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한국교육과정학회 51 교 육 과 정 연 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13/12, Vol. 31, No. 4, pp. 51~75.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Mikyeong, Yang (Sogang University) Abstract Since 2007,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everal policies concerning digital textbook us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se policies are aggressive responses to the radical changes that have occurred during the information age.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on digital textbook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but these studies are limited because they focus on some technical or prescriptive suggestions that follow the governments guidelines, without critically reviewing the problems that may be encounter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se textbook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mitations and media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xtbooks, and analyze the social influence of the massiv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results of previous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digital textbooks are inconclusive, unlike the expectations of policy makers. Also, the cyber space in which digital textbooks are based is intrinsically at odds with a bureaucratic school system, which implies that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requires the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the school system. Thus the anticipated changes each school experienc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should be examined in advance, and the social demand for or social consensus about such changes should be identified before the digital textbooks are introduced throughout the country. Key words : digital textbook, school curriculum, digital media, cyber space, hypertext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한국교육과정학회 51

교 육 과 정 연 구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201312 Vol 31 No 4 pp 51~75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Mikyeong Yang(Sogang University)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 Abstract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Since 2007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everal policies concerning digital

textbook us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se policies are aggressive responses to the

radical changes that have occurred during the information age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on

digital textbook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but these studies are limited because they focus on

some technical or prescriptive suggestions that follow the governmentrsquos guidelines without critically

reviewing the problems that may be encounter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se textbook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mitations and media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xtbooks and analyze the social influence of the massiv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results

of previous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digital textbooks are inconclusive unlike the

expectations of policy makers Also the cyber space in which digital textbooks are based is

intrinsically at odds with a bureaucratic school system which implies that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requires the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the school system Thus the anticipated

changes each school experienc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should be examined in

advance and the social demand for or social consensus about such changes should be identified

before the digital textbooks are introduced throughout the country

Key words digital textbook school curriculum digital media cyber space hypertext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양 미 경(서강대학교)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 요 약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과서를 도

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

어 왔으나 주로 정책 우호적인 측면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대가나 딜

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

점 및 한계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이 분석되었고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들의 결과가 정책

입안자들이 기대한 괄목할 만한 효과를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것임으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대해 정확

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영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성찰해 볼 필

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주제어 디지털 교과서 학교 교육과정 디지털 미디어 사이버공간 하이퍼텍스트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

Ⅰ 문제 제기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급속한 학습 환경의 변화는 학교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부에서는 2007년 이래 lsquo디지털 교과서1) 상용화 방안rsquo

(교육인적자원부 2007)을 연차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초등학교 5-6학년 6개 교과와 중학교 1학

년 어 교과를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었고 상당수의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를 운 함

으로써 효과를 검증하고 문제점을 보완해왔으며 다양한 정책 연구들을 통해 제도적 지원책의 마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3

을 위해 노력해왔다 아울러 2011년에는 lsquo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rsquo(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

교육과학기술부 2011629)의 발표를 통해 향후 전국의 초등학교 3-4학년부터 고등학교에 이르는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국내에서는 기관 및 개인 연구자의 차원에서 상당수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는데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문제를 중심으로 공학적middot절차적 처방(강신

천 2002 변호승middot최욱 2002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 2006 정효정middot김동식 2007 임정훈

2012 장재원middot김보연 2012)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한 연구들(변호승 외 2008 박현아 2010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이 주를 이루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기정사실화하

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도구적 차원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온 셈이다 이로 인해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이 무엇인지 그 목적과 기능은 무엇인지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그것의 도입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등에 한 진지한 이론적 성찰은 상당히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와는 그 특성이 전혀 다른 디지털 교과서를 학교에 도입하는 것은 하나의

프로그램이나 교구를 추가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단순한 변화가 아니다 디지털 교과서라는 매체

의 도입은 문자의 도입이나 인쇄술의 도입이 우리 사회에 가져온 변화만큼이나 복합적이고 심층적

인 의미를 가진다 단지 새로운 매체의 추가적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를 둘러싼 제반 관

행과 여건의 총체적 변화를 추동하는 연쇄적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이

고 충분한 실증적 증거가 뒷받침되지 못하 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학습을 훨씬

더 효율적이고 흥미롭게 할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천문학적인 정부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을 떠

리듯 서둘러 추진하는 것은 다소 성급한 것이 아닌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소위 lsquo디지털 코드rsquo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 적인 요청에 해 한 편의 사람들은 코드를 변환해

야 한다는 필요성을 믿지 않고 새로운 코드를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다른 한편의 사

람들은 모든 것들을 디지털로 코드 변환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몰두한다 그러나 우리가 견지해야

할 자세는 이 양 극단의 사이에서 lsquo코드 변환rsquo과 lsquo다시 배우기rsquo의 필연성과 어려움을 동시에 의식하

는 것이라 하겠다 새로운 기술을 무조건 배척하거나 또는 그 기술이 가져올 축복만을 바라보고 과

신하는 신 우리가 누릴 수 있게 되는 축복으로 인해 어떠한 가를 치러야 하는지를 포괄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을 토 로 디지털 교과

서의 도입이 가져오게 될 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던지는 메시지를 파악해보고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술적middot처방적

접근 위주의 연구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검증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수행된 그 간의 연구들이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보다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적 가치를 지닐 것으

로 기 된다

Ⅱ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 특성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교과서라는 기존 미디어의 속성을 유지하되 디지털 기기가 구현

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접근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lsquo재매개

(remediation)rsquo의 관점에서 그 특성이 분석될 수 있다 재매개는 lsquo하나의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의

인터페이스(interface) 표상 사회적 인식과 위상을 차용하고 나아가 개선하는 미디어 논리rsquo(Bolter

amp Grusin 19992006)라고 이해되고 있다 재매개는 하나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속성을 취해 그것

을 다른 미디어에서 재사용하는 것으로 다른 미디어를 개조하거나 복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미디어의 위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재매개에는 다음 네 가지 스펙트럼이 있는 것으

로 논의되고 있다(이재현 2013a 24-27 Bolter amp Grusin 19992006)

첫째 기존의 미디어가 뚜렷한 풍자나 비판 없이 디지털 형식 속에 조명되고 표상되는 경우이다

예컨 CD-ROM이나 DVD에 실린 그림 문학텍스트 모음 그림 텍스트를 다운받을 수 있는 웹사

이트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둘째 하나의 미디어 내용을 새로운 미디어에 실으면서 새로운 버전이라고 강조하는 경우로 이

는 일종의 개선으로 제시되지만 새로운 것은 여전히 오래된 것의 입장에서 정당화되며 기존 미디

어의 속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것으로 CD-ROM 백과사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셋째 기존 미디어의 존재를 드러내고 이에 따라 다중성이나 하이퍼매개성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개조하려는 경우이다 이는 보다 공격적인 것으로서 원천 미디어와 상 미디어

모두를 부각시키는 것이다

넷째 새로운 미디어가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흡수해 재매개하는 경우이다

현재 우리나라 연구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 기반형을 전제로

교과서의 외형이나 페이지 내용 등을 화면에 그 로 옮기고 멀티미디어 심화middot보충형 자료 평가

문항 용어 사전 등을 추가했으며 그 외 교육용 콘텐츠 오픈 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주형미외 2012) 이러한 방식은 위 네 가지 유형 중 두 번째의 유형으로 일단

시작해서 향후 세 번째의 유형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인쇄물로 된 교과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5

서라는 기존 미디어를 디지털 기기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도전에 응하여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개조하는가에 따라 즉 기존 서책형 교과서의 기능과 속성 형식 등에 어느 정도의 향력과 비중

을 두는 재매개 전략을 취하는가에 따라 향후 디지털 교과서의 양태와 가능성은 달라지게 될 것

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는 미디어의 속성상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는 다른 읽기와 쓰기의 양태를 가

지게 하는데 관련 선행 논의들(박진우middot김예란 2011 이재현 2013a Flusser 1987 1998

DeStefano amp LeFevre 2007 Hayles 2010 Liu 2012)을 종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멀티미디어rsquo의 특징을 지니며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촉각

까지 동원되는 다중감각적 읽기와 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텍스트 구조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하이퍼텍스트rsquo라는 특성을 지니며 이로 인해 디지

털 교과서의 집필은 텍스트 네트워크 구축 작업의 성격으로 변모한다 전체적인 내용의 구성도 비

선형적인 이야기 구조로 구상해야 하고 단위 텍스트들을 네트워크 구조로 짜내기 위해 어떻게 연

결지을지도 구상해야 한다 읽기 역시 링크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다선형성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이용자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상호작용 미디어rsquo로서 변경 가능한 요소들을 텍스

트 쓰기의 과정에서 마련해야 한다 독자의 반응이 반 되는 속도 변경 가능한 속성의 수 독자의

반응이 텍스트의 변화로 치환되는 방법 등을 고려함으로써 상호작용성을 어느 정도로 허용할 것인

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읽기 행위의 핵심은 주어진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도구들을 조

작하는 것이 될 것이며 조작성이 부각된다는 것은 전통적인 읽기에서 요구되는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넷째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네트워크 미디어rsquo로서 다른 사람의 밑줄 메모 비

평 소개 토론 등을 접함으로써 읽기 과정에 사회적 향이 주어지고 협업적 글쓰기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읽기 행동을 lsquo다중 읽기(multiple reading)rsquo lsquo사회적 읽기(social

reading)rsquo lsquo증강 읽기(augmented reading)rsquo로 특성화한 논의(이재현 2013b 81-84)는 디지털 교과

서를 읽는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를 준다

먼저 lsquo다중 읽기rsquo는 하나의 텍스트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며 읽

는 관습을 의미한다 그런데 비선형적으로 여러 텍스트에 일시적인 주의를 기울이며 손이 동원되

는 촉각적 읽기는 곧 lsquo피상적 읽기rsquo를 초래한다는 비판(Carr 20102011)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텍

스트를 넘어 텍스트가 표상하는 세계로 lsquo들어가는 읽기(looking-through)rsquo가 아니라 주의가 분산된

상태에서 텍스트의 lsquo표면에 머무는 읽기(looking-at)rsquo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몰입과 조작 사이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갈등이 야기되며 비선형적 다중적 텍스트는 통제를 위해 계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

다는 점에서 읽기의 피상성은 필연적이다

둘째 lsquo사회적 읽기rsquo는 텍스트를 읽기 전후는 물론 읽는 실시간의 상황에서 텍스트를 둘러싸고

정보 지식 정서 등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셋째 lsquo증강 읽기rsquo는 텍스트 위에 또 다른 정보 층위(메모 밑줄 하이퍼링크 등)가 중첩된 텍스트

인 증강 텍스트에 의해 가능해진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음독(청각과 시각의 결합) 묵독(시각)에

이은 제 3의 lsquo햅틱 읽기(haptic 촉각과 시각의 결합)rsquo 관습도 이와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lsquo텍스트 음성 음악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 컴퓨터의 역할이 증 되도록 한 것rsquo으로 규정하

는 기술 중심적middot공학적 정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간의 경험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안적 정의 방식이 제안되었는데(이재현 2013a)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이해하

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를 준다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의 방식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이 ldquo원격현전(telepresence) 현실조작장치 미디어 레이어(layer) 신체규율장치로서의 미디어rdquo로 개념화

되고 있다 특히 lsquo원격현전rsquo을 결정하는 요인과 lsquo미디어 레이어rsquo에 한 논의는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를 준다

원격현전은 생동감과 상호작용성이라는 기술적 요인과 행위자들의 수 환경 요인 개인 관심사

등의 이용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동시에 전달되는 감각 차원의 수와 이미지와

사운드의 질 등에 의해 생동감이 결정되며 상호작용성은 이용자가 매개된 환경의 형태와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속도 및 범위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Steuer 1992)

또한 미디어는 여러 층위를 가지게 되는데 lsquo단위 컨텐츠rsquo lsquo컨텐츠의 패키징(packaging)rsquo lsquo플랫

폼(platform)rsquo lsquo물리적 네트워크rsquo lsquo이용자 단말기rsquo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 및 보급은 종래 서책형 교과서의 편찬과 보급과는 비교할 수 없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며 환경 의

존적인 수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 하겠다 우선 단위 컨텐츠를 어떠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경험 양식 등으로 구현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고 각 컨텐츠를 시간적 공간

적 하이퍼링크 등의 조직 등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패키징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더해 컨텐츠가

유통middot전송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과 전송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미디어 기기를 통해 활용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현 시점에서 시도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개발 및 활용상의 여건 현장의 준비도 교과서의

제도적 기능 등으로 인해 서책형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과도기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아무리 보수적으로 접근해도 피할 수 없는 디지털 교과서 제작 및 보급에 따르는 엄청

난 비용과 부담을 고려할 때 과연 그러한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접근을 취하면서 굳이 개인별 디지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7

털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심각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lsquo컨텐츠 패키징rsquo과 관련하여 다음 Darnton(20092011)의 지적은 상당히 시사적

이다

책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피라미드처럼 여러 층이 정렬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위층은 주제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페이퍼백으로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층은 맨 위층의 논의에

한 다른 측면들을 다각도로 잡아 풍성하게 구성한다 이야기처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맨

위층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단위로 정렬한다 세 번째 층은 가능한 한 여러 종류의 기록문서가 차지할

것이다 네 번째 층은 과거의 학문이나 여러 논의들에서 발췌한 이론이나 역사 기록이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 층은 교육학적인 면을 담아서 학급 토의 강의 요강 강좌 자료집을 위한 여러 제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층은 독자의 보고서 저자와 편집자 사이의 화 독자들의 편지로 담아서 점점 많은

논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Darnton 2009 2011 133)

인용문에서도 제안하고 있듯이 서책형 교과서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해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전체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옮겨 놓고 약간의 멀티미디어 자료와 참고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디지털 교과서의 층위를 다양화 특성화하는 편성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 및 교과별 세부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에 따라 서책

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각각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양자가 시너지효

과를 낼 수 있는 정교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Ⅲ 디지털 교과서의 난 과 한계

1 디지털 교과서의 매력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우리가 외부 세계를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상과의 관계는 바뀌

게 된다 미디어의 기능이나 효과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구체적 내용보다 그 구조에 의해 부분 결

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message)다rdquo라는 McLuhan(19641997)의 지적이 함의하고 있듯이 미디

어의 내용보다는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디어의 사용에 따른 상징적 환경

변화는 단순히 무엇을 더하거나 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인 것이

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미디어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Postman(19852009)은 ldquo미디어는 메타포(metaphor)다rdquo라는 지적을 통해

미디어는 외부세계에 한 지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 사회의 메타포로 기능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2: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양 미 경(서강대학교)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 요 약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과서를 도

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

어 왔으나 주로 정책 우호적인 측면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대가나 딜

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

점 및 한계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이 분석되었고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들의 결과가 정책

입안자들이 기대한 괄목할 만한 효과를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것임으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대해 정확

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영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성찰해 볼 필

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주제어 디지털 교과서 학교 교육과정 디지털 미디어 사이버공간 하이퍼텍스트

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985127

Ⅰ 문제 제기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급속한 학습 환경의 변화는 학교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부에서는 2007년 이래 lsquo디지털 교과서1) 상용화 방안rsquo

(교육인적자원부 2007)을 연차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초등학교 5-6학년 6개 교과와 중학교 1학

년 어 교과를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었고 상당수의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를 운 함

으로써 효과를 검증하고 문제점을 보완해왔으며 다양한 정책 연구들을 통해 제도적 지원책의 마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3

을 위해 노력해왔다 아울러 2011년에는 lsquo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rsquo(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

교육과학기술부 2011629)의 발표를 통해 향후 전국의 초등학교 3-4학년부터 고등학교에 이르는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국내에서는 기관 및 개인 연구자의 차원에서 상당수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는데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문제를 중심으로 공학적middot절차적 처방(강신

천 2002 변호승middot최욱 2002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 2006 정효정middot김동식 2007 임정훈

2012 장재원middot김보연 2012)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한 연구들(변호승 외 2008 박현아 2010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이 주를 이루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기정사실화하

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도구적 차원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온 셈이다 이로 인해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이 무엇인지 그 목적과 기능은 무엇인지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그것의 도입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등에 한 진지한 이론적 성찰은 상당히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와는 그 특성이 전혀 다른 디지털 교과서를 학교에 도입하는 것은 하나의

프로그램이나 교구를 추가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단순한 변화가 아니다 디지털 교과서라는 매체

의 도입은 문자의 도입이나 인쇄술의 도입이 우리 사회에 가져온 변화만큼이나 복합적이고 심층적

인 의미를 가진다 단지 새로운 매체의 추가적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를 둘러싼 제반 관

행과 여건의 총체적 변화를 추동하는 연쇄적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이

고 충분한 실증적 증거가 뒷받침되지 못하 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학습을 훨씬

더 효율적이고 흥미롭게 할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천문학적인 정부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을 떠

리듯 서둘러 추진하는 것은 다소 성급한 것이 아닌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소위 lsquo디지털 코드rsquo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 적인 요청에 해 한 편의 사람들은 코드를 변환해

야 한다는 필요성을 믿지 않고 새로운 코드를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다른 한편의 사

람들은 모든 것들을 디지털로 코드 변환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몰두한다 그러나 우리가 견지해야

할 자세는 이 양 극단의 사이에서 lsquo코드 변환rsquo과 lsquo다시 배우기rsquo의 필연성과 어려움을 동시에 의식하

는 것이라 하겠다 새로운 기술을 무조건 배척하거나 또는 그 기술이 가져올 축복만을 바라보고 과

신하는 신 우리가 누릴 수 있게 되는 축복으로 인해 어떠한 가를 치러야 하는지를 포괄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을 토 로 디지털 교과

서의 도입이 가져오게 될 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던지는 메시지를 파악해보고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술적middot처방적

접근 위주의 연구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검증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수행된 그 간의 연구들이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보다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적 가치를 지닐 것으

로 기 된다

Ⅱ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 특성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교과서라는 기존 미디어의 속성을 유지하되 디지털 기기가 구현

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접근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lsquo재매개

(remediation)rsquo의 관점에서 그 특성이 분석될 수 있다 재매개는 lsquo하나의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의

인터페이스(interface) 표상 사회적 인식과 위상을 차용하고 나아가 개선하는 미디어 논리rsquo(Bolter

amp Grusin 19992006)라고 이해되고 있다 재매개는 하나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속성을 취해 그것

을 다른 미디어에서 재사용하는 것으로 다른 미디어를 개조하거나 복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미디어의 위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재매개에는 다음 네 가지 스펙트럼이 있는 것으

로 논의되고 있다(이재현 2013a 24-27 Bolter amp Grusin 19992006)

첫째 기존의 미디어가 뚜렷한 풍자나 비판 없이 디지털 형식 속에 조명되고 표상되는 경우이다

예컨 CD-ROM이나 DVD에 실린 그림 문학텍스트 모음 그림 텍스트를 다운받을 수 있는 웹사

이트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둘째 하나의 미디어 내용을 새로운 미디어에 실으면서 새로운 버전이라고 강조하는 경우로 이

는 일종의 개선으로 제시되지만 새로운 것은 여전히 오래된 것의 입장에서 정당화되며 기존 미디

어의 속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것으로 CD-ROM 백과사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셋째 기존 미디어의 존재를 드러내고 이에 따라 다중성이나 하이퍼매개성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개조하려는 경우이다 이는 보다 공격적인 것으로서 원천 미디어와 상 미디어

모두를 부각시키는 것이다

넷째 새로운 미디어가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흡수해 재매개하는 경우이다

현재 우리나라 연구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 기반형을 전제로

교과서의 외형이나 페이지 내용 등을 화면에 그 로 옮기고 멀티미디어 심화middot보충형 자료 평가

문항 용어 사전 등을 추가했으며 그 외 교육용 콘텐츠 오픈 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주형미외 2012) 이러한 방식은 위 네 가지 유형 중 두 번째의 유형으로 일단

시작해서 향후 세 번째의 유형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인쇄물로 된 교과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5

서라는 기존 미디어를 디지털 기기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도전에 응하여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개조하는가에 따라 즉 기존 서책형 교과서의 기능과 속성 형식 등에 어느 정도의 향력과 비중

을 두는 재매개 전략을 취하는가에 따라 향후 디지털 교과서의 양태와 가능성은 달라지게 될 것

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는 미디어의 속성상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는 다른 읽기와 쓰기의 양태를 가

지게 하는데 관련 선행 논의들(박진우middot김예란 2011 이재현 2013a Flusser 1987 1998

DeStefano amp LeFevre 2007 Hayles 2010 Liu 2012)을 종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멀티미디어rsquo의 특징을 지니며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촉각

까지 동원되는 다중감각적 읽기와 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텍스트 구조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하이퍼텍스트rsquo라는 특성을 지니며 이로 인해 디지

털 교과서의 집필은 텍스트 네트워크 구축 작업의 성격으로 변모한다 전체적인 내용의 구성도 비

선형적인 이야기 구조로 구상해야 하고 단위 텍스트들을 네트워크 구조로 짜내기 위해 어떻게 연

결지을지도 구상해야 한다 읽기 역시 링크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다선형성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이용자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상호작용 미디어rsquo로서 변경 가능한 요소들을 텍스

트 쓰기의 과정에서 마련해야 한다 독자의 반응이 반 되는 속도 변경 가능한 속성의 수 독자의

반응이 텍스트의 변화로 치환되는 방법 등을 고려함으로써 상호작용성을 어느 정도로 허용할 것인

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읽기 행위의 핵심은 주어진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도구들을 조

작하는 것이 될 것이며 조작성이 부각된다는 것은 전통적인 읽기에서 요구되는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넷째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네트워크 미디어rsquo로서 다른 사람의 밑줄 메모 비

평 소개 토론 등을 접함으로써 읽기 과정에 사회적 향이 주어지고 협업적 글쓰기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읽기 행동을 lsquo다중 읽기(multiple reading)rsquo lsquo사회적 읽기(social

reading)rsquo lsquo증강 읽기(augmented reading)rsquo로 특성화한 논의(이재현 2013b 81-84)는 디지털 교과

서를 읽는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를 준다

먼저 lsquo다중 읽기rsquo는 하나의 텍스트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며 읽

는 관습을 의미한다 그런데 비선형적으로 여러 텍스트에 일시적인 주의를 기울이며 손이 동원되

는 촉각적 읽기는 곧 lsquo피상적 읽기rsquo를 초래한다는 비판(Carr 20102011)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텍

스트를 넘어 텍스트가 표상하는 세계로 lsquo들어가는 읽기(looking-through)rsquo가 아니라 주의가 분산된

상태에서 텍스트의 lsquo표면에 머무는 읽기(looking-at)rsquo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몰입과 조작 사이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갈등이 야기되며 비선형적 다중적 텍스트는 통제를 위해 계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

다는 점에서 읽기의 피상성은 필연적이다

둘째 lsquo사회적 읽기rsquo는 텍스트를 읽기 전후는 물론 읽는 실시간의 상황에서 텍스트를 둘러싸고

정보 지식 정서 등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셋째 lsquo증강 읽기rsquo는 텍스트 위에 또 다른 정보 층위(메모 밑줄 하이퍼링크 등)가 중첩된 텍스트

인 증강 텍스트에 의해 가능해진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음독(청각과 시각의 결합) 묵독(시각)에

이은 제 3의 lsquo햅틱 읽기(haptic 촉각과 시각의 결합)rsquo 관습도 이와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lsquo텍스트 음성 음악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 컴퓨터의 역할이 증 되도록 한 것rsquo으로 규정하

는 기술 중심적middot공학적 정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간의 경험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안적 정의 방식이 제안되었는데(이재현 2013a)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이해하

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를 준다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의 방식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이 ldquo원격현전(telepresence) 현실조작장치 미디어 레이어(layer) 신체규율장치로서의 미디어rdquo로 개념화

되고 있다 특히 lsquo원격현전rsquo을 결정하는 요인과 lsquo미디어 레이어rsquo에 한 논의는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를 준다

원격현전은 생동감과 상호작용성이라는 기술적 요인과 행위자들의 수 환경 요인 개인 관심사

등의 이용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동시에 전달되는 감각 차원의 수와 이미지와

사운드의 질 등에 의해 생동감이 결정되며 상호작용성은 이용자가 매개된 환경의 형태와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속도 및 범위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Steuer 1992)

또한 미디어는 여러 층위를 가지게 되는데 lsquo단위 컨텐츠rsquo lsquo컨텐츠의 패키징(packaging)rsquo lsquo플랫

폼(platform)rsquo lsquo물리적 네트워크rsquo lsquo이용자 단말기rsquo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 및 보급은 종래 서책형 교과서의 편찬과 보급과는 비교할 수 없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며 환경 의

존적인 수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 하겠다 우선 단위 컨텐츠를 어떠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경험 양식 등으로 구현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고 각 컨텐츠를 시간적 공간

적 하이퍼링크 등의 조직 등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패키징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더해 컨텐츠가

유통middot전송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과 전송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미디어 기기를 통해 활용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현 시점에서 시도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개발 및 활용상의 여건 현장의 준비도 교과서의

제도적 기능 등으로 인해 서책형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과도기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아무리 보수적으로 접근해도 피할 수 없는 디지털 교과서 제작 및 보급에 따르는 엄청

난 비용과 부담을 고려할 때 과연 그러한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접근을 취하면서 굳이 개인별 디지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7

털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심각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lsquo컨텐츠 패키징rsquo과 관련하여 다음 Darnton(20092011)의 지적은 상당히 시사적

이다

책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피라미드처럼 여러 층이 정렬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위층은 주제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페이퍼백으로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층은 맨 위층의 논의에

한 다른 측면들을 다각도로 잡아 풍성하게 구성한다 이야기처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맨

위층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단위로 정렬한다 세 번째 층은 가능한 한 여러 종류의 기록문서가 차지할

것이다 네 번째 층은 과거의 학문이나 여러 논의들에서 발췌한 이론이나 역사 기록이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 층은 교육학적인 면을 담아서 학급 토의 강의 요강 강좌 자료집을 위한 여러 제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층은 독자의 보고서 저자와 편집자 사이의 화 독자들의 편지로 담아서 점점 많은

논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Darnton 2009 2011 133)

인용문에서도 제안하고 있듯이 서책형 교과서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해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전체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옮겨 놓고 약간의 멀티미디어 자료와 참고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디지털 교과서의 층위를 다양화 특성화하는 편성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 및 교과별 세부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에 따라 서책

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각각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양자가 시너지효

과를 낼 수 있는 정교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Ⅲ 디지털 교과서의 난 과 한계

1 디지털 교과서의 매력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우리가 외부 세계를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상과의 관계는 바뀌

게 된다 미디어의 기능이나 효과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구체적 내용보다 그 구조에 의해 부분 결

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message)다rdquo라는 McLuhan(19641997)의 지적이 함의하고 있듯이 미디

어의 내용보다는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디어의 사용에 따른 상징적 환경

변화는 단순히 무엇을 더하거나 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인 것이

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미디어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Postman(19852009)은 ldquo미디어는 메타포(metaphor)다rdquo라는 지적을 통해

미디어는 외부세계에 한 지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 사회의 메타포로 기능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3: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3

을 위해 노력해왔다 아울러 2011년에는 lsquo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rsquo(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

교육과학기술부 2011629)의 발표를 통해 향후 전국의 초등학교 3-4학년부터 고등학교에 이르는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국내에서는 기관 및 개인 연구자의 차원에서 상당수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는데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문제를 중심으로 공학적middot절차적 처방(강신

천 2002 변호승middot최욱 2002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 2006 정효정middot김동식 2007 임정훈

2012 장재원middot김보연 2012)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한 연구들(변호승 외 2008 박현아 2010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이 주를 이루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기정사실화하

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도구적 차원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온 셈이다 이로 인해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이 무엇인지 그 목적과 기능은 무엇인지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그것의 도입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등에 한 진지한 이론적 성찰은 상당히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와는 그 특성이 전혀 다른 디지털 교과서를 학교에 도입하는 것은 하나의

프로그램이나 교구를 추가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단순한 변화가 아니다 디지털 교과서라는 매체

의 도입은 문자의 도입이나 인쇄술의 도입이 우리 사회에 가져온 변화만큼이나 복합적이고 심층적

인 의미를 가진다 단지 새로운 매체의 추가적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를 둘러싼 제반 관

행과 여건의 총체적 변화를 추동하는 연쇄적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이

고 충분한 실증적 증거가 뒷받침되지 못하 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학습을 훨씬

더 효율적이고 흥미롭게 할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천문학적인 정부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을 떠

리듯 서둘러 추진하는 것은 다소 성급한 것이 아닌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소위 lsquo디지털 코드rsquo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 적인 요청에 해 한 편의 사람들은 코드를 변환해

야 한다는 필요성을 믿지 않고 새로운 코드를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다른 한편의 사

람들은 모든 것들을 디지털로 코드 변환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몰두한다 그러나 우리가 견지해야

할 자세는 이 양 극단의 사이에서 lsquo코드 변환rsquo과 lsquo다시 배우기rsquo의 필연성과 어려움을 동시에 의식하

는 것이라 하겠다 새로운 기술을 무조건 배척하거나 또는 그 기술이 가져올 축복만을 바라보고 과

신하는 신 우리가 누릴 수 있게 되는 축복으로 인해 어떠한 가를 치러야 하는지를 포괄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을 토 로 디지털 교과

서의 도입이 가져오게 될 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던지는 메시지를 파악해보고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술적middot처방적

접근 위주의 연구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검증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수행된 그 간의 연구들이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보다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적 가치를 지닐 것으

로 기 된다

Ⅱ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 특성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교과서라는 기존 미디어의 속성을 유지하되 디지털 기기가 구현

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접근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lsquo재매개

(remediation)rsquo의 관점에서 그 특성이 분석될 수 있다 재매개는 lsquo하나의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의

인터페이스(interface) 표상 사회적 인식과 위상을 차용하고 나아가 개선하는 미디어 논리rsquo(Bolter

amp Grusin 19992006)라고 이해되고 있다 재매개는 하나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속성을 취해 그것

을 다른 미디어에서 재사용하는 것으로 다른 미디어를 개조하거나 복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미디어의 위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재매개에는 다음 네 가지 스펙트럼이 있는 것으

로 논의되고 있다(이재현 2013a 24-27 Bolter amp Grusin 19992006)

첫째 기존의 미디어가 뚜렷한 풍자나 비판 없이 디지털 형식 속에 조명되고 표상되는 경우이다

예컨 CD-ROM이나 DVD에 실린 그림 문학텍스트 모음 그림 텍스트를 다운받을 수 있는 웹사

이트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둘째 하나의 미디어 내용을 새로운 미디어에 실으면서 새로운 버전이라고 강조하는 경우로 이

는 일종의 개선으로 제시되지만 새로운 것은 여전히 오래된 것의 입장에서 정당화되며 기존 미디

어의 속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것으로 CD-ROM 백과사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셋째 기존 미디어의 존재를 드러내고 이에 따라 다중성이나 하이퍼매개성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개조하려는 경우이다 이는 보다 공격적인 것으로서 원천 미디어와 상 미디어

모두를 부각시키는 것이다

넷째 새로운 미디어가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흡수해 재매개하는 경우이다

현재 우리나라 연구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 기반형을 전제로

교과서의 외형이나 페이지 내용 등을 화면에 그 로 옮기고 멀티미디어 심화middot보충형 자료 평가

문항 용어 사전 등을 추가했으며 그 외 교육용 콘텐츠 오픈 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주형미외 2012) 이러한 방식은 위 네 가지 유형 중 두 번째의 유형으로 일단

시작해서 향후 세 번째의 유형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인쇄물로 된 교과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5

서라는 기존 미디어를 디지털 기기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도전에 응하여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개조하는가에 따라 즉 기존 서책형 교과서의 기능과 속성 형식 등에 어느 정도의 향력과 비중

을 두는 재매개 전략을 취하는가에 따라 향후 디지털 교과서의 양태와 가능성은 달라지게 될 것

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는 미디어의 속성상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는 다른 읽기와 쓰기의 양태를 가

지게 하는데 관련 선행 논의들(박진우middot김예란 2011 이재현 2013a Flusser 1987 1998

DeStefano amp LeFevre 2007 Hayles 2010 Liu 2012)을 종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멀티미디어rsquo의 특징을 지니며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촉각

까지 동원되는 다중감각적 읽기와 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텍스트 구조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하이퍼텍스트rsquo라는 특성을 지니며 이로 인해 디지

털 교과서의 집필은 텍스트 네트워크 구축 작업의 성격으로 변모한다 전체적인 내용의 구성도 비

선형적인 이야기 구조로 구상해야 하고 단위 텍스트들을 네트워크 구조로 짜내기 위해 어떻게 연

결지을지도 구상해야 한다 읽기 역시 링크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다선형성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이용자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상호작용 미디어rsquo로서 변경 가능한 요소들을 텍스

트 쓰기의 과정에서 마련해야 한다 독자의 반응이 반 되는 속도 변경 가능한 속성의 수 독자의

반응이 텍스트의 변화로 치환되는 방법 등을 고려함으로써 상호작용성을 어느 정도로 허용할 것인

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읽기 행위의 핵심은 주어진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도구들을 조

작하는 것이 될 것이며 조작성이 부각된다는 것은 전통적인 읽기에서 요구되는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넷째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네트워크 미디어rsquo로서 다른 사람의 밑줄 메모 비

평 소개 토론 등을 접함으로써 읽기 과정에 사회적 향이 주어지고 협업적 글쓰기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읽기 행동을 lsquo다중 읽기(multiple reading)rsquo lsquo사회적 읽기(social

reading)rsquo lsquo증강 읽기(augmented reading)rsquo로 특성화한 논의(이재현 2013b 81-84)는 디지털 교과

서를 읽는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를 준다

먼저 lsquo다중 읽기rsquo는 하나의 텍스트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며 읽

는 관습을 의미한다 그런데 비선형적으로 여러 텍스트에 일시적인 주의를 기울이며 손이 동원되

는 촉각적 읽기는 곧 lsquo피상적 읽기rsquo를 초래한다는 비판(Carr 20102011)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텍

스트를 넘어 텍스트가 표상하는 세계로 lsquo들어가는 읽기(looking-through)rsquo가 아니라 주의가 분산된

상태에서 텍스트의 lsquo표면에 머무는 읽기(looking-at)rsquo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몰입과 조작 사이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갈등이 야기되며 비선형적 다중적 텍스트는 통제를 위해 계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

다는 점에서 읽기의 피상성은 필연적이다

둘째 lsquo사회적 읽기rsquo는 텍스트를 읽기 전후는 물론 읽는 실시간의 상황에서 텍스트를 둘러싸고

정보 지식 정서 등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셋째 lsquo증강 읽기rsquo는 텍스트 위에 또 다른 정보 층위(메모 밑줄 하이퍼링크 등)가 중첩된 텍스트

인 증강 텍스트에 의해 가능해진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음독(청각과 시각의 결합) 묵독(시각)에

이은 제 3의 lsquo햅틱 읽기(haptic 촉각과 시각의 결합)rsquo 관습도 이와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lsquo텍스트 음성 음악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 컴퓨터의 역할이 증 되도록 한 것rsquo으로 규정하

는 기술 중심적middot공학적 정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간의 경험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안적 정의 방식이 제안되었는데(이재현 2013a)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이해하

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를 준다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의 방식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이 ldquo원격현전(telepresence) 현실조작장치 미디어 레이어(layer) 신체규율장치로서의 미디어rdquo로 개념화

되고 있다 특히 lsquo원격현전rsquo을 결정하는 요인과 lsquo미디어 레이어rsquo에 한 논의는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를 준다

원격현전은 생동감과 상호작용성이라는 기술적 요인과 행위자들의 수 환경 요인 개인 관심사

등의 이용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동시에 전달되는 감각 차원의 수와 이미지와

사운드의 질 등에 의해 생동감이 결정되며 상호작용성은 이용자가 매개된 환경의 형태와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속도 및 범위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Steuer 1992)

또한 미디어는 여러 층위를 가지게 되는데 lsquo단위 컨텐츠rsquo lsquo컨텐츠의 패키징(packaging)rsquo lsquo플랫

폼(platform)rsquo lsquo물리적 네트워크rsquo lsquo이용자 단말기rsquo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 및 보급은 종래 서책형 교과서의 편찬과 보급과는 비교할 수 없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며 환경 의

존적인 수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 하겠다 우선 단위 컨텐츠를 어떠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경험 양식 등으로 구현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고 각 컨텐츠를 시간적 공간

적 하이퍼링크 등의 조직 등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패키징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더해 컨텐츠가

유통middot전송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과 전송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미디어 기기를 통해 활용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현 시점에서 시도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개발 및 활용상의 여건 현장의 준비도 교과서의

제도적 기능 등으로 인해 서책형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과도기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아무리 보수적으로 접근해도 피할 수 없는 디지털 교과서 제작 및 보급에 따르는 엄청

난 비용과 부담을 고려할 때 과연 그러한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접근을 취하면서 굳이 개인별 디지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7

털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심각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lsquo컨텐츠 패키징rsquo과 관련하여 다음 Darnton(20092011)의 지적은 상당히 시사적

이다

책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피라미드처럼 여러 층이 정렬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위층은 주제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페이퍼백으로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층은 맨 위층의 논의에

한 다른 측면들을 다각도로 잡아 풍성하게 구성한다 이야기처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맨

위층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단위로 정렬한다 세 번째 층은 가능한 한 여러 종류의 기록문서가 차지할

것이다 네 번째 층은 과거의 학문이나 여러 논의들에서 발췌한 이론이나 역사 기록이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 층은 교육학적인 면을 담아서 학급 토의 강의 요강 강좌 자료집을 위한 여러 제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층은 독자의 보고서 저자와 편집자 사이의 화 독자들의 편지로 담아서 점점 많은

논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Darnton 2009 2011 133)

인용문에서도 제안하고 있듯이 서책형 교과서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해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전체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옮겨 놓고 약간의 멀티미디어 자료와 참고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디지털 교과서의 층위를 다양화 특성화하는 편성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 및 교과별 세부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에 따라 서책

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각각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양자가 시너지효

과를 낼 수 있는 정교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Ⅲ 디지털 교과서의 난 과 한계

1 디지털 교과서의 매력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우리가 외부 세계를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상과의 관계는 바뀌

게 된다 미디어의 기능이나 효과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구체적 내용보다 그 구조에 의해 부분 결

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message)다rdquo라는 McLuhan(19641997)의 지적이 함의하고 있듯이 미디

어의 내용보다는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디어의 사용에 따른 상징적 환경

변화는 단순히 무엇을 더하거나 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인 것이

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미디어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Postman(19852009)은 ldquo미디어는 메타포(metaphor)다rdquo라는 지적을 통해

미디어는 외부세계에 한 지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 사회의 메타포로 기능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4: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술적middot처방적

접근 위주의 연구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검증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수행된 그 간의 연구들이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보다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적 가치를 지닐 것으

로 기 된다

Ⅱ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 특성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교과서라는 기존 미디어의 속성을 유지하되 디지털 기기가 구현

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접근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lsquo재매개

(remediation)rsquo의 관점에서 그 특성이 분석될 수 있다 재매개는 lsquo하나의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의

인터페이스(interface) 표상 사회적 인식과 위상을 차용하고 나아가 개선하는 미디어 논리rsquo(Bolter

amp Grusin 19992006)라고 이해되고 있다 재매개는 하나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속성을 취해 그것

을 다른 미디어에서 재사용하는 것으로 다른 미디어를 개조하거나 복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미디어의 위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재매개에는 다음 네 가지 스펙트럼이 있는 것으

로 논의되고 있다(이재현 2013a 24-27 Bolter amp Grusin 19992006)

첫째 기존의 미디어가 뚜렷한 풍자나 비판 없이 디지털 형식 속에 조명되고 표상되는 경우이다

예컨 CD-ROM이나 DVD에 실린 그림 문학텍스트 모음 그림 텍스트를 다운받을 수 있는 웹사

이트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둘째 하나의 미디어 내용을 새로운 미디어에 실으면서 새로운 버전이라고 강조하는 경우로 이

는 일종의 개선으로 제시되지만 새로운 것은 여전히 오래된 것의 입장에서 정당화되며 기존 미디

어의 속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것으로 CD-ROM 백과사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셋째 기존 미디어의 존재를 드러내고 이에 따라 다중성이나 하이퍼매개성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개조하려는 경우이다 이는 보다 공격적인 것으로서 원천 미디어와 상 미디어

모두를 부각시키는 것이다

넷째 새로운 미디어가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흡수해 재매개하는 경우이다

현재 우리나라 연구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 기반형을 전제로

교과서의 외형이나 페이지 내용 등을 화면에 그 로 옮기고 멀티미디어 심화middot보충형 자료 평가

문항 용어 사전 등을 추가했으며 그 외 교육용 콘텐츠 오픈 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주형미외 2012) 이러한 방식은 위 네 가지 유형 중 두 번째의 유형으로 일단

시작해서 향후 세 번째의 유형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인쇄물로 된 교과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5

서라는 기존 미디어를 디지털 기기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도전에 응하여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개조하는가에 따라 즉 기존 서책형 교과서의 기능과 속성 형식 등에 어느 정도의 향력과 비중

을 두는 재매개 전략을 취하는가에 따라 향후 디지털 교과서의 양태와 가능성은 달라지게 될 것

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는 미디어의 속성상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는 다른 읽기와 쓰기의 양태를 가

지게 하는데 관련 선행 논의들(박진우middot김예란 2011 이재현 2013a Flusser 1987 1998

DeStefano amp LeFevre 2007 Hayles 2010 Liu 2012)을 종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멀티미디어rsquo의 특징을 지니며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촉각

까지 동원되는 다중감각적 읽기와 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텍스트 구조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하이퍼텍스트rsquo라는 특성을 지니며 이로 인해 디지

털 교과서의 집필은 텍스트 네트워크 구축 작업의 성격으로 변모한다 전체적인 내용의 구성도 비

선형적인 이야기 구조로 구상해야 하고 단위 텍스트들을 네트워크 구조로 짜내기 위해 어떻게 연

결지을지도 구상해야 한다 읽기 역시 링크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다선형성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이용자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상호작용 미디어rsquo로서 변경 가능한 요소들을 텍스

트 쓰기의 과정에서 마련해야 한다 독자의 반응이 반 되는 속도 변경 가능한 속성의 수 독자의

반응이 텍스트의 변화로 치환되는 방법 등을 고려함으로써 상호작용성을 어느 정도로 허용할 것인

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읽기 행위의 핵심은 주어진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도구들을 조

작하는 것이 될 것이며 조작성이 부각된다는 것은 전통적인 읽기에서 요구되는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넷째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네트워크 미디어rsquo로서 다른 사람의 밑줄 메모 비

평 소개 토론 등을 접함으로써 읽기 과정에 사회적 향이 주어지고 협업적 글쓰기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읽기 행동을 lsquo다중 읽기(multiple reading)rsquo lsquo사회적 읽기(social

reading)rsquo lsquo증강 읽기(augmented reading)rsquo로 특성화한 논의(이재현 2013b 81-84)는 디지털 교과

서를 읽는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를 준다

먼저 lsquo다중 읽기rsquo는 하나의 텍스트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며 읽

는 관습을 의미한다 그런데 비선형적으로 여러 텍스트에 일시적인 주의를 기울이며 손이 동원되

는 촉각적 읽기는 곧 lsquo피상적 읽기rsquo를 초래한다는 비판(Carr 20102011)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텍

스트를 넘어 텍스트가 표상하는 세계로 lsquo들어가는 읽기(looking-through)rsquo가 아니라 주의가 분산된

상태에서 텍스트의 lsquo표면에 머무는 읽기(looking-at)rsquo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몰입과 조작 사이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갈등이 야기되며 비선형적 다중적 텍스트는 통제를 위해 계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

다는 점에서 읽기의 피상성은 필연적이다

둘째 lsquo사회적 읽기rsquo는 텍스트를 읽기 전후는 물론 읽는 실시간의 상황에서 텍스트를 둘러싸고

정보 지식 정서 등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셋째 lsquo증강 읽기rsquo는 텍스트 위에 또 다른 정보 층위(메모 밑줄 하이퍼링크 등)가 중첩된 텍스트

인 증강 텍스트에 의해 가능해진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음독(청각과 시각의 결합) 묵독(시각)에

이은 제 3의 lsquo햅틱 읽기(haptic 촉각과 시각의 결합)rsquo 관습도 이와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lsquo텍스트 음성 음악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 컴퓨터의 역할이 증 되도록 한 것rsquo으로 규정하

는 기술 중심적middot공학적 정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간의 경험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안적 정의 방식이 제안되었는데(이재현 2013a)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이해하

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를 준다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의 방식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이 ldquo원격현전(telepresence) 현실조작장치 미디어 레이어(layer) 신체규율장치로서의 미디어rdquo로 개념화

되고 있다 특히 lsquo원격현전rsquo을 결정하는 요인과 lsquo미디어 레이어rsquo에 한 논의는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를 준다

원격현전은 생동감과 상호작용성이라는 기술적 요인과 행위자들의 수 환경 요인 개인 관심사

등의 이용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동시에 전달되는 감각 차원의 수와 이미지와

사운드의 질 등에 의해 생동감이 결정되며 상호작용성은 이용자가 매개된 환경의 형태와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속도 및 범위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Steuer 1992)

또한 미디어는 여러 층위를 가지게 되는데 lsquo단위 컨텐츠rsquo lsquo컨텐츠의 패키징(packaging)rsquo lsquo플랫

폼(platform)rsquo lsquo물리적 네트워크rsquo lsquo이용자 단말기rsquo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 및 보급은 종래 서책형 교과서의 편찬과 보급과는 비교할 수 없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며 환경 의

존적인 수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 하겠다 우선 단위 컨텐츠를 어떠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경험 양식 등으로 구현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고 각 컨텐츠를 시간적 공간

적 하이퍼링크 등의 조직 등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패키징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더해 컨텐츠가

유통middot전송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과 전송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미디어 기기를 통해 활용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현 시점에서 시도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개발 및 활용상의 여건 현장의 준비도 교과서의

제도적 기능 등으로 인해 서책형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과도기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아무리 보수적으로 접근해도 피할 수 없는 디지털 교과서 제작 및 보급에 따르는 엄청

난 비용과 부담을 고려할 때 과연 그러한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접근을 취하면서 굳이 개인별 디지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7

털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심각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lsquo컨텐츠 패키징rsquo과 관련하여 다음 Darnton(20092011)의 지적은 상당히 시사적

이다

책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피라미드처럼 여러 층이 정렬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위층은 주제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페이퍼백으로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층은 맨 위층의 논의에

한 다른 측면들을 다각도로 잡아 풍성하게 구성한다 이야기처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맨

위층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단위로 정렬한다 세 번째 층은 가능한 한 여러 종류의 기록문서가 차지할

것이다 네 번째 층은 과거의 학문이나 여러 논의들에서 발췌한 이론이나 역사 기록이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 층은 교육학적인 면을 담아서 학급 토의 강의 요강 강좌 자료집을 위한 여러 제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층은 독자의 보고서 저자와 편집자 사이의 화 독자들의 편지로 담아서 점점 많은

논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Darnton 2009 2011 133)

인용문에서도 제안하고 있듯이 서책형 교과서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해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전체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옮겨 놓고 약간의 멀티미디어 자료와 참고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디지털 교과서의 층위를 다양화 특성화하는 편성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 및 교과별 세부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에 따라 서책

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각각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양자가 시너지효

과를 낼 수 있는 정교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Ⅲ 디지털 교과서의 난 과 한계

1 디지털 교과서의 매력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우리가 외부 세계를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상과의 관계는 바뀌

게 된다 미디어의 기능이나 효과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구체적 내용보다 그 구조에 의해 부분 결

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message)다rdquo라는 McLuhan(19641997)의 지적이 함의하고 있듯이 미디

어의 내용보다는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디어의 사용에 따른 상징적 환경

변화는 단순히 무엇을 더하거나 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인 것이

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미디어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Postman(19852009)은 ldquo미디어는 메타포(metaphor)다rdquo라는 지적을 통해

미디어는 외부세계에 한 지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 사회의 메타포로 기능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5: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5

서라는 기존 미디어를 디지털 기기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도전에 응하여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개조하는가에 따라 즉 기존 서책형 교과서의 기능과 속성 형식 등에 어느 정도의 향력과 비중

을 두는 재매개 전략을 취하는가에 따라 향후 디지털 교과서의 양태와 가능성은 달라지게 될 것

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는 미디어의 속성상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는 다른 읽기와 쓰기의 양태를 가

지게 하는데 관련 선행 논의들(박진우middot김예란 2011 이재현 2013a Flusser 1987 1998

DeStefano amp LeFevre 2007 Hayles 2010 Liu 2012)을 종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멀티미디어rsquo의 특징을 지니며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촉각

까지 동원되는 다중감각적 읽기와 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텍스트 구조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하이퍼텍스트rsquo라는 특성을 지니며 이로 인해 디지

털 교과서의 집필은 텍스트 네트워크 구축 작업의 성격으로 변모한다 전체적인 내용의 구성도 비

선형적인 이야기 구조로 구상해야 하고 단위 텍스트들을 네트워크 구조로 짜내기 위해 어떻게 연

결지을지도 구상해야 한다 읽기 역시 링크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다선형성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이용자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상호작용 미디어rsquo로서 변경 가능한 요소들을 텍스

트 쓰기의 과정에서 마련해야 한다 독자의 반응이 반 되는 속도 변경 가능한 속성의 수 독자의

반응이 텍스트의 변화로 치환되는 방법 등을 고려함으로써 상호작용성을 어느 정도로 허용할 것인

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읽기 행위의 핵심은 주어진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도구들을 조

작하는 것이 될 것이며 조작성이 부각된다는 것은 전통적인 읽기에서 요구되는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넷째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lsquo네트워크 미디어rsquo로서 다른 사람의 밑줄 메모 비

평 소개 토론 등을 접함으로써 읽기 과정에 사회적 향이 주어지고 협업적 글쓰기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읽기 행동을 lsquo다중 읽기(multiple reading)rsquo lsquo사회적 읽기(social

reading)rsquo lsquo증강 읽기(augmented reading)rsquo로 특성화한 논의(이재현 2013b 81-84)는 디지털 교과

서를 읽는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를 준다

먼저 lsquo다중 읽기rsquo는 하나의 텍스트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며 읽

는 관습을 의미한다 그런데 비선형적으로 여러 텍스트에 일시적인 주의를 기울이며 손이 동원되

는 촉각적 읽기는 곧 lsquo피상적 읽기rsquo를 초래한다는 비판(Carr 20102011)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텍

스트를 넘어 텍스트가 표상하는 세계로 lsquo들어가는 읽기(looking-through)rsquo가 아니라 주의가 분산된

상태에서 텍스트의 lsquo표면에 머무는 읽기(looking-at)rsquo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몰입과 조작 사이에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갈등이 야기되며 비선형적 다중적 텍스트는 통제를 위해 계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

다는 점에서 읽기의 피상성은 필연적이다

둘째 lsquo사회적 읽기rsquo는 텍스트를 읽기 전후는 물론 읽는 실시간의 상황에서 텍스트를 둘러싸고

정보 지식 정서 등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셋째 lsquo증강 읽기rsquo는 텍스트 위에 또 다른 정보 층위(메모 밑줄 하이퍼링크 등)가 중첩된 텍스트

인 증강 텍스트에 의해 가능해진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음독(청각과 시각의 결합) 묵독(시각)에

이은 제 3의 lsquo햅틱 읽기(haptic 촉각과 시각의 결합)rsquo 관습도 이와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lsquo텍스트 음성 음악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 컴퓨터의 역할이 증 되도록 한 것rsquo으로 규정하

는 기술 중심적middot공학적 정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간의 경험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안적 정의 방식이 제안되었는데(이재현 2013a)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이해하

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를 준다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의 방식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이 ldquo원격현전(telepresence) 현실조작장치 미디어 레이어(layer) 신체규율장치로서의 미디어rdquo로 개념화

되고 있다 특히 lsquo원격현전rsquo을 결정하는 요인과 lsquo미디어 레이어rsquo에 한 논의는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를 준다

원격현전은 생동감과 상호작용성이라는 기술적 요인과 행위자들의 수 환경 요인 개인 관심사

등의 이용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동시에 전달되는 감각 차원의 수와 이미지와

사운드의 질 등에 의해 생동감이 결정되며 상호작용성은 이용자가 매개된 환경의 형태와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속도 및 범위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Steuer 1992)

또한 미디어는 여러 층위를 가지게 되는데 lsquo단위 컨텐츠rsquo lsquo컨텐츠의 패키징(packaging)rsquo lsquo플랫

폼(platform)rsquo lsquo물리적 네트워크rsquo lsquo이용자 단말기rsquo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 및 보급은 종래 서책형 교과서의 편찬과 보급과는 비교할 수 없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며 환경 의

존적인 수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 하겠다 우선 단위 컨텐츠를 어떠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경험 양식 등으로 구현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고 각 컨텐츠를 시간적 공간

적 하이퍼링크 등의 조직 등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패키징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더해 컨텐츠가

유통middot전송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과 전송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미디어 기기를 통해 활용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현 시점에서 시도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개발 및 활용상의 여건 현장의 준비도 교과서의

제도적 기능 등으로 인해 서책형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과도기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아무리 보수적으로 접근해도 피할 수 없는 디지털 교과서 제작 및 보급에 따르는 엄청

난 비용과 부담을 고려할 때 과연 그러한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접근을 취하면서 굳이 개인별 디지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7

털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심각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lsquo컨텐츠 패키징rsquo과 관련하여 다음 Darnton(20092011)의 지적은 상당히 시사적

이다

책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피라미드처럼 여러 층이 정렬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위층은 주제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페이퍼백으로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층은 맨 위층의 논의에

한 다른 측면들을 다각도로 잡아 풍성하게 구성한다 이야기처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맨

위층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단위로 정렬한다 세 번째 층은 가능한 한 여러 종류의 기록문서가 차지할

것이다 네 번째 층은 과거의 학문이나 여러 논의들에서 발췌한 이론이나 역사 기록이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 층은 교육학적인 면을 담아서 학급 토의 강의 요강 강좌 자료집을 위한 여러 제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층은 독자의 보고서 저자와 편집자 사이의 화 독자들의 편지로 담아서 점점 많은

논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Darnton 2009 2011 133)

인용문에서도 제안하고 있듯이 서책형 교과서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해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전체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옮겨 놓고 약간의 멀티미디어 자료와 참고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디지털 교과서의 층위를 다양화 특성화하는 편성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 및 교과별 세부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에 따라 서책

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각각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양자가 시너지효

과를 낼 수 있는 정교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Ⅲ 디지털 교과서의 난 과 한계

1 디지털 교과서의 매력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우리가 외부 세계를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상과의 관계는 바뀌

게 된다 미디어의 기능이나 효과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구체적 내용보다 그 구조에 의해 부분 결

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message)다rdquo라는 McLuhan(19641997)의 지적이 함의하고 있듯이 미디

어의 내용보다는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디어의 사용에 따른 상징적 환경

변화는 단순히 무엇을 더하거나 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인 것이

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미디어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Postman(19852009)은 ldquo미디어는 메타포(metaphor)다rdquo라는 지적을 통해

미디어는 외부세계에 한 지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 사회의 메타포로 기능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6: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갈등이 야기되며 비선형적 다중적 텍스트는 통제를 위해 계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

다는 점에서 읽기의 피상성은 필연적이다

둘째 lsquo사회적 읽기rsquo는 텍스트를 읽기 전후는 물론 읽는 실시간의 상황에서 텍스트를 둘러싸고

정보 지식 정서 등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셋째 lsquo증강 읽기rsquo는 텍스트 위에 또 다른 정보 층위(메모 밑줄 하이퍼링크 등)가 중첩된 텍스트

인 증강 텍스트에 의해 가능해진 읽기 관습을 의미한다 음독(청각과 시각의 결합) 묵독(시각)에

이은 제 3의 lsquo햅틱 읽기(haptic 촉각과 시각의 결합)rsquo 관습도 이와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lsquo텍스트 음성 음악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장치로서 컴퓨터의 역할이 증 되도록 한 것rsquo으로 규정하

는 기술 중심적middot공학적 정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간의 경험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안적 정의 방식이 제안되었는데(이재현 2013a)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이해하

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를 준다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의 방식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이 ldquo원격현전(telepresence) 현실조작장치 미디어 레이어(layer) 신체규율장치로서의 미디어rdquo로 개념화

되고 있다 특히 lsquo원격현전rsquo을 결정하는 요인과 lsquo미디어 레이어rsquo에 한 논의는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를 준다

원격현전은 생동감과 상호작용성이라는 기술적 요인과 행위자들의 수 환경 요인 개인 관심사

등의 이용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동시에 전달되는 감각 차원의 수와 이미지와

사운드의 질 등에 의해 생동감이 결정되며 상호작용성은 이용자가 매개된 환경의 형태와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속도 및 범위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Steuer 1992)

또한 미디어는 여러 층위를 가지게 되는데 lsquo단위 컨텐츠rsquo lsquo컨텐츠의 패키징(packaging)rsquo lsquo플랫

폼(platform)rsquo lsquo물리적 네트워크rsquo lsquo이용자 단말기rsquo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제

작 및 보급은 종래 서책형 교과서의 편찬과 보급과는 비교할 수 없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며 환경 의

존적인 수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 하겠다 우선 단위 컨텐츠를 어떠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경험 양식 등으로 구현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고 각 컨텐츠를 시간적 공간

적 하이퍼링크 등의 조직 등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패키징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더해 컨텐츠가

유통middot전송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과 전송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미디어 기기를 통해 활용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현 시점에서 시도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개발 및 활용상의 여건 현장의 준비도 교과서의

제도적 기능 등으로 인해 서책형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과도기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아무리 보수적으로 접근해도 피할 수 없는 디지털 교과서 제작 및 보급에 따르는 엄청

난 비용과 부담을 고려할 때 과연 그러한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접근을 취하면서 굳이 개인별 디지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7

털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심각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lsquo컨텐츠 패키징rsquo과 관련하여 다음 Darnton(20092011)의 지적은 상당히 시사적

이다

책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피라미드처럼 여러 층이 정렬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위층은 주제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페이퍼백으로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층은 맨 위층의 논의에

한 다른 측면들을 다각도로 잡아 풍성하게 구성한다 이야기처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맨

위층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단위로 정렬한다 세 번째 층은 가능한 한 여러 종류의 기록문서가 차지할

것이다 네 번째 층은 과거의 학문이나 여러 논의들에서 발췌한 이론이나 역사 기록이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 층은 교육학적인 면을 담아서 학급 토의 강의 요강 강좌 자료집을 위한 여러 제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층은 독자의 보고서 저자와 편집자 사이의 화 독자들의 편지로 담아서 점점 많은

논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Darnton 2009 2011 133)

인용문에서도 제안하고 있듯이 서책형 교과서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해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전체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옮겨 놓고 약간의 멀티미디어 자료와 참고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디지털 교과서의 층위를 다양화 특성화하는 편성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 및 교과별 세부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에 따라 서책

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각각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양자가 시너지효

과를 낼 수 있는 정교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Ⅲ 디지털 교과서의 난 과 한계

1 디지털 교과서의 매력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우리가 외부 세계를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상과의 관계는 바뀌

게 된다 미디어의 기능이나 효과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구체적 내용보다 그 구조에 의해 부분 결

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message)다rdquo라는 McLuhan(19641997)의 지적이 함의하고 있듯이 미디

어의 내용보다는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디어의 사용에 따른 상징적 환경

변화는 단순히 무엇을 더하거나 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인 것이

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미디어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Postman(19852009)은 ldquo미디어는 메타포(metaphor)다rdquo라는 지적을 통해

미디어는 외부세계에 한 지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 사회의 메타포로 기능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7: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7

털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심각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lsquo컨텐츠 패키징rsquo과 관련하여 다음 Darnton(20092011)의 지적은 상당히 시사적

이다

책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피라미드처럼 여러 층이 정렬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위층은 주제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페이퍼백으로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층은 맨 위층의 논의에

한 다른 측면들을 다각도로 잡아 풍성하게 구성한다 이야기처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맨

위층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단위로 정렬한다 세 번째 층은 가능한 한 여러 종류의 기록문서가 차지할

것이다 네 번째 층은 과거의 학문이나 여러 논의들에서 발췌한 이론이나 역사 기록이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 층은 교육학적인 면을 담아서 학급 토의 강의 요강 강좌 자료집을 위한 여러 제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층은 독자의 보고서 저자와 편집자 사이의 화 독자들의 편지로 담아서 점점 많은

논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Darnton 2009 2011 133)

인용문에서도 제안하고 있듯이 서책형 교과서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해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전체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옮겨 놓고 약간의 멀티미디어 자료와 참고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디지털 교과서의 층위를 다양화 특성화하는 편성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 및 교과별 세부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에 따라 서책

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각각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양자가 시너지효

과를 낼 수 있는 정교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Ⅲ 디지털 교과서의 난 과 한계

1 디지털 교과서의 매력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우리가 외부 세계를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상과의 관계는 바뀌

게 된다 미디어의 기능이나 효과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구체적 내용보다 그 구조에 의해 부분 결

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message)다rdquo라는 McLuhan(19641997)의 지적이 함의하고 있듯이 미디

어의 내용보다는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디어의 사용에 따른 상징적 환경

변화는 단순히 무엇을 더하거나 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인 것이

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미디어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Postman(19852009)은 ldquo미디어는 메타포(metaphor)다rdquo라는 지적을 통해

미디어는 외부세계에 한 지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 사회의 메타포로 기능하면서 특유의 문화를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8: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5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만들어감을 강조한다 미디어는 무엇이 현실인지에 한 개념을 구성하면서 특정한 것에 가치를 부

여하고 특정한 태도를 확 하며 세상을 분류하고 추론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연필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리스트로 보이고 카메라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이미지처럼 보이며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보인다(Postman 19922005 25-26)

앞서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교과서는 다감각적인 채널을 통해 실재에 가까운 생동감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비선형적이고 역동적인 행로를 허용하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협업이나 사회적 읽기와 쓰기가 용

이하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은 한편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상당한 가

를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ostman은 ldquo모든 새로운 기술적 변화는 우리에게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와 더불어 중요한 뭔가를 앗아가는 일종의 lsquo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rsquo다rdquo라고 경고(McDonald 2012)하 는바 본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디지털 교과서는 그것이 제공하는 혜택의 가로 어떤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가 디지

털 교과서의 제작과 유통 기기 보급 등에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재정적 부담2)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심리적 기술적 부담은 논외로 하더라도 우선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향이 있지는 않은지를

면 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곧 선택을

위한 조작을 요구한다 풍요로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집중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인한 전환 비용은 인지과부하를 야기한다

(Watson 20102011) 여러 개의 텍스트를 넘나들면서 읽게 되는 다중 읽기 패턴은 몰입을 방해하

고 끊임없는 조작을 동반함으로써 피상적인 읽기를 낳는다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사정이 좀 다르겠지만 일반 웹페이지의 경우 시선이 머무는 시간은 부분 10

초 이하이며 2분 넘게 시선을 잡는 페이지는 10개 중 한 개에도 못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ldquo이용

자들은 웹의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는가rdquo에 한 답은 ldquo읽지 않는다rdquo는 것이었다(Carr 2010

2011 202) 실제로 웹의 주된 항해 도구를 제공하는 Google은 ldquo우리의 목표는 사용자가 정말 신속

하게 들어왔다 나가게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 한 우리의 모든 결정은 바로 이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사람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링크를 클릭할수록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므로

Google의 수익은 더 커진다 이 회사가 가장 원치 않는 것은 여유롭게 읽는 행위나 깊이 생각하는

것을 독려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Google은 말 그 로 lsquo산만함을 업으로 삼는rsquo 기업이라 할 수 있

다(Carr 20102011 231)

또한 책에서 자주 발췌middot인용되는 부분을 강조해 보여주는 lsquo인기 구절(popular passages)rsquo 그리

고 독자들이 책을 10초 안에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lsquo워드 클라우드(word clouds)rsquo 등 Google이 최

근 선보인 서비스에 해 Carr(20102011 244)는 물론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른 종류의 효율성을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9: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59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재빨리 해독할 수 있겠지만 문서가 함축한 바에 한 깊고 사적인

이해를 기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ldquo연관 컨텐츠에 한 노상 채굴은 의미 해석을 위한 느린 발굴

을 체하고 있다rdquo는 그의 분석은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에 한 성급한 찬사를 경계하게 한

다 물론 일반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조직원리와 디지털 교과서의 편성 원리에는 차이가 있지만 스

크린을 통한 정보의 습득과 조작이라는 기본적인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도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지적한

다 McNight Dillon amp Richardson(1993)은 선형적 텍스트를 가지고 공부했을 때 중심 생각과 사

실의 이해와 기억이 더 잘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모든 내용과 과제에 해 하이퍼텍스트가

만병통치약은 아님은 분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Jacobs(1992)는 하이퍼텍스트 상황에서 학습자들

이 항상 현명하게 학습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아님에 주목하면서 하이퍼텍스트 기술이 교수와 학습

에서 혁명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한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체의 역할은 여분의 정보와 복합적인 채널을 사용해서 정보를

몇 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의 다른 측면을 변별하고 부각시키는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단지 복합적인 상징체계를 통해 내용을 표상한다고 해서 이해와 지식 획득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인지 과정과 유사하게 지식을 표현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구조적 지식의 획

득이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나 사유하기 등

의 고차원적인 학습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지적

되고 있다(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

뇌는 고요할 때 예민해진다 집중력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적 자극의 폭격으로 인한 산만함을 처리하느라 작업 기억을 혹사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Carr 2010 2011 316) 깊이있는 사고만이 고요함과 집중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공감과

열정도 마찬가지이다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난다면 타인의 심리적인 감정을 완전하게 경험할 수 없

을 것이다 가치있는 모든 것을 즉각 얻을 수는 없다는 사실과 자신이 모르는 전혀 다른 차원의 감

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Ellul(19641996)은 테크닉은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일종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한 방향성을 가진 기술 체계로 스스로의 양식과 필요에 따라 자가확 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음

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 앞에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채 무장해제된 상태이기에 인간이 기술 생산

의 주인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는 그의 지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우리가

ldquo무엇을 얻게 될 것인가rdquo와 더불어 ldquo무엇을 잃게 될 것인가rdquo라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일깨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0: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정부의 lsquo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계획rsquo이 발표되면서 초등학교 5학

년 9개 과목에 한 디지털 교과서 원형이 시범 개발되었고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상당수의 연구

학교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3)하면서 개인 연구자와 기관 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중 특히 기관 차원에서 전체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

회 2011)는 일부 연구학교를 상으로 한 소규모 개인 연구와는 차별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들 전수조사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 운 된 연구학교를 상

으로 한 효과분석 결과(변호승 외 2008)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체로 디지털 교

과서를 사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별 태도검사에서는 어 수업의 경우 서책형 교

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에서는 일부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는

5학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서책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

우는 지역 및 성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의 적용 효과에 한 분석 연구(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에서는 과학 교과

의 학업성취도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평균

은 연구학교와 비교학교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습몰입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 편의성(5점

만점 학생 369 교사 331) 및 컨텐츠 만족도(5점 만점 학생 391 교사 330) 등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squo계속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할 의사가 있는가rsquo의 문

항에 해 연구학교 교사들의 평점은 5단 평정에서 lsquo그저 그렇다rsquo(3점)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32

점에 그쳐 디지털 교과서에 한 교사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부족함을 드러냈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한 14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91개의 효과 크기

를 메타분석한 연구 결과(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는 작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목별 평균 효과의 크기는 국어 수학 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어와 과학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교과 이외에

어 과학 교과가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제하고 우선적으로 개발 적용하고자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1: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1

하는 정부의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도시규모별 효과의 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광역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농산어촌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 어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30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박

현아 2010)에 따르면 어 학업성취도 및 교과 관련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 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해보면 그 동안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교과목 지

역 학년 성 성적 등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책 입안자

들이 기 한 만큼의 괄목할 만한 긍정적이고 일관성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려웠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시행 연도에 따라 교과목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학년

이나 지역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효과의 크기 역시 미미하 다 또한 교사들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나거나 시스템의 기술적 불안정성에 해 상당한 우려(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회

2011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 홍후조 외 2013)가 있음은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4)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는 교과서의 컨텐츠의 특성(구조 복잡성 표상 형식)과 사용된 매체의 속

성(접속 및 다운로드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 속성 등)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능력 동기

목표 등의 학습자의 특성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의 수업 방식 수업 외 시간에서의 학습 양상

효과 측정의 도구 등과 같은 상황적 조건의 향을 복합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시범 적용된 특정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시범 상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상황에 따른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의 일

반적인 효과로 확 해석하는 것은 물론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효과에 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적하고 싶은 문제는 서책형 교과

서를 활용한 일반 수업상황만을 비교집단으로 삼음으로써 실제로 필요하고 의미있는 비교집단의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비교집단은 첫째 학생 개인별로 기기

를 보급하는 신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 보충형 자료 용

어사전 평가문항 등을 학생 전체에게 시범적으로 활용하면서 수업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이다 학생 개인별로 모두 단말기를 지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수조원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한

학급에서 빔프로젝터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구동하 을 때와 그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

은 상당히 시사적인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별 효과의 차이가 없거나 혹은 개인별

조작에 따른 산만함과 인지부담 등을 줄이고 오히려 면관계를 통해 교사와 학생 및 학생 상호간

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격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비교집단은 학생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2: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개개인에게 일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신 서책형 교과서와 더불어 교사 스스로 수집

한 다양한 동 상이나 사진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수업을 진행하는 lsquo블렌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상황이다 만일 특정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는 실험집단의 효과

가 교사들의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상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별 차이가 없거나 후자가 더

크다면 향후 정책 추진에 중요한 시사를 주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이러

한 수업을 수행해 왔던 교사들은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으로 인해 그들의 수업전문성을 오히려 침

해당하고 획일적으로 재단당하는 듯한 소외감을 토로하고 있다 국가나 특정 출판사의 수준에서 제

작하여 보급하는 컨텐츠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해 가는 하드웨어와 소프

트웨어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오히려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수업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인 안일 수도 있음을 실질적으로 검증

해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한편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 측정 연구들은 부분 집단적 실증적 연구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측정 도구의 수량적 지표에 의해 즉각적으로 포착될 수 없는

장기적 묵시적 질적 개별적 측면의 향이 간과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난점

은 학교 학습 상황을 전제로 이루어져 온 많은 실험 연구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하이퍼텍

스트라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걸맞는 보다 질적이고 개별적이며 적절한 연구 문제와 방법론이 제

안되고 연구되기를 기 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독립변인을 식별해 놓는 일반적인 표준화된 실험 패러

다임을 비판하고 수행 방식에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어 시사적이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하여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접근 유형들을 식별해낸 연구들

(Edelson 1996 Lawless amp Kulikowich 1996)5)과 lsquo로그 파일(log file)rsquo을 이용하여 개인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들의 기록을 통한 접근 방식을 추적한 연구(Song 2002) 등이 그 예이다 그 외

디지털 교과서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또 가르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관찰하고

심층면담 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다각적인 반응을 알아보는 연구들도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3 학교 제도와의 긴장 제한된 자율권

디지털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 및 디지털 세계의 특성과 제도적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한 lsquo교과서rsquo로서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을 기반으로 한 유연하

고 개방적이며 무규정적인 일반적인 인터넷 상의 하이퍼텍스트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니게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3: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3

된다 사용자의 능동성 개방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등이 학교라는 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상당 부

분 제한을 당하는 기형적이고 특수한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버공간은 정보망이 허용하는 한 무한 다수 무한 다수가 한꺼번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lsquo탈중심 중층 구조rsquo를 가진다

질서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앙 통제는 없으며 경계를 규정하거나 행위를 감시할 단일한 권력

의 원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언제나 구성 과정 중에 있을 뿐 완결된 모습을 상정할 수 없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접하게 되는 하이퍼텍스트는 관계망으로 연결된 비선형적 다차원적 의미 구조

(Tolhurst 1995)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요구와 관심에 따른 다양한 깊이와 순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국가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 구도 안에서 컨텐츠의 내용과

수준이 신중하게 기획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 제작자의 자율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 근 사회에서 국가주의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오늘날의 중적 학교

제도는 관료체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국가가 추구하는 공통의 이념적 노선과 문

화적 중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고 사회 각 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함으

로써 체계적인 사회적 충원을 용이하게 하 다 통일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교과서 심의 제도

학력 평가 방식 학교에 한 각종 공문과 지침의 하달 등 유형middot무형의 각종 제도와 관행을 통해

학교는 기존 통치 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특정 이데올로기 신념 습관 가치관 등을 효과적으로 전

수해왔다고 할 수 있다(양미경 2004 2005) 즉 사회의 다중적 요구와 기 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는 철저한 의도와 계획에 따라 학교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고 전수해왔다고 하겠다 다음 지적

(Postman 19922005)은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발명품은 이용 가능한 정보원을 조직화하고 제한하고 구별짓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 던 것이다 학교는 기술주의문화에서 최초의 세속적 관료제도 즉 정보 흐름의 일부를 합법화하고

다른 부분은 금지하는 구조가 되었다 간단히 말해 학교는 정보의 생태를 관장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Postman

19922005 89)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middot기능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자유롭고 무규정적인 내용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일정한

의도성을 가지고 참여자들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화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창해 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함양 관

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접근 경로의 제공 등의 혜택을 입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렵

게 한다

그런데 디지털 교과서에 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학교 맥락과의 구조적 이질성의 문제가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4: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부분의 연구가 모종의 귀결점이나 지향점을 상

정하고 있는 학교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즉 누구에게나 가르쳐야 할 객관적으로 가치로운 실체가 있다는 믿음은 그

로 가진 채 다만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서책형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제공하는 미시적이

고 수단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두 맥락이 적당한 타협

에 의해 억지로 꿰어 맞춰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능동적이고 개방적

이며 몰입된 탐색의 정도와 수준 탐색의 즐거움 등과 같은 지표보다는 특정 내용에 한 이해도나

성취도를 주요 기준으로 하고 있다(변호승 외 2008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 2010 노경희middot김병

진middot이원회 2011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 2011)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도 없

고 살릴 것을 기 하지도 않는다면 현재의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적절한가를 보다 깊이있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주목하는 고도로 구조적인 학습 과

제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닌 개방적인 성격과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직접적인 교수 형식이 더 적합

하다는 지적(Jonassen amp Mandl(Eds) 19891999)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Ⅳ 디지털 교과서가 던지는 메시지 미디어 생태학

의 시사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갖는 관심의 구조를 바꾸며 우리가 생각하는 데 사용하는 상징의 특성 역

시 변화시킨다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고 이러한 확장은 인간을 다르게 만든다는 전제하에 기

술이 일으키는 제반 변화에 민감성을 가지고 질문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처해야 하는지에 해 의미있는 시사를 준다

lsquo미디어 생태학rsquo이라는 용어는 1968년 Niel Postman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한 것으로 커뮤니케이

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보는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즉 인간의 경험 및 인

지양식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며 인간과 미디어 혹은 미디어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극 화하는 지적 전통 혹은 공유된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dquo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와 테크닉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사람들의 지각 가치 태도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rdquo으로 정의

(Postman 1979 이동후 2013 vii에서 재인용)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5: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5

미디어 생태학자들은 미디어는 자신의 방식으로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우리가 그것을 이용

하는 것이 아니라고 경고하면서 특정 미디어의 도입이 인간에게 미치는 향에 민감해야 함을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lsquo미디어 숙달력rsquo은 단순히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능력이 아니라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며 미디어의 구속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이동후 2013) 미디어는 도입되는 순간 경험의 방식을

바꾸기 때문에 미디어의 편향성과 부호화 방식에 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고유한 방식으로 실재

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는 미디어의 편향성을 Nystrom은 지적middot정서적 편향성 시간적middot공간적middot

감각적 편향성 정치적 편향성 사회적 편향성 형이상학적 편향성 내용적 편향성 인식론적 편향

성 등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Lum(Ed) 20062008 84-85)

McLuhan(1964 1997) 역시 미디어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인 도구가 아

니라 lsquo환경rsquo으로서 lsquo보이지 않는 배경원칙rsquo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며 사는 인간의 지각과 의식에

향을 미침을 역설한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은 미디어가 담아내는 내용보다는 그것 자체의

구조적 특성 혹은 편향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이것이 사회 문화적 진화 과정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게 한다

McLuhan은 또한 lsquo테트라드(tetrad)rsquo라는 개념틀을 통해 미디어 환경의 효과를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하고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환경에 관한 패턴 인식을 통해 감각

간 불균형이나 마비상태가 갖는 폐해를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 테트라드는 특정 미

디어가 무엇을 강화 혹은 촉진하는가 무엇을 쓸모없는 것으로 퇴화시키며 구시 의 유물로 만드는

가 과거에 버렸던 어떤 것을 부활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의 향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떤 것

에 의해 역전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갖는 효과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고

찰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제공한다(이동후 2013 7-8) 예컨 인쇄매체는 목적이 뚜렷한 개인주

의를 강화시키고 사투리와 집단적 정체성을 쇠퇴하게 하고 부족적 엘리트주의를 부활시키는가 하

면 동시적인 성격을 띤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의해 역전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 퇴화

부활 역전 등의 네 가지 현상은 서로가 서로의 배경과 상이 되어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인간의 인지 및 사유 방식

학습 양태 나아가 학교 제도 및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될 향력을 민감하게 숙고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시 적 과제를 제시한다 즉 서책형 교과서 신 보다 매력적인 멀티미디어나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새로운 교과서를 들여옴으로써 단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 를 갖는 것에 그

치는 낭만적이고 단편적인 태도를 경고한다고 하겠다 기술적 변화는 단순히 더하느냐 혹은 빼느냐

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 변화를 수반하는 중 한 변화라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디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6: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6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 과정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학교는 인쇄물의 문화와 긴

한 연계 속에서 탄생하여 작동해왔기 있기 때문이다 다음 Postman(19922005)의 지적은 이러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충돌이 가장 분명한 모습으로 드러나는 곳은 학교이다 학교에서는 두 개의 막강한 기술이

학생들의 정신을 지배하기 위해서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가지고 충돌하고 있다 논리 순서 역사 설명

객관성 중립 그리고 규칙 등이 강조되는 인쇄물의 세계가 있다 반면에 이미지 서사 현재성 동시성

친 감 즉각적 만족 빠른 정서적 반응 등이 강조되는 텔레미전의 세계도 있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의

편향에 깊이 물든 채 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그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것은 인쇄물의 세계이다그들이

열등생인 이유는 적어도 현재 진행중인 미디어 전쟁에서 패자 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Postman 1992

2005 29)

앞서도 논의한 바 있듯이 학교는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나 사이버

공간과는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체계이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극 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현행 학교의 제도적 특성과 교사의 교수 관행과는

상당한 불협화음을 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학교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혹은 학

교의 교사가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다음 인용문에서 마치 장장이가

자동차의 등장을 찬양했던 것에 비유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텔레비전은 점진적으로 교사직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이는 학교라는 제도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쇄물의 산물이고 이것의 존망이란 인쇄물이 사회적으로 갖는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난 4백여 년 동안 교사들은 인쇄술이 창조해 낸 지식독점의 수혜자 으며 이제는 그 독점의

몰락을 목격하는 중이다 그들이 이 몰락을 막아낼 방법은 없어 보인다고 해도 도리어 이러한 현상에

해 열광하는 기이한 일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그러한 열광을 지켜볼 때 마다 지난 세기 말의 장장이가

떠오르는데 그들은 자동차를 찬양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이 자신들의 사업을 번창시켜 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들의 사업이 번창하지 않았음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 오히려 자동차는 장장이의

일을 케케묵은 퇴물로 만들어버렸을 뿐이다(Postman 19922005 20)

모든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사회제도이며 사회제도들의 조직에는 기술이 조장한 세계관이

반 되어 있다 따라서 옛 기술이 새 기술로부터 공격받을 때 기존의 사회제도 역시 위협을 받게

된다 관료적 학교 제도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 서책형 교과서 설명식middot일제식 수업방법 암

기 중심 평가 및 입시제도 등은 모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형성 유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등장은 이러한 긴 한 유기적 관계의 동반 파기를 추동하는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7: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7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즉 학교나 교육과

정 교사의 기능과 역할 평가방식 등에 한 기존의 기 와 관행을 그 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

장 이상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기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디지털 교과서의 잠재력을 극 화시킬수록 기존의 관행과 방식은

위협을 받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개별 학습자 간의 관심과 속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을 통한 풍부한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 학년별로 구성된 위계적 단선

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논리 나아가 일률적인 평가의 범위나 방식과도 갈등을 빚는다 모든 학생이

배워야 하는 공통필수교과를 지정해 놓고 일정한 시수만큼 규정된 범위와 수준에 맞추어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현행의 제도적 교육과정의 논리를 유지하면서 가장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논리를 모색하는 것은 일종의 패러독스인 셈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면서도 일제히 교실에 앉아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속도와 순서로 차근차근 배우고 폐쇄된 망 속에서만 화하며 예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성취도를

평가받는 연구학교의 수업 모습(류지헌 2008 송연옥middot변호승 2013)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는 네트워크 기능 하이퍼텍스트 기능

상호작용 기능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멀티미디어 자료나 심화middot보충자료의 보강 정도

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교과서가 지니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컴퓨터 자료를 빔프로젝터로 비추어 제시하

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수업 이상의 효과를 기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그 변화 속도를 예측하

기도 어려울 만큼 급변하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천문학적인 국가예산을 들여 개인별로 특정 단말

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고려한다면 그 효과성은 더욱 의문이다

역사시 의 알파벳 문자에 기초한 사고가 전 역사시 의 그림에 기초한 마술적 사고에 도전했

다면 20세기 말 디지털 코드에 기초한 사고는 알파벳 코드의 구조적 체계분석적 전체적 사고방식

인 계몽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에 항하고 있다(김성재 2013) 디지털 코드를 취하면서도 계몽

적middot발전적 이데올로기의 전형인 학교와 그에 부 된 제도적 관행을 동시에 유지하고자 하는 딜레

머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지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 전면 확 추진되는 시점이 오기 전

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8: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68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Ⅴ 맺음말

급변하는 정보화시 에 한 응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

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2007년 이후 연차적으로 세부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 전면적인

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책 우호적인 측면

에서 기술적middot절차적 처방을 하거나 연구학교를 상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

구가 지배적이었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신뢰를 전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를

구체화하거나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둠으로써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그것의 도입으로 인해 감당해야 할 가나 딜레머 등의 본질적인 문제는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과 난점 그리고 그것의 도입이 사회전반에

가져오게 될 파급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lsquo재매개rsquo의 개념과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상호작용 미디어 네트워크 미디

어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미디어적 특성을 분석middot제시하 다 아울러 디지털 교

과서의 난점과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 첫째 디지털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한편으로 그에 상

응하는 상당한 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lsquo파우스트적 거래rsquo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 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에 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정책 입안자들이 기 한 괄목

할 만한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는 점을 논의하 고

비교집단 설정의 문제점과 안을 제시하 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학교 제도와 구조적으로 이질적임을 논의하고 그로 인해 빚어지는 한계와 딜레머를

지적하 다 끝으로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은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향을 미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교 체제 전반의 변화를 추동하는 사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 다

디지털 미디어가 학습자의 인지과정 및 정서에 미치는 향 학교 제도와의 갈등적 속성 그리고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정부에서 일괄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이점보다 가가 더 큰 일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디지털 교과서의 보급은 은연중에 교사와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디지털

코드의 산만함과 현란함은 정작 중요한 깊이있는 사유와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디

지털 기기를 통해 개인별로 정보수집을 하는 것으로는 결코 체될 수 없는 측면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일이다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결코 면관계를 통한 교사의 가르침을 신할 수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19: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69

없으며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간의 지속적middot전인격적 상호작용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일회

적middot언어적 행동을 통한 교류와 비교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Davidow(2011 2011188)는 인터넷이 쇼핑 문화를 바꾼 것은 사실이나 어떤 가상환경도 로마의

호화로운 코르소 거리를 거닐며 쇼핑을 하는 것을 체할 수는 없음을 지적한다 봄 신상품을 구매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성베드로 성당에서 돔 지붕

을 올려다보는 경험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ldquo똑같은 규격의 프린터 토너를 구매

하는 것 같은 일상적 필요 때문이라면 굳이 누가 사무용품 매장에 찾아가겠는가rdquo라는 그의 지적은

매우 시사적이다 똑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굳이 정해진 교실에 앉아서 정해진 교과시간에 일률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마치 별다를 것 없는 동일한 프린터 토너를 구매하기 위해 굳이 힘

들게 사무용품 매장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과 같다

교사의 면적 가르침과 동료 학생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에서 훨씬 의미있

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활동을 찾는 일이 첨단 디지털 단말기를 개개인에게 제공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고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만일 디지털 미디어

가 허용하는 잠재적 가능성을 극 화하여 구현하고자 한다면 학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안정과

문화재생산 사회화 및 선발의 기능 등을 상당 부분 양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Ⅳ장에서 지

적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그로 인해 도래할 변화에 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진실로 환 하는 사회적 합의와 요구가 있는지를 따져 물

어야 할 것이다

기술은 한번 도입되기만 하면 인간의 통제권을 벗어나버린다 기술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예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일

은 바로 그 예정된 임무가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20: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후 주

1) 디지털 교과서의 제도적 성격을 감안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개념규정 방식을 명기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

념 규정 방식에 한 논의를 신하고자 한다 교육부가 밝힌 디지털 교과서란 lsquo기존 교과내용(서책형교과

서)에 용어 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middot심화 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

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 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rsquo를

의미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2)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가정할 때 2011년 기준 723만 명의 전체 학생 단말기 보급에 소요되는 재원은

약 36조로 추정되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단말기 보급에만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예산 약

43조의 110에 해당하는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정비에 그 이상의

엄청난 추가비용이 요구된다고 보고되었다(홍후조 외 2013) 또한 교육부는 지난 2011년 6월 29일 rsquo14년

부터 초3~고2까지 사회middot과학middot 어 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고 rsquo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요예산을 2조2천억 원으로 추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교육부 2013814)

3) 2008년에 초등학교 5학년 6개 과목(국어 사회 과학 음악 어 수학) 및 6학년 4개 과목(국어 사회 과

학 수학)에 한 디지털 교과서 시범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학교 20개교를 운 하 으며 2009년에는 4종

의 초등학교 어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개발하고 연구학교를 112개교로 확 운 하 다 또한 2010년

에는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기존에 개발되었던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

완하 고 2011년에는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 교과서를 수정middot보완하 다 아울러 2011년 6월 lsquo스마

트교육 추진 전략rsquo을 통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제시하 다(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4) 교육부가 최근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확 추진 일정을 다소 신중한 방향으로 조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

지 않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에서 2014년부터 초3~고2까지 디지털교과서(사회middot과학middot 어)를 적용하고

2015년부터는 타교과로 전면 확 적용하겠다고 천명(rsquo11629 발표)한 바 있으나 이러한 계획을 축소

조정하여 rsquo14학년도에는 중학교 1학년(또는 2학년)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과학 교과에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를 상으로 시범 적용하는 것으로 발표(교육부 2013814)하 다

5) 연구를 수행하기 앞서 미리 독립변인을 설정한 후 실험을 하는 전진적인 접근과는 달리 군집분석에서의

변인들은 학습 환경에 응하는 피상적으로 보이거나 단순한 다양한 다수의 변인들의 세트들로부터 통계

적으로 추출되게 되는 회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Edelson(1996)의 연구에서는 5가지 유형의 사용자

유형 군집이 식별되었는데 그것은 균형 잡힌 사용자 비디오 회피자 순종적인 사용자 비디오 추종자 그

리고 저항자 등이다 한편 Lawless amp Kulikowich(1996)의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탐색가 정보 추구자 그

리고 무감각한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등의 군집을 식별해내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21: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1

참 고 문 헌(References)

강신천(2002)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2)

5-27

[Kang S(2002) Inquiry of strategies and precondi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2) 5-27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안 2012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2012 Plan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2012 2]

교육과학기술부middot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2011 교육정보화 백서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mp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1) 2011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White Paper]

교육인적자원부(2007 3 15)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2007 3 15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7 3 15)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universal use The press release]

교육부(2013 8 14) rsquo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2013 8 14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2013 8 14) 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press release]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middot교육과학기술부(2011 6 29)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011 6 29 보도자료

[The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mp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6 29) Propuls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The press releases]

김성재(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im S(2013) Flusser Phenomenology of media Seoul Communication books]

노경희middot김병진middot이원희(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

구보고서

[Noh K Kim B amp Lee W(2011)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in 201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Ryu J(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22: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2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textbook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박진우middot김예란(2011) 디지털 시 의 읽기문화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Park J amp Kim Y(2011) Reading culture in digital age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박현아(2010) 초등 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현 어교육

11(2) 165-192

[Park H(2010) A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s through the meta-analysis

Modern English Education 11(2) 165-192]

변호승middot김재철middot송윤희(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Byun H Kim J amp Song Y(2010)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류지헌middot송연옥(2011)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한 메타분

석 교육방법연구 23(3) 635-663

[Byun H Ryu J amp Song Y(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s 23(3) 635-663]

변호승middot서정희middot류지헌middot양승호middot최선 middot정문성middot방정숙middot이종연middot서순식middot조규복middot박미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Byun H et al(2008)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변호승middot최욱(2002)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15(2) 177-193

[Byun H Choi W(2002) Theoretical bas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boo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5(2) 177-193]

변호승middot최정임middot송재신(2006) 전자교과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217-240

[Byun H Choi J amp Song J(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217-240]

송연옥middot변호승(2013)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1) 27-53

[Song Y amp Byun H(2013) A pualitative study on interference factors in teachersrsquo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27-53]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23: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3

[Yang M(2004) Conflicts in social demand for the function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133-162]

양미경(2005) 정보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1) 1-25

[Yang M(2005)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1-25]

이동후(2013) 미디어 생태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D(2013) The thory of media ec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a) 뉴미디어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a) The thory of new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이재현(2013b) 디지털 시 의 읽기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Lee J(2013b) Reading and writing in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임정훈(2012)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middot개발방향 탐색 홀리스틱교

육연구 16(1) 125-150

[Leem J(2012)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a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 125-150]

장재원middot김보연(2012)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두산동아 중학교 1학년 어교과서를 바

탕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Chang J amp Kim B(2012) Usability test on digital textbook of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of Doosan Donga The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29-438]

정효정middot김동식(2007) 인지 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자책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1(1)

23-33

[Jung H amp Kim D(2007)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ook prototyp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1) 23-33]

주형미middot가은아middot김정효middot남창우middot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

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Joo H Ga E Kim J Nam C amp Ahn J(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ss of digital textbook for smart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2012) Culture technology (CT) in-depth reports]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24: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교육과정연구 제 31 권 제 4 호

74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홍후조middot민부자middot김 석middot신원석middot이민정(2013)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한 교사 수요 조사 한국교육

40(1) 109-130

[Hong H Min B Kim D Shin W amp Lee M(2013) Teacher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1) 109-130]

Bolter J D amp Grusin R(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역)(2006)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Carr N(2010) The Shallows 최지향(역)(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Darnton R(2009) The case for books 성동규middot고은주middot김승완(역)(2011) 책의 미래 서울 교보

문고

Davidow W H(2011) Overconnected The promise and threat of the internet 김동규(역)(2011)

과잉연결시 서울 수이북스

DeStefano D amp LeFevre J(2007) Cognitive load in hypertext reading A review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616-1641

Edelson D(1996) Learning from cases and questions the Socratic case-based teaching

archite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4) 357-410

Ellul J(1964) The technological society 박광덕(역)(1996) 기술의 역사 서울 한울

Flusser V(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European Photography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 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서울 문예출판사

Hayles N K(2010) How we read Close hyper machine ADE Bulletin 150 62-79

Jacobs G(1992) Hypermedia and discovery-based learning A historical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2) 113-121

Jonassen D H amp Mandl H(Eds)(1989)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김동식 정옥년

고윤희(편역)(1999)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의 쟁점 서울 원미사

Lawless K amp Kulikowich J(1996)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 (4) 385-399

Liu Z(2012) Digital reading An overview Chines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 85-94

Lum C(Ed)(2006) Perspectives on cultur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he media ecology

tradition Cresskill NJ Hampton press 이동후(역)(2008) 미디어 생태학 사상 서울 한나래

McDonald T L(2012) Technologyrsquos faustian bargain httpwwwpatheoscomblogsgodandthemachine

201203technologys-faustian-bargain에서 2013 9 8 검색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Page 25: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mkyang.sogang.ac.kr/mkyang/R/research/digital13.pdf소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75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

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Night C Dillon A amp Richardson J(1993) Hypertex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Ellis Horwood

Postman N(1985) Amusing ourselves to death Public discourse in the age of show business

홍윤선(역)(2009) 죽도록 즐기기 서울 굿인포메이션

Postman N(1992) Technopoly 김균(역)(2005) 테크노폴리 서울 궁리출판

Song C H(2002) Literature review for hypermedia study from an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 (4) 435-447

Steuer J(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Tolhurst D(1995)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 defined Educational Technology March-April

21-26

Watson R(2010) Future minds 이진원(역)(2011) 퓨쳐마인드 서울 청림출판

∙ 논문 접수 2013년 10월 22일 수정본 접수 2013년 12월 5일 게재 승인 2013년 12월 6일

∙ 양미경 서울 학교 교육학과 및 동 학원 졸업(박사) 서강 학교 국제인문학부 교육문화전공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