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Upload
    -

  • View
    624

  • Download
    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저 시-비 리-동 조건 경허락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l 차적 저 물 성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허락조건 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러한 조건들 적 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적 할 수 없습니다.

동 조건 경허락. 하가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했 경에는, 저 물과 동 한 허락조건하에서만 포할 수 습니다.

Page 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석사학 논문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

2014년 8월

주은미

음악치료 공

고신 학교 교회음악 학원

Page 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음악치료학 석사학 논문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

지 도 교 수 김 미

이 드 보 라

이 논문을 음악치료학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8월

고신 학교 교회음악 학원

음악치료 공

주은미

Page 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주은미의 음악치료학 석사학 논문을 인 함

2014년 8월 일

심사 원장 (인)

심사 원 (인)

심사 원 (인)

고신 학교 교회음악 학원

Page 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i -

목 차

I.서 론 ········································································································1

1.연구의 목 ····························································································1

2.연구 문제································································································4

3.용어의 정의 ····························································································5

II.이론 배경····························································································8

1.ADHD성향 아동과 주의집 력,과잉행동 특성 ·····························8

2.음악과 주의집 력,과잉행동···························································11

3.동작 심의 음악치료 ········································································14

Ⅲ.연구 방법 ·····························································································23

1.연구 상······························································································23

2.연구 도구······························································································23

3.연구 설계······························································································25

4.연구 차······························································································26

5.자료 분석······························································································31

Ⅳ.결과 ·······································································································32

1.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 ···············································································································32

2.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 ···············································································································40

Page 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ii -

Ⅴ.논의 ·······································································································42

Ⅵ.결론 제언 ·······················································································44

1.결론········································································································44

2.제언········································································································44

참고문헌······································································································46

부록 ···············································································································54

1.연구동의서····························································································55

2.K-ARS행동 평가지··········································································57

3.FAIR주의집 력 검사지 ··································································59

4.회기별 로그램··················································································62

Page 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iii -

표 목 차

표 II.1기 동작의 유형······································································15

표 Ⅱ.2라반의 동작 개념 발달 단계를 기 로 한 동작의 기본 요소에

한 주제와 내용·····················································································16

표 Ⅲ.1연구 상자 특성··········································································23

표 Ⅲ.2한국 ADHD평가척도의 신뢰도··········································24

표 Ⅲ.3주의집 력 검사지수··································································24

표 III.4실험 설계······················································································26

표 Ⅲ.5동작 심 음악치료의 구성 내용········································27

표 Ⅲ.6동작 심의 음악치료의 12회기 로그램······························28

표 Ⅲ.7동작 심의 음악치료 1회기 진행과정 ····································30

표 Ⅳ.1주의집 력에 한 기술통계 ····················································32

표 Ⅳ.2주의집 력에 한 구형성 검정··············································33

표 Ⅳ.3주의집 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33

표 Ⅳ.4선택 주의력에 한 기술통계··············································34

표 Ⅳ.5선택 주의력에 한 구형성 검정 ······································35

표 Ⅳ.6선택 주의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35

표 Ⅳ.7자기 통제력에 한 기술통계 ················································36

표 Ⅳ.8자기 통제력에 한 구형성 검정············································37

표 Ⅳ.9자기 통제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37

표 Ⅳ.10지속 주의력에 한 기술통계············································38

표 Ⅳ.11지속 주의력에 한 구형성 검정 ····································39

표 Ⅳ.12지속 주의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39

표 Ⅳ.13한국 ADHD평가척도 사 ,사후 수 ···························40

표 Ⅳ.14과잉행동의 사 -사후 변화 집단별 차이 검증··················41

Page 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iv -

그림목차

그림Ⅳ.1주의집 력 변화 ········································································33

그림Ⅳ.2선택 주의력 변화··································································35

그림Ⅳ.3자기 통제력 변화 ······································································37

그림Ⅳ.4지속 주의력 변화··································································39

그림Ⅳ.5과잉행동 수 평균 사 -사후변화 차이 ······························41

Page 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v -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

고신 학교 교회음악 학원

음악치료 공

주은미

국문 록

본 연구는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 성향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

동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기 해 실시하 다.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어떠한 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는 것이며 둘째,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

행동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 다.

본 연구의 상은 P시에 소재한 등학생들 ADHD 성향아동으로 주의

집 력에 문제가 있어 학업과 학교생활이 힘든 등학교1∼3학년 아동 6명으

로 정하 다.단일집단의 개별 소그룹 치료로 이루어진 음악치료는 인사

노래로 시작하여 주제 동작 주의 비활동과 음악을 들으며 음악에 맞추어

동작활동을 한 후 침묵 활동으로 마무리 후 헤어지는 노래로 마무리하 다.

실험을 시작하기 6명의 피험자를 상으로 FAIR주의집 력 검사와 부모님

께 한국 ADHD 평가척도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 검사를 실시하 다.4회

기마다 음악치료 후 간검사를 실시하여 사후 검사까지 총 4회의 반복측정을

실시하 다.

Page 1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vi -

본 연구결과는 첫째,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그 하 역인 선택 주의력,자기 통제력,지

속 주의력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둘째,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은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 향

상과 과잉행동 감소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동작

심의 음악치료는 학업과 학교생활이 힘든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 개선을 한 재방법으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라 기 한다.

더 나아가 학업,학교생활, 래 계의 어려움들이 해소되어 더 건강한 사회

인으로 자라기를 기 한다.

Page 1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 -

I.서 론

1.연구의 목

최근 등학교뿐만 아니라 학원,교회,아동센터 등과 우리 주변에서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Disorder:ADHD)의 성향

을 보이는 아동을 많이 볼 수 있다.이런 아동들은 체로 주의산만하며 사회

규칙을 잘 지키지 못하여 문제아이로 주목을 받는다.주 에서 주의산만하

고 과잉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보면 주변 어른들은 자연스럽게 ADHD를 의심

하게 된다.그만큼 ADHD 아동이 증가했으며 사회 인 문제로 등장하여 많은

사람들이 ADHD에 한 심이 높다는 것이다. 한 국내 ADHD로 진료 받

은 실인원이 6년 만에 3.4배나 증가했다고 한다(국민건강보험공단,2010).이러

한 경향으로 ADHD의 주요증상과 원인 치료방안에 한 연구가 활발히 진

행되고 있다.

ADHD아동이란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이란 뜻으로 주의,

행동,충동을 조 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체로 주의가 산만하여 주의집

시간이 짧으며,사회 규칙을 잘 따르지 못할 뿐 아니라 일정한 규칙을 따라

야 하는 게임을 못하며,무분별하게 말하고 좌 이나 분노를 잘 참지 못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안동 ,2005).이런 행동들이 유아시기에는 용납이 되

나 구조화된 학교의 환경에서는 허용되지 않기에 등학생이 되면 문제 으로

드러나며 학교생활에도 응하지 못하게 된다(조수철,2001).그리고 ADHD

아동의 부족한 주의력은 수업시간에도 집 하지 못하여 학업을 따르지 못하게

된다(김승국,1989). 한 행동,충동의 조 의 어려움은 사회 기술의 결여로

연결되어 래 계,교사나 부모와의 계에서 부정 인 피드백을 받게 된다.

부정 인 피드백은 한 자존감을 낮게 하고 자기 효능감을 낮게 한다.

이러한 문제행동을 방치하면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 자기통제와 억제

가 부족하여 충동 이고 공격 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며 사회 문제아로

성장할 우려가 있다(Robin,1992).일반 으로 ADHD 아동들의 50~80%가 청

소년기에도 지속 으로 문제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rkley(1988)의

연구에 따르면 ADHD 아동들이 성인기에 이르러 23~45%가 범죄행동,27%

가 약물 독을 나타낸다고 보고 있다.따라서 ADHD 아동들이 성공 인 사

회 계를 형성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을 해 재가 조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Page 1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 -

(Barkley,1988:박노암,2001에서 재인용).

ADHD 아동에 한 치료로 가정 리 사용되는 것은 추 신경 각성제를

사용한 약물치료이다.그러나 약물치료가 단시일 내에 주요문제행동의 개선을

가져다주나 학업이나 인 계 등 반 인 심리사회 문제에까지는 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부작용에 한 문제 도 보고되고 있다

(Hinshaw,Buhrmeister& Heller,1989).최근에는 이에 한 보완 방법으로

행동치료,인지행동치료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행동치료는 강화제와 정 인

피드백을 통한 바람직한 행동을 길러 주는 방법이다(정보인,1992).인지 행동

치료는 모델링,역할놀이,행동 유 ,자기교시훈련 등의 특별한 기술과 함

께 문제행동에 내재해 있는 인지과정을 훈련시키는 방법이다.이 치료방법은

학습태도,자기통제방식, 한 행동을 내면화하는데 효과 이며 자신의 문제

에 한 통찰력을 증진시키는데도 효과가 있다.그러나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

고 사회 기능에서의 변화가 제한 이라는 한계 이 있다( 희,1999).이

외에도 부작용이 고 심리,정서 인 안정을 돕는 미술,음악,무용 등의

술 활동을 통한 ‘표 술치료’도 사용되고 있다(김경은,2005).그리고 이를

통한 효과에 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이유미(2006)에 의하면

ADHD 아동에게 언어를 매개로 한 집단 상담 로그램보다 미술,음악,놀이,

독서 등을 활용한 흥미를 이끌 수 있는 집단 로그램이 더 효과 이라고 한

다.

특히 음악은 부작용이 없고 심리,정서 안정감과 만족감을 제공하여 즐거

운 환경을 만들어 주고 여러 활동을 통하여 집단 내의 유 감을 강화시켜주며

감정 표출을 하게 돕는다는 장 이 있다(최병철,1999).이러한 음악의 장

을 활용하여 즐거운 환경을 제공한 음악놀이 로그램을 통해 지 장애 아

동의 주의집 력이 향상되었다는 연구가 있다(문수진,2006).수동 으로 음악

요소의 지각과 감상만 하는 로그램이 아니라 리듬모방 신체 표 활동을

함께 할 수 있는 로그램을 사용하 다.집 력이 다소 떨어지는 정신지체

아동들이었으나 갈수록 음악 활동 시간에 주의집 행동의 증가를 보 다.시

간 술인 음악은 특정 시간 동안 주의를 집 해야 하므로 음악활동 속에서 자

연스럽게 집 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 음악은 그 자체가 구조 이고 시간 이어서 음악활동이 집 력과 지속

력을 증진시킨다(Gaston,1968).구조화된 음악활동으로 학습장애 청소년의 주

의집 력이 향상되었다는 연구에서도 이를 증명해 다(임명희,2004).여기서

사용된 음악활동의 주된 역은 악기연주,노래,감상이며 구체 인 활동은 실

Page 1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 -

로폰 연주 모방하기나 리듬 말을 이용한 리듬 연주,피아노 연주,코드 반주,

코다이 손 기호를 이용한 시창,계이름으로 노래하기,감상,그리고 장구,드럼

연주이다.

이러하듯 음악활동은 아동들에게 과제에 한 흥미를 주어 활동에 지속시키

기에 충분한 효과를 보인다.그리고 아동들의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과 같은

문제행동들을 음악을 사용하여 조 할 수 있어 과제에 좀 더 집 할 수 있게

한다(황경은,2007).

아동에게 음악 경험은 음악성 발달 표 즐거움을 증진시키고 아동

의 신체,정서,언어,인지 사회의 인 인 발달에 도움을 다.특히 음악

의 여러 요소 가장 기본이 되는 리듬과 신체 움직임의 결합된 경험은 집

력,직감력,신체 발달,표 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Dalcroze,1976).이와

련한 박지인(2009)의 연구에서 리듬 심으로 한 집단 음악치료가 취학 아

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에 해서 알아보았다.이 연구에서 사용한 집

단 음악치료는 리듬을 기억하여 연주하는 활동,리듬을 들으며 맞추어 걷기,

지정한 리듬에 공 넣기와 같이 악기연주와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주로 하

다.이 연구의 결과는 리듬을 심으로 한 집단 음악치료가 취학 아동의

주의집 력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최미 (2006)은 율동이나 무용동작 등 움직임을 자주 수업시간에 활용하면

ADHD 아동들이 부분 교과에서 집 을 하고 즐겁게 참여한다고 한다.이러

한 활동은 ADHD 아동들의 움직이고 싶어 하는 본능을 이용하여 학습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최근에는 움직임을 좋아하는 아동들에게 동작을 매개로

한 치료가 과잉행동,공격성에도 효과 이라는 많은 연구들이 있다.

김여진(2007)의 연구에서는 움직임 교육활동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부 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해서 연구하 다.이 연구에서 사용한

움직임 교육활동은 북소리에 맞춰 걷기,리듬악기 신호음에 방향 바꾸기,음악

에 맞춰 달리기,메트로놈 소리에 몸 흔들기 등을 사용하 다.이 연구의 결과

는 움직임 교육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부 응행동에 정

인 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Allen(1980)은 장애아동에게 10분의 조깅을 시켰을 경우 문제행동과 공격

행동에 한 감소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 다.스트 칭과 호흡을 통해 감정

을 조 하는 요가도 장애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하고 과잉행동을 감소시킨다고

한다(Allen,1980:정유진,김선 ,이수재,2007에서 재인용).신체를 움직이는

동작활동은 정신 긴장,불안,피로를 해소시켜주며 정신 안정과 응을 높

Page 1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 -

여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홍양자,1996).그러나 이런 동작활동에도 음

악이 있으면 아동들이 더 지루해하지 않고 지속 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

다.Beckett(1990)은 세 가지 조건 아래에서의 심장속도의 회복과 움직이는 거

리를 비교하므로 운동에 한 음악 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한 연구를 하

다.세 가지 조건은 음악 없이 30분간 에어로빅 속도로 걷는 것,지속 인 음

악에 맞추어 걷는 것과 간헐 인 음악에 맞추어 걷는 것으로 세 하 다.연

구 결과 음악이 없는 세 보다 음악 세 이 더 유의한 것으로 결과가 나왔

다. 지속 인 음악 세 보다는 간헐 음악 세 이 약간 더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한 Sheri(2003)는 시각장애 유아들에게 음악과 놀이를 기본으로 한

세션에서 참여 행동들을 비교하기 한 연구를 하 다.4개의 세션으로 나

어 진행하 는데 2개은 음악 로그램으로 구성하고 2개는 음악 없이 구조화

된 놀이 로그램으로 구성하 다.연구 결과 음악이 없는 로그램 보다 음

악이 있을 경우 참여도가 높고 과제 수행율이 높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HD성향 아동의 움직이고 싶어 하는 본능을 이용하

여 음악치료와 동작 활동을 목하여 시행하려 한다.본 연구에서는 달크로즈

와 고든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동작 활동을 시행할 것이다.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 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 조 에 동작 심 음악치료

가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연구 문제

본 연구는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

동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 이 있다.본 연구에서

동작 심의 음악활동을 통해 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어떠한 향을 미

치는가?

(1)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선택 주의력에 어떠한 향

을 미치는가?

(2)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자기 통제력에 어떠한 향을

Page 1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 -

미치는가?

(3)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지속 주의력에 어떠한 향

을 미치는가?

2)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어떠한 향을 미치

는가?

3.용어의 정의

1)동작 심 음악치료

사단법인 한국음악치료학회에서는 음악치료의 정의를 음악활동을 체계 으

로 사용하여 삶의 질을 추구하고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음악의 문분

야라 한다.음악치료에서는 음악활동을 치료 수단으로 사용함을 강조하고

있다. 한 극 인 음악활동에는 악기 연주나 가창,작곡,노래에 몸을 움직

이는 활동을 포함하며 수동 인 음악활동에는 감상을 들 수가 있다(최병철,

1999).

동작 심의 음악치료란 치료 매개체가 동작과 음악이라는 것이다.동작

은 움직인다는 것이며 신체라는 도구를 통해 움직이는 동작은 인간 생활에 있

어서 가장 기본 인 신체 경험이며,단순한 의사 달에서부터 정서 경험의

표 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기능을 하는 신체 언어이다(김정임,2001).본 연

구의 동작 심 음악치료는 치료 수단으로 음악에 맞춘 동작(Movement)을

사용하며 이 동작은 달크로즈와 고든의 교수법에 바탕을 둔다.

2)ADHD성향의 아동

ADHD(AttentionDeficitHyperactivityDisorder)는 아동기 발달 장애

의 한 유형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라고 한다.이들은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충동성과 흥분성의 특징 경향을 보이며 인지,행동,정서면에서 결함

을 수반한다(신민섭,오경자,홍강의,1995).DSM-Ⅳ를 기본으로 총 18문항으

로 구성한 ADHD 평정 척도-4 에서 총 이 부모용은 19 이상,교사용은

Page 1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 -

17 이상일 경우 ADHD 의심군 아동으로 분류하고 있다(김재원,박기홍,최

민정,2004).

본 연구에서는 한국 ADHD 평정 척도 K-ARS에서 부모평가 수가 13

이상인 아동을 ADHD 성향을 가진 아동으로 조작 정의를 내린다. 한

학교생활을 시작하며 ADHD경향을 의심하게 되는 시기인 등학교 1∼3학년

의 학년 아동을 상으로 한다.

3)주의집 력

주의는 개인이 심을 기울일 상을 선정하는 능력으로 자신이 처한 상

황으로부터 지속 으로 정보를 수용하고 인지하는 것이며 집 은 주의로부터

받아들인 정보를 개인이 처한 상황에 맞게 가장 합한 주의를 유지하는 것이

다.주의와 집 은 상호 유기 련성을 지니고 있어 주의가 제되어야 집

이 가능하다.그리고 주의집 과 유사한 개념의 집 력은 특별한 과제에 주

의집 을 유지하기 한 능력으로 주의의 한 가지 양식으로 볼 수 있다(정청

희,2001)

본 연구에서는 자가 척도의 FAIR 주의집 검사지로 주의집 력을 평가한

다.FAIR주의집 검사지를 통해서 주의 집 의 하 역인 선택 주의력,

자기 통제력,지속 주의력의 3가지를 볼 수 있다.여기에서 선택 주의력은

방해 자극은 무시되면서 특정 자극을 우선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며 자

기 통제력은 다수의 경쟁 인 목표 자극들 간에 주의를 분배하여 동 시간 에

요구되는 여러 과제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속 주의력은 자극원을 지속 으로 평가하기 해 검사 소요시간 체를

통해서 주의를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4)과잉행동

과잉행동이란 과도하게 흥분하거나,일반 으로 수용되기 어려운 충동 인

행동을 의미한다.과잉 행동 아동의 특성은 과잉 행동과 침착하지 못하고

주의산만,짧은 주의집 이 있다(Silver,1990).증상으로는 손발을 가만히 두

지 못하며 한 자리에 오래 앉지 못하고 순서 기다리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한 과도하게 말하는 것과 물건을 잃어버리는 것,신체 으로 험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도 이 증상 의 하나이다.

Page 1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ADHD 평가척도 K-ARS의 짝수 수로 과잉행동을

평가한다.게임이나 을 설 때 자기 순서를 기다리지 못하는 행동,질문을 끝

까지 듣지 않고 답하는 행동,손발을 30 이상 가만히 두지 못하는 행동,

앉아서 몸을 30 이상 계속 움직이는 행동,말을 지나치게 많이 하는 행동

등을 본 연구에서는 과잉행동이라 조작 정의를 내린다. 한 과잉행동은

상자들의 일상생활에서의 부모님의 찰에 의해 평가한다.

Page 1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8 -

II.이론 배경

1.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잉행동 특성

1)ADHD성향 아동

주로 학령기 혹은 학령 기에 흔하게 나타나는 ADHD는 주의산만,과잉행

동,그리고 충동성의 특성을 보이며 아동·청소년 정신장애 하나이다(APA,

1994).ADHD 아동은 주의력 결핍으로 인해 실수가 잦으며 다른 사람이 말을

할 때도 주의 깊게 듣는 능력이 부족하다. 한 과제나 놀이를 끝까지 지속하

기도 어려우며 과제나 놀이 활동에 필요한 것들을 자주 잃어버린다.

부분 ADHD아동은 학령기 이후에 진단되어지고 있다.그러나 반 이상의

ADHD는 4세 이 에 발병하여 ADHD의 행동특성을 나타내어 70% 정도는 청

소년기와 성인기까지 문제행동을 지속하게 된다(Schachar,& Tannock,2002;

안동 ,2005).그리고 Dulcan과 Wiener(2005)는 ADHD를 진단함에 있어 반

항장애 혹은 품행장애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아 그 질병과의 구별이 요하다

고 하 다.ADHD는 증상이 7세 이 에 일부 증상이 반드시 나타나며,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만 하고 취학 과 취학 기 아동의 경우에는 어도 12개월

동안의 찰기간이 필요하다고 추천하고 있다.

ADHD 성향아동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을 보이나 아직 진단을 받지 않

은 ADHD 의심군 아동을 말한다.DSM-Ⅳ를 기본으로 총 18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는 ADHD평정척도-4 에서 부모용은 총 이 19 이상,교사용은 총

이 17 이상일 경우 ADHD 의심군 아동으로 분류하고 있다(김재원,박기홍,

최민정, 2004).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ADHD 평정 척도 K-ARS에서

부모평가 수가 13 이상인 아동을 ADHD 성향을 가진 아동으로 조작 정

의를 내렸다.

ADHD의 원인에 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으나 한 가지 원인 요소로 설명

할 수 없고 다양한 원인들이 보고되고 있다.기질 뇌손상과 신경학 미성

숙 등의 많은 생물학 원인,심리 사회 원인,환경 원인으로 제기 되고

있다.원인은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으나 ADHD로 인해 야기되는 행동,정서,

사회 문제들로 인해 아동 뿐 아니라 가족,교사간의 계 스트 스 증가,

학교에서의 부 응으로 인한 다양한 이차 문제 상황을 유발하여 부 응

Page 1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9 -

환경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일반 아동에 비해 높아질 것이다(박 숙,2012).그

리하여 ADHD아동의 조기개입은 아주 요하다.

ADHD 아동들을 한 치료는 약물,행동치료,인지 행동치료,음악치료,미

술치료,놀이치료 등이 있다.최근에는 여러 가지 치료를 조합하여 시행하는

추세이다(신철,2010).이는 ADHD 아동들의 증상이 한 가지 특징만을 갖지

않고 복합 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김옥정,1998).

2)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

ADHD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그리고 충동성의 핵심 증상과 같은 일차

증상을 보인다.ADHD성향의 아동은 주의력결핍으로 인해 과제수행에 실패가

따르거나 공부나 활동 에 실수를 하게 된다(안동 ,2005). 한 어떠한 일

을 할 때 집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잘 듣지 못한다.ADHD 아

동의 듣기 이해가 떨어지고 시험을 보더라도 문제를 끝까지 읽지 않아서 틀리

는 경우가 많다.박 숙(2005)에 의하면 주의력 결핍으로 인하여 지시 따르기

도 못하며 학교의 과제 수행도 못한다고 한다. 한 지속 인 노력이 필요한

일이나 활동을 싫어하며 물건을 잘 잃어버리고 외부의 자극에 쉽게 민감해진

다.부주의를 주요 증상으로 보이는 아동들은 종종 활동성이 고,멍하고,그

리고 인지 으로 둔하거나 느리게 보일 수도 있다.

과잉행동은 과잉 운동 반응이라는 용어로 특성은 과잉 행동,침착하지

못함,주의 산만함 그리고 짧은 주의집 이다(Silver,1990). 과잉행동을

Werry(1968)는 성별,정신연령,사회 경제 지 와 문화 배경이 동일한 상

황에서 비교집단 아동들의 활동 수 보다 더 높은 활동 수 을 보이는 것이라

고 정의하 다(Werry,1968;장정주,1997에서 재인용).이러하듯 과잉행동은

활동 수 이 정상분포에서 표 편차 이상 벗어난 경우이다.허락 없이 자리

에서 이탈하고,뛰어다니고,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고 오랜 시간동안 가

만히 앉아 있는 것을 힘들어하며 말을 무 많이 한다. 한 끊임없이 움직이

거나 마치 모터가 달려서 움직이는 것처럼 행동한다. 부분의 부모들은 이런

과잉행동들이 성장하면서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을

방치할 경우,오히려 심각한 수 으로 발 할 수도 있다.학교생활이나 학업에

있어 정상 인 생활이 불가능해지거나 반항장애(ODD)나 품행장애

(CD)로 발 할 확률이 높아진다(Wolraich,Wibbelsman,Brown & Evans,

2005).그러므로 과잉행동 증상에 한 기의 재를 지나칠 수 없다.

Page 2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0 -

이러한 아동들이 증가함에 따라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의 재에 한 연

구들이 많다.김여진(2007)의 연구에서는 움직임 교육활동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아동의 부 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해서 연구하 다.움

직임 교육활동은 이동움직임,비 이동 움직임,도구 조작 움직임 교육활동으

로 구성되었다.이 연구의 결과는 ADHD아동의 부 응 행동을 감소시킴으로

움직임 교육 활동이 ADHD아동의 교육 재활에 효과 이라고 드러났다.

한 신재호(2008)는 공 운동 로그램으로 ADHD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

치는 효과에 하여 연구하 다.공 운동 로그램은 농구 활동을 심으로

동작모방하기, 비-시작의 신호에 따라 걷다가 달리는 템포 트 이닝,방향

환,수직 를 하여 공 넣는 순환운동,공 튀기기,드리블,패스,공 빼앗기

게임,슛하기,농구 게임으로 구성되었다.실험 후 뇌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니 아동들의 주의집 력이 향상되어 공운동이 주의집 에 효과 이었음

이 검증되었다.

허정식(2004)은 로그램화된 신체운동이 ADHD 아동의 자기개념과 주의

행동에 미치는 향에 하여 연구하 다.사용한 신체운동은 태권도 수련

과 검도수련,단 호흡으로 구성하 다.연구 결과를 보면 일반 인 자기 개념

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비학업 자기개념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 주

의집 력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태권도 수련이 ADHD 아동들에게 미치는 향에 한 연구도 많이

있다.그 이천운(2006)은 태권도 수련이 ADHD 아동들에게 나타나는 문제

행동(주의산만,자리이탈,과잉행동)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해 연구를 했다.태권도 3종목(기본동작,품새,발차기)의 반복 인 신체운동을

총9주 동안 50회기 실시하 다.연구 결과 태권도의 신체운동이 ADHD 아동

들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미 (2006)은 무용요법 로그램으로 ADHD 아동의 부 응 행동 개선에

향을 미치는 검증하기 한 연구를 하 다.자발 이고 창의 인 움직임이

주요 활동이며 신체 지각하기,사격 놀이나 거울 놀이로 감정 발산하기,그

로 멈춰라,강강술래 등의 활동을 하 다.그리고 활동에 맞는 음악을 사용하

다.연구 결과 ADHD 아동의 과제이탈행동,주의산만행동, 행동의 빈도

수가 많이 감소되었다.

Nancy(2003)는 ADHD를 가진 등학교 학년의 치료에 있어서 음악치료방법

과 그 역할에 한 조사연구를 하 다.AMTA(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2001년 연간 조사에서 확인된 AMTA 멤버들 무작 로 추출

Page 2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1 -

하여 설문지를 돌려 회수된 설문지로 연구하 다.이 연구에 의하면 ADHD

아동에게 주로 사용된 음악치료 방법이 음악과 동작(74%)이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기악즉흥연주(67%),음악극(63%)의 순서로 사용되었다.그리고

ADHD 아동을 한 음악치료의 목표는 행동목표가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심

리 사회 목표,그리고 인지 목표라고 답하 다.음악치료의 형식은 그룹

과 개인 치료의 형태를 모두 한다는 답이 많았고 그 다음은 그룹의 형태에서

만 한다고 답했다.ADHD를 한 음악치료와 결합하여 사용된 다른 치료에서

약물 치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심리치료와 작업치료(움직임)가 그 뒤를

이었다.

2.음악과 주의집 력,과잉행동

1)음악과 주의집 력

주의집 은 ADHD 아동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요하게 요구되는 능력이

다.인간이 학습하기 해서는 주의가 집 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문경림,

1998).음악은 그 자체가 구조 이고 시간 이어서 음악활동이 집 력과 지속

력을 증진시킨다(Gaston,1968).최근 음악을 통한 주의력결핍 아동들의 산만

성을 감소시키고 집 력을 향상시키고 정 인 효과들이 계속 보고 되어 지

고 있다.

문수진(2006)의 연구에서는 주의집 력 결함을 가지고 있는 정신지체 아동

에게 음악 놀이 로그램을 구안하고 용하여 주의집 신장에 미치는 효과

에 해 연구하 다.음악 놀이 로그램은 음악 교과와 음악치료 방법을 분

석하여 구안하 다.이 연구의 결과는 선택 주의집 시간이 늘어났으며 주

의 집 의 행동도 정 변화가 나타났다.

강승연(2003)의 연구에서는 오르 슐베르크의 음악치료가 주의집 의 장애

아동들에 미치는 향을 연구하 다.연구 방법은 기존의 오르 슐베르크 활

동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활용하 다.말하기,신체표 하기,노래 부르기,악

기연주하기의 4가지 기본활동을 주축으로 구성하여 음악,동작,흉내 내기,언

어,시,미술,창작 등의 역을 고루 용하 다.연구 결과 음악 능력 향상

과 사회성의 향상이 있었으며 주의집 지속시간이 차 증가되었고 교사와

Page 2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2 -

다른 아동의 발표 행동에 주목하는 횟수가 차 증가했다.

박지인(2009)은 리듬을 심으로 한 집단 음악치료가 취학 아동의 주의

집 력에 미치는 향에 해서 연구하 다.여기에서는 간단한 리듬을 짧은

시간에 기억하고 표 하는 활동을 하 다.그리고 제시되는 리듬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활동들을 하 다.이 연구 결과는 리듬 심의 집단 음악치료가 자

리이탈 행동과 주의 산만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

류미정(2008)은 달크로즈 심의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지 장애아동의 주의

집 력 향상을 연구하 다.활동은 달크로즈가 제안한 단계에 해당하는

리듬 요소를 심으로 음악활동을 구성하 다.박,높낮이,셈여림,악센트,빠

르기,아티큘 이션으로 진행했다.음악활동의 주된 역은 신체활동,노래활

동,악기연주활동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활동에는 신체활동이 선행되

었다.이런 활동들은 지 장애아동들의 주의집 력 향상과 과잉행동 감소에

정 인 변화를 가져왔다.

가창 주의 주입식 음악교육과는 달리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음악 경험

으로 쉽고 활동 으로 근한 김진호와 박아름(2010)은 오르 슐베르크를 활

용한 음악교육 활동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주의집 행동에 미치

는 효과을 연구하 다.여기에서는 오르 슐베르크를 학교 음악교육과정에

맞게 고안하여 말 리듬 연습,신체타악기 합주,노래 부르기,신체표 ,악기지

도,즉흥연주를 하 다.연구 결과 과제 수행행동의 발생률과 주의집 행동이

향상되었고 유지기간에도 거의 유지되었다. 재가 종결된 후에도 유지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활동은 통제가 어렵고 제멋 로 움직이며 응이 안 되는 경우에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고,주의가 산만한 아동에게 구조화된 음악활동에

에 지를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과 인간은 음악에 맞추어 자유롭게 움직

일 기회가 많이 주어질수록 큰 기쁨을 느끼게 되며 신체 움직임이 필요로

하는 리듬 경험은 집 력에 효과 이라는 결과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윤지혜(2012)의 연구에서는 타악기를 이용한 음악활동이 ADHD아동의 주의

집 력 향상에 미치는 향을 연구하 다.5~7세 아동들에게 타악기 실로

폰을 사용하여 한 소 씩 듣고 따라하는 활동을 하 다.이 연구의 결과도 타

악기를 이용한 음악치료를 통해 주의집 력이 향상되었으며 주의집 력 시간

도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리듬 패턴을 신체 동작,리듬 말 ,악기 등으로 모방하는 메아리 모방활동은

집 력에 도움을 수 있다.이는 모방활동의 경우 주의를 집 하여 련자

Page 2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3 -

극인 모델을 선택하고,그것에 주의를 이동하며 주의를 지속하는 활동과 직

으로 련이 되기 때문이다(김부용,1998).다양한 신체 부 를 셈여림,빠르

기 등을 변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여 참여를 유도함과 동시에 주

의집 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유승지,2001).

이 듯 음악에 귀 기울이며 음악의 변화에 해 즉각 으로 신체를 표 하

기 해서는 음악에 지속 으로 집 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활동에 반복

인 참여는 주의집 을 향상시킬 수 있다.

2)음악과 과잉행동

과잉행동 장애 아동들의 문제 은 내재된 에 지가 조 되지 않고 통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음악의 리듬 련 요소들은 에 지를 다루며 아동들에게 흥

미를 유발하여 극 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하며 감각 인 자극제 형태로

움직임을 유도하고 조 하게 한다(정 주,2005).리듬 심 인 음악활동으로

ADHD 아동의 충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김배정,2009). 한 구조화된 리듬

활동으로 아동의 충동성과 과잉행동을 감소시킨 연구도 있다(김선경,2005).

한 악기 연주가 아동의 과잉행동을 감소시킨다는 연구도 있다.악기 연주

는 재의 연주에 에 지를 집 하게 하는 구체 이고 직 인 경험이다.악

기연주를 통해서 들려오는 연주 소리를 즐기는 동안 에 지를 표출하게 되므

로 자연스럽게 과잉행동과 같은 문제행동 개선에 도움을 다(김 경,2008).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로 강 정(2006)은 바이올린 교습의 음악치료 로그램

이 ADHD 아동의 충동성 조 에 효과 이라는 연구결과를 얻었다.아동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바이올린의 음색을 비롯한 여러 특성을 충분히 탐색하여 호

기심과 동기 유발을 도왔다.그리고 신체의 균형을 해 자세에 련한 동작

들과 스트 칭을 사용하여 바이올린 교습을 하 다.연구결과는 아동들의 부

한 말과 행동과 지시불이행 횟수가 에 띄게 감소하 다.

그리고 김보경(2012)은 유리드믹스 심의 악기연주 활동으로 ADHD 아동

의 충동성 감소에 효과 이라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연구방법은 유리드믹스

의 교육내용 단계에 해당하는 요소 음의 길이와 셈여림,박자,리듬

패턴을 활동에 사용하 다.매 활동마다 그 회기별 목표에 맞게 신체 움직임

으로 음악 요소들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악기연주를 했다.연구 결과는

체 으로 문제행동의 개선됨을 보 는데 기 단계보다 후기 단계에서 문제

행동의 평균이 감소되었다.

Page 2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4 -

음악의 시간 인 특징과 음악의 구조와 동조화 경향을 바탕으로 아동의 행

동을 조 할 수 있다.정 주(2002)는 정서 장애 청소년들에게 드럼연습을 통

하여 충동 행동에 정 인 효과를 얻었다.Daphne과 William(2003)은 공격

인 사춘기 소년들에게 음악치료가 그들의 공격 행동과 반사회 인 행동에

미치는 향에 하여 연구하 다.스스로 음악을 선곡해서 선택한 음악에

한 토론과 리듬 앙상블,타악기의 즉흥연주와 노래 만들기의 활동을 하 다.

연구 결과 소년들의 공격 인 행동과 반사회 인 행동이 감소하 다.

음악은 흥미를 유발시키고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아동들을 자극시킬 수 있

어 과제 수행에 지속 으로 참여 하여 과잉행동의 감소를 가져온다.정미라

(2006)는 음악치료가 ADHD유아의 주의집 력과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에 하여 연구하 다.음악치료 로그램은 즉흥연주를 바탕으로 소리 듣고

표 ,음률활동,악기연주로 진행하 다.이 연구결과는 ADHD 유아의 주의집

력과 자기 통제력 모두 정 인 효과가 있었으며 과잉 행동의 감소를 보

다.이에 리듬,듣기,노래 부르기,악기 다루기 등의 다양한 음악활동을 연계

한 음악치료 로그램이 주의집 력 증진과 과잉행동 감소에 있어서 노래 부

르기라는 분리된 음악활동을 수행하는 것보다 효과 이라는 사실을 시사해

다.

Madsen(1981)과 Ally(1979)는 지 장애 아동들을 음악활동에 참여함으로 인

해 과제에 한 일탈행동을 감소시켰으며 Davos(1992)는 악기활동과 노래 부

르기 심의 음악활동을 통해 아동들의 공격 인 행동과 자리이탈,손발을 계

속 움직이는 과잉행동들을 감소시켰다(Davos,1992;강 정,2006에서 재인

용).이 듯 음악은 ADHD 아동의 과잉행동 조 에 효과 으로 사용될 수 있

다.

3.동작 심의 음악치료

1)동작(Movement)

동작(Movement)이란 움직임이란 뜻으로 보이지 않는 내 인 느낌과 생각을

외부로 시각 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 신체 언어이다(Orff,1980).

한 동작은 인간에게 있어 종합 인 것으로 인간이 환경에 반응하고 자신을

표 하기 해 사용하여 생활을 더 의미 있게 만드는 도구이다(DeMaria,

Page 2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5 -

안정성 동작(비이동) 이동 동작 조작 동작

1.구부리기(bending)

2.뻗기(stretching)

3.꼬기(twisting)

4.회 하기(turning)

5.흔들거리기(swinging)

6.서있기(standing)

7.거꾸로 서기

(invertedsupport)

8.구르기(rolling)

9.착지하기(landing)

10.멈추기(stopping)

11.피하기(dodging)

1.걷기(walking)

2.달리기(running)

3.두발 모아 뛰기

(jumping)

4.앵 질(hopping)

5.스키핑(skipping)

6.미끄러지기

(sliding)

7.뛰어넘기(leaping)

8.오르기(climbing)

9.말뛰기(galloping)

1.던지기(throwing)

2.받기(catching)

3.차기(kicking)

4.튕긴 공 잡기

(trapping)

5.때리기(striking)

6.공이 땅에 닿기 에

되차기(volleying)

7.튕기기(bouncing)

8.굴리기(rolling)

1974). 한 동작은 신체라는 도구를 통해 움직이는 것이며,개개인마다 독특

한 방법으로 유연하고 자연스런 움직임으로 통해 발 시킨다(Laban,1975).

먼 신체표 활동의 기 동작을 이동 동작,비 이동 동작,조작 동작

의 세 가지로 나 수 있다.기 인 동작 기술은 문화된 운동 기술을 갖

도록 하는 기본이 되므로 아동기에 기 인 동작을 많이 경험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이 ,1998).기 인 동작의 유형의 는 표 Ⅱ.1과 같다.

Gallahue(1982)의 신체 표 능력 발달 단계 이론에서 7세 이후를 행동의

이동성,조작성,안정성 측면에서 행동이 보다 정교해지고,보다 정 해지며,

보다 정확한 행동을 하게 되는 시기라고 한다. 등학교 학년(7세~10세)시

기에는 일반 인 신체표 능력이 발달하게 되며, 등학교 고학년(11세~13세)

시기에 이르러서는 보다 세분화되고 정 화된 행동이 발달하게 되며,14세 이

후 청년기까지는 보다 문화되고 특수화된 행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스포츠나

게임행동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Gallahue,1982;손채 ,2010에서 재인용).

표 Ⅱ.1기 동작의 유형

출처:이 (1998).유아동작지도.서울:한국방송 학교 출 부.

동작을 통해 다른 자신과 다른 사람을 연결하고 사물과 생각에 한 개념을

형성하기도 한다(Dauer,1972). 한 자아 인식, 동성,심미감 등을 발달시키

Page 2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6 -

요소 주제 개념

신체(body)

신체부분 신체 안(근육, ,심장...)과 신체 밖(신체 각 부분)

신체모양신체 형태(크고 비틀어진 모양,낮고 구부러진 곧게

뻗은)

신체동작 이동 동작과 비 이동 동작

고,상징 으로 표상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자신의 몸을 차 복합 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다(문귀임,2011). 한 동작 활동은

언어능력이 부족한 상자들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신체 동

작으로 자기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하며,즐겁고 정 인 집단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만족을 경험하고 사회활동을 진 할 수 있다(김군자,2000).

특히 동작은 아동의 생활에 있어 큰 비 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작 활동은

아동의 지 ,정서 성장과 발달에 큰 향을 미친다.그 이유는 아동들은 의

사 달의 구체 수단이 언어보다는 신체 동작이기 때문이다(신철,2010).

동작 활동의 역으로는 창의 동작 활동,게임 활동 체조 활동으로 구

성될 수 있다(Gabbard,1988).이러한 역에 음악의 사용을 통해 흥미 있고

집 시간을 늘리는 재미있는 동작활동이 필요하다(라선 ,2009).앞에서 이미

언 했듯 Beckett(1990)의 연구에서도 음악이 없는 환경에서 운동하는 것 보

다 간헐 음악사용 환경이 운동에 더 효과 이라고 했다.김여진(2007)의 연

구에서도 움직임의 교육활동에서 북소리,리듬악기의 소리,메트로놈의 소리를

활용하 고 음악에 맞춰 달리는 활동에서는 배경 음악을 사용하 다.

음악교수법의 큰 축인 달크로즈,코다이,오르 와 고든 등은 그들의 수업에

동작 활동을 도입했다.이 동작 활동은 모두 라반이 체계화 한 무용이론을 기

반으로 하 다(고 정,2006).라반은 신체,공간,시간,힘, 계,노력이라는

요소에 하여 동작들을 체계화하 다.

표 Ⅱ.2라반의 동작 개념 발달 단계를 기 로 한 동작의 기본 요소에 한 주제와

내용

Page 2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7 -

공간(space)

장소 자기공간과 일반공간

높낮이 높게,낮게, 간으로

방향 앞으로,뒤로, 으로, 로,아래로

범 비스듬히 트고 작은 역

진로 (바닥모양:곡선,직선,비틀어진,지그재그)

시간(time)

속도 빠르게,느리게

강세 강하게,약하게

지속 길게,짧게

힘(force)무게 무거운,가벼운

흐름 날카로운-부드러운,자유로운-제한된

계(relationsh

ip)

사람

(짝,집단)

신체부분에 한 반응, 찰에 따른 응( :거울층,

집단층)

간의 계,

물체와의

신체 부분과 물체(공,평균 ,후 ...)와의 조

노력(effort)

힘(8개의 기본 움직임)

어내기(Thrusting):뜨기(Fioating)

시간 내려베기(slasing):미끄러지기(sliding)

흐름르기(Pressing):털기(Flicking)

비틀기(Twisting):가볍게 치기(Tapping)

출처:고 정(2006).Edwin E.Gordon의 음악학습이론과 Rudolph von Laban의

동작이론을 용한 특별활동의 음악감상을 한 지도법 연구. 앙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2)음악교수법에서의 동작

오르 음악교육에서 동작은 음악을 몸으로 느끼고 그것을 창의 으로 표

하게 한다. 한 어려운 음악 지식을 신체표 을 통해 쉽게 달하기도 한

다.한 로 걷기는 4분 음표,빨리 걷기는 8분 음표,깡충 뛰기는 8분음표

등으로 표 하는 것이다(강승연,2003).그리고 오르 신체활동은 움직임과

놀이에서 시작되어 특정 음악이나 노래와 결합된 후 반복 인 신체활동으로

나타난다.그 후 음악의 빠르기나 세기,선율 등의 특징과 노래와 련하여 여

러 움직임으로 다시 표 되고,이는 더 확장된 활동을 통해 즉흥 인 동작

Page 2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8 -

즉흥연주로 표출된다(윤 배,정윤선,2005).오르 는 특히 언어,신체 인 동

작,놀이,율동,노래가 통합되어져 내담자의 느낌을 북돋아 다.동작 활동을

하면서 내담자의 신체 응,유연성,리듬감 등을 통해 집 력 향상과 더불어

신체이완,타인의 인식과 과잉행동 감소에 을 둔다.

달크로즈는 모든 음악 개념이 인간의 자연 인 신체활동에 근원을 두고

있다고 으로써 신체표 을 통한 음악 교육방법을 강조하 다(Findlay,

1971).달크로즈는 다른 교육학자들과는 달리 신체 움직임을 통한 리듬 동

작을 통해 청음교육을 강조하 다(안재숙,2005).음악 리듬감을 체득시키기

한 체계를 만들기 해 노력하 는데 여기에서 유리드믹스(eurhythmics)가

나왔다(이홍수,1990).달크로즈는 리듬,선율,화성,형식,셈여림 등의 음악

요소를 지도하기 해 그 요소를 먼 신체 인 움직임을 통해 경험하도록 하

다.활용할 수 있는 신체 인 움직임들은 ‘제자리에서의 움직임’과 ‘공간에서

의 움직임’의 두 종류이다(유승지,2001).‘제자리에서의 움직임’은 비 이동 움

직임으로 제자리에서 신체의 특정부 를 움직이는 것이며,‘공간에서의 움직

임’은 이동 움직임으로,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Dalcroze,1976).이러한 달크로즈의 신체 표 하기는 아동의 내재된 에 지

를 표출하게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조 하게 하는 하나의 훈련

방법이 된다(김보미,2010).

유리드믹스의 수업형태는 즉각 으로 반응하기,따라 하기,메아리 모방하기

이다.이것은 듣기 능력과 더불어 주의집 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즉

각 으로 반응하기란 교사가 즉흥연주를 하면서 측하지 못한 곳에 음악

변화(꾸 음,셈여림,빠르기,박자의 변화)를 주어 아동들이 즉각 으로 음악

에 반응하게 하는 방법이다.음악의 변화에 신체로 표 하기 해 아동들이

청각 지시에 지속 으로 집 하도록 유도하게 되어 주의집 향상에 도움이

된다.메아리 모방은 교사의 리듬 패턴을 악기,목소리,신체 동작으로 표 하

는 것이다.성공 으로 과제 수행하기 해 교사의 모델링에 주의를 기울이고

다시 표 하기 해 암기력과 집 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류미정,2008).

코다이의 음악교수법에서 리듬훈련은 박자,음정,율동으로 나 어 지도한

다.박자는 음악의 속도에 하여 신체 반응을 거친 후 박자에 맞추어 걷거

나,손 치기, 손 치면서 박자에 마주어 걸어갈 수 있게 한다(송 자,

2006).그리고 공간에서 음높이를 지각할 수 있도록 돕는 손 기호가 있다.손

기호의 효과로는 공간상에 음높이와 계이름이 확실하게 나타나며 음정개념 형

성을 도우며 각 음마다 기능이 구체 으로 보일 수 있다.마음속으로 노래하

Page 2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19 -

고 음을 듣는 내청 훈련이 되며 악기의 도움 없이 음을 끌어 낼 수 있다.

한 계이름 ‘도’는 발목을 잡고,‘’는 무릎,‘미’는 허리,그 게 높은 ‘도’는 뛰

기와 같은 신체로 표 하는 기호도 있다(조홍주,2004).

고든의 음악학습 이론에서는 음악 감상 수업에서 바탕이 되는 기본 습득요

소를 신체움직임과 련하여 설명을 한다(이지나,2004).먼 감상을 하기

에 박(beat)에 한 개념을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설명이 아닌 학생들이 음

악을 들으며 박동을 표 하면서 느끼게 해주어야 한다.그리고 신체로 음악을

표 하기 한 공간(space)이 필요하다.고정 인 공간보다는 높고 낮은 공간

는 넓고 좁은 공간을 이해하고 사용할 알도록 해야 한다.음악의 속도와

체 인 분 기에 따라서 몸을 움직이는데 음악에 맞게 다이나믹한 리듬에

맞는 움직임과 부드러운 리듬표 한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음악에도 감정

표 이 있다.악기들의 하모니와 음색에 따른 학생들의 감정 표출을 도와야

한다.그리고 음악 감상을 할 때에는 크고,작고,빠르고 느린 여러 움직임이

필요하다.이러한 움직임들은 리듬을 표 하고,하모니를 느끼며,공간을 사용

하여 신체표 하는 것을 도와 수 있다.고든의 오디에이션은 음악을 마음

으로 들으며 소리에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이다.오디에이션은 음악성의 기

인데 연주되었던 소리,지 연주되는 소리,후에 연주될 소리,그리고 물

리 으로 들려지지 않는 음악소리를 마음으로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고든의 음악학습 이론에서는 음악이 자기표 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도록 신체

를 움직여 보게 하며 몸으로 직 느낌을 표 해보도록 한다.이는 달크로즈,

유리드믹스와도 공통 인 방법이다.

3)동작 심의 음악치료

동작 심의 음악치료에 사용되는 음악활동은 달크로즈,유리드믹스,오르

,고든이론 바탕의 동작활동이 있으며 창의 동작 활동 등이 있다.동작을

통해 아티큘 이션, 이즈,강약,빠르기,박자,호흡 등과 상호작용하여 동

작으로 음악을 배우게 한다.음악이 신체에 반응을 일으킨다는 연구는 오래

부터 시작되었으며 음악을 들려주었을 때 실제 으로 신체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최병철,1999).많은 연구들에서 음악은 인간의 생리 인 반응들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음악이 감각기 을 자극하여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긴장시켜주기도 하며 신진 사나 호르몬분비,피부반응 등에도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정 주,2002).이 듯 음악은 신체 반응과 연 되어 있어 운동의

Page 3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0 -

용이성과 움직임을 한 각 자극체가 된다(Davis,Gfeller & Thaut,

1999).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음악으로써 치료 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신경학 음악치료의 리듬청각자극 기법에서는 신체 동작을 시간에 맞추어

조 하기 하여 음악을 외부 시간 기호로 사용하며,패턴화된 감각 향상

기법에서는 기능 인 동작을 구조화하고 신호를 주기 한 시간 ,공간 ,에

지의 패턴을 제공하기 하여 음악의 리듬,선율,화성 역동 인 소리 요소

를 사용한다(Thaut,1999).이처럼 리듬은 신체 동작을 유도하고 구조화시키게

되는데,이는 리듬이 청각 신경계를 자극하여 행동을 비시켜 주고 한

순간에 반응하게 할 수 있는 측/ 비 단 (anticipatorycue)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즉 외부에서 주어지는 소리 자극의 시간 구조를 인지하고 이에

운동 반응을 비시키며,소리 자극과 동화된(synchronized)움직임을 유도

하게 된다(정 주,2005).따라서 리듬 요소는 감각 자극제로서 동작을 유

도하고 조 해주는 속도 조 제와 속도 유지제로서 효율 인 역할을 하게 된

다(Thaut,1988).이와 같이 동작을 유도하고 조 하는 리듬의 역할로 인해 음

악을 듣고 이를 신체로 표 하는 유리드믹스가 가능하게 된다.음악의 변화에

반응하면서 동작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통해 아동들은 음악을 주의 깊게 듣게

된다(Abramson,1986).따라서 이런 과정은 아동들에게 듣는 것에 주의를 기

울이게 하며,음악의 변화에 즉각 으로 반응하기 하여 지속 으로 주의집

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음악을 시각화하여 신체 동작을 통해서 음악을 표

하고 음악 개념을 형성하도록 한다(함희주,권덕원,석문주 외,2005).자

신의 신체를 악기화하여 신체의 조화와 신체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처하는

것을 느끼게 하는데 이는 음악치료에서 신체를 하나의 악기로 보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정 주,김 신,최미환 외,2006).이처럼 신체를 악기화

하여 표 함으로써 근육운동감각도 기를 수 있다.

음악과 련된 동작을 할 때 내담자를 근육 감각 으로 자극하게 되는데,

오감이 자극됨으로써 몸과 마음은 그것이 단일한 것이든 복잡한 것이든 간에

근육감감을 통해 운동을 기억하는 표 인 도구가 된다.감각의 내 ,외

자극을 통하여 정보를 받는 이러한 과정에서 에 지가 생겨나는데,이러한 에

지는 일정한 방향성과 집 력을 필요로 한다.그러므로 감각의 자극을 통하

여 인간이 비하는 이러한 과정은 개인의 주의집 을 도와 좀 더 나은 학습

의 수용과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Boxill,1985).이와 같은 다감각 인

학습은 학습 효율성을 높여 다(원 신,윤용진,1998).주의집 은 그 자체로

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제반 감각이나 근육운동능력과 결합해서 기능하는

Page 3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1 -

것이므로 감각훈련⋅근육운동의 훈련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다(김부용,1998).

따라서 여러 가지 감각을 통해 음악을 신체로 경험하는 동작 심의 음악활동

은 주의집 에 도움을 수 있다.

치료활동에서 음악은 개인으로 하여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게 하는데,이

러한 감정을 음악 환경 내에서 행진이나 춤추기 등과 같은 동작으로 표 하

게 하여 신체 움직임을 진시킨다(Thaut,1989).신체 움직임 는 신체

표 은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리듬을 표 하거나 몸을 움직여서 나타내는 것

이 가장 기 이다(장찬환,조효임,이동남,1997).창의 신체표 으로 발을

움직이거나 발을 움직이지 않고 손과 몸을 움직이며 박수치기,구부리기,몸

비틀기,몸 흔들기,팔 흔들기 등의 신체표 과 다양한 기 움직임을 바탕

으로 창작하는 신체표 이 있다(석문주,1996).이런 동작을 돕는 매개체로 타

악기,시각 자료를 사용 할 수 있다.신체표 을 진 시킬 수 있으며 타악

기 연주의 셈여림으로 동작의 에 지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과 갑자

기 움직이거나 멈추기 등의 동작을 효과 으로 표 할 수 있게 한다(Russell,

1992).음악에 맞춘 동작(Movement)은 음악으로 유도된 감정과 음악이 연상

시키는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표 할 수 있다.

Spencer(1988)는 정신지체청소년의 지시 따르기 능력향상을 한 연구 결과

악기 그룹과 동작그룹 모두에서 음악활동이 효과가 있었으며 동작 그룹에서

더 효과 이라 하 다. 다른 연구로 리듬에 맞춰 춤을 추고 신체 을

수반하게 되면 더욱 높은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음을 발표한 연구도 있다(김산

호,1986; 옥선,1991)

류미정(2008)연구에서는 달크로즈 심의 음악치료활동을 통하여 지 장애

아동의 주의집 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달크로즈 심의 음악

활동 역시 리듬과 셈여림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는 활동이다.

윤은미(2007)의 연구에서는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기 한 유아 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 로그램 구성 용 효과에 해 연구했다.Gordon의 음

악학습이론에 기 한 유아 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 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를 만5세 유아에게 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통합 활동 로그램이 유

아의 음감,리듬감,음악표 력,신체표 력에 정 인 효과가 나타났다.그리

고 큰 소리로 노래 부르던 아이들이 음과 리듬의 노래 듣기로,획일 동작

표 에서 음과 리듬을 나타내는 동작표 으로,따라하여 표 하기에서 생각하

고 표 하기로 바 었다.

Page 3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2 -

윤효진(2008)의 연구에서는 음악과 결합된 동작 활동이 유아의 래 유능성

에 미치는 향에 하여 연구하 다.사용한 로그램은 클래식 음악에 맞추

어 폴카 춤추기를 하 는데 짝과 함께 춤을 추기도 하고 단체로 춤 동작을 함

께 하기도 했다.연구 결과 검사를 통해 래의 유능성에 정 인 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김경화(2003)의 연구에서는 동작 심의 음악치료로 정신분열증 성인

의 자아개념을 향상시켰다.이 연구에서는 즉흥연주 음악에 맞추어 동작을 표

하도록 하 다.동작표 에 있어서 세션 기에는 치료사의 동작을 모방하

는 가운데 자신들의 동작을 만드는 활동 심으로 진행하 고 ,후기로 진행

될수록 본인들이 만든 즉흥연주음악에 맞추어 동작을 표 하도록 하 다.이

외에도 오르 ,달크로즈,고든 등의 음악교수법에 따른 동작을 활용한 음악치

료로 많이 있으며 그 동작이 음악치료의 심이 되기도 하고 활동 비과

정으로 쓰이기도 한다.

Page 3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3 -

성별 연령

한국 ADHD평가척도 주의집 력 수(백분 규 )

주의력

과잉행동

수총

선택

주의력

자기

통제력

지속

주의력

상자1 남 9 9 14 23 28 92 34

상자2 남 10 12 19 31 4 12 4

상자3 남 10 22 15 37 2 10 4

상자4 남 8 20 23 43 1 1 1

상자5 남 10 9 7 16 2 46 4

상자6 남 10 10 4 14 54 93 66

III.연구방법

1.연구 상

본 연구는 동작 심 음악 활동이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P시에 소재한 등학생들 ADHD성향 아동으로 주의 집 력에 문제가

있어 학업과 학교 생활이 힘든 등학교 학년 아동을 인터넷을 통하여 6명

을 모집하 다. 상 선정 기 은 아래와 같다.

① K-ARS 수가 13 이상으로 ADHD성향을 가진 등학교1-3학년

② 약물치료나 다른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아동

③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본인과 부모가 동의한 아동

표 Ⅲ.1연구 상자 특성

2.연구도구

1)한국 ADHD평가척도:K-ARS(KoreanADHDRatingScale)

DSM-Ⅳ의 ADHD 진단 거를 토 로 Dupaul(1991)에 의해 개발된

ARS(ADHD RatingScale)를 한국 ADHD 평가척도 K-ARS로 소유경 등

(2002)이 번안하 다. 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 아동을 상으로 하여 신

Page 3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4 -

뢰도와 타당도를 연구하 으며 연령에 따른 Cronbachα=.77∼.89이다.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4 척도로 각 문항은 0-3 으로 평

정하고,각 문항 수를 합산하여 총 을 구한다.본 척도의 홀수 문항의 총

은 주의력결핍 증상을 측정하며,짝수 문항의 총 은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을

측정하도록 배열되어 있다.본 척도는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장 이 있어 최근 학교나 임상 장에서 리 활용되고 있다.학부모가 평정한

경우 19 이상,교사가 평정한 경우 17 이상일 때 문가의 정확한 진단을

해 의뢰가 필요한 상자로 선별할 수 있다(김재원,박기홍,최민정,2004).

본 연구에서는 ADHD성향의 아동으로 부모 평가시 13 이상인 아동을 말한

다.

표 Ⅲ.2한국 ADHD평가척도의 신뢰도

요인 문항수 문항번호 신뢰도

주의력결핍 9 홀수문항 .97

과잉행동-충동성문항 9 짝수문항 .96

2)FAIR주의집 력 검사

독일의 Moosbrugger와 Oehlshlagel에 의해 제작되었고 오 숙(2002)이 번안

하고 표 화하 다.한국 표 화 검사에 있어서 신뢰도는 모든 항목이 .90에서

.95에 분포하여 신뢰도가 높다.

표 Ⅲ.3주의집 력 검사지수

검사지수 련 능력 채 방법 신뢰도

P(선택 능력 치수) 선택 주의력 (T-EL)-2(EO+EC) .944

Q(품질 통제 치수) 자기 통제력 P÷T .903

C(연속성 치수) 지속 주의력 P×Q .941

T:작업된 아이템의 총 개수

EL:선 그리기 오류의 총 개수

EO:목표 아이템에 톱니로 표시되지 않은 총 개수

Page 3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5 -

EC:목표 아이템이 아닌데 톱니 표시를 한 총 개수

FAIR 주의집 력 검사는 주의집 력의 하 요소인 자기 통제력,선택

주의력,지속 주의력을 동시에 측정 가능하며 정확도와 신뢰도가 높다.이

검사는 한 장의 종이에 4가지 유형의 동형이 가로 20개,세로 30개로 배열 된

가운데,제시된 두 가지 도형을 찾는 작업이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도형 아

래 을 다가 제시된 조건의 도형이 나오면 도형 안으로 뾰족한 톱니 모

양의 선을 만들어 나오고 계속해서 제시된 도형이 나올 때까지 을 는

것이다.이 검사는 반분신뢰도를 용하여 비슷한 검사를 2회에 걸쳐 3분간

실시한다.

이 검사의 해석에서 선택 능력 치수 P는 규정된 검사시간 동안에 집 해서

작업한 검사 아이템의 양을 표 한 것으로서,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많은 정

보를 악할 수 있는지와 계되는 선택주의력을 나타낸다.반면 품질,통제

능력 치수 Q는 모든 응답 에서 주의집 의 결과로서의 옳은 단의 비례치

를 나타낸다.일정한 시간 속에 과제가 주어질 때 얼마나 효율 으로 정확성

과 속도를 조 하느냐가 바로 Q가 측정하는 자기 통제력과 련이 있다.지속

성 능력 치수 C는 지속 으로 유지된 집 력의 크기를 보여 다.모든 항목은

평가지에 인쇄된 표 수 평가 도식에 따라 채 되며 계산된 수가 높을수

록 각 하 역 주의집 력 지수는 높게 평가된다.

수 평가지에는 원 수 에 백분 PR과 9등 표 수인 STN 값이

표기되어 있다.PR은 FAIR주의집 력 검사의 수를 래의 표 수에

한 백분 규 을 나타낸다.정상 분포화 된 표 수를 9개의 동일한 간격

구간으로 나 어서 9등 표 수가 발생되었다.그 등 을 STN이라 나타낸

다.본 연구에서는 백분 규 으로 주의집 력의 하 역인 선택 주의력,

자기 통제력,지속 주의력을 각각 반복측정 분산 분석하 다.

3.연구 설계

본 연구에서는 동작 심의 음악활동이 ADHD성향 아동의 주의력과 과잉 행동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고자 한다.주의집 력에 해서는 반복측정 분산분석

(RepeatedmeasuresANOVA)과 과잉행동에 해서는 Wilcoxon검증으로 알아

보고자 하 다.반복측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억효과를 고려하여 한 달의 시간을

두고 측정하고 검사 때 마다 검사지의 순서를 바꾸며 측정을 한다.

Page 3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6 -

집단사

검사

실험

처치

검사1

실험

처치

검사2

실험

처치

사후

검사

실험집단 O1 X1 O2 X2 O3 X3 O4

표 III.4실험 설계

O1:사 검사(한국 ADHD평가척도,FAIR주의집 력 검사)

X1:동작 심의 음악치료(1∼4회기)

O2: 간검사1(FAIR주의집 력 검사)

X2:동작 심의 음악치료(5∼8회기)

O3: 간검사2(FAIR주의집 력 검사)

X3:동작 심의 음악치료(9∼12회기)

O4:사후검사(한국 ADHD평가척도,FAIR주의집 력 검사)

4.연구 차

1)연구 차

동작 심 음악치료는 2014년 1월 4일부터 3월 29일까지 주 1회,각 40분씩

총 12회기로 실시하고자 한다.이 때 세션의 구성은 개별 세션과 2명의 소그

룹 세션으로 섞어서 실시한다.

(1)사 검사

동작 심의 음악치료를 시작하기 1주일 실험에 참가할 아동에게 FAIR주

의집 력 검사를 한다.연구자가 검사 방법에 하여 5분정도 설명하고 이해

했는지 확인 후 3분 동안 아동이 첫 번째 검사지를 체크하게 한다.1분정도

쉬었다가 같은 방식으로 두 번째 검사지를 3분 동안 체크하게 한다.부모님에

게는 한국 ADHD평가척도를 작성하도록 한다.

(2) 간검사1

동작 심의 음악치료 4회기 실험 후 아동에게 사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FAIR주의집 력 검사를 한다.

Page 3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7 -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5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본 활동의 심 주제 동작 익히기

본 활동 20분 동작 심의 음악활동(주제테마 심→ 체 곡)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오디에이션을 생각하며-본 활동에

사용한 음악의 주제 테마)

(3) 간검사2

동작 심의 음악치료 8회기 실험 후 아동에게 FAIR 주의집 력 검사를 한

다.

(4)사후검사

동작 심의 음악치료 12회기 실험 후 아동에게 FAIR주의집 력 검사를 한

다.부모님에게는 한국 ADHD평가척도를 작성하도록 한다.

2)동작 심 음악치료 구성

동작 심 음악치료는 FAIR 주의집 력 척도를 참고하여 하 요인인 자기

통제력,선택 주의력,지속 주의력 3가지를 목표 3단계로 하여 각각 4회기

씩 구성하 다.회기별 활동은 목표 역에 따라 곡을 선택하 는데 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감상곡을 주로 선택하 다. 한 원곡을 골드웨이 로

그램에서 다양한 빠르기로 편집하여 활동에 사용하 다.활동의 시작은 느린

빠르기로 편집한 음원을 사용하 고 본 활동의 마지막은 원곡을 그 로 사용

하 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동작 심 음악치료는 달크로즈와 고든의 교수법을 참고

하여 구성하 다.동작 심 음악치료의 구성과 회기별 내용 목표는 아래

표 Ⅲ.5와 표 Ⅲ.6에 제시하 다.

표 Ⅲ.5동작 심 음악치료의 구성 내용

Page 3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8 -

헤어지는 인사 5분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회기 목표 주제 곡 내용 보조도구

1

자기

통제

무거움-가벼움의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사자

주제 테마의 낮은

음 연주와 높은 음

연주에 따른

걸음걸이

변화(무거운 걸음,

가벼운 걸음)

패들드럼

2 방향 조

풍당당

행진곡1회기 걸음+방향

변화스카

3 신체 유지 캐논( 헬벨)신체 표 의

돌림노래풍선

4 빠르기 조

오펜바흐“캉캉”

과 동물의

사육제

“거북이”

템포의 변화에 따른

신체 표 변화리본막

표 Ⅲ.6동작 심의 음악치료의 12회기 로그램

Page 3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29 -

5

선택

주의

구별하기( 이

즈)

휘 람부는

사람과

개(1학년

감상곡)

지정한 이즈의

신체표 기억하기공

6구별하기

(음높이)

놀람교향곡

2악장(하이든)

음높이에 따라 신체

표 하기,

신체악기연주

훌라후

7 기억하기

빈의

음악시계(코다

이)

지정한 리듬의 신체

표 과 음색 찾기

발바닥

스티커

8 기억하기

페르귄트

모음곡

산왕의

궁 에서

빠르기와 셈여림

변화에 따른 신체

스카

9

지속

주의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수족 ,

왕벌의

비행(림스키코

르사코 )

높낮이와 템포

변화에 따른

자유표

형스카

10 자유 연속 동작 피터와 늑 (1)주제 테마 주의

동작 표스카

11 피터와 늑 (2)주제 테마 주의

동작 표리본막

12 피터와 늑 (3)

곡 체를 들으며

역할 분배하여

자유표

음악게임

스카 ,

리본막 ,

동작 심 음악치료의 1회기 진행과정은 아래 표 Ⅲ.7에 제시하 다.

Page 4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0 -

회기 1회기 일시 2014년 1월 4일 음악치료사:주은미

활동 목표 자기통제력

주제 무거움-가벼움의 조

비물 피아노,패들 드럼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5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활동 기본 동작 익히기-치료사가 패들드럼 세

게 치면 몸을 활짝 폈다가 작게 치면 몸을 움츠린다.

•패들드럼의 셈여림에 맞춰 무거움과 가벼움의 자유

표 ,피아노의 높낮이에 맞춰 무거움과 가벼움의 자유

표 하기

본 활동 20분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사자”곡을 들으며 기본

박 치기(정박에 맞춰 무릎치기)

•기본 박에 맞추어 걷다가 치료사의 지시에 방향 바

꾸기

•첫 박에 강박을 주며 걷기(치료사가 패들드럼을 강

박에만 연주)

•주제 테마를 ‘라~’로 부르며 걷기

•아래 옥타 에서 연주하면 무거운 걸음으로 걷기,

옥타 에서 연주하면 살 살 걷기 연습

•음악게임 하듯 진행,잘 따라하면 옥타 변화를 빠

르게 다.

*응용:패들 드럼으로 큰 소리,작은 소리 연주하며 걸

음걸이 변화도 같이 한다.

•서로 돌아가며 지시자가 되어 본다.

•녹음 음악 체를 들으며 주제 테마 부분에는 걷기

를 하며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운 동작을 한다.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표 Ⅲ.7동작 심 음악치료 1회기 진행과정

Page 4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1 -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5.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동작 심 음악 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 집 력과 과

잉행동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기 해 SPSS18.0을 사용하여 자료처리를 다

음과 같이 하 다.

1)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을 알

아보기 해 주의집 력 체 수의 변화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검증하

다.

(1)동작 심 음악 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선택 주의력 수에 미치

는 향을 알아보기 해 선택 주의력 수의 변화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

으로 검증하 다.

(2)동작 심 음악 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자기 통제력 수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기 해 자기통제력 수의 변화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검

증하 다.

(3)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지속 주의력 수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기 해 지속 주의력 수의 변화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검증하 다.

2)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어떠한 향을 미치

는 지 알아보기 해 사 ,사후 검사의 수 차이 검증을 비모수에 의한

Wilcoxon검증을 실시하 다.

Page 4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2 -

집단 N M SD

사 검사 6 76.333 86.594

간1 6 152.333 72.146

간2 6 228.166 60.383

사후검사 6 266.833 43.577

Ⅳ.결과

이 연구는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

동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 이 있다.연구의 결과는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동작 심의 음악치

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을 순서 로 제시하 다.

1.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을 알

아보기 하여 4번의 반복측정을 하 다.본 연구에서는 래의 표 수에

한 백분 규 으로 주의집 력 수를 각각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하 다.

1)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

두 집단의 주의집 력에 한 4번의 반복측정에 한 기술통계는 표 Ⅳ.1과

표 Ⅳ.2에 제시하 다.

표 Ⅳ.1주의집 력에 한 기술통계 (n=6)

표 Ⅵ.1에 제시된 내용에 따르면 사 검사의 결과에 비해 간검사1과 간

검사2,그리고 사후검사에서 많은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 검사차수별 평균값을 활용한 그래 를 제시하면 그림 Ⅵ.1과 같다.

Page 4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3 -

개체-내 효과 Mauchly의 W 자유도 근사이카이제곱 유의확률

주의집 력 .226 5 5.532 .369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주의집 력 128213.500 3 42737.833 35.065 .000

오차 18282.500 15 1218.833

그림 Ⅳ.1주의집 력 변화

그림 Ⅵ.1을 살펴보면 주의집 력은 검사 차수에 따라 거의 선형 으로 상

승하고 있으며 격한 상승 변화가 나타났다.

각 검사차수별 결과의 통계 유의성을 알아보기 한 반복 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표 Ⅳ.2과 표 Ⅳ.3에 제시하 다.

표 Ⅳ.2주의집 력에 한 구형성 검정 (n=6)

Mauchly의 구형성검정결과에 따르면 Mauchly의 W값이 .226,유의확률이

.369로서 유의확률 .05보다 크므로 구형성 가정을 충족시킨다.반복측정 결과

는 표 Ⅳ.3에 제시하 다.

표 Ⅳ.3주의집 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n=6)

Page 4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4 -

집단 N M SD

사 검사 6 15.166 21.655

간1 6 38.333 28.897

간2 6 66.333 29.574

사후검사 6 82.333 23.070

주의집 력에 한 통계 유의성 검정 결과,주의집 력은 유의수 p<.01

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난다.결과 으로 동작 심

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1)선택 주의력에 미치는 향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선택 주의력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기 한 4번의 반복측정을 하 다.선택 주의력에 한 기술통계는

표 Ⅳ.4에 제시하 다.

표 Ⅳ.4선택 주의력에 한 기술통계 (n=6)

표 Ⅵ.4에 제시된 내용에 따르면 사 검사의 결과에 비해 간검사1과 간

검사2,그리고 사후검사에서 많은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 검사차수별 평균값을 활용한 그래 를 제시하면 그림 Ⅵ.2와 같다.

Page 4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5 -

개체-내 효과 Mauchly의 W 자유도 근사이카이제곱 유의확률

선택 주의력 .632 5 1.710 .891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선택 주의력 15963.123 3 5321.042 35.822 .000

오차 2228.125 15 148.542

그림 Ⅳ.2실험집단의 선택 주의력 변화

그림 Ⅵ.2를 살펴보면 선택 주의력은 검사 차수에 따라 거의 선형 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격한 상승변화가 나타났다.

각 검사차수별 결과의 통계 유의성을 알아보기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

과는 표 Ⅳ.5과 표 Ⅳ.6에 제시하 다.

표 Ⅳ.5선택 주의력에 한 구형성 검정 (n=6)

Mauchly의 구형성검정결과에 따르면 Mauchly의 W값이 .632,유의확률이

.891로서 유의확률 .05보다 크므로 구형성 가정을 충족시킨다.반복측정 결과

는 표 Ⅳ.6에 제시하 다.

표 Ⅳ.6선택 주의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n=6)

Page 4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6 -

집단 N M SD

사 검사 6 42.337 41.764

간1 6 71.333 21.583

간2 6 90.833 9.662

사후검사 6 98.333 2.875

선택 주의력에 한 통계 유의성 검정 결과,선택 주의력은 유의수

p<.01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난다.따라서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선택 주의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

으로 나타났다.

(2)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향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향을 알

아보기 한 4번의 반복측정을 하 다. 자기 통제력에 한 사 검사, 간검

사1, 간검사2,사후검사에 한 기술통계는 표 Ⅳ.7에 제시하 다.

표 Ⅳ.7자기 통제력에 한 기술통계 (n=6)

표 Ⅵ.7에 제시된 내용에 따르면 사 검사의 결과에 비해 간검사1에서 많

은 향상이 있었으며 간검사2에서 사후검사에는 약간의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 검사차수별 평균값을 활용한 그래 를 제시하면 그림 Ⅵ.3과 같다.

Page 4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7 -

개체-내 효과 Mauchly의 W 자유도 근사이카이제곱 유의확률

자기 통제력 .123 5 7.793 .181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자기 통제력 11242.125 3 3747.375 7.855 .002

그림Ⅳ.3자기 통제력 변화

그림 Ⅵ.3을 살펴보면 자기 통제력은 검사차수에 따라 거의 선형 으로 상

승하고 있으며 격한 상승 변화가 나타났으나 간검사2와 사후검사에서는

비교 완만한 상승을 보인다.

각 검사차수별 결과의 통계 유의성을 알아보기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

과는 표 Ⅳ.8과 표 Ⅳ.9에 제시하 다.

표 Ⅳ.8자기 통제력에 한 구형성 검정 (n=6)

Mauchly의 구형성검정결과에 따르면 Mauchly의 W값이 .123,유의확률이

.181으로 유의확률 .05보다 크므로 구형성 가정을 충족시킨다.실험집단의 반

복측정 결과는 표 Ⅳ.9에 제시하 다.

표 Ⅳ.9자기통제능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n=6)

Page 4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8 -

오차 7156.125 15 477.075

집단 N M SD

사 검사 6 18.833 26.202

간1 6 42.666 29.296

간2 6 71.000 27.261

사후검사 6 86.166 18.508

자기 통제력에 한 통계 유의성 검정 결과,자기 통제력은 유의수 p는

.01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다.따라서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자기 통제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지속 주의력에 미치는 향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지속 주의력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기 한 4번의 반복측정을 하 다.지속 주의력에 한 기술통계는

표 Ⅳ.10에 제시하 다.

표 Ⅳ.10지속 주의력에 한 기술통계 (n=6)

표 Ⅵ.10에 제시된 내용에 따르면 사 검사의 결과에 비해 간검사1과

간검사2,그리고 사후검사에서 많은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각 검사차수

별 평균값을 활용한 그래 를 제시하면 그림 Ⅵ.4와 같다.

Page 4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39 -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지속 주의력 16122.333 3 5374.111 32.314 .000

개체-내 효과 Mauchly의 W 자유도 근사이카이제곱 유의확률

지속 주의력 .718 5 1.232 .944

그림 Ⅳ.4지속 주의력 변화

그림 Ⅵ.4를 살펴보면 지속 주의력은 검사차수에 따라 거의 선형 으로

상승하고 있었다.

각 검사차수별 결과의 통계 유의성을 알아보기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

과는 표 Ⅳ.11과 표 Ⅳ.12에 제시하 다.

표 Ⅳ.11지속 주의력에 한 구형성 검정 (n=6)

Mauchly의 구형성검정결과에 따르면 Mauchly의 W값이 .718,유의확률이

.944로서 유의확률이 .05보다 크므로 구형성 가정을 충족시킨다.반복측정 결

과는 표 Ⅳ.12에 제시하 다.

표 Ⅳ.12지속 주의력에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n=6)

Page 5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0 -

오차 2494.677 15 166.311

주의력 결핍 증상 과잉행동-충동성 총

사 사후 사 사후 사 사후

상자1 9 5 14 10 23 15

상자2 12 10 19 12 31 22

상자3 22 7 15 4 37 11

상자4 20 12 23 7 43 19

상자5 9 3 7 1 16 4

상자6 10 4 4 1 14 5

지속 주의력에 한 통계 유의성 검정 결과,지속 주의력은 유의수

p는 .01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다.따라서 동작 심

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지속 주의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으

로 나타났다.

2.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을 알아

보기 하여 한국 ADHD 평가척도(K-ARS)로 사 검사,사후검사로 2번의

측정을 하 다.검사결과는 표 Ⅳ.13에 제시하 다.

표 Ⅳ.13한국 ADHD평가척도 사 ,사후 수

한국 ADHD 평가척도(K-ARS)의 짝수 문항이 과잉행동에 한 수로

짝수 문항 수에 한 사 ,사후 수를 비모스 검정 Wilcoxon검증으로 분

석하 다.표 Ⅳ.14는 과잉행동 사 수와 사후 수의 차이를 Wilcoxon검증

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Page 5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1 -

사 검사 사후검사

Z n pM SD M SD

과잉행동 13.666 7.146 5.833 4.622 -2.201 6 .028

표 IV.14과잉행동의 사 -사후변화 차이 검증

이 결과에 의하면 과잉행동의 사후 수가 사 수에 비해 크게 감소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수 p는 .05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난다.

실험 집단의 사 ,사후 검사의 과잉행동 평균 수를 그래 로 제시하면 그

림 Ⅵ.5와 같다.

그림 Ⅳ.5과잉행동 수 평균 사 -사후변화 차이

그림 Ⅵ.5에서도 과잉행동 수가 많이 감소했음을 살펴볼 수 있다.이러한

결과는 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Page 5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2 -

Ⅴ.논의

1.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에

한 논의

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달크로즈 심의 활동으로 지 장애 아동들의 주의집

력을 향상 시켰다는 류미정(2008)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한 음악 재와

그룹참여가 미취학 시각장애아동의 주의집 력을 향상시켰다는 Sheri(2003)의

연구 결과와도 같다.

본 연구에서는 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감상곡을 심으로 음악의 높낮

이,셈여림,빠르기, 이즈,음색에 집 하여 동작 활동을 하 다.달크로즈

와 고든의 교수법을 바탕으로 구성한 동작 활동은 음악을 평소 하지 않았던

아이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었다. 한 1,2회기에는 치료사의 동작을 모방하

다가 연구 후반부로 갈수록 연구자의 지시 없이도 음악의 흐름에 알맞게 창의

인 동작을 잘 만들어 냈다.움직임을 좋아하는 아동에게 움직임을 통하여

신체를 조 함으로 더 극 이고 지속 인 참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 진

다.그리고 음악에 집 하며 음악에 일치된 동작을 만들어감으로 소리에 집

하게 되어 주의집 력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2.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에

한 논의

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이는 지 장애 아동에게 음악활동을 통행 과잉행동의 감소를 보인

Madsen(1981)의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그리고 오르 와 고든 심의 음악

치료로 과잉행동의 개선의 효과를 검증한 황경은(2007)의 연구의 결과와도 같

다.

가만히 앉아있는 것이 힘들고 손발을 계속 움직이는 행동을 보이는 ADHD

성향 아동들에게 음악과 일치된 동작 활동은 자신의 신체를 조 하는 법을 배

우게 한 것으로 보여 진다.그리고 마음속으로 음악 선율에 집 하며 신체를

통제하도록 하는 고든의 침묵활동은 스스로의 행동을 통제하는 훈련을 하도록

Page 5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3 -

하 다.무엇보다 본 연구의 과잉행동을 측정한 한국 ADHD평가척도는 부

모님의 찰로 평가하는 설문지이다.이는 음악치료 감소한 과잉행동들이

평소 생활에서도 조 되어 드러난 것으로 평가되어져 더 정 으로 보아진

다.

Page 5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4 -

Ⅵ.결론 제언

본 연구는 동작 심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

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 이 있다.이 연구의 결과에 기 한 결론

제언은 다음과 같다.

1.결론

1)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을 증가시키는 것

으로 나타났다.

(1)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선택 주의력을 증가시키

데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자기 통제력을 증가시키는

데 정 인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지속 주의력을 증가시키

는데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제언

최근 ADHD아동의 음악 재의 효과에 한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지

만 음악 재의 범 가 범 하다.이에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추후 연

구방향에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본 연구에서 연구 상을 등학교 1~3학년의 학생을 상으로 하

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고학년과 ․고등학생 상의 동작 심 음악치료에

한 연구를 기 해본다.

둘째,본 연구에서 사용한 음악은 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 감상곡을

사용하 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동작으로 결합된

Page 5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5 -

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를 기 해본다.

셋째,본 연구는 12주의 단기 로그램으로 그 효과성 입증되었다.이를 바

탕으로 장기 로그램의 개발을 기 해본다.

넷째,본 연구는 동작 심 음악치료가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만을 측정하 다.김경화(2003)의 연구에서는 정신분열증 성인에게 동작 심

음악치료를 통해 자기개념을 향상시켰으며 윤효진(2008)의 연구에서는 동작의

통합활동으로 유아들의 래 계를 향상시켰다.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서는 ADHD성향아동의 사회성과 자기 효능감 등의 다른 문제 행동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를 기 해본다.

결론 으로 본 연구에서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을 증진시키고 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러한 토 로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

동 개선을 한 재방법으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 한다.더 나아

가 ADHD성향 아동들이 주의집 과 과잉행동의 개선으로 말미암아 학업과 학

교생활, 래 계의 어려움들이 해소되어 더 건강한 사회인으로 자라기를 기

한다.

Page 5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6 -

참 고 문 헌

강은주 (2005).임상동작법이 ADHD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향.공주

학교 특수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강승연 (2003).오르 슐베르크 음악치료가 주의집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향.인천교육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강 정 (2006).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집 력 향상과 충동성 조

을 한 바이올린 교습 심의 음악치료 사례 연구.이화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고 정 (2006).EdwinE.Gordon의 음악학습이론과 RudolphvonLaban

의 동작이론을 용한 특별활동의 음악감상을 한 지도법 연구.

앙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환자수.

http://www.nhic.or.kr/portal/site/main

희 (1999).미술활동이 ADHD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인제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김경은 (2005).RhythmicGroupActivity원리를 용한 무용/동작치료가

ADHD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서울여자 학교 특수치료 문 학원 석사

학 논문.

김경화 (2003).정신분열증 성인의 자아개념 향상을 한 동작 심의 음

악 치료 근.이화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김군자 (2000).음악치료사를 한 음악치료핸드북.서울:도서출 한학문

화.

김두련 (1997).아동의 창의성 향상을 한 창작 무용 로그램 개발과

장 응에 한 연구.명지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매선 (2006).놀이 심의 인지행동 로그램이 ADHD 경향 아동의 자

아 존 감과 주의집 력,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북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미숙 (2003). 교육 로그램 활용을 통한 ADHD 유아의 행동변화에

한 연구.강남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배정 (2009).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핵심증상의 호 을 한

리듬 심 음악치료사례연구.성신여자 학교 석사학 논문.

Page 5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7 -

김보경 (2012).유리드믹스 심의 악기연주 활동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DHD)아동의 충동성 감소에 한 연구.이화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김보미 (2010).정서 순화 술 놀이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향:유리

드믹스 음악놀이와 푸드아트 놀이를 심으로.숙명여자 학교 정책·산

업 학원 석사학 논문.

김부용 (1998).동작모방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총연합회 KRF연구결과논문.

김산호 (1986).정신박약아(EMR)의 신체 성 향상을 한 음악 수반의 효

과에 한 연구.이화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선 ,이수재,정유진 (2007).요가운동 로그램이 장애아동의 공격성 감소

에 미치는 향.한국특수체육학회지,15(4),139-158.

김승국 (1989).사회성숙도검사.서울: 앙 성출 사.

김여진 (2007).움직임 교육활동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부 응행동에 미치는 효과.이화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옥정 (1998).주의력결함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후에 따른 치료효과 비

교연구.동아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윤숙 (2002).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아동의 행동조 에 미치는 음악

치료의 효과에 한 사례 연구.이화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김정임 (2001).아동의 창의성발달을 한 유치원 교육환경에 한 연구.연구

논문집,25(2),389-405.

김종운 (2002).NLP 집단상담이 ADHD아동의 학교 응 행동변화에 미

치는 효과.동아 학교교육 학원 박사학 논문.

김진호,박아름 (2010).오르 슐베르크를 활용한 음악교육 활동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과제수행 주의집 행동에 미치는 효과.정서․행동

장애 연구,26(4),323-344.

김재원,박기홍,최민정 (2004).지역사회에서의 주의력-과잉 행동 장애 선

별 기 에 한 연구.신경정신의학,38(4),784-793.

김 경 (2008).국악 음악 로그램이 ADHD 유아의 주의집 력향상과 충

동조 에 미치는 향:타악기를 심으로.단국 학교 특수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김 (2001).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Page 5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8 -

음감과 리듬에 미치는 향. 앙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라선 (2009).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

능력과 신체표 능력에 미치는 효과.동덕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

학 논문.

류분순 (2000).무용동작치료가 만성정신질환자의 불안과 인 계에 미

치는 향.한국체육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류미정 (2008).달크로즈 심의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지 장애아동의 주의집

력 향상연구.이화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문경림 (1998).명상이 아동의 주의집 공격성에 미치는 향.숙명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문귀임 (2011).무용동작치료가 학습부진 여 학생들의 자아존 심과 인

계에 미치는 효과.경성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문수진 (2006).음악놀이 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주의집 신장에 미치는

효과.단국 학교 학교 석사학 논문.

박노암 (2001).주의력 결함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정의 특성 연구.동아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박지인 (2009).리듬을 심으로 한 집단음악치료가 취학 아동의 주

의 집 력에 미치는 향.한세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박 숙 (2005).취학아동 양육자의 정신사회 재활서비스 이용의향에 향을

미치는 요인:부산지역을 심으로 PSC활용.경성 학교 학원 석사

학 논문.

박 숙 (2012).ADHD 성향 아동을 한 강 지향 로그램 개발 연구.

부산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변진희 (2009).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용한 수업지도연구: 등학교 3학

년 심으로.강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석문주 (1996).음악 성장을 한 음악과 교수-학습지도.서울:풍남

신민섭,오경자,홍강의 (1995).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 아동에서 약물 단독

치료와 부모훈련 치료의 효과비교.소아 청소년 정신의학,6(1),65-73.

송 자 (2006).졸탄 코다이의 음악교육 방법에 한 고찰.목포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손채 (2010).신체 동작을 통한 유아음악교육 지도방안의 심미 근에

한 연구. 구가톨릭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Page 5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49 -

신재호 (2008).공 운동 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 력에 미치는

향.한신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신철 (2010).신체활동을 통한 ADHD 아동의 학교생활 변화 사례 연구.한

국 교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안동 (2005).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의 신경발달학 고찰. 한 소아-

청소년 의학회,16(2),160-172.

안재숙 (2005).달크로즈 유리드믹스가 음악 학생의 음악 이해력과 표

력 향상에 미치는 향.단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원 신,윤용진 (1998).유아 아동을 한 움직임 교육의 이론과 실제.서

울:다음세 .

이 (1988).유아동작지도.서울:한국방송 학교 출 부.

이지나 (2004).지나 리의 Jumprightin음악감상.고든 음악연구소.

이천운 (2006).태권도 수련이 주의집 결핍 과잉행동(ADHD)아동들에게

미치는 향.한양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이홍수 (1990).음악교육의 근.서울:세 음악출 사.

유승지 (2001).유승지 달크로즈 교실(Ⅰ).서울:태림출 사.

윤지 (2007).집단게임 놀이치료 로그램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과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덕성여자 학교 학

원 석사학 논문.

윤지혜 (2012).타악기를 이용한 음악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 력향상

에 미치는 향.공주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윤 배,정윤선 (2005).유아, 등 음악학습을 한 오르 근법과 악기

앙상블,서울:창지사.

윤은미 (2007).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기 한 유아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 로그램 구성 용효과.유아교육학회지,11(3),123-153.

윤효진 (2008).음악과 결합된 동작활동이 유아의 래 유능성에 미치는

향.숙명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이근매,문장원,이은림,최은 (2000).언어지도와 병행한 미술치료가 주

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공격행동 부 응 행동에 미치는 효

과.정서·학습 장애 연구,16(2),11-16.

이유미 (2006).집단상담 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

과 메타분석.한국교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임명희 (2004).구조화된 음악활동을 통한 학습장애 청소년의 주의집 력 향상

Page 6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0 -

에 한 연구.음치료 교육 학술지:음악 치료 교육연구,1(1),48-71.

장수연 (2010).ADHD아동의 운동 재 련 연구 동향 분석:1995-2009년 까

지 국내 실험연구를 심으로.단국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정순남 (2010).ADHD 아동과 달크로즈 교수법 활용의 상 성 연구.동아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장정주 (1997).과잉행동아의 비 학습 행동의 감소를 한 무상토큰 반응

가의 효과.경북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장진섭,성수국 (2005).최신 특수 교육학.서울 :성지사

장창환,조효임,이동남 (1997). 등음악과 지도법.서울:삼호출 사

옥선 (1991).신체표 활동이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부 응 행동에 미

치는 효과, 구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정미라 (2006).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 력과 자기 통제력에 미

치는 효과.유아교육,15(2),241-255.

정보인 (1992).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행동 치료 근법.서

울:서울장애인 종합 복지

정성희 (2013).무용 동작 심리치료 로그램을 활용한 학교 폭력 방

로그램의 효과.서울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정숙 (2006).놀이 심의 자기 통제 훈련을 통한 ADHD아동의 부

응 행동 개선에 한 사례연구. 구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정유진,김선경,이수재 (2007).요가운동 로그램이 장애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향.한국특수체육학회지,15(4),139-158.

정청희,홍 희 (2001).성격유형과 주의방향이 운동 강도 지각과 운동 지속

시간에 미치는 효과.한국 스포츠 심리학회지,12(2),137-149.

정 주 (2002).음색이 긴장이완과 정서반응에 미치는 향. 한 음악치

료학회 정기학술 회 학회지,3(2),33-40.

정 주 (2005).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용.서울:이화여자 학교 출 부.

정 주 외 공 (2006).음악치료 기법과 모델.서울:학지사

조수철 (2001).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서울:서울 학교 출 부.

조홍주 (2004).코다이음악교육.서울:세 음악출 사

최미 (2006).무용요법 로그램이 ADHD 아동의 부 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향.서울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최병철 (1999).음악치료학.서울:학지사

최춘옥 (2000).주의집 훈련 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Page 6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1 -

주의집 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가톨릭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한유정 (2007).ADHD 아동을 한 집단 음악활동 로그램 개발 연구.

제주교육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함희주,권덕원,석문주 외 (2005). 등교사 교육을 한 음악과 교육 로

그램 개발.서울:교육인 자원부.

황경은 (2007).오르 와 고든의 오디에이션 활동을 용한 음악치료가 시

설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한양 학교 교육 학

원 석사학 논문.

허정식 (2004). 로그램화된 신체운동이 주의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아

동의 자기개념,주의 행동에 미치는 향.한국체육교육학회지,9(2),

187-198.

홍양자 (1996).장애인을 한 특수체육.서울:21세기 교육사.

홍성정 (2013).ADHD 아동을 한 사회기술 훈련 로그램의 효과: 동

놀이 심과 활동지 심의 로그램이 ADHD 주 증상,자기 통제력,

사회 기술,자아 존 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덕성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Abramson,R.M.(1986).TeachingMusicinthe21stcentury.New Jersy:

PrenticeHall,Inc.

AmericanPsychiatricAssociation.(1994).Dignosticandstatisticalmanual

ofmentaldisorders(4thed.).WashingtonD.C.:American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Dignosis and staticalmanual

ofmentaldisorders(4th ed.) textreversion.Washington D.C.:APA

Press.

Alley,J.M.(1979).Musicin theIEP:Therapy/Education,Journalof

musictherapy,6(3),111-127.

Beckett,A.(1990).Theeffectsofmusicon exerciseasdetermined by

physiologicalrecovery heartrates and distance.JournalofMusic

Therapy,27(3),126-136.

Boxil,E.H.(1985).발달장애인을 한음악치료[Music therapy forthe

developmentaldisabled.Rockvills].김태련 외 편역(1988).서울:이화

여자 학교 출 부.

Dalcroze,J.E.(1976).Eurhythmic,artandeducation.New York:Arno.

Page 6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2 -

(Originalworkpublished1930).

Daphne,J.R.,& William,G.W.(2003).Musictherapytopromoteprosocial

behaviorsin aggressiveadolescentboys- A pilotstudy.Journalof

MusicTherapy,40(4),283-301.

Dauer,V.P.(1972).Essentialmovementexperiencesforpreschooland

primarygradechildren.Minneapolis,MN:BurgessPublishingCo.

David,B.S.(2012).ADHD는 병이 아니다.윤나연 역.서울: 나무 숲

Davis,B.,W.,Gfeller,E.,K.,Thaut,H.,D.(1999).AnIntrodectionto

MusicTherapy.McGraww-HillCompanies,Inc.

DeMaria,C.R.(1974).DimesionofphysicalEducation.SaintLouis:TheC.

V.MosbyCompany.

Dulcan,M.K.,Wiener,J.M.(2005).Essentialsof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AmericanPsychiatricPublishing,Inc.

Findlay, E. (1971). Rhythm and movement: Applications of dalcroze

eurhythmics.New Jersey,NJ:Summy-Birchard.

Gabbard,C.(1988).Early childhood physicaleducation:The essential

elements. Journal of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59(7),65-69.

Gaston.E.T.(1968) Music in therapy.New York:The Macmillan

Company.

Hinshaw,S.P.,Buhrmeister,D.& Heller,T.(1989).Angercontrolin

response to verbalprovocation:Effects ofstimulantmedication for

boys with ADHD.JournalofAbnormalChild Psychology,17(4),

393-408.

Laban,R.V.(1975).LabanprinciplesofdanceandmovementNotation.

Boston:Plays,Inc.

Nancy A.Jackson (2003).A Survey of Music Therapy Method and

theirRole in the TreatmentofEarly Elementary SchoolChildren

withADHD.JournalofMusicTherapy,40(4),302-323.

Madsen,C.K.(1981).Musictherapy:abehavioralguideforthementally

retarded.Washington:NAMT.

Page 6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3 -

Orff,G.(1980).TheOrffMusicTherapy.Schott& Co,Ltd,London.

Robin,A.L.(1992).Thedefectsofself-instructiononwritingdeficiencies.

BehaviorTherapy,6,178-187.

Russell,J.(1992).Creative dance in the primary school(3rded).UK:

NorthcoteHouse.

Schachar,R.& Tannock,R.(2002).Syndromes ofhyperactivity and

attention deficit.In Rutter,M.& Taylor,E.(Eds.),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99-418. Oxford: Blackwell Publishing

Company.

Sheri,L.R.(2003)MusicInterventionsandGroup Participation Skillof

Preschoolers with Visual Impairments: Raising Questions about

Music,arousal,and Attention. JournalofMusic Therapy 40(4),

266-282.

Silver,L.(1990).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Isitalearning

disabilityorrelateddisorder?JournalofLearning Disabilities,23(7),

394-397.

Spencer,S.L.(1988).The efficiency ofinstrumentaland movement

activities in developing mentally retarded adolescents' ability to

follow directions.JournalofMusicTherapy,24(1),44-50.

Thaut,M.H.(1988).Rhythmicintervention techniquesinmusictherapy

withgrossmotordysfunction.ArtsinPsychotherapy,15(2),127-137.

Thaut,M.H.(1989).The influence ofmusic therapy intervention on

self-rated change in relaxation,affect,and though in psychiatric

prisoner-patient.JournalofMusicTherapy,16(3),155-165.

Thaut,M.H.(1999).Training manualofNeurologic Music therapy.

ColoradoStateUniversity:CenterforBiomedicalResearchinmusic.

Wolraich,M.L.,Wibbelsman,C.J.,Brown,T.E.,& Evans,S.W.(2005).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mong adolescents:A review

of the diagnosis, treatment, and clinical implications. American

academyofPediatrics,115(6),1734-1746.

Page 6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4 -

부 록

1.연구 동의서

2.K-ARS행동평가지(학부모용)

3.FAIR주의집 력 검사지

4.회기별 로그램

Page 6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5 -

1.연구 동의서

동작 심의 음악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주의집 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

본 연구는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 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향에

있어 동작 심의 음악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하여 실시됩니다.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추후 아동들의 주의집 력향상과 더불어 부 응 행동

개선을 한 구체 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귀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연구의 기간은 2014년 1월 4일부터 약 3개월간,주1회,각 회당 40분씩,

12회로 진행됩니다. 재가 들어가기 사 검사(부모용,아동용)가 있으

며 4회기 후,8회기 후 아동의 간검사와 재 마지막 회기 후 사후 검사

가 있습니다.검사 참가비는 무료이며 연구과정 언제든지 참여철회

를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 상자는 원하는 경우 수집된 자료내용에 해 확인할 수 있으며

요청에 따라 원하는 부분의 내용을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여러분의 연구동의에 따라 진행이 됩니다.연구에 동의하시는

분은 연구 참여 동의서를 작성해주신 후 받으신 설문지의 문항에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설문과 련하여 궁 한 이 있으면 언제든지

아래의 화번호나 이메일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Page 6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6 -

연구 상자 동의서(연구자용/연구참여자용)

연구 참여에 동의하시면 아래 사항을 숙지하신 후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

다.

1.본인은 연구의 목 ,연구 상자의 참여기간,연구 차 방법에 해 충분히이해를 하 습니다.

□ □ 아니오

2.본인은 연구 상자에게 상되는 험과 이득 그리고 연구 참여에 따른 손실에한 보상에 해 충분히 이해를 하 습니다.

□ □ 아니오

3.본인은 연구를 통해서 제공한 정보가 본인의 허락 없이 출되지 않을 것이고,불이익이 오지 않을 것임을 이해하 습니다.

□ □ 아니오

4.본인은 이 연구과정에서 진행될 수 있는 설문조사,면담(녹음 는 기록),시술,동상 촬 등에 참여하는 것을 허락합니다.

□ □ 아니오

5.본인은 연구가 끝나고 보 기간 이후에 기록이 폐기되고 연구결과물에는 개인신상정보가 익명으로 실릴 것임을 이해하 습니다.

□ □ 아니오

6.본인은 이 연구에 응하지 않을 권리가 있고,내 생활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단할 수 있음을 이해하 습니다.

□ □ 아니오

본인은 사항에 동의하며 모든 궁 한 사항에 하여 충분한 답변을 듣

고,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생각한 이후에 상기 연구에 참여하기를 자유로운의사에 따라 연구 참여에 동의합니다.

연구참여자_______________(사인) 2014년 월 일

법정 리인_______________(사인) 계__________

연구책임자__주은미________(사인) 2014년 월 일

Page 6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7 -

No. 항목 그 지

않다

약간

그 다

상당히

그 다

매우

자주

1학교 수업이나 일,혹은 다른 활동을 할 때 주의

집 을 하지 않고 부주의해서 실수를 많이 한다.

2가만히 앉아 있지를 못하고 손발을 계속 움직이

거나 몸을 꿈틀거린다.

3과제나 놀이를 할 때 지속 으로 주의집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4수업시간이나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자리에서 일어나 돌아다닌다.

5다른 사람이 직 이야기 하는 데도 잘 귀 기울

여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6상황에 맞지 않게 과도하게 뛰어 다니거나 기어

오른다.

7지시에 따라서 학업이나 집안일이나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끝마치지 못한다.

8조용히 하는 놀이나 오락 활동에 참여하는데 어

려움이 있다.

9과제나 활동을 체계 으로 하는데 어려움이 있

다.

10항상 ‘끊임없이 움직이거나’마치 ‘모터가 달려서

움직이는 것처럼’행동한다.

11

공부나 숙제 등,지속 으로 정신 노력이 필

요한 일이나 활동을 피하거나 싫어하거나 는

하기를 꺼린다.

12 말을 무 많이 한다.

13과제나 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것들(장난감,숙

제,연필 등)을 잃어버린다.

14 질문을 끝까지 듣지 않고 답한다.

15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진다.

2.K-ARS행동평가지(학부모용)

우리 아이의 행동발달 이해하기(설문지)

K-ARS

1.어린이 성명: 2.성별:

3.나이:

본 설문지는 자녀들의 주의력 과잉행동과 련된 문제행동을 알아보는 것을 목 으로 합니다.부모님의

자녀가 지난 1주일동안 보인 행동을 가장 잘 기술한 번호에 동그라미 하세요.

Page 6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8 -

16 자기 순서를 기다리지 못한다.

17 숙제나 물건 등을 잘 챙겨서 한다.

18 다른 사람을 방해하고 간섭한다.

Page 6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59 -

3.FAIR주의집 력 검사지

Page 7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0 -

Page 7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1 -

Page 7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2 -

회기 2회기

활동 목표 자기통제력

주제 무거움-가벼움,방향의 조

비물 피아노,드럼,비 라슬랩,스카 ,휴 용 스피커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5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활동 기본 동작 익히기-치료사가 패들드럼 세

게 치면 몸을 활짝 폈다가 작게 치면 몸을 움츠린다.

•패들드럼의 셈여림에 맞춰 무거움과 가벼움의 자유

표 ,피아노의 높낮이에 맞춰 무거움과 가벼움의 자유

표 하기

4.동작 심 음악치료 회기별 로그램(2회기∼12회기)

1)동작 심 음악치료 2회기

Page 7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3 -

본 활동 20분

•엘가의 풍당당행진곡 “주제테마1”곡을 들으며

기본 박 치기(정박에 맞춰 무릎치기)

•기본 박에 맞추어 걷다가 치료사의 지시에 방향 바

꾸기

•첫 박에 강박을 주며 걷기(치료사가 패들드럼을 강

박에만 연주)

•주제 테마를 ‘라~’로 부르며 걷기

•아래 옥타 에서 연주하면 무거운 걸음으로 걷기,

옥타 에서 연주하면 살 살 걷기 연습

•음악게임 하듯 진행,잘 따라하면 옥타 변화를 빠

르게 다.

•주제테마2를 듣고 동작 만들어 보기

•곡 체를 느린빠르기로 들으며 동작기억하여 하기.

비 라슬랩 소리가 들리면 방향 바꾸기.

*응용:패들 드럼으로 큰 소리,작은 소리 연주하며 걸

음걸이 변화도 같이 한다.

•서로 돌아가며 지시자가 되어 본다.

•녹음 음악 체를 들으며 주제 테마 부분에는 걷기

를 하며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운 동작을 한다.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Page 7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4 -

회기 3회기

활동 목표 자기통제력

주제 신체유지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풍선,핸드벨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활동 기본 동작 익히기-치료사의 반주에 맞추어 들

숨,날숨 ,머리,어깨,손목,허리,무릎,발목 돌리기

를 한다.

본 활동 23분

•음악에 맞추어 신체 돌리기를 기억하여 하기.치료사

와 돌림 노래로 유지하여 하기.(잘 안되면 동작 개수

이기)

•신체 돌림 표 만들어 보기 (4개,8개)-기억하여

음악에 맞추어 하기(풍선을 이용 하여 로 띄우기,잡

고 좌우로 크게 돌리기...등)

•정박으로 걸으면서 돌림 표 하기

•리듬에 맞추어 걸으면서 돌림 표 하기

•곡 체를 느린 빠르기로 들으며 동작 기억하여 하

기.-템포 빠르게 변화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2)동작 심 음악치료 3회기 진행과정

Page 7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5 -

회기 4회기

활동 목표 자기통제력

주제 빠르기 조 (셈여림,음색)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리듬막 , 스카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활동 기본 동작 익히기-‘거북이’를 들으며 긴장이완

활동을 한다.(셈여림에 귀 기울이며 표 하기)

•심호흡하며 일주일간 속상했던 일,스트 스 받은 것

을 생각해보기.그것을 버리듯 모아서 몸을 쭉쭉 뻗으

며 버린다.

본 활동 23분

•‘거북이’를 들으며 스카 를 자유롭게 표 하며(스

트 스 버리기)셈여림에 귀 기울여 큰 소리가

날수록 일어선다.

리듬 스틱을 연주하며 셈여림을 표 해본다.

•‘캉캉’을 듣는 데 트라이앵 소리에만 스카 를

로 돌린다.

•‘거북이’와 ‘캉캉’의 차이 이야기 해보기

•같은 주제 테마의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의 동작을

정하고(빠른 부분:풍선을 로 뛰우고 받기,느린 부

분:스카 로 감싸고 스윙)피아노 반주에 맞춰서 해보

•편집 음원(‘거북이’와 ‘캉캉’의 테마를 섞음)으로 해보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3)동작 심 음악치료 4회기 진행과정

Page 76: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6 -

회기 5회기

활동 목표 선택 주의력

주제 구별하기( 이즈)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공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사랑의 인사’음악에 맞추어 호흡 긴장이완 활동

•활동 기본 동작 익히기-패들드럼 소리 강약에 맞추

어 손바닥 펴기, 크게,작게 뜨기

본 활동 23분

•‘휘 람 부는 사람과 개’를 들으며 공을 주고 받는다.

주제 이즈 시작의 높은 음 나오는 부분에서는 공

을 로 던져 받는 규칙을 정한 후.

•튜바 소리에서는 발걸음을 무겁게 움직이기,높은 음

의 악기소리는 손을 로 반짝 하는 규칙을 추가하여

음악 듣기.

•악기 연주(공 로 던지는 부분:비 라슬랩,공 주고

받기:콩가드럼)

•주제 이즈에서는 공 로 던져 받은 후 주고 받

기,두 번째 테마 이즈에서는 동작 창작 후 공

달,상 방 동작 따라 한 후 창작 그리고 공 달하기

*응용:신체악기연주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4)동작 심 음악치료 5회기 진행과정

Page 77: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7 -

회기 6회기

활동 목표 선택 주의력

주제 구별하기(음높이)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훌라후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사랑의 인사’음악에 맞추어 호흡 긴장이완 활동

•활동 기본 동작 익히기-음높이에 맞추어 팔 올렸다

내리기,목 빼었다 움츠리기,다리 올렸다 내리기,일어

섰다 앉기

본 활동 23분

•‘미, ,도’의 신체 표 하기-비행기 노래에 맞추어

서 해보기(‘미’-양손을 머리 ,‘’-양손을 X자로 교

차하여 가슴 ,‘도’-양손을 허리 )

•놀람 교향곡 2악장(피아노 음원)들으며 치료사와 훌

라후 를 잡고 음 높이에 맞추어 올렸다 내리기.

•몸을 악기로 높은 음은 머리,제일 낮은 음은 발목으

로 정하여 음 높이에 맞춰 터치 하기

•오 스트라 음원을 들으며 주제 선율에는 음 높이에

맞춘 신체 동작,나머지 선율에는 훌라후 로 음높이

표 하기 (셈여림도 함께 표 )

*악센트 나오는 부분은 발 구르기,심벌 치기

*응용:훌라후 를 다함께 활동하기와 개인별 활동하

기,스타카토, 가토에 맞게 동작해보기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5)동작 심 음악치료 6회기 진행과정

Page 78: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8 -

회기 7회기

활동 목표 선택 주의력

주제 기억하기(음색)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발 바닥 ,메트로놈,리듬 뽑기 표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시계표 하기:온음표,이분음표,사분음표로 두팔을

둥 게 하여 로 올려서 좌우로 치료사가 지시하는

로 움직이기.(메트로놈으로 기본 박 제공)

•발자국 을 제시하는 리듬으로 걸어 보기

본 활동 23분

•‘빈의 음악시계’를 리듬스틱으로 온음표 길이로 치며

들어보기

•음악에 맞춰 온음표 길이로 걸어 보기

•기억할 음색(튜바)의 부분만 들어 본다.그 부분의

움직임을 만들어본다.

•오 스트라 음원을 들으며 각자 뽑기 한 리듬으로

걸으며 지정한 음색에서는 만든 움직임을 한다.

•응용:기억할 음색을 늘릴 수 있다.

서로 반 방향에서 걸어오다가 만나면 리듬 바꾸기,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6)동작 심 음악치료 7회기 진행과정

Page 79: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69 -

회기 8회기

활동 목표 선택 주의력

주제 기억하기(음색)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발바닥 ,스카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셈여림 표 하기:그리그의 모닝을 들으며 셈여림에

따라 표 해보기

•치료사의 북소리가 있을 때만 걷기,심벌 소리에는

두발로 뛰기

본 활동 23분

•산왕의 궁 에서:발 리듬 배우기‘

•피아노 반주에 맞춰 발 리듬으로 걷기

•오 스트라 음원을 들으며 기억할 음색(트라이앵 ,

탬버린)의 부분 찾기를 한다.그 부분의 움직임을 만들

어본다.

•오 스트라 음원에 맞춰 발 리듬으로 걸어보기

• 이즈를 기억하고 릴 이 형식으로 진행.

셈여림에 따른 스카 동작 변화

*응용:빠르기 조 하기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7)동작 심 음악치료 8회기 진행과정

Page 80: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70 -

회기 9회기

활동 목표 지속 주의력

주제 자유연속동작(높낮이,템포)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 형스카 ,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8분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수족 을 들으며 스카 로

치료사 따라 동작해보기.

( 가토-좌우,마르카토-상하)

•스카 를 연결하여 원으로 만들어서 좌우,상하 움직

임,손잡고 동작

본 활동 23분

• 형스카 를 잡고 음악에 맞춰 좌우,상하 동작

•물고기 그림 메모지에 본인의 소원 10가지 어보기

• 은 물고기 그림 메모지들을 형스카 에 올린

뒤 동작하기

•왕벌의 비행 느린 음원으로 들으며 스카 로 벌

표 하기

•높낮이 따라 스카 를 아래 로 움직임 표 ,트릴

은 제자리에서 흔들기- 형스카 로 표

*응용:빠르기 조 하기

마무리 활동 5분•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5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8)동작 심 음악치료 9회기 진행과정

Page 81: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71 -

회기 10회기

활동 목표 지속 주의력

주제 자유연속동작(높낮이,템포)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발자국 ,리본막 ,스카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왕벌의 비행을 들으며 리본막 로 음높이,빠르기,

셈여림 표 해보기

•빠르기 조 하며 해 보기

본 활동 24분

•피터와 늑 의 피터의 테마를 들으며 걷기(발자국 )

•빠르기 조 하며,스키핑 걸음표 ,에그쉐이커 는

고드럼으로 피터 표 하기

•새의 테마를 들어보고 동작 만들기

•고양이,할아버지 테마 들어 보고 동작 만들기(악기

도 정하기)

•4개의 테마를 섞은 음악을 들려주며 테마를 동작으

로 알아 맞추기

마무리 활동 5분

*응용:악기 연주하듯 동작으로 표 하기

•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1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9)동작 심 음악치료 10회기 진행과정

Page 82: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72 -

회기 11회기

활동 목표 지속 주의력

주제 자유연속동작(높낮이,템포)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발자국 ,스카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피터테마’로 몸 풀기 고양이,새,할아버지 테마

복습

본 활동 24분

•늑 테마 모음 음악을 들으며 (무릎치기,셈여림,박

자에 따른 표 하기)

•스카 를 흔들며 걷기.(호른 소리에 맞춰서,도망치

는 부분은 색다른 동작하기)

•4개의 문장을 제시하고 그에 맞는 동작을 하기

•오리의 입장에서 동작하기

•오리의 테마를 들으며 이야기 해보기.

동작(걷기,스카 )-늑 입장에서 동작 하기

마무리 활동 5분

*응용:악기 연주하듯 동작으로 표 하기

•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1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10)동작 심 음악치료 11회기 진행과정

Page 83: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73 -

회기 12회기

활동 목표 지속 주의력

주제 자유연속동작(높낮이,템포)

비물 피아노,휴 용 스피커,스카 ,훌라후

활동 시간 활동내용

시작하는 인사 2분

•인사 노래를 부르며 인사하기

•본인을 표 하는 동작 한 개 만들어 본인의 이름이

불리면 그 동작으로 인사하기

비 활동 5분

•‘오리’테마로 몸 풀기

•‘사냥꾼’테마 들으며 무릎 치기.(정박에 맞춰서 치

기,셈여림에 맞추기)

본 활동 24분

•사냥꾼 테마 음악 들으며 치료사 따라 동작 모방하

기(호른-늑 , 니-사냥꾼)

•사냥꾼 테마와 늑 도망치는 부분까지 트를 정하

여 걸으며 표 하기

•피터가 늑 잡는 순서 로 음악을 들으며 표 해

보기

•새에게 말하는 부분:스키핑(에그쉐이커)

•밧 을 가지고 나무 로 가는 부분: 스카 로 표

•늑 를 잡는 부분:훌라후 로 늑 잡고 피터 방향으

로 따라 걸으며 표

마무리 활동 5분

*응용:악기 연주하듯 동작으로 표 하기

•침묵 활동:주제 테마를 노래하다가 한 마디 정도 침

묵한 후 그 다음부터 부른다.움직임은 계속 유지한다.

헤어지는 인사 1분•소감을 나 고 동작표 을 잘 한 사람을 뽑아 본다.

•헤어지는 인사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

11)동작 심 음악치료 12회기 진행과정

Page 84: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74 -

TheInfluenceofMovement-centeredMusic

TherapyontheAttentivenessandHyperactivityof

ChildrenwithADHDTendency

GraduateSchoolofChurchMusic,KosinUniversity

MusicTherapyMajor

EunMeeJoo

Abstract

Thisstudy wasconducted toseehow themovement-centered music

therapyaffectstheattentivenessandhyperactivityofchildrenwithADHD

tendency. The topics of this study were twofold: first, how the

movement-centeredmusictherapyaffectstheattentivenessofchildrenwith

ADHD tendencyandsecond,how themovement-centeredmusictherapy

affectsthehyperactivityofchildrenwithADHDtendency.

Thesubjectsofthisstudy wereelementaryschoolstudentsinP City

withADHD tendency. Indetail,sixchildreninfirsttothirdgradeswere

selectedbasedontheirproblemswithacademicperformanceandschoollife

duetoattentivenessissues.Themusictherapythatconsistedofindividual

andsmallgrouptherapybeganwithagreetingsong,continuedontothe

preparationactivitiesfocusedonthetopicactionsandtheactionactivities

performedwhilelisteningtomusic,andfinishedwiththesilenceactivityto

endthesessionwith thegoodbyesong. Thesixsubjectsweretested

using the FAIR attentiveness testand the Korean version ofADHD

Page 85: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 75 -

surveyfortheparents.Thesubjectsweretestedaftereveryfoursessions

ofmusictherapyforatotaloffourtests,includingthepost-test.

Asaresultofthisstudy,first,themovement-centeredmusictherapy

significantlyimprovedtheattentivenessofchildrenwithADHD tendency

andtheirselectiveattentiveness,self-control,andsustainableattentiveness

in the sub-category. Second, the action-centered music therapy

significantlydecreasedthehyperactivityofchildrenwithADHD tendency.

Thesefindingsshow thatthemovement-centeredmusictherapyhasa

positive influence to improve the attentiveness and decrease the

hyperactivity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Therefore, the

movement-centeredmusictherapywouldbeusedasamethodofinvention

to improvetheattentiveness and hyperactivity ofchildren with ADHD

tendency who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academics and schoollife.

Furthermore,it is hoped that they can resolve the difficulties with

academics,schoollife,and socialrelationships to grow into healthier

membersofthe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