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29/ May, 2000 668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29668-674, 2000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의 즉각 골편 복위술 *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응급의학과학교실 ** 조용준·김영옥·송준호·황장회·김성민·안명수·오세문·안무업 ** = Abstract = Immediat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in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Yong Jun Cho, M.D., Young Ock Kim, M.D., Joon Ho Song, M.D., Jang Hoi Hwang, M.D., Sung Min Kim, M.D., Myung Soo Ahn, M.D., Sae Moon Oh, M.D., Moo Eob Ahn,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nd Emergenc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on, Korea bjective :The classic and accepted surgical method of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FCCD) involves total resection of all the contaminated bone and fragments at the fracture site.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is then performed at a later date. However, we have believed that primary repair of these bony defects can be achieved by th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at the time of the initial debridement, and this can be accomplished without danger to patient.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urgical results to asses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also propose the selection criteria of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as a primary procedure in FCCD. Materials and Methods:The authors analyzed the data extracted from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22 of 71 patients with FCCD, who underwent immediate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between April 1993 and October 199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7 month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operation included th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everity,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which presented in hospital within 24 hours of injury. Results:The ages of the patients varied from 4 to 63 years, and there were 20 males and 2 females. Seventeen of 22 patients were fully conscious on admission and the others also had relatively good Glasgow coma scales. Sixteen fractures were located in the frontal area, 9 with involvement of the frontal sinuses, and 6 in the parietal and temporoparietal areas. Of the 22 patients, 8(36.3%) had dural lacerations with 3 of these requiring patching with pericranium, and 12(54.5%) had intracranial hematoma requiring wide craniotomy. The degree of wound contami- nation was also variable. Fifteen patients had relatively clean wounds, while seven(31.8%) had seriously contami- nated wounds with soil, sand, hair, and wood. Only one patient(4.5%) developed infection, and the bone fragments were removed. All wounds healed primarily without pulsatile defect, the skull has remained solid, and no complica- tions have occurred, except the infected case. Conclusion:It is proposed that bone fragments removal for FCC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is not necessary and that primary bone fragments replacement avoids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KEY WORDS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Primary repair·Postoperative infection. O * 이 논문은 1999년 제6차 대한신경손상학회 학술대회에 발표되었음.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68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29::::668-674, 2000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의 즉각 골편 복위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응급의학과학교실**

조용준·김영옥·송준호·황장회·김성민·안명수·오세문·안무업** = Abstract =

Immediat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in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Yong Jun Cho, M.D., Young Ock Kim, M.D., Joon Ho Song, M.D., Jang Hoi Hwang, M.D., Sung Min Kim, M.D., Myung Soo Ahn, M.D.,

Sae Moon Oh, M.D., Moo Eob Ahn,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nd Emergenc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on, Korea

bjective:The classic and accepted surgical method of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FCCD) involves total resection of all the contaminated bone and fragments at the fracture site.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is then performed at a later date. However, we have believed that primary repair of

these bony defects can be achieved by th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at the time of the initial debridement,

and this can be accomplished without danger to patient.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urgical results to

asses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also propose the selection criteria of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as a primary procedure in FCCD.

Materials and Methods:The authors analyzed the data extracted from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22 of 71 patients with FCCD, who underwent immediate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between April

1993 and October 199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7 month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operation included

th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everity,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which presented

in hospital within 24 hours of injury.

Results:The ages of the patients varied from 4 to 63 years, and there were 20 males and 2 females. Seventeen of 22 patients were fully conscious on admission and the others also had relatively good Glasgow coma scales. Sixteen

fractures were located in the frontal area, 9 with involvement of the frontal sinuses, and 6 in the parietal and

temporoparietal areas. Of the 22 patients, 8(36.3%) had dural lacerations with 3 of these requiring patching with

pericranium, and 12(54.5%) had intracranial hematoma requiring wide craniotomy. The degree of wound contami-

nation was also variable. Fifteen patients had relatively clean wounds, while seven(31.8%) had seriously contami-

nated wounds with soil, sand, hair, and wood. Only one patient(4.5%) developed infection, and the bone fragments

were removed. All wounds healed primarily without pulsatile defect, the skull has remained solid, and no complica-

tions have occurred, except the infected case.

Conclusion:It is proposed that bone fragments removal for FCC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is not necessary and that primary bone fragments replacement avoids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KEY WORDS: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Primary repair·Postoperative infection.

OOOO

*이 논문은 1999년 제6차 대한신경손상학회 학술대회에 발표되었음.

Page 2: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조용준 · 김영옥 · 송준호 · 황장회 · 김성민 · 안명수 · 오세문 · 안무업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69

서 론

일반적으로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fracture compo-

und comminuted depressed, F.C.C.D.) 환자에 대한 수술

방법은, 최근 들어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 복위술을 포함한 일

차 복원술(primary repair)에 대한 국내외의 보고1)3)12)19)20)25)

가 있긴 하지만, 일차 복원술에 대한 적응증이 확립되어 있

지 않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골절편을 완전히 제거하고 나중

에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하는 고전적인 방법과 일차 복원술

이 동시에 시행되고 있다.

FCCD 환자에서 나중에 2차 수술을 하였던 주된 이유는

오염된 골편들로 인하여 두개강내 감염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었다5)10)17)18)23). 그러나 1차수술시 골절편을 제

거한 후 나중에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첫째는 대부분의 골절이 안와연(orbital rim)

의 손상이 동반된 전두골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나중에 me-

thyl methacrylate 등으로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할 경우에는

만족할 만한 성형 결과를 얻기 어려우며, 둘째는 성장기의 소

아인 경우에는 결손 부위가 커지거나 변형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셋째로는 전신마취 하에서 2차 수술

을 다시 해야하며,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할 때까지 뇌손상의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1)3)4)11)19)25).

이에 저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

법으로 1차 수술시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 복위술이 시도되

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임상적 분석이나 임상 적응증 제시

등에 대한 학술적 시도가 적어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저

자들이 정한 즉각 복위술의 적응증은 FCCD 환자들 중 두

부손상의 정도가 비교적 심하지 않아 뇌부종 등의 뇌압상승

의 징후가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상후 가능

한 한 빨리 수술을 받을 수 있었던 환자들에 대하여 시행하

였다. 이에 대한 수술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실제로 수술후

수술부위에 감염이 많이 발생하는지의 여부와, 이 수술의

적응증 및 장, 단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4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약 5년 6개월간 본

교실에서 FCCD로 진단되어 수술 받았던 환자는 총 71례

이었다. 이들 환자 중 1차 수술시 골절된 골편을 이용하여

즉각적인 복위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저자들이 규정하였던

적응증으로는, 첫째, 뇌손상의 정도가 비교적 양호하여 심한

뇌부종이나 뇌압상승의 징후가 없으며, 동반된 혈종 등으로

인하여 감압적 두개골 절제술을 시행할 필요가 없는 환자들

을 대상으로 하였고, 둘째, 수상후 최소한 24시간 이내에

본원에서 수술을 받을 수 있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때 수상 부위의 오염정도나 뇌경막의 손상정도는

이 수술의 대상을 결정하는데는 특별히 고려하지 않았다.

이 적응증에 해당되어 본 교실에서 1차 수술시 골절된 골

편으로 즉각 복위술을 시행 받고 최소한 6개월 이상 추적관

찰이 가능하였던 환자는 22례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연

령 및 성별 분포, 수상 원인,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상태 및

수상 부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수술 방법, 수술후 감염

의 발생률 및 합병증의 발생유무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 응급실에서의 기본 처치

응급실에 내원한 FCCD 환자에 대하여 20리터 이상의

멸균 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세척하였으며, 동시에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이어서 지혈을 위하여 압박 붕대로 상처 부위

를 압박하였다. 그러나 이때 상처부위의 이물질이나 골편의

제거 및 상처의 변연절제술은 응급실이 아닌 수술실에서 시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2. 수술 방법

피부 절개는 열상이 광범위하여 이를 통하여 수술이 가능

한 경우에는 열상 부위를 양쪽으로 견인하여 이용하거나 필

요한 경우에는 열상을 위나 아래로 약간 확장하여 수술을

하였다. 함몰 골절의 부위가 광범위하거나 골절부위에 동반

된 두개강내 혈종이 있는 경우에는 주위에 넓은 피판을 새

로 만들어 수술을 하였다. 그러나 안와연이나 전두골 부위

의 골절인 경우에는 bicoronal 피판을 이용하여 수술함으로

써 술후 노출될 흉터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Fig. 1). 이

어서 골절된 골편들과 이물질 등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후

너덜너덜한 피부 조직을 절제하였다.

골절 부위에 두개강내 혈종이 동반된 경우에는 함몰 골절

부위를 포함한 넓은 골판을 이용하여 개두술을 시행하였다

(Fig. 2). 여기서 얻어진 골편들은 철솔로 깨끗이 씻은 후

재위치 시킬 때까지 betadine 용액에 담구어 놓았다.

두개강내 혈종이 동반된 경우에는 혈종을 제거한 후 지혈

을 시행하였고, 뇌경막의 열상이나 결손이 있었던 경우에는

주위를 충분히 세척한 후 직접 봉합을 하거나 두개골막반

이식(pericranial patch graft)으로 결손 부위를 봉합하였다.

전두동의 함몰 골절이 동반된 경우에는 전두동을 개방한

후 점막층을 완전히 제거하고 Bovie로 내벽을 응고시킨 후

근육으로 채웠다.

골절된 골편 조각들은 rongeur등을 이용하여 뾰쪽한 부

위를 완만하게 다듬었다. 이 골편들을 원래 위치에 재위치

Page 3: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의 즉각 골편 복위술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70

시킨 후 철사나 miniplate와 나사못 등으로 잘 고정하였다.

수술후 항생제의 투여는 내원 당시의 상처 부위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 투여기간을 결정하였으며, 비교적 깨끗한 경

우에는 수술후 2주, 오염 정도가 심한 상처의 경우에는 수

술후 3주간 투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 때 항생제

는 광범위의 세파 계열 항생제 1종과 aminoglycoside 계

열 항생제 1종을 정맥 주사 및 근육주사로 복합 투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의 성별과 연령 분포는 남자가 20례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연령 분포는 4세에서 63세까지로 평균 26.9±17.4

세 이었고, 대부분이 20대 이하이었다. 그 중에서 15 세 소

아 환자는 7례(31.8%) 이었다(Table 1).

수상 원인으로는 오토바이 사고를 포함한 교통사고가 12

례(54.5%)로 가장 많았으며, 둔기나 흉기에 의한 수상이 7

례(31.8%), 추락 사고가 3례(13.6%) 순이었다.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상태를 Glasgow 혼수계수에 따라

분류해 보았을 때, 15점이 17례(77.2%)로 가장 많았으며,

12점에서 14점 사이가 4례(18.1%), 10점이 1례(4.5%)로

대부분이 비교적 양호한 상태였다. Glasgow 혼수계수가 10

점이었던 1례도 뇌압항진의 소견이나 뇌손상의 정도가 비

교적 심하지 않았던 경우이었다.

손상 부위로는 전두골이 포함된 손상이 16례(72.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9례(40.9%)는 전두동의 골절이 동

반되었다(Table 2).

수술 전이나 수술 중 뇌경막의 열상이나 결손이 발견되었

던 8례 중 5례는 직접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3례는 두개골

막반 이식으로 결손 부위를 봉합하였다(Table 3).

내원 당시의 상처 부위의 오염정도를 대략적으로 분류하여

보았을 때, 이물질의 함입이 적어 비교적 깨끗한 상처로 분류

되었던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7례(31.8%)는 흙이나 모래,

머리카락 등에 의하여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다(Table 4).

22례 모두 수상후 24시간 이내에 본원에서 수술을 받았

Fig. 1. A, B:AP and lateral x-ray of a 24-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associated with the orbital rim and frontal sinus involvement. C, D:Preoperative CT scans, bone window setting, showing open depressed fracture. E, F:Postoperative AP and lateral x-ray showing well replaced the bone fragments with miniplates and screws.

AAAA CCCC

BBBB DDDD FFFF

EEEE

Page 4: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조용준 · 김영옥 · 송준호 · 황장회 · 김성민 · 안명수 · 오세문 · 안무업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71

으며, 수술후 항생제의 평균 투여기간은 8일에서 42일까지

로 평균 18.9±8.9일 이었다.

수술후 수술 부위에 감염이 발생하였던 경우는 1례(4.5%)

이었다. 이 환자는 전두골에 광범위한 개방성 함몰골절이 있었

고, 오염의 정도가 심하지 않았으며, 전두동의 골절도 동반되

지 않았었다. 수술후 9일째 발사(stitch out)하였으며, 2주

간 항생제 주사 투여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으나 수

술후 약 4주만에 봉합 부위에서 농양이 배농되어 즉시 감염

된 골절편과 골판을 완전히 제거한 후 6개월 후에 methyl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Age(yrs) Male Female Total(%)

<10 4 1 5(22.7) 10-19 4 0 4(18.1) 20-29 6 0 6(27.2) 30-39 2 1 3(13.6) 40-49 1 0 1( 4.5) 50ì 3 0 3(13.6)

Total 20 2 22(100) Table 2. Site of injury

Site No. of patients(%)

F only 5(22.7) F+orbital rim 8(36.3) P only 4(18.1) F-T 2( 9) F-T-P 1( 4.5) T-P 2( 9)

F=frontal, P=parietal, T=temporal

Table 3. Associated intracranial lesions

Lesions No. of patients(%)

Dural laceration 8(36.3) Intracranial hematoma 12(54.5) EDH 11 ICH 1

EDH=epidural hematoma, ICH=intracerebral hematoma

Table 4. Degree of wound contamination

Degree No. of patients(%)

Clean 15(68.2) Contaminated 7(31.8)

Soil or sand 3 Soil and hair 3 Soil and wood 1

Fig. 2.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CT scans showing epidural hematoma under the depressed skull bone. E, F:Postoperative AP and lateral x-ray showing well replaced in mosaic pattern with multiple miniplates and screws.

AAAA CCCC

BBBB DDDD FFFF

EEEE

Page 5: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의 즉각 골편 복위술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72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감

염이 발생하였던 1례를 제외한 21례 모두 단단한 골융합과

만족할만한 성형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Fig. 1, 2). 그 외

수술과 관련된 특별한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다.

고 찰

1960년대 중반까지도 함몰을 동반하지 않은 개방성 두개

골절에 대한 치료는 오염된 두개골을 완전히 제거한 후 나중

에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으로 여겨졌다15)16)18).

그러나 1888년 Macewen14)이 골절편을 세척한 후 재위치

시킨 예를 발표한 이래 1960년 후반까지 일차 복위술(pri-

mary replacement)에 대한 많은 보고와 좋은 결과들이 발

표되어 지금은 일차 복위술이 원칙으로 자리잡았다6)7)8)11).

함몰을 동반한 FCCD에 대한 수술 방법도 골절편 등을

이용하는 일차 복원술과 골절 부위의 광범위한 절제 및 변

연절제술을 시행한 후 나중에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하는 이

차 복원술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비교적 최근 들어 즉각

복위술을 포함한 일차 복원술의 좋은 결과에 대한 국내외의

보고1)3)12)19)20)25)가 있긴 하지만, 이 수술에 대한 많은 임상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적응증이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

에 일차 복원술에 대한 적응증의 확립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FCCD의 치료에 대하여 골절편을 제거하는 치료 원칙이

확립된 것은 1948년 Matson15)과 1965년 Meirowsky16)

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얻은 많은 치료 경험에

대하여 발표하면서 모든 골절편을 완전히 제거해야 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원칙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게 나중에 두

개골성형술, 즉 이차 복원술을 시행하는 이유는 감염의 위

험성 때문이었다5)10)17)18)23).

FCCD환자에 대하여 일차 복원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는,

저자들이 시행하였던 것과 같이 골절된 골절편을 이용하여 복

원하는 방법1)3)11)20)과 골절편을 완전히 제거한 후 바로 me-

thyl methacrylate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2)22)25)

이 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서로 다른 장단점이 있으나 수

술후 감염 발생의 위험성만 낮다면 골절편을 이용한 복원술

이 원래 조직과의 친화성 면에서 우월할 뿐만 아니라 안와

연 등의 세밀한 부위의 복원에 유리하며 장기적으로는 완전

한 골융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한다.

골절편을 이용한 일차 복위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환자

의 적절한 선별뿐만 아니라 수술전 처치가 중요하다. 특히

응급실에서 이물질이나 골절편을 무리하게 제거하려고 하는

것은 뇌조직의 손상을 가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

출혈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술은 응급

실에서의 전처치가 끝나는 대로 바로 시행하였으며, 피부

절개는 노출 부위의 흉터를 최소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

다. 즉 안와연이나 전두골의 수상일 경우에는 bicoronal 피

부절개술을 이용하는 것이 수술 부위의 노출에도 유리하고

수술후에도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골절편

을 다시 원래의 위치에 재위치 시킨 후 고정시키는 방법으

로 박 등20)은 나일론 봉합사를 이용하였으나 전두골이나 안

와연의 골절인 경우에는 miniplate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

이 시술도 용이하고 부착력도 뛰어나며 수술후 환자들의 만

족성도 월등하였다.

FCCD의 발생 부위는 약 ¾이 전두골 및 두정골에 발생

하며, 10% 정도가 측두엽에, 5% 정도가 후두엽에, 그리고

나머지는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9)12).

본 연구에서도 22례 중 전두골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가 16

례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전두골과 안와연

이 동시에 손상된 경우가 8례로 가장 많았다. 즉 FCCD의

호발부위가 외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위이므로 이 부

위의 손상에 대한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적인 복위술은 향후

만족스러운 외관을 형성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한다. 그리고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도 7례이었는데, 이들

에 대하여 m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한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한다면 정상 두개골이 성장함에 따라 성형술에 이용된

인조골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김으로써 인조골이 헐렁해지거

나 골절될 수 있으며11), 결국에는 재수술을 시행할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으로는, 소아 FCCD 환자에서 두개골 절제

술만 시행한 경우, 골 결손 부위가 크지 않을 때는 두개골의

재생을 기대할 수도 있으나 결손 부위가 1 inch를 넘는 경

우에는 더 이상의 재생은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11). 그러므로 소아 FCCD 환자는 가능하면 골절편을 이

용한 즉각적인 복위술을 시행하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장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뇌경막의 손상을 동반한 FCCD 환자의 경우에도 골절편

을 이용한 복위술을 시행하여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

지 확실히 정립된 이론은 없다3)8)13). Coleman8)과 Lyerly13)

는 뇌경막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일차 복위술을 시행하

면 안 된다고 주장한 반면에 Blankenship 등3)과 Kriss 등11)

및 박 등20)은 뇌경막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도 골절편을

이용한 일차 복위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

하였다. 저자들도 수술전이나 수술중 뇌경막의 열상이나 결

손이 발견되었던 8례에 대하여 직접 봉합을 하거나 두개골

막반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를 봉합하였는데 이들 중 술후

감염이 발생하였던 예는 1례도 없었던 것으로 보아 뇌경막

Page 6: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조용준 · 김영옥 · 송준호 · 황장회 · 김성민 · 안명수 · 오세문 · 안무업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73

의 열상이나 결손이 술후 감염의 발생에는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골절 부위에 두개강내 병

변이 동반되었던 12례 중 11례가 뇌경막외 혈종이었으며,

이 경우에는 함몰 부위를 포함하여 넓게 두개골을 절제하여

혈종을 제거하였다. 함몰골절 부위를 포함하여 두개골을 절

제할 경우 골절편을 제거하거나 복원하기가 오히려 쉽기 때

문에 전반적인 뇌압항진의 소견 없이 두개강내 혈종이 동반

된 경우에는 넓게 두개골 절제술을 시행한 후 원위치에 복

위시키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FCCD 환자에 대하여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적인 복위술

을 시행하였던 이전의 보고들에 의하면 술후 수술부위의 감염

발생률이 0∼14.9%로 다양하게 보고되었다1)3)4)7)10)11)20). 박

등20)의 보고에 의하면 일차 복위술 군에서의 감염율(14.9%)

과 골절편을 제거한 군에서의 감염율(16.6%)이 큰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또한 Jennett 등10)은 골절편을 이용하여 즉

각적인 복위술을 시행하였던 예에서의 감염 발생률은 3.6%

인데 반하여 골절편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으로 수술하였

던 예에서의 감염 발생률은 4.4%로 오히려 높다고 하였으며,

더구나 골절편을 제거하였던 환자들에 대하여 나중에 me-

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두개골성형술을 시행한 후

의 감염 발생률까지를 포함하면 총 17.5%에서 감염이 발생하

였다고 발표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도 22례 중 1례(4.5%)만

이 수술부위에 감염이 발생하여 술후 감염의 발생에 대해서

는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며, 2차적인 두개골성

형술을 시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히려 감염 발생의 가능성

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손상 부위가 비교적 심하게 오

염되었던 것으로 분류되었던 환자들의 경우에도 술후 수술

부위에 감염이 발생하였던 예는 없었다. 그러므로 손상 부

위의 오염 정도가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적인 복위술을 시행

하는데 있어서 이 수술의 적용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한 Blankenship 등3)과 Jennett

등10)도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적인 복위술을 시행할 수 없는

유일한 금기는 상처 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현저한 경우에만

국한된다고 하였다. 즉 FCCD의 특성상 상처부위의 오염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으나 수술전 및 수술 중에 적절한 처치

만 할 수 있다면 오염 정도와는 상관없이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적인 복위술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다.

Jennett 등10)과 Sande 등24)은 FCCD 환자의 감염 발생

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치료의 지연을 들

었으며, 특히 수상후 48시간이 경과하여 상처 부위를 봉합

한 경우에는 술후 감염 발생률이 현저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수상후 24시간 이내에 봉합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수상후 이미 24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주위 조

직뿐만 아니라 골절편 내에도 감염이 진행되었다고 생각하

여야 하므로 이 때에는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완전한 골절

편의 제거 및 충분한 변연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

고 생각한다. 수술후 항생제의 투여기간에 대해서는 아직까

지도 이론이 많다10)21)24). 저자들은 상처 부위의 오염정도에

따라 비교적 깨끗한 상처인 경우에는 2주, 오염된 상처인

경우에는 3주를 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오염된 골절편

을 이용한 수술일 지라도 더 이상의 장기적인 항생제의 투

여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결 론

저자들은 1993년 4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약 5년 6

개월간 개방성 분쇄 함몰골절로 입원하여 수술을 받았던 환

자들 중 두부손상의 정도가 비교적 양호하며, 수상후 24시

간이내에 수술이 가능하였던 22례의 환자들에 대하여 골절

편을 이용한 즉각적인 일차 복원술을 시행하였다. 이들에

대한 수술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개방성 분쇄 함몰골절 환자에 대한 골절편을 이용한 즉각

적인 복위술은 수상후 24시간 이내에 수술을 받을 수 있는

환자들 중 두부 손상의 정도가 비교적 경미한 환자들을 선

별하여 시행한다면 손상 부위의 오염정도나 뇌경막의 손상

여부와는 상관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감염 발생

률도 지극히 낮은 우수한 수술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논문접수일:1999년 8월 10일 • 심사완료일:1999년 12월 1일 • 책임저자:조 용 준

200-074 강원도 춘천시 교동 153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전화:033) 252-9970, 전송:033) 242-9970

E-mail:[email protected]

References

1) Adeloye A, Shokunbi MT:Immediate bone replacement in compound depressed skull fractures. Cent Afr J Med 39(4):70-73, 1993

2) Blaine G, Oliver LC:A simplified one-stage method of cra-nioplasty with acrylic resin. Br J Surg 39:371-372, 1952

3) Blankenship JB, Chadduck WM, Boop FA:Repair of com-pound-depressed skull fractures in children with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Pediatr Neurosurg 16:297-300, 1991

4) Braakman R:Survey and follow-up of 225 consecutive pati-ents with depressed skull fracture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34:106, 1971

5) Braakman R:Depressed skull fracture:Data, treatment, and

Page 7: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A, B:AP and lateral x-ray of a 9-year-old male showing a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right frontal skull. C, D:Preoperative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의 즉각 골편 복위술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74

follow-up in 225 consecutive case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35:395-402, 1972

6) Browder J:Fracture of the skull, in Brock S(ed):Injuries of the brain and spinal cord, and their coverings. ed 4. New York:Springer Publishing Co., 1960, pp52-54

7) Carrington KW, Taren JA, Kahn EA:Primary repair of compound skull fractures in children. Surgery Gynec Obstet 110:203-209, 1960

8) Coleman C:Treatment of compound fracture of the skull. Ann Surg 115:507-513, 1942

9) Jamieson KG, Yelland JDN:Depressed skull fractures in Australia. J Neurosurg 37:150-155, 1972

10) Jennett B, Miller JD:Infection after depressed fracture of skull. J Neurosurg 36:333-339, 1972

11) Kriss FC, Taren JA, Kahn EA:Primary repair of compound skull fractures by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J Neurosurg 30:698-702, 1969

12) Lee KS, Back SH, Bae HG, Doh JW, Yun IG, B BJ:Prog-nosis and complications of depressed skull fracture. J Korean Neurosurg Soc 23:1143-1149, 1994

13) Lyerly JG:The treatment of depressed fractures of the skull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pair of the cranial defect. Am Surg 23:1115-1121, 1957

14) Macewen W:Address on the surgery of the brain and spinal cord. Lancet 2:254-264, 1888

15) Matson DD:The treatment of acute craniocerebral injuries due to missiles, ed 3. Springfield:Charles C Thomas, 1948, pp26-29

16) Meirowsky AM:Compound fractures of the convexity of the skull, in Coates JB Jr. (ed):Neurological surgery of trauma. Washington: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5, pp83-101

17) Miller JD, Jennett WB:Complications of depressed skull fr-acture. Lancet 2:991-995, 1968

18) Munro D:Compound fractures of the skull. N Engl J Med 228:737-745, 1943

19) Nadell J, Kline D:Primary reconstruction of depressed fron-tal skull fractures including those involving the sinus, orbit, and cribriform plate. J Neurosurg 42:200-207, 1974

20) Park WH, Jang BJ:Clinical analysis of primary reconstruc-tion to compound depressed frontal skull fracture. J Korean Neurosurg Soc 19:601-607, 1990

21) Pons VG, Denlinger SL, Guglielmo BJ, Octavio J, Flaherty J, Derish PA, et al:Ceftizoxime versus vancomycin and genta-micin in neurosurgical prophylaxis:A randomized, prospective, blinded clinical study. Neurosurgery 33:416-423, 1993

22) Rietz K:The one-stage method of cranioplasty with acrylic plastic with follow up study. J Neurosurg 15:176-182, 1958

23) Rowbotham GF:Acute injuries of the head, ed 4. Baltimore:Williams & Wilkins, 1964, pp312-326

24) Sande GM, Galbraith SL, McLatchie G:Infection after de-pressed fracture in the west of Scotland. Scott Med J 25:227-229, 1980

25) Subczynski JA:One-stage debridement and plastic repair of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with methyl methacrylate. J Trauma 17(6):467-469,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