용되

고있다.

● 원자 및 분자 물리학 : 원자와 분자에 대해 이들과 전자기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스펙트

럼, 미세 분광스펙트럼, 초미세 분광 스펙트럼등을 도구로하여 물리적 구조를규명하고이를 기

반으로새로운물질을연구하는학문이다.

● 고체물리학 : 고체의 역학적, 열적, 전기적, 자기적 성질을 연구하고 새로운 물질을 개발 응용

하기 위한 분야로서, 반도체 메모리, 집적트렌지스터, 초전도체, 태양전지의 개발 등 첨단산업의

주된원동력이되고있다.

● 광학 :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물질의 특성 및 물리적인 현상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분

야로서 미래 과학연구의 근본적 도구로서 극초단ㆍ고출력 레이저 개발 및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고선명 디스플레이, 고집적 광저장매체, 대용량 광통신의 개발 등 차세대 기술 산업의 원

천이되고있다.

● 생체물리학 : 생체조직에서 나타나는 여라 가지 현상들을 물리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응용하는

분야이며, 분자 수준에서의 의학적 센싱, 진단 및 치료와 관련하여 X-선, 자기공명 상, 레이저,

등 물리학적수단을기반으로향후질병치료및생명현상이해에근본적기초를제공하고있다.

이외에도 표면물리, 수리물리, 자성체 물리, 핵자기공명 등 다양한 연구 역이 존재하며, 시대의 발전과함께플라즈마, 우주항공등도활발한연구 역으로자리잡아가고있다.

151

클릭전공─이학계열

1. 물리학이란?

물리학은 우리 주위 모든 자연 현상들을 근본적인 원리 탐구와 논리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통합적 법칙으로써 설명하고 예측하는 학문이다. 즉, 자연현상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물질과 그 물질간의 상호작용의연구를통해우리가사는자연세계에대한이해를높이려는것을목적으로하는학문이다. 이러한 물리학은 현대 과학 및 공학의 기초를 제공하여 왔으며 더 나아가 미래 최첨단 산업기술 개발의발전을주도하고있다.물리학의 탐구대상은 미시적으로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소립자의 세계에서부터, 현대 정보기술의 획기적 발전의 밑바탕인 된 원자 및 분자의 세계를 거쳐, 크게는 우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따라서 물리학은 급속한 학문 간의 융합을 통해 생명 현상, 의학적 진단 및 치료, 전기, 전자,기계공학과의접목등광범위한세계에걸쳐서물질의근원과그변화의이치를추구하는학문으로서지속적으로미래사회에결정적인공헌을할것이며기술혁신의기초를구축하는데기여할것이다.물리학과 학부의 교육과정은 물리학을 전공할 미래의 창조적인 연구 인력의 양성과, 물리학을 바탕으로 한 우수한 산업인력의 배출을 두 축으로 하며 물리학적 소양을 갖춘 사회 지도자와 물리학을 기초로하여자연과학및응용과학을연구하는전문인력을양성하는데그목적이있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과기초능력

물리학 전공은 자연과학에 대한 탐구욕구 및 창의력과 상상력이 풍부한 학생에게 적합하고 종합적인사고력이 필요하다. 또한 수학과 과학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특히자연현상및첨단과학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150

물리학전공02 이학계열

Page 8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현재도세계적으로인정받고있는우수한교수진을확보하고있다.졸업 후의 진로는 크게 대학원 진학과 취업으로 나눌 수 있다. 학문에 뜻을 둔 학생들은 본교 대학원또는 국내외 타대학원으로 진학하여 박사 혹은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국내외 대학교, 연구소 및 기업체 등에서 선도적인 연구 활동을 하고있다. 취업은 현재 원하는 졸업생의 거의 전원이 취업이 되고 있다. 이는 기업체및연구소에서물리학전공자에대한수요가계속증가하고있기때문이다. 주요 취업분야로는반도체, 전자, 통신, 컴퓨터, 정보처리, 광전자, 기계, 전기, 재료, 에너지, 우주항공등이있다.

6. 전공선배의한마디

7. 자랑스러운동문

● 안세희(47학번)Northwestern University Ph.D. (1959)연세대학교총장 (1980~1988), 한국물리학회장역임. 성곡상수상. 연세대학교명예교수

153

클릭전공─이학계열

4. 교과과정(2010학년도)

5. 졸업후의진로

1917년 연희전문학교와함께출발하여 1세기의전통과역사를자랑하는물리학분야는우리나라초기자연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걸출한 인물들과 각계에서 활동 중인 인재들을 수없이 배출하여 왔고,

152

입자물리

핵물리

원자 및분자물리

고체물리광 학

생체물리

표면물리,수리물리,자성체물리,핵자기공명 등

물리학

1학년

필수교양•일반물리학및실험(1)(2)•미분적분학과벡터해석(1)(2)•일반화학및실험(1)(2)

2학년

전공필수•일반역학(1)(2)•물리학실험(A-1)

전공선택•현대물리학(1)(2)•고등미적분학(1)•전자계산(1)•물리학실험(A-2)

3학년

전공필수•양자역학(1)(2)•전자기학(1)(2)•물리학실험(B-1)•통계물리학

전공선택•열물리학•물리학실험(B-2)

4학년

전공필수•최신물리학동향(1)(2)•고체물리학(1)(2)•광학(1)(2)•수리물리학(1)(2)•반도체소자물리•핵물리학•고급양자역학•전산물리•응용물리입문•입자물리학

●● 김지애, 05학번

안녕하세요!물리학을사랑하는, 혹은사랑하게될여러분. 어쩌면 사랑하지못할여러분도^̂뉴턴을낙하하는사과에서우주의법칙을읽어냈다는데. 우리도광활한우주와대자연을보며, 큰뜻을깨달아보겠다던, 소박한로맨티시즘의한때를가지고있을테지요.하지만보다더실용적인학문으로서, 물리는우리도모르게삶의구석구석을윤택하게만들어주고있습니다. 여러분이매일들고다니는핸드폰의액정화면부터, 컴퓨터의LCD 모니터와반도체, 광통신, 카메라렌즈까지.급진적기술의발전, 테크놀로지의시대등의피상적인수식어를몰고다니는이시대에서, 여전히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탄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 그게 바로물리학, 그리고물리학도의저력입니다. ‘왜?’라는질문에대답하는것, 그것이바로우리가해주어야할몫이지요.여러분은그러한역량을충분히가지고있습니다. 또한여기여러분의든든한 지원군이되어줄뛰어난교수님들과, 우수한선배님들도계십니다. 훌륭한스승밑에서청출어람의 꿈을 안고, 물리학도들과의 치열한 토론과 낭만이 가득한 대학생활을 같이할수있기를바랍니다. 기다리고있겠습니다!

Page 8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화학이란?

화학이란 물질의 구조, 성질 및 변화를 분자수준에서 이해하며, 이를 이용하여 신소재,대체에너지, 신약 개발 등 차세대 산업을 주도할과학과기술의중심학문이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화학 전공은 창의적이고 성실한 학생에게 적합하며 열정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수학, 과학, 어의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 될 것이며특히물질계와생명계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선진국형 연구 중심 교과 과정│본 화학과의 전공교과 과정은 광범위한 분자세계(molecular world)의 이해 및 응용에 중점을 두어 21세기를 이끌어 나갈 잠재력이 큰 화학자를 키우는데초점을 맞추고 있다. 화학은 무기화학, 물리화학, 분석화학, 유기화학의 4가지 전통적 분야뿐만 아니라, 최근각광받는 새로운 분야인 신소재, 고분자, 환경화학, 재료화학, 바이오화학, 나노화학, 컴퓨터화학등으로교육및연구가진행된다. 본교에서는 8학기의학부과정동안 화학 전반에 걸친 폭넓은 이해와 지식 습득의 기회

155

클릭전공─이학계열

● 이성묵(51학번)Ohio State University Ph.D. (1962)Michigan Tech. University 부총장역임.

● 옥항남(54학번)Purdue University Ph.D. (1968)제1회 한국과학상수상 (1987). 연세대학교명예교수

● 박홍이(63학번)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h.D. (1980)MBC 사회봉사상본상(2009)

● 황정남(64학번)연세대학교 Ph.D. (1979)초미세표면과학연구센터소장(1995~2005). 한국물리학회장(2003~2004). 한국물리학회학술상(1995)

● 김정한(81학번)Rutgers University Ph.D. (1993)Research Scientist at Microsoft Research Institute. 젊은 최우수과학자에게수여하는미국 Fulkerson Prize in Discrete Mathematics 수상 (1997).

● 이수형(80학번)SUNY-Stony Brook Ph.D (1988)‘2006 국가석학’기초과학분야선정 (2006)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수학, 경제학, 화학, 재료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생명공학등

9. 기타

우리대학물리학과에서는세계유수의대학 혹은 연구기관들과비교하여전혀 손색이없는물리학연구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물리학과에서는 입자물리학, 핵물리학, 고체물리학, 반도체물리학, 표면물리학, 나노물리학, 자성체물리학, 광학 등에관한실험및이론연구가중점적으로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이 물리학과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우수연구 집단이 계속 생겨나고 있으며국내최우수연구가수행될수있도록정부차원에서적극적인지원을받고있다.

154

화학전공03 이학계열

21세기 중심과학_화학

Nanotechnology(NT)

Biotechnology(BT)

화학

천연물화학의약유전공학바이오칩생유기화학촉매화학

고분자나노화학

분자소재양자화학

Page 8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전공선배의한마디

157

클릭전공─이학계열

를 제공한다. 또한, 이론 교육에만 치중하지 않고 실험 실습 교과 과정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어 이론과실험을병행한총체적인화학교육에힘쓰고있다.

4. 교과과정

5. 졸업후의진로

│선도적 과학 인재 배출│•화학과 학부 졸업생들은 더욱 숙련된 고급 인력으로서의 자질을 쌓기 위하여 대학원으로 진학하고있음

•현재 화학동문들은 학계, 기업체 연구소, 정부 출연 연구소 등에 취업하여 연세 화학인의 명성을드높이고있음

156

전·필 유기화학Ⅰ 전·필 유기화학Ⅱ2학년 전·선 첨단화학의 이해 전·필 화학실험Ⅰ

전·필 분석화학Ⅰ 전·선 분석화학Ⅱ전·필 물리화학Ⅰ 전·필 물리화학Ⅱ전·필 화학실험Ⅱ 전·필 화학실험Ⅲ

3학년전·필 무기화학Ⅰ 전·선 무기화학Ⅱ전·선 생물유기화학 전·선 양자화학

전·선 화학생물학교·직 과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전·선 고분자 화학 전·선 환경화학전·선 유기합성 전·선 화학사전·선 무기신소재화학 전·선 물리유기화학

4학년 전·선 기기분석 전·선 고체화학전·선 분자분광학 전·선 유기금속화학전·선 생화학Ⅰ 전·선 연구실험Ⅱ전·선 연구실험Ⅰ 전·선 생화학Ⅱ

학기1학기 2학기

학년

●● 임혜진, 00학번

나의적성은무엇일까? 내가갈길은무엇이지?? 한참을고민하던 1학년때가생각납니다. 그저그때는막연히물질의근본을밝히려는화학이라는과목이재미있게만 느껴졌던거같네요.물론 전공을 선택할 때 자신의 적성도 중요하지만 취업을 생각하는 후배들이라면화학을하면어디에취업을할수있는지가가장궁금할것입니다. 제가자신있게후배여러분들께말할수있는건화학이라는학문이분석, 제약, 나노, 반도체, 전자등여러분야에걸쳐다양하게뻗어있어진로선택의폭이넓다는것입니다. 최근각광받고있는나노분야만보아도화학이그근본을이루고있어기업에서도순수학문을전공한인재를뽑으려하고있죠. 그렇다보니저희화학과는다른자연과학부학문에비해높은취업률을자랑하고있습니다. 실례로졸업한선배들만보아도L모그룹, S모 그룹등, 인지도가높은기업에취업한사례가많죠. 물론대학원에진학하여공부를계속하고자하는학생들에게도편안히공부할수있는환경을제

졸업후 산업체 취업 분야

Page 8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고석근(32회) (주)PNI 대표이사● 손세환(35회) LG화학상무이사

● 임상철(36회) SK홀딩스수석연구원

● 윤상경(37회)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주) 전무

● 성기문(44회) (주)몰텍스부사장

│변리사, 언론 및 기타│● 이규민(23회) 동아일보편집국장역임

● 장정숙(35회) 특허청팀장

● 이숭실(37회) 한양특허법인변리사, 특허청심사관역임

● 이정화(49회) KBS한국방송기자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물리, 생물, 수학

159

클릭전공─이학계열

7. 자랑스러운동문

│학계│● 이대운(15회) 연세대학교부총장역임

● 이무원(16회) 경희대학교부총장역임

● 정성기(16회) 포항공대총장역임

● 장윤석(35회) 포항공대환경공학부교수

● 이진규(36회) 서울대학교화학과교수

● 김성한(40회) Pennsylvania 주립대학교화공과교수

● 엄가원(41회) Gottingen 대학교, Max Planck Institute 연구교수● 박승범(44회) 서울대학교화학과교수

│산업계 및 연구소│● 황재 ( 7회) (주)INSTEK(인스텍) 사장, 자랑스런연세인수상

● 박은희(14회) 미국 ITA 회장, 자랑스런연세인수상

● 조광연(20회) 한국화학연구원전팀장

● 김병모(22회) (주) 우하이테크사장

● 이대실(23회) 생명공학연구소책임연구원

● 이재섭(24회) (주)OCI 사장● 정찬성(30회) KIST 책임 의학화학연구센터장

● 김무원(32회) (주)삼양사부회장

158

공해 주곤 합니다. 동문 선배들이지원하는 탄탄한 장학제도가 있어서 진학하고자하는 학생들뿐 아니라 많은 학부생들이 타 과에 비해 많은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무엇보다 화학과의 자랑은 선후배간 뿐 아니라 교수님들과의 돈독한 정일 것입니다. 학기마다 있는 화학과 MT는‘술 마시는 MT가 아닌 대화할 수 있는 MT’이다.그 뿐아니라교수님들의지원을받아열리는술자리는어려워만보이는교수님들과친구이상의정을느낄수있게해줄것입니다. 1학년때못누려봤던대학생활의즐거움을만끽하고싶은후배여러분, 화학이너무좋아미칠것같은후배여러분 주저하지 말고 화학과로 오세요. 공부할 환경도 좋고 취업률도 좋은 후회 없는선택이될것입니다.

Page 8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61

클릭전공─이학계열

1. 지구시스템과학이란?

지구시스템과학은 우리 삶의 터전인“살아있는 지구”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지구는“언제”, “어떻게”탄생하 으며, 구성 물질은“무엇”인지, “어떠한 과정과 방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갖게 되었는지 등 지구의 역사를 통해서 나타나는“시간적·공간적”변화를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21세기의 전 세계적인 이슈인“지속가능한 발전”과“지속가능한 환경”을 가능케 하는 지시자로 사용됩니다. 나아가 지구를떠나다른행성의탐사에서도지구시스템과학의이해는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지구시스템과학전공에서는인류의미래와지구환경의보전및 발전을위한 창의적인재의육성을목표로합니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지구시스템과학 전공을 잘하려면 집중력, 논리력, 자기표현력이 필요하다. 또한 수학, 과학, 어의 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현재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에는 지구물질학, 암석학 및 지구화학, 퇴적학, 지진학 및 지구물리학, 지하수환경학, 환경지구화학, 인공위성 원격탐사학, 토양환경학, 구조지질학 및 지구조학, 결정과학, 생지구화학등의세부전공분야가있습니다.

4. 교과과정

지구시스템과학의교과과정은아래표와같으며, 이중 필수과목은지구물질학및실험, 화성암석학및실험, 퇴적암석학, 구조지질학 및 실습 , 졸업논문연구(1),(2)로 모두 6과목 18학점입니다. 또한 다양한학문분야에대한지식확대를위하여이과대학및공과대학모든전공분야의전공학점을최대 9학점까지우리전공의전공선택학점으로인정합니다.

160

지구시스템과학전공04 이학계열1 전기 지구시스템과학개론및실습(1)1 필교 미분적분학과 벡터해석(1)1 필교 일반물리학 및 실험(1)

11 필교 일반화학 및 실험(1)2 전기 지구시스템과학개론및실습(2)2 필교 미분적분학과 벡터해석(2)2 필교 일반물리학 및 실험(2)2 필교 일반화학 및 실험(2)1 전필 지구물질학 및 실험1 전선 지구시스템과학실험(1)1 전필 퇴적암석학1 전선 지구시스템과학과미디어(1)1 전선 해양학개론1 전선 전자계산(1)2 전필 화성암석학 및 실험

2 2 전선 전자계산(2)2 전선 지구시스템과학실험(2)2 전선 야외지질학 및 실습2 전선 지구화학개론2 전선 자연재해와 에너지자원2 전선 행성과학2 전선 지구시스템과학 리뷰(1)2 교직 환경지구과학1 전선 지구물리학1 전필 구조지질학 및 실습1 전선 층서학의 이해1 전선 지구시스템과학 심화 연구(1)1 전선 지구시스템과학과 미디어(2)1 전선 환경지구화학 및 실험1 전선 위성지구과학 및 실험1 전선 변성암석학 및 실험1 전선 지구시스템 자료분석 및 실습

3 2 전선 화석의 역사2 전선 수리지질학 및 실험2 전선 컴퓨터 지구시스템과학 및 실습2 전선 물리탐사 및 실습2 전선 광물화학2 전선 토양과 지형2 전선 퇴적환경학2 전선 지구시스템과학 심화 연구(2)2 전선 지구시스템과학 리뷰(2)2 전선 결정학 개론 및 실험1 교직 지구과학 교재연구법

41 전선 판구조론과 한반도 지질1 전선 생지구화학 및 실험1 교직 토양오염과 정화

학 년 학 기 종 별 교과목명

Page 8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학 교사로서 교육자의 길을 갈 수도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 졸업생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다

양한 지구시스템과학 분야에서 학문적 발전과 국가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8. 자랑스러운동문

● 이현구(65학번) 현재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탁월한 연구 및 교육업

적으로국민포장을수여하 습니다.

● 이종태(67학번) 학부 졸업 후 지구물리기술사 및 응용지질기술사를 획득 후 (주) 진보지질을

설립하여컨설팅업계의대표주자로활약하고있습니다.

● 김원 (68학번) 현재 미국Columbia 대학의 객원교수 및 Lamont-Doherty 연구소의 연구원

으로 재직 중이며, 북미 대륙의 북서부 지진네트웍을 이끄는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있습니다.

163

클릭전공─이학계열

162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학부생들로 구성된 학회가 운 중에 있으며, 학부생이 중심이 된 자체적 학습동아리인 Young Earth

Scientists (YES)가 자발적인 학습동아리로 운 되고 있습니다. 또한 학부생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Geofamily에서 다양한 공부와 진로에 관한 정보들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6. 졸업후의진로

지구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한 접근방법이 다양하듯, 졸업 후 진로도 매우 다양하며 광범위합니다. 우선 학업을

계속할 경우 대학의 교수 및 관련 연구기관(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

구원, 혹은 국가기관(산업자원부, 환경부, 기상청 등)의 기술직 공무원으로 미래의 학문발전과 국가 발전을 위

해 공헌할 수 있습니다. 산업체의 진로로서, 졸업생들이 한국석유공사, 한국전력기술,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가

스공사 등 여러 정부출연 공사와 삼성, SK, 현대, LG 등 건설 관련업체의 자원, 건축, 환경 및 사회 인프라

구축 분야에서 뛰어난 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지구환경분야의 연구기관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산업체, GIS 및 인공위성 관련 정보산업

분야 등에서도 많은 졸업생들이 사회에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졸업 후 5년 동안 전문 직종에 종사하면

응용지질, 토질 및 기초, 지하수, 토양환경 등의 기술사 자격을 획득하여 독자적으로 지식기반의 벤처 산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나아가, 학부과정 중에 교직과목을 이수한다면, 졸업 후 중·고등학교의 과학/지구과

1 전선 지질공학 및 실험1 전선 지구내부학1 전필 졸업논문연구(1)1 전선 김옥준콜로키움(1)1 전선 자원경제학1 전선 지하수오염과 모니터링 및 실습1 전선 동위원소 지질학1 전선 수리지구화학 및 실험

4 2 교직 해양지질학2 전선 토양광물학 및 실습2 전선 석유지질학 및 실험2 전선 광상학2 전선 지구정보처리학 및 실습2 전필 주제광물학 및 실습2 전선 졸업논문연구(2)2 전선 김옥준콜로키움(2)2 전선 지구시스템과학 인턴쉽

학 년 학 기 종 별 교과목명

●● 이재민, 수리지질연구실 통합4학기

경제와기술의발전으로인해삶을 위하는데필요한기본적인요소들이충족되면

서우리는 IT, BT, NT 등점점더높은기술개발에집중하고있습니다. 그러나인

도네시아의수마트라지진, 중국의쓰촨성지진, 아이티지진그리고기후변화로인

한세계각국의자연재해등은우리의삶의터전인지구에대한연구가얼마나중요

한지를되돌아볼수있는계기가되었다고생각합니다. 또한지속적인산업화에따

른각국의자원경쟁과“blue gold”라고불리는수자원을확보하기위한물분쟁등

지구자원의중요성이어느때보다도강조되고있습니다. 지속적발전을통한삶의

질을높이고well-being을추구하는현재와미래의관점에서볼때에지구, 그리고

우리를둘러싸고있는자연환경에대해연구하는지구시스템과학은매우매력적인

학문이며, 이분야의전문인력들은앞으로인류의삶의질을향상시키는데중요한

역할을감당하는인재들이될것이라고생각합니다.

Page 8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천문우주학이란?

천문우주학은 광활한 우주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의 관측 및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우주와인간의본질을이해하고, 아울러 우주환경의과학적이용 및 개발에기여하는학문이다. 현재 세계 각국은 앞 다투어 우주개발과 연구에 모든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우주개발 정책에 따라 천문우주분야에 그 어느때보다도많은관심과투자가이루어지고있다. 따라서, 천문우주학은 최첨단 학문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다가오는 우주 시대인 21세기에는 가장 각광받는 연구분야가될것이다.연세대학교에서의 천문우주학 교육은, 1915년 Rufus 박사가 연희전문학교 개교와 함께 천문학 강좌를 개설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한국 최초(1926년)의 이학박사이며 세계적인 천문학자인 이원철 교수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현대 천문우주학의 역사를 대변할 수 있는 많은 석학들을 배출하 다. 연세대학교는 1920년대 이미 15m 굴절 망원경을 도입하여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 으며, 1976년에는40cm반사망원경으로국내최초와광전측광을이루어내었다. 또한 1980년 당시로는국내최대규모인 61m망원경을일산관측소에설치. 대학부속기관으로천문대를설립하 다.현재, 연세대학교천문우주학과는과학기술처로부터총 85억원의연구비를지원받아우리나라최초의우주망원경 개발 및 운용을 목적으로 <자외선 우주망원경 연구센터>를 운 하고 있는데, 나사(NASA)및 칼텍(CALTEC)과의 국제협력연구로 진행 중이다. 우리 측의 주도적 참여로 성공적인 조립과 성능시험이 완료된 자외선 우주망원경(GALEX)은 현대우주론의 최대 난제인‘우주 나이의 문제’를 해결하고‘우주상수’의진위여부에도전하고있다. 또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센터는이 욱교수를주축으로 GALEX의 관측 자료의이론적해석에필수적으로사용되는헬륨연소단계항성의진화모델에최신의 향상된 물리적 결과들을 반 하여 모델의 정 도를 향상시켰으며, 또한 타원은하의 자외선 종족항성 모델에 이중연소 단계항성의 진화 모델을 첨가하여 자외선 은하 연령측정법의 정 도를 획기적으로개선하 다.<우주비행제어 연구실>은 지난 20여 년 동안 국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할 핵심위성기술을제공하며 동역학, 추적데이터 분석, 추정이론, 최적화 이론, 유도 및 자동제어, 항법분야에 관련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실은 현재 국가지정연구실로 선정되어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국가우주개발 사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내위성의 운용에 필요한 정 궤도결정기술과 자동제어기술, 차세대 위성기술인 편대비행기술(formation flying), 저추력기(lowthruster)를 이용한 연속제어 기술, 위성군 궤도설계 등을 연구하여 세계적 수준의 위성궤도기술의 역량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위성자세결정, 위성자세제어, 위성체디자인, 위성 시뮬레이터에관한연구역량을키워나가고있다.중장기적 안목으로 달 탐사 및 행성탐사에 필요한 임무설계 및 항행해 결정기술의 토대를 마련하고

165

클릭전공─이학계열

● 오재호(69학번)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회장으로 재직 중이며 국내외 유전탐사 및 석유개

발에큰공헌을하 습니다.

현재 많은 동문들이 외국의 유수 연구기관(NASA, PNNL, NRL etc.)에서 연구원으로 활발히 연구활동을하고있습니다.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화학, 물리학, 통계학, 컴퓨터과학, 경제학

10. 기타

지구시스템과학은 기본적으로 지구와 자연환경을 공부의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지구시스템과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야외에 나가서 자연환경을 자연 상태 있는 그대로 보고 느끼고 인지할수있는능력을배양하는데주저함이없어야한다. 즉, 야외에나가서산과들, 계곡과평원을다니며 관찰하고 기록하고 분석하고 추론하는 과학을 즐겁게 수행할 수 있는 마음이 가장 기본적인 자질이된다.

164

천문우주학전공05 이학계열

Page 8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에서도 국내외 학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첨단 과학의 결정체인 허블우주망원경과 같은 천체관측용 인공위성인자외선우주망원경을이용국제적연구를수행하고있다. 또한 최근탐사천문학연구시설을확보하고세계최초의전천디지털모니터연구를수행하고있다.

4. 교과과정

참고) 천문우주학은‘모든 것에 대한 학문’이다. 여러분은 천문우주학 전공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타전공 과목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연과학부내 타학과 과목과 기계 전자공학부의 일부 과목이여기에해당한다. 이 시기엔교수님이나선배들의도움을받는것이좋다.

167

클릭전공─이학계열

있다. 이와같은 국내 위성 운용기술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미국, 독일, 프랑스,일본등의위성과학선도연구팀과의국제협력을통해연세대학교를위성과학분야선도주자로이어나갈것이다.본 학과의 <구상성단 및 항성진화 연구팀>은 Omega Cen의 관측 결과 Nature지 발표, 우리은하 구상성단 기원이론 Science지 발표, 타원은하 기원이론 Science지 발표, 세계최고 항성 진화 이론Yonsei-Yale isochrone 개발 등, 관측 및 이론 분야에서 확보한 세계적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세계 우수 천문관측소의망원경을적극적으로활용하여, 구상성단 및 항성진화연구 분야의 세계 top class science team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최근 체결된 CTIO의 4m 대형망원경공동운 계약을통해, 연세 천문우주학의세계적위상은더욱상승할것으로기대된다.<우주광학 연구실> 은 갤렉스 NASA 우주관측위성의 개발 참여로 국내 대학, 연구소, 산업체를 통틀어 유일하게 축적된 첨단 우주탑재체 제조 기술 및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우주 광학 탑재체 설계, 제조, 결합, 성능 평가 분야에서 국내 원천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의 결과로 최근 심 우주광시야 광학 탑재체 인증 모델의 성공적인 개발완료 및 국제적 항공 우주연구소에 의한 기술력 인증을완료하 다. 이같은국제수준의원천기술개발력을기반으로유럽및소련등의세계적인연구소들과 다양한 국제 우주과학 미션을 기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의 주 수행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 및 관련 출연 연구소들의 핵심 우주 탑재체 개발 관련 연구에 공동 참여 연구를수행하고있다.본 학과의 <우주탐사연구팀>은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는 천문우주학분야에서의 연세 국제화를 선도하고, 탐사천문학분야에서 그 전례를 찾을 수 없는 무인자동관측소 해외배치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이 과정에서 2002년 4월에 개소된 남아프리카공화국 연세우주관측소는 특성화 계획의 지원에 힘입어 현재 운 중에 있으며, 두 번째 해외관측소인 대만시설이 2003년 2월 개소되었고, 세 번째 사업으로 호주 사이드스프링관측소를 2004년 설치하여 한국천문연구원 및 호주국립대학 그리고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과의 다자간 공동협력으로 운 중에 있습니다. 또한 KVN(Korea VLBI Network)프로젝트와 Yonsei Big Eye 프로젝트가진행중이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천문우주학 전공은 창조적 사고를 논리적으로 재구성 능력을 배양한 학생에게 적합하고 과학적 사고능력, 논리적 연산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어, 수학, 과학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며특히자연현상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천문우주학은 크게 천체물리분야, 관측천문분야, 우주천문분야 그리고 우주 과학 분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천문우주학 전공과정에서는 항성천문학, 천체물리학, 은하천문학 및 관측 우주론 등의 분야에서세계최고수준의연구가활발히진행되고있다. 이와 더불어지상및우주배치광학기기및로켓 및 인공위성과 관련된 우주과학, 우주 동력학 및 위성 상 처리와 같은 응용 천문학 분야의 연구

166

우주의 탐구기초천체 물리학위성천문학

⇩항성진화론천체물리학은하와 우주우주론

우주동력학천체역학, 우주비행학인공위성 시스템

전공기초 추천과목

천체물리학 및우주천문학분야

위성공학 및우주과학 분야

관측천문학분야

천체관측기기와 응용,천체관측법

과학 상처리론 및 실습전파천문학

Page 8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드높이고있고, 과학기술부지정우주망원경연구단의발전과 BK21사업의참여, 그리고최근국가지정연구실, KVN(Korea VLBI Network)프로젝트의 주 연구 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참신하고 젊은 인재들의참여가더욱절실히요구되고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물리학 (고전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현대물리, 수리물리등)

169

클릭전공─이학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학부생 홈페이지(http://galaxy.yonsei.ac.kr/~undergrad/)에 가면 천문학을전공하고있는학부생들과교류및많은정보를얻을수가있다.천무우주학전공관련동아리로는‘별아름’,‘ AsterNet’,‘ Astroy’가있다.

‘별아름’은 2001년에 창단된 과학대중화사업팀으로 주로 우리학교 일산천문대에서 operator(강의.

관측)를 하며 교내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정기회의와 세미나를 하고 있고, 대중화사업을 통해 책속의

학문만이 아닌, 학문의 실용성과 다양성을 꾀하고 대중을 상대로 필요한 경험과 지식을 축적하는, 즉,

구체적으로 일반인들이 느끼는 과학과 과학도가 느끼는 과학의 차이를 알고, 과학 기술과 사회 현실

과의 연계에 대해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대중에게 단순한 지식 전달만이 아닌, 과학에

대한호기심을자극시켜서미래의꿈과희망을갖게함으로보람을느낄수있는곳이다.(http://galaxy.yonsei.ac.kr/~ilsan/bbs/eafe.htm)

‘AsterNet’은 천문우주학과 전산 동아리로, 주로 전산실의 시스템을 관리하고, 각종 컴퓨터에 대

한 교육과연구를리눅스 기반하에서실시하며, 자체 스터디를 통해천문학에필수적인프로그램, 각

종 언어를공부할수있는곳이다.

‘Astroy’는 Artificial SaTellite and Rocket Of Yonsei의 약자임과 동시에 Aerospace

SocieTy+Research Of Yonsei로서. 연세대학교로켓&인공위성그룹으로 1999년에만들어진인공위

성 로켓 동아리로서소형로켓제작과인공위성스터디를하고 있으며소형로켓제작완성후에는인공

위성에 대한 심층적인 인공위성 스터디를 바탕으로 Can Sat 제작 등 소규모 인공위성을 직접 제작 ,

발사, 교신 할 수 있는 동아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제 전국대학교로켓 연합회 소속이며

연세대학교 학술지원 그룹으로 선정되어 지원금을 받으며 과학 재 로켓만들기 교육, X-POC학술제

참가, 로켓캠프참가등대내외적으로활발한활동중이다. (http://astroy.cafe24.com/)

6. 졸업후의진로

우주개발기술이한나라의운명을좌우할 21세기를맞이하면서우리나라에서도본격적인우주개발계획이 시작되었고, 천문우주학은 가장 전망 있는 전공분야로서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천문우주학 전공 동문들은 주로 천문학과 우주과학 관련 국내외 대학과 연구소(항공우주연구소, 전자통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파연구소, 특허청, 국방과학연구소, 국립지리원, 원자력연구소, 한국천무연구원 등)에서 교수 및 연구과학자로 활동하면서 우리나라의 천문우주학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정부와 대기업체의 우주개발 계획에 따라 로켓과 인공위성 관련 기업체(세트렉아이, 로템, 한국항공 산업 주식회사, e-HD.com, 현대 모비스, 대한항공, 한국통신 위성본부 등)로의 진출이 급격히향상되고있으며, 상처리 및 전산관련분야 등으로의진출도매우 활발하다. 특히 많은 수의 동문들이 해외 명문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 연구원 및 교수로 활동하면서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의 명예를

168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특히전공에잘맞는적성이라고할것은없다고봅니다. 다만천문우주학을좋아서한다면이것이바로적성이지않을까요? 개인적으로는천문우주학에대한열정, 그리고인내심이필요합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천문우주학과 수업에 적응을 하려면 우선 수학과 물리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필요합니다. 저는2학년때수학과의선형대수, 물리학과의현대물리, 일반역학을들었습니다. 만약인공위성쪽으로공부를하고싶으면, 공과대학의수업도듣는편이좋습니다, 요즘컴퓨터를어느과보다많이쓰는편입니다. C언어또는Fortran 같은프로그래밍언어하나쯤은다룰수있어야한다고봅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세상에서가장알기힘든우주를탐구하는학문알수없는우주를향해도전하는진취적학문별빛을통해새나오는하늘의속내를공부하는학문

Page 8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 학업에필요한특성

대기과학은종합적 사고능력을가진학생에게적합한전공이고대기와자연현상및 원리에관심이많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수학, 과학, 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특히기초과학에대한지식이필요하다.

3. 세부전공및 역

대기과학은 이론과 관측을 통한 기초 과학 분야의 지식과 슈퍼컴퓨터, 위성탐사, 고속통신망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종합 과학이다. 최근 들어 첨단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따라, 대기과학의 역은지속적으로확장되고있다. 분야별로는 주로 기후변화 및 기후시스템모형론, 중규모기상학, 수치예보 등을 다루는 대기역학 분야, 대기복사, 오존층, 구름물리 등을 다루는 대기물리 분야, 대기오염, 대기화학 등을 다루는 대기환경 분야, 그밖에 유체역학, 해양물리, 생물-대기상호작용, 위성기상학등의분야가있다. 특히 현재슈퍼컴퓨터를이용한대규모컴퓨터시뮬레이션에대해가르치고연구하는이과대학의유일한분야이다.

4. 교과과정

171

클릭전공─이학계열

1. 대기과학이란?

대기과학은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의기초과학지식을기반으로관측과실험, 원격 탐사, 이론개발,수치실험을 통하여 기상과 기후 및, 이와 연관된 해양, 지표, 생물 현상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학문이다. 최근 첨단 정 관측기술의 개발, 기상위성과 레이더의 발전, 대기와 해양의 움직임을현실적으로 모사하는 수치모형의 개발과 슈퍼컴퓨터의 발달로 대기과학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인 대기과학은 주로 기상예측 및 기후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나, 현재의 대기과학은 그 분야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어서,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지구환경의 핵심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오존층 파괴, 기후변화 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학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를 포함하는 환경보존의 문제는 이제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인 사회경제적 이슈로이어져,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인 이해와 지식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있다.

170

대기과학전공06 이학계열

기후변화수치

예보

슈퍼컴퓨터위성관측고속통신망

생물 화학

물리

태풍뇌우

인공강후

산성비

엘리뇨

대기오염오존층

파괴

대기/생물권상호작용

지구온난화

수학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대기오염, 산성비, 사막확장, 엘리뇨/라니냐,1-2 전탐 날씨와 기후 악기상 등의 대기와 관련된 지구환경 문제의 과학적 이해 및 이들을

연구하는 대기과학의 연구 분야 및 연구 방법론 이해전공선택이 완료된 학생들 또는 대기과학 분야에 관심있는 학생들에

1-2 전기 대기과학입문게, 대기과학 전분야에 걸친 심화된 기본지식을 강의하여 본격적인대기과학 과목 이수에 대비하게 하는 과목, 기후변화, 대기오염, 대기및 해양순환, 대기복사, 구름 및 강수 등의 기본적 내용을 포함함.

2-1 전선 기후변화의 이해지구온난화, 오존층의 파괴, 사막화 등 전 지구에 걸친 변화를 대기,해양, 생태계 등을 포함한 기후 시스템의 관점에서 이해학생들의 실험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대기층 환경 탐사를 통해 대기관

2-2 전선 대기탐사 측 및 원격탐사의 원리와 방법을 배우며, 관측자료의 해석을 통해다양한 기상현상 및 대기환경에 대한 실례와 실습을 통해 강의한다.대기의 구조, 대기의 물리·화학적 성질, 대기의 운동과 순환 등 대기환경의 근본적 요소에 대한 논의; 대기질의 변화와 관련된 대기환경의

2-2 전선 대기환경 문제들(도시 대기오염, 대기오염 물질의 장거리 수송, 광화학 스모그,산성비 등)의 원리, 과정, 향 등에 대한 기초 이론 습득과 실제 환경의 이해.

3-1 전필 대기역학(1) 유체역학과 열역학을 바탕으로 한 대기의 운동에 관한 기술

학년-학기 종별 교과목명 내 용

Page 9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73

클릭전공─이학계열

172

대기 열역학, 구름물리 및 강수과정, 태양복사 및 행성 대기안에서의3-1 전필 대기물리(1) 복사 전달 과정, 대기 광학, 에어로졸, 대기 전자기학 등 대기의 물리

적 특성에 관한 이해.3-1 전선 미기상학 인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표 부근의 대기현상에 대한 이해

3-1 전선 대기관측실제 대기관측을 위한 측기의 종류, 작동 원리 및 관리, 지상 관측, 고층 기구와라디오존데, 기상레이다, 기상위성등에대한이론및실습TV와 라디오에서 실시하는 기상예보과정이해와 방송기자 작성이론 및

3-1 전선 방송기상학 실습. TV와 라디오현장 실습 및 토론, 기상정보방송 표출방법 이해 및실습, 기상예보 자료 생산과정 이해 및 토론

3-2 전선 대기역학(2) 유체역학과 열역학을 바탕으로 한 대기의 운동에 관한 기술대기의 주성분과 이차 성분에 대한 화학 과정의 이해, 에어로졸과

3-2 전선 대기화학오염물질의 화학 반응, 오존의 광화학 반응, 미량기체의 광화학적향, 대기 성분과 기후 변동, 도시 대기의 성분 분석, 화학적 성분의

제어과정, 대기와 생태계의 상호작용, 탄소 질소 등의 미량기체 수지.대기 열역학, 구름물리 및 강수과정, 태양복사 및 행성 대기 안에서의

3-2 전필 대기물리(2) 복사 전달 과정, 대기 광학, 에어로졸, 대기 전자기학 등 대기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이해

3-2 전선 유체역학자연계에서 나타나는 유체현상에 대한 물리학적 이해, Navier-Stokes방정식, 상사이론, 경계층 이론 등일기예보를 주 목적으로 한 기상자료의 분석, 종관분석(synoptic

4-1 전선 대기분석 analysis), 기단분석, 레이다자료의 분석, 기상전문 분석, 기상위성자료 분석, 기후자료의 생산

4-1 전선 전산유체역학기상현상, 기후변화 등의 재현, 예측을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모사및 이를 위한 기본적 원리 이해

4-1 전선 위성기상학기상위성의 궤도와 위성에 탑재된 원격 탐측 계기의 구조와 성능, 원격 탐측 자료를 이용한 대기의 구조, 조성, 지표 특성의 도출 이론해양의 운동에 관한 물리학적 이해, 대기-해양, 상호작용, 열 및 염분

4-1 전선 해양물리 도 균형, Ekman층, 용승, 해양대순환, 준지균이론(quasigeostrophictheory), 표면중력파, 조석, Tsunami, El Nino, 해양음향학

4-1 전선 항공기상학항공기 운항에 있어서 대기현상의 이해 및 활용항공예보의 정확도 향상에 대기과학적 지식 습득최근 대기과학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여러 분야의 연구를 경험해보고, 각분야의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학생들이 개별연구를 수행하는기회를 제공한다. 연구주제는 지도교수의 연구분야 중에서 학생들의

4-1 전선 대기과학심화연구 개별적인 관심사를 고려하여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통해 선정한다. 실험 및 이론연구로 연구결과의 논문 형식의 과제물 또는 구두발표가요구된다. 대기과학전공과목 중 4000단위 2과목을 수강한 학생에한함. 등록시 지도교수의 승인을 요함.성층권, 중간권 및 열권의 물리 화학적 이해, 내부중력파, 적도 진동

4-2 전선 고층대기 및 와동(polar vortex)의 역학, 오존의 수지관계, 대기의 조석 현상,지구의 자장과 변화, 극광(aurora)대기오염물의 종류와 발생, 대기오염의 성질과 향, 대기경계층의

4-2 전선 대기오염역학, 대기오염물의 확산과 장거리 수송, 대기오염물의 제거 과정,대기오염물의 화학 변환과정, 광화학 스모그, 산성비 등에 대한 이론의습득과 실제적 대기오염 문제들의 논의

학년-학기 종별 교과목명 내 용

지구의 기후 및 그 변화와 변동에 대한 역학적 기초, 기후 분포와 기후4-2 전선 기후역학 변동, 기후계의 예측성, 대기대순환과 기후계, 해양의 향, 기후변동

론, 기후계의 수치모형기상 변수의 통계적 특성(평균값, 표준편차, 돗수분포, 상관계수 등)

4-2 전선 기상통계분석 이해, 시계열(time series)의 스펙트럼 분석, 시공 분포의 스펙트럼분석 및 주성분 분석, 상관관계(correlation)의 통계적 예측기상 자료동화의 내용과 실제 문제에서의 적용에 관한 이해. 기상

4-2 전선 자료동화자료동화 수행에 필요한 수학적, 역학적 법칙들에 대한 이해. 추정이론, 목적 분석, 최적화, 최소자승법, 칼만 필터, 변분법, 앙상블 예보와 앙상블 기반 자료동화

※ 타과 인정과목 (아래 과목은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됨.)

•수학과 : 선형대수(1),(2), 수치해석, 편미분방정식, 통계학

•물리학과 : 일반역학Ⅰ,Ⅱ 현대물리Ⅰ,Ⅱ 전자기학Ⅰ,Ⅱ 수리물리Ⅰ,Ⅱ

•화학과 : 분석화학Ⅰ,Ⅱ 환경화학

•생물학과 : 환경생물학

•지구시스템과학과 : 위성지구과학및실습

5. 졸업후의진로

연구기관 - 국내외대학교수, 중고등학교교사기상연구소, 국립환경연구원, 해양연구소, 시스템공학연구소,환경개발연구원, 한국전력기술연구원

연구소 - 국립재해연구원, 수자원공사, 항공우주연구소, 에너지연구소,임업연구소, 농업과학기술원아시아태평양기후센터등

정부기관 - 기상청, 환경부등 (특채, 환경고시, 기술고시(기상)언론기관 - 기상캐스터, 과학부기자(방송국, 신문사) 등산 업체 - 대기업, 기상정보회사, 항공사, 환경 향평가회사,

컴퓨터소프트웨어회사등연세대학교대기과학전공석사학위이상학위소유자의 92%가대학교수,연구원, 정부기관의전문직, 언론기관의대기과학전공관련전문직에종사하고있다. 박사학위취득자는 100% 전문직에종사하고있다.

학년-학기 종별 교과목명 내 용

연구소5%

언론10%

군/기타10%

정부기관15%

일반대기업15%

국내외 대학원45%

최근 수년간 연세대학교 대기과학 전공 학부 졸업자 취업현황

Page 9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자랑스러운동문

● 신용국 섬코퍼레이션(주) 대표이사

● 박정규 기상청기후과학국국장

● 유정문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과학교육과교수

● 이석조 국립환경과학원자연생태부부장

175

클릭전공─이학계열

6. 전공선배의한마디

174●● 재학생 선배, 조혜민, 07학번

저는현재대기과학과과대표를맡고있는학부4학년생입니다. 대기과학이라는학문이순수과학의범주에속해있긴하지만자연과학과공학의중간정도에있다는느낌을굉장히많이받았습니다. 물리학이나수학, 화학처럼실생활과조금동떨어져순수하게학문에대한호기심만으로공부하는느낌도아니고, 공학처럼이론이나학문에대한이해보다실생활에이용되기에만급급하다는느낌도아닌, 그중간지점에서학문에대한호기심도충족시키며실생활에이용하기도쉬운학문인것같습니다. 또한전공수업을들은날바로하늘을쳐다보며전공에대한지식으로현상을이해한다는게가능하다는것이더욱매력적이라고생각이되었습니다. 실제로저같은경우는대기과학의이러한부분이마음에들어서전공공부를더좋아하게되기도했습니다. 원래부터 대기과학과에 관심이 많기도 했고, 좋아했고, 대학에 와서 전공하는 것에매우만족하고있기에저는대기과학과에온걸후회하지않습니다. 제가그랬듯이,자연현상에관심이많은분, 특히대기현상에관심이많은분이라면대기과학을전공으로택해열정적으로대학생활을잘해낼수있을것이라생각합니다.

●● 졸업생 선배, 계준경

▶어떤일을하시나요?

저는07년도학부졸업과동시에대학원에진학하여현재석, 박사통합 6학기에재학중입니다. 제가연구하는분야는현재기상청을비롯한세계현업예보기관에서수행중인앙상블예보입니다. 일기예보의중요한부분을차지하는수치예보는대기현상을지배하는여러식들로이루어진모델을슈퍼컴퓨터를이용하여계산함으로써미래의날씨를예측하는것입니다. 앙상블예보란위와같이모델을한번만계산하는것이아니라, 조건을달리하여여러개의모델을계산함으로써, 단일모델이갖는예측성의한계를보완하는방법입니다. 저는연구의특성때문에기상청과협약하여직접기상청의슈퍼컴퓨터를이용하여앙상블예보를수행하고, 그결과를통계적, 역학적으로분석하며, 더나은모델을개발하는연구를진행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제가연구하는앙상블예보에국한하여말하자면연구를수행하기위해서는당연히

대기현상에대한관심과대기과학전공지식이필요합니다. 하지만이외에도통계,확률, 선형대수, 수치해석등의수학적인지식이요구되며, 대부분의연구가컴퓨터를이용하여수행되므로컴퓨터하드웨어에대한지식뿐만아니라코딩을위한컴퓨터언어, 소프트웨어에대한지식이동시에필요합니다. 제연구분야뿐만아니라일반적으로대기과학과에서수행하는연구는대기과학전공지식을이용하여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컴퓨터등의다양한전공지식을결합할수있는매력적인학문입니다. 즉, 대기현상에대한호기심과관심을갖고있으면서동시에열린마음으로다른학문들을받아들이고창의적으로문제를해결할수있는능력이요구됩니다. 너무거창하게설명한듯하지만, 저희과에서는학부과정과대학원과정을통해서얼마든지위와같은전공지식과능력을배양할수있는기회가주어지며, 무엇보다성실한자세로학문에임한다면자신이부족하다고생각되는능력을본인의충실한노력에따라얼마든지극복할수있습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지금 진행 중인 박사학위 과정을 마친 후에 외국의 연구기관에 지원하고 싶습니다.몇년간외국에서연구원과정을보냄으로써좀더다양한경험을쌓고, 전문적인학문적지식과능력을쌓고싶습니다. 그후다시한국으로돌아와기상청에서일을하고싶습니다. 제가대학에진학하며대기과학을선택한이유는대기과학이갖는종합과학적성격에매력을느꼈기때문입니다. 하지만대학4년을마친후에도석, 박사과정까지진학하여공부를계속하는이유는부족하지만제능력을최대한활용하여우리나라의일기예보정확성을조금이라도향상시키고싶기때문입니다. 그러므로대기과학도로서제가갖는가장큰계획은언젠가는제가배운지식과갖고있는능력을통해우리나라의일기예보능력이세계어느국가와비교해서도경쟁력을갖는기상강국이될수있도록이바지하는것입니다.

Page 9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수학:미적분학, 수치해석, 선형대수, 확률, 통계, 편미분방정식물리:열통계, 일반역학, 수리물리, 유체역학, 전자공학, 광학화학:분석화학, 유기화학, 환경화학, 대기오염학생물:일반생물학, 환경생물학, 생지화학지구과학:수문학, 해양학, 위성학컴퓨터:리눅스, c언어, 포트란

9. 기타(전공Q&A)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대기 과학은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기초 과학 뿐만 아니라 야외 관측, 원격탐사, 수치 모형,슈퍼 컴퓨터그리고고속통신망등여러분야의지식이응용될수있는종합적인학문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대기 현상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누구라도 자신의 적성이 잘 맞는 세부 분야를 찾을 수있습니다. 실제로 대기과학과에는대기모형연구실, 수치모델링연구실, 대기 예측성연구실, 기후 이론연구실, 생물 기상연구실, 대기 복사연구실, 위성 관측연구실, 대기 역학연구실, 구름 물리연구실, 지구 물리 유체 역학 연구실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연구실이 있습니다. 그러니 무엇보다 중요한것은자연에대한자신의흥미입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대기과학과는 그 특성상 물리, 수학, 화학, 생물 등 여러 분야가 결합되어 발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변인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실험하는 다른 자연과학분야와는 다르게 다방면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출수록좋은 연구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다루는과학분야를전반적으로깊이이해해자신의것으로만들어자유롭게응용할수있도록하는것이중요합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미개척분야가너무나도많기에도전할만한분야!

176

Page 9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공과대학화공생명공학부화공생명공학 전공

전기전자공학부전기전자공학 전공

건축·도시공학부건축공학 전공도시공학 전공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토목·환경공학 전공

기계공학부기계공학 전공

신소재공학부신소재공학 전공

컴퓨터정보공학부정보산업공학 전공컴퓨터과학 전공

공학계열6

Page 9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78

클릭전공─공학계열

3. 세부전공및 역

4. 교과과정

179

1. 화공생명공학이란?

21세기 미래를 위한 인류의 생존과 건강, 풍요로운 생활을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다양한 물질과 에너지 창출이 요구되고 있다. 화공생명공학은 물리 및 화학의 원리를 응용하여 물질 및 에너지 변환을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또한 환경 및 생명에 조화된 화학공정을 종합적으로 구축하는 학문으로 인류의 생활향상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본 화공생명공학전공은 1950년에 현대적 화학공학을 국내에 최초로 도입한 이래 60년간의 전통을 가지고 3,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학과로서 본 공과 대학의선임학과로그역할을다하고있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화공생명공학 전공은 과학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해서 유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 학생에게적합하고화학, 물리, 생물, 수학 등의 과목에 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또한 이 전공을 잘하려면기초과학및수학에대한이해와리더십, 팀원으로서역할을성실히수행하는자세가필요하다.

화공생명공학전공01 공학계열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공학기초설계 공업물리화학(1, 2) 반응공학 화공설계졸업논문

촉매공학

화공실험(3)

물질이동론분리정제공정

전기화학공업에너지공학

반도체공정개론재료공정공학

환경공학생물화학공학생체생명공학

화공수학

공정제어

분체공학

화공열역학(1,2)

화공실험(1,2)

고분자화학고분자공학유기단위반응

유체이동현상열전달

화공양론

공업분석화학 및 실험

생물학 입문

공업유기화학

미래설계공학

화공기초실험

창의적 사고훈련, 과학기술과 사회,미래사회와 표준, 공학시사 경제와 기술경 ,

기술지식과 공공정책의 이해

공학회계, 전 지구적기후변화와대응전략, 기술및제품마케팅, 21C기술경 , 기술인적자원관리, 공학투자분석, 기술창조와특허, 경제성공학

공학수학(3)공학수학(4)수치해석

공학정보처리

공학수학(1)공학수학(2)

인간의 이해사회의 이해문화의 이해세계의 이해

Freshman seminar상상공학설계

대학 어(1)대학 어(2)기독교의 이해

쓰기

공학물리학및실험(1, 2)공학화학및실험(1, 2)공학생물학및실험(1, 2)

전문교양 MSC 전 공

시스템공학

생명공학

청정/환경기술

신소재

신에너지

석유/정 화학

Yonsei University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 국내 100대 최고 경 자 중 공대출신의 전공별 비율 ▼ 미국 1300개 주요기업의 전공별 신입사원보수

화공생명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토목공학

건축공학

전기공학

섬유공학 공업경 학 500

400

300

200

100

화공 기계 전기 산업 컴퓨터 통신 언론생명공학 공학 공학 공학 공학

Page 9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전공선배의한마디

화공생명공학은화학및 생물의원리를실생활에적용하여인류에게유용한 제품을공급하는것을 공부하는흥미롭고앞으로의발전가능성이무궁무진한전공입니다.

8. 자랑스러운동문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높이 나는 새 : 대중문화비평

● 바구니 공 : 농구를사랑하는모임

● 사회교양부 : 생각과행동의자유로움

● 어우러기 : 전통풍물패

● 외곽지구 : 애니매이션비평학회

● 현우리 : 기타소모임

● 편집부 : 학내편집부

● Geeks : 컴퓨터모임

6. 졸업후의진로

화공생명공학과는 석유화학, 고분자 및 에너지 생산에 큰 공헌을 해왔으며, 이와 더불어 첨단기술 관련 청정기술, 신물질 공정개발 및 합성, 신에너지 및 환경, 분자생물학 관련기술 개발에도 효과적으로확대 적용되고있다. 본과를 졸업한 동문들은현재 정유및 석유화학, 정 화학, 에너지 및 환경, 반도체를 포함한 신재료, 제약 및 생명공학 등 관련 산업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본 대학원에서학위 취득 후 대학교수, 국가 또는 산업체 연구소에서연구원으로활동하고있다. 졸업생중 약 200여명이 국내외 대학교수로 재직 중이며, 공학직 기술고시 수석 포함 수십여명의 합격자를배출하여감사원, 산업자원부, 특허청, 환경부 등에서국가와산업발전을위해봉직하고있다. 대표적인 동문으로는 전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장 및 부총리겸 과학기술부장관 김우식 교수, 현 교육과학기술부차관김중현교수, 현 GS 칼텍스허동수회장등이있다.

181180

클릭전공─공학계열

<전공교과목 이수체계도>

2학년 1학기 2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 3학년 2학기 4학년 1학기 4학년 2학기

공업물리화학(1)

공업분석화학및실험

공업유기화학

전공선택 전공필수

공업물리화학(2)

화공양론 고분자화학

화공열역학(1)

열전달 반도체공정개론

촉매공학

분리정제공정

전기화학공업

재료공정공학

생체생명공학

에너지공학

환경공학

생물화학공학

화공실험(3)

분체공학

화공수학

공정제어

유기단위반응

고분자공학

화공실험(2)

반응공학

유체이동현상

화공열역학(2)

물질이동론

화공설계

졸업논문화공실험(1)화공기조실험

허동수 1960 1966 GS칼텍스㈜ 회장

명 식 1965 1972 GS칼텍스㈜ 사장

김중호 1968 1977 SK E&S 대표이사

전상호 1971 1975 GS칼텍스㈜ 사장

손 기 1971 1978 GS Power㈜ 사장

김성채 1971 1979 금호석유화학 대표이사

장원기 1974 1981 삼성전자㈜ 사장

성낙양 1984 1988 두산동아㈜ 대표이사

성 명 입 학 졸 업 소속기관 직 위

2000~2010년도 화공생명공학전공 학부졸업생 취업 현황 (가나다순)AMK ETCH, LCC, GS칼텍스, LG마이크론, LG엔지니어링, LG전선, LG전자, LG필립스LCD, LG화재, LG화학, SK, SKC, SK건설, SK증권, SK케미칼, 고합, 금호석유화학, 동원증권, 삼성SDS, 삼성SDI,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전기, 삼성전자, 삼성정화학, 삼성종합화학, 삼성화재해상보험, 삼양사, 삼천리, 아모레퍼시픽, 애경, 이수화학, 제일모직, 제일제당, 중외메디컬, 코리아나

화장품, 태평양제약, 태평양화장품, 하이닉스, 한국3M, 한국BASF, 한국Du Pont, 한국IBM, 한국OVAL, 한국P&G, 한국전력공사,한국전지, 한국타이어, 한국하이네트, 한솔, 한화, 한화석유화학, 현대건설, 현대석유화학, 현대중공업, 호남석유화학, 효성, 감사원,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특허청, 환경부, 수출입은행 외 다수

▼ 화공생명공학과 동문 활동 분포

▼ 국내 30대 그룹 신입이사(14,285명)의 전공별 분포

▼ 화공생명공학과 졸업생 취업 현황

300

250

200

150

100

50

최고전문 이사 자명 교수 연구원 공직자경 인 이상 (주소기업) (책임이상)

이공계열(54.3%)

회사취업(87명)

군입대 자 업 기술고시

대학원진학(25명)

기타(86%)

화학계열(14%)

◀ 이공계열 805명중화학생명공학과의 비율상공계열

(28.2%)

인문사회계열(15.4%)

기타(1.1%)

Page 9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화공생명공학관련 연구기관│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경 학, 화학, 신소재공학, 생명공학

10. 기타

│화공생명공학전공 CEO강좌│화공생명공학과에서는 기존 교과목들과 CEO강좌를 연계하여 산업체에서의 경험과 기술들을 소개함으로서, 학생들에게현실감있는교육의기회를제공하고, 전문 기술및 경 인으로서 학생들에게 화학산업기술에대한 도전의식을 함양하게 하여 경쟁력 있는 전문 인력으로육성하기위하여 CEO강좌를개설하고있다.2002학년도 2학기 - SK케미칼김준웅고문 <차세대화학산업과기업경 >2003학년도 1학기 - LG화학노기호사장 <미리경험하는화학회사>2004학년도 1학기 - LG칼텍스정유손 기부사장 <에너지산업에대한이해>

183182

클릭전공─공학계열

김중현 1974 1978 연세대학교 교수

강순재 1962 1966 Univ. of Cincinnati 교수

임순식 1964 1971 Youngstown State Univ. 교수

이제문 1965 1970 Cleveland State University 교수

김광진 1981 1987 Univ. of Nevada, Reno 교수

성 명 입 학 졸 업 소속기관 직 위

인류에게 풍요로운 삶을 주고 있는 현대 산업화의 부작용으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생겼으며, 이에 UN등 국제기구들과 선진국들은 환경오염원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며 삶의 질을향상 시키는데 이바지 할 수 있는 청정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Clean Technology의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CT연구단은 청정 공정공학, 청정 소재공학, 청정 에너지공학, 청정 환경공학, 청정 설비공학의 5개 분야를 선정하고, 이러한 세부 분야에 적합한 연구 및 교육경험을 갖고 있는 화학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생명공학, 도시공학, 토목공학, 전기공학, 환경공학, 모든 인적 및 지적 자원을 구축하 다. 이러한 연구능력과자원을 바탕으로 신기술 및 신자원 개발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여 21세기 인류 복지 구현및 국내 환경기술 개발을 선도할 것이다. 또한 산업자원부 산하 생산기술연구원과 협동으로 청정연구센터를 설립하여 활동한 경험을 살려 차세대 청정 기술 개발과 교육을 선도할 것이다.

연세대학교 CT연구단 단장:설용건 교수([email protected])

인류는 현재 사용 에너지의 90%정도를 화석 및 원자력 연료에의존하고 있다. 이들 에너지는 지구 환경의 오염 및 안정성과연관이 있으며, 환경친화형 신 에너지 시스템의 보급이 상당한수준에 도달하여야한다. 신에너지의 개발을 통해 에너지원의 다양화, 에너지 사용의 효율화 및 복합화 등으로 에너지 절약 수단을 강구하며, 아울러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 clean energysystem을 개발하여 21세기에 대응한 사회체제확립을 설립목표로 연구하고 있다.

신에너지/환경시스템연구소 소장:민병렬 교수([email protected])

환경-사회-기술의 조화를 이루는 청정기술은 기존의 화학, 생물, 전자, 기계를 비롯한국내 모든 산업현자에서의 환경 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화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의 오염물질 발생 후 후처리기술이 아닌 오염물질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저감시키는첨단기술로서 오염물질 최소화 및 재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연세대학교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공동 설립한 센터는 연구, 실용학,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및 이전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모든 화공생명공학 전공의 교수님들이 선도적 청정기술개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청정기술연구센터 센터장:설용건 교수([email protected])

패턴집적형 능동폴리머 소재센터는 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이 산업발전과 연계된 핵심기술연구의 수행과 산학간 협력으로 국가차원의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원하는 우수공학연구센터(ERC)에 선정되어 2007년 9월에 연세대학교에 설립되었다. 능동형 폴리머는 기존의 바인더나 담체와 같은 수동형 폴리머 소재와는 달리 폴리머 자체가 직접신호 표시, 스위칭 및 전달기능을 가진 신개념의 폴리머 소재로써 구조제어 및 패턴 집적 기술을 통해 IT와 BT분야에서 고부가가치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되는 폴리머 소재이다.본 센터는‘능동형 폴리머소재 및 신규 패턴 공정 기술의 개발’을 최종 목표로 연세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한양대학교,한남대학교, 부산대학교, 충남대학교에 계신 능동형 폴리머 관련 국내 최고 전문가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적 선도 연구그룹과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차세대 전자/바이오 산업의 필수 소재인 능동형 폴리머의 개념 창출, 합성 및 구조 제어, 패턴닝 기술개발 등의 원천 기술 및 응용 기술 개발하고자 한다.

패턴 집적형 능동폴리머 소재센터 센터장:김은경 교수([email protected])

BK21 Program for Advanced Education of Sustainable Chemical Technology

BK21 지속가능형 화공기술 인재양성사업단 사업단장:문 일교수([email protected])

사업목표

교육 교수진의 질적/양적 성장을 이루고, 전임교원 확충 및 학부생 감축을 통해 교육환경을 개선함. 또한 장단기해외 연수 및 국제학회 발표 등을 통한 국제화 교육을 추구함.

연구 수소 및 신재생 에너지, 연료전지시스템, 그린소재공학 연구 기술 개발을 통하여 지속가능형 화공기술 분야에서 세계10위권 진입을 목표로 함.

산학 GS칼텍스 외 약 35개 기업과의 산학연 협력사업을 추구하며, 기술이전 및 산업체 연구비 향상을 목표로 함.

Page 9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 세부전공및 역

185

클릭전공─공학계열

1. 전기전자공학이란?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는 전기, 전자, 전파공학 관련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학문 분야로서, 크게“마이크로파 및 광분야”, “반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 “시스템 및 제어 분야”, “정보통신 및 신호처리분야”와“컴퓨터 및 회로설계 분야”로 나뉘어 국내 최고의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2000년 대학교육협의회 전기전자공학관련분야 학과평가에서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는 전국 대학원 1위, 학부최상위 3개 대학 그룹으로 평가받아 명실상부한 전기전자공학분야 국내 최고 학부임을 입증하 다.급변하는 전기전자 분야에서 창의력과 국제경쟁력 개발에 밑거름이 되는 고급연구인력, 졸업 즉시 산업체와 연구소 그리고 공공기관에 진입할 수 있는 현장감과 뛰어난 기술적 감각을 겸비한 창의적 엔지니어, 그리고 산학연 및 공공부문의 소속팀에서 인화와 조정능력 그리고 과제수행을 위한 경 능력을겸비한공학지도자를양성하는것이본학부교육과정의목표이다.

184

전기전자공학전공02 공학계열

※수학 ※과학(2그룹 선택)공학물리학 및 실험(Ⅰ, Ⅱ)

공학수학(Ⅰ, Ⅱ) 공학화학 및 실험(Ⅰ, Ⅱ)공학생물학 및 실험(Ⅰ, Ⅱ)

1학년 수학 / 기초과학

졸업연구 대학원 개설 전과목전기전자창의연구 IT기술의 혁신 및 경 (CEO)

연 구 과 목 학부-대학원 연계과목

공학기초(필수)

데이타구조(필수)선택:1과목

수학:집합론정수론실해석현대대수

물리:현대물리학양자역학열및통계물리학

생물 및 생화학:분자생물학유전학유전생화학생화학

*공학기초(필수)*전공기초(필수) 전 공 심 화➞

1학기

미분방정식

기초회로

논리회로

전자기학Ⅰ

2학기

선형대수와그응용

신호 및 시스템

전자회로Ⅰ

전자기학Ⅱ

1학기데이터 구조

확률 및랜덤변수

통신이론

전력공학

전자회로2

컴퓨터구조

물리전자

마이크로파공학

2학기

컴퓨터네트워크

디지털통신

제어공학

전력전자

디지털시스템설계마이크로프로세서전기전자재료및초전도반도체 물성

안테나공학

마이크로파 공학

1학기

디지털 제어공학

1학기

테이터통신망

랜덤프로세스

디지털통신시스템방송시스템공학오류정정 부호의용전자

선형 시스템 이론

전기기기 및 제어Analog 집적회로설계반도체집적소지및회로IC CAD 실험

정보디스플레이공학

반도체 공정

광통신 공학

2학기오퍼레이팅시스템

멀티미디어통신망랜덤프로세스

디지털신호처리실험음성 신호 처리디지털 상 처리디지털통신시스템

선형네트워크및시스템로봇 제어공학

IC CAD 실험CMOS VLSI

초전도 기초 응용반도체 소자

마이크로파능동회로

2학년 3/4학년 학부 대학원 공통

Page 9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졸업후의진로

6. 전공선배의한마디

187

클릭전공─공학계열

3. 교과과정

4.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186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재학생A : 평소에사물에대한분석적시각을갖는게중요합니다.재학생B : 수학과물리, 특히물리중에서도전자기학부분을배우고익혔을때즐거

움을느낄수있어야한다고생각합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재학생A : 프로그램언어에관심을가지고적어도C언어정도는습득하는게좋습니다.재학생B : C언어와같은여러가지프로그래밍언어및수학과물리의기초를다져놓

는것이좋습니다. 실제로전공에들어와서배울수있는부분은매우한정되어있습니다. 이때여러프로그래밍언어의기초를쌓아놓고배운다면훨씬효율적인공부방안이될수있습니다.

- 공학전자계산 - 선형대수와 그 응용- 미분방정식 - 신호 및 시스템

2학기- 기초회로이론 - 전자기학2(기존:잔자장 과목임)- 전자기학1(기존:전자기학 과목임) - 전자회로(1)- 디지털논리회로 - 전기전자기초실험- 전기전자기초실험- 데이타구조 - 디지털통신- 확률과 랜덤변수 - 제어공학- 통신이론 - 전력전자- 전자회로(2) - 마이크로프로세서

3학년 - 컴퓨터구조 - 전기전자재료 및 초전도(기존:전기전자재료)- 물리전자 - 반도체 물성- 마이크로파공학 - 광전자공학- 전기전자응용실험 - 디지털시스템설계

- 전기전자응용실험- 디지털신호처리 - 컴퓨터네트워크- 디지털제어공학 - 안테나공학- 전력공학(기존:전력계통 과목임) - 네트워크 실험- 시스템공학특론 - 마이크로파 및 광파특론

4학년- 반도체및전자재료특론 - 멀티미디어 신호처리특론- 컴퓨터및회로설계특론 - 디지털 통신특론- 통신 및 신호처리 실험 - 마이크로파 및 광파실험- 임베디드시스템실험 - 전력 및 제어공학실험- 졸업연구 - 졸업연구- 전기전자 창의연구

학 년 1학기 2학기

- 학기초 신입생 교육세미나- 가을 정기 학술전시회

전기랑 1982- 연구실 프로젝트 하청

http://www.electrang.net- 외부(기업) 프로젝트 수행- 각종 학술대회 참가- 설립연도:1982년- 신입생 세미나 및 수련회- 하계 아모로(AMoRo):자율이동로봇 대회 출천

사발통문 1992 - 가을 정기 전시회 개최 http://sbtm.yonsei.net- 가을 동아리 연합회(UniCEM) 개최- 설립연도:1992년

명예학회 2003- 학부 Tutoring Program 운

http://eehs.yonsei.ac.kr- 학부 소개 및 홍보활동

동아리명 설립년도 주 요 활 동 홈페이지

2008년 2월 기준 진로현황(총인원 255명)

대기업47%

기타7%

ROTC2%

유학2%

대학원 진학39%

중소·벤처3%

Page 9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건축공학이란?

건축은 인간이 능률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그 기본 목적이 있으며,이를 위하여 인문 및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그리고 조형예술 분야를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성취하는학문이라할수있다.

│교육목표│건축 환경 창조의 복잡 다양한 임무를 포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효율적이고수준 높은 교육과정을설정하고 있다. 이와 아울러, 우리나라 산업구조의고도화 및정보화에 따른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발맞추어 철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양적으로나 질적인 면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건축인을 양성하고, 지속적인 학문적, 기술적 연구개발을통해국내 건축학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함과 동시에 국제 교류를 활성화함으로써 세계화를 지향하는것을목표로하고있다.

│교육적 특성│(1) 체계적, 전문적교육을통한고급 Engineer 양성(2) 학자, 연구원, 건축 Designer 배출(3) 예술적, 공학적소질을통한창의성배양(4) 지속적인연구활동및건설현장에응용(5) 국내 및국제적인다양한학문및기술교류(6) 첨단학문, 기술연구및교육확장

2. 학업에필요한특성

건축공학 전공에 진학하고자 한다면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과학, 어, 사회의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189

클릭전공─공학계열

188

건축공학전공03 공학계열▶전공에대한20자평

재학생A : 전기전자전공은어렵지만그만큼결과에만족할수있다.재학생B : 지금의고통은밝은미래를예고하는전기전자공학!!

●● 졸업생 선배(대학원생)

▶어떤일을하시나요?

대학원재학중입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끊임없는노력과열정을쏟아부을수있어야합니다. 자신이연구하는분야에있어서는세계최고가될수있다는자부심을가지고그에합당한능력을갖출수있어야합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내가연구한분야에맞는연구소혹은학교로들어가끊임없는연구를하고싶습니다.

●● 졸업생 선배(기업 근무 회사원)

▶어떤일을하시나요?

TFT-LCD를만드는회사에서디지털회로에관한일을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전공(analog/digital 회로)에대한지식은필수적이고, 그외의넓은지식들은“+알파”가될수있습니다. 또한팀단위로일을하기때문에대인관계또한매우중요합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여러가지이유로석/박사과정대신취업을선택했지만, 그결과지식의깊이가얕은것은사실입니다. 시간이지난후에공부를계속할생각입니다.

Page 10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교과과정(건축공학(4년제) / 건축학(5년제))

191

클릭전공─공학계열

3. 세부전공및 역

건축공학과는 건축환경 창조의 복잡 다양한 임무를 포괄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하여 다양한 교과과정을 설정하고 있다. 건축공학은 심미성(건축설계, 건축의장, 현대건축, 동양건축 등), 기능(건축환경, 건축계획, 건축설비 등), 구조(건축구조, 건축재료 및 시공 등)의 3대 분야와 도시설계, 조경계획, 실내건축, 건축법규 등의 기타분야로 구분되어,. 이 여러 분야가 서로 조화와종합되는 학문분야이다. 최근 들어 CAD(Computer Aided Design), IBS(Intelligent BuildingSystem), CM(Construction Management)등의 분야가 포함되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정보화에따라급격히변화하는건축전문인에대한사회적요구에부응하고있다.

● 건축공학과 공학교육 인증(4년제 ABEEK과정)건축공학 프로그램은 단순한 건축 전문인을 배출해내는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적인 흐름에다각도로 대처할 수 있는 전인적 건축교육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 경쟁력을 갖는 건축 인들을 배출하기 위해 2004년부터 인증된 ABEEK 프로그램을 운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건축공학 프로그램은 ABEEK에서 요구하고 있는 기본소양, 전공기반, 공학실무 등의 내실 있는 공학기초지식을 기본으로 하고 창의적·능동적 사고능력과 도덕적 책임의식·국제적 감각을 겸비한 전문적, 실용적, 국제적 건축인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ABEEK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은 실제 현장에 효과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음을 보증한다. 따라서 기업체가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졸업생들을 선호해 취업에 실질적 효과가 있으며 ABEEK이 Washington Accord에 가입하게되면서외국에서도동등한엔지니어로서인정받을수있다.

● 건축공학과 건축학(5년제) 프로그램건축학(5년제) 프로그램은인간의기본학문으로서사회, 과학기술그리고건축을이루는제반역사및상황 등을 이해함과 동시에 올바른 시각을 토대로 건축을 직접 수행하여 완성할 수 있는 건축인의 양성을 주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한 학문적 토대와 그에 따른 학문연구 및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학(5년제) 프로그램은 건축환경의 복잡 다양한 임무를 포괄적으로 수행하고 국제적으로 인정하는 건축사가 되기 위하여 문화적 맥락, 건축설계, 건축기술, 건축실무 등의 역의 교과를 이수하게 된다.또한 관련 학문분야로서 도시설계, 실내건축, 조경 등의 인접학문과 깊은 관련을 두고 있다. 이러한교육의 토대위에서 졸업 후에는 건축설계사무소를 비롯하여 각종 디자인 회사, 학계 및 연구소, 정부기관, 건설관련기업, 부동산개발및 IT업계등에서일하는전문인으로활동할수있다.

190선형대수와그응용

기초건축설계1건축설계1

건축설계11

기초건축설계1건축구조의 이해

건축구조의이해건축일반구조

건축열환경공학서양건축

건축일반구조2 공학전자계산

건축구조역학공학전자계산

건축재료실험기초건축설계2

2 건축빛음환경공학건축설계2

공기조화설비건축디자인방법

건축시공건설사업관리수치해석

건축구조해석

1철골구조해석

건축설계3

건축공기환경동양건축사

급배수위생설비건축열환경계획

3건축재료미분방정식

건축설계4철근콘크리트구조해석

건축구조역학2

철골구조설계건축시공

생태건축생태건축

친환경설계주거론

건설공정관리공학설계 건축설계5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건축형태와 구조1 건물시스템운 관리 건축설비

건설견적관리 현대건축4 건설계약및분규해결 도시설계

구조동역학건축설계5

2 건물성능평가철근콘크리트구조해석

부동산개발건축이론과실제

건축법규

1건축설계7

5 건축실무2 건축설계B

건축공학(4년제)전공 / ABEEK 건축학(5년제)전공

Page 10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건축공학과 동문은 현재 학계, 건축공무원, 건설업계, 건축설계사무소, 구조설계사무소 등 다방면에서뛰어난활약을하고있다. 더욱이모든동문들은뛰어난능력과성실한태도로자신의적성을살려각분야에서우수한실적을남기며연세대학교의이름을드높이며그실력을인정받고있다.그 동문들의이름을하나하나거명하기에는지면이허락하지않아아쉬움이남는다.

193

클릭전공─공학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까망● ANG● 건사부● 형● 걸리버● 아키니어

6. 졸업후의진로

7. 전공선배의한마디

192

건축공학과 5% 12% 16% 38% 20% 9%

공무원 유학 연구 시공 설계 기타

●● 재학생 선배에게 묻습니다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우선자신이좋아하는관심분야가건축에서디자인분야인지공학분야인지판단하고

그판단에따라건축학(5년제), 건축공학(4년제)으로나누어자신의적성을정하여전공을선택할수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건축에대학관심을바탕으로직접현장을체험하거나전시회, 졸업작품전등을관람하는등의노력이필요하다.

▶전공에대한20자평

건축(공)학이란인간과자연, 인간과환경, 사회·경제및문화와분리하여생각할수없는학문이라고생각한다.

●● 졸업생 선배에게 묻습니다.

▶어떤일을하시나요?

대학원에진학하여건축환경에대한공부를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기본적으로컴퓨터를다룰수있는능력, 체계적인사고및분석능력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박사과정을할생각입니다.

공무원유학연구시공설계기타38.0%

20.0%

9.0%

5.0%

12.0%

16.0%

Page 10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95

클릭전공─공학계열

9. 기타(건축과학기술연구소)

건축과학기술연구소는 건축 및 기술에 대한 산학연 공동연구 센터로서,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기반시설인 첨단정보빌딩을 비롯하여 지구 환경보전을 위한 환경 건축 및 저에너지 건축, 과학적인 건축계획 및 설계, 첨단 건물구조시스템, 건물 시공 및 건설 경 , 핵심 건축 신소재, 건물 정보 통신 및 자동화시스템, 지하공간 개발, 첨단 정보화 도시 및 단지 계획, 전통 건축의 복원 및 보전 등에 관련된기술개발및응용을통해건축과학기술의선진화를주도하는데그목적이있다.

1. 도시공학이란?

도시공학은 도시라는 공간속에서 활동하는사람들의도시활동과 접하게관련되어있는도시계획, 도시교통, 도시설계및도시환경·정보 분야의 교육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본 학과는 도시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찾기위하여 권위 있는 교수진을 확보하고 다양한 교과과정 및 학술프로그램 등을 통해 도시계획, 도시교통, 도시설계 및 도시환경·정보라는 세부전공분야에서 최고의 인재를양성하는데목표를두고있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도시공학 전공은 창의적이고 리더십이 강하고 사람·사회 그리고 도시를 이해하려는 관심이 큰 학생에게 적합하다. 또한 사회·경제·과학 등 다양한 학문에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므로 고등학교 과정에서과학, 사회, 기술의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도시계획 (Urban Planning)│도시계획은 한정된 국토 및 도시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자원을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과학적인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를 근거로 도시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가는 분야이다. 도시계획 및 개발 연구실에서는 도시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거와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결과들을 예측, 평가하여 최선의 대안을 선정하고, 이를 실행하고, 다시 평가하여 대안을 수정 발전시키는 일련의 모든 행위와 관련하여 토지 및

194

도시공학전공04 공학계열

연구부 조직표

소 장

이 상 호(건축공학전공)

부 소 장

임 홍 철(건축공학전공)

감 사

이홍림(건축공학전공)김 문겸(토목공학과)

운 위 원김성우(공학대학원장)김 형진(도시공학)민 옥기(기계공학)박 기(건축공학)김 문겸(토목환경공학)이 강용(기계공학)이 홍림(세라믹공학)전 광민(산업기술연구소장)정 연규(토목공학)이 상호(건축과학기술연구소장)임 홍철(건축과학기술연구부소장)

재 무

이 강(건축공학)

총 무

김 태 연(건축공학)

연 구 센 터

친환경 건축연구센터

센터장:이승복간 사:김태연

지하 구조연구센터

센터장:임홍철간 사:이 강

건축설계계획 연구부김 성 우

건축 구조연구부박 효 선

건축시공경 연구부백 준 홍

건축도시·환경설계연구부이상호

건축도시환경시스템연구부김병선

건축심리및건축평가연구실

박 기

건축 구조성능평가 연구실홍 갑 표

21C 건설연구실백 준 홍

건축 공간계획 연구실이 상 호

첨단 빌딩시스템 연구실김 병 선

건축역사이론및설계연구실

김성우

구조물 진단,계측 연구실임 홍 철

건축 설계연구실이 상 준

고층 건축구조 연구실박 효 신

건설IT연구실이 강

도시 건축설계 연구실민 선 주

대안 설계연구실최 문 규

친환경 건축연구실

이승백/김태연

도시공학

도시계획및 경제

기타(행정도시)

환경정보설계개발및 정비

교통컴퓨터 IT

Page 10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교과과정

197

클릭전공─공학계열

196

주택정책, 도시개발사업의 시행, 도시관리, 공간분석 및 입지, 도시구조 등을 연구한다. 또한 지역계획 및 개발 연구실에서는 혁신을 통한 지역의 내생적 성장 및 개발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여지역간 격차의 해소와 국토의 균형발전 그리고 협력적 지역계획 및 대도시 거버넌스의 구체적 방안을연구하고있다.

│도시교통계획 및 공학 (Urban Transportation)│도시교통은 날로 복잡해져 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사람과 화물을 빠르고 안전하게 수송하기 위하여필요한교통체계및교통시설물을계획하고, 기능적으로설계하며, 효율적으로운 관리하는분야이다. 교통계획 연구실은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도시교통 및 지역간 교통계획을 수립하고 기존의교통시스템을분석하여문제점도출하고개선방안을연구한다.그리고 교통시설 공급의 타당성과 물류체계를 분석하고 도시 및 지역개발에 따른 교통 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첨단교통체계 연구실에서는 혁신적 교통시스템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환경친화적인 교통체계의 설계 및 분석, 이동성 및 접근성 기반의 도로설계 유도, 교통운 기법(TSM)수립, 지능형교통시스템(ITS)구축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교통정보 및 통행행태 연구실에서는 통행의 행태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통시설을 효율적으로 운할수있는교통정보생성및적용화기술개발을연구하고있다.

│도시설계 (Urban Design)│도시설계는인간이활동하는도시공간을기능성과미적요소들과의연계성을고려하여소규모단지에서부터 대규모단지까지 개발,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한 방향성과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시행 및집행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도시단지개발디자인 연구실에서는 도시설계, 도시건축, 도시개발, 단지설계, 단지개발, 조경, 토지이용계획등소규모에서부터대규모개발디자인까지총괄하여종합적인 계획, 설계 능력을 배양 하고 있다. 또한 도시설계 및 정비연구실에서는 창의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도시공간을 만들기 위한 도시 및 단지설계, 재개발, 환경심리, 도시설계 방법론 및 도시설계의가치를연구하고있다.

│도시환경/도시정보 (Urban Environment/Urban Information)│도시환경·정보는 환경 친화적인 삶을 위하여 환경문제와 관련된 원리와 GIS를 이용한 도시공간모델링에 대하여 연구하는 분야이다. 도시환경계획 연구실에서는 도시공간 안팎에서 일어날 수 있는각종 환경문제를 사전 예측 방지하고 관리하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지속성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도시를계획하는방법을연구한다.도시정보및공간분석연구실에서는 GIS와 통계기법을이용한도시정보및공간분석을통하여도시의공간적특성과발전형태에관하여연구하고있다.

•지속성장 가능한 도시개발과 환경관리•삶의 질 제고를 위한 토지 및 주택 정책•국토공간의 효율성과 형평성 분석•개방화 시대의 SOC 투자전략 평가•도시 및 지역 계량분석 모형 개발

•친환경 주거단지 설계•공원녹지 조경계획•복합용도개발단지 설계•NEW/TOWN 설계•도시재개발 및 설계•지구단위계획

도 시 계 획

•교통계획•교통공학 및 도로•교통안전 및 환경•교통경제 및 물류•교통운 (TSM), ITS

도 시 교 통

•도시환경, 생태환경계획•환경분석 및 정책개발•환경 향평가•공간정보분석•도시정보시스템•도시공간모델링

도시환경·정보도 시 설 계도시공학

1학년

공학수학1 공학수학3 수학모형

전산응용

공간경제

대중교통

계획방법

단지교통계획 첨단교통체계

생태도시계획도시환경정책

도시정보시스템응용

도시공학실습

창의도시공학실습도시관리

교통환경

GIS와 도시

인간의 이해전공필수

전공선택

MSC

선수과목

종합설계

사회의 이해

문화의 이해

세계의 이해 쓰기

기독교의이해

대학 어Ⅱ

대학 어Ⅰ 창의적사고훈련

공학과조직인사론

기술창조와특허

공학투자 분석

전지구적기후변화와기술경

21C기술경미래사회와표준

경제성공학

공학시사경제자원관리

과학기술과사회

테크노리더십

기술인적자원관리

교통공학공학물리학및 실험 1,2

공학물리학및 실험 1,2

공학물리학및 실험 1,2

Freshman Semina

상상설계공학

공학기초설계

도시대기오염

부동산개발분석

토지및주택정책

도시계획및환경관리법

주거단지계획및설계

도시재개발계획및설계

레저단지계획및설계

교통체계분석

단지계획및 도시설계

복합단지계획및설계

토지이용계획및설계

도시공간정보분석

공학수학4

도시계획

국토및지역개발

교통계획

환경계획

도시단지설계제도

공학수학2

공학정보처리

2학년 3학년 4학년

Page 10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졸업후의진로

199

클릭전공─공학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도시공학과 동아리에는 ANB(컴퓨터 공부), U410(학과 Newsletter 발간) 도시산책(전공관련 토론및세미나) 등이 학생자치로활동한다.

● 학부모 초청행사매년 학부모 초청으로 학과 홍보 및 지도학생의 고민 등 정보교환 그리고 학부모에게 도시공학과를알리고교수님들과의만남의장제공한다.

● 졸업작품 전시회매년연구과제분석을통하여, 효과적으로의사를전달할수있는능력을가질수있음.조별활동을통하여사회구성원의역할준비에발판이된다.

● 멘토링데이Mentoring Day는 매년 각 분야에 취업된 선배들과의 설명회 및 대화의 시간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대화를통해고민을해결하도록한다.

198

•한국도로공사 •국토연구원 •건설, 부동산, 정보 •도시계획기술사•한국토지공사 •교통개발연구원 •유통, 보험, 투자금융 •교통기술사•대한주택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소 •부동산신탁 •감정평가사•한국수자원공사 •철도기술연구원 •엔지니어링 업체 •수질환경기술사•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개발연구원 •개발컨설팅사 •대기환경기술사•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산업연구원 •각 시 발전연구원 •소음진동기술사•농수산물유통공사 •토지연구원 •환경오염물 배출업체 •산업폐기물기술사•한국전력공사 •한국과학기술원 •수질환경기사

•건설산업연구원 •폐기물처리기사•주택산업연구원 •대기환경기사•한국지방행정연구원 •소음진동기사•환경관리 정부기관및 관련연구소

구분 공공투자기관 국책기관 일반기업 전문가

2009년도

대기업/중견기업

중소기업

공무원/교원/공사/교원/장교

기타

진학

미취업/자 업

총인원

50%

6%

3%

3%1%

19%

18%

Page 10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 이은호(2000년 졸업) ㈜미래에셋맵스자산운용 / 부동산자산관리본부이사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경제학, 통계학, 토목공학, 사회학, 건축공학

201

클릭전공─공학계열

7. 전공선배의한마디

200

도시공학은어떤것을배우는학문일까요?우선, 도시공학의모토는‘도시를사람이살만한곳으로만든다.’라고할수있습니다.많은사람들이복잡하게얽히고설켜살아가는도시라는공간은다양한현상들이나타나고, 또그에따른문제점들이생길수있겠죠. 도시공학은그러한현상들을계획,환경, 설계, 교통의 4분야로 나누어 분석하고,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대한해결책을탐구하는학문이라고할수있습니다. 그리고어떻게하면좀더합리적으로, 효율적으로도시공간을구성할수있을까를연구하는학문이죠. 도시는다양한요소들이 접한관계를가지고서로 향을미치며살아가는공간입니다. 때문에도시공학도라면비단공학적인소양만이아닌, 사회과학적, 인문학적사고와관심을가지는것이좋습니다. 그래야도시에서일어나는여러현상들에대해좀더잘이해할수있을테니까요. 따라서졸업후진로도한분야에국한되지않고금융, 건설, 엔지니어링, 공공기관등다양한분야에선배들이진출하고있습니다.우리학교의도시공학과에대해말 드리자면학년별인원이많지않아서서로간에긴 한유대감을형성하고있으며, 특히장점이라할수있는점은교수님들께서도학생들을너무나잘챙겨주신다는것입니다. 우리과는매년총엠티, 창립기념행사, 체육대회, 학부모초청행사등여러행사들을기획, 진행하고있는데요, 그런행사가있을때마다모든교수님들께서참석하시어학생들과대화를나누며조언도해주시며친 한관계를유지하십니다.여러분들도도시공학도가되어공부를해보시면무엇보다참으로재미있는학문이라는것을깨닫게될거라확신합니다. 우리삶에직접적인관련이있고, 접한 향을미치는것들을공부하다보면흥미가더생기기도하고학점을위한수단으로서의공부를넘어서학문을위한목적으로서의공부를하게되는자신을발견하게될것입니다. 많은분들이도시공학에대해잘알고흥미를가졌으면하는바람입니다.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전공에잘맞는적성은따로없다고생각됩니다. 그러나도시공학은도시전체의문제를다루는종합적인학문이기때문에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도시전반에걸친다양한문제에관심을두는마음자세가뒷받침된다면좋을것같습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전공수업에잘참여하여서계획, 교통, 설계, 환경 분야의과목을골고루수강하는것이필요합니다. 어느것하나도도시에서중요치않은부분은없거든요

▶전공에대한20자평

사람과도시를배우는학문

●● 졸업생 선배 (도시공학과 대학원)

▶어떤일을하시나요?

현재연세대학교도시공학과대학원에서석박사통합과정에재학중입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자질이나 능력보다는 학문에 대한 열정과 미래를 위해 현실의 어려움을 이겨내는의지가필요합니다. 사회에서전문가로서활동하기위한일종의훈련기간이니까요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무사히학업을마치고학위를취득한후관련분야에서연구원이나도시관련전문가로활동할계획입니다.

●● 류형규(03학번)

안녕하세요, 도시공학과의학생회장을맡고있는03학번류형규입니다. 이 을읽고있는후배님들중저와함께같은강의실에서같은교수님의수업을들으며공부를하게될후배님이있을거라고생각하니참으로기대가됩니다.

Page 10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 학업에필요한특성과기초능력

토목·환경공학 전공에 진학하고자 한다면 창의력과 리더십이 있어야 하며 다양한 사회기반구조물(교량, 도로, 댐) 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수학, 과학, 어, 기술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기초과학에 대한 이해와 협력적으로 일하는 능력이필요하다.

3. 세부전공및 역

203

클릭전공─공학계열

1. 토목·환경공학이란?

│개요│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의 단일전공인 토목·환경공학전공은 인간의 윤택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인간이 생활하는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보전에 노력함과 동시에 인류가 자연의 여러 악조건으로부터피해를 받지 않도록 국토를 관리하고 사회환경과 생활환경을 개선하며 인간의 best-being을 추구할수 있는 기반을 창조하는 학문분야이다. 사회기반시설(교량, 터널, 항만, 고속도로, 지하철, 고속철도,공항, 댐 등)의 계획부터설계와시공, 유지관리및폐기에이르기까지전과정에관련한기술을개발하며, 인간 생명의근원인수자원및환경의관리운 그리고건설경 및공간의효율적이용을위한 지형공간정보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아름다운 사회환경기반 시스템을구축하기 위한 이론 및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분야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의단일전공인토목·환경공학전공은변화하는미래를예측하며기반시설시스템, 수자원·환경시스템,그리고 정보·경 시스템의 세 분야로 새로운 학문의 틀을 구성하고 타 분야에서 개발되는 첨단과학기술의 융·복합을 시도하여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환경을 끝없이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 연구를 계속해가고있다.

│교육 및 연구 목표│

202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환경공학전공

기반시설시스템 수자원·환경시스템 정보·경 건설로봇시스템

•구조 및 교량공학

•콘크리트 구조공학

•지반공학

•응용역학

•수공학

•환경공학

•측량및지형공간정보

•건설경 및 관리

•건설로봇

토목·환경공학전공05 공학계열

토목·환경공학의 목표

교 육 목 표

사회환경시스템공학 분야의 국제적 경쟁력과 국내 기술을 선도하는 창의적 엔지니어, 고급 연구인력 및 차세대를 대비하는 기술 정책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연 구 목 표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사회 기반시설물 건설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확립과원천기술 및 선도 기술의 개발연구, 그리고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

연세대학교 설립이념을 바탕으로 자연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환경의 조화로운 구성을

주도할 수 있는 공학기술의 교육 및 연구

Page 10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05

클릭전공─공학계열

204

6. 졸업후의진로

거의 모든 공학, 과학, 사회 분야와 연계된 토목·환경공학을 전공으로 졸업한 학생에게는 매우 다양한 분야로의 길이 열려있으며 다양한 선택을 통해 성숙한 공학인으로서의 삶을 위할 수 있다.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는매년 100%의 취업률을자랑하며, 교량, 터널, 댐, 도시설계및계획, 원자력 발전소, 각종 플랜트 등 관련 산업체와 연구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인력들을 배출하고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학계250명

기술사577명

연구기관340명

설계·시공사기술자600명

대기업임·직원

260·1220명

공무원(5급이상)102명

동문현황

[연세대학교토목·환경공학전공졸업동문현황(2005년 2월 기준)]

●● 재학생 선배(03학번 윤지현)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토목·환경공학은진출분야가넓습니다. 교량, 터널, 댐, 도시설계및계획, 원자력발전소, 각종플랜트등관련산업체부터연구소등다양한분야에토목·환경공학동문들이 중추적인 역학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맞는 분야를 적절하게선택하여준비하는것이좋습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토목·환경공학은기초학문인수학, 기초과학, 전산학분야를반드시이수해야합

4. 교과과정

2004년 공학교육인증(ABEEK)에 따라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는 다음과 같은 교과과정이 학년별로 구성되어있다.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Hammers:농구동아리● Shovels:축구동아리● 플동 Ver.SCEE:프로그래밍 동아리● 먼동:시사토론학회 동아리● 11몽키즈:댄스 및 방송 안무

기반시설시스템분야 수자원환경시스템분야 정보경 시스템분야

2학년1학기

2학년2학기

3학년1학기

3학년2학기

4학년1학기

4학년2학기

사회환경시스템설계입문

재료역학

건설재료실험

사회기반시스템설계

응용역학

동역학

구조진동해석

강구조설계

전신구조해석

교량계획/설계

지하구조설계

도로/철도공학

지반설계 하천공학폐기물처리

공학건설관리학

PS콘크리트구조설계

기초공학

수질관리계획

디지털사진관측학

건설신기술

해안항만공학

수자원시스템설계

콘크리트구조거동

콘크리트구조설계

응용토질역학

수문학정수처리공학

지형공간정보학

토잘역학 수리학하수처리공학

대기오염처리공학구조역학

콘크리트공학

지반공학 유체정역학

유체동역학

환경위생공학

환경생화학공학

일반측량학

기본측량 및실습

Page 10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1958년 건설공학과로 시작한 이후 3500여명의 토목·환경공학을 전공한 모든 동문들이 연세토목의자랑이다. 그 중에서 몇 동문을 나열한다면, 현재 본 전공의 동문회장인 곽동근(69년졸업) 동문은 98년 건설교통부 도로구조물과장을 시작으로 2001년 대전지방국토관리청 도로시설국장을 역임, 도로계획 및 설계 부분에대한전반적인업무를책임졌고, 현재 서 기술단부사장으로재직 중이다. 문우행(71년졸업) 동문은 공채사원에서 시작하여 SK그룹 건설분야의 CEO를 거쳐 부회장으로 현재 SK건설고문으로, 정태섭(71년졸업) 동문은 신성엔지니어링의 최고경 자로 현재 신성엔지니어링 부사장으로우리나라 건설의 시공 및 엔지니어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2000년 11월에 개통한 국내최장교량인 서해대교 건설의 총 책임을 맡았던 대림산업의 윤 구(81년졸업) 상무는 우리나라를 대표할수있는구조물중하나를훌륭하게이땅에남긴자랑스러운동문이다.학계 및 연구소로 진출한 많은 동문 중 그 일부를 소개한다면, 박재광(77년졸업) 동문은 미국Wisconsin주립 대학 환경분야 교수로, 이종세(81년졸업) 동문은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교수로, 이승래(82년졸업) 동문은 KAIST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로, 윤 수(83년졸업) 동문은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유기윤(87년졸업) 동문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 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최근에 졸업한 동문으로 서울시 9급 공무원으로 시작하 으나, 기술고등고시를 통해 1년 반이라는 최단 기간 내에 서울시 5급 공무원으로 승진하여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최진석(97년졸업) 사무관도자랑스러운동문중에빼놓을수없다. 아울러 우원식(76년 입학) 동문은 2004년 17대 국회의원으로당선되어활발한의정활동을펼치고있는자랑스러운동문이다.위에서 나열한 동문 이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연세토목을 빛내고 있는 자랑스러운동문들을보면토목·환경공학전공의미래와현재는무한히넓고밝다고말할수있다.

207

클릭전공─공학계열

206

공학, G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및 GPS(Global PositioningSystem) 등이있으며이러한관련분야연구를위해선학부에서배웠던구조역학,토질역학등의역학과목이외에도선형대수학및확률통계분야등의공부가필요로합니다. 또한프로그래밍과관련된공부역시병행하여야합니다. 측량및지형공간정보공학은기존의토목의활용범위를한단계넓혀놓을수있는분야로앞으로의발전가능성이큰분야라고생각됩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일단은대학원에서학위과정을마치고관련분야연구소(국방과학연구소, 국토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 등으로의 취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물론 기회가 주어진다면국외관련연구소와의공동연구등을통해측량및지형공간정보공학분야에서공부를계속하고싶습니다. 아직은배워야할부분들이많다고생각됩니다.

니다. 토목·환경공학은그중요성을인식해 33학점이상을수강토록하고있습니다. 그이유는핵심전공과목을수강하다보면수학이나과학을응용해야하는학문이기때문에, 꼭제대로이수하고전공과목을이수하기바랍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입학식때 03학번동기들과단체사진의추억을남긴지가어제같은데저는어느덧3학년이되었군요. 여러분들의 1학년생활도참빠르게지나갔지요? 시간은모두에게공평하게흘러갔습니다. 똑같이정해진대학교 1학년, 1년이란시간을여러분들은알차게보내셨는지요. 여러선배님들께서는1학년때후회없이시간을보내라고하셨습니다. 이말뜻은알차게시간을보내고자신의적성에맞는, 자신을발전시킬수있는전공을잘선택하라는말같습니다.우리 과에서 공부하고 있는 토목환경공학은 실로 대단한 학문입니다. 모든 공학이토목환경공학을토대로발전했다고해도과언은아니라고생각합니다.신문지상이나방송상에서보면타학문은“세계최고”라는이슈로부각이되곤합니다. 하지만토목공학은이런일이거의없습니다. 왜일까요? 답은간단합니다. 토목환경공학이라는학문안에서의최고라는단어는의미가없기때문입니다. 최고위에최고가있고최고를정복하여또다른최고를만들어내는학문이바로토목?환경공학이기때문입니다.우리과자랑을하나더하자면공대유일의과학생회가있다는것입니다. 체계적인학생회아래과학생들은편안하고유익한대학생활을누릴수있습니다. 또, 학생회를주축으로이루어지는학부총MT, 체육대회, 모형교량Contest, 토목사진전등다양한행사는타과의학생들이누리지못하는저희과만의혜택입니다.거창하게 말은 했지만, 여러분들 인생의 갈림길인 전공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을드리고자 이 을 남깁니다. 이 을 읽는 여러분들은 주위의 몇 명이 하는 말이나여러분이가지고있는고정관념으로미래의무한한가능성을제한하는일이없었으면합니다. 후배님들이후회없는선택을하셔서적성에맞고자신을발전시킬수있는학문을공부하시길바랍니다.

●● 졸업생 선배

▶어떤일을하시나요?

현재연세대학교본대학원에측량및지형공간정보연구실에재학중에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제가몸담고있는측량연구실의주요연구분야는항공및위성사진측량, 지형정보

Page 10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09

클릭전공─공학계열

10. 기타

│이중(복수)전공을 통한 폭넓은 지적 향상│토목·환경공학은 기계공학, 건축공학, 도시공학 등의 여러 부분에서 접목될 수 있는 기초적 학문을심층적으로다루고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전공으로의 학문적인 접근이 용이하며, 이중전공 및 복수 전공선택을통해보다폭넓은학문적성취를이루어다양한분야로의지식확장을이룰수있다.

│장학제도와 학생자치활동│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의 토목·환경공학전공은 전교에서 단일학부로는 최대의 다양한 장학제도의 혜택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보다 풍요로운 학생활동 위와, 성숙된 공학인으로의 완성에 밑거름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이면서도 조직적인 학생활동을 통해 풍부한경험의축적기회를가질수있는학생자치활동이활발히운 되고있다.

│특별한 교과목│CEO 특강, 사회기반시스템설계, 현장 실습 등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에서 사회 활동과 연계한 교과목으로 실제로 산업계와 협력하여 우수한 산업인을 육성하는데 중점을 두어 실행하고 있다. 또한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는 전공과목 어 강의율 60%로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어 효율성을증진시키는데지속적으로노력하고있다.

208

1. 기계공학이란?

기계공학전공은 창의적 사고와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종합 설계 능력을 갖추고 로벌 사회에 유익한가치를창출할수있는인재양성을목표로한다.

1) 창의적 사고방법과설계기술을익히고, 기계공학을 기반으로여러 전문 분야에 걸친 종합적인공학설계에적용할수있는능력을계발한다.

2) 자신의 생각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동료들과 팀웍을 할 수 있으며, 조직을 관리하고 경 할 줄아는리더십을배양한다.

3) 미래에필요한예측하기어려운기술에도전하고, 신기술을개발하여새로운환경에유익하게적용할수있는능력을계발한다.

4) 평생을 통해 자기계발을 할 줄 알며, 개방적인 마음과 비판적 의문을 가지고, 자신의 연구 결과 및개발품에대해사회적, 윤리적책임을인식할줄아는소양을익힌다.

5) 로벌사회에서 공학인의 국제적 역할을 인식하고, 산업체, 교육·연구기관, 공공기관의 리더로서성장할수있는역량을계발한다.

기계공학(mechanical engineering)은 자연현상의 이해와 그 원리의 규명을 토대로 이를 응용하고실용화시키기 위한 학문으로서, 에너지(energy), 운동(motion) 및 정보(information)를 다룬다. 기계공학에서는 에너지의 변환과 전달 및 그와 관련된 운동의 원리와 응용을 다루게 되므로, 자동차, 항공, 반도체, 에너지시스템, 컴퓨터, 재료, 정보가전, 로봇, 자동화, 의료생체 마이크로나노 및 바이오응용기술등에 이르는방대한모든 차세대성장동력산업의중심적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다양한 공학적 기술을종합적으로습득하여효율적이며경제성이있는 제품을설계하고이를구현하기위한생산기술을교육한다.

기계공학전공06 공학계열

Page 11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교과과정

1) 기계공학수학과 공학수치해석 등의 공학기초에 필요한 과목을 기계공학부에서 직접 개설하여 강의하며, 공과대학에서 개설하는 공학정보처리, 수학과 및 물리학과에서 개설하는 확률통계, 현대물리학(1) 등의 과목을수강하게하여전공기초를튼튼히쌓아야한다.

2) 전공과목에서 이론과 이와 관련된 실험을 함께 가르치도록 교과과목을 개선하여, 학생들이 이론을배우고바로실험을통해이론을확인해볼수있게하여학습의효과를높이도록하 다.

3) 기계전공을 세분화시킨 과목으로만 구성되어 있던 이전의 교과과정에 세분화된 지식을 종합하여기계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울 수 있는 창의설계과목 (창의설계프로젝트(1), (2), (3))을 개설하고필수로지정하여학생들이종합설계능력을갖추는데역점을두고있다.

4) 소양과목으로 1학년 학부대학 동안의 수강하는 과목 외에 공학인을 위한 소양과목으로 공과대학에서 경제성공학, 공학시사경제와기술경 , 과학기술과 사회, 창의적 사고훈련 등의 과목을 개설하여경 학과에서 개설되는 과목과는 달리 공학인을 위해 특성화된 과목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도록 하다.

211

클릭전공─공학계열

2. 학업에필요한특성

수학 전공에 진학하고자 한다면 수학 및 과학 등 자연계 분야에 관심이 있어야 하며 외국어 능력과종합적 사고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 전공은 과학적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210

공학수학1(3), 공학수학2(3),공학정보처리(3)

필수교양 물리계열:공학물리학및실험1(3), 공학물리학및실험2(3)

(21) 화학계열:공학화학및실험1(3), 공학화학및실험2(3)

생물계열:공학생물학및실험1(3), 공학생물학및실험2(3)

전공기초 기계공학수학1(3), 기계공학수학2(3)

(9) 공학수치해석(3), 현대물리학1(3), 확률통계(3)

필수(12) 창의설계프로젝트1(3), 창의설계프로젝트2(3), 창의설계프로젝트3(3), 연구논문(3)

고체역학및실험1(3), 고체역학및실험2(3), 공기조화및환경(3), 공학재료와거동학(3),

광공학(3), 기계요소설계(3), 기계진동및실험(3), 동역학및응용(3), 메카니즘설계(3),

메카트로닉스(3), 설계및생산공학1(3), 설계및생산공학2(3), 에너지동력공학(3),

열전달및실험(3), 유체역학및실험(3), 응용열역학및실험(3), 응용유체역학(3), 정형

생산시스템(3), 컴퓨터응용생산공학(3), 회로와전자기응용(3), Bio-Tech.개론(3),

기계시스템제어(3), 나노물리개론(3), 마이크로시스템(3), 생체공학(3), 열역학(3),

학부 세미나1(2), 학부 세미나2(2)

공통기초 쓰기(3), 기독교의 이해(3) 역 중 1과목,

(10) 대학 어Ⅰ(2), 대학 어Ⅱ(2) {또는 고급대학 어Ⅰ,Ⅱ 또는 대학기본 어Ⅰ,Ⅱ}

과학기술과사회(3), 기술및제품마케팅(3), 기술인적자원관리(3), 기술,지식과공공정

책의이해(3), 기술창조와특허(3), 테크노리더십(3), 21C기술경 (3), 경제성공학(3),

공학시사경제와기술경 (3), 공학투자분석(3), 미래사회와표준(3), 전지구적기후변

화와대응전략(3)

1.문학과 예술, 2.인간과 역사

3.언어와 표현, 4.가치와 윤리

종 별 역 교 과 목(학점)

MSC(30)

전공(60)

전문교양(19)

선택(48)

필수교양(9)

필수교양(9)

신소재 및 지능구조, 응력 및 구조해석 무기체계, 차량구조, 원자로, 반도체부품,

신뢰성, 마이크로역학 생체역학, 압전재료

내연기관, 추진연소, 열전달, 환경에너지 자동차/항공기 엔지 로켓/인공위성,

윤활/생체유체, 터보기계 인공심장, 정보가전, 신재생에너지

진동 및 소음, 정 제어 및 계측, 메카트로닉스, 자동화, 인간친화로봇, 정보저장기기,

로보틱스, 메카니즘설계 지능제어, 무인항공기, 고속전철

CAD/CAM, 적설계, 정 메카트로닉스, MEMS, 설계자동화, 광응용프로세스,

레이저광학, 마이크로머시닝 컴퓨터응용설계, 무인생산시스템

바이오테크놀로지, 나노재료, 나노포토닉스 의료생체, 나노기계, 연료전지

세부 전공관련 내용 응용분야

항공/우주 산업

자동차/중공업 산업

발전/플랜트 산업

생산자동화 산업가전 산업복지/의료기기 산업

21세기 핵심 산업의 Core Tech.

Page 11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13

클릭전공─공학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기계공학 전공과 관련된 학술동아리를 교수님의 지도하에 각 분야에 관심있는 학부생의 참여로 동아리를운 하고있다.

● 메카(MECAR)자작차제작및자동차학술모임Radio Controlled Car 제작 및모터스포츠체험을통한지식추구

● 로보인(Roboin)다양한 주제의 로봇 제작(2족, 4족 뱀, 물고기 로봇) 및 각종 로봇대회참가 ABU 로보콘 URC등 로봇에대한지식탐험(roboin.cywrold.com)

6. 졸업후의진로

1964년 연세 기계공학부의 첫 졸업생이 배출되면서 수많은 동문들이 지금까지 우리나라 공학발전에많은 업적과공헌을쌓아왔다. 학부와 대학원을마치게되면 각종기업체및 기업체연구소, 국립연구소등에진출할수있다.

│일반기업체│현대자동차, CM대우,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LG전자, 대한항공, 대우일렉트로닉스, SK텔레콤, 두산인프라코어, 현대모비스, 포스코, 현대건설, 삼성중공업, 정 화학 및 항공우주, 바이오응용기술, 첨단부품소재, 생산제조관련회사및벤처기업

│국립연구소│기계연구원, 항공우주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전력연구원, 원자력연구소, 에너지연구소, 자동차부품연구소, KIST, 생산기술연구원, 철도기술연구원, 전자통신연구원, 포항제철등

│본교 대학원 및 국외유학 등 진학을 통한 학계진출│•상위권대학전공별취업률비교(2004년 교육개발원자료)

212

7. 전공선배의한마디

●● 04학번 박OO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전공에가장필요한적성은창의성과도전정신입니다. 창의성과도전정신은기계공학적연구에대한시발점을열어줌과동시에공학적제품설계및제작과정에서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결정적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와 더불어, 수학과 과학에흥미가있다면공학적접근과분석방법에보다쉽게친숙해질수있을것입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연세대학교에들어와공학계열1학년학부과정을무난히마치신분이라면, 특별한준비없이도전공공부를따라갈수있을거라생각합니다. 그래도굳이준비해야할것을 꼽으라면, 1학년 때 배우는 공학전자계산과 공학수학을 한번쯤 복습하시는 것을권하고싶습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공학적지식과현상을이해하고이를바탕으로제품을설계, 제작하는방법을배우는학문

●● 96학번 김OO

▶어떤일을하시나요?

자동차회사의 기술연구소 차량해석팀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차량해석팀은실제차량과똑같은모델을컴퓨터소프트웨어를사용하여구현한뒤충돌, 소음진동, 내구와같은성능을검토및개선하는일을담당하는조직입니다. 공학용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제 개발 차량과 동일하게 모델링된 가상차량(VirtualVehicle)을이용하여각종성능을컴퓨터상에서미리시뮬레이션하게되면적은비용과시간으로성능을검증할수있을뿐아니라여러가지개선안들을다양하게적용하여적은비용으로효율적인자동차설계를도출할수있습니다. 저는차량해석팀내에서내구, 강도해석을담당하고있으며주로차량이기본적으로만족해야할구조적인강도와강성, 내구성에관한해석및개선안도출, 최적화등의업무를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기계공학도로서교과과정을통해기본적으로배우게되는역학지식, 구조물의응력/

기계공학 1,444 86.8전산학 컴퓨터공학 1,100 80.7

전자공학 1,832 79.2경 학 3,618 78.3

정보통신공학 2,141 75.1법 학 1,446 51.0

전 공취업률 상위 25% 대학졸업자수 취업률

Page 11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김상배 (38회) 2006년 Time 誌 선정 세계 44대 발명품 선정 stickybot 개발 (현: 미국

M.I.T. 기계공학과교수)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전기전자공학, 정보산업공학, 신소재공학, 경 학등

10. 기타

│Global 5-5-10 사업선정│우리대학교는 지난 2005년 개교 12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해왔던“ 로벌 5-5-10(5년 이내에 5개 분야에서 세계 10위권 도약)”구상의 구체적 시행방안을 발표하면서 세계최고 수준의 연구력을 갖춘 대학으로의 도약을 선언하 다. 이를 위해 우리 연세대학교는 현시점에서 목표달성에 가장근접해있는한국학(동아시아학), 화학, 천문우주, 물리, 의생명, 신소재, 전기전자, 기계, 대사질환,나노메디컬, 노화과학, 의공학등 12개 분야를후보분야로선정하 다.또한, 연세 기계공학부는 2006년부터 교육부 지원의 2단계 BK21사업인“나노/마이크로 응용기계기술인력양성사업단”을유치, 운 하고있다.

│기계공학부 해외연수프로그램│기계공학부에서는 한 한기에 한번 방학기간에 해외연수프로그램에 학생들을 선발하여 해외연수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각 학생들의 지원을 받아 선발 하여 2, 3, 4학년 합하여 10명 정도의 학생들을방학중에외국대학교에연수를보내고있다.

제1기 연수기간 : 2004년 2월3일 - 2월11일연수지역 : 미타가의항공우주연구소)게이오대학, 동경대학교, 오사카대학

제2기 연수기간 : 2004년 8월19일 - 8월27일연수지역 : 오사카대학, 동경대학, 게이오대학, 와세다대학, 동경공대

제3기기간 : 2005년 2월16일 - 2005년 2월26일연수지역 : 타이완국립대학교싱가포르국립대학교인도네시아난양공과대학교대만국립박물관장개석기념관싱가포르사이언스센터

215

클릭전공─공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홍창선 (14회) 국회위원, KAIST 총장, NASA Langley Research Center 연구원역임

● 이충곤 (15회) 에스엘주식회사 회장(현),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동창회 수석부회장(현), 대구 광

역시축구협회장(현), 대구경북자동차부품진흥재단이사장(현), 대구경 자회회장,

대구상공회의소 부회장 역임, 산업포장, 은탑산업훈장, 석탑산업훈장, 자랑스러운

대구시민상대상수상/수훈, 중소기업명예의전당헌정

● 김달웅 (16회) LG전자 공장장, 연구소장, 사업부장, 일본법인 대표이사 역임, 제5회 다산 기술

상수상

● 홍동희 (10회) 현대모비스연구소장, 현대자동차㈜이사, 울산연구소장역임, 석탑산업훈장, 과학

의 날 대통령 표창, 우수기업연구소 대통령 표창, IR52 장 실상, 아토스, 스타렉

스, 베르나, 리베로산타페, 라비타개발

● 박종오 (15회) 전남대학교교수(현), KIST 연구개발상 5회 수상, Golden Robot Award, 정진

기언론문화상과학기술부문대상, IR52 장 실상

● 차기철 (17회) 바이오스페이스대표이사(현), IR52 장 실상, 한국기술(KT)상 수상

● 신재원 (19회) NASA Associate Administrator for the Aeronautics Research Mission

Directorate (현: 미 항공우주국항공연구부문최고책임자)

214

변형율, 거동등에대한이해가가장기초가된다고생각됩니다. 더불어구조진동, 동력학, 피로/파괴등에대한기본지식을갖추고있다면차량성능에대한해석및개선업무에매우도움이될것입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을통한해석기술이기존에비해매우발전하다하더라도실제차량을이용한시험결과와소프트웨어를이용한가상시험결과

에는아직도많은오차를가지고있는게현실입니다. 이러한시험/해석오차를최대한낮추어궁극적으로실제시험차를가상차(Virtual Vehicle)로완전히대체하여개발함으로써 개발비 절감은 물론 개발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자 하는 것이 세계모든자동차회사들의주요관심사입니다. 해석의역할이앞으로도점점중요해질것은당연하므로이에대응하기위해해석신뢰도를높이고새로운해석기술을개발하는데도움이되고싶습니다. 특히, 충돌, 소음진동, 내구강도의성능사이에는trade-off가필요한부분이많으므로차량성능전반에대한이해가매우필요합니다.

Page 11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신소재공학이란?

신소재 과학/기술은 모든 산업의 근간이 되는 기초분야로서, 기존의 반도체, 우주항공, 정보통신산업을 비롯하여 21세기를 이끌어갈 광, 에너지, 환경, 바이오, 나노 등 이른바 5T 첨단기술을 실현하는핵심 분야로서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다른 어느 때보다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재료공학 (MaterialsScience and Engineering)은 재료의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재료내부의미세구조와관련시켜 이해하고, 재료의 가공을 통하여 미세구조를 설계하여 그 특성을 연구 및 응용하는 학문으로 다양한순수과학의집합적응용인동시에모든공학의기초학문이된다. 과거 재료공학자의주된관심은그응용목적에부합한우수한성능의특정소재를개발함에있었다. 하지만소자및시스템이점차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재료공학 전공자에게도 다양한 소재에 대한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지식이필요하게 되었다. 반도체 메모리, 디스플레이, 휴대폰과 같이 흔히 접하는 IT 제품만 하더라도 금속,세라믹, 반도체, 고분자재료에대한지식이동시에필요하다.더불어 나노입자를 이용한 바이오 소자, 나노-IT 융합 등, 새로운 신소재 융합 응용 분야가 지속적으로창출되고있는상황이다.본 학과는 다양한 소재 분야에 대한 복합 학제적 지식과 창의적 응용능력을 갖춘 재료공학도 양성을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소재의 이론과 설계로부터 제조와 특성평가및 응용에이르기까지기초, 심화, 응용의 전 과정에 대한 교육과연구를수행하고있다. 또한,미래 첨단 및 융합 산업을 선도할 인재양성에 적합한 교육 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신소재공학 단일 학사단위를운 함으로서금속, 세라믹, 고분자, 반도체, 바이오 등폭넓은분야에서명실상부한학문탐구가가능하도록하 다.

│교육목표│1. 확고한학문적기초와전공지식을갖추도록한다.2. 창의적이며실용적인사고를통해다학제간종합적공학설계능력을확보한다.3. 실무능력과협동심을바탕으로리더십을개발한다.4. 국제적인지도자로활동할수있는정보와의사소통능력을갖추도록한다.5. 평생 교육을추구하면서직업윤리의식을바탕으로사회적책임을다하도록한다.

217

클릭전공─공학계열

│Leadership Training 프로그램│공학도로서 견문확장과 자긍심 고취로 한층 발전된 지성인으로의 성장을 위한 LeadershipTraining 프로그램을기업체협찬을통해진행하고있다.-2002년 5월30일~6월1일: 베어스타운, 교수 및 학부생 400며명 참가, 삼성전자, LG전자, 만도기계등에서협찬-2007년 5월2일~3일: 대명비발디파크, 교수및학부생 350여명참가, 두산인프라코어협찬-2010년 5월10일~11일: 대명비발디파크, 교수및학부생 450여명참가, 현대자동차협찬

│체육대회│교수님과 학부생/대학원생의 심신을 단련하고 사제지간의 정을 돈독히 하며 연세 기계공학에 대한응집력과자부심을고취시키기위해매년가을학기에체육행사를개최하고있다.

216

신소재공학전공07 공학계열

Page 11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19

클릭전공─공학계열

2. 학업에필요한특성

신소재공학 전공에 진학하고자 한다면 기초과학에 대한 이해와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수학, 과학, 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물리, 화학, 생물 등의 기초과학 및 수학 과목을 이수한 학생에게 적합하다. 기초과학이 일상생활에서사용되고있는재료의특성과어떤관계를갖는지에대해서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신소재공학은재료의구조(structure), 성질(properties), 공정(process), 그리고 성능 (performance)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21세기 산업분야의 핵심소재를 연구/개발하는 독립학문일 뿐 아니라, 물리/화학, 기계/전자, 화공/생명, 컴퓨터/환경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이공학 분야와 학문적으로 연계하여그과학과기술을융합하고구체적으로실현하는분야이다.본 학과에서는금속, 세라믹, 고분자의 3대 기초물질을바탕으로전자/정보재료, 나노재료, 에너지/환경재료, 첨단구조재료, 바이오재료 등 기능성 재료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이들 기능성 신소재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수단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바탕을 둔 전산재료학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있다.

218

4. 교과과정

졸업 최저이수학점은 140학점으로, 학부기초 10학점, 기본소양(교양) 21학점과 전공 기반 30학점, 전공 60학점을취득하여야하며이중설계학점이최소 18학점요구된다.전공필수는 모두 6과목 18학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재료과학 I은 금속, 세라믹, 반도체 재료를, 재료과학 II는 유기, 고분자, 생체 재료를 다루는재료공학전반에대한개론교과목이다. 아래 표는전공필수와주요실험/설계 교과목을보여주고있는데, 교과과정은여기에소재별 (금속, 세라믹, 고분자, 반도체, 생체재료 등), 응용분야별 (반도체 소자, 광/정보/디스플레이소자, 고온 및 첨단구조재료,나노소재/소자, 태양전지/연료전지/바이오등) 다양한전공선택교과목을더하여구성되어있다.

<전공필수 및 주요 실험/설계 교과목>

3학년 개설 재료설계 및 평가와 탐구설계는 일반적인 강의가 아닌 문제중심학습법(PBL: problem-based learning)으로 진행되는데, 이는 수강학생들을 소규모 그룹으로 나누고 담당교수를 배정하여재료공학 연관 특정 주제에 대하여 함께 자료조사, 토론, 발표의 과정을 거쳐 그 해결책을 찾아가는방식이다. 4학년 창의설계 과정은 단순한 실험실습이 아니며, 담당교수와의 긴 한 토론을 통하여 연구주제와방법, 실험을창의하고실제로수행하여그결과물을발표하는기회를갖는다.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쇠바구니, 페르자, 밴드동아리, 과학의길, 뽀드득

2학년 1학기재료과학Ⅰ 3 2 1

재료열역학Ⅰ 3 2 1

전공필수재료과학Ⅱ 3 2 1

2학년 2학기 재료열역학Ⅱ 3 2 1

결정학 3 2 1

3학년 2학기 상평형 및 전이론 3 2 1

1학년 2학기 공학기초설계 3 - 3

2학년 1학기 재료공학 기초실험 1 3 2 1

2학년 2학기 재료공학 기초실험 2 3 2 1

전공선택3학년 1학기 재료설계 및 평가 3 - 3

3학년 2학기재료분석론 3 2 1

탐구설계 3 - 3

4학년 1학기 창의설계 3 - 3

4학년 2학기 졸업논문 3 - 3

총 설계 학점 24

종 별 개설학기 교과목 학점 이론 설계

전자/정보재료- Semiconductors: D-RAM, TFT, Transparent Devices

(Electronic &- Displays: LCD, OLED, PDP, and Organic EL

information Materials)- Optical Storage: Holographic and 3-D Optical Memory- Magnetic Memory: M-RAM, Spintronics- Carbon Nanotubes, Quantum Dots, Nanowires

나노재료 - Metal/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Nano-Devices(Nano Materials) - Self-Assembled Hybrid Nano-Patterns

- Metallic Nano-Crystals/Quasi-Crystals

에너지/환경재료- Secondary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Energy Materials)- Solar Cell and Fuel Cell Devices- Environmental/Corrosion-Resistant Steels

첨단구조재료- Metallic Glass Alloys

(Advanced Structural- Functional Steels and Steel Manufacturing Processes

Materials)- Smart Composites- High-Temperature Ceramics

바이오재료 - Materials for Drug Delivery(Bio-Materials) - Tissue-Regenerative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전산재료학- Computer Simulation of Materials Production Processes

(Computer Simulation)- Multi-Scale Simulation for Designing Material Process- Simulation for Analyzing Structure and Properties

세부 전공 분 야

Page 11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21

클릭전공─공학계열

6. 졸업후의진로

본 학과 졸업생의 진로는 매우 다양한데 학부 졸업생의 평균 50-60%가 대학원에 진학하여 석,박사학위 취득을 위한 학업을 계속하고 있으며, 곧바로 사회에 진출하는 경우 주로 대기업 (삼성전자, LG전자, LG화학, 삼성 SDI, 삼성종합기술원, 삼성전기, POSCO, 하이닉스반도체)에 취업하며 일부는 고시를 통하여 공직에 (지식경제부, 과학기술부, 특허청)에 진출하거나 변리사로 활동하고 있다. 석사졸업생의 경우 진학이나유학을통한학계 진출과대기업과정부출연연구소취업으로그 진로가대부분나누어진다. 신소재공학과동문들의진출분야는다음과같다.•대대 학학:Auburn U, Syracuse U, (이상 미국), 동경대, 교토대, 나고야대 (이상 일본), 연세대, 서울대, 고려대, 포항공대, 건국대, 경북대, 경상대, 경남대, 국민대, 세종대, 서울시립대, 인하대, 경기대,아주대, 수원대, 명지대, 강릉대, 호서대, 안동대, 목포대, 금오공대, 경성대, 동의대, 조선대, 군산대,전주대등

•국국공공립립연연구구소소:AIST, JFCC (이상 일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국방과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산업기술시험원, 요업기술원, 전자통신연구소, 한국화학연구소, 생산기술연구원, 한국가스공사

•정정부부기기관관: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특허청•대 기 업: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코닝, 삼성종합기술원, 삼성 SDI, LG종합기술원, LG전자, LG 화학, LG 필립스, LG 마이크론, Fujitsu, Hynix, 포스코, 동국제강, 동부아남반도체, 한국전력, IBM 등

•중중견견기기업업:(주)창성, 일진다이아몬드, 대덕전자, 주성엔지니어링, 대주전자재료, 필코전자등•창창업업형형 기기업업:한맥중공업, 오늘과 내일, 다이온, Genus, Novellus, NGV, Telephus, P&I, 단단,한국나노, 나노기공, 위너테크, 신안에스앤피, 기초소재, 새빛등

7. 전공선배의한마디

220

공간도형부분과과학에서의물리, 화학전분야에대해서자세히는아니더라도전반적으로 어떠한 것이 있는가 하는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것입니다. (특히우리전공은여러분야의다른학문과연계할수있는여지가많으므로과학의어떤분야라도먼저준비를한다면큰도움이될것입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

세상의모든물질을지배하는어렵지만재미있는전공

●● 졸업생 선배(85학번 정경원, (주)다이온 CEO)

▶어떤일을하시나요?

우리 학과의 학부와 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치고 (주)대주전자재료의 이사 겸연구소장으로재직하 으며2005년전자부품소재관련벤처기업다이온을창업하여CEO직을맡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신소재의산학연분야에서연세대학교졸업생들에게요구하고있는것은단순기술을습득하여산업계의필요에부응하는능력이아닐것입니다. 나노, 바이오, 정보, 에너지의이른바 5T 기술관련신소재전반에관한넓은지식과식견을가지고새로운소재, 소자, 시스템의개념창출과응용실현을위한리더십을요구하고있는것입니다. 1개분야에얽매이지않는지식과전문분야의심화된지식이동시에요구된다고하겠습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저는현재전기/전자부문의부품소재산업분야의최전선에서일하고있습니다만, 타의추종을불허하는특히5T 관련기술신소재연구개발을항상생각하며골몰하고있습니다. 저뿐만이아니라많은우리학과의동문들이이러한생각을가지고산학연의각분야에서활약하고있습니다. 우리학과에서후배신소재인력이배출되어지금과같이이분야에서국제적인활약을계속할것을기대하며의심치않습니다.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다른공대전공과마찬가지로어려운전공과목에대한이해력, 이해를바탕으로얻은지식을효율적인도구로사용할수있기위해부단한연습이필요하므로적극성또한필요하다. 이러한것을바탕으로여러가지상황에응용할수있는응용력까지있다면전공에대한적성은100% 갖추었다고할수있습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기본적으로 수학, 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특히 수학에서 미적분학,

Page 11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정보산업공학이란?

정보산업공학과는 산업시스템, 공학경 및 정보시스템 전 분야에 걸쳐 야기되는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해하고, 통찰하기 위한 방법과 발견된 문제점의 해결 및 솔루션 제공을 교육의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최적화이론, 계획 및 관리기술,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및 설계, 정보시스템 기술 및구축등에대하여중점적으로교육하며이를통한인재양성을지향한다.

1) 조직적이고 합리적인기획력, 과학적인 분석력과판단력 및 탁월한 리더십을겸비한 독창적인엔지니어및매니저를양성

2) 구체적인 교육방법으로는 최신의 실험실습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현장중심적인교육을제공

3) 단순지식에 구애받지 않는 폭넓은 시야를 기르는 소양 및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와 학생간의 지속적인대화를추구

223

클릭전공─공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신소재공학은 금속공학 및 세라믹 공학이 통합되어 그 역사나 동문의 수가 많고 사회전반적으로 각계각층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삼성, 현대, LG, 포스코 등의 대기업 뿐만 아니라 정부 부처, 정부출연연구소, 대학에서차세대재료개발, 생산, 및 소재개발정책결정에결정적인역할을하고있다.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화공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10. 기타

│장학제도│우수신입생장학금(합격자의 10%), 일반장학금(학년당 20%), 근로장학금, 외부장학재단장학금(모암장학회, LG연암문화재단, 덕천장학회, 동부문화재단, 신양이종환교육재단, 현송문화재단, 대한항공 등),기업체산학장학금, 연세특별장학금, 대학배정장학금, 국가유공자장학금, 기금장학금, 교외장학금, 기업체산학장학금, UROP(Undergraduate Research Opportunity Program)이 있으며, 세라믹공학과 동창회 장학기금(임순장학금 등)에 의하여 2008년도부터 매년 정원의 10%를 10년간 선발, 등록금전액을지원하며, 재학생의 50%가장학금혜택을받게된다.

│학부생 대상 Intern 제도 시행│인턴제도는 학부학생들에게 대학원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연구실 경험 및 정보를 얻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제도이다. 1학년 인턴과정은 인턴에 지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실를 배정하여1-2주간방학기간중실시된다.

│Membership Training│교수, 학부/대학원의 재학생이 전원 참여하는 Membership Training을 매년 봄에 개최하여, 집단게임과 토론 및 기념품 증정을 통하여 학과 내 구성원의 유대강화와 동문과 전공에 대한 자부심을 확인하는행사로진행하고있다.

222

정보산업공학전공08 공학계열

단순지식에 구애받지 않는폭넓은 시야를 기르는 소양 및 인성교육이론과 실습에 기반한

전공교육

국제사회에 필요한정보산업인력의 교육

각종 첨단 기자재와 다양한 소프트웨어 지원으로경쟁력있는 교육 환경

미래 지향적인 정보기술 및시스템 통합 분야 중심의 교육

교육목표

Page 11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25

클릭전공─공학계열

2. 학업에필요한특성과기초능력

정보산업공학 전공은 요소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고 싶은, 다양한 전공자를 이끌어신제품을개발하고싶은, 기업에서경 자나리더로성장하고싶은, 정부관료로서정책을기획하고싶은 즉, 종합적인 시야를 갖추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일하기를 즐기는 학생에게 적합하다. 이 전공을잘하려면 복잡한 산업의 개별 구성 요소에 대한 지식은 물론 각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산업전체에대한각종의사결정을지원할수있도록나무와숲을모두볼수있는안목이필요하다.또한 고등학교 과정에서 수학과 과학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산업의 틀 안에서 각각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생산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입장에서 개별 분야를조화롭게지휘하고조절하여최적의조건을이끌어내는방법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정보산업공학과는 시스템통합 분야, 정보시스템 분야 및 공학경 분야로 구성되며, 이러한 세 가지분야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지식과 해법을 제시하는 Knowledge Consultant 및 경 능력을 소유한Engineer CIO/CTO/CEO를 양성한다.

1) 경 과학 및 생산시스템분야 : 생산시스템, 사회시스템, 물류시스템 등과 같은 시스템의운 을 최적화하기 위한 수리적 기법 및 해법을 제시하여 정보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경 및 관리에 대한과목을제공

2) 공학경 분야 : 경 학의 일반적인 내용 즉, 조직이론, 재무 및 회계이론, 마케팅과 관련된 내용에공학도들이쉽게다가갈수있는정보기술의내용을융합하는경 공학과목을제공

3) 정보공학 분야 : 정보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와 데이터베이스의 응용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통신, 웹기반정보시스템, 전략적의사결정을위한지능정보시스템설계및구축을위한다양한과목을제공

224

4. 교과과정

교과과정은 1, 2학년 시절에 기초과목군을 반드시 이수하고, 세부 전공트랙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과목을수강하면된다. 특히 세부전공트랙의선수과목들은모두수강하는것이좋다.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E-biz clube-BIZ는 공과대학경 전략학술동아리로써공학적(e : engineering) + 경 적(BIZ : business) 시각이결부된경 전략을연구하는모임이다.2000년 창립 초기 체계화 된 학습과 토론을 통하여 e-business 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습득 및 ITdomain 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목표로 하 으나, 최근 기술경 및 경 전략 부문을 강화하여 정보화 시대의 앞선 정보력과 공학인으로 갖추어야 하는 공학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경 마인드를 갖춘

정보산업공학과 교과과정

전공기초

전공 역

전공필수전공선택

공대공통

선형대수와그 응용 확률통계

시스템통합

OR 확정모델

OR 확률모델

시뮬레이션분석 및 설계

경 과학시스템설계 설비배치론

자료분석

생산시스템분석 및 설계

고객관계경 프로세스공학

실험계획법

품질공학

생산게획 및 통제 인간공학

지식경시스템 및 설계

경제성공학 공학회계

기술 및 제품마케팅

기술인적자원관리

테크노리더십

금융정보시스템분석 및 설계 기술경

금융공학 경 정보시스템

정보전략계획 및 설계

정보산업응용설계 및 경

지능정보공학

비즈니스 웹 응용시스템 및 설계

정보시스템분석 및 설계

산업정보시스템

IT 비즈니스게획 및 분석

산업정보관리론

로지스틱스공학

공학경 정보시스템

경 공학 작업설계 및개선

공학전자계산

첨단경 능력배양

공학경

정보공학경 과학 및생산시스템

•Engineering Economy [경제성 공학]•Technology Management/Innovation[기술경 /기술혁신]

•Financial Engineering [금융공학]•Knowledge Management [지식경 ]•Technology Policy [기술정책]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Enterprise Resource Planning[전사적지원관리]

•Information Systems Evaluation[정보시스템평가]

•Semantic Web and Web Service[시멘틱 웹 & 웹 서비스]

•Operations Research [경 과학]•Industrial Statistics [산업통계]•Production System [생산시스템]•Human-Computer Interaction[인간컴퓨터상호작용]

Page 11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전공선배의한마디

227

클릭전공─공학계열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미래 기술 경 전략 학습을 통해 타 경 대학의 경 전략학술동아리와 차별화를 추구한다. 정보산업공학과 기업정보화 연구센터(ITR) 임춘성 교수님의 지원과후원으로매주모임을진행하고있다.

6. 졸업후의진로

미래 사회의 정보통신 및 정보산업분야를 선도하여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을 위한 정보산업공학 전공인력은그수요에비해공급이대단히부족한실정이며, 더욱이 IT분야의핵심적인전문지식과경 능력을 가진 인력은 그 어느 때보다 사회적으로 절실하다. 현재 정보산업공학과의 졸업생들은 위의 그림처럼다양한분야에진출하여활약하고있다.

226 ●● 재학생 선배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특별히정해진적성은없습니다. 하지만일반적인공대생들의특성과는조금다르다고생각합니다. 흔히공대생은혼자서일을수행하는것을좋아합니다. 하지만산업공학전공에서는팀을이뤄프로젝트를수행하는일이많기때문에대인관계에서활발한성격이좋습니다. co-work를할때즐거운마음으로임할수있는성격이라면누구나할수있는전공입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다른공대생들에비해서사회전반에대한이해가필요하다고생각합니다. 가령경제신문을읽는것을예로들수있겠습니다. 공대방면지식뿐만아니라상경계열학업대한지식이나금융권의흐름, 시사, 사회전반에대한이해가필요하기때문입니다.그리고한가지를깊이있게아는것보다는전체를한눈에볼수있는능력이중요합니다. 가령사회현상을접했을때편협한시각이아닌주변의상황을종합하여스스로분석하는능력을말합니다. 여러 방면에대한호기심을갖고성실한자세로전공수업에임한다면전공공부를잘하는데무리가없을것입니다.

▶전공에대한20자평상대생도부러워하고공대생도부러워하는공대의꽃.

●● 졸업생 선배

▶어떤일을하시나요?대학원석사과정에진학하여기업정보화에대한연구를하고있습니다.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특별한자질이나능력이필요한것은아닙니다. 다만취업이아니라대학원을선택한이상학업에대한열정이필요합니다. 그리고실제기업을대상으로기업정보화에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이어야 하며 책임감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팀원들과의끊임없는토론을즐길줄아는자세가필요합니다.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우선연구실에서의전공과프로젝트경험을살려서외국계컨설팅업계에취업할생각입니다. 회사에서 더 많은 프로젝트 경험과 지식을 습득한 후 여건이 허락되면MBA에도 도전할 생각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외국계 기업의 CEO가 되는 것이 저의목표입니다.

학부/대학원졸업생진로현황

컨설팅 업체

SI/IT 업체

연구소/공공기관/창업제조/서비스 업체

Page 11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억5,000만~2억원의 비용을 엑티모에 지불한다. “사실 중소기업에는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그래서중소기업용 EIS를 만들었어요. 중소기업의 경우 CEO와 임원 5명이 EIS를 이용하려면 5,000만원을지불하면 됩니다.”엑티모를 처음부터 장사장이 진두지휘했던 것은 아니다. 2003년 설립된 엑티모는이듬해인 2004년 장사장을 맞았다. 경 과 공학에 두루 능통한 장사장은 엑티모를 초고속으로 성장시켰다. “지난해 엑티모는 30명의 컨설턴트로 30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올해는 실적이 그 두 배입니다. 연말까지 55명의 컨설턴트로 60억원의매출을무난히달성할것으로보입니다.”회사의외형이 부쩍 커지자 최근에는 아예 회사를 보다 넓은 곳으로 옮겼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서 도곡동으로회사를 확장 이전한 것. 엑티모는 EIS 외에도 엔터프라이즈 리포팅(Enterprise reporting)과 리얼타임 엔터프라이즈(Real time enterprise) 시스템의 구축과 컨설팅도 하고 있다. 엔터프라이즈 리포팅을 통해 엑티모는 기업의 임직원이 각종 리포트를 손쉽게 작성하고 안전하게 공유하도록 지원한다.또 리얼타임 엔터프라이즈 컨설팅으로는 실시간으로 기업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기업의 경 현황파악과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시스템들이다. “2010년에는 연 매출 400억원을 올리고 코스닥에 등록할 겁니다. 큰 회사보다는 좋은 회사가 목표입니다.”장사장은‘직원들이 아침에 일어나서 꼭 출근하고싶은회사’로엑티모를키워나갈생각이다.

(한국경제매거진, 2005년 11월 7일자)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산업공학은 생산활동에 있어서 인적/물적 자원들(인력/자재/설비/기술/자본 등)의 종합적 시스템 설계/개선및설정에관한문제를다루는기술을연구하는분야입니다. 일부에서는“공대의경 학”이라고칭하기도 하죠. 기업의 경 에 대해서 사회과학의 전문지식과 함께 수학, 물리학 및 공학적 설계, 해석원리등의자연과학적지식과원리를응용합니다. 경 의 여러요소를과학적으로분석하고, 종합적인 시스템 형성의 관점에서 조직적으로 조정하는“관리공학”이 바로 산업공학입니다. 따라서 인사관리, 재무관리, 회계, 물류/유통, 국제무역, 마케팅을 다루는 인문사회계의 경 학과 관리, 생산 전반에관한 것(과학적 관리법, 시스템 엔지니어링, 오퍼레이션 리서치, 생산관리·공정관리) 등에 있어서 필요한통계학및컴퓨터공학등을함께공부하면좋습니다.

229

클릭전공─공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박승복(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박승복씨(24)는 한국 발명계의 떠오르는 샛별로 불린다. 그는 지난 8월26일 특허청이 주최한 제6회전국대학발명경진대회에서‘휴대전화 착신 알림장치’로 대상인 국무총리상을 받았다. 액세서리 인형과 휴대전화를 연결해 전화나 문자가 오면 인형이 춤을 추도록 만든 장치이다. 이름은 보아달라는 뜻의‘봐줘’를변형해‘바조(BAZO)’라고지었다.박씨는“2002년 월드컵 때 목에 휴대전화와 액세서리를 함께 걸고 다니는 것이 유행이었다. 전화가왔을 때 액세서리가 움직이면서 착신을 알려주면 재밌겠다는 생각에서 발명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그는 고교 재학 시절 발명과 관련한 전국대회에서 1위~3위 한 것만 13차례나 된다. 정부가 추진한‘20만 발명 꿈나무 프로젝트’지원을 받아 개발했던 보온용 물 가열기, 자동응답기를 이용한 114 서비스등이대표작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2학년생인 박씨는 연세대학교 공학원에서 지원하는 벤처 사업팀‘Lavia’에서 일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RFID(전파 식별 시스템)를 이용해 바코드를 대용할 무선 인식시스템을개발해전국대학발명경진대회에서동상을수상했다.그의 사무실 벽면은 아이디어를 메모해둔 포스트잇으로 가득 차 있다. 앞으로 발명할 아이템만 수백가지라는박씨의꿈은장학재단을세우는것이다.

(시사저널, 2007년 9월 3일자)

● 장창엽(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석사)“엑티모(Ektimo)는 희랍어로‘가치’(Value)를 뜻합니다. 고객의 가치를 최대한 높이겠다는 의지를 회사이름 엑티모에 담았습니다.”장창엽 엑티모(www.ektimo.com) 사장(48)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ㆍBusiness Intelligence) 전문가다. 삼성SDS에서 15여년 경력을 쌓아온 그는 2004년 엑티모의 사장으로 취임했다. 장사장이 이끄는 엑티모는 BI를 구축하고 컨설팅하는 일을 한다. “BI는 말 그대로기업이 비즈니스를 보다 지능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합니다. 각종수치정보와 데이터를 분석, 가공해서 기업이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돕는 것이죠.”엑티모 업무의 50%를 차지하는 부문은 경 자정보시스템(EISㆍExecutive Information System)이다. 수많은 기업에 자리잡은 전사적자원관리(ERP)의 틈새시장이 바로 EIS다. “최고경 자와 임원이 진정으로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생각해 봤습니다. ERP시스템은 CEO보다 실무자에게 유용한 경우가 많아요. 회사가 돌아가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려는 CEO와 임원에게는 ERP 외의 또 다른 시스템이 필요합니다.”ERP에 담겨있는무수히많은정보를압축해 CEO와 임원용으로재가공하는시스템이바로 EIS라는 얘기다. 엑티모는 EIS 소프트웨어를 CEO와 임원의 컴퓨터에 구축해 준다. 또 엑티모의 컨설턴트들은 기업의 중역들이 EIS 프로그램을 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을 해준다. 엑티모의고객사를 살펴보면 국내의 굵직굵직한 대기업들이 대다수다. LG전자와 LG화학,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CJ, 아시아나항공의 CEO와 임원들이 엑티모의 컨설팅을 받아 EIS를 활용한다. “기업의 CEO와임원은‘어느 제품이 어느 지역에서 잘 팔리는지’‘소비자 연령층은 어느 정도인지’등을 실시간으로알기를 원합니다. EIS를 사용하는 CEO는 이런 정보를 클릭 몇 번으로 볼 수 있습니다. 표와 그래픽으로 한눈에 회사 전반을 파악할 수 있죠.”대기업의 경우 CEO와 임원 30명이 EIS를 이용하려면 1

228

Page 12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컴퓨터과학이란?

컴퓨터과학과는 창의적 사고력, 신기술 적응력, 실용적 응용력을 고루 갖춘 로벌 고급 IT 전문 인력의양성위해다음과같은교육목표를갖고있다.1) 컴퓨터과학의 기초 지식과이론을 체계적으로교육하여, 과학적 사고 능력과창의력을 겸비한인력을양성한다.

2) IT산업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함양하고, 미래지향적인 신기술을 효과적으로접목시킬수있는인력을양성한다.

3)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능력에 필수적인 전문적 교육을 바탕으로 IT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양성한다.

4) 급속도로발전하는 IT 분야에서 로벌공동연구및업무가가능한제반능력을갖춘전문인력을양성한다.

5) 정보화사회의리더역할을할수있는책임감을겸비한인력을양성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컴퓨터과학 전공에 진학하고자 한다면 창의적 사고 자세와 생각의 유연성이 있어야 하며, 문제 해결및 방안에 대해 논리적이고 구체화된 해석 및 고찰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고등학교 과정에서 수학,과학, 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수학과 기초 과학에대한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멀티미디어/컴퓨터그래픽스│컴퓨터로 처리되는 상 및 멀티미디어 도큐먼트의 처리, 애니메이션과 게임 소프트웨어, 3D 컴퓨터그래픽스기술등을연구

231

클릭전공─공학계열

10. 기타

│정보산업공학과의 연구실 현황│

230

컴퓨터과학전공09 공학계열

산업정보시스템 연구실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Lab

http://itr.yonsei.ac.kr

물류 시뮬레이션 연구실Logistics & Simulation Lab

http://ias.yonsei.ac.kr

생산시스템경 연구실Production System Management Lab

http://web.yonsei.ac.kr/psm

산업통계 연구실Industrial Statistics Lab

http://isl.yonsei.ac.kr

시스템최적화 연구실Systems Optimization Lab

http:/sol.yonsei.ac.kr

산업시스템 다이나믹스 연구실Industrial Systems Dynamics Lab

http://isd.yonsei.ac.kr

지능정보시스템 연구실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Lab

http://web.yonsei.ac.kr/sol

금융공학 연구실Financial Engineering Lab

http://felab.yonsei.ac.kr

혁신경 연구실Knowledge Management Lab

http://ksm.yonsei.ac.kr

상호작용설계 연구실Interaction Design Lab

http://Interaction.yonsei.ac.kr

기술경 정책연구실Technology Management & Policy Lab

http://web.yonsei.ac.kr/jskm

Page 12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교과과정

학과 트랙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과목을 수강하면 된다. 컴퓨터과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트랙의 선수과목군의과목들은모두수강하는것이좋다.

<전공 교과목의 이수체계도>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유타(설립년도:1998년)

● POOLC(설립년도:1998년)

233

클릭전공─공학계열

│인공지능/소프트컴퓨팅│인간을닮은컴퓨터를목표로사고하고추론하여판단하는모든과정을소프트웨어로처리하는연구

│컴퓨터네트워크/인터넷컴퓨팅│방대한 인터넷으로부터 인트라넷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와 컴퓨터, 네트워크에 물리는 모든 기기들 간의통신에관한연구

│미디어시스템/슈퍼컴퓨팅│차세대컴퓨터하드웨어의디자인을통해미래형컴퓨팅환경을제공하려는연구

│데이터베이스│컴퓨터가다루는방대한데이터를조직, 검색, 분류하고이용하는데관한연구

│알고리즘│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본이 되는 알고리즘을 디자인하고 분석하여 효율적인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려는연구

│컴퓨터비전 및 패턴인식│이미지와비디오를분석판단하여비주얼한데이터를처리하고이를다양한응용에도입하는연구

│컴퓨터시스템 소프트웨어 / 모바일 임베디드 시스템│운 체제소프트웨어와함께모바일기기에서사용되는임베디드시스템에관한연구

2321학년

상상설계공학

프로그래밍실습

소프트웨어공학

창의소프트웨어설계

인공지능 모바일지능로봇소프트웨어알고리즘분석

오토메타형식언어

컴파일러설계

인간과컴퓨터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인턴쉽1

소프트웨어인턴쉽2

정보보호컴퓨터네트워크

시스템프로그래밍

선수과목체계필수전공과목

모바일프로그래밍

컴퓨터그래픽스

모바일네트워크게임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언어구조론

데이터베이스파일처리론

인터넷프로그래밍

컴퓨터시스템

논리회로설계+ 실습

멀티미디어개론

미래설계공학

주니어세미나

컴퓨터과학입문

객체지향프로그래밍객체지향프로그래밍

자료구조+ 실습

소프트웨어종합설계1

소프트웨어종합설계2이산구조

운 체제

컴퓨터아키텍쳐

공학기초설계

2학년 3학년 4학년

Page 12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35

클릭전공─공학계열

6. 졸업후의진로

컴퓨터과학은 미래 사회의 정보통신 및 정보산업분야를 선도하여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IT분야의 핵심인 소프트웨어 인력의 필요성으로 사회적인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컴퓨터과학과 졸업생들은다양한분야에진출하여활약하고있으며대표적으로는다음과같다.•컴퓨터관련연구소및기업체 (삼성, LG, SK, KT, 현대, IBM, ETRI 등…)•정보시스템관련 SI 또는 정보기술업체•기업의경 및시스템적용관련컨설팅업체 (앤더슨, PWC, 맥킨지, ADL 등…)•벤처기업창업및취업 (다음, 버츄얼텍등…)•컴퓨터또는정보시스템기술의개인전문가•공무원(기술고시)

7. 전공선배의한마디

234

▶ 전공에대한20자평

소프트웨어의무한한능력. 인간의사고를기술로정복하려는노력. 그중심에컴퓨터과학인이있습니다.

●● 졸업생 선배

▶ 어떤일을하시나요?

소프트웨어의개발과유지는컴퓨터과학인의기본입니다. 어떤장치, 어떤환경에서라도작업의중심과두뇌가되는소프트웨어는매우중요한요소입니다. 요즈음은스마트폰을비롯한모바일환경등유비쿼터스환경에서의소프트웨어뿐만아니라멀티미디어, 게임등엔터테인먼트분야에이르기까지다양한연구, 개발직에종사합니다. 일의 형태는 대기업, 벤처기업, 연구소, 학교, 공공기관, 프리랜서에 이르기까지다양합니다. 특해벤처기업의경우자기자본이없어도참신한아이디어와열정만있다면자신의사업을비교적쉽게시작할수있는최적의분야이기도합니다.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여러사람이팀을이루어개발하는협동능력과함께, 신기술을가장빠르게받아들이고항상변화할준비가되어있어야합니다. 즉넓은시야를갖고다양한관점에서문제를바라보는사고의유연성이필요합니다. 컴퓨터과학분야는전세계적으로도가장발전속도가빠른분야들중의하나이므로, 끊임없는자기개발과학습이있어야만생존할수있습니다. 특히연세대학교의컴퓨터과학관련전공자들은거의모든개발분야의리더역할을하게되므로, 전공에대한깊은이해와심도있는학습, 팀원들의조화를위한관리방법등도매우중요한요소입니다.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현재기업이나연구소에몸담고있는개발자들은자신의독특한아이템을체득, 개발하여자신의기업을만드는것을목표로하고있는사람들이많이있습니다. 게임, 인터넷등의멀티미디어분야는소프트웨어가주도하고있으므로, 발전가능성이무한합니다. 스마트폰을비롯한다양한유비쿼터스환경에알맞은소프트웨어를개발하는것도앞으로의큰목표가될것입니다. 학계에있는사람들은최신의소프트웨어개발기술에필요한이론을발전시켜고급인력을양성하고이를통해우리나라산업발전에노력을기울일것입니다.

●● 재학생 선배

▶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기본적으로논리적으로사고하는것을즐긴다면컴퓨터소프트웨어의개발과잘맞는다고볼수있습니다. 인내심을가지고프로그래밍을하여좋은프로그램을완성했을때느낄수있는무한한만족감을즐기는준비가되어있다면더욱좋습니다. 문제해결에대한깊은사색과열정을갖는게중요합니다.소프트웨어의개발은어떤다른분야에도꼭필요한요소이므로, 수학과과학뿐만아니라인문, 사회, 예술등다양한분야에관심이있는사람에게매력적인분야입니다.

▶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컴퓨터이론은수학에서부터출발했으므로, 적어도수학에흥미를느끼고있어야한다는 것은 최소한의 준비입니다. 컴퓨터를 잘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가 하고자하는일들을컴퓨터프로그램을통해소프트웨어로개발하려는노력을해왔다면준비가잘되어있다고볼수있습니다. 그리고물리등의기초과학분야에대한이해가있으면금상첨화입니다. 마지막으로컴퓨터전공의경우최신의국제기술학습이빈번합니다. 그러므로어느정도의외국어실력이있으면큰도움이됩니다. 하지만무엇보다도여러다양한선수학습보다는문제해결을위한꾸준한노력이가장중요한자세입니다. 끊임없이노력하는자세만갖추고오십시오.

Page 12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 이재웅(컴퓨터과학 86학번) 소셜벤처인큐베이터에스오피오오엔지시니어파트너

● 서지현(컴퓨터과학 83학번) (주)버츄얼텍대표이사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수학, 생물학, 물리학

10. 기타

│공학교육인증│컴퓨터과학과는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운 하고 있다. 공학교육인증이란 인증된 프로그램의 졸업생이 공학교육을 통해 공학 실무를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증해 주는 것으로, 이 제도를 통해공학교육의 개선이 이루어져 학생들은 질 놓은 수업을 받게 된다. 공학교육인증 트랙을 선택한 학생들은 인증을 받기 위해 개설된 과목들을 수강하고, 지도교수와 상담하는 등의 이수조건을 만족하여야인증을받을수있다.컴퓨터과학과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에대한자세한소개는아래연세대학교공학교육인증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http://www3.yonsei.ac.kr:8888/abeek/index/asp 또는 http://cs.yonsei.ac.kr의 공학교육인증링크)

│교환학생프로그램│컴퓨터과학과는 스웨덴 웁살라 대학,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등 다수의 외국 대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 하여 국제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외국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은 본교 학점으로 인정된다. TOEFL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성적우수학생을 우선 선발한다. 자세한사항은 http://cs.yonsei.ac.kr에 있다.

236

Page 12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생명시스템대학시스템생물학 전공생화학 전공생명공학 전공

생명시스템계열7

Page 12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38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4. 교과과정

239

1. 시스템생물학이란?

시스템생물학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생명현상을 탐구한다. 시스템생물학은 신비로운 생명현상에 대한이해를목적으로하며 나아가인류복지에기여할수 있는 응용방법을모색하고제공하려는데에서그사회적인 의미를 찾는다. 최근 유전자조작, 단백질공학, 세포 및 조직공학, 그리고 줄기세포를 이용한복제동물생산과 같은 사회적 이슈를 바탕으로 시스템생물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 이해가 깊어지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생물학의 많은 역이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매일같이 혁명적인 변화를경험하고 있고, 수많은 분야가 아직 전인미답의 미개척지로 남아 있다. 시스템생물학이 다룰 수 있는범주의 한계 또한 예측하기 어렵다. 이러한 까닭으로 시스템생물학은 21세기를 주도할 생명과학기술의 기반학문으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최고의 창의성과 독립성을 갖춘 젊은 인재를 기다리고 있다. 시스템생물학과는 학생들이 졸업 후에 첨단생명과학분야에서 능동적으로 활동해 나갈 수 있는 지식과정보를제공함과동시에창조적인탐구능력을함양하는데에그교육목적을둔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시스템생물학 전공은 성실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성과 적극적인 성품을 갖춘 학생에게 적합하다. 또한 수학, 과학, 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시스템생물학과에는현재 16명의 교수가있으며, 연구분야로는분자세포생물학, 분자암생물학, 분자미생물학, 환경미생물유전체학, 분자유전학, 발생학, 면역학, 신경세포신호전달, 신경세포사멸기작학, 당생물학, 구조생물학, 식물분자생물학, 식물발생유전학, 식물분자생리학, 식물유전체학등이있다.

시스템생물학전공01 생명시스템계열

1 공기 채플(1) 0 1(0)공기 대학 어Ⅰ 2 3(0)공기 고급대학 어Ⅰ 2 2(0)공기 대학기본 어Ⅰ 2 2(0)공기 쓰기 3 4(0)필교 MAT1001 미분적적분학과벡터해석(1) 3 3(1) 1000필교 PHY1001 일반물리학및실험(1) 3 2(2) 1000필교 CHE1001 일반화학및실험(1) 3 2(2) 1000필교 BIO1008 일반생물학및실험(1)심화 3 3(2) 1000필교 필수교양(선택) 31

2 공기 채플(2) 0 1(0)공기 대학 어Ⅱ 2 3(0)공기 고급대학 어Ⅱ 2 3(0)공기 대학기본 어Ⅱ 2 2(0)공기 기독교의이해 3 3(0)필교 MAT1002 미분적적분학과벡터해석(2) 3 3(1) 1000필교 PHY1002 일반물리학및실험(2) 3 2(2) 1000필교 CHE1002 일반화학및실험(2) 3 2(2) 1000필교 BIO1009 일반생물학및실험(2)심화 3 3(2) 1000필교 필수교양(선택) 3

1 공기 UCA1103 채플(3) 0 1(0)필교 필수교양(선택) 3

1, 2 전필 LSB3202 세포생물학 I 3 3(0) 3000전필 BIO3119 유전학 3 3(0) 3000

1 전필 LSB3101 생화학 I 3 3(0) 3000전기 LSB2201 생물통계학 3 3(0) 2000전선 BIO2207 생명체의 진화와 다양성 3 2(2) 2000전선 BIO2208 현대생명과학 및 연구입문 2 2(0) 2000

2 전선 BIO3120 환경생물학 3 3(0) 3000전기 CHE2103 유기화학 I 3 3(0) 2000

2 공기 UCA1104 채플(4) 0 1(0)필교 필수교양(선택) 3전필 LSB3102 생화학 II 3 3(0) 3000전선 BIO3503 세포생물학 II 3 3(0) 3000전선 CHE3110 유기화학 II 3 3(0) 3000전선 BIO3502 생물학실험 I 3 0(6) 3000

1 필교 필수교양(선택) 3전필 BIO3712 분자생물학 3 3(0) 3000전필 BIO3101 발생학 3 3(0) 3000전선 BIO3105 식물분자생리학 3 3(0) 3000

3전선 BIO3102 미생물학 3 3(0) 3000전선 BIO3111 생물학실험 II 3 0(6) 3000

2 전선 BIO3112 동물조직학및생리학 3 3(0) 3000전선 BIO3104 면역학 3 3(0) 3000전선 BIO3106 식물발생분화학 3 3(0) 3000전선 BIO3113 생물학실험 III 3 0(6) 3000

1 전선 LSB4*** 시니어세미나 I 1 1(0) 4000전선 LSB4*** 창의실험 3 0(6) 4000전선 BIO3*** 바이러스학 3 3(0) 3000전선 BIO3107 신경생물학 3 3(0) 3000전선 BIO3*** 유전체학 3 3(0) 3000

4 전선 BIO4106 생물리학 3 3(0) 40002 전선 LSB4*** 시니어 세미나 II 1 1(0) 4000

전선 BIO4*** 분자진화학 3 3(0) 4000전선 BIO4104 세균학 3 3(0) 4000전선 BIO4*** 식물세포형태학 3 3(0) 4000전선 BIO4*** 생물학실험 IV 3 0(6) 4000교직 TTP3813 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2 2(0) 3000

학년 학기 종별 학정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단위구분

Page 12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자랑스러운동문

● 이준승(75졸업) (주)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단원장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재임

● 박기 (81졸업) 현순천대교수 - 대통령비서실정보과학기술보좌관역임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최근학문간의경계를뛰어넘는통섭/융합연구를지향하는시대적연구조류속에수학, 물리, 화학,공학, 등의타이공계분야외에인문사회과학분야등의균형있는학문습득이필요함

5. 졸업후의진로

시스템생물학과 학부 졸업생들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활약을 하고 있어 재학생들의 커다란 힘이 되고 있다. 졸업생 중 많은 수는 더 깊은 연구와 학업을 위하여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유학의길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의치학 전문대학원 진학이나 의치의예과 편입을 통해 의료인의 길을 선택하는 수도 차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밖에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취업하고 있다. 대학원 졸업생들역시사회의다양한분야에서뛰어난활약을하고있다. 졸업생들의많은수는국공립또는기업체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있으며, 또한 많은 수의 졸업생들이 국내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있다. 이 외에도 적지 않은 수가 의사, 변리사, 법조인과 기업체 대표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있다.

6. 전공선배의한마디

241240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 졸업생 선배(지수나, 현재 당생물학 연구실 석박사통합과정)

▶연세대학교시스템생물학과를선택한이유는무엇인가요?

먼저생명과학분야에관심을갖게된계기는중학교때과학잡지를보게되면서입니다. 저는호기심이많은편인데생명과학분야에서일어난일들과미래에발전할연구분야들이무척궁금했고, 무엇보다생물과목이재미있고적성에맞았습니다.대학입시때는각대학의생명과학분야의학과들을배우는교과목까지꼼꼼히비교해서 결정했습니다. 제가 입학할 당시에는 각 대학마다 생명과학과로 이름을 바꾼 유사학과들이 굉장히 많아서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커리큘럼 등을비교해서종합한결과연세대학교시스템생물학과를선택하게되었습니다.

▶실제대학생활을하고있는지금, 입학전과새롭게느끼는점이있나요?

1학년때일반생물학수업을들으면서고등학교때까지배웠던생물과목과는큰차이를느꼈습니다. 물론더재밌고흥미로웠습니다. 전공수업은생명과학의분야가넓기때문에과목도많고과목마다깊이있는내용도많아서노력하지않으면따라가기좀어려울수도있습니다. 그렇지만고등학교때와는달리좋아하는과목들만배우니까공부하기는부담이적었고, 여러가지학교행사나동아리활동에활발히참여하면서대학생활을즐겁게보냈습니다. 입학전에는대학생활을상상하기어려운데자신의흥미와적성을살려서과를선택하면큰문제없이대학생활을보낼수있다고생각합니다.

▶앞으로연세대시스템생물학과에서본인의꿈을어떻게실현하실계획인가요?

저같은경우는계속이분야에서공부하고싶었고대학원에서실험하는생활이적성에도맞아서지금대학원에서석박사통합과정을밟고있습니다. 물론열심히연구해서우수한결과를얻고좋은논문을발표하여박사학위를받고졸업하는것이궁극적목표입니다. 졸업한뒤에는외국에나가서일도해보고싶고, 여러다른연구소에서 생명과학 관련 연구를 할 생각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연세대학교 시스템생물학과에 입학한다면 자기 적성에 따라 회사에 취직하거나 교직이수를 할 수도있고또저처럼대학원에진학하여계속공부할수도있겠죠. 특히시스템생물학과에는학부생활중에학부생연구참여프로그램을통하여대학원에서의연구활동을대학원입학전부터직접적으로경험해볼수있는기회가많이주어져있기때문에진로선택에큰도움이될것입니다.

▶미래의후배들에게한마디한다면?

자기자신이진정으로원하는것을찾고그것을얻기위해서노력하세요. 고등학교때까지는대학가는것이목표이고대학와서는다시진로에대해고민하는경우가많은데, 대학을선택하기전에다른사람들이나주변환경보다는자기자신에대해충분히 고민해 보고 진로를 결정하기 바랍니다. 그리고 호기심이 많고 논리적으로생각하기좋아하는분들께는생명과학분야를추천하고싶습니다. 여러분을구성하고 있는 세포하나 하나에 또 다른 오묘한 우주가 담겨있습니다. 그 우주의 신비를풀어나가는데도전하세요.

Page 12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교과과정

생화학과의 교과과정 운 은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칠 생화학자 양성과 국내외 기업에서 요구하는 전문연구인력의배출을위해강의와실험실습모두의질적향상을추구하고있다. 본생화학과의교과과정은졸업후생명과학관련분야에서성공적으로활동해나갈수있는지식과정보를제공할뿐아니라, 창조적인탐구능력의배양에초점을맞추어구성되어있으며아래와같은주요교과목들이개설되어있다.

1. 생화학이란?

생명체는어떻게발생하고성장하며늙고죽는가? 이물음은인류가지닌궁극적이고근원적인생명현상에대한질문이다. 생화학은이러한신비하고도복잡한생명현상의기본질서를분자수준에서이해하고자하는기초학문이다. 또한생화학은생명현상에대한이해를바탕으로신약및질환진단법개발등으로난치병퇴치는물론이고, 식량난 해소, 환경문제 극복등인류복지에직접적으로기여할수있는응용에대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학문이기도 하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21세기의 생명과학 분야는유전자의기능연구에초점을둔포스트게놈시대이며, 유전자의기능연구는결국그유전자가발현하는단백질의구조및기능을연구하는것이라할수있다. 따라서생명현상에대한분자수준의이해를그목적으로하는생화학은포스트게놈시대에생명과학분야를이끌어갈주역이되는학문분야이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생화학전공은 생명현상에관심이많고끈기와 열정이넘치는학생에게적합하고호기심과흥미가필요하다. 또한 과학, 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 것이며특히 기초과학연구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1969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생화학과가 신설된 이래, 현재 1,6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 으며, 졸업생들은국내외대학과연구소및기업체에서눈부신활약을하고있다. 생화학과에서는단백질생화학,세포면역학, 핵산생화학, 유전학, 세포생물학, 발생학, 바이러스학, 지질생화학, 분자유전학, 구조생화학 등 다양한전공 분야에서세계적수준의생명과학연구가이루어져국제적으로인정되는연구실적을활발히발표하고있으며, 교수 1인당 연간 4억 7천만원에달하는연구비를수주하고있다. 특히 생화학과 소속 교수들의 책임 하에 수행되고 있는 대형 국책 연구 사업단으로는 BK21 생체분자기능 사업단(교육부 선정, 단장: 김두식 교수), 단백질 네트워크 연구센터(과학기술부 선정 우수연구센터, 소장: 김유삼 교수), 질병유전단백체 연구지원센터(보건복지부 선정, 소장: 백융기 교수), 게놈기능제어연구단(과학기술부 선정 창의적 연구사업단, 단장: 김 준 교수), 단백질생화학 연구실(과학기술부 선정국가지정연구실, 실장: 김두식교수, 권 근교수, 김대원교수) 등이 있다.

243242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생화학전공02 생명시스템계열MolecularBiology

StructuralBiology

MolecularGenetics

SignalTransduction

Enzymology

Proteomics Virology

Immunology

Cell Biology

DevelopmentalBiology

2 1 전기 LSB2201 생물통계학 3 3(0) 2000 3 2 전필 BCH3103 생체물리화학 3 3(0) 3000

전필 LSB3101 생화학 I 3 3(0) 3000 전선 BCH3104 분자생리화학 3 3(0) 3000

전기 CHE2103 유기화학 I 3 3(0) 2000 전선 BCH3111 분자대사생화학 3 3(0) 3000

전선 BCH3102 생화학실험 I 3 0(6) 3000 전선 BCH3118 분자바이러스학 3 3(0) 3000

전선 BCH2001 주니어세미나 1 1(0) 2000 전선 BCH4102 생화학과제실험 II 3 0(6) 4000

2 2 전필 LSB3102 생화학 II 3 3(0) 3000 4 1 전선 LSB4101 시니어세미나 I 1 1(0) 4000

전필 3102 세포생물학 I 3 3(0) 3000 전선 LSB4201 창의실험 3 0(6) 4000

전선 BCH3107 생화학실험 II 3 0(6) 3000 전선 BCH3110 세포면역학 3 3(0) 3000

전선 CHE3110 유기화학 II 3 3(0) 3000 전선 BCH3114 유전자조작법 3 3(0) 3000

전선 BCH2001 주니어세미나 1 1(0) 2000 전선 BCH4103 생화학특론 I 3 3(0) 4000

3 1 전필 LSB3201 분자생물학 3 3(0) 3000 전선 BCH4106 프로티어생명과학 3 3(0) 4000

전필 BCH4101 생화학과제실험 I 3 0(6) 4000 4 2 전선 LSB4102 시니어세미나 II 1 1(0) 4000

전선 BCH3115 세포생화학 II 3 3(0) 3000 전선 BCH4101 생화학특론 II 3 3(0) 4000

전선 BCH3116 유전생화학 3 3(0) 3000 전선 BCH3112 실험생화학특론 3 3(0) 3000

전선 BCH3108 단백질생화학 3 3(0) 3000 전선 BCH3113 발생생화학 3 3(0) 3000

전선 BCH3117 생물정보학 3 3(0) 3000

전선 BCH4107 생화학과제실험 II 3 0(6) 4000

학년학기 종별 학정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과목 학년 학기 종별 학정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과목실습 구분 실습 구분

Page 12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한창수(76년 입학, 80년 졸업)University of Virginia 미생물학과교수California Insitute of Technology: Ph.D.Washington University: Post-Doc. fellow연구분야- 면역시스템의신호전달메카니즘

● 황덕수(74년 입학, 78년 졸업)서울대생명과학부교수Michigan State University: Ph.D.Stanford University: Post-Doc. fellow연구분야 - DNA 복제및조절

● 손 민(82년 입학, 86년 졸업)한얼특허법률사무소변리사University of Wisconsin: Ph.D.

10.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화학, 물리

11. 기타

생화학전공의 3학년 학생 중 1-2학년 평량평균 성적이 가장 우수한 학생 1인에게 등록금 전액을 1년간 지급하는 주충노 교수 장학금, 가정형편이 어려운 1인에게 1,000만원을 1년간 지급하는 관명 유재훈 장학금, 가정형편과 성적 등을 고려하여 3학년 또는 4학년 학생 1인에게 등록금 전액을 1년간 지급하는배중호장학금, 3~4학년학생 2인에게 300만원을 1년간지급하는동문회장학금, 그 외의많은교내?외장학금들이있다.

245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 비비디 밴드

● 먹구름 밴드

● 이해주리 봉사

● 빈칸 학술등

6. 졸업후의진로

지난 34년간생화학과는약 1350명의학사, 500명의석사, 100명의박사를배출하 다. 또한 졸업생중 180여명은국외로유학하여박사학위를취득하 다. 국내외에서박사학위를취득한다수의동문들은 약 125명의 대학교수를 비롯하여 연구소 연구팀장 등으로 활발한 연구 활동을 보이며, 국내 생화학 분야의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학부 졸업생은 삼성, LG, SK 등의 대기업과 제약회사에 취업하고 있으며, 전공 관련 분야의 변리사, 언론계 과학부기자 등 다양한 직종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외에도, 130여 명의 기업체 대표 및 중역들을 배출하 고, 생화학전공을 바탕으로 의학과, 치의학과 등에 진학하여 의학자로서의 길을 걷고 있는 졸업생들도 50여명에 달하고 있다. 최근 2년간 졸업생의동향은총 124명 중 45명이국내외대학원으로, 25명이 의치대전문대학원으로진학하 으며,20명이기업체에취업하 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생화학과는 가장 전망이 있고 인기가 좋은 학과 중 하나로, 사회 어디서나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있습니다.

8. 자랑스러운동문

● 배중호(71년 입학, 78년 졸업)국순당대표이사연세대경 대학원(석사)한국미생물학회이사연세대최고경 인상수상

244

Page 12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 세부전공교과목설명

│생물통계학(Biostatistics)│기본적인 통계이론을 숙지하고 이를 응용하여 생물이 나타내는 여러 가지 현상들과 실험을 통하여얻은자료를효과적으로표시하고통계이론을이용하여분석하는방법을배움

│생명공학정보처리(Biotechnology information Processing)│컴퓨터 프로그래밍, 인터넷 검색, 도서 정보 및 멀티미디어 활용 능력 등과 같은 기본적인 컴퓨터활용 능력을 기반으로 전공 분야의 특정 주제에 대해 관련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전달하는일련의과정을통해기본적인공학정보처리기법을습득하는과목

│물리화학(Physical Chemistry)│열역학, 물리화학적 평형, 분자운동 및 전달현상, 반응속도론 등의 관점에서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현상을분석하고응용함

│생화학 I(Biochemistry I)│생명체를이루는주요물질들의화학적구조와기능및효소반응의특성에관하여강의

│생화학 II(Biochemistry II)│생체내물질대사와그조절에관하여강의

│생물전달현상(Biological Transport Phenomena)│물리적 측면에서 생명현상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는 유체역학과 열 및 분자의 이동현상에 대한기초이론을다루며, 생물시스템및생물공정에서전달현상이론이어떻게적용되는지를강의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생물체의 생명현상인 성장, 자손 증식, 변이, 발생, 분화, 기능조절 등에 관련되어 있는 작용기작을분자 수준에서 이해한다. 유전물질, 단백질, 원핵 및 진핵 세포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 세포 기능과암의발생등에대한이론을강의

│생물공학(Bioprocess Engineering)│미생물, 동식물 세포의 배양 방법, 발효조 설계 및 동력학적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세포 및효소의고정화방법과고정화반응기에서일어나는물질전달현상을강의

247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1. 생명공학이란?

│교육의 목적│“진리와 자유정신을 체득한 기독교적 지도자의 양성을 위주로 하여 기독교의 정신에 조화하고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에 의거하여 고등교육을 실시한다”는 연세대학교의 설립 이념에 충실하며, 생명공학및 그 융합분야의 연구 및 교육을 국제적으로 선도하는 학과로써 뛰어난 창의력과 경 마인드를 지닌국제적리더를배출하는생명공학과로서의발전을위해다음과같은목표를제시한다.

1) 창의력과자립정신을개발하는교육을통해생명공학분야를선도해나갈전문가를양성하고,2) 우수한 교수를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시설을 보완하여 세계 생명공학의 중심에 서있는 생명공학과가되도록하며,

3) 생명공학산업의발전을주도하는연구기관으로도약하기위하여연구중심학과로발전시킨다.

│개요│생명공학(biotechnology)은 생물체의 기본구성요소인 유전자, 단백질, 세포 및 장기에 대한 분자세포생물학적인 핵심기능 및 구조에 대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질병치료를 위한 새로운 신약, 약물 전달체, 나노생물시스템 및 기능성 생물소재의 개발, 이들의 산업적, 의약학적 응용을위한 생물화학적 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생체나 생체유래물질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술이다.생명공학의 특징은 생물학, 의학, 약학, 생화학, 농학, 화학 등 수많은 학제들의 기술발전을 수렴하고이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분자 세포생물학적인 기초연구와 의약학 및산업화응용을 융합하는 깊이 있으면서 폭넓은 교육활동을 요구한다. 또 광범위한 학제적 분야 이외에 의료, 보건, 식품, 환경, 에너지 등 폭넓은 생물산업 분야의 발전에도 향력을 발휘한다. 따라서산업체, 연구소 및 학계를 연계하는 교육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생명공학기술의 산업화를위하여경 학적인마인드가있는국제적리더가배출되어야한다.최근의 생명공학은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며 그 연구 역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발효공정 같은 전통적 생명공학기술에서 인체게놈, 단백질공학, 유전자요법, 형질전환동물, 바이오인포매틱스, 의공학, 합성생물학,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등의 첨단화된 기술로 퍼져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학문 역 속에서 발전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대한 전문화, 특성화된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246

생명공학전공03 생명시스템계열

Page 13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대사 반응에 관여되는 생화학적 반응 및 조절현상을 분석하고 미생물을 이용하는 여러 방법론에대해강의함

│의생명면역학(Biomedical Immunology)│고등동물의 면역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및 생체분자들의 분자 세포 생물학적 특성과 생리적기능들을 소개하고, 면역체계의 결함으로 생기는 AIDS, 자가면역증, 장기이식의 거부반응과 암의분자의학적분석을통한새로운면역생물소재및백신개발에관한강의

│생물재료공학(Biological Material Engineering)│생명공학도가 숙지하여야 할 생물재료의 특성 및 응용방법에 관한 기본 지식을 소개하고 생물재료의가공기술에대하여강의함

│생리활성물질(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동식물, 미생물, 해양자원 등 다양한 생물체로부터 유래하는 천연 생리활성물질의 분자구조와 기능성을소개하고, 질병치료및예방에대한분자생물학적작용기작을강의

│식품공정공학(Food Process Engineering)│식품공정중에일어나는물리화학변화를고찰하고, 식품공정의기본이론과응용에대하여강의

│생물분리공정(Bioseparation Process)│동ㆍ식물및미생물발효액으로부터생리활성물질을분리, 정제하는기술및이론에관한강의

│대사공학(Metabolic Engineering)│생체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합성,분해 및 대사산물에 의한 feedback조절기작을 이해하고 이를조절함으로써목표대사산물의생산성향상등의응용에관한강의

│계산생물화학(Computational Biology and Chemistry)│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자의 구조 및 성질 연구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체분자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여러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소개하며 이를실습함

│나노생명공학(Nano Biotechnology)│나노기술의개념을이해하고다양한나노기술이어떻게생명공학에응용되는지에대해강의

│미생물및생물공학기초실험(Experiment in Microbiology and Biochemical Engineering)│

249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생체를 구성하는 탄소 화합물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분자들의 결합, 반응, 구조 및 합성을 연구하는학문분야

│일반미생물학(General Microbiology)│다양한미생물의특성과생리, 대사 유전자조절기작에관한강의

│생물유기화학(Bioorganic Chemistry)│유기화학적 지식을 응용하여명효소 및 수용체와 같은 생체고분자의 작용을 이해하고 생화학적인현상을파악함으로써의약품의작용기전을이해하도록함

│응용미생물학(Applied Microbiology)│산업미생물, 병원미생물, 특수환경미생물, 바이러스의 특성과 이들의 응용 분야에 관한강의. 또한미생물분자생물학과병원성미생물및바이러스와숙주간의상호작용에대해서도이해하도록함

│기초생물공정계산(Introduction to Bioprocess Engineering Calculation)│생물화학반응의 반응속도론, 화학량론과 데이터의 해석법에 대한 기초 이론, 반응기의 종류와 기본식, 분자바이오테크놀로지의신개척분야를강의

│분자생명공학기초실험(Experiment in Molecular Biotechnology)생명공학 연구수행에 필수적인 분자 및 세포수준의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며 분석하는능력을배양함

│세포생명공학(Cell Biotechnology)│고등동물의 특징적 생명현상을 담당하고 있는 세포들의 기본 구조와 세포 외부로부터의 생체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핵내 유전자 발현에 이르는 세포내 신호전달 현상들의 분자적 조절기작을 이해하고, 세포내분자들의변이에의한생체질병의원인과분자의학적치료에관한강의

│생물통계분석 (Biostatistics Analysis)│기본적인 통계이론을 숙지하고 이를 응용하여 생물이 나타내는 여러 가지 현상들과 실험을 통하여얻은자료를효과적으로표시하고통계이론을이용하여분석하는방법을배움

│미생물생명공학(Microbial Biotechnology)│미생물, 동식품 세포 및 효소에 의하여 생산되는 의약품 및 기능성 생물소재을 소개하고, 이들의

248

Page 13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의학화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현대적 의미의 신약개발과정에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과분석능력을기르고, 이를 통하여, 다면적인의약화학의구성요소등에대한인지도를높이고, 연구현장의직접적인필요를학생에게전달함

│나노의학공학(Nano Medical Technology)│나노기술에대한소개및이를이용한진단및치료에대해강의

│생명공학기기분석(Instrumental Analysis in Biotechnology)│각종 chromatography의 이론과 분석 기기에 관하여 설명하고, 생화학 또는 분자생물학의 연구수행에필요한기기분석에대하여강의.

│바이오산업공학(Industrial Biotechnology)│생명공학의 기초적인 연구개발 결과를 천연물 신약, 기능성식품, 기능성화장품, 환경친화형 생활제품등다양한산업화 역에적용하는데필요한핵심응용기술및공정설계에대해강의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생의학화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현대적 의미의 신약개발과정에 필요한 요인들을 유기화학 및 물리화학 방법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갖는 신규 생리활성분자들을 컴퓨터를이용하여설계하는이론및실제에대해강의

│생명공학창의설계(2)(Creative Design in Biotechnology II)│분야별로과제를선정한후실험을수행하여얻은결과를분석하여이에대한논문을작성함

│기능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유전자와 유전자 산물(단백질,저분자 화합물)의 기능을 밝히는 학문으로써 이를 위한 Genomics.Proteomics, Bioinformatics 등 최신의“omics”연구원리및기법에대해강의

│생물의약품(Biopharmaceuticals)│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치료, 진단, 예방용 의약품개발에 관한 내용으로서 단백질의약품, 항체치료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백신에대해강의

│생명공학발명과특허(Biotechnology and Life Science Patent)│특허, 상표, 디자인 및 저작권 등의 문지식재산권 교육과정을 통하여 국제 지식재산권에 대한 기

251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생명공학 연구수행에 필수적인 미생물 및 생물공학의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며분석하는능력을배양함

│생명공학전공실험(1)(Experiments in Advanced Biotechnology(1))│졸업논문작성을위한전공분야별실험실습함

│생명공학전공실험(2)(Experiments in Advanced Biotechnology(2))│졸업논문작성을위한전공분야별실험실습함.

│화학생물학(Chemical Biology)│천연 저분자화합물이나 합성분자를 리간드로 활용하여 단백질, RNA, DNA등 생체분자의 기능을규명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도출하는 새로운 학문으로서 세포신호전달에서 신약개발에 걸쳐 중요한연구수단으로 활용되는 저분자 화합물을 소개하고 이같은 연구에 필요한 화학 및 생물학적 원리와개념을강의

│생명공학창의설계(1) (Creative Design in Biotechnology I)│생명공학 신기술의 개발 및 응용에 대한 창의성을 배가하기 위하여 독창적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연구를수행하고성공적으로프로젝트를완료하면 honor track과정이수확인을받게됨

│분자생명공학 (Molecular Biotechnology)│생명공학을분자수준에서이해하고응용하는이론과방법을소개함. 분자 수준에서의생명현상의기본원리를배우고, 이를 분자생물학과유전공학기술을활용해인위적으로조작하여산업및의학분야에어떻게적용하는가하는문제에대해강의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생물체를구성하고있는모든기본단위(DNA, 단백질 tissue, organ)의 기본서열,구조및기능에대한정보를데이타베이스화하여이들로부터연구자가원하는정보를생명공학연구에의미있는형태로만들어낼수있는전반적인과정에대한 interdisplinary 과목으로써생명현상의작용기작의기초연구뿐만아니라질병의치료및예방에컴퓨터공학과의접목을통하여새로운방향을제시함

│분자설계및실습(Molecular Design and Lab)│DNA, 단백질, 탄수화물 등의 생명현상 유지에 필수적인 고분자들의 구조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유기화학 및 물리화학 방법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갖는 신규생리활성분자들을 컴퓨터를이용하여설계하는이론및실제에대해강의

250

Page 13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선배의한마디

253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초 지식과 국제적 안목을 배양하고, 생명공학 발명이 특허로서 충분히 보호?활용할 수 있도록 특허정보를분석하여특허명세서를효율적으로작성할수있도록함

3. 연구분야와교과과정

4. 졸업후의진로

졸업 후에는국가및 산업체의생명공학관련연구소, 각종 식품, 의과학, 보건, 위생환경 관련 업계에진출 할 수 있으며, 많은 수의 학생들이 외국 및 본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위를 취득한 후 대학 및연구소에서 교수 및 연구원으로 종사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국내 의과대학, 치과대학에 진학하여 생명공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갖춘 의학전문가로서의 길을 가는 졸업생이 늘고 있으며, 생명공학의 지적재산권을관리하는변리사로도진출하고있다.생명공학자는 21세기 생명공학의 시대에 여러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본 학과의졸업생가운데약 5%는 대학교수로재직하고있으며, 산업체의연구원, 엔지니어, 관리직, 공무원, 중소기업경 등사회각분야에서많은졸업생들이활동하고있다.

252

생명정보공학게놈정보 연구

컴퓨터 신약 연구분자모델링시스템생물학

21세기생명공학 리더

양성의생명공학줄기세포공학

감염성질환 연구암치료제 연구신약개발

약물전달시스템

생명소재공학기능성 생물소재합성생물학

생물공정시스템바이오에너지

2학년 1학기 2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 3학년 2학기 4학년 1학기 4학년 2학기

생명공학정보처리 계산생물화학 분자설계및실습

생명정보학

생물통계학

세포생명공학 분자생물학 분자생명공학 줄기세포공학일반미생물학 응용미생물학 미생물생명공학 생물의학개론

의생명면역학 기능유전체학 의약화학생화학 I 생화학 II 화학생물학

유기화학 생물유기화학

생물전달현상 생물공학 대사공학물리화학 기초생물공정계산 생물재료공학 생물분리공장

생명공학기기분석식품공정공학생리활성물질 바이오산업공학

나노생명공학 나노의학공학

분자생명공학 미생물생명공학 생명공학 생명공학기초실험 기초실험 전공실험 1 전공실험 2

생명공학 생명공학창의설계 I 창의설계 II시니어세미나 I 시니어세미나 II

생명공학 생명공학논문작성법 발명과특허

▶ ▶

▶ ▶

▶▶

▶ ▶

▶▶

▶ ▶

생명정보공학

의생명공학

생명소재공학

●● 안홍주(02학번)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프로게이머도단기간에되는건아니잖아요? 공부는마라톤입니다. 단거리가아니거든요. 한번시작하면끝까지해내는끈기, 이것이가장중요하다고생각됩니다.책상앞에오래앉아만있는것을의미하는것은아니고작은주제라도깊이있게생각하고파고드는능력이필요합니다.생명공학은연구실에서젊음을불태우며실패속에서도즐거움을찾는그런학문입니다. 살아있는것을다루며느끼는경외심. 우리전공에서만느낄수있는것입니다.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과학에관한책을많이읽으세요. 저는“미래는바이오다“라는책을재미있게봤습니다만여러책을두루읽어보는것이좋을것같습니다. 어떤한곳에편협해서읽을필요는없이다양한책을읽어보세요. 책을통해얻는폭넓은경험은앞으로공부하는데커다란밑바탕이될것입니다.

Page 13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이용하여 최적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biomarker, nutragenomics등을 이용한식의약품설계및공정을개발하고산업화하기위한노력을하고있으며생명정보학을이용하여생리활성물질및의약품개발도진행하고있는중이다.

● 사단법인 분자설계연구소컴퓨터를이용하여신약및신소재를설계하고이를실제실험연구자들과공동으로개발하는업무를수행하고있으며또한컴퓨터분자설계관련 S/W를 개발하여이를상업화하는연구소이다.특히 97년도에 설립된 이후 많은 벤처기업의 설립을 도왔으며 이분야의 국내 연구인력 배출에중요한역할을하고있다. 현재연구소와교육실이연세공학원에입주해있다.

│특별행사│● 학부생 창의실험발표회

성적이 우수하고 연구 활동에 대한 강한 의지가 있는 학부학생들이 3학년부터 본 학과의 연구실에서 1년여 동안독립적인연구 project를 수행하여, 그 연구결과를산업체, 연구소 및학계의생명공학분야전문가에게소개하는활동이다.

● Junior seminar학부 3-4학년의 졸업 후 진로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생명공학분야의 전문가(벤처기업가, 연구소책임자, 변리사, 의학전문가, 외국대학교수)를 초청하여 학생들의 진로상담을하는활동이다.

● 학부, 대학원생의 국외연구연수본 학과의 연구실에서 연구활동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여, 본 학과 교수님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외국연구실에 3개월부터 길게는 1년까지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 생명공학과 동문체육대회 및 MT(교수. 학부. 대학원생. 졸업생 참가) 실시(매년)

255

클릭전공─생명시스템계열

6. 기타

│전공관련연구기관│● 생명공학산업화연구소

산학엽동 연구를 활성화하고 생명공학 연구를 위한 기반시설의 확충을 위해 연세공학 연구단지(YERC) 내에 2000여평의연구동을산업체로부터기증받았다.본 연구소는 미생물 및 미생물 유전자원,미생물을 수집, 보존, 분양하고 미생물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미생물 자원 활용을 위한 산학연 연구 개발 활성화 및 산업화 연구를활성화하기위한노력을경주하고있다.또한 미생물신속진단기술개발, 위해 미생물저감화를위한제어기술개발, 식품 안전성평가시스템 구축 및 안전성 검사 사업도 하고 있다. 아울러 생리활성 기능성식품식의약품 소재를 발굴하고, 효능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체 유용성 및 안전성 평가를 하며, 식품기능유전체학을

254

▶전공에대한20자평

보이지않는것에서진실과가치를찾아내는살아있는학문

●● 송재민(94학번)

▶어떤일을하시나요?

생명공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이며 동시에 군복무의 일환으로 전문연구요원에 재직중입니다. 제가구체적으로하고있는일은독감바이러스의인체내발병기작에관한연구를하고있으며백신및치료제개발에주력하고있습니다.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조금은꼼꼼하고세 한성격이필요합니다. 이분야의일들은대부분세 한손놀림과빈틈없는계획성등을요구합니다. 따라서선천적으로그런성격을타고났다면도움이되겠지요. 하지만그렇지않더라고대학원수련중에충분히만회할기회는있습니다.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현재진행중인학위논문을정리하고학위과정을마치면외국의유수연구기관으로박사후연구과정을갈생각입니다. 당장은우리나라의생명공학관련산업이다른전통적인산업들에비해규모가작은것이사실이지만그잠재력은매우크고정부의 지원의지 또한 확고합니다. 따라서 지금은 미래를 위해 좀 더 투자하는 시간을가질생각입니다.

Page 13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신과대학신학 전공

신학계열8

Page 13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이상의교육목표를더욱효과적으로수행하기위해, 우리 신과대학은신학전공과함께이중전공및부전공 제도를 적극 권장하여 다양한 학문적 경험과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신학실천, 경건훈련,목회실습, 목양훈련등의실천과목을통해기독교신앙의깊이와지도력을향상시키고자노력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신학 전공에 진학하고자 한다면 인문사회계열의 창조적, 논리적 사고와 기독교 신앙 및 성을 갖고있어야하고창조적지성, 헌신적 성, 섬김의리더십이필요하다. 도덕, 사회?국사, 어의 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고기독교, 종교, 철학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 구약학● 신약학● 조직신학● 교회사● 기독교윤리학● 기독교교육학● 상담학● 선교학● 목회신학

259

클릭전공─신학계열

1. 신학이란?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은 1915년 연희전문학교의 전신인 조선기독교대학이 문을 열었을 때, 신과가 개설됨으로써 그 역사가 시작되다. 해방 이후부터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종합대학교 안의 신과대학으로발전하게되었다. 그러한 독특한학풍을배경으로 90여 년간 쌓여온신학전통은연세신학만의자랑스러운 자산일 것이다. 또한 우리 연세신학은 에큐메니칼(Ecumenical) 신학 풍토 속에서 다양한교파의 배경을 경험하며 우리나라 기독교 신앙의 학문적 토대를 다지는데 수많은 기여를 해왔다. 교수진 역시 각 교파에 소속된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 연구자를 중심으로 관련 학계의 가장 우수한 학자들로구성되어있다.

연세대 신과대학은 2005년부터 새롭게 조성된‘연세신학관’에서 새로운 도약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신학연구에 집중하고 다양한 신앙교육이 가능한 우수한 교육환경의 확보는 연세신학의 학문의질적 향상을도모할뿐 아니라, 성교육의 새로운 전기를맞게 될 것이다. 특히 신학도서관을체계화하여신학자료수집을현대화하여세계의신학적연구의흐름을주도할것이다.

우리 신과대학의교육 목표는한국교회의연합에힘쓰고사회봉사및 생명선교에소명을가진 성직자와전문가를양성하는일이다. 그것을위해서는수준높은학문과여러분야에대한다양한이해의눈을 가져야 할 것이다. 특히 교회의 분열을 치유하고 연합을 도모하는 일은 연세 신학이 짊어질 가장중요한 책임이기도 하다. 그러한 연합이 궁극적으로 세계의 교회를 향하고 있으므로 우리는 국제적교류와 연대를 통하여 신학교육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특히 세계화 시대에 학생들이 국제적 감각을갖도록 미국과 유럽, 특히 인접한 일본의 대학과의 교류를 보다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다. 하나님의도우심으로이러한연세신학의꿈들은반드시이루어질것이다.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은 한국 최초의 종합대학내 설치된 에큐메니칼 신학교육기관으로서 다음과 같은교육목표를두고있다.

첫째, 세계의 신학계 그리고타학문과긴 한 관련아래 높은수준의신학교육을실시하며, 또한 한국적신학을발전시켜이를통하여교회연합에힘쓴다.둘째, 학문과신앙, 지성과 성을두루갖추고조화된신학도를배양한다.셋째, 기독교 신학의 존재 이유는 교회에 대한 봉사임을 확인시키고, 한국교계뿐만 아니라 세계 교회에봉사할지도자를양성한다.

258

신학전공01 생명시스템계열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세대학교 신과대학교육목표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높은 수준의신학교육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조화된신학도 배양

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교회에 봉사할지도자 양성

Page 13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6. 졸업후의진로

신과대학을 졸업한 후 우리 대학교 일반 대학원이나 연합신학대학원에 진학하여 전공별 연구를 계속할수있습니다. 목회자가되고자하는학생들은각교단의신학대학원의목회학석사(M. Div) 과정에진학하여 해당 교단의 목회자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기독교 계통의 언론 및 교육기관 등에진출하여활동할수있습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261

클릭전공─신학계열

4. 교과과정

•학부기초 : 쓰기, 대학 어Ⅰ, Ⅱ•학부필수 : 9개 역중 8개 역에서각각택 1•전공에관한사항은해당학과사무실에문의바람•03학번 이후입학생의경우, 3000~4000단위 과목중 45학점 이상을이수하여야함. 단, 전공 및

역은관계가없음•신과대학은매주수요일 4교시(12:00~12:50) 신과대학자체채플이있습니다.(반드시참석하여야함)•학부선택‘명저읽기’과목은반드시이수하여야함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260 신학계열생(제1전공) 7 24 4 35 57(기초6, 필수14, 선택37) 135캠퍼스내 복수전공(제1전공:신학)

ㆍ ㆍ ㆍ ㆍ 36(기초6, 필수14, 선택16)135

(신학과 생이 타학과캠퍼스내 복수전공 시)캠퍼스내 복수전공(제2전공:신학) 제2전공

(타학과 생이 신학과ㆍ ㆍ ㆍ ㆍ 36(기초6, 필수6, 선택24)

졸업학점기준캠퍼스내 복수전공시)

부전공 ㆍ ㆍ ㆍ ㆍ 21(기초6, 필수6, 선택9)제1전공

졸업학점기준졸업예정자 복수전공 ㆍ ㆍ ㆍ ㆍ 48(기초6, 필수10, 선택32) 51

일반편입 ㆍ ㆍ ㆍ ㆍ 57(기초6, 필수14, 선택37) 135학사편입 ㆍ ㆍ ㆍ ㆍ 48(기초6, 필수10, 선택32) 58

구분학부대학교과목

전공교과목 졸업학점학부기초

학부필수

학부선택 소계

학생회 신과대학 학생회의 연간 활동 및 사업 안내

편집국 연신인을 하나되게 하는 커뮤니케이션 저널

연세신학 학술연구회 80년 전동~! 연세신학 지성의 진정한 산실!

노동과 사목 연구회 소외된 자들과 함께하는 연세신학의 얼굴

알파와 오메가 CCM과 문화선교가 있는 곳 알오를 아시나요?

종교극예술 연구회 극예술을 통해 연세신학의 예술성은 거듭난다!

물구나무 연세신학의 여성이여, 잠에서 깨어나라!

복학생협의회 군대 다녀오신 복학생 여러분 적응하기 힘들죠?

YCV 컴퓨터 자원봉사단 Yonsei computer Volunteers~!

부서 및 동아리 활 동 내 용

●● 이 삭(03학번)

연세대학교신학과에입학하게된여러분들을하나님의이름으로축복하면서진심으로축하드립니다. 연세대학교는 120여년전에언더우드선교사님께서다른선교사님들과함께피와땀을흘려세우신학교입니다. 그들이미국의편안한생활을버리고당시에그들에게있어서미지의땅이며척박한곳인조선에왔던것은그들이하나님께로받은은혜와사랑을선교로되갚기위해서 습니다. 이러한선교사님들의열정으로이연세대학교가세워졌다고해도과언이아닐것입니다. 저희신학과는 이러한 하나님의 사람들을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세워졌습니다. 이곳에서 여러분들은예수그리스도께서보여주신사랑과헌신과희생의정신을삶으로마음으로배워야한다는의무감을갖게될것입니다. 앞서서이연세신학에서공부를하신선배들께서보여주신사회에대한봉사와교회공동체에대한헌신, 신학계에종사하시면서장래의하나님의일꾼들을양육하시는모습들은진정한사랑에대한실천이무엇인지잘보여줍니다.연세신학의 마인드와 모토에 대해서 저는‘머리는 냉철하게, 가슴은 뜨겁게’하나님에대해서탐구하고사랑하고하나님의나라를세워가는에큐메니컬적인가치관을갖는것이라고감히말 드릴수있을듯합니다. 연세신학은한국의최고의신학교육수준을자랑하는공동체로서학문의 역에서다른교단신학교와달리종합대학교이기때문에다양한분과의학문과의연계성을찾을수있는장점이있습니다.이것은개방적인사고를통해서다른입장에서있는사람들을배타적으로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관용하고 포용하는 점에서 다원주의 세계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중요한역량을키우는기회라고할수있습니다. 또한사회현실에대해서치열하게고민하며사회안에서예수그리스도의심장을품고사회를좀더바람직한방향으로바꾸기위해서열띤토론을하기도하고나아가사회에대해직접적으로참여를함으로써신학을머리와가슴, 몸으로한다는것을직접적으로깨닫게합니다.

Page 13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 종교● 철학● 역사● 심리학● 인류학● 생태학● 사회학

10. 기타

│장학제도│대학배정장학금·연세특별장학금·국가유공장학금·국가고시합격자장학금·봉사장학금·평화 장학금·총학생회 생협 장학금·우수선수 장학금·연세 복지 장학금·신학 장학금·근로 장학금·기금장학금·교외장학금외 185종이있다.

│교직과정설치│소정의교직과정을이수하면 2급정교사자격증(종교과목)을 취득할수있다.

│군종사관 후보생│군 복음 선교화를 위하여 국방부에서는 군종사관 후보생 시행 규칙에 의하여 선발 시험을 매년 9월에 실시. 이에 선발된자는군종사관후보생으로성직취득후소정의교육을수료한후군종장교로임관된다.

263

클릭전공─신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이 훈(73학번) 여의도순복음교회담임목사

● 김성주(75학번) 성주인터네셔널회장

● 문단열(83학번) 펀 리쉬, EBS 잉 리쉬카페

262

흔히들갖는선입견중에신학을한다고하면단순히성경지식을학습하거나사회와는동떨어진학문을한다고하는생각이많습니다. 하지만사실은그렇지않습니다. 신학은조직신학, 구약학, 신약학, 기독교윤리학, 기독교교육학, 목회상담학,선교종교학, 예배설교학등의다양한학문분과를포괄하는종합적인학문이며교회 공동체와 사회현실에 대해서 직접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학문입니다. 이러한 학문들은선수학습으로다양한언어를요구하며, 사명감, 헌신과희생의자질을요구하기도하는고도의학문이라고할수있습니다. 이러한학문의습득과배움은기독교의사랑과섬김의가치관을갖도록하며교회공동체와사회에나가서빛과소금의역할을감당하도록하는데중요한기반이라고생각됩니다.연세신학은단순하게목회와신학교육에몸담을학생뿐만아니라그외의다른진로를 모색하는 친구들에게도 유익한 공동체입니다. 목회를 할 친구들에게 있어서군종사관후보생과같은제도는장래의목회에있어서상당한도움이됩니다. 또한한국최고의신학교육을자랑하는우리과의분위기는신학을전문적으로공부할친구들에게큰자랑거리가됩니다. 신학과내의다양한동아리, 학회동아리, 음악동아리, 연극동아리, 여성학회동아리, 시청각예술학회등은장래에사회에나아가서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연세 신학은이중전공을할수있는장점이있어다른분과의전문적인지식획득과기독교적가치인사랑과희생, 헌신, 책임감을갖도록함으로써사회어느위치에서도리더십을발휘할수있도록함으로써이곳에서공부한모든사람들에게자신의역량을충분히발휘하도록도와줍니다.신학을공부하게된후배들이이연세신학에 4년아니그보다더긴시간을공부하면서하나님의마음과그분의사랑을깨닫게되길바라며자신만의건물을쌓아나가면서 자신의 독특한 정체성을 세우는 기회로 삼았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로 그리스도의 사랑과 헌신, 희생을 실천하는 신학을 공부하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리며연세신학을통해서한국교회와한국사회, 세계가변화되고바람직한방향으로나아가는희망을그려봅니다. 혹시누가알겠습니까? 우리안에서하나님과이웃을위해피와땀을흘려자신의삶을불사른또다른언더우드가나올지…….

Page 13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생활과학대학의류환경 전공식품 양 전공주거환경 전공아동·가족 전공생활디자인 전공

생활과학계열9

Page 13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66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4.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M·D학회│본 학회는 1996년 의류기업의 실질적인 업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자발적인 노력에의해발족된학회로지금까지활동을이어오고있다. 학회의목적은학회원들간의끈끈한인적네트워크 형성과 지식 공유를 기본적으로 하고 매주 스터디 모임을 갖는다. 매주 모임 및 MT에서 만난선후배 및 동기들을 통해 끈끈한 정을 키울 수 있으며, 아카라카와 연고전과 같은 교내 행사에서 연세의류인으로또한번자부심을느낄수있을것이다. 또한 매 학기의류업계관계자를초청하여현장변화에대한강연을들으며실무감을익히고, 패션쇼참관과졸업생과의만남의자리를통해패션에 대한 열정을 키워 갈 수 있다. 학회원 리크루팅은 매학기 초에 있으며, 지도교수는 패션 마케팅전공인고은주교수님께서담당하고계신다.

5. 졸업후의진로

정보산업발전에 따른 급격한 사회의 변화는 의류환경학 전공자들이 기존의 활동 역인 의류산업 역에서의 상품개발 및 기획, 디자인 개발, 마케팅, 패션 정보 분석 뿐 아니라, 정보화 사회에서 발전이기대되는전자상거래환경에서요구되는각종 패션 전문 역을포함하여패션 관련 언론분야와정부정책수립 분야 등에서 폭넓게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대학원에 진학하여의류환경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는 등 개인의 미래설계에 따라 의류환경학 전공자들의 진로는 다양하게전개될수있다.

267

1. 의류환경학이란?

의류환경학과는의생활의질적 향상과의류산업발전에기여할수 있는학문의 연구와인재양성을목적으로 인간과 의복환경체계를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측면에서 연구하는 교과과정을 제공하고 있다.교육의 방향은 의류산업을구성하는다양한 요소에대한제반현상을과학적으로분석하는능력 및 의류산업과 의생활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의 배출을 통하여 다변화되어 가는 패션산업의 요구에적극적으로대응하며섬유, 의류산업의발전에기여하는데역점을두고있다.

2. 세부전공및 역

3. 교과과정

의류환경전공의 교과과정은 의류산업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와 인간과 의류의 상호작용을 과학적으로분석하고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형성하며 의류 산업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을 위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소재의 특성, 인체의 특성, 소비자의 사회적, 감성적 특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의류환경과 의류 산업의 전문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섬유/피복과학분야, 의류생산설계/의복구성분야, 의류상품기획/디자인분야, 의류마케팅/의상사회심리분야에서여러교과목을개설하고있다.

의류환경전공01 생활과학계열전공탐색 의류산업과 패션

섬유과학/

피복과학

의류생산설계/

의복구성

의류상품기획/

디자인

의류마케팅/

의상사회심리

구 분 과 목

섬유과학/피복과학

의류환경 전공

의류생산설계/의복구성

의류상품기획/디자인

의류마케팅/의상사회심리

의류재료와산업, 섬유과학기초실험, 의류재료와성능, 섬유가공과신소재, 직물의염색,의복과환경, 섬유제품품질평가, 직물조직과설계, 의류소재개발및기획, 의복관리, 의류제품과소비자보호, 기능성의복과소재, 의복과감성과학

인체와의복과학, 의류제작방법, 패턴디자인, 입체패턴설계, 패턴과소재, 의류제품분석, 의류생산설계, 입체구성기법, 연령계층별의류개발, 패턴 CAD, 테일러링, 어패럴디자인과기능성, 어패럴패턴디자인, 패션비즈니스시스템

의류상품기획의실제와응용, 창의적사고와의류상품, 의류상품과현대문화, 의류상품개발의지시기법

유행심리와의류산업, 서양의복식문화와역사, 의복과문화, 의류마케팅, 의류산업유통론, 패션광고및판매촉진, 인간과의복행동, 디지털패션경 , 의류소비자행동분석,동양복식의문화와역사, 국제 의류마케팅, 패션브랜드마케팅관리

전공

선택

Page 14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7. 기타

│의류과학연구소│1995년 설립된 연구소로 산·학·연 공동 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의류학의 학문적 발전과 더불어 섬유/ 의류산업의 첨단화에 필요한 이론적, 기술적 기틀을 제공하며, 국민의 과학적 의생활 정착 및 21세기 한국적의류문화를이끄는데기여하고있다. 산·학·연공동연구를추진하는연구기획부, 의류전공 학생의 국내외 기업에서의 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육사업부, 홍보부, 섬유/의류 기업 및유통업계에대한자문을담당하는컨설팅부로구성되어있다.

│전공소개 행사│의류환경학과에서는 매년 12월초 전공소개행사를 개최하여, 교과과정과 수업내용에 대한 동 상 시청, 그리고다양한의류기업에취업한동문선배들과의간담회를통하여졸업후의전망과진로에대해다양한정보를얻을수있는기회를갖는다.

6. 전공선배의한마디

269268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 신은정(01학번)

-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옷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우선 있어야 하구요, 트렌드에 대한 감각도 필요합니다.패션은옷만을다루는것이아니므로사회문화전반에걸친관심과넓은마음또한갖춰지면좋겠죠.옷에대한관심과흥미가우선있어야하구요, 트렌드에대한감각도필요합니다. 패션은옷만을다루는것이아니므로사회문화전반에걸친관심과넓은마음또한갖춰지면좋겠죠.

-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내에는 디자인, 마케팅, 소비심리, 직물 소재 연구, 신소재개발 등 여러 세부 분야의 전공 수업이 있습니다. 패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자신의적성에맞는수업뿐만아니라, 다양한분야의과목을통해서패션산업의분야에대한전반적인지식을쌓아야합니다.

- 전공에대한20자평

패션 전문인으로서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있는전공

●● 이주현(96학번, 롯데백화점 바이어)

- 어떤일을하시나요?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상품 구매하고, 백화점내에 입점시킬 브랜드를 선정합니다.또한시장의여러상황이나소비자의변화등광범위한 역에걸친정보수집과분석에의해구매계획을세우는일을담당합니다.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패션에대한지식과경험을겸비하고, 외국어실력이뒷받침되면좋을것이라고생각합니다. 또한라이프스타일의중요성이부각되면서사회전반적인트렌드정보분석능력과더불어세련된감성과섬세한안목등의패션감각도필요합니다.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기존의 바이어의 역할이 외국과 달리 입점 브랜드 선정에 치중하 으나, 앞으로는백화점내의컨셉샵의증가로, 컨셉샵내의상품구매를확대해나갈생각입니다. 개인적으로는소비자들이원하는상품을선정하기위해다양한전시회나문화행사등을통해패션감각을키우는등개인적인능력을향상시키기위해노력할것입니다.

대학교 교수

교육계 전문대학교수 대학교, 전문대학, 중·고등학교

중·고등학교 교사

섬유 및 의류제조디자이너

머천다이저 내수 및 섬유와 의류 수출 업체유통업체

기획 및 상품분석

정보사 패션 정보분석 패션연구소, 패션 정보 분석 업체

유통업체백화점 바이어

백화점, 홈쇼핑, 인터넷 쇼핑업체홈쇼핑 & 인터넷쇼핑 기획 및 상품분석

전공관련 언론 매체마케팅, 홍보활동

방송사, 신문사, 잡지사, 패션전문저널기자, PD, 아나운서

진 로 분 야 기 관

Page 14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 학업에필요한특성과기초능력

식품 양학 전공에 진학하고자 한다면 과학적 사고능력과 사회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생명 현상과건강, 과학에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수학과 과학에 대한 관심과 탐구능력, 조직생활(협력)조화가 필요하며 수학, 과학, 어, 가정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1. 식품 양학이란?

식품 양학은 인간의 건강 및 양상태 개선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학문연구와 그의실천및응용을교육목적으로하고있다. 교육의 방향은 국민 양과 건강에 직결되는 식생활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와 대책개발을 위하여 식품과학, 식품가공학, 식품생물공학 등의 식품학 역, 인체의 양소 대사 및 기능의 작용기전을 다루는양학 역, 급식경 관리의 효율화를 달성하기 위한 급식경 학, 급식안전 등 분야를 특성화?세분

화시키는동시에또한 통합화할수 있는 능력을배양시킴으로서식생활전반에 걸친기초과학과응용과학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시키는데 있다. 이와 관련된 전공 교과목의 강의를 통하여 학문의 원리와실제를터득케함으로써다변화되어가는사회요구에부응할수있는창의적인전문지도자를배출하는데역점을둔다.

271270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식품 양전공02 생활과학계열

식품학

식생활의 과학화 양학의 실용화

양학 급식경 학

급식관리체계의 효율화

실험 실습과 이론의 병행

•최신 기자재의 확충을 통해 철저한 실험실습과 이론을 병행하여 교육•21세기 정보화시대 전문인으로서의 자질을 배양•단체 급식관리의 업무 효율화를 위한 전산화 시스템 교육강화

자격증 취득 및 현장 실습

•재학중 양사 자격증(국내 및 미국), 조리사 자격증 및 각종 자격증 취득 장려•각 학년마다 년 1회 이상 산업체 견학(ex. 삼성 조리 아카데미)•방학 중에는 병원, 호텔, 학교, 연구소 등의 현장실습 기회 제공

식품 양학 = 기초학문 + 응용학문

생물학

생화학 경 학

화 학

의 학 사회학

식품 양학식품 양학

식품학 •식품공학 •발효학 •식품가공학 •식품 신소재 개발 •기능성 식품 개발

양학 • 양소대사 • 양상담 •식사요법 •임상 양학 •분자 양학

급식경 학 •단체급식 •마케팅 •급식경 관리

Page 14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및판매까지하는행사이다. 딸랑우랑은딸기랑우유랑을줄임말로서농수산물판매와더불어낮은과일과우유섭취를촉진하기위해 80년대때부터시작한활동이며, 오랜시간이어져온활동이어서교수님들또한행사를진행하거나참여해보신분들이많으셔서수업시간에화제에오르기도한다.

│‘식 인의 밤’행사│생활과학대학 내에서 유일하게 졸업생 동문들, 교수님들 그리고 현 재학생들이 함께할 수 있는 행사를 3회째 이어가고있다. 식품 양학과에서 운 하고 있는 알렌관을 대절하여식품 양학과 학생들이 직접 식순을 짜고 행사를 진행할 뿐만 아니라 알렌관 분들과 협력하여 식사를 대접하고 대량조리를경험해볼수있는기회를마련하고있다.

│알렌관 현장실습│현재 3,4학년을 중심으로 알렌관에서의 현장실습을 하고 있다. 주로 월요일 새벽7시에 알렌관에 도착하여 오후3시까지 참여하여 정말 직원과 같이 참여하여 배우고 있으며, 현장 실무에 대한 감각과운 에 대해서 배우고 있다. 메뉴 개발과 실무운 중심으로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직접 적용해보는기회를갖고있다.

273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4. 교과과정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연구회│식품 양학을 전공하고 있는 3~4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작은 모임이 있으며 주로 방학을 이용하여,다음 학기의전공과목을미리살펴보고있다. 이미 강의를들었던선배가후배에게대략의설명을하고 같이 공부하는 방식을 현재 사용하고 있다. 주로 공부하는 과목은 생화학이며, Harper’sBiochemistry를 교재로이용하고있다.

│딸랑우랑│식품 양학과에는 20년이 넘는 전통을 이어온 딸랑우랑이라는 행사가 있다. 대동제 기간에 식품 양학과의이름을달고딸기와우유와관련된제품을재료부터직접구입하고만드는것뿐만아니라판촉

272

선택교양 현대인의 생활 양

필수교양 일반화학

전공탐색 식품 양과 체형

인체생리학, 식품 양과체형, 생화학, 인체 양학, 양과환경, 양소대사및실험,

양학양학실험, 식사요법, 생애주기 양학, 임상 양학, 식품 양과학과마케팅,

건강기능식품과 양, 양교육과상담, 고급 양학, 지역사회 양학, 양사현장실습, 양판정, 양과건강, 다량조리현장실습, 분자 양학

전공선택 식품화학, 조리원리, 식품관능평가, 식품미생물학,식품학 식품 양분석및실험, 식생활관리, 기능성식품학,

식품가공저장학, 식생활과문화, 식품조리및식품개발

급식경 학급식경 학, 식품위생학, 외식서비스마케팅, 식품구매 단체급식관리및실습, 인적자원관리, 급식·외식산업현장실무, 호텔외식관광산업개론

구 분 과 목 교과목

Page 14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현재 연세대 식품 양 졸업생의 주요취업 현황│

275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6. 졸업후의진로

│최근 학부 졸업생 현황(2003년~2009년)│2003년 8월 졸업생:5명2004년 2월 졸업생:15명/ 8월 졸업생:1명 (총16명)2005년 2월 졸업생:12명/ 8월 졸업생:3명 (총15명) 2006년 2월 졸업생:13명/ 8월 졸업생:9명 (총22명)2007년 2월 졸업생:14명/ 8월 졸업생:4명 (총18명)2008년 2월 졸업생:23 명/ 8월 졸업생:7 명 (총 30명)2009년 2월 졸업생:21명/ 8월 졸업생:6명 (총 27명)

● 전문직( 양사) 활동 : 신촌/ 동세브란스병원(4), 아산병원(1)

강북삼성병원(1), 아워홈(4), 유치원(1)

● 기업체 활동 : 삼성전자(2), 엔다이오테크놀로지(1), 신한은행(1), 대한항공(1), 국민은행(1),삼성테스크(1), CJ푸드시스템(1), 오뚜기(1), 제일은행(1), 해태제과(1), 태평양(1),

현대건설(1),FNC(1), 삼성에버랜드(1), 야후코리아(1), 대한제당(1), ㈜대상(1),

샘표식품(1) ,삼성화재(1), 신세계푸드(2), 한국식품연구원(1), 이랜드(외식경 ) (1),

농심(1), (주)효성(1), 현대F&G(1),보광훼미리마트(1), 서울축산업협동조합(1),

롯데백화점(1), 두산 SRS KOREA (1), 롯데칠성음료(1), ㈜상록 (1),

한국경제신문사(1), 한국물가협회(1)

● 대학원 진학 : 연세대학교외기타, 연세대학교(25) 외 9 (2009년 4.7일 기준)

274

학 계

대학및

전문대학교수

양사

지역사회임상상담관리

C.N.S.D

급식관련업체

경 자

관리자

연구소

국립연구소의과대학연구소식품연구소

(기초/개발분야)

식품업체

양상담소비자상담

건강식품연구개발식품개발

식품 양관련마케팅

전공관련언론매체

마케팅홍보활동재작활동기자PD작가

교수, 교사등의교육계로

약 100여명

임상, 상담, 관리등을담당하는병원 양사로서

120여명

식품회사,연구직으로약 100여명

급식경전문업체의

전문급식관리자및경 인으로약20여명

방송사, 신문사,잡지사등

언론매체로진출

전국 각지의 대학교와 전문대학, 중고등학교

신촌세브란스, 동세브란스, 세브란스 건강증진센터, 용인세브란스, 여의도 성모병원, 고려병원, 강남성모병원, 상계백병원, 서울백병원, 아주의대병원, 부산대학병원, 삼성의료원 등

CJ, LG 식품사업부, 삼양식품, 정식품, 동원식품, 오뚜기, 풀무원, 빙그레,한국식품개발연구원, 식품의약품안전청, 미국 Purina, Supreme DeerProducts Co., 대한임상의학연구소, 대웅제약, 녹십자, 애보트 등

아워홈, ARAKOR, CJ푸드시스템, 삼성에버랜드, 신세계, ECMD,서울 Catering, 신라호텔, 롯데호텔, 하얏트호텔

한국방송공사(KBS), 한국경제신문, 식생활위생신문사, 월간「당뇨」, 월간「식당」

• 양 교사(2004학번부터 적용)

•고시합격자 현황정유리 (식 90):44회 행정고시합격(보건복지부보건행정학과사무관)이옥형 (식 93):44회 행정고시합격(행자부사무관)홍성아 (식 93):42회 사법고시합격

Page 14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 조혜정(1974년 식 과 졸업)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에서 양분야를 거쳐 현재 미국 FDA의Consumer Safety Officer로 일하고있음

● 김혜 (1980년 식 과 졸업)현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교수로 재직. 2003년도 올해의 최우수 연구 업적 부문상인 계연학술상을수상

● 염경진(1986년 식 과 졸업)현재 미국 보스톤 Tufts대학교 노화 과학연구소에서 scientist로 carotenoids, retinoic acid,antioxidant 양분야에서많은업적을쌓으며국제적연구활동을진행하고있음

● 함선옥(1990년 식 과 졸업)│현재 Kentucky University에서 교수로재직중. 2003년 대학으로부터 Outstanding ResearchAward를, Emerald Publisher로부터 Excellence of Citation Award를 수상

277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7. 전공선배의한마디

276●● 이동욱(06학번)

안녕하세요? 새내기여러분^-^저는생활과학대학식품 양학과에서과회장을맡고있는06학번이동욱입니다. 식품 양학과학생회장을하면서새내기여러분께가장많이받은질문이“저는문과인데괜찮을까요?”입니다. 생과대에는현재문과생과이과생이반반씩들어오고있는데 식품 양학과는 마치 이과생들만이 선택하는 과라는 생각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그건절대아닙니다! 물론생화학, 양학, 미생물학등이과에관련된수업들이있긴하지만차근차근공부를해나간다면충분히해내실수있습니다. 학년별로체계화되어있는과목들을순서대로따라가면재미있게수업을들으실수있을겁니다. 이렇게과학과관련된수업이외에도외식경 , 급식경 , 마케팅 등등 문과관련 수업도 있어서 꼭 이과생들만의 과라고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그리고또하나많이받는질문은“요리만드는과에요?”인데사람들이식품이라는단어 속에서 요리라는 단어를 연관시켜서 식품 양학과가 요리를 하는 곳이라고생각하시는것같습니다. 저희식품 양학과는인체에대해서공부를하면서우리가먹는음식들과우리몸에서일어나는여러반응들을공부하면서사람들에게더좋은, 더필요한음식들에대해서공부하는것입니다. 물론요리를안하는것은아닙니다. 조리과학과예술이나, 외식현장실무등의수업을통해서는직접요리도하고, 음식이만들어지는동선에대해서도공부를하면서다방면의지식을쌓을수있게합니다.이런식품 양학과를특성을살려서지금현재식품 양학과에서는오랜전통으로남아잇는“딸랑우랑”이라는행사를하고있습니다. 학교축제인“대동제”때, 딸기와우유를이용해서저희가직접디자인하고요리한음식들을파는것입니다. 08년도같은경우에는치즈케익, 머핀, 무스케익등의음식을직접만들어팔면서선, 후배간의돈독한관계를쌓을수있었습니다. 그리고08년도에처음으로열렸던“식품양학과인의밤”, 줄여서“식 인의밤”행사는식품 양학과에소속되어있는연

세대학교 용빈관, “알렌관”에서 그 곳 요리사분들과 함께 직접 뷔페요리를 만드는행사도있습니다. 만들어진음식은식 과학생들, 식 과대학원생들, 교수님들모두모셔서함께음식을나누고대화를나눌수있는자리로마련되어있어서앞으로도식 과사람들의정보공유의자리로이어질것입니다. 이때물론새내기여러분들도오실수있으니까오셔서맛있는음식드시면서많은정보를얻어가셨으면좋겠습니다.

이외많은행사들이있는데사람수가적은만큼, 진행하는데있어서어려움도많지만함께행사를진행하고, 참여하면서우리식 인들은돈독한친 한관계를유지하고있습니다. 생과대내에서가장많은, 그리고가장독자적인행사를열고있으며그런친 함이결국경쟁력으로나아가고있다고생각합니다.21c에들어서부터지금까지멈출줄모르고불고있는웰빙바람과비만, 성인병, 노인의증가등의문제점들은우리식 인들이가야할곳이너무도많음을증명해주고있다고생각합니다. 지금현재뒤늦게고려대학교에서식품 양학과를신설을했고,음식에대한이야기가나오면너도나도전문가인것처럼사람들이나설정도로식품에대한관심은어느누구할것없이관심이높은상태입니다. 이런상황에서전문적이고체계적인지식을갖춘식 인이야말로준비된 21c의 인재가아닐까생각합니다. 앞으로도식 인의길은무궁무진하게열려있다고생각하고, 그 길들은이제 여러분들이 걸어가야 할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1년 동안 여러 과를 경험해보고탐색하면서자신이가야할길, 가고싶은길을잘생각하시고후회없는선택을하시길바랍니다.

Page 14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주거환경학이란?

주거환경 전공은 인간생태학적 관점에서 인간과 생활환경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인간의 생활환경을계획, 설계, 디자인하며 운 ㆍ관리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학문이다.인간과 정주환경에대한제반 문제에대하여과학적이며창의적으로대처할 수 있는전문지식과기술을습득하여학문연구와실무분야에기여할수있는인재양성을교육목표로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과기초능력

주거환경학 전공은 창의적인 학생에게 적합하고 인내, 끈기, 도전정신이 필요하다. 또한 인문계와 이공계모두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고특히기술?가정의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주거환경의세부전공은주거학과실내디자인으로나눌수있다.주거학 분야는 거주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제반 주택계획 이론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와 실제주택계획프로젝트를실습하는주거계획및주택설계분야로나눌수있다. 실내디자인 분야에서는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실내디자인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실내디자인프로젝트를실습한다.

279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생화학, 생물학, 화학

10. 기타

● 식품 양 전공 우수학생을 위한 장학금- 이기열 명예 교수님의 이기열 장학금

- 손경희 특임 교수님의 손경희 장학금

- 정식품에서 지급하는 혜춘장학금

- 오뚜기재단에서 지급하는 오뚜기장학금

- 교내에서 지급되는 우수장학금, 특수장학금 등

278

주거환경전공03 생활과학계열

Page 14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최근 3년간졸업생취업현황>

7. 전공선배의한마디

281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4. 교과과정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학생들의 학회활동은 1994년 캐드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한 디자인 능력을 키우기 위해 발족하 으며, 현재는 Hidden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일주일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모여 주거 및 실내건축 전반에 걸쳐 토론, 발표를 하는 세미나를 열고 있으며, 방학 중에는 디지털 디자인 워크샵을 개최하기도한다.

6. 졸업후진로

졸업후진출하는분야는크게실무분야와연구분야로나눌수있다.실무 분야에는 건축회사, 건축설계사무소, 실내디자인사무소, 주택설비 및 가전제품 업체, 조명디자인회사 등이 있으며, 연구 분야로는 건설회사의 연구실, 주택관련 연구소, 디자인회사 연구소, 정부출연연구기관, 주거환경관련산업체내의연구기관및교육기관등을들수있다.

280

전공탐색 공간보기공간풀기

전공기초 실내건축디자인이론, 주거환경계획, 실내건축디자인스튜디오(1), 주거건축디자인스튜디오(1)

공통 공간조형실습, 인간공학과 디자인, 기초설계제도, 공간디자인과 문화, CAD와 컴퓨터그래픽실습, 디지털디자인스튜디오, 연구방법론, 인간행동과 공간환경, 사이버디자인의 이해, 실내기후와 공기질, 실내건축구조 및 재료, 프로페셔널커뮤니케이션, 친환경주거디자인, 한국전통공간과 건축

전공선택주거학 주택관리와 리모델링, 실내환경제어시스템, 시설주거학,

주거건축디자인스튜디오(2), 한국주거의 이해, 주택건설과 경 , 생활시스템과 주거, 현대주거건축, 빛환경과 생활소음

실내디자인 실내건축디자인양식, 현대실내건축디자인, 시설경 과 디자인, 조명과 디자인, 실내건축디자인스튜디오(2), 환경색채학, 미래공간론, 환경디자인스튜디오

전공필수 주거환경졸업통합과제

구 분 과 목디자인관련회사

BM I&A, 신한건축, CHIHO & P, 희훈 인테리어, 삼성전자, 시공테크, 한샘 인테리어, 계선 인터내셔널, 창조건축, 희림건축, 제일기획, 한샘 퍼시스 등

건설회사두산중공업, 삼성물산, 이수건설, 신세계건설, 한라건설,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삼성중공업, SK건설, 대우건설, GS건설, 정암산업, 벽산건설, 삼환기업, 현대건설, 쌍용건설, 청원건설 등

일반

ISG 아시아, 농심 메가마트, 하얏트호텔, 동양화재, 그린여행사, 우리홈쇼핑, 태평양, SK C&C, 삼성코닝정 유리, KINTEX, 우리은행,HSBC은행, 한국씨티은행, BNP paribas, 스와로브스키 조명디자인, 네오위즈 등

공공기관보건복지부, 관광자원부, 건설직 공무원, 서울시정개발원, 경기개발공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내진학 대학원

해외유학 일본, 미국, 국

종 류 기관/업체 명

●● 재학생 선배

-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

관심대상에대한궁금증, 진지함이나창의력이있으면좋고, 디자인에대한감각도있으면좋겠다. 그러나창의력과디자인능력은본인의관심에따라학교생활을통해얼마든지키울수있다고본다.

-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많은작품을보고배우는것이필요하고, 현장실습을통해경험을쌓는것도좋은방법이다.

- 전공에대한20자평

창작열을불태울수있는멋진전공, 자기가하는만큼얻어갈수있는곳

Page 14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 아동·가족학이란?

아동·가족 전공은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한 발달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 아동과 가족의 발달적 특성 및 주요쟁점들을 이들을 둘러싼 사회 환경 및 문화와의 상호작용측면에서살펴보는학문분야이다.아동ㆍ가족학과는 1973년 3월 우리나라최초로‘아동학과’라는 독립된 학과명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면서 출발하 으며 1983년부터 남학생들도 입학하여 현재는 여러 분야에서 남학생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1977년에는 대학원에 아동학과 석사과정이, 1981년부터는 박사과정이 개설되었고 2010년 현재졸업생중국내외에서박사를취득한사람은 121명에 이를 정도로 짧은 기간 동안 급성장을 하고있다. 본 전공은 다변화하는 사회의 요청에 따라 체계적인현장 견학 및 실습을 장려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지도자양성에역점을둔다.전공 졸업생이 취업한 분야를 살펴보면, 관련 학계, 아동발달및교육개발연구소나사회사업기관, 유아교육계의행정

가나 경 자 및 교사, 보육기관, 아동 상담분야, 아동관련 산업체(아동용 잡지, 아동실외놀이터, 놀이감, 아동의류, 유아용 식품, 유아용 가구, 아동용 그림책 등), 언론매체(PD, 기자, 작가), 가족관련연구소, 가족상담과 치료, 가족생활교육 관련 기관에 진출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화 사회에 힘입어아동이나 가족 관련 인터넷이나 애니메이션,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 혹은 팬시 산업의 활성화로 이분야로진출하고있는졸업생들이늘어나고있으며남학생들의현장진출도상당히기대된다. 특히 아동ㆍ가족학과학생의경우에는‘유치원 2급 정교사자격증’을받을수있다. 자격증의신청시기는 2학년 말, 전공 사무실에서 신청하며 전공학점 외에 교직과정 과목(20학점)을 이수하면 졸업과동시에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급하는 유치원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보육실습을필수로 이수하면 보건복지부에서 발급하는 보육교사자격증을, 그리고 관련 과목을 이수하면 여성가족부에서발급하는건강가정사자격증을취득할수있다.

283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이지현 카이스트교수

● 이승혜 Purdue University 교수

● 김석경 Michigan State University 교수

● 최성희 최-페레이라건축대표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건축, 디자인, 경 , 심리

10. 기타

주거환경학과의 학생활동은 전통주거건축답사 및 디지털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학생들의 학회활동은 1994년 캐드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한 디자인 능력을 키우기 위해 발족하 으며, 현재는 Hidden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일주일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모여 주거 및 실내건축 전반에 걸쳐토론, 발표를 하는 세미나를열고있으며, 방학 중에는 디지털디자인워크샵을개최하기도한다. 전통주거건축답사에서는 강릉의 선교장, 안동의 하회마을과 같은 전통 민가를 답사하고 있으며이외에도 주의 부석사, 소수서원, 안동의 도동서원 등의 전통건축 답사를 통해 전통건축의 원리를연구하여현시대에맞는디자인이론을찾아내려는작업을시도하고있다.

282

●● 졸업생 선배

- 어떤일을하시나요?

건축설계사무소에서아파트설계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

CAD, 포토샵등기본적인컴퓨터능력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

현재내가하는일에최선을다하고, 많은현장경험을쌓으며능력을인정받고싶다.

아동·가족전공04 생활과학계열

Page 14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교과과정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학부생 학회 - SOCAF(Study of Child and Family)│학회소꿉(SOCAF)은 교무처지원학술그룹으로서, 아동·가족전공에대한학부생의깊이있는이해와 전공 분야의 지식습득 및 학과 내 유대감 증진을 목적으로 2004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모임이다. 본 학회에서는 관심주제 및 분야별 조편성을 통한 주제연구와 발표, 기사클리핑, 관련서적 읽고 토론하기, 전공관련 비디오 시청 후 토론하기, 교수·대학원생·관련 전문가 초청 등 활발한활동이이루어지고있다.

285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2. 학업에필요한특성

아동가족학은 관계지향적이며 자율적이고 문제해결 능력이 있는 학생에게 적합한 전공으로 인간발달,유아교육, 가족, 상담 등에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이 전공을 잘하려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관

심이필요하고국어, 수학, 가정의기초실력을갖추었다면학업을수행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3. 세부전공및 역

284

아동발달인간발달에기초가되는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발달을연구하고단계별주요쟁점을

체계적으로조명함

가족 / 상담•가족의다양화, 가족내상호작용, 가족과사회변화및사회제도와의

상호성을연구•아동및가족과관련된다양한문제에필요한상담기법을

적용하고개발함

유아교육유아교육및보육에대한

다각적이론및방법을습득해 유아의발달에적합한교육이론과프로그램을

개발하는교육전문가로성장하도록함

전공필수 유아발달, 유아교육론, 가족학개론, 가족상담

아동발달 아동발달,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아동문제행동지도, 인지발달, 성격발달, 청년발달,정신건강론, 인간생태연구

유아교육

멀티미디어와 아동, 유아교육과정, 유아음악교육, 유아놀이지도, 아동문학, 유아동작교육, 아동미술교육, 아동ㆍ수과학교육, 보육실습, 유아교수방법, 부모교육, 창의성발달과교육, 유아교육기관운 관리, 유아사회ㆍ정서교육, 유아교육논리 및논술(교직), 유아교재연구및지도법(교직) 전공선택

가 족가족관계, 대인관계의이해, 건강가정현장실습, 노화와가족, 가족생활교육, 가족과젠더, 가족정책론, 부모-자녀 관계

상 담 아동상담, 놀이치료

공 통아동ㆍ가족연구방법론, 아동 양학, 아동심리측정, 아동ㆍ가족현장실습, 아동복지론, 아동ㆍ가족 통계

구 분 과 목

Page 14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87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6. 졸업후의진로

7. 전공선배의한마디

286

교육계유치원 교사 및 원장, 어린이집 교사 및 원장, 유아 교육 및 보육 기관의 교사 및기관장, 직장보육운 기관(푸르니), 보육시설재단

연구소

대학부설ㆍ학회ㆍ아동발달 연구소, 한국아동문제연구소, 한국심리검사연구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농촌진흥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성가족부,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시설평가인증국,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인력개발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육아정책연구소

상담소한국청소년상담원,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아동ㆍ가족상담센터, 놀이치료센터, 언어치료센터, 소아 정신과 임상센터

사회사업기관홀트아동복지회, 청소년 복지위원회, YMCA, 건강가정지원센터, 국제 아동 관련 기구(유니세프, 플랜), 복지재단, 어린이박물관

관련업체 놀이감 및 교구 회사, 출판서, 아동용 문구류,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언론매체 및 인터넷 방송사, 신문사, 잡지사, 인터넷 운 회사

진로 기 관

●● 재학생 선배

-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창의적이고자유로운생각, 융통성, 유연성, 체력•유연한사고방식, 따뜻한마음가짐, 할일을찾아나설수있는적극성•따뜻한마음, 적극적인성향, 결단력있는성격•참을줄아는인내심

-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 유아교육, 발달심리학, 가족학과관련된책들을읽어보시고아동관련기관이나단체에서의자원봉사, 실습등을많이하시면좋은경험이됩니다.

•자기가잘할수있고하고싶은것에대한뚜렷한목표!• 문아티클정도는가볍게소화할수있는 어실력•사회전반적으로어린이나가족에관계된모든일에귀기울여보기•뉴스나신문기사, 잡지, 인터넷을통해아동및가족관련사업이나행사를몸소체험하고느껴보기

•남들이추구하는가치를따르지않고, 내소신을다하겠다는결심

- 전공에대한20자평

•무한한가능성을발견할수있는맛깔스런학문입니다.•나스스로를성장시킬수있는전공!!•무수한가능성을내포하고있어매력있는아동ㆍ가족학!!•공부할수록내가변해가는것을느낄수있게해주는아동학!!

●● 고효진(94학번) Plan Korea(국제 아동 후원단체) 홍보 담당

- 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기본적으로어린이에대한사랑과관심과함께아동에대한여러기본지식이있어야합니다. 또한국제적인단체이므로, 어로의사소통할수있는외국어능력은필수적입니다. 그리고, 세계각국의정치, 경제상황과그나라의문화, 전통에대해항상관심을가지고지켜보는것이좋습니다.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경제적 불균형으로 인해 즐겁고 행복해야할 유아기, 아동기를 맘껏 누리지 못하고살아가고있는저개발국어린이들의가슴아픈이야기를많이접하게됩니다. 이들과관련된연구나출판물, 교육프로그램개발과보급을통해지구촌의어린이가함께건강하고행복한세상이되도록돕는데에보탬이되고싶습니다.

- 후배에게한마디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다양한분야에관심을가지고, 정보를수집하면서원하는분야의일을하기위해미리준비하시기바랍니다. 물론아동에대한기본지식과실제경험은필수입니다. 준비가되어있을수록기회가많아지거든요. 앞으로도다양한분야에서후배님들의활약을기대하겠습니다.

●● 김윤지(97학번) 보육시설평가인증 사무국 보육평가팀

- 어떠한일을하시나요?보육시설평가인증의 한 과정인 현장관찰에 필요한 현장관찰자를 모집, 선발, 교육하며, 현장관찰결과보고서검토등의현장관찰관리, 또 관찰자관리및평가를담당하고있습니다.

- 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이론과 실무가 어우러지는 업무이기 때문에 현장 경험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유아보육관련과목수강및보육실습을통해보육교사자격증을획득하고보육현장에서실전경험을쌓는것이많은도움이됩니다.

- 후배에게한마디내가어떤길을가야할지무엇이하고싶은지잘모르겠을때, 길을찾을수있는방법은무조건부딪혀보는것같아요. 잘모르겠다고아무것도하지않고있는게아니라뭐든지해보는것이옳은방법이라는걸기억하세요.

Page 15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연세대학교 직장보육시설 유진 하이마트 어린이집

유진하이마트어린이집전경 유아활동( 가루반죽탐색)

● 삼성관 내 연구실 및 실습실교재교구실, 음률실습실, 심리검사자료실 및 상담실, 애착ㆍ지각실험실, 아행동관찰실, 가족연구실,사회성발달연구실, 유아교육ㆍ보육실, 가족 및노년학연구실, 인지행동연구실

│다양한 자원 봉사 프로그램│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에서 매년 7월에 실시하는 초등학교 대상 과학캠프에 자원봉사로 참여하여 학부수업에서 배웠던 이론을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외에 세브란스 병원학교나 지역 내아동도서관, 국제아동센터등에서자원봉사를하고있다.

289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8. 자랑스러운동문

● 강성화 신흥대학기획관리국장

● 김온기 한국보육진흥원보육시설평가인증국국장

● 김현경 Oregon Social Learning Center Research Scientist

● 이수민 State of Michigan,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Program Specialist at

Service Innovation and Consultation Section

● 이지현 ETS 책임연구원

● 전연진 한국청소년상담원드림스타트사업지원단상담교수) 외 다수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심리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10. 기타

│자격증 취득│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전공 및 교직과정 과목을 이수하면 자격조건충족 여부에 따라 졸업과 동시에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급하는 유치원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보육실습과 관련과목을 이수하면 보건복지부에서 발급하는 보육교사자격증을, 그리고 관련 과목을 이수하면 여성가족부에서발급하는건강가정사자격증을취득할수있다.

│관련기관 및 시설│● 어린이 생활지도 연구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전경 아버지와의상호작용

288

Page 15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합적으로구현하고관리하는능력을키우는과정이다.이를 위하여, 디자인 기반지식을 바탕으로, 사용자 연구, 디자인 기획, 매니지먼트, 비지니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각 세부 전공 분야의 지식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한다.

│전문디자인│● 제품디자인제품디자인에서는 일상생활을 보다 아름답고 가치 있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생활용품, 가구, 조명,전자 기기 등의 다양한 제품의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학습한다. 다양한 과제의 디자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연구를 바탕으로, 형태와 구조, 재료와색채를실험하고이를바탕으로창의적제품을디자인할수있는능력을기른다.

● 패션디자인패션디자인은 한 시대의 문화 기호이며, 자아 표현의 매체인 의복을 중심으로 제품을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역이다. 패션디자인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근·미래의 트렌드 및 라이프스타일에 기초한 소비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패션디자인의 조형요소로 구현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논리적 사고와 감성에 기초한 패션디자인의표현과 제작기술을 습득하고 창의적으로 디자인 하는 방법을교육한다.또한, 패션디자인과 다양한 디자인 역과의 통합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래 디자이너로서의 역량을확대할수있도록교육한다.

● 시각디자인시각디자인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언어를 시각화하고 즉시적, 포괄적 의미 전달을 위한 상징적, 창의적 조형작업이다. 정보화 시대의 필수도구로 자리잡은 웹디자인, 멀티미디어 디자인,그리고 그래픽 디자인을 활용한 상업적인 목적을 지닌 포스터, 팜플렛, 패키지 등의 디자인 뿐 아니라 C.I, B.I 등의 기업이미지 디자인, 그리고 학생들의 창의성을 기르는 기초 디자인 과목을 다룬다.이러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시각 표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적인 디자이너로서의자질을 기르고자한다.

4. 교과과정

생활디자인학과의 교과과정은 디자인 기획 및 구현에 필요한 전공 기반지식분야의 교과목과 디자인철학 및 방법론을 토대로 제품, 패션, 시각 디자인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문디자인분야 교과목, 그리고 디자인 분야 간의 학제적 접근에 의한 통합적인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통합디자인 관련 교과목, 실무에 의한 전문적인 현장 경험을 통해 디자이너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실무교과목으로구성되어있다.생활디자인학과의교과목은수강과목의단계에 따라통합디자인중심의전공 심화를목적으로한 교

291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1. 생활디자인학이란?

생활디자인 학과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생활과학대학의 기초이념 아래, 인간 삶의 질을 보다 가치 있게 디자인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한다. 생활디자인 학과는 이를 위하여, 생활과 삶의 모습을보다창조적으로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기획과창조적조형활동을 하는 디자인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디자인 기반지식, 통합적 디자인 기획, 그리고 이를 위한전문 디자인 조형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 21세기는 문화적 측면에서의 디자인의 중요성이 그어느 때보다도강조되고있다. 본 학과에서는 우리의생활을규정하는사회, 문화에 대한 철학적접근을 바탕으로, 생활의 질의 다양성과 가치를 이해하여, 이를 디자인으로 기획, 실현하기 위한 예술, 과학, 기술, 인문학에기반을둔다학제적교육을실시하며, 이를 제품디자인패션디자인, 시각디자인분야의 디자인 전문 분야로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조형교육과 통합적 디자인 연구를 통하여 보다폭넓은 역에서활동할수있는디자인전문가를배출하는데역점을둔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생활디자인학 전공은 호기심과 궁금증이 많은 학생에게 적합하고 체계적 문제해결 능력과 미적 감성이 필요하다. 또한 국어와 사회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인간과문화에관심이많을수록유리하다.

3. 세부전공및 역

생활디자인 전공은 제품, 시각, 패션디자인 역의 세부 디자인 전공과, 세부 전공과 연관 분야의 학제적 접근에 기초한 통합적 디자인 및 디자인 이론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며, 생활디자인 전공을 통하여아래 역을포괄하는전문가가될수있다.

│통합디자인│통합디자인에서는 생활환경의 모습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에게 보다 풍요로운 삶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개념을 창의적, 혁신적으로 기획, 제안하며 이를 통

290

생활디자인학전공05 생활과학계열

Page 15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02/17 신입생오리엔테이션뒷풀이참여

02/28 해오름제리플렛제작

03/03 단과대학운 위원회의참여

03/10 생활디자인과개강파티(덕실리국수)

개강총회(삼704)

03/11 단과대학운 위원회의참여

03/15 생디워크샵신청서배부및자보게시

03/18, 24 단과대학운 위원회의참여

03/25 생활디자인과학생회의개회

- 생디워크샵관련

- 프로그램진행및장보기에관하여

03/27~28 생디워크샵(여주리치빌리지)

03/31 ,04/07 단과대학운 위원회의참여

04/08 생활디자인과학생회의개회

- 학과방가구및시설설치에관하여

04/09 생활디자인과학생회통장개설

04/14,28, 05/06 단과대학운 위원회의참여

05/12 학과방소파설치

6. 졸업후의진로

졸업 후 진로는 크게 제품디자인, 패션디자인, 시각디자인 분야와 이와 연계된 디스플레이디자인, 패션정보기획 디자인, 패키지디자인, 디자인기획 및 언론분야 등에서 활동할 수 있다. 그 외에 가구디자이너, 생활용품디자이너, 패션액세서리디자이너, 패션스타일리스트, 색채디자이너, 편집디자이너, 웹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상디자이너, 디스플레이어, 비주얼 머천다이저, 디자인 코디네이터, 디자인디렉터, 디자인 트렌드 기획 및 분석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국내외 디자인관련 공모전을 통하여졸업후산업체와실무적으로연결되거나외국유학지원을받을수있는기회가많이있다.

293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과과정과통합디자인을바탕으로전문디자인분야의기술을심화할수 있는 교과과정으로나뉘어있으며, 학생들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심화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강, 전문적 디자인 역을 특화할 수있도록하 다.

● 생활디자인학과 교과 과정

292 통합 디자인

디자인 이론

전문 디자인제품디자인 패션디자인 시각디자인

디자인 기초

전공기초

전공기초

전공기초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전공

제품, 패션, 시각디자인심화

중싱 통합교육

디자인매니지먼트,기획, UX기반통합디자인 교육

전문디자인

통합기반

통합디자인

그림 1. 교과목구성도 그림 2. 생활디자인전공의세부전공심화구조

학년 학기 기반지식통합 전문(분양)기술

기획 스튜디오 조형 제품 패션 시각

2 디자인비지니스 (3) ★졸업작품스튜디오2(6) 비주얼머천다이징(3) 디자인현장실습(3)<졸업작품전시실습2>

4 계절 디자인프로젝트개별지도(3)

★졸업작품스튜디오1(6) 디스플레이(3) 생활용품디자인(3) 디지털패션디자인(3) 비주얼디자인(3)1 <졸업작품전시실습1> / / / /

패키지디자인(3) 미래제품디자인(3) 패션트랜드기획(3) 멀티미디어디자인(3)

계절 포트폴리오디자인(3)

한국디자인의이해(3) 인터렉션디자인(3) 가구디자인(3) 패션디자인(3) 디지털편집디자인(3)2 -한국인의조형의식과미의식 ★통합디자인스튜디오(6) /

/ / /-한국디자인사/동양디자인사 40조형(3)

스마트제품디자인(3)패션액세서리디자인(3) 광고디자인(3)3 < 상표현기법>

디자인기획(3) 친환경통합디자인(3) 색체조형(3) 스마트니트디자인(3)1 디자인미학(3) 격년 / / <색체와디자인> 제품디자인(3) / 타이포그래피디자인(3)

디자인매니지먼트(3)격년 디자인감성표현연구(3) 패션디자인프로세스(3)

계절 3D 디지털디자인(3) <컴퓨터렌더링>

3D 조형(3) 제품디자인기초(3) 패션디자인기초(3) 비주얼커뮤니케이션기초(3)2 디자인과트랜드(3) 색채와문화(3) 디자인제작기법(3) <입체조형실습> 디자인재료와 표면디자인연구(3)

2<디자인기초재료실습 + 표면장식기법>

계절 2D 디지털디자인(3)

사용자경험과디자인(3) 2D 조형(3) 패션일러스트레이션(3)1 현대디자인사 / <평면조형실습>

상상과표현(3)인간요소와디자인(3)

12 관찰과표현(3)

1 디자인개론(3)

학부 1 디자인과문화(3)대학 1 디자인과문화(3)

※ 패션일러스트레이션과목은의류환경학과의의류드로잉및도식화과목과전공간교차과목으로인정하기로하 습니다.

Page 15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295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7. 전공선배의한마디

294 ●● 03학번 이현경

-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특별한적성보다는디자인에대한관심과열정이무엇보다중요한것같습니다., 디자인에특별한재능이있는사람이라면전공공부를더쉽게할수도있겠지만, 그것보다는무엇이든열심히하려고노력하는친구들이결국훨씬더실력이느는것같습니다. 한가지덧붙이자면사물을볼때남들과다른눈으로생각해볼수있는폭넓은시야와끊임없이자신이디자인의문제점을찾고발전시킬수있는끈기와노력이필요한것같습니다.

-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자신이어떤디자인을하고싶은지, 어떤디자이너가되고싶은지에대해깊이생각해보았으면좋겠습니다. 전공을시작하고나서무엇을해야할지몰라갈팡질팡하는사람들이많은데 1학년때좀더자신의미래를구체적으로생각해보았으면합니다. 기본적인 드로잉이나 컴퓨터를 미리 배워두는 것도 좋겠지만 그것보다는 디자인서적이나, 박람회등을통해좋은디자인을많이보고느낄수있다면전공공부하는데도움이될것이라생각합니다.

- 전공에대한20자평통합디자인을배울수있는기회는흔치않은기회라고생각됩니다. 자신이공부하고자하는목표를확실히정하고전공에임한다면많은것을배울수있을것입니다.

●● 03학번 임시진

-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감수성과 성실함. 살아가면서 지나치는 많은 것들에 관심을 가지고 성찰하는 태도를가지면그것들이언제, 어떤모습으로든지반드시터져나옵니다. 흔히디자이너의필수요건이라고하는창의성도이러한태도를바탕으로얻어지는것이라고생각합니다. 또한무엇을하든지대충대충넘기지않는성실함역시필요합니다.

-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시간이 흐를수록 새삼 기초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인문학적 소양은 물론이거니와2학년때배우는기초과목들(드로잉, 색채, 구성등)을열심히들어두세요.요즈음컴퓨터로디자인하는것이보편화되었지만위와같은기초능력이없다면언젠가그대가를치르게됩니다.

- 전공에대한20자평우리전공은이름처럼사람들의‘생활’을디자인합니다. 디자인의여러측면중에서특히사회적인측면을중시하는것입니다. 따라서사람들이생활과문화, 사회에대한총체적인시각을가질수있게되는데, 이는향후디자인의어떤분야에종사하든소중한자산이될것입니다.

●● 03학번 정우윤

- 전공에잘맞는적성은무엇일까요?디자이너는주변에대한끊임없는관심과호기심, 남과다른뛰어난관찰력이필요합니다. 같은것을보더라도다른사람이나를떠올린다면, 디자이너는주변과연계한모든것을떠올려야하고그것을통해객관적으로디자인을평가하며, 어떻게개선될수있으며, 그것으로얻을수있는것이무엇인가느낄수있어야합니다.

- 전공공부를잘하려면어떤준비가필요하나요?디자이너가된다는것은참으로어려운일입니다. 디자이너가되고싶다고해서너무디자인에만빠져있게된다면‘차별이없는디자인’밖에생각못하는결과를낳을수도있습니다. 더넓은세상을보기위해최대한모든것을경험하고, 많은곳을돌아다니며 느끼고, 생각한다면 그것이 나중에 자신의 독특한 디자인 세계를 구축할수있는좋은길이될수있을것입니다.

- 전공에대한20자평디자인의분야가모두통합되고있는만큼, 미래의뛰어난디자이너리더가되기위해서는모든디자인분야를연계하여생각하고통합적인시각이필요할것입니다.생활디자인학과는이런디자인추세를미리예측하여타학교의디자인과와다르게모든디자인분야를고루접할수있는진보적이며, 미래지향적인학과입니다.

●● 96학번 손은미

- 어떤일을하시나요?연세대학교 디자인센터의 아트디렉터로서 연세대학교의 브랜드 이미지 관리를 위한 디자인업무(인쇄 출판, 온라인, 시각환경, 전시 디자인 등)와 UniversityIdentity 관리에필요한제반업무를맡고있습니다.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대내외적으로학교홍보에필요한디자인전반을다루기때문에상당히다양한분야에기본적인디자인업무능력을가지고있어야합니다. 총괄적인디자인업무를위해서는평소에여러분야의책을접하고소양을쌓아두는것이필요합니다. 또한자신의디자인컨셉을상대방에게정확히전달할수있는커뮤니케이션능력도갖추어져있다면좋겠죠.

Page 15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경 학,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297

클릭전공─생활과학계열

296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지금까지연세의곳곳에디자인의손길이미치지못하던곳까지디자인을적용하고이를 관리하는 측면에 중점을 두어왔다면 앞으로는 연세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수있는방안을디자인경 분야의공부를통해모색해보고자합니다.

●● 98학번 여미

- 어떤일을하시나요?현재이탈리아 라노에서Ettore Sottsass씨의Sottsass Associati에서디자이너로근무하고있습니다.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통합적인디자인, 이성적인디자인을모토로세워온이탈리아에서디자이너로활동하시려면, 특정디자인분야에국한된전문적지식과기술보다는인간의삶과생활환경에대한총체적인이해력과철학, 과학, 사회, 문화, 예술, 기술등을모두아우르는 다학제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기반으로 한 창의력을 갖춰야한다고생각합니다. 또한인간의새로운생활방식과비전을제시하는디자이너로서의사명감과책임감, 인간에대한애정, 부수적으로는자신의의사를분명히표현할수있는외국어능력과국제화된감각역시이에못지않게중요합니다.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저역시현재초보디자이너이고부족한점이많기에, 무엇보다많은국제경험과지식함양을통해이성적인디자인철학을갖은책임감있는디자이너의자질을갖추고자수련중입니다. 추후에는전문디자이너로서국제무대에서활동하는한편, 한국인디자이너로서아직디자인문화의기반이약한한국과아시아의디자인정체성정립과국제교류에보탬이되고싶습니다.

●● 00학번 최유리

- 어떤일을하시나요?제가 일하는 세아상역은 미국의 gap, old navy, limited, target 등의 brand에서order를받아수출하는일을하는데흔히들왜무역회사에디자인팀이있느냐라고반문하시겠지만경쟁이심한 vendor 일수록디자인제시능력이중요시됩니다. 세아상역의디자인팀에서는매시즌 trend book을제작하며이러한 trend를반 한sample을제작하며buyer의요구에따라graphic develop과modify를함께하고있습니다.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trend를정확히잡아내는능력과함께buyer의시선에맞추어그들이요구하는바가무엇인지를꿰뚫는능력이필요합니다. 또한, graphic 업무또한매우중요하기

때문에graphic program을능숙하게다룰수있어야합니다.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회사생활을 2년으로마치고향후유학을갈계획을가지고있습니다. 회사생활을하면서쌓는경험도중요하고얻는것도많았지만원래부터계획하고있던유학을떠나좀더많은것을느끼고경험할수있는외국에서 fashion design을심도있게공부하려고합니다.

●● 99학번 정진서

- 어떤일을하시나요?디자인파크라는 CI, BI 디자인 전문회사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내, 외부의상황을분석하고그에따른컨셉설정을통하여클라이언트와고객간의일관성있고효율적인커뮤니케이션을할수있는CI, BI를디자인합니다.디자인은보통로고라고부르는Symbol Mark와Logotype 등Basic System을우선제작하고, 그에맞는다양한Application System을제작하게됩니다.

- 그일을하기위해필요한자질이나능력은?CI, BI 디자인은특정미디어와관련되기보다는기업과고객사이의관계속에있기때문에, 마케팅적마인드와기획적인사고방식등이다른디자인보다비중을많이차지하는편입니다. 생활디자인학과에서도관련된지식을배울수있으며, 경학수업을들어보는것도좋을것입니다. 하지만역시기본적인것은디자인은구체적인조형과관련된것이고, CI, BI는오래지속될수있고많은사람들에게보여지는것이므로탄탄한기본조형감각과그래픽툴사용능력도함께필요합니다.

- 앞으로무슨계획이있으신가요?모든분야가그렇지만, 대학을졸업한다고해서배우고성장하는것이멈추는것은아닌 것 같습니다. 디자인도 마찬가지로 아직 스스로에게 디자이너로서 부족한 부분을보충해나가고더성장해야할시기라고생각합니다. 좀더먼내일에는대학시절배웠던것처럼한가지분야가아닌여러분야에서활동하고있는모습을그려보고있습니다.

Page 15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간호대학간호학 전공

간호계열10

Page 15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문제를다루고발달 수준에따른 아동의요구충족과건강의유지·증진을위해 논리적사고와간호기술의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가족건강관리학과에는 정신간호학, 모성간호학, 아동간호학의 3개전공이통합되어운 되고있다.간호환경시스템학과는 급변하는 21세의 간호환경 내에서 개인, 가족, 집단 및 조직, 지역사회의 건강요구를 바탕으로 일차건강관리와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조직관리 능력을 갖추어 변화에 능동적으로대처할 수 있는 미래간호의 리더십을 함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간호환경시스템학과는 간호행정학, 노인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의 3개전공이통합되어운 되고있다.

4. 교과과정

301

클릭전공─간호계열

1. 간호학이란?

간호학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문으로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기초로 하는 실천과학이다. 간호 학문은인간, 건강, 환경, 간호행위를주요관심 역으로탐구한다. 즉, 간호 학문에서인간을개별화된 존재로 보며, 지속적으로 성장 발달하는 고유한 통합적 존재로 이해한다. 또한 건강이란 인간이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최적의 안녕상태를. 환경은 건강에 향을 미치는 내적, 외적 요인으로 항상 변화한다. 간호행위는 건강을 목표로 대상자와의 관계형성을 통한 치료, 교육, 지지, 관리활동이다. 간호의 목적은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가 건강을 회복하고, 유지하며, 증진하도록 돌봄으로 최적의안녕상태를달성하는것이다. 전문직 간호사는이타주의, 자율성, 사회정의에대한가치를근간으로창조적사고를하며사회변화에따라자신의능력을스스로개발한다.

2. 학업에필요한특성

간호학 전공은 이타심이 높고, 사회복사에 대한 자기 주관과 목표가 뚜렷한 학생에게 적합하고 인간에 대한 이해에 관심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도덕, 과학, 어의 기초 실력을 갖추었다면 학업을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과학적이며 체계적 사고과정과 민첩한 행동, 섬세한, 적극적 자세가필요하다.

3. 세부전공및 역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은 현재 시대적 변화와 함께 임상간호과학과, 가족건강관리학과, 간호환경시스템학과 세 분야로 학문적 틀을 구성하고 고급 간호연구 인력 및 차세대를 준비하는 간호 지도자를 양성하기위한교육및연구를수행하고있다.임상간호과학과에는간호대상자에대한임상지식및실무수행능력그리고탐구능력을바탕으로다양한이론과실무의통합능력을향상시키는것을목적으로한다.현재임상간호과학과에는기본간호학, 기초간호학, 성인간호학의 3개전공이통합되어운 되고있다.가족건강관리학과는간호대상자인가족을중심으로개인의건강요구와정신건강및성과생식의건강

300

간호학전공01 간호계열

1정신건강 2

5가족건강 2

4 9간호학입문 3 기초간호과학 I 2

의사소통론 2임상간호실습입문 II 2 양과 식이 2 간호와정보 2

성장발달 3건강사정 2 여성건강 2 만성질환자관리 2

2 기초간호과학 II 3 12건강사정실습 1

13 25노인간호 2 발달장애아동관리 2

통계학 2약리학 2 임상추론 2 중환자관리 2

임상간호실습입문 I 2병태생리학 3 유전과행동 2 삶과죽음 2

건강증진과교육 3

간호학Ⅰ 3간호학Ⅲ 3

3 간호학Ⅱ 4 13간호학Ⅳ 2

14 27

통합간호실습Ⅰ 6간호학Ⅴ 3

통합간호실습Ⅱ 6

지역사회간호학 3 통합간호실습 IV 6

4 간호관리및윤리 3 13 리더십개발 2 10 22

통합간호실습Ⅲ 6 간호연구 2

83 5개 선택필수: 전공선택8+*일반선택1=9 126

학 1학기 2학기계

1학기 2학기년 과목명 학점 소계 과목명 학점소계 과목명 학점 과목명 학점

공통기초 전공 필수 교과목 및 학점 전공 관련(선택) 교과목 및 학점 전공졸업

필수학점

학점

공통기초 10

필수교양 24

이수학점 34

Page 15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8. 자랑스러운동문

● 나이팅게일 기장 수상자 전산초외 16명

● 김모임 전보건복지부장관

● 김미자 전일리노이주립대학교부총장

● 김의숙·김조자 전대한간호협회장

9. 함께공부하면좋은전공들

의학, 사회학, 심리학, 사회사업, 신학

303

클릭전공─간호계열

5. 전공내학생활동(학회및동아리)

학생들은학문에몰두하는것뿐만아니라, 동아리활동을통해보다즐겁고보람있는학창시절을보낼 수 있다. 학생들은 자치적으로 학생회와 학회를 운 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의대, 치대 학생들과함께하는 기독동아리 NCF(Nurses Christian Fellowship), 선우굿패, 편집위예 , 또하나의 열매(RN-BSN), DENU Choir, Evening Choir 등은 병원선교를 의.청과 의.간 등은 농촌 및 소외지역의진료봉사등의사회봉사활동을, MoBN(More Better Nursing: 간호소모임) 등의 학술동아리는동아리세미나를통해좀더폭넓은시야를가질수있으며자신의대학생활을알차게보낼수있다. 이 외에축구동아리 F.C. Nurse가 있다.

6. 졸업후의진로

국내 최우수 간호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는 본 대학의 졸업생 전원이 자신이 원하는 병원에 취업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 경제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강한 삶에 대한 사회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간호의 역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현재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수가 가장 많지만 산업장, 학교, 보건소, 연구기관들과 같은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는 간호사의 수가 점차 늘고 있고 남학생들은 간호장교로군복무를할수있다. 또한 간호학을기초로하여의료사고나의료관련법규를다룰수있는전문법률가, 간호역사를정리할수있는사학자, 병원이나병동을운 할수있는행정가, 의료 및간호관련작가 또는 병원 업무나 보건 관련 여부를 전산화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정보관리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의료관련 법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변호사들이많이 활동하고있다. 또한 졸업이후 전문과정을거친 후 임상전문간호사, 가정간호사, 마취간호사, 조산사, 보건진료원등독자적인업무에종사할수있다.

7. 전공선배의한마디

302

우리 과는 타과와는 다르게 공부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그리고 1학년, 2학년, 3학년이너무다르다. 1학년에는거의교양과목을배우고본교에서뛰어다니고,2학년때는거의반반... (2학기에는간호대학에더많이오게되지만), 3학년때는수많은전공과실습까지하느라밖의일에는신경쓸시간이거의없어지게되고, 4학년은실습을더다채롭게많이하게된다.가장얘기하고싶은것은전공성적을잘받고보자는것!! 우리과는재수강이사실적으로거의불가능하다.

3학년이되면서나를비롯한많은이들을힘겹게했던것은실습!! 처음에는상당히떨었던것으로기억한다. ‘병원에나가서덜컥실수라도하게되면어떻게하나’하는생각에...사실그냥수업을듣는것과는엄청난차이가있다. 우선몸자체가힘드니까... 하지만, 그저앉아서수업들을때는느끼지못하는많은경험들을내게남겨준다. 힘든만큼, 애쓴만큼보람도크고, 그리고정말로값진것은‘간호’에대한많은생각들을 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병원에서의 역할, 나 자신이 어떤 마음가짐을 지녀야하는지에대한생각들...실습들 중에서 정신실습, 모성실습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정신병원이라는 고정관념을 탈피시켜준 광주, 그리고 여성의 위대함(?)을 일깨워준 분만실 실습만으로도학업을떠나서인간으로써나를성숙시켜준좋은경험이었기에...전공을공부하고, 학년이올라가면‘간호’에대한생각들이많이변화한다. 내 후배들도꼭그좋은경험들을하게되기바란다.

Page 15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10. 기타

│장학제도│간호대학장학제도는기금장학금, 일반장학금, 외부장학금으로구분할수있다.

•간호대학 동문들의 기탁금으로 운 되고 있는 기금장학금에는 매해 3학년, 4학년에서 우수학생을선정하여 졸업시까지 등록금 전액을 지급하는 특별장학금과 신망애 장학금, 매학기 일정금액을 지급하는 동문장학금, 박성화장학금, 6·장학금, 김복음, 김의숙, 김선혜장학금, U.B(United Board)장학금등모두 9종류의장학금으로매해 30여명에게지급하고있다.

•일반장학금에는 최우수장학금, 연세복지장학금, 국가보훈장학금과 학교장학금으로 학생의 25%가혜택을받고있다.

•외부장학금으로는로타리, 한국장학회, 의료원신용협동조합, 예은장학재단, 이종환장학재단, (재)선우장학회등에서지원하고있다.

위와 같이 세가지로 구분되어 지급되고 있는 간호대학 장학금은 매학기 학생들의 평균 40%가 혜택을 받고 있다. 또한, 간호대학동창회와 여러 은행의 등록금 대여 제도를 통해 장학금을 받지 못한 경우이용할수있다.

│기숙사│연세대학교에서 운 하고 있는 기숙사 중 간호대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무악3학사는 의과대학,치과대학, 간호대학 학생들과 의료원 직원들을 위한 의료원 전용 기숙사이다. 무악3학사에는 자율독서실, 컴퓨터실, 예배실과 회의실, 체력단련실, 쾌적한 휴게실 및 매점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업과휴식에 좋은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또, 안락한 시설의 기숙사 식당, 각 층마다 샤워실, 세탁실, 빨래건조대, 엘리베이터, 간이조리대 등의 생활편의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2인 1실의 각 방에는 구내전화및 LAN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개별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어, 편리하고 윤택한 환경 속에서 즐겁고알찬대학생활을누릴수있다.

304

Page 15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III. Appendix연세대학교 내 연계전공

Page 16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306

클릭전공─

현재의 각 계열·대학·학부·학과·전공의 교과목 가운데서 한국학과 관련되는 것이면 모두 한국학 연계전공 교과목에 포함시킴으로써 이들 각 전공분야와 한국학 연계전공이 서로 그 역을확대심화하는효과를거두도록노력한다.

3. 한국학연계전공의전망과진로

빠른 속도로 진전하는 세계화의 추세에 대응하여 지역화와 지역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참된 세계화·국제화는 이렇게 서로 반대되는 두 경향이 상호·균형·보완 관계를 이루어야 하는 것임을 분명히 인정해야 한다. 여기에 한국학 연계전공은 단순한 지역학의 범주가 아니라 국제화·세계화의 주체이며 표준이어야 할 나와 우리를 정당하게 인식하기 위한 새로운 학문 역으로서성립한것이다.한국학 연계전공은 본 대학원의 한국학 협동과정과 국제학대학원의 한국학 전공에 함께 연계되는 학부과정의 전공 교과체계를 정착시키는 구체적이고 현실적 방안이다. 따라서 한국학에 관심을 두고 한국에 유학하는 외국학생들의 기대나 요구에 적극 부응하는 교과과정으로서 한국학 연계전공을활용할수있다.한국학 연계전공은 다른 모든 학문 역에 대해 필수적 기초 인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회 각방면에 걸쳐 잠재 수요가 폭넓게 자리하고 있다. 사회가 더욱 분화하고 전문화의 비중이 높아갈수록 이 잠재 수요 역시 점차 실 수요로 전환해 갈 것이 확실시된다. 지금 당장에도 그 수요처는광범하다. 우선 각급 학교의 사회과목을 담당하는 교사 자원으로는 한국학 연계전공이 가장 적격이다. 그리고 문화체육부를 비롯한 중앙관서, 해외공관의 문화담당부서, 무역진흥공사 해외무역관, 각 급·지방자치제의 문화·예술·관광 업무부서, 그리고 각 대기업체의 기획·홍보 관련 분야에서는 한국학 전반에 대한 소양이 필수적이며 한국학 연계전공은 여기에 소요되는 전문 인력으로활용될수있다.

4. 운 위원

김도형(사학, 책임교수), 김동노(사회학), 도현철(사학), 이광호(철학), 허경진(국문학)

중국학

1. 중국학연계전공의의의

중국학 연계전공은 기존의 학과 체제에서 분산적으로 개설 운 되는 교과과정을 상호 연계하여,학생들로 하여금 문학, 역사, 철학, 사회과학의 모든 방법론을 종합적으로 균형 잡힌 시각에서 취

307

한국학

1. 한국학연계전공의의의

지금은 개방화·국제화의 시대이다.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한층 더 촉진될 전망이다. 인종·문화를 달리하는 지역이나 나라들 사이에 교류와 협력의 관계를 확대·강화하고 공동의 이익을증진하는 데에 개방화·국제화의 참다운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언어의 장벽이나 인종·문화적 편견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지나친 상호경쟁이나 대립, 차별과 반목을 극복하여 현실의모든문제들을세계·인류의차원에서해결하려는노력이절실하다. 그러나 국제화·세계화가결코 개별 민족·국가의 독자성이나 고유성을 가볍게 보거나 없애버리는 일이 아니다. 일방통행식의 수용이나 획일화, 동일화의 길은 더구나 아니다. 오히려 자발적으로 문호를 열며 상호 존중과평등의 기반 위에서 가치의 다원화, 상호교류와 의존관계를 확대해 가는 일이다. 세계가 지구촌화하고 통합되어 갈수록 각 민족·국가들이 간직해온 저마다의 고유한 특성이나 주체성은 더욱확인되고 장려되어야 마땅하다. 그런 특성과 자립력이야 말로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주고 공동의과제를 더 좋은 방향으로 풀어 가는 힘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한국적인 것이야말로세계적인것’이라는말은호소력있는구호라하겠다.한국학 연계전공은 이렇게 국제화·세계화의 대세에 부응하기 위한 학문적·교육적 태세의 하나이다. 한국학의 연구성과와 교육수준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발판으로서 한국학의 연계전공이마련된것이다. 이것은 한국의과거와현재, 그리고 미래, 즉 한국의언어·문학·역사·철학·종교·교육·사회·정치·경제·과학·기술등모든 역의연구를더욱심화시키며, 이를 새 시대를 이끌 인재의 육성과정에 적절히 반 하는 일이다. 그러자면 한국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여러분야 간의 연계와 협력을 확대 강화해가야 한다. 그리고 새로 학문에 접하는 대학생들로 하여금여기에깊은관심을가지며하나의전공분야로선택하여자유롭게공부할수있도록도울필요가있다. 또 국내 한국학을 해외에 소개하고 해외에 한국학계의 동향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말하자면한국학자체의국제화·세계화에도눈을돌리는일이다.

2. 한국학연계전공의교육목표

한국학 여러 관련 분야의 폐쇄성·고립성을타파하여 학문의 유연성, 호환성을 높이고 상호 연계관계를 강화한다. 이것은 한국학의 연구 대상과 수준을 높이는 일이며 이에 대한 신진세대의 주체적, 비판적관심과사회적요구에부응하는일이기도하다.한국의 사회·역사와 문화의 총체를 깊고 올바르게 이해하며 활용하는 일이야말로 한국과 한국문화가 세계에 기여하고 정당하게 인정받는 길이자 한국인이 진정한 세계인이 되는 계기임을 인식하도록한다.종래 학과중심 편제의 폐단을 제거하여 새로운 학부제를 정착시키고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전공선택의 기회를 확대 제공하는데 기여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필요로하는사회각방면의요구에적절히부응하도록한다.

APPEN

DIX

Page 161: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석력및중급정도의일본어실력을갖춘경쟁력있는인력을키우고자함을목표로한다. 문화적감각과실용적분석력을겸비한새로운형태의유능한사회인력을배출하는데기여할것이다.

3. 진로와전망

1)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여러 분야의 국제적 활동에서 일본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기초 소양습득.

2) 실무 뿐아니라장차학문적진로를택하려는학생에게폭넓은일본관련학습의기회제공

4. 일본학의기본방향

근현대 일본의 포괄적 이해를 위해 일본 자체에 대한 강의뿐만 아니라 동북아, 동남아 및 전 세계 속의 일본의 제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과대학, 사회과학대학, 상경대학 등에서의강의를모두포함하도록한다.

5. 운 위원

김상준(정치외교학, 책임교수), 김동노(사회학), 김명섭(정치외교학), 박 렬(경 학), 한승미(국제학대학원), 임성모(사학)

미국학

1. 미국학연계전공의의의

교통수단 및 통신 매체의 발달로 인해 국가간의 교류가 확대되고 서로 긴 한 관계를 가지면서세계는 이제 소위 지구촌이라 불리고 있다. 이런 지구촌이란 개념과 함께 현실화되고 있는 또 다른 사실은 냉전체제의 종식으로 인해 미국이 세계 유일 초강대국으로 등장했다는 것이다. 이 두가지 사실은 결과적으로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행사하는 향력이 그만큼 강력하고 직접적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정치, 경제, 군사, 사회 및 문화 등 다양한 방면에서 미국의 역할은비중이커지고있으며미국의정책결정등모든것이세계의다른국가들에게끼치는파급효과는 앞서 언급한 교통수단 및 통신 매체의 발달로 인해 시간과 공간이란 측면에서 그만큼 빠르고광범위하게된것이다.이런 상황에서 미국을 올바르게 알고 이해하는 것이 우리나라가 급변하는 국제사회에서 보다 잘

득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중국과 관련된 제반 인접학문을 폭넓게 수용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종합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사고의 기반을 마련해 준다.이제 21세기 전지구화 시대를 맞이하여 중국이 인류사의 새로운 강국으로 부상하리라는 것은 쉽게 예견할 수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처리할 수있는 능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하는 것은 순수학문분야에서는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다방면에서 매우 중요한데, 중국학 연계전공은 이러한 시대적 소명을 직시하면서 자타가 공인하는 중국전문가를양성하기위한최상의교육프로그램을제공하고자노력할것이다.

2. 진로및전망

1) 외교 무역언론등국제관계활동에서중국과관련된업무에종사할수있는다방면의기초적인소양을갖추어, 장차 지역전문가로서성장할수있는기반이될수있다.

2) 중국과 관련된 어문학·역사·철학·정치·경제학의 학문에 종사하려는 학생에게 폭 넓게 공부할수있는기반을제공하여, 학문활동을위한균형있는기초를확보할수있다.

3. 운 위원

정진배(중문과, 책임교수), 김유철(사학과), 신규탁(철학과) 한석희(국제학대학원), 원재연(사회학과)

일본학

1. 일본학연계전공의의의

일본학은 다른 지역들과는 달리 문학부를 결여하고 있으며 일제시대와 그 유산에 대한 자리매김이라는 민감한 문제와 결부되어 점증하는 일본에 대한 관심도에 비해 학부 학생들에게 제공되는다양하고 통합적인 교과과정이 없다. 그러나 새로운 세기를 향한 전향적 한일관계의 모색이라는시대적 요구와도 맞물려, 일본의 여러 모습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교육이 요청되고 있는 바,일본학 연계전공 프로그램은 지나간 세기의 아픈 역사를 발전적 에너지로 전환한다는 점에서 큰의의를찾을수있다.

2. 일본학연계전공의목표

건전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현대 일본사회의 여러 측면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비판적 분

309308

클릭전공─A

PPENDIX

Page 162: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유럽지역학

1. 유럽지역학연계전공의의의

유럽지역학 연계전공은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유기적 결합으로 유럽지역 전문가를 배출할 것이다. 유럽지역 전문가는 현지 언어를 구사하며 현지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유럽을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유럽지역학 연계전공은 세계화 시대의 유럽지역 전문가의 산실이다. 유럽지역학 연계전공에서는 국제교육부의 해외 연수 프로그램 및 일반 대학원과 국제학대학원의 지역학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진정한 지역 전문가를육성하는제도적인기반을구축할것이다.

세계화 시대의 유럽지역 전문가 양성국제교육부 해외 연수 프로그램과 연계국제학대학원 프로그램과 연계일반대학원 지역학 협동과정(유럽 전공)과 연계

2. 운 위원명단

김용민(유럽어문학부), 김진 (유럽어문학부), 양승함(정치외교학), 박 렬(경 학), 박인철(유럽어문학부)

동아시아학

1. 동아시아학의의의

1) 동아시아는 미국이 주도하는 전지구화(globalization)의 추동력과 함께 그에 대한 저항력도 갖고있는지역이다. 역사적으로하나의지역질서를유지해왔을뿐만아니라탈냉전의시기를맞아국경을넘는상호의존성이다방면에서날로깊어지고있다.

2) 동아시아 시대의 도래와 한국의 제고된 국제적 위상에 부응하여 새로운 지적 틀의 생산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날로 커지고 있다. 종래와 달리 개별 국가의 틀을 뛰어넘어 동아시아 지역단위의 지적 훈련을 받은 지역전문가야말로 한반도의 시각에서 21세기의 새로운 동아시아를구상할수있다.

적응하고 더 나아가 좀 더 중요하고 바람직한 지위를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것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요즈음 정부 기관, 대기업체, 학술단체 등에서 미국을 전담하는 부서 및 분야가설립되고 있는 것이 이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한 가지 주목할 것은 미국이 우리나라와 오랜 기간에 걸쳐 정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방면에서 많은 교류를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잘 안다고 자신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 동안 미국에 대해 체계적이고도 깊이있는연구가부족했었음을단적으로보여주는한예인것이다.이런 배경 하에서, 미국학 연계전공은 학생들에게 현 교과과정에 산재해 있는 미국 관련 제반 학문 분야를 통합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국을 좀 더 정확하고 폭넓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미국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미국 전문가의 육성이라는사회로부터의 시급한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고, 요즈음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한국 및 한국학의세계화를실현하는데간접적으로기여하고자한다는데서그의의를찾을수있다.

2. 미국학연계전공의교육목표

미국학의 구체적 교육목표는 사회 각 분야에서 요구하고 있는 미국의 전문가를 양성 내지 이를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있다. 즉 언급했듯이 정부 기관, 기업체, 학술단체 등 제반 사회 기관들의업무가지역별로세분화되고있는경향과관련해서이런기관들이요구하는미국지역전문가들을 배출하는 데 기여하며 학교 당국에서 중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학 및 지역학 대학원의육성과관련해서이런대학원및일반대학원에연계되는학부과정의전공교과체제를마련하는데기여하고자한다.

3. 미국학연계전공의기본방향

미국학의 교육목표와 관련해서 미국학 연계전공은 교내의 제반 계열, 대학, 학부, 학과, 전공에서개설하고있는교과목가운데미국을이해하는데도움이되는것들을최대한포함시킴으로써미국을 통합적으로 이해한다는 미국학 설치 의의에 부합하도록 한다. 또한 이미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이외에도새로운주제및분야와관련된과목들을지속적으로개발함으로써미국에관해새롭고깊이있는정보를얻을수있는교과과정을마련하며한국아메리카학회및미국학이개설된 타 대학들과의 정보 교환을 시도하고 한미교육재단, 미국 문화원 등 미국 정부 기관의 자문및지원을요청함으로써미국학의설치의의를실현시키기위해최대한노력하고자한다.

4. 운 위원

문상 (미국문학), 김준환(미국문학), 양석원(미국문학), 우미성(미국문학)

311310

클릭전공─A

PPENDIX

Page 163: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디지털예술학

1. 디지털예술학의의의

디지털미디어의 획기적인 발달은 그러한 기술적 혁신이 각 학문분과들에 가져올 변화력에 관한문제를 가지고 끊임없이 우리에게 도전해오고 있다. 또한 전 세계를 연결시키는 정보고속도로는문화예술의 생산과 수용에 있어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학문활동의 형태 자체를 바꾸어놓고있다.제1차 산업혁명이 에너지와 동력장치의 혁명이었다면 각종 정보통신기술이 주도하고 있는 2차산업혁명은새로운방식의기호기록체계와기호전달체계이다.우리는 책 대신에 디지털 방식이나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얻고 있으며, 독서를 하는대신에 극장이나 사이버 공간에서 꿈을 꾸고 있다. 상징들의 전자적 매개와 보존에 있어서의 커다란 변혁이 기호와 현실의 단절을 가져오며 따라서 현대에서는 기본적인 욕구충족보다는 화,원거리통신, 음악, 컴퓨터게임등에서의기호를통한쾌락이더중시되고있을정도이다.문자매체에서 디지털 정보매체로의 커다란 시대적 전환을 맞이하면서 그리고 그것이 우리에게요구하고 있는 학문과 예술의 총체적 인식전환의 시점에서, 대학은 정보시대의 디지털 예술현상들을학문적연구와교육의대상으로편입시키지않을수없는상황에처하게되었다.디지털예술학은 새로운 매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해지는 시각이미지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교육을 통해서 현대의 문명을 보다 더 깊이있게 성찰함으로써 21세기 문화예술시대의 토대를 구축하고나아가문화산업관련전문인력들을배출하고자한다.

2. 디지털예술학의교육목표

디지털예술학은 문자, 회화 등 전통적인 장르로부터 사진, 화, 비디오아트, 디자인, 컴퓨터아트,게임 등 디지털 예술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미지 관련 현상에 관한 학문적 연구를 통하여 인간과사회를둘러싼문제들을진단하고미래에대한전망을제시하는문화과학이다. 현대예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시대의 정보와 이미지에 대한 철학적 미학적인 체계적인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미지과학을 통해서 예술에 대한 총체적 비평능력을 함양한다.나아가 이론과 실제의 조화를 추구하는 교육을 통해서 시각예술을 직접 만들어가는 창의적인 예술기획자를양성하고자한다.

3. 디지털예술학의기본방향

디지털예술학은 문학, 회화, 미디어아트, 디자인, 심리학, 디지털예술학 등 다양한 학문을 망라하는 종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다학문적 연계를 토대로 한 통합적 교육을 디지털예술학

313

클릭전공─A

PPENDIX

3) 최근 일본과중국등지에서종래의패권적지역학을넘어서는새로운동아시아학의창설에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있다. 이 추세에 발맞추어 한국에서 우리가 그 제도화에 앞장선다면 이들과 상호 연결고리를 이루면서 새로운 지적 체계와 실천 역의 개발·확대를 촉진할 수 있을것이다.

2. 동아시아학의교육목표

1) 폐쇄적 분과학문 체계에 안주하지 않고 분과 간의 경계를 횡단하는(trans-disciplinary) 새로운학문적지식을가르침으로써날로복잡해지는현실을분석할수있는능력을함양한다.

2) 강대국 주도의 전지구화에 대한 비판적 접근에 의해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지혜를축적한다.

3) 동아시아(동북아와 동남아) 각국의 사회·문화적 비교 연구와 교육을 통해 지역의 토착적 사유에 입각한 보편적 학문의 토대를 구축한다. 기존 연계전공의 국가 단위 지역학과 달리 국가간의, 나아가지역단위의교육을추구한다.

4) 동아시아의 문화적·역사적 맥락에 대한 감수성을 갖추고 지역 언어(특히 중국어, 일본어)로소통할 수 있는 지역·문화전문가(area-culture specialist)와 개별 학문분과의 전문가(discipline specialist)를 양성한다.

5) 국내 기업과 정부기관, 언론기관이 요구하는 동아시아 관련 전문 인력, 그리고 동아시아의 각종 NGO에서활동할인재를배출한다.

3. 동아시아학의기본방향

1) 개별 국가의 틀에 갇힌 교과목 대신 동아시아를 단위로 한 사고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을우선적으로개설한다.

2) 특히 ① 전지구(globality) 역(전지구화와 동아시아), ② 지역(locality) 역(동아시아의 지역문제), ③ 연대(solidarity) 역(동아시아의상호의존과연대) 등 세 역을중시한다.

3) 동아시아의 다양한 NGO 등 시민운동 그룹과 연대해나갈 수 있는 적절한 주제를 확보해 새로운 연구 역을 개발하는 한편, 그들이 직접 강의에 참여할 수 있고 학생들도 인턴십의 형태로대학밖의활동에참여할수있는기회를제공한다.

4. 운 위원

백 서(사학, 책임교수), 문정인(정치외교학), 유중하(중어중문학), 신형기(국어국문학), 김현미(사회학), 임성모(사학) 이상 6인

312

Page 164: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인지과학

1. 인지과학연계전공의의의

1) 학제적종합학문: 마음을 연구하는 과학으로서, 인문사회과학 및 자연과학의 학문적 분류를넘어 여러 학문 분야가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학제적종합과학의틀을제시한다.

2) 복합적인지정보: 마음의 복합적 정보처리로서 지적활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종 합적 학문의틀을이해하여인지구조에대한설명방법을추구한다.

3) 계산적방법이론: 마음의 여러 가지 정보 처리과정을 계산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 정보가 마음에표상·저장되는현상을명시적으로이론화하는방법을구현한다.

4) 신경과학적기초: 인간의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을 신경생리학적 연구를 통해 설 명할수 있는방법을계산이론적으로추구한다.

2. 인지과학연계전공의기대효과

1) 인간의 마음이 행하는 복합적 정보처리 과정을 마음, 두뇌, 컴퓨터의 정보처리 특성에 근거하여인간의심리현상을기술하는이론개발에공헌할수있다.

2) 종합적 학문 발전을 위하여 인접 학문들이 협동하는 학문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 하여 학제간연구의효과를입증할수있다.

3) 마음의 활동이 관여하는 학문 분야의 연구에 대해 각 인접학문이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해줄수있다.

3. 인지과학연계전공의참여전공 역

현재각계열, 대학, 학부, 학과 및전공의모든과목중에서인지과학과관련되는분야.

4. 운 위원

정상철(심리학, 책임교수), 이익환( 어 문), 임중우(생리학교실), 이민행(독어독문),변혜란(정보산업공학), 이승종(철학), 한광희(심리학), 김민식(심리학)

315

클릭전공─A

PPENDIX

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한다. 또한 국경을 초월한 로벌 문화시대에 세계시민의 공통언어로 되고있는디지털이미지를통한상호문화적연구와교육을지향한다.

4. 운 위원

조주관(노어노문학, 책임교수), 임정택(독어독문학), 박인철(불어불문학), 최유찬(국어국문학), 이현수(주거환경), 홍석일(시각정보디자인)

외교통상학

1. 외교통상학연계전공의의의

세계화의 시대적 조류를 대학교육의 역에서 실천하며, 학부과정에서 국제전문인 력의 양성을위한기초를마련하는한편학제간교육을강화시킨다.

2. 외교통상학연계전공의교육목표

학생들의 국제적 문제에 대한 종합적 사고능력을 배양함과 함께 이에 대한 이해력을 증대시킨다.또한 외교통상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기구 및 통상기구로의 진출과 동시에 국제전문인력 양성기관으로진학을장려한다.

3. 외교통상학연계전공기본방향

국제적 현상을 탐구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 역 중에서도, 특히 국가간 외교, 국가간 통상관계및 非정부기관이포함된 국제적 관계에서 통상관계를 다루고 있는 과목들로 구성한다. 따라서 현학과 체제상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경 학과, 법학과 등이 외교통상 연계전공 관련 역으로포함된다.

4. 운 위원

김명섭(정치외교학, 책임교수), 신동천(경제학), 김대순(법학), 박 렬(경 학)

314

Page 165: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 벤처캐피털등벤처기업을지원하는분야에서일하려는학생

미국내대개의경 학부나대학원들은미래산업을이끌어갈벤처창업분야의중요성을이미인식하고 벤처창업 분야 교과과정 개발을 체계적으로 진행해오고 있으나, 우리나라 현시점의 대학교육은 기술과 경 등의 분야가 상호 협력이 미진하다. 이에 연세대학교 학부의 벤처학 연계전공은타대학에앞서벤처기업의발전에필요한폭넓은경 및기술적지식에바탕을두고창의적벤처정신과첨단적지식을함양케하고자한다.

2. 벤처학연계전공의교육목표

벤처학 연계전공 과정은 경 학, 공학, 법학, 그리고 관련 산업 분야의 전공 과정으로부터 폭넓은지원을 받는다. 이를 통해 계열화 이후 자칫 방만해지기 쉬운 학생들의 과목 선택에 일종의 길잡이를제시하는안목에서여타대학의일차원적기능전공의틀을뛰어넘어학문연구의깊이와넓이를 초점을 갖고 추구함으로써 계열화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삼차원적인 벤처학 교육의 혁신을 시도한다. 즉, 전공의 깊이를 더하는 차원과 선택과목의 폭을 다양화시키는 차원을 제삼의 차원으로서벤처학의전문적연구라는초점을가지고심화시킨다는것이다.이는 벤처창업을 경 대학 내에서 하나의 기능전공 분야로 인식하는 미국 대학들의 일차원적 과정이나벤처창업전공을물류관리전공이나관광경 전공등과유사하게신흥산업의수요에따른하나의통합기능적전문분야로인식하는매트릭스형의이차원적과정을뛰어넘는새로운시도이다. 이는 외국 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수/학생 비율을 가진 본 대학의 자원을 최대한효율적으로활용할수있게하는획기적인사고의틀이다.

3. 운 위원

박선주(경 학과, 책임교수), 정승화(경 학과), 이지만(경 학과), 장명(경 학과), 김진우(경 학과), 차성운(기계공학과), 김학배(전기전자공학과), 이경호(컴퓨터과학과)

리더십

1. 리더십연계전공의의의

오늘날 한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는 리더십의 결핍 내지는 부재의 현상이라 고 할 수 있다. 정치ㆍ사회ㆍ경제각분야에서현재일어나고있는도덕적해이와혼란상의상당부분은리더십의문제에서기인하고있다. 그리고이같은현실속에서대학이향후이사회를이끌어갈참지

317

클릭전공─A

PPENDIX

전자상거래학

1. 전자상거래학연계전공의의의

전자상거래 연계전공은 전자상거래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관심과 정부의 전자상거래 관련학과 지원시책에부응하여전자상거래를복합학문적인시각으로바라보고이에맞는인재를양성하는것을목적으로한다. 이를위해서이론과실습의다양한교과과목을통하여통합적교육을실시한다.

2. 전자상거래학연계전공의교육목표

경 학, 공학, 법학, 인문사회학을 비롯한 폭넓은 학문 분야를 접목하여 전문 인력을 배양하며,전자상거래 관련 첨단사업 분야의 기술 혁신에 정통하고 새로운 정보기술과 경 지식 및 법제도적지식을결합하여전략적사고를할수있는역량있는전문가를양성하는것을목표로한다.

3. 운 위원

임춘성(정보산업공학, 책임교수), 김우주(정보산업공학), 김진우(경 학), 문성빈(문헌정보학), 박희준(정보산업공학), 이정우(정보대학원), 한광희(심리학)

벤처학

1. 벤처학연계전공의의의

벤처학 연계전공은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적 흐름에 맞추어 벤처기업의 창업, 기술, 경 및 실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개설한다. 벤처학 연계전공 과정은 지금껏 연세 동문 벤처기업가들이 성공적으로 발휘해온 연세 정신을 적극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며, 국가 경제의 선진화에 기여할 벤처기업가와 벤처 산업 종사자를 양성하는데그목적을둔다. 구체적으로아래와같은학생을대상으로본전공을제공한다.

- 조속한장래에자신의벤처사업을꿈꾸는학생- 벤처기업된기업에서일하고자하는학생- 신기술이나벤처사업을개발하려는대기업의시장개척분야에서일하려는학생

316

Page 166: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4) 보편성과특수성을감안한리더십교육방안마련리더십 연구와 교육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고려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즉 사회의 모든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리더십에 대한 연구와 교육뿐만 아니라 각 분야별로 요구되 는 전문적리더십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필요하다. 연세리더십센터의 리더십 연계전공은 바로 이러한 측면들을고려하여구성되어있다.

5) 사회 진출의효과: 새롭고바람직한리더상정립리더십 연계전공을이수하여 체계적으로리더십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경우 졸업 이후 사회에진출하여보편적인 사회적 문제의식과책임감을 인식한 상황 속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이들은 과거 공공성과 규범성에 대한 진지한 사회적 문제의식을 결여한 상태에서 존재하 던 권위주의적, 일방적, 비합리적 방식의 리더십에 대한 비판적, 대안적 리더십 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6) 리더십프로그램의전파및파급효과대학에서 체계적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경우 이것이 여타 하급 교육기관, 정부단체,경제사회단체 등의 다양한 역으로 전파되고 파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세 부학문별로 리더십과 관련한 교과목과 프로그램의 개발을 이끌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사회단체들의 요구에 따른 위탁 및 파견교육 등의 파급효과도생길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이밖에도대학들간, 국가들간에도다양한리더십관련프로그램들에대한의견교환과공론화과정등이마련될가능성도생길수있다고판단된다.

4. 운 위원

양승함(책임교수·정치외교학), 김동훈(경 학), 김명섭(정치외교학), 김성호(정치외교학), 이두원(경제학), 나윤경(대학원문화학협동과정), 하연섭(행정학), 강철희(사회복지학)

비교문학

1. 비교문학연계전공의의의

탈경계의 시대다. 국가, 민족,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다종다양한 장르들은 물론이고 성(性)과개인의 정체성마저 기존 경계의 해체와 새로운 재구성 속에 변화하고 있다. 대학의 분과학문들또한 예외가 아니다.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이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이 부상하는 경계들을 비

319

클릭전공─A

PPENDIX

도자와봉사자를양성하는역할을적극적으로수행할필요가있다는주장이설득력을얻고있다. 국내 대학교중최초로리더십연구및교육을위한전문기관으로설립되어리더십관련프로그램들을 선도적으로 기획ㆍ개발해온 연세리더십센터(YLC: Yonsei Leadership Center)는 그간의 교육활동을 재정비하고 좀더 체계적인 리더십 교육 을 수행하기 위해 연계전공으로서의 리더십 커리큘럼을 개설, 리더십 과정의 활성 화와 전교화를 도모함으로써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자한다.

2. 리더십연계전공의교육목표

연세리더십센터의 리더십 연계전공은 일반적 차원에서 리더십의 이론과 실제를 학 습할 수 있는교과과정과세부적차원에서전문적인리더십을함양할수있는교과과정을동시에포함하고있다. 즉 리더십 연계전공은 리더가 갖추어야 기본소양인 공공성ㆍ도덕성ㆍ합리성ㆍ실천성을 학습하는 동시에 학생들의 전공 역별로 요구되는 전문적 리더십을 학습함으로써 사회가 필요로 하는 참 지도자와 봉사자를 육성하는데 교육의 목표가 있다. 연세리더십센터는이러한 리더십학 연계전공을우리대학교의건학이념인기독교정신에바탕을두어실행한다.

3. 리더십연계전공의기대효과

리더십연계전공의실행을통해다음과같은기대효과들을거둘수있을것으로예상된다.

1) 리더십연구의이론적구성과학문적토대구축리더십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에 따른 리더십 관련 기관의 난립과 정보의 홍수 속에서 리더십 연구의 이론적 구성과 학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대학의 진지한 고민과 노력을 촉구할수있다. 리더십학정립을위한학제적연구를통하여다양한전문분야에서의리더십에대한학문적토대를구축하는데기여한다.

2) 대학의바람직한인재양성기능강화기존 지적 능력이 우수한 인재를 양성시키는데 주력하 던 대학교육은 리더십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는방향으로 전환될필요가 있다. 급변하는 현실, 개인주의 팽배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저하, 공적 역에 대한 경시 등의 문제점들이 제기되는 상황 속에서 대 학이 리더십의 공공성, 도덕성, 합리성을체계적으로교육시키고이를통해사회적인문제의식, 책임감, 도덕성을겸비한인재들을양성시키는기능을강화함으로써사회적인기여를할필요성이제기된다.

3) 체계적리더십교육과정마련리더십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학 교육과정에서 리더십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선도적이고 체계적인 리더십 교육과정을 마련해 전파할수있는대학의노력이절실히요구된다.

318

Page 167: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비교문학은 기본적으로 문학연구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현대의 문학이론은 철학, 정치학, 역사학, 사회학, 인류학 등을 폭넓게 수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분야(discipline) 사이의 지속적인 맞물림을 통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비교문학은 문학과언어, 문화와 문학, 일반예술과 문학예술의 관계, 문학적 진술과 역사적 진술의 관계, 문학과사회, 문학언어와비문학언어사이의경계등을주요한연구대상으로삼는다. 이처럼 비교문학은 인문학의 여러 분야를 동시에 다루면서 그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 개별화된 현행 인문학연구의상호소통을시도한다.

● 연계적 문화과학으로서의 비교문학현대의 문학/문화이론 역에서 문학은 과거의 독점적인 우월성을 상실해가고 있다. 다시 말해, 이제 문학연구는‘ 문학 연구,’‘독문학 연구’식의 문학연구 방법론만으로는 더 이상 현대의 문학과 문화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석하거나 의미를 부여하는 데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제 문학연구는 현대의 여러 문화현상들, 곧 화, 텔레비전, 광고, 패션, 건축, 쇼핑 등이갖는 의미와 가치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는‘문화연구’로서의 성격을 담보해낼 수있어야 한다. 연계적 문화과학으로서의 비교문학은 전통적인 개별 어문학과의 문학연구방법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종합적이고학제적인방법이나 안목을요구하는 한편, 지역과 시대, 장르 등 대상적 실정성에 구속되지 자유로운 연계의 기술을 통해 사회학적 문화연구가 다룰 수없는 역들을탐구하고문화-시학적실천들을훈련시킨다.

● 주체적 세계문학과 번역학으로서의 비교문학각국의 언어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어문학 학과는 해당 국가 또는 민족의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고유한 문학적 특질을 심도 있게 연구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은있지만, 문학이 갖는 보편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비교문학의 전통적인 목표 가운데 하나는 개별 언어라는문학연구의장벽을 넘어서 보편적 체험으로서의세계문학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가질 때 비로소 지금까지의 서구문학 중심의 문학연구가 낳은 폐해들을 파악하고 비판할 수 있으며, 그동안 문학연구의 주변부에 머물러 왔던한국문학을 비롯한 비서구문학을 세계문학의 일원으로서 당당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특히이과정에서각국문학의번역사나번역이론과실제를연구, 교육할수있을것이다.

● 비평이론으로서의 비교문학각개별어문학과가특정문학작품을읽고분석하는데보다치중하는반면, 비교문학연구는문학의 일반론에 더 관심을 갖는다. 비교문학의 목적 가운데 하나는 문학 작품을 비롯한 갖가지 문화 현상들의 분석에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최근의 비교문학연구는 그 자체가 이론 연구라고 불려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20세기 이후의 철학적 논의들과정신분석학, 페미니즘 등이 축적해 온 광범위한 이론적 성과들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또한 이들사이의상호융합과경쟁을유발시키는장으로서그기능을충실히수행하고있기도 하다. 자끄 데리다(해체주의), 프레드릭 제임슨(후기맑스주의), 페터 지마(텍스트론), 에드워드 사이드, 가야트리 스피박(탈식민주의), 주디스 버틀러(후기페미니즘), 슬라보예 지젝(정신분석), 프랑코모레티(서사이론), 마이클하트(제국론과아우토노미즘) 등 최근가장생산적이고

321

클릭전공─A

PPENDIX

판적으로 인식하여 기존의 앎과 가치들을 재구성해 보전하는 한편, 보다 실제적인 연구와 교육의지평 위에서 창조적인 경계 실험을 계속해나가야 한다. 비교문학은 바로 이러한 흐름을 지난 세기내내주도해온프론티어학문이자실천이다.국민문학 간 비교, 문학과 다른 문화예술 역 간의 연계, 나아가 인간 활동 전반에 스며있는 인문학적 지식과 가치에 대한 비교학적 탐구인 비교문학은 기존 분과학문들의 소통과 연계를 창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연계전공과 같은 학제적 융합 시도들에게 기초가 되는 비평이론과비교방법을제공함으로써우리대학의학제활동을새로운수준으로끌어올릴촉매가될것이다.또한 경계비판과 실험의 학문, 연계의 예술이자 타자와의 협동의 윤리학으로서의 비교문학은 변화와 개방의 시대를 살아가며 새로운 주체성과 공동체성을 일구어가야 할 미래의 시민들인 학생들에게 다(多)학문적 지성과 비판적 문화창조 역량, 개방적·관용적이면서도 주체성을 잃지 않는윤리적태도들을함양시킬수있으리라기대된다.

2. 비교문학연계전공의교육목표

비교문학 연계전공 개설의 교육상의 기대는 21세기의 시민 교양과 자질 함양이다. 로벌리제이션에 따른 다문화적 환경의 도래나 인터넷 등 뉴미디어들의 증대에 따른 새로운 삶의 조건 형성은 기존의 민족적, 시민적 경계들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주체성을 요청하고 있으며, 또 분과학문들 사이의 적극적 교류와 협력을 통한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지성의 필요성을증대시키고있다. 비교문학 연계전공은 인문·사회과학 제 분야에서 온축되어온 지식과 가치들을 변화하는 삶의 환경에비판적으로적용하고창조적으로활용할수있는비교문학적주체성과역량을육성하고자한다. 따라서학생들에게 21세기를이끌어갈지도적시민의자질, 곧다학문적지성, 비판적문화창조역량, 개방적이면서도주체성을잃지않는윤리적태도등을키워줄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오늘날의 비교문학은 문학과 철학, 미학, 종교학(신학), 역사학,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문화이론등과의 비교·연계를 통해, 회화, 음악, 연극 등의 고전적 예술 역이나 신화, 민담 등 전통적 서사에서부터 화, 텔레비전, 인터넷 등의 각종 (뉴)미디어 현상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현상들에대한비판적연구와교육들을진행해오고있다. 즉, 비교문학을공부한다는것은장르와시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다채로운 문화 및 예술과의 만남 속에서 풍부한 감수성을 기르는 것인 동시에,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방법과 이를 실천적 지평에서 펼쳐내는 기술을 훈련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문학 연계전공은 신문, 방송 등 언론매체에서 기자나 PD로 활동하거나 출판 기획 및 편집, 공연예술기획, 광고, 화, 번역, 저술, 비평 등의 분야에서 창조적 상징분석가(symbolic analyst)로 활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정신적 기반과 감성적 기질을 제공할수있을것이다.

3. 비교문학연계전공의기본방향

● 상호 소통적 장(場)으로서의 비교문학

320

Page 168: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과학기술과사회

1. 과학기술과사회연계전공의의의

과학과 기술은 사회와 동떨어져 존립할 수 없다. 또한 후기 산업사회인 현대사회를 과학, 기술과유리하여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우리사회의 문화를 형성하는매우 중요한 틀이 되었고 권력 및 다양한 사회집단들과 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과학과 기술의 중요성과 그 파급효과를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성찰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의 향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신자유주의 후기 산업사회와 미래사회에서 과학 기술에 대한 사회적 관점이나 과학 기술로 파생되는 다양한 윤리문제는 그 중요성이 날로 더 커질 수밖에 없으며 궁극적으로 미래 인류의 생존과직결되어있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과학과기술의발전이우리의삶과사회에미치는 향과그상호관계를성찰하고이해하기위해서는 개별 학과의 장벽을 넘어 과학, 기술과 사회를 둘러싼 여러 학문 간의 역동적 의사소통이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일반 대중이 과학과 기술을 문화로서 이해하고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파장을 조망 할 수 있는 능력이 배양되어야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우리의 현실은 대학에서 조차 특정 전공 역에 함몰될 수밖에 없는 경쟁구조 속에 과학 기술 역과다양한학문 역간의의사소통이단절되어있다.따라서 본 연계과정은 과학과 기술의 향에서 절대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을 깊이 인식하고 다양한 학제적 교류와 접근방식을 통해 개방적 관점에서 과학-기술-사회-문화의 상호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교육하는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과학 기술 및 사회에 대한 종합적 안목으로 바른 정책과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고급 인재를 배출하여, 과학 기술 발달과 그 사회적 파장이더욱커지는미래에다양한분야에서이사회를이끌수있는지도자로준비시키고자한다.

2. 과학기술과사회연계전공의교육목표

현대 산업사회와 미래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사회와 문화의 맥락에서 이해하고과학과기술의올바른발전을위한정책방향을제시할수있는비판적사고와통합적통찰력을 갖는 과학 기술 정책 및 관리학, 과학 기술 윤리 및 사회학 등 유관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목표로한다.

3. 전망과진로

우리사회의지도자양성을목표로하는국내최고의사학인연세대학교는 21세기가요구하는과학기술및사회를종합적으로이해할수있는전문가로교육하여우리사회에필요한고급인력으로 배출해야 하는 사명이 있다. 또한 120년 전통의 기독교 대학으로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의

323

클릭전공─A

PPENDIX

창의적인 성과들을 보여주고 있는 인문학 이론가 대부분이 비교문학을 자신의 활동 거점으로삼아왔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비교문학은 현대문학이론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문이라는점에서문학연구일반에기여할수있는동시에, 맑스주의, 정신분석학, 페미니즘, 탈식민주의등의 비평이론들을 재구성하고 실험한다는 점에서 문학 외의 다른 개별 분과학문에도 도움을줄수있다.

4. 운 위원

김동노(사회학), 박인철(불문학), 백문임(국문학), 설성경(국문학), 유중하(중문학), 이경원( 문학), 이승종(철학), 임정택(독문학), 정진배(중문학), 조대호(철학), 조주관(노문학),최문규(독문학) 이상 12인.

문화비평학

1. 문화비평학연계전공의의의

- 다양한 역의지식을상호소통케할 <통합학문> 창출이라는시대적필요성에대한부응- 문화의충돌을넘어 <문화의융합>으로나갈수있는기본적토대구축의모색- 다양한 학문 역 간의 소통과 융합의 체험을 통해, 창조적 상상력과 유연한 표현력을 지닌 젊은인재의육성

2. 문화비평학연계전공의교육목표

- 모든 학문 역의지식과방법론의“통합망(Networking)”구축- 궁극적목적은한국문화와동양문화에대한독자적이론체계를갖춘문화이론창출의토대를구축하는것

3. 운 위원

준비 위원회를 운 해온, 문과대 노문과 이상룡 교수, 독문과 최문규 교수, 중문과 정진배 교수를중심으로 해서, <문화와 비평>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여러 단과대학 교수님들을 운 위원으로위촉해나갈것이다.

322

Page 169: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Page 170: 01 클릭전공(3~16)_진짜최종

www.yonsei .ac.kr/fr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