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책임자 : 신 익 균 2011. 9. 교육과학기술부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책임자 : 신 익 균

2011. 9.

교육과학기술부

Page 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종 보고서

2011. 9. 30.

연구책임자 : 신익균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학기술부

Page 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책연구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년 9월 30일

연구책임자 : 신익균 가천의학전문대학원연구원 : 임 준 가천의학전문대학원

박귀화 가천의학전문대학원이동헌 강원의학전문대학원황태숙 건국의학전문대학원임현술 동국의학전문대학원홍성철 제주의학전문대학원박봉수 부산치의학전문대학원김선헌 전남치의학전문대학원

실무연구원 : 최종선 강원의학전문대학원이승현 건국의학전문대학원정용욱 동국의학전문대학원고영상 제주의학전문대학원박혜련 부산치의학전문대학원강인철 전남치의학전문대학원

Page 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i -

차 례

1. 서론 ·········································································································· 1가. 연구의 필요성 ··············································································································· 1나. 연구의 목적 ··················································································································· 7

2. 연구방법 및 추진현황 ·········································································· 9가. 연구방법 ························································································································· 9나. 연구 진행 계획표 ······································································································· 11다. 연구 추진 현황 ··········································································································· 12

3. 외국 선진 의학전문대학원의 의학교육현황 ·································· 13가. 의학연구과정 ··············································································································· 13나. 복합학위과정 ··············································································································· 19다. MD-PhD 과정 ··········································································································· 28라. 교육과정 ······················································································································· 35

4. 국내 의학전문대학원의 연구·교육 프로그램 현황 ······················ 57가. 의학연구과정 ··············································································································· 57나. MD-PhD 과정 ··········································································································· 64다. 교육과정 ······················································································································· 71

Page 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ii -

5.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 구성원 의견 ························ 75가. 교수 설문결과 ············································································································· 75나. 학생 설문결과 ·········································································································· 102

6. 의·치의학전문대학원체제 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 및 제언 ···· 123가. 의학연구과정 ············································································································ 123나. 복합학위과정 ············································································································ 135다. 교육과정 ···················································································································· 141라. 정부지원 요약 ·········································································································· 152

7. 요약 및 결론 ····················································································· 153

부록 ··········································································································· 157

Page 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iii -

표 차 례

표 1. 문헌조사 대학 현황 ···················································································· 10

표 2. 연구진행 계획 및 일정 ·············································································· 11

표 3. 연구 추진 현황 ···························································································· 12

표 4. UCSF 의전원의 의학연구 과정 ······························································· 14

표 5. 의학연구과정 비교 분석 ············································································ 18

표 6. UC 버클리 복합학위과정의 학년별 활동 ·············································· 21

표 7. HST MD 프로그램의 학년별 교육과정 ················································· 25

표 8. 대학별 복합학위과정 비교 분석 ······························································ 27

표 9. Harvard 의전원의 MD-PhD 복합학위과정의 교육 프로그램 ·········· 32

표 10. 대학별 MD-PhD 비교 ············································································· 34

표 11. 대학별 교육과정 비교표 ·········································································· 54

표 12. 학년별 의무석사 논문 지도 과정 ·························································· 58

표 13. 학위논문 학술지 게재현황(2009-10년 졸업생 기준) ······················ 60

표 14. MD-PhD 과정 운영 현황 ······································································· 65

표 15. 부산치의학전문대학원 PhD 과정의 이수 학점 ·································· 70

표 16. 가천의학전문대학원 New CORESE 교육과정의 원칙 ····················· 72

표 17. 가천의전원 주간 교육과정운영 예시 ···················································· 74

표 18. 대학별 응답분포 ························································································ 75

표 19. 직급별 응답분포 ························································································ 76

표 20. 의(치)무석사학위논문작성 의무화에 대한 결과 ································· 77

표 21. 학위논문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 요소인지 동의 정도 ········· 78

표 22.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동의 ·········································· 78

Page 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iv -

표 23. 학위논문 지도교수로의 참여의사 ·························································· 79

표 24. 학위논문작성과정의 기간 편성방법 ······················································ 80

표 25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연한 연장 동의 정도 ································· 81

표 26. 학위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 ·················································· 81

표 27.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 82

표 28. 학위논문 학회지 게재 동의 여부 ·························································· 83

표 29.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인식 정도 ······················ 84

표 30. 학위논문작성에 대한 정부 지원형태 ···················································· 84

표 31.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지원금 항목별 중요도 ······························ 86

표 32. 학위논문관련 정부 지원 시 평가되어야 할 항목 ······························ 88

표 33.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 개설 동의 정도 ········· 89

표 34. 복합학위과정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 요소인지 동의 정도 · 90

표 35.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현 교육과정 개편 동의 정도 ·························· 90

표 36. 복합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연한 연장에 대한 동의 정도 ·········· 91

표 37.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 운영에 대한 동의 정도 ················ 92

표 38. 의·치전원 전환으로 인한 교육과정의 변화 여부 ······························· 92

표 39. 교육과정 만족 정도 ·················································································· 93

표 40. 교육방법의 변화 여부 ············································································ 94

표 41. 의·치전원 학생과 의·치의학과 학생 간 수업에서 차이 인식 ········· 95

표 42. 의·치전원 학생과 의·치의학과 학생 간 임상실습에서 차이 인식 · 96

표 43. 학생평가방법의 변화 ················································································ 96

표 44. 교육시설 개선 ···························································································· 97

Page 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v -

표 45. 의·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교육과정 변화의 필요성 ····················· 97

표 46. 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정부 지원책에 대한 만족도 ···················· 99

표 47. 정부지원 요구 항목 ················································································ 101

표 48. 대학별 학생 응답분포 ············································································ 102

표 49. 학년별 학생 분포 ···················································································· 103

표 50. 학생 성별 분포 ························································································ 103

표 51. 의(치)무석사학위논문작성 과정 의무화(필수화)에 대한 의견 ······ 104

표 52. 학위논문작성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 요소인지 인식 ········ 105

표 53.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동의 ········································ 106

표 54. 학위논문작성과정의 기간 편성방법 ···················································· 107

표 55.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 연한 연장 ················································ 108

표 56. 학위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 ················································ 108

표 57.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정도 ···························· 109

표 58. 의학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내용 ················································ 110

표 59. MD-PhD, DDS-PhD 과정에 대한 만족도 ······································· 111

표 60.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 개설 시 등록 의향 · 111

표 61. 복합학위과정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라고 인식하는 정도 112

표 62.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현 교육과정 개편 동의 정도 ························ 113

표 63. 복합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연한 연장 동의 정도 ······················ 114

표 64.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 운영 동의정도 ······························ 114

표 65. 교육과정 만족도 ······················································································ 115

표 66. 교육과정의 차별화(특성화) 에 대한 인식 정도 ······························· 116

Page 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vi -

표 67. 교수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 ······························································ 117

표 68. 교수의 임상실습 교육(지도)방법 만족도 ··········································· 118

표 69. 대학의 학생평가방법 만족도 ································································ 119

표 70.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 ········································································ 120

표 71.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 예시 ························································· 126

표 72.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 예시 ························································ 131

표 73. MD-PhD 프로그램 예시 ······································································· 137

표 74. MD-MPH 프로그램 예시 ····································································· 138

표 75. 정부 지원이 필요한 정책 항목 및 내용 ············································ 152

Page 1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 vii -

그 림 차 례

그림 1. UC Berkeley-UCSF 복합학위과정 커리큘럼 개요 ························ 20

그림 2. UCSF 의전원 교육과정 개요 ······························································· 35

그림 3. 소그룹 학습실 ·························································································· 39

그림 4. Multi Purpose Media Room ······························································· 40

그림 5. Clinical Examination Rooms ······························································ 41

그림 6. Operating Room/Emergency Trauma Area ·································· 42

그림 7. Tufts 의전원의 교육과정 개요(2011-2012) ··································· 43

그림 8 Clinical Skill & Simulation Center ··················································· 46

그림 9. Harvard 의전원 교육과정 개요(2011-2014) ·································· 48

그림 10. New CORESE 학년별 개요 ······························································· 73

그림 11 교육과정 변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교수) ······························ 98

그림 12. 교육과정 변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학생) ··························· 121

그림 13. 교육과정 구성 편성 모형 ·································································· 147

Page 1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서론 1

1. 서론

가. 연구의 필요성1) 취약한 의학 분야 연구 역량

한림원이 발간한 한국의학연구업적보고서(2006)에서 제시된 전 세계 학

문영역별 논문 비율을 비교하여 보면, 임상의학이 27.9%로서 가장 높았고,

물리학이 13.9%, 기초의학이 13.7%로 그 뒤를 따르고 있었다. 미국과 유

럽연합의 경우는 임상의학과 기초의학의 논문 비중이 세계 평균 비율보다

높아서 선진국의 국가 연구 지원이 이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선진 외국의 경향과는 달리 화학, 공학, 그리고 물

리학 분야의 학문영역에서 작성된 논문 비율이 훨씬 높아 해당 분야에서

선진외국의 평균적인 논문 점유율을 훨씬 상회하고 있는 반면에 임상의학

분야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는 여전히 전통적인 과

학 분야의 논문 비중이 높은 전형적인 개발도상국의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물론 우리나라의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영역 분야의 논문 비율이 1981년

18.4%에서 2003년 29.0% 로 급성장했지만, 선진외국의 학문 포트폴리오

에 비하면 아직도 매우 낮은 수준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의 학문분야의 성장은 정부의 지원 방향과 일치하는 측면이 크

다. 1960년대 이후 중화학공업 발전을 위하여 화학분야에 정부 주도에 의

한 투자가 주로 이루어졌고, 1970년대에는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하여 정

보기술 분야에 국가 연구 개발비가 집중적으로 투입되었기 때문에 이 분야

의 연구 성과가 타 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을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

만, 현재 국내 과학기술 분야에서 의학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전 세계적으로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의

Page 1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2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학의 비중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현우와 유선희(2010)가 작성한 주요국의 학문분야별 과학연구의 영향

력 분석 결과를 보면, 1999년부터 2008년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은 전 세

계의 2%를 차지한 반면, 상위 1%의 고피인용논문은 1.22%로 양적 수준에

비해 질적 수준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과 응용과학 분야에서 상대

적으로 높은 과학 연구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바이오와 의·약학 분

야는 질적 수준이 가장 떨어져서 의·약학 분야의 국가순위가 22위로 모든

학문 분야에서 가장 낮은 과학연구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2) 투입 대비 산출이 떨어짐

한국을 비롯한 선진외국들은 21세기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핵심전략산업

인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생명과학의 발전을 필수 선행과제로 강조

하고 있고, 그 중에서 생명과학에서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분야를 인

간 질병의 원인, 치료 및 예방책을 준비하는 의과학 분야로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의과학은 생명과학을 중심으로 하되 다양한 학문이 융·복합 될 때 비로소

발전되고 완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의과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의 융·

복합 교육을 통하여 임상의학의 전문성과 기초과학의 연구 능력을 동시에 갖춘,

다시 말하여 생명-의과학(bio-medical science)을 이해하는 우수한 임상연구자

(clinical scientist)와 기초 의과학자(physician scientist)의 양성이 필수적이다1).

이를 위해 선진외국은 이러한 의과학자 양성에 많은 재정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의사 인력은 양적으로 빠르게 증가하였고, 외국에 비해

서 의학 분야로 진출한 최상위 인재의 집중도가 매우 큰 편이다. 이러한 경

향은 의료체계의 특별한 변화가 없는 한 향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그런

1) 임상 과학자와 기초 의과학자는 어느 분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느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총칭해서 의사과학자 또는 의과학자를 개념으로 사용한다. 여기서는 의과학자라

는 개념을 주로 사용하고 필요시 의사과학자를 개념을 혼용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Page 1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서론 3

데, 최상위 인재의 집중도가 큰 것에 비해 의사 출신의 연구인력은 매우 부

족하다고 할 수 있고, 의사과학자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현실 속에

서 그 부족 현상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한주와 서창진

(2009)의 연구에 의하면, 의료산업 분야 적정 연구인력 규모 대비 의사 연

구인력은 현재 약 7,830명 정도인데, 실제 필요한 수요량에 비해 의사 연

구 인력의 공급량이 37% 부족한 상황이며, 2017년에는 의사 연구인력의

공급량이 수요량 대비 약 10,230명이 부족하여 전체 수요량 중에서 44%

가 미충족상태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점차 더 심

화될 전망이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일차진료의사 양성을 목적으로 한 의·

치과대학 체제가 유지되는 한 이러한 연구인력의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의과학자 양성 목적의 의·치의학전문대학원(이하 의·치전원) 체제의

전환과 의·치전원 체제에 대한 지원 강화가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할 수 있

다.

3) 원인 분석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는 원인을 몇 가지로 나눠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차진료의사 양성이 목적인 현행 의·치과대학 체제로는 의과학자

양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현행 의·치과대학 교육의 일차

목적은 졸업 후 병의원 등 의료 현장에서 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일차

진료의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직

업교육의 성격이 강하다. 이것이 현행 의·치과대학 체제에서 교육대상자에

게 배후 학문 기반이 필요한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다. 편입을 확대하여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적용한다고 해도 현실

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의·치과대학 교육의 특성상 두 개의 프로그램을

두 대상 집단에 별도로 진행하기란 불가능에 가깝고 설사 그러한 프로그램

을 별도로 운영한다고 했을 때에 교육의 효율성과 형평성에 큰 문제가 발

Page 1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4 의과학자 양성 연구

생할 수밖에 있다. 따라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

교육에 맞추어져 있는 현 의·치과대학 체제에서 우수한 연구 역량을 배출

하기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며, 국가 연구 역량 측면에서 매우 낭비적 구조

라 할 수 있다.

둘째, 졸업 후 교육조차 전문의 양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도 의

과학자 양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졸업 후 대학원 교육을 보면, 대부

분 병원의 전문의 수련 과정으로 인하여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

이 현실이다. 병원의 전문의 수련 과정이 졸업 후 교육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원 교육이 학위 취득 이상의 의미를 갖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의료의 전문화 및 세부화 경향이 강화되고 대학

병원 중심의 의료체계가 강화될 것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졸업 후 교육에서

전문의 수련 과정의 중요성이 더욱 더 커질 것이 자명한 사실이기 때문에

졸업 후 대학원 과정을 통해 기본 연구 역량을 갖추어 나가기란 쉽지 않은

일일 뿐 아니라 현 의·치과대학 체제를 유지하는 한 의과학자 양성이 불가

능하다고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듯하다.

4) 연구 역량 강화의 대안으로서 의·치전원 체제의 강점

일차진료의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의학교육기관은 의·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향후 이 분야에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고 배

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병에 대한 이해도가 높기 때문에 기초연구

의 성과를 임상적 산업으로 활용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의·치과대학 체제인 학부체제의 의학교육체제는 「고교-졸업 후

6년 의학교육」체제이므로 대학의 전반적인 기초 소양교육의 부족으로 생명-의과

학 연구 역량을 키우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교육과학기술부가 2002년 1월

「의·치의학전문대학원제도 도입 기본 계획」을 발표하고 의·치전원 제도를 도입

Page 1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서론 5

하면서 기초적인 의과학 연구와 진료를 병행할 수 있는 의과학자를 육성하기 위

한 학제로서 제도적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의·치전원 체제가 지난 강점은 다

음과 같다.

첫째, 배후 학문 전공의 고등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즉, 의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고등교육 이수자를 대

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고등학교 졸업자를 기본 대상으로 한 의·치과대학

체제와 근본적인 차이점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의·치과대학과 달리

의·치전원은 의과학자양성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한 체제이다.

둘째, 의·치전원 체제 유지를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화 및 특성화를

이룰 수 있다. 의·치전원으로 전환한 대학들이 각 대학의 특성을 살려서 보

다 더 구체적이고 확실한 목적을 갖춘 의학교육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즉, 의·치전원의 목표를 연구 중심으로 비중을 두고, 대

학을 차별화 할 수 있는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

셋째, 졸업 후 교육과 연계가 수월할 수 있다. 졸업 후 기본 연구 역량을

갖춘 인력을 배출함으로써 졸업 후 전문의 수련 과정 및 PhD 과정과 연계

가 수월하다. 임상의학의 경우 기존처럼 전문의 수련 과정을 밟으면서 대학

원에서 석사과정을 밟을 필요 없이 곧바로 PhD 과정에 진학하는 것이 가

능하다. 전문의 수련과정의 임상 경험을 연구 주제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

함으로써 전문 직업교육과 학문 능력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초

의학의 경우도 기존 의·치과대학과 달리 졸업 후 PhD 과정과 바로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의 연속성이 보장된다는 강점이 존재한다.

5) 의학 분야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의·치전원 체제 발전을 위한 지원 필요성

어느 국가이건 의과학자 양성은 보통 생명과학 교육과정 또는 의사양성

을 위한 일반적인 MD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가장 바람직하기는 MD-PhD

복합 학위과정이라는 것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중론이지만, MD-PhD 통한

Page 1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6 의과학자 양성 연구

의과학자 배출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매년 의과학자

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미 선진국

의 의·치전원들은 MD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도 저널 클럽(journal club),

의학 논문 편집자나 저자에게 서신(letter) 쓰기, 단기 또는 장기 연구 프로

그램(scholarly program, research fellowship)의 운영, 비판적 연구하기

(critical inquiry) 등 연구 능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의·치전원의 경우 학부에서 이미 생명과학 분야의 기초적인 연

구 및 실험 경험을 가진 학부생들이 상당수 진학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선행 경험(전공)을 존중하고 발전시켜 의과학적 연구기반을 갖출 수 있도록

의·치전원의 전체 교육과정 내에서 연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연구과정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의·치전원이 의학 분야 연구중심대학

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대학 및 정부 당국의 충분한 지원이 뒷받침 되어

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치전원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을

뿐 아니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공

감대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대학 간 연계, 교류, 협력할 수 있는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주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서론 7

나. 연구목적본 연구는 위의 연구 필요성에 따라 의과학자 양성, 나아가서 의·치전원

체제 확립이라는 국가의 거시적 정책에 부응하고, 그 체제 하에서 연구와

임상능력을 겸비한 의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연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그 지원에 있어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의·치과대학의 연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

램을 분석하여 의·치전원이 의학 분야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연구능력을 향

상시킬 수 있도록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의·치전원이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의·치전원 체제

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대학당국과 정부의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 1 연구목표 제 2 연구목표

의·치전원 체제에서의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의·치전원 체제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지원 정책 제시

국내외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또는 교육과정 내용과

운영 현황 비교분석(문헌조사, 교육목표, 교육과정, 졸업

후 진로 등), 학생 및 교수 등 구성원

요구분석(설문조사)

국내외 「학사 후- 의학교육」프로그램 지원정책 비교

분석(문헌 조사, 학생 지원 정책, 교수지원 정책 등),

학생 및 교수 등 구성원 요구분석(설문조사)

「학사 후- 의학교육」체제에서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또는 교육과정 모형 제시

「학사 후- 의학교육」체제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지원정책 및 실행방안 제시

<연구목적 및 세부과제별 목표>

Page 1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8 의과학자 양성 연구

Page 1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연구방법 및 추진현황 9

2. 연구방법 및 추진현황

가. 연구방법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정책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의·치전원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7개 대학이 공동연구진을

구성하였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 검토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였고, 의·치전원 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외국의 의학교육 사례와 국내

대표 의·치전원의 의학교육 사례를 문헌 조사 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

면, 외국 대학과 국내 의·치전원의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으로 소개된 자

료를 검토하였고, 기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를 위해 ① 국내외 MD 교육과정 현황, ② 국

내외 MD 과정에서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현황(예: Yale medical

student research program, USCF research fellowship, Mayo research

quarter, 가천 의무석사 과정 등), ③ 국내외 MD-PhD 프로그램 현황을 중

점적으로 조사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을 위한 제반 인프라를 알아보

기 위해 투입 인력, 지원 예산 및 근거(학생 연구비 등), 교육 및 연구 시

설(전담기구, 연구 환경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의·치전원 체제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근거 제시를 위하여 관련

자료에 대한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Page 2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0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학교명 국외 국내

가천의학전문대학원 Harvard, UCSF, Tufts 가천의학전문대학원

강원의학전문대학원 Yale, Johns Hopkins 강원의학전문대학원

건국의학전문대학원 Duke, Stanford 건국의학전문대학원

동국의학전문대학원Univ. of Pennsylvania,

Columbia동국의학전문대학원

제주의학전문대학원 Washington Univ, Mayo 제주의학전문대학원

부산치의학전문대학원 Baylor, Harvard부산치의학전문대학원,

서울치의학전문대학원

전남치의학전문대학원 Pacific, Harvard전남치의학전문대학원,

연세치의학전문대학원

표 1. 문헌조사 대학 현황

2) 방문조사

문헌 조사를 통해 얻기 어려운 실증자료와 현장 확인을 위하여 의·치전원

체제의 대표 대학에 대한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문조사 대상 대학은 미

국의 대표 공립 대학인 UCSF 의과대학과 대표 사립대학인 Harvard와

Tufts 의과대학이다. 방문조사기간은 2011년 7월 7일(목) ~ 14일(목)까지

였으며, 자세한 방문 일정은 부록 1과 같다.

3)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정책에 관한 설문조사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정책에 관한 설문조사를

2011년 8월 22일부터 9월 6일까지 의·치전원 교수 430명과 학생 1,250명

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에 참여하는 대학의 실무연구위원

이 직접 설문의 목적을 설명하고, 집단 조사의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최종

적으로 조사를 완료한 대상자는 교수 291명, 학생 1,166명으로 회수율은

교수 67.7%, 학생 93.3%였다.

Page 2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연구방법 및 추진현황 11

4) 전문가 조사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식견과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2명의 전문가에게 각 3회에 걸쳐 전문가 자

문을 받았다.

나. 연구진행계획표

기 간세부연구내용

연구추진일정(월)

4 5 6 7 8 9

* 국내외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및 의전원 특성 문헌분석

* 자료 수집을 위한 국외 대학 방문조사

* 국내외 프로그램 비교분석

* 국내 의전원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집단 자문

* 중간보고서 작성

* 전문대학원 간 공동 발표회 등 개최

*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및 의전원 체제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모델 제시와 실행 방안 최종안 마련

* 최종보고서 완료 및 인쇄

연 구 진 도 20 40 50 70 90 100

중간보고서 제출 예정일 2011. 7. 15

최종보고서 초안 제출 예정일 2011. 8. 31

최종보고서 제출 2011. 9. 30

표 2. 연구진행 계획 및 일정

Page 2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2 의과학자 양성 연구

다. 연구 추진 현황

일자 내용 참석자

4월 13일

(1차 회의)Kick off meeting 7개 대학 공동연구원, 교과부 담당자

4월 27일

(2차 회의)의·치전원 발전 방향 논의 (의·치전원장 협의회 발족) 7개 대학 연구실무진

4월 27일 ~ 5월

30일문헌조사 실시 (각 대학 분담) 7개 대학 연구실무진

5월 16일

(3차 회의)과제 추진 방향 및 정책 반영안 논의 임준, 박귀화, 교과부 담당자

6월 15일

(4차 회의)

외국 대학 방문 계획 논의 : 방문 대학 기초 자료

발표 , 대학별 정보 수집을 위한 질문지 개발신익균, 임준, 박귀화, 문지원, 김민정

6월 21일

(5차 회의)

외국 대학 방문 계획 논의 : 대학별 질문지 검토 및

보완신익균, 임준, 박귀화, 문지원, 김민정

7월 5일

(6차 회의)외국 대학 방문 계획 논의 : 방문 계획 최종 논의 신익균, 임준, 박귀화, 문지원, 김민정

7월 7일 ~ 14일 외국 대학 방문 : Harvard, UCSF, Tufts신익균, 임준, 박귀화, 교과부 담당자,

가천의대 교수(박이병, 정욱진, 임준)

7월 21일(목) 외국 대학 방문 결과 검토 및 적용방안 논의 신익균, 임준, 박귀화, 문지원, 김민정

8월 2일(화) 외국 대학 방문 결과 검토 및 적용방안 논의신익균, 임준, 문지원, 7개 대학

의·치전원장

8월 25일(목) 최종보고서 작성 방향 논의 신익균, 임준, 박귀화, 이무상

8월 29일(월) 최종보고서 초안 검토 신익균, 임준, 박귀화, 이무상

9월 7일(수) 최종보고서 초안 및 정책방안 검토7개 대학 연구실무진, 서울치전원

오석배 교수

9월 26일(월) 최종보고서 초안 및 정책방안 추가 논의 신익균, 임준, 박귀화, 이무상

9월 28일(수)최종보고서 검토

추가 정책안 검토

7개 대학 연구위원, 연구실무위원,

서울치전원장, 교과부 관계자

표 3. 연구 추진 현황

Page 2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13

3. 외국 선진 의학전문대학원의 의학교육 현황

외국 선진 의학전문대학원(이하 의전원)의 학생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 프로그램 현황, 복합학위과정, 학년별 교육과정, 교육방법 및 평가방

법, 그리고 이러한 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책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방문

조사 대학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나머지 조사 대학들에 대한 자료

를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가. 의학연구과정 1) UCSF 의학전문대학원

가) 개요

UCSF 의전원은 의전원 체제의 MD 과정에서 학생들의 연구 역량을 강화

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의학연구프로그램은 MD 과

정 동안 학생들이 연구과정 선택을 통해 자신의 지적 호기심과 능력을 발

휘할 수 있도록 돕고, UCSF 의전원의 우수한 연구 여건을 접해 볼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며, 지도교수인 의전원 교수와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서 운영되고 있다. 학생들이 연구과정을 이수

하면서 임상적 문제에 대한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문

제해결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의학연구프로그램을 강화하는

이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방문 조사를 통해 모든 UCSF 의전원 학생이 반드시 의학연구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의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학교 당국은 졸업 후 진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

Page 2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4 의과학자 양성 연구

들에게서 의학연구프로그램의 이수가 필수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고 언급하였다. 현재 50% 정도의 학생이 자발적으로 선택 의학연구 프로

그램에 참여하고 있었다.

연구 지원금은 일반적으로 학생이 선택한 지도교수의 연구 펀드에서 조

성되었는데, 대부분의 연구 펀드가 NIH 등 정부 등에서 조성된 것이었다.

UCSF의 경우 NIH 펀드로 1년에 16억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

데, 이 펀드 중 일부가 학생 연구 지원에 사용되고 있었다.

UCSF 의전원에서 학생들의 연구 장려를 위해 운영되는 연구 프로그램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일부는 정규 과목으로 등록하여 특정 시간에 국

한하여 연구과정을 진행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전일제(Full time)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블록연구를 더 선호하고 있었다.

프로그램명 내용

Summerresearch/Dean's

SummerFellowships

-필수과정은 아님. 학점 인정이 안됨

-매년 40~60명의 의대생들이 의과대학생 학생연구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school of medicine's

student research training program) Summer research Fellowships를 신청함

-기초과학, 임상연구, 역학, 의료정책, 사회과학 같은 분야에 지원

-1학년 여름방학 2달(8주) 과정 : small research projects 수행, 2학년 여름 방학까지 지속하기도 함

-1학년 1월에 신청하고, Dean's Office가 스폰서(지도교수)의 선택과 펀드 지원 방법에 대한 미팅을

개최함

-생활비 $3,200 지원. 이 비용은 연구 스폰서(지도교수)가 획득한 연구비용으로 충당되는 것임. 스폰서

는 UCSF의 교수일수도 있고 다른 연구 기관의 사람일 수도 있음. 지도교수는 학생이 연구에 필요한

모든 제반 시설(연구 공간, 컴퓨터, 등)을 제공해야 함

Researchelectives/Quarterly

Fellowships

-4학년에서 block time을 활용하면 4주까지 가능함, 학점인정 가능

-스폰서(지도교수)와 미팅을 하기 전에 연구계획서를 검토하고 학생이 연구를 진행하기에 적절한 시

기가 언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커리큘럼 어드바이저와 미팅을 함

-연구학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연구를 진행하기에 연구 승인 신청서를 작성해야 함

-3달 프로젝트에 대해 생활비 $ 4,000 지원

Extendedprograms/Year-longResearchPrograms

-1년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2년 간 연구에 집중

-프로그램을 신청한 학생 중 약 1/2~2/3이 펀드를 받을 수 있음

-장기 연구 프로젝트 수행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 선택. 학점 인정됨

-최소 3달 이상을 요구함. 대부분은 2학년과 3학년 사이, 또는 3학년과 4학년 사이에 1년간 연구 기간

을 가짐

표 4. UCSF 의전원의 의학연구 과정

Page 2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15

나) MD with Thesis

이 과정은 UCSF 의전원 학생들이 심도 깊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하는 연구과정 중 하나이다. 이 과정을 선택할 경우 MD 학위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이수하면서도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논문을 써야

하는 의무가 부과된다.

이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은 'Pathways to Discovery Program'의 5개

영역 중 Molecular Medicine Pathway(MMP)나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Pathway(CTR) 과정을 연구과정으로 선택한다.

연구 지도교수와 추가 교수로 구성된 논문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연구를 시

작하게 된다. 논문위원회는 연구를 수행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동안 학생들

의 노력을 관찰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연구

과정을 승인 받은 후 적어도 2번은 자신의 연구 결과를 논문위원회에서 발

표해야 한다. 발표 시기는 선택한 연구과정 트랙마다 다양한데, 논문위원회

는 필요시 추가 발표를 요구할 수도 있다.

2) Tufts 의학전문대학원

Tufts 의전원도 UCSF 의전원과 유사한 다양한 수준의 의학연구 과정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의학연구 과정은 연구 참여 범위와 강도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되는데, 가장

강력한 단계인 MD-PhD 과정은 따로 언급하도록 하겠다.

가) Research Concentration Program

학생들이 의학교육 과정을 중단하고 전적으로 연구에만 전념하는 과정(전

일제 연구기간)인데, 보통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 대부

분은 12개월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MD 학위 이외의 별도 학위가

Page 2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6 의과학자 양성 연구

수여되지는 않지만 레지던트를 지원할 때에 이러한 연구 경험이 긍정적으

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는 일반적으로 임상을 주제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학교에서는 이 기간 동안 등록금을 받지 않는다. 강제 규정

은 아니지만, 한 학년에 15명 정도의 학생들이 학생회비만 내고 1년 동안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대부분 저널에 논문을 싣고 있다.

나) Summer Research program

최대 50%의 학생이 이 과정을 신청한다. 1-2학년 사이 여름방학에 10주

동안 연구가 진행되면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4,000달러를 지원해 준다. 학

생들은 별도의 의무 규정 없이 연구결과에 대해 포스터 발표를 하도록 규

정하고 있다.

다) Research Selectives

Tufts 의전원 학생들은 해당 학년 동안 16주까지 연구과정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과정의 학생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연구 형태에 노출되지만 자신

의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라) 연구윤리 특강 참여

위의 다양한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이라도 임상시험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강의를 필수로 듣게 하여 연구에 대한 중요

성을 인식시키고, 기본 역량을 갖추도록 교육하고 있다.

3) Harvard 의학전문대학원

Harvard 의전원은 MD 과정 중에 학생들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Scholarship in Medicine(이하 SIM) 연구과정과 Physician

Page 2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17

in Community(이하 PIC) 연구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이 연구과정은 2006

년 '신노선' 교육과정의 개편 때에 추가된 학생 연구역량 강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1학년 1월에 하계연구과정 또는 국제보건/지역사회 프로젝트에 대한

Harvard 의전원 기금을 신청할 학생들은 2개의 코스 중 하나에 등록해야

한다. 2개 코스는 연구의 대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SIM: biological and patient-oriented research에 중점. Students

anticipating doing a funded research project

- PIC: medicine in society (e.g., community or international

scholarship), students planning to do community or international

summer project

학생의 50%가 이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중에 2/3가 SIM, 1/3이

PIC 연구과정을 선택한다. 또한 3-4학년 사이에 1년 간 연구를 위해 수학

기간을 일 년 연장하는 학생이 복합학위과정 학생을 포함하여 대략 50%에

이를 정도로 연구 참여 비율이 높다.

4) 대학별 의학연구 과정 비교분석

3개 대학 모두 MD 과정에서 의학연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은

필수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떤 형태로든 연구역량을 쌓을 수 있

도록 다양한 수준의 과정이 개설되고 있고, 대학 당국에서 충분한 지원을

해주고 있다. 정규 과정 이외에 1, 2학년 여름을 이용한 하계연구 과정을

3개 대학에서 모두 운영하고 있다.

또한 UCSF 의전원과 Tufts 의전원은 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선택 교

육과정에서 연구 과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었고, 세 개 대학 모

Page 2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8 의과학자 양성 연구

UCSF Tufts Harvard

1) Summer research : 필수 아님,

여름방학 8주, 생활비 3,200$ 지원

2) Research Electives : 4학년 4주까

지 가능. 학점 인정, 3달 연구에 대

해 4,000$ 지원

3) Extend program : 최소 3달 이

상, 1~2년 연구에만 집중하기도 함.

학점 인정. 생활비 지원

4) MD with Thesis : 논문 작성이

필수, Pathways to Discovery 중

MMP와 CTR 트랙 중 하나 선택.

연구 결과 발표 2회.

수준별로 5단계로 나뉨

1) MD-PhD

2) Reach Concentration Program : 6~12

개월 연구에만 전념. extra degree 없음.

수업료 없고, 학생회비만 냄. 대부분

publish

3) Summer Research Program : 50%이

상이 선택, 1-2학년 여름방학 10주.

4,000$ 지원

4) Research Selectives. 16주까지 연구과

정 선택 가능. 여러 연구 형태를 경험하

지만 개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아님

5) IRB 강의 : 연구과정에 참여하지 않

는 학생이라도 강의는 필수

1) SIM, PIC 과정 : 1학년 여름방학을

이용한 연구 프로그램. 50%가 이 과정

에 참여. SIM은 biological and

patient-oriented research이고 PIC는

medicine in society 관련 주제

2) 3-4학년 사이에 research를 위해 수

학기간을 1년 연장하기도 함

표 5. 의학연구과정 비교 분석

두에서 학생들이 주로 3~4학년 사이에 연구를 위해 1년 동안 학업을 중단

하고 연구만 전념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UCSF 의전원은 'MD with Thesis' 연구 과정을 두고서 논문작성을

필수로 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를 2회 이상 발표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Page 2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19

나. 복합학위과정1) UCSF 의학전문대학원

가) MD/MS Joint Medical Program

(1) 개요

UCSF는 의전원만 있는 대학이기 때문에 UC버클리의 우수한 자원(교수

인력, 연구시설 등)을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계획된 프로그램

으로 5년 과정의 MD(Medical Doctor)/MS(Medical Science) 복합학위과

정을 운영하고 있다. 복합학위과정 프로그램은 1971년에 시작되었는데,

1972년에 12명의 학생을 선발하였고, 2년의 임상실습 전 과정을 교육하였

다. 1974년부터 캘리포니아 주에서 이 프로그램에 대해 지원을 받았고, 지

금과 같은 3+2 체제의 복합학위과정 MD/MS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은

1978년부터라 할 수 있다. 2005년에는 통합사례기반커리큘럼

(Contextually Integrated Case-Based Curriculum, CICBC)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매년 16명의 학생을 선발하며, UCSF는 입학 자격에 필요

한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입학이 가능하다. 연구경험이 풍부하고, 사례기반

및 문제기반 소그룹 학습에 적절한 동기, 배경, 능력을 갖춘 우수한 학생들

을 선발하고 있다.

(2) 교육과정

첫 3년 동안은 의전원의 임상실습 전 과정 뿐 아니라 UC 버클리의 보건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은 강력한 연구 과정을 포함한

임상 전 의학교육커리큘럼(Preclinical medical curriculum)으로 구성되어

있다. USMLE STEP 1 과정을 통과하면서 3년 과정이 끝나면 UCSF 의전

원에 등록하여 3-4학년 임상실습을 진행한다.

UC 버클리에서 진행되는 첫 3년간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특징은 다음과

Page 3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20 의과학자 양성 연구

그림 1. UC Berkeley-UCSF 복합학위과정 커리큘럼 개요

같다. 모든 의학교육과정의 수업은 문제 바탕, 사례 바탕 등 사례를 근간으

로 한 소그룹 학습과 토론이 주를 이루며, 기초와 임상의학 통합 교육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합사례기반커리큘럼이라 정의하고, 이 과정

을 통해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생물학적, 사회적, 공공의료, 윤리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폭넓은 사고를 배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 복합학위과정의 학년별 주요 교육활동

복합학위과정의 3년 과정에서 학생들은 의학의 기초를 학습하고, MS 학

위를 취득하기 위해 연구과정을 진행한다.

Page 3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21

학년 내용

1

Teaching : Summer theist seminar

Fall/spring thesis seminar

UCB coursework

Mentoring

Products : Preliminary protocol, mentor

2

Teaching : Thesis Working Groups

Qualitative

Epi/Clinical

Mixed Methods

Ethical/Historical

Mentoring

Year 2 works-in-Progress Presentations

3

Teaching : Thesis working groups

Mentoring

JMP Symposium

Filling

Publishing

표 6. UC 버클리 복합학위과정의 학년별 활동

(4) 교수인력과 지도 체계 구성

UC 버클리는 이러한 복합학위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교수 인력을 확보되

어 있으며, 학생 생활지도 및 논문지도를 위한 지도 체계를 지원하고 있다.

- 핵심 교수 인력 : UC 버클리 62명(public health, optometry, social

welfare, public policy, journalism, education)

- 지도 체계 : 복합학위과정 멘토, 논문 자문위원, 연구 멘토, 논문 작업

리더, 석사학위과정 위원회 위원 등

나) MD/MPH Program

UCSF의 또 다른 복합학위과정 프로그램 중 하나는 MD/MPH 프로그램

으로 3-4학년 UCSF의 MD 과정 중간 또는 MD 과정을 이행한 후에 추가

기간 동안 UC 버클리에서 보건학 석사학위(PH) 과정을 이수하고 석사 학

위를 수여하는 것이다.

Page 3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22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학생들은 MD와 MPH 둘 다를 받을 수 있는데, 개인 환자에 대한 관심

뿐 아니라 공중보건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고

있다. 모든 MD/MPH 학생들은 역학, 보건의료정책, 보건의료관리, 사회 및

행동과학 등과 같은 입문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MD/MPH 학생들은 역학,

보건의료정책 및 관리, 다학제간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

할 수 있다. UCSF는 다학제간 통합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면서 국

제 보건, 모자 보건, 보건 경제, 보건정책 및 관리와 같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융통성 있는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2) Tufts 의학전문대학원

가) MD-MPH 과정

(1) 개요

Tufts 의전원은 30년 전부터 복합학위과정(combined program)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서 정규 의학교육과정에 화요일 오후를 비워두고 있고, 이 시

간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Tufts 의전원은 복합학위과정

중 MD-MPH 프로그램을 먼저 시작하였고, 이것을 본 떠 MD-MBA가 개

설되었다. MD-MBA는 Tufts에서 단독으로 하다가 잘 교육이 되지 않아

Brandeis 대학과 복합학위과정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그 이후 학생들의 유

치가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MD/MA는 2011년 8월 기준으로

아직 진행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MD-MPH 과정은 매년 20명까지 선발

하고 있으며, 4년 과정으로 학위를 받을 수 있는 강점을 갖고 있다.

(2) 교육과정

모든 복합학위과정 프로그램은 1-2학년 화요일 오후, 1-2학년 여름, 3학

년 1개월, 4학년 때 2개월 동안을 선택 교육과정을 이용하여 복합학위과정

Page 3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23

을 진행하고 있다. 이중 MD-MPH 과정은 5가지 필수 과목을 공부하고, 기

타 필요한 과목들을 48학점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MD-MPH 학생들은 한

달에 한 번씩 개최되는 세미를 통하여 보건의료 이슈를 검토하고, 1-2학년

때는 핵심 과목을 이수하고, 여름엔 현장 연구 경험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

다. 그리고 1학년과 2학년 사이에 10주 동안 공중보건 관련 프로젝트를 진

행해야 한다. 그리고 2학년에는 직업환경보건, 법과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등 더 많은 교과목을 이수하고 배워야 한다. 그리고 3학년 때는 MD 과정

에서 기초 선택과정으로 주어진 1개월을 포기하고, 대신에 공중보건 선택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4학년 2개월 동안에는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연구

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하고 있다.

MD-MBA는 개강 시기보다 3개월 먼저 시작하고, 나머지 과정은 MPH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대학 간에 거리가 멀고, 의학과 MBA

간의 연결이 쉽지 않아서 어려움이 존재한다.

(3) 소요 비용 및 진로 등

복합학위과정은 4학년 동안 $52,000의 학비를 내야 하지만, 할인을 받아

서 $22,000만 내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신 JD, DVM, DD,

nursing program 등 다른 학위 과정에서 학비를 받아 보충하고 있다.

MD-MPH의 경우 2학년 때 주로 5%가 이 과정을 포기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졸업자의 20%가 full time public health, 40%가 clinical & part

public job을 가지는 등 대략 60% 정도가 관련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Page 3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24 의과학자 양성 연구

3) Harvard 의학전문대학원

가) Harvard-MIT MD Program

(1) 개요

Harvard-MIT MD(Harvard Medical School and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D , 이하 HST MD) 프로그램은 의사과학자를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1970년에 도입되었다. 하버드와 MIT가 가진 우수

한 교육환경과 자원을 토대로 연구와 임상과정을 제공하여 세계의 매우 우

수한 공학, 물리학, 생물학, 화학 전공자에게 매력을 불러일으키며, 매년

30명의 입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교육기간은 UC버클리-UCSF 복합학위과

정과 달리 4년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분자생물학에 특별한 관심을 갖

거나 생의학 연구에 목적을 두고 의과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을 위해 만든

의학 교육과정으로 Harvard 단독으로 이루어진 New Pathway와는 달리

학기별로 정교하게 짜인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생물학,

Biotechnology, 공학, 물리학에 중점을 두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Harvard나 MIT 대학원 과정도 선택과목으로 수강할 수 있다.

HST 교육과정의 장점은 첫째, 엄격한 양적 접근을 통해 미생물학, 생명

공학, 물리학, 공학에서 강력한 기초를 다질 수 있고, 둘째, 의사, 과학자,

공학자가 모두 이 과정에 참여할 수 있고, 셋째, Harvard와 MIT 두 캠퍼

스에서 이루어지고, 넷째, 연구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고, 다섯

째, 임상 조사, 실험연구, 이론 분석을 통해 더 깊이 있게 임상적 문제를

탐색할 기회를 가질 수 있고, 임상 연구의 기초가 되는 논문을 쓸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MD-PhD 과정이나 Harvard에서 제공

하는 여러 복합학위과정에 입학하는 등 자신의 관심 영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HST MD Program은 의학 분야에서 다학제간 연구를 계획하고 있는 학

생들에게 적절한 프로그램이다. 환자 진료와 그들이 리더로서 생의학 분야

Page 3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25

Year I Year II

Basic Science and Pathophysiology Course Requirements - 54 credits

HT010 Human Anatomy

HT030 Pathology

HT160 Molecular Biology and Genetics

HT175 Immunology

HT146 Human Biochemistry and

Metabolic Diseases

HT190 Introduction Biostatistics and

Epidemiology

HT060 Endocrinology

HT090 Cardiovascular Pathophysiology

HT100 Respiratory Pathophysiology

HT110 Renal Pathophysiology

HT199 Research

HT220 Introduction to the Care of

Patients

HT932 Introduction to Social Medicine

HT040 Mechanisms of Microbial

Pathogenesis

HT070 Human Reproductive Biology

HT120 Gastroenterology

HT130 Introduction to Neurosciences

HT020 Musculoskeletal Pathophysiology

HT080 Hematology

HT150 Principles of Pharmacology

IN710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HT199 Research

PS 700M. J Psychopathology

Year III: Principal Clinical Experience (PCE)

Course Requirements

Year IV or final year :

Advanced Experiences in Clinical Medicine and Basic

Sciences Course Requirements

Medicine I (12 weeks)

Surgery (12 weeks)

Obstetrics and Gynecology (6 weeks)

Pediatrics (6 weeks)

Neurology (4 weeks)

Psychiatry (4 weeks)

Radiology (4 weeks)

Medicine II or Advanced Pediatrics (4 weeks) [must be

completed by March of Year IV]. A second Subinternship in a

surgically-oriented discipline is highly recommended but not

required.

Clinical Elective (CE) (8 weeks)

Unspecified (CE or nonclinical elective [NCE]) (20 weeks)

표 7. HST MD 프로그램의 학년별 교육과정

의 연구자로서의 자질을 갖춘 우수한 의사-과학자가 될 수 있는 교육과정,

연구, 임상적 경험을 제공한다. 4년 동안 MD를 획득하고 모든 학생들이

연구를 수행하지만, 대부분은 훨씬 더 많은 연구 경험을 쌓기 위해 4년 이

상의 MD 과정을 이수한다. HST MD 학생의 40%는 MD-PhD program의

복합학위 과정에 들어간다.

졸업을 위해, HST 학생들은 실험연구 또는 임상 연구에 기초한 논문형

식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해야 한다. 심화 연구를 위해 학생들은 MD/PhD

또는 MD/MPH 등 복합학위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2) HST MD 학년별 교육과정

Page 3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26 의과학자 양성 연구

Patient-Doctor III (longitudinal)

Primary Care Clerkship (longitudinal)

Principal Clinical Experience course

(longitudinal)

Examination Requirements for Graduation

The following examinations must be passed to receive the MD

degree:

HMS Patient-Doctor II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

(OSCE) [Year II]

HMS Comprehensive Examination [June following PCE]

나) Harvard 의전원의 복합학위과정

Harvard 의전원의 복합학위과정은 다른 대학과 마찬가지로 MD-MBA,

MD-Master of Public Health(MPH), MD-Master of Public Policy(MPP)

과정이 있다. MD-MPH 12명, MD-MBA 12명, MD-MPP(케네디 대학)

6-10명이 등록되어 있고, 2-3학년 사이에 이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1년간

학업 연장을 해야 한다.

4) 대학별 복합학위과정 비교 분석

3개 대학 모두 복합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MD-MPH는 3개 대학이

모두 운영하고 있고, MD-MBA도 Harvard나 Tufts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

러나 운영 방식에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다. Tufts의 경우 4년 과정으

로 학위 수여가 가능하며 주로 방학이나 특정 요일(화)에 관련 과목을 이수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UCSF나 Harvard의 경우 1년 정도

학업을 연장하면서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UCSF의 MD/MS 복합학위과정은 좀 더 특별한 경우인데, 5년 과정으로

첫 3년은 UC 버클리에서 통합사례기반커리큘럼 과정으로 임상 전 과정과

MS 학위 과정을 이수하고 나머지 2년은 UCSF에서 임상실습을 하도록 계

획된 프로그램이다. 매년 16명의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Harvard는 MIT와 joint MD Program인 HST MD Program을 운영하고

있는데, 의사-과학자의 배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ew Pathway와 달리

Page 3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27

학기별 정교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Biotechnology, 공학, 물리학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하버드와 MIT 대학원 과목의 이수도 가능하다.

UCSF와 달리 4년 과정으로 30명을 선발하고 있고, 40%가 MD-PhD 과정

에 들어간다.

UCSF Tufts Harvard

1) MD/MS Joint Medical Program :

UCB-UCSF. 5년 과정. 첫 3년은

UCB에서 CICBC 과정으로

Premedical course와 MS degree 과

정 이수. 나머지 2년은 UCSF에서 임

상실습 합류. 16명 선발.

2) MD/MPH : 3-4학년 사이나, MD

과정 이수 후 UCB에서 MPH 과정

이수 후 석사학위 수여

1) MD-MPH : MD과정을 수행하면

매주 화요일, 3학년, 4학년의 일정

기간을 관련 과목 이수. 연구계획서

제출하거나 프로젝트 진행. 4년 과정

으로 degree 수행 가능. 20명 선발.

2) MD-MBA : Brandeis U와 Joint. 3

개월 먼저 개강, MPH와 진행 방식

유사

1) MD-MPH : 12명

2) MD-MBA : 12명

3) MD-MPP : 케네디 대학과 Joint.

6~10명

--> 과정 이수를 위해 2~3학년 사이

에 1년 학업을 연장

표 8. 대학별 복합학위과정 비교 분석

Page 3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28 의과학자 양성 연구

다. MD-PhD 과정복합학위 과정 중 MD-PhD 과정은 다른 복합학위과정에 비해 투입되는

자원 량이 크고 정책적 지원 환경이 중요하며, 그리고 국내에서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객관적 비교를 위해 따로 구분하여 다루

었다.

1) UCSF 의학전문대학원

가) 개요

의과학자훈련프로그램(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 이하

MSTP)은 NIH의 재정적 지원에 기초하여 PhD 과정과 MD 과정을 통합 운

영하고 이수자에게 두 개의 학위를 수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최초 MD-PhD

복합학위과정은 NIH의 재정적 지원에 기초한 MSTP가 유일하였으나, 학교

에 따라 별도의 기금을 통해 MD-PhD 복합학위과정을 확대하고 있다.

MSTP 과정을 포함한 MD-PhD 과정은 2년 동안 MD 교육과정 중 임상

전 과정을 이수한 후에 4~5년 동안 대학원에서 박사학위과정을 이수하고,

다시 MD 교육과정에 돌아와 임상실습 과정을 거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MD-PhD 과정을 모두 이수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7~8.5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MSTP 과정은 의과학 연구에 대한 지향이 강

한 질 높은 의사과학자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MSTP 과정에 선발된 학생

은 MD 교육과정과 PhD 교육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재정적 지원

을 받게 되는데, 2009-10년 기준으로 매년 30,000 달러를 생활비로 지원

받게 된다. USCF 의전원은 MD-PhD 과정으로 매년 12명의 학생을 선발

하고 있으며, 현재 93명의 학생이 등록되어 있다.

Page 3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29

나) 재정적 지원

재정적 지원의 구성비를 보면, NIH의 지원에 근거한 MSTP로 대상자의

40%가 지원을 받고 있고, 학교(학장)의 매칭 펀드로 40%가 지원을 받고

있으며, NIH 펀드를 받는 연구자의 의한 재정적 지원이 20% 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MSTP 예산이 약 180만 불 정도인데, 약 50억 정도의 예산이

확보되어 있다. 학생들에게는 수업료 지원 뿐 아니라 생활비만 연간 3만

불을 지원하고 있다.

다) 졸업 후 진로

MD-PhD 복합학위과정을 마친 졸업생의 70%는 대학에서 교수 등으로

활동하고 있고, 20%는 국가연구기관, 10%는 임상을 선택하고 있었다.

MD-PhD 과정 중에 4%의 학생만이 과정을 포기하고 있는데, 포기를 해도

그 동안 투입된 지원금에 대해서는 반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위

를 포기하였을 경우에도 MD 학위는 유지되고, MD 학위를 받을 수 있다.

MD-PhD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은 PhD 과정이 종료된 후에 바

로 PhD 학위를 받고, 다시 임상실습을 진행한 후 MD를 받게 된다.

2) Tufts 의학전문대학원

Tufts 의전원은 UCSF와 마찬가지로 기초 2년, PhD 4~5년, 임상 2년의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차이점은 MD와 PhD 학위가 졸업과 동시에 취득된

다는 점이다. MD-PhD 복합학위과정 학생들은 MD 교육과정 1학년 방학

기간 동안에도 실험실에서 연구에 참여해야 한다. 학생 지도는 Sackler

biomedical school의 기초계열 교수 중 70명 정도의 교수가 담당하고 있

는데, 이 중에 5-10명 정도가 MD이고 대부분은 PhD 출신의 교수들이다.

MD-PhD 복합학위과정 학생들은 MSTP 지원을 받으며, 평균적으로 일 년

Page 4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3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에 12명의 학생이 선발된다. MD-PhD 졸업생들은 대부분 레지던트와 전임

의 과정을 거치고 있지만, 이후 진로가 단순히 임상의사로 남는 것이라 임

상의사를 수행하면서 의과학 분야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Harvard 의학전문대학원

가) MD-PhD 과정 개요

Harvard 의전원의 MD-PhD 복합학위과정은 1974년 이래로 NIH의 지원

에 기초한 MSTP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학생들은 MD와 PhD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어느 한 쪽의 학위만으로는

얻기 힘든 심층적인 시각을 MD-PhD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하기 위해서이

다. 과학과 의학이 상호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직접적으로 아는 것과 동시에

의학이나 과학 분야에서 부족한 점을 알게 된다. 복합학위과정을 통해 중요

한 연구 경험뿐만 아니라 과학적 지식과 임상 문제의 해결 능력을 증진시

킬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기초과학과 사회과학의 두 개 트랙으로 나뉘는

데 매년 12명의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1) Basic Sciences Track

다양한 임상적 전공지식과 기초과학과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 영역을 대

표하는 차세대 의사-과학자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1학년 여름 전에

‘Molecular Biology of Human Disease’ 과정을 수강하면서 연구과정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질병 지향적 연구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비

판적 사고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한 수업을 받게 된다. 여름 코스 이후에 학

생들은 대개 2-4-2 모델을 따른다. 즉, 2년 동안 기초의학, 4년 동안 PhD

과정, 2년 동안 임상실습 과정을 거친다. 즉, 평균 7~8년이 소요된다. 의전

Page 4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31

원의 첫 번째, 두 번째 학년 동안에 MD 교육과정 중 전 임상 교육과정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3번째 여름 교과 과정 안에 내과 또는 소아과를 실

습하여 핵심적인 임상 수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 후에 그들의 다음 MD 교

육과정에 복귀하기 전까지 대학원에서 전일제 학생으로 등록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을 위해 학업 지원과 멘토링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

로 포스터 섹션, 정기적인 휴식기간, 교수와의 공식적인 저녁식사 등이 포

함되어 있다. MD-PhD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 간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

해 ‘Leaders in Biomedicine’ 세미나가 정기적으로 개체된다.

(2) Social Sciences Track

2005년에 사회과학 분야의 MD-PhD 복합학위과정이 새롭게 생겨났다.

다른 MD-PhD 복합학위과정과 마찬가지로 의전원 1-2학년 과정을 거치고

Harvard 대학원(Harvard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GSAS)에서 PhD 과정을 이수하고 난 뒤에 다시 의과대학 3-4학년 과정을

이수한다. 이 학생들은 임상의학과 관련이 있는 의료인류학, 보건경제학,

보건의료정책, 심리학, 사회학, 통계 등을 공부한다.

Page 4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32 의과학자 양성 연구

나) HMS MD-PhD 교육과정

학년 내용

Y1

MD-PhD summer course, first lab rotation followed by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classes; become

affiliated with graduate program of choice and take a graduate course or two if possible; choose next lab

rotation.

Y2Summer lab rotation, second year of medical school classes; apply formally to PhD program of choice;

complete Step 1 of the Boards; choose thesis lab.

Y3Do an anchoring clinical rotation prior to starting graduate school full-time; concentrate on fulfilling

requirements for the PhD degree; complete Preliminary Qualifying Examination; pursue thesis research.

Y4Complete final graduate courses and complete Preliminary Qualifying Examination if necessary, and work

full-time in thesis lab.

Y5 Continue full-time thesis research in lab; present poster at annual MD-PhD Retreat.

Y6Complete thesis lab research, defend dissertation and receive the PhD degree; transition back to clinical

clerkships; seek permission to continue work on PhD if additional year is needed.

Y7Meet core clinical clerkship requirements through the Principle Clinical Experience (PCE); give oral

presentation of research at annual MD-PhD Retreat; complete Step 2 of the Boards.

Y8Continue clerkships and take clinical electives; participate in Match Residency process; do further research

in lab; plan graduation for MD.

표 9. Harvard 의전원의 MD-PhD 복합학위과정의 교육 프로그램

다) MD-PhD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학생 지원

전체 의전원생의 70%가 지원금을 받고 있는 Harvard 의전원에

MD-PhD 복합학위과정에 선발이 되면 신입생의 경우 MSTP 지원금 전액

을 받게 되고, 여기에 등록금 전액 면제와 장학금이 따로 주어진다. NIH의

MSTP 과정에 있는 학생들을 위해 지원하는 지원금이 Harvard MD-PhD

프로그램 운영의 주요 자원이 되고 있으나 재학생의 경우는 의전원에서 다

양한 방법으로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신입생 때가 아니고 2학년을 마치고 나서 MD-PhD 복합학위과정을 신청

할 수 있는데, 2011년을 기준으로 8명이 신청을 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지원은 Harvard의 스폰서와 연구책임자인 지도교수의 연구비로 하게 되는

Page 4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33

데, PhD 과정부터 지원을 받게 된다.

평균 7년이 걸리는 MD-PhD 복합학위과정은 NIH에서 규정한 6년의 지

원 기간을 감안한다면 마지막 1, 2년이 남은 시기에 지원금이 걱정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Harvard 의전원에서 제공하는 각 학과의 수련지원금,

특별 연구비, 연구·교수 보조비, NIH에서 제공하는 Minority Access to

Research Careers(MARC), Minority Predoctoral Programs 등과 같은

다양한 특별 연구비를 통해 학생들이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배

려하고 있다. 따라서 MSTP 지원금을 받지 못하더라도 PhD 학위를 취득하

려는 학생들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라) MD-PhD 이후 진로

MD-PhD 복합학위과정을 이수한 후 진로는 매우 폭넓고 다양하며, 매우

융통성 있게 진로 선택이 가능하다. 학생들은 연구 혹은 의학 어느 쪽이든

매진하거나 두 영역 모두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대학수준의 연구기관/학술

기관에 교수진으로 활동할 기회도 제공받을 수 있다.

4) 대학별 MD-PhD 복합학위과정 비교분석

3개 대학의 MD-PhD 복합학위과정은 모두 NIH(MSTP 프로그램)의 지원

을 받고 있으며, 12명을 선발한다. 과정은 대개 MD 교육과정의 2년에 해

당하는 전 임상교육과정, PhD 과정 4~5년, 임상실습이 이루어지는 MD 교

육과정 2년으로 평균 7~8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학생지도는 Tufts의 경우

기초교수가 주로 담당하며, 대부분 PhD이며 MD가 10%정도이다.

기본적으로 NIH로 부터 학비를 포함한 생활비 등을 지원받고 있으며, 일

부의 경우는 의전원 및 PI의 연구비로 지원되기도 한다. Harvard의 경우

재학 중 2학년을 수료한 후에 MD-PhD 신청이 가능하며, PhD 과정부터

지원을 받게 된다. 중도에 포기를 하더라도 투입된 지원금을 반납하기 않으

Page 4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34 의과학자 양성 연구

며, MD 과정을 유지하고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MD 학위와 PhD 학위를

따로 수여하거나(UCSF), 동시에 취득(Tufts)하기도 한다. 이들의 진로는

MD에 비해 매우 폭넓고, 단순히 임상의사가 되기보다는 의과학 연구에 많

은 기여를 하고 있다.

UCSF Tufts Harvard

1) 2년 pre-clinical years , 4~5년

PhD과정, 2년 임상실습 과정. 평균

7~8.5년

2) 30,000$ 생활비 지원

3) 12명 선발

4) 재정지원 출처 : NIH(MSTP)에서

40%, dean 40%(학교 메칭펀드), PI(대

부분 NIH funding)가 20%

5) 70%가 대학에서 활동하며, 20%는

국가연구기관, 10%는 임상 선택

6) 4%가 중도 포기. 투입된 지원금에

대해서는 반납하지 않음

1) 2년 pre-clinical years , 4~5년

PhD과정, 2년 임상실습 과정

2) 12명 선발

3) MD와 PhD 학위를 동시 취득

3) 1학년 방학 기간 동안에도 실험실

에서 연구에 전념

4) 학생 지도는 Sackler biomedical

school(기초 교수)에서 주로 담당. 70

명의 교수가 있으며, 이 중 5-10명 정

도가 MD이고 대부분 PhD

5) 진료는 단순히 임상과정을 밟기

보다는 medical science에 전념

1) 2년 pre-clinical years , 4년 PhD과

정, 2년 임상실습 과정. 평균 7~8년

소요.

2) Basic Science Track과 Social

Science Track으로 나뉨.

3) MSTP 지원금 받음, 기타 다양한

기관이나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비 지

원을 받을 수 있음

4) 2학년을 수료 후 MD-PhD 신청

가능하며, PhD 과정부터 지원을 받게

5) 진로는 MD에 비해 매우 폭넓고

다양. 연구기관 및 학교의 교수진으로

활동할 기회 많음

표 10. 대학별 MD-PhD 비교

Page 4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35

라. 교육과정1) UCSF 의학전문대학원

UCSF 의전원은 미국의 공립 의학전문대학원 중에서 NIH(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지원을 가장 많이 받는 1위 대학으로서 《US

News & World Report》가 2010년 실시하는 평가에서 연구(research

training) 분야 5위를 차지한 우수한 대학 중 하나이다.

UCSF 의전원의 미션(Mission)은 교육, 연구, 환자진료(patient care), 공

공의료(public service)의 4가지 미션을 통해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션을 완수하기 위해 대학은 2009년 교육과정

을 전면 개편하였고, 교육시설 확충 및 질 향상을 위해 15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시뮬레이션 센터 등을 설치하였다.

우선, UCSF 의전원 4개 학년의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2. UCSF 의전원 교육과정 개요

Page 4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36 의과학자 양성 연구

가) 1-2학년 교육과정

(1) 교육과정 개요

UCSF 의전원은 입학 후 첫 7주 동안 의학교육 입문(Prologue) 과정으로

사례기반교육(case based learning)을 통해 임상 사례를 소개하고, 약 150

억 원의 막대한 예산을 들여 Kanbar center를 리노베이션하여 시뮬레이션

센터 등에서 모의환자(standardized patient) 등을 활용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1학년부터 임상 조기 노출이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 시뮬레이션 센터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에 대한 사례

를 접하도록 하고 기본적인 응급처치 방법 등을 포함하여 기초의학과 임상

의학 교육이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 등을 포함하여 UCSF 의전원은 완전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기초의학 교육이 별도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사례기반교육을 통

하여 기초의학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을 운용하고 있었다. 이렇게

기초와 임상이 통합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기초 교수 중에 교육을 담당할

MD 교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통합 교육의 맥락에서

기초의학 교육 중 해부학 실습이 2년에 걸쳐서 진행되고 있었다. UCSF 의

전원은 이러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기 위해 8년 전부터 계획을 세

워 추진해 왔으며, 3년 전인 2009년부터 새로운 교육과정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과정은 필수핵심(essential core) 과정으로 18개월 동안 9개의

통합블럭과정(interdisciplinary block courses)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블

럭과정은 ‘intertwined with other aspects of the practice of medicine,

including public health, epidemiology, and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등 기초의학, 임상의학, 인문사회의학 등 의학교육의 전 과정이

완전하게 통합 운영되고 있으며, 모든 교육과정은 온라인 교육 지원 시스템

인 iROCKET을 통해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Page 4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37

(2)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UCSF 의전원의 교육방법을 보면, 전통적인 강의법에서 벗어나 스스로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강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하루에 2시간 정도만 전

통적인 방법의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나머지 시간에는 모두 소그룹

활동과 실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또한 1~2학년 과정의 평가방법은 Pass/fail 제도를 도입하여 학생들 간

에 과도한 경쟁적 분위기를 완화하고 활발한 소그룹 스터디와 자기주도학

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었다. 즉, 경쟁이 아닌 협동 학습을 강조하는 체제

를 마련하고 있었다.

2학년 과정은 미국의사시험인 USMLE Step 1 exam을 위해 2학년 3월

초에 종료되며, 3학년부터는 핵심임상실습(core clerkship) 과정이 4월말

경부터 시작되도록 배치하고 있었다.

나) 3, 4학년 교육과정

(1) 3학년 과정

UCSF 의전원의 3학년 핵심임상실습 과정은 6개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각 블록은 8주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에 산부인과와 소아

과 실습기간 동안 2주씩 2번 Unscheduled period가 존재하여 총 실습 시

간이 44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2번의 모의임상능력시험

(mini-Clinical Performance Exams, CPX)이 치러지고 있었다. 44주 핵심

임상실습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 Anesthesia 2 Weeks

- FCM 6 Weeks

- Medicine 8 Weeks

- Ob/Gyn 6 Weeks

Page 4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38 의과학자 양성 연구

- Pediatrics 6 Weeks

- Psychiatry and Neurology 4 Weeks Each

- Surgery 8 Weeks

(2) 4학년 과정

4학년에서는 24주의 advanced clinical work 기간이 있어서 서브인턴쉽

형태의 심화 임상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17주의 자유재량

(discretionary) 기간이 있어서 이 기간에 Pathways to Discovery 또는

개인 연구 프로젝트를 추가로 진행하고 있었다.

(3) PISCES(The Parnassus Integrated Student Clinical Experiences)

UCSF 의전원은 3학년 실습 과정 중 신청한 학생에 한하여 혁신적인 임

상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PISCES 프로그램은 교수, 학생, 환

자가 파트너가 되어 1년 동안 장기간 임상실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

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환자, 학생, 교수 사이에 장기간의 관계 유지

- 병원에 입원한 만성질환자 뿐 아니라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에 대

한 장기간의 경험 축적

- 진단명을 모른 환자를 시작단계부터 추적 관찰함으로써 환자를 알아가

는 과정에서 임상추론능력 향상

- 공감, 효과적인 환자 중심 진료에 필요한 통합된 지식과 일반적 술기

습득

UCSF 의전원의 경우 6개월~1년 동안 156명 중 16명(10%) 정도가 이

과정을 선택하여 임상실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임상실습을 위해서

학생 한 명 당 5명의 지도교수(preceptor)가 배정되어 있었고, 임상 주요

Page 4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39

과목 교수가 모여 학생의 실습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고 있었다. 실습 기

간 동안 지도교수, 학생, 환자가 장기간에 걸쳐서 관찰, 진단, 치료, 추적

관찰을 같이 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는데, 그 결과 기존의 정형화된 실습일정

과 달리 환자의 일정에 따라 실습 일정이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와 같이 여러 지도교수에 의해 평가가 이뤄지기 때문에 학생 평가에 대한

타당도가 높고, 학생에 대한 피드백이 좋아진다는 특징도 존재하였다.

다) 교육시설

Kanbar Center는 도서관의 2층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시뮬레이션, 임상

술기, 학생 소그룹학습 등을 위해 1년 전인 2010년에 1,50억 원을 투자하

여 리노베이션하였다. 의과대학 뿐 아니라, 간호, 약학, 치의학, 물리치료학,

Graduate division 등이 모두 활용이 가능하며, 실제 병원의 레지던트까지

도 이용이 가능하다.

그림 3. 소그룹 학습실

교육 시설은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그룹 학습이 가능하도록 공

간을 구획하고, 필요에 따라 공간을 합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파티션을

Page 5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4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설치해 두었다. 8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에 따라 2개의 공간으

로 나눌 수 있도록 파티션이 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의 방이 총 4개가

있었다. 학생들의 소그룹 학습(팀기반학습, 문제기반학습, 자율학습 등)을

위한 용도로 1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이 7개 있었다.

그림 4. Multi Purpose Media Room

'Multi Purpose Media Room'을 통해 자료검색과 이러닝, CBT 등 웹과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과 평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멀티미디어실을 통하여

그룹별 학습도 가능하도록 하였는데, 방 구조를 그룹별로 배치한 점이 특징

적이었다.

Page 5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41

그림 5. Clinical Examination Rooms

진료실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12개의

'Clinical Examination Rooms'을 보유하고 있었다.

Page 5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42 의과학자 양성 연구

그림 6. Operating Room/Emergency Trauma Area

Clinical skill center 안에 응급실 및 수술실 등의 병원 환경과 동일한

방이 두 개가 있으며, 한 방에 고가의 Simulator가 7개가 구비되어 있다.

구조 변경이 가능하도록 천정 등에서 전기 등 모든 시설이 내려오도록 설

계가 이루어져 있었는데, Kanbar center를 만들 때에 모든 내부 설계에 이

러한 유연성(flexibility)이 반영되도록 하였다. 현재 UCSF 의전원이 확보

하고 있는 모의환자수는 300명이고, UCSF 단독이 아니라 샌프란시스코 3

개 대학이 연합해서 훈련을 시키고 함께 이용하고 있다.

2) Tufts 의학전문대학원

Tufts 의전원은 1893년에 설립된 미국의 명문 사립 의학전문대학원 중

하나다. 대학의 미션은 보건의료 분양의 리더가 될 수 있는 의사, 과학자,

보건의료전문가를 양성하며, 환자와 지역사회에 최상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

Page 5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43

한 기초 및 임상 연구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미션을 완수하기 위해 Tufts도 UCSF와 마찬가지로 2009년 교육

과정을 전면 개편하였고, 교육시설 확충 및 질 향상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였다.

우선, 의전원 4개 학년의 교육과정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7. Tufts 의전원의 교육과정 개요(2011-2012)

가) 1-2학년 교육과정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학년 교육과정은 4개의 과정(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과정은 11주 로 구성되어 있는 의학기초과정(Med

Foundations) 1로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Cell, Biology,

Tissue and organ biology, Genetics and immunology 등에 대한 통합

Page 5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44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두 번째 과정은 12주로 구성된 의학기초과정 2로

Clinical anatomy, Core physiology, Core pharmacology, Core

pathology 등에 대한 교육이 통합 운영되고 있다. 세 번째는 8주로 구성된

'The Brain'이라는 이름의 과정으로 Neuroscience, Internal medicine,

Clinical psychiatry, Addiction medicine, Head and neck anatomy 등이

다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 번째는 인문사회의학 과정으로 'Scientific

foundations of social and behavioral medicine'을 다루고 있다.

이렇게 구분된 네 개의 교육과정과 함께 1학년 전체 기간에 걸쳐서 환자

진료기초과정(Foundations of patient care - interviewing, physical

diagnosis 1 & CAP 1)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1학년 교육과정 모두 증거

기반의학, 문제기반학습 등에 기초하여 진행되고 있다.

2학년 교육과정은 3개의 세부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건강과 질

병'(From Health to Disease) 1, 2, 3 과정으로 11개의 통합강의가 진행

되고 있다.

Tufts 의전원 1-2학년 교육과정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먼저, 의전원의

많은 학습량을 일방적인 강의로만 교육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학생들에게 지식을 가르치기 보다는 자료 찾는 방법과 임상추론능력

(clinical reasoning 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등 학습 방법에 대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전원 의학교육담당 학장과 면담 과정에서

23주간 진행되는 1학년에 진행되는 의학기초과정 1, 2가 너무 최신 의학지

견 중심의 강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학장이 불만을 토로할 정도로

기존 교육 방법에 대한 개편 의지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에

기초의학 교수 중심으로 이루어진 의학기초과정에 대한 강의에 임상 교수

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둘째, Tufts에서 처음 개발한 임상추론과정(Introduction to Clinical

Reasoning) 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었다. 임상추론과정 프로그램은 2주마

다 3시간씩 같은 증상을 보이는 두 질환에 대하여 임상적 추론을 할 수 있

도록 설계된 교육과정인데, 총 17개의 사례에 대해 진행하고 있다. 임상추

Page 5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45

론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20명의 지도교수(preceptor)가 배치되고, 소

그룹으로 교과목을 진행하고 있다. 임상추론과정 프로그램은 문제기반학습

(PBL)에 대한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는데, 1학년 때는 PBL에 기

초한 사례기반교육을 진행하고 있었고, 2학년에서 PB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편으로 임상추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셋째, 일차의료역량강화실습(Competency based Apprenticeship in

Primary Care, CAP) 과정을 시뮬레이션 센터(Clinical Skill & Simulation

Center, CSSC)를 통해 진행하고 있었고, 1학년 1학기 때 모의환자 인터

뷰, 1학년 2학기 진찰 등을 시뮬레이션 센터에서 실습을 하게 함으로써 학

생들이 조기에 임상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모의 환자에 대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이루어지도록 만들고 있다.

넷째, 학생과 교수가 평가에 참여하고 있었고, 평가 결과에 따라 일 년마

다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course) 평가를 3년마다 외

부 전문가 평가를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있었고, 교육과정마다 학생 대

표가 있어서 교육과정 학생대표와 책임교수, 학장이 모여서 상호 평가를 실

시하고 있었다. 더군다나 PhD인 평가전문가가 평가 시스템을 매년 업데이

트하고 있다.

나) 3-4학년 임상실습 과정

첫째, 3학년의 핵심임상실습은 2학년 5월부터 시작되는데, 내과 8주, 외

과(surgery) 8주, 가정의학(외래) 6주, 산부인과 6주, 소아과 6주, 정신과

6주를 필수로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기초선택과정으로 8주 동안 안과 등

과 같은 여러 세부 전공 중에서 선택하여 실습을 해야 한다. 기초선택과정

동안에 학생들은 인턴과 함께 인턴이 shadowing을 한 상태에서 학생이 직

접 초진(응급실) 기록을 하고 인턴처럼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

다.

둘째, 4학년에서는 Advanced clerkship으로 학생들이 9개월 동안 4주씩

Page 5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46 의과학자 양성 연구

9개 과를 로테이션하면서 임상실습을 해야 한다. 9개월 중 2개월은 인턴쉽

(acting internship)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예

비 의사로서의 책임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도록 교육을 받고 있다. 그리고

신경과 1개월, 강의 1개월, 선택실습 8주를 실시하고 있다.

다) 교육시설

그림 8. Clinical Skill & Simulation Center

시뮬레이션 센터는 최근 리노베이션되었으며, 1개의 대형 강의실과 12개

의 진료실(simulated patient exam rooms), 3개의 시뮬레이션 룸, 그리고

회의실, 모의환자를 위한 휴식 공간, 2개의 교수 관찰실을 갖추고 있다. 센

터의 프로그램은 아직 개발단계에 있으며 4개의 MD 과정에서 시뮬레이션

과 임상술기 과정이 포함되어 수기센터를 활발히 이용할 수 있도록 위원회

에서 계획하고 있다. 지금은 1학년 학생들이 센터를 이용하여 이학적 검사

및 진단 훈련(physical diagnosis training)을 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

한 의학 시나리오를 가지고 현실감 있게 환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모의환자

를 양성하고 있다. 모의환자는 Physical diagnosis 1, Medical

interviewing, Introduction to clinical reasoning, CAP, Family medicine

clerkship, 3학년 말에 치러지는 OSCE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Page 5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47

3) Harvard 의학전문대학원

Harvard 의전원은 미국 최고의 사립대학으로서 의전원 체제 의학교육과

정에서 선두적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1985년에 '신노선'(New Pathway)으

로 의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불러일으킨 후 2006년 또 한 번 의학교

육과정의 개편을 단행한 바 있다.

가) 교육과정 개편의 이유

1985년 의학교육의 '신노선'을 도입한 Harvard 의전원은 2006년 여름에

새로운 통합교육과정(New Integrated Curriculum, NIC)을 시행하였다. 이

렇게 새로운 통합교육과정으로 의학교육의 개편을 단행한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의학과 보건사회의학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고, 학생들의 경험

을 매개로 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교육의 통합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둘째, 하버드 의전원 학생들의 선생님이자 멘토, 그리고 지도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중진(senior) 교수의 개입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셋째, 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발달적 측면에 기초하여 임상 교육의 새로운

모델 개발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이 모델에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환자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교수 멘토링을 제공하며, 학생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

되었다.

넷째, 모든 하버드 의전원 학생들이 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

하고 전문가 교수의 지도하에 그들의 영역에서 학문적 결과물을 낼 수 있

는 기회를 줄 필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었다.

나) 의학전문대학원이 필요한 이유

Harvard 의전원의 의학교육담당 학장인 Dienstag 교수는 의학전문대학

Page 5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48 의과학자 양성 연구

원이 필요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고등학교 졸업생은 성숙되지

있지 않아 학부 졸업생에 비해 진로에 대한 정체감, 진로에 대한 의사결정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라면 삶과 죽음 등

인간의 본질에 대한 고민과 통찰이 필요한데, 고등학교 졸업자는 이러한 측

면에서 부족한 면이 있다는 것이다. 사회성과 교양 등의 기본 자질을 좀 더

갖추고 의과대학에 입학할 필요가 있으며, 의학교육을 위해 필요한 선수과

목들을 충분히 이수하고 습득한 후 입학을 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기본 요소를 갖추기에는 고등학교 졸업자로는 한

계를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부졸업자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다) Harvard 의전원 교육과정 개요

그림 9. Harvard 의전원 교육과정 개요(2011-2014)

Harvard 의전원의 교육과정은 Harvard 단독 교육과정(New Pathway -

HMS tract)과 Harvard-MIT 연계과정(Health Science Technology -

Harvard-MIT tract, HST) 등 두 종류가 존재한다. Harvard 단독 교육과

Page 5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49

정은 1985년에 새로 개발한 Harvard 의전원 교육과정으로서 강의, 소그룹

토의, 자기주도학습으로 운영되는 통합블럭과정(interdisciplinary course)

위주의 교육과정이고,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지식뿐 아니라 평생 자가 학

습자(lifelong learner)가 될 수 있는 술기 및 태도를 가르침으로써 새로운

지식정보를 잘 습득하는 사람 그리고 무엇보다 더 좋은 의사를 만드는 데

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매년 135명의 학생들이 Harvard 단독 교육과정에 입학하여 다음과 같은

대학의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제공 받고 있다. 먼저, 소그룹학습과 상호협력

을 강조하는 튜터리얼 학습을 통해 동료 간에 상호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환자 사례를 분석하고 그

룹이 학습과제를 조사하여 기본적인 의학 개념을 학습하는 문제 중심적 접

근(PBL)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셋째, 환자-의사 관계와

보건사회적 관점에서 의학을 바라볼 수 있도록 강조하고 있다. 넷째, 학습

에 필요한 모든 활동들이 포함된 학습 일정을 계획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하여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

스로 문헌 연구를 진행하고, 외부 연구에 협력할 수 있으며, 복합학위과정

(joint degree program)이 가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라) 1-2학년 과정 : 의학기초과정(Fundamentals of Medicine,

FOM)

1-2학년에서는 의학기초과정, 생물학 입문, 인문사회의학, 임상경험(조기

노출) 등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실습, 컨퍼런스, 강의가 소그룹

튜터리얼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PBL을 보완하고 있다. 소그

룹 튜터리얼은 학생들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의 기회를 주며 그룹 내 동료들이 제공하는 관점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다. 소그룹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문제를 분석하고, 도서관과 컴퓨터 자료

검색실에서 관련 자료를 찾고, 가설을 세우며, 평생학습능력과 독립학습능

Page 6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50 의과학자 양성 연구

력을 배양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지고

다른 동료의 학습에 기여하게 된다. 모든 학생들은 튜터리얼 학습과정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기초의학은 1-2학년 블록 과정으로 Morphological sciences;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physiologic sciences;

Developmental and molecular biological sciences; Pathological,

microbiological and immunological sciences, and the neurosciences 등

이 포함되어 있다. 1학년 과정을 블록으로 나눈 이유는 사례기반학습을 하

기 위해서인데, 8명씩 22-24개 소그룹으로 나누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

었다. 첫 주부터 시뮬레이션 센터를 통해 모의환자를 접촉하도록 하고 있는

데, 1학년에 다섯 케이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1학년 교과목은 소

그룹별로 나누어 교육하고 있었고, 블록마다 조별 튜터가 있어 교육과 지도

를 담당하고 있다.

UCSF 의전원과 마찬가지로 Harvard 의전원 역시 1-2학년에 대하여 학

점을 매기지 않고 모두 Pass/fail로 성적을 매기도록 하여 경쟁보다 협동을

강조하고 있었고, 경쟁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여 학습 효과를 높이고 있었

다. 또한, 강의 시간 역시 1-2학년의 경우 최대 하루 강의시간을 3시간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협동학습을 강조하고 학습이외에 학생들을 4개

반(society)으로 나누어 반별로 다양한 클럽 활동을 장려하고 있었다. 각

반에는 지도 교수가 세 명이 있어서 학생들에 대한 학습과 생활지도를 담

당하고 있었다.

Harvard 의전원은 1-2학년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교육을 실

시하면서 중복 강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점검하고 있었다. 이렇게 시간을 줄

여 임상실습을 2학년 말인 5월부터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회의학과 보건학은 '사회의학과 보건학에 기반한 의학과정'의 일환으로

1학년과정에서 배우고 있는데, 21세기에서 의사가 직면한 중요한 이슈들

(사회의학과 세계 보건에 대한 소개, 역학,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소개,

의료윤리, 의료전문직)을 다루고 있다. 병리생리학은 인체를 배우는 2학년

Page 6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51

전 과정에서 다뤄지고 있는데, 이 과정은 학생들이 병의 구조적 기능적 변

화 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변화가 임상 단계에서 나타나는

방식을 이해하도록 만들기 위해 계획되어졌다. 약리학, 영양학, 병리학은

각 기관과 그것의 신체 진찰을 학습하도록 통합되어져 있다.

임상술기와 환자-의사 관계는 3학년에서 강조되고 있지만,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에 대한 설명은 1-2학년에서 배우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 진

료의 경제적, 사회적, 윤리적 측면에 대한 교육은 3학년에서 다루어지고 평

가되고 있다.

마) 3학년 교육과정 : 핵심임상교육(Principal Clinical Experience)

3학년에서는 핵심임상교육 과정이 운영되고 있으며, 의사면허자격을 획

득하기 위해 필요한 임상적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기도 한다.

2008년 5월에 처음으로 핵심임상교육 과정이 시행되었다. 핵심임상교육

과정은 2학년 5월부터 3학년 4월까지 12개월 동안 진행되는 통합 프로그

램인데, 튜터리얼을 다학제간으로 진행하고 있다. 만성질환에 대해서 가능

한 비슷한 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Longitudinal ambulatory patient

experience' 과정과 이것과 별도로 소규모 병원인 캠브리지 종합병원에

UCSF와 동일한 방식의 'Longitudinal multidisciplinary ambulatory

clinical clerkship' 과정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 조사 시점에서 12

명의 학생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 명에 여러 명의 지도교수가 있

고, 이들이 실습에 대한 조정과 피드백을 해 주고 있다.

모든 학생들은 내과, 외과, 소아과(+산부인과) 파트를 3개월씩 실습을 해

야 한다(9개월), 그리고 신경과, 정신과, 영상의학과에서 1개월씩(3개월) 실

습을 진행하여 총 12개월 동안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Page 6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52 의과학자 양성 연구

- Medicine I : 12 weeks

- Surgery : 12 weeks

- Obstetrics and Gynecology : 6 weeks

- Pediatrics : 6 weeks

- Neurology : 4 weeks

- Psychiatry : 4 weeks

- Radiology : 4 weeks

- Patient-Doctor III : longitudinal

- Primary Care Clerkship : longitudinal

- Principal Clinical Experience course : longitudinal

바) 4학년 교육과정 : 심화임상실습과정(Advanced Experiences in

Clinical Medicine and Basic Science)

4학년 교육과정은 12개월 심화 실습 과정으로 실습에서 서브인턴쉽 형태

의 실습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실습과정으로 Hematology,

Emergency care, Dermatology 등 세부 전공의 임상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4학년 때 Oncology, Infectious diseases 등에 대한 병리생리

학의 심화과정이 다루어지고 있고, 실험실 및 현장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

다. Harvard 의전원만 매년 200개의 선택과정이 개설되어 있고,

Harvard-MIT 연계과정을 통해 개설된 과정도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2013년 졸업생부터 적용되고 있는 'Capstone course'를 운영하

여 일반적 의학 문제와 절차를 다루는 데 필요한 술기를 강화하고, 환자 진

료에 필요한 전문직업성을 학생들이 갖출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학생들이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으로 잘 전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Page 6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53

4) 교육과정 대학별 비교 분석

이상의 내용에 기초해볼 때 3개 대학 모두 1, 2학년 과정이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이 통합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면서 기초의학의 통합과정으로

UCSF 의전원의 Prologue 과정, Tufts 의전원의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Medical cell biology, Immunology 등 기초의학 과정이 운영되고

있었다. Harvard 의전원은 의료전문주의에 대한 입문과정을 운영한 후 바

로 기초-임상-인문사회의학이 통합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통합강의는 8~9개의 블럭형태로 18주~22주 정도의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 그리고 미국의 면허시험 제도의 특성상 2학년 3월

에 모든 과정이 종료되었고, 3학년과정을 2학년 4~5월경에 시작하여 좀

더 일찍 임상실습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1~2학년 교육과정에서 강의는 3시간 이내로 짧게 진행되었고, 사례와 시

뮬레이션 센터의 모의환자 등을 활용한 임상 조기 노출로 의학 공부에 대

한 동기 부여를 하고 있었으며, 경쟁을 지양하고 소그룹 학습, 협동학습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교육과정과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은 3개 대학의 공통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역시 1-2

학년의 경우 Pass/fail로 이뤄지고 있어서 자유롭게 공부하고 협동학습이

가능한 환경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

3학년 교육과정은 3개 대학 모두 핵심임상실습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

고, 질환 중심, 긍정적 의사-환자 관계 형성, 장기간의 추적 관찰 등을 강

조하는 'Longitudinal clerkship'을 시도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UCSF 의전원은 156명 중 16명이 선택하는 PISCES(The Parnassus

Integrated Student Clinical Experiences) 과정을 운용하고 있었는데, 학

생 1명당 5명의 지도교수가 학생을 관리하고 있었고, 장기간에 걸쳐 환자

의 관찰, 진단, 치료, 추적 관찰을 할 수 있도록 일정을 관리 및 교육을 시

행하고 있었다. Harvard 의전원의 경우에는 'Longitudinal

multidisciplinary ambulatory clinical clerkship'으로 한 명에 여러 명의

Page 6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54 의과학자 양성 연구

UCSF Tufts Harvard

Mission

교육, 연구, 환자진료(patient

care), 공공의료(public service)

의 4가지 미션을 통해 인간의

건강(human health)을 증진

(advance)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해당 분야의 리더가 될 수 있도

록 의사, 과학자, 보건의료전문

가를 양성하며, 환자와 지역사회

에 최상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

한 기초 및 임상 연구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질병으로부터 고통 받는 인간을

치료하는 데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최고의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교육과정

1) 1-2학년 통합교육과정 :

Prologue 과정, case based

learning, 9개 과목에 대한 통합

교육

2) 3학년 CORE 실습 (44주) :

PISCES 과정을 156명 중 16명

이 선택, 학생 1명당 5명의 프리

셉터가 관리, 장기간에 걸쳐 환

자의 관찰, 진단, 치료, 추적 관

찰을 하게 됨.

3) 4학년 advance clinical work

(서브인턴), discretionary,

elective

1) 1-2학년 통합교육과정 : 1학

년 과정은 4개 section, 2학년 3

개 section의 통합교육, ICR,

CAP

2) 3학년 CORE 실습 : CORE

실습 40주. basic elective 8주(인

턴과 같이 intensive한 실습)

3) 4학년 advanced clerkship :

4주 과정 9개 과 로테이션,

acting internship 과정

1) 1-2학년 통합교육과정 :

Fundamentals of Medicine,

case based learning, 1학년 과

목을 그룹별로 나눠 교육, 블록

마다 튜터 교수 있음

2) 3학년 CORE 실습(PCE). 12

개월 실습longitudinal

ambulatory patient experience

(만성질환에 대해서 가능한 비

슷한 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해

줌). 12명의 학생은 longitudinal

multidisciplinary ambulatory

clinical clerkship으로 한 명에

여러 명의 preceptor들이 있고

피드백을 해 준다(UCSF와 유사)

3) 4학년 Advanced experiences

: 12개월 심호 과정, 서브인턴쉽

형태, 세부 전공 선택 실습

교육방법

1) 소그룹 학습. 사례 중심 접

근. 강의는 1일 2시간 이내. 시

뮬레이션 센터 활용 임상조기

노출

1) 소그룹 학습 사례 중심 접근

(ICR 17개 사례), CAP를 통한

임상 조기 노출(CCSC를 통한

환자면담, 진찰)

1) 소그룹 학습(24개 그룹). 컨퍼

런스, 사례 중심 접근(1학년 5사

례). 강의는 1일 3시간 이내.

Society 활동 강조,

표 11. 대학별 교육과정 비교표

지도교수들이 있고 피드백을 해 주고 있다.

4학년 과정은 심화실습과정으로 세부 전공 분야나 희망 분야를 선택 실

습하고 있었고, 인턴쉽(subinternship) 형태도 보다 강도 높은 실습이 이뤄

지고 있다. 4학년 마지막 즈음에 Harvard 의전원은 'Capstone course'를

두어 졸업 후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으로의 전환을 돕는 적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고, Tufts 의전원의 경우도 2개월 코스의 인턴쉽(acting

internship) 과정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예비 의사로서의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Page 6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외국의 의학교육 현황 55

평가1) 1, 2학년 과정

Pass/Fail

1) 학생성적 평가 정보는 모름

2) 교육과정 평가 : 과정는 3년

만마다 외부 전문가 평가, 과정

별 학생 평가자, PhD의 평가 전

문가 상주

1) 1, 2학년 과정

Pass/Fail

Page 6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56 의과학자 양성 연구

Page 6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57

4. 국내 의전원 연구․교육 프로그램 현황

국내 의전원 프로그램으로는 의무석사학위논문을 의무화하여 의전원 초

기부터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가천의전원의 사례와 선택과정

으로 일부 운영하고 있는 강원의전원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치의학전문

대학원(이하 치전원) 프로그램으로는 전남치전원과 서울치전원의 사례를 추

가 조사하였다.

가. 의학연구과정 1) 가천의학전문대학원

가) 개요

가천의전원은 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대학원생에게 필요한 의학연구능력

향상을 위해 졸업 필수요건으로 2006학년도에 학위논문 작성을 의무화하

였다. 논문작성과정은 ‘논문연구’라는 정규 교과목으로 편성되어 연구를 위

한 자료검색 실습, 실험실습, 데이터 정리, 통계분석 실습, 연구결과 발표,

보고서 작성 등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활용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연구능력향상 뿐 아니라 글쓰기 능력, 발표력, 논리적․ 비판적 사고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등 다양한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Page 6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58 의과학자 양성 연구

단계 시기 교과목 내용

1단계 1학년 1학기 논문연구 1

-논문작성 기본 능력 배양 ; 연구설계 방법, 의학통계, 연구윤리, 자료검색

등 교육

-지도교수 선정, 연구주제 논의

2단계 1학년 2학기 논문연구 2-논문작성 기본 능력 배양 ; 의학통계, 영어논문작성법

-논문계획서 준비 및 발표

3단계 2학년 1학기 논문연구 3

-논문작성 기본 능력 배양 ; 프리젠테이션, 올바른 글쓰기

-연구진행, 논문작성4단계 2학년 2학기 논문연구 4

5단계 3학년 1학기 논문연구 5

6단계 3학년 2학기 논문연구 6 논문심사

표 12. 학년별 의무석사 논문 지도 과정

나) 논문연구과정의 편성

1학년 1학기 하계방학 직전에 지도교수를 배정하고, 1학년 2학기 개강

직후 논문계획서 발표회를 가지며, 3학년 2학기까지 논문 지도, 논문공개발

표회, 논문심사, 최종본 제출 등의 과정을 밟고 있다. 이 과정에서 체계적

인 논문작성을 돕기 위해 논문연구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고, 학생들이 수강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논문연구 1은 1학년 1학기에 개설되며, 의학연구에 대한 기초능력 배양

을 위한 연구설계, 의학 연구 윤리, 자료 검색 및 수집 등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전공분야별로 연구주제를 소개하고, 지도

학생 배정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하고 있다. 논문연구 2는 1학년 2학기에

개설되며, “Research day"를 지정하여 지도교수와 연구주제에 대한 미팅

을 매주 목요일 마다 진행하고, 논문계획서 발표를 준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학생과 지도교수가 만날 때 마다 progress note를 작성하여 연구 추

진 경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논문연구 3은 2학년 1학기에 개설

되며 자료 분석방법 습득을 위한 의학 통계, 논문 작성법(영어 작성법 포

함) 등으로 교육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논문계획서에 따라 실험연구, 조사

Page 6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59

연구 등 연구와 자료 수집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논문연구 4는 2학

년 2학기에 개설되며, 연구 진행 중간 보고회를 개최하여 논문의 진행 정

도를 점검한다. 3학년에 개설된 논문연구 5와 6은 논문 완성 단계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논문 발표능력 함양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기법을 워크

숍 형태로 진행하고, 논문공개발표회와 논문 심사를 진행한다. 논문심사는

3명의 논문심사위원 간 협의를 통해 논문심사를 진행하고 있고,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 지도교수 선정

맞춤형 학생 지도를 위해 지도교수를 선정하기 전에 충분한 오리엔테이

션 기간을 가진다. 학생을 지도할 의사가 있는 교수에게 지도 신청서를 받

고 연구관심 분야를 학생들에게 소개하면, 학생이 자신의 관심 분야와 매칭

되는 학과에 우선적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의무석사논문관리위원회에

서 신청서를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지도교수를 배정한다. 교수 1인단 지도

학생수를 2명으로 제한하여 내실 있는 지도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또한 교내의 연구 기관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기초의학 분야 연구

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학생의 1/3이상을 배치하고 있다.

라) 논문연구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논문연구과정 운영을 위해 지도교수에게 지도 학생 1인당 지도비를 4학

기 동안 지원하고 있으며, 논문계획서 발표회, 논문 공개발표회, 교육과정

운영 등에 소요되는 운영비용을 별도 예산으로 편성하고 있다. 또한 학위논

문이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게재 되었을 때 추가 지원을 하고 있다.

마) 학위논문작성 과정 운영 성과

학위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학교

Page 7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6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자체에서 자체 논문집을 발간하고 있다. 졸업생 기준으로 의무석사학위논문

의 학술지 게재현황은 다음과 같다.

졸업년도 졸업생수

게재현황

국내 학회지(학진등재지)

국외 학회지(SCI)

Total(%)

2009 33 11 - 11(33.3)

2010 37 10 3 13(35.1)

표 13. 학위논문 학술지 게재현황(2009-10년 졸업생 기준)

2) 강원의학전문대학원

강원의전원은 의학연구과정 프로그램으로 의학연구관련 강좌와 의무석사

논문작성과정의 2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가) 과정 개설

강원의학전문대학원은 연구능력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려는 교육목표에

부합하여 의학연구관련 강좌를 필수로 개설하고 있다. 또한 석사학위에 타

당한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해 이를 선택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나) 과정의 편성 및 운영

의학연구관련 강좌는 1학년 2학기에 4주 과정으로 8시간을 편성하여 운

영하고 있으며, 1학점을 부여하고 있다. 반면, 학위논문작성과정은 3학년

1, 2학기에 주로 과정이 이뤄지며, 2학점이 부여된다. 학생에 따라 1~2년

이 소요되어 졸업 때까지 마무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Page 7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61

다) 과정 평가방법

의학연구관련 강좌는 그룹별 논문을 발표하되, 개인기여도를 고려하여 개

인 및 그룹 평가를 하고 있다. 반면, 학위논문과정은 최종 논문을 작성해서

제출해야만 인정이 된다. 학생이 졸업할 때 졸업장에 논문 제목을 표기하고

있다.

라) 연구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전담기구

의학연구 관련 강좌는 강좌 책임교수가 담당하며, 학위논문과정은 대학원

운영위원회에서 총괄한다.

마) 학생 연구 및 실험을 위한 환경, 예산 및 조달방법

교수 실험실에서 연구를 진행하며, 논문지도교수에게 학생 지도에 따른

실습재료비를 일정 부분 지원하고 있다.

3) 서울치의학전문대학원

가) 연구관련 개설교과목, 교육내용, 부여학점

서울치전원은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일정 수준의 논문을 작성하도록 할 수 있도록 3학년 1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

지 논문연구과정을 개설하고 있으며, 학기당 2학점으로 4학기 동안 총 8학점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 연구프로그램 진행 과정/방법, 평가방법 등

(1) 석사학위 논문(실적심사) 지도교수 배정 지침

석사 논문(실적심사) 지도교수는 배정시점에서 장기 해외 파견된 교수와

Page 7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62 의과학자 양성 연구

당해 연도 정년예정교수를 제외한 모든 직급의 전임 및 기금교수로 한다.

교무부원장이 각 학생에게 1인의 교수를 1학년 1학기 초에 배정하고 지도

교수는 학생의 생활 및 논문(실적심사) 지도를 맡는다. 지도교수는 필요에

의해 공동 지도교수 1인을 추천할 수 있다. 교수 1인이 한 학년에서 2명의

학생까지 지도할 수 있다(공동 지도교수 포함).

(2) 논문 제출 자격

석사학위 논문제출자격시험에 합격하고, 교과학점 165학점 이상 취득하

였으며(당해 학기 중 취득예정학점 포함), 논문제출 허용 기한을 경과하지

않은 자에게 논문 제출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3) 실적심사 제출 자격

연구계획서에서 60점 이상 취득하고, 교과학점 165학점 이상 취득하였으

며(당해 학기 중 취득예정학점 포함), 석사학위 논문제출 허용 기한을 경과

하지 않은 자에게 실적심사 제출 자격을 부여한다.

(4) 논문심사

주제고찰보고서 및 심화증례보고서에 대한 실적 심사를 실시한다. 주제고

찰보고서의 경우는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주제를 선정하도록 하고 있고, 심

화증례보고서는 한 개 이상의 증례를 선정하여 환자의 내원부터 치료종결

까지 그 증례에 적용되는 기초 및 임상적 지식을 고찰하여 적용하도록 하

고 있다.

연구계획서를 제출한 후 2개월 이내에 논문(실적심사) 연구계획서 심사위

원회를 구성하여 심사를 완료한다. 논문(실적심사) 연구계획서 심사위원회

는 논문(실적심사) 심사위원회가 된다. 재심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재심

사 판정 후 1개월 이내에 심사를 완료한다. 재심사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다음 학기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Page 7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63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인으로 논문(실적심사) 연구계획서 심사위원회를

구성한다. 지도교수는 심사위원장이 될 수 없다.

논문은 4학년 2학기 초까지 제출하고, 논문(실적심사) 요지 발표 및 본

심사는 4학년 2학기에 실시한다.

논문(실적심사) 심사위원회에서 B이상(심사위원 2/3이상 찬성)을 취득하

여야만 논문 심사를 통과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5) 지원정책

원저를 쓰는 학생의 경우에 상급과정 지원 시 배려하도록 하며 지도교수

에게는 일정액의 논문작성 보조금을 지원한다.

4) 전남치의학전문대학원

전남치전원은 학생들이 학부에서 배운 다양한 지식을 바탕으로 치의학

전공의 석사논문을 작성함을 통해 임상 능력뿐만 아니라 창의적 탐구심을

갖춘 치의학자가 되게 한다는 목적 하에 졸업논문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가) 운영 개요

2008년 입학자까지는 모든 학생들이 졸업논문을 쓰도록 했는데, 이후 입

학자들은 2학년 초에 졸업논문과 졸업시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학년 초에 논문작성계획서를 제출하고 4학년 1학기 논문연구(1학

점) 시간에 학생들이 자신의 논문을 발표한다. 4학년 1학기말(8월 말)까지

논문 심사를 완료하여야 한다. 1학년 초에 학생들의 지도교수가 정해지며

이 때 정해진 지도교수가 졸업논문 지도를 담당한다.

졸업논문은 실험논문과 문헌고찰논문 둘 다 가능하며 실험논문 지도교수

에게는 1편에 100만원, 문헌고찰논문 지도교수에게는 1편에 20만원의 학

Page 7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64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교 예산이 지원된다. 전남치전원 졸업생들에게는 “치의학석사(치의학전공)”

학위가 수여된다.

나. MD-PhD 과정1) 개요

2008년부터 의과학 및 생명과학 분야 연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의과

학자 과정을 이수하는 의전원 학생을 전문 임상경험과 연구력을 겸비한 신

진 의과학자로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문대학원 과정(M.D./D.D.S. 4년,

의무석사)과 학술학위과정(Ph.D. 2년 이상, 박사)을 동시에 이수할 수 있도

록 하는 복합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10년에 의·치전원으로 체제를 유지하기로 최종 결정한 5개 의전원과

3개 치전원의 MD-PhD 과정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교과부, 2011).

Page 7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65

구 분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가천의대 강원대 건국대 동국대 제주대 서울대 부산대 전남대

1. 정원관리

- 입학정원 40명 49명 40명 30명 40명 90명 80명 70명

- M.D-Ph.D

인원1명 2명 이내 2명 3명 이내 2명 이상

운영위원회

결정2명

교수회

결정

- Ph.D 설치

학과

일반대학원

의학과,의과

학과,생명과

학과,보건학

일반대학원

의학과

의전원

의학과

일반대학원

의학과

일반대학원

의학과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2. 선발방법 ․특별전형

․특별전형․특별전형

․결원시

M.D재학생중

선발

․일반전형

자 중 선발

․신입생․

재학생에서

선발(‘11년)

․특별전형

․재학생중

선발(약간

명)

․일반전형 ․특별전형․일반전형

에서

중복지원

3. 수업연한․7년

2+3+2 /4+3

․7년

2+3+2

․6년

2+2+2

․7년

2+3+2/4+3

․7년

2+3+2/4+3

․7년

2+3+2

․7년

2+3+2

․6년

2+2+2

4. 학사관리

․총211학점

이상

․Ph.D

(36학점)

․총200학점

이상

․Ph.D

(37학점)

․M.D과정수료

학점(운영위원

회 결정)

․Ph.D(36학점)

․총206학점

이상

․Ph.D

(36학점)

․총206학

점이상

․Ph.D

(36학점)

.총 173학점

.Ph.D

(36학점)

․총196학점

이상

․Ph.D

(36학점)

․총196학점

이상

․Ph.D

(36학점)

표 14. MD-PhD 과정 운영 현황

2) 가천의학전문대학원 MD-PhD 과정

가) 목적

의과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와 동기가 뚜렷하고 의과학자로서의

소양을 지닌 인력을 선발하고 특성화된 프로그램으로 교육하여 이들이 세

계 수준의 생명의과학 분야의 연구 및 임상 발전에 필요한 인재

(physician-scientist)로 육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나) 학생 선발 방법

일반전형의 일반선발 지원 자격 외에 다음 사항을 충족하는 자로 하고

Page 7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66 의과학자 양성 연구

있다.

- 이공계를 전공하여 학사학위를 취득(예정)한 자

- 당해 연도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하여 자연과학추론 Ⅰ,Ⅱ 영역에서

평균 20% 이내인 자

- 선수과목 3개 계열 총 12학점 이상을 취득한 자

※ 생물, 화학, 물리학 계열 : 12학점 이상(생물학 계열 6학점 필수)

※ 통계학 계열은 2학점까지 인정

- 평균학점(GPA)이 4.0만점은 3.38이상, 4.3만점은 3.68이상, 4.5만점은 3.88

이상인 자

- 지원의지와 수학능력에 대한 심층면접 실시

- MEET 자연과학추론 Ⅰ,Ⅱ 영역에서 평균 20%이내의 성적을 얻은 자

- 우선선발(MD-PhD과정) 탈락 시 일반선발 전형 자격을 부여함

다) 학위과정의 내용 및 방법

(1) 학위과정 유형

학위과정은 의과학자 복합학위과정으로 기초의학과정 2년을 먼저 이수한

후 3년간의 연구기간을 가진 뒤 나머지 임상의학과정 2년을 마치면서 MD

와 PhD 학위를 졸업과 동시에 받게 되는 2+3+2 복합학위과정과 의과학

자 연계운영과정으로 4년간의 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을 모두 마친 뒤 의

과학 박사과정을 연계하여 3년간의 연구기간을 갖는 4+3 복합학위과정 등

이 존재한다.

(2) 복합학위 교육과정 운영 기본 계획

(가) MD 과정(1~2학년)

먼저, 1학년 1학기에 기초통합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이 과정은 의전

원과 동일한 과정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1학년 2학기에서 2학년 2학기

까지의 기초-임상 통합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이 과정 역시 의전원 학

Page 7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67

생과 동일한 과정으로 도어 있다.

가천의전원은 의무석사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의전원생 전원이 1

학년 1학기 때부터 지도교수를 배정받고 있다. 따라서 복합학위 과정을 학

생은 이때 PhD 지도교수를 배정받아 지도를 받게 되어 실질적으로는 의전

원 1학년에서부터 연구에 입문하는 장점과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의전원 2

년 기간 동안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이미 연구자로서 갖춰야 할 기본 지식

과 능력을 갖춘 후 3년간의 PhD 과정의 입문이 가능하다.

(나) PhD 과정(3~5학년)

학생의 희망과 능력에 따라 하버드 등 타 대학에서 공동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복합학위과정의 필수 과목으로 의학 세미나 1, 2, 3과

박사논문연구 등이 있다. PhD 1년차에 연구계획서(research proposal)를

심사하고, PhD 3년차까지 주저자로 총 5점 이상의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PhD 과정은 일반대학원의 학술 박사학과정과 동일하게 36학점을 이수

(연구학점 6학점 포함)해야 한다. 향후 의무석사 과정 중에 취득한 학점을

인정하여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운영할 계획을 고려하고 있다.

MD-PhD 학생들은 PhD 과정을 마침과 동시에 논문을 완료해야 한다.

(다) MD 과정(6~7학년, 임상실습 기간)

의전원에서 임상실습교육을 받고, 의전원 과정을 마침과 동시에 의학-이

학박사(MD-PhD)를 수여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Page 7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68 의과학자 양성 연구

3) 강원의학전문대학원 MD-PhD 과정

가) 목적

강원도의 유일한 국립대학으로서 지역사회의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지역사회 보건향상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하며,

강원대학교 의전원 복합학위과정의 우수한 교육 및 연구시스템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의과학자를 양성하여 강원 특별경제권의 신성장동력산업의 중

점 분야인 의료바이오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 학생선발방법 (자격요건, 선발인원수 등)

복합학위과정 지원자는 강원의전원 학술학위과정에 지원서를 제출해야

하고, 전문 학위과정과 독립적으로 심층 면접을 포함한 입학전형을 실시하

여 선발하고 있다. 단, 분야명에 'MD-PhD 과정'임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

다. 자격은 전문 학위과정 신입생 선발기준과 동일하다. 복합학위과정 운영

위원회에서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통해 정원의 5% 내외에서 선발(현재

49명 정원기준 1명 선발)한다.

다) 개설교과목, 교육내용, 부여학점

수업은 다음 6개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하며 공통필수과목을 한 학

기에 1과목씩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6개 프로그램을 보면, 다음과 같다.

Biochemistry & Molecular Genetics

Medical Engineering & Bio-Medical Informatics

Cell Biology & Molecular Physiology

Infection & Immunity

Neuroscience

Clinical Science & Epidemiology

Page 7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69

공통필수과목으로는 대학원논문연구, 대학원세미나, 의학연구방법론, 의학

통계론, 실험기법, 자료처리론, 동물실험방법론, 임상실험기획론 등을 이수

해야 한다.

4) 부산치의학전문대학원 DDS, DMD-PhD 과정

가) 학생선발방법(자격요건, 선발인원수 등)

선발인원은 한 명 이내로 하고, 자연계 전공 학사학위 취득자 또는 취득

예정자로 하고 있다.

대학 전 학년 평점평균(GPA)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가 85점 이

상(졸업예정자는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최종 학점취득 학기까지)이고, 영어

능력 인증시험에 응시하여 우리 대학교에서 정한 기준 이상의 점수

[TOEFL(iBT): 93점/ TOEIC: 830점/ TEPS: 750점]를 취득하였으며,

DEET에서 자연과학추론 I 영역, 자연과학추론 II 영역의 평균 성적이 전국

기준 상위 30% 이내(백분위 기준)인 자 중에 선발하고 있다.

나) 교육기간 및 형태

교육기간은 총 7년으로 하고 있는데, 기초 2년, PhD 3년, 임상 2년으로

정하고 있다.

다) 개설교과목, 교육내용, 부여학점

DDS 전 과정에 해당하는 160학점을 이수함은 물론 아래와 같이 36학

점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

Page 8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70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공통기본 전공

부전공자유선택

논문연구 수료학점지도능력 전문기능 전공기본 전공선택

박사과정(치의학) 9학점 이상 21학점이상 6학점 36학점 이상

표 15. 부산치의학전문대학원 PhD 과정의 이수 학점

5) 전남치의학전문대학원 DDS, DMD-PhD 과정

가) 학생선발방법

복합학위과정 학생은 정시모집에서 선발하도록 하고 있고 지원자는 일반

전형에 중복지원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원 자격을 보면, 이공계 학부 또는 대학원 출신만 지원이 가능하고,

GPA 85점 이상이거나 상위 30% 이내 석차에 해당자가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DEET, TEPS 성적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

전형 방법을 단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1단계 - 500% 선발, 반영비율 - GPA(10%), DEET(65%), TEPS(25%)

2단계 - 100% 선발, 반영비율 - 1단계 성적 70%, 심층면접 30%

나) 수업연한

치의학기본교육과정 1~2학년, PhD 과정 2년, 치의학기본교육과정 3~4

학년으로 최소 6년 이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다) 학사관리

치의학기본교육과정 160학점, PhD 과정 36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Page 8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71

다. 교육과정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한 후 연구과정을 도입하고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교육과정을 개편한 가천의전원의 New CORESE 교육과정의 방향과

내용을 대표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1) New CORESE(새길 교육과정) 개편의 주요 방향

급속한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의학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의학전문대학

원으로의 학제 개편으로 인한 학습자 특성의 변화 등을 인식하여 2009년

8월부터 New CORESE (New CORE-based SElf-directed Learning; 새

핵심바탕 자기주도학습)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을 추진하였다. New

CORESE는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한 자기주도학습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에 따른 성인 학습자에 적합한 교육 원리를 기

본으로 한다. 성인 학습자의 특성은 독립적이고 자기주도적이며, 많은 경험

을 축적하고 있고, 학습에 필요한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과목 중심 학습보다는 문제 중심적인 학습을 선호하며, 외

면적인 학습 촉진보다는 내면화된 욕구를 통해 동기 유발이 가능하며, 평생

학습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해 주어야 한다. 즉, 스스로 공부하게 하는

데 취지가 있다.

이러한 New CORESE 교육과정은 다음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Page 8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72 의과학자 양성 연구

- 성인 학습자에 적합한 교육 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 Core-based(핵심 바탕) : 꼭 배워야할 학습목표를 기본으로 한다.

- Self-directed learning(자기 주도 학습) : 학생 스스로 배우는 것이 기본 교육원리이다.

- 주입식, 암기식이 아닌 스스로 공부를 위해서는 ‘빠른 진도’보다는 여유를 두고 이해하는 학습이 필요하고, 복습

보다는 예습을 강조한다.

- 기초-임상 완전통합교육과정, 통합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통해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에 대해 통합교육과정을 운

영한다.

- 예습을 강조하기 때문에 진단평가로 pretest를 활성화하고, 이미 학생들이 공부해온 것을 토대로 모르는 것을 알

게 한다.

- 토론식 강의를 원칙으로 하고, 슬라이드와 white board만을 이용하는 강의는 지양한다.

- 형성평가와 시험 결과와 성적에 대한 책임교수의 되먹임(feedback) 시간을 의무화한다.

- 방학을 줄이고, 학습 기간은 늘인다. 방학은 1년에 10주로 조정하되, 방학도 교육과정의 연장으로 자기 계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한다

- 강의는 오전 4시간만 하고, 오후는 PBL, TBL, 실습 등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한다.

표 16. 가천의학전문대학원 New CORESE 교육과정의 원칙

2) New CORESE 학년별 개요

가) 1학년 1학기

1학년 1학기는 의학입문과정 및 기초의학 총론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전에 강의, 오후에는 PBL, TBL, CBL, e-Learning 등 강의 이외의 새로

운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을 활성화하고자 하고 있다.

나) 1학년 2학기 ~ 2학년 2학기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완전 통합교육과정, 장기 중심의 수직 및 수평적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수업 운영은 1학년 1학기와 마찬가지로 오전에

강의, 오후에는 PBL, TBL, CBL, e-Learning 등 강의 이외의 새로운 교육

방법을 적용하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을 활성화하고자 하고 있다.

Page 8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국내 의전원 현황 73

다) 3학년 1학기 ~ 4학년

3학년 1학기부터 4학년 1학기까지는 통합임상실습 교육과정인데, 인턴쉽

강화를 핵심 요소로 하고 있다. 기존의 실습과 개념을 없애고, 통합실습교

육 담당교수의 지도에 따라 학생인턴형 통합임상실습교육이 되도록 유도하

고 있다. 일차 및 지역사회 영역의 임상실습과 종적 일차진료실습

(longitudinal primary care clerkship)도 실현하고자 기획하고 있다.

4학년 2학기는 사례를 통한 임상종합추론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개편하고자 한다.

그림 10. New CORESE 학년별 개요

3) 교육과정 운영원칙

각 학년은 42주 수업을 원칙으로 하며 각 학기 21주, 1일 8시간 수업으

로 한다. 즉, 1일 수업 운영은 오전 4시간(강의) + 오후 4시간(실험실습,

자율학습, 환자의사사회, PBL, TBL, 논문연구, 자기 주도 학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일정은 다음과 같다.

Page 8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74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 월 화 수 목 금

오전(08:30~12:30)

토론식 강의 토론식 강의 토론식 강의 토론식 강의 토론식 강의

오후(13:30~17:30)

1학년 : 실습

2학년 : PBL or

TBL*

환의사 또는

예방의학**

1학년 : 실습

2학년 : PBL or

TBL

의무석사

논문연구

1학년 : 실습

2학년 : PBL or

TBL

표 17. 가천의전원 주간 교육과정운영 예시

Page 8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75

5.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 구성원 의견

가. 교수 설문결과1) 대상자 일반 특성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구성원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

해 5개 의전원과 2개 치전원 교수에게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의전원 교수

247명, 치전원 교수 44명 등 총 291명이 응답을 하였다. 직급별 분포를

살펴보면, 의전원의 경우 교수가 80명(32.4%), 부교수가 92명(37.2%), 조

교수가 64명(25.9%), 전임강사가 7명(2.8%), 기타가 4명(1.6%)이었고, 치

전원의 경우 교수가 16명(36.4%), 부교수가 21명(47.7%), 조교수가 7명

(15.9%)이었다.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부교수 이상의 직급에서 응답분포가

높았다.

구분 대학명 빈도 퍼센트

의전원

가천 40 16.2%

강원 34 13.8%

건국 63 25.5%

동국 74 30.0%

제주 36 14.6%

소계 247 100%

치전원부산 22 50.0%

전남 22 50.0%

소계 44 100.0%

계 291

표 18. 대학별 응답분포

Page 8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76 의과학자 양성 연구

직급의전원 치전원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교수 80 32.4% 16 36.4%

부교수 92 37.2% 21 47.7%

조교수 64 25.9% 7 15.9%

전임강사 7 2.8% 0 0.0%

기타 4 1.6% 0 0.0%

계 247 100.0% 44 100.0%

표 19. 직급별 응답분포

2) 의학연구과정

가) 의(치)무석사학위논문작성 과정 의무화(필수화)에 대한 의견

교수들을 대상으로 의무석사학위논문작성을 의무화(필수)해야 한다는 것

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39.0%

인데 반해,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1.2%로 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의무화하는 것에 부정적인 인식이 약간

더 컸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32.6%

에 불과한 반면,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51.2%에 이르고 있다. 의전원에 비해 치전원의 경우 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의무화하는 것에는 더 부정적인 응답분포를 나타내었다.

Page 8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77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4 6.1% 4 9.3%

그렇지 않다 80 35.1% 18 41.9%

보통 45 19.7% 7 16.3%

그렇다 71 31.1% 8 18.6%

매우 그렇다 18 7.9% 6 14.0%

계 228 100.0% 43 100.0%

표 20. 의(치)무석사학위논문작성 의무화에 대한 결과

나) 학위논문작성이 의·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 요소인가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하는 것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하는

요소라고 생각하는 지에 대한 교수들의 응답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4.8%

로 나온 반면,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의 비율은

40.4%로 의무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하는 것이 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 전

략 중 하나라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은 편이었다.

치전원의 경우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41.9%로 ‘전

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46.5%에 비해 더 적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의전원에 비해 치전원은 석사학위논문작성이 차별화 요소라

고 여기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Page 8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78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8 7.8% 4 9.3%

그렇지 않다 75 32.6% 16 37.2%

보통 34 14.8% 5 11.6%

그렇다 80 34.8% 12 27.9%

매우 그렇다 23 10.0% 6 14.0%

계 230 100.0% 43 100.0%

표 21. 학위논문작성이 의·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 요소인지에 대한 동의 정도

다)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동의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동의하는 지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42.5%로, ‘전

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39.4%에 비해 더 많은 것

으로 나타났다.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이

라고 평가할 수 있다.

치전원의 경우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43.9%로, ‘전

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34.2%에 비해 학위논문작

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20 8.7% 4 9.8%

그렇지 않다 71 30.7% 10 24.4%

보통 42 18.2% 9 22.0%

그렇다 81 35.1% 15 36.6%

매우 그렇다 17 7.4% 3 7.3%

계 231 100.0% 41 100.0%

표 22.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동의

Page 8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79

라) 학위논문 지도교수 참여의사

의(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지도교수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52.4%인 반면,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교수가 19.7%로 지도교수로

참여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52.4%로 ‘전

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27.9%에 의전원과 마찬가

지로 치전원의 경우에도 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지도교수로 참여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9 3.9% 4 9.3%

그렇지 않다 37 15.9% 8 18.6%

보통 65 27.9% 5 11.6%

그렇다 98 42.1% 21 48.8%

매우 그렇다 24 10.3% 5 11.6%

계 233 100.0% 43 100.0%

표 23. 학위논문 지도교수로의 참여의사

마) 학위논문작성과정의 기간 편성방법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블럭단위(논문작성 집중 기간)의 기간을 교육과정

내에 편성하는 것에 대해 교수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38.8%이고,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가 39.7%로 학위논문작

성을 위해 블럭단위의 집중 기간을 편성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응답

이 조금 더 많았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9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8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44.2%이고,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가 39.5%이로 논문 작성

을 위해 블럭단위의 집중 기간을 편성하는 것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21 9.1% 5 11.6%

그렇지 않다 71 30.6% 12 27.9%

보통 50 21.6% 7 16.3%

그렇다 72 31.0% 17 39.5%

매우 그렇다 18 7.8% 2 4.7%

계 232 100.0% 43 100.0%

표 24. 학위논문작성과정의 기간 편성방법

바)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 연한 연장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수학 연한을 연장하도록 권유하는 것에 대해 의견

을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가 25.4%에 불과

한 반면, 이며,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는 58.2%

로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수학 기간을 연장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 비율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20.9%에 불과한 반면,,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를 합하면 67.4%에 이르러 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해 수학기간을 연

장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9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81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39 16.8% 7 16.3%

그렇지 않다 96 41.4% 22 51.2%

보통 38 16.4% 5 11.6%

그렇다 42 18.1% 8 18.6%

매우 그렇다 17 7.3% 1 2.3%

계 232 100.0% 43 100.0%

표 25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연한 연장 동의 정도

사) 학위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

학위논문작성과정을 운영한다면, 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가 언제

가 적절한 지를 조사한 결과, 의전원의 경우, 시작 시기는 2학년 1학기가

25.3%, 3학년 1학기로 29.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종료 시기

는 3학년 2학기가 52.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치전원의

경우, 시작 시기는 3학년 1학기가 29.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종료 시기는 4학년 1학기가 39.0%, 3학년 2학기가 36.0%6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구분

논문작성 시작 시기 논문작성 종료시기

의전 치전 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1학년1학기 25 13.7 2 4.9 - 0.0 - 0.0

1학년2학기 31 17.0 6 14.6 1 0.5 - 0.0

2학년1학기 46 25.3 8 19.5 - - - 0.0

2학년2학기 23 12.6 9 22.0 12 6.2 3 7.3

3학년1학기 49 26.9 12 29.3 11 5.6 4 9.8

3학년2학기 5 2.7 4 9.8 103 52.8 15 36.6

4학년1학기 3 1.6 - -- 55 28.2 16 39.0

4학년2학기

182 100.0 41 - 13 6.7 3 7.3

계 513 100.0 461 100.0 195 100.0 41 100.0

표 26. 학위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

Page 9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82 의과학자 양성 연구

아)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학위논문작성이 아니더라도 의학연구능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

성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에 응답한 교수가 69.1%로

‘전혀 필요하지 않다’와 ‘필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9.6%에 불과한 것

으로 나타나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는 긍정적인 편이었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에 응답한 교수가 60.5%이

며, ‘전혀 필요하지 않다’와 ‘필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의전원과 유사하게 치전원 교수들도 의학

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9 3.9% 3 7.0%

그렇지 않다 13 5.7% 3 7.0%

보통 49 21.3% 11 25.6%

그렇다 121 52.6% 20 46.5%

매우 그렇다 38 16.5% 6 14.0%

계 230 100.0% 43 100.0%

표 27.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자) 학위논문 학회지 발표 의무화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을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회지에 발표하는 것을 의

무화 하는 것에 동의하는 지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는 20.5%에

것에 비해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

하면 54.7%로 학위논문을 학회지에 발표하는 것에 부정적인 의견이 더 높

Page 9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83

은 비율을 보였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가 16.3%로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 65.1%에 비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치무석사학위논문의

학회지 게재 의무화에 부정적인 의견이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38 16.2% 6 14.0%

그렇지 않다 90 38.5% 22 51.2%

보통 58 24.8% 8 18.6%

그렇다 41 17.5% 5 11.6%

매우 그렇다 7 3.0% 2 4.7%

계 234 100.0% 43 100.0%

표 28. 학위논문 학회지 게재 동의 여부

차)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을 위한 정부의 지원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에 응답한 교수가 67.1%인

반면, ‘전혀 필요하지 않다’와 ‘필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가 19.5%로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더 높

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58.2%로 ‘전혀 필요하지 않다’와 ‘필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18.6%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전원과 마찬가지로 치전원도 치무석사학

위논문 과정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Page 9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84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3 5.6% 4 9.3%

그렇지 않다 32 13.9% 4 9.3%

보통 31 13.4% 10 23.3%

그렇다 113 48.9% 15 34.9%

매우 그렇다 42 18.2% 10 23.3%

계 231 100.0% 43 100.0%

표 29.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인식 정도

카)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 형태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 지원을 정부가 어떤 형태로 지원해야 하는 지

를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대학 단위 일괄지급’ 형태가 65.6%이며, 연구계획서 심사

를 통한 교수 개인별 지원 형태가 32.5%였다. 치전원의 경우도 ‘대학 단위

일괄지급’ 형태가 73.7%이며, 연구계획서 심사를 통한 교수 개인별 지원

형태가 26.3%였다. 즉, 학위논문작성 과정을 지원한다면 교수 개인별 지원

보다는 대학 단위의 일괄 지원을 통해 이뤄지는 것에 더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대학 단위 일괄지급 137 65.6% 28 73.7%

연구계획서 심사 68 32.5% 10 26.3%

계 209 100.0% 38 100.0%

표 30. 학위논문작성에 대한 정부 지원형태

Page 9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85

타)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지원금 항목별 중요도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지원금 항목별 중요도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

시한 결과는 표와 같다.

학생 실험·실습비 항목은 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가 87.2%에 이르고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가 2.3%에 불과할 정도로 학생 실험·실습비의 지원에 대해 공

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가 85.7%로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 2.4%에 비해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학생 실험·실험비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지도교수의 학생논문연구 지도비 항목은 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

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가 63.5%인 반면,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

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교수가 9.1%에 불과하였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가 50.0%인 반면, ‘전혀 중요하지 않

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가 14.3%에 불과하였다. 특이할만한

점은 의전원에 비해 치전원의 교수가 학생논문연구 지도비 항목에 대한 중

요도를 좀 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논문연구과정 평가 및 관리, 워크숍, 세미나 개최, 결과보고회 등 논문작

성 과정 운영비 항목은 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

한 교수가 65.7%인 반면,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

한 교수가 7.8%에 불과하였다. 치전원의 경우도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

다’에 응답한 교수가 71.4%인 반면,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

다’에 응답한 교수는 16.7%에 불과하였다.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학위논문

작성 과정 관리 및 운영비 항목을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Page 9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86 의과학자 양성 연구

지원금항목 대학구분전혀 중요하지

않다중요하지 않다 보통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

학생 실험실습비

의전4

(1.8%)

1

(0.5%)

23

(10.5%)

58

(26.5%)

133

(60.7%)

치전0

(0%)

1

(2.4%)

5

(11.9%)

9

(21.4%)

27

(64.3%)

지도교수의학생 논문지도비

의전8

(3.7%)

12

(5.5%)

60

(27.4%)

77

(35.2%)

62

(28.3%)

치전0

(0%)

6

(14.3%)

15

(35.7%)

10

(23.8%)

11

(26.2%)

논문작성과정 운영비

의전5

(2.3%)

12

(5.5%)

58

(26.5%)

89

(40.6%)

55

(25.1%)

치전1

(2.4%)

6

(14.3%)

5

(11.9%)

19

(45.2%)

11

(26.2%)

표 31.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지원금 항목별 중요도

파) 학위논문관련 정부 지원을 받을 경우 지원 기관 선정 시 평가되

어야 할 항목과 그 중요도

학위논문작성 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정부 지원을 받을 경우, 지원기관 또

는 지원 교수를 선정할 때 평가되어야 할 항목과 그 중요도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와 같다.

대학의 학위논문작성 교육과정의 우수성 항목은 의전원의 경우 ‘매우 중

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73.1%이며,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2%였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63.4%이며, ‘전혀 중

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7.3%였다. 의전원

과 치전원 모두 지원 선정 기준으로 학위논문작성 교육과정의 우수성을 평

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항목이라고 하였으며, 의전원 교수의 중요도 비율

Page 9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87

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학위논문의 게재, 학회 구연, 포스터 발표 등 대학의 학위논문작성의 성

과 항목은 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

하면 67.3%이며,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5.5%였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

수를 합하면 48.8%이며,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12.2%였다.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지원 선정 기준으로 학위

논문작성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항목이라고 하였으며, 의전

원 교수의 중요도 비율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논문지도 교수의 역량 항목은 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

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68.2%이며,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5.1%였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53.6%이며,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

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9.8%였다.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논

문지도 교수의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항목이라고 하였으며, 의전원

교수의 중요도 비율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논문지도 계획성의 우수성 항목은 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와 ‘중요

하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67.5%이며, ‘전혀 중요하지 않다’와 ‘중요하

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5.2%였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중요하

다’와 ‘중요하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63.4%이며, ‘전혀 중요하지 않다’

와 ‘중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12.2%였다.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논문지도 계획서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항목이라고 하였으며, 의전

원 교수의 중요도 비율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Page 9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88 의과학자 양성 연구

고려항목 대학구분전혀 중요하지

않다중요하지 않다 보통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

대학의학위논문작성교육과정의우수성

의전3

(1.4%)

6

(2.8%)

49

(22.7%)

104

(48.1%)

54

(25.0%)

치전1

(2.4%)

2

(4.9%)

12

(29.3%)

19

(46.3%)

7

(17.1%)

대학의학위논문작성의 성과

의전5

(2.3%)

7

(3.2%)

59

(27.2%)

100

(46.1%)

46

(21.2%)

치전1

(2.4%)

4

(9.8%)

16

(39.0%)

12

(29.3%)

8

(19.5%)

지도교수의역량

의전3

(1.4%)

8

(3.7%)

58

(26.5%)

87

(40.1%)

61

(28.1%)

치전1

(2.4%)

3

(7.3%)

15

(36.6%)

19

(46.3%)

3

(7.3%)

논문지도계획서의 우수성

의전3

(1.4%)

8

(3.7%)

58

(27.4%)

86

(40.6%)

57

(26.9%)

치전1

(2.4%)

4

(9.8%)

10

(24.4%)

15

(36.6%)

11

(26.8%)

표 32. 학위논문관련 정부 지원을 받을 경우 지원 기관 선정 시 평가되어야 할 항목과 그 중요도

3) 복합학위과정

가)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 개설

복합학위과정 중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 개설에 대해

동의하는 지를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35.3%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을 합하면 26.3%로 나타나 동의하는 비율이 동의하지 않는 비율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9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89

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43.2%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8.9%로 나타나 동의하는 비율이 동의하지 않는 비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전원에 비해 동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0 6.0% 1 2.7%

그렇지 않다 34 20.4% 6 16.2%

보통 64 38.3% 14 37.8%

그렇다 48 28.7% 14 37.8%

매우 그렇다 11 6.6% 2 5.4%

계 167 100.0% 37 100.0%

표 33.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 개설 동의 정도

나) 복합학위과정이 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되는 요소인가

복합학위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의·치전원과 의·치과대학 교육을 차별화하

는 요소인지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5.1%

이며,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27.7%

로 나타나 복합학위과정을 의대 교육과의 차별화 요소로 인지하는 경향이

그렇지 않은 경향보다 컸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61.9%

이며,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19.0%

로 의전원에 비해 복합학위과정을 학부교육과 차별화 요소로 더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90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0 4.5% 0 .0%

그렇지 않다 52 23.2% 8 19.0%

보통 61 27.2% 8 19.0%

그렇다 73 32.6% 20 47.6%

매우 그렇다 28 12.5% 6 14.3%

계 224 100.0% 42 100.0%

표 34. 복합학위과정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되는 요소인지에 대한 동의 정도

다)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현 교육과정 개편 동의

복합학위과정 운영을 위해 현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39.0%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32.3%로 동의한 교수가 조금 더 많았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동

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36.3%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26.8%로 나타났다.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동의하

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3 5.8% 0 .0%

그렇지 않다 59 26.5% 11 26.8%

보통 64 28.7% 15 36.6%

그렇다 68 30.5% 13 31.7%

매우 그렇다 19 8.5% 2 4.9%

계 223 100.0% 41 100.0%

표 35.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현 교육과정 개편 동의 정도

Page 10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91

라) 복합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 연한 연장

MD-PhD, DDS-PhD 과정을 제외한 복합학위과정 운영을 위해 수학연한

을 연장하는 것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4.7%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36.2%였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53.6%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26.8% 이다.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복합학위과정 운

영을 위해 수학 연한을 연장하는 것에 동의하는 쪽이 더 많았고, 치전원이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6 7.1% 1 2.4%

그렇지 않다 65 29.0% 10 24.4%

보통 43 19.2% 8 19.5%

그렇다 79 35.3% 19 46.3%

매우 그렇다 21 9.4% 3 7.3%

계 224 100.0% 41 100.0%

표 36. 복합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연한 연장에 대한 동의 정도

마)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 운영 동의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

를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3.1%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32.9%였다. 치전원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Page 10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92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교수를 합하면 35.7%이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는 26.2%로 나타나 의전원과 치전원 모두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에 동의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22 9.8% 1 2.4%

그렇지 않다 52 23.1% 10 23.8%

보통 54 24.0% 16 38.1%

그렇다 82 36.4% 15 35.7%

매우 그렇다 15 6.7% 0 .0%

계 225 100.0% 42 100.0%

표 37.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 운영에 대한 동의 정도

4)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결과

가) 교육과정의 변화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교육과정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66.4%가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치전원의 경우

88.6%가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의·치전원 전환으로 교육과정의 변

화가 시도되었으며, 치전원이 변화의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변화가 있었다 156 66.4% 39 88.6%

변화가 없었다 79 33.6% 5 11.4%

계 235 100.0% 44 100.0%

표 38. 의·치전원 전환으로 인한 교육과정의 변화 여부

Page 10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93

나) 교육과정 만족도

소속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교수의 경우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

면 29.5%이며,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20.9%로 의전원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하는 교수가 더 많았다.

치전원 교수의 경우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교수가

44.2%이며,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7.0%로 의전원 교수에 비해 만족하는 교수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를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과 기

존 의학교육과정과 차이가 없으며, 의전원 취지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이 부

재하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라고 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13 5.4% 2 4.7%

만족하지 않는다 37 15.5% 1 2.3%

보통 119 49.8% 21 48.8%

만족한다 63 26.4% 18 41.9%

매우 만족한다 7 2.9% 1 2.3%

계 239 100.0% 43 100.0%

표 39. 교육과정 만족 정도

다) 교육방법의 변화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교육방법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Page 10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94 의과학자 양성 연구

의전원의 경우 46.3%가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53.3%가 변화가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치전원의 경우 38.5%가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으

나, 59.0%가 변화가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의·치전원 전환으로 교수들의

교육방법은 크게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변화가 있었다 106 46.3% 15 38.5%

변화가 없었다 122 53.3% 23 59.0%

계 229 100.0% 39 100.0%

표 40. 교육방법의 변화 여부

라) 의·치전원 학생과 의·치의학과 학생 간의 차이점

(1) 수업에서 느낀 차이

수업과정에서 의·치의학 학생들과 의·치전원 학생들 간의 차이점이 있었

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교수의 경우 ‘매우 차이가 있었다’와 ‘차이가 있었다’에 응답한 교

수를 합하면 63.0%이며, ‘전혀 차이가 없었다’와 ‘차이가 없었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14.5%로 대체로 의전원 학생과 의학과 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치전원 교수의 경우 ‘매우 차이가 있었다’와 ‘차이가 있었다’에 응답한 교

수를 합하면 61.3%이며, ‘전혀 차이가 없었다’와 ‘차이가 없었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5%였다. 의전원과 마찬가지로 치전원도 치전원 학생과 치

의학과 학생 간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의·치의학 학생들과 의·치전원 학생들 간의 차이점으로 기술한 내용을 요

약하면, 긍정적인 측면에서의 차이점은 강의 태도(적극적 참여, 동기부여,

Page 10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95

적극성, 열의, 암기보다는 원리에 대한 이해)와 강의 집중도라고 응답하였

으며, 부정적인 측면에서의 차이점은 태도 대비 학습 효과(결과, 능률)는

떨어지며, 성적에 대한 민감함(과도한 경쟁적 구도), 소속감의 결여, 현실적

(실리위주)이라고 응답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차이가 없었다 2 .9% 0 .0%

차이가 없었다 32 13.6% 2 4.5%

보통 53 22.6% 15 34.1%

차이가 있었다 128 54.5% 24 54.5%

매우 차이가 있었다 20 8.5% 3 6.8%

계 235 100.0% 44 100.0%

표 41. 의·치전원 학생과 의·치의학과 학생 간의 수업에서의 차이 인식

(2) 임상실습에서 느낀 차이

임상실습 과정에서 의·치의학 학생들과 의·치전원 학생들 간의 차이점이

있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교수의 경우 ‘매우 차이가 있었다’와 ‘차이가 있었다’에 응답한 교

수를 합하면 52.0%이며, ‘전혀 차이가 없었다’와 ‘차이가 없었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19.1%로 대체로 의전원 학생과 의학과 학생 간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치전원 교수의 경우 ‘매우 차이가 있었다’와 ‘차이가 있었다’에 응답한 교

수를 합하면 54.2%이며, ‘전혀 차이가 없었다’와 ‘차이가 없었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8.3%였다. 의전원과 마찬가지로 치전원도 치전원 학생과 치

의학과 학생 간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Page 10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96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5 2.9% 0 .0%

그렇지 않다 28 16.2% 2 8.3%

보통 50 28.9% 9 37.5%

그렇다 82 47.4% 13 54.2%

매우 그렇다 8 4.6% 0 .0%

계 173 100.0% 24 100.0%

표 42. 의·치전원 학생과 의·치의학과 학생 간의 임상실습에서의 차이 인식

마) 학생평가방법의 변화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학생평가방법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결

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29.6%가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한 반면, 69.5%는 변화가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치전원의 경우는 18.6%만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

고 81.4%가 변화가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의·치전원 전환으로 교수들의 학

생평가방법(시험문제 출제)은 크게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변화를 가져온 것은 E-test를 도입, 강의 전후 test 실시로 학습의 준비

도와 이해도를 평가, 문제해결형 문제의 증가, 시험 이외의 다양한 평가 방

법 도입, 실습위주의 평가로 전환 등이었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변화가 있었다 69 29.6% 8 18.6%

변화가 없었다 162 69.5% 35 81.4%

계 233 100.0% 43 100.0%

표 43. 학생평가방법의 변화

Page 10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97

바) 교육시설 개선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교육시설이 개선되었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

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54.1%가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45.9%가 개선이 없었

다고 응답하였다. 치전원의 경우는 87.8%가 개선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

며, 12.2%가 개선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의전원에 비해 치전원에서 교육

시설에 개선이 있었다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개선되었다 126 54.1% 36 87.8%

개선되지 않았다 107 45.9% 5 12.2%

계 233 100.0% 41 100.0%

표 44. 교육시설 개선

사) 의·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교육과정 변화의 필요성

향후 의·치전원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더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76.3%가 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치전원의 경우

71.4%가 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의·치전원 교수 모두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변화가 필요하다 171 76.3% 30 71.4%

변화가 필요하지 않다 52 23.2% 12 28.6%

계 224 100.0% 42 100.0%

표 45. 의·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교육과정 변화의 필요성

Page 10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98 의과학자 양성 연구

아) 교육과정 변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

향후 의·치전원 교육과정 변화를 위해 더 고려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를

조사한 결과, 1순위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은 다양한 교육방법의 적용이었

으며, 2순위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은 다양한 교육방법의 적용, 강의법 개

선이었으며, 3순위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은 학생 배경 지식(선수학습) 파

악이었다. 또한 1, 2, 3 순위에 지속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언급된 항목은

학습목표의 수준 조정이었다. 즉, 강의법이나 다양한 교육방법과 같은 교수

법의 개선과 학생들의 선수 학습 수준을 파악하고 학습목표의 수준을 설정

하는 것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순위 2순위 3순위

강의법개선

다양한교육방법 적용

성적평가방식의 변화

학습목표의 수준조정

자율학습시간 확대

학생배경지식(선수학습) 파악

그림 11. 교육과정 변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교수)

Page 10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99

5) 정부지원

가) 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정부 지원책에 대한 만족도

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해 현재 발표된 정부의 지원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의 경우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8.8%이며,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

하면 56.8%로 정부 지원에 대한 불만족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치전원의 경

우는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28.6%로 나타

났고,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교수를 합하면

42.9%로 나타나 치전원에서도 정부의 지원책에 대해 만족하지 않은 비율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전원 교수들에 비해 의전원 교수들의 불

만족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45 19.8% 4 9.5%

그렇지 않다 84 37.0% 14 33.3%

보통 78 34.4% 12 28.6%

그렇다 15 6.6% 11 26.2%

매우 그렇다 5 2.2% 1 2.4%

계 227 100.0% 42 100.0%

표 46. 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정부 지원책에 대한 만족도

나) 정부지원 요구 항목

의·치전원 지원체제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 내용에 대한

자유 의견을 의·치전원 구분 없이 정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Page 11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0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의·치전원 간 공동 교육과정 평가 및 질 관리를 위해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한 개발 지원, 각 대학의 의학교육실 지원, 의·치전원의 장기적인 평가와

발전 방향을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지원, 시험문제(학교시험, MEET, DEET

등) 공동 출제 및 평가에 대한 지원 등 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기술하였다.

의학연구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내용으로는 장학금 및 연구비 지원, 학위

논문에 대한 평가 및 우수 논문 포상, 교수 정원 증원, 실험·실습비 지원

등을 기술하였다.

복합학위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내용으로는 지도교수 연구비, 장학금 등

재정적인 지원, 복합학위과정 학생에 대한 정책적 우대, 교수 정원 증원,

대학 간 원활한 연구 교류 활성화 장치 마련 등을 기술하였다.

기타 의·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지원 내용으로는 교수 개발, 졸업 후

의·치전원 졸업생의 경력 인정방안, 외국의 모범 사례 벤치마킹 지원 등을

기술하였다.

Page 11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01

항목 지원내용 빈도

의·치전원 간 공동교육과정 평가 및 질

관리

공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체계화, 교육과정의 표준화 26

각 대학 의학교육실 지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비 지원 24

정기적인 평가 및 발전 방향 제시위한 위원회 구성, 워크숍 및 심포지움

개최17

시험문제 등의 공동 출제 및 평가 7

의학연구과정 운영을위한 지원정책

장학금 및 연구비 지원 강화 46

체제 정착을 위한 지속적인 재정 및 정책적 지원(학생 선발, 학위 논문에

대한 평가 및 우수 논문 포상)37

교수 정원 증원 19

기초실험 시설 및 장비, 실험 실습 재료비 지원 10

별도의 운영관리 주체 마련, 공동 연구 프로그램 4

의무석사 논문 학위 인정 1

복합학위과정 운영을위한 지원정책

복합학위생 및 지도교수 연구비, 장학금 등 재정적인 지원 29

복합학위생을 위한 정책적 우대 10

교수 정원 증원 4

대학간 연계, 다른 연구기관들과 원활한 관계 유지, 학점 교류 4

별도의 운영관리 주체 마련 1

복합과정의 정확한 기준 수립 1

기타 의·치전원 체제유지를 위한 지원정책

행정인력 증원 2

졸업후의전원졸업생의경력인정우대 2

교수 재교육, 교수개발 지원비 2

외국의 모법 사례 시찰 1

기초의학 지원책 마련 1

표 47. 정부지원 요구 항목

Page 11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02 의과학자 양성 연구

나. 학생 설문결과1) 대상자 일반 특성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구성원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

해 5개 의전원과 2개 치전원 학생에게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의전원 학생

604명, 치전원 학생 562명으로 총 116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학년별 분포를 살펴보면, 의전원의 경우 1학년이 180명(29.95%), 2학년

이 123명(20.47%), 3학년이 170(28.29%), 4학년이 128명(21.30%)이었으

며, 치전원은 1학년이 145명(25.80%), 2학년이 143명(25.44%), 3학년이

136명(24.20%), 4학년이 138명(24.56%)이었다. 1학년의 응답분포가 높지

만, 대체로 고른 응답분포를 보였다. 또한 성별분포를 살펴본 결과, 의전원

의 경우, 남학생 286명(47.99%), 여학생이 310명(52.01%), 치전원의 경

우, 남학생이 321명(57.22%), 여학생이 240명(42.78%)을 차지하였다. 즉,

의전원의 경우 여학생의 응답분포가 높았으며, 치전원의 경우 남학생의 응

답분포가 높았다.

구분 대학명 빈도 퍼센트

의전원

가천 130 21.52

강원 171 28.31

건국 143 23.68

동국 89 14.74

제주 71 11.75

합계 604 100

치전원부산 299 53.20

전남 263 46.80

합계 562 100

표 48. 대학별 학생 응답분포

Page 11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03

학년의전원 치전원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1학년 180 29.95 145 25.80

2학년 123 20.47 143 25.44

3학년 170 28.29 136 24.20

4학년 128 21.30 138 24.56

합계 601 100 562 100

표 49. 학년별 학생 분포

학년의전원 치전원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남학생 286 47.99 321 57.22

여학생 310 52.01 240 42.78

합계 596 100 561 100

표 50. 학생 성별 분포

2) 의학연구과정

가) 의(치)무석사학위논문작성 과정 의무화(필수화)에 대한 의견

현재 의무석사학위논문작성을 작성하고 있는 대학은 가천의전원과 전남

치전원 2곳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무석사학위논문작성을 의무화(필수)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9.2%이며, ‘보통’이 36.3%,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42.7%로 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의무화하는 것에는 중립

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4.8%이며, 보통이 46.5%,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6.3%였다. 의전원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치전원 학생들의

Page 11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04 의과학자 양성 연구

경우에도 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의무화하는 것에는 중립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응답을 나타내었다.

의(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의무화 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이유에 대

해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과 의전원과 치전원이 모두 의·치의학 교육과

정이 학부과정과 다른 점이 없기 때문에 논문작성에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

거나 학업과 병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라고 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58 10.0% 48 9.1%

그렇지 않다 189 32.6% 143 27.2%

보통 221 38.2% 257 48.9%

그렇다 96 16.6% 66 12.5%

매우 그렇다 15 2.6% 12 2.3%

계 593 100.0% 558 100.0%

표 51. 의(치)무석사학위논문작성 과정 의무화(필수화)에 대한 의견

나) 학위논문작성이 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 요소인가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하는 것이 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하는 요소

라고 생각하는 지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2.7%이며, ‘보통’이 36.3%,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1.0%로 의무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하는 것이 의과대학 교육

과의 차별화 전략 중 하나라는 의견에 동의하는 의견과 동의하지 않은 의

견이 비슷한 응답비율을 나타내었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0.4%이며, ‘보통이’ 46.5%,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Page 11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05

학생을 합하면 33.1%였다. 치전원 학생들은 의전원 학생들에 비해 석사학

위논문작성이 차별화 요소라고 여기는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의(치)무석사학위논문작성이 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 요소라고 생각하

지 않는 이유에 대해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과 의전원과 치전원이 모두

의·치의학 교육과정 자체가 차별화 되어 있는 않은 현실에서 학위논문작성

만으로 차별화라고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로 지적

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52 8.8% 33 6.2%

그렇지 않다 131 22.2% 144 26.9%

보통 214 36.3% 249 46.5%

그렇다 174 29.5% 101 18.9%

매우 그렇다 19 3.2% 8 1.5%

계 590 100.0% 535 100.0%

표 52. 학위논문작성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 요소라고 인식하는 정도

다)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동의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동의하는 지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8.5%이며, ‘보통’이 34.6%,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6.8%로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는

중립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3.5%이며, ‘보통’이 36.5%,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Page 11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06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학생을 합하면 40.0%였다. 의전원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치전원 학생들의

경우에도 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는 중립

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46 7.8% 32 6.0%

그렇지 않다 172 29.1% 183 34.1%

보통 205 34.6% 196 36.5%

그렇다 156 26.4% 116 21.6%

매우 그렇다 13 2.2% 10 1.9%

계 592 100.0% 537 100.0%

표 53.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동의

라) 학위논문작성과정의 기간 편성방법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블럭단위(논문작성 집중 기간)의 기간을 교육과정

내에 편성하는 것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1.4%이며, ‘보통’이 28.3%,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40.3%로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블럭단위의 집중 기간을 편

성하는 것에는 중립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2.0%이며, ‘보통’이 31.8%,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6.1%였다. 의전원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치전원 학생들의

경우에도 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해 블럭단위의 집중 기간을 편성하는

것에는 중립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Page 11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07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63 10.6% 34 6.3%

그렇지 않다 176 29.7% 160 29.8%

보통 168 28.3% 171 31.8%

그렇다 171 28.8% 148 27.6%

매우 그렇다 15 2.5% 24 4.5%

계 593 100.0% 537 100.0%

표 54. 학위논문작성과정의 기간 편성방법

마)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연한 연장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수학연한을 연장하도록 권유하는 것에 대해 학생들

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8.6%이며, ‘보통’ 20.4%,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

생을 합하면 71.0%로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수학기간을 연장하는 것에는

매우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6.0%이며, ‘보통’이 19.7%,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74.3%였다. 의전원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치전원 학생들의

경우에도 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해 수학 기간을 연장하는 것에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비율이 의전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age 11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08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80 30.3% 158 29.4%

그렇지 않다 242 40.7% 241 44.9%

보통 121 20.4% 106 19.7%

그렇다 41 6.9% 31 5.8%

매우 그렇다 10 1.7% 1 .2%

계 593 100.0% 537 100.0%

표 55.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 연한 연장

바) 학위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

학위논문작성과정을 운영한다면 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가 언제

가 적절한 지를 조사한 결과, 의전원의 경우는 시작 시기로 1학년 1학기가

적절하다는 것에 25.2%가 응답하여 가장 비율이 높았고, 종료 시기로 3학

년 2학기가 적절하다고 것에 50.3%가 응답하여 가장 비율이 높았다. 반면,

치전원의 경우는 시작 시기로 2학년 1학기가 적절하다는 것에 23.0%가 응

답하여 가장 비율이 높았고, 종료 시기는 3학년 2학기가 적절하다는 것에

39.6%가 응답하여 가장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구분

논문작성 시작 시기 논문작성 종료시기

의전 치전 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1학년1학기 129.0 25.2% 55 11.9% - - - -

1학년2학기 85.0 16.6% 50 10.8% 2 0.4% 6 1.3%

2학년1학기 83 16.2% 106 23.0% 10 2.0% 12 2.6%

2학년2학기 67 13.1% 68 14.8% 58 11.6% 30 6.5%

3학년1학기 96 18.8% 103 22.3% 39 7.8% 45 9.8%

3학년2학기 40 7.8% 55 11.9% 251 50.3% 182 39.6%

4학년1학기 13 2.5% 24 5.2% 110 22.0% 149 32.4%

4학년 2학기 - - - - 29 5.8% 36 7.8%

계 513 100.0 461 100.0 499 100.0% 460 100.0%

표 56. 학위논문작성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

Page 11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09

사)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학위논문작성이 아니더라도 의학연구능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

성에 대한 학생 의견조사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42.8%이고, ‘보통’ 37.9%, ‘전혀 필요하지 않다’와 ‘필요하지 않다’에 응

답한 학생을 합하면 19.3%로 대체로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

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편이었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28.9%이고, ‘보통’이 45.0%, ‘전혀 필요하지 않다’와 ‘필요하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6.1%였다. 의전원 학생들에 비해 치전원 학생들은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정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34 5.8% 31 5.8%

그렇지 않다 79 13.5% 108 20.3%

보통 222 37.9% 240 45.0%

그렇다 213 36.3% 139 26.1%

매우 그렇다 38 6.5% 15 2.8%

계 586 100.0% 533 100.0%

표 57.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정도

아) 의학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내용

학위논문작성이 아니더라도 의학연구능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

하다면, 어떤 내용이 교육되어야 하는 지를 기술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과 치전원 학생 모두 연구설계법, 자료 검색법, 글쓰기, 연구윤리,

통계 등이 교육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Page 12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1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의전 치전

구분 빈도 구분 빈도

연구설계법 143 연구설계법 96

자료 검색법 80 자료 검색법 64

글쓰기 40 글쓰기, 논문작성법 47

연구윤리 32 연구윤리 23

논문작성법 31 통계 20

통계 25 실습 2

실습 강화 5

표 58. 의학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내용

3) 복합학위과정

가) MD-PhD, DDS-PhD 과정에 대한 만족도

복합학위과정 중 MD-PhD 과정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MD-PhD 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9.3%로 가장 높았고,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이

21.3%였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이 9.3%였

다. 절대적 수치로는 만족도가 높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는 만족도가 높다

고 할 수 있는데, 학생 중 복합학위과정에 일부만 편제되어 있는 것과 관련

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1.5%였고,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0.3%였다. 의전원 학생들에 비해서는 치전원 학생들이 DDS-PhD 과정에

대한 불만족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11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3 2.0% 3 3.8%

그렇지 않다 11 7.3% 13 16.5%

보통 104 69.3% 46 58.2%

그렇다 27 18.0% 15 19.0%

매우 그렇다 5 3.3% 2 2.5%

계 150 100.0% 79 100.0%

표 59. MD-PhD, DDS-PhD 과정에 대한 만족도

나)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 개설 시 등록 의향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인 MD-MPH, MD-MPP,

MD-MBA 등이 개설된다면 등록할 의향이 있는 지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은 35.9%가 등록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고, 치전원 학생은

27.3%가 등록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치전원 학생에 비해 의전원 학생이

보다 높은 등록의향을 보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등록할 의향이 있다 194 35.9% 130 27.3%

등록할 의향이 없다 346 64.1% 346 72.7%

계 540 100.0% 476 100.0%

표 60. MD-PhD, DDS-PhD 이외의 복합학위과정 개설 시 등록 의향

Page 12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12 의과학자 양성 연구

다) 복합학위과정이 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되는 요소인가

복합학위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의·치전원과 의과대학 교육을 차별화하는

요소인지에 대한 학생 의견조사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54.7%였고, ‘보통’ 이 30.8%,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4.5%로 나타나 복합학위과정을 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

요소로 인지하고 있었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41.6%였고, ‘보통’이 47.0%,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1.4%로 의전원 학생에 비해 중립적인 입장이 더 컸지만

대체적으로 복합학위과정을 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 요소로 인지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9 3.2% 9 1.7%

그렇지 않다 66 11.3% 51 9.7%

보통 180 30.8% 247 47.0%

그렇다 277 47.4% 196 37.3%

매우 그렇다 43 7.4% 23 4.4%

계 585 100.0% 526 100.0%

표 61. 복합학위과정이 의·치과대학 교육과 차별화라고 인식하는 정도

라)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현 교육과정 개편 동의

복합학위과정 운영을 위해 현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0.9%였고, ‘보통’이 43.3%,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Page 12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13

학생을 합하면 25.8%였다. 반면,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

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1.8%였고, ‘보통’이 47.2%,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0.9%로 나타나 의전원 학

생에 비해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동의하는 비율이 낮

았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23 3.9% 26 4.9%

그렇지 않다 129 21.9% 137 26.0%

보통 255 43.3% 249 47.2%

그렇다 160 27.2% 108 20.5%

매우 그렇다 22 3.7% 7 1.3%

계 589 100.0% 527 100.0%

표 62. 복합학위과정을 위한 현 교육과정 개편 동의 정도

마) 복합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 연한 연장

MD-PhD, DDS-PhD 과정을 제외한 복합학위과정 운영을 위해 수학연한

을 연장하는 것에 대한 학생 의견조사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9.7%였고, ‘보통’이 30.6%,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9.7%였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5.5%였고, ‘보통’이 35.2%,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9.4%로 나타나 의전원 학생과 치

전원 학생 모두 복합학위과정 운영을 위해 수학 연한을 연장하는 것에 동

의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14 의과학자 양성 연구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55 9.3% 54 10.3%

그렇지 않다 179 30.4% 153 29.1%

보통 180 30.6% 185 35.2%

그렇다 157 26.7% 124 23.6%

매우 그렇다 18 3.1% 10 1.9%

계 589 100.0% 526 100.0%

표 63. 복합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수학연한 연장 동의 정도

바)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 운영 동의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

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동의한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52.5%였고, ‘보통’이 35.7%,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

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1.9%였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동의한

다’와 ‘동의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44.3%였고, ‘보통’이 38.6%, ‘전

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7.1%

로 나타나 의전원 학생과 치전원 학생 모두 타 대학과 공동 운영에 대해

동의하는 편이었다. 특히, 의전원 학생들이 동의 비율이 더 높았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4 2.4% 16 3.0%

그렇지 않다 56 9.5% 74 14.1%

보통 210 35.7% 203 38.6%

그렇다 251 42.6% 204 38.8%

매우 그렇다 58 9.8% 29 5.5%

계 589 100.0% 526 100.0%

표 64. 복합학위과정을 타 대학과 공동 운영 동의정도

Page 12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15

4)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결과

가) 교육과정 만족도

소속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는 ‘만족한다’가 48.3%로 가장 많은 응답분포를 보였

고,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57.9%였다. ‘전

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4.4%로 대

체로 의전원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도 ‘만족한다’가 48.7%로 가장 많은 응답분포를 보였

고,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57.2%였다. 반

면,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5.5%로 의전원 학생과 마찬가지로 대체로 치전원의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4 .7% 3 .5%

그렇지 않다 22 3.7% 28 5.0%

보통 225 37.8% 213 38.0%

그렇다 288 48.3% 273 48.7%

매우 그렇다 57 9.6% 44 7.8%

계 576 100.0% 581 100.0%

표 65. 교육과정 만족도

나) 교육과정의 차별화(특성화)

소속대학의 교육과정이 타 대학과 비교하여 차별화(특성화) 되었다고 생

각하는지에 대해 응답한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Page 12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16 의과학자 양성 연구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2.1%였고,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9.9%였으며, ‘보통(그저 그렇다)’의 의견이 48.1%를 나타내었다. 즉, 소속

대학의 교육과정이 타 대학에 비해 교육과정이 차별화되어 있다고 인지하

는 편이긴 하지만 그 비율이 높은 것은 아니며 타 대학과 비슷하다(그저

그렇다/보통)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25.8%이며,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8.8%이며, ‘보통’의 의견이 55.6%를 나타내었다. 의전원에 비해 치전원

학생들은 타 대학과 비교하여 소속대학의 교육과정이 차별화 되었다고 인

식하는 비율이 낮았다.

교육과정이 차별화 되었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

과 의전원의 경우, PBL, TBL, 증례중심강의 등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한

부분이나, 의무석사논문을 작성하는 것, 기초-임상통합 교육과정을 실시하

는 것이라고 하였다. 치전원의 경우, 조기임상실습으로 임상실습교육을 강

화하는 것이나 해외 치과병원 파견이나 병원 연계 교육과정 부분을 주요

차이점이라고 응답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11 1.9% 6 1.1%

그렇지 않다 107 18.0% 98 17.6%

보통 285 48.1% 310 55.6%

그렇다 164 27.7% 123 22.0%

매우 그렇다 26 4.4% 21 3.8%

계 593 100.0% 558 100.0%

표 66. 교육과정의 차별화(특성화) 에 대한 인식 정도

Page 12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17

다) 교수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

소속대학 교수님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48.5%였고, ‘보통’이 45.5%,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

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6.1%로 대체로 교수의 교수법에 대해 만족하

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도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

하면 48.1%였고, ‘보통’이 45.3%,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

는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6.6%로 대체로 교수의 교수법에 대해 만족

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전원과 치전원 학생이 교수법에 대한 만

족도는 비슷한 반응분포를 나타냈다.

교수의 교수법을 만족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과

의전원과 치전원의 경우 모두 일방적인 주입식 위주의 수업, 교수마다 교수

법의 편차가 큰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응답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3 .5% 5 .9%

그렇지 않다 33 5.6% 32 5.7%

보통 270 45.5% 253 45.3%

그렇다 259 43.6% 237 42.4%

매우 그렇다 29 4.9% 32 5.7%

계 594 100.0% 559 100.0%

표 67. 교수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

Page 12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18 의과학자 양성 연구

라) 교수의 임상실습 교육(지도)방법 만족도

소속대학 교수님의 임상실습 교육 및 지도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50.3%였고, ‘보통’이 46.3%,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

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5%로 대체로 교수의 임상실습 교육 및 지도

방법에 대해 만족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도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

하면 52.8%였고, ‘보통’이 41.0%,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

는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6.3%로 대체로 교수의 임상실습 교육 및 지

도방법에 대해 만족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임상실습 교육 및 지도방법을 만족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과 의전원과 치전원의 경우 모두 교수들의 임상실습에 대

한 무관심(전공의에 떠맡기는 실습)과 부적절한 실습환경(실습도구, 학생

공간 등) 등을 가장 큰 이유라고 응답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3 .5% 6 1.1%

그렇지 않다 17 3.0% 29 5.2%

보통 266 46.3% 229 41.0%

그렇다 259 45.0% 259 46.3%

매우 그렇다 30 5.2% 36 6.4%

계 575 100.0% 559 100.0%

표 68. 교수의 임상실습 교육(지도)방법 만족도

Page 12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19

마) 대학의 학생평가방법 만족도

소속대학의 학생평가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 표

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45.6%였고, ‘보통’이 48.7%,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

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5.7%로 대체로 소속대학의 학생평가방법에 대

해 만족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도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

하면 44.3%였고, ‘보통’이 45.0%,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

는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0.7%로 대체로 소속대학의 학생평가방법에

대해 만족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평가방법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과 의전원의 경우, 시험문제의 객관성 결여, 암기식 문제 출제, 교수별

시험 문제의 질적 차이가 크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치전원의 경우, 암기식

문제 출제를 가장 큰 이유라고 응답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2 .3% 9 1.6%

그렇지 않다 32 5.4% 51 9.1%

보통 290 48.7% 252 45.0%

그렇다 249 41.8% 225 40.2%

매우 그렇다 23 3.9% 23 4.1%

계 596 100.0% 560 100.0%

표 69. 대학의 학생평가방법 만족도

Page 13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20 의과학자 양성 연구

바)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

소속대학의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의전원 학생의 경우,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

면 44.6%였고, ‘보통’이 35.9%,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

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19.5%로 대체로 소속대학의 교육시설에 대해

만족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치전원 학생의 경우는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

한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80.0%였고, ‘보통’이 17.0%,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와 ‘만족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학생을 합하면 3.0%로 소속대학의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치전원을 비교해 볼 때, 의전원학생에 비해 치전원 학생들이 교육시설

에 대해 만족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기술한 내용을 요약한 결과

의전원의 경우, 실습시설, 자율학습실, 학생 편의시설의 부족을 가장 큰 이

유로 지적하였다. 치전원의 경우에도 도서관이나 자율학습실의 부족을 이유

로 지적하였다. 의·치전원 모두 학습 공간의 부족을 가장 큰 불만족의 이유

라고 응답하였다.

구분의전 치전

빈도 % 빈도 %

전혀 그렇지 않다 22 3.7% 3 .5%

그렇지 않다 94 15.8% 14 2.5%

보통 214 35.9% 95 17.0%

그렇다 229 38.4% 295 52.7%

매우 그렇다 37 6.2% 153 27.3%

계 596 100.0% 560 100.0%

표 70.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

Page 13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의견 121

사) 교육과정변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

향후 의·치전원 교육과정 변화를 위해 더 고려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를

조사한 결과, 1순위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은 강의법의 개선이었고, 2순위

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은 다양한 교육방법의 적용이었으며, 3순위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은 자율학습시간의 확대였다. 즉, 설문조사를 통해 강의법이

나 다양한 교육방법과 같은 교수법의 개선과 학생들의 자율학습시간 확대

를 위한 교육과정 재편성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순위 2순위 3순위

강의법개선

다양한교육방법 적용

성적평가방식의 변화

학습목표의 수준조정

자율학습시간 확대

학생배경지식(선수학습)

파악

그림 12. 교육과정 변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학생)

Page 13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22 의과학자 양성 연구

Page 13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23

6. 의·치전원 체제 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 및 제언

가. 의학 연구 과정1) 의학 연구과정 개편 방향 및 프로그램

가) 개편방향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 교육에 맞추어져 있는

현 의과대학 체제에서 우수한 연구 역량을 배출하기란 불가능하며, 국가 연

구 역량 측면에서 매우 낭비적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의료의 전문화 및

세부화 경향이 강화되고 대학병원 중심의 의료체계가 강화될 것이 예상되

는 상황에서 전문의 수련 과정이 졸업 후 교육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할 것

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의·치과대학에서 기본적인 연구 역량을 갖추지

않는 한 졸업 후 대학원 과정을 통해 기본 연구 역량을 갖추어 나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1)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의 필수화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의하면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학위논문을

제출하여야 하지만, 석사학위 중 의(치)무석사학위와 같은 전문학위의 경우

학칙에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방법에 의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지금까

지 대부분의 의·치전원이 여러 여건으로 인하여 의(치)무석사학위 논문 제

출을 의무화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의·치전원 체제가 완전하게 정착하고

두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면 대학원으로서의 역할을 고려하여 석사학위 논

문 작성 과정을 필수과정으로 특성화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의전

원의 경우에는 의무화에 찬성하는 비율이 조금 더 높았고, 치전원의 경우에

Page 13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24 의과학자 양성 연구

는 반대하는 비율이 조금 높았으나, 예상했던 것에 비하면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의(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이 의과대학

교육과의 차별화요소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의무화를 추진하는 데

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미국의 경우 논문 작성을 의무화하고 있지는 않지만, 많은 학생들이 연구

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고, 연구비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

하고 있다. 더욱이 의무화보다는 선택을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특성에 비추

어볼 때 미국의 대학에서 의대에서 논문 작성을 의무화하지 않는 것은 당

연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좀 더 많은 학생이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다

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아직까지 연구 과정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해주기 어려운 우리의 실정을 감안할 때 선택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연구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충분한 지원체계가 마련되고 연구에 대한 동기 부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한 당분간 의무과정으로 두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2) 연구역량 강화 관련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설

학위논문 제출을 의무화하지 않더라도 의학 연구 역량 강화는 의·치전원

교육 특성화 및 차별화와 향후 진로 탐색을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이다.

앞서 조사된 선진 대학에서는 다양한 의학연구과정이 개설되어 있고, 학생

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다. 이처럼 연구 역

량은 학생들이 갖춰야 할 필수 졸업 역량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논문지도교수에 의한 지원체계가 갖추어져야 하는데, 각 대학

의 지도 및 지원 여건이 동질적이지 않고, 교원 숫자 등 현실적 장벽이 존

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도입 가능한 현실적 방법을 모색하고 각

대학별 특성을 살려 나가면서 점차 발전시켜 나가는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과과

정을 개발하고, 전체 교육과정 속에서 배치해 나가야 한다.

Page 13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25

나) 프로그램

4년의 의·치전원 교육연한 내에서도 학사 일정을 조정하고 앞서 논의한

의·치전원 전체 교육과정에 대한 개편 방향을 고려한다면 의학연구과정의

도입이 가능하고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선진 대학의 예를 볼 때 연구과정을 위해 별도의 1년 정도를 배정하

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3학년 4학년 사이에 ‘Extra year'를 배치하여

연구에 전념하고 학위 논문을 작성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그러

나 연구만을 위해 1년을 별도의 연구과정으로 두는 것은 현실적인 장벽이

크고, 실제 교수 및 학생 설문결과에서도 수학 연한을 연장하는 것에 동의

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이러한 의견 등에 기초해볼 때 실제 1년 연장을

선택하는 학생은 드물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의(치)무석사학위논문을 작

성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와 다양한 의학연구과정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1) 의(치)무석사학위 과정 프로그램

의사국가고시를 치러야 하는 의학교육의 특성상 의(치)무석사학위논문 작

성은 4학년 1학기 이내에는 종료되는 것이 학사 운영에 부담을 덜 주는 방

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의전원의 경우, 교수들은 2학년 1

학기에 시작하여 3학년 2학기에 종료하는 (2년 소요) 것을 선호하였고, 의

전원 학생들은 1학년 1학기 시작, 3학년 2학기 종료(3년 소요)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치전원의 경우, 교수들은 3학년 1학기 시작, 4학년 1학기 종료

(1년 소요)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치전원 학생들은 2학년 1학기 시작, 3학

년 2학기 종료(2년 소요)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대학의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보통은 2~3년의 학사과정을 조정

하여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을 개설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

면, 1학년 1학기에서 3학년 2학기까지 3년의 기간 중에 대학의 여건을 고

려하여 운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Page 13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26 의과학자 양성 연구

과목 시기 학점 목표 내용 비고

논문연구Ⅰ

1학년1학기

2

- 의학연구에 대한 개념 및

연구에 필요한 기초 능력

함양

-연구설계법

-연구윤리

-자료검색법

-지도교수

선정

논문연구Ⅱ

1학년2학기

2-자료 분석방법 습득

-논문작성법 습득

-자료분석(의학통계 실습)

-문서작성 소프트웨어다루기

-연구계획서

발표

논문연구Ⅲ

2학년1학기

2 -논문 작성을 통한 연구능력의

함양

-자료분석

-논문작성법-연구 진행

논문연구Ⅳ

2학년1학기

2

-발표능력 함양

-논문 작성을 통한 연구능력의

함양

-자료분석

-논문작성법

-논문 발표 기법

-연구 중간

발표

논문연구Ⅴ

3학년1,

2학기2

-논문 작성을 통한 연구능력의

함양

-논문 작성 완료

-논문심사 실시 및 심사 결과

제출

-논문공개

발표회

표 71.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 예시

학위 과정은 논문 지도를 포함한 연구 관련 기초 지식에 대한 강의와 실

습도 병행되어야 하며, 관련 교과목 개설과 학점 부여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블록 단위의 기간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교

육과정을 조정해야 한다.

(2) 다양한 의학 연구과정 프로그램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을 모든 학생들이 밟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한

대학 뿐 아니라 학위논문 과정을 모두 밟는 대학의 경우에도 미국의 선진

대학에서와 같이 다양한 의학 연구과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설문결과에서도 교수 및 학생 모두 의학 연

구 관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예를 들면, 의·치전원이나

병원 산하의 연구기관에서 학생 수준에서 참여 가능한 인턴쉽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하여 제공하거나, 교수의 개인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선택 실습 과정에서 국내외 의학

연구 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학점 부여, 생활비와 연구비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제

Page 13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27

공하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볼 수 있다.

2) 정책 제언

가) 대학당국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을 진행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에서

의과학자 양성이라는 의·치전원의 설립 목적에 대한 확고한 인식에 기초하

여 관련 조직과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대학별로 의학연구 과정 활성

화를 위해 갖추어야 할 조직 및 정책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담 부서 또는 기구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은 의·치전원 교육과정과 별개로 진행될 수 없

기 때문에 의·치전원 교육과정과 통합하여 관리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그렇

지만, 학위 과정의 대상이나 프로그램의 내용 등이 일반대학원과 매우 다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별개의 지원 프로그램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대학은 의(치)무석사학위과정을 계획, 운영, 지원, 평가 등을 총괄할

수 있는 별도의 부서 또는 위원회를 구성하고, 해당 위원회에 의·치전원 교

육과정을 총괄하는 학장 또는 의학교육실장 등이 당연직으로 참여할 수 있

도록 한다.

(2) 행․재정적 지원책 마련

의(치)무석사학위 논문의 작성을 의·치전원 졸업의 필수 요건으로 만들기

위하여 학칙 개정, 학점 부여, 학사 일정 조정 등 행정적 절차를 마련해 두

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의·치전원 행정실을 포함한 대학당국의 지원이 요구

된다.

또한 학생지도를 위한 멘토링 제도나 지도교수제도를 재정비하고, 학생

Page 13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28 의과학자 양성 연구

연구 지도에 소요되는 예산을 별도로 책정하여 전체 예산에 별도로 확보해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2012년 예산에 의(치)무석사학위 과정에 대한 예

산 편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대한 대학 당국의 지원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의(치)무석사학위 뿐 아니라 학생 연구에 대한 지도를 담당해

줄 교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지도교수에 대한 평가체계

를 확립하고 인센티브(업적평가 등) 제공 등 참여 활성화를 위한 대안이 마

련되어야 한다. 특히, 학생 교육을 통하여 교수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고

교수 스스로 학생 연구 지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도록 대학당국

의 세심한 배려와 지원이 요구된다.

(3) 연구 환경 개선책 마련

의(치)무석사학위 논문 지도를 위해서는 대학이 연구시설, 기자재 등을

대학당국이 충분하게 확보하여 좋은 연구 환경에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

도록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물리적 환경 뿐 아니라, 학생들이 양질의 의(치)무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할

수 있고 교수들은 그러한 논문이 나올 수 있도록 충실한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기부여 등 연구 분위기 조성에 앞장서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다수 의·치전원의 경우 연구 인프라가 교수들에 초

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연구 인프라를 단기간에 갖추기 어렵

다. 그렇다고 대학당국의 역할을 포기하고 모든 지원을 정부에 요구하는 것

도 책임 있는 태도가 아니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생 연구 환경 개선에 소

요되는 예산을 대학당국이 우선적으로 마련하고 정부 지원금과 매칭하여

연구 환경 개선 및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비용에 사용하는 방안을 고려

해 보아야 한다.

(4)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의 질 관리

의·치전원에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을 전담할 부서가 있어서 학위과

Page 13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29

정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 평가를 하더라도 목표와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의학연구과정을 교육과정에서 떼어낼 수 있는 성격이 아니기 때

문에 의·치전원 본부에서 전체적인 방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의·치전원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질 관리위원회에서

의(치)무석사학위논문 과정에 대한 질 관리 업무를 함께 다루도록 하고, 그

러한 조직이 없는 의·치전원의 경우 해당 위원회를 설치,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질 관리가 가능한 체제를 구축했을

때에 학위과정의 성과가 대학의 연구성과로 이어지고, 나아가 국가의 의학

연구 발전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질 관리 방안 중 하나로 연구계획서 심사 단계와 예비 심사단

계에 구연 발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의·치전원

간 공동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 의·치전원 공동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각

대학에서 발표된 우수 연구 결과를 포스터 또는 구연으로 발표할 수 있도

록 하며, 최종적으로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각 단계별 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를 성과평가의 지표로 삼아 정부의 지원

금과 연계하여 정부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고 지원의 근거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나) 정부지원

의(치)무석사학위과정은 의·치전원 체제의 발전과 특성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선전 의전원에서도 의학 연구과정에 깊은 관심을 가진 학생들

이 중도에 MD-PhD 과정으로 전향하는 사례가 있음을 볼 때, 정부는 의

(치)무석사학위 과정이 MD-PhD 과정의 발전과 의과학의 발전에 밑거름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제도적 정책적 지원을 충분하게 해줄 필요가 있다.

Page 14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30 의과학자 양성 연구

(1) 의(치)무석사학위 과정에 대한 제도적 지원

현 고등교육법 시행령에는 학위논문을 제출하지 않고도 의(치)무석사학위

를 수여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향후 의·치전원 체제가 정착 및 확립되는

과정에서 모든 의전원이 의(치)무석사학위를 작성을 권고하고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을 통하여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현재 의·치의학전문대학원은 모든 관련 규정이 고등교육법령에 의해

해석되고 있는데, 이무상 등(2006)의 연구에서도 제시한 바와 같이 의·치전

원이 전문대학원으로서 법적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법전원이 같이 별도의

의·치전원 운영에 관한 사항을 따로 법률로 정해야 할 것이다.

(2) 교수 정원 증원 추진

모든 의·치전원이 의무석사논문 작성을 필수화하는 것이 일괄적으로 진행

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지도학생 대비 교수 정

원이다. 고등교육법상 대학원의 교수 대 학생비율이 1:4임을 감안할 때,

치의학전문대학원의 경우에는 이 기준을 충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부는

연차별 교수 정원 증원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대학이 이러한 여건을 갖출

수 있도록 의무석사논문 작성 필수화에 경과 규정을 두어야 한다.

(3) 연구과정에 대한 재정적 지원

의(치)무석사학위 과정은 4년의 의학교육 기간 동안 병행하여 수행하기에

는 대학당국, 지도교수, 학생들의 많은 노력과 재원이 투자 되어야 하는 과

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이 필요한 것은 의학 분야 연구역량 강

화의 토대가 되고, 향후 의학 분야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의·치전원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수 있다. 특히, 의·치전원 체제를 유지하는

대학만 제도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치전원에 대한 특화된 지원이 요

구된다. 향후 의·치전원 체제를 유지, 발전시켜 의과학자 양성기관이자 의

학연구중심대학(Research Centered Medical School, RCMS)으로서 위상

Page 14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31

을 강화하기 위해서도 의(치)무석사학위 과정에 대한 정부의 선도적인 재정

지원이 요구된다.

현행 개정안 예시

(신설)

제30조(대학원의 학생정원 등) ① 법 제32조에 따른 대학원 학위과정의 입학정원은 대학원별로 학칙으로 정하되,「대학설립·운영 규정」에 따른 교사, 교지, 교원 및 수익용 기본재산에 따라 정해지는 학생수의 범위에서 정하여야 한다.

제44조(학위논문의 제출 및 심사) ①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소정의 학점을 취득하고 일정한 시험에 합격한 후 학위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석사학위중 전문학위의 경우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제22조의4(의학관련전문대학원) ① 제22조제2호에 따른전문대학원 중 의학 및 치의학을 주된 교육·연구 분야로하면서 관련 분야의 전문인력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원(이하 "의학관련전문대학원"이라 한다)의 종류는 그주된 목적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1. 의학전문대학원 : 의학을 주된 교육·연구 분야로 하면서 의사과학자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원2. 치의학전문대학원 : 치의학을 주된 교육·연구 분야로하면서 치의사과학자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원②의학관련전문대학원은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의사및 치의사의 양성을 위한 교과목 및 임상실습과정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관련 교과목 등을 중심으로 운영하여야 한다.③의학관련전문대학원의 석사학위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필요한 학점은 학칙으로 정한다.④의학관련전문대학원이 전문학위의 석사학위과정에 입학할 자를 선발하는 때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선수과목을 이수한 관련 분야에 경험이 있는 자를 선발한다.

제22조의5(의학관련전문대학원에 대한 지원)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의학관련전문대학원의 전문학위과정등 의과학자 양성프로그램에 대하여 지원할 수 있다. 단, 지원 기준및 방법은 교육과학기술부령으로 정한다.

제22조의6(의학관련전문대학원에 대한 평가)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의학 분야 대학의 평가와 별도로 의학관련전문대학원에 대하여 개교일 또는 최근 인증일을 기준으로5년마다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의학관련전문대학원장으로 하여금 법 제11조의2에따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으로부터 인정받은 국내 기관 또는 외국의 인증기관으로부터 평가 또는 인증을 받게 할수 있으며, 이 경우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평가를 받은것으로 본다.

제30조(대학원의 학생정원 등) ① 법 제32조에 따른 대학원 학위과정의 입학정원은 대학원별로 학칙으로 정하되,「대학설립·운영 규정」에 따른 교사, 교지, 교원 및 수익용 기본재산에 따라 정해지는 학생수의 범위에서 정하여야 한다. 단, 의학관련전문대학원은 예외로 한다.

제44조(학위논문의 제출 및 심사) ①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소정의 학점을 취득하고 일정한 시험에 합격한 후 학위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석사학위중 의학관련전문대학원의 전문학위의 경우는 학칙에 정하는 바에 따라 학위논문을 제출하여야 하되 대학설립운영규정 6조 교수 1인당 대학원 학생정원 이내로 학위논문 제출자 수를 제한하고, 기타 전문학위의 경우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다른 방법에 의할 수 있다.

표 72.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 예시

Page 14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32 의과학자 양성 연구

(4) 정부 지원금의 구성 범위

교수 설문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무석사논문작성을 필수화 할 경우

에 의·치전원 모두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다양한 부분에서 정부 지원이 필

요하다고 하였다.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된 부분을 정리해보

면, 학생들의 연구활동에 대한 지원 비용(학생 연구를 위한 실험·실습비),

지도교수의 학생 연구 지도비, 의학연구과정 개발 및 유지비용, 학생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학생 연구활동을 내실화하기 위하여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활

동 지원금은 의·치전원 학생들의 '학생 연구를 위한 실험·실습비'와 학위논

문에 대한 교수들의 지도를 장려하기 위한 '지도교수의 학생 연구 지도비'

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의(사)과학자가 될 의·치전원 학생들의 의(치)무석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에 소요되는 실험·실습비 지원은 향후 의과학자 양성 및 의과학 연구

역량의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졸업 후 PhD과정 및 전문의

교육과정과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졸업 후 연구 역량 강화에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의무석사학위논문을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제도적으로

의무화할 때, 연간 500만 원의 연구비를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총 400명

에 대하여 연간 40억 원을 지원하는 방안(2개 학년 기준임)을 고려해볼 필

요가 있다. 그러나 지원 단계는 초기에는 전체의 50% 정도를 지원하고 평

가지표를 이용한 질 관리 과정을 거쳐 단계적으로 지원 비율을 확대, 강화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총 4학기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진다고 했을 때 제

도 시행 초기에는 당해 연도에 10억 원이 소요되고, 그 다음 해부터 연간

2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원에 따른 성과를 환류하기 위하

여 지원을 받은 학생들은 학위를 최종 수여하기 전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도록 한다.

이렇게 학생 연구를 위한 실험·실습비 지원 뿐 아니라 논문 지도 교수에

대한 지원도 요구된다. 일차의료양성을 위한 교육과 함께 새롭게 의(사)과

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과정을 지도해야 할 교수들에 대한 지원이 병행되어

Page 14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33

야만 양질의 연구활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생 지원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원의 수준은 연간 300만 원 수준으로 학생 지원과

연동하여 총 24억 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또한 제도 초기에는

50% 정도만 지원된다는 가정 하에 12억 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논문지도의 효율성과 질 보장을 위해 학생수 대비 교원수 비율이 적

절하지 않은 대학(교수 대비 학생비율 1:4) 비율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교

원수 확보가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의학연구과정 개발 및 유지 등에도 일정기간 동안 상당한 정도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의과대학 교육프로그램과 차별화된 프

로그램의 개발은 의·치전원 체제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개발 뿐 아

니라 의학연구를 특화 또는 강화한 교육과정을 구축하기 위해서도 필요하

다. 과거 의·치전원 체제 정착 당시에 지원된 교과과정 개발비용이 주로 학

제 개편에 따른 일차의료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재구축 비용에 소요되었다면,

제3기의 교과과정 개발비용의 지원방향은 의학연구과정에 대한 개발 및 개

편에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의·치전원 공동의 의학교육연구소가 개

설될 경우 연구소를 통해 8개 의·치전원의 의학연구과정 프로그램이 공유

되어 대학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대학별로 개발하되 양질의 의

과학자 양성이라는 공통의 목적이 반영될 수 있는 핵심연구과정 프로그램

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대학별로 연간 1억 원씩 한

사이클이 지나는 4년 간 지원하여 연간 8억 원이 교과과정 개발 및 유지에

투입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 연구 인프라 구축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그동안 의·

치전원 체제 정착금 명목으로 이루어진 정부 지원금은 일반적인 연구 인프

라 구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향후 연구 인프라 지원은 학생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필요한 비용에 초점이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의·치전원 체제 정착금은 대학당국의 매칭 없이 정부 지원

으로 이루어졌는데, 학생 연구 역량 강화가 대학의 기본적인 책임이라는 점

에서 학생 의학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비용은 대학의 자부담과 결합하여

Page 14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34 의과학자 양성 연구

연구중심대학으로 의·치전원 운용 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실험실 기반 연구나 임상연구 모두 학생을 위한 별도의 연구시설을 갖추

기 어렵고 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이미 존재한 시설을 놔두고 별도의 시

설을 갖추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생들의 의학연구에 꼭

필요한 시설 및 기자재 확충에 초점을 맞추어져야 한다.

한 예로 의학연구를 위해서 문헌검색, 자료 분석, 세미나 등이 가능한 학

생들의 연구공간이 필요한데, 기존의 강의실로 그러한 기능을 담당하기 어

렵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공간은 소그룹별 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연성 및 정보인프라를 갖춘 연구 공간을 신축 또는

개, 증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660m2 을 기준으로 10억 원 및 기자재

2억 원 등 총 12억 원이 소요된다고 가정할 경우 정부에서 6억 원, 대학에

서 6억 원 씩 분담하여 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5) 지원 방법(형태)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지원의 형태는 대학의 프로그램과 계획서를 평

가하여 일괄 지급하는 것과 교수별 연구계획서를 심사하여 차등지급하는

방법이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의·치전원(73.7%) 모두 대학 단위 일괄

지급에 동의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학위논문의 질적 보장과 정부 지원

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문에 응답한 교수들도 전반적으로 동의

한 바와 같이 대학의 학위논문작성 교육과정의 우수성, 대학의 학위논문작

성의 성과, 지도교수의 역량, 논문지도계획서의 우수성 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평가결과에 따라 차등지급하는 방안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

다. 또한 이러한 연구계획서, 연구과정, 연구성과 등을 평가하고 지급 기준

과 수준을 정하는 등의 학위논문작성 관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기구가 의·

치전원 협의회 산하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후 제안하는 '의학교육연구

소'의 한 부서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Page 14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35

나. 복합학위 과정1) 복합학위 과정 개편 방향 및 프로그램

가) 개편방향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의·치전원 도입 배경 중 하나는 현행 학사 단계

의 의학교육으로는 도입이 불가능한 의과학자(MD-PhD), 의법학자

(MD-JD), 의경영학자(MD-MBA) 양성 과정 등 다양한 석·박사 복합학위과

정 개설을 위해서 의학교육 단계를 대학원으로 상향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는 것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전공과의 복합학위 과정은 교과부의 이러한 취

지에도 부합하고, 의·치전원 체제를 특성화하고 발전시키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복합학위 과정은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프로

그램으로 의학교육이 환자를 보는 의사만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보

건의료정책, 세계 보건 의료에 선두 그룹에서 활약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

춘 다양한 의(과)학 및 의료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며, 나아가 국가의 발전에도 기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 다양한 복합학위 과정 도입

의·치전원 체제에서 기대하였던 다양한 전공의 복합학위 과정은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는 MD-PhD 과정 이외에는 전공자를 찾아보기 어렵

다. 복합학위 과정은 다양한 학부 전공자들이 본인의 학부전공을 의학과 연

계하여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좋은 제도임에도 대학이 충분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이 지닌 인프라를 충분히 활용한다면 미국의 선

진 의학교육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확인하였듯이 MD-MPH, MD-MPP,

MD-MBA와 같은 다양한 복합학위 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설문결과에서

도 이러한 과정이 개설된다면 등록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의

30% 정도로 어느 정도 학생들의 요구가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러한 과정은 4년의 의학교육 기간 동안 교육과정과 학사 일정을 조정하고,

Page 14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36 의과학자 양성 연구

추가로 필요한 과목과 학점들을 이수하도록 계획한다면 모든 의·치전원에

서 충분히 운영 가능한 제도라 할 수 있다.

(2) 대학 간 joint program 도입

HST(Harvard-MIT), UCSF-Berkeley program 등과 같이 별도의 학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의학과 공학 및 자연과학과의 융합을 유도한다면 두

분야의 학문의 병행 발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 또한

의·치전원 체제에서 가능한 시도이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최초 학생을 선발하는 곳에 모든 권한과 책임이 집중되어 있어서 권한과

책임의 분산 및 공유를 전제로 한 대학 간 joint program의 도입은 현 제

도 하에서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대학 내에서 복합학위과정을 도

입하고 실제 운용 결과 대학 간 joint program 개설의 필요성과 현실적인

수요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는 과정에서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하여 제도를

도입해 나가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에 고등교육법의 주요 개정

사항은 대학 간 joint program 도입이 가능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생 선발

과 교육, 그리고 학위 수여에 있어서 대학 간 공유를 가로막는 법적 조항을

제거 또는 수정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또는 앞서 제안한 바와 같이 의학전

문대학원 별도의 운영에 관한 사항을 법률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나) 프로그램

(1) MD-PhD 프로그램

MD-PhD 과정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2+3+2의 체제로 운영되고 있

다. 그러나 의과학자 양성을 목표로 모든 의전원이 의무석사학위 논문을 작

성해야 한다면, 2학년을 종료 후 PhD 과정에 입문하면서 연구과정에 돌입

하지 않고 의무석사학위생과 마찬가지로 1학년 1학기 때부터 지도교수를

배정받게 되어 입학과 동시에 연구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의전원 2년 기간 동안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이미 연구자로서 갖춰야 할 기

Page 14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37

본 지식과 능력을 의무석사학위과정에서 교육을 받은 후 PhD 과정에서는

바로 연구에 몰입할 수 있고, 첫 학기에 연구계획서를 발표하는 것이 가능

할 것이다. 또한 PhD 과정에서 이뤄지는 연구설계, 연구윤리, 실험방법론

등의 기초 지식을 필수과목으로 이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러한 과목

에 부여된 학점을 신규 교과목에 할애할 수 있다. PhD 과정동안 연구성과

를 학술지에 게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PhD 과정이 종료됨과 동시에 논

문을 완성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하다면 PhD 과정을 연장해서라

도 이어지는 의전원 교육에서 이중적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구분 내용 운영주체 비고

1학년 기초-임상통합과정 의전원 의무석사지도교수 배정시 PhD 지도교수 배정

2학년 기초-임상통합과정 의전원 연구를 위한 필수 과목 이수

3학년 PhD 과정 대학원 대학 여건 및 제도적 뒷받침 하에 타 대학 joint

프로그램 가능 /

연구계획서 발표 /

연구 진행4학년 PhD 과정 대학원

5학년 PhD 과정 대학원 논문심사 / PhD 과정을 마침과 동시에 논문 완료

6학년 임상실습 과정 의전원

7학년 임상실습 과정 의전원 의학-이학박사(M.D.-Ph.D.) 수여

표 73. MD-PhD 프로그램 예시

(2) MD-MPH 프로그램

MD-MPH 프로그램은 Tufts 의전원 모형을 도입해볼 수 있다. 40명이

정원인 대학의 경우 10%에 해당하는 4명을 MD-MPH 프로그램으로 선발

한다. 선발 시 학부 때에 보건통계, 공중보건학개론 등을 선수 과목으로 요

구하고, 선발된 학생들은 의·치전원에 입학함과 동시에 대학 내의 보건대학

원에 동시 입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별도의 'Extra Year'를 두지 않고 4년 내에 연구논문을 제외한 36학점을

이수하도록 한다. 18학점은 보건대학원의 공통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18

학점 중 6학점은 MD-MPH만 별도의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며, 12학점은

Page 14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38 의과학자 양성 연구

1~2학년 4학기 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공통과목은 보건대학원에서 담당하고, MD-MPH 학생만 이수하는 과목과

프로젝트 관리 등은 의·치전원의 예방의학 및 사회의학교실에서 담당하면

가능하다.

시기는 공통과목의 경우 1학기에 6학점씩 이수하여 2학년 1학기까지 이

수하도록 하고, MD-MPH 과목은 2학년 2학기와 3학년 1학기 때에 이수하

도록 한다. 프로젝트는 1-2학년 4학기 동안 1학기에 한 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젝트의 참여는 대학 내부 뿐 아니라

외부 연구도 가능하도록 하고,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논문은 3학년 때

에 작성하고 졸업 전까지 국내외 학회지 투고를 의무화하며, 이를 전제로

학위를 수여한다. 학위는 의전원 졸업 때에 같이 졸업하고, MPH 이외의

의(치)무석사학위는 수여하지 않는다. 학사과정은 5학기로 구성하고 6학기

는 별도의 비용 없이 논문연구만 진행하면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MPH를 취득한 학생들은 임상진료과를 거치든 거치지 않든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등 중앙정부의 보건의료 전문행정관료로 진출하

거나 보건소, 지방의료원 등 지역의 공공보건의료 및 지역보건행정의 핵심

인력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WHO와 연계체계를 맺어 WHO 진출도 가

능하리라 판단된다.

구분 내용 운영주체 학점 시기

공통과목

역학, 연구방법론, 건강증진론,

보건경제학, 보건행정및정책, 의료보장론,

보건기획및실천 등

보건대학원 18학점 1-1 ~ 2-1

MD-MPH과목

국제보건, 사회역학, 환경보건, 질병역학

의전원(예방의학

및 사회의학교실)6학점 2-2 ~ 3-1

프로젝트비교의료제도, 국제(북한)지원,

보건의료계획, 만성질환관리사업 등의전원 12학점 1-1 ~ 2-2

논문 작성 논문연구 의전원 6학점 3-1 ~ 3-2

표 74. MD-MPH 프로그램 예시

Page 14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39

2) 정책 제언

가) 대학당국

MD-PhD 뿐 아니라 다양한 복합학위 과정 운영을 위해서 대학은 다음과

같은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1) 학생 선발의 다양화

복합학위 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심을 가진 학생이 있어야 한

다. 입학 후 다양한 진로 프로그램이나 학생지도 과정을 통해 이를 유도할

수도 있지만, 학부 전공을 활용한다면 동기유발이 더 잘 될 수 있을 것이

다. 따라서 MD-PhD 과정과 마찬가지로 학생 선발 과정에서 MD-MBA,

MD-MPH 등의 과정으로 학생 선발 정원을 별도로 배정함으로써 학생 선

발방법을 다양화 하는 것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아울러 복합학위과정 학생

선발 비율을 점차 확대해 나가야 한다.

(2) 복합학위 운영을 위한 인프라 구축

관심을 가진 학생이 있더라도 대학이 복합학위 운영을 위한 인프라가 구

축되어 있지 않다면 발전할 수 없을 것이다. 복합학위 과정별 전공 분야 교

원을 확충하고, 교육과정 개발, 과정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에 대한 대

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나) 정부지원

(1) 복합학위과정 학생에 대한 재정적 지원

첫째, MD-PhD 과정에 대한 현재의 재정적 지원은 학생 1인당 수업료

명목의 장학금(연간 평균 2,000만 원)과 생활비로 연간 500만 원을 지원하

고 있다. 2012년 개선안에서는 생활비를 연간 1,000만 원으로 상향 조정

Page 15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40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하였지만, 이는 외국의 선진 의전원의 MD-PhD 과정 지원금의 규모에 비

교할 때 낮은 수준이다. 특히 외국 선진 의전원에서 공통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학생연구비의 지원이 전무한 실정이다. 외국 선진 의전원의 경우 장학

금 및 생활비, 연구비의 비율이 동일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을 감안

할 때 향후 MD-PhD 과정의 지원금은 학생 1인당 연간 수업료와 생활비

가 3,000만원, 학생 연구비가 3,000만원으로 약 6,000만원의 지원금이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의·치전원 대학들이 입학정원의 10% 내외로

MD-PhD 과정 학생을 선발한다고 가정할 때, 첫 해에는 40명에 대해

6,000만원을 지원한다면 24억 원의 지원금이 필요하며, 매년 24억 원씩

증가하여 마지막 학기인 7년 후에는 168억 원의 지원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MD-PhD 과정과 마찬가지로 MD-MBA, MD-MPH 과정 학생들에

대해서도 과정 독려와 연구 진행 등을 위해 재정적 지원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는 MD-PhD 의과학자 육성사업의 대상 범위를 확대 개편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MD-MPH 과정의 학생들은 MPH 수업료 연간 1,000만 원

중 50%는 학교에서 부담 또는 경감조치하고, 500만원은 정부가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총 10% 내외로 선발한다는 가정 하에 1년

에 대략 40명씩 2년에 걸쳐 500만원을 지원하고, 마지막 학기에 해당하는

40명에게는 한 학기에 해당하는 정부지원금 250만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계산할 때 연간 5억 원의 지원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복합학위과정 교육과정 개발 지원

MD-PhD, MD-MBA, MD-MPH 등 복합학위 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

대학은 별도의 교육과정을 연구하고 개발하여야 한다. 의·치전원 체제 유지

대학이 공동으로 교육과정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

록 제공한다면 대학별 소요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공 학생수가

많지 않다면,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대학 간 협력체제를 구축한

다면 대학이 소유한 자원을 공유하는 차원에서도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다.

Page 15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41

따라서 정부는 의·치전원 대학이 이러한 과정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도

록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현재 MD-PhD 공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지원하고 있는 연간 7,000만 원의 예산을 MD-MBA, MD-MPH 등의 복합

학위 과정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연간 1억 원으로 지원금을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3) 대학 간 Joint Program 운영을 위한 제도 마련

Joint Program으로 동일 대학이 아닌 타 대학과 공동으로 과정을 운영할

수 있을 경우 해당 대학의 장점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joint 프로그램을 운영하더라도 최초 입학한 대

학 또는 의·치전원에서만 학위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대학과 학생

들에게 가시적인 메리트가 없을 수 있다. 즉, 우리나라 고등교육법상 양 대

학의 학위를 공동으로 수여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 교육과정1) 교육과정 개편 방향 및 프로그램

가) 개편방향

우리나라의 의사양성 교육이 의·치과대학과 의·치전원의 두 체제로 확립

됨에 따라 이제는 의·치전원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학습대상이 고등학교 졸업생이 아니라 학부를 전공한 완전한 성인 학습자

라는 특성을 인식하고 여기에서 오는 차이점을 도출하고, 교육목표를 재설

정해야 하며, 여기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편해야 한다.

학부졸업생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생과 달리 연령 및 대학생활의 경험으로

인해 보다 성숙함을 보이고 있고, 책임감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며, 학부 때

Page 15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42 의과학자 양성 연구

의 학습 경험으로 인해 추상적 사고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BMJ,

2007). 또한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지금까지 지속되어 왔던 ‘물고기를 가져다주거나’, ‘떠먹여주

는’(spoon feeding) 교육이 아니라,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는’, ‘스스로

배움이 일어나는’ 교육이 되도록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1) 교육목표 설정

의·치전원 체제로 전환하면서 의·치과대학 시절의 학부 체제가 전문대학

원 체제로 변경되었고, 교육적, 사회적, 국가적으로 대학원 수준의 교육을

기대하고 있다.

현행 의·치과대학 체제는 일차진료의사의 양성이 유일한 목적인 반면,

의·치전원 체제는 일차진료의사의 양성 뿐 아니라 의·치전원 교육을 통해

의과학자 양성이라는 또 다른 목표를 부여받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

명해보면, 현행 의·치과대학 교육의 일차적 목적은 졸업 후 병의원 등 의료

현장에서 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일차진료의사를 양성하는 것으로서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직업교육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의·치전원 체제는 일차진료의사의 양성이 기본적인 교

육목적일 뿐 아니라 입학생의 배후 학문 기반이 충분히 발휘되어 의료분야

에서 다양한 역할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 의료인의 양성이 또한 중

요한 교육 목적이 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양성 목적과

의지가 교육목표 속에 반영 되어야 한다.

(2) 학부와 의·치전원 연계 과정(Bridge Course)

의·치전원의 입학생들은 MEET 또는 DEET, 선수 과목 이수 등 학생 선

발에서 필요한 자격을 갖추고 입학하지만, 정규 의학교육과정에 입문하기

전에 학부와 의·치전원 과정을 연계하는 프로그램(Bridge course)이 필요

하다. 학부의 전공이 다르고, 지식의 이해 수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

Page 15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43

를 보정해 주는 과정이 필요하며, 의료전문직(medical professionalism)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의·치전원

간 공동 프로그램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호주의 Western Australia 대학교

의 경우 총 26주의 과정이 있으며, Melbourne 대학교의 경우에도 1~2주

정도의 과정을 두고 있다.

(3) 기초의학-인문사회의학-임상의학 간 완전한 통합 교육

최근 의학교육은 기초, 인문사회, 임상 의학의 교육과정이 분리되어 운영

될 경우 의학교육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충분하게 달성하기 어렵고, 기

초의학 지식적 지식도 임상과 연계될 때 산지식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선진 의전원의 경우 해부학을 2년의 전 과정에서

교육받도록 하고 있는 것도 이와 상통한다. 기존의 교육과정에 기초할 경우

기초의학이 종료되고 임상의학에 입문하면,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교육받은 시간들이 사장되고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비교육적이고 비효율

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조기노출의 맥락에서도 알 수 있듯

이 기초-임상 간의 벽을 허물고 완전 통합교육과정을 실현하는 것이 교육

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초 임상 간

완전한 통합교육을 통해 꼭 배워야 할 핵심 지식만을 연계하여 가르치고

교육기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면, 의학 연구 과정이나 복합학위 과정 등

의·치전원 체제의 특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임상실습 교육의 변화

3학년은 핵심임상실습과정(core clinical clerkship) 중심으로 운영하고,

4학년 과정은 선택임상실습과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영한다. 선진 의전

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의학 교육은 핵심 부분을 확실하게 교육한 후 선

택 과정이나 인턴쉽 과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의·

Page 15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44 의과학자 양성 연구

치전원 임상실습 교육은 3학년에서 핵심적인 임상실습을 진행하고, 4학년

때에 선택과정과 인턴쉽 과정을 도입하여 인턴에 준하는 강도 높은 임상실

습을 운영한다면, 최근 꾸준하게 논의되고 있는 인턴과정의 단축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실습 교육방법으로는 질환 중심, 긍정적 환자-의사관계 형성, 그리고

장기간의 추적 관찰 등을 강조하는 'longitudinal approach'를 시도할 수

있다. 즉, UCSF 의전원이나 Harvard 의전원과 같이 학생 1명당 여러 명

의 지도교수가 학생을 관리하고, 장기간에 걸쳐 환자의 관찰, 진단, 치료,

추적 관찰을 할 수 있도록 일정을 관리 및 교육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도

입 및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5) 강의 시간 축소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최근 의학 교육은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식

을 전달하는 강의 중심의 교육방법을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의·치전원 학생의 경우 이미 다양한 방법의 학부 교육과정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토론 및 협동학습 등을 골간으로 한 소

그룹 학습에 대한 적응이 쉽고, 스스로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가 높다. 따라

서 강의 중심의 교육 시간을 축소하더라도 스스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학습

을 진행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판단에 기

초할 때 향후 의학 교육은 학생들에게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강의 시간을 축소하되, 소그룹 활동에 기초한 다양한 교

육방법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개편해 나가는 것이 교육의 효과와 효율을 높

이는 방법일 것으로 보인다.

(6) 자율학습 시간의 확대

강의 시간의 축소는 자율학습 시간의 확대와도 연결된다. 의·치전원 학습

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교육 효과의 향상을 위해서 자율학습 시간 확대는

Page 15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45

필수적인 요소이다. 스스로 학습하고 자신을 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성인 학습자의 특성이기도 하다. 자율학습시간의 확대로 의·치전원 교수들

은 기존의 지식 전달자에서 학생들이 어떤 방향으로 학습을 진행해야 할지

를 고민하고 학생들에게 학습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조력자의 역할이 강

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7) 임상 조기 노출

1학년 기초의학, 2학년 임상의학, 3~4학년 임상실습이라는 전통적인 의

학교육의 방식을 벗어나서 1학년 입학과 동시에 모의 환자를 통해 임상 사

례에 조기 노출을 시킴으로써 왜 의학을 공부해야 하는 지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키도록 해야 한다. 임상 조기 노출은 현재 대부분의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시뮬레이션 센터를 1학년 교육에서부터 적극 활용하고, 충분한 모의

환자를 확보하여 상시로 실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1학년

의 경우 환자와 소통하는 기술 등 의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소양이 갖

추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8)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

외국의 선진 대학들이 강의 시간을 축소하고 학생들 간의 협동과 소그룹

학습을 강조하면서 사례를 통해 학습하고 토론하고 자연스럽게 임상과 연

계되도록 하고 있다. 이제는 모든 대학이 필수로 하고 있는 PBL을 넘어서

Tufts 의전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Introduction to Clinical Reasoning' 등

과 같이 임상추론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임상 사례 중심의 소그룹 학

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의학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9) 평가방법의 변화

평가방법은 교육방법과도 연계성이 있다. 강의 위주의 교육은 필기시험으

로 평가할 비율이 높다. 하지만 강의를 축소하고 사례 중심의 소그룹 협동

Page 15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46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학습을 강조한다면, 평가도 이러한 소그룹 학습을 평가하는 것이 되어야 한

다. 대부분의 선진 대학들이 1, 2학년 과정에서 소그룹의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소그룹 단위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성취도를 Pass/fail로 평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서열과 성적 편향적

인 학습태도를 갖춘 문화에서는 당장 도입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적 문제가

존재하지만, 의·치전원 체제의 교육과정 혁신을 위해서는 꼭 고려해야 할

개편방안 중 하나이다. 특히, 연구 과정 및 복합학위 과정을 활성화하여 의

과학자 양성체제를 강화하고자 하는 의·치전원 체제의 목적에 비추어볼 때

소모적이고 경쟁적인 학습 환경을 지양하는 방향으로 의·치전원 교육과정

을 개편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판단된다.

나) 프로그램

앞서 제시한 의·치전원 체제의 교육과정 개편 방향에 맞춰 학년별 교육과

정을 구성하고 편성 예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의학 교육과정은 브릿지 코스

를 도입함으로써 학생 선발이 이뤄지는 시점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학생선발 시점에서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브릿지 코

스를 4주 이상으로 편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의학

학습방법, 선수과목의 수준, 의학의 기초 지식 등을 보정해 줄 수 있다. 이

과정은 학사일정 등 여건이 비슷한 대학에서 동시에 시행하거나 프로그램

은 공동 개발하되,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1학년 과정은 의학 교육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초의학 지식의

습득을 위한 토대 구축(Foundation) 과정으로서 최소 시간의 기초의학 시

간을 편성하면서 2학년까지의 전 과정을 기초-인문사회-임상 간 교육이

완전하게 통합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강의시간은 오

전 또는 오후로 하루 3~4시간 이내로 배치하되, 나머지 시간은 PBL,

TBL, ICR 등 사례 중심의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또

한, 이러한 교육과정은 의학 연구 과정 및 복합 학위 과정 등과 연계를 고

Page 15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47

려하여 시간이 배치되어야 한다. 3학년에는 핵심임상실습을 진행하고, 4학

년에는 선택임상실습을 수행하여 다양한 임상 분야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또한 인턴쉽을 통해 임상 경험을 강화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함으로써 졸업 후 진로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13. 교육과정 구성 편성 모형

2) 정책 제언

가) 대학당국

의·치전원 체제를 통해 일차진료의사의 양성과 동시에 질 높은 의과학자

양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치전원 체제의 맞는 의학 교육과정의 개편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대학 당국이 대학의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 수업별 학습 성과를 검토하고, 입학생들의 수준과 요구도

를 분석하여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

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선행 검토를 통해 개편방향을 고려하되 대학의 여

건에 맞는 개편 작업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의·치전원 체제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개편은 짧은 시간에 교육 일정을

Page 15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48 의과학자 양성 연구

바꾼다고 달성될 수 있는 성격의 문제는 아니다. 오히려 학내 구성원 간 지

속저인 논의에 기초하여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했을 때만 완성되고 실행

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학 내 관련 부서에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고 실제 교육과정 개편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학 당국이 인적

물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외국 사

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의·치전원 교육 과정 개편을 위해서는 대학 당국

의 많은 노력과 막대한 투자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질 관리 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구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현재 대학 내에 의학교육 관

련 위원회가 설치, 운영되고 있는데, 위원회 등을 통해 교육과정 개편에 기

초 및 임상 교수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집행력을 갖출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나) 정부지원정책

(1) 의·치전원 체제 하의 교육과정 개발 지원: 공동 의학교육연구소 설치

의·치전원 체제에 맞는 의학 교육 개편이 추진되고 실질적인 의·치전원

교육의 성과로 가시화되기 위해서는 의·치전원 교육과정개발 및 평가를 위

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의·치전

원 간에 상호 교육 경험을 공유하고 의·치전원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이 필요한데, 컨소시엄 구성 및 운영에 대한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치전원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대학 간에 공동으

로 ‘의·치전원 의학교육연구소’를 구축하고, 각 의·치전원의 교육 역량이 결

합하여 의·치전원 체제 정착 및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데, 초기 정착 및 일정 기간 동안 안정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정부 지원

Page 15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49

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설문조사에서 보면, 교수나 학생이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

나, 교육과정은 변화하였는데 교수법이나 평가방법 등에서는 변화를 인식하

는 정도가 낮았다. 향후 의전원에서 교육과정이 변화할 경우 우선적으로 고

려해야 할 것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이 다양한 교수법의 도입과 강의법

과 같은 교수법과 관련된 것이었다. 따라서 의전원 교수들이 의전원 학생들

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변화에 부합하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와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또한 복합학위과정이나 Joint

program 등 다양한 교육모형을 운영할 경우에 의·치전원 교수 이외에도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수가 함께 참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들 분

야의 교수들에 대한 교수법 개발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의·치전원 의학교육연구소’에서 추진

해야 할 공동 연구 주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의·치전원 공동의 과정평가 및 결과(졸업 포함)에 대한 성과지표 개발

* 의·치전원 체제 발전을 위한 의학교육 프로젝트 추진

* 상호 공유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학생지원 정책

등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 의·치전원 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학문 분야 교수의 교수법 개발 연구

* 의·치전원 체제 발전을 위한 연구 지원 및 새로운 제도의 도입 방안

연구 지원

* 강의 및 학점 교류 지원을 위한 Open Course Ware 개발

* 의무석사학위논문 관리 및 지원

‘의·치전원 의학교육연구소’는 의·치전원장협의회 산하 기구로 두고, 박사

급 연구원 1인과 석사급 연구원 2인, 행정 사무원 1인 등 총 4인으로 구성

하여 운영하는 데에 연간 3억 원(인건비 2억 원, 운영 및 개발비 1억 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Page 16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50 의과학자 양성 연구

(2) 다양한 전공 출신 학생의 학부 및 의·치전원 연계 지원

다음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생이 의·치전원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

고, 학생들의 의·치전원 적응을 돕기 위한 입학 전 교육과정으로 브릿지 과

정을 대학 간 공동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한 정부 지원이 요구

된다.

의·치전원 체제가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결합이 강화될수록 기존의 고등

학생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의·치과대학 체제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운 다부

문적이고 통합적인 의료인 양성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국가적 측면에서

의료의 질 향상과도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결합을 강

화하여 학문의 발전과 교육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기

본적인 정책 방향과도 일치한다.

따라서 정부 지원을 통해 브릿지 과정이 도입, 운영된다면, 의·치전원 학

생을 선발하는 단계부터 정규 학사 과정이 시작되기 전 단계까지 다양한

적응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학생의 질을 향상시키고 대학이나 정부가 목표

로 하는 방향의 인재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브릿지 과정에

대하여 연구용역 방식으로 정부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의·치전원 체제를 유

지하기로 한 대학 간에 공동 프로그램의 운영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의·치전원 의학교육연구소’가 설치될 경우 연구소에서 브릿지 과정의 운영

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정원을 고려할 때에 400명 정도가 이 과정

에 참가한다고 했을 때 일인당 25만 원의 교육비를 계상할 경우 매년 1억

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3) 시뮬레이션센터 신/증축 지원

사례기반학습 및 자기주도학습을 기본으로 한 의·치전원 교육이 본 궤도

에 오르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센터를 신축하거나 기존의 임상술기의 훈련

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시뮬레이션센터를 개, 증축해야 한다. 의·치전원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핵심적인 인프라라는 점에서 대학의 역할이 요구되

Page 16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정책 대안 및 제언 151

기 때문에 대학과 매칭 펀드 방식의 정부 예산 지원이 요구된다. 지원은 한

꺼번에 이루어지기 보다는 일 년에 1-2개씩 단계적으로 확대하되, 사전에

계획서를 받아서 대학에서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고 있는지, 센터 시설의 규

모와 내용은 적절한지, 모의환자 구성을 포함한 운영계획이 충실한지를 평

가하여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센터 신축 비용이

1650m2를 기준으로 25억 원(3.3m2 건축비 500만 원)이고 기자재 비용 10

억 원 등 35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될 경우 17억 5천만 원은 대학당

국이 부담하고 나머지 17억5천만 원을 정부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Page 16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52 의과학자 양성 연구

라. 정부 지원 요약지금까지 살펴본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정부 지원이 필요한 항목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세부 항목 지원 내용

의학연구과정

의(치)무석사학위 과정의 제도적 지원의·치전원 운영에 관한 사항 제정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관련 법률 제정

의(치)무석사학위 학생 연구를 위한 실험·실습비 연간 20억 원 지원

의(치)무석사학위 지도교수 학생 연구 지도비 연간 12억 원 지원

의(치)무석사학위 학생 대비 지도교수(교원)수 확보단계적 확보 계획 마련 (교수 대 학생비율 1: 4 조건 충족)

의학연구과정 개발 및 유지비 지원 연간 8억 원(8개 대학) 4년간 지원

학생연구 인프라 구축 연구 공간 확충비 50% 6억 원 지원

복합학위과정

MD-PhD 지원학생 1인당 연간 6천만 원(장학금 및생활비 3천만 원 + 연구비 3천만 원)

MD-MPH 지원 연간 5억 원 지원

교육과정

의전원 의학교육연구소 설치, 운영 연간 운영비 3억 원 지원

브릿지 과정 개발, 운영 연간 운영비 1억 원 지원

시뮬레이션센터 신/증축 신/증축비 50%, 17억5천만 원 지원

표 75. 정부 지원이 필요한 정책 항목 및 내용

Page 16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연구방법 및 추진현황 153

7. 요약 및 결론

과학기술 논문에서 의학 분야 논문의 점유율이 전 세계 의학 분야 논문

점유율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며, 주요국의 학문분야별 과학연구의 영향

력 분석 결과를 보면 의·약학 분야의 질적 수준이 가장 떨어진 것으로 나

타날 정도로 우리나라 의학 분야 연구 역량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러

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 주요한 원인 중 하나가 일차진료의사 양성 목적의

현행 의·치과대학 체제에 있다고 하겠다. 현행 의·치과대학 체제로는 의과

학자 양성에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졸업 후 교육이 전문의 양성에 초

점이 맞추어져 있는 상황에서 의·치과대학에서 기본적인 연구 역량을 갖추

지 않는 한 졸업 후 대학원 과정을 통해 기본 연구 역량을 갖추어 나가기

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의·치전원은 연구 역량 강화의

대안으로서 첫째, 배후 학문 전공의 고등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

에 의과학자(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한 체제라는 장점이

있고, 졸업 후 기본 연구 역량을 갖춘 인력을 배출함으로써 졸업 후 전문의

수련 과정 및 대학원 과정과 연계가 수월하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학원생의 학부 경험(전공)을 존중하고 발전시켜 의과학적 연구기반을 갖

출 수 있도록 의·치전원의 전체 교육과정 내에서 연구능력을 강화할 수 있

는 연구과정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치전

원 체제의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의·치전원

체제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지원 정책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관련 문

헌과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였고, 미국의 우수 의전원을 방문조사 하였으

며,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정책에 관한 설문조사와 전

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토대로 의·치전원 제도 발전을 위한 정책 방안을 다음

Page 16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54 의과학자 양성 연구

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의과학자 양성 연구·교육프로그램의 핵심인 의(치)무석사학위과정

을 위해 학위논문 제출을 제도적으로 의무화하도록 법령을 개정하고, 이에

수반되는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의(치)무석사학위 과정을 위한

지원금의 구성 범위로 학생 연구활동의 내실화를 위한 학생 연구 실험·실

습비와 지도교수의 학생지도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고, 의학연구과정을 개

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운영비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단계적 접근이 필요

하다. 지원형태는 특별기구를 설치하여 대학의 역량과 성과, 연구계획서 등

을 심사하여 차등 지원하고, 성과 지표로서 학술지 게재 등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MD-PhD 복합학위과정은 선진 의·치전원과 비교하여 학생 연구비

가 따로 지급되지 않는 실정이므로 수업료 및 생활비와 동일한 비율의 학

생 연구비를 지원해야 한다. 또한 의·치전원의 특성을 살려 MD-MBA,

MD-MPH와 같은 다양한 복합학위과정의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권고하

고, 이러한 복합학위 교육과정 개발 및 대학간 Joint Program을 운영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의·치전원 체제 하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수법을 연구 및 실행

하기 위해 의·치전원 협의회 산하에 ‘의·치전원 의학교육연구소’를 설치하여

야 한다. 연구소는 의·치전원 공동의 과정평가 및 결과(졸업 포함)에 대한

성과지표 개발, 의·치전원 표준 교육과정 개발, 의(치)무석사학위 논문 과정

평가 및 지원, 의·치전원 체제 발전을 위한 의학교육 프로젝트 추진, 교수-

학습 자료 개발, 학생지원 정책 등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의·치전원 체제

발전을 위한 연구 지원 및 새로운 제도의 도입 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

하고 실행해 나가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정책 방안이 현실화된다면 의·치전원 체제를 통해 일차의료인력의

양성 뿐 아니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기본 인프라의 구축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보이며, 의·치전원이 향후 의학연구중심대학(Research Centered

Page 16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연구방법 및 추진현황 155

Medical School, RCMS)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의·치전원 협의회와 교과부 및 관련 기관이 상호 협력을 강화하

고 공동의 실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Page 16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56 의과학자 양성 연구

Page 16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57

부 록

Page 16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58 의과학자 양성 연구

Page 16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59

1. 의학연구과정

가. Stanford 의과대학1) Medical Scholars Research Program

- 풀타임 기준으로 4쿼터로 구성

- 학생은 “Medical Scholar Research 370”에 등록해야 함

- 학생은 faculty research advisor과 함께 Medical Scholar Research

에 등록해야 함: 각 학생은 Stanford faculty advisor를 두고 있음

- 각 quarter 단위로 $12,000 funding (학생을 위한 지원임)

- 풀타임으로 한쿼터를 진행할 수도 있고 조금씩 나눠서 진행할 수 있음

- MD-PhD 학생은 지원 불가능

- 실험 연구만 지원 (조사나 관찰 연구 등은 지원 안함)

- 학생들이 계획서를 작성하여 지원하고 심사를 통하여 선정

- 선정된 학생은 공인된 국제 학회 또는 Stanford Medical Student

Research Symposium에서 구연, 포스터 발표를 통해서 결과를 발표하고

결과 보고서를 제출해야 됨

- 해당 프로그램의 재원은 자발적인 개인 기부자 등에 의해 마련됨. 기

부자가 원할 시 함께 저녁 만찬을 가질 수 있음

2) Research assistantship

- 해당 대학교수의 실험실에서 대당 교수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서 매 쿼

터마다 50%에 해당하는 시간을 연구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음

- Directed research : 일주일에 세 시간 정도의 연구를 한 유닛 정도의

Page 17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6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코스웍으로 인정

3) Scholarly Concentrations : Research course/MD thesis

- Scholarly Concentration: 모든 학생은 졸업을 위해서 이 과정을 수료

해야 함

- Scholarly Concentration 과정은 주로 연구 관련 프로그램이 많으나

꼭 기초 연구만은 아니고 보건, 통계, 역학 등에 해당하는 내용도 있음

- 교내 및 교외 장학금으로 구성

나. Yale 의과대학과 Johns Hopkins 의과대학1) 개설목적

Yale Johns Hopkins

ResearchCourse

의학 연구 전략과 환자 중심의 연구 방법,

grant proposal 쓰기, 과학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학 등을 배우기 위함이다.

의생명과학 또는 공중보건연구를 경험하여

이들 분야로 진출하는 것을 고려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

MD thesis

졸업논문을 실시하는 목적은 탁월한 판단력을

키우고, 자율적인 학습 습관을 기르며,

과학적인 방법을 의학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실험실에서 연구에 전념하여 졸업논문

작성하기

2) 운영형태: 필수과정/선택과정

Yale Johns Hopkins

ResearchCourse

필수 필수

MD thesis 필수 선택

Page 17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61

Yale Johns Hopkins

연구 환경 최소 1년간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권장 교수 실험실

예산 및 조달 방법

1) 하계연구지원금

2) 단기학생연구지원금

3) 1년 학생연구 지원금 등 다양

9~10주간 $3,000 장학금을 지급. 학교 주변의

숙소 제공, 셔틀버스 제공

Yale Johns Hopkins

Researchcourse

개설교과목생물통계,

논문 검색Summer Research Rotation

thesis 개설교과목 Thesis Lab Thesis Lab

3) 개설학년/시기/기간

Yale Johns Hopkins

ResearchCourse

개설학년 1 1

MD thesis 1학기 여름 학기

기간 1년 1년

thesis

개설학년 1 3

시기 1학기 1학기

기간 졸업전 다양한 선택

4) 연구관련 개설교과목, 교육내용, 부여학점

5) 학생 연구 및 실험을 위한 환경, 예산 및 조달방법

Page 17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62 의과학자 양성 연구

다. 하버드 치과대학1) 교육과정

- 4년 DMD 프로그램: 정원 35명; 모든 교육과정은 통합되어 있고 PBL

교육을 지향한다. 1-2학년 동안 많은 수업을 Harvard Medical School 학

생들과 함께 받는다.

- 1학년 (기초학): 세포 수준에서 시작하여 인체를 이해하는 교육이 제공

된다(유전학, 생리학, 미생물학, 면역학). 1월 한 달 동안 역학, 공중보건학,

학생연구과정소개 수업이 진행된다. 1학년 시작 첫 2주 동안 장래 치과의

사에게 필요한 오리엔테이션을 제공한다.

- 2학년 (병리학): 2학년 시작은 2주간의 약리학개론으로 시작된다. 인체

여러 장기의 병의 원인과 소견을 배우게 되며 방사선학 수업도 진행된다.

- 3학년 (기본 임상): 교합, 부정교합, 치과치료가 강의식 수업의 근간을

이루며 학생들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진단과 치료를 시작한다. 학생들의

임상증례 발표도 필수이며 구강보건정책, 보건윤리, 치과경영에 대해서도

다루어진다.

- 4학년 (고급 임상): 학생진료실에서 계속 환자를 진료하며 심미수복,

임플란트, 통증조절 등에 대해서 배운다. 임상과를 순회하며 진료하고 또

선택과목을 공부한다.

2) 의학연구과정

- 5년 DMD 프로그램: DMD 학생들에게 심층 연구의 기회를 제공함

- DMD/MBA 프로그램: 5년 과정을 통해 DMD 학위와 함께 Harvard

Business School로부터 MBA 학위를 취득하게 함

- Health Sciences and Technology(HST)/DMD 프로그램: 장래에 의생

명과학 연구자가 되고자 하는 신념이 있는 학생들이 밟는 과정

Page 17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63

- DMD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논문을 작성

해야 함

- 1학년 때 연구방법론 수업을 들으며 지도교수 선택 등에 대해 Office

of Research의 도움을 받음

2. MD-PhD 과정

가. Duke 의과대학 MD-PhD 과정1) 목적

의생명분야와 임상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능력을 갖춘 의과학자 양성하기

위해 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 (MSTP) 운영함

2) 학생선발방법(자격요건, 선발인원수 등)

- 자격요건: MCAT 시험점수

- American Medical College Application Service (AMCAS) 접수

- Duke University 접수 (접수시 MSTP 과정임을 명시)

- 추천서 4장

- 고급 과학/수학 과목 수강 및 연구 경험 우대

- 면접시험

- 선발인원수: 8~12명/년

Page 17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64 의과학자 양성 연구

3) 교육기간 및 형태

- 7~8년으로 평균 7.5년 정도 소요

- 형태

• 1년차: 기초 의학 과목 수강

• 2년차: 임상 의학 과목 수강 및 6개 주요 과 임상실습

• 3년~6년차: PhD 과정

• 7년차: 임상 의학 과정 (선택 과 실습외)

4) 개설교과목, 교육내용, 부여학점

- 1년차: 1) 세포분자학 (Molecules and Cells)

2) 인체학 (Normal Body)

3) 뇌와 행동학(Brain and Behavior)

4) 인체와 질병 (Body and Disease)

- 2년차: 1) 임상 과목 오리엔테이션

2) 임상 실습 (주요 6과)

• 내과 (Medicine; 8주)

• 외과 (Surgery; 8주)

• 산부인과 (Obstetrics and Gynecology; 6주)

• 소아과 (Pediatrics; 6주)

• 가정의학과 (Family Medicine; 4주)

• 신경과 (Psychiatry; 4주)

3) 임상 주제 세미나

4) 임상 수업 (각 과 rotation 사이 1주일씩; 5주)

• 임상 추론 (clinical reasoning)

• 의료 팀 방문 (healthcare team visits)

• 학제간 주제 세미나 (interdisciplinary topics)

• 기초과학 (basic science)

Page 17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65

• 임상실습 기술 (clerkship skills)

- 3년~6년차: 1) PhD 프로그램

2) 선택과목 (임상 실습 (continuity clinic) 청강; 매주 1일 오후)

3) 6년차 임상실습 (continuity clinic) 선택; 1달

- 7년차: 1) 선택 과 rotation

2) 학생 인턴제 (subinternship)

3) 임상 실습 (continuity clinic)

4) 총론

5) MD-PhD 과정 진행을 위한 전담기구

- MSTP 위원회 (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 Committee)

- 학생연구 및 실험을 위한 환경, 예산 및 조달방법, 1인당 연구지원금액

- 전 학생 장학금, 건강보험료, 및 생활비 지급 (미국립보건원 (NIH)

training grant)

- (2011~2012년의 경우 $79,269/년= 학비/보험료 $51,584 + 생활비

$27,685)

• MD 과정: 학교 지급

• PhD 전반기: 학교 지급

• PhD 후반기: 지도교수 지급

Page 17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66 의과학자 양성 연구

나. Stanford 의과대학1) 목적

- 스탠포드 대학은 MD-PhD 과정 외에도 MD/MBA, MD/MPH,

PhD/MSM 등 다양한 복합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음 (이들 과정은 스탠

포드 대학 안에서 이뤄질 수도 있고, UC 버클리 등 외부 대학과 연계과정

도 있음)

- 특히, 선발된 우수 학생들을 의과학자로 육성하기 위해 MSTP는

MD/PhD 학생들을 위한 교육 과정 외에 재정적 지원을 위한 구조 및 학생

선발 등도 담당함

- MD과정으로 입학한 학생도 중간에 MD-PhD 과정 진입 가능함 (내부

지원 통해)

-MD-PhD 과정은 전문학위 과정과 Bioengineering, Biomedical

informatics (이 두 전공의 인기가 높음), 및 13개 분과의 생명과학

(Biochemistry, Biology, Biomedical Informatics, Biophysics, Cancer

Biology, Chemical and System Biology, Developmental Biolgy,

Genetics, Immunology, Micorobiology and Immunology, Molecular and

Cellular Physiology, Neurosciences, Structural Biolgy) 중 선택함.

2) 학생선발방법(자격요건, 선발인원수 등)

- MD only 지원 경우와 동일하게 다음 과정을 거쳐 지원함: 스탠포드

의과대학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American Medical College Application

Service (AMCAS)를 통해서 접수해야 함(접수시 MSTP 과정임을 명시).

- 별도로 MSTP 위원회에 서류를 보낼 필요는 없음.

- MCAT 시험점수 필요.

- 학부에서 연구 경험자 우대

- 8-10/년 선발, 이중 1-2명은 내부 지원자 선발

Page 17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67

- 내부지원자: MD 과정생 중 MD-PhD 과정 진입 가능함

3) 교육기간 및 형태

- 평균 교육 기간: 7년 (6-8년), 대부분의 경우 마지막임상실습 1-2년을

앞두고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마침

- 처음 1-2년의 MD 교육과정 후 Part I(NBMLE) 통과 후 박사연구과정

에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임

- 프로그램 구조: 통합, 탐험, 유동성 (integration, exploration,

flexibility)

1) 프로그램에 개인 최적화가 이 제도의 특징임

2) MD와 PhD 각 학위를 위해 필요한 것은 모두 감함 없이 요구함

3) 일반적인 학술학위 과정 학생에게 요구되는 Lab rotation을 대체함

으로 기간 단축

<초기>

- 1학년: MD과정 수업으로 주로 이뤄짐. 1학년 시작 전 여름 쿼터부터

향후 선택이 유력한 전공 실험실 생활 가능. 가을쿼터에는 “Chair

Lunches” 를 통해 각 기초 및 주요 임상의학 교실의 주임교수와 상담 시

간을 매주 가짐. 겨울쿼더에는 유력한 전공 후보 교실의 잠정적인 지도교수

들과 면접 시간을 가짐.

- MTSTP 퇴수회(리트릿)에 참석하여 선배 학생 뿐 아니라 과정 담당자

들과 시간을 가짐. 따라서, 1학년 과정 중 주로 기초의학 수업을 수강하면

서 동시에 향후 학위 논문을 수행할 수 있는 실험실과 지도교수에 대한 충

분한 정보를 얻음.

- 이 정보를 근거로 1학년 말에는 잠정적인 논문지도교수를 선정하고 1

Page 17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68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학년을 마친 후 여름 학기에는 전일제 연구자로 실험실에서 공부하게 된다.

<중기>

- 2학년 가을 쿼터부터 봄 쿼터까지 MD과정의 코스웍을 수료함. 2학년

의 봄 quarter부터 전통적인 MD과정의 coursework에서 벗어나 PhD 과정

을 수행함. 이 기간 중 임상 실습은 박사학위과정 및 논문을 마칠 때까지

연기됨.

- 2학년 말 봄 quarter를 마칠 때 MD-PhD 학생도 일반 MD-과정학생

과 동일하게 NBMLE를 치룸(시험 통과 후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

적)

- 이후 2년차 말부터 5년차 말까지의 학위 과정은 전통적인 일반대학원

의 박사학위과정과 유사함.

<말기>

- 박사학위를 마치고 보통 6학년 겨울이나 봄쿼터에 다시 임상 실습과정

에 진입함.

4) MD-PhD 진행과정/방법, 평가방법 등

- Phd과정은 일반대학원과 유사. 학위 defense 완료 후 실습과정으로

복귀함.

5) 학생연구 및 실험을 위한 환경, 예산 및 조달방법, 1인당 연구지원금액

- 전학생 등록금 및 급여 지원. 평균적으로 5년은 NIH fund로 지원받고

1년은 실험실에서 지도교수 지원함.

Page 17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69

다. Yale 의과대학과 Johns Hopkins 의과대학 MD-PhD 과정1) 목적

Yale Johns Hopkins

- 1969년에 처음 도입

- 예일의대는 전통적으로 의대생들로 하여금 제대로 된

연구를 진행하여 공개 발표하고 학위논문을 출판하는 것

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의대생은 자기 주

도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대학원생이 되어야 한

다. 이러한 Yale의 전통의 핵심이 M.D.-Ph.D. Program인

것이다.

-1959년도에 몇 명의 의과대학생들이 MD 교육과정을 잠

시 중단하고 기초의학교실에서 실험실 연구를 수행하면

서 시작

- 죤스 홉킨스 의대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은 기초 및

의생명연구의 미래 지도자를 훈련하고 교육한다. 프로그

램은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학생을 모집하여 높은 수

준의 교육, 훈련, 경험을 통해physician-scientists를 배양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학생선발방법 (자격요건, 선발인원수 등)

Yale Johns Hopkins

- 자격: 연구 경험을 지닌 미국 시민 또는 영주권자.

- 인원: 의대생의 12% 정도로 매년 12명의 학생을 선발,

2010년 9월 현재 86명의 학생이 MD-PhD 과정에 등록되

어 있음.

- MCAT

- 의대에 지원서를 제출. MD-PhD 지원학생들은 이 지

원서에 MD-PhD 지원 의향을 명기하게 되고 본인이 어

떠한 연구 분야 에 관심이 많은가를 에세이 형식으로 제

- 연구경험을 증빙할 수 있는 학부 교수로부터의 추천장

3개가 필수

- 이틀간의 심층면접을 통해 연구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큰 학생을 선발함.

- 인원: 의대생의 10%

- MCAT

- 추천서 및 기타 서류

- 1박 2일의 심층면접을 통해 연구 경험이 있거나 관심

이 큰 학생을 선발함.

3) 교육기간 및 형태

Yale Johns Hopkins

1-4-3 또는 2-4-2 2-3-2 또는 2-4-2

Page 18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70 의과학자 양성 연구

4) 개설교과목, 교육내용, 부여학점

Yale Johns Hopkins

- 수업은 다음 8개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

- Biological and Biomedical Sciences Program (BBS):

1.Computational Biology and Bioinformatics

2.Immunology

3.Microbiology

4.Molecular Biophysics and Biochemistry

5.Molecular Cell Biology, Genetics and Development

6.Neuroscience

7.Pharmacological Sciences and Molecular Medicine

8.Physiology and Integrative Medical Biology

- 정기적으로 “evening discussions" 개최

- 매년 MD-PhD 수련회 개최

- 다음 프로그램 중에서 선택:

1. Biochemistry,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2. Biological Chemistry

3. Biomedical Engineering

4. Human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5. Immunology

6. Cellular and Molecular Medicine

7. Molecular Biophysics

8. Neuroscience

9. Pharmacology and Molecular Sciences

10. Pathobiology

11. Cellular and Molecular Physiology

12. Functional Anatomy and Evolution

13. History of Science, Medicine and Technology

- 기타 연구윤리, 심화 임상 순환, 연구계획서 작성법 등

5) MD-PhD 진행 과정/방법, 평가 방법 등

Yale Johns Hopkins

임상교수들이 기초교실에 겸직되어 MD-PhD 과정생을

공동 지도

- 교육은 여러 교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진행함.

- 강의

- 소형 토론 모임

- 실험실 순환

- 세미나, 연례 수련회

- 논문 공개 발표

- 지도교수 지도에 따른 실험실 연구

Page 18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71

Yale Johns Hopkins

- NIH 지원 프로그램: 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 (MSTP)

- 등록금 전액

- 의료보험료

- 생활비

($21,180/2010-2011)

- 실험실 입실 후에 생활비 증가

($30,200/2010-2011)

- NIH 지원 프로그램: 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 (MSTP)

- MSTP 지원을 받지 못하는 학생은 학교 장학금 지급

- 등록금 전액

- 의료보험료

- 수당

($21,180/2010-2011)

- 실험실 입실 후에 수당

증가

($27,535/2010-2011)

6) 학생 연구 및 실험을 위한 환경, 예산 및 조달방법, 1인당 연구지원금액

라. Harvard 치과대학 DDS-PhD 과정- UCSF DDS 프로그램과 PhD 프로그램(Oral and Craniofacial

Sciences, Bioengineering, Bioinformatics, Epidemiology 중 1개 선택)을

통합하여 clinician scientist를 양성하기 위함

- 기간: 8년 이상. 첫 3년은 DDS 과정 → 이후의 5년 과정 동안 학생들

은 20% 시간을 임상에 80% 시간을 PhD 과정 연구에 할애

Page 18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72 의과학자 양성 연구

3. 미국 주요 의과대학 연구․교육 프로그램 방문조사

가. 세부 일정1) 7월 7일(목)

Time Activity

12:00 noon San Francisco 도착

14:00 pm 숙소 도착

17:00 pm - 19:00pm UCSF 미팅 전략 회의

2) 7월 8일(금) : UCSF 방문

Time Meeting Location

9:00 am – 10:00 am

Kevin H. Souza, MS

Assistant Dean for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of Educational

Technology

Kanbar

Center

10:00 am – 10:30 amChandler Mayfield

Director of Technology Enabled LearningS-176

10:30 am – 10:45 am Break

10:45 am– 11:00 am

Sam Hawgood, MBBS

Dean of the School of Medicine

Vice Chancellor for Medical Affairs

S-224

11:00 am – 12:00 noonHelen Loeser, MD, MSc

Associate Dean for CurriculumS-226

12:00 pm – 1:00 pm

Lunch

Amin Azzam, M.D.

Director, Contextually-Integrated Case-Based Curriculum for the

UCB-UCSF Joint Medical Program

Ann Stevens, M.D.

Clinical Professor, Joint Medical Program

S-226

1:00 pm – 2:00 pmKevin Shannon, M.D.

Director, 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S-226

2:00 pm – 3:00 pmPatricia G. Calarco, PhD

Dean, Graduate DivisionS-226

3:00 pm Adjourn

Page 18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73

3) 7월 9일(토)

Time Activity

9:00 am – 12:00 noonUCSF 방문 결과 종합회의

Turfts 미팅 전략 회의

4) 7월 11일(월) : Turfts 방문

Time Meeting

9:30 am – 11:00 am

Dr. Anthony Schlaff, head of the MPH program

(Conference Room 1 : in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Community

Medicine)

11:00 am - 12:00 am Dr. Amy Kuhlik, a med. school dean. School curriculum for years 3 and 4.

12:00noon – 1:00 pm Lunch

1:00 pm – 3:00 pm Rounding

4:00 pm - 7:00 pmTurfts 방문 결과 종합회의

Harvard 미팅 전략 회의

5) 7월 11일(월) : Harvard 방문

Time Meeting

10:00 am - 11:00 pm Faculty Affairs Dean

12:00noon – 1:00 pm Lunch

1:00pm– 2:00pmMedical Education Dean

(Downtown MGH)

3:00 am - 4:00 pm Rounding

4:00 am - 7:00 pmHarvard 방문 결과 종합회의

방문결과 종합논의

Page 18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74 의과학자 양성 연구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견조사 설문지 (교수용)

의·치전원 교수님께

2005년 의·치의학 전문대학원이 출범한 이래로 제도 정착을 위해 모든 대학들이 상

당한 노력을 경주해 왔으며, 2011년 현재 의전원 5개 대학과 치전원 3개 대학이 전문대

학원 체제를 유지키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의전원 체제를 완전히 정착화하고 유

지 발전시키기 위한 본격적인 시도를 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아래의 설문은 전문대학원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체제 유지 및 발전을 위

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설문 결과는 향후 의전원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것입니다. 교수님의 고

견을 8월 31일(수)까지 회신주시기 바랍니다.

응답 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어떠한 용도로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리며,

성심껏 응답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1년 8월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책과제 책임자 신익균

가천, 강원, 건국, 동국, 제주 의학전문대학원장

부산, 서울, 전남 치의학전문대학원장

※ 각 질문을 읽고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하거나, 의견을 적어주십시오. 특히 주관식으로

의견을 물어보는 항목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초조사

1. 대학 :

2. 성별 : □ 남자 □ 여자

3. 전공 : (세부전공 : )

4. 직급 : □ 교수 □ 부교수 □ 조교수 □ 전임강사

□ 기타 ( )

Page 18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75

Ⅰ. 교육과정

1.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교육과정에 변화가 있었습니까?

□ 그렇다 (1-1번으로) □ 아니다(1-2번으로)

1-1) 가장 큰 변화는 무엇입니까?

1-2) 변화가 없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 귀 대학의 의·치전원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1) 만족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교육방법에 변화가 있었습니까?

□ 그렇다 (3-1번으로) □ 아니다(3-2번으로)

3-1) 가장 큰 변화는 무엇입니까?

3-2) 변화가 없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4. 의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치·의전원 학생에게 수업을 하시면서 느끼신 차이점이 있었습니

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4-1)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습니까?

Page 18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76 의과학자 양성 연구

5. 의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의·치전원 학생에게 임상실습교육을 실시하시면서 느끼신 차이점

이 있었습니까? (임상교수님만 응답하십시오)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5-1)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습니까?

6.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학생평가방법(시험문제)에 변화가 있었습니까?

□ 그렇다 (6-1번으로) □ 아니다(6-2번으로)

6-1) 가장 큰 변화는 무엇입니까?

6-2) 변화가 없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7. 의·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교육시설이 개선되었습니까?

□ 그렇다 (7-1번으로) □ 아니다(8번으로)

7-1) 어떤 교육시설이 개선되었습니까?

8. 앞으로 의·치전원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더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 그렇다 (7-1번으로) □ 아니다

8-1) 앞으로 의·치전원 교육과정 변화에서 더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2, 3 순위를 써 주십시오.

➀ 강의법의 개선 ➁ 다양한 교육방법의 적용

➂ 성적 평가 방식의 변화 ➃ 학습목표의 수준 조정

➄ 자율학습시간의 확대 ➅ 학생의 배경 지식(선수 학습의 정도)에 대한 파악

Page 18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77

➆ 기타 ☞

*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

Ⅱ. 의학연구과정(의무석사학위논문작성과정)

▶ 의학연구과정은 의전원 4년 교육과정(MD 과정) 중 의무석사학위논문작성과정

(이하 학위논문작성)이나 의학연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1. 귀 의·치전원은 의무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하고 있습니까?

□ 그렇다(1-1번과 1-2번으로) □ 아니다(2번으로)

1-1) 의무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하고 있다면 필수입니까? 선택입니까?

□ 필수이다 □ 선택이다

1-2) 귀 대학의 학위논문작성과정 운영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 귀 의·치전원 교육과정에 학위논문작성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3. 학위논문작성 과정이 의·치전원과 의과대학 교육을 차별화하는 요소라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4.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현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5. 학생들의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지도교수로 참여할 의사가 있습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6.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블럭단위(1~2개월의 논문 집중 기간)의 기간을 교육과정 내에 편성하

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7.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필요하다면 수학연한을 연장(1년 정도)하도록 권유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Page 188: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78 의과학자 양성 연구

8. 학위논문작성은 언제 시작해서 언제 종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예) 시작 : 1학년 1학기, 종료 : 3학년 2학기

☞ 시작 : □ 학년 □학기 ☞ 종료 : □학년 □학기

9. 논문작성이 아니더라도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방학을 이용한 Summer research

program, research elective course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9-1) 필요하다면 어떤 내용들이 현실적으로 운영 가능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예. 연구설계법, 연구윤리, 글쓰기, 자료 검색법 등의 강의와 실습)

10. 학위논문을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회지에 발표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11.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12.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정부가 지원을 한다면 어떤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대학단위의 일괄지원(대학에서 일괄지원 받아 학위논문과정에 사용)

□ 연구계획서 등 심사를 통한 교수 개인별 지원(연구재단 등의 연구비 지원방식과 동일)

□ 기타 ☞

13.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정부 지원금 항목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고 가정하고, 그 중요도를

각각 표시해 주십시오. 추가 항목이 있다면 빈 칸에 적어주시고, 중요도를 표시해 주십시오.

Page 189: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79

지원금 항목중요도

←매우 중요 중요하지 않음→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학생실험·실습비 5 4 3 2 1

지도교수의 학생 논문연구 지도비 5 4 3 2 1

논문작성 과정 운영비 (프로그램 평가 및 관

리, 워크숍, 세미나 개최, 결과보고회 등) 5 4 3 2 1

☞ 추가하고 싶은 항목 :

5 4 3 2 1

☞ 추가하고 싶은 항목 :

5 4 3 2 1

14. 학위논문작성과 관련하여 정부의 지원을 받을 경우, 지원 기관(또는 지원 교수)을 선정할

때 평가되어야 할 항목을 다음과 같이 가정하고, 각 항목별로 그 중요도를 표시해 주십시오.

Page 190: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80 의과학자 양성 연구

선정 시 고려 항목중요도

←매우 중요 중요하지 않음→

대학의 학위논문작성 교육과정의 우수성 5 4 3 2 1

대학의 학위논문작성의 성과(학위논문을 학

진 등재후보지 이상의 저널에 발표, 학회 구

연, 포스터 등 발표)

5 4 3 2 1

지도교수의 역량(연구업적, 학생지도 경험

등)5 4 3 2 1

논문지도계획서의 우수성 5 4 3 2 1

☞ 추가하고 싶은 항목 :

5 4 3 2 1

☞ 추가하고 싶은 항목 :

5 4 3 2 1

Ⅲ. 복합학위과정

▶ 복합학위과정(combined degree)은 MD-PhD, MD-MPH(Master of Public

Health), MD-MBA 등 의학학문과 타 학문 전공을 동시에 이수하는 것으로 미국을

비롯한 외국에서는 일반화된 과정이다.

1. 귀 대학은 MD-PhD 이외에 복합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습니까?

□ 그렇다(1-1번으로) □ 아니다(1-2번으로)

1-1) 귀 대학의 MD-PhD 이외에 복합학위과정 운영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1-2) 귀 대학의 MD-PhD 이외에 복합학위과정이 개설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 복합학위과정이 의전원과 의과대학 교육을 차별화하는 요소라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3. 복합학위과정을 위해 현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4. 복학학위과정을 위해(MD-PhD 과정은 예외) 필요하다면 수학연한을 연장(1년 정도)하도록

Page 191: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81

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5. 복합학위 과정을 동일 대학이 아닌 타 대학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예. PhD 과정은 타 대

학에서 이수)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Ⅳ. 정부 지원

1. 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 만족하십니까?

(현재 발표된 지원책 : 의·치전원 재정 지원, MD-PhD 육성 지원, 국립대 교수 정원 증

원 등)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 의전원 체제 유지 및 발전을 위해 정부가 어떠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필요한 지원내용을 자유롭게 기술해 주십시오. 추가하고 싶은 항목이 있다면 빈 칸에

적어주십시오.

Page 192: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82 의과학자 양성 연구

항목 지원 내용 기술

의전원 간 공동 교육과정

평가 및 질관리

의학연구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정책

복합학위과정 운영을 위한

위한 지원정책

기타 의전원 체제 유지를

위한 지원정책

☞ 추가하고 싶은 항목 :

☞ 추가하고 싶은 항목 :

☞ 추가하고 싶은 항목 :

☞ 설문에 성심껏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Page 19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83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견조사 설문지 (학생용)

의·치전원 학생에게

2005년 의·치의학 전문대학원이 출범한 이래로 제도 정착을 위해 모든 대학들이 상

당한 노력을 경주해 왔으며, 2011년 현재 의전원 5개 대학과 치전원 3개 대학이 전문대

학원 체제를 유지키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의전원 체제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하고 향후 완전한 의전원 체제를 정착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아래의 설문은 전문대학원 특성화를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체제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설문 결과는

향후 의전원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것입니다.

학생들의 귀중한 의견을 8월 31일(수)까지 회신주시기 바랍니다.

응답 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어떠한 용도로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리며,

성심껏 응답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1년 8월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책과제 책임자 신익균

가천, 강원, 건국, 동국, 제주 의학전문대학원장

부산, 서울, 전남 치의학전문대학원장

※ 각 질문을 읽고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하거나, 의견을 적어주십시오. 특히 주관식으로

의견을 물어보는 항목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초조사

1. 대학 :

2. 성별 : □ 남자 □ 여자

3. 학부전공 :

4. 학년 :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Page 194: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84 의과학자 양성 연구

Ⅰ. 교육과정

1. 대학의 치·의전원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1-1) “(전혀) 그렇지 않다” 만족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 대학의 교육과정이 타 대학과 비교하여 차별화(특성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1) “(매우) 그렇다”로 차별화 되었다고 생각한다면, 차별화된 부분은 무엇입니까?

2-2) “(전혀) 그렇지 않다”로 차별화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대학 교수님의 교육방법에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3-1) “(전혀) 그렇지 않다” 만족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4. 귀 대학 교수님의 임상실습 교육(지도)방법에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4-1) “(전혀) 그렇지 않다” 만족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5. 귀 대학의 학생평가방법(시험문제)에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5-1) “(전혀) 그렇지 않다” 만족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Page 195: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85

6. 귀 대학의 교육시설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6-1) “(전혀) 그렇지 않다” 만족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7. 앞으로 치·의전원 교육과정 변화에서 더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2, 3 순위를 써 주십시오.

□ 강의법의 개선 □ 다양한 교육방법의 적용

□ 성적 평가 방식의 변화 □ 학습목표의 수준 조정

□ 자율학습시간의 확대 □ 학생의 배경 지식(선수 학습의 정도)에 대한 파악

□ 기타 ☞

Ⅱ. 의학연구과정

▶ 의학연구과정은 의전원 4년 교육과정(MD 과정) 중 의무석사논문작성과정(이하 학위

논문작성)이나 의학연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1. 귀 대학은 의무석사 학위논문을 작성하고 있습니까?

□ 그렇다(1-1번과 1-2번으로) □ 아니다(2번으로)

1-1) 의무석사 학위논문을 작성하고 있다면 필수입니까? 선택입니까?

□ 필수이다 □ 선택이다

1-2) 귀 대학의 의무석사학위논문과정 운영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 치·의전원 교육과정에 학위논문작성을 의무화(필수)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1)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학위논문작성 과정이 치·의전원과 의과대학 교육을 차별화하는 요소라고 생각하십니까?

Page 196: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186 의과학자 양성 연구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3-1)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4.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현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5.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블럭단위(1~2개월의 논문 집중 기간)의 기간을 교육과정 내에 편성하

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6. 학위논문작성을 위해 필요하다면 수학연한을 연장(1년 정도)하도록 권유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7. 학위논문작성은 언제 시작해서 언제 종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예) 시작 : 1학년 1학기, 종료 : 3학년 2학기

☞ 시작 : □ 학년 □학기 ☞ 종료 : □학년 □학기

8. 학위논문작성이 아니더라도 의학연구능력 강화 프로그램(방학을 이용한 Summer research

program, research elective course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8-1) 어떤 내용들이 교육되어지기를 바랍니까?

(예. 연구설계법, 연구윤리, 글쓰기, 자료 검색법 등의 강의와 실습)

Ⅲ. 복합학위과정

Page 197: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lib.msip.go.kr/libtechupload/IM010573.pdf본 보고서를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 · 교육 프로그램

부 록 187

▶ 복합학위과정(combined degree)은 MD-PhD, MD-MPH(Master of Public

Health), (Master of Medical Public Policy), MD-MBA 등 의학학문과 타 학문 전공을

동시에 이수하는 것으로 미국을 비롯한 외국에서는 일반화된 과정이다.

1. 학생은 MD-PhD 과정을 이수하고 있습니까?

□ 그렇다(1-1번으로) □ 아니다(1-2번으로)

1-1) 대학의 MD-PhD 이외에 복합학위과정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1-2) 대학에 MD-PhD 이외에, 4년의 의전원 과정 중 복합학위과정(MD-MPH, MD-MPP,

MD-MBA 등)이 개설된다면 등록할 의향이 있습니까?

□ 그렇다 □ 아니다

2. 복합학위과정이 치·의전원과 의과대학 교육을 차별화하는 요소라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2-1)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복합학위과정을 위해 현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4. 복학학위과정을 위해(MD-PhD 과정은 예외) 필요하다면 수학연한을 연장(1년 정도)하도록

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5. 복합학위 과정을 동일 대학이 아닌 타 대학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예. PhD 과정, MBA 과

정 등은 타 대학에서 이수) 것에 동의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

☞ 설문에 성심껏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