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 활 학 과 이 주 현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 활 학 과

이 주 현

Page 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

지도 박 수 현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0 년 12 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 활 학 과

이 주 현

Page 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이주현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년 12월 일

Page 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감사의 글

어렵고 힘들 때마다 격려와 지혜의 영감을 불어넣어 주시는 하나님께 이 논문을

바칩니다. 이 논문을 완성할때까지 세심한 가르침과 아낌없는 격려로 자신감을 갖고

임하도록 지도해주신 박수현 교수님 사랑하고 감사합니다. 학부시절부터 지금까지

인생의 본보기가 되어주시고 스승의 향기를 느끼게 해주신 정보인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저의 실수를 항상 감싸주시면서도 강한 장인정신을 갖도록 가르침을

주신 정민예교수님, 유은영 교수님 감사합니다. 묵묵히 힘이 되어주시고 잔잔한

가르침을 주신 권재성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교수님들의 가르침 덕분에 많이 배우고 많이 성장했습니다. 그리고 부족한 제가

석사라는 칭호를 받게 됐습니다. 이 사랑에 보답할 수 있도록 계속 분발하고

정진하겠습니다. 그리고 논문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도움과 자신감을 일깨워준

인규형, 대학원실이 바쁜 와중에도 논문에 전념할 수 있도록 배려해준 혜연누나,

덕연이, 한솔이에게도 미안하고 감사한 마음 전합니다. 또한 설문조사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끝으로 항상 임마누엘의 하나님을 의지하라고 강조하시면서 사랑으로 기도해주시는

어머니, 딸깍발이 정신으로 학문에 임해야한다고 일깨워주시는 아버지 은혜에 보답할

수 있도록 자랑스러운 아들이 되겠습니다. 항상 내편이 되어주고 기도로 응원해주는

사랑하는 나의 유진이에게도 감사드리고 앞으로 멋진 남자가 되어서 보답하겠다고

약속합니다.

지금부터가 진정한 출발점이라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면서 학문의 길을 가겠습니다.

어렵고 힘든 이웃에게 보탬이 되는 삶을 살아가서 응원해주신 모든분들에게 훌륭한

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

2010년 12월

이주현 드림

Page 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i-

차 례

그림 차례 .................................................................................................................... iv

표 차례 ......................................................................................................................... v

부록 차례 .................................................................................................................... vi

국문 요약 ................................................................................................................... vii

제1장 서론 .................................................................................................................... 1

제2장 연구 방법............................................................................................................ 5

2.1 연구 대상 ............................................................................................................ 5

2.1.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5

2.1.2 대상자의 주거상태 및 가족관계 .................................................................. 7

2.1.3 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 ............................................................................... 8

2.1.4 대상자의 신체적 및 의학적 상태 ................................................................. 9

2.2 연구 도구 .......................................................................................................... 10

2.2.1 생활시간조사 .............................................................................................. 10

2.2.2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형 척도(WHOQOL-BREF) ........... 11

2.3 생활시간 및 활동분류에 대한 신뢰도 및 사회적 여가활동 타당성 검증 ......... 13

2.3.1 사회적 여가활동 타당성 검증............................................................... 13

2.3.2 평가자간 신뢰도 .................................................................................. 14

2.4 분석방법 ................................................................................................... 15

제3장 연구 결과.......................................................................................................... 16

Page 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ii-

3.1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활동 참여시간 ............................................................ 16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양상 ............................................. 21

3.2.1 성별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 21

3.2.2 연령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 22

3.2.3 최종학력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 24

3.2.4 거주지역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 26

3.3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 28

3.3.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 28

3.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0

3.3.2.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0

3.3.2.2 연령군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2

3.3.2.3 최종학력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4

3.3.2.4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6

3.3.3 생활활동 대분류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 ................................. 38

3.3.4 사회적 여가활동 소분류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 ..................... 40

제4장 고찰 .................................................................................................................. 42

제5장 결론 .................................................................................................................. 47

참고문헌 ...................................................................................................................... 49

부록1 ........................................................................................................................... 53

부록2 ........................................................................................................................... 57

부록3 ........................................................................................................................... 59

Page 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iii-

부록4 ........................................................................................................................... 65

영문요약 ...................................................................................................................... 71

Page 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iv-

그림 차례

그림 1. 생활시간조사표 9가지 항목별 시간 사용량 ································· 20

Page 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v-

표 차례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6

표 2. 대상자의 주거상태 및 가족관계 ·················································· 7

표 3. 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 ··························································· 8

표 4. 대상자의 신체적 및 의학적 상태 ················································· 9

표 5. 일상생활 활동의 사회적 여가활동 근접성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 ···· 14

표 6. 시간일지에 기입된 활동시간 및 분류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 ············· 15

표 7.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48시간 동안의 총 평균 활동 참여시간 ············ 16

표 8. 성별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 21

표 9. 연령군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 23

표 10. 최종학력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 25

표 11. 거주지역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 27

표 1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 29

표 13.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1

표 14. 연령군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3

표 15. 최종학력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 35

표 16.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및 참여정도 ····························· 37

표 17. 생활활동 대분류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 ························ 39

표 18. 사회적 여가활동 소분류 영역과 삶의 질 및 삶의 질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 ············································································ 41

Page 1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vi-

부록 차례

부록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53

부록 2. 생활시간조사표 ·································································· 57

부록 3. <2009년 생활시간조사표> 행동분류표 ······································· 59

부록 4.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 65

Page 1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vii-

국문 요약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

본 연구는 도시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활동 분류 및 활동 참여시간형태

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

상자는 치매진단 경험이 없고 일상생활을 방해할 수 있는 심각한 신체질환이 없으며,

질문내용을 이해하고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대도시 및 중소도시 지역의 해당

복지회관, 교회 및 노인대학 소속 노인 155명으로 하였다. 2009년 통계청에서 사용

한 일상생활시간조사표 및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형 척도(WHOQOL-

BREF)가 포함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지가 배포된 후 48시간 동안의 일상

생활 활동기록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들이 완성한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는

통계청에서 제시한 9가지의 행동분류표에 나온 행동들로 분류하여 각각의 행동에 따

른 이틀간의 총 시간사용량을 분으로 계산하였다.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이틀 동안의 총 평균 활동 참여시간을 검토한 결과 도시

거주 노인들은 개인유지를 위한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그 다

음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상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에 따라 사회적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

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적 여가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으며, 66세 이상

의 대상자가 65세 이하의 대상자에 비해 사회적 여가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

였다. 그리고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대도시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사회적

Page 1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viii-

여가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서는 교제 및 여가활동 영역의

미디어 이용,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

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삶의 질 하위영역인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전반적 삶의 질, 일반적 건강인식이 높은 것으로 밝

혀졌다.

본 연구는 여가활동 특히 사회적 여가활동이 노인들의 남은 여생의 삶의 질을 높

여주며, 앞으로 요양병원 및 복지관에서 작업치료사가 치료 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핵심 되는 말 : 시간 사용, 생활시간조사, 일상생활활동, 사회적 여가활동, 삶의 질

Page 1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2018년에

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14%이상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

고 있다(이갑용 외 2010). 노년기에는 신체적 퇴행과 질병으로 외부활동이 줄어들

며, 소득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 여유의 부족으로 여가 내용이나 그 질은 오히려 단

순해지며, 전반적 삶의 질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김진욱 2006). 또한 자신

들의 역할이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노년기 대부분의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내면서 삶의 의미에 대한 혼란을 겪는다(양영순 2007). 현대사회에서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의 독립성이 필요하며, 독립적인 작업수행

시간들을 균형 있게 사용하는 것은 작업치료적으로 삶의 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중요하다(Fricke, and Unsworth 2001). 하지만 시간 사용의 불균형이 초래

되면, 한쪽으로 치우친 작업수행 패턴의 결과로 나머지 작업영역들을 수행할 여지를

남겨두지 않게 되어 건강 및 삶의 질에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홍승

표, 이지은, 박선희 2008).

시간의 효율적인 사용은 현대인이 의미 있는 활동을 성공적으로 추구하는데 영향

을 미치고 (김영근 2006) 생활양식 및 생활향상, 그리고 나아가서는 삶의 질을 결

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개인의 활동유형과 시간 사용은 결코 분리 시킬 수 없

다(최윤지 외 2007). 그러므로 시간사용을 파악하는 것은 개인의 가치에 따라 의무

적인 활동과 비의무적인 활동을 어떻게 주관적으로 선택하는지 알려주는 작업균형

(occupational balance)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하며(홍승표, 이지연 2010; Backman

Page 1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

2005), 나아가 노인들의 효율적인 시간사용을 통해 시간에 얽매이거나 역할부담에

서 벗어나 그들이 원하는 목적 있는 활동을 자유롭게 추구하며, 즐길 수 있다

(Chilvers, Corr, and Singlehurst 2010).

여가활동은 가족 및 일에 대한 의무 또는 사회적인 제약에서 벗어나서 자유롭게

시간을 보내며, 기분전환을 하고 지식을 넓히고, 자발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창

조력을 발휘하기 위해 행하는 활동이다(허준수 2002). 여가활동 중에서 특히 사회

적 여가활동은 일과 관련 없는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행하는 활동으로 친구 및 친척

집에 방문하거나 친구와 같이 운동을 하는 활동 등이 있다.

노년기에는 퇴직 이후 사회경제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이로 인해 발생되는 시간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이영숙, 박경란 2009)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역할상실로

인한 고독감을 해소하고 나아가 자기존중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행복감을 추구할

수 있게 한다(백종욱, 김성오, 김미양 2010). 또한 여가 활동은 사회적 관계를 만들

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이현기 2007), 근골격계 및 신경계 등의 퇴화를

지연시킴으로써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다(Lennartsson, and Silverstein

2001). 여가활동 중에서 특히 사회적 여가활동은 일과 관련 없는 사회적인 관계 속

에서 행하는 활동으로 친구 및 친척 집에 방문하거나 친구와 같이 운동을 하는 활동

등이 있다(Garcia et al. 2008).

백종욱, 김성오와 김미양(2010)은 60세 이상 노인 522명을 대상으로 노인 여가

시설 이용자의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여가활

동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echhetti, Giachin 와

Pelloni(2010)는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사회적 여

가활동은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arcia 등(2008)의 연

Page 1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

구에서도 사회적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대상자가 독서, 컴퓨터 게임과 같은 단독 여

가활동에 참여하는 대상자보다 행복감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들의 일상생활 활동의 시간 사용에 대

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여가활동 중에서 심리사회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는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연구가 미흡하며 노인들이 참여하는 활

동과 시간 사용의 양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여가활동, 특히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

정도를 알아보고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사회의 변화

는 농촌에 비하여 도시에서 더 빠른 속도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도

시에서 살아가게 되는 노인의 절대적, 상대적 숫자는 꾸준히 증가해 나갈 것이므로

(한경혜, 윤성은 2009)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시간사용 및 형태에 대한 연구

가 필요하다. 실제로 한국사회 도시노인들의 삶의 질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건강,

소득, 여가활동, 주거환경 등이 있는데, 그 중 여가활동이 노동환경의 변화로 노인

삶에 새롭게 정착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노인들의 여가에 대한 정책이나 사회적 관

심이 필요하다(한형수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48시간 동

안의 일상생활 활동 참여시간을 통계청(2009)에서 사용하는 일상생활시간조사분류

표를 통해 알아보고, 다양한 활동들 중에서 사회적 여가활동에 투자하는 시간의 양

이 삶의 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 시간이 많을수록 삶

의 질이 높을 것이다.

Page 1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

이 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이틀간의 일상생활 활동 분류 및 참여시간형태

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여가 활동 및 삶의 질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에 대해 탐색하였

다.

Page 1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

제 2장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2.1.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치매진단 경험이 없고 일상생활을 방해할 수 있는 심각한 신체질환

이 없으며, 질문내용을 이해하고,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도시지역 거주 일반

노인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청(2007)의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인구 100

만 이상의 대도시 (서울, 광주), 인구 50-100만명 사이의 중도시 (성남, 전주),

그리고 인구 20-50만명 사이의 소도시 (순천, 원주) 총 6개 지역의 해당 복지회

관, 교회 및 노인대학을 우선 연락한 후 각 기관장이나 담당자에게 설문지를 전달

하여 설문지 작성방법에 대한 설명을 한 후 각 기관 소속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

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본 연구의 목적을 대상자들에게 설명 한

후 참여에 동의한 경우에 한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지가 배포된 후 이틀 동안의 일

상생활 활동기록지를 완성하도록 하였으며 해당 기관 담당장를 통해 연구자에게

전달되었다. 자료는 2010년 8월 16일부터 9월 1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총 233

부가 회수되었으나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분석이 불가능한 자료를 제외한 155

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표1에 제시되었다. 성별 구성은 남자가 81명(52.3%),

여자가 74명(47.7%)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9.53 (SD=4.81)세이었다. 거주지역

과 관련하여 대도시 70명(45.2%), 중도시 13명(8.4%), 소도시 72명(46.5%)이

모집되었다. 대상자의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자가 57명(36.8%), 대학교 졸업

Page 1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

자가 46명(29.7%) 순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기독교인이 80명(51.6%)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표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55)

구분 빈도(%)

성별 남 81(52.3)

여 74(47.7)

연령

60-65 세 39(25.1)

66-70 세 61(39.3)

71-75 세 36(23.3)

76-80 세 13(8.3)

81-85 세 6(3.8)

지역

대도시 70(45.2)

중도시 13(8.4)

소도시 72(46.5)

졸업학교

무학 4(2.6)

초등학교 25(16.1)

중학교 18(11.6)

고등학교 57(36.8)

대학교 46(29.7)

대학원이상 5(3.2)

종교

기독교 80(51.6)

무교 23(14.8)

불교 19(12.3)

유교 1(0.6)

천주교 31(20)

기타 1(0.7)

Page 1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7-

2.1.2 대상자의 주거상태 및 가족관계

대상자의 현재 거주 및 가족현황에 대한 결과가 표2에 제시되었다. 기혼상태라고

보고한 대상자가 128명(82.6%), 사별이 22명(14.2%), 이혼이 5명(3.2%) 이었으

며, 동거가족으로는 배우자 125명(80.6%), 자녀 59명(38.1%) 순으로 많았다. 대상

자의 자녀 수는 3-4명이 90명(58.1%)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표2. 대상자의 주거상태 및 가족관계 (N=155)

구 분 빈도(%)

결혼상태

기혼 128(82.6)

이혼 5(3.2)

사별 22(14.2)

동거가족

(복수응답)

배우자 125(80.6)

사위 9(5.8)

며느리 7(4.5)

자녀 59(38.1)

손주 14(9)

동거가족 없음 19(12.3)

자녀 수

없다 1(0.6)

1 명 5(3.2)

2 명 37(23.9)

3 명 42(27.1)

4 명 48(31)

4 명 이상 22(14.2)

Page 2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8-

2.1.3 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

대상자 중 98명(63.2%)이 자신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보통”으로 보고하였으

며 대상자의 84.5%가 월 수입이 현재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대상자 중

118명(76.1%)이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 대

상자 중에서는 농업이 6명(3.9%), 사무직이 5명(3.2%), 서비스업이 3명(1.9%), 수

송이 2명(1.3%), 건축업과 제조업과 전문직이 각각 1명(0.6%)이었다(표3).

표3. 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 (N=155)

구분 빈도(%)

사회 경제적 수준 매우 나쁘다 3(1.9)

나쁜 편이다 19(12.3)

보통이다 98(63.2)

좋은 편이다 31(20)

매우 좋다 4(2.6)

월수입 있다 131(84.5)

없다 24(15.5)

현재직업 무직 118(76.1)

농업 6(3.9)

사무직 5(3.2)

건축업 1(0.6)

제조업 1(0.6)

서비스업 3(1.9)

수송 2(1.3)

전문직 1(0.6)

기타 18(11.6)

Page 2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9-

2.1.4 대상자의 신체적 및 의학적 상태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4에 제시되었다. 대상자 중 123명

(79.4%)은 의학적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혈압이 61명(39.4%)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관절염 (n=32, 20.6%), 당뇨 (n=23, 14.8%),

암 (n=6, 3.7%)으로 보고되었다. 대상자의 113명(72.9%)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이 있었고 120명(77.4%)이 일상생활 수행을 방해할만한 신체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현재 보고하고 있는 질병이 일상생활에서의

수행을 방해하는 수준이 아님을 시사한다.

표4 . 대상자의 신체적 및 의학적 상태 (N=155)

구 분 빈도(%)

의학적 질병 유 123(79.4)

무 32(20.6)

진단명

(복수응답)

고혈압 61(39.4)

관절염 32(20.6)

당뇨 23(14.8)

심장 및 혈관질환 18(11.6)

암 6(3.7)

전립선관련질환(예: 전립선비대증) 5(3.1)

허리관련질환(예: 허리디스크) 5(3.1)

기타 10(10.1)

현재 복용약 유 113(72.9)

무 42(27.1)

신체적 어려움 유 35(22.6)

무 120(77.4)

Page 2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0-

2.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26개 문항, 대상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단축형) (만성길 외 2000),

그리고 대상자가 이틀 동안 참여한 활동을 기록하는 생활시간조사(통계청 2009)로

구성되었다.

2.2.1 생활시간조사

생활시간조사는 통계청이 1999년 제1차 조사에 이어 5년 주기로 국민들의 생활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조사로서 국민들이 이틀 동안 시간을 어떤 형태

로 보내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국민의 생활방식 (life style)과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통계청 2009). 생활시간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일지는 10분 간격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조사대상 가구원이 자신이 주로 한 행동 및

동시행동으로 구분하여 일기 쓰듯이 이틀 동안 기입하도록 되어있다. 2009년 생활

시간조사에서 사용된 행동분류표는 행동 목적에 따라 행동을 9개 대분류, 50개 중분

류, 144개 소분류로 구분해 놓고 있다. 대 분류 9개 행동은 개인유지, 일, 학습, 가정

관리, 가족 보살피기, 참여 및 봉사활동, 교제 및 여가활동, 이동, 기타가 있다.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 사례집(2009)에 따르면 개인유지는 외모와 건간관리 등

개인유지를 위한 행동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일은 유급 및 무급의 생산적인 일로 정

의하고 있다. 학습은 초.중.고.대학(원)생, 직업 전문학교 학생, 진학을 목적으로 한

학원생의 학습과 관련된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학습활동

을 노인학교 혹은 복지관에서 수강중인 수업활동들로 정의하였다. 가정관리는 자신의

Page 2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1-

가족 및 친척, 가구를 위한 가정 유지, 관리 행동에 속한다고 말하고 있다. 가족 보살

피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가족을 보살피는 일체의 행동으로 말하고 있으며, 참여 및

봉사활동은 친구, 이웃 등 남을 돕는 행동을 포함하여 국가나 사회를 위한 의무적 또

는 자발적 참여 활동으로 말하고 있다. 또한 교제 및 여가활동은 교제 및 여가를 위

한 각종 활동을 말하며, 이동은 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한 건물 내에서의

이동은 이동분류로 하지 않고 있다. 기타는 생활시간조사표 기입과 빈칸인 경우, 글씨

를 알아볼 수 없는 경우로 이야기 하고 있다. 기타활동은 행동분류 사례집에서 정의

한 내용 뿐만 아니라 8가지 행동분류에 속하지 않아 분류에 어려움이 있는 행동들도

포함 시켰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간일지는 통계청이 2009년 9월에 실시한 제2차 생활시간조

사에 포함된 자료로 대상자가 설문지를 받은 당일 아침 6시부터 10분 간격으로 주로

한 행동을 연속 이틀 동안 총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을 기입하도록 하였다. 연

구자는 직접 시간일지에 기입한 행동들을 행동분류표를 보고 분류한 뒤 각각의 행동

에 따른 이틀간의 총 시간사용량을 분으로 계산하였다.

2.2.2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형 척도(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BREF :

WHOQOL-BREF, 2002)

본 연구에서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적합한 삶의 질 평가도구로 쉽고 간편

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형 척도(WHOQOL-BREF)

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WHOQOL-BREF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평가를 위해

WHOQOL-100의 24개의 하부척도인 신체적 건강영역(physical health), 심리적

Page 2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2-

영역(psychological), 사회적관계영역(social relationships), 환경영역(environment)

각각으로부터 한 항목씩 선택되어 구성되었고,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과 일반적인

건강인식 영역으로부터 한 항목씩 선택되어 총 26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

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는데‘매우 불만족하다’는 1점으로,‘불만족하다’

는 2점으로,‘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다’는 3점으로,‘만족하다’는 4점으로,

‘매우 만족하다’는 5점으로 응답하도록 만들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은 부정적인 문항은 역 배점을 적용하여 6점에서 해당 점수를 뺀 값을 문항 점수

로 한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계산되도록 하였다.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형 척도(WHOQOL-BREF)는 2000년 민성

길 등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436-.731범위였고 내적 일

관성인 Cronbach’s alpha는 .898이었으며 각 영역별로는 .583에서 .777의 범위였

다(민성길 등, 2002).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인 Cronbach’s alpha 값은 .94이었

다.

Page 2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3-

2.3 생활시간 및 활동분류에 대한 신뢰도 및 사회적 여가활동

타당성 검증

2.3.1 사회적 여가활동 타당성 검증

본 연구의 주 관심영역이 사회적 여가활동인바, 생활시간 조사표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동들 각각이 얼마나 사회적 여가활동으로 타당한지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

다. 이를 위해 작업치료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이고 작업치료사 자격증을 소유하고

있는 3명의 전문 평가자들을 대상으로 144개 행동 각각에 대해 얼마나 사회적 여가

활동에 적합하는지를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설문지 항목 점수는‘전혀 근

접하지 않다’(1점)에서‘매우 근접하다’(5점)으로 답하도록 하였으며 각 소 항목

별로 3명의 전문 평가자들의 평균점수를 구한 후 다시 9개 행동 대 분류 항목에 대

한 평균점수를 구하였다. 5점에 근접할수록 제시된 일상생활 활동이 사회적 여가활

동에 속한다고 평가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 9개의 대분류 항목 중‘항목 및

봉사활동’ 과 ‘ 교제 및 여가활동 ’ 이 평균값이 각각 4.13 (SD=0.55)과 4.28

(SD=0.66)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를 통해 행동분류표에서 밝히고 있는 여가활

동 분류체계가 사회적 여가활동에 속한다는 타당성이 검증되었다(표5).

Page 2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4-

표 5. 일상생활 활동의 사회적 여가활동 근접성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

행동 분류표 항목 M(SD)

개인유지 2.1(0.85)

일 2.33(0.39)

학습 3.47(0.32)

가정관리 2.89(0.51)

가족 보살피기 2.71(0.56)

참여 및 봉사활동 4.13(0.55)

교제 및 여가활동 4.28(0.66)

이동 2.78(0.87)

기타 2.67(0.47)

* 척도: 1점(전혀 근접하지 않다) ~ 5점(매우 근접하다)

2.3.2 평가자간 신뢰도

대상자가 시간일지에 기입한 행동들에 대한 연구자가 측정한 이틀간의 총 시간과

행동분류표에 근거한 분류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검사자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를 측정하였다. 작업치료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 있는 평가자

에게 임의로 선택된 대상자 30명의 일상생활조사표에 대한 측정을 각 활동에 대한

시간계산 및 활동에 대한 분류를 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른 자료를 연구자의 결과치

와의 상관성을 Pearson’ s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유지(r=.96),

일(r=.96), 가정관리(r=.95), 가족 보살피기(r=.39), 참여 및 봉사활동(r=.94), 교

제 및 여가활동(r=.48), 이동(r=.54), 기타(r=.45) 활동 영역에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표6).

Page 2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5-

표6. 시간일지에 기입된 활동시간 및 분류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 (N=30)

행동 분류표 항목 r

개인유지 .96**

일 .96**

학습 -.04

가정관리 .95**

가족보살피기 .39*

참여및봉사활동 .94**

교제및여가활동 .48**

이동 .54**

기타 .45*

* p<.05, ** p<.01

2.4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버전의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활동 대 분류에 따른 평

균참여시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

인 성별, 연령, 최종학력과 9가지 활동참여시간 및 사회적 여가활동, 삶의 질, 삶의

질 하위영역을 비교하기 위해서 t-test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여가활

동 세부영역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Page 2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6-

제 3장 연구 결과

3.1 생활 시간 조사에 근거한 활동 참여시간

대상자는 활동조사표에 나와 있는 50개의 중분류 항목들에서 수면 887.1분

(SD=153.98), 미디어 이용 360.77분(SD=223.16), 식사 및 간식 303.74분

(SD=134.67),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 220.87분(SD=199.11),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209.23분(SD=215) 순으로 시간을 많이 사용하였고, 9가지 대분류 항목들

에서는 개인유지 1,292분(SD=238.87), 교제 및 여가활동 1,034분(SD=412.43),

가정관리 214.65분(SD=215.39), 일 151.22분(SD=364.41) 순으로 시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7).

표 7.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48 시간 동안의 총 평균 활동참여 시간 (N=155)

활동분류 분(SD)

Ⅰ. 개인유지 1292.13(238.87)

수면 887.1(153.98)

식사 및 간식 303.74(134.67)

개인관리 52.32(68.36)

건강관리(의료적) 28.39(66.43)

기타 개인유지 20.58(29.53)

Page 2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7-

표 7.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48 시간 동안의 총 평균 활동참여 시간 (N=155)

활동분류 분(SD)

Ⅱ. 일 151.22(364.41)

고용된 일 및 자영업 125.16(352.85)

무급가족종사일(농림어업 제외) 0(0)

농림어업의 무급가족종사일 20.84(96.01)

자가소비를 위한 농림어업일 3.16(39.36)

구직활동 0(0)

일 관련 물품구입 0(0)

기타 일 관련행동 2.06(25.70)

Ⅲ. 학습 15.48(61.94)

학생의 정규수업 12.19(56.02)

학생의 정규수업 외 학습 3.29(26.78)

학습 관련 물품구입 0(0)

Ⅳ. 가정관리 214.65(215.39)

음식준비 및 정리 90.65(129.77)

의류관리 19.55(52.09)

청소 및 정리 49.16(61.64)

집 관리 20.71(61.30)

가정관리 관련 물품구입 30.06(53.83)

가정경영 3.94(16.30)

기타 가사일 0.58(5.37)

Page 3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8-

표 7.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48 시간 동안의 총 평균 활동참여 시간 (N=155)

활동분류 분(SD)

Ⅴ. 가족 보살피기 12.84(48.77)

미취학 아이 보살피기 3.74(21.69)

초.중.고등학생 보살피기 1.68(15.28)

배우자 보살피기 0(0)

부모 및 조부모 보살피기 0.77(9.64)

그 외 가족 보살피기 6.65(35.57)

Ⅵ. 참여 및 봉사활동 27.35(75.46)

이웃 및 친분이 있는 사람 돕기 2.97(22.57)

참여활동 1.48(18.47)

자원봉사 22.90(71.12)

Ⅶ. 교제 및 여가활동 1034.01(412.43)

교제활동 70.58(133.86)

일반인의 학습 35.26(87.02)

미디어 이용 360.77(223.16)

종교활동 106.84(171.13)

관람 및 문화 행사 참여 3.94(22.61)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209.23(215)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 220.87(199.11)

교제 및 여가활동 관련 물품 구입 0.26(3.21)

기타 여가 관련 행동 26.26(116.07)

Page 3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19-

표 7.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48 시간 동안의 총 평균 활동참여 시간 (N=155)

구 분 분(SD)

Ⅷ. 이동 95.3(96.86)

개인유지 관련 이동 3.03(15.77)

출.퇴근 및 그 외 일 관련 이동 16.84(49.01)

통학 및 학습 관련 이동 0(0)

가정관리 관련 이동 0(0)

가족 보살피기 관련 이동 0.52(6.43)

참여 및 봉사활동 관련 이동 4.39(22.57)

교제활동, 일반인의 학습 및 그 외 여가 활동

관련 이동

(미디어, 종교, 관람, 스포츠, 취미 등)

29.68(55.40)

기타이동 40.84(77.22)

이동하기 위해 기다리기 0(0)

Ⅸ. 기타 37.49(126.21)

생활시간조사 조사표 기입

(조사담당자와 전화통화, 조사 관련 대화등) 1.81(9.97)

그 외 기타 35.68(126.12)

Page 3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0-

그림 1. 생활시간조사표 9 가지 항목별 시간 사용량

Page 3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1-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양상

3.2.1 성별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생활시간조사의 9 가지 활동의 대분류에 대한 대상자들의 참여시간 중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참여활동은 일(t=3.28; p<.05), 학습(t=2.16; p<.05),

가정관리(t=-10.46; p<.05), 참여 및 봉사활동(t=-2.03; p<.05), 교제 및

여가활동(t=-2.12; p<.05)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일과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을

평균적으로 사용하였고, 가정관리, 참여 및 봉사활동, 교제 및 여가활동에서 여성에

비해 더 적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8).

표8. 성별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N=155)

남 여 t

M(SD) M(SD)

개인유지 1271.36(222.10) 1314.86(255.57) -1.13

일 237.78(451.71) 56.49(197.79) 3.28*

학습 25.31(79.34) 4.73(31.15) 2.16*

가정관리 80.12(107.58) 361.89(207.67) -10.46*

가족 보살피기 6.79(41.41) 19.46(55.27) -1.60

참여 및 봉사활동 15.43(49.25) 40.41(95) -2.03*

교제 및 여가활동 80.12(107.58) 361.89(207.67) 2.12*

이동 104.69(98.58) 85(94.54) 1.27

기타 39.01(142.92) 35.81(105.89) .16

* p<.05

Page 3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2-

3.2.2 연령에 따른 9가지 활동 참여시간

연령군에 따라 9가지 활동 참여시간을 비교한 결과 일(F=4.04, p<.05), 학습

(F=3.06, p<.05), 교제 및 여가활동(F=4.61,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떤 연령군에서 이러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하여 Tukey’s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6-70세 사이의 대상자(M=75.08, SD=249.74)에 비

해 65세 이하의 대상자(M=334.87, SD=511.78)가 일과 관련된 활동에 더 많은 시

간을 투자하였고, 학습활동은 76세-80세 사이의 대상자(M=66.92, SD=108.58)가

65세 이하(M=0, SD=0) 및 71-75세 사이의 대상자(M=11.11, SD=47.44)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제 및 여가활동은 65세 이하의

대상자(M=816.67, SD=403.51)에 비해 66-70세(M=1056.56, SD=370.42), 71-

75세(M=1144.17, SD=472.44), 76-80세(M=1230.77, SD=273.27), 81-85세

(M=1130, SD=199.30)의 대상자가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9).

Page 3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3-

표 9. 연령군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N=155)

* p<.05

사회적 여가활동 65세 이하

M(SD)

66-70세

M(SD)

71-75세

M(SD)

76-80세

M(SD)

81-85세

M(SD)

F 사후검증

개인유지 1366.15(253.14) 1289.84(249.96) 1225.56(223.60) 1226.15(144.89) 1376.67(160.33) 2.13

일 334.87(511.78) 75.08(249.74) 149.44(366.04) 32.31(79.28) 0(0) 4.04* 65세이하>66-70

학습 0(0) 17.05(72.95) 11.11(47.44) 66.92(108.58) 15(36.74) 3.06* 76-80>65세이하, 71-75

가정관리 209.23(235.93) 241.97(209.42) 203.61(219.21) 183.85(196.96) 105(151.62) .73

가족보살피기 24.36(68.24) 5.08(27.24) 7.22(30.29) 16.15(58.24) 43.33(106.14) 1.68

참여 및 봉사활동 16.92(52.67) 32.62(84.28) 27.22(68.98) 27.69(99.85) 41.67(102.06) .31

66-85>65세이하

교제 및 여가활돵 816.67(403.51) 1056.56(370.42) 1144.17(472.44) 1230.77(273.27) 1130(199.30) 4.61*

이동 103.59(103.83) 96.89(103.48) 89.17(81.04) 80.77(93.76) 93.33(100.33) .18

기타 9.74(30.82) 61.80(188.59) 25.28(59.02) 24.62(39.71) 71.67(111.07) 1.27

Page 3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4-

3.2.3 최종 학력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최종 학력에 따라 9 가지 활동 참여시간을 비교한 결과 오직 가정관리(F=4.09,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떤 학력집단에서 이러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ukey’s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학력이 초등학교인

대상자(M=353.6, SD=227.96)가 대학교 졸업 대상자(M=125.87, SD=186.42)에

비해 가정관리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0).

Page 3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5-

표 10. 최종 학력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N=155)

*p<.05

무학

M(SD)

초등학교

M(SD)

중학교

M(SD)

고등학교

M(SD)

대학교

M(SD)

대학원이상

M(SD)

F 사후검증

개인유지 1277.50(239.77) 1294.80(239.36) 1254.44(252.24) 1278.95(237.97) 1325(247.24) 1274(192.56) .30

일 0(0) 72(224.89) 265.56(562.21) 172.46(374.40) 152.83(346.07) 0(0) .94

학습 0(0) 10(50) 0(0) 8.95(40.25) 35.65(95.65) 0(0) 1.50

가정관리 202.5(141.51) 353.6(227.96) 242.78(180.81) 215.61(219.73) 125.87(186.42) 234(194.76) 4.09* 국민학교> 대학교

가족 보살피기 0(0) 18.8(53.72) 25.56(75.09) 5.61(36.25) 16.09(51.40) 0(0) .73

참여 및 봉사활동 20(40) 34.8(90.97) 35.56(90.05) 31.58(85.06) 18.48(51.51) 0(0) .39

교제 및 여가활동 1270(259.49) 1016.8(398.87) 976.11(442.11) 1014.56(425.14) 1051.74(419.02) 1198(303.35) .53

이동 110(127.28) 62.4(71.90) 64.44(75.63) 98.77(104.15) 115.65(101.86) 132(85.26) 1.55

기타 0(0) 19.2(48.04) 10(25.21) 55.79(165.77) 38.26(132.33) 42(57.62) .58

Page 3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6-

3.2.4 거주 지역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대상자의 거주 지역에 따라 9 가지 활동 참여시간을 비교한 결과 개인유지

(F=3.85, p<.05),일(F=4.35,p<.05), 교제 및 여가활동(F=9.27,p<.05), 이동

(F=4.62, p<.05)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떤 지역에서 이런 차이가 나

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ukey ’ s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도시

(M=1433.08, SD=330.87)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소도시(M=1248.06, SD=194.14)

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개인유지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일은 대도시(M=240.14, SD=472.34)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소도시(M=63.61,

SD=184.87)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으며, 교제 및 여가활동은

소도시(M=1177.36, SD=364.55)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대도시(M=895.86,

SD=409.25)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이동은 대도시

(M=114.29, SD=107.55)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중도시(M=30.77, SD=62.64)에 거

주하는 대상자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11).

Page 3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7-

표 11. 거주지역에 따른 9 가지 활동 참여시간 비교 (N=155)

대도시

M(SD)

중도시

M(SD)

소도시

M(SD) F 사후검증

개인유지 1311.29(251.78) 1433.08(330.87) 1248.06(194.14) 3.85* 중도시>소도시

일 240.14(472.34) 157.69(356.21) 63.61(184.87) 4.35* 대도시>소도시

학습 11.57(63.10) 0(0) 22.08(65.95) .95

가정관리 209.0(219.82) 254.62(211.41) 212.92(213.97) .25

가족 보살피기 17.86(57.43) 10.77(38.83) 8.33(40.66) .69

참여및봉사활동 24.0(83.40) 0(0) 35.56(73.33) 1.36

교제및여가활동 895.86(409.25) 983.85(442.94) 1177.36(364.55) 9.27* 소도시>대도시

이동 114.29(107.55) 30.77(62.64) 88.47(85.33) 4.62* 대도시>중도시

기타 57.71(180.34) 7.69(27.74) 23.19(45.19) 1.74

*p<.05

Page 4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8-

3.3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3.3.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거주지역, 학력에 따른 삶의 질 비교는

표 12에 제시되었다. 일반적 특성 중 학력(F=3.73, p<.05)에서 삶의 질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떤 학력에서 이런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Tukey’ s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학력이 대학교(M=85.78, SD=13.66)인 노인

들의 삶의 질이 초등학교(M=74.6, SD=11.19)인 노인들의 삶의 질보다 더 높았다.

Page 4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29-

표 1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N=155)

*p<.05

변수 구분 삶의 질

M(SD) t/F 사후검증

성별 남 81.90(13.64)

1.10 여 79.51(13.29)

연령대

65세 이하 78.10(14.52)

.81

66-70세 81.78(13.05)

71-75세 85.15(14.64)

76-80세 79(17.60)

81-85세 80.76(13.49)

거주지역

대도시 78.61(14.53)

1.75 중도시 80.85(9.18)

소도시 82.83(12.90)

학력

무학 69.75(14.06)

3.73* 대학교>초등학교

초등학교 74.6(11.19)

중학교 78.56(13.99)

고등학교 80.09(12.97)

대학교 85.78(13.66)

대학원이상 89.8(6.02)

Page 4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0-

3.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군, 최종학력,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에 대해 분석하였다.

3.3.2.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표13에 나와있다. 사회적 여가활동인

참여 및 봉사활동 영역인 자원봉사(t=-2.26, p<.05)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다.

자원봉사에 투자한 시간은 여자(M=36.22, SD=92.41)가 남자(M=10.74,SD=40.40)

보다 많았다. 그리고 사회적 여가활동인 교제 및 여가활동 영역에서는 일반인의 학습

(t=3.05, p<.05), 미디어 이용(t=2.16, p<.05), 종교활동(t=-5.34, p<.05),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t=2.44, p<.05),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t=2.15, p<.05)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다. 일반인의 학습에 투자한 시간은 남자(M=55.12,

SD=109.59)가 여자(M=13.51, SD=43.56)보다 많았으며, 미디어는 남자

(M=397.04, SD=240.55)가 여자(M=321.08, SD=196.44)보다 이용한 시간이 많

았다. 또한 종교활동은 여자(M=177.57, SD=200.49)가 남자(M=42.22,

SD=104.13)보다 많았으며, 스포츠 및 집 밖의 레저활동은 남자(M=248.89,

SD=232.22)가 여자(M=165.81, SD=186.45)보다 많았다. 마지막으로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은 남자(M=253.40, SD=222.52)가 여자(M=185.27, SD=164.05)보다

많았다.

Page 4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1-

표 13.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N=155)

성별 M (SD) t

남 여

참여 및

봉사활동 이웃 및 친분

있는 사람 돕기 4.69(29.92) 1.08(9.30) .00

참여활동 0(0) 3.11(26.74) -1.05

자원봉사 10.74(40.40) 36.22(92.41) -2.26*

교제 및

여가활동

교제활동 58.15(141.42) 84.19(124.59) -1.22

일반인의학습 55.12(109.59) 13.51(43.56) 3.05*

미디어이용 397.04(240.55) 321.08(196.44) 2.16*

종교활동 42.22(104.13) 177.57(200.49) -5.34*

관람 및 문화

행사참여 3.83(19.91) 4.05(25.37) -.06

스포츠 및 집 밖의

레저활동 248.89(232.22) 165.81(186.45) 2.44*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 253.40(222.52) 185.27(164.05) 2.15*

교제 및 여가활동관련

물품구입 .49(4.44) 0(0) 1.00

기타여가관련 행동 40.25(154.43) 10.95(42.75) 1.577

*p<.05

Page 4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2-

3.3.2.2 연령군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사회적 여가활동인 참여 및 봉사활동에서 이웃 및 친분이 있는 사람 돕기 활동

(F=5.185, p<.05)이 연령군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제 및 여가활동에서

총 미디어 이용(F=4.512, p<.05)에서도 유의미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노

인의 어떤 연령에서 이러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Tukey’s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웃 및 친분이 있는 사람 돕기 활동은 81-85세(M=41.67,

SD=102.06) 노인이 65세 이하(M=0, SD=0), 66-70세(M=1.80, SD=10.88),

71-75세(M=2.78, SD=16.67), 76-80세(M=0, SD=0) 노인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으며, 미디어 이용은 76-80세(M=513.08, SD=326.84), 81-85세

(M=563.33, SD=317.60) 노인이 65세 이하(M=282.05, SD=169.15) 노인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표14).

Page 4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3-

표 14. 연령군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N=155)

사회적 여가활동 65세 이하

M(SD)

66-70세

M(SD)

71-75세

M(SD)

76-80세

M(SD)

81-85세

M(SD)

F 사후검증

이웃,친분있는사람돕기 0(0) 1.80(10.88) 2.78(16.67) 0(0) 41.67(102.06) 5.185* 81-85세 가장 높음

참여활동 5.90(36.83) 0(0) 0(0) 0(0) 0(0) .739

자원봉사 11.03(39.39) 30.82(84.25) 24.44(67.97) 27.69(99.84) 0(0) .629

교제활동 83.59(140.82) 75.57(151.11) 41.94(98.24) 79.23(118.78) 88.33(132.88) .559

일반인의학습 18.59(78.81) 32.79(79.17) 36.11(79.58) 66.15(110.04) 96.67(167.89) 1.549

미디어이용 282.05(169.15) 345.08(208.95) 383.89(196.60) 513.08(326.84) 563.33(317.60) 4.512* 76-80, 81-85>65세이하

종교활동 69.49(125.28) 125.25(177.38) 113.89(184.27) 146.92(238.76) 33.33(68.02) 1.115

관람 및 문화 행사참여 0(0) 6.89(31.55) 5.28(22.36) 0(0) 0(0) .726

스포츠,집밖의레저활동 207.82(204.21) 205.16(224.20) 233.06(249.18) 180(148.60) 180(91.87) .200

취미및 그 외 여가활동 147.95(172.23) 250.41(200.94) 260.28(219.06) 216.15(198.60) 168.33(117.88) 2.166

교제 및 여가활동관련

물품구입 1.03(6.41) 0(0) 0(0) 0(0) 0(0) .739

기타여가관련 행동 6.15(30.14) 15.41(64.56) 69.72(215.20) 29.23(78.47) 0(0) 1.804

*p<.05

Page 4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4-

3.3.2.3 최종학력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최종학력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 시간에 대한 결과가 표15에 나와있다. 사회

적 여가활동인 교제 및 여가활동에서 종교활동(F=3.24, p<.05)과 취미 및 그 외 여

가활동(F=2.80, p<.05)이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어

떤 최종학력 집단에서 이와 같은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 정도에서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Tukey ’ s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학력이 초등학교

(M=176, SD=201.52)인 노인이 대학교(M=43.48, SD=96.25)인 노인보다 종교활

동을 많이 하였고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은 무학(M=472.5, SD=152.62)인 노인이

초등학교(M=127.2, SD=148.98)인 노인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Page 4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5-

표15. 최종학력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N=155)

사회적 여가활동 무학

M(SD)

초등학교

M(SD)

중학교

M(SD)

고등학교

M(SD)

대학교

M(SD)

대학원 이상

M(SD) F 사후검증

이웃,친분있는사람돕기 0(0) 3.2(16) 13.89(58.93) 2.28(13.76) 0(0) 0(0) 1.05

참여활동 0(0) 9.2(46) 0(0) 0(0) 0(0) 0(0) 1.04

자원봉사 20(40) 22.4(80.89) 21.67(72.62) 29.30(84.74) 18.48(51.51) 0(0) .23

교제활동 67.5(115.87) 92.4(122.96) 77.78(121.78) 71.23(172.09) 55.87(95.44) 66(56.83) .25

일반인의학습 55(110) 8.4(42) 12.78(33.22) 37.19(87.11) 49.46(105.65) 82(152.05) 1.31

미디어이용 245(145.26) 412(318.60) 347.22(201.28) 335.26(220.37) 384.35(177.60) 320(193) .77

3.24*

1.49

종교활동 280(373.90) 176(201.51) 93.33(170.36) 121.75(174.59) 43.48(96.25) 84(118.45) 초등학교>대학교

관람 및 문화 행사참여 0(0) 4.4(22) 10.56(44.78) 0(0) 4.13(19.84) 24(53.67)

스포츠,집밖의레저활동 150(122.75) 176.4(204.49) 227.22(239.16) 186.4(213.14) 237.5(222.48) 356(162.27) .96

취미및 그 외 여가활동 472.5(152.62) 127.2(148.98) 202.78(193.75) 223.60(209.65) 248.70(199.58) 266(146.73) 2.80* 무학>초등학교

교제 및 여가활동관련

물품구입 0(0) 0(0) 0(0) 0(0) 0.87(5.90) 0(0) .47

기타여가관련 행동 0(0) 20(63.05) 4.44(18.86) 39.12(158.22) 27.39(110.16) 0(0) .37

* p<.05

Page 4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6-

3.3.2.4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

대상자의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에 대한 결과가 표16에 나와

있다. 그 결과 거주지역에 따라 사회적 여가활동인 교제 및 여가활동에서 일반인의학

습(F=7.62, p<.05), 미디어이용(F=11.95, p<.05), 종교활동(F=4.00,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떤 지역에서 이와 같은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정도에서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Tukey’s 사후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의 학습활동은 소도시(M=63.13, SD=108.78)가 중도시(M=0, SD=0)

와 대도시(M=13.14, SD=56.43) 보다 더 많았으며, 미디어이용은 소도시

(M=446.67, SD=247.02)가 대도시(M=275.71, SD=172.30)보다 더 많았다. 종교

활동은 중도시(M=205.38, SD=221.19)가 소도시(M=73.33, SD=135.61)보다 더

많았다.

Page 4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7-

표 16.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 및 참여정도 (N=155)

*p<.05

대도시

M(SD)

중도시

M(SD)

소도시

M(SD)

F 사후검정

이웃및친분있는사람돕기 0(0) 0(0) 6.39(32.90) 1.56

참여활동 3.29(27.49) 0(0) 0(0) .60

자원봉사 20.71(79.61) 0(0) 29.17(68.36) .99

교제활동 75.14(139.64) 111.54(135.02) 58.75(127.92) .93

일반인의학습 13.14(56.43) 0(0) 63.13(108.78) 7.62* 소도시>중도시,대도시

미디어이용 275.71(172.30) 343.08(143.49) 446.67(247.02) 11.95* 소도시>대도시

종교활동 123.0(186.19) 205.38(221.19) 73.33(135.61) 4.00* 중도시>소도시

관람 및 문화 행사참여 2.71(16.14) 0(0) 5.83(29.11) .55

스포츠및집밖의레저활동 190.57(187.58) 146.92(239.80) 238.61(233.28) 1.49

취미및 그 외 여가활동

교제 및 여가활동 관련 물품구입

201.0(200.79)

0(0)

176.92(138.59)

0(0)

248.13(205.11)

0.56(4.71)

1.35

.57

기타여가관련 행동 14.57(70.75) 0(0) 42.36(154.38) 1.39

Page 5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8-

3.3.3 생활활동 대 분류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

생활활동 대 분류에 대한 대상자의 참여시간과 삶의 질 및 삶의 질 하위영역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가 표17에 제시되어 있다. 개인유지(r=-.21)와 일(r=-.28)

에 시간을 많이 투자할수록 삶의 질이 낮았으며, 교제 및 여가활동(r=.36)에 시간을

많이 투자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그리고 개인유지(r=-.27)에 시간을 많이 투자할

수록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 신체적 건강영역이 낮았으며, 교제 및 여가활동(r=.31)에

시간을 많이 투자할수록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 신체적 건강영역이 높았다. 심리적 건

강영역에서는 개인유지(r=-.22), 일(r=-.25)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제 및

여가활동(r=.36)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는 일(r=-.28)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습(r=.17)과 교제 및 여가활동(r=.26)은 정적 상관관계

가 있었다. 환경영역에서는 일(r=-.27)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제 및 여가활

동(r=.24)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반적 삶의 질 영역에서는 일(r=-.34)에 시

간을 많이 투자할수록 낮았으며,, 교제 및 여가활동(r=.33)에 시간을 많이 투자할수

록 높았다. 일반적 건강인식 영역에서는 개인유지(r=-.19),일(r=-.23)과 부적 상관

관계가 있었고, 교제 및 여가활동(r=.34)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5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39-

표17. 생활활동 대분류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 (N=155)

* p<.05, ** p<.01

변수 삶의 질 삶의 질 하위영역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전반적

삶의 질

일반적

건강인식

개인유지 -.21** -.27** -.22** -.10 -.09 -.08 -.19*

일 -.28** -.13 -.25** -.28** -.27** -.34** -.23**

학습 .15 .14 .15 .17* .08 .13 .08

가정관리 -.06 -.17* -.06 .05 .01 .02 -.07

가족보살피기 -.02 -.04 -.08 -.04 .06 .03 -.02

참여 및 봉사활동 .04 .07 .06 .01 .01 .07 -.07

교제 및 여가활동 .36** .31** .36** .26** .24** .33** .34**

이동 .13 .15 .12 .06 .12 -.10 .03

기타 -.04 -.02 -.10 -.08 .01 -.00 -.02

Page 5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0-

3.3.4 사회적 여가활동 소분류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

사회적 여가활동의 하위영역인 참여 및 봉사활동과 교제 및 여가활동 세부 영역

참여시간과 삶의 질 및 삶의 질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은 교제

및 여가활동 세부영역인 미디어이용(r=.20),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r=.24),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r=.23)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신체적 건강영역은 스포

츠 및 집 밖의 레저활동(r=.23),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r=.24)과 정적 상관관계

가 있었다. 심리적 건강영역은 미디어이용(r=.24),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r=.20),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r=,26)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적 관계

영역은 미디어이용(r=.19),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r=.18)과 정적 상관관계 가 있

었다. 환경영역은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r=.20)과 교제 및 여가활동 관련 물품

구입(r=.18)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반적 삶의 질 영역은 미디어 이용

(r=.24),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r=.23)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

로 일반적 건강인식 영역은 미디어이용(r=.21),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r=.20),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r=.19)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표18).

Page 5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1-

표18. 사회적 여가활동 소분류 영역과 삶의 질 및 삶의 질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 (N=155)

* p<.05, ** p<.01

변수 구분 삶의 질 삶의 질 하위영역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전반적

삶의 질

일반적

건강인식

참여 및

봉사활동

이웃 및 친분 있는 사람돕기 .07 .07 .06 .10 .02 .07 .09

참여활동 -.01 .01 .04 .03 -.10 .06 -.01

자원봉사 .03 .05 .04 -.03 .03 .03 -.10

교제 및

여가활동

교제활동 -.05 -.08 -.06 -.06 .01 -.02 -.05

일반인의학습 .04 .03 .10 -.01 -.01 .06 .06

미디어이용 .20* .12 .24** .19* .12 .24** .21*

종교활동 .03 .05 .01 .06 -.02 .09 .07

관람 및 문화행사참여 .12 .10 .09 .09 .14 .00 .06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24** .23** .20* .13 .20* .23** .20*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 .23** .24** .26** .18* .11 .09 .19*

교제및여가활동관련물품구입 .14 .10 .11 .03 .18* .06 .09

기타여가관련행동 .02 .02 -.00 -.02 .05 -.02 .03

Page 5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2-

제4장 고 찰

본 연구는 도시에 거주하는 만60세 이상의 일반 노인들의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시간 사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통계청에서 5년 주기로 시행하는 생활시간조사표를

토대로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유형 및 노인들의 시간사용 비중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와 더불어 다양한 활동 중에서 노인들이 사회적 여가활동에 투자하는 시간의 양을

분석하였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 정도

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개인유지에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고, 그 다음

교제 및 여가활동에 시간을 많이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청(2009)에서

발표한 60대 이상 대상자의 평균 참여시간과 동일한 결과로 노년기에는 직장으로부

터 은퇴하여 의무적 노동시간이 감소함과 더불어, 가정적 책임의 감소로 인해 여가

활동시간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노화로 인한 기력의 쇠퇴로 수면을 많이 취하거나

건강관리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홍성희 2002).

사회적 여가활동에 속하는 참여 및 봉사활동과 교제 및 여가활동은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교제 및

여가활동인 학습, 미디어 이용, 스포츠 및 집 밖의 레저활동, 취미 및 그 외 여가활

동을 하는 남자노인의 참여시간보다 사회참여 및 봉사활동의 일환인 자원봉사 그리

고 교제 및 여가활동의 하나인 종교활동을 하는 여자노인의 참여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즉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공식적이

거나 비공식적인 자원봉사활동에 많이 참여한다고 보고(Cutts 2006; Home Office

Citizenship Survey 2005)한 내용과 자원봉사단체 참여빈도가 여자노인이 남자노인

Page 5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3-

보다 더 높으며 이는 여자노인 간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원봉사가 일어나는 분야에서

더 친밀하게 엮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한 연구(이현기 2009)와 일치한다. 종

교활동 역시 여자노인보다 남자노인의 참여시간이 많으며 이는 여성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사회활동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김미령 2008).

사회적 여가활동과 대상자의 연령과의 관계에서는 교제 및 여가활동의 유의한 관

계가 있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교제 및 여가활동의 참여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이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특정 일과 관련된 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므로 상

대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듬에 따른 결과로 보여진다. 이는

고령노동자가 노동시장으로부터 완전 은퇴하는 연령이 적게는 65세, 많게는 71세에

이르고 있다는 연구(우석진 2010; 원종학 외 2008; OECD 2009)처럼 65세에서

71세 사이의 대상자들 대부분이 일에 참여하므로 71세-85세 사이의 대상자들에 비

해 상대적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에 투자 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 노인들의 거주 지역에 따른 사회적 여가활동의 참여정도가 다

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제 및 여가활동의 하나인 학습활동, 미디어이용 및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은 대도시에 비해 중소도시 거주 노인들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소도시에 사는 대상자의 교제 및 여가활동이 대도시

에 사는 대상자보다 더 많은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대도시 이외 도시에서의

경제적 수입이 상대적으로 더 적기 때문에 우울증과 같은 심리사회적 어려움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로 인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복지관 설립 및 여가공

간 확장 등 사회적인 차원의 지지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에 부분적으로 기인

된 것으로 보여진다(Chen et al. 2005).

생활활동 대분류 영역 중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서는 사회적

Page 5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4-

여가활동의 하위영역 중 하나인 참여 및 봉사활동에서는 삶의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

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제 및 여가활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왔다. 특히, 교제

및 여가활동 영역에서는 미디어 이용,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취미 및 그 외 여

가활동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삶의 질 하위영역인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전반적 삶의 질, 일반적 건강인식 전반에 걸쳐 유의

미하였다.

“ 작업치료의 실행구조: 영역과 과정 ”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OTA 2008)에서 작업수행영역 중 하나인 여가

활동을 일, 자기관리, 수면을 제외한 자유로운 시간에 행하는 활동으로 계획하고 도구

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참여할 수 있다고 정의하고 있으며, 작업수행영역 중 하

나인 일은 보수가 있는 직장에 근무하거나 자원봉사활동으로 지칭하고 있으며 사회적

참여영역은 사회적 울타리안에서 다른사람들과 교제하는 활동들로 정의하고 있다. 다

시 말하면 통계청에서 제시한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표에 나와 있는 교제 및 여가활

동은 작업치료의 실행구조: 영역과 과정에서 정의한 여가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

며, 참여 및 봉사활동은 일, 사회적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교제 및 여가

활동영역만 사회적 여가활동으로써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생활활동 대 분류 영역 중 개인유지와 일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서 흥미로

운 결과가 나왔다. 개인유지 중 하나인 수면은 노인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불면증 등

의 수면장애를 가지게 되면 삶의 리듬이 불규칙적으로 바뀌게 되어 건강유지가 어려

우며 삶의 질이 낮아지게 된다(Hudson, and Alessi 2008).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개인유지와 일에 시간을 더 많이 투자할수록 삶의 질이 떨

어졌는데 이는 개인유지에서 주로 혼자 식사 및 간식을 드시거나 불충분한 수면에

Page 5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5-

시간을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세부 사회적 여가활동인

미디어 사용,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

자하는 것은 삶의 질 및 하위영역에 전반적으로 높은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

다. 여기서 한번 더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즐겁고 의미있는 사회적 여가활동에 참

여하는 것은 신체적 능력을 강화시키고 우울증, 외로움을 감소시키는 것 이외에 다

른 사람들과의 교제를 통해 사회적 관계망을 성장시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기

대수명을 높이게 한다는 점이다(Cheung et al. 2009).

본 연구의 제한점은 조사 지역이 6개 지역인 대도시(서울, 광주), 중도시(성남,

전주), 소도시(순천, 원주)로 분류할 때 특정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으며, 대상자 수가

몇몇 지역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도시에

거주하고 특정 종교활동을 하고 있고, 고학력자인바, 일반 노인을 대표하기에는 제한

이 있다. 또한 통계청에서 제시한 생활시간조사표가 자기보고식이기 때문에 연구자

의 주관적인 평가 및 판단으로 분석하는 것이므로, 노인들의 실제 생활시간을 정확

하고 객관적으로 보여주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노인들의 학습이 여가관련학습인

지 정규직 학습인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통계청에서 정의한 학습과는 다르게 연구

자가 임의로 노인대학 및 복지관 학습을 행동분류표의 학습으로 분류를 했기 때문에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노인들의 학습을 정규 학습과 여가관련학습으로 분류하여 시

간조사를 하는 게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의 생활시간 패턴이 비교적 일정할

수 있지만, 평일과 주말의 생활시간패턴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는 48시간 동안 노인들의 시간사용을 측정하는데에 있어 요일을 통제하지 못하였으

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주중에 생활하는 시간과 주말에 생활하는 시간을 각

각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Page 5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6-

앞으로의 연구에는 좀 더 객관적으로 그리고 다방면적으로 노인들의 생활시간에

대해 알 수 있는 설문지 및 평가방안을 개발하고 분석하여 노년기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침서를 통하여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야겠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으로 노인들의 생활시간을 분석하기 위해서 생활시간

조사표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를 실시하였으며, 여가활동 영역 중 구체적으로 사회

적 여가활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타당도를 실시하여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노인들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며, 앞으로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노인들의 생활시간에서 여가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떠한지

좀 더 객관적으로 알아본 연구가 드물기 때문에 본 연구를 기점으로 더 많은 연구가

나오길 바라며 초고령화 사회에서 삶의 질 향상은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으므로 작업

치료사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인들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작업활동인 기능적인

독립성, 사회적 참여 유지, 위험요소 예방 등을 계획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여가활동 특히 사회적 여가활동이 노인들의 남은 여생의 활력소로 작

용하며, 앞으로 요양병원 및 복지관에서 작업치료사가 노인들의 여가활동과 관련된

치료계획 및 활동 메뉴얼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Page 5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7-

제 5장 결론

본 연구는 155명의 만60세 이상의 도시거주 노인들에게 이틀간의 일상생활

활동기록지(통계청, 2009) 및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형 척도(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BREF: WHOQOL-BREF, 2002)를 일상생활 활동 분류 및 활동

참여시간형태에 대해 조사하여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이틀 동안의 총 평균 활동 참여시간을 검토한 결과

도시거주 노인들은 개인유지를 위한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여가활동에 속하는 참여 및 봉사활동과 교제 및 여가활동은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이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사회적 여가활동과 대상자의 연령과의

관계에서는 연령이 66세에서 85세 사이인 대상자가 65세 이하 대상자보다 교제 및

여가활동의 참여하는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거주 노인에 비해 지방

도시거주 노인들이 교제 및 여가활동의 하나인 학습활동, 미디어이용 그리고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에 시간을 전반적으로 더 많이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서는 교제 및 여가활동 영역의

미디어 이용,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

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활동에 시간을 더 많이 투자할수록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전반적 삶의 질,

일반적 건강인식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Page 6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8-

본 연구는 여가활동 특히 사회적 여가활동이 노인들의 남은 여생의 활력소로 작

용하며, 앞으로 요양병원 및 복지관에서 작업치료사가 치료 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Page 6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49-

참고문헌

김미령. 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지, 28(1): 33-48.

김영근. 2006. 시간 사용 분석과 활동 균형에 관한 연구. 대구보건대학논문집, 273-

288.

김진욱. 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 149-

177.

백종욱, 김성오, 김미양. 2010. 노인들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임상사회

사업연구, 7(1) : 37-58.

양영순. 2007.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

조사연구, 16 : 1-26.

우석진. 2010. 한국 고령노동자의 부분은퇴와 노동시장 복귀. 한국노년학회지, 30(2):

499-513.

원종학, 김종면, 전병힐, 우석진. 2008. 고령자의 노동공급과 조세, 재정정책.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이갑용, 송원호, 강장석, 이재희, 조용근. 2010. 고령화시대 노인의 경제활동에 관한

연구.경영컨설팅 리뷰, 1(1):147-162.

이영숙, 박경란. 2009.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 1-12.

이현기. 2007. 노인여가활동의 연령 차이 연구:연령집단의 구성적 특징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8 : 231-256.

이현기. 2009. 생산적 노화활동으로서 노인자원봉사활동:인적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5:317-346.

Page 6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0-

최윤지, 김경미, 이진영, 강경하. 2007. 농업인 부부의 생활시간 조사 분석. 농촌지도

와 개발, 14(1) : 231-247.

통계청. 2009. 2009 생활시간조사. 서울:통계청.

통계청. 2007. 2007 한국의 사회지표. 서울:통계청.

한경혜, 윤성은. 2009. 도시노인의 여가공간과 생활세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1):103-121.

한형수. 2004. 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사회복지정책, 19:113-142.

허준수. 2002.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한국노년학

회지, 22(2) : 227-247.

홍성희. 2002. 노인의 생활시간배분 실태와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

학회지, 17-31.

홍승표, 이지은, 박선희. 2008. 재활병원에 입원한 척수손상환자들의 작업수행 문제들

과 시간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4) : 89-98.

홍승표, 이지연. 2010.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 대한 시간사용. 대한작업치료

학회지, 18(1) : 95-106.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2008.”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2nd ed)”.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6):625-683.

Backman, C. 2005. Occupational balance. In M. Law, C. Baum, & W. Dunn. (Eds.),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2nd ed.,pp.287-300). Thorofare, NJ:

Slack.

Becchetti, L., Giachin, E., and Pelloni, A.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Working Paper,

Page 6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1-

63: 1-37.

Chen, R., Wei, L., Hu, Z., Qin, X., Copeland, J. R. M., and Hemingway, H. 2005.

“Depression in older people in rural china”.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5:2019-2025.

Cheung, M. C., Ting, W., Chan, L. Y., HO, K. S., and Chan, M. W. 2009. “Leisure

particip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dwelling elders

in Hong Kong”. Asian Journal of Gerontology & Geriatrics, 4(1):15-23.

Chilvers, R., Corr, S., and Singlehurst, H. 2010. “Investigation into the

occupational lives of healthy older people through their use of time”.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7: 24-33.

Cutts, A. 2006. “Older male volunteers in social care and community action”.

Volunteering in the Third Age, 1-17.

Fricke, J., and Unsworth, C. 2001. “Time use and importanc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48:118-

131.

Garcia, V.R., Godoy, R., Huanca, T., Leonard, W.R., McDade, T.W., Tanner, S.,

Vadez, V., Broesch, J., Fitzpatrick, I., Gerkey, D., Giovannini, P., Rodriguez,

M.R.M., Mallen, I.R., and Vento, M. 2008. “The pay-offs to sociability:

Solitary and social leisure and happiness”. Tsinane ’ Amazonian Panel

Study Working Paper, 25:1-21.

Home Office. 2005. Home office citizenship survey. London: Home Office.

Hudson, A.K., and Alessi, C.A. 2008. “Sleep and quality life in older people”.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Clinical Medicine, 1:131-138.

Page 6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2-

Lennartsson, C., and Silversteiin, M. 2001. “Dose engagement with life enhance

survival of elderly people in Sweden? The role of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Gerontology, 56(6):335-342.

OECD. 2009. Society at a glance. Paris:OECD Publishing.

.

Page 6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3-

부록 1. 설문지의 일반적 사항

귀하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사항입니다.

1. 귀하의 실제 생년월일은 언제입니까?

(양력/음력) ( )년 ( )월 ( )일

2.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 남자 ☐ 여자

3. 현재 결혼상태는 어떠합니까?

☐ 기혼 ☐ 이혼 ☐ 별거 ☐ 사별 ☐ 미혼

4. 현재 동거하고 있는 가족 구성원에 모두 표시해 주세요.

☐ 배우자 ☐ 사위 ☐ 며느리 ☐ 자녀 ☐ 손주 ☐ 동거가족 없음

5. 최종 졸업한 학교는 무엇입니까?

☐ 무학 ☐ 국민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대학원 이상

6. 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 기독교 ☐ 천주교 ☐ 불교 ☐ 이슬람 ☐ 무교 ☐기타(____________)

7. 귀하의 자녀는 몇명입니까?

☐ 없다 ☐ 1 명 ☐ 2 명 ☐ 3 명 ☐ 4 명 ☐기타(____________)

Page 6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4-

8. 귀하 가정의 경제적 생활수준은 어느 정도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나쁘다

☐ 나쁜 편이다

☐ 보통이다

☐ 좋은 편이다

☐ 매우 좋다

9. 귀하는 월수입 혹은 정기적으로 받는 용돈이 있습니까?

☐ 있다 ☐ 없다

10. 현재 직업은 있으십니까?

☐ 직업없음 ☐ 농업 ☐ 사무직 ☐ 건축업

☐ 통신업 ☐ 보건 ☐ 제조업 ☐ 서비스업

☐ 수송 ☐ 전문직 ☐ 기타

11. 과거 직업은 있으셨습니까?

☐ 직업없음 ☐ 농업 ☐ 사무직 ☐ 건축업

☐ 통신업 ☐ 보건 ☐ 제조업 ☐ 서비스업

☐ 수송 ☐ 전문직 ☐ 기타

12. 의사로부터 질병에 대한 진단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 있다 ☐ 없다

13. 만약 진단을 받은 적이 있다면 해당되는 진단명에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심장 및 혈관질환 ☐ 고혈압 ☐ 관절염 ☐ 당뇨

☐ 기타

Page 6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5-

14. 현재 복용하고 계시는 약이 있습니까?

☐ 있다 ☐ 없다

15. 복용하고 계시는 약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예) 혈압약, 감기약, 관절염약 등

16. 현재 일상생활이나 외출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 것을 방해하는 신체적 어려움이

있으십니까?

☐ 있다 ☐ 없다

17. 신체적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예)거동의 어려움, 청각/시력 이상 등

18. 현재 직계가족간의 사이가 어떻습니까?

☐ 매우 좋다 ☐ 좋다 ☐ 보통이다 ☐ 나쁘다 ☐ 매우 나쁘다

19. 일주일에 친지나 자녀의 평균 방문 횟수는 몇번입니까?

☐ 없다 ☐ 1-2 번 ☐ 3-4 번 ☐ 5-6 번 ☐ 7 번이상

20. 지난 2 주동안 이사를 하신 적이 있습니까?

☐ 있다 ☐ 없다

21. 지난 2 주동안 직장을 그만두신 적이 있습니까?

☐ 있다 ☐ 없다

Page 6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6-

22. 지난 2 주동안 친구나 가족구성원 중 사망한 분이 계십니까?

☐ 있다 ☐ 없다

23. 만약 사망한 분이 계시다면 누구입니까?

24. 지난 2 주동안 사고(넘어짐, 교통사고 등)나 질병으로 인해 건강상태가

악화된 적이 있습니까?

☐ 있다 ☐ 없다

25. 만약 건강상태가 악화된 적이 있다면 무엇 때문입니까?

26. 지금 현재 정기적으로 하고 계신 여가활동 3 가지를 가장 많이 하시는 순서대로

적어주세요.

(여가활동이란 직업상의 일이나 필수적인 가사활동들(수면, 식사, 일)을 수행한

후 남는 시간에 행하는 활동)

Page 6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7-

부록 2. 생활시간조사표

생활시간조사표는 국민들이 주어진 하루 24 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통계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로 시간일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시간일지는 설문지를 나눠드린 해당 날의 아침 6 시부터 연속 이틀 동안(48 시간)

10 분 간격으로 주로 하신 행동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만약 오늘 오후 2 시에 본

설문지를 받으신다면, 오늘 아침 6 시부터 하신 활동을 기록해 주시면 됩니다.

작성하실 때 다음 사항을 참고하세요.

① 10 분단위로 일기 쓰듯이 구체적으로 기입해 주십시오.

* 10 분 내에 여러 가지 행동을 연속해서 했다면, 가장 긴 행동을

기준으로 한 가지만 기입합니다.

* 같은 행동을 10 분 이상 했다면, 시작한 시간의 기입칸에만 행동을

기입하고, 끝난 시간까지는 화살표표시(↓)를 해주십시오.

② 주무셨을 경우 잠자리에 드신 시간부터 일어나신 시간까지 ↓ 해주십시오.

③ 최대한 자세하게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동을 했을 때는 어떻게(무엇으로) 이동했는지도 기입합니다.

(예: 걸어서 출근)

* 인터넷을 이용했을 때는 이용한 목적이 무엇이었는지도 기입합니다.

(예: 인터넷으로 운동화 쇼핑)

* 함께한 사람은 "주행동을 당신이 아는 누군가와 같이 했느냐?를 의미합니다. (단,

불특정 다수인 군중, 모르는 사람은 제외)

함께한 사람이 여러 명일 경우 모두 기입합니다.

Page 7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8-

Page 7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59-

부록 3. <2009년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표

1 개인유지

중분류 | 소분류 | 세부내용

11 수면

111 수면

112 낮잠, 졸음

12 식사 및 간식

121 가족과의 식사

122 혼자 식사

123 가족 외 사람과의 식사

124 간식과 음료

13 개인관리

131 개인위생

132 외모관리(화장, 옷갈아입기 등)

133 이미용 관련 서비스 받기

14 건강관리(의료적)

141 자가치료

142 의료서비스 받기

143 아파서 쉼

19 199 기타 개인유지

2 일

21 고용된 일 및 자영업

211 주업

212 부업

213 일 중 휴식

214 일 관련 연수

215 집에 가져와서 일함

216 그 외 일 관련 행동

22 220 무급가족종사일(농림어업 제외)

23 230 농림어업의 무급가족종사일

24 240 자가소비를 위한 농림어업일

25 250 구직활동

Page 7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0-

26 일 관련 물품구입

261 일 관련 직접 쇼핑

262 일 관련 무점포 쇼핑(인터넷, TV홈쇼핑 등)

29 299 기타 일 관련 행동

3 학습

31 학습의 정규수업

311 수업

312 정규수업 사이의 휴식

313 학교에서의 스스로 학습

314 학교행사

319 학교에서의 기타 학습 관련 행동

32 학생의 정규수업외 학습

321 정규수업 외 수강

322 학교외에서의 스스로 학습

329 학교외에서의 기타 학습 관련 행동

33 학습 관련 물품구입

331 학습 관련 직접 쇼핑

332 학습 관련 무점포 쇼핑(인터넷, TV홈쇼핑 등)

4 가정관리

41 음식준비 및 정리

411 식사준비

412 설거지, 식후정리

413 간식 및 비일상적 음식 만들기(저장식품 등)

42 의류관리

421 세탁 및 세탁물 널기

422 옷정리(세탁물 걷기, 옷장정리 등)

423 다림질, 바느질, 의류손질

424 의류수선, 세탁 서비스 받기

425 재봉, 뜨개질

43 청소 및 정리

431 방, 물품 정리

432 집안청소(쓸기, 닦기)

433 그 외 청소 및 정리

44 집 관리

Page 7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1-

441 가재도구, 집 직접 손질하기

442 세차, 차량 직접 관리하기

443

444

445

446

그 외 집 직접 관리하기

가재도구, 집 손질 관련 서비스 받기

세차, 차량 관련 서비스 받기

그 외 집 관련 서비스 받기

45 가정관리 관련 물품구입

451 생활용품 관련 직접 쇼핑

452 내구재 관련(생활용품 제외)직접 쇼핑

453 생활용품 관련 무점포 쇼핑(인터넷, TV 홈쇼핑 등)

454 내구재 관련(생활용품 제외)무점포 쇼핑

(인터넷, TV홈쇼핑 등)

46 가정경영

461 가계부 정리

462 가정계획

463 은행 및 관공서 일보기

49 499 기타 가사일

5 가족보살피기

51 미취학 아이 보살피기

511 신체적 돌보기(씻기기, 먹이기, 재우기 등)

512 공부 봐주기, 책 읽어주기

513 놀아주기

514 미취학 아이 간호

519 기타 미취학 아이 보살피기

52 초.중.고등학생 보살피기

521 씻기기, 등.하교 도와주기

522 숙제 및 공부 봐주기

523 선생님과 상담 및 학교 방문

524 초.중.고등학생 간호

529 기타 초.중.고등학생 보살피기

53 배우자 보살피기

531 배우자 간호

532 기타 배우자 보살피기

Page 7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2-

54 부모 및 조부모 보살피기

541 부모 및 조부모 간호

542 기타 부모 및 조부모 보살피기

55 그 외 가족 보살피기

551 그 외 가족 간호

559 기타 그 외 가족 보살피기

6 참여 및 봉사활동

61 이웃 및 친분이 있는 사람 돕기

611 소득이 있는 활동 돕기

612 가사활동 돕기

619 기타 일 돕기

62 참여활동

621 의무적 참여활동

622 자발적 참여활동

63 자원봉사

631 가계부 정리

632 가정계획

633 은행 및 관공서 일보기

634 재해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관련

639 기타 자원봉사(헌혈, 무료 상담 등)

7 교제 및 여가활동

71 교제활동

711 전화를 이용한 교제(문자메시지 포함)

712 가족, 친척과의 교제

713 그 외 사람들과의 교제

714 인터넷을 이용한 교제(채팅, 이메일 등)

715 성묘, 벌초

719 기타 교제 관련 행동

72 일반인의 학습

721 외국어 관련 학습

722 컴퓨터 관련 학습

723 자격증, 취업 관련 학습(기능, 기술 등)

724 취미 관련 학습

729 기타 일반인의 학습

Page 7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3-

73 미디어 이용

731 신문

732 잡지

733 TV

734 비디오, DVD, PMP, DMB

735 라디오

736 CD, TAPE, MP3 등

737 인터넷 정보검색(무선인터넷 포함)

738 인터넷 기타(개인 홈페이지, 블로그 관리, 영화 등)

74 종교활동

741 개인적 종교 활동

742 종교 집회, 모임 참가

743 그 외 종교 관련 행동

75 관람 및 문화 행사 참여

751 영화(극장/비디오방)

752 연극, 콘서트

753 전시회, 박물관

754 스포츠 경기 관람

755 그 외 관람 및 문화행사 참여 관련 행동

76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 활동

761 걷기, 산책

762 등산, 하이킹(삼림욕 포함)

763 체력단련을 위한 개인 운동

(맨손체조, 수영, 헬스, 에어로빅, 요가 등)

764 그 외의 단체 스포츠(농구, 축구, 볼링, 당구, 골프, 배드민턴

인라인스케이트, 기타 구기 등)

765 드라이브, 소풍, 관광 및 구경

766 그 외 집 밖의 레저활동(낚시, 캠핑, 놀이공원 등)

77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

771 독서

772 컴퓨터 게임(휴대용 게임기 포함)

773 놀이(바둑, 장기, 화투, 카드, 아이들놀이 등)

774 그 외 취미활동(서예, 만들기, 모으기. 연주하기 등)

775 유흥(술, 춤, 노래방)

776 담배 피우기

Page 76: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4-

777 아무것도 안하고 쉼

78 교제 및 여가활동 관련 물품구입

781 교제 및 여가활동 관련 직접 쇼핑

782 교제 및 여가활동 관련 무점포 쇼핑(인터넷, TV홈쇼핑 등)

79 799 기타 여가 관련 행동

8 이동 81 811 대분류1 개인유지관련이동

82 821 대분류2 출, 퇴근

822 대분류2 그 외 일 관련 이동

83 831 대분류3 통학 및 학습 관련 이동

84 841 대분류4 가정관리 관련 이동

85 851 대분류5 가족 보살피기 관련 이동

86 861 대분류6 참여 및 봉사활동 관련 이동

87

871 중분류71 교제활동 관련 이동

872 중분류72 일반인의 학습 관련 이동

873 중분류73-79 그 외 여가활동 관련 이동

89 891 기타이동

80 800 이동하기 위해 기다리기

9 기타

91 919 생활시간조사 조사표 기입

(조사담당자와 전화통화, 조사 관련 대화 등)

99 999 그 외 기타

Page 77: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5-

부록4.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단축형)

이 질문지는 당신의 삶의 질, 건강 및 인생의 여러 영역들에 대해 어르신이 어떻게

느끼는지 묻는 것입니다. 빠뜨리는 문항 없이 모든 문항에 답변하십시오. 만일

질문에 대한 답변이 불확실할 경우, 가장 적절해 보이는 답변을 하나 고르십시오.

어르신이 가지고 있는 희망(바램), 기쁨, 관심사를 마음속에 떠올려 보세요. 이

질문지는 어르신이 최근 2 주 동안(오늘을 포함해서)에 본인의 삶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 것입니다.

다음 각 질문을 읽고, 어르신의 느낌을 평가한 후, 본인에게 가장 적절한 답의

번호에 동그라미를 치세요.

1. 어르신은 본인의 삶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겠습니까?

매우 나쁨 나쁨 나쁘지도 좋지도 않음 좋음 매우 좋음

1 2 3 4 5

2. 어르신은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다음은 어르신이 지난 2 주 동안(오늘을 포함해서) 어떤 것들을 얼마나 많이

경험하였는지를 묻는 질문들입니다.

Page 78: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6-

3. 어르신은 (신체적) 통증으로 인해 본인이 해야 할 일들을 방해 받는다고 느낍니

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4. 어르신은 일상생활을 잘 하기 위해 치료가 필요합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5. 어르신은 인생을 즐기십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6. 어르신은 본인의 삶이 의미 있다고 느낍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7. 어르신은 정신을 잘 집중할 수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8. 어르신은 일상생활에서 안전하다고 느낍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Page 79: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7-

9. 어르신은 건강에 좋은 주거환경에 살고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다음 문제들은 지난 2 주간(오늘을 포함해서) 어르신이 어떤 것들을 "얼마나

전적으로" 경험하였으며 혹은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묻는 것입니다.

10. 어르신은 일상생활을 위한 에너지를 충분히 가지고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11. 어르신의 신체적 외모에 만족합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12, 어르신은 본인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13. 어르신은 매일 매일의 삶에서 본인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

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Page 80: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8-

14. 어르신은 레저(여가)활동을 위한 기회가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15. 어르신은 여기저기 잘 돌아다닐 수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다음은 지난 2 주 동안(오늘을 포함해서) 어르신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어르신이 얼마나 만족했고, 행복했고, 좋았는지를 묻는 질문들입니다.

16. 어르신은 본인의 수면(잘 자는 것)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17. 어르신은 일상생활의 활동을 수행하는 본인의 능력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18. 어르신은 본인의 일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만족하고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약간 그렇다 그렇다 많이 그렇다 매우 많이 그렇다

1 2 3 4 5

Page 81: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69-

19. 어르신은 본인 스스로에게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20. 어르신은 본인의 개인적 대인관계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21. 어르신은 본인의 성생활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22. 어르신은 본인의 친구로부터 받고 있는 도움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23. 어르신은 본인이 살고 있는 장소의 상태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24. 어르신은 의료서비스를 쉽게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Page 8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70-

25. 어르신은 본인이 사용하는 교통수단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매우 불만족 불만족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다음은 예를 들어, 어르신의 가족 또는 친구로부터의 도움, 혹은 안전상 위협과 같은

것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거나 느꼈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26. 어르신은 침울할 기분, 절망, 불안,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자주

느낍니까?

전혀 아니다 드물게 그렇다 제법 그렇다 매우 자주 그렇다 항상 그렇다

1 2 3 4 5

Page 83: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71-

ABSTRACT

Time 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isure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Normal Urban Elderly

JooHyun Lee

Dept. of Rehabilitation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amount of time invested in such activities in a sample of city-

dwelling normal elderly. Second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isure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The sample

consisted of 155 elderly participants 60 years and older (84 men and 71

women) residing in small, medium, and large-sized cities across Korea.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packet of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Time Use Survey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uated Version(WHOQOL-BREF).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indicate the kinds of activities they engaged in

for two consecutive days. Their respons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ime

Use Survey and the amount of time the participants spent was calculated in

Page 84: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72-

minu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spent most of their time engaging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ch as sleeping, and doing household chores

compared to leisure activities.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ime use of social leisure activities based on gender, age and

residential areas.

More specifically, the women engaged in more social leisure activities than

men. In addition, elderly participants 66 years and older engaged in more

social leisure activities than those under the age of 65. Also, elderly

participants residing in small to medium-sized cities engaged in more social

leisure activities than those residing in large ci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amount

of time invested in social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participants who engaged in more social leisure activities such as media use

and leisure activities such as outdoor sports and hobbies reported better

quality of life, including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social relationships,

environment, general health, and overall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leisure activity, especially

social leisure activity, is an integral factor in optimizing quality of life in city-

dwelling elderly.

Such results imply the need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geriatric

hospitals and elderly welfare centers to implement treatment strategies that

Page 85: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 · 제1장 서론 과학 기술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73-

include fostering social leisure activities in the current aging society in the

future.

Key words : Time Use, Activity of Daily Living, Social Leisure Activity,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