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5.354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Home Fall Prevention Checklist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박은옥 * , 장인순 ** 제주대학교 * , 한국성서대학교 ** Eunok Park([email protected]) * , Insun Jang([email protected]) ** 요약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낙상환경위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 다. 예비문항은 20인의 관련 전문가에 의한 CVI(내용타당도 지수)를 사용한 내용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52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을 위해 65세 이상 재가노인 299명에게 자료 수집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사자간 신뢰도는 1개 문항을 제외한 51개 문항에서 모두 kappa 값이 0.8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인정되었고, 재조사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일치율은 45개 문항에서 모 두 80.0% 이상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도 낙상군과 비낙상군간에 낙상환경위험평가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입증되었다(t=3.50, p=.001).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낙상예방을 위한 더 안전한 환경의 개발과 관련된 추후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중심어 :노인낙상환경위험도구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home fall prevention checklist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hecklist were tested.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content validity by twenty experts using the CVI(Content Validity Index).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content validity, 52 items of the checklist were developed. Responses of 299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analyzed to further establish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ecklist. Reliability using cohen's kappa coeffici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rate of concordance(%)), and construct validity using known-group comparison technique were tested. 51 items were over 0.80 in the cohen's kappa coefficient of the checklist, 45 items were over 80.0% in test-retest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known-group comparison(t=3.50, p=.00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hecklist were confirmed. This checklist will help further studies to develop more safe environment to prevent falls. ■ keyword :AgedAccidental FallsChecklist* 본 논문은 2012년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노인의 낙상위험평가도구 개발 및 실태조사] 과제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보고서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일부는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률과 관련요인] 논문에서도 활용되었음을 밝힙니다. 접수번호 : #130222-001 접수일자 : 2013년 02월 22일 심사완료일 : 2013년 04월 04일 교신저자 : 장인순, e-mail : [email protected]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5.354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Development of the Home Fall Prevention Checklist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박은옥*, 장인순**

제주 학교*, 한국성서 학교**

Eunok Park([email protected])*, Insun Jang([email protected])**

요약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 연구이

다. 비문항은 20인의 련 문가에 의한 CVI(내용타당도 지수)를 사용한 내용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52문항을 선정하 다. 최종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검정을 해 65세 이상 재가노인 299명에게 자료

수집을 실시하여 분석하 다. 그 결과 조사자간 신뢰도는 1개 문항을 제외한 51개 문항에서 모두 kappa

값이 0.8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인정되었고, 재조사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일치율은 45개 문항에서 모

두 80.0% 이상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도 낙상군과 비낙상군간에 낙상환경 험평가 수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입증되었다(t=3.50, p=.001).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낙상 방을

한 더 안 한 환경의 개발과 련된 추후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중심어 :∣노인∣낙상환경위험∣도구∣

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home fall prevention checklist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hecklist were tested.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content validity by twenty experts using the

CVI(Content Validity Index).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content validity, 52 items of the

checklist were developed. Responses of 299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analyzed to

further establish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ecklist. Reliability using cohen's kappa

coeffici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rate of concordance(%)), and construct validity using

known-group comparison technique were tested. 51 items were over 0.80 in the cohen's kappa

coefficient of the checklist, 45 items were over 80.0% in test-retest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known-group comparison(t=3.50, p=.00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hecklist were confirmed. This checklist will help further studies to develop more safe

environment to prevent falls.

■ keyword :∣Aged∣Accidental Falls∣Checklist∣

* 본 논문은 2012년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노인의 낙상 험평가도구 개발 실태조사] 과제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 으며, 해당 보고서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사용하 습니다. 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일부는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률과 련요인] 논문에서도 활용되었음을 밝힙니다.

수번호 : #130222-001

수일자 : 2013년 02월 22일

심사완료일 : 2013년 04월 04일

교신 자 : 장인순, e-mail : [email protected]

Page 2: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낙상은 65세 이상 노인에게 흔한 건강문제 하나이

다. 노인의 낙상은 골 , 뇌손상, 사회심리학 기능장

애 등 각종 심각한 손상을 래하며, 입원 등으로 인한

기능제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요한 보건

문제 하나이다[1].

낙상은 갑작스러운 마비나 발작 외압에 의해 넘어지

는 것을 제외하고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자세 변화로

인해 몸이 더 낮은 치로 넘어지는 사건으로[2] 일반

으로는 균형을 잃고 넘어져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

가 지면 는 바닥에 닿는 상황을 의미한다.

세계 으로 볼 때, 65세 이상의 노인들 가운데 약

28-35%가 매년 낙상을 경험하며 70세 이상에서는

32-42%로 올라간다. 낙상의 빈도는 연령이 높아지고,

허약한 수 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한다. 매년 장기요양

소에서 요양 인 노인들의 30-50%는 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이 가운데 40%는 반복 으로 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국내의 2011년도 노인실태조

사에 따르면, 노인의 21.0%가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 낙상으로 인해 병원치

료를 받은 경우는 72.4%이고, 낙상으로 인한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경우는 47.4%이었다[4]. 이 듯 낙상은 직

인 신체 손상으로 이환율, 사망, 부동, 입원, 응 실

방문, 장기요양시설의 조기입소 등을 래할 뿐만 아니

라 낙상에 한 두려움, 자신감 상실, 의존, 보행의 제

한, 자율성의 상실, 혼란한 상태, 우울증 등으로 삶의 질

을 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2][3][5][6].

Tinetti와 Kumar[7]는 체계 문헌고찰로 지역사회

에 거주하는 노인의 낙상 험요인으로 이 낙상경험,

균형감 하, 근력 약화, 시력문제, 4개 이상 는 정신

계 약물복용, 보행 어려움, 우울, 기증 는 체 성

압, 기능 제한, 일상생활 제한, 80세 이상, 여성,

체 , 요실 , 인지장애, 염, 당뇨병, 통증을 제시하

고, WHO[3] 은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에 련된 험

요인으로 생물학 험요인과 행동 험요인, 환경

험요인, 사회경제 험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

하 다. 낙상과 련하여 생물학 , 행동 험요인 뿐

만 아니라 최근에는 사회경제 요인을 고려하여 소

득층을 상으로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도 했다[1][8]. 노

인의 낙상에는 환경 험요인이 기여하는 바가 크다.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낙상을 경험한 장소

는 도로 는 공원 등 실외가 56.0%로 가장 많았고, 계

단, 화장실/욕실, 방, 거실/마루, 부엌 등 집안의 장소가

35.9% 정도로 나타났고, 낙상 이유로 바닥이 미끄러워

서가 29.8%, 문턱에 걸려서가 8.2%, 사람이나 사물에

부딪 서가 5.7%, 경사가 해서가 3.4%, 조명이 어두

워서 0.8% 등 환경 인 요인이 47.9%로 보고되었다[4].

이와 같이 낙상은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30-50%까지 사

고를 일 수 있는 방 가능한 건강문제일 수 있다[9].

환경 험요인들은 개인의 신체 조건들, 주택 내

험들, 공공환경의 험한 양상 등을 포함한 주 의

환경과의 상호작용들을 포함한다. 이 험요인 그 자체

만으로는 낙상의 원인이라고 말할 수는 없으나 이 요인

들이 다른 요인들과 상호작용하거나 사람이 험한 환

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험요인이 된다. 환경 험요

인에는 좁은 계단, 미끄러운 계단의 표면, 고정되어 있

지 않은 깔개, 그리고 불충분한 조명 등이 포함된다.

한 실내의 턱이나 계단, 미끄러지기 쉬운 바닥, 신발,

기코드, 의 턱이나 계단 등도 험요인이 된다[3].

한 낙상 방을 한 환경 재는 단순한 물리

환경의 조 보다는 각 개인의 특이 인 상황과 환경간

의 합성을 고려해야 하며, 각 개인의 기능 제한 상

태에 근거한 환경 개조에 을 두어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최 화할 수 있는 재방법을 모색하고

용해야 함을 지 하 다[1][8][10].

American Geriatrics Society and British Geriatrics

Society에 의한 노인 낙상 방 가이드라인[6]에서도 환

경 해 요인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것은 여러 성공 인

낙상 방 로그램에서 권유되고 있으며, 이 낙상

경험이 있거나 낙상의 험이 있는 노인을 상으로 집

안 환경을 평가, 추 찰,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 다. 한 로그램 내용으로 문가에 의한 집안

험 요인 평가, 험 요인 완화 혹은 제거, 안 장치

도입(계단 난간 설치, 욕실에 가로 막 설치), 조명 개

Page 3: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5356

선 등을 포함하 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서 집안 환

경평가와 재요법은 단독 요법으로는 낙상 방의 효

과가 연구마다 일치하지 않았으나, 다요인 재요법

의 한 부분으로서는 그 효과는 분명하다고 평가하 다.

지역사회 거주 허약노인을 상으로 진단 가정방문,

가정 험요인 사정, 가능한 변화에 한 조언, 가정환

경 변화에 필요한 기구 제공, 보조기구 사용에 한 훈

련 등을 포함한 재 후 무작 통제 실험연구에서 낙

상경험에 통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도 있었다

[11]. 이 듯 낙상과 련된 환경 험 사정은 낙상과

련된 험요인을 발견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이 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낙상환경 험요인을

평가 도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Lim, June과 Yoon[5]

은 가정환경 험 평가를 해 조명, 마루바닥과 장 ,

욕실과 화장실, 부엌환경, 난방과 냉방, 개인안 , 집밖

출입, 방출입의 8개 항목을 선택하여 평가하 다. 이와

같이 연구자의 단에 의해 필요한 가정환경 험요인을

선택하여 평가하는 방법도 있지만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거나 그 내용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주로 많이 사용된

국외의 낙상환경 험 평가도구로는 Tideiksaar[12]가

개발한 Home Environmental Checklist[1][13][14],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15][16]에서 낙상 험에

한 가정용 검표[17], Josephson, Fabacher와

Rubenstein[18]이 개발한 Checklist for home fall

hazard 내용[8][19][20] 등이 있다.

낙상과 련된 생물학 , 행동 , 환경 , 사회경제

험요인들이 복합 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므로 이들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낙상 험요인을 악하는 것이

요하다. 그러나 환경 험요인 악 시 국외에서

개발된 도구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좌

식생활 등의 주거 특성이 정확히 반 되지 못했거나 일

부 환경에 한 선택 문항으로 평가했던 한계가 있었

기에 우리나라 가정환경의 구조 , 기능 특성을 고려

한 재가 노인의 낙상환경 험요인을 평가하기 한 도

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가 노인의 거주 환경에

합한 낙상환경 험요인을 평가하기 한 도구를 개발

함으로써, 효율 인 낙상 방 리를 한 기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의 낙상환경 험평

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

론 연구이다.

그림 1. 연구진행 절차

Page 4: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7

2. 도구개발과정2.1 예비문항 구성단계2.1.1 비문항 선정

낙상환경 험요인 평가도구 개발을 하여 국내외에

서 개발된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와 련된 문헌을 검

토하여[1][5][8][12-22] 연구 에서 집주변 계단, 집주변

도로, 출입문 주변환경, 집안 환경, 욕실 화장실, 부

엌/주방의 하부 역, 총 70문항의 낙상환경 험평가 도

구 안을 만들었다.

3년 이상의 방문건강 리사업 경력을 가진 방문 간호

사 7인과 간호학 공 2인의 실무자 자문회의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의 거주 환경에 한 문항이 되도록 총

70문항의 안 문항에서 반복되거나 비슷한 내용을 제

외하는 등의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비 낙상환경 험

평가 도구를 총 57 문항으로 구성하 다. 하부 역별로

는 집주변 계단 11문항, 집주변 도로 5문항, 출입문 주

변 환경 5문항, 집안 환경 15문항, 욕실 화장실 12문

항, 부엌/주방 9문항이었다.

2.1.2 내용타당도 검정

비문항으로 선정된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 총 57

문항에 해 경력이 3년 이상인 간호사 10인과 련

공 교수 10인의 문가를 상으로 우리나라의 낙상환

경 험평가 문항으로 타당한지 내용타당도를 2차에 걸

쳐 조사하 다. 각 문항의 타당도 정도는 ‘매우 타당하

다’ 4 , ‘ 체로 타당하다’ 3 , ‘별로 타당하지 않다’ 2

, ‘ 타당하지 않다’ 1 으로 하여 내용타당도 지

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산출하 다. 내용타

당도 지수(CVI)가 50.0% 이하이면 내용타당도가 없다

고 단하고 80.0% 이상이면 내용타당도가 높다고

단하기에[23] 80.0% 이상 되는 문항만을 선정하 으며,

10일 후 동일한 문가에게 1차 문가 내용타당도 검

정 후 수정, 삭제된 54문항에 해 2차 문가 내용타당

도 검정을 실시하여 역시 내용타당도 지수(CVI)가

80.0% 이상 되는 문항만을 선정하 다. 두 번의 문가

자문회의 후 연구진과 실무 문가의 검토를 거쳐 최종

52개 문항의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를 완성하 다.

2.2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단계2.2.1 연구 상

상자 수는 G-power 3.1 로그램을 활용하여 산정

하 을 때, two-independent samples t-test로, 유의수

.05, 보통 효과크기 .30, .95의 검정력을 해 필요한

표본수는 각 집단별 136명으로 총 272명이었다. 본 연

구에서는 제주시 지역 분포를 고려하여 재가노인 300

명을 상으로 가정방문 찰 면 조사를 실시하

다. 구체 인 상자 기 에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으

로 가정방문을 허락한 자로 설문응답이 불가능할 정도

로 인지기능이 낮은 노인의 경우는 제외하 다. 상자

에게 자발 인 참여와 함께, 원한다면 연구 기간 에

참여를 단할 수 있음을 알리는 등 사 에 면 지침

에 의거하여 조사자 교육을 실시하 고, 상자의 익명

보장과 설문 결과는 본 연구만을 해 사용될 것을 설

명한 후 서면동의를 받았다. 300명의 조사 상 가운데,

응답이 불성실한 1부를 제외한 299명을 분석에 이용하

다. 모든 자료수집은 J 학교에서 IRB의 승인을 받

은 후 이루어졌다(IRB 승인번호 2012-16).

2.2.2 조사자간 신뢰도 조사

내용타당도 조사를 거쳐 수정 보완된 52개 문항의 낙

상환경 험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실태조사에 참여할

경력 3년 이상의 방문간호사 5인과 조사자간 신뢰도를

악하기 해 조사에 참여할 간호사 1인을 상으로

교육훈련을 실시하 다. 각 문항의 응답 기 을 마련하

고, 조사자간 일 성을 유지하도록 돕기 해 조사

지침서를 만들어 배포하 다. 한 교육훈련을 통해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문항은 일부 수정 보완하 다.

교육효과를 확인하기 해 교육 후 상자 찰을 시

행 할 방문간호사와 연구간호사가 2인 1조로 짝을 이루

어 새롭게 개발한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로 노인 상

자 5명의 가정을 방문하여 각자 그 험도를 평가, 기록

하고 수를 비교하 다. 이 때 두 명의 찰자 간 낙상

환경 험평가 수가 차이가 나지 않을 때까지 훈

련하 다.

매 방문시 해당지역 방문간호사 1인과 연구간호사 1

인이 짝이 되어 총 63가구를 함께 방문하여 조사하 으

Page 5: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5358

며, 조사 후 문항별 응답의 일치도를 확인하고자 하

다. 조사자간 신뢰도 조사는 9월 10일부터 9월 28일까

지 실시하 다.

2.2.3 조사-재조사 신뢰도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는 각 하부 역별 상황을

악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사-재조사 신뢰도를

측정하 다. 조사-재조사 신뢰도를 측정하기 해 조사

상자 1차 조사 후 특별히 환경이 변하지 않은

상 51명을 임의 선정하여 조사 시 에서 1개월 이내에

재방문하여 낙상환경 험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응답의

일치율을 산출하 다.

2.2.4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본 연구의 목 과 내용 주의사항에

해 교육을 받은 조사자가 가구방문을 하 으며, 상자

에 따라서 직 기재하거나, 질문지를 읽어주고 응답하

거나 직 찰 등 일 일 면 을 통해 수집하 다. 조

사기간은 조사자간 신뢰도 조사를 해 9월 10일부터 9

월 28일까지 조사하 고, 본 조사는 10월 10일까지 실

시하 고, 조사-재조사 신뢰도 측정은 10월 26일까지

재방문하여 조사하 다.

2.3 자료분석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 에 따라 SPSS window

version 18.0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1) 상자의 일반 인 특성, 낙상 련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 편차를 이용하 다.

2) 비도구의 내용타당성 검증은 내용타당도 지수

(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산출하 다.

3)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의 조사자간 신뢰도 검증

은 Cohen's kappa coefficient를 이용한다.

4)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의 신뢰도는 조사-재조사

방법을 통하여 일치율을 산출하 다.

5)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하여 최근 6개월 이내 낙상 유무에 따른 집단비

교법(t-test)을 실시하 다.

Ⅲ. 연구 결과

1. 예비도구의 내용타당도 검정1차 문가 내용타당도 조사에서는 문항별로 내용타

당도 지수(CVI)와 자문의견에 근거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 다. 한 의미상 반복되거나 합쳐질 수 있는

항목도 수정하 다.

하부 역별로 ‘집주변 계단’에서는 내용타당도 지수

가 모두 80.0% 이상 되었으나 2문항을 다른 문항과 합

쳐도 될 것으로 단되어 11문항에서 9문항으로 수정

하 다.

구체 으로 ‘계단의 난간이 설치되어있습니까?’와 ‘계

단의 난간이 흔들리거나 부서진 부분이 있습니까’가 합

쳐져 ‘계단의 난간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흔들리거나

부서진 부분이 있습니까’로 수정되었고, ‘계단이 무

가 릅니까’와 ‘계단의 한 단의 높이가 무 높습니까’

가 합쳐져 ‘계단의 한단의 높이가 무 높거나 가 릅

니까’로 수정되었다.

‘집주변 도로’에서는 ‘집 앞 길이 좁습니까?’ 문항이

내용타당도 지수가 70.0%로 나타나 삭제하 으며, ‘집

앞길의 경사’에 한 질문의 필요성이 언 되어 연구진

의 논의 후 ‘집 주변에 경사가 심해 내려갈 때 험한

길이 있습니까’의 한 문항이 추가되어 최종 5문항이 되

었다. 한 집주변 도로의 범 를 언 해주는 것이 필

요하다는 의견을 반 하여 ‘집 밖 외부에 설치된 분리

수거나 음식쓰 기를 버리는 곳까지 정도의 범 로 한

정하여 단’이라는 설명을 추가하 다.

‘ 문 주변’에서는 내용타당도 지수가 모두 80.0% 이

상이었고, 역시 문 주변에 한 범 가 필요하다는

지 에 따라 문에서 집으로 들어가는 길, 마당을 포

함하며, 아 트 출입구의 경우는 아 트 동(건물)에 들

어가는 곳에서 본인 호까지 가는 환경을 포함하도록 하

다.

‘집안(방, 거실)’에서는 내용타당도 지수가 모두

80.0% 이상이었고 일부 문장에서 질문의 의도가 명확

하지 않은 것들을 수정하 고 최종 문항은 그 로 15문

항이었다. 수정된 문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명

스 치의 근이 쉬운 곳에 있습니까’를 ‘집안에 들어왔

Page 6: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9

을 때 등스 치를 바로 켜기에 어려운 곳에 있습니

까’로 수정하 고, ‘집안의 조명이 무 희미합니까’를

‘집안에서 을 읽기 어려울 정도로 조명이 어둡습니까’

로 수정하 고, ‘요나 돗자리, 카페트, 발매트가 잘 고정

되어 있습니까’를 ‘요나 돗자리, 카페트, 발매트가 얇아

서 걸어다닐 때 잘 립니까’로 수정하 다.

‘욕실, 화장실’에서는 ‘화장실 문 내부와 외부에서 모

두 열 수 있게 잠 장치가 되어 있습니까?’ 문항이 내

용타당도 지수가 75.0%로 나타나 삭제하 으며, 그 외

문항은 일부 문항을 수정하 으며 최종 11문항이 되었

다. 수정된 문항을 살펴보면, ‘바닥에 물이 있습니까’를

‘바닥에 물이 자주 있는 편입니까’로, ‘샤워할 때 서 있

기가 어렵습니까’를 ‘샤워할 때 서 있기가 어려울 정도

로 천장이 낮거나 좁습니까’로, ‘변기에 앉고 일어서기

힘듭니까’를 ‘재래식 변기를 사용합니까’로 수정하 다.

‘부엌/주방’에서는 내용타당도 지수가 모두 80.0% 이

상이었고 일부 문장을 수정하 고 최종 문항은 그 로 9

문항이었다. 수정된 문항을 살펴보면, ‘ 등스 치는 이

용하기 편리합니까’를 ‘ 등스 치는 이용하기 불편합니

까’로, ‘사용하는 발받침 가 불완 합니까’를 ‘사용하는

발받침 가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까’로 수정하 다.

2차 문가 내용타당도 조사에서는 54개 모든 문항에

서 내용타당도 지수가 80.0% 이상되었으나, ‘욕실, 화장

실’의 하부 역에서 ‘화장실, 욕실, 욕조의 바닥 는 욕

실용 슬리퍼 는 발 이 미끄럽습니까?’로 각각 질문

했던 문항을 합쳐 수정하여 최종 11문항에서 9문항으

로 수정되었다.

그 외 일부 문항에서 의미를 분명하게 하기 해 수

정하 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집안의 역에서

‘집안에서 을 읽기 어려울 정도로 조명이 어둡습니까’

를 ‘집안의 조명이 생활하기 불편할 정도로 어둡습니까’

로, ‘욕실, 화장실’에서는 ‘바닥에 물이 자주 있는 편입

니까’를 ‘바닥이 부분 젖어 있는 상태입니까’로, ‘샤워

할 때 서 있기가 어려울 정도로 천장이 낮거나 좁습니

까’를 ‘샤워할 때 서 있기가 어려울 정도로 좁거나 천장

이 낮습니까’로, ‘부엌/주방’에서는 ‘ 등스 치는 이용

하기 불편합니까’를 ‘ 등스 치를 바로 켜기에 어려운

곳에 있습니까’로, ‘높은 곳에 둔 물건들을 꺼내야 하는

일이 자주 있습니까’를 ‘높은 곳에 둔 물건들을 꺼내야

하는 일이 매일 있습니까’로 ‘사용하는 발 받침 가 고

정되어 있지 않습니까’를 ‘사용하는 발 받침 가 안 하

게 지지되지 않습니까’로 ‘식탁의자가 안 하지 않습니

까’를 ‘식탁의자가 약하거나 안 하지 않습니까’로 수정

하 다.

최종 선정된 하부 역별 문항은 집주변 계단 9문항,

집주변 도로 5문항, 문 주변 5문항, 집안 15문항, 욕실

화장실 9문항, 부엌/주방 9문항으로 최종 52문항이

었다[표 1].

표 1. 예비 낙상환경위험평가도구 내용타당도하부 역

1차 내용타당도 지수(문항수)

2차 내용타당도지수(문항수)

최종문항수

집주변계단 85-100(11) 90-100 (9) 9집주변도로 70-100 (5) 90-100 (9) 5대문주변 85-100 (5) 90-100 (5) 5

집안(방, 거실) 85-100(15) 85-100(15) 15욕실, 화장실 75-100(12) 85-100(11) 9부엌/주방 90-100 (9) 80-100 (9) 9총문항수 57 54 52

2. 최종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은 여성이 72.2%를 차지하 으며, 연령은 75-84

세 연령이 50.2%로 가장 많았다. 가구형태는 단독주택

이 80.8%로 부분을 차지하고, 아 트는 10.8%에 불

과하 다. 독거인 상자가 57.5%로 반을 넘었으며,

2명이 함께 사는 경우가 31.4%이었다. 의료 여 상자

가 49.9%로 반 가까이 되었으며, 경제수 에 해서

는 매우 못 사는 편 는 못 사는 편이라고 응답한 상

자가 64.0%를 차지하 다[표 2].

2.2 조사자간 신뢰도 검정조사자간 신뢰도를 검정하기 해 상자의 낙상환

경 험평가 시 간호사 2명씩 짝을 이루어 측정한 후 조

사자간 낙상환경 험 평가 수가 일치하는지를

Cohen's kappa coefficient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표 3]

과 같다.

Page 7: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5360

본 연구결과 조사자간 낙상환경 험 평가 수는 ‘주

로 사용하는 화기가 방 밖에 있습니까’ 항목의 kappa

값이 0.74로 나타났고, 나머지 51개 항목은 모두 kappa

값이 0.80 이상으로 나타나 조사자간 낙상환경 험 평

가 수는 매우 높은 상 계를 나타내어 신뢰도가 인

정되었다.

표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299)

특성 범주 n(%)

성별남자 83(27.8)여자 216(72.2)

연령65-74 108(36.1)75-84 150(50.2)

85세 이상 40(13.4)

가구형태단독주택 240(80.8)아파트 32(10.8)

다세대, 연립주택 25( 8.4)

가구원수1명 172(57.5)2명 94(31.4)

3명이상 33(11.0)

의료보험건강보험 148(51.0)의료급여 142(49.0)

경제수준

매우 못사는 편 77(26.2)못사는 편 113(37.8)

보통 87(29.1)잘사는 편 17( 5.7)

표 3. 낙상환경위험평가도구 조사자간 신뢰도 하부 역 Cohen's kappa coefficient

집주변계단 1집주변도로 .88-1대문주변 .95-1

집안(방, 거실) .74-1욕실, 화장실 .94-1부엌/주방 1

2.3 조사-재조사방법을 통한 일치율낙상환경 험평가도구는 각 하부 역별 상황을 악

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뢰도를 재조사방법을

통하여 측정하 다. 이를 해 1차 조사 후 특별히 환경

이 변하지 않은 상을 1개월 이내에 다시 재방문하여

측정하 다.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의 재측정 신뢰도는 하부 역

별로 살펴보면, 계단의 9문항에서 일치율을 88.2-100.0%

의 범 로 나타나 비교 안정되었다. 도로환경 5문항

에서는 64.7-94.1%의 범 로 나타났으며, ‘집 주변 길

바닥이 깨져있거나 울퉁불퉁한 부분이 있습니까?’는

64.7%로, ‘집 주변 길이 어두컴컴한 부분이 있습니까?’

도 72.5%로 일치율이 낮게 나타났다. 문주변 5문항의

경우도 일치율이 74.5-92.2%의 범 로 나타났는데, 응

답율이 낮은 문항으로 ‘ 문(아 트 출입 ) 주변이

미끄럽습니까?’ 74.5%, ‘ 문(아 트 출입 )에 문턱

이 있습니까?’ 78.4%로 나타났다. 집안의 15문항에서는

70.6-96.1%의 범 로 나타났으며, ‘집안에 들어왔을 때

등스 치를 바로 켜기에 어려운 곳에 있습니까?’의

항목이 72.5%로 낮게 나타났다. 한 ‘집안을 다닐 때

양말, 덧버선, 슬리퍼를 신고 다닙니까?’도 70.6%로 나

타났다. 욕실의 9문항에서는 80.4-96.1%의 일치율로 나

타났고, 주방 9문항에서는 68.6-100.0%의 범 로 나타

났으며, ‘높은 선반에 있는 물건을 꺼내기 해 의자나

발 을 사용합니까?’의 항목이 68.6%로 낮게 나타났다

[표 4]. 체 으로 52개 문항에서 45문항의 일치율이

80.0% 이상되었다.

표 4. 낙상환경위험평가도구 조사-재조사 신뢰도하부 역 일치율(%) 일치율이 낮게 나타난 문항

집주변계단 88.2-100.0

집주변도로 64.7-94.1- 집 주변 길 바닥이 깨져있거나 울퉁불퉁

한 부분이 있습니까?(64.7%)- 집 주변 길이 어두컴컴한 부분이 있습니

까?(72.5%)

대문주변 74.5-92.2- 대문(아파트 출입 현관) 주변이 미끄럽습니까?(74.5%)

- 대문(아파트 출입 현관)에 문턱이 있습니까?(78.4%)

집안(방, 거실) 70.6-96.1

- 집안에 들어왔을 때 전등스위치를 바로 켜기에 어려운 곳에 있습니까?(72.5%)

- 집안을 다닐 때 양말, 덧버선, 슬리퍼를 신고 다닙니까?(70.6%)

욕실, 화장실 80.4-96.1

부엌/주방 68.6-100.0 - 높은 선반에 있는 물건을 꺼내기 위해 의자나 발판을 사용합니까?(68.6%)

Page 8: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61

2.4 구성타당도 검정구성타당도를 검정하기 하여 최근 6개월 이내 낙상

유무에 따라 상자를 낙상군과 비낙상군으로 나 어

낙상환경 험평가 수를 비교하 고, 그 결과는 [표 5]

와 같다. 즉 낙상군과 비낙상군의 낙상환경 험평가

수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3.50, p=.001),

하부 역별로는 도로환경(t=3.09, p=.002), 문주변

(t=2.12, p=.035), 집안(t=2.05, p=.041), 욕실(t=2.40,

p=.017)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표 5. 낙상경험 유무에 따른 낙상환경위험평가점수 비교 (N=299)

변수낙상경험

t p있음 없음

집주변계단 0.87±1.62 0.59±1.17 1.74 .084집주변도로 1.62±1.14 1.20±1.10 3.09 .002대문주변 1.77±1.09 1.53±0.88 2.12 .035

집안(방, 거실) 3.44±1.81 3.03±1.58 2.05 .041욕실, 화장실 3.41±2.03 2.85±1.86 2.40 .017부엌/주방 1.30±0.99 1.24±1.06 0.48 .633

전체 12.42±5.07 10.43±3.74 3.50 .001

Ⅳ. 논의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 다. 도구개발과

정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된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와

련된 문헌을 검토하 고, 련 분야 문가의 회의를

통해 비문항을 구성하 으며, 2차에 걸쳐 10명의 방

문간호사와 10명의 간호학 공 교수를 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실시하 다.

비문항의 하부 역 내용 개발시 참고했던 국내

외 낙상환경 험평가 도구는 다음과 같다. 김소남[1],

김종민[13], 박 혜[14] 등이 사용한 Tideiksaar[12] 도

구는 49문항으로 , 집안, 계단, 목욕탕 욕실, 침

실, 부엌의 하부 역을 가지고 있었고, 김미정[17]이 사

용하고 유형 [16]이 소개한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의 도구는 21문항으로 집 체, 주방, 화장실,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최경원과 이인숙[8], 장인순

과 김동 [19], 장인순과 김수미[20] 등이 사용한

Josephson 등[18]의 도구는 24문항으로 집 체, 주방,

화장실, 안방, 계단 복도, 실외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외 CDC의 노인 낙상 방을 한 가정환경 체크리스

트에 포함된 낙상환경 험평가 17문항으로, 바닥, 계단,

주방, 욕실, 침실의 하부 역으로 구성된 도구[22],

Minnesota Safety Council[21]의 낙상 방 가정안 체

크리스트 35문항으로 입구, 욕실, 주방, 침실, 거실, 계

단, 야외, 복도로 구성된 도구를 기 로 하여 총 70문항

을 개발하 다. 1차 실무자 자문회의를 통해 57문항으

로 수정하 고, 하부 역별로는 집주변 계단 11문항, 집

주변 도로 5문항, 출입문 주변환경 5문항, 집안 환경 15

문항, 욕실 화장실 12문항, 부엌/주방 9문항이었다.

Tideiksaar[12] 도구는 49문항이었지만 개발 시 참고

했던 다른 도구들이 17-35문항이었던 것에 비하면 본

연구의 문항수가 체 으로 많을 수 있으나 낙상환경

험 체크리스트로 항목별로 빠뜨리지 않고 검하는

것이 더 요하다고 사려되어 체 으로 의미상 반복

되거나 합쳐질 수 있는 항목은 수정하 으며, 1, 2차에

서 내용타당도 지수(CVI)가 0.80 이상인 항목을 선정하

여 최종 52문항으로 수정하 다. 최종도구에 포함된 모

든 문항은 문가 집단에 의하여 내용타당도가 검정된

문항이라 할 수 있다.

신뢰도는 조사자간 낙상환경 험 평가 수가 일치하

는지를 Cohen's kappa coefficient를 통해 분석하 다.

일반 으로 찰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한 기

은 없으나 측정자료의 신뢰도가 받아들여지기 해

서는 Kappa, ICC값이 0.80 이상이거나 일치율이 80%

이상이어야 한다[24]. 연구 결과 ‘주로 사용하는 화기

가 방 밖에 있습니까’ 문항의 kappa 값이 0.74로 나타났

고, 나머지 51개 문항은 모두 kappa 값이 0.80 이상으로

나타나 조사자간 매우 높은 상 계를 나타내었다.

화기 문항에 낮은 신뢰도가 나온 것은 상자가 핸드폰

을 주로 사용하지만 거실에 화기가 있는 것을 조사자

간 각각 다르게 평가한 경우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

다. 따라서 핸드폰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화기가

방 밖에 있더라도 험요인이 아닌 경우로 악해야 할

것이다. 한 방밖이라는 표 보다는 상자가 ‘주로 거

Page 9: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5362

주하는 곳에 화기가 설치되어 있습니까’로 문항을 수

정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한 응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선행연구에서 환경 험요인 도구의 신뢰도에

해서는 특별한 언 없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고

[13][14][19][20],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의 도

구를 사용한 김미정[17]은 Cronbach's α값으로 .74를,

Tideiksaar[12]도구를 사용한 김소남[1]도 Cronbach's

α값 .73로, Josephson 등[18]의 도구를 기 로 한 최경

원과 이인숙[8]은 환경 험요인 도구를 집 내부

험요인과 집 외부 험요인으로 구분하여 신뢰도를

Cronbach's α값 .63, .62로 제시하 다. 본 연구자는 낙

상환경 험평가 도구가 각 하부 역별 상황을 악하

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단되어 도구의 신뢰도

를 재조사방법으로 측정하 다. 재측정 신뢰도를 일치

율 80.0%이상을 기 으로 할 때[24] 몇몇 문항에서는

일부 표 의 수정이나 분명한 기 이 필요한 것으로 나

타났다. 하부 역별로 살펴보면, 계단, 욕실의 경우 모

든 문항에서 80.0% 이상의 일치율을 나타내 비교 안

정되었다. 다른 역에서는 일부 문항이 낮은 일치율을

나타낸 경우도 있었는데, 도로환경에서는 ‘집 주변 길

바닥이 깨져있거나 울퉁불퉁한 부분이 있습니까?’의 항

목이 64.7%이었는데, 이는 일부 상자 가구 주변에서

도로공사를 하는 경우가 포함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재측정 상자 선정시 좀 더 명확한 기 과 주의가 요

구된다고 볼 수 있다. ‘집 주변 길이 어두컴컴한 부분이

있습니까?’도 72.5%로 나타났는데, 이는 겨울이 시작되

며 기 조사 때 보다 빨리 어두워진 계 변화와 기

수 의 변화에 따른 응답율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었

다. 문주변에서도 ‘ 문(아 트 출입 ) 주변이 미

끄럽습니까?’ 74.5%, ‘ 문(아 트 출입 )에 문턱이

있습니까?’ 78.4%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사자가 한달

내 재평가할 때는 좀 더 찰에 훈련이 되어 주의 깊게

찰을 하거나 상자도 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생기며 일치율이 낮아진 경우도 있는 것으로 사

려되었다. 집안의 역에서는 ‘집안에 들어왔을 때 등

스 치를 바로 켜기에 어려운 곳에 있습니까?’ 72.5%로

나타났는데, 이는 어렵다는 기 이 상 이며 생각이

바 경우가 포함된 것으로 악되어 ‘집안에 들어왔을

때 등스 치를 바로 켤수 있는 곳에 없습니까?’로 문

항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고려되었다. ‘집안

을 다닐 때 양말, 덧버선, 슬리퍼를 신고 다닙니까?’도

70.6%로 나타났는데 이는 재조사를 한달 후에 하면서

겨울이라는 계 변화에 따라 이 에는 양말, 덧버선,

슬리퍼 등을 신지 않다가 재조사 당시에는 신는 경우가

생기며 나타난 차이로 해석되었다. 주방에서는 ‘높은 선

반에 있는 물건을 꺼내기 해 의자나 발 을 사용합니

까?’ 문항이 68.6%로 나타났는데 이런 행 는 자주 발

생하는 것이 아니기에 나타난 차이라고 생각된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하여 최근 6개월 이내 낙상

유무에 따라 상자를 낙상군과 비낙상군으로 나 어

낙상환경 험평가 수를 비교하 을 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3.50, p=.001), 하부 역별로는

도로환경(t=3.09, p=.002), 문주변(t=2.12, p=.035), 집

안(t=2.05, p=.041), 욕실(t=2.40, p=.017)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계단과 주방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체 으로 낙상군이 비낙상군

보다 낙상환경 험평가 수가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아 구성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을 편의추출한 연구이기에

상자를 좀 더 확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우리나라 가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도구로 단독주택, 아 트, 연립 다

세 가구 등에 모두 용할 수 있고, 체 문항이 52개

로 지 않은 수이지만 낙상환경 험 요인을 가능한 모

두 확인한다는 의미에서 조사자 상자에게 교육

효과를 기 할 수 있으며, 각 문항에 해 ‘ ’, ‘아니오’

로 쉽게 응답함으로써 략 소요시간은 10분 이내로 나

타나 재가노인을 상으로 방문하는 간호사들이 사용

하기에는 할 것으로 단된다.

본 도구를 이용하여 재가노인의 낙상환경 험 요인

을 악하고 그에 따른 환경개선을 한 다양한 간호

재를 계획하는 것이 효과 인 낙상 방 로그램의 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J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을 편의추

출한 노인가구를 상으로 수행되었으므로 표성을

Page 10: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63

갖기 어렵다. 따라서 한국의 재가노인을 표할 수 있

는 상으로 다시 본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검정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 시설에 거주하는 노

인을 상으로도 용가능한지 본 도구의 신뢰도 타

당도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의 낙상환경 험평

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

론 연구이다. 도구개발 과정은 련문헌 고찰을 통해

총 70문항의 비문항 안을 만든 후 련 문가 9인

의 1차 실무자 자문회의를 통해 57문항으로 수정하

다. 57문항에 해 20인의 련 문가에 의한 2차에 걸

쳐 내용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52문항을 선정하

다. 최종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검정을 해 65세

이상 재가노인 299명에게 자료수집을 실시하여 분석하

다. 그 결과 조사자간 신뢰도는 1개 문항을 제외한 51

개 문항에서 모두 kappa 값이 0.80 이상으로 나타나 신

뢰도가 인정되었고, 재조사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일치

율은 45개 문항에서 모두 80.0% 이상으로, 나머지 7개

문항은 64.7-78.4% 정도로 나타났다. 낙상군이 비낙상

군보다 낙상환경 험평가 수가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아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낙상의 험요인을 미리 악하고 리한다면 낙상

을 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환경 험요인도 낙

상에 기여하는 정도가 크기에 본 도구를 이용하여 재가

노인의 낙상환경 험을 평가하고 극 인 낙상 방

재가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한 상자에 따라 교

육 근과 환경개선을 한 재정 시설지원, 보조

기구 여 등과 같은 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의 일반화를 하여 도시

농 에 거주하는 한국 재가노인을 상으로 반

복연구가 필요하다.

2)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을 상으로도 용가능한

지 본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검정하는 연구

가 필하다.

3)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의 기 (cut-off) 수를

제시하는 추후연구를 시도하여 낙상 험군의 재

가노인을 선별하며 우선 간호 재가 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4) 본 도구를 이용하여 나타난 낙상환경 험 요인을

재하는 다양한 로그램 개발 재효과 연구

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1] 김소남 , “다면 낙상 방 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소득층 노인의 신체·심리기능과 가정환경

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2호, pp.377-395, 2012.

[2] L. Rubenstein and K. R. Josephson, "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90, pp.807-824, 2006.

[3]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port on

Falls Prevention in Older Ag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Retrieved January

21, 2013, from http://www.who.int/ageing/

ublications/Falls_prevention7March.pdf

[4] 정경희, 오 희, 이윤경, 손창균, 박보미, 이수연,

이지 , 권 돈, 김수 , 이소정, 이용식, 이윤환,

최성재, 김소 ,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

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5] 임경춘, 경자, 윤종률, “노인의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가정환경 험

비교”,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577-1589,

2009.

[6] Panel on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American Geriatrics Society and British

Geriatrics Society, "ummary of the Updated

American Geriatrics Society/British Geriatrics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Page 11: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5364

of fall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9, pp.148-157,

2010.

[7] M. E. Tinetti and C. Kumar, "The patient who

falls 'It's always a trade-off',"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303, No3,

pp.258-266, 2010.

[8] 최경원, 이인숙, “도시빈곤 노인의 낙상발생 험

요인에 한 연구”, 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4

호, pp.589-598, 2010.

[9] 조경환, “낙상”, 가정의학회지, 제18권, 제11호,

pp.1201-1204, 1997.

[10] S. Iwarsson, V. Horstmann, G. Carlsson, F.

Oswal, and H. W. Wahl, "Person-environment

fit predicts falls in older adults better than the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hazards only,"

Clinical Rehabilitation, Vol.23, pp.558-567, 2009.

[11] T. Nikolaus and M. Bach, "Preventing falls in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people using a

home intervention team(HIT): Results from the

randomized falls-HIT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1, pp.300-305,

2003.

[12] R. Tideiksaar, Falling in old age its prevention

and treatment(2nd ed), New York: Springer,

1997.

[13] 김종민, PRECEDE 모형을 용한 노인낙상사

고 험요인분석, 이화여자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2009.

[14] 박 혜,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낙상 험요인 사

정”,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170-178,

2004.

[15] M. H. Beers, R. Berkow, and A. J. Fletcher,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 Whitehouse

station, N. J., 1999.

[16] 유형 , 머크메뉴얼 노인병학, 한우리, 2003.

[17] 김미정, 재가노인의 낙상 험요인, 한양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2011.

[18] K. R. Josephson, D. A. Fabacher, and L. Z.

Rubenstein, "Home safety and fall prevention,"

Clinics in Geriatrics Medicine, Vol.7, No.4,

pp.707-731, 1991.

[19] 장인순, 김동 , “일부 농 지역 노인의 낙상

험을 높이는 물리 환경에 한 조사연구”, 노인

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176-186, 2002.

[20] 장인순, 김수미, “일부지역 재가노인의 낙상 험

요인 조사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107-116, 2006.

[21] Minnesota Safety Council, "Fall prevention

home safety checklist : What you can do to

prevent falls," Minnesota Safety Council, 2004.

Retrieved January 21, 2013, from http://

www.minnesotasafetycouncil.org/seniorsafe/fall

check.pdf

[22]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Preventing falls: How to

develop community-based fall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Atlanta, GA:

National Center for Injury and Control,

2008. Retrieved January 21, 2013, from

http://www.cdc.gov/HomeandRecreation

alSafety/images/CDC_Guide-a.pdf

[23] M. R. Lynn,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Vol.35,

pp.382-385, 1986.

[24]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94.

Page 12: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 Semantic Scholar · 2018-11-30 ·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365

저 자 소 개

박 은 옥(Eunok Park) 정회원▪1991년 2월 : 서울 학교 간호학

과(간호학학사)

▪1994년 8월 : 서울 학교 보건

학원(보건학석사)

▪1999년 2월 : 서울 학교 보건

학원(보건학 박사)

▪2000년 3월 ~ 재 : 제주 학교 간호학과 교수

< 심분야> : 지역사회간호, 지역사회건강증진, 노인,

여성, 정신건강, 보건교육, 학교보건, 산업간호

장 인 순(Insun Jang) 정회원▪1990년 2월 : 서울 학교 간호

학과(간호학 학사)

▪1995년 2월 : 서울 학교 보건

학원(보건학 석사)

▪2002년 2월 : 앙 학교 간호

학과(간호학 박사)

▪2010년 3월 ~ 재 : 한국성서 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 심분야> : 지역사회간호, 보건교육, 노인,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