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남한의 초기칠기시대, 원삼국시대

남한의 초기칠기시대 원삼국시대keris2.dl.cdn.cloudn.co.kr/KOCW/document/2016/koreasejo... · 2017-04-04 · 제작 기술이최 ... • 달라진 점은 청천강 이북의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남한의 초기칠기시대, 원삼국시대

  • 초기철기시대 성립 배경

    1

    철기 ㆍ중국 동북지방에 위치하던 전국시대 燕[연]나라로부터 가 도입됨으로써 초기철기시대가 시작.

    기원전 4~3세기

    ㆍ 고조선과 燕[연]나라의 무력 충돌(『史記[사기]』 朝鮮列傳[조선열전] 및 (『三國志[삼국지]』)

    고조선은 서쪽 2천여리를 연에게 빼앗기고 千山山脈[천산산맥]을 경계로 연과 대치하게 되었음.

    연, 고조선의 들 다수가 한반도 지역으로 유입

    유이민

  • 2

    제1기 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전반

    제2기 기원전 3세기 후반~2세기

    초기철기시대의 특징

    철기 의 보급

    청동기

    대량 생산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단계

    의 제작기술이 최고도에 도달

    청동기시대의 도 이어서 사용 마제석기

    점토대토기

    토기 를 기준

    한사군 설치 이후 한의 발달될 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남한에 파급되는 시기까지임

  • 3

    초기철기문화의 전개

    3

    1.Ⅰ기(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전반)

    • 세죽리-연화보유형(요동반도와 서북한)

    明刀錢[명도전] :

    주조 철기

    평안북도 龍淵洞[용연동]유적

    청천강

    평안북도 寧邊郡[영변군] 細竹里, 중국 요령성 蓮花堡

    주로 연나라에서 사용된 청동 화폐

    철기 출토 유적들은 지역에 한정되어 있음 북한

  • 4 4

    • 粘土帶土器[점토대토기], 세형동검, 細文鏡[세문경]: 고조선계(고조선의 유이민들과 관련)

    • 遼寧[요령] 本溪縣[본계현] 上堡村[상보촌] 석곽묘

    = 잔무늬 거울

    • 遼寧[요령] 朝陽[조양] 十二臺營子[십이대영자] 석곽묘

    9-8세기

  • 5

    2. 대전 괴정동유적

  • 6 6

    2. Ⅱ기(기원전 3세기 후반~2세기)

    • 대동강유역에서는 전 단계의 청동기문화가 더욱 발전하여 세형동검 외에 細形銅戈[세형동과], 등의 청동기가 제작.

    대동강유역은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중요한 거점일수밖에 없음.

    고조선의 중심이 대동강유역이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됨.

  • 7 7

    • 2세기 초 성립한 위만조선의 중심지도 역시 대동강유역으로 추정

    위만조선의 물질문화 :

    고조선과 연 전통의 문화요소를 융합한 바탕 위에 진, 한대의 새로운 문화요소를 수용

    (점토대토기, 세형동검, 세형동과, 세문경)

    (주조철기, 타날문 토기)

    (반량전)

  • 8

    각종 유물에 대한 검토

    1. 청동기

    1) 세형동검(기원전 4~3세기)

    요령지방 출토 세형동검(요령식 세형동검) 한반도 출토 세형동검(한국식 세형동검)

  • 9

    ①Ⅰ식 세형동검 : 부여 연화리 석곽묘 출토품 등

  • 10

    ② Ⅱ식 세형동검

  • 11

    마지막 형태

    피홈

  • 12

    2) 劍把形[검파형] 지금까지는 충청남도의 대전 괴정동·아산 남성리·예산 동서리의 세 유적에서만 발견.

    예산

    동서리유적

    아산

    남성리유적

  • 13 13

    뒷면은 우묵하게 들어가 빈 대나무 속 같음

    • 상부에 두 개, 하부에 하나씩의 ∩형 꼭지가 붙어 있어 의복과 같은 것에 매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추정.

  • 14

    3) 喇叭形[나팔형]

    중국에서는 이 동기를 머리 장식으로 사용되었다고 함. 말

  • 15

    4) 동탁

    3, 900년 전 중국 陶寺[도사], 3,700년 전 중국 二里頭[이리두]

    (4세기 전반~중엽)

  • 16 16

    평양 上里[상리], 황해도 황주 黑橋里[흑교리](2세기) 창원 다호리고분군(원삼국시대)

  • 17

  • 18 18

    5) 동령(3~2세기) : 제사장의 巫具[무구]로 추정되는 八珠鈴[팔주령], 竿頭鈴[간두령], 雙頭鈴[쌍두령] 등의 청동방울 세트가 충남, 전남 함평과 낙동강 상류에서 발견.

    전남 화순 大谷里[대곡리]유적(3세기)

    전남 함평 草浦里[초포리]유적(2세기)

    논산(

    3세기)

  • 19

    6) 거울

    요령지방 출토

    대전 괴정동유적

    粗文鏡[조문경](4세기경)

    부여 구봉리유적 석곽묘(3세기 말-2세기)

    조문경

    세문경

  • 20

    2. 철기

    • 철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료를 채취하는 채광, 원료에서 철 성분을 추출하는 제련 과정이 있는데 이를 밝혀줄 초기철기시대의 자료는 아직 발견된 바 없음.

    • 중국 동북지방과 한반도에서 철기문화의 시작은 기원전 4세기 무렵 연나라의 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시작.

    평양북도 渭原[위원] 龍淵洞[용연동]유적

    • 기원전 4~2세기경 이북에서는 철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지만, 그 이남에서는 본격적인 제작 및 보급 단계에 들어선 것은 아님.

    청천강

  • 21

    단편적이지만 청천강 이남의 철기문화 양상

    부여 合松里[합송리]유적(2세기경)

    당진 素素里[소소리]유적(2세기경)

    http://img.4travel.jp/img/tcs/t/pict/src/21/99/67/src_21996704.jpg?20110506164556

  • 22 22

    3. 토기

    • 기원전 800~600년경 요령지방 비파형동검 전기와 병행.

    1) 점토대토기

    遼寧[요령] 鄭家窪子[정가와자]유적(기원후 600년)

    3지점

  • 23

    ① 기원전 4세기경

    안성 반제리 21호 주거지

    ② 기원전 3세기경 ③ 기원전 2세기경

    안성 반제리 13호 주거지

    대구 칠곡유적 3호 주거지

  • 24

    ④ 종말기

  • 25

    2) 黑陶 長頸壺[흑도 장경호]

    • 청동기시대 요녕식 동검문화권의 흑도 장경호와 연결 • 단면원형점토대토기와 공반

    • 말기에 조합식 우각형파수가 부착되어 원삼국시대까지 유행

    • 지역에 따라 고리형파수가 부착되기도 함

  • 26

  • 27 27

    3) 甑[증] : 시루

  • 28

  • 29

  • 30 30

    4. 주거지

    • 청동기시대와 큰 차이 없이 수혈 형태가 주류를 이룸.

    • 달라진 점은 청천강 이북의 서북한, 중국 동북지방, 연해주 등지에서 종전의 화덕 대신에 과 조리 가능을 보다 강화 발전시킨 부뚜막과 구들 시설이 유행함.

    흑룡강성 봉림성지 주거지 연해주 페트로바유적 주거지

    난방

  • 31

    춘천 율문리유적

  • 32

    5. 무덤

    • 청동기시대에 유행하던 는 초기철기시대에 들어오기 전부터 소멸되기 시작함.

    • 초기철기시대에 주류를 이루는 무덤.

    1) 木棺墓[목관묘]

    → 원삼국시대에도 계속 축조

    고인돌(지석묘)

  • 33

    2) 甕棺墓[옹관묘](독무덤) : 유아용

    • 범세계적인 묘제, 중국, 남만주, 한반도, 일본

    • 화북지방 신석기시대 이래의 옹관묘제 → 요동반도 → 북한지방

    청동기시대 후기

  • 34

    원삼국시대 개관

    1. 역사적 상황

    • 기원전 2세기말 설치 : 한사군

    문화의 본격적 파급

    • 대소 정치집단의 성립

    2. 문화적 특징

    낙랑군 설치 이후 철생산 본격화:

    의 소멸, 철기의 생산과 보급 청동기

    철제 농구와 牛耕[우경]에 의한 농업의 발달

    저화도 무문토기의 소멸과 회색토기 사용 고화도

    의 소멸, 석곽묘의 발달, 목곽묘 등장

    일본에 수출

    原史[원사]

    철기

    지석묘

  • 35

    중부 및 서남부 지역 1. 개관

    • 기원전 1세기∼ 3세기 중후엽경 한강유역으로부터 충청·전라도 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여러 정치 집단의 통칭임.

    ≪삼국지≫ 위서 동이전 : 54개 소국

    2. 마한지역의 원삼국문화

    • 中島[중도]유형문화 :

    춘천 중도유적 경질무문토기 등

    주거지(집터) : 呂[려(여)]자형, 凸[철]자형

    적석총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한성백제의 기층문화이자 濊[예]계 집단의 고고학적 문화

    • 이 지역은 문헌상의 과 濊[예]계 집단의 활동 공간. 마한

    무덤 :

    토기 :

  • 36

    1) 주거지(집터) 呂[려(여)]자형

    凸[철]자형

  • 37

    연천

    학곡리

    적석총

    연천

    횡산리

    적석총

    ≪삼국지≫ 위서 예조 : 고구려와 같은 존속이어서 언어, 풍속 등이 기본적으로 유사함

    2) 무덤

  • 38

    경질무문토기 :

    3) 토기 청동기시대 무문토기 보다 그 경도가 단단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

    타날문토기

    낙랑토기

  • 39

    장방형

    천안 청당동유적

    周溝[주구]토광묘

  • 40

    동남부 지역

    • 원삼국시대의 영남지역은 동일한 문화권을 이루고 있음.

    이러한 양상은 진, 변한 문화의 공통성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훗날 신라와 가야 문화로 이어지면서 일부 요소는 공유하고 일부에서는 서로 다른 특징으로 발견시켜 나감.

    주거지(집터) :

    무덤 :

    철 생산

    원형과 방형

    목관묘과 목곽묘

    토기 : 瓦質土器[와질토기]

    ≪삼국지≫ 위서 동이전 및 ≪후한서≫

    弁, 辰韓合二十四國, 弁辰與辰韓雜居, 城郭衣服皆同, 言語風俗有異.

  • 41

    1) 주거지(집터)

    사천 늑도유적 경주 황성동유적

  • 42

    2) 무덤

    ① 木棺墓[목관묘] 창원 다호리유적

  • 43

    ② 木槨墓[목곽묘] 를 발전시킴

    으로부터 매장 관념만 영향을 받음.

    목관묘

    낙랑

  • 44

    3) 철 생산

    ≪삼국지≫ 위서 동이전 변진조 :

    나라에서 쇠가 나는데, 이를 예, 왜에서 가져 간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것도 모두 쇠를 가지고 해서, 중국에서의 돈을 가지고 쓰는 듯하다. 또, 낙랑과

    대방군에도 공급해 준다.

  • 45

    鐵鋌[철정]

    제련, 용해

  • 46

    괭이 기래

  • 47

    쟁이

    끌, 정

  • 48

    철제 농기구의 사용 석기나 목기의 사용보다 노동력과 시간이 현저히

    감소

    생산력 증대

    철 정 철의 소재나 화폐의 기능

    일본

  • 49

    有刺利器[유자이기]

  • 50

    4) 토기 :

    와질토기

    회색 위주에 회흑색, 흑색 등의 색조를 띠며 단단하기가 와 비슷하다하여

    붙여진 이름

    바탕흙은 매우 고운 진흙을 사용

    낙랑계(樂浪系)의 한식토기(漢式土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발생되었다고 보고

    있음

    주머니호

    기와

  • 51

    원저장경호(

    조합식우각형파수)

    고배

    신선로형토기

  • 52

    오리모양 토기

    ≪삼국지≫ 위서 동이전 변진조 : 以大鳥羽送死, 其意欲使死者飛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