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BT기술동향 보고서 www.bioin.or.kr 기술동향 2009-6 총서 제 124권 공개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바이오경제시대의초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305-330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 TEL : 042-879-8371~9 www.bioin.or.kr

BT기술동향 보고서

www.bioin.or.kr

기술동향 2009-6 총서 제 124권

공 개

BT기술동향보고서

후성유전체

연구

활용기술

2009

총서124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Page 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Page 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본지에 게재된 내용은 필자의 개인 견해이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지의 내용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

(http://www.bioin.or.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Page 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Page 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후성유전학 및 후성유전체 관련 기술은 지난 2006년 미국 MIT에서

발표한 10대 미래유망 기술 중 하나로 선정되는 등 인간 게놈

프로젝트 완료 이후 차세대 게놈 프로젝트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후성유전체 연구는 특히 원천적 신규 질환타겟 발굴 및

후보물질 도출에 활용되어 현재의 제약 및 의료산업에 파급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에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는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는

“BT 기술동향보고서”의 핵심기술로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을

선정하여 이 분야에 대한 특허, 논문 및 시장정보 분석과 국내∙외

연구․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분야의 기술개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을 포함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발간하는 BT 기술동향보고서는 BT

핵심기술 분야별 국가 R&D 활동현황 및 정책 추진현황, 국내외

기술동향과 전망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담고 있어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본 보고서는 124번째로 발간되는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이며

28번째로 발간되는 기술동향보고서로서 “후성유전체” 분야의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끝으로 본 보고서 작성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를 비롯하여 많은 조언과 지도를 해주신 연세대학교 김영준 교수님,

(주)지노믹트리 안성환 대표님, 국립암센터 이연수 박사님께도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10.3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현 병 환

Page 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Page 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 i -

목 차

1. 후성유전체 연구개요 ································································· 1

가. 후성유전체란? ·································································································· 1

나. 후성유전체의 연구의 발자취와 이정표들 ····················································· 2

2. 서지분석 ······················································································ 4

가. 특허분석 ············································································································ 4

1) 해외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세계동향 ········································· 4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국내동향 ······················ 8

3)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국내동향` ········ 9

나. 논문분석 ·········································································································· 11

1) 논문으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세계동향 ···················································· 11

2) 논문으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국내동향 ···················································· 16

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 20

3. 기술개발동향 ············································································ 26

가. 세계동향 ·········································································································· 26

1) 글로벌 공동연구 및 국제적 컨소시엄 ······················································ 26

2) 주요국 정책동향 및 관련 연구기관 ·························································· 29

3) 연구분야별 동향 ·························································································· 33

가) 후성유전체 기작연구 분야 ···································································· 33

나) 후성유전체 임상적 활용기술 분야 ······················································ 34

다) 후성유전체 분석툴 및 분석기술 분야 ················································· 35

4) 해외 산업체 동향 ························································································ 36

나. 국내동향 ·········································································································· 37

1) 정책동향 및 정부투자 분석 ······································································· 37

1) 국내 주요 연구자 및 연구성과 ································································· 40

가) 학계 ·········································································································· 40

나) 연구계 ······································································································ 42

다) 산업계 ······································································································ 43

Page 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 ii -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 45

가.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 45

나. SWOT 분석 및 대응전략 ············································································· 47

다. 기대효과 및 시사점 ······················································································· 48

5. 참고문헌 ···················································································· 49

별첨 1. 후성유전체 특허분석

별첨 2. 후성유전체 논문분석

Page 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 iii -

표 목 차

[표 1] 우선권주장국가별 해외특허 출원 및 등록현황 ······································· 6

[표 2]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특허의 주요 출원기관 ··········································· 7

[표 3]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해외특허 ··················································· 7

[표 4]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에 출원 및 등록된 국내특허 ································ 8

[표 5]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특허의 주요 출원기관 ··········································· 10

[표 6]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논문 주요 연구기관 ············································· 13

[표 7]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논문 주요 저자 ···················································· 14

[표 8]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해외논문 ················································· 14

[표 9]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논문 주요 게재 저널 ··········································· 17

[표 10]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논문 주요 연구기관 ············································ 17

[표 11]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논문 주요 저자 ···················································· 18

[표 12]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국내논문 ················································ 19

[표 13] 제품군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21

[표 14] 질환군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23

[표 15] 조직군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24

[표 16] 지역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24

[표 17] NIH Roadmap 연구비를 지원받는 후성유전체 관련 과제 ················ 30

[표 18] 후성유전학 관련 연구개발 정부 투자비 ················································ 37

[표 19] 후성유전학 관련 연구개발 부처별 투자비 ············································ 38

[표 20] 부처별 후성유전학 연구지원 주요 사업명 ············································ 39

[표 21] 우리나라 후성유전체에 대한 SWOT 분석 및 대응전략 ······················ 47

Page 1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 iv -

그 림 목 차

[그림 1] 후성유전체 마커(Epigenomic Marks)의 2가지 종류 ························ 1

[그림 2] 후성유전체 연구의 중요 발견들 ···························································· 2

[그림 3] 암 연구에 있어서 후성유전체 분야의 중요 발견들 ···························· 3

[그림 4] 후성유전체 분야 해외특허 연도별 출원 및 등록현황 ························ 4

[그림 5] 후성유전체 분야 해외 특허등고선 ························································ 5

[그림 6]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특허 연도별 출원 및 등록 현황 ······················ 9

[그림 7] 우선권주장국가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현황 ································· 10

[그림 8]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논문 연도별 발표 현황 ··································· 11

[그림 9]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논문 국가별 발표 현황 ··································· 12

[그림 10]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논문 연도별 발표 현황 ··································· 16

[그림 11] 후성유전체 제품 및 산업 생태계 ························································ 20

[그림 12] 제품군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22

[그림 13]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제품군별 점유율 현황 및 전망 ······················ 22

[그림 14] 질환군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점유율 현황 및 전망 ······················ 23

[그림 15] R&D 조직군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24

[그림 16] 지역별 후성유전체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25

[그림 17] 후성유전학 관련 연구개발 정부 투자비 현황 ··································· 37

[그림 18] 후성유전학 관련 연구개발 부처별 투자비 현황 ······························· 38

Page 1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 후성유전체 연구개요 1

1. 후성유 체 연구개요

인간 게놈 로젝트 완료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로젝트

수행으로 인간의 염기서열 정보와 유 자 변이에 한 정보가 속속 밝 지고

있으며, 차세 게놈 로젝트로 후성유 체 연구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음

가. 후성유 체란?

후성유전학(Epigenetics)은 DNA 염기서열 자체의 변화가 아닌 DNA 주변환경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연구하는 분야로 이를 전체 유전체 차원에서 연구하는 것을 후성유전체학(Epigenomics)이라 함

○ DNA 염기서열의 변화가 아닌, 외부 주위환경에 의한 변이는 크게 2가지로 DNA methylation과 Histone modification이 대표적임

­ 후성유전적 코드는 염기서열보다 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쌍둥이들의 후성유전적 프로파일을 비교해보면, 비슷한 환경에서 함께 자란 쌍둥이에 비해서 멀리 떨어져 자란 쌍둥이 사이에서 그 프로파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

후성유 변이가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의 발생과 연 이 있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최근 질환과 후성유 체의 연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그림 1] 후성유 체 마커(Epigenomic Marks)의 2가지 종류

출처: http://www.genome.gov/images/illustrations/FactSheet_EpigenomicMechanisms.pdf

Page 1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2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나. 후성유전체 연구의 발자취와 이정표들

1965년 DNA methylation 현상이 처음으로 발견됨○ 1996년 Histone acetyltransferase(HAT)와 Histone deacetylase(HDAC)의

발견으로 분화, 발생 및 유전자 조절 전반에 후성유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함

­ 1997년 이후 Histone methyltranfease(HMT) 및 DNA methyltransferase (DMNT)의 발견으로 1965년 발견된 DNA methylation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밝히게 됨에 따라 Methylation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됨

2006년 Demethylase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유 자들이 발견되었으며 methylation,

acetylation 등을 조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의약 물질이 2000년 반에

FDA 승인을 받음

[그림 2] 후성유 체 연구의 요 발견들

출처: by dshechter May 7, 2009. Science

Page 1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 후성유전체 연구개요 3

○ 질환 중에서도 암(Cancer)과 후성유전체 연관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NIH Roadmap 이후 다양한 질환에서의 연구가 추진 중임

­ 1983년 암에서의 DNA methylation의 변화가 발견되었고, 이후 암에서 tumor suppressor 유전자들의 DNA methylation 변화와 암 발생과의 관련성, 환경적 영향 등에 관한 연구가 2000년대 초반 활발해짐

[그림 3] 암 연구에 있어서 후성유 체 분야의 요 발견들

출처: Nature Review, “The history of cancer epigenetics” (2004.2)

Page 1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4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2. 서지분석

가. 특허분석

1) 해외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세계동향후성유전체 연구 및 이를 응용한 활용기술에 대한 해외특허는 1991년부터 최근까지 총 615건이며 2000년대 초반 이후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임

○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관련 특허는 1990년대 초반까지 드물게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특허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인간게놈 로젝트 이후에 후성유 체에 한 이슈가 부상하면서 최근 후성유 체

활용기술 개발이 매우 활발해짐을 알 수 있음

[그림 4] 후성유 체 분야 해외특허 연도별 출원 등록 황

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NEAR time) OR (histone NEAR modificat*) OR

(nucleosome NEAR position*) OR heterochromatizat*, 검색범위: Title, Abstract OR Claims, 검색

도메인: 미국/유럽 공개 및 등록, PCT/일본영문 공개, 검색기간: 출원년월일 기준 1991. 1. 1∼2009. 6.

16, 패밀리특허1)는 제거하였으나 별도의 노이즈특허 제거없이 특허분석을 수행함*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 특허분석의 자세한 내용은 별첨1 참조

1) Patent Family라고도 하며 우선권을 공유하는 동일한 내용의 특허를 각국의 특허청에 출원

등록한 경우, 이들 특허를 패 리특허라 함

Page 1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5

특허등고선을 통해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에 관한 주요 연구분야와 기술분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High-Throughput 검출방법과 어레이를 이용한 메틸화 상태 분석방법을 포함한 DNA 메틸화 정량방법 및 메틸화 패턴 측정방법 개발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 후성유전체의 활용적인 측면에서 DNA demethylase를 이용한 치료제 및 진단제 개발에 응용되고 있으며 DNA 메틸화 기반의 질환 예측방법, DNA 메틸화 마커 및 저해제 개발 관련 특허들도 상대적으로 분포가 밀집됨

○ 이외에도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관련 줄기세포 분야의 후성유전체 활용기술, 신규 히스톤 methyltransferase 규명, 크로마틴 추출방법, RNAi-기반 헤테로크로마틴 변형방법, 특정형질 연관 유전자 분석 및 예측을 위한 검퓨터 시스템과 분석방법 개발에 대한 특허들이 서로 군집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관찰됨

[그림 5] 후성유 체 분야 해외 특허등고선

Page 1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6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국내는 6건의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특허를 보유하여 세계에서 7번째(EP 제외)로 많은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됨

○ 후성유전체에 대한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405건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66%를 점유하며 이 분야의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음

­ 그 뒤로 독일 39건, 일본 39건, 영국 24건, 호주 19건 등으로 이들 국가에서 주요하게 후성유전체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표 1] 우선권주장국가2)별 해외특허 출원 등록 황

순 출 원 국 가 특 허 건수 순 출 원 국 가 특 허 건수

1 미국 405 5 호주 19

2 독일 39 6 랑스 7

2 일본 39 7 한민국 6

4 국 24 8 뉴질랜드 5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출원기관은 암에 대한 체외진단 기술개발 등 분자진단 전문회사인 EPIGENOMICS AG사로 5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두 번째는 미국의 JOHNS HOPKINS대학으로 13건의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됨­ 이외에도 미국, 일본, 독일의 제약회사 및 바이오전문회사, 대학, 연구소에서

후성유전체를 활용한 진단제 및 치료제의 기술개발 노력을 관찰할 수 있음후성유 체 연구의 특성상 신규성과 기 연구단계로 인해 학들이

주요 이어로서 활동하고 있음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 중 피인용이 많이 된 주요 특허들은 메틸화 DNA 검출방법에 관한 내용과 방법들이 주를 이루며 methylated DNA High-Throughput 에 관한 특허도 있음

○ 또한 DNA 메틸화 변화에 의한 종양 진단방법, 크로마틴 히스톤 변형에 대한 특허들도 피인용이 많이 되어 기술적·산업적 파급효과를 나타냄

2) 우선권주장국가(Priority Country)란 우선권을 가지는 특허가 출원된 국가로서 다수의

경우에 출원인 혹은 주발명인의 자국에 출원된 특허를 우선권으로 지정함. 우선권주장국가가

EP 혹은 WO로 표기된 경우는 제외함, EP WO는 우선권주장 상 특허가 다국 연합

특허기구인 EP(유럽특허청) 혹은 WO(세계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를 말함

Page 1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7

번호 특허번호 명칭 출원인 출원일피인용

회수

1 WO2007107162A2 Small Internally Segmented Interfering RNA SYDDANSK UNI 2007-03-23 78

2 US5786146A

Method Of Detection Of Methylated Nucleic Acid Using Agents Which Modify Unmethylated Cytosine And Distinguishing Modified Methylated And Non-Methylated Nucleic Acids

UNIV JOHNS HOPKINS MED 1996-06-03 71

3 WO1992008796A1 Bifunctional Selectable Fusion Genes IMMUNEX CORP 1991-11-12 56

4 US6331393B1 Process For High-Throughput DNA Methylation Analysis

UNIV SOUTHERN CALIFORNIA

1999-05-14 44

5 US6214556B1 Method For Producing Complex DNA Methylation Fingerprints

EPIGENOMICS AG 1999-09-22 38

6 WO1998002449A1

Nucleic Acid Amplification Oligonucleotides With Molecular Energy Transfer Labels And Methods Based Thereon

ONCOR INC 1997-07-15 36

7 US5789166A Circular Site-Directed Mutagenesis STRATAGENE INC 1995-12-08 32

8 US6251594B1 Cancer Diagnostic Method Based Upon DNA Methylation Differences

USC NORRIS COMPREHENSIVE CANCE

1998-06-09 23

9 WO1999064582A2High-Throughput Screening Of Gene Function Using Libraries For Functional Genomics Applications

INTROGENE BV 1999-06-11 22

10 US6287825B1 Methods For Reducing The Complexity Of DNA Sequences

MOLECULAR STAGING INC 1999-09-17 21

11 US6020139AS-Adenosyl Methionine Regulation Of Metabolic Pathways And Its Use In Diagnosis And Therapy

ORIDIGM CORP 1995-04-25 19

12 US20040001817A1 Anti-Aging Nutritional Supplement UNKNOWN 2003-05-13 18

13 US6906320B2 Mass Spectrometry Data Analysis Techniques MERCK &CO INC 2004-03-31 17

14 US6905669B2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establishing Gene Transcription Through Inhibition Of DNA Methylation And Histone Deacetylase

SUPERGEN INC 2001-04-24 16

[표 2] 후성유 체 련 해외특허의 주요 출원기

순 출 원 기 특 허 수 순 출 원 기 특 허 수

1 EPIGENOMICS AG 50 9 UNIV HONG KONG CHINESE 6

2 UNIV JOHNS HOPKINS 13 9 MAX PLANCK GESELLSCHAFT 5

3 UNIV SOUTHERN CALIFORNIA 9 9 ONCOMETHYLOME SCIENCES SA 5

3 UNIV TEXAS 8 9 ORION GENOMICS LLC 5

5 SUMITOMO CHEMICAL CO 7 9 UNIV CALIFORNIA 5

5 ASTEX THERAPEUTICS LTD 6 15

[표 3] 후성유 체 련 주요 피인용 해외특허

Page 1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8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15 US5972608AAssays And Reagents For Chromatin Remodeling Enzymes And Their Modulators

UNIV MASSACHUSETTS

1997-08-27 14

16 WO1993007866A2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y And Prevention Of Cancer, Aids, And Anemia

SAMID DVORIT 1992-10-13 14

17 US5928944A Method Of Adenoviral-Medicated Cell Transfection US HEALTH 1994-02-04 13

18 WO1993005804A1Activated Stromal Fibroblast-Specific Antibody, F19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SLOAN KETTERING INST CANCER

1992-09-18 12

19 US6255293B1 Prevention Of Metastasis With 5-Aza-2'-Deoxycytidine YEDA RES &DEV 1999-07-26 11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6 기준, 미국출원특허 중 출원인을 등록 전까지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 출원인이

UNKNOWN으로 표기될 수 있음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국내동향해외(미국/유럽 공개 및 등록, PCT/일본영문 공개특허)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에 대한 국내특허는 6건으로 조사됨

○ 국내특허는 암 특이 메틸화 마커 유전자, 항암물질 스크리닝을 위한 DNA 메틸화 측정방법 등에 관한 내용으로 바이오 관련 기업과 연구원에서 특허를 보유함

[표 4] 후성유 체 련 해외에 출원 등록된 국내특허

번호 특허번호 명칭 출원인 출원일피인용

회수

1 EP1880023A1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Methyl Cytosine In DNA And Uses Thereof

KOREA RES INST OF STANDARDS

2006-05-11 0

2 US7368255B2 Runx3 Gene Showing Anti-Tumor Activity And Use Thereof BAE SUK-CHUL 2003-07-18 0

3 WO2006090987A1Methods For Performing Direct Enzymatic Reactions Involving Nucleic Acid Molecules

BIOQUEST INC 2006-02-08 1

4 WO2006107156A1

Methods For Estimating Global DNA Methylation In Mouse And Screening Methods For Candidate Anticancer Agents Using The Same

CHABIOTECH CO LTD 2006-03-22 0

5 WO2008103015A1

Methods, Compositions And Ki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r Specificity Of Hybridization Between PNA Probes Immobilized On Support And Target Nucleic Acids

PANAGENE INC 2008-02-22 0

6 WO2009069984A2Diagnosis Kit And Chip For Bladder Cancer Using Bladder Cancer Specific Methylation Marker Gene

GENOMICTREE INC. 2008-12-01 0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6 기준**해외에 출원 및 등록된 국내특허는 해외특허 동향조사를 위한 검색조건과 동일함. 단 Priority Country가

한국인 특허만을 검색한 결과, 6건의 특허가 검색되어 이를 상기의 리스트로 정리함

Page 1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93)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국내동향

한국 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연구 및 이를 응용한 활용기술 관련 특허는 총 64건으로 조사됨

○ 후성유전체에 대한 국내특허는 1990년대 초반까지 드물게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특허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는 해외특허 연도별 출원동향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

­ 국내에서도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에 후성유전체에 이슈가 부상하면서 최근 후성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이 활발해짐을 알 수 있음

[그림 6] 후성유 체 련 국내특허 연도별 출원 등록 황

특허검색 DB: Wisdomain사 Focust DB 이용, 검색키워드: 후성유전체 OR 에페제네틱스 OR 에피제놈 OR

"DNA 메틸*" OR "유전자 메틸*" OR "히스톤 변형" OR epigenetic* OR epigenom* OR "DNA methylat*"

OR "DNA replication time" OR "histone modificat*" OR "nucleosome position*" OR heterochromatizat*,

검색범위: Title, Abstract OR Claims, 검색 도메인: 한국 공개 및 등록, 검색기간: 출원년월일 기준 1991.

1. 1∼2009. 6. 16, 별도의 노이즈특허 제거 없이 특허분석을 수행함*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 특허분석의 자세한 내용은 별첨1 참조

우선권주장국가로 살펴본 국내 후성유전체에 대한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26건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40%를 점유한 상태로 미국 출원기관의 특허가 국내에 적극적으로 진입해있는 상태임

○ 두 번째로 많은 특허를 출원한 한국은 20건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31%를 점유하고

Page 2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10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있으며 그 뒤로 독일 3건, 일본 2건, 프랑스 2건, 기타 국가 3건으로 조사됨

국내특허가 두 번째로 많은 상황이긴 하나 국내 후성유 체 련 기술시장

보호를 해 미국, 독일 등 타 국가 특허의 내용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음

[그림 7] 우선권주장국가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황

한국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는 어느 한 출원기관으로 집중되는 양상은 아님

○ 그러나 국내 분자진단 전문업체인 지노믹트리와 존슨앤존스 자회사로 암 체외진단 전문회사인 베리덱스 LLC에서 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표 5] 후성유 체 련 국내특허의 주요 출원기

출 원 기 특 허 건수 출 원 기 특 허 건수

지노믹트리 5 맥길 유니버시티 2

베리덱스 LLC 5 바스 악티엔게젤샤 트 2

경북 학교 4 에스체악티엔게젤샤 트 2

니코메드 게엠베하 3 아스텍스 테라퓨틱스 2

에피제노믹스 아게 2 카톨릭 학교 2

*2건의 특허를 보유한 출원기관 모두를 표기되지 않음

Page 2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11나. 논문분석

1) 논문으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세계동향후성유전체에 대한 논문은 1992년부터 최근까지 총 17,407편으로 1990년대 서서히 발표되는 추세에서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논문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 후성유전체 분야는 특허에 비해 논문의 수가 월등히 많은 분야로 DNA 메틸화 등에 관한 후성유전학 관련 기초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다가 최근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후성유전체라는 개념이 부각되며 논문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현재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후성유전체 활용 및 응용기술 개발이 활발해지는 단계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본 분석에서는 순수한 후성유 체 분야뿐 만 아니라 후성유 학 분야를

포함하는 검색식으로 범 하게 련 특허와 논문을 검색하여 분석하 음

[그림 8] 후성유 체 련 해외논문 연도별 발표 황

특허검색 DB: ISI사 SCIE(Web of Science)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pigenom* OR "DNA

methylat*" OR "DNA replication time" OR "histone modificat*" OR "nucleosome position*" OR

heterochromatizat*, 검색범위: Topic(Article Titles, Abstracts, OR Keywords), 문서형태: Article,

검색기간: 1992. 1. 1∼2009. 6. 17, 별도의 노이즈 제거 없이 논문분석을 수행함*논문분석의 자세한 내용은 별첨2 참조

Page 2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12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후성유전체 관련 해외논문들이 정량적으로 많이 발표되는 주요 저널들은 암과의 연관연구로 인해 Cancer Research, Oncogene 등으로 많이 발표됨

○ 이외에도 PNA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ucleic Acids Research 등으로 발표됨

세계적으로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는 미국으로 총 8,017편의 논문을 발표함

○ 미국에서 발표한 논문은 전체의 46%를 차지하며 이 분야의 연구개발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음

­ 그 뒤로 일본 2,034편, 독일 1,598편, 영국 1,329편, 프랑스 1,083편, 중국 923편 등으로 유럽 국가에서 주요하게 논문발표가 활발함

인간게놈 로젝트 유 체 연구에 극 인 국가들이 후성유 체 연구

한 활발하게 주친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총 407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세계에서 12번째로 많은 논문을 발표한 나라로 조사됨

[그림 9] 후성유 체 련 해외논문 국가별 발표 황

Page 2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13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미국의 하바드 대학으로 총 478편의 논문을 발표함

○ 그 뒤로 미국의 국립암연구소인 NCI(National Cancer Institute)가 392편, 미국 텍사스대학이 387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후성유전체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과 연계하여 활발한 연구를 추진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음

­ 미국, 일본, 캐나다의 대학들이 주요한 연구기관으로 조사되며 후성유전체 분야는 매년 논문발표가 활발함

후성유 체 분야는 논문발표가 활발한 분야이긴 하나 아직은 기 연구가

활발한 상태로 앞으로 산업체와의 력을 통한 응용 개발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표 6] 후성유 체 련 해외논문 주요 연구기

순 연구기 논문수 소속 국 가 순 연구기 논문수 소속

국 가

1 HARVARD UNIV 478 미국 9 UNIV CALIF LOS ANGELES 210 미국

2 NCI 392 미국 9 UNIV CAMBRIDGE 210 국

3 UNIV TEXAS 387 미국 11 MCGILL UNIV 191 캐나다

4 JOHNS HOPKINS UNIV 350 미국 12 UNIV PENN 181 미국

5 OHIO STATE UNIV 235 미국 12 UNIV WASHINGTON 181 미국

6 UNIV CALIF SAN FRANCISCO 227 미국 14 RUSSIAN ACAD SCI 179 러시아

7 UNIV TOKYO 225 일본 15 STANFORD UNIV 177 미국

8 UNIV SO CALIF 224 미국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저자는 미국 존스홉킨스암센터의 Herman, JG로 116편의 논문을 발표함

○ 두 번째로는 스페인 국립암연구센터의 Esteller, M이 112편, 존스홉킨스 의약 연구소의 Baylin, SB가 110편의 논문을 발표함

­ 이외에 주요 연구자들은 미국, 스페인, 일본, 영국 대학 소속의 저자들 또한 활발한 논문활동을 보이고 있음

Page 2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14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순 자 소속 기 논문수

1 HERMAN, JG Comprehensive Cancer Center Johns Hopkins, USA 116

2 ESTELLER, M Spanish National Cancer Research Centre(CNIO), Spain 112

3 BAYLIN, SB Johns Hopkins University Medical Institutions, USA 110

4 ISSA, JPJ 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USA 92

5 JONES, PAMorris Comprehensive Cancer Center, Keck School of Medicine, USA

79

5 ZHANG, Y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USA

72

7 SUZUKI, H Sapporo Medical University, Japan 69

8 TOYOTA, M Sapporo Medical University, Japan 67

8 JAENISCH, R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USA 64

10 PLASS, C Ohio State University, USA 60

11 MINNA, JDThe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at Dallas, USA

59

12 FRAGA, MF Spanish National Cancer Research Centre(CNIO), Spain 58

12 GAZDAR, AF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USA 58

12 IMAI, K Sapporo Medical University, Japan 58

12 REIK, W University of Cambridge, United Kingdom 58

번호 논문제목 명 교신 자 발표년도

피인용회수

1 Methylation-Specific Pcr: A Novel Pcr Assay For Methylation Status Of Cpg Islands

PNAS 93(18) pp. 9821-9826 Baylin, S.B. 1996 2,695

[표 7] 후성유 체 련 해외논문 주요 자

*저자의 소속기관은 최근 주소 위주로 정리함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중 피인용이 많이 된 논문들은 DNA 메틸화 관련 유전자, 효소에 관한 논문과 DNA 메틸화와 암과의 연관연구에 관한 논문이 주를 이룸

○ 또한 히스톤 변형 관련 효소에 관한 논문들도 주요하게 피인용 되어 과학적 파급효과를 나타냄

[표 8] 후성유 체 련 주요 피인용 해외논문

Page 2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15

2 The Language Of Covalent Histone Modifications

NATURE 403(6765) pp. 41-45 Allis, C.D. 2000 2,332

3Targeted Mutation Of The Dna Methyltransferase Gene Results In Embryonic Lethality

CELL 69(6) pp. 915-926 Jaenisch, R. 1992 1,664

4

5' Cpg Island 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Transcriptional Silencing Of The Tumor-Suppressor P16/Cdkn2/Mts1 In Human Cancers

NATURE MEDICINE 1(7) pp. 686-692

Sidransky, D. 1995 1,328

5Transcriptional Repression By The Methyl-Cpg-Binding Protein Mecp2 Involves A Histone Deacetylase Complex

NATURE 393(6683) pp. 386-389 Bird, A. 1998 1,269

6 Cancer Epigenetics Comes Of AgeNATURE GENETICS 21(2) pp. 163-167

Laird, P.W. 1999 1,180

7 Methylated Dna And Mecp2 Recruit Histone Deacetylase To Repress Transcription

NATURE GENETICS 19(2) pp. 187-191

Wolffe, A.P. 1998 1,061

8A Genomic Sequencing Protocol That Yields A Positive Display Of 5-Methylcytosine Residues In Individual Dna Strands

PNAS 89(5) pp. 1827-1831 Paul, C.L. 1992 1,024

9Dna Methyltransferases Dnmt3A And Dnmt3B Are Essential For De Novo Methylation And Mammalian Development

CELL 99(3) pp. 247-257 Li, E. 1999 1,017

10 In Vivo Protein Transduction: Delivery Of A Biologically Active Protein Into The Mouse

SCIENCE 285(5433) pp. 1569-1572 Dowdy, S.F. 1999 1,001

11 Methylation Of Histone H3 Lysine 9 Creates A Binding Site For Hp1 Proteins

NATURE 410(6824) pp. 116-120 Jenuwein, T. 2001 974

12Incidence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Hmlh1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Colorectal Carcinoma

PNAS 95(12) pp. 6870-6875 Baylin, S.B. 1998 950

13Rett Syndrome Is Caused By Mutations In X-Linked Mecp2, Encoding Methyl-Cpg-Binding Protein 2

NATURE GENETICS 23(2) pp. 185-188

Zoghbi, H.Y. 1999 943

14 Role For Dna Methylation In Genomic Imprinting NATURE 366(6453) pp. 362-365 Jaenisch, R. 1993 938

15 High-Sensitivity Mapping Of Methylated Cytosines

NUCLEIC ACIDS RESEARCH 22(15) pp. 2990-2997

Frommer, M. 1994 926

16 A Gene Hypermethylation Profile Of Human Cancer

CANCER RESEARCH 61(8) pp. 3225-3229

Herman, J.G. 2001 913

17 Regulation Of Chromatin Structure By Site-Specific Histone H3 Methyltransferases

NATURE 406(6796) pp. 593-599 Jenuwein, T. 2000 903

18 Silencing Of The Vhl Tumor-Suppressor Gene By Dna Methylation In Renal-Carcinoma

PNAS 91(21) pp. 9700-9704 Baylin, S.B. 1994 889

19Synergy Of Demethylation And Histone Deacetylase Inhibition In The Re-Expression Of Genes Silenced In Cancer

NATURE GENETICS 21(1) pp. 103-107

Baylin, S.B. 1999 863

20 Changing Potency By Spontaneous Fusion NATURE 416(6880) pp. 545-548 Smith, A.G. 2002 844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7 기준

Page 2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16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2) 논문으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국내동향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연구활동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시작되어 최근까지 논문발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국내논문은 407편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관련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하다가 비로소 2000년대 이후 관련 논문발표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 이는 해외논문 발표현황과도 유사한 양상으로 최근 후성유전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7년과 2008년 한해에 7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됨

본 분석에서는 순수한 후성유 체 분야뿐 만 아니라 후성유 학 분야를

포함하는 검색식으로 범 하게 련 특허와 논문을 검색하여 분석하 기

때문에, 특히 국내논문은 후성유 학 련 논문이 상당부분을 차지함

[그림 10] 후성유 체 련 국내논문 연도별 발표 황

* 국내논문은 해외논문 동향조사를 위한 검색조건과 동일함. 단 Affiliation에 "South Korea"가 포함된

논문만을 검색한 결과를 가지고 분석함. 별도의 노이즈 제거없이 논문분석을 수행함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 관련 국내논문들이 정량적으로 많이 발표되는 주요 저널들을 살펴보면 해외동향과 동일한 양상을 보임

○ 국내에서도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과 암과의 연관관계 연구결과들로 인해 Cance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Oncogene으로 많이 발표됨

Page 2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17

­ 이외에도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Molecules and Cell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등으로 발표됨

[표 9] 후성유 체 련 국내논문 주요 게재

순 명 논문건수 순 명 논문건수

1 Cancer Research 25 4 Molecules and Cells 14

2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2 5 Oncogene 13

3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7 6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1

*2008년 IF(Impact Factor) 기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서울대로 총 116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전체의 28%를 점유하며 서울대의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 연구 활동이 활발함

○ 그 뒤로 성균관대가 46편, 생명연이 34편, 연세대 34편, 울산대 26편 등 대학과 연구소의 논문발표가 활발하며, 특히 국립암센터는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기술의 연계연구를 활발히 추진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음

[표 10] 후성유 체 련 국내논문 주요 연구기

순 기 명 논문수 구분 순 기 명 논문수 구분

1 SEOUL NATL UNIV  116  학 8 CATHOLIC UNIV KOREA  20  학

2 SUNGKYUNKWAN UNIV  46  학 9 KOREA ADV INST SCI &TECHNOL  19  학

3  KOREA RES INST BIOSCI &BIOTECHNOL 34 연구소 10 NATL CANC CTR  18  연구소

3 YONSEI UNIV  34  학 11 KONKUK UNIV  17  학

5 UNIV ULSAN  26  학 11 KYUNGPOOK NATL UNIV  17  학

6 KOREA UNIV  25  학 13 GYEONGSANG NATL UNIV  15  학

7 KYUNG HEE UNIV  21  학 14 POCHON CHA UNIV  13  학

*대학소속의 대학병원들은 각 대학으로 포함됨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 관련 논문은 어느 한 연구자로 집중되어 발표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있으나 국내저자로는 서울대 암연구소의 KANG, GH와 같은 서울대병원의 KIM, JH로 27편의 논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함

Page 2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18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순 자 소속 기 논문수

1 KANG, GH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27

1 KIM, JH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7

3 KIM, HS Institute of Human Genetic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3

3 LEE, S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23

5 KIM, J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21

5 LEE, JH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1

7 KIM, WH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

8 PARK, J Center for Genome Research, Samsung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

9 KIM, HJ Department of Medical Genetics,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16

9 KIM, YH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6

9 LEE, JY College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6

9 LEE, KK Center for Regenerative Medicine, KRIBB 16

9 PARK, JH Department of Pharmacology, Chosun University Medical School 16

14 BANG, YJ National Research Laboratory for Cancer Epigenetics,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5

14 KIM, DH Center for Genome Research, Samsung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5

14 KIM, SJ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15

○ 이외에 주요 연구자들은 고려의대, 포천중문의대, 아산의대, 성균관의대 삼성의료센터, 아주의대, 카톨릭의대, 생명연(KRIBB) 등 의과대학 소속 저자들의 논문활동이 주요함

이는 후성유 체 후성유 학가 암, 기세포 등과의 연 연구 특성으로

인해 의과 학의 연구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상됨

[표 11] 후성유 체 련 국내논문 주요 자

*대학소속의 대학병원들은 각 대학으로 포함됨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 관련 국내논문 중 피인용이 많이 된 논문들은 후성유전체 및 후성유전학 연구가 암 원인규명 및 치료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연구결과들이 주를 이룸

○ 암 억제 유전자의 조절에 히스톤 deacetylase 기능에 관한 논문, 암에서의 다중 유전자의 프로모터 초과메틸화에 관한 논문 등이 있음

Page 2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19

번호 논문제목 명 교신 자발표년도

피인용회수

1Differential requirements for Runx proteins in CD4 repression and epigenetic silencing during T lymphocyte development

CELL 111(5) pp. 621-633

Littman, D.R. 2002 227

2Histone deacetylases induce angiogenesis by negative regul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NATURE MEDICINE 7(4) pp. 437-443

Kim, K.-W. 2001 222

3Hypermethylation of the hMLH1 gene promoter in human gastric cancers with microsatellite instability

CANCER RESEARCH 59(5) pp. 1090-1095

Meltzer, S.J. 1999 220

4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underlies sporadic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is tightly associated with BRAF mutation in colorectal cancer

NATURE GENETICS 38(7) pp. 787-793

Laird, P.W. 2006 191

5Methylation of the CDH1 promoter as the second genetic hit in hereditary diffuse gastric cancer

NATURE GENETICS 26(1) pp. 16-17

Markowitz, S. 2000 149

6CpG island methylation in premalignant stages of gastric carcinoma

CANCER RESEARCH 61(7) pp. 2847-2851

Rhyu, M.-G. 2001 144

7The tumour suppressor RASSF1A regulates mitosis by inhibiting the APC-Cdc20 complex

NATURE CELL BIOLOGY 6(2) pp. 129

Lim, D.-S. 2004 131

8Birth of parthenogenetic mice that can develop to adulthood

NATURE 428(6985) pp. 860-864

Ogawa, H. 2004 126

9Promoter hypermethylation of multiple genes in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CLINICAL CANCER RESEARCH 7(7) pp. 1982-1986

Sidransky, D. 2001 126

10Frequent alteration of p63 expression in human primary bladder carcinomas

CANCER RESEARCH 60(13) pp. 3370-3374

Chi, S.-G. 2000 112

11

Epstein-Barr virus-positive gastric carcinoma demonstrates frequent aberrant methylation of multiple genes and constitutes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positive gastric carcinoma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60(3) pp. 787-794

Ro, J.Y. 2002 108

12Limited demethylation leaves mosaic-type methylation states in cloned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EMBO JOURNAL 21(5) pp. 1092-1100

Han, Y.-M. 2002 105

13Frequent epigenetic inactivation of RASSF1A in human bladder carcinoma

CANCER RESEARCH 61(18) pp. 6688-6692

Chi, S.-G. 2001 88

14Frequent epigenetic inactivation of RASSF1A by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ANCER RESEARCH 61(19) pp. 7034-7038

Chi, S.-G. 2001 86

[표 12] 후성유 체 련 주요 피인용 국내논문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7 기준

Page 3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20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지난 10년간 기초 연구자, 진단제 개발자, 치료제 개발자들을 위주로 후성유전체를 활용한 R&D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은 현재 후성유전체 산업을 형성하는 주요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2009년 후성유전체의 전 세계 시장은 17억 달러로서 후성유전체 시장은 제품별로 기초 생명과학 R&D용 도구 및 기술, 진단제, 치료제 등 크게 3가지 제품으로 나뉘어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R&D용 도구 기술은 생명과학 기 연구에 활용되는 제품으로서 CpG island용

마이크로어 이, 메틸화 로 일, ChIP 칩 등 시약과 키트들을, 진단제는

메틸화를 검출하는 분자진단 등을, 치료제는 DNA 탈메틸화 의약품 등을 말함

[그림 11] 후성유 체 제품 산업 생태계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Page 3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21후성유전체 세계시장은 2008년 10억 달러에서 연평균 30.8%라는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며 2013년 39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됨

○ 후성유전체 시장을 제품군별로 살펴보면 2013년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는 제품군은 치료제 시장으로 19억 달러를 형성함

­ 그 다음이 진단제 시장으로 12억 달러, R&D용 제품은 7억 달러를 형성하는 것으로 조사됨

­ 3가지 제품군 중 가장 빠른 성장률을 나타내는 제품군은 진단제로서 49.5%의 연평균 성장률로 향후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사료되며, 치료제 시장은 33.3%, R&D용 제품 시장은 13.1%의 성장률을 나타냄

후성유 학 지식을 이용한 진단은 감염성 질환에 많이 활용되는 기존의

체외진단 시장과는 구별되는 시장으로 분자진단 시장을 주로 형성될

것으로 망됨

○ 이 같은 제품군들의 연평균 성장률이 반영되어 2008년에는 제품군별 점유율이 치료제 46%, R&D용 38.1%, 진단제 16.1%로 구성됨

­ 시간이 지나 2013년 치료제 51%, 진단제 31.4%, R&D용 18.3%로 점유율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차 R&D용 후성유 체 제품 시장은 축소되고 진단제와 치료제의 시장이

확 될 망임

[표 13] 제품군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황 망(2008∼2013년, 단 : 백만 달러)

제품군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CAGR3 )

( 20 0 8~13 )

생명과학 R&D용 도구 기술 385.0 478.0 589.9 723.6 740.9 711.2 13.1

진단제 163.0 406.0 651.0 833.0 1,021.0 1,217.0 49.5

치료제 463.0 832.0 1,099.0 1,402.0 1,674.0 1,949.0 33.3

체시장 1, 011.0 1, 716.0 2, 339.9 2, 958.6 3, 435.9 3, 877.2 3 0 .8%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3)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 성장률

Page 3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22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그림 12] 제품군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황 망(2008∼2013년, 단 : 백만 달러)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그림 13] 후성유 체 세계시장 제품군별 유율 황 망(2008과 2013년)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후성유전체 관련 시장을 질환군별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주요하게 5개 질환군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는 질환군은 암으로 2013년 후성유전체 전체시장에서 8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Page 3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23○ 그 뒤로 뇌신경질환, 감염질환, 호흡기질환, 생식질환 순으로 시장을 형성하나

이들 질환 사이에서 시장규모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임­ 기타를 제외한 질환군들 중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이는 질환은 생식질환과

감염질환으로 각각 40.7%와 39.1%의 연평균 성장률을 나타냄[표 14] 질환군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황 망(2008∼2013년, 단 : 백만 달러)

질환군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CAGR

( 2 00 8 ~13)

암(Cancers) 909.8 1,533.1 2,075.4 2,604.2 3,001.5 3,361.9 29.9%

뇌신경질환(CNS) 32.3 57.6 82.6 109.5 133.0 156.6 37.1%

감염질환(Infections) 23.1 41.9 60.8 82.0 101.0 120.2 39.1%

호흡기질환(Respiratory) 18.4 32.6 46.3 60.9 73.2 85.7 36.0%

생식질환(Reproductive) 9.2 17.0 25.0 34.0 42.3 50.8 40.7%

기타(Others) 18.2 33.8 49.8 68.0 84.9 102.0 41.2%

체시장 1, 011.0 1, 716.0 2, 339.9 2, 958.6 3, 435.9 3, 877.2 30 .8 %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그림 14] 질환군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유율 황 망(2008과 2013년)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Page 3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24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후성유전체 관련 시장을 R&D 조직별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대형 제약사 및 생명공학 전문기업의 의약품/치료제 개발을 추진하는 R&D 주체들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후성유전체 시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함

○ 대형 진단회사, 병원의 진단제 개발 및 생명공학 전문기업의 진단제 개발을 위한 R&D 주체들은 2008년 후성유전체 시장에서 16%로 가장 적은 점유율을 보이나 49.5%의 가장 빠른 연평균 성장률로 시장의 체적을 키워나갈 것으로 전망됨

­ 2013년에는 전체시장의 31.4%를 차지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13.1%)을 보이는 대학이나 정부의 기초 생명과학 R&D 주체들의 시장을 역전시킬 것으로 예상됨

[표 15] 조직군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황 망(2008∼2013년, 단 : 백만 달러)

R&D 조직군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CAGR

학/정부 기 생명과학 R&D(Academic/Gov. Basic

Life Sci. R&D)385.0 478.0 589.9 723.6 740.9 711.2 13.1%

형 진단제/생명공학 진단제 개발사(Big Dx/Biotech Dx

Developers)163.0 406.0 651.0 833.0 1,021.0 1,217.0 49.5%

제약/생명공학 의약품/치료제 개발사(Pharma/Biotech Rx/Tx

Developers)463.0 832.0 1,099.0 1,402.0 1,674.0 1,949.0 33.3%

체시장 1, 011.0 1, 716.0 2, 339.9 2, 958.6 3, 435.9 3, 877.2 3 0 .8%

[그림 15] R&D 조직군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황 망(2008∼2013년, 단 : 백만 달러)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Page 3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서지분석 25후성유전체 관련 시장을 지역별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 지역이 2008년 6.5억 달러에서 연평균 28.2%로 성장하여 2013년 22억 달러(전체시장의 58% 점유)로 후성유전체 시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함

○ 유럽 지역은 37.1%라는 높은 성장률로 시장의 규모가 증가하여 2013년 8.8억 달러(전체시장의 23% 점유)의 시장을 형성함

­ 그 뒤로 일본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연평균 31.2%로 성장하여 2008년 1.5억 달러 규모에서 2013년 5.8억 달러(전체시장의 15% 점유)의 시장이 전망됨

[표 16] 지역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황 망(2008∼2013년, 단 : 백만 달러)

지역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CAGR

( 20 0 8~13 )

북미 646.1 1,066.3 1,440.2 1,786.7 2,024.5 2,234.2 28.2%

유럽 182.6 335.8 476.7 629.1 758.3 883.8 37.1%

일본/아시아․태평양 148.9 252.7 333.5 422.0 503.2 578.3 31.2%

나머지 지역 33.4 61.2 89.5 120.8 149.9 180.9 40.2%

체시장 1, 011.0 1, 716.0 2, 339.9 2, 958.6 3, 435.9 3, 877.2 3 0 .8%

[그림 16] 지역별 후성유 체 세계시장 황 망(2008∼2013년, 단 : 백만 달러)

참고자료: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Page 3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26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3. 기술개발동향

가. 세계동향

1) 글로벌 공동연구 및 국제적 컨소시엄미국과 유럽을 심으로 로벌 공동연구 국제 력 컨소시엄들이 활발하게

구성되고 있고, 이 의 유 체 연구처럼 형 로젝트로서 후성유 체 연구가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재 많은 컨소시엄들이 결성 단계로서 정책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 있으며, 일부 한국의 연구자들이 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Human Epigenome Project(HEP)○ 1999년에 결성된 콘소시엄으로 영국의 The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독일과 미국의 Epigenomics AG, 프랑스의 The Centre National de Genotypage 등이 주로 참여하고 있음

­ DNA methylation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으며 2000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EC로부터 120만 유로를 지원받아 Pilot Project를 수행함

The Epigenome Network of Excellence(NoE)○ 후성유전체 연구의 조직적인 발전과 신진 연구인력 양성을 위하여 2004년

오스트리아의 Thomas Jenuwein 박사 등의 주도로 EU에 의해 결성된 콘소시엄임­ EC로부터 2004년 6월부터 5년간(2004~2009년) 총 1250만 유로를 지원받음

유럽 12개국 83개 연구기 이 참여함

High-throughput Epigenetic Regulatory Organization In Chromatin(HEROIC)○ 후성유전적 조절작용을 연구할 수 있는 대규모 분석방법을 개발하고 줄기세포의

분화와 유전자 침묵현상을 유전체 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하여 결성된 콘소시엄임­ EC로부터 2005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4년 동안 1,200만 유로를 지원받는

프로젝트로 유럽 8개국 13개 연구기관이 참여함EPIgenetic TReatment Of Neoplastic disease Project(The EPITRON)

○ ‘후성유전학적 암 치료’ 연구를 위해 결성된 콘소시엄으로 EC로부터 2005년

Page 3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271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5년 6개월간 1,090만 유로를 지원받는 프로젝트임

유럽 7개국 14개 연구기 제약회사가 참여함

Asian Network of Epigenomics(ANE)

○ 아시아 지역의 후성유전체 연구 네트워크로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의 주도인 국제적 후성유전체 사업에 대해 아시아 지역에서도 경쟁력 있는 사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결성됨

­ 2006년 12월 한국(김영준, 연세대학교), 중국(Jingde Zhu, Shanghai Cancer Institute), 일본(Kazu Ushijima, National Cancer Center Research Institute), 및 싱가폴(Huck Hui N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등 4개국의 대표들이 모여 창립에 대한 협약을 체결함

정기 연례모임 개최 개최순서는 한국-일본- 국-싱가폴 순으로 함.

­ 폐암(한국), 간암(중국), 위암(일본), 줄기세포/tiling array platform(싱가폴) 등 각 나라가 주도할 연구 분야를 결정함

후성유 학 분야의 국제 공동 연구 로젝트를 기획하고, 랫폼과

샘 을 공유하며, 암세포나 세포에 한 DNA methylation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로 함

International Cancer Genome Consortium(ICGC)○ 2007년 10월 토론토에서 개최된 International Cancer Genomics Strategy

Meeting에서 여러 종류의 암에서 유전적 변이를 전 유전체적 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콘소시엄을 제안함

­ 2008년 4월 ICGC의 목적, 조직,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각 연구사업이 데이터 수집이나 분석에 있어서 통일된 표준을 따르도록 함

­ 2008년 11월 미국 NIH에서 2008 ICGC workshop을 개최하고, 8개국 11개 연구기관이 참여한 8개의 암 유전체 사업 개시를 발표함

앞으로 더 많은 국가와 연구기 이 ICGC에 참여하여 향후 50 종류의

암에 한 유 체 분석이 수행될 것으로 상됨

Page 3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28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Alliance for Human Epigenom and Disease(AHEAD)

○ 2005년 국제 Epigenomic Project 추진을 목적으로 미국 AACR(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주관으로 전 세계 주요 국가가 참여한 AHEAD Task force Team(한국에서는 연세대 김영준 교수가 참여)을 구성함

­ 2007년 1월 AACR 주관으로 Cancer Epigenome 관련 국제학회를 개최하였고, NIH를 중심으로 글로벌 Epigenome 컨소시엄 TF를 구성함

­ 2년간 작성된 AHEAD 기획서를 NIH에 제안하여 2007년 NIH의 대형 기획 사업인 Roadmap Project를 출범하고 향후 5년간 1억 9천만 달러를 후성유전체 연구에 투입하기로 결정함

미국 NIH Epigenome Roadmap Project의 본격 인 추진에 따라 국제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Human Epigenome 연구의 필요성이 두되고 이에

따라 IHEC로 진행됨

International Human Epigenome Consortium(IHEC)○ 2009년 3월 NIH에서 AHEAD 기획팀의 주요 참여국들이 모임을 가지고, 각

나라에서의 후성유전체 분야 진행 상황 및 향후 계획을 보고하고 이 모임의 참가국 전원(참가국: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 미국, 영국, 스위스)이 IHEC를 결성하는데 동의함

­ 또한 참가한 연구비 지원기관(EC, 캐나다, 한국, NIH)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2009년 6월 임시 IHEC 집행 원회가 결성됨.

­ 컨소시엄의 정책과 가이드라인은 International Cancer Genome Consortium (ICGC)을 모델로 하여 작성될 예정임

Remacle 박사가 IHEC의 정책 문서(policy document) 안을 작성하 고,

Satterlee 박사가 “Roadmap Epigenomics Program” 문서를 바탕으로 데이터

발표, 지 재산권, 소 트웨어 공유, 논문 발행에 한 안을 작성함.

­ 2010년 1월 26 ~ 27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IHEC Launch Meeting에서 참가국의 대표들이 컨소시엄의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검토하고 최종안을 도출할 것 예정임

이후 각국의 연구비 지원기 의 표들은 합의된 IHEC 정책 최종안을

바탕으로 컨소시엄에 참여하거나 투자 여부를 결정할 것임

Page 3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292) 주요국 정책동향 및 관련 연구기관

미국은 2년간의 기획을 통하여 AHEAD 기획서를 NIH에 제안하여 2007년 NIH의 대형 기획사업인 NIH Roadmap Project로 탄생시킴

○ 2008년 1월 NIH는 향후 5년간 1억 9천만 달러(한화 약 2,000억 원)를 후성유전체 연구에 투입하기로 결정함

그리고 그 추진목 방향 등을 2008년 8월 Nature지에 발표함

○ Roadmap Epigenomics 프로그램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5대 추진전략을 제시함­ 1) 국제위원회 구성, 2) 후성유전체학 연구를 위한 표준화된 플랫폼, 과정,

재료 개발, 3) 후성유전체의 변화 기작을 평가하기 위한 데모용 프로젝트 수행, 4) 단일세포 후성유전체 분석과 후성유전적 활성에 대한 in vivo 이미징을 위한 신규 기술개발, 5) 후성유전학적인 접근방법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 데이터 리소스 개발로 나뉠 수 있음

○ 연구사업은 포괄적인 레퍼런스 에피지놈 지도 작성 및 포괄적인 에피지놈 분석을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로서 크게 5개의 연구 프로그램으로 구성됨

­ Reference Epigenome Mapping Center(레퍼런스 에피지놈 지도 작성 센터)다양한 인간세포의 퍼런스 에피지놈 지도를 작성하는 연구센터를 지원하는

로그램으로 연구 상 세포의 종류에는 인간 배아 기세포, 분화 인

세포, 인간의 질병과 련된 분화 세포주와 primary cell 등이 있음

퍼런스 에피지놈 지도는 치료제 타겟 개발, 질병유발 기작에 한 이해 증진,

기세포 기반 치료법 개발, 조직 재생, 분화, 발달, 노화, 사멸 기작에 한

기반 지식 제공 등에 있어서 요한 자원으로 사용될 것임.

­ Epigenome Data Analysis and Coordination Center(에피지놈 데이터 분석 및 통합 조정 센터)

퍼런스 에피지놈 지도 작성 센터의 모든 데이터 분석과 통합조정 뿐만

아니라 센터 외 다른 Roadmap 에피지놈 로그램에서 생산된 데이터의

작업을 담당함

그리고 표 화된 데이터를 NCBI로 이 하는 데이터 이 라인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작업을 담당함

Page 4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30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로그램 과제명

Epigenomics of Human Health and

Disease(R01)

­ Exploring the Role of the Brain Epigenomics: Cognitive Decline and Life Experience

­ DNA Methyla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Normally Aged Brain­ Epigenomics of Atherosclerosis­ Genome-wide DNA Methylation Profiles Associated with

Abnormal Intrauterine Growth­ Environment, The Perinatal Epigenome, and Risk for Autism

and Related Disorders­ Vascular Epigenome Dynamics in African-American

Hypertensives­ Epigenomics of Bisphenol a Exposure and Disease Risk­ Determinants for Genome-wide Epigenomic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Epi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DNA Methylation and

Atherosclerosis­ The temporal epigenomic program of Barrett's neoplastic

progression­ Pangenomic Analysis of DNA Methylation Marks in Glaucoma

and Macular Degeneration

­ Technology Development in Epigenomics(에피지놈 기술개발)후성유 체 연구에 있어서 요한 두 가지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후성유 학 로 일과 후성유 체 연구를 신할 수 있는 기술개발임

세포나 조직 살아있는 생명체에서 후성유 학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in vivo imaging 기술개발 등

­ Discovery of Novel epigenetic marks in Mammalian Cells(포유류 세포에서 새로운 후성유전학적 표지 발굴)

후성유 학 과정에서 안정 이고 장기 인 변화를 밝히고 포유류

세포에의 응용 방법을 수립하는 연구를 지원함

이 연구는 빠른 시일 내에 퍼런스 에피지놈 지도 작성 센터에 의해

응용이 될 것임

­ Epigenomics of Human Health and Disease(인간의 건강과 질병연구를 위한 에피지노믹스 연구)

특정 질환을 유발하는 후성유 학 변화나 기작에 한 연구를 지원함

NIH Roadmap과 각 NIH 연구소들이 연구비를 50:50으로 지원하며 이는 이

사업의 종료 후에 각 NIH 연구소들의 개별 참여를 용이하게 할 것임

[표 17] NIH Roadmap 연구비를 지원받는 후성유 체 련 과제

Page 4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31­ A multi-faceted approach to epigenomic profiling in Alzheimer's

disorder­ Epigenetics and disease: the role of DNA methylation in

schizophrenia susceptibility­ DNA METHYLOME ANALYSIS IN BIPOLAR DISORDER­ Aging and the unstable epigenome­ Epigenomics of Human Insulin Resistance­ Asthma: An Epidemic Caused by Epigenetics?­ Epigenomics of SLE­ Epigenetics Landscape of Chronic Kidney Disease­ Epigenomics of Alzheimer's Disease­ Epigenomic Analysis of 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Epigenomic Mapping in Human Tumor Stem Cells

Reference Epigenome Mapping Centers(U01)

­ Production sequencing of reference human epigenomes­ Integrated Epigenetic Maps of Human Embryonic and Adult Cells­ The San Diego Epigenome Center­ Northwest Reference Epigenome Mapping Center

Epigenomics Data Analysis and Coo-

rdination Center(U01)

­ Epigenomics Data Analysis and Coordination Center at Baylor College of Medicine

Technology Development in

Epigenetics(R21)

­ Applying peptide and protein domain microarrays to epigenetic research

­ Chemical Reporters for the Analysis of Lysine Methylation in Epigenetics

­ Genome-wide measurement of histone replacement rates: a new dimension in epigenome

­ Novel affinity reagents for epigenetics markers­ Identification of the Interactome of Methylated Histones from

Human Proteome

Technology Development in

Epigenetics(R01)

­ Epigenomic analysis on a nanoscale device­ METHYLMAP: A TECHNOLOGY TO ANALYZE PROMOTER

METHYLATION IN MICRODISSECTED CELLS­ Genome-scale analysis of DNA methylation in CpG Islands

with bisulfite sequencing­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high resolution epigenetic

profiling of chromatin

Discovery of Novel Epigenetic Marks in

Mammalian Cells(R21)

­ Identification of novel histone modifications in a model eukaryote­ Non-coding RNAs in the epigenetics of human centromere

formation

Discovery of Novel Epigenetic Marks in

Mammalian Cells(R01)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epigenetic marks of non-histone protein

­ Characterization of a novel histone H3 phosphorylation mark in DNA replication

­ Discovery of Epigenetic Marks in Human Cells by High Throughput siRNA Screening

­ Is symmetrical dimethylation of Arginine 2 of Histone H3 used as an epigenetic si

­ Novel Epigenetic Marks in Mitosis­ Systematic screening for new histone marks

출처: http://nihroadmap.nih.gov/epigenomics/fundedresearch.asp

Page 4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32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일본의 후성유전체 연구사업

○ 일본은 유전체 관련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국제협력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후성유전체에 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 일본의 후성유전체 연구기관으로는 RIKEN 요코하마 분원 연구소, 국립암센터 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Biomedical Innovation 등으로 조사됨

중국의 Shanghai Cancer Institute○ 중국의 대표 암연구소로서 특히 Jingde Zhu 박사의 연구실에서 암 관련 후성유전학

및 후성유전체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암 관련 후성유전학 및 후성유전체 연구로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목표하고 있음

Jingde Zhu 박사는 AEN, AACR 등의 후성유 체 국제 력 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음

싱가포르의 Genome Institute of Singapore○ 싱가포르의 국가게놈연구소로서 Cancer Biology & Pharmacology, Stem Cell

& Developmental Biology, Infectious Disease, Human Genetics, Systems Biology, Genomic Technologies, Computational & Mathematical Biology 분야에 대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암 발생, 분자진단, 바이오마커 등의 연구에 대해서 후성유전체적인 접근방법으로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KAIST 최정균 교수는 후성유 체학에 생물정보학 기술을 목한 연구결과로

Nature Genetics에 논문을 발표하 으며, 이 같은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KAIST 교수 싱가폴게놈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동시 임용됨

기타 국가○ 호주 지역의 후성유전체 사업­ 2008년 후반기에 호주 후성유전학 연합회가 결성되어 Human Epigenome

Project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이 시작되고 있음1996년 이후 연 2회 후성유 학에 한 학회를 개최하고 있음

○ 캐나다에서도 국가 수준은 아니나 후성유전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함

Page 4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333) 연구분야별 동향

후성유 체 련 연구개발은 후성유 체의 조 원리 등에 한 기작연구 분야,

후성유 체 임상 활용기술 분야, 후성유 체 연구의 분석 툴 기술 분야 등 크게

3개 분야로 나 어 연구개발 동향을 살펴볼 수 있음

가) 후성유전체 기작연구 분야후성유전체의 기작 중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noncoding RNA 등을 중심으로 후성유전체 메커니즘 연구가 활발함

○ DNA 메틸화는 가장 잘 알려진 DNA 변형 중 하나로 포유동물에서의 DNA 메틸화는 CpG 염기서열의 시토신에 메틸화가 일어나며, 전사조절 부위에 과메틸화가 일어났을 때 유전자 전사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음

­ 전체 유전체 수준에서 DNA 메틸화 연구는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의존해왔으나 최근 sequencing 기술의 발달로 보다 많은 양의 메틸화 정보 분석에 sequencing 기술이 활용되고 있음

○ DNA 외에 뉴클레오좀을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인 히스톤은 아세틸화, 메틸화, 유비퀴틴화, 인산화 등 다양한 화학적 변형이 많이 일어나며, 이러한 히스톤 변형은 크로마틴 구조에 영향을 미쳐 후성적 유전정보 변화를 일으킴

­ 특히 히스톤 변형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 및 효소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데, 이러한 유전자와 효소들은 암과 같은 질병과의 연관성이 높게 보고되어 효소 저해제들을 질병 치료제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음

○ 단백질로 번역이 되지 않는 noncoding RNA들, 예를 들면 tRNA, rRNA, spliceosomal RNA를 비롯하여 small nucleolar RNA(snoRNA), microRNA(miRNA), short-interfering RNA(siRNA) 등 일부가 크로마틴 변형, 유전자 각인, DNA 메틸화, 유전자 침묵 등 여러 후성유전 현상에 관여하는 사실들이 보고됨

­ 대표적으로 miRNA는 타겟이 되는 유전자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바를 연구하는 등 이 같은 noncoding RNA와 후성유전 조절기작 연구가 활발함

○ 이외에도 뉴클레오좀으로 구성된 크로마틴 구조가 유전자를 조절한다는 내용으로 뉴클레오좀의 위치와 유전자의 활성 여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Page 4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34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나) 후성유전체 임상적 활용기술 분야

암과 같은 질병의 발생 및 생장, 전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후성유전체의 변화와 질병 관련 유전자들의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연구하여 이를 진단기술 및 치료제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 후성유전체 연구에서 임상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DNA 메틸화 변화의 탐지를 통한 조기진단 분야임

­ 질환의 발병과 전체적인 DNA 메틸화 패턴 변화의 연관성에 대한 발견이 수없이 발표되고 있으며, 특히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및 각종 암에서의 발암 유전자와 DNA 메틸화와의 관계가 점차 명확히 밝혀지고 있음

DNA 메틸화 변화는 질환의 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 으로 높은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가지고 있어 진단 측면에서 장 을 지닐 것으로 기 됨

­ DNA 메틸화는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백질 마커나 RNA 보다 안정하고, 한 유전자의 같은 위치에서 일어나므로 분석 기법상의 장점도 가지고 있어 유망한 진단도구로서 연구되고 있음

DNA 메틸화는 진단 뿐 만 아니라 수술 처치에 한 반응 상태와 질병

진행을 측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망됨

○ 후성유전체 기반의 신약개발은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관련 유전자 및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으며, 특히 암에서의 연관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음

­ 많은 암에서 유전자들은 정상조직과는 다른 DNA 메틸화 패턴을 보이며, DNA 메틸화는 가역적이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DNA 메틸화를 일으키는 효소의 저해제를 이용하면 타겟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메틸화 패턴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저해제(HDACi)들은 동물실험에서 암 억제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짐

이 같은 HDACi는 암 치료를 한 새로운 신약개발의 후보물질이 될 것으로

기 하면서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 small RNA를 이용한 암 치료를 목적으로 한 신약개발은 크게 2 종류로 종양 유발자로 기능하는 miRNA를 억제하는 방법과 종양 억제자로 작용하는 miRNA를 과발현 시키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는 중임

Page 4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35다) 후성유전체 분석툴 및 분석기술 분야

Sequencing, 마이크로어레이, 바이오인포메틱스 등 관련 분석기술의 발전으로 후성유전체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음

○ Sanger sequencing 기술 개발 이후, DNA sequencing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여 염기 당 소요비용이 크게 낮아졌으며, sequencing에 기반한 각종 유전체, 변이체, 전사체 등의 연구에 크게 기여함

­ 최근 전통적인 Sanger sequencing 기술에서 벗어난 다양한 Next-generation sequencing(NGS) 기술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데, 짧은 시간에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대용량의 sequencing이 가능하게 됨

­ Human Genome Project 및 HapMap Project 이후 개개인 간에 나타나는 유전적, 후성유전적 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를 적용하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음

­ 최근의 유전체학 연구에서 가장 큰 변혁을 일으키고 있는 원동력은 단연 next-generation sequencer들임

2005년 Roche사에서 처음 시 하기 시작한 GS454-FLX System 이후로

2007년 에 Illumina의 Genome Analyzer, 2007년 말에 시장에 소개된 AB

system의 SOLiD system 등 여러 NGS 기술들이 개발되어 이미 세계

각지에 보 되어 있음

○ Affymetrix사의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ChIP)-on-Chip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상용화된 후생유전체 분석을 위한 Chip 기술임

­ ChIP-on-Chip은 국부적인 단백질과 DNA와 상호결합이나 DNA 혹은 히스톤 변형을 검출에 적용된 ChIP 기술을 유전체 수준으로 개발된 기술임

○ 후성유전체 분석과 관련하여 점점 바이오인포메틱스 기술이 필요하게 되어 관련 프로그램 및 툴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현재 short sequence의 배열이 가장 어려운 병목점이나, 짧은 DNA 서열을 배열하여 genome sequence를 재구성하고 의미를 발견하는 정보 분석은 후성유전체의 핵심적인 기술 분야임

Page 4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36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4) 해외 산업체 동향

주로 암 진단키트를 심으로 단일세포 수 에서 Genome-wide DNA 메틸화 어 이

후성유 체 변화 검출의 민감도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기술개발 임

Oncomethylome○ Methylation Specific PCR(MSP) 기술을 바탕으로 암 발생과정에서 진단키트를

개발 중이며, Multiple cancer와 전립선암의 경우 실험실 서비스와 키트 개발 단계까지 진행된 상태임

Epigenomics○ Affymetrics와 연계하여 특화된 Differential Methylation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암 발생 초기단계에서 암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진단키트를 개발 중임장암, 립선암, 폐암에서 실험실단계의 키트를 개발 임

Illumina○ Bead array technology를 사용하는 Bead chip을 이용하여 1,500여 CpG site를

동시에 분석하는 최초의 Array based Methylation Golden Gate Methylation Cancer Panel 키트를 개발함

27,000여 사이트를 동시에 분석하는 Infinium 키트도 시료 당 200 달러 의

낮은 비용으로 서비스 임

Orion Genomics○ Methylscope Technology, MethylScreen Technology를 이용하여 Quantitive PCR

방법으로 분석하는 키트를 개발하고 있음암진단과 련된 여러 바이오마커에 특허를 가지고 있음

Roche NimbleGen○ Methylated DNA IP(MeDIP)나 MIRA(MBD)를 이용하여 시장에서 가장 감도가

높은 키트를 개발하여 시판 중임Agilent

○ 현재 0.2M의 프로브를 가진 칩을 시판 중이며 1M의 probe 집적도를 가진 칩을 개발 시판할 예정임

Page 4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37나. 국내동향

1) 정책동향 및 정부투자 분석후성유전체 연구 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정부의 정책은 아직까지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지만, 최근 교과부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부투자가 증가하는 추세임

○ 후성유전체 관련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의 투자는 실질적인 후성유전체 연구가 아닌 후성유전학 연구에 대한 투자가 상당부분을 차지하며, 최근 3년간 (2004~2007년) 총 155개 연구과제에 141억 원을 지원함

­ 후성유전체를 포함한 후성유전학 R&D 정부 투자액은 2006년 19억 원에서 2008년 71억 원 규모로 4배 가까이 증가하며 이 분야의 연구지원 확대가 매우 빠른 추세임

후성유 학 후성유 체 분야 연구개발 과제 수는 2006년 27개에서

2008년 77개로 증가하 으며 과제당 연구비 규모도 증가함

[표 18] 후성유 학 련 연구개발 정부 투자비(2006~2008년)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계

투자액(백만 원) 1,918 5,005 7,143 14,066

과제수 27 51 77 155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의 R&D과제 검색 서비스를 활용하여 후성유전체 관련

키워드인 ‘후성유전, 에피제네, 에피지네, methylome, methylation, 메틸화, histone, 히스톤, miRNA,

siRNA, snoRNA’로 세부과제명을 대상으로 검색한 후, 관련 없는 노이즈 과제를 제거함

[그림 17] 후성유 학 련 연구개발 정부 투자비 황(2006~2008년)

Page 4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38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교과부의 투자액은 후성유전학 관련 총 연구개발 지원금의 71%를 차지하여 국내 후성유전학 연구 지원에서 현재의 교과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후성유전학 관련 연구개발에 가장 많은 지원을 하는 교과부는 가장 많은 과제수를 보이며 과제당 연구비는 8,700만 원 규모임

­ 지경부는 2.3억 원 규모로 부처 중에서 가장 큰 과제당 연구비 규모를 보이고, 복지부는 비교적 적은 연구비 규모로 더 많은 과제를 지원하고 있음

[표 19] 후성유 학 련 연구개발 부처별 투자비(2006~2008년, 단 : 백만 원)

부처 2006년( 과제수)

2007년( 과제수)

2008년( 과제수)

계( 과제수)

과제당연구비

교육과학기술부 998(19)

3,934(41)

4,992(54)

9,924(114) 87.1

지식경제부( 기청 포함)

145(1)

636(3)

1,031(4)

1,812(8) 226.5

보건복지가족부(식약청 포함)

415(4)

385(6)

970(16)

1,770(26) 68.1

농림수산식품부(농진청 포함)

310(2)

50(1)

150(3)

510(6) 85.0

환경부 50(1)

0(0)

0(0)

50(1) 50.0

합계 1,918(27)

5,005(51)

7,143(77)

14,066(155) 90.7

[그림 18] 후성유 학 련 연구개발 부처별 투자비 황(2006~2008년)

○ 교과부는 주요하게 바이오기술개발사업, 이공분야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 특정기초연구지원사업으로 후성유전학 분야에 지원이 활발함

Page 4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39

­ 신약타겟발굴, 줄기세포연구, 인간질병의 후성유전학 등의 대과제로, 후성유전학 관련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과제들과 대학의 다양한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있음

후성유 체 연구과제에는 게놈수 의 DNA methylation pattern 분석을 한

기반기술 확립사업, 인간배아 기세포의 Genome-wide 후성유 체 분석 등이

포함되며, 2008년 후성유 체 과제는 16개 정도이고 정부 연구비는 략

22억 원으로 2008년 후성유 체 산은 후성유 학 체 산의 31%에 해당함

○ 복지부는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국립암센터연구소지원 등의 사업에서, 지경부는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과 바이오의료기기전략기술개발 사업으로 후성유전체 연구를 지원하고 있음

­ 후성유전학 및 후성유전체의 임상적 또는 산업적 응용 및 활용기술 개발은 아직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지 않는 상황임

후성유 학 분야 특성 상 재 기 기반기술 확보 단계로서 교과부에서

다양한 사업에서 지원하고 있는 황임

[표 20] 부처별 후성유 학 연구지원 주요 사업명(2006~2008년)

부처명 사업명 과제수

교육과학기술부

바이오기술개발사업 24

이공분야_기 연구과제지원사업 15

특정기 연구지원사업 10

기 연구과제지원 9

우수연구센터육성 6

지식경제부( 기청 포함)

소기업기술 신개발 2

바이오의료기기 략기술개발 1

장기산업기술개발 1

보건복지가족부(식약청 포함)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9

국립암센터연구소지원 6

지방국립 병원등 신 연구기반조성 4

농림수산식품부(농진청 포함)

농업생명공학실용화기술개발 3

농림기술개발 1

바이오장기생산연구 1

환경부 차세 핵심환경기술개발 1

Page 5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40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2) 국내 주요 연구자 및 연구성과

후성유 체 련 국내 주요 연구자와 연구성과는 후성유 체 연구

응용기술 개발을 활발하게 수행하는 학계․연구계․산업계의 연구자

련 기 을 심으로 작성하 으며 이와 동시에 특허 논문분석 결과와

언론 뉴스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함

가) 학계연세대학교 김영준 교수 연구팀

○ 후성유전체 방법으로 주요 유전자의 뉴클레오좀 형성에 따라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 차이가 나타난다는 연구성과를 확보하여 Nature Genetics에 발표함(2009년)

­ 현재 교과부의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의 인간질병의 후성유전학 연구사업에서 지원을 받아 ‘게놈수준의 DNA methylation pattern 분석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서울대학교 전용성 교수 연구팀○ 국립암센터 주관의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에서 암전문연구센터로 선정되어

연구비를 지원받아 ‘암 에피지네틱 연구센터’를 운영함­ 한국인 호발암에서 후성유전적 바이오마커 발굴하여 이를 암 진단과 치료의

임상적용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음연세대학교 윤호근 교수 연구팀

○ 후성유전학 관련 다양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히스톤 탈아세틸화 단백질 복합체 및 히스톤 메틸화 단백질 복합체들의 기능규명 연구를 진행함

­ 교과부 및 농진청의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여 후성유전학 조절에 관여하는 효소 및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이들 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을 추진 중임

성균관대학교 조은정 교수 연구팀○ 암화 과정과 크로마틴 리모델링의 후성유전학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유전자

전사와 히스톤 변형을 매개하는 여러 암 억제자들의 분자생물학적 활성기전을 비롯한 후성유전학적 조절에 의한 세포 기능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Page 5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41숙명여자대학교 박종훈 교수 연구팀

○ 위암 및 유방암에 대한 후성유전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중·일 3국의 공동연구인 A3 프로젝트로 유방암에서 microRNA의 메커니즘 연구를 수행 중임

서울대학교 김규원 교수 연구팀○ 암세포 생장을 위한 혈관신생(angiogenesis)의 형성과 관련된 연구를 중점적으로

추진하던 중 후성유전적 기작 중 하나인 히스톤 변형과의 연관관계를 밝힘­ 암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의 역할을 규명해내 이 결과를

Nature Medicine에 발표함(공동연구 세종대 권호종 교수 등, 2001년)서울대학교 강경훈 교수 연구팀

○ 간암, 전립선암 및 전암성 병변의 진단 및 예후 관찰을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DNA 메틸화 표지자 개발 및 실용화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 2001년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에 발표된 논문은 위암과 DNA 메틸화 연관연구에 관한 내용으로 국내 후성유전학 관련 논문 중 비교적 많이 피인용됨

한국과학기술원 한용만 교수 연구팀○ 줄기세포 분야에서 후성유전학적 관점의 연구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특히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연구 및 동물복제수정란

및 배아줄기세포의 효율적 생산을 위한 후성유전학적 리프로그래밍에 대해 연구 중임

카톨릭대학교 연구팀○ 남석우 교수 연구팀에서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2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6의 간암발생기전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정승현 교수 연구팀은 miRNA chip의 반응 조건 개선연구를, 윤건호 교수 연구팀은

포도당-지질 독성에 의한 베타세포 손상에 관여하는 miRNA 발굴 및 작용기전 연구를 추진함

한양대학교 연구팀○ 김계성 교수 연구팀에서는 줄기세포에서 miRNA 기전과 줄기세포 분화와 관련된

DNA 메틸화 연구를 수행 중임

Page 5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42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나) 연구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용성 박사 연구팀○ 한국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위암과 간암세포에서 어떤 유전자가 DNA 메틸화에

의해 기능이 소실되는지 밝혀 항암치료를 위한 표적유전자로 활용할 계획으로 RLGS 기술을 이용한 후성유전체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교과부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 중 줄기세포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의 후성유전체 분석을 추진 중임

국립암센터 김흥태 박사 연구팀○ 국립암센터에서는 암과 후성유전학적 연관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는 만큼

간암, 폐암, 유방암 등 유병율이 높은 암을 대상으로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김흥태 박사 연구팀은 비소세포폐암 세포에 대한 Akt siRNA에 의한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의 항암효과 증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임국립암센터 이연수 박사 연구팀

○ 이연수 박사 연구팀은 대장암, 위암 및 폐암 관련 유전자의 DNA 메틸화 변형과 암과의 연관관계를 규명하여 진단마커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국립암센터에서는 여러 연구팀에서 후성유전체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정기욱 박사 연구팀은 갑상선 유두암에서 MAPK 신호전달 억제 유전자 DNA

메틸화의 임상적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강한성 박사 연구팀은 타목시펜 저항성을 보이는 인체 유방암에서 약 대사

유전자 메틸화 양상 검색연구를 추진 중임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보연 박사 연구팀

○ 교과부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 중 신약타겟발굴연구사업으로 DNA 메틸화효소 저해제를 이용한 신규 항암 타겟 유전자 발굴 및 기능 규명연구를 수행 중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영익 박사 연구팀○ 교과부 우수연구센터육성사업으로 지정되어 분자치료연구센터로 DNA 메틸화

저해제 선별 시스템 개발 및 후보물질 발굴을 추진하고 있음

Page 5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기술개발동향 43다) 산업계

국내 산업체는 아직까지 후성유 학 는 후성유 체에 한 직 인 기술개발 보다는

실험에 필요한 제품 기기들을 제작·공 하거나 기술 서비스를 하는 곳이 부분임

지노믹트리○ 후성유전학적 분자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암 조기진단 기술개발을 목표로 함­ 독창적인 DNA 메틸화 바이오마커 발굴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암의 조기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분자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바이오니아

○ PCR primer를 합성하여 판매하고 있고 DNA sequencing과 PCR 기기 제작 면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바이오니아는 자동 유전자 추출장치, 수퍼유전자 합성시스템, 유전자칩 제조장치 등을 개발하여 사용 및 판매하고 있음

지경부의 바이오의료기기 략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표 지향성 달체를

이용한 siRNA 암 유 자치료제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에스엔피제네틱스○ 질병 관련 단일염기다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연구 및

분석하는 바이오벤처기업임­ High-throughput SNP genotyping, Microsatellites(STR) typing, SNP

Discovery, DNA sequencing, 질병별 후보유전자 발굴, Complex genetic diseases에 대한 통계분석 및 공동연구를 진행함

파나진○ 인공유전자인 PNA(Peptide Nucleic Acid)의 대량 합성기술을 보유하여 PNA

올리고머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음­ DNA 마이크로에레이의 문제점을 보완한 PNA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작하여 연구

및 진단에 활용하고자 공급하고 있음기청의 소기업 신개발사업으로 PNA 기반의 암치료용 siRNA 치료제

개발을 추진함

Page 5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44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마크로젠

○ 암 관련 유전자를 대상으로 한 암 panel을 이용하여 methylation chip 실험 대행 서비스를 Bisulfite conversion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customizing panel도 추진하고 있음

제노텍○ PCR primer 합성 시스템 및 유전체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전체 연구 및

유전적 다형성 분석에 관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DNA chip 제작, 생물정보 분석과 연구용역 서비스 또한 제공하고 있음대웅제약

○ 대웅제약은 후성유전체 기반의 신약개발을 위해서 HDAC 저해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초기 단계임

삼천리제약○ 중기청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신규 암 치료 후보 유전자를 이용한

맞춤치료용 siRNA 신약 개발을 추진함BMS 부설연구소

○ DNA 메틸화 분석에 대한 pyrosequencing 연구, 다양한 질병에 관한 용역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후성유 체 련 기술개발 제품개발을 해 노력하고 있는 산업체들은

주로 후성유 체 연구 분석을 한 분석툴 분석기술을 제공하는

분야의 활동이 활발함

· 반면에, 후성유 체의 연구성과를 임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진단제

치료제 개발은 아직 기 단계로서 이같은 산업 성과를 확보하기

해서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상됨

· 재 진단제 치료제 개발에 해서는 후성유 체 연구에 의한

질환별 신규 타겟 발굴과 후보물질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으로,

이러한 연구성과가 축 되면 진단제 치료제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망됨

Page 5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45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가. 국내 경쟁력 현황

국내 연구자원 현황○ 최근 국내에서 후성유전학 및 후성유전체 연구에 대한 정부투자는 2006년 19억

원에서 2008년 71억 원 규모로 4배 가까이 증가하며 연구지원 확대가 매우 빠름­ 그러나 순수하게 후성유전체에 대한 연구지원은 이 중에서도 30% 내외 정도로

후성유전체에 관한 사업이 구성되기 보다는, 다양한 사업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으로 전략적이며 계획적인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2008년 국내 후성유 체 분야 정부투자(22억 원)는 미국 NIH Roadmap의

Epigenomics 로그램의 2008년 산인 4,000만 달러(약 480억 원) 비

1/22 수 으로 단일 로그램인 NIH Roadmap 이외에 미국 체에서

진행되고 있는 후성유 체 산을 감안한다면 1/100 수 으로 상됨

­ 연구비 규모와 투자시기가 매우 중요한 후성유전체 분야에 대한 정부지원이 시급한 상황임

국내 기술수준 현황○ 후성유전체 분야는 2000년대 초반 이후 특허와 논문이 빠르게 증가하는 신규

유망분야이며, 후성유전체에 대한 응용 및 활용기술이 본격적으로 파생되는 시점에 도달하고 있음

­ 정량적 측면에서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수준은 12위, 특허 수준은 7위 정도이나, 질적인 측면에서 미국 등 선진국과의 격차는 보다 커져 특허의 질적 수준은 10위로 낮아짐

국내 후성유 체 분야의 특허당 피인용수는 0.17로 체 특허당 평균

피인용수인 2.55의 1/15 수 임

­ 후성유전체 기작연구, 임상적 활용기술, 분석툴 및 분석기술 분야로 나누어 기술수준을 살펴보면, 국내에서도 기초분야인 기작연구에서는 피인용이 높은 논문들이 발표됨

후성유 체의 임상 활용기술 분야와 분석툴 분석기술 분야는 산업체의

참여가 요구되는 분야로 최근 국내 산업체에서도 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분석툴 분석기술에서 바이오벤처들에서 기술력이 확보되고 있으나

세계 인 경쟁력에서는 미흡하다고 보임

Page 5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46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국내 산업경쟁력 현황

○ 한국을 포함한 일본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후성유전체 시장은 2008년 1.5억 달러에서 2013년 5.8억 달러로 전체 세계시장의 15%를 차지함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후성유전체 시장 성장률은 연평균 31.2%의 성장률로 세계 전체시장의 성장률인 30.8%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됨

국내가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20%를 유한다고 추정할 경우 2013년 국내

후성유 체 시장은 약 1,400억 원 규모이며, 후성유 체 기술의 넓은 활용범 와

그 시장의 성장추세를 고려하여 2013년 이후 극 인 세계시장 유를

해 원천 후성유 체 련 국내기술을 확보해야 함

○ 현재 국내에서는 후성유전체 분석툴 및 분석기술 개발에서 산업체 활동이 가장 활발하나, 장기적으로는 후성유전체 기반의 의약품 개발에 대한 산업경쟁력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 2013년 후성유전체 시장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제품군은 치료제 시장으로 전체의 51%를 차지하며, 성장률로는 진단제 시장이 49.5%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국내 후성유 체 련 산업체 활동은 비교 산업화가 용이한 후성유 체 분석기기

분석 서비스에 집 되어 있으나, 향후 이를 기반으로 보다 산업 효과가 큰

진단제 치료제 개발에 비 을 두어여 할 것으로 보임

국내 인프라 및 제도 현황○ 후성유전체 연구 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별도의 계획이나 전략 마련을

통해 후성유전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추진이 필요함­ 최근 선진국을 주축으로 글로벌 공동연구 움직임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임

후성유 체 연구로부터 확보될 수 있는 원천 신규 질환 타겟과 후보물질

발굴에 따른 기술 ·산업 효과를 볼 때, 로벌 공동 로젝트에 기에

참여하는 것이 요할 것으로 단됨

○ 국내 바이오벤처를 비롯한 산업체에서 후성유전체 연구를 위한 분석장비 및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연구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임

­ 기존의 유전체 연구역량 및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포함하여 차세대 게놈시퀀싱 등 고가의 첨단 분석장비가 요구되는 후성유전체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Page 5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47나. SWOT 분석 및 대응전략

[표 21] 우리나라 후성유 체에 한 SWOT 분석 응 략

강 ( S t r e n g t h ) 약 ( W e a k n e s s )

­ 후성유 체 기 기반연구에서 일부 우수 성과 확보

­ 후성유 체 분석을 한 기기 기술개발에 한 산업체의 참여 의지

­ 최근 정부 차원에서의 후성유 체 육성을 한 투자 증가 추세

­ 유 체 R&D사업을 통한 련 연구인력 기본 인 연구기반 구축

­ 미국, 일본 등 경쟁국 비 후성유 체 연구 투자액 략 지원계획 미흡

­ 개별 ․산발 후성유 체 연구지원에 따른 연구역량 분산

­ 후성유 체 연구 기술개발 육성을 한 국가 차원의 지원 략 총 계획 부재

­ 국내 후성유 체 련 산업체는 분석툴 분석기술 분야에 치우침

기 회요인 ( O p p o r t u n i t y ) 요인 ( T h r e a t )

­ 후성유 체 연구 활용기술은 국제 으로 태동기 상태

­ 창의 연구를 통한 다양한 원천 질환타겟, 후보물질, 련기술 확보 가능

­ 후성유 체 연구가 인간게놈 로젝트 이후의 차세 게놈 로젝트로 부상

­ 미국 등 선진국을 주축으로 로벌공동연구 로젝트 추진 움직임

­ 후성유 체 기반의 치료제 치료기술 개발에 한 성공사례 부재

­ 기 연구 기반기술의 성격이 강한 후성유 체의 분야 특성

응 략

S O 략

­ 후성유 체 연구 활용기술은 국제 으로 태동기 상태이며, 최근 우리 정부 차원에서도 후성유 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한 투자가 증가하는 추세임

⇨ 후성유 체와 련된 체계 인 사업내용을 도출하고 지원계획 마련

- 후성유 체 연구가 인간게놈 로젝트 이후 차세 게놈 로젝트로 부상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유 체 분야의 국가 R&D사업을 통한 련 연구인력 연구기반을 구축함

⇨ 인간유 체를 비롯한 유 체 연구성과 연구기반의 활용방안 검토

S T 략

- 국내에서도 후성유 체 련 기 기반연구에서 일부 우수한 성과를 확보하고 있으나, 최근 선진국을 심으로 로벌공동연구 로젝트 추진 움직임이 있음

⇨ 원천 신규 질환타겟 등을 기에 확보하기 해 로벌공동연구에 참여 필요

­ 국내 일부 바이오벤처 등 산업체에서 후성유 체 분석을 한 기기 기술개발에 참여를 하고 있으나, 후성유 체 기반의 치료제 치료기술 개발 성공사례가 부재함

⇨ 후성유 체 기반의 치료제 진단제 개발을 한 산업체 참여 유도 지원 략 마련

W O 략

­ 국내에는 후성유 체 연구 기술개발 육성을 한 지원 략 체계 인 R&D 로그램이 없으나, 세계 으로도 후성유 체 기술개발은 태동기 상태임

⇨ 체계 인 후성유 체 육성을 한 지원 략 R&D 로그램 마련

­ 국내 후성유 체 련 산업체는 분석툴 분석기술 분야에 치우쳐 있으나, 후성유 체 분야는 다양한 원천 질환타겟, 후보물질, 련기술 확보가 가능한 분야임

⇨ 후성유 체 분야의 산업체 참여를 유도하며, 후성유 체 시장 성장률이 높은 진단제 치료제 분야로의 후성유 체 연구성과 연계 필요

W T 략­ 국내에서는 개별 ·산발 후성유 체 연구로 인해 연구역량이 분산되고 있으나,

선진국을 주축으로 로벌공동연구 로젝트가 계획 되고 있음

⇨ 국내 후성유 체 연구역량 결집을 한 구조 검토

Page 5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48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다. 기 효과 시사

후성유전체 연구는 생명과학 R&D를 위한 도구 및 분석기술을 제공할 뿐 만 아니라 후성유전체 기반의 진단제 및 치료제 개발을 통해 새로운 개념의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후성유전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은 특히 의약 및 제약산업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됨

­ 후성유전체에 대한 세계시장은 2008년 10억 달러에서 2013년 39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하며, 연평균 30.6%라는 빠른 속도로 성장해나갈 전망임 ※ 후성유 체 세계시장 규모는 다른 바이오기술 제품시장에 비해서 작지만,

후성유 체의 성장 가능성( 기세포 시장보다 성장률이 더 빠름)과 아직은

기술개발 단계에 머물러있다는 을 감안할 필요가 있음

2010년 뇌․신경질환 련 의약품 세계시장은 1,000억 달러('04~'10년 연평균 성장률

4.6%), 2012년 항노화제품 세계시장은 2,243억 달러('06~'12년 연평균 성장률 8.9%),

2012년 기세포 세계시장은 324억 달러('05~'12년 연평균 성장률 24.6%)임

*출처: Global Industry Analysts, "Anti-Aging Products" (2009.1), Business Insights, "The

CNS Market Outlook to 2010" (2005.10), Research Impact Technologies, "Stem

Cell Research - A Market Insight Report" (2008.5)

<후성유전체 연구 및 기술개발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발전방향>➡ 체계 인 후성유 체 연구 기술개발을 한 지원 략 부처간

총 계획 마련

※ 후성유 체 R&D에 한 양 인 투자액 증가보다는 략 인 투자계획

안에서 R&D 로그램 구성 지원

➡ 원천 신규 질환 타겟, 후보물질 련기술 등을 기에 확보하기

한 로벌공동연구 로젝트 참여

➡ 후성유 체의 산업 가치연계를 한 후성유 체 기반의 진단제

치료제 개발 분야의 산업체 참여 유도

➡ 고가의 첨단 분석 장비가 요구되는 후성유 체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공동 활용 연구기반 마련

※ 그간 추진해 온 인간유 체 등 유 체 연구성과, 인력 기반을

후성유 체에 활용하기 한 방안 검토

Page 5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49

5. 참고문헌

1) Business Insights, “The CNS Market Outlook to 2010” (2005.10)

2)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Tools, Technologies, Equipment, Opportunities & Emerging

WW Market Outlook” (2009. 1)

3) Global Industry Analysts, “Anti-Aging Products” (2009.1)

4) Nature Review, “The history of cancer epigenetics” (2004.2)

5) Research Impact Technologies, “Stem Cell Research - A Market Insight

Report" (2008.5)

6)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09 BioIn 스페셜 문가리포트” (2010.1)

7) 각종 인터넷 보도자료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포털사이트(Bioin)

※ 참고문헌의 순서는 출 사 발간기 의 알 벳과 가나다 순임

Page 6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Page 6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특허맵 분석_후성유전체(Epigenome) 분야

BT 기술동향 보고서

분석대상: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Page 6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후성유전체 관련] 검색키워드 및 검색결과

후성유전체 OR 에페제네틱스 OR 에피제놈 OR "DNA 메틸*" OR "유전자 메틸*" OR "히스톤 변형" OR epigenetic* OR epigenom* OR "DNA methylat*" OR "DNA replication time" OR "histone modificat*" OR "nucleosome position*" OR heterochromatizat*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NEAR time) OR (histone NEAR modificat*) OR (nucleosome NEAR position*) OR heterochromatizat* => 1,530건 => 패밀리특허 제거 615건

미국/유럽 공개 및 등록,PCT/일본영문 공개

Title, Abstract OR Claims1991.1.1 ~ 2009.6.16

국내특허 검색(특허 DB: Focust)

검색 도메인:검색범위:검색기간(출원년월일 기준):

Title, Abstract OR Claims

검색범위:

검색키워드:

해외특허 검색(특허 DB: Aureka)

검색 도메인:검색기간(출원년월일 기준):

한국공개 및 등록1991.1.1 ~ 2009.6.16

※ 별도의 노이즈 특허 제거과정 없이 특허분석을 수행함

Page 6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분석 결과

[후성유전체 해외특허][후성유전체 해외특허]• 특허등고선

• 연도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 우선권주장국가별 특허 건수

• 연도별/우선권주장국가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 주요 출원기관별 특허 건수

• 주요 출원기관의 특허출원 및 등록 추세

• 주요 피인용 특허

[후성유전체 국내특허][후성유전체 국내특허]

[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

*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는 한국을 우선권주장국가로 지정하여 해외에 출원 혹은 등록된 특허를 선별하였으며,그 수가 적어 특허리스트로 정리함

Page 6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4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 등고선

-신규 히스톤methyltransferase

-크로마틴 추출방법-RNAi 기반 헤테로크로마틴 변형방법

-DNA demethylase의치료 및 진단응용

-암억제유전자-DNA 메틸화기반질환 예측방법

-DNA 메틸화마커, 저해제

-성체 체세포 리프로그래밍-체세포 리프로그래밍 및치료활용을 위한 세포질(Cytoplasm)

-초고속대용량 DNA 메틸화 분석방법

-복합 DNA 메틸화Fingerprint 제조방법

-어레이를 이용한 메틸화상태 분석방법

-증식저해 활성의Bisamine 화합물

-Demethylase 저해제및 활성 측정방법

-DNA 메틸화 정량방법, 측정방법

-CpG에서의 메틸화 패턴검출방법

-특정형질 연관 유전자분석 및 예측을 위한컴퓨터 시스템과 분석방법 개발

Page 6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5

0

30

60

90

120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후성유전체 관련] 연도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Observation

•후성유전체 연구 및 이를 응용한

활용기술에 대한 해외특허는

1991년부터 최근까지 총 615건이

며 2000년대 초반 이후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임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관련

특허는 1990년대 초반까지 드물게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특허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

을 보임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연구 및 이를 응용한

활용기술에 대한 해외특허는

1991년부터 최근까지 총 615건이

며 2000년대 초반 이후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임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관련

특허는 1990년대 초반까지 드물게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특허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

을 보임

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출원 및

등록 추이는 어떠한가?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출원 및

등록 추이는 어떠한가?

Num

ber o

f Pat

ents

Application Year

Total 615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일 수 있음

EP, 47, 8%

독일, 39,6%

일본 , 39,6%

영국 , 24,4%

호주, 19,3% 기타 , 42, 7%

미국, 405,66%

Page 6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6

405

47

39

39

24

19

7

6

5

4

4

3

0 100 200 300 400 500

US

EP

DE

JP

GB

AU

FR

KR

NZ

CA

CN

IN

[후성유전체 관련] 우선권주장국가별 특허 건수

Observation

•후성유전체에 대한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405건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66%를 점유하며 이 분야의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음

•그 뒤로 독일 39건, 일본 39건,

영국 24건, 호주 19건 등으로 이들

국가에서 주요하게 후성유전체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는 6건의 해외특허로 세계에서

7번째(EP 제외)로 많은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됨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에 대한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405건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66%를 점유하며 이 분야의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음

•그 뒤로 독일 39건, 일본 39건,

영국 24건, 호주 19건 등으로 이들

국가에서 주요하게 후성유전체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는 6건의 해외특허로 세계에서

7번째(EP 제외)로 많은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됨

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권리를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어디인가?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권리를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어디인가?

대한민국

*우선권주장국가란 우선권을 가지는 특허가 출원된 국가로서 대다수 출원인 혹은 주발명인의 자국에 출원된 특허를 우선권으로 지정함* EP WO로 표기된 경우, 우선권주장 대상 특허가 다국적 연합 특허기구인 EP(유럽특허청) 혹은 WO(세계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를 말함

Number of Patents

Page 6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7

[후성유전체 관련] 연도별/우선권주장국가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1990년대 초반 관련 특허가 출현

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특허의 증가추세가 두드러짐

•독일과 일본 또한 2000년대 초반

이후에 관련 특허를 출원하는 양상

이며, 국내 출원기관은 2003년

부터 관련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함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1990년대 초반 관련 특허가 출현

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특허의 증가추세가 두드러짐

•독일과 일본 또한 2000년대 초반

이후에 관련 특허를 출원하는 양상

이며, 국내 출원기관은 2003년

부터 관련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함

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권리를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의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는가?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권리를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의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는가?

0

20

40

60

80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US EP DE JP GB AU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일 수 있음

Num

ber o

f Pat

ents

Application Year

Page 6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8

13

9

8

7

6

6

5

5

5

5

0 5 10 15 20

EPIGENOMICS AG

UNIV JOHNS HOPKINS

UNIV SOUTHERN CALIFORNIA

UNIV TEXAS

SUMITOMO CHEMICAL CO

ASTEX THERAPEUTICS LTD

UNIV HONG KONG CHINESE

MAX PLANCK GESELLSCHAFT

ONCOMETHYLOME SCIENCES SA

ORION GENOMICS LLC

UNIV CALIFORNIA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출원기관별 특허 건수

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출원기관은 암에 대한 체외

진단 기술개발 등 분자진단 전문

회사인 EPIGENOMICS AG사로

5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두 번째는 미국의 JOHNS

HOPKINS대학으로 13건을 보유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외에도

미국, 일본, 독일의 제약회사 및

바이오전문회사, 대학, 연구소에서

후성유전체를 활용한 진단제 및

치료제의 기술개발 노력을 관찰할

수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출원기관은 암에 대한 체외

진단 기술개발 등 분자진단 전문

회사인 EPIGENOMICS AG사로

5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두 번째는 미국의 JOHNS

HOPKINS대학으로 13건을 보유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외에도

미국, 일본, 독일의 제약회사 및

바이오전문회사, 대학, 연구소에서

후성유전체를 활용한 진단제 및

치료제의 기술개발 노력을 관찰할

수 있음

Question

•전세계적으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주요 출원기관들은

어디인가?

QuestionQuestion

•전세계적으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주요 출원기관들은

어디인가?

Number of Patents

Page 6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9

0

5

10

15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EPIGENOMICS AG UNIV JOHNS HOPKINS

UNIV SOUTHERN CALIFORNIA UNIV TEXAS

SUMITOMO CHEMICAL CO ASTEX THERAPEUTICS LTD

UNIV HONG KONG CHINESE MAX PLANCK GESELLSCHAFT

ONCOMETHYLOME SCIENCES SA ORION GENOMICS LLC

UNIV CALIFORNIA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출원기관의 특허출원 및 등록추세

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Epigenomics사는

2000년대 초반 이후 특허활동이

매우 활발해지는 것을 것을 관찰할

수 있음

•Johns Hopkins 대학 또한

2000년대 중반 이후에 관련 특허

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아 이 시기에

기술개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음

•후성유전체 연구의 특성상 신규성

과 기초적 연구 단계로 인해 대학

들이 주요 플레이어로서 활동하고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Epigenomics사는

2000년대 초반 이후 특허활동이

매우 활발해지는 것을 것을 관찰할

수 있음

•Johns Hopkins 대학 또한

2000년대 중반 이후에 관련 특허

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아 이 시기에

기술개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음

•후성유전체 연구의 특성상 신규성

과 기초적 연구 단계로 인해 대학

들이 주요 플레이어로서 활동하고

있음

Question

•전세계적으로 후성유전체 관련주요 출원기관들의 특허활동추세는?

QuestionQuestion

•전세계적으로 후성유전체 관련주요 출원기관들의 특허활동추세는?

Num

ber o

f Pat

ents

Application Year

EPIGENOMICS AG

Page 7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0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_I

1999-06-11

1998-06-09

1995-12-08

1997-07-15

1999-09-22

1999-05-14

1991-11-12

1996-06-03

2007-03-23

출원년월일

9

8

7

6

5

4

3

2

1

번호 피인용회수

출원인명칭특허번호

22INTROGENE BVHIGH-THROUGHPUT SCREENING OF GENE FUNCTION USING LIBRARIES FOR FUNCTIONAL GENOMICS APPLICATIONS

WO1999064582A2

23USC NORRIS COMPREHENSIVE CANCE

Cancer diagnostic method based upon DNA methylation differences

US6251594B1

32STRATAGENE INCCircular site-directed mutagenesisUS5789166A

36ONCOR INC

NUCLEIC ACID AMPLIFICATION OLIGONUCLEOTIDES WITH MOLECULAR ENERGY TRANSFER LABELS AND METHODS BASED THEREON

WO1998002449A1

38EPIGENOMICS AGMethod for producing complex DNA methylation fingerprints

US6214556B1

44UNIV SOUTHERN CALIFORNIA

Process for high-throughput DNA methylationanalysis

US6331393B1

56IMMUNEX CORPBIFUNCTIONAL SELECTABLE FUSION GENESWO1992008796A1

71UNIV JOHNS HOPKINS MED

Method of detection of methylated nucleic acid using agents which modify unmethylatedcytosine and distinguishing modified methylated and non-methylated nucleic acids

US5786146A

78SYDDANSK UNISMALL INTERNALLY SEGMENTED INTERFERING RNA

WO2007107162A2

*피인용회수조회: 2009. 5. 4 기준

Page 7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1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_II

11

12

13

14

14

16

17

18

19

21

피인용회수

1999-09-17MOLECULAR STAGING INC

Methods for reducing the complexity of DNA sequences

US6287825B110

19

18

17

16

15

14

13

12

11

번호 출원년월일출원인명칭특허번호

1999-07-26YEDA RES & DEVPrevention of metastasis with 5-aza-2'-deoxycytidine

US6255293B1

1992-09-18SLOAN KETTERING INST CANCER

ACTIVATED STROMAL FIBROBLAST-SPECIFIC ANTIBODY, F19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1993005804A1

1994-02-04US HEALTHMethod of adenoviral-medicated cell transfectionUS5928944A

1992-10-13SAMID DVORIT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Y AND PREVENTION OF CANCER, AIDS, AND ANEMIA

WO1993007866A2

1997-08-27UNIV MASSACHUSETTS

Assays and reagents for chromatin remodeling enzymes and their modulators

US5972608A

2001-04-24SUPERGEN INC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establishing gene transcription through inhibition of DNA methylation and histone deacetylase

US6905669B2

2004-03-31MERCK & CO INCMass spectrometry data analysis techniquesUS6906320B2

2003-05-13UNKNOWNAnti-aging nutritional supplementUS20040001817A1

1995-04-25ORIDIGM CORPS-adenosyl methionine regulation of metabolic pathways and its use in diagnosis and therapy

US6020139A

*피인용회수조회: 2009. 5. 4 기준

Page 7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2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분석 결과

• 연도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 연도별/우선권주장국가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 주요 출원기관별 특허 건수

• 주요 출원기관의 특허출원 및 등록 추세

• 주요 발명인별 특허 건수

• 주요 발명인의 특허출원 및 등록 추세

[후성유전체 해외특허][후성유전체 해외특허]

[후성유전체 국내특허][후성유전체 국내특허]

[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

*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는 한국을 우선권주장국가로 지정하여 해외에 출원 혹은 등록된 특허를 선별하였으며,그 수가 적어 특허리스트로 정리함

Page 7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3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 출원기관 해외특허 리스트

GENOMICTREE, INC.

PANAGENE INC

CHABIOTECH CO LTD

BIOQUEST INC

BAE SUK-CHUL

KOREA RES INST OF STANDARDS

출원인

2008-12-01

2008-02-22

2006-03-22

2006-02-08

2003-07-18

2006-05-11

출원년월일

6

5

4

3

2

1

번호

피인용회수명칭특허번호

0DIAGNOSIS KIT AND CHIP FOR BLADDER CANCER USING BLADDER CANCER SPECIFIC METHYLATION MARKER GENE

WO2009069984A2

0

METHODS, COMPOSITIONS AND KI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R SPECIFICITY OF HYBRIDIZATION BETWEEN PNA PROBES IMMOBILIZED ON SUPPORT AND TARGET NUCLEIC ACIDS

WO2008103015A1

0

METHODS FOR ESTIMATING GLOBAL DNA METHYLATION IN MOUSE AND SCREENING METHODS FOR CANDIDATE ANTICANCER AGENTS USING THE SAME

WO2006107156A1

1METHODS FOR PERFORMING DIRECT ENZYMATIC REACTIONS INVOLVING NUCLEIC ACID MOLECULES

WO2006090987A1

0RUNX3 gene showing anti-tumor activity and use thereof

US7368255B2

0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METHYL CYTOSINE IN DNA AND USES THEREOF

EP1880023A1

*피인용회수조회: 2009. 5. 4 기준

Page 7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4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분석 결과

• 연도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 연도별/우선권주장국가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 주요 출원기관별 특허 건수

• 주요 출원기관의 특허출원 및 등록 추세

• 주요 발명인별 특허 건수

• 주요 발명인의 특허출원 및 등록 추세

[후성유전체 해외특허][후성유전체 해외특허]

[후성유전체 국내특허][후성유전체 국내특허]

[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

*한국의 후성유전체 해외특허는 한국을 우선권주장국가로 지정하여 해외에 출원 혹은 등록된 특허를 선별하였으며,그 수가 적어 특허리스트로 정리함

Page 7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5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연도별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Observation

•한국 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연구 및 이를 응용

한 활용기술 관련 특허는 총

64건으로 조사됨

•후성유전체에 대한 국내특허는

1990년대 초반까지 드물게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특허가 빠르게 증가

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는 해외

특허 연도별 출원동향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

ObservationObservation

•한국 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연구 및 이를 응용

한 활용기술 관련 특허는 총

64건으로 조사됨

•후성유전체에 대한 국내특허는

1990년대 초반까지 드물게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특허가 빠르게 증가

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는 해외

특허 연도별 출원동향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

Question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출원 및 등록 추이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는가?

QuestionQuestion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출원 및 등록 추이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는가?

0

5

10

15

2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Num

ber o

f Pat

ents

Application Year

Total 64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일 수 있음

Page 7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6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연도별/우선권주장국가별 특허현황

Observation

•우선권주장국가로 살펴본 국내

후성유전체에 대한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26건

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40%를

점유한 상태로 미국 출원기관의

특허가 국내에 적극적으로 진입해

있는 상태임

•두 번째로 많은 특허를 출원한

한국은 20건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31%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뒤로

독일 3건, 일본 2건, 프랑스 2건,

기타 국가 3건으로 조사됨

ObservationObservation

•우선권주장국가로 살펴본 국내

후성유전체에 대한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26건

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40%를

점유한 상태로 미국 출원기관의

특허가 국내에 적극적으로 진입해

있는 상태임

•두 번째로 많은 특허를 출원한

한국은 20건의 특허로 전체 특허의

31%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뒤로

독일 3건, 일본 2건, 프랑스 2건,

기타 국가 3건으로 조사됨

Question

•우선권주장국가별로 국내의후성유전체 관련 특허 출원 및등록 추이는 어떠한가?

QuestionQuestion

•우선권주장국가별로 국내의후성유전체 관련 특허 출원 및등록 추이는 어떠한가?

0

2

4

6

8

10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US KR EP DE JP FR NZ CA GB

※우선권주장국가란 우선권을 가지는 특허가 출원된 국가로서 대다수 출원인 혹은주발명인의 자국에 출원된 특허를 우선권으로 지정함

*우선권주장국가가 EP로 표기된 경우, 우선권주장 대상 특허가 다국적 연합 특허기구인 EP(유럽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를 말함

Application Year

KR, 20, 31%

EP, 8, 13%

DE, 3, 5%

JP, 2, 3%

FR, 2, 3%

기타, 3, 5%

US, 26, 40%

Num

ber o

f Pat

ents

Page 7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7

7

5

4

3

2

2

2

2

2

2

2

2

0 2 4 6 8

(주)지노믹트리

베리덱스, 엘엘씨

경북대학교 산학단

니코메드 게엠베하

에피제노믹스 아게

맥길 유니버시티

바스프악티엔게젤샤프트

에스체악티엔게젤샤프트

아스텍스 테라퓨틱스

가톨릭대학교 산학단

오리엔트바이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히로시마다이가쿠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출원기관별 특허 건수

Observation

•한국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는 어느 한

출원기관으로 집중되는 양상은

아니나,

•국내 분자진단 전문업체인 지노믹

트리에서 7건의 특허를, 존슨앤

존스 자회사로 암 체외진단 전문

회사인 베리덱스 LLC에서 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한국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는 어느 한

출원기관으로 집중되는 양상은

아니나,

•국내 분자진단 전문업체인 지노믹

트리에서 7건의 특허를, 존슨앤

존스 자회사로 암 체외진단 전문

회사인 베리덱스 LLC에서 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특허활동을

활발히 수행하는 출원기관은

어디인가?

Question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특허활동을

활발히 수행하는 출원기관은

어디인가?

Number of Patents

Page 7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8

0

1

2

3

4

1991 1993 1996 1998 2002 2004 2006 2008

지노믹트리 베리덱스 경북대학교

수미토모 케미칼 니코메드 게엠베하 맥길 유니버시티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오리엔트바이오

아스텍스 테라퓨틱스 에피제노믹스 아게 존슨 앤드 존슨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출원기관의 특허출원 및 등록 추세

Observation

•한국 특허청의 주요 출원기관

들은 대부분 1990년대 중반

부터 관련 특허들이 출원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부터 특허

들의 출원이 본격적으로 증가

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출원한 지노믹트리는

2000년대 초반 이후 꾸준하게

특허활동을 하고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한국 특허청의 주요 출원기관

들은 대부분 1990년대 중반

부터 관련 특허들이 출원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부터 특허

들의 출원이 본격적으로 증가

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출원한 지노믹트리는

2000년대 초반 이후 꾸준하게

특허활동을 하고 있음

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

주요 출원기관의 특허활동

추세는?

Question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

주요 출원기관의 특허활동

추세는?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일 수 있음2건의 특허를 보유한 출원기관을 모두 표기한 것은 아님

Num

ber o

f Pat

ents

Application Year

지노믹트리

베리덱스

Page 7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9

7

3

2

2

2

2

2

2

0 2 4 6 8

안성환

도미가하라 요시타카

베르너, 에릭 제이.

마이어, 토마스

펜네만, 마티아스

유문간

시미즈 노리아키

김동선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발명인별 특허 건수

Observation

•한국 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주요

발명자는 지노믹트리사 소속의

안성환 발명자로 7건의 특허를

보유하며 후성유전체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일본의 수미토모 케미칼, 미국

파마시클릭스, 독일 니코메드 등

해외 출원기관 소속의 발명자들도

활동하고 있음

•이외에도 오리엔트바이오, 경북대

등 국내 산업체 및 대학 소속의

발명자도 볼 수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한국 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주요

발명자는 지노믹트리사 소속의

안성환 발명자로 7건의 특허를

보유하며 후성유전체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일본의 수미토모 케미칼, 미국

파마시클릭스, 독일 니코메드 등

해외 출원기관 소속의 발명자들도

활동하고 있음

•이외에도 오리엔트바이오, 경북대

등 국내 산업체 및 대학 소속의

발명자도 볼 수 있음

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활동을 활발히 수행하는 발명자는누구인가?

Question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활동을 활발히 수행하는 발명자는누구인가?

*특허상에 명기된 발명자의 최근 소속을 기준으로 표기함

Number of Patents

경북대학교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오리엔트바이오

에스체 악티엔게젤샤프트

니코메드 게엠베하

파마시클릭스

지노믹트리

수미토모 케미칼

Page 8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0

0

1

2

3

4

1991 1993 1996 1998 2002 2004 2006 2008

안성환 도미가하라 요시타카 베르너, 에릭 제이.

마이어, 토마스 펜네만, 마티아스 유문간

시미즈 노리아키 김동선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주발명자의 특허출원 및 등록 추세

Observation

•한국 특허청에 공개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주요

발명자인 지노믹트리의 안성환

발명자는 2000년대 초반부터

관련 기술개발의 결과를 특허화

하는 것을 알 수 있음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발명자들은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특허 활동을 시작하여 그 이후에

활발해짐을 관찰할 수 있으며,

수미모토케미컬 소속 발명자는

2008년 한 해에 3건의 특허를

국내에 출원하며 최근 새롭게

등장함

ObservationObservation

•한국 특허청에 공개 및 등록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 주요

발명자인 지노믹트리의 안성환

발명자는 2000년대 초반부터

관련 기술개발의 결과를 특허화

하는 것을 알 수 있음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발명자들은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특허 활동을 시작하여 그 이후에

활발해짐을 관찰할 수 있으며,

수미모토케미컬 소속 발명자는

2008년 한 해에 3건의 특허를

국내에 출원하며 최근 새롭게

등장함

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주요 발명자의 특허활동 추세는?

QuestionQuestion

•국내에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의주요 발명자의 특허활동 추세는?

Num

ber o

f Pat

ents

Application Year

안성환㈜지노믹트리

Page 8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1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 분석 결과 요약

•전세계적인 후성유전체 분야의 특허는1990년대에 조금씩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양적

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최근 기술개발이 더욱 활발해짐을 알 수 있음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에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는 DNA 메틸화 정량방법

및 메틸화 패턴 측정방법, DNA demethylase를 이용한 치료제 및 진단제 개발 관련 특허들을

포함한 분야 등으로 조사됨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전체 66%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EP 제외) 많은 6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특허를 많이 보유한 출원기관은 암에 대한 체외진단 기술개발 등 분자진단 전문회사인 미국의

Epigenomics사이며 이외에 미국, 일본, 독일의 제약회사 및 바이오전문회사, 대학, 연구소에서

후성유전체를 이용한 진단제 및 치료제의 기술개발 노력을 관찰할 수 있음

•한국에서 해외에 출원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보유한 출원기관들은 표준연, 지노믹트리,

파나진, 바이오퀘스트 등 바이오벤처회사를 포함한 민간기업 및 연구소에서 관련 특허를 보유함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들은 2000년대 들어 활발하게 공개되기 시작하였으며

미국과 우리나라가 각각 40%와 31%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미국 등 해외기술의 국내진입이

시도되고 있으며 베리덱스, 니코메드, 수미모토케미컬 등 해외 제약회사와 국내에서는 지노믹트리,

경북대, 오리엔트바이오 등이 주요 출원기관으로 조사됨

•전세계적인 후성유전체 분야의 특허는1990년대에 조금씩 나타나다가 2000년대 초반 이후 양적

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최근 기술개발이 더욱 활발해짐을 알 수 있음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에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는 DNA 메틸화 정량방법

및 메틸화 패턴 측정방법, DNA demethylase를 이용한 치료제 및 진단제 개발 관련 특허들을

포함한 분야 등으로 조사됨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전체 66%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EP 제외) 많은 6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특허를 많이 보유한 출원기관은 암에 대한 체외진단 기술개발 등 분자진단 전문회사인 미국의

Epigenomics사이며 이외에 미국, 일본, 독일의 제약회사 및 바이오전문회사, 대학, 연구소에서

후성유전체를 이용한 진단제 및 치료제의 기술개발 노력을 관찰할 수 있음

•한국에서 해외에 출원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를 보유한 출원기관들은 표준연, 지노믹트리,

파나진, 바이오퀘스트 등 바이오벤처회사를 포함한 민간기업 및 연구소에서 관련 특허를 보유함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후성유전체 관련 특허들은 2000년대 들어 활발하게 공개되기 시작하였으며

미국과 우리나라가 각각 40%와 31%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미국 등 해외기술의 국내진입이

시도되고 있으며 베리덱스, 니코메드, 수미모토케미컬 등 해외 제약회사와 국내에서는 지노믹트리,

경북대, 오리엔트바이오 등이 주요 출원기관으로 조사됨

Page 8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Page 8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

BT 기술동향 보고서

Paper Mapping_후성유전체(Epigenome) 분야

BT 기술동향 보고서

Paper Mapping_후성유전체(Epigenome) 분야

Page 8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

epigenetic* OR epigenom* OR "DNA methylat*" OR "DNA replication time" OR

"histone modificat*" OR "nucleosome position*" OR heterochromatizat*

AND AFFIL(korea) => 407건

epigenetic* OR epigenom* OR "DNA methylat*" OR "DNA replication time" OR

"histone modificat*" OR "nucleosome position*" OR heterochromatizat*

=> 17,407건

Article1992. 1. 1∼2009. 6. 17

Topic(Title, Abstract OR Keyword)

검색키워드:

문서형태:검색기간:

검색범위

논문검색 DB: SCIE(Web of Science)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검색방법

Page 8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3

[해외의 논문분석]• 연도별 발표건수

• 국가별 연구동향

• 최다 게재저널

• 주요 연구기관

• 주요 저자

• 주요 논문

[국내의 논문분석]• 연도별 발표건수

• 국제공동 연구현황

• 최다 게재저널

• 주요 연구기관

• 주요 저자

• 주요 논문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분석 결과

Page 8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4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연도별 발표건수

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발표

추이는 어떠한가?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발표

추이는 어떠한가?

Observation

•후성유전체에 대한 논문은 1992년

부터 최근까지 총 17,407편으로,

1990년대에 서서히 발표되는

추세에서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논문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후성유전체 분야는 특허에 비해

논문의 수가 월등히 많은 분야로

2000년대 초반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후성유전체라는 개념이 부각

되며 논문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에 대한 논문은 1992년

부터 최근까지 총 17,407편으로,

1990년대에 서서히 발표되는

추세에서 2000년대 초반 이후

관련 논문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후성유전체 분야는 특허에 비해

논문의 수가 월등히 많은 분야로

2000년대 초반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후성유전체라는 개념이 부각

되며 논문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Num

ber o

f Pap

ers

Publication Year

Total 17,407

Page 8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5

[후성유전체 관련] 국가별 연구 동향

80172034

159813291083923871739

548534444407363311310276247247194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USA

JAPANGERMANYENGLAND

FRANCEPEOPLES R CHINA

CANADAITALY

AUSTRALIASPAIN

NETHERLANDSSOUTH KOREASWITZERLAND

RUSSIASCOTLAND

SWEDENAUSTRIA

ISRAELINDIA

Number of papers

Observation

•전세계적으로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인

미국은 총 8,017편의 논문으로

전체의 46%를 차지함

•그 뒤로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중국 등으로 유럽 국가에서 주요

하게 논문발표가 활발함

•우리나라는 총 407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세계에서 12번째로 많은

논문을 발표한 나라로 조사됨

ObservationObservation

•전세계적으로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인

미국은 총 8,017편의 논문으로

전체의 46%를 차지함

•그 뒤로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중국 등으로 유럽 국가에서 주요

하게 논문발표가 활발함

•우리나라는 총 407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세계에서 12번째로 많은

논문을 발표한 나라로 조사됨

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국가는?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국가는?

Page 8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6

304

388412475

545608

0

200

400

600

800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최다 게재 저널

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이 게재되는

주요 저널들은 무엇인가?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이 게재되는

주요 저널들은 무엇인가?

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논문들이

발표되는 주요 저널들은 암과의

연관연구로 인해 Cancer

Research, Oncogene 등으로

많이 발표됨

•이외에도 PNA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ucleic Acides

Research 등으로 발표됨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해외논문들이

발표되는 주요 저널들은 암과의

연관연구로 인해 Cancer

Research, Oncogene 등으로

많이 발표됨

•이외에도 PNA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ucleic Acides

Research 등으로 발표됨

CANCER RESEARCH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ONCOGENE

NUCLEIC ACIDS RESEARCH

PNAS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2008년 IF(Impact Factor) 기준

IF7.514 IF9.380 IF5.520 IF7.216 IF5.942 IF6.878 IF7.514 IF9.380 IF5.520 IF7.216 IF5.942 IF6.878

Page 8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7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연구기관

Observation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미국의 하버드 대학으로 총 478편

의 논문을 발표함

•그 뒤로 미국의 국립암연구소인

NCI(National Cancer

Institute)가 392편, 미국 텍사스

대학이 387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후성유전체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과 연계하여 활발한 연구

를 추진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미국의 하버드 대학으로 총 478편

의 논문을 발표함

•그 뒤로 미국의 국립암연구소인

NCI(National Cancer

Institute)가 392편, 미국 텍사스

대학이 387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후성유전체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과 연계하여 활발한 연구

를 추진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음

Question

•후성유전체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는

주요 연구기관은 어디인가?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는

주요 연구기관은 어디인가?

미국210UNIV CAMBRIDGE10

캐나다191MCGILL UNIV11

미국181UNIV PENN12

미국181UNIV WASHINGTON13

미국179RUSSIAN ACAD SCI14

No 기관명 논문 수 소속국가

1 HARVARD UNIV 478 미국

2 NCI 392 미국

3 UNIV TEXAS 387 미국

4 JOHNS HOPKINS UNIV 350 일본

5 OHIO STATE UNIV 235 일본

6 UNIV CALIF SAN FRANCISCO 227 미국

7 UNIV TOKYO 225 캐나다

8 UNIV SO CALIF 224 미국

9 UNIV CALIF LOS ANGELES 210 미국

15 STANFORD UNIV 177 미국

Page 9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8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주요 저자

116

112

110

92

79

72

69

67

64

60

59

58

58

58

58

0 30 60 90 120

HERMAN, JG

ESTELLER, M

BAYLIN, SB

ISSA, JPJ

JONES, PA

ZHANG, Y

SUZUKI, H

TOYOTA, M

JAENISCH, R

PLASS, C

MINNA, JD

FRAGA, MF

GAZDAR, AF

IMAI, K

REIK, W

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주요

저자들은 누구인가?

QuestionQues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주요

저자들은 누구인가?

*저자의 최근 소속을 기준으로 표기함

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저자는 미국 존스홉킨스

암센터의 Herman, JG로 116편

의 논문을 발표함

•두 번째로는 스페인 국립암연구

센터의 Esteller, M이 112편,

존스홉킨스의약 연구소의 Baylin,

SB가 110편의 논문을 발표함

•이외에 주요 연구자들은 미국,

스페인, 일본, 영국 대학 소속의

저자들로 활발한 논문활동을

보이고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저자는 미국 존스홉킨스

암센터의 Herman, JG로 116편

의 논문을 발표함

•두 번째로는 스페인 국립암연구

센터의 Esteller, M이 112편,

존스홉킨스의약 연구소의 Baylin,

SB가 110편의 논문을 발표함

•이외에 주요 연구자들은 미국,

스페인, 일본, 영국 대학 소속의

저자들로 활발한 논문활동을

보이고 있음

Univ Cambridge, United Kingdom

Sapporo Medical University, Japan

Univ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USA

Spanish National Cancer Research Centre, Spain

Univ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USA

Ohio State University, USA

MIT, USA

Sapporo Medical University, Japan

Sapporo Medical University, Japan

Univ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USA

Keck School of Medicine, USA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USA

Johns Hopkins University Medical Institutions, USA

Spanish National Cancer Research Centre(CNIO), Spain

Comprehensive Cancer Center Johns Hopkins, USA

Page 9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9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논문 리스트_I

1,0011999SCIENCE 285(5433) pp. 1569-1572

In Vivo Protein Transduction: Delivery Of A Biologically Active Protein Into The Mouse

10

1,0171999CELL 99(3) pp. 247-257Dna Methyltransferases Dnmt3A And Dnmt3B Are Essential For De Novo Methylation And Mammalian Development

9

1,0241992PNAS 89(5) pp. 1827-1831

A Genomic Sequencing Protocol That Yields A Positive Display Of 5-Methylcytosine Residues In Individual Dna Strands

8

1,0611998NATURE GENETICS 19(2) pp. 187-191

Methylated Dna And Mecp2 Recruit Histone Deacetylase To Repress Transcription

7

1,1801999NATURE GENETICS 21(2) pp. 163-167

Cancer Epigenetics Comes Of Age6

1,2691998NATURE 393(6683) pp. 386-389

Transcriptional Repression By The Methyl-Cpg-Binding Protein Mecp2 Involves A Histone Deacetylase Complex

5

1,3281995NATURE MEDICINE 1(7) pp. 686-692

5' Cpg Island 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Transcriptional Silencing Of The Tumor-Suppressor P16/Cdkn2/Mts1 In Human Cancers

4

1,6641992CELL 69(6) pp. 915-926 Targeted Mutation Of The Dna Methyltransferase Gene Results In Embryonic Lethality

3

2,3322000NATURE 403(6765) pp. 41-45

The Language Of Covalent Histone Modifications2

2,6951996PNAS 93(18) pp. 9821-9826

Methylation-Specific Pcr: A Novel Pcr Assay For MethylationStatus Of Cpg Islands

1

피인용회수

발표년도저널명논문제목번호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7 기준

Page 9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0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논문 리스트_II

8442002NATURE 416(6880) pp. 545-548

Changing Potency By Spontaneous Fusion20

8631999NATURE GENETICS 21(1) pp. 103-107

Synergy Of Demethylation And Histone Deacetylase Inhibition In The Re-Expression Of Genes Silenced In Cancer

19

8891994PNAS 91(21) pp. 9700-9704

Silencing Of The Vhl Tumor-Suppressor Gene By DnaMethylation In Renal-Carcinoma

18

9032000NATURE 406(6796) pp. 593-599

Regulation Of Chromatin Structure By Site-Specific Histone H3 Methyltransferases

17

9132001CANCER RESEARCH 61(8) pp. 3225-3229

A Gene Hypermethylation Profile Of Human Cancer16

9261994NUCLEIC ACIDS RESEARCH 22(15) pp. 2990-2997

High-Sensitivity Mapping Of Methylated Cytosines15

9381993NATURE 366(6453) pp. 362-365

Role For Dna Methylation In Genomic Imprinting14

9431999NATURE GENETICS 23(2) pp. 185-188

Rett Syndrome Is Caused By Mutations In X-Linked Mecp2, Encoding Methyl-Cpg-Binding Protein 2

13

9501998PNAS 95(12) pp. 6870-6875

Incidence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Hmlh1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Colorectal Carcinoma

12

9742001NATURE 410(6824) pp. 116-120

Methylation Of Histone H3 Lysine 9 Creates A Binding Site For Hp1 Proteins

11

피인용회수

발표년도저널명논문제목번호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7 기준

Page 9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1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분석 결과

[해외의 논문분석]

[국내의 논문분석]

• 연도별 발표건수

• 국가별 연구동향

• 최다 게재저널

• 주요 연구기관

• 주요 저자

• 주요 논문

• 연도별 발표건수

• 국제공동 연구현황

• 최다 게재저널

• 주요 연구기관

• 주요 저자

• 주요 논문

Page 9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2

0 0 0 0 2 4 4

1316 14

26

4347

53

76 73

35

0

20

40

60

80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연도별 발표건수

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발표 추이는 어떠한가?

Question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발표 추이는 어떠한가?

Num

ber o

f Pap

ers

Publication Year

Total 407

Observation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연구

활동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시작

되어 최근까지 논문발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후성유전체에 대한 국내논문은

407편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관련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하다가

비로소 2000년대 이후 관련 논문

발표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임

•이는 해외논문 발표현황과 유사한

양상으로 최근 후성유전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7년과

2008년 한 해에 7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됨

ObservationObservation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연구

활동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시작

되어 최근까지 논문발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후성유전체에 대한 국내논문은

407편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관련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하다가

비로소 2000년대 이후 관련 논문

발표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임

•이는 해외논문 발표현황과 유사한

양상으로 최근 후성유전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7년과

2008년 한 해에 7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됨

Page 9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3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국제공동 연구 대상국 현황

Observa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국제공동

연구 대상국을 분석해보면, 미국이

99편으로 가장 많으며, 일본 20편,

중국 13편, 영국 9편 등으로 국제

협력을 통해 논문발표가 이루어지고

있음

•미국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발표된

논문은 전체 논문의 24%, 일본은

5% 정도임

•국제공동연구 활성화를 통해 보다

우수한 연구성과 확보 노력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됨

ObservationObserva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국제공동

연구 대상국을 분석해보면, 미국이

99편으로 가장 많으며, 일본 20편,

중국 13편, 영국 9편 등으로 국제

협력을 통해 논문발표가 이루어지고

있음

•미국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발표된

논문은 전체 논문의 24%, 일본은

5% 정도임

•국제공동연구 활성화를 통해 보다

우수한 연구성과 확보 노력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됨

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국제공동연구 대상국은 주로

어디인가?

Question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국제공동연구 대상국은 주로

어디인가?

3NETHERLANDS9

No 국제공동연구 대상국 논문 수

1 USA 99

2 JAPAN 20

3 PEOPLES R CHINA 13

4 ENGLAND 9

5 GERMANY 9

6 SINGAPORE 7

7 AUSTRALIA 5

8 INDIA 4

9 CANADA 3

9 FRANCE 3

Page 9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4

1113

14

17

22

25

0

10

20

30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최다 게재 저널

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이

게재되는 주요 저널들은 무엇인가?

Question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이

게재되는 주요 저널들은 무엇인가?

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논문이 발표

되는 주요 저널들도 해외동향과

동일한 양상을 보임

•국내에서도 후성유전체와 암과의

연관관계 연구결과들로 인해

Cance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Oncogene으로 많이

발표됨

•이외에도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Molecules

and Cell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등으로 발표됨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국내논문이 발표

되는 주요 저널들도 해외동향과

동일한 양상을 보임

•국내에서도 후성유전체와 암과의

연관관계 연구결과들로 인해

Cance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Oncogene으로 많이

발표됨

•이외에도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Molecules

and Cell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등으로 발표됨

CANCE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MOLECULES AND CELL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ONCOGENE

*2008년 IF(Impact Factor) 기준

IF7.514 IF2.648 IF4.734 IF2.023 IF7.216 IF0.843IF7.514 IF2.648 IF4.734 IF2.023 IF7.216 IF0.843

Page 9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5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연구기관

Observation

•국내에서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서울대로

총 116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전체의

28%를 점유하며 서울대의

후성유전체 연구활동이 활발함

•그 뒤로 성균관대가 46편, 생명연

34편, 연세대 34편, 울산대 26편 등

대학과 연구소의 논문발표가 활발

하며, 특히 국립암센터는 후성유전체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기술의 연계

연구가 활발한 것을 예상할 수 있음

ObservationObservation

•국내에서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서울대로

총 116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전체의

28%를 점유하며 서울대의

후성유전체 연구활동이 활발함

•그 뒤로 성균관대가 46편, 생명연

34편, 연세대 34편, 울산대 26편 등

대학과 연구소의 논문발표가 활발

하며, 특히 국립암센터는 후성유전체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기술의 연계

연구가 활발한 것을 예상할 수 있음

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는 주요 연구기관은 어디인가?

Question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는 주요 연구기관은 어디인가?

대학34YONSEI UNIV3

연구소18NATL CANC CTR10

대학17KONKUK UNIV11

대학17KYUNGPOOK NATL UNIV11

대학15GYEONGSANG NATL UNIV13

No 기관명 논문 수 구분

1 SEOUL NATL UNIV 116 대학

2 SUNGKYUNKWAN UNIV 46 대학

3KOREA RES INST BIOSCI &

BIOTECHNOL34 연구소

5 UNIV ULSAN 26 대학

6 KOREA UNIV 25 대학

7 KYUNG HEE UNIV 21 대학

8 CATHOLIC UNIV KOREA 20 대학

9 KOREA ADV INST SCI & TECHNOL 19 대학

14 POCHON CHA UNIV 13 대학

Page 9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6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주요 저자

21

20

19

16

16

16

16

16

15

15

15

21

23

23

27

27

0 10 20 30

KANG, GH

KIM, JH

KIM, HS

LEE, S

KIM, JS

LEE, JH

KIM, WH

PARK, J

KIM, HJ

KIM, YH

LEE, JY

LEE, KK

PARK, JH

BANG, YJ

KIM, DH

KIM, SJ

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주요 저자들은 누구인가?

QuestionQuestion

•한국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의

주요 저자들은 누구인가?

*저자의 최근 소속을 기준으로 표기함

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은 어느 한

연구자로 집중되어 발표되는 양상

을 보이지 않고 있으나,

•국내저자로는 서울대 암연구소의

KANG, GH와 같은 서울대병원의

KIM, JH로 27편의 논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함

•이외에 주요 연구자들은 고려의대,

포천중문의대, 아산의대, 성균관의

대 삼성의료센터, 아주의대, 카톨릭

의대, 생명연(KRIBB) 소속 저자

들의 논문활동이 주요함

ObservationObservation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은 어느 한

연구자로 집중되어 발표되는 양상

을 보이지 않고 있으나,

•국내저자로는 서울대 암연구소의

KANG, GH와 같은 서울대병원의

KIM, JH로 27편의 논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함

•이외에 주요 연구자들은 고려의대,

포천중문의대, 아산의대, 성균관의

대 삼성의료센터, 아주의대, 카톨릭

의대, 생명연(KRIBB) 소속 저자

들의 논문활동이 주요함

Sungkyunkwan Univ Sch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Medical School

Center for Regenerative Medicine, KRIBB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Sungkyunkwan Univ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 Medicine

Sungkyunkwan Univ Sch Medicine

Univ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 Genetics, Korea Univ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Page 9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7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논문 리스트_I

1262004NATURE 428(6985) pp. 860-864

Birth of parthenogenetic mice that can develop to adulthood

8

1312004NATURE CELL BIOLOGY 6(2) pp. 129

The tumour suppressor RASSF1A regulates mitosis by inhibiting the APC-Cdc20 complex

7

1442001CANCER RESEARCH 61(7) pp. 2847-2851

CpG island methylation in premalignant stages of gastric carcinoma

6

1492000NATURE GENETICS 26(1) pp. 16-17

Methylation of the CDH1 promoter as the second genetic hit in hereditary diffuse gastric cancer

5

1912006NATURE GENETICS 38(7) pp. 787-793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underlies sporadic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is tightly associated with BRAF mutation in colorectal cancer

4

2201999CANCER RESEARCH 59(5) pp. 1090-1095

Hypermethylation of the hMLH1 gene promoter in human gastric cancers with microsatellite instability

3

2222001NATURE MEDICINE 7(4) pp. 437-443

Histone deacetylases induce angiogenesis by negative regul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2

2272002CELL 111(5) pp. 621-633Differential requirements for Runx proteins in CD4 repression and epigenetic silencing during T lymphocyte development

1

피인용회수

발표년도저널명논문제목번호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7 기준

Page 10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8

[국내의 후성유전체 관련] 주요 피인용 논문 리스트_II

862001CANCER RESEARCH 61(19) pp. 7034-7038

Frequent epigenetic inactivation of RASSF1A by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14

882001CANCER RESEARCH 61(18) pp. 6688-6692

Frequent epigenetic inactivation of RASSF1A in human bladder carcinoma

13

1052002EMBO JOURNAL 21(5) pp. 1092-1100

Limited demethylation leaves mosaic-type methylation states in cloned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12

1082002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60(3) pp. 787-794

Epstein-Barr virus-positive gastric carcinoma demonstrates frequent aberrant methylation of multiple genes and constitutes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positive gastric carcinoma

11

1122000CANCER RESEARCH 60(13) pp. 3370-3374

Frequent alteration of p63 expression in human primary bladder carcinomas

10

1262001CLINICAL CANCER RESEARCH 7(7) pp. 1982-1986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multiple genes in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9

피인용회수

발표년도저널명논문제목번호

*피인용 회수 조회: 2009. 6. 17 기준

Page 101: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9

•후성유전체 분야는 특허에 비해 논문의 수가 많은 분야로 2000년대 초반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후성유전체라는 개념이 부각되며 논문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는 미국으로 전체의 46%를, 일본은 12%를 차지

하며 미국과 일본에서 60% 가까운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한국은 총 407편으로 12위에 랭크됨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미국 하바드 대학이며, 미국

국립암연구소인 NCI(National Cancer Institute)의 논문발표가 활발한 가운데 후성유전체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과 연계하여 활발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연구활동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시작되어 최근까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국제공동연구의 대상국으로는 미국이 99건으로 가장 많으며

일본, 중국 등과의 국제협력연구를 통해 논문이 발표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서울대학교로 116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그 뒤로 성균관대, 생명연(KRIBB), 연세대, 울산대 등 대학과 연구소의

논문발표가 활발하며, 특히 국립암센터는 후성유전체 기반의 암 진단 및 치료기술을 중심으로

연구 중임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은 어느 한 연구자로 집중되어 발표되는 양상은 아니나, 서울대암연구소의 Kang, GH와 같은 서울대병원의 Kim, JH로 27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이외 고려의대, 성균관의대 삼성의료센터, 아주의대, 카톨릭의대, 생명연 소속 저자들의 논문발표도 활발함

•후성유전체 분야는 특허에 비해 논문의 수가 많은 분야로 2000년대 초반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후성유전체라는 개념이 부각되며 논문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는 미국으로 전체의 46%를, 일본은 12%를 차지

하며 미국과 일본에서 60% 가까운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한국은 총 407편으로 12위에 랭크됨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미국 하바드 대학이며, 미국

국립암연구소인 NCI(National Cancer Institute)의 논문발표가 활발한 가운데 후성유전체

연구와 암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과 연계하여 활발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연구활동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시작되어 최근까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국제공동연구의 대상국으로는 미국이 99건으로 가장 많으며

일본, 중국 등과의 국제협력연구를 통해 논문이 발표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서울대학교로 116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그 뒤로 성균관대, 생명연(KRIBB), 연세대, 울산대 등 대학과 연구소의

논문발표가 활발하며, 특히 국립암센터는 후성유전체 기반의 암 진단 및 치료기술을 중심으로

연구 중임

•우리나라의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은 어느 한 연구자로 집중되어 발표되는 양상은 아니나, 서울대암연구소의 Kang, GH와 같은 서울대병원의 Kim, JH로 27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이외 고려의대, 성균관의대 삼성의료센터, 아주의대, 카톨릭의대, 생명연 소속 저자들의 논문발표도 활발함

[후성유전체 관련] 논문 분석 결과 요약

Page 102: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Page 103: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1 총서 제1권 항암 중점 분자표적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1 공개

2 총서 제2권 비만/당뇨 중점 분자표적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2 공개

3 총서 제3권 항암 세포치료제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3 공개

4 총서 제4권 치주질환 억제 및 치료제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4 공개

5 총서 제5권 남세균(Cyanobacteria)활용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5 공개

6 총서 제6권 세포스위치 모델시스템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6 공개

7 총서 제7권 Cytokine 및 cervical cancer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7 공개

8 총서 제8권 바이오칩 검출기술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8 공개

9 총서 제9권 약물작용점 탐색기술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9 공개

10 총서 제10권 Peptide drug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10 비공개

11 총서 제11권 Metabolic engineering과 Biocatalysis 김무웅김은중 2005-06-30 특허맵2005-1 공개

12 총서 제12권 Embryonic stem cell과Xenogenic organ과 Organogenesis 김은중 2005-06-30 특허맵2005-2 공개

13 총서 제13권 미생물(박테리아, 효모, 곰팡이)발현시스템 및 동물세포 발현시스템 김은중 2005-06-30 특허맵2005-3 공개

14 총서 제14권 약물전달시스템 김무웅 2005-07-19 기술동향2005-1 공개

15 총서 제15권 줄기세포 문성훈 2005-07-19 기술동향2005-2 공개

16 총서 제16권 세포치료제 문성훈 2005-07-19 기술동향2005-3 공개

17 총서 제17권 형질전환동물 및 이종장기 김은중 2005-07-19 기술동향2005-4 공개

18 총서 제18권 단백질 칩 김은중 2005-08-12 기술동향2005-5 공개

19 총서 제19권 BT 산업동향보고서 편람 1 문성훈 2005-09-13 산업동향2005-1 공개

20 총서 제20권 바이오칩,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 MEMS 김무웅 2005-10-7 기술동향2005-6 공개

21 총서 제21권삼투압 작용을 이용한 경구용 약물 방출제어 약물전달시스템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

김무웅 2005-12-31 특허맵2005-4 공개

22 총서 제22권 미생물 유전체 활용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과 핵심특허 확보 방안연구 김무웅 2005-12-31 특허맵2005-5 공개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 목록 ◑

Page 104: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23 총서 제23권국소 주입형 고분자 젤을 이용한 지능형 항암제 전달 시스템 개발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

김무웅 2005-12-31 특허맵2005-6 공개

24 총서 제24권 단기분석 특허맵 보고서 모음 김은중김무웅 2006-02-10 특허맵2006-1 공개

25 총서 제25권 2005 생명공학 주요 통계 모음 문성훈 2006-02-22 산업동향2006-1 공개

26 총서 제26권 BT 제도동향보고서 이천무 2006-02-28 제도동향2006-1 공개

27 총서 제27권 면역조절치료제 김은중 2006-02-28 기술동향2006-1 공개

28 총서 제28권 해외 생물소재센터 구축 및 활용 김영철 2006-05-04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29 총서 제29권 단백질체 연구 및 활용치료제 김무웅 2006-06-06 기술동향2006-2 공개

30 총서 제30권국내 비임상․임상 인프라에 대한 현시점과 신규 수요파악을위한 설문 결과 보고서

문성훈 2006-07-10 산업동향2006-2 공개

31 총서 제31권이종장기 관련 국내 미진입 특허분석을 통한 국내 공백기술에관한 연구(돼지를 중심으로)

김무웅 2006-09-10 특허맵2006-2 비공개

32 총서 제32권

세포치료제 관련 국내 미진입 특허분석을 통한 국내 공백기술에관한 연구(성체줄기세포를 중심으로)

김무웅 2006-09-10 특허맵2006-3 공개

33 총서 제33권바이오신약 대표적 블록버스터의약품 관련 특허들의 출원 및등록 경향과 특허망에 대한 분석

김무웅 2006-09-10 특허맵2006-4 공개

34 총서 제34권 Status of Biotechnology in Korea 김영철 2006-10-20 정책동향2006-1 공개

35 총서 제35권 신약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한 혁신 확산전략 이천무 2006-12-29 정책연구보고서 공개

36 총서 제36권 바이오에너지 김은중 2006-12-30 기술동향2006-3 공개

37 총서 제37권 시스템생물학 김무웅 2006-12-30 기술동향2006-4 공개

38 총서 제38권경기바이오센터 BT인프라(GLP/GMP) 시설 구축 타당성 조사 연구

문성훈 2007-04-30 산업동향2007-1 비공개

39 총서 제39권 글라이코믹스 및 탄수화물 의약품 김은중 2007-06-14 기술동향2007-1 공개

40 총서 제40권 주요국의 바이오산업 동향 분석 문성훈 2007-06-30 산업동향2007-2 공개

41 총서 제41권 생명공학 기술영향평가 및 공공인지도 이천무 2007-07-18 제도동향2007-1 공개

42 총서 제42권 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김영철 2007-07-20 기술동향2007-2 공개

43 총서 제43권 뇌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07-07-25 기술동향2007-3 공개

Page 105: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44 총서 제44권 2007년 생명공학 기초 통계집 윤동섭 2007-08-31 통계2007-1 공개

45 총서 제45권바이오신약∙장기 제품군별/주요질환별 세계 및 국내 시장현황과 전망분석에 관한 연구

김무웅김은중 2007-09-01 산업동향2007-3 공개

46 총서 제46권 1989~1997년간 미국 FDA에서 승인된 신약 관련 특허 분석

김은중김무웅 2007-09-01 특허맵2007-1 공개

47 총서 제47권바이오그린21사업 핵심기술별 특허분석-전반부(작물, 동물, 곤충, 농용미생물, 조류(algae)를 중심으로)

김무웅김은중 2007-10-10 특허맵2007-2 공개

48 총서 제48권바이오그린21사업 핵심기술별 특허분석-후반부(Genomics, Proteomics, GMO를 중심으로)

김은중김무웅 2007-10-10 특허맵2007-3 공개

49 총서 제49권 고령화 사회 대응 연구개발 추진 및 지원방안 기획

장현숙(김영철) 2007-10-11 정책연구보고서 공개

50 총서 제50권항체치료제 제작 관련 플랫폼 기술에 대한 핵심특허 및 관련 업체 심층분석

김무웅김은중 2007-10-16 특허맵2007-4 공개

51 총서 제51권아토피 치료제 관련 국내외 특허 분석을 통한 기술개발 트랜드 및 국내 보유기술 분석 연구

김은중김무웅 2007-10-16 특허맵2007-5 공개

52 총서 제52권 미국의 생명공학 혁신체제 정선양(이천무) 2007-11-27 정책연구보고서 공개

53 총서 제53권 BT 시장 현황 및 전망 분석 보고서 김은중 2007-12-15 시장동향 공개

54 총서 제54권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3단계 기획연구

김무웅김은중 2007-12-20 정책기획보고서 비공개

55 총서 제55권 국가생명자원 현황 실태조사 최홍근(김영철) 2007-12-31 기술동향2007-4 공개

56 총서 제56권 프로테오믹스 중점 연구분야별 서지(특허,논문)분석

김은중김무웅 2008-01-14 특허맵2008-1 비공개

57 총서 제57권 국가 생명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 마스터플랜 김영철 2008-01-31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58 총서 제58권 2005생명공학백서 김영철 2005-12-31 생명공학백서 공개

59 총서 제59권 Biotechnology in Korea 김은중 2006-02-08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60 총서 제60권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의 바이오 김은중 2006-07-10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61 총서 제61권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07~'16) 이천무 2006-12-15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2 총서 제62권 "Bio-Vision 2016" 수립 사례로 본기본계획작성 메뉴얼 문성훈 2007-02-01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3 총서 제63권 Bio-Vision 2016 홍보브로셔 김영철 2007-03-12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64 총서 제64권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94∼’06) 우수연구성과 모음집

김은중 2007-02-15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Page 106: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65 총서 제65권 2007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책자 이천무 2007-04-04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6 총서 제66권 2007 생명공학백서 김영철 2007-12-28 생명공학백서 공개

67 총서 제67권 제2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최종보고서 이천무 2008-01-06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8 총서 제68권 환경생명공학(Bioremediation을 중심으로) 김무웅 2008-01-31 기술동향2007-5 공개

69 총서 제69권 한의약 R&D 중장기 육성·발전 계획 (2008~2017) 문성훈 2008-03-10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70 총서 제70권 주요국의 생명공학 정책동향 윤동섭 2008-03-31 정책동향2008-1 공개

71 총서 제71권 2008년 생명공학 주요 통계자료 모음 윤동섭 2008-03-31 통계 2008-1 공개

72 총서 제72권 주요 질환별 신약개발 동향 김은중 2008-04-04 기술동향2007-6 공개

73 총서 제73권 국내외 해양과학 기술동향분석 김수길 2008-04-07 정책기획보고서 비공개

74 총서 제74권 한의약 R&D중장기 육성․발전 기획 연구 문성훈 2008-04-28 정책기획2008-1 공개

75 총서 제75권 한의약 기술동향보고서 김은성 2008-06-30 기술동향2008-1 공개

76 총서 제76권 2008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보고서 이천무 2008-07-25 정책기획2008-2 공개

77 총서 제77권 2008 줄기세포시행계획보고서 이천무 2008-07-25 정책기획2008-3 공개

78 총서 제78권 일본 제약산업의 발전과정과 공공정책 및 미래상 윤동섭 2008-07-31 산업동향2008-1 공개

79 총서 제79권 미국 제약기업 및 바이오벤처의 성장전략 윤동섭 2008-07-31 산업동향2008-2 공개

80 총서 제80권 2단계 1차년도(’07.7-’08.6) 센터 실적보고서 문성훈 2008-07-31 정책연구2008-1 비공개

81 총서 제81권 2008년 생명공학기초통계 윤동섭 2008-08-31 통계2008-2 공개

82 총서 제82권 해양생명공학 기술동향보고서 김수길 2008-10-29 기술동향2008-2 공개

83 총서 제83권 줄기세포 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08-10-31 기술동향2008-3 공개

84 총서 제84권 생명공학분야 로열티 결정모형 성웅현(이천무) 2008-10-31 정책연구2008-2 공개

85 총서 제85권 국내 생명공학관련 법제의 현황 및 개선방안

류화신(이천무) 2008-10-31 정책연구2008-3 공개

86 총서 제86권 보건의료 R&D 분야 발전방안 김영철 2008-10-31 정책연구2008-4 비공개

87 총서 제87권 OECD 생명공학작업반 활동분석 김은성 2008-11-25 정책연구2008-5 공개

Page 107: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88 총서 제88권 바이오매스 에너지 연구개발사업 기획을 위한 연구 김영철 2008-11-28 정책기획2008-4 비공개

89 총서 제89권 국립한의학전문대학원 역할 정립 및 연구분야 발굴 기획 보고서 문성훈 2008-12-30 정책기획2008-5 비공개

90 총서 제90권 국내외 줄기세포 연구역량 조사분석 및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김무웅김은중 2008-12-31 정책기획2008-6 비공개

91 총서 제91권국내외 줄기세포 기술분야별 연구역량 조사를 위한 기술맵 및 인력맵 작성

김은중김무웅 2008-12-31 특허맵2008-2 비공개

92 총서 제92권 Bioin BT스페셜 전문가리포트 박미정 2008-12-31 Bioin스페셜 2008 공개

93 총서 제93권 단백체학 연구 및 활용기술 김은중 2009-01-13 기술동향2008-4 공개

94 총서 제94권바이오분야 하이테크 제품관련 리스크와 소비자 혁신성 및 제품수용성에 관한 연구

서상혁(문성훈) 2009-02-10 정책연구2009-1 공개

95 총서 제95권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연구사업단 3단계 기획을 위한 3P(Paper, Patent, Product) 분석

김무웅김은중 2009-02-10 특허맵2009-1 비공개

96 총서 제96권이종장기 생산용 무균 및 복제돼지 관련 국내 미진입 특허분석을 통한 국내 공백기술에 관한 연구

김은중김무웅 2009-02-12 특허맵2009-2 비공개

97 총서 제97권 BT 통계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제언 윤동섭 2009-03-31 정책연구2009-1 공개

98 총서 제98권 바이오융합기술 -바이오나노 기술을 중심으로- 신승후 2009-03-31 기술동향2008-5 공개

99 총서 제99권

Fraunhofer Center for Biopharmaceutical Research(CBR) 한국연구소 유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무웅김수길 2009-04-10 정책기획2009-1 비공개

100 총서 제100권 노화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09-04-20 기술동향2008-6 공개

101 총서 제101권신약개발 bottleneck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 문성훈 2009-04-25 정책연구2009-2 공개

102 총서 제102권 바이오 세계로의 초대 김은중 2009-04-25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103 총서 제103권 2009 Biotechnology in Korea 김은중 2009-05-25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104 총서 제104권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중장기발전계획(’08~’17) 문성훈 2008-06-01 정책기획2009-2 공개

105 총서 제105권Approache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문성훈 2009-09-04 정책연구2009-3 공개

106 총서 제106권 2009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이천무 2009-08-30 정책기획2009-3 공개

107 총서 제107권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이천무 2009-08-30 정책기획2009-4 공개

108 총서 제108권 2009년 Bioin 이슈&특집(상) 박미정 2009-11-07 Bioin 2009-1 공개

Page 108: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109 총서 제109권 2009년 생명공학 기초 통계 문성훈김용경 2009-11-18 통계2009 공개

110 총서 제110권 2단계 정책정보기반사업 추진계획 이천무 2009-11-25 정책연구2009-5 비공개

111 총서 제111권 바이오 R&D 효율화 정립방안 이천무 2009-11-25 정책연구2009-6 비공개

112 총서 제112권 2009 제도동향 보고서 이천무 2009-11-25 제도동향2009-1 공개

113 총서 제113권 MD-Ph.D 협력프로그램 기획연구 이천무 2009-11-25 정책연구2009-7 비공개

114 총서 제114권 약물전달시스템 활용기술 김은중 2009-12-22 기술동향2009-1 공개

115 총서 제115권 2009 Bioin 스페셜 전문가리포트 박미정 2009-12-30 Bioin 2009-2 공개

116 총서 제116권 2009 생명공학백서 김영철양준혁 2009-12-31 생명공학백서 공개

117 총서 제117권 진안 홍삼연구소 발전방안 기획보고서 김영철 2009-12-31 정책기획2009-5 비공개

118 총서 제118권 Bioin 이슈&특집 2009_하 박미정 2010-1-15 Bioin 2009-3 공개

119 총서 제119권 BioWatch 국가별 최신 BT동향 박미정 2010-1-15 Bioin 2009-4 공개

120 총서 제120권 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동향(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손진영 2010-2-10 기술동향2009-2 공개

121 총서 제121권 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동향(항바이러스 치료제를 중심으로) 김용경 2010-2-10 기술동향2009-3 공개

122 총서 제122권 인플루엔자 연구 및 활용기술 양준혁 2010-2-10 기술동향2009-4 공개

123 총서 제123권 주요 질환별 기술개발 동향(심혈관질환을 중심으로) 신율 2010-2-10 기술동향2009-5 공개

124 총서 제124권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10-3-17 기술동향2009-6 공개

※ 공개된 총서는 BioIn정보포털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Page 109: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기술동향 2009-6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2010年 3月 25日 印刷

2010年 3月 27日 發行

編 著 김 무 웅

發 行 人 병 환/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監 修 김 /연세 학교 생화학과 교수

안 성 환/(주)지노믹트리 표이사

이 연 수/국립암센터 기능유 체연구과 과장

發 行 處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동 1층

표 화 : (042) 879-8378

ISBN 978-89-93675-40-5 94470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09

非賣品

Page 110: 1 ¿,y S Ë ³ Â Ý ÿ - BioIN...특허검색 DB: Thomson Reuters사 Aureka DB 이용, 검색키워드: epigenetic* OR e pigenom* OR (DNA NEAR methylat*) OR (DNA NEAR replication

바이오경제시대의초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305-330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 TEL : 042-879-8371~9 www.bioin.or.kr

BT기술동향 보고서

www.bioin.or.kr

기술동향 2009-6 총서 제 124권

공 개

BT기술동향보고서

후성유전체

연구

활용기술

2009

총서124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