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제253 구의회 제2 정례회 2017 년도 2017 년도 주요업무실적보고 주요업무실적보고

2 (안전행정국) 2017.업무추진실적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0E/00/070E... · 2018. 1. 11. · 제253회 구의회 제2차정례회 2017 2017년도년도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제253

    구의회

    제2

    정례회

    2017

    년도 2017

    년도

    주요업무실적보고

    주요업무실적보고

    안전행정국안전행정국

  • 보고순서

    Ⅰ.

    일반현황 2

    Ⅱ.

    부서별

    주요업무

    행 정 지 원 과 5

    자 치 행 정 과 20

    재 난 안 전 과 34

    문 화 체 육 과 46

    교 육 지 원 과 64

    공 보 전 산 과 77

    민 원 여 권 과 84

  • - 2 -

    황(2017.10. 31. 기준)

    1 조 직

    □ 구의회, 5국 1담당관 31과, 1소 4과, 20동, 1공단

    □ 안전행정국 기구 : 7과 30팀

    구 청 장

    부 구 청 장

    감사담당관

    안전행정국 기획재정국 생활복지국 도시관리국 건설교통국 보 건 소

    행정지원과 기획예산과 복지정책과 주 택 과 건설관리과 보건행정과

    자치행정과 재 무 과 생활보장과 도시디자인과 도 로 과 건강관리과

    재난안전과 징 수 과 장애인복지과 도시계획과 물 관 리 과 의 약 과

    문화체육과 부 과 과 여성가족과 건 축 과 교통행정과 위생관리과

    교육지원과 일자리경제과 어르신청소년과 공원녹지과 주차관리과

    공보전산과 부동산정보과 환 경 과 마곡개발과

    민원여권과 청소자원과

    2 인 력 區 전체공무원

    구 분 계 구 본청 구의회 보건소 동 주민센터정 원 1,536 909 28 118 481현 원 1,510.5 898 29 116.5 467과부족 △25.5 △11 1 △1.5 △14

    ❍ 과 부 족 : △25.5명(행정△8.5, 세무1.5, 사회△9, 전산0, 기술△6.5, 관리운영△1, 임기제△2) ❍ 별도 현원 : 150명(휴직 129, 공로연수 19, 파견 2) ❍ 여성공무원 : 734명 ❍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전일제공무원보다 짧게 근무/주20~25시간) : 41명 안전행정국 인력

    구 분 계 행정지원과 자치행정과 재난안전과 문화체육과 교육지원과 공보전산과 민원여권과 안전행정국

    정 원 193 52 22 20 21 21 29 27 1

    현 원 196 53 22 19 21 21 30 29 1

    과부족 3 1 △1 1 2

  • - 3 -

    3 주요현황

    □ 예산 및 집행현황 (단위:천원)

    구 분 예산현액(A) 지출액(B) 잔액(A-B) 집행율(B/A)

    안전행정국 합계 173,514,021 145,358,358 28,155,663 83.77%행정지원과 113,821,508 93,228,633 20,592,875 81.91%

    자치행정과 14,125,769 12,044,993 2,080,776 85.27%

    재난안전과 2,645,836 2,212,410 433,426 83.62%

    문화체육과 20,465,059 18,332,137 2,132,922 89.58%

    교육지원과 16,287,639 13,785,777 2,501,862 84.64%

    공보전산과 5,203,900 5,029,246 174,654 96.66%

    민원여권과 964,310 725,162 239,148 75.2%

    ※ 공용의 청사 건립기금(2017.10.31.현재) : 42,591,844천원

    ※ 재난안전관리기금(2017,10.31.현재) : 2,202,692천원

    ※ 박물관 등의 소장용 작품․유물 구입기금(2017.10.31.현재) : 426,934천원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문화센터 건립기금(2017.10.31.현재) : 13,121,400천원

    □ 행정구역 및 인구

    ○ 행정구역 : 20동, 633통, 4,954반

    ○ 인 구 : 601,432명 , 253,212세대

    ○ 동별 인구현황

    구 분 계 2만 미만 2만~3만 3만~4만 4만~5만 5만이상

    동 수 20 2 10 4 3 1

    □ 구 (동 )청사 건물현황

    청 사 명 소 재 지규 모

    준공일 비 고대지(㎡) 건물(㎡)

    구청사본관

    화곡로 302 5,5947,885 ’77.07.31 지하1, 지상7

    별관 1,746 ’91.12.27 지하1, 지상5 가양동 별관 양천로 59길 38 949 3,774 ’99.02.23 지하2, 지상6화곡동 별관 화곡로 44나길 72 411 1,112 ’05.12.23 지하1, 지상5보 건 소 공항대로 561 2,923 3,897 ’91.04.13 지하1, 지상4구 의 회 화곡로44나길 72 411 1,112 2005.12.23 지하1, 지상5

    동 주민센터 양천로 67가길 63 20,668 38,806 20개동

    □ 교육시설 현황

    구분 계

    학 교 유

    강서

    영어

    센터

    도서관 작은도서관 평 생학습관소계 초 중 고 기타 대학

    대학원

    대학 구립 시립 점자 공립 사립

    개소 219 87 36 22 23 2 3 1 53 2 8 1 1 27 39 1

  • - 4 -

    구 분 총계

    승 용 승 합 화 물

    특수대형 중형 소형

    경차

    다목적대형 중형 소형 대형 중형 소형

    계 189 3 3 3 17 2 18 15 43 85

    행정지원과 71 2 2 2 8 2 10 13 17 15

    자치행정과 41 1 20 20

    청소자원과 46 1 2 3 40

    주차관리과 10 3 7

    보 건 소 17 1 5 5 3 3

    구 의 회 4 1 1 2

    □ 지역 문화재 및 전통사찰

    ○ 문화재 ― 15개(국가지정 6개, 서울시지정 9개)

    국 가 지 정 (6) 서 울 시 지 정 (9)

    보물 4, 사적 1, 등록문화재 1

    Ÿ 김덕원묘출토의복(보물 672호)

    Ÿ 신찬벽온방(보물1087-2호)

    Ÿ 구급간이방 권6(보물1236-2호)

    Ÿ 진산세고(보물1290호)

    Ÿ 서울 양천고성지(사적 372호)

    Ÿ 구양천수리조합배수펌프장(등록문화재363호)

    유형문화재 4, 문화재자료1

    Ÿ 약사사 3층석탑(39호)

    Ÿ 약사사 석불입상(40호)

    Ÿ 풍산심씨문정공파묘역(77호)

    Ÿ 미타사석불입상(249호)

    Ÿ 양천현 홀기(44호)

    무형문화재2,기념물 2

    Ÿ 은공장(17호)

    Ÿ 경제어산(43호)

    Ÿ 양천향교터(8호)

    Ÿ 허가바위(11호)

    ○ 전통사찰 ― 3개소 (약사사, 미타사, 법성사)

    □ 정보화시스템 현황

    구 분정보

    통신실

    주전

    산기컴퓨터 프린터

    정보통신장비 정보통신회선

    계통신

    장비

    IP

    전화기계

    WANLAN

    자가망 임대망

    수 량 142㎡ 24대 2,100 762 2,786 735 2,051 2,319 72 22 2,225

    □ 공공 CCTV 운영 현황

    소 계방범목적 교통·환경

    방범용 어린이안전 공원방범 관심차량 그린파킹 주정차단속 무단투기감시

    1,125 758 206 78 4 17 34 28

    □ 공용차량 현황

  • - 5 -

    행 정 지 원 과

    □ 주 요 업 무

    1. 안 전 하 고 쾌 적 한 구 청 사 관 리 6

    2. 공 용 차 량 효 율 적 운 영 7

    3. 투 명 하 고 예 측 가 능 한 인 사 행 정 8

    4. 유연하고 효율적인 인사시스템 활용 9

    5. 「조직생」활 「가정생」활 활기찬 분위기 조성 10

    6. 미래지향 「창조형․소통형」인재 양성 11

    7. 구 민 만 족 친 절 행 정 서 비 스 구 현 13

    8. 행 복 충 전 후 생 복 지 운 영 15

    9. 의 회 와 의 긴 밀 한 협 력 관 계 유 지 17

    10. 국 내 외 다 양 한 교 류 활 동 전 개 18

  • - 6 -

    1

    안전하고

    쾌적한

    구청사

    관리

    구 청사의 촘촘한 유지 관리와 사무 환경 개선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근무 환경 조성 및 노후 구청사의 이미지 개선

    추진개요

    ○ 청사 시설물 3無 유지관리를 통한 안전한 청사환경 조성

    - 3무(無사고․無악취․無해충)관리 : 연간 단가계약을 통한 집중 관리

    ․연간 단가계약 : 무인경비, 승강기, 전기, 해충 제거, 화장실 방향제

    ․정기점검 : 가스, 소방, 정화조, 보일러 등

    - 노후 설비 보수․보강 철저 : 승강기, 보일러, 배관, 전기․가스 설비 등

    ○ 쾌적한 근무 환경 지원

    - 민원실(부동산정보과, 민원여권과) 리모델링 공사

    - 근무의욕을 저하시키는 10년 이상 된 사무가구 순차 교체

    - 냉방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15년 이상 된) 냉방기 순차 교체

    - 본관 노후 화장실 시설개선공사 순차 시행(1~4층 화장실 개선공사 완료)

    -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내 사무실 내가 가꾸기” 지속 추진 : 매월 1회

    - 구청사 청소 용역(3명) 발주

    ※ 기존 청소인력(공무직) 소속부서(공원녹지과)로 복귀에 따른 부족 인력 충원

    ○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 사업 전개

    - 냉․난방기 가동 탄력적 운용

    ․하절기․동절기 기후변화에 맞춰 가동시간 및 횟수 등 탄력적 운영

    - 구 청사 외벽 녹색커튼 설치

    ․건물 앞에 대형화분 및 와이어 설치 후 덩굴식물 식재

    ․태양광 차단을 통한 냉방비 절감 효과

    소요예산 : 1,352,628

    천원

    ○ 시설비 417,000천원, 자산취득비 70,000천원(추경1회 55,000천원),

    일반운영비 등 810,628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집 행 액 : 928,153천원

    - 당직수당, 정기점검 수수료 및 제세공과금 등 일반운영비 593,676천원

    - 구청 본관 화장실 개선공사 등 시설비 건 251,537천원

    - 사무용 의자 구매 등 자산취득비 건 82,940천원

  • - 7 -

    2

    공용차량

    효율적

    운영

    공용차량 운행 책임 강화 등 차량 관리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하고

    노후 차량 교체 및 상시정비를 통하여 사고 예방 및 예산 절감 도모

    추진방향

    ○ 공용차량 운행자 자격 제한 및 사고·파손에 대한 운행 책임 강화

    ○ 차량 상시정비를 통한 예산절감 및 차량교체 최소화

    추진내용

    계획

    ○ 노후 공용차량 교체

    - 내구연한 및 주행거리 경과로 노후된 차량으로 업무상 활용도가

    높은 차량 우선 교체

    - 교체차량 : 5인승 화물밴, 12인승 승합차

    ○ 공용차량 보험 계약시 단독보험사와 보험계약

    - 차량 운행자 요건 강화 및 차량사고 조사·처리체계 강화로 손해율 감소

    - 손해율 감소를 통한 2개년 연속 단독보험사와 계약으로 예산 절감

    ※ 2017년 일괄보험 가입차량 : 123대

    (행정지원과 67, 자치행정과 33, 주차관리과 10, 강서보건소 13)

    소요예산 : 440,100

    천원

    ○ 일반운영비 339,100천원, 자산취득비 101,000천원(추경1회71,000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집행액 : 312,793천원

    - 공용차량 수리비, 보험료, 세차비, 정기검사 등 일반운영비 : 259,704천원

    - 5인승 화물밴, 12인승 승합차 구입 등 자산취득비 : 53,089천원

  • - 8 -

    3

    투명하고

    예측가능한

    인사행정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 운영으로 예측 가능한 인사행정을 구축하고,

    직원들의 신뢰 향상

    추진개요

    ○ 예측 가능한 인사운영

    - 연간 인사운영 일정 공개(상·하반기 정기전보, 승진 등)

    - 7급 이하 공무원 전보기간 설정으로 전보 시기 예측

    - 근무성적평정 후 근평결과(희망자) 및 서열공개(연 2회)

    ○ 공정한 인사기회 제공

    - 여성의 출산, 육아로 인한 불이익 배제 및 근무환경 개선

    - 장애인 공무원 업무환경 지원 강화 (지원조례 제정)

    ○ 공정한 전보 운영

    - 구·동 순환 전보 강화

    - 기피부서 근무자 전보 우대 및 선호부서 상호간 전보 제한

    - 전보 시 인사고충사항 접수 및 고충심사위원회 운영(직원대표 참여-노조)

    ○ 공정한 업무평가 체제 확립

    - 근무실적 우수자(인센티브, 친절공무원 등)에 대한 근무평정 우대 강화

    - 기술직 실적가점 공정한 심사(심사위원회 운영, 심사결과 공지)

    - 승진심사 시 직원들의 온라인 다면평가 실시

    - 엄격한 공적심사를 통한 표창대상자 선정

    소요예산 : 18,000

    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서울특별시 강서구 장애인공무원 편의지원 조례 제정(2017. 8. 2.)

    ○ 구청장표창 40명, 시장표창 20명

  • - 9 -

    4

    유연하고

    효율적인

    인사시스템

    활용

    급변하는 행정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효율적인 인력 운영을

    위한 전산 시스템 활용

    추진계획

    ○ 행정수요 변동에 따른 유연성 있는 조직 운영

    - 행정환경 변화에 신속한 대처를 위한 조직 및 인력 운영

    부서, 팀, T/F 등 통폐합 및 신설 ※ 재난안전과, 장애인복지과 신설(2017. 1. 1)

    ○ 원활한 업무추진을 위한 인력 운영

    - 신규직원 임용 및 배치(결원 충원)

    - 휴직으로 인한 행정공백 방지를 위해 대체인력 채용․배치(30명)

    - 결원 최소화를 위한 복무관리(육아공무원 배려, 휴직공무원 점검 등)

    ○ 효율적 전보를 위한 전산 시스템 활용

    - 희망보직 전산시스템 구축

    2016년부터 실시된 희망보직 신청 및 관리를 전산화

    인사시스템 정보 외에 특기, 고충 등 다양한 사항 관리

    - 온라인 인사시스템「人 사랑방」활성화

    인사정보 공유, 인사 개선사항 수시 건의, 온라인 고충상담 등

    ○ 「개청 40주년 조직 변천사」발간

    - 강서구청 조직 변천자료를 종합 정리하여 역사 자료로 관리 및 공유

    소요예산 : 523,105

    천원

    ○ 기간제근로자등 보수 : 508,105천원

    ○ 희망전보시스템 구축 : 10,000천원

    ○ 조직변천사 발간 : 5,000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기간제근로자등 보수 : 26명, 302,336천원

    ○ 희망전보시스템 구축 : 9,486천원

    ○ 조직변천사 발간 : 11월 중 발간예정

  • - 10 -

    5 「

    조직생」

    활․「

    가정생」

    활기찬

    분위기

    조성

    직원들의 일과 생활이 조화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열심히

    일하는 직원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통해 활기찬 직장분위기 조성

    추진개요

    ○ 일할 맛 나는 직장분위기 조성

    -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 활성화

    - 장기재직 및 계절별 휴가 활성화를 통해 재충전의 기회로 활용

    - 공로연수자의 새로운 출발을 위한 교육 지원(합동교육 및 능력개발비 지원)

    ○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 조성

    - 업무 유공직원, 격무부서 근무자 등에 대한 표창 및 해외연수 기회 부여

    - 열심히 일하는 직원 희망부서 전보 및 선호부서 배치

    - 복무관련 교육, 점검 및 사후조치로 엄정한 근무자세 확립

    ○ 의견수렴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

    - 구 간부와 신규공무원간 간담회 실시

    - 직장협의회․공무원노조와 집행부간 의사소통의 장 마련(워크숍, 간담회 등)

    - 공로연수 예정자를 대상으로 간담회 실시(상․하반기)

    - 인사 고충자 의견 반영을 위한 온․오프라인 소통창구 운영

    - 주요시책 담당자 및 격무부서 직원과의 소통 간담회 실시(필요시)

    소요예산 : 231,891

    천원

    ○ 임용장 제작 및 인사관련 시스템 유지보수 등 : 41,036천원

    ○ 퇴직공무원 공로연수 지원 : 181,150천원(대상 : 28명)

    ○ 공무원 노동조합 운영 : 9,705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임용장 제작 및 인사관련 시스템 유지보수 등 : 39,758천원

    ○ 퇴직공무원 공로연수 지원 : 96,094천원(대상 : 17명)

    ○ 노조 워크샵 개최(1회, 3,985천원), 노사화합간담회(12회, 3,215천원)

  • - 11 -

    6

    미래지향 『

    창조형·

    소통형』

    인재

    양성

    행정수요의 다변화·고도화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기본·전문교육

    강화와 더불어 창의적이고 열린 마인드를 갖춘 창조형·소통형 인재 양성

    추진개요

    ○ 국내 전문교육기관 위탁교육

    - 교육기관 : 서울시 인재개발원, 한국양성평등교육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등

    - 교육과정 : 신규․승진자 리더십, 성인지, 사회복지, 정보화, 인문소양 교육 등

    · 협업·협치·소통·혁신·민원갈등 조정 등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는 교육 강화

    - 소요예산 : 166,960천원(교육비 86,800천원, 교육여비 80,160천원)

    ○ 국내 대학․대학원 위탁교육

    - 선발시기 : 연 2회(상․하반기)

    - 선발기준 : 훈련분야와 직무와의 연관성, 업무성과, 근무연수 등

    - 학비지원 : 대학(방송통신/사이버 등) 30~80만원, 대학원 100만원 이내

    - 소요예산 : 20,700천원

    ○ 소통·공감·화합의『직원 한마음 연수』

    - 시 기 : 2017년 상반기 중

    - 대 상 : 신규 임용, 타 기관 전입, 희망직원 등 500명

    - 방 법 : 1박 2일, 250명씩 2회 실시

    - 내 용 : 우수사례 발표, 레포츠 활동, 어울림 한마당, 현장체험 등

    - 소요예산 : 90,000천원

    ○ 선진행정 벤치마킹 『직원 국외연수』

    - 시 기 : 2017년 3월 ~ 10월

    - 대 상 : 장기 재직자, 업무 유공자, 격무부서 근무자, 친절 우수 직원 등

    - 방 법 : 팀별 연수과제 및 지역 선정, 연수 후 결과보고

    - 소요예산 : 76,000천원

  • - 12 -

    ○ 공무직 장년 나침반 생애설계 프로그램 운영

    - 시 기 : 2017년 3월 ~ 11월

    - 대 상 : 공무직 직원(45세 이상)

    - 방 법 : 노사발전재단(고용노동부 산하기관)과 업무협약을 통한 교육

    - 교육내용 : 중장년기 특성 및 직업의 이해, 생애 조망, 행복한 노후 설계 등

    - 소요예산 : 비예산

    ○ 새내기 공무원 아카데미

    - 시 기 : 연 2~3회(상반기 : 행정, 기술직, 하반기 : 사회복지직)

    - 대 상 : 2017년 신규임용 공무원 전체

    - 교육내용 : 공직 가치 및 기본적인 공직 생활교육, 관내 주요시설 견학,

    선배와의 대화 등

    - 소요예산 : 5,550천원

    소요예산 : 359,210

    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국내 전문교육기관 위탁교육 : 481명 37,543천원

    ○ 국내 대학․대학원 위탁교육 : 20명 13,226천원

    ○ 소통·공감·화합의『직원 한마음 연수』: 394명 89,351천원

    ○ 선진행정 벤치마킹 『직원 국외연수』: 49명 73,500천원

    ○ 공무직 장년 나침반 생애설계 프로그램 : 2회 56명

    ○ 새내기 공무원 아카데미 : 7회 112명, 2,067천원

  • - 13 -

    7

    구민만족

    친절행정

    서비스

    구현

    다양하고 전문적인 친절교육을 실시하여 높아진 구민의 기대 심리에

    적극 부응하고, 내방 민원인에게 『더 낮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구민중심의 친절행정 서비스 제공

    추진계획

    ○ 구민 체감도 향상을 위한 「맞춤형 친절교육」

    민원접점부서

    서비스교육

    민원응대

    많은

    부서

    연 1

    (

    상반기)

    민원응대가

    많은

    접점부서에

    전문서비스

    마인드

    교육

    고질․

    악성민원

    해소

    테마교육

    교육성격에

    맞는

    직원

    연 1

    (

    상반기)

    민원갈등

    조정·

    해결,

    스트레스

    관리

    다양한

    주제의

    교육

    미흡

    직원(

    부서)

    보완교육

    민원야기

    민원응대

    미흡직원(

    부서)

    연 1

    (

    하반기)

    민원응대

    태도가

    미흡한

    직원(

    부서)

    대한

    보충교육

    - 소요예산 : 2,700천원

    ○ 민원전담직원 사기진작을 위한 『직원 힐링 프로그램』

    - 기 간 : 2017년 하반기

    - 인 원 : 총 80명(2회, 회당 40명)

    - 대 상 : 민원접점부서 직원

    - 내 용 : 1박 2일간 전문센터에 위탁하여 심신치유·스트레스 관리,

    상호간 민원사례 의견교환·소통의 장 마련

    - 소요예산 : 17,600천원

    ○ 친절행정 분위기 확산을 위한 『고객만족 행정평가 및 시상』

    - 분기평가 : 분기별로 평가 및 공개하여 자발적 경쟁 유도

    - 종합평가 및 시상 : 2017년 12월(직원 및 부서)

    - 평가내용 : 모니터링, 친절·불친절 신고 평가, 친절교육 실적, 전화수신 평가,

    친절사례 등

  • - 14 -

    - 시 상

    ⋅ 부 서 : 최우수 2개(70만원), 우수 4개(50만원), 장려 6개(30만원)

    ⋅ 직 원 : 친절공무원 24명 내외(1인당 20만원 이내 격려)

    - 소요예산 : 10,000천원

    ○ 『민원안내 도우미』운영으로 고객만족행정 전문화

    - 근무시간 : 08:40 ~ 18:00

    - 근무인원 : 6명(본관 4명, 보건소 2명)

    - 근무내용 : 내방민원인 안내, 노약자·장애인 보호, 시설장비 안내 등

    - 운영방법 : 안내도우미 전문용역업체 위탁운영

    - 소요예산 : 195,624천원

    ○ 내부 통신망을 활용한 「친절․소통 프로그램」운영

    - 구내방송 : 음악, 체조, 하루 3번 스마일, 인사하기 등 홍보방송

    - C S센 터 : 행정지식포털에서 교육자료, 친절사례 등 알림

    - 행정전화 : 배경이미지를 활용한 민원응대 서비스 향상

    - 전화수신평가 : 평가를 통한 민원처리 신속성 도모

    - 소요예 산 : 비예산

    소요예산 : 225,924

    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직원 힐링 프로그램 운영 : 84명(42명 2회), 14,400천원

    ○ 고객만족 행정평가 : 2017. 1분기, 2분기 평가 완료

    ○ 민원안내도우미 운영 : 총 6명(본청 4명, 보건소 2명), 129,262천원

  • - 15 -

    8

    행복충전

    후생복지

    운영

    휴양시설 운영 및 복지포인트 부여를 통해 직원들의 휴식과 건전한 여가

    활동을 지원하고 취미클럽 활성화 등 직원 간 다양한 소통채널을 확대하여

    즐겁고 활기찬 직장생활 조성

    추진계획

    ○ 가족친화적인『휴양시설』운영

    - 현 황

    대명리조트,

    한화리조트,

    켄싱턴리조트

    총29

    구좌, 866

    하이원리조트,

    현대수리조트,

    웨스토피아리조트,

    제너두둔내펜션,

    힐스파이브펜션,

    씨클라우드호텔

    이용협약에

    따라

    이용

    직원

    선호도를

    반영하여

    우수한

    시설

    별도

    선정

    - 소요예산 : 225,000천원

    ․ 상시 및 제휴 휴양시설 객실료 : 123,000천원

    ․ 하계 휴양시설 임차료 : 102,000천원

    ○ 개인별 맞춤형 복지제도 운영

    - 대 상 : 전 직원(공무직, 임기제, 시간제, 휴직자 등 포함)

    - 지원내용

    ⋅ 복지포인트 배정 : 근속년수, 가족 등에 따라 차등 지급

    ☞ 기본포인트(1,800) + 근속포인트(10∼200) + 미성년 3자녀 이상(100)

    ⋅ 단체보험 가입 : 생명/상해, 3대 질병 진단비, 입원의료비 등 보장

    - 소요예산 : 4,243,200천원(복지포인트 3,793,200천원, 단체보험 450,000천원)

    ○ 활기찬 직장생활을 위한 『직원 동호회』지원

    - 현 황 : 14개 동호회 600명

    (산악회, 축구, 배드민턴, 마라톤, 자전거, 야구 등)

    - 지원내용 : 실질적인 활동에 따른 행사비 및 운영비 지원(분기별)

  • - 16 -

    - 활성화 방안

    ⋅『새내기 공무원 아카데미』교육을 활용한 직원 동호회 홍보

    ⋅ 1인 1취미 갖기 운동으로 직원들의 다양한 취미활동 장려

    - 소요예산 : 55,000천원

    ○ 소통과 심신 단련을 위한 『직원 체련대회』지원

    - 추진시기 : 상․하반기 각 1회 (4월, 10월)

    - 추진방법 : 부서별 자체계획에 의해 자율적 실시

    - 소요예산 : 58,945천원

    ○ 함께해요!!!『소통·공감 day』운영

    - 운영시기 : 매월 1회, 시간․장소는 자유롭게 선정·실시

    - 운영대상 : 전 부서(동)

    - 운영내용

    ⋅ 부서별로 직원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마련하여 애로사항 공감·해결

    ⋅ 구민과 소통할 수 있는 친절 또는 조직문화 관련 아이디어 발굴 등

    → 소통·배려를 통한 활기차고 건전한 조직문화 선도, 우수부서 인센티브 부여

    - 소요예산 : 1,000천원

    소요예산 : 4,583,145

    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상시휴양시설 : 494건, 79,890천원, 하계휴양시설 : 345건, 90,755천원

    ○ 맞춤형 복지제도 운영 : 4,054,152천원

    - 복지포인트 : 3,620,124천원, 단체보험 : 434,028천원

    ○ 직원동호회 행사운영비 지원 : 13개 657명, 49,000천원

    ○ 직원 체련대회 지원 : 상반기 1,476명 29,520천원, 하반기 1,547명 28,619천원

  • - 17 -

    9

    의회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

    구의회와 집행부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로 구정 역량을 한데 모으고

    구의회가 원활한 의정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구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공동 목표를 실현

    추진계획

    ○ 의회와 집행부의 협력적 동반자관계 정립을 위한 간담회 개최

    - 정책 소통 강화로 구정 역량 결집

    - 구정의 주요 사업 및 현안 업무에 대한 긴밀한 협의

    - 원활한 의정활동 지원

    ○ 강서구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구의원, 구 간부 합동 워크숍 개최

    - 개최시기 : 연 1회(9~10월중)

    - 주요 내용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주요 업무 추진 관련 분임토의

    화합과 일체감 형성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활동 등

    소요예산 : 54,500

    천원

    ○ 일반운영비(합동워크숍) : 30,000천원

    ○ 업무추진비 : 24,500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회기운영 : 7회 80일(임시회 6회 61일, 정례회 1회 19일)

    - 구정질문 : 197건(구두 31, 서면 166)

    - 안건처리 : 조례안 59건 및 의견청취 1건, 동의안 7건, 추가경정 예산안 2건, 기타 8건

    ○ 집행실적 : 21,000천원

  • - 18 -

    10

    국내외

    다양한

    교류

    활동

    전개

    국내외 자매(우호)도시와의 다양한 분야와 계층간 교류를 통하여 상호

    이익을 도모하고, 우리구의 구정 역량 향상과 대내외적 위상 제고

    추진개요

    ○ 국제교류

    - 오스트레일리아 펜리스시

    강서구 대표단 펜리스시 방문 및 교류 협의

    - 중국 산둥성 자오위안시

    자오위안시 청소년교류단 강서구 내방(7박8일, 16명) : 7∼8월 중

    -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

    오타루시 청소년교류단 강서구 내방(4박5일, 10명) : 7~8월 중

    양 도시 지역축제 상호 방문 및 축하

    - 중국 상하이시 창닝구

    행정, 문화 및 도시 관리 분야 상호 방문

    ○ 국내교류

    - 대 상 : 임실군, 상주시, 태안군, 강릉시, 여수시, 함안군, 순천시, 정읍시, 괴산군

    - 추진사항

    지역축제 상호 방문 및 우수사업 벤치마킹 등을 통한 상호 발전 도모

    직능(사회)단체, 직원 동호회 등, 문화 스포츠 교류 협력 강화

    소요예산 : 110,580

    천원

    ○ 일반운영비 : 15,500천원, 업무추진비 : 24,280천원

    ○ 국외업무여비: 30,000천원, 외빈초청여비: 40,800천원

  • - 19 -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국외 자매도시 교류

    - 중국 산둥성 자오위안시

    제18회 허준축제 축하대표단 내방 (4박5일, 3명) : 10. 14.~10. 18.

    - 중국 상하이시 창닝구

    우호대표단 내방 (3박4일, 5명) : 9. 7.~9. 10.

    -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

    오타루시 청소년교류단 강서구 내방(4박5일, 8명) : 7. 26.~7. 30.

    제18회 허준축제 축하대표단 내방(3박4일, 6명) : 10. 12.~10. 15.

    ○ 국내 자매도시 교류

    - 충청북도 괴산군

    서울특별시 강서구 ↔ 충청북도 괴산군 자매도시 체결 : 2017. 7. 14.(금)

    긴급수해피해복구 지원단 파견 : 7. 24.~7. 25

    (공무원 및 민간 자원봉사자 123명, 장비4)

    제18회 허준축제 축하대표단 내방 (괴산군수 외 7명) : 10. 14.

    - 전라북도 정읍시

    제18회 허준축제 축하대표단 내방 (농업기술센터소장 외 2명) : 10. 14.

    ○ 집 행 액 : 45,970천원

    - 국외업무여비 0천원, 외빈초청여비 16,750천원

    일반운영비 14,384천원, 업무추진비 14,836천원

  • - 20 -

    자 치 행 정 과

    □ 주 요 업 무

    1.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열린 공유공간 운영 21

    2.동 청 사 녹 색 커 튼 조 성 22

    3.주민등록 “찾아가는 눈높이 행정서비스” 추진 23

    4.방 화 1 동 주 민 센 터 신 축 24

    5.공정하고 철저한 제19대 대통령 선거 추진 25

    6.주 민 자 치 사 업 운 영 추 진 활 성 화 26

    7.주 민 자 치 역 량 강 화 교 육 27

    8.자 치 회 관 동 아 리 어 울 마 당 개 최 28

    9.이야기 가 있는 골목만들기 특 화 사 업 29

    10. 주민주도의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확대 30

    11.동 단 위의 마을공 동체 조성사 업 추 진 31

    12.민․관 협력을 통한 마을공동체 인식 확산 32

    13.민 ․ 관 협 력 협 치 기 반 구 축 33

  • - 21 -

    1

    찾아가는

    주민센터

    열린

    공유공간

    운영

    찾ㆍ동 공간개선 사업을 통해 마련한 공유공간을 주민들의 자기계발과 소통의

    장으로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찾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함

    추진개요

    ○ 추진기간 : 2017. 1월 ~ 12월

    ○ 대 상 : 8개 동 주민센터

    ○ 운영방법

    - 평 시 : 주민 휴식 공간, 마을공동체 등 소모임 장소로 활용

    - 행사시 : 영화상영, 전시회, 음악회, 벼룩시장 등 다양한 행사 운영

    ○ 공간 형태별 운영

    형 태야외 개방형 카 페

    테라스형 카 페

    로비 주민 쉼터 야외 주민 쉼터

    동 명 공항동 염창동화곡8동, 우장산동,

    가양1․3동, 방화3동화곡본동

    운 영

    계 획

    노천 카페,

    벼룩시장 등

    시낭송 등

    동아리 운영

    영화상영, 작은 음악회,

    작은 전시회 등

    작은 전시회 및

    휴식 공간

    운 영시 간

    ․ 평 시 : 9시 ~ 18시 (화곡8동 9시 ~ 22시)

    ․ 행사시 : 동 여건에 따라 18시 이후 야간 운영

    야외 시설로

    상시 개방

    ○ 소요예산 : 비예산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공 항 동 : 주민 자율 카페 운영을 통하여 주민쉼터 및 공유공간 활용

    ○ 염 창 동 : 자치회관 동아리 모임 및 주민쉼터 활용

    ○ 화곡8동 : 한지공예 작품 전시회, 북카페 등 주민소통 공간 활용

    ○ 우장산동 : 동아리 모임, 무더위 쉼터 등 주민 휴식공간 활용

    ○ 방화3동 : 자매결연지 농산물 홍보, 단체 회의 등 활용

    ○ 가양1동 : 청소년 오케스트라 발표회, 전시회 등 활용

    ○ 가양3동 : 마을사진전, 수채화, 한지공예품 전시회 등 주민 휴식공간 활용

    ○ 화곡본동 : 주민 소통 공간 및 주민센터 방문고객 쉼터 활용

  • - 22 -

    2

    청사

    녹색커튼

    조성

    동 주민센터 청사에 녹색커튼 식물을 식재하여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절감

    하고 쾌적한 동 청사 환경 조성으로 주민들의 정서함양 및 힐링공간 제공

    추진개요

    ○ 추진기간 : 2017. 4월 ~ 10월

    ○ 대 상 : 3개 동주민센터(등촌2동, 발산1동, 방화3동)

    ※ 유동인구 및 에너지 절감효과를 위해 청사 방향 등을 고려하여 선정

    ○ 조성내용 : 화분, 와이어로프, 관수시설 설치 및 나팔꽃, 풍선초 등 덩굴식물 식재

    ○ 설치면적 : 458.5㎡

    장 소 규 모 (길이×높이) 면 적 위 치(방 향) 비고

    등촌2동 13m × 6.5m 84.5㎡ 전면, 우측면(동향, 남향) 시비

    발산1동 12m × 16m 192㎡ 전면(남향) 구비

    방화3동 14m × 13m 182㎡ 전면(남향) 〃

    ○ 소요예산 : 10,000천원(2개소 × 5,000천원)

    ※ 1개소는 2017년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시범사업 공모 선정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화분, 관수시설 설치 및 작물식재 : 2017. 5월

    ○ 녹색커튼 운영 및 유지관리 : 2017. 6월 ~ 10월

    ○ 로프 철거 및 갈변식물 폐기 : 2017. 10월

    ○ 현황사진

    등촌2동 발산1동 방화3동

    ○ 집행액 : 9,875천원

    ※ 등촌2동은 2017년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시범사업 공모 선정(시비)

  • - 23 -

    일 자 방문학교 건 수 일 자 방문학교 건 수

    5. 24.(

    수)

    명덕고등학교 44 10. 17.(

    화)

    영일고등학교 28

    5. 31.(

    수)

    덕원여자고등학교 77 10. 18(

    수)

    한서고등학교 28

    6. 28.(

    수)

    동양고등학교 4010. 20.(

    금)

    세현고등학교 48

    10. 24(

    화)

    영등포공업고등학교 7

    3

    주민등록“

    찾아가는

    눈높이

    행정

    서비스”

    추진

    맞춤형 민원서비스 제공을 위해 주민등록 “목요 열린 민원실” 및 “주민등록증

    새내기 방문 발급 서비스” 시행으로 찾아가는 눈높이 행정 구현

    추진개요

    ○ 목요 열린 민원실 운영

    - 시행시기 : 2017년 3월 ~

    - 일 시 : 매월 둘째․넷째 목요일 18:00 ∼ 21:00

    - 대상업무 : 신규등록, 주민등록증 발급 등 주민등록 업무 전반

    ○ 주민등록증 새내기 방문 발급 서비스

    - 일 시 : 2017. 5월, 10월 중

    - 대 상 : 관내 고등학교 신규주민등록증 발급 대상자

    ※ 방문 전월 희망 학교 접수 및 대상 학교 선정

    - 구․동 주민등록 담당 발급서비스팀 운영

    ○ 소요예산 : 비예산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목요 열린 민원실 운영 : 69건

    주민등록증발급 주민등록증교부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출생신고 기타

    16 36 8 4 5

    ○ 주민등록증 새내기 방문 발급 서비스 : 272건

  • - 24 -

    4

    방화1

    주민센터

    신축

    마곡지구 내에 방화1동 주민센터를 신축하여 주민들의 다양한 행정·문화

    수요를 충족시키고, 준공식을 개최하여 지역주민의 자긍심 고취

    추진개요

    ○ 대상부지 : 방화대로 330, 947㎡(마곡지구 내)

    ○ 건축규모 : 지하1층, 지상4층(연면적 : 1,997㎡)

    ○ 사업기간 : 2013. ∼ 2017. 6.

    ○ 주민 편의와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공간 배치

    ○ 찾·동 시행에 따라 직원 직무공간 마련 및 주민 공유공간 조성

    ○ 도서관, 자치회관 프로그램실 등 마련으로 주민 문화욕구 충족

    ○ 방화1동 주민센터 신축 개청식

    - 일 시 : 2017. 7월 중

    - 장 소 : 방화1동 주민센터

    - 내 용 : 기념식수, 테이프 커팅 및 현판식, 동아리 발표회, 경과보고, 시설 관람

    ○ 추진일정

    - 창호 / 외부 마감공사 : 2016. 11월

    - 옥외 조경 및 인테리어 공사 : 2017. 3월

    ○ 소요예산 : 8,842백만원(부지매입 3,177백만원, 건축비 등 5,665백만원)

    ※ 재원별 : 특별교부금 및 교부세 3,000백만원, 구비 5,842백만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준 공 : 2017. 6. 6.

    ○ 주민센터 이전 및 업무개시 : 2017. 7. 3.

    ○ 개 청 식 : 2017. 7. 12.

    ○ 집행액 : 7,875백만원

  • - 25 -

    5

    공정하고

    철저한

    제19

    대통령

    선거

    추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일정 준수 및 사전준비 철저로 선거 업무를

    공명 정대하게 추진하고자 함

    추진개요

    ○ 선 거 일 : 2017. 5. 9.(화)

    - 사전투표 : 2017. 5. 4.(목) ~ 5. 5.(금)

    ○ 선거기간 : 2017. 4. 17.(월) ∼ 5. 9.(화) (23일간)

    ○ 투표구수 : 129개

    ○ 선거인수 : 501,207명(2017. 4. 11. 선거인명부 확정 기준)

    ※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결정(3.10.)에 따른 궐위로 대통령 보궐선거 실시

    ○ 공정하고 원활한 선거업무 추진을 위한 사전준비 철저

    ○ 공직선거법 및 선거사무 관리 요령 교육 실시

    ○ 선거추진반 구성·운영 : 2017. 3. 20. ~ 5. 10. /동행정팀장 외 5명

    ○ 소요예산 : 57,346천원(국비 51,988천원, 구비 5,358천원)

    ◈ 주요 추진 일정

    시행일정 실 시 사 항 비 고

    3. 10. ~ 5. 9.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금지

    4. 25. ~ 4. 30. 재외투표소 투표

    4. 27. 선거인 명부 확정

    5. 4. ~ 5. 5. 사전투표소 투표(매일 오전 6시 ~ 오후 6시)

    5. 9. 투표(오전 6시~ 오후 8시) 선거일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선거사무추진반 구성 운영 (3. 20. ~ 5. 10.)

    ○ 동 선거(전산)담당 선거사무 관리 요령 교육 실시

    ○ 선거인명부 작성 등에 관한 사무 처리

    ○ 투개표상황실 설치 운영 (5. 4. ~ 5. 10.)

    ○ 집행액 : 55,213천원

  • - 26 -

    6

    주민자치사업

    운영

    추진

    활성화

    주민 편익과 복리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특성이 반영된

    동별 특화된 자치사업 발굴로 주민참여 확대를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추진방향

    ○ 지역특성에 맞는 동별 특화사업을 발굴 및 취약계층 프로그램 육성

    ○ 자치회관별 도농교류사업 지속․확대 추진

    ○ 자치회관 자체 운영평가를 실시하여 선의의 경쟁 유도 및 우수사례 전파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 1월 ∼ 12월

    ○ 사업내용 : 20개 동 자치회관 프로그램(사업) 운영 지원

    ○ 소요예산 : 180,530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특화프로그램 : 18개동 20개 프로그램 운영

    ○ 초등학생 대상 동별 방학특강 및 체험학습 : 899명 참여

    ○ 자치회관 생활과학교실 : 7개동 300여명 참여

    ○ 강서 어르신아카데미 운영

    - 20개동 24주 과정(현재 23주차 총626시간 운영)

    - 20개동 자치회관 1,374명 참여자 중 1,036명 수료예정

    ○ 자치회관별 특화된 마을만들기 사업

    - 20개동 20개 사업 선정 및 사업비 지원

    ○ 자치회관 도농교류사업 활성화 지원

    - 자매결연 체결 신규 2, 기존 16개동

    ○ 집행액 : 137,239천원

  • - 27 -

    7

    주민자치

    역량

    강화

    교육

    주민자치위원, 강사, 자원봉사자 등을 대상으로 맞춤 교육, 정보교류를

    통한 우수사례 전파 및 주민자치 역량강화

    추진방향

    ○ 교육대상별 맞춤교육 실시

    ○ 우수사례 발표 및 정보교류를 통한 벤치마킹 기회 제공

    ○ 우수마을공동체 현장탐방 실시 및 마을컨설팅 교육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 1월 ~ 12월

    ○ 사업내용 : 20개 자치회관

    ○ 소요예산 : 29,000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자치회관 강사 및 관계자 역량강화 교육

    - 일시 및 장소 : 2017. 2. 3.(금) 16:00, 구청 지하상황실

    - 강사 및 자치회관 담당자 등 216명 참석

    ○ 찾아가는 자치회관 워크숍

    - 4개 권역별 거점 자치회관 워크숍 실시 : 426명 참석

    일 시 구 분 대 상 동 장 소

    3. 2.(목) 1권역 염창․등촌1․등촌3․가양2․가양3 염 창 동 다목적실

    3. 3.(금) 2권역 등촌2․화곡본․화곡4․화곡6․우장산 화곡본동 다목적실

    3. 8.(수) 3권역 화곡1․화곡2․화곡3․화곡8․ 발산1 화곡 3 동 다목적실

    3. 9.(목) 4권역 가양1․공항․방화1․방화2․방화3 방화 3 동 다목적실

    ○ 2017 주민자치 아카데미 : 총 4개 과정(진행 중)

    - 기본․심화․정책 과정 : 184명 참여

    - 주민자치 컨설팅 : 11~12월중 실시

    ○ 집행액 : 13,686천원(시비 7,500천원 포함)

    ○ 집행예정액 : 22,000천원(주민자치위원 워크숍)

  • - 28 -

    8

    자치회관

    동아리

    어울마당

    개최

    자치회관 동아리가 한자리에 모여 갈고 닦은 솜씨를 발표하고 전시하는

    축제의 장을 마련하여 수강생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프로그램 홍보부스

    운영을 통해 자치회관 간의 소통과 화합의 장을 마련하고자 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년 9월 중

    ○ 사업목표 : 자치회관 소통과 화합의 장 마련

    ○ 사업내용 : 20개동 우수프로그램 발표회, 작품전시 및 홍보·체험부스 운영

    ○ 동아리 발표회 : 자치회관 20개 동아리 발표 및 시상

    ○ 감사장 수여 : 20개동 자치회관 프로그램 강사에게 감사장 수여

    ○ 작품전시회 및 프로그램 홍보부스

    - 수강생 작품 전시

    - 대표 자치회관 프로그램 홍보 및 체험부스 운영

    ○ 소요예산 : 24,000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일 시 : 2017. 9. 7.(목) ~ 9. 8.(금) [ 2일간 ]

    ○ 발표회 : 20개 전 동 1개팀씩 참여

    - 대상(1) :등촌1동

    - 최우수상(1) :발산1동

    - 화합상(2) :화곡4동, 가양1동

    ○ 전시회 : 20개동, 총 141점 전시

    ○ 프로그램 홍보·체험부스

    - 화곡6동(손뜨개강좌), 등촌3동(민화교실), 공항동(서예교실), 방화1동

    (클레이아트)

    ○ 집행액 : 23,692천원

  • - 29 -

    9

    이야기가

    있는

    골목만들기

    특화사업

    개청 40주년을 기념하여 저층 주거지 골목을 중심으로 주민 주도의 특색

    있는 골목만들기 사업을 추진하여 동네 단위의 마을공동체 활성화에 기여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3월 ~ 11월

    ○ 내 용 :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웃 주민이 함께 골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사업

    ○ 사업주체 : 3인 이상의 주민 모임 및 단체

    ○ 지원규모 : 1개 사업당 5백만원 이내, 4개소 내외

    ○ 추진일정

    공고

    접수(

    사업설명회) ⇨

    서류검토

    현장조사 ⇨

    심사

    선정⇨

    협약체결

    사업실행 ⇨

    정산

    결과보고3

    월 ~ 4

    월 4

    월 4

    월 5

    월 ~ 11

    월 11

    ○ 선정자 마을공동체 기본교육, 주민리더 역량강화 교육 지원

    ○ 선정된 사업 컨설팅, 모임간 연계 지원

    ○ 소요예산 : 19,437천원(시비)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마을공동체 통합공모사업 사업설명회 개최 : 2017. 5. 11.(목)

    ○ 서류검토 및 현장심사 : 2017. 5. 25.∼ 6. 8.

    ○ 마을공동체 통합공모사업 선정 : 2017. 6. 15.(목)

    - 4개 사업 선정

    ○ 보조금시스템 회계교육 실시: 2017. 6. 23./ 9. 5.

    ○ 골목지원사업 집합컨설팅(4개팀, 20여명 참여) : 2017. 6. 26.

    ○ 공모사업 선정자 개별 모니터링 실시 : 2017. 8. 1. ∼ 10. 31.

    ○ 집행액 : 19,437천원

  • - 30 -

    10

    주민주도의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확대

    지역 주민이 마을에 관심을 갖고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주민이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는 공모사업을 확대 추진하여 주민 주도의 행복한

    마을공동체 조성에 기여

    추진개요

    ○ 구 마을공동체 주민제안사업 추진

    - 추진기간 : 2017. 2월 ~ 12월

    - 대상사업

    · 자유공모 : 환경, 교육, 문화, 복지, 마을특화 등 다양한 마을공동체 활동

    · 지정공모 : 개청 40주년 기념사업 등 특정 주제 부여

    - 추진절차

    사업공고

    제안서

    접수(

    설명회)⇨

    제안사업

    심사·

    선정(

    현장방문)⇨

    협약체결

    보조금

    교부 ⇨

    사업

    진행(

    컨설팅·

    모니터링)⇨

    정산·

    평가2 ~ 3

    월 4

    월 5

    월 5

    월 ~ 11

    월 12

    ○ 서울시 마을공동체 주민제안사업 지원

    - 추진기간 : 2017. 1월 ~ 12월

    - 대상사업 : 마을공동체 공간·활동지원사업, 주민연합사업, 부모커뮤니티,

    마을미디어, 공동육아, 마을과 학교, 에너지자립마을 등

    - 추진내용 : 마을공동체 관련 사업부서간 협업체계 구축, 교육·컨설팅 지원

    ○ 소요예산 : 74,866천원(시비 29,563천원, 구비 45,303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2017 자치구 마을생태계 조성사업 선정계획(서울시 방침)에 따라 기존

    시 공모사업 일부를 자치구 공모사업과 통합 운영

    ○ 마을공동체 통합공모사업 사업설명회 개최 : 2017. 5. 11.(목)

    ○ 마을공동체 통합공모사업 선정 : 2017. 6. 15.(목)

    - 선정결과: 26개 사업 (활동지원사업 24개, 공간지원사업 2개)

    ○ 보조금시스템 회계교육 실시: 2017. 6. 23./ 9. 5.

    ○ 공모사업 선정자 개별 모니터링 실시 : 2017. 8. 1. ∼ 9. 30.

    ○ 집행액 : 72,295천원(시비 29,563천원, 구비 42,732천원)

  • - 31 -

    11

    동(洞)

    단위의

    마을공동체

    조성사업

    추진

    주민의 역량 강화와 지역사회의 공공성 실현을 위해 동(洞) 단위 주민을

    중심으로 세부사업을 추진하여 주민자치적 마을생태계 조성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1월 ~ 2017. 12월

    ○ 사업별 추진내용

    사업명동유형

    (실행동)

    예산지원

    (시비,천원)사업내용

    주민참여

    지원사업17개동

    (함께동 제외)81,500

    · 동별 주민 소모임 지원(3~4개)

    · 신규-기존 주민간의 성과 공유회

    마을기금 발산1동 8,500· 동 단위 보편적 생활의제 해결

    · 주민 중심의 모금 및 배분

    마을계획화곡3동

    화곡6동

    방화3동

    96,900· 마을계획 수립, 마을총회 개최

    · 마을계획 실행 및 평가

    ○ 주민참여지원사업 동별 성과공유회 : 11월

    ○ 주민중심의 의제 선정과 모금 배분 및 의제 해결 : 11월 ~ 12월

    ○ 함께동 동별 마을계획 실행 공유 및 평가회 : 12월

    ○ 소요예산 : 186,900천원(시비)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주민참여지원사업 : 64건 선정

    ○ 마을기금사업 : 1,480천원 모금

    - 모금방법 : 마을기금 주민운영위원회에서 수제 고추장 판매

    ○ 마을계획사업

    - 동별 마을의제 발굴 및 마을계획 수립 : 1월 ~ 5월

    - 마을총회 개최 : 6월 ~ 7월

    · 마을계획 의제의 공유, 숙의 및 결정(3개동, 44개 의제)

    - 마을의제 실행사업 추진(12개 의제) : 8월 ~ 12월, 동별 4개 의제 선정

    ○ 집행액 : 186,100천원

    ※ 주민참여지원사업 1팀 포기, 800천원 미교부

  • - 32 -

    12

    민·

    관협력을

    통한

    마을공동체

    인식

    확산

    역량있는 마을리더를 발굴하고 주민주도의 민 관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마을공동체에 대한 인식 확산에 기여

    추진개요

    ○ 기 간 : 2017. 1월 ~ 12월

    ○ 주요내용

    - 주민과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한 마을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 민·관 협력 마을박람회 개최

    - 강서구 마을공동체 생태계 조성지원단 운영 지원

    ○ 소요예산 : 130,000천원(구비 19,000천원, 시비 111,000천원)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마을아카데미 운영: 총 12강 101명 수료

    ○ 2017 강서 마을박람회 개최

    - 마을박람회 일정 논의를 위한 민관 협력회의 개최: 2017. 7월∼10월, 총7회

    - 마을박람회 사업지기 간담회(사전모임): 2017. 10. 24.(화)

    - 마을박람회 개최: 2017. 11. 4.(토) (예정)

    ○ 강서구 마을생태계조성지원단 구성·운영

    - 강서구 마을생태계조성지원단 선정심사: 2017. 5. 11. ∼ 5. 22.

    - 사업자 협약체결 및 사업추진: 2017. 6. 1.∼

    ○ 집행액 : 75,512천원

    ○ 집행예정액 : 48,488천원

    - 마을생태계조성지원단 운영 : 34,488천원

    - 마을아카데미 및 성과보고회 : 4,000천원

    - 마을박람회 추진 : 10,000천원

  • - 33 -

    제도적 기반 마련 강서구 협치 기본조례 제정

    준비체계 구축 민․관 합동 TFT 구성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계획서 작성

    체계 도입 강서구협치회의 구성․운영 지역사회혁신계획 기본계획서 수립․시행

    지역협치

    자생력 배양

    시민협력플랫폼 연계 강화 민간단체 간 민·민 협치 강화

    13

    민·

    관협력

    협치기반

    구축

    민·관이 함께하는 협치를 구정에 도입함으로써 고령화, 실업, 도시 재생, 청년

    등 복잡․다양한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협치기반 마련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8. ~ 2018. 7.

    ○ 추진내용

    ○ 소요예산 : 155,910천원(시비)

    □ 2017.

    추진실적 (2017. 10. 31.

    기준)

    ○ 민․관 합동 TFT 구성 : 2017. 3. 24.

    - 구성인원 : 19명(민간위원 11명, 행정위원 8명)

    -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계획 작성 및 강서구협치회의 구성 등

    ○ 강서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정 공포 : 2017. 6. 7.

    ○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계획서 승인 : 2017. 7. 28.

    - 지역협치 현황조사, 실행체계구축, 의제발굴 및 실행계획 수립 등

    ○ 강서구협치회의 구성 : 2017. 11. 8.(예정)

    ○ 지역사회혁신계획 본계획 수립 및 실행 : 추진중

    - 지역협치 현황조사, 실행체계구축, 의제발굴 및 실행계획 수립 등

    ○ 시민협력플랫폼 지원사업 협약 체결 : 2017. 10. 25.

    - 선정기관 : 강서양천환경운동연합(대표자 선상규) 외 3개 참여단체

    ○ 집행액 : 28,000천원

  • - 34 -

    재 난 안 전 과

    □ 주 요 업 무

    1. 재난대응체계 확립 및 안전관리 예방시스템 구축 35

    2.유관기관 합동공사 현장 관계자 교육 36

    3.안 전 복 지 서 비 스 사 업 추 진 37

    4.지 역 자 율 방 재 단 운 영 38

    5.재 난 취 약 시 설 등 시 설 물 안 전 관 리 39

    6.입체적인 을지연습을 통한 비상대비태세 확립 41

    7.실 전 적 인 민 방 위 교 육 훈 련 42

    8.민 방 위 시 설 ․ 장 비 의 체 계 적 운 영 43

    9.공 공 C C T V 확대 설 치 및 성 능 개 선 44

    10. 2 4 시 안 심 귀 가 앱 구 축 45

  • - 35 -

    1

    재난대응체계

    확립

    안전관리

    예방시스템

    구축

    예측 불가능한 각종 사고와 재난에 대비한 재난대응훈련 및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재난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태세를 확립하고 구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여 살기 좋은 안전도시 강서를 구현

    추진방향

    ○ 재난대응 매뉴얼 정비 및 초기대응체계를 중심으로 재난대응훈련 실시

    ○ 각종 재난대비 직원 및 구민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 재난에 대비한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 1월 ∼ 12월

    ○ 사업내용 : 재난대응을 위한 훈련․교육 및 안전관리체계 구축

    추진계획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 2017. 5월 중(전국단위 훈련)

    ○ 재난주관부서별 자체훈련(매뉴얼 훈련) : 연 1회 및 필요시

    ○ 구민 및 공무원 안전교육 : 안전특강 및 체험교육 실시

    ○ 찾아가는 어린이 안전교육 확대 운영

    - 저학년 대상 : 어린이 생활안전교육(생활안전 중심의 강의형 교육)

    - 고학년 대상 : 찾아가는 안전체험캠프(종합 재난안전 체험형 교육)

    ○ 재난대비 안전관리체계구축

    -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에 관한 사항 구축 : 재난안전대책본부 물품 구입 등

    -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 및 내진보강대책 추진 : 지진가속도계측기 유지 보수 등

    - 계절별(폭염, 한파) 안전관리 대책 추진

    - 안전관리계획 수립 및 재난대응 행동매뉴얼 정비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안전한국훈련 : 구 14개 부서와 10개 유관기관 참여의 종합훈련(10. 30.∼11.3.)

    ○ 안전교육 : 600여명 이수(구민 및 공무원), 어린이 교육(21개 초·중학교 7,951명)

    ○ 안전관리계획 책자 80부 및 25개 재난대응 행동매뉴얼 정비 및 책자 제작

    ○ 재난대응 훈련 실시(지진, 화재, 풍수해 등) : 5회 실시

    ○ 재난안전대책책본부 운영에 관한 사항 구축 : 물품설치훈련 실시(7.11.)

    ○ 계절별(폭염) 안전관리 대책 추진 : 무더위 그늘막 쉼터 설치(18개소)

  • - 36 -

    2

    유관기관

    합동

    공사

    현장관계자

    교육

    해빙기 등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공사장 재난사고의 예방적 안전관리를 강화

    하고, 재난발생 시 신속한 수습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육 등을 실시하여

    유관기관 ․ 현장관계자와의 협업체계 구축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함

    추진방향

    ○ 건설공사 현장관계자 안전교육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

    ○ 재난발생시 신속한 수습처리를 위한 유관기관 협업체계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해빙기, 여름철(연 2회)

    ○ 대 상 : 관내 건설공사 현장 관계자

    ○ 참 여 : 유관기관

    ○ 사업내용

    - 공사현장 안전관리 교육

    - 유관기관 합동 안전관리 실태 점검

    추진계획

    ○ 유관기관별 건설공사장 안전관리 교육

    - 강서소방서 : 건설공사장 화재 및 붕괴 등 안전사고 예방 등

    - 서울도시가스 : 굴착공사 시 가스 안전사고 예방

    - 강서경찰서 : 안전사고 사례 발표 등

    - 강서구 건축과 : 건설공사장 안전사고 발생 시 조치사항 등

    ○ 유관기관 협업체계 구축

    - 재난관련 유관기관 간담회 개최를 통한 실무 협업체계 구축

    - 유관기관장 공사현장 합동순찰 실시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유관기관 합동 공사현장 관계자 교육·간담회 개최(3.16.)

    - 강서소방서, 서울도시가스, 강서경찰서 등 3개 유관기관, 70개업체 200명

  • - 37 -

    3

    안전복지

    서비스

    사업

    추진

    재난·안전에 대한 인식과 대처능력이 부족한 재난취약계층의 안전한 삶을

    위하여 계층별 맞춤형 안전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추진방향

    ○ 기초생활수급자 등 재난취약계층 우선 선정하여 생활시설 점검․정비

    ○ 재난피해 최소화를 위한 주민의 생활안전망 관리 강화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1월 ∼ 12월

    ○ 근 거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제4조(국가등의 책무)

    ○ 사업내용 : 저소득 가정 500가구 선정 서비스 제공

    추진계획

    ○ 재난취약가구 안전점검·정비

    - 저소득 가정 등 재난취약가구 노후·불량 생활시설(전기, 가스 ,소방) 정비·점검

    ⦁ 가스 분분 : 노후밸브 교체․수리, 가스 타이머콕 설치, 일반가스점검 등 ⦁ 소방 부분 : 소화기배부, 소방대피로 정리 등 - 점검기관 : 한국가스안전공사 협약 및 소방업체 수의계약에 의한 점검․정비

    ○ 재난피해 최소화를 위한 주민 생활안전망 관리 강화

    - 풍수해보험 가입 권장·홍보 및 보험료 지출 : 연중

    - 재난발생 시 행동요령 등 재난안전 역량 강화를 위한 홍보물 제작·배포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재난취약가정의 전기, 가스 등 노후 불량시설 교체 : 총 920가구

    - 소방분야(476가구 정비), 가스 및 전기분야(444가구 정비)

    ○ 풍수해보험 추진실적 : 풍수해보험 65가구 가입(2016년 15건 대비 433% 증대)

  • - 38 -

    4

    지역자율방재단

    운영

    민․관 협력체계 구축 강화로 각종 재해 예방활동을 지원하여 민간의

    방재 역량 강화 및 자율적 재난관리 활동 참여 유도

    추진방향

    ○ 민․관 협력체계 구축 실행

    ○ 민간주도의 자율적인 방재기능 강화

    ○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4단계로 나누어 관리하는 재난 관리의

    전 단계에 적극 참여유도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1월 ∼ 12월

    ○ 구성인원 : 349명(남 : 193명, 여 : 156명)

    강서구지역자율방재협의회 : 21

    명(

    단장,

    부단장,

    간사

    포함)

    ○ 자연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 봉사활동 지원

    추진계획

    ○ 자율방재단 활동 지원

    - 재난 위험요소 예찰활동 및 신고·정비

    - 안전점검의 날 캠페인 참여

    - 유사시 재난현장 복구활동 지원

    ○ 방재단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연 2회) 및 워크숍(연 1회)

    ○ 단체 상해보험 가입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지역자율방재단 활동비 교부 : 23,160천원(1~4분기)

    ○ 워크숍 추진

    - 장소 : 강원도 철원군 일대

    - 참석인원 : 115명

    - 추진내용 : 소양교육, 극기체험(래프팅 체험) 및 화합의 시간

  • - 39 -

    5

    재난취약시설

    시설물

    안전

    관리

    재난 취약시설 및 어린이 놀이시설 등 시설물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

    시행으로 안전사고 예방

    추진방향

    ○ 특정관리대상시설의 정기․수시검사로 지속적 안전관리

    ○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의무이행사항 관리·감독

    ○ 지속적 관내 순찰로 누락 위험시설 발굴 및 관리강화

    ○ 재난취약시설에 대한 전수점검을 통해 재난관리시스템상 D/B구축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1월 ∼ 12월

    ○ 근 거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제27조(특정관리대상시설등의 지정 및 관리),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 추진방법 : 수시 점검 및 각 시설별 연 2회 이상 현장점검 실시

    ○ 사업대상 : 특정관리대상시설, 어린이놀이시설 및 기타위험시설 등

    추진계획

    ○ 특정관리대상시설 안전관리

    - 시설현황 (2017. 1. 20. 기준)

    총 대상시설중점관리시설 재난위험시설

    계 A B C 계 D E

    924 922 301 476 145 2 2 0

    시설물 24 24 4 11 9 - - -

    건축물 900 898 297 465 136 2 2 -

    - 등급별 구분관리 : 시설의 구조 및 상태에 따라 중점관리시설(A,B,C급)

    및 재난위험시설(D,E급)로 구분관리

    - 안전점검 : 해당부서 및 전문가와 합동점검반 구성, 정기·수시 안전점검 실시

  • - 40 -

    ○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 시설현황 : 총 526개소 (2017. 1. 20. 기준)

    설 치장소별

    총계 대규모 점 포

    어린이집 주택단지

    도시공원

    식품접객업소등

    아 동복지시설

    놀이제공영 업 소

    시설수(개소) 526 9 26 344 130 6 1 10

    관리부서 일자리경제과

    여성가족과

    주택과 공원녹지과(sh공사)

    위생관리과

    어르신청소년과

    재난안전과

    - 주요내용

    ⦁ 연1회(상․하반기) 관내 어린이놀이시설 전수 점검 ⦁ 안전점검(매월), 보험가입, 안전교육이수, 정기검사 실시 ○ 시설물 안전관리의 전문성 강화

    - 안전관리자문단 구성 및 운영 활성화

    - 민간전문가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자문 등

    ○ 어린이놀이시설 QR코드 시스템 구축

    - 사업내용 : 어린이놀이시설 QR코드 시스템 설치

    - 사업위치 : 관내 어린이놀이시설 526개소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특정관리대상시설 상반기 안전점검 : 2017. 2월 ∼ 4월, 926개소 전수조사

    ○ 특정관리대상시설 일제조사 및 안전점검 : 2017. 9월 ∼ 10월, 881개소

    ○ 재난취약시기별 안전점검 : 축대·옹벽 등 붕괴위험시설 해빙기, 우기대비 안전점검

    ○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 상 하반기 전수점검 완료 (상반기 530개소, 하반기 533개소)

    - 서울시 3, 6, 9월 관리의무이행 평가 100% 완료 (안전검사 교육 보험가입)

    ○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 관내 533개소 어린이놀이시설 내 QR코드 시스템 구축

    - 11월 29일 구축 완료 예정

  • - 41 -

    6

    입체적인

    을지연습을

    통한

    비상대비태세

    확립

    화상시스템을 활용한 실전적인 도상연습 실시로 통합방위태세 확립에 기여

    추진방향

    ○ 단순한 도상연습 훈련을 탈피하여 화상시스템을 활용한 입체적 연습 실시

    ○ 발생 가능한 복합 상황 부여 및 조치를 통해 실전 대응 능력 배양

    ○ 실시간 부서별 조치결과 공유로 문제해결 능력 제고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9월 ~ 지속

    구 분 내 용 시기

    사전 준비 작업국민안전처 및 서울시 사전 협의

    상황실 설치 방향 모색 및 관계자 의견 수렴‘16년 9월~3월

    상황실 화상장비 설치 상황실 화상장비 공사 및 관련 프로그램 설치 ‘17년 4월~6월

    도상연습 프로그램 설치 상황실 및 실시부(부서) 프로그램 연결 및 테스트 ‘17년 7월

    을지연습 실시 화상시스템을 활용한 을지연습 실시 ‘17년 8월

    충무계획 수립 연습 결과를 반영하여 분야별 계획 보완 ‘17년 10월~12월

    추진계획

    ○ 전 부서의 주요 상황 공유를 위한 시스템 설치

    ○ 구체적 충무계획 작성을 통해 즉시 활용 가능한 계획 수립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전국 지자체 최초 ‘CCTV 활용한 화상회의 훈련 실시’ : 총8회

    ○ 도상연습 총136회 실시(중앙통제단 63, 서울시 60, 강서구 13)

    ○ 서울신문, 뉴시스 등 언론보도(총 6회)

  • - 42 -

    7

    실전적인

    민방위

    교육

    훈련

    민방위 교육 훈련 강화를 통해 재난 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고 사이버

    소집훈련 및 청소년 민방위 교실을 통한 실용 민방위 교육 확대

    추진방향

    ○ 심폐소생술 등 실습 위주 민방위 교육훈련 실시

    ○ 사이버 소집훈련을 통한 주민 편의 도모 및 주민 의견 수렴

    ○ 청소년 대상 재난안전 교육 확대 실시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 3월 ∼ 12월

    ○ 사업내용

    구 분 대 상 교 육 내 용 비 고

    소집교육 21,000여명(1 ∼ 4년차 대원) 안보 : 1H, 실기 : 3H 구민회관

    사이버 소집훈련 24,000여명(5년차 이상 대원) 민방위 대원이 알아야 할 20가지 인터넷

    청소년 민방위교실 2,000여명(관내 중·고교생) 재난 및 안전예방교육 신청장소

    추진계획

    ○ 민방위 소양교육 내용 다양화(인문학 강의 등 포함)

    ○ 심폐소생술 및 소화기 사용요령 등 실습 위주의 교육 강화

    ○ 사이버 소집훈련 시스템에 ‘구청장에게 바란다’ 코너 신설(연중)

    ※ 접수된 민원은 해당 부서 이첩

    ○ 재난안전 의식 함양을 위한 청소년 민방위교실 운영(하반기중)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민방위 교육(1~4년차) 실시 : 3. 14. ~ 10. 31. (기간 중 66회)

    - 이수자 : 20,896명 중 13,885명 이수 (이수율 66%)

    ※ 2차 보충교육 11월 실시 중

    ○ 민방위 소집훈련(5년차 이상) 실시 : 3. 27. ~ 10. 24.

    - 사이버 소집훈련 : 25,237명 중 18,986명 이수 (이수율 75%)

    - 비상 소집훈련 : 1,907명 이수 (사이버 소집훈련 불참자 대상)

    ※ 11월·12월 중 보충훈련 실시

  • - 43 -

    8

    민방위

    시설․

    장비의

    체계적

    운영

    체계적인 주민 대피시설 정비와 민방위 장비 확충을 통해 비상사태

    발생시 위기 대응 능력 강화

    추진방향

    ○ 주민 대피시설 정비 및 위치 홍보 강화

    ○ 민방위(화생방) 노후 장비 교체 및 확충을 통해 비상사태 대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구 분 대 상 내 용 시 기

    대피시설 정비

    및 홍보강화

    대피시설

    193개소

    ·대피시설 점검 및 정비

    ·안내표지판 제작 교체

    ·대피시설 위치 홍보

    ·연중 실시

    민 방 위

    장비확충

    방독면 외

    4개 품목

    ·방독면 1,900개 확충

    ·민방위 장비 4종 교체

    ·방독면구매 : 4월

    ·장 비 구 매 : 5월

    추진계획

    ○ 대피시설 정기 점검에 따라 미흡 시설 지정해제 및 신규 시설 발굴

    ※ 2016년 신규 지정시설 4개소, 지정해제 시설 22개소

    ○ 주민 편의를 위한 대피소 안내 노후 표지판 교체

    ○ 홈페이지, 구정신문을 통해 대피소 위치 지속적으로 홍보

    ○ 민방위(화생방) 부족 장비 확충으로 비상시 활용할 수 있도록 유지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화생방용 방독면 구매 (구매량 : 1,664개, 집행액 : 70,265천원)

    ○ 민방위 대피시설 관리 및 홍보

    - 신규지정 : 2개소, 지정해제 : 31개소

    - 노후 표지판 교체 (교체량 : 50개, 집행액 : 825천원)

    - 대피시설 홍보 : 강서까치뉴스 3회, 구청 홈페이지 2회, 민방위의 날 4회

  • - 44 -

    9

    공공 CCTV

    확대

    설치

    성능개선

    주택가 밀집지역중 범죄 취약지역에 방범용 CCTV를 확대 설치하고

    41만화소이하의 저화질 카메라는 고해상도의(200만) 카메라로 교체

    하여 사건․사고 및 긴급 상황에 적극 대응하고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함.

    추진방향

    ○ 각종 사건 사고 증가 및 범죄예방을 위해 Hot Spot지역 우선 설치

    ○ 노후 저화질 CCTV 카메라를 고화질의 카메라로 교체

    ○ 타부서 CCTV 설치 사업과 연계, 예산의 효율성 극대화

    ○ CCTV 설치 구역임을 강조 할 수 있는 디자인 마련 시행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년 2월 ~ 12월

    ○ 사업규모

    - 고해상도 CCTV카메라 47개소 141대 설치

    - 통합 관제시스템(운영서버, 저장장치 등) 보강 및 자가통신망 구축

    - 저해상도 CCTV카메라 8대 고해상도 카메라로 교체

    ※ CCTV 운영현황 (2017년 10월 현재)

    소 계방범목적 교통·환경

    방범용 어린이안전 공원방범 관심차량 그린파킹 주정차단속 무단투기감시

    1,125 758 206 78 4 17 34 28

    ※ 공약사업(2018년까지 공공 CCTV 1,000대 이상 설치․운영) 조기완료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2017년 방범용 CCTV 카메라 107대 설치 완료 : 2017. 8월

  • - 45 -

    10 24

    안심귀가

    구축

    여성 및 청소년 귀가 시 우리구 정보통신 인프라를 활용, 각종 범죄 위협

    으로부터 여성 및 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안전망 모델인

    안전 도우미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함.

    추진방향

    ○ CCTV에 스마트기술을 접목하여 경찰서와 연계한 안전한 밤길 앱 구축

    ○ 24시간 365일 중단없이 운영하는 강서통합관제센터를 활용한 안심망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년 6월 ~ 12월

    ○ 사업내용

    - 서비스 대상 : 강서구에 거주하는 여성과 18세 이하 남성

    - 서비스 내용

    ․ 가입자 귀가시 목적지를 설정하고 출발하면 강서통합관제센터로 위치정

    보가 전송되어 안전한 귀가를 지원하며, SOS 상황 발생시 스마트폰을

    흔들거나, 전원버튼을 누르면 통합관제센터가 비상상황으로 전환됨

    ․ 긴급상황 발생 시 가입자 위치정보와 사진정보를 활용하여 CCTV로 가입자

    를 찾아 경찰차에 사진 정보와 실시간 영상을 전달하여 구조하는 서비스

    추진계획

    ○ 안심귀가 앱 구축사업은 전액 서울시 예산으로 구축 추진

    ○ 구축 방안

    - 강서통합관제센터, 이동통신사와 연동이 가능한 개방형 공통플랫폼 구축

    - 신고시 현장영상, 사진, CCTV 영상을 통해 현장상황을 인지 가능토록 구성

    - 우리구 정보통신인프라 활용, 관제센터 연동 구축

    - 강서통합관제센터 GIS 프로그램 연동 개발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2017. 10. 24 안심이 확대 구축용역 낙찰자 선정(서울시 통합발주)

  • - 46 -

    문 화 체 육 과

    □ 주 요 업 무

    1. 동의보감과 함께하는 제 1 8회 허준축제 47

    2.강서문예회관 건립을 통한 문화인프라 강화 48

    3.문화예술인 창작공간 조성 및 운영 활성화 49

    4.문 화 예 술 단 체 지 원 활 성 화 50

    5.구민과 함께하는 “열정 4, 페스티발” 개최 51

    6.우 리 마 을 의 역 사 와 문 화 바 로 알 기 52

    7.지 역 특 성 문 화 사 업 지 원 53

    8. 수 준 높 은 문 화 공 연 유 치 및 지 원 54

    9. 양 천 고 성 지 복 원 정 비 사 업 실 시 55

    10.겸 재 문 화 예 술 제 의 브 랜 드 활 성 화 56

    11. ‘ 강서 보물을 찾아라 ! ’ 특별전 개최 57

    12.체계적인 유물 수집으로 박물관․미술관 컬렉션 강화 58

    13.관 광 활 성 화 를 위 한 인 프 라 조 성 59

    14.우리고장 나들이 강서역사문화투어 운영 60

    15.생 활 체 육 활 성 화 61

    16.주 민 이 만 족 하 는 생 활 체 육 시 설 조 성 62

    17.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생활체육프로그램 운영 63

  • - 47 -

    1

    동의보감과

    함께하는

    제18

    허준축제

    허준 선생의 애민정신과 동의보감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한 신개념의

    프로그램 기획 및 발굴을 통해 국내외 관람객이 함께 참여하며 즐기는

    대표적인 건강 문화축제로 추진

    추진개요

    ○ 기 간 : 2017. 10. 13.(금) ∼ 15.(일) - 3일간

    ○ 장 소 : 허준근린공원, 허준박물관, 허준테마거리 일대

    ○ 슬 로 건 : 건강한 삶, 동의보감에서 찾다.

    ○ 내 용

    - 사전프로그램 : 허준테마등 및 청사초롱 점등, 사전길놀이 등

    - 주제프로그램 : 허준과 동의보감관(허준박물관), 강서미라클메디특구관,

    약초저잣거리마당

    - 무대프로그램 : 지역문화공연, 마당극, 평양예술단, 허준콘서트 등

    - 체험프로그램 : 어린이전통놀이마당, 건강기원유등체험(스탬프투어),

    열린갤러리마당, 힐링강서건강체험마당 등

    - 부대프로그램 : 한방음식마당, 간식마당(푸드트럭), 버스킹 공연 등

    액 : 318,800

    천원(시비 30,000천원, 구비 288,800천원)

    □ 2017.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허준축제추진위원회 1차 회의 : 2017. 3. 2.(목)

    - 축제추진위원회 구성 : 위원회(26명) 및 소위원회(8명) 구성

    - 허준축제 운영 방식, 기간 및 일정 확정

    ○ 허준축제추진위원회 2차 회의 : 2017. 9. 19.(화)

    - 축제 실행계획(안) 설명 및 논의

    - 관람객 편의시설 배치 및 기타 프로그램 논의 등

    ○ 허준축제추진위원회 소위원회 개최 : 총 5회

    - 허준축제 실행안 확정 및 프로그램 전반 논의 등

    ○ 제18회 허준축제 개최 : 2017. 10. 13. ∼ 10. 15.(3일)

    예산집행액 : 302,159

    천원(시비 30,000천원, 구비 272,159천원)

  • - 48 -

    2

    강서문예회관

    건립을

    통한

    문화인프라

    강화

    지역 주민들의 휴식과 여가생활을 위해 조성된 가로공원길 문화의 거리와

    연계, 기존 강서문화센터를 이전하여 문화의 거리 활성화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3 ∼ 2019

    ○ 사업위치 : 강서구 화곡동 379-68 외 5필지

    ○ 건축계획

    - 대지면적 : 1,246.2㎡(연면적 : 4,739.45㎡)

    - 건축규모 : 지하2층/지상5층, 주차 : 32대

    - 건 폐 율 : 49.99%, 용 적 률 : 215.75%

    - 주요시설 : 대극장(228석), 소극장(100석), 갤러리, 사무실 등

    예산액 : 20,712

    백만원(국비 2,000, 시비 5,777, 구비 12,935)

    □ 2017.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강서문화센터(문예회관) 건립기금 조성(구비 96억) : 2017. 1.

    ○ 강서문화센터(문예회관) 건립부지 변경 확정 : 2017. 4.

    ○ 건립부지 구유재산 관리계획 의회 심의의결 : 2017. 6.

    ○ 건립부지 도시계획시설(문화시설) 입안 및 추진 : 2017. 7.~ 9.

    ○ 도시계획시설(문화시설) 결정 및 지형도면 고시 : 2017. 9. 28.

    - 건축물범위 : 높이 7층이하(건폐율 50%, 용적률 250%이하)

    ○ 건립기금(토지보상비 부족분) 추경 편성(3,343백만원) : 2017. 10.

    ※ 총사업비 : 17,369백만원 → 20,712백만원

    ○ 강서문예회관 건립 실시계획 열람공고 : 2017. 10. 26.

  • - 49 -

    3

    문화예술인

    창작공간

    조성

    운영

    활성화

    관내 문화예술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창작공간 조성을 통해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와 지역 주민들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1. ∼ 12.

    ○ 위 치

    - 서울시 강서구 염창동 272-1 / 105.12㎡(염창 문화예술창작공간)

    - 서울시 강서구 방화동 821-1 / 30㎡(방화 문화예술창작공간, 신축예정 공동주택 1층)

    ○ 사업내용

    - 전시, 모임, 공연연습실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다목적 공간 조성

    - 지역 내 문화예술인 및 문화예술단체에 문화활동 공간 제공

    - 방화 문화예술창작공간 건물 준공 후 내부 공간 설계 및 물품 구입

    액 : 165,440

    천원(구비)

    ○ 염창 문화예술창작공간 운영 : 15,440천원

    ○ 방화 문화예술창작공간 운영 : 150,000천원

    □ 2017.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염창 문화예술창작공간 운영

    - 염창 문화예술창작공간 대관 : 총 127건

    - 문화예술인 및 문화예술단체의 문화공간 제공 및 활성화 지원

    - 꿈다락토요교실, 춤추는 소리도깨비 등 어린이 문화예술활동 지원

    - 영상촬영, 연극, 악기연습 등 취미생활 및 예술활동을 위한 공간 제공

    ○ 방화 문화예술창작공간 조성 : 2017년도 예산 명시이월 예정

    - 명시이월액 : 150,000천원(시설비 114,000천원, 자산취득비 36,000천원)

    - 창작공간 건물 준공일이 2017. 11월 말 ~ 12월로 예상됨에 따라

    문화예술공간에 적합한 다목적 공간 설계 및 내부공사 시행이 연내

    불가하여 명시이월

  • - 50 -

    4

    문화예술단체

    지원

    활성화

    문화예술단체를 발굴하고 지원하여 지역 내 문화행사 개최 시 협력을

    도모함으로써 문화예술단체 활성화 및 문화예술 확산에 기여

    추진개요

    ○ 기 간 : 2017. 1. ~ 12.(연중)

    ○ 대 상 : 구립합창단, 구립극단, 지역 예술단체 등

    ○ 사업내용

    - 문화예술단체의 공연·발표회·전시회 개최 지원

    - 각종 축제 시 예술단체 참여기회 제공

    액 : 309,982

    천원(구비)

    □ 2017.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구립극단 정기공연 레미제라블 : 2017. 5. 19 ~ 21.

    ○ 강서에버그린합창단 정기연주회 : 2017. 5. 25.

    ○ 2017 단오선 나눔행사 : 2017. 5. 30.

    ○ 제15회 강서구립합창단 정기연주회 : 2017. 6. 14.

    ○ 제24회 강서문학의 밤 시낭송회 : 2017. 6. 15.

    ○ 제4회 강서구청장배 전국아마추어 색소폰경연대회 : 2017. 6. 24.

    ○ 제20회 아리반서예문인화대전 : 2017. 9. 19.

    ○ 2017 국악길놀이 : 2017. 10. 11 ~13.

    ○ 강서예술인한마당(예술단체 체험행사) : 2017. 10. 13 ~15.

    ○ 제15회 꽃꽂이 전시회 : 2017. 10. 13 ~15.

    ○ 제6회 한국꽃꽂이 학술세미나 : 2017. 10. 14.

    예산집행액 : 183,780

    천원

    향후계획 ○ 제17회 강서서예인협회전 : 2017. 11. 7.(화)~13.(월) 강서문화원

    ○ 제18회 강서미술협회전 : 2017. 11. 29.(수)~12.12.(화) 겸재정선미술관

    ○ 제13회 강서사진작가회전 : 2017. 12. 4.(월)~9.(토) 강서문화원

    ○ 제29호 강서문학발간 및 시상식 : 2017. 12. 7.(목)

  • - 51 -

    5

    구민과

    함께하는 “

    열정 4,

    페스티발”

    개최

    개청 40주년을 맞이하여 지역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며 즐길 수 있는

    ‘열정 4,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주민들에게 다양한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주민간의 소통 및 화합 도모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7. 1. ~ 12.

    ○ 장 소 : 우장산, 방화 및 허준근린공원, 운동장, 강서구민회관 등

    ○ 내 용 : KBS노래자랑, 종합예술공연, 유명가수 및 전통 국악 공연 등

    액 : 134,000

    천원(시비 13,000천원, 구비 121,000천원)

    □ 2017.

    추진실적(2017. 10. 31

    기준)

    ○ 한여름 밤의 페스티발 개최

    - 일 시 : 2017. 8. 26. (토) 18:30 ~ 21:30

    - 장 소 : 신정여자상업고등학교 [등촌로13아길 20(화곡동)]

    - 내 용 : 개청 40주년 기념 티브로드 강서방송 특집 공개방송 진행

    (유명가수 초청 공연)

    ○ KBS 전국노래자랑

    - KBS 제시 일정 : 예심 10/22(일), 녹화 10/24(화)

    - 허준축제 준비 및 각동 마을축제 일정 중복 등을 고려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