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http://nland.kbstar.com 2016. 4. 11 기준 [월간] KB주택가격동향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http://nland.kbstar.com

2016. 4. 11 기준

[월간] KB주택가격동향

Page 2: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인터넷에 제공되는 KB국민은행 부동산 홈페이지의「 부동산 - 통계」코너를통하여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월간] KB주택가격동향』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http://nland.kbstar.com

자료 관련 문의 KB국민은행 가치평가부 부동산정보팀

- 통계자료 관련 02) 2073-3429

- KB Houstar 관련 02) 2073-4834

Page 3: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목차

Ⅰ. 4월 중 주택가격동향

1. 매매가격동향 2

2. 전세가격동향 9

3. 계절조정지수 16

4. 주택시장동향 18

5. 평균주택가격 24

6. ㎡당 평균주택가격 25

7. 중위주택가격 26

8. 5분위 평균매매/전세가격 27

9.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28 10. KB월세지수 & 전월세전환율 29

Ⅱ. 통계표 (Tables)

※ 조사개요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전세가격지수 36

3.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계절조정 후) 38

4.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전세가격지수(계절조정 후) 39

5.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40

6. 주택전세가격 종합지수 47

7.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54

8.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61

9~10. 규모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지수 68

11~12. 규모별 단독주택 매매/전세 가격지수 72

13~14. 규모별 연립주택 매매/전세 가격지수 74

15~16. 청약규모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지수 76

17. 주요지역별 유형별 월별 주택가격지수 80

18. 주요지역별 유형별 연도별 주택가격지수 82

19. 주택규모별 월별 주택가격지수 84

20. 평균 주택 매매/전세가격 86

21. 아파트㎡당 평균가격 88

22. KB아파트 월세지수 & 전월세전환율 93

23. 중위 주택 매매/전세가격 94

24. 규모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96

25. 5분위 주택 매매/전세가격과 5분위 배율 100

26. ㎡당 5분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과 5분위 배율 104

27. KB 선도아파트 50지수 106

28~33.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107

34. 매매/전세 시장동향 122

35. KB오피스텔 통계 123

36~47. 상대표준오차 124

주요 통계지표 1~3. 주택준공실적 142

4. 지역별 미분양 현황 148

5. 청약통장 가입현황 150

April 2016 1

Page 4: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13.4월 '14.4월 '15.4월 '16.1월 2월 3월 4월

0.00 0.21 0.49 0.08 0.07 0.03 0.04

-0.13 0.13 0.50 0.09 0.08 0.08 0.08

0.19 0.35 0.63 0.10 0.08 0.01 0.01

0.14 0.23 0.31 0.06 0.03 -0.03 -0.01

*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이며,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임

2 April 2016

최근 월별 동향

기타지방

전 국

수도권

5개광역시

연도별 동향

-2%

0%

2%

4%

6%

-0.3%

0%

0.3%

0.6%

0.9%

'14.4 '14.10 '15.4 '15.10 '16.4

전국 매매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

0

20

40

60

80

100

120

'86년 '90년 '95년 '00년 '05년 '10년 '16년

매매가격지수 장기 추이

(2015.12 = 100.0)

■ 전국 주택매매가격 소폭의 상승세 유지

Ⅰ. 4월 중 주택가격동향

1. 매매가격동향

1) 개황

3월

4월

48.3%

49.7%

29.3%

31.3%

22.4%

19.0%

상승지역 보합 하락지역

전국(0.04%)의 주택매매가격은 '여신(주택담보대출)심사 선진화 가이드' 시행 영향으로 매수심리가 위

축된 가운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실거래가 발생하며 소폭의 상승세 유지함. 수도권(0.08%)과 5개 광역

시(0.01%)는 전월과 같은 상승폭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고, 기타지방(-0.01%)은 전월에 이어 2개

월 연속 하락함.

전국 147개 시/군/구 가운데 가격이 상승한 지역이 73개, 보합인 지역이 46개로 증가한 반면, 하락한

지역은 28개로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Page 5: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월 수도권 매매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April 2016 3

강북(14개구) 은평구(0.17%), 서대문구(0.16%)

강남(11개구)

0.12

0.08

0.08 남구(0.11%), 계양구(0.11%)

강남구(0.17%), 구로구(0.12%)

주요 상승지역

서울

경 기 0.05 시흥(0.22%), 과천(0.21%) 용인 수지구(-0.15%), 수원 영통구(-0.09%)

인 천

전월비 주요 하락지역

■ 서울, 인천, 경기 모두 상승하며 전월대비 상승

-2%

-1%

0%

1%

2%

3%

4%

5%

-0.2%

0%

0.2%

0.4%

0.6%

0.8%

'14.4 '14.10 '15.4 '15.10 '16.4

서울시 매매가격 증감률

전월비(좌)

전년동월비(우)

2) 지역별 매매가격동향

(1) 수도권

0.22 0.21 0.21 0.17 0.17 0.16

0%

0.2%

0.4%

0.6%

시흥 과천 안양

만안구

강남구 은평구 구리

수도권 상승률 상위지역

서울(0.10%)은 강남구(0.17%)에서 개포주공2단지 재건축 아파트의 높은 분양가격에도 불구하고 분양에

성공하여 지역 내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수요가 유입되며 가격이 상승하였고, 은평구(0.17%)에서는

코레일 수색역세권 개발, 진관동 롯데몰 입점 및 카톨릭병원 개원 예정 등의 개발호재 영향으로 상승함.

인천(0.08%)은 남구(0.11%)에서 전세매물 부족으로 인한 매매전환수요가 발생하며 상승하였고, 계양구

(0.11%)에서는 공항철도 인근 재건축 예정 단지로 매매수요가 유입되며 가격 상승함.

경기(0.06%)는 시흥(0.22%)에서 부천 소사~시흥~안산 원시 복선전철 2017년 개통예정, 신안산선

2017년 착공예정 등의 개발호재로 가격이 상승한 반면, 용인 수지구(-0.15%)에서는 대형평형 중심의 미

분양 물량이 남아있는 가운데, 신규물량이 과잉공급되어 매물이 적체되는 모습을 보이며 전월대비 하락함.

Page 6: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월 5개광역시 매매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5개 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

4 April 2016

전월비 주요 하락지역

-0.18 중구(0.02%)

0.15 연제구(0.24%), 기장군(0.23%)부 산

남구(0.06%)광 주 광산구(-0.15%), 북구(-0.1%)

0.13

서구(-0.04%), 유성구(-0.04%)

대 구

중구(0.07%), 동구(0.05%)

-0.07

0.00대 전

북구(0.21%), 울주군(0.2%) 동구(-0.11%)울 산

주요 상승지역

달성군(-0.35%), 달서구(-0.27%)

-3%

0%

3%

6%

9%

12%

15%

-0.4%

0%

0.4%

0.8%

1.2%

1.6%

'14.4 '14.10 '15.4 '15.10 '16.4

5개광역시 매매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

0.24 0.23 0.22 0.21 0.21 0.20

0%

0.2%

0.4%

0.6%

부산

연제구

부산

기장군

부산

사상구

울산

북구

부산

수영구

울산

울주군

5개광역시 상승률 상위지역

■ 부산과 울산에서 상승세 지속

(2) 5개광역시

대구(-0.18%)는 달성군(-0.35%)에서 연간 적정 주택공급물량의 2배인 2만 4,000호의 신규공급이 예정

되어 있어 매매수요 및 투자수요가 감소하며 가격이 하락하였고, 달서구(-0.27%)에서는 '여신(주택담보

대출)심사 선진화 가이드' 시행 예정과 6월 3,000여 세대의 공급예정물량 영향으로 하락세 이어감.

부산(0.15%)은 연제구(0.24%)에서 연산4구역 및 거제1,2구역의 재개발 사업 진행으로 관련 수요가 유

입되며 상승하였고, 기장군(0.23%)에서는 정관읍 승격 영향으로 정관신도시를 중심으로 매매수요가 발

생하며 가격이 상승함.

울산(0.13%)은 울주군(0.20%)에서 울산~포항 고속도로 부분 개통, 울산~포항 복선전철 사업 추진 및

각종 산업단지 조성으로 상승세 이어간 반면, 동구(-0.11%)에서는 중공업 분야의 부진으로 매매수요가

감소하며 전월대비 가격 하락함.

Page 7: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월 기타지방 매매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 기타지방은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

April 2016 5

주요 상승지역

충 북

춘천(0.21%), 원주(0.16%)

충 남

전주 덕진구(-0.03%)익산(0.07%), 전주 완산구(0.03%)

- -

주요 하락지역전월비

전 북

강 원

세 종

0.02

-0.21

0.12

구미(-0.29%), 경산(-0.19%)

전 남 여수(0.18%), 목포(0.09%)

0.00

진주(0.08%), 창원 진해구(0.04%)경 남

-0.07 천안 서북구(-0.15%), 공주(-0.08%)

0.18

-0.08 청주 서원구(-0.2%), 청주 청원구(-0.12%)

-0.03

경 북

김해(-0.11%), 창원 의창구(-0.08%)

0.39

0.21 0.18 0.16

0.09 0.09

0%

0.2%

0.4%

0.6%

제주/

서귀포

춘천 여수 원주 목포 순천

기타지방 상승률 상위지역

0.00

0.18

-0.08 -0.07

0.02

0.12

-0.21

-0.03

-0.3%

-0.2%

-0.1%

0%

0.1%

0.2%

0.3%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기타지방 매매가격 변동률

■ 충청 및 경상 지역에서 하락세 이어감

(3) 기타지방

경북(-0.21%)은 구미(-0.29%)에서 지역 내 3,800여 세대의 신규입주물량 영향으로 매물이 적체되며 가

격이 하락하였고, 경산(-0.19%)에서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

감이 깊어져 매매수요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며 하락세 이어감.

반면, 강원(0.18%)은 춘천(0.21%)에서 레고랜드 조성에 따른 관련 수요가 발생하며 상승하였고, 원주

(0.16%)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영향으로 투자수요가 유입되며 가격이 상승함.

Page 8: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단위 : %)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15.9월 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15.12대비) ('15.4대비)

아파트 0.58 0.36 0.49 0.20 0.08 0.08 0.01 0.03 0.21 3.77

단독 0.26 0.28 0.34 0.18 0.11 0.10 0.05 0.06 0.32 2.67

연립 0.20 0.29 0.21 0.10 0.07 0.01 0.09 0.06 0.23 2.07

아파트 0.73 0.49 0.68 0.32 0.11 0.15 0.07 0.12 0.45 4.67

` 단독 0.23 0.34 0.35 0.06 0.09 0.11 0.13 0.09 0.43 2.55

연립 0.18 0.36 0.20 0.09 0.05 0.03 0.11 0.06 0.25 2.37

아파트 0.65 0.37 0.60 0.23 0.09 0.06 -0.02 -0.01 0.12 4.47

단독 0.41 0.47 0.33 0.33 0.14 0.16 0.05 0.06 0.41 4.13

연립 0.44 0.45 0.23 0.12 0.05 0.06 0.11 0.04 0.25 3.24

* 단독주택에는 다가구주택이, 연립주택에는 다세대주택이 포함되어 있음

*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6 April 2016

서울

전국

5개

광역시

최근의 월별 동향 (전월비)

-0.2%

0%

0.2%

0.4%

0.6%

0.8%

'14.4 '14.10 '15.4 '15.10 '16.4

주택유형별 증감률 추이(전국기준)

아파트

단독

연립

■ 아파트와 단독주택에서 전월대비 상승폭 확대

(전년동월비:%)

3.77 4.42 4.47

1.42

2.67

1.87

4.13

2.28 2.07 1.76

3.24 2.52

0%

2%

4%

6%

8%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전년 동월대비 주택유형별 증감률

아파트 단독 연립

3) 주택유형별 매매가격동향

전국의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은 아파트와 단독, 연립이 각각 0.03%, 0.06%, 0.06% 상승하며 아파트와 단독은

상승폭이 확대된 반면, 연립은 상승폭이 둔화됨. 5개 광역시는 아파트(-0.01%)가 2개월 연속 하락한 반면, 단독

과 연립은 각각 0.06%, 0.04% 상승하며 상승세 지속함.

지역별 전년동월대비로는 수도권에서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4.42%, 1.87%, 1.76% 상승하며 모

든 유형에서 상승세로 나타났으며, 기타지방은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에서 각각 1.42%, 2.28%, 2.52%

상승하며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에서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임.

Page 9: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대형 중대형 중형 중소형 소형 대형 중대형 중형 소형 대형 중형 소형

'15.11월 0.39 0.43 0.54 0.50 0.46 0.23 0.31 0.43 0.36 0.06 0.25 0.21

12월 0.23 0.19 0.20 0.21 0.17 0.06 0.14 0.16 0.27 0.14 0.15 0.05

'16.1월 0.01 0.06 0.11 0.08 0.03 0.10 0.07 0.14 0.11 0.11 0.08 0.07

2월 0.01 0.04 0.09 0.10 0.13 0.09 0.07 0.11 0.09 0.01 -0.05 0.01

3월 0.02 0.00 0.01 0.03 0.03 -0.07 0.13 0.00 0.05 0.08 0.09 0.11

4월 0.04 0.02 0.04 0.02 0.08 -0.01 0.08 0.04 0.10 0.10 0.06 0.04

April 2016 7

최근 월별 동향(전월비)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구분

■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전규모 상승한 반면, 단독주택은 대형이 하락

전국의 주택규모별 매매가격은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전규모에서 상승한 반면, 단독주택의 대형은 0.01% 하

락하며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하락함.

4) 주택규모별 매매가격동향

주) 주택별 규모 분류(전용면적기준)

아파트 : 소형(40.0㎡미만), 중소형(40~62.8㎡미만), 중형(62.8~95.9㎡미만), 중대형(95.9~135㎡미만), 대형(135㎡이상)

연립주택 : 소형(62.81㎡미만), 중형(62.81~95.86㎡미만), 대형(95.86㎡이상)

단독주택 :

* 아파트 청약규모별 지수는 시계열 및 통계표 참조

0.04

0.02

0.04

0.02

0.08

0%

0.02%

0.04%

0.06%

0.08%

0.1%

대형 중대형 중형 중소형 소형

아파트 규모별 변동률(전국기준)

-0.01

0.08 0.04

0.10

-0.2%

-0.1%

0%

0.1%

0.2%

0.3%

대형 중대형 중형 소형

단독주택 규모별 변동률(전국기준)

95.86㎡미만 95.86㎡이상 ~ 161.98㎡미만 161.98㎡이상 ~ 331.0㎡미만 331.0㎡이상

228.1㎡ 미만 소형 중형 중대형 대형

228.1㎡이상~327.27㎡ 미만 중형 중형 중대형 대형

327.27㎡이상~662.0㎡ 미만 중대형 중대형 중대형 대형

662.0㎡ 이상 대형 대형 대형 대형

구 분건물면적

대지면적

Page 10: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연도별 4월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 %)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0.13 0.87 0.06 0.19 0.82 0.11 0.00 0.21 0.49 0.04

0.23 1.64 0.27 -0.05 0.05 -0.27 -0.08 0.05 0.43 0.10

주) 장기평균은 조사가 시작된 '86년부터 '16년까지 30년동안의 해당월의 평균증감률

장기평균과 최근 1년 매매가격 변동률 (단위 : %, 전국기준)

'15.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0.15 0.05 0.12 0.34 0.53 0.23 0.06 0.00 0.29 0.61 0.50 0.47

0.37 0.46 0.42 0.39 0.47 0.34 0.43 0.18 0.08 0.07 0.03 0.04

8 April 2016

0.47전국

0.50

장기평균

최근1년

장기평균주)

서울

-0.2%

0%

0.2%

0.4%

0.6%

0.8%

1%

'15.5월 '15.10월 '16.4월

장기평균과 매매가격 변동률

변동률

장기평균

-3%

-2%

-1%

0%

1%

2%

3%

4%

5%

'86년 '94년 '02년 '10년

연도별 4월 매매가격동향

4월 변동률

장기평균

■ 4월의 주택매매가격 증감률(0.04%)은 30년 장기평균 증감률(0.47%)을 하회함

5) 연도별ㆍ월별 매매가격 증감률

매년 4월의 주택매매가격 장기평균주) 증감률은 평균 0.47% 상승하였으나, 올해 4월의 주택매매가격 증감률

은 전월대비 0.04% 상승하며 장기평균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한편, 서울의 4월 주택매매가격도 전월대비 0.10% 상승하였으나, 4월의 장기평균인 0.50% 상승을 하회하

는 것으로 나타남.

'16년

Page 11: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2. 전세가격동향

1) 개황

<최근 전세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13.4월 '14.4월 '15.4월 '16.1월 2월 3월 4월

0.36 0.35 0.61 0.19 0.19 0.15 0.11

0.36 0.38 0.79 0.25 0.26 0.22 0.16

0.38 0.38 0.51 0.13 0.13 0.09 0.06

0.36 0.25 0.26 0.11 0.09 0.03 0.04

*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이며,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임

April 2016 9

5개광역시

기타지방

수도권

전 국

연도별 동향 최근 월별 동향

0

20

40

60

80

100

120

'86년 '90년 '95년 '00년 '05년 '10년 '16년

전세가격지수 장기 추이

-3%

0%

3%

6%

9%

12%

15%

-0.5%

0%

0.5%

1%

1.5%

2%

2.5%

'14.4 '14.10 '15.4 '15.10 '16.4

전국 전세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

■ 전국 주택전세가격 상승세 둔화

전국(0.11%)의 주택전세가격은 은행 예금의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월세 가속화에 따른 전세물

량 부족으로 상승세는 지속하였으나 겨울방학을 이용한 학군수요 및 이사철 이주수요가 마무리 되며 전월대

비 상승폭 둔화됨. 수도권(0.16%)과 5개광역시(0.06%)도 상승폭이 둔화된 반면, 기타지방(0.04%)은

상승폭이 전월대비 소폭 확대됨.

전국 147개 시/군/구 가운데 가격이 상승한 지역은 103개, 하락한 지역은 15개로 전월대비 소폭 감소한 반

면, 보합인 지역은 29개로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2015.12 =100.0(

3월

4월

71.4%

70.1%

17.0%

19.7%

11.6%

10.2%

상승지역 보합 하락지역

Page 12: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2) 지역별 전세가격동향

(1) 수도권

<4월 수도권 전세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10 April 2016

경 기 성남 분당구(-0.09%), 안산 단원구(-0.05%)

인 천

0.15 과천(0.38%), 안양 동안구(0.36%)

0.15 서구(0.24%), 남동구(0.21%)

주요 하락지역전월비

영등포구(0.25%), 강동구(0.2%)

주요 상승지역

중랑구(0.48%), 마포구(0.37%)서울

강남(11개구) 0.13

강북(14개구) 0.23

■ 서울, 인천, 경기 모두 상승하며 상승세 유지

-3%

0%

3%

6%

9%

12%

15%

-0.5%

0%

0.5%

1%

1.5%

2%

2.5%

'14.4 '14.10 '15.4 '15.10 '16.4

서울시 전세가격 추이

전월비(좌)

전년동월비(우)

0.48

0.38 0.37 0.36 0.36 0.33

0%

0.2%

0.4%

0.6%

0.8%

1%

중랑구 과천 마포구 안양

동안구

파주 서대문구

수도권 상승률 상위지역

서울(0.18%)은 중랑구(0.48%)에서 서울 내 타지역대비 저렴한 전세가격 영향과 2018년 남양주 신도

시 입주 대기수요도 유입되며 가격이 상승하였고, 마포구(0.37%)에서는 강남권 및 여의도로의 출퇴근

수요 유입이 꾸준히 발생하며 상승함.

인천(0.15%)은 서구(0.24%)에서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예정 및 공항철도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발생하며 상승하였고, 남동구(0.21%)에서는 인근 송도 신도시의 높은 전세가격 영향으로 전세

수요 유입이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함.

경기(0.15%)는 과천(0.38%)에서 지역 내 재건축 단지의 사업시행고시 발표로 미리 움직이려는 이주

수요가 발생하며 가격이 상승하였고, 안양 동안구(0.36%)는 인근 가산, 구로디지털단지의 근로자수요

와 서울 도심권 출퇴근수요가 유입되며 상승함.

Page 13: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월 5개광역시 전세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5개 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

April 2016 11

유성구(0.13%), 서구(0.12%)

전월비 주요 상승지역 주요 하락지역

달서구(-0.44%), 달성군(-0.43%)

수영구(0.41%), 연제구(0.38%)0.20

남구(0.32%), 울주군(0.24%)0.17울 산

0.10

중구(0.05%)-0.21

광 주 남구(0.18%), 서구(0.05%)0.05

부 산

대 구

동구(-0.27%)

대 전

-3%

0%

3%

6%

9%

12%

15%

-0.4%

0%

0.4%

0.8%

1.2%

1.6%

'14.4 '14.10 '15.4 '15.10 '16.4

5개광역시 전세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

0.41 0.38 0.32 0.29

0.24 0.24

0%

0.2%

0.4%

0.6%

0.8%

1%

부산

수영구

부산

연제구

울산

남구

부산

동래구

부산

서구

울산

울주군

5개광역시 상승률 상위지역

■ 대구는 하락폭 확대되며 3개월 연속 하락

(2) 5개광역시

대구(-0.21%)는 수년간 부동산경기 활황에 따른 급격한 가격상승 부담으로 수요가 감소한 반면, 수요대비

과잉공급된 신규물량 영향으로 전세매물이 적체되는 모습을 보이며 달서구(-0.44%), 달성군(-0.43%) 순

으로 가격이 하락함.

부산(0.20%)은 수영구(0.41%)에서 지역 내 신규단지의 높은 전세가격과 재개발 사업추진 영향으로 가격

이 상승하였고, 연제구(0.38%)에서는 연산4구역 및 거제1,2구역 재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이주수요가 발

생하며 상승함.

울산(0.17%)은 남구(0.32%)에서 지역 내 재개발사업 관련 이주수요가 증가하며 상승한 반면, 동구(-

0.27%)에서는 중공업 분야의 부진으로 현대중공업 근로자수요가 감소하며 전월대비 가격 하락함.

Page 14: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월 기타지방 전세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전월비

0.07

0.16

0.06

-0.05

0.04

0.10

-0.11

0.09

* 기타지방은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

12 April 2016

경 북

주요 상승지역 주요 하락지역

-세 종

전 북

아산(-0.09%), 공주(-0.06%)

창원 성산구(0.2%), 진주(0.12%)

충 남

전 남

충 북

경 남

강 원

구미(-0.18%), 경산(-0.15%)

순천(0.18%), 목포(0.07%)

군산(0.06%), 익산(0.06%)

청주 서원구(0.27%), 청주 청원구(0.06%)

춘천(0.24%), 원주(0.1%)

0.27 0.24

0.20 0.18 0.12 0.11

0%

0.2%

0.4%

0.6%

0.8%

청주

서원구

춘천 창원

성산구

순천 진주 제주/

서귀포

기타지방 상승률 상위지역

■ 충남과 경북지역에서 하락

0.07

0.16

0.06

-0.05

0.04

0.10

-0.11

0.09

-0.2%

-0.1%

0%

0.1%

0.2%

0.3%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기타지방 전세가격 상승률

(3) 기타지방

강원(0.16%)은 춘천(0.24%)에서 레고랜드 조성에 따른 근로자수요가 발생하며 가격이 상승하였고, 원

주(0.10%)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영향으로 관련수요가 유입되며 상승함.

반면, 경북(-0.11%)은 수요 대비 과잉공급된 신규물량 영향으로 미분양이 증가하고 부동산가격 하락 우려

감이 심해지는 모습을 보이며 구미(-0.18%), 경산(-0.15%) 순으로 가격이 하락함.

전남(0.10%)은 전세매물의 월세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신혼부부수요 등의 전세선호는 지속되며 순천

(0.18%), 목포(0.07%)에서 가격이 상승함.

Page 15: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단위 : %)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15.9월 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15.12대비) ('15.4대비)

아파트 0.64 0.40 0.58 0.31 0.21 0.21 0.17 0.13 0.72 4.81

단독 0.30 0.32 0.31 0.16 0.14 0.14 0.09 0.06 0.42 2.87

연립 0.42 0.46 0.31 0.14 0.17 0.15 0.13 0.08 0.53 3.69

아파트 0.97 0.59 0.85 0.49 0.36 0.33 0.28 0.23 1.22 7.48

단독 0.44 0.48 0.41 0.14 0.22 0.20 0.17 0.13 0.71 4.13

연립 0.55 0.59 0.36 0.19 0.21 0.35 0.20 0.10 0.86 5.26

아파트 0.45 0.31 0.47 0.22 0.15 0.15 0.08 0.06 0.44 3.45

단독 0.40 0.50 0.19 0.25 0.11 0.07 0.11 0.08 0.37 3.25

연립 0.38 0.31 0.14 0.05 0.02 0.10 0.12 0.03 0.27 2.57

* 단독주택에는 다가구주택이, 연립주택에는 다세대주택이 포함되어 있음

*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April 2016 13

최근의 월별 동향 (전월비)

전국

5개

광역시

서울

0%

0.5%

1%

'14.4 '14.10 '15.4 '15.10 '16.4

주택유형별 증감률 추이(전국기준)

아파트

단독

연립

■ 전국의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은 아파트에서 상대적인 강세 지속

4.81

6.67

3.45

1.53

2.87 3.02 3.25 2.37

3.69 4.04

2.57 2.45

0%

2%

4%

6%

8%

10%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전년동월대비 주택유형별 증감률

아파트 단독 연립

3) 주택유형별 전세가격동향

4월 전국의 주택유형별 전세가격 동향은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0.13%, 0.06%, 0.08% 상승

하였고, 서울도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0.23%, 0.13%, 0.10% 상승하며 아파트가 상대적으

로 강세를 지속함.

전년동월대비로는 전국의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4.81%, 2.87%, 3.69% 상승하였고, 서울에

서도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7.48%, 4.13%, 5.26% 상승하며 아파트가 상대적인 강세를 보

임. 한편, 5개광역시에서는 전년동월대비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3.45%, 3.25%, 2.57% 상

승함.

Page 16: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대형 중대형 중형 중소형 소형 대형 중대형 중형 소형 대형 중형 소형

'15.11월 0.62 0.62 0.66 0.49 0.37 0.29 0.28 0.34 0.33 0.46 0.36 0.25

12월 0.45 0.35 0.35 0.24 0.17 0.03 0.13 0.17 0.25 0.23 0.13 0.14

'16.1월 0.28 0.26 0.23 0.16 0.04 0.20 0.09 0.16 0.16 0.23 0.16 0.20

2월 0.30 0.27 0.23 0.15 0.17 -0.13 0.14 0.15 0.16 0.02 0.09 0.17

3월 0.14 0.20 0.16 0.16 0.10 0.08 0.03 0.05 0.18 0.16 0.15 0.11

4월 0.12 0.13 0.16 0.10 0.08 -0.01 0.10 0.05 0.03 0.10 0.06 0.08

14 April 2016

최근 월별 동향(전월비)

구분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

■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전규모 상승한 반면, 단독주택은 대형이 하락

전국의 주택규모별 전세가격은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전규모에서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단독주택은 대형에서

전월대비 하락으로 전환됨.

4) 주택규모별 전세가격동향

0.12 0.13 0.16

0.10 0.08

0%

0.2%

0.4%

대형 중대형 중형 중소형 소형

아파트 규모별 변동률(전국기준)

-0.01

0.10

0.05 0.03

-0.1%

0%

0.1%

0.2%

0.3%

대형 중대형 중형 소형

단독주택 규모별 변동률(전국기준)

주) 주택별 규모 분류(전용면적기준)

아파트 : 소형(40.0㎡미만), 중소형(40~62.8㎡미만), 중형(62.8~95.9㎡미만), 중대형(95.9~135㎡미만), 대형(135㎡이상)

연립주택 : 소형(62.81㎡미만), 중형(62.81~95.86㎡미만), 대형(95.86㎡이상)

단독주택 :

* 아파트 청약규모별 지수는 시계열 및 통계표 참조

95.86㎡미만 95.86㎡이상 ~ 161.98㎡미만 161.98㎡이상 ~ 331.0㎡미만 331.0㎡이상

228.1㎡ 미만 소형 중형 중대형 대형

228.1㎡이상~327.27㎡ 미만 중형 중형 중대형 대형

327.27㎡이상~662.0㎡ 미만 중대형 중대형 중대형 대형

662.0㎡ 이상 대형 대형 대형 대형

구 분건물면적

대지면적

Page 17: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연도별 4월 전세가격 증감률 (단위 : %)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0.35 0.58 0.17 0.63 1.20 0.42 0.36 0.35 0.61 0.11

0.49 0.86 0.41 0.54 0.64 0.06 0.34 0.30 0.86 0.18

주) 장기평균은 조사가 시작된 '86년부터 '16년까지 30년동안의 해당월의 평균증감률

장기평균과 최근 1년 전세가격 변동률 (단위 : %, 전국기준)

'15.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0.07 -0.09 0.07 0.48 1.07 0.49 -0.05 -0.30 0.39 1.41 1.34 0.85

0.42 0.54 0.51 0.44 0.55 0.40 0.50 0.26 0.19 0.19 0.15 0.11

0.42

April 2016 15

최근1년

장기평균주)

0.72서울

0.85전국

장기평균

-0.4%

0%

0.4%

0.8%

1.2%

1.6%

'15.5월 '15.10월 '16.4월

장기평균과 전세가격 변동률

최근1년

장기평균

-6%

-4%

-2%

0%

2%

4%

6%

8%

'86년 '92년 '98년 '04년 '10년 '16년

연도별 4월 전세가격동향

4월 변동률

장기평균

■ 4월의 전세가격은 0.11% 상승하며 장기평균 증감률(0.85%)을 하회함

5) 연도별ㆍ월별 전세가격 증감률

전국 전세가격 증감률의 장기평균 추이를 보면 4월은 0.85% 상승하였지만, 올해 4월의 주택 전세가격 증감률

은 0.11% 상승하며 장기평균 증감률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사됨.

한편, 서울의 4월 주택 전세가격 증감률도 장기평균인 0.72% 상승을 하회한 0.18% 상승으로 나타나며 예년

에 비해 낮은 증감률을 나타냄.

Page 18: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종합기준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 전월비, %)

전국 서울 수도권 5개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04 0.10 0.08 0.01 0.15 -0.18 0.08 -0.07 0.00 0.13 0.05 -0.01

-0.03 0.03 -0.01 -0.07 0.11 -0.32 -0.01 -0.10 -0.01 0.12 -0.04 -0.06

아파트기준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 전월비, %)

전국 서울 수도권 5개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03 0.12 0.08 -0.01 0.19 -0.27 0.08 -0.11 -0.01 0.14 0.06 -0.04

-0.05 0.02 -0.02 -0.11 0.11 -0.44 -0.05 -0.16 -0.03 0.08 -0.04 -0.09

주) 계절조정지수 : 계절변동조정을 통해 추세, 순환, 계절, 불규칙 변동으로 구성된 원통계로부터 계절변동성분을 제거하여 산출한 지수

16 April 2016

원지수

계절조정지수

원지수

계절조정지수

■ 4월의 매매가격 증감률은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폭 확대

0.04 0.08

0.01

-0.01 -0.03

-0.01

-0.07 -0.06

-0.2%

-0.1%

0%

0.1%

0.2%

0.3%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원지수 계절조정

0.03

0.08

-0.01 -0.04 -0.05

-0.02

-0.11 -0.09

-0.2%

-0.1%

0%

0.1%

0.2%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원지수 계절조정

)단위 : 전월비( )단위 : 전월비(

4월 전국의 계절조정 후 주택매매가격 증감률은 0.0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지수 기준의 주택

매매가격 증감률은 0.04%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어 4월은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

남.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5개광역시, 기타지방이 모두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됨.

또한,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원지수 기준의 증감률이 0.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계절조정

후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률은 0.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며 4월의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률 역시 계절

적 영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

3. 계절조정 지수주)

1) 매매가격동향

지역별 증감률(아파트기준) 지역별 증감률(종합기준)

Page 19: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종합기준 전세가격 증감률 (단위 : 전월비, %)

전국 서울 수도권 5개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11 0.18 0.16 0.06 0.20 -0.21 0.15 0.05 0.10 0.17 0.15 0.04

0.07 0.16 0.13 -0.02 0.09 -0.41 0.07 0.04 0.15 0.13 0.14 0.02

아파트 전세가격 증감률 (단위 : 전월비, %)

전국 서울 수도권 5개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13 0.23 0.20 0.06 0.24 -0.30 0.19 0.05 0.14 0.20 0.19 0.05

0.08 0.17 0.16 -0.03 0.12 -0.51 0.09 -0.02 0.19 0.11 0.18 0.01

주) 계절조정지수 : 계절변동조정을 통해 추세, 순환, 계절, 불규칙 변동으로 구성된 원통계로부터 계절변동성분을 제거하여 산출한 지수

April 2016 17

원지수

계절조정지수

원지수

계절조정지수

■ 4월 전세가격 증감률은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폭 확대

0.11

0.16

0.06 0.04 0.07

0.13

-0.02

0.02

-0.1%

0%

0.1%

0.2%

0.3%

0.4%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원지수

계절조정 (단위 : 전월비)

0.13

0.20

0.06 0.05 0.08

0.16

-0.03

0.01

-0.1%

0%

0.1%

0.2%

0.3%

0.4%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원지수

계절조정 )단위 : 전월비(

4월 전국의 주택전세가격 계절조정지수 증감률은 전월대비 0.07% 상승한 가운데, 원지수 기준 전세가격 증

감률은 0.11% 상승하여 4월의 전세가격은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로는 수

도권과 5개광역시, 기타지방이 모두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됨.

전국의 계절조정 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8% 상승한 가운데, 원지수 기준 증감률은 0.13% 상승하여 4월

의 아파트 전세가격도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전 지역에서 계절적 영

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

2) 전세가격동향

지역별 증감률(종합기준) 지역별 증감률(아파트기준)

Page 20: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 주택시장동향

1) 매매시장동향

<매매시장 동향> (비중단위 : %)

'13.4월 '14.4월 '15.4월 '15.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73.2 56.4 34.0 31.5 41.4 49.5 55.6 56.7 58.5 55.5

4.0 5.0 15.7 15.0 7.0 4.0 3.5 3.9 4.6 4.8

22.8 38.5 50.3 53.5 51.6 46.5 40.9 39.3 36.9 39.8

30.9 48.6 81.8 83.5 65.5 54.5 47.8 47.2 46.0 49.3

주) 매수우위지수는 매도세 우위, 매수세 우위, 보합의 3가지 중 하나를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매수우위지수』가 100 이면 매도세와 매수세가 같은 수준이고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 우위 비중이 높음

주) 매수우위지수 = 100 + "매수세우위" 비중 - "매도세우위" 비중

18 April 2016

매수우위지수

비슷함 비중

연도별 동향 최근 월별 동향

매수세우위비중

매도세우위비중

0

20

40

60

80

100

120

기타

지방

지역별 매수우위지수

4월지수 전국평균

0

20

40

60

80

100

'13.4 '13.10 '14.4 '14.10 '15.4 '15.10 '16.4

매수우위지수 추이

전국 서울

■ 전국의 매수우위지수 전월대비 상승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매도세와 매수세 비중을 조사하여 작성되는 매수우위지수주)는 전월대비 '매도세

우위비중' 은 감소한 반면, '매수세 우위비중'과 '비슷함 비중'은 소폭 증가하며 전월대비 상승함. 정부의 대출규

제 강화로 매매수요가 감소하였지만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수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

세부 지역별로는 대구가 12.3으로 조사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매수심리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울산은

35.2를 기록하며 전월(51.5)대비 큰 폭의 하락을 나타냄. 서울과 경기, 부산, 세종, 강원, 전남이 전국 평균을 상

회했으나 전체적으로 지수가 100을 하회하면서 전반적인 매수심리는 위축된 것으로 나타남.

Page 21: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oooo

2) 매매거래동향

<매매거래 동향> (비중단위 : %)

'13.4월 '14.4월 '15.4월 '15.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1.2 0.6 2.6 1.6 0.8 0.4 0.5 0.4 0.6 0.5

12.6 14.4 36.2 24.4 17.3 9.6 7.4 9.2 13.2 12.8

86.3 85.0 61.3 73.9 81.9 90.0 92.0 90.4 86.2 86.7

14.9 15.6 41.3 27.7 19.0 10.4 8.5 10.0 14.3 13.9

주) 매매거래지수는 활발함, 보통, 한산함의 3가지 중 하나를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 이면 '활발함'과 '한산함'이 같은 수준이고 100을 초과할수록 '활발함' 비중이 높음

주) 매매거래지수 = 100 + "활발함" 비중- "한산함" 비중

April 2016 19

최근 월별 동향연도별 동향

활발함 비중

매매거래지수

한산함 비중

보통 비중

0

10

20

30

40

50

60

70

80

'13.4 '13.10 '14.4 '14.10 '15.4 '15.10 '16.4

매매거래지수 추이

전국 서울

0

10

20

30

기타

지방

지역별 매매거래지수

4월지수 전국평균

■ 전국의 매매거래지수는 전월대비 소폭 하락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매매거래 활발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인 전국의 매매거래지수주)는 부동산경기 악화

영향으로 전월(14.3)보다 소폭 하락한 13.9로 조사되어 기준치 100을 크게 하회하면서 매매거래 둔화세가 지

속된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로는 대구의 매매거래지수가 3.2로 조사되며 거래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광주 역시 4.8

로 조사되며 매매거래 위축이 심화된 모습을 보임.

Page 22: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3) 전세시장동향

<전세수급 동향> (비중단위 : %)

'13.4월 '14.4월 '15.4월 '15.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81.3 74.5 86.6 83.8 78.7 75.0 76.8 77.8 77.0 74.9

3.2 3.6 1.9 2.1 4.2 4.8 4.5 4.3 4.8 4.7

15.5 22.0 11.5 14.1 17.1 20.1 18.7 17.9 18.3 20.4

178.2 170.9 184.8 181.7 174.5 170.2 172.3 173.5 172.2 170.2

주) 전세수급지수는 전세수요에 비해 전세공급물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부동산중개업소를 통해 조사한 지표로

지수가 100 이면 모두 '공급이 부족함'과 '공급이 충분함'이 같고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이 부족함' 비중이 높음

주) 전세수급지수 = 100 + "공급부족" 비중 - "공급충분" 비중

20 April 2016

연도별 동향 최근 월별 동향

공급부족 비중

공급충분 비중

전세수급지수

공급적절 비중

125

150

175

200

'13.4 '13.10 '14.4 '14.10 '15.4 '15.10 '16.4

전세수급지수 추이

전국 서울 100

120

140

160

180

200

기타

지방

지역별 전세수급지수

4월지수 전국평균

■ 전국의 전세수급 불균형은 지속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전세공급 물량 부족 정도를 나타내는 전국의 전세수급지수주)는 170.2로 조사되

며 2개월 연속 소폭 하락하였으나 기준치인 100을 크게 상회하며 전세수급 불균형은 장기간 지속됨.

지역별로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전세수급 불균형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경기

의 전세수급지수가 전국평균을 상회하며 다른지역에 비해 전세공급 물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대구의 전세수급지수는 107.4로 조사되며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됨.

Page 23: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 전세거래동향

<전세거래 동향> (비중단위 : %)

'13.4월 '14.4월 '15.4월 '15.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3.5 2.2 3.7 2.8 2.3 1.5 2.0 2.2 1.9 1.4

24.7 18.7 23.9 19.1 15.4 13.6 13.9 15.9 17.2 14.9

71.8 79.1 72.4 78.1 82.3 84.9 84.1 81.9 80.9 83.7

31.6 23.0 31.3 24.7 20.0 16.6 17.9 20.4 21.1 17.7

주) 전세거래지수는 활발함, 보통, 한산함의 3가지 중 하나를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 이면 모두 '활발함'과 '한산함'비중이 같고 100을 초과할수록 '활발함' 비중이 높음

주) 전세거래지수 = 100 + "활발함" 비중 - "한산함" 비중

April 2016 21

최근 월별 동향연도별 동향

한산함 비중

전세거래지수

활발함 비중

보통 비중

10

20

30

40

50

60

70

'13.4 '13.10 '14.4 '14.10 '15.4 '15.10 '16.4

전세거래지수 추이

전국

서울

0

10

20

30

40

기타

지방

4월지수

전국평균

지역별 전세거래지수

■ 전국의 전세거래지수 전월대비 하락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전세거래 활발정도를 나타내는 전세거래지수주)는 전월대비 하락함. 전국적으로 '한

산함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세수요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나 기존 임차인의 재계약 및 임대인

의 월세 전환 등으로 전세매물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지역별로는 서울과 인천, 부산, 울산, 경기는 전국평균을 상회하였으며, 대구와 광주, 대전, 기타지방은 전국평균

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남.

Page 24: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5)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4월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비중단위 : %)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1 0.1 0.0 0.0 0.5 0.0 0.0 0.0 0.0 0.0

9.3 13.5 9.9 0.0 8.2 0.0 2.0 6.2 10.8 9.0

71.0 76.9 80.2 33.2 78.4 77.1 78.5 69.7 75.2 63.2

19.4 9.3 9.9 65.6 12.3 22.9 19.5 23.2 13.9 27.3

0.3 0.2 0.0 1.2 0.6 0.0 0.0 0.9 0.2 0.5

94.7 102.0 100.0 66.0 97.9 88.6 91.3 90.6 98.3 90.4

주)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 향후 3개월 후 아파트 매매가격에 대해 '크게상승',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이면 '보합'을 나타내며 100을 초과할 수록 '상승' 비중이 높음

주)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 100+{("크게상승"비중x1.0+"약간상승"비중x0.5)-("약간하락"비중x0.5+"크게하락"비중x1.0)}

※ 중개업소가 영업기간 중 상황변화만을 기준으로 주관적으로 응답한 것이므로 실제가격 및 거래량 변화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22 April 2016

크게상승

약간상승

크게하락

약간하락

보합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주)

■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전월대비 상승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부동산 경기 흐름을 토대로 3개월 후 아파트 매매가격동향을 조사하는 KB부동산 매

매가격 전망지수주)는 전월(90.3)대비 상승한 94.7으로 나타났으나, 기준치인 100을 하회하며 부동산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비중이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서울(102.0)과 부산(100.0)에서 기준치인 100을 상회, 3개월 후 아파트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

측하는 비중이 타지역대비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그 외 지역은 모두 기준치인 100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남.

80

90

100

110

120

130

140

'13.4 '13.10 '14.4 '14.10 '15.4 '15.10 '16.4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추이

전국 서울

40

60

80

100

120

기타

지방

4월지수

전국평균

지역별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지역별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Page 25: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6)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4월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비중단위 : %)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2 0.4 0.3 0.0 0.9 0.0 0.0 0.0 0.1 0.0

16.8 20.5 25.5 1.2 22.4 1.3 14.5 11.7 17.4 15.3

71.0 70.2 70.2 51.8 69.8 78.7 78.5 80.1 73.2 71.2

11.9 8.8 4.0 46.0 6.9 20.0 7.0 8.1 9.2 13.3

0.1 0.2 0.0 1.1 0.0 0.0 0.0 0.0 0.0 0.2

102.6 106.1 111.1 76.5 108.6 90.6 103.7 101.8 104.3 100.8

주)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 향후 3개월 후 아파트 전세가격에 대해 '크게상승',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이면 '보합'을 나타내며 100을 초과할 수록 '상승' 비중이 높음

주)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 100+{("크게상승"비중x1.0+"약간상승"비중x0.5)-("약간하락"비중x0.5+"크게하락"비중x1.0)}

※ 중개업소가 영업기간 중 상황변화만을 기준으로 주관적으로 응답한 것이므로 실제가격 및 거래량 변화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April 2016 23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주)

크게상승

■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3개월 연속 하락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부동산 경기 흐름을 토대로 3개월 후 아파트 전세가격동향을 조사하는 KB부동산 전

세가격 전망지수주)는 지난 달(104.3)대비 소폭 하락한 102.6으로 조사되며 3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로는 서울, 부산, 인천,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에서 전망지수가 100을 상회하며 3개월 후 전세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대구와 광주에서는 기준치인 100을 하회하며 전세가격 하락을 전망하

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됨.

0

20

40

60

80

크게상승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항목별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40

60

80

100

120

140

기타

지방

4월지수

전국평균

지역별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Page 26: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5. 평균 주택가격

<4월 평균매매가격> (단위 : 만원) <4월 평균전세가격> (단위 : 만원)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종합 아파트 단독주)연립

전국 29,566 30,560 33,465 17,110 20,032 22,738 15,193 11,563

수도권 37,044 38,615 55,268 19,053 25,256 28,913 24,574 12,803

5개광역시 23,388 25,042 23,307 11,759 15,767 18,395 10,476 8,138

기타지방 18,207 18,612 18,111 9,041 12,037 13,693 8,865 6,444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주요지역 평균매매 및 평균전세가격> (단위 : 만원)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종합 29,566 49,689 21,426 30,658 37,044 23,388 18,207

아파트 30,560 55,592 24,977 31,180 38,615 25,042 18,612

종합 20,032 32,596 14,879 21,939 25,256 15,767 12,037

아파트 22,738 40,408 18,539 24,147 28,913 18,395 13,693

24 April 2016

매매가격

전세가격

296

497

214

307 370

234 182 200

326

149 219 253

158 120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

지방

지역별 매매/전세 평균가격(종합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296 306 335

171 200

227

152 116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유형별 매매/전세 평균가격(전국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4월 전국의 종합기준 평균 매매가격은 29,566만원으로 전월(29,513만원)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 평균 매매가

격은 아파트가 30,560만원, 단독주택 33,465만원, 연립주택이 17,110만원으로 모든 규모에서 전월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한편, 4월 전국의 종합기준 평균 전세가격은 20,032만원으로 전월(19,949만원)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 평균 전

세가격은 아파트가 22,738만원, 단독주택이 15,193만원, 연립주택이 11,563만원으로 모든 유형에서 전월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Page 27: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6. ㎡당 평균 주택가격

<4월 ㎡당 평균매매가격> (단위 : 만원) <4월 ㎡당 평균전세가격> (단위 : 만원)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종합 아파트 단독주)연립

전국 318.1 360.5 182.4 259.3 226.1 270.1 84.8 176.7

수도권 406.7 452.9 314.1 294.0 290.3 342.3 144.1 199.1

5개광역시 245.8 294.2 124.5 156.9 173.6 216.7 57.7 110.5

기타지방 182.7 226.4 86.9 128.5 127.7 166.8 42.7 91.8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주요지역 ㎡당 평균매매 및 평균전세가격> (단위 : 만원)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종합 318.1 534.2 261.1 338.7 406.7 245.8 182.7

아파트 360.5 639.4 304.5 371.0 452.9 294.2 226.4

종합 226.1 369.5 186.2 252.1 290.3 173.6 127.7

아파트 270.1 471.1 227.6 288.6 342.3 216.7 166.8

* 면적은 전용면적 기준임

April 2016 25

매매가격

전세가격

318

534

261

339 407

246 183

226

370

186 252

290

174 128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

지방

지역별 ㎡당 매매/전세 평균가격(종합)

매매

전세

(단위:만원)

318 360

182

259 226

270

85

177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유형별 ㎡당 매매/전세 평균가격(전국)

매매

전세

)단위:만원(

4월 전국의 ㎡당 평균 매매가격은 318.1만원으로 전월(317.5만원) 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60.5만원, 단독주택이 182.4만원, 연립주택이 259.3만원으로 모든 유형에서 전월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한편, 4월 전국의 ㎡당 평균 전세가격은 226.1만원으로 전월(225.1만원) 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가 270.1만원, 단독주택이 84.8만원, 연립주택이 176.7만원으로 모든 유형에서 전월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

남.

Page 28: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7. 중위 주택가격 주1)

<4월 중위 주택매매가격> (단위 : 만원) <4월 중위 주택전세가격> (단위 : 만원)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종합 아파트 단독주)연립

전국 27,278 28,882 28,553 15,372 18,923 21,955 12,596 10,749

수도권 35,063 37,459 48,473 17,260 24,494 28,591 21,342 12,032

5개광역시 20,564 22,590 18,818 9,857 14,143 16,927 8,168 6,984

기타지방 15,772 16,587 14,891 8,142 10,658 12,605 6,720 5,868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주요지역 중위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 (단위 : 만원)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종합 27,278 47,181 19,946 28,989 35,063 20,564 15,772

아파트 28,882 54,390 23,666 30,090 37,459 22,590 16,587

종합 18,923 31,198 14,606 21,587 24,494 14,143 10,658

아파트 21,955 39,127 18,953 24,254 28,591 16,927 12,605

주1) 중위가격은 중앙가격이라고도 하며 주택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격을 의미

중위가격이 전반적으로 평균가격에 비해 낮은 것은 중위가격이 평균가격에 비해 고가주택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

26 April 2016

매매가격

전세가격

4월 전국의 중위 매매가격은 27,278만원으로 전월(27,225만원) 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8,882만원, 단독주택 28,553만원, 연립주택 15,372만원으로 전 유형에서 전월대비 상승함.

한편, 전국의 중위 전세가격은 18,923만원으로 전월(18,863만원)대비 상승함.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1,955만원, 단독주택이 12,596만원, 연립주택이 10,749만원으로 모든 유형에서 전월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273

472

199

290 351

206 158 189

312

146

216 245

141 107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

지방

지역별 매매/전세 중위가격(종합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273 289 286

154 189

220

126 107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유형별 매매/전세 중위가격(전국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Page 29: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8. 5분위 평균 매매/전세가격 주1)

<주요지역별 5분위 평균주택가격> (단위 : 만원, 배, 종합기준)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매매 11,842 19,392 25,997 34,844 56,809

전세 8,010 14,464 19,950 26,824 41,679

매매 24,598 37,347 47,405 63,259 109,263

전세 17,225 28,933 36,844 46,321 70,429

매매 17,094 25,956 33,332 44,428 71,774

전세 11,969 20,313 26,683 34,653 52,501

매매 10,639 16,791 22,021 28,143 44,029

전세 7,372 12,489 16,316 21,024 32,212

매매 7,668 12,504 16,839 22,475 37,641

전세 5,207 9,290 12,885 16,910 26,444

주1) 5분위 평균주택가격은 주택가격을 가격순으로 5등분한 5개 분위별 평균주택가격

April 2016 27

5분위배율주2)

4.4

4.8

5.2전국

4.4

4.1

4.2

서울

수도권

주2)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주택가격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며,

고가주택과 저가주택간의 가격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

4.1

4.4

4.9

5.1

5개광역시

기타지방

주택가격을 가격순으로 5등분한 전국의 분위별 평균매매가격은 1분위 ~ 5분위 가격이 각각 11,842만원,

19,392만원, 25,997만원, 34,844만원, 56,809만원으로 나타나며 4분위는 전월대비 하락한 반면, 그 외 분위는

전월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고가주택과 저가주택간의 가격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전국기준으로 매매는 4.8배, 전세는 5.2배로

모두 전월대비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됨.

4.8 4.4

4.2 4.1

4.9 5.2

4.1 4.4 4.4

5.1

3.00

4.00

5.00

6.00

7.00

전국 서울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지방

주요지역별 5분위배율

매매 전세

118

194

260

348

568

80 145

200 268

417

0

200

400

600

800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국기준 분위별 평균주택가격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단위:배)

Page 30: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9.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4월 지역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단위 : %)

전국 서울 강북 강남 5개광역시 수도권 경기 기타지방

67.6 68.5 69.0 67.9 67.5 69.0 69.3 64.2

74.9 74.8 77.3 72.6 73.5 76.1 77.3 74.0

43.7 45.0 45.6 44.1 45.9 41.4 37.6 44.5

66.1 68.6 69.5 67.7 69.9 65.4 60.0 65.8

< 최근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추이(전국기준)> (단위 : %)

'15.9월 10월 11월 12월 '16.1월 2월 3월 4월

65.6 65.8 66.2 66.4 66.9 67.2 67.4 67.6

72.9 73.3 73.7 74.0 74.1 74.4 74.7 74.9

43.0 43.0 43.0 43.0 43.6 43.7 43.7 43.7

64.7 65.0 65.2 65.3 65.5 65.7 65.9 66.1

* 2016.1월부터 개편된 표본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자료활용 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28 April 2016

종 합

아 파 트

단 독

연 립

종 합

아 파 트

연 립

단 독

67.6% 68.5% 67.5% 69.0% 64.2%

20%

40%

60%

80%

100%

전국 서울 5개

광역시

수도권 기타

지방

지역별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67.6% 74.9%

43.7%

66.1%

30%

40%

50%

60%

70%

80%

90%

100%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 전국은 상승세 유지, 아파트는 조사이래('98.12) 최고치 경신 지속

4월 전국의 주택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는 67.6%로 전월(67.4%)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파트는

1998년 12월 조사이래 최고치(74.9%)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남.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74.9%, 연립주택

66.1%, 단독주택이 43.7%로 단독을 제외한 전 유형에서 전월대비 상승함.

지역별로는 기타지방과 5개 광역시가 각각 64.2%, 67.5%로 조사되며 전국 평균보다 낮은 반면, 수도권은

69.0%로 전국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유형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전국기준)

Page 31: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

[월간] KB주택가격동향

10. KB아파트 월세지수 & 전월세전환율

(단위 : %)

전년말대비

'15.12월 '16.1월 2월 3월 4월 ('15.12대비)

월세지수 변동률 - 0.02 -0.03 -0.08 0.00 -0.09

전월세전환율 - 4.88 4.84 4.79 4.76 -

월세지수 변동률 - 0.03 -0.07 -0.11 -0.05 -0.21

전월세전환율 - 5.05 5.01 4.94 4.89 -

월세지수 변동률 - 0.02 0.00 -0.04 0.04 0.02

전월세전환율 - 4.71 4.68 4.64 4.63 -

월세지수 변동률 - 0.08 0.10 0.16 0.29 0.63

전월세전환율 - 6.11 6.06 6.01 6.00 -

` 월세지수 변동률 - 0.00 0.03 0.00 0.00 0.02

전월세전환율 - 5.77 5.72 5.68 5.64 -

월세지수 변동률 - 0.02 0.02 0.00 0.04 0.07

전월세전환율 - 5.52 5.48 5.43 5.40 -

* KB아파트 월세지수는 중형(95.9m²)이하 아파트를 대상으로 조사함

* 조사지역은 수도권(서울 강남, 강북, 인천, 경기), 5개 광역시 및 기타지방은 추후 확대 예정

April 2016

서울

강북

강남

인천

경기

수도권

29

최근 월별 동향

■ KB아파트 월세지수 서울은 하락세 마감하고 보합 전환

)전년동월비(%:

4.76 4.89 4.63

6.00 5.64 5.40

0%

3%

6%

9%

서울 서울

강북

서울

강남

인천 경기 수도권

지역별 전월세전환율

2016년 1월부터 조사를 시작한 KB아파트 월세지수는 서울(0.00%)에서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마감하고 보합

전환하였으며, 경기(0.00%) 역시 전월과 같은 것으로 조사됨. 반면, 인천(0.29%)은 상승폭을 확대하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감. 수도권(0.04%)에서는 전월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한편, 임대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이율을 조사하는 KB전월세전환율은 서울, 인천, 경기가 각각

4.76%, 6.00%, 5.64%로 조사됨. 수도권은 5.40%를 기록하며 1월 조사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냄.

-0.2%

-0.1%

0%

0.1%

0.2%

0.3%

'16.1 2 3 4

지역별 KB아파트 월세지수 변동률

서울

인천

경기

Page 32: filesvr.joinsland.joins.comfilesvr.joinsland.joins.com/price/weekdata/2016/05/09/1339ffd14c777.pdf · 32: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4: 2. 주요지역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