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조병화 시간 속 에서 만난 얼굴들 한국문단 반세기 사진전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 Upload
    poetcho

  • View
    216

  • Download
    3

Embed Size (px)

DESCRIPTION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Citation preview

Page 1: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008

조병화의

시간 속에서

만난

얼굴들

한국문단 반세기 사진전

Page 2: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한 국 문 단 반 세 기 사 진 전

조병화의 시간 속에서

만난 얼굴들

Page 3: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한 국 문 단 반 세 기 사 진 전

조병화의 시간 속에서

만난 얼굴들

Page 4: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기획의변

조병화의시간속에서만난얼굴들-한국문단반세기사진전

빛이기록한침묵의증언,

사진한장에담긴것은사실얼굴몇몇이거나

그뒤의흐린배경혹은지극히좁은세상의한구석이겠지만

그것은그어떤기록물보다생생한현재성으로

우리에게많은이야기를들려줍니다.

1955년늦가을, 덕수궁에서열린‘전국고교백일장’에심사위원으로참가한

이헌구문학평론가, 모윤숙시인, 양주동국문학자, 노천명시인과

함께웃으며렌즈에잡힌표정,

1956년명동거리에서

이봉구소설가, 천경자화백과함께외투깃을날리는모습등

반세기전빛이기록한흑백의증언에서부터

1999년백담사객사툇마루에

김남조시인과나란히앉은고요한미소……

그소중한순간들을다시보기위하여

조병화문학관에서기획사진전을마련합니다.

조병화시인이시의생애반세기속에서만난사람들,

한국문단을조병화시인과함께걸어온명망높은문인들,

그동안우리들의기억에서멀어지기도했던여러문인들의생생한모습을

진귀하고다채로운사진을통해공개합니다.

이번전시회는

거 담론과이념에얽매여온문학사적평가와는달리,

문학의본질이‘인간’그자체임을확인하는소중한기회가될것입니다.

2008년 5월

조병화문학관관장 조진형

Page 5: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기획의변

조병화의시간속에서만난얼굴들-한국문단반세기사진전

빛이기록한침묵의증언,

사진한장에담긴것은사실얼굴몇몇이거나

그뒤의흐린배경혹은지극히좁은세상의한구석이겠지만

그것은그어떤기록물보다생생한현재성으로

우리에게많은이야기를들려줍니다.

1955년늦가을, 덕수궁에서열린‘전국고교백일장’에심사위원으로참가한

이헌구문학평론가, 모윤숙시인, 양주동국문학자, 노천명시인과

함께웃으며렌즈에잡힌표정,

1956년명동거리에서

이봉구소설가, 천경자화백과함께외투깃을날리는모습등

반세기전빛이기록한흑백의증언에서부터

1999년백담사객사툇마루에

김남조시인과나란히앉은고요한미소……

그소중한순간들을다시보기위하여

조병화문학관에서기획사진전을마련합니다.

조병화시인이시의생애반세기속에서만난사람들,

한국문단을조병화시인과함께걸어온명망높은문인들,

그동안우리들의기억에서멀어지기도했던여러문인들의생생한모습을

진귀하고다채로운사진을통해공개합니다.

이번전시회는

거 담론과이념에얽매여온문학사적평가와는달리,

문학의본질이‘인간’그자체임을확인하는소중한기회가될것입니다.

2008년 5월

조병화문학관관장 조진형

Page 6: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0405

1950년 명동성당앞에서장만 시인과

나는 서울로 다시 올라왔다. 서울고등학교 물리 선생으로. 그것이 1949년 2

월 7일인가 그러했다. 올라오자마자 편석촌(김기림)을 만났다. 그때 편석촌이 시

집을 내자고 했다. 나는 부끄러운 생각이 들어 망설 다.…… 그날 나는 장만

시인에게 인계되었다.…… 시집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그러나 나는 전혀 모르

는 이야기들. 장 시인에게 모든 것을 일임하는 것으로 추진이 되었다. 책의 장정

만은 편석촌이 추천한 김경린 시인이 맡기로 했다.…… 제1시집『버리고 싶은 유

산』이 드디어 출판이 되었다. 1949년 7월 1일 인쇄, 7월5일 발행. 1000부 중 특제

(번호 기입) 300부, 병제(번호 무기입) 700부. 책이 나오자 장 시인이 몇몇 가까운

문인들을 소집했다. 나를 위한 출판기념회라는 것이다.…… 그때 모인 문인은 편

석촌, 김광균, 양병식, 이봉구, 김경린, 장만 .…… 이러했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23~25

Page 7: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0405

1950년 명동성당앞에서장만 시인과

나는 서울로 다시 올라왔다. 서울고등학교 물리 선생으로. 그것이 1949년 2

월 7일인가 그러했다. 올라오자마자 편석촌(김기림)을 만났다. 그때 편석촌이 시

집을 내자고 했다. 나는 부끄러운 생각이 들어 망설 다.…… 그날 나는 장만

시인에게 인계되었다.…… 시집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그러나 나는 전혀 모르

는 이야기들. 장 시인에게 모든 것을 일임하는 것으로 추진이 되었다. 책의 장정

만은 편석촌이 추천한 김경린 시인이 맡기로 했다.…… 제1시집『버리고 싶은 유

산』이 드디어 출판이 되었다. 1949년 7월 1일 인쇄, 7월5일 발행. 1000부 중 특제

(번호 기입) 300부, 병제(번호 무기입) 700부. 책이 나오자 장 시인이 몇몇 가까운

문인들을 소집했다. 나를 위한 출판기념회라는 것이다.…… 그때 모인 문인은 편

석촌, 김광균, 양병식, 이봉구, 김경린, 장만 .…… 이러했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23~25

Page 8: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0607

1952년부산광복동녹원다방, 『패각의침실』출판기념회장에서

1952년 8월 18일, 나는 피난 내려온 부산에서 정음사 최 해 사장의 호의로

제3시집『패각의 침실』을 출판했다. 그리고 부산 광복동 네거리 <녹원>다방에서

출판기념회를 했다. 비가 내리는 늦은 여름밤이었다. 피난지에서의 모임이라 그

랬는지 참으로 많은 시인, 소설가, 예술가, 학교 동료들이 가득히 참석을 해 주었

다. 김소운∙오상순∙안수길∙이하윤∙이헌구∙한노단∙손소희∙ 김말봉∙이한

직∙운용하∙이진섭∙이인범∙이해랑∙김윤성∙이명온∙김환기……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44

Page 9: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0607

1952년부산광복동녹원다방, 『패각의침실』출판기념회장에서

1952년 8월 18일, 나는 피난 내려온 부산에서 정음사 최 해 사장의 호의로

제3시집『패각의 침실』을 출판했다. 그리고 부산 광복동 네거리 <녹원>다방에서

출판기념회를 했다. 비가 내리는 늦은 여름밤이었다. 피난지에서의 모임이라 그

랬는지 참으로 많은 시인, 소설가, 예술가, 학교 동료들이 가득히 참석을 해 주었

다. 김소운∙오상순∙안수길∙이하윤∙이헌구∙한노단∙손소희∙ 김말봉∙이한

직∙운용하∙이진섭∙이인범∙이해랑∙김윤성∙이명온∙김환기……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44

Page 10: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0809

왼쪽부터유호(극작가)∙조경희(수필가)∙조병화∙김광주(소설가)∙이해랑(연출가)∙가수현인의동생

1950년중반명동시절, 다방에서

만나곤했던문우들과

왼쪽부터윤고종(문학평론가)∙

조병화∙노천명(시인)∙

이진섭(수필가)∙조애실(시인)∙

박계주(소설가)

그 시절은 제 로 집필실 같은 걸 가지고 있었던 문인들이 거의 없었다. 때문에 다방이 집필실이요, 응접실이

요 원고와 고료를 서로 교환하는 곳이었다.…… 전화들도 집에 가지고 있지 못했던 시절이어서 이렇게 다방이나

술집은 모든 구실을 해 주었다. 근방에 있었던 작은 술집, 큰 술집들이 거진 돈들이 달랑달랑하는 문인 예술가들로

우 거렸다. 그리고 그곳에 가득히 차 있었던 화들은 문학이요, 음악이요, 그림이요, 연극이요, 예술들이었

다.…… 그 시절의 명동은 하나의 예술과 인생의 학촌이었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247~248

1950년 중반명동에서

명동백작소설가이봉구그리고화가천경자와

이봉구씨는명동에서살다명동에서죽은애수적인소설가 습니다. 명동을사랑해서매일매일밤낮을명동의

술집, 다방, 거리에서 살다시피 해서 그 이봉구 씨의 별명은 명동백작이었습니다.…… 지금 명동은 이래저래 상인들

의거리로변해버렸습니다만, 그시절의예술인들의향기는좋은추억으로우리들가슴가슴에남아있습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95

Page 11: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0809

왼쪽부터유호(극작가)∙조경희(수필가)∙조병화∙김광주(소설가)∙이해랑(연출가)∙가수현인의동생

1950년중반명동시절, 다방에서

만나곤했던문우들과

왼쪽부터윤고종(문학평론가)∙

조병화∙노천명(시인)∙

이진섭(수필가)∙조애실(시인)∙

박계주(소설가)

그 시절은 제 로 집필실 같은 걸 가지고 있었던 문인들이 거의 없었다. 때문에 다방이 집필실이요, 응접실이

요 원고와 고료를 서로 교환하는 곳이었다.…… 전화들도 집에 가지고 있지 못했던 시절이어서 이렇게 다방이나

술집은 모든 구실을 해 주었다. 근방에 있었던 작은 술집, 큰 술집들이 거진 돈들이 달랑달랑하는 문인 예술가들로

우 거렸다. 그리고 그곳에 가득히 차 있었던 화들은 문학이요, 음악이요, 그림이요, 연극이요, 예술들이었

다.…… 그 시절의 명동은 하나의 예술과 인생의 학촌이었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247~248

1950년 중반명동에서

명동백작소설가이봉구그리고화가천경자와

이봉구씨는명동에서살다명동에서죽은애수적인소설가 습니다. 명동을사랑해서매일매일밤낮을명동의

술집, 다방, 거리에서 살다시피 해서 그 이봉구 씨의 별명은 명동백작이었습니다.…… 지금 명동은 이래저래 상인들

의거리로변해버렸습니다만, 그시절의예술인들의향기는좋은추억으로우리들가슴가슴에남아있습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95

Page 12: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011

1955년명동밤거리에서

최 해(정음사사장)∙정비석(소설가)∙조병화

그저 그리워서, 서운해서, 외로워서, 궁금해서, 서로 찾아들었다간 마음에 맞

는 사람들끼리 술집을 찾아들곤 했다. 소위 문단적인 섹트의 냄새가 전연 없는 외

로운 혼자들이었다.…… 김광주∙한노단(극작가)∙이해랑∙이봉구∙윤용하(작곡

가)∙이인범(성악가)∙전봉초∙박인환∙이진섭∙김수 ∙조 암∙조지훈∙박연

희∙김진수∙박고석∙김환기(화가)∙장욱진(화가)∙유호∙김 주(삽화가)∙이순

재(삽화가)∙이명온(수필가)∙조애실∙조경희∙최요한(방송작가), 그리고 이헌

구∙안수길∙이하윤∙박진(연출가)∙김광섭, 때때로 이무 ∙박계주∙김내성∙

유두연( 화감독) 그리고 수많은 문화부 기자들, 잡지사 기자들, 이런 분들이 우

리들 인생의 외인부 처럼, 명동을 끼리끼리 이리 어울리고 저리 어울리고 실로

조직이 없는 인간가족처럼 배회하며 깊은 술, 깊은 밤을 시 를 응시하며 뜬눈으

로 그 슬픈 시 , 슬픈 역사를 살았던 거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230

Page 13: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011

1955년명동밤거리에서

최 해(정음사사장)∙정비석(소설가)∙조병화

그저 그리워서, 서운해서, 외로워서, 궁금해서, 서로 찾아들었다간 마음에 맞

는 사람들끼리 술집을 찾아들곤 했다. 소위 문단적인 섹트의 냄새가 전연 없는 외

로운 혼자들이었다.…… 김광주∙한노단(극작가)∙이해랑∙이봉구∙윤용하(작곡

가)∙이인범(성악가)∙전봉초∙박인환∙이진섭∙김수 ∙조 암∙조지훈∙박연

희∙김진수∙박고석∙김환기(화가)∙장욱진(화가)∙유호∙김 주(삽화가)∙이순

재(삽화가)∙이명온(수필가)∙조애실∙조경희∙최요한(방송작가), 그리고 이헌

구∙안수길∙이하윤∙박진(연출가)∙김광섭, 때때로 이무 ∙박계주∙김내성∙

유두연( 화감독) 그리고 수많은 문화부 기자들, 잡지사 기자들, 이런 분들이 우

리들 인생의 외인부 처럼, 명동을 끼리끼리 이리 어울리고 저리 어울리고 실로

조직이 없는 인간가족처럼 배회하며 깊은 술, 깊은 밤을 시 를 응시하며 뜬눈으

로 그 슬픈 시 , 슬픈 역사를 살았던 거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230

Page 14: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213

1955년 8인합동출판기념회

왼쪽부터김종문(시인)∙양명문(시인)∙안수길(소설가)∙박계주(소설가)

백철(문학평론가)∙조병화∙박인환(시인)∙곽하신(소설가)

1955년늦은가을덕수궁에서전국고교백일장심사위원들과

왼쪽부터이헌구(문학평론가)ㆍ모윤숙(시인)ㆍ양주동(시인, 국문학자)ㆍ노천명(시인)ㆍ조병화

Page 15: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213

1955년 8인합동출판기념회

왼쪽부터김종문(시인)∙양명문(시인)∙안수길(소설가)∙박계주(소설가)

백철(문학평론가)∙조병화∙박인환(시인)∙곽하신(소설가)

1955년늦은가을덕수궁에서전국고교백일장심사위원들과

왼쪽부터이헌구(문학평론가)ㆍ모윤숙(시인)ㆍ양주동(시인, 국문학자)ㆍ노천명(시인)ㆍ조병화

Page 16: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415

1955년가을제5시집『사랑이가기전에』출판기념회장아서원에서

왼쪽부터최 해(정음사사장)∙미상∙한하운(시인)∙조병화∙미상

시집『사랑이 가기 전에』를 정음사 최 해 사장이 출판을 해주었다. 나로서

는 슬픈 작별의 인사 다. 그런데 그 시집이 그렇게 많이 팔리다니. 숨가쁘게 인

지에 도장을 눌 다.…… 중국집 아서원. 이 집이 그땐 장안에서 제일 크고, 좋고,

소문난 중국요리집이었고, 지금의 롯데호텔 자리에 있었다.…… 실로 많은 문인

들이 운집을 했다.…… 문둥이 시인들도 많이 왔다. 한하운 시인이 데리고 온 것

이다. 나는 슬프고도 고마웠다. 죽을 생각을 안 한 것은 아니었지만 어머님이 옆

에 계셨다. 사랑은 가고 슬픔만 남은 자리, 참으로 인생처럼 쓸쓸했었다. 그날 나

는 어떻게 술을 마셨는지 밤을 잃었었다.

조병화,『나의 생애 나의 인생』P. 146

Page 17: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415

1955년가을제5시집『사랑이가기전에』출판기념회장아서원에서

왼쪽부터최 해(정음사사장)∙미상∙한하운(시인)∙조병화∙미상

시집『사랑이 가기 전에』를 정음사 최 해 사장이 출판을 해주었다. 나로서

는 슬픈 작별의 인사 다. 그런데 그 시집이 그렇게 많이 팔리다니. 숨가쁘게 인

지에 도장을 눌 다.…… 중국집 아서원. 이 집이 그땐 장안에서 제일 크고, 좋고,

소문난 중국요리집이었고, 지금의 롯데호텔 자리에 있었다.…… 실로 많은 문인

들이 운집을 했다.…… 문둥이 시인들도 많이 왔다. 한하운 시인이 데리고 온 것

이다. 나는 슬프고도 고마웠다. 죽을 생각을 안 한 것은 아니었지만 어머님이 옆

에 계셨다. 사랑은 가고 슬픔만 남은 자리, 참으로 인생처럼 쓸쓸했었다. 그날 나

는 어떻게 술을 마셨는지 밤을 잃었었다.

조병화,『나의 생애 나의 인생』P. 146

Page 18: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617

1957년마종기(시인)와함께.

당시서울고등학교문예반지도교사와문예반학생으로서

1950년 후반강릉에서.

왼쪽부터신봉승(극작가)ㆍ조병화ㆍ박고석(화가)

Page 19: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617

1957년마종기(시인)와함께.

당시서울고등학교문예반지도교사와문예반학생으로서

1950년 후반강릉에서.

왼쪽부터신봉승(극작가)ㆍ조병화ㆍ박고석(화가)

Page 20: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819

1957년 9월일본동경국제PEN클럽 회장에서

왼쪽부터김종문(시인)∙구상(시인)∙이경순(시인)∙송지 (소설가)∙스펜더( 국시인)∙

샹송(프랑스소설가, PEN클럽회장)∙고은(시인)∙전숙희(수필가)∙정비석(소설가)∙조병화∙조경희(수필가)

1957년 9월에 일본 동경에서 제27회 국제PEN클럽 회가 열렸습니다. 동양

에서 처음 열리는 펜 회라고 해서 우리나라에서도 19명이 가기로 했습니다. 그

런데 어디 패스포트가 나옵니까. 참으로 더럽게 관리들이 위세를 떨치고 있던 이

승만 통령 치하 습니다. 끝끝내 패스포트가 안 나오고 있다가 통령 비서로

있던 김광섭 시인이 서 문 경무 의 이기붕 씨에게 부탁을 해서 출발 전 하루 만

에 패스포드가 나왔습니다. 일본에 가서도 일본 작가들하고 말을 하지 말라는 조

건이 붙어서,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동경으로 갔던 겁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97

1959년 7월제29차국제PEN 회에참석하고첫유럽여행중파리에서.

왼쪽부터조병화∙권옥연(화가)∙주요섭(소설가)

에펠탑이 있는 부근에 호텔을 잡고, 지도와 안내지로 길잡이를 삼아 매일 도

보로 파리 구경을 다녔습니다. 주요섭 선생은 길눈이 어두웠습니다. 심심풀이로

놀리곤 했습니다만, 지금은 내가 그렇게 당시의 주요섭 선생처럼 길눈이 어두워

지고 말았습니다.…… 파리는 참으로 넓고 시원시원했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우연히, 실로 우연히 화가 권옥연 씨를 만났습니다. 얼마나 놀라고 반가웠던지,

개구리가 비를 만난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107

Page 21: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1819

1957년 9월일본동경국제PEN클럽 회장에서

왼쪽부터김종문(시인)∙구상(시인)∙이경순(시인)∙송지 (소설가)∙스펜더( 국시인)∙

샹송(프랑스소설가, PEN클럽회장)∙고은(시인)∙전숙희(수필가)∙정비석(소설가)∙조병화∙조경희(수필가)

1957년 9월에 일본 동경에서 제27회 국제PEN클럽 회가 열렸습니다. 동양

에서 처음 열리는 펜 회라고 해서 우리나라에서도 19명이 가기로 했습니다. 그

런데 어디 패스포트가 나옵니까. 참으로 더럽게 관리들이 위세를 떨치고 있던 이

승만 통령 치하 습니다. 끝끝내 패스포트가 안 나오고 있다가 통령 비서로

있던 김광섭 시인이 서 문 경무 의 이기붕 씨에게 부탁을 해서 출발 전 하루 만

에 패스포드가 나왔습니다. 일본에 가서도 일본 작가들하고 말을 하지 말라는 조

건이 붙어서,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동경으로 갔던 겁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97

1959년 7월제29차국제PEN 회에참석하고첫유럽여행중파리에서.

왼쪽부터조병화∙권옥연(화가)∙주요섭(소설가)

에펠탑이 있는 부근에 호텔을 잡고, 지도와 안내지로 길잡이를 삼아 매일 도

보로 파리 구경을 다녔습니다. 주요섭 선생은 길눈이 어두웠습니다. 심심풀이로

놀리곤 했습니다만, 지금은 내가 그렇게 당시의 주요섭 선생처럼 길눈이 어두워

지고 말았습니다.…… 파리는 참으로 넓고 시원시원했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우연히, 실로 우연히 화가 권옥연 씨를 만났습니다. 얼마나 놀라고 반가웠던지,

개구리가 비를 만난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107

Page 22: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021

1960년 1월 19일, 반도호텔다이너스티룸, 제7회아세아자유문학상시상식장에서

왼쪽부터오종식(언론인)과 3인의수상자오 수(소설가)∙조병화∙김춘수(시인)

조선일보 편집국장으로 있었던 송지 선생의 청탁에 의해서 나는‘그림과

시 구라파 기행’이라는 작품을 거의 매일 조선일보에 연재를 했습니다. 이것을 출

판사 성문각에서 출판하자고 해서『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이라는 이름으로 시집

을 묶었습니다. 나의 제8시집이 됩니다. 좀 분량이 부족해서 그 시집 뒤에「밤의

이야기」5편을 첨가했습니다. 그 첨가한 5편의 시가 제7회 아세아자유문학상의

광을 나에게 안겨 주었습니다. 실로 뜻밖의 일이었습니다. 이 아세아문학상은

그 당시 가장 권위있는 상으로 아세아재단에서 한국문인들을 위해서 설정한 가장

큰 상이었습니다.…… 문단 밖에서 빙빙 큰 소외감으로 명동 생활을 하고 있던 나

에겐 큰 놀라움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조병화,『세월은 자란다』P. 111

1961년 12월 11일 <호수그릴>에서시집『밤의이야기』출판기념회.

왼쪽부터조병화∙어머니진종여사∙황순원(소설가)

1959년 경부터 나는 나의 내면세계의 어둠을 밤의 이야기로 해서 일기처럼

연시를 쓰고 있었습니다. 실로 나는‘밤’을 살아온 것입니다. 국민학교 시절, 중학

교 시절, 동경유학 시절, 줄곧 전쟁, 전쟁, 전쟁으로 이어진 시 적인 역사의 밤이

었습니다. 그리고 6∙25 동란 이후에도 끊임없는 시 적인 혼란 속에서, 그리고

내 개인의 생활에 있어서 8∙15 해방이후 줄곧 이어지던 꿈의 좌절, 결혼생활에

있어서의 갈등, 사회에 한 비판, 염세적인 우울 등 개인의 숙명적인 밤. 이러한

나의 시 적인‘역사의 밤’과 개인의‘숙명의 밤’이 합친 그 밤의 이야기를 써 내

리고 있었습니다.

조병화,『세월은 자란다』P. 111

Page 23: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021

1960년 1월 19일, 반도호텔다이너스티룸, 제7회아세아자유문학상시상식장에서

왼쪽부터오종식(언론인)과 3인의수상자오 수(소설가)∙조병화∙김춘수(시인)

조선일보 편집국장으로 있었던 송지 선생의 청탁에 의해서 나는‘그림과

시 구라파 기행’이라는 작품을 거의 매일 조선일보에 연재를 했습니다. 이것을 출

판사 성문각에서 출판하자고 해서『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이라는 이름으로 시집

을 묶었습니다. 나의 제8시집이 됩니다. 좀 분량이 부족해서 그 시집 뒤에「밤의

이야기」5편을 첨가했습니다. 그 첨가한 5편의 시가 제7회 아세아자유문학상의

광을 나에게 안겨 주었습니다. 실로 뜻밖의 일이었습니다. 이 아세아문학상은

그 당시 가장 권위있는 상으로 아세아재단에서 한국문인들을 위해서 설정한 가장

큰 상이었습니다.…… 문단 밖에서 빙빙 큰 소외감으로 명동 생활을 하고 있던 나

에겐 큰 놀라움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조병화,『세월은 자란다』P. 111

1961년 12월 11일 <호수그릴>에서시집『밤의이야기』출판기념회.

왼쪽부터조병화∙어머니진종여사∙황순원(소설가)

1959년 경부터 나는 나의 내면세계의 어둠을 밤의 이야기로 해서 일기처럼

연시를 쓰고 있었습니다. 실로 나는‘밤’을 살아온 것입니다. 국민학교 시절, 중학

교 시절, 동경유학 시절, 줄곧 전쟁, 전쟁, 전쟁으로 이어진 시 적인 역사의 밤이

었습니다. 그리고 6∙25 동란 이후에도 끊임없는 시 적인 혼란 속에서, 그리고

내 개인의 생활에 있어서 8∙15 해방이후 줄곧 이어지던 꿈의 좌절, 결혼생활에

있어서의 갈등, 사회에 한 비판, 염세적인 우울 등 개인의 숙명적인 밤. 이러한

나의 시 적인‘역사의 밤’과 개인의‘숙명의 밤’이 합친 그 밤의 이야기를 써 내

리고 있었습니다.

조병화,『세월은 자란다』P. 111

Page 24: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223

1960년 시인김소운과

내가김소운을알게된건먼저책이었다. 동경유학시절이었다. 그유명한암

파문고에 끼어있던『조선동요선(1933)』과『조선민요선(1933)』그리고『조선시집』

(상,중, 홍풍관, 1943), 그것이 나를 먼저 놀라게 했다. 조선에도 이런 시인이 었었

나? 하는존경의마음이었다.……그김소운을피난지부산에서처음 면했고, 매

일 밤을 술로 같이 지내게 되었다. 문학에 젖어서, 인간에 젖어서, 산다는 그 어두

운 낭만에 젖어서. 김광주∙이진섭∙한노단∙이해랑∙이인범∙이명온, 때론 이한

직, 때론 조 암, 때론 임긍재, 때론 윤용하 서로 뒤섞여서 거의 매일 국제시장의

술집을돌며객지, 그나그네살이를견디어내고있었다.

조병화, 『떠난세월떠난사람』P. 42

Page 25: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223

1960년 시인김소운과

내가김소운을알게된건먼저책이었다. 동경유학시절이었다. 그유명한암

파문고에 끼어있던『조선동요선(1933)』과『조선민요선(1933)』그리고『조선시집』

(상,중, 홍풍관, 1943), 그것이 나를 먼저 놀라게 했다. 조선에도 이런 시인이 었었

나? 하는존경의마음이었다.……그김소운을피난지부산에서처음 면했고, 매

일 밤을 술로 같이 지내게 되었다. 문학에 젖어서, 인간에 젖어서, 산다는 그 어두

운 낭만에 젖어서. 김광주∙이진섭∙한노단∙이해랑∙이인범∙이명온, 때론 이한

직, 때론 조 암, 때론 임긍재, 때론 윤용하 서로 뒤섞여서 거의 매일 국제시장의

술집을돌며객지, 그나그네살이를견디어내고있었다.

조병화, 『떠난세월떠난사람』P. 42

Page 26: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425

1960년 경희 학교국문과교수시절

김진수(희곡) 양주동(고전) 박노춘(국문학) 유창돈(국어학, 중세국어) 교수가보인다.

1963년 12월 <낭만> 술집에서, 제13시집『시간의숙소를더듬어서』출판기념회

피천득(수필가)∙주요섭(소설가)∙조병화∙임명방(교육자, 출판인)과함께

출판기념회라 하면 다방이나, 양식홀이나 그런 곳에서들 했지만 비어홀에서

출판기념회를 가진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평소에 한 120~30명의 좌석이 있는

자리를칵테일로차려서근200명의인사들이모여들었다. ……이출판기념회가

있은 다음부터는 좀 늦게가면 자리가 없을 정도로 손님이 가득했다.…… 수많은

교수들, 수많은 문인들, 수많은 예술가들, 수많은 언론계 인사들, 수많은 사회명사

들이 수없이 저녁이면 찾아들곤 했다. 그러니까 명동에서 상업에 쫓겨난 인사들이

모두이넓은비어홀로모여들게된거다. 이렇게<낭만>은장안의명물<개방종합

학>처럼문화분위기를형성해나가고있었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142

Page 27: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627

1966년 7월뉴욕에서국제PEN 회에참석하고.

왼쪽부터차범석(극작가)∙전숙희(수필가)∙윤이상(작곡가)∙

권려성(안무가)∙조병화∙<포엠>마담∙조경희(수필가)∙김생려(지휘자)

미국에서 열렸던 국제PEN 회에 참석을 했습니다. 그때 우리나라 여행사에

‘$99, 99일’이라는 여행 쿠폰을 팔고 있었습니다. $99을 내면 99일간 버스로 미

국 전 지역을 여행할 수 있다는 표입니다. 되도록 보다 인생을 많이 살기 위하여

몸을 가지고 이 눈에 보이는 자연의 세계를 보다 많이 여행한다는 소년 시절의 꿈

과, 책을 통해서 이 눈에 보이지 않는 상상의 세계를 보다 많이 여행을 한다는 역

시 소년 시절의 꿈들을 실천하기 위해서 이 쿠폰을 사서, 샌프란시스코까지는 비

행기로 날고, 그곳부터 줄곧 버스를 타고 우선 회장이 있는 뉴욕까지 가고,

회가 끝나곤 줄곧 버스를 타고 미국 전역을 동으로, 북으로, 남으로, 서부로, 약

60일 간을 그림을 그리면서 고생은 했지만 즐거운 지상 여행을 했습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152

Page 28: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627

1966년 7월뉴욕에서국제PEN 회에참석하고.

왼쪽부터차범석(극작가)∙전숙희(수필가)∙윤이상(작곡가)∙

권려성(안무가)∙조병화∙<포엠>마담∙조경희(수필가)∙김생려(지휘자)

미국에서 열렸던 국제PEN 회에 참석을 했습니다. 그때 우리나라 여행사에

‘$99, 99일’이라는 여행 쿠폰을 팔고 있었습니다. $99을 내면 99일간 버스로 미

국 전 지역을 여행할 수 있다는 표입니다. 되도록 보다 인생을 많이 살기 위하여

몸을 가지고 이 눈에 보이는 자연의 세계를 보다 많이 여행한다는 소년 시절의 꿈

과, 책을 통해서 이 눈에 보이지 않는 상상의 세계를 보다 많이 여행을 한다는 역

시 소년 시절의 꿈들을 실천하기 위해서 이 쿠폰을 사서, 샌프란시스코까지는 비

행기로 날고, 그곳부터 줄곧 버스를 타고 우선 회장이 있는 뉴욕까지 가고,

회가 끝나곤 줄곧 버스를 타고 미국 전역을 동으로, 북으로, 남으로, 서부로, 약

60일 간을 그림을 그리면서 고생은 했지만 즐거운 지상 여행을 했습니다.

조병화, 『세월은 자란다』P. 152

Page 29: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425

1960년 경희 학교국문과교수시절

김진수(희곡) 양주동(고전) 박노춘(국문학) 유창돈(국어학, 중세국어) 교수가보인다.

1963년 12월 <낭만> 술집에서, 제13시집『시간의숙소를더듬어서』출판기념회

피천득(수필가)∙주요섭(소설가)∙조병화∙임명방(교육자, 출판인)과함께

출판기념회라 하면 다방이나, 양식홀이나 그런 곳에서들 했지만 비어홀에서

출판기념회를 가진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평소에 한 120~30명의 좌석이 있는

자리를칵테일로차려서근200명의인사들이모여들었다. ……이출판기념회가

있은 다음부터는 좀 늦게가면 자리가 없을 정도로 손님이 가득했다.…… 수많은

교수들, 수많은 문인들, 수많은 예술가들, 수많은 언론계 인사들, 수많은 사회명사

들이 수없이 저녁이면 찾아들곤 했다. 그러니까 명동에서 상업에 쫓겨난 인사들이

모두이넓은비어홀로모여들게된거다. 이렇게<낭만>은장안의명물<개방종합

학>처럼문화분위기를형성해나가고있었다.

조병화, 『떠난세월 떠난사람』P. 142

Page 30: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829

1967년문학강연차떠난부산에서.

왼쪽부터이주홍(소설가)∙이호철(소설가)∙주요섭(소설가)∙한노단(소설가)∙조병화∙한사람건너박목월(시인).

1968년 12월 <호수그릴>에서.

왼쪽으로부터김운학(평론가)∙서정주(시인)∙박봉우(시인)∙조병화∙윤병로(평론가)

Page 31: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829

1967년문학강연차떠난부산에서.

왼쪽부터이주홍(소설가)∙이호철(소설가)∙주요섭(소설가)∙한노단(소설가)∙조병화∙한사람건너박목월(시인).

1968년 12월 <호수그릴>에서.

왼쪽으로부터김운학(평론가)∙서정주(시인)∙박봉우(시인)∙조병화∙윤병로(평론가)

Page 32: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031

1970년 2월 28일 인천 올림포스호텔에서 그해 7월에 열릴 제37회 서울국제PEN 회 준비위원회 위원들이 회의를 가졌다.

앞줄 왼쪽부터 조애실(시조시인)∙모윤숙(시인)∙박종화(소설가)∙정인섭(문학평론가)∙백철(문학평론가)∙조병화∙조경희(수필가)∙송지

∙전숙희(수필가) 뒷줄 왼쪽부터 전광용(소설가)∙김종문(시인)∙신상웅(소설가)∙김용호(시인)∙곽복록(독문학자)∙최창호( 문학자)∙

문공부 관계자∙구상(시인) 1970년 4월어느전람회장에서신석정시인과함께

Page 33: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031

1970년 2월 28일 인천 올림포스호텔에서 그해 7월에 열릴 제37회 서울국제PEN 회 준비위원회 위원들이 회의를 가졌다.

앞줄 왼쪽부터 조애실(시조시인)∙모윤숙(시인)∙박종화(소설가)∙정인섭(문학평론가)∙백철(문학평론가)∙조병화∙조경희(수필가)∙송지

∙전숙희(수필가) 뒷줄 왼쪽부터 전광용(소설가)∙김종문(시인)∙신상웅(소설가)∙김용호(시인)∙곽복록(독문학자)∙최창호( 문학자)∙

문공부 관계자∙구상(시인) 1970년 4월어느전람회장에서신석정시인과함께

Page 34: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233

1970년 10월한국일보사회의실에서, 제3회세종아동문학상최종심사가열렸다.

왼쪽부터조풍연(아동문학가)∙조병화∙이헌구(문학평론가)∙박목월(시인)

1972년 7월 17일경복궁에있던예술원앞에서.

왼쪽부터이어령(문학평론가)∙백철(문학평론가)∙최정희(소설가)∙조병화

Page 35: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233

1970년 10월한국일보사회의실에서, 제3회세종아동문학상최종심사가열렸다.

왼쪽부터조풍연(아동문학가)∙조병화∙이헌구(문학평론가)∙박목월(시인)

1972년 7월 17일경복궁에있던예술원앞에서.

왼쪽부터이어령(문학평론가)∙백철(문학평론가)∙최정희(소설가)∙조병화

Page 36: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435

1973년 5월점보 747기 한항공취항기념초청여행.

왼쪽부터최정희(소설가)∙조병화∙모윤숙(시인)∙박종화(소설가)∙이진섭(수필가)∙전숙희(수필가)

1974년 11월월탄문학상시상식장에서

앞줄왼쪽부터김기진(문학평론가)∙박종화(소설가)∙수상자의부인이명희(수필가)

뒷줄왼쪽부터조병화∙수상자윤병로(문학평론가)∙이범선(소설가)

Page 37: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435

1973년 5월점보 747기 한항공취항기념초청여행.

왼쪽부터최정희(소설가)∙조병화∙모윤숙(시인)∙박종화(소설가)∙이진섭(수필가)∙전숙희(수필가)

1974년 11월월탄문학상시상식장에서

앞줄왼쪽부터김기진(문학평론가)∙박종화(소설가)∙수상자의부인이명희(수필가)

뒷줄왼쪽부터조병화∙수상자윤병로(문학평론가)∙이범선(소설가)

Page 38: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637

1978년 7월 편운재야유회에서

왼쪽부터조병화∙김종삼(시인)∙박재삼(시인)∙한사람건너전봉건(시인)

1978년 12월 23일한국일보사 13층

<청미회> 창립 15주년기념동인집『청미』출판기념회에서여성시인들과함께.

왼쪽부터허 자∙김선 ∙김후란∙조병화∙이경희∙김혜숙∙추 수∙임성숙

Page 39: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637

1978년 7월 편운재야유회에서

왼쪽부터조병화∙김종삼(시인)∙박재삼(시인)∙한사람건너전봉건(시인)

1978년 12월 23일한국일보사 13층

<청미회> 창립 15주년기념동인집『청미』출판기념회에서여성시인들과함께.

왼쪽부터허 자∙김선 ∙김후란∙조병화∙이경희∙김혜숙∙추 수∙임성숙

Page 40: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839

1982년제6차세계시인 회(마드리드)에참석하고어느식당에서

왼쪽부터박현령∙박정희∙성춘복∙허 자∙김원중 (이상시인)∙오학 (극작가)∙

조병화∙신동춘∙김양식∙김 태∙김선경∙최화국 (이상시인)

세계시인 회로 해서 실로 많은 한국 시인들이 해외여행을 했다. 그리고 그

런 로 많이 해외에 자기들의 시를 뿌렸다. 그리고 그런 로 많이 세계시인들하

고 친교를 맺어왔다. 그리고 그런 로 많이 세상 구경을 하고, 견문을 넓히고, 촌

냄새를 닦아냈다. 그리고 그런 로 많이 자기들의 작품세계를 알고, 그 수준을 알

고, 자신감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로 해외에 초 도 되고, 작품 청탁도 받

게 되고, 세계와 그 시로서의 같은 호흡을 하게 되었다. 어는 어 로, 불어는

불어 로, 서반아어는 서반아어 로 높은 장벽이 우리들 시인들 앞에 가로 놓여

있지만, 있었지만, 그건 또 그런 로 인간으로통하는 점들이 있었다.

조병화, 『떠난 세월 떠난 사람』P. 195

1980년 어느문학상시상식장에서김동리(소설가)와함께

수요회라는 모임이 있다고 했다. 예술원 회원 중에서 술을 멋있게 마시는 사

람들로 구성된 친목회라고 했다. 가입하라고 했다. 술을 멋있게 마시는 사람이라

는 말에 귀가 쏠렸다.…… 가입하기로 했다. 참으로 술들을 많이 했다. 소문 그

로 호주가들이었다. 이 중에서도 김동리 선생은 그야말로 정확한 호주가이었

다. 제일 많이, 그리고 제일 정직하게, 그리고 제일 맛있게, 그리고 제일 술을 아

껴가며.

조병화, 『나의 생애 나의 사상』P. 197

Page 41: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3839

1982년제6차세계시인 회(마드리드)에참석하고어느식당에서

왼쪽부터박현령∙박정희∙성춘복∙허 자∙김원중 (이상시인)∙오학 (극작가)∙

조병화∙신동춘∙김양식∙김 태∙김선경∙최화국 (이상시인)

세계시인 회로 해서 실로 많은 한국 시인들이 해외여행을 했다. 그리고 그

런 로 많이 해외에 자기들의 시를 뿌렸다. 그리고 그런 로 많이 세계시인들하

고 친교를 맺어왔다. 그리고 그런 로 많이 세상 구경을 하고, 견문을 넓히고, 촌

냄새를 닦아냈다. 그리고 그런 로 많이 자기들의 작품세계를 알고, 그 수준을 알

고, 자신감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로 해외에 초 도 되고, 작품 청탁도 받

게 되고, 세계와 그 시로서의 같은 호흡을 하게 되었다. 어는 어 로, 불어는

불어 로, 서반아어는 서반아어 로 높은 장벽이 우리들 시인들 앞에 가로 놓여

있지만, 있었지만, 그건 또 그런 로 인간으로통하는 점들이 있었다.

조병화, 『떠난 세월 떠난 사람』P. 195

1980년 어느문학상시상식장에서김동리(소설가)와함께

수요회라는 모임이 있다고 했다. 예술원 회원 중에서 술을 멋있게 마시는 사

람들로 구성된 친목회라고 했다. 가입하라고 했다. 술을 멋있게 마시는 사람이라

는 말에 귀가 쏠렸다.…… 가입하기로 했다. 참으로 술들을 많이 했다. 소문 그

로 호주가들이었다. 이 중에서도 김동리 선생은 그야말로 정확한 호주가이었

다. 제일 많이, 그리고 제일 정직하게, 그리고 제일 맛있게, 그리고 제일 술을 아

껴가며.

조병화, 『나의 생애 나의 사상』P. 197

Page 42: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041

1983년 5월한국시인협회회원들

이곳에한국시단을이끌어온시인들이모두모 다. 1988년 1월 <한국문학작가상> 수상식장에서문학평론가임헌 과함께.

Page 43: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041

1983년 5월한국시인협회회원들

이곳에한국시단을이끌어온시인들이모두모 다. 1988년 1월 <한국문학작가상> 수상식장에서문학평론가임헌 과함께.

Page 44: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243

1988년늦가을일본홋카이도여행중에

최화국(시인)∙김 태(시인)∙김재홍(문학평론가)∙이일향(시조시인)∙조병화∙성춘복(시인) 1988년 11월중국계림에서장석주시인과함께

Page 45: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243

1988년늦가을일본홋카이도여행중에

최화국(시인)∙김 태(시인)∙김재홍(문학평론가)∙이일향(시조시인)∙조병화∙성춘복(시인) 1988년 11월중국계림에서장석주시인과함께

Page 46: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445

1990년박인환의시비앞에서박태진시인과함께

1992년 5월예술원야유회구상시인(제일오른쪽)과함께

Page 47: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445

1990년박인환의시비앞에서박태진시인과함께

1992년 5월예술원야유회구상시인(제일오른쪽)과함께

Page 48: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647

1992년한용운생가에서박두진시인과함께

1993년 4월안성김유신시인의꽃잔치가열린청류재에서

김규동∙최광호∙임한철시인과함께

Page 49: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647

1992년한용운생가에서박두진시인과함께

1993년 4월안성김유신시인의꽃잔치가열린청류재에서

김규동∙최광호∙임한철시인과함께

Page 50: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849

1995년 5월 천행열차안에서김종길시인과함께

1995년 5월 2일제5회편운문학상시상식을마치고

나는 이상하게도 인생을 공짜로 공부를 하고, 사회에 나와서도 나의 고독과

생존을 철학하던 시들이 많은 상을 타게 되고 평생을 돈하곤 먼 인생을 살아 왔습

니다. 조선장학회(매월 삼십원), 학교 관비(매월 이십원), 장충단에 있는 고계학원

장학생으로 매월 오십원, 이렇게 많은 장학금을 받으며 공부를 했던 겁니다.……

일생을 이렇게 돈 모르는 학창생활, 사회생활을 해 오면서, 내가 생각을 해도 성

공적인 인생을 살았다는 생각에, 내가 고희를 맞이하여 나의 호 편운을 따서 편운

문학상을 하나 만들었던 겁니다.…… 나는 수상자를 뽑을 때 시도, 평론도 좋으면

서 우선 인간적으로 좋아야 한다고 생각을 했던 겁니다. 시인다운 인간, 문인다운

인간, 그러한 인간으로 이어져 가길 바라고 있는 겁니다.

조병화, 『나보다 더 외로운 사람에게』P. 174-175

Page 51: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4849

1995년 5월 천행열차안에서김종길시인과함께

1995년 5월 2일제5회편운문학상시상식을마치고

나는 이상하게도 인생을 공짜로 공부를 하고, 사회에 나와서도 나의 고독과

생존을 철학하던 시들이 많은 상을 타게 되고 평생을 돈하곤 먼 인생을 살아 왔습

니다. 조선장학회(매월 삼십원), 학교 관비(매월 이십원), 장충단에 있는 고계학원

장학생으로 매월 오십원, 이렇게 많은 장학금을 받으며 공부를 했던 겁니다.……

일생을 이렇게 돈 모르는 학창생활, 사회생활을 해 오면서, 내가 생각을 해도 성

공적인 인생을 살았다는 생각에, 내가 고희를 맞이하여 나의 호 편운을 따서 편운

문학상을 하나 만들었던 겁니다.…… 나는 수상자를 뽑을 때 시도, 평론도 좋으면

서 우선 인간적으로 좋아야 한다고 생각을 했던 겁니다. 시인다운 인간, 문인다운

인간, 그러한 인간으로 이어져 가길 바라고 있는 겁니다.

조병화, 『나보다 더 외로운 사람에게』P. 174-175

Page 52: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5051

1999년 8월 14일백담사 <제1회만해축전>에서김남조시인과

2002년 2월 11일진해에서황금찬시인과

황금찬 :조병화 시인하고는 1954년부터 가까웠어요. 술도 많이 마셨죠. 조

병화 선생은 시를 쓰는 마음이 컸어요. 조병화나 송욱이나 천재병이 있었죠. 나는

천재적 다툼이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비 오는 날 송욱과 차를 마시다가 조병화

시인을 불러내 술을 마시자고 했어요. 조병화 시인이 나왔다가‘혼자가 아니잖

아.’하고 그냥 가버렸어요. 난 평생 그렇게 못해봤어요. 자격이 있어야 하죠. 난

그들을 존경해요. 시인은 교만한 데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시인이 자존심

까지 잃으면 뭣 때문에 살겠어요. 조병화 시인은 너무 빨리 가서 안타깝죠. 난 그

의 시가 외국 사람이 아니, 인류가 좋아할만한 시라고 생각해요. 조병화 시인은

시를 많이 썼지만 우리가 잊을 수 없는 시들이 참 많아요. 쉬우면서도 아름답거

든. 인간의 본질을 떠나진 않았어요.

계간『꿈』2007년 봄호「황금찬 시인의 육성을 듣다」중에서

Page 53: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5051

1999년 8월 14일백담사 <제1회만해축전>에서김남조시인과

2002년 2월 11일진해에서황금찬시인과

황금찬 :조병화 시인하고는 1954년부터 가까웠어요. 술도 많이 마셨죠. 조

병화 선생은 시를 쓰는 마음이 컸어요. 조병화나 송욱이나 천재병이 있었죠. 나는

천재적 다툼이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비 오는 날 송욱과 차를 마시다가 조병화

시인을 불러내 술을 마시자고 했어요. 조병화 시인이 나왔다가‘혼자가 아니잖

아.’하고 그냥 가버렸어요. 난 평생 그렇게 못해봤어요. 자격이 있어야 하죠. 난

그들을 존경해요. 시인은 교만한 데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시인이 자존심

까지 잃으면 뭣 때문에 살겠어요. 조병화 시인은 너무 빨리 가서 안타깝죠. 난 그

의 시가 외국 사람이 아니, 인류가 좋아할만한 시라고 생각해요. 조병화 시인은

시를 많이 썼지만 우리가 잊을 수 없는 시들이 참 많아요. 쉬우면서도 아름답거

든. 인간의 본질을 떠나진 않았어요.

계간『꿈』2007년 봄호「황금찬 시인의 육성을 듣다」중에서

Page 54: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조병화 (1921. 5. 2 - 2003. 3. 8)

趙炳華, 시인, 호는 편운片雲. 1921년 5월 2일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난실리에서 부친 조두원과

모친 진종 사이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미동공립보통학교, 경성사범학교를 거쳐, 일본 동경

고등사범학교에서 물리, 화학을 수학하다가 일본 패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1945년 경성사범학교 물리 교유로 교단생활을 시작하여 인천중학교를 거쳐 서울중고등학교

에 재직하면서 1949년 제1시집『버리고 싶은 유산』을 출간하여 시인의 길로 들어섰다. 1959년 경

희 학교로 옮기어 문리 학장, 교육 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고, 1981년부터는 인하 학교에서 문

과 학장, 부총장, 학원장으로 재직하다 1986년 정년퇴임했다. 이와 같은 교육과 문학의 업적을

인정받아 만 중화학술원에서 명예철학박사, 중앙 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캐나다 빅토리아

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창작시집 53권, 선시집 28권, 시론집 5권, 수필집 37권, 번역서 2권, 시 이론서 3권, 화

집 5권 등을 비롯하여 총 1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으며, 외로운 도시인의 실존적 모습, 허무와

고독으로서의 인간존재가 꿈과 사랑으로 자아의 완성에 이르는 생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쉬운

낭만의 언어로 그려냈다. 그의 시집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국,

스페인, 스웨덴,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에서 25권이 번역 출판되기도 했다. 한국시인협회 회장, 한국문인

협회 이사장, 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하면서 세계시인 회 국제이사, 제4차 세계시인 회서

울, 1979 회장을 맡아 시인들의 국제 교류에 힘썼다. 1981년 제5차 세계시인 회에서는 계관시인

桂冠詩人으로 추 된 바 있다.

그는 아세아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서울시문화상, 한민국예술원상, 3∙1문화상, 한민

국문학 상, 국민훈장 모란장, 한민국금관문화훈장, 5∙16민족상을 비롯하여 여러 차례 공로상

과 감사패를 받았다. 이러한 상금과 원고료를 모아 후배 문인들의 창작활동을 돕기 위해 1990년

편운문학상을 제정했고, 2008년까지 18회에 걸쳐 53명의 시인, 평론가들에게 이 상을 수여했다.

그는 시뿐만 아니라 그림도 겸하여 초 전을 여러 차례 가졌다유화전 8회, 시화전 5회, 시화-유화전 5회

등. 그의 그림은 그의 시 세계와 흡사하여 아늑한 그리움과 꿈이 형상화된, 상상의 세계로 이끈다.

고은 1933~ 시인

곽복록 1922~ 독문학자, 번역가

곽하신 1920~ 소설가

구상 1919-2004 시인

권옥연 1923~ 화가

김광규 1941~ 시인

김광주 1910~1973 소설가

김규동 1925~ 시인

김기진 1903~1985 문학평론가

김남조 1927~ 시인

김내성 1909~1957 소설가

김 규 1942~ 시인

김동리 1913-1995 소설가

김삼주 1952~ 시인

김생려 1912~1995 지휘자

김선 1938~ 시인

김소운 1907-1981 시인, 수필가

김양식 1931~ 시인

김 태 1936~2007 시인

김용성 1940~ 소설가

김용호 1912~1973 시인

김운학 1934~1981 평론가

김원규 1904~1968 교육자, 전서울고교장

김원중 1936~ 시인

김재홍 1947~ 문학평론가

김종길 1926~ 시인

김종문 1919~1981 시인

김종삼 1921~1984 시인

김진수 1909~1966 극작가

김춘수 1922~2004 시인

김혜숙 1937~ 시인

김후란 1934~ 시인

노천명 1912~1957 시인

마종기 1939~ 시인

모윤숙 1910~1990 시인

박계주 1913~1966 소설가

박고석 1917~2002 화가

박노춘 1912~ 교수

박두진 1916~1998 시인

박목월 1916~1978 시인

박봉우 1934~1990 시인

박이도 1938~ 시인

박인환 1926~1956 시인

박재삼 1933~1997 시인

박정희 1936~ 시인

박종화 1901~1981 소설가

박태진 1921~2006 시인

박현령 1938~ 시인

백철 1908~1985 문학평론가

복효근 1962~ 시인

샹송 1900~1984 프랑스소설가

서정주 1915~2000 시인

성춘복 1936~ 시인

손소희 1917~1987 소설가

송지 1916~1989 소설가

스펜더 1909~1995 국시인

신달자 1943~ 시인

신동춘 1931~ 시인

신봉승 1933~ 극작가

신상웅 1938~ 소설가

신석정 1907~1974 시인

신창호 1919~ 시인

안수길 1911~1977 소설가

양명문 1913~198 시인

양주동 1903~1977 시인, 국문학자

오상순 1894~1963 시인

오 수 1914~1979 소설가

오종식 1906~1976 언론인

오학 1937~1988 극작가

유경환 1936~2007 시인, 아동문학가

유종호 1935~ 문학평론가

유창돈 1918~1966 교수

윤고종 문학평론가

윤병로 1936~2005 문학평론가

윤이상 1917~1995 작곡가

유호 1921~ 극작가, 소설가

이가림 1943~ 시인

이경순 1905~1985 시인

이경희 1935~ 시인

이근배 1940~ 시인

이명희 1938~ 수필가, 윤병로의아내

이범선 1920~1981 소설가

이봉구 1916~1983 소설가

이어령 1934~ 문학평론가

이일향 1930~ 시조시인

이주홍 1906~1987 소설가

이진섭 1922~1983 수필가

이하윤 1906~1974 시인

이해랑 1916~1989 배우, 연출가

이헌구 1905~1983 문학평론가

이호철 1932~ 소설가

임명방 1930~ 교육자, 출판인

임성숙 1933~ 시인

임헌 1941~ 문학평론가

장만 1914~1977 시인

장석주 1954~ 시인

전광용 1919~1988 소설가

전봉건 1928~1988 시인

전숙희 1919~ 수필가

정비석 1911~1991 소설가

정인섭 1905~1983 문학평론가

조경희 1918-2005 수필가

조애실 1920~1998 시조시인

조태일 1941~1999 시인

조풍연 1914~1991 아동문학가

주요섭 1902-1972 소설가

진종 1882~1962 조병화의어머니

차범석 1924~2006 극작가

천경자 1924~ 화가, 수필가

최광호 1966~ 시인

최 해 1914~1995 정음사사장

최정희 1912~1990 소설가

최창호 문학자, 번역가

최화국 1915~1997 시인

추 수 1937~ 시인

피천득 1910~2007 수필가

한노단 1912~1985 소설가

한하운 1920~1975 시인

허 자 1938~ 시인

황금찬 1918~ 시인

황순원 1915~2000 소설가

등장인물

Page 55: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조병화 (1921. 5. 2 - 2003. 3. 8)

趙炳華, 시인, 호는 편운片雲. 1921년 5월 2일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난실리에서 부친 조두원과

모친 진종 사이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미동공립보통학교, 경성사범학교를 거쳐, 일본 동경

고등사범학교에서 물리, 화학을 수학하다가 일본 패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1945년 경성사범학교 물리 교유로 교단생활을 시작하여 인천중학교를 거쳐 서울중고등학교

에 재직하면서 1949년 제1시집『버리고 싶은 유산』을 출간하여 시인의 길로 들어섰다. 1959년 경

희 학교로 옮기어 문리 학장, 교육 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고, 1981년부터는 인하 학교에서 문

과 학장, 부총장, 학원장으로 재직하다 1986년 정년퇴임했다. 이와 같은 교육과 문학의 업적을

인정받아 만 중화학술원에서 명예철학박사, 중앙 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캐나다 빅토리아

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창작시집 53권, 선시집 28권, 시론집 5권, 수필집 37권, 번역서 2권, 시 이론서 3권, 화

집 5권 등을 비롯하여 총 1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으며, 외로운 도시인의 실존적 모습, 허무와

고독으로서의 인간존재가 꿈과 사랑으로 자아의 완성에 이르는 생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쉬운

낭만의 언어로 그려냈다. 그의 시집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국,

스페인, 스웨덴,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에서 25권이 번역 출판되기도 했다. 한국시인협회 회장, 한국문인

협회 이사장, 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하면서 세계시인 회 국제이사, 제4차 세계시인 회서

울, 1979 회장을 맡아 시인들의 국제 교류에 힘썼다. 1981년 제5차 세계시인 회에서는 계관시인

桂冠詩人으로 추 된 바 있다.

그는 아세아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서울시문화상, 한민국예술원상, 3∙1문화상, 한민

국문학 상, 국민훈장 모란장, 한민국금관문화훈장, 5∙16민족상을 비롯하여 여러 차례 공로상

과 감사패를 받았다. 이러한 상금과 원고료를 모아 후배 문인들의 창작활동을 돕기 위해 1990년

편운문학상을 제정했고, 2008년까지 18회에 걸쳐 53명의 시인, 평론가들에게 이 상을 수여했다.

그는 시뿐만 아니라 그림도 겸하여 초 전을 여러 차례 가졌다유화전 8회, 시화전 5회, 시화-유화전 5회

등. 그의 그림은 그의 시 세계와 흡사하여 아늑한 그리움과 꿈이 형상화된, 상상의 세계로 이끈다.

고은 1933~ 시인

곽복록 1922~ 독문학자, 번역가

곽하신 1920~ 소설가

구상 1919-2004 시인

권옥연 1923~ 화가

김광규 1941~ 시인

김광주 1910~1973 소설가

김규동 1925~ 시인

김기진 1903~1985 문학평론가

김남조 1927~ 시인

김내성 1909~1957 소설가

김 규 1942~ 시인

김동리 1913-1995 소설가

김삼주 1952~ 시인

김생려 1912~1995 지휘자

김선 1938~ 시인

김소운 1907-1981 시인, 수필가

김양식 1931~ 시인

김 태 1936~2007 시인

김용성 1940~ 소설가

김용호 1912~1973 시인

김운학 1934~1981 평론가

김원규 1904~1968 교육자, 전서울고교장

김원중 1936~ 시인

김재홍 1947~ 문학평론가

김종길 1926~ 시인

김종문 1919~1981 시인

김종삼 1921~1984 시인

김진수 1909~1966 극작가

김춘수 1922~2004 시인

김혜숙 1937~ 시인

김후란 1934~ 시인

노천명 1912~1957 시인

마종기 1939~ 시인

모윤숙 1910~1990 시인

박계주 1913~1966 소설가

박고석 1917~2002 화가

박노춘 1912~ 교수

박두진 1916~1998 시인

박목월 1916~1978 시인

박봉우 1934~1990 시인

박이도 1938~ 시인

박인환 1926~1956 시인

박재삼 1933~1997 시인

박정희 1936~ 시인

박종화 1901~1981 소설가

박태진 1921~2006 시인

박현령 1938~ 시인

백철 1908~1985 문학평론가

복효근 1962~ 시인

샹송 1900~1984 프랑스소설가

서정주 1915~2000 시인

성춘복 1936~ 시인

손소희 1917~1987 소설가

송지 1916~1989 소설가

스펜더 1909~1995 국시인

신달자 1943~ 시인

신동춘 1931~ 시인

신봉승 1933~ 극작가

신상웅 1938~ 소설가

신석정 1907~1974 시인

신창호 1919~ 시인

안수길 1911~1977 소설가

양명문 1913~198 시인

양주동 1903~1977 시인, 국문학자

오상순 1894~1963 시인

오 수 1914~1979 소설가

오종식 1906~1976 언론인

오학 1937~1988 극작가

유경환 1936~2007 시인, 아동문학가

유종호 1935~ 문학평론가

유창돈 1918~1966 교수

윤고종 문학평론가

윤병로 1936~2005 문학평론가

윤이상 1917~1995 작곡가

유호 1921~ 극작가, 소설가

이가림 1943~ 시인

이경순 1905~1985 시인

이경희 1935~ 시인

이근배 1940~ 시인

이명희 1938~ 수필가, 윤병로의아내

이범선 1920~1981 소설가

이봉구 1916~1983 소설가

이어령 1934~ 문학평론가

이일향 1930~ 시조시인

이주홍 1906~1987 소설가

이진섭 1922~1983 수필가

이하윤 1906~1974 시인

이해랑 1916~1989 배우, 연출가

이헌구 1905~1983 문학평론가

이호철 1932~ 소설가

임명방 1930~ 교육자, 출판인

임성숙 1933~ 시인

임헌 1941~ 문학평론가

장만 1914~1977 시인

장석주 1954~ 시인

전광용 1919~1988 소설가

전봉건 1928~1988 시인

전숙희 1919~ 수필가

정비석 1911~1991 소설가

정인섭 1905~1983 문학평론가

조경희 1918-2005 수필가

조애실 1920~1998 시조시인

조태일 1941~1999 시인

조풍연 1914~1991 아동문학가

주요섭 1902-1972 소설가

진종 1882~1962 조병화의어머니

차범석 1924~2006 극작가

천경자 1924~ 화가, 수필가

최광호 1966~ 시인

최 해 1914~1995 정음사사장

최정희 1912~1990 소설가

최창호 문학자, 번역가

최화국 1915~1997 시인

추 수 1937~ 시인

피천득 1910~2007 수필가

한노단 1912~1985 소설가

한하운 1920~1975 시인

허 자 1938~ 시인

황금찬 1918~ 시인

황순원 1915~2000 소설가

등장인물

Page 56: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008. 5. 9 ~ 10. 31조병화문학관

주최Ⅰ안성시, 조병화문학관

후원Ⅰ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조병화시인기념사업회, 일신문화재단

발행일Ⅰ2008년5월9일

발행처Ⅰ조병화문학관

경기도안성시양성면난실리337

Tel. 031-674-0307, 02-762-0658http://www.poetcho.com

E-mail: [email protected]기 획Ⅰ조병화문학관

편 집Ⅰ김용정, 박준

디자인ⅠGNA Communications인 쇄Ⅰ(주)프린팅하우스

ⓒ조병화문학관 2008

이책에담긴모든자료는무단으로복사, 전재하거나변형하여사용할수없습니다.

ⓒ Cho Byunghwa Literary Hall 2008All rights reserved including the right of reproduction in whole or part in any form.

* 이책은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공간활성화 지원금으로제작되었습니다.

한 국 문 단 반 세 기 사 진 전

조병화의 시간 속에서

만난 얼굴들

Page 57: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008. 5. 9 ~ 10. 31조병화문학관

주최Ⅰ안성시, 조병화문학관

후원Ⅰ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조병화시인기념사업회, 일신문화재단

발행일Ⅰ2008년5월9일

발행처Ⅰ조병화문학관

경기도안성시양성면난실리337

Tel. 031-674-0307, 02-762-0658http://www.poetcho.com

E-mail: [email protected]기 획Ⅰ조병화문학관

편 집Ⅰ김용정, 박준

디자인ⅠGNA Communications인 쇄Ⅰ(주)프린팅하우스

ⓒ조병화문학관 2008

이책에담긴모든자료는무단으로복사, 전재하거나변형하여사용할수없습니다.

ⓒ Cho Byunghwa Literary Hall 2008All rights reserved including the right of reproduction in whole or part in any form.

* 이책은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공간활성화 지원금으로제작되었습니다.

한 국 문 단 반 세 기 사 진 전

조병화의 시간 속에서

만난 얼굴들

Page 58: 2008 시간속에만난얼굴들

2008

조병화의

시간 속에서

만난

얼굴들

한국문단 반세기 사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