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CDM 사사사 사사사 사사사사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Upload
    hesper

  • View
    222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의 개요. 2005 교토의정서 발효(2.16). 2005. 1차 의무공약기간( ’ 08~ ’ 12) 이행 준비 및 교토메카니즘 ( CDM 사업 , 공동이행 및 배출권거래 ) 활용. 2001 마라케쉬 합의문 채택. 2001. 교토의정서의 구체적인 이행방안 마련 미국의 교토의정서 불참 선언( ’ 01.3) 및 경제성장 감축목표 방안 제시. 1997. 1997 교토의정서 채택. 부속서 I 국가의 구속적 감축목표 설정. 1992.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Page 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의 개요CDM 사업의 개요

Page 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의 탄생CDM 사업의 탄생

1 차 의무공약기간 (’08~’12) 이행 준비 및 교토메카니즘 (CDM 사업 , 공동이행 및 배출권거래 ) 활용

200520052005 교토의정서 발효 (2.16)2005 교토의정서 발효 (2.16)

교토의정서의 구체적인 이행방안 마련 미국의 교토의정서 불참 선언 (’01.3) 및 경제성장 감축목표 방안 제시

2001 마라케쉬 합의문 채택2001 마라케쉬 합의문 채택

20012001

부속서 I 국가의 구속적 감축목표 설정1997 교토의정서 채택 1997 교토의정서 채택 19971997

기후변화협약 (UNFCCC)( 의제 21), 생물다양성 협약 채택

1992 리오 유엔환경개발회의 (UNCED) 개최1992 리오 유엔환경개발회의 (UNCED) 개최19921992

Page 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소련 & 우크라이나

0%동서 유럽 -8%

캐나다 - 6%

미국 - 7%

호주

+8%

일본-6%

뉴질랜드 0%

교토의정서상의 감축의무

• 의무부담 국가 : 38 개국

• 감축량 : 1990 년 배출량 기준 평균 5.2% 감축

• 2008-2012 년 동안 BAU 대비 30-40% 감축– 2 차 의무감축 (2013-17)– 3 차 의무감축 (2018-22)

• 감축의무이행 이후…– 배출량이 할당량보다 적을

경우 : 차기 공약기간의 할당량에서 더함

– 배출량이 할당량보다 많은 경우 : 차기 공약기간의 의무할당량에서 초과 배출량의 1.3 배를 제함

Page 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의 정의 및 요건 • 공동이행 (JI) 및 국제배출권거래제 (IET) 와 함께 온실가스의

비용효과적 감축을 위해 고안됨 .• 교토의정서 12 조에 정의 - 선진국과 개도국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협력 메커니즘 - 선진국의 교토의무에 충족 기여 -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에 이바지 - 전지구적인 온난화 방지 기여 - 마라케쉬 합의문에 의해 구체화• 참가를 위한 자격 요건 - 선진국과 개도국 공통 : 교토의정서 비준 , DNA 설치 , 자발적

참여 - 선진국만의 요건 : 의정서 3 조에 의한 배출허용량 할당 , 온실가스

측정을 위한 국가시스템과 등기소 확보 ,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 파악 , 배출감축량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한 회계시스템 확보

Page 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최근 주요 결정사항• CDM Registry 등록 시점에서는 부속서 I 국가의 승인서 없이도 사업 등록이 가능함 (18 차 집행위원회 )

• 즉 , 개도국 기업들이 선진국의 참여 없이 독자적으로 CDM 사업에 투자하는 것이 가능함

• 그러나 크레딧 발행 시점에는 부속서 I 국가의 승인서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음

• 마라케쉬 합의문 채택 이후 시행되는 온실가스 저배출 정책은 추가성 검토시 제외 ( 제 16 차 집행위원회 )

차액보전 지원제도 등의 적용 제외

Page 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내용 : 교토의정서에 정의되어 있는 6 가지 가스를 줄이는 사업으로 , 사업의 결과물로 C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CO2 톤 ) 이 발급됨

• 크기 : 소규모 CDM 사업과 일반 CDM 사업– 일반 CDM 사업 : 소규모 CDM 사업을 제외한 사업– 소규모 CDM 사업

• 15MW 이하의 신재생에너지사업• 연간 60GWh 이하의 에너지효율향상사업• 연간 60,000 CO2ton 이하를 감축하는 기타 온실가스 감축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에너지효율향상사업

조림 및 재조림 사업

LFG 활용사업

CDM 의 내용

Page 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대상 사업 온실가스 GWP 주요 배출원

대상 사업장( 예측 배출량 , CO2 톤 / 년 )

CO2( 이산화탄소 )

1 연료사용 / 산업공정 가장 광범위…연료전환

CH4( 메탄 )

21 폐기물 / 농업 / 축산 매립지 , 하수처리장 , 축산폐기물 처리장 등

N2O( 아산화질소 )

310 산업공정 / 비료사용로디아 온산공장 , 휴켐스 , 동부한농화학 , 한화화학 , 한국카프로락탐(11,300,000)

HFCs( 수소불화탄소 )

140~11,700반도체 세정용 , 냉매 , 발포제 사용시 배출

울산화학 (1,400,000)

PFCs( 과불화탄소 )

6,500~9,200 반도체 에칭공정삼성전자 , 매그너칩 , 하이닉스 , 동부일렉트로닉 , 페어찰드코리아(4,250,000)

SF6( 육불화황 )

23,900절연용 충진제 LCD 모니터 제조

발전사 변전설비 (20,000,000)

삼성전자 , LG 필립스 , BOE 하이디스(5,382,041)

Page 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으로부터의 기대편익• 프로젝트 승인 요건

- 관련국 정부의 승인- 투자유치국의 지속가능발전에 기여- 실질적이며 , 측정가능하고 , 장기적인 효과 유발- 프로젝트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감축이어야 함

• 선진국의 편익- 저렴한 비용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축 가능

- 개도국에 대한 시장 개척의 기회로 삼을 수 있음 • 개도국의 편익

- 선진국의 자본 및 경영기법 유치- 저탄소형 경제로의 진입에 기여 : EE, RE

- 민간과 공공의 협력 체제 강화- 환경친화적 기술 이전 촉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 강화- 소득 및 고용 창출- 지역 환경 개선

Page 1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2012 이후의 CDM 전망

• 선진국과 개도국의 공동 사업–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에도 기여

• 현재로선 개도국이 온실가스 저감 사업에 참여하는 유일한 메커니즘

• 시장 메커니즘을 이용• CDM 사업의 CER 인정기간이 2012

년 이후까지 지속

Page 1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의 추진방법CDM 사업의 추진방법

Page 1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과 관련된 주요기관• 당사국 총회 (COP/MOP: Conference of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 CDM 사업 관련 최고 의사결정기관

• CDM 집행위원회 (EB: Executive Board) : COP/MOP 의 지침에 따라 CDM 사업을 관리 및 감독

• CDM 사업 운영기구 (DOE: Designated Operational Entity) : CDM 사업 타당성확인 및 배출 감축량 검증

• 국가 CDM 사업 승인기구 (DNA: Designated National Authority) : CDM 사업 승인 정부기관 ( 우리나라는 국무조정실 산업심의관실이 담당 )

Page 1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ERs 이전

미결계좌 (Pending Ac-count)

CER 발급

Non-Annex I

보유계좌 (Holding Ac-count)

Annex I 임시보유계좌

(temporary holding ac-count)

적응기금

Annex I registry

한국 인도 ……

기업A

기업B

CDM 레지스트리

기업A

발행된 CERs 의 2%

Page 1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 추진관련 소요비용 추정

등록등록 모니터링모니터링

CERs 인증(certification)

CERs 인증(certification)

CERs 발행(issuance)CERs 발행(issuance)

사업 개발 / 계획서

작성

사업 개발 / 계획서

작성타당성확인타당성확인 검증

(verification)검증

(verification)

* 타당성확인 보고서 비용 : 15,000-30,000 US$• 등록비용 : 0.1-0.20 US$ /CER

* 사업발굴 , 평가

50,000US$

* 사업계획서 작성비용 : 5,000- 50,000US$

* 모니터링 및 보고서비용 : 6,000 – US$

• 보고서작성비용 :

5,000 – 25,000 US$/ 회

* 개도국 적응비용 : CERs 가치의 2%• CER 판매비용 : CERs 가치의 5-15%

Page 1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추진 소요예상기간절차 내용 소요기간

1. 사업개발 약 6 개월

2. 베이스라인 방법론 승인 - 사업계획서 제출 , 수정- 공개 / 의견수렴- 승인

약 3 개월

3. 타당성확인 - 문서검토 , 관계자 회의-현장방문 , 수정절차- 보고

약 3 개월

4. 정부 승인 - 신청서 제출- 검토 , 승인서 발행

약 2 개월

5. 등록 - 제출 , 수정 , 공개 ,

의견수렴 , 등록약 3 개월

6. 검증 - 검토 , 현장실사- 보고서 , 실적발행 요청

약 3 개월

7. 실적 (CER) 발급

Page 1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현재 CERs 의 판매 및 구입을 위한 하나의 통일된 시장이 없음– 대부분의 CERs 의 매매는 중계업자나 관련

기금 신청 등을 통하여 이루어 지고 있음• 대부분의 CERs 는 선물의 형태로

거래되고 있음– 선물 거래되는 CERs 가 가지고 있는

리스크의 정도에 따라 거래되는 가격이 다름– 장기계약을 하거나 , 거래되는 CERs 의 양이

적을 경우 CERs 의 가격은 낮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음

CDM CER 의 가격 이해하기CDM CER 의 가격 이해하기

Page 1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ER 가격은 계약 조건과 사업진행정도에 따라서 다르며 , 대략 6-15 유로임 Point Carbon따르면 , CER 가격은 EUA 가격의 85-

90% 정도 수준이라고 함

출처 : Point Carbon, CDM & JI Monitor, 20 Sep 06

날짜 거래량(tCO2e)

인도일 가격범위(euro)

조건

8/29 11,500 2007 13-15 판매자가 인도될 CERs 의 양을 보증함

8/24 230,000 2009 8-13 판매자가 인도될 CERs 의 양을 보증하지 않으나 , 구매자는 CERs 을 구매하는 것이 확정됨

8/1 203,152 2009 13-15 판매자는 인도될 CERs 의 양을 보증함

7/18 14,000,000 2009 13-15

CDM CER 의 가격 이해하기CDM CER 의 가격 이해하기

Page 1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EUA 가격 추이 2004: 6.9-13.0 유로 ; 2005 년 5월 , 18.5 유로 ;

2006.4.10, 29.20 유로 ; 2006.5.8, 12.20 유로 ; 2006.10,

13 유로 ; 2007.2, 2 유로

전력회사의 비용전가로

전력 , 배출권 가격 동반 상승

체코 , 에스토니아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5 개국의 `05 년 CO2 배출실적이 배출 허용량 이하로 인한 가격 폭락

출처 : Point Carbon, 2 Feb, CDM Market Europe

Page 1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교토메커니즘 하의 수급 예측• 배출권의 공급 부족 예상 : 연간 2억톤 , 총 10억톤 부족 예상

- CDM 과 JI 에 의한 배출권 공급 연간 4억톤- 교토 의무 이행을 위해 필요한 해외 구매량은 6억톤

Page 2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JI Fund

일본탄소기금 (JCF) 전력회사 등 33 개 회사 참여 , 1억 4천만 $ 조성- 프로젝트개발 초기 비용 부담 , 배출권 구매

세계은행 (World Bank) 기금

대략 5 개정도의 CDM 관련 기금 운영 - Prototype Carbon Fund 가 가장 활발히 진행

Netherlands Clean Development Facility

2002.5 에 네덜란드정부와 세계은행이 운영 - CDM 사업 지원 및 크레딧 구매용으로 설립

Biocarbon Fund 2003.11 에 공식적으로 기금 설립 - 산림 , 농업 및 에코시스템에서의 GHGs 저감 및 격리사업에 자금 조달

네덜란드 정부 2001 년부터 크레딧 구매 중 - ERUPT 프로그램 (ERUs 구매 ), CERUPT(CERs 구매 ) 프로그램 운영중

덴마크 DanishCarbon.dk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크레딧(ERU, AAU, CER) 구매중

세계적으로 30 여개 , 25억 $ 이상의 카본 펀드 운영 중

Page 2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 현황 CDM 사업 현황

Page 2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UNFCCC CDM 홈페이지

Http://cdm.unfccc.int/

Page 2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 추진 현황 (’07.2)• 총 492 개의 CDM 사업이 등록완료 , 72 개의 사업이 등록요청

– 등록된 사업들로부터 연간 740 백만 CERs 이 발행될 것으로 예측됨• 이중 중국에서 발생되는 CERs 이 대략 41.2%(46,500,229CERs) 를

차지– ’07 년 2월 2 일까지 총 29,992,469 CERs 이 발행되었음

• 75 개의 베이스라인 및 모니터링 방법론 ( 개별방법론 38 개 , 통합방법론 10 개 , 조림 및 신규조림 방법론 5 개 , 소규모 CDM 사업 방법론 21 개 , 소규모 조림 및 재조림 CDM 사업 방법론 1 개 )

• 전세계적으로 2,000 개의 CDM 사업이 추진 중에 있음– 우리나라는 총 8 개의 사업 ( 울산 HFC 감축사업 , 온산 N2O 감축사업 , 강원풍력사업 , 영덕 풍력사업 , 시화조력사업 , 동해 태양광사업 , 수자원공사 소수력발전사업 등 ) 이 등록을 완료

– 이외 15 개 이상의 사업들이 CDM 사업을 추진중인 것으로 파악

• 전세계적으로 총 17 개의 DOE 가 지정되었으며 , 이중 2 개가 우리나라에 있음

Page 2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사업자 청정개발체제 심의위원회

주관부처- 해당사업이 청정개발체제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

관련서류를 국무조정실 산업심의관실에 제출

해당사업의 청정개발체제 사업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할 주관부처를 지정하여 통보

검토 결과 보고 및 신청한 온실가스배출감축사업이 CDM사업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심의

주관부처 명의의 승인서를 사업자에게 발급여부를 결정 .

우리나라 CDM 사업 추진 절차

Page 2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우 리 나 라 CDM 사 업 승 인 기구 는 , CDM 사업 국가승인서 발급을 위하여 , 지속가능한 개발의 관점에서 CDM 사업을 평가하고 있음

– 9 개 사업이 국가 승인완료 – 국가승인은 다음의 기준으로 활용하여 검토하고

있음•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 ;• 사업의 시행으로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것 ;• 환경 , 교통 , 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에 의한

환경영향평가의 대상에 해당되는 경우 이를 거칠 것 ;• 기술이전 효과가 있을 것 ;• 관련 국가정책에 배치되지 아니할 것

승인시 검토 내용

Page 2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구 분 설 명 비 고

등록된 CDM 사업의 수(Unilateral projects)

8 개(4 개 )

신재생에너지 : 5 개

No. of CDM projects in the pipeline(Unilateral projects)

12 개(9 개 )

신재생에너지 : 8 개

CDM 사업 운영기구의 수 2 개 에너지관리공단 , 한국품질재단

CDM 컨설팅 회사 5 개 이상

국가 CDM 사업 승인기구 국무조정실 Chaired by Prime Minister

국내의 CDM 추진 현황 (1)

Page 2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국내의 CDM 추진 현황 (2)

현재 8 건이 공식적으로 CDM 사업으로 등록 되었으며 ,

10 여건이 등록을 추진중임

울산화학의 HFC23 소각 사업은 매년 140 만톤의 CER

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기대되며 현재까지 CER 판매로 300억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알려짐

프랑스 로디아 폴리아마이드사의 온산공장에서 진행 중인 N2O 열분해 사업은 연간 915 만톤의 막대한 CER 발생 예상되며 온산공장 프로젝트의 CDM 사업 등록 후 주가가 30%

상승하였고 , 브라질 공장 CDM 등록 후 추가로 5% 상승

Page 2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국내 CDM 사업 등록 현황

등록일 사업명 투자국 예상감축량(tCO2/ 년 )

단 계

05. 3.24

울산 HFC 감축사업 일 본 1,400,000 UN 등록완료

05.11.27

온산 N2O 감축사업 프랑스 9,150,000 UN 등록완료

06. 3.20

강원 풍력 사업 일 본 149,536 UN 등록완료

06 .6. 2

영덕 풍력 사업 일 본 60,071 UN 등록완료

06. 6.16

시화 조력 사업 단독 310,593 UN 등록완료

06. 8.21

동해 태양광 사업 단독 560 UN 등록완료

06.10. 6 수자원공사 소수력 사업 단독 9,689 UN 등록완료

07.1.22

휴켐스 화학내 3 개 질산공장의 tail gas 중

촉매를 활용한 N2O 감축사업단독 1,268,310 UN 등록완료

합 계 12,348,759  

Page 2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지구온난화

아르헨티나 남부 업살라 빙하 ( 위쪽 ) 의 일부가 녹아 70 여년 만에 호수 ( 아래 ) 로 바뀌었다 .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고슴도치의 가시가 보들보들 해진다 ?!

Page 3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킬리만자로의 만년설이 녹다 .

Page 3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태양복사에너지 중 일부 적외선 복사에너지가 대기 중 증가된 온실가스에 의해 흡수되어 대기지면의 온도를 상승• 현재 연간 2PPM 의 CO2 농도 상승 중이며 2035 년의 경우 2~3 ℃ 상승

• 경제적 피해

- 세계 GDP 의 5~20%

• 기상이변

- 매년 1.7억명 해안지역 홍수로 피해

• 물 부족

- 남유럽에서 10 년 주기 심각 한 가뭄발생 - 10억~40억 인구 물 부족

• 생태계 파괴

- 20-50% 생물멸종 위기 - 북극곰 등 북극지방 생물멸종

• 질병 및 기아

- 6천만명 말라리아 노출 - 100 만명~300 만명 영양 실조로 사망

기후변화협약 체결(1992)

•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원칙 - 1990 년 수준 유지

• 선진국의 개도국 기술이전 촉진

• 사전예방적 접근

* Stern Review <2006.10> 참조

지구온난화

Page 3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가스종류지구온난화지수 (GWP)

주요배출원 특성

CO2 1 연료사용 / 산업공장에너지절약 ,

에너지대체사업

CH4 21 폐기물 / 농업 / 축산발생원 광범위 ,

포집 어려움

N2O 310 산업공정 / 비료사용발생원 광범위 ,

포집 어려움

HFCs 140~11,700반도체 세정용 ,

냉매 , 발포제사용발생원 명확 ,

빠른 증가세

PFCs 6,500~9,200 반도체 제조 시화학적으로 안정 ,

분해가 어려움

SF6 23,900LCD, 반도체 공정 ,

자동차생산공정화학적으로 안정 ,

분해가 어려움

※ GWP : Global Warming Potential

지구온난화

Page 3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협약이행을 위한 실행방안 합의 * 선진국의 구체적 감축목표 설정 (90 년 대비 -5.2% 감축 )

- 교토메카니즘 채택 (CDM, JI, ET)

• 구체적 이행방안 최종 합의 - CDM 방식 및 절차 - 배출권 거래 규칙 및 지침 - 의무준수체계 절차

• 러시아의 비준으로 발효요건 충족

• 미국 , 불참

교 토 의 정 서

채 택(1997)

교 토 의 정 서

발 효(2005)

마 라 케 쉬

합 의(2001)

기 후 변 화 협 약

발 효(1994)

기 후 변 화

협 약 체 결(1992)

기후변화협약

• 한국 1993 년 비준 , • 2004 년 기준 188 개국

가입

• 대기 중 온실가스의 농도를 안정화 시키는 목적으로 협약 체결

Page 3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Annex I

Non-Annex I

Annex I배출권거래

CDM

CDM

JI

ET

교토메카니즘교토메카니즘

투자구매기술감축분 (CER) 투자구매기술

감축분 (CER)

교토 메카니즘

Page 3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선진국이 개도국에 투자하여 취득한 감축분을 선진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선진국간의 투자 및 감축분 인정하는 제도

선진국간 배출허용량을 서로 사고 팔아 자국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Joint Implement (JI) Emission Trading (ET)

선진국 A

선진국B

배출권 현금

배출권

할당

감축비용

감소

선진국 A

선진국B

투자

배출권(ERU)

감축비용 감소

선진국 개도국

투자 또는 구매

배출권(CER)

감축비용 감소개도국 지원

개요

목적

개념도

구분

• 비용효과적 의무이행 및 감축

• 개도국 기술이전 및 재정 지원 효과

• 비용효과적 의무이행 및 감축

• 선진국간 기술이전 및 재정 지원 효과

• 비용효과적 의무이행• 개도국 기술이전 및 재정 지원 효과

교토 메카니즘

※ CER :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Page 3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교토의정서 발효로 선진국은 2008 년부터 감축의무 이행에 들어가는 한편 , 2013 년부터 시작되는 제 2 차 의무 이행기간에 대한 협상이 진행 중

2005 년 2008 년 2013 년 2017 년 1 차 의무이행기간(Kyoto 체제 )

2 차 의무이행기간(Post-Kyoto 체제 )

2 차 의무기간 감축방안 협상

선진국 감축개시 (-5.2%)

감축대상 ?

Post-Kyoto 체제 전망

13 차기후변화총회

주요쟁점

개도국 참여

• EU : 전세계 온실가스 24% 를 배출하는 미국참여 필수• 미국 : Post-2012 기후변화체제 참여 확정 (2009 년 COP15

차 )• 호주 : 참여 발표

• 중국 , 인도 , 브라질 등 개도국을 Post-2012 기후변화 체제 참여

시키기 위한 협상의 틀 마련

미국 , 호주 참여

개도국 지원• 적응기금 운영체제 마련 , 기술이전에 대한 재정지원 검토 , 산림보전 및 전용방지에 대한 지원체계 마련

출처 : 발리 기후변화총회 결과 및 대응방안 ( 환경부 , 2007. 12. 17)

Page 3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정부 정책 최근 동향

“ 기후변화 대응 新국가전략”을 수립 , 발표

- 대통령주재 국가에너지위원회 2 차회의 , 8/22

세계 10 위의 CO2 배출규모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가 ,

긴박하게 진전되고 있는 세계 기후변화 대응 논의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

이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활용

탄소시장메커니즘을 활용한 국내 배출권거래시장 활성화와

세계 CDM 시장에의 진출 등 새로운 감축동력을 제시

1

Page 3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정부 정책 최근 동향

구 분 현 재 2012 증가율 (%)

국내 감축실적 거래 56 144 158

국제시장 진출 1,442 

4,343 

201

계 1,498 

4,487 

200

전세계 시장 16,424 36,820 142

출처 :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인용 (8/22/07)※ 전세계 시장은 감축사업을 통한 시장 (Project based market) 으로만 한정함

(단위 : 억원 )< 탄소시장 전망>

정부 인센티브 지원 , 감축실적 수요창출 등을 통해 국내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해외시장에 적극 진출함으로써 , 2012 년까지 국내 탄소시장 규모를

4,487억원으로 확대

2

출처 : 환경부 업무보고자료 (2008 년 환경정책 실천계획 ) 인용 (3/21/08)

1 조원 규모의 국내탄소시장 조성

: 국내탄소시장 규모 (2007 년 현재 1400억원 -> 2012 년 10,000억원 ) 실천목표 및 실천계획 발표

3

Page 3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26% 를 차지하는 발전사는 배출권 확보 및 신규수익 창출을 위한 CDM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 중 (현재 총 7 개 사업 )

CarbonManage-mentSystem

CDM 사업

주관조직• 발전사 별 추진 ( 동서발전 : 환경화학팀 , 기타 4 개사 : 건설처 )

• 전력연구원 ( 자문 및 연구지원 )

• 사별 배출량산정 시스템 구축 중

제 3 자 검증(‘08)

배출권거래제(‘09)

• 외부기관 배출량 검증

• 발전사간 모의거래 실시

배출량산정(’07)

구분 사업내역감축량

(천 CO2톤 /yr)

단계

중부발전 • 양양 소수력 및 풍력 발전 8.6 UN 등록완료

남동발전 • 영흥 / 삼천포 소수력 발전 21 배출권거래 중

동서발전 • 동해 태양광 발전 0.6 배출권거래 완료

남부발전 • 제주 한경 / 성산 풍력발전 50 UN 등록완료

공기업 / 대기업 추진 동향 – 발전사

Page 4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환경에너지실 ( 본사 총괄 ), 환경에너지부 ( 공장 ), 에너지전략그룹 (CDM 사업 추진 )

• 포스코 경영연구소 ( 연구 및 자문지원 )

• 공정단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스템

Project Management

Strategy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10% 를 차지하고 있는 POSCO 는 환경에너지실 주관으로 전사 차원의 Carbon Management 체계를 구축운영 중이며 신규수익 창출을 위한 CDM 사업을 에너지전략그룹에서 추진 중

CarbonManage-mentSystem(’06.1 가동 )

• 저감사업 실적등록 시스템

• 저감잠재성을 고려한 의사결정시스템

CDM 사업

• 광양 수어댐 소수력발전 (2007.5월 발전설비 준공 ) - 300KW 2 기 , 4,835MWh 전력 생산• 강원도 횡성 풍력발전 (2007. 6월 상업생산 예정 ) - 사업계획서 작성 중 , 61MW 1 기• 광양 제철소 내 부생가스 회수 발전- 온실가스 감축량 2,934 ton CO2e/yr- 사업계획서 완료 및 타당성 평가 진행 중 • 포항 2열연 가열로 세라믹화이버 단열 CDM 프로젝트- Strip Casting CDM 프로젝트 진행중

주관조직

공기업 / 대기업 추진 동향 – POSCO

Page 4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기후변화협약 대응 TFT 를 조직하여 사내 배출권 거래제 구축 및 신규수익 창출을 위한 CDM 사업 추진 중

CarbonManage-mentSystem

CDM 사업

주관조직• CEO 직속 산하 기후변화 대응 TFT 조직 - 상근 3명+ 사업장 120명

• LG 안전환경협의회 (13 개사 ) 에서 그룹차원 협의

• 배출량산정 및 거래 시스템 구축 중 ( 국내 11 개 사업장 )

시범거래(‘08)

배출권거래전사확산 (‘09)

• 시범거래 실시 • 성과평가 반영

• 해외사업장 포함

배출권거래기반구축 (’07)

• 나주 공장 연료전환 CDM 사업 - 온실가스 감축량 9,375 ton CO2e/yr

- 2007 년 10월 현재 UN 등록을 위한 타당성확인 절차 진행 중

• 해외 CDM 사업 투자 검토 중

공기업 / 대기업 추진 동향 – LG 화학

Page 4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 등록 현황

2008 년 3월 25 일 현재 약 972 사업이 등록 되었음 .

약 187 개 (2008.3.25) 사업이 등록 요청 중이며 , 등록 사업 증가 .

현재 신재생 에너지 및 페기물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 .

그외 : 대체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분야 등

신재생 에너지 28%

폐기물

30%

산업 공정 3%

기타

39%

등록 CDM 분야 분포도 등록 CDM 현황

2004 2005 2006

250명 350명 500명

2008.3

621

324

972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Page 4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DM 사업 등록 국가 현황

CDM 사업 등록 국가 및 분야 현황

CDM 사업 등록 사업 분야

10%Host Country

33.6%

13.06%

10.47%

17.51%

2.69%

2.28%

20% 30% 40%

1.76%

17.41%

인도

브라질

멕시코

중국

말레이시아

칠레

한국

기타

2008.3 UNFCCC 등록 현황

Page 4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 승인방법론 유무• 국제 법적 규제 (CDM EB 결정사

항 )• 국가별 규제사항 및 환경영향성

• 투자사업비• 사업분야 , 규모• 온실가스 저감량• 수익구도 ( 배출권 , 전력판매

등 ) 접근성

• 온실가스 저감기술• 대상사업 유관분야 여부

수익성

사업 타당성

CDM 사업분야 선정 시 검토사항

Page 4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추진 절차별 주요 내용 (1)추진 절차별 주요 내용 (1)

• 초기 타당성 평가

• 적용가능한 등록된 방법론의 유무

• 관련 기구나 법규의 만족 여부

•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기초데이터 수집

• 사업계획서 작성 기준 숙지

• 사업계획서 작성

•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는 주내용을 담은 승인서 발급

• 관련주관부처의 검토 및 자문회의

• DOE 기관에 의해 타당성 평가

• 등록 심사는 CDM EB 에 의해 수행

• 등록 심사 ( 일반 사업 ;8 주 , 소규모 ;4 주 )

CDM 프로젝트 계획

사업계획서 작성

참여당사국 승인

타당성 평가 및 등록

1

2

3

4

Page 4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추진 절차별 주요 내용 (2)추진 절차별 주요 내용 (2)

모니터링

검증 / 인증

CERs 발행

CERs 거래

5

6

7

8

• 모니터링 계획에 의거하여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

• 데이터 관리 및 보관

• 모니터링에 의한 모니터링 보고서의 수준 평가 및 검증

• 최종 배출량 인증서 발행

• 인증서 발행기관 : 해당 DOE

• CDM 집행위원회에서 인증된 배출량을 발행

• 발행된 CERs 의 2% 는 개도국 지원지금으로 공제

• 등록에 관련된 행정비용 지급

• 사업자간 직접거래

• 옥션방식 거래 등

• 거래를 통한 수익 창출

Page 4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분야 사업 예시 주요활동기업

신재생에너지 풍력 , 태양광 , 지열 , 조력발전 , 바이오매스 , 폐가스 및 폐열 회수 / 발전

• 발전사• 에너지다소비 기업

에너지 효율개선 스팀효율 개선 , 펌프효율개선 , 지역난방 보일러 개선 • 에너지다소비 기업

연료 교체 석탄 , 석유를 LNG 로 교체 • 에너지다소비 기업

폐기물 처리 유기성 폐기물로부터의 메탄 회수( 매립폐기물 , 폐수 처리 , 폐수 슬러지 등 )

• 매립장 운영기업• 지자체

화석연료 채굴 유전 가스 회수 , Flare 감소 , 탄광 메탄 회수 • 정유사 / 석탄기업

산업공정 질산 N2O 제거 , 반도체 공정 HFCs/PFCs 제거 , SF6 제거• 비료생산 기업• 반도체 기업 / 발전사

시멘트 제조공정화석연료 대체 , 에너지 효율 향상 , 폐열 회수 / 발전 공정 CO2 배출 저감

• 시멘트 공장

수송 경유차량 LNG 전환 , 교통체계 전환 • 지자체 / 운송회사

농업 가축분뇨 처리 • 축산기업 , 지자체

흡수원 신규조림 및 재조림 • 제지회사

CDM 사업분야

Page 4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STEP 4. 상례 분석

STEP 5. 사업의 추가성 입증

STEP 1. 대안 설정

STEP 2. 투자 분석 STEP 3. 장벽 분석

경제적으로 다른 대안 보다 경제성이 없다는 부분을 입증 ( 탄소 수익 제외 )

제안된 사업에 대한 대안 규명 : 제안된 사업이 시행되지 않았을 경우에 합법적인 대한 증명

사업 장벽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 ( 경제적 , 기술적 , 사회적 장벽 등 )

관련된 프로젝트 형태에 대한 현재 시장 분석

추가성 검증툴추가성 검증툴

Page 4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유효기간 (Crediting Period) 개념 및 유형유효기간 (Crediting Period) 개념 및 유형

CERs 의 발행 유효기간은 해당 CDM 프로젝트의 등록일 이후부터 인정

CERs 의 총 발행 유효기간은 해당 CDM 프로젝트 참여자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선택가능

- 갱신 또는 연장 없이 최대 10 년 , 또는

- 한번의 유효기간이 최대 7 년인 2 회 갱신 가능

- 갱신 시 DOE 가 원래 프로젝트 베이스라인이 여전히 타당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된 사실을 확인하여 EB 에 통보하여야 함

- 갱신 시 베이스라인이 변경될 수 있음

Page 5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본 사업 관련 CDM 적용성본 사업 관련 CDM 적용성

2000 년도 이전에 교체한 사업장은 CDM 사업 불가

최근 규정이 더욱더 까다로워져 , 되도록 최근 연료교체 한 사업장이 유리

연료 교체 시 CDM 사업을 심각하게 고려했다는 증거물이 있어야 함

1. CDM 중요 규정 두가지

석탄이나 석유에서 천연가스로의 전환 사업 활동에 적용 가능

연료 교체 전에 화석 연료 사용했던 시설에 법적 규제가 묶여 있지 않았을 것

연료 교체 후에 사용되는 천연가스의 사용이 규정상 필수 사항이 아닐 것

CDM 인증기간 동안 공정의 수명이나 열 생산 용량이 증가되지 말아야 할 것

2. 관련 방법론상의 적용성

Page 5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본 사업 관련 CDM 적용성 본 사업 관련 CDM 적용성

법적 고려 : 환경 규제 등으로 인해 연료교체가 이루어지면 CDM 사업 불가

경제성이 없어야 CDM 사업 가능

국내에서 도시가스 교체 사업이 상용화 되어 있지 않아야 함

3. 추가성으로 보는 적용성

4. 저감량 계산 ( 대규모방법론 적용시

베이스라인배출량

프로젝트 배출량

누출배출저감량 = - -벙커 C 유 혹은 경유등 연료 교체 사용한 화석연료에 대한 배출량계산

LNG 사용으로 인핸 배출량 계산

LNG 생산 , 이동 및 분배를 통해 배출되는 CH4 배출량

저감된 배출량

Page 5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본 사업 관련 CDM 적용성본 사업 관련 CDM 적용성

4. 모니터링 방법론상의 적용성

구분 Data 범위 방법

주기비율

보관법 보관기간

비고

도시가스 사용량(= 공급량 )

y 년 동안

기본설비

i 에서 소비된

천연가스 (㎥ )

측정

수시100%

전자시스템

사업 수명

기본공정 i 에서 운전패턴에 따라

모니터 됨 ( 예를 들어 정상시 , 작동

시 , 휴일 등 )

각 공정에 대해 모니터 될 것 .

천연가스 구입 기록으로 확인될 것 .

설비 효율

기본설비 i 에서

사용된

천연가스의

연소효율 (%)

측정

매달100%

전자시스템

사업수명

1) 에 의거해 각 공정 i 에 대해 결정될 것 .

효율 계산 = 열 ( 전기 ) 생산량 / ( 연료의 발열량 * 도시가스 사용량 ) - 열생산량 : 수시 측정 , 전자시스템 보관 , 판매기록 확인 - 연료의 발열량 : 국내외 공식 자료 사용 가능

Page 5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제도의 이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초과 달성한 A 참여자가 잉여분을 목표에 미달한 다른 참여자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시장 경제를 통한 비용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평가

교토의정서 17 조에서 국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채택

정의

특징

Annex I선진국

Non-Annex I

개도국CDM CDM

JI

ETAnnex I

선진국

감축분 (ERU)

배출혀용량 거래(AAU, EUA 등 )

감축분 (CER) 감축분 (CER)

투자 , 구매 , 기술 투자 , 구매 , 기술

Page 5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54

배출권 거래 개념도

직접규제시 총 저감비용 배출권 거래시 총 저감비용

A 20t * 100$/t 2,000$ A 10t * 100$/t + 800$

1,800$

B 20t * 70$/t 1,400$ B 30t * 70$/t - 800$

1,300$

TOTAL 3,400$ TOTAL 3,100$

총 40 Ton 저감

COMPANY A COMPANY B

저감비용 1 톤당 100$ 1 톤당 70$

매매비용 1 톤당 80$

COMPANY A COMPANY B

직접규제시

CO2 배출량 100 80 100 80 COMPANY A COMPANY

B

배출권 거래시

CO2 배출량 100 90 100 70

Page 5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제의 장점

비용최소화

배출총량 설정을 통한 직접적인 통제를 통해 정부의 환경목표

달성과 동시에 개별오염원은 자율적인 시장거래를 통해

비용효과적 (cost-effective) 으로 목표 달성

환경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비용이 다수 오염원 ( 거래 참여자 )

에 의해 분담

자산으로서의 배출권 배출권을 사고 팔수 있는 신규 자산으로 활용가능

기술투자결정 기준 배출권 가격을 통해 기업의 CO2 저감 기술투자결정에 대한 기준 제공

기술혁신 유인 선진 저감기술 도입 및 장기적으로 환경관련 기술혁신에 대한 유인 제공

규제기관의 역할 축소 ⇔ 직접규제 (Command & Control)규제기관의 시장개입 없이 , 개별 오염원의 자유로운 시장거래에 의해 목표 달성 가능

Page 5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전체 배출권 (CER) 발생량

국가CERs

(tonCO2)

India37,837,923(29

%)

China37,450,234(29

%)

Korea22,933,868(18

%)

Brazil18,827,224(14

%)

Issued CERs by host country (2008. 3. 20)

Page 5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국내 배출권 발생량 (UN 등록기준 )

프로젝트 명 CERs (tonCO2/yr) UN 등록일자

울산화학 HFC 1,400,000 2005. 3. 24

온산 N2O 저감 9,150,000 2005. 11. 27

강원풍력 149,536 2006. 3. 20

영덕풍력 60,071 2006. 1. 2

수자원공사 시화조력 315,440 2006. 6. 18

동서발전 동해태양광 565 2006. 8. 21

수자원공사 소수력 9,689 2006. 9. 6

휴켐스 N2O 분해 1,268,310 2007. 1. 22

수자원공사 소수력 II 8,697 2007. 2. 9

양양신재생에너지 (풍력 , 소수력 ) 8,620 2007. 2. 10

남동발전 삼천포 , 영흥 발전 21,189 2007. 3. 23

강남지역난방공사 연료교체 34,703 2007. 4. 2

수도권매립지 1,210,342 2007. 4. 30

한화 N2O 공장 281,272 2007. 3. 3

대구 매립가스 404,872 2007. 8. 19

한경 2 기 소규모 풍력발전 28,898 2007.10.17

방아머리 풍력발전 4,013 2007.11.06

Page 5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량

출처 : Stare and trends of the carbon market 2007,

World Bank

<Project-based 배출감축분의 연간 거래량 >

출처 : World Bank, 2007

구분 거래시장2005 년 2006 년

거래량 금액 거래량 금액

허용권 거래시장

(Allowance)

유럽 (EU ETS)

321 7,908 1,101 24,357

호주 (NSW) 6 59 20 225

미국 (CCX) 1 3 10 38

영국 (UK-ETS)

0 1 - -

프로젝트 거래 시장(Credit)

CDM 351 2,638 475 5,257

JI 11 68 16 141

기타 20 187 17 79

총계 710 10,864 1,639 30,098

< 시장별 탄소배출권 거래량 >

(단위 : MCO2ton, M$)

Page 5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방식

거래방식

• 장내거래 ( 거래소 )

• 장외거래 (1:1 중개거래 )

비교

거래방식 거래소 1:1 중개거래

장 점

세계 각국의 다양한 바이어를 통한 입찰경쟁

온라인거래의 편리성거래의 투명성 확보다양한 거래방식 (Auction/Spot)저렴한 거래 수수료

유동적 거래 방식 개별접촉 합의에 의한 거래진행 (흥정 ) 구매자 정보 미리 파악 가능

단 점흥정 불가능구매자와의 개별접촉 어려움

구매자별 요구사항 제공수수료 ( 표준화 되지 않음 )

-> 거래소에 비해 상대적 높음과다한 시간소요

Page 6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방식

2007 년 1월 현재 EUA 거래소 시장 점유율

※ OTC (Over The Counter ; 장외시장 ) EEX (European Energy Exchange) EXAA (Energy Exchange Austria)

49%

장외거래51%

거래소

Page 6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소

전 세계 10 여개 이상의 탄소시장에서 배출권 거래중

Page 6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소 (ECX)

구분 내용

거래상품 EUA spot, future, option, swap

거래규모 2006 년 450백만톤 , 9억 유로

거래방식 연속거래 , Web 기반 전자 플랫폼

거래단위 1000 ton CO2e

거래보증영국계 파생상품 전문 거래중개 회사인LHC. Clearnet 보증

참여자BP, Morgan Stanley 등 76 개 선진기업청산회원을 통한 간접 참여 기업 다수

• 2005 년 Climate Change Plc group of companies 가 설립한 세계 최대의 EU-ETS 배출허용량 (EUA) 거래소

• EUA 거래물량 중 43%, 거래소 거래물량 중 82% 가 ECX 를 통해 거래됨

type 부과 내용 수입 추정

거래€0.002/ton( 회원 ) /€0.0025ton( 비회원 ) 2006 년간

2.7백만 Euro 의거래 , 청산 , 인도수수료 수입 예상(32억원 )

청산 €0.002/ton

인도 €0.002/ton

회원€2,500( 가입 ), €2,500/yr( 연회비 )

※ ECX (European Climate Ex-change)

개요

수익

Page 6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소 (CCX)

구분 내용

거래상품 CFI( 배출허용량 ) spot, forward

거래규모 2006 년 약 11백만톤 , 36백만 $

거래방식 연속거래 , Web 기반 전자 플랫폼

거래단위 100 ton CO2e

거래보증 CCX 자체 시스템

참여자Dupon, IBM 등 61 개 의무할당 기관 ,

120 여 개의 단순참여자 ( 감축분 공급 , 거래 )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의 기업 , 지방자치정부 등이 참여하여 2003 년 설립한 온실가스 거래소

•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프로그램인 CCX 프로그램의 일부임 .

• 참여자들은 자신의 의무이행을 위해 배출허용량과 브라질로부터의 프로젝트 감축분 (offset)을 사고 팔 수 있음 .

• 2006 년 거래물량에 ECX 의 거래수수료를 적용할 경우 약 8천만원의 수수료 수입 예상

※ CCX (Chicago Climate Exchange)

개요

수익

Page 6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2007 년 2월 CFI 거래 현황 ( 가격 US$/t, 물량 ton)

구분 내용

지리적 범위 미국 , 개나다 , 멕시코 , 브라질 및 세계각지

기준년도 1998 년 ~2001 년 연 평균 배출량

감축목표2003 년부터 기준년도 배출량 대비 1%씩 감축2004 2%, 2005 3%, 2006 4% ~

대상가스 CO2, CH4, N2O, PFCs, HFCs, SF6

감축분 분야 매립가스 , 농업 메탄 회수 , 산림 , 토양 흡수

* 자발적 프로그램 개요

배출권 거래소 (CCX)

Page 6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구분 내용

거래상품 CER Future

거래규모 2.2백만톤 , 2백만 유로

거래방식 상향식 경매 , Web 기반 , 월 2 회

거래단위 1 ton CO2e

거래보증 ACX 자체 보증 (청산 및 인도 )

참여자CDM 개발기관 및 CER 구매기관 다수

• 2005 년 ACG 가 CDM 시장을 세계탄소시장과 연결하는 것 을 목적으로 세운 세계 최초의 CER 거래소

• 상향식 경매방식으로 판매자가 희망가격 / 물량을 제시하면 제한된 시간 내에 구매자가 bidding 하여 낙찰

type 부과 내용 수입 추정

거래백만톤 이하 2%

백만톤 초과 1% 2005.11~2006.810 개월 동안 약 2백만 Euro 의거래수수료 수입(24억 )

회원€1,000/yr ( 구매자에게만 부과 )

프로젝트등록비

년 1~4 개 € 500/PJT

년 5~9 개 € 450/PJT

년 10 개 ~ €350/PJT

ACX CER 거래 현황 (2005. 11 ~ 2006. 8)

※ ACX (Asia Carbon Exchange)

개요

수익

배출권 거래소 (ACX)

Page 6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거래소 (ACX)

전세계적으로 10 개국의 15 개 법인을 소유하고 있음 (싱가폴 , 네덜란드 , 중국 , 말레이지아 , 스리랑카 , 오스트리아 , 인도 , 버진아일랜드 , 일본 , 한국 등 )

Page 6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경매라운드최대2회

판매자 회원 가입

경매참여

프로젝트 정보확인

구매자 입찰 판매자 검토

판매자 수락

ACX 거래성사

경매종료 /ERPA 작성

구매자 회원 가입

프로젝트 정보 제출

가격 , 물량 , 빈티지 제출

NO

YES

※ ERPA (Emission Reductions Purchase Agreement)

구조 거래절차

배출권 거래소 (ACX)

Page 6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유형 내용 주요기업 비고

Investor & Developer

• CDM 개발 , 운영• CDM 사업 투자 ( 지분참여 )

Ineos Fluor, Ecosecurities

• 당사경험 활용가능• 배출원 선점 필요

Exchange • CER 및 배출권 거래소 운영ECX, Nord Pool,CCX, ACX, CLIMEX

• 운영자격 제한가능성• CER 매매 및 정보채널 로서 활용

Brokerage & Consulting

• CDM컨설팅 및 CER 거래 중개CO2e, ICF

• 전략적 제휴 등 파트너십 구축필요

Carbon Fund

• 자금 풀을 형성 , PJT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한 투자리스크 분산

KfW Carbon Fund,ECF, JCF

• 리스크 분산 및 자금 조달원으로 활용

Trader • CER 구매 후 재판매 Natsource• CER 거래채널 활용• 중장기적 진출고려

사업개발에서 배출권 거래를 통한 수익실현까지 투자자 , 개발자 , 거래소 , 브로커 , 컨설팅 , 펀드 등 다양한 Player 들이 탄소시장에서 활동 중

Carbon Market Player

Page 6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거래전략 구성요소

전략구성요소

Product

Price

Place

• 선도 / 선물거래 (VER), 옵션

현물거래 (CER)

• 고정가 , 변동가 (EUA가격 )

• 거래채널 구성 (직접 , 중개 , 거래소 )

• CER performance risk• 만기 고려

• 기후변화 협상 전망• EU-ETS 시장 전망

• 수수료 , 거래 네트워크 구축

• 판매 규모

방법 고려사항

Promo-tion

• 프로젝트 홍보 • 판매 네트워크 형성

• 판매 시점 , 대상• 수단

4P's

Page 7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Forward

Put op-tion

Zero cost collar

Spot

• 미래의 일정한 시점에 계약된 가격으로 판매

• 미래의 일정한 시점에 CER 을 특정한 행사가격으로 매각할 수 있는 권리 확보

• 미래 매각 가격의 상하한선을 정하여 추가 이익을 포기하는 대신 하한선 이하의 가격 하락 리스크 회피

• Issued CER 을 판매

시사점

• 등록 및 모니터링 이전 현금회수 (VER, CER)

• 파생거래를 통한 가격

리스크 헷지

상품 유형 개요

Develop-ment

Registra-tion

Monitoring

VER CER Issued CER

UN 등록 이전 단계의 감축예상분

UN 등록 리스크

수량 / 가격 리스크

UN 등록 완료된 감축예상분

수량 / 가격 리스크

모니터링 인증 감축분

가격 리스크

상품거래 형태

상품분류 (VERs, CERs, Issued CERs)

상품형태에 따라 UN 등록 , 수량 및 가격 리스크 정도 변경

프로젝트의 성격과 사업자의 현금회수 전략에 따라 거래 상품 형태를 결정

온실가스 감축분은 수량의 인도나 가격 변동과 관련한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선도 / 선물 , 옵션 , 현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거래되고 있음 .

거래 형태별 개요 및 시사점

Product

거래전략 구성요소

Page 7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Price

시장 가격 동향

출처 : World Bank 2006, State and trend of Car-bon market

• 2006 년 기준 VER 은 4~8 US$, CER 은 5~24 US$ 범위에서 거래되고 있음 .

•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수량 , 가격 리스크 부담 정도에 따라 가격대 차이 발생

CER Pricing

Fixed price/Fixed volume

• 판매자 수량 위험 부담• 구매자 선호

Fixed price/variable vol-ume

• 판매자의 수량위험 부담 없는 안정적 수입

• 구매자 비선호

Index price/Fixed volume

• 판매자 가격 리스크 부담• EU ETS 구매자 선호 (EUA

가격연동 방식 )Indexed price/variable vol-ume

• 판매자의 수량 리스크 회피 목적• 파생상품을 활용하여 리스크

회피

# 2005~2006 년 프로젝트 감축분 가격 동향

CER Price

Risk taken by buyer  €2-8

Risk taken by seller  €6-10

Issued CER  €8-12

출처 : ECX, EcoSecurities

위험 부담에 따른 가격 조건

거래전략 구성요소

Page 7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Place

거래 채널

• 직접 계약 , Brokerage 중개 , 거래소• 대부분의 거래가 중개 또는 거래소

• 거래소는 2005 년 11월 싱가폴 기반의 Asia Car-bon Exchange 의 온라인 경매 거래소가 운영을 시작한 이래 현재 유럽의 CLIMEX, CantorCO2 등 3 개 경매소가 운영중

거래채널별 특성 및 시사점

직접계약

중개

거래소

• 거래상대 직접 탐색• 인도 /청산 안전성

확보 필요• 거래 네트워크을 보유한 Brokerage 활용 • 수수료 비용 부담

• 탐색비용 절감• 번들링을 통한 소규모

거래 • 다소 낮은 가격대 형성

• 초기 Bro-kerage

활용

• 다양한 구매자의

거래소 활용

시사점

거래소 사례 : Asia Carbon Exchange(ACX)

ACX CER 거래 현황 (2005. 11 ~ 2006. 8)

• 거래 상품 : CER, VER• 거래 규모 : 2006 년 약 300 만톤• 거래 방식 : web 기반 상향식 경매 , 상향식 경매방식으로 판매자가 희망가격과 물량을 제시하면 , 2 시간 동안 상향식 bidding 이 이루어지고 , 구매자 제시 가격 에 도달하거나 구매자가 수락할 경우 자동 종료

거래전략 구성요소

Page 7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Promotion

• 거래 상품의 형태에 따라 프로모션의 시기를 결정하고 각종 Carbon Market Fair 참여 및 Brokerage 를 통해 대상 구매자 풀을 확보한 후 거래 계약을 추진 .

• CDM 등록위험 지원 및 사전 물량을 국내 투자자에게 매도 추진 .

시기

수단

• VER : 사업 투자자 확보 단계 및 타당성 조사 완료 시점

• CER : UN 등록 완료 시점• Issued CER : 발행 이후

• Carbon EXPO ( 독일 쾰른 , International Emission Trad-ing Association)

• Carbon Asia ((International Emission Trading Association) • Energy EXPO( 산업자원부 )• Carbon Market Fair( 국내외 다수 ) 등

기대 효과

• 다양한 구매 대상자 확보 • 판매 상품 홍보를 통한 안정적 사업 이미지 제고 • 다양한 거래자들과의 접촉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기회 제고

거래전략 구성요소

Page 74: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Development Registration Monitoring

VER CER Issued CER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 Put option 거래 가능 상품으로 가격 하한선을 기반으로 상품 매매

• 국제거래 가능 VER 로의 전환 • Fixed price/ variable volume안정적 수입 확보

• 가격 VER Max: 9 euroVoluntary VER : 6~9 euro

• 직접 , 중개 , 거래소의 다양한

채널 확보를 통해 다양한 거래 조건 마련

• 사업 개발 단계에 프로젝트 PIN 또는 저감량산정 방법 모집후 구매자 모집

Low Risk

High & Safe Condition

• Forward 거래 가능 상품으로 미래 가격시점으로 상품 매매

• Delivery Risk 존재

• Fixed price/ variable vol-ume

• 가격 CER Max : 10~15 euro

• Spot 거래 가능 상품으로 현물로서안정적 거래 가능 상품 매매

• 시장 변동으로 인한 가격 리스크 존재

• Fixed price/ Variable Vol-ume

• 가격 CER Max: 16~19 euro

• CDM 등록 완료 시점 이후 안정적 사업으로서 외부 홍보

• CER 현물 발행 시점으로 빠른 시일내 CER 수급 원하는 구매자 대상 홍보

• 직접 , 중개 , 거래소의 다양한 채널 확보를 통해 다양한 거래 조건 마련

• 직접 , 중개 , 거래소의 다양한 채널 확보를 통해 다양한 거래 조건 마련

4P’s MIX

거래 포트폴리오

Page 75: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가격결정 리스크

TechnologicalRisk

CountryRisk

CounterpartyRisk

OperationalRisk

DeliveryRisk

Carbon Regulatory Risk Project Risk- Construction- Operation 기타 Risk

Page 76: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가격결정 리스크

CER 구 분

Pre-CERs프로젝트가 UNFCCC 에 등록되기 이전에 판매되는 CER 로서 등록 실패리스크 , 모니터링 검증 단계에서 계획대비 실제 발행량이 축소될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 CER

Primary CERsCDM 프로젝트가 UNFCCC 에 등록되어 사업참여자가 모니터링 결과 검증을 거친 후 UNFCCC 로부터 발급받거나 받을 예정으로서 거래 시 물량 인도에 대한 리스크가 남아있는 CERs.

Secondary CERs거래의 표준화 , 신용도 높은 금융기관 및 대규모 에너지산업체 등에 의해 거래조건이 표준화되고 , 거래 물량을 보증 받을 수 있어 물량 인도및 거래 관련 리스크가 제거된 CER

거래리스크 종류에 따른 CERs 분류

리스크부담에 따른 가격범위

출처 : Allen Consulting Group report, 2006

구 분 가격범위

판매자는 물량을 확정하지 않고 판매하며 , 구매자는 판매자의 판매물량을 구매하는 것으로 계약 . 구매자에게 가장 불리 5-7€

판매자는 물량을 확정하지 않고 판매하며 , 구매자는 판매자가 CER 을 이전할 때 구매함 6-13€

판매자는 확정된 물량을 판매하며 , 구매자는 판매자가 CER 을 이전할 때 구매함 13-15€

판매자는 확정된 물량을 판매하며 , 구매자는 판매자가 CER 을 이전할 때 구매하는 것을 보장함 15-19€

Page 77: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가격동향

EUAs

출처 : PointCarbon (2008. 3. 27)

Page 78: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CERs

출처 : PointCarbon (2008. 3. 5) 출처 : Argus (2008. 3)

배출권 가격동향

Page 79: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배출권 가격전망

EU ETS 2단계의 불확실성 ( 국가별 배출권분배 , CER 구입제한 등 ) Post-Kyoto 이행의 불확실성

☞ 일본의 수요 증가( 재무부장관 : 교토의정서 할당량 만족위해 1.2조엔 규모의 배출권 획득 필요 , ‘07. 10. 29)

☞ EU ETS 미이행 패널티 : 40 유로 , 100 유로

☞ EC 의 2 차 국가할당계획 (NAP) 강화 계획

☞ 미국 , 호주의 시장 형성

☞ UN 의 등록심사 엄격

☞ 2 차 국가할당의 2.5% ( 약 5천만톤 ) 잉여 우려 (Ecofys 보고서 : 2 차 할당이 관건임을 명시 )

☞ CDM 프로젝트 등록건수의 폭발적 증가 (908 건 등록 , ’08. 1. 29 기준 )

☞ Annex I 국가의 감축분 유입 허용비율

☞ 산림전용 방지

( 산림악화 방지 및 보존 포함 , 조림재조림 상한선 2 배 상향 조정 )

※ NAP (National Allowance Plans)

Page 80: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판 매 사 례판 매 사 례

Page 81: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소수력발전

TermsheetPIN 작성Brokerage (Buyer)선택

자료 제공(PIN, PDD) ERPA

Trading ContractPreparation

조건협의

☞ 판매자 의향 기준

☞ 거래경험 유무

☞ 유럽 / 아시아권 고려

☞ 구매자 취향

☞ OTC, 거래소

☞ 구매자와 접촉

☞ 자료제공

☞ 요구사항 조율

거래절차

※ PIN (Project Information Note)※ PDD (Project Design Document)

☞ price

☞ volume

☞ vintage

☞ Termsheet, 현장실사 ( 필요시 )

☞ ERPA 체결

- 법률적 검토

- 파생거래 금융신고 ( 한국은행 )

개요

□ 판매자 : 00 공사

□ 구매자 : ABN AMRO Bank N.V., London Branch

□ 거래기간 : 약 2~3 개월

□ 거래량 : 6,782 톤

□ Payment & Delivery (date : ’08. 6. 30)

□ 조건 - delivery guarantee - 미이행시 (seller, buyer)

Page 82: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소수력발전

Page 83: CDM 사업과   배출권  거래사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