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 Seoul Marginal Theatre Festival 2012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2012년 7월 4일(수)~7월 20일(금) [Web_Release]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Embed Size (px)

DESCRIPTION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Citation preview

Page 1: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

Seoul Marginal Theatre Festival 2012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2012년 7월 4일(수)~7월 20일(금)

[Web_Release]

Page 2: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

Seoul Marginal Theatre Festival 2012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2012년 7월 4일(수)~7월 20일(금)

초청단체

놀이패 신명

서울괴담

차지량

조희경

전소정

이현정

장지연 & 강정식

리슨투더시티 & 진동젤리

닻올림

장애인극단 판 & 류 세이오

창작집단 샐러드

제니 사비지 & 제임스 타이슨

사카구치 교헤

지은인

새연극학교

*기국서

공연장소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광화문 광장

성북동

인천아트플랫폼

닻올림

한강

대학로

문래예술공장

LIG아트홀 외

주최 서울변방연극제

주관 서울변방연극제 / 무형스튜디오-구체그룹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서울문화재단

협력 혜화동1번지 5기동인 / 문래예술공장 / 인천아트플랫폼

닻올림 / LIG 아트홀 / 한국공연예술센터 / 문지문화원 사이 / 코르코르디움

문의 02 3673 5575 / [email protected]

www.mtfestival.com

Page 3: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서울변방연극제 선언문 (2012~ )

서울변방연극제는 동시대의 연극성을 새롭게 조망하고 질문하는 연극제입니다.

서울변방연극제는 연극과 연극, 연극과 삶과의 경계에서 균열과 아름다움을 사유하는

연극제입니다.

서울변방연극제는 불가능한 것들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연극제입니다.

서울변방연극제는 이상한 것, 낯선 것, 잡것들의 미학을 추앙하는 연극제입니다.

서울변방연극제는 연극이 아닌 모든 것들의 연극제입니다.

제 14회 서울변방연극제 주제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삶이 경계에 선 시대. 연극은 무엇이며, 연극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연극은 사람들

에게 오락 이상의 어떤 무언가를 줄 수 있는가. 새로운 무대미학을 추구하며 1999년

봄, ‘젊은 연출가들의 속셈전’으로 시작한 서울변방연극제는 올해로 제14회를 맞

이하며, 연극과 정치, 연극과 사회의 관계와 이슈들을 정면으로 다룬다. 정치극의 새

로운 가능성, 이동하는 집, 빈 땅에의 불시착, 새로운 정부라는 연극, 도시와 개발, 자

연과 인간과의 대결, SF적 상상력을 통해 ‘인간’과 ‘세계’ 그리고 인간의 근원

적 ‘공포’를 바라보는 실험 등 불가능한 것들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독창적인 무대

미학을 선보인다. 이상한 것, 새로운 것, 잡것들을 추앙하는 '연극이 아닌 모든 것의

연극제'인 서울변방연극제는 연극과 정치라는 결코 가볍지 않은 질문들을 “연극 없

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라는 테마로 관객들과 함께 사유하고자 한다. 핵심은 "없음

"이다. "부정"을 통해 기계적 의미의 상태를 설명하는 형태보다 태도에 집중하면서 "없

음"의 의미를 사유한다. "없음"의 의미는 "이동" 혹은 "변화"로 추동하는 과정으로, "시대

"를 사유하는 "장치"이자 "새로운 제안"의 의미로 전환된다.

Page 4: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2012년 서울변방연극제에서 소개하는

작가와 작품 소개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새로운 제안과 질문들

2012년에 선보이는 서울변방연극제에서는 ‘변방’에서만 볼 수 있는 보다 다양하

고 다채로운 작품들과 프로그램을 만날 수 있다.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는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라는 주제로 연극과 삶 사이의 다양한 관계와 질문들을

연극, 무용, 복합, 영상을 아우르는 폭넓은 프로그램과 함께 새로운 무대미학으로 제

안한다. 총 14개 공식초청 작품들 중 10개의 작품이 새롭게 선보이는 초연작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새연극학교’ 라는 타이틀로 선보이는 내실 있는 학술 프로그램은

그 동안 서울변방연극제가 꾸준히 닦아오고 걸어온 방향성과 그 지향점을 잘 보여 주

고 있다.

개막 첫날, 7월 4일, 기국서 연출가를 초청하여 특별강연회로 시작하는 이번 축제는

광화문에서 놀이패 신명의 오월 마당굿 <일어서는 사람들>을 개막작으로 시작하여 정

치극의 새로운 가능성, 이동하는 집, 빈 땅에의 불시착, 새로운 정부라는 연극, 도시

와 개발, 자연과 인간과의 대결, SF적 상상력을 통해 ‘인간’과 ‘세계’ 등을 관통

하는 주제의식과 새로운 미학적 시도와 함께, 연극, 무용, 복합, 영상을 아우르는 프

로그램의 폭넓은 스팩트럼을 보여 주고 있다. 개막작 놀이패 신명의 오월 마당굿 <일

어서는 사람들>은 1988년 초연되어, 1997년 개작된 작품으로 광주 518의 상황을 역

동적 형식으로 풀어내며 현대 사회의 질곡과 과제를 조망한다.

이번 연극제를 통해서 선보이는 초연 제작 작품으로 조희경 안무 <이야기-드라마 혹

은 미스터리>, 성북동 성곽마을에서 벌어지는 이동형 퍼포먼스 공연 <기이한 마을버

스 여행-성북동>(서울괴담, 유영봉 연출), ‘home’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한 이

동형 취침 퍼포먼스인 차지량 작가의 <new home>, 장지연&강정식의 연극 <늙은 코

메디언의 창고>, 강에게 모래를 되돌려 주기 위한 ‘리슨투더시티’와 ‘진동젤리’

의 협업작품 <모래에게>, 장애인 극단 판&류 세이오류의 <공상의 뇌>, 다국적 이주민

예술단체 ‘샐러드’가 한국, 일본, 태국의 삼국을 중계와 영상으로 연결하여 난민문

제를 다루는 <미래이야기>, LIG 아트홀과 서울변방연극제 공동제작으로, SF적 상상력

을 통해 ‘인간’와 ‘세계’ 그리고 근원적 ‘공포’를 바라보는 실험인 지은인 프

로젝트의 <샴 아미그달라>, 독립다큐멘터리 작가 이현정 감독의 <인터뷰 프로젝트 연

작 시리즈>가 초연 제작되어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를 통해 관객들에게 첫선을 보인

다. 사운드 아티스트 류한길, 홍철기, 최준용 2011년 발표한 음반제목으로, 듣는 소

리를 계층화하는 우열의 소리를 피하려는 시도인 <열등한 소리들>이 닻올림에서 공연

되고, 영상 및 설치 작품으로 해외 작가 제니 사비지 & 제임스 타이슨의 국제도시에

Page 5: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대한 사유인 <a circle>, 세상과 동떨어져 살면서 단식광대를 연상케 하는 노인의 삶

을 찾는 전소정 작가의 <Three ways to Elis>,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아시아의 무용

가들과 조우하며 대칭성으로서의 ‘현대’란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를 진지하게 그려

낸 조희경 작가의 <너의 현대, 나의 현대>, 그리고 거주의 문제를 넘어 새로운 국가로

의 제안을 제시하는 사카구치 교헤의 <움직이는 집>이 선보인다.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는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광화문 광장, 성북동, 문래예술공

장, 한강, 닻올림, 인천아트플랫폼, LIG아트홀, 한국공연예술센터 앞마당, 노들장애인

야학교실 등에서 개최되며, 이번 연극제가 진행되는 장소만으로도 작품의 특성과 그

다양성을 기대하게 한다. 서울변방연극제, 무형스튜디오-구체그룹에서 주관하며, 실험

적 다양성 증진사업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서울우수축제프로그램으로 서울문화재

단의 후원으로 개최된다.

지금까지 신진예술가를 발굴하고 다양한 예술적 실험과 모색의 모태가 되어오며, 나

아가 동시대의 새로운 무대미학의 제시를 위해 사회와 예술에 대해 깊이 있는 주제를

진지하고 심화된 시선으로 바라봐 왔던 서울변방연극제에 대해 앞으로의 행보에도 기

대를 걸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의) 홍보팀 02) 889-3561,2 / 사무국 02-3673-5575

Page 6: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프로그램 일정표

작품명 공연단체/연출가 일정 장소 예매

제 14 회 서울변방연극제

개막작

오월 마당굿

‘일어서는 사람들’

놀이패 신명

(박강의 연출)

2012년 7월 4일(수) 오후6시

7월 5일(목) 오후6시 광화문 광장 무료

2012년 7월 3일(화) 오후 8시 *개막전 특별상영회

‘너의 현대, 나의 현대’ 조희경

2012년 7월 8일(일) 오후 1시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무료

써클

(a circle)

제니 사비지&제임스

타이슨

2012년 7월 4일(수)

오후 5시~10시

(※20분마다4명씩관람)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무료

2012년 7월 6일(금) 오후 8시 이야기 - 드라마 혹은

미스테리

(*초연작)

조희경 7월 7일(토) 오후 3시, 6시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전석

20,000 원

2012년 7월 7일(토) 오후특정

2012년 7월 8일(일) 오후특정

대학로

한국공연예술센터 앞마당 무료 움직이는 집

(A Mobile House)

(*한국초연)

사카구치 교헤 2012년 7월 10일(월)

~7월 20일(금) *전시 문래예술공장 무료

기이한 마을버스 여행-

성북동

(*초연작)

서울괴담

(유영봉 연출)

2012년 7월 7일(토) 오후7시

~ 7월 8일(일) 오후7시

(※6시30분부터 대기)

성북동일대

(*시작:한성대 입구역 5번출구,

마을버스 03번 정류장

무료

2012년 7월 7일(토)

오후 8시~익일 새벽 6시

인천아트플랫폼 C동 공연장

~버스 이동~빈땅

전석

10,000 원 new home

(*초연작) 차지량

2012년 7월 14일(토)

오후 8시~익일 인천아트플랫폼 C동 공연장

전석

5,000 원

Three ways to Elis 전소정 2012년 7월 8일(일) 오후5시

~7월 9일(월) 오후8시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전석

5,000 원

인터뷰 프로젝트 연작

시리즈

(*초연작)

이현정

2012년 7월 10일(화)

~7월 12일(목)

오후6시~9시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전석

5,000 원

Page 7: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공상의 뇌 2012

(*초연작)

장애인극단 판&류세이오

2012년 7월 11일(수)

~7월 12일(목) 오후8시 문래예술공장 박스씨어터 무료

열등한 소리들

(*한국 초연작)

닻올림

(류한길&홍철기&최준용)

2012년 7월 14일(토)

오후7시 닻올림

전석

15,000 원

늙은 코메디언의 창고

(*초연작)

장지연&강정식

(장지연 연출)

2012년 7월 14일(토) 오후8시

~7월 15일(일) 오후 3시, 7시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전석

20,000 원

(가제)모래에게

(*초연작)

리슨투더시티

&진동젤리

(박은선 연출)

2012년 7월 15일(일)

오후 8시 30분

한강

반포지구

(승인요청중)

무료

미래이야기

(*초연작)

샐러드

(박경주 연출)

2012년 7월 17일(화)~

7월 18일(수) 오후8시 문래예술공장 무료

샴 아미그달라

(*초연작)

지은인 프로젝트

(지은인 연출)

2012년 7월 19일(목)~

7월 20일(목) 오후8시 LIG아트홀

전석

5,000 원

Page 8: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놀이패 신명 | 오월 마당굿 ‘일어서는 사람들’ (개막작)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4 (수)~7.5 (목) 오후 6시 | 광화문 광장

[작품소개]

오월 마당굿 ‘일어서는 사람들’은 1988년 초연되고 1997년 개작하여 현재까지 공연 중인 놀이패 신명의 대표적인 레

파토리로 80년 5월 광주시민들이 피와 눈물로 이룬 투쟁의 공동체, 희망과 평화의 공동체를 마당굿으로 형상화하여, 현대

사회의 질곡과 과제를 조망한다. 광주의 5월 정신이 역동적인 춤과 노래, 재담을 통해 관통하고 있는 이 작품은 전투적 신

명성과 민중적 전형성, 그리고 맛깔스런 전라도 사투리 등은 전라도마당굿의 전형을 확보하였단 평을 받았다. 마당극은 전

통극인가, 정치극인가, 아니면 컨템포러리인가. 이러한 질문들과 함께 포스트 마당극의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1997년의

작품이 2012년 관객들과 다시 만난다.

[작품내용]

몸이 불편한 서러운 꼽추, 그녀에게도 설레는 봄이 왔다. 곰배팔이와 부부의 연을 맺고 산고의 고통 끝에 아들이 태어난다.

광주시민들의 5월 투쟁 시작되고 역동적인 집단무로 해방광주까지 진행과정을 보이며 드디어 도청이 시민군의 손으로 넘

어온다. 한편 아들 일팔이를 기다리는 곱추부부는 광주소식에 애간장을 태우다 직접 찾아 나선다. 도청의 마지막 밤, 시민

군들은 시시각각 좁혀오는 계엄군의 포위망을 온몸으로 느끼며 도청에서의 마지막밤을 준비한다. 어린 고등학생들, 시민군

들, 오일팔 대장은 계엄군의 총탄앞에 붉은 꽃잎 되어 장렬히 산화한다. 아들 일팔이의 시신 앞에 꼽추부부는 아들의 죽음

을 헛되이 하지 말자며 오열한다. 이 죽음을 딛고 일어선 그들은 더 이상 병들고 비틀어진 육신이 아닌 이 땅 모두의 어머

니 아버지로 우뚝서고 진군의 북소리가 울려 퍼진다.

[놀이패 신명]

1982년 창단하여 광주, 전남지역을 활동하고 있는 마당극 전문연희단체로 판소리, 탈춤, 풍물, 민속놀이 등 전통연희의 창

조적 계승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광주, 전남지역 마당극의 효시인 ‘고구마’를 시작으로 ‘돼지풀이’, ‘마당쇠

놀이’, ‘호랑이놀이’, ‘안담살이 이야기’, ‘광대’, ‘일어서는 사람들’로 이어지는 작품을 통해 전라도 마당극의

전형을 확보하며 마당극 전문 연희단체로서의 자리매김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광주 우수마당극 큰잔치, 청소년 마당극제,

각종 강습회 등을 통해 생활현장 가까운 곳에서 시민과 함께 하는 문화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사업과 청소년 문화예술 교

육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구분 공연(연극)

초연/신작 재연

소요시간 90 분

관람연령 7세 이상

티켓유무 없음

[Artists]

극작_ 공동창작

연출_ 박강의

출연_ 박강의, 손재오, 김호준, 정찬일,

정이형, 백민, 김은숙, 김다운, 이만영

악사_ 오숙현, 김종일, 강다미

Page 9: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조희경 | ‘너의 현대, 나의 현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3 (화) 오후 8시 / 7.8(일) 오후 1시 |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작품소개]

<너의 현대 나의 현대>는, 이제껏 현대 무용을 하고 있다고 믿어왔던 한 한국의 무

용가가 '현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의 아시아 무용가들을

만나 그 질문을 나누며 대답의 열쇠를 찾아가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

[조희경]

조희경은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고 한국 예술 종합 학교 무용원 창작과 전문사 과

정을 졸업했다. 2008, 2009, 2011년에 걸쳐 아나 할프린과 함께 춤을 공부하고 작

업했으며 2011년 다큐멘터리 댄스 필름 <너의 현대 나의 현대> 로 제 11회 서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에서 대안 영화상을 수상하였고, 2011년 홍은 예술 창작 센

터 무용 입주 작가로 선정되어 활동했다.

구분 다큐멘터리

초연/신작 재연(2010)

소요시간 72분

관람연령 13세이상

티켓유무 없음

[Artists]

감독_조희경

공동구성_조희경, 안강현, 유은주

1차 편집_유은주, 조희경

2차 편집_안강현, 조희경

출연_조희경(한국), Hanny Herlina,

Rury Nostalgia, Mareuki Hasan,

Hartati, Wangee, Mugiyono Kasido,

Bambang Suryono(인도네시아),

Denis Reyes, Diego S.Marana,

Jose Jay Cruz, Myra C.Beltran,

Donna Miranda, Marielle M.Alonzo,

Johnny A. Amar, Jay Anne Marie

Tensuan, Ava Maureen B(필리핀),

Anucha Sumaman, Manop

Meejamrat (태국), Tang Fu Kuen(싱

가포르)

Page 10: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Artists]

작_제니 새비지, 제임스 타이슨

목소리

A - 제임스 타이슨

B - 올루란티 올루케미 크리스토퍼

C - 크리스토퍼 엠마뉴엘

D - 벤 스톤

E - 수 르블랑-크로포드

F - 알렉스 맥린

G - 존 로올리

H - 셰런 모건

I - 피터 올랄르칸 아데도쿤

J - 캐롤라인 사빈

K - 제임스 롱

L - 마이코 배 야마모토

■ 제니 사비지 & 제임스 타이슨 | ‘a circl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4 (수) 오후 5시~10시 |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 제니 사비지 (Jennie Savage) ]

제니 사비지는 사람들이 공간을 다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매개적 경험을 만들어 내는 아티스트이다. 그녀는 공공 장소의

사이사이에 있는 회색 공간들, 도시 계획, 건축된 도시의 모습에 관해, 장소마다 결부되어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 삶, 그리

고 개인적 서사에 관해 탐구한다. 최근 성과들로는 "아케이드 프로젝트: 3차원 다큐멘터리", "바깥 세상 속에서", "스타 라디

오"가 있다. 저서로는 "시간에 따라(2009)", "스타: 공간의 심리지형학(2006)"이 있으며 지금까지 영국과 여러 나라에서 작

품전을 여러 차례 가졌다.

[ 제임스 타이슨 (James Tyson) ]

제임스 타이슨은 연극 제작자 겸 감독이자 작가, 공연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작품으로는 "무제(2009)", "여름의 긴 날

들(2008)", "봄의 마지막 날들(2006)"이 있다. 나이지리아의 알라조타 댄스 컴퍼니와 연극 "아이와드(2005)"를 합작하기도

했다. 1999년부터 2011년까지는 영국 웨일즈 카디프의 챕터 아트 센터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현재 세라 미첼슨, 리

차드 맥스웰, 랜터스 씨어터 등과 협업 공연을 제작하고 있다.

구분 애니메이션/설치

초연/신작 재연

소요시간 20 분

관람연령 13세이상

티켓유무 없음

[작품소개] "a circle" 은 관객들을 어느 국제 도시로 데려가는 단편 애니메이션이다.

건축공학적인 모습을 한 각종 사물들은 21세기 산업에서 기계들이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그 사물들은 자본을 형성한다.

애니메이션 a circle은 도시의 표층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존재를

포착하기 위해 틈새들을 살펴 본다. 또한 도시의 붕괴 가능성을 탐색하며 인간

으로 산다는 것, 기계 속에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은유적 질문을 던진

다. 목소리들, 설명들, 대화들은 애니메이션 속 배경음악과도 같아서, 작품 속

공간들에 대응된다. 그 공간들은 실상 소비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각적, 과학적

으로 설계되어 있지만, 마치 유토피아처럼 제시되고 있다.

* 1 time에 4명이 관람하실 수 있으며

각 타임은 약 20분 간격으로 진행

Page 11: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조희경 |이야기-드라마 혹은 미스터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6 (금) 오후 8시 / 7.7(토) 오후 3시, 6시 |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작품소개]

이 작품은 ‘나’ 의 과거를 담고 있는 사진에서 시작하여 지난 시간들을 되돌아본다. ‘나에게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 이해할 수 없었던 일들, 이해하게 된 일들, 이해하게 될 일들, 그 이야기들을 나의 설화로 만들어 본다.

‘나’는 지난 몇 년간 내 개인의 삶과 예술행위 간의 가교를 찾아 오는 여정을 걸었고 그것은 한 인간으로서의 나와 예

술가로서의 나를 이어보는 작업이다.

세상에 내놓는 그 가교의 첫 걸음.

나의 이야기

[작품내용]

정말 자유롭게 그린 그림을 들고 환히 웃고 있는 나의 5살의 어린 시절 사진을 보는 것은 참 놀랍다.

그 속의 나는 두려움이 없어 보이고,

자랑스러워 보이며 사랑스럽게 열려져 있다.

그 동안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조희경]

조희경은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고 한국 예술 종합 학교 무용원 창작과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2008, 2009, 2011년에

걸쳐 아나 할프린과 함께 춤을 공부하고 작업했으며 2011년 다큐멘터리 댄스 필름 <너의 현대 나의 현대> 로 제 11회 서

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에서 대안 영화상을 수상하였고, 2011년 홍은 예술 창작 센터 무용 입주 작가로 선정되어 활동

했다.

구분 공연(무용)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40 분

관람연령 12세 이상

티켓유무 20,000

[Artists]

춤 창작/공연_조희경

미술감독_이수연

음악감독_박재록

무대감독_류은율 ,

Page 12: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사카구치 교헤 | 움직이는 집 ( A Mobile Hou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7 (토)~7. 8 (일) 오후 특정 | 아르코예술극장 앞마당

2012. 7. 10 (월)~7. 20 (금) 전시 | 문래예술공장

** <모바일 하우스

@ 서울 제작 워크숍>

7월 7일, 8일 서울이라는 특성, 서

울에서 수집가능한 재료를 활용한

제작 워크숍 진행 예정

[작품소개]

“집은 축재의 도구나 결과가 아니며, 영원히 머물러야 하는 곳이 아니다”

현재의 주거형태, 집의 소유에 대한 가치관에 대해 의문과 부자연스러움을 느낀 건축학도는 주택, 건물이 아니며, 부서지지

않고 한곳에 단단히 자리잡는 집이 아니라 누구든 쉽게 짓고 부서지면 다시 지을 수 있는 삶의 공간, 한곳에 영주하는 것

이 아니라 그 속에 사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집, 자연의 에너지와 어디든 널려있는 자본주의의 부산물을

최대한 활용하는 주거의 방식을 제안한다.

“돈이 없는 삶도 가능하다”

집에서 시작된 그의 의문은 돈(화폐)에 대한 의문, 돈을 획득하기 위한 노동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그는 공고한 자본주

의 체제 안에서 틈새의 부산물을 활용하기도 하고, 소외되는 노동이 아닌 자신이 가진 최소한의 능력으로 즐기는 활동을

통해 최소한의 필요자금을 획득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제는 새로운 국가가 필요하다”

주거, 화폐에 대한 그의 인식은 새로운 국가를 만드는 것으로 이어지고, 테리토리 안에서 새로운 주거와 화폐의 운용방식

을 실험하고, 사람과 예술을 모아 국가의 가치관(정확히는 ‘신정부’라는 새로운 사고가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가치관)을

확산하기 위해 스스로를 ‘신정부 수상’으로 명명한다.

[사카구치 교헤]

일본 건축가이자 작가로 와세다 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2004년에 노숙인들의 주거 형태를 담은 사진집 『0엔 하우

스』를 출간했다. 2006년 캐나다 밴쿠버 미술관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고, 2007년에는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열린 세계회의

포럼에 참가했다. 2008년 스미다 강에 사는 노숙 생활의 달인 스즈키 씨의 생활을 기록한 『TOKYO 0엔 하우스 0엔 생

활』(야마토 서방 간행)을 출간하고 2009년 자신도 실제 다마 강변 생활을 경험한다. 기타 저서로 『스미다 강의 에디

슨』(아오야마 출판사 간행), 『TOKYO 1평 유산』(슌주샤 간행) 등이 있다.

구분 설치

초연/신작 한국초연

소요시간 설치

관람연령 전연령

티켓유무 없음(무료)

[Artists]

컨셉_ 사카구치 교헤

연출_ 사카구치 교헤

프로듀서_고주영, 임인자

공동주최_문지문화원 사이

장소협력_문래예술공장

한국공연예술센터

Page 13: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극단 서울괴담 | 기이한 마을버스 여행-성북동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7 (토) ~7.8 (일) 오

후 7시| 성북동

* 한성대입구역 5번 출구 마을버

스 정류장에서 03 마을버스를 타

고 이동 / 6시부터 마을버스 에

피소드는 진행

[작품소개]

이 작품은 마을을 투어하면서 그 지역이 가진 이야기를 다양한 예술적 형태를 통해 새롭게 그려본다. 그 첫 번째, 성북동

은 성곽 (북정동) 쪽의 재개발지역의 노선투어로 이제는 사라질 장소, 과거로 회상될 시공간을 과거-현재-미래를 엮어 환

타지로 선보인다. 마치 오랜 후 여행자가 옛 지역의 성터를 보는 시선이 될 수도, 언젠가는 과거가 될 현재를 보는 우리가

미래의 시선으로 그려볼 수도 있다. 성북동에 만나는 이야기는‘전설의 새’이다.

[작품내용]

성북동 산 21번지에서 살 곳을 알아보았다. 같은 번지에는 100가구 이상의 세대가 살고 있고 인구는 그 세배이다. 300여

명이 한집에 살고 있는 것이다. 이유인즉슨 이곳은 국유지이고 주민들은 만만치 않은 세금을 내고 국유지를 빌려 얹혀살고

있다. 다닥다닥...질 나쁜 산모래와 시멘트를 섞어 벽돌을 찍고 하룻밤사이에 서둘러 외벽과 지붕을 올리고 그다음은 차근

차근 집의 내부를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불법으로 촌락이 형성되었다. 아마 그 전에는 시멘트 대신 판자였을 것이다. 우리

는 여기 잠시 머물며 불편한 생활환경보다는 골목골목의 예쁜 화분들과 주민들의 즐거운 수다와 떠들썩한 윷판과 술판, 그

리고 주민들이 직접 디자인한 테라스와 이웃을 연결하는 다리와 텃밭을 보았다. 재개발? 이 마을의 공동체가 빌딩숲으로

바뀌는건가?

성북동비둘기는 어디로 갔을까?

[극단 서울괴담]

극단 서울괴담은 '현대도시'가 가지고 있는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와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생겨나는 이야기들을 괴담의 형식

으로 재조명하여 현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순수한 관찰자(외부자)의 시각으로 투영시키고자 한다.

다양한 대안공간에서 공간의 특성과 장소적 의미와 sign을 이용하여 선보이는 복합/다원 총체극을 지향하며 공간재생프로

젝트를 통해 도시 재개발지역이나 죽어가는 도시공간에 예술적 활기를 불어넣는 작업을 열망한다.

가장 작은 가면인 클라운의 '빨간코'에서부터 전신가면이라고도 할 수 있는 '뷔퐁', '그로테스크' 까지 신체표현의 기초를 가

면에 두고, 보다 더 명확하고 보편적인 신체언어를 발굴하고 관객과의 정확한 소통과 거리조절을 구사해내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가면과 인물, 인물과 오브제의 관계성을 공간의 최소단위로 인식하고 공감각적 환상공간을 만들어내는 기폭재로

사용한다.

구분 공연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120분

관람연령 7세 이상

티켓유무 없음

[Artists]

극작_ 공동창작

연출_ 유영봉

출연_ 최지민, 이영미, 오선아, 김인규,

유희종, 김두영, 이정훈, 연리목, 이정훈,

반 (김예슬,, 김시율), 솔문 (김진수)

좀.B (김윤식, 김명래, 우정훈)

미술_유영봉

의상_성영심

음악_이정훈

프로듀서_이정은

후원_서울문화재단

Page 14: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차지량 | 뉴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7 (토) 오후 8시 ~ 7.8 (일) 오전 6시 | 인천아트플랫폼 C동 ~버스이동 ~빈땅

2012. 7.14 (토) 오후 8시 ~ | 인천아트플랫폼 C동

[작품소개]

new home.

헌것을 부수고 새것을 만든다. 집은 빠르게 층을 올려가며 공사를 진행했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곧, 새집이라는 이름

으로 완성을 바라본다.

new homing.

‘사람이 집이 될 수 있을까? 가족이, 도시가, 국가가, 그저 공기가 집이 될 수 있을까? 모두가 잠든, 잠들지 못한 새벽

공사현장을 찾아가 주거를 욕망하는 사람들이 떠올린다.

new homeless.

새집에서 자는 기분은 어떨까? 그들은 뉴홈에서 시간을 보낸다. 아침. 자리는 옮겨진다.

new homework.

일시적 주거의 행위는 ‘하우스’에 들어가 ‘홈’으로 접근하는 과정이다. 뉴홈을 경험하고 감상하여 도달한 둥지는 성

장하는 세대의 새로운 생존법으로 상상적 제안을 제시한다. <new home>은 뉴타운, 뉴시티 문화 및 도시계획에 관여하지

않은 성장하는 세대의 생존과 관련한 도시주거문화 갈망 행위다. 스스로 공간을 점유하는 과정으로 성장하는 세대의 새로

운 둥지를 모색하는 작품이다.

[작품내용]

모두가 잠든 늦은 밤, 완공을 앞 둔 새집에 사람들이 들어간다. 서울과 지역을 오가며 다세대주택과 도시형 원룸오피스텔,

새롭게 계획되는 도시의 아파트로 들어간다. 그들은 시간을 보낸다. 온기를 남기고 씨앗을 심고 획일화된 형태에는 다양성

을 제안한다. 아침. 그곳을 나온 성장하는 세대들은 어디론가 이동하여 새로운 둥지를 만든다. 새 둥지엔 관객을 초대한다.

[차지량]

차지량은 ‘동시대 시스템의 고립을 겨냥하는 개인’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시적기업(2011) / www.

일시적기업.com , 세대독립클럽(2010) / www.세대독립.com 등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 미디어아트 및 실험영화제에

참여하였다.

구분 공연(복합)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1시간~12시간

관람연령 15세 이상

티켓유무 7일 : 10,000원 14일 : 5,000원

[Artists]

감독_차지량

운영_조주영

제작부/퍼포먼스_원종은

밴드/공연_꿈에 카메라를 가져올 걸

라디오인터뷰/공연_레인코트 프로그램

촬영_김소성, 권준엽, 이용묵

번역_김보경

노래_조한석

협력_인천아트플랫폼 ,

>> 2012년 7월 7일 공연은 7일(토) 오후 8시~7월 8일(일) 오전 6시까지 인천아트플랫폼 C동에서 영상을 본 후 버스를 타고 빈땅으로 이동, 빈땅에서 밴드 공연 후 취침 퍼포먼스를 하는 일정으로 사전 예매처, 사무국을 통해 예약이 필수이다. *베개와 잠옷을 지참하면 좋습니다.

Page 15: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전소정 | Three ways to Eli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8 (일) 오후 5시 / 7. 9 (월) 오후 8시 |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작품소개]

Three ways to Elis 는 한 사람을 기억하는 세 명의 진술을 통해 사적 경험과 기억, 그리고 그 간극을 드러낸다. 50년간 숲

속에 마을을 짓고 살았다는 무용수 Elis는 주변 사람들에게 각자의 기억으로 존재한다. 그들과의 인터뷰, 작가가 직접 체험

한 숲, 그들이 꿈꾸는 숲 속의 무용수에 대한 바람은 한데 뒤섞여 내밀한 환타지가 된다.

Elis는 삶 속에서 예술을 실천하는 사람으로서 일상과 예술의 경계에서 궁극의 예술적 완성을 추구하는 그의 모습을 통해

역설적이게도 삶 속에서 투쟁하는 우리를 발견하게 한다. 그것은 기이한 삶을 사는 예술가들로부터 출발하고 있지만 각자

의 자리에서 일상과 절대적 권위에 맞서 싸우는 우리의 보편의 이야기가 된다.

[작품내용]

50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숲 속에 집을 짓고 홀로 사는 삶에 사로잡혀 있던 한 무용수가 있었다.

그리고 그 숲 속의 무용수 엘리스를 기억하는 세 사람이 있다.

그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엘리스를 소유하고 이야기 한다.

[전소정]

전소정은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현대미술센터에서 열린 개인전 <여섯개의 밤들>을 포함 <예술하는 습관>, <일인극장>, <The

Finale of a Story>등으로 주목받았다. <플랫폼>(기무사터,2009)전시와, <연극되어지다>(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다방,

2008)등 다양한 전시를 통해 사진과 영상, 연극적 구성과 무대, 퍼포먼스와 설치 등의 작품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2012년

서울시창작공간 금천예술공간 작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CEAAC, 베를린의 GlogauAIR, 핀란드의 HIAP등의 레지던

시에 입주작가로 초청되어 펠로우쉽을 수여했다.

구분 영상/설치

초연/신작 재연

소요시간 25분

관람연령 13세 이상

티켓유무 5,000

[Artists]

작, 연출_ 전소정

영상 기술감독_안정주

Page 16: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이현정 | 인터뷰 프로젝트 연작 시리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10 (화) ~7.12 (목) 오후 6시~9시 |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전시 오프닝 7월 10일(화) 오후 6시

[작품소개]

이 전시는 작년의 인터뷰 프로젝트(“1 분간의 무서운 이야기”)를 잇는 두 번째

프로젝트로서, 두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이

나라의 미래가 어떻게 될까요?”라는 질문을 던지는 ‘국가 프로젝트’이이며

또 하나는 자이니치 2 세 및 3 세와 작가가 대화하는 과정을 담은 ‘자이니치

프로젝트’이다.

다수에게 동일한 질문을 던졌을 때 대답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발화방식에

대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한 인물과의 오랜 대화는 인터뷰 자체

가 시간적으로 관계성과 더불어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인터뷰 프로젝트 연작 No. 2 - 이 나라의 미래가 어떻게 될까요?"

("What do you think about the future of your nation?"/“この国の未来がどうなると思いますか。”)

당신은 국가에 대해서 평소에 어떤 생각을 하십니까? 맥락 없이 불쑥 던져진 이 심각한 질문에 한국과 일본의 사람들

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탈근대적인 개념을 공동체적 삶으로 실천하면서 일상적인 아트를 추구하는 서울의 성미산

마을과 오사카의 아망토 마을에서의 인터뷰를 연관된 몇 개의 질문으로 묶었다.

"인터뷰 프로젝트 연작 No. 3 - 자이니치, 한국어 혹은 조선어"

("Korean or Chosen"/"在日の韓国語または朝鮮語“)

한글학회 일본 관서지회 상임이사 한남수는 자이니치 2세이다. 부모가 조선 출신일 뿐, 정작 그는 일본에서 태어났다.

그런데도 그의 고향은 충남이라고 말한다.

한남수의 딸, 자이니치 3세 한가야는 음악을 공부해서 줄곧 음악 선생님으로 살았다. 한국 가곡을 연주하며 부를 때 산

천의 모습이 상상되어서 눈물이 난다고 한다.

아무런 의문 없이 한국인이자 한국어를 말하는 작가와 그 두 사람이 나눈 언어는 조선어일까 한국어일까? 자이니치에

대해서 알고 있던 것과 알고 있지 못했던 것, 그리고 안다고 착각했던 것들에 대한 대화이다.

[이현정]

독립다큐멘터리 감독으로 2006년 <192-399:더불어사는집 이야기>를 연출했고, 같은 작품으로 2006년 독립영화제 대상

을 수상하였으며, 2011년 <1분간의 무서운 이야기”(인터뷰 프로젝트 1)>를 선보였고 이 작품으로 제13회 서울변방연극제

에 참가하였다.

구분 설치(영상)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관람연령 7세 이상

티켓유무 5,000

[Artists]

영상(인터뷰진행, 촬영, 편집)_이현정

영상(오디오 믹싱, 색보정)_권혁구

통역/ 자막 감수_조숙위

기술_문홍식

프로듀서_ 임인자

Page 17: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장애인극단 판 + 류세이오 류 | 공상의 뇌 201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11 (수) ~7.12 (목) 오후 8시 | 문래예술공장 박스씨어터

[작품소개]

다수는 우리를 장애인이라 부르고 또는 장애

예술가라 부르지만 우리는 그 안에 갇히기를

거부한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들만의 독특한 표현방법을

찾는 여행을 시작하였고 장애인극단판과 일본

안무가이자 연출가 류세이오 류가 함께 하는

이 작업에서 그 무언가를 찾게 될 것이다.

지금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 걸까?

여기에 내려서니 문득 낯설게 떠오르는 것.

그것은 눈에 보이는 것일까?

아니면,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인지도 모른다.

[작품내용]

<공상의 뇌>는 공백(空白) + 침묵(沈?) + 인간과 동물의 결합(人間と動物の混ざり合い) + 뇌(brain) + 두뇌 중심의 활동(頭

の中の?き)을 표현한 작품이다.

[장애인극단판]

장애인극단판은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문화예술활동과 교육사업을 통해 장애인 주체의 창조적 역량을 발굴하고 육성하고

장애인의 문화적 권리를 확보하고자 노력한다. 이에 더 나아가 장애인문화예술의 전문성과 독창성, 정체성을 깊이 연구하

고 열정적으로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의 장을 넓히며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친다.

[류세이오 류 (榊原 龍 / Ryuseioh Ryu)]

1995년 무대 데뷔.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野戦之月海筆子 : 독화성호응계획> 전 작품에 출연.

2004년「류세이오 댄스 프로젝트」를 결성, 라이브 연주와 솔로 댄스를 함께 하는 공연을 시작.

2005년 광주에서의 『새로운 천사』 공연 출연.

2006년 「East Asia Tour Performance」 참가 및 한국 공연.

2012년 한일 연합공연 ‘마당, 텐트를 만나다’ 「들불」 광주 및 서울 공연 출연

구분 공연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90분(예정)

관람연령 8세 이상

티켓유무 무료 *사전예약

今何を考えて入るのだろう。

ここに降り立ちふとみしらぬ頭の中で思う事。

それは目玉で見える物?

それとも新しく作り上げる物かも知れない。

Page 18: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Artists]

기획/기술_진상태

타자기_류한길

CD플레이어_최준용

턴테이블_홍철기

■ 닻올림 | 열등한 소리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14 (토) 오후 7시 | 닻올림

[작품소개]

‘열등한 소리들 (inferior sounds)’은 최준용, 류한길, 홍철기 3인이 2011년에 발표

한 음반의 제목이다.

우리에게 모든 소리는 평등하지 않다. 어떠한 기준으로 인하여 열등한 소리와 우월한 소리로 나뉘게 된다. 그 기준은 사람

마다 다르지만 점차 특정 기준이 보편화되고 고착화되어 가고 있고 그리고 이에 따라 소리의 계층화가 심화되고 있다. 예

를 들면 ‘누구든지 낼 수 있는 소리’, ‘어디에서든 쉽게 들을 수 있는 소리’, ‘빈약하고 조악한 소리’, ‘아무런

감정도 불러일으키지 않는 소리’는 열등한 소리로, 그 반대는 우월한 소리로 분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사이에

는 우열의 단계가 끝없이 자리 잡고 있고 더 나아가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소리의 파형이 그리는 진폭과 기울기나 모양

을 보고 그 우열을 판단하기도 한다.

이렇게 우열의 기준은 사회 전반에 만연한 것이지만, 특히 소리에 있어 문제는, 언제나 열려 있는 ‘듣는 행위’가 이러한

계층화로 인해 왜곡된다는 점이다. 즉, 공기의 진동이 고막을 울리는 것은 똑같음에도 그 소리의 우열을 판단하여 열등한

소리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피하려고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이것은 마치 노이즈 캔슬레이션 기능이 달린 이어폰

을 평생 꽂고 사는 것과 같을 것이다. 그리고 그 원인은 끊임없이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악기 업계, 서열화에 열을

올리는 언론 매체, 그리고 이를 소비하고 사용하는 우리에게 있다.

- 최준용 ‘열등한 소리 vs 우월한 소리’에서

[닻올림]

닻올림은 2006년 즉흥음악가 진상태에 의해 만들어진 그의 회사 이름이자, 2008년 2월부터 시작한 즉흥음악을 위한 공간

의 명칭이다. 그의 사무실로 쓰여지는 ‘닻올림’은 필요시에는 개조된 공연장 또는 레코딩 장소로 개조된다. 정기적으로

‘닻올림 연주회’를 진행하며 국내외 즉흥음악가들의 교류에 일조하고 있으며 비정기적으로 레코딩 세션, 워크샵이 진행

된다. 2012년 10월에는 그간의 입장료, 기부금액을 적립한 자금을 바탕으로 즉흥음악 페스티벌 ‘닻올림픽’을 준비중이

다. http://dotolim.com

구분 복합(사운드)

초연/신작 재연

소요시간 50~60분

(인터미션 있음) 관람연령 8세 이상

티켓유무 15,000

Page 19: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장지연 & 강정식 | 늙은 코메디언의 창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14 (토) 오후 8시 7. 15 (일) 오후3시, 7시|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작품소개]

<늙은 코미디언의 창고>는 현대 정치사의 그늘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는 개인의 운명을 그린 모노드라마다. 웃음을 천직으

로 알고 살아가는 유쾌한 희극 전문 배우 이춘성이 젊은 시절 동명이인의 정치범으로 오인돼 고문을 받게 되면서 그의 삶

은 희극에서 비극으로 전환된다. 희극과 비극, 연극과 정치, 역사와 인생의 교차점에서 소용돌이치는 이춘성의 삶을 통해

우리는 일상의 연극성과 조우한다. 그렇다면 삶 속에서 우리는 작가인가, 배우인가, 관객인가. 희극만을 연기했던 이춘성에

게 현실이 비극적 역할을 던져주는 순간, 정치는 지금까지 숨겨왔던 작가적 특징을 여실히 드러낸다. 삶의 플롯이 정치에

의해 완전히 뒤바뀐 것이다. 우연히 과거와 마주하게 된 이춘성이 복수도 용서도 아닌 제 3의 선택을 함으로써 그는 스스

로의 삶에서 작가가 된다.

[작품내용]

무대는 늙은 코미디언 이춘성의 지하 창고다. 손녀의 생일을 맞이 춘성이 깜짝파티에 쓸 피에로 의상을 찾기 위해 창고로

내려온다. <에쿠우스>, <고도를 기다리며> 등 그는 과거 자신의 의상, 소품들을 보며 회한에 젖게 되고 예전에 만난 미자를

떠올린다. 군부독재시절의 미자는 정치범으로 수배 중이던 내연남 대신 동명이인 춘성을 경찰에 밀고하고 이후 고문실과

정신병원을 거치며, 정신착란에 시달리는 정치범 이춘성으로 살아가던 춘성은 어머니의 죽음을 계기로 정신병원에서 나온

다. 시대는 변해 군부독재는 사라졌지만 춘성은 더 이상 희극무대에 설 수 없다. 그는 ‘비극을 연기하는 코미디언’이 된

것이다.

[장지연]

환경다큐멘터리 작가 / <너, 생각되어진다 (작)>, <낙서하는 남자 (작/연출)>

[강정식]

극단 추임새 대표 / 출연 <낙서하는 남자 (낙서하는 남자 役)>, <어느 노배우의 마지막 연기 (아들 役)>

[장지연&강정식]

장지연은 프리랜서 작가 겸 기획자로 환경다큐멘터리와 환경동화 작가, 그리고 공간 스토리텔러로 활동하고 있으며 강정식

은 배우 겸 극단 추임새 대표로 동물학대와 밀렵에 반대하는 창작 아동극 <몽키즈>를 제작, 연출하여 전국 순회공연 중이

다. 18년 지기 친구인 이 두사람은 인간과 환경-자연, 사회, 정치 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환경-의 관계에 대한 고

민을 담은 창작극을 앞으로도 계속 만들어갈 예정이다.

구분 공연(연극)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50분

관람연령 12세 이상

티켓유무 20,000

[Artists]

작/연출_장지연

출연_강정식

협력_극단 추임새

Page 20: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Artists]

공동창작_리슨투더시티,

진동젤리

■ 리슨투더시티 & 진동젤리 | 모래에게 (가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15(일) 오후 8시 30분| 한강 반포지구 (협의 중)

[작품소개]

‘모래에게’ 는 강의 모

래를 기억하기 위한, 강에

게 모래를 되돌려주기 위

한 퍼포먼스이다. 이 퍼포

먼스는 한강의 콘크리트 둔

치에서 일어난다. 한강은

70년대 까지만해도 백만평

넘는 모래사장으로 둘러싸

인 아름다운 모래강이었다. 아름다운 백사장을 가진 낙동강도 4대

강 공사로 한강처럼 물이 썩고 있고 마지막 남은 내성천마저도 영

주댐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이 다큐퍼포먼스는 내성천에서

모래를 준설하는 노동자의 시각에서 강을 바라본다. 그리고 그는

내성천에서 모래를 퍼 한강으로 옮긴다. 그 모래 위에서 내성천에

만 사는 먹황새가 춤을 춘다. 한강에서 우리는 40년 만에 강의 모

래를 만나지만 그건 한강이 아닌 낙동강의 모래이다. 아이러니 하

게도 지금 내성천의 모래를 지금은 내성천에 부을 수 없다. 다시는

내성천에 모래를 돌려줄 수 없을지도 모른다. 관객들은 모래를 만

지고 강을 느끼고 훗날 재 자연화 되는 날 돌려 줄 것을 기억하며

작은 병에 모래를 담아간다.

[작품내용]

스크린에 60,70년대 한강에서 사람들이 수영하던 장면, 그리고 그것이 개발되는 과정을 담은 영상이 영사된다. 영상 말미

에는 4대강 공사현장과 장면을 교차 시킨다. 그 장면은 40년 전과 똑 같다. 내성천에는 물가에 원앙이 살고, 세계 천마리

밖에 없는 먹황새가 있다. 얕고 맑은 물, 발가락 사이로 모래가 빠져나가는 영상, 카메라가 시점을 이동해 가면 한 쪽에서

포크레인이 모래를 파내고 나무를 베고 있다. 트럭에 포크레인이 트럭이 모래를 싣고 모래를 실은 25톤 트럭이 한강 둔치

에 들어와 모래를 붓는다. 장면은 영상에서 시작하여 생중계로 이어진다. 이 때 관객에 섞여있던 12명의 사람이 모래 위를

네 발로 기어서 걷는다. 12명의 사람들은 가운데 1m*1m 를 제외하고 검은 천으로 덮는다. 모래에 먹황새로 분한 무용가

가 나타나 먹황새 춤을 춘다. 검은 천이 걷히고 새가 사라지면 12명의 사람들이 모래의 노래를 부른다.

[리슨투더시티] 리슨투더시티는 예술가의 새로운 역할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리슨투더시티는 예술 외부적 조건들을 조

금 더 자유롭게 사유하기 위해 조직된 창작/비평 공동체 이자 예술가들이 좀 더 자발적으로 사유하고 표현하기 위해 고안

된 하나의 장치이다. 2009년부터 강에 가기 시작하면서부터 도시가 얼마나 잔인한가를 깨닫게 되었다. 도시를 유지하기 위

해 너무 많은 것들을 희생하고 있다. 도시에 대한 리서치를 하면서 강 이야기를 하기 위한 독립예술공간 스페이스 모래를

운영하고 있고, 독립 도시건축잡지 어반드로잉스를 발간하고 있다.

www.listentothecity.org

[진동젤리] 진동젤리는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신체와 사유를 지향하는 종합예술집단이다. 진동젤리는 60년대 예술운동인 플

럭서스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삶과 예술을 접목시키고자 했던 그들처럼 진동젤리 또한 일상 속에서 삶의 변혁의 계기에

대해 사유하고 실천하고자 한다. 진동젤리는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공연예술, 미디어, 글쓰기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사회적 담론(진동)을 전달시키는 젤리가 될 것이다.

구분 복합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70분

관람연령 제한없음

티켓유무 무료

Page 21: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Artists]

극작/연출/영상기록_ 박경주

출연_ 임경희, 마웅저, 김복주,

로나 드 마테오, 다시마 프롭,

사토 유키에, 박경주

움직임_ 유코 가세키

음악감독_ 사토 유키에

코디네이터_임경희 (일본 센다이),

마옹저(태국 메솟)

영상감독_석성석

조명감독_이재성

기술스텝_박동명,김슬기

홍보_한송이

■ 샐러드 |미래 이야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17 (화) ~ 18일(수) 오후 8시 | 문래예술공장 박스씨어터

[작품소개]

이주와 죽음에 관해 재조명하는 ‘샐러드’의 [존경받지 못한 죽음 시리즈]

는 한국인 파독광부의 이야기에서 여수 외국인보호소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이야기로, 그리고 인신매매성 국제결혼으로 사망한 한 이주여성의 이야기로

전개됐다. 전문 배우가 아닌 이주민 당사자들이 무대에 올라 그들의 이야기

를 관객에게 전하는 형식으로 완성된 이 시리즈는 이제 <미래의 이야기>로

그 연극적 실험을 마무리한다.

[작품내용]

‘샐러드’의 [존경받지 못한 죽음 시리즈] 최종편 <미래이야기>는 난민이라

는 주제를 갖고 경계인들의 문제를 미래의 시점으로 짚어보는 실험극이다. 일종의 로드 연극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작품은

연출자가 ‘미래의 문제’를 고민하면서 만나는 일본의 센다이 주민들, 태국의 메솟 난민촌 청소년들에 대한 기록연극이

다. 연출자는 카메라를 들고 난민들을 만나며 이들이 잃어버린 것들, 이들이 그리워하는 것들, 이들이 두려워하는 것들에

관해 인터뷰하고 경계의 공간에서 이들과 함께 공연을 만든다. 이 공연 또한 영상으로 기록되며 실재 연극 공연에서 상영

된다. 공연에는 센다이와 메솟에서 미래이야기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현지 코디네이터들이 등장인물로 참여한다.

[창작집단 샐러드]

문화다양성과 이주민들의 예술적 에너지를 전하는 ‘샐러드’는 다국적 이주민으로 구성된 공연예술 창작집단으로 이주민

과 정주민의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는 소통을 통해 문화 다양성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보고자 설립되었다. 공연예술에서 전

시회, 퍼포먼스, 다문화워크숍까지, 문화적 약자인 이주민이 창작활동의 주체로 당당히 나서면서 문화 지형의 변방에서 다

문화의 상투적인 개념을 극복하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구분 공연(복합)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90분

관람연령 7세 이상

티켓유무 무료 *사전예약

Page 22: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Artists]

연출_ 지은인

조연출_ 강성규

출연_ 박지환, 노사미

프로듀서_ 임인자, 안광조

홍보_ 박현진

기술_ 문홍식

조명_ 남궁진

의상_ 이주황

음악_ DJ허비

무대미술·영상_ 이주은

디자인_ 스팍스 에디션

■ 지은인 프로젝트 | 샴 아미그달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2. 7. 19 (목) ~20일 (금) 오후 8시 | LIG아트홀

[작품소개] 당신이 믿고 있었던 인간의 인식에 대한 질문, SF적 상상력을 통해 ‘인간’와 ‘세계’ 그리고 근원적 ‘공

포’를 바라보는 실험 LIG문화재단과 서울변방연극제가 공동주최하는 지은인 작가의 [샴 아미그달라(Siamese Amygdala)]

는 현실에 대한 SF적 상상들을 극대화하여 관객과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나누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다. 연극 [샴 아

미그달라]의 공상과학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상상들은 이상하고도 섬찟하다. 그 이상함은 현실을 바라보는 방식이 현재의

세계관과는 다르기 때문이며, 그러한 섬뜩함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방식이 충분히 논리적이기 때문이다. 때로는 이러한

기존의 세계관, 현실을 넘어서는‘SF적 상상력’은 현재의 문제 뿐 아니라 현재 우리로부터 파생될 가능성이 있는 미래의

모습을 통해, 다시 현재가 안고 있는 근본적 문제와 인식을 되짚어 볼 수 있게 한다.

연극의 제목 [샴 아미그달라] 는 샴 (Siamese, 샴 쌍둥이의, 떨어질수 없는 뜻의 형용사)과 아미그달라(Amygdala, 공포를

담당하는 뇌영역의 이름, 편도체)의 합성어로 서로 다른 존재들의 떨어질 수 없는 공포를 의미한다. [샴 아미그달라] 는 서

로 다른 존재들의 연결점인 “공포” 를 통해 일상에서는 불가능한 질문을 시도한다.

샴 아미그달라 : 과거, 현재, 미래의 서로 다른 ‘3개의 인간 종’을 연결하는 본질적 감각, 공포 그리고 이종의 인간들이

인간에게 던지는 질문 NS: 과거 3만 년 가량을 공존했던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사이에는 성적, 유전적 교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오랜 이

종교배의 흔적은 인간에게 어떤 흔적을 남겼는가?

NS²: 원시와는 달리 현대의 인간이 적응해야 할 환경은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낸 문화적 환경이다. 물리적 환경보다도 위협적

인 문화적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은 인간만의 독보적 생존무기인 생각하는 능력이다. 현재의 인간은 생존을 위해 스스로에

게 위협이 되는 생존무기를 어떻게 진화시켜 나가고 있을까?

NS³: 인간이 충분한 시간 동안 오랜 꿈이었던 영생을 위해 진화해 간다면 인간의 최종형태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그 때 인

간이 남겨놓을 인간만의 본질은 무엇일까?

[지은인 프로젝트] 질문의 방향성을 통해 새로운 차원을 창조해 내는 연출가 지은인

지은인 프로젝트는 프로젝트마다 하나의 질문을 공유한 아티스트들이 모여 ‘예술을 위한 실험이 아닌 예술로 인한 실험’을 해나가는

단체이다. 지은인 프로젝트의 특성은 작품의 형태보다 질문의 방향성에 있다. 현실을 유지시키는 ‘당연한 전제’들에 질문을 던지는

창작을 통해 현실과는 다른 새로운 차원을 창조해 내고자 하는 것이 지은인 프로젝트의 창작목적이다. 프로젝트의 중심이 되는

지은인은 평면, 설치, 애니메이션, 퍼포먼스, 사운드 아트 등 하나의 예술장르에 귀속되지 않는 작업을 해오고 있는 아티스트로, 3 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 스크리닝을 가진 바 있다. 그간 지은인의 탈 장르적 작업들은 주제를 담아낼 최종 그릇을 만들기 위한

실험이었으며, 최근 그만의 독창적 세계를 공연이라는 최종 그릇으로 수렴해 나가고 있다. 지난 해 프로젝트 <강화된 지혜: 동물

행동풍부화를 통한 고찰>에서는 직접 공모전을 개최하고 그에 관한 연구를 <제 1 회 인지예술학회>로서 발표한 바 있다.

* LIG 아트홀 오픈 스튜디오 ㅣ 제 14 회 서울변방연극제 공식초청작

구분 공연(복합)

초연/신작 초연

소요시간 80분

관람연령 7세 이상

티켓유무 5,000원

Page 23: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변방”은 경계 너머를 바라보는 시작점 ! 2012 서울변방연극제 “새연극학교” 를 열다 !

[새연극학교 Ⅰ] * 개막특별프로그램

제 14 회 서울변방연극제 연출가 기국서 초청 특별강연회

“미친 기국서, 못난 기국서”

2012년 7월 4일(화) 오후 1시~3시 l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기획의도] 개막 특별 프로그램으로 연출가 기국서를 초청하여 특별강연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연출가 기국서는 극단 76단의 수장으

로, 극단 76단은 1976년 출발하여 신촌문화형성의 교두보 역할을 했던 70년대 전위연극의 산실이다. 극단 76단은 열린

의식을 향하여 연극의 고정관념을 깨고 극장과 관객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하는 시도, 80년대를 관통하는 햄릿씨리즈로

본격 정치극을 선보이며 기존 연극계에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가난과 저항의 미학'이라는 성격을 심으며, 아방가르드 연극

의 최전선을 형성해 왔다. 아방가르드의 본좌인 연출가 기국서가 작품을 멈추고 2010년대를 맞이하고 있다. 연출가 기국

서는 왜 작품을 멈추었고, 그가 관통하는 시대는 어디인가? ‘미친 기국서, 못난 기국서’라는 주제로 2012년 서울변방연

극제와 함께 ‘실험, 그 본래의 의미에 대한 고찰’을 젊은 연출가 그리고 관객들과 함께 하고자 한다. 기국서

극단 76을 이끌어 왔으며 <관객 모독>, <미친 리어>, <햄릿 시리즈>, <지피족>, <개>, <훼밀리 바

게트> 등 상연될 당시 모두 '문제작의 영예'를 얻으면서 아방가르드 연극의 최전선을 형성해 왔

다.

서울평론가그룹 특별상,

서울평론가그룹 연출상,

영희 연극상,

한국예술가협회 오늘의 예술가상 수상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 새연극학교 Ⅱ]

프로그램명 주요참가자 일정 장소 비고

새연극학교 :

신정부라는 연극 사카구치 교헤

2012 년 7 월 10 일 (월)

오후 2 시~6 시

연극실험실

혜화동 1 번지

(*변동가능)

사전예약

새연극학교 :

가능한 몸, 아름다운 미물

(부제 : 에이블 아트에

관하여)

장애인극단 판

+류세이오 류,

극단 파전 김원영,

강성국

2012 년 7 월 13 일(금)

오후 1 시~4 시

노들장애인야학

교실

사전예약

(7 월 11 일

~12 일

관람자)

Page 24: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 서울변방연극제 연혁(1999~2012)

서울변방연극제는 1999년 봄, ‘제1회 변방연극제 “젊은 연출가들의 속셈전”으로 시작

하여 올해로 제 14회를 맞이 한다. 동시대적 사유와 날카로운 시선으로 새로운 미학을 추

구하는 최전방의 순수예술플랫폼인 ‘서울변방연극제’는 그동안 새로운 무대언어 개발,

예술과 사회와의 접속을 모토로 새로운 형식의 무대언어실험, 대안공간의 탐색, 거리극과

특정장소 (Site-Specific) 프로젝트, 공공예술프로젝트 등을 통해 새로운 발견과 재배치를

시도 하고 있다.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는’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라는 주제

로 개최되며, 서울변방연극제는 불가능한 것들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상한 것, 낯선 것,

잡것들의 미학을 추앙하는 연극제로 미학적 비전을 실천하고 있다

수상

2006 올해의 예술상 다원예술부분 수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0 동아연극상 새개념연극상 수상

(크리에이티브 VaQi공동주최작, ‘도시이동연구 혹은 연극 ‘당신의 소파를 옮겨드

립니다’)

제 1 회 변방연극제 '수작 1_젊은 연출가들의 속셈전'

일 시 1999 년 2 월 24 일 - 3 월 1 일

장 소 아리랑 소극장

참가단체 김성환, 권선오, 김종우, 오경택, 강화정, 박상규, 김훈재, 위성신, 채홍덕

제 2 회 변방연극제 '천년이 가기 전에 보여줘야 할 것이 있다'

일 시 1999 년 12 월 1 일(수) - 2000 년 1 월 1 일(토)

장 소 동숭아트센터소극장

참가단체 양지원, 배강달, 허남성, 위성신, 김민정, 장은미, 김동현, Project 2000

제 3 회 변방연극제 '젊은 연출가들, 새로운 연극축제'

일 시 2000 년 10 월 15 일(일) - 11 월 13 일(월)

장 소 아리랑 소극장, 바탕골까페갤러리 외

참가단체 위성신, 전익표, 오경택, 박성민, Art-3 Theatre(정은경), 열혈예술청년단(김사명, 윤형섭),

박상규, 박칠순, 문화창고(이동주), 김종우, 권정희

제 4 회 변방연극제 '충동을 향한, 끝없는 여행'

일 시 2001 년 11 월 28 일(수) - 12 월 16 일(일)

장 소 아룽구지 소극장, 문예회관소극장

참가단체 Art-3 Theatre(정은경), 부산 연극제작소 동녘(오치운), 언더그라운드 공연집단 「Post

Studio」(임재찬), 정유라, 장애여성문화공동체 극단 끼판(오순한), 다음사람(김종우),

DAN-CROSS PROJECT(김경미)

제 5 회 변방연극제 '새로운 흐름'

일 시 2002 년 9 월 14 일(토) - 9 월 30 일(월)

Page 25: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장 소 문예진흥원 학전블루 소극장, 상명대 동숭캠퍼스 갤러리, 마로니에공원

참가단체 Store House Company(기무라 신고/일본), 김종우, 최은승, 유림, 채홍덕, 김성환, 윤경숙,

Frederik Rohn&백남영(독일)

2003 마지널씨어터 페스티벌 '경계의 연극: 도발적 연극의 미래를 상상하다'

일 시 2003 년 11 월 18 일(화) - 12 월 7 일(일)

장 소 문예진흥원 학전블루 소극장

참가단체 극단 목토 퍼포먼스그룹(이영란), 김동연, 극단 피악(나진환), 강화정, Art-3 Theatre(정은경),

채홍덕,

DOODANCE theater(정영두)

제 7 회 서울변방연극제 'Unlimited-경계를 지우며'

일 시 2004 년 11 월 6 일(토) - 11 월 21 일(일)

장 소 대학로 게릴라 소극장 및 대학로 일원

참가단체 극단 노릇바치(이기호), 뮈토스프로젝트(강화정), 블루바이씨클 프로덕션(배은영),

심철종 퍼포먼스 제작소(심철종), PDG[당당]의 유랑퍼포먼스가무쑈단(김민정), 창작집단

Holic(최중민),

열혈예술청년단(윤서비), 극단 시선(홍란주)

2005 변방 거리극 프로젝트 '보통시에 사는 특별 시민들'

일 시 2005 년 10 월 8 일(토) - 10 월 29 일(토)

장 소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대학로 낙산공원, 인사동 쌈지길, 광화문 열린 시민 마당

참가단체 극단 76 단(강지수), 열혈예술청년단(윤서비), 배꼽같은사람들 환(김진수), 괴발개발(이준범),

황규선 무용단(황규선), 경계없는 연극연구소(이화원), 극단 길위에서(정미),

공연예술극단티엠디(임혜인), 극단거울(백은아), 하모로, 강우진, 신비디움(황태진),

atmen(임선영), 예이리(대만), 정시준(대만)

제 8 회 서울변방연극제 '변방은 공작소다!'

일 시 2005 년 11 월 15 일(화) - 11 월 27 일(일)

장 소 대학로 연우소극장

참가단체 Store House Company(기무라 신고/일본), 비주얼씨어터컴퍼니 꽃(이철성), 이소영,

금으로 만든 인형(정금형), 이.브이.이(권소현), 극단 동(강량원)

제 9 회 서울변방연극제 '연극, 디자인하다'

일 시 2006 년 9 월 8 일(금) - 9 월 24 일(일)

장 소 씨어터디아더, 열린극장, 신연아트홀,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쇳대박물관, 낙산공원,

동숭교회, 인사동 쌈지길

참가단체 Joe Ink(캐나다), 극단 놀땅(최진아), 정금형, 극단 드림플레이(유용석), 극단 오늘(위성신),

극단 통(이강임), 멀쩡한 소풍(지영), 양승주, 경계없는 예술센터(이화원), 극단

마실(손혜정), 기막힌 놀이터(남주경), 이소영, atmen(임선영), 정시준(대만), 예이리(대만),

비주얼씨어터컴퍼니 꽃(이철성), 신비디움(황태진), 열혈예술청년단(윤서비), 환 Move(솔문)

Page 26: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제 10 회 서울변방연극제 'I Have a Question'

일 시 2007 년 9 월 5 일(수) - 9 월 30 일(일)

장 소 씨어터디아더, 까페 디아더, 디아더 스튜디오, 아르코미술관_마로니에 공원, 용산

아이파크 몰

참가단체 1x1 Project (김동연+송희진, 류재미, 이소영, 솔문, 남주경+오창익+김소연, 임인자),

그린피그(윤한솔), 진댄스 프로젝트와 정인석 액터스 랩(정인석, 김진숙),

상상발전소(남주경) Sioned Huws Dance Company (영국, Sioned Huws), 정금형,

댄스그룹 코마(이은미), 유턴 댄스컴퍼니(김정웅, Marion Ramirez), 백남영, Gottlieb

Production(Baruch Gottlieb, 임선영), 디지크(신성아), 창작집단 홀릭(최정민),

김스창(김윤정), 강화정, 극단 백수광부(홍경숙), 주영 팀(박주영), 단-크로스

프로젝트(김경미), 씨어터 그룹 "성북동비둘기" (김현탁), 아트멘(임선영), 창작집단 환(솔문),

제 11 회 서울변방연극제 '무제'

일 시 2008 년 11 월 6 일(목)-11 월 16 일(일)

장 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뒷뜰 맞이공원, 아르코미술관_마로니에공원, 다원예술매개공간,

pPOPkki,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연습실, 갤러리 정, 가변무대, 서울변방연극제 사무국

참가단체 그린피그(윤한솔), Creative VaQi(이경성), 김스창(김윤정), 정금형, 상상발전소(남주경,

도선해), 연극집단 성북동비둘기(김현탁)

제 12 회 서울변방연극제 '도시기계:요술환동과 산책자의 영리한 모험'

일 시 2010 년 9 월 2 일(목)-9 월 19 일(일)

장 소 한국공연예술센터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명동

삼일로창고극장,문래예술공장,앤트러사이트, 서울연극센터/책방이음, 명동 및 남산일대

참가단체 무브먼트 당-당(김민정), 창작집단 샐러드(박경주), Movement so young(이소영),

JeckoSDANCE(Jecko Siompo), Fleur Elise Noble & Leah Barclay, 모던테이블-

김재덕프로젝트(김재덕), 온앤오프무용단(김은정, 한창호), Collective ps(김진주),

언더더브릿지(유은주), 극연구소 마찰(김철승), 곽고은프로젝트(곽고은), 무혜,

그린피그(윤한솔)

제 13 회 서울변방연극제 '돼지와 나 : 인지에 대한 관계와 질문들'

일 시 2011 년 9 월 19 일(화)-10 월 2 일(일)

장 소 연극실험실 혜화동 1 번지, 서울동물원 외

참가단체 자립음악생산조합(박다함, 밤섬해적단, 야마가타트윅스터), 이현정, 신은정, 조희경,

Module831(지은인), 강수현, 창작집단 샐러드(박경주), 열혈예술청년단(윤서비)

제 14 회 서울변방연극제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일 시 2012 년 7 월 4 일(수)-7 월 20 일(금)

장 소 연극실험실 혜화동 1 번지, 문래예술공장, 인천아트플렛폼, LIG 아트홀, 닻올림, 성북동

일대, 광화문 광장 일대, 한강 일대

Page 27: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

참가단체 놀이패 신명(박강의), 제니 사비지 & 제임스 타이슨, 극단 서울괴담(유영봉), 조희경,

차지량, 전소정, 이현정, 장애인극단 판&류 세이오류, 장지연&강정식,

닻올림(류한길&홍철기&최준용), 리슨투더시티 & 진동젤리, 샐러드(박경주), 지은인

프로젝트(지은인), 사카구치 교헤

▶ 제 14 회 서울변방연극제 제작진

아티스트 : 놀이패 신명(박강의), 제니 사비지 & 제임스 타이슨, 극단 서울괴담(유영봉), 조희경,

차지량, 전소정, 이현정, 장애인극단 판&류 세이오류, 장지연&강정식,

닻올림(류한길&홍철기&최준용), 리슨투더시티 & 진동젤리, 샐러드(박경주), 지은인

프로젝트(지은인), 사카구치 교헤, 새연극학교, *기국서

예술감독 : 임인자

기술감독 : 문홍식

홍보실장 : 이정은

프로듀서(교헤 사카구치) : 고주영

홍보팀장 : 황진원

운영코디네이터 : 안해지

운영코디네이터 : 마창훈

홍보코디네이터 : 최자연

관객과의 대화 특별프로그램 모더레이터 : 유병진

자원활동가 : 고유정, 김보미, 변미현, 정성곤, 이솔, 심지윤, 장유미, 강은지, 신경희, 이보영

주최 : 서울변방연극제

주관 : 서울변방연극제 / 무형스튜디오-구체그룹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서울문화재단

협력 : 혜화동 1 번지 5 기동인 / 문래예술공장 / 인천아트플랫폼/ 닻올림 / LIG 아트홀 /

한국공연예술센터 / 문지문화원 사이 / 코르코르디움

Page 28: 2012_program_web_release_marginal_theatre_festival

[Web_Relea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 종로구 동숭동 129-34 1층 102호 (110-809) 102, 1F 129-34, Dongsung-Dong, Jongno-Gu, Seoul, Korea (Postal code 110-809)

Tel] +82-2-3673-5575 Fax]+82-2-3673-5576 www.mtfestival.com http://blog.naver.com/mtfesti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