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조기교육과 아이들의 삶 · 2014. 8. 25. · 4_ ! s e 7¡) 7¢£?@¤¥ ¦§¨ ©¤s ¦ s7 £ª« ¬© !®¯ ¦z ¤ ¦z{°!*iz67±{² u6c ³ZX ´ZµYVU- . U¶67# · ¸4_¹ºOe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생태유아교육연구

    2009. 제8권 제3호 , 137 - 149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Preschool Children Creativity Relative to Play Style and

    Mother's Rearing

    이 채 호(Chae-Ho Lee)* ․ 이 찬 숙(Chan-Sook Lee)**

    요 약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

    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4곳의 유아 214명의 어머니 및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수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기술통계,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며보면 유아의 창의성과 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

    이, 정서놀이, 운동놀이에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비놀이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

    지 않았다. 또한 양육태도에서는 자율적양육태도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통제적양

    육태도와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결과 인지놀이가 가장 높은 설

    명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음으로 운동놀이, 애정적양육태도 순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주제어 창의성(creativity)

    놀이유형(play style)

    어머니양육태도(mother's rearing)

    ※ 논문 접수 : 2009. 07. 30 / 수정본 접수 : 2009. 09. 04 / 게재 승인 : 2009. 09. 10

    *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박사수료(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강사

  • Ⅰ. 서 론

    우리사회는 무한경제체인 글로벌 시대로 급변하여 국내경쟁뿐만 아니라 국제경쟁체제로

    변화함에 따라 자신이 속한 조직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의 주요한 원동력으로 간주되

    고 있으며(Northouse, 2001), 앞으로 다가올 미래사회의 핵심적인 가치로 창의성은 그 중

    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오미형․최보가, 2007; 최인수, 1998). 때문에 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교육에 역점을 두고

    있다(성은현․조경자, 2005). 과거 창의성이라 함은 특별한 사람만이 지닌 능력이라고 생

    각했었으나 오늘날에 창의성은 누구에게나 있고, 또 길러질 수 있다는 논리가 일반적이다

    (Runco, 1996; 2007). 이러한 관점들에 비추어 창의성은 특수한 소수의 천재들만이 가지

    고 있는 능력이 아닌 모든 인간이 지닌 보편적인 능력이고 그 잠재력은 누구에게나 존재

    할 수 있는 자연적인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Ericsson & Smith, 1991). 이렇게 보편적인

    성격을 함유하고 있는 창의성은 교육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창의성은 어

    느 정도 환경의 조성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투입으로 증가 될 수 있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Bloom, 1985; Yager, 1989).

    특히 Torrance(1976), Runco(1996), Amabile(1996)는 창의성의 개발 및 증진하기 위해

    서는 무엇보다 유아기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이 시기는 창의성 발달의 중요한 시기라

    하고 있다. 유아기의 창의성이 중요한 이유는 태어날 때부터 지능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

    처럼, 창의성 역시 선험적인 능력으로 지능이 발달하듯 창의성도 발달하기 때문이라고 하

    고 있다(Csiikszentmihalyi, 1996). 또한 Gardner(1993)는 인간은 어느 특정영역에서 선천

    적으로 재능 혹은 창의적 잠재력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특히 유치원시기의 활동은 다양한

    분야의 흥미를 신장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경험을 제공하므로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주장하였다. 국내의 연구에서도 전경남(1999), 전경원(2005), 김춘일(2000)의 연구에서도

    유아기는 성인에 비해 사고의 양식이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상상력을 가지고 사물을 관찰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창의성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보

    고하고 있다. 이러한 유아에게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부모이다. 부모는 유아와

    의 상호작용과 더불어 유아가 접근할 수 있는 대부분의 환경을 조절하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아에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친다.

    Amabile(1989)의 연구에 의하면 창의적인 아동들의 부모와 창의적이지 못한 아동들의

    부모들의 태도는 다르게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창의적인 아동의 부모는 자녀의

  •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3

    의견을 존중하고,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하며, 아동 스스로 많을 것을

    결정하도록 하였으며, 창의적이지 않은 아동의 부모는 부모가 일을 직접지시하고 일에 대

    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지시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Gardner(1993), Michel & Dudek(1991), Runco(1992), Snowden(1994)의 연구에서도 부

    모의 양육태도(방식)가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유아 창의성에 영향을 미

    치는 부모양육태도와 관련한 국내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통

    제적 태도가 유아의 창의성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음 보여주고 있는 연구(김강두, 2004; 김

    향순, 2005; 장명희, 2003; 최익정, 2002; 홍명희․이경님, 2007)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성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장명희, 2003; 한봉진, 2002; 홍명

    희․이경님, 2007)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정의숙(2004), 김반재(2008)의 연구에서는 부

    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관계연구가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유아가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유아교육기관이 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

    어지는 활동은 대부분 놀이 활동이다. 이러한 놀이는 유아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세계와

    접촉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매개체이다(홍정효․황해익, 2007). 즉 놀이는 유아의 자유로

    운 활동으로 어떠한 제약도 없이 자신의 생각을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

    문에 놀이를 통해 유아의 사고와 창의성은 보기 풍부해 질 수 있다. Torrance(1963)에 의

    하면 놀이하는 유아들은 능동적이고 도전적이며 재미있어 보이며 놀이를 하는 그룹 내에

    서 스스로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 내기도 사고와러한 것은 유아의 사고기술과 창의성을

    보여주는 통로이며 성인 의듸 다음에 내에을 좌우하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또

    한 Lieberman(1977)@1963)에 높은 유아일수록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자발3)에 높으

    며, 즐거움의 표현과 유머감각)에 풍부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Barnettr & Kleiber(1982),

    Dansky(1980)의 연구에서도 놀이와 창의성이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놀이와

    유아 창의성간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고소영(2003), 김혜숙(2007), 박정옥과 김준희(2000), 임승희와 이채호(2008)의

    연구결과에서도 놀이와 창의성이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유아 창의성과 양육태도, 유아 창의성과 놀이간의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유아 창의성과 양육태도간의 일관된 연구결과를 보

    여주지 못하고 있고, 창의성과 놀이간의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유아교육기관에서 이

    루어지는 다양한 놀이에 대한 연구들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창

    의성과 양육태도간의 관련성에 대한 알아보고 유아의 다양한 놀이유형 중 어떠한 놀이가

  • 유아 창의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유아 창의성개발 프로그램을 제작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창의성, 놀이유형 및 어머니양육태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

    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4곳의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14명(남아:

    119, 여아: 95)의 어머니 및 유치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 및 유아의 어머니

    는 유아의 일상적 행동 관찰 결과를 기초로 객관적으로 유아를 평정하게 하였으며 본 연

    구에 참여한 교사는 10명으로 교사들의 평균 근무경력은 6년 3개월이다. 연구대상의 표집

    은 서울시에 위치한 4곳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의 학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

    으로 250부의 설문지를 실시하여 232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충실히 응

    답하지 않은 설문지 18부를 제외한 21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2. 연구도구

    1) 유아 창의성 척도

    본 연구에서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노영희․김경철․김호(2006)가 개발한 ‘교

    사용 유아 창의성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문항별 척도는 Likert의 6점 척도로서 ‘아

    주 많이 불일치한다’의 1점에서부터 ‘아주 많이 일치한다’의 6점으로 응답하도록 되어있고,

    유아교사의 창의성척도의 하위요인 및 신뢰도는(Cronbach α)는 확산적 사고(8문항) .95,

    호기심(9문항) .96, 몰입(7문항) .93, 탈 규범성(6문항) .90, 독립성(3문항) .85로 총 33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신뢰도(Cronbach α)는 .97로 나타났다.

  •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5

    2) 유아 놀이 척도

    본 연구에서 유아의 놀이유형을 측정하기 위한 평정도구는 지성애(2007)가 개발한 ‘유

    아놀이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문항별 척도는 Likert의 5점 척도로서 ‘매우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으로 응답하도록 되어있고, 유아놀이척도의 하위

    요인 및 신뢰도는(Cronbach α)는 인지놀이(8문항) .938, 언어놀이(8문항) .92, 사회놀이

    (8문항) .91, 정서놀이(8문항) .87, 운동놀이(9문항) .92, 비놀이(4문항) .81으로 총 45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신뢰도(Cronbach α)는 .97로 나타났다.

    3) 어머니양육태도 척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Schaefer(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하여 만든 양육태도 검사도구이다. 문항별 척도는 Likert

    의 5점 척도로서 ‘전혀 아니다’의 1점에서부터 ‘아주 그렇다’의 5점까지 응답하도록 되어있

    다.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도구의 하위요인 및 신뢰도는(Cronbach α)는 애정적(12문항)

    .76, 자율적(12문항) .86, 거부적(12문항) .78, 통제적(12문항) .79으로 총 48개 문항으

    로 전체 신뢰도(Cronbach α)는 .85이다. 각 변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각 변인에서의 양육

    태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위해 각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를 구하고 간 변인들의 간의 관계를 알아 보

    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

    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SPSS program을 통해 분석을 하였다.

  • Ⅲ. 연구결과

    1. 유아 창의성과 놀이유형, 어머니양육태도간의 관계

    유아 창의성, 놀이유형, 어머니양육태도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과 같다.

    창의성, 놀이유형, 어머니양육태도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N Min Max M SD

    유아창의성 214 76 165 126.25 18.40

    인지놀이 214 16 39 27.54 4.33

    언어놀이 214 15 39 27.61 5.11

    사회놀이 214 16 38 28.41 4.23

    정서놀이 214 16 37 27.62 4.46

    운동놀이 214 18 44 32.10 5.27

    비놀이 214 6 19 12.73 2.68

    애정적양육태도 214 32 57 45.34 5.80

    거부적양육태도 214 24 54 37.75 5.37

    자율적양육태도 214 26 53 39.81 4.85

    통제적양육태도 214 16 48 30.93 5.32

    유아 창의성과 놀이유형 및 어머니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는 와 같다.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아 창의성과 ‘인지놀이’(r=.65, p

  •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7

    창의성, 놀이유형, 어머니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

    1 2 3 4 5 6 7 8 9 10 11

    1 1

    2 .63** 1

    3 .58** .78** 1

    4 .51** .78** .78** 1

    5 .45** .71** .68** .78** 1

    6 .55** .68** .74** .75** .73** 1

    7 -.13 -.10 -.01 -.08 -.07 -.14* 1

    8 .12 .00 .01 .04 -.01 .04 -.19** 1

    9 -.04 -.02 -.06 .03 -.02 -.05 -.03 .36** 1

    10 .17* .09 .10 .11 .02 .06 -.04 .43** .26** 1

    11 -.15* -.09 -.15* -.09 -.12 -.12 .04 -.31** .24** -.01 1

    1.유아창의성, 2.인지놀이, 3.언어놀이, 4.사회놀이, 5.정서놀이, 6.운동놀이, 7.비놀이,

    8.애정적양육태도, 9.거부적양육태도, 10.자율적양육태도, 11.통제적양육태도

    *p<.05, **p<.01

    2. 유아 창의성에 대한 놀이유형 및 어머니양육태도의 영향력

    회귀분석 시 다중공선성은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다중공선

    성이 높은 독립변수는 회귀분석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을 진단하

    기 위해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즉 분산팽창계수를 사용하여 판단하는데 일반적으로

    10을 넘지 않으면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김계수, 2004). 본 연구에서

    는 VIF가 1.84 이하로 다중공선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유형(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

    놀이, 비놀이) 및 어머니양육태도(애정적양육태도, 거부적양육태도, 자율적양육태도, 통

    제적양육태도) 변인들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 창의성을 종속변인

    으로 하고 놀이유형의 하위요인과 어머니양육태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들에 대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과 같다.

  • 유아 창의성에 대한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의 중다회귀분석 결과

    B β t R2 Adj R2 F

    1 인지놀이 2.68 0.63 11.87*** 0.40 0.40 141.01***

    2인지놀이 2.06 0.49 6.85***

    0.43 0.42 78.01***운동놀이 0.76 0.22 3.07**

    3

    인지놀이 2.08 0.49 6.97***

    0.44 0.43 54.57***운동놀이 0.73 0.21 2.99**

    애정적양육태도 0.36 0.11 2.20*

    *p<.05, **p<.01, ***p<.001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아 창의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인지놀이’가 유의한 설

    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창의성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인지놀이(F=141.01,

    p

  •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9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놀이성과 창의성에 대한 연구여서 다양한

    놀이(놀이유형)와 창의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유아 창의성과 어머니양육태

    도에서는 유아 창의성과 자율적 양육태도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는 장명희(2003), 한봉진(2002), 홍명희와 이경님(2007)의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

    다. 즉 자율적 양육태도를 가진 부모는 방임적 양육형태로 유아가 하는 행동에 대해 아무

    런 간섭을 하지 않으므로 유아가 다양한 활동이나 행동을 할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함으로

    써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유아 창의성과 통제적 양육태

    도간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나 김강두(2004), 김향순(2005), 장명희(2003), 최익정(2002),

    홍명희와 이경님(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게 나타났다. 즉 통제적양육태도는 유아가 규

    칙에 어긋나거나 새로운 행동을 했을 시 부모는 그러한 행동에 대해 제재를 가하게 되면

    유아는 그러한 새롭고 개방적인 행동이 감소하여 유아의 창의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Grzeskowiak, 1996). 그러므로 부모 및 교사들은 이러한 양육태도를 지양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둘째, 유아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유형 및 어머니양육태도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

    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 창의성은 인지놀이에 운동놀이, 애정적양육태도가 추

    가될수록 그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창의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인지적인 능력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유아가 다양한 활동

    이나 행동을 할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하는 애정적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하나의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유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을 제작

    함에 있어 인지놀이와 운동놀이를 포함한 부모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만 5세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여

    놀이유형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놀이유형을 교사가 평정하게 하였으나 교사가 학급인원들을 모두 상세하기 관찰하기에 어

    려움이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놀이유형을 직접 관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

  • 참 고 문 헌

    고소영(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강두(2004). 유아의 연령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 창의성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계수(2004).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김반재(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 어린이집 만 3세-5세를 대

    상으로. 아주대하교 석사학위논문.

    김춘일(2000). 창의성 교육, 그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김향순(2005).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혜숙(2007).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전통놀이의 교육적 가치. 아동교육, 16(1),

    173-184.

    노영희․김경철․김호(2006).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23-44.

    박정옥․김준희(2000).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의 관계. 아동교육학회, 9(1), 11-28.

    성은현․조경자(2005). 예비 유아교사의 내외통제성, 자기효능감,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31-52.

    오미형․최보가(2007).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정의적, 인

    지적 변인간의 인과관계. 한국아동학회, 28(2), 55-70.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과 및 양육태도와 유아 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승희․이채호(2008).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 다중지능 간의 구조

    모형 분석. 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2(3), 295-318.

    장명희(2003). 어머니의 내, 외향적 성격유형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

    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경남(1999). 창의성 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경원(2005).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정의숙(200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 정서지능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11

    지성애(2007). 유아놀이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1), 65-84.

    최익정(2002).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인수(1998).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질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7(1),

    25-47.

    한봉진(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홍정효․황해익(2007). 자연놀이의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

    보육연구, 13, 1-15.

    홍명희․이경님(2007). 유아의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3), 145-168.

    Amabile, T.(1989).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Buffalo,

    NY: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Press.

    Amabile, T.(1996).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view Press.

    Barnett, L. A. & Kleiber, A. K.(1982). Concomitants of playfulness in early

    childhood cognitive abilities and gender.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1(1),

    115.

    Bloom, B. S.(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Ballantine, New York.

    Csikszentmihalyi, M.(1996). The Creative Personality. Psychology Today, 29(4).

    36-40.

    Dansky, J. L.(1980). Cognitive consequences of sociodramatic play and exploration

    training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preschool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 47-58.

    Ericsson, K. A., & Smith, J.(1991). Toward a General Theory of Expertise:

    Prospects and limi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Gardner, H.(1993).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Grzeskowiak, S.(1996). Curiosity in small children and the childrearing style of their

    mothers. In A. Cropley & D. Dehn (Eds.), Fostering the growth of high

    abilbity: European perspectives. Norwook, NJ: Ablex.

    Lieberman, J. N.(1977). Playfulness. N. Y. : Academic Press.

    Michel, M., & Dudek, S.(1991). Mother child relationships and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3), 281-286.

  • Northouse, P. G.(2001). 리더십(김난현, 김정원 역). 서울: 경문사(원저 2001 출판).

    Runco, M. A.(1992). Creativity as an educational objective for disadvantaged students.

    Storrs,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Runco, M. A.(1996). Creativity and development: Recommendations. In M. A.

    Runco(Ed.), Creativity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The developmental

    issues, San Francisco: Jossey Bass.

    Runco, M. A.(2007).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California: Elsevier Academic Press.

    Schaefer, E. S., Bell, R. Q., & Bayley, N.(1959). Development of Materi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95, 83-104.

    Snowden, P. L.(1994). The role of parents of precocious children: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gifted and talented. parental invol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Torrance, E. P.(1963).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 Wood cliffs : Prentice-Hall.

    Torrance, E.P.(1976). Guiding creative talent. New York : Robert E. Krieger.

    Yager, R. E.(1989). Development of student creative skill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 196-203.

  •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13

    Abstract

    A Study on Preschool Children‘s Creativity Relative to

    Play Style and Mother's Rearing

    Chae-Ho Lee ․ Chan-Sook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chool children's creativity relative to play

    style and their mother's rearing. Participants included a combination of tatal 214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in Seou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r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made between

    cognitive, language, social, emotional and movement play of preschool children's and

    creativity and between autonomous rearing and creativity. However, negative correlations

    were drawn between non-play of preschool children and creativity, and between control

    rearing and creativity. Second, creativity was predicted by cognitive play, movement play

    and affection-re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