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2008년 디지털콘텐츠 표준화 워크샵 디지털교과서 표준화 현황 1 2008.5.30 유관희 충북대학교

2008.5.30 유관희 충북대학교 - web3d.kr유관희)디지털교과서표준화.pdf · 교육과학기셶부(2007) ––학교와학교와가정숷서솝간과공간의제수숰이,,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08년 디지털콘텐츠 표준화 워크샵

디지털교과서 표준화 현황

1

2008.5.30

유관희충북대학교

2

Motivation (1/3)

� 디지털콘텐츠 기술의 발전� 컴퓨팅 환경의 발전� 방대한 양의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

� 학습자 특성의 변화� 디지털 세대

3

� 디지털 세대� 컴퓨터 환경에 매우 익숙� 학습 환경에 적극적 참여, 스스로 학습 환경

� 교수자 특성의 변화� 통신 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환경에 따른� 교수방법의 다양화

Motivation (2/3)

��UU--러닝러닝 (Ubiquitous Learning)(Ubiquitous Learning)

유비쿼터스유비쿼터스 학습환경을학습환경을 기반으로기반으로 시간시간, , 장소장소, , 환경에환경에

구애구애 받지받지 않고않고 일상생활일상생활 속에서속에서 언제언제, , 어디서나어디서나

원하는원하는 학습을학습을 할할 수수 있게있게 되는되는 교육교육 형태형태

44

원하는원하는 학습을학습을 할할 수수 있게있게 되는되는 교육교육 형태형태[‘U[‘U--러닝의러닝의 이해이해’, KERIS, 2006]’, KERIS, 2006]

유비쿼터스유비쿼터스 기술기술인지도인지도 확산확산

유비쿼터스유비쿼터스 관련관련산업산업 활성화활성화

본격적인본격적인 uu--러닝러닝시대시대 도래도래

Motivation (3/3)

��UU--러닝러닝 (Ubiquitous Learning)(Ubiquitous Learning)

서책형교과서 , 다양한디지털콘텐츠자가학습자가학습, , 다양한교수법다양한교수법

5

자가학습자가학습, , 다양한교수법다양한교수법

Digital Textbook(DT)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교과서교과서�� 교육과정의교육과정의 학습학습 목표를목표를 달성하기달성하기 도구도구�� 급변하는급변하는 국가적국가적 요구와요구와 사회적사회적 요구요구 반영반영�� 교수자와교수자와 학습자의학습자의 요구요구 신속신속 반영반영

6

�� 학습자의학습자의 문제문제 해결력과해결력과 고차원적인고차원적인 사고의사고의 신장할신장할 수수있는있는 형태로형태로 진화진화

What do we define What do we define the concept of Digital Textbookthe concept of Digital Textbook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 손병길손병길 외외 (2004)(2004)–– 시공간에시공간에 구애구애 받지받지 않고않고 교육교육 서비스를서비스를 제공하기제공하기 위해위해 학학

교교 또는또는 가정에서가정에서 모두모두 사용될사용될 수수 있는있는 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 형태의형태의학습교재학습교재

–– 기존의기존의 교과서에교과서에 비해비해 다양하고다양하고 풍부한풍부한 자원과자원과 기술을기술을 동동원하여원하여 학습자와의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상호작용이 가능하며가능하며 학습자의학습자의 특성과특성과

7

–– 기존의기존의 교과서에교과서에 비해비해 다양하고다양하고 풍부한풍부한 자원과자원과 기술을기술을 동동원하여원하여 학습자와의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상호작용이 가능하며가능하며 학습자의학습자의 특성과특성과능력능력 수준에수준에 맞추어맞추어 학습할학습할 수수 있도록있도록 만들어진만들어진 전자도서전자도서

•• 변호승변호승, , 유관희유관희 외외(2005)(2005)–– 기존기존 서책형서책형 교과서를교과서를 디지털화하여디지털화하여 서책이서책이 가지는가지는 장점과장점과

아울러아울러, , 검색검색, , 네비게이션네비게이션 등의등의 부가부가 편의편의 기능과기능과 애니메이애니메이션션, 3D , 3D 등등 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 , 학습지원학습지원 기능을기능을 구비하여구비하여 편의성편의성과과 학습학습 효과성을효과성을 극대화한극대화한 디지털디지털 학습학습 교재교재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기술부(2007)(2007)–– 학교와학교와 가정에서가정에서 시간과시간과 공간의공간의 제약제약 없이없이,,–– 기존의기존의 교과서교과서, , 참고서참고서, , 문제집문제집, , 용어사전용어사전 등의등의 내용을내용을 포함하고포함하고,,–– 이를이를 동영상동영상,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가상현실가상현실 등의등의 멀티미디어와멀티미디어와 통합통합 제제

공하며공하며,,

8

공하며공하며,,–– 다양한다양한 상호작용상호작용 기능과기능과 학습자의학습자의 특성과특성과 능력능력 수준에수준에 맞추어맞추어

학습할학습할 수수 있도록있도록 구현된구현된 학생용의학생용의 주된주된 교재교재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기술부(2007)(2007)

9

디지털교과서의 추진 내용 및 계획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기술부(2007)(2007)�� 20112011년까지년까지 100100개교개교 시범학교시범학교�� 2013 2013 년도에년도에 상용화상용화

추진추진 단계단계 주요주요 추진추진 내용내용

10

11단계단계 ((20072007--2009)2009)◦◦ 시험개발시험개발및및 적용을적용을 통한통한 우수우수 콘텐츠콘텐츠확보확보

◦◦ 디지털교과서의디지털교과서의기능기능 및및 활용방안활용방안설정설정

22단계단계 ((20102010--2012) 2012) ◦◦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상용화상용화 기반기반 조성조성

33단계단계 ((20132013-- ) ) ◦◦ 상용화상용화 방안방안 수립수립 및및 추진추진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현황

��국내국내 현황현황– 1997년부터 국가 주도로 초중등 교과서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 디지털교과서 개발보급을 위한 중장기 계획(2002)– 초등 5학년 사회, 과학교과 웹기반, CD ROM, PDA 기반(2004)– 초등 5,6학년 디지털교과서 개발(2005,6)

11

– 초등 5,6학년 디지털교과서 개발(2005,6)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현황

��국내국내 현황현황– 초등학교 5학년 9개 과목 원형 개발(2007)– 초등학교 5학년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음악 과목 개발

(2008)

12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현황

��국외국외 현황현황

구분 싱가포르 미국 일본

사업명 eduPAD GoReader OLPC 프로젝트 NPO 출판사

주체 정부(교육부) 민간(출판사) 민간(MIT) 민간(출판사)

13

주체 정부(교육부) 민간(출판사) 민간(MIT) 민간(출판사)

전달

유형단말기 보급 전용단말기 활용 단말기 보급

CD-ROM 및 웹 기

반 보급

주요

내용

-멀티미디어 콘

텐츠를 탑재한 단

말기 보급

-디지털교과서

메모리 카드 제공

-자사 또는 외부의

우수 콘텐츠를 전

용단말기와 연계하

는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전

용단말기 개발

-$100 단말기 저개

발국 보급

-무선인터넷, 사전,

문서작성, 게임 등

의 기능 탑재

-CD-ROM 기반의

중학교 이과 디지털

교과서

-CD-ROM 및 웹 기

반 보급(Stand

alone형)

디지털교과서의 표준화 현황

�� 국내국내 현황현황�� 전자전자 책책(e(e--Book)Book) 표준화표준화��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표준화표준화

�� KERIS KERIS 주관으로주관으로 추진되고추진되고 있음있음 (2005)(2005)�� 표준표준 초안초안(2006, (2006, 유관희유관희 외외 2)2)

표준표준 초안초안(2007, (2007, 정영식정영식 외외 2)2)

14

�� 표준표준 초안초안(2007, (2007, 정영식정영식 외외 2)2)

�� 국외국외 현황현황– Microsoft사

• XAML(eXtensi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 Open Office

– Adobe 사• MXML (XML based Markup Language)• Flex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표준 초안

��표준표준 규격규격 적용적용�� 초중등초중등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표준표준 규격규격 기능기능((상세상세 기능기능::부록참조부록참조))�� 기본기본 기능기능: : 서책형 교과서가 갖고 있는 기본 기능 재현

부가편의부가편의 기능기능: : 검색검색, , 네비게이션네비게이션 등의등의 기능기능

15

�� 부가편의부가편의 기능기능: : 검색검색, , 네비게이션네비게이션 등의등의 기능기능�� 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 기능기능: : 영상영상, , 동영상동영상,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2D/3D CG, , 2D/3D CG, 멀멀

티미디어티미디어 저작저작 도구도구�� 학습지원기능학습지원기능: : 학습의학습의 편리성과편리성과 효과성효과성 증진증진 기능기능

��표준표준 문서문서 형식화형식화 기능기능��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구조구조 형식형식: XML : XML ��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기능기능 정의정의 형식형식: XML: XML

표준 주요 기능

��인증인증 기능기능� 인증 기능에 필요한 디지털교과서 사용 학생의 이름정

보, 사용자 인증� 사용 학생의 이름 입력창 제공, 사용자 인증을 위한 로

그인 기능 등은 운영환경에서 제공해야 하는 기능

16

그인 기능 등은 운영환경에서 제공해야 하는 기능

표준 주요 기능

��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기능기능� 디지털교과서의 내용을 적절한 형태로 PC,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장치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에 관련된기능임.

� 텍스트 및 이미지 원본 정보, 페이지 구분 정보, 숨길

17

� 텍스트 및 이미지 원본 정보, 페이지 구분 정보, 숨길텍스트 정의와 같은 기능

� 양면 보기, 단면보기, 확대 보기 등

표준 주요 기능

��입력입력 기능기능– 펜,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들을 적절한 형태로 다루는 기능– 판서, 메모, 노트, 밑줄, 하이라이팅, 녹음 메모 등의 기능

18

표준 주요 기능

��이동이동 기능기능– 목차 또는 책갈피 등을 활용하여 디지털교과서 내의 특정

위치로 빠르게 이동하여 내용을 보기 위한 기능– 목차, 페이지 정보, 책갈피, 페이지의 이동, 훑어보기, 책장

넘기기, 책갈피의 수정/삭제 기능

19

넘기기, 책갈피의 수정/삭제 기능

표준 주요 기능

��검색검색 기능기능– 디지털교과서 내/외의 내용 또는 첨부된 멀티미디어 정보

등을 빠르게 찾아보는 기능

• 출력 기능– 디지털교과서의 내용을 프린터 또는 다른 인쇄 장치

20

– 디지털교과서의 내용을 프린터 또는 다른 인쇄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데 필요한 기능.

– 메모/노트 내보내기, 복사, 효과음 인쇄 기능

표준 주요 기능

��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 기능기능� 디지털교과서를 이용한 학습과정에서 학생의 이해를

좀 더 쉽게하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가적으로제공되는 정보들을 사용하기 위한 기능

� 멀티미디어 정보와 대화형 멀티미디어 기능

21

� 멀티미디어 정보와 대화형 멀티미디어 기능�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2D 그래픽, 3D 그래픽 등

표준 주요 기능

��학습학습 지원지원 기능기능– 디지털교과서를 이용한 학습과정에서 학생의 이해를 좀 더

쉽게하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가적으로 제공되는정보들을 사용하기 위한 기능

– 외부 또는 디지털교과서 내의 특정 내용을 참조하기 위한하이퍼링크 정의 형식, 사전으로 구성할 용어 정의 등

22

– 외부 또는 디지털교과서 내의 특정 내용을 참조하기 위한하이퍼링크 정의 형식, 사전으로 구성할 용어 정의 등

– 교과용 메뉴, 교수자와 학습자간 자료 전송 기능– 형성 평가 기능

표준 문서 형식화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구조구조 형식형식��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원본원본 문서에문서에 대한대한 내용을내용을 기술하기기술하기 위한위한

XML XML 문서문서 구조에구조에 대한대한 스키마를스키마를 정의하는정의하는 DTD(Document DTD(Document Type Definition)Type Definition)를를 의미의미

�� 표준안이표준안이 제시하는제시하는 XML XML 엘리먼트와엘리먼트와 애트리뷰트는애트리뷰트는 DTD DTD 형형식으로식으로 정의하며정의하며, XML , XML 스키마스키마 형식으로도형식으로도 동일하게동일하게 정의정의

23

�� 표준안이표준안이 제시하는제시하는 XML XML 엘리먼트와엘리먼트와 애트리뷰트는애트리뷰트는 DTD DTD 형형식으로식으로 정의하며정의하며, XML , XML 스키마스키마 형식으로도형식으로도 동일하게동일하게 정의정의

�� XSL XSL 또는또는 CSSCSS와와 같은같은 특정특정 스타일시트스타일시트 언어에언어에 독립적독립적으로으로 정의되기정의되기 때문에때문에 어떤어떤 형식의형식의 스타일시트스타일시트 언어를언어를사용하여도사용하여도 관계없이관계없이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내용을내용을 보고보고 학습학습할할 수수 있어야있어야 함함

표준 문서 형식화��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기본기본 구조구조

24

표준 문서 형식화��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기능기능 형식형식

�� 형광펜형광펜

<?xml version="1.0" encoding="ISO-8859-9"><svg

width="100px" height="100px" viewBox="0 0 100 100“xmlns="http://www.w3.org/2000/svg"> <g fill=“blue" stroke=“blue">

25

<g fill=“blue" stroke=“blue"><rect x="30" y="50" width="30" height="30" stroke-width="1"/> 8

</g> </svg>

결론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추진사항추진사항((교육정보화백서교육정보화백서, 2007), 2007)

26

결론

��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다양한다양한 형태형태 개발되고개발되고 있음있음�� KERISKERIS 주관주관 (2005, 2006, 2007, 2008)(2005, 2006, 2007, 2008)

�� 원형원형,, 플랫폼플랫폼�� 초등학교초등학교 55학년학년, 6, 6학년학년 교과서교과서 콘텐츠콘텐츠�� 윈도우윈도우 환경환경, , 웹웹 환경환경

��교과부와교과부와 지경부지경부(2008)(2008)

27

��교과부와교과부와 지경부지경부(2008)(2008)�� 리눅스리눅스 기반기반 원형원형

��디지털교과서의디지털교과서의 표준화가표준화가 시급히시급히 요구됨요구됨��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지원지원 기능의기능의 일관성일관성��디지털교과서의디지털교과서의 상호운영성상호운영성��디지털교과서디지털교과서 적합성적합성 시험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