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 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및 진출전략수립

Page 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

목< 차>

Page 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

1. 9

2.

3. , ,

4.

Page 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

가 일반현황.

말레이반도남단의 서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섬 북단의 동말레이시아로 구○

분되며 개의 주와 개의 준 연방주 개의 직할시 쿠알라룸푸르 라부13 1 3 ( ,

안 푸트라자야 로 구성되어 있음, )

연평균기온 연평균 강우량 의 열대우림형의 고온다습한27 , 2,410mm○ ℃

기후로 전국에 걸쳐 밀림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높은 생물다양성

의 특징을 나타냄.

그림 말레이시아 지도< 1-1 >

자료 : World Fact Book 2008

고온다습의 열대성 기후로 적도지역에 위치하여 계절 변동이 없고 습도가 매○

우 높은편

연중 기온차이는 도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온도 변화가 없는데 낮 기온은2○

도까지 올라가고 밤에는 도까지 내려가며 습도는32~34 21~24 70~90%

Page 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

정도로 매우 높은 편임

몬순 영향으로 강우량에 따라 건기 우기로 나눌 수 있는데 반도 동해안은○

월 사이가 가장 강우량이 많고 월이 가장 건조한 편인 반면 반도11~1 , 6~7

나머지 지역은 월과 월에 가장 많은 비가 내리고 월과10~11 4~5 , 1~2

월은 비가 적게 오는 것이 특징6~7

최근에는 환경 변화에 따른 기상 이변으로 건기 및 우기의 구별이 예전만큼○

뚜렷하지 않은 편이며 바람이 거의 없는 편이지만 몬순 시즌에 따라 약간의,

변화가 있음

남서 몬순은 월 기간으로 노트 이하의 가벼운 남서풍이 불고 북동5~9 15 ,○

몬순은 월 사이에 노트의 북동풍이 부는데 특히 반도 동해안은11~3 10~20

노트 정도의 강한 바람이 불어 섬에 있는 휴양지들은 이 기간 중 문을 닫30

기도 함

표 말레이시아의 국가일반 개황< 1-1 >

국 가 명 말레이시아

정치형태 내각책임제

행정구역개의 주와 개의 연방준주 개의 직할시 쿠알라13 1 , 3 (

룸푸르 라부안 푸트라자야 로 구성됨, , )

수 도 쿠알라룸푸르 년 푸트라자야로 이전예정(2010 )

면 적 329,750㎢

기 후 고온다습한 열대성 기후

인 구 만명 년 기준2,527 (2008 )

민 족말레이계 중국계 원주민50.4%, 23.7%, 11.0%,

인도계 기타7.1%, 7.8%

Page 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

자료 : World Fact Book 2008

나 경제현황.

의 실시Vision 2020□

마하티르 전총리가 년 제창한 장기적인 국가 개발 청사진으로 경제성91○

장과 공평한 분배가 실현된 이상적인 선진국가를 년까지 달성함이2020

목표

연평균 성장 년 인당 국민소득 만불 달성- 7% , 2020 1 1

을 위한 실천 방안으로서 경제의 자율화 개방화 민영화 수Vision 2020 , , ,○

출 및 고용의 확대 사회간접자본 확충 및 인적자원개발 국제경쟁력 강, ,

화에 정책의 우선 순위 부여

거시경제 현황 및 시장규모□

년 기준 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는 말레이시아는2007 6.3% GDP○

년 역시 의 경제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2008 6.0~6.5% .

언 어공식적으로는 어가 모국어Bahasa Malaysia

영어 중국어 등 병용,

종 교이슬람교 불교 기독교 힌두60.4%, 19.2%, 9.1%,

교 등6.3%

시 차 한국보다 시간 늦음1

경제지표

년(2007

기준)

G D P 억불1,865

경제설장률 6.3%

교 역수출 억불: 1,212

수입 억불: 957

환 율 년 월 기준US$ = 3.17RM(2008 5 )

Page 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

표 말레이시아의 거시경제지표< 1-2 >

자료 말레이시아 통계청:

말레이시아의 수입시장 규모는 지난 년이래 지속된 이상의 고도1988 8%○

경제성장에 힘입어 년 억 달러를 초과하였으나 년 외환위기1996 780 1997

로 수입시장이 다소 위축

년에는 경제위기에 따른 환율하락으로 인해 현지화 기준으로는 수입1998○

이 증가되었으나 달러 기준으로는 전년동기 대비 무려 줄29.8% 25.9%

어든 억 달러를 기록584

이후 말련 경제회복에 따른 수입수요의 증가로 년 수입실적은, 2000 827○

항목 년2005 년2006 년2007

인구 백만( ) 26.1 26.6 27.2

노동인구 백만( ) 11.3 10.6 10.9

실업률(%) 3.5 3.3 3.3

실질 십억GDP(USD ) - 134 152

인당 명목소득1 - 5,904 6,425

경제성장률(%) 5.2 5.9 6.3

농수산업- 2.5 6.4 2.2

광업- 0.8 -0.2 3.2

제조업- 5.1 7.0 3.1

건설업- -1.6 -0.5 4.6

서비스업- 6.5 6.5 9.7

물가

소비자 물가지수 전년대비- ( ) 3.0 3.6 2.0

생산자 물가지수- (1989=100) 5.7 9.4 6.7

일 정책금리1 3.00 3.5 3.50

환율 3.78 3.53 3.31

Page 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

억 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증가를 나타내었고 년 수입은, 25.7% 2004

억 달러로 첫 천억 달러 시대에 진입하였다1,053 1 .

한편 외환위기로 인해 고정환율제 를 채택하던 중앙은행, (US 1$=3.8 RM)○

은 년 월을 기점으로 관리형 변동환율제로 외환시스템을 변경2005 7

년 수입액은 억 링깃으로 전년대비 증가를 기록2007 5,046 4.9%○

표 최근 말레이시아 수입 규모< 1-3 >

단위 십억( : RM , %) 

구분 금액 증가율

년2005 434.0 8.5

년2006 480.5 10.7

년2007 504.6 4.9

자료 말레이시아 수출진흥기구:

시장특성□

총 인구수에 비해 교역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비즈니스 환경이 양호하○

여 각 분야의 세계적 우수업체가 진출 경쟁 중,

특히 년대 중반 이후 외국인 투자 유치정책추진으로 여개 다국, '80 5,000○

적기업이 진출하여 전기전자 등 공산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품질 및 가

격 경쟁이 특히 치열

세계 각국으로부터 소개되는 제품에 대한 바이어들의 최우선 구매 요인○

은 가격으로 특히 년 하반기 이후 현지화 가치 급락에 따른 수입단, 1997

Page 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

가의 상승효과는 제품의 현지화 가격 급상승을 동반 내수시장 위축과 함,

께 판매활로 확보를 위해 가격을 중시하는 추세가 현저함

과거 싱가포르를 통한 중계무역에 의존하는 무역패턴에서 탈피 현재는, ,○

대부분 직교역 형태로 무역패턴이 전환되어 오히려 인근 인도네시아 브,

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등으로 중계무역도 추진하고 있는데 시, , ASEAN

장이 단일화되면서 역내 교역은 더욱 늘어나는 추세

현지진출 외국기업 및 현지기업이 대부분 완제품조립산업 위주의 제조활○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자본재에 대한 수입의존도,

가 매우 높은 편

즉 수출이 증가하면 수입이 동시에 증가하는 전형적 가공무역 산업구조,○

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외환위기 이후 정부가 국산품 장려 및 완제품 수,

입억제를 추진하면서 완제품보다는 부품 반제품 형태의 수출 추진이 유,

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말레이시아를 알자

말레이시아 방문시 주의 사항◇

이슬람 교도와 같이 식사할 때에는 돼지고기를 금식할 것-

사원에 들어갈 때에는 신을 벗을 것-

왼손을 부정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악수를 하거나 물건을 받을때는 오-

른손을 이용

머리를 신성하게 여기므로 어린이의 머리를 쓰다듬거나 만지지 말것-

일부다처제가 많으니 가족관계에 대한 화제는 가능하면 피할 것-

주요 관광지 외에는 화장실용 휴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휴지를 미리-

준비

Page 1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

전체 인구의 약 인 화교로 지칭되는 중국계가 상권을 장악하고 있23.1%○

으며 이들은 동남아 화교 네트워크는 물론 중국본토 대만 홍콩 등지의, ,

화교경제권과도 연계되어있어 말련 시장에서의 마케팅 활동에 있어 화교

와의 유대관계 형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됨.

주요산업의 경우 지역별로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표 지역별 산업분포 특징< 1-4 >

말레이반도 주Sabah 주Sarawak

고무 팜오일가공 및 제조, ,

경공업 전자공업 광산업, ,

목재가공 등

벌목 석유제품제조,농산물 가공 석유제품제조,

및 석유정제 등

다 한 말레이 관계. -

년 월 한국과 수교하였으며 현재 무역협정을 비롯한 개의 협정을1960 2 8○

체결 교류중에 있음,

년 기준 우리나라의 대 말레이시아 수출액은 억불로 컴퓨터 반도2007 57 ,○

체 무선통신기기 등이 주를 이루고 있음.

반면 수입액은 억불로 반도체 원유 목재 등이 주요 수입품에84 , LNG, ,○

해당됨.

Page 1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

표 한 말레이시아 무역동향< 1-5 - >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2008

구분 년2005 년2006 년2007 년2008 (1~8)

수출

금액

백만불( )4,608 5,227 5,704 4,068

비중(%) 1.6 1.6 1.5 1.4

증가율(%) 2.9 13.4 9.1 13.1

수입

금액

백만불( )6,012 7,242 8,442 6,967

비중(%) 2.3 2.3 2.4 2.2

증가율(%) 5.9 20.5 16.6 24.8

교역

금액

백만불( )10,620 12,469 14,146 11,035

비중(%) 1.9 2.0 1.9 1.8

수지(US $) -1,404 -2,015 -2,738 -2,900

Page 1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9

가 대기오염 관리현황.

말레이시아 환경부는 각 주별로 주요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개의 대기51○

오염관측소를 운영

또한 이들 지역에서 측정한, CO, NO○ 2, SO2, O3, PM10의 농도를 바탕으

로 대기오염지수인 를 산정해 지역별 대기오염API(Air Pollutant Index)

분석자료로 활용

표 대기오염지수별 대기질 현황< 2-1 >

API 이하50 51~100 101~200 201~300 이상300

대기질 상태 양호 보통 불량 매우불량 위험

각 주요 지역에 대하여 상기의 대기오염지수를 토대로 연중 불량 이상을 기○

록한 날의 숫자는 그림 과 같이 구분할 있음2-1 .

연도별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년 들어 큰 폭으로 오염정도가 감소한2006○

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지역이 전년대비 감소추세임Petaling Jaya

주는 다른 지역에 비해 지정학적 위치 넓은 규모 산업 및 상Selangor , ,○

업활동 인구밀도 많은 수의 차량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이 비교적 심한, ,

것으로 나타남.

Page 1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0

그림 말레이시아의 주요 오염지역별 대기오염현황< 2-1 >

자료 말레이시아 환경부 발표자료:

반면 최근 행정중심복합도시 프로젝트가 추진중에 있는 와Putra Jaya○

지역의 경우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증가추세를 나타냄Gombak .

특히 지역의 관측소에서 불량 등급 이상의 연중일수, Gombak, Shah Alam “ ”○

가 높은 수준으로 관측되고 있는 것이 특징

그림 지역의 연도별 대기오염지수 변화추이< 2-2 Klang Valley >

Page 1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1

자료 말레이시아 환경부 발표자료:

한편 말레이반도 지역의 경우, Balok Baru, Kuala Terengganu, Kemaman○

의 관측소 등이 비교적 대기오염지수 값이 높은 편인 수준

말레이시아를 알자

◇ 말레이시아에서의 명함의 의미

말레이시아인들이 보는 명함상의 지위는 의사결정력 비즈니스 경험 등을- ,

나타내는 척도로 인식하여 비즈니스 거래를 위한 신뢰도와 연결 지어 생

각하기에 고위 지위가 새겨진 명함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말레이시아에서 사장에 대한 영문 명칭에 있어 라는 명칭은 거- President

의 사용하지 않으며 보통 로 명기 하는 편Managing Director .

또는 정도의 지위를 갖고 있으면 어느 정도의- Director General Manager

사결정이 가능한 수준임

Page 1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2

그림 말레이반도 지역의 연도별 대기오염지수 변화추이< 2-3 >

자료 말레이시아 환경부 발표자료:

그림 및 지역의 연도별 대기오염지수 변화추이< 2-4 Sabah Sarawak >

자료 말레이시아 환경부 발표자료:

Page 1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3

또한 및 지역의 경우 지역 및 의 관측소에서의, Sabah Sarawak Tawau Kapit○

대기오염지수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은 말레이시아 환

경부가 정하고 를 통해 지정한 적정 수준을 크게 벗어나고 있지는 않API “ ”

은 상황.

말레이시아의 공장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의 분포는 전체의 22.2%○

를 차지하고 있는 주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주Selangor Johor ,

주 주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Sarawak , Sabah

그림 말레이시아 주요지역별 산업오염원 분포현황< 2-5 >

자료 말레이시아 환경부 발표자료:

이동오염원의 경우 차량의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승용차 및 오토바이가○

전체의 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도에 비해 각각 증93.7% 7.2%, 6.4%

가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음

Page 1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4

그림 말레이시아의 차량형태별 등록된 차량 숫자< 2-6 >

자료 말레이시아 환경부 발표자료:

대기오염물질별로는 SO○ 2의 증가량이 두드러지는데 년 기준 전년대2006

비 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14.4% .

NO○ x 및 의 경우 각각 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CO 13.6%, 3.6%

그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 증감 추이< 2-7 >

자료 말레이시아 환경부 발표자료:

Page 1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5

나 수질오염 관리현황.

말레이시아 전역에 총 개의 강유역에서 개의 수질 관측소를 운146 1,064○

영 중에 있음.

말레이시아 환경부는 각 하천의 수질관측소에서 샘플링을 통해 BOD,○

COD, SS, DO, pH, NH-4등의 개 항목을 기준으로 수질지수를 산정6

년 기준 전체의 에 해당하는 지역에서의 수질이 청정한 것으로2006 , 58%○

나타났고 는 약간 오염 는 매우 오염된 것으로 나타남, 34% , 8%

수역별로는 주의 하천이 수질지수 을 기록해 수질오Pinang Air Terjun 91○

염이 매우 심한 상태이며 등의 하천 역시, Teblau, Kilang Ubi, Masai

점차 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표 주요 지역별 하천의 수질오염 변화 추이< 2-2 >

주 하천명수질지수

년2004 년2005 년2006

P.PINANG

ARA 51 38 47

JURU 47 46 54

KILANG UBI 46 53 64

PASIR 44 42 46

RAMBAI 52 40 44

AIR ITAM 47 44 47

AIR TERJUN 87 94 91

DONDANG 47 43 45

JELUTONG 29 30 29

PINANG 41 39 44

Page 1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6

자료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이들 중 제조업의 의한 폐수배출원은 에 전체의 가 분포Selangor 20.5%○

되어 있으며 그 뒤를 이어 Johor 19.6%, Melaka 15.0%, Perak 11.4%

순으로 조사됨

표 지역별 산업폐수 배출원 분포< 2-3 >

주 이름 오염원수 주 이름 오염원수

Selangor 1,850 Pahang 197

Johor 1,774 Kedah 116

Melaka 1,335 Terengganu 79

Perak 1,030 Perlis 71

Sabah 918 Kelantan 58

Sarawak 844 WP Kuala Lumpur 24

Negeri Sembilan 369 WP Labuan 7

Pulau Pinang 335 - -

자료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또한 하수처리장의 역시 가 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하Selangor 28.3%○

였으며 기타 의Perak 14.8%, Johor 11.2%, Negeri Sembilan 10.2%

SELANGOR BULOH 48 51 57

JOHOR

SEGGET 50 47 50

DANGA 55 52 51

BULUH 29 37 32

LATOH 52 54 60

MASAI 57 66 62

PEREMMBI 35 33 37

TUKANG BATU 25 25 21

Page 2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7

순으로 조사됨

표 지역별 하수처리장 분포< 2-4 >

말레이시아를 알자

◇ 비즈니스 미팅시 고려사항

이슬람교를 국교로 정하고 있는 말레이시아는 같은 회교국가인 인도네시-

아와는 달리 좀 더 보수적인 분위기를 나타냄.

따라서 라마단기간 통칭 이슬람력으로 월 한달간 에는 관공서는 물론- ( 9 ) ,

기업들도 대부분 휴무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즈니스 계획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함.

말레이인 최고의 명절인 기간이나 화교들의 최대명절인- Hari Raya

기간에도 방문미팅은 가급적 지양하는 것이 좋음Chinese New Year

주 이름 폐수처리장 수 주 이름 폐수처리장 수

Selangor 2,563 Pahang 486

Perak 1,343 WP Kuala Lumpur 299

Johor 1,010 Terengganu 224

Negeri Sembilan 928 PErlis 36

Kedah 755 WP Labuan 32

Melaka 725 WP Putrajaya 9

Pulau Pinang 650 - -

Page 2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8

표 말레이시아 하수처리장별 총 부하< 2-5 BOD >

자료 : Department of Environment, Malaysia

표 연안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의 수질오염현황< 2-6 >

주 하수처리장 수 총 PE유량

(m3/day)

부하BOD

(kg/day)

Selangor 2,563 5,908,450 1,329,401 332,350.31

Perak 1,343 1,300,430 292,597 73,149.19

Johor 1010 1,198,417 269,644 67,410.96

Negeri Sembilan 928 931,458 209,578 52,394.51

Kedah 755 556,637 125,243 31,310.83

Melaka 725 570,192 128,293 32,073.30

Pulau Pinang 650 2,149,001 483,525 120,881.31

Pahang 486 314,830 70,837 17,709.19

WP Kuala Lumpur 299 2,571,877 578,672 144,668.08

Terengganu 224 75,184 16,916 4,229.10

Perlis 36 16,156 3,635 908.78

WP Labuan 32 39,265 8,835 2,208.66

WP Putrajaya 9 72,833 16,387 4,096.86

Total 9,060 15,704,730 3,533,563 883,391.08

주명샘플갯수

TSS오일및

그리스

총대장균

카드뮴 크롬 수은 납 비소 구리

Perlis 16 64 43 100 7 0 50 0 0 0

PulauLangkawi

35 94 17 43 0 0 23 0 0 9

Kedah 14 100 14 100 0 0 79 14 0 0

PulauPinang

191 74 10 78 0 2 26 9 0 4

Perak 52 100 12 64 0 0 NA 56 0 0

Selangor 49 98 54 68 0 0 11 0 0 0

Page 2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19

자료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이들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된 원인으로는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못○

한채 방류되는 하수처리장 및 제조업 등의 점오염원인 것으로 조사됨

반면 비점오염원의 경우 농업활동 혹은 유거수 등이 있으나 그 영향은,○

미미함

그림 말레이시아의 수질오염원별 오염원수의 연도별 변화< 2-7 >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농업기반산업

제조업

축산업

하수처리장

자료 : Water Resources at a glance, 2006, IMPAK

N. Sembilan 78 100 68 83 0 0 16 0 0 0

Melaka 28 92 20 66 0 NA NA 0 NA 0

Johor 122 60 11 49 0 0 10 13 1 9

Pahang 80 19 80 10 0 0 0 40 0 0

Terengganu 76 74 93 46 11 0 2 86 0 42

Kelantan 40 73 59 43 10 0 3 78 10 30

W.P.Labuan

20 60 0 25 0 25 NA 0 NA 0

Sabah 111 35 0 25 1 0 0 6 NA 3

Sarawak 123 78 49 25 0 0 0 2 0 0

총합 1035

평균(%) 75 35 55 2 2 18 20 1 6

Page 2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0

다 폐기물 관리현황.

지정폐기물(Scheduled Waste)□

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지정 폐기물 발생량은 연간 약 만톤 수준2006 110○

이 중 약 만톤에 달하는 석고형태의 폐기물이 로 가장 높은 비율41 37%○

을 차지

기타 오일류 광재 및 슬래그 등이 발생량에서 다음을 따르는 것으로 조,○

사됨

표 년 폐기물 종류별 연간 폐기물 발생량< 2-7 2006 >

폐기물 종류연간 발생량

톤 년( / )폐기물 종류

연간 발생량

톤 년( / )

Gypsum411,599.12

(37.3%)종이 및 플라스틱

14,037.30

(1.3%)

오일&HC182,003.35

(16.5%)촉매

12,712.12

(1.2%)

광재 슬래그/ /Clinker95,593.58

(8.7%)혼합폐기물

11,047.07

(1.0%)

중금속 슬러지73,617.71

(6.7%)고무 슬러지

7,008.91

(0.6%)

광물 슬러지48,338.11

(4.4%)PCB&PCT

6,064.89

(0.5%)

폐기물E-40,275.21

(3.6%)화학폐기물

4,846.73

(0.5%)

병원성 폐기물32,270.34

(2.9%)페놀 수지/

3,872.50

(0.4%)

폐 용매32,079.08

(2.9%)석면

1,544.84

(0.1%)

잉크 및 페인트

슬러지

29,965.79

(2.7%)폐 필터

1,242.59

(0.1%)

배터리 28,569.31 폐 모래 683.07

Page 2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1

자료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업종별로는 화학제품 제조분야에서 전체량의 가 발생하여 가장 높42.7%○

은 비중을 차지

화학제품과 더불어 전자제품 와 자동차 제조업에서 발생(21.6%) (17.2%)○

하는 지정폐기물의 양은 약 만톤으로 발생총량의 약 에 달하는 것90 82%

으로 조사됨

표 업종별 연간 지정폐기물 발생량< 2-8 >

(2.6%) (0.1%)

폐 용기26,742.03

(2.4%)사진

416.85

(0.0%)

의scheduled waste

처리 부산물

22,329.32

(2.0%)수은

176.69

(0.0%)

산 알칼리,16,376.65

(1.5%)기타

83.91

(0.0%)

총계1,103,457.06

(100.0%)

업종연간 발생량

톤 년( / )업종

연간 발생량

톤 년( / )

화학제품470,892.50

(42.7%)석유화학제품

15,329.68

(1.4%)

전자제품238,358.25

(21.6%)허가시설

12,667.57

(1.1%)

자동차189,948.83

(17.2%)기타

2,818.73

(0.3%)

금속제품78,481.53

(7.1%)인쇄 및 포장

2,075.10

(0.2%)

제약31,847.16

(2.9%)목재가공

1,808.33

(0.2%)

배터리 제조 24,664.22 수지 1,116.63

Page 2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2

자료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한편 이렇게 발생된 지정폐기물의 관리를 방식에 따라 구분해보면 최근,○

재활용의 비율이 가장 두드러짐

특히 년 기준 전체 폐기물량 중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재활용의 비, 2004○

율은 에 달함56.6%

반면 과거 주를 이루던 처리에 의존하던 폐기물 관리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

그림 연도별 말레이시아 폐기물 관리방식의 변화 추이< 2-8 >

0

50

100

150

200

250

300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recycling

disposal

incineration

treatment

storage

export

자료 : Ninth Malaysian Plan 2006-2010

(2.2%) (0.1%)

산업용 가스16,246.68

(1.5%)직물

994.43

(0.1%)

고무 및 플라스틱16,207.41

(1.5%)총계

1,103,457.06

(100.0%)

Page 2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3

년 기준 지난 년간 수입된 지정폐기물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2006 , 5○

같음.

특히 시멘트 공장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폐 석고의 수입이 년부터 수2006○

입이 시작된 것이 특징

표 종류별 연간 지정폐기물 수입량< 2-9 >

단위 톤( : )

자료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반면 폐기물 수출량은 년 기준 총 톤에 이름, 2006 5,806○

이 중 전기전자분야 폐기물은 톤으로 총량의 로 금속수산화1,925 33.2%○

물 슬러지 톤 와 더불어 전체 수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1,769 (30.5%)

년도 년2002 년2003 년2004 년2005 년2006

입자성

용광로

슬래그

29,959 252,007 293,684 241,872 -

발전소의 폐

석고- - - - 132,834

구리 슬래그 33,945 52,283 58,723 58,774 33,674

폐촉매 6.878 1,108 1,108 6,000 -

의CRT

폐유리- - - - 4,627

폐 순수산 - - - - 1,016

Page 2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4

표 종류별 연간 지정폐기물 수입현황< 2-10 >

단위 톤( : )

자료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고형폐기물(Solid Waste)□

말레이시아의 고형폐기물 발생량은 년 기준 연간 약 만톤에 이르2005 700○

는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년전과 비교했을 때 약 증가한 수치임4 17.9%

이는 인 일 평균 의 고형폐기물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함1 1 0.8kg .○

표 말레이 반도의 고형폐기물 발생량 변화< 2-11 >

년도 년2001 년2005

발생량(ton/day) 16,200 19,100

자료 : Ninth Malaysian Plan 2006-2010

국가 년2002 년2003 년2004 년2005 년2006

금속

수산화물

슬러지

1,537 212 2,494 2,288 1,769

폐촉매 1,365 693 722 215 645

폐 블라스팅

원료- - 25 - 105

폐토너 - - - - 139

아연 광제 - - - 2,347 1,082

폐니켈 - 217 103 272 117

전기전자폐기

물- - - 90 1,925

Page 2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5

이들 고형폐기물의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음식물 쓰레기가 로 가장45.0%○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뒤이어 플라스틱 및 폐지 금속 의 순으로 조사됨(24.0%) (7.0%), (6.0%)○

고형폐기물의 발생량은 매년 꾸준한 증가추세에 있으며 말레이시아 환경○

부의 최근 주된 관심사는 고형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접근법에 있음.

쿠알라룸푸르의 경우 약 톤 일의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나 폐기물의300 /○

이상은 매립지로 운반되어 처리되며 소각이나 재활용 등의 비율은95%

미만인 수준5% .

표 말레이시아의 고형폐기물의 주요 성분 구성< 2-9 >

45%

24%

7%

6%3%

15%

음식물쓰레기 플라스틱 폐지 금속 폐유리 기타

자료 : Ninth Malaysia Plan 2006-2010

Page 2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6

말레이시아 환경부는 년까지 폐기물의 재활용률을 이상까지 끌2020 22%○

어올릴 방침.

정부의 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 국민적인 요구 등에 힘입어 국가 고형폐,○

기물관리 전략계획 이 마련됨(NSPWM)

이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년 월 고형폐기물관리에 관한 법안2007 6○

개정이 통과되었으며 정부에서는 라는 부서를Solid Waste Management

새로 창설하여 폐기물관리에 관한 업무를 전담케 하고 있음.

유독성 폐기물(Toxic Waste)□

말레이시아의 연간 유독성폐기물의 발생량은 약 톤으로 추산됨430,000○

유독성 폐기물의 재활용 및 재회수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년2001○

에서 년 로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저장비율은29.0% 2004 58.0% 2001

년 에서 년 로 큰 폭의 감소 유발59.0% 2004 19.7%

화학 및 유해성 폐기물의 발생량은 특히 농업분야에서 두드러짐.○

비료로 인한 이들 폐기물의 양은 년 만 톤에서 년 만2001 220 2004 400○

톤으로 크게 증가

Page 3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7

그림 유독성 폐기물 관리 현황< 2-10 >

19%

57%

20%1% 3%

유독성폐기물 처리시설 재활용 및 회수

인가된 저장시설 소각

수출

자료 : Ninth Malaysian Plan 2006-2010

폐기물E-□

한편 의 경우 고형폐기물과 더불어 특히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 E-Waste○

고 있음

폐 컴퓨터의 경우 연간 의 발생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3~5%○

며 폐 휴대폰의 경우도 현재 만 이상의 가입자를 가지고 있는데다, 1,000

그 증가율이 더욱 치솟을 것으로 전망.

이러한 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말레이시아 환경부는 개의 부품회수처E- 30○

리시설 및 개의 완전회수 처리시설에 대한 운영허가를 내어 관리하고1

있는 상황임

Page 3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8

가 환경관련 조직.

환경부(1) (Department of Environment)

년 말레이시아 환경법 이 공표되면1974 (Environmental Quality Ac 1974)○

서 말레이시아의 환경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년 설립됨1975 .

현재 명의 환경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개의 주 환경청 및 지방1,568 15○

환경청에 이르는 큰 조직으로 성장함

환경보호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관련법안의 입안 및○

집행과 각 환경관련부서간의 협력을 조율하는 역할을 담당.

그림 말레이시아 환경부 조직< 3-1 >

Page 3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29

에너지 수자원 통신부(2) (Ministry of Energy, Water and Communication)

물환경분야의 관련부서로 물관련 정책 및 규제법안 등의 마련을 담당하○

는 와 용수공급문제를 관장하는Water Service Sector Water Supply

하수처리서비스 등의 업무를 주관하는Division, Sewerage Service

등의 조직으로 구성됨Department .

주택관리 및 지방자치부(3) (Ministry of Housing and Local Government)

산하에 국가 고형폐기물관리과(National Solid Waste Management○

를 직할부서로 최근 신설하여 폐기물관련 문제를 전담하고Department)

있음.

말레이시아를 알자

관공서 방문시 유의사항◇

특정인을 방문하는 경우라면 사전 유선 또는 레터 송부를 통해 반드시 시-

간약속을 해야 함

일반적인 관공서의 경우 관료주의적인 분위기가 강해 내부결재 절차가 중-

시되고 있어 최소 일주일전에는 을 받는 것이 좋음confirm

공무원 인터뷰를 위해서는 개별 공무원의 허락이 아니라 해당부처의 차관-

보 로부터 허가를 받아서 만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Secretary General)

보통 한달 정도 전에 통보가 필요( )

일반적인 개인업무 처리를 위한 방문 시는 오전 시간에 일을 보는 것이 좋-

은데 오전에는 방문객이 상대적으로 적어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비사항에 대한 준비시간을 가질 수가 있음

점심시간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통상 시부터 시간 정도의 점심시간- . 12 2

이 주어지는데 점심시간에는 개인업무를 전혀 볼 수가 없음

서류준비는 반드시 철저히 해야하며 미비된 서류에 대해서는 접수조차 받-

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에 구비서류 내용을 하나하나 점검을 해야

번 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음2~3

Page 3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0

기타 환경관련 단체(4)

국가 물환경 서비스 위원회(National Water Service Commission, SPAN)○

는 에너지 수자원 통신부 산하의 기관으로 말레이시아 물서비스 산업의

개선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국가 상하수 정책 등의 입안에 관한 자문 역

할을 담당

물환경 컨소시움 은 효율적인 하수서비스Indah (Indah Water consortium)○

를 제공을 기본으로 하며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국가 차원의 하수시

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담당

말레이시아 물환경협회 는 수자원 및(The Malaysia Water Association)○

폐수관련 분야의 단체들이 모인 중앙회 성격의 단체로 정부 및 민간을

대상으로 물관련 정보제공 및 컨설팅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최적화된

기술의 적용 및 보급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

나 환경법.

환경질법 년 제정(1) (Environmental Quality Act, 1974 )

국가환경관리를 위한 기본틀을 규정하는 기본법으로 행정조직의 구성 및○

관리 등록 및 허가 오염의 관리 및 규제 지정폐기물 관리 환경세 및, , , ,

환경기금 등의 내용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음

또한 개의 개의 개의 등의 하위법령을 가, 19 regulation, 18 rule, 16 order○

지고 있음

Page 3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1

기타 환경관련법(2)

어업법 토양관리법 산림법 등 각 환경관련 부서별로 해당 업역을 관장, ,○

하기 위한 소관법령이 제정되어 시행중에 있음

및 지역의 열대우림내 생물다양성 및 자원을 보호하기Sabah Sarawak○

위한 환경법들이 다수 제정되어 개정을 거듭하고 있는 것도 특징임.

표 말레이시아 환경관련 법< 3-1 >

법 제정년도

Fisheries Act 1985

Land Conservation Act 1960

Local Government Act 1979

Merchant Shipping(Oil Pollution) Act 1994

National Forestry Act 1984

National Park Act 1980

Plan Quarantine Act 1976

Pesticides Act 1974

Protection of Wildlife Act 1972

Radioactive Substance Act 1968

Sewerage Services Act 1993

Town and Country Planning Act 1976

Water Enactment 1920(Revised) Act 1979

Sarawak Biodiversity Center Ordinance 1997

Sabah Biodiversity Enactment 2000

Sarawak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Ordinance 2001

Sahah Environment Protection Enactment 2002

Sabah Forest Enactment 1968

Sarawak Forest Ordinance 1954

Page 3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2

다 정책적 변화.

차 말레이시아 계획(1) 9

년부터 년까지 시행될 제 차 개년 경제개발계획2006 2010 9 5 (The Ninth□

을 통해 년까지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겠다는 말레이Malaysia Plan) 2020

시아 정부의 강력한 의지하에 제 차 경제개발계획을 추진 중9

차 말레이시아 계획의 주요 내용<9 >

9차 말레이시아 계획

국가경제의 부가가치 제고

생산성 및 혁신능력 향상 사회경제적 불균형 해소

행정실행능력 제고삶의 질 향상

이 중 환경분야의 주요 내용을 토대로 한 향후 변화 전망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음

표 제 차 말레이시아 계획 에 따른 분야별 환경변화 전망< 3-2 9 (2060~2010) >

분야 주요 변화

대기

청정기술의 사용을 통해 고정오염원에서의 오염물질 배출량 감소-

의 채택을 통해 디젤 및 휘발유에서의(EURO 2M specification

황함유량을 각각 에서 에서3,000ppm 500ppm, 1,500ppm

으로 경감시킬 계획500ppm

디젤자동차를 대상으로 휘발유자동차를 대상으로- EURO2, EURO3

를 고려한 새로운 배출기준이 도입되어 이동오염원에서의 오염물

질 배출 감소를 위한 노력 전개

Page 3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3

관련 법안 제정 및 개정(2)

물 관련 법안 제정□

정부의 물산업을 재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의 법안 국가물서2 -○

비스산업법 국가물서비스(National Water Services Industry Act, NWS),

위원회법 이 년(National Water Services Commission Act, SPAN) 2006

월 일 의회에서 통과됨7 10 .

이들 새로운 법안들로 인해서 말레이시아의 용수공급 서비스의 질이 강○

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소비자의 권리보호에 있어 실효를 거둘 것으

로 전망됨.

아울러 물 서비스 산업의 효율적인 운영 및 이로 인한 수도세 등 물관련,○

세금의 효과적인 징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수질

- 오염이 심한 유역을 중심으로 하천 및 지하수 수질 개선을 위한

의 활동이 강화될 전망IRBM(integrated river basin management)

공공하수시스템의 개선 및 중앙집중식 하수처리장의 신설-

폐기물

국가 고형폐기물 관리계획 이 강화됨에 따라 비위생매립- (NSPSWM)

장의 개선 및 위생매립장의 신설 통합자원회수시설로의 변화 등,

이 진행될 계획

바이오플라스틱과 같은 친환경물질의 사용의 확대 및 의 활성- 3R

화 등을 우선적으로 추진

화학물질 및 유독성 물질의 수출입 국가간 안전한 이동을 위한- ,

의 채택에 따라 이들 물질을 관GHS(Global Harmonized System)

리하는 관련기관의 제도적 역량이 강화될 것임

Page 3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4

의 따른 향후 기대 효과<NWSC Act >

SPAN

ACT

발효

국가환경정책 및 방향에 대해 조언 등을 통해 장관 보좌

용수공급 및 하수처리 관련 서비스의 모니터링 및 감독

WSIA 조항과 관련된 활동을 이행 및 추진

수자원 관련 세수의 검토 및 관련제도 제정

폐기물 관련 법안 제정□

○ 고형폐기물 및 공공청소관리법(Solid Waste and Public Cleansing Management

이Act 2007) 월 일 의회의 승인을 받아 월 일 공식 발표 년7 17 8 30 (2008

분기부터 실효성 발효1 )

고형폐기물의 효과적인 규제 및 위생시설들의 적정수준 유지 등을 위해○

공공청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말레이반도, PutraJaya

연방직할령 및 연방직할령을 대상으로 시범 시행 후 향후 말레Labuan

이시아 전역에 걸쳐 확대 추진할 계획

연방정부가 고형폐기물 관리 및 을 이행할 수 있도록 강public cleansing○

력한 힘을 실어주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큼

주요내용○

고형폐기물발생원 및 폐기물처리 담당자의 관리-

폐기물의 분리 운반 저장, ,ㆍ

Page 3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5

고형폐기물의 발생절감 및 재회수-

재활용가능물질의 분리 및 재활용ㆍ

회수를 통한 보증금 반환 시스템ㆍ

지정폐기물관련 규정 강화□

○ 지정폐기물에 관한 환경규정 2005(Environmental Quality Scheduled

가 새롭게 개정 마련되었으며 그 주요 변화 내Wastes Regulatons 2005)

용은 다음과 같음

지정폐기물의 분류를 기존의 폐기물 형태에 의한 구분이 아닌 발생원에-

따른 구분으로 변경

또한 폐기물의 특별관리 폐기물 저장 및 재회수에 있어 총량 및 기한의- ,

제한 지정폐기물을 다루는 인력을 대상으로 의무적인 교육실시 등에 관,

한 조항들이 추가로 신설됨.

○ 현재 말레이시아에는 지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 Negeri Sembilan

및 에 각각 한 개씩 존재하며 지정폐기물의 재회수를 위한 개Sarawak , 65

의 오프사이트 시설들이 존재

말레이시아를 알자

외국인 지분 제한◇

제조업 분야는 외국인 투자유치를 장려하고자 부터 외국의- 2003. 6. 17

지분 참여를 전면 허용하였으나 제조업 이외 다른 업종에서는 대개100%

외국인 최대 지분율이 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30%

이 경우 부미푸트라 장려정책에 따라 의 부미푸트라 말레이계 및 원- 30% (

주민 지분을 포함 는 말레이시아인 지분으로 구성됨) 70% .

Page 3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6

관련 제도 정비(3)

새로운 조직 구성□

국가고형폐기물관리국(Department of National Solid Waste Management)○

창설 및 고형폐기물 및 공공위생 관리공단(Solid Waste and Public

등의 조직 창설Cleansing Management Corporation)

민영화 추진□

년 말레이시아 정부는 에 년간1995 Alam Sekitar Malaysia(ASMA) 20 50○

여개의 대기관측소 및 여개의 수질관측소의 설치 운영 및 유지에 관10 ,

한 권한을 부여

하수처리 시스템의 민영화는 년 에1993 Indah Water Konsortium(IWK)○

년간 억불 규모 새로운 다분기 하수처리시스템28 20 . (multipoint

의 건설 및 기존의 하수처리장의 개선 등이 이에 포함sewerage system)

됨.

고형폐기물 처리 및 분배와 관련된 민영화는 여전히 진행중에 있으며 향○

후 년간 처리권한을 부여하고 있음 국가 고형폐기물 관리 프로그램을20 .

통해 억불의 세수가 예상되나 민영화 이후 높은 고형폐기물 처리요금26 ,

에 따른 대중의 반발로 인해 정부에서 새로운 대책을 논의중에 있음

표 분야별 업무 민영화 추진 현황< 3-3 >

분야 민간 사업자 허가권 내역

대기 및 수질 모니터링 Alam Sekitar Malaysia대기오염 및 수질 감시소 서

비스 년간 제공20

하수 서비스Indah WaterKonsortium

하수 개선 및 운영서비스년간 제공28

유해폐기물 관리 Kualiti Alam 국가 최초의 유해 쓰레기 처

Page 4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7

내각은 남부 및 중부 지역에서 고형폐기물관리 업무의 완전한 민영화를○

추진하였으며 북부에 한해서는 년간 정부의 통제아래 두는 것으로 결정1

한 바 있음

지방정부에서 연방정부로 모든 관리 책임 이관□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고형폐기물 및 공공위생 관리를 위한 인적 재정적,○

자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됨.

또한 고형폐기물관리에 관한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시각에서 접근의 필요,○

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시스템 구축문제 국가간 이동문제 등( , )

○ 잠정적 민영화 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지방정부의 부담 재원확보의 곤란함( )

이로 인해 폐기물관련 시장은 정부의 규제 및 정책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

으로 예상됨.

말레이시아를 알자

3Rd outline perspective plan (2001-2010)※

정부는 폐기물 감량 재이용 재활용 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폐3R( , , )

기물의 효율적 처리 안전한 소각로 설치 등을 규정하는 통합적 폐기물 관,

리 정책의 채택을 고려하고 있음

리시설 건립 및 운영 권한 20년간 제공

의료폐기물 관리Faber Group, TongkahMedivest, Radicare

병원 지원 서비스

Page 4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8

국가 고형폐기물 관리정책 의 대 의무 수립(NPSWM) 6□

을 통한 폐기물 감량3R○

통합적 효율적이면서 표준화된 높은 수준의 비용효과가 뛰어난 서, SWM○

비스 제공

법적 제도적 정비,○

민영화를 통한 서비스 업무 이전SWM○

친환경적이고 비용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입증된 기술의 도입, SWM○

공공교육 및 대중참여 유도○

Page 4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39

시장 규모□

년 기준 말레이시아 환경설비 시장의 규모는 억불로 전년 대비2005 16.4○

약 성장규모를 기록9.48% .

그러나 말레이시아 국내기업을 통한 자체적 환경설비 조달률은 수입대비,○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대외의존율이 매우 높은 상황12.6% .

표 말레이시아 환경 시장 규모< 4-1 >

단위( : USD million)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2003년 2004년 2005년

총 시장규모

자체생산규모

수출 규모

수입 규모

자료 : World Trade Atlas

분야별로는 수질관련 설비시장이 억 천만 불로 전체 시장의 를8 2 48.5%○

차지하여 가장 큰 비중을 나타내고 있으며 폐기물 분야가 로 그43.4%

뒤를 따름

Page 4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0

그러나 성장률 측면에서는 폐기물분야가 전년 대비 증가로 규모18.0%○

면에서 수직 상승을 기록하여 머지않아 수질관련 설비시장을 추월할 것

으로 전망됨.

표 분야별 시장 규모< 4-1 >

단위( : USD million)

연도 년2003 년2004 증가율(%)

대기 126 137 8.73

수질 774 820 5.94

폐기물 621 733 18.03

총계 1521 1690 11.11

자료 : World Trade Atlas

이들 시장에 대한 국가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일본이 로30%○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미국 기타 국가 순으로 순위가 나타남, .

특히 대기분야에서는 중국이 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약진하고 있는10%○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며 수질 분야에서는 미국에 이어 독일이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말레이시아를 알자

말레이시아 방문시 주의 사항◇

외국은행의 지점개설을 통한 영업은 허용되지 않으며 현지법인을 설립할-

경우에만 정부승인을 통해 영업이 가능하나 현재는 이슬람 금융기관을 제

외하고는 승인을 받기가 거의 어려운 실정

아직까지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국은행은 없으며 현지진출 한국기업의-

비즈니스 수행에 커다란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음

Page 4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1

표 분야별 시장점유 현황< 4-2 >

연도 일본 미국

대기 27% 23%

수질 28% 29%

폐기물 31% 21%

총계 30% 25%

자료 : World Trade Atlas

시장 전망□

용수 및 폐수처리시장에서는 프로세스 설계 및 시공 오염예방기술 폐수, ,○

재이용기술 등과 같은 통합폐수처리 시스템이 유망분야로 각광받고 있으

며 또한 용제 폐유 금속 등의 재회수등의 시장 역시 조명받고 있음, , .

산업폐수의 가장 큰 배출원은 식품가공업 화학제품 생산업 제지 고무, , ,○

직물 등의 산업임,

고형폐기물 관리시장에서는 폐기물 운반차량의 업그레이드 매립시설 소, ,○

각시설 재활용 기술 등에 대해서 꾸준한 수요가 있으며 특히 농업폐기, ,

물 처리기술 및 팜유와 쌀 등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등도 유망 분야,

현재 농업폐기물의 무단 소각이 최근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부상하고 있○

대기오염의 경우 시장은 작지만 잠재적으로 볼 때 지속적으로 관측이 가○

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산업용 집진기 공장굴뚝 배출물질 분석 및 제,

어설비 실내공기질 관리설비 및 자동차 배울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유망

Page 4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2

가 대기환경 시장.

말레이시아 전체 전력 발전설비용량은 년 약 에 달할 것2010 25,000MW○

으로 전망되며 이 중 이상이 말레이반도에 집중되어 있음90% .

제 차 말레이시아 계획내의 전력개발계획 중 발전분야가 차지하는 비중9○

은 수준인 약 억 링깃 규모이며32% 95 ,

말레이반도의 주의 주의 등의 전력회TNB, Sarawak SESCO, Sabah SESB○

사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

표 년 말레이시아 예상 발전설비 현황< 4-3 2010 >

구분 발전용량(MW) 최대수요(MW)

TNB 22,802 18,187

SESB 1,100 802

SESCO 1,356 1,098

합계 25,258 20,087

자료 에너지 수자원 통신부 차 말레이시아 계획: , 9

년 말레이시아 정부의 통계에 따르면 전력생산 에너지원별 비중은2005○

천연가스가 전체의 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음70.2% .

그러나 최근 천연가스의 비중이 줄어드는 대신 석탄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정부의 전력에너지원 다원화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됨.

Page 4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3

이에 따라 석탄발전으로 인한 탈황 탈질 시장 및 집진기 시장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일부 선진국에서 개발한 석탄가스,

화복합발전설비 같은 친환경설비의 시장 확대 역시 기대해 볼 만함.

한편 최근에는 팜오일을 이용한 바이오연료 등의 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

급을 정책적으로 병행 추진하는 움직임을 보임

그림 발전용 에너지원의 연도별 변화 추이< 4-2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2000 2005 2010

석유 석탄 가스 수력 기타

앞서 언급한 발전 정책에 따라 현재 화력에너지를 사용하여 추진중이거○

나 계획중에 있는 주요 발전소 건설계획은 아래 표와 같음.

표 말레이시아 주요 발전소 건립 및 증설 계획< 4-4 >

주 이름 발전방식 용량 비고

Johor 석탄화력 2,100MW 신규

Negeri Semblin 석탄화력 1,400MW 신규

Sabah 가스화력 100MW 신규

Page 4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4

자료 에너지 수자원 통신부:

나 물환경 시장.

년 월 발표된 말레이시아의 통합 경제계획인 제 차 말레이시아 계2006 3 9○

획 의 환경분야 계획은 다음과 같음(Ninth Malaysia Plan 2006-2010)

차 말레이시아 계획의 물분야 주요 변화9

질적으로 향상된 물관련 서비스 및 편의시설 제공1.

증대되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충분하고 효율적인 급수시스템 확보2.

환경보호 및 자연자원 이용 최적화를 양립하여 실현3.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세부시행계획을 통해 개 분야에 대해5○

선택과 집중에 의한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

물분야 주요 쟁점 및 투자분야

물공급 시스템의 복원≫

물공급 시스템의 현대화≫

수자원개발≫

수처리 및 분배≫

내륙수 운반≫

복합화력 190MW 증설

석탄화력 300MW 신규

Sarawak 가스화력 100MW 신규

Page 4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5

용수처리시장□

말레이시아에는 전국적으로 여개 이상의 수처리 시설을 통해470 1,200○

만 일 이상의 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용수 공급률은 도시의 경우/㎥

이상 지방은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97% , 91%

특히 이들 용수 중 지하수의 비중은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며2% 98%○

이상의 대부분이 여개에 달하는 하천수를 수원으로 하고 있어 지표수150

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이 특징.

표 말레이시아 상 하수 관련 지표< 4-5 >

자료 : Water Service Reform in Malaysia, 2007

말레이시아 환경부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물시장의 수요는 향후 년간, 50○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3

상수 하수

총 급수인구 27,100,190 총 서비스인구 15,932,582

도시 급수율 97% 총 하수관거길이 16,267km

지방 급수율 91% 총 펌프장 숫자 611

총 생산량 12,468 MLD 총 광역 하수종말처리장 수 65

총 용수용 댐 숫자 54 총 지방 하수종말처리장 수 8,473

총 수처리시설 숫자 462 총 오수정화탱크 수 990,836

총 관거 길이 98,648km 운영비용 년 기준(2006 ) 약 억4 RM

총 지출RM

3,415,836,374

총 수입RM

3,574,960,824

Page 4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6

생활용수의 경우 년 기준 만 톤에서 년 만 톤으로 수2000 560 2050 1,620○

요증가 예상

산업용수 역시 년 기준 만 톤에서 년 만 톤으로 수요2000 390 2050 1,550○

가 급증할 것으로 추산.

특히 말레이반도 지역의 경우 총 물 수요량은 년 만 톤에서2000 2,960○

년 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2050 4,840 .

표 말레이시아의 생활용수 및 산업용수 예상 수요량< 4-6 >

연도 1995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소비량

(106 /day)㎥6.87 9.54 15.29 20.34 24.49 28.13 30.93

연간증가율

(%)8.0 6.8 6.0 3.3 2.0 1.6 1.2

자료 : Environmental Management in Malaysia, 2007, IMPAK

0

500

1000

1500

2000

생활용수 공업용수

2000년

2050년

그림 말레이시아 용수수요량 변화 전망< 4-3 >

Page 5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7

국가 수자원 연구소 가 말레이시아(Th National Water Resource Study)○

지자체의 요청에 의해 수행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년까지 모두2050 520

억불 이상의 물관련 프로젝트가 있을 것으로 전망

동 투자수요는 개의 저수지 및 개주의 공공용수 관련 프로젝트 등 총47 3○

개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 중 오는 년까지 총62 2010

억불 이상의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예정220

이를 위해 용수공급분야 하수처리분야 제외 의 투자수요는 향후 년간( ) 50○

억불 규모이며 특히 이중 억불 이상이 년 이전까지 요구되고137 , 58 2010

있음.

그림 말레이시아의 향후 물분야 투자수요< 4-4 >

0

5

10

15

20

25

30

35

2000 ~ 2010 2011 ~ 2050

자료 주말레이시아 덴마크공관:

한편 년까지 총 억불을 투자하여 하수처리시설의 정비 및 효율적, 2035 75○

Page 5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8

인 슬러지 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등 하수서비스분야 전반에 걸쳐 점

검 및 개선이 이루어질 예정

특히 이 중 약 에 가까운 예산이 지역별 하수처리시설의 개발에 집, 80%○

중 투자될 예정이어서 하수서비스의 낙후된 지역을 중심으로 처리장 건

설시장이 활성화 될 전망

표 하수처리 개발계획< 4-7 2006-2035>

자료 : Malaysia Water Industry Guide 2007

제 차 말레이시아 계획을 통해 물관련 인프라 투자규모는 총 억불에9 38○

달하며 이는 지난 차 계획에서 투자한 비용에 비해 이상 증가한8 213%

규모임.

특히 이 중 에 이상이 상수 부문에 집중되어 있는 특징을 보이는49.6%○

프로젝트 개요 규모 완공목표비용

(US$ Million)

하수처리장 업그레이드 및 하수시스-

템 개선

수원지역Standard A( ) 884 STPs. 년2015 250.48

비수원지역Standard B( ) 3,748 STPs. 년2020 1,221.90

하수관 복원 1,300 km 년2010 237.46

슬러치처리시설 개발- 22.5mil PE 년2015 985.71

지역 하수처리시스템 개발- 17.4 mil PE 년2035 5,939.05

- Pour Flush System Conservation - 년2035 468.25

슬러지 수집을 위한 배관 작업- - 년2035 91.11

총계 7,484.13

Page 5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49

데 및 의 지역간 물수요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Selangor K.L, Ptura zaya

해 추진중인 원수이동 프로젝트 등에 기인한 것으로Pahang-Selangor

판단됨.

하수부문에서는 통합 하수처리 시스템 건설 및 노후화된 기존 처리시설○

의 개선 등을 중심으로 하는 하수처리 서비스질 향상을 위해 개의 기47

존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 있는 프로젝트들과 개의 신규 프로젝트에 대11

해 억 링깃의 투자가 계획되어 있음31

하수관련 프로젝트에는 총 개의 신규 프로젝트와 개의 기존부터 행11 47○

해지던 프로젝트가 있으며 총 억 만 불 규모9 5,000

한편 지방에 청정용수 공급을 위해 말레이시아 정부는 년 사업계획, 2009○

에 만 불의 예산을 책정하고 있음8,500 .

표 공공시설 투자현황 및 향후 투자계획< 4-8 2001~2010 >

단위( : million USD)

부 문 차 계획8 (2001~2005) 차 계획9 (2006~2010)

상수시설 1,176.64 2,485.94

하수시설 408.45 949.33

지방용수공급 222.39 365.61

총계 1,807.48 3,800.88

자료 : Economic Planning Unit

년 말레이시아 예상 물수요량은 년 대비 약 증가한 일2010 2005 37.8%○

평균 약 억 리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162 .

특히 과 지역의 물 수요가 각각 약 가량 증가하여 해Pahang Perak 75%○

당지역내에 신규 댐건설 및 하수처리시설의 건설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

Page 5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0

망됨.

표 상수공급 현황< 4-9 (2000-2010)>

단위 백만 일( : l/ )

자료 에너지 수자원 통신부:

폐수처리시장□

급속한 인구성장 도시팽창 산업발전 등에 따른 말레이시아의 연간 산업, ,○

폐수 발생량은 만 톤 년에 달함600 /

현재 산업폐수 처리시설의 경우 운영상의 문제로 인해 말레이시아 폐수,○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지 못하고 있음

환경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이는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구체적인 이,○

해부족과 엔지니어의 기술적 부재로 인해 시설과부하 및 최적화되지 못

주명년2005 년2010

생산량 용수수요량 생산량 용수수요량

Johor 1,436 1,325 1,747 1,489

Kedah 1,194 1,098 1,904 1,175

Kelantan 276 239 448 401

Melaka 405 398 661 572

Negeri Sembilan 702 620 722 665

Pahang 912 676 1,340 1,187

Perak 1,306 897 1,595 1,567

Perlis 102 92 225 123

Pulau Pinang 1,166 802 1,227 1,003

Sabah 761 740 1,201 1,004

Sarawak 948 745 1,166 1,050

Selangor 4,390 3,740 5,150 5,000

Terengganu 568 400 1,036 986

Labuan 60 34 60 49

총계 14,226 11,806 18,482 16,271

Page 5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1

한 시설의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됨.

차 말레이시아 계획 하에서 하천의 수질환경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하9○

수처리서비스는 계속해서 투자될 예정인데 이를 위해 정부는 기존의 하,

수처리시설을 복원 및 리모델링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만불 이상의8,600

예산이 투자될 전망

표 말레이시아 용수 및 폐수시장 규모< 4-10 >

단위( : million US$)

연도 2004 2005 2006

총 시장규모 715 754 836

자체생산규모 154 160 176

수출 규모 259 284 310

수입 규모 820 878 970

자료 미국 상무부: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 Malaysia,

말레이시아를 알자

말레이시아에서의 인사 및 호칭◇

악수가 가장 일반적인 인사법이나 일부 보수적인 회교도의 경우 동성이-

아닌 사람과의 악수를 피하기도 함

한편 말레이시아 사람 이름은 길고 발음하기가 어렵다 인사 전에 이름을- .

파악 할 수 있다면 미리 연습을 해 두면 좋음

특히 말레이시아인들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칭호를 이름 앞에 붙이는-

것을 좋아하는데 이 중 하나가 작위를 나타내는 칭호로 Dato, Datuk, Tan

등이 이름 앞에 들어가 있으면 부를 때 붙여주는 것이 좋음Sri

또 다른 하나는 학위로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의 경우 약칭인- Dr.

을 이름 앞에 작위가 있다면 작위와 함께 붙이는 것이 좋음,

Page 5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2

파이프시장□

말레이시아 전역의 배수시스템은 규모의 관로로 구성되어 있91.247km○

으며 이중 이상인 이상이 석면 시멘트관임50% 45,746km (Asbestos) .

이들 석면시멘트관은 말레이시아 전역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년 이상 사용된 노후화가 심한 관으로써 교체를 필요로 하고30

있음.

특히 정부는 차 말레이시아 계획에 따라 년 이상된 약 상, 9 10 18,000km○

당의 석면관을 년에 걸쳐 매년 정도씩 교체할 계획을 가지10 1,800km

고 있음.

이 외에도 역시 규모의 년 이상된 기타 관로들을SYABAS 12,000km 30○

억 링깃을 투자해 교체할 계획임117 .

다 폐기물 관리 시장.

년 월 발표된 말레이시아의 통합 경제계획인 제 차 말레이시아 계2006 3 9○

획 의 환경분야 계획은 다음과 같음(Ninth Malaysian Plan 2006-2010)

차 말레이시아 계획의 폐기물분야 주요 변화9

고형폐기물 관리에 관한 국가전략계획이 이행1.

새로운 위생매립장의 건설 및 통합자원회수시설로의 전환 및 기존의 비위생2.

매립장의 업그레이드

전략계획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령들 제정3.

고형폐기물이 이상의 내용을 실행하고 고형폐기물 정책 입안 관리 등 전체적4. ,

인 조율을 위해서 설립

Page 5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3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세부시행계획으로 개 분야에 대해 집5○

중적인 전략 및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

폐기물 분야 주요 쟁점 및 투자분야

주요 지역에 위치한 기존의 개의 매립장의 안전한 폐쇄16≫

비위생매립장의 업그레이드≫

새로운 위생매립장의 건설≫

자원회수시설 소각로 건설MRF( ),≫

폐기물분야의 경우 수용능력이 초과된 매립지의 폐쇄 및 기존의 비위생매립○

지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신규 위생매립시설의 건설이 주된 방향이 될 예정.

또한 매립기술에 관한 신기술 및 새로운 방식의 처리공정의 채택 도입을 고, ,○

려하고 있어 관련시장이 활성화 될 전망이며 기타 적합한 기술 종합폐기물(

집하장 자원회수시설 퇴비화 시설 등 의 적용여부 역시 주목받고 있음, , ) .

말레이시아를 알자

바이어 상담시 주의 사항◇

말레이시아는 영국으로부터 오랜 통치를 받아 제반제도 및 관행이 영국-

식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모든 처리가 서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편

따라서 말레이시아 바이어와 거래할 시 반드시 유의해야 할 사항은 제반- ,

거래활동 과정을 서면으로 처리하고 이의 기록을 보관해 둘 필요가 있음,

또한 계약서 작성시 특히 격식 문구 하나하나에 신경을 써야 하며 거래- , ,

를 처음 진행코자 하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함

한편 문서송수신시 문서번호 를 반드시 확인해 둘 필요가- , (Reference No)

있는데 향후 문제발생 시 주고받은 문서는 중요한 문제해결의 단서임

Page 5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4

규모는 적은 편이지만 고원 등 곳에 소형 소각시설 톤 일 이Cameron 4 (100 /○

하 용량 설치 등의 투자계획이 발표되고 있음) .

한편 년까지 기존의 일반매립의 비율을 격감시키고 재활용의 비율을, 2020○

수준까지 대폭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수립 추진중에 있음20% , .

그림 폐기물 처리방식의 변화 전망< 4-5 >

일반매립(95%)

재활용(5%)

일반매립(65%)

간처리

재활용(20%)

중간처리(15%)

현행 폐기물 처리 현황< > 년 폐기물 처리 목표<2020 >

년 기준 말레이시아 폐기물 관련시장은 억 만불 규모에 달하며2006 7 3,000○

이는 전년도 대비 약 증가한 수준11.0%

폐기물 분야에서 현지 기술력을 이용한 관련 설비 조달 수준은 에 불10.6%○

과하며 대부분을 외국 기술 및 제품에 의존하고 있음

Page 5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5

표 말레이시아 폐기물 처리시장 규모< 4-11 >

단위( : million US$)

연도 2004 2005 2006

총 시장규모 660 664 737

자체생산규모 64 71 78

수출 규모 137 140 147

수입 규모 733 733 806

자료 미국 상무부: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 Malaysia,

Page 5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6

가 환경시장 진출전략.

공사의 공정성 및 투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말레이시아 정부는 공개경쟁○

입찰체제를 추구하지만 여전히 수의계약 및 이면계약이 오랜 관행화로

인해 남아있는 것이 현실

우리업체가 말레이시아에서 공사수주가 어려운 현실은 개도국의 가격경○

쟁력 선진국의 기술경쟁력에서 밀리는 현 우리나라 환경산업 수준을 잘,

반영해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나라 환경플랜트설비 시공기술을 선진국 수

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싱가폴과 더불어 동남아시아 경제블럭의 중

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환경시장을 시험무대로 삼아 보다 적

극적인 수주 및 판매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됨.

이를 위해서는 현지 환경기업 및 업계간 지속적인 교류와 유대관계를 유○

지하며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수주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특히 말레이시아 뿐 아니라 동남아 지역에서는 상권을 지배하는 화교의○

영향력이 큰 편인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대한 네트워크가 취약한

편이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진입기회 창출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음.

뿐만 아니라 일본 등의 경우 등 국제 원조기구 및 기관의, JICA, JBIC○

공적 자금 지원을 통한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편이며 현지에서의

환경전문가들 역시 이러한 접근방식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음.

말레이시아 현지 환경관계자들과의 인터뷰 결과 한국기업이 말레이시아○

환경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해야 할 것으로 조

언하고 있음.

Page 6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7

인 터 뷰 내 용 조 언 자

한국의 환경기술은 매우 우수하며 일부의 경우 오히려○

일본보다 낫다고 자체평가하고 있음 예 매립지 건설( :

및 관리기술은 세계적으로 뒤지지 않는 수준)

다만 한국의 경우 문제는 이런 우수한 기술을 마케팅 하○

는데 있어서 스킬이 부족한 것 같으며 이로 인해 말레이

환경관련 담당자들이 이러한 것을 잘 모르고 있음

일본은 이미 년전부터 말레이시아 환경시장에 중장기10○

적 관점을 가지고 진출

일본의 진출방식의 특징은 일회성의 제품 및 기술의 판○

매 플랜트 건설 형태가 아니라 각종 교육연수프로그램, ,

및 방문 교환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일본의 기술을 알리

는 데 주력하며 반대로 일본을 방문하는 기회도 제공

대표적인 것이 지금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EIMAS○

의 전적인 지원하에 이슬람 국가연합 국가 및JICA OIC( )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및 관리기술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 및 연수를 통해 자연스럽게 일본의

모델을 따라갈 수밖에 없도록 유도

한국과는 달리 의 역할분담이 확실하게 이루, G2G, B2B○

어지는 것도 또한 특징

한국의 경우도 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음 이KOICA .○

것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필요

환경부

과장EiMAS

Page 6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8

인 터 뷰 내 용 조 언 자

말레이시아에서 현재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환경현안은○

크게 의 처리 농업폐수Chemical pollution, Wastewater ,

로 인한 하천수질오염 고형폐기물 관리 등의 다음의, 4

가지로 요약되며, 특히 이 중에서도 폐기물의 와E-Waste

의 문제성이 매우 크게 부각되고 있음Solid waste .

고형폐기물의 관리를 위해서 정부는 년2007 National○

라는 특별부서를 설립하였으며Solid Waste Department

이 부서에서 매립지 관련 투자를 담당하고 있음

특히 고형폐기물 처리 분야는 정부가 최근 심도있게 관○

심을 가지고 있으며 투자 또한 원하고 있는 분야로 말레

이시아 환경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주체들은 폐기물관

련 정부의 정책동향에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한편 동 분야에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부분은 기술,○

력 특히 재활용 면에 있어서 의 부재로 현재 일본을 비롯( )

한 여러기업이 협력을 제안하고 있지만 가격 및 기술을,

포함한 제반 여건을 고려할 때 적당한 기업을 찾지 못하

고 있음

한편 진출방식을 눈여겨보면 일본의 경우 말레이시아,○

정부와의 협력 외에도 대학 및 들과의 협력 또한 비NGO

중있게 검토되고 있는 것이 특징임.

한국 역시 를 통한 협력관계 유지 및 공동사업을 발NGO○

굴하고 기업과 함께 접근하는 방식이 유용함.

주Penang

환경협회연합

회장

Page 6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59

이러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하에 정부 기관 및 기업간에 하나의 컨소시,○

엄으로 그룹을 이루어 유기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

말레이시아의 환경설비에 대한 수요는 외국기업과 직접 계약하는 것보다○

는 현지업체를 통해 구입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에 현지 기업과

의 협력을 통한 진출이 바람직함.

현재 수입된 환경 설비는 대부분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

며 현지의 환경 엔지니어링 또는 컨설팅 회사는 대부분 외국산 설비의

에이전트 및 유통업자 역할을 수행.

접촉 및 애프터서비스가 제품 판매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말레이시○

아 산업 고객의 경우 외국기업으로부터의 직접적인 구매보다는 현지 기

업을 통한 구매방식을 선호 또한 정부 공급 및 입찰을 위해서도 네트워.

크 능력이 있는 현지 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임.

또한 플랜트 건설사업의 경우 우리가 보유한 시공능력 및 기술력과 말레○

이시아 업체가 보유한 중동 등 이슬람 지역에 대한 진출기반을 서로 결

합하여 제 국으로의 공동진출을 적극 모색해 볼 필요도 있으며 이러한3

유대관계를 통해 말레이시아 내의 주요프로젝트에서 기술을 가지고 공동

참여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특히 일본의 경우 멤버들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다양NGO○

한 펀드가 존재하는 반면 한국은 이런 부분이 부족한 것,

같아 관련제도에 대한 보완 및 지원이 요구됨.

Page 6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0

표 말레이시아 환경시장 진출을 위한 분석< 5-1 SWOT >

나 진출 유망분야.

현지 수요가 높은 분야로는 대기분야의 경우 발전소 및 공장 등의 점오○

염원에서의 대기오염물질 처리 및 감측설비의 수요가 높은 편임

또한 농업폐기물의 무단소각에 따른 관련설비의 수요 역시 지방에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기타 산업용 집진기 굴뚝배출가스 분석기기 및, ,

제어설비 실내공기질 제어설비 차량배기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유, ,

망할 것으로 전망됨

수질오염분야의 경우 산업폐수의 주요발생원인 화학 제지 고무제품 가, ,○

공 공장 등에서의 사전오염예방기술 및 폐수재활용 기술이 주목받고 있

음.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후발 개도국의 경제성장패턴에 적합-

한 기술력 보유

선진국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확보-

말레이시아 시장에 대한 지리적 문화-

적 접근성

- 중국 베트남과의 환경협력 경험 보유,

환경산업체의 영세성 및 대형 전문기-

업의 부족

첨단분야에서 기술격차 존재-

총액 지원조건 등이 경쟁국- EDCF ,

대비 열위

선진국의 시장 선점-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개도국 환경시장의 특수-

말레이시아의 환경의식의 증가와 이-

에 따른 환경정책의 강화

- 환경컨설팅 등 신규 환경산업의 수요증대

- 대형 다국적 환경산업체와의 경쟁 심화

중국 등 후발 개도국의 기술 추격-

인지도 부족-

- 한 말레이시아간 환경협력의 경험 부재-

현지 시장정보의 부족-

Page 6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1

특히 철강 전자제품 반도체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용매 폐유 산성 및, , , ,○

금속성 폐수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첨단 수질 감측 설비 유수 분리기,

등의 전망이 밝음.

폐기물분야의 경우 노후화된 수송차량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되며 폐기물,○

트랜스퍼 스테이션 매립설비 소각로 재활용 기술 등의 도입이 시급한, , ,

실정

기타 쌀 팜유 등을 이용한 바이오연료 산업에서의 청정 처리기술 등이,○

유망한 시장

표 말레이시아 유망 환경시장 분야< 5-2 >

구분 주요 수요분야

대기분야

발전소 및 공장 등의 집진설비-

농업폐기물 소각 설비 및 오염방지 설비-

굴뚝 배출가스 분석기 및 제어설비-

실내공기질 제어설비-

차량배기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수질분야

사전오염예방기술-

폐수 재활용 기술-

첨단 수질 감측 설비-

유수 분리기-

폐기물분야

신형 폐기물 운반차량-

위생매립설비 및 소각로-

재활용 기술 및 시스템-

기타분야 쌀 팜유 등을 이용한 바이오연료 산업에서의 청정처리기술- ,

Page 6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2

환경분야 제 차 말레이시아 계획1. 9

I. INTRODUCTION

22.01 During the Eighth Plan period, the incorporation of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to planning and development was intensified. This enabled a

more integrated and holistic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The institutional capacity and regulatory framework was strengthened and new

approaches and planning tools introduced. These efforts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resulted in Malaysia being ranked 38 among 146 countries

worldwide

and second in Asia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1. In addition, an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Study2 ranked Malaysia ninth among 133

countries in terms of efforts taken to reduce environmental stress on human

health and in protecting ecosystem vitality.

22.02 For the Ninth Plan, in line with the ninth principle3 of Islam Hadhari,

environmental stewardship will continue to be promoted to ensure that the

balance between development needs and the environment is maintained. Greater

focus will be placed on preventive measures to mitigate negative environmental

effects at source, intensifying conservation efforts and sustainably managing

natural resources. Emphasis will be given to the fostering of closer cooperation

between stakeholders in addressing environmental concerns. Environmental

planning tool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EIA),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 (SEA), cost-benefit analysis, market-based

instruments and environmental auditing will be increasingly applied in evaluating

and mitigating environmental impacts of development activities. In addi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will be intensified to further support

Page 6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3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These

efforts in improving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conserving natural

resources will contribute toward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I. PROGRESS, 2001-2005

22.03 During the Eighth Plan period, emphasis was placed on improving

environmental quality through better management in major areas of concern

particularly air and water quality, solid waste management as well as the

utilization of cleaner technologies. With regard to natural resource managemen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 measures were intensified particularly for

biodiversity, forest and water resources. The National Environment Policy,

which outlines strategies to propel the country’s growth trend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was adopted in 2002. In 2004, a new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was formed, consolidating 10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agencies under one administration to facilitate a

coordinated and comprehensive approach in managing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al Management

22.04 Air Quality. During the Eighth Plan period, air quality remained at good to

moderate levels as indicated by the Air Pollution Index. However, there were

instances of air quality deterioration in the Klang Valley, Selangor and Seberang

Perai, Pulau Pinang, due to increased concentration of ambient ozone levels and

particulate matter from motor vehicles, industries and open burning activities and

sulphur dioxide from industrial activities. The occurrences of haze from

transboundary sources became annual phenomena in parts of the west coast of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In this regard, bilateral efforts were directed

Page 6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4

at identifying and addressing the source of transboundary haze. Measures were

also undertaken to reduce the occurrence of haze from domestic sources, with the

enactment of the Environmental Quality Regulation (Declared Activities) (Open

Burning) in 2003.

22.05 Mobile sources remained the major source of pollutants in terms of carbon

monoxide and nitrogen oxide (NOx) emissions. Several measures were

undertaken to reduce emissions of pollutants from mobile sources. In 2004, the

Environmental Quality Regulation (Control of Emissions from Motorcycles)

2003 was gazetted. Steps were also taken to enact legislation to reduce the

sulphur content in diesel from 0.3 per cent to 0.05 per cent. Power plants were

the main source of sulphur dioxide followed by industries and others such as

hotels and commercial premises. In terms of particulate matter (PM10),

stationary sources, which include industries and power plants, contributed almost

90 per cent of the emissions.

22.06 Water Quality. The main sources of river water pollution were discharge of

domestic sewage, pollutants from agro-based industries/farming, run-offs from

earthworks and land clearing and effluent discharge from manufacturing

activities. Efforts to reduce and control the discharge of waste water from the

domestic sector focused on upgrading existing and building new sewerage

treatment plants. Under the first phase of the National Sewerage Project, four

sewerage treatment plants and centralize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constructed. In addition, 825 sewerage treatments plants were upgraded and the

length of sewerage networks maintained increased from 9,240 kilometers in 2000

to 14,560 kilometers in 2005. These measures reduced th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load in rivers resulting in a decline in the number of polluted

rivers.

22.07 Marine Water Quality. During the Plan period, marine water quality

Page 6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5

improved in terms of levels of arsenic, copper, Escherichia coli (E.coli), mercury

and suspended solids. E.coli remained the major contaminant of marine water.

22.08 Solid Waste. The amount of solid waste generated in Peninsular Malaysia

increased from 16,200 tones per day in 2001 to 19,100 tones in 2005 or an

average of 0.8 kilogram per capita per day. Solid waste in Malaysia on average

consists of 45.0 per cent food waste, 24.0 per cent plastic, 7.0 per cent paper, 6.0

per cent iron, and 3.0 per cent glass and others. Despite concerted efforts to

promote reuse, reduction and recycling (3Rs) of materials through the National

Campaign on Recycling, the amount of solid waste recycled remained at less

than 5.0 per cent of total waste disposed. During the Plan period, the Government

opened two sanitary landfills at Seelong in Johor and Bukit Tagar in Selangor,

and a transfer station in Taman Beringin, Selangor.

22.09 Toxic Waste. During the Plan period, an average of 430,000 tones of

scheduled waste was generated per annum. Of the total waste generated in 2004,

approximately 18.8 per cent was treated and disposed in the toxic waste

treatment and disposal facility in Bukit Nanas, Negeri Sembilan, 58.0 per cent

was recycled and recovered at licensed premises, 19.7 per cent was treated and

stored within the premises of generators, 0.7 per cent was exported for recycling

and 2.7 per cent was disposed at clinical waste incinerators. The recycling and

material recovery from toxic waste register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9.0 per

cent in 2001 to 58.0 per cent in 2004. This led to a decline in toxic waste treated

and stored within premises from 59.9 per cent in 2001 to 19.7 per cent in 2004,

as shown in Chart 22-1.

22.10 Chemical and Hazardous Substances. The use of chemical and hazardous

substances showed an increase, particularly in the agriculture sector. The volume

of fertilizers used increased from 2.2 million tones in 2001 to 4.0 million tones in

2004. Better farming practices were introduced to reduce the use of chemicals

Page 6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6

and hazardous substances through the Skim Akreditasi Ladang Malaysia

(SALM), and Skim Organik Malaysia (SOM). The Pesticides Act 1974 was

revised in September 2004 to strengthen the control of pesticid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afer handling measures, penalties for non-compliance with safety

labels and promotion of safety features in production and sal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22.11 Land Use Planning. A National Physical Planning Council was established

in 2003 and a National Physical Plan (NPP) 2005-2010 was adopted to further

enhance integrated land use planning. In addition, guidelines to protect and

conserve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ESA) were developed. A total of 86

local plans and 14 structure plans, which incorporated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considerations, were prepared. In addition, 35

development standards and guidelines on the environment, housing, transport,

land use, industry and urban surroundings, were also issu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22.12 Water Resources. The Government adopted an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IWRM) approach to optimise water management and developed a

Management Plan for the Langat River Basin, Selangor. A study on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states of Johor, Kedah, Negeri Sembilan, Sabah, Sarawak and

Selangor was completed in 2002. A guideline for installing a rainwater collection

and utilisation system was also introduced.

22.13 Biodiversity. The National Biodiversity-Biotechnology Council (NBBC) as

established in 2001 to coordinate efforts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The National Wetlands Policy was adopted in

2004 to protect and conserve wetlands as well as improve their management. A

High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for Peninsular Malaysia was

Page 7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7

developed and a study of Hill Stations in Peninsular Malaysia conducted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ighlands. In this regard, 109 projects on

highlands implemented by 12 different Ministries were monitored to ensure that

the strategies and guidelines were taken into account.

22.14 The number of protected areas increased from 37 to 40,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Taman Negeri DiRaja Belum in Perak, Taman Negara

Pulau Pinang and Taman Warisan Selangor, increasing the size of protected

areas to 5.36 million hectares, or 16.3 per cent of Malaysia’s land area. In

addition, the wetlands in Tanjung Piai, Sungai Pulai and Pulau Kukup, Johor

were designated RAMSAR sites. Other critical habitats such as the wildlife

corridors in Gunung Bintang Hijau in Kedah-Perak and Endau Rompin in Johor-

Pahang, as well as fresh water swamps and open lakes, were also identified for

conservation. Gene banks for endangered species and ex-situ breeding

pogrammes were also established to protect endangered species and facilitate

relocation of threatened species.

22.15 Forest Resources. During the Plan period a total of 19.52 million hectares

or 59.5 per cent of Malaysia’s land area remained under forest cover, of which

14.39 million hectares were permanent reserved forest and 3.21 million hectares

were totally protected areas. In addition, 310,550 hectares of forest plantation

were established, of which 75,800 hectares were in Peninsular Malaysia and

174,750 hectares in Sabah and 60,000 hectares in Sarawak. The Malaysian

Criteria, Indicators, Activities and Standards of Performance for 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 (MC&I) system was launched in 2001 to certify

sustainably managed forests and chain-of-custody timber produced from these

forests, and 67 companies were certified by 2005. Measures were also taken to

intensify the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mangrove forests, to serve as an

effective shoreline defence system against erosion, wave action and tsunamis.

Page 7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8

22.16 Mineral Resources. The National Minerals Council was established in

2001 to monitor and coordinate measures to manage mineral resources including

the mineral reserves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mineral

governance. The model State Mineral Enactment, which encompassed enhance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and procedures, was adopted by three more states,

namely Johor, Kedah and Negeri Sembilan, bringing the total to five. Quarry

Rules pursuant to the National Land Code 1965 were also adopted by Selangor in

2003 and Pahang in 2004 to improve control of quarry operations.

22.17 Marine and Coastal Resources. During the Plan period, 37 projects were

implemented to protect coastal areas from degradation and erosion. These

included the construction of wave breakers, beach nourishment and widening of

coastlines, particularly the shoreline bordering agricultural areas in Johor,

Melaka, Perak, Perlis, Pulau Pinang, Sarawak and Wilayah Persekutuan Labuan.

In addition, a pilot study to develop an integrated shoreline management plan

(ISMP) for the northern coastline of Pahang was completed, while the study for

the southern coastline of Pahang is ongoing. Other initiatives to protect marine

diversity included the establishment of the Tun Sakaran Marine Park in Sabah

and the preparation of a Marine Strategic Roadmap to intensify marine R&D.

Other Initiatives

22.18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romotion. During the Plan period, efforts

to enhance environmental awareness were further intensified at school,

community and national levels. In 2002, the Malaysian Environmental NGOs

(MENGOs) was established to bring together 18 environment-related

organizations to improve cooperation and integration of their efforts in raising

awareness on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 issues and in providing inputs,

Page 7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69

comments and feedback to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 Bandar

Lestari-Anugerah Alam Sekitar programme was launched in 2005 to encourage

local authorities to adopt environmentally friendly practices, and Kuantan,

Pahang emerged as the first recipient.

22.19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nitiatives. Malaysia continued to play an

active role in various multilateral environmental initiatives. Notably, Malaysia

hosted the Seventh Convention of Parties (COP7)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First Meeting of Parties (MOP) to the Cartagena

Protocol in February 2004. A number of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MEAs) and related amendments were signed and ratified during the Plan period.

These included the signing of the Stockholm Conven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while the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plete the Ozone

Layer, the Basel Convention on the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Waste and their Disposal, the Rotterdam Convention on Prior Informed Consent

Procedure for Certain Hazardous Chemicals and Pesticides in International

Trade, the 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were ratified.

III. PROSPECTS, 2006-2010

22.20 During the Ninth Plan period, the Government will place emphasis on

preventive measures to mitigate and minimize pollution as well as address other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arising from development activities. In addition,

steps will be undertaken to identify and adopt action to promote sustainabl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in relation to land, water, forest, energy

and marine resources. These efforts will enhanc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contribute toward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strategic thrusts for address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Page 7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0

resources issues will focus on: promoting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utilizing

resources sustainably and conserving critical habitats; strengthening the

institutional and regulatory framework as well as intensifying enforcement;

expanding the use of market-based instruments; developing suitable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and inculcating an environment-friendly culture and

practice at all levels of society.

Environmental Management

22.21 Air Quality. A new Clean Air Action Plan will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air quality. Detailed studies will be undertaken to

formulate action plans to improve the air quality in urban areas. Emission of air

pollutants from stationary sources will be addressed by promoting the use of

cleaner technologies. The sulphur content in diesel and petrol will be reduced

from 3,000 ppm to 500 ppm and from 1,500 ppm to 500 ppm respectively, with

the adoption of EURO

2M specifications. New emission standards based on EURO 2 for diesel vehicles

and EURO 3 for petrol vehicles will also be introduced to reduce emission of air

pollutants from mobile sources. In addition, the capacity and ability to fight peat

swamp fires, a domestic source of haze, will be strengthened.

22.22 Water Quality. The utilization of the integrated river basin management

(IRBM) approach will be intensified to improve river and groundwater quality.

Efforts will be targeted towards reducing the number of polluted rivers. Public

sewerage systems will be upgraded and additional centralized sewerage treatment

plants will be constructed to reduce the discharge of inadequately treated

wastewater into river systems. Gross pollution traps and sedimentation ponds

will be installed at critical locations in river basins to reduce the outflow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Siltation and erosion control will be addressed

Page 7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1

through the amendment of existing laws. Enforcement will be intensified to

ensure that effluent discharge comply with environmental standards in order to

maintain environmental health.

22.23 Marine Water Quality. The interim standards for marine water quality will

be reviewed with a view towards establishing comprehensive standards. A

detailed study will be undertaken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methodologies and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domestic pollutant loads and conditions. In

addition, surveillance of marine waters will be intensified to increase compliance

and control the illegal discharge of pollutants.

22.24 Solid Waste. The National Strategic Plan for Solid Waste Management

(Strategic Plan) will be implemented with emphasis on the upgrading of

unsanitary landfill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new sanitary landfills and

transfer stations with integrated material recovery facilities. Priority will continue

to be accorded to the reduction, reuse, recovery and recycling of waste as well as

greater use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uch as bioplastics. Legislation to

streamline solid waste management will be enacted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and measures in the Strategic Plan. Awareness

raising campaigns and activities will be increased to educate the public on the

benefits of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A solid waste department will be

established to implement these measures and to administer solid waste policy,

planning and management in a holistic manner.

22.25 Toxic, Chemical and Hazardous Substances. The institutional capacity of

the relevant agencies managing toxic and hazardous substances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adoption of a global harmonized system for the

registration of imports, transportation and safe handling of chemical and

hazardous substances. Measures will also be undertaken to develop a framework

to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approaches and technologies to treat and convert

Page 7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2

toxic waste into a resource for reuse. In addition, steps to address the

indiscriminate use of chemicals, particularly in agricultural practices, will be

intensified.

22.26 Cleaner Technology. To promote the greater use of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ies, industries will be encouraged to adopt self-regulatory measures and

apply the Life Cycle Approach (LCA) in their production processes and product

development. SIRIM Berhad will develop a National Lifecycle Inventory

Database for primary industries and activities such as electricity generation,

water supply, petroleum and natural gas exploration and production as well as

petrochemicals. The database will facilitate efforts by industries to develop LCAs

in their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es. In addition, findings from the

pilot eco-labelling project will be used to develop a national environmental

labelling scheme. Steps will also be taken to facilitate the adoption of cleaner

technologies by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ncluding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new sources of financing from the SME Bank.

Natural Resource Management

22.27 Land Use Planning. The application of the spatial development approach,

which integrates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s and

methodologies, will be promoted. The strategies in the NPP will be implemented

via incorporation into structure plans. Appropriate methods and parameters will

be developed to identify and manage ESAs to enable them to serve as buffer

zones in the control of development sprawl. Management of land resource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e-Tanah programme and by instituting

competent land administration through training.

22.28 Landscape. The National Landscape Policy will guide the development of

Page 7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3

urban parks at city, district and state levels. Green lung reserves will be expanded

and rivers, roads, public buildings and amenities will be landscap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Suitable ex-mining areas and quarries will be rehabilitated and

improved to serve as geological heritage sites and eco-tourism attractions.

22.29 Water Resources. Emphasis will be placed on maintaining and enhancing

the ecosystem functions of river systems through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highland catchments, wetlands, river buffers and riparian zones. The

suitability of market-based instruments will be explored to internalize

environmental costs, including scarcity, into water pricing systems. Measures to

reduce water demand will be emphasized including through the provision of tax

rebates for industries that recycle water.

22.30 Biodiversity. Efforts will be intensified to protect critical habitats. Towards

this end, existing management plans will be reviewed to further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threatened flora and fauna. EIA processes will be reviewed to

include assessment of impacts to ecosystems. The Highl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study for Sabah and Sarawak will be implemented and a

National Highlands Policy will be developed. The Guidelines for Access and

Benefit Sharing (ABS) of Biological Resources will be developed to ensure the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from the use of biodiversity resources as well as

address issues of biopiracy. Research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will develop a

comprehensive biodiversity inventory to facilitate bioprospecting.

22.31 Forest Resources.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forest products,

watersheds and water catchments will be emphasized to promot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sources of wealth from

forest products such as herbal and medicinal products, eco-tourism and

bioprospecting activities will be promoted. Centres on Forest and Non-Forest

Products will be established to further develop capacity in environmental and

Page 7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4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The MC&I system will be strengthened to

consolidate effort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22.32 Mineral Resources. A synergistic approach will be taken to steer the

industry towards sustainable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The adop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actices will be emphasized through the adoption of

the Minerals Enactment and Quarry Rules by all states.

22.33 Marine and Coastal Resources. An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Policy will be adopted to promot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and

coastal resources. The rehabili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oastline will be

intensified through regeneration and re-vegetation programmes. A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mangroves and coastal forests will be

developed to arrest the mangrove depletion rate to ensure a continuous supply of

resources as well as to mitigate the impact of coastal erosion and tsunamis. A

Coastal Vulnerability Index will be developed to guide the design of programmes

to enhance coastal zone management.

Other Initiatives

22.34 Economic Approaches. Measures will be undertaken to expand the use of

economic instruments and market-based measures, such as the incorporation of

the polluter pays principle, user fees and economic valuation techniques,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use of innovative

funding mechanisms to facilitate the conservation of critical and protected areas

will be explored. Pilot studies and projects will be undertaken to operationalize

the implementation of these innovative market-based instruments.

22.35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romotion. During the Plan period, efforts

to promote and inculcate an environment-friendly culture and practice among

Malaysians will be intensified and will involv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age 7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5

private sector and NGOs.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changes will be made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to create a deeper and longer lasting awareness of

the need to care for the environment. The private sector will be encouraged to

institute responsible care programmes within industries and companies to

develop a higher degree of care towards public safety, security and th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energy, ideas and enthusiasm of environmental

NGOs will be harnessed to complement and supplement efforts by the

Government in protecting the environment.

22.36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A Malaysian SDI system will be

developed and benchmarked with on-going international initiatives to ensure

comparability. In this regard, a comprehensive study will be conducted to

evaluate the timeliness, appropriateness and usefulness of applying assessment

methods such as natural resource accounting, environmental auditing and

pressurestate-response based models to monit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Malaysia.

22.37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nitiatives. Malaysia will continue to

emphasise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ddressing regional and

global environmental issues. The deliberations and developments at various

environmental fora will be closely monitored to ensure that they do not

jeopardise Malaysia’s interests. Emphasis will be accorded to the studies and

measures needed to facilitate action by Malaysia to meet its commitments to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IV. INSTITUTIONAL SUPPORT

22.38 Th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and its 10 agencies

will have a key role in promoting environmental stewardship and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development needs and the environment. Together with the

Page 7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6

Ministry of Housing and Local Government, it will ensure that the environment

is taken into account in land use planning and development. The Department of

Forestry and the Department of Wildlife and National Parks (PERHILITAN) will

be the frontline agencies in the conservation of our biodiversity. The corporate

sector and environmental NGOs will be encouraged to supplement and

complement the efforts of these key agencies.

V. CONCLUSION

22.39 During the Eighth Plan period, emphasis was placed on improving

environmental quality through better management in major areas of concern

particularly air and water quality, solid waste management, as well as the

utilisation of cleaner technologies. Efforts were also intensified to protect and

conserve land, water, biodiversity and forest resources. During the Ninth Plan

period, the Government will place emphasis on preventive measures to mitigate

and minimise pollution. The promotion of sustainabl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in relation to land, water, forest, energy and marine

resources, will be intensified.There will also be closer cooperation with

stakeholders and NGOs in addressing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

concerns. These efforts will enhanc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contribute toward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Page 8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7

말레이시아 환경기준2.

말레이시아 대기질환경기준< >

오염물질 시간말레이시아 환경기준

ppm ( / )㎛ ㎥

오존시간1

시간8

0.10

0.06

200

120

CO시간1

시간8

30.0

9.0

35

10

NO2시간1

시간24

0.17

0.04

320

10

SO2시간1

시간24

0.13

0.04

350

105

PM10시간1

시간24-

150

50

TSP시간1

시간24-

260

90

Pb 개월3 - 1.5

Source :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06

Page 8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8

말레이시아< Effluent Standard>

오염물질 단위기준치

A B

Temperature C 40 40

pH Value - 6.0-9.0 5.5-9.0

BOD5 at 20C mg/l 20 50

COD mg/l 50 100

Suspended Solids mg/l 50 100

Mercury mg/l 0.005 0.05

Cadmium mg/l 0.01 0.02

Chromium, Hexavalent mg/l 0.05 0.05

Arsenic mg/l 0.05 0.10

Cyanide mg/l 0.05 0.10

Lead mg/l 0.10 0.5

Chromium, Trivalent mg/l 0.20 1.0

Copper mg/l 0.20 1.0

Manganese mg/l 0.20 1.0

Nickel mg/l 0.20 1.0

Tin mg/l 0.20 1.0

Zinc mg/l 1.0 1.0

Boron mg/l 1.0 4.0

Iron (Fe) mg/l 1.0 5.0

Phenol mg/l 0.001 1.0

Free Chlorine mg/l 1.0 2.0

Sulphide mg/l 0.50 0.5

Oil and Grease mg/l 검출불허 10.0

Page 8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79

<ENVIRONMENTAL QUALITY (SEWAGE AND INDUSTRIAL EFFLUENTS)>

항목 단위기준치

A B

Temperature °C 40 40

pH value - 6.0 -9.0 5.5 -9.0

BOD at 20°C mg/ l 20 50

COD mg/ l 50 100

Suspended Solids mg/ l 50 100

Mercury mg/ l 0.005 0.05

Cadmium mg/ l 0.01 0.02

Chromium, Hexavalent mg/ l 0.05 0.05

Arsenic mg/ l 0.05 0.10

Cyanide mg/ l 0.05 0.10

Lead mg/ l 0.10 0.5

Chromium Trivalent mg/ l 0.20 1.0

Copper mg/ l 0.20 1.0

Manganese mg/ l 0.20 1.0

Nickel mg/ l 0.20 1.0

Tin mg/ l 0.20 1.0

Zinc mg/ l 2.0 2.0

Boron mg/ l 1.0 4.0

Iron (Fe) mg/ l 1.0 5.0

Phenol mg/ l 0.001 1.0

Free Chlorine mg/ l 1.0 2.0

Sulphide mg/ l 0.50 0.50

Oil and Grease mg/ l Not Detectable 10.0

Page 8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0

<Malaysia : Interim Marine Water Quality Standards>

Parameter (lab) Unit Interim standards

Escherichia coli (E.coli) MPN/100ml 100

Oil & Grease (O&G) mg/l 0

Total Suspended Solids (TSS) mg/l 50

Arsenic (As) mg/l 0.1

Cadmium (Cd) mg/l 0.1

Chromium (Cr) Total mg/l 0.5

Cuprum (Cu) mg/l 0.1

Plumbum (Pb) mg/l 0.1

Mercury (Hg) mg/l 0.001

Page 84: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1

말레이시아 전기 상하수도 폐기물 처리요금3. , ,

가 상수도 요금.

주 이름톤당 요금(US$)

Johor톤당요금 이하(20 )㎥톤당요금 이상(20 )㎥기본요금

0.670.895.58

Kedah톤당요금 이하(10,000 )㎥톤당요금(10,000 ~50,000 )㎥ ㎥톤당요금 이상(50,000 )㎥기본요금

0.360.420.543.02

Kelantan톤당요금기본요금

0.383.77

Melaka톤당요금기본요금

0.444.53

Negeri Sembilan톤당요금 이하(35 )㎥톤당요금 이상(35 )㎥기본요금

0.450.484.53

Pahang톤당요금 이하(227 )㎥톤당요금 이상(227 )㎥기본요금

Trade*(outside the approved industrial zones etc.)

Minimum charge

Part-Trade**Minimum chargePorts

0.280.259.05

0.44

6.04

0.303.020.44

Penang톤당요금 이하(20 )㎥톤당요금(20 ~40 )㎥ ㎥톤당요금(40 ~200 )㎥ ㎥톤당요금 이상(200 )㎥기본요금

0.160.210.270.303.02

Perak톤당요금 이하(10 )㎥톤당요금(10 ~20 )㎥ ㎥

0.360.42

Page 85: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2

톤당요금 이상(20 )㎥기본요금

0.483.62

PerlisTrade*Minimum chargePart - Trade**Minimum charge

0.392.410.331.51

Sabah & Federal Territory of Labuan톤당요금기본요금

0.271.21

Sarawak산업용수톤당요금 이하(25 )㎥톤당요금 이상(25 )㎥기본요금

상업용수톤당요금 이하(25 )㎥톤당요금 이상(25 )㎥기본요금

0.290.366.64

0.270.296.04

Selangor /Federal Territory of Kuala Lumpur & PutrajayaIndustrial/Commercial톤당요금 이하(35 )㎥톤당요금 이상(35 )㎥기본요금

0.620.69

10.86Terengganu산업용수기본요금

상업용수톤당요금 이하(70 )㎥톤당요금 이상(70 )㎥기본요금

0.3515.09

0.290.354.53

Page 86: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3

나 하수도 요금.

생활하수< >

다 산업폐수처리.

다 상업오수처리.

구분 요금

Houses receiving connected sewerage services 월2.41US$ /

Houses with individual septic tanks 월1.81US$ /

Village/Estate dwelling houses with individual septictanks or receiving connected sewerage services

월0.91US$ /

Low cost dwelling houses and houses with annualvalue of less than RM600 (US$181.05) withindividual septic tanks or receiving connectedsewerage services

월0.60US$ /

구분 요금

하수처리서비스 사용시 인 월US$0.75/ /

개별 정화조 보유시Premises with individual septictanks

인 월US$0.60/ /

Annual Value of Property

Monthly charge for

premises receiving

connected

sewerage services

Monthly charge for

premises with

individual

septic tanks

US$ US$ US$

604 or less 2.41 2.11

604? 1,509 4.22 2.41

1,509 - 3,018 6.04 4.22

3,018? 6,035 7.85 5.73

6,035 - 9,053 8.75 6.34

9,053 - 12,070 9.66 6.94

Page 87: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4

12,070 - 15,088 10.56 7.54

15,088 - 18,105 11.47 8.15

18,105 - 21,123 12.37 8.75

21,123? 24,140 13.28 9.35

24,140 - 27,158 14.18 9.96

27,158 - 30,175 15.09 10.56

30,175 - 60,350 54.32 36.21

60,350? 120,700 149.37 99.58

120,700 - 181,050 157.51 105

181,050 - 241,400 597.47 398.31

241,400 - 301,750 651.78 434.52

301,750? 905,250 1,303.56 869.04

905,251? 1,508,751 2,655.40 1,629.45

1,508,751 - 2,112,251 2,776.10 1,810.50

More than 2,112,251 2,896.80 1,991.55

Page 88: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5

라 폐기물 처리요금.

폐기물 종류에 따른 구분표< >

유기성폐기물 소각요금< >

폐기물 분류 폐기물 타입

A 윤활유 등 유류 폐기물

B할로겐물질 및 황함유율 이상물질 등의 유기성 화학폐기물1%

프레온 폐 클로로포름 솔벤트 콘덴서 함유( , PVC, , , , PCB트랜스포머 등)

C할로겐물질 및 황함유 미만의 폐용매1%아세톤 알콜 벤젠 테레빈 크실렌 등( , , , , )

H할로겐 및 황함유량 미만의 유기성 화학폐기물1%

아교 라텍스 페인트 페놀 잉크 합성유 알칼리염 에폭시 등( , , , , , , , )

K 수은 함유 폐기물수은 증기램프 수은배터리 등( , , )

T 살충제 폐기물살충제 제초제 쥐약 등( , , )

X무기성 폐기물

산 알칼리 소다 차아염소산염 무기염 금속 수산화슬러지( , , , , , ,크롬산염 시안화물 등, )

Z 기타 의료성 폐기물 실험실 폐기물 석면 폐기물 광물 슬러지, , , ,이소시아네이트 배터리 등, )

폐기물분류코드

포장된 폐기물 톤당( ) 산적 폐기물 톤당( )

펌핑 가능한 액상 고체상 펌핑 가능한 액상 고체상

A 244 - 190 -

B 951 1,086 - -

C 407 - - -

H/Z 570 842 543 815

T 951 1,086 - -

Page 89: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6

물리화학적 처리를 요하는 액상 무기성폐기물< >

고형화 처리 무기성폐기물< >

폐기물 운송료< >

폐기물 분류코드

리터 용기800 pallet기준 톤당( )

리터 드럼200기준 톤당( )

RM US$ RM US$

Acid Wastes WithoutChromate (X)

1,440 435 1,620 489

Alkaline Wastes WithoutCyanide (X)

1,440 435 1,620 489

Chromate Wastes (X) 1,800 543 1,980 597

Cyanide Wastes (X) 1,800 543 1,980 597

Mercury Wastes (K) 3,600 1,086 3,780 1,141

폐기물 분류코드포장폐기물 톤당( ) 산적 상태 기준 톤당( )

RM US$ RM US$

X / Z 810 244 765 231

주 이름기준pallet

톤당최소 18pallet 이상18 pallet

Negeri Sembilan 15.96 7.98 19.95

Kuala Lumpur (WilayahPersekutuan)

18.02 9.01 22.53

Melaka 18.32 9.16 22.90

Selangor 19.80 9.90 24.75

Perak 23.93 11.97 29.92

Page 90: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7

직접 매립을 하는 무기성 폐기물< >

폐기물 그룹코드포장폐기물 톤당( ) 산적 상태 기준 톤당( )

RM US$ RM US$

X / Z 495 149 450 136

Johor 24.82 12.41 31.03

Pahang 25.41 12.71 31.76

Penang 34.28 17.14 42.84

Terengganu 54.37 27.18 67.96

Kedah 54.66 27.33 68.33

Kelantan 55.25 27.63 69.07

Perlis 55.55 27.77 69.44

Page 91: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8

주요 환경기업 연락처4.

1. SAJ Holdings Sdn. Bhd.

C.P : Encik Ahmad Zahdi Bin Jamil, CEO

Add : SAJ Headquarters, Jalan Garuda, Larkin,P.O. Box 262

80350 Johor Bahru, Johor, Malaysia

Tel : 60(7) 2244040

Fax : +60(7) 2240033

E-mail: [email protected]

Website: http://www.saj.com.my

2. Air Kelantan Sdn. Bhd.

C,P : Tuan Haji Zuhaimi bin Mohd Jusoh, General Manager

Add : 5th Floor Bangunan Petronas, Jalan Sultan Yahya Petra, 15200

Kota Bahru, Kelantan, Malaysia

Tel: +60(9) 7437777

Fax: +60(9) 7472030

Email: [email protected]

Website: http://www.airkelantan.com.my

3. Laku Management Sdn. Bhd.

C.P : Ir. Wong Tiong Kai, CEO

Add : Level 6, Menara Soon Hup, Lot 907, Jalan Merbau, 98000 Miri,

Sarawak, Malaysia

Tel: +60(85) 442020

Fax: +60(85) 442005

Page 92: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89

E-mail: [email protected]

Website: http://www.lakumanagement.com.my

4. Perbadanan Bekalan Air Pulau Pinang Sdn. Bhd.

C,P : Ir. Jaseni Bin Maidinsa, General Manager

Add : Level 32, Bangunan Komtar, 10000 Pulau Pinang, Malaysia

Tel : +60(4) 2610169

Fax +60(4) 2627418

E-mail: [email protected]

Website: http://pba.com.my

5. Syarikat Air Terengganu Sdn. Bhd.

C.P : Dato' Ir. Wan Ngah Bin Wan Ali, CEO

Add : Jalan Sultan Ismail, 20200 Kuala Terengganu, Terengganu, Malaysia

Tel : +60(9) 6201103

Fax : +60(9) 6201104

E-mail: [email protected]

Website: http://www.satuwater.com.my/

6 Syarikat Air Melaka Berhad

C.P : Ir. Tuan Haji Mohd Khalid bin Nasir CEO

Add : Graha Maju, Tingkat 10, Jalan Graha Maju, 75300 Melaka, Malaysia

Tel : +60(6) 2921738

Fax : +60(6) 2836749

E-mail: [email protected]

Page 93: 말레이시아의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 및진출전략수립webbook.me.go.kr/DLi-File/pdf/2009/03/187404.pdf · 동을 하고 있어 기계설비 중간재 및 부품 등

말레이시아의 환경산업시장 현황조사 및 진출전략수립

90

Website: http://www.samb.com.my

7. Konsortium ABASS Sdn Bhd

C,P : En. Sazli Mohd Salleh, Manager - Government Relations & Corporate Affairs

Add : 15th Floor, Plaza perangsang, Persiaran Perbandaran, 40000 Shah,

Alam, Selangor Darul Ehsan, Malaysia

Tel : +60(3) 5512 2660

Fax : +60(3) 5511 4660

Email: [email protected]

Website: http://www.abass.com.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