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한국 궁중음식을 소개하다 한식재단 설립 세 돌 “한식세계화 콘트롤 타워로 거듭날 것” •Hot News Interest in Korean Food Globalization Peaks on Social Network Services •Global Korean Food News Introducing Korean Royal Cuisine to the Royal Family of UK Three-year Anniversary of the KFF “We will become the headquarter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vol. 40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March, 2013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한국 궁중음식을 소개하다

한식재단 설립 세 돌“한식세계화 콘트롤 타워로 거듭날 것”

•Hot News

Interest in Korean Food Globalization Peaks on Social Network Services

•Global Korean Food News

Introducing Korean Royal Cuisine to the Royal Family of UK

Three-year Anniversary of the KFF“We will become the headquarter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vol. 40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March, 2013

Page 2: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02 03

한식조리 특성화학교 지원사업 한식재단으로 이관

미서부 한식세계화협회 간담회 개최

한식조리 특성화학교 지원사업이 한국농수산

식품유통공사에서 한식재단으로 이관된 후 첫

간담회가 2월 27일 aT센터에서 열렸다.

한식조리 특성화학교 관계자들이 모인 이날 간

담회는 5개 주관 기관(전주대, 우송대, 인천재

능대, 수원과학대, 부산관광고)의 사업 이행 현

황을 파악하고 향후 사업 방향과 일정을 논의

하기 위해 마련됐다.

각 기관들은 한식을 배우기 위해 유학 온 외국

학생들의 교육과 영문 교재 개발, 해외 한식 케이터링 업체와의 연계를 통한 현장 학

습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눈에 띄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재단 양일선 이사장은 “한식조리 특성화학교 지원사업은 고용 창출과 직결되며

한식 조리인력의 해외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도 활용된다”며 “이는 정부 각 기관의 긴

밀한 협조가 필요한 사안인 만큼 재단이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앞으로도 적극 추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식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시작한 본 지원

사업은 각 학교마다 교육 인프라 확충 및 학생 장학금·실습비 등이 지원된다. 지정된

학교 중 대학교는 4년, 전문대학·고등학교는 각각 3년씩 지원금을 받게 된다.

미서부한식세계화협회 간담회가 지난 2월 미국

LA에 위치한 한식당 「용수산」에서 열렸다.

한식재단 양일선 이사장과 한식세계화추진단

서대원 단장, 미서부한식세계화협회 임종택 회

장 등 관계자 11명이 참석한 이날 간담회에서

는 한식세계화를 위한 지속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주요 논제로는 한

식세계화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행정 간소화,

전세계 한식당 협의체 연합 결성의 필요성, 한

식당에서의 셰프 개념 도입, 한식재단과 협의체

의 유기적 협조를 위한 정부의 체계적 지원, LA 지역 한식당 협의체의 특성사업 도출

및 한식 홍보의 극대화 등이 다뤄졌다.

한편, 미서부한식세계화협회는 최근 국제적인 행사인 미국 프로골프대회(PGA)에서 한

식을 판매하는 등 한식세계화 관련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식재단 뉴스 ┃ Korean Food Foundation News

클릭! 홈페이지에서 읽는 한식세계화 ● 15

김치는 담근 후 보름정도 지나야 젖산 발효균의 작

용이 활발해 노화방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

졌다. 또한 농촌진흥청 연구팀은 김치의 부재료인

마늘, 생강, 고춧가루, 쪽파가 김치 발효균에 의해

발효되면서 항암효과를 더욱 증가시킨다는 사실도

함께 증명했다.

www.koreanfood.net or www.hansik.org

한식세계화 관련 다양한 논의가 진행된 미서부한식세계화협회 간담회

한식조리 특성화학교 지원사업 간담회

Page 3: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 2013년 3월 넷째주03

The official Facebook pag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www.facebook.com/hansikkorea)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rough various events, and it is also becoming a place for active discussion among netizens who love Korean food.In particular, netizens from Korea and abroad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event that gave away copies of Old Korean Restaurants Koreans Love, which was held for a week, from March 12 to 18. The KFF randomly selected a number of people who “liked” or “shared” the Old Korean Restaurants give-away event on Facebook, and then sent them the book. Participation in the event was high, as many people were

이벤트는 한식재단이 발간한 단행본 『한국인이 사랑

하는 오래된 한식당』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이벤트에

대한 호응이 더욱 뜨거웠다는 후문이다.

한 해외 네티즌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

당』이 영문판으로 출간됐는지, 이 책을 어디서 구입할

수 있는 지를 문의하는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한식재단은 이에 앞서 지난 2월 한달 동안에도 점심

메뉴로 가장 선호하는 한식을 직접 선정하는 ‘오늘의

점심 최강자전’ 이벤트를 진행,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실생활에 밀접한 점심 식사를 테마로 네티즌들의 이

목을 사로잡았다.

이외에도 한식세계화 공식 페이스북은 다양한 이벤

트와 한식 메뉴를 재미있게 소개하는 포스팅 등으로

짧은 기간 동안 1만 명에 육박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좋아요’란 평가를 받고 있다.

Interest in Korean Food Globalization Peaks on Social Network Services

Events for giving away Old Korean Restaurants Koreans Love,Selecting Today’s King of Lunch, and others continue

interested in obtaining the KFF publication. One netizen from abroad even asked in a comment whether there was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book and where to purchase it.Also, throughout February, the KFF held a “Today’s King of Lunch” event, which involved selecting people’s favorite Korean food for lunch. It drew together netizens with creative ideas under the theme of “lunch,” a meal that people consume everydayAlong with these, the Facebook pag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held various other events and posted interesting tidbits about Korean food, receiving ten thousand “likes” from the netizen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한식세계화 공식 페이스북(www.facebook.com/

hansikkorea)이 다양한 이벤트로 한식세계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는 것은 물론 한식을 사랑하는 네티

즌들의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12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 『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증정 이벤트에는 국내·외

네티즌들이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증정 이벤트 페

이지를 ‘좋아요’와 ‘공유하기’한 사람들을 추첨해 『한

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책자를 증정한 이번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증정 행사

오늘의 점심최강자전 등 다양한 이벤트 이어져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증정 이벤트에는 국내외 네티즌들이 높은 관심을 보였다Netizens from Korea and abroad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event that gave away copies of Old Korean Restaurants Koreans Love, which was held for a week, from March 12 to 18

Page 4: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04 05

한식재단은 3월 20일 런던 최고의 식문화 학교로 알려진 ‘Leith’s School of Food and Wine’에서 ‘한국 궁중 음식 파티(Korean Royal Cuisine Party)’를 개최했다On March 20, the KFF organized the “Korean Royal Cuisine Party” in the center of London at the Leith’s School of Food and Wine, a leading cookery school.

왕실의 나라 영국 런던의 중심가에서 우리나라

궁중 음식 문화의 맛과 멋, 품격을 알리는 행사

가 개최됐다.

한식재단은 3월 20일 런던 최고의 식문화 학교

로 알려진 ‘Leith’s School of Food and Wine’

에서 ‘런던에서 만나는 한국 궁중 문화의 멋과

맛, 한국 궁중 음식 파티(Korean Royal Cuisine

Party)’를 마련했다.

이날 행사는 음식, 여행, 라이프 스타일 분야에

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현지 미디어 관계자

와 블로거 등 20여 명을 초청해 이들에게 한국의

고급스럽고 다양한 궁중 문화와 음식을 체험하

게 함으로써 한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궁중 음식 시연회를 시작으로 진행된 이날 이

벤트에서는 다수의 요리 프로그램을 진행한 바

있는 셰프이자 방송인인 아만다 램(Amanda

Lamb)이 조리시연을 맡아 우리나라의 대표적

인 궁중 음식인 구절판과 궁중 갈비찜, 전통 음

료인 식혜를 소개했다. 특히 시연회는 아만다 램

이 한식을 시연하고 소개하는 동시에 레시피나

궁금한 점을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진행돼 초청

된 미디어 관계자와 블로거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한식재단은 한국의 궁중음식과 문화를 테마로

한식 체험 이벤트를 마련한 것에 대해 영국의 왕

실이 자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

다는 점에 착안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1999년 방한한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이

안동 하회마을에서 생일상으로 받아 화제가 됐

던 47가지 궁중요리 가운데 구절판과 궁중갈비

찜을 선택해 영국 왕실과 한국의 궁중요리를 자

연스럽게 연결시켰다.

한식재단 양일선 이사장은 “한국 궁중음식의 핵

심인 수라와 관련된 다양한 스토리와 요리로 왕

실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영국인들의 한식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이번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아만다 램은 “저는 많은 사람들에게 한국 음식

을 한 번 먹어보라고 권하곤 합니다. 왜냐하면 한

식은 매우 훌륭하고 맛있는 한 끼 식사이며, 더

불어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여러 비타민과 미네

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기 때문입니다.”

라며 한식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했다.

왕실의 나라 영국에한국 궁중음식을 소개하다

한식재단, 3월 20일 런던 유명 식문화학교에서 ‘한국 궁중 음식 파티’ 개최

한식세계화 소식 ┃ Global Korean Food News

Page 5: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 2013년 3월 넷째주05

The KFF explained that this tasting event featuring Korean royal culture and cuisine is another example of the fact that Korean food is receiving a great attention around the world. The food served also had a connection with the British Royal family because the KFF presented Queen Elizabeth with the Platter of Nine Dishes and Royal Braised Short Ribs (two among the 47 dishes served) when she visited Korea in 1999. Thus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the Korean royal cuisine served at the event.The KFF’s President Yang Il-sun commented that the foundation hosted this event with stories and food related to the king’s meal, which is the core of Korean royal cuisine, in order to pique the curiosity and raise the awareness of Korean food among the British, who, with a royal family of their own, might be interested in royal traditions of Korea.Amanda Lamb lauded Korean food, saying, “I encourage everyone to give Korean food a try – it’s a fantastic way to get an interesting, tasty meal, and it also provides many of the vitamins and minerals our bodies need.”

An event to introduce the beauty and taste of royal Korean cuisine was held in another country renowned for its monarchy, the United Kingdom. On March 20, the KFF organized the “Korean Royal Cuisine Party” in the center of London at the Leith’s School of Food and Wine, a leading cookery school. The event was held to promote Korean cuisine by introducing the elegance and diversity of Korean royal culture and cuisine to twenty or more influential British media representatives and bloggers in the food, travel, and lifestyle areas. The event began with the cooking demonstration and tasting of royal food. Amanda Lamb, a chef and broadcaster who has hosted various cooking programs, was in charge of the cooking demonstration. She introduced representative Korean royal food, including gujeolpan, or “Platter of Nine Delicacies,” Royal braised short ribs, and sikhye, a traditional rice punch. The cooking demonstration elicited a fervent response from the attendees and was accompanied by a Q&A session about recipes and other topics.

Introducing Korean Royal Cuisine to the Royal Family of UK

The KFF holds a “Korean Royal Cuisine Party” in London on March 20

왕실의 나라 영국 런던의 중심가에서 우리나라 궁중 음식 문화의 맛과 멋, 품격을 알리는 행사가 개최됐다.An event to introduce the beauty and taste of royal Korean cuisine was held in another country renowned for its monarchy, the United Kingdom.

Page 6: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07 06 한식세계화 소식 ┃ Global Korean Food News

한식재단이 지난 3월 18일 양재동 aT센터에서 설립 3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The Korean Food Foundation held its 3-year anniversary event on March 18 at the aT center in Yangjae-dong.

한식재단은 지난 3월 18일 설립 3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설립기념행사

는 한식재단 양일선 이사장을 비롯한 재단 임직

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그동안의 성과 보고와 올

해 추진방향 토의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양일선 이사장은 “한식재단은 정부의 추진력과

민간이 지닌 전문성을 한데 모아 한류의 열기를

한식세계화로 이어지게 하는 가교의 역할을 해

왔다”며 “앞으로도 한식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튼튼한 인프라 구축은 물론이고 경쟁력

을 키우는 다양한 방안을 적극 추진해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2010년에 공식 출범한 한식재단은 지난 3년 동

안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한식세계화 콘텐츠 개

발 및 보급 △스타셰프 양성·심화과정 및 향토음

식 전문가과정 등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해외

한식당 추천제·한식 현지화 사업·해외 한식당 현

황조사 등의 경쟁력 강화 방안 △국내·외 한식문

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홍보 활동 및 교류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지난해 한식 스토리텔링 책 6개 국어 ·

해외 우수한식당 가이드북 미주편 발간, 한식 스

타셰프 양성·심화 과정 수료생들의 창업 및 취업

증가, 미슐랭스타 한식당 5개 배출, 문화체육관

광부가 주최한 제10차 정부 부처간 대변인협의

회 선정 1분기 SNS 활용 우수 실사례 1위 선정,

미국·중국·프랑스 등 세계 각지 언론매체의 집중

조명 등의 굵직한 성과를 달성했다.

한식재단은 2013년의 중점 추진방향으로 △기

존 한식세계화 추진단과 해외 한식당 협의체 등

추진체계를 내실화하고 한식의 역사적이고 문

화적인 원형자료를 자원화한 한식홍보 콘텐츠

의 활용 △한식조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

한 형태의 커리큘럼 도입 및 해외에 진출한 국내

기업과 한식당 협의체의 협력을 통한 한식 조리

인력 해외 취업 박람회 개최 △국가별 한식당 현

황 파악과 전략 지역 분석이 가능한 시장조사 시

스템 구축을 통한 해외 한식산업의 성장 도모 △

온라인과 뉴미디어를 활용한 IMC(통합마케팅),

현장에 맞는 맞춤형 홍보전략의 수립 등을 내세

웠다.

이 외에도 가칭 ‘한식세계화촉진법’ 제정을 위해

정부 각 부처와 산학연을 중심으로 한 협조체제

를 모색하며, 한식재단이 한식세계화 사업의 콘

트롤 타워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 시스템 구축에

심혈을 기울일 것을 다짐했다.

한식재단 설립 세 돌“한식세계화 콘트롤 타워로 거듭날 것”

한식의 경쟁력과 인프라 구축에도 만전

Page 7: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 2013년 3월 넷째주07

한식재단이 한식세계화를 위해 진행한 다양한 사업들Various Korean food globalization projects that the KFF has promoted

Program that started businesses or gained employment, and producing five Michelin Star Korean restaurants. Moreover, the KFF was voted as the best organization to make use of SNS at the 10th conference for government spokespersons hos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t has also received attention from various press and media sources in the US, China, France, and other countries.The KFF put forward four main points for the direction of its projects in 2013: 1) reinforcing the promotion system, such as the existing Korean Food Globalization division and Korean Restaurant Council, and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data to promote Korean food; 2) introducing various curricula to train experts for Korean food and hosting an overseas employment career fair through cooperation between Korean companies overseas and Korean restaurant councils; 3) encouraging the growth of the Korean food industry overseas through figuring out the number of Korean restaurants by country and building a market research system for strategic analysis by region; and 4) establishing customized promotional strategies through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MC), using online and new media tools.In addition, the KFF promised to do its best to establish 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ystem by working with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and also to build a system to enable KFF to become the headquarters of the Korean food globalization project.

The Korean Food Foundation held its 3-year anniversary event on March 18 at the aT center in Yangjae-dong. It was attended by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of the foundation, including Yang Il-sun, the foundation’s president. Presentations of performance reports as well as statements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foundation were given. President Yang Il-sun reiterated that the KFF has worked as a bridge to link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by joining government’s initiative with the expertise of private organizations. She promised that the KFF will promote various projects to develop competitiveness and to build a firm infrastructur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The KFF was officially launched in 2010, and since then it has largely focused on four projects: 1) developing and distributing cultural content to build the infrastructur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2) training experts and offering advanced programs for star chefs and chefs specializing in traditional and local Korean food; 3)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ood through certification of Korean restaurants, localization of Korean food, and investigating the status of Korean restaurants in foreign countries; and 4) carrying out promotional activities to spread Korean food culture locally and abroad.As a result, the foundation made important achievements that included publishing Korean food storytelling books in 6 languages and guidebooks or Korean restaurants in the US, increasing the number of graduates from the Intensified Korean Food Star Chef Training

Three-year Anniversary of the KFF“We will become the headquarter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The KFF promises to develop competitiveness and build infrastructur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Page 8: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08 09 셰프의 한식 이야기*2 ┃ A Chef’s Korean Food Story

TV 속 신효섭 셰프는 연예인들 사이에서도 기죽

지 않는 화려한 언변과 수려한 외모를 자랑하지

만 주방에서 음식을 만들 때면 영락없이 섬세하

고 진지한 셰프의 모습 그대로다.

‘블링블링 신군’, ‘꽃미남 셰프’ 등으로 불리며 인

기를 누리고 있는 그는 앳된 외모와는 달리 요리

에 입문한 지 벌써 13년차에 접어든 베테랑 셰프

다. 신 셰프는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처음 요리

에 입문했지만 군 간부식당에서 군생활을 하며

한식을 익혔고, 일식 레스토랑에서도 경험을 쌓

으며 다양한 요리를 두루 섭렵했다.

2009년부터는 안정된 셰프로서의 삶을 포기하

고 요리 연구가라는 모험을 선택했다. 초기에는

어려움도 있었으나 꿈을 위해 밤에는 아르바이

트를 하고, 낮에는 강의를 하며 점차 스타 강사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스타 셰프이자 요리연구가,

교수 등 다방면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신

효섭 셰프가 생각하는 한식세계화란 어떤 것일

까?

“사람들이 한식의 전통성에 대해 좀 더 유하게

생각했으면 좋겠어요. 각각의 기준으로 한식, 일

식, 서양식 등을 구분할 뿐이지 음식이라는 것은

결국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예를 들어 ‘황

태’는 전 세계 어디에도 없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틀에 얽매이지 말고 다양한 관점에서 한식에 접근해야죠

<인스 키친> 신효섭 셰프

식재료입니다. 황태를 튀겨 깐풍기 소스에 버무

리면 과연 이 음식이 한식일까요? 중식일까요?

이런 것들을 한식의 범주에 포함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도록 하면 한식세계화는 그

리 멀지 않아 보여요.”

집집마다 장맛이 다르기 때문에 한식을 표준화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하는 신 셰프는 레

시피를 정형화할 수 없는 만큼 좀 더 다양하고

넓은 관점에서 한식세계화에 접근해야 할 필요

가 있다고 전했다.

신 셰프의 그런 요리 철학은 그가 만드는 음식에

고스란히 묻어난다. 이탈리안 음식을 만들 때에

도 그는 정형화된 레시피대로 파슬리, 바질 등을

사용하는 대신, 달래와 같은 우리나라 고유의 봄

나물을 이용해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낸다. 인생

이 그렇듯이 요리에도 정답은 없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기 때문. 대중이 원하는 음식, 편하게 즐

길 수 있는 음식을 만들고 싶다는 그의 최종 꿈

은 한식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일이다.

“지금은 이탈리안 음식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

지만 저의 최종 목적지는 한식입니다. 거제도 같

이 육해공 식재료가 풍부한 곳에서 한식 레스토

랑을 운영하고 싶어요. 그때쯤이면 전 세계 사람

들이 한식의 진가를 알아봐주지 않을까요?”

신효섭 셰프는현 쿠킹스튜디오「인스 키친」의 대표이자 서울예술전문학교 호텔조리학과 겸임교수, KBS W ‘여고식당’의 MC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중앙일보 셰프 배틀 심사위원, GS Professional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한식재단과 함께 ‘I Love Hansik, 캠퍼스 로드쇼’를 진행하기도 했다.

‘달래 소스 해산물 찜’은 봄철 특히 맛이 좋은 해산물인 주꾸미와 새우, 가리비 등을 달래 레몬 폰즈 소스에 곁들여 먹는 음식으로 달래의 향긋한 맛과 해산물의 풍부한 맛을 고루 즐길 수 있는 웰빙 제철 요리다.

Steamed seafood with wild chive sauce is a healthy, seasonal dish consisting of steamed baby octopuses, shrimps, and scallops, which are in season in spring, accompanied by lemon ponzu sauce. One can smell the fragrance of chives and taste the full flavor of the seafood.

Page 9: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 2013년 3월 넷째주09

On TV, Chef Shin Hyo-seop playfully boasts of his gift of eloquence and his handsomeness even when surrounded by Korean celebrities. Yet in the kitchen, he is a calm and serious chef. Nicknamed “Bling bling Shingun” and “Pretty boy chef,” he has become very popular. Yet unlike his youthful appearance, he is already a veteran chef, who made his debut in the cooking world 13 years ago. He started out at an Italian restaurant, but he learned how to make Korean food when he worked in a military kitchen and mastered other dishes while working in a Japanese Restaurant.Starting in 2009, he gave up his comfortable life as a chef with a stable job, and decided to go on the adventure of being a chef-lecturer. Things were difficult in the beginning. However, for his dream he worked part time jobs at night and lectured about food during the day, gradually gaining a reputation as a star chef. He is currently active as a star chef, food researcher, and professor. So what does he think abou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Chef Shin wishes that people would have a more flexible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tradition in Korean food. People distinguish Korean food, Japanese food, and Western food based on their own standards, but he believes food is the

We have to approach Korean food from various

perspectives without being tied down to

one aspect.Shin Hyo-seop

Owner and chef of INS Kitchen

same everywhere. For example, dried Pollack is an ingredient that is unique to Korea and not fou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But if someone fries the dried Pollack and mixes it in the Chinese sweet and sour sauce, is the dish Korean or Chinese? Shin said that if such menu items were included under the umbrella of Korean foo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s not far awayChef Shin mentioned that standardizing Korean food is problematic since the flavor of jang, or sauces, is different in each household. Instead, he said we have to approach Korean food from a different, broader perspective, in which recipes are not standardized.His philosophy on cooking is clearly reflected in the food he prepares. Even when making Italian food, he creates a different kind of dish by using wild chives and other unique Korean herbs instead of parsley and basil, as written down in standard Italian recipes. He believes that there is no right answer to food, just as there is no right answer to living life. Chef Shin, who likes to make food that everyone wants and can comfortably enjoy, ultimately wants to run his own Korean restaurant.He said that even though his work is currently based on Italian cuisine, his ultimate goal is to focus on Korean cuisine. He would like to run a restaurant in a place like Geoje Island, where there is an abundance of ingredients from the land, sea, and air. He hopes that by the time he has his own restaurant, people all around the world will know the true value of Korean food.

Chef Shin Hyo-seop is currently the CEO of INS Kitchen, a cooking studio, and also serves as a professor of department of Hotel Food Service at the Seoul Arts-Occupational Training College. He is also active in the media as a host of the TV show, Yeogo Sikdang. He has served as a judge in Joong Ang Daily Chef Battle and in GS Professional. He also hosted I Love Hansik, Campus Road Show with the KFF.

대중이 원하는 음식,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음식을

만들고 싶다는 신효섭 셰프의 최종 꿈은 한식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것이다

Chef Shin Hyo-seop, who likes to make food that everyone wants and can

comfortably enjoy, ultimately wants to run his own Korean restaurant.

Page 10: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10 11

Cool and Refreshing Chilled Water Kimchi,Nabak KimchiNabak kimchi, or chilled water kimchi made with cabbage and radish, is in season in spring, but it can be eaten freshly all around the year. This is the kimchi that is placed on the table for ancestral rites or served at meals along with rice cake soup on the first day of the New Year. People have traditionally believed that freshness was the most important aspect to nabak kimchi, such that rich households are said to have made it every other day. The focus on freshness is why meals served without nabak kimchi in the past were regarded as not prepared with a deep consideration for the diners. Nabak kimchi is said to have been named after the sound a knife makes when slicing radishes and cabbages, but it also simply means kimchi with radish, as the old Korean word for radish is “nabak.” Nabak kimchi is served not only at meals, but also with snacks, rice cakes, dumplings, sweet rice with nuts and jujube, and fruits. The cool and savory taste of the kimchi juice arouses people’s appetite, and since radishes have a high digestive enzyme content, it is good for digestion.Nabak kimchi juice is used in chilled noodles and other noodle dishes. It goes especially well with stiff rice cakes, as the juice makes them easier to swallow. There is an old Korean proverb that says, “No one’s thinking about giving him a rice cake, but he is already drinking in kimchi juice,” which is a figurative way of shaking one’s head at a person who imagines too much about what might happen in the future. The kimchi juice here refers to nabak kimchi juice.

상큼하고 시원한 국물김치나박김치

나박김치는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담근 국물

김치로 봄이 제철이지만 사계절 언제나 산뜻하

게 먹을 수 있다. 나박김치는 제사상이나 설날

떡국 상에 오르는 김치이기도 하다. 신선한 맛

을 생명으로 여겨 살림이 넉넉한 집안에서는

하루걸러 한 번씩 담갔다고도 한다. 그래서 예

전에는 나박김치 없는 밥상은 마음이 덜 간 밥

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나박김치는 나박나박 썰어서 담근 김치라는

의미도 있지만 무를 일컫는 옛날 말이 ‘나복

(羅蔔)’인 만큼 무를 넣어 담근 김치라는 뜻도

지닌다.

나박김치는 식사 때만이 아니라 간식이나 떡,

만두, 약식, 다과 등의 차림에도 반드시 곁들

여 먹은 김치다. 국물이 시원하고 새콤해서

입맛을 돋울 뿐만 아니라 소화 효소가 많은

무가 들어가 속을 편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국수말이나 냉면 같은 음식에 국물을 따라서

쓰기도 하는데, 특히 떡과 잘 어울려 뻑뻑한 떡

의 목 넘김을 좋게 만들어 준다.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는 속담에

나오는 ‘김칫국’은 ‘나박김치의 국물’을 뜻한다.

맛있고 재미있는 한식이야기한식재단이 2013년 1월 발간한 『맛있고 재미있는 한식이야기』는 조화와 균형, 건강을 바탕으로 반만년을 이어온 한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풍성한 이야기, 우리조차 알지 못했던 한식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From - Great food, Great Stories from KoreaGreat food, Great Stories from Korea, published by the Korean Food Foundation in January 2013, contains a number of tales that even many Koreans are unaware of, telling of the 5 thousand year-old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food built upon health, harmony and balance.

맛있고 재미있는 한식이야기 ┃ A Delicious and Fun Korean Food Story

Page 11: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 2013년 3월 넷째주11

Traditional Hansik: in Harmony with the Universe

From the old days, Koreans believed that the traditional Korean way of table-setting, with rice, soup, and side dishes, was in harmony with the universe. This was because food representing the five cardinal colors (obangsaek)—green, red, yellow, white, and black, the colors of east, west, south, north, and center, respectively—that symbolized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humans were harmoniously displayed on the table. Strict regulations regarding the five cardinal colors were applied to the Korean table-setting. First of all, food had to be prepared with seasonal ingredients using the right amount and intensity of water and fire. Second, food on the table had to be a good combination of colors, flavors, and nutrition that satisfy all five senses. And third, food had to be balanced and absorbed into the body to benefit the diner. Even when following these strict rules, the Hansik table setting includes an additionally convenience to the diner thanks to its physically arrangement. Rice is traditionally placed on the left, soup on the right, and utensils to the right of the soup. By placing liquid food on the right side near the utensils and solid food on the left, diners can eat without spilling soup on the table.

우주가 담긴한식 상차림

우리 조상들은 밥과 국, 반찬을 한 상에 차려내는 전통적인 한식 상차림에 ‘우주를 담는다’고 생각했

다. 우주와 인간 질서를 상징하는 오방색(五方色), 즉 동·서·남·북·중앙의 다섯 방위를 가리키는 색인

청·적·황·백·흑 각각을 의미하는 음식을 한 상 위에 조화롭게 펼쳐놓았기 때문이다.

한식 상차림에는 오방색을 고려한 규율이 엄격하게 적용됐다. 첫째는 계절의 기운을 담은 제철 재료를

골라 불과 물을 적절하게 활용한 조리법으로 음식을 만들고, 둘째는 색과 맛, 영양이 어우러져 오감을

만족시키는 차림새를 갖춰야 하며, 셋째는 몸에 균형있게 흡수되어 먹는 사람을 이롭게 해야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엄격한 규율 속에서도 사람에 대한 존중을 잊지 않는 ‘마음 씀씀이’가 또한 한식 상차

림의 멋이다. 먹는 사람을 가운데 두고 왼쪽에는 밥, 오른쪽에는 국, 그리고 국 옆에는 수저를 두었다.

국물이 있는 음식은 수저와 가까운 오른쪽에 두고, 마른반찬은 왼쪽에 두어 상에 국물을 흘리지 않고

먹을 수 있도록 먹는 사람의 편리를 배려한 것이다.

한식의 멋 - 두번째 이야기

Beauty of Hansik – The Second Story

전통적인 한식 상차림 Traditional Korean Food Table-setting

Page 12: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12 13 칼럼 ┃ Column

“한국적인 것인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것을 음식 분야에서는 한식

세계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식으로는

불고기, 비빔밥, 김치 등을 들 수 있다. 문화재청은 우리나라를 대표

하는 한식 문화 중 하나인 ‘김치와 김장 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

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김치를 담그는 김장문화가 무형유산이라고 하면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없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아침, 저녁으로 밥상에 오르는 김

치, 매년 늦가을이 되면 의례적으로 담그는 김장문화도 사실 무형유

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국내 문화유산 보호제도를 통해 무형

유산의 의미를 엄격하게 해석해 왔고, 또 그것이 지금까지 우리의 전

통유산을 전승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2003년 유네스코 무형

유산보호협약의 발효와 함께 전통적인 예능과 기능뿐만 아니라 사

회적 관습과 지식까지 무형유산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국제적 흐름

이 생겨났고, 우리도 이러한 국제적 흐름을 국내 보호제도 속에 수

용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해 나가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노력 덕택에 지난 2012년 3월에 ‘김치와 김장문화’를 유네스

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 신청할 수 있었다.

김장문화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음식문화등재신청서에는 현재 시점에서 본 김장문화의 모습을 담았다. 김치

소비량이 많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밥상에서 하루 한 두 번은

김치를 볼 수 있다.

예전에는 땅을 파고 묻었던 김장독이 오늘날에는 김치 냉장고가 되

어 각 가정의 주방에 놓여 있다. 여전히 어머니와 딸, 시어머니와 며

느리를 중심으로 가정마다 다양한 김장의 비법이 전수되고 있고, 부

녀회 같은 여성 협력 네트워크를 이용해 김장에 필요한 노동력을 분

담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각박한 현대생활에서 김장으로 나눔과

화합이 실천되기도 한다.

경제적 어려움이나 신체적 어려움으로 김장을 담글 수 없는 이웃을

위해 부녀회나 기업 차원에서 김장 담그기 행사를 진행한다. 또한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들이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사회

에 동화되는 매개체로도 김장이 활용된다.

이렇게 ‘김치와 김장문화’는 현재까지도 우리의 문화를 이루고 있는

주요한 요소로서 살아 숨쉬고 있으며 우리의 자랑스러운 음식문화

로 자리 잡고 있다.

다가오는 12월 ‘김치와 김장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결

정이 있다. 문화재청은 우리 음식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고 세계인의 무형유산으로 보존·전승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

해 나갈 것이며 한식문화의 세계화를 위해 그 역할을 다 해 나갈 것

이다.

문화재청 박영근 문화재활용국장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예산담당관실 서기관을 역임하고, 문화재청 건조물국 사적과장, 정책홍보관리실 혁신인사기획관 부이사관, 사적명승국장을 거쳐 2010년 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장으로 취임했다.주요 수상내역으로는 대통령 표창, 근정포상에 이어 지난 2012년에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김치와 김장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추진

박영근 (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장)

박영근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장

Page 13: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 2013년 3월 넷째주

Promoting Kimchi and the Kimjang Culture or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Park Yung-keun (Director-General of Heritage Promotion Bureau,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Korean food culture there is a saying that “the best in Korea is the best in the world” and this can be proven through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Popular Korean foods include bulgogi, bibimbap, and kimchi.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promoting the culture of kimchi and kimjang so they can be registered o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Some people might think it strange that kimchi and the culture of kimjang, which is the making of kimchi in the late fall, are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Yet it makes sense. Until now,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strictly interpreted, and it has been effective in passing down Korean tradition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owever, with the adop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NESCO in 2003, an international legacy of not only traditional entertainments and functions, but also social practices and knowledge were includ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are currently in the process of modifying laws and regulations to accept this international legacy within the domestic protection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e to these efforts, we were able to apply to have kimjang culture registered o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Kimjang Culture is Part of Our Proud Food CultureOn the application, we presented the kimjang culture of the present day. While the consumption of kimchi has decreased, it is still served at meals at least once or twice a day. In the past, kimchi pots were buried underground, but now, kimchi is stored in kimchi refrigerators in each household. Still, mothers and mothers-in-law are passing down their secret methods of kimjang to daughters and daughters-in-

law. In each household, and in communities through a cooperative network of women, such as women’s associations in apartment complexes, labor needed for kimjang is shared. In the hard-hearted modern day life, kimjang creates a sharing and harmonious atmosphere. Women’s associations within apartment communities and large companies provide kimjang events for those who are economically or physically unable to do their own kimjang. Moreover, kimjang is used as a means to allow foreigners unfamiliar with Korean culture to experience Korea and adapt to the Korean society.In these ways, kimchi and kimjang are still important factors of Korean culture and have secured their positions as part of a proud Korean food culture. In the coming December, the decision will be made regarding the inclusion of kimchi and kimjang o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continue its efforts in spreading the excellence of Korea’s food culture around the world and do its bes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13

문화재청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식 문화중 하나인 ‘김치와 김장 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The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applied to have kimchi and kimjang culture included o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Park Yung-keun, Director-General of the Heritage Promotion Bureau a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also held the office of Secretary of the Planning and Budget Office 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Furthermore, he served as Historic Sites Manager at the Buildings and Monuments Bureau, Superintendent General at the Innov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of Policy Management and Public Relations Office, and Director of Historic and Scenic Sites a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efore taking office as Director-General of the Heritage Promotion Bureau in 2010. He has received many awards, including a Presidential Citation and Commendation, and in 2012 was awarded the Red Stripes Order of Service Merit.

Page 14: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14 15 맛있는 여행┃Tasty Travel

Poetry, Painting, and Stories in Korean Food at

SiWhaDam“Did you see an ume flower from the Seomjin River,” “Landscape of ripening wheat,” “The pinwheel from my childhood still twirls in my heart”—these phrases seem like verses from a poem or names of paintings, but they are actually names of dishes at SiWhaDam, a modern Korean fine dining restaurant.Meals that look almost too beautifully to eat are all plated on special dishes, such as antique bowls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or works of famous Korean potters, further impressing on diners the feeling that they are appreciating a work of art as they eat.A lot of effort has gone into decorating the interior of SiWhaDam as well. Reflecting an

elegant harmony of traditional and modern, Eastern and Western beauty, SiWhaDam has luxury furniture, folk paintings, earthenware, and pots on display that it gives it the look of an art gallery.Also adding to its fame as a Korean food cultural space, fusion Korean music performances and media art exhibitions are held at the restaurant occasionally.With these qualities, SiWhaDam, with its Korean food and interior like artworks, has become famous as a place for dinner parties and treating VIP guests. Last year, it presented the beauty of Korean food culture to star chefs from all around the world at Seoul Gourmet 2012.

한식에 시와 그림, 이야기를 담다

시화담

‘섬진강 매화꽃을 보셨는지요’, ‘밀이 익어가는 풍

경’, ‘뒷동산의 바람개비 아직도 내 마음에 돌고

있다’ …….

한 줄의 시, 혹은 한 폭의 그림을 연상시키는 이

문구들은 시와 그림, 이야기가 있는 모던 코리안

파인 다이닝 의 메뉴들이다. 먹기 아까

울 만큼 아름다운 음식들은 모두 조선시대 제작

된 골동사발을 비롯해 유명 도예가들의 작품에

담겨 나와 고객들은 음식을 먹으면서 한 편의 예

술작품을 감상하는 즐거움을 누린다.

시화담은 음식뿐만 아니라 공간에도 공을 많이

들였다. 전통과 현대, 동서양이 조화된 세련된 아

름다움을 선보이고 있는 시화담은 진품 고가구

와 민화, 토기와 도자기들을 곳곳에 전시해 갤러

리에 온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또한, 이곳에서는 종종 퓨전국악 공연이나 미디

어 아트 작품전이 열리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한

식문화공간으로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처럼 한식과 공간을 모두 특별한 예술작품으로

풀어낸「시화담」은 각종 만찬 행사 및 VVIP를

대접하기 위한 장소로도 유명하다. 지난해에는

‘서울고메 2012’에서 세계적인 스타셰프들에게 한

식문화의 아름다움을 선보이기도 했다.

시화담의 메뉴인 ‘섬진강 매화꽃을 보셨는지요’와 ‘밀이 익어가는 풍경’, 그리고 이태원점의 내부 모습Dishes at SiWhaDam, “Have you seen the apricot blossom by Seomjin river?” and “Landscape of Ripening Wheat”Inside of the Itaewon restaurant.

Page 15: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 2013년 3월 넷째주15

Enjoy Grilled Beef Tripe with Soju Cocktail at Byul Yang GopchangByul Yang Gopchang, located in Los Angeles, is famous for grilled beef tripe, a somewhat unfamiliar food to non-Koreans. When people order the Star Combination, the most popular menu at the restaurant, they are served beef tripe and a bottle of soju. A waitperson pours a chilled soju cocktail—a combination of pomegranate vinegar and soju—into a cold glass, and the taste of it with beef tripe grilled to a golden brown is spectacular.Those who do not like tripe can order the Luna Combination, consisting of sirloin, marbled beef, and five-layered beef. Afterwards, they can finish the meal with rich soybean paste stew or a bowl of cold buckwheat noodles with kimchi.Its sign bedecked with stars, its interior glittering with twinkling lights and resonating with old pop, Byul Yang Gopchang comes alive at night.

소주칵테일과 즐기는 곱창구이

별 양곱창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별 양곱창」은 외국인에게는

다소 낯선 음식인 곱창구이로 유명한 곳이다.

대표메뉴인 별모둠(Star combination)을 시키면 대창,

곱창, 막창에 소주 한 병이 나온다. 석류식초와 소주를

섞어 만든 핑크색의 시원한 소주칵테일을 종업원이 차

가운 잔에 따라주는데, 불판에 먹음직스럽게 노릇노릇

구워낸 곱창과 곁들이는 맛이 매우 특별하다.

막창을 먹지 않는 사람이라면 등심과 차돌박이, 오겹살

로 구성된 달모둠(luna combination)을 주문하면 된다.

고기를 다 먹고 난 후에는 청국장찌개나 김치말이냉메

밀면으로 마무리를 해도 좋다.

별이 그려진 간판, 올드팝과 화려한 조명이 반짝이는

은 밤이 되면 더욱 활기를 띤다.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법

잔치국수 Janchi guksu

삶은 국수에 고명을 얹고 멸치장국을 부어낸 국수로 예로부터 결혼식, 생일, 환갑 등 잔치 때 손님을 대접하는 대표음식이다.

[영어]

Banquet NoodlesNoodles in hot anchovy broth with colorful garnishes. Typically served at weddings, birthdays, and other festive occasions.

[일어]

チャンチクッス(韓国式にゅうめん)ゆでた麺に飾り付けをし、煮干しでだしを取ったスープをかける。昔から結婚式、誕生日、還暦祝いなどのお祝いの席でもてなされた。

[중국어]

[프랑스어]

Nouilles fines servies dans un bouillon d’anchois chaud Sur des nouilles cuites, on verse un bouillon à base d’anchois et ajoute une garniture. C’est un plat traditionnellement servi aux invités les jours de fêtes.

[스페인어]

fideos de banqueteSopa de fideos en caldo caliente de anchoas con guarniciones coloridas. Por lo general se sirve en bodas, cumpleaños y otras ocasiones festivas.

[이탈리아어]

Vermicelli per banchettiVermicelli da zuppa in un brodo caldo di acciughe con guarnizioni variopinte. E’ un tipico piatto servito a matrimoni, compleanni e altre ricorrenze festive.

[독일어]

BankettnudelnSuppennudeln in einer heißen Sardellenbrühe mit farbenfrohen Zutaten. Diese Suppe wird normalerweise bei Hochzeiten, Geburtstagen und anderen Festen serviert.

[베트남어]

고소하게 익어가는 곱창 Beef tripe grilled to a golden brown

Page 16: 잔치국수 [ Janchi guksu ] · 2014-08-08 · 잔치국수 [ Janchi guksu ] 핫뉴스 SNS에서도 한식세계화 ‘관심’ 한식세계화 소식 왕실의 나라 영국에

한식재단 뉴스레터는 한식세계화 공식 포털 사이트(www.koreanfood.net)에서 다시 볼 수 있습니다.

KFF newsletters, The Taste of Korea are also available on our website (www.koreanfood.net).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7(양재동) aT센터 1306호27 aT Center, #1306, Gangnam-daero, Seocho-gu, Seoul Tel_02.6300.2050 ┃ Fax_02.6300.2055 ┃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twitter.com/hansikkorea ┃ facebook.com/hansikkorea

재단의 창 ┃ From the Korean Food Foundation 16

지피지기(知彼知己)

한식재단 김홍우 사무총장『손자병법』 모공편에 실려 있는 지피지기백전불태(知彼

知己百戰不殆) 즉,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전략이, 치열한 경쟁 가운데 살아가는

현대의 다양한 경영전략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는 것

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이러한 지피지기

전략은 패스트푸드 시장 등을 중심으로 가히, 음식전쟁

을 방불케 하는 경합이 벌어지고 있는 국내·외 외식시

장에서도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다.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폭 넓은 시각으로 음식문화의

본질을 다뤄 화제가 된 『음식전쟁 문화전쟁(2000년)』의

저자 주영하 박사는 여유와는 거리가 먼, 속도를 중시하

는 자본주의의 한 전형이라는 점에서 패스트푸드의 문

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면서도 중국시장에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맥도날드의 시장전략을 예로 들어 ‘위생+청

결+놀이기구+외제=문명’이라는 도식의 지피지기적 시

장전략이 성공했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함과 동시에 같은

중국임에도 입맛이 다르다는 특성을 살려 상하이에서는

단맛을, 청도지역에서는 매운맛을 가미해 현지화에 성공

하고 있는 경영전략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한 바 있다.

실제 패스트푸드의 규모는 우리가 관념적으로 생각하는

것 이상이다. 매출액이 가장 큰 맥도날드의 2011년 연

간 매출액은 8,594억 달러였다. 이중 5,177억 달러가 해

외에서 올린 매출액이다. 같은 해 우리나라 국가전체 수

출액이 5,565억 달러라는 점과 2010년 국내 약 59만 개

의 음식점 및 주점업의 전체 매출액이 약 5,672억 달러

였던 점을 생각하면 현기증이 난다. 나름 음식문화에 대

해 자부심을 갖고 있는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이 슬로푸

드(slow food)운동과 같이 이러저러한 방편을 마련해 대

응하고 있지만 미국의 패스트푸드는 현재도 전 세계를

대상으로 약진 중이다. 2011년에도 맥도날드는 5.5%의

매출 신장세를 기록했다. 1990년대 이후 미국의 약진에

자극받은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등 자국 음식문화의 세

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나라에서 식당인증제

또는 추천제를 시행해 괄목할만한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도 지피지기 차원에서 현지화를 위한 시장별 정밀조사

가 밑바탕에 깔려 있음은 물론이다.

다소 늦기는 했지만 한식재단에서 2010년 파리와 싱가

포르를 시작으로 2013년까지 30개 주요국 거점도시에

대해 경제적·사회적·행정적 여건 등 외식 및 한식 시장

의 여건조사를 시행하고 있는 것도 장기적 안목에서 한

식세계화의 기초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피지기 전략에

다름 아니다.

Know your enemy and know yourself

Kim Hong-wu, KFF Secretary General

It is no wonder that Sun Tzu’s strategy in the third chapter of The Art of War, “If you know your enemy and know yourself, you can win a hundred battles without a single loss,” is being applied broadly to various business strategies in the modern competitive world. This type of “know your enemy and know yourself” strategy is well appropriated in domestic and overseas food service industry markets, where there is such intense competition led by fast food restaurants that it is a kind of food war. Professor Joo Young-ha, the author of the book, Food War, Culture War (2000), which became a sensation by dealing with the fundamentals of food culture from a cultur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sharpl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fast food—that it is an archetype of capitalism, with is emphasis on speed, and thus far from relaxing. Yet he indirectly acknowledged the market strategy of MacDonald’s in China as a successful example of the “know your enemy and know yourself” strategy, in which the MacDonald’s targeted children in their long-term market strategy, according to a “sanitation+cleanliness+playrooms+foreign products=civilization” paradigm. Joo illustrated the success of MacDonald’s business strategy in detail, describing how MacDonald’s has succeeded in localizing food, by taking advantage of the differences in appetite among Chinese people in different regions, such as providing sweeter menu items in Shanghai and spicier ones in Qingdao.The actual scale of the fast food industry is truly massive. MacDonald’s, whose sales are the highest in the industry, has recorded annual sales of $859.4 billion. Of that total, $517.7 billion came from outside of the US. Imagine if the value of Korea’s total exports, which is $556.5 billion, was the figure for the total sales of about 590,000 restaurants and liquor shops in Korea. It would be amazing.Italy and France, who take pride in their food culture, are counteracting fast food with the “slow food movement,” but the U.S.’s fast food style is still making rapid progress around the world. In 2011, MacDonald’s sales increased by 5.5 percent. Italy, France, and Japan, which have been motivated by the rapid progress of the U.S. since the 1990s, are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their food culture. Their idea to certify restaurants to increase sales has been successful. Even under that idea, the “know your enemies and know yourself” strategy was behind a thorough investigation of markets for the localization of their food. Although it might be a little late, the KFF’s effort to investigate economic, social, administrative conditions, and local markets overseas for Korean restaurants is also part of the “know your enemies and know yourself” strategy. Starting in 2010 with Paris and Singapore, it will have included 30 major cities by the end of 2013. Researching local knowledge is necessary to build an infrastructure that will become the basi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