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1.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교육과정 분석 1) 목표 분석 7 차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6 학년 1 학기 2단원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 새로운 사회 , 문화로 가는 길 에 해당한다 . 이 중에서 본 자료 개발에 해당하는 부분 (2) ( ) 자주와 독립을 위해 싸운 조상들 의 내용을 교육과정 문서에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 교육부 , 1997: p159). 19 세기 후반에 추진된 개혁을 중심적인 활동을 한 인물들을 통하여 확인하고 , 그 특징과 의의에 대하여 토의한다 . 19 세기 후반의 외세 침략에 대한 대응 방안을 관련 인물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 그 방안 들이 가진 문제점을 분석한다 . 【심화과정】 ① 근대 이후에 활동한 인물들 중에서 서로 대립적인 위치에 있던 인물들을 찾아 그들의 주 장과 행동이 서로 다른 점을 조사한다 . 우리 나라의 근대화와 자주 독립을 위해서 활동한 인물 가운데 자신이 존경하는 인물을 선택하여 그의 생애와 활동을 조사해 본다 . 교육과정 문서상에 나타난 교육내용을 지식·이해 , 기능 , 가치·태도 목표로 구조화하면 다 음과 같다 . 지식·이해 19 세기 후반에 추진된 개혁을 이해하고 외세 침략에 대한 대응 방안을 인물 들을 통해 이해하기 기능 19 세기 후반에 추진된 개혁들의 특징과 의의를 토의하고 , 외세 침략에 대한 대응 방안들이 가진 문제점 분석하기 가치·태도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옛 사람들의 노력을 가치있게 여기고 , 새로운 문 화를 수용하는 바른 태도 지니기 205

1. 교육과정및교과서분석 - down.edunet4u.netdown.edunet4u.net/KEDTLC/MTOOL/files/kem/2006/11/04/10725277575316%C7... ·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의개혁안을책이나인터넷을이용하여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1.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가. 교육과정 분석

1) 목표 분석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6학년 1학기 2단원 근대 사회로 가는 길은 (2) 새로운

사회, 문화로 가는 길에 해당한다. 이 중에서 본 자료 개발에 해당하는 부분 (2)-(나) 자주와

독립을 위해 싸운 조상들의 내용을 교육과정 문서에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교육부, 1997:

p159).

① 19세기 후반에 추진된 개혁을 중심적인 활동을 한 인물들을 통하여 확인하고, 그 특징과

의의에 대하여 토의한다.

② 19세기 후반의 외세 침략에 대한 대응 방안을 관련 인물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그 방안

들이 가진 문제점을 분석한다.

【심화과정】

① 근대 이후에 활동한 인물들 중에서 서로 대립적인 위치에 있던 인물들을 찾아 그들의 주

장과 행동이 서로 다른 점을 조사한다.

우리 나라의 근대화와 자주 독립을 위해서 활동한 인물 가운데 자신이 존경하는 인물을

선택하여 그의 생애와 활동을 조사해 본다.

교육과정 문서상에 나타난 교육내용을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 목표로 구조화하면 다

음과 같다.

지식·이해19세기 후반에 추진된 개혁을 이해하고 외세 침략에 대한 대응 방안을 인물

들을 통해 이해하기

기능19세기 후반에 추진된 개혁들의 특징과 의의를 토의하고, 외세 침략에 대한

대응 방안들이 가진 문제점 분석하기

가치·태도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옛 사람들의 노력을 가치있게 여기고, 새로운 문

화를 수용하는 바른 태도 지니기

205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바를 보자면, 궁극적으로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옛 사람들의 노

력을 가치 있게 여기기 위해 개혁 정책과 외세 침략에 대응한 인물들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추구하고 있다. 즉, 개혁 정책의 배경, 경과, 결과 등과 중심 인물들의 활동과 주장을 합리적으

로 이해하여 옛 사람들의 노력을 가치 있게 여기고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는 바른 태도를 기르

도록 했고, 인식 방법으로 문헌 조사 학습, 토의 학습, 인물 학습, 역할 놀이 학습 등을 제안하

고 있다.

2) 학습활동의 대상 및 학습활동의 요소 분석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된 관련 주제의 기본 내용은 교육과정 해설서에서 보다 구체화된 모

습을 보여주고 있다. 포괄적인 교육내용이 학습활동의 대상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을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과정】

근대화를 위한

자주적 노력

개화 운동의 의미 파악하기

개항과 근대 국가 건설을 둘러싼 쟁점 이해하기

【심화과정】

근대 이후의 역사적 인물 가운데 존경할 인물을 선택하여 생애와 업적 조사하기

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육과정에서 6학년 1학기 2단원의 2주제는 학습활동의 대상을 기본

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심화과정은 2단원 전체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3

단원에도 해당된다. 2주제의 기본과정에서 학습활동의 대상은 근대화를 위한 자주적 노력이다.

아울러 심화과정에서는 근대 이후의 역사적 인물 가운데 존경할 인물을 선택하여 생애와 업적

조사하기이다.

기본과정에서 근대화를 위한 자주적 노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학습활동을 구체화하

고 있다. 개화 운동이 조선 후기의 많은 문제점과 서양의 수교 요구 등으로 사회 분위기가 불

안한 가운데에 이루어졌음을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개항 후 이루어진 많은 개혁들을 중심

으로 개항과 근대 국가 건설을 둘러싼 쟁점들을 이해하도록 의도하고 있다.

심화과정에서는 근대화의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을 선택하여 생애와 업적을 조

사함으로써 근대화 과정에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 나가려는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음을 이해

하도록 의도하고 있다.

206

이것으로 보아, 6학년 1학기 2단원 2주제의 경우 근대화의 과정이 우리 민족 스스로의 힘으

로 이루어지지 못해 이후 왜곡된 근대화의 출발점이 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하여, 역사를 비판

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가지며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옛 사람들의 노력을 가치 있게 여

기고자 단원 및 주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 교과서 분석

1) 교과서의 구성

제7차 교육과정의 6학년 1학기 사회과에서 2단원은 근대 사회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을 달

고 있다. 2단원은 (1) 새로운 사회로의 움직임 (2)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두 가지

주제이며, (2)주제는 세 가지 제재와 선택 학습으로 구성되었다. 제재명은 척화비를 세운

까닭,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등이다.

조선 후기 문호를 개방하게 된 과정과 문호 개방 이후 조선에 일어난 일련의 정치적 변화와

개혁의 움직임, 서양 문물에 의한 조선 후기 사람들의 생활 변화를 다루고 있다. 비록 외압에

의해서 문호가 개방되고 자력으로 근대화를 이루지는 못했으나 이런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

나가려는 사람들의 노력들이 있었음을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과

당시 상황 및 자료를 중심으로 역사적 상상력과 추론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

어 있다.

2) 학습활동의 대상 및 학습활동의 요소 그리고 제시된 학습자료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주제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대상은 앞서도 언급했듯이 모

두 세 가지 제재로 나누어져 있다. 각 제재별로 학습대상, 학습활동의 요소, 학습자료 등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척화비를 세운 까닭

학습활동의 대상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

-외세의 침략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학습활동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을 조사한 후 연표를 만들고, 흥선 대원군에대한

가상 대담 활동하기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기

-이양선이 나타나 나라가 어수선하였던 때, 대외 정책을 결정하는 조정 회의

를 역할극으로 꾸며 보기

207

-병인양요, 신미양요의 원인과 경과 조사하기

-척화비를 본 당시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였을지 이야기해 보기

학습자료 -흥선 대원군과 운현궁, 경복궁의 사진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예화 자료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의 상황 지도와 이양선 사진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의 관련 사진과 설명

-척화비 사진

-조선 후기의 왕실 계보

-당백전 사진과 경복궁 타령

-이양선 출현 지도

-정족산성 사진과 외규장각 그림

-신미순의총 사진과 광성보 사진

-강화도의 군사 시설 그림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학습활동의 대상 -강화도 조약과 그 후의 개화 정책

-조선 후기 개혁 운동

학습활동 -강화도 조약의 체결 회담에 참석하여 일본의 대표와 담판을 하게 된다면 어떻

게 할지 이야기해 보기

-강화도 조약 이후의 개화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과 가상 대담하기

-동학 교도들이 조정에 요구한 내용이 바뀐 까닭에 대해 이야기해 보기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난 까닭 정리하기

-갑오개혁의 내용과 의의 알아보기

학습자료 -강화도 앞 바다의 일본 함대, 초지진 사진

-강화도 조약 체결 그림

-프랑스에서 발간된 책의 표지 사진

-신식 군대 별기군 사진

-김옥균과 우정총국 사진

-동학 농민 운동 기념탑 사진과 동학 농민 운동 민족 기록화

-동학 농민군이 내놓은 정치 개혁 요구안

-갑오개혁의 주요 내용과 김홍집 사진

208

-강화도 조약의 내용 일부와 조약 설명 자료

-<조선책략> 사진과 설명, 영남 만인소의 그림과 설명

-갑신정변의 일별 경과와 갑신정변을 일으킨 인물들 사진

-녹두 장군 전봉준의 사진과 처형되기 직전에 쓴 전봉준의 시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학습활동의 대상 -근대적인 외교 관계를 맺게 된 이후의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

-개화 정책과 근대 문물로 달라진 사회 모습

학습활동 -을미사변에 대해 알아보기

-독립 협회를 이끈 사람들의 주장과 활동에 대해 조사하기

-대한 제국의 선포와 개혁에 대해 알아보기

-당시 사람의 입장에서 개화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찬반 토론하기

-근대 제도의 시작과 그 모습에 대해 조사해 보기

-신식 학교인 소학교와 오늘날 초등학교의 교과목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기

-새로운 문물의 도입에 따른 급격한 변화가 사람들의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생각해 보고, 달라진 모습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기

학습자료 -명성황후가 시해된 옥호루의 사진

-서재필과 독립 신문의 사진

-고종 황제와 원구단의 사진

-최익현의 사진과 주장 글

-당시의 수출, 수입을 나타낸 그림

-초기 서양 의사의 진료 및 초기 기관차의 모습 사진

-우편 집배원과 전화 교환원의 사진

-동대문 밖의 화력 발전소 사진

-초기 학교의 수업 모습 사진과 초기 국어 교과서 표지

-명성 황후 추모비와 명성 황후의 국장 행렬 사진

-독립문 사진과 만민 공동회 그림

-고종 황제와 옛 러시아 공사관 건물 사진

-서양식 건축물인 손탁 호텔 사진과 개화기의 의복 사진

-전차가 달리는 풍경 사진과 임금에게 전화를 하는 신하의 그림

-초기의 기차 사진과 경인선 철도 개통식 사진

209

선택 학습

학습활동의 대상 -개화기 때의 주요 사건을 연표로 정리하기

-개화기 우리 조상들이 어떤 사회를 만들고자 했는지 정리해 보기

-서양문물이 우리 나라에 처음 전해졌을 때 무엇이라고 불렀는지 조사

해 보기

학습활동 -개화기 때의 주요 사건들을 시기별로 정리하기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의 개혁안을 책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사하기

-인터넷, 각종 도서를 통해 자동차, 전화기, 기차, 전등, 영화 등의 이름이 불려

진 까닭 조사하기

학습자료 -개화기의 전화기 사진

3) 교과서에서 구성하고 있는 학습활동 대상 및 학습활동에 대한 고찰

( 1) 교과서에서 구성하고 있는 학습활동의 대상

현행 제7차 교육과정 6학년 1학기 교과서 제 2단원 2주제의 학습활동 대상을 제재별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제재 척화비를 세운 까닭에서 학습활동의 대상은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과

외세의 침략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을 아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제시하고 있는 주요 학습활동은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을 조사한 후 연

표를 만들고, 흥선 대원군에 대한 가상 대담 활동하기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기 이양선이 나타나 나라가 어수선하였던 때, 대외 정책을 결정하는

조정 회의를 역할극으로 꾸며 보기 병인양요, 신미양요의 원인과 경과 조사하기 척화비

를 본 당시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였을 지 이야기해 보기 등이다.

둘째, 제 제재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에서 학습활동의 대상은 강화도 조약과 그 후의

개화 정책과 개혁의 노력과 결과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제시된 주요 학습활동은 강화도 조약의 체결 회담에 참석하여 일본의 대표

와 담판을 하게 된다면 어떻게 할지 이야기해 보기 강화도 조약 이후의 개화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과 가상 대담하기 동학 교도들이 조정에 요구한 내용

이 바뀐 까닭에 대해 이야기해 보기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난 까닭 정리하기 갑오개혁

의 내용과 의의 알아보기 등이다.

210

셋째, 제 제재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에서 학습활동의 대상은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들과 개화 정책과 근대 문물로 달라진 사회 모습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제시된 주요 학습활동은 을미사변에 대해 알아보기 독립 협회를 이끈 사

람들의 주장과 활동에 대해 조사하기 대한 제국의 선포와 개혁에 대해 알아보기 당시

사람의 입장에서 개화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찬반 토론하기 근대 제도의 시작과 그 모습에

대해 조사해 보기 신식 학교인 소학교와 오늘날 초등학교의 교과목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

보기 새로운 문물의 도입에 따른 급격한 변화가 사람들의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생각해 보고, 달라진 모습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기 등이다.

넷째, 선택 학습에서 학습활동의 대상은 개화기의 연표 정리하기, 갑신정변·동학 농민 운

동·갑오개혁 개혁안의 특징 알아보기, 서양 문물이 처음 전해졌을 때 무엇이라 불렀는지 알

아보기 등이다.

주요 학습활동은 개화기 때의 주요 사건들을 시기별로 정리하기 갑신정변·동학 농민

운동·갑오개혁의 개혁안을 책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사하기 ③ 인터넷, 신문, 각종 도서

를 통해 자동차, 전화기, 기차, 전등, 영화 등이 전해졌을 때 처음 불려진 이름과 불려진 까닭

조사하기 등이다.

(2) 교과서에서 구성하고 있는 학습활동의 특징

교과서에 제시하고 있는 학습활동이 가지는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양한 학습자료를

통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학습, 역사적 상황 속에 뛰어들어 상황을 이해하고 생각하

는 학습, 가상 면담과 역할 놀이 등 학습자의 직접적인 활동을 중시하는 학습 등이다.

첫 번째 특징은, 자칫 흥미를 잃기 쉽고 어려워할 수 있는 내용을 다양한 학습자료를 통하여

재미있는 학습활동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예화 자료, 사진과 사진 설명, 지도,

삽화, 정리된 주장과 내용들을 제시하고 있다. 교과서에서 자세하게 다루지 못하는 내용은 보

조교과서인 사회과 탐구에서 제시함으로써 그 내용을 보완해 주어 재미있는 학습활동을 유도

하고 있다.

두 번째 특징은 학습활동 중에 그 시대 상황으로 들어가서 당시의 입장에서 이해하도록 하

는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이양선이 나타나 나라가 어수선하였던 때 대외 정

책을 결정하는 조정 회의에 참석하고, 강화도 회담의 조선 대표가 되어 일본 대표와 담판을

지어 보기, 척화비를 본 당시 사람들이 되어 생각해 보기 등으로 역사적 판단을 위한 진지한

고민을 해 보도록 유도하고 있다.

세 번째의 특징은 가상 면담, 역할 놀이, 토론 학습 등의 학습자가 직접 참여하는 학습활동

을 많이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개화기 사람의 입장에서 개화에 대하여 생각해

211

보고 찬반 토론하기, 흥선 대원군과 김옥균과의 대담 활동 해보기, 대외 정책을 결정하는 조정

회의를 역할극으로 꾸며 보기 등을 통하여 역사적 사건의 인과 관계를 이해하면서 학생들이

흥미롭게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위의 특징들은 교과서에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단원은 학생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단원이며 교사들도 가르치기 어려워하는

단원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사회과 교육과정상, 숨가쁘게 전개되는 근대 사회의 변화를 학습

할 수업시간이 적게 제시되어 있으며 시간에 비해 학습량은 많아서, 교사들은 어디까지 어떻

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를 많이 고민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 재량으로 수업시간과 수업내용을 조절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기에

교과서에서 단원 구성의 재배치를 통한 수업시간 수의 조절과 아울러 학습 내용의 전반적인

조절이 필요한 것 같다.

교과서에서 상세한 연표를 제시하여 사건들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의 제시가 절실하다고 생각되며, 사회과 탐구의 자료 선정에서의 배려도 필요한 것 같다.

예를 들면, 92쪽의 내용은 교과서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어 보이는 자료이며 이보다는 교과서

와 직접 연계되는 수신사, 영선사, 별기군 등의 이야기 자료가 제시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3) 선택 학습의 특징

선택 학습은 주제 학습이 끝나고 난 뒤, 학습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인데, 여러 문제들 중에서

자기가 풀고 싶은 것을 정하도록 했다. 즉, 학습자의 관심 혹은 흥미에 따라 문제를 선택하여

주제 학습을 정리하도록 했다.

예컨대, 첫 번째 문제인 개화기 때의 주요 사건들을 다양한 형태의 연표로 정리해 보는 활동

은 역사적 사건을 시기별로 정리함으로써 개화기의 복잡한 일련의 정치적 사건들에 대한 전후

관계를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했다.

두 번째 문제는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의 개혁안을 살펴보고 그 특징과 공통점

을 찾아보는 활동은 여러 개혁 정책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것과 만들고자 했던 사회의 모습을

통해 공통점을 찾아내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했다.

세 번째 문제는 자동차, 전화기, 기차, 전등, 영화와 같은 문물이 우리 나라에 처음 전해졌

을 때에 무엇이라고 불렀는지 조사해 보고 그렇게 부른 까닭을 이야기해 봄으로써 서양 문물

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선택 학습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사실·지식 확인 활동, 흥미 확대 활동, 고차적 사고력 신장

활동의 흐름으로 구성하고 있다고 제시하고 있는데, 세 번째 문제의 경우에는 그 흐름에서

약간 벗어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그래서 선택 학습 문제의 선정과 배열에서 보다 효과

212

적인 배려가 필요한 것 같다.

선택 학습에서 제시된 문제는 세 가지인데 보다 많은 선택 학습의 문제 제시가 필요한 것

같다. 아울러 학습자 자신이 직접 문제를 선정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다. 외세의 침략과 우리민족의 대응 주제 교수 ·학습자료 개발의 방

자료 개발의 기본 방향은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목표·내용에 맞는 교수·학습 원리

를 찾아 학습의 흐름에 적합한 교과서 이외의 자료들을 단위 차시 수업에 투입하여 교수의 효

율성과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를 구조화시키는 데 있다 하겠다. 이

자료들은 다양한 원천을 가지며, 최적의 자료를 데이터 뱅크화한다.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

는 교육 철학적 발판인 구성주의적 관점에 기초하여 지식의 습득보다는 지식의 구성 과정을

강조하기 위하여 역사적 사실 중심의 수업 전개보다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수반하는 학습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알맞은 발문을 전개하고 아동의 인지적 갈등과 개별적 대안 제시가 가

능한 수업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기르기 위해서

는 역사적 사실이나 현상간의 관계 및 원인 그리고 그 사건이 나의 생활에 미친 영향 등을 추

론할 수 있게 수업이 설계되어야 한다. 아동의 발달 단계상 5학년부터는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

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학습 문제와 내용에 대한 정보를 선택

적으로 수집·조직하고 정보를 나름대로 해석하여 역사적 사건을 추론해 나갈 수 있으므로 조

사 학습의 결과를 협동 학습으로 연결시켜 문제를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해 나가도록 수업이

설계되어야 한다.

본 주제에서는 조선 후기 개항과 근대화를 통한 당시의 달라진 정치·사회적 변화를 다룬다.

많은 역사적 사실들이 복잡하게 나타나서 아동들이 흥미를 잃고 혼란을 느낄 수 있고 역사적

사실을 아동 자신들의 삶으로 느끼지 못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개개의 사건보다는 사건간의 인

과 관계를 파악하도록 하기 위해서 역사 연표를 매 차시 활용하여 아동의 이해를 돕도록 하고

학습 정리 부분에 사건의 인과 관계를 중심으로 정리가 가능하도록 마인드 맵 자료가 만들어

져야 한다. 또한 교과서의 사진 자료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므로 더 많은 사진 자료와 설명이

보완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에 세계사와의 관련성과 현재의 시사성 있는 자료가 약하게

서술되어 있으므로 당시의 상황과 관련성이 있는 세계의 역사와 현재 아동 생활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 중 당시의 상황과 관련되는 신문 자료 등을 교수·학습 자료로 담아내야 한

다. 또한 나와 역사와의 관련성을 찾고 쟁점·문제·사건에 대하여 개인적인 의견을 정당화하

고 타인의 입장에서 이야기해 보는 자기화 전략을 사용하기 위해 학습의 대상이 되는 역사적

213

사실이 일어났던 것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어 과거의 인물이 되어 보거나 왜 그런 일들이 일어

났고, 왜 그런 행동을 하게 되었을까를 상상해 보는 활동들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감정

이입적 역사 수업의 형태로는 극화 학습, 역할 놀이 학습, 역사 이야기 만들기, 역사 신문 만들

기, 역사 일기 쓰기, 역사 재판 수업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역할극 극본이

나 토론·토의 주제 등의 안내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제 선택 학습에서 사실·지

식 확인 활동, 흥미 확대 활동, 고차적 사고력 신장 활동의 세 가지 유형에 맞는 다양한 학습

활동 안내와 교수·학습 자료가 구안되어야 할 것이다.

제재별 자료 개발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제재 척화비를 세운 까닭에서는 흥선대원군의 대·내외 정책을 통해 당시의 사회적 상

황을 이해하고, 역사적 판단을 위한 진지한 고민을 해 보도록 학생들을 이끌어야 하므로, 2차

시 분의 학습 내용을 한 블록으로 연결하여 내용과 역사적 흐름을 이해시키는 수업을 설계한

다. 학습 방법은 학생들 스스로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개혁 정책과 병인·신미양

요에 대한 자료를 조사해 와서 발표하는 조사학습과 그 결과를 수업 중 교사의 의도적 노력에

의해 아동 스스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지식의 구성 과정과 학습과정에서 산출한 결과

를 학습자에 의해 의미 지어지도록 개별적인 대안이나 생각을 제시하고 표현하여 나와 역사와

의 관련성을 찾아가도록 하는 토론학습으로 설계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 연표와 토론 주제

그리고 역할 놀이 학습의 극본이 준비되어야 한다.

교수 자료로는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인지적 갈등을 야기시킬 수 있는 시사성 있는

신문 자료와 그 시대에 일어난 사건들간의 상호 관련성과 주변국들과의 관련성을 인식하도록

해 주는 세계의 역사와 관련된 사진 자료와 예화 자료를 더 확보하여 수업활동에 활용하도록

한다. 역사적 지식 중심의 교과 구성상 교사의 지식 전수와 아동의 문제 해결 활동이 조화되게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좋다.

제재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에서는 조선 후기 우리 나라가 일본을 비롯하여 서양 여

러 나라들에게 문호를 개방하는 과정과 강화도 조약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를 이후에 전개되는

주변국 및 서양 열강들의 침략과 연결시켜 이해시키고,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 그리고 갑

오개혁의 의의와 그것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도록 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많은 사

건과 역사적 현상 및 사실들에 혼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사전 조사 학습에 대한 안내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제재이다. 교사는 아동의 이해를 돕기 위해 풍부한 사료와 사진 자료의 제시로

시대적 상황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엄선된 자료의 준비가 필요하다. 학생들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후 인과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고 현재의 관점에서 역사적 사건을

해석하고 감정 이입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례별 읽기 자료와 사건 자료 그리고

역사 모의 재판 등의 학습활동이 준비되어야 한다. 연표와 TP 자료를 마련하여 아동들의 이해

214

를 돕고 역할 놀이 학습과 토의 학습의 모형을 제시하여 감정 이입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제재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에서는 문호 개방 후의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우리 조상

들의 노력, 개화 정책의 추진과 근대 문물의 도입으로 달라진 사회 모습에 대해 알아본다. 문

호 개방 후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에서는 개개 사건을 접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않고 각

사건들의 인과 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연표를 이용하도록 자료를 준비한다. 명성

황후의 시해 관련 이야기를 들려주어 당시의 상황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게 한 후,그 이후의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과 연계시키는 학습을 이끌어 간다. 이와 같이 연표를 활용한다면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에 대해 보다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인식을

갖도록 할 것이다.

근대 문물의 도입에 대한 찬반 의견의 대립은 토론 자료를 개발하여 당시 단발령을 비롯한

근대 문물의 도입이 조선에 준 충격과 갈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근대적 문물의 수용에

대한 학습은 새롭게 받아들여진 서양 문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보는 활동이 주가

됨으로 관련된 사진 자료나 도움 글 자료를 교과서에 만족하지 말고 더 확보하고 구조화하여

수업활동에 활용하도록 한다. 서양 문물이 강경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받아들여진 이유와 사람

들의 생활이 어떻게 변화하였을지 유추해 보는 활동은 앞에서 조사한 결과를 활용하여 능동적

인 참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2. 주제 지도 계획

가. 주제의 지도 계획

단원의 지도 계획은 대체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자료를 기초로 하여 작성한다.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에 대해서는 7차시로 수업을 계획하였다.

첫 번째 제재인 척화비를 세운 까닭에서는 재량 활동 시간과 연계하여 흥선 대원군,

그는 누구인가라는 주제로 역사 인물 事前 탐구활동을 하게 하여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그의 개혁 정책과 외세 대응 정책을 조사하여 내용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인 주제와 표

현 방법을 찾아 협동 학습으로 발표하며 역사적 비판 의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토론학습으로

수업을 설계한다.

두 번째 제재인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에서는 강화도 조약,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215

갑오개혁에 대해 여러 정보원을 활용하여 조사 활동을 한 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강화도

조약 후의 개화 정책에 대해 문제점과 근대화를 위한 노력 등을 TP 자료를 활용하여 정리하며,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의 배경, 내용, 의의에 대해 연표와 교사가 정리한 사료를 중심으로

아동의 이해를 촉진하는 수업으로 조직한다.

세 번째 제재인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에서는 현재의 나라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모습과 독립 협회 및 대한 제국의 국난 극복 노력의 공통점을 찾도록 하는 활동을 통해 동기를

유발하며, 많은 역사적 사건과 현상에 대해 아동들이 혼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연표를 활용하

여 사건과의 인과 관계를 이해시키고, 개화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주장과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토론 학습으로 수업을 설계한다.

단원 주제 제재 주요 교수·학습 내용 차시

2 .근대

사회로

가 는

외세의 침

략과 우리

민족의 대

척화비를

세운 까닭

흥선 대원군의 일생 알아보기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 알아보기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의 원인과 경과, 결과 알아보기

척화비를 세운 까닭에 대해 토론하기

9-10/16

조선, 어

디로 가야

하는가

강화도 조약과 그 후의 개화 정책 알아보기

갑신정변의 특징과 의의 조사하기

김옥균과 가상 대담 활동하기

동학 농민 운동의 과정과 의의 조사하기

갑오개혁의 내용과 의의 조사하기

11-12/16

대한 제

국을 선포한

뜻은

외세의 침략과 을미사변 조사하기

독립 협회의 활동 알아보기

대한 제국의 활동 알아보기

개화 정책에 대한 반대 의견 살펴보기

개화 정책과 근대 문물로 달라진 사회 모습 조사하

13-14/16

선택 학습

개화기 때의 주요 사건들 연표 만들기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의 개혁 안을

책이나 인터넷으로 조사하기

서양 문물이 전해졌을 때 처음 불려진 이름과 불려

진 까닭 조사하기

다양한 선택 학습 문제

15/16

216

나. 주제 역사 연표

연도

1830 1840 1850 1860 18701880

1890 1900

운 강

요 화

호 도

사 조

건 약

217

3. 차시별 수업 설계와 교수·학습 자료

척화비를 세운 까닭 ( 9-10 / 16차시 )

가. 아동의 사전 조사 학습 안내

⊙ 대 주제 : 흥선 대원군, 그는 누구인가?

▶ 학습 형태 : 역사 인물 事前 탐구 활동

▶ 안내 내용 : 대 주제에 적합한 소 주제를 한 두 가지를

정하여 조사하기

▶ 소 주제 예시

1. 흥선 대원군의 생애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 글, 그림, 만화, 연표 등으로)

2. 업적 및 그 시대에 일어난 사건들 정리(연표로 나타내기)

3.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

4. 흥선 대원군의 외세 대응 방법

5. 시대적 상황

6. 흥선 대원군의 훌륭한 점과 나의 비판

▶ 유의점

1. 주제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2. 재량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과제를 미리 안내·조사하도록 하면

효과적임

218

척화비를 세운 까닭 (10/16차시)

수업시기

5월 10주 일련번호 6학년 2-(2)- -9∼10차시

단원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척화비를 세운 까닭

차시9-10

/16

사회교과서 81-85

사회과탐구 85-90

사회과부도 66-67

학습목표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과 조상들의 외세 극복 노력을 알고, 흥선 대원군의 외세 대응

정책에 대해 나의 생각을 말할 수 있다.

연표

1830 1840 1850 1860 1870 1880 1890 1900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강요화호도사조건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을미사변

대한제국성립

단계주요

학습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도입

동기 유발

- 척화비 사진 자료 감상하기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에 세워졌던 이 비석은 누가, 왜 세웠을까?

-흥선 대원군 일화 들려주기

9-(1). 척화비2. 흥선군 일화

학습문제제시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과 외세의침략에 대한 대응 방법을 알아보고,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자.

전개

학습활동안내 및 학습 계획 세우기

-시대적 상황 알아보기외척의 세도정치로 왕권 약화이양선 출현으로 불안함병인 신미양요 일어남흥선 대원군 쇄국 정책

-학습 계획 세우기주제1. 흥선 대원군의 생애 및 업적(연표, 그림, 만화로 표현)주제2. 개혁 정책(가상 대담 활동)주제3. 병인·신미양요(조사 보고서)주제4. 외세 대응 방법(역할극발표, 토론, 전체 참여)

1. 역사연표 TP(본시 부분)

4. 흥선 대원군,운현궁, 흥선대원군 생애TP 자료

주제별 조사-과제를 전시에 제시하여관련 자료 충분히 확보하기

탐구 주제 및과제해결방

법 모둠별 토의

219

단계주요

학습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모둠별 탐

구과제 해

결하기

조별학습 -모둠별 조사 자료 이용하여 주

제에 따른 발표 내용 준비하기

주제에 맞는

표현 방법 탐

전개

흥선군의

생애와 업

(1모둠)

조사학습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

연표에 만화와 그림을 넣어 연대순

으로 발표하기

-업적 중 훌륭한 점과 아쉬운 점 찾

아보기

3. 세도정치

4. 흥선 대원군,운현궁

재량 활동 시

간에 전기집

읽고 인물 탐

구 활동함

보충설명

(교사)-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내용 정 리

하기

4-(3). TP 자료

흥선군의

개혁정책

(2모둠)

가상 대담

활동

-흥선군에게 개혁 정책에 대해 다음

의 내용을 질문하는 형식의 가상

대담 활동 실시하기

흥선군의 개혁 정책

개혁 정책 실시 이유

사람들의 반응

5. 서원정리

6. 경복궁 중건

1. 가상대담

활동

질문 만들기

역할 나누기

기자 인터뷰

형식의 진행

보충설명

(교사)

-개혁 정책 중 가장 잘했다고 생각

하는 것과 그 이유?-개혁 정책 중 가장 못했다고 생각

하는 것과 그 이유?-보충 설명 및 질문 받기

4-(3).TP 자료

병인양요

신미양요

(3모둠)조사학습

-조사 학습지 양식에 다음의 내

용을 정리하여 발표하기

병인양요의 원인, 경과, 결과

신미양요의 원인, 경과, 결과

두 양요의 영향

7. 병인양요

8. 신미양요

2. 조사 학습지

보충설명

척화비

-이양선 출현과 그들의 요구 조

건 설명하기

-척화비를 세운 까닭

-척화비의 내용과 사람들의 반 응

7-(4). TP 자료

9. 척화비

외세 대응

정책

(4모둠)역할극

-서양과의 통상에 대한 대원군의 생

각과 당시 사람들의 반응을 역할극

으로 꾸미기

-역할극 감상지에 찬성파와 반 대

파의 생각을 정리하며 감상하기

9-(2). 쇄국 정책 3. 역할극 극본

(예시 자료)

4. 역할극

감상지

220

단계주요학습

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전개

쇄국 정책

에 대한

토론

토론학습 -쇄국 정책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감

상지에 적어보기

-찬·반 두 팀으로 나누어 학급 전

체 토론하기

-교사가 사회자가 되어, 역사를 비

판적으로 보는 태도를 갖도록 다양

한 의견 제시를 유도한다.

교사 :사회자 4. 역할극

감상지

5. 토론

예시 자료

정리

오늘날의

통상 압력

사례 찾기

-오늘날의 통상 압력 사례 찾아보기

-외국과 교류를 할 때 우리가 가져

야 할 바른 자세에 대해 이야기해

보기

10. 신문 기사

( 중국산 마늘

협상 반대 농

민 시위)

학습 내용

정리

마 인드맵

활용학습

-흥선 대원군의 정책을 마인드맵 자

료에 간단히 정리하며 사건의 인과

관계 이해하기

6. 마인드맵

자료

7. 마인드맵

예시자료

차시 예고-강화도 조약, 갑신정변의 내용과

의의 조사해 오기

221

병인양요, 제너럴셔먼호 사건

고종즉위

근대 사립학교 설립(원산학사)근대 화폐 발행(전환국)

근대 신문 발행(박문국)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독립신문 창간독립협회 설치

아관파천궁내부에전화설치

대한제국성립

만민공동회개최

신미양요척화비

흥선대원군 집권

서원정리시작

경복궁중건

운요호사건강화도조약체결

신사유람단영선사 파견별기군 창설

우정국(우체국)설치

서양식 병원설립(광혜원)전기사용(경복궁)

을미사변(명성왕후)

근대소학교설립

전차운행(한양)철도개통(경인선)

주제 관련 역사 연표 TP 자료 (공통 자료)

♠ 위의 TP 자료는 매 차시마다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교수 자료 1

● 63

● 64

18 6 5● 66

● 67

● 68

● 69

187 0● 71

● 72

● 73

● 74

18 7 5● 76

● 77

● 78

● 79

18 8 0● 81

● 82

● 83

● 84

18 8 5● 86

● 87

● 88

● 89

18 9 0● 91

● 92

● 93

● 94

18 9 5● 96

● 97● 98● 99

222

흥선 대원군 일화

백수 건달 이하응이 흥선 대원군이 되다니 !

흥선 대원군이 하루아침에 왕의 아버지가 되어 높은 평교자(조선 시대 종1품 이상이 타던

가마)를 타고 궁궐로 향하여 나아가자 길거리에는 구름 떼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강

화도에서 나무꾼으로 있다가 하루아침에 왕이 되었던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흥선 대원군

의 둘째 아들이 12살의 어린 나이에 고종 황제가 된 것이다. 왕이 어리기 때문에 흥선 대원군이

왕 대신 나라를 다스린다는 것이다. 나라의 최고 권력자가 되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교자 위에

앉아 있는 흥선 대원군을 본 사람들은 벌린 입을 다물지 못했다.

정말 저 사람이 며칠 전까지만 해도 술에 곤죽이 되어 기생집 골목에서 쓰러져 잠든 궁

도령이란 말이오?

그렇다니까요. 저도 지금 눈을 몇 번이고 비비고 보고 있어요. 세상에나! 글쎄 나흘 전에는

우리 집에서 술을 먹고는 술값을 내지 못해 나의 가랑이 사이로 기어 나가는 벌을 받기도 했다

니까요. 이일을 어쩌면 좋아요. 이제 우리 집은 망했어요. 그때 좀 봐주었으면 될텐데..... 옆에

서 기생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한 상인이 아는 체 하고 나서며

건달들과 어울려 다니고, 기생집에서 백수 건달 노릇을 하고, 안동 김씨 집에 찾아다니며

장남의 취직을 부탁하고 했던 일이 모두 속이기 위해서래요.

맞아요. 안동 김씨들이 자기들의 세도 정치를 더 오래 하기 위해 왕족들 중에서 똑똑한 자

는 모조리 제거해 버렸잖아요. 그러니 흥선 대원군이 살아남기 위해서 오늘과 같은 때가 올 것

을 대비해서 일부러 미친 사람처럼 하고 다녔던 거예요. 안동 김씨들이 속은 것이죠.

아이고 십 년 묵은 체증이 내려갈 것 같아요. 안동 김씨들의 세도 때문에 숨도 제대로 못

쉬고 살았는데 저렇게 야무진 꿈을 키우며 참고 살아온 사람이 나라를 다스릴 것이니 못사는

우리 백성들의 마음을 알아주겠지요.

사람들의 웅성거림을 들으며 흥선 대원군은 두 눈을 지그시 감고 지난 날을 되돌아보았다.

그는 안동 김씨와 감정이 안 좋은 대왕대비 조씨와 비밀리에 만나서 그의 차남을 다음 국왕으

로 삼을 것을 허락 받았던 일, 그러기 위해서는 살아 남아야 했기에 일부러 죽일 가치도 없는

방탕아로 낙인찍히기 작전에 돌입했던 일, 안동 김씨들에게 당했던 수모 등을 되씹으며 두 주

먹을 불끈 쥐었다. 그래, 먼저 안동 김씨들의 세도 정치부터 추방하고, 강력한 왕의 권위를 세

우고 이 나라를 개혁해서 잘 사는 나라로 만들어야겠다. 어느 듯 교자는 궁궐 안으로 들어서고

있었다.

교수 자료 2

223

세도 정치

국왕의 위임을 받아 정권을 잡은 특정인과 그 추종 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치

형태

세도 정치란 국왕의 위임을 받아 정권을 잡은 특정인과 그 추종세력에 의해 이루

어지는 정치형태이다. 18세기 영조, 정조 시대에는 문화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 학

문적으로 높은 경지에 이르는 한편, 정치적으로는 중흥정치를 펴서 백성들이 어느

정도 안정된 생활을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순조, 헌종,

철종 등의 나이 어린 임금들이 왕위에 오르자 왕의 외척들이 등장하여 60여 년간이

나 세도 정치를 펴게 되었다. 이러한 세도 정치는 조선 사회에 큰 혼란을 가져왔다.

세도 정치란 왕의 신임을 얻은 사람이 왕을 대신하여 나라의 정치를 맡아 처리하는

비정상적인 정치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세도 정치는 대개 나이 어린 왕의 외척들에

의해 행해졌는데, 왕의 외척들이 뒤에서 왕의 어머니인 모후를 조정하면 다시 나이

어린 왕을 조정하였다.

순종 때에는 안동 김씨, 헌종 때에는 풍양 조씨, 철종 때에는 다시 안동 김씨에 의

해 세도 정치가 이어졌다.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사회 6- 1,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수 자료 3

224

흥선 대원군

이름 이하응. 영조의 5대 손이며 고종의 아버지( 1820∼189 8)

4 - ( 1)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

1843년 흥선군에 봉해지고 한직을 지내면서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 밑에서 불우한 생활을 하였다. 왕

족에 대한 안동 김씨의 감시가 심하자 보신책으로

불량배와 어울려, 파락호로서 궁 도령이라는 비칭으

로까지 불리며 안동 김씨의 감시를 피하는 한편, 철

종이 후사가 없이 병약해지자 조 대비에 접근하여

둘째 아들 명복을 후계자로 삼을 것을 허락 받았다.

1863년 철종이 죽고 조 대비에 의해 고종이 즉위

하자 대원군에 봉해지고 어린 고종의 섭정이 되었다.

대권을 잡자 안동 김씨의 주류를 숙청하고 당파를

초월하여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부패 관리를 적발하

여 파직시켰다. 1847개 서원을 제외한 모든 서원을

철폐하고 국가재정의 낭비와 당쟁의 요인을 없앴으며, 《육전조례》, 《대전회통》등을 간

행하여 법률 제도를 확립함으로써 중앙 집권적인 정치 기강을 수립하였다. 비변사를 폐지하

고 의정부와 삼군부를 두어 행정권과 군사권을 분리시켰으며, 관복과 서민들의 의복 제도를

개량하고 사치와 낭비를 억제하는 한편, 세제를 개혁하여 귀족과 상민의 차별 없이 세금을

징수했으며, 조세의 운반 과정에서 조작되는 지방관들의 부정을 뿌리뽑기 위해 사창을 세움

으로써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 국민들의 생활이 다소 안정되고 국고도 충실해졌다.

반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원납전을 발행하여 백성의 생활고가 가중되었으며, 1866년

병인양요에 이어 1871년 신미양요를 일으키고 천주교도에 대한 무자비한 박해를 가하는 등

쇄국정치를 고집함으로써, 국제 관계가 악화되고 외래 문명의 흡수가 늦어지게 되었다. 또

한, 섭정 10년 동안 반대 세력이 형성되어 며느리인 명성 황후가 반대파를 포섭하고 고종이

친정을 계획하게 되자, 1873년 그의 실정에 대한 최익현의 탄핵을 받았다. 이에 고종이 친

정을 선포하자 운현궁으로 은퇴하였다.

교수 자료 4

흥선 대원군(교과서 81쪽 가운뎃단 오른쪽)

225

1882년 임오군란으로 다시 정권을 잡고 난의 뒷수습에 힘썼으나, 명성 황후의 책동으로

청나라 군사가 출동하고 톈진에 연행되어 바오딩부에 4년간 유폐되었다. 1885년 귀국하여

운현궁에 칩거하면서 재기의 기회를 노리던 중 1887년 청나라의 위안스카이와 결탁하여 고

종을 폐위시키고 장남 재황을 옹립하여 재집권하려다가 실패하였다.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으로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에 의해 영립되어 친청파인 사대당

을 축출하고 갑오개혁이 시작되었으나, 집정이 어렵게 되자 청나라와 통모하다가 쫓겨났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의 세력이 강성해졌으나, 3국(독일·프랑스·러시아)의 간섭으로

친러파가 등장하여 민씨 일파가 득세하자, 1895년 일본의 책략으로 다시 정권을 장악하였

다. 이때 명성 황후가 일본인에게 시해되어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가 본국으로 소환된 후 정

권을 내놓고 은퇴하였다. 1907년(광무 11) 대원왕에 추봉되었다.

4 - (2 ) 운현궁(雲峴宮)

운현궁 (교과서 81쪽 하단)

운현궁은 서울 종로구 운니동에 소재한 사적 제 2 57호

고종이 이곳에서 출생, 12살까지 성장하였고 철종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또한 생

부 이하응은 흥선 대원군이 되었고, 생모 민씨는 여흥 부대부인의 봉작을 받았다. 이곳

에서 대원군은 서원 철폐, 경복궁 중건, 세제 개혁 등 많은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1882

년(고종 19) 임오군란 때 여기에서 청나라 톈진으로 납치되었다.

원래는 궁궐에 견줄 만큼 크고 웅장하였다고 하며, 현재는 궁의 일부에 덕성여대와 전

TBC 방송국이 들어서고 헐려나가서, 대원군이 즐겨 쓴 아재당이 없어지고, 사랑채 노

안당, 안채 이로당과 노락당만이 남아 있다. 정원 등은 잘 보존되어 내정에는 고종이

소년시절에 자주 오른 노송이 남아 있다.

226

4 - (3 )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 TP 자료

흥선 대원군의 생애와 업적

1. 시대적 상황

오랜 세도 정치로 나라 안은 매우 어렵고 혼란함

이양선이 출현하여 통상을 요구하며 우리를 위협하고 침략함

2. 흥선 대원군의 생애

1820년 태어남 → 1843년 흥선군 됨 → 1863년 고종 즉위, 흥선 대원군

이 됨 → 1864년 서원 정리 → 1865년 경복궁 중건 → 1866년 병인양요

→ 1871년 신미양요 → 1873년 고종이 직접 나라를 다스리자 권좌에서

물러남 → 1876년 강화도 조약 → 1882년 임오군란으로 정권 잡음 →

1898년 세상 떠남

3.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

서원 정리 : 백성들로부터 재물을 거두고 세금·노역 면제로 국가 재정을 어렵

게 한 서원을 47개소로 정리함

인재 등용 : 파벌, 서얼, 지역 가리지 않고 인재 등용함

국가 기구 정비 : 국방 강화, 서울 방어 강화함

재정 확보 : 양반에게도 세금 부과(호포세)풍속 교정 : 사치엄금, 관복 및 서민 의복 간편화

법전 편찬 : 육전조례 , 대전회통 등 시대에 맞는 법률 제도 정함

경복궁 중건 : 왕실의 권위 회복 위함

무리한 공사로 백성들의 원성을 사게 됨-하야원인

(당백전 남발, 원납전 징수, 강제부역, 통행세 징수)

4 . 외세 대응 정책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후 척화비를 세우며 외세를 배격하는 쇄국 정책을 폄

227

서원 정리

백성을 해치는 자는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고 해도 내가 그를 용서치 않겠다.

는 완강한 태도로 서원 정리를 단행하여, 6 70여 개중 사액서원 4 7개소만 남기고

모두 철폐함

조선 시대의 서원은 막대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고 면세·면역의 특전을 누리며 경제를 좀먹고

있었다. 정치적으로도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 붕당의 소굴이 되기도 했다. 그래서 대원군은 1871년

에 백성을 해치는 자는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고 해도 내가 그를 용서치 않겠다.는 완강한 태

도로 서원 정리를 단행하여, 670여 개 중 사액서원 47개만을 남기고 모두 철폐해 버렸다.

청주 화양동 서원에서 일어난 일을 일례로 들면, 서원에서 화양묵패라는 고지서를 백성들에게

발급해 서원 제사 비용 명목으로 돈을 징수했다. 화양묵패를 받은 인근 백성들은 논밭을 팔아서라

도 지정된 금액을 납부했다. 이를 거역하면 서원에 잡혀가 갖은 협박을 당하고 곤장을 맞기 때문이

다. 사정이 이러하나 유학진흥이라는 국시를 방패로 내걸고 있으므로 어느 정치인도 서원 문제를

제기할 수 없었다.

초기의 서원은 인재를 키우고 선현·향현을 제사지내며 유교적 향촌 질서를 유지, 시정을 비

판하는 사림의 공론을 형성하는 구실을 하는 등 긍정적인 기능을 발휘하였으나 증설되어감에 따라

혈연·지연관계나 학벌·사제·당파 관계 등과 연결되어 지방 양반층의 이익 집단화하는 경향을

띠게 되고 사액서원의 경우 부속된 토지는 면세되고, 노비는 면역되기 때문에 양민의 투탁을 유인

하여 그들의 경제적 기반을 확대하였다. 이 때문에 서원은 양민이 원노가 되어 군역을 기피하는 곳

이 되어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군정의 부족을 초래하였고 불량 유생의 협잡소굴이 되는가 하면 서

원 세력을 배경으로 수령을 좌우하는 등 작폐도 많았다. 또한 면세의 특권을 남용한 서원전의 증가

로 국고 수입을 감퇴시켰으며, 유생은 관학인 향교를 외면, 서원에 들어가 붕당에 가담하여 당쟁에

빠져 향교의 쇠퇴를 가속시켰다. 서원의 폐단에 대한 논란은 인조 이후 꾸준히 있었으나 특권 계급

의 복잡한 이해 관계 때문에 손을 대지 못하고 1657년 서필원은 서원의 폐단을 논하다가 파직되기

도 하였다. 효종 ·숙종 때는 사액에 대한 통제를 가하고 누설자를 처벌하는 규정까지 두었으나 잦

은 정권 교체로 오히려 증설되었다. 1738년 안동 김상헌의 원향을 철폐한 것을 시발로 대대적인

서원 정비에 들어가 200여 개소를 철폐하였으나 그래도 700여 개소나 남아 있었으며 이 중 송시

열의 원향이 36개소나 되어 가장 많았고, 유명한 것으로는 도산서원·송악서원·화양서원·만동

묘 등이 있었다. 1864년에 집권한 대원군은 서원에 대한 일체의 특권을 철폐하여, 서원의 설치를

엄금하고 그 이듬해 5월에는 대표적인 서원인 만동묘와 화양서원을 폐쇄한 이후 적극적으로 서원

의 정비를 단행하여 사표가 될 만한 47개소의 서원만 남기고 모두 철폐하였다.

<역사신문 편찬위원회(2002). 역사신문 4권, 서울 : 사계절>

교수 자료 5

228

경복궁 중건 관련 자료

6- ( 1) 경복궁

태조 3년 겨울에 짓기 시작하여 그 이듬해 9월에 준공을 본 조선의 정궁

임진왜란 중에 불타 버리고 만 것을 대원군 집권기인 1865년 왕실의 위엄을 되찾기 위해

중건에 착수, 1872년에 완수되었다. 그러나 부족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당백전의 남발과 원

납전의 징수, 그리고 부역의 강행 및 문세 징수 등으로 국가 재정이 악화되고 백성의 원성이

높아 결국 흥선 대원군을 하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경복궁은 이후 1895년 일본 낭인들

이 명성 황후를 시해한 비극의 장소가 되었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 총독부가 준공되어 경

복궁의 시야가 가려지기도 하였다. 이후 찬반의 논란 끝에 드디어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사용

되고 있던 조선 총독부의 건물을 헐고 경복궁의 참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사회 6-1,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경복궁의 구조는 사회과 탐구 44∼45쪽을 참고

교수 자료 6

229

6 - (2 ) 경복궁 사진 자료

◈ 경복궁 근정전 (교과서 82쪽 하단 중앙)

국보 233호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으로 임금이 신하

들에게 정치적인 명령을 발표하거나 사신을 맞

아들이기도 하고 노인들을 위한 양로연이나 위

로연을 베풀기도 하던 곳이다. 근정전은 2층

건물로 되어 있으나, 안에서 보면 1층과 2층이

트여있어 천장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천장 중

앙에는 용의 모습을 목각으로 채색하여 시원한

천장의 모습과 주변 단청의 화려함과 잘 어울

린다. 기둥은 수십 자가 넘어 웅장함이 뛰어난

건축이다.

◈ 경복궁 경회루

국보 224호

경회루는 태종의 명에 의해 공조판서 박자

청이 당시 기술로는 난 공사임에도 불구하고

이루어낸 인공 연못 위의 대규모 누각이다.

경회루는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타 없어졌

고 지금의 경회루는 고종 4년(1867)에 경복궁

을 중건하면서 다시 지어진 것이다.

흥선 대원군은 이 연못에 구리로 용을 만

들어 가라앉혀 놓았는데 이 용은 1997년 호수

의 바닥에서 실제로 발견되었다

230

6- (3 ) 당백전(當百錢)

흥선 대원군 정권이 1866년(고종 3) 10월에 발행하여 2∼3년간 통용되던 화폐

대원군이 경복궁의 중건에 소요되는 재원 조달을 위하여 주조한 것으로 법정 가치를

상평통보의 100배로 정한 것이다. 그러나 유통과정에서 당백전 발행 초기인 1866년

12월경에 7∼8냥에 지나지 않았던 미곡 1섬의 가격이 1∼2년 사이에 약 6배로 폭등

하는 등 일반 국민이 기피하였고 강제 통용에도 실패하여 그 주조를 중지하였다.

6 - (4 ) 성문세 (城門稅)

조선 후기에 흥선 대원군이 시행한 서울 성문(城門)의 통행세

군비에 충당한다는 명목으로 1867년(고종 4) 2월부터 1873년 10월까지 6년 8개월

간 시행하였다. 성문을 통과하는 물품과 수량에 따라 각 군영에서 세금을 징수하였다.

군영별로 관할 문을 정하여 훈련도감은 돈의문·소의문, 금위영은 숭례문·광희문, 어

영청은 흥인문·혜화문, 총융청은 창의문을 맡아 시탄·고초·목물·초물·과과·석

타·사토 등은 수레마다 2푼, 한 짐당 1푼, 미곡·어염·포목·전화·동철·유청·

남초·지속·연화·왜물 등은 수레당 4푼, 한 짐에 2푼의 세금을 거뒀다. 이 통행세는

당초 설치 목적과는 달리 경복궁 중수에 따른 부족 경비에 쓰였고, 백성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게 되어 원성을 샀다.

6- (5) 원납전 (願納錢)

조선 후기 흥선 대원군이 경복궁 중수를 위하여 강제로 거둔 기부금

1865년(고종 2)부터 시작된 경복궁 중건 비용을 국고만으로 충당할 수 없게 되자, 재

상 이하 모든 관원이 그 능력에 따라 기부하게 하고 백성들은 자진기부 형식으로 내게

하였는데, 그 금액에 따라 벼슬과 상훈을 주도록 하였다. 그 폐단이 커서 원납전(怨納

231

錢)이라 불렸다

병인양요

1866년(고종 3) 대원군의 천주교도 학살·탄압에 대항하여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에

침범한 사건

7- ( 1) 병인양요의 원인 - 병인박해

이 사건의 원인은 당시 시베리아를 건너온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서 비롯되었다. 1864

년(고종 1) 러시아인이 함경도 경흥부에 와서 통상하기를 요구하였을 때 대원군 이하

정부요인들의 놀람과 당황은 대단하였으나 이에 대한 대책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때 조

선에 와 있던 몇몇 카톨릭 교도들은 대원군에게 건의하기를 한·불·영 3국 동맹을

체결하게 되면 나폴레옹 3세의 위력으로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막을 수 있다 하여, 대

원군으로부터 프랑스 선교사를 만나게 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그 시

기를 놓치고 말았으니 당시 지방에서 포교하고 있던 다블뤼 주교와 베르뇌 주교가 서

울에 돌아왔을 때는 조정에서 이미 러시아인의 월경과 통상요구가 시일이 경과하여

한낱 기우에 지나지 않았다고 생각하였을 때였다. 그리하여 3국 동맹이 체결되면 포교

의 자유를 얻을 수 있으리라는 선교사들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오히려 그들은 지

둔과 무책임한 주선의 발설로 비난을 받게 되었다. 그렇지 않아도 카톨릭교를 서학·

사학이라 하여 배척하던 당시, "운현궁에도 천주학쟁이가 출입한다"는 소문이 퍼졌고,

조 대비 이하 정부 대관들이 카톨릭 교도의 책동을 비난하자 대원군은 이들 카톨릭 교

도를 탄압하기로 결심하였다.

1866년 카톨릭교 탄압의 교령이 포고되자 프랑스 선교사 12명 중 9명이 학살당한 것

을 필두로 불과 수개월 사이에 국내 신도 8,000여 명이 학살되었다. 그러나 조정에서

는 아직도 체포되지 않은 3명의 프랑스 신부의 행방을 찾고 있었고, 이 사건으로 산

속에 피신하여 쫓겨다니다가 병으로 죽고 굶주려 죽는 부녀자와 어린이가 부지기수였

다고 한다. 이때 탈출에 성공한 리델 신부가 톈진에 있는 프랑스 해군사령관 로즈 제

독에게 이 사실을 알림으로써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교수 자료 7

232

7- (2 ) 병인양요의 경과

5월 한국을 탈출한 리델 신부는, 중국 톈진에 주둔한 프랑스 인도차이나함대 사령관로

즈 제독에게 한국에서 일어난 천주교도 학살 사건을 알렸다. 보고를 받은 베이징 주재

프랑스 대리공사는 청국 정부에 공한을 보내어 한반도로 진격할 결심을 표명하고, 이후

어떠한 사태가 발생하든 청국 정부는 이에 간섭할 수 없다고 통고하였다. 청국 총리아

문사무의 공한을 통해 프랑스 동태를 알게된 대원군은,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변경의 수비를 굳게 하였다.

9월 18일 리델 신부와 한국인 신도 3명의 안내로, 로즈 제독이 인솔한 프랑스군함 3

척은 인천 앞바다를 거쳐 양화진을 통과하여, 서울 근교 서강에까지 이르렀다. 조선의

경비태세에 불리함을 느꼈는지, 9월 25일 강류·연변만 측량하고 중국으로 퇴거하였

다.

그러나 10월 로즈 제독은 순양전함 게리에르를 비롯, 모두 함대 7척과 600명의 해병

대를 이끌고 부평부 물치도에 나타났다. 10월 14일 이 중 4척 함정과 해병대가 강화

부 갑곶진 진해문 부근의 고지를 점거하였다. 프랑스군은 한강 수로의 봉쇄를 선언하

고, 16일 전군이 강화성을 공격하여 교전 끝에 이를 점령하고, 무기·서적·양식 등을

약탈하였다. 조선은 신헌·양헌수 등 무장들에게, 서울을 위시하여 양화진·통진·문

수산성·정족산성 등을 수비하도록 하였다.

11월 7일 프랑스 해병 160명은 대령 올리비에의 지휘로 정족산성을 공략하려다가 잠

복·대기 중인 양헌수가 이끈 500명 사수들에게 일제히 사격을 받아 사망 6, 부상 30

여 명의 손실을 입고 간신히 갑곶으로 패주하였다. 정족산성에서의 참패는 프랑스군의

사기를 크게 저상시켜, 로즈 제독도 조선 침공의 무모함을 깨닫고 철수를 결정하였다.

11월 11일 프랑스군은 1개월 동안 점거한 강화성을 철거하면서, 장녕전 등 모든 관아

에 불을 지르고 앞서 약탈한 은금괴(당시 화폐로 환산하여 3만 8000달러)와 대량의

서적 ·무기 ·보물 등을 가지고 중국으로 떠났다. 이로써 세계정세에 어두운 대원군

은 그 기세를 돋구어, 전국에 척화비를 세우는 등 쇄국 양이 정책을 더욱 굳히고, 천주

교 박해에도 박차를 가하였다.

프랑스군이 탈취한 많은 서적·자료 등은, 뒷날 유럽 사람들이 한국·동양을 연구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233

7- (3 ) 정족산성과 양헌수 장군

◈ 정족산성 동문 (교과서 84쪽 상단 오른쪽)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둘레 약 1000m. 축성 연대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으며, 다만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았

다는 전설로 인해 삼랑성이라고도 한다. 현종 1년

(1660)에는 마니산 사고에 보존해오던 조선왕조

실록을 성내의 정족산 사고로 옮겼다. 1866년 병

인양요 때 프랑스군을 물리친 승첩지로 유명하다.

◈ 양헌수 장군 전승기념비

양헌수 장군( 18 16∼1888) :

조선 말기의 무장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무예를

익혔다. 헌종 14년(1848)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

전관이 되고, 철종 때 참상관이 되었다.

1866년 병인양요 때는 강화도에 쳐들어온

프랑스 함대를 무찌르고 많은 신무기를 빼앗는

등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한성부 좌윤에 오르고

어영 대장, 포도 대장 등을 거쳐 형조 판서, 공조

판서 등을 지냈다.

234

7- (4 )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TP 자료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1. 병인양요

원인 : 프랑스 신부 및 천주교도 처형 사건

경과 : 프랑스 함대 강화도 점령

결과 : 한성근, 양헌수 군대가 물리침

외규장각 도서 불태우고 도서 300권·은·무기 강탈해 감

2. 신미양요

원인 : 미국이 제너럴 셔먼호 침몰을 문제 삼음

경과 : 미군이 강화도 초지진 점령

결과 : 어재연 부대가 강화도 광성보에서 물리침

3. 두 전쟁이 우리 나라에 끼친 영향

흥선 대원군의 쇄국 정책 강화로 척화비 세움

→ 서양 문물 유통 금지, 천주교 전파 막음

서양과의 통상 수교가 늦어져 근대화가 늦어짐

4 . 흥선군이 척화비를 세운 까닭과 내용

까닭 : 병인·신미양요로 서양 세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서양과 교류

하지 않겠다는 결심

내용 :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였을 때 그들과 싸우지 않으면 화해하는 것이

다. 화해를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

235

신미양요

8- ( 1) 신미양요의 원인 -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년 7월 11일 미국 상선 셔먼호가 조선 측에 통상을 요구하기 위해 강화도에 침

입한 사건

1866년 7월 11일 미국 상선 셔먼호는 비단·유리그릇·천리경·자명종 등의 상품을

적재하고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평양 경내에 들어와 조선 측에 통상을 요구하였다.

서양 선박의 내항과 통상의 요구는 당시의 국내 사정으로 미루어 조선의 안전을 위협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또한 국법으로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거절되었고 그들에

게 즉시 출국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다음날 조선 측의 이와 같은 강경한 경고에

도 불구하고 셔먼호는 만경대 한사정에까지 올라와 그들의 행동을 제지하던 중군 이

현익을 붙잡아 감금하였다. 사태가 이에 이르자 평양성 내의 관민(官民)은 크게 격분

하여 강변으로 몰려들었고 셔먼호에서는 조총과 대완구를 이들 관민에게 마구 쏘아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이와 같은 셔먼호의 무모한 행동에 대하여 강변의 군민은 돌팔매·활·소총으로 맞서

대항하고, 퇴교 박춘권은 배를 타고 가서 이현익을 구출해 냈다. 당시 며칠씩 계속된

비로 강의 수위가 높아졌다가 이렇게 여러 날이 경과하는 동안 평상시로 돌아가게 되

자 셔먼호는 양각도 서쪽 모래톱에 선체가 걸려 행동의 자유를 잃어버렸다. 그러자 불

안과 초조에 휩싸인 셔먼호의 승무원들은 강도·약탈·총포격 등의 강압적인 행동을

자행하여 주민들 중 사망 7명, 부상 5명이 생기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이에 박규수는

철산부사 백낙연 등과 상의하여 화공(火攻) 및 포격을 가하여 셔먼호를 불태워 격침시

켰으며 토머스를 비롯한 전 승무원 23명이 소사하거나 익사하였다.

교수 자료 8

236

8- (2 ) 신미양요의 경과

미국은 1866년 8월 제너럴 셔먼호사건을 계기로 두 차례 탐문항행을 실시하면서

셔먼호사건에 대한 응징과 조선과의 통상 관계 수립을 목적으로 1871년 조선을

침략하였다. 주청전권공사 F.F.로우가 전권을 위임받고, 조선 원정을 명령받은 아

시아함대 사령관 J.로저스는 군함 5척, 함재대포 85문, 해군과 육전대원 총 1,230

명을 이끌고 5월 16일 일본의 나가사키항구를 출발하였다. 19일 남양만에 도착

한 미군은 뱃길을 탐사하면서 북상, 물치도를 본 함대의 정박지로 정하였다. 미군

은 조선에 탐측 승낙을 일방적으로 통고한 뒤 서울의 관문인 강화도 해협 수로의

측량과 정찰을 목적으로 두 척의 군함을 파견하였다. 당시 밖으로 강력한 쇄국 정

책을 실시하던 흥선 대원군은 미군의 불법 영해 침범을 경고하고 즉시 철수를 요

구하였다.

미군이 경고에도 불구하고 광성진으로 접근해오자 조선 군은 경고용 포격을 가

하였고 이에 미군은 일단 물러났다. 그러나 미군은 조선군의 경고용 사격을 빌미

로 삼아 오히려 조선 정부에 사과와 손해 배상을 요구하였다. 조선 정부가 이를

거부하자 미군은 6월 10일 포함 2척을 앞세우고 육전대원 644명을 강화도의 초

지진에 상륙시켜 무력으로 점령하고, 이어 덕진진·광성진을 차례로 점령하였다.

그러나 6월 11일의 광성진 전투에서 미군 역시 피해가 많아 이튿날 물치도로 철

수하였다. 미군은 이곳에서 조선 정부를 상대로 위협적인 외교적 수단으로 조선을 개

항시키려 하였으나, 흥선 대원군의 단호한 쇄국 정책과 조선 민중의 저항에 부딪

혀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결국 미국의 아시아함대는 조선에서 아무런 성과 없이

일본으로 철수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흥선 대원군은 서울의 종로와 전국 각지

에 척화비를 세워 쇄국 정책을 더욱 강화하였다.

237

8- (3 ) 신미양요 관련 사진 자료

◈ 이양선(미국 콜로라도호)(교과서 83쪽 상단 오른쪽) ◈ 광성보 전투 장면

◈ 초지진을 공격하는 미군(교과서 84쪽 하단 왼쪽)

◈ 신미양요 때의 격전지 광성보(포대)

(교과서 84쪽 하단 오른쪽)

◈ 어재연 장군

어재연 장군 : 1823년(순조 23)∼1871년(고종 8). 용인의 아들

로 조선 후기의 무장

병인양요 때 우선봉(右先鋒)으로 강화도 광성진을 수비하였고,

1871년 신미양요 때 순무중군으로 다시 광성진을 수비하다가 미국

군과의 교전에서 전사하였다. 병조판서 겸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

에 추증되었다.

238

척화비

9- ( 1) 척화비 건립

척화비

(교과서 85쪽 가운뎃단 왼쪽)

조선 고종 때 대원군이 양인을 배척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웠던 석비

길이 4자 5치, 너비 1자 5치, 두께 8치 5푼의 화강석

으로 1871년 건립되었다.

비석 표면에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

면 화친하자는 것이니, 화친을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것이

다라는 주문을 큰 글자로 새기고, 우리들의 만대자손에게

경계하노라. 병인 년에 짓고 신미 년에 세우다라고 작은

글자로 새겼다.

이 비는 1866년의 병인양요와 1871년의 신미양요를

치른 뒤 대원군이 쇄국의 결의를 굳히고 온 국민에게 외세

의 침입을 경계하기 위해 1871년 4월을 기해 서울을 비롯

하여 전국의 요소에 세운 것이다. 그러나 1882년 임오군란

으로 대원군이 청나라로 납치되어가고, 개국을 하게 되자

철거하거나 파묻어 버렸다.

9 - (2 ) 쇄국 정책(鎖國政策)

다른 나라와의 통상 및 교역을 허용하지 않는 외교 정책

조선 왕조는 외국과 왕성한 교역 통상을 전개한 고려와는 달리 건국 초부터 쇄국 정책

을 고수하여 중국과 일본 두 나라와 폐쇄적인 사대교린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조선조

말기에 이르러 구미 자본주의 나라들이 통상 무역을 요구해 오자 더욱 완강한 쇄국 정

책을 실시하였다. 이때 조선에서는 흥선 대원군이 위정 척사 사상에 의거하여 단호한

쇄국 정책으로 오래 자본주의 나라들의 침략을 저지하려 하였다.

이로부터 대원군은 집권의 첫 시기부터 청나라와의 사대적 외교 관계 이외의 모든 대

외 관계를 차단하였다. 대원군은 1866년(고종 3)에 천주교에 대한 탄압과 당시 우리

나라에 잠입한 프랑스 선교사를 처형한 사건으로 프랑스와 전쟁을 하였고, 1868년에

는 남연군묘 도굴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흥선 대원군의 쇄국 정책을 더욱 강화하

교수 자료 9

239

는 계기가 되었다. 잇따라 미국과의 신미양요가 있었다. 두 차례에 걸친 서양의 침략을

물리친 흥선 대원군은 서양과 교류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다지기 위해 전국 각지에 척

화비를 세우고 단호한 쇄국 정책을 천명하였다.

이 시기 조선이 당면한 역사적 과제는 외국의 선진 과학 기술을 섭취하여 나라의 부강

발전과 근대화를 실현시켜 외래 침략자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일이었으나, 대원군

은 이렇듯 중대한 민족적 과업을 인식하지 못하고 오로지 쇄국하는 길만이 봉건 왕조

를 수호하는 것으로 알고 완고하게 쇄국 정책에만 매달려 국제적 위기를 더욱 심화시

켰다.

신문 기사 농민 1만명 마늘 시위

경북 의성군 농민회 등 의성 지역 15개 농민단체로 구성된 의성 마늘 대책 협의회는

2일 오전 10시부터 의성역 광장에서 한·중 마늘 협상 백지화, 한·칠레 자유 무역

협정 저지, 쌀 수입 개방 반대를 위한 군민 총궐기 대회를 열고 정부의 마늘 정책을

집중 성토했다. 전국에서 참여한 1만여 명의 농민들은 이날 집회에서 마늘 농가 피해

전액을 보상하고 생산비 이상으로 전량 수매할 것과 무역위원회의 중국산 마늘에 대

한 세이프가드(긴급 수입 제한 조치) 연장 등을 요구했다. 농민들은 외교 통상부, 한·

중 마늘협상, 세계 무역 기구가 적힌 허수아비 화형식과 한·중 마늘 협상 전면 백지

화를 선언하는 결의문도 채택했다.

한 편 행사에 참석한 한나라당 정창화 의원은 농민들이 던진 둔기에 맞아 왼쪽 이마가

찢어져 인근 병원에서 11바늘을 꿰맸다.

<대한매일 2002년 8월 3일자 23면 기사>

교수 자료 10

240

가상 대담 활동 극본

가상 대담 활동 극본(예시 자료)

척화비를 세운 까닭

(9- 10/ 16)2002년 5월 일 6학년 반 이름

해설

♠ 가상 대담 : 새해 맞이 흥선 대원군 특별 대담

♠ 장 소 : 경복궁 근정전

♠ 등장 인물 : 흥선 대원군, 사회자, 기자1, 기자2, 기자3, 기자4

♠ 준 비 물 : 역할판 목걸이

사회자 : 새해를 맞이하여 흥선 대원군을 모시고 요즘 진행하고 계시는 개혁 정책에 대한 궁

금증을 여쭤보도록 하겠습니다. 특별히 시간을 내어주신 대원이 합하와 기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대원군 : 모든 백성들이 개혁 정책에 관심과 격려를 보내주니 그저 고마울 뿐이오.

사회자 : 질문 순서는 ○○일보 기자1, △△일보 기자2, ☆☆방송국 기자3, ◇◇방송국 기자

4 입니다.

기자 1 : 유생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원 정리를 끝까지 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대원군 : 백성을 해치는 자는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해도 용서치 않겠소. 오늘날의 서원

은 붕당의 소굴이 되었소. 막대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면세와 면역

의 특전을 누리고 있어 우리 경제를 어렵게 하고 있소. 나는 47개의 서원만 남기고

다 정리할 생각이오.

기자 1 : 백성들이 모두 박수를 보내고 있으니 용기를 잃지 마십시오.

기자 2 : 인재 등용은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대원군 : 당파, 서얼, 지역에 관계없이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있소.

기자 2 : 부패한 관리 대신 참신한 인재를 많이 뽑아 주신 것 또한 백성들의 바램입니다.

기자 3 : 지금 나라의 재정이 매우 어렵습니다. 해결 방법이 있습니까?

대원군 : 양반에게도 세금을 걷고 사치와 낭비를 엄하게 다스릴 것이오.

기자 4 : 이렇게 어려울 때 왜 경복궁을 중건하십니까?

대원군 : 땅에 떨어진 왕실의 권위를 세워야 합니다.

기자 4 : 경복궁 화재 이후 장안에는 경복궁타령이 불려지고 있습니다. 무리한 공사로 백성

들의 생활이 고달프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당백전의 발행은 돈의 가치를

혼란스럽게 합니다. 지금 중단하시는 것이....

대원군 : 무슨 소리요. 원납전과 성문세를 더 받아서라도 완공하겠소.

경복궁 공사장에나 가봐야겠소 그럼 이만.......

기자들 : 백성들의 원망소리를 듣지 못하고 고집을 부리시니 곧 물러날 것 같군요.

학습 자료 1

241

병인 ·신미양요 조사 학습지

병인양요·신미양요 조사 학습지

척화비를 세운 까닭 (9- 10/ 16) 2002년 5월 일 6학년 반 이름

♠ 병인양요의 원인, 경과, 결과를 정리해 봅시다.

원인

경과

결과

♠ 신미양요의 원인, 경과, 결과를 정리해 봅시다.

원인

경과

결과

♠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의 영향을 정리해 봅시다.

학습 자료 2

242

역할극 극본

역할극 극본 (견본)

척화비를 세운 까닭 (9- 10/ 16) 2002년 5월 일 6학년 반 이름

해설

♠ 조정 회의 주제 : 외세의 침략이 잦은 이 난국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시대적 배경 : 이양선의 출현이 잦던 조선 후기

♠ 등장인물 :오경석(183 1∼1879) - 중인 신분, 통역관으로 중국을 자주 방문함

이항로(1792∼1868) -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반 유학자,그의 제자 가운데 상당수가 훗날 항일 의병 활동에 나섬

최제우(1824∼1864) - 동학 창시자, 몰락한 양반 가문 출신

이규경 - 재야 학자

박규수(1807∼1876) - 실학자 박지원의 손자, 서양과의 통상을 주장함

흥선 대원군(1820∼1898) - 고종의 아버지, 막강한 권력을 행사함

사회자 : 큰일입니다. 요즘들어서이양선이자주우리해안에출현하여백성들을불안에떨게하고있습니

다. 우리와통상을하자는저들의요구에어떻게대처했으면좋을지여러분들의의견을듣고싶습

니다. 먼저, 오경석 통역관부터 이야기 해 보시지요.

오경석 : 지금은서양의침입에나라를지킬수있느냐없느냐를판가름하는중요한시기입니다. 외국과국

교를 맺고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 나라의 힘을 길러야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강하다고 생각했던

청나라도 외세의 압력에 힘을 잃고 문호를 개방하고 있지 않습니까! 외세를 막기 위해서는 서양

기술을 익혀 힘을 길러야 합니다.

이항로 : 그무슨소리요? 서양은침략자일따름이오. 무례하게구는것을보니우리가가까이할사람들이

못되오. 우리문화에대한자부심으로이들과당당히맞서야해요. 좀발전이늦다고서양것만받

아들이면 우리 전통 문화는 어떻게 되겠소. 먼저 백성들을 안정시켜야 하오.

최제우 : 맞소이다. 서양의침략으로나라가위기에빠지고있소. 서양과일본은우리땅을 욕심내고있소.

서양과맞서 싸워우리문화를 지켜나가고신분과 남녀차별을없애고 평등한 세상을 만드는것이

중요하오.

이규경 : 이보시오. 시대를바로읽어야합니다. 세계는변하고있어요. 서양과의교역은서로상대방에없는

것을보충하는의미이므로반대할만한것이아닙니다. 서양의앞선문물을우리것으로소화해야

합니다.

박규수 : 맞소이다. 이사람도중국을자주방문하는데, 세계는변하고있어요. 외국과적극적으로교류하여

자주적인 근대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대원군 : 서양은오랑캐일뿐이오. 저들과교류하는것은곧나라를파는것이오. 절대안됩니다. 쇄국정책

만이 우리의 길이오!

이규경 : 저들과관계를맺지못하면서양문물을받아들이지못하게되어국제적으로외톨이가될것이오.

대원군 :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은 나라의 힘이 강해진 다음에 해도 늦지 않아요. 난 척화비를 세워 쇄국을

알릴 것이오.

학습 자료 3

243

역할극 감상지

역할극 감상지

척화비를 세운 까닭

(9- 10/ 16)2002년 5월 일 6학년 반 이름

♠ 역할극을 보면서 두 가지 대립된 입장을 정리해 봅시다.

통상을 주장한 사람들 그들의 주장

통상을 반대한 사람들 그들의 주장

♠ 토론을 위하여 미리 생각해 봅시다.

흥선 대원군의 쇄국 정책에 대한 찬·반 의견과 그렇게 판단한 까닭을 적어 봅시다.

판단 찬성, 반대 (자신의 판단에 표하기)

까닭

토론에서

주장하고

싶은

의견

학습 자료 4

244

토론 예시 자료

토론 예시 자료

척화비를 세운 까닭

(9- 10/ 16)2002년 5월 일 6학년 반 이름

♠ 토론주제 : 흥선 대원군의 쇄국 정책은 옳은 판단이었나?♠ 사 회 자 : 선생님

♠ 좌석배치 : 쇄국 정책 찬성팀과 반대팀으로 나누어 마주 보고 앉는다.♠ 준 비 물 : 학습자료 4번 역할극 감상지, 필기구

♠ 쇄국 정책에 대한 토론자들의 주장 예문

찬 : 만약 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펴지 않았다면 서양인들이 순진한 우리 나라 사람들을 속여서

우리 나라의 자원을 싼 값에 사가고 그 대신 비싼 값으로 공장에서 만든 서양의 편리한 물

건들을 우리 나라에 팔았을 것이다. 그렇게 되었다면 우리 나라는 서양에 많은 빚을 지게

되어 나라를 빼앗겼을 것이다.

반 : 그러나 꼭 그렇게만 생각할 수 없다. 우리 나라에서 문화를 배워갔던 일본은 미국과 수교하

여 서양 문화를 받아들여 순식간에 우리 나라를 앞질렀고 결국 우리 나라를 빼앗아 갔다.대원군이 일본처럼 서양과 통상을 했더라면 우리도 일본처럼 잘사는 나라가 될 수 있었다.

찬 : 대원군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막강한 서양의 군대를 물리쳤다. 우리 자존심을 지킨 사

람이다. 좀 더 시간이 주어졌더라면 우리의 힘을 더욱 키워서 잘 살 수도 있었을 것이므로

잘못된 정책이라고 볼 수 없다.

반 : 우리의 자존심을 지켜준 것은 좋았으나 대원군은 독불장군이었다. 그가 물러난 뒤 곧 나라

의 문을 열고 나라가 중심을 잃게 되어 결국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겼다. 쇄국하지 않고 좀

더 일찍 문을 열었더라면,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도 귀를 기울였더라면 좋았을 것이다.

찬 :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것은 꼭 대원군의 쇄국 정책 탓만은 아니다. 대원군이 물러나지 않

고 좀 더 오래 정권을 잡았더라면 우리 나라의 힘을 더 강하게 만들어서 일본을 무찔렀을

것이다.

반 :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좀 억지스럽다. 앞선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당연하다. 대원군은 자

기 생각이 다 옳다고 여긴 것이 잘못이다. 정보를 정확히 파악했다면 쇄국 정책을 쓰지 않

았을 것이다.

학습 자료 5

245

마인드 맵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6학년 반 이름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대한제국을

선포한 뜻은

척화비를 세운

까닭

조선, 어디로

가는가

♠ 제 2주제의 학습 정리용 자료입니다. 배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여 봅시다.

학습 자료 6

246

마인드 맵 예시 자료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6학년 반 이름

척화비를 세운 까닭

조선, 어디로 가는가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학습 자료 7

247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11/16차시)

수업시기

5월 11주 일련번호 6학년 2-(2)- -11차시

단원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차시11/

16

사회교과서 86-88

사회과탐구 91-93

사회과부도

학습목표

강화도 조약이 불평등 조약인 까닭을 설명하고, 갑신정변에 대하여 조사 하고그 특징과

문제점을 말할 수 있다.

연표

1830 1840 1850 1860 1870 1880 1890 1900

운 강

요 화

호 도

사 조

건 약

학 갑

농 오

민 개

운 혁

단계주요

학습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도입

흥미유발

-자신의 의지를 간단한 계약의 형

태로 약속한 경험 이야기하기

-국가간의 약속을 무엇이라고 할까

학습목표

제시

강화도 조약과 그 후의 개화 정책

에 대하여 알아보자

전개

강화도조약 조사학습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과정을

조사하기

1. 강화도 조약

의 내용

1.학습지

-강화도 조약의 항목 중에 불평등

조항 찾아서 적고 왜 불평등한 조

약인지 발표하기

조약 TP 자료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 정부에서

행한 근대화의 노력 조사하기

2. 조선 정부의

근대화 노력

별기군, 수신

사, 영선사갑신정변 조사학습 -갑신정변이 발생한 원인, 중심 인

물, 개혁안 내용 알아보기

-학습지에 질문과 대답 적기

-짝지와 한 모둠이 되어 가상 대담

을 해 봅시다.

3 . 갑신정변의

원인, 경과, 결과

중심인물

갑신정변

3 - ( 3 ) . 개혁안

TP 자료

대담활동

예시 자료

정리

학습 정리-강화도 조약의 문제점, 갑신정변의

원인, 경과, 결과 정리하기

2. 마인드 맵

다음 차시

예고

-다음 시간에는 동학 농민 운동

과 갑오개혁에 대하여 공부합니다.

248

강화도 조약

1- ( 1) 강화도 조약

고종 13년( 1876년) 2월 강화부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병자수호조

약이라고도 함

가.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과정

흥선 대원군 집권 시점부터 일본은 통상을 요구해 왔다. 외국과의 통상으로 나라를 발

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일부 있었지만 조선 정부는 일본의 태도가 거만하다는 이유

로 거절하였다.

한편, 서구 제국주의 세력은 이양선을 앞세워 1860년대부터 우리 나라에 나타나기 시

작했다. 1866년에는 프랑스 함대가, 1871년에는 미국 함대가 강화도를 무력 침공하

면서 개항을 요구해 왔다. 또, 군함 운요호를 앞세운 일본도 1875년 강화 해협에 불법

침입하여 포격을 가하고 살육, 방화, 약탈을 자행하였다. 이듬해인 1876년 일본은 다

시 군함 6척을 이끌고, 부산 앞 바다에서 무력 시위를 한 후, 강화도에 나타나 수호

조약 체결을 강요하였다.

이 무렵 조선에는 여전히 통상, 수교를 거부하는 세력이 컸으나, 한편으로는 개항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세력이 형성되어 있었다. 결국 정부는 개화 세력의 의견을 받아들

여 일본과 수교할 것을 결정하고 신헌을 대표로 파견하여 조약을 체결하였다(1876년).

나. 강화도 조약의 내용과 성격

전문 12개 조로 된 강화도 조약은 제1조에서 조선은 자주 국가임을 명시한 뒤, 부산

외에 두 항구(인천, 원산)를 개방하여 통상을 허용할 것, 일본인의 치외 법권을 인정할

것, 조선에서 일본 화폐를 통용시키고 관세를 없앨 것, 일본의 조선 해안 측량을 허용

할 것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조약의 내용을 살펴보면 일본의 권리만 규정하고 조약의 유효 기간 및 폐기에 관한

조항이 없어 일본이 무기한 존속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조약 제1조는 조선의

자주권을 거론하고 있지만, 이것은 조선과 청국 간의 전통적인 관계를 끊음으로써 조

선을 마음대로 다루겠다는 속셈에서 비롯된 것이다. 개항장에서 일본 화폐 유통권과

수출입 상품에 대한 무관세를 명문화한 것은 일본의 경제 침략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

교수 자료 1

249

로 볼 수 있다. 즉, 국내 시장을 보호하고 재정 수입을 활보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인

관세권을 잃은 것이며, 일본 화폐의 유통을 허락한 것은 조선의 조폐 주권을 제약하고

금융 침투를 쉽게 획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일본의 치외 법권 인정은 조선의 사법권 행사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이며, 해

안 측량권은 일본이 유사시 군사 작전 때 조선 해안에서 아무 제지도 받지 않고 상륙

지점을 정탐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일본의 무력 시위와 조선 정부의 준비 부족으로 맺어진 강화도 조약은 조선으로서는

최초로 외국과 맺은 근대적 조약이었으나, 일본의 침략 의도가 담긴 불평등 조약이었

다.

다.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의 변화

강화도 조약은 단순한 통상 교역의 경제적 목적을 넘어 정치·군사적 거점을 마련하

려는 일본의 침략 의도가 그대로 드러나고, 주권 침해를 자행한 것이다. 또, 조선에 대

한 일본의 경제적 침략이 용이하게 되었고 조선은 국내 산업에 대한 보호 조치를 거의

취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의 생활은 급속도로 악화될 수밖에 없었다.

250

1- (2 ) 교과서 사진 자료

◈ 강화도 앞 바다에 떠 있는 일본 군함 (교과서 86쪽 상단 왼쪽)

강화도 앞바다의 일본 함대

군함 운요호를 앞세운 일본은 군함 6척을 이끌고, 부산 앞 바다에서 무력 시위를 한후 강화도에 나타나 수호 조약 체결을 강요

하였다.

◈ 강화도 조약 체결 (교과서 86쪽 하단)

강화도 조약 체결 시의 책임자들·대관 판중추부사 신헌·부관 도총부 부총관 윤자승·일본국 특명 전권 변리대신 육군중장

구로다 기요타카

·일본국 특명 부전권 변리대신 의관

이노우에 가오루

◈ 초지진 (교과서 86쪽 상단 오른쪽)

강화도 초지리에 해안선을 지키기 위해

설치한 진으로 사적 제 2 55호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대와 싸웠으며, 1871년 신미양요 때에는 미국함대와 싸웠으며, 1875년에는 일본 군함운요호와도 이 곳에서 교전하였다

◈ 189 8년 프랑스에서 발간된 책의 표지 (교과서 87쪽 상단 오른쪽)

책의 제목은 한국, 독립이냐? 러시아 또는 일본의 손에 넘어갈 것이냐?

이 책의 저자 사진을 게재한 빌타르 드 라게리는 청일

전쟁(1894∼1895)때 종군 특파원으로 극동에 파견되었던인물이다. 전쟁이 막바지에 이른 무렵 1895년 3월경 제물포항을 거쳐 조선으로 들어와 2년 가까이 조선에 머문 것으로알려져 있다. 체류 기간 동안 기자는 자신이 보고 겪은 한

국의 상황을 정리해 1898년 책으로 발간했다.

<http:/ / www.kimspia.com.ne.kr>

251

1- (3 ) 강화도 조약 내용 TP 자료

강화도 조약 내용

제1조 조선은 자주국이므로 일본과 함께 평등권을 가지며, 반드시 동등한 예로 상

대한다.

제2조 조선과 일본 두 나라는 15개월 뒤에 사절을 교환하며, 사신은 각국의 수도에 머

물며 협상과 논의로 사무를 처리한다.

제3조 두 나라 사이에 주고받는 공문서는, 일본은 일본어로 쓰되 10년 동안은 한문으

로 번역한 것을 첨부하고, 조선은 한문으로 쓴다.

제4조 조선은 부산에 일본 공사관을 세우고, 거기에 두 나라 백성의 통상 지구를 설치

한다.

제5조 2 0개월 이내에 조선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 등 5도 중에

서 편리한 곳 두 곳에 항구를 연다.

제6조 일본 배가 조선의 앞바다에서 조난 당하거나 식량이 떨어지면 가까운 항구에서

도와주어야 한다. 단 그 비용은 선주가 부담한다.

제7조 조선 앞바다의 지도를 제작하여 두 나라의 배가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게

한다.

제8조 일본은 조선이 지정한 항구에 일본 상인의 관계관을 파견하여 관리하게 한다.

제9조 두 나라 상인은 자유롭게 무역을 하며, 관리들은 이에 간섭하지 않는다.

제10조 범죄자는 각각 그 나라의 법에 따라 조선에 있는 지정된 개항구에서 처벌

한다.

제11조 두 나라 상인의 편리를 위해 따로이 자세한 조항을 만든다.

제12조 앞의 11개의 조항은 두 나라가 서로 믿고 지킨다.

※ 아동들 중에는 사회과 탐구에 제시되어진 조약의 내용 이외의 것을 궁금하게 생각하는 아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교과서 이외의 내용도 참고로 제시하였습니다.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은 진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252

1- (4 ) 강화도 조약의 불평등한 조항 설명 TP 자료

강화도 조약의 대표적인 불평등한 조항과 일본의 의도

제1조 조선은 자주국이므로 일본과 함께 평등권을 가지며, 반드시 동등한 예로 상대

한다.

☞ 조선과 청나라간의 전통적인 관계를 끊음으로써 조선을 마음대로 다루겠다는 속셈

제5조 2 0개월 이내에 조선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 등 5도 중에

서 편리한 곳 두 곳에 항구를 연다.

☞ 원산과 인천을 개항하게 함으로써통상 업무 이외에 정치적, 군사적으로 침략할 속셈

예 : 일본은 조선의 남해, 서해, 동해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바다를 통해 침략장소를

확보하고 일본인을 침투시키게 된다.

제7조 조선 앞바다의 지도를 제작하여 두 나라의 배가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게

한다.

☞ 조선 연안 측량권은 일본이 유사시 군사 작전 때 조선 해안에 아무런 제지도 받지

않고 상륙 지점을 정탐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속셈

예 : 일본이 조선에 측량을 한다는 핑계로 군사훈련을 해도 조선을 공격하려는 순간에

도 이를 막을 방법이 없어지게 된다.

제10조 범죄자는 각각 그 나라의 법에 따라 조선에 있는 지정된 개항구에서 처벌

한다.

☞ 일본의 치외 법권을 인정함으로써 조선의 사법권 행사를 원천적으로 봉쇄 할 속셈

예 : 일본인이 조선에서 어떠한 불법적인 짓을 해도 조선의 법에 따라 처벌받지 않기

때문에 일본인을 처벌할 수 없게 된다.

♠ 강화도 조약에는 주로 일본인의 권리만 나타나 있고 조선인의 권리는 나타나 있지

않다. 더욱이, 조약의 효력이 언제까지인지, 또 조약을 무효화할 수 있는 경우는 어

떤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없다.

※ 아동들이 강화도 조약의 내용만으로는 불평등한 조항을 찾아내기 어려우므로 예시를 제시하면서 쉽게

접근하도록 하였습니다.

253

조선 정부의 근대화 노력

2- ( 1) 수신사

개항 이후 일본에 파견한 외교 사절

1876년 강화도 조약 이전까지 일본에 파견한 사절인 통신사를 근대적 의미에서 고쳐

부른 것이다. 통신사가 주는 입장에서의 외교 사절이라면, 수신사는 받는 입장에서의

외교사절이라고 할 수 있다.

흥선 대원군의 쇄국 정책으로 단절되었던 일본과의 외교 관계가 강화도 조약으로 재

개되면서 일본은 초대 외교의 형식을 취하여 조선에 사신의 파견을 요청하여 조선 정

부는 예조 참의 김기수를 대표로 한 수신사를 파견하였다. 수신사 일행 76명은 약 2개

월 간 일본에 머무르면서 일본의 여러 기관과 육·해군의 군사 시설, 훈련 상황, 박물

관·소방훈련 등 일본이 자랑하는 근대화된 모든 시설을 관람하였다.

이후 조선 정부는 일본측의 기만적 술책에 의해서 개항 이후 강제되어 온 무관세 무역

의 개정을 위해, 그리고 일본 상인들의 미곡 남출(米穀 濫出)을 금지하는 방곡, 인천

개항 요구와 관련된 대안 등을 마련하고 일본의 물정을 탐색하기 위하여 1880년에 제

2차 수신사로 김홍집을 파견하였다.

이러한 일본에 의한 수신사 초대 외교는 조선 정부에게는 세계 정세나 근대 문물을 배

우는 계기가 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이를 통해 조선의 봉건 지배층을 자기편으로 끌어

들여 권력기구의 일부를 친일파로 만들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다.

<교사용 지도서 182쪽>

`*미곡 남출 : 쌀과 곡식을 퍼 나가는 일

2 - (2) 영선사

조선 말기 청나라에 파견된 사절

고종 18년(1881) 청나라 신식 병기의 제조·사용법을 배우기 위해 유학생을 파견할

때 그들을 인솔한 사신을 영선사라 하고 김윤식을 영선사로 정하였다. 영선사는 유학

생의 인솔과 미국과의 조약 체결을 위한 사전 교섭의 임무를 띠었다. 파견된 유학생은

학도와 공장으로 구분되었는데, 총 38명 가운데 학도는 20명, 공장은 18명이었다. 이

들은 톈진에 있는 병기 공장에 흩어져서 교육을 받았다. 학도는 화학·전기·제도·

교수 자료 2

254

외국어 등 이론적인 것을 배웠고, 공장은 제련·기계조작과 기계모형의 제조 등을 배

웠다. 그러나 유학생들의 중도 귀국과 경비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1882년 임

오군란이 일어나자 교육을 중단하고 귀국하였다. 이들의 영향으로 1883년 한국 최초

의 기기창이 서울 삼청동에 설치되었다.

* 기기창 : 무기 제조 공장

2- (3 ) 별기군

신식 군대 별기군

(교과서 87쪽 하단 왼쪽)

조선 후기에 두었던 신식 군대

1881년 5월 신체 강건한 80명의 지원자를 특선하여 이들을 무위영에 소속케 하고,

그 이름을 별기군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중앙에 최초로 창설된 신식 군대였다. 교관으

로는 서울주재 일본 공사관 소속 공병소위 호리모토레이조를 초빙하였고, 다케다를 통

역관으로 하여 가르쳤다. 당시 교련소 당상에는 민영익을, 정령관에 한성근, 좌부령관

에 윤웅렬 우부령관에 김노완, 참령관에 우범선을 각각 임명하였다.

훈련은 그 해 5월 9일부터 서대문 밖 모화관을 가교장으로 했다가 뒤에 현재 서울 사

대부고 자리인 하도감으로 옮겨 훈련하였다. 이들 별기군은 급료나 피복 지급 등 모든

대우가 구식 군대보다 월등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은 이들을 왜별기라고 꼬집었으며,

이러한 차별 대우는 1882년에 일어난 임오군란 유발 요인의 하나가 되었다. 임오군란

이후 폐지되었다.

*무위영 : 조선 후기 궁궐의 경비를 맡은 관청

*당 상 : 조선시대 관리 중에서 문신은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무신은 정3품 절충장 군(折衝

將軍) 이상의 품계를 가진 자

*하도감 : 조선말엽 군사 훈련장

255

갑신정변에 대한 자료

김옥균을 중심으로 한 개화당이 자주적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해 일으킨 정변

3- ( 1) 갑신정변의 배경, 경과, 결과, 의의

가. 배경:조선에서 청의 세력을 축출하려는 일본은 민씨 정권과 대립하던 급진 개화파에

게 접근하기 시작하였다. 청나라의 조선 내정 간섭에 불만을 가진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

재필 등젊은 개화파들이 청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 근대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근대 국

가를 빨리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이를 위해서 비상수단을 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나. 경과: 1884년 12월 새로 설치된 우정국 개설 축하연을 계기로 급진 개화파들이 왕조

의 내정을 개혁하려고 사대당의 중심 인물인 민씨 일파를 살해하고 일본의 힘을 빌어 새 정권

을 잡고 새 내각을 조직하였다. 14개조로 된 개혁안을 선포하였으나 청나라의 개입으로 사흘

만에 실패하고 그 중심 인물들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다. 결과:이 정변의 실패로 인하여 김옥균 등은 일본에 망명하였으며, 개화당과 반대되는

수구당은 더욱 보수화하고 청나라의 세력은 더욱 강해지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과 일본간에는

정변의 뒤처리를 위한 한성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청나라와 일본간에는 톈진 조약이 체결되어

다시 조선은 청나라와 일본의 세력 다툼장이 되었다.

라. 의의와 한계:삼일 천하로 끝난 갑신정변은 개화파가 위로부터 시도한 최초의 개혁 운

동이었다. 신정강에서 구체화된 개화파의 개혁 구상은 정치면에서 대외적으로 청나라와 종속

관계를 청산하려 하였고 대내적으로 조선 왕조의 전제주의 정치 체제를 입헌군주제로 바꾸려

한 정치 개혁이었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직접적인 원인은 청군의 간섭 때문이었다. 그 외에 정변 자체가 민중에

뿌리박지 못한 개화파의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는 점도 한 몫을 하였다. 정권 탈취와 개혁에

일본을 이용하려던 그들의 주관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침략자를 원조자로 끌어들이게 되었고,

결국 일본의 배반으로 정변을 실패로 이끈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은 이러

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나라의 부국강병을 위한 근대적인 국가와 사회건설을 목표로 하는 것이

었고, 단계적으로나마 국민 주권주의를 지향한 최초의 정치 개혁 운동이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교수 자료 3

256

3 - (2) 갑신정변의 중심 인물 및 우정총국 사진 자료

◈ 김옥균 (교과서 88쪽 상단 왼쪽)

조선 시대 말기의 개혁 정치가로 개화파의 기수( 185 1∼1894)박규수·유대치·오경석 등의 영향으로 개화 사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특히

1881년에 일본을 시찰하고, 다음해 다시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다.신축한 우정국 청사의 낙성연을 계기로 거사를 감행하여 한규직 등 수구파를

제거하고 정변을 일으켰다. 새 내각의호조참판으로 국가 재정의 실권을 잡았으

나 갑신정변이 삼일천하로 끝나자 일본으로 망명, 10년간 일본 각지를 방랑한

후 1894년 상하이로 건너갔다가 프랑스 유학생 홍종우에게 살해되었다

◈ 서재필

조선 시대 말기의 정치가이자 독립 운동가( 1860∼195 1)김옥균, 홍영식, 서광범등과갑신정변을일으켜병조참판겸정령관이되었으

나 정변의 실패로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이상재, 이승만, 윤치호 등

과독립협회를결성하고모화관을인수, 개축하여독립회관으로하였고영은문

을헐고그자리에독립문을세웠으나수구파와일부외국인의책동으로출국이

강요되어 미국으로 되돌아갔다. 1951년 미국에서 사망.

◈ 박영효조선 시대 말기의 개혁 정치가(186 1∼1939)13세 때 철종의 딸 영혜 옹주와 결혼하여 금릉위가 되었다. 갑신정변을 일으

켜신내각이조직될때친군전후영사겸좌포장이되어군사와경찰의실권을장

악했으나 삼일천하로 그쳐, 역적으로 몰려 일본으로 망명하였다.국권 피탈 이후 일제의 한국인 회유 정책으로 주어진 후작을 받았으며 1918

년에조선식산은행이사에취임, 1920년동아일보사초대사장, 1926년중추원

의장, 1932년 일본 귀족원 의원을 지냈으며, 1939년 중추원 부의장에 있을 때

죽었다.

◈ 우정총국 (교과서 88쪽 하단 왼쪽)

사적 제 2 13호

이건물은조선고종 21년(1884)에홍영식이우리나라

재래의 역전법을 고쳐 우편제도를 근대화하는 방안으로

1884년 3월에 우정국을 설치하고 총판에 취임했으나, 개

국식날 갑신정변이발생했다. 이터는 근대식 우편 제도를

시작한 장소보다는 개화파가 사대파를 공격하여 혁명을

일으킨 장소라는 측면에 역사적 가치가 높다.<http:/ / www.metro.seoul.kr>

257

3- (3 ) 갑신정변의 개혁안 TP 자료

갑신정변 개혁안

1. 대원군을 조속히 귀국시키고 청에 대한 조공 허례를 폐지할것

2 . 문벌을 폐지하고 백성의 평등권을 제정하여 재능에 따라 인재를 등용할 것

3. 전국의 지조법을 개혁하고 간리를 근절하며 빈민을 구제하고 국가 재정을 충실히

할 것

4. 내시부를 폐지하고 재능 있는 자만을 등용할 것

5. 전후 간리와 탐관 오리 가운데 현저한 자를 처벌할 것

6. 각도의 환상미는 영구히 면제할 것

7. 규장각을 폐지할 것

8. 시급히 순사를 설치하여 도적을 방지할 것

9. 혜상공국을 폐지할 것

10. 전후의 시기에 유배 또는 금고된 죄인을 다시 조사하여 석방시킬 것

11. 4영을 합하여 1영으로 하고 영 가운데서 장정을 뽑아 근위대를 급히 설치할 것, 육

군 대장은 왕세자로 할 것

12. 일체의 국가 재정은 호조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재정 관청은 금지할 것

13. 대신과 참찬은 날을 정하여 의정부에서 회의하고 정령을

의정·집행할 것

14. 정부 6조 외에 불필요한 관청을 폐지하고 대신과 참찬으로

하여금 이것을 심의 처리하도록 할 것

*조공 : 중국에 정기적으로 사절을 보내 예물을 바치는 일

*지조법 : 토지에 세금을 물리는 법

*환상미 : 나라에서 흉년에 백성에게 빌려준 쌀

*간리 : 간사한 관리

*혜상공국 : 보부상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

*참찬 : 조선시대 의정부 소속의 정2품 관직

*정령 : 정치상의 명령이나 법령

※ 진한 부분은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258

3 - (4 ) 가상 대담 활동 예시 자료

기 자 : 이렇게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대단히 고맙습니다.

김옥균 : 이렇게 어린 당신이 나에게 관심을 가져 주다니 고마울 따 름이요. 최선을 다해

대답하도록 하겠소.

기 자 : 일본에는 어떻게 가게 되었습니까?

김옥균 : 나는 1881년 일본을 시찰하고 다음해엔 수신사 박영효 일행의 고문으로 일본을

다녀오게 되었소.

기 자 : 일본에서 무엇을 보고 느꼈습니까?

김옥균 : 일본의 발전된 모습을 보고 아주 놀랐소. 우리 조선도 일본 과 같이 발전하려면

일본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꼈소.

기 자 : 그렇다면 정변을 일으킬 생각을 일본을 다녀오면서부터 하고 계셨겠군요.

김옥균 : 그 전에도 생각하고 있었소만 일본을 다녀오면서 확실하게 하게 되었소.

기 자 : 그런데 왜 정변을 일으킬 생각을 하였습니까?

김옥균 : 조정의 개화 정책이 청나라의 간섭을 받고 있으며 소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었기

때문이요. 우리는 하루빨리 자주적으로 개화해야 했소.

기 자 : 선생님께서 주장하신 개혁안을 보면 모두 바람직한 내용이었는데 왜 실패하게

되었습니까?

김옥균 : 그것은 부끄러운 일이요만, 청나라가 개입을 했기 때문이요. 그리고 일반 백성들

이 정변에 관심이 없었고, 일본을 너무 믿었던 게 큰 실수였소.

기 자 : 대단히 죄송합니다만 어떻게 돌아가시게 되었습니까?

김옥균 : 일본으로 망명하여 상하이에 있을 때 홍종우라는 자객에 의해 죽게 되었소. 정말

잘 할 수 있었는데 억울하오.

기 자 : 마지막으로 특별히 하실 말씀이라도 계십니까?

김옥균 : 모든 일에는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하고, 일을 할 때는 남 의 힘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요.

※ 교과서 88쪽에 김옥균과의 가상 대담이 예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 자료는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세 가지의 질문 이외의 것을 참고로 제시한 것입니다. 김옥균의 입장에서 아동들의 다양한 질문과

대답이 나올 수 있도록 예시 자료를 참고하시어 지도하시기 바랍니다.

259

학습지

사회과 학습지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11/ 16)

- 강화도 조약과 그 후의 개화 정책 -6학년 반 이름 :

1. 강화도 조약의 원인이 된 사건을 간단히 요약해 보세요.

2. 강화도 조약에서 우리에게 불리한 조항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적어 보세요.

3. 여러분이 강화도 조약 회담의 대표라면 위의 불리한 조항을 어떻게 고치고 싶은지 적어

보세요.

4. 갑신정변의 주요 인물을 적어 보세요.

5. 여러분이 기자가 되어 갑신정변의 주역인 김옥균에게 질문해 봅시다. 그리고 여러분이

김옥균이라고 생각하고 대답해 봅시다.질문:

대답:

질문:

대답:

학습 자료 1

260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11/ 16) 6학년 반 이름 :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갑신정변

갑오개혁동학농민운동

강화도 조약

학습 자료 2

261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12/16차시)

수업시기

5월 11주 일련번호 6학년 2-(2)- -12차시

단원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차시12/

16

사회교과서 89-91

사회과탐구 94-95

사회과부도 68학습목표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의 개혁 내용을 제시하고 역사적 의의를 말할 수있다.

연표

1830 1840 1850 1860 1870 1880 1890 1900

이양선출몰

고종즉위

서원정리시작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 강요 화호 도사 조건 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 갑농 오민 개운 혁동

을미사변

대한제국성립

단계주요학습

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도입

흥미유발 -우리가 다니고 있는 학교는 언제

생겼을까요?학습 문제

제시

-개혁을 바라는 사람들은 개혁 을

이루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

였는지 알아보기

전개

동학 농민

운동

조사학습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 원인 조

사하기

-개혁안 내용 조사하기

-중심 인물 알아보기

-동학 농민 운동의 결과 조사 하기

-동학 농민 운동의 의의 발표 하기

1.동학 농민 운

동의 원인, 경과,결과

전봉준 사진

폐정개혁안

TP 자료

1 . 조사학습

갑오개혁 조사학습 -갑오개혁을 실시한 배경 조사하기

-개혁의 내용 조사하기

-갑오개혁으로 인해 바뀐 생활 모습

이야기하기

-갑오개혁의 의의 발표하기

2.갑오개혁의 배

경, 내용, 의의

김홍집 사진

홍범 14조TP 자료

정리

학습 정리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의 배

경, 내용, 의의에 대해 정리 하기

-공통점과 차이점 발표하기

11차시

마인드 맵

다음 차시

예고

-다음 시간에는 독립협회와 재 한

제국의 개혁 정책에 대하여 공부

합시다.

262

동학 농민 운동

1894년(고종 3 1) 전라도 고부군에서 시작된 동학계 농민의 혁명 운동으로 갑오 농민

전쟁이라고도 함

1- ( 1) 동학 농민 운동의 배경, 경과, 결과, 의의

가. 배경

직접적인 계기는 1892년 5월 고부 군수로 부임한 조병갑이 농민들로부터 무리한 세

미를 거둬들이고, 백성들에게 무고한 죄명을 씌워 2만 냥이 넘는 돈을 수탈하는 등 온

갖 학정에 농민을 중심으로 한 고부 군민은 동학의 고부 접주로 있는 녹두 장군 전봉준

을 선두로 마침내 울분을 터뜨렸다.

나. 동학 농민 운동의 경과

1892년 1893년 1894년

10월 11월 12월 4월 5월 6월 7월 11월

공주집회

제1차교조신원운동

삼례집회

제 2차교조신원운동

보은집회

정치운동으로발전

고부군수조병갑의횡포

동학농민군봉기

황토현전투승리

전주성점령

청군, 일본군상륙⇒정부와 동학 농민군 휴전,동학 농민군해산함⇒집강소 설치하고 실시함

청일전쟁이일어나고일본군 승리⇒일본군 궁궐침입 및정부의개혁 약속불이행⇒(음)9월, 동학농민군 재봉기

공주 우금치전투에서동학농민군대패함⇒(음)12월,순창에서전봉준 체포⇒동학 농민운동 진압

교수 자료 1

263

다. 동학 농민 운동의 결과

중심지방 지도인물 내 용 결 과

제1차봉기

전라도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

반봉건 투쟁

관군과 타협하여 휴전

집강소 설치하고

폐정개혁안 실시

청일 전쟁 유발

제2차봉기

전라도

충청도

위 인물과

최시형

손병희

항일 구국 전쟁

일본군과 관군에게

패배함

대원군 재등장

갑오개혁 실시

라. 의의

농민층의 사회 경제적 요구를 선명하게 부각시킨 것이었고, 외세의 침략에 대항 한 귀중

한 경험이었다. 갑오개혁을 단행하게 하는 원천이 되었고, 반일 의병 운동 등에도 참가하여 반

봉건·반침략 운동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논술학습만화 한국의 역사 13-근대 사회의 전개- , 서울 : 대산 출판사>

264

1- (2) 동학 농민 운동 관련 사진 자료

◈ 동학 농민 운동 기념탑 (교과서 89쪽 상단 오른쪽)

전라북도 정읍시 황토재 마루에 위치( 1963년 건립)제폭구민, 보국안민이란 농민군이 내걸었던 구호를 새겨놓은 최초의

기념탑인데, 뒷면에는 '새야 새야 파랑새야'라는 노래와 함께 '가보세 가보

세 을미적 을미적 병신되면 못가보리'라는 노래가 새겨져 있다.

<http:/ / www.jeongeup.go.kr/ culture/ >

◈ 전봉준

조선 말기 동학 운동의 지도자( 1854∼1895)몸이 왜소하여 흔히 녹두라 불렸으며, 뒷날 녹두장군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부친이 민란의 주모자로 처형당하자, 동학에 입교하여 고부 접주가 되었다.1892년 고부 군수로 임명된 조병갑이많은 세금과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는 것을 보고 시정을 요구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동지들을 규합하여 1894년동학 농민군을이끌고 봉기하였다.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군은 전주를 점령하는등 크게 세력을 떨쳤다. 그러나 일본군과 연합한 정부군의 반격으로 우금치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전봉준은 정읍에 피신하였다가 순창에서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

◈ 최시형

동학의 2대 교주(1827∼1898)1894년고부접주전봉준이주도한 동학 농민 운동에북접산하동학

도를 궐기시켜 호응했으며, 9월전봉준이 일본군상륙과 정부의 요구 조건 불이행을 이유로 재궐기하자, 북접 각지의 접주들에게 총궐기를 명하여 10만여명의병력을인솔하고논산에서남접군과합세했다. 관군·일본군과의공주싸움에서참패하고또장수등지에서연패하여피신했다가1898년 원주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처형되었다.

◈ 손병희

조선 말기 독립 운동가(186 1∼1922)이자 천도교 제3대 교주1882년(고종 19) 동학에 입교, 최시형의 수제자로 수도했다.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때 통령으로서 북접의 동학군을 이끌고 남접

의전봉준과 논산에서합세하여호남 호서지방을석권하고관군을격파했으나 일본군의 개입으로 실패하자 원산 강계 등지로 은신했다. 1906년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제3대 교주에 취임하여 교세를 확장하였고, 1919년 민족대표 33인의 대표로 3·1운동을 주도한 관계로 체포되어 3년형을선고받고복역하다가, 다음해병보석으로출감하여상춘원에서 죽었다.

265

1- (3) 전봉준의 시, 파랑새야, 유언, 농민군 노래

처형되기 직전에 쓴 전봉준의 시

때가 이르러서는 천지와 함께 했으나,

운이 가니 영웅도 스스로 꾀할 바 없다.

백성을 사랑한 정의에 내 잘못은 없노라.

나라를 사랑한 붉은 마음 누가 알아주겠나.

<사회과 탐구 94쪽>

파랑새야 노랫말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 밭에 앉지 마라.

녹두 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 녹두처럼체구가작아서녹두장군 이라는

별명이붙었으며, 이노래 에서녹두 밭

과 녹두 꽃은 전봉준을 상징

<사회과 탐구 94쪽>

유 언

종로 네거리에서 목을 베어 오고가는 사람들에게 내 피를 뿌려주라.

* 죽어서도 자신의 결연한 자세를 나타내겠다는 의지

동학 농민군의 노래

가보(갑오)세 가보세

을미적 을미적

병신 되면 못 간다

* 가보세 는농민군봉기현장으로모이라는호소지만 갑

오 년이라는 시점과 묘하게 소리가 일치되고, 을미적

역시 주춤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과 을미 년을 동시

에 표현하고 있다.

갑오 년에 끝장내지 못하면 다시 기회가 오기 힘들다는

경고 메시지를 담고 있다.

266

1- (4 ) 동학 교도들이 주장한 폐정 개혁안 TP 자료

동학 교도들이 주장한 폐정 개혁안

1. 동학교도와 정부와의 숙원을 없애고 공동으로 서정(庶政)에

협력할 것

2 . 탐관오리의 죄상을 자세히 조사 처리할 것

3. 횡포한 부호(부자)를 엄중히 처벌할 것

4. 불량한 유림과 양반을 징벌할 것

5 . 노비 문서를 불태울 것

6 . 칠반천인(천민)의 대우를 개선하고 백정의 머리에 쓰게 한

평양립(패랭이의 일종)을 폐지할 것

7. 청상과부의 재혼을 허가할 것

8 . 무명의 잡부금을 일절 폐지할 것

9. 관리 채용에 있어 지벌(地閥)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할 것

10 . 일본과 상통하는 자를 엄벌할 것

11. 공사채(公私債)를 막론하고 기왕의 것은 모두 면제할 것

12. 토지는 균등하게 분작(分作)하게 할 것

* 서정 : 온갖 정치적인 일

* 탐관오리 : 욕심이 많고 행실이 깨끗하지 못한 벼슬아치

* 유림 :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들. 사림(士林)

* 지벌 : 지위와 가문

* 공사채 : 국가가 지는 부채(빚)와 개인이 지는 부채

* 분작 : 서로 나누어서 농사를 지음

※ 진한 부분은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267

갑오개혁

조선 1894년(고종 3 1, 갑오년)에 개화당이 집권하여 구식 제도를 진보적인 서양식 제

도로 개혁한 일로 갑오경장이라고도 함

2- ( 1) 갑오개혁의 배경, 내용, 의의

가. 배경

동학 농민 운동이 실현되지 못한 가운데 이를 진압할 목적으로 정부는 청·일 양국에

원병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동학 농민군의 세력이 약화됨에 따라 양국은 더 이상 조선

에 주둔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에 청은 일본에 대해 공동 철병할 것을 제안하였으

나, 일본은 오히려 양국이 공동으로 조선의 내정을 개혁하자고 제안하였고, 청의 거절

로 회담은 결렬되어 청일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일본의 승리로 끝난 전쟁의 결과 조선에서의 청의 종주권은 부인되었고, 대신 일본의

지배를 전적으로 인정해 주는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청국의 조선에 대한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후, 일본은 단독으로 조선에 대한 내정의 개혁을 요구하

였는데, 이는 침략 정책 추진상 책임의 소재를 분명히 밝히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확립된 정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나. 내용

갑오개혁은 중앙과 지방의 제도·행정·사법·교육·사회 등 제반 문제에 걸친 개혁

이었다. 정치 제도의 개혁을 단행, 개국 기원을 사용하여 청과의 대등한 관계를 나타냈

고, 의정부를 내각이라 고치고 7부를 두었다. 인사 제도는 문무관(文武官)을 개편하고,

과거 제도를 없애고 새로운 관리 임용법을 채택하여 종래의 문무·반상의 구별을 폐

지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재정의 일원화를 꾀하였다. 또, 은본위제를 채택하고 조세의 금납화(金

納化) 실시와 도량형을 개편하여 일본식으로 통일하였다.

사법 제도는 행정 기구에서 분리시켜 재판소를 설치하고 2심제가 채택되었다. 서울에

경무청을 두어 수도의 치안을 담당하고 지방은 각 도 관찰사 아래 경무관을 배치하여

치안을 맡아 행정과 경찰권을 구분하였다.

이 개혁의 중요한 내용은 사회적인 개혁에 있었다. 반상의 계급타파, 문벌을 초월한

교수 자료 2

268

인재의 등용, 인신 매매의 금지, 천민의 폐지 등 전통적인 양반 체제하에서의 신분 제

도를 철폐하였다. 그밖에 죄인의 고문과 연좌제의 폐지, 조혼금지, 자유의사에 의한 과

부의 재혼, 양자 제도의 개정, 의복 제도의 간소화 등 인습적인 전통을 근대적인 것으

로 바꾸었다.

다. 의의

갑오개혁은 조선 개국 이후 500년을 이어온 구제도를 일신한 제도상의 근대적 개혁으

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나, 일본의 침략적 의도에 따라 강행된 타율적인 개혁이었

으므로 국내의 항일 세력은 크게 반발하였다. 또, 일본의 자본주의가 침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게 되었고, 이와 함께 친러 세력이 등장하여 을미사변을 일으키는 결

과를 낳았다.

269

2- (2 ) 군국기무처와 김홍집

◈ 군국기무처

갑오개혁을 추진하였던 최고의 정책 결정기관

고종 31년(1894년)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한 다음 흥선 대원군을 추대한 친일파 정권

이 수립되자, 그 이전에 논의된 제도 개혁을 실시하고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의체

형식의 초정부적인 입법·정책 결정기구이다. 일본은 고종의 반대에 군대를 동원하여 이 기

구를 설치했다.

이 기관은 먼저 중앙관제를 개혁하여 크게 궁내부와 의정부로 나누고, 의정부 밑에 내

무·외무·탁지·법무·학무·공무·농상의 8아문을 설치했다. 이 관청은 모든 관제와 지

방행정을 비롯한 행정·사법에 관한 모든 규칙·교육·군정·재정·식산흥업 및 상업에 이

르기까지 모든 사무를 심의하였으며, 모든 정무는 그 심의를 거쳐야 하였기 때문에 왕권이나

정부의 권력보다 더 큰 세력을 가지게 되었다

6월 26일부터 시작하여 12월에 폐지될 때까지 많은 부문의 개혁을 심의하였으며, 발족

초기 3개월간 의결된 법안만 하여도 208건에 이르렀다.

◈ 갑오개혁을 추진한 김홍집 (교과서 91쪽 하단 오른쪽)

조선 말기의 정치가로 홍범 14조를 만들어 갑오개혁을 단행함

(184 2∼1896 )

1880년 수신사가 되어 일본에 다녀왔으며 ≪조선책략≫을 소개

하고 조선은 외국과 손을 잡고 세계 발전의 대열에 참여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개화는 필연적으로 실현시켜야 하지만, 급진적 방법으로

는 불가능하며 점진적 방법만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하

였다. 청일전쟁의 결과 일본이 세력을 잡자, 김홍집은 정국을 주도하

게 되었다. 김홍집은 내각의 총리대신으로 갑오개혁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과격한 개혁으로 전국에서 일어난 의병들의 규탄을 받았

으며, 1896년 김홍집 내각의 붕괴와 함께 광화문에서 군중에 의해 살

해되었다.

270

2- (3 ) 갑오개혁의 주요 내용 TP 자료

정 치

청나라에 의지하지 않고 자주 독립을 지향함

⇒갑신정변 개혁안과 일치

과거제도를 없애고 신분차별 없이 관리를 뽑기로 함

⇒갑신정변, 동학교도의 개혁안과 동일

나라의 공식 문서에 한글을 사용함

재판소를 설치함

교 육

서울에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 학교를 세움

*사범학교 : 교사를 양성하는 학교

각 지방에도 소학교를 세움

경 제

근대식 화폐 제도를 채택함

도량형을 통일함

*도량형 : 길이·부피·무게, 또는 이를 재고 다는 기구들의 총칭

. 조세의 금납화 ☞ 세금을 물건 대신 돈으로 내게 함

사 회

양반과 상민의 신분차별을 없앰 ⇒ 폐정 개혁안과 동일

조혼을 금지함

과부의 재혼을 허용함 ⇒ 폐정 개혁안과 동일

인신 매매를 금지함

의복 제도의 간소화

죄인의 고문 폐지

※ 진한 글씨 부분은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은 부분입니다.

※ 동학 농민 운동이 갑오개혁의 배경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부분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바랍니다.

271

2- (4 ) 홍범 14조 TP 자료

홍범 14조

1. 청국에 의존하는 생각을 끊고 자주 독립의 기초를 세운다.

2. 왕실전범을 작성하여 대통의 계승과 종실·척신의 구별을 밝힌다.

3. 국왕이 정전에 나아가 정사를 친히 각 대신에게 물어 처리하되, 왕후·비빈·종실 및

척신이 간여함을 용납치 아니 한다.

4. 왕실 사무와 국정 사무를 분리하여 서로 혼동하지 않는다.

5. 의정부와 각 아문의 직무 권한의 한계를 명백히 규정한다.

6. 부세는 모두 법령으로 정하고 명목을 더하여 거두지 못한다.

7. 조세 부과와 징수 및 경비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에서 관장한다.

8. 왕실은 솔선하여 경비를 절약해서 각 아문과 지방관의 모범이 되게 한다.

9. 왕실과 각 관부에서 사용하는 경비는 l년간의 예산을 세워 재정의 기초를 확립한다.

10. 지방관 제도를 속히 개정하여 지방 관리의 직권을 한정한다.

11. 널리 자질이 있는 젊은이를 외국에 파견하여 학술과 기예를 익히도록 한다.

12. 장교를 교육하고 징병 제도를 정하여 군제의 기초를 확립한다.

13. 민법 및 형법을 엄정히 정하여 함부로 가두거나 벌하지 말며, 백성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

14. 사람을 쓰는 데 문벌을 가리지 않고 널리 인재를 등용한다.

※ 교수 자료 2-(3)의 자료를 제시하고 더 이상의 수준을 요구하는 아동이 있으면 참고용으로

제시할 수준별 자료입니다. 참고하시어 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제시하십시오.

<교사용 지도서 186쪽>

272

학습지

사회과 학습지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12/ 16)-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 -

6학년 반 이름 :

1.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난 원인은 무엇인지 적어 보세요.

2. 동학 농민군이 내 놓은 정치 개혁 요구를 4가지 이상 적어 보세요.

3. 갑오개혁의 주요 내용을 4가지 이상 적어 보세요.

4. 갑오개혁의 의의를 간단하게 적어 보세요.

5. 갑오개혁으로 바뀌어진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 변화를 간단히

적어 보세요.

학습 자료 1

273

참고 자료 1 : 개항 이후 외국과의 조약 체결

맺은 연도 조약의 명칭 상대국 조선대표 상대국대표 장소1876 2. 3 강화도 조약 일본 신 헌 구로다 강화도1882 4. 6 한·미 수호 통상 조약 미국 신 헌 슈펠트 제물포

4. 21 한·영 수호 통상 조약 영국 마젠창 윌리스 제물포8. 23 한·청 상민 수호 통상 조약 청나라 조영하 주 복 중국텐진

1882 5. 15 한·독 수호 통상 조약 독일 조영하 브란트 제물포1882 5. 4 한·이 수호 통상 조약 이탈리아 김병시 루카

5. 15 한·러 수호 통상 조약 러시아 김병시 베베르 서울1886 5. 3 한·불 수호 통상 조약 프랑스 김만식 코코르당 서울1892 2. 29 한·오 수호 통상 조약 오스트리아 권재형 비겔레벤 일본동경1901 3. 23 한·백 수호 통상 조약 벨기에 박제순 벤카르트 서울1902 7. 15 한·정 수호 통상 조약 덴마크 유기환 파블로프 서울

274

참고 자료 2 : 동학 농민 운동의 경과 지도 ( 1차 봉기)

275

참고 자료 3 : 동학 농민 운동의 경과 지도 (2차 봉기)

276

대한 제국을 선포한 까닭은 (13/16차시)

수업시기

5월 12주 일련번호 6학년 2-(2)- -13차시

단원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차시13/

16

사회교과서 92-93사회과탐구 96-98

사회과부도학습목표

독립 협회의 활동과 대한 제국의 개혁 정책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연표

1830 1840 1850 1860 1870 1880 1890 1900

이양선출몰

고종즉즉위

서원정리시작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 강요 화호 도사 조건 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 갑학 오농 개민 혁운동

을미사변

대한제국성립

단계주요학습

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도입

동기유발

학습목표제시

-IMF사태가 벌어졌을 때 우리 국민들이나라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 노력생각해 보기

-문호개방이후외세의침략과을미사변그리고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으로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의 활동 등에 대해 안내하기

2. IMF-금모으기 운동 사진

전개

위기에 처한 조선의선택에 대한 모둠별조사학습

조사 학습

연표 완성하기

-교수자료.4-(2)명성황후시해관련이야기 들려주기(당시 을미사변이 일어난 시대 상황을인식하고그이후자주권을지키기위한노력이 있었다는 것 인식하기)

-위기에처한조선의노력을연표를통해학습하기( 을미사변, 독립 협회, 대한 제국 관련내용을 모둠별 조사, 포스트 잍에 핵심단어만적어서칠판에붙여져있는대형연표에 관련 사진과 함께 갖다 붙이기)

* 포스트 잍 사용 이유: 주제 해결을 위한모둠원 끼리의 의사소통 시간을 최대한확보하기 위함 *

-각자 모둠별로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교사는 외세의 침략과 을미사변, 독립협회의 활동, 대한 제국의 활동 정리

1.역사이야기4-(2).

을미사변3.연표(칠판용)

4 . 삼국간섭과을미사변 관련 자료

5.독립 신문,독립 협회 관련 자료

6.대한제국

주제별 조사-과제를 전시에제시하여 관련자료를 충분히확보조사 자료:을미사변 전후조선의 정세와을미사변 결과,독립 신문 발행배경과 의의 및독립 협회의 활동, 대한 제국의선포와 추진한개혁에 대한 사진, 역사신문 등

정리

학습 정리마인드 맵활용학습

-자주권을지키기위한노력으로독립협회의활동과대한제국의개혁이가지는역사적 의미에 대해 토의한다.

-마인드맵 자료에 간단히 정리

3. 완성된 연표활용

3. 마인드 맵(14차시-학습자료3)

다음 차시예고

-다음시간에는조선이서양문물을받아들여달라진사회모습에대하여공부합니다.

277

역사 이야기 (13 / 16차시)

삼국 간섭

나라 안의 부패한 정치를 바로잡고 외국의 세력을 몰아 내려던 대규모 농학 농민 운동

은 결국 우리 나라를 둘러싼 외국의 침략을 더 심하게 했습니다. 즉, 그로 인해 청일

전쟁이 일어났고,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① 조선에서의 청국의 종주권 무효화

②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펑후섬의 할양(떼어 줌) ③ 배상금 2억 냥 지불(1냥은 엽전

100푼에 해당) ④ 열국과 동일 특권을 인정하는 통상 조약의 체결 등을 얻었으나 러

시아·독일·프랑스의 3국 간섭 앞에 무릎을 꿇고 랴오둥 반도를 청나라에 돌려주었

습니다.

한편, 그들 삼국은 우리 나라로 눈길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을미사변

세계 열강이 조선에 대한 이권 다툼에 여념이 없을 때, 조선 조정에서는 러시아와 친

한 명성 황후 중심의 친러파와 박영효 등의 친일파가 권력 다툼을 일삼고 있었습니다.

일본이 삼국 간섭에 굴복하여 국제적 위신이 떨어지자, 민비를 중심으로 한 민씨 일파

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일본 세력을 몰아 내려 했습니다.

교수 자료 1

278

노골적으로 친러 정책을 쓰면서 친일파 대신들을 몰아내고, 미국과 러시아의 친한 사

람들 및 민비의 친척들을 중요한 자리에 앉혔습니다. 그러자 일본은 잃어 가는 세력을

되찾으려고 명성 황후를 살해한 을미사변을 일으켰고, 이 사건으로 인해 일본은 친러

파를 몰아냈으며 친일파로 구성된 제 4차 김홍집 내각이 탄생했습니다.

새롭게 구성된 김홍집 내각은 갑오개혁 후 중단되었던 개혁안들의 시행을 서둘렀습니

다.

먼저 중국에서만 사용하던 연호(건양, 광무, 융희 : *건양- 1896년, *광무- 1897년부터

1907년까지 고종, *융희-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순종)를 사용했고, 음력 대신에 양

력(태양력)을 사용했으며, 종두법의 실시, 군사 제도의 개편(친위대와 진위대로 나누어,

친위대는 궁궐과 서울을 지키고, 진위대는 지방을 지킴), 갑신정변 때 중단되었던 우편

제도의 부활, 근대 교육을 위해 소학교를 세웠답니다.

이처럼 다시 조정의 내정을 간섭하기 시작한 일본은 조선의 지배를 위해 먼저 국왕과

대신들의 신임을 받아야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조선이 근대 국가로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는 내정 개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내정 개혁안을 제시했습니다.

조정에서는 일본의 권유와 강요에 못 이겨 이를 받아들여 추진하였으나 너무 많은 것

을 한꺼번에 고치려 했으므로 부작용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단발령

여러 가지 개혁 중에서 가장 큰 말썽을 일으킨 것이 단발령이었습니다. 당시 조선 사

회는 오랫동안 내려온 유교적 가르침이 마음에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1895년 11월, 상투 자르기 회오리바람이 장안을 휩쓸었고 물론 간수하기 편하고 보

기에도 말쑥해서 좋지만, 유교적 전통과 강제 시행 및 일본에 대한 반감으로 거부 반

응이 심했습니다. 이에 일본은 최익현 등을 잡아 가두었으며, 단발령에 반대하여 전국

적으로 유생과 관리들이 주동이 되어 의병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아관 파천

일본과 친일파 내각에 대한 국민의 감정이 극도로 악화되었으며 친러파에 의해 1896

년 2월 11일 아관 파천이 발생하였습니다. (*아관- 러시아 공사관의 준말, *파천- 임금

이 도성을 떠나 피난한다는 뜻)

왕의 환궁을 주장하는 국민들의 소리가 높아, 고종은 아관 파천 1년만에 경운궁(오늘

날의 덕수궁)으로 돌아옵니다.

279

독립 협회

을미사변과 아관 파천 등으로 정치가 어지러워지고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입게 되자,

힘이 약해지는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는 애국 지사들이 나라를 구하기 위한 운동을 일

으켰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갑신정변 때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돌아온 서재

필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독립 협회입니다.

독립 협회는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우리 민족의 자주 정신

을 상징하는 독립문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1896년 4월 7일, 우리 나라 최초의 순한글

판 신문인 <독립 신문>이 서재필에 의해 발행되었습니다.

독립 협회는 대규모 민중 집회인 만민 공동회를 열어 외국에 의존하는 정치를 비판하

고 자주적 입장에서 근대 정치를 펴도록 정부에 요구를 하였습니다.

대한 제국

고종이 경운궁으로 돌아온 지 얼마 안되어 국왕을 황제로 고쳐 부르도록 하였으며 연

호를 광무라 고치고 나라 이름도 대한 제국으로 정하여 선포했습니다. 대한 제국의

수립으로 완전한 자주 독립 국가임을 세계 만방에 선언한 것입니다.(1897년 10월 12

일 지금의 조선호텔 자리인 원구단에서 황제 즉위식 거행)

대한 제국은 오늘날의 헌법과 같은 법을 반포하고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였습니다.

280

IMF 금모으기 운동

IMF위기를 맞이하여 금모으기 운동 전개

교수 자료 2

281

연표 (칠판 부착용)

1885

1890

1895을미사변

1896독립신문창간독립협회설립

1897대한제국성립

* 본 연표는 전지를 이용합니다.

교수 자료 3

282

- 연표 활용법 -

아래의 사진은 경주 관련 수업을 할 때 사용한 연표입니다. 참고하세요.

연표 틀만 제시해 주고 관련 사건의 사진과 내용을 아이들이 붙이고 적게 하면 됩니다.

선생님이 컴퓨터를 통해 준비한 그림이나 사진은 라벨지에 인쇄를 해서 뒷면만 떼내고 연표에

바로 붙이면 아주 편리합니다.

이번 시간 (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에는 모둠원끼리의 조사학습 시간 확보와 충분한 의

사 교환을 위해 아이들이 조사한 내용을 포스트 잍에 핵심 단어만 적어 발표할 때 조리 있게

발표하도록 했습니다.

(전체 사진)

(부분 사진①) (부분 사진②) (부분 사진③)

283

삼국 간섭과 을미사변

4 - ( 1) 삼국 간섭

청일전쟁의 강화 조약인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인정된 일본의 랴오둥(요동) 반도 영유에

반대하는 러시아, 프랑스, 독일의 공동 간섭

삼국 간섭으로 일본은 요동 반도를 청에 반환함으로써 청일전쟁에 승리하여 국위고양

에 취해 있던 일본 국민들의 국내 여론에 커다란 충격을 안겨다 주었고, 국제적 위신

이 추락하게 된다. 조선 정부는 명성 황후를 중심으로 3차 김홍집 내각을 구성하여 친

러적 경향을 띠게 된다.

민씨 정권의 성격 변화

시기 주된 영향

개국 후 친일 개화파

임오군란 후 반일 친청파

갑신정변 후 반청 친러파

거문도 사건 후 친러 경향 후퇴

삼국 간섭 후 반일 친러파

을미사변으로 명성 황후 피살

민씨 정권의 성격 변화 (이야기 자료)

개항 이후 개화파들은 민씨 정권의 개화 정책에 참여하면서 점차 김옥균을 중심으로

개화사상을 현실정치에서 실현하려는 하나의 정치 세력 즉, 개화파를 형성하였다. 이

들 개화파들은 친일적 성격을 띠게 됩니다.

특수 부대인 별기군이 창설되고, 일본 교관을 초빙하여 신식 군사 훈련을 시키자 구식

군대는 외톨이 신세를 면치 못했고 차별 대우에 화가 난 구신 군인들은 무기고를 습격,

무기를 빼앗고 별기군의 일본 교관을 죽이고 일본 공사관을 습격하여 불을 질렀습니

다. 이것이 임오군란인데 민씨 정권의 요청으로 청나라는 조선에 군사를 데리고 와 진

압한 뒤 군대를 주둔시키며 조선 침략을 꾸미고, 청나라의 도움으로 정권을 다시 잡은

민씨 정권은 청에 의지하는 반일 친청의 정권을 유지하게 됩니다.

교수 자료 4

284

이때부터 청나라는 조선의 내정에 깊이 간섭하였으며 이에 불만을 가진 김옥균, 박영

효, 홍영식, 서재필 등 젊은 개화파들이 청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 근대 문명을 적극적

으로 받아 들여 근대 국가를 빨리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청나라 군대를 끌어들이는 바람에 3일 만에 끝나고 개화파의 일부는 일본으로

망명을 합니다.

갑신정변 후 주한 공사로 우리 나라에 와 있던 러시아의 베베르는 청·일 양국의 위협

에 시달리는 우리 정부에 접근하기 시작했습니다.

러시아 세력이 조선에 진출하자 청·일 양국 외에 영국도 경계를 하였는데 러시아의

남하(부동항을 얻기 위해) 길이 열리자, 1885년 4월 영국은 청나라의 양해를 얻어 전

라도의 거문도를 점령하여 러시아의 남하를 막으려 합니다. 거문도에서 2년간 버티던

영국 함대는 러시아가 조선 영토를 점령할 뜻이 없다는 약속을 받고서야 철수하게 되

고 조선에는 청·일에 이어 러시아 세력이 발동하고 영국까지 관여하게 됩니다.

거문도 사건 후로 반청 친러파의 성격에서 친러 경향이 후퇴를 합니다.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이 청나라로부터 랴오둥 반도를 빼앗자 러시아는 독일, 프랑스와

함께 일본을 위협하여 랴오둥 반도를 다시 청나라에 돌려주었습니다. 러시아는 집요하

게 정치 공세를 펼쳐 와 정부는 반일 친러적으로 흘렀습니다.

285

뜻밖에 강한 러시아 세력에 부딪친 일본은 친러적으로 흐르는 정부에 대해 음모를 꾸미기 시

작했습니다. 새로 부임한 일본 공사 미우라가 주역이 되어 1895년 8월 20일, 일본인들은 궁

궐 안으로 침입하여 명성 황후를 시해하고(을미사변) 고종을 위협하여 친러파를 몰아낸 뒤, 친

일파 내각을 구성하게 됩니다.

김홍집 내각의 변천

횟수 집권기간 비고

제1차 1894. 7∼12 친일 내각

제2차 1894. 12∼1895. 7 친일 내각

제3차 1895. 7∼10 친러 내각(삼국 간섭 후)

제4차 1895. 10∼1896. 2 친일 내각(을미사변 후)

4 - (2 ) 을미사변

1895년 (고종 32) 8월 20일 새벽 5시경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가 주동이 되어 조선의

왕궁 경복궁을 습격, 궁궐 뒤편의 왕비 침실인 건청궁 내 옥호루에서 명성 황후를 시해

하고 일본 세력 강화를 획책한 정변

당시의 기록을 살펴보면, 그 무렵 명성 황후는 소촌실이라는 일본인을 궁내에 두고 가

까이 하고 있었는데, 그 여자가 일본 낭인들을 건청궁으로 안내하고 황후의 초상화를

그 낭인들(건달들)에게 나누어주어 시해케 했다는 것이다.

사건이 일어나기 전날, 황후는 낌새를 알아차리고 당직 대신인 정병하에게 피난 갈 것

을 의논하였으나, 정병하의 만류로 안심하고 있었다는 기록도 함께 전해지고 있다.

당시 일본 낭인들은 건청궁의 곤녕각 병풍 뒤에 숨어있던 명성 황후를 살해하여 뒷산

으로 끌고 가서 거적에 시신을 말아서 석유를 부어 불태웠다고 한다.

명성 황후의 시해와 함께 일제의 사주로 황후의 자리에서 폐위되었다가, 1897년 고종

이 황제 즉위식을 거행한 후 명성 황후로 추존되어 비로소 황후의 국장은 2년이 지난

1897년 11월에야 치르게 되었다.

286

4 - (3 ) 을미개혁

189 5년 (고종32) 을미사변 직후 성립한 김홍집 내각이 실시한 일련의 개혁 운동

청일전쟁 후 조선에 대한 주도권을 장악한 일본이 러시아 중심의 삼국 간섭으로 일시

후퇴하자, 고종은 이 틈을 이용하여 러시아에 접근, 일본을 견제하려고 하였다. 이에

일본은 을미사변을 일으켜 조선 정부가 러시아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한 뒤 친일 개화

파로 새로 김홍집 내각을 성립시키고 을미사변으로 일시 중단된 갑오개혁을 다시 추

진하였다.

즉, 을미개혁은 1894년 7월에서 1896년 2월초까지 약 19개월 동안 세 차례에 걸쳐

실시된 갑오개혁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것이다.

태양력의 사용, 교육 제도 등의 개혁과 단발령을 실시하였다. 특히 96년 1월 공포, 강

제 실시한 단발령은 을미사변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일어난 유생들의 반일·반근대 의

병의 원인이 되었다. 을미개혁은 일본에 의존한 것이었고, 이로 인해 반일 분위기가 만

연하였으며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4 - (4 ) 옥호루

경복궁 가장 뒤쪽에 있는 궁으로, 1873년 (고종10)에 지은 건물이다.고종이 고위 관료는 물론 흥선 대원군에게도 알리지 않고 비밀리에 짓다가 건립 사실

이 알려져 반대 의견이 빗발쳤지만 고종의 강력한 의지로 지은 궁이다.

청일전쟁이 끝난 후 명성 황후가 일본 세력을 배척하자 일본 낭인들이 건청궁에 난입

하여 명성 황후를 살해한 을미사변의 현장이다.

일제는 1929년 건청궁 일대

의 건물을 허물어 버리고

1939년에 미술관을 지었다.

지금은 명성 황후 순국 숭

모비(明成皇后殉國崇慕碑)

와 명성 황후 조난지지비

(明成皇后遭難之地碑)가

있다.

명성 황후가 시해된 곳(옥호루)

(교과서 92쪽 하단 오른쪽)

287

4 - (5) 명성 황후

어지러운 정권 다툼 속에서 불행하고 처참한 최후를 맞은 고종의 비 ( 185 1∼1895)

9세 때 고아가 되어 본가에서 가난하게 자라다가 흥선 대원군

부인(부대부인 민씨)의 추천으로 왕비에 간택, 책봉되었다. 그러

나 금실이 좋지 못했고 더구나 궁인 이씨에게서 완화군이 출생

하자 이를 기뻐하는 흥선 대원군에 대한 불만과 질투가 폭발하

여 흥선 대원군 반대파를 규합, 민씨 척족을 정부 요직에 앉히고

세력 기반을 착실히 다져 나갔다. 점차 고종의 애정도 독점하여

1871년 원자를 낳았으나 5일 만에 죽자 흥선 대원군이 진상한

산삼 때문이라고 단정, 더욱 증오심에 불탔다.

1873년 일본에 정한론이 대두되어 내외 정세가 긴박해지고

경복궁 중건으로 민생고가 가중되는 등 흥선 대원군의 실정이

계속되자, 그를 탄핵하기 위해 유림의 거두 최익현을 동부승지로 발탁하였다. 이어 흥

선 대원군파의 반대 상소와 모든 주장을 배척하고, 고종에게 친정을 선포하게 하여 민

씨의 외척 정권이 수립되었다. 결국 대원군파를 숙청하고 쇄국 정책을 폐하여 일본과

수교하였다.

1882년 임오군란으로 신변이 위태롭게 되자 궁궐을 탈출, 화개동 윤태준 집을 거쳐

충주, 장호원으로 전전하며 피신생활을 하던 중 흥선 대원군에 의해 중전의 국상이 선

포되나, 윤태준을 고종에게 밀파하여 자신의 건재함을 알리고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하

게 하였다. 청나라 군대의 출동으로 군란이 진압되자 흥선 대원군을 청나라로 납치해

가도록 공작하고, 민씨 정권을

재수립하였다.

점차 대원군 파에 대한 복수에

열중하고, 무당을 궁궐에 끌어들

여 굿을 하며 명산대천을 찾아

치성한다는 명목으로 국고를 탕

진하는 등 민씨 일족의 부패상은

극도에 달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으로 민씨 일

명성 황후 (사진의 진위에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명성 황후 국장 행렬

288

족이 실각하자 심상훈 등을 사주, 청나라의 개입으로 개화당 정권을 무너뜨렸다. 그러

나 일본세력의 침투로 김홍집 등의 친일 내각이 득세하고, 1894년 흥선 대원군의 재

등장으로 갑오개혁이 시작되자 이번에는 러시아에 접근하여 일본 세력을 추방하려고

하였다.

이에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가 을미사변을 일으켜 8월 20일 일본 낭인들을 궁중에 침

입시켜서 건청궁에서 그녀를 난자시해하고 시신은 궁궐 밖으로 운반 소각하였다.

그 뒤 그녀는 폐위되어 서인이 되었다가, 10월 복호되고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내려지고 그 해 11월 국장으로 청량리 밖 홍릉에 장사지냈다.

<역사신문 편찬위원회(2002). 역사신문 5권, 서울 : 사계절>

<http://www.chungdong.or.kr/middroom/syshim/한국사/한국사b- 17.htm>

289

독립 신문, 독립 협회

5- ( 1) 독립 신문

1896년 4월에 발행한 최초의 민간 신문

가. 독립 신문의 간행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발행한 현대식 일간지로 국문판과 영문판으로 발행되었다.

서재필이 주동이 되어 독립 협회의 기관지로서 자유 민권의 성장과 국민 계몽을 목표

로 하여 국민들에게 근대 사상을 일깨우는 데 이바지하였으나, 정부의 독립 협회 탄압

으로 유명 무실화하였다.

나. 독립 신문의 구성

제1면제호와 날짜, 사고(회사에서 내는 광고)를 실어 취재 제목·구독 방법 등을 알리고

논설을 실었다.

제2면 관보·외국 통신·잡보 등

제3면 일반 광고·물가 등

제4면 논설과 한국의 정치 동향·생활 풍습 등을 영문판으로 실었다.

다. 독립 신문에 대한 반응

<독립신문>이 창간되자 각계에서 환영하였다. 일반 국민은 말할 것도 없고, 외국에 나

가 있던 사람들도 기뻐하였다.

신문이 간행되었다는 것은 조선도 개명의 길로 나가고 있는 증거라고 보았기 때문이

다. 그러나 일본인은 그렇지 않았다. 그들은

<독립신문>이 미국인의 것인지, 조선인의 것

인지 알 수 없다고 하면서 서재필에 대한 심

한 인신 공격까지 하였다. 이것은 그들의 이

권 침탈이 세상에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논술학습만화 한국의 역사 13-근대 사회의 전개- , 서울 : 대산 출판사>

교수 자료 5

독립 신문 (교과서 93쪽 가운뎃단 오른쪽)

290

5- (2 ) 독립 협회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정치 단체

가. 독립 협회의 조직

1896년 7월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남궁억 등 서구 근대 사상과 개혁 사상을 가진 인사들에

의해 조직되어 민중을 계몽하고 온 겨레의 자주적 노력으로 자주 독립과 자유 민권의 성장을

이룩하려고 하였다.

나. 독립 협회의 활약

을미사변 이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기자, 러시아는 우리 나라의 내정에 간섭하였다.

그리고 러시아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등 여러 나라들은 광산 채굴권, 철도 부설권 등 많은 이

권을 빼앗아 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독립 신문을 간행하고 있던 서재필과 개화파 지식인들은 1896년 7월 독립

협회를 조직하였다. 독립 협회의 활동 방향은 국민을 계몽하여 이들을 정치 활동에 참여시킴으

로써, 나라의 자주 독립을 지키며 계몽하여 이들을 정치 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나라의 자주

독립을 지키며 국민들의 권리를 확립하고, 개혁을 통해 나라를 부강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독립 협회는 앞서 간행되고 있던 독립 신문을 통하여 국민을 계몽하고, 국민의 성금을 모아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웠으며, 토론회와 연설회를 자주 열어 국민의 자주 독립 의식을 고

취하였다. 특히, 독립 협회는 국민의 권리를 존중하는 정치가 행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리고 여러 나라들이 우리 나라의 이권을 빼앗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으며, 러시아 공사

관에 머물러 있는 고종의 환궁을 요구하였다. 독립 협회의 활동 중 가장 활발하였던 것이 만

민 공동회이다. 서울 종로에서 열린 만민 공동회에는 독립 협회의 회원들이 중심이 되었는데,

일반 시민들도 참여하였다. 만민 공동회에서는 정치나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들에 관해 토론

을 벌였다. 시민들은 외세에 의존하는 정치를 비판하고, 근대적인 의회 정치의 실시 등 개

혁 정치를 요구하는 건의를 하기도 하였다.

◈ 독립문

<독립문은 사적 32호로 1898년 독립 협회에

의해 세워졌으며 결연한 자주 독립의 의지를 잘

나타내고 있는 민족정신의 표상이다.>

◈ 만민 공동회

1898년 3월 종로 네거리에서 독립

협회 주체로 개최된 민중대회

국정의 자주 노선을 요구하고 나아

가서 입헌의회의 설치를 주장하며 우리

역사상 최초로 의회민주주의 사상을 제창

하였다.

291

5- (3 ) 서재필

개화기의 정치가이자 독립 운동가( 1864∼195 1)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7세 때 판서이던 외삼촌 밑에서 공부하여 과거에 장원으로 급

제하였다.

그 뒤 김옥균 등과 갑신정변을 일으켜 18세의 나이로 병조참판 겸 정령관이 되었으나,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1889년에 워싱턴 대학 의과 대학

을 졸업하고, 병원에서 세균학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96년에 귀국하여 <독립 신문>을 발간하고, 이상재, 이승만 등과 독립 협회를 조직

하였다.

1897년에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워 독립 정신을 불러일으켰으나, 수구파에게 배

척 당하여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야 했다.

미국에서 병원을 차리고 있다가 3·1 운동 소식을 듣고 한국 문제를 세계에 호소하는

한편, 미국에 있는 교포들을 모아 독립 후원회를 조직하였다.

1925년에는 호놀룰루에서 열린 범태평양 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일본의 침략

을 폭로하기도 했다.

1947년에 미국 군정 장관의 초청으로 귀국하여 과도 정부의 최고 정무관이 되었다가

1948년에 미국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쳤다. 1977년에 대한 민국 건국 훈장 대한민국

장을 받았다

<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사회 6- 1,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서재필(교과서 93쪽 상단 오른쪽)

292

대한 제국

1897년 8월 12일부터 19 10년 10월 22일까지의 조선 왕조의 국명

6- ( 1) 대한 제국

가. 대한 제국의 성립

1897년 고종은 내외의 여론에 힘입어 러시아 공사관에서 경운궁(오늘날의 덕수궁)으

로 환궁하고 국호를 대한 제국, 연호를 광무라 고친 다음, 왕을 황제라 칭하여 자주 국

가임을 내외에 선포하였다.

대한 제국은 안으로는 외세의 간섭을 막고 자주 독립의 근대 국가를 세우려는 국민적

인 자각과, 밖으로는 조선에서 러시아 독점 세력을 견제하려는 국제적인 여론의 뒷받

침을 받아 성립된 것이다.

제1조. 대한국은 세계 만국이 공인한 자주 독립 제국이다.

제2조. 대한국의 정치는 만세 불변의 전제 정치이다.

제3조. 대한국 대황제는 무한한 군권을 누린다.

제4조. 대한국 신민이 대황제가 향유하신 군권을 침손할 행위가 있으면 신민의 도리를 잃은

자로 인정한다.

제5조. 대한국 대황제는 육·해군을 통솔한다.

제6조. 대한국 대황제는 법률을 제정하여 그 반포와 집행을 명하고, 대사, 특사, 감

형, 복권 등을 명한다.

제7조. 대한국 대황제는 행정 각부의 관제를 정하고, 행정상 필요한 칙령을 발한다.

제8조. 대한국 대황제는 문무관의 출척·임면을 행하고 작위·훈장 및 기타 영전을 수여 또

는 체탈한다.

제9조. 대한국 대황제는 각 조약체결 국가에 사신을 파견하고, 선전, 강화 및 제

반조약을 체결한다.

< http://soback.kornet21.net/~sk9505/sagun/sagun.html/한국 근대사 주요 사건>

교수 자료 6

293

나. 광무 개혁

대한 제국은 외국 세력이 서로 경쟁하는 정세를 이용하여 나라의 자주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근대 국가로 발전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였다. 특히 산

업의 발달과 교육의 진흥에 힘을 기울였다.

농민 생활의 안정과 재정의 확보를 위해 토지를 새로이 측량하였으며, 상공업을 발전

시키기 위해 각종 회사와 공장을 설립하였다. 또 상공 학교, 광무 학교 등의 실업 학교

와 의학교 등 각종 학교를 설립하였다.

한편, 대한 제국은 외세의 침략에 대항하여 자주적으로 국가를 지키기 위해 군제를 개

편하여 궁궐과 서울을 지키는 군대를 증강하였고, 지방에도 군대를 주둔하게 하였다.

<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사회 6- 1,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다. 원구단

189 7년 고종의 황제 즉위식과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옛 남별궁 터에 원단을 만들어

조성한 단지

그 뒤 단지 내에는 신위판을 봉안하는 3층 8각 지붕의 황궁우를 1899년에 축조하고,

1902년 고종 즉위 40주년을 기념하는 석고단(돌북)을 황궁우 옆에 세웠다.

처음 조성된 단지는 19 13년 원단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다음 해 조선호텔이 들어서

면서 축소되었으며, 지금은 황궁우와 석고단, 그리고 3개의 아치가 있는 석조 대문만

이 보존되어 조선호텔 경내에 남아있다.

원구단(교과서 93쪽 하단 왼쪽)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294

6- (2 ) 고종

조선 제 26대 왕으로 대한 제국의 초대 황제. 이름은 형 ( 1852∼19 19)

11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나이가 어려 즉위 후 10년간은 아버지 흥선 대원군이 대신

나랏일을 돌보았다.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후 신사 유람단을 일본에 파견하는 등 여러

나라에 문호를 개방하였다.

1884년 청일 전쟁이 일어나자 개화당이 정권을 잡아 갑오개혁을 단행하였다.

1897년 나라를 대한 제국, 왕을 황제라 칭하였다.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고종 황제

(교과서 93쪽 하단 오른쪽)

295

대한 제국을 선포한 까닭은 (14/16차시)

수업시기

5월 12주 일련번호 6학년 2-(2)- -14차시

단원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차시14/

16

사회교과서 94-96사회과탐구 99-101

사회과부도 68학습목표

조선이서양문물을받아들여근대적사회의모습을갖추어나가는과정을말할수있다.

연표

1883 1884 1885 1887 1895 1896 1899근대 사립학교설립(원산 학사)근대 화폐 발행

(전환국)근대 신문 발행

(박문국)

우 체 국설립(우정국)

서양식 병원 설립(광혜원)

전기 사용(경복궁)

근대 소학교설립

궁내부에 전화 설치

전차 운행(한양)철도 개통(경인선)

단계주요

학습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도입

동기유발

학습목 표제시

--우리의의식주생활 중전통적인것과 아닌 것 구분하기

-이 시간에 개화 정책의 추진과 근대문물의 도입으로 달라진 사회 모습에 대하여 공부한다는 것을 안내하기

전개

개화에 관한 찬반 토론 학습

여러 근대제도의 시작과그 모습에대한 모둠별 조사학습

토론 학습

조사학습

-유학자 최익현의 주장을 듣고 개화에 관한 당시 사람들의 생각을 찬성과 반대의 입장으로 나누어 보고 한쪽을 선택하여 토론하기

-각모둠은근대제도의시작과그모습에 대해 준비한 자료를 보면서 선택한 주제 해결하기

-모둠별로 조사 결과 발표하기-근대 제도의 시작과 그 모습에 대한

역사 이야기(교수자료1)를 들려주고정리하기(근대학교, 근대화폐, 근대신문, 우체국, 서양식 병원, 전기, 전화, 철도등)

2. 유학자 최익현의 주장

TP 자료

1. 역사 이야기3. 근대 교육의시작 관련 글4,5,6,7,8.

부분적으로사용

1. 학습활동지:조선말 개화정책에 대한자신의 의견조사자료 :

개화기 통신수단 발달과 이용, 교통 수단발달과 이용,교육 기관과의료 기관의설립과 발전에대한 사진, 글등

정리

학습 정리

-근대 문물을 처음으로 접하면서 일어났던 일에 대해 조사하기

-근대 문물의 도입으로 변화된 생활모습 추측하기

-마인드 맵 자료에 간단히 정리-낱말 맞히기 놀이로 학습 평가

3. 마인드 맵2. 학습활동지:

낱말 맞히기놀이

다음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는 선택 학습을 공부합니다. 조선 후기사회의 전반적인사건들에 대해 복습해 옵니다.

296

역사 이야기 (14/ 16차시)

개항 이후 서양의 새로운 문물을 접하면서 우리 나라의 전통 문화는 커다란 변화를 맞

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서양 문물을 접하면서 척사와 개화의 대립, 외세의 정치적·경제적 침투와 국

내외의 정치적 혼란을 겪는 동안에 우리 민족은 정치적 의식이 점차 높아졌습니다 자

주와 독립에 대한 자각을 바탕으로 여러 단체들이 조직되어, 애국 계몽 운동이 활발하

게 전개됩니다.

우리 나라의 근대화 성장, 즉 문화 시설과 더불어 여러 부문에 걸친 발달은 개항 이후

에 뚜렷이 나타났습니다. 근대적인 통신·교통·의료 시설이 마련되었고, 근대 학교들

이 설립되어 민족주의 교육이 실시되었습니다.

애국 계몽 운동이 전개되는 가운데서 가장 광범위하게 전국적으로 추진된 것이 민족

교육 운동이었습니다.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 학교는 1883년에 원산항이 개항된 데 자극을 받아 그 지방 사

람들이 설립한 원산학사로 근대 학문과 무술을 가르쳤습니다.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은 정부는 신교육을 실시했던 경험을 살려 갑오개혁 이후 새 교

육 제도를 마련하여 학교를 세웠으며, 교과서도 편찬하여 가르치도록 하였습니다.

1895년 고종은 교육 입국 조서를 내려 교육의 중요성을 온 국민에게 깨우쳐 주고 관

립 학교를 세워 나갔습니다.

1884년에 우정국이 설치되었으나 갑신정변으로 폐지되고, 1895년에 다시 설치되어

근대적인 우편 사무를 보게 되었습니다. 1900년에는 만국 우편 연합에 가입하여 외국

과도 우편물 교환을 하였습니다.

1885년 최초의 국립 병원인 광혜원을 세우고(뒤에 제중원으로 이름이 바뀜),

1887년 경복궁에 처음으로 전깃불이 켜졌는데 전깃불을 켜기 위해 향원정 연못의 물

을 끌어올려 발전기를 돌렸기 때문에 물불 또는 불가사의한 묘한 불이라는 뜻으로 묘

화라고도 불렀습니다.

1895년 청나라는 서울∼인천, 서울∼의주 간의 전선을 설치하였고,

전화는 1896년 경운궁(덕수궁) 안에 처음 놓여 사용했으며, 그 뒤 서울 시내 전화와

서울∼인천 간의 시외 전화로 확대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전화를 덕률풍, 다리풍, 어

화통, 전어통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철도는 1897년에 미국이 경인선을 놓다가 일본에 넘겨 1899년에 서울 노량진∼제물

교수 자료 1

297

포(인천) 간이 개통되었고, 1900년에는 한강에 철교를 세운 뒤에 지금의 서울역까지

철도가 완성되었습니다.

전차는 1899년에 서울의 서대문∼동대문 노선을 시작으로 개통되었습니다.

개항 이후, 세계 여러 나라와 직접 교역이 진행되는 동안 우리 나라 산업계에도 새로

운 변화의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화폐를 찍어내는 전환국, 인쇄·출판을 하는 박문국, 근대식 무기를 제조하는 기기

창 등 정부에서도 근대화에 많은 노력을 하게 됩니다.

298

유학자 최익현의 주장 TP 자료

■ 유학자 최익현의 주장

서양인들이 욕심 내는 것은 무역을 하는 것이다.

서양인들의 상품은 대부분이 사치스럽고 이상한 물건으

로 공장에서 쉽게 만들 수 있어 그 양이 무한한 것이고, 우리

의 상품은 백성의 생명이 달려 있는 땅에서 나는 것으로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무역이 이루어지면 나라는 멸망하

게 될 것이다.

- 최익현의 면암집 중에서 -

최익현

교수 자료 2

299

근대 교육의 시작

3- ( 1) 고종 황제의 교육 입국 조서

▶ 1894년 갑오개혁에 의해 서양식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됨

▶ 1895년 고종 황제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 입국 조서를 발표함

▶ 서울에 소학교를 세우고 학부대신의 이름으로 학교 입학을 권유함

▶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 학교 등의 공립학교가 세워짐

3 - (2 ) 교육 입국 조서 내용

+ 교육 입국 조서 +

세계의 형세를 보면 부강하고 독립하여 잘 사는 모든 나라는 다 국민의 지식

이 밝기 때문이다. 이 지식을 밝히는 것은 교육으로 된 것이니 교육은 실로 국가

를 보존하는 근본이 된다.

교육은 그 길이 있는 것이니, 헛된 것과 실용적인 것을 먼저 구별하여야 한다.

이제 짐은 정부에 명령하여 널리 학교를 세우고 인재를 길러 새로운 국민의

학식으로써 국가 중흥의 큰 공을 세우고자 하니, 국민들은 나라를 위하는 마음

으로 덕과 건강과 지식을 기를지어다.

왕실의 안전이 국민들의 교육에 있고, 국가의 부강도 국민들의 교육에 있도다.

3 - (3) 교육 제도와 방법

▶ 신식 학교의 학습 내용은 독서와 습자, 외국어, 지리, 역사, 과학 기술 등을 가르침

▶ 학습 방법은 연설회, 토론회, 강의 등으로 서당식 교육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 방법을 사용함

▶ 학습 대상으로는 남자들만 서당에 다니며 공부하였으나 여자들도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됨

3 - (4 ) 근대 교육을 위한 노력

▶ 학교 설립을 통한 노력

- 나라의 자주 독립의 기틀 마련

- 인재를 양성하여 부국의 준비

- 자주 독립의 유지와 발전

▶ 신학문 도입을 통한 노력

- 애국심과 민족 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통하여 노력

교수 자료 3

300

근대 학교 설립

4 - ( 1) 신식 학교의 교육 내용, 방법

▶ 소학교 과목 : 수신(도덕), 한글, 우리 나라 역사, 지리, 산술, 미술, 체조

▶ 중학교 과목 : 국어, 외국어, 수학, 지리, 역사, 과학 등

▶ 애국심을 기르기 위해 한글과 우리 역사를 강조함

▶ 교과서의 변화 : 활자로 인쇄, 그림과 지도가 들어감

4 - (2 ) 신식 학교의 발전

▶ 외국 선교사가 세운 학교 : 배재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

광성학교, 숭실학교 등

▶ 나라에서 세운 학교 : 육영학원, 한성사범학교와 소학교, 중학교 등

▶ 애국 지사가 세운 민족 사립 학교 : 양정의숙, 보성학교,

휘문학교, 오산학교 등

- 유명한 사립학교 -

외국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학교

학교이름 설립연도 설립자 소재지 특징

배재학당 1885 아펜젤러 서울 최초의 사립학교

이화학당 1886 스크랜턴 서울 최초의 여성학교

경신학교 1886 언더우드 서울 미국 북감리회

정신여학교 1895 미국 서울 미국 북장로회

숭실학교 1897 베어드 평양 최초의 지방학교

배화여학교 1898 미국 서울 미국 남감리회

우리 나라 사람에 의해 설립된 학교

학교이름 설립연도 설립자 소재지 특징

보성학교 1905 이용익 서울최초의 한국인

설립학교양정의숙 1905 엄주익 서울 근대적 사립학교

휘문의숙 1906 민영휘 서울 사립중등학교

진명·숙명 1906 엄귀비 서울 사립여학교

대성학교 1907 안창호 평양 독립운동 인재양성

오산학교 1907 이승훈 정주크리스트교적

인재양성

교수 자료 4

301

4 - (3) 서당과 신식 학교의 교육 비교

서당 신식학교

나 이 다르다 같다

성 별 남자만 다님 남녀 함께 다님

책 한문 책 한글 책

내 용 지식, 예절 지식, 예체능

방 법 외우고 쓰기 여러 가지

선생님 한 분 여러 분

기 간 일정하지 않음 일정함(초등학교 6년)

<논술학습만화 한국의 역사 14-열강의 침략과 근대 문명 태동- , 서울 : 대산 출판사>

302

개화기의 생활 모습

5- ( 1) 의생활 모습

▶ 한복 대신 양복을 입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 양말도 신기 시작하였다.

▶ 한복을 그대로 입거나, 약간 개량하여 입는 사람도 많았다.

▶ 상류 사회에서는 갓 대신 모자를 썼고, 짚신 대신 구두를 신는 사람도 늘어났다.

▶ 왕족과 정부 고관들부터 상투를 자르기 시작하였다.

▶ 여자들의 머리도 짧게 하기 시작하였다.

5- (2 ) 식생활 모습

▶ 우유 제품, 설탕, 양과자, 빵, 케이크 등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선교사나 외교관들이 즐기던 커피, 홍차 등이 소개되고 다방도 생겨났다.

▶ 일본 식품도 많이 소개되어 단무지, 유부, 어묵 등을 파는 상점도 생겨났다.

▶ 과수원이 생겨나고, 사과, 복숭아, 배 등의 과일을 과수원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 여자들도 남자들과 한자리에서 식사를 하게 되었다.

5- (3) 주생활 모습

▶ 서양식 또는 일본식 건물이 많이 들어서게 되었다.

▶ 우리 나라 고유의 건축 양식 중 좋은 점을 살린 절충식 주택도 많이 나타났다.

▶ 명동성당 등과 같이 지붕 끝이 뾰족한 건물도 지었다.

▶ 벽돌을 써서 짓는 집도 늘어났다.

▶ 우리 나라 최초의 호텔인 '손탁 호텔'이 들어섰다.

▶ 덕수궁의 석조전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건물이다.

<http://www.puam- e.es.kr/puam- pds/upfiles/1/study.html>

초기 서양 의사의 진료

(교과서 95쪽 상단 왼쪽)

교수 자료 5

303

통신 수단의 변화

6- ( 1) 개화기 이전의 통신 수단

가. 봉화

불빛이나 연기에 의한 신호

봉화가 통신 수단으로 이용되기는 삼국 시대부터 있어 온 것으로 짐작되지만 확실한

것은 고려 의종(1149년) 이후부터이다. 봉화는 나라에 병란이 있을 때 하던 신호 통

신으로 중요한 산봉우리에 봉화대를 설치하여 서로 알리는 것으로 각 지방의 변호를

서울 목멱산(남산) 봉수대에 집중하게 하였다.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로 식별을 용

이하게 하였는데, 평상시에는 초저녁에 횃불 하나, 적이 오면 횃불 둘, 적이 국경에 가

까이 오면 횃불 셋, 적이 국경을 침범하면 횃불 넷, 접전을 하면 횃불 다섯을 올렸다.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어 봉화를 올릴 수 없을 때는 특사가 뛰어가서 전하기도 하였다.

나. 파발 - 말이나 사람이 릴레이식으로 소식을 전달

다. 인편 - 사람이 직접 전달

6- (2 ) 개화기 이후의 통신 수단

가. 우정국 설치

우리 나라 우편·체신 사업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은 홍영식이었다. 그는 일본, 미

국 등의 우편 시설을 여러 번 돌아보고 정부에 강력히 주장하여 마침내 1884년 10월

우리 나라 최초로 우정국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그 해 갑신정변으로 개국 17일 만에

폐쇄되었다.

나. 전화기

1889년 경운궁(덕수궁) 안에 처음으로 가설되었으며, 그 후, 서울- 인천 간의 시외 전

화와 시내 전화가 가설되었다. 특히 궁중에서 신하들이 황제와 통화를 하게 되면 관복

을 갖춰 입고 전화를 향해 큰절을 세 번 한 후에 무릎을 꿇고 통화를 하였다.

다. 전신기

전신 시설은 청나라가 우리 나라와의 신속한 연락을 위해 고종 22년(1885년)에 서울∼

인천 및 서울∼의주 사이에 처음으로 가설, 그 뒤 서울∼부산 간의 전신이 가설되었다.

교수 자료 6

304

교통 수단의 변화

7- ( 1) 개화기 교통 수단

교통 수단 관련 사진 설 명

도보, 말, 가마 -

불편하고

빠르지 못함

옛날 귀족이나 양반들이

타고 다니던 것으로, 2인 또

는 4인이 손으로 들거나 멜빵

에 걸어 메고 운반했다.

7- (2 ) 개화기 이후의 교통 수단

교통 수단 관련 사진 설 명

신작로가생겨나고

자동차가 다님

서양의 선교사들이 포교활동을 위하여 들여와 운행을시작하였는데, 자동차의 수가증가하자 나라에서는 길을 넓히고 인도와 차도를 구별하게되었다.

철교가개통되어 열차가

달림

1899년 개통된 노량진과제물포 간의 경인선이 우리

나라 최초의 철도이다.그 뒤 경부선(1904), 경

의선(1905),경원선(19 14)이각각 완성되었는데, 처음 열차를타는 사람들은 '쇠수레'라 불렀고, 열차에 오르면서 짚신을

벗어들기도 하였다고 한다.

서울에는전차가 다님

1889년 서대문과 청량리사이에 처음으로 전차를 놓았고, 이어서 서울에 전등을 가설하였다.

<http:/ / www.puam- e.es.kr/ puam- pds/ upfiles/ 1/ study.html>

교수 자료 7

305

새로운 문명의 시작

연 도 새 문명 및 내용

1883 근대 사립 학교 설립(원산학사)

1883 전환국 설립(근대 화폐 발행)

1883 박문국 설립(근대적 인쇄·출판)

1884 우정국 설립(우편 제도 실시)

1885 전선 가설(서울∼인천 간)

1885 광혜원 설립(근대식 병원)

1888 조선 전보 총국 설립

1896 경운궁 내 전화 개통

1899 서대문∼청량리 간 전차 노선 개통

1899 경인선(노량진∼제물포 간) 개통

1901 서울 시내 전등 가설

1902 서울 시내, 서울∼인천 간 전화 개통

1904 경부선 개통

1905 경의선 개통

교수 자료 8

306

◈ 초기 기관차의 모습

(교과서 95쪽 상단 오른쪽)◈ 동대문 밖의 화력발전소

(교과서 95쪽 하단 왼쪽)

◈ 우편 집배원(교과서 95쪽 가운뎃단 왼쪽)

◈ 전화 교환원(교과서 95쪽 하단 오른쪽)

◈ 초기 학교의 수업 모습(교과서 96쪽 상단 오른쪽)

◈ 초기 학교의 수업 모습(교과서 96쪽 가운뎃단 왼쪽)

307

학습 활동지 ② (답안)

■ 낱말 맞히기 놀이를 해 봅시다.

① ③

④ ⑨

⑥ ⑩

⑦ ⑪

★ 가로 열쇠 정답

② 옥호루

③ 독립 협회

④ 갑신정변

⑦ 대한 제국

⑧ 개화

⑪ 단발령

⑫ 광혜원★ 세로 열쇠 정답

① 김옥균

③ 독립 신문

④ 갑오개혁

⑤ 황제

⑥ 흥선 대원군

⑨ 전화

⑩ 원구단

★ 가로 열쇠② 경복궁의 가장 뒤쪽에 있는 궁으로 명성 황후가 시해된 곳③ 1896년 서재필을 중심으로 나라의 독립과 민족 자립 운동을 전개할 목적으로 세운 단체④ 1884년 김옥균 등을 중심으로 일본의 도움을 얻어 개화를 이루려고 했으나 3일만에 끝나버린 개혁⑦ 1897년 고종은 조선이 자주 국가임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나라 이름을 ○○○○이라 함⑧ 조선 왕조 말에 서양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려고 벌인 운동. ○○운동⑪ 고종이 내린 ○○○은 머리카락을 소중히 여기던 조선의 전통에 대해 큰 충격이었음.⑫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원

★ 세로 열쇠① 개화 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수신사로 일본에도 다녀온 사람으로 갑신정변을 일으킨 주요 인물③ 1896년 독립 협회의 서재필이 발간한, 우리 나라 최초의 현대식 국문판 신문④ 1894년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 개혁이었으나 일본의 간섭으로 완전한 개혁을 이루지는 못한 개혁⑤ 대한 제국의 군주를 일컫는 말⑥ 고종의 아버지, 척화비를 세운 사람⑨ 경운궁에 처음으로 개통되었으며 다리풍, 어화통, 덕률풍으로도 불리었음⑩ 고종 황제 즉위식과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원단을 만들어 조성한 단지

교수 자료 9

308

학습 활동지 ①

■ 조선 말 개화 정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

2 - (2 )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6학년 반 번

이름 :

※조선말 개화 정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써 봅시다.

학습 자료 1

309

개화하면

나라가 망할

것이다.

개화해야

우리가 살 수

있다.

학습 활동지 ②

■ 낱말 맞히기 놀이를 해 봅시다.

① ③

④ ⑨

⑥ ⑩

⑦ ⑪

★ 가로 열쇠② 경복궁의 가장 뒤쪽에 있는 궁으로 명성 황후가 시해된 곳③ 1896년 서재필을 중심으로 나라의 독립과 민족 자립 운동을 전개할 목적으로 세운 단체④ 1884년 김옥균 등을 중심으로 일본의 도움을 얻어 개화를 이루려고 했으나 3일만에 끝나버린 개혁⑦ 1897년 조선이 자주국임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수립함⑧ 조선 왕조 말에 서양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려고 벌인 운동. ○○운동⑪ 고종이 내린 ○○○은 머리카락을 소중히 여기던 조선의 전통에 대해 큰 충격이었음.⑫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원

★ 세로 열쇠① 개화 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수신사로 일본에도 다녀온 사람으로 갑신정변을 일으킨 주요 인물③ 1896년 독립 협회의 서재필이 발간한, 우리 나라 최초의 현대식 국문판 신문④ 1894년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 개혁이었으나 일본의 간섭으로 완전한 개혁을 이루지는 못한

개혁⑤ 대한 제국의 군주를 일컫는 말⑥ 고종의 아버지, 척화비를 세운 사람⑨ 경운궁에 처음으로 개통되었으며 다리풍, 어화통, 덕률풍으로도 불리었음⑩ 고종 황제 즉위식과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원단을 만들어 조성한 단지

학습 자료 2

310

마인드 맵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13∼14/ 16) 6학년 반 이름 :

♠ 배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여 봅시다.

학습 자료 3

311

마인드 맵 예시 자료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13∼14/ 16) 6학년 반 이름 :

학습 자료 4

312

마인드 맵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6학년 반 이름 :

♠ 배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여 봅시다.

학습 자료 5

313

마인드 맵 예시 자료

학습 정리용 마인드 맵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6학년 반 이름 :

♠ 제 2주제의 학습 정리 마인드 맵입니다. 시간 시간마다 누가 기록합니다.

학습 자료 6

314

□ 선택 학습 (15/16차시)

수업시기

5월 12주 일련번호 6학년 2-(2)-선택 학습-15차시

단원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선택 학습

차시15/

16

사회교과서 97사회과탐구

사회과부도

학습목표

선택 학습에 제시된 과제를 선택하여 해결할 수 있다.

연표

1830 1840 1850 1860 1870 1880 1890 1900

이양선출몰

고종즉위

서원정리시작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 강요 화호 도사 조건 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을미사변

대한제국성립

단계주요

학습내용교수·

학습 방법교수·학습활동 교수 자료 학습자료

도입

흥미유발-100년 전 사람들이 가장 신기

해했던 서양 문물은 무엇이었을까?

학습문제제시

-여러분이 선택 학습에 있는과제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를 해결해 보도록 합시다.

전개

선택학습1 조사학습 -개화기때의주요사건들을다양한 형태의 연표로 정리하기

선택학습2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의 개혁안을 살펴보고만들고자 했던 사회와 공통점찾아보기

선택학습3 - 보기와 같은 서양 문물이 처음전해졌을때무엇이라불렀는지조사해보고그렇게부른까닭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1. 서양문물이처음 들어 왔을 때의 이야기 자료

선택학습4 -개화기에 대한 낱말 맞히기 1. 낱말 맞히기학습지

선택학습5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학습문제 해결하기

2. 예시자료

정리

학습 정리-여러분이 선택한 자료에 대한

발표를 하도록 합시다

다음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는 단원 정리 학습을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315

서양 문물이 처음 들어왔을 때의 이야기 자료

1- ( 1) 자동차

우리 나라에 자동차가 첫선을 보인 것은 1903년이다. 고종이 왕위에 오른 지 40년째

가 되는 해를 기념하는 창경궁 예식에 자동차가 등장함으로써 자동차 문화가 시작된

것이다.

1908년에는 일본에 주재하던 프랑스 영사가 우리 나라로 오면서 자기가 타던 자동차

와 모터 보트를 가지고 들어왔다. 그 뒤 1910년 한일 합방이 맺어져 프랑스 영사는

우리 나라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그 때 프랑스 영사가 차를 왕실에 팔고 가는 바람에

왕실 소유의 차가 생겼다.

고종은 차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순종은 퍽 즐겨 타는 편이었다. 외국 공관에서 파티가

있거나 모임을 가질 때면 순종은 꼭 빨간 차를 타고 참석했다. 일반인들은 자동차를

볼 기회가 거의 없었다. 자동차가 뭔지 아예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순종이 자동

차를 타고 처음 장안에 나타났을 때 사람들은 놀라 자빠질 지경이었다.

아이고, 쇠귀신이다아—.

사람 살려!

걸음아 나 살려라 도망치기 바빴고, 몇몇은 서양 귀신이 옮겨 붙었을까 두려워한 나머

지 앓아 눕기도 했었다. 그렇지만 자동차는 다른 서양 문물과는 달리 빨리 익숙해진

편이었고 곧 흥미로운 구경거리로 환영받았다

1- (2 ) 전화

전화는 처음 덕률풍 또는 어화통, 다리풍이라고 불리었다. 덕률풍은 전화의 영어인 텔

레폰을 중국식으로 해서 쓴말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1900년대 초까지 사용되었다. 우

리 나라에 전화기가 선을 보인 것은 1882년 3월이며, 겨우 120미터밖에 안 되는 거

리였지만 간단한 통화 실험도 이때 이루어졌다.

고종은 1891년 1월 16일 동구릉에 임시로 전화선을 놓도록 명령했다. 1890년에 서

거한 조대비 묘가 동구릉에 있었는데, 아침저녁으로 문안을 하자니 이만저만 번거로운

일이 아니었다. 고종은 전화를 보고 꾀를 내 전화를 놓고 전화기를 통해 곡을 함으로

써 번거로움을 피했던 것이다. 이 전화선은 조 대비의 3년 상이 끝난 1893년 4월 이

후 철거되었지만 황실에 새로운 전화풍습을 남겨놓았다. 즉, 고종이 죽자 순종도 전화

기를 통해 곡을 했다고 한다.

교수 자료 1

316

1902년 3월 20일, 한성과 인천을 잇는 시외 전화가 개통되고 한성 시내 전화가 6월

에 개통되면서 널리 전화를 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궁중에서와는 달리 일반인들은

전화 이용을 몹시 꺼렸고 미워하기까지 했다. 전기, 전신과 함께 전화, 곧 덕률풍 바람

이 가뭄을 가져와 농사를 망친다는 미신이 퍼졌다. 뿐만 아니라 전화기 속에는 번개

귀신이 숨어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그러니 전화만 왔다하면 모두 벌벌 떨고 도망가기

바쁠 수밖에......

일반용 전화의 요금은 5분에 50전 씩이었고, 기다리는 사람이 있을 때는 10분을 넘길

수 없었다. 또 덕률풍 바로 옆에는 전어 감사라는 직함을 가진 직원 한 사람이 지켜

앉아 있었다. 얼굴이 안 보인다고 해서 혹시라도 상스러운 말이나 예의에 어긋난 일을

할까 감시하는 것이 전어 감사의 일이었다. 동방 예의지국다운 전화 도청 장치였던 셈

이다. 지금 돌이켜보면 재미있다.

1- (3 ) 우유

조선 시대 말에 우리 나라에 와 병원을 세우고 서양 의술을 베풀던 닥터 홀의 조선회

상에 이런 내용이 있다. 1893년 11월 평양에서 여인숙에 묵은 닥터 홀은 그를 구경하

는 조선 손님들에게 가지고 있던 가루 우유에 설탕을 타서 주었다. 맛있게 먹고 난 사람

들이 그 음료가 무엇인지 묻기에 닥터 홀은 쇠젖으로 만든 것이라 일러주었다

에이, 더럽다! 쇠젖을 어찌 사람이 먹는단 말인가.

사람들은 역겨워하며 어쩔 줄을 몰라 했다고 한다. 흰털에 검은 무늬가 얼룩덜룩 박힌

젖소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것은 1902년의 일이다. 그때 우리 조정에서 농공상부 고

문으로 있던 프랑스인 신부 쇼트가 제 나라에서 젖소를 들여왔던 것. 지금의 서울 신

촌역 가까이에 나무 울타리를 두르고 젖소를 길러 당시 장안의 구경거리가 되었다.

젖을 짜 마시기 위해 소를 기르는 것을 보며 서울 사람들은 혀를 찼다.쯧쯧! 저런 짓은 오랑캐나 하는 일이야.

나아가 쇠젖을 먹으면 머리에서 뿔이 나고 나중엔 소로 변한다는 미신까지 퍼졌다.

1- (4 ) 자전거

자전거가 맨 처음 우리 나라에 들어온 것이 언제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

만 서양 선교사들이 들여와 타기 시작했을 것이라 짐작된다. 대한 기독교 청년회를 창

설했으며, 교육 사업을 하던 윤치호 선생이 미국에서 자전거를 가져와 타고 다닐 때,

구경꾼들이 벌떼처럼 몰려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그때가 대략 1890년 무

렵이니 자전거가 우리에게 소개된 지가 적어도 백 년은 되는 셈이다.

317

외국인 선교사가 우리 나라에 와서 겪은 일을 적은 책에 의하면 자전거가 누구나 탈

수 있는 물건이라는 것을 소년들에게 알려주느라 애를 먹었다 한다. 또한 시골 노인이

자전거 벨을 신기하게 여겨 몇 번이고 종을 울려보도록 하고는 놀라서,

아, 이것이 바로 말로만 듣던 기차로구나.

하더라는 이야기도 있다.

1- (5) 야구

우리 나라에 야구가 처음 소개된 것은 1905년이다. 미국인 선교사 질레트가 황성 기

독 청년회(서울YMCA) 회원들에게 야구를 가르치면서 비롯되었다. 그 당시에는 야구

를 타구 또는 격구라고 불렀다. 1908년 4월 5일자 대한 매일 신보에는 대황제 폐하

께옵서 가까운 날에 시종관을 어양전으로 불러 타구하라 하시고 승부 경쟁을 어람하

신다더라는 기사가 실려있다.

당시의 운동복은 무명옷에 짚신을 졸라매 신는 것이 고작이었다. 포수는 마스크는 커

녕 아무런 보호 장비도 갖추지 않고 서서 볼을 받아냈다. 볼은 스폰지 공에 무명천을

감아 실로 꿰어 사용하였고, 동네 뒷산 박달나무를 잘라 다듬어 만든 방망이가 대부분

이었다.

경기 진행이 서툴러 타자들은 헛방망이질을 하기가 일쑤였는데, 어쩌다가 배트에 볼

을 맞히기만 하여도 관중들의 함성이 터지곤 했다고 전해진다. 오늘날과 비슷한 신식

야구를 접한 것은 1909년 동경 유학생들이 야구단을 조직해 고국 방문 경기를 가지면

서였다. 유니폼에 스파이크를 신고 온 유학생들의 복장을 보러 경기마다 구경꾼들이

모여들었다. 유학생들이 번트, 슬라이딩 등 플레이를 보일 때마다 관중들의 함성이 터

져 나왔다.

1- (6) 비누

1878년 2월 1일, 지금의 광화문 우체국 터에 자리잡고 있었던 좌포도청의 감옥 앞에

서 재미있는 광경이 벌어졌다. 포졸 40여 명이 저마다 밀짚대를 한 토막씩 물고 비누

방울을 불어 올리며 즐거워하는 것이었다.

포졸들에게 비누 방울 놀이를 가르쳐 준 이는 옥에 갇혀 있던 프랑스인 리델 주교였

다. 당시에는 천주교를 믿는 일을 나라에서 금지하던 때라 리델 주교는 선교 활동을

하다가 옥에 갇힌 것이다. 리델 주교는 가지고 있던 포도주를 포졸들에게 나눠주어 그

들과 친하게 되었다. 어느 날 한 포졸이 집에 남겨둔 포도주가 또 없느냐고 물었다. 리

델 주교는 있는 곳을 알려주고 돌아올 때 비누도 좀 가져다 달라고 부탁했다.비누를 처음 보는 포졸들은 리델 주교가 비누 거품을 내며 세수하는 모습을 신기하게

318

바라보았다. 리델 주교는 이 포졸들을 즐겁게 해주고 싶어졌다. 옥의 지붕을 덮은 밀짚

을 하나 뽑아달라고 해서는 비눗물을 풀어 비누 방울을 만들어 보였다.야! 거참 신기한데.

어디, 나도 해볼까?

이 무렵 세숫비누의 값은 최고급품이 1개에 1원, 일꾼의 하루 품삯이 80전인데 비해

대단히 값비싼 사치품이었다. 따라서 비누 냄새를 풍기면 일류 멋쟁이로 알아주었다.향내를 날리기 위해 비누칠을 하고 깨끗이 헹궈내지 않는 화장법까지도 한때 유행했

다. 뿐만 아니라 향긋한 냄새 때문에 아이들이 과자인 줄 알고 먹고서 배앓이를 하는

우스운 일도 종종 있었다.

1- (7) 전기

전깃불을 처음에는 물불'이라고 불렀다. 경복궁 안 향원정이라는 연못의 물을 먹고 켜

졌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다른 별명으로는 '묘화' 즉, 묘한 불이라고 불렀다. 등

불만 보고 살았던 우리네가 전깃불의 원리를 알 리 없었으니 전깃불은 참으로 묘한 불

이었으리라. 궁중에 전깃불을 밝히고자 하는 계획은 1883년부터 세워졌다. 서양에서

아크등이 개발된 때가 1879년이었으니 전등은 꽤나 빨리 우리에게 알려진 편이었다.조정에서는 에디슨에게 우리 나라에 전깃불을 가설해달라는 편지를 미국으로 보냈고

에디슨은 기꺼이 이를 받아들였다. 그 무렵 에디슨의 일기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세상에, 동양의 신비한 왕궁에 내가 발명한 전등이 다 켜지다니... 꿈만 같다!고장이 하도 잦아, 켜졌다 싶으면 이내 꺼지곤 해서 감히 임금님을 깔보는 건달' 같다

는 뜻으로 건달불이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었었다.전기가 그냥 등불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실수가 필요

했다. 그때 우리 나라에서 전기 기술자로 일했던 사람은 그의 글에서 처음 몇 달 동안

날마다 하루에 몇 집씩은 꼭 정전이 되었다고 한다.이유는 길다란 담뱃대에 담배를 꾹꾹 눌러 채운 할아버지들이 담뱃불을 붙이느라 그

랬던 것이다. 전등에 갖다대고 아무리 애를 써도 불이 붙지를 않자 전구를 빼고 소켓

속에 담뱃대 꼭지를 집어넣었으니 퓨즈가 녹을 수밖에. 이것을 깨치게 하는데 만도 얼

추 2년이 넘게 걸렸다고 한다.

사물의 첫이야기 <http://primary.edupia.com/cyber/subject1>

319

다양한 선택 학습 예시 자료

사실 지식 확인 활동 선택 학습 1, 2

1.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에 관한 낱말 맞히기를 해 봅시다.

☞ 낱말 맞히기를 통해 학습한 주제의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이다.

★ 가로 열쇠 정답

서원

소학교

전봉준

강화도

이양선★ 세로 열쇠 정답

원납전

동학

병인양요

척화비

★ 가로 열쇠

백성들의 원망을 샀던 붕당의 근거지

개화기 초등학교의 옛 이름 녹두장군

프랑스, 영국, 일본이 침입했던 곳 서양의 배

★ 세로 열쇠

대원군이 경복궁 재건을 위해 거두어들인 강제로 거두어들인 기부금

최제우가 창시한 종교

프랑스함대가 강화도에 침범한 사건

대원군이 서양과 교류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다지기 위해 전국에 세운 것

갑신정변은 ○나라의 개입으로 3일 만에 끝났다.

교수 자료 2

320

2 . 모둠원끼리 각자 한 문제씩 내어 퀴즈 대회를 해 봅시다.

☞ 학습자가 직접 문제를 내고 그 답을 인지하고 또한 다른 학습자에게 문제를 냄으로

써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와 흥미를 유발한다. 단답식 위주의 쉬운 퀴즈 문제를

통하여 학습한 주제의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이다.

<문제 예시>

붕당의 근거지인 서원을 철폐하고 경복궁을 재건한 사람은?- 흥선 대원군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침범하여 규장각에 있는 책을 훔쳐간 사건은? - 병인양요

미군이 우리 나라 강화도를 침범한 사건은? - 신미양요

흥선 대원군이 쇄국 정신을 드높이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은? - 척화비

우정총국에서 김옥균 등이 일으킨 정변은? - 갑신정변

갑오개혁의 계기가 된 사건은? - 동학 농민 운동

김홍집이 2차 수신사로 파견되었을 때 가져온 책은? - 조선책략

명성 황후가 시해된 사건은? - 을미사변

고종의 황제 즉위식이 거행되었던 곳은? - 원구단

흥미 확대 활동 선택 학습 1

1. 다음의 위인들 중 한 사람에게 주제에 맞는 편지를 써 보자.<예시 자료>

흥선 대원군 : 개혁 정책과 척화비를 세우며 쇄국 정책을 펼친 대원군의 생각은 나의 생각과

어떤 점이 같고 어떤 점이 다를까?명 성 황 후 : 을미사변으로 시해되신 명성 황후가 우리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일까?고 종 황 제 :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과 황제로서 아쉬웠던 점은 무엇일까?어 재 연 : 신미양요 때 광성보전투에서 전사한 장군과 350여명의 수병들에게서 우리가 본받

아야 할 점은 무엇일까?김 옥 균 : 갑신정변을 일으킨 이유와 실패한 원인은 무엇일까?전 봉 준 : 동학 농민 운동을 주도한 녹두 장군 전봉준이 주장한 개혁안은 무엇이었나?김 홍 집 : 갑오개혁을 통해 그가 이루고자 한 세상의 모습은 무엇이었을까?서 재 필 : 독립 협회를 결성하고 독립문과 독립 신문을 만든 그의 뜻은 무엇이었나?최 익 현 : 개화를 반대한 유학자 최익현의 주장과 나의 생각을 비교한다면?

321

흥선 대원군님께

안녕하세요?

저는 흥선 대원군님에 대한 전기집을 읽으면서 조선 후기의 어려웠던 우리 나라의 사정과

그 난국을 헤쳐나간 조상들의 노력과 흥선 대원군님의 강한 정신을 알게 되었습니다. 안동 김

씨의 세도 정치 하에서 목숨을 보전하기 위해 거짓으로 파락호 흉내를 내며 때가 오기만을

기다린 인내심과 세도 정치를 없애고 백성들을 괴롭혔던 서원을 정리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고 사치를 엄하게 단속하고 나쁜 탐관오리를 혼내주고 양반에게도 세금을 받아내고 외

세에 대응할 국력을 키워 나가는 정책에 저는 박수를 보냈습니다.

그러나 왕권을 세운다고 경복궁을 중건할 때 너무 무리하게 돈을 걷고 백성들을 동원하여

힘들게 한 것은 성급한 판단이었다고 생각이 되었어요.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힘을 하나로

모아 외세를 물리친 것은 좋았으나 그 후 쇄국 정책을 펴며 외국과 통상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잘못된 판단이었어요. 좀 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같이 의논하여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였더라면 우리 나라의 개화가 앞당겨졌을 거예요.

나라를 사랑하신 마음은 정말 훌륭했어요. 그러나 자신의 생각이 모두 다 옳다고 고집을 부

린 것은 잘못이었어요.

저는 요즘 신문을 열심히 읽게 되었어요. 그리고 영어 공부도열심히 해요. 왜냐하면 정보를

많이 알아야 옳은 판단을 할 수 있고, 영어를 알아야 제가 커서 외국인들의 생각을 바로 알고

우리 나라에 좋은 정보를 전달 할 수 있을 테니까요.

다시는 나라를 빼앗기는 힘없는 나라가 되지 않도록 열심히 공부해서 나라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될 것을 흥선 대원군님 앞에서 약속합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200 2년 5월 20일 이초롱 올림

고차적 사고력 신장 활동 선택 학습 1, 2

1. 여러분이 강화도 조약 체결이 체결될 때, 조선의 대표라면 어떤 주장을 일본에게 할

지 이야기해 보자. (교과서 86쪽 활동)

☞ 강화도 조약이 일본의 무력에 의한 불평등한 조약임을 이해하고 그 조항들을 합리

적으로 제시하게 유도한다.

322

<예시 자료>

일본이 강화도에 침입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일으키지 않겠다고 약속을

받고 보상을 받아낸다.

일본인이 조선의 해안을 자유로이 측량하지 못하도록 하겠다.

조선 땅에서 죄를 지은 자는 조선의 법에 따라 조선인이 재판한다.

이 조약은 앞으로 5년간만 유효하고 그 후에 다시 의논하기로 한다.

조선에서 무역을 하고 싶으면 세금을 낸다.

부산 이외의 항구는 개항하지 않는다. 등

2 . 여러분에게 역사를 바꿀 수 있는 마술 봉이 있다면 다음 보기 중에서 어떤 사건을 어

떻게 바꾸어 놓고 싶은지 이야기해 보자.

보기 병인양요, 운요호 사건,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 을미사변

☞ 개화기의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조상들의 노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각 역사적

사건들이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이해한다. 그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입장에서

조선의 더 밝은 미래를 펼칠 수 있게 사건을 전개하도록 유도하고 방안을 찾을 수 있

도록 유도한다.

<예시 자료>

갑신정변 - 준비를 더욱 철저히 하고 일본의 힘을 빌리지 않고 개혁을 실현하여 백성들과 인정을

받을 수 있게 하여 조선이 근대화를 빨리 진행시키도록 바꾸어 놓겠다.

을미사변 - 일본의 명성 황후 시해 사건 정보를 미리 알아내어 명성 황후를 대피시키고, 그 일본인

낭인들을 혼내 주겠다.

3 . 새로운 문물의 도입에 따른 급격한 변화가 사람들의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생각해 보고, 달라진 모습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자.

☞ 당시 사람들은 급격한 문화의 수용으로 인해 많은 곤란을 겪게 되었다. 일부 사람

들은 서양 문물이 우리의 주권과 전통을 지키는 데 해롭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이를

강경하게 반대하였다. 그러나 서양의 신식 문화는 그 편리함과 합리성 때문에 사람들

의 생활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게 되었다. 개화기의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조상들의

323

노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각 역사적 사건들이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이해한

다. 그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입장에서 조선의 더 밝은 미래를 펼칠 수 있게 사건을

전개하도록 유도하고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당시 사람들의 생활로 감정이

입할 수 있도록 역할극으로 시연해 보는 것도 좋겠다.

<예시 자료>새로운 문물의 도입은 의식주의 생활 모습을 크게 변화시켰고, 남녀 평등 사상 등을 전파하여 유

교적 사회 질서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었는

데, 특히 단발령의 시행은 의병을 일으키는 한 원인 될 정도로 사람들의 원성을 사기도 하였다.

324

선택 학습 낱말 맞히기 학습지

※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에 관한 낱말 맞히기를 해 보자

★ 가로 열쇠

백성들의 원망을 샀던 붕당의 근거지

개화기 초등학교의 옛 이름

녹두장군

프랑스, 영국, 일본이 침입했던 곳

서양의 배

★ 세로 열쇠

대원군이 경복궁 재건을 위해 거두어들인 강제로 거두어들인 기부금

최제우가 창시한 종교

프랑스함대가 강화도에 침범한 사건

대원군이 서양과 교류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다지기 위해 전국에 세운 것

갑신정변은 ○나라의 개입으로 3일 만에 끝났다.

학습 자료 1

325

4. 참고 자료

가. 본 교수 학습 자료 개발과 관련된 중학교 교육과정상의 목표들

초등 6학년 사회과 2단원 / (2 )주제 / 척화비를 세운 까닭 관련

(7) 개화와 자주 운동

안으로는 부패한 양반 사회에 대한 농민의 저항이 커져 가고 밖으로는 서양 세력이 침

략적으로 접근해 오던 19세기 후반의 위기 상황을 이해하고, 개항 이후 개화와 보수의

갈등, 외세의 침략과 그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진 민족사의 전개 과정을 파악한다.

(가) 흥선 대원군의 정치

① 19세기 중엽, 안으로 세도 정치와 부패한 양반 사회에 대한 농민의 저항이 커져 가고, 밖으로 서

양 세력이 접근해 오던 시기에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였음을 이해한다.

②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는 왕권을 강화하고 농민의 생활을 안정시켜 조선 왕조의 통치 체제를

재정비하는 데 의도가 있었음을 이해한다.

③ 흥선 대원군은 두 차례의 양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였으며, 양요 후에는 척화비를 세워 더욱 강

경하게 대처하였음을 파악한다.

④ 흥선 대원군의 대외 정책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심화과정】

①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이 국민 대다수로부터 큰 지지를 받았던 배경을 추론할 수

있다.

초등 6학년 사회과 2단원 / (2 )주제 / 조선 어디로 가야 하는가 관련

(나) 개항과 개화 운동

① 강화도 조약은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나, 일본의 강압에 의해 맺은 불평등 조약이었음

을 이해한다.

② 박규수 등은 문호를 개방하여 서양과 통상을 하고 서양의 과학 기술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는

개화 사상을 가졌고, 이 사상은 후에 김옥균 등에 영향을 주었음을 말할 수 있다.

326

③ 개화 정책에 반대하여 전개된 위정 척사 운동은 민족의 자주성과 전통 문화를 지키려는 것이었으

나, 새로운 사회로의 발전을 꾀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르지 못한 면도 있었음을 이해한다.

④ 개화와 척사의 대립, 흥선 대원군 세력과 민씨 세력의 대립 속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났으며, 이후

청의 내정 간섭이 강화되었음을 이해한다.

⑤ 갑신정변은 개화당이 자주적 근대 국가를 이룩하기 위해 일으킨 것이었으나. 국민적 지지를 얻지

못했고, 청이 무력적으로 개입함에 따라 실패하였음을 파악한다.

【심화과정】

① 강화도 조약의 주요 내용을 통하여 조약의 불평등성과 일본의 침략성을 추론할 수 있다.

② 갑신정변을 일으킨 개화당 세력이 추구하였던 정치적 목표가 무엇이었는지 설명할 수 있다.

(다)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

① 갑신정변 이후, 우리 나라의 주변 정세는 청과 일본이 대립하는 가운데 러시아와 영국 세력도 한

반도에 끼여들어 매우 복잡해졌음을 이해한다.

② 개항 이후의 일본의 경제적 침투 모습을 살펴보고, 조선이 이에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파악한다.

③ 탐관 오리의 학정에 대한 저항에서 시작된 동학 농민 운동은 반외세적 민족 운동으로 발전하였으

나. 보수적 집권층의 탄압과 일본군의 개입으로 실패하였음을 이해한다.

④ 갑오개혁은 우리 나라가 근대 사회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너무 성급히 추진되었고 일본의

간섭으로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여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했음을 이해한다.

【심화과정】

①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② 갑오개혁은 일본 제국주의의 세력에 의하여 강요된 면도 있었으나, 전통 질서를 타파하려는 근대

적 개혁이었음을 분석할 수 있다.

초등 6학년 사회과 2단원/ (2 )주제/ 대한 제국을 선포한 뜻은 관련

(8) 주권 수호 운동의 전개

19세기 이후의 민족사적 과제는 근대화의 추진과 동시에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주권을 수호하려

는 과정이었음을 이해하고, 이 시기에 전개된 민족 의식의 고취와 자주권의 수호를 위한 민족적

노력을 파악하여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자세를 가진다.

(가)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① 초기의 항일 의병 운동은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하여 시작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② 아관 파천으로 우리의 자주권이 크게 손상되고, 또한 많은 이권이 열강에 침탈 당하였음을 파

악한다.

327

③ 독립 협회는 자주·민권·자강 운동을 전개하였던 최초의 민간 정치 단체였으며, 신문의 발행,민중 집회 등을 통하여 국민 계몽에 힘썼음을 말할 수 있다.

④ 독립 협회가 개최한 만민 공동회에서는 외세 의존적인 정치를 비판하고, 근대적인 의회 정치를

요구하였음을 이해한다.⑤ 대한 제국은 독립 국가의 면모를 갖추고 산업과 교육의 진흥에 힘썼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

했음을 이해한다.【심화과정】

① 독립 협회의 지도층은 갑신정변과 갑오개혁이 민중의지지 기반이 없어서 실패로 끝난 사실을 거

울삼아, 우선적으로 민중을 일깨우기 위한 운동을 벌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나) 일제의 침략과 의병 전쟁

①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을사조약을 강요한 후 통감부를 설치하여, 우리 나라에 대한 침

략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음을 이해한다.

② 우리 민족은 일제의 국권 침탈에 대항하여 의병 전쟁, 의사와 열사의 의거 등 주권 수호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였음을 파악한다.

③ 일제는 헤이그 특사 사건을 구실 삼아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이어서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

키는 등의 주권 침탈을 자행하였음을 파악한다.

④ 일제는 러·일 전쟁 중에 독도를 불법적으로 일본 영토에 편입시켰고, 청과 간도 협약을 맺어 우

리 민족의 생활 터전이었던 간도를 청에 넘겨 준 사실을 파악한다.

【심화과정】

① 한말 항일 의병을 주도하였던 유학자들이 지니고 있었던 사상적 한계가 무엇인지를 토론한다.

(다) 애국 계몽 운동

① 애국 계몽 운동은 지식인들이 사회·문화적 활동을 통하여 나라를 지키려는 실력 양성 운동으로

여러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진행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② 보안회, 신민회 등의 애국 계몽 운동 단체가 전개한 활동상을 이해한다.

③ 민족 신문은 구국 운동의 전개와 근대 문화의 발전에 공헌하였는데, 독립 신문 이후에 발간된 신

문으로는 황성 신문, 대한 매일 신보 등이 있었음을 파악한다.

④ 다수의 근대 학교들이 설립되어 민족 의식을 고양하면서 주권을 지키고 나라를 부강하게 하려는

애국 계몽 운동에 앞장섰음을 이해한다.

⑤ 국채 보상 운동은 경제적 민족 운동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국민들의 호응을 받아 전국적으로 추

진되었으나. 일제의 방해로 중단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심화과정】

① 을사조약 이후 개화 세력의 민족 운동은 국권 회복을 위한 실력 양성 운동, 곧 애국 계몽 운동으

로 전개되었음을 탐구한다.

328

참고 자료 및 사이트

주제 관련 도서

1.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사회-,

서울 : 인쇄공업협동조합

2. 교육부(1997).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별책1-,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사회 6-1,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월간교육자료 2월호 별책부록, 2001, 한국교육출판.

5. 박화목(1978). 논술학습만화 한국의 역사 13-근대 사회의 전개-,

서울 : 대산 출판사

6. 역사신문 편찬위원회(2002). 역사신문 5권, 서울 : 사계절

주제 관련 사이트

1. 강화군청 <http://www.kanhwa.incheon.>

2. 강화역사문화연구소 <http://www.kwangwado.org>

3. 정읍시청 -동학농민기념탑 <http://www.jeongeup.go.kr/culture/>

4. 프랑스에서 발간된 책의 표지 <http://www.kimspia.com.ne.kr>

5. 서울특별시청 - 우정총국 <http://www.metro.seoul.kr>

6. 개화기에들어온서양문물의예시자료

<http://primary.edupia.com/cyber/subject1>

7. <http://www.chungdong.or.kr/middroom/syshim/한국사/한국사b-17.htm>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