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
71-6411789-000002-10 - I lllllll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Global Inspiration

함께만드는미래 N틈 ltT 경>I · 2019-07-02 · 발간등록번호 71-6411789-000002-10 함께만드는미래 N 틈 ltT 경>I 講. - '·J~ - 樹 365 열린보서관 I lllllll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발간등록번호 71-6411789-000002-10

함께만드는미래

N틈ltT경>I

講. -'·J~ -

樹 365열린보서관

I lllllll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Global Inspiration

셰계속의경기도

련기도때양=듀산자훤련구소

발간등록번호 71-6411789-000002-10

저124 ;호

함께만드는미래

N틈ltT:>4>1 。

Global Inspiration

셰계속의경기도

결기도때양수;산자훤연구소

n μμ--­

----투표 -. 차 1,1

I . 시험연구개발

1. 고소득 • 신품종 해양수산기술 개발

0 친환경 해삼 씨뿌림 양성 시험 ---------------”------------------------------------------------------------ 5 0 경기도 해역 백합 양식 시험 사업 ···································································· 16 0 갯벌이용 유용패류 종패 살포 시험 연구 ......................................................... 23

2. 토산어종 종 보존 및 복원 0 국내 멸종된 철갑상어 종 복원 연구 ................................................................. 35

0 꾸구리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 연구 ................................................................... 42

0 얼록동사리 시 험 양식 연구 ............................ ...................................................... 50

0 참마자 인공종묘 생산 연구 ..... ............................................................ ............... 57

3. 현장 애로기술 개발

0 미꾸리류 치 어 대량생산 연구 ----------------- “---------------------------------------------------------- 61 0 쏘가리 배합사료 순치 연구 ................................................................................ 65

0 메기 가공식품 개발연구 ...................................................................................... 70

0 저염분 순치 흰다리새우의 무환수 양식기술 연구 …………………………………… 75

0 양식어류 질병연구를 통한 대량폐사 원엔규명 ………………………………………… 87

4. 민물고기 생태조사 0 도내 주요하천 민물고기 서 식 현황 조사 ... ...... ................................................... 94

0 북한강 수계 내수면 어족자원 공동 조사(의암호) ………………………………--… 119

0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남해군 담수어류 공동 조사 ·…………………………… 127

n.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및 수산질병관리원 운영 1.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운영 ---------------------------”-------------------------------------------------------- 137 2. 수산질 병 관리 원 운영 ............................................................................................. 141

血.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자원조성

1. 우량치 어 생산보급 ----------------------------------------”-------------------------------------------------------- 149 2. 토산어 종 자원조성 .................................................................................................. 151

w. 양식기술 교육 및 지도 1. 양식기술 교육 및 지도 ......................................................................................... 165

φ콰 B꾀 '

2

I. I .시험연구개발

1. 고소득 · 신품종 해양수산기술 개발

0 친환경 해삼 씨뿌림 양성 시힘

0 경기도 해역 백합양식 시힘 샤업

0 갯벌이용 유용꽤류 종때 살포 시힘 연구

2. 토산어종 종 복원 및 개발

0 국내 멸종된 철갑상어 종 복원 연구

0 꾸구리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 연구

0 일록동샤리 시힘양식 연구

0 참마자 인공종묘 생산 연구

3. 현장 애로기술 개발

0 미꾸리류 치어 대량생산 연구

0 쏘가리 배합사료 순치 연구

0 메기 가공식품 개발 연구

0 저염분 순치 핀다리새우의 무환수 양식기술 연구

0 양식어류 질병연구를 통한 대량폐사 원인 큐명

4. 민물고기 생태조사

0 도내 주요 하천 민물고기 서식현황 조사

0 북한강 수계 얘수먼 어족자원 공동 조샤(의암호)

0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남해관 담수생물 공동 조샤

0

---- -

φ콰 B꾀 '

4

I . 시험연구개발 I

친환경 빼삽 ill뿌뿜 양성 시험

최지성·엄성끊·검수현·명노진·천명길·홍석우

서 론

바다의 A흉으로도 불리 는 해삼( Stichopus japonfrus)은 극피 동물문 해 삼강 순수목 해삼

과에 속하는 바다생물로 세계적으로 약 1천5백종씨 분포하며/ 한국에서 생산되는 해삼은

온대산 참해삼인 홍해삼/ 청해삼/ 흑해삼 둥 총 4과 14종으로 알려져 있다. 서식지는 수

질이 맑고 조류가 잘 소통되고 유속이 느린 장소이며 저질은 암초/ 돌무덤이 있는 사질

바닥 수섬 10∼15m에서 주로 분포한다. 자웅이체이나 암 수 구분이 어려워 산란기 때 배

를 갈라 생식소의 색깔을 보고 수컷의 생식소는 흰색/ 암컷은 오렌지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8∼10℃에서 성장이 빠르나 17℃이상 되면 띄이 섭취를 중지하며/ 25℃이상일 경우

에는 활동을 중지하고 여름잠을 잔다. 해삼의 생 i걱적 한계수온은 30℃ 전후로 28℃이상

장시간 유지시 폐사하고 염분에 민감하여 25∼33%0 범위에서 생존하며 염분 20%0이하로

지속되면 폐사한다고 알려져 있다. 먹이는 유기붉/ 박테리아/ 원생동물/ 규조류/ 식물과

동물의 잔해로 펄과 함께 섭취하여 나머지 잔여물을 항문을 통해 배설한다.

해삼은 경제적/ 산업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있는 생물로 세계 40개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세계 총생산량은 2012년 210,872톤으로 한국/ 중국/ 일본/ 북한/ 러시아에서 주로

생산되었다. 해삼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 중국이 170,830톤으로 세계 총

생산량의 8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이 4.8%, 한국이 0.9% 수준으로 중국이 해삼 최

대 소비국이다(국립수산과학원/ 2014).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국립수산과학원의 해삼 종묘생산 기술개발 시험을 시작으로

해삼 관련 육상수조식 양식/ 전복 복합 양식기술/ 축제식 양식/ 자원조성을 통한 씨뿌림

양식/ 배합사료 개발/ 중간육성 기술 동 해삼 관련 완전양식 기술을 구축하기 위해 기초

시험 연구를 추진해 왔다. 최근에는 2011년 해삼이 해양수산부 10대 수출전략품종 중 하

나로 선정된 이후로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및 각 지자체에서 해삼양식 산업단지 조성사

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12년 농림수산식품-부 (현 해수부)에서 각 지역별 도서지

역(백령 · 대청/ 태안 숭언리/ 보령 장고도/ 군산 연도I 진도 대마/ 통영 추도/ 양양 기사

문/ 제주 우도)을 대상으로 수출양식단지 조성을 위한 타당성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13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과 해수부 합작으로 해삼 양성시험 효과 조사를 실시하였

다. 2014년에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해삼 완전양식 기반 구축을 위한 해삼 육상수조I 해

상가두리 양식y 해삼 전용사료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농어촌공사는 방조제 개발관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련법 개정건의를 통하여 「간척지의 농어업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 · 시행

(9.25)으로 간척지의 어업적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축제식 해삼양식 시범사업 등을 추

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해삼양식 산업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내 해삼 생산량의 대부분은 양식이 아닌 포획 · 채취를 통한 천해어업을 통해 이루

어지며 해삼양식장은 완전양식이 아닌 방류사업 목적인 종묘생산 양식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전체 생산량을 살펴보면 그림 1과 같이 2000년대 이후로 그 생산량과 생산금액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많은 생산이 이루어치는 경남/ 충남이 해삼 주생산지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비해 경기도는 타 지역과 달리 해삼 생산량이 보고되지 않고 있다

40,000,000 ---。。

----션암4톤l 을-생산음때I잔웬) U,000’.。。

·.야.

!0,000,000

25,000.o<,。

20,000,000

l , 500

~5.000,‘X쩌

l,000 i。,000,00。

S,‘JOO’.。。50。

셔융훤경?횟‘,환좋갱*흥정*.흉.행황’황·황황양성양황.활황‘횡.항.황

그림 1. 국내 해삼생산량과 생산금액 (2014 해양수산부 수산정보포털/ 1990년∼2013년)

해삼의 자원조성 방식은 그동안 어류나 패류를 방류하는 방식과 같이 선박 위에서 해

삼종묘를 수면위에 그대로 방류하거나 흩뿌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해삼의

서식 특성상 방류 전 은신처 확보와 방류 지역의 정착 여부 및 방류 효과 둥에 대한 여

러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현재는 시설비와 인력이 많이 드는 단점은 있으나 해삼을

방류할 장소에 인위적인 돌무텀 또는 해삼어초될 미리 시설하거나 해조류가 풍부한 해

저지형이 암반인 곳에 잠수부를 동원하여 자원조성을 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본 시험사업은 2013년에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에 위치한 국화도 자율관리공동체에서

해삼시험양식에 대한 기술 이전 요청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국화도 자율관리공동체는 이

번 시험사업 건의 전에 자체적으로도 국화도 주변 수역에 해삼 종묘를 방류하였으며 이

후 해삼 자원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지속적인 소득원

으로 삼기 위해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수산기술센터에 자문을 요청하였다.

I . 시험연구개발- I

우리 수산기술센터는 국화도 주변 환경을 조사하고 해삼 서식 적지에 경성저질용 해

삼어초를 설치하여 해삼종묘를 방류한 후 해삼 정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번 연구

를 진행하였다, 본 시험연구사업의 최종 목표는 경기도의 해삼 생산지 확보와 지속적 생

산을 통한 어업인 新소득원 창출 및 해상의 지역 브랜드화로 최대 해삼소비국인 중국을

겨냥한 서해 해삼섬 특화 양식단지 조성에 대한 까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1. 적지 조사

국화도 주변 해역의 해삼 서식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화도 어촌계장의 자문을

통해 출현지역의 해삼을 채취하고 해저 지형을 육안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잠수 조사와

수중촬영을 2014년 5월부터 8월까지 총 3회 실시하였다.(그림 2)

그림 2. 국화도 주변 해역 시험사업 적지조사 지역

2. 환경 조사

수질측정 기 (YSI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Monitor 6600-M, USA)를 이 용하여 해

당 지역의 염분/ pH, DO, 수심을 현장에서 측정하였다. COD, 영양염/ SS, 클로로필

(Chl-a) 등을 분석하기 위해 채수기 (Water Sampler Model JT-1, USA)로 저층의 해수를

채취하였다. 또한 해삼 어초 시설지의 입도 분석은 잠수를 통해 펄을 채취하여 퓨)연안관

리기술연구소(전북 무안)에 의뢰하였다.

3. 해삼 어초

해삼 종묘의 정착과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한 해삼전용어초(특허 제10-1116724호/ 생분

해성 인공어초)를 구입하여 국화도 해삼시험지에 투하-설치하였다.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1. 국화도 해삼시험지에 사용된 해삼전용어초

Eco-SC1002 Eco-SClOOl 며 。

형태

590× 360× 180mm

4lkg

시벤트/ 잔골재 (4∼8mm), 생분해성

해삼종묘 정착용

55.5kg

펠렛/혼화재

해삼육성용

590× 360× 120mm 격-게

-분-도

규 -무 -성 -용

해삼 종묘 살포

국화도 해삼시험에 사용할 해삼 종묘를 군산소재 양식장에서 평균 1∼2g 크기 약 6,000마리

구입하여 해삼시험지에 살포하였다. 종묘 투입 전 해삼어초를 선박과 포크레인을

국화도 주변 해역으로 이동시킨 후 투하하였다. 투하된 해삼어초는 잠수부를 동원

ql ;·; 4. 어초 설치

(8kg)를

이용하여

하여 세 구역 (A, B, C)으로 나누어 총 732개(종묘용 242, 육성용 49이를 설치하였다.

그림 3. 해삼어초시설과 해삼향묘 투입과정 모식도

5. 해삼 종묘 정착 여부 확인

2014년 10월에 해삼 어초를 설치하고 해삼 종표를 투입한 후 11월/ 12월에 각각 A, B,

구역의 해삼 종묘를 10마리씩 총 30마리를 채집하여

수중촬영을 통해 정착 여부를 확인하였다.

무게를 실험실로 운반한 뒤 C 세

측정하고/ 시험지의

>

I 시험연구개발 I

결 과

1. 수질 측정 및 잠수조사

국화도 시험지의 저층 현장수질 측정 결과는 표 2와 같다. 그동안 서해안 씨뿌림 해역

별 적지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현장 측정결과는 양호하였다.

표 2. 해삼 시험예정지 현장 수질 환경

측정일 수 심 (m) 수 온(℃) pH 염 분(psu) DO( mg/ ι )

2013. 9. 26. 8.4 22.5 7.91 29.77 7.08

2014. 6. 24. 11.9 18.7 7.93 31.41 7.45

2014. 8. 19. 9.6 22.3 7.71 30.90 6.32

잠수 조사 결과 국화도 주변해역에 해삼이 폭넓게 서식하고 있었으며/ 해삼 은신처와

먹이생물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삼 이외에 소라와 키조개

가 다량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조개/ 전복 동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그림 4. 국화도 주변해역 수질측정과 잠수를 통한 서식생물 조사

국화도 동쪽 부근인 1,2차 조사 구간은 해저 지형의 경사도가 약 10도 정도로 자갈과

펄이 고르게 섞인 평탄한 지형으로 확인되어 경섣| 저질용 해삼어초를 시설하는데 적지로

판명되었다. 반면에 국화도 북서쪽 부근은 해저에 20m정도의 깊은 웅덩이가 확인되었으

며 저질 또한 대부분 펄로 구성되어 해삼 어초가 전도되거나 펄에 묻혀 유실될 우려가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있어 시설이 불가한 지역이었다. 동쪽 부근은 북서쪽과 다르게 펼과 지-갈 그리고 암반의

구분이 명확해 해삼어초를 연속적으로 폭넓게 시설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림 5. 국화도 동쪽 해저지형 수중촬영 사진 및 해삼 서식 확인 (노란색원 • 해삼분변)

2. 해삼어초 시설

그림 6은 국화도 해역의 해삼어초 시설장소이따. 보는 바와 같이 A, B, C 세 구역으로

나누어 시설하였으며 시설 좌표는 각각 A지점이 37 II 04.169 I N, 126 ” 33.400 IE, B지점

이 37 ” 04.175 I N, 126 II 33.395 I E, C지 점 이 37 ” 04.184 I N, 126 ” 33.286 I E이 다.

그림 6. 해삼어초 시설장소 (A, B, C)

3. 압도 분석

해삼어초시설지에 잠수부가 채집병 (lL)을 이용하여 A, B, C지접 주변의 해저표층 총

8점을 채취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 7과 8 그리고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

I 시험연구개발 I

GRAVEL

g뚫없쫓;뚫.‘’동-.-SAM.D

zt1 5,,.,.,..S

~‘&--%‘--앙----,.=-‘-” ... ~~

z: ..

----”에 7 .e

!IM

-- --~·

lllUD 싸., • ._ SAN。 CLA11 SILT

그림 7. 해삼어초 시설지 (A, B, C)의 표층퇴적상 삼각다이어그램

해삼어초 시설지 주변으로 총 8점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그림 7의 삼각다이

어그램과 조사지점 별 입도 조성비를 나타내는 그림8과 같이 국화도 동쪽 해역의 해저

퇴적물은 자갈/ 모래/ 펄이 고루 섞인 경성지질로 각각 약역니질사/ 역질니/ 역니질사/ 사

질니로 나타났다(F이k, 1968).

00'16

90%

80%

7m‘ 60%

!’efticle-si~e •Clay dl,;trlbuti。.,

s~ Slit

40% • Sa”d

30% • GnNO’ 20%

10%

。.‘1 2 3 끼 5 6 1 8

!>tali。n

그림 8. 해삼어초 시설장소 (A, B, C)지역의 조사정점 입도조성비(%)

조사 지점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3.20∼6.05φ (평균 4.22φ)의 범위를 보였다. 퇴적물의

입도 조성이 얼마나 균일한가를 측정하는 지표인 분급도(Sorting)는 3.11∼3.63φ (평균

3 .28φ)의 범위를 보여 조사 해역의 표충 퇴적물의 분급은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F이k, 1968). 퇴적물의 조립질/ 세립질 퇴적물의 비율을 알 수 있는 왜도(Skewness)는

0.05∼0.41 (평균 0.14)로 8지점의 표충퇴적물은 평균값은 양의 왜도를 보였다. 조사해역

의 첨 도(kurtosis)는 0.96∼2.06(평 균 1.52)로 나타났다.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3. 해삼어초 시설지역 (A , B, C) 의 조사 정점 입도 조성과 평균 입도

않a ti on Grav<리(%) 닮nd(%) Silt(%) Oay(%) Mear개(φ) 앓ting(φ) Skewness Kur to is Sediment ψpe

1 0.5 57.7 27.2 14.6 4.26 3.17 0.38 1.27 (g)mS

2 8.6 32.1 48.0 11.3 4.23 3.28 -0.05 1.77 gM

3 5.2 63.0 20.8 11.0 3.20 3.26 0.32 1.37 gmS

4 10.7 30.8 47.4 11.1 4.10 3.37 -0.09 1.69 gM

5 0.0 32.9 41.6 25.5 6.05 3.13 0 ‘ 41 0.96 sM

6 8.1 28.1 53.2 10.6 4.28 3.11 -0.06 2.06 gM

7 8.0 57.4 22.0 12.6 3.25 3.63 0.30 1.18 gmS

8 8.5 29.6 49.8 12.1 4.38 3.27 -0.05 1.87 g~ι

4. 퇴적물 일반 항목 분석

해삼어초 시설지의 함수율은 24.6∼47.4 %, 강열감량은 2.63∼7 .42%로 나타났으며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1.32∼8.94mg/ g, 산휘발성 황화물은 0.001∼0.115%로 대체로 건강한 저질환

경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4. 해삼어초 시설지역 (A , B, C) 의 퇴적물 일반항목 분석

Station Moisture contents (%) I밍ntion loss (%) COD (mg/g) AVS (mg/g)

1 35.4 4.03 1.32 0.007

2 25.4 2.63 2.53 0.013

3 26.9 3.18 3.49 0.001

4 24.7 2.77 4.66 0.011

5 47.4 7.42 8.94 0.115

6 24.7 2.78 5.56 0.007

7 28.4 4.47 7.04 0.054

8 24.6 3.14 7.65 0.011

5 즈그소 브셔 . 。 o--. ~-.

시험지 총 8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는 다음과 같다. 미량금속 분석결과 미국해양대기

청 (NOAA) 권고기준 이하였다.

I 시험연구개발- I

표 5. 해삼 어초 시설지역 (A, B, C)의 중금속

Heavy metal (mg/g) Cu Zn Cr Pb As Cd Hg

ERL 34 150 81 46.7 8.2 1.2 0.15 (타fects Range Iρ>W)

Concentration 3.3 37.1 60.0 21.1 6.7 0.048 0.030

6. 어초 안정성 확인 및 해삼 종묘의 정착 확인

국화도 동쪽 해역에 해삼어초를 A, B, C 구역으로 구분하여 시설한 후 시설 완료와

동시에 해삼 종묘를 정착시켰다. 한달 후 잠수부활 동원하여 수중 카메라로 해삼의 정착

여부를 확인하였다.

표 6. 해삼 시험예정지 수질측정 결과

측정일 수 심(m) 수 온(℃) pH 염 분(%0) DO(mg/ ,f)

2014. 11. 7. 3.14 15.6 8.21 31.10 8.20

2014. 12. 9. 4.01 8.14 7.77 31.53 10.06

해삼 투입 후 한 달 간격으로 성장도 평가를 위해 세 구역의 해삼종묘 10마리씩 총30

마리를 채취하여 지퍼백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해삼 종묘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개체

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두 달간의 해삼어초 및 해삼 종묘 정착 여부확민 결과 종묘의 정착은 성공적이었으며

해삼 어초도 전도된 것 없이 초기 시설한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 11월 채집한 해삼종

묘 30마리의 평균 무게는 0.76g, 12월은 0.78g이었다. 이는 해삼 종묘 투입 당시 평균

1∼2g 종묘를 투입하였으나 구입 전 해삼 종묘의 선별 과정 중 lg 이하의 종묘가 다수

섞여 해당 시험지에 투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삼 종묘를 채집할 당시 종묘의 정착과

성장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기 위해 투입된 지점왜 해삼어초만 걷어 내어 종묘를 채취하

였다. 향후 월별로 해삼 종묘의 성장도 평가를 계속 실시할 계획이다.

그림 9. 해삼종묘 투입 (10월)과 해삼정착 확인(11월)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고 찰

본 시험에 사용된 해삼어초는 경성저질용이다 해삼서식 특성과 조류에 의한 전도/ 유

실 등을 고려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부피가 크지 않아 해저 바닥이 완전히 펄인 지역

에는 설치/ 유지가 어려우며 지형이 암반이거나 펼과 함께 자갈이 고르게 분포한 평탄한

지역에 시설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암반이나 큰 돌이 고르게 분포하여 이미 해삼 은

신처가 조성이 되어 있는 경우는 별도의 해삼 어초(돌무덤 등)를 설치할 필요성이 적다.

또한 자연 암반지역은 이미 해삼이 정착하여 서식하고 있는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 서식지의 해삼의 자원량을 늘리기 위해 해삼 서식 특성상 은신처

추가 조성의 과정을 생략하고 단순히 해삼 종묘의 방류량만을 늘려나간다면 투입한 해

삼 종묘 대비 생산량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는 양식수조의 수면적에 최대 생산

이 가능한 밀도가 있듯이 자연환경도 마찬가지일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은신처 조성만

이 그 지역의 해삼 자원량 증가의 전제조건은 이닐 것이며 이에 따른 먹이/ 적절한 수질

환경 등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해삼 자원량

증가 빙-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해삼 종묘의 투입/ 정착과 성장도 평가 그리고 지속적

관리를 통한 자원량 증감 효과 분석을 실시한 후 인위적 해삼 서식지를 조성하는 것이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해삼 소비는 횟감용 생해삼이 대부분이며/ 메인 메뉴가 아닌 입가심용이나

술안주 형태이다. 이와는 반대로 중국에서는 해삼이 일반음식의 식재료로 쓰일 뿐만 아

니라 건강식품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해삼은 주로 요녕성의 대련/

산퉁성의 연태/ 위해에서 대규모로 생산되어 해삼 전문 판매점에서 다양한 식재료로써의

건해삼과 더불어 이를 2차 가공하여 건강기능식품(정력제/ 노화방지제/ 면역증강제 등)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은 한국에 비해 이미 산업화가 진행되어 해삼이 중국

양식수산업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

하기 위해 서론에 기술한 바와 같이 종묘생산/ 품간양성(축제식/ 씨뿌림)/ 배합사료 개발

등의 해삼 양식기술 연구와 국내시장과 해외시장 분석 등 산업화에 대한 토론이 활발히

진행되고는 있지만 해삼 양식기술자의 부재/ 해상용 양식 전문기자재 및 전용사료/ 해삼

섬 조성 시 채취 문제/ 국내 소비시장의 다변화 동의 문제로 아직까지는 뚜렷할만한 성

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이번 해삼시험 연구사업 대상지인 국화도에 2014년 하반기에 해삼어초를 시설하고 종

묘를 투입하여 정착여부를 판단한 결과 해삼 씨뿌림 양식 대상지로써 적지임을 알 수

있었다. 2015년에는 현재 국화도 동쪽 지역의 해삼어초 시설지 주변의 해저 지질 상태를

보다 정확히 조사하여 경성 저질용 해삼어초 시설 가능 면적을 산정/ 종묘를 투입하여

주변 환경조사와 성장도 조사를 계속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해삼이 경기도 양식 생산품

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I . 시험연구개발f I

참고자료 -----------

• 박영제/ 김영길/ 정의영 퉁. 2013. 서해안 해삼 축제식 대량생산 양식기술 및 표준모델

개발 연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변한석/ 김창길/ 김병균 동. 2013. 옹진군 수출양식단지(양식섬) 육성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보고서.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서해지사.

• 이경식/ 강선율/ 류청로 퉁, 2012. 해삼시범연구사업 연구결과보고서. 전라남도해양수산

과학원 국제갯벌연구센터.

• 이정의/ 손맹현/ 김태익/ 박민우/ 진영국. 2014. 해삼 인공종묘생산 가이드북. 국립수산

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한경남/ 류경무/ 김성민 동. 2013. 해삼양식산업 기-술개발 연구사업 최종보고서. 인하대학교.

편윤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경기도 해역 백합 발식 시혐 사업

최지성·명노진·엄성률·김수현·천명길·홍석우

서 론

전복이 패류의 왕이라면 조개의 여왕은 백합(Meretrix lusoria) 이다. 조갯살이 많고 맛이

뛰어난 고급 패류인 백합은 강 하구/ 내만 퉁 비교적 염분이 낮은 사니질(모래펄)의 간

석지에서 주로 서식하며 여름에는 2∼4cm, 겨울에는 8∼12cm이상까지 잠입한다. 서식 수

온은 11∼28℃(적수온 20∼28℃ )/ 산란기는 6∼9월이며 7월 중순이 주 산란기이다. 백합의

종류는 두 종으로 현재 주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백합은 말백합으로 껍질에 I /\/\ I무늬

로 구분된다 백합은 지금은 희귀해져 현재 일반인들은 말백합과 백합을 구분하지 않고

통틀어 백합이라고 부르고 있다.

백합의 전국 생산량은 1991년 4,293톤으로 풍부하게 생산되었으나 새만금/ 시화y 화옹

간척 사업 및 환경 변화에 따라 2010년에는 1,146톤/ 2011년에는 800톤/ 2012년에는 572톤/

2013년 130톤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경거도의 경우 1992년 136톤을 기점으로 생

산이 중단되었다가 2013년에는 단지 9톤의 백합 생산이 보고되고 있다 (해양수산부 수산

정보포털 2014). 백합의 주 서식지는 전북 부안이며 경기도 연안에서는 화성시 중앙천퇴/

시홍시 오이도/ 안산시 종현동 둥에 주로 서식하였으나/ 간척사업과 수온 상승 동 환경 변

화로 생산량이 급감하였고 현재 시홍시 오이도 갯벌에서 소량 발견되고 있다.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

0

째 산 천 나P 륙 날 남 기

→싹 샌 냉 낸 랜 ••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1. 최근 전국백합 생산량 현황

I 시험연구개발 I

경기 연안은 시화/ 화옹지구 동의 간척 사업으똥 인해 어장이 축소되고 해양 환경 및

지반 변동 둥으로 인하여 유용 패류의 발생 및 서식 환경이 악화되어 수산자원의 감소

현상을 보이며/ 이에 따른 지역어업인들의 소득도 급감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연구의 목적은 백합의 성장 및 생존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

연안 시홍시 오이도 지역에 조위망을 설치하고 자연산과 양식산 종패를 각각 살포하여

감소하는 백합의 자원량 증대를 통한 자원 회복덕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마을체험어장

소득품종 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1. 적지 조사

백합 연구교습어장 선정을 위해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화성시 석천리/ 제부리 그리

고 시홍시 오이도 」역 갯벌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표 1은 국립수산과학원 적지조사

요령 및 경기도 연안어장 실태조사 (2003.11,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보고서에

준하여 작성한 결과이다.

표 1. 백합 시험사업 예정지 조사 결과

조사항목 백합(기준치) 화성 석천리 화성 제부리 시홍오이도

수온 2∼36℃ 10.8 11.3 11.0

염분 20∼33%。 30.2 30.5 31.6

용존산소 4.3∼9.9mg/ ι 이상 9.6 9.4 9.4

pH 7.6∼8.3 7.99 8.01 8.16

저질 사니질(사질 50∼90%) 사니질 사니질 시-니질

-닙「T 。rλ <§ 을 ·~그r 적조 발생이 없는 곳 없음 없음 없음

해적생물 불가사리류/

불가사리/ 쑥 상--i' 없음 고동류퉁

노출시간 O∼5시칸 노출선 4 4 4∼5

담수유입 직접 영향 없는 곳 없음 없음 없음

오염원 인근오염원 및

없음 없음 없음 부영양화 영향 없는 곳

풍파 지반변동 없는 곳 다소 있음 다소 있음 없음

종묘 자연산 없음(서식흔적 없음(서식흔적

자연산존재 패각 발견) 패각 발견)

기타 - 어장관리 관리불편(선박이동) 관리원활 관리원활

-어촌계협조 어촌계 적극 협조 어촌계 적극 협조 어촌계 적극 협조

현흔XY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그림 2. 시홍시 오이도 갯벨 적지 조사 (5월)

2. 연구교습어장 시설

안산시 대부도와 시흥시 오이도를 잇고 있는 시화 방조제 부근에 약 lha 규모로 조위

망을 시설하였다. 시설 좌표는 37。20.104'N, 126。40.969'E, 37。20.139'N, 126。40.966'E,

37。20 .137'N, 126。40.881'E, 37。20.lOS'N, 126。40.885'E 이 다.

그림 3. 시홍시 오이도 갯벌에 연구교습어장 위치도

3. 종패 살포

당초 시험 계획은 5∼6월에 인공산과 자연산 종=패를 구입하여 살포할 계획이었으나 인

공산 종패의 경우 해당 업체의 사정으로 구입이 불가능하였다. 자연산 종패는 최근 생산

량이 급감하여 전국적으로 채취가 불가능하여 종패 구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나

2014년 10월에 전북 군산에서 약 2∼3cm(각장 2.8crπ 전중량 5.58g 내외) 백합 종패 2톤

을 구입하여 연구교습어장 조위망 시설에 살포하였다. 백합 종패 살포 이전 오이도 자율

관리공동체에서 갯벌체험을 위해 조위망 시설 주변으로 동죽 종패를 미리 살포하여 시

험 종패를 살포하기 위한 차량 진입이 불가하였기 때문에 만조시 선박을 이용하여 조위

망 시설 위치까지 접근한 뒤 시험 종패를 투하하고 간조시 석시법으로 종패를 흩뿌려

고르게 살포하였다.

>

I . 시험연구개발· I

그림 4. 백합종패 구입 및 조위망 내 살포

결 과

1. 성장도

시험어장에 종패 살포 전 백합 종패의 평균 각장은 2.8cm, 전중량 5.58g 내외였으며 2

개월의 측정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백합 성장도 측정결과

각장 각고 각폭 가식부 가식부

채취일 채취수 전중(g) 각중(g) 중량비 비만도 (mm) (mm) (mm) 중량(g)

(%)

11월 30마리 28.0 23.7 13.5 558 1.81 2.78 32.40 0.20

12월 30마리 31.8 26.6 15.2 6.18 2.26 3.86 37.80 0.19

2. 시험지 압도 분석

오이도 시험어장 내의 저질분석을 위해 4지점띄 펄을 지퍼백에 담아 분석 의뢰한 결

과를 그림 5와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SJ‘HO

CLAY

5•u”‘ ---녕 ... s....‘111<1yuno ·-‘ ..... .c-”얘ye씨y

oM= .... ‘ vm“d .z,.-., .. C-) .M-

p.‘”

SILT

그림 5. 오이도 백합 시험어장의 표층퇴젝상을 보여주는 삼각다이어그램

시험어장 내 총 4개 지점의 저질의 입도 조성 비율은 그림 5과 그림 6에 나타내었으

며 4개 지점 모두 사질의 비율이 높은 실트질사 펄임을 알 수 있었다(Folk, 1968).

100%

90%

80%

7~

P1에ieht-ti iz• 60% disπibution

50%

40%

30%

20%

10%

0% 1 2 3

St a tic>n

그림 6. 오이도 백합 시험어땅의 입도조성비(% )

•Clay

• Slit

• Sand

• Gravel

조사 지점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3.55∼4 .03φ (평균 3.71φ)의 범위를 보였다. 퇴적물의

입도 조성이 얼마나 균일한가를 측정하는 지표인 분급도(Sorting)는 0.47∼1.14φ (평균

0.65φ)의 범위를 보여 조사해역의 표충 퇴적물의 분급은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Folk, 1968). 퇴적물의 조립질/ 세립질 퇴적물의 비율을 알 수 있는 왜도(Skewness)는

0 .14∼0.63 (평균 0.28)로 4지점의 표충 퇴적물은 평균값은 양의 왜도를 보였다. 조사 해역

의 첨 도(kurtosis)는 1.58∼3.11(평 균 4.01)로 나타났 다.

/

I . 시험연구개발 I

표 3. 오이도 백합 시험어장의 입도 조성과 평균 입도

Sta ti。n Grav'잉(%) 않nd(%) Silt(%) Oay(%) Mean(φ) 않ting(<P) Skewness Kurtois Sediment ψpe

1 0.0 67.5 26.9 5.6 4.03 1.14 0.63 3.11 zS

2 0.0 86.4 11.0 2.6 3.58 0.49 0.15 1.58 zS

3 0.0 89.6 8.3 2.1 3.55 0.48 0.14 1.66 zS

4 0.0 83.4 13.6 3.0 3.68 0.47 0.19 1.67 zS

4. 퇴적물 일반 항목 분석

백합 시험어장 시설지의 시설지의 함수율은 22.l∼27.5%, 강열감량은 1.74∼2.13%로

나타났으며 화학적산소요구량은 4.54∼5.05mg/ g, 산휘발성황화물은 0.000∼0.025%로 대체

로 건강한 퇴적환경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4. 오이도 백합 시험어장의 퇴적물 일반 항목 분석

Moisture c。ntentsStation I잉ntion loss (%) COD (mg/g) AVS (mg/g)

(%)

1 23.8 2.13 5.05 0.001

2 23.2 1.74 4.83 0.000

3 22.l 2.02 4.54 0.025

4 27.5 1.75 4.92 0.001

5. 중금속 분석

백합 시험지 총 4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는 다음과 같다. 미량금속 분석결과 미국해

양대기청 (NOAA) 권고기준 이하였다.

표 5. 백합 시험어장의 중금속 분석

Heavy metal Cu 강1 Cr Pb As Cd Hg

ERL 34 150 81 46.7 8.2 1.2 0.15 (닮fects Range Low)

Concentration(mg/ g) 3.0 56.8 33.0 14.8 8.2 0.04 0.018

쫓><ir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고 칠-

당초 계획으로는 경기도 연안에 백합 시험예정찌 2개소를 선정하여 축제식/ 조위망식 방

법으로 백합 성장/ 생존 등 비교 실험을 실시하고자 하였으나 축제식 양식장 적지 선정 및

인공산 종패 구입의 어려웅 때문에 조위망식 백합 시험지 1개소(오이도)로 계획을 변경하

였다. 상반기에 자연산 종패 구입이 불가능하여 하반기 10월에 오이도 시화 방조제 부근에

조위망을 설치한 뒤 백합 종패를 살포 후 양식 가능성/ 성장도/ 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5년에는 인공산/ 자연산 종패를 같은 시기에 구입하여 해당 시험지에 조위망을 추

가로 설치하고 동일 시점에 생존률/ 성장도 등찰 시험할 계획에 있으나 2014년과 같이

종패수급 문제로 인공산/ 자연산 종패 구입이 원활하지 않을 시 시험기간연장 둥 계획변

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이도 갯벌은 시화방조제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고 북서쪽으로 인천과 접해 있으며 송

도자유경제구역 개발과 인천신항 건설로 인한 준설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향후 시화방조

제와 인천신항을 연결하는 도로가 건설될 예정쓰로 이에 따른 급격한 갯벌 환경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2015년 연구교습어장 시험연구계획은 인공산/ 자연산 백합 서

식가능성과 성장도 조사를 비교/ 분석하고 더불어 위와 같은 지역개발로 인한 오이도 갯

벌의 환경변화를 미리 예측하기 위해 갯벌 입도또성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참고자료

• 박영제/ 박광재/ 신종근/ 김응오/ 양준용/ 한현섭/ 강희웅/ 이진호/ 임현정/ 장인권/ 이종윤.

2003. 경기도 연안어장 실태조사. 국립수산과학뭔 서해수산연구소.

• 송재희/ 조영록/ 최옥인/ 고병설/ 조영조/ 김치홍/ 최용석. 2004. 환경친화적 양식어장 관리기

술개발 연구/ 갯벌 양식어장 관리방안 연구(백합).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사업보고서.

• 조미영/ 김치홍/ 권정노/ 김종식/ 양원석. 2001.서해안 양식장의 지속적 이용 및 관리기술

개발 백합생산을 위한 서식장 특성 연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군산분소 사업보고서.

>

I . 시험연구개발· I

갯벌이용 유용nu류 종때 살포 시혐 연구

오승진·명노진·윤희정·엄성률·최지성·천명걸·홍석우

서 론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는 고막조개과에 속하는 대형조개로써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북부/ 필리핀 등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남해딴에 주로 서식하는 패류이다. 피조개는

1970년대부터 양식되어 오고 있으며 현재는 전국적으로 765건의 양식어업권과 7,161ha의 어

장에서 피조개가 생산되고 있다.(국가통계포털/ 2014)

피조개는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전국적으로 약 23,000톤이 생산되기도 하였으나/ 2014

년 현재에는 3,031톤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중 대부분은 전남/ 경남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피조개의 연도별 생산량과 생산 금액은 표 1과 같다.(수산정보포털/ 2014)

표 1. 피조개 연도별 생산량 및 생산금액

년도 생산량 (M/T) 생산금액(천원) kg당 금액(원)

2014 3,031 18,060,826 5,959 -- ------------- “ - ------ “‘·

2013 2,604 20,891,519 8,023 .“‘··‘

-------,. -“---‘-- --- --- ---- - -- -- --------------- -------‘----------2012 2,432 25,216,265 10,369

----------- .‘·‘ --- --- ---‘- ---- -- ---- -- -- ------- -- -------- ----- -- --2011 5,802 37,061,182 6,388

‘--‘-- ---- --------------- -- ----- -- --- -- -- --------------------- -- -------- -------------------2010 7,280 36,846,895 5,061

--‘’‘---‘--- -------- -------- - ------------------------- -- --------------------------------- -------- ----------2009 7,352 32,308,081 4,394

"‘- -- - -“ ‘· .‘ ·“ · ‘ ·‘ -- --- -‘ -------‘--‘---------------‘ ‘· “- -- ‘----- ‘------ --2008 3,131 19,087,019 6,096 ‘-------- --‘-- - - -‘ ·‘ -‘--- ---- ---‘

2007 3,167 18,379,718 5,804 2006 2,212 17,986,900 8,132

------ -- -- -- - - ------ -----‘----‘----‘------‘·,‘·‘·-- -- -- ------------------2005 2,778 20,880,783 7,516 --- -- -------- -- -2004 3,391 26,702,991 7,875

------ -----‘ • --2003 5,205 34,753,205 6,677

-----‘---2002 4,973 37,025,364 7,445 2001 7,512 54,463,333 7,250

““·.““ --‘--‘---- -------- -“· .“‘ 2000 10,936 58,950,970 5,391

------- ----------- ---.‘·‘--““ 1999 9,084 61,163,563 6,733

---‘·‘·‘ 1998 24,340 127,604,123 5,243 ‘--’--- - -- - - -- - -‘ • -- ----- --- ----

1997 13,823 60,593,749 4,384 “‘ -- - “- - -- ‘- -‘---‘-- ‘--“‘---- -‘------------ ----- ‘---- ----------------- -- ---‘-----‘ 1996 20,948 84,510,380 4,034

--‘·-------- ‘--------- • ------------------------ ---- - ---- --- -----‘-------‘------ .“‘-----‘-- --‘-------- ----‘----1995 9,830 64,527,852 6,564 -- ---- -------- --------- -------------------‘- ---- -- ------ -----------------1994 14,247 76,274,464 5,354

.‘-- “--- -‘·‘ .‘∼‘----- ----- ----- “· -- -------------------------‘--1993 12,166 62,865,679 5,167 --- ---------- ---- ------- -- -- -- ---- --------

1992 21,458 96,457,044 4,495 ------‘· ‘---- -- - - - -- --- --“ ’-- ‘ -‘ ·-“--1991 17,512 67,441,534 3,851

1990 18,773 73,562,876 3,919

편륜〈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피조개는 고막조개과 중에서도 크고 맛이 연하여 주로 일본으로 수출하는 유용패류이나/

아쉽게도 경기도에서는 피조개 양식어업권이 전무한 실정이다. 경기도 갯벌에서 피조개의 대

량 생산을 위한 양식어업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일부 갯벌지역에서 피조개가 자연적으

로 소량 서식하고 있어 경기도 갯벌지역에서도 “피조개 양식”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가의 수출 품종으로 남해안에서 주로 서식하는 피조개를 경기 갯벌에

살포 후 시험양식을 실시하여 경기도 지역에서의 피조개 양식기술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땀법

1. 피조개 종패 살포 예정지 현장조사 및 찰포지 선정

관내 갯벌 중 자연산 피조개 서식이 관찰되는 화성 고온리 갯벌/ 화성 석천리 갯벌/ 화성

매향2리 갯벌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피조개 종패 살포 예정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항목은 수질환경(수온/ 염분/ 용존산소/ pH 둥)/ 생물상(패류서식 상태)/ 담수

유입/ 오염원 유무 퉁이며 피조개에 대한 기준치는 표 2와 같다.

표 2. 피조개 조사항목에 따른 기준치

조사항목 피조개 기준치

-ιi「‘ 죄~ 3 ∼ 40℃

여I그 τ 닝r

‘---- -‘

용존산소 3mg/ ι 이상

pH 7.8 ∼ 8.3

저 질 사니질

해적생물 불가사리류/ 고똥류 둥

노출시간 6시간노출선 ∼ Om

담수유입 직접영향 없는 곳

오염원 인근 오염원 및 부영양화 영향 없는 곳 -------- --- - “ “‘·“ - ‘-·‘ · ---- --- ‘ ---‘ --- --‘---------- -‘

% 파 지반변동 없는 곳 -- -- ‘· “· --

드。ξ 묘 인공종묘 및 자연산 ‘·‘----‘--- ‘--- ---- -----‘ --- ---- --- -- “ - --- --“·‘ -- --“ ------ ‘·‘· ‘-------‘·‘--

기 타 어장관리현황/ 어촌계협조상황 퉁

I . 시협연구개발· I

2013년 3월 피조개 종패 살포 예정지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3개

지역 모두 수질환경(수온/ 염분/ 용존산소l pH 등)은 피조개 적지조사 기준에 적합하였다.

3개 지역에 패류 서식 상태를 조사한 결과 피조개/ 개조개/ 바지락/ 비단가리비/ 소라 퉁

다양한 패류가 서식이 관찰 되었으며/ 3개 지역 모두 해적생물인 불가사리류와 고둥류 등

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3개 지역 모두에서 자연산 피조개 서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고온리 갯벌에서는 자연산 피조개 종패가 다링= 관찰되었다.

또한 3개 지역 모두 저질은 사니질이었으며 담수의 직접적인 영향이 없고/ 인근에 오염

원 및 부영양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조사지역의 수질 및 저질 환경/ 생물상 분포가 유사하였으나/ 고온리 갯벌에

서 자연산 피조개 종패가 다량 관찰되었으므로 어깎 관리 용이성/ 어촌계 협조/ 자연산 종

패 존재 유무 둥 종합적인 조사 결과를 토대로 화성 고온리 갯벌을 피조개 양식시험 적지

로 선정하였다.

2. 피조개 종패 구입 및 살포

피조개 종패 살포지로 선정된 화성 고온리 어촌계와 “고온리 마을어장 무상사용 계약”을

체결하고 자연산 피조개 종패는 구입이 가능한 경남 거제지역에서 자연산 피조개 종패를

구입하였다. 자연산 피조개 종패 7백만마리/ 4백만마리 두차례 구입하여 겸수 후 5℃의 냉

동탑차를 이용/ 화성시 고온리 갯벌로 이동하였다. 1, 2차 살포 당일 기상상태/ 수질환경조

사/ 식물플랑크톤을 관찰하였으며/ 관련 사진은 그램 1과 같다.

그림 1. 살포 당일 환경조사

1차 살포(2013년 4월 12일) 당일 기상상태는 기온- 최저 0.1 ℃/ 최고 11.6℃(평균 6.3℃)였

으며/ 평균 풍속은 1.8m/s였다. 수질환경 측정 결과는 표 3과 같다.

2차 살포(2014년 4월 8일) 당일 기상상태는 기온 최저 2.5 ℃/ 최고 20.3℃(평균 10.8℃)였

으며/ 평균 풍속은 1.6m/s였다. 수질환경 측정 결과는 표 4와 같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식물플랑크톤은 우리나라 연안에 흔히 분포하는 돌말류인 Skeletonarna

sp.와 규조류인 Chaetoceros sp. 등이 관찰되었다.(그림 2)

1 201앙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3. 피조개 살포지역 수질환경 측정결과 (2013년 4월 12일)

E。J 조 ~ 수 온 여1그 브 "- pH DO 최대수심

측정값 7.2℃ 28 .27%。 8.35 12.71mg/L 2.45m

표 4. 피조개 살포지역 수질환경 측정결과 (2014년 4월 8일)

항목 수 온 염분 pH DO 최대수심

측정값 8.4℃ 30 .04%。 8.18 9.4mg/L 3.0m

그림 2. 피조개 살포 지역에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

경남 거제시에서 구입한 피조개 종패의 크기는 표 5와 같으며/ 종패의 활력도는 해수 중

에서 30 ∼ 40분 경과 후 촉수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양호한 편이었다.(그림 3)

표 5. 피조개 종패 크기

하。 모 --, 각장(cm) 각고(cm) 각폭(cm) 전중(g) 가식부중량(g)

1차 종패(평균값) 2.0 1.4 0.9 1.7 0.5

2차 종패(평균값) 1.5 1.0 0.7 0.5 0.2

>

I 시험연구개발 I

피조개 증패 증패큐격 측정 까자흔저 -「 C그 _, C그

그림 3. 구입한 피조개 종패 찢 종패 크기 측정

고온리 마을 어장 lOha에 어선 5척 (작업인부 총 60여명)을 이용하여 피조개를 1차 살포하였

다.(그림 4) 피조개 살포 사진은 그림 4와 같다. 2차 살포는 어선 4척(작업인부 총 20여명)을 이

용하여 선상에서 살포하였으며/ 피조개 살포하였다.(그림 5)

피조개 살포작업

그림 4. 2013년 피조개 살포

피조개 종패 선적 피조개 살포 준1::11 선삽살포

그림 5. 2014년 피조개 살포

3. 시험어장 조성

매월 피조개 성장도 및 서식상태 확인 등 동 시-업의 연구를 위하여 마을어장 일부(약

490m')에 시험어장을 조성하고 가로 7m, 세로 7m의 조위망을 설치하였으며/ 조위망 내에

피조개를 살포 완료하였다.(그림 6)

몇〉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그림 6. 시험어장 조성

4. 성장도 및 환경조사

피조개 종패 살포 후 2013년에는 매월 1회 피조개의 성장도 및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장도 조사를 위하여 시험지에서 피조개 종패 30마리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실험실 내에서

각장/ 각고/ 각폭 및 전중량/ 가식부 중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온/ 염분/ 용존산소/ pH를

매월 측정하였다. 2014년에는 매월 피조개 채취가 어려워 피조개 서식 여부만을 육안으로

확인하였고/ 2014년 6월부터 성장도 및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5. 영양성분 분석

피조개 가식부의 영양성분 분석을 위하여 살포 시 피조개(2013. 4월) 종패와 중간육성 단

계의 피조개 (2013. 9월) 가식부를 부경대학교 사료영양연구소에 의뢰하여 일반성분(수분/ 조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과 지방산 35종과 유리아미노산 33종을 분석하였다.

결과및 고찰

피조개의 종패 살포 후 환경조사 결과는 표 6과 같으며/ 성장도 조사 결과는 표 7에 나타

내었다. 피조개가 적합한 서식환경을 찾아 깊은 곳으로 잠입하는 자원생태학적 특성에 따라

2014년에는 매월 피조개 채취하는 것이 어려워 피조개 서식여부를 육안으로만 확인하고

2014년 6월에 성장도 조사를 하였다. 성장도 조사 결과 2013년 4월에 각장 2.0cm, 전중량

l.7g 내외였던 피조개가 2014년 6월에 각장 6.Scm, 전중량 66.3g까지 성장하였다. 이는 각장

3.3배/ 전중량 39배가 증가한 것으로 경기도 갯벌에서의 피조개 서식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수옹 상승기 피조개의 대사량 증가로 먹이 섭취가 활발해져 급격한 성장

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7∼8월 중 출하가능 크기에 도달하였다.

I. 시험연구개발 I

표 6. 월별 환경조사

조사일자 기온(℃) 수온(℃) pH 염분(%。) DO(mg/ 1)

2013. 4 6 7.2 8.4 28.3 12.7

2013. 5 23 15.7 8.2 36.9 9.7

2013. 6 24 19.0 8.4 8.4

2013. 7 26 21.9 7.8 27.6

2013. 8 33 25.7 7.9 28.3 6.7

2013. 9 21.7 7.8 27.6 7.5

2013. 10 18 20.8 7.8 28.5 8.6

2013. 11 11 10.9 7.8 27.9 12.5

2013. 12 6 2.9 7.9 28.2 5.0

2014. 6 34 17.6 7.3 29.0 6.8

표 7. 피조개 성장도 조사

가식부 가식부

구분 각장(cm) 각고(cm) 각폭(cm) 전중(g) 중량(g)

중량비 비만도 (%)

2013. 4 2.0 1.4 0.9 1.7 0.5 29.2 188.0

2013. 5 2.1 1.5 1.1 2.0 0.8 37.6 223.8

2013. 6 3.0 2.3 1.6 6.2 2.2 36.3 198.7

2013. 7 3.4 2.7 1.9 9.2 2.6 28.7 157.3

2013. 8 3.8 2.9 2.1 11.8 3.3 27.8 138.6

2013. 9 3.9 3.0 2.2 14.1 3.8 26.6 139.8

2013. 10 4.0 3.0 2.3 14.3 4.5 31.5 167.0

2013. 11 4.2 3.2 2.4 16.6 5.8 34.8 186.2

2013. 12 4.3 3.3 2.6 19.3 7.8 40.5 214.1

2014. 6 6.5 5.0 4.0 66.3 29.2 44.0 222.8

편풀X:r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피조개의 월별 성장도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띔 7과 같다. 피조개 종패와 1년 3개월 양

성기간을 거친 피조개 성장도를 그래프로 비교하면 그림 8과 같다.

7D

6.S

6D +~ -*‘끽fttaot

” r 껴·각.llt'ml o I- - .. ..... ~'lllllr ·-

70 - --

5.00

∞ - - ---인휩찌 ---을용ω

so - --- 「·-훌용비

-ι--

”””””

n u

6.St

- --앙i

• ”­-

-- “ -- - -· J“. ‘. ’ • 、“ “ 、1~

1 1。

I J.71

| 。 판't;:;

I -~· .,,. .-. I •l" ‘· ι- - - “ •“!‘ ‘ ’ 「、r 、 、 ‘·;-‘-..,.、

。s

。。

• 、4‘ i'

그림 7. 피조개 성장도 변화

222.8

•· 20'13년4윌 l증폐} • 2014던6윌 {최증’

각장(C삐l 각고(Cal) 각폭( <111 ) 전흥(힐 육흥(1) 육풍~I 비만도(%)

그림 8. 피조개 종패와 최종 성장도 비교

σ쫓〉

I . 시험연구개발 I

2013년 채취한 피조개의 일반성분(수분/ 조회분/ 조지방I 조단백질)은 표 8에 나타내었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피조개가 성장함에 따라 수분함량은 증가하고/ 조지방과 조단백질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8. 피조개 일반성분 분석

시료명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2013. 4월 82.26±0.22 2.18±0.02 1.12±0.01 11 .14±0.04

2013. 5월 77.74±0.18 2.15±0.00 1.79±0.01 13.12±0.05

2013. 6월 82.92±0.24 2.89±0.01 0.49±0.01 11.53±0.05

2013. 7월 86.41±0.11 2.54±0.02 0.22±0.00 9.30±0.04

2013. 8월 86.82±0.14 2.56±0.02 0.21±0.00 8.88±0.02

2013. 9월 86.99±0.17 2.19±0.02 0.19±0.00 9.02±0.04

2013년 4월 살포 당시 피조개와 2013년 9월에 채취한 피조개를 대상으로 유리지방산 35

종을 분석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피조개의 성장에 따라 EPA, DHA와 같은 불포화지방산

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DHA는 1 .04%에서 11.24%까지 함량이 증가하

여 그 증가폭이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피조개의 유리아미노산 분석은 지방산과 동일하게 2013년 살포 당시 피조개와 2013년 9월

에 채취한 피조개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표 10과 같다. 일반적으로 다른 패

류와 마찬가지로 피조개에도 타우린과 글루탐산 퉁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준)::::7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9. 피조개 지방산 분석

분석 항목(지 방산) 1)

Butyric acid C4:0

Caproic acid C6:0

Caprylic acid C8:0

Capric acid ClO:O

Undecanoic acid Cll:O

Laurie acid C12:0

Tridecanoic acid C13:0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0

Pentadecanoic acid ClS:O

cis-10-Pemtadecenoic acid ClS:l

Palmitic acid C16:0

Palmitoleic acid C16:1

Magaric acid C17:0

Magaroleic acid C17:1

Stearic acid Cl8:0

Oleic, Elaidic acid Cl8:1n9℃,ln9t

Linoleic acid Cl8:2n9℃

Linoleladic acid C18:2n9t

'1(-Linolenic acid Cl8:3n6,9,12c

Linolenic acid C18:3n9,12,15c

Arachidic acid C20:0

Eicosenoic acid C20:1

Eicosadienoic acid C20:2

dis-11,14,17-Eicosatrienoic acid C20:3

Arachidonic Acid C20:4

Heneicosanoic acid C21:0

EPA C20:5

Behenic acid C22:0

Erucic acid C22:1

cis-13,16-Docosadienoic acid C22:2

Tricosanoic acid C23:0

Lignoceric acid C24:0

Nervonic acid C24:ln15c

DHA C22:6n3

Total

쩔 -m m m

때 %끊

M

@%mj

”M

%…·딩 ”m

때 W껏 q

η%%%mω싫 m

밍 또 끊 m

%않

7

%νm

mp

mm

양-m

3

-o o o D

D

1

o o 1

4

0

;8

l

3

[”

;2

0

0

3

4

9

2

9

4

o l

6

2

2

9

4

TL

O-m

m -n o o O

O

O 0

4

0

0

0

갱 6

l

o E

νω3 o o n

ααa

o 3

0

Z

o a n o αO L--

2013. 9월

0.000

0.000

0.000

0.095

0.090

0.227

0.086

4.583

0.113

0.655

0.463

27.586

5.965

3.382

0.330

19.383

3.689

2.764

0.067

0.175

1.687

0.150

2.181

0.305

0.127

6.042

0.000

7.942

0.020

0.065

0.307

0.277

0.000

0.000

11.244

100

1)부경대학교 사료영양연구소에 의뢰하여 2반복으로 분석 실시

>

I 시험연구개발 I

표 10. 피조개 유리아미노산 분석

혹‘J-λ .ij 15. 。L도 --i- 2013. 4윌- 2013. 9월

Phosphoserine 0.005 0.003

Ta urine 0.256 0.327

Phosphoethnol없nine 0.000 0.000

Urea 0.000 0.000

L-Aspartic acid 0.019 0.016

L-Threonine. 0.016 0.006

L-Serine. 0.014 0.005

Aspara잉ne 0.010 0.000

L-Glutarnic acid 0.055 0.025

L-u-Arninoadipic acid 0.000 0.000

L-Proline 0.015 0.005

L-Glycine 0.053 0.018

L-Al없line 0.052 0.024

L-Citrulline 0.000 0.000

L-u-Arninobutyric acid 0.000 0.000

L-Valine 0.017 0.005

L-Cystine 0.001 0.000

L-Me삼lionine 0.005 0.002

L-Isoleucine 0.012 0.004

L-Leucine 0.023 0.007

L-Tyrosine 0.014 0.004

L-Phenylal없디ne 0.012 0.004

β-al없line 0.064 0.007

DL-β-Arninoisobutyric acid 0.000 0.000

¥-Arninobutyric acid 0.000 0.000

L-Histidine 0.005 0.003

3-Methyl-L-Histidine 0.000 0.000

1-Methyl-L-Histidine 0.000 0.000

L-Carnos허ine 0.002 0.001

L-Orinithine 0.001 0.001

L-Lysine 0.023 0.010

L-Ar밍nine 0.036 0.030

Total 0.710 0.508

※ 결과치는 3회 분석의 평균값엄.

편쏠Xt'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결 로

L

본 연구는 경기도 갯벌에서의 피조개 양식 가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2014

년까지 피조개에 대한 성장도 및 환경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시험지역에서 피조개

양식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본 시험연구사업을 추진한 지역은 남해안에 비해 급격한 수

온변화/ 빠른 유속/ 해적 생물인 불가사리/ 종빗 등의 영향으로 일부 피조개가 폐사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생존 피조개는 1년 3개월 양성기간 동안 전중량 66g, 가식부

중량비 44, 비만도 223%의 상품성이 좋은 피조개로 성장하였다.

피조개는 공기 중 노출 시간이 짧을수록 종패의 저질 잠입률이 높아져 생존율이 높아

진다(김/ 2007)는 보고에 따라 간조 시에도 노출되지 않는 곳에 피조개 종패를 살포하였

다. 이로 인해 맨손어업을 주로 하는 경기도 갯벌에서는 피조개 채취에 다소 어려움이 있

으므로 채취 방법(형망허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

와 같은 연구를 통해 경기도 지역의 갯벌에서 최근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는 피조개의 생

산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자원회복과 어민 소득똥대를 위한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 국립수산과학원 2009. 피조개 양식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 김병학/ 신윤경/ 최낙중/ 오봉세/ 손상규/ 정춘구/ 손태선 강경호 2CXJ7. 피조개/ Scap뼈I℃a

hα방t따i (Schre:다〈) 인공치패의 크기 및 환경조건이 짐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류학회지 23(1). pp. 1용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14.

• 해양수산부 수산정보포털 2014.

>

I 시험연구개발 I

국내 멸종된 절갑상애 종 복원 연구

- 혈액(혈청) 분석을 통한 암·수 감별 시험 연구 -

이동훈 ·이상우· 김달영·임성률·홍석우

서 론

2009년에 북한으로부터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에 도입된 철갑상어 (Acipenser sinensis

Gray, 1834. Chinese sturgeon)는 2011년부터 2014년 3월까지 바다양식을 위해 염분 및

해수적웅 시험을 추진한 결과 서해안에서 양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서식한 철갑상

어류의 경우 1970년 이전 서해 연안으로 유입하는 한강/ 금강(군산)/ 영산강(목포)/ 여수

및 울산 동의 하천 주변 하구에 가끔 출현한 보고가 있다. 철갑상어 (Acipenser sinensis

Gray, 1834. Chinese sturgeon)는 현재 중국해 (Chinese Sea)와 황해 (Yellow Sea)에 서식

하며 Jangtsekiang에서 Jinsha-jiang, Min-jiang과 Pearl 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근에 세계적으로 철갑상어과 어류는 전통적인 양식어류인 연어과 및 잉어과 어류를

대체하고 있으며 집중적으로 양식되고 있다. 양식되고 있는 철갑상어는 어육과 캐비어 생

산에 주 목적으로 이용된다(Williot and Brun, 1998; Feist et al., 2004). 경제적 관점에서

철갑상어류 양식의 주요 쟁점은 캐비어 생산을 위한 암컷과 어육 생산을 위한 수컷을 가

능한 초기에 분리하여 별도 관리하면서 양식하는 껏이다. 철갑상어류는 성적 성숙이 오랜

기간 소요되고 산란기가 임박할 때까지 외부적으로 성별 감별이 어려우며/ 또한 성숙 주

기가 매년 일정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정적이다. 일반적으로 수온에 따라 성숙 연령은 변

화되며 수온이 높은 지역일수록 성축연령 도달이 빠르고/ 특히 수컷의 정소 발달은 수온

에 크게 영 향을 받는다 (Feist et al., 2004).

철갑상어류의 성별 감별에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외과적인 수술을 통한 조사/ 생체조직

검사 및 혈액 검사 방법이 있다. 외과적인 조사 및 생체조직 검사는 분명하게 성별을 구

별할 수 있으나 매우 공격적인 방법으로 외부의 스트레스 유발 및 세균 감염으로 어체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다소 덜 공격적인 방법으로는 혈액을 수집하여 성별 감별에 관

여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철갑상어에 있어 스테로이드 성 호르몬의 수준은

생식소의 성장이 시작되기 전까지 매우 낮다. 철갑상어 수컷에서는 Testosterone (T)와

11-ketotestosterone (KT) 호르몬이 분비되며/ KT는 정소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Jiang et

al., 1996). 17B-Estradiol (E2)는 수컷보다 암컷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견되며 난소 발생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스테로이드 성 호르몬으로 인식된다. 더욱이 E2는 난황형성기

쫓〉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vi tellogenesis) 동안 증가하게 된다.

북한으로부터 국내 도입한 철갑상어의 경우 현재까지 혈액에 의한 암수감별에 대한 생

리학적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이러한 정보는 이렐 종의 생활사 및 보존 전략을 이해하고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철갑상어 (Acipenser sinensis Gray, 1834.) 성어의 최

대크기는 전장 400cm와 전중 452kg에 달하며I 이는 담수어류 중 가장 큰 종류에 속한다

(Chang and Cao, 1999). 또한 외과적인 수술을 봉한 조사, 생체조직 검사를 통해 암수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양성한 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혈액 검사 방법을 통해 암수감별의 가능성 유무를 조사하고/ 정

확도를 평가한 후 암컷을 체계적으로 양성 관리하여 성숙시기 조절에 기초자료로 활용하

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밥법

1. 시험어 및 사육 조건

시험에 사용된 철갑상어는 북한으로부터 도입한 철갑상어 10마리 (평균 체중 3.95kg,

평균 전장 91.6cm)와 러시아로부터 도입한 스텔렛 철갑상어 10마리 (평균 체중 3.95kg,

평균 전장 91.6cm)가 사용하였고/ 스텔렛 철갑상어는 북한산 철갑상어의 대조구 개념으로

이용되었다. 스텔렛 철갑상어는 8∼16년 연령을 가지는 개체들로 산란시기에 육안으로 구

분되어 관리한 개체이며/ 암컷 5마리와 수컷 5마리를 선택 사용하였다 북한산 철갑상어

는 4kg 이상 개체 5마리와 이하 개체 5마리를 샘플로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

된 개체 모두 RFID (Radio frequency ident표ication) 칩을 부착하여 관리하였다.

시험수조는 4rn×1.5m의 타원형 수조 2개로/ 유수식으로 관리하였다. 시험기간 (2014. 10월

∼ 2014. 12월) 동안 수온은 14.4(10월)∼2.1 ℃ (12월)/ 용존산소는 5mg/L 이 상/ pH는

7.1∼ 7.5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시험에 사용한 사료는 조단백질 48%, 조지방 ?%를 함유하는 일반 상업용 침강사료로

1일 1회 급여하였고 급여량은 수온에 따라 가감되었다.

2. 혈액 분석

혈액분석을 위해 혈액수집 1일전 시험어에 대해 절식시켰으며/ 어체의 움직임을 둔화하

기 위하여 마취약 (MS-222)을 사용하였다. 마취농도는 제품에 명시된 용량을 준수했고 혈

액 채취는 꼬리 부분에서 샘플렁 하였다. Sec주사기(바늘규격 : 22G, 1-1/4 ” )로 약 2cc의

혈액을 채취하여 상옹에서 20분간 방치 후/ 원심분리하여 (3 ,500 x g, 5 min, 4℃) 혈청을

사용하였다.

Estradiol (E2)의 분석을 위해 사용된 검사장비는 Cobas 600 (F. Hoffmann-La Roche

디탤한〉

I 시험연구개발 I

Ltd., Swiss)이고/ 검사방법은 ECLIA (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전기화학

발광 · 면역측정법 ; 면역반응원리와 DNA/Rl'이A probe 퉁에 이용되는 검사 방법으로 화

학반웅에 의해 얻어진 빛은 화학발광이라 하고/ 이 화학발광이 전기적 자극에 의해 시작

되면 이를 전기적 화학발광이라고 한다. 전기적 화학발광법은 전형적인 항원 • 항체 반웅이며/

이 반응은 검사항목에 따라 각기 다른 배 양시 간 동안 streptavidin-coated par없nagnetic

microparticle 표면에서 일어난다. 비교적 새로운 검사방법으로 감도가 높다) 방법으로 수

행되었다. 혈청 내 칼숨 (Calcium)과 무기인 (Inoq햇lie Phosphorous)은 상업용 임상키트

(F미i DRI-CHEM slide, F띠i photo flim co. Ltd., Japan)를 이 용하여 혈 액 분석 기

(DRI-CHEM 3500 I, Fujifilm Ltd. Japan)로 검사하였다.

결과 및 고-찰

시험에 사용한 철갑상어의 개체의 외형적 인 상태는 현황은 Table 1과 Table 2에 나타내

었다. 스텔렛 철갑상어는 2.1-4.5kg의 체중 범위를 보였으며 전장은 90cm이내의 값을 나

타내었다. 암 · 수 구별은 모두 육안적 검사로 선별된 개체이며 외부 수술적 검사는 이루

어지지 않았다. 향후 산란기인 4∼5월 (수온 14℃ 뿌근)에 검사를 실시하여 성별을 명확하

게 통정할 계획이다.

Table 1. RFID number, body weight and body length of sterlet sturgeon (Acipenser

ruthenus) at male (M) and female (F) .

No RFID. No Weight(kg) Length(cm) sex

1 00-0670-ABDC 2.78 79 F

2 00-06 71-0030 3.97 87 F

3 00-0670-D446 3.05 78 F

4 00-0671-087E 3.14 85 F

5 00-066C-2456 3.59 88 F

6 00-0670-D998 2.08 69 M

7 00-0670-D303 3.05 75 M

8 00-0670-E735 2.4 73 M

9 00-066C-F72C 3.88 83 M

10 00-0670-0918 4.45 84 M

팩쓴:Xtr

1 2014년도 시헝연구사업보고서

북한산 철갑상어는 2.2∼5.2kg의 체중 범위를 보였으며 전장은 lOOcm이내의 값을 나타내

었다. 스텔렛 철갑상어에 비해 대형종으로 아직 육안적 검사에 의해 암 • 수 구별이 불가

능하여 무작위 선택하였다. 산란기는 10∼11월 (수온 17℃ 부근)로 이 시기에 외형적인 변

화가 일어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지속적 관찰과 외부 수술적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Table 2. RFID number, l:xxly weight and l:xxly leng1h of chinese sturgeon (Aαpenser 강nensis).

No RFID. No Weight(kg) Length( cm) sex

1 00-0670-ED98 4.62 97 N

2 00-066C-B78F 3.6 92 N

3 00-0670-CB4F 5.17 98 N

4 00-066C-E090 3.48 90 N

5 00-0670-FEFS 4.66 98 N

6 00-0670-FEBl 2.74 78 N

7 00-0670-CD2E 2.23 80 N

8 00-066C-B984 3.46 88 N

9 00-0670-E29C 4.54 95 N

10 00-0670-DAFA 5.02 100 N

철갑상어의 혈액을 2회 샘플링하여 E2, Ca2+, P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Table 4에

나타내었다. 스텔렛 철갑상어의 경우 암컷은 모두 E2의 값이 2,000 pg/mL의 수치를 나타

내었으나/ 수컷의 경우 3kg이하의 개체 (2마리)와 이상의 개체 (3마리)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육안적 검사에서 수컷으로 판명되었으나 실제 암컷일 확률이 높을 것으로 추측되며

외부 수술적 검사를 통해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Ca2+ 및 P의 값은 10월에 비해 수온이

하강한 11월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대사기능의 저하에 따른 수치의 변화로

판단되어지며/ 북한산 철갑상어 역시 같은 결과를 보였다. 북한산 철갑상어는 스텔렛 철갑

상어에 비해 E2의 값에 많은 차이를 나타내어 종간 특이성이 반영되었거나/ 연령적 성숙

단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속적으로 혈액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축

적하여 철갑상어 암수 선별의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디캘홀〉

I . 시협연구개발· I

Table 3. Blood serum analysis results for Ca2+, IP and Esπadiol (E2) of sterlet

sturgeon(Acipenser ruthenus).

Month RFID. No Ca2+(rng/ dL) IP(rng/dL) E2(pg/rnL)

2014.10. 15.7 11.6 2,641 00-0670-ABDC

2014.11. 15.4 11.8 2,092

2014.10. 16 12 3,564 00-06 71-0030

2014.11. 15.2 9.7 1,772

2014.10. 15.8 13.7 6,415 00-0670-0446

2014.11. 15.1 11.2 3,193

2014.10. 16 11.6 3,414 00-0671-087E

2014.11. 15.4 10.3 2,580

2014.10. 16 11.2 7,145 00-066C-2456

2014.11. 15.1 9.8 8,966

2014.10. 16 10.5 253 00-0670-D998

2014.11. 14.8 9.4 75

2014.10. 16 13.1 4,103 00-0670-D303

2014.11. 15.8 10.8 3,182

2014.10. 14.8 9.5 210 00-0670-E735

2014.11. 11.7 8 90

2014.10. 15.7 12.4 3,413 00-066C-F72C

2014.11. 14.2 10.6 3,297

2014.10. 15.4 9.1 3,365 00-0670-0918

2014.11. 13.9 8.2 3,234

편흘런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Table 3. Blood serum analysis results for Ca.2+, IP and Estradiol (E2) of chinese

sturgeon (Acipenser sinensis).

Month RFID. No Ca2+(mg/ dL) IP(mg/dL) E2(pg/mL)

2014.10. 9.9 12.7 69 00-06 70-ED98

2014.11. 8.7 11.8 69.5

2014.10. 8.2 9.5 64 00-066C-B78F

2014.11. 7.6 9.7 39.8

2014.10. 11.8 13 47 00-0670-CB4F

2014.11 . 10.1 12.4 57.4

2014.10. 8.4 11.9 111 00-066C-E090

2014.11. 7.2 10.3 39.6

2014.10. 10.6 15 80 00-0670-FEFS

2014.11. 8.4 13.9 41.8

2014.10. 8.2 11.6 76 00-0670-FEBl

2014.11. 7.6 10.7 143.6

2014.10. 8.4 14 82 00-0670-CD2E

2014.11. 7.5 12.8 51.6

2014.10. 9.5 10.1 117 00-066C-B984

2014.11. 7.7 8.8 95.9

2014.10. 9.5 12.2 83 00-0670-E29C

2014.11. 7.9 11.8 53.6

2014.10. 11.9 9.6 60 00-0670-DAF A

2014.11. 10.8 9.1 78.8

i쏠한〉

I 시험연구개발 I

~ 참 고 자 -란

Ii' Chang, J.B., Cao, W.X., 1999. History and prospect of conservation on Chinese sturgeon

in the Yangtze River. Acta Hydrobiol Sinica 23, 713 - 20.

Ii' Devlin, R.H., Nag하lama, Y. 2002. Sex determination 뻐d sex differentiation in fish: 뻐

overview of genetiι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Aquaculture, 208,

191-364.

Ii' Feist, G., V없1 Eenenna없n J.P., Doroshov, S.I., Schreck, CB., Schneider, RP., Fitzpatrick, MS.

2004. E없Iy identification of sex in cultured white sturgeon, Acipenser tr없IBmont뻐us, using

plasma steroid levels. Aquaculture, 232, 581-590.

Ii' Williot, P., Brun, R. 1998. Ovari없1 development and cycles in cultured Siberian sturgeon,

Acipenser baeri. Aquat. Liv. Res. 11, 111-118.

쫓〉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꾸구리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 연구

한정조·이상우·조기택·안태영·박종렬·박영규·홍석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담수어류는 39과 213종이고 이중 고유종이 64종(30%)으로 고유종

의 비중이 높고/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어류를 보호하기 위해 1996년 12종/ 2005년 18종/

2012년 25종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환경부l 2005, 2012). 특히 2005년

야생동 • 식물 보호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꾸구리가 지정되었다.

잉 어 목(Cyprin표ormes), 잉 어과(Cyprinidae ), 모래 무지 아과(Gobioninae ), 꾸구리 (Gobiobotia)

속은 수염이 4쌍이며 입에 1쌍/ 두부 밑에 3쌍이 있는데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돌상어 (G. brevibarba), 흰수마자(G. nakdongensis) 3종이 우리 나라에 서식하고 있고(김 퉁/

2002), 경기도에는 임진강(군남댐 하류)/ 남한강(여주 강천/ 이포)/ 강원도와 경기도 경계인

섬강에 극히 일부 지점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꾸구리가 서식하는 섬강의 경우 수심 10∼40cm, 유속 40∼120cm/seι 하상입자 크기는

8∼20cm 였고/ 자갈이 많은 곳에서 서식하였다. 연평 별 체장은 만 1년생 체장 28∼42mm, 2년

생 체장 43∼58mm, 3년생 59∼68mm , 4년생 이상 69·~85mm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4-lOmm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섭식시간대는 야행성으로 00시∼06시였으며 위 (stomach) 내용물 조사

를 통하여 날도래목(Trichoptera) 57.7%, 파리목(Diptera) 26.0%,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16.3% 순이며 1년생 치어는 하루살이목과 파리목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

후 날도래목을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 어종으로 보고가 되어 있다 (최 동 2004; 고 둥/

2011; 한 퉁/ 2014).

성숙난은 약한 점착성을 띤 투명한 회색난으로 난경은 0.89±0.04mm이고 수온이 23℃일

때 수정 후 107시간 만에 부화하며/ 부화 직후 자어는 4.6±0.16mm이고 4일후 난황을 모두

흡수하면 6.1±0.20mm가 된다고 알려 져 있다(고 둥/ 2011).

또한 꾸구리의 번식 생태(고 등/ 2012), 핵형분석 (Song and Park, 2005), 서식 개체수 추

정(고 등/ 2012)에 대해 보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양식산 꾸구리 친어 개발과 양식에 대

한 상세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꾸구리를 이용한 치어생산 방법과 자연산 꾸구리를 사료

순치시켜 양식산 친어 유도 연구를 통해 꾸구리 종복원 사업과 완전양식을 통한 산업화

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디짧i

I . 시험연구개발 I

재료 및 빙-법

1. 시험어 채집 및 사육환경

시험어 채집은 원주 지방환경청(허가번호 제2011-09호)으로부터 포획 채취 허가를 받은

후 경기도 여주시와 강원도 원주시 경계에 있는 섬강의 하류 (섬강교 상부)에서 채집하였

다. 족대(망목 4×4mm)를 사용하여 20마리를 채집하였고/ 산소비닐포장을 하여 연구소로

이송 후 사각수조(1 ×2m)에 수용하였으며 유수식으로 수온 23±0.1 ℃를 유지하였고 차광막

을 덮어 어둡게 관리하였다.

2. 호르몬 주사 및 수정

시 험 어는 MS-222로 마취하거 나 또는 마취 없이 [ )vaprim (Syndel, Canada) 호르몬을 암

컷은 0.5mQ/kg 농도로/ 수컷은 0.25m.e/kg 농도로 주사하였다. 주사후 사육 수온을

24.5±0.1 ℃로 1.5℃ 승온시켜 산란 자극을 실시하였다. 주사 후 10시간부터 암컷의 채란

가능 여부를 1시간 간격으로 확인하였고/ 완숙된 암컷은 마취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복부압박법으로 15cm 패트리디쉬에 채란하였다. 수컷도 마취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복부를 압박하여 나오는 정액을 난에 직접 묻혀 수정하는 건식법을 이용하였다. 30초

간 수정 후 수조에 수용하였으며 난발생을 관찰하썼다.

난 발생과정은 형광현미경(ZEISS AXIO observer.Al, Germany) 디지털카메라(ZEISS

AxioCam MRι Germany)과 정립현미경 (ZEISS AXIO Scope.Al) 디지털카메라(ZEISS

AxioCam 1Cc3, Germany)하에서 관찰 및 촬영을 하였다.

3. 치어 생산

부화후 사육수는 지하수와 하천수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y 수온은 25±0.l ℃로 0.5℃ 올

려 사육하였다. 먹이는 알테미아/ 물벼룩/ 실지렁이/ 배합사료 순으로 공급하였다. 알테미

아 공급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부화한 자어를 비이커에 수용한 후 알테미아를 넣고 치어

가 먹이를 섭취하여 복부가 붉은색이 되는 것을 확인한 후 사육수조에 알테미아를 조금씩

추가 공급하였다. 알테미아 공급 방법은 정량펌프(αleonsei AXl-52- PFC-HWS-Z, Korea)를 이

용하여 1일 4회 (3시/ 9시/ 15시/ 21시) 공급하고 5일째부터 주 1회 바닥 청소를 실시하였

다. 물벼룩은 사각 온실수조(6×7m)에서 발생시켜 플랑크톤 채집망(망목크기 lOOµm)을 이

용하여 채 집 한 후 채(망목크기 Imm)로 큰 개 체를 쩔러 낸 후 Oxytetracycle HCl 30ppm에

1시간 약욕 후 저층의 찌꺼기를 버리고 상충액만 때일 2회 (7시/ 18시) 공급하였다. 실지렁

이는 시판중인 것을 구입한 후 Florfenicol lOppm에 3시간씩 3회 약욕을 실시하였다. 지

하수를 계속 흘려보내 지렁이 몸속에 있는 노폐물끊 제거하였고/ 매일 1회 지렁이 덩어리

를 훌트려 찌거기가 뭉치지 않도록 하였다. 공급는 매일 2회 (7시/ 18시) 주었고 약간 남도

록 양을 조절하였다. 배합사료는 시판중인 LOVE LARVA 4호(Hayashikane Sangyo,

쫓〉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Japan)를 벨트식 사료 공급장치 24-hr belt feeder(BFS24, USA)를 이 용하여 야간에 만 2회

(5시/ 19시)급이 하였다. 사육수 수심은 부화까지 30cm, 알테미아 공급 시기에는 Scm, 물벼

룩 공급시기에는 7cm, 실지렁이 공급부터 배합사토로까지 9cm를 유지하였다.

4. 치어방류전 전염병 검사 및 방류

한강유역 환경청에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꾸구리 치어 1,000마리 인공 증식증명서를 발

급받았으며/ 치어방류 전염병 검사는 수산생물병성감정 지침서(박 등/ 2013)에 의거하여

치어 50마리를 시료채취하여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병성감정실시기관에서 실시하였

으며 한강유역 환경청에 방류허가를 받은 후 흑천에 방류하였다.

결과및 고찰

1. 시험어 채집 및 사육 환경

시험어 채집시 수질은 수온 15.6℃ / 용존산소 ll.7mg/ ι/ pH 7.8, 전기전도도 228µ5이었

고/ 성숙한 암컷은 수컷에 비해 체장/ 체폭/ 체고가 크고 배가 볼록해서 쉽게 구분이 가능

하였다(Fig 1). 섬강의 서식환경과 꾸구리의 성성숙과 비교한 결과 '14년 자연산란 최적시

기는 4월 4일 ∼ 4월 8일로 박명시간은 13:35∼13A5이고/ 채집 장소의 벚꽃이 만개되기 7

일전이 꾸구리 채란 최적기이며 꽃잎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꾸구리 난이 과숙된 흰색이

많이 나왔다. 고 등(2012)은 꾸구리 산란기를 4월딸부터 6월중순까지(수온 15∼ 25℃) 산란

성기는 5월로 추정하였으나 이번 조사결과 이보다 훨씬 빠른 4월초∼4월중순이며 이 시기

에 수정률이 60%로 높았으나/ 이후 인공채란한 알은 과숙되어 수정률이 10%로 낮았다.

또한 양식산 친어는 자연산에 비교해서 성성숙이 약 1개월 늦은 5월초∼5월 중순이 최적

산란기로 나타났다(Table 1).

Fig. 1. External form of the spawning season of female(A) and male(B), Bar=l cm

I . 시험연구개발 I

Table 1. Comp않isons of spa”ming season 없nong Gobioboti.’a macro[-:ephala in Seam River1l 뻐d

artificial aquaculture

C1ara 、c∼ter∼·~i응sh∼∼ sc urce Seom River Seom River Artificia l aquaculture

Ko et al (2012) Present study (2014) Prese nt s tudy (2014)

Spawning season April end ∼ mid-June April Early May ∼ Early June

Optimal spawning season May April 4 ∼ April 9 May 3 ∼ May 15

Water temperature( ℃) 15∼25 15∼ 16 18∼20

1l Seom River is located in Bupyeong-ri, Gangche。n-myeon, Yeoju-sι Gyeonggi-do (Heungho-ri, Buron-myeon, Wonju-si)

2. 호르몬 주사 및 수정

본 연구에서 마취 후 호르몬을 복강주사한 개체 (n=l이보다 마취없이 수중에서 신속히

퉁근육 주사로 처리한 개체 (n=l이가 더 생존율이 높았다. 복강주사 시 내부 장기의 손상

은 없었으나 주사 후 1시간 이내에 폐사한 개체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마취제의 부작용

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컷은 호르몬 주사 후 채정이 가능하였으며 암컷은 주사후 6∼10시간 이내에는 자연

산란/ 수정되었다. 복부압박 채란은 주사후 12±0.5시간에 대부분 성공하였으며 18시간 이

후에 채란된 알은 난질이 안 좋고/ 수정은 가능하였으나 부화하지 못했다. 또한 채란된

난을 해부현미경이나 정립현미경으로 관찰시 연한 녹색으로 메기의 난보다는 매우 열었

다. 고 퉁(2011)이 회색의 구형난이라고 한 것과 치-이를 보였는데/ 회색 또는 흰색의 알이

많은 개체 (n=S)는 발생 중 죽는 것이 많았으나 연딴 녹색이 대부분인 개체 (n=4)은 부화율

이 60%까지 나타났다. 수정 직 후에는 점착력이 없으나 시간이 지나면 점착력이 생겼다.

꾸구리의 부화시간은 수온 24.5±0.1 ℃ 에서 85시간(50% 부화)이 소요되어 Ko et al

(2011)의 107시간(23℃)보다는 빠르고 Choi and Baek (1972)의 3일 (18∼21 ℃)과는 유사하였

다. 그러나 Choi and Baek (1972)는 산란장에서 쐐집한 수정란이라 정확한 시간을 비교

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부화시간이 짧아 수생균 벤무로 인한 폐사는 적었고 난질에 따라

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난경 0.87rnrn, 산란량 1,4027~, 부화 자어의 크기는 4.Srnrn 이고 부

화 후 4일에 자어/ 14일에 치어기에 도달하여 기 보고된 것과 큰 차이는 없었다.

팩폴Xi

1 2014년도 시헝연구사업보고서

Fig. 2. Injection of OV APRIM and artificial fertilization

Table 2. Comparisons of early life history of Gobiobotia macrocephala

Egg diameter Spawned eggs Time of Hat대ing size Days until Days until Reference

(mm, mean) (mean) hatching (mm, mean) postlarva juvenile

0.79∼0.94 543∼4,561 85h 4.3∼4 .9 4 14 Present study

(0.87) (1,40따2) (24.5℃) (4.5) 0 .8∼0.9 205∼3,361 10꺼1 4 .4∼4 .8

4 15 Ko et al, 2011 (0.9) (1,271) (23℃) (4.6)

0.8 120∼1 ,300 3days

6 6 30 Ori arrl fu:k, 1972 (18∼21 ℃)

egg 16cell ( lhr 55min) myotomes(23hr 50min) eyes(48hr 20min)

Fig. 3. Egg development of Gobiobotia macrocephala at water temperature 24.5 ℃ .

Feed stuff

Tubifex worm

Daphnia

Artemia

0 5 10 45 50∼90

days after hatching

Fig. 4. F않ding schedule for 〔빼·abotia maα·oc져P뼈la larvae and fry d따ing 삼ie first 90 days period.

>

I. 시험연구개발 I

3. 자 • 치어 생산

자 · 치어의 사육 기간중 수온/ DO, pH 둥은 Table 3에 나타내었으며/ 수온은 25.0±0.

1℃ DO 5.45±0.75mg/ ι/ pH 7.37±0.68 였다.

Table 3. Water q뻐ity characteristics (mean±SD) during the aquac버ture experiments

Water T1잉np. DO SS COD salinity NH3-N N0'.2-N N03-N TP so/- Chlorine T。tal hardness

(℃) (mg/ .e ) pH

(mg/ .e ) (mg/ f ) (PS띠 (mg/ f) (mg/ .e ) (mg/ .f) (mg/ .f) (mg/ .e ) (mg/ .e ) (mg/ .e )

25.0±0.l 5.45土0.75 7.37土0.68 3±1.0 6.6土2.5 0.1土0.0 0 .06土0.07 oαJ7:HJαR 2.64土0 .29 0.58±0.21 7±2 14.4土3.6 113土7

알테미아 공급시 정량펌프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시에 뿌려주는 방법보다 치어에게 골고루

공급되는 효과가 있어서 만복 공급되고/ 바닥에 찌꺼기도 적게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

5.0

35.0

o

o

o

o

n

뻐 n

m ·n

m

(Ee)S---a

;·。LF

0.0

Ag어da-”

Fig. 5. Total length growth in Gobiobotia macroc때hala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꾸구리 는 부화 후 16일째 전장 13.2±0.9mm(n=l끼/ 27일째 전장 15.6±1.3rnm(n=19), 42일째

전장 17.6±2.2mm(n=14), 61일째 전장 21.7±1.9mm(n=14), 83일째 전장 27.l±l.7mm(n=14), 108

일째 전장 33.8±2.lmm(n=21)로 성장하였다. 초기 길이 성장식은 y = 0.2571x3 - 2.9727x2 +

13.999x - 6.2595, (R2 = 0.9925)로 나타나(Fig. 5) 부화 후 약 15일간 성장이 빠르고 16일

에서 42일 사이에 정체를 보였고 61일경부터 성장이 다시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장이 느려지는 기간이 물벼룩 공급기간과 겹쳐지는 것으로 보아 꾸구리 성장에 적합한

사료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꾸구리의 성장은 Ko et al(2011)이 100일에 전장

31.Smm이었고 본 실험에서는 108일에 전장 33.8mm로 나타나 최종 결과는 본 실험에서 다

소 성장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쫓〉다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4. 치어방류전 전염병 검사 및 방류

치어방류 전염병검사 결과 KHV, SVC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양평군 소재 흑천에 1,000

마리를 방류(2014. 07. 29)하였다. 향후 양식산 치어가 자연산 치어와 같이 방류 즉시 돌

밑에 숨어서 육식성 어류에 잡아 먹히지 않도록 적응 훈련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서식지 보존을 위한 지속적 방류와 수질모니터링 및 하천 정비공사시 친환경 공법을 적

용하여 자연여울이 많이 생겨 지속가능한 생태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 6. Gobiobotia macrocephala fly release at Heuk river

참고자료 ---• 고명훈/ 김우중/ 박상용/ 방인철. 2011.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23(3). pp.198-203 .

• 고맹훈/ 문신주/ 빛엔철. 2011. 보문 섬강의 어류군집 및 멸종위기종 꾸구리( Gobiobotia macnαφ1hala)와

돌%써(G. brevi뼈rba)의 서식현황.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4(깅. pp.144-1당.

• 고명훈/ 송하윤/ 홍양기/ 방인철. 2012. 멸종위 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의 번식생태.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5(2). pp.190-199 .

• 고명훈/ 송히윤/ 방인철. 2011.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α-:ephala 떠sees: Cyprinidae)의

서식환경과 연령/ 섭식생태. 한국어류학회지 23(4). pp.278-287.

• 고명훈I 송호복/ 최승호 송하윤/ 강동원 문신주/ 이상준/ 벙언철. 20J2 섬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꾸구리 GJbio/xJtia rmcrrx뼈따la (11sces: 다prini뼈)의 서식개체수 추정. 한국어류학회지 2쩨. pp.177-182

I . 시험연구개발 I

• 김우중/ 2010. 멸종위기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Mori의 호른몬 처리에 의한

산란유도와 난발생 및 자치 어의 형 태 발달 [학위 논문]

•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p466.

• 박명애/ 지보영/ 김석렬/ 김현정/ 남정희/ 백하림/ 신기원 오윤경/ 이순정/ 정요한/ 조미영/ 치승주/

최민지l 원경미/ 이덕찬y 박신후/ 이한나. 2013. 수산동물병성감정지침서. 보성인r pp 243.

• 최기철/ 진창덕/ 1977. 한국산 동사리의 산란습성과 난발생 및 초기발육과정에 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1:44-48.

•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89. 한국산 담수어 분포도(제9판). 한국담수생물학연구소 9.

• 최신석/ 나영언/ 2000. 얼록통사리(Odontobutis inten·upta)의 산란행동 및 난발생에 관한 연구

• 최재석/ 장영수/ 이광열I 권오길/ 2004. 남한강에 서식하는 꾸구리(Gobiobotia macrocφhal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6(2), 165-172

• 한정조/ 최지성/ 이상우/ 홍석우. 2014. 꾸구리 인꽁번식을 위한 기초연구. 경기도해양수산

자원연구소 시험연구사업보고서 23, 62-64.

• 환경부. 2012. 야생동 • 식물 보호법 시 행규칙(시 행 2012.5.31.)

• 환경부. 2005. 야생동 • 식물 보호법 시 행규칙(시 행 2005.2.10.)

11> Choi, K.G. 없1d Y.K. Baek. 1972. On the life-history of Gobiobotia macrocephalus Mori.

Korean J. Limnol, 5: 45-57.(in Korean)

11> Song Ho-Bok, Park Gab-Man. 2005. K값yotypes of Tivee Species of Gobiobotia (Pisces:

Cyprin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17(3), 159-166

팩흘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얼록동사리 시펌양식 연구

차덕배 · 이상우·홍석우

서 쥔

-i L

얼록동사리는 우리나라의 전역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동사리속 어류는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와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두 종이 있다.

얼록동사리의 크기는 10∼15cm로/ 몸의 앞부분은 단면이 거의 원통형이고 뒤로 갈수록

점차 옆으로 납작한 형태이지만 동사리에 비하여 덜 납작하다. 머리의 등 쪽에 아주 작은

눈이 있으며 머리의 등쪽에 편중되었다. 주둥이는 길고/ 입은 크며/ 주둥이 끝에서 아래를

향해 비스듬히 열려 있으며/ 아래턱은 윗턱보다 앉으로 돌출하였다. 턱뼈에는 이가 있으나

서골(두개골의 맨 앞에 있는 한 개로 된 뼈)과 입천장에는 이가 없다. 혀의 절단부는 절형

(자른 모양)이거나 중앙부가 약간 내만되어 있다. 체색은 황갈색으로 배쪽은 밝은 노란색이

며/ 몸의 옆면에는 제1등지느러미 기저의 중앙부/ 제2둥지느러미 후반부 그리고 꼬리지느러

미 기부에 커다란 흑색 반점이 있다. 가슴지느러마 기부에도 2개의 흑점이 있다. 모든 지느

러미에는 작은 반점이 점열하여 가로무늬처럼 보인다.

둥지느러미는 2개로 분리되어 있다. 제2 등지느러미 뒷부분 및 제1 둥지느러미/ 꼬리지

느러미가 시작되는 부분에 커다란 검은색 띠가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외

연은 둥글다. 1둥지느러미 극조수는 5, 제2둥지느러미 기조수는 8∼9, 뒷지느러미 기조수는

6∼8, 측선 비늘수는 38-41, 등지느러미 기점 앞 비늘수는 20∼30, 척추골수는 29∼317~ 이다.

낮에는 돌 밑에 숨어 있다가 주로 밤에 활동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서곤충/ 게/

새우/ 어류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어종이다. 섭식을 위해 하천의 위아래를 이동하는 국지

회유종이다 산란기의 수컷은 색깔이 진하게 변한다. 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주로 돌 밑에

산란을 하고l 부성애가 강하여 수컷이 알과 자어를 보호한다. 얼록동사리의 알은 황색으

로/ 크기는 직경 1.2mm의 구형이며/ 침성 부착란이다. 또한 얼록동사리는 텃세를 가진다.

서식환경을 살펴보면 하천의 상·중류의 유속이 완만하고 모래나 자갈이 많은 곳에 서식

하며/ 수서곤충이나 작은 어류 등을 섭식한다. 금강 이북의 서해로 유입되는 하천(청평/ 여

주/ 양평/ 예산/ 청양/ 평택/ 강진/ 부안)에 주로 분포한다.

최근 산업화·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자연이 훼손됨으로써 토산어종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배스나 블루길 같은 외래 어종의 도입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어 토산어종의 서식처가 줄어옮

에 따라 자원증강을 통한 생태계의 회복이 꾸준히 추진되고 있으나/ 얼록동사리에 관한 연

구는 치어를 사육하는 방법이나 인공종묘 생산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

I 시험연구개발 I

우리 연구소에서는 감소하는 토산어종을 복원시키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여 2011년에 얼록통사리의 인공번식 기초연구를 시작/ 2012년도에는 얼록동사리 자

연부화시험 및 배합사료 순치시험/ 2013년에는 얼j록통사리 인공부화 및 시험방류 사업을

수행하여 4∼Scm의 얼록동사리 치어 500마리를 양평군 흑천에 방류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친어 사육

친어는 경기도 소재 하천에서 채포하여 2011년푸터 계속해서 연구소내 실내 PVC수조

(2m x lm x O.Sm)에서 사육한 개체와 경기도 각 하천에서 투망으로 포획한 개체로써 평

균체중 25g인 암컷 7마리와 수컷 9마리를 사용하였다.

사육 수조는 서식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조성하여 바닥에 20∼30cm의 자연석을 깔고 직

경 Scm인 PVC 파이프를 넣어 은신처 및 산란 장소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육수는 하천

수를 공급하여 1일 3회전 하도록 유수식으로 관리하였다. 수온은 자연수온에 의존하였고/

먹이는 주로 잉어 치어를 공급하였다.

2. 인공치어 생산

가.산란

그림 1. 얼록동사리 친.어(수컷)

산란기가 시작되는 4월 말에 아랫배가 불룩하고/ 복부를 눌렀을 때 부드럽고 잘 눌러지

는 것을 암컷 친어로 선별하였다. 아랫배가 윗배보다 흘쭉하거나/ 복부를 눌렀을 때 딱딱

한 것은 난이 미성숙한 것으로 판단하고 별도의 수조에 수용하였다.

암-수를 동시 수용한 후 산란장을 조성하기 위하여 산란 기질로 자연석과 PVC파이프를

넣고 자연산란을 유도하였다. 이후 2∼3일 간격으로 산란기질을 살펴서 산란 유무를 관찰

하였다. 산란 기질에 부착된 수정란은 발안기 이후 부화 직전인 산란 후 10일 경에 산란

기질과 수컷을 같이 분리 수용하여 수컷이 수정란을 부화시까지 관리하도록 조치하였다.

쫓〉디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그럼 2. 자연산란 유도

나. 치어 관리

부화된 자어는 난황 흡수 후 5일간 매일 4회씩 알태미아를 공급하였으며/ 이후에는 실지

렁이가 항상 수조에 있도록 공급하였다. 사료 찌꺼기와 배설물 동은 수시로 제거하였고/

사육 수온은 가온하여 25℃로 유지하여 1일 1회전 환수 되도록 관리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친어 사육

얼록동사리 친어 수조의 1월 수온은 2∼3℃였고y 3월에는 10∼15℃ 였으며/ 산란이 시직-된

4월 말부터 6월까지는 15∼19℃로 나타났다.

2. 치어 생산

가. 산란 결과

암수 동시수용 이후 4월 28일부터 산란을 개시하여/ 산란 기질로 조성해 둔 돌무더기의

아랫부분에 약 700립 정도의 황색의 수정란이 발견되었다. 4월 30일에는 PVC관 속에 약

700립 정도의 알을 산란하였고/ 5월 4일에도 약 700립 정도를 PVC관 속에 산란하였다. 또

다시 6월 9일에 약 1,000립 정도를 PVC관 속에 산란하였고/ 6월 20일에도 약 1000립을

PVC관 속에 산란하였다. 마지막으로 7월 2일에 약 500립의 알을 PVC관 속에 산란하였다.

산란기간은 4월 말부터 7월 초까지였으며/ 총 6회 산란하였고/ 산란기간의 수온은 15 ∼

19℃였다 얼록동사리는 1회 산란한 후 일정기간 지난 뒤 다시 산란하기를 반복하는 것으

로 관찰되었다.

I . 시험연구개발 I

및 결과 표 1. 산란 과정

비고 결과 추진내용

먹이공급

700립

700립

친어 동시 수용 ; 산란행동 없음

자연 산란

자연산란

일시

2014. 4. 20

2014 . 4. 28

2014. 4. 30

700 립 자연 산란 2014. 5. 4

1,000립 자연 산란

1,000 립 자연 산란

500립 자연 산란

- -2014. 6. 9

2014. 6.20

2014 . 7. 2

소실되었다. 6월 9일/ 7

남기고 소실되었다.

전후하여 발안

수컷이 수정란

수 ’

그림 3. 산란 기질에 부착된 수정란

나.부화

4월 28일 첫 번째 산란한 알올 지키는 수컷과 다른 친어가 싸움이 붙어 상처를 입고 친

어 2마리가 폐사하고 산란알은 모두 소실되었다.

4월 30일에 산란한 알도 텃세로 싸움이 붙어 친어 폐사후 알이

월 2일에 산란한 알은 자연적으로 용해되어 PVC관 속에 노란 흔적만

5월 4일/ 6월 20일에 산란한 수정란은 약 1,700립이었으며/ 산란후 12일을

이 되면 수컷과 산란기질에 붙은 발안란을 함께 실험 사각수조로 이통하여

을 부화시까지 돌볼 수 있도록 하였다. 부화시 수온은 19℃ 내외였다.

부화 자어는 산란 기질에서 나와 한쪽에 모여 까팔게 군체를 이루는데 부화는 4일에 걸

쳐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다. 약 1,300마리가 부화되었으며/ 부화가 이루어지는 동안의

은 20∼23℃였다.

쫓〉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다. 자 • 치어 사육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전장 4.Smm 였다. 갓 부화한 얼록동사리 자어는 난황을 가지고

있으며 난황흡수가 끝난 얼록동사리 치어는 먹이활동을 시작하는데/ 초기 5일간은 알테미

아를 공급하고 다음 단계에는 물벼룩을 급이했으며 이후에는 실지렁 이가 항상 수조에 남

아있도록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실지렁이 급이의 첫번 째 장점은 수조내에 항상 먹이가 존재하고 수조내에서 잘 죽지

않아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만큼 먹 이섭취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지 렁 이 급이의 두번

>

I . 시험연구개발 I

째 장점은 얼록동사리 치어기의 공식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치어의 성장을 양호하게 한다

는 것이다. 단점은 실지렁이 서식처의 오염 둥으로 인해 급이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

아 대량폐사가 발생할 위험이 상폰한다는 것이다. 급이한 실지렁이 찌꺼기와 배설물은 목

장갑으로 바닥밀기 방식으로 제거하였다. 치어기의 사육수온은 가온하여 25℃로 유지하는

것이 섭이 능력을 높이고 성장에 유리하다. 사육수는 1일 1회전 자연배출 되도록 관리하

였다.

표 3. 얼록동사리 치어 먹이 급이

일시

2014. 5 . 19 ∼ 24

2014. 7. 6 ∼ 11

먹이

알테미아

알테미아

2014. 5. 25 ∼6. 1 I 실지렁이

2014. 7. 12 ∼ 26 ’ 실지렁이

총 결론

결과

상태 양호

상태 양호

J. 상태 양호 상태 양호

(2011 2014)

비고

총 치어량;

1,30(] 마리

2011년부터 실시 한 얼록동사리

얼록통사리 실험이 진행되었다

시험 연구를 통하여 확보된 양식기술을 토대로 금년도

실지렁 이/ 잉어 치 어/ 배합 사료를 공급하여 관 특히 lcm급 얼록 동사리 치어 단계에서

찰해 보면/ 잉어 치어와 실지렁이는 먹이 기호성이 높으나/ 배합사료는 먹이 기호성이 낮

았다. 그 결과 동종간 공식 현상이 높은 수준으로 발생하는 점으로 보아/ lcm내외 치어기

단계에서의 배합 사료 공급은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 시점까지는 물벼룩/ 잉어

치어/ 실지렁이 같은 어식성 사료를 공급해 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5. 먹이 선호도 관찰

I 2014년도 시헝연구사업보고서

2∼3cm의 치어기 이후에는 배합사료만을 공급하면서 통종간 공식 발생여부를 관찰하였

다. 얼록동사리는 어식성 어종이라 먹이를 후각 빛 촉각의 감각기관에서 감지하기 보다는

시각에 의존하므로 배합사료는 움직임이 없어 먹이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배합

사료 순치 초기과정에서는 폐사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3∼4cm 내외에서는 배합 사료에 적

응하여 동종 포식 현상이 감소하였다.

치어가 성장할수록 치어간의 개체 크기가 발생하여 성장이 빠른 개체는 별도의 수조로

이동하여 관리하였다. 수온이 저하되어 먹이 섭취가 둔화되는 시기에 공식 현상은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합사료 순치기간 동안 공식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지만/

치어 초기에는 실지렁 이/ 잉어치어 동 어식성 사료를 공급하고 조금 더 성장한 뒤에 배합

사료 순치하는 방법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6. 부화 4개월 후-상위개체 7cm(좌) 부화 6개월 후-상위개체 l l cm(우)

참고자료 ---------

• 이완옥/ 노새윤. 2006. 특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 임동주. 1999. 우리나라 민물고기 대백과. 도서출판 마야

• 정문기 . 1986. 한국어도보. 일지사

• 최신석/ 나영언. 2000. 얼룩동사리의 산란행동 및 난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

pp 323-330.

• 최신석/ 강정현. 1992. 얼룩동사리의 산란행동과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 한국하천호

수학회 지/ pp149-149

I 시험연구개발 I

참마자 인공종묘, 생산 연구

김창미·김달영·이상우·홍석우

서 론

참마자(Hemibarbus longiros tris)는 잉어목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어류로 깨끗한 물이 흐

르는 하천 중·상류의 잔잔한 여울과 소가 있는 곳에 서식하고 바닥 가까이서 헤엄치는 것

이 일반적이지만/ 때로는 모래 속에 잠입하기도 한다. 산란 시기는 5, 6월이며 알은 보통

모래나 자갈 바닥에 산란한다. 참마자는 서해와 남해로 흘러드는 대부분의 하천에 분포하

고 있고 중상류에서 견지낚시나 일반 낚시로 잡히며 매운탕/ 찜요리로 주로 소비되는 어

업인이 선호하는 어종이지만/ 하천의 오염이나 무분별한 어획으로 매년 어획량이 감소하

는 추세로 거래 가격이 점차 높아지는 어종이다.

참마자에 대한 연구는 충북내수면연구소와 충남내수면개발시험장에서 종묘생산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특히 충북내수면연구소에서는 자연산 참마자를 이용한 대

량인공종묘생산에 성공하여 방류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김/ 2012).

경기도 지역의 참마자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파푸시/ 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 고양시/

남양주시/구리시/광주시/성남시/ 여주시/ 이천시/용인시/안성시/평택시/ 연천군/가평

군/ 양평군을 흐르는 각 하천에 분포하고 있으나 매년 어획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방

류를 통한 자원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우려 연구소에서는 참마자의 양식기술 및

인공종묘생산에 관한 시험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2014년에는 참마자의 생

태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성숙과 산란에 미치는 환겪요인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밖법

1. 친어관리

참마자 친어는 2014년 2월에 경기도 여주시 소재 판매상에서 구입하였으며/ 두 개의 FRP사

각수조(2.33m×2.33mxH0.7강n)에 수용하였으며/ 사육수로는 하천수를 공급/ 매일 1회 수온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조에 참마자의 서식특성을 고려하여 바닥에 모래와 자갈을 깔고/ 직경 10

cm의 PVC파이프를 넣어 은신처 및 산란장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먹이는 실지렁이와

배합사료를 1일 2회 공급하였으며/ 수온이 상승하는 4월부터 사료 공급량을 증가시켰다.

쫓〉다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변화조사 성 성숙 2. 사육환경에 따른

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내 일주기와 수온자극 Z

}。

환경요인 서 서A예 여하..Q... Z 」。 。=되「‘이 。 。

야외수조

에 수용하였고/ 수온자극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내 수조의 참마자 중 일부를 27℃로 가

온한 사육 수조에 야외수조와 같은 기간동안 수장하였다. 사육기간 중 수온변화는 그림 1

암·수컷 각각 15마리를 5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순치시킨 참마자 친어 육조에

에 나타내었다.

3。。

iao

24 。

z。。

260

=。

-A

- B - c 1。。

80

S훨 -- 6월 .。

2 。

. 'IA 10 6 .., -

그림 1 시험기간 중 수온 변화 (2014.5∼6월)

A: 실내 사육조 B: 야외 사육조 c : 27℃로 가온한 실내 사육조

요9 25

Dey

. 21

' 1 7 L3

r

• ’ 5 00

1

성숙도를 조사하기 위해 2014년 4 ∼ 6월 총 3회에 걸쳐 참

각각 5∼10마리를 무작위 추출하여 체장/ 체중/ 생식소 중량을 측정하여

3. 생식소숙도지수(GSI) 조사

수용한 참마자의

암·수컷

실내 수조에

마자 친어의

중량) × 10이. 생식소숙도지수(GSI)를 계산하였다(생식소숙도지수(GSI) : (생식소중량/ 어체

4. 종묘 생산

사용/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lOOg당 sooru를 복강주사한 후 12시 간 후에 채 란하

였다. 또한 야외수조에 수용한 참마자 중 암컷 5마리/ 수컷 7마리를 자연산란을 유도하기 위

해 수조에 어소를 넣어주었고/ 야외수조에서 성숙한 암컷 5마리/ 수컷 7마리는 인공채란을

시도하였다. 인공채란의 경우 암컷은 호르몬을 사용하지 않고 복부를 압박하여 채란하였으

친어를 101까리의 위해 산란유도를 암컷의 사육한 참마자 실내수조에 경

순 --

}。

5월

마쇄한 정소를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후 알과

세란하고 PVC수조에

며/ 수컷은 복부를 절개하여 정소를 적출하고/

섞어 수정시켰다 수정시간은 1분이 경과한 후 골고루 잘 뿌려주었다.

>

I 시험연구개발 I

결과및 고찰

실내수조에서 사육한 참마자를 4월부터 6월까지 3회에 걸쳐 생식소숙도지수(GSI)를 조

사한 결과는 표 1과 나타내었다. 평균 GSI는 4월 의.57, 5월 3.74, 6월 4.31로 충북내수면연

구소의 2012년 3월부터 5월에 걸쳐 측정한 GSI 3월 1.46, 4월 3.26, 5월 10.08과 비교해 볼

때 성숙시기로 판단되는 5월에 큰 생식소 중량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실내 수

조에 수용한 암컷의 경우 산란기 때 나타나는 팽만한 복부의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인공 채란을 시도하기 위해 호르몬 HCG를 주사/ 12시간 후 복부를 압박하여 채란을 시도

하였으나, 1, 2차 모두 실패하였다. 이것은 채란을 실시한 5월의 GSI 수치가 현저히 낮아

채란한 개체가 미성숙한 개체였던 것으로 보이며 또한 참마자에게 적합한 성성숙 유도 호

르몬의 구명실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온자극 효과 조사를 위해 2

7℃로 가온한 실내 수조에 수용된 참마자는 특별한 성숙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5월에 야외수조에 수용한 참마자 암컷은 한 달 뒤 성숙하여 복부가 팽만해졌고 복부를 눌

러보았을 때 알이 흘러나왔으며 수컷 또한 가슴지노러미가 짙은 주황색을 띠고 머리 쪽에

추성이 관찰/ 성숙상태를 보였다.

하지만 자연 채란을 유도하였을 때 산란하지 않았고 인공채란의 경우에도 부화된 개체

는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로 봄철이 주산란기로 알려져 있는 참마자는 광주기 조절

에 의한 성숙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띤구에서 시도한 인공채란시험에서 부화

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은 참마자의 난자체가 미성숙 상태였거나/ 호르몬에 의한 인공산란

유도로 난질이 저하 한 것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며/ 참마자의 성성숙 유도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친어의 영양관리를 통한 난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참마자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해서는 수온과 광주기 둥 환경요인의 조절에 의한 성성숙 및 자연산란

유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시험에 사용한 HCG 이외에 다양한 호르몬을 이용한 인

공산란 시험도 동시에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표 1. 실내수조에 순치시킨 참마자 암컷의 생식소숙도지수(GSI)

조사일 체장(mm) 체중(g) 생 식소중량(g) 생 식소숙도지수(GSI)

2014. 4. 2 168.31 30.49 1.09 3.575

2014. 5. 2 175.84 38.51 1.40 3.740

2014. 6. 2 175.24 42.41 1.84 4.314

팩훌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쾌

수컷의 추성

그림 2. 참마자 암수 구분 및 생식소숙도지수 측정

"• Cl 고자

국립중앙과학관/ 어류정보 (h야p:/ /www.naris.g。.kr)

료 ----

김이오. 2012. 충청북도내수면연구소 연구사업보고서/ pp 41

김 익수/ 박종영. 201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pp 128

포란한 암컷

50.

129.

• 백윤하/ 이상헌. 2010. 은은한 색채의 미학 우리 민물고기/ pp 146 149.

>

I . 시험연구개발- I

미꾸리류 Al어 대량생산 연구

- 미꾸리 인공치어 생산 시험연구 I-

이동훈 • 이상우 · 김달영 · 홍석우

서 르르

최근 국내 미꾸리류의 생산현황은 어로어업과 양식어업을 포함하여 생산량 약 600톤 규

모에 생산금액은 65억원 내외 수준이다 (해양수산부/ 2013). 미꾸라지 양식은 1990년대부터

자연산 치어를 활용하여 양식하기 시작하였으나 중국의 값싼 미꾸라지의 대량수입으로 양

식용 치어 생산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2008년부터 검역절차

가 강화됨과 동시에 중국의 미꾸라지 자원감소 및 자국내 소비확대로 수입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미꾸리류에 관한 연구는 종묘생산 시험 (Bai, 1979), 산란유도 시험 (Kim et al.,

1992), 양식을 위한 연구와 유전 육종에 관한 다양딴 연구 (Kim and N없n, 1994; Kim et

al., 1994; Kim et al., 1995; Lim et al., 1996, Nam et al., 1999) 및 친환경 논 생태양식 기

술개발 (NFRDI, 2013)둥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미꾸리류에 대한 육상수조식 양식방법으

로 수정란에서부터 식용어까지의 크기로 성장시키는 보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시험연구

의 목적은 미꾸리류의 육상수조 완전양식 기술 개발을 위해 체계적인 양식 매뉴얼을 확립

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미꾸리 친어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재 민물고기 판매상을 통해 총 3회에 걸쳐 구입하여

인공종묘생산에 사용하였다. 미꾸리 친어 암컷 lg당 HCG (Human Oi.orionic Gonadotropin,

태반성 성선 자극호르몬) 6∼10 IU 범위로 주사하였다. 주사방법은 복강 주사 (100마리) 및

퉁근육 주사 (100마리) 방법 모두 사용하였고 별도 분리 수용되었다. 미꾸리 암 · 수로부터

얻어진 난과 정소는 물기가 없는 용기에서 수정작업이 이루어 졌다. 용기에 수집된 난 위

로 정소를 분쇄하여 뿌린 후 둥조액 (물 80 % : 0.9% 생리식염수 20%)을 섞어 수정시켰으

며 2∼3회 세척한 후 부화지에 수용하였다. 부화 수온은 3회 시험기간 동안 일정한 수온

(22±1℃ 23±1℃ 25±1℃)으로 유지되었으며/ 36시간 후부터 부화되기 시작하여 48시간에

부화가 완료되었다. 부화자어의 먹이는 초기 알테마아 급여 (20일) 후 냉동코페포다 (8일)

및 배합사료 (20일)를 급여하였다.

팩풋민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퍼

Egg taking from female fish Fertilization (Egg+Sperm)

Fig. 1. Fertilized egg production process of oriental weatherfish, Misgurnus m양tillicaudatus

I . 시험연구개발- I

결과및 고찰

미꾸리 친어 암컷 집단에 대하여 퉁근육 및 복장내 호르몬 주사를 각 100마리씩 처리

한 결과 산란 유도된 마리수는 둥근육 부위가 56마리였고/ 복강내 주사가 58마리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ig. 2).

、,eaQ = S .J) : 21.6lir= 8.04g

S palnl i a11: ‘is.Ii ::\o. ’ 56 ’‘、h‘’--”=S.O ’ 28..1911: = 8.lOg l>O S pn,.·111n1‘ fish . ”. ' 511 rislo --~ !>O

.!

훌 ::

i :~ y • 4 5335>:• 4Ul’

R’ : 0.8)11

M“””

---I---y • 4.Bi!O"I" · ~’ .’a C>.1845

• D

• 10 · ~

---- ‘MVth(c:ml

20 2.S • s 10 l!> ··* k ”!lltll ‘g ”’ io 25

(A) (B)

Fig. 2. Spwaning female fish number after 14 hour from hormone injection in dorsal

muscle (A) and abdominal cavity (B) . Sample female fish : 100 fish number

Table 1. Res띠ts for fertilized egg, fry and juvenile fish production from oriental weatherfish

1 s t . 2nd. 3 rd. F.xperlmeru period

(2013‘ 8 . 26)

18

(2014. s . 용)

R<'11ring d•y .23

(.2”13. 7 . JS)

48

Brood s‘c ‘’k fub au.mber (fem‘ Jc) 25-0 244 3S

Brood s tcok liM'aD --‘ab•(&) 34 28 32

Rorntnn e l매ecton (O C G) 811.:/ g

30

101U/g

Re•rtng t•nk (.n1까 .。

1찌IU/g

20

pa wain‘ fish aumb<-r (fenu .. c) 148 JS.. 2S

Spaw11hag ..,.te (0-'0) • 59°/o 63°/G 7JD/o

Hatching rate ( o/o) > 70o/o > 70o/o > 7”·*

、;\•ater IC'mperalar~ (℃) 22 23 25

llalchlna: tlmc (h) 3().-48 jι42 24∼∼36

Hatchtag fry ”umber 414,AOQ 431,2<,。70,0”” > 95%

~o、68,000)‘t'1val t'lllle (%) 。.t-e.5°/0

Artemla (20day)

Artemia (1 Sela)") Froi e• copepod (8clay)

1-"eed adaptatio’ """”‘· (15d.a Frflieu c:.optpoda

(8ilioy)

Frozen t ”rpc•tb+

omp” .... Jree<t (2Uday)

Mlialty (pp‘ ) 0 0 ’.9( ‘n<'.111”‘ lti‘Ju

Fry an‘l i ‘ ve‘ Ue length (cm) 0.9-1.2 1..4-J.8 1.7∼4.1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3차에 걸친 시험결과를 종합으로 고려할 때 미꾸리 자어의 부화는 수온이 높을수록 부

화시간이 단축되었으며/ 25℃ 인근까지 부화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

다. 또한 월별로 비교시 7월 시험에서 호르몬 처리 후 산란한 마리수가 가장 많았으며 5

월과 8월에는 7월에 비해 저조하였다. 6월에 종표생산 결과가 없어 단정 지을 수 없으나

아마도 미꾸리의 최적 생산 시기는 6∼7월로 추폭된다. 치어의 초기 생존율은 밀도에 가

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3차 인공종묘 생산시 저밀도로 사육한 결과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추가적으로 염분을 lppt 부근으로 유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먹이인

알테미아의 생존 시기를 높이고/ 수질의 안정화 (아질산 저감 효과)를 유지하여 자어 생

존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틸헌

~ Bai, A. D. 1979. An experiment on the fingerling production of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Bull. Natl. Fresh. Fish. Hatchery, 4, 63 ∼ 69.

~ Kang, E. J,, K. S. Kim, Y. C. Kim, D. S. Sim, 하1d S. R. Park11 2002. A Study on the

culture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61 : 43-50.

~ Kim, D. S., J. H. Kim and I. S. Park, 1992. Induced 없1d multiple spawnings by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injection of the loach, Misgurnus mizolepis (Teleostomi; Cobitidae) .

Journal of Aquaculture, 5(2), 109-115.

~ Kim, D. S. and Y. K. N없n, 1994. Transfer of foreign gene into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I. Availability of the lac Z as a reporter gene for producing transgenic mud

loach. Journal of Aquaculture, 7(1), 41-54.

~ Kim, D. S., J. Y. Jo and T. Y. Lee, 1994. Induction of triploidy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its effect on gonad development and growth. Aquaculture, 120, 263-270.

~ Kirn, D. S., Y. K. Nam and I. S. Park, 1995. Survival and karyological analysis of

reciprocal diploid and triploid hybrids betwee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cyprin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Aquaculture, 135, 257-265.

~ Lim, H. S., M. S. Kirn, Y. S. Seok, S. D. Park 없1d H. H. Lee, 1996. Characterization 뻐d

DNA structure analysis of replication ori힘n of Misgt표nus mizolepis. Journal of Aquac띠ture,

9(1), 93-100.

• N없n, Y. K., C. G. Kirn and D. S. Kirn, 1999. Auto-transgenic fast-growing giant triploid

fish: ready-to-go rnarket, Procee며ngs of FOID (1999) on New Te따1010힘es for Aquaculture

in Fisheries and Ocean Industrial Developrnent, Aug., 25-26, 1999, Pusan, Korea, 23-28.

~ NFRDI. 2013. Rep。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rnent Institute. :

Developrnent of eco systern-base the aquaculture ln the rice field.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rnent Institute. 3-41.

/>

I 시험연구개발 I

쏘가리 배합사료 순XI 연구

쏘가리 치어기 배합사료 순치 방법 연구

검달영 · 이동훈 · 이상우 - 홍석우

서 로

L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는 내수면 어류 중 기호도가 높은 식용어 중 하나로서/ 자원

증식 및 국내 생산량을 증가를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Kim et 따/ 1988), 치어기의

적정한 먹이생물의 공급 문제와 배합사료에 의해 순치되지 않고 살아있는 물고기만을 먹

는 특성 때문에 양식 대상종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어종임에도 불구하고 산업적으로

대량 양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부 배합사료에 순치된 쏘가리 친어

로부터 얻어진 수정란은 난질의 문제로 수정율과 부화율이 떨어진다고 일부 양어가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일부 양어가들이 주로 시-용하고 있는 먹이 공급 방법은 쏘가리

의 부화 자어기 이후부터 잉어 및 붕어 동과 같은 내수면어류의 부화 자어들을 먹 이로 공

급하여 쏘가리를 3cm ∼ 4cm 크기로 양성하고/ 이 후에는 이들 양식 어류/ 예를 들어/ 잉

어 및 붕어 등의 치어들을 냉동시킨 냉동 사료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과/ 시기에 따

라 어종이 다르겠으나 피라미 둥의 크기가 작은 고기를 포획하여 냉동먹이로 공급하는 방

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식 방법은 먹이 수급의 불안정I 냉동 보관

에 따른 경비 상승 및 생사료의 산패 동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쏘가

리를 산업적으로 양식하고자 한다면 이들을 양성활 수 있는 배합사료의 개발이 절대적으

로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쏘가리의 생태적 특성으로 인해 움직임이 없는 먹이에 대해

서는 먹이 활동이 극히 떨어지기 때문에 배합사료로 순치할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

어야할 문제이다. 쏘가리는 치어기 부터 단기간에 배합사료로 순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에 가까우며y 폐사율 또한 상당히 높아 체계적인 배합사료 순치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

정 이다.

이 에 우리 연구소는 쏘가리 배합사료 순치에 관한 시험 연구를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

으며/ 2013년에는 육성단계의 쏘가리를 대상으로 생사료와 배합사료의 성장 비교 시험 및

배합사료로 순치된 친어로부터 인공치어를 생산하여 쏘가리 배합사료 순치 양식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r 2014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쏘가리 배합사료 순치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

여 배합사료 순치 과정에서의 생존율을 향상시켜 쏘가리 치어의 배합사료 순치율 향상을

위한 시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팩윤인

I 2014년도 시헝연구사업보고서

재료 및 방법

시험어는 연구소에서 2014년 생산한 쏘가리 치어로 평균 체장 82mm, 평균 체중

6.03±0.Sg의 개체를 선별하여 총 4개 PVC수조(2m×lm×0.35m)에 각각 20마리씩 수용하였

으며 대조구와 실험구로 각각 2반복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합사료 순치 방

법은 2일 절식후 배합사료 공급구를 대조구로 설정하고 2일 절식후 배합사료 공급(대조구

와 동일)후 추가로 생사료(붕어치어 또는 잉어치어)를 공급하는 것을 실험구로 설정하였

다. 실험기간은 2014년 9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진행하였고 30일 간격으로 실험어의

생존율 및 배합사료 순치율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배합사료는 시판되는 뱀장어 성

만용 반죽사료를 반죽 후 실험어의 입크기 보다 깎은 크기로 성형하여 공급하였으며 형태

와 크기는 Fig. 1에 나타내었다. 사육 수온은 자연수온에 의존하다가 10월 이후 수온이 1

5℃ 이하로 내려가는 시점부터 가온하여 수온 15±1℃내외로 유지하였다. 사육수 교환은

벤츄리에 의해 1일 4회전으로 관리하였으며 1일 1회는 전체물량의 20%를 인위적으로 환

수하였다.

실험어의 생존율은 [실험 시작시 개체수 - 실험 종료시(중간계측시) 개체수 × 10이으로 산

출하였고/ 실험 기간중 체장 및 체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험 시작시/ 중간 계측시/ 실험

종료시 각각 체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배합사료의 순치율은 중간 및 최종 측정시 체장 및

체중의 변화와 각각의 측정시접 전 배합사료를 공답하여 배합사료를 먹어 실험어의 배가 불

룩한 개체와 배합사료에 순치되지 않은 개체를 구분하는 것으로 배합사료 순치율을 계산하

였다.

실험어 관능검사. 순치 개체(左),일반 개체(右)

Fig. 1. Materials and methods

I . 시험연구개발· I

결과및 고찰

실험 결과는 Fig. 2와 3에 나타내었으며 2일 절식후 배합사료 공급구(이하 대조구)에서

생존율은 실험개시 후 30일 후인 1차 측정에서 97.5%로 나타났으나/ 2차 측정 일부터 배합

사료에 적웅하지 못하는 개체가 대량 폐사하였으며 실험종료 시에는 62.5%의 생존율을 나

타내었다. 대조구의 배합사료 순치율은 실험개시 30일 후인 1차 측정에서는 20%가 순치되

었고I 실험종료 시에는 27.5%가 배합사료에 순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일 절식 후 배합사료 공급(대조구와 통일)후 추가로 생사료(붕어치어 또는 잉어치

어) 공급구(이하 실험구)에서 생존율은 실험개시 후 30일 후인 1차 측정에서는 폐사 개체

가 없었으나/ 2차 측정시 배합사료에 적웅하지 못첸 개체가 대량 폐사하였으며 실험종료

시에는 87.5%가 최종 생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구의 배합사료 순치율은 실험개시

30일 후인 1차 측정에서는 22.5%가 순치되었고l 실험 종료 시에는 45%가 실험기간 동안

배합사료에 순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일 절식 후 배합사료 공급(대조구와 통일)후 추가로 생사료(붕어치어 또는 잉어

치어)를 공급하는 실험구가 2일 절식후 배합사료 공급구인 대조구보다 최종 생존율이

87.5%로 높았고 생존기간이 연장되면서 배합사료에 순치될 수 있는 기회가 대조구보다 많

아진 것이 결과적으로 배합사료 순치율을 향상시켜 대조구보다 높은 순치율을 나타낸 것

으로 생각된다.

120

100

80

60 (%)

40 ...----

20

0 09-19 10-20

Fig. 2. Sur띠val rate of Siniperca scherzeri juveniles

--대조구 허혐구

11-18 12-19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so

45 45

40

35

30

‘--, 25

27.S

20

15

10

5 ---대조구 ---혀험구

0

09-19 10-20 11-18 12-19

Fig 3. Domestication rates of formula feed in Siniperca scherzeri juveniles

실험 결과 쏘가리 치어를 배합사료로 순치시키기 위해서는 절식 후 배합사료만 공급하는

것보다 배합사료 공급후 배합사료에 순치되지 않은 개체가 생존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생

사료(붕어 치어 동)를 공급하여 배합사료에 길들여지지 않은 개체가 폐사되지 않고 배합사

료에 순치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배합사료 순치과정에서 폐사되는 개체가 줄이

고 배합사료 순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인 것으포 판단된다.

8

7.S

7 -

6.S

6

s.s (g)

s

4.S -

4

--대조구 .... 허험구

3 .S

3

09-19 10-20 11-18 12-19

Fig 4. Change of weight in Siniperca scherzeri juveniles

I 시헝연구개발 I

따라서 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쏘가리 배합사료 순치 연구의 방향은

일반적인 자원조성용 방류 크기인 전장 3.5cm 전후의 개체를 배합사료에 순치시켜

치어기의 배합사료 순치 개체를 대량 확보함으로써 치어 단계부터 쏘가리를 배합사료로

순치하여 육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시험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참 고 자 j료

~ Kim, J. D., J. Y. Jung and C. H. Lee. 1988. Study on the egg talking and hatching

of Sinψerca scherzeri.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42 : 81-85.

~ Liao, I. C. and E. Y. Chang. 2003. Role of sensory mechanisms in predatory

feeding behavior of juvenile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Fisheries science. 69 :

317-322.

~ Liang, X. F., Oku, H., Ogata, H. Y., Liu, L and He, X. 2001. Weaning Chinese

perch Siniperca chuatsi (Basilewsky) onto 값tificial diets based upon its specific

sensory modality in feeding. Aquaculture Res .. , 32 (Suppl. 1) : 76-82.

팩흉XI'

1 2014년도 시헝연구사업보고서

메기 가공식품 개발연구

안태영·김창미·이상우·홍석우

서 료L ..___

메기(Silurus asotus)는 메기과 메기목에 속하는 담수어종으로서 큰 강의 하구나 저수지와 같은

물의 흐름이 없는 정수역에서 서식하고 한국/ 대만/ 중국/ 베트남/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

며 (Kim and Lee, 1993; 백·이/ 2010), 옛날부터 보양제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최고의 매운

탕 재료로써 널리 이용하고 있는 어종이다.

메기의 형태는 몸에 비늘이 없으며/ 둥지느러미는 작고/ 가시가 없으나 뒷지느러미는 대

단히 길어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된다. 체형은 폼이 길고 머리가 납작하며 입이 크고 입 주

위에 수염이 2∼3쌍 나있다. 몸 앞쪽은 원통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붐의 뒤쪽은 측편으로

되고 앓다(장/ 1991).

경기도 내 메기 양식 생산량은 2012년 280톤(1,369백만원)/ 2013년 241톤(1,055백만원)이었

으며 2014년에는 331톤(1,259백만원)으로 도내 내수면 양식대상종 중 가장 많았다. 또한

국내 수입되는 양은 2012년 1,772톤/ 2013년 1,484톤으로 내수면 품종 중 4번째로 많다(해

양수산부 수산정보포탈/ 2014).

도내 생산량 및 국내 수입량은 많지만 2014년 평균 판매 단가가 kg당 3,800원 정도로 낮

아 수익성이 좋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는 여러 원인이 있는데/ 우선 메기는 대부분 노지에

양식하여 일정 시기에 출하가 집중적으로 몰림으로써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져 단가가

하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많은 공급에도 웰구하고 메기 소비는 매운탕 및 구이로

매우 제한적이어서 단가 상승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조로운 메기 소비 패턴

을 다양화함으로써 판로를 확장하고 양식어업인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 포 형태의 메

기가공식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밤법

1. 재료 및 기기

메기포 제조에 사용한 메기는 본 연구소에서 사육중인 성어 및 의성마늘황토메기영어

조합법인(경북 의성군 소재)에서 구입한 냉동 필렛을 사용하였다. 그 외 시판중인 소불고기

및 돼지불고기 양념(백설)과 자체 제조 양념에 사용된 양조간장/ 고추장/ 고춧가루/ 올리고당/

양파/ 들깨가루/ 매실액/ 설탕/ 후추/ 생강/ 목초액/ L-글루타민산나트륨(미원)의 식재료는

I . 시험연구개발 I

인터넷 오픈마켓 및 일반 마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에는 온풍건조기(GCT-1040R

-4G, 그린쿨테크) 및 식품건조기(HFD-7000, 한일전기)를 사용하였다.

2. 제조 방법

메기포 제조는 크게 어체 처리/ 양념 숙성/ 건조의 3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전반적인 과정은

그림 1과 같다. 1차 제조에는 본 연구소에서 사육줍인 메기 성어의 껍질을 제거한 필렛을

가장자리 지방질을 제거하고 세척 후 회를 뜨듯이 썰어서 시판중인 양념에 18시간 숙성시

켰다, 그 후 온풍건조기에서 50℃로 양념의 종류에 따라 7∼12시간 건조시켰고 중간에 1회

뒤집어 주었다. 2차 제조에는 의성에서 구입한 냉동 메기 필렛의 껍질 및 가장자리 지방질을

제거하고 회 또는 길쭉한 형태로 썰어서 비린내 제꺼를 위해 목초액 10%, 소금 3.5%가 포

함된 물에 1시간가량 침지시켰다. 침지한 것을 세척하고 양념에 약 16시간 숙성시킨 후

식품건조기에서 50℃로 10∼12시간 건조시켰고 골고루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 중 1회 뒤집

어 주었다. 양념에 사용된 재료는 표 1과 같다.

A 어채 훌햇흥}

• B 어저l 쩔렛훌}

• 낌철 잊지잉짤 저I거

• 커

지 l

↓세

|•

및 짧

'il쩔환 모얄으로 않거| 혈기

• 일쩔한 모양므포 암채 얻기 목조액/소급를힘지

• 양

• 승음성

• 앙넘

• 건쪼 〈성

그림 1. 메기포 제조의 전반적인 과정/ A; 1차 제조/ B; 2차 제조

표 1. 메기포 제조 양념 재료

재료

1차 시판 소불고기 및 돼지불고기 양념(백설)/ 목초액

1번 2번

2차 간장/ 설탕/ 매실액/ 들깨가루/ 간장/ 설탕/ 매실액/ 고추장/ 후추/

올리고당 고춧가루/ 양파/ 생강/ L-글루타민

산나E륨

몇〉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펴

3. 관능평가

우선 메기포 1차 제조에는 시중에 판매중인 소웰고기와 돼지불고기 양념을 이용하여 만

든 것을 본 연구소 직원 17명을 대상으로 시식 쭈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각 항목을 점

수로 환산하여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접수로 환산한 냄새/ 식감/ 전체적인 평가에 대한 문

항의 최고점수는 119점이며 환 정도에 대한 최고점수는 68점이다. 2차 제조에는 자체적으로

제조한 양념 2가지를 이용하여 만든 것을 본 연구소의 양식기술교육에 참석한 수산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시식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I 항목별로 선택한 인원수에 따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2차에는 총 36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결과 및 고찰

메기포 1차 제조에 따른 시식 및 설문조사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전체적으로 가장 선

호도가 높은 메기포는 50% 희석한 시판 돼지불고기 양념이었으며 목초액 10% 첨가한 2

가지 양념은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비린내 유무에 대하여 조사한 냄새 문항 결과는 돼지불고기 양념을 사용한 A 메기포가

119점 중 83점으로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 외의 메기포는 유사하였다. 싼 정도에 대한

문항도 냄새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조미료 등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만들어진 시판 양념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반응은 나쁘지 않았으나 선호도도 그리 높지 않은 것으

로 여겨진다. 또한 냄새의 경우 시판중인 양념을 시-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린내가 난다는 의

견이 있었다. 이는 어체 처리시 가장자리에 붙은 지방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경우와

두껍게 썰었을 경우 제대로 건조되지 않거나 건조 중에 내부에 있던 기름이 새어나오는

경우에 의해 비린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식감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양호하다거나 딱딱하다는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 특히 목초

액을 함유한 메기포의 식감에 대한 평이 좋지 않았는데/ 이는 양념에 목초액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뒤 건조시켰을 때/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건조가 빨리 이루어져서 다른 양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푸석해져 식감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D

c

a

0

-1 --기 그림 2. 메기포 1차 제조에

!>-0 100 150 200 250

- 녕새 l씩감 l쩔쩔도 -전처|획 뀔가

$ @@

따른 설문조사 결과/ A; 50% 희

석한 돼지불고기 양념/ B; 50%

희 석 한 소불고기 양념/ C; 50%

희석 및 목초액을 10% 함유한

소불고기 양념/ D; 50% 희 석 및

목초액을 10% 함유한 돼지불고

기 양념

I 시험연구개발 I

2G 2G

“ -- II

16 16

l• -- l•

‘z ‘a - - :11- - • l번 • . • 2밴 | • · 」--~~. .앤

‘ ’ E달효 •

。 I - , - ..,... - - , - - - - -.않을 끓 보. 씩융 떼.쩍용 | 배 .la.~ 를융 때.률융 A B

I I 머뉴 -~~- - ~ - -- I I a。 |

란 •-‘ ::: : I ~~-~cc~ll-..1-- :::

- ---- - 1111111 . ‘ 권 쭈 닫다 .다 보톨 .다 며성다 | 맛잊융 공똥를 보를 맞있융 떼우 였융 C D

그림 3. 메기포 2차 제조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 A; 비린내/ B; 식감/ C; 달고 싼 정도 다 전체적 평가

2차 제조에 따른 시식 및 설문조사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자체 제조한 양념을 사용한 두

메기포 모두 나쁘지 않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그 량 2번인 매운 맛을 강조한 메기포가 좀

더 선호도가 높았다.

제조 시 가장 중점을 둔 비린내의 경우 1번 메기포는 일부 비린내가 난다는 의견이 있

었지만 2번 메기포는 거의 없었다.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한 처리를 똑같이 했음에도 불구하고

차이가 나는 것은 2번 메기포의 양념이 강하고 자극적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린내가

상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번 메기포는 들깨가루까 메기의 기름과 함께 느끼함을 증가시

켜 비린내가 난다고 느껴졌을 것으로 보인다.

달고 싼 정도에 대해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나 2번 메기포의 경우 달다거나 짜

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이는 강한 양념 맛에 대한 개인 취향의 차이로 보이며/ 실제로

시식한 사람들에게 맛을 물어보았을 때 맛있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너무 뱀거나 자극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메기포 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비린내를 얼마나 잘 제거하고 일정한 형태로 만

드는 것이다. 특히 너무 두꺼울 경우 건조 중 어유가 떼기포 표면에 배어나와 느끼하고 비린내가

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앓은 두께로 만들어내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양념에 숙성시키기 전 비린내를 더 제거하고 양념맛의 개선으로 보다 덜 자극적인 메기

포 개발이 필요하다.

쫓〉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참고자료

• 백윤하/ 이상헌. 2010. 은은한 색채의 미학 우리 민물고기. 씨밀레북스/ p226.

• 장계남. 1991. 담수어 양식. 오성출판사/ p 261.

• 해양수산부 수산정보포탈. 2014. 어업생산 통계/ 어법별 현황.

~ Kim, Y.G. and Lee, K.K.. 1993. Studies on disease of catfish(Silurus asotus) in Korea.

J. Fish. Pathol., 6: 1-10.

--

>

I 시험연구개발 I

연구 양식기술 !무환수 순XI 흰다리새우의 저염분

한정조·이상우·서성문·박종렬·박영규·홍석우

파나

남부와

흰다리새우/ Penaeus vannamei (Boone, 1931)의 양식은 1973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마의 자연성숙한 암컷을 도입하여 산란에 성공하였으며/ 상업적인 규모의 양식은

중앙아메리카에서 흰다리새우 못양식 방법을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에 미국 하와이/ 중

남미를 중심으로 고밀도 사육기술에 대한 연구가 촬발하게 진행되었다.

라틴아메리카에서의 흰다리새우 양식생산량은 엘니뇨 기간에는 증가하고I

지는 라니냐 기간에는 질병발생 퉁으로 인하여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경우에는 양식생산량이 1998년(193,000톤)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지만 2000년(143,000

톤)에 일시적으로 감소하였고/ 2004년에 270,000톤으로 다시 증가하는 경항을 보였다. 중

국/ 태국I 대만 지방에서는 홍다리얼룩새우의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국으

로부터 수입되는 흰다리새우의 바이러스 질병과 똥일하게 발병하는 질병들이 많아 무분

별한 수입과 이식을 제한하는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태국/ 인도네시아에서는 제

한적인 무병어미 (SPF, 영어풀네임) 수입을 통한 상업양식을 허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도 새로운 병원균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검역절차를 시

행하고 있다. 전 세계 흰다리새우 총생산량중 양석생산량 약 3백만톤이며 어업생산량은

약 1천톤으로 흰다리새우 생산량의 대부분을 양식이 차지하고 있다.

반대로 추워

있다. 미국의

어엉.션. g에.션’t

§뿔뿔옆혈H설책 E올흉 ~Ii 획흉H~~U 홉홍융§ *‘

’,Im.fill

l.IDl.«D

l;mJX11

-ltJJl삐f.(1J

’ -’1,500,ml 1 !,IQl,m)

-

그림 1. 세계 흰다리새우 생산량(FAO, 2014)

양식하여 왔

급감하였고/ 이에 대

z T 대 하(Fenneropenaeus chinensis)를

대량폐사가 발생하여 생산량이

서해안에서 우리나라는

으나/ 흰반점바이러스병 (WSSV)으로

전통적으로

쫓〉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한 대체 품종으로 질병에 강한 흰다리새우를 2003년부터 도입하여 2013년 3,785톤(600억)

생산하고 있고/ 대하는 42톤(7억)생산되어 흰다리새우가 대하에 대한 양식 대체품종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그림 2).

4,000

--。。

3 ,(잉0 ---- --

l .500

엎 2αm "°

l ‘5‘JO

,000 -

500

19!l0 l.992 19잊 1996 1998 l COO 1002 20여 Z006 2008 201。 2012

렌도

그림 2. 흰다리새우 년도별 생산량

3,785

---휠다리새우 '<\'~합

--대하 •• 산당

‘ .t2

흰다리새우의 양식은 5월에 축제식 양식장에 종=묘를 입식하여 사육하는 것이 일반적이

지만/ 경기도 지역의 경우 남부 지방보다 늦게 수온(평균 10℃ 이상)이 상승하므로/ 입식

시기가 15일정도 늦어지고 이에 따른 양성 기간또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은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 사육수조에서 고빌도로 일정기간 양식한 후 축제식 양식

장이나 노지에서 본 양성을 하여 단축시킬 수 있다. 흰다리새우의 출하 시기는 추석 직전

(9∼10월경)이고 가격은 2만5천원/kg이지만 이 시기에 출하하지 못하면 가격하락과 함께

낮은 수온으로 인하여 성장이 늦어지게 되어 흰다리새우 양식에서 초기 실내 고밀도 사

육 방법의 도입은 출하시기의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현재 흰다리새우 양식 기술에 적용하고 있는 미 생물총기술 (BFT, Biofloc technology)은

이스라엘에서 틸라피아 양식에 적용한 사례가 최초 보고된 후 미국에서 그 연구기술을

확립되었다. 이 방법은 사육수의 교환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수질오염의 최소화는 물론I

자가영양상태에서의 효율적인 암모니아 제거로 시-육수질의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사육생

물이 사육수의 플락을 재섭취함으로써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어 양식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사육수를 통해 유입되는 질병원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양식

방법이다 (Roselien et al. 2007). 미국에서는 이와 같은 BFT 기술을 이용하여 열대 사막의

비닐하우스에서 white shrimp의 초고밀도(500마리/m' ) 양식에 성공하였다(David & Arnold

1998, Oscar et al. 2007, John, 2013). 국내에서도 장 퉁(2008, 2009)이 BFT 양식 시스템을

보완하여 고밀도양식 시스템 성공 사례를 보고한 바 있다.

I . 시험연구개발 I

최근 새우 양식 에서 조기 치사증후군(EMS, Early Mortality Syndrome) 또는 급성 간훼장

기사증후군(AHPNS, 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Syndrome)으로 불리는 새로운 바

이러스성 질병이 2012년에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따 양식장의 대량폐사를 일으키고 있으

며 (Lightner et al. 2012, Tran et al. 2013), 흰반점바이러스는 매년 우리나라의 새우 양식

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Park et al. 1998, Timothy 2012, Chai et al. 2013). 이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새우양식에 BFT 방식을 이용한 폐쇄식 양식이 증

가되고 있다. 특히 사육수의 염분을 낮추거나 사료에 β-glucan을 투여하면 흰반점바이러

스 병원체의 활성이 낮아지므로/ 저염분에 강한 흰다리새우의 저염분 순치 양식에 대한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Davis et al. 2004, Siripong et al. 2014). 경기도의 경우 연안에 근

접한 평택/ 안산의 내수면 지역에서 저염분 지하 해수를 이용하거나 해수를 임의로 가두

어 흰다리새우를 양식하는 양식장이 10여곳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 내수면 양식장에 웅꽁가능한 갑각류 양식기술을 개발을 위

하여 BFT 방식을 웅용한 저염분 순치 흰다리새우 양식 시험 연구를 추진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종묘 구입 및 저염분 순치

시험에 사용한 흰다리 는 충남 소재 양식장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어

입식은 1차(2014. 05. 01.)에 치하 2만마리 (총중량 140g, 평균 0.007g/마리/ 밀도 450마리/

m')를/ 2차(2014. 05. 16.)에 치하 15만마리(총중량 300g, 0.002g/마리/ 3,400마리 / m')를 각각

2주간의 저염분 순치기간을 거친 후 각각 육성용 대형 수조에서 수용하여 본양성을 실시

하였다. 먹이로는 수용 후 3일간 코페포다를 공급헤였고/ 그후 10일간 오렌지사료 3호(φ

0.2∼0.4mm)를r 그 후 초기 치 하용 1호 사료(φ 0.4mm)콸 공급하였다.

표 1. 흰다리새우 체중별 사료 공급량

치하 체중(g) 일간 체중대비 공급량(%)

2 9.5 3 5.8 5 5.3 7 3.7 10 3.3 15 2.6 20 2.1

사료공급량은 표 1을 기준으로 먹이터의 사료잔량을 조사하여 조절하였고/ 수질/ 탈피시

기(표 2), 날씨를 참고하여 가감하였다.

펀전다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2. 흰다리새우 체중별 탈피간격(기간)

치하 체중(g) 탈피기간(일)

2-5 7

6-9 7-8

10-15 9-10

16-22 12-13

저염분 순치 방법은 Roy et al. (201이의 방법과 브라질과 에콰도르의 내수면 흰다리새우

양식장에서 사용하는 방법(표 3, 4)을 변형하여 적용하였다(표 5). 일반적으로 담수의 공

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염분을 낮추는 방식이었으며 암모니아/ 아질산의 농도와 사료

공급량에 따라 유용미생물(당밀+유용미생물) 혼합액을 매일 소량 공급하여 사육수내

Biofloc 농도를 조절하였다.

표 3. 흰다리새우 포스트라바 저염분 순치 방법 (Alberto and Colon, 2001)

염분 범위 (psu) 포스E 라바 87] 이상 일령 포..>- E 라바 87] 미만 일령

35∼20 20분마다 2psu 하강 20분마다 2psu 하강

25∼15 30분마다 2psu 하강 30분마다 lpsu 하강

15∼10 30분마다 lpsu 하강 30분마다 lpsu 하강

10∼5 30분마다 lpsu 하강 2시 간마다 lpsu 하강

5∼1 1시 간마다 lpsu 하강 5시 간마다 lpsu 하강

표 4. 흰다리새우 치하 염분별 저 염분 순치 방법 (Alberto and Colon, 2001)

일자 30psu 걱 lpsu 20psu 걱 lpsu lOpsu 걱 lpsu

1일 8psu 하강 4psu 하강 2psu 하강

2일 8psu 하강 4psu 하강 2psu 하강

3일 8psu 하강 4psu 하강 2psu 하강

4일 4psu 하강 2psu 하강 2psu 하강

5일 2psu 하강 2psu 하강 2psu 하강

6일 2psu 하강 2psu 하강

7일 2psu 하강 2psu 하강

8일 2psu 하강

9일 lpsu 하강

t혈한〉

I . 시험연구개발 I

표 5. 저염분 순치 방법

일자 염분(1차) 염분(2차) 비고

0일 32psu 32psu 답수만공급

1일 29psu (3하강) 29psu (3하강)

2일 21psu (8하강) 25psu (4하강)

3일 13psu (8하강) 21psu (4하강)

4일 9psu (4하강) 17psu (4하강)

5일 7psu (2하강) 13psu (4하강)

6일 Spsu (2하강) 9psu (4하강)

7일 3psu (2하강) 7psu (2하강)

8일 2psu (1하강) 6psu (1하강)

9일 5psu (1하강)

사료공급량은 새우의 주간성장률에 따라 조절하였으며 성장률 조사는 매주 30-50마리의

새우를 채집하여 평균체중을 계산하였다.

2. 흰다리새우 유생 사육 수조

수조의 수면적은 8m' (L2.0xW4.0× H0.3m) 직사각형 PVC수조로 수조 내부에 lm 유니분산기

6개를 설치하여 사육수가 강하게 교반되어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부유하도록 하였다(그림 3).

그림 3. 흰다리 새우(포스트라바기) 저염분 순치 수조 좌 : 수조/ 우 ; 흰다리새우 유생

3. 육성 수조 및 부속 시설

(1) 1차 시험

수조의 수면적은 39.6m' (L6.6xW6.0xH0.7 m) raceway형 콘크리트 수조로 수조 중앙에

연질 PVC (L4.0xH1.0 m)에 SUS 봉으로 묶어 격벽을 설치하였다. air l표t는 가로 3열r 세

로 1열에 각각 8개/ 6개를 설치하였다. Air l표t용 PVC 파이프(VG2 φ75mm)는 길이 lllcm

로 수조 바닥과 닫는 면을 편평하게 절단하였으며/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lOcm 지점에

련훌런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코어로 뚫어서 산소와 구멍을 뚫어 내압 호스를 삽입하였다. 토출구는 수면위로?? φ60mm

분출되도록 구조는 배관 전체의 수조의 4). 시설하였다(그림 충분히 사육수가 함께

Samocha et al. (2002)을 참고로 시설하였다.

단점을

(L9.0 xW4.0 xH1.0 m)인

SUS 봉으로 묶어 격벽을 설치하였다. Air lift는 가로 4열로

1표t용 PVC 파이프(VG2 φ75mm)는 길이 200cm로 1차실험에

닥으로부터 위쪽으로 10cm 지점에 구멍을 뚫어 내압호스를

그림 4 . 1차 수조의 사진(좌측)과 air lift 모식도(우측)

(2) 2차 시험

1차 실험수조의 36m' 수면적이 수조의 시설하였다.

콘크리트 수조로/ 중앙에

2차 실험수쪼를 뼈 병

완 .“

.

보 mu PVC (L4.0 xH1.0 m)에

설치하였다.

연장하였으며/바

Air

연질

각각 8개를

비해 길이를

삽입하였다. 토출구는 수면을

업 핸

기준으로 30cm 크기로 확대하여 φ60mm 코어로 뚫어서 산소와 함께 사육수가 충분히

되도록 시설하였다(그림 5).

그림 5. 2차 수조의 사진(좌측)과 air lift 모식도(우측)

I 시험연구개발- I

4. 사육수 관리

실험 수조의 사육수는 종묘 입식 2주전에 화성시 소재 양식장에서 가져온 해수를 가져와

염소 50ppm 농도로 소독하였다. 염소를 제거한 후 담수를 공급하여 염분을 각각 2psu와

Spsu를 조절하고 당밀과 새우 초기사료를 넣었으며/ 수온은 25∼30℃ 범위였으며 pH

7.0~8.0로 조정하였다. 물만들기를 위하여 질산염비효(Sg/톤)와 인산염비료(1.5g/톤)를 시비

하여 충분히 조류를 발생시켰다. 새우 입식 후 수조의 수온/ DO, pH는 Hach HQ40d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고I 염분은 YSI 30을 이용/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은 Merck kit를 이용하

여 매일 측정하였다. 낮은 암모니아/ 아질산 농도 유지를 위해 EM배양액과 수질개선제

(Pro-W)를 주기적으로 소량 공급하여 조절하였다.

6. EM 배양

실험에 사용한 EM 배양을 위하여 배양 수조에 지하수를 1톤 취수한 후 온도조절기를

이용하여 수온을 35∼40℃로 조정하였다. 배양수 1톤 당 EM원액 1통(18 f ), 당밀 5통(18

ι)를 첨가하고 수중펌프로 잘 교반하여 당밀을 완전히 녹인 후 비닐로 밀봉하여 2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pH는 4.0∼5.0의 강산을 띄었으며/ 배양액의 색은 흙갈색으로 시큼한

냄새가 나 배양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및 고찰

1. 저염분 순치 시험

1차 시험시 수온 28.4℃ DO 7.98mg/ι(최소요구량 3mg/ ι)로/ 이때 산소포화도는

103.5%로 높게 유지하였다. 초기 아질산과 암모니아 농도는 사료공급량이 적고 저염분

순치를 위한 담수공급량을 줄여 농도가 다소 높아 아질산은 O.lmg/ι/ 암모니아는 0.109

mg/ι 까지 상승하였다. 그러나 저염분 순치 기간 즉종료시에는 담수 공급량이 증가하여 아

질산 O.Omg/ ι/ 암모니아 0.003mg/ι 로 낮게 나타났다. 아질산l 암모니아 수치를 감소시키

기 위하여 EM 배양액은 1일 평균 200mι 수질개선체는 1일 lg을 첨가하였다.

2차 시험시 수온은 평균 26.0℃로 1차 시험에 비해 낮게 유지하였고/ 산소공급량을 증

가시켰으나 용존산소는 최대 8.38mg/ι 포화도는 1〔)4.8%로 1차 시험의 최대 g ] 8.66mg/ι

포화도 121.1 %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아질산 0.2mg/ι/ 암모니아는 0.491mg/ι 는

높게 나타났다 (표 6). 따라서 사육수의 암모니아/ 아질산 농도 조절을 위해 사료공급 주

기를 조절하여 과식하지 않고 사료 잔량이 남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1차 시험시에 EM 발효액만을 첨가하는 것보다 2차 시험때 당밀 +EM 발효액을

함께 첨가하는 것이 암모니아 농도를 떨어뜨리는데 보다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험 2주

후부터 농도가 상승하여 4주째에 거의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EM 발효액은 2주

팩윤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까지 살포하여 암모니아 농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그 이후에는 당밀 단독살포가 사유수의

관리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6. 흰다리새우 시험수조의 수질변화

수온 염분 전기전도도 DO 포화%도 pH Hardne N02-N N03-N NH3-N NH3 비이온 psu ms SS NH3

1차 27 .. 1-29.5 5 . 0∼32.0 7.67∼49.20 6.95∼8.66 90.1∼121.1 7.77-8.36 0∼10 ↑ O∼23 0.00∼6.34 oαJ--7.71 oαD-0.675

(28.4) (10) (16.61) (7.98) (103.5) (8.09) (425 ) (0.8 (3.6) (1.3) (1.5) (0.109)

2차 25.1∼26.9 2.0∼32.0 4.40-49.20 7.59∼8.38 97.9∼104.8 7.86-8.28 0-0.2 O∼5 0.00-3.68 0.α}∼4.47 oαD-0.양n

(26.0) (9) (17.28) (8.11) (101 .2) (8.09) (425 ) (0.05) (1.5 (1.40) (1 .5) (0.145)

본 연구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지에서 100% 무환수 양식을 시도한 경기도 평택과 김포

에 위치한 내수면 양식장의 경우도 본양성 4주째부터 대량폐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하해수를 이용하여 소량 환수를 하였깨나l 해수를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사육수

의 낮은 염분을 유지한 양식장에서는 새우의 폐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5psu

정도의 염분 유지가 가능한 곳이라면 흰다리새우 양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Hongyu et al. (2014)은 사육수와 사료에 칼륨이온(K+)을 첨가하는 것이 혈림프의 암모니

아성 질소/ 요산I 요소의 양에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지만 arginase활성과 ci-의 농도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치고 ALP, LSZ와 respiratory burst activity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므로 새우의 저염분 사육수의 Na/K비가 감소하게 됨으로 사료 중의 K+의

요구량이 줄어든다고 제안했다. 이와 같이 흰다리새우의 저염분 양식을 위해서는 사육수

의 Na/K의 비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양식생물의 건강도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할 필

요가 있다.

1차 순치시험에서 흰다리새우 총 중량 140g을 입식하여 12일간 저염분 순치후 l,300g까

지 성장하였고/ 2차 순치시험에서는 총중량 300g의 흰다리새우를 입식하여 l,500g까지 빠

른 성장을 나타내었다.

2. 육성용 수조의 수질 및 수색 변화

육성용 수조의 수색 변화는 그림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물만들기를 위한 시비 2주후부

터 조류 발생에 의해 수색이 진한 녹색을 나타내었고 염분 2psu에서는 물벼룩이 대량발

생하기 시작했으나/ 염분 5psu에서는 물벼룩이 발생하지 않았다. 새우 입식 2주 후에 수

색은 연한 녹색으로 바뀌고/ 3주째에 수질이 악화되면서 연한 갈색으로 변하였으며 대량

폐사가 발생한 시기에 진한 갈색을 나타냈다. 노지에서 흰다리새우를 양식하는 경우에는

입식부터 출하 때까지 지속적으로 조류가 번무해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비이온화 암모니

。짧〉

I 시험연구개발 I

아 농도가 증가하면서 조류의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급격한 수색의 변화를 나타낸 것

으로 생각된다.

새우 양식장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는 입식 후 2주까지 상승하고 3주 이후부터는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아질산염의 농도는 3주째부터 급격히 상승하다가 하강하는 농도 변

화는 사육수 비교환방식의 새우양식에서 흔히 나따나는 것으로 주로 식물플랑크톤과 질

화세균에 의한 질화 과정에 기인한다(Thakur and Lin, 2003).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 변

화는 초기 사육수에 존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양에 의해서도 좌우되지만 질화세균군의

발달과 사육수의 유기물 및 탄소의 양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Cohen et al., 2005).

연한 갈색, pH 7.97 (2014.06 .06 .) 진한 갈색 , pH 8.05 (2014.06 .12.)

그림 6. 흰다리새우 사육수 수색변화

1차/ 2차 실험에서 4주째부터 암모니아 농도가 급격히 높아진 것은 질화과정이 이루어

지지 않는 상태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수가 감소하고 바이오플락이 잘 만들어지지 않아 대

량폐사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그림 끼.

팩풋Xt'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먹이터의 폐사 새우 (2014 .06 .15.) 판매 크기 흰다리새우 (20 14.10.30.)

그림 7. 흰다리새우 폐사 및 성체

3. 새우의 성장과 생존율

본 사육 시험에서 증발/ 누수량을 담수로 소량 보충하여 각각 40일/ 38일간 고밀도(450

마리/마)와 초고밀도(3,400마리 I m')로 사육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1차 시험시 평균 체중

0.007g의 새우는 시험 종료시에 16 .lg까지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71% 였다. 사료계수는

0.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2차 시험에서 평균 체중 0.002g였던 새우는 시험 종료시에

0.094g로 초고밀도에서 새우의 성장은 매우 저조하였으나/ 생존율은 83 %, 사료계수는

1.15로 야외 노지 사육시 사료계수 1.4에 비교하였을 때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1차 시

험과 2차 시험을 비교한 결과 중간 육성은 입식 후 2개월까지가 적정하며 이후에는 고수

온기 노지에서 사육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표 7. 흰다리새우의 사육밀도 및 성장도

치하 평균 중량 생존율 입식량 사육밀도

FCR (마리) (마리/m' ) 1차(일)

3차(일) 4차 (%)

[최초] 2차(일)

[최종l

0.007g 1.3g 9.8g 16.lg 71 % 0.75 1차 20,000 450

(0일) (13 일) (27일) (40일)

0.002g 0.009g 0.063g 0.094g 83 % 1.15 27<} 150,000 3400

(0일) (13 일) (25 일) (38 일)

Tzachi et al. (2012)는 염분 18psu에서 치하 3.14g, 390마리 /m' 밀도로 사육하였을 때/

최종 생존율 82.3% 이고/ 염분 30psu에서 치하 450마리 / m' 밀도로 사육하였을 때/ 생존율

94.51 ∼ 96.86% 였다고 보고한바 있다. 본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저염분 순치시 흰다

리새우의 적정 사육 밀도는 250∼450마리 /m' 일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의 경우 흰다리새우의 고밀도 사육에 대한 경제성 분석 결과 시설투자 대비 자본

>

I . 시험연구개발 I

회수율은 32.8%로 2.8년이 소요되었다(Samocha et al., 201이. 본 시험결과 흰다리새우의

저염분 순치 양식은 내수면 양식에서 경제성이 높으나 수질관리 방법 및 유기물 및 바이

오 플락의 유지를 위한 원활한 산소 공급 기술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잠고자료

• 장인권/ 김종식/ 서형철I 조국진. 2009. 사육수 비교환 방식에 의한 흰다리새우의 고밀도

사육 II. 흰다리새우의 실내 중간양성. J. Aquaculture 22(1), 42-50.

• 장인권 김종식/ 조국진 서형절 조영록/ Ayyaru Q뼈lakanna, 김봉래. 2003. 사육수 비교환 방식에

의한 흰다리새우의 고밀도 사육 I. 후기유쟁(pa;tlarv퍼의 실내 중ζ붐성. J. Aquaculture 21(4),

339-:잉5.

~ Chai CY, Yαm J, Lee YS, Kim YB, Choi 1J. 2J.13. Analy봐s of 낭E compl.1얹e rn꾀eotide sequen:e of

a 때lite 야X)!: 워뼈mre 찌rus isolated from 뼈cific v빼te shrimp. Journal of MαDbio1땅y, 51.5:

(fJ5.(ff).

~ D. Allen Davis, C R Arnold. 1998. πle design, managerrent and produ며on of a recirculating

raceway syst않1 for the produ며on of marine shrimp. A대iacultural 담1링neering. 17, 193 - 211

~ Divis, D. 패en; 굶rr강R T경chi M; Boyd, C E Am. A꾀irra마땅 Pacific 따뼈 shrinp, U따'JeYlaeUS

wnnam?i, to inl뼈 1짜때inity l얘ters. 앉%에le, h애없t갖:;ippi: Sou남an Regional 싹g띠따e 양nter.

~ Donald V. Lightner, R. M. Redman, C. R. Pant여a, B. L. Noble, Loe Tran. 2012. Early

mortality syndrome affects shrimp in Asia. Global Aquaculture Advocate Magazine

40.

~ FAO. 2013. Cultured aquatic species information programme Penaeus vannamei (Boone,

1931)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De따tment. pp. 1-13.

~ Hongyu Liu, Beiping T뻐 Jinfang Yang. Shuyan 다ti, Xiaohui Dong. αh띠 Y없lg. 2014. Effects

of aqueous Na/K and dietary K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of the Pacific white

shrimp, Lit1φgαus vannamei, reared in low-salt well water. Aqua띠ture R않earch, 1-14.

~John A 뻐rgreaves. 2J.13. Bioflα R℃duction Syst어B f[ >r Aquac띠ture. SRAC Publication 45a3, 1-11.

팩룹σ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 Oscar Zelaya, David B. Rouse, D. Allen Davis. 2007. Grow out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Stocked into Production Ponds at Three Different Ages.

Journal Of The World Aquaculture Society 38(1), 92-101.

~ Park, JH, Lee, YS, Lee Y. 1998. An infectious viral disease of penaeid shrimp newly

found in Korea.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34(1), 71-75.

• R얹elien Oab, Yoram Avnirrelech, Tom D아oirdt, I〕et앙 Bossier, W버y Verstraete. 2αYl. Nitr땅표1

rennval techniques in aquaculture for a sus떠inable pr。du며on Aquaculture 270, 1 - 14.

~ Roy, Luke A, et al. aJJ.O. g피np culture in 패an:l law 떼ini ty \\0.ters. &찌ew; in A]uoculture, 24, 191-'.IB.

• S않nocha, T. M., L. Hamper, C. R. Emberson, A. D. Davis, D. Mcintosh, A L. Lawrence,

and P. Van Wyk, 2002. Review of some recent developments in sustainable shrimp

farming practices in Texas, Arizona and Florida. J. Appl. Aquacult., 12, 1-42.

~ Siripong Thit없nadee, Jirapom Sri잃la, Su햄rat Taengchaiyaphum, Kallaya Sritunyalucks없la 2014.

lliuble-dose 유링뼈n treat:rrent in l이fEV감떼lenged shrimp reduces viral replication but causes

rror뼈j다r p::ssibly due to gα않ve R ] S p℃duction Fish & 앞잉퍼강1 Jmrruoo1야끊r 40, 4장484.

~ Thakur, D. P. and C. K. Lin, 2003. Water quality and nutrient budget in closed

shrimp (Penaeus monodon) c띠따e sys tems.Aquac띠t. Eng., 27, 159-176.

~ Timothy W. Flegel. 2012. Historic emergence, impact and current status of shrimp

pathogens in Asia. Journal of Invertebrate Pathology 110, 166 - 173.

~ Tran, L., Nunan, L., Redman, R. M, Mohney, L. L., P없lt이a, C. R., Fitzsimmons, K, &

μ양ltner, D. V. 2013. [농termi

hepatopancreatic necrosis syndrome affe따lg l뼈naeid shrimp. Dis. Aquat. Org없l, 105,

45-55.

~ Tzachi M. S없nocha, Rodrigo Schveitzer, D때ano Krummenauer, Timothy C. Morris,

2012. Recent advances in super-intensive, zero-exchange shrimp raceway systems. Global

aquaculture advocate, 70-71.

~ http:/ /www.fips.go.kr/ 수산정보포털시 스템

σ혔뚱〉

I . 시험연구개발· I

양식어류 질병연구를 통한 대량펴l사 원인규명

조기택·얀태영·김수현·전민지·이상우·홍석우

서 론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는 국내에 잘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양식 어종이다. 무

지개송어 양식 현장에서 주로 보고되고 있는 질병으로는 부스럼병/ 전염성춰l장괴사증

(IPND, Infectious pancreas necrosis disease) 및 전 염 성 조혈 기 괴사증(IHND,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disease) 이 대 표적 이 다.

전염성훼장괴사증의 원인체인 IPNV(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는 자연산 또

는 양식산 송어의 주요한 바이러스성 병원체이다(Wolf, 1988). 송어 양식장에서 이 질병

은 해수로 돌아간 후 한달정도 지난 치어 뿐만 아니라 담수에서의 자어와 치어 모두에서

높은 폐사를 일으킨다(Jarp et al., 1994). 이 바이려스는 아메리카부터 유럽/ 아시아와 아

프리카 등 전 세계의 송어 부화장에서 우점적으로 나타난다(Hill, 2000). IPNV는 높은 전

염성을 가지며/ 오염된 물(Magyar and Dobos, 1994), 감염된 물질의 섭취y 감염어의 분비

물/ 그리고 오염된 모든 표면의 접촉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확산된다(Bowers et

al., 2008). 성어단계에서의 감염은 드물지만y 증상찰 나타내지 않는 성어가 바이러스 보균

자로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 입자를 사육지 내의 다른 어류에게로 퍼뜨리는 역

할을 한다(Reno et al., 1978). IHNV(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역 시 송어

에서 주로 발병된다고 알려진 질병이며/ 많은 폐사를 동반한다. 알 소독 후 바이러스가

없는(virus-free) 사육수에서 관리된 알과 부화치어에서 IHN이 발견되었다는 보고

(Wingfield and Chan, 1970; Ratliff, 1982; Mul떼1y and Bauersfeld, 1983; Mule하lY and

Pascho, 1985; Meyers et al., 1990; Roberts, 1993)를 통해/ IHNV가 수직감염으로도 전파

가 가능하다는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에 들어 IPNV와 IHNV에 대한 대

량폐사가 많이 보고되지는 않고 있으나/ 최근까지 IHNV의 감염이 확인되고 있으며/ 유전

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발견되는 genotype과 유사하였다(Cha et al., 2012). 이런 이

유로 여전히 국내 무지개송어 양식장에서 IPND와 IHND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이 발

병할 가능성은 잠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질병 모니터링과 대량폐사에 대

한 명확한 원인규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기생충성 질병인 담수 백점충(Ichthyophthiηus multifilis) 역시 무지개송어 폐사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무지개송어는 위와 같은 병원체 이외에도 용존산소/ 수온 둥 환경

적 변화에 민감한 어종이고 특별한 증상 없이 폐사하는 경우가 많아/ 폐사의 원인을 명확

팩쓴)c(!r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히 판단하기 어렵다. 무지개송어 양식현장의 인식도 치어기 대량폐사의 원인을 특별한 조

사 없이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

은 폐사가 발생한 경기도 내 무지개송어 양식장을r 대상으로 병원체별 모니터링을 실시하

여 무지개송어의 폐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밤법

1. Sampling

경기도 내 무지개송어 양식장의 치어(평균 7.4cm) 및 성어 (30cm 이상)를 대상으로 기생

충f 세균 검사를 비롯한 질병검사를 2014년 1∼10웰 동안 총 21회 실시하였다. 이 중 폐사

가 발생했거나 질병발생이 의심되는 양식장에서 무지개송어 시료를 채취하였고I 총 117B

의 시료에서 간/ 신장/ 비장 등을 분리하여 분석찰 실시하였다. 시료는 체표 및 내부장기

의 임상증상을 관찰하고/ 세균성 및 기생충성/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나누어 질병검사를

실시하였다. 세균성 질병은 일반증균배지와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감염여부를 확인하였고/

체표접액과 아가미를 광학현미경으로 생검하여 확인하였다.

2. PCR

2-1. Total DNA 분리

시료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출한 장기 시료에서 DNA mini kit

(QIAGEN)를 이용하여 Total DNA를 분리하였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직을 소량의 3

차 증류수에 보관한 다음/ homogenization 시킨다. 이 시료 50µ£에 ALT buffer와

proteinase K를 첨가한 후 56℃에서 10분 이상 가열하여 조직을 녹인다. 여기에 AL

buffer를 넣고 잘 섞은 후/ Ethanol을 첨가하여 DNA를 침전시킨다. 이 시료를 원심분리

하여 상충액을 Spin column에 넣고 12,000rpm으로 1분간 원심분리하여 통과시킨 후/

AWl과 AW2 buffer를 차례대로 column에 통과시켜 세척단계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동

일한 속도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잔여 buffer를 제거하고 AE buffer에 녹여내어 이를

Total DNA 시료로 사용하였다.

2-2. primer 제 작

본 연구에서 사용한 primer는 IPNV, IHNV, VHSV에 특이적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

였다 (Table 1).

I 시험연구개발 I

Table 1. Primers 많ed in PCR reaction for detection of salmonid 찌ruses (Suebsing et al., 2011)

Virus Target Primer Position Nucleotide sequence(S'• 3') Amplicon gene size ib잉

Pl 1403-1425 AGAGATCACTGACTTCACAAGTGAC 359

P2 1738-1761 TGTGCACCACAGGAAAGATGACTC IPNV VP2/NS

P3 74-90 CAACACTCTTCCCCATG 168

P4 225-241 AGAACCTCCCAGTGTCT

EXTl 563-583 AGAGATCCCTACACCAGAGAC 672

IHNV EXT2 1235-1255 GGTGGTGTTGTTTCCGTGCAA IHNV

G protein INTl 623-643 TCACCCTGCCAGACTCA TIGG 642

INT2 1085-1105 ATAGATGGAGCCTTTGTGCAT

VHSVF3 898-918 GATCAGGTCCCCCARRTCNGT 468

VHSV VHSVRl 450-471 TTCTTTGGAGGGCAAACNATH VHSV

G protein VHSVF4 539-588 GTACCCKTTCTTCCCCGAAC 200

VHSVR2 739-758 GTAGCRCCGRTCCAGTAGAC

2-3. PCR

본 연구에서 분리된 조직시료내 바이러스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l kit로 분리

한 Total DNA 시료를 template로 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lOX PCR buffer 2µ},, 200µM

의 각각의 dNTP, lµM의 sense primer와 antisense primer, Taq DNA p이ymerase

(TaKaRa, Japan) 및 template 1µ},를 첨가한 후 distilled water로 최종액의 volume이 20

때가 되도록 했다. PCR 혼합물은 DNA Engine Tetrad 2 πlermal Cycler (Bio-Rad,

USA)를 사용하여/ 95℃에서 5분간 pre-denaturation 시킨 후/ 95℃에서 1분간

denaturation, 55℃에서 1분간 하mea파lg, 72℃에서 1분간 extension의 반응을 35 cycle 반

복 수행한 후 72℃에서 7분간 post-extension 시켰다. PCR 후 증폭 산물은 자동전기영동

장치인 QIAxcel (QIAGEN, USA)에서 전기영동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3. 내부 장기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병원체 이외에 시료의 폐사 원인 규명을 위해/ 시료에서 채취한 간/ 신장/ 비장/ 아가미/

훼장을 분리하여 Bouin's solution(Sigma-Aldrich, USA)에 담궈 고정하였다. 이후 파라핀

상법을 이용하여 4∼5µm의 두께로 절편한 다음y haematoxylin과 eosin으로 이중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팩품XI'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결과및 고찰

1. 양식산 무지개송어의 질병 모니터링

2014년 1∼10월 동안 시료채취한 무지개송어에서의 질병 모니터링 결과/ 내부장기 및 체

표에서 특별한 임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다(Fig. 1, Table 2). 모든 시료에서 세균성 및 기

생충성 질병 감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IHNV, IPNV, VHSV 또한 검출되지 않았다

(Table 2). 따라서 이번 연구기간 동안 폐사한 푸지개송어는 특정 병원체에 의한 폐사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무지개송어 양식현장에서는 종종 산소부족/ 수온변화 둥 환경적인

변화로 인해 폐사가 발생하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양식현장의 수질변화 경향을 철저히 추

적관리할 필요가 있다.

Fig. 1. Oinical signs of r허nbow trout in aquaαtltture sites occurred mass mort머ity. Symptoms

indicated pathogenic infεti on 않e not shown on skin, gill, other internal or뿜n.

2. 무지개송어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장기별 병리조직학적 관찰 결과/ 일부 시료에서 지방간(Fatty change), 간 또는 훼장 조

직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Fig. 2, C/D). 또한/ 성어에서 사구체염 (Glomerulitis)과 이에 대

한 파생병변으로 근위세뇨관에서 초자변성 (Hyaline droplet)이 파종성으로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Fig. 2, A/B) . 이러한 병변은 가역성 병변으로 쉽게 회복될 수 있지만/ 전반적인

어체들의 간장 건강도는 하락하여 정상개체보다 회복이 더디거나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모든 시료에서 간위축/ 지방간을 제외한 공통적인 병리조직학적 증상 또는 특정

질병의 감염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Table 2).

이러한 결과는 양식산 어류의 과식이 원인이거나 외부 환경성 스트레스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송어는 용존산소량에 민감하게 반웅하는 어종으로 아가미의 조직변화가

종종 관찰되지만/ 본 연구에서 아가미의 특별한 병리조직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기간 동안 발생한 무지개송어의 폐사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포함한 특정

질병 때문에 발생한 것은 아니었으며/ 환경성 질병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부분의 무

I . 시험연구개발 I

지개송어 양식현장에서 치어기 대량폐사를 특별한 진단 없이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받아

들이는 경향이 많으나/ 이러한 점은 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실제 양식현장에서는

밀식과 수온변화/ 과식 둥으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약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건강도가 약해진 사육어에 2차적으로 백점충 둥이 감염되어 폐사가 발생할 가능성

이 높아진다. 따라서 구충제 투여와 같은 사후관리도 중요하지만 수질관리와 어체 건강관

리 동 사전관리가 우선되는 양식관리가 필요할 갯이다. 그러나 여전히 무지개송어 양식

현장에서 IPN 및 기생충 동 병원체에 의한 대량폐사가 보고되고 있으므로/ 원인체별 질

병 및 양식장 수질환경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폐사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Table 2. Results to monitoring for rainbc] W trout in each aquac띠ture sites.

Results

Samplin g

month Sample Age

.‘ 뺑 뺑 뼈

A l

Clinical Bacteria&oarasite Virus r infection

diagnosis infection - ---(PCR)

Histopathologic diagnosis

Jan. GJS-Fl Fry 6.7 ND" l'ID ND

GJS-F2 Fry 8 ND ND ND

Feb. Fatη ch::;~~h GJS-Al Adult <30 Fin erosion ND ND hepatic y

Pancreatic atrophy

GJS-F3 Fry 8.3 ND ND ND Fatty chang] :hhepatic atrop y

Mar. Hepatic atrophy, Glomeruli tis,

GJS-A2 Adult <30 Fin erosion ND ND Hyaline droplet in proximal urinary

tubule

Apr. DM-Al Adult <30 ND ND ND

GJS-F4 Fry 2 Abdominal ND ND distension

May GJS-A3 Adult <30 ND ND ND

kαtfG-Al Adult <30 ND ND ND

GJS-A4 Adult <30 ND ND ND Fatψ change, hepatic atrophy

Jul. Glomerulitis,

IMJ-Al Adult <30 ND ND ND Hyaline droplet in proximal urinary

tubule

• : Not detected or not found clinical symptoms on skin, org없1s, etc ..

팩윤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Fig. 2. Mσoscopic fin이n양 of liver, kidney, P뻐O「eas in rainbow trout. A, hy허.ine droplet

in Fπoxirral m뼈ry m야le(arrow); B, 양orrerulitis( arrow); ζ inflam.ration in liver(arrow)

and fatty change(않TOW head); D, panσeatic atrophy(하TOW). H&E S떠in. X400.

참고자료

• 전돈준. '2fm. 국내산 연어과 어류에서 분리된 l:ll이러스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해양생물공

학과이학석사학위논문

~ Bowers, RM, la맹tra, S.E, 다m, AK. 2CIB. [농tection 뻐d quantitation of infectious 앵rcreatic

recr℃lSis 끼rus by 뼈1-tirre rev1앙se 없nscri따e-F℃1lyirerase d뻐n 뼈ction 뻐ing le뼈 없d

non-le난1al tissue sami꾀1g. Journal of Vrrologi엉l 뾰난때S 1양(2CIB), 강6강4

~ Gia, S.}., Jun용 Y.H, Lee, HY., Jung J.Y., Cho, HJ., Parκ MS.. 2012 Genotyfe distribution of

infectio밍 liaerrnto여etic recroois 찌rus 따-INV) in Koral. }.Fish 얹뼈t, 25(3), 1와150

• 돼ll, B.}.. 2Cro. Infectious 많rcreatic I\kr℃lSis. αfice Jntematiα1al des 달JizD。ties (α페/ 얹ris, Fran::e.

• I않p, J., qerve, AG, Osen, AB., Bru:beim, T.. 1옛A Risk factors in funm:ulclSis, infectious

>

I 시험연구개발 I

따nεatic recr없S and rro뼈h다r in _ra;t짧ult of Atlantic 잃hαL 굶hm 잃퍼r L J. 많1 다s. 18,

67.78 .

.. Sueb:;in용 RK, Kim, J.H, Kim, S.R, Parκ MA and αL MJ .. 앙11. 다~ection of Viruses in Fam려

Rainbow Trout (Q-cαhyr납lUS my밟s) in Korea 이r RI-lAMP Assay. J. Mσobiol. 49, 7와-746

.. .M:i.gy않/ G, lliln>, P.. 1994. Eviderce to 납운 detection of 삼le infectious 뼈n::reatic necroois 띠rus

polypro뼈1 and 납운 17-kI] a po1Yf€ptide in infected o매S 없rl 뾰 N; prot1않se in purified 찌rus.

Vrrology 204, 댔.SffJ .

., ~ers, ‘ T.R, 'IOOrra, J.B., Follett, J.E 때 짧/ RR. j딴XJ. Infec펴ous herratopoi1며c recr℃Bis 찌rus:

trer닙s in pYe'때ence 때 암f 6메 :rrana뿜rent a얀πuach in Alas싫n 았싹re sa1m:m culture. Journal

of Aquatic Anirral f엎1th 4 85-98.

.. Mtlcahy, D. 없ld Barn:뾰f마d, K. 1983. Effect of loo빼lg densiψ of s따<eye sahron, Ch2orhyr납1뻐

nerka (Walramn), e용 in 뾰U벼tion boxes on nu뼈hψ ca뼈d 이r infec펴O뻐 heiratopoi며C

necroois. Journal of H삶1 다seases 6, 189-193.

.. Mtl혀hy, D. 하ld 뻐sch〕/ RJ .. 1~‘5. Verti떠l transmi잎on [ f infectious 뼈erratopoietic necroois 찌rus

in 앙과:eye 떼.rron, Ch::orhyr남lUS nerka (W떠ratnn): iisolation of 찌rus from dead eg뚱 없ld fry.

Journal of F폐1 Diseases 8, 393-396.

.. Ra버ff, D.E. 1982 Infec펴ous heiratoφ1ietic recr짧: a corr뼈뾰m of epizootics 빠αlg fry hat뾰d

from saline-rinsed and unrirned sta:파-.ead egg. Progressive Fish G.tlturist 44, 217-220.

11- Reno, P.W., Thrley, S., E없표l M. 1978. Infectious 뼈ncreatic necroois: e양ierirrer뼈1 induction of a

carrier state in trout. J. H강l Res. Board Can 35, 1451.1값56.

11- Roberts, S.D.. 1993. IHN at Lyiα1S F않y Hatchery: a case study of v앙6때 때m뾰sion. k따때n

Fis뼈ies Sod려r Fish f엎Ith 않rnon :N=w;l앉ter 21,13-l~l

• 애n뺑d WH and Chan, LD.. 1970. 없이g on the E뼈Illento river 뼈nook disease 뼈 its

causative agent. In: 버es.깅<0, SF (ed.) A Symp:] sitnn on Diseases of F냄1 and 당녕퍼강l SJID.al

Publication 5, k따ica:n E강leries Sod며r, Was비멍ton, IX그 pp 307-318.

11- Wolf, K. 1쨌. Infectious 뼈n::reatic recr어s. In: Fish Vπuses and Fish V뼈1 다똥ases. Corr회1

다liver냥ty Pres.s, I암la.Ca, 1\ew York, pp. 115.157.

팩휩민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도내 주요하천 민물고기 서식현황 조사

김달얻! - 이상우 · 검재혁 • 김창미 · 차덕배 •

박영규·서성문·홍석우

서 I I -

=E1

경기도의 주요 강 · 하천 전반의 민물고기 서식현황에 대한 연구는 1985년 경기도 교육

위원회에서 발행한 /경기도의 자연/(최기철 편저)을 시작으로/ 이후 국립내수면생태연구소

(現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를 중심으로 남 · 북한강/ 팔당호 동 일부 대단위

수면에 한정되어 이루어졌고/ 양평 · 홍천/ 용문산 일대의 담수어류(이 • 김/ 1998)와 가평

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남/ 199끼/ 경기도 양평 흑천의 어류상(한/ 2007)과 경기북부 지역

의 6개 주요하천 및 지천(신천/ 포천천/ 문산천/ 임진강 유입지천/ 공릉천)을 대상으로 조

사한 경기북부 주요하천 생태계 조사(경기개발연구원/ 2005) 둥이 있으나 경기도를 흐르

는 국가 및 지방 하천이 총 s171B소인 점을 감안하면 그 조사가 극히 미비하다 하겠다,

이에 우리 연구소에서 2005년부터 경기도내 주요 하천에 대한 민물고기 서식 현황조

사는 남 · 북한강/ 임진강/ 한탄강 동 대단위 수변에 직 ·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하

천을 대상으로 민물고기 서식현황을 조사를 실시하고 하천별 기초 수질조사(수온/ 용존

산소/ pH 동) 및 토산어종 방류시 쏘가리/ 뱀장어/ 메기 등 기존서식지 확인이 필요한

어종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으로는 도내 하천 중 흑천/ 안성천/ 공릉

천 등 28개 주요하천과 남양호와 청평호를 포함 총 30개소를 선정하였고/ 매년 6개소씩

을 조사하여 5년을 단위로 전체 301B 소에 서식하는 어류상과 개체의 증감 및 변화 추이

를 모니터링 하였다. 2014년에는 휴천/ 청미천l 공릉천/ 안성천/ 발안천 5개 하천과 남양

호 1개 호에 대하여 민물고기 서식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도내 주

요 하천 조사로 내수면 어족자원 관리 및 수산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정립된 자료를 토대로 내수면 자원조성의 효율적 관리와 하천별 서식어종 파악을 통한

어족자원을 보호하고 균형 잡힌 생태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디ξ활〉

I . 시협연구개발· I

재료 및 방법

2014년에는 흑천/ 청미천I 공릉천/ 안성천/ 발안천 5개 하천과 남양호의 민물고기 서식현

황을 조사하였으며/ 상반기는 갈수기인 4∼5월/ 하반기는 풍수기인 9∼10월에 각 지점별로

특정 및 대부분의 서식 어류 조사가 가능한 장소를 상류/ 중류/ 하류 3개 지점으로 선정하

여 수질조사 및 서식어류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 수질조사

서식환경에 대한 기초 항목인 수온/ 용존산소/ pH, 전기전도도는 HACH사 수질측정기

(HD40d)로 현장에서 측정하였고/ 수질오염 여부와 어류 서식에 영향을 끼치는 항목들

(COD, SS, 암모니아/ 아질산염/ 질산염/ 인산염/ 경도 등)은 각 지점별로 채수하여 연구소

로 이동하여 HACH사 수질분석기(DRSOOO)로 측정하였다.

냐. 서식어류 조사

흑천 등 5개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조사는 각 지점별로 1시간 동안 채집하였으며/ 채

집도구로는 투망(길이 200cm, 망목 0.1 ×0.lcm) 1개/ 반두(망목 0.3×0.3cm) 2개/ 통발(망목 0.1

cm ×O.l cm) 3개를 이용하였고/ 채집인원 3명이 서로 다른 채집도구를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남양호의 서식어류 조사는 평택 어촌계 어업인의 협조를 받아 각 조사 지점별로 정치망

(망목 5×Smm)과 자망(망목 12× 12mm, 40×40mm)을 설치하여 정치망은 3일/ 자망은 1일

후 그물에 포획된 어류를 수거하여 채집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조사 현장에서 출현종 동

정 및 개체수를 산출한 후 방류하였으며/ 현장 동정이 모호한 개체는 수용성 포르말린으

로 고정하여 연구소로 이송한 후/ 실험실에서 동정하였다. 채집한 어류의 종 동정은 정

(1977), 김 (1988) 및 최 둥(199이을 따랐고/ 분류체 계 및 학명 은 N elson(l 994)과 한국동물분

류학회(1997)를 따랐다.

결과및 고찰

본 조사에서 확인된 5개 하천/ 1개 호의 서식 쩌류는 총 7목 14과 52종으로 6개소 조

사 종합 결과(요약) 및 개소별 조사 결과(요약)은 표 1과/ 표 2와 같다. 채집된 어류 중

잉어목( Cyprinif ormes) 2과 34종으로 가장 많았고/ 농어목(Perciformes) 4과 8종/ 메기목

(Sil uriformes) 3과 5종 쏟뱅 이 목(Scorpaen표ormes) 1과 1종 동갈치 목(Beloniformes) 1과

1종/ 바다벙어목(Osmeriformes) 1과 1종/ 뱀장어목-(Anguill표ormes) 1과 1종이 각각 출현

하였다.

팩룹<]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1. 조사 결과 요약 (총 7목 14과 52종)

-t「3 g 등 ~ 공통서식

(개체수) 종 (3종)

1. 피라미 (654)

5개 하천 2. 참붕어 (527)

(흑천 둥) 3. 붕어 (310) 4. 각시붕어 (209) 5. 돌마자 (151) 피라미

참붕어

1. 브2 .F「7己1 (1,884) 붕어

2. 피라미 (1,304) 남양호 3. 몰개 (654)

4. 참붕어 (293) 5. 붕어 (133)

1. 하천 민물고기 서식현황 조사

가. 수질조사

」-i-rrc: ;·응; 외래종

( 16종) (3종)

둑중개l 각시붕어/ 중고기/ 배가사리/ 배λ

참갈겨니/ 몰개/ 돌마자/ 새코미꾸리/ 떡붕어

눈동자개/ 퉁가리/ 긴몰개/ 동사리/ ;; 님;;: -E「 z t므1

쩍지/쉬리/왜매치/얼록동사리

하천의 상류/ 중류/ 하류 3개 지점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는 흑천 표 3-1, 발안천 표

4-1, 청미천 표 5-1, 공릉천 표 6-1, 안성천 표 7-1에 각각 나타내었다

나, 서식 어류조사

흑천 동 5개 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5목 11과 45종 총 2,7471B 체였고/ 이 중 피라미

(Zacco platypus) 6547B 체가 채집되어 출현개체수의 23.8%로 가장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

났으며/ 다음으로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5271B 체로 19.1%, 붕어 (Carassius

auratus)가 3101B 체로 5.6%, 버들치 (Phynchocypris oxycephalus) 2487B 체로 5.2%, 모래무

지 (Pseudogobio esocinus) 2221B 체 로 11.3% 출현하여 우점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흑천 등 5개 하천에 서식하슨 한반도 고유종은 16종으로 각시붕어

(Rhodeus uyekii), 왜 매 치 (Abbottina springeri), 쉬 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참갈겨

니 (Zacco koreanus), 퉁가리 (Liobagrus andersoni),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

쩍 지 (Coreoperca herzi),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배 가사리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중고기(Sarcocheilichthys nigrpinnis

morii), 눈동자개 (Pesudobagrus koreanus),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얼 록동사리

(Odontobu tis interrupta), 둑중개 (Cottus koreanus)가 확인 되 었고/ 외 래종은 3종으로

I . 시험연구개발 I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배스(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Lepo mis macrochirus)이

확인되었다.

2. 남양호 민물고기 서식현황조사

가. 수질조사

남양호의 상류/ 중류/ 하류 3개 지점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는 표 8-1에 나타내었다.

나. 서식 어류조사

남양호에서 채집된 어류는 6목 8과 15종 총 4,630개체였고/ 조사지점별로 살펴보면 남

양호 상류지역에서 4목 4과 9종/ 중류지역에서 4뜩 5과 12종/ 하류지역에서 4목 5과 11

종이 출현하여 조사 지점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연한 종중 외래종인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1,884개체가 채집되어 출현개체수의 40.7%로 가장 우점하

는 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피라미 (Zacco platypus) 1,304개체로 28.2%,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가 654개체로 14.1%로 출현하여 우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남양호에 서식하는 한반도 고유똥은 1종으로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가 확인 되었고/ 외래종은 3종으로 떡붕어/ 배스/ 블루길이 확인되었다.

팩셋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2. 하천별 조사 결과 (표 3∼8 및 그림 1 ∼ 6, 하천벌 상세결과 참조)

종 52종 흐--4~ ‘-케-; 발안천 청미천| 곡<;.,;JI 르 ‘그처 L..: 안성천 남양호 (73η마리) (65 1 마리 ) (384마리 ) (601 마리) (426마리) (685마리) 4630(15종)

출현종 4옥 8과 2옥 5과 3옥 5과 4목 6과 3목 7과 6목 8과

31종 15종 23종 20종 26종 15종

1. 피라미 1. 피라미 1. 피라미 1. 피라미 1. 피라미 1. 걱 님를-E「7.1 우점종 2 . 돌마자 2. 참붕어 2. 돌마자 2. 참붕어 2 . 참붕어 2. 줄공치

3. 참갈겨니 3. 각시붕어 3. 참붕어 3. 버들치 3. 각시붕어 3. 몰개 참갈겨나 각시붕어 쉬리 각시붕어 각시붕어 몰개

쉬리,쩍지 배가사리 각시붕어 긴몰개 긴몰개

각시붕어 왜매치 돌마자 얼록동사리 돌마자

중고기 얼록동사리 새코미꾸리 얼록동사리

배가사리 눈동자개 --‘'1 。r드 。죠 돌마자 얼록동사리 (16종) 새코미꾸리

퉁가리

동사리

얼록동사리

둑중개 12종 4종 6종 3종 5종 2종

잉어 붕어 잉어 잉어 잉어 잉어

붕어 피라미 붕어 붕어 붕어 붕어

피라미 흰줄납줄개 피라미 피라미 피라미 참붕어

끄리 모래무지 끄리 돌고기 끄리 강준치

돌고기 참붕어 돌고기 흰줄납줄개 흰줄납줄개 동자개

흰줄납줄개 미꾸리 흰줄납줄개 모래무지 떡납줄갱이 쏘가리

납자루 미꾸라지 떡납줄갱이 버들치 큰납지리 밀어

납지리 밀어 가시납지려 버들매치 참마자 벙어

큰납지리 치리 납지리 왜매치 모래무지 뱀장어

일반종 참마자 참마자 왜몰개 버들치 줄공치

(33종) 모래무지 모래무지 참붕어 버들매치 치리

버들치 줄몰개 누치 왜매치

줄몰개 참붕어 동자개 줄몰개

왜몰개 누치 밀어 왜몰개

미꾸리 미꾸리 민물검정망둑 참붕어

참총개 미꾸라지 대륙송사리 미꾸라지

밀어 밀어 머11 71

민물검정망둑 밀어

대륙송사리

치리 18종 9종 17종 16종 19종 10종

배스 배스 배λ

외 래종 배스 떡붕어

(3종) 초E크!.르 l르Z J. 벽붕어

돋 님,-E「E z I크1 1종 2종 1종 2종 3종

※ 종 다g썽(어종수) ; 흑천(31 ) > 안성천(26) > 청미천(23) > 공릉천(3'.)) > 발안천( 1되 = 남앙천( 15)

I 시험연구개발 I

표 3. 흑천 어종 및 개체수 (4목 8과 31 종)

-;‘ζ- 뿐 힐 점 합계 국명 학 며。 상류 하류

' 09 '14 '!09 '14 '09 '14 '09 '14 비고

계 55 114 88 300 70 199 검3(~평 ffil(2휩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prinidae

잉어 Cyprinus carpio 1 2 1 4 2 6 붕어 Carassius auratus 1 9 1 11 2 20 참갈겨니 Zacco koreanus 15 36 5 2 3 17 44 고

피라미 Zacco platypus 5 27 10 61 6 16 21 104 끄리 Opsanichthys bidens 10 10 신규

돌고기 Pungtungia herzi 4 13 30 14 12 31 42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9 23 8 17 17 40 고

흰줄납줄개 Rhodeus ocellatus 2 2 신규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 3 3 미확인 각시붕어 Rhodeus uyekii 2 18 2 18 고

납자루 Acheilognathus Janceolatus 5 5 신규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us 17 20 5 6 22 26 중고기 Sarcocheilichthys nigrpinnis morii 1 2 3 고(신규)

큰납지리 Acanthorhodeus macropterus 8 8 신규

참마자 Hemibarbus Jongirostris 2 5 6 2 11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3 4 12 3 2 10 14 배가사리 Microphysogobio Jongidorsalis 17 17 고(신규)

버들치 Phynchocypris oxycephalus 4 44 44 줄몰개 Gnathop。igon strigatus 2 2 신규 몰개 2

£ ;」고(미획인)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3 5 신규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L_ 25 55 고(신규) --종개 과 Balitoridae -종개 Orthrias toni 4 2 2 8 미확인

| 미꿋런 관iobitidae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1 4 ] 1 4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2 2 미확인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2 10 4 10 6 20 고

참종개 Jksookimia k oreensis 4 9 12 10 23 12 메 기 목 Siluriformes

메기 과 Sil띤띄뿔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1

L」 」L」고(미획인)

메기 Silurus asotus 1 미확인

동좌캔 관I B~gi::idae 눈동자개 Pseudoba요rus koreannus 3 亡그 L ~」 고(미획인)

}-

릉가리 과 Arn bl앨핀프idae 퉁가리 Liobagrus andersoni 1 1 3 1 4 고

농어 목 Perciformes L쩍 지 과 Centropomidae

쩍지 Coreoperca herzi 6 11 5 5 11 16 고

동사리 관 Odontobutidae 동사리 Odontobutis pfatycephala 7 4 3 2 10 6 고

Odontobutis interrupta 6 . 1 2 11 8 8 20 고

Centrarchidae

---「」 L」 ’ 배스 λIicroplerus salmoides 8 8 외 (신규)

팩훌민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망둑어 과 Gobiidae 멀 어 Rhinogobius brunneus 만울검정 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쏟뱅 이 목 Scorpaeniformes 둑중개 과 Cottidae

둑중개 Cottus poecil。pus

※ 고 ; 한반도 고유종, 외 ; 외래종

10 3 25 3 11

1

35 11

1

신규

고(신규)

※ 신규 : ' 14년도에 새로 획인된 흰12휩I 미확인 : '(9년도;에 확인되었으나 '14년도에 획인되지 않은 종O휩

• 조샤결과 : ' 09년 3목 9과 26종 (고1이 킹 '14년 4목 8과 31종 (고12)

• 조샤년도 및 흰수 : 2009년 (1회 :5 ∼ 6월)/ 2014년 (2회 : 4. 10∼11 I 9. 25)

• 조샤장소 ; 3개 지점

- 상류 : 양평군 청운면 도원리 (위성좌표 위도 37。33'26.28"' 경도 127°47'14.82")

- 중류 : 양평군 용문면 광탄리 (위성좌표 위도 37。3σ46.αY', 경도 12?。38'24.03“)

- 하류 ; 양평군 양평읍 회현리 (위성좌표 위도 37。27'37.8σ// 경도 127°30' 54.34")

표 3- 1. 흑천 수질환경 조사 결과

λ。l * 조사항목

τ 5'- f ;프r 하 류

상반기 하반기 상반끼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채수시간 09:00 09:30 11:3(] 13:00 14:30 14:00

수온(℃) 16.5 19.2 17.2 19.6 17.9 20.2

DO(mg/L) 10.72 10.22 10.17 9.84 9.64 8.80

pH 8.54 8.92 8.34 8.14 8.41 8.15

SS(mg/L) 0 2 5 3 2 10

COD(mg/L) 0.4 0.8 1 ‘ 0 1.2 2.4 2.5

Salinity (%o) 0.1 0.48 0.2 0.45 0.2 0.41

NH3-N( mg/L) 0.01 0.1 0.02 0.1 0.02 0.2

N02-N(mg/L) 0.009 0.02 0.038 0.02 0.016 0.04

N03-N(mg/L) 2.6 0.02 3.5 0.06 2.6 0.128

TP(mg/L) 0.45 1.9 0.51 3.6 0.56 2.3

5042-(mg/L) 12 4 10 12 11 12

Cl-( mg/L) 1.7 1.2 9.0 5.6 14.1 1.2

전기전도도 291.1 223.7 425.6 381.2 385.6 285.1

(µ, s /cm) 341.2 272.0 477.'7 451.2 435.5 317.1

총경도(mg/L) 120 50 120 120 120 100

I . 시험연구개발 I

사진 1. 흑천 어류 및 조사관련 사진

펀풋。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4. 발안천 어종 및 개체수 (2목 5과 15종)

사 지 점 합계

국명 학 며Q 중류 하류

'09 'l~i '09 '14 '09 ‘14 '09 '14 비고

계 108 10 236 281 197 93 댐(12휩 용와E휩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prinidae

붕어 Carassius auratus 12 1 18 1 36 31 18 61 55

떡붕어 Carassius cu 、 i eri 14 14 외 (신규)

피라미 Zacco platypus 2 1 30 73 17 27 49 101

흰줄납줄개 Rhodeus ocellatus 4 17 32 22 2 43 34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 12 8 20 미확인

각시뭉어 Rh。deus uyekii 58 62 14 72 62 고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20 2 13 3 33 5

배가사리 Microphysog.。bio longidorsalis 4 4 고(신규)

왜매치 A bbottina springeri 15 15 고(신규)

참붕어 Pseud。rasb。ra parva 51 6 67 29 60 28 178 63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4 1 4 1

πl꾸리 과 Cobitidae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1 1 신규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3 2 3 2

메 기 목 Siluriformes -「메 기 과 Siluridae

‘ ·--- 「--『 「-8메 기 Silurus as。tus 4 4 미확인 」l

농어 목 Perciformes

동사리 파 Odontobutidae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 !「 lOl 6 I 3 11 13 고

검정우럭 과 Centrarchidae

배스 1Uicropterus salmoides 1 ;:J 르l < 8 I 외 (신규)

망둑어 과 Gobiidae

밀어 Rhinogobius brunneus 27 1 ’ 10 ‘ 3 I 22 1 3 1 59 6

※ 고 ; 한반도 고유종/ 외 : 외래종 ※ 신규 : '14년도에 새로 획인된 휩5종)/ 미확인 ; /%년도에 획인되었으나 '14년도에 획인되지 않은 종2휩

• 조샤결 과 : ' 09년 2목 5과 12종 (고2) =수 '14년 4목 5과 15종 (고4)

• 조샤년도 및 헛수 : 2009년 (1회 :5 ∼ 6월)/ 2014년 (2회 : 4. 14∼1s I 10. 1)

I . 시험연구개발 I

• 조샤장소 : 3개 지점

- 상류 : 화성시 팔탄면 구장리 (위성좌표 뷔도 37애9'28.61", 경도 126。54'37.54“)

- 중류 : 화성시 향남읍 발안리 (위성좌표 뷔도 37。07'44.04“/ 경도 126。54'22.80“)

- 하류 : 화성시 향남읍 상신리 (위성좌표 위도 37。05'51.18", 경도 126。53'00짚“)

표 4-1. 발안천 수질환경 조사 결과

까。、L * τ s=- * 하류

조사항목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채수시간 14:30 13:20 11:30 11:50 13:30 12:30

수온(℃) 17.3 22.6 17.5 21.8 18.1 21.3

DO(mg/L) 9.86 13.50 10.17 10.73 9.54 8.73

pH 8.14 8.08 8.74 8.54 8.56 8.37

SS(mg/L) 3 9 5 8 4 11

COD(mg/L) 3.8 3.9 2.2 3.7 3.0 3.1

Salinity(%。) 0.1 0.20 0.2 0.39 0.3 0.63

NH3-N(mg/L) 1.56 0.1 0.8 0.2 0.88 0.3

N02-N(mg/L) 0.085 0.03 0.135 0.16 0.117 3.16

N03-N(mg/L) 1.1 0.010 2.5 0.067 1.3 0.310

TP(mg/L) 0.47 1.1 0.47 2.9 1.01 2.9

5042-(mg/L) 19 17 34 24 43 37

Cl-(mg/L) 37.2 15.6 77.2 35.5 125.5 69.3

전기전도도 287.1 279 361.5 380.7 385.7 549

(µs/cm) 358.2 296 423.1 405.6 451.5 659

총경도(mg/L) 250 120 250 120 20 120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사진 2. 발안천 어류 및 조사관련 사진

피라미 (상류

I 시험연구개발 I

표 5. 청미천 어종 및 개체수 (3목 5과 23종)

-;-ζ- 사춘류 지 점 합계 국명 학 며Q 상류 하류

'09 '14 '09 '14 '09 '14 '09 ‘14 비고

계 68 93 136 285 74 223 278(24휩 (illρ4휩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prinidae

잉어 Cyprinus carpio 2 1 2 1 붕어 Carassw s auratus 3 6 6 17 10 6 19 29 펙붕어 Carassws cu1·ieri 3 3 외(미획인) 피라미 Zacco platypus 35 47 30 80 12 52 77 179 끄리 Opsariichthys bidens 3 1 1 4 돌고기 Pungtungia herzi 5 11 29 5 40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3 3 고(신규) 흰줄납줄개 Rhodeus ocellatus 4 10 4 10 펙납줄갱이 Rhodeus notatus 15 10 12 5 27 15 각시붕어 Rh。deus uyekii 5 22 11 5 33 고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1 1 미확인 가시납지리 Acanthorhodeus gracilis 22 4 22 4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us 17 4 7 4 24 중고기 Sarcocheilichthys nigrpinnis morii 1 1 고(미획인) 참마자 Hemibarbus Jongir。stris 2 1 1 6 3 7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2 17 30 3 23 20 55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4 1 1 5 신규 참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2 2 고(미획인)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11 27 3 40 14 67 고(신규)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23 29 10 22 6 8 39 59 누치 Hemibarbus labeo 2 2 신규

미 꾸리 과 Cobitidae -미꾸리 Misgurnus ang비llicaudatus 4 7 1 12 신규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1 1 1 1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1 2 9 12 고(신규)

메 기 -목 Siluriformes 메 기 과 Siluridae

메기 Silurus asotus 1 1 미확인 동자개 과 Bagridae

눈동자개 Pseudoba요rus k。reannus 5 6 고(신규)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1 1 미확인 -

농어 목 Perciformes 동사리 과 Odontobutidae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 1 4 1 5 2 9 고

검 정 우럭 과 Centrarchidae ~. E 걷 .,, Lepomis macrochirus 3 L」 L」 : 3 외(미획인)

망둑어 과 Gobiidae 밀어 Rhinogobius brunneus 3 s 12 15 9 20 24

※ 고 : 한반도 고유종/ 외 : 외래종 ※ 신규 : '14년도에 새로 획인된 휩5종)/ 미확인 : 'CB년도에 확인되었으나 '14년도에 획인되지 않은 좀2휩

• 조~결 과 : '09년 3목 7과 24종 (고η =추 '14년 3목 5과 24종 (고6)

• 조샤변도 및 횟수 : 2009년 (1회 : 9. 15∼16),, 2014년 (2회 : 4 . 16 ∼ 1κ 9. 22)

팩륜다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 조사장소 : 3개 지점

- 상류 : 용인시 원삼면 가재월리 (위성좌표 위도 37。11'13.76", 경도 127。18'59.08“)

- 중류 ; 이천시 율면 월포리 (위성좌표 위도 37。05'37.%", 경도 127。35'04.18“)

- 하류 ; 여주군 점동면 당진리 (위성좌표 위도 37。12'06.%", 경도 126。43'09.41")

표 5 1. 청미천 수질환경 조사 결과

끼O、l * τ ~ -r E므T 하류

조사항목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채수시간 15:00 15:00 13:00 13:00 10:30 10:30

수옹(℃) 17.1 21.0 17.8 20.2 17.9 19.9

DO(mg/L) 10.23 9.27 9.64 8.17 9.12 8.42

pH 7.99 7.85 8.64 8.15 8.24 7.98

SS(mg/L) 6 15 1 21 1 16

COD(mg/L) 1.8 1.7 2.5 2.2 2.0 2.0

Salinity ( %0) 0.2 0.51 0.2 0.46 0.3 0.48

NH3-N(mg/L) 1.01 0.2 0.42 0.2 0.19 0.3

N02-N(mg/L) 0.165 0.19 0.091 0.25 0.089 0.42

N03-N(mg/L) 2.3 0.027 2.0 0.052 1.8 0.008

TP(mg/L) 0.51 4.9 0.44 3.2 0.44 1.8

5042-(mg/L) 20 17 24 24 27 27

Cl-(mg/L) 32.8 38.0 39.6 12.9 25.3 26.4

전기전도도 311.2 296.1 355.6 341.2 511.5 358.2

(µs/cm) 361.1 350 413.5 391.1 566.5 401.4

총경도(mg/L) 200 130 200 130 200 130

디쫓〉

I 시험연구개발 I

사진 3. 청미천 어류 및 조사관련 사진

펀쫓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6. 공릉천 어종 및 개체수 (4목 6과 20종) ~ 사 지 점

합계 국명 학 며。 상류 중류 하류

'09 '14 '09 '14 '09 '14 '09 '14 비고

계 68 90 136 216 74 120 278(와횡 상5(19휩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prinidae

잉어 Cyprinus carpio 2 8 10 2 18 붕어 Carassws auratus 3 6 15 10 14 19 29 띄붕어 Carassius cu1 ieri 3 3 외(미확인)

피라미 Zacco platypus 35 46 30 51 12 47 77 144 끄리 Opsariichthys bidens 1 1 미확인

돌고기 Pungtungia herzi 5 8 IJ “ 5 8

흰줄납줄개 Rhodeus oce!latus 4 27 4 27 먹납줄갱이 Rhodeus notatus 15 12 27 미확인

각시붕어 Rhodeus uyekii 5 20 8 5 28 고

줄납자루 Achei!ognathus yamatsutae 1 1 미확인

가시납지리 Acanthorhodeus gracilis 22 22 ’ ‘’ I 미확인 납지리 Acheilognathus rh。mbeus 4 4 , 미확인

중고기 Sarcocheilichthys nigrpinnis morii 1 1 ‘· ’ 고(미획인)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2 1 • 3 미확인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2 2 신규

배가사리 l'vlicrophysog。bio longidorsalis 17 3 20 고(미획인)

버들치 Phynchocypris oxycephalus 44 44 신규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15 15 신규

왜매치 Abbottina springer] 7 7 신규

긴몰개 Squalidus graci/is ma}imae 2 2 고(신규)

줄몰개 Gnathopo용on stn요at us 1 1 미확인

참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2 2 미확인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7 7 신규

돌마자 Microphysogobi。 yaluensis 11 3 14 고(미획인)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23 10 26 6 18 39 44 누치 Hemibarbus Jabeo 8 8 신규

미 꾸리 과 Cobitidae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1 1 미확인

메 기 목 Si luriformes 메 기 파 Siluridae

메기 Silurus asotus 1 1 미확인

동자개 과 Bagridae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1 1 2 신규

대농갱이 Lei。cassis ussuriensis 1 1 미확인

농어 목 Perciformes 동사리 과 Odontobutidae

얼록동사리 Od。ntobutis interrupta 1 11 1 2 2 13 교l

검정우럭 과 Centrarchidae -l’n 스 、licrnpterus sCJ/moides 11 11 외 (신규)

1년」-← r「3 ~ Ler] omis macrochirus 3 3 외(미확인) ‘ 망둑어 과 Gobiidae

밀어 Rhinogobius brunneus ‘ 5 2 15 5 20 7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 3 4 7 신규

동갈치 목 Beloniformes 송사리 과 Adrianichthyoidae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10 7τ\';'! 10 신규

3놀r∼ >

I 시험연구개발 I

※ 고 ; 한반도 고유종/ 외 : 외래종 ※ 신규 : '14년도에 새로 획인된 종~11휩/ 미확언 : '00년도에 획인되었으나 '1핸도에 확인되지 않은 행6휩

• 조샤결과 : '09년 3목 7과 25종 (고5) =응 '14년 4목 6과 20종 (고3)

• 조샤년도 및 횟수 ; 2〔XJ9년 (1회 : 9. 15∼16), 2014년 (2회 : 4. 21∼22 I 9. 3이

• 조At장소 : 3개 지점

- 상류 : 양주시 장홍면 부콕리 (위성좌표 위도 37。43'54.21" f 경도 126。58'46.38"

- 중류 : 고양시 일산동구 λ}리현동 (위성좌표 위도 37。42'27.92", 경도 126띤α46.23“)

- 하류 : 피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위성좌표 위도 37。44갱.67" I 경도 126。47'38.62")

표 6-1. 공릉천 수질환경 조사 결과

-"'d- I E프r -二a그~ f ;큰r 하류 조사항목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채수시간 10:30 09:00 13:00 14:00 14:30 11:00

수온(℃) 17.2 19.1 17.7 20.0 18.2 20.1

DO(mg/L) 9.07 8.36 7.65 6.90 6.33 5.73

pH 8.07 7.98 7.95 7.99 8.12 7.85

SS(mg/L) 9 4 34 7 24 6

COD(mg/L) 0.8 2.0 5.3 5.9 5.1 6.5

Saliniη(%0) 0.1 0.70 0.2 1.83 0.3 0.37

NH3-N(mg/L) 0.52 0.1 0.12 0.2 1.39 0.3

N02-N(mg/L) 0.092 0.12 0.055 0.39 0.239 0.26

N03-N(mg/L) 0.9 0.0009 0.8 0.498 0.8 0.263

TP(mg/L) 0.95 2.7 0.52 4.4 0.56 3.1

5042-(mg/L) 19 17 25 36 45 36

Cl-(mg/L) 53.6 23.8 65.6 32.0 126.2 59.8

전기전도도 265.l 235 412.1 458.5 398.1 494

(µs/ cm) 312.1 268.6 461.5 478.5 445.6 537

총경도(mg/L) 250 180 220 250 250 180

펀훌민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사진 4. 공릉천 어류 및 조사관련 사진

t출돈〉

I . 시협연구개발· I

(3목 7과 26종)

-」-상류 ' 09 '14

합계 점 하류 ' 09 '14

삼 건 [O iT

“09 '14

개체수 C!I :><: 표 5. 안성천 어종

겨1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prinidae Cyprinus carpio

Carassius auratus Carassius c111 ieri Zacc。 platypus Opsariichthys bidens Rhodeus ocellatus Rhodeus notatus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Janceolatus Acanthorhodeus macropterus Hemibarbus Jongirostris Pseudogobi。 esocinus Phynchocypris oxycephalus Abbottina rivularis Abbottina springeri Squalidus 요racilis majimae Gnathopogon strigatu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요ae

Aphyocypris chinensis Microphysog。bio yaluensis Pseudorasbora parva Hemiculter eigenmanni

미꾸리 파 Cobitidae 미 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메 기 목 Siluriformes 메 기 과 Siluridae

Silurus asotus 동자개 과 Bagridae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농어 목 Perciformes 동사리 과 Odontobutidae

얼록동사라 。dontobutis interrupta 검정우럭 과 Centrarchidae

Jf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망둑어 과 Gobiidae 멀 어 Rhinogobius brunneus

동갈치 목 Beloniformes

송사리 과 휴뿌펌딛ichthyoidae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며 。학 국명

고 비 '14 '09

였5(26휩 412 152 174 293(17휩 88 99 53

신규

고(신규)

미확인

신규

신규

신규

고(신규)

신규

고(미획인)

신규

고(신규)

7

싫 2 m 6 %t

%%

1 9 n g u %E

1

9 g %9

n

싫 5

짚 2 2 E

2 15

1

7 H 2

때 6 m 8 E

12

5

1

1

7

와 5 E

%2

1 E

7

1

23

tι뼈 있

9 6 m n

었 πμ 9 %%9

61

4 21

20

1

2 18

4

8

8

25

34

19

2

3 잉어

붕어

떡용어

피라미

끄리

흰줄납줄개

떡납줄갱이

각시용어

납자루

큰납지리

참마자

모래무지

버들치

버들매치

왜매치

긴몰개

줄몰개

참몰개

왜몰개

돌마자

참붕어

치리

15 11

신규

신규 6 6

신규

미확인

3

1

1

1

1 1 메기

41 31 8 7 17 6 16 18 고

외(신규)

외(미획인)

3 3 배스

블루길 6 6

12 16 6 12 6 4

신규

고 ; 한반도 고유종/ 외 : 외래종 신규 : '14년도에 새로 획인된 휩14종)/ 미획언 : %년도에 획인되었으나 1양건도에 확인되지 않은 휩룡}

17 7 10

짚쫓xl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 조샤결 과 : '09년 3목 5과 17종 (고2) 걱 '14년 3목 7과 26종 (고4)

• 조샤년도 및 헛수 : 2009년 (1회 : 10. 22∼;23), 2014년 (2회 : 4. 29∼30 / 9. 29)

• 조샤장소 ; 3개 지점

- 상류 : 안성시 삼죽면 마전리 (위성좌표 위도 37。01'50.47", 경도 127°21σ11.79“)

- 중류 ; 안성시 안성2동 (위성좌표 위도 37。00'04.22“/ 경도 127。16'17.02")

- 하류 : 피주시 조리읍 봉일천리(위성좌표 위도 36。58'12. 95" / 경도 127。06'41.35“)

표 5- 1. 안성천 수질환경 조사 결과

상 류 걷 ;-「L f E큰r 하 류

조사항목

상반기 하반기 상반끼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채수시간 09:00 09:30 11:0(] 11:30 13:30 13:00

수온(℃) 18.0 19.1 18.3 20.0 18.5 21.7

DO(mg/L) 7.47 6.72 8.21 8.28 8.74 9.10

pH 7.84 7.05 7.64 7.28 7.87 7.55

SS(mg/L) 10 1.8 4 3.1 7 3.9

COD(mg/L) 0.3 1.8 2.0 3.1 2.9 3.9

Salinity(%。) 0.2 1.04 0.1 0.60 0.3 0.85

NH3-N( mg/L) 0.27 0.2 0.25 0.1 0.53 0.2

N02-N(mg/L) 0.024 0.27 0 ‘ 045 0.15 0.072 1.96

N03-N(mg/L) 2.5 0.125 2.2 0.025 2.6 0.094

TP(mg/L) 0.77 8.0 0.85 3.8 0.55 3.3

5042-(mg/L) 13 24 18 25 22 42

Cl-(mg/L) 21.0 7.5 16.7 17.2 24.7 15.1

전기전도도 326.4 304 389.1 259 481.5 458.1

(µs/cm) 386.3 342 431.'7 288 525.1 488

총경도(mg/L) 120 250 250 200 200 200

I 시험연구개발 I

사진 5. 안성천 어류 및 조사관련 사진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6목 8과 15종) 및 개체수 어종 」F 。 t 슴 C그 C) ...::z」표 5.

합계 접 하류 '05 '14

지 류-M

사 중-%

:::>:. -」-

」lL E크

' d T「

'05 '14:

며 。학 국명

고 비 '14

~종

'05

llf:(14종

신규

미확인 고(미확인)

미확인

고(미획인)

미확인

미확인

신규

고(신규)

미확인

172

신규 44 11 10 23

신규

외(신규)

외 (신규)

고(미확인)

신규 3 2 1

겨l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orinidae Cyprinus carpio Carassius auratus Carassius l ‘u 1·ieri Rhode us n。tatus Rhodeus uy ekii Acheil。gna thus rhombeus J\ !icrophys。gobio ya/u ensis Pseudogobio esocinus Aphyocypris chinensis Pseud。rasb。ra par va Ery throculter erythr。pterusSqualidus japonicus coreanus Hemiculter eigenmanni

미꾸리 과 Cobitidae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메 기 목 Siluriformes 동자개 과 Bagridae

동자개 Pseudobagrus ful vidraco 농어 목 Perciformes 쩍 지 과 Centropomidae

Siniperca scherzeri 검정우럭 과 Centrarchidae

.\ !icrop1eru~ salmoide"i Lepomis macrochirus

망둑어 과 Gobiidae Rhinogobius brunneus

동샌린퍼 Odontobutidae 얼 록동사라 Odontobutis interrupta

바다벙 어 목 Osmeriformes 바다벙 어 과 Osmeridae

벙 어 Hypomesusolidus 뱀 장어 목 Anguilliformes

뱀 장어 과 Anguillidae 뱀 장어 Anguilla japonica

동갈치 목 Beloniformes 학공치 과 Hemiramphidae

Hyporhamphusintermedius

χ“많 mα

쩌 νm 없

%m

112

25 244 223

105

3 1

1

257

8

때 M

”Q/

-)

2

때 R

%m 6

πμ2 ”ι

86 9

85 5

9

잎 였

꺼 4

1 %

59 x

7

꺼μ짧 m m 3 1 1 m

9

없 때

잉어

붕어

떡붕어

먹납줄갱이

각시붕어

납지리

돌마자

모래무지

왜몰개

참붕어

강준치

몰개

치리

4

25

3

23

30

3

4

60 1884

2

7

8

25

19

2

27

881

6 6

6

21

2

18 987

2 2

1 12

15 16

2

2

1

쏘가리

배스

블루길

밀어

1304

신규

고 ; 한반도고유종/ 외 ; 외래종 신규 : '14년도에 새로 출현한 종 (9종) / 미확인 : 'CD년도에 출현했으나 '14년도에 출현하지 않은 종 (8종)

974 15 315 줄공치

(고1)

aJJ.4년(챔 ;473/10. 깅

6목 8과 15종 '14년

및 흰 수 : au;년 (2회 : 5. 3∼4 I 10. 4∼되/

=피〉 (고4) 3목 5과 14종 조샤결과 「05년

조샤년도 • •

I . 시험연구개발 I

• 조샤장소 ; 3개 지점

- 상류 : 화성시 장안면 장안리 2702 (위성좌표 위도 37'02'25.14'', 경도g。'52' CJ2.26")

- 중류 : 화성시 장안면 장안리 2642-1 (위성죄표 위도 37'01'26.52'', 경도g。'51'28.38")

- 하류 : 평택시 포숭읍 남양만로 98 (위성죄표 위도 37UJ 43.45'', 경도g。'48'3162'')

표 6-1. 남양호 수질환경 조사 결과

λ。l * 걷 ;::z.「」 f 준른r 하류

조사항목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채수시간 10:00 10:10 10:20 10:40 10:40 11:10

수온(℃) 17.5 18.8 18.4 21.9 18.3 21.1

DO(mg/L) 9.88 9.89 10.34 10.20 10.17 8.60

pH 8.74 8.91 9.01 9.27 9.25 9.22

SS(mg/L) 30 22 22 30 7 16

COD(mg/L) 7.0 4.8 4.7 3.7 2.0 3.1

Saliniη(%0) 0.1 0.3 0.3 0.4 0.4 0.3

NH3-N(mg/L) 1.05 0.1 0.42 0.3 0.47 0.4

N02-N(mg/L) 0.134 1.91 0.051 0.84 0.048 0.64

N03-N(mg/L) 0.9 0.155 0.7 0.071 0.9 0.067

TP(mg/L) 0.39 1.7 0.46 1.5 0.43 1.4

5042-(mg/L) 59 54 52 42 64 42

Cl-(mg/L) 212.8 69.5 201.8 107.5 332.l 116.2

전기전도도 649 638 659 662 677 687

(µs/cm) 699 696 715 704 725 727

총경 도(mg/L) 250 200 250 150 250 250

잠펼xJ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사진 6. 남양호 어류 및 조사관련 사진

I . 시험연구개발 I

• 흑 천 : '14년 조사 결과 총 4목 8과 27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그 중 고유종은 쉬리/ 각시붕어/ 중고기/ 배가사리/ 돌마자/ 새코미꾸리l 퉁가리/ 쩍지/

동사리/ 얼록동사리 총 11종이였으며/ '09년 채집되었던 고유종인 볼개/ 미유기/ 눈동자개는

이번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며/ 고유종인 중고기/ 배가사리/ 돌마자/ 둑중개가 신규로 확

인되었다. ’09년에 출현한 종들 중 이번 조사에서 미확인된 어종은 떡납줄갱이/ 미꾸라지/

종개/ 메기였으며 이번 조사에서 피라미가 끄리/ 흰-줄납줄개/ 납자루/ 큰납지리/ 줄몰개/ 왜

몰개/ 민물검정망둑/ 외래종인 배스가 신규로 확인되었다. 휴천의 우점종은 피라미/ 돌마자/

쉬리 순으로 조사되었다 .

• 발안천 : '14년 조사 결과 총 2목 5과 15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그 중 고유종은 각시붕어f 배가사리/ 왜매치/ 엘록동사리 총 4종이었으며 '09년에 출현

한 종들 중 떡납줄갱이/ 메기는 이번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았으며 이번 조사에서 미꾸리와

고유종인 배가사리/ 왜매치/ 얼록동사리/ 외래종인 배스가 신규로 확인되었다. 흑천의 서식

어종 중 피라미y 참붕어/ 각시붕어 순으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청 미천 : '14년 조사 결과 총 3목 5과 24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그 중 고유종은 쉬리/ 각시붕어/ 돌마자/ 새코띠꾸리/ 눈동자개/ 얼록동사리 총 6종이

었으며/ '09년에 확인된 줄납자루/ 메기/ 대농갱이와 고유종인 중고기/ 참몰개/ 왜래종인 블

루길은 이번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았으며 이번 조사에서 줄몰개/ 누치/ 미꾸리와 고유종인

각시붕어I 돌마자/ 새코미꾸리/ 눈동자개는 이번 조사에서 신규로 확인되었다. 청미천의 우

점종은 피라미/ 돌마자/ 참붕어 순으로 조사되었다 .

• 공롱천 : '14년 조사 결과 총 4목 6과 19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그 중 고유종은 각시붕어/ 긴몰개/ 얼록동사리 총 3종이었으며/ '09년에 확인된 끄리/

떡납줄갱이/줄납자루/가시납지리I 납지리/참마자/줄몰개/참몰개/미꾸라지/메기/대농갱

이 고유종인 중고기/ 배가사리/ 돌마자 외래종인 떡봉어/ 블루길은 이번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았으며 이번 조사에서 모래무지/ 버들치/ 버들매치/ 왜매치/ 왜몰개/ 누치 동자개/ 민물검

정망둑/ 대륙송사리 고유종인 긴몰개 외래종인 배스가 신규로 확인 되었다. 공릉천의 서식

어종 중 우점종은 피라미/ 참붕어/ 버들치 순으로 조사되었다 .

• 안성천 : '14년 조사 결과 총 3목 7과 26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그 중 고유종은 각시붕어/ 긴몰개/ 돌마자/ 얼록동사리 총 4종이었으며 '09년에 확인된

납자루/ 동자개/ 고유종인 참몰개 외래종 블루길은 이번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았으며 이번

조사에서 끄리/버들치/버들매치/왜매치/줄몰개r 쐐몰개/치리/미꾸라지/메기/ 대륙송사

리 고유종인 각시붕어I 긴몰개/ 돌마자 외래종인 배스가 신규로 확인되었다. 공롱천의 서식

어종 중 우점종은 피라미/ 참붕어/ 각시붕어 순으로 조사되었다.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 남양호 : '14년 조사 결과 총 6목 8과 15종꾀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그 중 '05년에 확인된 떡납줄갱이/ 납지리/ 모래무지/ 왜몰개/ 미꾸라지와 고유종인 각시

붕어/ 돌마자/ 몰개/ 얼록동사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조사에서 잉어/ 강준치/ 동자개/ 쏘

가리/ 뱀장어/ 줄공치와 외래종인 배스/ 블루길이 신규로 확인되었다. 남양호의 우점종은 블루

길/ 줄공치/ 몰개/ 강준치 순으로 조사되 었다.

고자료 ----------

• 경기개발연구원/ 2005. 경기북부 주요 하천 생꽤계 조사. 경기개발연구원/ lOlpp.

• 김 익 수. 1997. 한국동식 물도감, 제 37권 동물편 (담수어 류), 교육부/ 133=520.

• 남명모. 1997.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0(4): 357-366 .

• 노세윤. 2009. 민물고기 쉽게찾기. 진선출판사 .

• 노세윤/ 이완옥.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민물고기. 지성사.

• 이완옥/ 김성자. 1998. 양평 · 홍천/ 용문산 일대의 담수어류. 자연생태계 전국조사/ 241∼288.

• 최기철/ 정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곽담수어도감. 향문사/ 227pp.

•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원색 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6-220.

• 한태준. 2007. 경기도 양평 흑천의 어류상. 전낚대학교 학위논문.

I . 시험연구개발· I

북한강 수계 내수면 어족자웬 공동 조사 I의암호]

김재혁·이상우·서성문·홍석우

서 론

2007년 4월 9일 경기도와 강원도는 관광상품 개발/ 농특산물 판매/ 한강 수계 관리I 도로

확충/ 접경지역제도 개선 등 5개 분야 10개 사업에 대하여 공동으로 추진하는 경기 • 강원

공동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에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소관인 「한강수계 공동관리」 분야

「북한강수계 내수면 어족자원 공동조사 추진」 사업은 강원도내수면자원센터 공동으로

2007년 6월부터 실시하고 있다. 또한/ 북한강 수계 자원조성을 위해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

구소와 강원도내수면자원센터에서 붕어/ 다슬기/ 동차개/ 쏘가리 등 토산어종을 매년 520천

마리 방류하고 있으며/ 북한강 인접 시 · 군(가평군/ 춘천시)에서 수산종묘 매입방류를 지속

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북한강 수계 내수면 어족자원 공동조사 자료는 우리나라 내수면 생

태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됨은 물론/ 어업인 소득증대와 자원의 보호 • 관리에 크게 기여하고

각 지자체간 공동 수역의 관리 방안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북한강 수계 내수면 어족자원 공동조사는 내수면 생태계의 회복과 보존 및 수산자원의 체

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매년 1개소씩 연차적으로 북한강수계 6개호(청평호/ 의암호y 팔당호/

춘천호/ 소양호/ 파로호)에 대하여 수온/ DO, pH, COD 등 수질 조사를 실시하고/ 어류와

패류의 서식자원 종류 및 개체수 둥을 연 2회에 걸쳐 상 · 하반기에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4년도에는 북한강 수계인 의암호에 대한 어족자원을 공동조사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14년도에는 경기 · 강원 광역행정 협력사업 일환으로 경기 • 강원 공동수계인 북한강의 의

암호를 강원도와 공동으혹 조사하였으며 5월 하순/ 9월 하순에 의암호의 특정 및 서식 어류를

조사 가능한 지점으로 상류/ 중류/ 하류 3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점은 그림 1에 나타내었다.

렐휠민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 • ....,,.. ........ “ .,. - rl

뭔름활활몸파

'!.___」 ... ”

그림 1. 조사 지점

가. 서식 어류 조사

조사 지점으로 선정된 상류/ 중류/ 하류 3개 지점에 가평어촌계 어업인의 협조를 받아 각

조사 지점별로 정치망(그물코 12.S mm ×12.Smm) 1틀/ 자망(그물코27mm ×27mm, 크7l0.6m×50m) 3

틀/ 통발(300mm ×600mm) 107R를 설치하여 정치망은 3일/ 자망과 통발은 1일 후 그물에 포획된

어류를 수거하였으며/ 경기 · 강원 광역행정 협력기관인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에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나. 서식 패류 조사

의암호의 패류 조사는 스쿠버 장비를 이용하여 잠수부 1명이 각 조사지점별로 30분간

직접 손으로 채집하였으며/ 종 동정은 어류조사싹 동일하게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에서

실시하였다.

다. 수질 조사

서식 환경에 대한 기초 항목인 수온/ 용존산소/ pH,전기전도도는 HACH사 수질측정기

(HD40d)로 현장에서 측정하였고/ 수질오염도 조사를 위해 연구소 내에서 COD, SS, 암모

니아/ 아질산염/ 질산염/ 인산염/ 경도 둥 총 147B 항목의 측정을 HACH사 수질분석기

(DR5000)로 측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조사 결과 북한강 수계인 의암호에 어류는 총 5목 8과 19종으로 채집된 어류 중 잉어목

( Cypriniformes) 어류가 1과 14종으로 가장 많았고/ 농어목(Perciformes) 4과 6종/ 메기목

I . 시험연구개발

(Silur표ormes) 2과 3종/ 뱀장어목(Anguill표ormes) 어류와 바다벙어목(Osmer표ormes) 어류도

각각 1종이 출현하였다. 패류는 총 3목 4과 6종이 획인되었으며 중복족목(Mesogastropoda) 2과

3종/ 석패목(Unionoida) 1과 2종/ 담치목(Vermetidae) 1과 1종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의 암호에서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은 줄납자루(Ach낌lognathus yama때tae), 중

morii),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띠iimae),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쩍지(Coreoperca herzi),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의 6종이였고/ 외

래종인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배스(Micropterus salmoides), 이스

라엘잉어(Cyprinus carpio)의 4종도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2008년에 확인된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와 고유종인

지 않았다.

nigripinis 고 기 ( Sarcocheilichthys

눈동자개(Pseudobagrus koreanus), 동사리 (Odontobutis platycφhala)는

이번 조사에서 신규로 출현한 어종은 뱀장어(Anguilla japonica), 대농갱이(Leiocassis

ussuriensis), 민물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와 고유종인 긴몰개

( Squalidus gracilis m따'imae), 쩍지( Coreoperca herzi) 외래종인 이스라엘잉어(Cyprinus carpio)도

확인되 었다. 의 암호의 우점 종은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모래 무지 (Pseudogobio esocinus),

떡붕어( Carassius cuvieri), 피라미 (Zacco platypus) 순으로 조사되었다.

확인되

결과 조사 1. 어류 rr ..J..L

외래종 (4종)

떡붕어

블루길

배스

이스라엘잉어

--. ·그 ::>..<:: 」!. -n-<응

(6종)

줄납자흐름

중고기 긴몰개 몰개 쩍지

얼록동사리

(개체수)

(358)

(57)

(53)

(49)

(47)

드프 ::it:-1 으E I I그 C>

1. 블루길

2. 모래무지

3. 떡붕어

4. 피라미

5. 줄납자루

가. 서식 어류 조사

조사지점별 704개체였고/ -종

8과 19종 5목 어류는 수계인 의암호에서 채집된 북한강

살펴보면 상류

5과

지역에서

드ε 。

줄납

-「

8.1 %,

나타났다.출연한

가장

6.96%,

4목

조사 지점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이 358개체가 채집꾀어 출현 개체수의

점하는 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가 57개체로

떡붕어 (Carassius cuvieri) 53개체로 7.53%, 피라미 (Zacco platypus) 49개체로

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477B 체로 6.68% 출현하여 우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북한강 수계인 의암호에 서식하는

8과 16종/ 하류

50.85%로

지역에서 5목 8과 19종/ 중류 지역에서

출현하여 16종이

4목

즈 。

줄납자루 6종으로 고유족。 -r"T'"""~-” [] '-한반도

중고기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긴몰개 (Squalidus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가 확인되었고/

(Acheilognathus yamatsu tae),

gracilis majimae), 쩍 지 (Coreoperca herzi),

떡붕어 (Carassius cuνieri),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배스(Micropterus

이스라엘잉어 (Cyprinus caψio) 이 확인되었다.

외래종은 3종으로

salmoides),

2014년도 시헝연구사업보고서

(총 5목 8과 19종) 개체수 口|=·; 어종 。|。}늑

-1 C그 -그」 표 2.

합계 류 -갱

점 -하

-%

지-류 -갱

--츄값

시-

조 -류 -M과

상 '08

며 。학 국명

고 비 '14

704 (19종)

'08 907

(21종)

신규

신규(외)

미확인(고)

신규

신규

신규(고)

1

1

1 1 2

1

'358

25

69 49

184 4

36 11

1

120

13

미확인(고)

1

1

1

1 10 7 1 2

합 계 뱀장어 목 Anguilliforrnes

뱀장어 과 Angu illidae

Anguilla japonica

잉 어 목 Cypriniforrnes

잉 어 과 Cyprinidae

Cyprinus carpio

Cyprinus carpio

Carassius auratus

Carassius cuvieri

Acheilognathus intermed1a

Acheilognathus yamatsutae

Pseudorasbora parva

Pungtungia herzi

Sarcocheilichthys nigripinis morii

Squalidus gracilis majimae

Squa/idus japoniws coreanus

Hemibarbus /abeo

Pseudogobio esocinus

Zacco pla엔pus

。psariichthys bidens

메 기 목 Siluriforrnes

동자개 과 Bagridae

Pseudobagrus fulvidraco

Pseudobagrus koreanus

Leiocassis ussu riensis

메 기 과 Siluridae

Si/urns asotus

바다벙 어 목 Osmeriformes

바다벙 어 과 Osmeridae

Hypomesus nipponensis

농어 목 Perciforrnes

쩍지 과 Centropomidae

Siniperca scherzeri

Coreoperca herzi

검 정 우럭 과Centrachidae

Lepo111is macrochin‘s

Micropterns salmoides

동사리 과 Od。ntobu tidae

Odontobutis platycephala

。dontobutis interrupta

망둑어 과 Gobiidae

Triden ti~er brevispinis

고 확

그1

신규(고)

2

낀 1

1

%2

%

mn

6

1

4

n

mι%9

5

6

9

25

5

갱 뼈 %5

뼈 αm

4

2

m

%깅 mm

1i

?/

340

를를

M

l

1

r

6

mn

%7

5

2

1

1

6

302

낀 뼈 5

3

%u

1

”m

%η4

11

1

1

205

l를륨

2

끊 1

2

2

1

8

9

1

5

3

199

12

3

1

%4

%7

1

πμ%1 8

4

2

159

m 5

1

4

3

4

3

8

2

5

1.

3

406

2

7

W

때 2

아이 %

강 긴 4

6

2

3

1

뱀장어

잉어

이스라엘잉어

붕어

떡붕어

납자루

줄납자루

참붕어

돌고기

중고기

긴몰개

몰개

누치

모래무지

피라미

끄리

메기

동자개

눈통자개

대농갱이

벙어

쏘가리

쩍지

11 6

54 8

22

32

블루길

배스

통사리

얼록동사리

신규

고 ; 한반도 고유종/ 외 : 외래종

선규 : '14년도에 새로 출현한 종 (7휩 / 미확언 : '03년도에 출현했으나 '14년도에 출현하지 않은 종 (풍)

조샤결과 : '08년 4목 6과 21종

3 1 2 민물검정망둑

5목 8과 19종 (고6) '14년 =후 (고6) • all4년 (갱 : s. 26---'.l) I 9. 'l2:∼25) 조샤년도 및 횟수 : 2CU3년 (2회 : 6. 16∼1s I 11. 1∼4), •

I . 시험연구개발 I

• 조샤장소 ; 3개 지점

- 상류 : 춘천시 서면 금산리 1120-1 등 일뭔 (상중도 인근)

- 중류 : 춘천시 서면 현암리 없2-2 등 일원 (현안교 인근)

- 하류 ; 춘천시 송암동 816-1 등 일원 (붕떠섬 하류 인근)

사진 1. 서식 어류 사진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나. 서식 패류 조사

북한강 수계인 의암호에서 채집된 패류는 총 3목 4과 6종이 확인되었으며/ 다슬기과

패 류 인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곳체 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와 석 패 과 패

류인 펄조개 (Anodonta woodiana), 말조개 (Unio douglasiae)가 각각 2종 출현하였고/ 논우렁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이과 패류인 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와 홍합과 패류인 민물담치( Cipangopaludina

chinensis)가 각각 1종 출현하였다. 각 정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총 s221B 체였고/ 이 중 곳체

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ri)가 4101B 체 채 집 되 어 출현 개 체 수의 78.54%를 차지 하여 가

장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말조개 (Unio douglasiae)가 82개체로 15.71 %, 민

물담치 (Limnoperna fortunei)가 12개체 채집되어 전체 채집 량의 2.3 % 차지하였다.

표 3. 으|암호 패류 및 개체수 (3목 4과 6종)

국명 학 며。

중복족목 Mesogastrop。da

다슬기과 Pleur。ceridae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논우렁이과 Viviparidae

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 석 패목 Uni。n。ida

석패과 Unionidae

펄조개 Anodonta woodiana 말조개 Unio douglasiae

담치 목 Mytiloida

홍합과 Mytil。ida

민물담치 니mn표'!!na fortu11e1

조 사 지 점

2

합계 비 고

522

연좋j

5

410

2

상류

19

.:::z:. E므

-‘E「 -rr 114

하류

100

5

210 59

2 12

1 2

8 68

11 82

12 12

사진 2. 으|암호에서 확인된 패류

곳체다슬기

Semisulcosvira <.wttschei) 말조개

(Unio dou:<lasiae) 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

펄조개 (Anodonta woodiana) ”

m 1m 량 m

우 띠

논 띠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I 시험연구개발 I

다. 수질 조사

북한강 수계인 의암호의 상류/ 중류/ 하류 3개 지점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상반기의 수온은 중류 지역이 22.4℃로 가장 높았고/ 상류 21.7℃/ 하류

21.3℃ 순으로 나타났다. 용존산소는 중류지역이 10.7mg/ι 로 가장 높았고/ 상류 10.6mg

/ ι/ 하류 10.4mg/ι 로 지역별로 큰 차이는 보이치 않았다. 하반기의 경우는 수온은 하

류 지역이 21.5℃로 가장 높았고 상류로 갈수록 수온이 낮아졌다. 용존산소도 수온과

동일하게 하류지역이 10.0mg/ l 로 가장 높았고/ 상류지역이 7.4mg/ι 로 가장 낮은 경향

을보였다.

표 4. 으|암호 수질 측정 및 하천환경

상 -Yr-크 ~~」 .,-E므T 하 .,-E프r

조사항목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채수시간 12:00 11:20 10:52 10:50 10:40 10:30

수온(℃) 21.7 20.6 22.4 21.2 21.3 21.5

DO(mg/L) 10.56 7.39 10.70 8.34 10.38 9.96

pH 8.47 7.45 8.54 8.01 8.62 8.79

SS(mg/L) 8 1 2 1 9 1

COD(mg/L) 6.5 1.8 6.4 0.6 8.5 2.9

Salinity( %0) 0.1 0.1 0.1 0.1 0.1 0.1

NH3-N(mg/L) 0.07 0.00 0.04 0.00 0.14 0.00

NOrN(mg/L) 0.014 0.006 0.015 0.008 0.010 0.014

N03-N(mg/L) 1.39 2.3 1.35 2.2 1.23 2.4

TP(mg/L) 0.07 0.50 0.04 0.49 0.06 0.39

5042-(mg/L) 7 5 6 6 6 6

Ci-(mg/L) 6.9 3.7 6.1 2.1 5.6 3.2

전기전도도 100.3 91.7 106.9 93.1 97.1 107.4

(µs/cm)

총경도(mg/L) 60 70 60 70 60 70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참고문헌 --------- ----------• 경기개발연구원. 2005. 경기북부 주요 하천 생태계 조사. 경기개발연구원/ lOlpp.

• 김 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133-520pp.

• 김익수 • 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77pp .

• 노세윤. 2009. 민물고기 쉽게찾기. 진선출판사 .

• 노세윤/ 이완옥.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민뀔고기. 지성사.

• 민덕기. 2001. 신 원색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 백재민. 2010. 2010 다슬기 양식 산업화를 위한 세미나.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최기철/ 정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27pp.

•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원색 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6-220pp.

I . 시험연구개발· I

국기생물다양성기판연합 님빼-룹 담수어류 공동 조사

김달영 • 이상우- • 조기택 - 김창미 · 서성문 - 홍석우

서 론

생물다양성정보 관련 최대 국제기구인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는 OECD에서 설립

한 생물다양성 정보에 대한 범세계적인 네트워크 구성으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이용/ 공평

한 공유를 목적으로 설립된 기구이다. 이 기구는 학병을 기준으로 전 세계 각지에서 서식하

는 생물종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여 장기적으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산화한 후 생물종 은행

(Species Bank)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10s1R 국가 및 기관이 참여I

생물다양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공유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2001년에 세계생물다양성

정보기구의 정회원으로 참여하여/ 한국사무국(KBIF)뀔 두고 2007년부터 국가생물다양성기관

연합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 연구소는 2007년 10웰에 이 기구에 가입하여 종합 관련 기

관 271B, 동물 관련 기관 5개r 식물 관련 기관 9개I 해양 관련 기관 2개/ 생명정보 기관 2개

총 45개의 기관에 포함되어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공동조사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사무국(KBIF) 총회에서는 생물 다양성이 높은 지역/ 지리적으로 중요하고 의미 있는

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매년 선정하고 있으며/ 쑤리 연구소는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지

역의 담수어류 분야에서 생물다양성 자원 발굴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하여 생물다양

성 관련 인벤토리를 구축하는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활동을 통해 국가기

관 및 유관기관들간의 광역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2014년에는 남해군 일대를 대상으로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공동조사가 추진되었으며/

우리 연구소에서는 상·하반기 공동조사에 참여하여 남해군 일대 주요하천인 봉천/ 양지천/

대곡천/ 서상천/ 다천/ 금평천/ 화천/ 창선천 총 8개 하천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추진해

온 경기도 관내 주요하천 서식어류 현황조사의 경햄을 바탕으로 하천의 상류/ 중류/ 하류

의 서식 어류상을 조사·비교하고 신종/ 미기록종을 탐색하는 동 남해군 일대의 담수어류

서식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한국사

무국에 제공하여 국내 생물다양성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일에 동참하였다.

랩틀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재료 및 방법

2014년도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공동조사는 납해군 일대를 대상으로 상반기/ 하반기로

나눠 실시되었으며 상반기는 공동조사(제15차)는 6월 9일∼ 13일(5일간) 일정으로 실시되었

고/ 하반기는 공동조사(제16차)는 8월 25일∼ 29일 (5일간) 일정으로 남해군 일대의 식물 (화

석/ 조류/ 균류 동)/ 무척추동물 (곤충/ 해면동물 품)/ 척추동물 (어류/ 조류/ 포유류 등)/ 지

질/ 토양 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우리 연구소에서는 담수어류 분야의 생물다양성

을 확인하기 위해 남해군 일대 주요하천 8개소를- 대상으로 상류/ 중류/ 하류 3개 지점을

선정 어류상을 비교할 수 있도록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하천은 그림 1, 조사지점은

표 1에 각각 나타내었다.

‘「/

J껴《

/、r 、--1.. .1·、,..,」’•--. I ~.....,

--

.f‘

--

---쪽!>

걷과

/ /

그림 1. 남해군 조사하천(C그부분/ 총 8개소)

I 시험연구개발 I

표 1. 남해군 하천별 조사지점

하천명/길이 조사지점,, 비고

대 곡지 아래 300m 지 점 (상류)

봉천/4.Skrn 남해읍 입현교 부근(중류)

봉천교 부근(하류)

대곡저수지 밑 300m 지점(상류)

대콕천/2.12km 고현면 도마교 부근(중류)

하구(하류)

연곡저수지 밑 100m 지점(상류)

서상천/4.5krn 서면 금독교 부근(중류)

서상2교∼ 하구(하류)

율콕1지 아래 (상류-)

양지천/3.2krn 남면 양지교 부근(중류)

하구 수문에서 위로 SO Om 지점(하류)

다정저수지 아래 200m 지점(상류)

다천/3.Skm 이동면 다천교(중류)

교문교(하류)

신전교 위로 SO Om 지점(중류) ~、L*τ 」~금평천/2.2krn 이동면

신전교 부근(하류) 접근통로가 없음

내산저수지 밑 300m 지점(상류) 남해군에서 가장

화천/8.2krn 삼동면 다래산장 아래(중류) 큰하천

금천교 부근(하류)

옥천교 부근(상류) 하류는 창선천/3.97krn 창선면

상죽교 부근(중류) 접근통로가 없음

조사 인원은 상반기 4명/ 하반기 3명이며 투망/ 쪽대/ 통발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출현종 동정 및 개체수를 산출하고 재방류하였으며/ 현장 종 동정이 어려운 종에 대해서

는 10% 중성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연구소로 가져와 동정하였다. 채집한 어류의 종 동정

은 정 (197끼/ 김 (1988) 및 최 동(1990)을 따랐고/ 분류체계 및 학명은 Nelson(1994)과 한국

동물분류학회 (1997)를 따랐다.

력쫓민

I 2014년도 시협연구사업보고서

결과 및 고찰

2014년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남해군 일대 공동조사 결과 남해군 주요하천 8개소에

서식하는 담수어류는 총 8목 12과 26종으로 채집된 어류 중 농어목(Perciformes) 3과

11종으로 가장 많았고 잉 어 목( Cyprinif ormes) 2과 8종/ 메 기 목(Siluriformes) 1과 1종/ 바다

빙어목(Osmeriformes) 1과 1종/ 숭어목(Mugilifc〕rmes) 1과 1종/ 동갈치목(Beloniformes)

1과 1종/ 씀뱅 이 목(Scorpaeniformes) 1과 1종/ 복어 목(Tetraodontiformes) 1과 1종 각각

출현하였다.

표 2. 담수어류조사 결과요약 (총 8목 12과 26종)

우점종 (개체수)

1. 참갈겨 니 (289)

2. 민물검정망둑 (163)

3. 민물두줄망둑 (10이

4. 참붕어 (92)

5. 송사리 (71)

고유종 (7종)

쉬리/ 긴몰깨/ 참갈겨니/ 남방종개/

눈동자개/자가사리/큰벗말뚝망둥어

외래종

미확인

납해군 주요 하천 8개소에서 채집된 담수어류를 조사지점별 어류상을 살펴보면 상류

지역은 주로 참갈겨니(Z씨cco koreanus)가 우점종이였으며/ 중류지역은 참갈겨니( Zacco koreanus)와

참붕 어 (Pseudorasbora parva)가 우 점 하고 민 물 검 정 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밀 어

(Rhinogobius brunneus) 등의 망둥어과(Gobiidae) 씨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고/

하류지역은 농어 (Rhinogobius brunneus), 숭어 (Mugil cephalus) 동 치어기 연안에 서식하면서

하천하류 지 역까지 먹 이 활동을 하는 기수성 어류와 민물검정 망둑(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등의 망둥어과(Gobiidae) 어류 9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연한 종 중에서 참갈겨니 (Zacco koreanus) 2891H 체가 채집되어 출현개체수의 25.8%로

가장 우접하는 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민물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 1637H 체로

14.55%, 민물두줄망둑(Tridentiger lrigonocephalus) 100개 체 로 8.92%, 참붕어 ( Pseudorasbora

parva) 92개체로 8.21 %, 송사리 (01γzias latipes) 71개체로 6.34%로 출현하여 우점하였다.

공동조사 기간 동안 남해군 주요하천 8개소에서 출연한 한반도 고유종은 7종으로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긴 몰 개 (Squalidus gracilis m띠imae), 참갈 겨 니 (Zacco koreanus),

남방종개 (ksookimia hugowo야ldi),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자가사리 (Liobagrus

mediadiposalis), 큰벗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가 확인 되 었고/ 외 래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남해군 하천별 조사 결과는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I 시험연구개발 I

표 3. 남해군 담수어종 및 개체수 (봉천, 대곡천, 서상천, 금평천)

3.ζ- 사 지 점

국명 학 며Q 봉천 대곡천 서상천 금평천 비

| 상 중 하 상중하 상중하 중 하 ;

-'i'프T I E프T "T E므T I E프T I E프r I E므T I E므T I E므r I E프r * -* i 고 계 30 52 59 16 56 88 14 63 68 62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Qrinida~

붕어 Carassius auratus 6 5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2 10 10 12 15 7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15 고

버들치 Phynchocypris oxycephalus 23 참갈겨니 Zacco koreanus 15 21 8 8 22 34 고

피라미 Zacco platypus 6 6 민 꾸리 과 Cobitidae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3 2 4 2 2

메 기 목 Siluriformes

퉁가리 파 Amblycipitidae

자가사리 Li。bagrus m ediadiposalis 1 JI

바다벙 어 목 Osmeriformes 바다벙 어 파 Osmeridae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11 숭어 목 Mugiliformes

슛어 과 Mugil cephalus

숭어 Mugil cephalus 13 7 5 10 동갈치 목 Beloniformes

송사리 과 Adrianichthyoidae

송사리 。ryzias Ja tipes 14 15 농어 목 Perciformes 농어 과 Moronidae

농어 Rhinogobius brunneus 2 3 5 믿하펴 Sparidae

감성돔 A canthopagrus schlegelii 2 망둑어 과 Gobiidae

국저구 Chaenogobius ur。taenia 6

밀어 Rhinogobius brunneus 8 5 12 5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19 14 20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5 8 8 10 4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15 14 15 16 12

문절망둑 A can th。'gobius flavimanus 4 7 4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6

흰발망둑 A canthogobius Ja ctipes 3 2 복어 목 Tetraodontiformes 참복 과 Tetraodontidae

프-깅,L셔 I그 Takifugu niph。bles 3

※ 고 ;한반도고유종

랩풋민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4. 남해군 담수어종 및 개체수 (양지천, 다천, 화천, 창선천)

.?.ζ- 사 지 점

국명 학 며。 양지첸 다천 화천 창선천

비 상중하 상중하 상중하 상중

* * * * fr프 * ,. E프T fr프 fr프 fr프 fr프 고

계 27 57 42 26 31 97 48 82 88 5 56

잉 어 목 Cypriniformes

잉 어 과 Cyprinidae

붕어 Carassius auratus 6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0 8 8

쉬리 Coreoleuciscus spfendidus 7 17 고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7 8 고

참갈겨니 Zacco koreanus 26 32 16 23 24 33 15 12 고

미 꾸리 과 Cobitidae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1 3 5 3

남방종개 Iksookimia hu」g。wo/feldi 4 5 고

메 기 목 Siluriformes 동자개 과 Bagridae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3 고

바다벙 어 목 Osmeriformes 바다벙 어 과 Osmeridae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6

숭어 목 Mugiliformes

숭어 과 Mugil cephalus

숭어 Mu」gif cephalus 5 15

동갈치 목 Beloniformes

송사리 과 Adrianichthyoidae

송사리 Oryzias latipes 11 16 15

쏟뱅 이 목 Scorpaeniformes

둑중개 과 Cottidae

쩍정이 Trachidermus fasciatus 2

농어 목 Perciformes 놓어 과 Moronidae

농어 Rhinogobius brunneus 3

망둑어 과 Gobiidae

쭉저구 Chaenogobws urotaenia 6

밀어 Rhinogobius brunneus 7 6 10 7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25 22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8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12 18 22 13 15 11

큰벗발뚝망둥어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1 고

문절망둑 Acanthogobius f/avimanu s 5

흰발망둑 Acanthogobius /actipes 3

모치망둑 Mugifogobius abei 4

복어 목 Tetraodontiformes 참복 과 Tetraodontidae

복섬 Takifugu mph。bles 5

※ 고 ; 한반도 고유종

I . 시험연구개발 I

그림 2. 남해군 공동조사 및 담수어종 사진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참고문헌

•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133-520pp.

•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477pp .

• 노세윤/ 이완옥.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민붙고기. 지성사.

• 최기철/ 정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27pp.

1> http:/ /www.river.go.kr(하천관리 지 리 정 보시 스템)

>

I.

@ l。 。

” . 민물고낀IJ 생태학습관 및 땅’

수산질병관리J뭔 운영

• 。

1.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운영

2. 수산질병관리원 운영 --- -----

φ콰 B꾀 '

136

II. 민물고기 뺨학습관 및 수산질병관리원 운영 I

민물고기 생태학습판 운영

전민지·박종흥·송명화·양유미·허성재·전경근·홍석우

경기도 민물고기생태학습관은 2003년에 연건평 989m' (지상2층/ 지하1충) 규모로 개관하

여 쉬리/ 각시붕어 동 살아있는 민물고기 68여 종과 207~ 첨단 체험코너/ 직접 물고기를

잡아볼 수 있는 야외 체험장(터치풀,250.65m' )과 관람객 휴식과 편의를 위한 생태연못/ 주

차장(1,000m' ), 야외화장실 둥을 편익 시설을 갖추고/ 우리의 토종 민물고기를 살아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민물고기 전문 테마학습 공간으로 자리 잡아 수도권 주

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2014년에는 생태연못시설을 보강하고 학습관을 찾는 어린이들이 다양한 수생식물과 민

물고기들이 헤엄쳐 다니는 모습을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관 1층의 노후수조

교체 및 리모델링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어종을 효율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고/ 편안한 관람 및 체험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관상새우 특별전시를 열어

국내산 민물새우인 정거미새우를 비롯한 국내 • 외에서 사랑받고 있는 20종의 관상새우

를 전시하여 관람객들에게 관상새우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기회가 되도록 추진하였다.

해양수산자원연구소 생태학습관에서 초등학생들의 여름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부모와 함

께 학생들이 참여하는 자연 체험학습으로 수요자가 만족하는 생태체험학교 프로그램을 운

영하였다. 2014년 여름 민물고기 생태체험학교 운영에서는 도내 초퉁학생과 그 학부모들

을 대상으로 총 8회 54가족 184명이 참가하여 생태학습관/ 연구소 견학/ 양어체험/ 물고기

해부/ 연구소 앞 흑천에서 가족단위로 물고기 잡아보기 하천생태 탐구를 진행하였다.

도심속으로 찾아가는 민물고기 이동전시는 121R 시 • 군 20개 축제에 이동전시를 실시

하여 약 748천명이 살아 있는 토종 민물고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태학습관 방

문객 및 이동전시장을 찾는 관람객들에게는 생태학습관 리플렛(연구소 소개 및 멸종위기

어종 소개) 2만부를 제작 배포하여 호평을 받았다.

2014년도 생태학습관 관람객 수는 10만명 (107,765명)이 다녀갔으며 2015년에도 민물고

기 만져보기 체험/ 연구소 견학 프로그램 동 다양하고 알찬 체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운

영할 계획이다.

편.민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口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시설 현황

부 지 : 2,649 m2 (800평)

건 축 : 연건평 989m2 (300평)

규 모 | 1층 : 359m2, 2층 : 499m2, 지 하 : 13lm2

주차장 : 1,000 m2 (330평)/ 생 태 연못 : l,150m2 (348평),

야외화장실 : 8lm2 (24평)

수족관 : 60조(철갑상어/ 쏘가리 동 31과 68종 전시)

영상학습실 : 135m2 84석(가시고기생태 등 민물고기 관련 영상물 상영)

주요시설

체험전시실 : 22lm2 (민물고기의 역샤 생태/ 환경 도정홍보등 Z3개 코너)

터치풀 : 250.65m2 (터치풀 1)

수용인원| 100명/회/ 2,000명/일

II. 띤물고기 생태학습관 및 수산질병관리원 운영 I

口 2014년 생태학습관 운영(관람) 실적

0 총괄

「-------생태학습관(명)

107,765

민물고기이동전시(병)

748,500

0 생태학습관 직업별 관람객 유형

구분 합계 단 체

소계 학생

인원(명) 107,765 13,135 12,246

비율(%) 100 12.2 11.4

0 생태학습관 시 • 군별 관람객 유형

시·군명 관람실적 시·군명

계 60,418 팎주시

수원시 2,900 검포시

성남시 4,106 이천시

고양시 1,522 구리시

부천시 1,520 ~:}:?-「시 |

용인시 3,132 안성시

안산시 908 포천시

안양시 2,318 오산시

남양주시 3,748 하남시

의정부시 1,043 의왕시

평택시 711 여주군

시흥시 507 동두천시

화성시 1,290 양평군

광명시 815 과천시

파주시 711 가평군

군포시 687 연천군

여름 생태체험학교(명)

184

일반 가족 비고

889 94,630

0.8 87.8

(단위; 명)

관람실적

2,870

497

3,793

1,457

319

306

96

346

1,682

375

3,255

217

18,728

262

269

28

※ 전체방문객 수 : 107,765명(경기 60,418, 서울 33,226, 타시도 14, 121)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口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관람

민물고기생태학습관 관람

민물고기 생태 폐험학교

시군 지역축제 민물고기 이동전시

II. 빈물고기 생태학습관 및 수산질병관리원 운영 I

수산질병판리j원 운영

조기택·한정조·이동훈·안태영·이상우·홍석우

2006년 9월에 개원한 경기도수산질병관리원은 2007년에 수산질병관리원 증축공사를 시

작하여 안전성검사실/ 병리조직실/ 무균실 둥 7개실에 항생제 분석장치/ 유전자추출기/ 조

직처리기 동 총 84종의 분석장비를 갖춘 수산생물질병 전문 검사기관이다.

경기도수산질병관리원은 양식 수산물의 질병으로 인한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함

과 동시에 도내 양식장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의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여 도민에게 안전한

양식 수산물이 공급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림 1. 경기도수산질병관리원 전경(좌측)과 각종 분석 장비(우측)

1. 양식수산물 질병진단

우리 수산질병관리원은 양식 수산생물에 발생하는 기생충성/ 세균성/ 바이러스성 질병

과 환경성 즉I 수질/ 사료/ 사양관리 동으로 인한 질병의 진단 서비스를 도내 양식어민을

위해 제공하고 있다. 현재 연구소에는 5명의 수산젤병관리사 및 3명의 실무경험이 뛰어난

연구사들이 각 분야별 질병 검사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도내 양식장을 대상으로 지속

적인 예찰과 기술 지도를 병행하고 있다.

또한/ 2012년 6월 20일에 “수산동물병성감정실시기관과 국립수산과학원간 수산동물전염

병 공동검사체계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로 MOU될 체결하여 수산생물질병관리법에 따라

방류수산생물 전염병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방류수산생물 전염병검사는 방류용 치어에 대

해 사전 질병검사를 실시하여 건강한 치어가 도내 하천에 방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며/ 이를 통해 자연수계로의 질병 확산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수산질병관리원에서는 2014

년에 85건의 방류 전염병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도내 방류물량에서는 법정 수산생물 전염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병이 검출되지 않아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뿐만 아니 라/ 병성감정실시기관을 운영함으로써 질병이 의심되는 수산생물에 대해

병성감정을 실시하여 질병의 원인을 밝혀내고 았다. 올 한해 2건의 병성감정을 실시하여

기생충성 또는 세균성 질병을 진단하였고/ 이에 대한 조치 및 수산용 의약품 안전 사용

동에 대한 내용을 지도함으로써 양식어 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려 노력하였다.

연도별 질병검사 및 예찰현황 (단위 ; 건)

질병검사 뱀장어

안전성 연 도

품종검사 전염병얘찰 검사 버고

방류질병검사 병성감정 양식장 소계 (방사능)

계 467 23 27 517 92 541 45

2007 146 7 153

2008 86 6 92 20 ------“·‘· “---

2009 5 5 11 30 수산동물질병 관리법 시행

2010 5 5 9 48 ·, •• ‘

2011 4 4 7 44 .“·‘--- ----

2012 41 13 54 8 52 병성감정실시기관 업무재개

.‘-- -- ‘- -- ------

2013 109 8 117 17 212

2014 85 2 87 20 155 45

2. 도내 양식수산물 안전성검사

경기도는 2007년부터 경기도지사가 인증하는 c+ 인증제도를 실시하여 소비자가 신뢰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먹거리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경기도 농산물은 G+Rice, 축산물은

G+Meat 인증마크를 각각 도입하였으며 출하 전단계의 농축산물에 대해 유해물질(농약/ 항

생물질 등) 검사를 실시하여 적합할 경우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그림 2. 방사능 분석 장비 (좌)와 수산물 방사능 현장 검사 장면(우)

II .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및 수산질병관리원 운영 I

이에 발맞추어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2008년부터 도내에서 생산되는 양식 수산

물에 대한 G+Fish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금지약품/ 동물용의약품/ 중금속/ 방사능 동 총 40종

에 대해 정기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도내 안전한 수산물 공급에 이바지하고

있다. 2014년에는 파주l 김포 퉁 10개 시 ·군에서 17개소의 G+Fish 인증양식장과 1개소의 시

범양식장을 운영/ 도민에게 안전한 양식 수산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회복 및 양어가의 소득 증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이에 따라 2014년에 181R소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의 유해물질을 검사하여 117건 중 1건 초과하였고/ 초과한 양식장에 대해서

는 출하연기를 함으로써 안전한 수산물만이 소비자의 식탁에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G+Fish 인증양식장 이외에도 도내 주요양식장 및 해면어획 수산물을 대상으로도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낚시 퉁 수산물을 접할 가능성은 있으나/ 안전성에 취약한 저수지

(낚시터/ 축제장)와 하천 수산물에 대해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식장 및 해면어

획 수산물에 대한 38건/ 하천 5개소(청미천/ 안성천/ 공릉천/ 남양호/ 발안천), 저수지 4개소

즉/ 낚시터 2개소(마둔/ 칠곡)/ 축제장 2개소(백동/ 청운) 모두 안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해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하락함에 따라

도내 수산물 소비도 감소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방사능

분석기기(감마핵종분석기)를 도입하여/ 2014년 하반기부터 요오드 및 세숨 방사능 2종에 대

해 분석함으로써 안전성 검사를 더욱 원활히 하며 -수산물 소비를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하

고 있다. 올 한해 45건의 도내 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분석을 실시하여 모두 적합판정을 받

았으며/ 이 결과들은 매월 2회 연구소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도민 및 일반인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앞으로 전문인력/ 장비/ 시설을 확충함으로써 검사 대상 유해물질을 확대하여 명품민

물고기 안전성 신뢰도 향상과 동시에 도내 양식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 검사로 도민에게 안

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힐여획망양씩장 수요초At (각 시운)

당해 1-2흩

시얻생산업체 션정

당해 3를

그림 3. 명품민물고기 (G+Fish) 생산양식장 인증 절차 모식도

펀뿔다

선청l흩 1연간

를하면7( 륭 I빼항조*’

인를셔밭글 및지흑쩍인 생산지룰

이를해 ·겨l옥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품종별 수산동물의 질병검사 항목 및 기준

효 조 t:tl τ5「 。 。

(방류수산생물의 검사 등에 관한 고시/ 국립수산과학원고시/ 때13.5.15 . 개정)

검사항목 합격기준 구 분

해면

넙치/ 문치가자미/ 돌가자미I 강도다리/ 짱뚱어y 볼락/

황점볼락/ 조피볼락/ 개볼락/ 붉은쏟뱅이/ 쥐노래미/

돌돔/ 참돔/ 감성톰/ 강담돔/ 동갈돗돔/ 농어/ 점농어/

능성어/ 대구/ 가숭아 민어/ 참조기/ 황복/ 자주복y 쥐치/

말쥐치/ 뚝지/ 자바리/ 뱅에돔/ 쏟뱅 이/

전복/ 오분자기 비단가리비/ 참가리비/ 개조개/

개량조개/ 북방대합/ 꼬막/ 왕우럭/ 백 i팝

대하, 보리새우/ 물령가시붉은새우/ 가시배새우

꽃게/ 민꽃게/ 왕밤송이게(털게)/ 해삼/

바윗털갯지렁이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

초L돔이리도바이러스병 -줄

붐 }

퍼킨수스감염증

(퍼킨수스마리누스만

해당)/ 흰반점병 ”

흰반점병,타우라증후군 ”

흰반점병 ”

내수면

잉어/붕어

동자개/ 메기/ 대농갱이/ 미꾸라지(미꾸리)

쏘가리/쩍지

뱀장어

은어

참게l 동남참게

자라

다슬기/기수재첩

잉어허피스바이러스병/

잉어봄바이러스병 ”

잉어봄바이러스병 ”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 ”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 ”

유행성궤양증후군 l’

흰반점병 ”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 l’

흰반점병 ”

II .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및 수산질병관리원 운영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안전성 검사항목 및 기준

견 닙r 류 검 사 항 목 안전성 기준 비고

계 40항목

1)말라카이트그린

금지약품 2)니 E로푸란{푸라졸리돈, 푸랄타돈, 니 E로푸라존,

불검출 니 E로푸란토인, 니 E로빈 등} 제제 및 대사물질

3)클로람페니콜

4)옥시테 E라싸이클린, 5)클로E 테 E라싸이클린, 0.2mg/kg이히-6)테 E라싸이클린 (합으로써)

7)독시싸이클린 0.05mg/kg이 하

8)스피라마이신 0.2mg/kg이 히-

9)옥소린산 O. lmg/kg이하

10)플루메뀐 0.5mg/kg이하

11)엔로플록사신, 12)시효로플록사신 O.lmg/kg이하

(합으로써)

13)노근플록사신 불검출

14)오플록사신 불검출 항생물질 15)페플록사신 불검출

16)설파클로르피리다진, 17)설파디아진, 1 8)설파디메톡신,

19)설파메톡시피리다진, 2이설파메라진, 21)설파메타진 O.lmg/kg이하

22)설파메톡사졸, 23)설파모노메톡신, 24)설파티아졸,

25)설파퀴녹실린’ 26)설파독신, 27)설파페나졸 (합으로써)

28)설파속사졸, 29)설파클로근피라진

30)아목시실린 0.05mg/kg이 히-

3 1)암피실린 0.05mg/kg이 하

32)린코마이신 O. l mg/kg이하

33)날리덕스산 0.03mg/kg이 하

34)플로근페니콜 0 . 2mg/kg이하

35)클린다마이신 O.lmg/kg이하

36)총수은(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제외) 0.5mg/kg이하

드。드二5 쇼「= 37)납 0 . 5mg/kg이하

38)카드융 2.0mg/kg이하

39)131 I 300Bq/kg이하 방사능 40)134CS+ 137cs lOOBq/kg이하

φ콰 B꾀 '

146

~‘、

。。 。

Ill • 우량~,봤l 생산보급 및 •

토산어종 자~원조성

• 0

1. 우량치어 생!산보급

2. 토산어종 지-원조성 --- -- ‘ .-­ ..

• 활

φ콰 B꾀 '

148

]III.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자원조성

자원조성 I릎산어종 Cl }; 생산보급 우량Al어

한정조·이동훈·검달영·김재학·김창미·박종렬.

박영규·서성문·이상우·홍석우

무지개송어/ 산천어/ 위하여 '89년부터 '14년까지 안정을 까‘= 「-닙 종묘 양식어종의 주요

주요 양식장에 생산 보급 하였 우량종묘 33,865천마리첼 도내 동 15종의 철갑상어/ 메기

둥 치패 10,995천마리/ 빙어/ 잉어 퉁 12종의 치어 5,917천마리/ 다슬기 으며/잉어/붕어

수정란 882,000천립을 관내 주요하천에 방류하여 지-원보존과 증강에 노력하였다 '14년에는

쏘가리/ 동자개/ 붕어/ 대농갱이/ 분양하였고/ 122천마리를 치어 산천어 Pl ?<무지개송어

미꾸리/ 모래무지의 치어 6종 396천마리/ 다슬기 치패 1,700천마리/ 벙어수정란 5,300만립을

방류하였다(표 6, 8, 9) .

1. 우량치어 생산보급

종묘생산 1-1 무지개송어r 산천어

가. 친어

관리한 명칭)에서

무지개송어와 산천어 중 암컷은 복부가 부드러우며 손으로 압박을 했을 때 알이 쉽게 흘러

사육 송어동(사육시설 연구소내 종묘생산은 무지개송어와 산천어의

흘러나오는 개체를 선별하여 인공 나오는 개체/ 수컷은 손으로 압박했을 때 정액이 쉽게

종묘생산을 실시하였다.

나. 종묘생산

인공종묘생산 과정은 동일하다, 선별한 친어는 호르몬 또는 특 무지개송어와 산천어의

별한 자극없이 암컷의 알을 물기를 제거한 용기(세수대야 퉁)에 채란한 다음 수컷의 정액

암컷과 수컷은 2:1 비 을 직접 채정하고 물을 넣는 방식인 건식법으로 수정하였다. 이때

율로 하였다. 수정된 알은 세란 후 부화기에 수용하였다.

공급되도록 。 /-λ、1 。 큰 IT-「「 --스도 유지된 용존산소가 풍부한 물이 부화기간 동안 수온 11∼12℃

관리하였고/ 수생균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음날부터 매일 수산용 포르말린 l,OOOppm을 15

발안란이 되었고/ 관리된 알은 15일 후에 분간 소독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부화시까지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발안되지 않고 죽은 알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죽은 알이 부패하면서 발생할 수 있

는 세균 등에 의해 건강한 알들이 오염되지 않도록 조치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처리한

발안란은 치어사육지에 수용하여 부화시까지 관리하였다. 무지개송어와 산천어의 자체 채

란량 및 발안란 매입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어종별 채란량 및 매입 량

일시 어종 채란량 또는 매입량 비고

2013. 11. 28 산천어 l ~i .984 립 자체 채란

20 13. 12. 3 산천어 53,000 립 발안란 매입

2013. 12. 11 무지개송어 145,200 립 자체 채란

20 13. 12. 24 무지개송어 150,000 립 발안란 매입

다. 치어관리 및 우량치어 분양

부화자어는 수온 11∼12℃로 유지하면서 사육하였고 난황 흡수기를 거쳐 부상기가 된

치어의 초기먹이로는 시판 중인 냉동 코페포다를 공급한 후 배합사료로 길들여 분양시까

지사육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무지개송어 치어는 마리당 150원에 99,800마리를

14어가에 유상분양 하였고/ 산천어 치어는 마리당 250원에 22,100마리를 8어가에 유상분

양하여 2014년 우량치어 분양금액 총 20,495,000원을 세입 조치하였다.

어류부화기 무지개송어 발안란

무지개송어 치어 산천어 치어

그림 1. 우량치어 및 부화시설

2. 토산어종 자원조성

2-1. 쏘가리 종묘생산

가. 친어

ill.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자원조성 I

종묘생산에 사용한 쏘가리 친어는 2008년부터 연구소에서 암컷과 수컷을 분리 수용하

여 친어관리한 친어를 사용하였으며 5월 초 하천수 수온이 18℃ 전후되는 시기에 선별을

실시하여 수컷은 배를 눌렀을 때 정액이 쉽게 흘러나오는 개체 10마리를 선별하였고/ 암

컷은 배를 눌렀을 때 부드럽고 생식공이 약간 부어있으면서 붉은 빛깔이 감도는 개체 8

마리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친어는 별도의 수조(수온23℃ ±1)에 각각 수용하여 안정을 취

하게 하였으며/ 다음날 암컷의 알을 채란할 수 있도록 암컷 개체의 등근육에 LHRH-a(황

체형성호르몬 방출자극호르몬)와 HCG(태반성 성선 자극호르몬)을 주사하였다. 쏘가리 종

묘생산에 사용한 쏘가리 암컷 및 호르몬 사용에 관한 사항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쏘가리 암컷 호르몬 주사량 및 채란량

쏘가리 암컷 kg당 호금띈 주사량

개체수 체중(g) 채란량(g)

HCG(IU) LHRH-a(µg)

1 180 3 000 15 86

2 1 070 3 000 15 51

3 1 ,520 3 ,000 15 93

4 760 3,00(] 15 56

5 950 3 000 15 41

6 930 3 000 15 28

7 930 3 000 15 40

8 740 3,000 15 채란 안됨

력필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나. 종묘생산

호르몬을 주사한 암컷은 26시간 경과 후부터 2시간 간격으로 복부를 압박하는 방식으로 채란 가

능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성숙된 암컷의 난을 물기를 체거한 용기에 채란한 다음 수컷의 정액을 직

접 채정하고 물을 넣어 수정하는 건식법으로 수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정된 쏘가리 알은 병

부화기에 수용하여 수온은 26±1℃로 유지하였고/ 다음-날부터 매일 수산용 포르말린 1α)()ppm으로

15분간 소독하여 수생균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였다. 부화는 수정 후 60시간 이후부터 부화 되었

으며 부화자어는 별도의 치어사육지에 수용하여 수온 26±1℃로 유지하면서 1일 2회전 사육수가 교

환될 수 있도록 사육관리 하였다.

다. 치어관리 및 자원조성

부화자어는 2일 경과 후 난황흡수가 완료되었으며 츠는기 먹이생물로는 잉어 자어/ 붕어 자어를 공

급하여 육성하였다. 쏘가리 치어의 크기가 성장하면서 먹이생물인 잉어 치어 또한 별도 사육하여

성장한 쏘가리 치어의 입 크기에 맞도록 공급하였다. 부화 20일 전후 2cm내외로 성장한 쏘가리 치

어 53αU마리는 도내 7개 시 · 군의 주요 하천 및 대단위 수면에 방류하였다.

쏘가리 암컷 체중측정 인공수정

쏘가리 치어 자원조성

그림 2. 쏘가리 종묘생산 및 자원조성

2-2. 미꾸리 종묘생산

가. 친어

Ill.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자원조성 I

미꾸리 친어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재 민물고기 판매상을 통해 총 3회에 걸쳐 구입 후f

인공종묘생산에 사용하였고/ 미꾸리 친어 암컷의 체중을 측정하여 lg당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태반성 성선 자극호르몬)을 6∼10 IU 범위로 주사하였다. 미꾸리

종묘생산에 사용한 호르몬에 관한 사항은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미꾸리 암컷 호르몬 주사량

일시 마리수 호己몬 주사량

채란량(만립) HCG (IU)/g

2013. 8. 26 250 8 50

2014. 5. 8 244 1.0 50

2014 . 7. 15 35 10 10

나. 종묘생산

미꾸리 알과 정액의 수정방법은 건식법을 사용하여 부화지 바닥에 부착시켰다. 부화 수

온은 3회 시험기간 동안 일정한 수온 (22±1℃ 23±1 ℃/ 25±1 ℃)으로 유지하였으며/ 36시간

부터 부화되기 시작하여 48시간에 부화 완료하였다.

다. 치어관리 및 자원조성

부화자어의 먹이는 초기 알테미아 급여 (20일) 후 냉동코페포다 (8일) 및 배합사료 (20일)

를 급여하였으며/ 2014년 9월에 관내 4개 시 • 군에 65,000마리를 방류하여 자원조성 하였다.

남양주 (왕숙천) 남양주 (왕숙천) I 톨~← - - - ‘- - _!

----、,r ‘’_..~” -i ·• ·‘~‘L ---,,,,,. -”_.”~ ~ ---- · ~ _-..._‘ .... ‘---I II ~ 넙~‘ -~,..,M ‘」-‘II II 앓-“~ .. ,~ . ...... - .,.. ‘~- -..,_... l I

오산시 (오산천) 오산시 (오산천)

그림 3. 미꾸리 지원조성

철쫓인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2-3. 붕어 종묘생산

가. 친어

종묘생산에 사용한 붕어 친어는 20 13년 4월 충북 읍성소재 양식장에서 80kg(약 500마리 )를

구입하여 φ4.5m의 실내원형수조에 수용하여 4월 중순부터 영양강화를 위해 실지렁이를

공급해주며 사육관리를 하였다. 5월초 붕어 암·수 선별을 실시하여 암컷과 수컷을 별도의 수

조에 수용하여 관리하였다.

나. 종묘생산

붕어 암·수컷의 복부를 압박하여 성숙도를 확인하였으며 미리 세척한 φ4.5m의 수조에 물을 받

은 후 수온자극을 주기 위해 단수시키고/ 23℃로 가온하였다. 준비한 수조에 임컷과 수컷을 1 : 2

비율로 수용하고 수면 위에 어소를 겹치지 않게 펼쳐뚜었다. 다음날 오전에 산란하여 수면에 거품

이 관찰되었으며 어소에 알을 붙인 후 매일 수산용 포르말린 1αX>ppm으로 15분간 소독하여 수생

균이 생기지 않게 관리하였다. 완전히 부화하는데 3∼5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다. 치어관리 및 자원조성

부화자어는 3일 경과 후 난황을 흡수하고 부상하였요며 실내 사육조에서 10일간 알테미이를 공

급하였고 이후에는 물벼룩이 발생된 야외수조로 옮겨 물벼룩 외에 코페포다/ 배합사료를 조금씩 공

급하며 방류시까지 관리하였다. 삶n 내외로 성장한 붕어 치어 16만마리를 도내 11개 시 • 군 주요

하천 및 대단위 수면에 자원조성하였다.

붕어 수정란 야외사육지

붕어 치어 자원조성

그림 4. 붕어 종묘생산 및 자원조성

2-4. 동자개 종묘생산

가. 친어

III.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자원조성 I

동자개 친어는 충남 아산 소재 민물고기 도매상을 통해 남양호산 동자개를 총 3회 구

입하였다. 호르몬 주사는 암컷의 체중을 측정하여 lg당 HCG을 50 IU를 복강 주사하였

다. 수컷은 암컷보다 1/2 적은 양으로 호르몬을 뚜사하였으며 차광막을 덮어 매우 어둡

게 관리하여 친어를 안정시켰다.

표 4. 동자개 암컷 호르몬 주사량

구입일 친어 체중 호르몬주사랑 주사

채란시간 채란량 부화마리수 방류마리수

(g/마己|) HCG (IU / g) 수람C) (수정률) (부화율) (생존율)

2014. 05. 28 100 50 20±2시간 30,00[) 부화안됨

28 (30%) (난 미성숙)

2014. 00. 10 90 50±10 28 23±1시간 70,000 24,500 23 ,000

(70%) (50%) (94%)

2014. 00. 24 80 50±10 30 21 ±1 시간 120,000 52 ,800 47,000

(80%) (55%) (89%)

나. 종묘생산

주사한 암컷이 자연산란하여 알이 10개 이상 보이면 30분후 채란을 시작하였다. 수컷은 복강절

개한 후 정소를 꺼내 깨끗이 혈액을 제거하였다. 수정은 모기장 망에 정소를 넣고 손으로 비비면서

으캔 후 수정액(동조액)을 넣어 30초간 수정한 후 식염수로 세란하였다.

수정액 조성 = 3(주사용 식염수) ∼ 2(주사용 식염수) : 7(사육수) ∼ 8(증류수)

수정난을 사육지 바닥에 뿌릴 때 난의 간격이 일정하께 떨어져 뭉치지 않도록 알을 고르게 뿌리

고자 자체 제작한 수정난 파종기로 수정난을 살포하였다.

다. 치어관리 및 자원조성

부화 후 먹이 공급은 알테미아 3∼5일 이후 실지렁이 10일 급여하였다. 이후 벨트형 사료급여기

를 이용하여 일본산 초기사료를 단계별로 30일간 공급하였다. 생산된 동자개 치어는 관내 9개

시 • 군에 70,000마리를 2014. 7. 30 ∼ 31.에 자원조성 하였다.

選〉인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채란 수정난 파종기(자체 제작)

자어기(착저 시기) 자원조성

2-5. 대농갱이 종묘생산

가. 친어

그림 5. 동자개 종묘생산 및 방류

종묘생산에 사용한 대농갱이 친어는 자연산 친어(여주산/ 연천산/ 포천산)를 3회 구입하

여 사용하였다. 호르몬 주사는 암컷의 체중을 측정하여 lg당 HCG을 20 IU를 복강 주

사하였고/ 수컷은 별도의 호르몬 사용하였다. 그 후 암컷과 수컷을 분리 수용하여 차광막을

덮어 매우 어둡게 관리하여 친어를 안정시켰다.

표 5. 암컷 호르몬 주사량 및 채란량

구입일 호르몬주사랑 주사 채란량 부화마리수 밤류마리수

(구입지역) 마리당체중

암컷 f-ffi (U) 채란시간

(수정률) (부화율) (생존율) 걷l느 S 2

2이 4. 00. 12‘ 175,000 19,000 18,000

(여주) 90g내외 21 시간

(80%) (10.8%) (94.7%)

:::D14. 03. 12. 210.000 21,000 20,000

(연천) 100g내외 20 29℃ 21 시간

(80%) (10%) (95.2%)

:::D14. 03. 26. 61,000 10,500 10,000

(포천) 80g내외 21+1 시간

(70%) (17.2%) (95.2%)

I끄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χ}원조성 I

나. 종묘생산

주사한 암컷이 자연 산란하여 알이 107~ 이상 보이면 30분후 채란을 시작하였다. 수컷은 복강을

절개한 후 정소를 꺼내 깨끗이 혈액을 제거하였다. 수정은 모기장망에 정소를 넣고 손으로 비비면

서 으챈 후 둥조액(식염수 2.5 : 사육수 7.5)을 넣어 수정하였다. 수정은 30초간 실시한 후 식염수로

세란하였다.

수정난을 사육지 바닥에 뿌릴 때 난의 간격이 일정하게 떨어져 뭉치지 않아야 수생균 발생으로

인한 폐사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체 제작한 수정난 파종기로 수정난을 살포하고 수온 28±

1℃로 유지하였다. 부화는 수정 후 48시간 경과 후부터 시작되어 120시간 경과 후 완료되었다.

다. 치어관리 및 자원조성

부화 4∼5일 후 난황이 흡수되고 먹이를 찾아 수면위로 부상할 때부터 알테미이를 7일간 실지

렁이를 5일간 충분히 공급하였다. 이후 미립자 배합사료를 30일간 공급하였다.

사육지 수온은 27±1℃를 유지하였고/ 사료급이 후에는 사육지의 배설물과 사료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청소하여 관리하였다. 부화 40일 전후{7월말) 전장 Scm 내외로 성장한 대농갱이 치어

48,아U마리를 도내 8개 시 • 군 주요 하천 및 대단위 수변에 방류하였다.

채란(복부압박) 정소채취(복부절개) 수정

부화 초기 모여있는 자어 방류 전 치어 자원조성

그림 6. 대농갱이 종묘생산 및 자원조성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2-6. 다슬기 종묘생산

가. 친패

어미 다슬기는 자연에서 채집한 곳체다슬기를 가평군 북한강어촌계와 청평어촌계에서 총 5

회 130kg을 4월말에 구입하였다. 구입한 친패는 즉시 거머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pH 3.5 이하의

침적수(물 lO f 당 식초 1 f )를 이용하여 30분간 산처래를 하였다.

나. 종묘생산

다슬기 치패 산출은 산출량을 높이기 위하여 노출자극과 수온자극(고온)을 병행하였다

산출 수조는 많P수조(1,뼈mm×2,CXX)mm×SOOm깨에 망목- l.Omm 이하의 원단 천을 깔고 하천쉬17℃)

를 채워 준비하였다. 30분간 음건한 어미 다슬기를 부력이 있는 사각바구니(400mm×300mm×lSOm깨에

0.8∼l kg 정도 담아 산출수조에 띄우고 30분 이내 수판을 28℃까지 급격히 상승시켰다. 수온 상승

30분 후부터 치패가 산출되고 24시간 이내 산출작업을- 종료하였고 산출된 치패는 규조 발생된 사

육지로 이동시켰고/ 산란한 어미 다슬기는 회복 수조로 이동시켜 먹이(자연 발생된 녹조, 삶은배추)

를 7일∼10일간 공급하여 충분히 회복시킨 후 2차 산출작업을 실시하였다.

다. 치패관리 및 자원조성

다슬기 치패의 초기먹이인 부착성 식물플랑크톤(규조류 등) 배양을 위하여 사육수조(108

m’)에 투명 PET파판을 담근 후 10일간 배양하였다. 사육환경은 산출기 4월말 하천수 수

온은 17℃/ 성장기인 5월부터 7월까지는 18∼26℃로 유지하였다/ 환수량은 2일 1회전으로

하였다. 6월초부터 차광막을 설치하여 녹조류 대팡번식과 수온상승을 방지하였다. 먹이는

초기에는 자연 발생된 규조류 둥을 사용하였고/ 먹이가 부족해지는 산출 50일 이후부터

자체 제작한 사료(건조한 잡어와 삶은 단호박 혼합)를 1일 2회 공급하여 성장시켰다. 다

슬기 치패는 산출 후 100일간 자원조성이 가능한 크기 (각고 0.7cm 내외)까지 성장하였고/

치패 1,700천마리를 도내 10개 시 • 군 주요 하천 및 대단위 수변에 방류하였다.

산출수조 온도자극 산출된 치패

파판에 부착된 치패 치페 채포작업 자원조성

그립 7. 다슬기 종묘생산 및 지원조성

ill.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자원조성 I

표 6. 2014년도 우량치어 분양 및 방류실적 (단위 ; 천마리, 천원)

합 계 우량치어 생산보납 토산어종 방류 분 양 (천마리) (천마리I천원) II (천마리) .

어종별 계획 실적

방 류 비고

계획 실적 수량 세입 -}「- 그‘cl= 세입

계 획 실적 시 기

계 2,162 2,220

100 18,000 122 20,495

2,062 2,098

(102%) (122%) (114%) (101.7%)

송 어 70 100

70 10,500 100 14,970 3∼4월

(143%) (142%) (S cm∼7cm)

산천어 30 22

30 7,500 22 5,525 3∼4월

(73%) (74%) -(Scm∼7cm)

τ님S「 어 170 160

170 160 9월

(94%) -(94%) (5∼7cm)

대농갱이 40 48

40 48 7∼9월

(120%) -

(120%) (S cm내외)

동자개 50 70

50 70 8∼9월

(140%) -(140%) (Scm내외)

쏘가리 50 53

50 53 6월

(106%) -(106%) (2cm내외)

다슬기 1,700 1,700

1,700 1,700 7∼9월

(100%) -

(100%) (0.5∼0.7an)

미꾸리 50 65

50 65 9월

(130%) -(130%) (3cm내외)

모래무지 2 2

2 2 7∼9월

(100%) -(100%) (4cm 이상)

벙 어 50,000

53,000 50,000

53,000 3월말 수정란 (106%) -

(106%) (수정란)

세입실적 20,495천원

생산실적 2,200천마리

(계 획 18,000천원의 114%) (계 획 2,162천마리 의 102%)

표 7. 2014년 분양어종 송어류 수익성 분석 산출내역 (단위 : kg, 천마리 , 천원)

분양실적 생 산

예상총수익 순소득

어종별 마리 예상량 생산원가 생산예상량

J ‘- 가구 (c)

단가 금액 (원/kg) 전체 어가당 산출내역

-「 (b) (d) (e)=(이시이 (a)

슴一‘- 어 99.8 14 55,888 14 782,432 307,384 475,048 33,932 99,800미 x80% x0.7kg (5.5)

산천어 22 . 1 8 4,950 12 59,400 19,800 39,600 4,950 22,100미 x80% x0.28kg ( 4)

1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표 8. 우량치어 생산 · 분양현황 (1989 ∼2014) (단위 ; 천마리, 천원)

계 1989∼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어종별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그액 수량 그액 수량 그액 수량 금액

총 계 33,865 1,265,678 33,345.6 1,100,123 149 5κ680 1113.5 46,540 8.9 17,740 126 23,100 122 20,495

영 이 2,023 94,772 2,023 94,772

이스라엘잉어 902 30,053 902 30,053

비단잉이 492 16,072 492 16,072

틸라피아 1,687 136,689 1,687 136,689

때 기 1,417 138,420 1,417 138,420

무지개송어 2,350 258,722 2,062 216,607 46 5,980 59.6 8,940 82 12,225 100 14,970

미꾸리 1,010 1,840 1,010 1,840

금붕어 7 408 7 408

자 라 37 103,325 37 103,325

붕 어 19,645 58,092 19,645 58,092

동자개 3,770 31,330 3,770 31,330

산천이 291 69,590 100 28,190 86 17,200 39 7βm 44 10,875 22 5,525

대농갱이 7 1,050 7 1,050

철갑상어 187.4 324,915 146.6 242,875 17 34,500 14.9 29,800 8.9 17,740

토산우령이 40 400 40 400

ill . 우량치어 생산보급 및 토산어종 자원조성 I

표 9. 내수면 X댐조성 현황 (1989 ∼ 2014) (단위 ; 천마리, 천원)

어종별 합계 89∼06 2007 2008 20091 2010 2011 2012 2013 2014

계 882,000 447,000 35,000 50,000 50,000 50,000 50,000 70,000 77,000 53,아m

수정란

식 벙 어 878,700 443,700 35,000 50,000 50,000 50,000 50,000 70,000 77,。00 53,000

잉 어 3,300 3,300

계 5,917 3,084 255 320 280 373 480 304 425 396

잉 어 1,740 1,065 110 105 100 180 180

용 어 1,597 573 50 110 80 120 150 174 180 160

에 기 474 474

뺑장어 80 75 5

민물새우 20 20

치어땅류 동자개 695 310 25 40 30 50 50 40 80 70

자 라 3 3

무지개송어 152 152

산천어 82 82

대농갱이 231 100 23 60 48

쏘가리 778 230 70 65 70 23 100 67 100 53

미꾸리 65 65

계 10,995 1,325 650 1,000 900 1,050 930 1,740 1,700 1,700

치패방류 다슬기 10,760 1,090 650 1,000 900 1,050 930 1,740 1,700 1,700

토종우렁이 235 235

φ콰 B꾀 '

162

0 。도

I 미*

。률,

교 。

λ줌­

-시 「

야O

N o o

1. 양식기술 교육 및 지도

φ콰 B꾀 '

164

N . 양식기술 교육 및 지도 I

양식기술 교육 및 XI도

양식기술교육 : 이상우 · 김재혁 • 차덕배

양식기술지도 : 수산물얀전팀

경기도해%야산자원연구소에서는 해마다 도내 양식어업안 양어희망자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최신 양식기술 제공과 정보 교환의 장을 마련하여 양식어가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맞춤형 민물

고기 양식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4년도에는 3월/ 12월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총 357병의 교육생이 참여하여 상반기에는 ”실용

수산기술보급”/ 하반기에는 “실용첨단양식”이라는 주제로 활발한 논의와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

어졌다. 특히 방역교육과 연계를 통해 높은 교육 효과를 증가시켰다.

‘ 1 4년 맞춤형 민물고기 양식기술 교육

또한 맞춤형 양식기술교육과 더불어 교육기술지를 발간하여 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양식어민과

양식을 희망하는 일반인들에게 무료로 배부하고 있고 양식어민이 원할 경우 양식장에 직접 방문

하여 질병검샤 사육수 수질 분석을 실시하는 등 찾아까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

으며 전화 및 방문상담도 받고 있다.

연도 집합교육(명) 기술지도(개소) 상담(명I) I 수질분석(건) | 기술지(부) | 비 고

계 2,355 1,542 1,745 986 18종/3,600부

2007 308 116 74 103 4종/800부 ---- ‘·“ -‘----‘--‘--- - -- ---- ‘-------- ---- -------‘· ------‘·‘--

2008 302 156 112 142 2종/뼈부 -- --‘· ‘- --- ----- - .

2α)9 204 106 304 121 II

--‘------------ ---- --- ---- -- ----- ---‘---- -‘·‘ ---‘----““--““ “ .‘----------------2010 244 115 476 119 II

‘’‘--- ‘ 2011 285 153 320 98 3종/600부

2012 312 280 186 131 II

-- ---- ------“ -““ “ “·‘-- ““ ““··“‘--- ------- ---- -- - --- --- ---- --------------- ----‘----‘· ------

2013 343 369 144 143 2종/뼈부 -- -- -““‘ ‘---“----‘- -‘----- ------------ ---- --‘-------- ---‘ .‘ ·‘---- -- ----- --‘ --‘·‘·- --‘ ----“· ‘-2014 357 247 129 129 2종/500부

I 2014년도 시험연구사업보고서

| 참고X펌 | 죄근 5년관 양식11힐교육 내용(2010∼2014) 」

일 시 교 "" 。r 내 용

0 어류사육에 미치는 환경인자들텍 영향(pH, 암모니아를 중심으로)

상반기 0 삼투압조절 등 어류생리를 응용한 앙식기법 및 질병치료 기술소개

(3.17) 0 친환경 앙식 성공사례 (동자개 , 메기 ) 0 마늘추출액을 이용한 철갑상어 앙식 및 캐비어 제조 방법 소개

2010년 (특허관련 연구결과 발표)

하반기 0 2011 내수면 앙식 정잭방향

( 11.25) 0 내수면 연구사업의 기술개발 현황과 전망 0 묵내 내수면 앙식의 활로 모색

상반기 0 관상어 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 0 비단잉어 앙식의 현황과 전망

(3.24) 0 열 대어 앙식사업 가이드 2011 년

하반기 0 인큐베이터식 치어관리법 및 토론 0 뱀장어(민물장어) 인공종묘생산 현황 및 토론

(2 . 9) 0 뱀장어 앙식산업 및 토론

상반기 0 비단잉어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창출 및 토론 0 무지개송어 앙식기술, 현황, 축제, 바다송어앙식 및 토론

(3.29) 0 도내 수산물 안전성조사 토론 2012년

하반기 0 미꾸라지 앙식기술 발표 및 토련 0 앙식잠 시설 기초 및 시공 사례 발표 및 토론

(12.12) 0 착색제를 이용한 열대어 생산기술 발표 및 토론

상반기 0 내수면 앙식과 유통 발전방향 발표 및 토론 0 내수면 앙식장 수질 발표 및 토론

(3 ‘ 28) 0 무지개송어 질병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발표 및 토론 2013년

하반기 0 내수면 중장기 발전계획 0 미생물 총기술을 이용한 흰다리 새우앙식

( 12 . 19) 0 담수어종 질병예방 대잭 및 수산동물 방역조치

0 내수먼 어종(메기 ) 가공 및 유똥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0 경기도해앙수산자원연구소 시험연구사업 사례 발표

상반기 -모래무지 인공종묘 생산 쏘가리 배합사료 순치

(3.27) 0 수산동물 방역기초, 담수어종 절병예방 대잭 0 수산샘물질병관리법의 이해와 발역조치

2014년 0 어업 경영처| 등록제 안내

0 중국의 내수면 어류 샘산 · 소비 동항

하반기 0 BFT앙식 현잠적용 사려|(새우 · 대류) 0 뱀장어 인공종묘생산 및 세계앙식 동항

( 12. 18) 0 미꾸라지 종묘샘산 기술 0 수산질병 예방대책 및 방역조치 등

rv. 양식기술 교육 및 지도 I

해양수산연구서비스 이행표준

1 . 고객중심의 민원서비스 제공

가. 민원신청은 방문/ 전화/ FAX, 인터넷 등 고객이 편리한 방법으로 신청토록하여 고객의 면의를

도모하겠습니다

나. 각종 민원신청 시 몸이 불편하시거나 작성방법을 모르실 경우에 담당공무원이 직접 작성해

드림으로써 민원서류작성에 따른 부담을 덜어 드래겠습니다.

다. 접수된 민원서류는 5분 내에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신속히 처리토록 하겠습니다.

라. 처리된 민원은 인터넷I FAX, 우편 등 원하시는 방법으로 교부해 드리겠습니다‘

마. 단 한번의 민원으로 목적 달성이 될 수 있도록 「one-stop 서비스」 를 적극 실천하겠습니다.

2. 해양수산기술의 연구·개발과 보급

가. 첨단 수산기술의 연구 · 개발과 보급 둥으로 『도민과 함께하는 해양수산자원연구소』 가 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나. 수산 현장에서 일어나는 각종 애로사항이나 연구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기술 둥을 건의하여

주시변 연구과제 심의 시 적극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다. 연구 개발된 기술은 홈페이지 및 세미나/ 교육 등을 통하여 신속히 보급하겠습니다

라‘ 양식장 질병예방관리/ 신속진단 및 치료대책을 효파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어류 질병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마. 고소득 품종양식장을 확대 개발하여 어민 소득원윷 창출하겠습니다.

바. 양식장 적지조사/ 수질분석/ 양식생물질병검사 둥 유효기간이 있는 수산 민원은 기간만료일

전에 처리상황을 전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 토산어종 종묘생산기술을 개발/ 방류하여 수생태계 건강성 및 생물종 다양성을 제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아. 해수변 양식기술 개발 등 고소득 신품종 해양수산 기술역량을 강화하겠습니다.

3. 고객 만족도 조사와 결과 공표

가. 저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활 매년 1회 이상 실시하고 그 결과를 1개월

이내에 연구소 홈페이지에 공개하겠습니다

나. 조사결과 나타난 문제점 및 건의 사항 동에 대하여는 문제점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으며

예산이 수반되는 사안에 대하여는 사업계획 및 예산에 적극 반영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겠습니다.

4. 으|견 제출

- 우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불친절/ 불만족을 느끼셨을 경우 또는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

있을 경우 문서/ 전화, 우편/ 팩스I 인터넷 둥을 통하여 의견을 제시해 주시면 7일 이내에 검토

하여 그 결과를 통보해 드리겠습니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총무팀 : H (031)772-3480, FAX (031)773-8359

경 기도해 양수산자원연구소 홈페 이 지 http:/ /fish.gg.go.kr

주소 ; 우편번호 476-841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상광길 23-2

시험연구사업보고서 제 24 호

2015년 4월

2015년 4월

。12

인쇄

발행

발행인 :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꾸소장 홍 석 우

주 소 : 476-841,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상광길 23-2

전 화 : (031) 772-3480, 5894

편집 인 ; 수산물안전팀장 이상우I 수산기술센터장 김선만

명노진I 서성문I 한정조I 이동훈I 임성률I 최지성 I

작성자 : 조기택 I 김달영 I 안태 영 I 김수현I 윤희정 I 전민지 I

오숭진 I 차덕배 I 김재혁 I 신일수, 정창헌I 김창미

인 쇄 ; 동양인쇄 (032) 432 - 9480

/

r파날헐뽑헬렌똘노그

<J) 화장실

입구

l

를摩원l

@「혔효1

\ 、

\

.야딛.ull~잉iL"..E.tl!.l l~

- 10:00 ∼ 17:00

- 매주 월요일, 설, 추석

걷기도때양수산자원낸연구소 Gye。nggi Province Maritime ~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476-841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상광길 23-2 TEL. 031-772-3480, 772-5894 FAX. 031-773-8359 http://fish.gg. go. 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