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http://dx.doi.org/10.4047/jkap.2012.50.4.330 CASE REPORT 330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 50권 4호 서론 2급 지적장애는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35이상 49이하 인 사람으로 일상생활의 단순한 행동을 훈련시킬 수 있고, 느 정도의 감독과 도움을 받으면 복잡하지 아니하고 특수기술 을 요하지 아니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지적장애 2급 판정을 받은 29세의 여자 환자 로 구강 위생 관리가 전혀 이루어 지지 않아 대부분의 치아가 상실된 채 내원하였으며, 상실기간이 길어 상, 하악 대구치부 위의 치조골 흡수가 많이 진행되어 잔존골이 심하게 부족한 상태였다. 본 증례의 환자는 치료 협조를 구하기 어려워 전신 마취하에 치료가 진행되었으며 위험부담이 적은 최소한의 치 료를 위하여 shortened dental arch (SDA) 개념을 적용하여 치료가 이 루어졌다. Shortened dental arch (SDA) 1981 Arnd Ka ¨ yser 의해 최초로 소개된 개념으로 온전한 상, 하악 6전치와 함께 최 소한 4개의 occlusal unit 만으로 저작활동에 무리가 없으며 안정 된 교합을 이룰수 있다는 것이다. 1 Occlusal unit 은상, 하악 소구치 한 쌍을 의미하며 대구치 한쌍은 2 개의 occlusal unit 으로 계산된 .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대구치를 포함하지 않고 제 2 소구치 까지 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1992 WHO 는 전치부와 소구치 를 포함하는 최소 20개의 치아는 기능과 심미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최소의 치아 개수로 좋은 치료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제 시한 바 있으며 Solowimplant 를 이용하여 SDA로 수복하여도 자연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2-5 증례보고 환자는 심한 우식으로 인해 대부분의 치아가 상실된 채 내원 하였으며 남아 있는 치아들도 대부분 치근만 남아 있어 수직 고경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였다(Figs. 1 - 3) 또한 상악의 경우 골 흡수, 상악동의 함기화뿐만 아니라 상악동염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이 곤란한 상황이었다. 2개월간 임시의치를 사용해본 결 과 의치의 관리가 힘들뿐만 아니라 의치를 두 번 잃어버리기 까지 하였다. 또한 진료 협조 부족으로 간단한 알지네이트 인 상외에는 대부분의 진료가 불가능하여 전신마취하에 시술이 이루어져야 했기에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으로 수복하되 실패확율이 높은 대구치부위는 수복하지 않고 SDA개념을 적 용하여 제 2 소구치까지만 수복하기로 결정하였다. 가급적 전 신마취 횟수를 줄이기 위해 철저한 사전 계획과 준비 하에 진 료가 진행되어 임플란트 식립을 포함하여 최종 보철까지 총 5 회의 전신마취로 치료가 마무리되었다. 보철과에 처음 내원시 상, 하악 대구치 부위 심한 골흡수 양 상을 보였으며 #15치아의 정출, 하악 전치부의 치아- 치조골 정 출이 관찰되었다. #41 치근단 염증으로 인해 누공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하악 전치부의 임상치관길이가 충분하지 않아 수복 시 생물학적 폭경이 침범될 우려가 있었다(Figs. 1 - 3). 진단 왁스업 시행 결과 필요한 최소한의 거상량은 전치부 1 - 1.5 mm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15 치아는 의도적 근관치료 후 교합평면을 낮추고 치관확장술, #23치아 치은절제술, 하악전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Shortened dental arch(SDA) 개념은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적절한 대안이 없을 경우 제 2 소구치까지만 수복이 이루어져도 안정적인 교합과 저작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 자 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시 공히 적용되는 개념이다. 본 증례는 2급 지적장애로 인해 치료시 협조를 구할 수 없으며 우식으로 인해 다수의 치아가 상실된 환자로 대 구치 부위의 심한 골흡수와 상악동의 함기화 및 상악동염으로 인해 제 2 대구치까지의 수복이 용이하지 않아 가급적 위험요인을 줄이면서 최소한의 전신마취로 치료를 종결하기 위해 SDA 개념을 적용, 2 소구치까지만 수복이 이루어졌다. 치료 결과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향상이 이루어졌고 추가적인 저작력의 요구는 없었으 며 주기적인 재내원으로 구강위생이 강화되었다.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12;50:330-5) 주요단어: SDA; 2급 지적장애; 완전 구강 회복술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io & Medical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ST) (No. 2011-0027790). *교신저자: 곽재영 110-749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02-2072-2661: e-mail, [email protected] 원고접수일: 2012927/ 원고최종수정일: 20121012/ 원고채택일: 201210142012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비영 3.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2급지적장애를가진환자의SDA 개념을적용한전악수복증례 - KoreaMed · 2012-11-02 · 3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50권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급지적장애를가진환자의SDA 개념을적용한전악수복증례 - KoreaMed · 2012-11-02 · 3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50권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http://dx.doi.org/10.4047/jkap.2012.50.4.330CASE REPORT

330 한치과보철학회지 2012년 50권 4호

서론

2급지적장애는지능지수와사회성숙지수가 35이상 49이하

인 사람으로 일상생활의 단순한 행동을 훈련시킬 수 있고, 어느정도의감독과도움을받으면복잡하지아니하고특수기술

을 요하지 아니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사람으로 정의된다.본증례의환자는지적장애 2급판정을받은 29세의여자환자

로 구강 위생 관리가 전혀 이루어 지지 않아 부분의 치아가

상실된 채 내원하 으며, 상실기간이 길어 상, 하악 구치부

위의 치조골 흡수가 많이 진행되어 잔존골이 심하게 부족한

상태 다. 본 증례의 환자는 치료 협조를 구하기 어려워 전신

마취하에 치료가 진행되었으며 위험부담이 적은 최소한의 치

료를위하여 shortened dental arch (SDA)개념을적용하여치료가이

루어졌다. Shortened dental arch (SDA)는 1981년 Arnd Kayser에의해최초로소개된개념으로온전한상, 하악6전치와함께최

소한 4개의 occlusal unit만으로저작활동에무리가없으며안정

된교합을이룰수있다는것이다.1 Occlusal unit은상, 하악소구치

한쌍을의미하며 구치한쌍은2개의occlusal unit으로계산된

다. 하지만일반적으로는 구치를포함하지않고제 2 소구치

까지수복하는것을의미한다. 1992년WHO는전치부와소구치

를 포함하는 최소 20개의 치아는 기능과 심미를 만족시켜 줄

수있는최소의치아개수로좋은치료목표가될수있다고제

시한바있으며Solow는 implant를이용하여SDA로수복하여도

자연치와같은결과를얻을수있다고보고하 다.2-5

증례보고

환자는심한우식으로인해 부분의치아가상실된채내원

하 으며 남아 있는 치아들도 부분 치근만 남아 있어 수직

고경이확립되지않은상태 다(Figs. 1 - 3) 또한상악의경우골

흡수, 상악동의함기화뿐만아니라상악동염에의해임플란트

식립이 곤란한 상황이었다. 2개월간 임시의치를 사용해본 결

과 의치의 관리가 힘들뿐만 아니라 의치를 두 번 잃어버리기

까지 하 다. 또한 진료 협조 부족으로 간단한 알지네이트 인

상외에는 부분의 진료가 불가능하여 전신마취하에 시술이

이루어져야 했기에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으로 수복하되

실패확율이 높은 구치부위는 수복하지 않고 SDA개념을 적

용하여 제 2 소구치까지만 수복하기로 결정하 다. 가급적 전

신마취 횟수를 줄이기 위해 철저한 사전 계획과 준비 하에 진

료가진행되어임플란트식립을포함하여최종보철까지총 5회의전신마취로치료가마무리되었다.

보철과에 처음 내원시 상, 하악 구치 부위 심한 골흡수 양

상을보 으며 #15치아의정출, 하악전치부의치아-치조골정

출이 관찰되었다. #41 치근단 염증으로 인해 누공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하악 전치부의 임상치관길이가 충분하지 않아 수복

시생물학적폭경이침범될우려가있었다(Figs. 1 - 3).진단 왁스업 시행 결과 필요한 최소한의 거상량은 전치부

1 - 1.5 mm 정도로파악되었으며#15 치아는의도적근관치료후

교합평면을 낮추고 치관확장술, #23치아 치은절제술, 하악전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 *

서울 학교치의학 학원치과보철학교실

Shortened dental arch(SDA) 개념은여러현실적인이유로적절한 안이없을경우제2 소구치까지만수복이이루어져도안정적인교합과저작력을얻을수있다는것으로자

연치와임플란트를이용한수복시공히적용되는개념이다. 본증례는2급지적장애로인해치료시협조를구할수없으며우식으로인해다수의치아가상실된환자로

구치부위의심한골흡수와상악동의함기화및상악동염으로인해제 2 구치까지의수복이용이하지않아가급적위험요인을줄이면서최소한의전신마취로치료를

종결하기위해SDA 개념을적용, 제2 소구치까지만수복이이루어졌다. 치료결과심미적, 기능적으로만족할만한향상이이루어졌고추가적인저작력의요구는없었으

며주기적인재내원으로구강위생이강화되었다. ( 한치과보철학회지2012;50:330-5)

주요단어:SDA; 2급지적장애; 완전구강회복술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io & Medical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ST)(No. 2011-0027790).

*교신저자: 곽곽재재

110-749 서울시종로구연건동 28 서울 학교치의학 학원치과보철학교실 02-2072-2661: e-mail, [email protected]

원고접수일: 2012년 9월 27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2년 10월 12일 / 원고채택일: 2012년 10월 14일

2012 한치과보철학회

이 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

리3.0 한민국라이선스에따라이용하실수있습니다.

c

cc

Page 2: 2급지적장애를가진환자의SDA 개념을적용한전악수복증례 - KoreaMed · 2012-11-02 · 3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50권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한치과보철학회지 2012년 50권 4호 331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치부치관확장술이필요하다고판단되었다(Fig. 4). CT 촬 결과역학적으로유리한 #14 위치의경우부족한골

폭과 골높이, 상악동염으로 인해 상악동 거상술시 높은 실패

의 위험이 따르기에 식립에 불리한 위치로 판단되며, 상 적

으로골폭과 골높이가좋고상악동 거상술이필요없는 #13 위치에식립하여 #14 부위는캔틸레버로 처리하는 것이유리하

다고판단되었다(Figs. 5, 6).이에치료계획을정리하면, 상악의경우 #12, 13 부위에임플

란트 식립 후 #12, 13 연결고정하고 #14부위는 캔틸레버처리,#15 치아는 근관치료 후 조화로운 교합평면을 갖도록 치아 길

이를짧게삭제한후치관확장술시행, #23 치아치은절제술후

#11, 23, 25를지 치로하여#11 - 25를연결하는6본계속가공의

치수복. 하악은#41치아발치후#31, 32, 33, 42 치아치관확장술

및#31, 32, 33, 42를지 치로하여#33 - 42를연결하는5본계속가

공의치수복및#34, 35, 43, 45 부위임플란트식립하기로하 다.이모든과정을최소한의전신마취로진행하기위해서치료

첫째 날에 임플란트 식립하고 둘째 날은 근관치료, 치관확장

술, 치은절제술및 fixture-level에서인상채득, 셋째날에는치아

삭제및임시수복, 교합채득및인상채득. 넷째날에는코핑시

적, 마지막다섯째날에는최종보철물수복으로총 5회의전신

마취를계획하 다.

Fig. 1. Initial photo (frontal view). Loss of VD,supraeruption of #15, dento-alveolar protrusion andsevere resorption of mandibular molar region can beobserved.

Fig. 2.Initial photo (upper and lower occlusal view. A: maxilla, B: mandible). Bucco-lingual resorption of eden-tulous region, remaining caries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and the fistula in the labial gingiva of #42 can beobserved.

A B

Fig. 3. Initial panoramic view. Resorption of alveolar bone and maxillary sinuspneumatization can be observed.

Fig. 4. Diagnostic wax-up. Supraeuption of #15 and dentoalveolar protrusion ofmandibular anterior teeth could be identified and the necessity of gingivectomy of#23 and CLP of #15, 31, 32, 33, 41 was verified.

Fig. 5. CT image of maxilla. Narrow ridge and inadequate length of heightaround #14 and maxillary sinusitis can be observed.

Page 3: 2급지적장애를가진환자의SDA 개념을적용한전악수복증례 - KoreaMed · 2012-11-02 · 3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50권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332 한치과보철학회지 2012년 50권 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계획 로 첫째 날 전신마취하에 임플란트 식립하 다(Fig.7). 이 때 전신마취는 비강삽관을 통한 가스마취(desflurane)로이루어졌다. 둘째 날, #15 근관치료 및 치관확장술, #41 발치,#31, 32, 33, 42 치아근관치료후섬유강화형포스트와레진코어

및 치관확장술, #23치아 치은절제술 시행하 다. 또한 이 때

fixture-level에서인상채득하여 titanium customized abutment 제작하

다(Fig. 8). 임플란트식립후 10주, 치관확장술시행 4주후에

치은 높이가 어느 정도 균일해지고 하악 전치부의 충분한 임

상 치관 길이가 확보되었다(Fig. 9). 셋째 날 치아형성 및 cus-tomized abutment 체결, 인상채득, 일차교합채득하 고임시수복

이이루어졌다(Figs. 10, 11). 이때의교합은임플란트 customizedabutment를연결한상태에서시행한 2차진단왁스업상에서제

Fig. 6. CT image of mandible. Despite enough height, narrow width of alveolar bone made GBR necessary.

Fig. 7. Implant surgery. GBR was done at both maxilla and mandible (A: maxilla, B: mandible). Fig. 8. Gingevectomy of #23, CLP of #15, 31, 32, 33,42 and extraction of #42.

Fig. 9. Healing after gingivectomy and CLP. Relatively regular gingival height andenough clinical crown length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were attained.

Fig. 10. Tooth preparation and customized abutment.

Page 4: 2급지적장애를가진환자의SDA 개념을적용한전악수복증례 - KoreaMed · 2012-11-02 · 3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50권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한치과보철학회지 2012년 50권 4호 333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작된 임시수복물을 기준으로 미리제작한 코핑을 이용하여 채

득하 다. 먼저좌측에임시수복물을장착하고우측은코핑을

장착한상태로 CR 유도하여상, 하악코핑을연결고정하고, 반로우측에임시수복물장착하고좌측에코핑을장착한상태

로한번더CR 유도하여상, 하악코핑을연결고정하 는데이

렇게 함으로써 임시보철물로 확립된 수직고경이 기록된 안정

적인 교합을 채득할 수 있었다(Fig. 12). 전신마취하 기에 CR유도는용이하게이루어질수있었다. 이후임시수복에얼마

나 적응하는지 평가가 이루어졌는데, 임시수복물 장착 후 적

절한 lip support 및안모의개선이이루어졌고 clicking sound 또는

측두하악관절의 불편감이 없었으며 구강 주위 근육의 과긴장

도관찰되지않았고저작, 발음시불편감도없는등임시수복

에 잘 적응하여 일차로 채득한 교합을 그 로 최종 보철에 이

용하기로하 다. 넷째날코핑시적시행하고(Fig. 13), 마지막

다섯째날최종최종보철물수복하여치료가종결되었다(Figs.14, 15).

이로써 SDA 개념을적용하여전악수복이이루어졌으며만

족할 만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환자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

족하 으며추가적인저작력의요구는없었다. 또한주기적인

재내원을 통한 구강위생 강화교육으로 구강위생 또한 증진되

었다.

Fig. 11. Provisional restoration. Fig. 12. Bite registration. Pattern resin copings which were relined by bite material at one side were connectedremaining provisional restorations at the other side and vice versa.

Fig. 13. Coping try-in. Fig. 14. Final restoration (frontal view).

Fig. 15. Final restoration (upper and lower occlusal view).

Page 5: 2급지적장애를가진환자의SDA 개념을적용한전악수복증례 - KoreaMed · 2012-11-02 · 3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50권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334 한치과보철학회지 2012년 50권 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고찰

본 증례의 경우 심한 치조골 흡수와 상악동의 함기화, 상악

동염, 경제적문제등으로 구치부위임플란트식립이용이하

지않았으며모든진료가전신마취하에이루어져야했기에실

패에 한 부담도 컸다. 또한 임시의치의 사용결과 저작력에

한요구는크지않다고판단되어SDA 개념을적용하여전악

수복이 이루어졌다. 실제로 치료 후와 여러 차례의 재내원 과

정중에환자는만족할만한저작력을보고하 으며추가적인

저작력의요구는없었고교합은안정적으로유지되었다. 치료

전전치한개정도만 합되어거의저작되지않은상태로섭

취가 이루어져 위장관계 문제를 많이 겪던 것에 비교해 치료

후 위장관계 문제가 거의 없이 원하는 음식을 섭취할 수 있었

다. 또한 관리가 어려웠던 가철성 임시의치에 비해 고정성으

로 전악 수복이 이루어져 더 편안하고 강한 저작력을 얻을 수

있었다. 조금더나은결과를위해 #11 치아의치은절제술도동

반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지만 전반적으로는 심미적인 결

과를얻었으며환자와보호자모두심미적으로만족하 다.

참고문헌

1. Kanno T, Carlsson GE. A review of the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focusing on the work by the Kayser/Nijmegen group. J OralRehabil 2006;33:850-62.

2. Witter DJ, De Haan AF, Kayser AF, Van Rossum GM. A 6-yearfollow-up study of oral function in shortened dental arches.Part II: Craniomandibular dysfunction and oral comfort. J OralRehabil 1994;21:353-66.

3. Witter DJ, de Haan AF, Kayser AF, van Rossum GM. A 6-yearfollow-up study of oral function in shortened dental arches.Part I: Occlusal stability. J Oral Rehabil 1994;21:113-25.

4. Solow RA. Comprehensive implant restoration and the shorteneddental arch. Gen Dent 2010;58:390-9.

5. Armellini D, von Fraunhofer JA. The shortened dental arch: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Prosthet Dent 2004;92:531-5.

Page 6: 2급지적장애를가진환자의SDA 개념을적용한전악수복증례 - KoreaMed · 2012-11-02 · 3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2012년50권4호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CASE REPORT

한치과보철학회지 2012년 50권 4호 335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n oligodontia pati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a case report

Jae-Wook You, DDS, MSD, Seong-Joo Heo, DDS, MSD, PhD, Seong-Kyun Kim, DDS, MSD, PhD, Jai-Young Koak, DDS, MSD, PhD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Shortened dental arch (SDA) as a treatment goal is the concept that stable occlusion and enough masticatory force can be achieved by restoration to the second premolars whenthe situation is not favorable. SDA could be applied both natural teeth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es. This case dealt with a patient who has grade 2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 lot of missing teeth. Because of intellectual disability, patient cooperation during treatment could not be expected. Therefore every treatment should be done undergeneral anesthesia. In addition to that, ridge resorption around molar area was severe and there were maxillary sinus pneumatization and maxillary sinusitis which increasedfailure probability. SDA concept was adopted to reduce risk factor and minimize general anesthesia. After the treatment, functional and esthetic improvement was achievedand oral hygiene was fortified by periodic recall check and educa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2;50:330-5)

Key words: SDA; Intellectual disability; Full mouth rehabilitation

*Corresponding Author: Jai-Young Koa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28 Yeongun-Dong, Chongro-Gu, Seoul, 110-749, Korea

+82 2 2072 2661: e-mail, [email protected]

Article history

Received September 27, 2012 / Last Revision October 12, 2012 / Accepted October 14, 2012

c

cc

2012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