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87 Abstract In this study estimates the daily dose of Amomi Fructus, currently unspecifi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For analysis, we selected Donguibogam and collected the prescriptions that contain the Amomi Fructus. The prescriptions were then categorized into dosage forms, and the daily dos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rmula. We also examined the prescriptions containing specific numbers of Amomi Fructus per dose. We thus divided a total of 214 prescriptions into 106 decoctions, 38 powders, 66 pills, and four others, and calculated the minimum, maximum, average, and general daily dose under each category. The daily dose in decoctions was minimum 1.5g, maximum 11.25g, average 5.226g, and 3.75 7.5g in general. The daily dose in powders was minimum 0.156g, maximum 22.5g, average 3.714g, and 1 6g in general. The daily dose in pills was minimum 0.027g, maximum 14.208g, average 2.619g, and 5g or less in general. The daily dose of Amomi Fructus proposed in existing literature is similar to that of the decoctions while the daily doses in powders and pills are lower than those in existing literature. 동의보감 에서 사인 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 ) ( ) 東醫寶鑑 砂仁 신상문 석사과정 1 도의정 연구교수 , 1,2 이금산 부교수 , 1*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1. 원광대학교 전통의학연구소 2. Literature review on the daily doses of Amomi Fructus in Donguibogam Shin Sangmun 1 , Doh Eui-jeong 2 , Lee Guemsan 1 1.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2.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Correspondence: Lee Guemsan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460 Iksan-daero, Iksan-si, Jeollabuk-do, 54538, Rep. of Korea Tel: +82-63-850-6985,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2018-10-04, revised 2018-10-24, accepted 2018-10-28, available online 2018-10-30 doi:10.22674/KHMI-6-2-6 Keywords: Donguibogam, Sain (Sharen, Amomi Frutus), daily dose, dosage, Amomum villosum,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

동의보감 에서 사인 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herba.kr/khmi/j/KHMI-6(2)-6.pdf · 2018-10-30 ·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87

    Abstract

    In this study estimates the daily dose of Amomi Fructus, currently unspecifi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For analysis, we selected Donguibogam and collected the prescriptions that contain the Amomi Fructus. The prescriptions were then categorized into dosage forms, and the daily dos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rmula. We also examined the prescriptions containing specific numbers of Amomi Fructus per dose. We thus divided a total of 214 prescriptions into 106 decoctions, 38 powders, 66 pills, and four others, and calculated the minimum, maximum, average, and general daily dose under each category. The daily dose in decoctions was minimum 1.5g, maximum 11.25g, average 5.226g, and 3.75 7.5g in general. The daily dose in powders was minimum 0.156g, maximum –22.5g, average 3.714g, and 1 6g in general. The daily dose in pills was minimum 0.027g, maximum –14.208g, average 2.619g, and 5g or less in general. The daily dose of Amomi Fructus proposed in existing literature is similar to that of the decoctions while the daily doses in powders and pills are lower than those in existing literature.

    동의보감 에서 사인 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 ( )東醫寶鑑 砂仁

    신상문 석사과정 1 도의정 연구교수, 1,2 이금산 부교수, 1*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1.

    원광대학교 전통의학연구소2.

    Literature review on the daily doses of Amomi Fructus in Donguibogam

    Shin Sangmun1, Doh Eui-jeong2, Lee Guemsan1

    1.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2.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Correspondence: Lee GuemsanDep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460 Iksan-daero, Iksan-si, Jeollabuk-do, 54538, Rep. of KoreaTel: +82-63-850-6985,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2018-10-04, revised 2018-10-24, accepted 2018-10-28, available online 2018-10-30doi:10.22674/KHMI-6-2-6

    Keywords: Donguibogam, Sain (Sharen, Amomi Frutus), daily dose, dosage, Amomum villosum,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

  • 신상문 외 동의보감에서 사인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188

    서론

    은 효능으로 임상에서 , , , , , 砂仁 化濕開胃 溫脾止瀉 理氣安胎 濕濁中阻 脘痞不飢 脾胃虛寒 嘔吐泄

    증에 많이 활용, , 瀉 妊娠惡阻 胎動不安 1)되고 있다.

    공정서에 은 대한민국약전砂仁 《 》2)에서 녹각사( ) 綠殼砂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 (Wall. 또는 양춘사ex Baker) T.L.Wu & S.J.Chen ( ) 陽春砂 A. villosum 생강과 의 Lour. ( Zingiberaceae)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약전 《 》3)에서는 대한민국약전《 》2)에 표기된 종 이외에 해남사2 ( ) 海南砂 A. longiligulare 를 추가로 인정하고 있다 반면에 T.L.Wu .

    일본약국방《 》4)에서는 A. villosum var. xanthioides 종만 기원으로 하고 있다 1 .임상에서 활용뿐만 아니라 한약의 효과를 표준화하여 다양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필요한 약재를

    선택한 후에는 얼마나 사용할지가 중요히 고려될 요소 중 하나이다 의 복용량에 대해서 중화인. 砂仁 《민공화국약전 3~6g》 3) 대만중약전, 3~6g《 》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약전, 4~8g《 》 6) 운곡본초학, 《 》 3~8g7) 중약대사전, 0.5~2 錢《 》 8) 등 다양한 복용량을 제시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약전 《 》2)에는 복용량을 미기재하고 있다 미기재된 이유에 대해서 한약공정서 작성지침. 9)에 용법 및 용량 등은 년도판 “ 2000

    중화인민공화국약전의 것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라고 하였으나 우리나라에 실정에 맞게 연.”

    구하여 복용량을 기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현재까지 . 杏仁 10), 大黃 11) 등의 각 개별 약재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수록 약재 위주의 연구였으며 김 등, 傷寒論《 》 12)이 에서 이 포함된 처방을 정리하여 제형별 복용량에 따른 빈도수를 구하였으나 도량형 東醫寶鑑 砂仁《 》

    무게단위로 표시되지 않은 처방은 포함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복용량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

    고 있지만 의 복용량을 구체적으로 구하기 위해서는 비도량형 무게단위에 대한 연구와 복용방법砂仁

    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내에서 처방 규격의 기준처럼 여겨지는 수재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東醫寶鑑《 》 다 처방을 정리하여 제형별로 나누고 도량형 무게단위 와 비도량형 무게단위 를 . ( , , ) ( , , )兩 錢 分 個 粒 枚

    법정계량단위인 그램 으로 환산하여 일 복용량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g) 1 .

    본론

    재료 및 방법1.

    재료(1)

    문헌1)

    본 연구는 東醫寶鑑《 》13)을 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도량형 및 미기재 처방에 대한 추가적인 , 연구를 위하여 世醫得效方《 》14), 袖珍經驗神方《 》15)를 참고하였다.

    실 측량 재료2)

    약재는 교신저자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에서 동정 건조하여 보관중인 표본을 사용하·

    였고 중량을 전자저울 를 이용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측정하였다 은 CBL2200H(CAS, Korea) . 砂仁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89

    무작위로 개를 선정하여 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고 나머지 약재는 무작위로 개를 선정하10 10 10

    여 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것 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3 (Table 1.) .

    Table 1. The List of Samples

    Omae-yuk and sagunja-yuk refer to the medicinal materials that remove seeds, but the weight of the samples *that did not remove seeds was measured.

    연구방법2.

    에 수록된 처방 중 이 포함된 처방을 제형별로 분류하여 일 복용1) , , 1東醫寶鑑 砂仁 縮砂 縮砂仁《 》량을 구하였다 단 이 로 사용된 처방은 제외하였으며 명칭위주의 분류가 아닌 복용방법을 . , , 砂仁 補料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와 의 경우 처방명만으로 분류가 어려우며 복용방법에 따라 의 . 湯劑 散劑 湯劑

    경우 기준으로 하였고 의 경우 를 기준으로 하여 나누었다‘ ’ , ‘ ~ , ~ ’ .右剉 水煎服 散劑 右爲末 每 錢 調下

    2-1) 湯劑

    복용량의 기준에 대해 는 첩 단위로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첩 당 복용량으로 하였고 첩을 1 ( ) 2湯劑 貼

    일 복용량으로 하였다1 .

    2-2) 散劑

    복용방법에 근거하여 원문에 기재된 의 양을 그대로를 복용량으로 하지 않고, 砂仁

    전체약재의중량회복용량 ×砂仁의중량

    으로 계산했다 회 복용량을 일 복용량으로 하였다. 3 1 .

    2-3) 丸劑

    회복용량의 계산 방법은 1 환의평균복용개수×환개의중량 ×전체약재의중량砂仁의중량

    이며,

    환 개의 중량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규정1 16)의 별표 한약 생약 제제의 제출자료를 참고1 ( )

    하여 “ 1 54mg, 1 94mg, 1 289mg, 1 375mg, 麻子大 丸 綠豆大 丸 芡實大 丸 梧子大 丸 皂子大

    로 환의 무게를 정하였다 일 복용량은 원문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1 1.25g, 1 3.75g” . 1丸 彈子大 丸

    Herb nameActual measurement

    results (g)Origin Specimen number Prescription name

    Amomi Fructus 5.17 ± 0.7 China WKU-2-18-0221 -

    Myristicae Semen 39.54 ± 0.44 China WKU-2-18-1206 木香散

    Terminaliae Fructus 34.76 ± 2.11 China WKU-2-18-0001 秘眞丸

    Mume Fructus* 22.68 ± 1.5 China WKU-2-18-0332 消積丸

    Quisqualis Semen* 5.08 ± 0.29 China WKU-2-18-0215 消積丸

    Amomi Fructus Rotundus 3.56 ± 0.33 China WKU-2-18-0173 龍腦膏 百杯丸 助胃膏

    Caryophylli Flos 0.71 ± 0.05 China WKU-2-18-0406 百杯丸 消積丸

    Alpiniae Oxyphyllae Fructus 4.44 ± 0.39 China WKU-2-18-1207 百杯丸

    Crotonis Semen 2.26 ± 0.27 China WKU-2-18-1208 消積丸

  • 신상문 외 동의보감에서 사인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190

    회복용을 기준으로 하였다 부형제 및 결합제의 양이 기재되어있는 처방은 포함하여 계산하였으며3 . ,

    기재되지 않은 처방은 포함하지 않은 값으로 계산하였다 단 냥으로 몇 환 을 조제하라고 기재된 . , “1 ”

    처방은 환의 중량을 알 수 있으므로 환의 크기별 중량에 따르지 않고 계산하였다 전체 약재의 중량 .

    계산에 필요한 비도량형 약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무게를 구하였다.

    의 무게 추정黍米大① 의 조제방법은 “ , . , ”紫沈丸 右爲末 醋糊和丸黍米大 每五十丸 薑湯下 13)로 의 도량형 환산값黍米大

    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약 생약 제제 등의 품목허가 신고에 관한 규정. ( ) · 16) 별표 한약 생약 제제의 1 ( )

    제출자료에 기재되어있지 않으므로 · · “ , . 東醫寶鑑 湯液序例 斤兩升斗 古秤惟有銖兩 而無分名 今《 》 , , , . , , 則以十黍爲一銖 六銖爲一分 四分成一兩 十六兩爲一斤 雖有子穀秬黍之制 從來均之已久 正

    . , . , , . . 爾依此用之 古之方劑錙銖分兩 與今不同 云銖者 六銖爲一分 卽二錢半也 二十四銖爲一兩也

    , . , ”云三兩者 卽今之一兩 云二兩者 卽今之六錢半也 13)를 참고하여 기장쌀 알은 으로 계산60 2.5 錢

    되었다 따라서 의 무게는 약 으로 추정할 수 있다. 0.156g .黍米大

    쌀과 콩의 에 관하여1 升② 의 과 의 등 에 관하여 현재 는 로 조선 세종 , 1 1.8L太倉丸 陳倉米 一升 避難大道丸 黑豆 一升 升 升

    때의 와 약 배 차이가 난다0.596L 3 17)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값은 쌀 되에 콩 되에 . 1 1.6kg, 1

    이다 이를 감안하여 쌀 되에 콩 으로 가정하여 값을 구하였다1.4kg . 1 533g, 466g .

    도량형 무게단위는 한약 생약 제제 등의 품목허가 신고에 관한 규정3) ( ) · 16) 별표 한약 생약 제제의 1 ( )

    제출자료에 따라 은 은 은 는 로 계산하였다 자료에서1 37.5g, 1 3.75g, 1 0.375g, 1 0.9375g . 兩 錢 分 字

    는 를 으로 정하였으나 의 1 9.375g · · · “ , 字 東醫寶鑑 湯液篇卷之一 湯液序例 斤兩升斗 凡云一字者《 》. , , , , .”卽二分半也 銅錢一箇 皆有四字 四分之 則一字 卽二分半也 13)를 따라 는 이며 를 1 2.5 1字 分 字

    으로 오기된 것을 으로 교정하여 계산하였다 비도량형 및 미기재 처방은 문헌검색 9.375g 0.9375g .

    및 실측량으로 추정하였다 그램 은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계측하였다. (g) .

    결과3.

    의 포함 처방의 개수(1) 東醫寶鑑 砂仁

    에서 을 포함한 처방은 모두 개로 분류결과 개 개 개214 106 , 38 , 66 , 東醫寶鑑 砂仁 湯劑 散劑 丸劑

    기타 개이다4 .

    (2) 湯劑

    개의 처방 중 용량 미기재 처방 개를 제외한 개의 처방으로 일 복용량의 최소 최대106 18 88 1 , , 湯劑

    평균을 구하였다 의 일 복용량의 에서 최소 에(Table 2). 1 1.5g, , 湯劑 人參茯苓散 人參紫菀湯 黃芩湯

    서 최대 이며 평균은 이다11.25g , 5.226g .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91

    Table 2. Dose conversion results of Amomi Fructus in decoctionsNo.

    Prescription

    name

    One dose per

    pack( ) (g)貼

    Daily

    dose (g)Remarks Chapter Page

    1 木香順氣散 1.875 3.75 · ·內景篇卷之一 氣 中氣 254

    2 退熱淸氣湯 3.619 7.238 縮砂 七粒 · ·內景篇卷之一 氣 氣逆 261

    3 二陳湯 未記載 · ·內景篇卷之一 氣 用藥法 263

    4 楡砂湯 3.619 7.238 縮砂 七枚 · ·內景篇卷之二 血 便血 316

    5 瓜蔞枳實湯 1.875 3.75 · · ·內景篇卷之二 痰飮 痰病有十 鬱痰 372

    6 加味四七湯 1.875 3.75 · · ·內景篇卷之二 痰飮 痰病有十 氣痰 373

    7正傳加味二陳

    湯1.875 3.75 · · ·內景篇卷之二 痰飮 痰病有十 食痰 374

    8 加味二陳湯 1.875 3.75 · ·內景篇卷之二 痰飮 痰厥 377

    9 二陳湯 未記載 · ·內景篇卷之二 痰飮 喜唾痰 379

    10 實腸散 3.75 7.5 · ·內景篇卷之三 大腸腑 大腸病治法 435

    11 四物調經湯 1.125 2.25 · ·內景篇卷之三 胞 血結成瘕 453

    12 枳縮二陳湯 2.625 5.25 · ·內景篇卷之四 小便 關格證 492

    13 萬病五苓散 3 6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濕泄 520

    14 治中湯 未記載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寒泄 520

    15 四君子湯 未記載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虛泄 522

    16 參苓蓮朮散 1.875 3.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虛泄 522

    17 實腸散 3.75 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滑泄 523

    18 萬病二陳湯 1.875 3.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痰泄 525

    19 香砂六君子湯 3.75 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脾泄 526

    20 溫脾散 1.875 3.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久泄 530

    21 開噤湯 3.75 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痢疾諸證 噤口痢 536

    22 加減益氣湯 1.875 3.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痢疾諸證 久痢 542

    23 黃連木香湯 3.75 7.5 · ·內景篇卷之四 大便 痢疾通治藥 548

    24 香橘飮 1.875 3.75 · · ·外形篇卷之一 頭 眩暈 虛暈 576

    25 加味四七湯 3.75 7.5 · ·外形篇卷之二 咽喉 梅核氣 714

    26 參朮散 3.75 7.5 · ·外形篇卷之三 胸 心胃痛當分虛實 745

    27 香砂養胃湯 1.125 2.25 · ·外形篇卷之三 胸 胸痞 750

    28 沈香磨脾散 2.625 5.25 · · ·外形篇卷之三 腹 腹痛有六 寒腹痛 771

    29 二陳湯 未記載 · · ·外形篇卷之三 腰 腰痛有十 食積腰痛 784

    30 調中湯 2.625 5.25 · ·外形篇卷之三 皮 陰證發癍 80031 蟠葱散 1.875 3.75 · · ·外形篇卷之四 前陰 諸疝治法 寒疝藥 877

    32 茴香安腎湯 3 6 · ·外形篇卷之四 前陰 陰卵偏墜 882

    33 川芎石膏散 未記載 · ·雜病篇卷之二 風 中風熱證 1039

    34 六和湯 1.875 3.75 · ·雜病篇卷之三 暑 暑病吐瀉 1153

    35 縮脾飮 1.875 3.75 · ·雜病篇卷之三 暑 暑病吐瀉 1153

    36 濕湯滲 2.625 5.25 · ·雜病篇卷之三 濕 濕病治法及通治藥 116537 香砂平胃散 2.625 5.2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消導之劑 1203

    38 內消散 3.75 7.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消導之劑 1203

  • 신상문 외 동의보감에서 사인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192

    39 醒脾育胃湯 3 6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補益之劑 1205

    40 參朮健脾湯 1.875 3.7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補益之劑 1205

    41 八物湯 未記載 · ·雜病篇卷之四 內傷 酒病治法 1209

    42 對金飮子 3.75 7.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醒酒令不醉 1209

    43 香砂六君子湯 1.875 3.75·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脾胃 則不思食不

    嗜食1217

    44 香砂養胃湯 1.875 3.75·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脾胃 則不思食不

    嗜食1217

    45 人參開胃湯 2.625 5.25·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脾胃 則不思食不

    ·嗜食 人參開胃湯1217

    46 透膈湯 3 6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呑酸 吐酸 1222

    47 蒼連湯 1.875 3.75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呑酸 吐酸 1223

    48 加味六君子湯 1.875 3.7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厥 1233

    49 參香散 1.875 3.75 · ·雜病篇卷之四 虛勞 陽虛用藥 1247

    50 加減正氣散 3.75 7.5 · ·雜病篇卷之五 霍亂 濕霍亂治法 1275

    51 加味二陳湯 3.75 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治法 1284

    52 加減理中湯 3.75 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治法 1284

    53 保中湯 1.125 2.2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治法 1284

    54 淸熱二陳湯 3.75 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治法 1285

    55 藿香平胃散 3.75 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治法 1284

    56 比和飮 1.875 3.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治法 1285

    57 茯苓半夏湯 1.875 3.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治法 1286

    58 二陳湯 未記載 · ·雜病篇卷之五 嘔吐 惡心乾嘔 1286

    59 六君子湯 未記載 · ·雜病篇卷之五 嘔吐 食痺吐食 1288

    60 丁香透膈湯 2.625 5.2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0

    61 神奇散 1.875 3.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1

    62 生津補血湯 1.875 3.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1

    63 順氣和中湯 1.125 2.2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2

    64 安胃湯 1.875 3.7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3

    65 九味理中湯 3.75 7.5 · · ·雜病篇卷之五 咳嗽 喘證有八 風寒喘 1321

    66 調降湯 1.875 3.75 · · ·雜病篇卷之五 咳嗽 喘證有八 氣喘 1324

    67 加味四君子湯 2.25 4.5 · · ·雜病篇卷之五 咳嗽 喘證有八 氣喘 1324

    68 人參紫 湯菀 5.625 11.25 · · ·雜病篇卷之五 咳嗽 喘證有八 久喘 132869 二陳湯 未記載 · · ·雜病篇卷之五 咳嗽 咳逆治法 塞咳逆 1340

    70 六鬱湯 1.875 3.75· ·雜病篇卷之六 積聚 六鬱爲積聚癥瘕痃癖

    之本1350

    71 木香調氣散 1.875 3.75· ·雜病篇卷之六 積聚 六鬱爲積聚癥瘕痃癖

    之本1352

    72 瓜蔞枳殼湯 1.875 3.75· ·雜病篇卷之六 積聚 六鬱爲積聚癥瘕痃癖

    之本1352

    73 香砂平胃散 1.875 3.75· ·雜病篇卷之六 積聚 六鬱爲積聚癥瘕痃癖

    之本1353

    74 消積正元散 2.625 5.25 · ·雜病篇卷之六 積聚 積聚治法 1357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93

    (3) 散劑

    개의 처방 중 미기재 처방 개를 제외한 개의 처방으로 일 복용량의 최소 최대 평균값38 4 34 1 , , 散劑

    을 구하였다 의 일 복용량은 에서 최소 에서 최대 이며(Table 3). 1 0.156g, 22.5g , 散劑 沃雪湯 獨聖散

    평균은 이다3.714g .

    75 潰堅湯 3.75 7.5 · ·雜病篇卷之六 積聚 積聚治法 1359

    76 對金飮子 未記載 · · ·雜病篇卷之六 積聚 諸物傷成積 酒積 1363

    77 加減胃苓湯 2.625 5.25 · ·雜病篇卷之六 浮腫 浮腫通治藥 1381

    78 實脾飮 2.625 5.25 · ·雜病篇卷之六 浮腫 浮腫通治藥 1382

    79 人參芎歸湯 3.75 7.5 ·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血脹 1391

    80 順氣木香散 3.75 7.5 ·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寒脹 1392

    81 消蠱湯 1.875 3.75 ·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蠱脹 1392

    82 消脹飮子 1.875 3.75 ·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蠱脹 1393

    83 撞關飮子 3 6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通治藥 1394

    84 分消湯 2.25 4.5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通治藥 1394

    85 人參茯苓散 0.75 1.5 · ·雜病篇卷之六 消渴 消渴有三 1403

    86 二陳湯 未記載 · · ·雜病篇卷之七 痎瘧 諸瘧證治 痰瘧 1434

    87 二陳湯 未記載 · ·雜病篇卷之七 痎瘧 諸瘧證治 1434

    88 參歸鱉甲飮 1.875 3.75 · ·雜病篇卷之七 痎瘧 諸瘧證治 1440

    89 參歸養榮湯 3 6 · ·雜病篇卷之七 痎瘧 截瘧法 1445

    90 六君子湯 未記載 · · ·雜病篇卷之八 癰疽下 癰疽雜證 癰疽嘔逆 1516

    91 先天歸一湯 2.625 5.25 · ·雜病篇卷之十 婦人 脈法 1643

    92 二陳湯 未記載 · ·雜病篇卷之十 婦人 惡阻 1651

    93 芩連半夏湯 1.875 3.75 · ·雜病篇卷之十 婦人 惡阻 1651

    94 四物湯 未記載 · ·雜病篇卷之十 婦人 胎漏胎動 1653

    95 膠艾四物湯 3.75 7.5 · ·雜病篇卷之十 婦人 胎漏胎動 1654

    96 安胎飮 3.75 7.5 · ·雜病篇卷之十 婦人 胎漏胎動 1655

    97 黃芩湯 5.625 11.25 · ·雜病篇卷之十 婦人 胎漏胎動 1655

    98 安榮湯 3.75 7.5 · ·雜病篇卷之十 婦人 半産 1657

    99 達生散 1.875 3.75 · ·雜病篇卷之十 婦人 瘦胎令易産 1661

    100 驅邪湯 3.75 7.5 · · ·雜病篇卷之十 婦人 産前諸證 子瘧 1673

    101 補氣養血湯 3.75 7.5 · · ·雜病篇卷之十 婦人 産後諸證 血崩 1677

    102 四物湯 未記載 · ·雜病篇卷之十 婦人 過月不産 1690

    103 參蘇飮 未記載 ·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痘瘡諸證 腰腹痛 1784

    104 胎散罩 1.125 2.25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附孕婦痘瘡 1798105 安胎散 1.125 2.25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附孕婦痘瘡 1799

    106 蘇葛湯 1.875 3.75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附 疹癍 1799

  • 신상문 외 동의보감에서 사인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194

    Table 3. Dose conversion results of Amomi Fructus in powdersNo.

    Prescription

    name

    One

    dose (g)

    Daily

    dose (g)Remarks Chapter Page

    1 沈香降氣湯 0.614 1.842 · ·內景篇卷之一 氣 上氣 255

    2 快氣湯 0.638 1.914 · ·內景篇卷之一 氣 上氣 255

    3 木香勻氣散 1 3 · ·內景篇卷之一 氣 氣鬱 262

    4 新法半夏湯 0.340 1.02 · · ·內景篇卷之二 痰飮 痰病有十 寒痰 369

    5 木香散 1.163 3.489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滑泄 523

    6 加減木香散 0.480 1.44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飱泄 524

    7 平胃散   未記載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食積泄 525

    8 平胃散   未記載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酒泄 526

    9 赤石脂散 1.875 5.62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痢疾諸證 熱痢 538

    10 단방( )縮砂 3.75 11.25 · ·內景篇卷之四 大便 單方 561

    11 沃雪湯 0.052 0.156 · ·外形篇卷之一 頭 頭目不淸利 577

    12 玉屑無憂散 0.367 1.101 · ·外形篇卷之二 咽喉 獸骨骾 72213 溫胃湯 0.562 1.686 · · ·外形篇卷之三 胸 心痛有九種 冷心痛 739

    14 桂香散 1.216 3.648 · · ·外形篇卷之三 腹 腹痛有六 寒腹痛 770

    15 平胃散   未記載 · · ·外形篇卷之三 腹 腹痛有六 食積腹痛 772

    16 調氣散 1.071 3.213 · · ·外形篇卷之三 腰 腰痛有十 氣腰痛 788

    17 立效散 3.619 10.857 縮砂 三七枚 · · ·外形篇卷之四 前陰 諸疝治法 疝藥㿉 88018 縮砂散 1.25 3.75 · ·外形篇卷之四 後陰 脫肛 909

    19 衝寒散 0.673 2.019 · ( )·雜病篇卷之三 寒 下 痼冷 1140

    20 淸暑和中散 0.426 1.278 · ·雜病篇卷之三 暑 暑熱通治藥 1155

    21 萬病無憂散 0.356 1.068 · ·雜病篇卷之三 暑 暑熱通治藥 1155

    22 龍腦飮子 0.925 2.775 2~3錢· ·雜病篇卷之三 火 火有上中下三焦之

    ·異 上焦熱1175

    23 불명 0.803 2.409 1~2錢 · ·雜病篇卷之四 內傷 醒酒令不醉 1209

    24 葛花解酲湯 1.73 5.19 · ·雜病篇卷之四 內傷 醒酒令不醉 1209

    25 醉鄕寶屑 0.25 0.7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醒酒令不醉 1210

    26 龍腦湯 1.607 4.821 0.5 1錢 或 錢 · ·雜病篇卷之四 內傷 醒酒令不醉 1210

    27 穀神湯 1.07 3.21 1~2錢·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脾胃 則不思

    ·食不嗜食 穀神湯1218

    28 參苓白朮散 0.5 1.5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調補藥 1229

    29 五膈寬中散 1.5 4.5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1

    30 桃奴散 1.607 4.821 · ·雜病篇卷之六 積聚 腸覃石瘕血蠱證治 1362

    31 化氣湯 0.416 1.248 · ·雜病篇卷之六 積聚 息積病 1363

    32 平胃散   未記載 · ·雜病篇卷之六 積聚 諸物傷成積 1363

    33 金蟾散 3.619 3.619砂仁 七粒

    1 1日 回 服用·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氣脹 1391

    34 四香散 0.6 1.8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通治藥 1394

    35 二香散 1.67 5.01 · ( )·雜病篇卷之七 癰疽 上 癰疽五發證 1487

    36 五香白朮散 0.833 2.499 · ( )·雜病篇卷之七 癰疽 上 肺癰 1498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95

    (4) 丸劑

    개의 처방 중 을 제외한 개의 처방으로 일 복용량의 최소 최대 평균을 구하였다66 65 1 , , 入門大造丸

    의 일 복용량은 에서 최소 에서 최대 이며 평균은 (Table 4). 1 0.027g, 14.208g , 丸劑 龍腦膏 大鳳髓丹

    이다2.619g .

    Table 4. Dose conversion results of Amomi Fructus in pills

    37 단방( )獨聖散 7.5 22.5 · ·雜病篇卷之十 婦人 胎漏胎動 1655

    38 消食散 0.426 1.278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腹痛腹脹 1757

    No.Prescription

    name

    One

    dose (g)

    Daily

    dose (g)Remarks Chapter Page

    1 大鳳髓丹 4.736 14.208 · ·內景篇卷之一 精 精宜秘密 232

    2 秘眞丸 0.047 0.141 · ·內景篇卷之一 精 精宜秘密 232

    3 秘元丹 0.352 1.056 · ·內景篇卷之一 精 精滑脫屬虛 240

    4 撞氣阿魏元 0.064 0.192 · ·內景篇卷之一 氣 氣痛 259

    5 響聲破笛丸 0.333 0.333 1 1日 回 服用 · ·內景篇卷之二 聲音 因雜病失音 339

    6 四神丸 2.5 7.5 · ·內景篇卷之三 胞 帶下治法 459

    7 固本元 1.551 4.653 · ·內景篇卷之四 小便 赤白濁 506

    8 妙應丸 1.32 3.96 · ·內景篇卷之四 小便 赤白濁 507

    9 固腸丸 0.827 2.481 · ·內景篇卷之四 便 泄瀉諸證 519

    10 調中健脾丸 1.325 3.975 · · ·內景篇卷之四 大便 泄瀉諸證 脾泄 526

    11 水煮木香膏 0.234 0.702 · ·內景篇卷之四 大便 痢疾通治藥 547

    12 神功丸 0.661 1.983 · · ·外形篇卷之二 牙齒 牙齒動搖 牙齒脫落 698

    13 龍腦膏 0.009 0.027 砂仁 五粒 · ·外形篇卷之二 咽喉 單乳蛾雙乳蛾喉痺 711

    14 上淸元 0.3 0.9 兩作二十丸 · ·外形篇卷之二 咽喉 咽喉痛 715

    15 加減薄荷煎元 0.044 0.132 兩作三十丸 · ·外形篇卷之二 咽喉 咽喉痛 715

    16 龍腦川芎丸 0.034 0.102 兩作二十丸 · ·外形篇卷之二 咽喉 咽喉閉通治 720

    17 加味枳朮丸 1.077 3.231 · · ·外形篇卷之三 胸 心痛亦有六 胃心痛 741

    18 白螺殼丸 0.331 0.993· · , , 外形篇卷之三 胸 七情作心痛 食積痰飮瘀血

    ·皆作胃脘痛 痰飮胃脘痛744

    19 黃連消痞丸 0.903 2.709 · ·外形篇卷之三 胸 胸痞 749

    20 調中順氣丸 1.071 3.213 · · ·外形篇卷之三 脇 脇痛有五 痰飮脇痛 793

    21 四白丹 0.195 0.1951 1日 回 服用

    兩作十丸· ·雜病篇卷之二 風 精神蒙昧 1031

    22 上淸元 0.267 0.801 兩作二十丸· · ·雜病篇卷之三 火 火有上中下三焦之異 上焦

    熱1175

    23 七香元 0.205 0.61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消導之劑 1203

    24 穀神元 1.5 4.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消導之劑 1204

    25 丁香爛飯丸 0.47 1.41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消導之劑 1205

    26 養脾丸 1.25 3.7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補益之劑 1206

    27 八味理中丸 0.493 1.479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補益之劑 1206

  • 신상문 외 동의보감에서 사인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196

    28 滋脾丸 4.687 14.061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補益之劑 1206

    29 參苓壯脾元 0.34 1.02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補益之劑 1206

    30 千金養脾元 0.15 0.4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食傷補益之劑 1206

    31 百杯丸 0.436 1.308兩一作五丸

    砂仁 三十粒· ·雜病篇卷之四 內傷 醒酒令不醉 1209

    32 神仙不醉丹 0.25 0.75 · ·雜病篇卷之四 內傷 醒酒令不醉 1210

    33 寬中進食丸 0.649 1.947·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脾胃 則不思食不嗜

    食1216

    34 生胃丹 0.264 0.792·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脾胃 則不思食不嗜

    食1217

    35 啓脾元 0.357 1.071 兩一作十丸·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脾胃 則不思食不嗜

    食 1217

    36 三補枳朮丸 0.33 0.99· ·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病 始爲熱中 終爲

    寒中 1220

    37 麴朮丸 4.615 13.845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呑酸 吐酸 1222

    38平肝順氣保中

    丸0.132 0.396 · · ·雜病篇卷之四 內傷 呑酸 吐酸 1223

    39 參苓白朮丸 0.872 2.616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調補藥 1229

    40 砂糖元 3.409 10.227 兩作三十丸 · ·雜病篇卷之四 內傷 內傷調補藥 1231

    41 濟陰丸 1.05 3.15 · ·雜病篇卷之四 虛勞 陰虛用藥 1245

    42 入門大造丸 - - 測定不可 · ·雜病篇卷之四 虛勞 陰虛用藥 1246

    43 太極丸 0.882 2.646 · ·雜病篇卷之四 虛勞 腎虛藥 1255

    44 二神交濟丹 0.703 2.109 · ·雜病篇卷之四 虛勞 虛勞通治藥 1259

    45 回生養胃丹 0.65 1.95:制外

    猪肚一箇 獖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346 太倉丸 4.117 12.351 · ·雜病篇卷之五 嘔吐 噎膈反胃治法 1293

    47 紫沈丸 0.9 2.7 · · , 雜病篇卷之五 嘔吐 嘔吐噎 反胃 宜通大便嗝 129448 消積保中丸 0.674 2.022 · ·雜病篇卷之六 積聚 痞塊證治 1354

    49 增損五積丸 0.05 0.15 · ·雜病篇卷之六 積聚 積聚治法 1357

    50 痞氣丸 0.038 0.114 · ·雜病篇卷之六 積聚 積聚治法 1357

    51 香稜丸 0.365 1.095 · ·雜病篇卷之六 積聚 積聚治法 1358

    52 酒積丸 0.094 0.282 · ·雜病篇卷之六 積聚 諸物傷成積 1365

    53 三稜化積丸 0.095 0.285 · ·雜病篇卷之六 積聚 積聚癥瘕痃痞塊通治藥 1368

    54 桃奴丸 1.875 5.625 ·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血脹 1391

    55 中滿分消丸 1.19 3.57 ·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熱脹 1392

    56 蓽澄茄元 1.666 4.998 ·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通治藥 1395

    57 十將軍丸 1.875 5.625 · ·雜病篇卷之七 痎瘧 諸瘧證治 1438

    58 避難大道丸 0.031 0.093 · ·雜病篇卷之九 雜方 斷穀不飢藥 1626

    59 千金保胎丸 0.735 2.205 · ·雜病篇卷之十 婦人 半産 1657

    60 消疳丸 0.22 0.66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五藏疳 1741

    61 木香元 0.135 0.405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諸疳 1744

    62 消食丸 0.067 0.201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五藏疳 1751

    63 香橘餠 0.052 0.156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吐瀉 1754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97

    기타(5)

    에 속하지 않은 처방은 개이다 은 외용제로서 복용하지 않으므로 , , 4 (Table5.). 湯劑 散劑 丸劑 玉容散

    복용량을 구하지 않았다 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 중 . “ , 魚骨鯁 縮砂

    , , .”甘草末 綿裹含嚥 卽吐出 13)라고 하여 처방명과 복용량은 기재되어 있지 않았다 은 와 . 醍醐湯 膏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 후 물에 타서 복용하는 형태로 와는 다른 복용방법이며 회 , , 1湯劑 散劑 丸劑

    복용량에 대한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아 복용량을 구하지 못했다 은 떡과 같은 형태로 기재된 . 疳積餠

    방법으로 제조하였을 시 회 복용량은 이지만 하루에 몇 번을 먹어야 하는지 기재되어 있지 1 0.032g

    않아 회 복용을 가정하여 일 복용량을 으로 구하였다3 1 0.096g .

    Table 5. Dose conversion results of Amomi Fructus in other medicinal material forms

    고찰4.

    에서는 이 포함된 처방 개 중 특이한 형태의 개의 제형을 제외하면 개의 214 4 210東醫寶鑑 砂仁《 》처방은 로 나뉜다 각 처방의 복용방법을 살펴보면 단순히 처방명에 따른 제형분류방, , . 湯劑 散劑 丸劑

    법은 옳지 않은 방법이며 따라서 복용방법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와 를 비교해서 . 湯劑 散劑

    살펴보자면 는 라 하여 약을 썰어 음편의 형태를 취한 뒤 물에 넣어 달여 먹었고 ‘ ’湯劑 右剉 水煎服

    는 에서 라고 한 것처럼 약을 갈· · · “ , ”散劑 東醫寶鑑 湯液篇卷之一 湯液序例 湯散丸法 散者 細末也《 》아서 분말형태로 취한 후 “ , , , .”氣味厚者 白湯調下 氣味薄者 煎之和渣服 13)라 하여 기미의 에 ·厚 薄

    따라 달리 복용하였다 이 복용방법의 차이는 기재된 복용량에서도 볼 수 있다 의 경우 . . 湯劑 東醫寶《에서 · “ , ”鑑 集例 一貼七八錢或至一兩 藥味全而多寡適中》 13)라 하여 첩당 에서 까지가 1 7~8 1錢 兩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이에 따라 복용량이 기재되어있지만 의 경우 필요시 빠른 조제를 위해 분말散劑

    형태로 다량을 조제해 보관하기 때문에 기재된 량에 있어서 보다 많은 양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 湯劑

    같은 방법으로 처방을 분류했을 때 처방명과 복용방법이 다른 처방은 처방명은 인데 의 형태로 散 湯

    복용하는 것이 개이며 처방명은 인데 복용방법이 인 것은 개이다 의 경우 만들어야하23 10 . 湯 散 丸劑

    는 환의 크기와 환의 개수가 제시되어있으므로 이에 따라 처방명이 와 인 膏 餠 水煮木香膏 龍腦膏

    또한 에 포함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추론해볼 때 액체 상태로 복용하는 와 . 香橘餠 助胃膏 丸劑 湯劑

    고체 상태로 복용하는 은 처방명과 복용방법이 일치 하지 않을 수 있어 복용방법에 , , , 散劑 丸 膏 餠

    64 助胃膏 0.143 0.429 砂仁 二十箇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吐瀉 1754

    65 消積丸 0.072 0.216 砂仁 十二箇 ·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腹痛腹脹 消積丸 1757

    66 肉豆 丸蔲 0.845 2.535 ·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痘瘡諸證 泄瀉 1785

    No.Prescription

    name

    One dose

    (g)

    Daily

    dose (g)Remarks Chapter Page

    1 玉容散 - - 外用劑 · ·外形篇卷之一 面 面上雜病 598

    2 불명 - - 未記載 · ·外形篇卷之二 咽喉 魚骨鯁 721

    3 醍醐湯 - - · ·雜病篇卷之三 暑 暑熱煩渴 1152

    4 疳積餠 0.032 0.096 :制外 乾蟾 一箇 ·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五藏疳 1741

  • 신상문 외 동의보감에서 사인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198

    따라 제형을 분류하였다.

    이와 더불어 복용량을 구하기 위해 의 비도량형의 무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砂仁 東醫寶鑑《에서 에 대한 설명으로 ( ) “ , · . , 湯液篇 縮砂蜜 砂仁 又名砂仁 入手足太陰陽明 足少陰經 慢火炒令香》

    , ”挼去皮 取仁搗碎用 13)를 보면 평소에는 원형으로 보관하다가 으깨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의 . 砂仁

    사용 기준을 개수로 하는 것은 칭량이 필요하지 않아 편리했을 것 이다 그러나 의 크기가 일정하. 砂仁

    지 않으므로 개수로 사용하는 것은 정확한 양을 사용하기 어려워 점차 도량형단위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 예로 에서 의 회 복용량은 이지만 후대의 . 1退熱淸氣湯 東醫寶鑑 砂仁 七粒 袖珍經《 》 《驗神方》15)에서는 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비도량형으로 기재된 와 처방에서 개를 기. 7七分 湯劑 散劑 준으로 사용된 흔적이 있었다 에서는 혹은 이며 에서는 . 退熱淸氣湯 楡砂湯 金蟾散 七粒 七枚 立效散

    개를 가 아닌 로 표기함으로써 개씩 번 칭량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서로 21 7 3 . 二十一枚 三七枚

    다른 개를 번 무게를 측량한 결과 개의 평균무게는 이었다 이를 이용해 10 10 10 5.17 ± 0.7g . 砂仁

    개값을 구하면 이며 이는 인 에 근접한 값으로 보인다7 3.619g 1 3.75g .砂仁 錢

    의 복용량에 관한 고찰(1) 湯劑

    의 일 복용량은 에서 최소 에서 최대 이며 평균1 1.5g, , 11.25g , 湯劑 人參茯苓散 人參紫菀湯 黃芩湯

    은 이다 에서 의 기재된 당 복용량 중 도량형으로 기재된 것은 5.226g . 1 , , , 湯劑 砂仁 貼 二分 三分 五分

    이고 비도량형은, , , , 六分 七分 八分 一錢 一錢五分 로 전부 개이다 첩당 복용량 분포를 , 7 . 七粒 七枚

    살펴보면 번 번 번 번 번 번 번1 , 6 , 35 , 2 , 11 , 6 , 1 23 , 二分 三分 五分 六分 七分 八分 錢 一錢五分

    번 기재되어있으며 당 사이에 속하는 처방은 도량형으로 기재된 개 처방 중 대부2 , 1 ~ 86貼 五分 一錢

    분인 개 이다 비도량형으로 기재된 개의 처방 또한 범위 안에 속한다 편차가 큰 값을 77 . 2 7.238g .

    제외하고 첩을 일 복용량이라 가정했을 때 일반적인 의 일 복용량을 구하면 이다2 1 1 3.75~7.5g .砂仁

    의 복용량에 관한 고찰(2) 散劑

    는 원문에 회 복용량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지만 복용횟수에 대한 언급이 되어있지 않다 병의 1 . 散劑

    경중과 호전되는 정도에 따라서 복용횟수를 달리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회 복용을 가정하여 . 3

    일 복용량을 정하였다 의 일 복용량은 에서 최소 에서 최대 이1 . 1 0.156g, 22.5g散劑 沃雪湯 獨聖散

    며 평균은 이다 일복용량의 분포를 보면 이하 번 번 번 번, 3.714g . 1 1g 2 1~2g 12 , 2~3g 4 , 3~4g 7 ,

    번 번 이상 번이다 편차가 큰 값을 제외하면 이 의 복용량으로 적절4~5g 3 , 5~6g 3 , 10g 3 . 1~6g 散劑

    하다 이상 복용하는 처방은 단방 혹은 약재 가짓수가 개인 경우로 활용도가 낮은 처방으로 보인. 10g 3

    다.

    한편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용량을 구하였다 에서는 , . 木香散 金蟾散 木香散 砂仁

    뿐만 아니라 이 개수로 표기되어 있다 인용서인 , . 肉荳蔲 檳榔 世醫得效方《 》14)에서와 을 東醫寶鑑《 》비교해본 결과 과 에서 큰 용량 변화와 · · ( ) · ( )良薑 縮砂 厚朴 三分 七錢半 吳茱萸 胡椒 一分 二錢半→ →

    에서 도량형무게단위가 비도량형 무게단위로 바뀜을 보여주고 있다 이 처방에서 ( ) . 肉豆蔲 四錢 四箇→은 은 은 로 , , 木香 破故紙 一兩 赤芍藥 陳皮 肉桂 白朮 半兩 檳榔 一箇 世醫得效方ㆍ ㆍ ㆍ ㆍ 《 》14)과 東《

    의 용량이 같으며 이와 같은 관계를 고려할 때 醫寶鑑 世醫得效方》 《 》14)의 · · , 良薑 縮砂 厚朴 三分으로 기재된 용량은 로 생각된다 의 경우 의 용량을 구하기 위해 · . 4吳茱萸 胡椒 一分 誤記 肉豆蔲 箇

    개를 저울로 회 측량하여 평균값 을 구하였고 개의 무게는 로 인 10 3 39.54g 4 15.816g 4肉荳蔲 錢

    과 거의 차이가 없다 는 원형상태로 유통되었으며 정확한 용량을 맞추기 어려운 약재이므15g . 肉荳蔲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99

    로 칭량의 편리성을 위해 로 단위를 바꿨다고 추측된다 의 경우 의 무게를 구해야 하나 . 1箇 檳榔 箇

    이 원형상태로 유통되지 않으므로 측정하지 못하였고 를 으로 가정하여 구하였다1 1 .檳榔 箇 錢

    또한 은 의 조문을 보면 다음과· · · · ·金蟾散 東醫寶鑑 雜病篇卷之六 脹滿 脹滿治法 氣脹 金蟾散《 ≫같다. “ . , , , , , , 治氣鼓如神 大蝦蟆 一箇 以縮砂推入其口 使呑入腹 以滿爲度 用泥罐封固 火煆通紅

    , , , , , , , ”烟盡取出 候冷去泥 細硏末 爲一服 或酒 或陳皮湯調下 候散屁多 乃見其效 13) 이는 의 砂仁

    용량에 대해서 두꺼비 개의 입에 배가 더부룩해질 정도 을 밀어 넣는다 고 하여 의 용량을 ‘ 1 ’砂仁 砂仁

    추정하기 어려웠으나 에서 · · · · “ . 東醫寶鑑 雜病篇卷之六 浮腫 單方 蝦蟆 治水腫鼓脹如神 大蝦蟆 《 》, , , . , , , , , 一箇 以縮砂 七粒 推入其口 使呑入腹 用罐子盛 鹽泥封固 炭火煆通紅 烟盡取出 候冷去泥

    , . , , , . ”硏爲末 作一服 或酒 或陳皮湯送下 候撤屁多 乃效 卽下金蟾散也 13) 의 의 용량이 金蟾散 砂仁

    개이며 여러 번 나눠서 복용하지 않고 한 번에 복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회 복용량과 7 . 1

    일 복용량을 동일시하였다1 .

    의 복용량에 관한 고찰(3) 丸劑

    에서 의 복용량은 비도량형인 등 종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 , 東醫寶鑑 丸劑 梧子大 綠豆大 彈子大 《 》하였으며 에 , · · “ , , , 東醫寶鑑 湯液序例 湯散丸法 以藥升分之者 謂藥有虛實輕重 不得用斤兩 則以《 》

    ”升平之 13)라고 하여 환의 복용량을 도량형으로 기재하지 못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는 . 丸劑

    부피가 동일하더라도 부형제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구성된 약재에 따라 무게가 달라지므로 정확한 , ,

    방법은 환을 조제하여 실측하는 방법이 복용량을 구하기에 가장 정확하다 환 무게의 실측량에 대하여 .

    안 등 18)이 에 수록된 중 개를 실측 조사하였으나 이중 이 포함된 처방은 27方藥合編 丸劑 砂仁《 》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에 대하여 환을 제조하여 실측하는 것이 정확하나 어려움이 많이 따라 2 . 丸劑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규정 16)의 별표 한약 생약 제제의 제출자료를 참고하여 1 ( ) “ 1麻子大 丸

    54mg, 1 94mg, 1 289mg, 1 375mg, 1 1.25g, 綠豆大 丸 芡實大 丸 梧子大 丸 皂子大 丸 彈子大

    로 환의 무게를 정하였다 의 일 복용량은 에서 최소 에서 1 3.75g” . 1 0.027g, 丸 丸劑 龍腦膏 大鳳髓丹

    최대 이며 평균은 이다 의 일복용량의 분포를 살펴보면 이하 번14.208g , 2.619g . 1 1g 28 , 1~2g 丸劑

    번 번 번 번 번 번 이상이 번이다 편차가 큰 값을 10 , 2~3g 9 , 3~4g 7 , 4~5g 3 , 5~6g 2 , 7~8g 1 10g 5 .

    제외하면 이하가 적절한 의 복용량이며 처방에 따라 이상 복용도 가능하다5g 10g .丸劑

    종합하여 미기재 처방을 제외한 제형별로 일 복용량을 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는 개의 처방 1 88湯劑

    중 개가 범위 안에 포함되어있으며 는 개 처방 중 개가 범위 안에 포함79 3.75~7.5g , 34 29 1~6g 散劑

    되어 있고 에선 개 처방 중 이하 범위 안에 개가 포함되어있다 와 의 일 , 65 5g 57 . 1丸劑 散劑 丸劑

    복용량은 유사해보이나 에서는 사이가 가장 많고 에서는 사이가 많아 보다1~2g 0~1g散劑 丸劑 散劑

    는 가 복용량이 더 적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순으로 일 복용량은 . , , 1丸劑 湯劑 散劑 丸劑

    점점 적어진다 기존의 현대문헌에 제시한 일 복용량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약전. 1 4~8g《 》 6) 운, 《곡본초학 3~8g》 7) 중화인민공화국약전, 3~6g《 》 3) 중약대사전, 0.5~2 錢《 》 8)과 비교해 보면 의 결湯劑과는 기존 일 복용량과 비슷하며 는 기존의 일 복용량보다 적은 것을 알 수 있다1 , 1 .散劑 丸劑

  • 신상문 외 동의보감에서 사인의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

    200

    결론

    에 이 포함된 처방을 정리하여 처방명이 아닌 복용방법에 근거하고 개수로 표기된 東醫寶鑑 砂仁《 》은 개를 실측한 평균이 임을 이용하여 의 일 복용량을 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7 3.619g 1 .砂仁 砂仁

    1. 에 사용된 일 복용량은 최소 최대 평균은 이다 편차가 큰 값을 제외한 1 1.5g, 11.25g, 5.226g . 湯劑

    일반적인 일 복용량은 이다1 3.75g~7.5g .

    2. 에 사용된 일 복용량의 최소 최대 평균은 이다 편차가 큰 값을 제외1 0.156g, 22.5g, 3.714g . 散劑

    한 일반적인 일 복용량은 이다1 1~6g .

    3. 의 일 복용량의 최소 최대 이며 평균은 이다 편차가 큰 값을 제외1 0.027g, 14.208g , 2.619g . 丸劑

    한 일반적인 일 복용량은 이하이다1 5g .

    기존의 현대문헌에서 제시한 일 복용량은 의 일 복용량과 비슷하며 의 일 복용1 1 , 1湯劑 散劑 丸劑

    량은 기존의 일 복용량보다 적었다 본 연구는 에 을 포함한 처방만을 대상으로 1 . 東醫寶鑑 砂仁《 》했기 때문에 자세한 결과를 얻기 위해선 다른 의서나 다른 한약재에서도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

    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사업 지원에 의한 연구임2018 [S2521917].

    참고문헌

    1.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Boncho-hak[Herbology]. Seoul:Y

    eonglimsa. 2007:336-8.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The Korean Pharmacopoeia 11thed. Seoul: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1815-6.

    3. Pharmacopoeia Commis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5 ed. Beijing :China Medical Science Press. 2015:253.

    4. Th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ese Pharmacopoeia 17th edition. The MHL

    W Ministerial Notification No.64. 2016 Mar 7th.

    5. Ministry Health and Welfare. Taiwan Herbal Pharmacopeia 2nd edition. Taipei:Committee on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3:164-6.

    6. The Pharmacopoeia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7th edition. Pyongyang:Medical

    science publisher. 2011:401-2.

    7. Ju YS. Ungok Herbology. 2nd ed. Jenonju:Woosuk Press. 2013:691.

    8. The encyclopedia of oriental herbal medicine[ ]. Seoul:Jungdam Press. 2006:1981-中藥大辭典

    6.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8;6(2):187-20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201

    9. Kim HG et al. Scientific conversion on the Korean Pharmacopeia of Crude Drug. Seoul: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4:15.

    10. Kim IR. Daily Dose of Apricot Kernel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Korean J Herbolo

    gy. 2017;32(6):17-22.

    11. Kim IR. The Daily Dose and Decoct Method of Rhubarb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aease

    s. Korean J Herbology. 2016:31(3);37-41.

    12. Kim HW, Shin WC, Sim SY, Sim CM, Yeo SM, Cho SI. The study of preventive effects of

    Fructus Amomi on miscarriage in Dongeui-bogam. Korea J Herbology. 2007;22(4):247-52.

    13. Heo J. Donguibogam[ ]. Joseon period, 1613. In: Sinjeungbo Daeyeok Donguib東醫寶鑑

    ogam[New Enlarged Translation of Donguibogam], translated ed. Seoul:Bubin publishers.

    2012:1294,1816-7,1817,721,1815,62,2048-9,1391,1385,1814.

    14. Wei YL. Seuideokhyobang[ ]. Yuan[ ] period. 1345. Seuideokhyobang[世醫得效方 元 世醫得效

    ] 3rd ed.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97:244.方

    15. Lee YJ. Sujin-gyeongheom-sinbang[ ], . 1913. Seoul:Gyechuk Munwha pr袖珍經驗神方 下卷

    ess. 1975:87-8.

    16. MFDS Biopharmaceuticals and Herbal Medicine Evaluation Department. A Study on the Reg

    ulations for the Permit and Report of the Products of Korean Medicine (Herbal Medicine).

    Seoul: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242. Available from : http://www.nifds.go.kr/

    nifds/03_info/sub_02.jsp?mode=view&board_no=167&article_no=9973

    17. Kim SB, Nha YA. Review on the Ancient korea Length, Weight and Volumetric Measure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994;4(1):1-18.

    18. An DS, Park YS, Lee DH, Park JH, Nam BNR, Kim YK, Lee JC, Lee BK. Measuring a Dosage

    of Pills Type Medicine in Bangyakhappyun. Herbal formula science. 2014;22(2):77-85.

    The Author(s) 2018, khm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