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용량의 증가, 네트워크의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운용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입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정이나 댁내 장치까지 광섬유가 개 별적으로 공급되는 파이버 투 더 홈(FTTH)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역별 FTTH 관련 제품 그리고 시장 현황에 대해 기술하였고, 시스템 밴더들의 제품 특성과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I. 서 론 최근 차세대 인터넷, IP-TV, 인터렉티브 게임 등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용 량의 증가, 네트워크의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운 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 인 증가를 수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서비스 제 공자들이 광대역 망으로 전환할 경우 앞으로 광가입 자망의 성장 잠재력은 엄청날 것으로 기대된다. 향 후 가장 궁극적인 가입자망의 목표는 가정이나 댁내 장치에까지 광섬유가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파이버 투 더 홈(FTTH), 또는 파이버 투 더 프레미스(FTTP) 이나 막대한 투자가 소요되므로 경우에 따라 보완적 인 각종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파이버 투 더 존 (FTTZ)은 FTTH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FTTH 에 추가하여 FTTN(Fiber * LG 전자기술원/선임연구원 I. II. FTTH 관련 제품의 지역별 시장 동향 III. 지역별 FTTH 시스템의 요구 사양 및 시장 접근 전략 IV. 주요 FTTH 밴더들의 동향 V. 포커스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용량의 증가, 네트워크의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운용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입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정이나 댁내 장치까지 광섬유가 개

별적으로 공급되는 파이버 투 더 홈(FTTH)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역별 FTTH 관련 제품

그리고 시장 현황에 대해 기술하였고, 시스템 밴더들의 제품 특성과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I. 서 론

최근 차세대 인터넷, IP-TV, 인터렉티브 게임 등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용

량의 증가, 네트워크의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운

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

인 증가를 수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서비스 제

공자들이 광대역 망으로 전환할 경우 앞으로 광가입

자망의 성장 잠재력은 엄청날 것으로 기대된다. 향

후 가장 궁극적인 가입자망의 목표는 가정이나 댁내

장치에까지 광섬유가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파이버

투 더 홈(FTTH), 또는 파이버 투 더 프레미스(FTTP)

이나 막대한 투자가 소요되므로 경우에 따라 보완적

인 각종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파이버 투 더 존

(FTTZ)은 FTTH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FTTH 에 추가하여 FTTN(Fiber

목 차

* LG 전자기술원/선임연구원

I. 서 론

II. FTTH 관련 제품의 지역별

시장 동향

III. 지역별 FTTH 시스템의 요구

사양 및 시장 접근 전략

IV. 주요 FTTH 밴더들의 동향

V. 결 론

포커스

Page 2: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주간기술동향 통권 1338호 2008. 3. 19.

2

To The Neighborhood)으로서 광섬유, 동축케이블, 동선, 비차폐 연선(UTP), 무선 등 기존의

광대역 방식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개념이다. 파이버 투 더 커브(FTTC)나 파이버 투 더 캐비닛

(FTTC), 파이버 투 더 노드(FTTN)는 가입자 지역 전신주나 지하에 설치된 합체까지 광섬유를

포설하는 방식을 말한다. 파이버 투 더 오피스(FTTO), 파이버 투 더 빌딩(FTTB) 등은 기업이

나 아파트 건물까지 광섬유가 포설되고, 그 이후는 기존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

입자망 솔루션으로는 수동형 광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 PON)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데 PON 기술은 B-PON, G-PON 그리고 E-PON 시스템 등이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는

E-PON 등이 경제성이나 기술 성숙도 등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최종 형태의 가입자

망은 WDM-PON 기술로 통합될 것이다. 시장조사기관 인포네틱스 리서치(Infonetics Research)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FTTH-PON(EPON, GPON, BPON) 장비 시장은 2005년

5 억 6,500 만 달러 규모에서 2009 년에는 30 억 달러 규모로 432%의 급격한 성장을 이룰 것

으로 전망되었다. PON 가입자 수도 계속 불어나 2005 년 410만 명에서 2009년 3,800만 명

을 기록할 것이란 분석이다[1]. EPON, GPON, BPON의 기본 개념은 <표 1>과 같다[2]. FTTH-

<표 1> B-PON, G-PON 및 E-PON 비교

구분 ITU-T BPON ITU-T GPON IEEE EPON

Data rate(Mbit/s) Down: 1244, 622, 155 Down 2488, 1244 Down: 1250

Line coding NRZ(+scrambling) NRZ(+scrambling) 8b/10b

Minimum split(on TC layer) 32 64 16

Maximum split(on TC layer) 64 128 Not specified

Maximum logical roach supported by TC layer

20km 60km(with 20km differential

between ONTs) 10km, 20km

Layer 2 protocols ATM Ethernet, TDM over GEM(GPON

Encopsulation Mode), ATM Ethernet

Standards documents ITU-T G.983 series ITU-T G.984 series IEEE 802.3oh

TDM support TDM over ATM Native TDM over ATM, TDM

over Packet TDM over Packet

Typical downstream capacity (for IP data throughput)

500Mbit/s)for 622Mbits/s line rate)

1170Mbit/s(for 1,244Gbit/s line rote)

910Mbit/s

Typical upstream capacity (for IP data throughput)

500Mbit/s)for 622Mbits/s line rate)

1160Mbit/s(for 1,244Gbit/s line rote)

760~860Mbit/s

OAM PLOAM+OMCI PLOAM+OMCI Ethernet OAM

(+optional SNMP)

DOWNSTREAM SECURITY “Churning” or AES AES(counter mode) not defined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OMCI: ONT management and Control Interface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OAM: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oinetenonce

PLOAM: Physical Layer OAM TC: Transmission Convergence

<자료>: Alcatel

Page 3: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포커스

3

PON 시장이 이처럼 고공 성장하는 데에는 IP-TV, 인터넷 게임과 같은 높은 대역폭의 애플리

케이션들이 통신시장의 핵심으로 부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FTTH-PON 장비분야에서는 일본

히타치, 미쓰비시를 비롯해 텔렙스, 알카텔 등이 아시아와 유럽, 북미 시장에서 주도권을 형성하

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이러한 FTTH 시장의 세계적 동향과 각국의 FTTH 전략 및 적용 사례를

통해 향후 FTTH 시장 및 기술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II. FTTH 관련 제품의 지역별 시장 동향

FTTH 는 현재 미국, 유럽 그리고 아시아 지역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실제 이러한

FTTH 를 적용한 지역의 사례도 늘고 있다. 본 절에서는 세계 각 지역별 FTTH 적용 사례 및

정책 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 미국 시장의 FTTH 동향

2006 년 5 월 현재 미국은 47 개 주에서 약 940 개의 FTTH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을 갖

고 있으며 이후 RBOC(Regional Bell Operating Company) 중심으로 CATV 사업자와의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투자를 확대하여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급격히

증가해 2007년 3월 현재 미국의 서비스 가입자는 약 134만 명 정도이고 home pass율 기준

으로는 약 800만 회선에 달한다[3].

<자료>: 2007 RVA

(그림 1) 북미 시장의 FTTH 가입자 추이

Page 4: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주간기술동향 통권 1338호 2008. 3. 19.

4

FTTH 구축 방식은 2006 년까지는 주로 B-PON 위주로 설치하였으나 2007 년부터는

Verizon 등의 통신사업자들이 G-PON 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2006 년 4 월 기준 FTTH

구축 방식별 점유율은 B-PON 74%, AON 11%, E-PON 8%, G-PON 7%이다. 2007년 현재 미

국의 FTTH 현황을 분석해 보면 브로드밴드 서비스가 전체의 53%, 단순 dial-up 서비스가

21%,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은 가구가 25%, 그리고 FTTH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전체의

1.2%로 아직까지 FTTH 서비스는 전체 기준으로 미비한 상황이나 그 성장률만큼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3]. 북미 시장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Verizon(FiOS 프로젝트)은 2010년

까지 1,800 만 이상의 가정과 사업처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며 AT&T 와 Bell South 역시

투자 계획을 발표하였다[4]. Verizon은 각 가정 당 실제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형태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AT&T는 SBC에서 진행했던 대로 일정 지역까지 광케이블을 이용하고 그 후부터는

Copper Cable로 각 가정을 연결하는 혼합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

2. 유럽 시장의 FTTH 동향

유럽은 상대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FTTH 서비스 가입자율이 낮은 편이다. 2006년 6월 현

재 EU 25 개국과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그리고 스위스를 포함해 82 만 명의 FTTH 가입자,

home/building pass 기준으로는 약 274 만 가구 정도이며 이는 2004 년 대비 약 26%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가입자의 대부분은 스웨덴, 이탈리아, 덴마크, 네덜란드 그리고 노

르웨이의 5 개국으로 전체 유럽 가입자의 약 96%를 차지한다[5]. 각 국가별 FTTH 동향은 다

음과 같다.

네덜란드는 현재 FTTH 서비스 가입자가 많지 않지만 정부와 시의 의지는 확고하다. 암스테

르담은 첫 번째 단계로 2007년에 home pass 기준으로 FTTH 가입자가 4만 가구가 되고 2013

년이 되면 전국적으로 FTTH 서비스가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로테르담과 아인트호벤 등을 중심

으로 FTTH 서비스가 예정되어 있다[6].

프랑스는 2006년 12월 두 번째로 큰 사업자인 Free가 파리를 중심으로 2012년까지 수백

만 가구에게 FTTH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또한 Erenis 는 파리를 중심으로

2010년까지 약 백만 가입자에게 FTTH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파리시 정부는 2009년까지

약 65만 가구 이상이 FTTH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독일은 유럽 가구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유럽에서 가장 큰 국가이지만 광대역 서비스에서

만은 큰 진전이 없었다. 그러나 2006년 Cologne을 중심으로 20만 3,000 가구에게 FTTH 서

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독일은 현재 FTTN+VDSL 기술 기반이며 향후 3~5년

Page 5: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포커스

5

내에 FTTH이나 FTTB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탈리아는 밀란을 기반으로 20 만 가구의 FTTH 망을 보유하고 있는 유럽의 최대 FTTH

사업자 중의 하나인 Fastweb 을 중심으로 FTTH 산업이 발전되었으나 현재는 이렇다 할 추가

계획은 없는 실정이다. 다만 Telecom Italia는 20~25%의 도시 밀집 지역에 FTTC, FTTB 그

리고 FTTH가 혼합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덴마크는 작은 국가이지만 FTTH 서비스 면에서 선구자 격의 역할을 수행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덴마크 정부는 덴마크 인구의 35% 이상인 백만 가구에 FTTH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으며 약 13억 유로를 투자할 예정이며 FTTN+VDSL방식이 예상된다.

스웨덴은 주로 Bredbandsbolaget 과 Bostream 이라는 두 개의 사업자에 의해 FTTH 서비

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인프라가 가장 발전된 유럽국가 중의 하나로 전체 290여 개의 시 중에서

약 20개 정도의 시가 자체 광통신망을 소유하고 있다. 또한 많은 도시에서 새로운 FTTH 서비

스 제공 계획들을 발표하고 있어 머지 않아 많은 수의 가입자가 FTTH 서비스의 혜택을 누릴

예정이다.

영국은 유럽의 강대국 중에서는 가장 FFTH 구축의 의지가 약한 국가 중의 하나이다. 비록

BT가 오래 전부터 FTTH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사업에는 아직 의문점을 비치고 있다.

(그림 2)에서 알 수 있듯이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Heavy Reading 에 의하면 2011 년까지

유럽 25 개국의 전체 가구수의 8.2%에 이르는 1,660 만 가구 정도가 FTTH 서비스를 사용할

주) Figures relate to EU25 countries plus lceland, Norway and Switzerland

<자료>: Heavy Reading

(그림 2) 유럽 국가들의 2011 년까지 FTTH 예상 가입자 수

1,650

5,735

9,921

3,062

686 992

16,604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5 2006 2007 2208 2009 2010 2011

(Households: 1,000)

Page 6: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주간기술동향 통권 1338호 2008. 3. 19.

6

것으로 전망된다[6].

FTTH 시장에 대한 IDATE 사에 의하면 (그림 3)과 같이 2015 년까지 전체 광대역 서비스

가입자의 9%가 FTTH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5].

3. 아시아 시장의 FTTH 동향

아시아 지역은 FTTH 관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데 이는 FTTH 관련 기술이 가장 발달한 일

본 및 한국 그리고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할 것으로 보이는 중국이 주도하기 때문이다.

<자료>: IDATE, 2006년부터는 예상치

(그림 3) 유럽의 2015 년까지의 광대역 통신망 가입자 수

(단위: 천 명)

<표 2> 일본 인터넷 접속 서비스 계약 건 수 추이 (단위: 1,000 건)

2006년 6월 말 2006년 9월 말 2006년 12월 말 2007년 3월 말 구분

계약 수 전년대비 계약 수 전년대비 계약 수 전년대비 계약 수 전년대비

유선인터넷 31,441 4% 30,243 - 30,623 - 30,781 -

FTTH 6,305 85% 7,154 80% 7,940 71% 8,803 61%

DSL 14,490 3% 14,396 1% 14,325 -2% 14,013 -3%

CATV 3,409 11% 3,478 11% 3,567 10% 3,609 9%

FWA 10 -55% 10 -50% 11 -43% 11 -28%

무선LAN 5,502 - 5,704 - 5,900 - 6,099 16%

휴대전화, PHS 82,911 7% 84,058 7% 85,181 6% 87,129 7%

<자료>: 일본총무성, 2007년 6월

Page 7: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포커스

7

일본의 경우 총무성의 발표에 의하면 2007년 3월 말 전체 광대역(FTTH, DSL, CATV) 가

입자 수는 2,643만 명이며 이 중 FTTH 서비스 가입자 수는 약 880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중

FTTH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3.3%이며 가입자 수 기준으로 전년대비 61% 증가하는

등 높은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7]. 일본은 유럽에 비해 FTTH 산업이나 기술이 약 5년 정도

앞선 것으로 평가되며 FTTH 서비스 제공률은 유럽의 10 배 이상이다. 일본 사업자들은 2011

년까지 전체 일본 가구수의 절반 이상이 FTTH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는 전망을 내 놓았다.

중국에서는 China telecom 이 2006 년 말 현재 약 10,000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7 년 이후 상업적인 보급에 나설 계획이며, 다른 주요 사업자의 하나인 CNC 또한 이와 비

<자료>: Ovum-RHK

(그림 5)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FTTX 장비 비중(2005~2008년 기준)

Japan63%

China18%

South Korea12%

Other1%

Taiwan6%

<자료>: 일본총무성, 2007년 6월

(그림 4) 일본 광대역 접속 서비스 기술별 점유율 추이(2007 년 3 월 말 현재)

Page 8: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주간기술동향 통권 1338호 2008. 3. 19.

8

슷한 규모이다. 반면 대만은 FTTH 서비스가 보다 활성화되어 가입자 수가 현재 50만 명에 이

를 것이며 2010년까지 240만 명에 이를 예정이다[6].

전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FTTX 관련 장비 사용 비중을 보면 (그림 5)와 같이 일본이 약

63% 정도로 수위를 차지하였고 이어서 중국이 18% 한국이 12% 순으로 예측되었다. 중국은

그만큼 후발주자이면서도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조만간 가장 큰 FTTH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7].

III. 지역별 FTTH 시스템의 요구 사양 및 시장 접근 전략

시장 조사기관인 Heavy Reading 에 의하면 전세계 FTTH 가입자 수는 2006 년 1,100 만

가구에서 2011 년에는 약 8,600 만 가구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아시아 시장은 FTTH 가입자

수가 약 5,900만 가구에 이르러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며, 미국과 나머지 지역이

약 2,700만 가구의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6].

FTTH 서비스 구축에 있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유럽이나 북미지역과는 다른 점을 보인다.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주로 기존의 통신망 사업자가 FTTH 구축의 약 9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의 대부분이 FTTB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유

럽이나 북미가 주로 기존의 통신망 사업자보다는 지방자치 정부나 공공 사업체들에 의하여 주도

되며 FTTX 기반이라는 점과 대비된다. 이렇듯 각 지역별로 선호되는 FTTH 시스템의 요구사

항 및 발전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로 차별적인 시장 접근 전략이 요구된다. 본 절에서는

각 지역의 FTTH 서비스의 특징을 살펴본 후 각 지역의 FTTH 요구사항 및 시장 접근 전략을

살펴 보았다.

일본의 경우 총리 산하의 ‘e-Japan’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FTTH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으

며 NTT 등의 통신망 업체가 그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에서 특별융자, 이자

감면제도와 같은 정책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국가 정책과 사업자의 실리가 일치하는 대표적

인 예로 볼 수 있다. 또한 FTTH 사업 전개 방향은 초기에 신축 주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

나 현재는 기존의 주택으로 보급되고 있다. 지역적으로 인구가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인구밀

도가 높아 관동, 관서 중부권 3대 지역에 전 국민의 약 70% 정도가 밀집되어 있다는 점과 초기

이 지역을 중심으로 FTTH 보급 및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가정에까지 직접

광섬유를 포설하는 형태가 선호된다[9]. 전략적인 면에서는 일본의 주요 도시들은 대부분 공동

주택의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요구되는 시스템의 사양은

Page 9: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포커스

9

IP 전화 및 IP-TV 위주의 주로 고속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고속 장비 위주이고 하드웨어 시스

템은 E-PON 점유율과 B-PON 점유율이 약 7:3 정도이다. 추후 요구 전송속도가 1Gbps 이상

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G-PON으로의 전환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중국은 아직까지 FTTH 서비스 보급이 미진하나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90억 달

러를 투입, E-PON 기반의 FTTH 사업에 투자할 계획을 발표하였고 시장 잠재력이 가장 커서

향후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 FTTH 사업자 간의 경쟁이 예상된다. 단, 넓은 영토에 비해 중앙 정

부의 힘이 강하다는 면에서 중앙 정부가 일률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기에도 쉽지 않고 지자체만의

예산으로 진행하기에도 어렵다는 점이 딜레마로 남아 있어 FTTH 서비스는 당분간 특정 대도시

위주로 진행될 전망이다. 따라서 초기에는 대도시 위주로의 점진적인 접근 전략이 중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일본과는 달리 기존의 통신망 사업자에 국한되지 않고 CLEC, ILEC, RBOC,

지자체, 건설업체 등의 다양한 사업 주체들이 공존한다. 또한 일본의 경우와 같이 데이터의 속도

에만 집중하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국민성과 일상 생활 형태도 이러한 차

이의 한 원인이다. 미국의 FTTH 서비스가 일본에 비해 부진한 원인은 이러한 이유 이외에도

광대한 국토와 낮은 인구 밀집도(약: 30 명/km2), 대다수가 단독주택이고(약 70% 이상) 공동주

택 비율이 낮은 점을 고려하여 시장 전략에 반영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FTTH의 형

태보다는 FTTN/FTTC와 DSL 서비스를 서로 절충 및 보완하는 형태로의 전략이 선호된다. 장기

적으로는 주로 신규 주택들 위주로 FTTH 서비스가 선택되고 있으며 Verizon, SBC, BellSouth

공히 신규 주택에는 FTTH 서비스를 구현한다는 입장이다.

유럽은 주로 지자체와 공공기업들 위주로 FTTH 사업이 진행되어 왔으며 주로 경제적인 이

유보다는 주민의 생활 수준 향상, 서비스 개선 등의 공공적인 목적을 중요시 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ROI 관점에서 투자비 회수라는 현실적인 문제와 수익성 면에서 적극적인

추진이 지연되어 온 실정이다. 또한 지역과 정치적인 특성상 각 지자체 중심의 보급이라 예산적

인 면에서도 제약을 받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국가들과 이탈리

아 등의 FTTH 보급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아시아나 북미에 비해 좋지 않은 기후적인 요

인도 FTTH 서비스의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유럽지역의 인구 밀도는 일부 북

유럽을 제외하면 비교적 높은 편이어서 FTTH 구현이 용이한 편이나 역으로 전화국과 거주지역

간의 거리가 짧은 편이라 기존의 DSL 만으로 충분하다는 인식이 있다[10]. 이러한 점은 FTTH

시장 진입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IT-PV나 HDTV 등의 킬러 애플리케이

션과 컨텐츠를 활성화 시키는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스칸디나반도의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구밀도에도 불구하고 FTTH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는데 기후적 요소가 한

Page 10: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주간기술동향 통권 1338호 2008. 3. 19.

10

요인이다. 이러한 지역에는 원활한 컨텐츠 활용을 위하여 전송속도 면에서 향상된 시스템이 요

구된다.

IV. 주요 FTTH 밴더들의 동향

최근 시장조사 및 컨설팅 전문기관 마인드브랜치아시아퍼시픽은 인포네틱스 리서치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해 현재 6 억 달러를 조금 밑도는 전세계 PON 시장 규모가 오는 2009 년까지

4~5배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인포네틱스 리서치의 ‘PON, FTTH and EAD Equipment’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시장의 EPON, GPON 및 BPON 장비 매출액은 2009년까지 30억 달

러 규모로 급격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2005 년 현재 세계시장 규모가 5 억 6,500 만

달러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3년 만에 PON 시장은 무려 432%라는 놀라운 성장곡선을 그리게

되는 것이다.

현재 FTTH 용 장비 시장은 (그림 6)과 같이 Mitsubishi, Sumitomo, Tellabs, Hitachi, UT

Starcom 그리고 Alcatel 순으로 점유하고 있으며 주요 밴더들의 제품 특성 및 동향은 다음과

같다[11].

이중 출하량의 5대 기업 중 4군데인 Mitsubishi, Sumitomo, Hitachi, UTStarcom은 모두

일본의 주요 공급원이다. 이 점은 세계 FTTH 시장의 일본시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타 지역에 비해 일본시장의 높은 성장을 반영한다.

(그림 7)은 최대 공급 업체인 미쓰비시의 FTTH 서비스 전략을 보여준다. 미쓰비시는 B-

PON, E-PON, G-PON 각각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역에 사업자가 선호하는 제품

을 공급한다. (그림 8)은 미쓰비시가 발표한 FTTH 솔루션 트랜드로 초기에는 B-PON 위주이

며 점차 고속화에 맞추어 G-PON으로 궁극적으로는 10Gbps WDM-PON을 공급하는 계획을

<자료>: compoundsemiconductor.net

(그림 6) 2006년 FTTH 시장 점유율

Others8%

Hitachi13%

UTStarcom5%

Tellabs10% Sumitomo

24%

Mitsubishi 40%

Page 1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포커스

11

발표하였다.

스미토모사는 양방향 모두 1Gbps 의 전송속도를 구현하는 GE-PON 에 주력하고 있으며

megabitgear 라는 솔루션을 (그림 9)에 나타내었다. 또한 스미토모사는 Excelight 라는 자회사

를 통해 FTTH 서비스뿐만 아니라 CATV 및 EDGE 용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모든 라인업

<자료>: 미쓰비시, 2006.

(그림 7) 미쓰비시 FTTH 솔루션

<자료>: 미쓰비시, 2006.

(그림 8) 미쓰비시의 FTTH 서비스 및 제품 트랜드

Page 12: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주간기술동향 통권 1338호 2008. 3. 19.

12

을 갖추었으며 주로 광송수신기 모듈을 판매하고 있어 실제로 시스템과 모듈 모두에 대한 시장

을 공략하고 있다.

히타치는 PON 관련 분야에서 20 년 이상의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2003 년 B-PON

시스템을 처음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GE-PON 과 G-PON 장비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주력 제품은 G-PON 이며 2010년 이후로는 10Gbps 급의 차세대 FTTH 시

스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림 10)은 히타치사의 G-PON을 통한 FTTH 솔루션으로 다양한

주거 형태에 triple-play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OLT 당 최대 1,024 명의 가입

(그림 10) 히타치사의 G-PON 을 통한 FTTH 솔루션

<자료>: 스미토모

(그림 9) 스미토모사의 GE-PON 시스템 및 제품

Page 13: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 ITFIND · 2012-06-12 · 포커스 1 ftth 시스템 시장 동향 강정모* 최근 통신 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가입자망 전송속도와

포커스

13

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TDM 서비스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V. 결 론

본 고에서는 지역별 FTTH 관련 기술 및 제품 그리고 시장 현황에 대해 기술하였고, 시스템

밴더들의 제품 특성과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일본과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태평

양 지역과 미국 그리고 유럽지역은 각각 독특한 시장환경과 정책들을 배경으로 서로 다른 지역

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FTTH 시장 전략에는 이러한 각 특성과 각 지역마다 선호되는

컨텐츠가 다소 상이하다는 것을 고려하여 시장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각 FTTH 시스템 벤더

들은 기존의 B-PON 위주의 제품에서 벗어나 주력 제품으로 1Gbps 급 G-PON 시스템을 출시

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인터넷 서비스의 테두리를 벗어나 IP-TV, HD 원격진료, 원격교육 등

의 다양한 컨텐츠와 맞물려 FTTH 시장에 새로운 전기가 되고 있다. 또한 주요 벤더들은 머지

않아 10Gbps급의 전송속도를 요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10Gbps급 솔루션 개

발 로드맵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새로운 킬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맞물려진다면 이러한 시

기는 상당부분 앞당겨질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디지털 타임스, “FTTH-PON 장비 장미빛,” 2006. 10. 16.

[2] Th. Pfeiffer, E. Ringoot, A. Granger, D. Wang, “OPTICAL FIBERS PAVE THE WAY TO FASTER

BROADBAND ACCESS”, Alcatel Telecommunications Review - 2nd Quarter 2005, 2005, pp.1-8.

[3] RVA LLC (Render, Vanderslice & Associates), “FTTH/FTTP UPDATE,” 2007. 4. 1.

[4] Altman Vilandrie & Company, “The Enhanced Community: Benefits of an All-Fiber Network”.

[5] IDATE, “FTTH situation in Europe,” 2007. 2.

[6] G. Finnie, “FTTH in Europe: Forecast & Prognosis, 2006-2011,” HEAVY READING.

[7] 최신 IT동향, “일본 브로드밴드 중 FTTH의 비중 33%,” IITA 및 일본 총무성 발표자료 2007. 6. 8.

[8] Ovum-RHK, “FTTX Activit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2006. 4.

[9] “FTTH 국내외 동향 및 관련 산업 현황 조사,” 한국전산원, 2005.10.

[10] PricewaterhouseCoopers, Ovum, Frontier economics, “Technical assistance in bridging the

“digital divide”: A Cost benefit Analysis for Broadband connectivity in Europe,” 2004. 10.

[11] http://compoundsemiconductor.net/cws/article/news/27312.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A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