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43 <참고자료> 파키스탄 에너지 현황 및 정책 1. 에너지수급 상황 ㅇ 파키스탄 천연가스와 수력발전, 수입석유로 에너지 수요를 충당해오던 파키스탄은 2006년부터 공급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심각한 에너지 수급 불안정 상황에 직면함 ㅇ 정전과 에너지 부족에 대한 불만으로 곳곳에서 폭동이 발생, 파키스탄전력 수도부는 에너지 위기가 국가 안보를 위협할 정도의 수준임을 선언 □ 에너지 수급 현황 ㅇ 에너지 소비 현황 [ 원료 의한 최종 에너지 소비 ] 원료 대비 최종에너지소비량 Unit: TOE Source 2007-2008 2008-2009 2009-2010 2010-2011 ACGR Oil 11,528,722 29.3% 10,842,614 29.0% 10,829,455 27.9% 11,252,938 29.0% 0.7% Gas 15,881,990 40.3% 16,307,898 43.7% 17,024,933 43.9% 16,781,247 43.2% 4.7% Coal 5,404,715 13.7% 3,893,001 10.4% 4,282,061 11.0% 4,025,380 10.4% 2.2% Electricity 5,977,679 15.2% 5,731,032 15.3% 6,054,921 15.6% 6,278,947 16.2% 2.7% LPG 619,944 1.6% 569,995 1.5% 576,631 1.5% 503,272 1.3% -4.3% Total 39,413,069 37,344,540 38,768,001 38,841,783 2.7% Annual growth rate 9.5% -5.3% 3.8% 0.19%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43

<참고자료>

파키스탄 에너지 현황 및 정책

1. 에너지수급 상황

ㅇ 파키스탄 천연가스와 수력발전, 수입석유로 에너지 수요를 충당해오던 파키스탄은

2006년부터 공급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심각한 에너지 수급 불안정 상황에 직면함

ㅇ 정전과 에너지 부족에 대한 불만으로 곳곳에서 폭동이 발생, 파키스탄전력 수도부는

에너지 위기가 국가 안보를 위협할 정도의 수준임을 선언

□ 에너지 수급 현황

ㅇ 에너지 소비 현황

[ 원료 의한 최종 에너지 소비 ]

원료 대비 최종에너지소비량

Unit: TOE

Source 2007-2008 2008-2009 2009-2010 2010-2011 ACGR

Oil 11,528,722

29.3%

10,842,614

29.0%

10,829,455

27.9%

11,252,938

29.0% 0.7%

Gas 15,881,990

40.3%

16,307,898

43.7%

17,024,933

43.9%

16,781,247

43.2% 4.7%

Coal 5,404,715

13.7%

3,893,001

10.4%

4,282,061

11.0%

4,025,380

10.4% 2.2%

Electricity 5,977,679

15.2%

5,731,032

15.3%

6,054,921

15.6%

6,278,947

16.2% 2.7%

LPG 619,944

1.6%

569,995

1.5%

576,631

1.5%

503,272

1.3% -4.3%

Total 39,413,069 37,344,540 38,768,001 38,841,783 2.7%

Annual growth rate 9.5% -5.3% 3.8% 0.19%

Page 2: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44

ㅇ 에너지 생산

[ 각 영역의 에너지공급량 ]

원료 대비 에너지공급량

Unit: TOE

Source 2007-2008 2008-2009 2009-2010 2010-2011 ACGR

Oil 19,206,441

30.5%

20,103,060

32.1%

19,806,314

31.4%

20,674,840

32.0% 4.7%

Gas 29,874,989

47.5%

30,255,885

48.3%

30,808,523

48.8%

30,683,357

48.6% 1.0%

LPG 418,952

0.7%

401,705

0.6%

395,583

0.6%

339,633

0.5% -3.2%

Coal 5,783,844

9.2%

4,732,823

7.6%

4,621,639

7.3%

4,350,868

6.7% 1.4%

Hydro Electricity 6,851,955

10.9%

6,631,841

10.6%

6,705,533

10.6%

7,593,074

11.8% 0.6%

Nuclear Electricity 734,537

1.2%

386,165

0.6%

609,821

1.1%

816,370

1.3% 6.6%

Imported Electricity 47,550

0.1%

54,226

0.1%

59,537

0.1%

64,093

0.1% 13.0%

Total 62,918,268

100%

62,565,745

100%

63,087,952

100%

64,522,234

100% 2.1%

Annual growth rate 3.8% -0.6% 0.8% 2.27%

Page 3: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45

2. 주요 에너지 기관 및 정책

□ 에너지 기관

[ 에너지 관련 정부기관의 조직도 ]

[ 천연자원 및 석유자원부의 조직도 ]

Page 4: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46

□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

▶ 에너지 정책

ㅇ Pakistan Onshore Petroleum (Exploration & Production) Rules 2013

- 파키스탄 대지 석유 정책 2013

ㅇ National Mineral Policy 2013

- 천연광산정책 2013

ㅇ Liquefied Petroleum Gas (Production & Distribution) Policy Guidelines, 2013

- 액화석유가스 정책 가이드라인 2013

ㅇ Petroleum Policy 2012

- 석유정책 2012

▶ 기후변화 정책

ㅇ National Climate Change Policy

- 국가기후변화정책 2012

▶ 그린산업 정책

ㅇ 파키스탄 환경정책 목표

- 파키스탄 환경부는 상수공급률을 2015년까지 90%까지 증가, 하수처리설비는 70%까지 확충하는

한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량을 2015년까지 총 발전량의 1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

- CO2배출량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수송분야의 개선을 위해 CNG(Compressed Natural Gas)자동차

보급을 늘리고 2005년부터 바이오 디젤 개발과 사용을 위한 정책을 수립해 추진 중.

Page 5: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47

3. 에너지원 별 현황

□ 파키스탄 에너지 공급원

ㅇ 화력발전

- 현재 화력발전의 용량은 약 12,000 MW 이나 발전소의 변환 효율성이 낮고 운용 및 유지비용이

높음. IPPs(Independent Power Projects, 민간투자 발전사업)에 의해서 설치된 화력발전소 대부분은

최근에 더욱 비싸진 용광로 기름을 사용하고 있음

ㅇ 수력발전

- 파키스탄은 수력발전 에너지 자원이 풍부함. 그러나 총 생산된 전력 중 34% 만이 수력발전에서

나오고 있음. 현재 평가되고 있는 수력발전 생산 잠재력을 41,000MW ~45,000MW로 본다면 그 중

6,555MW만 생산되고 있음

ㅇ 풍력발전

- 파키스탄 내 풍력에너지의 잠재력은 10,000MW~50,000MW로 평가됨. 현재 파키스탄에서

풍력발전은 시작단계이며 현재 50MW정도의 발전설비가 Jhampir 지역에서 터키업체를 통해

설치중임. Jhampir, Gharo, Keti Bandar 및 Bin Qasim지역에 더 많은 풍력발전소가 건설될 예정

ㅇ 태양광

- 태양광 에너지는 약 100,000MW 이상의 생산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현재 카슈미르, 펀잡, 신드,

발로치스탄 지역에서 태양광 발전소 건설이 진행중임. 그러나 개인 벤더들은 패널, Solar Water

Heaters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바이오메스

- 바이오메스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쓰레기나 사탕수수, 콘, 기타 식물 등 신재생자원을 이용하는

것을 말함. 쓰레기가 부패할 때 메탄이 생성되면 파이프에 저장한 후 태워서 전기를 생산함.

식물이나 나무도 화석연료처럼 태우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음. 현재는 브라질이 신재생에너지의

최대 생산국 중 하나이지만 파키스탄도 향후 카라치의 지방자치구의 쓰레기로부터 약 10MW의

전기를 생산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ㅇ 원자력

- Karachi 원전(125MW, PHWR(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가압중수형 원자로))은 1971년에,

Chashma 1호기(300MW, PWR(Pressurized Water Reactor 가압수형 원자로))는 2000년에 각각

상업운전을 시작했고, Chashma 2호(300MW, PWR)는 2011년 3월에 상업운전을 시작. 파키스탄은

2005년 채택한 에너지 안보계획에 따라 원전의 설비용량을 2015년 900MW, 2020년 1,500MW,

2030년 8,899MW로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계획

- 2008년 6월, 파키스탄 정부는 Chashma 3,4호기(설비용량 320MW)의 건설계획을 발표. 2009년 24억

달러의 건설비용을 책정하고, 중국 Zhongyuan Engineering社를 주계약자로 선정했으며, 2011년

5월 12월에 각각 3,4호기의 건설을 시작. 계통 병입은 각각 2016년과 2017년으로 계획. 또한,

Page 6: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48

2013년 11월, 파키스탄 정부는 1,100MW용량의 중국형원자로(ACP1000) 2기를 Karachi해안지역에

건설할 계획을 발표

- 2013년말 기준, 파키스탄의 가동원전은 3기이며 공급용량 690MW(e), 이용률 72.8%, 총 437만

MWh의 전력을 생산하여 파키스탄 전력 소비량의 약 4.4%를 공급

□ 전력 산업 현황

ㅇ 파키스탄의 전력산업은 WAPDA(Water and Power Development Authority), KESC(Karachi

Electric Supply Corporation) 등 두 개의 수직으로 이루어진 수력발전과 열 단위의 혼합임

ㅇ 전력수요 대비 공급의 균형 문제 발생, 비현실적인 전력 관세, 비능률, 보조금 메커니즘을

관장하는 무능한 정부 등이 미래 에너지 부문 투자에 걸림돌이 됨

□ 전력 산업 체계(전기 송전 및 공급 설비)

ㅇ WAPDA 혹은 4개의 정부전력회사 (4GENCOS)에서 전기를 생산하면 NTDC(National

Transmission & Despatch Company)로 생산된 전기를 공급함. NTDC는 10개의 정부 소속

전력회사에 전기를 공급하여 최종소비자에게 전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

ㅇ 파키스탄의 전력 공급 체계

Page 7: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49

□ 파키스탄 내 전력 생산 능력

ㅇ 파키스탄 내 전력 생산 능력

연번 프로젝트 명 생산가능전력량

(설비기준, MW)

실생산가능전력량

(MW)

1994 이전의 에너지 정책

1 허브 전력 프로젝트 1,292 1,200

1995 하의 소수력 발전 정책

2 New Bong Escape 소수력 프로젝트 84 -

1994 하의 에너지 정책

3 AES Lalpir 사 프로젝트 362 350

4 AES Pak Gen. (Pvt)사 프로젝트 365 350

5 Altern 사 에너지 프로젝트 29 29

6 Fauji Kabirwala 사 전력 프로젝트 157 151

7 Gul Ahmed 사 에너지 프로젝트(GAEL) 136 125

2002 하의 에너지 정책

8 Attock Gen 사 프로젝트 165 156

9 Atlas 사 전력 프로젝트 225 214

10 Engro 사 에너지 프로젝트 227 217

11 다할키 사 전력회사 프로젝트 185 177

12 할모아 사 전력회사 프로젝트 225 209

중략

28 소계 7,019 6,505

29 Kot Addu 사 전력 프로젝트(KAPCO)

; KAPCO 는 공공부문 전력 프로젝트였으나, 민영화

위원회의 전략적 영업으로 민영화 과정에 의해서

IPP 로 전환되었다.

1,638 1,386

총계 8,657 MW 7,891 MW

Page 8: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50

4. 파키스탄의 에너지 위기 극복 노력

ㅇ ADB, Engro lNG 프로젝트에 3000만 달러 차관 제공 합의

ㅇ 이번 차관으로 가스 400MMcfd(Million Cubic Feet per Day) 추가 수입 가능

□ 파키스탄의 에너지 위기 타개 노력

ㅇ 국제금융기구의 도움이 절실

- 파키스탄은 에너지위기로 인해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외국 금융기관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앵그로 프로젝트(Engro Fast track Liquefied Natural Gas regasification

project)에 3000만 달러 차관 제공을 승인함

- 프로젝트로 가스 수요, 공급의 차이를 어느 정도 줄여줄 것으로 예상되며 하루에 400만 ft3(약 1억

1000만 L)의 가스를 수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ADB에 의하면 차관은 런던은행 간 자금 대출 금리로 제공될 것이며, 이 차관으로 인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재정적인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전망됨

□ 프로젝트 목적 및 내용

ㅇ LNG 터미널 건설 및 수송로 확보

- 이 프로젝트는 재 기화된 LNG를 수송하기 위한 24km 상당의 파이프라인 설비 증축을 포함하고

궁극적으로 파키스탄 콰심항에 LNG 터미널을 건설하고 운용하는 것임

- 세계은행(WB)의 국제금융공사(IFC) 또한 터미널 건설을 위해 약 3000만 달러의 대출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전체 비용 약 1억달러에서 ETPL(Engro Elengy Terminal, Engro Corporation의

자회사)은 지분으로 약 3100만 달러를 제공

- 70%는 국제금융기관이나 국내금융기관에서 제공

ㅇ 외국 금융기관의 리스크 관리

- 국제금융공사, 아시아개발은행은 프로젝트 파이낸싱(자금지원방식)의 일부를 지분투자로 바꾸려

하는데, 이는 대표자가 회사 이사회의 구성원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자에 따른 리스크 관리 및

경영 투명성을 보장 받으려는 목적으로 분석될 수 있음

- 터미널은 가스 수송로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금년 겨울 완공 예정 이었으나 현재 지연되고

있어 내년 3월이나 완공될 예정임

- 정부는 올 겨울 가스 수송 시 누수를 최소화 하겠다고 약속

Page 9: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51

ㅇ 수입 LNG 저장 및 재가공

- 이 프로젝트는 수입한 LNG를 저장고나 재기화된 연료를 수송 전 가공 처리하는 과정으로 콰심항

근처 SSGC(Sui Southern Gas Company Limited)에 24km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가스를 수송 하기

전에 재기화하는 건임

- 공공입찰에서는 ETPL은 SSGC와 15년간의 LNG서비스 계약을 맺음. ETPL은 톨 비용과 함께 시설

사용권을 제공할 것이고 추후 200MMcfd(Million Cubic Feet per Day)에서 400MMcfd로

수입량을 늘릴 예정임

- 회사는 이미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있고 파이프라인 가설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것 말고도 15%정도

공사를 완공 했음

- 국제금융공사가 아직 대출을 승인하지 않았는데 ETPL은 모든 필요를 총족하기 위한 브릿지

론(일시적인 자금난에 빠질 경우를 대비해 일시적으로 자금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는 대출)을

준비했음

□ 정부 지원

ㅇ 민관 협력 프로젝트

- 앵그로사가 LNG를 수입하면 정부기관인 SSGC(Sui Southern Gas Company Limited)에서

CNG(Compressed Natural Gas, 압축천연가스)로 재가공해 각 수요처로 공급

- 정부는 가스수입관련 입찰프로세스를 시작했고 USAID(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의 도움으로 정부는 LNG수입과 관련되는 법적, 상업적, 제도적 자문을 위한

컨설턴트를 고용함. 이는 LNG수입협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임

- 동시에 카타르 당국과도 연관이 돼있는데 민간부문을 위해 입찰 발주과정을 시작하고 있음.

파키스탄 정부는 카타르와 정부 대 정부간 협상을 추진하나 높은 가격 수요 때문에 협상에 진척이

없는 상태로 남아 있음

- 이전 파키스탄 정부 집권기간 동안 카타르는 LNG의 국제적 가격이 1배럴 당 110달러를 웃돌 때

브렌트 유의 14.7% 밖에 안 되는 가격을 수출가격으로 제시함. 그 이후, 카타르는 Mmbtu(Milion

British Thermal Unit) 17.437달러로 가격을 내리도록 강행했으며, 이 가격은 해당 프로젝트가 20년

내내 유지했던 18.002달러 보다 0.5% 할인된 가격임

Page 10: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52

5. 파키스탄의 에너지 평가 및 전망

□ 시사점

ㅇ 파키스탄 정부의 열악한 재정문제, 정치불안으로 향후 예정된 전력프로젝트는 없으나

2007년 이후 날로 악화되고 있는 전력 부족현상으로 인해 전력생산 프로젝트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ㅇ 파키스탄은 대형 프로젝트를 계획할만한 재정능력이 부족하나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권의

원조가 성사된다면 한국 등 해외 투자기업들에게는 충분히 노려볼만한 시장으로 전망

ㅇ 늘어나는 에너지 프로젝트

- 수년간 이어지는 파키스탄 에너지 위기로 인해 정부는 대체 에너지 수입 프로젝트를 상당수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 상기 LNG저장 터미널 건설 프로젝트도 석유보다 저렴한 가격에

LNG를 수입해서 가공처리 후 각 수요처로 공급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간 차이를 상쇄하려는 정부,

민간간 노력임

- 향후, 이와 유사한 에너지 프로젝트가 많이 발주될 것으로 예상되며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문 및

플랜트 건설, 플랜트 기자재 부문에 한국 정유 화학 업계의 진출 여지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전 정보 획득 및 철저한 준비가 필요함

* 단, 프로젝트 진출 후 투자금 회수와 관련되는 부문은 파키스탄이 불안한 치안문제로 정치.경제

주문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기에 신중히 접근할 필요 있음

Page 11: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53

주요 출처

▐ 스리랑카

구분 기관명

유관기관 Ministry of Power and Energy

Ceylon Electricity Board

Lanka Electricity Company

LTL Holdings

Lanka Coal Compan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newable Energy

Sri Lanka Sustainable Energy Authority

Ministry of Petroleum Industries

Ceylon Petroleum Corporation

Public Utilities Commission of Sri Lanka

현지 정보처 Data and Information Unit of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Board of Investment of Sri Lanka

국내 정보처 KOTRA 스리랑카 콜롬보 무역관

KOTRA 글로벌윈도우

KEXIM 해외경제연구소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EMERiCs)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주 스리랑카 한국 대사관

Page 12: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54

▐ 방글라데시

구분 기관명

유관기관 Ministry of Powe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 Power Division

Ministry of Powe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Division

Bangladesh Power Development Board

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est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ests - Department of Environment

현지 정보처 Energy Bangla

국내 정보처 KOTRA 방글라데시 다카 무역관

KOTRA 글로벌윈도우

KEXIM 해외경제연구소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EMERiCs)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주 방글라데시 한국 대사관

▐ 파키스탄

구분 기관명

유관기관 Ministry of Water and Power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

National Engineering Services Pakistan

National Power Construction Company

National Transmission & Despatch Company

Private Power and Infrastructure Board

Water and Power Development Authority

Pakistan Atomic Energy Commission

Ministry of Petroleum and Natural Resources

국내 정보처 KOTRA 파키스탄 카라치 무역관

KOTRA 글로벌윈도우

KEXIM 해외경제연구소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EMERiCs)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주 파키스탄 한국 대사관

Page 13: 1. 에너지수급 - Energyenergy.or.kr/web/kem_home_new/info/gdk/Mapmodule/Files/... · 2016-06-14 · 10 Engro사 에너지 프젝턙 227 217 11 다톛키 사 전력퇟사 프젝턙

55

▐ 네팔

구분 기관명

유관기관 Ministry of Energy

Ministry of Energy - Department of Electricity Development

Water and Energy Commission

Nepal Electricity Authority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 Deparment of Environment

Alternative Energy Promotion Centre

국내 정보처 KEXIM 해외경제연구소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EMERiCs)

주 네팔 한국 대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