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
R 지역단위 밭농업 성공사례 -노지작물 재배 지역을 중심으로 채광석·김부영·장민기 허재욱·유리나·홍지영 834 연구자료-1 | 2017. 12. |

지역단위 밭농업 성공사례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2431/1/지역... · 2019-01-30 · 지역단위 밭농업 성공사례 -노지작물 재배 지역을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지역단위 밭농업 성공사례

    -노지작물 재배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단위

    밭농업

    성공사례

    834 연구자료

    -1 | 2017

    R

    지역단위 밭농업 성공사례

    -노지작물 재배 지역을

    중심으로

    채광석·김부영·장민기허재욱·유리나·홍지영

    834 연구자료-1 | 2017. 12. |

    R

  • 연구 담당

    채광석︱연구위원︱연구 총괄김부영︱연구원︱조사결과 정리장민기︱농정연구센터︱조사기획허재욱︱농정연구센터︱연구기획, 개념·모델 구축유리나︱농정연구센터︱문헌분석, 사례탐색홍지영︱농정연구센터︱현장조사, 조사결과 정리

    R834 연구자료-1

    지역단위 밭농업 성공사례

    -노지작물 재배 지역을 중심으로

    등 록︱제6-0007호(1979. 5. 25.)발 행︱2017. 12.발행인︱김창길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02-2269-9917)I SBN︱979-11-6149-136-3 93520∙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 i

    일러두기

    국내 밭농업은 생산 품목이 다양하고 소득이 높아 재배업에서 차지하는 비

    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체 경지면적에서 밭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밭농업은 한·중 FTA 추진 등 시장 개방과

    함께 영세성, 산지 분산 등 열악한 기반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경쟁

    력 강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군 단위의 주산지 또는 특화산지를 중심으로 농업인 간,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자구적인 조직화 형태로 특화되어 발전되고 있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어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시·군 주산지 단위로 농협

    또는 영농조합법인 중심으로 품목의 생산에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협업의

    형태로서 활동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논 이모작 재배 활성화, 밭농업 기계

    화 등을 통해 논의 생산에 대한 부가가치 증대와 함께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노력이 실천되고 있다.

    밭농업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지역경제의 주요 소득원이 되는 시·군 단

    위 농정의 경우 밭농업의 생존과 발전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밖

    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단위의 밭농업 경쟁력 대응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집이 밭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역 단위 부가가치 제고 또는 지역

    차별화 전략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ii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1

    2. 주요 연구내용 및 추진방법 ········································································3

    제2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5

    2. 조사 방향 ······································································································6

    3. 조사 항목 ······································································································7

    4. 조사 대상 지역 및 기관 ··············································································8

    제3장 주요 밭작물 현황과 노동력 및 농기계 현황

    1. 주요 밭작물 현황 ·························································································9

    2. 품목별 노동력 및 기계사용 현황 ·····························································13

    제4장 지역 단위 밭농업 현황 및 추진 사례조사 결과

    1. (경기 여주) 여주시농업기술센터 ······························································29

    2. (경북 안동)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 ·····················································39

    3. (경남 창녕) 창녕군농업기술센터, 우포바이오푸드 영농조합법인 ········46

    4. (경남 남해) 남해군농업기술센터, 새남해농협 ········································53

    5. (경남 밀양) 밀양시농업기술센터, 무안농협 ············································61

    6. (전남 해남) 영농조합법인 성진 ································································68

    7. (전남 신안) 임자농협 ·················································································76

    8. (충남 괴산) 농업회사법인 괴산잡곡농산 ·················································84

    9. (충남 서산) 부석농협, 서산팔봉영농조합법인 ········································91

  • iv

    10. (제주) 하귀농협, 김녕농협 ····································································100

    제5장 시사점 및 결론 ··················································································111

    참고문헌 ············································································································113

  • v

    표 차례

    제2장

    현장 사례조사의 주요 조사 항목 ················································7

    현장 사례조사의 조사대상기관 및 주요 취급품목 ····················8

    제3장

    주요 밭작물의 생산량과 재배면적 ·············································12

    농축산물소득조사의 조사대상 작목 ···········································13

    식량작물의 경영비 항목 비중(2016) ·········································14

    겉보리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15

    노지풋옥수수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16

    고구마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17

    감자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17

    노지채소의 품목별 경영비 항목 비중(2015) ····························18

    가을무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19

    가을배추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0

    양배추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0

  • vi

    대파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1

    시설채소의 품목별 경영비 항목 비중(2016) ····························22

    수박(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3

    딸기(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4

    오이(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4

    토마토(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5

    파프리카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26

    주요 밭작물 품목별 농작업 단계(상위 5개, 2016) ··················28

    제4장

    여주시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29

    여주시 경지면적 변화(2012∼2016) ···········································30

    여주시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1~2015) ····························30

    여주시 서류와 고구마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 31

    여주시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32

    안동시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39

    안동시 경지면적 변화(2012~2016) ·············································40

    안동시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1~2015) ····························40

    안동시 두류와 콩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 41

    안동시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41

    창녕군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47

    창녕군 경지면적 변화(2012~2016) ·············································47

  • vii

    창녕군 채소류의 생산량 변화(2011~2015) ·······························48

    창녕군 조미채소류와 양파, 마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48

    창녕군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49

    남해군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53

    남해군 경지면적 변화(2012~2016) ·············································54

    남해군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0~2014) ····························54

    남해군 주요 조미채소류와 엽채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55

    남해군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55

    남해군 마늘, 시금치의 작기 구성 ·············································56

    시금치 경매실적(2015~2016) ······················································58

    마늘 경매실적(2015~2016) ··························································59

    새남해농협 영농지원단 작업내용 및 단가 ·······························61

    밀양시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62

    밀양시 경지면적 변화(2012~2016) ·············································62

    밀양시 채소류의 생산량 변화(2012~2015) ·······························63

    밀양시 과채류와 풋고추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5) ·· 63

    밀양시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2~2015) ··················64

    해남군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68

    해남군 경지면적 변화(2012~2016) ·············································68

    해남군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1~2015) ····························69

    해남군 엽채류와 배추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 69

    해남군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70

    해남군 가을배추, 겨울배추의 작기 구성 ··································71

    신안군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76

    신안군 경지면적 변화(2012~2016) ·············································76

    신안군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0~2014) ····························77

  • viii

    신안군 조미채소류와 파, 엽채류와 시금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78

    신안군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78

    신안군 시금치와 대파 재배농가 현황(2017) ····························79

    괴산군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85

    괴산군 경지면적 변화(2012~2016) ·············································85

    괴산군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2~2015) ····························86

    괴산군 잡곡과 옥수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5) ·· 86

    괴산군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87

    서산시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91

    서산시 경지면적 변화(2012~2016) ·············································92

    서산시 채소류의 생산량 변화(2011~2015) ·······························92

    서산시 조미채소류와 고추, 양파, 마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93

    서산시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0~2014) ··················93

    부여군 산지유통 통합마케팅 조직 현황 ···································98

    제주도특별자치도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101

    제주도특별자치도 경지면적 변화(2012~2016) ························101

    제주특별자치도 식량작물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2

    제주특별자치도 맥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 102

    제주특별자치도 잡곡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3

    제주특별자치도 두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3

    제주특별자치도 서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4

    제주특별자치도 채소류의 생산량 변화(2012~2016) ··············104

  • ix

    제주특별자치도 엽채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5

    제주특별자치도 근채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5

    제주특별자치도 조미채소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6

    제주특별자치도 참깨와 땅콩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6) ·········································································106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2~2016) ··· 107

  • x

    그림 차례

    제3장

    식량작물부류의 경지면적 및 생산량(2000∼2016) ···················10

    채소류의 경지면적 및 생산량(2000∼2016) ······························11

    제4장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의 주요 생산제품 ······························43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의 주요 생산시설 ······························46

    영농조합법인 성진의 전경 ·························································75

    농업회사법인 괴산작곡농산의 주요사항 ···································90

    부여군 굿뜨래 로컬푸드 종합유통센터 ···································100

  • 제1 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 국내 밭농업은 생산 품목이 다양하고 소득이 높아 재배업에서 차지하는 비

    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체 경지면적에서 밭이 차지하는 비

    중도 2000년 39.2%에서 2015년 45.9%로 증가함(김홍상 외 2016).

    - 또한 밭작물은 벼농사에 비하여 소득이 높아 생산이 늘어나면서 이에 대

    한 농가 수입도 증가함(채소류의 가구당 수입이 2010년 725만 원에서

    2015년 813만 8,000원으로 증가1).

    ○ 그러나 밭농업은 한·중 FTA 추진 등 시장 개방과 함께 영세성, 산지 분산

    등 열악한 기반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이 증

    대되고 있음.

    - 특히, 밭작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미채소류는 생산과 운영에 있

    어 노동력 부족, 낮은 시장가격, 중국산 (냉동) 가공 채소와의 경쟁력 부

    족 등에 따라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

    1 농림축산식품부(2016).

  • 2

    - 또한 기후변화 등 자연재해에 민감하고, 품목 전환이 용이하여 생산량의

    변동 폭이 심하기 때문에 가격 변동이 큼.

    ○ 이러한 상황에서 시·군 단위의 주산지 또는 특화산지를 중심으로 농업인

    간,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자구적인 조직화 형태로 특화되어 발전되고 있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어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최근에는 시·군 주산지 단위로 농협 또는 영농조합법인 중심으로 품목의

    생산에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협업의 형태로서 활동이 나타남.

    - 또한 논 이모작 재배 활성화, 밭농업 기계화 등을 통해 논의 생산에 대한

    부가가치 증대와 함께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노력이 실천되고 있음.

    ○ 이처럼 밭농업의 경쟁력 활로 마련을 위해서는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

    양한 활동을 통해 다각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생산 측면에 있어서 품종, 인력, 기계화 등을 통한 생산의 효율성 증대

    - 조직화를 통해 산지의 생산·유통체계 구축

    - 단순 생산에 따른 소득에서 벗어나 원물을 활용한 가공 및 제조 등 이용

    연계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에서 밭농업에 대한 경쟁력을 충실하게 구축하

    고 있는 사례를 조사·발굴하여 지역 단위 밭작물 생산·출하 시스템을 확립

    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 지역 단위의 밭농업 경쟁력 대응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도출

    - 지역 단위의 밭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부가가치 제고 전략 또는 지역

    차별화 전략에 대한 심층 사례연구 실시

  • 3

    2. 주요 연구내용 및 추진방법

    2.1. 주요 연구내용

    ○ (과제1) 밭작물의 주요 현황 분석

    - 기본현황 분석(면적, 생산량, 부류별 소득 변화 등)

    - 밭농업의 주산지 형성 및 집중성에 대한 현황 분석 등

    - 해당 사례지역의 농업 기본 현황 분석 및 정책 현황 검토

    ○ (과제2) 현장 사례 조사

    - 주요 주산지·권역별로 사례를 선정(지역 단위 밭농업 시스템을 충실하게

    구축한 지역)

    ※ (권역별) 중부(3), 호남(2), 영남(4), 제주(1) 등의 10개 권역으로서

    기존 사례조사 대상이 되지 않은 새로운 지역의 사례들을 파악

    ※ (품목별) 노지채소, 식량작물 등의 품목에 집중

    - 개별 농가의 한계에 따른 법인, 산지통합조직 등 경영체의 활동 파악

    ※ 생산비 절감 효과, 규모화 효과, 영농 편의성 등을 파악

    - 가공, 전처리 등 이용 특성의 변화 등 다양한 현안을 현장에서 확인

    - 지역 단위의 특화된 밭작물 생산·출하 시스템을 확보

    ※ 품종, 재배과정에 대한 안정성

    ※ 토질, 전통적인 주산지로서의 명성

    ○ (과제3) 지역 단위 밭농업의 경쟁력 요소 도출 및 밭농업의 효율화·활성화

    를 위한 모델 구상(시사점 및 모델 도출)

    - 생산-(산지)출하-(가공·유통)-소비지까지의 사업, 정책 시사점 도출

    - 밭농업, 밭작물의 경쟁력 요소 도출

    - 경쟁력 요인 검토 및 유형화, 모델링 : 시사점 도출

  • 4

    2.2. 현장 사례 조사의 주요 점검사항(조사포인트)

    ○ (노동력 부문) 사례 지역별 농업노동력 활용 및 기계화에 대한 사항을 집중

    적으로 검토하며, 특히 일선 현장의 품목별 생산특성과 노동력 수요 집중

    시기 등 노동 투입의 특성을 파악하여 통계자료와 비교분석함.

    ○ (기계화 부문) 농기계 활용 및 조직화 사례를 중심으로 밭농업의 효율적·효

    과적 생산시스템을 구축한 기초 조직의 사례를 탐색하며, 일선 현장 경영체

    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계화에 의한 효과를 전국 평균 생산비 구조와 비교함

    으로써 특징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진행함.

    2.3. 연구추진방법

    ○ (문헌연구) 선행연구 및 통계자료 분석, 현안 이슈 파악 등

    - 선행연구자료, 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주요 밭작물 품목 관련 사항을

    검토하고 분석함.

    - 2/3차년도의 사항을 바탕으로 최근 통계자료의 내용을 연계하여 분석함.

    ○ (전문가 의견 청취 및 현장조사) 조사표 작성, 예비·본 현장조사 등

    - 2/3차년도의 연구내용을 연계하여 기존에 소개되지 않은 지역의 사항들

    을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진행함.

    - 관련 전문가 및 현장활동가의 의견을 청취하여 사례조사지역을 점검하

    여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함.

    - 이를 통해 경쟁력 요인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 제2 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 지역 단위 밭농업의 성공사례 조사를 위해 해당 지역의 주요 농업통계를 분

    석하고, 일선 현장의 관계자 면담조사를 통해 주요 밭작물의 현황과 노동력

    및 기계화 활용 실태를 확인함.

    - 일선 현장의 밭농업 실태 및 문제점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 등을 파

    악함.

    - 특히, 노동력 운영과 기계화 활용에 대한 사항에 집중하여 관련 현황 및

    문제요소 등을 파악함.

    ○ 노동력 활용 및 기계화 우수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생산된 상품의 판

    로와 마케팅 등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항 등을 점검함.

    - 노동력 및 기계화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현장 사례를 조사·분석하며,

    특히 품목의 특성에 따른 다각적인 경영활동의 사항을 다양한 관계자의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함.

  • 6

    2. 조사 방향

    ○ 밭농업 생산-가공·유통-판매·소비 등의 전 과정에 대한 사항을 파악함.

    - 노동력과 기계화에 대한 사항을 중심으로 해당 품목의 생산에서부터 가

    공·유통, 출하·소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밭농업에 대한 주요 사항을 점검

    하고, 단계별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및 특이사항을 확인함.

    - 특히 현장사례 중 경영체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수확 이후, 유통·

    판매 단계에 대한 대응책 마련까지 연계하여 일선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

    는 전 과정에 대한 사항을 점검함.

    ○ 밭농업 생산 시스템의 관점에서 접근함.

    - 노동, 기계의 문제는 해당 문제만을 분리하여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밭농업 생산 시스템”이라는 구조의 이해 속에서 파악해야 할 필

    요가 있음.

    - 실태 파악, 우수 사례 조사 등 일선 밭농업 현장을 파악하면서 경영체의

    주요 활동사항과 지자체 및 농협의 지원체계 등 전반의 이해를 바탕으로

    접근함.

    ○ 조사대상 품목은 2/3차년도의 사례조사와 동일하게 노지재배 밭작물을 대

    상으로 함.

    - 현장 사례 조사에서는 노지재배 식량작물(주로 잡곡 등), 엽채류 및 양념

    채소류 품목으로 한정하여 조사·분석대상을 설정함.

    - 다만, 품목과 지대별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현장 사례조사 지역의

    선정은 전국적인 범위에서 진행함.

    - 사례조사 대상지역은 중부(3), 호남(2), 영남(4), 제주(1) 등의 10개 권역

    으로서 기존 사례조사에 많이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지역의 사례들을 우

    선적으로 파악함.

  • 7

    3. 조사 항목

    구분 작목명

    지자체 및 농업기술센터

    ○ 품목별 생산·출하 시스템

    - 품종 및 재배과정의 안정성

    - 인력운영사항(작업단 구성, 주요 수행작업, 추진성과, 참여농가 의견, 애로사항 등)

    - 기계화(이용 현황, 한계, 농기계임대사업현황 등)

    - 관련 정책(공동브랜드, 성과, 문제점·애로사항, 확대방안, 사업 간 연계성 등)

    ○ 법인 및 산지통합조직 등 경영체의 활동 사항

    - 생산활동 사항(인력운용, 생산비 절감방안, 규모화 등)

    - 가공 및 전처리 사항

    경영체 및 농협

    ○ 주요 사업

    - 주요 품목별 생산량, 재배면적

    - 조직화·사업추진체계(참여 농가의 생산, 재배, 수확 등 출하시스템)

    - 인력운용 및 기계화 상황(전용기계화 사항·한계)

    - 차별화 전략 등

    ○ 주요 성과 및 애로사항(문제점)

    - 매출액, 브랜드 현황 등

    - 주요 출하처(물량, 비중 등)

    - 생산에서 수확 단계까지 주요 과정별 애로사항

    ○ 향후 계획

    - 사업 분야 확대 및 신사업 분야 등

    주: 노동력과 기계화에 대한 사항은 전년도와 동일한 항목으로 진행하며, 세부적인 조사항목은 생략함.

    현장 사례조사의 주요 조사 항목

  • 8

    4. 조사 대상 지역 및 기관

    구분 지역 기관명 주요 취급품목

    1 경기 여주 여주시농업기술센터 고구마

    2 경북 안동 니껴바이오농업회사법인 콩

    3 경남 창녕창녕군농업기술센터

    마늘, 양파우포바이오푸드 영농조합법인

    4 경남 남해남해군농업기술센터

    마늘, 시금치새남해농협

    5 경남 밀양밀양시농업기술센터

    풋고추무안농협

    6 전남 해남해남군농업기술센터

    배추영농조합법인 성진

    7 전남 신안신안군농업기술센터

    대파임자농협

    8 충북 괴산 농업회사법인 괴산잡곡농산 잡곡

    9 충남 서산부석농협

    감자서산팔봉영농조합법인

    10 제주 제주하귀농협 부추, 쪽파

    김녕농협(조사 예정) 콩

    현장 사례조사의 조사대상기관 및 주요 취급품목

  • 제3 장

    주요 밭작물 현황과 노동력 및 농기계 현황

    1. 주요 밭작물 현황

    ○ 주요 밭작물은 식량작물과 채소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식량작물로는 미곡

    과 맥류를 제외한 잡곡, 두류, 서류 등이 있으며, 채소류는 주로 엽채류, 근

    채류, 조미채소류 등이 있음.

    ○ 식량작물의 경우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경지면적은 잡곡과 서류의 경우에

    는 등락을 반복하면서 큰 변화가 없지만 두류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감소

    하는 경향이 나타남.

    - 생산량의 경우에는 경지면적과 마찬가지로 감소하고는 있지만 단수의

    증가로 경지면적보다는 감소 폭이 작게 나타남.

    ○ 채소류의 경우 동기간 동안 경지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

    나고 있으며, 특히 조미채소류와 근채류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음.

    - 생산량의 경우에는 등락을 반복하면서 대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 10

    식량작물부류의 경지면적 및 생산량(2000∼2016)

    단위: ha, 톤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작물생산조사.

  • 11

    채소류의 경지면적 및 생산량(2000∼2016)

    단위: ha, 톤

    주: 부류별 합계는 채소류임.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작물생산조사.

  • 12

    ○ 2012년에서 2016년간 주요 밭작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

    - 2016년 기준 주요 밭작물의 재배면적은 식량작물의 경우 콩 4만 9,014ha,

    감자 2만 2,000ha, 고구마 2만 3,151ha로 나타났으며, 채소류의 경우 배

    추 2만 4,902ha, 무 1만 9,255ha, 고추 3만 6,634ha, 마늘 2만 0,759ha, 양

    파 1만 9,896ha 등으로 나타남.

    - 이러한 밭작물의 경지면적과 생산량의 변화는 농가 노동력 감소와 고령

    화 및 기후변화에 의한 생산량 감소와 구조적으로 영세한 농가 규모와

    소량·다품목의 생산체계 등 경쟁력 감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됨.

    주요 밭작물의 생산량과 재배면적

    단위: 톤, ha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식량작물

    콩생산량 136,306 172,856 158,583 119,080 90,719

    재배면적 80,842 80,031 74,652 56,666 49,014

    감자생산량 607,534 727,438 590,532 537,738 555,670

    재배면적 24,930 27,430 21,472 20,234 22,000

    고구마생산량 342,668 329,516 322,071 294,655 341,225

    재배면적 22,997 22,207 20,515 19,357 23,151

    채소류

    배추생산량 1,816,021 2,120,393 2,538,804 2,134,976 1,792,833

    재배면적 25,576 28,301 32,027 27,174 24,902

    무생산량 844,732 1,001,130 1,296,970 1,249,327 1,012,162

    재배면적 16,090 17,215 21,030 20,106 19,255

    고추생산량 302,015 298,885 270,983 273,271 254,652

    재배면적 50,454 50,211 40,739 39,392 36,634

    마늘생산량 339,113 412,250 353,761 266,272 275,549

    재배면적 28,278 29,352 25,062 20,638 20,759

    양파생산량 1,195,737 1,294,009 1,589,957 1,093,932 1,298,749

    재배면적 20,965 20,036 23,911 18,015 19,896

    기타

    인삼재배면적 16,174 15,824 14,652 14,213 14,679

    생산량 26,057 21,968 20,978 21,043 20,386

    참깨재배면적 25,076 23,184 28,370 25,139 27,170

    생산량 9,690 12,392 12,158 11,678 13,575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작물생산조사; 농림축산식품부(2017).

  • 13

    2. 품목별 노동력 및 기계사용 현황

    ○ 품목별 노동력 및 기계 사용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농촌진흥청에서 조사·

    공표하고 있는 “농축산물소득자료집”을 활용함.

    - 2016년 농축산물소득자료의 조사는 7개 분야별, 56개 품목으로 4,100여

    농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 중 주요 밭작물로 해당하는 품목은

    식량작물 7개, 노지채소 14개, 시설채소 17개 등 38개 품목임.

    농축산물소득조사의 조사대상 작목

    구분 작목명

    식량작물(7)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노지풋옥수수

    고구마 봄감자 가을감자

    노지채소(14)

    수박 봄무 가을무 고랭지무

    당근 봄배추 가을배추 고랭지배추

    시금치 양배추 부추 대파

    쪽파 생강

    시설채소(17)

    수박(반촉성) 시설참외 딸기(촉성) 딸기(반촉성)

    오이(촉성) 오이(반촉성) 오이(억제) 시설호박

    토마토(촉성) 토마토(반촉성) 방울토마토 시설가지

    착색단고추 시설시금치 시설상추 시설부추

    시설고추

    노지과수(8)사과 배 복숭아 포도

    노지감귤 단감 유자 참다래

    시설과수(2) 시설포도 시설감귤

    화훼(2) 시설국화 시설장미

    특용·약용작물(6)참깨 인삼 엽연초 녹차

    오미자 느타리버섯

    자료: 농촌진흥청(2017).

    ○ 본 연구에서는 2/3년도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노동력과 기계화에 대한 사항

    에 집중하여 농축산물소득조사 항목 중 고용노동비와 농기계·시설임차료의

    비중과 작업단계별 노동시간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함.

  • 14

    2.1. 식량작물

    ○ 2016년 기준 농축산물소득조사의 식량작물 품목으로는 겉보리, 쌀보리, 맥

    주보리, 노지풋옥수수, 고구마, 감자 등으로 전년도와 동일함.

    - 이들 품목 중 겉보리, 노지풋옥수수, 고구마, 봄감자를 대상으로 분석함.

    - 농기계·시설임차료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난 품목은 겉보리이고, 고용노

    동비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난 품목은 고구마로 2015년과 동일하게 나타남.

    - 대상 품목 모두 농기계·시설임차료의 비중은 경영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이 높지 않게 나타남.

    식량작물의 경영비 항목 비중(2016)

    단위: %

    구분 겉보리 노지풋옥수수 고구마 봄감자

    10a당 경영비(합계) 100.0 100.0 100.0 100.0

    - 종자비 10.4 6.7 18.1 18.8

    - 무기질비료비 7.0 8.7 3.2 5.3

    - 유기질비료비 11.7 16.1 6.8 13.3

    - 농약비 2.0 3.0 2.6 3.2

    - 수도광열비 5.1 2.4 5.1 1.7

    - 기타재료비 1.9 12.7 10.4 11.0

    - 소농구비 0.1 0.4 0.3 0.2

    - 대농구상각비 36.2 21.9 7.6 11.6

    - 영농시설상각비 1.6 4.7 4.2 2.6

    - 수리·유지비 6.2 2.5 2.1 3.4

    - 기타요금 1.4 0.4 0.5 0.2

    - 농기계·시설임차료 2.2 1.0 0.6 0.9

    - 토지임차료 8.8 5.3 9.7 4.0

    - 위탁영농비 4.7 1.0 1.6 1.5

    - 고용노동비 0.7 11.4 27.2 22.2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15

    2.1.1. 겉보리

    ○ 겉보리의 경우 경영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항목은 대농구상각

    비(36.2%)이며, 다음으로는 유기질비료비와 종자비가 각각 11.7%, 10.4%이

    고, 농기계·시설임차료(2.2%)와 고용노동비(0.7%)는 3.0%로 작년보다 비중

    이 감소하였고,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음.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 미만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의 경우 증감을 반복하고 있지만 2016년을 기준으로는

    전년보다 절반 정도 감소하였음.

    겉보리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0.7 1.0 1.4 2.0 0.8

    농기계·시설임차료 2.2 4.2 2.5 1.4 2.4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

    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2.0시간), 건조(1.3시간), 파종(1.0시간),

    경운정지(0.9시간), 운반 및 저장(0.9시간) 등으로 나타남.

    2.1.2. 노지풋옥수수

    ○ 노지풋옥수수의 경우 대농구상각비(21.9%)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으며, 농기계·시설임차료(1.0%)와 고용노동비(11.4%)는 12.4%로 고용노동

    비는 경영비 중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16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의 경우

    전년보다 감소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농기계·시설임차료의 경우 2013년에 급감하였으며, 2016년을 기준으로 전

    년보다 약간 증가함.

    노지풋옥수수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1.4 15.0 11.2 10.1 11.7

    농기계·시설임차료 1.0 0.7 0.3 0.7 2.0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1.8

    시간)에 투입되고 있음.

    ○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

    준으로 수확(12.5시간), 선별 및 포장(5.5시간), 아주심기(4.3시간), 파종(3.6

    시간), 비닐피복 및 흙덮기(3.3시간) 등으로 나타남.

    2.1.3. 고구마

    ○ 고구마의 경우 고용노동비(27.2%)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

    으로는 종자비(18.1%)이고, 농기계·시설임차료는 0.6%로 나타남.

    ○ 최근 3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였으며,

    농기계·시설임차료는 최근 5개년 동안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 17

    고구마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27.2 27.0 23.7 25.3 26.9

    농기계·시설임차료 0.6 0.7 0.9 1.4 1.4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16.7

    시간)에 투입되고 있음.

    ○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

    준으로 수확(30.8시간), 아주심기(15.4시간), 선별 및 포장(8.7시간), 병충해

    방제(3.3시간), 김매기(3.2시간) 등으로 나타남.

    2.1.4. 봄감자

    ○ 봄감자의 경우 종자비와 고용노동비(22.2%)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으며, 농기계·시설임차료는 0.9%로 나타남.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체적으로 증

    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의 경우 2016년을 기준으로 전년

    과 비슷함.

    감자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22.2 19.6 17.8 16.7 18.8

    농기계·시설임차료 0.9 1.0 0.6 0.4 0.5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18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12.2

    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18.2시간), 아주심기(6.5시간), 비닐피복

    및 흙덮기(4.5시간), 선별 및 포장(4.0시간), 파종(3.6시간) 등으로 나타남.

    2.2. 노지채소

    ○ 2016년 기준 농축산물소득조사의 노지채소 품목으로는 수박, 무, 당근, 배

    추, 시금치, 양배추, 부추, 대파, 쪽파, 생강 등으로 전년도와 동일함.

    - 이들 품목 중 가을무, 가을배추, 양배추, 대파를 대상으로 분석함.

    - 농기계·시설임차료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난 품목은 가을배추이고, 고용

    노동비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난 품목은 대파로 2015년과 동일함.

    - 대상 품목 모두 농기계·시설임차료의 비중은 경영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이 높지 않게 나타남.

    노지채소의 품목별 경영비 항목 비중(2015)

    단위: %

    구분 가을무 가을배추 양배추 대파

    10a당 경영비(합계) 100.0 100.0 100.0 100.0 - 종자비 7.4 8.4 5.3 4.6 - 무기질비료비 7.1 10.1 10.7 6.7 - 유기질비료비 12.5 11.1 10.4 10.9 - 농약비 12.2 10.5 14.0 11.6 - 수도광열비 4.8 2.6 2.4 2.3 - 기타재료비 5.5 8.5 7.8 4.7 - 소농구비 0.1 0.5 0.2 0.2 - 대농구상각비 16.5 13.7 16.8 9.9 - 영농시설상각비 3.5 2.5 5.4 3.4 - 수리·유지비 4.2 3.5 1.4 3.6 - 기타요금 - 0.1 - 0.3 - 농기계·시설임차료 0.8 0.9 0.2 0.1 - 토지임차료 5.4 5.7 7.5 10.2 - 위탁영농비 1.3 0.6 0.5 0.8 - 고용노동비 18.6 21.3 17.3 30.8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19

    2.2.1. 가을무

    ○ 가을무의 경우 경영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항목은 고용노동비

    (18.6%)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는 0.8%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지 않음.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체적으로 증

    가하는 추세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의 경우 2016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감소함.

    가을무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8.6 19.8 13.2 15.6 18.6

    농기계·시설임차료 0.8 0.3 0.7 0.9 1.4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6.2

    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

    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16.8시간), 선별 및 포장(5.1시간), 파

    종(4.4시간), 아주심기(4.4시간), 김매기(3.0시간) 등으로 나타남.

    2.2.2. 가을배추

    ○ 가을배추의 경우 경영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항목은 고용노동

    비(21.3%)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는 0.9%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음.

  • 20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특히 2016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크게 증가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농기계·시설임

    차료는 큰 변화가 없음.

    가을배추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21.3 16.7 18.3 15.7 15.1

    농기계·시설임차료 0.9 0.9 1.0 0.9 1.0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아주심기

    (6.5시간)와 수확(6.3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17.4시간), 아

    주심기(11.7시간), 선별 및 포장(4.1시간), 파종(3.8시간), 병충해 방제(3.7시

    간) 등으로 나타남.

    2.2.3. 양배추

    ○ 양배추의 경우 고용노동비(17.3%)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기

    계·시설임차료는 0.2%로 나타남.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감을 반복하

    고 있으며, 농기계·시설임차료는 대체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양배추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7.3 18.3 15.7 14.5 22.4농기계·시설임차료 0.2 0.1 1.7 2.4 2.1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21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아주심기

    (6.5시간)와 수확(6.0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10.0시간), 아

    주심기(9.8시간), 병충해 방제(5.0시간), 퇴비 및 밑거름 주기(2.9시간), 김매

    기(2.8시간) 등으로 나타남.

    2.2.4. 대파

    ○ 대파의 경우 고용노동비(30.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기

    계·시설임차료는 0.1%로 나타남.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감을 반복하

    고 있으며, 시설·시설임차료의 경우 2016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감소함.

    대파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30.8 36.1 29.0 26.1 29.9

    농기계·시설임차료 0.1 0.7 0.7 1.7 1.0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18.5

    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

    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34.8시간), 아주심기(22.4시간), 선별

    및 포장(14.4시간), 병충해 방제(7.5시간), 김매기(7.4시간) 등으로 나타남.

  • 22

    2.3. 시설채소

    ○ 2016년 기준 농축산물소득조사의 시설채소 품목으로는 수박, 참외, 딸기, 오

    이, 호박, 토마토, 가지, 파프리카, 시금치, 상추, 부추, 고추 등으로 전년도

    의 배추는 제외됨.

    - 이들 품목 중 수박(반촉성), 딸기(반촉성), 오이(촉성), 토마토(반촉성), 파

    프리카를 대상으로 분석함.

    - 농기계·시설임차료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난 품목은 수박(반촉성)이고,

    고용노동비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난 품목은 딸기(반촉성)와 파프리카로

    나타남.

    시설채소의 품목별 경영비 항목 비중(2016)

    단위: %

    구분 수박(반촉성) 딸기(반촉성) 오이(촉성) 토마토(반촉성) 파프리카

    10a당 경영비(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 종자비 16.7 25.2 8.2 14.7 9.3

    - 무기질비료비 5.1 4.3 3.4 5.4 7.8

    - 유기질비료비 8.8 2.9 7.2 3.3 0.6

    - 농약비 5.4 3.2 4.7 4.4 4.8

    - 영농광열비 2.1 8.4 22.8 18.8 25.1

    - 기타재료비 15.9 20.3 16.6 13.6 14.8

    - 소농구비 0.2 - - 0.1 0.1

    - 대농구상각비 6.5 2.5 8.3 5.4 3.0

    - 영농시설상각비 17.4 12.9 13.3 18.6 16.4

    - 수리·유지비 2.9 1.1 2.8 1.6 1.6

    - 기타요금 0.2 0.5 0.1 0.2 0.4

    - 농기계·시설임차료 0.3 0.1 - 0.1 0.1

    - 토지임차료 5.0 4.3 1.8 2.5 0.8

    - 위탁영농비 0.6 0.6 - 0.1 1.3

    - 고용노동비 12.9 13.8 10.7 11.2 13.8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23

    2.3.1. 수박(반촉성)

    ○ 수박(반촉성)의 경우 경영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항목은 영농

    시설상각비(16.7%)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0.3%)와 고용노동비(12.9%)는

    13.2%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을 기준

    으로 전년보다 감소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농기계·시설

    임차료의 경우에는 2016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감소함.

    수박(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2.9 13.7 12.3 11.3 10.2

    농기계·시설임차료 0.3 0.9 0.3 0.2 0.3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순지르

    기·눈따기(19.0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

    이 많이 투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순지르기·눈따기(44.0시

    간), 아주심기(8.0시간), 수확(6.1시간), 유인(5.8시간), 기타(수정 등 5.6시

    간) 등으로 나타남.

    2.3.2. 딸기(반촉성)

    ○ 딸기(반촉성)의 경우 경영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항목은 종자

    비(25.2%)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0.1%)와 고용노동비(13.8%)는 13.9%를

    차지하고 있음.

  • 24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을 기준

    으로 전년보다 증가였지만 대체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농기계·시

    설임차료는 2016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감소한 수준으로 거의 없음.

    딸기(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3.8 12.1 11.7 12.1 14.6

    농기계·시설임차료 0.1 0.3 - 0.4 -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58.2

    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

    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152.0시간), 선별 및 포장(88.4시간),

    순지르기·눈따기(57.4시간), 아주심기(26.8시간), 하우스 관리(17.0시간) 등

    으로 나타남.

    2.3.3. 오이(촉성)

    ○ 오이(촉성)의 경우 영농광열비(22.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비는 10.7%, 농기계·시설임차료는 나타나지 않음.

    ○ 최근 5년간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임.

    오이(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0.7 10.4 7.8 7.1 6.3

    농기계·시설임차료 - - - - -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25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유인(87.6

    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포함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

    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311.4시간), 선별 및 포장(222.0시

    간), 유인(177.1시간), 순지르기·눈따기(122.1시간), 하우스 설치(31.2시간)

    등으로 나타남.

    2.3.4. 토마토(반촉성)

    ○ 토마토(반촉성)의 경우 영농광열비(18.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비는 11.2%, 농기계·시설임차료 0.1%로 나타남.

    ○ 최근 5년간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농기계·시설임차료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차지하는 비중은 매주 작음.

    토마토(반촉성)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1.2 12.0 10.4 8.5 7.5

    농기계·시설임차료 0.1 0.3 0.2 0.1 0.2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57.0

    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합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162.2시간), 선별 및 포장(50.3시간), 유

    인(40.7시간), 순지르기·눈따기(38.2시간), 기타(수정 등 15.6시간) 등으로

    나타남.

  • 26

    2.3.5. 파프리카

    ○ 파프리카의 경우 영농광열비(25.1%)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

    용노동비는 13.8%, 농기계·시설임차료는 0.1%로 나타남.

    ○ 최근 5개년 동안 경영비에서 고용노동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을 기준

    으로 작년보다 감소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농기계·시설

    임차료는 0.1%로 거의 나타나지 않음.

    파프리카의 경영비 항목 중 농기계·시설임차료 및 고용노동비의 비중(2012~2016)

    단위: %

    구분 2016 2015 2014 2013 2012

    고용노동비 13.8 15.2 10.3 10.5 9.1

    농기계·시설임차료 0.1 - - - -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작업단계별 노동력 투입 상황을 살펴보면 고용노동력의 대부분은 수확

    (130.1시간)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가노동력을 합친 전체 노동력이 많이 투

    입되는 단계는 연 1기작/10a 기준으로 수확(193.4시간), 순지르기·눈따기

    (92.4시간), 유인(86.5시간), 선별 및 포장(33.9시간), 병충해 방제(27.0시간)

    등으로 나타남.

    2.4. 소결

    ○ 농축산물소득자료집의 자료를 통해 주요 밭작물의 부류별 생산비에서 차지하고 있는 고용노동비와 농기계·시설임차료의 비중을 파악해 보았으며,

    이는 부류별로 특징을 지어 나타남.

    - 식량작물의 경우 잡곡류와 서류가 각각 유사한 경영비와 노동력 투입 구

  • 27

    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고구마와 봄감자의 경우 경영비 항목별로 매

    우 유사하게 나타남.

    - 노지채소의 경우에는 분석 대상품목 모두 고용노동비가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수확작업에 큰 노동력 투입이 나타나고 있음.

    - 시설채소의 경우에는 농기계·시설임차료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고용노

    동비가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이후 현장 사례 조사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농작업의 노동력 투입을 보완

    하기 위한 기계화는 분석 자료의 수치와 유사하게 일선 현장에서 매우 낮

    은 수치로 나타나고 있어 수확작업의 노동력을 대체해주지 못하고 있음.

    ○ 식량작물의 경우 경영비에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는 것은 대농구상각비

    이며, 고구마와 감자는 고용노동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작업단계별로 살펴보면 분석대상 품목 모두 수확작업에 가장 많은 노동

    력을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구마와 감자의 경우에는 다른

    품목에 비해 더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는 것으로 확인됨.

    ○ 노지채소의 경우 2015년을 기준으로 가을무와 가을배추는 경영비에서 대농

    구상각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2016년을 기준으로는 분석

    대상품목 모두 경영비가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파는 고용

    노동비가 30% 이상을 차지함.

    - 작업단계별로 살펴보면 분석대상 품목 모두 수확작업에 가장 많은 노동

    력을 투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 시설채소의 경우 수박(반촉성), 딸기(반촉성)는 종자비가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이(촉성), 토마토(반촉성), 파프리카는 영농

    광열비가 가장 크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작업단계별로 살펴보면 수박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은 모두 수확작업에

    가장 많은 노동력을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이(촉성)의 경

  • 28

    우 311.4시간을 수확작업에 투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 고용노동비가 노지채소보다는 상대적으로 적게 투입되고 있으며, 노지채

    소와 마찬가지로 농기계·시설임차료는 거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이에

    대한 농작업의 기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주요 밭작물 품목별 농작업 단계(상위 5개, 2016)

    단위: 시간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겉보리수확

    (2.0)

    건조

    (1.3)

    파종

    (1.0)

    경운정지

    (0.9)

    운반 및 저장

    (0.9)

    노지풋옥수수수확

    (12.5)

    선별 및 포장

    (5.5)

    아주심기

    (4.3)

    파종

    (3.6)

    비닐피복 및 흙덮기

    (3.3)

    고구마수확

    (30.8)

    아주심기

    (15.4)

    선별 및 포장

    (8.7)

    병충해 방제

    (3.3)

    김매기

    (3.2)

    봄감자수확

    (18.2)

    아주심기

    (6.5)

    비닐피복 및 흙덮기

    (4.5)

    선별 및 포장

    (4.0)

    파종

    (3.6)

    가을무수확

    (16.8)

    선별 및 포장

    (5.1)

    파종

    (4.4)

    아주심기

    (4.4)

    김매기

    (3.0)

    가을배추수확

    (17.4)

    아주심기

    (11.7)

    선별 및 포장

    (4.1)

    파종

    (3.8)

    병충해 방제

    (3.7)

    양배추수확

    (10.0)

    아주심기

    (9.8)

    병충해 방제

    (5.0)

    퇴비 및 밑거름주기

    (2.9)

    김매기

    (2.8)

    대파수확

    (34.8)

    아주심기

    (22.4)

    선별 및 포장

    (14.4)

    병충해 방제

    (7.5)

    김매기

    (7.4)

    수박(반촉성)순지르기·눈따기

    (44.0)

    아주심기

    (8.0)

    수확

    (6.1)

    유인

    (5.8)

    기타

    (5.6)

    딸기(반촉성)수확

    (152.0)

    선별 및 포장

    (88.4)

    순지르기·눈따기

    (57.4)

    아주심기

    (26.8)

    하우스 관리

    (17.0)

    오이(촉성)수확

    (311.4)

    선별 및 포장

    (222.0)

    유인

    (177.1)

    순지르기·눈따기

    (122.1)

    하우스 설치

    (31.2)

    토마토(반촉성)수확

    (162.2)

    선별 및 포장

    (50.3)

    유인

    (40.7)

    순지르기·눈따기

    (38.2)

    기타

    (15.6)

    파프리카수확

    (193.4)

    순지르기·눈따기

    (92.4)

    유인

    (86.5)

    선별 및 포장

    (33.9)

    병충해 방제

    (27.0)

    자료: 농촌진흥청(2017)의 자료를 참조하여 재작성.

  • 제4 장

    지역 단위 밭농업 현황 및 추진 사례조사 결과

    1. (경기 여주) 여주시농업기술센터

    1.1. 농업 기본 현황

    ○ 2016년 기준 농가 수는 7,481가구로 전업농 3,396가구(45.0%)과 겸업농

    4,085가구(55.0%)이며, 농가인구는 20,003명으로 남자보다 여자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남. 2012~2016년 기간 중 2016년의 경우 전년도에 비해 농가와

    농가인구가 증가하였지만 대체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여주시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단위: 가구, 명

    구분농가 농가인구

    합계 전업 겸업 합계 남자 여자

    2012 8,165 4,190 3,975 21,845 10,817 11,028

    2013 8,011 3,930 4,081 21,805 10,865 10,940

    2014 7,595 3,734 3,861 20,019 9,802 10,217

    2015 7,241 3,732 3,509 18,347 9,172 9,175

    2016 7,481 3,396 4,085 20,003 9,816 10,187

    자료: 통계청. 농림어업조사(각 연도).

  • 30

    ○ 2016년 기준 경지면적은 논 8,608ha(55.4%), 밭 6,933ha(44.6%)으로 총 1만

    5,541ha이며, 가구당 경지면적은 2.08ha임. 2011~2016년간 전체 경지면적은

    감소 추세에 있으며, 논과 밭의 경지면적도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음.

    여주시 경지면적 변화(2012∼2016)

    단위: ha

    구분 계 논 밭가구당 경지면적

    계 논 밭

    2012 16,356 8,712 7,644 2.00 1.07 0.94

    2013 15,742 8,688 7,054 1.97 1.08 0.88

    2014 15,745 8,637 7,107 2.07 1.14 0.94

    2015 15,743 8,623 7,120 2.17 1.19 0.98

    2016 15,541 8,608 6,933 2.08 1.15 0.93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림어업조사」.

    ○ 식량작물은 2015년 기준 총 9,984ha의 경지면적에서 약 6만 3,000톤을 생산

    하고 있으며, 미곡 3만 9,000톤(62.0%), 서류 2만 4,000톤(38.1%)이 가장 많

    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2011~2015년 동안 경지면적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지만 생산량은 증가

    하고 있는 추세임. 미곡과 서류 이외 잡곡과 두류는 400~500톤 수준이

    며, 맥류는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음.

    여주시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1~2015)

    단위: ha, M/T

    구분합계 미곡 맥류 잡곡 두류 서류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2011 10,420.5 60,223.0 8,137 37,472 0.9 2.0 177.6 678.5 442.0 446.5 1,663.0 21,624.0

    2012 10,316.7 58,308.6 8,053 37,721 1.3 3.6 160.9 592.6 455.5 481.2 1,646.0 19,510.2

    2013 10,242.2 62,249.5 8,097 37,420 4.9 36.8 120.6 439.9 386.9 436.0 1,632.8 23,916.8

    2014 10,156.4 61,249.2 8,054 37,110 4.3 31.3 120.0 483.5 365.1 436.4 1,613.0 23,188.0

    2015 9,984.4 63,764.0 7,876 39,265 3.6 26.4 122.0 504.7 355.8 428.9 1,627.0 23,539.0

    자료: 여주시(2016).

  • 31

    ○ 2015년 기준 밭작물 중 생산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서류와 고구마의 생산면적과 생산량은 서류 1,627ha(2만 3,000톤), 고구마

    1,586ha(2만 2,000톤)로 나타남.

    - 2011~2015년 동안 서류의 생산면적은 1,600ha 이상, 고구마 생산면적은

    1,500ha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고구마의 단수는 다소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남.

    여주시 서류와 고구마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단위: ha, M/T, kg/10a

    구분서류 고구마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단수

    2011 1,663.0 21,624.0 1,574.0 20,021.0 1,272.0

    2012 1,646.0 19,510.0 1,560.0 18,019.2 1,155.0

    2013 1,632.8 23,916.8 1,590.0 23,007.3 1,447.0

    2014 1,613.0 23,188.0 1,575.0 22,428.0 1,424.0

    2015 1,627.0 23,539.0 1,586.7 22,737.0 1,433.0

    자료: 여주시(2016).

    ○ 2015년 기준 업용 기계 보유대수는 총 1만 5,200대이며 동력경운기 3,823

    대, 농용트랙터 3,735대, 동력이앙기 2,607대, 관리기 1,779대, 농산물건조기

    1,172대 등으로 구성됨.

    - 선진 농법의 적용 및 고령화의 진전으로 인하여 농업용 기계 보급이 필

    요함에도 불구하고 노동력 부족 해소와 농기계 구입에 대한 가계 부담 저

    감을 위한 기계화 영농에 대한 대처가 미비하여 2015년 기준 전년보다 농

    업용 기계 보급은 감소함.

    - 또한 고령화 추세 및 남성 인력 부족으로 인해 파생된 여성 고령 농업인

    구를 활용하기 위해서 농기계 구입 및 보유를 통한 부가적인 생산성 확

    보가 필요한 상황임.

  • 32

    여주시 농업용 기계 보유대수의 변화(2011~2015)

    단위: 대

    구분 총계동력

    경운기

    농용

    트랙터

    스피드

    스프레이어

    (SS기)

    광역방제기동력

    이앙기관리기 콤바인

    곡물

    건조기

    농산물

    건조기

    2011 14,567 4,080 3,390 102 2 2,463 1,698 196 709 1,140

    2012 13,740 3,748 3,153 96 - 2,401 1,703 191 675 1,088

    2013 15,461 4,267 3,873 191 - 2,537 1,777 229 651 1,173

    2014 15,336 3,947 3,775 473 - 2,459 1,827 258 616 1,172

    2015 15,200 3,823 3,735 429 2 2,607 1,779 227 616 1,172

    자료: 여주시(2016).

    1.2. 여주시 농업의 주요 쟁점

    ○ 여주시 원예산업종합계획의 주요 내용2

    - (생산) 전통적 전략 품목인 고구마를 제외한 가지, 부추, 감자, 참외 등의

    재배면적 확대 및 고품질 농산물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생산시설 지원

    확대 및 생산-출하 원칙과 품질 기준 재정립 등 생산기반을 강화함.

    - 또한 농가조직 강화를 위해 품목별 공선출하회 회원 농가 확대를 위한

    조직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품목별 연구회와 공선출하회 간 역할분담

    체계를 구축하여 신규 농가 육성 및 정예화 도모함.

    - 실효성 있는 생산지원 추진을 위해 개인 판매 위주의 산지유통구조를 통

    합마케팅 체계로 전환하여 농가에게 실익을 줄 수 있는 공동육묘, 수확

    단, 작업단 운영 등 생산지원 사업을 마련함.

    - (산지유통) 규모화, 전문화된 통합마케팅 조직 육성을 위한 산지유통 인

    프라를 구축하며, 산지유통시설 기반 강화를 위하여 통합마케팅에 대한

    농가 및 지역농협의 참여를 유도하고, 상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권

    역별 거점 상품화 및 저장 시설을 확충함.

    2 여주시(2017)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함.

  • 33

    - (통합마케팅) 통합마케팅조직을 중심으로 한 출하체계를 구축 및 시장교

    섭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생산관리-상품화-유통‧마케팅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는 공동 브랜드 마케팅 시스템을 구축하

    고, 생산-출하 원칙을 준수하는 농가를 중심으로 정책지원체계를 재편함.

    ○ 미곡과 서류를 제외한 생산면적 감소에 따라 생산량은 감소하였지만 식생

    활 인식변화에 따른 고구마와 감자의 생산량이 증가함.3

    - 미곡의 경우에는 생산량의 등락은 반복하고 있지만 감소 면적에 따른 단

    수의 보완으로 생산량에는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여주의 주력

    식량자원의 역할을 하고 있음.

    - 반면, 탄수화물 섭취에 대한 인식 및 식생활 변화로 감자 및 고구마 등

    서류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어 변화되는 사항을 반영한 주

    민소득 증대 차원에서의 식량작물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한 상황임.

    ○ 고구마의 주산지로서 경기도 권역 생산량의 절반 정도를 생산하고 있으며,

    재배면적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특히 농촌진흥청, 경기도농업기술원 등을 중심으로 고구마 바이러스 무

    병묘 생산 및 확대공급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 수량과 상품화비율을

    증대하며, 고구마 생산의 생력화(덩굴수확기, 세척포장기 등)로 노동력

    과 농가경영비를 절감하는 데 기여함.

    - 감자의 경우에는 최근 5년 동안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절반가량 감소하

    였으나 최근 가남면과 홍천면을 중심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음.

    ○ 산지유통조직으로서 통합마케팅 및 참여조직은 농협경제지주 계통조직인 연합

    사업단(2016년 기준 매출 726억원)이 있으며, 8개의 지역농협4이 참여하고 있음.

    3 여주시(2014).

    4 가남농협, 북내농협, 점동농협, 홍천농협, 금사농협, 능서농협, 대신농협, 여주농협 등 8개 농

    협임(여주시 2017).

  • 34

    - 그러나 이미 농업법인 등의 활동이 활발한 상황이기 때문에 연합사업단

    을 추진하는 데에 입장 차이가 큰 상황이며, 통합마케팅 체계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고, 농협 전체적으로도 판매사업 기반이 취약함.

    - 그 밖에 농산물 유통을 담당하는 대표적 개별조직으로서 동부과수농협이

    있으며, 이외에 고구마, 엽채류 등을 주로 취급하는 영농조합법인이 존재함.

    - 이들 영농조합법인은 소수로 정책 수혜를 위해 작목반이 법인으로 전환

    한 형태가 대부분임.

    ○ 지역 단위 종합대책 모델에 대한 의견

    - 경기도의 경우, 학교급식 영향으로 친환경이 활성화되어 있어 친환경 농

    산물 품목이 다양하고 조직도 다양함.

    - 농산물이 안정되려면 가격결정권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어느 정도의

    규모를 확보해야 하지만 쌀조차도 가격이 불완전한 상태임.

    - 이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햇사레’가 있으며, 경기도 이천, 여주, 음성을

    중심으로 한 조직이 가격결정권을 갖고 있음.

    1.3. 여주시농업기술센터 사례의 주요 내용(유통 및 소비를 중심으로

    한 밭작물의 체계적인 전략)

    ○ 여주시 고구마의 현황과 이슈

    - 여주에서 가장 큰 재배면적을 차지하는 작목은 가지, 고구마 순이며, 가

    지가 대표적인 주산물로 확대되어 주요 출하시기에 가락동 농수산물도

    매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음.

    - 고구마는 여주로 표시되지만 관내에서 생산되는 물량만큼 외부에서 생

    산되어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산지는 전국으로 봐야 하며, 관내에 거산,

    우농, 대일 등 유통전문 법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개인 농가

    도 7만 평 이상의 대농이 40~50명 이상 분포하고 있음.

  • 35

    ○ 고구마의 주요 생산단계별 이슈

    - 1980년대 중반 일본에서 식용 밤고구마 종자를 수입해 재배하기 시작하

    면서 여주가 밤고구마 주산지로 자리 잡음.

    - 고구마와 같이 대규모 생산체제를 갖춰야 하는 경우 시설을 확보하기 어

    렵기 때문에 농가의 신규 진입이 어려워 귀농 작목으로 고구마를 선택하

    지만 규모 있는 사업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과거에는 수확 이후 곧바

    로 시장에 출하했지만 현재는 세척, 저장 과정이 부가되어 이에 따른 저

    장고, 세척기 등의 설비가 요구됨.

    - 또한 재배 과정에 필요한 농기계(피복기, 골타기 기계, 덩굴 걷는 기계,

    굴취 등)을 가동하기 위한 큰 마력의 트랙터가 있어야 하는 등 기본 시설

    을 충분히 갖춰야 사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

    - 따라서 고구마 산업은 주로 기존 사업체가 규모를 확대하고 있으며, 승

    계를 통한 농가 또는 법인들이 규모를 확대시켜 나가는 추세임.

    - 게다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가 아니기 때문에 가능성을 보

    고 도전할 수 없는 품목이며, 특히 영농 규모만의 문제가 아니라 유통,

    판매 역량에 따라서도 사업의 성공 여부가 크게 좌우되며 최근에는 고구

    마 말랭이 등 가공사업을 부가하는 방식도 시도되고 있어 사업의 다각화

    에서 많은 고민이 필요한 상황임.

    ○ 고구마 생산 체계

    - 고구마 생산은 기계화 개발이 미흡하여 거의 인력 고용에 의해서 이루

    어지고 있으며, 주로 채묘, 정식, 비닐덮기, 덩굴치기, 수확 등 대부분의

    작업에 인력이 활용되고 있음.

    - 정식기가 있지만 완전 기계화가 되어 있지 않고 덩굴치기와 수확도 기

    계화되었으나 굴취기, 담는 부분은 사람이 직접 해야 함.

    - 여주에서 생산되고 있는 고구마는 대부분 저장하고 있는데 과거에는 부

    패율이 25%였으나 전용 저장고가 보급되면서 5%로 감소하였으며, 이

    러한 저장기술을 전국에 보급한 상황임.

  • 36

    ○ 고구마 관련 기계화 현황

    - 여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는 2005년 비닐 덮는 기계, 2009년 덩굴치기 기

    계를 개발하여 보급하였으며,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수확기를 농가가

    사용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지역과 토양 특성에 맞지 않는 문제가 여

    전히 남아 있음.

    - 정식기는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농가가 원하는 기계 작동 방식에는 한

    계가 있으며, 농촌진흥청과 두루기계 정식기가 보급되고 있지만 작업

    시에 어지럼증을 유발하여 실제 사용이 어려운 상황임(심는 방향과 기

    계 진행 방향이 달라 어지러우며 회전 시 중심 잡기가 곤란).

    - 2010년 이후 수확기는 100% 사용하고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캐는 작

    업뿐만 아니라 이후 선별과 적재까지 되어야 하는데, 생산지의 경사도

    가 심한 상황이기 때문에 실제 작업 활용에 어려움이 있음.

    ○ 고구마 관련 노동력 활용 현황

    - 노동력 활용의 경우 고용노동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필요한 인력에 비해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외국인 노동자가 활동하지만 필요한 노동의 극

    소수에 불과하여 상시 고용에는 한계가 있음.

    - 여주 고구마 농가 중 경지면적 3만평 이상이 200농가이며 1일 15~70명

    의 고용노동이 필요하지만 농가 고령화와 인력 부족으로 노동력이 매우

    부족한 상태임.

    - 작업단을 통해 공급받는 외국인 노동자의 불법 신분으로 인해 벌금 피해

    농가들이 계속 발생하여 농가를 대상으로 불법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교

    육과 정확한 고지가 필요한 실정임.

    - 여주시가 수도권이긴 하지만 인력이 충분한 상황은 아니며, 특히 수확기

    에 뜨거운 날씨와 무거운 고구마를 드는 데에 필요한 노동 강도가 크고

    다른 일을 해도 충분한 수입이 때문에 고구마 작업 노동력이 부족함.

    - 노동력 절감을 위한 농작업 방식의 변화로 비닐멀칭이 있는데 이는 비닐

    을 걷어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비닐멀칭을 하면 잡초억제, 물주기 절감

  • 37

    등에 효과가 나타나 소규모보다는 대규모 농가에 적합함.

    - 고구마 생산을 위해서는 일정한 기술이 필요한데 정식 때에는 심는 간

    격, 심은 이후에는 압착(여주시의 독특한 생산기술) 등 숙련된 기술력이

    있어야 하고, 28개 단계로 이루어지는 고구마 선별을 위해서 전문 인력

    이 필요함.

    ○ 여주시농업기술센터의 고구마 관련 지원 사업

    - 센터 내 무병묘 센터에서 무병묘를 배양하고 보급하는 사업이 있으며,

    보급량 10만주를 이번 가을에 보급할 예정임.

    - 여주 고구마는 봄에 저장 물량이 출하되기 때문에 가을 수확기에 판매량

    보다 저장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이에 따라 저장고 지원사업(기존 지

    원을 통해 저장 필요 수요는 모두 설치완료)도 있어 현재에는 기존 저장

    고에 큐어링 즉, 저장력향상사업, 시설보완 공사를 하고 있음.

    - 이외에 비교전시포 운용 및 품종적합성 시험을 진행하며, 품종 등록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센터에서 직접 신품종을 육종하여

    등록하지 않고 바로 농가에 보급함.

    - 고구마는 신품종을 쉽게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과학적 기법을

    동원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어 농가가 차별적인 품종으로 상용화할

    수 있다면 바로 보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현재에는 시작단계이지만 ‘논 고구마 재배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내

    년도에도 시범으로 할 예정으로 면적을 3배로 확대할 계획임.

    - 이외에 ‘밭 2기작 고구마 시험’도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는 비가 늦게 와

    서 수확시기가 늦어져 고구마-무(단무지 무)로 진행하는 등 온난화로 인

    해 2기작 재배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주요 밭작물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 밭작물은 연작 문제가 있어 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동하는 특

    성을 나타내며, 지역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군 또는

  • 38

    지역 단위 대책만으로는 한계가 있음.

    - 여주시 고구마의 실질적인 물량은 약 3,000ha에 달하지만(관내 1,700ha

    관외 1,300ha) 여주시민이 다른 지역에서 고구마 농사를 짓고 있는 경우

    는 제외되어 있어 이를 추정하면 여주시를 중심으로 약 2배가량의 물량

    이 유통되고 있음.

    - 이와 유사하게 잡곡도 마찬가지로 관내에서 생산·유통되는 물량보다는

    외부에서 생산된 것이 관내에서 유통되는 물량이 많음.

    - 잡곡의 경우 논 대체작물로 많이 재배하는데, 우리나라 밀과 보리는 거

    의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농가가 출하해도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임.

    - 또한 잡곡은 선호하는 소비자만 선택하기 때문에 시장이 좁을 수밖에 없

    음. 생산량을 조금만 증가시켜도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친환

    경 또는 직거래를 통해 가격 변동에 영향이 적은 농가만 생존할 수 있는

    구조임.

    - 따라서 밭작물이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역 단위보다 유통조직을

    중심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며, 최근에는 오프라인 유통이 감소하고 온라

    인 시장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도 결국 유통의 변화이기 때문에

    밭작물도 결국 유통을 활성화해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

    ○ 여주시 밭작물 발전 방향

    - 가공, 특화품종, 수출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개발해야 하며, 품종이 특화

    되어 재배기술로 이어지면 특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

    - 고구마는 부패가 심한 작목인데 처음 수출을 시도할 때에 관련 기술이

    알려지지 않아 어려움이 있음.

    - 베트남에 첫 고구마 수출로 2.3톤을 보냈는데 이를 위해서는 온도 13도,

    습도 85%를 맞추고 마무리 작업을 철저히 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함.

    - 동남아 지역에서는 안전성이 보장되고 온대성 품질로 품질도 우수하여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좋은 인식과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 39

    - 또한, 여주는 전국에서 저장시설이 가장 발달하여 생산물량의 70% 저장

    량을 이미 확보하고 있어 수출 기술만 개발‧보급된다면 수출에 성공할

    것이며, 안정성과 품질이 우수한 측면을 부각시켜 수출시장을 도모하고,

    국내시장은 고급화로 틈새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2. (경북 안동)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

    2.1. 농업 기본 현황

    ○ 2016년 기준 농가 수는 13,852가구이며 전업농 9,644가구(69.6%), 겸업농

    4,208가구(30.4%)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가인구는 16만 8,723명으로 남자와

    여자 비율이 더 높음.

    안동시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2012~2016)

    단위: 가구, 명

    구분농가 농가인구

    합계 전업 겸업 합계 남자 여자

    2012 14,661 9,835 4,826 168,302 83,091 85,211

    2013 15,142 10,138 5,004 168,461 83,229 85,232

    2014 15,066 10,067 4,999 168,697 83,240 85,457

    2015 14,128 9,713 4,415 168,238 82,989 85,249

    2016 13,852 9,644 4,208 168,723 83,218 85,505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림어업조사.

    - 2012~2016년 동안 농가 및 농가인구 수는 소폭으로 등락을 반복하며 전

    업농이 약 69%(9,644가구)로 많고 여자 농가인구 비율이 2,000여 명 정

    도 더 많음.

  • 40

    ○ 2016년 기준 전체 경지면적은 20,039ha로 나타났으며, 논 6,706ha(33.5%),

    밭 13,333ha(66.5%)로 구성되어 있고, 가구당 경지면적은 총 144.6a로 논이

    48.4a, 밭이 96.2a로 나타남.

    - 2012~2016년 동안 전체 경지면적은 2만 ha 이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논과

    밭 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6년을 기준으로 2012년보다 논의 면적

    이 599ha 감소함.

    안동시 경지면적 변화(2012~2016)

    단위: ha

    구분 계 논 밭가구당 경지면적(a)

    계 논 밭

    2012 20,666 7,305 13,361 141.0 49.8 91.1

    2013 20,734 7,503 13,231 136.9 49.6 87.4

    2014 20,413 7,209 13,204 135.8 44.9 90.9

    2015 20,462 6,764 13,698 144.8 47.9 97.0

    2016 20,039 6,706 13,333 144.6 48.4 96.2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업면적조사.

    ○ 식량작물은 2015년 기준 총 7,951ha의 경지면적에서 약 4만 3,000톤을 생산

    하고 있으며, 미곡 3만 2,000톤(5,679ha), 서류 7,000톤(348ha), 두류 3,000톤

    (1,680ha), 잡곡 560톤(223ha), 맥류 62톤(23ha)의 순임.

    안동시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11~2015)

    단위: ha, M/T

    구분합계 미곡 맥류 잡곡 두류 서류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2011 8,115.80 45,082 6,236 32,550 9 21 168.8 393.4 1,178 2,601 524 9,517

    2012 8,262 43,635 6,07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