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Vol.11.No.12012.4.pp29~54 29 * 경상북도 소비자보호센터 상담실장(Deputy ofConsumer Protection Center,Province ofGyeongsangBuk-Do), E-mail:[email protected],Tel:053-950-3961 **경상북도교육청 교원지원과 인턴십(Internship,DepartmentofTeacherSupport,GyeongsangBuk-DoOffice ofEducation),E-mail:[email protected],C.P:010-3958-8569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경북을 중심으로 - 강수현 김미영 A Study on the Consumption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Weekend Trip - Focused on Gyeongsangbuk-Do - Su-Hyeon Kang Mi-Yeong Kim 국문 요약 소비자는제품의선택속성을비롯한다양한요인에자신의요구(needs)를반영하여구매선택을하게 되므로,소비자의 소비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의 요구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일반소비이론의 관광소비이론으로의 접목 및 확장을 통해,관광객을 관광상품 및 관광서비스의 소비자 로규정하고관광객들의관광소비행태분석을통해관광소비행동에반영된관광객의요구(needs)를규 명하고자 한다. 주제어 : 주말여행,관광소비,소비행태,소비자요구,관광객요구 Abstract Asconsumersreflecttheirneedsinto purchasing choice,theanalysisofconsumption behaviorsiseffectivemethod toidentify consumerneeds.By attempting tocombinethe consumertheorywiththeconsumertheoryoftourism,atouristisdefinedasaconsumeroftour productsandservices.Thisstudyaimedtoresearchthetouristneedsbyanalysisoftourist consumption behaviorsin consuming tourism.Thisstudy isbased on asurvey ofthe inhabitantsoftheGyeongsangBuk-Doin relation totheweekend trip.Consequently,the activationofconsumingtourismissuggested. Keywords:WeekendTrip,Consuming Tourism,ConsumptionBehaviors,Consumerneeds, Touristneeds * **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Vol.11.No.12012.4.pp29~54 29

*경상북도 소비자보호센터 상담실장(Deputy ofConsumerProtectionCenter,ProvinceofGyeongsangBuk-Do),

E-mail:[email protected],Tel:053-950-3961

**경상북도교육청 교원지원과 인턴십(Internship,DepartmentofTeacherSupport,GyeongsangBuk-DoOffice

ofEducation),E-mail:[email protected],C.P:010-3958-8569

주말여행 비행태에 한 연

- 경 심 로 -

강수 ․ 미

A Study on the Consumption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Weekend Trip

- Focused on Gyeongsangbuk-Do -

Su-Hyeon Kang ․ Mi-Yeong Kim

국문 요약

소비자는제품의선택속성을비롯한다양한요인에자신의요구(needs)를반 하여구매선택을하게

되므로,소비자의소비행동을분석함으로써소비자의 요구가무엇인지 악할 수있다.본 연구에서는

일반소비이론의 소비이론으로의 목 확장을통해, 객을 상품 서비스의소비자

로 규정하고 객들의 소비행태분석을통해 소비행동에 반 된 객의요구(needs)를규

명하고자 한다.

주제어:주말여행, 소비,소비행태,소비자 요구, 객 요구

Abstract

Asconsumersreflecttheirneedsintopurchasingchoice,theanalysisofconsumption

behaviorsiseffectivemethodtoidentifyconsumerneeds.Byattemptingtocombinethe

consumertheorywiththeconsumertheoryoftourism,atouristisdefinedasaconsumeroftour

productsandservices.Thisstudyaimedtoresearchthetouristneedsbyanalysisoftourist

consumptionbehaviorsinconsumingtourism.Thisstudyisbasedonasurveyofthe

inhabitantsoftheGyeongsangBuk-Doinrelationtotheweekendtrip.Consequently,the

activationofconsumingtourismissuggested.

Keywords:WeekendTrip,ConsumingTourism,ConsumptionBehaviors,Consumerneeds,

Touristneeds

* **

Page 2: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30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Ⅰ. 론

1. 연 경 적

최근국민들에게많은사랑을받고있는TV

로그램 에여행을내용으로하는‘1박2일’의인

기는 실로 단하다.이 로그램에서 소개된 지

역의먹거리,볼거리,즐길거리는국민들이꼭해

보고싶은여행의샘 이되고있으며,이 로그

램에서소개된곳은아직까지도객의발길이끊이

지 않을 정도라 한다.

생활수 의향상과여가시간의증가로삶의질

향상에 한 심이높아지고있으며이는높은문

화욕구로이어지고있다.이러한욕구는지역문화

에 한 심으로확 되어,여가선용의 상으로

서 국방방곡곡살아숨쉬는지역을 하고자

하는경우가많아지고있다.특히주말여행은주5

일근무제도의정착과함께,웰빙(well-being),웰

에이징(well-aging)1)을 한 여가선용의 욕구와

새로운체험에 한욕구를충족시켜주기에가장

합한 유형이되고있다.더불어올해부터는

일선학교에서도주5일수업제가시행되면서,여행

의수요가더많아지고그방식도다양해질것으

로 상하고 있다.

이에 다수의지자체가 객유치를통한지

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개발 계획과 시책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노력

에도 불구하고 그 실질 성과에 해서는 항상

이슈로제기되며새로운 시책의필요성을

감하고있는것이실정이다.실질 인 사업의

발 을 해서는 객의소비특성을정확하게

분석하고제한 인지출수 에머무르고있는도

내 소비의지출을늘리는일이무엇보다 요

하다.

본연구의목 은 객을 상품

서비스의소비자로규정하고 소비개념에

한 틀을 정립하여 소비자의 소비지출행태를

분석함으로써,도내주말여행에 한 소비실

태 황을 제공하고,소비자들의 주말여행에 한

실제 요구(needs)가무엇인지를밝히는것이다.

이는 소비시장에서의 소비를 진시키는

데 가장 요한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2. 연

본연구는2010년12월,경북도민1,000명(경북

의 포항,경주,안동,구미,경산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성인각200명 상)을조사 상으로하여,방

문면 법(FacetoFaceinterview)에 따라표본조

사한 설문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의 행태에 반 된 요구(needs)가 무

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설문지는ⅰ)응답자 황(지역․성별․연령등),

ⅱ)주말여행 실태(주말여행 빈도 목 ,주말여

행장소등),ⅲ)주말여행소비실태(주말여행시지

출 액,소비패턴(특산품,특산음식 소비 행태와

체험활동 여부등),지역특산물 특산음식에

한만족도등),ⅳ)주말여행개선사항 발 방향

(주말여행장 ,여행시불편한 ,지역 객유

치를 한 개선 사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Ⅱ. 론적 고찰

1. 비 론

소비란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행

이다.재화와서비스의구입과이를사용하는것

까지소비는포함하고있다.하지만 소비이론

에서는소비의 상이되는재화가일반재화와다

1)노화에 순응하면서도 오랫동안 건강을 유지한다는 의미로,아름답게 늙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반 한 용어

이다.

Page 3: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31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1> 비 별 류

구 분구조 (행 의 구조)

상 행 인간 행

(행 의 목 )

자기목

경험으로서의 소비

소비자의 주 ·감정 반응

일상 탈출과 색다른 경험

놀이로서의 소비

타인과의 상호작용

구성원들의 공동 사회화 과정

도구

통합으로서의 소비

자신의 정체성을 지역문화와 통합

분류로서의 소비

자신의 신분과 정체성 차별화

자료 :이 진·이훈(2007)

른 소 재(觀光財:touristgoods)라 불리는

특수한성격의재화를구매하게된다.여기에서말

하는 이 재화는 패키지와 같은 꾸러미 재화(a

bundleofgoods)이며 공공성과 사유성이 혼합된

복합재이다(유승각,2010).

19세기칼마르크스(KarlHeinrichMarx)는「자

본론」에서 상품의 가치를교환가치와 사용가치로

보았고,20세기장 보드리야르(JeanBaudrillard)는

상품이가진기호(이미지)를소비한다고하면서기

호가치를제시하 다. 소비가 상품과

서비스를소비하는것이라는 에서본다면,앞에

서 말한 세 가지 가치 가운데 교환가치를 제외한

두가지가치에 이모아진다.즉 소비란

상품과 서비스가지닌가치를소비하는 것이고,

소비자들은 상품이나서비스에내재된어

떤가치를소비하기 해 소비즉, 행동을

하는 것이다(박석희,2010).

소비는일생을통하여일어나고경험이많아

짐에따라소비방법도 차발 할수있다.‘여행

경력사다리(TravelCareerLadder)’이론은이러

한 소비과정의반복은일생에걸쳐서일어나

며,경험이쌓이면쌓일수록,더욱더많은바람직

한경험을하게됨을지 하고있다(Pearce).그결

과로 에 한욕구와기 는경험의반복과더

불어변화하고 진화하는것이다(유승각,2010에서

재인용).그리고 이러한 변화와 진화는사회

련성,생애주기,제약요인,새롭게 두되는 가치

등에 따라 향을 받게 된다.

2. 비 별 특 류2)

Holt(1995)에따르면 소비는네가지유형으

로 특성화될 수 있다.첫째,경험으로서의 소비는

소비자의주 ·감정 반응에 을맞춘것

으로 일상으로부터의 탈출과 색다른 경험 기회가

주요목 이되는소비유형이다.둘째,놀이로서의

소비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이 맞춰

져있는것으로유사한처지의구성원들이함께사

회화되는과정을기 하는소비유형이다.셋째,통

합으로서의 소비는 자기 자신과 상을 통합하거

나 상징 으로 근하는 것으로 고객들의 정체성

을 지역의 문화나 개인의 자아성에 통합해나가는

과정을 요시하는유형이다.넷째,분류로서의소

비는 자신의 신분과 정체성을 차별화시키고자 사

회 으로차별화된소비행태를지향하는유형이다.

이 진·이훈(2007)은Holt(1995)의모형을토

로 소비유형을4가지로제시한바있는데,소

비행 를행 구조와행 목 에따라4가지차원

으로분류하고있다.행 구조의 에서 상행

는소비자들이직 소비 상에흥미를느껴소

비 상을 자기 것으로 끌어들이는 행 에 련된

2)이 주(2009)에서의 유형을 따라 재인용함.

Page 4: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32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2> 비 련 내 행연 약

구분 선행연구 요약

경제효과 분석

·주로 거시경제 측면에서 제 변수와 소비간의 인과성 검증

·부가가치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 등의 산업연 효과가 검증되었고,소득

GDP,상 가격,환율,가구소득,여행거리별 지출등이통계 으로 유의한것으로

분석되었음

·Long&Perdue(1990),조 숙·손태환(1992),Lee,Var&Blaine(1996),

김규호(1996),유 훈(1998),이돈재(1998)등

소비지출

결정요인

분석

· 객 소비지출 결정요인으로서 개별 인 특성을 밝힘

·특히 축제참여시 지출 결정요인을 분석한 연구가 많음

·방문경험,체류시간,결혼여부,성별,소득수 ,거주지역,만족도,

방문형태,방문유형,숙박형태,연령,직업 등의 변수가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음

·Agarwal&Yochum(1999),고동우·부소 (2001),이희찬(2002),

박지 (2007),허 욱(2007),이범재·정경일(2008)등

조사방법

비교연구

·조사방법 근에 따른 차이검증

·주로 식음료비와 기념품 구입비 차이에 의해 조사방법간 추정치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남

·Breen,Bull&Walo(2001),고동우(2004),박동열(2004),

김미경·문혜선·이희찬(2005)등

행동

략 수립

·개별 사례지역에 한 소비특성을 악하여 응 략의 기 자료로 활용

·Godbey&Graefe(1991),Lawson(1991),Mok&Iverson(2000)

자료 :이 주(2009)참조.

것이며, 인간행 는소비 상이소구수단으로써

다른사람과의상호작용에이용하는행 이다.행

목 의 에서 자기 목 행 는 소비자의

행 가그들각자에게 향을미치는자기목

행 로소비행 자체가즐거운것이며,도구 행

는소비행 가다른목 을 한수단으로사용

되는 것이다.

소비의특성에 한연구가거의부재한상

황이지만,4개의 소비유형 연구된결과는

‘경험으로서의소비’를다루고있다.고동우·부소

(2001)은 소비에있어서는일반 인소비와

는달리이성 인행동이아닌감성 이고일탈

인행동이나타날가능성이있기때문에비합리

혹은충동 소비행동이이루어질수있으며,따라

서소비지출액도일상 인구매시보다상 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언 한 바 있다.

3. 비 지출에 한 연 3)

소비는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만족을 얻고 재생산되는 과정인 반면,지출은 재

화나서비스를얻기 해지불된화폐의흐름으로

서,소비행 의 결과라 할 수 있다.이 주(2009)

는 소비를일상생활권을떠나서여행을하고

있거나 여행을 할 의도를 가진 사람들의 소비자

행동과연 된것으로서,여행 ·여행 ·여행

후발생되는재화와서비스의모든소비지출이라

정의하고 있다.

소비의개념 특성에 한연구는부족한

3)이 주(2009),유승각(2010)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인용함.

Page 5: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33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반면,상 으로 소비 행 의 결과라 할 수

있는지출특성에 한연구가지속 으로진행되

고있다.즉, 소비의특성을지출특성에서찾

고자하는추세라할수있다. 소비의지출특

성에 한연구는주로지출에 향을미치는결

정요인이무엇인지를밝 내는데 이맞춰져

있다.

국내에서 소비의지출에 향을미치는결

정요인을연구한바에따르면,우선고동우·부소

(2001)은기획축제 람자의소비지출양을 언

하는 유의미한 선행변수로 결혼여부,성별,재방

문경험,체류시간을검토한바있다.반면여행거

리와경제 소득변수는유의미한설명력을보이

지 않았음을 밝힌 바 있다.

이희찬(2002)의연구에서는함평나비축제 방문

객을 상으로 축제방문자의 소비지출에 향을

주는결정요인을토빗모형을이용하여지출항목

별로 분석하 다.지출함수에 포함된 변수들

방문자의소득,거주지,만족도,방문유형등이방

문자의 소비행 에 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임을

도출하 다.

박지 (2007)은 소비에 향을미치는요인

들을 여행거리,여행목 ,재방문경험,체류시간,

소득,자녀동반으로보았다;즉,여행거리가길수

록 소비가 높다는 , 목 이 분명할수록(스

키,축제등)소비가높다는 ,첫방문이재방문

보다소비가높다는 ,체류시간(숙박일수)이길

어질수록소비는 어든다는 ,소득이높을수록

소비가높다는 ,자녀를동반할경우소비가높

다는 등이다.

허 욱(2007)은강릉단오제를사례로하여문화

축제에서의 소비에 향을 미치는 요인

들을도출한바있는데,통행시간,동반형태,만족

도,성별,가구,월소득등이바로그것이다.그

만족도는지출결정에있어부(-)의 계를나타냈

는데,이것은 아무리 만족도가 높다 하더라도

시 신호로서소비지출이바로이행되지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보고 있다.

이범재 ·정경일(2008)은 2006년 문화 부의

문화 축제평가 상인40개지역축제를 상

으로지역축제유형에따른지역축제방문객의소

비지출액의차이를분석하 다.이들은축제유형

요인뿐만아니라축제개최시기,외지인비율,주

변 지유무에따라방문객의소비지출에차이

가 있는지 분석하 다.

결과 으로축제를비롯한지역 시지출에

향을 미칠 수 있는 결정 요인들을 정리해보면

방문경험,체류시간,결혼여부,성별,소득수 ,거

주지역,만족도,방문형태,방문유형,숙박형태,연

령,직업 등으로 압축된다.

4. 비

일반 으로 소비자행동은 소비자가 자신의 욕

구충족에 합당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탐색,구매,

사용,평가,처분하는과정을말한다.즉,소비자행

동은소비자가소비와 련된 항목들에 돈,시간,

노력등의자원을어떻게배분하기로결정하는가

에 련된 것으로,소비자에게 의미 있는 상물

의교환을용이하게하며완성시키는행 (임종원

외,2007)라 할 수 있다.이러한 소비자행동의한

형태로소비자는구매행동을하게되고이과정에

서 다양한내·외 요소와 여수 에 향을받

게되는데,특정제품을구매함에있어그선택요

인들에 한구체 요구(needs)를인식하고제품

사용을통해해당요구의 충족을하게되는것도

소비자행동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소비자의구매선택에미치는 향요인인선택

속성은일반 으로소비자가제품을선택할때

요시여기는속성의 요도와만족도를의미한다.

속성(attribute)은제품의구체 인특성을의미하

Page 6: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34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그림 1> 개념 정립

지만,제품을 단순히 이러한 속성들의 집합(a

bundleofvalues)으로해석(안 호외,2009)하는

것이 소비자측면에서 더 타당하다.

제품의선택속성은소비자가특정제품을구매

하고이를 통해 제공받는 혜택(benefit)을실 함

으로써자신의요구를충족하여만족을느끼고자

하는것이기때문에,이는결국제품에 한소비

자의 요구 는 욕구를 반 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박균열,2011).

이 듯소비자는제품의선택속성을비롯한다

양한요인에자신의요구(needs)를반 하여구매

선택을하게되므로,소비자의소비행동을분석함

으로써 소비자의 요구가 무엇인지 악할 수 있

다.나아가소비자는구매행동을한결과,소비자

요구에부합할때는만족을느끼고이것이재구매

행동으로이어지는 반면,소비자요구에 부합하지

못할때는불만족을느끼게되고재구매행동을하

지 않게 된다.결과 으로 소비자요구는 재구매

여부를 결정짓는 요한 요소인 것이다.

본연구에서는일반소비이론의 소비이론으

로의 목 확장을통해, 객을 상품

서비스의 소비자로 규정하고 객들의

소비행태분석을 통해 소비행동에 반 된

객의 요구(needs)를 규명하고자 한다.

5. 비 론에 비 조사 필

소득 여가시간이증가하고삶의질이향상되

면서주말여행을통해휴식과체험의기회를보장

받고더불어높은문화 욕구를충족하고자하는

사람들이많아졌다.이러한 객들의수요는나

날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질 으로도 그 수 이

차 높아지고 형태 한 다양해지고 있다.이

듯진화되고있는 소비자의수요를충족시키

기 하여소비자의요구조사는필수 이라할수

있으며좀더체계 이고심층 으로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일반상품을 생산하고 매하는 일반재화

의시장에서시장우 에있는기업들은소비자의

요구(needs)를반 한상품을만들어내고,고객의

요구에발빠르게 응한다.소비자요구가기업의

매출증 제품시장에서의경쟁력을갖기 한

제품생산의방향을결정짓는요인으로작용하는

Page 7: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35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3> 주말여행 경험 빈도 (단 : , %)

구 분

주말여행 경험 빈도

거의 매주한달에 2회

이상한달에 1회

두세달에

1회 이상

일년에 2회

이상일년에 1회

거의 가지

않음기타

체 1,000 38 3.8% 15515.5% 24824.8% 18518.5% 14114.1% 56 5.6% 17517.5% 2 .2%

< 4> 주말여행 주 하지 않는 ( 복 답, 단 : , %)

구 분

주말여행 자주 가지 않는 이유(복응답)

여행비용이

부담

회사일

등으로

시간부족

건강상

이유

가고 싶은

곳이

없어서

교통 불편

같이 갈

사람이

없어서

귀찮고

번거로워

기타

체 1,000 24424.4% 425 42.5% 111.1% 313.1% 39 3.9% 29 2.9% 12712.7% 161.6%

< 5> 주말여행 적 ( 복 답, 단 : , %)

구 분

주말여행 목 (복응답)

스트 스

해소

가족이나

친구등과

친목도모

취미활동을

자연명승

축제

등에

참여

특산

음식을

즐기기

온천

등으로

심신휴양

놀거리

이용기타

체 1,00040140.1% 472 47.2% 162 16.2% 119 11.9% 393.9% 52 5.2% 858.5% 686.8% 141.4%

것이다. 시장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객 요구(needs)를 정확히 악하여

이를 상품 산업정책에반 하는것은

소비증진 수익증 를 한기 단계

이자궁극 방안이라할수있다.각지자체별로

지역경제활성화의일환으로 사업을통한수

익증 를목표로그경쟁이가속화되고있는가운

데,본 연구에서의 행태분석을 통해 나타난

객요구를 산업 정책의발 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되길 기 한다.

Ⅲ. 주말여행 실태

1. 주말여행 경험 빈도

주말여행을 한 달에 1회 정도 다닌다는 응답이

24.8%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다음으로두세달

에1회이상(18.5%),한달에2회이상(15.5%)등의

순이다.한편,거의매주주말여행을다닌다는응답

은3.8%이다.한달에최소1회이상주말여행을가

는응답자가44.1%로응답자의약 반정도가비

교 주말여행을 자주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주말여행을자주하지않는이유로는회사

업무나수업,가사등으로시간부족을꼽은응답이

42.5%로 가장 높았으며,다음으로 여행비용 부담

(24.4%),귀찮고 번거로워서(12.7%)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주말여행 적

주말여행을 하는 주된 목 으로는 가족이나 친

구등과의친목도모를 해서라는응답이 47.2%로

가장높고,다음으로스트 스해소(40.1%),취미활

동(16.2%),자연명승지 (11.9%)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8: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36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6> 주말여행 시 (단 :명,%)

구 분주말여행 시기

일주일 2주 한 달 이내 6개월 이내 6개월 이상 무응답

체 1,000 191 19.1% 138 13.8% 230 23.0% 376 37.6% 22 2.2% 43 4.3%

< 7> 주말여행 (단 : %, ) ※ 응답자에 한해

9 .3 %( 7 5 )4 .1 %

( 3 3 )

4 .2 %

( 3 4 )

5 .2 %( 4 2 )

6 .9 %

( 5 6 )

8 .9 %

( 7 2 )

1 0 .5 %

( 8 5 )

1 6 .5 %( 1 3 3 )

3 4 .4 %

( 2 7 7 )

경 북 부 산 대 강 원 도 경 남 서 울 충 청 도 전 라 도 기 타

※ 주 식 응답을 재구성하여 비율을 표시하 음.

※ 울산(23건),제주(22건),경기(14건), (11건),인천(5건)은 기타로 묶음.

< 8> 주말여행 지역 (단 :%)

4 .7 %

( 4 7 )2 .0 %

( 2 0 )

2 .3 %

( 2 3 )

3 .3 %( 3 3 )

2 .8 %

( 2 8 )

1 0 .0 %

( 1 0 0 )

1 9 .8 %

( 1 9 8 )1 3 .2 %( 1 3 2 )

6 6 .4 %

( 6 6 4 )

경 북 대 경 남 서 울 및도

충 청 전 라 강 원 해 외 기 타

3. 주말여행 시

1)주말여행 시기

가장 최근에 주말여행을 한 시기를 살펴보면,

최근 6개월 이내가 37.6%로 가장 높고,다음으로

한 달 이내(23.0%),일주일 (19.1%),2주

(13.8%)등의 순이다.

2)주말여행 장소

가장 최근에 다녀온 주말여행장소를살펴보면,

경북이 34.4%로 가장 많았으며,다음으로 부산

(16.5%), 구(10.5%),강원도(8.9%),경남(6.9%),

서울(5.2%)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로방문한 세부 지를살펴보면,총806건

부산해운 가83건으로가장많았으며,다음으

로 구 팔공산(44건),경주(27건),제주도(22건),

경주 보문단지(21건),설악산(17건)등의 순이다.

4. 주말여행 지역

주말여행을주로가는지역으로경북이66.4%로

부분을차지하 으며,다음으로경남(19.8%),

구(13.2%),서울 수도권(10.0%)등의순으로나

타났다.

5. 주말여행지 택

주말여행지역을 선택하는 기 으로는 볼거리

(41.9%)가 있거나 교통 등 이동이 편리한 지역

Page 9: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37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9> 주말여행지 택 (단 :명,%)

구 분

주말여행 장소 선택기 (복응답)

이동이

편리함볼거리 먹거리 여행비용 숙박환경 체험활동 기타

체 1,000 330 33.0% 419 41.9% 108 10.8% 87 8.7% 31 3.1% 97 9.7% 24 2.4%

< 10> 주말여행 시 계 여 (단 :명,%)

구 분

주말여행 시 계획여부

철 히 계획하는 편장소 등 요한

부분만 계획

계획없이

여행하는 편무응답

체 1,000 259 25.9% 545 54.5% 185 18.5% 11 1.1%

< 11> 계 없 나는 (단 :명,%) ※ 여행계획을 세우지 않는다는 응답자에 한해

구 분

계획 없이 떠나는 이유

계획했던장소로 여행이불가해서

여행계획세우기귀찮아서

여행정보수집의한계때문에

그날 기분이나상황에 따라하는 여행을선호

기타 무응답

체 741 100 13.5% 133 17.9% 162 21.9% 281 37.9% 12 1.6% 53 7.2%

< 12> 주말여행 정보 습득 경로 (복응답,단 :명,%)

구 분

주말여행 정보 습득 경로(복응답)

인터넷 검색 안내책자 주 사람들TV혹은라디오

신문 잡지 기타

체 1,000 629 62.9% 55 5.5% 288 28.8% 42 4.2% 24 2.4% 11 1.1%

(33.0%)을주로꼽았으며,그밖에먹거리(10.8%),

체험활동(9.7%),여행비용(8.7%)등으로나타났다.

6. 주말여행 시 계 여

주말여행시사 계획여부에 해살펴보면,장

소 등 요한 부분만 계획한다는 응답자가54.5%

로 가장 높았으며,철 히 계획한다는 의견이

25.9%,계획없이여행한다는응답자가18.5%로나

타났다.

계획 없이 주말여행을 떠나는 이유로 그날의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여행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37.9%로가장높고,다음으로여행정보수

집의한계(21.9%),여행계획을세우기기귀찮아서

(17.9%),계획했던장소로여행이불가해서(13.5%)

등의 이유를 꼽았다.

7. 주말여행 정보 습득 경로

주말여행정보를주로인터넷검색을통해얻는

다는 응답이 62.9%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가까운주 사람들(28.8%), 안내책

자(5.5%),TV나 라디오(4.2%)등의 순이다.

Page 10: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38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13> 주말여행 정 (단 :명,%)

구 분

주말여행 선호 일정

토요일당일

일요일당일

토1박 2일

토일1박 2일

토일2박 3일

기타

체 992 195 19.7% 212 21.4% 142 14.3% 350 35.3% 69 7.0% 24 2.4%

< 14> 주말여행 시 동 (복응답,단 :명,%)

구 분

주말여행 시 동반자(복응답)

혼자 가족 친구 연인동호회나계모임 등

학교나 직장등 단체여행

체 1,000 38 3.8% 545 54.5% 288 28.8% 109 10.9% 41 4.1% 26 2.6%

< 15> 통수단 (단 :명,%)

구 분

주 이용교통 수단

자가용/승용차

시외/고속버스

세/버스

철도 트카 비행기 기타 무응답

체 1,000 738 73.8% 11411.4% 41 4.1% 72 7.2% 19 1.9% 10 1.0% 3 0.3% 3 0.3%

< 16> 여행 시 특산 식점 택 (단 :명,%)

구 분

여행 시 특산 음식 선택 기

사 조사주 의추천

음식시설

호객행음식 의손님 수

가격 기타 무응답

체 1,000 398 39.8% 308 30.8% 98 9.8% 10 1.0% 110 11.0% 43 4.3% 26 2.6% 7 0.7%

8. 주말여행 정

주말여행 시 선호하는 일정은 토요일과 일요일

이끼인1박2일여행을선호한다는의견이35.3%

로가장높고,다음으로일요일당일(21.4%),토요

일 당일(19.7%), 요일과 토요일 1박 2일(1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9. 주말여행 시 동

주말여행을갈때가족과함께떠난다는의견이

응답자의 반정도인54.5%로가장높았으며,다

음으로 친구(28.8%),연인(10.9%)등의 순인것으

로 나타났다.

10. 통수단

주말여행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 응답

자의 부분인 73.8%가 교통보다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여행 시 특산 식점 택

주말여행 시 특산 음식 을 선택하는 기 으로

사 조사(39.8%)를통한음식 선택이가장높고,

다음으로 주 의 추천(30.8%),음식 의 손님 수

(11.0%),음식 시설(9.8%)등의 순으로 꼽고

있다.

Page 11: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39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17> 숙 시 택 (복응답,단 :명,%)

구 분

숙박시설 선택 기 (복응답)

가격 시설주변의지

인 정도약 편리성

교통주차시설

청결성 기타

체 1,000 193 19.3% 292 29.2% 290 29.0% 49 4.9% 100 10.0% 149 14.9% 12 1.2%

< 18> 숙 (복응답,단 :명,%)

구 분

숙박유형(복응답)

호텔콘도미니엄

모텔/여 펜션 민박자연휴양림

친척/친구집

야 장 기타

체 1,000 696.9% 20920.9% 28828.8% 38038.0% 91 9.1% 75 7.5% 97 9.7% 20 2.0% 18 1.8%

< 19> 키지여행 여 (복응답,단 :명,%)

구 분패키지여행 이용 여부

있음 없음

체 1,000 149 14.9% 851 85.1%

< 20> 상 주말여행지 (단 : %, ) ※ 응답자에 한해

※ 주 식 응답을 지역별로 재구성하 음.※ 기타지역 : 북(17건),충남(15건,),충북(15건), (3건),울산(6건),인천(2건)임.

12. 숙 시 택

주말여행 시 숙박시설 선택 기 을 살펴보면,

숙박시설(29.2%)이나 주변의 지 인 정도

(29.0%)를고려한다는응답이가장높았으며,다음

으로가격(19.3%),청결성(14.9%),교통 주차시

설(10.0%)등의 순이다.

13. 숙

주말여행에서숙박시펜션을이용한다는응답이

38.0%로 가장 높았으며,다음으로 모텔 여

(28.8%),콘도미니엄(20.9%),친척 친구집(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4. 키지여행 여 수

주말여행 시 여행사의 패키지여행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14.9%이며,없다는 응답은

85.1%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패키지여행을 해 본 149명 가운데

63.1%가1회정도경험한것으로나타났으며,2회

는22.8%,3회이상은14.1%로나타났다.한편,평

균 패키지여행 경험 횟수는 1.9회 정도이다.

Page 12: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40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21> 경 지역 내 추천 지 (단 :%,명)※ 응답자에 한해

< 22> 주말여행 시 평균 지출 액 (단 : 만원) ※ 응답자에 한해

15. 상 주말여행지

주말여행 방문지 가운데 가장 좋았던 여행지로

서경북지역을 꼽은 응답이 28.5%로 가장 많았으

며,다음으로 강원도(16.2%),경남(13.1%),부산

(11.5%),제주도(9.6%)등의 지역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지역을살펴보면,부산해운 가6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다음으로 경주의 보문단지(56건),

춘천남이섬(37건),설악산(32건),거제도(23건)등

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16. 경 지역 내 추천 지

경북지역에 치한 지가운데추천하고싶은

지역으로경주가348건으로가장많았으며,다음으

로 안동(118건),문경(53건),포항(50건),구미(40

건), 주(39건), 덕(32건),청송(31건)등으로꼽

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지를살펴보면,보문단지가173건으로

가장 많이 추천 지로 꼽았으며,다음으로 안

동하회마을(85건),문경새재(38건), 오산(37건),

주왕산(26건), 주부석사(24건)등의 순으로 나

타났다.

Ⅳ. 주말여행 비지출행태

1. 주말여행 시 지출 액

당일로주말여행을갈때6∼10만원정도지출

한다는응답이45.8%로가장높은가운데,당일여

행 시 평균 지출 액은 11만 3천원 정도이다.

숙박여행시11∼20만원이하를지출한다는응

답이41.9%로가장높게나타나며,평균지출 액

으로는23만6,000원정도이다.숙박여행시숙박

Page 13: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41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23> 주말여행 시 지출항 별 비 (단 :%,명)※ 응답자에 한해

19.4%

23.2%

21.3%

24.6%

23.2% 8.7%

14.0%

3.8%

28 .4%

23 .6%

9.8%

박 여행

당일 여행

람 및 체험 부분 통비 비 박 쇼 핑 기타

< 24> 여행 시 지출비 과 계 비 (단 :명,%)

구 분실제 지출비용과 계획비용의 지출괴리

계획비용이 더 많음 비슷함 지출비용이 더 많음 무응답

체 1,000 85 8.5% 432 43.2% 479 47.9% 4 0.4%

< 25> 추가비 생 문 (복응답,단 :명,%)

구 분주말여행시 비용 추가 부분(복응답)

쇼핑 람 체험 식비 숙박비 교통비 기타

체 1,000 270 27.0% 203 20.3% 404 40.4% 109 10.9% 106 10.6% 9 0.9%

시설이용료는5만원이하(44.6%)와6∼10만원이

하(42.9%)를지불한다는응답이 부분을차지하

는 가운데,평균 숙박시설 이용료는 8만 3천원으

로 나타났다.

2. 주말여행 시 지출항 별 비

주말여행 시 지출 항목별 지출 비 을 살펴보

면,먼 당일여행시 식비비 이28.4%로가장

높고,다음으로 교통비(24.6%), 람 체험

(23.2%),쇼핑(14.0%)순으로지출비 이높은것

으로 나타났다.

숙박여행시에도숙박비비 을제외하면,당일

여행과비슷한경향을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한

편,숙박비비 은23.2%로식비와비슷한비 으

로 조사되었으며,쇼핑에서 차지하는 비 (8.7%)

이 당일여행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여행 시 지출비 과 계 비

여행 시계획했던비용에 비해실제지출비용

이더많다는응답이47.9% 으며,계획비용과지

출비용이 비슷하다는 응답은 43.2%로 나타났다.

한편,계획했던 것 보다 게 지출했다는 응답은

8.5%이다.

추가비용이발생되는부분으로식비가40.4%로

가장높았으며,다음으로쇼핑(27.0%), 람 체

험(20.3%),숙박비(10.9%),교통비(10.6%)등의순

이다.

Page 14: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42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26> 주말여행 비 향 (단 :%,명)

1 8 .2 %

2 .5 %

3 .2 %

4 .8 %

2 0 .3 %

5 2 . 8 %

1 1 .3 %

1 8 .4 %

2 7 .4 %

4 6 .9 %

3 7 .3 %

4 0 .5 %

2 7 .4 %

7 .5 %

3 9 .5 %

2 9 .9 %

2 1 .2 %

3 .6 %

2 9 .5 %

2 0 .6 %

0 % 1 0 % 2 0 % 3 0 % 4 0 % 5 0 % 6 0 % 7 0 % 8 0 % 9 0 % 1 0 0 %

1 )

2 )

3 )

4 )

5 )

매 우 렇 다 대 체 로 렇 다 보 통 이 다 렇 않 은 편 전 혀 렇 않 다 무 응 답

1)특산음식으로 식사 2)기념품 구입 3)특산품 구입4)체험활동 참여(유료) 5) 명소 람(유료)

< 27> 지역특산 식 특산 매 경험 (단 :명,%)

구 분

지역 특산음식 특산품 구매 경험

경험이 없음지역특산 음식을먹어 본 있음

지역특산품 구매 경험있음

음식 특산품 모두경험 있음

체 1,000 184 18.4% 409 40.9% 170 17.0% 237 23.7%

< 28> 지역 특산 식 특산 매 경험 (단 :%,명)

4 .4 %

6 .2 %

3 1 .7 %

4 4 .4 %

1 1 .5 %

5 .4 %4 1 .3 %

4 9 .6 %

0 .5 %

0 .2 %

2 .2 %

2 .5 %

0 % 2 0 % 4 0 % 6 0 % 8 0 % 1 0 0 %

특 산 품

먹 거 리

매 우 만 족 만 족 보 통 불 만 족 매 우 불 만 족 무 응 답

3 . 3 점

3 . 5 점

※ 만족도 수는 5 척도로 매우 만족이 5 ,다소 만족이 4 ,보통이 3 ,다소 불만족이 2 ,매우 불만족이 1 임(이하동일)

4. 주말여행 비 향

주말여행 시 소비성향을 살펴보면,특산음식으

로식사한다는응답71.0%로가장높고, 명소

람은67.2%,체험활동참여는32.2%,특산품구

입은21.6%,기념품구입은13.8%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5. 지역특산물 실태

1)지역 특산음식 특산품 구매 경험

주말여행시지역특산음식을먹어본 있다는

응답이 40.9%,지역특산품을 구매 해 본 경험은

17.0%,지역특산음식과특산품모두구매경험은

23.7%로 체응답자의81.6%가지역특산음식이

나특산품을구매해본경험이있는것으로나타

났다.한편,아무것도 구매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18.4%이다.

2)지역 특산음식 특산품 만족도

조사 상응답자 지역특산음식은50.6%,특

산품은 36.1%가 만족한다고 평가하 으며,만족

도 수는 지역특산 음식이 3.5 ,지역특산품은

3.3 이다.

Page 15: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43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29> 주말여행 경비 추가 지 사 (단 :명,%)

구 분

주말여행 경비 추가 지불 의사

추가비용지불의사없음

10% 미만 10~30%미만30~50%미만

50~100%미만

100%이상 무응답

체 1,000141 14.1% 402 40.2% 376 37.6% 44 4.4% 12 1.2% 4 .4% 21 2.1%

< 30> 주말여행 점 (복응답,단 :명,%)

구 분

주말여행의 장 (복응답)

스트 스 해소다양한 경험과추억 만들기

지역 특산물구입

여행지역에해 알게 됨

취미생활 기타

체 1,000 394 39.4% 525 52.5% 13 1.3% 50 5.0% 53 5.3% 8 0.8%

지역특산음식에 해불만족하다고평가한응

답자의불만족이유로는바가지요 (61.1%)을가

장많이꼽았으며,다음으로맛이없음(27.8%),불

친 함(13.9%),음식재료의 질이 낮음,비 생

시설(각 8.3%)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특산품에 한 불만족이유로는 가격이 비

싸거나품질이낮아서(각38.8%)라는이유를주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주말여행 경비 추가 지 사

주말여행시추가로여행경비를지불할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76.8%로 부분을 차지하는 가운

데, 액비 이 계획 비용보다 10%미만 수 에

서 더 지불할 수 있다는 응답이 40.2%,10~30%

미만이 37.6%로 비교 높게 나타났다.

Ⅴ. 주말여행 편사항 개 사항

주말여행의 장 으로 다양한 경험과 추억을

만들 수 있어서(52.5%),일상의 스트 스 해소

(39.4%)가 부분인것으로나타났다.그밖에취

미생활(5.3%)이나 여행지역에 해 알게 되었다

(5.0%),지역특산물구입(1.3%)등을장 으로꼽

았다.

와같이 주말여행의다양한장 에도불구하

고실제여행과정에서겪는여행객들은다음과같

은 불편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이러한

불편사항을종합 으로짚어보면서개선을 한

기회로 삼고자 한다.

1. 주말여행 편사항

여행 시 불편사항에 해 살펴보면,주말여행

시 불편사항이나 불쾌감을 느낀 으로 바가지

요 이 39.7%로 가장 높고,다음으로 인 로 인

한 혼잡(18.2%),교통불편 주차공간 부족

(16.5%),비 생 시설(14.3%)등을 꼽은 것으

로 나타났다.

< 31> 여행 시 편사항 (복응답,단 :%,명)

Page 16: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44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32> 답 특 별 여행 시 편사항 (복응답,단 :명,%)

구 분

여행 시 불편사항(복응답)

바가지 요 불친 함교통안내미비

지 안내미비

비 생시설

교통불편주차공간부족

인 로 인한혼잡

기타

체 1,000 39739.7% 14814.8% 58 5.8% 10910.9% 14314.3% 16516.5% 18218.2% 5 .5%

성남성 504 19538.7% 76 15.1% 36 7.1% 56 11.1% 509.9% 91 18.1% 87 17.3% 2 .4%

여성 496 20240.7% 72 14.5% 22 4.4% 53 10.7% 9318.8% 74 14.9% 95 19.2% 3 .6%

연령

20 300 12842.7% 49 16.3% 21 7.0% 24 8.0% 4715.7% 40 13.3% 35 11.7% 1 .3%

30 292 13345.5% 49 16.8% 14 4.8% 34 11.6% 4013.7% 44 15.1% 51 17.5% 2 .7%

40 232 77 33.2% 27 11.6% 11 4.7% 34 14.7% 3515.1% 50 21.6% 59 25.4% 1 .4%

50 137 40 29.2% 21 15.3% 11 8.0% 14 10.2% 1611.7% 23 16.8% 34 24.8% 1 .7%

60 이상 39 19 48.7% 2 5.1% 1 2.6% 3 7.7% 512.8% 8 20.5% 3 7.7%

혼인상태

기혼 567 21638.1% 75 13.2% 31 5.5% 66 11.6% 8715.3% 10117.8% 12321.7% 2 .4%

미혼 433 18141.8% 73 16.9% 27 6.2% 43 9.9% 5612.9% 64 14.8% 59 13.6% 3 .7%

0.7% (7)

19.1% (191)

19.1% (191)

4.2% (42)

7.6% (76)

29.5% (295)

39.1% (391)여행 바가 요금 단속

여행 의 정확한 정보 제공

강압적인 호객행위

여행 예약 템 개선

통 설 및 주차 설개선

위생적인 설과 먹거리

기타

응답자 특성에 상 없이 여행지의 바가지 요

으로 인해 불편하거나 불쾌했다는 응답이 가

장 많은 가운데,안동시는 여행지주변의 상인이

나주민등의불친 함(19.0%)을꼽은응답이상

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성의경우여행지의비 생 시설(18.8%)을

꼽은 응답이 남성(9.9%)에 비해 높았다.연령

별로는 40 (25.4%)와 50 (24.8%)의 경우 인

로인한혼잡을,40 에서는교통불편 주차공

간부족(21.6%)이상 으로높게나타났다.

한기혼자의경우인 로인한혼잡(21.7%)을주

말여행 시 불편한 사항으로 꼽은 응답이 상

으로 높았다.

참고 으로월평균여가소비 액이5만원미

만은 바가지요 에 한 불만이 48.0%로 타 연

령 에 비해 특히 높았으며,100만원 이상은 여

행지의 불친 함과 비 생 시설(각 23.3%)에

한 불편사항을 꼽은 응답자가 상 으로 높

게 나타났다.

2. 주말여행 개 사항

다음으로주말여행객이개선이필요한사항이

라고응답해 내용을살펴보면,여행지바가지

요 의 단속 강화가 39.1%로 가장 높았으며,다

음으로여행지의정확한정보제공(29.5%),교통

시설 주차시설개선, 생 인시설과먹거리

(각 19.1%)등에 한 개선을 꼽은 것으로 나타

났다.

< 33> 여행지 개 사항 (복응답,단 :%,명)

Page 17: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45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34> 답 특 별 여행지 개 사항 (복응답,단 :명,%)

구 분

주말여행지에 한 개선사항(복응답)

여행지바가지요단속

여행지의정확한 정보제공

강압 인호객행

여행지약시스템개선

교통시설주차시설개선

생 인시설과먹거리

기타

체 1,000 391 39.1% 295 29.5% 76 7.6% 42 4.2% 191 19.1% 19119.1% 7 .7%

성남성 504 175 34.7% 152 30.2% 42 8.3% 16 3.2% 108 21.4% 77 15.3% 5 1.0%

여성 496 216 43.5% 143 28.8% 34 6.9% 26 5.2% 83 16.7% 11423.0% 2 .4%

연령

20 300 122 40.7% 80 26.7% 19 6.3% 12 4.0% 51 17.0% 53 17.7% 1 .3%

30 292 122 41.8% 104 35.6% 21 7.2% 14 4.8% 48 16.4% 48 16.4% 3 1.0%

40 232 82 35.3% 76 32.8% 14 6.0% 11 4.7% 51 22.0% 51 22.0% 2 .9%

50 137 46 33.6% 29 21.2% 22 16.1% 4 2.9% 33 24.1% 33 24.1% 1 .7%

60 이상 39 19 48.7% 6 15.4% 1 2.6% 8 20.5% 6 15.4%

< 35> 답 특 별 여행지 개 사항 (복응답,단 :명,%)

구 분

주말여행지에 한 개선사항(복응답)

여행지바가지요단속

여행지의정확한 정보제공

강압 인호객행

여행지약시스템개선

교통시설주차시설개선

생 인시설과먹거리

기타

체 1,000 391 39.1% 295 29.5% 76 7.6% 42 4.2% 191 19.1% 19119.1% 7 .7%

가구원수

1인 91 35 38.5% 31 34.1% 6 6.6% 1 1.1% 14 15.4% 11 12.1%

2인 116 54 46.6% 33 28.4% 9 7.8% 4 3.4% 22 19.0% 14 12.1% 1 .9%

3인 178 63 35.4% 45 25.3% 14 7.9% 5 2.8% 38 21.3% 43 24.2% 3 1.7%

4인 442 160 36.2% 132 29.9% 37 8.4% 23 5.2% 85 19.2% 90 20.4% 2 .5%

5인 이상 164 73 44.5% 52 31.7% 9 5.5% 9 5.5% 30 18.3% 31 18.9% 1 .6%

무응답 9 6 66.7% 2 22.2% 1 11.1% 2 22.2% 2 22.2%

성별로는 남성은 교통시설 주차시설 개선 요

구(21.4%)를,여성은 생 인 시설과 먹거리

(23.0%)개선을꼽은응답이상 으로높게나

타났다.

30 는 여행지의 정확한 정보 제공(35.6%)에

한 개선 요구가 상 으로 높았으며,50 는

강압 인 여행지 상인의 호객행 (16.1%),교통

시설 주차시설개선(24.1%), 생 인시설과

먹거리(24.1%)등에서의 개선 요구가 상 으

로 높게 나타났다.

가구원수가1인의경우여행지의정확한정보

제공(34.1%),3인은 생 인 시설 먹거리

(24.2%),5인이상은바가지요 에 한단속강

화(44.5%)요구가 상 으로 높았다.

3. 지역 객 를 한 필 사항

지역 객 유치를 해 지자체 차원에서 필

요한 사항으로 기존 지의 시설 개선 필요성

이26.1%로가장높고,다음으로 지안내사

이트 리 활성화(20.7%)와 지주변교통

시설 주차시설개선(20.6%),주변상업시설의

단속 리,지역 축제 홍보 활성화(18.3%)등

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8: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26.1% (261)

18.3% (183)

7.8% (78)

20.7% (207)

4.7% (47)

20.6% (206)

18.3% (183)

0.5% (5)

기존 의 설개선

주변상업 설의단속 리

박예약 템 축

안내사이트 리및활성화

추천업소선정

주변 통 설및주차 설개선

역축제홍보및활성화

기타

46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37> 답 특 별 지역 객 를 한 필 사항 (복응답,단 :명,%)

구 분

경북지역 객 유치를 한 필요사항(복응답)

기존지의

시설 개선

주변상업시설의단속 리

숙박 약시스템구축

지 안내사이트 리활성화

추천 업소선정

지 주변교통시설주차시설개선

지역 축제홍보활성화

기타

체 1,000 26126.1% 18318.3% 78 7.8% 207 20.7% 47 4.7% 206 20.6% 183 18.3% 5 .5%

성남성 504 13627.0% 91 18.1% 44 8.7% 101 20.0% 19 3.8% 108 21.4% 73 14.5% 4 .8%

여성 496 12525.2% 92 18.5% 34 6.9% 106 21.4% 28 5.6% 98 19.8% 110 22.2% 1 .2%

연령

20 300 75 25.0% 54 18.0% 22 7.3% 53 17.7% 15 5.0% 50 16.7% 55 18.3% 3 1.0%

30 292 66 22.6% 47 16.1% 31 10.6% 69 23.6% 15 5.1% 58 19.9% 61 20.9% 1 .3%

40 232 69 29.7% 45 19.4% 17 7.3% 52 22.4% 7 3.0% 58 25.0% 34 14.7% 1 .4%

50 137 38 27.7% 25 18.2% 8 5.8% 31 22.6% 9 6.6% 34 24.8% 24 17.5%

60 이상 39 13 33.3% 12 30.8% 2 5.1% 1 2.6% 6 15.4% 9 23.1%

< 36> 지역 객 를 한 필 사항

(복응답,단 :%,명)

반 으로 체와비슷한경향을보이는가운

데,포항시는 지안내사이트 리 활성화

(25.5%),구미시는 주변 상업시설 의 단속 리

(27.0%)에 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응

답이가장높게나타난가운데,안동시는숙박

약시스템 구축(12.0%),경주시(23.5%)와 경산시

(23.0%)는 지역 축제 홍보 활성화를 한

책이필요하다는의견이상 으로높았다.40

(25.0%)와 50 (24.8%)는 지 주변 교통시

설 주차시설개선요구가상 으로높게나

타났다.

Ⅵ. 연 결과 논 시사점

이상의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

이 정리할 수 있다.

1. 주말여행 실태

첫째,주말여행 경험 빈도 조사결과,한 달에

최소1회이상 주말여행을가는 응답자가44.1%

로 응답자의 약 반 정도가 비교 주말여행을

자주가는것으로나타났다.반면주말여행을자

주하지이유로는회사업무나수업,가사등으로

시간부족을 꼽은 응답이 42.5%로 가장 높았다.

한편주말여행지역조사결과,주말여행을주로

가는지역으로경북이66.4%로 부분을차지하

으며,다음으로 경남(19.8%), 구(13.2%),서

울 수도권(10.0%)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주

말여행을 자주 하지 않는 객들의 경우 여행

을하고싶은욕구는있으나,시간부족등의이유

로 여행을 하지 못한다.이러한 잠재여행객들은

시간이 크게 소요되지 않는 근교여행으로 유도

할필요가있다.그리고주말여행을주로가는지

역으로 경북이 부분을 차지한 한,인

시·도 는 시·군간 연계 등을 통해 근거리여행

Page 19: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47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을 확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둘째,주말여행 목 조사결과,가족이나 친구

등과의친목도모를 해서라는응답이47.2%로가

장 높았고,다음으로 스트 스 해소(40.1%),취미

활동(16.2%),자연명승지 (11.9%)등의 순으

로나타났다. 한,주말여행지역을선택하는기

으로는 볼거리(41.9%)가 있거나 교통 등 이동이

편리한지역(33.0%)을주로꼽았으며,그밖에먹

거리(10.8%),체험활동(9.7%),여행비용(8.7%)등

으로 나타났다.주말여행객들은 주로 가족,친구

등과의 친목도모나스트 스 해소를 해일상

생활의공간을떠나새로운볼거리가제공되는지

역을선호하는편이며,여행지에 해교통등이

동의편의성 한요구하고있다.따라서지역에서

는여행객들에게타지역과차별되는특색있는볼

거리를제공하되,여행객들의여행목 을달성할

수있는방향으로여행상품 콘텐츠를마련할필

요가 있다.더불어 교통 등의 여행편의시설을 잘

갖추어야 할 것을 시사해 주었다.

셋째,주말여행을갈때가족과함께떠난다는의

견이응답자의 반 정도인 54.5%로 가장 높았던

것으로조사되었으며,여행시이용교통수단에

한조사결과 자가용 승용차가 73.8%로 나타난

것도이와무 하지않다.주말여행객들은주로가

족과함께친목도모를 해여행을떠난다.이러한

요구를 극반 하여가족단 를 상으로한여

행상품개발에 을 둘 것을 시사해 주었다.

넷째,주말여행시계획여부와정보습득경로

에 해 조사한 결과,장소 등 요한 부분만 계

획한다는응답자가54.5%로가장높았으며주말

여행 정보에 해서는 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는다는 응답이 62.9%로 부분을 차지하 다.

여행객들이 여행을 계획할 때 요부분만 계획

하는 것은 여행 계획 시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세부정보의 획득이 어렵다는 을 반 하

는것이다.그러므로여행객들의편의를 해세

부 정보는 지에서제공되어져야함을

알수있다.한편특산음식 선택기 을조사한

결과에서 사 조사(39.8%)를 통한 음식 선택,

주 의추천(30.8%)등으로나타난바, 부분의

여행객들은 음식 과 련된 정보를 여행 계획

시 탐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따라서 ‘지역의

맛’을테마로한다양한사 홍보·마 략은

여행 계획 에 있는 여행객들에게는 정보 제공

의 역할을,잠재여행객들에게는 여행 유도의 역

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주말여행 시 선호하는 일정은 토요일

과일요일이끼인1박2일여행을선호한다는의

견이 35.3%로 가장 높고,다음으로 일요일 당일

(21.4%),토요일당일(19.7%), 요일과토요일1

박2일(14.3%)등의순으로나타났다.즉,숙박여

행이당일여행보다선호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객들이 숙박여행을 더 선호하는 결과에 따

라 숙박시설에 한 정비를 통해 만족을 높

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시간,비용 등의

이유로숙박여행을선호하지않는당일여행객들

의비 도 지않은만큼,숙박여행에 한

객요구를 높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유도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숙박시설 선택기 을 조사한 결과,숙박

시설(29.2%)이나주변 지인 정도(29.0%)를

고려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가격(19.3%),

청결성(14.9%),교통 주차시설(10.0%)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지역숙박시설의 노후화,상업

화,서비스품질등의문제 을개선하고주변

지 인 정도를 고려하여 동선에 따른 숙박시

설의 공간 배열에 한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숙박산업의 후퇴는 곧 지역 산업

의 쇠퇴와 연결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주,2009). 한숙박유형을조사한결과,펜

Page 20: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48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션이38.0%로가장높았고모텔 여 (28.8%),

콘도미니엄(20.9%),친척 친구집(9.7%)로 나

타났다.이처럼 객들의숙박유형은유형별로

선호정도의차이가크지않아,각숙박유형의특

색을 살리는 방향으로 하여 객 개인의 선호

에따라선택할수있도록선택의폭을넓 주는

것이 좋다.

여섯째,패키지여행 이용에 한 조사에서는

이용해 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85.1%로 나타

났다.이는인터넷등을통한사 정보검색을통

해 스스로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으로 주말여행

을 계획하기를 선호하는 객의 요구를 반

한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경북지역내추천 지에 해조사

한결과,경주,안동,문경,포항,구미, 주, 덕,

청송등으로꼽은것으로나타났다.세부 지

를살펴보면,보문단지가가장많이추천 지

로 꼽았으며,다음으로 안동하회마을,문경새재,

오산,주왕산, 주부석사 등의 순으로나타났

다.이는지역이가진고유한자연문화경 을보

고자하는 객의요구가반 된결과이며,특

히 경주지역을 추천 지로 꼽은 것은 여행자

편의를 한 숙박·교통시설 등의 인 라가

잘 구축된 여행지역을 선호하는 객 요구에

기인한 결과이다.

2. 주말여행 비지출행태

첫째,주말여행시지출 액은당일여행시평

균 지출 액은 11만 3천원 정도이며,숙박여행

시 23만 6,000원 정도이다.숙박여행 시 평균 숙

박시설 이용료는 8만 3천원으로 나타났다. 한

지출항목별 지출 비 은 당일여행과 숙박여행

모두식비의비 이가장높았고,숙박여행의경

우 숙박비 비 이 식비와 비슷한 비 으로 조사

되었다.다음으로 교통비, 람 체험,쇼핑순

으로 지출비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여행객

의 평균 지출 액을 고려하여 액 별 여행코

스를 추천한다면 여행자 편의의 서비스를

제공할수있음을시사한다.특히지출항목별비

(식비,숙박비, 람 체험비,쇼핑비 등)에

따라 더욱 세부 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여행시지출비용과계획비용의경우여행

시계획했던비용에비해실제지출비용이더많

다는 응답이 47.9%,비슷하다는 응답이 43.2%인

것으로보아 부분의 객들은여행시계획했

던비용수 으로지출을하거나추가 으로더지

출하는것으로나타났다.이때추가비용이발생되

는 부분은 식비가 가장 높았으며,다음으로 쇼핑,

람 체험,숙박비,교통비등의순으로나타났

다.여행객들의추가지출수 이낮은편이고,주

로식비와쇼핑비등의지출비 이높은 을고려

하여,무리한계획보다는음식비와쇼핑비 주의

지출수 향상을고려해야하며,이를 해지역특

산물을활용한쇼핑활성화와농 마을의직 인

소득화를꾀해야한다. 한소비동기를유발

시키는방안이 요한데,지역별·마을별향토음

식, 통음식발굴을통한홍보를강화하고지자체

정책에 목시켜소비 진을 한지원방안도

강구하여야 한다.

<그림 2> 상점가 정취를 살린 특 거리 :

TV프로그램 ‘1박2일’에 소개된 경북 천 용궁시장의

소(자료 : 이 주(2009) 참조).

Page 21: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49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셋째,주말여행 시 소비성향을 살펴보면,특산

음식으로 식사(71.0%)하거나 명소를 람

(67.2%)하는 객들이 많았고,체험활동 참여

(32.2%)와특산품구입(21.6%),기념품구입(13.8%)

이그다음으로나타났다.그 지역특산물(지역

특산음식 지역특산품)구입실태를조사한결과,

지역특산음식을먹어본 있다는응답이40.9%,

지역특산품을구매해본경험은17.0%,지역특산

음식과특산품모두구매경험은23.7%로나타났

으며,아무것도구매하지않았다는응답은18.4%

다.식비에 한 지출비 이 높은 것으로 보아

여행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는 지역특산물에

한 객들의요구와 심은높다고할수있다.

특히지역특산물을구입하기보다그지역에서바

로식사하는것을더선호한다.이러한 을감안

하면 특산물에 한 이용 체험활동을 테마로

한여행상품을다양한방법으로개발하는것이필

요하다는 을 시사해 다.더불어 극 홍보

가동반되어여행객들이시간과비용을들여정보

를찾지않더라도자연스럽게정보를 할수있

도록해야한다. 를들어,고령의특산물인딸기

를 활용하여 쿠팡,그루폰 등과 같은 소셜커머스

공간에 ‘고설재배 딸기체험’을 상품화하는 방안

등은좋은모델이될수있다.지역특산물을체험

활동과 연계한다면 가족단 의 여행객들에게

친목도모와더불어자녀교육의기회까지제공함

으로써더큰소비동기를유발할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한편,구매만족도의경우지역특산음식은50.6%,

특산품은 36.1%가 만족한다고 평가하 으며,만

족도 수는 지역특산 음식이 3.5 ,지역특산품

이 3.3 이다(만족도 수는보통이 3 ,다소만

족이4 임).지역특산물에 해불만족하다고평

가한이유는높은가격 낮은품질을가장많이

꼽았고그외불친 ,비 생 시설등으로나타

났다.여러 자원들 가운데 각 나라의 지역

을 변할수있는 지역의독특한문화에서우

리의일상생활과가장 한 계를형성하는것

이 음식문화이다(권세정 외,2004).여행 시 특산

음식에 한구매가강세를보이고있고,그음식

에 해서도 반이상이 만족하고 있다.하지만

불만족의 이유로 지 하는 사항이 바가지요 과

맛이 없음을 꼽고 있다. 정한 가격책정으로

업하고있는‘착한가격모범업소’활용과말그

로 ‘맛집’에 한 소개에 더 집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먹거리가 요한만큼 소비자가음식

에 바라는 수 ,즉 음식의 맛과 신선도, 생,

서비스등에 한요구사항은낮아지지않는다는

을 고려해야 한다(민계홍,2009).

넷째,주말여행 경비 추가 지불 의사를 조사한

결과,추가로 여행경비를 지불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76.8%로 부분을차지하 고계획비용보

다 10%미만 수 에서 더지불할 수있다는 응답

이40.2%,10∼30%미만이37.6%로비교 높게

나타났다.따라서 객들은소비동기만제공된

다면일정한범 내에서는추가 으로지불할용

의가있다.이러한 을 극활용하여소비를유

발할 수 있는 다양한 략들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해 다. 컨 객의 요구에 기반을 둔

연계상품과서비스정보가숙박 객들에게자

연스럽게노출되도록하여그들의소비욕구를북

돋움으로써,추가지출을 원하는 객들이 소비

정보의부족문제를완화시키고소비수 을향상

시킬수있도록하여야한다.한편지역산물의경

우가공되지않은1차산물그 로인경우가 부

분이므로부가가치가매우 은문제 을 래할

수 있기 때문에,지역 수공 업과 소비의

한연계를통해쇼핑품목에 있어각지역별다

양성과독특성을확보해야하며,지역 특수성을

반 한 콘텐츠를개발하는등의 략이필요

Page 22: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50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그림 3> 스 로 로나 스 마 (자료 : 이 주(2009) 참조)

하다.아울러 객들이 제품에 한 신뢰도를

어느정도 확보할수 있는장소(컨 문 매

장, 동조합등)의역할과의미를강화해야할것

이다(이 주,2009).

스페인마을은 객의 소비를 진작시키기

해,단순히 입장료만 받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건축 물의 내부 공간을 상업 으로 활용하고 있

다.지역별음식을맛볼수있는 스토랑과각종

공 품,고 갤러리등이 집해있기때문에식

사와특산품쇼핑을원하는 객들의좋은목

지가 되고 있다.

3. 주말여행 편사항 개 사항

첫째,주말여행시불편사항이나불쾌감을느낀

으로바가지요 이39.7%로가장높게나타났

다.이는개선요구사항에서도같은결과를보인다.

소비에 해경제 의미와유희 의미를함

께 부여하고 있는 을 감안했을 때,만족스러운

서비스를 경험하되 합리 인 가격을 지불하

고자하는것이소비자의요구임을알수있다.이

는결국지역 의공 자들이가격은낮추고품

질은높일수있는서비스를제공해야함을의미

하는데,공공부문이 직 인 재정 투자를 통해

지역 의 공 자들을 지원해 으로써 의

매가격 요소를 낮춰야 한다. 신 공 자들은

은자본을투입하는 신서비스의품질을유지

하는데심 을기울이는등자발 인노력방안들

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이 주,2009).

응답자특성에상 없이여행지의바가지요

으로인해불편하거나불쾌했다는응답이가장많

은가운데,안동시는여행지주변의상인이나주민

등의불친 함(19.0%)을꼽은응답이상 으로

높게나타났다.지역에형성된주요 사업체들

은 객을 상으로상업행 를하고있기는하

지만 문 인 서비스마인드를가지고있지

못한상황이기때문에,개별업체의 서비스품

질에 한개선이요구된다.이를 한세부 방

안으로는ⅰ)음식 업의경우새로운메뉴개발과

활용에 한지속 인컨설 교육과품질인증제

도가 마련되어야 하고,식사가 이 지는 공간에

Page 23: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51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한 문 인디자인컨설 을받도록하여업그

이드가 이 지도록 해야 한다.ⅱ)쇼핑업소의

경우상품을진열하는방식부터 객들의 심

과호기심을일으킬수있도록배치하는 것이

요하고,특히 시식코 나 체험코 를 운 함으로

써 객의구매욕구를북돋우는것이 건이라

할수있다.더불어 매하는제품의품질에 한

자세한 안내정보4)를 업소마다 제공하도록 한다.

실제시제품의생산과소비에 한모니터링을통

해다양한특산상품이유통되도록하는 것 한

요할 것이다(이 주,2009).

<그림 4> 태 콕 짜 짝 시 과 가게 스

플레 (자료 : 이 주(2009) 참조)

둘째,다음으로주말여행객이개선이필요한사

항이라고 응답해 내용을 살펴보면,여행지 바

가지요 의단속강화가가장높았으며,다음으로

여행지의정확한 정보 제공(29.5%)등에 한개

선을꼽은것으로나타났다.여행객들은여행지에

한 정보를 원활히 제공받기를 원하나,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함에 따라 개선요구사항으로

나타나게 된다. 한 지역 객 유치를 해 지

자체 차원에서 필요한 사항으로 ‘ 안내 사이

트 리 활성화(20.7%)’가 조사된 것도 이와

무 하지않다.볼거리와 즐길거리,교통 편의

시설,(이동)소요시간 비용에 한 안내 등을

기본으로 한 지 세부정보를 안내하는 것은,

객들의정보제공요구를충족시키고이는 자

연스럽게 소비지출로이어지게되는것이다.

이를 해 지 자체에서의 정보제공 노력은

물론이고 안내 홈페이지,개인 블로그, 로

셔,가두미디어홍보,여행잡지,여행방송 로그

램,각종 이벤트 등 오 라인과 온라인 모두에서

극 매체화하여 정보 제공에 있어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그림 5> 낭만가도 상 마 히

안내 : 약 60여 종의 로셔 공

(자료 : 이 주(2009) 참조).

셋째,지역 객 유치를 해 지자체 차원에

서필요한사항으로기존 지의시설개선필

요성이 2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즉 규모

락시설이나 무리한 숙박시설의 확충보다는 기

존 상권의가시 인 거 화를통해,개별업

체들로 하여 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

을향상시킬수있도록하는방안등을강구하여

야 할 것이다.

4) 매하는 제품의 명칭, 량,단 가격,신선도,생산자 이름,특 ·할인 날짜 고 등

Page 24: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52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주말여행에 한 객 요구(needs) 소비 활성화 방안

․주로 경북지역으로 주말여행을 떠남

․주말여행을자주하지않는 객들의경우여행을

하고 싶은 욕구는 있으나,시간부족 등의 이유로

여행을 하지 못함

․시간이 크게 소요되지 않는 근교여행으로 유도

․시·도 는 시·군간 연계 등을 통해 근거리 여행을

․주로 가족,친구 등과의 친목도모나 스트 스

해소를 해 일상 생활의 공간을 떠나 새로운

볼거리가 제공되는 지역을 선호함

․여행지에 해 교통 등 이동의 편의성 한 요구

하고 있음

․타 지역과 차별되는 특색 있는 볼거리를 제공

하여야 함

․여행객들의 여행목 을 달성할 수 있는 가족

친구 단 여행객들을 상으로 한 여행 상품

콘텐츠의 증

․교통 등 여행편의시설의 개선 확충

․여행객들은 사 에 요부분만 계획하고 여행을

떠남

․여행 계획시 세부정보의 획득에 어려움을 느낌

․여행객들은 여행지에 한 정보를 원활히 제공

받기를 원하나,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함에

․여행객들이 시간과 비용을 들여 정보를 찾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정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강구

․온라인을 이용한 정보제공 : 안내 홈페이지

리 활성화, 문 검색 포털 사이트,개인

블로그 등

․오 라인을 이용한 정보제공 : 로셔,여행잡지,

안내책자,가두 미디어 홍보,각종 이벤트 등

Ⅶ. 결 론

본연구에서는일반소비이론의 소비이론으

로의 목 확장을통해, 객을 상품

서비스의 소비자로 규정하고 객들의

소비행태분석을 통해 소비행동에 반 된

객의요구(needs)를규명하고자하 다.특히

주5일근무제 수업제의실시에따라주말여행

에 한 객들의수요는계속 으로증가추세

에 있음을 고려하여,주말여행객들의 주말여행에

한실제 요구(needs)가무엇인지를밝힘으로

써 소비시장에서의 소비를 진시키고자

함이 본 연구의 궁극 목표이다.

연구목 에따라앞서살펴본연구결과를토

로주말여행에 한 객요구와그에 따른

소비활성화방안을아래표와같이정리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지속 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연구는기수행된설문자료를분석하여

소비자들의 행태에 반 된 요구(needs)가 무엇인

지를밝히고자하 다.이를 해서는행태학 분

석을토 로한 근이필요함에도불구하고비율

분석결과만을토 로다소탐색 수 에서연구

결과를도출하고있다는것이한계라할수있다.

향후연구에서는소비행동의결과인지출에

한분석뿐만아니라 지출에반 된 소비자들

의요구(needs)를심층 으로분석하기 해연구

설계과정에서 합한연구모형을설정하는등과

학 엄 성과객 성을반 한 연구가지속 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38> 주말여행에 한 객 (needs) 그에 른 비 안 정리

Page 25: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한 연구 53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따라 여행지의 정확한 정보 제공에 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음

․TV 로그램,스마트폰,TabletPC등의 매체를

극 으로 활용하여 정보 제공에 있어서의 경쟁력

제고

․사 정보 제공과 더불어 여행지역에서

직 으로 볼거리,즐길거리,교통 편의시설,

(이동)소요시간 비용에 한 안내 등

세부정보를 제공하는 것 또한 필수 임

․여행객들의식비에 한지출비 이높은것으로보아

여행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는 지역특산물에 한

객들의 요구와 심은 높음

․추가비용이 발생되는 부분 한 식비가 가장

높았음

․먹거리가 요한 만큼 소비자가 음식 에

바라는 수 ,즉 음식의 맛과 신선도, 생,서비스

등에 한 향상이 요구됨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쇼핑활성화와 농 마을의

직 인 소득화를 해 지역별 ·마을별

향토음식, 통음식 발굴을 통한 홍보를 강화하고

지자체 정책에 목시켜 소비 진을 한

지원방안도 강구하여야 함

․주말여행 시 당일여행보다 숙박여행을 선호함

․숙박시설을 선택하는 기 으로는 숙박시설,

주변 지 인 정도를 요시 여기며 가격,

교통 주차시설 등도 고려함

․지역숙박시설의 노후화,상업화,서비스품질

등의 문제 을 개선하고 주변 지 인 정도를

고려하여 동선에 따른 숙박시설의 공간 배열에

한 정비가 필요함

․숙박유형의경우펜션,모텔 여 ,콘도미니엄,

친척 친구집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로 선호정도의차이는 크지 않음

․각 숙박유형의 특색을 살리는 방향으로 하여

객 개인의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 주는 것이 좋음

․먹거리와 더불어 체험 쇼핑의 기회 한

제공받기를 원함

․여행객들은 소비 동기만 제공된다면 일정한 범

내에서는 추가 으로 지불할 용의가 있으므로

이러한 을 극 활용하여 소비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략들이 모색되어야 함

․지역특산물에 한 이용 체험활동을 테마로 한

여행상품을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

․지역 수공 업과 소비의 한 연계를 통해

쇼핑품목에 있어 각 지역별 다양성과 독특성을

확보해야 하며,지역 특수성을 반 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의 략이 필요함

․ 객들이제품에 한신뢰도를어느정도확보할

수 있는 장소(컨 문 매장, 동조합 등)를

마련해야 함

․주말여행 시 바가지요 은 객들의불만족요인

개선요구사항으로 나타남

․ 객들은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경험하되

합리 인 가격을 지불하고자 함

․지역 의 공 자들이 가격은 낮추고 품질은

높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에서의 직 인 재정 투자를 통해

지역 의 공 자들을 지원해 으로써

의 매가격 요소를 낮출 필요가 있음

․이에 공 자들은 은 자본을 투입하는 신

서비스의품질을유지하는데심 을기울이는등

자발 인 노력방안들을 강구해야 함

․주말여행객들은 상품 서비스가 제공

되는 시설을 가장 요하게 생각하고 이에 한

개선을 원함

․ 규모 락시설이나 무리한 숙박시설의

확충보다는 기존 상권의 가시 인 거 화를

통해,개별 업체들로 하여 객을 만족시킬

Page 26: 주말여행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dgi.re.kr · 일반소비이론의관광소비이론으로의접목및확장을통해,관광객을관광상품및관광서비스의소비자

54 강수 ․ 김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더불어 지역 공 자들에 한 친 서비스

마인드도 요하게 생각함.지역에 형성된 주요

사업체들은 문 서비스 마인드를

가지고 있지 못한 상황임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을 강구하여야 함

․음식 업의 경우 새로운 메뉴개발과 활용에

한 지속 인 컨설 교육과 품질 인증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식사 공간에 한 문 인

디자인 컨설 등의 업그 이드가 필요함

․쇼핑업소의 경우 상품을 진열하는 방식부터

객들의 심과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요하고,특히 시식코 나

체험코 를 운 함으로써 객의 구매욕구를

북돋우는 것이 건임

참 고 문 헌

고동우․부소 ,2001,“기획축제 람자의소비지출기제

탐색”,한국심리학회지 제2권 2호.

권세정․이종하,2004,“향토음식개발 상품화방

안에 한연구-경상북도북부지방을 심으로-”,

ToursimRes통권 제19호.

민계홍,2009,“향토음식 의운 형태와음식 활성

화방안- 주지역을 심으로-”,TheKorean

JournalofCulinaryResearchVol15.No.1.

박균열,2011,“소비자의커피 문 이용행태와소비자

요구 만족비교연구”,성균 학교 석사학

논문.

박석희,2010,「 여행방법 체험가치키우기」,백산

출 사.

송 필,2005,「지역활성화정책의 황과 발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안 호·권익 ·임병훈,2009,「마 」,북넷.

우석 ,2005,“부산지역 산업의 황과 과제(부산

활성화방안정책토론회)”,국회의원이재웅

정책토론회 자료집.

유승각,2010,「강원도 소비지출 행태에 한 연

구」,강원발 연구원.

이범재․정경일,2009,“축제 로그램의체험만족이재방

문의사 추천의사에 미치는 향”, 학연구,

제33권 6호.

이 주,2009,「강원도 소비의 공간패턴 분석」,

강원발 연구원.

이 주,2009,“동해안 의특성:방문패턴

소비를 심으로”,강원 장 vol.89,강원발 연

구원.

이 진․이훈,2007,“공연 술축제 체험소비행 의 유

형화 :춘천마임축제를 상으로”, 학연구,

제31권 3호.

이희찬,2002,“축제참여자의 지출결정요인 Tobit

모형의 용”, 학연구,제26권 1호.

임종원·김재일·홍성태·이유재,2006,「소비자행동론」,

경문사.

조용범․정진우․윤태환․김소미․박경태․최 미․김경묘,

2007,“부산지역 향토음식의 활성화방안에 한

연구”,한국조리학회지 제13권 제4호 통권 35호.

허 욱(2007),“문화 축제 방문자의 소비지출 구조

분석:강릉단오제를 심으로”, 연구 ,21

권1호.

한국 공사 http://www.visitkorea.or.kr홈페이지

참조.

논문 수일:2012.2.29,심사완료일:2012.4.22

최종원고:2012.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