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 Upload
    others

  • View
    6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문화를 통한 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Page 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연구책임:우주희(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공동연구:류제홍(도시문화연구소 공간력 소장)

이광준(서울시도시갤러리추진단 책임큐레이터) 연구보조:심효진(한국교원대학교 시간강사)

나하나(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조원)

Page 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Page 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서 문전통시장은 우리의 거울입니다. 그곳은 마음 속의 그리움이기도

하고, 삶의 치열함이기도 하며, 고된 일상이기도 하고, 흥겨움이기

도 합니다. 또한 그곳은 살기 위한 팔기와 사기의 행위들이 상호

간의 복잡한 요구들로 얽혀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그

어떤 가치보다도 경제적 가치가 우선일 수밖에 없는 삭막한 공간

이기도 합니다.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문화적 힘을 통해 경제력이나 경쟁력이 아닌 잠재력의 관점에서

전통시장을 바라봅니다. 역사를 통해 현재를 통각하는 과정을 거

쳐 문화에 기반한 경제적 가치의 창출을 꿈꾸고자 합니다.

시장 속의 보물은 우리 마음속에 있습니다. 전통시장이 잊혀진

그리움이 아닌 일상 속에서 가슴을 적시는 촉촉한 즐거움으로 다

가갈 수만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일부러 느끼지 않으려 해도 마

음으로 다가오고, 보지 않으려 해도 눈앞에 펼쳐지는 전통시장의

모습은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들의 문화적 상상력으로 창조될 것입

니다.

전통시장이 더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공간, 더 많은 사람

들의 가슴속에 자리잡는 공간, 가고 싶은 공간을 넘어 누고나 가

서 팔고 싶은 공간, 마음을 듬뿍 주고받는 풍요로움이 가득한 삶

의 터가 되는 내일을 위해 이 보고서는 그 첫 출발이 될 것입니다.

2008년 8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원장 송 재 호

Page 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Page 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연구개요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Page 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iii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침체된 전통시장(舊 재래시장) 활성화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문

화적 접근의 필요성 대두

○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을 지역의 열린 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시장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이미지를 쇄신함으로써, 지역 재생과

문화적 가치 확산의 구심점으로서 전통시장의 역할과 위상을 확

립하는데 목적을 둠

○ 특히, 전통시장 고유의 문화전통 및 근린성과 지역성을 살려 살

아 있는 지역문화의 중심이자 일상문화의 반 으로서의 시장에

대한 가치를 확산시키고, 더 나아가 관광 자원으로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2) 연구방법○ 문헌자료 분석:시장의 개념과 특성, 시장의 문화성 검토, 전통

시장 활성화 국내외 사례 분석

○ 현장 인터뷰 조사:현장 인터뷰 조사를 통해 문화를 통한 전통

시장 활성화의 가능성 확인 및 전략 도출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방향 및 활성화 방안 도출

2.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 1) 전통시장의 개념○ 시장의 사전적 의미:여러 가지 상품을 팔고 사는 장소, 특정한

상품이 거래되는 곳

○ 고전적 의미의 전통시장 개념:사회, 경제, 문화 및 기타 대상물

Page 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iv

을 가진 장소로서 물건을 사는 사람과 사람이 모여서 가격이 결

정되고 지불되는 곳을 의미

○ 현대의 전통시장 개념:장소뿐만 아니라, 물건을 거래하는 사람

들의 집단까지 포함

○ 법제도적 개념:시장을 판매자와 구매자간에 상품 거래가 행해

지는 구체적인 시설 또는 장소(시장법, 1961)

2) 전통시장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 전통적인 시장의 의미와 기능:다수의 사람이 모여서 매매를 행

하는 특정한 장소를 지칭할 때 시(市), 장(場), 저자, 장시, 시장

등으로 표현, 장소적 의미 강조

○ 근대적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시장의 수평적 교환 + 수직적

교환 역할, 사회기능의 결집을 위한 문화공간

○ 동시대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공간을 통한 사회적 매개, 서

비스 제공을 통해 지역사회에 향력 제공

3) 전통시장의 문화적 요소 도출○ 전통시장의 장소성과 상호작용적 특성:흥정은 물리적 집합체로

서의 장소성을 전제로 함, 중심과 주변, 내부와 외부, 이방인과

지역민, 상업과 축제가 뒤섞이는 혼성적 장소성

○ 전통시장의 관계성과 문화적 커뮤니티로서의 특성:시장권과 시

장 커뮤니티는 시장을 중심으로 한 사회・경제・문화적 현상, ‘정

(情)’의 교류를 통한 지역 커뮤니티 거점 장소로서의 시장

○ 거래의 문화성과 다원적 특성:호혜적인 원리를 따르지 않으면

서 생존과 배려를 통한 거래 행위의 발현, 생산자와 소비자의 분

리 및 통합

○ 전통시장의 통합성과 복합성:생필품 교환이라는 현실적인 목적

Page 1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v

과 사람과 사람을 장소로서 연결하는 사랑방의 역할이 동시에

일어나는 복합적 장소

3.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1) 전통시장의 근황 분석○ 매출액 감소 또는 정체를 겪고 있는 전통시장이 86.3%에 달하

며, 13.7%만이 매출액 증가

○ 유통채널의 변화가 전통시장 매출액에 미치는 향:대형마트 1

곳 입점시 전통시장 4곳, 중소상점 350점 매출액 감소, 전통시장

점포 150개 소멸, 550명 실직(한국유통물류원, 2007년 기준)

2)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경과○ 전통시장 쇠락을 가속화시키는 외부적 위협요인에 대응하기 위

해 ‘재래시장활성화를위한특별조치법안’제정

※ 외부적 위협요인:기업형, 온라인 유통점의 가파른 성장에 따른 상

대적 침체 가속화, 소비자 소비행태의 복합적 변화

○ 시설현대화, 시장정비사업, 경 현대화 사업을 경쟁력 확보가 가

능한 시장을 중심으로 지원함으로써 세상인 생계 문제(6만명)

발생, 정부 의존 경향 증가

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 전통시장 쇠퇴의 외부적 요인에 대한 정책적 대응 부족

○ 대형유통업의 성장에 대한 차별적 대응 필요성

○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성

○ 문화적 교류와 소통 창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시장의 사회문화적

Page 1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vi

가치 회복(커뮤니티 교류 공간, 쉬고 노는 공간으로서 시장)

○ 과거의 향수 마케팅이 아닌 현재적 가치에 기반한 삶과 밀착한

생활형 마케팅의 필요성

4.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 문화적 관점에서 본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의 한계 ○ 지원 대비 매출 증가 실적 미비:2002~2007년간 8,212.6억원이

지원되었으나 2006년 대비 매출이 증가한 시장은 전체 시장의

13.6% 뿐임

○ 지역밀착형 문화공간으로서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부재, 지역

정체성을 살린 차별화된 테마 설정 부족

○ 일회성 이벤트형에 국한된 프로그램 지원:전통과 지난 시절의

향수를 상품화하는 소수의 주말 관광형 전통시장 지원 및 일회

성 이벤트에 국한되어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지 못함

○ 외형적 현대화 중심의 박제화:대형마트 모방식 지원으로 고유

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음

○ 소프트웨어 접근 미흡:경 현대화, 마케팅기법 개발, 상인의 혁

신역량 강화 등 소프트웨어적 지원을 점차 강화하고 있으나 상

인 체감 만족도는 아직 미흡

2)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관련 사업 현황○ 전통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 개발로서의 접근, 전통시장의 문

화적인 활성화 접근,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성 획

득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짐

○ 주된 문화적 접근 방법:① 지역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그것에

따른 기대효과로서 관광의 목적 설정, ② 상인에게는 새로운 삶

Page 1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vii

의 터전으로서 주민에게도 매력적인 환경 요소로서 시장의 가능

성을 함께 모색, ③ 일회성 행사를 지양하고 지역에서 살아 숨쉬

는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시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

3) 전통시장에 대한 문화적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한계 ○ 문화적 접근의 성과

- 전통적 가치 마케팅의 가능성:지역 전통을 구경하고 먹고 즐

길 수 있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장으로의 탈바꿈, 정기시장과

전문시장을 중심으로 특화된 고유 가치 발굴을 통한 마케팅

- 문화적 공간화를 위한 시도:전통시장에 문화적 요소가 투입됨

으로써 시장이 활력을 되찾고, 지역주민으로서의 예술가가 공

간에 개입함으로써 삶의 공간이자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가능

성 확인

- 전통시장에 대한 공공예술적 접근은 정부의 지원 이전에 예술

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깊이 고민하던 작가들에 의해 주도된

차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 문화적 접근의 한계

- 대체로 시장이라는 ‘공간적’맥락을 활용하는 것에 한정됨

- 시장 자체의 활성화보다는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적 활성

화에 기여

- 대체로 상인과 주민 모두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으나 시장이나

주민과의 적극적 소통 채널 확보 부족

- 시장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및 관광객 유인 효과 미흡

- 전통 자원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미흡하여 공간 자체의 자생적

활력이 생성되지 못함

- 프로그램 기획의 주체가 지역이나 시장의 외부자인 경우가 많

아 지역 및 시장 특수성을 반 하는데 한계

Page 1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viii

○ 문화적 접근의 가능성과 발전 방안

- 시장의 개념과 기능의 변화에 주목:문화는 유통과 지역의 소

통광장의 역할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시장 활성화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 시장의 조건에 따른 문화적 대응 차별화 전략:복잡한 요구들

로 얽혀 있는 시장의 현상을 파악하고 적절한 문화적 대응 전

략 투입

- 시장 중심 지역공동체로서의 가능성:시장의 활성화는 시장과

시장이 존재하는 지역, 그리고 시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나가는 산물이라는 점에서, 시장 활성화의 주체는 상인

과 주민, 즉 시장중심 지역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시장이 존재

하는 지역의 공간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4) 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성공요인 분석○ 이미지 전략: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특성화 지향

(일본, 국), 스토리텔링 마케팅(스페인 보케리아, 국 첼시)

○ 지속가능한 시장 운 관리 조직을 통한 경 혁신:디자인과 경

컨설팅을 통한 전통시장의 현대화( 국 셀프리지), 사회적 기

업 조직을 통한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 조성( 국 코인스트리트)

○ 지속적 프로그램: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스페인 보케리아), 개

방 공간의 조성과 문화 프로그램 제공( 국 코인스트리트), 누구

나 함께 즐기는 축제(프라방스 라벤더)

○ 상품 관리:지역 특산품을 세계적 관광 상품 개발, 구매심리 및

동선을 고려한 적절한 상품 배치

○ 시장 커뮤니티의 지역 결속력:시장을 둘러싼 주체들의 의지와

파트너쉽, 지역주민과 상인, 그리고 투자자들의 시장 커뮤니티

에 대한 헌신성, 시장 계획 및 운 과정에서의 지역주민 참여도

Page 1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ix

○ 정책적 지원:관광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강화(대만의

야시장의 관광화를 위한 관광국의 역할)

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의 방향○ 사업의 목표:문화 마케팅 강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와 서민

생활 안정화,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전통시장 육성을 통한 주민

의 문화향수 증진, 전통시장의 역사성과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관광적 활용가치 증대

○ 사업의 방향:전통시장의 모델화와 명소화, 전통시장의 문화적

가치 발굴 및 확산, 전통시장과 지역사회 공동체의 결합, 시장의

역학 관계를 고려한 문화적 접근

2) 전통시장의 문화적 대응 전략○ 전통시장에 대한 관점의 전환:시장의 문화화는 활성화 수단이

아닌 잠재력 기반 초석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의 키워드:정체성, 연계성, 삶과의

통합성, 창의성

○ 전통시장의 문화적 요소 추출:시장의 물성, 역사성, 삶과의 연

계성, 역동성 요소를 추출하여, 정체성과 연계성, 주민 삶과의

결합도를 강화한 창의적 전략으로 대응

○ 주요 전략:시장 소통 구조 만들기 전략으로서 지역문화와의 결

합, 시장의 새로운 문화적 트랜드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인력의

결합, 시장 소통의 매개로서 공공예술 활용, 지역 주민의 참여디

자인 전략 활용, 어메너티를 활용한 시장 스토리텔링 마케팅

Page 1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

3) 문화적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의 조건 ○ 환경적 여건:주거지와 그물망으로 연결된 시장의 입지, 중대형

규모의 골목형 전통시장

○ 내부적 여건:시장과 지역의 역사문화성, 상인회 결속력

○ 개발 정도: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추진실적(상인회 결속력

간접 파악 근거)

4) 시장 유형별 활성화 모델 ○ 유형Ⅰ. 주민생활형:시장상인과 지역주민의 결속력을 기반으로

한 지역 커뮤니티형 전통시장 모델, 중대형 규모의 저개발 시장

으로서 시장상인회의 결속력과 개선 의지가 높은 시장을 우선

지원

○ 유형 Ⅱ. 지역관광형:시장과 지역 인프라의 연계를 통한 지역

관광형 전통시장 모델, 시장의 역사적 가치 발굴 및 상품 마케팅

을 통한 관광자원화, 접근성이 높은 중대형 규모의 고개발 시장

으로서 이미 관광객 수가 많지만, 문화적 자원이 부족한 시장 우

선 지원

○ 유형 Ⅲ. 예술장터형:상인과 지역 문화예술인 간의 파트너쉽을

통한 예술장터형 모델, 기존 시장의 기능 전환을 통한 새로운 도

약, 시설현대화 사업 등을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활성화되지

못한 소규모(점포수 80개 미만 가능) 시장으로 지역 문화예술

인적자원이 풍부하고 문화적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는 지역의 시

장을 우선 지원

○ 유형 Ⅳ. 문화복지형:취약계층과 지역주민 파트너쉽을 통한 문

화복지형 모델, 시장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한 효과 증대, 소

규모의 저개발(미개발) 시장으로서 이주민 등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도심 외곽 지역의 시장을 우선 선정하여 다문화

Page 1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i

적 교류와 소통의 장으로 활용

5) 프로그램 접근 전략○ 시장 유형별 전략

- 주민주도적 문화형 시장 :시장의 생활문화공간화, 지역친화적

시장 이미지 구축, 시장과 주민의 결합

- 시장주도적 관광형 시장:시장문화의 즐거움을 파는 마케팅,

테마공간화, 예술단체 순회 프로그램 상설화

○ 프로그램 접근 방법

- 주민공동체형 프로그램 지원: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만들기,

전통시장 문화성을 키워드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공공예

술을 통한 시장 인식제고형 실천 프로그램 개발

- 관광화 전략과 홍보:시장 명물거리 조성을 통한 소비자 유인,

특정구역 단위로 전통시장 본래의 분위기(어메니티 요소) 발굴

및 보존, 복합체인 개념으로서의 접근, 관광경로개발, 국제표준

화 사업, 이벤트 아이디어 개발, 지역축제 연계

- 시장 조직과 지역 역할 개선 사업:매개형 사회서비스 역할을

갖는 책임형 상인조합, 도심 재생 전략과의 결합, 기업과 시민

거버넌스

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추진체계와 방법○ 단계별 추진 방안

- 2008년 도입기를 시작으로, 2009년 정착기, 2010년 확산기의 3

단계 추진

- 2008년부터 2009년까지의 도입기와 정착기는 중앙정부가 주축

이 되어 파급효과를 고려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2010년 확산기는 지역이 주도함으로써 시장과 지역별 차별화

Page 1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ii

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전개

○ 사업추진체계 및 추진주체별 역할 분담 방안

- 행정적 지원추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내용적 지원주체

는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 사업실행주체는 프로젝트 매니저

(PM), 전통시장 상인회, 자문단, 지역단체, 지역주민으로 이루

어진 협의체로 구성

[그림 Ⅴ-1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 추진체계

7) 정책사업 성과관리 방안○ 평가 목적

- 평가를 통해 당초 계획했던 목표에 따른 사업 추진 과정을 단

계별로 분석하여 사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사업의 방향과

전략을 진단하여 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며, 후속 사업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함

- 사업 도입기에는 사업의 모니터링과 질 관리 차원의 과정 중심

의 평가에 집중하고, 사업의 정착기 이후에는 사업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결과평가와 성과평가를 강화하여 추진함

Page 1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iii

○ 평가 수행 방법

-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5~7인)과 외부 평가위원(3~5인)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구성을 통한 현장평가, 전통시장 문화컨설

팅단에 의한 설문조사평가 및 심층인터뷰조사평가, 각 추진주

체(컨설팅단, PM, 시장, 주민)별 자체평가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성과평가 모델

- 사업 실시 ‘전과 후’(Before & After)를 비교할 수 있는 성과지

표를 적용하여 문화적 접근의 차별성을 부각할 수 있도록 함

Page 1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v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3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3

2. 연구 목적························································································4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4

1. 연구 범위························································································4

2. 연구의 주요내용·············································································5

3. 연구 방법························································································8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9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11

제1절 전통시장의 개념··········································································13

1. 전통시장의 개념············································································13

2. 전통시장의 유형············································································15

제2절 전통시장의 역사적 변천과정······················································20

1. 전통시장의 역사적 변천과정························································20

2. 시대별 전통시장의 기능과 역할···················································25

제3절 전통시장의 특성과 문화적 요소·················································28

1. 전통시장의 장소성과 상호작용····················································28

2. 전통시장의 관계성과 문화적 커뮤니티········································29

3. 거래의 문화성과 다원성·······························································30

4. 전통시장의 통합성과 복합성························································31

5. 시장문화의 요소들········································································32

Page 2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vi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35

제1절 전통시장의 근황··········································································37

1. 전통시장의 유형별 분포 및 연도별 변화 추이····························37

2. 전통시장 매출액 추이···································································38

3. 상인조직 현황···············································································40

제2절 전통시장 침체의 원인·································································42

1. 전통시장의 장점과 약점·······························································42

2. 전통시장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43

제3절 전통시장의 활성화 정책 추진 배경과 필요성···························44

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배경·················································44

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필요성·····························45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51

제1절 전통시장(舊 재래시장) 활성화 사업 현황··································53

1. 법제도적 기반 구축 현황·····························································53

2. 중소기업청의 전통시장 지원사업 추진 현황·······························56

3.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운 성과와 과제(한계) ····················61

제2절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사례 분석········································63

1.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사업의 배경과 유형··························63

2. 전통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 개발로서의 접근··························66

3. 전통시장의 문화 활성화를 위한 접근··········································72

4.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성 획득·······························84

5. 시사점:성과와 한계····································································95

제3절 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100

1. 해외 사례 개요···········································································100

2. 동양권 시장 사례········································································101

3. 서구권 시장 사례········································································106

4. 시사점··························································································112

Page 2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vii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15

제1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방향·····························117

1. 정책의 목표·················································································117

2. 정책의 방향·················································································117

제2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업 추진 전략···············120

1. 전통시장 특성에 따른 대응 전략···············································120

2. 전통시장의 문화적 대응 전략····················································123

2.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의 조건·················································132

3. 시장 유형별 정책 사업 추진 전략·············································134

4. 전통시장 프로그램 지원 전략····················································148

제3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업 추진체계와 방법····155

1. 정책사업의 단계별 추진 방안····················································155

2. 사업추진체계 및 추진주체별 역할 분담 방안···························156

3. 정책사업 성과관리 방안·····························································163

참고문헌 ·································································································167

ABSTRACT ····························································································171

<부록 Ⅰ> 전국 전통시장 현황 ·························································173

Page 2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viii

표 차례<표 Ⅰ-1> 사례조사 대상 전통시장···························································8

<표 Ⅱ-1> 상설시장과 정기시장 수·························································16

<표 Ⅱ-2> 시장의 법적 분류····································································17

<표 Ⅱ-3> 등록여부에 따른 전통시장 유형별 현황································19

<표 Ⅱ-4> 지역별 전통시장 개설 현황····················································23

<표 Ⅱ-5> 전통시장 형태별 개설 추이····················································24

<표 Ⅲ-1> 전국 전통시장과 점포의 숫자················································37

<표 Ⅲ-2> 전통시장 판매 품목································································38

<표 Ⅲ-3> 지역별 시장수 및 상인조직현황(2006년) ·······························41

<표 Ⅳ-1> 전통시장 관련 제도의 변화 추이···········································55

<표 Ⅳ-2> 시설현대화 추진 실적·····························································58

<표 Ⅳ-3> 시장경 혁신사업 진행 내역··················································59

<표 Ⅳ-4>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내역······················································60

<표 Ⅳ-5> 석수시장 세부 프로그램·························································75

<표 Ⅳ-6> 의정부 거리문화축제 테마······················································83

<표 Ⅳ-9> 해외사례 분석 대상 전통시장···············································100

<표 Ⅴ-1> 시장유형별 문화적 대응을 위한 문화적 그룹······················130

<표 Ⅴ-2> 시장의 유형···········································································135

<표 Ⅴ-3> 시장 활성화 유형··································································138

<표 Ⅴ-4> 이벤트 지원의 효과(2007년 실적 기준) ·······························141

<표 Ⅴ-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한

중앙정부 간 역할 분담·························································158

<표 Ⅴ-6> PM 심사기준·········································································162

<표 Ⅴ-7> 전통시장 사업의 중점 목표에 따른 평가지표······················164

Page 2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ix

그림 차례[그림 Ⅱ-1] 전통시장 형태별 개설 추이··················································24

[그림 Ⅱ-2] 시대별 전통시장의 의미와 기능··········································26

[그림 Ⅱ-3]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 변화··············································28

[그림 Ⅱ-4] 관계에 기반한 시장문화 요소··············································30

[그림 Ⅲ-3] 유통채널별 매출액 증감 추이··············································39

[그림 Ⅲ-4] 전통시장 SWOT분석····························································42

[그림 Ⅲ-5] 전통시장 쇠퇴 요인에 따른 문화적 대응의 필요성············45

[그림 Ⅳ-1] 전통시장 지원사업의 변화 추이··········································56

[그림 Ⅳ-2] 전통시장의 문화 활성화 사업 유형·····································65

[그림 Ⅳ-3] 석수시장 공공예술 프로젝트················································77

[그림 Ⅳ-4] 석수시장 국제레지던시 사업················································77

[그림 Ⅳ-5]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의 목표············································78

[그림 Ⅳ-6]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의 전략············································79

[그림 Ⅳ-7] 성남문화재단 문화예술창조도시계획(2006~2020년) ············88

[그림 Ⅳ-8] 남부시장 교육프로그램·························································95

[그림 Ⅳ-9] 스가모 지조토오리 시장 안내판·········································103

[그림 Ⅳ-10] 보케리아 시장의 문화 프로그램·······································107

[그림 Ⅴ-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목표·······················117

[그림 Ⅴ-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118

[그림 Ⅴ-3] 전통시장 활성화의 전략적 방향·········································118

[그림 Ⅴ-4] 시장과 지역사회 공동체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119

[그림 Ⅴ-5] 시장 형성의 역사에 따른 활성화 전략······························121

[그림 Ⅴ-6] 전통시장의 특성에 따른 활성화 전략································122

[그림 Ⅴ-7] 시장 특성별 활성화 전략···················································122

[그림 Ⅴ-8] 전통시장의 문화적 속성·····················································123

[그림 Ⅴ-9] 시장 활성화의 주요 개념···················································125

[그림 Ⅴ-1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문화적 요소 추출·····················126

[그림 Ⅴ-11] 시장 공간성의 획득 단계·················································127

[그림 Ⅴ-12] 이야기를 소통으로 전환시키기········································132

Page 2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xx

[그림 Ⅴ-1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유형·································136

[그림 Ⅴ-14] 예술단체 순회 프로그램···················································142

[그림 Ⅴ-15] 수원 못골시장 SWOT 분석··············································143

[그림 Ⅴ-15] 인천 신포시장 SWOT 분석··············································144

[그림 Ⅴ-16] 안양 석수시장 SWOT 분석··············································145

[그림 Ⅴ-17] 서울 현대시장 SWOT 분석··············································146

[그림 Ⅴ-18] 시장사례별 활성화 유형 분석··········································147

[그림 Ⅴ-1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 추진체계··········156

[그림 Ⅴ-20] 지명경쟁을 통한 PM 선정 절차······································161

[그림 Ⅴ-2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평가 모형················166

Page 2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 1 장 서 론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2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침체된 전통시장(舊 재래시장) 활성화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문

화적 접근의 필요성 대두

- 전통시장은 자연발생적으로 지역에서 뿌리내리고 있는 가치재

이자, 생활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는 잠재적 자원이라는 인식의

기초 위에서,

- 경제적 가치로만 바라보던 과거의 접근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

음을 인식하고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방향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 대두

- 소비문화패턴이 동질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전통시장 활성화

는 대형마켓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라는 하나의 방향

성만으로 진행되고 있음.

- 대형마켓을 따라가기 위한 시설현대화와 경 지원만으로는 전

통시장 본연의 모습을 살리면서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한

계가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음

○ 새로운 수요 확충을 위한 전통시장의 매력도 제고 필요성 대두

- 전통시장의 쇠퇴 원인은 대형마켓의 출현에 의한 경쟁력 상실

만의 문제를 넘어,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른 세대 구성의 변화

와 그에 따른 사회문화적 욕구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고려

하지 못한 데서 발생한 문제임

- 현재의 전통시장 이용 고객의 층위는 특정 연령대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수요 확충을 위한 전통시장의

매력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음

Page 2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전통시장만이 가진 강점(근린성과 지역성)을 살려 전통시장 활

성화의 새로운 모델을 창출할 필요가 있음

2. 연구 목적○ 전통시장을 지역의 열린 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시장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이미지를 쇄신함으로써, 지역 재생과 문화적 가치

확산의 구심점으로서 전통시장의 역할과 위상을 확립하는데 목

적을 둠

○ 전통시장 고유의 문화전통을 살려 살아 있는 지역문화의 중심으

로서, 일상문화의 반 으로서의 시장에 대한 가치를 확산시키고,

더 나아가 관광 자원으로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범위○ 내용적 범위

- 관광의 목적보다는 전통시장에 대한 이미지 쇄신과 문화적 가

치 확산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내용 범위는 프로그

램(안)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사업 추진 방향을 마련하는 것에

한정

- 즉,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측면에 대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문화적

접근 방법에 초점을 두고자 함

Page 2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1장 서 론 5

2. 연구의 주요내용 가.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 ○ 전통시장의 개념과 특성 분석

- 전통시장의 개념(법제도적 개념, 학술적 개념)

- 전통시장의 유형과 특성 분석

○ 전통시장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

- 전통시장의 역사적 변천과정

- 시대별 전통시장의 기능과 역할 변화

○ 전통시장의 문화적 요소 도출

- 전통시장의 장소성과 상호작용적 특성

- 전통시장의 관계성과 문화적 커뮤니티로서의 특성

- 거래의 문화성과 다원적 특성

- 전통시장의 통합성과 복합성

- 시장문화의 요소 분석

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도출 ○ 전통시장의 근황 분석

- 전통시장의 유형별 분포 및 연도별 변화 추이

- 전통시장의 매출액 증감 추이 분석

- 상인조직 현황 분석

○ 전통시장 침체의 원인 분석

- 전통시장의 장점과 약점 분석

- 전통시장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분석

○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의 배경과 필요성 도출

-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배경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

Page 2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다.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현황

- 법적, 제도적 기반 구축(재래시장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 시

장경 지원센터 설립 등)

- 중소기업청의 지원사업 추진 현황(시설현대화사업과 경 혁신

중 마케팅 및 홍보 관련 사업)

-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의 운 성과와 과제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관련 사업 현황

-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사업 분석을 통한 문화적 활성화 유

형 도출

- 전통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 개발로서의 접근, 전통시장의 문

화적 활성화를 위한 접근,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

성 획득을 통한 접근 사례를 통해 성과와 한계 고찰

○ 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미국, 일본, 스페인 등의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시장 활성화 성

공요인 추출

- 제도, 기반,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시사점 도출

라.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향

- 방향성에 대한 검토:지역활성화를 위한 목표와 국제화를 위한

목표, 상인을 위한 사업과 지역주민을 위한 사업, 전통적 가치

와 동시대적 가치

- 사업 목표와 방향 설정:서민생활 안정화, 주민의 문화향수 기

회 증진, 관광적 활용가치 증대

- 사업의 중점 가치:삶과의 연계성, 시장의 특수성, 지속가능성,

지역네트워크

Page 3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1장 서 론 7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지원 전략

- 전통시장 강점과 약점 등 특성별 대응 전략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려사항:자원의 발굴, 공간의 결합,

기능의 복합화, 브랜드 개발

- 시장의 성격에 따른 유형별 특성화 전략:시장의 입지조건, 시

장규모(전체 점포수와 빈 점포수 비율), 특수성 요인, 상인회의

주체적 의지,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추진실적, 상권크기,

매출액 규모, 방문객 및 관광객수, 이용고객의 분포와 특성 등

에 따른 지원 유형 차별화

- 시장 활성화 유형별 지원 전략 도출:주민공동체형, 지역관광

형, 문화복지형, 예술장터형 모델에 따른 활성화 방안

- 시장 유형별 프로그램 제시:시장 유형과 특성에 따른 프로그

램 개발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의 성공조건과 과제

- 성공조건:시장의 내부적 의지, 환경적 여건, 주변 인프라 여

건, 지방자치단체의 의지

- 지역의 지속 사업 추진을 위한 방안 마련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추진체계

- 정부부처별 역할 분담 방안(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청, 지방

자치단체 등 전통시장사업 추진주체의 역할 분담)

- 추진체계와 방법:추진주체, 추진과정, 컨설팅단 구성을 통한

추진방법

- 사업 성과관리 방안:사업목표에 따른 성과지표 설정, 사업을

통한 시장의 변화과정, 상인의 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과

참여 및 협력과정, 주민의 시장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 도출을

위한 인터뷰 조사, 사업 출발점 상황에 대한 진단과 사업 완료

시점에 대한 조사를 통한 문화적 접근의 차별적 가치 부각

Page 3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3. 연구 방법○ 문헌 자료 분석

- 전통시장에 대한 학술 자료 및 사업 운 자료 분석을 통해 시

장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시장의 문화성 검토

-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현황 분석

- 기존 해외사례 관련 문헌자료 조사 및 해외통신원을 활용한 전

통시장 사례 분석

○ 현장 인터뷰 조사

- 전통시장에 문화적 접근을 시도했던 사례에 대한 현장 인터뷰

조사를 통해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의 가능성을 확인하

고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표 Ⅰ-1> 사례조사 대상 전통시장구분 주요조사내용

전북전주남부시장

(공공작업소심심)청소년 참여를 통한 문화적 리모델링 사례

광주

대인시장

(광주비엔날레)창작공간 활성화 사례

말바우시장

(광주북구문화의집)

문화마케팅을 통한 시장의 변화

프로그램 개발 사례

대전대전중앙시장

(재래시장미술가협회)

원스톱쇼핑전략도입, 상설공연, 특화거리,

어린이현장학습장 사례

경기

안양석수시장

(스톤앤워터)

국제레지던스 연계를 통한 시장 활성화

사례

성남상대원시장

(성남문화재단)주민공동체형 전통시장 사업 사례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

- 자문회의:중소기업청과 기획재정부 등 관계기관 자문회의와

Page 3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1장 서 론 9

문화체육관광부 자체 자문회의를 활용한 내용 검토 및 방안 도

출(연구 초반 시기 중점 활용)

- 연구진워크샵:공동연구자와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 현장전

문가로 구성된 워크샵 개최를 통해 활성화 전략 도출(연구 중

반 이후 중점 활용)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 파급효과와 확산 가능성을 고려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유형과 모델 개발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의 차년도 전통시장 사

업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문화의 사회적 가치 확산과 전통시장의 문화적 가치 환원을 지

향하는 전통시장 정책을 위한 부처별 협력 필요성에 대한 환기

○ 전통시장 활성화의 지속 가능한 방향성과 발전적 전망을 제시함

으로써 정책 추진의 신뢰성 구축

○ 전통시장 활성화라는 기조 속에서 문화관광의 역할과 그 가능성

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지역 문화와 관광의 내생적 에너지가 시

장 속으로 파급되고 자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촉매 역할 수행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의 전략과 방법은 전통시장의 급속

한 매출 증가와 급진적 지역활성화를 이끄는 것에는 한계가 있

을 수 있으나, 그 자체로 문화적 설득력을 가진 삶의 공간이자

터전으로서의 전통시장에 대한 문화적 접근을 통해 지역의 살아

숨쉬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부상함과 동시에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임

Page 3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제 2 장 전통시장의 개념과역사적 변천과정

Page 3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13

제1절 전통시장의 개념1. 전통시장의 개념가. 시장의 사전적 의미○ 여러 가지 상품을 팔고 사는 장소

○ 특정한 상품이 거래되는 곳

○ 상품의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추상적인

기구

나. 전통시장의 학술적 개념○ 고전적 의미의 전통시장

- 시장이란, “사회, 경제, 문화 및 기타 대상물을 가진 장소로서

물건을 사는 사람과 사람이 모여서 가격이 결정되고 지불되는

곳”(C.R.Belshaw, 1965; 지진호, 2001)

- 물건이 판매되는 공개적인 장소로서의 의미로서 주로 사용

○ 현대의 전통시장 개념

- 장소뿐만 아니라, 물건을 거래하는 사람들의 집단까지 포함하

여 해석(이상옥:1994; 지진호, 2001)

다. 전통시장의 법제도적 개념 ○ 시장법(1961년 제정)에 의한 정의

- 시장을 판매자와 구매자간에 상품 거래가 행해지는 구체적인

시설 또는 장소로 규정, 이를 상설시장과 정기시장으로 구분

- 상설시장:이 법에서 정해 놓은 시장개설 요건을 갖추고 일정

지역 내 하나의 건물 안에서 대통령이 정하는 수의 업자가

항시 물품의 매매교환 이나 기타 이를 지원하는 용역을 제공하

Page 3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는 업장

- 정기시장:일정 구역 안에서 규정에 의한 시설기준을 갖추고

정기 또는 계절적으로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모여 물품을

매매, 교환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용역을 제공하는 장소

- 상품교환의 발생 빈도가 정기적이냐 연속적 또는 매일 이루어

지느냐에 따라 상설시장과 정기시장으로 구분

○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일부개정

2008.3.21 법률 제8976호)<한시법:2016.12.31>에 의한 정의

- ‘재래시장’이라 함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

로서 상업기반시설이 노후화되어 개・보수 또는 정비가 필요하

거나 유통기능이 취약하여 경 개선 및 상거래의 현대화 촉진

이 필요한 장소

- 기 개설 허가된 시장 중 1980년 이전에 개설된 시장으로서 시

설이 노후화되어 재개발 및 근대화의 필요성이 있는 시장1)

- 기 개설허가된 시장이란 1961년 제정된 시장법에 의해 시장 개

설 허가를 얻은 기존의 시장으로서 본래의 상적기능을 목적으

로 하는 고유의 전통시장을 의미

- 재래시장의 기준년도를 1980년 이전으로 설정한 것은 통상적

으로 노후불량건축물의 재개발년수와 개설허가년도에 기초

- 재래시장이란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상시 또는 계절적으

로 집합하여 물건을 구매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 매장 또

는 장터로 서, 주로 근대적 유통시설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이전 즉 대략 1980년 이전에 개설된 상설시장 또는 정기시장]

을 의미

- 재래시장이라는 개념에는 근대적인 대규모 소매 기능이 취약하

1) 보통건물의 년수가 12-20년이 지나면 재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낙후

되고 노후화된 전근대적인 유통시설인 재래시장을 시간적, 편의적 차원으로

구분한 개념

Page 3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15

고 건물시설이 노후하여 대부분 재개발 및 근대화를 필요로 하

는 시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

○ ‘전통시장’으로 용어 전환

- 2008년 4월 3일 중소기업청이 전국적으로 매월 마지막 주 토요

일 ‘전통시장 가는 날’을 선포함에 따라, 이를 계기로 ‘전통시

장’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인 정책 용어로 사용하기 시작함

※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조례를 통해 명문화함:예컨대, 서울

특별시 도봉구는 2008년 6월 20일 ‘서울특별시 도봉구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조례’를 전면 개정하여 ‘전통시장 이용의

날’을 조례를 통해 명문화함

2. 전통시장의 유형가. 시장의 법적 분류1) 개설주기별 분류:상설시장, 정기시장○ 근거:시장법(1961), 개정시장법(1981), 도소매진흥법(1980)

○ 상설시장

- 시장개설 요건을 갖추고 일정지역 안의 하나의 건물 안에서 대

통령령이 정하는 수의 업자가 항시 교환이나 기타 이를 지워

하는 용역을 제공하는 업장

○ 정기시장

- 일정구역 안에서 규정에 의한 시설기준 등을 갖추고 정기적 혹

은 계절적으로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모여 물품의 매매,

교환이나 기타 이를 지원하는 용역의 제공을 하는 장소

- 일정주기로 개설되거나 업을 하는 시장(5일장 등) 또는 노점

을 포함한 대부분의 점포가 일정 주기로 업을 하는 곳

Page 3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표 Ⅱ-1> 상설시장과 정기시장 수지역 상설시장 정기시장 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226

46

36

93

26

36

184

44

99

35

37

114

101

39

28

11

0

4

0

5

3

7

7

23

59

21

41

61

90

84

41

9

226

50

36

98

29

43

191

67

158

56

78

175

191

123

69

20

계 1,155 455 1,610

※ 자료:시장경 지원센터, 2006

2) 등록여부에 따른 분류:등록시장, 인정시장○ 근거: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2004)

○ 등록시장

- 유통산업발전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대규모점포의 요건을 갖

춘 시장

- ‘대규모 점포’란 대통령령이 정한 기준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연접되어 있는 건물 안에 하나 또는 여러 개로 나누

어 설치되는 매장, 상시 운 되는 매장, 매장면적의 합계가 3천

제곱미터 이상인 곳을 의미함

○ 인정시장

- 등록시장과 같은 기능을 행하고 있으나 유통산업발전법 제2조

Page 3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17

및 제3호의 규정에 의한 대규모점포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곳

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다고 시장・군수・구청

장(자치구의 구청장)이 인정한 곳

- ‘대통령이 정하는 기준’이란 도매업, 소매업 또는 용역업을

위하는 점포의 수가 50개 이상인 곳을 말함(도로를 제외한 건

축물과 편의시설 포함)

○ 기타시장

- 등록시장 또는 인정시장은 아니지만 시군구에서 전통시장의 기

능을 행하고 있다고 임의로 분류한 시장

<표 Ⅱ-2> 시장의 법적 분류시장규칙

(1914)시장법(1961)

개정 시장법(1981)

도소매업진흥법(1980)

유통산업발전법(1997)

재래시장특별법(2004)

① 재 래 시 장

(정기시장)

②공설시장

③ 어 채 시 장

(농수산물)

④상품,유가증

권거래소

①상설시장

②정기시장

③대형점(백화

점 등)

①상설시장

ⓐ도매시장

ⓑ일반소매

시장

ⓒ백화점

ⓓ쇼핑센터

ⓔ대형점

②정기시장

③연쇄화사업

①상설시장

②정기시장

③대형점

④대규모소매

ⓐ백화점

ⓑ쇼핑센터

⑤도매센터

⑥연쇄화사업

⑦상점가

①대규모점포

②임시시장

③체인사업

④상점가

⑤전문상가단

⑥무점포판매

① 등 록 시 장

(유통산업

발전법 제8

조)

②인정시장

③기타시장

3) 취급상품별 분류:일반시장, 전문시장○ 근거:전통시장에서 주로 취급하는 상품에 따른 분류로 별도의

법적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님

○ 일반시장(종합시장)

- 생활용품, 공산품, 농축수산물 등 다양한 상품을 종합적으로 취

급하는 시장

Page 3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전문시장

- 동일 상품 및 유사 상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비중이 높은 시장

- 청량리 청과물시장, 부산 진시장, 인천 종합어시장, 풍기 인삼

시장, 강경 젓갈시장, 서울 약령시장 등이 해당

4) 기타 분류○ 시장 소유자별 구분

- 법인시장:민법 또는 상법에 의한 법인이 소유 관리하는 시장

- 개인시장:개인이 시장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시장

- 공설시장: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개설하 거나 관리하고 있는

시장으로 소유권은 지방자치단체에게 있는 시장

- 공동개설시장:법인・개인・공설 시장이 아닌 곳으로 상인들이

공동으로 개설하 거나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시장

○ 상권크기별 구분

- 전국상권대형시장:전국을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된 시장(남대

문시장, 동대문시장, 가락시장 등)

- 곽역상권중심시장:1개 이상의 시도를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

된 시장(인천종합어시장, 청량리청과물시장 등)

- 중소형시장:시장이 소재한 시군구 대상으로 상권이 형성된 시

장(중곡제일시장, 부평종합시장 등)

- 근린생활형시장:시장이 소재한 읍면동 또는 그 일부를 대상으

로 상권이 형성된 시장(쌍문역 골목시장, 보문 골목시장 등)

○ 시장형태별 구분

- 상가건물형시장:한 동의 건물 중 구조상 구분된 수 개의 부분

이 독립된 건물로 사용될 수 있는 때에는 그 각 부분은 ‘집합건

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각각 소유

의 목적이 될 수 있으며, 이 각각의 구분 소유권으로 독립할 수

있는 건물의 집합체로서 시장

Page 4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19

- 노점형시장:노점상만으로 구성된 시장

- 장옥형시장:일정한 건물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장소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재화의 판매 또는 서비스의 제공이 이뤄

지는 장옥만으로 구성된 시장

- 상가주택복합형시장:골목시장 등과 같이 한 개 이상의 집합건

물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시장(아케이드 사업 대상 시장)

<표 Ⅱ-3> 등록여부에 따른 전통시장 유형별 현황등록 여부

시장 구분

등록시장 인정시장 기타시장 전체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전체 991 61.6 302 18.8 317 19.7 1,610 100.0

시장

크기

대형시장(1,000개이상) 12 54.5 3 13.6 7 31.8 22 100.0

중대형시장(500~1,000개) 35 66.0 13 24.5 5 9.4 53 100.0

중형시장(100~500개) 316 58.5 151 28.0 73 13.5 540 100.0

소형시장(100개미만) 628 63.1 135 13.6 232 23.3 995 100.0

시장

소유

법인시장 365 88.4 32 7.7 16 3.9 413 100.0

개인시장 70 54.3 11 8.5 48 37.2 129 100.0

공설시장 305 71.4 42 9.8 80 18.7 427 100.0

공동시장 251 39.2 217 33.9 173 27.0 641 100.0

시장

형태

상가건물형시장 601 69.6 135 15.6 128 14.8 864 100.0

노점형시장 79 44.1 23 12.8 77 43.0 179 100.0

장옥형시장 181 70.4 34 13.2 42 16.3 247 100.0

상가주택복합형시장 130 41.9 110 35.5 70 22.6 310 100.0

개설

주기

상설시장 695 60.2 257 22.3 203 17.6 1,155 100.0

정기시장 296 65.1 45 9.9 114 25.1 455 100.0

취급

상품

종합시장 916 61.9 273 18.5 290 19.6 1,479 100.0

전문시장 75 57.3 29 22.1 27 20.6 131 100.0

소재

대도시 414 63.2 117 17.9 124 18.9 655 100.0

중소도시 236 54.6 121 28.0 75 17.4 432 100.0

읍면지역 341 65.2 64 12.2 118 22.6 523 100.0

※ 중소기업청(2007.3), 2006년 기준 재래시장 실태조사보고 참조

Page 4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2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제2절 전통시장의 역사적 변천과정1. 전통시장의 역사적 변천과정가. 전통시장의 시대별 변천과정1) 조선시대 이전

- 시(市)와 정(井)의 글자가 각각 제단의 의미로 사용(이상옥,

1994)

- 오래 전부터 소통과 교환의 장이었던 시장의 기원:시와 정에

서 제사가 행해질 때 대중이 운집함으로써 그곳에서 자연히 의

사소통과 생활정보의 교환, 물자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시장으

로서의 기능 발생(비정기적)

- 서기 2세기 전후 삼한시대에는 촌락과 촌락 사이에 교통이 편

리한 장소나 밀집촌락의 길거리에에는 가로시(街路市), 촌락주

민이 공동제례를 거행하는 제단부근에는 제전시(祭典市)가 있

었음(백남운, 1933)(정기적)

2) 조선시대- 시전과 육의전을 좌상으로 설치하여 지금의 도시시장과 같이

상설화함, 지방의 시장은 정기시장으로서 5일장이 대부분이었음

- 조선시대 전통시장은 농촌의 발전과 농민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곳, 경제적으로 지역간의 잉여생산물을 거래인 수직적 교환기

능을 가진 곳, 소식 및 정보교환, 사교, 오락, 정치 등의 기능도

수행됨으로써 농민들이 단조로운 생활을 벗어나 세상 소식을

접하고 활기를 찾던 곳으로서 기능, 민란 등의 정치적 집회장

소로 사용되기도 함

Page 4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21

3) 일제시대- 1910년 조선총독부 설치 이후 시장에 대한 감독 강화

- 조선인의 유일한 상품교환 장소인 시장의 유용성을 경제적 침

략정책으로 활용하기 위해 재래정기시장에 대해 장려정책 강

구(김성훈, 1977)

- 1914년 총독부령 시장규칙 제정 발표:제1,2,3시장으로 구분

- 1호시장은 장옥이 설치된 일정 장소에서 매일 또는 정기로 다

수의 수요공급자가 모여 매매교환을 행하는 전통시장으로, 대

부분의 시장이 이것에 포함(정기시장으로 명칭 변경된 것도 이

때부터임)

- 2호시장은 20인 이상의 업자가 장옥에서 곡물과 식료품 판매

를 하는 시장, 일본인 중심으로 발달된 시장 해당

- 3호시장은 위탁을 받아 경매방법에 의해 판매하는 장소, 회사

조직 형태의 일본인 경 수산 및 청과물시장 해당

- 일제시대 전통시장은 조선시대에 비해, 농촌과 도시 간 또는

상이한 지역간의 수직적 교환기능이 강화되었으며, 시장 규모

가 클수록 그러한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남(이상옥, 1994)

- 농촌 주민에게 문물소개와 전파, 뉴스, 사교 및 오락 등을 접하

게 해주는 장소로 활용됨(당시 문맹률 80%, 대부분 언론매체

접촉기회 부재)

- 문화오락을 즐기는 장소로 활용(남사당, 신파극, 화, 곡마단

등은 지역주민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프로그램으로

기능)

4) 해방이후 전통시장- 1945년 해방이후 생필품 부족으로 사회적 혼란 야기, 미군정청

은 시장자유화 조치 단행

1950년 전후로 유통경제가 마비되다가, 1954년부터 점차 회복,

Page 4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2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1961년 개정된 시장법 공포를 통해 상공부 장관의 지휘감독 하

에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허가를 받아 개설할 수 있도록 하고,

운 은 읍면 또는 민간단체에 위임(이상옥, 1994)

- 산업화가 가속화된 1960년 전후로 농촌인구 감소 시작, 1970년

대 도시중심 산업사회로 전환되면서 농촌중심 전통사회에서

활성화되었던 전통시장 수가 감소하기 시작(최양부, 1985)

- 고도 산업사회로 진입한 1990년대, 대형유통점의 등장으로 인

구 대비 전통시장의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전통시장의 기능이

경제적 기능 외에 사회문화적 기능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음

나. 전통시장의 지역별 발전과정○ 전통시장의 지역별 개설 추이

- 1990년대 초반에는 상대적으로 경북 지역이 강세, 지방소도시

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생성

- 1940~50년대 전후에는 전국적으로 약세를 보임

- 산업화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전국 각 지역에

서 꾸준히 증가 양상을 보임

- 특히, 서울, 경기 지역은 1960년대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다

1980년대부터 급속하게 감소

- 부산, 대구, 인천 지역은 1970년대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역시 1980년대부터 감소세

- 1980년대까지 증가 추이를 보이던 전통시장은 대형마트가 유

입된 1990년대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기 시작함

Page 4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23

<표 Ⅱ-4> 지역별 전통시장 개설 현황시장개설년도

서울 부산 인천 대전 대구 광주 울산 강원 경기 충남 충북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제주 계

1800~1899

0 1 0 0 1 0 0 1 2 0 2 2 0 3 0 0 12

1900~1909

2 0 0 0 0 0 0 0 0 2 1 10 1 2 2 0 20

1910~1919

0 1 0 2 2 0 1 2 2 6 0 1 12 3 5 0 37

1920~1929

0 1 0 0 1 1 0 0 3 9 0 4 12 5 3 0 39

1930~1939

2 5 0 1 1 0 1 0 3 5 1 7 3 6 6 0 41

1940~1949

4 6 0 0 2 0 1 2 6 4 2 10 11 6 2 0 56

1950~1959

4 6 2 2 2 2 3 10 17 7 6 15 26 16 6 2 126

1960~1969

37 7 7 4 7 2 3 18 31 12 10 14 24 32 8 5 221

1970~1979

99 75 15 8 40 5 9 11 28 10 8 17 27 17 9 5 383

1980~1989

33 49 19 10 32 10 8 11 39 7 10 38 36 18 9 4 333

1990~1999

8 32 5 3 6 4 13 6 13 6 8 39 33 5 6 1 188

2000년대

29 7 2 5 4 5 4 6 13 10 4 16 5 10 11 2 133

계 218 190 50 35 98 29 43 67 157 78 52 173 190 123 67 19 1,589

○ 전통시장 형태별 개설 추이

- 1960년대 이전에는 전국 각 지역에서 상설시장보다는 정기시

장을 중심으로 개설되어 오다가,

- 1960년대 이후부터는 정기시장의 수가 급속도로 감소하고, 상

설시장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

Page 4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2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1970년대는 전국적으로 개설된 상설시장의 수가 347개로 전년

대비 300% 이상 증가한 반면, 개설된 정기시장의 수는 36개로

전년 대비 30%대로 감소함

- 1980년대 이전에 개설된 시장이 935개로 전체 시장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시설이 노후화되어 있는 시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함

<단위:개>

36 35 28 33

100

160

298347

27

113

30 24 3174

050100150200250300350400

1800

년대

1900

년대

1910

년대

1920

년대

1930

년대

1940

년대

1950

년대

1960

년대

1970

년대

1980

년대

1990

년대

2000

년대

상설 정기

[그림 Ⅱ-1] 전통시장 형태별 개설 추이

<표 Ⅱ-5> 전통시장 형태별 개설 추이구분

개설년도상설시장 정기시장 계

1800년대1900년대1910년대1920년대1930년대1940년대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2000년대

39

109

172452

113347298160100

912

12730243174

10836352833

122137394155

126221383333188133

계 1,142 547 1,589

Page 4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25

○ 전통시장 형성과 발달에 미친 향 요인2)

- (1차요인) 교통로, 행정중심지, 문화중심지

- (2차요인) 정서적 친근감, 주거지역 인접, 상품가격 저렴, 지역

경제 발전의 전초적 기반, 서민들의 생활정보 교류장소

○ 전통시장 쇠퇴 원인

- 도시화, 자동차교통발달, 상설점포 및 대체시장 기구 등장, 현

대문화 전달매체 대중화, 농축산물의 상업화와 시장기구 변화,

농민 소득향상, 농업 기계화, 공산품 품질 향상, 농축산물시장

개방, 전통시장과 5일장에 대한 행정지원체계 미약(점검)

2. 시대별 전통시장의 기능과 역할가. 전통적인 시장의 기능○ 전통적인 시장의 의미와 기능

- 전통시장에 대한 시간적 의미는 배제되어 있고, 장소적 의미

강조

- 다수의 사람이 모여서 매매를 행하는 특정한 장소를 지칭할 때,

시(市), 장(場), 저자, 장시, 시장 등으로 표현

- 오늘날 시장은 상행위 현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이상옥,

1994)

나. 근대적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 시장의 수평적 교환 + 수직적 교환 (S.W.Mintz, 1959) 역할

- 경제적 기능 + 비경제적 기능:소식 교환, 오락, 결혼상담, 정

치행정, 종교적 기능, 사회적 행사로서의 역할, 관광 기능(볼거

2) 조선시대 3대시장이었던 평양시장, 대구시장, 강경시장이 발달하게 된 근본

원인은 교통로, 행정중심지, 문화중심지 성격이 강한 곳이었기 때문이다.(지

진호, 임화순, 2001, p.18)

Page 4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2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리, 먹거리, 살거리, 놀거리)

○ 사회기능의 결집을 위한 문화공간

- 농촌 및 도시의 교류, 정보제공, 사교, 오락 등 사회기능의 중

요한 결합 장로로서 전통적인 지역사회에서의 문화공간으로

활용

시 대 전통시장의 기능

조선시대 이전공동제례(정기적), 정보와 물자의 교환(비정기적), 교통의 요충지에 생성

조선시대사교, 오락, 정치적 기능, 농촌 계몽생산지역내 잉여분 거래 활발, 농촌 소득향상에 공헌

일제시대

농산물 교환 기능, 거래품목 다양화로 도농간 생필품 거래의 매개문물 전파오락기회독립운동 등 정치적 집회장소

해방이후(1950~1970년대

중반까지)

도시 상설 도소매시장 발달로 전통시장 거래기능 약화(60년대 이후 약화 가속)경제적, 오락적 기능 수행농촌주민의 결속과 공동생활권 형성의 공동매개체 기능, 농촌 주민의 생활중심지 기능(70년대 전반까지)

근현대(1970년대 중반~

1980년대)경제적 기능은 약화되고, 사회문화적 기능오로 변화3)

※ 자료:이상옥(1994), p.59 재구성

[그림 Ⅱ-2] 시대별 전통시장의 의미와 기능

3) 1950년대까지는 5일장이나 전통시장 고객의 50%만이 경제적 교역을 위해

방문, 나머지 50%는 장터나 전통시장을 사회 및 오락적인 목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나타남(김 모, 1956)

Page 4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27

- 일제시대 등의 당시 지배계층은 정치적 집회의 장으로 활용되

던 시장의 기능을 폐단으로 보기도 했지만, 여러 민속놀이나

지역의 한바탕 유희장이 마련되는 것, 풍물패들에 의한 연희

등을 통해 지역주민 간 화합과 결속력을 다지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해 옴

- 전통시장은 역사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놀이의 장, 화합의 장,

유일한 문화적 공간으로 기능해 옴

다. 동시대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 공간을 통한 사회적 매개

- 최종소비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고 공간적 개념과 관

련된 제반 활동으로서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 담당

-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

복해주고, 적합한 상품을 적시에 적절한 장소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해주며, 유통산업의 사회경제적 기여에 대한 적극적 광

범위한 효과 부여(장철모, 1993)

○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역사회에 향력 제공

- 소비자 정보의 제공과 상품화 계획의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상

품 판매에 따르는 제반 서비스의 제공과 생활의 안정에 기여

- 전통시장은 전통적으로 소비자들의 구매관습, 생활관습상 농축

산물의 집산지로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 왔는데, 이러한 기

능은 지역사회에 미치는 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밖에

없었음

Page 4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2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과거의 시장> <현재의 시장>

시 장

생활문화

커뮤니티

지역주민

시 장

관광적 요소

외부요인

생활문화

커뮤니티

지역주민

[그림 Ⅱ-3]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 변화

제3절 전통시장의 특성과 문화적 요소1. 전통시장의 장소성과 상호작용

장시는 물품 거래 외에 정보교환과 만남의 장소 구실과 함께 사회적 불만을 토로하거나 개인적인 억울함을 호소하고 사당패와 풍물놀이 등 볼거리가 제공되는 스트레스 해소의 공간이었다(이재극, 2007).

○ 흥정의 조건:물리적 집합체로서의 장소성

- 시장은 다양한 잠재적 거래 상대자들 사이의 교환 기회가 일방

적이라 할 지라도 경쟁이 존재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존재 가능

- 지역의 광장시장, 일반적인 상인 시장은 장소를 전제로 함

- ‘흥정’이 가능한 조건은 물리적 집합체로서의 시장(Weber,

Page 5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29

1968, p.635; 조형근, 2002, p.27)

- 물리적 집합체는 누가 어디서 만든 것인가에 따라 특성의 차이

를 보임

○ 혼성적 장소로서의 전통시장

- 중심과 주변, 내부와 외부, 이방인과 지역민, 상업과 축제가 뒤

섞이는 장소

- 시장의 혼종성(hibridity):시장은 단순한 복잡성으로서 존재하

기보다 사회정치적 그물망와 지층 속에 배태된 복잡성으로서

존재(조형근, 2002, p.29)

- 사회적 상호작용의 생생한 무대(Plattner, 1989, p.171):사람

들의 정체성과 공동체 관념을 발전시키고 획득하게 되는 단위

2. 전통시장의 관계성과 문화적 커뮤니티○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시장권과 시장 커뮤니티

- 시장권과 시장 커뮤니티는 시장을 중심으로 한 사회, 경제, 문

화적 현상(조형근, 2002, p.31)

- 시장중심지:시장 교환을 용이하게 하려는 목적을 표현하고 있

음. 시장은 거리의 마찰 효과를 최소화하려는 곳에 입지하는

특성을 가짐

○ 관계의 문화성

- 관계의 중심:정보교환과 유통의 장이자 지역주민의 애환을 나

누는 커뮤니티

○ ‘정(情)’의 교류를 통한 지역 커뮤니티 거점 장소로서의 시장

- 전통적인 시장은 지역 주민들에게 필요한 상품을 단순히 공급

하는 장소만이 아니라,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세

대의 사람들이 단골 가게나 이웃 주민들과 만나서 일상 정보를

교환하는 장소 음

Page 5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3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주민들 간에 서로 훈훈한 정감을 주고받는 교류 기능이 시장을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으로 만듦

전통시장 고유의 문화적 가치와 전통

덤(物+物)

시장 고유가치

(경제성의 미학)

흥(전통+문화)

통놀이마당 무

(엔터테인먼트)

정(人+人)

소속감과 애환을 가진 삶의 터

(문화 커뮤니티)

[그림 Ⅱ-4] 관계에 기반한 시장문화 요소

3. 거래의 문화성과 다원성○ 생존과 배려를 통한 아름다운 거래 행위의 발현

- 생존의 문제가 걸려 있는 소외된 자들의 아픔이 ‘거래’ 행위로

아름답게 승화된 곳

- ‘거래’가 만들어낸 삶의 유형은 시장의 존재 이유

- 공동의 가치 집약 공간이 도시 공간에 남아 있다는 깨우침 하

나로도 시장은 충분히 문화적임

○ 거래의 다원성

- 시장 공급자는 이윤 최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지식

을 갖춘 합리적 행위자로 수요의 최소 요구치를 만족시킴

- 시장 소비자는 비용 최소화를 추구하는 합리적 결정자

- 시장 교환은 호혜적인 원리를 따르지 않음

○ 생산자와 소비자의 분리와 통합

- 생산자와 소비자의 혼용, 즉 소비자가 생산자이고 생산자가 소

비자가 되는 양태는 디지털 문화산업시대뿐만 아니라 과거 농

Page 5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31

경상회에서도 일어났던 현상으로, 이는 시장이라는 장소에서만

가능한 현상임

4. 전통시장의 통합성과 복합성가. 기능의 복합화○ 생필품 교환이라는 현실적인 목적과 사람과 사람을 장소로서 연

결하는 사랑방의 역할이 동시에 일어남

○ 전통사회에서 시장은 이동 기회를 제공하는 유일한 통로 으나,

근대 이후의 시장은 정보를 전달받고 새로운 정보들이 만들어지

는 중요한 소통의 공간

나. 역사성과 현재성의 통합○ 과거와 현재의 통합:삶의 원형이자 문화의 원형으로서의 시장

- 문화원형으로서 시장은 다양한 스토리를 가지고 살아 숨쉬는

삶의 공간

- 무형의 문화가 굳어 있는 화석으로서의 시장이자 생동하는 삶

자체로서의 시장

○ 역사의 흔적으로서의 전통시장

- 역사의 흔적: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이래 사람, 물건, 정, 문

화가 조화를 이루며 시대를 반 하고 역사의 흔적을 보존하고

있는 소프트파워의 집합체로 문화의 원형을 보존, 창조해볼만

한 충분한 가치가 있음

○ 현재적 삶의 터전으로서의 전통시장

- 삶의 터전: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삶의 터전으로 지역문

화의 원형이 계승, 발전되어 온 무형적 문화의 가치

- 삶의 궁금증들이 가득 담긴 문화의 공간:역사와 문화와 삶이

Page 5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3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공존하는 전통시장

“동네학교 학생들이 시장에 간다. 시장 사람들로부터 삶의 이야기를

듣는다. 말은 문화적으로 해석되고 한 권의 잡지가 된다. 시장의 풍경

이 사진이 형태로 더해지고, 시장의 이곳저곳이 현장감이 있게 소개

된다. 시장의 소식을 전하는 신문도 만들어진다. 시장의 골목골목을

세밀하게 그려 담은 지도도 그린다. 시장의 소식을 전하는 신문도 만

들어진다. 시장의 골목골목을 세밀하게 그려 담은 지도도 그린다. 마

지막엔 이 모든 삶의 단면들이 모여 하나의 형체를 이룬다. 이 흐름은

시장의 문화가 어떤 것인가에 대한 답이다.”

(2007년 말바우시장에서, 광주북구문화의집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5. 시장문화의 요소들가. 시장문화

- ‘시장문화’:상인문화와 소비자문화의 결합, 전통적 시장문화

와 현대적 생활문화의 반

- ‘문화’는 객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 상황적이

고 특정 관점을 반 하는 큰 관념 즉 ‘아이디어’임

- 시장문화에 대한 객관적 정의, 혹은 추상적 정의를 내리기보다

는 맥락적 조건과 관찰 가능한 요소들을 밝히는 ‘조작적 정의’

필요

- 정책 대상으로서의 ‘시장문화’는 상인문화와 소비자문화, 그리

고 다시 ‘전통적’ 시장문화의 특성과 요소들로부터 도출 가능

나. ‘전통시장문화’의 요소들(시장의 문화성)1) 시장상인 차원의 문화요소들

① 판매의 입담과 몸기술 등 전통적 호객행위

② 흥겨운 퍼포먼스

Page 5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2장 전통시장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과정 33

③ 소비자의 생활의 지혜와 눈썰미에 기초한 흥정이 통하는 유연

한 세일

④ 상품전시 볼거리

⑤ 매장마진이 낮은 값싸고 질 좋은 단골상품

⑥ 사람과 사람을 장소로서 연결하는 사랑방

⑦ 역사적 컨텐츠

2) 지역주민 차원의 문화요소들① 새로운 물건에 대한 호기심

② 사람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③ 사람살이의 생생한 현장을 보게 될 것이라는 타자화된 시선

④ 계절의 변화를 목도할 것이라는 예감

⑤ 저비용으로 고효율을 얻을 것이란 경제적 효용

⑥ 잊고 사는 무언가와 조우하게 될 것이라는 역사의 저장성

⑦ 관계 속에서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확인할 것이라는 기대

⑧ 흥정 속에서도 삶의 개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예감

Page 5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제 3 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Page 5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37

제1절 전통시장의 근황4)

1. 전통시장의 유형별 분포 및 연도별 변화 추이

가. 전통시장 분포○ 전국 전통시장 점포수 감소세

- 전국 전통시장 수는 2004년에 1,702개소로 가장 많았으나 점차

감소하여 2006년 현재 1,610개로 2002년과 거의 비슷한 규모

- 점포수 또한 유사한 변화 추이를 보이고 있는데, 2004년

273,000개로 가장 많았으나 점차 감소하여 2006년에 225,000

개로 2002년 수준으로 회귀

- 전통시장 종사자수는(중소기업청, 2008) 2005년 396,690명에서

2006년 352,646명으로 43,963명이 감소

<표 Ⅲ-1> 전국 전통시장과 점포의 숫자구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시장(개) 1,608 1,695 1,702 1,660 1,610

점포(천개) 219 231 273 239 225

출처:중소기업청(2007) 자료 재구성

○ 시장유형별 분포(중소기업청, 2008)

- 등록시장은 991개(61.6%), 인정시장은 302개(18.8%), 무등록시

장이 317개(19.7%)(2006년 기준)

- 이 중 개설주체가 불분명한 공동개설시장이 641개(398%)인데,

4) 전통시장의 물리적 공간구성, 시장 상인, 이용 고객, 주변 거주민, 거래물품

등 전통시장 실체에 대한 분석 추가

Page 5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3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공동개설인 만큼 상권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평가

○ 점포수 규모별 분포

- 점포수가 100개 미만으로 규모가 세한 시장은 전체의 61.8%

이고, 전체 점포 중 56.8%가 임차점포인 점등, 상당 수 시장은

상권의 향력이 적으며 활성화 시도에 호응을 얻기 어려움

- 임차점포의 비율은 전통시장 경기가 위축될 경우 임대료 부담

을 느끼는 개별 점포의 비율이며, 공실화되는 점포의 비율이

그에 비례해 많아질 수 있음을 의미

<표 Ⅲ-2> 전통시장 판매 품목업종

의류신발

농산물 음식점가공식품

수산물기타

소매업가정용품

축산물생활

서비스

비율

(%)22.3 13.1 12.4 12.2 9.0 9.8 9.9 6.1 4.3

출처:중소기업청(2008, p.1)

○ 전통시장 상품 및 서비스 종류별 분포

- 농수축산물을 합쳐서 28.2% 차지, 음식점 12.4%, 가공식품

12.2%, 생활서비스 4.3%

- 가공품 판매 비율은 의류신발 22.3%, 기타 소매 9.8%, 가정용

품 9.9%로 전체의 42.0%에 해당(대형할인점과 경쟁 품목)

2. 전통시장 매출액 추이가. 매출액 추이1) 유통채널별 매출액 증감 추이○ 4대 유통채널별 매출액의 증감 추이

- 대형마트는 2001년 13.8조에서 2007년 28.2조 원까지, 7년간

Page 5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39

매출액이 14.4조원 증가

- 인터넷쇼핑몰, TV홈쇼핑, 방문판매 등 무점포 업은 2001년

5.9조원에서 2007년 19.8조원으로 같은 기간 13.9조원이 증가

- 반면, 전통시장은 2001년 40.1조원에서 2006년 32.7조원으로

7.4조원 감소

- 대형마트 1곳의 연평균 매출액은 816억원으로 전통시장 1곳의

197억원의 4배 이상. 대형마트는 해마다 매출액이 22% 이상

늘어나 10년 전에 비해 7.5배 증가

(단위:조)

13.8 17.4

19.5 21.5

23.5 25.4

28.2

2.6 4.4 4.1 3.8 4.1 4.5 4.4

3.3 6.0 7.1 7.8

10.7 12.9 15.4

40.1 41.6

36.0 35.4 33.4 32.7

0.0

10.0

20.0

30.0

40.0

01 02 03 04 05 06 07

대형마트 홈쇼핑 인터넷쇼핑몰 재래시장

출처:중소기업청(2008, p.3)

[그림 Ⅲ-3] 유통채널별 매출액 증감 추이

2) 유통채널의 변화가 전통시장 매출액에 미친 영향

‣ 대형마트 1곳이 입점하면 전통시장 4곳, 중소상점 350점 매출액 감소

‣ 대형마트 1개가 들어서면 전통시장 점포 150개가 사라지고, 550명이

실직(한국유통물류원, 2007년 기준)

Page 5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4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매출액에 따른 구매 패턴 변화

- 편리함과 일괄구매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구매패턴 변화로 대형

마트 이용이 늘어났남

- 20~30대 신세대 소비계층이 새로운 유통형태를 선호하면서 인

터넷쇼핑몰 매출 증가

○ 유통채널의 변화에 따른 전통시장 매출액 감소 현황

- 2006년 기준, 전년 대비 매출 증가 전통시장은 13.7%, 변화가

없는 시장 32.1%, 감소된 시장 54.2%

- 매출액 감소 또는 정체를 겪고 있는 전통시장이 대다수(86.3%)

이며, 13.7%만이 증가

3. 상인조직 현황○ 상인조직 결성 비율

- 전국 평균은 65.5%이고, 평균보다 특히 높은 지역은 충북(83.9%),

부산(78.5%), 인천(78.0%), 울산(76.7%), 경기(72.0%), 경남

(72.0%), 대전(71.2%), 강원(70.6%)으로, 상인조직 결성과 관계

있어 보이는 지역적 특성이 나타나지 않음

○ 상인조직(법적단체, 임의단체) 유형의 지역별 분포

- 강원(48.5%-22.1%), 충남(51.3%-9.0%, 전북(52.2%-13.0%), 경

남(48.6%-23.4%), 제주(45.0%-5.0%)의 법적단체 비율이 높음

- 7대 광역시 중 울산, 인천, 대전은 법적단체의 비율이 압도적으

로 많은데(51.2%-25.6%, 50.0%-28.0%, 55.6%-16.7%) 비해,

나머지는 법적단체와 임의단체가 비슷한 비율을 보임

- 법적단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상인들의 변화를 위한 의지가

좀 더 결집되어 있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

○ 전국상인연합회 조직 가입 여부

- 2006년 중소기업청의 특수법인으로 출범한 전국상인연합회에

Page 6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41

서는 전국 16개 지회, 425개 회원시장 보유

- 공동구매 및 판매사업, 전통시장의 연합 온라인 쇼핑몰인 에브

리마켓 사업5), 회원시장의 정보화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추진

중임(전국상인연합회 홈페이지. www.ukma.or.kr)

<표 Ⅲ-3> 지역별 시장수 및 상인조직현황(2006년)지역 없음 (%)

있음(%)시장수(개)

법적단체 임의단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38.9

21.5

45.9

22.0

44.8

27.8

23.3

28.0

29.4

16.1

39.7

34.8

54.5

44.5

28.0

50.0

31.0

40.3

29.6

50.0

31.0

55.6

51.2

35.0

48.5

48.2

51.3

52.2

27.6

20.9

48.6

45.0

30.1

38.2

24.5

28.0

24.1

16.7

25.6

36.9

22.1

35.7

9.0

13.0

17.9

34.6

23.4

5.0

226

191

98

50

29

36

43

157

68

56

78

69

123

191

175

20

전 체 34.6 38.0 27.5 1,610

출처:시장경 지원센터 홈페이지(www.sijang.or.kr) 참조

5) 에브리마켓 사업이란, 온라인 판매증대와 더불어 온라인 쇼핑몰 관련실무 지

원과 상품컨텐츠 제작, 컨설팅 지원, 판매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한 전통시장

상인의 디지털 혁신상인 양성을 목적으로 함(전국상인연합회 홈페이지

www.ukma.or.kr)

Page 6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4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제2절 전통시장 침체의 원인

[그림 Ⅲ-4] 전통시장 SWOT분석

1. 전통시장의 장점과 약점○ 전통시장의 장점

- 진입장벽이 낮아 소상인에게 일터 제공, 지역 경제 및 지역 생

산물을 유통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기여, 지역민의 소득창출 기반

- 대부분의 시장들이 주택가 근거리에 위치하여, 접근이 쉽고 가

까워 기본적인 생필품을 편리하게 구매 가능

- 오랜 역사 속에서 지역주민들과 함께 지탱해 옴. 흥정, 대화,

덤을 통해서 상인과 소비자 간에 밀착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있

으며,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센터로서 역할 수행

○ 전통시장의 약점

① 하드웨어 측면

- 점포의 노후화와 화장실, 휴게실 등 편의시설의 부족으로 쾌적

하지 못한 쇼핑환경 제공

- 공동 청결 관리 소홀로 도시미관에 부정적 이미지

- 건물의 안전성과 위생의 신뢰도 낮음

Page 6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43

- 핵점포의 부재로 집객력 약함

② 소프트웨어 측면

- 노령화된 상인들의 근대적인 경 방식과 마케팅능력 부족으로

유통채널로서 경쟁력 상실

- 대상인과 소상인, 노점상, 상인연합회 등 시장 주체의 복잡한

이해관계로 인해서 시장 개선의 어려움

- 가격정찰제, 원산지 표시 미시행 등으로 점점 물품에 대한 신

뢰도 상실

- 카드사용이 어렵고 사후보증제도가 갖추어지지 않는 등 여전히

전근대적 거래환경으로 소비자들의 기본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함

- 시장의 특성화와 상징적 이미지 부족

2. 전통시장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전통시장의 기회 요인

- 중앙 및 지방 정부의 막대한 지원과 투자

- 재래시장 특별법 제정과 정부 사업이 시행되면서 관련 학회와

언론의 관심이 증대

- 중앙 및 지방 정부의 막대한 지원과 투자

- 입지적 중심성에 따른 기본적 배후상권 확보

- 지역주민의 관심과 시장이미지 각인

○ 전통시장의 위협 요인

- 유통시장 개방 후 다양한 유통채널의 성장과 소비자의 소비패

턴과 욕구의 변화

- 기업형 유통점은 파격적인 저가격의 상품 판매 및 철저한 교환

과 환불 등 양질의 서비스뿐 아니라 전통시장 고유의 매력이었

던 덤을 1+1로 도입, 코너별 시식과 호객행위 등도 끌어옴

Page 6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4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인터넷 쇼핑 등 새로운 유통패턴 등장 가속화

-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구매 패턴의 급속히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 미비:예컨대, 주 소비층인 여성의 사회활동이 늘어

나면서 생필품의 소비가능시간이 주말이나 밤중으로 옮겨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은 그러한 소비자의 소비패턴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제3절 전통시장의 활성화 정책 추진 배경과 필요성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배경○ 전통시장 쇠락을 가속화시키는 외부적 위협요인에 대응

- 외부적 침체 요인:기업형 및 온라인 유통점의 가파른 성장에

따른 상대적 침체 가속화, 소비양식의 변화, 신도시로의 상권

이동이 주원인이고, 내부적으로는 시설노후화, 경 기법 취약,

상인조직 취약, 시장 내 자구노력 부족

- 외부적 위협 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필

요성 대두: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의해 시장 활성

화 추진

○ 재래시장(現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안 제정 근거

① 우리나라 전통적 상거래와 전통적 풍속을 보호하고,

② 유통산업 개방 이후 급속히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재래시장

의 슬럼화, 노후화를 방지하며,

③ 여러 법률에 단편적으로 규정된 재래시장 관련 내용을 특별

조치법에 통합하여 일원화하고,

④ 재래시장 활성화를 통해 서민경제의 발전과 전통문화의 계승

을 도모하기 위함

Page 6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45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 추진 경과

-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은 시설현대화, 시장정비(재개발, 재건축)

사업, 경 현대화 사업(온라인홈페이지, 공동상품권, 마케팅

및 홍보, 점포경 기법, 의식혁신 교육 등)은 경쟁력 확보가 가

능한 시장을 중심으로 지원하면서 세상인 생계 문제(6만명)

가 발생하고, 정부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남

- 중소기업청 자료(2006.5)에 의하면 경쟁력 확보시장은 매력있

고, 쾌적한 상권 형성, 현상 유지시장은 의욕 있는 상인 육성과

지자체 협력, 경쟁력 취약시장은 새로운 유통공간, 고객유치형

커뮤니티 시설 확대 등의 ‘맞춤형’ 지원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

하고 있음

- 하지만 현재까지의 맞춤형 지원 역시 시설 현대화나 경 현대

화를 통한 접근으로 한정되어 있어 시장 특성에 따른 다양한

전략적 지원으로 정착되지 못하여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음

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필요성가. 시장 쇠퇴의 외부적 요인에 따른 문화적 대응의 필요성

[그림 Ⅲ-5] 전통시장 쇠퇴 요인에 따른 문화적 대응의 필요성

시장 쇠퇴의 외부적 요인

문화적 대응의 필요성

대형유통업의 증가

대형마트가 가지고 있는 문화 프로그램을 넘어선 시장의 문화적 전략은 무엇인가?

신업구조의 증가 문화적 상징적 소비 경향이나 웰빙의 흐름에 시장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소비양식의 변화 소비양식의 변화에 어떻게 전통시장은 대응할 것인가?

신도시로의 상권이동

시장은 구도심에 많이 존재하는데 도심재생 전략과 시장을 어떻게 연계시킬 것인가?

Page 6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4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시장 쇠퇴의 외부적 요인에 대한 정책적 대응 부족

- 그동안 시장 활성화 정책이 내부적 요인을 해결하는데 치우쳐

있다면, 외부적 요인에 대한 대응이 전통시장의 문화적 접근이

필요한 지점임

나. 시장의 사회문화적 기능 회복의 필요성○ 외적 변화 대응함에 있어 전통시장 본래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되찾기 위한 차원의 노력 필요

- 한국의 시장은 기본적으로 커뮤니티의 자생적 필요에 의해 생

성되었으나 소비행태와 유통구조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음

- 각 지역의 문화예술 공간으로 활용됨으로써 정보교환의 장소

혹은 교류장소로서의 기능을 가졌던 1970대 초까지의 상황을

되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

- 쇠락해가고 있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시장만이 가

지고 있는 볼거리, 먹거리, 살거리, 놀거리 등의 문화 요소 발

굴 및 관광 기능 확대가 가장 요구됨

-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에 의한 적극적 활성화 방안

이 강구되어야 함

○ 시장의 사회문화적 기능 회복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 제시의

필요성

- 전통시장의 사회문화적 장소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지역 정서

와 전통, 지역경제와 주민 친화적인 사회문화적 기능 강화, 사

람 살아가는 맛, 흥미성, 순수성, 활동성 강화 등의 일반적인

방향은 추출되었으나, 구체적인 방향과 사업에 대해서는 논의

부재

Page 6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47

다. 전통시장의 현재적 가치에 기반한 대응 방안의 필요성○ 삶과 밀착한 생활형 시장 마케팅보다는 향수 마케팅에 집중해옴

- 지난 날의 향수 혹은 전통과 문화재로서의 관점으로는 지속적

생존력 확보 어려움

-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시장은 전통이고 문화재로 한 번 와보

면 되었지 또 가고 싶지는 않은 곳

- 전통시장이 낡은 행태를 간직한 지난 세대 향수의 산물이라는

인식을 넘어 젊은이들의 문화공간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접

근 필요

라. 대형유통업의 성장에 대한 차별적 대응 필요성○ 문화적 교류와 소통 창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시장의 사회문화적

가치 회복

-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이유는 일괄 구매가 가능하고, 다양한 품

목이 있으며, 공산품의 값이 특히 저렴하기 때문임

- 문화적 욕구가 높아지면서 대형마트는 서점부터 문화센터까지

갖추고 있어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까지 하고 있음

- 전통시장을 경제적 가치로만 볼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가치

재로 봄으로써 본래 가지고 있었던 문화의 교류와 소통 창구의

역할을 다시 찾아야 할 필요가 있음

○ 커뮤니티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 쉬고 노는 공간으로서 시

장을 보는 관점이 필요

- 서울 청계천 광장시장은 청계천로가 활성화되면서 음식문화가

활성화된 사례나 서울 효자동 통인시장이 감성을 불러일으키

는 다양한 문화적 시도가 효과가 있었던 점은 안정적인 주변

커뮤니티에 기인하고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재개발에 의

한 변화요인이 적음)

Page 6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4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이처럼 어떤 방향으로든 커뮤니티가 머물고 사랑할 수 있는 장

소로 시장을 재생하는 것이 중요

마.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성○ 소비자와 시민을 위한 전통시장 정책의 부재

- 지금까지의 전통시장 정책이 상인의 이해관계 중심으로 개발되

었다면, 앞으로의 전통시장 정책은 실질적으로 전통시장을 이

용할 소비자와 시민을 위한 논의 전개 필요

○ 지역 주민들에 초점을 맞춘 시장 문화 트렌드 및 소비패턴 분석

- 시장의 문화트랜드와 소비패턴 분석은 단순한 분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활동과 프로그램을 통해서 스스로 소비의

관점 변화와 문화적 욕구에 대한 자연스러운 학습으로 연결되

어야 함

- 주민에 대한 수요예측이나 라이프스타일 및 세대 구성의 변화

(대가족에서 소가족에서 1인가족의 변화)를 문화적 형식을 통

해서 인식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시장 상인들이 자연스럽

게 상업적 전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응하는 문화디자인 부족

- 최근의 고유가와 먹거리에 대한 관심은 근린성과 지역성의 입

지를 가지고 있는 전통시장에는 기회 요인이 되고 있고, 자동

차에서 자전거로의 도시 정책의 변화 또한 유리한 요인으로 작

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에 맞는 참신한 공간 디자인이나 문

화디자인이 부족한 실정임

- 고정된 것이나 대상 혹은 상품으로서의 완성된 결과물로서가

아니라, 창의적인 과정과 가치, 그리고 관계를 만들어내는 문

화예술을 통해 시장 안과 밖이 변화될 때 도시 재생도 가능

- 삶이 우선되고 생활이 문화가 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추구할

Page 6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3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49

때 시장은 문화적 힘을 확보하고 문화가 시장 속에 자리할 수

있음

미국의 복원된 도심의 전통시장 사례

미국 보스톤의 페뉴일 마켓이나 시애틀의 파이스플레이스 마켓은 복

원된 도심의 전통시장들로 대단히 성공한 사례로 알려져 있다. 파이스

플레이스 마켓의 한 해 방문자는 놀랍게도 하와이 방문객의 3배 이상

이다. 페뉴일 마켓이나 파이스플레이스 마켓은 더이상 지역주민들만을

위한 전통시장을 넘어, 도시의 명소이며 관광지이고 또 시민들의 사랑

을 받는 도심의 문화공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바. 신도시로의 상권 이동에 대응한 문화 전략의 필요성○ 문화적 분석을 토대로 한 맞춤형 전략 부재

- 그 동안의 전통시장 정책은 쇠퇴의 다양한 원인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토대로 한 맞춤형 전략을 내놓지 못했음

- 예를 들어, 인천 신포시장의 쇠퇴는 도심 구조의 변화에 따른

인구의 유출이 큰 향을 미쳤고, 양천구 신정제일 시장은 재

개발에 의한 공간의 변화로 인해 쇠퇴했으며, 전주 남부시장이

나 광주 대인시장이 활력을 잃은 가장 큰 원인은 버스노선의

변화와 연결되어 있음

- 인구 유출을 막고 유입할 수 있는 방법의 고안, 도시 재개발 공

간에 대응하는 전략 구상, 지역 리노베니션을 통한 표지판과

관광안내지도 및 교통편 개선 등 개별 시장의 특성에 따른 맞

춤형 문화전략 도입 필요

○ 도심재생의 전략 속에서 접근

- 전통시장별 맞춤형 문화전략은 도심재생 및 구도심 활성화 전

략 속에서 도출해야 함

- 문화도시, 창조도시, 인간적 도시의 전략과 전통시장의 연결지

점을 찾아 보아야 함

Page 6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제 4 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Page 7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53

제1절 전통시장(舊 재래시장) 활성화 사업 현황6) ○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 정책 추진 현황

- 지식경제부(舊 산업자원부)에서는 중소상인 교육・연수 및 중소

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건립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

- 행정안전부(舊 행정자치부)에서는 소도읍종합육성사업을 통해

중소도시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 추진

-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전통시장이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 서민층의 생활 안정 및 지역경

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 경주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청의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1. 법제도적 기반 구축 현황 가. 전통시장 관련 법:배경과 내용○ 초기의 대책:유통산업발전법(1996)

- 1996년 유통시장이 개방되면서 할인점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

하고 확산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유통산업발전법’을 비롯

하여 ‘중소기업구조개선및경 안전지원을위한특별조치법’이

제정됨. 그러나 이 법률은 시장에 대한 개념이 너무 광범위하

여 전통시장(舊 재래시장)을 위한 대책이라 보기는 한계

○ 중소기업의구조개선과재래시장활성화를위한특별조치법(2002년)

- 전통시장(舊 재래시장) 관련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은 2002

6) 전통시장에 대한 중점 지원은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중소기업청 전통시장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Page 7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5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년 ‘중소기업의구조개선과재래시장활성화를위한특별조치법’의

제정 이후임

- 전통시장이 정책대상 범주로 명확해지고, 종래의 유통산업 발

전 방안에 비해 환경개선 사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기 시작

○ 재래시장육성을위한특별법 제정(2004년)

- 2004년에는 전통시장(舊 재래시장)만을 정책대상으로 하는 ‘재

래시장육성을위한특별법’이 제정되어 전통시장의 경 혁신과

적극적인 시설현대화를 위한 발판 마련

- 상기 법에 따라, 2005년에는 중소기업청 산하 기구로 “시장경

지원센터” 설립, 청내 전통시장(舊 재래시장) 지원 전담부서

인 “재래시장 소기업과”가 설치됨으로써, 전통시장에 대한 지

원이 종합적,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됨

○ 재래시장및상점가육성을위한특별법으로 전면 개정(2006년)

- 지방중소도시에 점포가 밀집한 상점가 역시 업이 위축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되면서 이에 대한 지원근거 마련과 적극적인

지원을 위해 2006년 4월, ‘재래시장및상점가육성을위한특별법’

으로 전면 개정(산업자원부(現 지식경제부)공고 2006)

- 2006년 5월, 이에 근거한 재래시장(舊 재래시장) 활성화 종합

계획 수립, 이후 세 소매상인이 밀집한 상점가에 대한 지원

제도 마련, 시장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을 촉진하기 위해 절

차 및 규제완화, 아케이드, 공동창고 등 공동시설의 국・공유지

사용료 감면, 시장의 특성별 육성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 시작

(중소기업청 보도자료 2006. 11. 1)

- 즉, 전통시장 지원사업은 시설현대화, 구조개선사업, 경 혁신

사업에 더하여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이 추가되어 4대 정책과제

로 확장됨(2008년 1월 4대 정책 사업 중심 계획 발표)

○ 중소기업청의 ‘전통시장 가는 날 선포’(2008년)를 계기로 전통시

장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

Page 7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55

- 2008년 4월 3일 중기청 전국적으로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 ‘전

통시장 가는 날’ 선포

- 이를 계기로 ‘전통시장’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 시작

<표 Ⅳ-1> 전통시장 관련 제도의 변화 추이 일시 내 용

1996년 유통시장전면개방

1996년 유통산업발전법 (시장범위가 광범위)

중소기업의구조개선및경 안정지원을위한특별조치법(재개발재건

축 특례)

2002년 1월 중소기업의구조개선과재래시장활성화를위한특별조치법 제정(지원

대상:재래시장의 재개발재건축 및 시설현대화)

2004년 10월재래시장육성을위한특별법 제정 (경 혁신 추가, ‘환경개선’→‘시

설현대화’로 개칭)

2005년 1월 중소기업청, 전통시장 지원 전담부서 설치(재래시장 소기업과)

3월 재래시장육성위한특별법 시행

3월 재단법인시장경 지원센터 설립(전통시장 시설 및 경 현대화를

종합적으로 지원)

2006년 4월재래시장및상점가육성을위한특별법으로 전면개정(3대 중점사업 +

지역상권활성화)

2008년 4월 중소기업청 ‘전통시장 가는 날’ 선포

출처:중소기업청(2006, 2008) 자료 재구성

○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종류와 변화추이

- 재개발・재건축사업은 1996년, 환경개선사업은 2002년, 경 혁

신 사업은 2004년,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은 2006년 처음 도입

- 변화내역:환경개선사업이 ‘시설현대화’ 사업으로 명칭 변경

(2005년), 국가-지자체-민자의 비용분담이 30:40:30에서

60:30:10으로 민간 부담이 삼분의 일로 줄어듦7)

7) 재래시장육성특별법, 2005년 적시 사항/ 상인 부담을 줄여서 더 많은 시장이

시설현대화에 참여하게 하기 위함

Page 7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5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그림 Ⅳ-1] 전통시장 지원사업의 변화 추이

2. 중소기업청의 전통시장 지원사업 추진 현황가. 시설개선 사업○ 재래시장특별법을 제정(2004년)하고, 각종 지원대책을 마련하여

지난 5년간 562개 시장에 7,136억원을 투입하여 노후시설 개량

등을 지원

※ 지원예산(억원):(03) 834 → (04) 1,650 → (05) 1,268 → (06)

1,478 → (07) 1,906

※ 시설개량:아케이드(401개), 주차장(193개), 건물개량(395개),

진입로(53개)

1) 재개발・재건축(구조개선 사업)○ 목적

- 1996년부터 시작된 재개발・재건축사업은 건축물의 노후화가

심각하여 결함이 있거나 경쟁력을 상실한 시장을 재개발・재건

축을 통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함

○ 사업내용

- 사업의 내용:재개발・재건축 시장으로 승인되면 건물의 용적

율・건폐율, 건축물 고도 제한에서 특례 제공, 취득・등록・재산

Page 7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57

세 및 종합토지세 감면, 시장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추진 시

공사비 융자

○ 성과

- 2007년 까지 총 115개 시장이 시장정비사업 시행구역으로 선

정되어 현재 24개 시장의 공사 완료. 이와 함께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재개발예탁금 융자 지원이 이루어져, 47개 시장에

737억원 지원(중소기업청 2008, p.4)

2) 시설현대화(구 환경개선사업 2005년 이후 시설현대화 사업)○ 목적

- 전통시장의 환경개선 및 시설 현대화를 통하여 고객 및 매출증

대로 상권 활성화 도모(2002년부터 시작)

- 시설현대화 사업은 국비 60%, 지방비 30%, 민간 10%의 비율

로 시행되는데, 주차장, 진입도로, 화장실 등 기반시설에 대해

서는 민간 부담이 면제됨(국비 60%, 지방비 40%)

○ 지원내용

- 첫째, 주차장, 진입로, 아케이드 등 기반 시설 설치, 둘째, 장옥

의 개・보수, 전기・통신・소방시설 등 노후시설 개선, 셋째, 시장

입구 아취, 점포간판, 테마상가 조성 등 홍보시설 지원

○ 성과

- 2007년까지 637개 시장에 총 6,564억원 지원. 아케이드(419개),

주차장(211개), 건물개량(415개), 진입로(72개) 공동창고(36

개), 교육장(26개), 안내센터(18개) 등 총 1,117건의 시설 설치

(중소기업청, 2008, p.4)

Page 7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5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표 Ⅳ-2> 시설현대화 추진 실적

구 분

사업내용별 지원 시장 수 계 (단위:개, 억원)

아케이드 주차장 진입로기타 시설

(리모델링등)건수 시장수 지원액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14

59

92

86

96

72

13

37

39

38

33

51

13

8

21

8

12

10

35

78

111

37

60

94

75

182

263

169

201

227

75

145

171

77

87

82

228

816

1,608

1,068

1,228

1,616

계 419 211 72 415 1,117 637 6,564

출처:중소기업청(2007, 2008) 재구성

나. 시장경영혁신 사업 ○ 목적

- 2004년부터 도입된 시장경 혁신사업은 전통시장의 경 혁신

을 지원하여 고객 및 매출 증대를 도모하고 상권 활성화 촉진

○ 사업내용

- 공동사업 및 활성화를 통한 비용절감 및 매출증대 지원. 물류

센터, 작업장, 상품개발, 공동상품권 등 공동사업 지원 분야 및

전통시장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우수상품 판매 분야

- 고객유치를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마케팅활동:이벤트・축제・세일행사 개최 지원, 전통시장 관광상품(Love Tour) 지원,

명절 때 전통시장 TV광고, 특산품 전시회 개최 지원8)

8) ‘전통시장 Love Tour’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여행사가 주부 또는 주말 관광

객을 대상으로 전국 5일장, 시설현대화・이벤트 지원시장과 인근 관광자원

및 축제를 묶어 코스별로 참가자를 모집하고 시장경 지원센터가 차량 운행

을 지원하여 방문시장의 특산물 판매를 활성화하는 1일 탐방 프로그램으로

2005년 7월부터 2개월간 시범 운 후 그해 9월부터 시행되었다(중소기업청

보도자료. 2005. 9. 28 “전통시장 Love Tour 참여 열기 높다”).

Page 7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59

- 시장경 지원센터를 통해 전통시장 혁신을 위한 교육과 컨설

팅:시장전문가(Market Manager), 상인지도자 양성교육과정

설치, 전통시장에 유통 전문가 파견을 통한 맞춤형 자문 및 지

도 실시

○ 성과

- 시작 첫 해인 2004년엔 KBS 방송광고와 우수시장 박람회의 두

종류 사업에 총 42억원이 지원, 이후 2005년 200억원으로 급

증, 2006년 2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 2007년 290억

원으로 16% 증가

<표 Ⅳ-3> 시장경영혁신사업 진행 내역사 업 명(단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계

광역 상품권(개)

시장 공동쿠폰(개)

세일・이벤트(곳)

시장 러브투어(곳)

KBS 방송홍보(회)

명절 TV광고(회)

우수시장박람회(참가시장)

상품 공동구매(품목)

상인교육(명)

-

-

-

-

20

-

100

-

-

-

-

96

38

61

294

105

-

7,500

6

16

127

34

61

500

112

5

1,600

4

20

170

20

60

490

110

7

30,300

10

36

393

92

202

1,284

427

12

53,800

총 지원액(억원) 42 200 250 290 782

출처:중소기업청(2007) 자료 재구성

다.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 배경

- ‘재래시장육성을위한특별법’이 2006년에 ‘재래시장및상점가육

성을위한특별법’으로 전면 개편됨으로써 지역상권 활성화사업

이 추가됨. 전통시장뿐 아니라 인접한 점포밀집 상점가를 지원

대상에 편입시킴

Page 7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6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도입취지

- 기존 등록시장에 대한 활성화 사업만으로는 상권형성에 한계

- 시장과 상점가는 소매유통공간으로 같은 기능을 행하고 있으나

전통시장만 지원하고 있어 형평성 문제 발생

○ 지원내역

- 시장 및 인접상권 연계개발추진, 상점가 활성화지원, 상권 활

성화 지원기능 강화로 나누어짐

<표 Ⅳ-4>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내역개요 구체적 내역

시장 및

인접상권

연계개발

추진

- ‘시장활성화구역’ 지정제도 도입:시장과 인접 상점가를 연결하여

활력 있는 상권 개발

- 도시기능과 조화되는 편리한 쇼핑유통공간 및 커뮤니티 창출형 공

간으로 개발유도

- 전통시장 빈 점포 및 여유공간을 고객유치 시설로 적극 활용

상점가

활성화지원

- 다수의 점포가 밀집한 상점가의 상권활성화 지원

- 상점가에 대해 전통시장에 준하는 시설 및 경 현대화 지원

- 실태조사 및 모델 개발을 위한 상인조직이 있는 상점가부터 단계

적 추진

상권활성화

지원기능

강화

- 전국 전통시장 실태 및 경쟁력 평가 주기적 실시

- 시장경기 및 장바구니물가 조사체계구축

- 지방 시장의 효율적 재개발 모델 연구 및 컨설팅 지원

- ‘시장경 지원센터’를 시장 및 상점가 지원 전문기관으로 육성

출처:중소기업청, 2006, p.30-31 참조

○ 추진내역

- 추진 내역:2006년 전국상점가 실태 조사 및 시범지역 활성화

연구모델 개발, 2007년 3개 시범지역에 26억원 투입 이후, 시

설 및 경 현대화 지원(중소기업청보도자료. 2008. 1. 31)

- 2008년에는 상권 활성화 지원기능 강화를 위해, 지원사업의 품

질 제고와 종합 지원체계 구축이 중심. ① 전국 주요상권과 전

국 전통시장에 대한 실태조사, 지원 사업 성과평가 및 사후관

Page 7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61

리에 대한 연구 강화, ② 지원기관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전통시

장 및 상점가 활성화 시책 추진의 홍보 및 운 경비 지원(2008

년 46억원 투입 예정)(중소기업청, 2008)

○ 성과

- 1996년 ‘중소기업의구조개선과재래시장활성화를위한특별조치

법’이 제정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시행된 전통시장 활성화

를 위한 사업은 ① 재개발・재건축사업에 47개 시장 대상 737억

지원, ② 시설현대화에 637개 시장 대상 6564억 지원, ③ 시장

경 혁신 사업에 885.6억원 지원, ④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에

26억 지원으로, 6년 동안 총 8,212.6억원이 지원됨

3.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운영 성과와 과제(한계) 가. 기존 전통시장 지원의 문제점○ 지원 대비 매출 증가 실적 미비

- 시설개선시장에서 매출증가, 빈점포율 감소 등 지원성과가 나

타나고 있으나, 아직도 매출감소 시장이 54.2%에 이르는 등 어

려운 상황

※ 매출증가율:시설종합개선시장 24.1% ⇔ 미개선시장 △17.8%

※ 빈점포율:시설종합개선시장 4.3% ⇔ 미개선시장 20.5%

- 2002~2007년간 8,212.6억원이 지원되었으나 2006년 대비 매출

이 증가한 시장은 전체 시장의 13.6% 뿐이었음

- 상업기반시설 위주의 부분적 시설개선만으로는 전통시장을 살

리는데 한계

○ 지역밀착형 문화공간으로서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부재

- 전통시장은 지역 내 작은 유통채널로서의 기능과 지역의 사회

문화공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유통채널로서의 발전은 더

Page 7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6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디게 진행되어 왔고, 사회문화공간을 위한 지원은 거의 없었음

- 전통시장은 소상인과 지역생산물 중심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

여하고 지역 밀착형 중심 장소로서 지역에 활력을 제공하는 강

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러한 부분에 대한 정책적 활용 미비

○ 일회성 이벤트형 관광

- 정부의 지원은 전통시장의 “전통과 지난 시절의 향수”를 상품

화하는 소수의 주말 관광형 전통시장 지원에 한정됨

- 또한, 관광 프로그램이 일회성 이벤트에 국한되어 지속적인 프

로그램으로 자리 잡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음

나. 기존 전통시장 활성화 접근의 한계1) 외형적 현대화 중심의 지원○ 기존의 전통시장 활성화는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나 인식에 관한

심층적인 분석 없이 단순히 유통환경의 변화에 주목하여 재개

발・재건축, 대형화에 초점을 맞춘 외형적인 현대화를 추구

○ 특성 없는 고층 개발과 시설 현대화 위주의 재건축・재개발은 지

주와 상인의 이익은 대변할 수 있었지만, 오히려 전통시장 고유

의 모습을 잃게 함으로써 전통시장 쇠퇴를 가속화시킴

○ 이러한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은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 입점 상

인, 노점상 등 복잡한 이해관계, 상인의 세한 자본규모 등으로

사업 추진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음

○ 대형마트식 박제화

- 현대식 복합 상가 건축 또는 대형마트 모방식 지원은 전통시장

을 박제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

2) 소프트웨어 접근 미흡○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은 시설 현대화를 위한 하드웨어적인 측면

만 강조된 나머지 경 현대화, 마케팅 기법 개발, 상인의 혁신

Page 8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63

역량 강화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미흡

3) 지역 정체성을 살린 차별화된 테마 설정 부족 ○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접근됨으로써 전

통시장이 지역 공동체의 중심이 되게 하는 노력이 부족하 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차별화된 테마 설정 미흡

4) 지속적 지원체계 수립 미흡 ○ 대내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지만 시

설 현대화 사업 중심으로 추진됨으로써 일회성 사업에 그침

제2절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사례 분석1.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사업의 배경과 유형가.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도입 배경○ 1980년대 이후 시장의 문화적 기능 급격히 소멸

- 지역주민들의 놀이의 장이자 화합의 장으로 기능해 온 전통시

장의 문화적 가치 소멸

- 근현대 산업적 성장 이후, 장터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활동

이 급속도로 축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정책적 차원

의 대응도 미흡했음

○ 1990년대 이후 경쟁력을 상실한 전통시장에 대한 대책으로 문화

관광적 접근은 전무

- 대형마트와 백화점식 환경개선 및 시설현대화를 통한 시장 경

쟁력 확보에만 급급,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지원은 전무

○ 2000년대 이후, 5일장 등 정기시장의 관광자원화 가능성 모색

Page 8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6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국무총리 복권위원회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원한 2004년

문화소외지역 전국순회사업,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이어지고

있는 돌아온 장날 사업 등을 통해 시장의 문화예술적 접근이

시도되었으나 일회성 지원사업에 그침

○ 2005년 이후, 기존의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과는 차별화된 전략

에 대한 요구 증대

- 상설시장의 주민공동체성 회복과 그것을 위한 문화적 접근의

수요 생성

- 2000년대 이후 지역주민 간 화합과 결속력을 다지는 지역의 문

화공간으로서 시장 가치에 대한 재인식

나.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유형○ 지원목표별 유형

- 2000년대 이후 시작된 전통시장에 대한 문화적 접근은 1) 전통

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 개발로서의 접근과 2) 전통시장의 문

화적인 활성화 접근, 3)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성

획득 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어 옴

○ 지원사업 유형

- 전통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에 대한 접근은 다시 세 가지 유

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전통예술공연과 축제 이벤트, 둘째

5일장 관광 프로그램, 셋째 지역관광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서

접근하는 방식으로 구분됨

- 전통시장의 문화 활성화 접근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공간개선형 사업, 둘째, 레지던시형 사업, 셋째 미술축제

형 사업으로 구분됨

-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성 획득으로서의 접근 역시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주민참여형, 둘째 문화공동체형,

셋째 교육연계형 사업으로 구분됨

Page 8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65

사업목표 사업유형주요사례

(예산지원기관)

전통예술공연과 축제이벤트 전국순회(예술위원회)

Ⅰ.

전통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 개발로서의 접근

5일장 관광 프로그램 전국5일장(중기청)

지역관광 개발 계획 안성문화장터(지자체)

전통시장의

문화적

지원 유형

공간개선형 서울동화시장(지자체)

Ⅱ.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접근

레지던시형 안양석수시장(정부,위원회)

예술축제형 대전중앙시장(예술위원회)

주민참여형 담양5일장(중앙정부)

Ⅲ.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성 획득

문화공동체형 성남상대원시장(지역재단)

교육연계형 광주말바우시장(정부,지자체)

[그림 Ⅳ-2] 전통시장의 문화 활성화 사업 유형

○ 사업 유형별 지원 방식

- 전통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 개발로서의 접근은 지방자치단체

를 중심으로 지역의 관광자원 활성화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으

나, 부분적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전국순회사업이나 문화

장터사업이나 중소기업청의 전통시장 러브투어, 한국관광공사

의 문화장터기행 등 특별한 예술적 컨텐츠의 투입이나 국가 단

위의 지원체계가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중앙정부의 지원이 이

루어져 왔음

- 전통시장의 문화 활성화 접근은 일률적인 시설 현대화로서의

지원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미술계를 중심으로 시장의 공간

Page 8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6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성을 새롭게 재해석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시작되었음. 초기

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루

어져 왔으나 점차 지방자치단체별로 특화된 공간 개선 사업을

수행하게 되었음

-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성 획득으로서의 접근은 시

장의 공간적 재해석만으로는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역공동체만

들기를 시도함. 초기에는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중앙정부 단위

에서 시도되었으나, 지역과 시장의 역사적이고 맥락적인 특수

성이 반 된 프로그램이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중앙정부와 지

방자치단체 간의 매칭을 통한 지원으로부터, 점차 지방자치단

체 및 지역문화재단 주도의 사업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임

2. 전통문화를 통한 관광형 시장 개발로서의 접근가. 전통예술과 축제 이벤트를 통한 시장 활성화 사업1) 문화소외지역 전국순회사업○ 사업목적

- (전)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전국 각 지역의 소외계층에게 공모

를 통해 검증된 우수한 사업을 선정하여 문화향수 기회를 제공

하기 위한 문예진흥기금 지원사업

○ 사업내용

- 사업기간:2004년9월~12월

- 지원사업대상:기초자치단체 지역주민, 저소득층 밀집지역주

민, 산간・벽지 및 도서지역주민,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장애우,

새터민, 교정시설 수감자, 문화소외지역 주민 등

○ 사업의 의의

- 문화예술을 향유할 기회가 전혀 없던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

Page 8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67

던 바, 실내공연보다는 마당극과 같은 외부에서의 공연 호응이

더 좋았고, 오일장 장터나 상설전통시장과 같이 주민들의 생활

근거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홍보와 공연에 대한 호응도가 높

았다는 평가를 받음

2) 다중밀집지역 작은 문화장터사업○ 사업목적

- 시민이 많이 모이거나 왕래가 잦은 삶의 현장을 찾아가 국민들

이 쉽게 양질의 문화예술을 보고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

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문화향수 및 정서함양기회

제공하고자 복권기금을 지원하는 사업

○ 사업내용

- 사업기간:2005년 3월 ~ 2005년 12월

- 지원사업대상:전통시장, 아파트 단지, 공원 등 유동인구가 많

은 지역. 국악, 무용, 마임, 악극, 소형뮤지컬, 작은 음악회 등

의 공연, 문학강좌, 시낭송회 및 사진전, 복합장르 예술행사 등

○ 사업의 의의

- 행사단체들은 자신들의 예술분야에 대해 참여자들이 최대한 쉽

고 편하게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 으며 이런 노력

은 참여자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상당한 흥미를 갖게 만들며

지하철역, 전통시장, 할인점 야외무대 등 다양한 공간에서 펼

쳐진 본 사업은 다양한 계층의 참여자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는데 성공

3) 돌아온 장날 사업○ 사업목적

- 전국의 민속 5일장 및 전통시장 7곳을 찾아가, 옛장터의 풍류

난장을 재현하는 문화프로그램

Page 8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6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국무총리복권위원회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후원하며 사단법

인 문화마을 들소리가 주관

- 전통시장의 문화 활성화와 더불어 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했던 옛장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차원에서 도입

○ 사업내용

- 사업기간:2004년에 시작된 이후 2006년까지 시행되다가,

2007년부터는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시행

- 지원사업대상:공연단체가 섭외한 지역의 전통시장과 장터 전

체를 무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공연(소원종이 쓰기, 길놀이, 고

사, 풍물공연, 판소리, 민요, 타악퍼포먼스“타오”, 대동놀이)

○ 사업의 의의

- 생동감이 있는 시장, 소중한 민속문화의 집결소를 무대로 살아

가는 사람들과 함께 우리의 신명과 대동성을 실험하는 것은 그

어떤 일보다 가치 있으며 보다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줌

-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접근방식을 통해 현실적이면서도 인간적

으로 장날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었음

- 벌이는 난장이 시장에 피해를 주거나 번거롭게 하는 것이 아니

라, 다시 현대화된 대형 쇼핑공간으로 떠났던 사람들을 우리의

장터로 불러 모으려는 노력이 성공적으로 수행됨

나. 5일장을 통한 관광 활성화1) 제주 5일장 활용을 통한 문화관광 활성화 ○ 제주 문화관광 활성화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5일장 접근

- 조사 취지:2005년 제주의 장터에 주목하고, 제주의 전통적인

전통장터인 5일장의 기능과 모습을 되살려 제주를 방문하는 관

광객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상인들에게는 경제적

혜택을 주며 장기적으로 제주 전통문화가 담겨있는 문화관광

Page 8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69

아이템으로 조성하기 위한 설문조사 진행

- 조사대상:제주도 내 민속오일장을 방문한 소비자와 제주도 내

5일장에서 업을 하고 있는 상인 및 제주공항에서 출발대기중

인 관광객 대상 조사(2005년 9월 중)

○ 제주 문화관광 활성화 조사 결과

- 5일장의 이미지:외지 관광객이나 제주지역 내의 방문소비자

들은 오일장에 대한 장점으로 사람냄새가 풍기는 정이 있다고

본 반면, 상인들은 물건값을 깎을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봄.

단점교통편에 대한 불편 지적(접근성 미비)

- 5일장의 문화공연 이벤트 수요:관광객은 제주 특유의 민속놀

이나 전시회에 대한 수요가 높았고, 지역주민과 상인들은 노래

자랑에 대한 수요가 많았음

2) 오일장 및 전통시장 방문 문화관광 프로그램① 중소기업청의 전통시장 러브투어○ 사업목적

- 전통시장의 특산품을 알뜰쇼핑하며 동시에 지역 관광지를 체험

하는 관광프로그램

○ 사업내용

- 사업기간:2006년 하반기~2008년 현재까지

- 지원사업대상:2006년 기준 민속5일시장 등 전국 41개 시장

지원

② 한국관광공사 추천 문화장터기행○ 사업내용

- 경기 안성장(2,7일장), 강원 평창 진부장(3,8일장), 충북 진천

진천장(5,10일장), 충남 당진 당진장(5,10일장), 경북 주 풍기

장(3,8일장), 경남 하동 화개장(1,6일장), 전북 고창 고창장(3,8

Page 8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7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일장) 등의 장터에 대한 문화관광 상품화

다. 시장 중심 문화공간 단지 조성을 통한 지역활성화1) 안성맞춤 랜드○ 사업목적

- 안성시 문화관광이미지 제고 및 미래형 관광단지 조성

- 경기도 남부권 문화관광 클러스터 형성의 핵심거점 마련

- 지역 유착형 문화관광 개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유도

○ 사업내용

- 2007년 안성시 보개면 복평리 30번지 일원에 10만여평 규모로

조성된 안성맞춤랜드는 전통문화를 테마로 한 공연, 체험, 숙

박, 휴양의 복합공간으로 조선시대 안성장터를 복원하는 의미

를 가짐

- 장터거리를 기본 구상으로 하여 시립 안성남사당패를 위한 전

용공연장을 건립하는 등 문화클러스터인 문화장터를 구현하여

관광과 문화예술의 활성화 유도

2) 서천읍 후적지 정비를 통한 공간문화 재구성사업 ○ 사업목적

- 서천읍 내 전통시장 이전 부지인 후적지를 청소년 교육문화활

동 중심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함

○ 사업배경

- 서천읍내 공간환경정비를 목적으로 2004년 서천읍 642-78번지

일대의 기존의 난립한 재래식 시장을 새로운 시장으로 이전하

는데, 이곳이 후적지임

- 후적지는 그 대부분이 군유지로서 군청입구 네거리에 인접하여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주변상인들의 반발

등으로 원활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주변 상인들은 단순한

Page 8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71

과거적 사고로 시장을 재이전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등 대책마

련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는 지역이어서, 현재는 공터로 남

겨져 주민들의 주차장으로만 쓰여 왔음

- 서천군은 각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단순히 후적지 범

위 내의 토지 활용 대책을 수립 시행하기보다는 후적지를 서천

읍 전체의 낙후된 공간환경 정비하고, 그것을 통하여 공간문화

전반을 구성하는 ‘어메니티 서천’의 쏘시개 프로젝트로 추진하

기로 결정하고, 2006년도에 1차적으로 5억원의 예산 배정

○ 사업내용

- 보행환경개선과 교통체계개선 등 시가지정비와 상업환경 개선

과 그 실행을 위한 주민들의 능동적인 참여의 유도방안 마련

ⓐ 환경 정비

- 청소년들의 이용을 높이기 위하여 읍내 지역 5개 학교로부터

후적지로 접근하는 청소년 이동통로의 보행 및 자전거 통학로

정비

- 청소년들의 접근로 정비를 시작으로 하는 학생보행체계의 정비

와 보행환경개선에 대한 시민의식 함양과 이를 통한 차량중심

체계의 보행중심 전환 유도

ⓑ 새로운 후적지 기능의 수행을 지원할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

- 청소년문화예술활동의 장려를 통한 장기적 창의서천:청소년

자치활동 중심 시설 제공을 통한 방과후 청소년문화예술활동

의 장려와 교육대안으로서의 프로젝트기반 수업의 실험

ⓒ 주민이 관리하는 문화공간의 구현과 능동적 참여 방안 마련

- 교육과 문화의 비용적 모델로서의 자원봉사시스템의 구축과 관

련 인력의 육성

- 공간환경 정비과정의 시민참여의 활성화를 통한 시민 자치실현

과 이를 통한 능동적 도시정비의 유도

Page 8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7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사업의 의의

- 후적지 자체의 도시적 기능을 재설정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주변환경의 정비

- 후적지 기능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

-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협력을 기반으

로 한 정기적인 활용 계획의 마련을 위한 기본적 합의 도출 과

정 마련

- 새로운 상업환경에 대한 주민 인식의 합리적 전환과 그에 따른

공간문화의 개선

- 주민과 행정과 전문가가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가꾸어가는 공간

문화 모델의 실험적 과정

3. 전통시장의 문화 활성화를 위한 접근 가. 공간개선형 사업:시장공간의 시각적 환원

서울 동화시장 (서울시도시갤러리추진단・플래닝미도) - 시장공간의 시각 환원 -

○ 사업취지

- 서민 경제공간의 활력과 삶, 공동체를 표현하고 있는 대표적

공간인 동대문 시장을 배경으로 한 사업

- 정을 통하는 장소이자, 기술을 파는 장소로서의 시장에 주목

- 바쁘고 치열한 일상 속 공간에 젊은 예술가들이 투입하여 장소

의 특징과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작품을 통해 시민 및 상인들

과 삼을 나누고 정을 나누는 프로젝트

○ 시장 선정 이유

- 완제품이 만들어지기 위한 근간이 되는 기술을 파는 동화시장

Page 9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73

선정

- 동화시장은 1970년대 설립 이후 수십년 동안 옷을 만들거나 장

식하는 기술을 가진 숙련공이 많은 시장으로 우리나라 경제활

동의 중심 동력으로 기능해 옴

- 시장의 정주 환경은 파란색 직사각형의 커다란 건물 내에 700

여개 점포, 2,000여명의 상인 상주하여 매우 혼잡

- 2007년까지도 쉴 공간조차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잡다한 물건

들로 가득해 있었으며, 회색빛 건물로 삭막한 분위기

○ 사업 목적

- 시장 상인의 숙련된 기술과 예술가의 상상력이 결합하여 동화

시장의 정주환경을 시각적으로 쾌적화하고 기능적 심미화 유도

- 일상 속의 공공미술을 지향

- 숙련된 기술을 가지고 일상적인 노동을 하는 노동자로서의 상

인이 아닌, 창의적 활동과 장인정신으로 무장한 예술가로서의

상인 유도

○ 사업 추진 경과

- 시장에 필요한 컨텐츠를 결합하기 위한 상인 수요 조사 실시

- 상인이 판매하는 의류부자재와 계란을 물물교환하는 ‘Egg-

day’ 행사를 통해 상인 협조 유도

- 하드웨어 접근:1층부터 5층까지 시장 상인들의 이야기를 담

은 벽화를 설치해 예술을 통해 동화 탐방 및 탐사 기회 제공,

자판기가 설치된 계단의 벤치와 벽화 조성, 게시판을 만들어

상인과의 소통과 유대 강화, 옥상 공간을 활용하여 단추모양

아트벤치와 파고라, 수양버들을 설치하여 함뼘예술공원과 지퍼

모습 벤치 아트쉽터 등의 상인 쉼터 마련

- 소프트웨어 접근:숙련된 기술을 가진 장인으로서의 상인을 예

술가의 경지로 이끌어냄. ‘작품=상인’ 공모전을 개최하여 수십

년간의 노하우를 살린 작품을 응모하여 만드는 기술자로서의

Page 9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7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장인이 아닌 예술작품을 만들어내는 예술가 면모 강화

○ 성과

- 젊은 예술가들의 패기와 재치있는 활동으로 상인 시장과 함께

웃고 즐기고 땀 흘리는 과정 생성

○ 한계

- 상인들이 이미 조성하고 있던 공동체 활동과 유기적으로 연계

하여 상인들을 프로젝트의 주체로 이끌어내지는 못하 음

- 의류부자재 상가인 동화시장만의 장소특정성을 정확하게 제시

하지 못함

- 시각환경의 개선이나 쉼터의 조성 등 예술가의 상상력보다는

상인들의 요구에 치우친 하드웨어 개선에 치중

나. 레지던시형

Ⅰ. 안양 석수시장 (스톤앤워터)

- 문제해결형 공공 술 근을 통한 시장의 문화공간화 -

○ 사업 취지

- 석수시장 프로젝트는 예술의 일상성, 지역성, 공공성을 중심화

두로 삼아 석수시장을 대상으로 일상 삶의 풍경, 지역, 공간을

탐색하고 예술적 보충과 대안을 모색하는 프로젝트

- 공동체적 미덕의 상실, 거대자본의 토적 확장에 따른 서민경

제의 몰락 등의 문제의식에 앞서 근본적으로 전통문화와 지역

문화, 서민의 문화를 담지하고 있는 지역의 열린문화공간의 상

실이라는 관점에서 시장을 통한 대안 찾기

○ 접근방법

- 공공미술을 실험하는 석수시장 프로젝트는 사적인것과 공적인

것-양자의 상호소통과 상호접속에 초점

Page 9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75

석수시장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아싸! 시장통 미술관

날짜 전시명 프로그램명 시간 수업내용

2007.8.10

석수시장국제레지던

시장과 예술이

만나면 Ⅰ3

시장과 예술? 전통시장의 역사석수시장으로 직접 나가 시장의 활동을 살펴보고 스케치하기

○ 프로그램명 :아싸! 시장통 미술관

○ 참여인력

- 교수인력:기획강사 2명과 보조강사 4명 참여

- 참여단체:해오름공부방, 림아동센터, 평촌중학교, 평촌공고, 더불어

가는 배움터 길, 군포시 당동청소년문화의집

○ 교육기간:2007년 4월 24일~12월 10일

○ 프로그램 목표

- 생활속의 예술’의 실현과 ‘예술의 공공성확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 ‘시장을 미술관으로, 미술관을 시장으로’의 적극적인 교류로 쉽게 다가가

는 벽 없는 미술관 구현

-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전통시장을 적극적인 소통의 장으로 변모시키기

○ 실행방법

-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한 군포시 당동청소년문화의집과 함께 리폼 프로

젝트 실시, 지역 공부방과 연계하여 재활용악기를 이용한 소리체험활동

을 통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적 접근 시도

- 일상생활과 예술을 연결하는 하나의 매뉴얼로서 프로그램을 기준화하고

일상에서 예술성을 자유롭게 발상, 창작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동시대 예술에 대한 특별한 경험과 체험이 가능하도록 접근

<표 Ⅳ-5> 석수시장 세부 프로그램

- <오픈 더 도어 open the door!>를 내걸고 시장의 빈 점포들이

어떻게 예술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던 지난 프

로젝트를 통해 석수시장을 하나의 상상의 미술관으로 개념화

- 2007년에는 <가가호호>를 타이틀로 예술이 어떻게 일상의 수

다꺼리가 될 수 있을지, 시장이라는 공간에서 예술과 일상이

어떻게 결합되고 교환, 소통될 수 있는 지를 연구하고 실험

- 말 걸기를 통한 공공의 추억, 혹은 기억을 만들어가는 상호소

통과 상호참조적인 작업들을 보여줌

Page 9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7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오픈스튜디오

입주작가 스튜디오 방문하기빈점포를 관찰하고 아이디어 기록하기우리만의 공간 재탄생토론된 내용으로 스토리보딩 및 작품그리기 작품 감상하기

5차

석수시장국제

레지던시 오픈

스튜디오

시장과 예술이

만나면 Ⅱ3

시장과 예술? 전통시장의 의미와 갤러리 역할시장 속 입주작가 스튜디오 방문하기빈점포를 관찰하고 아이디어 기록하기스케치/인터뷰/아이디어 기록우리만의 공간 재탄생!토론 및 토론된 내용으로 스토리 보딩과 가상공간 건축물 종이로 만들기작품 감상하기

2007.8.31

석수시장국제

레지던시 오픈

스튜디오

시장과 예술이

만나면 Ⅲ1

시장과 예술?레지던시 프로그램 방송 비디오 감상직접 만나는 시장과 예술입주작가 스튜디오 방문항빈점포 활용방안 아이디어 나누기

○ 성과

ⓐ 레지던시 사업 성과

- 시장이 생활속의 예술을 실천하는 공간으로 변화

- 상인과 예술가 상호 간 긍정적 이미지 생성

- 상인들과의 친숙성 강화

ⓑ 교육 프로그램 성과

- 스톤앤워터 갤러리에 대한 인지도 증가(시장에 있음에도 불구

하고 전혀 모르던 시장 상인들에게 교육프로그램을 시도한 결

과 갤러리 인지도 높아짐)

- 학생들의 동시대 예술에 대한 이해도 및 작가의 작업에 대한

관심 높아짐

○ 문제점

- 단기적 전시 진행으로 인한 지속적 연계 미흡

-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기간이 짧고 홍보할 수 있는 시간이 상대

Page 9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77

적으로 적어 지역 자원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이루어지지 못함

- 전통시장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이 많았음

에도 불구하고, 시장 상인들의 무관심과 비위생적인 공간을 개

선하지 못하여 전통시장은 불친절하고 불결한 장소라는 인식

을 바꾸지 못함

[그림 Ⅳ-3] 석수시장 공공예술 프로젝트

[그림 Ⅳ-4] 석수시장 국제레지던시 사업

Ⅱ. 광주 대인시장 (광주비엔날레추진단)

- 공공미술 지던시를 통한 시장과 지역 활성화 -

○ 사업 추진 배경

ⓐ 2008 광주비엔날레 ‘제안’ 섹션 <복덕방 프로젝트> 추진

Page 9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7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화랑 큐레이터와 지역 작가들 주도

ⓑ 시장내 지역기반 대안공간의 출현:<매개공간 미나리>

- 2008년 5월 대인시장 동문 앞 주차장 내 빈 창고 개조

- 개관 전시와 매미시장(예술마켓)을 성공적으로 마침

- 지역 젊은 작가들의 창작 발표와 교류ㆍ교환의 장으로 기능

- 대인시장과 관련된 공간, 프로그램 기획

ⓒ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의 대인시장에 대한 관심 증대

- 대인시장을 문화의전당 및 예술의 거리와 연계하는 사업 구상

- 광주비엔날레와 연계된, 지속 가능한 예술프로젝트 준비

○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

ⓐ 목표

- 상생의 과제:대인시장 재생과 함께 지역예술의 재생 도모

- 창조의 과제:새로운 지역문화・경제 공동체 창조

상생과 창조적 만남

새로운 지역문화 ・ 경제공동체

대인시장상인

지역미술지역예술인

대인예술시장프로젝트

[그림 Ⅳ-5]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의 목표

ⓑ 운 방식

- 레지던시의 형태로 시장 내의 빈 점포를 임대해 공간 활용

- 상가번 회 협조로 시장 내 사무실 운

- 지역에 기반한 예술가의 지속적 참여가 중요

Page 9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79

대인시장상가번 회

예술가집단

시설현대화아케이드주차장

공중화장실간판정비

상인교육장냉동창고

.경영현대화

상인교육공동쿠폰

인터넷쇼핑몰 운영.

시장의 예술화빈 점포 활용빈 공간 활용

소통 및 환경개선.

예술의 시장화예술가게창작공방

교육프로그램.

상생과 창조의 전략

[그림 Ⅳ-6]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의 전략

○ 접근 전략

ⓐ 시장의 예술화:시장으로 소통하기

- 시장을 예술로 재해석하고 새로운 가치를 찾아냄

- 시장의 결핍 요소를 예술로 보충하고 대치시킴

- 시장경제의 문제를 예술로 진단하고 그 대안을 찾기

- 시장 상인 커뮤니티의 관계와 소통을 예술로써 풀기

- 시장과 지역 간의 공간적 관계와 소통을 예술로써 매개하기

- 시장내 세대 간 갈등과 소통의 문제를 찾아 예술로 풀어나가기

- 시장의 빈 공간, 빈 점포를 예술 공간으로 바꾸기

ⓑ (지역)예술의 시장화:예술로 소통하기

- 예술작품의 유통과 소비의 문제를 고민하고 그 대안을 찾기

- 예술의 공공적 솔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하기

Page 9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8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예술의 소통가능성을 연구하고 그것을 매개하기

- 예술의 가치를 밝히고 그 내용을 공유하기

- 예술의 교육적 내용을 연구하고 그것을 제공하기

- 예술의 기술을 제공하고 공유하기

- 예술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제시하고 제안하기

- 예술가게를 운 하고 경 하기

○ 새로운 홍보(장소 마케팅)전략:문화예술 마케팅

- 관람객이 시장의 소비자가 될 지는 미지수이므로 이에 대한 마

케팅 전략 필요

- 일상과 예술이 함께 하는 매력적인 장소, 매일 새로움을 만나

고 상상력이 자극되는 즐거운 문화쉼터, 광주를 이해하고 광주

의 문화를 배울 수 있는 장소성 부각

○ 레지던시 효과

- 작가와 상인 간의 빈번한 접촉

- 광주비엔날레 기간 중 관람객 유입 증가 기대

- 대인시장의 예술화 작업으로 인한 국내외 관광객 유입 기대

다. 예술축제형 1) 대전 중앙시장 시장미술제

대전 중앙시장 (재래시장미술가협회)

- 다원 술 근을 토한 시장미술축제 -

○ 시장미술(Market Art)의 개념

- ‘시장미술’에서 말하는 작품과 상품, 예술과 비예술은 각기 그

틈과 간격, 사이와 경계에서 정체성/identity을 구하고 확인하

는 과정

Page 9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81

○ 시장의 문화적 접근방법

- 전통시장의 경쟁력은 ‘인간적인 체온이 물씬 발산되고 감성적

인 교감이 넘쳐나는 활력, 즉 전통시장다움에서 나옴

- 서로의 살갗을 부비며 살아가는 멋과 끈끈한 온정을 나누는 전

통시장의 향수는 그 자체가 삶의 문화

- 많은 이들이 편안하게 즐기고 체화할 수 있는 문화로서 접근

○ 사업 추진 과정

- 45명의 작가들이 화월통과 생선/건어물 시장, 한복거리와 구

중앙극장 골목, 옷 가게 골목 등을 배경으로 작업

- 개막식 퍼포먼스, 캔버스와 패널 게시, 각종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물 설치, 미디어 모니터 설치 등

○ 시장미술제의 성과

- 미술의 사회 문화적 기능과 역할, 그리고 우리 자신과 이웃이

공유할 수 있는 공동의 환상성과 참신성 부여

- 전통시장이 문화마케팅과 만나 새로운 명소로 변화

- 대전 중앙시장에서 한바탕 미술축제로 벌어진 이번 시장미술제

는 잠시나마 삶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기고 즐거운 희망의 꿈을

꽃피웠던 행복충전소로서의 역할 수행

○ 시장미술제의 차별성

- 공급자가 아닌 수요자 중심:찾아가는 서비스 실천

- 정확한 현장검증과 준비과정:2007년까지 2회 개최하면서 현

장 검증을 통한 준비과정 내실화

- 타 역과의 연대를 통한 제3의 예술 모색:12가지 항목으로 된

시장미술제 선언에는 ‘전통시장의 역동적인 활로와 모색을 위

한 미술가들의 모임’으로서, ‘타 역과의 적극적인 연대를 통

한 제 3의 장르 개념을 구축한다’는 목표 명기

- 워크숍 준비로 꾸준히 진화:세미나를 통해 시장미술제에 출품

될 작품의 제작범위와 경로 등에 대한 사전 탐색

Page 9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8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계도가 아닌 동화 중심:상대의 의식변화를 인위적으로 조장하

기보다 상대의 입장을 먼저 고려하고 배려하는 동화과정 선행.

상인 중심의 배려와 친화 노력 강조

- 시장친화력:출품작가 대부분이 시장에서 나고 자랐거나, 시장

을 주요 테마로 삼아 작업하거나, 실제 거주하며 생업으로 터

전을 일구는 등 시장과 관련을 가짐. 시장의 속성을 잘 꿰뚫고

있는 작가들이 중심이 되어 ‘시장친화력’이 높음

- 연계성과 지속성:한시적인 행사에 그치지 않고 매년 정기적인

연례행사로 이어가고, 점차 시장 전체의 변화를 주도함으로써

중앙시장에 새로운 활력 부여

2) 의정부 제일시장의 거리축제

의정부 제일시장 (중소기업청, 의정부시)

- 지역자원을 활용한 거리축제 연계 -

○ 시장 특성

- 의정부역 광장 맞은편에 위치

- 1954년 ‘제일공설시장’이란 이름으로 문을 연 이래 1978년 현

재의 자리에 건물이 완공되면서 제일시장으로 명칭 변경

○ 시장 개선 노력

- 시설 현대화:2004년부터 2008년까지 총 29억원을 투입하여

아케이드와 1,500평 규모의 주차장, 조명, 고객휴게소 마련

- 상품군별 4개 구역 정리:십자 구조의 시장 특성을 살려 가동,

나동, 다동, 라동 4개 구역으로 나눠 취급 상품군별 구획 정리.

100여개의 좌판을 정리하여 동편에 밀집시킨 생선코너는 의정

부제일시장의 핵심점포로 부상

- 경 개선:구매금액 1만원당 100원 쿠폰을 증정하고, 10장을

Page 10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83

월별 테마 주별 테마 운영주체

6월

전통문화 축제

1주 단오제 한마당 예총

2주 통일예술제 예총

3주 문화가 산책 및 전통문화 공연 문화원

4주 양산별산대 초청공연 문화원

7월

즐기는 비 축제

1주 홍대클럽 초청공연 문화원

2주 문화가산책 및 힙합&비보이 초청공연 -

3주 작은공간 큰 음악회/직장인밴드 축제 예총/문화원

4주 트롯열전 문화원

8월

썸머 축제

1주 탱고&살사댄스 페스티벌 문화원

2주 타악 및 난타 공연 문화원

3주 작은공간 큰 음악회와 동아리 공연 예총/문화원

4주 7080통기타 가수공연 문화원

5주 밸리댄스 페스티벌, 한여름밤의 화제 문화원

번 회로 가져오면 현금으로 돌려주는 연중 공용쿠폰 제도 도

입. 한 달에 한 번 경품 추첨 병행

- 이벤트 및 교육 프로그램 개설:2005~2006년 연말에는 사회공

헌 프로그램으로 독거노인을 돕기 위한 ‘김장 담그기’ 행사 진

행. 2007년 ‘어린이 그림그리기대회’ 개최(80명 참가), 2008년

주부노래교실과 기체조교실 개설(상인교육장)

○ 지역 축제와 연계한 시장 연동 시너지 효과

- 의정부시는 2008년 5월3일부터 매주 토요일마다 시장과 접해

있는 중앙로의 도로 차량을 전면 통제하여 중앙로 문화의 거리

행사 추진

- 의정부 중앙로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볼거리를 제공하

고, 시민 누구나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

- 중앙로 문화의 거리 행사는 국내 200여 독립예술인과 단체, 지

역의 아마추어 예술가 등이 참여하여 자유로운 상상력과 실험

정신으로 만들어가는 거리문화 축제장으로 마련

<표 Ⅳ-6> 의정부 거리문화축제 테마

Page 10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8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월별 테마 주별 테마 운영주체

9월

한가위 축제

1주 품바&난장 문화원

2주 한가위 -

3주 지역전통공연 문화원

4주 퓨전국악 공연 문화원

10월

시민의 날 축제

1주 주민자치센터 발표회 시청

2주 회룡문화제 폐막 문화원

3주 째즈&국악 문화원

4주 화상 & 화음악 문화원

11월

김장 축제

1주 대학동아리 공연(문화원) 문화원

2주 중앙로 문화의 거리 노래자랑(문화원) 문화원

3주 트롯공연(문화원) 문화원

4주 지역동아리 공연(문화원) 문화원

5주 7080통기타 가수 공연(문화원) 문화원

12월

크리스마스 축제

1주 뮤지컬 공연(문화원) 문화원

2주 마술쇼(문화원) 문화원

3주 캐롤공연(문화원) 문화원

4주 화 상 & 화음악(문화원) 문화원

출처:조선닷컴, 2008.06.05 재구성

4. 문화예술을 통한 시장의 지역공동체성 획득가. 주민참여형 사업

담양 5일장 (문화체육관광부 아트인시티사업)

- 지역과 공동체에 기반한 실험 공공미술 작업 -

○ 사업 개요

- 예술감독:정상무(작가, 바셀린프로젝트), 지역작가 기반

- 사업 내용

Page 10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85

“담양 5일장에서 놀자”

- 전통시장에서의 공공미술(미디어 활용)

- 장터라디오 프로그램 진행(바셀린 프로젝트)

- 골목길 프로젝트(예술교육프로그램)

- 시장 상징조형물 제작

- 지원예산:5천만원

○ 시장 공공미술 사업 추진 경과

- 작가 윤남웅, 박문종을 중심으로 담양 5일장 국밥집에서 <장>

전 개최

- 담양 <장>전의 경험이 광주 말바우시장으로 옮겨 짐(북구문화

의집 및 전남대학교와 함께 문화예술작업 진행)

- 작가 윤남웅이 2007년 대인시장에서 설치작업 시도(의재미술

관 프로젝트)

- <아트인시티 2006 중흥동 프로젝트>, 박성현 예술감독

- <아트인시티 2007 담양 5일장 프로젝트>, 정상무 예술감독

- 목포에서 <다방전> 개최, 정상무 기획으로 광주작가들도 참여

○ 시장 특성

- 담양 5일장은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방침 이후 오히려 낙후된

공간으로 변모

- 상인들의 시장 활성화 기대 높음

- 참여 주민 유형:오일장 건물 안의 상인 및 인근 지역 주민(천

변 주변 상인, 인근 지역 상권 상인, 지역주민), 지역문화인

- 팔고 사는 사람들 대부분 노인층

- 외지인이 많이 방문하는 경향을 보임

○ 사업의 목표

- 담양 5일장의 활성화는 소통공간으로서의 역할에서부터 시작

- 지역문화와 전통문화에 대한 향수 고취

○ 사업추진 경과

Page 10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8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공간 개선:5일장 공간과 구조물 외관이 딱딱하고 경직되어 있

어, 건물 시각화 작업을 통해 시장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상

징적인 요소 고민. 대나무로 결정하고 그에 맞는 작가 섭외

- 라디오프로그램:담양지역 홍보 병행. 시장 공간은 이전부터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의 역할. 라디오 스튜디오는

담양 예술인, 국악인의 참여로 프로그램 운 . 시장 및 인근지

역 포스터 홍보 등을 통해 행사 진행시 약 200여명 방문

- 후속 사업 계획:사업 이후 내년 1월까지 지역활동가들과 군청

에 라디오 방송 및 전체 사업 이양 예정

○ 한계

① 주민과 상인의 수요 파악 및 소통체계 미흡

- 농촌 주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으로 인한 거리감:농촌

지역 거주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예술적 접근이 아니

어서 거리감이 있었으며, 담양 주민들은 대나무를 언제나 흔하

게 접하기 때문에 신선감이 떨어졌음

- 노년층 중심의 상인 수요 고려 미흡:상인 대부분인 노년층에

게 흥미를 끌지 못했으며, 대나무 구조물의 어두운 분위를 좋

아하지 않음. 또한 상인들은 대형 간판 설치 등에 대한 수요가

많았으나, 사업목표와의 부합성이 낮아 적용하지 못하여 불만

이 있었음

- 라디오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추진 어려움

② 방송 유인 효과 부족

- 방송을 통한 사업 홍보에 대한 상인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방

송을 보고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지는 않았음

- 결과적으로, 방송의 유인 효과는 없었음

- 농촌 지역 주민들을 시장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풍물 등 고전

적,전통적인 컨텐츠가 적절

③ 상품 특성화 노력 미비

Page 10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87

- 상품 특성화 노력을 병행했으나 상인들이 특성화에 대한 의지

를 갖지 못함

- 상인들이 30~40년간 팔았던 품목을 쉽게 바꾸기 어렵고 바꾼

다고 해도 성공에 대한 보장이 없었기 때문

④ 관계 맺음의 한계

- 예술가들이 시장사람들과 관계를 많이 가졌어야 했는데 군청과

의 관계에 주력한 결과 시장과의 밀착도가 떨어짐

- 담양예술인협회 및 군청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3개월

정도 준비하 으나 조율과정의 어려움

나. 문화공동체형 사업

성남 상대원시장 (성남문화재단)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

○ 사업의 취지와 목적

- 성남문화재단의 전통시장 사업은 2006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창조도시 계획의 일환으로 전개되고 있음

- 전통시장 사업 목적은 주민조직과 상인조직 활성화

- 전통시장 사업을 통해 지역경제와의 관련성을 찾고, 마을의 역

사를 재조명하고, 주민들의 삶을 새롭게 각인시키고 더불어 상

생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함

- 문화예술창조도시의 핵심은 사랑방문화클럽 정책으로, 성남의

시민문화예술동호회 1003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동네에

서 자기의 삶터를 바꾸는 주체로 만드는 것이 하나의 목표임

Page 10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8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사랑방

문화클럽

네트워크

구축사업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

성남시민

창작활동

진흥사업

문화도시

성남시 정체성

구축사업

문화통화

시스템

기반조성사업

가로축 사업 :

문화공간에서 일어나는

시민들의 문화활동을

구체적으로 조직하는

마이크로들(macro)

세로축 사업 :

도시 전체의 문화적 환

경과 인프라를 조성하

기 위한 매크로(macro)

주체적 문화시민육성

[그림 Ⅳ-7] 성남문화재단 문화예술창조도시계획(2006~2020년)

- 우리동네 공동체만들기 사업은 사랑방 문화클럽 달성을 위한

하나의 사업으로 15년간 3단계로 나누어 3년, 5년, 7년씩 진행.

2006~2008년까지는 1단계로 성남의 45개 동을 골목길, 아파

트, 공단, 시장, 상가로 나누어 5가지 유형별 시범사업 진행

- 상대원시장 사업은 우리동네 공동체만들기 사업 내에서 상가형

사업과 공동으로 2008년에 신규 추진되는 사업임

○ 상대원시장 선정 이유

- 모란시장, 중앙시장, 성호시장 등 성남시의 대형규모 시장은 이

미 리모델링을 추진하여 현대화된 전통시장으로 변모(성남시,

2007)

- 상대원시장은 점포 80개 정도의 소규모 시장으로, 성남 사람들

의 추억과 애환이 깃들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대원시장을

중심으로 한 문화공동체의 가능성 시도

Page 10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89

상대원시장은 1974년도에 생겼습니다. 성남시가 태동(1974.7.1)하며 생긴 시

장입니다. 그 당시 성남에서는 공단이 굉장히 중요한 집결지였으며,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공단 인근 상대원동 판잣집에서

근로자들이 살며 저녁이 되면 상대원시장으로 몰려 나와서 굉장히 번화하게 되

었습니다. 성남 사람들 대부분은 상대원시장을 거쳐 갔으며, 공단을 다닌 사람

은 특히 그 곳에 대한 애환이 있었습니다. 그러다 시장은 죽어가기 시작했고,

5년 전쯤 상대원프라자라는 상가가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다행히 지금

다시 살아나고 있으며 따라서 희망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을 주민들의

문화공동체와 상인공동체와 함께 풀어가려고 합니다. 이로써, 상대원동의 역사

성을 살려내면서 동네 속의 전통시장으로서 시장과 상가가 통합된 지속 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찾아보자는 컨셉을 만들게 된 것입니다. 이것이 2006년부터 이

어져 온 맥락입니다.

(2008년 7월 성남문화재단 인터뷰 내용 중)

○ 상대원시장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

-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한 하드웨어 조성과 커뮤니티 조성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그리고 인터넷 라디

오 커뮤니티의 세 가지로 구성됨

- 연간 사업예산은 1억 5천만원 내외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부분은 전체 예산 중 최대 80% 투입 가능하고, 인터넷라디오

커뮤니티기획 부분에 사업비의 20% 정도를 투입하여 실행

① 하드웨어(공공미술)

- 시행주체:도시와 빛과 색과 성남문화재단

- 전략:각각의 상점 특화, 상점의 이야기 만들기 전략, 아케이드

차원을 넘은 하드웨어 접근

- 주요 내용:① 점포상징용 조명갓 제작:떡볶이집은 꼬치모양,

건어물은 물고기 모양 등 점포의 상징성을 발굴하여 재미있게

제작, ② 사인 설치:잠시 자리비움 등 상가에서 주로 알리고

싶어하는 것 설치, ③ 골목길 이벤트:포터를 상주시켜서 이벤

트(시장 주변 주거지역 고려 다양한 활동 전개), ④ 차양막 교

Page 10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9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체, ⑤ 상징조형물 설치, ⑥ 메인 도로 도색을 통한 분위기 전환

② 소프트웨어

- 커뮤니티 조성 문화예술 프로그램

- 어린이 벼룩시장과 주부 프로그램

③ 인터넷 라디오 커뮤니티

- 시행주체:바셀린프로젝트

- ‘그 사람을 만나다’ ‘퀴즈’ ‘홈쇼핑’ 등의 프로그램

- 오랫 동안 상대원시장에서 살았던 할머니 등을 초대

- 주민들이 상대원의 역사에 대해 재미있게 알 수 있도록 함

- 상가들의 특징을 공유하는 상대원드라마 제작

다. 교육연계형 사업1) 광주 말바우시장

Ⅰ. 광주 말바우시장 (광주북구문화의집)

- 지역 문화기반시설과 연계한 시장 활성화 -

○ 말바우시장 선정 이유

- 도시와 농촌의 관문으로서 입지성

- 말바우시장이 갖는 지역 역사와의 연계성

- 타시장과의 차별성:2,4,7,9일장이 서는 구조, 노점상과 일반

상가 사이의 마찰이 없음, 기존의 시장으로부터 자리를 차지하

지 못한 사람들에 의해 장이 형성됨, 브랜드 상품이 없이 있을

것이 다 있고 없을 것은 없는 특성(남광주시장의 생선, 양동시

장의 홍어, 가구, 닭 등과 같은 브랜드 상품), 인근에 학교 위치

Page 10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91

▢ 1차 프로그램:도심 속의 시골장터전

○ 개요

- 회화, 설치, 상, 퍼포먼스 작가 10여명이 2006년 4월 14일부

터 한 달 동안 말바우시장의 국밥집 10여 곳을 대상화하여 공

간과 주인, 손님 등을 포착하고 각 국밥집이 갖는 특성을 작품

화한 전시

- 부제를 “국밥 속에 담긴 그림”이라 칭하고 초기 말바우시장이

갖는 의미와 역사를 공유하고 접근하 으며, 주요 참여 작가는

이미 담양읍 내의 시장을 배경으로 하여 전시회를 가진 경험이

있음

○ 참여작가

▶ 회화 및 설치:박문종, 윤남웅, 고재근, 문학열, 박수만, 권승찬

▶ 사진:신현진, 정회상, 주경미

▶ 영상:고광연

▶ 퍼포먼스:김광철, 초이

○ 결과

- 시장이 캔버스에 옮겨져 전시장으로 간 경우는 많았으나, 시장

자체의 국밥집이 전시장이 되는 경우는 광주 내에서 유일한 경

험이었음

- 국밥집이라는 장소 공간이 갖는 매력을 충분히 활용하 기 때

문에 장소와 작품 간의 간극이 없어 낙서와 훼손이 발생하는

경우까지 있었지만 긍정적인 호응을 얻었음

- 국밥집의 손님들의 경우 작품을 발견하게 되었을 때 대부분 우

호적인 반응을 보여 주었으며, 작품에 대한 평론이나 첨부할

작품까지 주문해 주는 경우도 있었음

- 10여개의 국밥집이 운집한 곳이기 때문에 작품이 전시된 공간

은 한정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전시되지 않은 곳에서는

Page 10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9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불만 요인이 발생하기도 하 음

- 전시와 관련하여 시장 번 회와 사전 대화 및 협조 요청이 부

족하여 한계가 있었음

- 시장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접근해 볼 때 시장이 가진 천연적인

소재들이 작품화되고 전시되면서 언론과 관객들의 주목을 받

으며 새로운 방문 동기를 제공하 음

- 이는 기존의 시장 유통에 대한 전통적 기능에 문화예술적 동기

를 접목한 부분으로 당시 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함

▢ 2차 프로그램:말바우 시장 아케이드

○ 개요

- 말바우시장과 인접한 우산초등학교 학생이 2005년 9월부터 12

월까지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시장의 씨줄과 날줄을 조사

하고 이를 홈페이지, 소개책자, 지도, 신문 등으로 표현한 체험

프로그램

- 지역의 공간이 담는 역사적 의의와 상징성을 파악하며 공동체

적 가치를 인식하고 확장해 보는 체험 학습의 기회 제공

○ 참여자

▶ 우산초등학교 5학년 1반 32명의 학생과 담임선생님

▶ 북구문화의집 임선이, 강사 및 어드바이저:김미향 외 3명

○ 결과

- 총 15회 교육과정으로, 말바우시장과 인근 학교의 관계를 밀접

하게 하는 효과가 있었음

- 학생들에게는 지역 내 시장이 갖는 공동체적 의미와 낱개의 상

점이나 노점이 갖는 상징성 및 시장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내포

하는 다양한 의미망을 포착하는 학습의 공간이자 경제적 공간

으로 시장을 읽을 수 있는 기회 제공

Page 11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93

- 교육목표는 학습자 시각에서의 시장 활성화라는 목표 고 그

결과가 시장에 대한 정보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책자, 신문, 홈

페이지를 통해 구현됨

- 또한, 지도제작팀은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공간의 리모델링을 제

안하고 지도 안에 시장 내 주차장을 설치하는 방향으로 제시함

- 대부분의 학생들이 각 상점이 갖는 특징을 찾아내어 브랜드화,

캐릭터화함:예컨대 말바우의 내력을 훤히 뚫고 있는 터주대

감 할머니, 다양한 옷을 통해 변신을 도모하는 마법사 할머니,

절뚝거리며 신발을 사러 오신 할아버지와의 만남을 얘기하며

눈물을 그렁이는 맘씨 좋은 쎄일 신발 백화점, 고추장만 30년

을 넘게 담근 고추장집 할머니, 노래하는 굴비아주머니, 길거

리의 카페아주머니, 술 취한 아저씨 등 시장을 구성하는 아이

콘을 발품을 통해 찾아내고 또 다른 상징으로 이를 표현하여

지도 안에 담아내는 결과를 도출함

▢ 3차 프로그램:미세스 말바우 티쳐 전

○ 개요

- 말바우시장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이를 토

대로 하여 친밀감 있고 활용도 있는 게임을 만들어 보자는 의

도로 시장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캐릭터화하여 보드 게임처럼

아이콘을 배치하고 이를 주사위를 돌려 찾아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시함

-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수행

○ 참여

▶ 북구문화의집 문화예술교육팀

▶ 만화가:강용 등

○ 결과

- 말바우를 학습의 대상으로서 그 기간 안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

Page 11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9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닌 시장 놀이를 통해 일상에서도 기억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

어본 게임

- 이를 북구향토음식문화관에 전시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게임을

체험해보며 시장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는 계기 마련

- 각 가게와 공간이 갖는 특징을 캐릭터화하고 이에 대한 주석을

붙여 줌으로서 공간의 의미를 쉽게 기억하고 친밀도를 높이는

효과를 부여함

- 지역사회의 한 모습을 타자화된 일방적 시선이 아니라 그 안에

내딛어 보면서 깊게 체감하고 호흡을 함께 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실제적으로 적용해 본 사례

2) 전주 남부시장

Ⅱ. 전주 남부시장 (공공작업소 심심)

- 미래로 가는 박물 으로서의 문화 공간 -

○ 남부시장의 특성

- 남부시장은 동문거리와 함께 도시의 성장과 경제발전의 과정에

서 쇠락하고 소외되어가는 전주 구도심의 대표적인 공간

○ 남부시장의 가치

- 시장은 과거의 방식이고, 경제활동의 장소이지만 현대 도시화

된 사회 안에서 그 곳은 삶의 일상이 살아있는 구체적 장소이

자 역사적 공간이며 시대를 이어오는 박물관으로서의 문화적

공간

- 우리 삶의 일상들이 살아있고 베어나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공

간으로 체험 가능

○ 남부시장의 활용

- 박물관 프로젝트:시장의 살아 있는 역사와 문화성 인식 및 체험

Page 11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95

- 하늘정원 만들기: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시장 옥상 공간을

문화적 공간으로 리모델링

- 남부시장 이야기지도:시장 홍보 및 마케팅 운 계획 차원에서

접근

- 문화의 거리와 남부시장:공공미술을 통한 문화의 거리 공간

조성을 남부시장으로 연계

교육프로그램

전일제수업 남부시장 박물관 프로젝트

체험교실 전주 한옥생활체험관

여름캠프 남부시장 하늘정원 만들기

겨울캠프 남부시장 꾸미기 예술제

지역네트워크교육연수 공간 아카데미

워크숍 남부시장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사업

남부시장연구보고서 공간/역사/시대상황/인문조사

컨텐츠 솔루선 이야기지도/웹 매거진

[그림 Ⅳ-8] 남부시장 교육프로그램

5. 시사점:성과와 한계 가. 문화적 접근의 방법○ 시장에 대한 문화적 접근의 주요 양상들

- 지역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그것에 따른 기대효과로서 관광의

목적 설정

- 상인들을 위한 시장 활성화 차원을 넘어, 상인에게는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서, 주민에게도 매력적인 환경 요소로서 시장의

가능성 모색

- 일회성 행사를 지양하고, 지역에서 살아 숨쉬는 커뮤니티 공간

으로서의 시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

Page 11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9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문화적 접근의 유형

- 대부분의 사례에서 시장에 대한 문화적 접근은 유사한 양상을

보임. 공공미술 등을 통한 하드웨어 개선, 상인과 주민 프로그

램 등의 소프트웨어, 그리고 함께 참여하는 미디어를 통한 커

뮤니티 프로그램 등의 유형을 보이고 있음

나. 문화적 접근의 성과1) 전통적 가치 마케팅의 가능성 ○ 지역 전통을 구경하고 먹고 즐길 수 있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장

으로의 탈바꿈

- 정기시장과 전문시장을 중심으로 특화된 고유 가치 발굴을 통

한 마케팅

- 의정부 제일시장:사통팔달 문화공간의 고품격 전통 쇼핑공간,

마스코트 개발, B-Boy 공연 등 이벤트 개최로 4회 연속 우수

시범시장 선정

- 5일장:도심에서 만나는 구수한 옛모습(광주 송정5일장), 진짜

시골5일장을 찾아간다(충북 동 임산5일장)

○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아이콘 창출의 가능성과 그것을 통한 관

광 상품화 및 해외 관광객 유치 가능성

2) 문화적 공간화를 위한 시도○ 전통시장에 문화적 요소가 투입됨으로써 시장이 활력을 되찾고,

지역주민으로서의 예술가가 공간에 개입함으로써 삶의 공간이

자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전통시장의 가능성 확인

○ 전통시장에 대한 공공예술적 접근은 정부의 지원 이전에, 예술

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깊이 고민하던 작가들에 의해 주도된 차

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Page 11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97

다. 문화적 접근의 한계○ 시장의 활성화보다는 시장의 문화적인 활성화에 기여

- 시장의 문화 활성화에는 기여하 으나, 시장 활성화에는 미흡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에는 일정 정도 기여하 으나, 전

통시장의 문화 활성화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는데, 시장 활성

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문화를 활용하 으나 시장과의 적극적

소통이 부재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음

- 결과적으로, 시장 자체의 활성화보다는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 활성화에 그치게 되었음

○ 상인과 주민이라는 양극단의 정책 대상 포섭 미흡

- 전통시장에 대한 지원은 직접적으로 상인을 지원하기 위한 목

적을 지니는 것으로, 주민은 간접적인 정책 대상에 불과

- 그러나, 주민이 결합되지 못한 시장 활성화는 기대할 수 없다

는 점에서 지역주민과의 결합을 모색하고 있으나 양자 모두를

시장 활성화의 핵심 대상으로 포함하기에는 사업 추진 주체의

역량의 준비되지 않은 상황임

- 상인들에게는 필연적 삶의 터전이지만, 주민에게는 특별한 것

이 되어버린 전통시장에 대한 접근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인’

과 ‘주민’을 별도의 대상으로 놓고 접근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

으로 보임

○ 관광자원으로서의 시장에 대한 접근의 한계

- 시장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및 관광객 유인 효과 미흡

- 지역 활성화가 기본적으로 시장 살리기 혹은 서민생활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임에 반해, 관광형 시장의 목적은 관광을 통

한 외화 획득, 서비스 수지 개선의 목적을 갖는데, 이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대상자층이 매우 상이하게 다르므

로, 정책 방향을 하나로 모으는 전략 필요

Page 11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9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전통장터에 대한 문화관광적 접근의 한계

- 전통 자원의 현대적 재해석 미흡:시장의 특수한 성격과 전통

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과정이 삶과의 연계성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못함

- 과거의 전통시장에 대한 지원정책은 장터나 시장을 하나의 상

거래 시설이나 낙후된 지역 공간, 즉 그 자체의 공간적 조건만

을 대상으로 하 기 때문에, 그 공간을 둘러싼 문제 상황과 지

역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함

- 즉, 지역 안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하지 못했고, 공간

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인식이 부족

- 결과적으로, 공간 자체의 자생적 활력이 생성되지 못하는 한계

에 부딪힘

- 또한, 대부분 단발성 사업으로 끝나거나 인프라 조성의 경우

시간과 재정의 효율성에 있어 각 개별 이익집단간의 갈등이 야

기되는 등의 한계를 보임

- 대부분 향토의식에 의존하여 상품권을 발매하거나 주차장 건설

이나 시설 개보수에 그침으로써, 장터나 전통시장을 할인마트

와 동일한 모습으로 바뀌게 되었을 뿐, 그 시장을 특화시키거

나 지역의 조건에 맞게 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미흡

- 상시적 서비스보다는 임시방편적이고 단발적인 향유 서비스의

형태로만 이루어져 옴으로서, 지속성이나 연계성 없이 치러지

는 이벤트성 행사에 그치는 한계

- 프로그램 기획의 주체가 시장이나 지역의 외부자 기 때문에

각 지역과 시장의 특수성을 반 하는데 한계를 보임

- 원래 있는 장터나 전통시장을 활용하는 방안 외에 새로운 문화

관광단지를 조성하거나 시장을 옮겨 새로운 지역문화예술의

터전을 조성하려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실질적인 장터

나 전통시장의 모습은 사라지고 박제된 공간의 모습으로 설정

Page 11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99

되는 경우도 있었음

○ 전통시장에 대한 공공예술 접근의 한계

- 대체로 시장이라는 ‘공간적’맥락을 활용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

울임

- 지역과의 연계와 소통을 획득하는 노력이 부족

- 시장 속으로 파고드는 방식에 대한 전략 미성숙

- 시장과 삶 자체로 들어가 삶과 예술을 분리하지 않고 시장문화

의 촉매 역할을 하는 적극적 노력 부족

- 결과적으로, 시장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확보하

고, 예술적 접근에 대한 공공성을 획득하는 것에 미흡

라. 문화적 접근의 발전 방안○ 시장의 개념과 기능의 변화에 주목

- 문화는 유통과 지역의 소통광장의 역할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시장 활성화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 시장의 조건에 따른 문화적 대응 차별화 전략

- 복잡한 요구들로 얽혀 있는 시장의 현상을 파악하고 적절한 문

화적 대응 전략 투입 필요

- 시장 특성화와 지역 자원의 결합이 중요

○ 시장 중심 지역공동체

- 시장의 활성화는 시장과 시장이 존재하는 지역, 그리고 시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나가는 산물이라는 점에서, 시

장 활성화의 주체는 상인과 주민, 즉 시장중심 지역공동체가 되

어야 하고, 시장이 존재하는 지역의 공간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Page 11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0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제3절 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1. 해외 사례 개요가. 해외 사례의 범위1) 동양권 시장

○ 사례 분석 대상 시장:일본 동경, 규슈, 대만, 싱가폴

2) 서양권 시장○ 사례 분석 대상 시장:미국 뉴욕, 국 런던, 버밍엄,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랑스 프로방스

○ 사례 분석 대상 조직:런던의 코인 스트리트 커뮤니티 빌더

(Coin Street Community Builders)와 뉴욕시에 위치한 공공장

소를 위한 프로젝트(Project for Public Spaces)

<표 Ⅳ-9> 해외사례 분석 대상 전통시장지역 특징 사례

동양

일본

•전통과 현대의 조화

•시장의 역사 보존 및 기능 개선

•지역 특색을 살린 관광화 전략

•공공시설,공원,학교 등과의 연계

•실버마케팅과 청년마케팅

미야노가와 상점가

오사카 코하마 상점

키타큐슈 탄가(旦過)시장

스가모 지조토오리 상점가

동경 하라주쿠 고야마 쇼핑몰

대만•대만 야시장 관광화 전략

• 시장의 공간환경 보존과 조화대만 중산시장

서양

스페인

•문화강좌 및 행사 개최

•지역축제와 연계한 시장축제

•스토리텔링을 통한 온라인 마케팅

보케리아 시장

미국 •관광형 복합시장 첼시마켓

국•디자인 컨설팅을 통한 현대화

•사회적 기업 조직

셀프리지 상점가

코인 스트리트

Page 11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01

나. 해외 사례의 주요 논의점1) 논의의 방식

○ 한국 전통시장의 형태, 기능, 역할과 유사한 동양권 시장에 대

한 분석과 한국 전통시장과 형태 및 성격이 다른 서구권 국가

의 시장을 구분하여 논의

○ 서구권 국가의 시장은 한국 전통시장의 성격을 갖는 실내시장

과 현대화된 시장을 지역 커뮤니티 공간의 관점에서 문화공간

과 참여전략, 관리방안 중점 분석

2) 주요 내용 분석 단위○ 문화, 예술, 공공장소를 시장 활성화의 요소로 간주하고, 전통

문화 및 상업문화로서의 시장문화의 범위에서 시장의 특성과

유형 분석

○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는 시장의 공간과 프로그램 요인 분석

○ 성공적인 시장의 조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한 시장 활성화 성

공 요인 추출

2. 동양권 시장 사례가. 일본 사례:전통과 현대의 조화1) 전통시장 육성정책의 기조와 방향○ 일본의 전통시장 육성 정책 기조

- 우리나라와 비슷한 전통시장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근대화 과

정에서 소매업의 상권 변화 및 새로운 형태의 유통구조 변화로

전통시장의 기능 저하 현상이 발생

- 일본의 시장 재개발은 철거 및 재개발 형식보다는, 시장의 역

사적 측면을 보존하고 기능을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둠

Page 11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0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입지 여건이 비교적 좋은 가로변 상점가와 역전 인근에는 오랜

역사와 전통, 유리한 입지 여건 등을 소매시장 활성화의 기회

요인으로 활용하고, 신・증축 설계 시에도 역사와 전통을 반

하도록 유도하 음

○ 전통시장 육성을 위한 세 가지 고려사항

- 접근성 및 교튱편 연계 체계:버스, 택시승차장과의 연계 고려,

보행로 연속성 고려, 상품진열의 통행 장애 여부 고려

- 공공시설, 공원 등과의 연계성 여부 검토:시청, 시민회관, 문

화시설 등과 연계성 고려, 연결 구간에 대한 소도로 정비, 공원

에 젊은층 유동인구가 밀집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젊은이들의

시장 유도를 위해 공원을 상품집배장으로 활용 가능한 지에 대

한 여부 검토

2) 키타큐슈 탄가(旦過)시장○ 대학생 힘으로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 추진9)

- 키타큐슈 탄가(旦過)시장에 빈 점포 활용, 다목적 공간 <대학

당> 설치

- 시장 운 위원회와 키타큐슈대 학생이 공동으로 3개월 걸쳐 준비

- 연극, 공개강좌, 라이브 등의 다목적 공간, 학생들의 시장 조사

및 연구 거점으로 활용

- 시장 이용객의 휴식공간 및 시장 정보 안내, 문화발신지로도

활용

- 시장 분위기 훼손 않도록, 옛 분위기 그대로 살려 인테리어

- 오픈 기념식에 친돈야 연극과 샤미센 콘서트 개최

9) 일본 키타큐슈 탄가시장 사례(오사카문화원 조사), 오사카 문화원 주간보고

(7.7~7.13) 내용 중 일부 발췌

Page 12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03

3) 스가모 지조토오리 상점가○ 특징

- 일본 도쿄의 도시마구에 위치한 시장으로 30년 전의 모습을 그

대로 간직함

- ‘노인들의 하라주쿠(일본의 번화가)’라는 별칭

○ 역사문화마케팅

-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상점가’로 명성

- 전통사찰과 연계한 이벤트 및 상점가 내부의 홍등 설치로 집객

력 증대

- 쇼핑과 함께 역사가 있는 스가모를 온몸으로 체험하는 ‘슬로

쇼핑’ 추구

○ 노인공략마케팅(실버마케팅)

- 인근 지하철역의 에스컬레이터 속도를 느리게 하고 노선 안내

도와 지도를 확대하고 식당메뉴도 큰 글씨로 표기함

- 골동품, 노인용 액세서리, 요통・견통약 및 건강상품 등 노인특

화 상품을 판매하며 직원도 중장년층으로 채용함

[그림 Ⅳ-9] 스가모 지조토오리 시장 안내판

Page 12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0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4) 미야노가와 상점가○ 매월 셋째 주 토요일에 야시장 개최

- 소비자의 생활 패턴이 야간화되는 것에 착안하여 지역축제형

야시장 개최

- 200회 넘는 야시장을 개최하여 매번 약 3만여 명의 인파 참석

○ 동전상품권 발행

- 옛 동전을 본떠 소장가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상품권 회수율이

낮춘 결과 상인회의 수익에 도움 (1년에 약 2억7000만 엔 어치

발행)

5) 오사카 코하마 상점 ○ 지역 특색을 살린 관광화 전략

- 전통신사 중심으로 형성된 근린형 상점가로 고급화・관광화 전

략 구사

- 지역 특색을 살린 마케팅 실시

- 이색 체험 관광코스 개발

- 다양한 디자인으로 볼 거리 제공

6) 일본 동경의 하라주쿠 고야마 쇼핑몰○ 관광기능 확대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 젊은이들을 위해 문화공연활동을 활발히 개최함으로써 시장 활

성화시키고, 전통시장 본연의 인간적 만남과 흥정 등의 제도를

부활하는 등 관광기능의 확대를 통한 시장 활성화(유성구청,

1997; 지진호, 임화순, 2001, p.20)

나. 대만 사례:야시장을 중심으로 한 관광화 전략1) 시장 활성화 배경○ 침체된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부처 중심의 활성화 노력

- 대만의 수도 타이페이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대형유통업

Page 12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05

체의 진출로 인해 전통시장의 위축이 심화되어 감

- 전통시장의 살아남기 위한 노력이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진행되

었는데, 경제국뿐만 아니라 관광국이 큰 역할을 수행함

2) 대만 야시장 관광화 전략○ ‘관광국’을 중심으로 한 전통 야시장 지원 및 관리

- 대만의 가장 큰 볼거리로 꼽는 야시장을 통해 전통시장의 진화

해법을 찾기 시작

- 야시장의 관광화를 위해, 경제국이 아닌, ‘관광국’에서 직접 전

통 야시장에 대한 관리 시작

- 조금이라도 특화된 거의 모든 야시장은 관광국 관리 대상으로

서, 관광국은 야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시설 예산 지원뿐만 아

니라, 인력, 마케팅, 축제 등의 모든 분야에 대한 통합적 지원

및 관리를 수행하고 있음

- 관광국의 지원 하에, 대만 100년 전통 야시장은 대만의 가장

큰 볼거리로 자리잡게 됨

○ 야시장의 관광화 전략

① 볼거리, 놀거리 컨텐츠

- 관광국의 지원에 의한 볼거리, 놀거리 제공

② 공간 정비

-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공간 정비를 통해 쾌적한 환경 유지

③ 상인 자치위원회의 자체 노력

- 상인 주도 자치위원회 구성을 통한 규범

- 소비자 통행권 확보 등의 자체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한 고객

만족도 제고

④ 대만 시정부의 시장 건물에 대한 체계적 관리・운 시스템

- 고온의 기후 특성상 건물 입주 상인이 대다수로, 건물을 대만

시정부가 운 하는데, 상인들은 3년에 1번씩 시정부와 계약을

맺고, 계약 조건으로 시장을 특성화시켜 품목별로 철저하게 분

Page 12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0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리 운 하도록 함

⑤ 상품 경쟁력 확보

- 다양한 아이템과 극도로 저렴한 가격, 신선상품의 질에 대한

홍보 등으로 상품 경쟁력 확보

⑥ 중점 대상을 고려한 마케팅과 홍보 전략

- 퇴근시간 직장 여성들이 저렴한 반찬과 식재료 등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과 홍보 강화

3) 대만 중산시장:시장의 공간환경 보존과 조화를 통한 관광화 전략 ○ 공간환경 개선 전략:전통과 현대의 조화

- 현대적 건물과 전통식 건물의 조화를 도모함으로써 관광객들의 집

객력을 높이고 있음(유성구청, 1997; 지진호, 임화순, 2001, p.20)

전통문화 보존을 통한 시장 관광 활성화 유사사례

:싱가폴 카탕가바우 전통시장

- 시장 활성화 전략:전통의 보존

- 서민 위주의 전통시장 모습을 그대로 보존시킴으로써 외국 관광객

들뿐만 아니라, 자국의 일반 시민들이 즐겨 찾는 전통시장으로 개

발함(유성구청, 1997; 지진호, 임화순, 2001, p.20)

3. 서구권 시장 사례가. 스페인 보케리아 시장(Mercat de la Boqueria)○ 특징

- 문헌상 1217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자랑함

- 바르셀로나 람블라스 거리 중심부에 위치한 농・수・축산물 시장

○ 문화강좌 및 행사 개최

- 어린이 요리교실 (매주 목요일 6시간 강습/ 20유로)

Page 12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07

・ 웰빙형 식사습관을 배우는 동시에, 요리강사와 함께 장을 보

며 경제관념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큰 인기를 얻음

- 시장 내 콘달극장에서 유명배우의 코미디공연 등을 개최함

○ 지역축제와 연계한 시장축제

- 바르셀로나의 카니발 축제와 연계

・ 일요일 오전 보케리아 시장을 출발점으로 축제가 시작함

・ 상인들도 카니발 의상을 입고 전통음식으로 아침식사를 대접

하는 행사를 펼침

- 6월 21일 음악제(Fête de la Musique)에 참여

・ 매년 파리 등 세계각지에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는 음악제에

참여 (거리, 광장 등 공공장소에서 어린이들과 같은 아마추어

음악인의 연주행사를 개최)

○ 스토리텔링을 통한 온라인 마케팅 전개

- 시장의 홈페이지는 외국인 관광객을 타겟으로 5개 국어(스페인

어, 카탈루냐어, 어, 프랑스어, 일본어)로 서비스됨

- 홈페이지에 상인의 개인사를 소개하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전개

어린이 요리교실

「시장에서의 카니발」 포스터 보 리아 시장 입구 카니발 행사의 모습

[그림 Ⅳ-10] 보케리아 시장의 문화 프로그램

Page 12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0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나. 미국 첼시마켓(Chelsea Market):관광형 복합시장○ 입지조건

- 첼시복합시장은 1996년 뉴욕시의 5천6백 평의 건평에 자리 잡음

- 오레오 비스킷(Oreo Sandwich)로 유명했던 나비스코 과자공

장( Nabisco)가 있던 자리에 방치된 건물을 리노베이션하여 시

장테마파크로 거듭남

- 6천명의 일꾼을 포함하여 하루 만5천여 명의 유동인구 기록

- 1층에는 꽃, 부엌용품, 인테리어소품 상점과 레스토랑, 2층은

음식채널 방송국과 사진스튜디오 등 사무공간 입점

- 주변에는 창고를 리모델링한 브랜드숍, 도시를 가로지르는 폐

선 고가 공원화 작업 추진

○ “후기산업시대의 놀이공원”(뉴욕타임즈, 1996) 전략

① 볼거리

- 과자공장의 기계시설과 건물재료를 디자이너와 건축가가 재생

하여 다양한 재질과 요소들을 겸비하여 볼거리 제공

- 공간명소:곳곳에 앉아 쉴 수 있는 장소 배치. 송수관을 살린

폭포, 클럽 같은 엘리베이터 디자인

② 먹거리

- 유기농과 뛰어난 품질의 해산물 공급

- 직접 재료 선택 후 요리해주는 서비스 제공

③ 프로그램

- 독서, 댄스, 화, 음악, 전시가 요일별로 대상층을 달리하며 다

채로운 활력을 줌

- 전시공간을 통한 프로그램:넓은 통로의 벽면과 기둥에 역사적

사진이나 작가의 작품, 어린이 그림 전시

- 축제공간을 통한 프로그램:빈 창고 공간에 매주 한번 씩 진행

되는 살사/탱고 파티와 자연스런 춤 교육

Page 12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09

⑤ 점포 관리

- 입점을 기다리는 빈 점포도 있지만 까다로운 선별과정을 거쳐

야 입점 가능

⑥ 점포별 브랜딩

- 점포마다 역사적 이야기와 로고, 관련 상품을 만들어 인테리어

디자인과 결합시킴

⑦ 디자인

- 건물외관의 정체성을 살린 디자인, 후면의 시장 간판 디자인,

옛 과자공장의 역사를 고스란히 살린 전면과 후면의 입출구 디

자인, 기존의 공장 통로를 최대한 살린 조명시설, 테이블, 아케

이드 시계 디자인

다. 프랑스 프로방스 라벤더시장:관광자원으로 승화된 전통시장 ○ 시장 개요

- 프로방스의 전통시장은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시장과 같이 서

민적인 분위기가 물씬 풍기면서 이 지역 특유의 빛깔과 정취를

가지고 있음

○ 시장 특성

- 시장유형별 형태:라벤더를 여러 종류의 제품으로 만들어 파는

프로방스의 전통시장은 상설시장이 있는가 하면 매주 요일을

정해서 여는 정기시장도 있음

- 시장규모별 형태:규모에 따라 대로변이나 좁은 길 주변에 있

는 것, 큰 광장에 있는 것 등의 다양한 형태

- 시장 종류:일반적인 물품을 파는 시장,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장인들이 그들의 물건을 파는 시장, 고가구나 오래된 물건을

파는 시장 등으로 다양함

○ 성공 요인

① 다양한 상품 개발

Page 12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1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라벤더뿐 아니라 각종 꽃에서 추출한 오일을 비롯하여 비누,

꽃에서 채취한 각종 꿀, 잼들을 통해 미각을 포함한 오감 자극

② 누구나 함께 즐기는 축제로 사람 모으기

- 많은 볼거리와 즐거움 제공

- 다양한 방식의 축제 기획

- 시장이 열려 있을 때는 대부분 소규모 행사 진행, 길거리 예술

가들이 음악, 인형, 댄스 공연을 시기에 관계없이 수시로 하고,

작은 음식축제도 자주 열림

- 계절이 바뀌는 시기나 축제가 열리는 때는 시장이 문을 닫고

그곳에서 대규모 행사 개최

③ 지역 특산품에서 세계적 관광 상품으로 발돋움 노력

- 라벤더 하나가 한 지역의 이미지가 되고 훌륭한 관광상품이 되

었으며, 한 지역의 특산품에서 전 세계적인 상품이 됨

라. 영국 셀프리지 상점가(Selfridge Store):디자인 컨설팅을 통한 전통시장의 현대화

○ 사례 개요

- 국 버밍엄의 시내 중심지에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벌링

시장(Bullring Market)을 2002년에 현대화하는 과정에서 시의

계획을 반대하고 나선 상인들과 대학의 대안적 계획이 현실화

된 사례

- 여기에 런던의 셀프리지 백화점(Selfridge Department Store)

이 개발투자회사로 선정되면서 예술적인 익스테리어와 실내

구조가 디자인됨

○ 성과

- ‘컨설팅’을 통한 시장 상인들의 인식 전환:6개월간의 경 컨

설팅과 인테리어 컨설팅으로 기존의 상인들이 상업적 성격을

Page 12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11

바꾸고 디자인을 결정하여 입점하는 쾌거를 이룸

- 현대적인 백화점으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디자인 설계

- 디자인 설계가 경 전략과 동시에 모색될 때 프로젝트의 시너

지 효과 생성

마. 영국 코인 스트리트(Coin Street):사회적 기업 조직 ○ 코인 스트리트 커뮤니티(CSCB, Coin Street Community Builders)

조직 개요

- 국의 런던 템즈강변의 사우스뱅크(South Bank)에 위치

- 1970년대 비즈니스 중심 지역으로 개발되는 것을 주민들이 막

아내기 위해 조직

- 7년 간의 투쟁을 계속하면서 커뮤니티 운동조직(CSAGCoin

Street Action Group)을 사회적 기업으로 만듦으로써 결정적

계기 마련

- 경제적 기반이었던 커뮤니티의 공방을 디자인 숍으로 바꾸며

1980년대 중반 성장

○ 운 전략

- 주거시설, 사무시설, 커뮤니티 시설 등 공간에 대한 관리・운- 공공성을 표방하면서 개발 이윤을 커뮤니티에 재투자

- 템즈 강변에 면한 부지를 런던 시민들을 위한 산책길로 조성하

여 개방하 고 공원(Bernie Spain)과 시장(Gabriel's Wharf)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제공

- 양조장(OXO Tower)을 복합건물로 리모델링하여 디자인 숍과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 하면서 축제와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

- 사우스뱅크 주변의 거리가구와 조명, 도시경관을 크게 향상시

킴으로써 커뮤니티의 자율적인 운 능력을 인정받게 됨

○ 성공 요인

-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공방)과 공간을 지키려는 결의와 단합

Page 12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1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주민의 의지와 사회적 기업 조직이 결정적 성공 요인

- 대외적으로 런던시와 투자자들을 설득할 수 있었던 요인은 개

방 공간의 조성과 문화 프로그램의 제공

- 이로써, 런던시가 주민들의 요구에 응하게 되었고, 은행 대출도

가능해짐

4. 시사점가. 동양권과 서양권 시장의 활성화 전략 비교1) 차이점

- 동양권에서는 시장을 전통문화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서구권의

경우에는 시장문화를 상업문화의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디자인

과 경 의 전략에 대한 기획을 중시하는 경향이 많음

- 대다수의 동양권 시장과 유럽의 지역시장(주로 야시장이나 벼

룩시장 등 정기시장)과 같이 시장 생성 역사가 오래 될수록 시

장과 지역의 전통을 관광자원으로 승화시키려는 노력이 많으

며, 미국이나 유럽 대도시권 시장(주로 상설시장)과 같이 시장

생성 역사가 짧은 지역의 시장은 공공장소의 차원으로 광범위

하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음

2) 공통점- 동양권의 시장이든 서구권 시장이든, 시장의 재구성을 통한 커

뮤니티 활성화와 원도심 활성화가 맥을 같이 하며, 시장의 형

태와 유형에 따라 다른 접근과 전략 시도는 공통점

나. 시장 성공 요인1) 이미지 전략○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특성화 지향(일본, 국)

Page 13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4장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례 분석 113

- 장소의 역사성을 공간적으로 부각

- 시장의 장소성 획득:커뮤니티 참여조사와 장소만들기 전략을

통해 시장의 장소성을 확고하게 설정

○ 스토리텔링 마케팅(스페인 보케리아, 국 첼시)

- 점포별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딩과 디자인

2) 지속가능한 시장 운영관리 조직을 통한 경영 혁신 ○ 디자인과 경 컨설팅을 통한 전통시장의 현대화( 국 셀프리지)

○ 사회적 기업 조직을 통한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 조성( 국 코인

스트리트)

3) 지속적 프로그램○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스페인 보케리아)

○ 개방 공간의 조성과 문화 프로그램 제공( 국 코인스트리트)

○ 누구나 함께 즐기는 축제(프라방스 라벤더)

4) 상품 관리○ 지역 특산품을 세계적 관광 상품 개발

○ 구매심리 및 동선을 고려한 적절한 상품 배치

5) 시장 커뮤니티의 지역 결속력○ 시장을 둘러싼 주체들의 의지와 파트너쉽

○ 지역주민과 상인, 그리고 투자자들의 시장 커뮤니티에 대한 헌

신성

○ 시장 계획 및 운 과정에서의 지역주민 참여도(공간을 지키려

는 주민의 결의와 단합)

5) 정책적 지원○ 관광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강화(대만의 야시장의 관

광화를 위한 관광국의 역할)

Page 13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제 5 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Page 13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17

제1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방향1. 정책의 목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목표

- 문화마케팅 강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와 서민생활 안정

-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전통시장 육성을 통한 주민의 문화향수

증진

- 전통시장의 역사성과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관광적 활용가치

증대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문화 마케팅 강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와

서민생활 안정화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전통시장 육성을 통한

주민의 문화향수 증진

전통시장의 역사성과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관광적 활용가치 증대

[그림 Ⅴ-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목표

2. 정책의 방향가. 전통시장의 모델화와 명소화○ 전통시장 모델화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을 통해서 새로운 전통시장

의 모델을 만들고, 그것의 파급효과를 기대

○ 전통시장 명소화

- 전통시장 본연의 정취를 살리고 문화적 매력을 가미하여 지역

명소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컨설팅 및 프로그램 개발

Page 13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1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그림 Ⅴ-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나. 전통시장의 문화적 가치 발굴 및 확산 ○ 공공문화적 장소로서의 가치

- 전통시장들의 겉으로 드러난 소란스럽고 다소 너저분한 모습

속에 숨어있는 진정한 가치, 즉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사람들을

재미있게 하며 사람들을 좋아하게 하는 공공문화장소로서의

진솔한 가치 획득

○ 시장문화와 지역문화의 결합을 통한 사회적 공공성 획득

- 전통시장과 지역사회를 매개하는 문화예술의 역할 모색

- 직접적 교류와 소통을 통한 시장문화와 자발적 참여 및 공동체

적 행위를 통한 지역문화의 결합

[그림 Ⅴ-3] 전통시장 활성화의 전략적 방향

Page 13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19

○ 전통시장과 지역사회 공동체의 결합

- 개인 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상호호혜적 동반자 관계 형성

- 시장 내 소통 채널을 통한 공동체 의식 생성, 주민 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 네트워크의 결합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긍정적 사회자본 형성

- 매개 프로그램 예시:① 공동택배서비스:시장과 지역(동네)을

매개하는 네트워크로서 공통택배서비스 활용 가능, 이 때 매개

자는 예술가나 지역주민이 될 수 있음 ② 시장축제:시장과 지

역주민이 만날 수 있는 통로. 상징성이 있어야 성공 가능. 주체

는 상인이 되어야 함. 시장의 대표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어

야 함. 축제 컨텐츠는 시장의 물건과 시장 자체의 분위기에 맞

아야 함. 상시적 프로그램과 일시적 프로그램으로 운 하고 정

례화하는 것이 필요.

시장 특성 지역 특성

시장 내 소통 채널

공동체 의식 ⇔ 주민 간 신뢰

공동체 네트워크

지역 경제 성장

긍정적 사회자본 생성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

[그림 Ⅴ-4] 시장과 지역사회 공동체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

Page 13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2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다. 시장의 역학 관계를 고려한 문화적 접근○ 개별적 차이를 인정하는 공존화 모색

- 서로 다른 개별 시장들과 시장 안의 각각 다른 점포들이 개별

적 차이를 가지고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 파머스 마켓:뉴욕 주의 농부들이 직접 나와 물건을 파는 일종

의 전통식 시장

○ 사고 싶은 시장뿐만 아니라 팔고 싶은 시장 만들기

- 시장 활성화의 핵심:시장 사업은 누구를 위한 사업이냐? 어떻

게 지속 가능하게 할 것이냐?

- 상인과 건물주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정책 필요

- 시장 활성화와 건물 임대료의 문제:입주자와 건물주 간 대화

와 타협 필요(5년 이후 장기적 가치 공유 필요, 같은 생각으로

모두가 같이 간다는 합의 필요)

- 상인과 고객:기분 좋게 사고 팔기,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신

뢰와 소속감

제2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업 추진 전략

1. 전통시장 특성에 따른 대응 전략가. 시장 형성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활성화 전략 도출○ 전통시장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활성화 전략 도출

Page 13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21

시장형성의 역사

농경사회생산자=소비자경제+사회+문화적기능 복합

산업사회생산자≠소비자유통 기반 경제적 기능 중심

디지털문화시대생산자=소비자문화에 기반한 경제사회적 접근

1단계(과거)시설현대화

+ 마케팅지원(단기적 축제, 이벤트,교육)

시장 자체 환경 개선

⇩2단계(현재)

시장공간의 문화적 리모델링

+ 주민참여형 시장시장+문화⇒ 상인과 주민 삶의 질 향상

⇩3단계(미래)

시장의 문화공간화, 지역활성화, 관광상품화

시장+문화+관광 ⇒ 지역 활성화

[그림 Ⅴ-5] 시장 형성의 역사에 따른 활성화 전략

나. 전통시장의 특성에 따른 대응 전략○ 전통시장의 강점과 약점에 따른 처방

- 시장의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활성화 전략 수립

○ 전통시장의 유형별 대응 전략

- 종합시장과 특화시장의 특성에 따른 활성화 전략 도출

- 종합시장:시장의 소프트 파워를 활용한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방안 마련, 시장 테마 프로그램 마련, 시장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특화기장:고유한 컨텐츠의 차별적 가치를 홍보하고 접근성을

강화하여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 제고 방안 마련, 전국의 특화

된 개별 시장들과의 결연을 통한 시너지 창출, 대한민국 대표

시장 관광 프로젝트를 통한 한국형 선진 전통시장 고유 브랜드

창출

Page 13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2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전통시장의 특성에 따른 활성화 전략

강점

강화

▸ 정서적 친근감 ⇨

인간적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활용

▸ 주거지역 인접성(접근성)⇨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

▸ 가격 저렴⇨

가격 경쟁력에 대한 홍보

▸ 생생한 볼거리⇨

상설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 마케팅

약점

보완

▸ 쾌적성 저하(쓰레기투기,불법주차) ⇨

공간/디스플레이디자인, 환경정비법적규제

▸ 편리성 낙후(편의시설,교통,주차) ⇨

시설개선, 안내서비스, 무료셔틀버스 운행

▸ 상품에 대한 신뢰성 낮음 ⇨

품질관리시스템/영세상인에 대한 관리

▸ 젊은 세대에게 매력도 상실 ⇨

재미 요소를 발굴하여 컨텐츠화

[그림 Ⅴ-6] 전통시장의 특성에 따른 활성화 전략

시장의 특성 활성화 방안

종합

시장

‣ 주로 상설시장

‣ 특화상품이 없어 차별화 어려움

‣ 낙후된 시설로 경쟁력 하⇨

‣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방안 마련- 지역주민의 심과 참여를 이끄는 문화엔터테인먼트 마(문화 로그램)

‣ 시장 특화 략 마련- 테마 로그램:‘덤주고 인심주고’(매월 마지막주 토요일 덤으로 장보는 날), 일요시장카페 운

‣ 시장에 한 부정 인식 개선(교육 로그램)

특화

시장

‣ 주로 정기시장‣ 특화된 컨텐츠와 희소성을 가짐

‣ 상품으로서의 상 가치와 매력도 낮음

‣ 근성과 홍보 미흡

‣ 고유한 컨텐츠의 차별 가치를 홍보하고 근성을 강화하여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 제고 방안 마련

‣ 국의 특화된 개별 시장들과의 결연을 통한 시 지 창출

‣ 한민국 표 시장 로젝트

[그림 Ⅴ-7] 시장 특성별 활성화 전략

Page 13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23

2. 전통시장의 문화적 대응 전략가. 전통시장에 대한 관점의 전환1) 시장의 문화화는 활성화 수단이 아닌 잠재력 기반 초석○ 전통시장 활성화의 주된 수단으로 시설현대화, 경 지원, 시장상

인교육의 시설과 경 개선에 주력하고, 활성화의 보조적 수단

으로서 공동서비스, 공연, 이벤트 등을 통한 문화적 접근 시도

○ 주민공동체 문화 활성화를 통한 시장 잠재력 기반 마련의 초석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는 보조적 수단으로서의 문화적

활용을 넘어,

- 지역주민 공동체와 연관한 문화공간, 생태공간, 문화예술 프로

그램, 예술장터, 벼룩시장 등을 통해 주민공동체 문화를 활성

화함으로써 시장 잠재력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함

- 또한, 시장 자체의 운 원리와 내용을 문화화 하는 것을 포함

○ 전통시장의 문화적 속성

- 시간축:(과거)전통문화 + (현재)생활문화 공존

- 공간축:주민생활권 + 상권 공존

- 참여자:주민 + 상인 공존

[그림 Ⅴ-8] 전통시장의 문화적 속성

Page 13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2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시간축으로는 과거 전통문화와 현재 생활문화가 공존하는 시

장, 공간축으로는 주민생활권과 상권이 공존하는 시장, 그리고

주민이 상인이 함께 하는 시장

2) 전통시장의 문화성에 대한 재발견은 미래적 가치○ 자연주의를 선언하고 문화적 공간으로서 발돋움하고 있는 대형

마트의 변화의 속도를 감안한다면, 전통시장의 대형마트 따라잡

기 전략은 소모적 경쟁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음

○ 5~10년 후의 전통시장과 대형마트를 포함한 유통구조, 그리고

사람들의 구매패턴에 대한 미래적 전망이 필요한 시점으로, 오

래된 옛 것에서 새로운 것을 찾는다면 그것은 미래를 예기하는

문화적 가치로 부각될 수 있음

■ 자전거 시장:고유가 시대의 대안

■ 걷기의 이정표:자동차가 아닌 걸어서 갈 수 있는 시장

■ 전통먹거리상품:전통적인 자원과 재료를 중심으로 한 시장 상품

의 구성(로컬 푸드)

3) 팔고 사는 행위를 넘어 동네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로서의 시장○ 대형마트로 넘겨준 전통시장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문화적 공

간 창출로부터 시작

○ 전통시장 인근의 지역 주민과 커뮤니티에 대해 섬세하게 접근하

려면 상인의 의식 변화와 시장 기능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

○ 전통시장은 파는 곳만이 아닌 즐기고, 놀고, 머무는 곳으로 인식

될 필요가 있음

○ 사람들이 모이면서, 자연스레 시장을 들르게 하는 전략으로 지

역주민과 연결될 수 있는 사람, 프로그램, 공간의 연결점 구축

필요(문화조합)

Page 14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25

4) 공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서의 전통시장○ 미국의 공공장소를 위한 프로젝트(PPS, project for public

space)나 이슬람의 공동시장 개념처럼 시장이 공공적인 서비스

를 제공하는 실질적인 주체가 되는 방향 설정 가능

○ 국의 코인스트리트와 같은 사회적 기업화를 통해, 이윤의 일

부를 공공장소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환원

- 새로운 공공장소를 만들기보다, 시장 인근의 노인병원이나 어

린이놀이터를 포함한 주변 공간의 자원을 활용하여 시장과 연

계한 공공 프로그램 운 가능

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문화 전략 1) 시장 활성화의 키워드 ○ 주민과 상인의 생활문화적 트랜드와 결합도를 강화하고(삶과의

통합성), 시장의 내적 조건들과 외재적 조건들과의 연계성을 강

화하고, 시장의 역사성과 특수성을 -초코파이 정(情)처럼- 매력

적인 프로그램으로 덧입히고, 시장의 조건과 특수성에 부합하는

방식을 찾아 지속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정체성(identity)

시장의 역사성과 특수성(시장 자체의 유무형 가치와 자원 발굴)

연계성(partnership)

시장의 내적 요인들과 지역의 외재적 조건들과 연계성 강화

삶(life)과의 통합성

지역주민의 생활문화적 트랜드와의 결합도 강화

창의성(creativity)

시장의 조건과 특수성에 부합하는 매력적인 프로그램 적용

[그림 Ⅴ-9] 시장 활성화의 주요 개념

Page 14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2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2) 전통시장의 문화적 요소 추출○ 시장의 물성, 역사성, 삶과의 연계성, 역동성 요소를 추출하여,

정체성과 연계성, 주민 삶과의 결합도를 강화한 창의적 전략으

로 대응

[그림 Ⅴ-1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문화적 요소 추출

① 物:연계성:시장의 장소적 가치 창출 ○ 시장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소성을 극대화하는 전

략이 중요

○ 시장의 장소적 가치 창출이란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공간

을 활성화하고 주변의 다른 공간들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

여 시장 공간의 상호 연계성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관광 자원

화되는 것을 의미

○ 시장 공간을 일상문화 체험의 공간으로 조성하고, 지역 주민들

과 방문객들이 문화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지역 문화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 지역중심형 커뮤니티 연계를 통한 시장 활성화

Page 14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27

- 문화는 지역 형성의 요인과 구성인자에 의해 집단의 묶음을 만

들어내는 결속의 속성을 자생적으로 가지고 있음

- 지역의 문화적 요소는 그 곳의 정서적 뿌리인 정체성과 연관되

어 복합적인 이미지 창출

- 장소는 일상적 삶 속에서의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의미의 장으

로, 개개인의 일상적 삶이 역동적으로 위되는 곳인 동시에

개개인들의 역동적 삶과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가짐

[그림 Ⅴ-11] 시장 공간성의 획득 단계

② 史:정체성:무형적 자원의 발굴과 브랜딩□ 무형적 자원의 발굴 ○ 기존의 가시적인 공간 조성뿐만 아니라 무형적인 문화적 자원의

발굴과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 증대

○ 기존의 시장 활성화 전략은 대체로 시장공간에 대한 가시적 개

발, 시설 현대화 사업에 집중되는 경향이 많았음

○ 기존에 조성된 공간에 무형 문화자원으로서의 프로그램 개발과

운 방안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수반된다면, 시장 공간이 지역

문화와 연결되어 시너지 효과가 창출될 것임

○ 시장의 역사와 현재의 여건 속에서 문화와 결합될 수 있는 잠재

적 요소를 발견하고 확장함

Page 14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2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시장의 역사적 요소 발굴

- 대전 중앙시장의 파리의상실(30년 역사)

- 수원 못골시장의 생선가게(상인의 적극성)

- 전주 남부시장의 순대집(역사와 맛)

- 서울 대림시장의 중국음식점(새로운 맛, 다문화 경험)

■ 시장 공간에서 문화적 요소와 결합될 수 있는 잠재적 요소 발굴

- 인천 방산시장의 공원

- 서울 금천구 현대시장의 공원

- 시흥 삼미시장의 놀이터

□ 시장 브랜드 개발 ○ 지역 전체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장 브랜드

개발 시도 필요

○ 시장 브랜드 개발은 자원 개발과 인프라 구축 이전에 시장의 어

떤 자원을 활용하여 어떤 사업을 계획할 것인가를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우선적으로 시장의 역사성과 지역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그것을

토대로 한 시장 브랜드를 개발하고, 활용해야 함

○ 시장 브랜드 개발은 지역의 문화 인프라와 물적, 인적자원과 결

합하여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

③ 生:삶과의 통합성:주민의 삶에 영향○ 서민들의 삶의 기반으로서의 시장에 대한 문화디자인 전략

○ 시장 상인에게 활력을 주고, 삶의 자신감을 주는 문화예술교육

을 통해서 예술가와 상인의 공동디자인이 가능

○ 공공디자인, 건축, 주민들이 협력을 통해서 시장의 주변부터 시

장 안으로 진입하는 ‘경계 디자인’, ‘경계 건축’개념이 가능

Page 14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29

■ 시장의 이미지를 만든다:거기가면 꼭 그게 있더라

■ 장인이 들어오는 시장, 문화적 생산이 이루어지는 시장

■ 시각디자인이 아닌 삶의 모습에서 나오는 버내큘러(Vernacular) 디

자인

■ 시장 상인의 노동에 대한 분석에서 나오는 디자인(몸짓, 쉬는 모습,

한숨)

■ 시장 상인이 행복해질 수 있는 문화디자인(선풍기, 차양막, 정서가

묻어나는 가격표, 마음이 느껴지는 종이포장지)

④ 動:창의적 연계성:기능의 복합화○ 다층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시장의 시설과 상품을 이용하여

교육, 관광 등과 결합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주변 인프라들을 연결하고 개발하는 기능이 중요

○ 도심 재생 전략과 맞물린 시장의 문화 전략 필요

- 상행위와 연관된 공간(주차장 등) 뿐만 아니라 시장 주변의 커

뮤니티(동네, 마을)까지 고려한 문화적 공간 형성이 중요한 역

할을 함

■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의 공 주차장-시장-문화공간의 삼원 전략

필요

3) 지역자원과 결합한 시장 소통 구조 만들기 전략① 지역문화와 결합한 시장 소통 구조 만들기○ 문화는 집단의 묶음을 만들어내는 결속의 속성을 자생적으로 가

지고 있음

○ 시장을 읽고, 구성원의 갈등과 소통, 생산과 소비를 ‘누구와 함

께’ 생각하고 있는가가 중요

○ 따라서, 지역사회의 통로 속에 함께 하는 지역민들과의 소통이

시장 커뮤니티 만들기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

Page 14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3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② 시장의 새로운 문화적 트랜드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인력의 결합○ 매개자의 조건

- 스킨쉽에 강한 전략적 커뮤니케이터로서의 매개자

- 집중화가 아닌 다점화, 대형화가 아닌 소품종다량에 관한 새로

운 아이템을 개발할 수 있는 예술가 및 콘텐츠 기획자 등 전통

시장과 함께 할 젊은 문화인력의 발굴 및 활용

■ 예술인 상주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예술인들이 시장에서 존재 기반

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 지원 검토 필요

○ 매개자 역할

- 시장 스토리텔링적 접근, 이질적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

■ 일본 도요까시 사례:사전 교육을 통해 인식도 개선 작업 수행

<표 Ⅴ-1> 시장유형별 문화적 대응을 위한 문화적 그룹 접근 전략 및 콘텐츠 활력점 문화적 그룹

문화공간문화서비스..북

까페, 헌옷가게

시장주변 주민활력.

50~70대의 참여

프로그램 기반 건축/디자인/예술/

공공미술 전문가

라이프

스타일

음식공부,

Lohas style

시장주변 20~30대

의 소비

생활양식에 기반한 공예/디자인/

푸드스타일 전문가

공공공간무료노인병원,

문화놀이터 등

시장주변 30대~50

대의 지지

경관예술/건축/공공미술가 전문

○ 매개자의 투입 방법

- 시장의 장기적 전망에 대응할 수 있는 문화적 그룹의 형성이

시장 활성화의 핵심

- 핵심기획자 조직의 구성을 통한 참여:문화적 그룹은 각 역

별 문화커뮤니케이터와 예술감독, 그리고 행정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 문화성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한 군집적 투입 필요:시장에 역

Page 14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31

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점포수 100개 기준, 활동가(예술가)

20~30명 정도는 투입되어야 문화성이 발휘될 수 있음. 그러한

응집력이 없으면 문화성이 발휘되기 힘듦

- 단, 시장상인과 공존하면서 점유해야 하며, 상인들도 피부로 느

낄 수 있도록 해야 함

③ 시장 소통의 매개로서 공공예술 활용○ 전통시장의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서 공공예술

을 통한 접근 가능

○ 전통시장 활성화의 하나의 전략으로서 ‘공공예술’에 대해 ‘창의

적 과정을 통한 문제의 해결’이라는 조작적 정의 설정

○ 공공예술은 나름의 창의적 과정을 통해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

션 툴을 제공 가능

④ 지역 주민의 참여디자인 전략○ 다양한 욕구와 경험을 가지고 있는 상품 소비자이자 시장 이용

자로서의 지역 주민의 참여 전략 필요

○ 지역 주민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시장 공간을 만드는 과정

○ 지역 주민(주부모임, 시니어클럽 등)과 시장상인의 파트너쉽

○ 지역문화시설과 시장의 결합을 통한 어린이・청소년교육프로그램

4) 어메너티를 활용한 시장 스토리텔링 마케팅① 시장의 스토리텔링화 ○ 충분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시장을 스토리텔링으로 전환

○ 시장이라는 복합적 층위의 자원을 광범위하게 확장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추론 가능

② 전환을 위한 매개 방법○ 시장이라는 공급자에 대한 소비자로서의 접근 방법

Page 14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3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전지적 작가의 시점에서 떨어져서 관찰하고 꼼꼼히 재확인

○ 인터뷰 등을 통해 직접 만나고 구술을 정리하고 상으로 기록

○ 다양한 시장 관련 자료들을 조사하여 정리하고 결과를 도출

③ 시장의 이야기를 소통으로 전환시키기 ○ 시장은 근본적으로 많은 사람이 소통하는 공간

○ 사람들의 주요 소통도구는 ‘언어’이자 ‘말’이므로, ‘언어’라는 형

식적 틀 안에서 스토리를 구성하여 타인과 소통

01

STORY

02

TELL

03

ING

이야기(시간 + 공간+사건)

말하기(화술, 기억력)

진행하기(소통)

[그림 Ⅴ-12] 이야기를 소통으로 전환시키기

2.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의 조건 가. 전통시장 선정 기준 ○ 환경적 여건:입지조건, 교통편, 시장유형, 시장규모, 지역인구,

상권크기, 배후여건(관광인프라, 물적・인적자원), 지자체 의지

○ 내부적 여건:시장 특수성, 주요 취급상품, 활용 공간, 상인회 결

속력, 이용고객의 분포와 특성

○ 실적:지원사업 추진실적, 매출액 규모, 방문객 및 관광객 수

Page 14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33

나.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의 조건1) 환경적 여건 ○ 시장의 입지

- 메인 통로와 작은 통로가 그물망처럼 얽혀 주거지와 연결된 시

장 입지

- 시장 공간을 볼 때, 메인 통로만 보면 안 되고, 작은 통로가 주

거지와 연결되어 있는지 보아야 역동적인 시장 활성화의 성공

가능성이 높음

○ 시장의 규모와 형태:중대형 규모의 골목형 전통시장

- 시장의 가치뿐만 아니라 주민의 가치까지 고려하고, 하드웨어

보다는 소프트웨어적 접근을 하는 문화적 접근은 골목형 시장

이 적절(기존의 전통시장 사업은 세상인 보호의 측면을 중점

적으로 고려)

- 건물형 시장보다 골목형 시장이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가능성

이 높음

- 점포수 80개 이상 규모의 등록시장으로 이용 가능한 지역주민

의 수가 적정하고 접근성이 높은 시장이 적절

2) 내부적 여건 ○ 시장 특성화

- 시장 자체가 지역성을 그대로 반 함으로써 문화적 설득력을

갖고 있는 곳

- 역사성, 지역 특산물, 특화 프로그램 등 특색이 분명한 시장

■ 예) 군산역 앞 시장:독특한 지역 산물. 70년대 느낌을 그대로

간직

○ 상인회 결속력

- 상인연합회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는 시장일수록 문화적 접근을

Page 14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3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통한 효과도 높음

- 대체로 중대형 시장일수록 상인연합회가 활성화되어 있음

3) 개발 정도: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추진실적 ○ 기존에 시설 및 경 지원을 받은 전통시장은 등록시장 및 인정

시장으로서 지원받기 위한 조건으로 지자체(30%), 상인회(10%)

의 부담률이 높은 만큼 지자체의 열의, 상인회 결속력 등을 간접

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됨

○ 기존에 시설 및 경 개선 지원이 이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성

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정체되어 있는 전통시장은 다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

○ 따라서, 시설 및 경 현대화 지원사업을 받은 시장 중에서, 규

모와 공간형태, 활용가능 자원 등 문화적 접근을 통한 활성화 가

능성이 있는 시장을 전략적으로 선정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음

3. 시장 유형별 정책 사업 추진 전략 가. 시장 특성별 활성화 유형 1) 시장의 유형○ 상설시장, 5일장(지역중심시장), 주말시장(중소시장), 반짝시장

(근린시장)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활성화 유형 구분

○ 각 유형별 시장의 위치와 공간형태, 구성밀도, 취급상품의 특성

에 따라 문화적 활성화 접근을 다음의 <표-Ⅴ-2>와 같이 유형

화할 수 있음

Page 15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35

<표 Ⅴ-2> 시장의 유형유형 위치 공간형태

주요취급상품

활성화 유형구성밀도

상설시장도심,광장

골목형,실내형

종합시장,식재료 지역

문화형

주민공동체형

5일장(지역중심시장)

천변 골목형 종합시장문화

복지형중소

지역관광형

지역관광형

중주말시장(중소시장)

역전상가형

주상복합전문시장

벼룩시장(근린시장)

도심 장옥형 전문시장문화

예술형중대

2) 시장 특성별 문화적 접근 방법○ 지역문화형(문화공동체형) 전통시장은 지역의 근린성에 기반하

고, 관광형 전통시장은 지역의 문화적 특성에 기반

○ 지역문화형 시장에 대한 접근

- 지역문화형으로 적합한 시장은 상설시장과 5일장으로, 지역 생

활권에 위치하며 종합적인 상품을 판매하는 특성을 고려해볼

때 주민공동체형이나 문화복지형으로 접근 가능

○ 지역관광형 시장에 대한 접근

- 지역관광형으로 적합한 시장은 도심에 위치한 중대형 상설시

장,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한 5일장, 그리고 주말시장과 벼룩시

장으로, 취급상품의 차별성과 전문성 및 입지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지역관광형이나 문화예술형으로 접근 가능

○ 정기사장의 특성에 따른 전략적 육성 방안

- 5일장, 주말시장, 반짝시장은 모두 정기시장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5일장은 주민생활권에 위치한 골목형 종합시장이 많은

반면, 주말시장은 역전에 주로 위치한 전문시장의 성격을 가지

며, 반짝시장은 도심에 장옥형으로 위치한 벼룩시장 성격을 가

지고 있음

Page 15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3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5일장은 일부 관광상품으로 개발되어 있는 특성화된 시장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지역주민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하며,

주말시장이나 반짝시장은 상품 특수성과 입지를 고려하여 지

역관광형이나 문화예술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함

○ 상설시장의 위치와 규모에 따른 전략적 육성 방안

- 도심에 위치한 점포수 200개 이상의 중대형 상설시장:관광형

시장 지향

- 지역에 점포수 60~200개 미만의 중소형 상설시장:지역활성화

를 통한 서민생활 안정화 지향

- 점포수 60개 미만의 소형 상설시장:자연도태의 길을 선택하

기보다 새로운 도약 가능성에 대한 검토 필요

나. 문화관광형 시장 활성화 유형

시장규모

지역문화형 지역관광형대규모

중규모

200개

유형Ⅰ. 주민생활형

상인과 지역주민 파트너쉽

시장 본연의 기능을 살린

지역 커뮤니티 공간

유형 Ⅱ. 지역관광형

시장과 지역인프라의 연계

시장의 역사적 가치 발굴 및

상품마케팅을 통한 관광자원화소규모

점포수

80개

기준유형 Ⅲ. 문화복지형

취약계층과 지역주민 파트너쉽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한

효과 증대

유형 Ⅳ. 예술장터형

상인과 지역예술가 파트너쉽

시장의 기능 전환을 통한

새로운 도약0개 ➡개발

정도저개발/미개척시장상설시장지역주민고객多

고개발시장정기시장

외지인고객多

잠재가능성↑ 가시적효과↑

[그림 Ⅴ-1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유형

Page 15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37

1) 유형Ⅰ. 주민생활형 ○ 시장상인과 지역주민의 결속력을 기반으로 한 지역 커뮤니티형

전통시장 모델

○ 시장 본연의 기능을 살린 지역 커뮤니티 공간화

○ 중대형 규모의 저개발 시장으로서 시장상인회의 결속력과 개선

의지가 높은 시장을 우선 지원 (잠재적 가능성)

○ 전통시장의 지역사랑방 효과

2) 유형 Ⅱ. 지역관광형○ 시장과 지역 인프라의 연계를 통한 지역관광형 전통시장 모델

○ 시장의 역사적 가치 발굴 및 상품 마케팅을 통한 관광자원화

○ 접근성이 높은 중대형 규모의 고개발 시장으로서 이미 관광객

수가 많지만, 문화적 자원이 부족한 시장 우선 지원

3) 유형 Ⅲ. 예술장터형○ 상인과 지역 문화예술인 간의 파트너쉽을 통한 예술장터형 모델

○ 기존 시장의 기능 전환을 통한 새로운 도약

○ 시설현대화 사업 등을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활성화되지 못한

소규모(점포수 100개 미만 가능) 시장으로 지역 문화예술 인적

자원이 풍부하고 문화적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는 지역의 시장을

우선 지원

4) 유형 Ⅳ. 문화복지형○ 취약계층과 지역주민 파트너쉽을 통한 문화복지형 모델

○ 시장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한 효과 증대

○ 소규모의 저개발(미개발) 시장으로서 이주민 등 취약계층이 많

이 거주하고 있는 도심 외곽 지역의 시장을 우선 선정하여 다문

화적 교류와 소통의 장으로 활용

Page 15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3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다. 시장 유형별 프로그램 접근 전략<표 Ⅴ-3> 시장 활성화 유형

구분 유형 중요 요소주이용고객

활성화주체시장개설유형

상설 정기

지역

문화형

주민생활형

문화복지형

시장과 주민의 결합,

장소마케팅,

지역의 근린성

지역

주민주민주도형

중소형

규모농어촌

지역

관광형

지역관광형

예술장터형

취급상품의

차별성과 전문성,

지역의 역사문화성

외지인 시장주도형초대형

규모

교통

요지

1) 주민주도적 문화형 시장 ○ 시장의 생활문화공간화

- 살고 있는 사람들의 문화를 만드는데 주목

- 시장의 독특한 성격을 살리면서 주민들과 결합

- 커뮤니티 공간 만들기(예시1)

○ 지역친화적 시장 이미지 구축

- 민속적 정취를 살리는 공간디자인을 통한 시장 친숙성 확보

- 지역 이미지와 연계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 지역문화행사와의 연계한 시장 축제

○ 시장과 주민의 결합

- 상인과 주민이 만나는 지속적인 프로그램과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지속적으로 시장에 주목할 수 있는 장치 필요

- 주민 유인 전략으로써, 핵점포 역할과 연계 역할을 구분하여

추진하면 효과적

- 참여형 공공미술 프로그램(예시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서 놀토체험학습 프로그램(예시3)과 성인을 위한 시장박물관

인문학 프로그램

Page 15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39

주민생활형 전통시장 프로그램 예시 1:커뮤니티 공간 만들기

- 목표:지역민의 관심과 요구, 일상을 담아내거나 그들이 참여 가능한 커

뮤니티 공간 만들기

- 방법:시장상인과 지역민 주체 + 예술가의 공동 계획

- 내용:전통시장 내의 빈 점포나 주변 여유공간, 틈새를 활용한 문화공간

만들기

- 중점사항:지속가능한 공간 조성을 위하여 지역민의 관심과 요구를 구체

적으로 모아내는 것이 관건. 지역민의 ‘참여디자인’을 끌어내

는 과정이 중요

- 예) 빈 점포나 공간을 활용한 놀이방과 놀이터, 주부가 운 하는 DIY 공

방과 갤러리, 학생 물물교환장터, 반쪽이 공방(만화, 금속공예, 목재조

각가, 재활용품예술가) 등

주민생활형 전통시장 프로그램 예시 2:공공예술 프로그램

- 목표:전통시장만의 인지성을 강화하고, 접근성을 높여내는 다양한 형태

의 공공예술 프로그램 개발

- 방법:시장상인과 예술가 주체, 공동기획

- 내용:마을과 시장의 연결부분이나 주진입로와 같은 주요 공간에 대한 공

공예술적 환기를 통하여 인지성 강화, 전통시장의 이미지를 예술적

으로 가공하여 전달하는 공공예술 아이템 개발

- 중점사항:인근 지역민의 전통시장 이용을 독려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와

아이템 개발

- 예) 거리연극과 같은 관객 유도 접근을 강화한 상설 정기공연 및 순회공

연. 춘천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마임 퍼포먼스 등

Page 15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4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지역관광형 전통시장 프로그램 예시 3:놀토 체험학습 프로그램

- 목표:전통시장 단골, 지역단체나 학교, 청소년 등 다양한 커뮤니티와 연

계 강화. 전통시장을 교육적, 문화적 자원으로 활용하는 프로그램

- 내용:전통시장만의 독특한 문화성(축제성, 오락성, 사건성, 물성)이나 해

당 전통시장의 내러티브, 문화적 요소를 이용한 아이템

- 중점사항:상인들의 상업활동과 관련된 도구나 디자인 등에 대한 컨설팅

- 예) 가락시장의 어린이 장터놀이, 전주시장 전통엿 만들기 프로그램(다양

한 종류의 색과 모양, 만드는 과정 보여주고 체험)

2) 시장주도적 관광형 시장 ○ 시장문화의 즐거움을 파는 마케팅

- 전통시장만의 문화를 예술적으로 가공, 생산, 유통하는 프로그

램 개발

- 강경젓갈축제:마트에서 볼 수 없는 덤을 주고 말을 시키는 문

화적 체험

- 여주국밥:고객들과의 대화를 통해 자기 사람을 만들어내는 전

략 활용

- 총각네 야채가게나 시애틀 파이크 플레이스 어시장과 같이 시

장의 경매나 흥정 자체를 문화체험으로 개발하는 마케팅

Page 15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41

※ 이벤트 지원이 시장의 매출 및 고객 증가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청의 전통시장 경 현대화를 위한 지원사업은 이벤트 지원

과 방송 홍보, 시범시장, 공동쿠폰발행, 상인대학, 러브투어 사업으

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있음

○ 각종 경 현대화 지원사업 중, 시장 활성화가 가장 기여하는 요인은

이벤트 지원이었으며, 방송홍보와 시범시장 운 등은 이벤트 지원

효과에 미치지 못함

<표 Ⅴ-4> 이벤트 지원의 효과(2007년 실적 기준) (단위:%)

이벤트 지원

KBS방송홍

시범시장

공동쿠폰발행

상인대학

러브투어

매출 증가 45.8 20.8 16.7 8.3 8.3 0.0 100.0고객 증가 44.0 24.0 24.0 4.0 4.0 0.0 100.0

※ 중소기업청(2007) 자료 재구성

○ 테마공간화(전통문화장터로서의 관광시장)

- 음식지도, 포목점지도 등 시장문화지도 제작

- 2007년 문화부가 지원한 ‘대전 중앙시장’ 활성화 컨설팅 사업

에서는 상인 스토리 발굴 및 테마 지도를 제작하는 장소마케팅

전략이 생활공간으로서의 시장을 부각하기 위한 차원에서 전

개되었으나, 이러한 시장테마별 지도 제작은 관광 수요를 창출

할 수 있는 주요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

○ 예술단체 순회 프로그램 상설화

- 지역과 시장 연계 투어 프로그램으로서 공연 기획

- 지역의 예술단체를 통해 풍물공연, 관노가면극, 투호놀이 등 다

양한 문화행사를 상시적으로 개최하여 시장의 놀거리와 즐길

거리 확충

- 예술단체가 지역 시장을 상시적으로 순회하면서 공연하는 프로

그램 도입

Page 15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4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그림 Ⅴ-14] 예술단체 순회 프로그램

관광형 전통시장 프로그램 예시 1:예술장터 관광 프로그램 개발

- 지역 주민으로서의 예술가가 공간에 개입하여 삶의 공간이자 문화적 공간

으로서의 전통시장의 가능성을 실험

- 시장의 외적 공간에 대한 문화적 리모델링, 상품의 문화화와 예술의 상품

화, 상인으로서의 예술가와 장인으로서의 상인

(예) 미니어처 공방, 전통문화 공방 등

- 국제 레지던시 사업과 연계하면 시너지 효과 증대 가능

- 전통문화 프로그램을 통한 외래 관광 수요 창출:지역의 예술 장인(한지공

예가, 금속공예가, 인간문화재 등)을 활용한 전통문화 프로그램

라. 활성화 유형별 접근전략의 시장 적용 사례 분석1) 시장 사례별 유형 적용 ○ 사례 분석 대상 시장

- 수원 못골시장:주민생활형(커뮤니티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 인천 신포시장:지역관광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 안양 석수시장:예술장터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 서울 현대시장:문화복지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Page 15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43

주민생활형 전통시장 분석을 통한 문화적 활성화 접근전략

1) 사례 유형:커뮤니티형 시장○ 사례 분석 대상:수원 못골시장

○ 사례 선정 이유:커뮤니티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그림 Ⅴ-15] 수원 못골시장 SWOT 분석2) 시장 분석① 주변 커뮤니티

- 수원문화제, 화성국제연극제 등

- 경기문화재단 등 인적자원

② 디자인 요소

- 인근 수원천(복개예정) 연계동선

- 파라솔, 게이트, 디스플레이 디자인

③ 자체활동

- 가을축제, 홍보이벤트, 쿠폰활동

3) 사업예시① 수원천 연계 문화프로그램, 지역축제 활용

② 못골시장 ‘효자’ 스토리텔링 마케팅 (정조의 수원화성)

③ ‘민속촌’ 컨셉 문화적 아케이드 디자인 컨설팅 파라솔, 게이트, 디

스플레이 디자인 (상인의 참여)

④ 상인교육장 활용 → ‘서당’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① 수원 못골시장의 주민생활형 전통시장 가능성 분석

Page 15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4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② 인천 신포시장의 지역관광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분석 지역관광형 전통시장 분석을 통한 문화적 활성화 접근전략

1) 사례 유형:지역관광형 시장○ 사례 분석 대상:인천 신포시장

○ 사례 선정 이유:지역관광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그림 Ⅴ-15] 인천 신포시장 SWOT 분석2) 시장 분석① 주변 커뮤니티

- 개항지의 다문화성(차이나타운, 일본인마을 등)

- 최근 러시아인 증가

② 디자인 요소

- 인근 문화의 거리 연계동선

- 카트, 간판 디자인, 휴게소 조형물

③ 자체활동

- 인천 관광 답사투어 프로그램

3) 사업예시① 조리과정을 볼거리로 - 닭강정, 쫄면, 만두 등, 횟집골목

② 개항지, 수십년 역사의 스토리텔링 마케팅

③ ‘간판, 조명, 디스플레이 디자인 (상인의 참여)- 시장 내 휴게소, 만

남의 광장 활용 문화행사 (만두의 날)

④ 인근 관광지 연계 관광마케팅, 실버세대 공략

Page 16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45

③ 안양 석수시장의 예술장터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분석 예술장터형 전통시장 분석을 통한 문화적 활성화 접근전략

1) 사례 유형:예술장터형 시장○ 사례 분석 대상:안양 석수시장

○ 사례 선정 이유:예술장터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그림 Ⅴ-16] 안양 석수시장 SWOT 분석2) 시장 분석① 주변 커뮤니티

- 문화의 거리, 문화공간, 전시공간

- 인근 천변

② 디자인 요소

- 게이트, 간판, 벽화, 실험적 천막아케이드

③ 자체활동

- 상인조직 없음. 외부단체의 레지던시 및 공공예술 사업

3) 사업예시① 예술가 레지던시 사업을 통한 예술공방 운

② 문화의거리 연계 공공디자인

③ 예술적인 대형 천막 아케이드 설치

④ 세계 각국의 먹거리 퍼포먼스

⑤ 금속공예, 칠보공예, 목공예 등 관광상품 개발

⑥ 예술적 작업과정(볼거리)의 관광상품화

Page 16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4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④ 서울 현대시장의 문화복지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분석 문화복지형 전통시장 분석을 통한 문화적 활성화 접근전략

1) 사례 유형:문화복지형 시장○ 사례 분석 대상:서울 현대시장

○ 사례 선정 이유:문화복지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

[그림 Ⅴ-17] 서울 현대시장 SWOT 분석2) 시장 분석① 주변 커뮤니티

- 속셈학원, 노래방, 글방서점 등 생활문화 다양성 (이주노동자 증

가)

- 인근에 공원, 노인정 등

② 디자인 요소

- 게이트, 간판, 카트 디자인

③ 자체활동

- 장사가 잘 되어 서비스 개선 의지가 약함

3) 사업예시① 시장체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시장 ‘탐구생활’

② 인근 공원 활용한 골목길 야간 음악회

③ 상인 참여 시장 마케팅(기획상품, 공동배달 등)

④ 이주민 축제 (다국적 요리경연대회, 월드뮤직 축제)

⑤ 시장을 주민이 주도하는 지역커뮤니티화

Page 16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47

2) 시장사례별 활성화 유형 분석○ 전국의 1,610개 전통시장은 각각 복합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하

나의 유기체로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각각의 시장을 주민생활형, 지역관광형, 문화복지형, 예

술장터형 시장에 기계적으로 대입하여 접근하기보다는 각각의

유형들을 시장 활성화의 방향으로 설정하고 시장 자체의 고유한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

[그림 Ⅴ-18] 시장사례별 활성화 유형 분석

○ 못골시장은 주민생활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이 풍부하지만, 관

광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음

○ 신포시장은 지역관광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이 풍부하지만, 지

역커뮤니티와 문화체험의 장으로서의 가능성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현대시장은 문화복지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이 풍부하지만, 주

Page 16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4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민생활형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음

○ 석수시장은 기존 시장 기능의 재편을 통한 예술장터형 시장으로

서의 가능성이 풍부하지만 관광형 시장으로서의 방향도 함께 설

정하는 것이 가능함

4. 전통시장 프로그램 지원 전략가. 주민공동체형 프로그램 지원1)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만들기 ○ 방법

- 지역민 주체 + 예술가의 공동 계획

○ 내용

- 지역민과 시장 상인의 관심과 요구를 반 한 문화공간 만들기,

전통시장 내의 빈 점포나 주변 여유공간, 틈새를 활용

○ 중점사항

- 지속가능한 공간 조성을 위하여 지역민의 관심과 요구를 구체

적으로 모아내는 것이 관건. 지역민의 ‘참여디자인’을 끌어내는

과정이 중요

- 지역사랑방 효과:특유의 전통문화와 인간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시장의 장점을 살리는 전략 필요, 인위적인 면이 부각되

기보다 명물의 가치와 인간성을 자연스럽게 표출될 수 있어야 함

○ 예시

- 빈 점포나 공간을 활용한 놀이방과 놀이터, 주부가 운 하는

DIY 공방과 갤러리, 학생 물물교환장터, 반쪽이 공방(만화, 금

속공예, 목재조각가, 재활용품예술가) 등

Page 16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49

2) 전통시장 문화성을 키워드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

- 예술가 + 상인 협업

○ 내용

- 전통시장만의 독특한 문화성(축제성, 오락성, 사건성, 물성)이

나 해당 전통시장의 내러티브, 문화적 요소를 이용한 공공예술

아이템

○ 중점사항

- 상인들의 상업활동과 관련된 도구나 디자인 등에 대한 컨설팅

- 전통사장 단골, 지역단체나 학교, 청소년 등 다양한 커뮤니티와

연계 강화. 전통시장을 교육적, 문화적 자원으로 활용하는 프

로그램형 공공예술

○ 예시

- 가락시장의 어린이 장터놀이, 전주시장 전통엿 만들기 프로그

램(다양한 종류의 색과 모양, 만드는 과정 보여주고 체험)

3) 공공예술을 통한 시장 인식제고형 실천 프로그램 개발○ 내용

- 마을과 전통시장의 연결부분이나 주진입로와 같은 주요 공간에

대한 공공예술적 환기를 통하여 인지성 강화

○ 방법

- 시장의 장길과 공원의 녹도 연계 공공예술 프로젝트:인근에

공원이 있는 시장은 시장의 장길과 공원 시설물을 이용하기 위

한 녹도를 연결시킨다. 두 장소의 공간적 합성을 위한 이음새

역할을 할 수 있음(이동욱, 2006)

- 예술적 마케팅:마임처럼 파는 방법 예술적 형식을 경제적 활

동과 결합(박스에 1,000원이라고 적어 놓은 가격표를 변화시킨

다든가, 마임처럼 팔기 등 문화적으로 파는 방법을 고안할 수

Page 16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5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있음)

○ 중점사항

- 근린 지역민의 전통시장 이용을 독려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와

아이템 개발

- 전통시장의 이미지를 예술적으로 가공하여 전달하는 공공예술

아이템

○ 예시

- 거리연극과 같은 관객 유도 접근을 강화한 상설 정기공연 및

순회공연. 춘천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마임 퍼포먼스 등

나. 관광화 전략과 홍보1) 시장 명물거리 조성을 통한 소비자 유인○ 전략

-매력요소 발굴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여 시장소비력과 집객력 확대

○ 방안

- 특정구역 단위로 전통시장 본래의 분위기(어메니티 요소) 발굴

및 보존

- 명물거리 조성을 통한 소비자 유인효과

명물거리의 효과

- 명물의 집합공간인 ‘벼룩시장’은 동일한 명물의 집단화 자체가 또하

나의 명물 이미지를 창출하면서 시장 인지도를 높여가고, 그것이

다시 집객력을 높이는 확대 재생산성을 갖는 경우가 많음

-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어느 순간 소멸되

기도 하는 역사성을 가짐

- 현대 마케팅 전략에서는 명물거리의 높은 판매성과 이것으로부터

유인된 소비자들의 2차구매력을 겨냥한 인위적 명물거리가 조성되

고 있음(유성구청, 1997)

Page 16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51

- 테마형 시장 축제 개발

테마형 축제:가면축제

○ 내용

- 일상으로부터의 일탈, 해학과 풍자적 요소를 도입한 스토리텔링

- 독특한 매력을 가진 기념품 아이템 개발

○ 중점 전략

- 주민과 민간단체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 지역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시장의 문화적 전략의 조화

○ 적용 사례 예시

- 안동탈춤페스티벌과 안동지역 시장의 연계

○ 기대효과

- 이를 통한 관광 기능 확충:이벤트나 지역축제 유치를 통한 활

성화

- 외부인지도가 낮은 시장 거리를 이벤트로 관광 명소화시킴으로

써 지역의 독특한 문화관광 상품으로 개발한 성공 사례는 다음

과 같음

이벤트 성공사례

- 서울 명동일대 전통시장에서의 매년 개최하는 명동축제

- 전통적 요소가 풍부한 서울의 인사동 거리의 시장 상인들이 일대에

서 길놀이, 장승제, 남사당놀이, 농악경연, 고적대 퍼레이드, 전통

음식 주막 등의 프로그램

- 부산 자갈치시장의 자갈치 축제

- 대구 약령시 축제

- 강경의 맛깔젓 축제

2) 관광화 전략○ 지역축제나 지역 문화관광 개발과 연계한 시장 활성화

- 전통시장은 예로부터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장소이기보다는

그 지역 고유의 독특한 문화를 체험하고 즐기는 문화관광적 기

Page 16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5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능을 가진 장소

- 문화체육관광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

를 위해 지역축제를 관광상품으로 인식하고 이를 지정하여 육

성하고 있는데, 많은 국가지정관광축제가 전통시장과 연계되어

있음

- 충남의 ‘금산 인삼축제’, ‘강경 젓갈축제’, ‘서천 한산문화제’ 등

의 사례는 전통시장 정비와 축제 이벤트를 연계한 대표적인 사례

- 이러한 사례는 축제 이벤트가 전통시장 활성화의 중요한 수단

이 될 수 있음을 시사

- 현재, 중소기업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전통시장 Love Tour’처

럼 전통시장의 정겨움을 만끽하고 특산물을 쇼핑하며 인근 명

소를 관광할 수 있는 시장 연계 관광상품의 적극 개발 필요

○ 시장 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역 관광 인프라 구축

- 복합체인 개념으로서의 접근:시장 하나에 대한 단일개념이 아

닌 지역의 다른 관광자원과의 연계성 속에서 복합개념의 체인

으로 접근해야 성공

- 시장 인근 관광 시너지 요소 탐색:관광을 위한 시너지 요소의

탐색을 위해 시장 주변 여건에 대한 고려는 필수

- 관광 경로 개발:국제표준화 사업 등을 통해, 관광 루트를 만

들고 막혀 있는 곳을 뚫어주는 역할 필요

• 국제표준화사업:정보매체에 대한 국제표준화 사업으로 쉽게 읽혀지

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음

• 중앙시장은 대전 철도청과 연계하여 관광객 유도

- 교통카드 구입시 문화체험 및 관광지 입장시 할인 적용(할인쿠

폰제):박물관 미술관 등 지역문화관광시설과 시장의 연계를

위한 쿠폰 지급

Page 16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53

3) 홍보 전략○ 홍보 필요성

- 전통시장 시범사업 추진 중에 화제가 될 만한 특색 있는 이벤

트를 개최하여 언론의 관심을 유도

-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새로운 지역문화공간

이자 일상의 관광지로 변모해가는 전통시장 상인회의 노력을

부각

- 소비자들의 방문을 촉진하는 계기로 활용

○ 홍보 전략

- 이벤트 아이디어:주문진 시장과 시애틀 파이크 플레이스 어시

장 자매결연 행사 등

- 행사 개최 및 초청 강연:스페인 보케리아 시장 상품 특별 전

시 행사 등

- 지역축제 연계:축제의 장에서 시장의 식재료 판매 및 이색 볼

거리 제공(예:드라마 ‘식객’등 전시)

- 매체:중앙일간지 BOX 기사 및 사진기사 등

다. 시장 조직과 지역 역할 개선 사업1) 매개형 사회서비스 역할을 갖는 책임형 상인조합 ○ 문화적 변화에 대응하고 시장과 함께 성장하는 매개형 사회적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전통시장 정책 개발의 부재가 시장 발전

의 한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문화트렌드와 사회적 변화에 조응하기 어려운 1인점포 중심의

시장상인조합의 전환 필요

○ 윤리적 기업, 사회책임투자 등의 흐름을 인식하는 사회적 기업

형태의 지원 모색

Page 16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5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2) 도심 재생 전략과의 결합 ○ 시장은 도시공간의 형태나 교통 흐름의 변화에 의해 큰 향을

받음. 골목형 시장의 진화 방향 또한 공간 구조에 대한 장기적

예측이 필요하나 사실상 불가능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계획이 도심재생 전략과 결합되지

않는다면 문화를 통한 단기적 이벤트에 그칠 가능성이 높음

○ 지방자치단체의 도심재생 전략 속에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

성화 계획이 자리를 잡도록 하는 것이 중요

3) 시장 거버넌스 ○ 공공장소으로서의 시장에 대한 기업과 시민 거버넌스

- 미국 등지에서는 현재 공공장소로서의 실외광장이 시장으로 변

화하는 과정에서 상업공간에서의 공공적 장소에 대한 중요성

이 대두되고 있음

- 커뮤니티 센터와 공원 등의 자산을 커뮤니티가 소유하는 추세

에서 볼 수 있는 시민 거버넌스는 참여디자인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시민참여와 지속가능한 운 의 차원에서 전개

되고 있음

- 공공장소를 둘러싼 기업 및 시민 거버넌스의 새로운 관계가 형

성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전통시장도 공공장소로서 문화공간의 창출과 서비스, 참여와 운

을 통한 공공성의 가치화가 필요

○ 전통시장과 상업지구, 복합유통단지 등에서의 기업 거버넌스는

공개 공지와 문화공간의 제공을 통해 이루어지는 공적 서비스의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함

Page 17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55

제3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업 추진체계와 방법

1. 정책사업의 단계별 추진 방안○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은 2008년 도입기를 시

작으로, 2009년 정착기, 2010년 확산기의 3단계 추진

○ 2008년부터 2009년까지의 도입기와 정착기는 중앙정부가 주축

이 되어 파급효과를 고려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2010년 확산기는 지역이 주도함으로써 시장과 지역별 차별화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함

○ 시범사업 초기인 도입기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하우를 집

적하고 있는 중소기업청 등과의 협력관계를 중요하게 고려하도

록 함

○ 시범사업 도입기과 정착기까지는 시장의 특수성에 적합한 문화

적 접근의 타당한 모델을 개발해야 할 뿐만 아니라 확산 가능성

을 고려한 안정적인 사업으로 정착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

는 만큼, 중앙정부(문화체육관광부)의 종합계획 수립 하에 ‘전통

시장 문화컨설팅’을 조직하여 사업을 추진하도록 함

○ 정책사업 추진 주체는 중앙과 지방, 공공과 민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범사업 도입기와 정착기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

력적 관계 속에서 정책을 수립하되 실질적인 사업은 시장과 프

로젝트 매니저가 주도적으로 추진되도록 함. 시범사업 확산기는

지방정부 주도로 지역의 시장이 주체가 되어 사업을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지역 특수성과 시장의 차별성이 부각되도록 함

○ 시장-정부-단체(PM) 3주체의 사업 추진은 정책의 방향성을 유

지하기 위해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며, 사업의 계획단계, 실행과

집행 단계, 환류단계에 따라 역할을 분담하여 추진함

Page 17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5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2. 사업추진체계 및 추진주체별 역할 분담 방안가. 사업추진체계○ 행정적 지원추제: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 내용적 지원주체: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

○ 사업실행주체:프로젝트 매니저(PM), 전통시장 상인회, 자문단,

지역단체, 지역주민으로 이루어진 협의체

[그림 Ⅴ-1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 추진체계

나. 역할 분담의 원칙○ 역할 모델 맵핑:중앙행정기관(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중

소기업청), 지방행정기관,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 시장 간의 역

할 모델과 각각의 위상 설정이 중요

○ 사업의 추진 방식과 내용에 따라 행정주체와 내용주체, 사업추

진단계별 주체, 사업추진과정별 핵심 주체가 달라질 수 있음

Page 17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57

다. 행정적 주체와 내용적 주체의 역할 분담○ 행정적 주체: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등의 중

앙행정기관과 전국 시・도 및 시・군・구 지방자치단체

- 중앙정부의 역할:종합계획 수립, 관련 법제도 정비, 성과관리

- 지방정부의 역할:지역발전 및 도시공간계획에 시장에 대한 계

획 포함, 각종 법제도 정비, 주차공간 등 공간 확보, 관광 루트

개발(도시 전체, 관광교통편), 교통체계 정비(버스 노선 등), 표

지판 체계 수정

○ 내용적 주체: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 전통시장(상인회), 프로젝

트매니저, 지역문화예술단체, 지역주민

-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사업 대상 전통시장 선정, 프로젝트

매니저(PM) 선정, 사업 운 자문 및 모니터링

- 프로젝트 매니저(PM):사업 계획 수립 및 운

- 전통시장(상인회):사업기획・운 ・환류, 장소 제공, 협력대응

체계(합의서, 연대서명, 동의서)

- 지역주민:사업추진과정 상의 적극적 참여, 사업 모니터링, 협

력의 주체로서 역할

라. 추진주체별 역할 분담1) 행정적 지원주체: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의 역할:문화체육관광부 및 중소기업청

- 2008년 도입기와 2009년 정착기까지는 중앙정부 주도로 문화

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시범사업을 통해 방향과 모델

을 만드는 역할 수행, 2010년 확산기에는 중소기업청과 지방정

부의 역할을 강화하여 자체적으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

화 정책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방향 설정, 전통시장

Page 17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5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선정기준 및 PM 선정기준 마련, 파급효과와 발전 가능성을 고

려한 사업 모델 개발 및 사업계획 수립・조정・환류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을 시행하는 지자체, 사업

추진주체, 시범시장에 대한 지원 및 컨설팅단과 협력체계 구축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사업의 과정과 결과에 대

한 성과 관리

-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의 검토・자문사항 등을 토대로 시범사

업의 발전적 방향 모색, 차년도 사업 계획 수립

○ 중앙정부 간 역할 분담 방안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수년간

전통시장 정책을 수행해 온 ‘중소기업청’과 문화를 통한 전통

시장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는 ‘문화체육관광부’ 간의 역할 분

담 방안을 고려해야 함

<표 Ⅴ-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한 중앙정부 간 역할 분담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청

주요역할

전통시장 문화관광 시범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

시설 현대화와 경 개선

지원과의 시너지 효과에 중점

소프트웨어 중심

시범사업하드웨어 중심 지원사업

시기별중점사업

도입기(2008년)

지역공동체형 시범사업시설현대화,경 개선

국제관광형 모델개발지역관광형 공동 시범사업(1차)

정착기(2009년)

지역공동체형 시범사업

예술장터형 시범사업

문화복지형 시범사업

지역관광형 시범사업

시설현대화,경 개선

지역관광형 공동 시범사업(2차)

국제관광형 공동 시범사업(1차)

확산기(2010년)

문화관광형 전통시장 사업에

대한 컨설팅

문화관광형 지원사업

시설현대화,경 개선국제관광형 공동 시범사업(2차)

Page 17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59

○ 지방정부(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2008년 도입기와 2009년 정착기까지는 중앙정부와의 협력관계

속에서 매칭 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2010년 확산기에는 지방정

부 주도의 전통시장 지원・관리체제 구축

- 상인회, 지역주민, 관련단체 등 시범사업 이해관계자 등 시범사

업 지역 추진체계 구축

- 사업추진주체 선정 및 평가

- 시범사업에 대한 예산 교부 및 관리, 행정 지원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및 관련 규정 정비

- 지역 발전 계획에 전통시장을 포함한 장기적 차원의 논의

2) 내용적 지원주체: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 구성의 목적

- 사업 계획 수립 시부터 시범시장 선정, 점검, 평가 등 사업 전

반에 걸쳐 전문가의 컨설팅 수행

- 전문가 컨설팅 강화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실

효성 제고 및 사업효과 극대화 도모

○ 컨설팅단의 역할

- 지역문화, 공공미술, 문화예술교육, 스토리텔링, 건축 등의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은 경험과 인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사업의 질을 제고하는 역할 수행

-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은 시장 특성별로 차별화된 문화적 접근

의 모색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한 정책 방

향에 부합하는 사업 모델 개발

- 사업 추진방향 및 추진계획 검토・자문

- 시범시장 선정기준 마련, 시장실사 등 시범시장 심사・선정

- 시범시장 전담 PM(Project Manager) 추천

- 시범시장별 사업추진주체 및 사업시행계획 심사・선정

- 시범시장 사업시행계획 수립 및 시행시 자문・조정

Page 17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6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사업 모니터링・성과평가 및 차년도 사업계획 수립 검토・자문

- 사업 추진과정에 대한 매뉴얼 제작

- 사업의 확산 가능성을 고려한 시범시장 엑스포 개최

- 기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시범사업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

여 요청하는 사항에 대한 검토・조정・심의・자문

○ 컨설팅단 운 방법

- 컨설팅단 총괄책임자는 컨설팅단 사업 운 계획서를 문화체육

관광부에 제출

-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업계획서를 검토하여 컨설팅 수행에 필요

한 예산을 지원

- 컨설팅단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공동으로 시범시장 선정 및 시장

PM 선정에 참여

- 시범시장 선정 이후에는 시장의 사업계획 수립에 컨설팅을 지

원하여 사업 방향에 따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 사업시행 이후에는 자문, 점검 및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

3) 사업실행주체:프로젝트 매니저(PM) ○ 프로젝트 매니저(PM, Project Manager)의 역할

- 계획 수립: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 및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사업시행계획 수립

- 사업 운 :중앙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사업비(민간경상보조)를

보조받아 사업 운

- 지역 네트워크 구축:지역 내에서 전통시장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 상인회, 지역주민, 지역전문가,

지역단체 간 협력체계 및 사업운 체계 구축

- 중앙과 지역 협력체계 구축:중앙정부와 지역 간의 의견 조율

을 위해 중앙정부, 컨설팅단, 지방자치단체, 상인회, 주민대표

Page 17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61

간 협의체제 마련

- 조사 및 연구:전통시장 현황 및 수요 조사 및 분석, 의견 수렴

을 위한 워크숍 실시

- 프로그램 개발:전통시장 현황 및 수요에 근거한 문화 전략 도

출 및 프로그램 개발

- 자체 평가:전통시장 사업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실행

- 홍보 및 교육:전통시장 사업에 대한 홍보와 교육

- 예산 집행 및 정산:사업 종료 후 예산 집행에 대한 정산 책임

○ 프로젝트 매니저는 전통시장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외부 단체일

수도 있고, 전통시장 상인회가 될 수도 있음

ⓐ 2008년부터 2009년까지의 도입기와 정착기

- 중앙정부가 주축이 되어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사

업의 방향을 설정하고 파급효과를 고려한 시범사업 모델을 개

발하는데 주력해야 하므로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 단체가 프로

젝트 매니저 역할을 하는 것이 적절함

- 이 때 전통시장(상인회)은 컨설팅단 및 사업추진주체(PM)와의

협력 관계 구축, 시장상인회를 중심으로 한 사업 협의체 구성,

사업 수행을 위한 장소 협조의 역할 수행

ⓑ 2010년 확산기

- 사업의 거시적 방향과 전략이 시장과 지역 내에 녹아들 수 있

도록 시장 내의 상인회가 주축이 되어 프로젝트 매니저가 되는

것이 적절함

○ 사업실행주체(PM) 선정 방법:지명경쟁 절차

[그림 Ⅴ-20] 지명경쟁을 통한 PM 선정 절차

Page 17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6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 추천위원회와 심사위원회 구성

- 중앙정부, 지자체(시도,시군구), 컨설팅단, 상인회, 외부전문가

로 구성된 추천위원회(5~7인)와 심사위원회(5~7인) 구성

ⓑ 추천위원회의 추천으로 후보자 모집

- 추천위원회가 추천기준에 적합한 후보자 추천

- PM은 사업을 책임 추진하는 개인 또는 단체가 가능함

- 행정 및 예산집행・정산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위하여 PM이 개

인이라면 담당할 단체와 파트너십을 구성하고, PM이 단체라면

단체 내 이를 담당할 책임자를 지정함

- PM의 역량:지역문화, 커뮤니티아트, 시각예술, 공연예술, 공

간설계 등 여러 분야에 대한 통합적 기획이 가능한 자

ⓒ 심사위원회 구성을 통한 심사

- 1차:제출된 추천서를 토대로 3배수 후보 선정(서류심사)

- 2차:제안요청서에 따라 작성한 사업계획서(안), 워크숍, 인터

뷰 결과에 대한 종합적 심사를 통해 최종 선정

<표 Ⅴ-6> PM 심사기준평가분야 평가항목

사업 및 지역 이해도•사업목적 및 내용의 적합성•계획의 타당성(실현가능성, 실행가능성)•지역 및 시장 특성분석 및 반 정도

커뮤니티 전략의 적절성

•상인, 주민, 소비자 수요의 반•상인, 주민, 소비자 등의 참여방안•커뮤니티 문화만들기 전략의 적절성, 우수성

사업추진내용의 적절성

•시장에 맞는 문화프로그램 기획 적절성, 우수성•시장내 문화공간 창출 전략•인근 자원 및 커뮤니티 연계, 활용 적절성, 우수성•홍보・마케팅 전략의 적절성, 우수성

추진체계 및 집행계획의 적절성

•사업추진체계의 적절성•참여기관의 수행능력 및 적절성•사업비 항목의 추진전략과의 연계성•사업비 배분 및 집행계획의 적절성

사업의 효과성•사업의 지속가능성•시장 활성화 기여도•지역민의 문화공간화(커뮤니티공간화) 기여도

Page 17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63

3. 정책사업 성과관리 방안가. 평가의 목적과 방향○ 평가 목적

- 당초 계획했던 목표에 따른 사업 추진 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

여 사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사업의 방향과 전략을 진단하

여 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며, 후속 사업에 대한 발전적 대안

을 모색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 사업 도입기에는 사업의 모니터링과 질 관리 차원의 과정 중심

의 평가에 집중하고, 사업의 정착기 이후에는 사업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결과평가와 성과평가를 강화하여 추진함

- 따라서, 사업의 도입기에는 질적 평가에 비중을 둔 과정 중심

의 평가를 중심으로 수행하고, 사업의 정착기 이후에는 사업

추진 과정과 결과뿐만 아니라 성과와 향을 보여주기 위한 설

문조사를 강화하도록 함

○ 평가 수행 방법

- 전통시장 문화컨설팅단(5~7인)과 외부 평가위원(3~5인)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구성을 통한 현장평가, 전통시장 문화컨설

팅단에 의한 설문조사평가 및 심층인터뷰조사평가, 각 추진주

체(컨설팅단, PM, 시장, 주민)별 자체평가

- 사업 도입기와 정착기 등으로 이어지는 초기 시범사업 동안의

평가는 중앙정부 주도의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운 하고, 지

역을 중심으로 사업이 펼쳐질 확산기에는 지역 주도로 평가위

원회를 구성하여 운 하도록 함

Page 17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6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구분 지역관광형/ 국제관광형 시장 주민공동체형/ 문화예술형 시장

환경적

측면

접근성과 교통편

주변 인프라

안내판과 안내자

쾌적성

주차 및 편의시설

컨텐츠

측면시장의 역사적 가치 매력적인 프로그램

중점

대상대규모 시장 중소규모 시장

전략상설공연과 홍보

예술가 국제레지던시사업와 연계빈 점포 활용 커뮤니티 문화공간

중점

성과지표방문객수 매출액

공통

성과지표

1. 시장 현황

- 시장 매출액 / 지역 총생산량 (최근 3년 추이)

- 시장 방문객 / 지역 인구 (최근 3년 추이)

- 월1회 이상 방문객 / 시장 방문객 (직전년도)

- 빈점포수 / 전체 점포수 (시장별 비율)

2. 시장 상인

- 문화사업 공감 상인 비율

- 프로그램 참여 상인 비율

- 문화사업 인지 상인 비율

나. 사업유형별 평가지표 설정○ 중점 사업 목표의 재확인

- 전통시장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 후 중점 사업 목표를 선정하

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

- 예컨대, 한 군데의 전통시장에 생활환경개선사업, 지역문화활

성화사업, 문화예술교육사업, 예술가 레지던시 사업 등의 사업

들이 동시에 투입될 때 각기 다른 지원사업의 성과 달성에 급

급하여 각각의 사건으로 끝나버리며 종합적인 시너지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표 Ⅴ-7> 전통시장 사업의 중점 목표에 따른 평가지표

Page 18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제5장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165

구분 지역관광형/ 국제관광형 시장 주민공동체형/ 문화예술형 시장

- 시설현대화/경 혁신/문화사업간 우선순위 중요도

- 문화사업의 필요성 및 유용성(도움 정도)

- 문화사업을 통해 시장이 변화된 정도(시장에 미친 향)

- 문화사업이 자신(상인)에게 미친 향

3. 지역 주민

- 프로그램 참여 고객 비율(지역 인구:시장)

- 문화사업 인지 고객 비율(지역 인구:시장)

- 전통시장에 대한 인식 변화도

- 주민의 전통시장 이용 의사

- 주민의 전통시장 상품 지불 의사 및 지불 추정 액수

- 시장 문화체험행사 참여 의사 및 참여 추정 회수

다.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성과평가 모델○ 사전/사후 성과평가 모델

- 사업 실시 ‘전과 후’(Before & After)를 비교할 수 있는 성과지

표를 적용하여 문화적 접근의 차별성 부각

-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시범사업이 정착기에 이른 후에 사업의

성과와 향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가지표에 의한 사

전 진단 및 초기 진단이 이루어져야 사업의 성과가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으므로 시범사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사전/사후 모

델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

○ 대상별 조사 방법

- 시장상인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조사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하나,

-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조사는 조사 여건상 프로그

램 투입 이전 전통시장에 방문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표본 추출을 통한 조사와 프로그램 투입 이후 전통시장에 방문

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표본 추출을 통한 조사 방법 사

용 예정

Page 18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6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투입요소(사전조사)

⇨변화과정

(과정 모니터링)

⇨산출과 영향(사후조사)

⇧ ⇧ ⇧

시장

•시장 매출액(지역 총생산

량 대비)(3년 추이)

•시장 방문객과 지역 인구

수(3년 추이)

•월1회 이상 시장방문비율

(사업 전)

•빈점포수 비율(3년 추이)

시장의

변화과정

•시장 매출액 증가율

•시장 방문객 증가율

•월1회 이상 시장방문비율

(사업 후)

•빈점포수 비율(사업 후)

상인

•문화적 접근 필요성 및

실효성에 대한 상인 인식

•시설현대화/경 혁신/문

화사업간 우선순위 중요

•주관적 삶의 질 만족도

상인의

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

참여 및

협력과정

•문화사업 인지 상인 비율

•프로그램 참여 상인 비율

•문화사업을 통해 시장이

변화된 정도

•문화사업이 자신에게 미

친 향

•문화사업의 필요성 및 유

용성(도움 정도)

•시설현대화/경 혁신/문

화사업간 우선순위 중요

•문화사업 공감 상인 비율

•주관적 삶의 질 만족도

주민

•프로그램 참여 고객수(지

역인구대비)

•문화사업 인지 고객수(지

역인구대비)

•전통시장에 대한 인식

•전통시장 이용의사

•전통시장 상품 지불 의사

및 지불 추정 액수

•시장 문화체험행사 참여

의사 및 참여추정 회수

주민의

시장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

•프로그램 참여 고객수(지

역인구대비)

•문화사업 인지 고객수(지

역인구대비)

•전통시장에 대한 인식

•전통시장 이용의사

•전통시장 상품 지불 의사

및 지불 추정 액수

•시장 문화체험행사 참여

의사 및 참여추정 회수

조사

방법

•인터뷰 조사

•출발점상황 사전조사

•인터뷰

조사

•사후조사(완료시점)

•인터뷰 조사

[그림 Ⅴ-2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평가 모형

Page 18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참고문헌 167

참고문헌공공작업소심심(2007), 도심재생-남부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

광주북구문화의집(2008), 「Teacher, 미세스 말바우’」, 광주문화예술

교육지원센터 교육콘텐츠 전시 교육콘텐츠 말바우시장

보드게임 , 광주북구문화의집.

국립민속박물관(1995), 강원도 시장민속 .

권자연(2007), 「2007 석수시장 프로젝트 -시장에서 신 기부문화 ‘희망

을 보다’-」, 문화관광 너울 9월호, Vol.195.

기분좋은 트랜드하우스 QX(2008), 2007 아트인시티 주민만족도 조

사 , 공공미술추진위원회.

김병수(2006), 2006 전주 청소년문화예술교육 ‘꽃피는 남부시장’ ,

전주청소년문화예술교육단.

김용배(2003) 「지역사회 정체성과 사회자본 형성요인 분석」, 한국정

책과학회보 제7권 제2호, p.189~216.

김혜순(2008),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 평가와 서문시장의 사회문화공

간화 , 대구경북연구원.

김홍석(1999), 「해양문화도시의 밑거름, 부산의 명품과 명소」, 문화

도시문화복지 1월호, Vol.53.

대전광역시・문화관광부(2007), 이야기가 있는 중앙시장 .

대전광역시 유성구(1997),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지구 명물거리 조

성 기본조사 .

문화관광부(2006), 전통장터를 활용한 지역문화 발전방안 연구 , 문

화관광부.

박찬응(2008), 2007 학교-지역사회연계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 스

톤앤워터교육예술센터.

서울시도시갤러리추진단(2007), 동화, 세상의 모든 의류부자재 동화

Page 18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6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에서 찾다, 도시가 작품이다 -서울시도시갤러리프로젝

트- .

서정교(1998), 「대구경북지역의 명소 명품 추진사례」, 문화도시문화

복지 10월호, Vol.48.

스톤앤워터(2007), +2% DBHS 교육예술 프로그램 연구결과보고서 .

오민근(2003), 「마을만들기와 마찌즈투리, 그리고 지역활성화 -일본

카네야마마찌를 중심으로-」, 문화도시문화복지 10월호, Vol. 148.

오창섭(2005), 「아케이드의 판타지와 주체의 욕망」, 문화도시문화복

지 3월호, Vol.165.

유상오(2005), 「사과나무 한 그루와 지역 정체성 -요코데시 ‘그린투어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도시문화복지 11월호, Vol.173.

윤갑식(2006), 「재래시장은 광장이다 -지역문화관광 거점으로 육성해

야-」, 문화도시문화복지 4월호, Vol.178.

윤상현(2005), 「지역민과 숨쉬는 삶의 공간 수원 화성」, 문화도시문

화복지 5월호, Vol.167.

이동욱(2006), 신도시 내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PARK-MARKET

설계기법 제안 ,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상옥(1994), 한국재래시장의 변천과 유통근대화에 관한 연구 , 단

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 범(2005), 「도시담론으로서의 문화와 창조적 문화전략을 통한 도

시재생」, 문화정책논총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재극(2007), 「남창 오일장 고찰」, 울주연구 제4호.

이재순(2000), 「정선 5일장 관광열차 톡톡히 한몫한다, 문화도시문화

복지 12월호, Vol. 92.

이철우, 박순호, 최정수(2005), 「대구약령시의 장소정체성과 장소마케

팅」, 지역사회연구 제13권 제1호, 한국지역사회학회.

Page 18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참고문헌 169

이철우(2002), 「도시재생과 문화정체성」, 대구경북포럼 통권 38호,

대구경북발전연구소.

재래시장미술가협회(2007), 2007 제 1회 대전중앙시장미술제 ‘시장

미술’프로젝트전 .

__________________(2008), 2008 제 2회 대전중앙시장 미술제 ‘시장

보고, 미술보고’ .

전고필(2008), 바퀴달린 학교 , 광주북구문화의집.

전광진(2003), 「시골 전통 5일장 활성화 방안:다시 찾고 싶은 지방문

화(재래시장)」, 월간 자유발전 9권 7호 통권99호, 한

국자치발전연구원.

조형근(2002), 식민지기 재래시장에서 시장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변

동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중소기업청(2006), 재래시장 활성화 종합계획-시장 특성별 육성전략

- .

__________(2006), 재래시장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향 .

__________(2007), 재래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성과평가 .

__________(2007), 2006년 기준 재래시장 실태조사보고 , 중소기업

청 시장경 지원센터.

지진호, 임화순(2001), 「한국재래시장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관광

기능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연구 제3권 제3호, 통권

9호, 한국문화관광학회.

지진호(2000), 「재래시장의 문화관광자원 활용방안」, 한국여행학회,

여행학연구 , 제12호.

진양교(1998), 「예사롭지 않은 가로문화공간 -청계천로변의 황학동

벼룩시장-」, 문화도시문화복지 7월호, Vol.42.

최상운(2008), 「보랏빛 바다의 향연 프로방스 라벤더 시장」, 문화관

광 너울 2월호, Vol.200.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4), 「시장과 문화:발길 되살린 수원 ‘현

Page 18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7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대풍’ 팔달문시장」, 문화도시문화복지 2004년 3월호,

Vol. 153.

한국문화정책연구소(2006), 전통장터를 활용한 지역문화 발전방안

연구 , 문화관광부 문화정책팀.

Belshaw. C.S.,(1965) Traditional Exchange and Modern Market,

Prentice-Hall. Englewood Cliff, N.J.

Mintz. S.W.(1959) Internal Market System as Mechanism of Social

Articalation:, in V.F.Ray(ed), Intermediate

Societies, Social Mobilities and Communication,

Seattle:American Ethnological Society.

Page 18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ABSTRACT 171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s to revitalize the

stagnated traditional market through cultural approach. On the basis of

concept that the radiational market is the wealth of value indwelling to

local area and the latent resources containing the cultural meaning,

need of new alternative approach is evolving to substitute old

fashioned, economical converged approach. A fundamental prescription

is also needed, because the stagnation of traditional market is

originated not only from the loss of competitive power against to newly

developed structure distribution, but also from the sociocultural need

and the change of consumer's propensity with the change of lifestyle.

Cultural approach for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means not only

a throw-back to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market, but also a

repositioning of the role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spreading the

value of market as open cultural space of local area and attractive

living-cultural contemporaries. That is, cultural approach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prescription for the substitute to activate the

potential of traditional market and to meet the sociocultural desire of

the contemporaries. Traditional market has timeless characters as

spatial properties to accumulate the acts of trade and as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contemporaries. As a result,

we can find that traditional market has a function as cultural community

containing historical and community-based place. These timeless

func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is maintaining, the meaning is

weakened with the external threatening factors and the lack of internal

concentr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potential sublimating the meaning of

submerged traditional market as the present value through cultural

approach, firstly. Second, we suggested four types of model to

Page 18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7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 residential community model, local

tourism model, cultural welfare model, art marketizm model-under the

policy to enforce individualized revitalization approach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 of each traditional market. Finally, we presented the

action plan of policy to lead traditional market as place in

contemporaries' life and dynamic power for local area.

Through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role of cultural approach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market, we expect that internal power of local

culture is able to melt into the traditional market with the aid of cultural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sites.

Page 18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73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226)

강남구 강남시장(1974), 신사상가(1976), 논현중앙시장(1979), 청담삼익시장(1980)

강동구암사종합시장(1975), 둔촌골목시장(1980), 성내골목시장(1980), 양지종합시장(1981), 명일골목시장(1982), 고덕골목시장(1983), 양지 골목시장(1987), 둔촌종합시장(파크프라자)(2004), 길동골목시장(2005)

강북구

삼양시장(주)(1962), 수유시장(1966), 숭인시장(대갑산업(주))(1967), 번동북부골목시장(1970), 북부시장(주)(1970), 수유중앙시장(1972), 수유북부시장(1973), 강북종합골목시장(1974), 수유시장상가관리(주)(1998), 동북프라자(2001), 수유골목시장(2003), 수유재래시장(2006), 방천골목시장, 수유중앙골목시장, 우이골목시장, 장미원골목시장

강서구

화곡본동시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1969), 남부시장(1970), 대원종합시장(1977), 남부화곡시장(신라쇼핑센타)(1978), 신월중앙시장(1978), 화곡중앙시장(1985), 공항시장(1997), 화곡중앙골목시장(1997), 송화골목시장(2003), 까치산시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2004), 삼정프라자(주)방신유통(2004), 방신골목시장(2005)

구로구구로시장사업협동조합(1962), 오류시장(주)(1968), 구로자율시장(1974), 개봉단지중앙시장(1976), 개봉제일시장(1976), 고척근린시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2003)

관악구

봉천중앙시장(1969), 봉천현대시장(1969), 신림1동시장(1969), 봉천7동낙성대골목시장(1970), 봉일시장(1971), 봉천8동쑥고개골목시장(1975), 신림8동골목시장(1975), 봉천제일시장( 림시장)(1976), 신림6동골목시장(1976), 신림신시장(1979), 신림종합시장(1977), 우림시장(1977), 원당종합시장(1980), 봉천11동골목시장(1982), 신림4동골목시장(2005)

광진구

노룬산시장(1970), 면목골목시장(1970), 신성종합시장(1970), 조양시장(1970), 중곡제일골목시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1970), 광성시장(1976), 중곡제일시장무림기업(주)(1973), 동교골목시장(1975), 한아름시장(1980), 노룬산골목시장(2004), 자양시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자양골목시장)(2004)

금천구남문시장(1970), 시흥중앙시장(1973), 대명합동시장(1977), 박미시장(1980), 현대시장(1990)

노원구 상계시장(1974), 공릉도깨비시장(006)

동대문구

청량리시장(1948), 사)서울약령시협회(1960), 경동광성상가(1960), 경동시장(1960), 제기시장(주)(1963), 동부시장(1971), 동서시장(1972), 이문제일시장(1972), (주)이경상사이경시장(1973), 합명시장용두시장(1973), 동부청과(주)(1974), 합명회사전농로터리시장(1974), 전곡시장(1975), 청량리수산시장(1977), 답십리현대시장(1978), 제기상가번 회(깡통시장)(1978), 청량리청과물시장(2004), 청량리종합시장(2005)

<부록 Ⅰ> 전국 전통시장 현황※ 현황 자료 작성 기준:전국의 총 1,610개 전통시장(시장경 지원센터, 2006년

조사 자료 기준)

※ 개설년도 자료가 없는 시장은 년도 미기재

1) 서울 지역 시장

Page 18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7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동작구 도시장(1967), 사당시장(1974), 성대종합시장(1969), 강남시장(1972)

마포구망원동월드컵골목시장(B/C지구)(1965), 합정시장(1970), 신촌상가(1971), 진시장(1971), 신수시장(1972), 서교시장(1975), 염리시장(1976), 망원동 월드컵골목시장(A지구)(2004), 신교시장(2005)

서대문구

백련상가(1973), 인왕시장대현흥업(주)(1973), 연희사러가(1974), 유진상가(1975), 홍연시장(1999)

서초구 양재종합시장(1978), 남부종합시장(1980)

성동구 한양시장(1978), 마장축산물시장(2003), 마장토우마트도소매시장

성북구

양광골목시장(1930), 돈암제일시장(1954), 금남시장(1960), 뚝도시장(1962), 보문골목시장(1963), 행당시장(1968), (주)동호실업석관시장(1968), 금북시장(1969), 장위골목(1970), 장위시장(1972), 밤나무골(1975), (주)코코마트(1994), 길음시장(2003), 석관황금(골목)시장(2006)

양천구

신정2동골목시장(1970), 양천구목2동시장(1970), 신정1동골목시장(1971), 신월3동골목시장(1972), 신정3동골목시장(1975), 신월1동신 시장(1981), 신곡종합시장(1982), 월정로재래시장상점가진흥조합(1982), 신월7동골목시장(1987), (주)우성상가(1988), 신월경창시장(2004), 목4동골목시장(2005), 양천구목3동시장(구등촌시장주변상가)(2006), 양천종합시장(2006)

등포구

등포중앙시장동부상가(1945), (주)신 사러가(1965), 남서울상가(1970), 대림시장(1970), 도림시장(1970), 로타리상가(1970), 조광시장(1970), (주) 등포제일상가(1971), 동남상가(1971), 일시장(1972), 우리시장(1981), 신상가(1987), 삼구시장(1997), 대림중앙시장(2005)

용산구서울용문시장(1948), 후암시장(1954), 신용산시장(1976), 이태원시장(1959), 만리시장(1969), 신흥시장(1969)

은평구연서시장(1946), 역촌중앙시장(1970), 증산종합시장(1971), 대림시장(1975), 불광/대조시장(1975), 제일시장(1975), 양지시장(1981)

종로구

광장시장(1905), 종로광장(골목)시장/종로광장(토리존)전통시장(1905), 충신시장(1935), 낙원시장(1960), 창신골목시장(1960), 금천교시장(1963), 세운상가가동(1968), 동대문종합시장(1970), 동대문상가C동(1970), 동문시장(1970), 신설종합시장(1971), 동대문종합시장D동상가(1972), 동대문상가A동(1975), 동대문상가B동(1975), 동대문문구.완구종합시장(1981), 신진상가(2005), 대일상가, 종로구 통인시장

중구

중부시장(1959), 평화(1961), 서울중앙시장(1962), 서울남대문시장(1964),동평화(1968), 동화상가(1968), 신평화(1969), 인현시장(1970), 통일시장(1972), 방산(1976), 남평화(1979), 광희(1980), 숭례문수입상가지하2층(1980), 에리어(1980), 제일평화(1980), 청평화(1983), 삼익패션타운(1985), (신)중부시장(2005)

중랑구동원골목시장(1960), 면목등록시장(1968), 동부시장(1970), 면목시장상점가조합(1970), 동원시장(1988), 중랑교종합시장(1984), 우림시장(1998), 태릉시장(재건축완료)(2005), 태릉시장(재건축완료)(2005)

Page 19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75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46)

계양구 작전시장(1987), 병방시장(1989), 계산시장(2006)

남구

용현시장(1963), 주안자유시장(1970), 도화시장(1971), 숭의자유시장(1971), 숭의평화시장(1971), 제일시장(1972), 용일시장(1975), 재흥시장(1978), 도화종합시장(1980),석바위시장(1980), 학익종합시장(1983), 통일종합상가(1985), 신기시장(1987), 인천남부종합시장(1987), 토지금고시장(1998), 용남시장(2006)

남동구간석자유시장(1970), 구월시장(1980), 모래내시장(1984), 만수시장(1986), 창대시장(1995)

동구송현시장(1960), 송현자유시장(1962), 현대시장(1970), 동부시장(1972), 중앙시장(1972)

부평구부평종합시장(1950), 부평자유시장(1972), 진흥종합시장(1979), 부일시장(1982), 십정종합시장(1982), 부평중앙지하상가(1989)

서구신거북시장(1980), 거북시장(1982), 가좌시장(1985), 강남시장(1985), 인천축산물시장(1992), 중앙시장(1996)

연수구 연수구옥련시장(1996)

중구 신흥시장(1960), 신포시장(1970), (주)인천종합어시장(1975)

강화군 강화중앙시장(1981)

정기시장(4)

연수구 연수송도역전시장(1960)

강화군 내가공설시장(1954), 길상공설시장(1965), 상방공설시장(1965)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36)

동구

인동시장(1916), 중부건어물시장(1919), (주)중앙종합시장(1956), 국제시장(1957), 대동시장(1960), 역전시장(1960), (주)대전도매시장(1973), (주)대전상가,시장(1973), 신중앙시장(1975), 인동(인흥)상가(1975), 중앙시장(1976), 신흥도깨비시장(1976), 가양시장(1980),자유도매시장(1980),신도시장(1983), 신가양(1985), 용운종합시장(1986), 중앙도매시장(1989), 평화시장(1993), 중앙상가시장(2006), 홍명상가

대덕구 신탄진시장(1935), 법동시장(1995),송촌시장(2001), 중리시장(2004)

서구 도마큰시장(1970), 한민쇼핑(1982), 한민시장(1988)

유성구 유성시장(2000)

중구용두시장(1962), 문창시장(1979), 태평시장(1980), 유천시장(1982), 산성시장(1991), 오류시장(2000)

삼성동 삼성시장(1960)

2) 인천 지역 시장

3) 대전 지역 시장

Page 19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7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시장(26)

광산구송정매일시장(1956), 하남시장(1981), 송정매일상가(1983), 우산월곡시장(1998), 뉴밀레니엄(1999)

남구 남부상가(1981), 봉선시장(1989), 무등시장(합)(2005)

동구 (합)남광주시장(1975), (합)대인시장(2005)

북구운암시장(1970), 중흥시장(1977), 서방시장(1979), 동부시장(1981), 대원시장(1987), 동아시장(1987), 오치상설시장(1991), 용봉시장(1992)

서구닭전길 시장(1950), 광천시장(1960), 광주 양동시장(주)(1969), 양동복개상가(1971), 상무시장(1983), 양동수산시장(2005), 양동건어물시장(2006)

정기시장(3)

광산구 송정5일시장(1920), 비아5일시장(1982)

북구 말바우시장(2005)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93)

남구

명덕시장(1967), 선시장(1967), 대덕시장(1970), 성당시장(1970), 관문시장(1971), 광덕시장(1971), 남부시장(1971), 남산시장(1971), 안지랑시장(1971), 관문골목시장(1972), 대명시장(1972), 봉덕골목(1972), 봉덕시장(1972), 대명중앙시장(1976), 성명시장(1977), 선골목시장(2006)

달서구

서대구시장(1970), 달서종합시장(1981), 송림백화점(1983), 신내당시장(1983), 두류종합시장(1984), 서남시장(1984), 달서시장(1985), 월배시장(1985), 송경종합시장(1988), 송남시장(1992), 성청구코아(1995), 서남시장촌골목(2006)

동구

불로시장(1960), 동서시장(1970), 신암시장(1972), 평화시장(1972), 동대구역전시장(1975), 동구시장(1977), 성동시장(1979), 효목시장(1980), 방촌시장(1983), 공항시장(1985), 효신시장(1989), 반야월종합시장(1990), 월방촌현대시장(1996), 송라시장(2005)

북구

대구능금시장번 회(1954), 동대구시장(1966), 팔달시장(1969), 칠성시장(1974), 경명시장(1975), 북문시장(1975), 삼성시장(1975), 팔달신시장(1975), 대구청과시장(1977), 대성시장(1979), (주)산격종합시장(1980), 복현종합시장(1983)

서구새길시장(1970), 대구서부시장(1970), 원대시장(1976), 원대신시장(1976), 만평시장(1977), 서구시장(1980), 신평리시장(1980), 이현시장(1980), 중리시장(1980), 대평리시장(1981), 밤고개시장(1981), 중평시장(1982)

수성구

대구신천시장(1969), 수성시장(1971), 태백시장(1971), 로타리시장(1972), 만촌시장(1972), (주)청구시장(1980), 황금시장(1981), 새범어시장(1982), 대공원시장(1984), 수성현대시장(1985), 만촌종합시장(1986), 동성시장(1988), 선스포츠프라자(1989), 만촌중앙시장(1993), 두원시장(1998), 수성하이츠쇼핑몰(2001)

4) 광주 지역 시장

5) 대구 지역 시장

Page 19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77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중구

덕산(염매)시장(1929), 방천시장(1940), 대구교동시장(1950), 서문시장동산상가(1960), 서문시장1지구1층(1974), 서문시장4지구(1976), 서문시장5지구(1977), 동부시장(1978), (주)번개시장(1986), 서문시장건해산물상가(1988), 대구서문시장(1988)

정기시장(5)

달성군금포시장(1893), 화원시장(1914), 현풍시장(1918), 구지시장(1933), 옥포시장(1949)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시장(36)

남구신정시장상가(1966), 신정시장(1976), (주)야음시장(1976), 신정평화시장(1985), 야음체육관시장상인회(1992), 울산산업공구월드(1995), 야음시장외각번 회(2003), 수암상가시장(2005)

동구남목시장(1977), 동부시장(1979), 동울산종합시장(1979), 월봉시장(1982), 농수산물유통센터(1990), 서부패밀리상가시장(1992), 동부패밀리상가시장(1993), 동산프라자상가(1995)

북구 신전시장(1993), 매곡시장(1996), 화봉종합시장(1996)

울주군 언양종합상가시장(1984), 덕신상설시장(1991)

중구

옥교(진흥)상가(1945), 병 시장(1956), (사)울산중앙시장(1970), 역전시장(1975), 구역전시장(1978), 우정시장(1978),태화종합시장(1981), 학성새벽시장(1981), 학성종합시장(1983), 신울산종합시장(1984), 선우시장(1986), 성남프라자(1992), 코코타운시장(1994), (사)울산시장(신중앙시장)(1997), 전통골목시장(2004)

정기시장(7)

북구 정자시장(1932), 호계공설시장(1956)

울주군남창공설시장(1916), 덕하공설시장(1955), 곡천공설시장(1960), 언양공설시장(1960), 봉계시장(2006)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184)

강서구 (주)명지시장(1978)

금정구부곡상가시장(1978), 금사제일상가시장(1979), 서동시장(1981), 새구서종합시장(1982), 장전상가시장(1983), 장성시장(1986), 라이트타운(1990)

남구

우암시장(1950), 대연시장(1970), 용호2동 골목시장(1974), 주식회사 용호시장(1974), 남광골목시장(1976), 대연동 못골시장(1976), 용호삼성시장(1976), 동성하이타운상가(1979), 문현새시장(1980), 새감만종합시장(1980), 감만1동 골목시장(1981), 대연삼익상가시장(1984)

동구부산진시장(1913), 부산진 남문시장(1974), (사)자유시장 번 회(1975), (사)초량시장번 회(1975), (사)수정시장번 회(1979)

6) 울산 지역 시장

7) 부산 지역 시장

Page 19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7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동래구

동래시장(1970), 금성상가시장(1971), 온천시장(1971), 금정상가시장(1972), 신정시장(1975), 금강시장(1976), 명장시장(1976), 안락상가시장(1976), 서원시장(1978), 온천로타리종합시장(1978), 충렬상가시장(1983), 동래럭키쇼핑(1985), 보림프라자(1997), 온천인정시장(2005)

부산진구

가야시장(1936), 양정시장(1961), (주)흥아상가시장(1970), 부산평화시장(1970), 서면시장(1970), 당감시장(1971), 문전 시장(1972), (사)부전시장(1974), 초읍시장(1975), (주)동아종합시장(1976), 당감골목시장(1976), 종합새시장(1976), 개금큰시장(1978), (주)부전인삼시장(1979), 개금골목시장(1979), 성곡종합시장(1979), 서면종합시장(1980), 사단법인부산전자종합시장(1980), 새당감시장(1980), (주)합성창곡시장(1981), 서면중앙시장(1981), 대현지하상가(1982), 가남종합시장(1984), (주)서면지하상가(1985), (주)수양시장(1985), 가야벽산상가(1992), 국제백양상가(1995), (골드테마거리)부산귀금속유통업협동조합(1995), 부전종합상가상인회(1996), 부전상가시장(2004)

북구정이있는구포시장상인회(1932), 구포축산물도매시장(1970), 만덕시장(1970), , 구남시장(1976), (주)덕천시장(1986)

사상구

반도프라자상가(1944), 감전제일상가시장(1980), 북부산시장(1980), 부산새벽시장(1982), 구덕대림상가시장(1991), 해종합시장(1991), 우신상가(1993), 부산산업용재유통상가(1995), 부산시철강판매업협동조합(1996), 마트월드(1998), 부산산업용품(1998), 부산시건축자재판매업협동조합(1998), 주례현대무지개상가(2001)

사하구

괴정시장(1969), (주)장림시장(1973), 감천시장(1975), 감천2동시장(1976), 사하시장(1976), 자유종합상가(1978), 당리시장(1980), 신평종합시장(1980), 에덴시장(1980), 가락타운상가시장(1990), 맘모스프라자(1993), 다대자유아파트상가시장(1995), 다대씨파크(1996), 광린현대아파트종합상가

서구충무동 골목시장(1949), 동대신1동 골목시장(1956), 서대신2동(1957), 충무동새벽시장(1974), 아미골목시장(1976), 충무동 해안시장(1976), 송남시장(1978), (유)대덕도매시장(1979), 대신시장(1979), (주)충무쇼핑(1983)

수 구

광안공설시장(1968), 수 팔도시장(1970), 세흥시장(1972), 망미새상가시장(1973), 망미종합시장(1973), 망미중앙시장(1973), 광안종합시장(1976), 수

로터리시장(1978), 삼익쇼핑센터(1980), 수 건설시장(1979), (남천)삼익비치 B상가(1981), 동방시장(1981), 삼익시장(1986), 광안어패류시장(1989), ㈜남천해변시장(1989), 민락어패류시장(1989), 민락타운(1990), 현대종합상가(1994), 망미삼성상가(1997)

연제구연산시장(1970), (주)거제시장(1974), (사) 남종합시장(1978), 연동시장(1978), 연미새시장(1978), 연산로타리종합시장(1978), 연일시장(1978), (사)거성시장(1979), 연천시장(1980)

도구 청학시장(1930), 남항시장(1950), 도봉래시장(2005)

중구

부평시장(1920), 광복로상가(1930), 남포동건어물도매시장(1930), 국제시장(1949), 보수동책방골목(1950), 부산신창상가조합(1954), 만물의거리(1960), (사)부산데파트(1973), 주시장(1976), 사단법인창선상가번 회(1978), 신천지시장(1980), (사)보수종합시장(1981), 광복동롯데1번가(1981), 국제 지하도 상가(1981), 신동아(1987), 코오롱상가(1988), 아리랑거리(1995), 월드밸리수입상가(1997), 새 주시장(2005), 새부산타운(2005)

Page 19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79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해운대구

송정시장(1940), 반여3동골목시장(1965), 반송3동골목시장(1975), 우동종합상가(1978), 반여시장(1979), 반송상가시장(1980), 삼호동백상가(1980), 장산시장(1980), 운봉장터시장(1981), 재송삼익상가(1981), 재송시장(1982), 대우마리나1차상가(1991), 좌동재래시장(1993), 대동상가(1996), 대성종합상가(1996), 삼한2차아파트상가(1996), 삼해대림상사(1996), 우일시장(1996), LG쇼핑상가(1996), 신도시시장(1999), 해운대시장(2005)

기장군 사단법인 기장시장(1984)

정기

시장

(7)

강서구 덕두시장(1940), 사덕시장(1940)

금정구 구서오시게시장(1984)

북구 구포시장(1969)

사하구 하단시장(1978)

기장군 송정시장(1890), 좌천시장(1963),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시장(99)

가평시 가평재래시장(1962)

과천시 제일쇼핑센터시장(1984), 새서울프라자시장(2004)

광명시광명시장(1972), 새마을상가(1980), 광명새마을시장(광명동,1986), 골든힐시장(1992)

광주시 광주상설시장(1980)

고양시 일산시장(1979), 능곡시장(1980), 원당종합시장(1984), 원당시장(2005)

구리시 구리시장(1977), 남양시장(1980)

군포시 군포역전시장(1970), 산본시장(1985),

김포시 김포중앙시장(2005)

동두천시 동두천시 제일시장(1960), 큰시장(1961), 동두천 중앙시장(1969)

부천시(18)

부천자유시장(1947), 부천청과물시장(1973), 소사(대보)종합시장(1978), 강남시장(1980), 원종고강제일시장(1980), 원미부흥시장(1980), 원미종합시장(1980), 부천한신종합시장(1982), 신흥시장(1983), 역곡 북부시장(1984), 상동시장(1987), 역곡남부시장1987), 원종종합시장(1987), 원종중앙시장(1992), 광성상가(1994), 부천중동시장(1995), 조공시장(2005), 오정재래시장(2005)

성남시성남중앙시장(1970), 성호시장(1970), 현대시장(1973), 모란시장(1974), 신흥시장(1977), 단대마트시장(1985), 은행시장(1986), 금광시장(1994)

수원시(17)

팔달문시장(1920), 지동시장(1966), 수원역전시장(주)(1969), 구매탄시장(1969), 파장동종합시장(1970), 못골종합시장(1975), 구천동공구시장(1976), 역전지하도상가(1979), 서문시장(1980), 화서시장(1980), 조원시장(1980), 권선종합시장(1988), 정자종합시장(1989), 동시장(주)(1996), 수원남문시장 패션1번가(2002), 남문로데오시장상인회(2005), 시민상가(2006)

8) 경기도 지역

Page 19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80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시흥시 삼미시장(2003)

안산시 석호상가(1981), 반월상가(1981)

안양시(13)

중앙지하상가(1879), 중앙시장(1961), 박달시장(1970), (신)남부시장(1972), 남부시장(1972), 청원시장(1976), 석수시장(1979), 비산시장(1979), 육동시장(구.명학시장)(1980), 호계시장(1980), 중부농산물시장(1982), 관양시장(1983), (신)중앙시장(2006)

연천군 전곡재래시장(1960), 연천재래시장(1963)

이천시 사기말골도예촌재래시장(2000)

의정부시 의정부청과야채시장(1973), 제일시장(1976), 의정부시장(2005)

용인시 용인중앙시장(1960)

파주시문산시장(1950), 봉일천 종합시장(1950), 연풍시장(1952), 자유시장(1952), 금촌시장(1953), 파주시장(1954), 광탄시장(1955), 선유시장(1965)

포천시 일동재래시장(1960)

평택시 통복시장(1954)

하남시 (사)신장공설시장(1977), 신장전통재래시장(,1977)

정기시장(59)

고양시 일산5시장

김포시 통진시장(1960), 김포오일시장(1965), 양곡5일장(1975)

남양주시 광릉장(1964), 마석우리장(1964), 장현시장(1964)

안성시 일죽시장(1937), 안성시장(1963), 중앙시장(1971), 안산시시민시장(2005)

양주시 덕정시장(1950), 신산시장(1950), 가납시장(1965)

오산시 오산중앙시장(1941)

용인시 백암시장(1960),

이천시 관고재래시장(1930), 장호원재래시장(1955)

성남시 모란민속5일장(1964)

포천시송우공설시장(1806), 일동공설시장(1915), 운천공설시장(1930), 이동공설시장(1940), 관인공설시장(1980), 내리공설시장(1980), 양문공설시장(1980), 신읍공설시장(1986)

파주시금촌장(1942), 봉일천 공설시장(1945), 법원공설시장(1952), 신상공설시장(1955), 적성 공설시장(1959), 문산공설시장(1989)

평택시안중시장(1955), 중앙시장(1955), 송북시장(1960), 서정시장(1975), 팽성시장(1996)

화성시사강시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1910), 남양시장(1950), 발안시장(1965), 조암시장(1965)

하남시 덕풍재래시장(1995)

가평군가평정기5일시장(1923), 청평정기5일장(1923), 미원정기 5일시장(1965), 현리정기5일시장(1966)

여주군 제일시장(1983), 가남시장(1997), 율촌시장(1997)

연천군 전곡5일장(1965), 백학5일장(1990), 왕징 5일장(1990), 신서5일장(1996)

Page 196: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81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양평군양동시장(1960), 용문시장(1965), 지평시장(1965), 양서시장(1980), 양평시장(1980)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35)

청주시

청주서문시장(1964), 청주육거리종합시장(1970), 북부시장상인회(1971), 사단법인중앙시장(1979), 복대가경시장(1980), 복대시장(1980), 사직시장(1980), 사창시장(1980), 내덕자연시장(1989), 운천시장(1989), 수곡시장(1993), 원마루시장(1993), 가경터미널시장(1994)

충주시충주무학시장(1960), 충주중앙공설시장(1961), 충주공설시장(1963), 충주자유시장(1969), 충주충의상가(1970), 남부시장(1978), 중앙청과시장(1995),현대타운시장(1986)

제천시 중앙시장(1953), 역전시장(1960), 약초시장(1993)

단양군 단양인정시장(1985)

보은군 관기시장(1964), 보은재래시장(1964), 중앙시장(1978)

옥천군 (사) 동중앙시장조합(1969), 동재래시장(2005), 옥천상가(1976)

음성군 삼성시장(1945)

증평군 증평장뜰시장(2004)

진천군 진천중앙시장(1950)

청원군 부강재래시장(1993)

정기

시장

(21)

괴산군 괴산시장(2002), 청천시장(2003), 목도시장, 연풍시장

단양군 춘재래시장(1804), 매포시장(1991)

보은군 원남시장(1940), 회인시장(1954)

옥천군 옥천재래시장(1960)

음성군 감곡시장(1930), 무극시장(1950), 음성시장(1950), 대소시장(1980)

진천군 덕산시장(1887), 광혜원시장(1906), 진천재래시장(1976)

청원군오창재래시장(1956), 문의재래시장(1980), 내수재래시장(1995), 미원재래시장, 옥산재래시장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37)

공주시 산성시장(1937)

논산시논산화지시장(1950), 강경대흥시장(1955), 논산공설시장(1976), 강경젓갈시장(1996),

보령시중부시장(1920), 중앙시장(1926), 동부시장(2002), 자유시장(2006), 상설시장(2006)

9) 충북 지역

10) 충남 지역

Page 197: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82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서산시 동부시장(1905), 해미시장(1924), 해미종합시장(1977), 대산종합시장(2000)

아산시 온양상설시장(1970)

천안시남산중앙시장(1918), 공설시장(1960), 명동시장(1960), 중앙시장(1970), 천일시장(1973), 자유시장(1975)

금산군금산수삼센터(1980),금산읍재래시장(1982), 금산국제인삼시장(1986), 중부프라자(1989), 약초시장(주)약초백화점(1992)

당진군 당진상설시장(1974)

부여군 부여중앙시장(1945)

서천군 서천특화시장(2004)

예산군 예산상설시장(1980)

청양군 청양상설시장(2003), 청양특화시장(고추, 구기자)(2003)

태안군 태안상설시장(1918), 태안서부상가 상우회(1973), 안면도장터(2005)

홍성군 홍성상설시장(1981), 광천젓갈특화시장(2003)

정기

시장

(41)

공주시 유구시장(1996)

계룡시 두계재래시장(2005)

논산시 연산시장(1911), 양촌시장(1950), 연무안심시장(1960)

당진군 지시시장(1924), 신평시장(1927), 합덕시장(1961), 당진정기시장(1973)

보령시 오천시장(1955), 웅천시장(1994)

아산시 둔포시장(1960), 권곡시장(1980)

천안시 병천시장(1936), 성환시장(1960), 입장시장(1960)

부여군외산시장(1918), 홍산시장(1928), 양화시장(1950), 임천시장(1950), 부여5일시장(1960), 은산시장(1960)

서천군 한산시장(1900), 판교재래시장(1931), 장항정기상점가(1999)

예산군광시시장(1925), 예산시장(1926), 덕산시장(1960), 삽교시장(1960), 고덕시장(1966), 역전시장(1970)

연기군 조치원 재래시장(1931), 전의시장(1940), 금남시장(1950)

청양군장평정기시장(1916), 정산정기시장(1919), 화성정기시장(1945), 청양정기시장(1990)

홍성군 광천정기시장(1929), 갈산정기시장(1937), 홍성정기시장(1943)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시장(44)

강릉시강릉동부시장(1977), 강릉서부시장(1978), 강릉중앙시장(1978), 주문진수산시장(1988)

동해시 묵호중앙시장(발한중앙시장)(1943), 묵호시장(1953)

삼척시 도계전두시장(1951), 도계중앙시장(1964), 삼척중앙시장(1974), 호산시장

11) 강원 지역

Page 198: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83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1985)

속초시 속초중앙시장(1990)

원주시원주문막시장(1959), 원주남부시장(1965), 원주중앙시장(1970), 중앙농산물시장(1986), 원주태장시장(1991), 단구시장(주)(2000), 원주자유시장(2002)

춘천시(주)춘천중앙시장(1961), (합)제일종합시장(1974), (사)춘천남부시장(1982), 동부시장사업협동조합(1988), (사)춘천서부시장운 회(1989)

태백시사단법인황지자유시장(1956), 철암시장(1965), 장성중앙시장(1977)

고성군 간성시장(1965),거진시장(1968)

양구군 양구중앙시장(1983)

양양군 양양시장(1986)

월군 서부아침시장(1959), 중앙시장(1961)

인제군 인제시장(1912), 원통시장(1959)

정선군 사북시장(1965), 고한공설시장(1967)

철원군 신철원 시장(1960), 철원와수시장(1978), 동송시장(1982)

평창군 평창시장(2005)

홍천군 홍천시장(1940), 홍천중앙시장(1981)

화천군 화천재래시장(1953)

횡성군 안흥시장(1965), 횡성재래시장(1972)

정기시장(23)

동해시 북평민속 5일장(1800)

삼척시 근덕5일장(1956), 호산5일장(1961), 도계5일장(1965), 삼척5일장(1975)

원주시 원주문막5일장(1959), 민속풍물시장(1989)

태백시 철암5일장(1998), 통리5일장(1998)

월군 주천시장(1972), 덕포시장(1993)

정선군 정선시장(1911), 송계5일장(1965), 여량5일장(1965)

평창군진부시장(1958), 대화시장(2000), 신남5일장(1968), 기린면 재래시장(5일장 포함)(2005), 봉평시장(2006), 서화정기시장

화천군 사창리5일장(1960), 화천5일장(1999)

횡성군 둔내시장(1965)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114)

거제시옥수시장, 옥포시장(1889), 고현종합시장(1980), 옥수동새시장(1982), 옥포중앙시장(1984), 옥현쇼핑타운(1993), 장평종합시장(1995), 한라프라자(1996), 신부시장(2000)

12) 경남 지역

Page 199: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84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김해시 동상시장(1945)

마산시

마산어시장(1960), 부림상시장(1970), 서마산시장(1970), 자유시장(1971), 산호시장(1972), 북마산중앙시장(1976), 구암현대시장(1980), 양덕종합시장(1980), 역전시장(1980), 부림시장(1981), 역전통합시장(1981), 회성종합시장(1981), 부림지하상가시장(1984), 합성시장(1984), 회원시장(1985), 양덕중앙시장(1986), 화인상가시장(1992), 대동씨코아상가시장(1993), 정우새어시장(1995), 한백마리나타운(1996), 희원프라자(1993),구암시장(1997), 기산프라자(1997), 화인상가시장(1992), 신마산시장(1997), 코오롱1차주상가시장(2001), 동마산시장(2003), 반월시장(2005), 대현프리몰(1993), 태화종합시장(1998)

밀양시 밀양상설시장(1968)

사천시삼천포서부시장(1964), 사천읍시장(1978), 삼천포중앙시장(1905), 삼천포종합시장(1987)

양산시덕계종합상설시장(1994), 양산(남부)시장(1977), 양산남부시장상가(1980), 양산북부시장(1988)

진주시

중앙시장(1884), 천전시장(1945), 서부시장(1975), 자유시장(1979), 동부종합상가(1980), 공단종합시장(1981), 한주럭키상가(1986), 중앙지하상가(1988), 상봉한주타운상가(1992), ,이현종합상가(1993), 평거한보타운상가(1993), 진주동성상가(1994), 평거한보하이타운(1995)

진해시 중앙시장(1946), 중부시장(1977), 중평시장(1980)

창원시

두대시장(1978), 동양종합상가(1980), 양곡시장(1980), 창원중앙시장(1980), 경창상가(1982), 소계시장(1983), 롯데종합상가(1984), 가음정재래시장(1985), 명서시장(1986), 반송시장(1987), 토월복합상가시장(1991), 대동그린코아상가(1992), 대동훼미리종합상가(1992), 대방그랜드 종합상가(1992), 대방덕산1차상가(1992), 동성올림픽타운(1992), 대동중앙상가(1993), 사파동성종합상사(1993), 창원시창원기계공구상가(1993), 창원캔버라(1993), 명곡종합상가(1994), 성원그랜드쇼핑(1994), 그린피아상가(1996), 창원코아상가(1997), (주)서원유통탑마트창원점(1998), 가음시장대상가(1999), 상남시장(2001), 창원북동공설시장(2001), 봉곡진보프라자(2005), 유신종합상가(2005)

통 시서호시장(1946), 중앙재래시장(1980), 충무데파트종합상설시장(1983), 삼성타워프라자(1998), 북신시장(2005)

거창군 위천공설시장(1906), 가조공설시장(1974), 거창시장(1982)

고성군 고성시장(1984)

남해군 남해시장(1978)

산청군 산청시장(1906)

의령군 의령시장(1990)

창녕군 창녕상설시장(1980)

하동군 (사)하동시장(1965)

함양군 함양상설시장(1976), 함양중앙상설시장(1980)

함안군 합명회사 가야시장(1962)

Page 200: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85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합천군 초계시장(1930), 합천시장(1988), 삼가시장(2006)

정기

시장

(61)

김해시 장유시장(1906), 진 시장(1935), 진례시장(1957)

마산시 진동시장(1940)

밀양시 송백시장(1966), 무안시장(1939), 송지시장(1940), 구기시장(1955)

사천시 완사시장(1906), 서포시장(1990), 주)곤양종합시장(2000)

진주시금곡시장(1900), 대곡시장(1906), 미천시장(1930), 문산시장(1934), 일반성시장(1956)

진해시 마천시장(1948), 경화시장(1950), 웅천시장(1958)

창원시 북면신촌시장(5일장)(1920), 대산가술시장(1926)

남해군지족공설시장(1966), 남면공설시장(1967), 고현공설시장(1976), 동천공설시장(1976), 이동공설시장(1993)

산청군생초시장(1900), 단성공설시장(1914), 단계시장(1952), 문대시장(1953), 차황시장(산청군1956), 박계시장(1967)

의령군 신반시장(1998)

창녕군남지정기시장(1906), 창녕정기시장(1928), 대합정기시장(1935), 이방정기시장(1956), 산정기시장(1957)

하동군진교시장(1955), 계천시장(1962), 횡천시장(1966), 옥종시장(1970), 북천시장(2005)

함안군주식회사가야아라시장(1944), 대산공설시장(1950), 군복공설시장(1960), 신원공설시장(2001), 칠원공설시장(2002)

함양군 마천시장(1965), 서상시장(2006), 안외시장

합천군 묘산시장(1939), 가야시장(1942), 대병시장(1986), 야로시장(2002)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101)

구미시

형곡중앙시장(1970), 구미중앙시장(1975), 금오시장(1982), 아울렛012(1984),구미시신평시장(1985), 현대유통(1985), 구미공단제일시장(1987), 구미공단종합시장(1988), 대경할인마트(1988), 부광종합시장(1990), 형곡시장프라자(1992), 구미산업유통단지(1995), 파크시장상가(1995),

경산시 경산시장(1956)

경주시성동시장(1971), 불국사상가시장(1973), 황남시장(1975), 중앙시장(1983), 동천시장(1987), 북부시장(1987)

김천시 감호시장(1950), 중앙시장(1953), 평화시장(1978), 부곡시장(1987)

문경시 중앙시장(1975), 신흥시장(1995), (유)문경시중앙시장(1997)

상주시 중앙시장(1912), 상주남문청과(주)(1972)

안동시북문시장(1937), 중앙신시장(1946), 구시장(1970), 서부시장(1980), 용상공설시장(1982)

주시 풍기중앙시장(1948), 후생시장(1953), 주공설시장(1965), 채소시장(1965),

13) 경북 지역

Page 201: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86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주소백쇼핑몰(구 상가시장)(1968), 주종합시장(1970), 신 주번개시장(1980), 주중앙시장(1982), 사단법인풍기인삼시장(1989), 동부시장(1993), 성동상가(1995), 고추약초시장(2002), (골목시장,2001)

천시신녕공설시장(1950), 천공설시장(1955), 금호공설시장(1956), 동부상가(1995), 새야사시장(1996), 동상가(1996), 한약유통단지(2000)

포항시

구룡포시장(1937), 흥해시장(1946), 북부시장(1965), 일만시장(1970), 터미널시장(1970), 양학시장(1970), 죽도시장(1971), 동해종합시장(1980), 송도시장(1982), 청림시장(1985), 중앙종합시장(1985), 상대종합시장(1986), 장성종합시장(1986), 환호시장(1986), 장량시장(1987), 남부종합시장(1988), 해도5시장(형산시장)(1990), 서부시장(1990), 대도평화시장(1991), 두호1시장(1991), 항구시장(1991), 죽도종합상가(1992), 대도시장(1993), 장량종합상가(1993), 칠성시장(1994), 삼경시장상가(1994), 성도종합상가(1994), 용흥시장(1994), 해변종합큰상가(1994), 환호(아주)종합시장(1994), 광장시장(1995), 신단지구매시설(그린프라자)(1995), 포종합상가(1995), 오천중앙시장(1996), 그린종합시장(1996), 포항장성개발시장(1996), 삼광시장(1998), 이동종합시장(2001), 골목시장, 포항죽도농산물시장

봉화군 봉화상설시장(1980)

칠곡군 (사)왜관상설시장(1976)

울진군 울진시장(1945), 평해공설시장(1965), 흥부공설시장(1988)

예천군 예천상설시장(1980)

의성군 의성염매시장(1980)

정기

시장

(90)

경산시 하양시장(1950), 자인시장(1980)

경주시안강시장(1923), 서면시장(1929), 건천시장(1930), 양북시장(1942), 외동시장(1950), 감포시장(1959), 산내시장(1960), 불국공설시장(1970), 양남시장(1970)

구미시 장천5일재래시장(1959), 해평시장(1959), 인동시장(1989), 선산시장(1994)

김천시 김천황금시장(1964), 신광시장(1965)

문경시 동로시장(1965), 가은시장(1970), 문경시장(1970), 농암시장(1981)

상주시 함창시장(1951), 은척시장(1965), 화령시장(1965), 공성시장(,상주시2001)

안동시운산공설시장(1914), 천지공설시장(1914), 풍산공설시장(1914), 신평공설시장(1958), 구담공설시장(1962), 정산공설시장(1976), 온혜공설시장(1979), 임동공설시장(1980), 옹천사설시장(1985)

주시 풍기미곡시장(1962)

포항시장기시장(1914), 동해시장(1915), 죽장시장(1919), 기계시장(1923), 송라시장(1925), 기북시장(1958), 청하시장(1965), 오천시장(1970)

고령군 고령종합시장(1980)

군위군 군위식당(1954), 소모시장(1957), 의흥시장(1920), 우보시장(1946)

봉화군 춘양시장(1971)

성주군 성주시장(1940), 초전시장(1956), 벽진시장(1957), 용암시장(1965)

덕군강구5일시장(1956), 해5일시장(1960), 덕5일시장(1965), 남정5일시장(1986)

Page 20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87

양군 양공설시장(1918)

울진군죽변공설시장(1946), 후포공설시장(1968), 매화공설시장(1971), 척산공설시장(1976)

예천군예천시장(1914), 우곡시장(1916), 풍양시장(1928), 용궁시장(1946), 마전시장(1952), 용문시장(1956)

의성군의성봉양시장(1921), 의성안평시장(1922), 의성단촌시장(1947), 의성공설시장(1956), 안계공설시장(1957), 의성옥산시장(1958), 의성금성시장(1961), 의성다인시장(1965), 의성신평시장(1970)

청도군청도시장(1912), 풍각시장(1925), 동곡시장(1951), 이서시장(1965), 유천시장(1970)

청송군안덕시장(1900), 진보시장(1910), 청송시장(1920), 도평시장(1921), 부남시장(1921), 화목시장(1940)

칠곡군 동명시장(1965), 약목시장(1965)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39)

광양시 광양읍상설시장(1940), 광 상설시장(1987), 중마시장(2005)

나주시 나주시금계상설시장(1971)

목포시목포종합수산시장(1930), 중앙식료시장(1955), 목포항동시장(1955), 동부시장(1956), 자유시장(1999), 청호시장(1999), 중앙시장(1989)

순천시 중앙시장(1910), 아랫장(1960), 별량시장(1964), 웃장(1975), 역전시장(1978)

여수시서시장주변시장(1920), 동시장(1932), 쌍봉시장(1960), 중앙시장(1970), 여수교동시장(1975), 서시장(1982), 진남시장(1984), 봉산시장(1985), 미평시장(1986), 여수수산시장(1986), 제일시장(1986)

해남 해남읍매일시장(1950)

강진군 강진상설시장(2000)

구례군 구례읍상설시장(1976)

담양군 담양시장(1920)

보성군 보성매일시장(1970)

완도군 중앙시장(1975), 청해시장(1984), 완도종합시장(1990)

광군 터미널시장(1985), 광태양고추특화시장(1995), 광매일시장(1950)

진도군 진도읍상설시장(1985)

정기

시장

(84)

광양시 옥곡면정기시장(1960), 진상면정기시장(1962), 광양읍 정기시장(1964)

나주시

나주시남평5일시장(나주시,1942), 나주시세지5일시장(나주시,1947), 나주시문평5일시장(나주시,1951), 나주시공산5일시장(나주시,1954), 주시다시5일시장(나주시,1965), 나주시성북5일시장(나주시,1966), 나주시 산포풍물시장(나주시,2003)

순천시 괴목시장(1960), 주암시장(1960), 승주시장(1964), 창촌시장(1969), 송광시장(1988)

14) 전남 지역

Page 203: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188 주력산업 지원정책 분석 연구

여수시 덕양시장(1932)

강진군 마량5일시장(1950), 병 5일장(1950), 강진읍5일시장(1960)

구례군 산동5일시장(1956), 구례5일시장(2005)

고흥군고흥시장(1930), 녹동시장(1934), 과역시장(1946), 동강시장(1948), 도화시장(2006)

곡성군 나곡성5일시장(1965), 석곡5일시장(2005), 옥과5일시장(2006)

담양군 창평시장(담양군,1986), 대전시장(담양군,2006)

무안군 무안정기시장(1820), 망운정기시장(1950), 일로정기시장(2006)

보성군벌교5일시장(1930), 보성5일시장(1955), 예당5일시장(1962), 조성5일장(1964), 회천시장(1964), 복내5일시장(1989)

신안군 지도시장(1955)

광군 염산5일시장(1970), 포천시장(1900)

암군독천5일시장(1820), 구림시장(1924), 신북시장(1965), 암시장(1966), 시종시장(1970)

완두군 노화읍5일시장(1950), 금일읍5일시장(1968), 완도읍5일시장(1976)

장성군 사창시장(1964), 황룡5일시장(1880), 사가5일시장(1919)

장흥군장평시장(1961), 관산시장(1966), 용산시장(1968), 대덕시장(1985), 회진시장(1985), 정남진장흥토요시장(2005)

진도군임회면5일시장(1919), 진도군의신면5일시장(1953), 고군면5일시장(1974), 진도읍5일시장(1976)

함평군함평시장(1964), 월야시장(1970), 학교시장(1970), 나산시장(1980), 해보5일장(1943)

화순군능주면재래시장(1923), 화순남면재래시장(1960), 화순이양재래시장(1960), 화순춘양재래시장(1960), 화순동복재래시장(1964), 화순읍재래시장(1968)

해남해남읍5일시장(1905), 좌일5일시장(1925), 우수 5일 시장(1950), 남리5일시장(1960), 송지산정중앙시장(1967), 현산월송5일시장(1970), 화원5일시장(1970), 남창5일시장(1986)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28)

군산시군산공설시장(1918), 명산시장(1950), 정읍제2시장(1958), 문화시장(1976), 삼학시장(1978), 동부시장(1980), 신 시장(1980), 동산시장(1982), 군산수산물종합센터(2003), 역전종합시장(2005)

김제시 김제시장(1920)

남원시 남원용남시장(1937), 남원동충아케이드(1983)

익산시익산남부시장(1966), (주)이리북부시장(1975), 익산중앙시장(1977), 익산신동시장(1991), 익산매일시장(2005), 익산창인시장(2005)

전주시전주남부시장(1905), 전주중앙시장(1906), 전주모래내시장(1970), 서부시장(1980), 전주동부시장(1982)

15) 전북 지역

Page 204: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부 록 189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고창군 고창상설시장(1978)

부안군 부안상설시장(1936)

임실군 오수시장(1932)

정읍군 정읍제1시장(1917)

정기

시장

(41)

군산시 대야재래시장(5일장)(1980)

김제시 김제원평시장(1996)

남원시 남원인월시장(1970), 남원운봉시장(1972), 남원공설시장(1990)

익산시 익산황등시장(1984), 익산여산시장(2002), 익산금마시장(2005)

정읍시 태인시장(1950), 신태인시장(1992), 칠보시장

고창군부안시장(1930), 대산시장(1932), 무장시장(1952), 상하시장(1963), 흥덕시장(1967), 해리시장(1996)

무주군설천삼도봉장터(1965), 무주반딧불장터(1998), 안성덕유산장터(2002), 무풍대덕산장터(2005)

부안군 줄포시장(1920)

순창군 순창시장(1900), 동계시장(1952), 복흥시장(1957), 구림시장(1965)

완주군 고산면재래시장(1910), 장선시장(1938), 삼례재래시장(1940),봉동시장(2005)

임실군 관촌시장(1910), 신평시장(1960), 운암시장(1965), 진시장(1969), 임실시장(1970)

장수군 번암시장(1928), 장계시장(1940), 산서시장(1985), 장수시장(2004)

진안군 진안시장(1918)

구분 지역 시장명(개설년도)

상설

시장

(11)

서귀포시 서귀포매일시장(1965), 모슬포중앙시장(1978), 서귀포상설시장

제주시서문공설시장(1954), 동문시장(1965), 제주칠성로상가(1965), 동문공설시장(1970), 동문재래수산시장(1970), 동문재래시장(1970), 보성시장(1976), 중앙지하상가(1983)

정기시장(9)

서귀포시서귀포향토오일시장(1950), 성산5일시장(1964), 중문오일시장(1965), 고성5일시장(1984), 표선5일시장(1985)

제주시대정(1983), 제주시민속오일시장(1993), 한림오일장(2002), 세화민속5일시장(2004)

16) 제주 지역

Page 205: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이 보고서는 그 안에서 문화적 가치와 힘의 원천을 발견합니다. ... 자문회의 및 연구진 워크샵:정책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발 행 인 송 재 호

발 행 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시 강서구 방화3동 827번지

전화 02-2669-9800 팩스 02-2669-9880

http://www.kcti.re.kr

인 쇄 일 2008년 8월

발 행 일 2008년 8월

인 쇄 처 크리홍보(주)

ISBN:978-89-6035-115-8 93300

저자약력연구책임 우 주 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공동연구류 제 홍 (도시문화연구소 공간력 소장)이 광 준 (서울시도시갤러리추진단 책임큐레이터)

연구보조심 효 진 (한국교원대학교 시간강사)나 하 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