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실내건축학개론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실내건축학개론

Page 2: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2014년 1학기수업시간 : 수/목 16:00-17:50상담 및 교과지도시간 : 수/목 18:00-20:00담당교수 : 지수인 [email protected]

실내건축학개론

가천대 실내건축학과

Page 3: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목차

·제1강 강의 소개·제2강 실내디자인 개설·제3강 실내디자인의 기본디자인 인간공학과 실내·제4강 실내디자인의 미적 가치 실내디자인의 미적 요소·제5강 실내디자인의 미적 가치 공간디자인의 구성원리·제6강 실내디자인의 미적 가치 실내디자인과 색·제7강 실내공간구성의 기법 공간의 분할과 연결·제8강 중간고사·제9강 실내공간구성의 기법 오픈플래닝·제10강 실내공간구성의 기법 그리드플래닝·제11강 실내공간구성의 기법 시스템디자인·제12강 실내디자인의 제요소 실내기본요소 바닥.천장·제13강 실내디자인의 제요소 실내기본요소 벽, 기둥·제14강 실내디자인의 제요소 실내기본요소 개구부·제15강 실내디자인의 제요소 실내재료 목재·참고문헌

가천대 실내건축학과

Page 4: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제9장

실내공간구성의 기법

-오픈 플래닝

Page 5: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각기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공간에서내부공간의분할을 최소한으로나누어계획.

-하나의전체공간을고정된 벽체로여러 개의 실로 구획하지 않음

-폐쇄된실로 구획하는 대신에 필요한영역만을칸막이 벽(partition)으로구획하여 사용

(1)오픈플래닝(Open Planning)

(ⅹ)

(○)

오픈 플래닝 방법

Page 6: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오픈 플래닝의 구성방법

-바닥높이차이, 천장내림, 알코브, 마감재료 차이등의 기법으로 공간구획

-고정된벽체보다 이동적인칸막이 사용

-칸막이의불투명, 반투명, 투명재료를사용해시각적 프라이버시조절

-물 쓰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적용

오픈플래닝을적용한사례

Page 7: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오픈 플래닝의공간 효과

·전체공간이한눈에 지각됨. 내적 개방감 상승. 좁은 공간에 효과적

·자유로운활동 패턴.활동패턴이연결될 수 있는 기능의 공간들의 연결과통합(거실-식당, 침실-작업실)

·유동적공간

Page 8: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오픈 플래닝의보완점

·시각적, 청각적 프라이버시낮음

·시선과소리에 대한 완충시설 고려부분벽, 바닥 높이 조절 등을 이용한 보호된영역 구성.흡음재(카펫, 코르크, 패브릭)고려

Page 9: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1)원룸시스템(one room system)

-오픈 플래닝의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공간사용의극대화를 꾀함

-공간 효과·기본적인사면의 벽 이외의 칸막이 벽 제거. ·주어진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여러 가지 기능의 실들을 한 곳에 집약시켜생활공간을구성하는 1인 다용도 방식)

·좁은공간의 활용에 적합.

·작은규모로도 편리하고 효율적인공간계획.독신, 신혼부부, 노부부 등의 주거공간에적용.기숙사,호텔, 콘도미니엄, 오피스텔, 작업실 등에 적용

거실 침실

식당/주방

원룸 플래닝의 사례Sky House, Kiyonori Kikutake (1958)

Page 10: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통행에필요한 공간을 따로 구획하지않아 그로 인한 공간손실이없음. 데드 스페이스를만들지 않아 공간 사용의 극대화를도모.

·제한된공간에서 벗어나므로공간 활용이 자유로워 자유스러운가구배치가가능. (간편하고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나 다양한 기능을 구사하는 다목적 가구를 사용)

·키 높은 수납장을 칸막이로 하거나 스크린이나커튼 블라인드를이용해 필요한 부분에 벽면을대신해영역을 구분하면 공간을 융통성 있게 사용)

Page 11: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보완점

·소음조절. 시선이 완전히 통제되지 않음.

·개인적프라이버시결여.

·항상깨끗하게 유지해주어야함.

·냉난방으로인한 에너지 손실이 많아 비경제적.

·시선차단을통한 적절한 프라이버시영역을 구획. 방음 천장과 벽의 차음장치, 가구와 커튼 사용, 바닥재등의 흡음재 사용.

·별도로마련된 수납공간(창고)이없음

Page 12: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2)클로즈드플래닝(closed planning)-오픈 플래닝과반대개념의계획

-공간효과

· 일정한 활동 행위의 기능을 위해 각기 독립된여러 개의 실로 연결하여 구성

·프라이버시가완전히 보장됨으로써서로 대립된활동행위들이방해 없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음.

·유지관리를부분적으로다르게 조절할 수 있음

·사용하지않는 공간을 폐쇄하여 에너지 절약

·폐쇄된독립 실로 구획하므로실 안에서의 활동행위를 고려해 적정규모로 계획되어져야함.

클로즈드 플래닝을 적용한 사례

Page 13: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보완점

·공간사용의융통성이 부족하므로다목적으로사용될 수 있는 방안 모색

Page 14: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3)다목적이용계획

-기능을겸용, 복합, 다각화를 모색하여계획

-목적미래에기능 다양화가 필요하거나새로운 기능의 출현또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기능의 질적 변화에 대응

-계획 방법

·유사한기능과 성격의 겸용. 같은 종류의 기능 겸용.

Page 15: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계획 유형 : 다목적 공간과 다목적 가구

① 다목적 공간

-특정한사용목적에대응하는 공간이 아니라다목적 사용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비교적큰 공간으로 처리.복수의 사용목적을겸용-Mies van der Rohe의유니버설 스페이스(universal space)·다목적공간개념.다목적이용이 가능한 무한정 공간

Page 16: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②다목적가구

-두 개 이상의 기능을 겸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가구

-소파와침대로 사용하는 소파베드(sofa bed), 소형테이블과 웨곤을 겸하는 테이블 웨곤(table wagon),놀이기구나의자를 겸할 수 있는 어린이용 가구 등

1.Heavy Study Chair (1998. Lars Tingskov Mikkelsen)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Page 17: 실내건축학개론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jeesooin/7.pdf · 2.Valet Chair의 책꽂이 (1953. Hans Wegner)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 . 2.책상

1.접이식 침대 Karen Babel 설계2.책상 겸용 접이식 침대 T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