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2015 연차보고서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656/1/연차보고서 2015.pdf연차보고서 krei annual report e 06-2015 | 2016. 5. e 06-2015. 이 연차보고서는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015연차보고서KREI ANNUAL REPORT

    2015

    연차보고서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연차보고서KREI ANNUAL REPORT

    E 06-2015 | 2016. 5.

    E 06-2015

  • 이 연차보고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현황과 2015년 한 해 동안 수행한 조사연구

    사업의 주요 결과, 정책지원사업, 중국사무소의 업무 등을 정리・수록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발간하였다.

    우리 연구원은 2015년에 ① 효율적 농정추진 시스템 구축으로 농정성과 제고

    ② 농산업의 신성장 동력 확충과 경쟁력 제고 ③ 안전한 농식품의 안정적 수급시스템

    확립 ④ 삶의 질 향상을 통한 농촌지역 활성화 ⑤ 농업의 대내・외 여건 변화와 대응력 제고 등을 연구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기본방향 아래 과제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타 국책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강화,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 등과의 연구협력을 통해 2015년에 141건의 연구과제 및 관련 사업을

    완료하였다.

    연구사업 외에 정부부처 등 정책지원 업무와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정책토론회,

    국제학술대회 개최 등 폭넓은 활동을 통하여 농림정책개발과 지원을 위해 노력하였다.

    직원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KREI 세미나, 농경토론회를 개최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였다.중국사무소는 현장성과 시의성이 있는 중국의 농업・농촌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공하고, 중국 농업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연구협력을 강화하였다.

    좋은 연구결과와 사업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맡은 바 최선을 다해 준 직원

    여러분과 연구수행에 도움을 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2016.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머리말

  • Ⅰ. 일 반 현 황 ························································································· 11. 연 혁 ················································································································ 1

    2. 임 무 ················································································································ 1

    3. 기 구 ················································································································ 2

    4. 정 원 ················································································································ 4

    5. 인 사 ················································································································ 5

    6. 예 산 ·············································································································· 10

    7. 청사이전 현황 ·································································································· 11

    Ⅱ. 연 구 사 업 ······················································································· 131. 기본방향 ··········································································································· 13

    2. 조사연구사업 총괄 ··························································································· 13

    3. 농업・농촌촌정책연구 ························································································ 144. 자원환경연구 ···································································································· 16

    5. 식품유통연구 ···································································································· 18

    6. 글로벌협력연구 ································································································· 21

    7. 산림정책연구 ···································································································· 23

    8. 농업관측센터 ···································································································· 24

    9. FTA이행지원센터 ······························································································ 26

    10.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 27

    11. 삶의질정책연구센터 ························································································ 28

    12.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 ················································································· 28

    13. 기획조정실 ······································································································ 29

    14. 창의정보실 ······································································································ 29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 ··································································· 301. 유관 정부부처 및 국회와 협력 ······································································· 30

    2. 협의회, 자문회의 및 토론회 개최 ··································································· 36

    Ⅳ. 정보관리 ··························································································· 1171. 전 산 ············································································································ 117

    2. 도서자료 ········································································································· 120

    3. 출 판 ············································································································ 123

    Contents

  • Ⅴ. 연구조성사업 및 학술활동 ···························································· 1251. 현 황 ············································································································ 125

    2. KREI 세미나 ··································································································· 125

    3. 농경토론회 ······································································································ 126

    4. 현장토론회 ······································································································ 126

    Ⅵ. 국제교류 ··························································································· 1271. 현 황 ············································································································ 127

    2. 국제회의, 국제세미나 개최 ············································································ 127

    3. 국제회의, 국제세미나 참가 ············································································ 129

    4. 해외조사 활동 ································································································ 133

    5. 외국인 내방 ···································································································· 139

    Ⅶ. 농정여론 조사사업 및 교육・홍보활동 ········································· 1401. 현지통신원 운용 ····························································································· 140

    2. 현지통신원 대상 여론조사 ············································································· 142

    3. KREI리포터 운영 ···························································································· 143

    4. 성과 확산 및 언론보도실적 ··········································································· 147

    5. 대외협력업무 ·································································································· 148

    Ⅷ. 중국사무소 ······················································································· 1491. 일반 현황 ······································································································· 149

    2. 주요 사업 ······································································································· 150

    3. 2015년도 중국사무소 주요 업무일지 ····························································· 175

    Ⅸ. 2015년도 연구보고서 목록 ···························································· 1811. 자체과제 ········································································································· 181

    2. 정부수탁 ········································································································· 182

    3. 민간수탁 ········································································································· 184

    4. 수시과제 ········································································································· 186

    5. 기타 정기간행물 ····························································································· 187

    Ⅹ. 임원 및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회 명단 ······························· 1881. 임 원 ············································································································ 188

    2.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회 ·········································································· 188

    Ⅺ. 직 원 명 단 ····················································································· 189Ⅻ. 2015년도 연구원 주요 일지 ························································· 19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차보고서 2015

  • Ⅰ. 일반현황❙1

    Ⅰ. 일 반 현 황

    1. 연 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은 농림경제 및 농촌 사회

    문제를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국민경제 발전과 국민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1978년 4월 1일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9월 27일에는 농림분야의 기술개발투자의

    지원 및 관리업무를 전담할 농림기술관리센터가 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되었고, 1999년

    부터는 원내에 농업관측센터를 설치하여 농업관측사업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1월 29일에는

    연구원 설립 근거법이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로 바뀌면서 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로 소속기관이 변경되었다. 최근에는 경제정책・자원인프라 분야 2012년도 최우수기관, 2013년도와 2014년도 우수기관, 2015년도 매우우수기관

    으로 4년 연속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005년 4월 28일에는 농업・농촌의 가치 및 주요 농업정책 홍보업무를 전담하는 농촌정보문화센터가 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설립

    되었고, 2008년 3월 6일에는 중국의 농림업정책 동향과 농업・농촌, 소비시장 등에 관한 정보자료 수집・분석을 위한 중국사무소를 개설하였다. 2009년 9월 16일에는 부설기관 ‘농림기술관리센터’가 독립 법인화(‘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되었고, 2012년 5월 23일에는 부설기관 ‘농촌정보문화센터’가 독립 법인화(‘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되었다. 2015년 7월 1일에는 ‘삶의질정책연구센터’와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가 신설되었다. 또한, 2015년 8월 3일 광주・전남혁신도시 내 신청사로 이전하여 새로운 ‘나주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2. 임 무

    연구원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한다.

    ◦ 중장기 농림경제계획 및 정책수단에 관한 조사연구 ◦ 농림부문의 단기정책에 관한 조사연구 ◦ 농식품 정책에 관한 조사연구

  • 2❙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농어촌민의 복지증진 및 농어촌 사회문제에 관한 조사연구 ◦ 국제 농업협력에 관한 연구 ◦ 농업관측을 통한 품목별 수급 동향 및 중장기 전망 연구 ◦ 농림업 정책의 국민 이해증진 조사연구 및 대국민 여론조사・홍보 ◦ 국내외 연구기관(대학원과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연구기관을 포함한다)과의 공동연구 ◦ 정부 및 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등으로부터 연구용역 수탁 ◦ 연구결과의 출판 및 배포 ◦ 관계 기관의 공무원 및 기타 단체의 수탁 연수 ◦ 상기 연구원 임무의 부대사업 및 기타 연구원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3. 기 구

    연구원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연구부서는 2015.7.1.자, 비연구부서는

    2015.7.1.자 및 2015.11.1.자 조직개편을 실시하였다.

    연구부서는 삶의 질 정책업무 및 농식품정책 성과관리 확대에 따른 책임성 강화를 위해

    삶의질정책연구센터와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를 신설하여 5부 5센터로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비연구부서는 나주 이전을 계기로 소원해질 수 있는 중앙언론, 농민단체 등과의 네트워크

    강화를 도모하고 나주지역기관 및 지역 언론 등과의 적절한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대외협력실

    을 신설하여 운영하였으며, 청사이전 업무 종료에 따라, 청사이전추진단의 시설관리업무를

    행정실 시설관리팀으로 이관하여 4실로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 Ⅰ. 일반현황❙3

    < 기 구 표 >

    2015. 12. 31. 현재

  • 4❙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정 원

    정원은 141명이며, 별정직을 제외한 2015년 말 현원은 휴직자 11명을 포함하여 134명이다.

    2015.12.31. 현재

    직종

    직 급 정 원 현 원 결 원 비 고

    원 장 1 1 -※ 특별휴직 2명 포함 - 연구위원 2명

    ※ 일반휴직 7명 포함 - 전문연구원 4명 - 책임전문원 1명 - 연 구 원 2명

    ※ 육아휴직 2명 포함 - 전문연구원 1명 - 선임사무원 1명

    연구직

    선 임 연 구 위 원연 구 위 원부 연 구 위 원전 문 연 구 원연 구 원

    102

    213323187

    소 계 102 102 -

    행정직

    책 임 행 정 원선 임 행 정 원행 정 원

    17562

    소 계 17 13 △4

    전문직

    책 임 전 문 원선 임 전 문 원전 문 원

    8162

    소 계 8 9 1

    책 임 사 무 원책 임 기 능 원선 임 사 무 원선 임 기 능 원사 무 원기 능 원

    13

    234---

    소 계 13 9 △4

    합 계 141 134 △7

  • Ⅰ. 일반현황❙5

    5. 인 사

    2015년에 연구위원 1명, 부연구위원 8명, 연구원 8명, 초청연구원 20명 및 선임전문원

    2명, 주무원 5명 등 45명을 채용하고, 정년퇴직 6명과 희망퇴직 4명, 기타사유로 인한 면직

    13명 등 23명의 퇴직이 있었다. 또한 인력 운영 면에서는 승진 19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파견 1명이 있었으며, 특별휴직 2명을 포함하여 총 11명의 신규 휴직이 있었다.

    < 임 용 >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15. 1. 1. 연 구 원 박유진 농 촌 정 책 연 구 부

    2015. 1. 1. 연 구 원 이동소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1. 2. 부 연 구 위 원 이상현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부

    2015. 1. 2. 초 청 연 구 원 임채환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부

    2015. 3. 2. 선 임 전 문 원 김상범 창 의 정 보 실

    2015. 3. 2. 명예연구위원 어명근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부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민경찬 농 촌 정 책 연 구 부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손은애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한정훈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김명은 산 림 정 책 연 구 부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조정희 산 림 정 책 연 구 부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안규미 국 제 농 업 개 발 협 력 센 터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최은지 국 제 농 업 개 발 협 력 센 터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박지원 농업관측센터 모형정책지원실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김라이 농 업 관 측 센 터 채 소 관 측 실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임효빈 농 업 관 측 센 터 채 소 관 측 실

    2015. 4. 15. 부 연 구 위 원 임영아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5. 1. 주 무 원 이찬휘 기 획 조 정 실

    2015. 5. 1. 주 무 원 임수현 기 획 조 정 실

    2015. 5. 1. 주 무 원 한태녕 기 획 조 정 실

    2015. 5. 1. 주 무 원 김정은 창 의 정 보 실

  • 6❙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계: 45명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15. 5. 4. 부 연 구 위 원 정도채 농 촌 정 책 연 구 부

    2015. 7. 1. 연 구 원 윤성은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7. 1. 연 구 원 이윤정 국 제 농 업 개 발 협 력 센 터

    2015. 7. 1. 연 구 원 박한울 농업관측센터 모형정책지원실

    2015. 7. 1. 연 구 원 노호영 농 업 관 측 센 터 채 소 관 측 실

    2015. 7. 1. 연 구 원 김지연 농 업 관 측 센 터 곡 물 관 측 실

    2015. 7. 1. 연 구 원 정호연 F T A 이 행 지 원 센 터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박지연 농 업 ・ 농 촌 정 책 연 구 부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이혜진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최준영 산 림 정 책 연 구 부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강지석 농업관측센터 과일과채관측실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김창수 농업관측센터 과일과채관측실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최기림 농업관측센터 과일과채관측실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채주호 농 업 관 측 센 터 곡 물 관 측 실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최선우 농 업 관 측 센 터 곡 물 관 측 실

    2015. 7. 15. 초 청 연 구 원 유은영 삶 의 질 정 책 연 구 센 터

    2015. 8. 3. 부 연 구 위 원 임소영 농 식 품 정 책 성 과 관 리 센 터

    2015. 8. 17. 부 연 구 위 원 김종인 농 업 ・ 농 촌 정 책 연 구 부2015. 9. 15. 부 연 구 위 원 서홍석 농업관측센터 모형정책지원실

    2015. 9. 15. 부 연 구 위 원 김상효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10. 1. 선 임 전 문 원 맹문영 행 정 실

    2015. 10. 15. 연 구 위 원 손학기 산 림 정 책 연 구 부

    2015. 11. 2. 부 연 구 위 원 허정회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12. 15. 주 무 원 도상래 기 획 조 정 실

  • Ⅰ. 일반현황❙7

    < 퇴 직 >

    * 계: 23명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15. 1. 1. 선임연구위원 최경환 농 촌 정 책 연 구 부

    2015. 1. 1. 선임연구위원 박석두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1. 1. 선임연구위원 박성재 농 업 발 전 연 구 부

    2015. 1. 1. 선임연구위원 어명근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부

    2015. 3. 1. 초 청 연 구 원 정다정 국 제 농 업 개 발 협 력 센 터

    2015. 3. 16. 초 청 연 구 원 공민지 농 업 관 측 센 터 곡 물 관 측 실

    2015. 3. 31. 연 구 위 원 이병훈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부

    2015. 4. 10. 초 청 연 구 원 조정희 산 림 정 책 연 구 부

    2015. 4. 23. 초 청 연 구 원 김태우 농업관측센터 모형정책지원실

    2015. 5. 16. 초 청 연 구 원 손은애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7. 1. 선임연구위원 김태곤 농 업 발 전 연 구 부

    2015. 7. 1. 선임연구위원 송주호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부

    2015. 7. 4. 연 구 원 박유진 농 촌 정 책 연 구 부

    2015. 7. 8. 초 청 연 구 원 김영준 농 업 발 전 연 구 부

    2015. 7. 21. 기 능 원 조안철 행 정 실

    2015. 8. 7. 초 청 연 구 원 문동현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8. 7. 초 청 연 구 원 정재호 산 림 정 책 연 구 부

    2015. 8. 21. 전 문 연 구 원 한혜성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8. 21. 책 임 사 무 원 김선경 기 획 조 정 실

    2015. 8. 21. 선 임 사 무 원 노영숙 창 의 정 보 실

    2015. 9. 1. 연 구 위 원 김경덕 농 업 ・ 농 촌 정 책 연 구 부2015. 9. 8. 초 청 연 구 원 남승희 농 업 ・ 농 촌 정 책 연 구 부2015. 10. 6. 전 문 연 구 원 김영단 삶 의 질 정 책 연 구 센 터

  • 8❙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승 진 >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15. 4. 1. 선임연구위원 송미령 부 원 장 실

    2015. 4. 1. 선임연구위원 김연중 자 원 환 경 연 구 부

    2015. 4. 1. 선임연구위원 김태곤 농 업 발 전 연 구 부

    2015. 4. 1. 선임연구위원 허덕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4. 1. 선임연구위원 장철수 산 림 정 책 연 구 부

    2015. 4. 1. 선임연구위원 정민국 기 획 조 정 실

    2015. 4. 1. 부 연 구 위 원 박미성 농업관측센터 모형정책지원실

    2015. 4. 1. 책 임 행 정 원 한우석 기 획 조 정 실

    2015. 4. 1. 선 임 행 정 원 맹자경 행 정 실

    2015. 4. 1. 전 문 연 구 원 이현근 F T A 이 행 지 원 센 터

    2015. 4. 1. 주임연구조원 이경미 기 획 조 정 실

    2015. 10. 15. 연 구 위 원 조미형 농 업 ・ 농 촌 정 책 연 구 부2015. 10. 15. 연 구 위 원 김성우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10. 15. 연 구 위 원 송우진 농 업 관 측 센 터 축 산 관 측 실

    2015. 10. 15. 선 임 행 정 원 김민철 행 정 실

    2015. 10. 15. 전 문 연 구 원 임지은 농 업 ・ 농 촌 정 책 연 구 부2015. 10. 15. 전 문 연 구 원 이동소 식 품 유 통 연 구 부

    2015. 10. 15. 전 문 연 구 원 노호영 농 업 관 측 센 터 채 소 관 측 실

    2015. 10. 15. 전 문 연 구 원 남경수 F T A 이 행 지 원 센 터

    * 계: 19명

    < 파 견 >

    기 간 직 급 성 명 근무기관

    2015. 3. 2. ~ 2016. 12. 31. 부연구위원 정 호 근경 제 ・ 인 문 사 회 연 구 회미 래 전 략 연 구 센 터

    * 계: 1명

  • Ⅰ. 일반현황❙9

    < 휴 직 >

    기 간 직 급 성 명 사 유

    2013. 5. 1. ~ 2016. 4. 30. 책 임 전 문 원 조태희 일 반 휴 직

    2013. 8. 1. ~ 2018. 7. 31. 연 구 원 김정승 일 반 휴 직

    2013. 8. 5. ~ 2017. 8. 4. 전 문 연 구 원 윤종열 일 반 휴 직

    2013. 8. 22. ~ 2017. 8. 21. 전 문 연 구 원 이정민 일 반 휴 직

    2014. 3. 3. ~ 2016. 3. 2. 전 문 연 구 원 김창호 일 반 휴 직

    2014. 3. 3. ~ 2015. 3. 2. 연 구 위 원 정은미 특 별 휴 직

    2014. 8. 4. ~ 2015. 8. 3. 연 구 위 원 김용렬 특 별 휴 직

    2014. 9. 1. ~ 2016. 8. 31. 연 구 원 김원태 일 반 휴 직

    2014. 9. 15. ~ 2017. 9. 14. 주 무 원 서은희 육 아 휴 직

    2015. 2. 1. ~ 2015. 9. 30. 전 문 연 구 원 김영단 일 반 휴 직

    2015. 2. 18. ~ 2016. 2. 17. 초 청 연 구 원 김수지 육 아 휴 직

    2015. 3. 1. ~ 2016. 2. 29. 연 구 위 원 국승용 특 별 휴 직

    2015. 3. 10. ~ 2016. 3. 9. 연 구 위 원 김광선 특 별 휴 직

    2015 6. 10. ~ 2017. 6. 9. 전 문 연 구 원 김수림 육 아 휴 직

    2015. 8. 3. ~ 2017. 3. 31. 선 임 사 무 원 이경미 육 아 휴 직

    2015. 8. 10. ~ 2017. 8. 9. 주 무 원 남숙경 육 아 휴 직

    2015. 8. 10. ~ 2017. 8. 9. 주 무 원 이인숙 육 아 휴 직

    2015. 8. 19. ~ 2017. 8. 18. 초 청 연 구 원 반현정 육 아 휴 직

    2015. 9. 14. ~ 2018. 9. 13. 전 문 연 구 원 권인혜 일 반 휴 직

    2015. 11. 19. ~ 2016. 11. 18. 초 청 연 구 원 심민희 육 아 휴 직

    * 계: 20명

  • 10❙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 예 산

    2015년도 연구원 수권예산은 58,779백만원으로 2014년 58,571백만원 대비 0.4%

    (208백만원) 증액 편성되었다.

    총예산 중 수입예산은 정부출연금 16,068백만원(27.3%) 및 자체 수입 30,845백만원

    (52.5%), 전기이월금 10,111백만원(17.2%), 연구개발적립금 1,755백만원(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자체 수입에는 연구원의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이전에 따른 종전부동산 및 부지 매매계약 잔금수입 10,538백만원이 포함되어 있다.

    지출예산은 인건비 11,989백만원(20.4%), 연구사업비 24,756백만원(42.1%), 경상운영비

    1,282백만원(2.2%), 시설비(청사이전비 포함) 18,997백만원(32.3%)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이 중 연구사업비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정부대행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는 농업관측사업과 FTA

    이행지원센터 운영사업이 12,878백만원 포함되어 있다.

    < 2015년도 예산 현황 >

    (단위: 백만원)

    구 분 2014 2015 증 감

    수입

    정 부 출 연 금 15,241 16,068 827

    자 체 수 입 29,415 30,845 1,429

    전 기 이 월 금 13,915 10,111 △3,804

    연구 개발적 립금 - 1,755 1,755

    합 계 58,571 58,779 208

    지출

    인 건 비 10,402 11,989 1,587

    연 구 사 업 비 21,717 24,756 3,039

    경 상 운 영 비 986 1,282 296

    시 설 비 25,466 18,997 △6,469

    연구 개발적 립금 - 1,755 1,755

    합 계 58,571 58,779 208

  • Ⅰ. 일반현황❙11

    7. 청사이전 현황

    7-1. 공사개요

    위 치 전남 나주시 빛가람로 601

    공 사 기 간 2013. 11. 20. ~ 2015. 07. 13. (19개월)

    발 주 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 공 사

    ㈜태영건설(45%)

    현대엔지니어링㈜(35%)

    남해종합건설㈜(20%)

    설 계 사 선진엔지니어링

    C M 단 한미글로벌

    공 사 내 용

    대지면적 34,352.6㎡ (10,392평)

    건축면적 4,627.8㎡ (1,400평)

    연 면 적 16,159.6㎡ (4,888평)

    건 폐 율 13.47%

    용 적 률 39.83%

    주 요 시 설교육 및 연구시설 1개동

    지하 1층~지상 7층

    주 차 대 수 총 196대(지상 170대 / 지하 26대)

    * 주요시설교육 및 연구시설 1개동, 지하 1층~지상 7층

    * 주차대수총 196대(지상 170대 / 지하 26대)

  • 12❙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7-2. 시설면적

    구  분 면 적연구원실

    [㎡]

    3,782(1,144평) : 130실

    연구위원실 100실(1인) 23.4 (7.1평)

    연구원실 30실(4인) 51.7(15.6평)

    회의실

    구  분 1,071(324평) : 21실대회의실 1실 386(117평)

    중회의실 1실 104 (31평)

    소회의실 19실

    581(176평)

    7실 53(16평)

    12실 18 (5평)

    식당㎡ 223 (67평)

    체육시설

    실내

    626(189평)

    다목적실1(배드민턴장) 464(140평)

    다목적실2(탁구장) 47 (14평)

    체력단련실 115 (35평)

    실외테니스장 2면, 농구장 1면

    체력단련시설(철봉,평행봉,운동기구 외)

    7-3. 건설비용

    (단위: 백만원)

    토지구입비 14,563 1,401천원×10,392평

    건축・설계비 32,457 (건축 + 설계)감리・부대비 2,420 CM비 1,639+설계보상비 556

    +조달수수료 65+설분담금 160

    이주지원비 정부지원 이주 지원비, 기관 및 직원 이사비(정부지원)

    * 건축・설계비, 토지구입, 감리・부대비는 실행기준 * 이주지원비는 정부 예산편성지침에 의함

  • Ⅱ. 연구사업❙13

    Ⅱ. 연 구 사 업

    1. 기본방향

    2015년도 연구는 효율적 농정추진 시스템 구축으로 농정성과 제고, 농산업의 신성장 동력

    확충과 경쟁력 제고, 안전한 농식품의 안정적 수급시스템 확립, 삶의 질 향상을 통한

    농촌지역 활성화, 농업의 대내・외 여건 변화와 대응력 제고 등 중장기 기초연구와 수요자 지향의 중대형 정책연구를 적절히 배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조사연구사업 총괄

    2015년도에는 모두 175개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중 141개 과제를 완료하였으며, 34개

    과제는 2016년도까지 계속된다.

    < 연구사업 총괄 >

    연 구 부 문 총과제 수 2015년 완료과제 2016년 계속과제

    농업ㆍ농촌정책연구 21 16 5

    자원환경연구 25 22 3

    식품유통연구 32 23 9

    글로벌협력연구 18 15 3

    산림정책연구 15 14 1

    농업관측센터 27 20 7

    FTA이행지원센터 7 5 2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7 6 1

    삶의질정책연구센터 7 5 2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 9 8 1

    기획조정실 4 4 0

    창의정보실 3 3 0

    계 175 141 34

  • 14❙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3. 농업・농촌정책연구<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기본(단기)

    농촌지역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의 다기능복합화 추진방안

    2015.01.01. ~ 2015.08.31 조미형

    2 기본 농촌주민 보건복지서비스 연계의 경제적 효과 분석 2015.01.01 ~ 2015.10.31 엄진영

    3 기본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

    2015.01.01. ~ 2015.10.31 마상진

    4 기본 논농업 효율화를 위한 들녘 경영체 육성방안 2015.01.01 ~ 2015.10.31 박문호

    5 기본 농촌지역의 사회적 경제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5.01.01 ~ 2015.10.31 김정섭

    6 기본 세계 농산물 무역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015.01.01 ~ 2015.10.31 유찬희

    7정책(이월)

    농업수입보장보험 도입을 위한 농산물 기준가격 산출방안 연구

    2014.10.22 ~ 2015.04.20 오내원

    8용역(이월)

    마을 단위 맞춤형 6차산업 실증모델 개발 및 적용(1/3차년도)

    2014.12.24 ~ 2015.06.23 박시현

    9 용역 농업인안전보험료 차등지원 방안 연구 2015.04.27 ~ 2015.08.14 유찬희

    10 용역차기 국제농업박람회 기본계획 수립 및 발전방향 연구용역

    2015.06.12 ~ 2015.11.30 정은미

    11 용역 거창 국제원예힐링박람회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5.03.16 ~ 2015.12.15 정은미

    12 정책 농촌고령자 실태 및 정책개선 방안 2015.08.18 ~ 2015.12.16 조미형

    13 정책 사례연구를 통한 농촌 복지문화 모형 연구 용역 2015.08.19 ~ 2015.12.18 조미형

    14 용역 귀농・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 조사(2/5차년도) 2015.01.01 ~ 2015.12.31 마상진

  • Ⅱ. 연구사업❙15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5 용역귀농 귀촌인의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 모델 개발(2/5차년도)

    2015.01.01 ~ 2015.12.31 박대식

    16 정책 일본 농정개혁 연구 2015.11.05 ~ 2015.12.31 김종인

    17 정책 도시농업의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5.05.13 ~ 2016.01.08 허주녕

    18 정책 농업 고용인력 실태조사 및 수급안정 방안 연구 2015.08.26 ~ 2016.01.25 김정섭

    19 정책 들녘경영체 운영효과 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2015.12.07 ~ 2016.07.07 박문호

    20 정책 국가산채클러스터조성사업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5.12.22 ~ 2016.06.18 김용렬

    21 용역마을 단위 맞춤형 6차산업 실증모델 개발 및 적용(2/3차년도)

    2015.06.24 ~ 2016.06.23 박시현

  • 16❙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자원환경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 우량농지 보전을 위한 정책프로그램 개발 2015.01.01 ~ 2015.10.31 채광석

    2 기본 농업・농촌분야 사회갈등 관리실태와 개선과제 2015.01.01 ~ 2015.10.31 김수석

    3 기본 미래농업으로 곤충산업 활성화 방안 2015.01.01 ~ 2015.10.31 김연중

    4 기본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수단의 경제적 효과 분석 2015.01.01 ~ 2015.10.31 김창길

    5 기본 시설원예 생산자재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안 2015.01.01 ~ 2015.10.31 서대석

    6 일반농업R&D 거버넌스 효율성 제고 및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2/2차년도) -농업기술혁신시스템을 중심으로-

    2015.01.01 ~ 2015.12.31 이명기

    7 일반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한 밭 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1/3차년도)

    2015.01.01 ~ 2015.12.31 김홍상

    8 수시 농자재 EPR 적용 실태와 정책과제 2015.09.23 ~ 2015.12.31 강창용

    9 수시 신기후체제에 대응한 저탄소농업 활성화 방안 2015.12.28 ~ 2016.05.31 정학균

    10용역(이월)

    제2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수립 연구

    2014.05.23 ~ 2015.01.22 김수석

    11정책(이월)

    양분총량제 도입기반 마련 2014.07.09 ~ 2015.03.09 김창길

    12정책(이월)

    농업분야 국가 온실가스 장기 감축목표 설정 2014.05.19 ~ 2015.03.31 정학균

    13정책(이월)

    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방안 2014.09.18 ~ 2015.04.30 강창용

  • Ⅱ. 연구사업❙17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4정책(이월)

    농관원 조직개편 방안 연구 2014.11.05 ~ 2015.04.30 김수석

    15용역(이월)

    농업부문 기후변화 경제적 영향분석 모형개발 2014.11.05 ~ 2015.08.09 김창길

    16 용역 시설농업단지 지하수함양 사업타당성분석 용역 2015.05.15 ~ 2015.08.11 채광석

    17용역(이월)

    농업용 집단에너지사업 모델개발 연구 2014.05.21 ~ 2015.09.15 김연중

    18 용역2015년 농업・환경분야 OECD 연구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용역

    2015.05.21 ~ 2015.12.28 김창길

    19 용역유기농업의 비시장적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1/2차년도)

    2015.01.01 ~ 2015.12.31 김창길

    20 용역농업경영체의 영농활용기술 도입요인 및 경영성과 분석(2/3차년도)

    2015.01.01 ~ 2015.12.31 김연중

    21 용역 딸기 수출확대를 위한 대상국별 비관세장벽 분석 2015.04.01 ~ 2015.12.31 서대석

    22 용역FTA 대응 경쟁력 향상 기술개발사업 성과 분석 및 추진방향 설정

    2015.06.01 ~ 2015.12.31 이명기

    23 용역외국제 농기계 시장 몫 확대 요인과 문제, 대응방안

    2015.09.01 ~ 2015.12.30 강창용

    24 용역태안화력 온배수 농업부문 활용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2015.05.28 ~ 2016.01.22 김연중

    25 정책친환경농업 육성 및 농업환경자원 관리 강화방안 연구

    2015.06.05 ~ 2016.01.31 김창길

  • 18❙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5. 식품유통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2015.01.01 ~ 2015.10.31 이계임

    2 기본 농식품 수출조직 운영실태와 육성방안 2015.01.01 ~ 2015.10.31 김경필

    3 기본가정식 대체식품(HMR) 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가공식품을 중심으로

    2015.01.01 ~ 2015.10.31 박성진

    4 기본대형마트 휴무제에 따른 농업분야 파급영향과 대응방안

    2015.01.01 ~ 2015.10.31 김병률

    5 일반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 방안(2/2차년도)

    2015.01.01 ~ 2015.12.31 전창곤

    6 일반국제곡물시장 분석과 해외곡물시장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사료용 GM 작물 개발 실태와 정책과제-

    2015.01.01 ~ 2015.12.31 성명환

    7 수시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대책 및 보완대책 중간성과 분석-2013.5.27대책 및 2014.5보완대책을 중심으로-

    2015.04.15 ~ 2015.07.14 김병률

    8정책(이월)

    한국 농식품 신흥시장 수출확대를 위한 비관세장벽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2014.10.02 ~ 2015.02.02 김경필

    9용역(이월)

    경북북부권 생강 출하조절센터 건립, 운영 기본 타당성 조사

    2014.08.25 ~ 2015.02.28 전창곤

    10용역(이월)

    ICT를 활용한 산지 APC-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2014.06.16 ~ 2015.03.31 김병률

    11 용역 농업 기업간 상생협력 및 분석 용역 2015.04.30 ~ 2015.07.30 박성진

    12 정책 2015년 글로벌 산업경제 포럼 2015.04.06 ~ 2015.09.22 김병률

    13 용역FTA 확대에 따른 축산기반 강화대책 연구(젊은이가 돌아오는 축산대책 중심으로)

    2015.03.17 ~ 2015.09.16 허덕

  • Ⅱ. 연구사업❙19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4용역(이월)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농식품 수출지원제도 개선 방안(1/3차년도)

    2014.09.25 ~ 2015.09.24 김경필

    15 정책 농업과 기업의 상생협력 제도화 방안 2015.05.06 ~ 2015.11.02 이계임

    16 용역 연초생산 및 지원사업의 효율화 방안 연구 2015.04.22 ~ 2015.11.30 전창곤

    17 용역 김치원료 종합처리시스템 확산 마스터플랜 수립 2015.05.01 ~ 2015.11.30 전창곤

    18 용역 천안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발전 계획 수립 연구 2015.04.06 ~ 2015.12.15 전창곤

    19 용역 CODEX 대응 업무 개선방안 연구 2015.05.20 ~ 2015.12.19 김경필

    20 용역 2015년 감귤거래소 설치 타당성 및 실현방안 용역 2015.06.19 ~ 2015.12.19 김병률

    21 용역 수출물류비 폐지대비 사업개발용역 2015.10.02 ~ 2015.12.30 김경필

    22 용역동부권 농식품 6차 산업화단지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2015.05.28 ~ 2016.01.22 전창곤

    23 용역2015년 국민 식생활 실태조사 및 식생활 모니터링 체계 구축

    2015.09.01 ~ 2016.01.29 이계임

    24 용역 축산물등급판정제도 발전방안 연구 2015.10.28 ~ 2016.02.27 허덕

    25 용역중국 잠재품목 발굴 및 마케팅 전략수립 조사(2선 도시)

    2015.10.16 ~ 2016.02.29 김경필

    26 정책 식량자급률 목표치 설정 및 자급률 제고방안 연구 2015.09.09 ~ 2016.03.04 성명환

    27 용역농산물유통 효율화를 위한 이미지경매 기술개발 및 실증연구

    2015.04.01 ~ 2016.03.31 김병률

    28 용역지방 도매시장 물류기반의 산지APC-소상공인 농산물 온라인 거래 시스템 고도화 및 실증연구

    2015.08.14 ~ 2016.08.13 김성우

    29 용역 대경권 영천 농산물 유통단지 조성계획 수립 연구 2015.12.23 ~ 2016.08.18 전창곤

  • 20❙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30 용역크라우드소싱 기반의 농식품 수출지원제도 개선 방안(2/3차년도)

    2015.09.25 ~ 2016.09.24 김경필

    31연구관련

    사업식품소비행태조사 운영 2015.01.01 ~ 2015.12.31 이계임

    32연구관련

    사업2014년 식품수급표 2015.07.01 ~ 2015.12.31 황윤재

  • Ⅱ. 연구사업❙21

    6. 글로벌협력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기본(단기)

    한중FTA시대 양국 농식품안전분야 협력방안 2015.01.01 ~ 2015.08.31 정정길

    2 기본 대북 식량지원프로그램 구축 방향 2015.01.01 ~ 2015.10.31 김영훈

    3일반(협동)

    FTA를 활용한 농산물 수출증대 전략 연구(2/2차년도)

    2015.01.01 ~ 2015.12.31 이상현

    4 수시 TPP 농업부문 협상결과와 시사점 2015.06.10 ~ 2015.12.10 이상현

    5 정책 한・베트남 FTA 영향평가 2015.02.13 ~ 2015.05.07 이상현

    6정책(이월)

    〇〇〇 농업분야 〇〇 〇〇〇 2014.07.28 ~ 2015.05.15 어명근

    7 정책 〇〇 농업부문 〇〇 〇〇〇 2015.07.16 ~ 2015.10.15 이상현

    8 용역중국의 농산물 수급구조 변화와 대한국 수출 확대 가능성 분석

    2015.04.15 ~ 2015.11.30 정정길

    9용역(이월)

    FTA 수입농산물 유통마진 조사 2014.12.04 ~ 2015.12.03 최용호

    10 용역 TPP 농업/SPS 분야 연구 2015.09.16 ~ 2015.12.15 이상현

    11 정책 농업분야 로드맵 연구 2015.09.14 ~ 2015.12.31 김영훈

    12 정책 DDA 협상대응 시나리오 구상 2015.07.24 ~ 2016.02.22 이상현

    13 정책 경협사업 추진방안 연구 2015.05.12 ~ 2016.03.11 김영훈

    14 정책 농업부문 통계 연구 2015.11.12 ~ 2016.09.11 김영훈

  • 22❙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5연구관련

    사업KREI-북한농업동향 2015.01.01 ~ 2015.12.31 김영훈

    16연구관련

    사업중국농업동향 2015.01.01 ~ 2015.12.31 정정길

    17연구관련

    사업세계농업정보 2015.01.01 ~ 2015.12.31 어명근

    18연구관련

    사업중국사무소 운영 2015.01.01 ~ 2015.12.31 전형진

  • Ⅱ. 연구사업❙23

    7. 산림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 임업분야 국제개발협력 전략 연구 2015.01.01 ~ 2015.10.31 이상민

    2 일반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2차년도) 2015.01.01 ~ 2015.12.31 석현덕

    3 용역 녹색사업단의 조직, 기능 재정립에 관한 연구 2015.02.23 ~ 2015.04.06 장철수

    4용역(이월)

    종균 및 버섯 수출입 대응연구(2/4차년도) 2014.05.03 ~ 2015.05.02 민경택

    5용역(이월)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유통 및 수출실태 조사와 수출촉진을 위한 전략상품화 및 해외마케팅 방안(1/3차년도)

    2014.05.15 ~ 2015.05.14 정호근

    6 정책 산림계획제도 개선방안 연구 2015.03.05 ~ 2015.08.31 민경택

    7 정책 1차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산림・임업) 2015.03.05 ~ 2015.08.31 석현덕8 용역 조합별 산림경영지도사업 실적평가 용역 2015.08.31 ~ 2015.10.29 석현덕

    9 정책산지은행제도 도입을 통한 사유림 경영 활성화 방안 연구

    2015.03.05 ~ 2015.10.31 장철수

    10 정책규제비용총량제 도입에 따른 산림분야 규제비용 분석

    2015.08.26 ~ 2015.11.24 구자춘

    11 정책 산림소득 지원사업 사후관리 평가 2015.04.16 ~ 2015.11.30 민경택

    12 정책 산촌진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2015.06.03 ~ 2015.11.30 민경택

    13 정책 기 체결된 FTA가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5.03.05 ~ 2015.12.31 이상민

    14 용역단기소득임산물 생산・유통 및 수출실태 조사와 수출촉진을 위한 전략상품화 및 해외마케팅 방안(2/3차년도)

    2015.05.15 ~ 2016.05.14 이상민

    15정부위탁

    사업2015년 임업관측사업 2015.01.01 ~ 2015.12.31 석현덕

  • 24❙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8. 농업관측센터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기본(단기)

    말산업 육성 현황과 발전 방안 2015.01.01 ~ 2015.08.31 지인배

    2 기본 축산 부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 2015.01.01 ~ 2015.10.31 송우진

    3 기본 채소 계약재배 활성화 방안 2015.01.01 ~ 2015.10.31 이용선

    4 일반중장기 양곡정책방향(1/2차년도)-관세화 이후 쌀 수출입정책을 중심으로-

    2015.01.01 ~ 2015.12.31 김태훈

    5 일반TCR대비 카자흐스탄 및 우즈베키스탄 농산물 가공수출사업 협력방안

    2015.01.01 ~ 2015.12.31 최지현

    6수시(이월)

    한우와 돼지고기 수요 변화 요인 분석 2014.11.24 ~ 2015.04.30 지인배

    7수시(이월)

    축산계열화사업 성과와 과제 2014.12.02 ~ 2015.02.27 우병준

    8 수시 구제역 발병 농가 실태와 정책방안 2015.03.25 ~ 2015.06.24 지인배

    9 수시 당근 주산지 조직화를 통한 자율적 수급안정 방안 2015.07.01 ~ 2015.09.30 최병옥

    10 특별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과 지역발전 전략 2015.07.20 ~ 2016.02.29 이용선11

    정책(이월)

    국가축산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2014.07.14 ~ 2015.02.26 허덕

    12용역(이월)

    종자시장 조사 및 마케팅 지원시스템 구축(2/4차년도)

    2014.05.03 ~ 2015.05.02 박기환

    13정책(이월)

    2014년 AI 발생확산 원인 및 재발방지 연구(AI백서)

    2014.06.16 ~ 2015.06.15 허덕

    14 용역 가금산물 가격조사체계 구축 연구 용역 2015.03.05 ~ 2015.07.04 송우진

    15 용역 지자체 가축방역사업 평가 연구용역 2015.04.30 ~ 2015.10.30 송우진

    16 정책 도축산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15.05.18 ~ 2015.11.19 지인배

  • Ⅱ. 연구사업❙25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7 용역2015-2019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지원사업(농림수산식품분야)

    2015.03.02 ~ 2015.11.30 최지현

    18 정책 종자산업통계 관리체계 구축 사업 2015.09.07 ~ 2015.12.18 박기환

    19 정책 5대 민감 품목 수급안정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2015.06.17 ~ 2015.12.14 최병옥

    20 용역김치제조업의 적정규모 추정과 채소가격 안정효과 분석

    2015.10.01 ~ 2015.12.31 최병옥

    21 정책 중장기 곡물수급분석 및 대응방향 수립 2015.06.25 ~ 2016.02.20 박동규

    22 용역 종자시장 조사 및 마케팅 지원시스템 구축(3/4차년도) 2015.05.03 ~ 2016.02.29 박기환

    23 정책 친환경축산물 인증 및 직불제 개편방안 연구 2015.08.18 ~ 2016.02.29 송우진

    24 정책14~15년 구제역 발생원인 분석 및 방역정책 개선방안 연구

    2015.10.01 ~ 2016.02.29 지인배

    25 정책 국민경제를 고려한 미래 축산정책 개선방안 연구 2015.07.29 ~ 2016.03.28 우병준

    26 용역경기도 특화작목 수급 및 경영분석 모델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2015.10.26 ~ 2016.06.23 이용선

    27정부

    위탁사업농업관측사업(아래 관련사업 포함) 2015.01.01 ~ 2015.12.31 최지현

    - 농업전망 2016 최지현

    - 농업・농촌경제동향 이용선- 농업관측월보 엽근채소 최병옥

    - 농업관측월보 양념채소 송성환

    - 농업관측월보 과일 박기환

    - 농업관측월보 과채 박기환

    - 농업관측월보 축산 우병준

    - 농업관측월보 국내곡물 김태훈

    - 농업관측월보 국제곡물 김종진

    -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KASMO 2015 운용・개발 연구 한석호

  • 26❙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9. FTA이행지원센터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일반농가경영안정지원제도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2/2차년도)

    2015.01.01 ~ 2015.12.31 박준기

    2수시(이월)

    농업보조금 집행 실태와 정상화 방안 연구 2014.08.01 ~ 2015.01.30 박준기

    3정책(이월)

    식량안보 목적의 농업보조금 개편방안 연구 2014.06.27 ~ 2015.02.28 문한필

    4정책(이월)

    한중 FTA 영향평가 2014.12.29 ~ 2015.05.07 한석호

    5 용역 TPP 종합영향분석 : 농업 효과 분석 2015.09.16 ~ 2016.01.29 한석호

    6 용역메가 FTA의 경제효과 분석 방법론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연구

    2015.11.30 ~ 2016.04.30 한석호

    7정부위탁

    사업자유무역협정이행에 따른 농업인 등 지원센터(FTA이행지원사업)

    2015.01.01 ~ 2015.12.31 박준기

  • Ⅱ. 연구사업❙27

    10.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한국형 ODA 모델」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심화 연구(2차년도)

    2015.01.01 ~ 2015.10.31 이대섭

    2용역(이월)

    2014년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 정책자문(아제르바이잔)

    2014.06.24 ~ 2015.04.30 허장

    3정책(이월)

    중앙아시아 산업구조 심층분석 및 진출전략 연구

    2014.12.22 ~ 2015.05.01 이대섭

    4 용역‘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지식다이얼로그 구축사업’ 한-캄보디아 정책 세미나 2015.02.16 ~ 2015.05.30 김종선

    5용역(이월)

    캄보디아 농촌종합개발사업 타당성 조사(F/S) 2014.10.06 ~ 2015.06.12 허장

    6용역(이월)

    중남미지역 농촌개발사업 성과중심 통합관리 2014.12.27 ~ 2017.02.26 허장

    7정부위탁

    사업2015년 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우리나라 농정성과 확산사업(KAPEX)

    2015.01.01 ~ 2015.12.31 허장

  • 28❙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 삶의질정책연구센터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일반(협동)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1/5차년도)

    2015.01.01 ~ 2015.12.31 성주인

    2 일반농업・농촌 정책지원을 위한 통합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기초연구(1/2차년도)

    2015.01.01 ~ 2015.12.31 심재헌

    3 특별농촌 취약계층 생활실태 조사 및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2015.09.30 ~ 2016.04.30 송미령

    4 용역 농어촌 토지이용 관련 제도 및 문제점 분석 2015.05.07 ~ 2015.09.04 심재헌

    5 정책 제1차 농촌융복합산업육성 기본계획 수립 2015.04.30 ~ 2015.11.30 성주인

    6 용역 2015년 농어촌지역정책포럼 공동운영 2015.06.22 ~ 2015.12.24 성주인

    7정부위탁

    사업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업무위탁

    2015.04.13 ~ 2016.01.08 성주인

    12.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기본(단기)

    농업재해보험이 농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분석 2015.01.01 ~ 2015.08.31 김미복

    2 수시15년 상반기 농식품 분야 주요 정책 수요자 만족도 조사연구

    2015.06.08 ~ 2015.07.30 김미복

    3용역(이월)

    농업재해보험사업의 효율적 관리방안 등에 관한 연구

    2014.11.03 ~ 2015.03.31 김미복

    4 용역 농림축산분야 FTA 대응전략 연구용역 2015.03.30 ~ 2015.11.24 황의식

    5 용역농업인의 보험이용 실태분석과 농축협조합 보험사업 발전방향

    2015.05.18 ~ 2015.11.30 황의식

    6 정책 농업정책금융 지원제도 개선방안 2015.08.06 ~ 2015.12.15 김미복

  • Ⅱ. 연구사업❙29

    13. 기획조정실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정책“FTA 시대, 농업농촌의 미래 70년” 보고서 발간 및 학술세미나 개최

    2015.06.30 ~ 2015.11.30 송미령

    2연구관련

    사업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 운영 사업 2015.01.01 ~ 2015.12.31 문한필

    3연구관련

    사업농업・농촌 동향정보 수집 및 분석사업 2015.01.01 ~ 2015.12.31 문한필

    4연구관련

    사업학술대회 개최 및 운영 2015.01.01 ~ 2015.12.31 문한필

    14. 창의정보실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연구관련

    사업농업・농촌에 대한 2015년도 국민의식조사 2015.01.01 ~ 2015.12.31 김동원

    2연구관련

    사업2015년 KREI 리포터 운영사업 2015.01.01 ~ 2015.12.31 김동원

    3연구관련

    사업KREI 전산・정보시스템 재구축 사업 2015.01.01 ~ 2015.12.31 김상범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7 정책 농협의 역할정립 및 제도개선 방향 2015.05.06 ~ 2015.12.21 황의식

    8 정책 농식품 규제비용 분석지원을 위한 연구 2015.05.29 ~ 2016.02.29 황의식

    9정부위탁

    사업농식품정책 성과관리 전담기관 업무위탁 2015.07.27 ~ 2015.12.25 황의식

  • 30❙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

    1. 유관 정부부처 및 국회와 협력

    1-1. 현황

    유관 정부부처, 국회

    현안보고(차관급 이상)

    정책연구(실무)협의회

    TF/작업반 참여

    행사 발표/토론

    회의참석 정책자문과제

    (사업)수행합계

    청 와 대 4 - - - 3 1 - 8

    민 주 평 통 - - - 1 9 - - 10

    지역발전위원회 - - 1 - 10 - - 11

    통 준 위 - - - - 15 - - 15

    국 회 4 - - 11 13 6 - 34

    경 인 사 연 1 - 2 6 1 - 2 12

    기 재 부 - - 2 - 13 - 3 18

    농 식 품 부 11 14 19 23 177 68 40 352

    산 통 부 2 - - 2 11 6 2 23

    농 진 청 - 2 1 13 11 - 6 33

    산 림 청 - 1 - 5 39 1 8 54

    기 타 - - 1 1 15 2 - 19

    합 계 22 17 26 62 317 84 61 589

  •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31

    1-2. 연구원 주최(주관)

    유관 정부부처,

    국회

    개최일시

    협력 내용 내・외부 참석자 등

    국회 7.7 행사 ㆍ힐링, 텃밭 가꾸기 토크콘서트 정세균 의원 등 200여명

    경인사연1.19

    행사ㆍ한・중 FTA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중국 현지 토론회 안세영 이사장 외 22명

    2.27 ㆍ한-캄보디아 지식다이얼로그 토론회 안세영 이사장 외 80명

    기재부 8.25 행사 ㆍ2015년 글로벌 산업경제 포럼 이준원 실장 등 200명

    농식품부

    3.13

    정책연구(실무)협의회

    ㆍ’15년 주요 농정과제, 우수인력확보 방안, 중장기 연구과제 수행 등 농정 선도 기능 강화・연구과제 제안 이동필 장관 등 18명

    6.24 ㆍ2015년 주요 농정과제 및 주요 농정현안 논의 이동필 장관 등 80명

    1.29 ㆍ’15년 축산정책방향 및 연구・조사 시행 계획 이천일 국장 등 31명 1.29 ㆍFTA 국내보완대책 정책 현안 논의 김종훈 국장 등 30명

    2.2 ㆍ식품산업 수출 분야 관련 분야 정책 이슈 논의 배호열 과장 등 48명

    3.24 ㆍ농업관측센터와 정책부서 간 연계협력방안 및 발전방안이재욱 유통정책관 등

    22명

    4.21 ㆍ농촌지역개발 정책의 추진 경과 및 발전 방향 모색 오경태 차관보 등 17명

    5.7∼5.8ㆍ농산물 유통 및 수급관련 동향・정책에 대한 중앙

    부처・지자체・관측센터 간 연계협력방안 논의 이준원 실장 등 35명 5.11 ㆍ2014년 FTA 국내보완대책 성과분석 결과 논의 조재호 국장 등 9명

    7.17 ㆍ건실한 친환경 농업 육성 대책마련 논의 홍인기 과장 등 31명

    9.15 ㆍ농촌 삶의질 정책 국내외 동향과 농촌정책 방향 논의 오경태 차관보 등 20명

    9.17 ㆍDDA 협상 논의 동향 및 대응방향 모색 유정은 사무관 등 15명

    10.27 ㆍ농촌정책의 형성과정과 특징, 농촌정책발전방향 논의 김정희 과장 등 16명

    12.22 ㆍFTA 국내보완대책과 농정 방향 논의 조재호 국장 등 15명

    7.10행사

    ㆍ농업・농촌 광복 70년 과거와 미래 토크콘서트 이동필 장관 등 200명7.16 ㆍ광복 70년, 농업・농촌의 성과와 미래 도전 이준원 실장 등 200명

    8.7~8.8 회의 ㆍ농식품업의 미래성장 산업화‘워크숍’ 이동필 장관 등 198명

  • 32❙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3. 연구원 협력

    농진청

    12.4 정책연구(실무)협의회

    ㆍ쌀 소비 확대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 및 논의 이양호 청장 등 50명

    12.9ㆍ현장중심 농업기술혁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

    책방향 모색 김두호 과장 등 20명

    산림청 7.15정책연구

    협의회ㆍ산림정책 방향 및 주요 현안 논의 신원섭 청장 등 33명

    유관 정부부처,

    국회

    개최일시

    협력 내용내・외부

    참석자 등

    청와대

    7.1회의참석

    ㆍ북한 경제개발구 협력 관련 청와대 회의(경제비서관 주제)

    김영훈

    4.24회의참석

    ㆍ농식품부 유통구조개선대책 3년차 보완 계획 수립 김병률 외 1인

    11.11회의참석

    ㆍ청와대 농축산식품비서관실 농지제도 개편 및 농지보전 관련 업무협의

    김홍상 외 1인

    1.22정책자문

    ㆍ청와대 농축산식품비서관실 박범수 행정관 요청자료 제공 정정길

    민주평통

    3.12행사 발표/토론

    ㆍ민주평통 주관 대토론회 토론 김영훈

    3.2 외8회

    회의참석

    ㆍ민주평통 경제과학분과위 회의 외 8건 김영훈

    지역발전위원회

    2.16TF

    참여ㆍ지역행복생활권 지표선정 심재헌

    10.6 외9회

    회의참석

    ㆍ지역계정 예산재편 간담회 외 9건 송미령 외 1인

    통준위1.13 외

    14회회의참석

    ㆍ통일준비위원회 경제분과 회의 외 14건 김영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3.26회의참석

    ㆍ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분과회의 주제발표 성주인 외 1인

    5.20회의참석

    ㆍ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분과회의 참석 성주인

    국회 4.22 외 회의 ㆍ류성걸 의원실 경제자문회의 김홍상

  •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33

    유관 정부부처,

    국회

    개최일시

    협력 내용내・외부

    참석자 등

    3회

    참석

    1.28 외1회

    ㆍ물관리기본법 제정 연구회 김홍상

    6.23 ㆍ국회 농촌 주거정비 관련 전문가 간담회 성주인

    2.25 외1회

    ㆍ농어촌 리모델링 전문가 간담회 성주인

    2.27 ㆍ농업정책금융 발전방안 논의(새정연 전문위원실) 김미복

    6.29

    행사 발표/토론

    ㆍ가뭄 대책 긴급 토론회(안상수, 염동열 의원 주최) 김홍상

    3.3ㆍ국회 통합 물관리 실현을 위한 법제 개선 토론

    회(국회 스마트 물 포럼)김홍상

    2.5ㆍ농업부문 ICT융합의 전략과 과제

    (이정현 국회의원실 주관)김홍상

    7.2 ㆍ귀농・귀촌 국회토론회(김종태 의원실) 마상진10.26 ㆍ한・중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농업부문 보완대책 박준기12.1

    ㆍ농업진흥지역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박완주, 김승남 의원 주최)

    채광석

    4.23 ㆍ농산물 직거래 활성화법 관련 공청회(김춘진 의원) 최병옥

    6.24 ㆍ기체결 FTA 영향평가결과 설명회(박민수 의원) 한석호

    8.3

    정책자문

    ㆍ2015 FTA 투융자계획 설명(김종태 의원실) 남경수

    9.9 ㆍ무역이득공유제 논의동향(정희수 의원실) 박준기

    2.12 ㆍ밭농업 변동직불제 법제적 측면(국회사무처 법제실) 오내원

    8.7ㆍ소비자 물가불변가를 반영한 FTA 피해보전

    직불금 지급단가 검토(국회예산 정책처 허가영 사업평가관)

    이수환

    5.29ㆍ2013년, 2014년 FTA 피해보전직불금 소비자물가

    반영, 기준비율 보전비율 시나리오별 검토(국회예산정책처)

    이수환 외 1인

    10.15, 10.16

    ㆍ한・중 FTA 영향평가(농해수위위원장) 외 1건 한석호

    국무조정실

    6.12 토론 ㆍ온실가스 장기감축 목표설정 공청회 토론 정학균

    9.16회의참석

    ㆍ식품안전정책위 현장점검회의 참석 최지현

    12.23 TF참여 ㆍ제23차 국제개발협력 실무위원회 참석 허장

    경인사연1.14∼4.22

    행사 발표/

    ㆍ한중 FTA 효율적 활용을 위한 중국 현지토론회 정정길

  • 34❙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유관 정부부처,

    국회

    개최일시

    협력 내용내・외부

    참석자 등

    9.1∼ 9.22 토론

    ㆍ유라시아지식네트워크 중국청두토론회 개최 정정길

    10.1 ㆍMega FTA시대 FTA효과의 새로운 분석 방법 한석호

    기재부

    3.24

    회의참석

    ㆍ新 산업정책 간담회 참석 구자춘

    11.4 외1회

    ㆍ반려동물 산업 현황 전문가 간담회 우병준 외 1인

    4.6 ㆍ농수산식품 대중국 수출 활성 간담회 정정길

    2.6 ㆍ중장기재정작업반 박준기

    4.4 외1회 TF참여

    ㆍ국고보조사업 운용 평가 김미복

    3.6 ㆍ농림수산분야 기능점검 TF 김홍상 외 2인

    2.6정책자문

    ㆍ2014년 농축산물 수입 동향 자료 제출 이현근 외 1인

    농식품부

    3.17 외19회

    TF참여 ㆍ2016년도 신규전문가 위원회 외 19건 강창용 외 19인

    7.27 외23회

    행사 발표/토론

    ㆍ기능성 양잠산업 육성계획 수립을 위한 토론회 주제발표 외 19건

    김경필 외 19인

    10.6 외3회

    회의참석

    ㆍ농업관측 고도화 TF 이용선 외 3인

    7.3 외5회

    ㆍ농업・농촌부문 가뭄 대응 종합 대책 TF 김홍상7.24 외

    4회ㆍ도축산업 선진화 및 축산물 유통・위생 개선 TF 지인배

    3.30 외5회

    ㆍ수출개척협의회 할랄분과위원회 황윤재

    2.10 외2회

    ㆍ도시농업활성화 TF 허주녕

    1.19 외5회

    ㆍ농업재해대책심의위원회 외 103회 박대식 외 103인

    3.9정책자문

    ㆍICT 도입시 과채류 생산량 변화 전망치 분석 박기환

    3.17정책자문

    ㆍ2014년 귀농 귀촌 통계 해석 의견 박시현

  •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35

    유관 정부부처,

    국회

    개최일시

    협력 내용내・외부

    참석자 등

    9.2정책자문

    ㆍ일명 김영란법 시행에 따른 인삼산업 파급영향 분석 이형용

    12.15정책자문

    ㆍ2015년산 10만톤 공매시 효과 분석 승준호

    8.31∼9.3

    정책자문

    ㆍ농업인의 사업자 등록 여부에 대한 자문 임소영

    12.28 외 63회

    정책자문

    ㆍ장관보고: 경영체D.B.를 활용한 정부정책성과 분석 외 68건

    한석호 외 63인

    산통부

    3.25

    회의참석

    ㆍ기 타결 FTA 관계부처 차관회의 한석호

    2.16 ㆍ한・뉴, 한・중 FTA 영향평가 회의 한석호7.30

    ㆍFTA 농업분야 투융자예산 및 이행현황 관련 국내대책과 회의

    남경수

    5.8 ㆍ무역이득공유제 관련 공동연구 추진회의 및 세미나 박준기

    8.26, 9.17

    ㆍFTA 농림축수산 원산지 간담회 외 1건 어명근

    6.30, 7.8 ㆍ농수산특화시스템 활용 활성화를 위한 부처협의 외 1건 이상현

    7.29 ㆍTPP 종합영향분석 TF 어명근 외 1명

    4.1, 6.12행사 발표/토론

    ㆍ한・중미 자유무역협정, 한・에콰도르 무역협정 추진관련 공청회 외 1건

    이상현

    8.4, 8.21

    정책자문

    ㆍFTA로 인한 시장개방 이후 닭고기 수입량 변화 외 1건 김형진

    9.16 ㆍ국가별 주요 농업 품목 수입동향 이수환

    6.11 ㆍ한・EU FTA 4주년 농업부문 수출입 동향 이현근7.31

    ㆍFTA 투융자 계획과 예산반영 및 집행실적(한・미, 한・EU, 한・영연방) 정호연

    4.1 ㆍ기 체결 FTA 영향평가 차관회의 – 영향평가 검증결과 한석호

    통일준비위원회

    1.13 외11회 회의

    참석

    ㆍ경제분과 회의 김영훈

    6.5 ㆍ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 집중토론회 김영훈

    7.1 ㆍ2015년 제1차 집중토론회 김영훈

  • 36❙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 협의회, 자문회의 및 토론회 개최

    2-1. 현황

    구 분 건 수

    ◦ 협 의 회 1,318◦ 자 문 회 의 303◦ 토 론 회 36

    합 계

    2-2. 협의회 개최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 구책임자

    일 시 장 소참여자명수

    주 요 내 용원내 원외

    1 자원환경 농관원 조직개편 방안 연구 김수석 1.2(금)연구동 4층

    회의실10 0 연구협의회

    2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1.2(금)농림축산식품부 회의실

    10 37 업무협의회 개최

    3 자원환경 양분총량제 도입기반 마련 김창길 1.6(화)연구동 4층

    회의실9 1 업무협의회 개최

    4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6(화) 소회의실 7 5 홈페이지 중간점검 회의

    5 식품유통경북북부권 생강 출하조절센터 건립.운영 기본 타당성 조사 용역

    전창곤 1.7(수)안동농업협동조합 회의실

    3 5 현지 업무협의회 개최

    6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1.7(수)천안 농산물

    도매시장 회의실

    4 16 현지 업무협의회 개최

    7농업관측

    센터곡물관측 김태훈 1.7(수)

    농림축산식품부 영상

    회의실10 15

    농업전망 2015 및 쌀 수급 관련 논의

    8 식품유통한국농식품 신흥시장 수출확대를 위한 비관세장벽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경필 1.8(목)농림축산식품부 회의실

    3 12 업무협의회 개최

    9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최지현 1.8(목)

    본관 2층 중회의실

    12 6「농업전망 2015」 행사대행업체 중간 보고

    10 자원환경농업용 집단에너지사업 모델개발 연구용역

    김연중 1.9(금)고양시 농업

    기술센터 회의실

    4 6 과제 관련 업무협의회 개최

    11농업관측

    센터국가축산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허덕 1.12(월)본관 4층 회의실

    15 0결과보고 자료 내용구성 관련 논의

  •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37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 구책임자

    일 시 장 소참여자명수

    주 요 내 용원내 원외

    12 농업발전농업수입보장보험 도입을 위한 농산물 기준가격 산출방안 연구

    오내원 1.13(화) 농협손해보험 2 6 연구협의회 개최

    13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13(화) 정부세종청사 3 11한·중/한·베트남 FTA 영향 및 국내대책 보완 방향 협의

    14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13(화) 별관 108호 4 5홈페이지 통계 DB 구축을 위한 협의

    15농업관측

    센터축산계열화사업 성과와 과제 우병준 1.14(수)

    본관 4층 회의실

    10 0계열화 농가 관련 설문지 검토

    16 자원환경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방안

    강창용 1.14(수)농림축산식품부

    2 2 연구협의회 개최

    17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14(수) 별관 109호 7 3FTA 국내대책 소개 컨텐츠 디자인 검토 및 보완사항 협의

    18농업관측

    센터한우와 돼지고기 수요 변화 요인 분석

    지인배 1.15(목)본관 4층 회의실

    15 0최근 육류 소비 변화 추이 관련 업무협의

    19산림정책연구부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석현덕 1.15(목) 산림청 회의실 9 52015년 과제 추진을 위한 업무협의회 개최

    20 자원환경제2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

    김수석 1.16(금) 중회의실 8 1 연구내용검토세미나

    21 자원환경농업부문 기후변화 경제적 영향분석 모형개발

    김창길 1.16(금)연구동 4층

    회의실6 4

    기후변화 경제적분석 전문가 협의회

    22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16(금) 별관 102호 10 02014년 FTA 국내보완대책 성과지표 검토 회의

    23산림정책연구부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석현덕 1.19(월) 소회의실 10 5 연구협의회

    24산림정책연구부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석현덕 1.20(화)

    국립산림과학원 남부

    산림자원연구소 회의실

    3 14 현지 업무협의회

    25산림정책연구부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석현덕 1.20(화)남해군청 회의실

    3 10 현지 업무협의회

    26 농촌정책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

    마상진 1.20(화)국립 농업

    과학원4 10 연구협의회 (귀농)

    27 자원환경농업용 집단에너지사업 모델개발 연구용역

    김연중 1.20(화)연구동 4층

    회의실10 0 연구진협의회 개최

    28 자원환경 양분총량제 도입기반 마련 김창길 1.21(수) 환경부 회의실 3 15양분총량제 도입방안 연구협의회

    29 자원환경농업R&D 거버넌스 효율성 및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이명기 1.21(수)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

    평가원4 3 정책협의회

    30 식품유통농식품 수출조직 운영실태와 육성방안

    김경필 1.21(수)연구동 4층

    회의실6 4 업무협의회 개최

    31농업관측

    센터KREI-KASMO 2015 한석호 1.21(수)

    본관 4층 회의실

    8 0농업전망 2015 세계 및 주요국 경제성장 리뷰

    32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1.21(수)천안시 농산물

    도매시장 회의실

    5 13농산물 온라인장터 운영주체와 업무협의

  • 38❙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 구책임자

    일 시 장 소참여자명수

    주 요 내 용원내 원외

    33농업관측

    센터한우와 돼지고기 수요 변화 요인 분석

    지인배 1.22(목)본관 4층 회의실

    14 0소비자 조사표 작성 관련 논의

    34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22(목) 별관 108호 12 0농축산물 수입동향 표지 및 내지 시안 검토

    35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최지현 1.22(목)

    제주대학교 산업응용경제학과 회의실

    1 8농업전망 2015 제주권 주요 추진 사항 최종 점검 및 제주 농업 현안 논의

    36 식품유통대형마트 휴무제에 따른 농업분야 파급영향과 대응방안

    김병률 1.23(금)연구동 3층

    회의실9 1 연구진협의회 개최

    37 식품유통농식품 수출조직 운영실태와 육성방안

    김경필 1.23(금)연구동 4층

    회의실7 3 업무협의회 개최

    38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23(금) 별관 109호 12 0 2015년 1월 부서업무간담회

    39 자원환경 농관원 조직개편 방안 연구 김수석 1.26(월)농식품부 회의실

    1 5 업무협의회

    40 식품유통한국농식품 신흥시장 수출확대를 위한 비관세장벽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경필 1.27(화)연구동 4층

    회의실7 4 업무협의회 개최

    41산림정책연구부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석현덕 1.27(화)별관 지하

    휴게실6 4 연구협의회

    42 자원환경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방안

    강창용 1.27(화)

    한국유기질비료산업협동조합 회의실

    3 8 전문가협의회 개최

    43 식품유통대형마트 휴무제에 따른 농업분야 파급영향과 대응방안

    김병률 1.27(화)서울시 농수산

    식품공사 회의실

    2 13대형마트 규제에 따른 가락동 도매시장 파급영향 업무협의 개최

    44산림정책연구부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유통 및 수출실태 조사와 수출촉진을 위한 전략 상품화 및 해외마케팅 방안(3의1차년도)

    정호근 1.27(화)연구동 3층

    회의실5 5 업무협의회

    45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1.27(화) 별관 108호 10 22014년 제4분기 농축산물 수입동향 편집회의

    46 식품유통한국농식품 신흥시장 수출확대를 위한 비관세장벽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경필 1.28(수)연구동 4층

    회의실9 1 연구내용검토세미나 개최

    47 자원환경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방안

    강창용 1.28(수)연구동 4층

    회의실3 8 전문가협의회 개최

    48 식품유통국가축산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허 덕 1.28(수)본관 4층 회의실

    15 0 업무협의회 개최

    49농업관측

    센터국가축산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허덕 1.28(수)본관 4층 회의실

    15 0결과보고 자료 검토 관련 논의

    50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최지현 1.28(수)

    본관 4층 회의실

    13 0농업농촌경제동향 겨울호 내용 논의 및 검토

    51농업관측

    센터중장기 양곡정책방향(2의1차년도) 김태훈 1.29(목)

    본관 4층 회의실

    10 0 연구 방향 설정 및 논의

  •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39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 구책임자

    일 시 장 소참여자명수

    주 요 내 용원내 원외

    52 농업발전농업수입보장보험 도입을 위한 농산물 기준가격 산출방안 연구

    오내원 1.29(목)연구동 3층

    회의실3 2 연구협의회 개최

    53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1.29(목)천안치 농업정책과 회의실

    4 16 천안시 관계자와의 업무협의

    54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1.29(목)(주) 천안청과

    회의실4 6

    온라인장터 운영주체와의(도매법인, 중도매인) 업무협의

    55 자원환경 양분총량제 도입기반 마련 김창길 1.30(금) 한국환경공단 3 7양분총량제 도입방안 관련 협의회

    56 자원환경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방안

    강창용 1.30(금)연구동 4층

    회의실6 0 연구협의회 개최

    57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최지현 2.2(월)

    농림축산식품부 기자실

    4 20농업전망 2015 발표 내용 브리핑 및 현황 논의

    58 자원환경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방안

    강창용 2.3(화)농림축산

    식품부 회의실3 7 발주처 중간보고회 개최

    59농업관측

    센터축산계열화사업 성과와 과제 우병준 2.4(수)

    본관 4층 회의실

    14 0계열화 사업 성과지표 타당성 검토

    60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2.4(수)부여군 농업

    기술센터4 2

    2014년도 FTA 수입피해품목(국산 멜론) 주산지 가격 및 유통현황 조사·면담

    61농업관측

    센터엽근채소관측 최병옥 2.4(수)

    대정농협 회의실

    3 6제주 월동무, 감자 생산동향 및 향후 전망 논의

    62 자원환경 양분총량제 도입기반 마련 김창길 2.5(목) 4층 회의실 10 0 양분수지 분석결과 검토 회의

    63 자원환경농업용 집단에너지사업 모델개발 연구용역

    김연중 2.5(목)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회의실

    2 6 현지 업무협의회 개최

    64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2.5(목)연구동 4층

    회의실11 4 연구진 과제협의회 개최

    65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지인배 2.5(목)

    대한양계협회회의실

    2 7국내외 AI 발생이 양계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계란 설 수요동향 관련 논의

    66 식품유통국가축산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허 덕 2.6(금)농림축산식품부

    소회의실3 12

    현지 업무협의회 개최(국가축산클러스터 조성)

    67농업관측

    센터국가축산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허덕 2.6(금)농림축산식품부

    소회의실3 12 국가축산클러스터 원고 검토

    68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2.6(금)연구동 4층

    회의실12 3 연구진 협의회

    69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2.6(금)영천시 농업

    기술센터2 3

    피해보전직불금 발동요건 충족 품목 조사

    70국제농업개발협력

    캄보디아 농촌종합개발사업 타당성 조사(F/S)

    허 장 2.9(월) 서울역 회의실 2 4캄보디아 농촌종합개발사업 FS 인프라부문 업무 회의

  • 40❙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 구책임자

    일 시 장 소참여자명수

    주 요 내 용원내 원외

    71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2.9(월)천안시 농산물

    도매시장 회의실

    4 7사이버장터몰 시범운영 관련 운영 법인 및 천안시청협조 사항논의

    72 식품유통ICT를 활용한 산지APC_소상공인 농수산물 직거래 직배송 시스템 기술개발

    김병률 2.9(월)천안농산물도매시장

    사무소 회의장4 10

    사이버 장터몰 시범 운영 관련 논의

    73국제농업개발협력

    2014년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국별 정책자문 (아제르바이잔)

    허 장 2.9(월) 연구동 401호 8 1KSP 아제르바이잔 최종보고서 작성을 위한 연구진 회의

    74 식품유통크라우드소싱 기반의 농식품 수출지원제도 개선 방안

    김경필 2.10(화)연구동 3층

    회의실1 4

    국내수출제도지원 관련 연구협의회 개최

    75산림정책연구부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석현덕 2.10(화) 산림청 회의실 1 6 연구협의회

    76 자원환경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방안

    강창용 2.10(화)연구동 3층

    회의실3 6 연구협의회

    77 자원환경농업R&D 거버넌스 효율성 및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이명기 2.10(화)연구동 4층

    회의실4 1 연구과제협의회

    78FTA이행지원센터

    FTA이행지원사업 정민국 2.10(화)영천시 농업

    기술센터2 3

    피해보전직불금 발동요건 충족 품목 조사

    79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지인배 2.10(화)

    한국계란유통협회 회의실

    5 5산란계관측 3월호에 대한 논의 및 검토

    80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지인배 2.10(화)

    당진 카길애그리퓨리나

    공장 회의실,5 10

    돼지관측 3월호에 대한 논의 및 검토

    81산림정책연구부

    지역임업 및 지역산림관리 활성화 방안(2의2차년도)

    석현덕 2.11(수)연구동 3층

    회의실10 5 연구협의회

    82 자원환경 농관원 조직개편 방안 연구 김수석 2.11(수)연구동 4층

    회의실10 1 연구협의회

    83농업관측

    센터KREI-KASMO 2015 한석호 2.11(수)

    본관 4층 회의실

    8 0과채 부문 면적 및 단수 재추정 검토 회의

    84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지인배 2.11(수)

    음성공판장 회의실

    5 10한육우관측 3월호에 대한 논의 및 검토

    85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지인배 2.11(수)

    남양유업 회의실

    5 5젖소관측 3월호에 대한 논의 및 검토

    86 농촌정책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5의1차년도)

    성주인 2.12(목)연구동 3층

    회의실13 0 일반과제 연구협의회

    87농업관측

    센터농업관측사업 최지현 2.12(목)

    aT센터 소회의실

    3 9농업전망 2015 중부권 주요 추진 사항 최종 점검 및 농업 현안 논의

    88농업관측

    센터축산 부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 송우진 2.13(금)

    본관 4층 회의실

    15 5부산물 국내수급 및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