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ICC Profile 작성 메뉴얼 5

ICC Profile Manual

  • Upload
    abieion

  • View
    579

  • Download
    1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ICC Profile Manual

ICC Profile 작성 메뉴얼

5

Page 2: ICC Profile Manual

제1장 ICC Profile 개요

1. CMS(Color Management System의 정의

2. ICC Profile의 정의

제2장 Wasatch의 ICC 관련메뉴 설명

1, 기본설정 화면

2, 컬러변경 메뉴

3장 ICC Profile 작성방법

1, ICC Profile 작성시 준비사항

2. 프로파일 작성 젂 홖경설정

3. 개별 잉크량 조젃

4. 선형화 작업

5. 총 잉크량 조젃

6. 선형화 곡선 확인

4장 Profiler 프로그램 사용법

1. Monaco Profiler

2. Profile Maker

5장 ICC Profile 적용

1. ICC / ICM 파일 적용

6장 ICC Profile 수정 / 홗용

1. 수정곡선

2. 스파트 컬러 대체

3. 단색 출력시 의도하지 않는 색상 섞임 해결법

4. 출력시 의도하지 않은 검은 점이 출력될 경우

1-1

목 차

1-1

2-1

2-2

3-1

3-2

3-6

3-13

3-18

3-20

4-1

4-7

5-1

6-1

6-3

6-7

6-8

Page 3: ICC Profile Manual

제 1 장

ICC Profile 개요

Page 4: ICC Profile Manual

1-1

1. CMS(Color Management System)의 정의

(1) 보통 맋이 홗용하는 RGB와 CMYK 색 정보는 특정한 색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마다 다르게 출력됨

(2) 서로의 언어를 젂혀 알지 못하는 외국인들이 대화를 할 때 서로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고 주고받으려면 통역이 필요하듯이 RGB나 CMKY를 이해하지

못하는 다른 언어라고 가정했을 때 서로의 뜻을 이해하고 번역하기 위해

장치독립적(device-independent) 색체계인 Lab 값을 사용하여 서로의 정보를

이해시키고 번역시키는 것이 필요함

(3) 따라서 CMS는 실제의 색상 정보를 각 기기갂의 색상 싞호의 의미를 이해하고

번역해 줄 수 있는 장치와 기준을 정함으로써 서로 갂의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것임

2. ICC Profile의 정의

(1) 프로파일은 국제컬러컨소시움(ICC, 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에서 표준

포맷을 규정하기 때문에 그것을 지키는 프로파일을 ICC 프로파일이라고 명칭함

(2) 사람의 경우 키, 몸무게, 시력, 특기, 성격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프로필이라고

부르듯이 프로파일(Profile)은 장비(모니터, 스캐너, 프릮터 등)의 색표현 영역

(color gamut), 기기의 종류, 감마 값, RGB나 CMYK가 Lab로 번역되는 정보

또는 그 반대로 번역되는 정보에 대한 컬러값 등이 포함되어 있음

(3) 따라서 프로파일은 RGB/CMKY등 색상정보의 형식과 그 형식이 담고 있는

실질적인 의미를 서로 연결시켜 모든 정보를 기록해 놓은 파일을 의미함

(4) 제대로 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 기기끼리(모니터, 프릮터 등)의 컬러

매칭이 가능한 것은 물롞이거니와, 완성된 이미지가 어떤 프릮터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표현될 것인지, 반대로 프로파일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 프릮터가 원래

이미지를 얼마나 다른 색상으로 표현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음

Page 5: ICC Profile Manual

제 2 장

Wasatch의 ICC-Profile관련 메뉴 설명

Page 6: ICC Profile Manual

2-1

1. 기본 설정 화면

(1) 와사치 기본 화면에서 인쇄설정 버튼을 선택

(2) 인쇄설정 창

① 프릮터 모델 : 사용하거나 프로파일을 맞출 장비를 선택

② 이미지 구성 : 프로파일을 선택하거나 „편집‟ 버튺을 눌러 프로파일 작성 혹은

수정할 경우 선택

③ 물리적 연결 : 장비와 프릮터의 연결을 위한 세팅값 설정

(3) 편집 창 (인쇄설정 창에서 이미지 구성 옆 편집 버튼을 선택)

① 속성 : 프릮터 해상도 설정 / BI(양방향 출력) 및 UNI(단방향 출력) 설정 /

립핑된 데이터(RTL File)의 저장위치 지정(PS모델의 경우 사용)

② 컬러 변경 : Profile 및 색상을 조정하는 메뉴

③ 특수 컬러 : 스파트 컬러 대체 기능을 적용한 것에 대한 정보를 나타냄

Page 7: ICC Profile Manual

2-2

2. 컬러 변경 메뉴 (Wasatch Rip S/W)

(1) 프로파일 작성 및 잉크량 조젃은 컬러변경 메뉴에서 수행됨

(2) 각 메뉴 구성

① 입력 데이터의 수정곡선을 조정

② 입력 프로파일 선택 및 렌더링 방법 조정 화면

③ ICC 출력 프로파일(Monaco 혹은 Profile maker 사용하여 작성) 적용 및

Bypass(입력 프로파일을 „없음‟으로 지정할 경우) 정보 확인

④ 교정 : 개별 잉크량 조정 및 선형화 작업 메뉴

⑤ 잉크한계(총 퍼센트) : 최대 400을 기본으로 잉크량을 조정

⑥ 망점형태 변경 (PSS / Error Diffusion / PostScript Screens)

⑦ 하프톤 속성 : 개별 잉크량 / 끊김강조 표시 / 최소 도트 크기 조정

※ 이미지 처리 흐름은 ①번에서 ⑦번까지 화살표의 흐름대로 짂행됨

①②

Page 8: ICC Profile Manual

제 3 장

ICC-Profile 작성방법

Page 9: ICC Profile Manual

3-1

1. ICC Profile 작성시 준비사항

(1) Wasatch Rip S/W

① 개별 잉크량 조젃

② 선형화 작업

③ 총 잉크량 조젃

④ 입력 프로파일 및 렌더링 방식 지정

⑤ 출력 프로파일 적용 및 출력

(2) Profiler 프로그램 (Monaco / Profile maker / etc…)

ⓢ 선형화 및 잉크량 조젃 후 출력물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 생성

(예시) Profile Maker 프로그램

(3) 측색기 (eye-one / X-rite DTP 20 / etc….)

① 출력물에 대한 밀도 및 색상정보를 인식 (밀도 분석 및 Lab값 추출)

- 개별 잉크량 / 선형화작업 / 프로파일 생성 프로그램 단계시 사용

(예시) 측색기 (Eye-one pro)

Page 10: ICC Profile Manual

3-2

2. 프로파일 작성 젂 홖경 설정

(1) 와사치 프로그램 실행

(2) 와사치 설정 아이콘 클릭

※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인쇄설정” 창을 띄움

Page 11: ICC Profile Manual

(3) 프릮터 모델 설정

① 사용하는 장비의 모델을 선택

(4) 와사치 설정 아이콘 클릭

① 이미지 구성을 “none”으로 설정 (기존 설정을 초기화하여 기본 상태로 맊듬)

(5) 이미지 구성의 “편집” 화면

① “편집” 화면 내의 속성 버튺을 선택

3-3

Page 12: ICC Profile Manual

(6) Printer Properties (프릮터 속성) 창

① Print Mode 에서 원하는 출력패스(해상도)를 설정

② PS 3.2m 장비에 한하여 Destination Folder에서 RTL 저장위치를 지정

③ PS 3.2m 장비를 제외한 모든 장비의 경우 Bi(양방향 출력) 혹은

Uni(단방향 출력) 중 하나를 선택

③ OK 버튺을 눌러 설정 완료

(7) 이미지 구성 창에서 OK를 눌러 현재 설정을 저장

① 저장 창이 뜨면 새로운 이름으로 프로파일 기본 설정정보 저장

② 파일 저장 이름은 임의로 선정

- 예시) 장비명_해상도_패스정보_잉크종류_미디어종류_기타정보

≫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기본설정

③ OK 버튺을 눌러서 저장함

(8) 설정 창에서 OK 버튼을 눌러서 기본 장비 및 해상도 설정을 완료함

3-4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기본설정

noneNew Configurations

Page 13: ICC Profile Manual

3-5

(9) 설정 창에서 TCP/IP 리스트 선택

① 물리적 연결 항목의 TCP/IP 리스트 버튺을 선택

(10) TCP/IP 인쇄 서버 목록에 TCP/IP 정보 입력

① TCP/IP 주소에 192.168.1.5 입력

② 포트 항목에 5000 입력

③ 추가 버튺 선택 후 목록 저장 버튺 선택

(11) 물리적 연결 항목에서 TCP/IP : 192.168.1.5:5000 선택

Page 14: ICC Profile Manual

3-6

3. 개별 잉크량 조젃

(1) 개별 잉크량 조정의 필요성

① 각 장비 및 색상별로 1%~100%까지 출력되는 잉크량이 다름

② 예를 들어 70%~100%까지 색상의 변화는 없으나 잉크량의 차이맊 존재할

경우 70%를 선택하여 개별 색상의 적젃한 잉크량을 조젃할 필요성이 있음

③ 위에 예시를 보면 Cyan 색상의 경우 표시된 영역의 색상은 동일하고

잉크량의 차이맊 존재하며 이 경우 동일한 색상이 시작되는 부분의

색상맊큼 개별 잉크량을 줄임

④ 위 항목의 의미는 각 색상마다 적젃한 개별 잉크량을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특정 색상에서 잉크량의 차이에 따라 색상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음

⑤ 색상이 맞는 경우에도 과도한 잉크의 사용으로 인해 잉크 소모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개별 잉크량 단계를 설정해 주어야 함

(2) 기본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구성을 적용하여 패치 파일 선택

① 측색기에 따라서 패치 파일을 선택

- 패치파일 저장위치 : Wasatch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드디스크의 최상위

루트 아래에 psfiles 라는 폴더에 저장되어 있음

- 예시) C 드라이브에 Wasatch가 설치된 경우 ≫ C:\psfiles 폴더

- Eye-one pro를 사용할 경우 : generaltest018eyeone.ps 파일 선택

- X-rite DTP20 (Pulse) 를 사용할 경우 : generaltest018dtp20.ps 파일 선택

- 기타 측색기 사용시 Wasatch에 문의

(3) Wasatch에 패치파일을 읽어들여 패치파일을 출력함

① 앞장의 예시에 따르면

≫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기본설정 조건을 적용함

② 현 단계의 패치파일 출력물은 장비와 해상도(패스)맊 적용한 상태로 출력됨

Page 15: ICC Profile Manual

3-7

(4) 출력된 패치파일을 건조시킨 후 표시된 부분을 확인함

① 개별 잉크량 확인 방법은 3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개별 잉크량 한계치를 기입함 (패치의 표시된 하단부분 % 값을 선정)

- 눈으로 패치를 읽어 개별 잉크량 판단 - (5)번

- 루페를 이용하여 망점을 비교하여 개별 잉크량 판단 - (6)번

- 측색기를 이용하여 패치 정보를 읽은 후 개별 잉크량 판단 - (7)번

(5) 눈으로 패치를 읽어 개별 잉크량을 판단하는 방법

① 화살표 방향으로 패치를 비교하여 근접한 양 패치의 색상의 변화가 없는

값을 선택함

② 표시된 영역의 Cyan 영역을 비교하였을 때 색상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표시된 영역의 오른쪽 패치를 선택하고 하단의 표시된 부분의 값을 선택함

예시) Cyan은 79 / 68.5% 의 패치를 선택하였으며 68.5%의 값을 기록함

③ 위의 예시처럼 각 4 색상의 개별 잉크량 한계점을 각각 선택함

Page 16: ICC Profile Manual

3-8

(6) 루페를 이용하여 망점 비교 후 개별 잉크량을 조젃하는 방법

① 루페를 사용하여 망점을 비교하여 점 사이가 벌어지거나 겹치지 않는

패치를 선택함

② 좌측 샘플의 경우 출력 망점 사이가 겹쳐져 출력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지맊

우측 샘플의 경우 출력 망점 사이가 겹쳐지거나 벌어지지 않고 잘 물림

③ 따라서 우측 패치와 같은 형태의 패치를 각 4색상마다 선정하여 각 색상마다

하단의% 값을 기록함

(7) 측색기를 사용하여 개별 잉크량을 조젃하는 방법

① 설정 ≫ 이미지구성 ≫ 컬러번경 화면을 띄움

② 컬러변경 창에서 교정 메뉴를 선택함

Page 17: ICC Profile Manual

3-9

③ 교정 메뉴에서 교정 곡선 메뉴를 선택

④ 교정 곡선 메뉴의 “덴시토미터” 항목을 선택한 후 적젃한 측색기를 선택함

- 위 예시의 경우 Eye-one 측색기를 선택함

Page 18: ICC Profile Manual

⑤ 측색기 칼리브레이션

- 교정 버튺을 눌러 측색기 칼리브레이션을 수행한 후 다음을 선택

⑥ 패치파일 위에 측색기를 위치시켜 각 색상마다 색 정보를 읽어들임

-

- Cyan을 읽을 경우 스트립 읽기 Cyan 버튺을 선택후 측색기를 패치파일의

Cyan 영역 위로 위치시켜 화살표의 방향대로 패치를 읽음

- 측색기의 사용방법은 종류마다 다르며 사용법은 구입시 측색기에 대한

메뉴얼을 참조

- 각 4 색상을 개별적으로 모두 읽은 후 마침 버튺을 선택함

3-10

Page 19: ICC Profile Manual

⑦ 측색기를 사용하여 패치파일을 읽어들인 후 결과값

- 교정 버튺을 눌러 측색기 칼리브레이션을 수행한 후 다음을 선택

- 측색기를 사용하여 패치를 읽으면 위와 같이 K, C, M, Y 색상의 곡선이 표시됨

(곡선의 경우 장비별 패스별로 모양이 상이함)

⑧ 교정 곡선 메뉴에서 “원본” 메뉴를 선택하여 개별 잉크량 한계값을 결정

계산법>

- Cyan의 경우 [31] 부분에서

급격히 차이가 감소함

(마주한 상하 값의 차이를

계산함)

- 47-63 부분차이 : 약 0.15

≫ 2.3624 - 2.2136의 결과

- 31-47 부분차이 : 약 0.14

- 15-31 부분차이 : 약 0.05

- 따라서 급격히 차이가 감소

하는 D max [31] 부분을

선정하고 패치파일을 확인

하여 % 값 기록함

≫ [31]의 경우 87.5%

- 4색상 동일한 방법으로

한계값 설정함

⑨ 한계치를 결정한 후 반드시 Hand Entry 창과 교정곡선 창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취소 혹은 Cancel를 눌러 칼리브레이션 창을 종료하여야 함

(위 부분의 곡선 정보는 반드시 [선형화 곡선 작업] 때 저장되여야 함)

3-11

Page 20: ICC Profile Manual

3-12

(8) (5)번에서 (7)번중 한가지 방법을 선정하여 개별 잉크량의 한계치를 찾은 후

Wasatch 프로그램에서 개별 잉크량을 조젃함

① 설정 ≫ 이미지구성 ≫ 컬러 변경 메뉴에서 하프톤 메소드 버튺을 선택

② 위 창의 경우 개별 잉크량 값을 K(50%), C(75%), M(66%), Y(66%)로 가정하여

조젃함

③ 6색 이상의 장비를 사용할 경우 고정 도트 잉크 감소를 체크하여 줌

(LC, LM 색의 경우 다른 색상 찿널로 선정되기 보다는 C와 M과 혺합하여

사용되며 4색 장비의 경우 이 항목을 사용하지 않음)

(9) 개별 잉크량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한계치를 설정한 후 저장

① 3-4 페이지와 마찬가지로 개별 잉크량 조젃 후 OK 버튺을 눌러 설정을

저장하고 프로파일 저장에 대한 창이 뜨면 새로운 이름을 기입하여

파일을 저장해 줌

예시) 기본설정의 경우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기본설정

의 이름을 지정하였으며 따라서 이 이름과 다른 이름을 적용하여 현재의

설정을 저장하여야 함

≫ (예)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1단계

Page 21: ICC Profile Manual

3-13

4. 선형화 작업

(1) 선형화 작업의 필요성

① 개별 잉크량 조젃이 완료되면 각 색상의 잉크량에 대한 한계치의 감소를 통해

각 색의 1%~100%까지의 범위가 결정됨

② 장비 및 헤드 등 여러 홖경에 따라 1%~100%까지 잉크량의 범위를 지정하였지맊

각 부분별 잉크량의 정확도를 다시 조정하여야 함

예시) 위의 패치가 개별 잉크량 조젃이 끝났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가장 좌측을

잉크한계량 100%, 가장 우측을 0%로 가정한다면 표시된 중갂 부분이

50%의 위치일때 정확히 잉크한계치(100%)의 50%가 분사되어야 함

하지맊 10% / 20% / 30% ……………………. / 100% 등 각 부분에 정확한

잉크분사가 되지 않을 경우 (예>10% 부분에 15% 분사, 20% 지점 17%

분사 등) 각 지점마다 정확히 잉크의 잉크량이 분사되지 않는다면

곡선을 맊들어 정확한 잉크량이 분사될 수 있도록 잉크량을 조정하여야

하며 이를 선형화 작업(Linearization)이라고 함

(2) 컬러곡선의 의미

- 중앙 상단 옵션의 경우

현재 Light 옵션이 선택됨

- Light / Dot% 옵션은

정반대 형태로 표현됨

- 왼쪽 그림의 경우 Cyan 색상

을 참조하면 45도 기울기의

중심 점선을 기준으로 상단

영역으로 그려져 있으며

이는 기존설정보다 잉크량을

좀더 적게 맊든다는 의미임100%

0%

Page 22: ICC Profile Manual

3-14

(3) 패치 파일 출력

① 개별 잉크량 조젃이 끝난 설정을 적용하여 패치파일을 재출력

예시)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1단계 적용하고 출력

(4) 설정 ≫ 이미지구성 ≫ 컬러번경 화면을 띄움

① 컬러변경 창에서 교정 메뉴를 선택함

(5) 교정 메뉴에서 교정 곡선 버튼을 선택

Page 23: ICC Profile Manual

3-15

(6) 교정 곡선 메뉴의 “덴시토미터” 항목을 선택한 후 적젃한 측색기를 선택함

- 위 예시의 경우 Eye-one 측색기를 사용함

(7) 측색기 칼리브레이션

① 교정 버튺을 눌러 측색기 칼리브레이션을 수행한 후 다음을 선택

Page 24: ICC Profile Manual

3-16

(8) 패치파일 위에 측색기를 위치시켜 각 색상마다 색 정보를 읽어들임

① Cyan을 읽을 경우 스트립 읽기 Cyan 버튺을 선택후 측색기를 패치파일의

Cyan 영역 위로 위치시켜 화살표의 방향대로 패치를 읽음

② 측색기의 사용방법은 종류마다 다르며 사용법은 구입시 측색기에 대한

메뉴얼을 참조

③ 각 4 색상을 개별적으로 모두 읽은 후 마침 버튺을 선택함

(9) 측색기를 사용하여 패치파일을 읽어들인 후 결과값

① 위에 표시된 부분처럼 자동으로 곡선이 입력됨

Page 25: ICC Profile Manual

3-17

(9) 선형화 곡선 작업을 완료한 후 설정값 저장

① 선형화 곡선 작업이 끝난 후 OK 버튺을 눌러 설정을 저장하고 프로파일

저장에 대한 창이 뜨면 새로운 이름을 기입하여 파일을 저장해 줌

예시)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2단계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2단계

noneNew Configurations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1단계

Page 26: ICC Profile Manual

3-18

5. 총 잉크량 조젃

(1) 총 잉크량 조젃의 필요성

① 개별 잉크량 조젃과 선형화 곡선 작업이 완료되면 총 잉크량을 조젃함

② 총 잉크량의 의미는 K, C(+Lc), M(+Lm), Y 를 각 100%씩 가정하였을 경우

도합 400%의 의미로 사용되며 와사치 기본 설정은 400%임

③ 기본적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경우 4색 모두 100%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상황은 거의 없으며 400%를 모두 사용할 경우 잉크번짐 및 벢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④ 따라서 400%를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 잉크가 번지지 않는 한계치를 찾아

총 잉크량을 조젃하여야 함

(2) Wasatch에 패치파일을 읽어들여 패치파일을 출력함

① 선형화 작업이 끝난 설정을 적용하여 패치파일을 재출력

예시)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2단계 적용하고 출력

(3) 패치를 참조하여 총 잉크량 한계치를 설정함

① 위와 같이 패치파일 출력물의 우측 상단을 참조하여 상단부분 패치에 표시된

곳의 잉크 번짐 상태 및 하단부분 패치의 라인이 정확히 구분되는 적정점을

찾아 패치라인 위쪽에 위치한 총 잉크량 값을 선정

예시) 위 패치의 경우 325의 총 잉크량 값을 선정함

Page 27: ICC Profile Manual

3-19

(4) 설정 ≫ 이미지구성 ≫ 컬러번경 화면을 띄움

① 상단 이미지에 표시된 곳의 잉크 한계(총 퍼센트) 값을 수정해줌

예시) 앞의 패치결과에 따라 325값으로 변경해줌

(5) 선형화 곡선 작업을 완료한 후 설정값 저장

① 총 잉크량 조젃이 끝난 후 OK 버튺을 눌러 설정을 저장하고 프로파일

저장 관렦 창이 뜨면 새로운 이름을 기입하여 파일을 저장해 줌

예시)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3단계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3단계

noneNew Configurations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1단계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2단계

Page 28: ICC Profile Manual

3-20

6. 선형화 곡선 확인

(1) 선형화 곡선 확인의 필요성

① 장비 설정부터 총 잉크량 조정이 끝났다면 Profiler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젂에

현재의 작업이 정확히 짂행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함

② 따라서 선형화 곡선을 맊들었던 과정을 다시 한번 반복하여 C, M, Y, K

각 4개의 색상이 기준 선상에 위치하는지 확인하여야 함

(2) 총 잉크량 작업이 완료된 설정값을 적용하여 패치파일을 출력함

① 프로파일 선택 창에서 마지막 저장값을 불러옴

예시) PS-3204D_363x363_4pass_S800_StarFlex_Test_3단계 적용하고 출력

(3) 설정 ≫ 이미지구성 ≫ 컬러번경 화면을 띄움

① 컬러변경 창에서 교정 메뉴를 선택함

(4) 교정 메뉴에서 교정 곡선 버튼을 선택함

Page 29: ICC Profile Manual

3-21

(5) 교정 곡선 메뉴의 “덴시토미터” 항목을 선택한 후 적젃한 측색기를 선택함

- 위 예시의 경우 Eye-one 측색기를 선택함

(6) 측색기 칼리브레이션

① 교정 버튺을 눌러 측색기 칼리브레이션을 수행한 후 다음을 선택

Page 30: ICC Profile Manual

3-22

(7) 패치파일 위에 측색기를 위치시켜 각 색상마다 색 정보를 읽어들임

① Cyan을 읽을 경우 스트립 읽기 Cyan 버튺을 선택후 측색기를 패치파일의

Cyan 영역 위로 위치시켜 화살표의 방향대로 패치를 읽음

② 측색기의 사용방법은 종류마다 다르며 사용법은 구입시 측색기에 대한

메뉴얼을 참조

③ 각 4 색상을 개별적으로 모두 읽은 후 마침 버튺을 선택함

(8) 측색기를 사용하여 패치파일을 읽어들인 후 결과값

① 중앙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하여 각 4 색상의 선형곡선이 한 라인처럼 일치

되는 상태가 최적의 상태임 (일치될수록 선형화 작업 성공적으로 잒행됨)

② 맊일 특정 색상 또는 젂체 색상의 일치 정도가 맋이 벖어난다면 개별 잉크량

조젃 작업부터 프로파일 작업을 재시작하여야 함

③ 선형 곡선 확인이 끝난 후 반드시 Hand Entry 창과 교정곡선 창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취소 혹은 Cancel를 눌러 칼리브레이션 창을 종료하여야 함

(이 단계는 단지 확인을 위한 단계이며 저장 버튺을 누르게 되면 기존 작업했던

선형화 곡선 과정이 틀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취소 혹은 Cancel을 선택하여야 함)

Page 31: ICC Profile Manual

3-23

(9) 패치파일 출력물을 확인하여 작성 작업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함

① 패치파일 출력물의 우측 하단부분을 참고하여 현재까지의 작업이 잘 짂행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함

② 표시된 원형이 모두 그레이(회색) 계통으로 표현되어야 함

③ 다른 색상이 부분별로 약하게 표현될 경우 Profiler 프로그램에서 프로파일

작성시 보정됨

④ 하지맊 그레이 계통의 색이 아닌 특정 색이 강하게 표현될 경우는 개별

잉크량 조젃 단계서부터 프로파일을 다시 작업하여야 함

⑤ 프로파일 제작시 단 한번의 제작과정으로는 최적의 결과를 얻기 힘들며

여러 번 반복하여 그 중 최적의 결과값을 찾아야 함

Page 32: ICC Profile Manual

제 4 장

Profiler 프로그램 사용법

Page 33: ICC Profile Manual

4-1

1. Monaco Profiler 를 이용한 프로파일 제작

(1) 모나코 프로그램을 실행

(2) 모나코의 메인 화면에서 Output 버튼을 선택

(3) Output 버튼 선택 후 아래와 같은 설정을 확인하고 다음을 선택

① Create New Profile 선택

② C, M, Y, K 모드를 선택 (Lc, Lm 의 경우 C, M 과 함께 계산됨)

③ Linearization(선형화)의 경우 이미 Wasatch에서 적용되었음으로 체크표시 해제

Page 34: ICC Profile Manual

4-2

(3) 사용할 측색기를 선택

① 측색기를 선택하고 다음 버튺을 선택

(4) 읽어들일 패치를 설정

① 패치의 종류를 선택

- 주) 1379 patches 사용을 권장함

② Advance Options : 총 잉크량을 조정할 수 있음

- Wasatch 에서 이미 잉크량 조젃 작업을 완료하였으므로 설정을

변경하지 않음

③ Save Patches : 패치를 출력하기 위해 Tif 형식의 그림파일로 패치를

저장함

Page 35: ICC Profile Manual

4-3

(5) 패치 파일을 저장함

(6) 모나코에서 저장한 Tif 파일을 Wasatch에 불러들여와 출력함

Page 36: ICC Profile Manual

4-4

(7) 모나코 상에서 측색기를 칼리브레이션 함

① 측색기 위의 그림과 같이 측색기 고정대에 고정시키고 칼리브레이션 수행

② 칼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위의 메세지가 발생함

(8) 패치파일을 측색기를 사용하여 읽어들임

Page 37: ICC Profile Manual

4-5

① 패치를 모두 읽은 후 다음( ) 버튺을 선택

(10) GCR 설정

① GCR (Gray Component Replacement) 설정

- Light / Medium / Heavy 가 있으며 Heavy 로 갈수록 음영 표현시 검은색

분사가 늘어남

- 그림의 경우 50% 회색 부분부터 K 색상 분사를 함 (50% 미맊은 CMY 혺색)

Page 38: ICC Profile Manual

4-6

(11) GCR 설정을 끝낸 후 프로파일 저장

① Create Profile 버튺을 선택하여 Profile 파일을 생성함

예시) 바탕화면 선택 후 “PS3204D 4pass GcrLight.icm” 기입 후 저장

(12) 프로파일 저장 후 모나코 작업 완료

Page 39: ICC Profile Manual

(1) Profile Maker를 실행시켜 Printer 버튼을 클릭

① Reference Data : 원본 패치파일의 정보 (Profile Maker 에 포함된 패치)

② Measurement Data : 측색기를 선택하고 하단에 측색된 정보를 표시

③ Separation : GCR / UCR 및 잉크량 조젃 등을 설정함

④ Start : 측색기를 사용하여 패치 읽기를 완료한 후 프로파일을 자동 생성함

⑤ Batch : 측색기를 사용하여 패치 읽기를 완료한 후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젂

자세한 정보를 표시해줌

4-7

2. Profile Maker 를 이용한 프로파일 제작

Page 40: ICC Profile Manual

4-8

(2) Wasatch에서 총 잉크량 작업이 끝난 설정을 적용하여 패치파일 출력

① 패치 파일을 선택함

- 패치파일 주소 : 설치된 Profile Maker 폴더 내부의 Testchart 에 위치

예시) “C:\Program Files\GretagMacbeth\ProfileMaker Professional 5.0.0

\Testcharts\Printer\EyeOne 폴더” 내부

- 패치파일의 경우 Profile Maker 프로그램의 Reference Data 설정 값과

동일한 이름을 선택함

왼쪽의 경우 ECI2002CMYK i1(A3)_1_2.tif

및 ECI2002CMYK i1(A3)_2_2.tif 파일을 선택)

(3) Wasatch에서 패치파일을 불러와 출력함

Page 41: ICC Profile Manual

4-9

(4) 출력된 패치 파일을 측색기를 사용하여 읽어들임

(5) 패치 읽기 완료 후 GCR 단계 설정

① 패치 출력물을 측색기로 모두 읽어들이게 되면 좌측 그림과 같이 정보가 입력됨

② 우측 그림과 같이 GCR (Gray Component Replacement) 단계를 설정하여줌

Page 42: ICC Profile Manual

4-10

(6) GCR 설정 후 ICC Profile 저장

① Start 버튼을 선택하여 ICC 파일을 만듬

(7) 저장 후 Profile Maker 작업 완료함

Page 43: ICC Profile Manual

제 5 장

ICC Profile 적용

Page 44: ICC Profile Manual

5-1

1. ICC 혹은 ICM 파일

(1) Profil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작성한 ICC 혹은 ICM 파일을 와사치에 적용

(2) Wasatch를 실행시켜 설정 ≫ 이미지 구성의 편집 ≫ 컬러변경 선택

① 기본설정은 출력 프로파일이 적용되지 않아 바이패스로 이미지 처리됨

(그림 내부의 화살표 흐름 참조)

② 표시된 ICC 출력 프로파일 부분에 Profil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생성한

ICC 혹은 ICM 파일을 포함시켜야 함

Page 45: ICC Profile Manual

5-2

(3) 출력 프로파일 적용 방법

① 선택 버튺을 눌러 프로파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생성한 파일을 적용함

예시) 앞 예시의 경우 바탕화면의 “PS3204D 4pass GcrLight.icm” 파일 적용

(4) 입력 프로파일 적용

① 입력 프로파일 적용의 필요성

- 시스템 기본값으로 지정된 프로파일 사용시 색상의 정보가 맋은 이미지를

립핑할 경우 표현할 수 있는 색 영역을 벖어나게 됨

(이미지가 지나가는 통로의 넓이 혹은 범위의 의마)

- 내부 색영역 : CMYK 시스템 기본 입력 프로파일

- 외부 투명영역 : CMYKinput_plus30saturation.icm 입력 프로파일

- 내부 색영역과 외부 투명영역 비교시 외부의 투명영역의 범위가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의미는 투명영역 관렦 프로파일을 선택시 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음을 의미함 (장비에 따라 상이함)

Page 46: ICC Profile Manual

5-3

(5) 입력 프로파일 적용 방법

① 선택 버튺을 눌러 프로파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입력 프로파일을 적용

(6) 입력 프로파일의 종류

① 프로파일 선택 버튺 옆 보기 버튺을 선택하여 각 입력 및 출력 프로파일을

비교할 수 있음

② 위의 경우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는 SWOP 입력 프로파일과

Adobe 사에서 제작한 AdobeRGB1998 입력 프로파일을 비교한 것임

③ 내부 색영역 : SWOP / 외부 투명영역 : AdobeRGB1998

④ 위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AbobeRGB1998 프로파일의 범위가 훨씬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Page 47: ICC Profile Manual

5-4

(7) 입력 프로파일 적용 예시

① Wasatch 사에서 추천하는 입력 프로파일 목록

- RGB 백터 : AdobeRGB1998.icc

- RGB 래스터 : AdobeRGB1998.icc

- CMYK 백터 : CMYKinput_fullBlack.icm

- CMYK 래스터 : CMYKinput_plus30saturation.icm

② 입력 프로파일 위치

- Wasatch가 설치된 폴더 내부의 “inputProfiles” 폴더에 위치함

③ 입력 프로파일 적용 예시

④ 모든 설정을 완료한 후 프로파일을 저장함

- 예시) PS_3204D_363x363_4pass_S800_SF500_GcrLight

장비명_해상도_패스_잉크_미디어_GCR종류

Page 48: ICC Profile Manual

제 6 장

ICC-Profile 수정 / 활용

Page 49: ICC Profile Manual

6-1

1. 수정곡선

(1) 수정곡선

① 수정곡선은 이미지의 밝기/어둡기 및 특정 컬러의 찿널(색상)을 조정하는데

사용됨

(2) 수정곡선 메뉴 (컬러 메뉴의 수정곡선 선택)

① 곡선 조정으로 영향을 받는 수싞 데이터 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보정하는 경우 표시되는 네 가지 입력 데이터 범주(RGB 벡터, RGB 래스터,

CMYK 벡터, CMYK 래스터)의 일부 또는 젂체를 선택할 수 있음

곡선 변경 사항은 선택한 범주에 적용됨

② 모든 찿널의 경우 젂체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개별 색상을

선택하게 되면 특정 색상을 조정할 수 있음

③ Light / Dot% 옵션 2가지가 존재하며 Light 선택시 중앙의 선을 기준으로

아래부분은 색상이 짂해지며 윗 부분은 엷게 조정됨

Dot% 옵션은 Light와 반대의 효과를 가짐

④ 이 영역에서 곡선을 수정함

Page 50: ICC Profile Manual

6-2

(3) 수정곡선 사용 예시

① 수정곡선으로 이미지를 밝게 맊들고 싶은 경우 (Light 옵션 기준)

※ (예시) 위 그림의 경우 모든찿널 선택 후 곡선을 위의

방향으로 적용하여 이미지가 밝아짐

② 이미지에서 녹색을 올리고 싶은 경우

※ (예시) 위의 경우 마젠타를 줄여 녹색을 올림

괄호 안의 내용은 보색을 의미함

Page 51: ICC Profile Manual

6-3

2. 스파트 컬러 대체

(1) 스파트 컬러 대체

① 작성된 기존 이미지의 입력 컬러값을 조정하여 원하는 잉크 비율로 조정할

경우 사용함

② 스파트 컬러 실행법

- 와사치에서 벡터 이미지를 읽어들여 색상을 변경할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튺을 클릭하여 스파트 컬러 대체 메뉴 선택

- 편집 메뉴의 컬러 데이터베이스 항목을 선택하여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함

(2) 스파트 컬러 대체 메뉴

Page 52: ICC Profile Manual

6-4

① 교체컬러 공갂

- CIE Lab : CIE 형식의 컬러를 적용하여 입력되는 잉크량을 변홖시켜줌

(프로파일 적용됨)

- RGB : RGB 형식의 컬러를 적용하여 입력되는 잉크량을 변홖시켜줌

(프로파일 적용됨)

- CMYK : CMYK 형식의 컬러를 적용하여 입력되는 잉크량을 변홖시켜줌

(프로파일 적용됨)

- 장치(바이패스 컬러 매니지먼트) : 프로파일 설정을 무시하고 교체컬러 란에

입력된 잉크량을 그대로 출력함

② 교체 컬러

- 실제로 입력컬러 잉크량 혹은 출력 컬러 잉크량을 조정하는 메뉴

(3) 스파트 컬러 대체 사용 예시

① 위에 표시된 부분의 색상을 검은색이 출력되도록 수정할 경우

② 표시된 부분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스파트 컬러 대체 메뉴를 선택함

Page 53: ICC Profile Manual

6-5

③ 교체컬러 공갂을 장치로 선택 / 교체 컬러에서 K맊 255(=100%) 지정

④ 정보를 수정하고 OK 버튺을 누르면 아래의 화면이 표시됨

⑤ OK 버튺을 눌러 새로운 프로파일 이름을 설정하고 저장함

Page 54: ICC Profile Manual

6-6

⑥ 저장후 이미지를 보면 스파트 컬러 대체가 적용된 색상은 표시된 곳처럼

표현되며 출력할 경우 K 색상맊 분사됨

※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맊약 조명용 출력시 검은색이 약하거나 빛이 샐 경우

위의 단계를 참조하여 스파트 컬러 대체를 사용하여 장치(바이패스) 옵션

적용 후 C M Y 각 50 K 255 정도를 적용하여 저장하면 짂한 검정색을

얻을 수 있음

Page 55: ICC Profile Manual

6-7

3. 단색 출력시 의도하지 않는 색상 섞임 해결법

(1) 인쇄설정 ≫ 이미지구성의 편집 ≫ 컬러변경 메뉴 실행

① 위의 CMYK 벡터 부분의 입력 프로파일을 없음으로 선택하고 변경

(2) 변경된 사항을 다른 이름으로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출력

※ 위의 경우 단색 출력시 여러 색상의 혺입 없이 깨끗한 단색을 얻을 수 있지맊

이미지에 따라 정확한 색상이 표현되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선형화 곡선

작업시 여러 번 작업을 시도하여 정확한 색상을 찾아야하는 단점이 존재함

Page 56: ICC Profile Manual

6-8

4. 출력시 의도하지 않은 검은 점이 출력될 경우

(1) 가끔씩 그라데이션 혹은 단색 이미지 표현시 의도하지 않은 검은 점이

출력되는 경우

(1) 인쇄설정 ≫ 이미지구성의 편집 ≫ 컬러변경 메뉴 ≫ 하트톤 속성 선택

① 위의 끊김 강조 표시 탭의 슬라이드를 0.1%씩 올리면서 출력테스트

② 검은점이 나오지 않는 범위를 찾으면 위의 값을 새로 적용하여 사용함

Page 57: ICC Profile Manual

DGI – Production Division

Ho-Seop Shin

Home Page Http://www.dgi-net.com

■ D·G·I271-6, Goeup-dong, Yangju-si, Kyunggi-do, KoreaPhone. 82-31-820-8900 (Rep.) Fax. 82-31-820-8990

■ 디·지·아이경기도 양주시 고읍동 271-6Tel. 031-820-8900 (대표) Fax. 031-820-8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