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 들어가기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

들어가기

Page 2: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사회

학습내용

3

4

Page 3: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1

2

학습목표

동남아의 의식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동남아 의식주의 변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동남아 사회의 특징을 알 수 있다. 3

Page 4: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

학습하기 > 1. 동남아의 의식주

Page 5: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衣) 1

과거 동남아는 의상문화가 발달하지 않음 기후의 영향

상체를 노출하고, 문신이나 피어싱을 즐김 중국이나 서구 사료

1) 동남아 의상의 발전

Page 6: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衣) 1

동남아의 옷차림은 15세기와 17세기에 크게 변화함

상업의 발달로 옷감이 다양, 풍부해지고, 이슬람과 기독교 등 세계 종교의 유입으로 종교적 의상이 도입됨

소매가 달린 윗도리, 허리 둘레에 맞춘 바지나 스커트를 입는 서구적이고 현대적인 의상이 보편화됨

1) 동남아 의상의 발전

Page 7: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衣) 1

습고 덥한 의상의 발전

현대화 된 디자인으로 발전

1) 동남아 의상의 발전

Page 8: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衣) 1

“긴옷”이란 뜻

18세기 청나라(만주)에서 도입

베트남의 기후에 맞게 얇은 천으로 만들어짐

현대에는 주로 여성이 입는 옷

명절이나 행사, 일상의상, 여학생 교복으로 사용

2) 베트남의 아오자이

Page 9: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衣) 1

18세기 청나라(만주)에서 도입

폭 1m, 길이 약 2m

무더운 태국 날씨에 편리한 의상

세탁과 통풍이 잘 됨

3) 태국의 파퉁(Pha Thung) 또는 파친(Pha Sin)

Page 10: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衣) 1

원래 원단(천)의 이름

13세기 이전부터 생산

전통적으소 수작업으로 제작

2009년 유테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4) 인도네시아 바틱

Page 11: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衣) 1

정장으로 결혼식이나 공식행사에서 착용

얇고 투명한 원단을 사용

식민시대 당시 스페인인이 필리핀인들을 구별하기 위해 입힌 것에서 유래 (투명한천, 주머니가 없음)

5) 필리핀의 바롱

Page 12: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쌀 - 안남미

필리핀, 인도네시아 발리의 계단식 논은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음

중국에게 벼농사법을 전수함

1) 세가지 핵심 재료 – 쌀, 생선, 야자

Page 13: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대나무 스팀용기를 사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킴

열대지방에서 오랫동안 밥을 보관하려는 지혜로움

칠리나 생선 소스를 뿌려먹기에도 적합

1) 세가지 핵심 재료 – 쌀, 생선, 야자

Page 14: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메콩(Mekong), 아에야와디(Irrawaddy)의 대륙부 하천은 각종 생선과 수산물을 풍부하게 제공함

닭고기와 함께 단백질의 주공급원

생선소스 : 느억맘(Nuoc Mam), 남쁠라(Nam Pla), 한국의 젓갈문화와 비슷

1) 세가지 핵심 재료 – 쌀, 생선, 야자

Page 15: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야자 식용유: 음식을 상하지 않도록 보존, 한국에서는 라면의 면을 볶는 기름으로 사용함

천연음료수 : 갈증해소와 영양분 공급

야자우유 : 밥을 짓기도 하고 각종 요리의 소스로 사용함

1) 세가지 핵심 재료 – 쌀, 생선, 야자

Page 16: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정향, 육두구, 후추: 16C에 서양인들이 동남아에 진출한 이유도 향신료를 독점하기 위함

고수풀, 박하, 라임 등도 중국, 인도, 서양 음식의 영향을 받음

동남아 공통의 재료: 고추(강한 매운 맛)

2) 향신료 문화 발달

Page 17: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람부탄, 망고: 단맛

두리안 - 냄새가 고약한 반면 맛이 좋아 과일의 왕이라 불리기도 함 - 동남아 호텔에 반입이 금지되는 경우도 있음

3) 풍부한 열대과일

Page 18: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세계의 3대 스프

“끓인 새우국”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태국 향신료와 코코낫 밀크를 가미하여 새콤한 맛이 남

4) 태국의 톰냥꿍

Page 19: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베트남 북부의 하노이에서 처음 만들어 짐

프랑스 식민지 시절에 프랑스식 수프와 베트남 음식을 혼합한 쌀국수를 만들어 냄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베트남 전역 뿐 아니라 베트남 이민자들을 통해 미국, 호주 등으로 전파됨

5) 베트남의 퍼(쌀국수)

Page 20: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한국의 볶음밥과 유사함

찰기 없는 동남아 쌀에 특유의 향신료를 넣은 뒤 여러 재료로 볶은 음식

6) 인도네시아의 나시고랭

Page 21: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7) 현대화

동남아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패스트 푸드 이용이 크게 증가

한국의 롯데리아, 카페베네 등이 진출

Page 22: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식(食) 2

8) 한국 내 동남아 식당의 출현

태국 음식점 베트남 음식점

Page 23: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1) 무한하고 비옥한 땅

인구밀도가 희박함 땅보다는 사람이 가치 있는 곳

동남아의 주(住) 3

2) 종교 사원과 전통가옥의 차이

사원: 화려하고 웅장함

전통가옥: 주변에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나무와 그 잎으로 간결하게 지음

거주 이동이 쉬워 도시 전체가 이동하는 경우도 있음

현재 동남아 유적이나 흔적을 찾지 못한 도시들이 많은 이유

Page 24: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주(住) 3

3) 동남아의 전통가옥

단순하고 소박함

고상가옥은 홍수의 피해에 안전하고, 환기와 습기 방지, 야생 동물로부터의 보호

동남아는 넓은 경작지와 희소한 인구로 거주지 이동이 많음

예 라오스 교수

Page 25: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주(住) 3

3) 동남아의 전통가옥

Page 26: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주(住) 3

4) 동남아의 단독 및 공동주택

한국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

기술의 발달, 인구의 증가: 태국, 싱가포르

Page 27: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주(住) 3

5) 한국 기업 진출

동남아의 건설 분야에 한국 기업 진출이 활발함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 (싱가포르)

랜드마크 타워 (베트남 하노이)

페트로나스 타워 (말레이시아)

Page 28: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

학습하기 > 2. 동남아 사회의 특징

Page 29: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가문과 혈통에 대한 인식 1

성(姓)이 없는 사회 - 필리핀(19세기 중반), 태국(1930년대), 라오스(20세기 후반), 등은 모두 최근에 성씨를 만들었음 - 인도네시아, 버마는 현재도 성씨가 없음

가문과 혈통: 자신과 가족, 가까운 친족집단 구성

예외 필리핀의 가문 정치(메스티조)

Page 30: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양성 평등 2

한국은 전통적 가부장적 사회: 유교적 전통

동남아는 부계(父系) 뿐만 아니라 모계(母系)도 중요 - 참파 왕국(A.D. 3~5C, 베트남 부근): 貴女賤男(귀녀 천남), 남자보다 여자를 중시 - 17C 이전 태국: 집안의 결정은 부인이 함 - 경제적 활동(농경, 어업, 서비스업)에서 있어 남자보다 여자들의 참여율이 높음

Page 31: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핵가족 3

전통사회부터 핵가족

“희소한 인구와 무한한 토지”라는 천혜의 생태조건

Page 32: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결혼과 이혼 4

신부대(Mother’s milk): 결혼 시에 신랑이 신부의 부모에게 지불

이혼 시에 남편은 아내에게 모든 권리를 양도해야 함

예 라오스

Page 33: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여성지도자 5

동남아에는 여성지도자가 많아요!

메가와티 대통령 아로요 대통령 아웅산 수치 여사

Page 34: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

평가하기

Page 35: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습고 덥한 기후에 맞는 의상이 발달하였음

베트남의 아오자이는 청나라에서 도입함

태국의 파퉁은 세탁과 통풍이 잘 됨

인도네시아 바틱은 13세기부터 입기 시작함

필리핀의 바롱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됨

동남아의 의상 문화에 대하여 바르지 않은 것은?

1

2

3

4

5

⑤ 필리핀의 바롱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됨

해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인도네시아의 바틱임

정답

해설

Page 36: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베트남의 퍼는 세계 3대 스프에 들어감

한국의 주요 기업들이 동남아 음식 산업에 진출하였음

똠냥꿍은 싱가포르에서 최초로 개발하였음

나시고랭은 미얀마의 대표적인 음식임

동남아의 젊은 세대는 패스트푸드보다 전통음식을 선호함

동남아의 음식 문화에 대하여 바른 것은?

1

2

3

4

5

② 한국의 주요 기업들이 동남아 음식 산업에 진출하였음

해설 한국의 롯데리아, 카페베네 등이 동남아에 진출하였음

정답

해설

Page 37: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해산물

야자

향신료

인삼

다음 중 동남아의 전통음식에서 사용되는 주요 재료가 아닌 것은?

1

2

3

4

5

⑤ 인삼

해설 인삼은 최근 한국으로부터 수입함

정답

해설

Page 38: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는 거주지 이동이 많지 않은 편임

고상가옥은 환기와 습기 방지에 유리함

고상 가옥은 야생 동물과 홍수의 피해에 취약함

싱가포르는 인구증가로 공동주택이 발달함

한국의 주요 기업은 동남아 건설에 활발히 진출함

동남아의 주거문화에 대해 바르지 않은 것은?

1

2

3

4

③ 고상 가옥은 야생 동물과 홍수의 피해에 취약함

해설 동남아의 전통 가옥인 고상 가옥은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분리되어 야생동물로 부터 보호되고, 홍수의 피해에 대비함

정답

해설

5

Page 39: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는 엄격한 가부장적 제도의 전통이 내려옴

남성의 경제적 역할이 여성보다 많았음

전통사회는 대가족 형태를 띄고 있음

결혼을 하면 신랑은 신부의 집에 함께 거주함

이혼시 남자에게 유리한 제도를 가지고 있음

동남아의 사회에 대하여 바른 설명은?

1

2

3

4

④ 결혼을 하면 신랑은 신부의 집에 함께 거주함

해설 동남아에서는 새로운 가족이 신부 곧 처가의 집에서 생활하는

것이 일반적임

정답

해설

5

Page 40: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

정리하기

Page 41: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상문화 1

1) 더운 날씨로 인해 과거 동남아의 전통의상은 발달하지 않은 편임

2) 국제무역의 활성화와 서구의 진출 이후 현대화된 동남아 의상이 크게 발전함

3) 대표적 의상으로는 베트남의 아오자이, 태국의 파퉁, 인도네시아 의 바틱, 필리핀의 바롱 등이 있음

Page 42: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음식문화 2

1) 동남아 음식의 핵심 재료에는 쌀, 생선, 야자 등이 있음

2) 동남아는 풍부한 열대과일이 있고, 향신료가 발달 되어 있음

3) 대표적인 음식으로 태국의 톰냥꿍, 베트남의 퍼, 인도네시아의 나시고랭이 있음

4) 동남아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패스트 푸드가 크게 늘어남

5) 한국 내에서도 동남아의 음식점이 많이 생겨남

Page 43: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주거문화 3

1) 동남아의 고상가옥은 자연환경에 알맞은 형태를 띰

2) 최근 현대화된 주거환경이 늘어나고 있으며 호텔, 아파트, 랜드마크 등 동남아 건설업 부문에 한국 기업의 진출도 활발함

Page 44: 4주차 동남아의 의식주와 사회contents.cufs.ac.kr/contents/ASN/AS0101/QRCODE/AS0101... · 2019. 2. 11. · 1 2 동남아의 의상 동남아의 음식 동남아의 주거

동남아의 의식주 문화 4

1) 동남아 의식주 문화는 자연환경, 지리적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

2) 중국, 인도, 유럽 문화가 가미된 독특한 형태를 띄게 됨

3) 동남아 의식주 문화는 빠르게 현대화 되어 가고 있음

4) 한국은 동남아 문화의 변화를 파악하고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준비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