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

L Ë> &bk> êXD · JJ 8 b jÎ -F Ú 3 2 Þ $ ê J ¶ * ^ , b âÎ 1 2 $ ÞZ ê j â .q b Ò . ] õ æ Þ Z ¾ ^ jî ß 2 ò)£î F Ç- ê LNG ã÷«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파급효과 및 대응전략 연구 : LNG 공급경쟁 확대 가능성 및 공급자 전략

    김 기 중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기본연구 보고서

    14-27

    www.keei.re.kr

  •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 선임연구위원 김기중

    연구참여자 : 부연구위원 노남진

    위촉연구원 오안나

    전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영구

  • 요약 i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 증대는 '셰일가스 혁명'으로 불릴 만큼 미국

    뿐 아니라 세계 천연가스 시장의 판도를 바꿔 놓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 이외에 중국, 유럽 및 중남미 국가들도 셰일가스의 탐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세계 천연가스 시장의 수급상황이 크게

    바뀔 전망이다. 그러나 셰일가스는 지역 또는 국가에 따라 부존여건,

    수급상황, 개발 전망 및 연관산업의 수급․기술 수준, 개발 관련 재정․

    수출 정책 등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변화하는 시장여건에 대한 기존

    및 신규 가스공급자들의 대응전략과 최근 급락하는 유가 등은, 구매

    자에게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는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시장이 반드시 구매자들이 희망하는 대로 발전해나갈 것

    인지에 많은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이처럼 천연가스 시장환경의 불확실성은 매우 크지만, 천연가스 수

    출입국 및 기업들의 대응전략이 점차 구체화되는 추세를 고려하여, 시

    장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우리의 대응전략 및 에너지 관련 정책기조

    의 합리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등 연차별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셰일가스 개발 확대에 따른 시장여건의

    변화와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 및 시장참여자들의 전략을 분석하고,

    LNG 교역조건 개선 가능성 및 이를 위한 우리의 국제공조 노력과 참

    여전략을 분석하며, 우리나라 천연가스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

    한 산업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주제의 폭과

  • ii

    깊이를 고려하여 3개년 연차과제로 개발되었으며, 이 보고서는 제1년

    차 연구결과를 담은 것이다.

    2. 주요 내용

    본 연구에서는 셰일가스 등 비전통가스의 개발 동향과 LNG 공급경

    쟁의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둘러싼 공급자들의 전략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천연가스 도입, LNG 트레이딩, 가격, 산업구조

    등과 관련된 시사점 및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천

    연가스 시장에서 메가트렌드로 규정할 만한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동 메가트렌드의 한가운데에 있다고 할 수

    있는 비전통가스의 매장량 및 개발․생산동향을 검토하였으며, 우리

    나라가 도입해온 천연가스 전량의 공급형태인 LNG의 공급능력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동인(動因) 또는

    추력(推力)이라고 할 만한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들은 어떻게

    그 힘을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에 기초하여

    과연 천연가스 수요측에서 기대하듯이 공급경쟁이 확대될 수 있을지

    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공급자 전략을 포함하여 공급경쟁 확대를

    견제 또는 저지하는 요인들도 함께 검토한 뒤, 이들 분석의 시사점과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공급자 전략과 공급경쟁 확대 가능성을 몇 가지 방향에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참여자 수의 증가, 지역시장 간 거래의

    증가, 단기거래의 증가가 관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급경쟁이 확

    대되거나, 또는 적어도 세계 LNG 시장이 구매자에게 유리한 방향으

    로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요약 iii

    둘째, LNG 수송능력 또한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특정 프로젝트와

    시장에 전속 투입되지 않는 유연한 선복(船腹)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

    이다. 단기거래에 투입되는 진정한 의미의 유연한 선복은 포트폴리오

    판매자들이 보유하는 선복과과 장기계약 투입 이전 단계에서의 선복

    이 주류를 이룰 수밖에 없다. 앞으로 유연물량의 단기거래가 증가하고

    이 시장에서의 LNG 수송이 수익창출의 기회가 되면, 이를 뒷받침하

    는 선복도 증가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셋째, 장기수급전망을 통해 살펴볼 때 공급잠재력은 충분하다.

    FEED 또는 Pre-FEED 단계의 제안(계획) 또는 검토 중 프로젝트들은

    시황에 따라 사업추진 여부가 유동적이므로 이들 프로젝트의 용량이

    중장기적으로 시장에 들어올지를 예측하는 데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개재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대규모의 유동적인 용량이 대기 상태에

    있다는 사실은, 가격 등 교역조건이 뒷받침되는 한 공급능력이 시장을

    제한하는 상황의 발생 가능성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장기수급전망을 프로젝트 공급비용과 대비해 보면, 2025년경

    FOB 손익분기가격(break-even price)이 US$10/MMBtu(12% 수익률

    전제)를 초과하는 프로젝트는 경쟁력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비용경쟁력을 가지는 프로젝트들은 유가연동 기울기를 12%∼

    13%까지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현되는 가격

    수준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 협상력에 따라 결정될 것이므로, 가격을

    낮추기 위한 수요탄력성 및 구매자의 협상력 증대 노력이 중요하다.

    다섯째, 유럽에서의 천연가스 가격구조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미국의 천연가스 생산 증대에 따른 단기물량의 대거 유입, 유럽 제국

    의 경기침체 및 고유가의 지속으로 장기계약가격이 단기가격을 상회

  • iv

    하게 되었고, 이는 노르웨이의 Statoil과 유럽의 주요 구매자들 사이에

    가격재협상을 유발하였다. 그 결과 Statoil의 대(對) 독일 공급가격은

    전량 유가연동을 탈피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다른 나라들에 대한 가격

    구조도 변경함으로써 2015년까지 장기계약의 75%가 시장가격에 연동

    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 러시아의 Gazprom은 유가연동 가격

    공식을 고집해왔으나, 최근에는 조금씩이나마 변화의 흐름을 받아들

    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Gazprom은 유연한 시장에 대하여는 연간인

    수물량(ACQ) 규모를 줄이고 최소인수의무 물량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현물가격에 연동하는 방식으로 가격조건을 재협상하였다.

    반면, 유연한 시장을 갖지 못한 중동부 및 남부 유럽 구매자에 대하여

    는 현물가격 연동은 인정하지 않고 유가연동 기울기를 약간 완화해

    주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편, 유연한 시장을 가진 영국에 대하

    여는 이미 2012년 Centrica와 100% NBP 가격에 연동하는 3년 단기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는 구매자 시장의 유연성 또는 탄력성, 그

    리고 세계적인 공급물량의 확대에 따라 구매자의 가격구조 변경 요구

    에 대한 공급자의 반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최근 시장에서 관찰되는 주요 LNG 공급자들의 공급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LNG의 경우 독립계 석유가스기업들이 공격적으로

    개발․판매 전략을 구사함에 따라 프로젝트 간 및 공급자 간 경쟁을

    피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

    하여 최근 아시아시장 대상 공급물량의 유가연동 기울기는

    13.5%~14%대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가격조건에서의 양보 대신 목적

    지 제한 규정(destination clause)이나 TOP 조건을 완화하는 공급자도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공급자에 불리한 시장상황이 전개되면서 프로

  • 요약 v

    젝트 개발자들은 전반적으로 신규 프로젝트 개발에 신중한 자세를 보

    이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구매자들의 유연한 공급조건 요구에 부응하

    기 위해 일정 수준의 유연물량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원전

    재가동), 한국 등의 LNG 수요 증가세 둔화 전망, 동북아 주요 LNG

    수입국들의 가스공급안보 이슈에 대한 재고, 유럽 수요 정체 등으로

    수요 확보에 애로를 겪으면서 과거보다는 공급조건 개선 요구에 유연

    하게 대응하고 있다.

    둘째, 상기한 바와 같이 LNG 공급자들의 전술적 조정이 발견되기

    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LNG 공급자 대부분이

    세계 에너지시장을 지배하는 국제석유기업(IOC; international oil

    company, 석유메이저), 최근 시장지배력을 축적해가는 중견 독립계기

    업, 또는 자원보유국의 국영석유기업(NOC; national oil company)들

    이다. 이들은 북미 LNG가 시장에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이에 맞추어

    자사의 프로젝트 개발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과잉공급 상황을 자초하

    는 상황은 피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셋째, 최근 말레이시아의 Petronas가 대규모 유연물량을 확보함으로

    써 말레이시아가 앞으로 또 하나의 카타르가 될 것인가 하는 의문 섞

    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Petronas의 LNG 유연물량은 2015년 2.5Mtpa

    에서 2020년 21Mtpa로 증가하고, 2022년에는 Qatar의 유연물량(약

    20Mtpa)을 능가하는 26Mtpa를 상회함으로써, 이 회사 총 42Mtpa 용

    량의 62%에 달하는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Pacific

    Northwest 프로젝트의 브리지 물량, 대 서말레이시아(Peninsular

    Malaysia) 공급 물량 및 기간계약으로 흡수되지 않는 물량은, 수급이

    압박받을 가능성이 있는 2022년 이후 유연물량으로서 카타르와의 경

  • vi

    쟁 기반이 될 수 있다.

    지금과 같이 비전통가스 개발에 따라 형성된 기존 세계 천연가스

    시장질서가 흔들리기 이전까지의 시장 지배적 공급국은 러시아와 카

    타르이다. 세계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결과 또는 그의 일부로서

    양국의 전략 또는 입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러시아로서는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 이후 서방의 제재에 따라

    Yamal 프로젝트의 지연과 수익성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시장

    정서가 러시아 프로젝트에 대한 우려를 키워 Gazprom, Rosneft,

    ExxonMobil 등이 추진하는 극동 러시아의 LNG 프로젝트들을 지연시

    키면서 러시아의 광범위한 LNG 성장 전략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급속히 성장하는 세계 LNG 시장에서의 수익창출 및 유럽에서의 어려

    움을 만회하기 위해 러시아는 LNG 확대전략을 추진하고 있지만,

    16.5Mtpa 용량의 대규모 Yamal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이에 따라 북

    미 LNG에 시장을 선점당하면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대금 수입은 타

    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에 직면하여 러시아는 대중국 PNG

    수출을 서두르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장거리 파이프라인의 신규 건

    설이 필요하고, 여기에 소요되는 막대한 투자자금 때문에 미국과 EU

    의 제재는 수출개시를 상당 기간 지연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지

    정학적 요소는 천연가스의 수급전망 모델만으로는 예측이 어려운, 수

    요측의 공급경쟁 확대에 대한 희망을 희석하는 위험인자가 된다.

    둘째, 카타르는 호주의 LNG 공급국으로서 약진하는 한편 유연한

    조건의 북미 LNG 유입, 일본 위기수요(crisis-demand)의 해소, 유럽의

    경기침체, 말레이시아의 유연물량 경쟁 가능성 등에 직면함으로써 지

    금까지 누려온 시장지배력이 대폭 잠식되는 상황에 있다. 이에 따라

  • 요약 vii

    유럽의 터미널 사업자들의 터미널 이용률을 제고시키고 카타르의 잠

    재적 잉여물량을 유럽에 수출하기 위한 ‘put option’ 전략까지 동원하

    고 있다

    셋째, 전통적인 시장지배적 공급국인 러시아와 카타르의 미묘한 전

    략적 관계가 있다. 즉, 카타르의 글로벌 가스시장 진출 욕구, 러시아의

    유럽 시장에 대한 물량과 가격 지배력 유지 욕구 및 LNG 확대 정책,

    카타르의 대 아시아 시장지배력 등이 맞물려 있다. 이러한 양국의 협

    력 및 경쟁 관계는 LNG 시장의 공급능력 확대, 수입국들의 허브 연

    동 가격구조 및 유연한 인수조건 요구, 유럽의 러시아 의존도 감축 노

    력 등으로 변화를 겪고 있다. 그러나 막대한 공급능력에 기반을 둔 기

    본적인 전략적 이해관계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러시아와 카타르의 유가연동 가격구조 유지, 아시아시장과 유럽시장

    분점 및 점유율 유지를 위한 공동노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국이

    대러시아 가격협상력을 유지하는 한편, 카타르의 유연물량이 지속해

    서 유럽에 유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허브연동 가격하의 신규물

    량이 유럽과 아시아 시장으로 유입될 필요가 있으며, 아시아 지역 가

    스구매자 간 지표가격 발견을 위한 거래 활성화가 중요하다.

    3. 정책 제언

    현재 LNG 시장은 구매자들에게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개별

    구매자나 개별 수입국 단위로, 또는 이들이 공동 대처해나간다면, 수

    급에 압박을 받지 않으면서 개선된 교역조건으로 LNG가 거래되는 시

    장으로 발전시켜나갈 수도 있다. 그러나 시장의 전개 과정에 많은 불

    확실성 요소들이 잠복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LNG 시장 여건에 대응

  • viii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천연가스

    의 수입원을 다양화해야 한다. 구매자가 대체공급원을 갖고 있다는 것

    은 개별 판매자 입장에서는 그 구매자의 수요탄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매매협상에서 구매자의 협상력이 발휘될 수 있음을 의

    미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러시아 PNG의 도입이 중요

    하며, 중국과의 파이프라인 연계도 중요하다.

    둘째, 수입원을 다양화하되 다양한 가격조건과 물량의 포트폴리오

    구성이 중요하다. 이는 가격조건 협상력 이외에도 가격위험을 헷지하

    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유가와 허브가격의 하이브리드 가격으로 수

    입하는 것도 좋은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이 될 것이다.

    셋째, 우리의 에너지 안보를 위해 대체에너지를 갖는 것이 중요하

    다. 여기서 대체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천연가스의 모든 대

    체에너지를 의미한다. 에너지원마다 천연가스와의 대체 속도 및 정도

    에 차이가 있지만, 단시간에 천연가스와 대체하여 이용할 수 있는 에

    너지원을 갖고 있다면, 이는 대 판매자 협상력과 우리의 에너지안보를

    모두 향상해 주는 대안이 된다.

    넷째, LNG 도입조건을 유리하게 이끌지 못하는 이유로서 LNG 수

    요탄력성을 낮게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정부가 하나의 공기업으로 하

    여금 국가 전체의 가스수급 안정을 책임지도록 하는 제도이다. 다양한

    LNG 수입자가 시장에서 활동하도록 하는 여건 조성이 중요하다.

    현재 동북아 역내 국가 간 가스 트레이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

    로 말미암아 지역 내 가스의 가치를 알려주는 지표가격이 형성되지

    못한 이유는 도입한 가스의 2차 거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

    이다. 유럽과 같이 역내 지표가격이 투명하게 결정되면, 이에 연동된

  • 요약 ix

    장기계약가격에 가스가 거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국가 간 가스 트레

    이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

    째, 국경을 넘나드는 거래뿐 아니라 국경 내에서의 가스 거래도 활성

    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스도매시장이 자유화되어야 한다. 우

    리나라는 IEA가 지적한 바와 같이, 가스거래 허브를 희망하면서도 이

    를 위한 가스도매시장의 자유화에서는 가장 뒤처진 나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동북아 역내에 가스시장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역내 트레이

    딩을 지지하는 국가 간 제도를 조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우선적으

    로는 중․단기에 걸쳐 특별히 공동보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조치부터

    시행해나가면서, 장기 목표의 설정과 수단의 이행은 공동으로 추진해

    나가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중․단기 수단의 예로는, 국가별로 LNG

    구매 협상에서 최대한 유연한 인수조건과 함께 저렴한 가격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고, 관련 정보를 이웃 나라와 공유하는 것을 들 수 있

    다. 또한, 이러한 LNG 조달에서의 최적관행(best practice)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가스거래의 활성화를 위해 국가 간 파이프라인 연계와 설비

    공동이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한․중 (해저) 파이프라인

    은 양국 간 가스의 융통 또는 거래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

    것의 이용률이 낮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동북아 역내 가스

    시장이 활성화된다면, 한중 파이프라인은 한국과 중국 사이의 거래에

    만 사용되지는 않을 것이다. 즉, 한국과 일본 사이의 가스거래와 중국

    과 일본 사이의 가스거래가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정산될 수도 있으

    며, 전환(diversion) 거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피크 수요 시에는 한

  • x

    계적인 수준의 물량만으로도 가격의 급등(needle peak price)을 막을

    수 있다.

    3개년 연차 연구의 제1년 차 보고서로서 본 연구는 천연가스 시장

    의 공급측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시장을 공급측과 수요측

    으로 나누어 공급측만을 분석하고 시장 전체의 미래에 관한 결론을

    내리는 방법은 아직 개발된 적이 없다. 시장의 모든 현상은 공급측과

    수요측이 상호반응하면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주로 공급측 분

    석임에도 시사점과 정책과제는 수요측에 더 집중되었다. 왜냐하면, 우

    리나라와 이웃 나라들에 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모두 천연가스의

    순수입국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제2년 차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수요측 분석과 LNG 시장의

    추이 분석 결과를 추가 반영하여 우리나라 천연가스 산업이 기업의

    집합으로서의 산업만이 아니라 기능하는 시장으로 발전해나갈 방향을

    모색해볼 것이다.

  •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purpose

    The so-called 'shale gas revolution', a jargon that describes what is

    happening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shale gas p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change the landscape of the world

    natural gas market. China and a few countries in Europe and South

    America add to the outlook for the future shale gas expansion

    worldwide. But there are wide differences across areas with shale

    gas resources in such dimensions as geology, technological level,

    fiscal and other government policies pertaining to the development

    and exports of the resource. There are also many uncertainties

    surrounding the world natural gas market, particularly whether it may

    develop in the direction as the buyers or importing countries wish.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need for a wide-covering in-depth

    study is prominent in LNG-importing countries like Korea, as they

    need a profound improvement in their terms of trade of LNG in line

    with a rationalization of their gas trading practic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order to satisfy the need, the study should

    cover such topics as: changes and uncertainties/risks in the world

    natural gas market environment, strategies of market participants both

    at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the prospect of the possibility of

    more competition in LNG supply,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a

  • ii

    sustainable develop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natural gas

    markets. This study attempts to fulfill the need for a study of the

    kind mentioned above and compiles the result of the first-year study

    out of a three-year phased set of studies.

    2. Major Findings

    The study focused on the supply side of the above-mentioned

    topics. But, before proceeding, the study first tried to verify that

    phenomena that may be called 'megatrends' are taking place in world

    natural gas markets and concluded they are. The shale gas-driven

    changes in diverse sectors of the world economy are sufficient for

    them to be called 'megatrends'.

    The chapters of the report cover the following subjects: worldwide

    reserves and/or resources of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natural

    gas, current, mid- and long-term liquefaction capacity worldwide and

    their related issues, driving forces and checking elements of the

    'megatrends' and their impacts on the stances and/or strategies of

    LNG suppliers, the resultant prospect of the expansion of LNG

    supply competition, and, finally,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ed terms of trade of LNG and facilitation of gas commodity

    trades. Major findings on the subjects are presented below.

    First, certain figures show a good sign for supply competition, i.e.,

    an increased number of market participants, increased volumes of

    inter-regional gas trade, and increased quantities and share of

  • Abstract iii

    short-term trades are found.

    Second, LNG transport capacity has been growing steadily.

    Genuinely flexible transport capacity for short-term trades is hard to

    build up, but is expected to grow as there appear more short-term

    transport demands.

    Third, there seem to be sufficient liquefaction capacity potential to

    satisfy long-term LNG demands, although it will only materialize as

    the market conditions support it to do so.

    Fourth, LNG projects that cannot meet the US$10/MMBtu at a

    12% IRR cutoff line circa 2025 may not be able to come in the

    market, while cost-competitive projects may offer such a slow slope

    as 12%~13%. At the end of the day, bargaining positions and

    negotiation skills will determine struck prices.

    Fifth, while Statoil is allowing more hub-linked prices to buyers in

    Europe, Gazprom tries to stick to oil-linked price formulae in

    long-term SPAs. Nonetheless, the Russian company does not seem to

    have many options but adapt to the changing power balance in the

    gas market. One point of importance is that Gazprom responds in

    different ways to buyer demands for changes of price structure:

    certain structural changes for buyers of liquid markets but only a

    temporary discount to price levels against buyers of illiquid markets.

    Some palpable changes in seller behavior are observed whether

    they are results of a strategic repositioning or just a tactical

    maneuver. First, oil-linkage slopes for recent contracts of Asian

  • iv

    buyers are reported to be in the range of 13.5%~14% which is

    somewhat slower than just one or two years back. Some project

    developers offer a lenient destination clause or alleviated TOP

    conditions. At the same time, LNG sellers are observed to be

    securing certain flexible volumes to meet the needs of buyer

    flexibility backed by their heightened position in the battle field.

    Second,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although sellers do try to

    fulfill buyer requirements for improved terms of trade of LNG, most

    LNG suppliers are IOCs, increasingly powerful independents and the

    legendarily strong NOCs. They would not look on the market turning

    into one 'controlled' by buyers, and they have the capability to do

    so.

    Third, Petronas is gathering more and more flexible LNG that may

    be utilized effectively post-2022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tight

    LNG markets. It is of significance and of interest whether Malaysia

    will evolve into another Qatar.

    The strategies and/or stances of Russia and Qatar, the currently

    largest two gas exporters, and their strategic relationship deserve

    attention. First, Russian projects that are under construction, say,

    Yamal LNG, and those that are in a planning stage, for instance, Far

    East LNG by Rosneft and ExxonMobil, can be delayed owing to the

    sanctions of the Western countries against Russia for the Ukraine

    crisis. Although Russia pivot east to China and expands in LNG

    front, huge amounts of investment capital under the current

  • Abstract v

    circumstance will drag on the country's development plans.

    Second, Qatar, as an LNG-exporting country, is under threat from

    all sides. She even mobilizes 'put option' deals with European

    terminal operators.

    Third, Russia and Qatar are understood to have adopted a kind of

    implicit cooperative strategic relationship in world natural gas

    markets. It may be summarized that Qatar's desire to become a

    global gas player, Russia's hopes for maintaining market power in

    Europe and for LNG expansion, and Qatar's market power in Asian

    LNG market are subtly intertwined. However, this relationship is

    being affected by the 'shale gas revolution', although they refuse to

    use the term and their relationship has not changed yet

    fundamentally. Countermeasures against their strategy of market

    division and sustained oil-linked prices on the Asian buyers' part is

    that China has bargaining power in the Russian pipeline gas deal and

    Qatari volumes of flexible LNG continues to flow into the European

    market. Also, it is important to let European and Asian markets be

    flooded with hub-linked short-term LNG and to develop a gas

    trading hub in Asia to support the discovery of a reference price in

    the region.

    3.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offered.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 vi

    diversify natural gas import sources. Having alternative supply

    sources implies a more elastic LNG demand, which in turn implies a

    higher bargaining position for the buyer. Russian pipeline gas and a

    pipeline interconnec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re great tools in

    this regard.

    Second, a portfolio of diverse pricing formulae and diverse

    exporters is highly recommended. It will not only enhance Korea's

    bargaining position against sellers but also improve gas supply

    security with more room for hedging against risk factors. As

    important is securing more non-gas alternative energy sources as

    having securer natural gas.

    Third, one single most important reason for not having been able

    to develop 'better' LNG-import conditions in Korea is the institution

    having one large public enterprise responsible for the stable supply

    and demand balance for the whole country. In the environment in

    which more and more participants play in an ever more complex

    ways, allowing more players to take part in the market is a more

    efficient way for national interest. Public interest like the so-called

    ‘energy welfare” may be taken better care of by a different way than

    the current one where the government steps back a little.

    Fourth,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harmonizing national

    institution with others’ is required to support the formation of a gas

    trading platform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short to

    medium term, each country may take actions that do not need a

  • Abstract vii

    concerted plan. An example is to share information on LNG

    procurement tactics or best practice in this regard.

    Fifth, gas pipeline interconne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ill

    be of great value to facilitate a gas trading hub in the region. Gas

    does not have to flow in the pipe only for the trades between Korea

    and China. Triangular or more player-involved multilateral trades of

    gas can be done through the pipe, which means a trading hub or

    platform is already there.

  • 차례 i

    제목 차례

    제Ⅰ장 서 론 ························································································ 1

    제Ⅱ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개관 ··········································· 7

    1. 메가트렌드란? ··················································································· 7

    2.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개관 ················································· 8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 13

    1. 전통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 13

    2. 비전통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 14

    가. 셰일가스 ···················································································· 16

    나. 치밀가스 ···················································································· 28

    다. 탄층메탄가스(CBM) ································································· 31

    제Ⅳ장 세계 LNG 공급능력 현황 및 전망 ···································· 43

    1. 세계 LNG 공급능력 개관 ····························································· 43

    2. 플랜트 단계별 액화용량 및 가동률 ············································· 46

    가. 기존 프로젝트 ··········································································· 46

    나. 건설 중 프로젝트 ····································································· 46

    다. 제안 프로젝트 ··········································································· 48

    라. 폐지 프로젝트 ··········································································· 48

    3. 지역별 액화용량 현황 및 전망 ····················································· 49

  • ii

    4. 신규 가스자원 개발 ······································································· 50

    5. 프로젝트 투자비 ············································································· 53

    6. 미국 LNG 수출 프로젝트 추진 현황 ·········································· 56

    제Ⅴ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동인 및 사례 분석 ············· 59

    1.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동인 개관 ······································ 59

    가. 개관 ···························································································· 59

    나.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동인의 분류 ································ 62

    2.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여건의 성숙 ······································ 63

    가. 세계 에너지 공급 불안과 에너지 가격의 상승 ····················· 63

    나. 지구온난화 문제 완화를 위한 세계적 관심과 노력 증가 ····· 65

    다. 가스 이용기술의 발달과 수입수요의 증가 ····························· 66

    라. 비전통에너지의 약진과 신재생에너지의 부진 ······················· 68

    마. 원자력 안전에 대한 우려 확산 ··············································· 69

    3.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공급측 동인 검토 ························· 69

    가. 기술적 동인 ··············································································· 69

    나. 에너지 시장 및 규제 관련 동인 ············································· 83

    다. 천연가스 수급 관련 일반적 요인 ············································ 91

    제Ⅵ장 LNG 공급자 전략과 공급경쟁 확대 가능성 ····················· 99

    1. 공급자 전략 및 공급경쟁 확대 가능성 검토 방법론 ················· 99

    2. 시장에서 관찰되는 수급 관련 지표 ··········································· 101

    가. 시장참여자 수의 증가 ···························································· 101

    나. 지역시장 간 거래의 증가 ······················································ 102

    다. 단기거래의 증가 ····································································· 103

  • 차례 iii

    라. 수송능력의 증가 ····································································· 106

    3. 세계 LNG 수급균형 전망 ··························································· 108

    4. LNG 가격 전망 ············································································ 111

    가. 가격 수준 ················································································ 111

    나. 가격 구조 ················································································ 114

    5. 주요 공급자들의 공급 전략 ························································ 117

    가. 대형 공급사들의 공급 전략 ··················································· 117

    나. 말레이시아의 유연물량 확보 ················································· 121

    6. 러시아, 카타르 및 GECF 동향 ·················································· 122

    가. 우크라이나 사태의 러시아 천연가스에 대한 영향 ·············· 122

    나. 카타르의 시장전략 동향 ························································ 124

    다. 러시아와 카타르의 전략적 관계 ··········································· 126

    라. 가스수출국포럼(GECF) 동향 ················································· 128

    제Ⅶ장 시사점 및 정책과제 ··························································· 131

    1. 도입부문 시사점 및 정책과제 ····················································· 132

    2. 가스 트레이딩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 135

    제Ⅷ장 결 어 ··················································································· 141

    참 고 문 헌 ····················································································· 145

  • iv

    표 차례

    전통가스 지역별 가채자원량 현황 ··································· 13

    세계 비전통가스 가채자원량 현황 ··································· 16

    미국 내 셰일가스 관련 주요업체 및 활동 ······················ 19

    캐나다 주요 셰일가스전 소유 회사 ································· 21

    캐나다 셰일가스 프로젝트 해외기업 참여현황 ·············· 22

    중국 셰일가스전 탐사권 공개입찰 진행상황 ·················· 24

    미국의 천연가스 가채매장량 및 생산량 ························· 28

    주별 CBM 확인매장량 ····················································· 33

    CBM 개발 관련 정부 주요 우대정책 ····························· 38

    2008년, 2013년 및 2018년의 지역별 액화 용량 ··········· 50

    천연가스 개발․생산비 비교 ············································ 60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직접 동인과 간접 동인 ··· 63

    AEO 2005 상 미국의 석유‧가스 순수입량 전망 ··········· 68

    부유식 액화설비 건설 현황 ·············································· 75

    호주의 기 발표된 FLNG 프로젝트들의 추진 상태 ······· 78

    소규모 GTL 프로젝트 현황 ············································· 82

    미국 LNG 프로젝트 마케팅 현황 ···································· 95

    LNG 수출국 수 및 수입국 수의 변화 ·························· 101

    유럽 기업들과 Gazprom 간 가격재협상 현황 ·············· 116

    호주 주요 LNG 프로젝트의 메이저 참여 현황 ··········· 118

    아시아 4국의 경쟁시장 환경 비교 ································ 137

  •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Ⅲ-1] 세계 지역별 천연가스 생산추이 ···································· 14

    [그림 Ⅲ-2] 비전통가스 지역별 가채자원량 현황 ····························· 15

    [그림 Ⅲ-3] 미국의 주요 셰일가스 부존 및 생산지역 ······················ 18

    [그림 Ⅲ-4] 캐나다의 주요 셰일가스 부존 및 생산지역 ·················· 23

    [그림 Ⅲ-5] 중국 셰일가스 주요 매장지 및 기업 참여현황 ············ 25

    [그림 Ⅲ-6] 호주의 비전통가스 주요 매장지역 ································· 26

    [그림 Ⅲ-7] 유럽의 비전통가스 주요 매장지역 ································· 27

    [그림 Ⅲ-8] 미국 치밀가스 매장지역 ················································· 29

    [그림 Ⅲ-9] 캐나다 치밀가스 매장지역 ·············································· 30

    [그림 Ⅲ-10] 미국의 주요 CBM 매장지역 ········································ 32

    [그림 Ⅲ-11] 캐나다 앨버타 주 CBM 매장지 ··································· 34

    [그림 Ⅲ-12] 캐나다 CBM 생산 전망 ················································ 35

    [그림 Ⅲ-13] 중국의 주요 CBM 매장지역 ········································ 37

    [그림 Ⅳ-1] 2014년 1분기 지역별 액화용량 ······································ 44

    [그림 Ⅳ-2] 국가별 액화용량과 가동률 ·············································· 47

    [그림 Ⅳ-3] 건설 중 및 제안․검토 중 FLNG 프로젝트 현황 ······· 53

    [그림 Ⅳ-4] 지역 및 프로젝트 유형별 평균 액화설비 단위비용 ····· 54

    [그림 Ⅳ-5] 액화설비비용 추이 ··························································· 55

    [그림 Ⅳ-6] Jordan Cove 프로젝트 연계 파이프라인 개념도 ·········· 58

    [그림 Ⅴ-1] 북미 비전통가스 손익분기 생산비 추정 ························ 61

    [그림 Ⅴ-2] 국제석유가격 변화 추이 ················································· 64

  • vi

    [그림 Ⅴ-3] 동북아지역의 LNG 가격 변화 추이 ······························ 64

    [그림 Ⅴ-4] 신흥국들의 경제성장 추이(GDP; 10억 US$) ··············· 65

    [그림 Ⅴ-5] 미국의 형태별 발전용량 전망 ········································ 67

    [그림 Ⅴ-6] 수직시추와 수평시추 개념 비교 ···································· 72

    [그림 Ⅴ-7] 미국에서의 셰일․치밀가스 생산성 증가 ······················ 73

    [그림 Ⅴ-8] 국별 FSRU 처리용량 전망 ············································· 80

    [그림 Ⅴ-9] 천연가스의 성분 및 석유화학용 원료 구성 ·················· 88

    [그림 Ⅴ-10] 미국의 전원별 발전량 점유율 변화 ····························· 91

    [그림 Ⅴ-11] 미국 LNG 프로젝트의 LTA 구조 ······························· 92

    [그림 Ⅴ-12] LNG 가치사슬의 비용구조 ··········································· 93

    [그림 Ⅴ-13] 서부 캐나다 잠재액화용량 및 기발표 가동개시연도 · 96

    [그림 Ⅵ-1] 지역시장 간 LNG 거래규모 추이 ································ 103

    [그림 Ⅵ-2] 단기 LNG 교역의 증가 추이 ······································· 105

    [그림 Ⅵ-3] 연도별 누적 LNG 수송선박수 ····································· 107

    [그림 Ⅵ-4] 세계 LNG 수급균형 전망 ············································· 109

    [그림 Ⅵ-5] 아시아 시장의 수요-공급 격차 전망(2019~2025년) ··· 110

    [그림 Ⅵ-6] 2025년 기준 프로젝트 공급곡선(FOB 기준) ·············· 112

    [그림 Ⅵ-7] 석유와 천연가스의 가격경쟁력 변화 과정 ·················· 113

    [그림 Ⅵ-8] 석탄과 천연가스의 가격경쟁력 변화 과정 ·················· 114

    [그림 Ⅵ-9] 2014년 1분기~2019년 4분기 확정 추가용량 현황 ····· 120

    [그림 Ⅵ-10] Petronas의 LNG 확보 현황 ········································ 122

  • 제Ⅰ장 서론 1

    제Ⅰ장 서 론

    개발이 상대적으로 쉬운 전통석유․가스 자원(easy oil)이 소진됨에

    따라 자원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최근 석유․가스자원 개발사

    업은 프론티어 지역과 비전통석유․가스 자원 개발로 투자의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 속에서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 증

    대는 “셰일가스 혁명”으로 불릴 만큼 미국뿐 아니라 세계 천연가스

    시장의 판도를 바꿔 놓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 이외에 중국, 유럽 및 중남미 국가들도 셰일가스의 탐사․개발

    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세계 천연가스시장의 수급상황이 크게 바뀔

    전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등은 셰일가

    스가 에너지 및 관련 산업의 재편을 이끌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

    히, IEA는 세계에너지전망 특집보고서(IEA(2011))에서 '천연가스 황

    금기(Golden Age of Gas)'의 도래를 전망한 바 있다. 또한, 셰일가스

    가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해 있으며, 매장량 또한 전통석유․가스자

    원 매장량을 크게 웃돌 것이라는 전망 등은 기존 석유․가스 자원보

    유국들의 에너지․자원 무기화를 약화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셰일가스 등 비전통가스의 개발확대로 천연가스는 수요 측면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안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미국은 2035

    년까지 신규 발전설비의 60%를 가스발전으로 확충할 전망이며, 후쿠

    시마 원전사태 이후 일본은 셰일가스 생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

    는 미국의 LNG를 적극 도입하려 하고 있다.

  • 2

    세계적인 에너지 시장의 판도가 바뀔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에너

    지원을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셰일가스 개발 확

    대에 대비한 범국가적 자세 전환과 선제적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

    러한 배경하에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2012년 9월 셰일가

    스의 개발확대에 따른 국제 에너지환경변화에 대한 국내업계의 선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셰일가스 개발․도입 및 활용전략」을 발표

    한 바 있다. 동 전략은 셰일가스의 국내 도입 및 활용 여건, 국내 기업

    들의 역량 진단, 셰일가스의 개발․도입 전략, 그리고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조선, 플랜트 및 기자재 등 연관산업의 대응방향을 제시하였

    다. 그러나 동 전략은 구체적인 실행계획이라기보다는 전략 수립 당시

    의 가용정보하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큰 방향만을 제시하였다는 한계

    가 있다.

    셰일가스는 부존지역에 따라 부존여건, 수급상황, 개발 전망 및 연

    관산업의 수급․기술 수준 등에서 차이가 있다. 게다가 셰일가스 개발

    확대로 LNG 수출을 추진하는 미국, 캐나다 등의 수출 가능 LNG 물

    량 규모와 가격 정책 등이 불명확하고, 세계 최대 셰일가스 자원 부존

    국인 중국의 셰일가스 개발전망 등이 불확실함에 따라 세계 천연가스

    시장의 수급․가격을 둘러싼 불확실성도 여전히 큰 상태이다.수입국

    들이 바라는 대로 LNG 공급경쟁이 확대될지, 멀지 않은 장래에 수입

    국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LNG 교역 조건이 가시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셰일가스 개발이 확대된다 해도 시장참여자들

    의 전략적 행동1)에 따라 시장성과는 예상외로 나타날 수도 있다.

    1) ‘전략’에는 의도적인 전략과 최대한 자기의 편익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유인을 행위로 (덜 의도적인) 연결하는 덜 의도적인 과정이 포함된다. 이런 의미에서 판매자, 구매자, 상류부문 공급자 등 모든 시장참여자․이해관계자가 주어진 수급상

  • 제Ⅰ장 서론 3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천연가스 시장환경의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천연가스 수출입국 및 기업들의 대응전략이 점차 구체화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기초적인 시장분석, 외국 정부․기업들의 대응방안 분석 및

    벤치마킹, 시장환경 변화의 종합분석을 바탕으로 한 우리의 대응전략

    수립 및 국내적 에너지 관련 정책기조 조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등

    연차별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셰일가스

    개발 확대에 따른 시장여건의 변화와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 및 시장

    참여자들의 전략을 분석한다. 둘째, LNG 교역조건 개선 가능성 및 이

    를 위한 우리의 국제공조 노력과 참여전략을 분석 한다. 셋째, 우리나

    라 천연가스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산업정책적 대안을 제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북미 셰일가스 개발 및 LNG 수출 프로젝트

    의 진전에 따른 국제 LNG 시장의 수급여건 변화와 이에 대비한 공급

    자․수요자의 대응전략 분석, LNG 교역조건의 개선을 위한 국제공조

    노력과 이에 대한 우리의 참여전략 제시, 공급안보와 산업효율성 제고

    를 우리나라 천연가스산업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하위목표로 설정하

    황이나 수급전망에 따라 다른 시장참여자들의 행위를 의식하며 의도적으로 전략을 수립․조정하는 것과 함께, 수급상황 및 전망이라는 상태변수(state variable)하에 상대적으로 수동적으로 자기만의 최적화 의사결정을 내리고 이에 따른 사업계획을 이행하는, 덜 전략적인 경우로 나누어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호주 LNG 프로젝트들의 경우,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의도적으로 개발속도를 늦춘다고 볼 수는 없다. 비용초과(cost overrun)도 의도적인 행위의 결과라고 결론 내리기 어렵다. 그러나 그들이 현실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비용초과를 어느 정도 막을 수도 있다고 본다면(가스전 공유 등을 통한 상류부문 최적화나 터미널 공동이용 등을 통해),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그들의 행위(move)는 전략집합(strategy set) 안에 포함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는 매칭(matching) 이론 또는 일반균형을 게임이론의 틀에서 해석할 때 모든 경제주체가 전략을 가지고 움직인다고 해석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전략’이라는 용어를, 의도적인 행위를 포함하여 최적화 동기에서 결과하는 모든 행동계획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보기로 한다.

  • 4

    고 동 목표달성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개발되었다. 다루어야

    할 주제의 폭과 깊이를 고려하여 3개년 연차과제로 개발되었으며, 이

    보고서는 제1년 차 연구결과를 담은 보고서이다.

    제1차년도 연구에서는 셰일가스 등 비전통가스의 개발 동향과 LNG

    공급경쟁의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둘러싼 공급자들의 전략 분

    석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천연가스 도입, LNG 트레이딩, 가격, 산업

    구조 등과 관련된 시사점과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2차년

    도 연구에서는 주요 천연가스 수입국들의 천연가스 교역조건 개선을

    위한 가스계통 및 거래 허브의 구축․운영방식에서의 노력을 검토할

    것이다. 제3차년도에는 다양한 수급관리 수단의 개발을 통한 공급안

    보 전략을 국제비교한 뒤, LNG 도입, 허브 구축, 수급안정화 수단 개

    발 및 연관산업 지원 등 지속가능한 천연가스산업을 위한 정책 시사

    점 및 과제를 도출할 것이다.

    이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우선 현재 세계 천연가스․

    LNG 시장 및 연관산업에서 일고 있는 커다란 움직임을 메가트렌드라

    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다음 장에서는 이러한 점을 중시하여 메가

    트렌드란 무엇이며, 과연 천연가스 시장에서도 메가트렌드로 규정할

    만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제Ⅲ장에서는 동 메가트렌

    드의 한가운데에 있다고 할 수 있는 비전통 천연가스의 매장량 및 개

    발․생산동향을 검토한다. 제Ⅳ장에서는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도입해

    온 천연가스의 공급형태인 LNG의 공급능력과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

    고, 제Ⅴ장에서는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동인(動因) 또는 추력

    (推力)이라고 할 만한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들은 어떻게 그

    힘을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제Ⅵ장에

  • 제Ⅰ장 서론 5

    서는, 많은 불확실성 요인이 개재하는 가운데 향후 사건과 현상이 기

    대하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과연 천연

    가스 수요 측에서 기대하듯이 공급경쟁이 확대될 수 있을지를 전망하

    고 이를 견제․저지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 등을 분석한다. 제Ⅶ장

    에서는 분석 결과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 우리나라 천연가스 산업 또

    는 원시단계의 시장을 보다 선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과제를

    도출하며 보고서를 맺는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본 연구가 3개년 연차연구이므로 본 보고서에

    담긴 시사점, 결론 및 정책과제는 공급측에 초점을 맞춘 분석을 통해

    천연가스 시장 전반에 대하여 이끌어낸 소결(小結)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요 측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질 제2차년도의 연구와 함께

    제3차년도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계속 바뀌어 나갈 시장 환경을

    반영하여 향후 최종적인 분석결과를 내고, 그 바뀐 환경 하에서 종합

    적으로 결과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 제Ⅱ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개관 7

    제Ⅱ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개관

    1. 메가트렌드란?

    ‘메가트렌드’라는 용어는 미국의 미래학자 존 네이스비트(John

    Naisbitt)의 1984년도 저서 Megatrends: Ten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에서 유래한다. 이는 저자가 지적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계속 일어나고 있는 거대한 조류(trend)를 의미하는 것

    으로서, 탈공업화 사회, 글로벌 경제, 분권화, 네트워크형 조직 등의

    특성이 이에 해당된다.2) 「두산백과(네이버 지식백과)」는 이것을 ‘주

    류(主流)’ 또는 ‘대세(大勢)’로 정의하고 있다. Dictionary.com에서는

    이를 “a major trend or movement”로 정의하면서, 현대적 의미로는

    “a large-scale change in circumstances or fashion”으로 정의할 수 있

    2) 네이스비트가 자기의 책에서 주장한 1980년대 미국사회의 10대 추세는 다음과 같다. ① 미국 경제는 산업사회로부터 정보사회로의 격변 과정을 겪고 있다. ② 사회가 첨단 기술사회로 진입할수록 고감도 반응(high-touch reaction)이 일어난다. ③ 미국 사회는 점차 고립과 자족에서 벗어나 범세계적 상호의존성을 인식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동안 누려왔던 경제초강국으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기 때문이다. ④ 미국의 기업가들은 단기적 안목보다는 장기적 안목에서 생각하게 되었다. ⑤ 조직 내에서의 의사소통이 상의하달에서 하의상달 체제로, 집권적 조직보다는 분권적 조직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⑥ 조직으로부터의 지원보다는 개개인의 자력에 의한 독립을 강조하고 있다. ⑦ 근로자와 소비자들은 정부, 기업, 시장에게 보다 큰 목소리로 요구하고 있다. ⑧ 컴퓨터가 기업의 조직도를 제압하고 있기 때문에 계층사회로부터 네트워크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그 네트워크는 조직 내의 전통적인 계층구조를 단기간 내에 자르면서 변혁시키고 있다. ⑨ 근로자들은 전통성이 강한 북부와 북동부로부터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한 남부, 남서부로 이동하고 있다. ⑩ 소비자들은 만능적인 것 하나보다는 단일 기능을 여러 개 요구한다. 전체적으로 희망적인 예측이 많은데, 이러한 낙관적인 미래예측에 대해서 관리사회의 부정적인 측면이나 남북문제 등의 현실을 경시하였다는 비판도 있다. 「두산백과(네이버 지식백과)」참조.

  • 8

    다고 하였다.3)

    Ask.com은 메가트렌드의 몇 가지 요소를 소개한다.4) 첫째, 메가트

    렌드는 ‘장기적인 변화(a long-term change)’로서, 둘째, 그것은 경제,

    사회, 정부 등을 영구적으로(permanently) 변화시키며, 셋째, 다른 추

    세를 작동하는 추력으로 작용한다(drive other trends). 넷째, 그 동인

    (動因) 또는 추력(推力, driving forces)은 인구 변화, 자원의 제한5), 기

    술발전 등 특정 메가트렌드마다 독특하고 복잡하게 작동한다. 따라서

    메가트렌드의 관찰자는 다양한 요소에 대응하여 계획을 세워야 한다.

    2.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개관

    그렇다면 천연가스 시장에서는 메가트렌드가 일고 있는 것인가? 위

    의 메가트렌드의 몇 가지 요소를 가지고 물음에 답해 보고자 한다.

    첫째, 천연가스의 가채매장량(recoverable reserves) 또는 가채자원량

    (technically recoverable resources)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6) 북남

    미, 아프리카, 지중해, 중국 등지에서 아직 채굴되지 않은 전통․비전

    통가스가 속속 발견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의 셰일가스 상업생산의

    3) http://dictionary.refrence.com/4) “What is a megatrend?” http://www.ask.com/question/what-is-a-megatrend.5) 본 연구에서 다루는 천연가스 시장에서의 메가트렌드는 자원의 제한보다는 자원

    (천연가스)의 폭발적 증가가 하나의 동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6) 천연가스의 매장량을 이야기할 때 전통가스에 대하여는 가채매장량, 비전통가스

    에 대하여는 가채자원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가채매장량은 일정한 주어진 기간에 걸쳐 저류층 또는 저류층들로부터 경제적으로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천연가스의 양으로 정의된다. 가채자원량은 일정 시점에 특정 자원매장 지역어에서 현존 기술 또는 개발 중인 기술로 채굴 가능한 자원량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이는 상업적으로 채굴 가능한 자원량은 아닌데, 그 이유로는 경제, 법, 환경, 기술, 정치, 규제적 요인과 동 자원이 판매될 수 있는 시장이 부재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Petroleum Economist(2001), Lundin Petroleum 홈페이지 등 참조.

  • 제Ⅱ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개관 9

    폭발적 증가는 셰일가스 혁명으로 불리며 세계 천연가스 시장의 판도

    를 바꾸는 방아쇠로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천연가스의 생산․이용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생산기술로는

    수압파쇄 및 수평시추 기술을 들 수 있는데, 이 기술은 비전통 석유․

    가스뿐 아니라, 전통자원의 개발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는 과거 생산

    이 불가능하거나 경제성이 없는 자원을 생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천

    연가스 자원 기반의 개발이 폭발적으로 증대하는 요인이 되었다. 부유

    식 LNG (FLNG; floating LNG) 등 소규모 LNG 생산, 수송 및 이용

    기술로 이어지는 소규모 LNG 가치사슬의 발달로 과거 개발가치가 작

    았던 한계가스전이 개발되고, 소규모 수송․저장․이용을 통한 가치

    창출이 가능해졌다. 또한, 부유식 저장․재기화 설비를 이용함으로써

    지상인수기지의 부지를 확보하고, 대규모 설비 건설에 따른 고비용 등

    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조선기술의 발달로 Q-Flex, Q-Max와 같은 초대형 LNG 수송

    선 건조가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 수송비용이 절감되고 있다. 이에 더

    하여 파나마 운하의 확장공사가 추진됨으로써 멕시코만에 입지한

    LNG 생산시설로부터 아시아 지역으로 수송하는 데 드는 비용을 상당

    히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조건은 미국의 대아시아 LNG 수

    출 경쟁력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사업모델(business model)이 활

    용되고 있다. 천연가스 공급능력의 증대는 인수 유연성 요구에 대한

    구매자의 협상력을 증대하고, 목저거지 제한 규정(destination clause)

    이나 의무인수 조건을 포함한 인수조건이 과거보다 유연하게 만들고

    있다. 유연한 물량의 증대는 자연히 단기물량의 거래를 늘리고, 이는

  • 10

    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가격의 발견을 도와주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전통적으로 특정 가스전에서 원료가스를 조달하여 전용설

    비를 통해 생산된 LNG를 판매하는 사업방식 이외에 인수유연성 증대

    요구는 공급자․판매자로 하여금 보다 유연한 물량 공급에도 힘을 쓰

    도록 하였으며, 자체 프로젝트 이외에 타사의 물량을 조달하여 포트폴

    리오를 구성하고 이를 판매하는 포트폴리오 사업자들이 늘어나게 하

    였다.

    다섯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가스가격 분쟁으로 러시아의 대유

    럽 천연가스 공급이 불안해짐에 따라 유럽의 대러시아 천연가스 의존

    탈피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다. 러시아로서도 파이프라인에 얽매인 대

    유럽 공급 의존도를 감소하고 세계 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LNG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유리한 전략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러시아로 하여금 아․태시장, 특히 중국에 대한 파이프라인 가스 공급

    을 적극 추진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극동러시아 및 동시베리아 개

    발 요구와 이러한 천연가스의 경제적․지정학적 요구에 따라 러시아

    는 아․태시장 및 LNG 중시정책을 펴고 있으며, 이는 국제 LNG 시

    장의 공급능력을 확대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셰일가스로 말미암은 천연가스 시장의 변화를 새로운 가치사슬의

    형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Choi(2014)는 셰일가스가 에너지 부문에

    서 새로운 패러다임(a new paradigm)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

    라 새로운 가치사슬이 창출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7) 북미에 기반을

    둔 셰일가스 산업은 다른 나라로 확장될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들에

    도 영향을 주고 있다. 예컨대, 중국, 폴란드, 중동 등지에서 일어나고

    7) “The value chain model is being constructed since shale gas is recognized as the new paradigm in the energy sector." Choi(2014), p. 64.

  • 제Ⅱ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개관 11

    있는 셰일가스 탐사․개발 관련 활동은 향후 더욱 큰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메가트렌드가 타 산업 변화의 추력으로도 작동

    하는 현상이 천연가스 및 관련 산업에도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몇 가지 천연가스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살펴볼 때,

    한마디로 정의할 수는 없지만, 천연가스 시장에서 메가트렌드가 일고

    있으며,8) 그 한가운데에 셰일가스 또는 비전통천연가스9)가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천연가스 시장이 전통가스만을 취급하던 것에

    서 비전통가스와 전통가스를 취급하는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천

    연가스 수요의 패턴이 다양화되고 증가 속도가 변화됨과 동시에 LNG

    생산 규모․방식 및 천연가스의 교역 조건․방식(LNG와 파이프라인

    가스)의 변화 등 큰 물결이 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8)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환경 조성, 동인 또는 추력의 사례는 제Ⅴ장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9) 통상 비전통가스라고 하면 비전통천연가스를 의미하므로, 이하에서는 비전통천연가스보다는 비전통가스로, 전통천연가스는 전통가스로 줄여 부르기로 한다.

  •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13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1. 전통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2012년 기준 세계의 전통가스 가채자원량10)은 약 16,527tcf로 평가

    되는데 지역적 편중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

    유라시아 지역과(30.6%) 중동 지역(26.5%)의 비중이 전체의 57%를

    웃돌고 있다.

    신규 가스전의 발견으로 전통가스 매장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로서, 2010년 116.5tcf, 2011년 81.2tcf의 신규 매장량을 기록했다. 특

    히 이란(약 21tcf)과 모잠비크(약 17tcf)의 신규 가스전 개발이 전체

    매장량 규모 증가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중 모잠비

    크 동부 해상에서는 2년 연속으로 대규모 가스전이 발견된 바 있다.

    최근 지중해 동부지역에서도 메이저(IOC)들이 신규 가스전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흑해지역에서도 탐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구분동유럽/유라시아

    중동아시아 태평양

    OECD 아메리카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OECD 유럽

    세계

    물량(tcf) 5,050 4,379 1,554 1,624 1,836 1,130 918 16,527

    비중 30.6% 26.5% 9.4% 9.8% 11.1% 6.8% 5.6% 100.0%

    자료: IEA, World Energy Outlook 2013; Natural Gas Information 2012

    전통가스 지역별 가채자원량 현황

    10) Technically Recoverable Resources, TRR

  • 14

    2012년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은 약 118.5tcf를 기록하였는데, 북미

    지역의 경우 비전통가스 생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체 천연가스 생산

    비중은 최근 10년 동안 오히려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

    와 중동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2012년 기준 각각 17.6%, 16.3%를 기

    록하며 꾸준한 생산비중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림 Ⅲ-1] 세계 지역별 천연가스 생산추이

    자료: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3, June 2013.

    2. 비전통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비전통가스는 크게 셰일가스(shale gas)11), 치밀가스(tight gas)12),

    탄층메탄가스(coalbed methane)13), 가스 하이드레이트(gas hydrate)14)

    11) 셰일가스는 오랜 세월 진흙과 모래가 쌓여 단단하게 굳은 암석(셰일층) 사이에 있는 천연가스를 지칭한다.

    12) 치밀가스는 지질구조상 통상적인 가스정에 비해 시추가 훨씬 어려운 가스유층(gas reservoir)에 부존되어 있는 가스를 지칭한다.

    13) 탄층메탄가스(CBM)는 식물이 석탄으로 서서히 변화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메탄

  •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15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비전통가스는 매장량이 풍부해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으나 현재 기술 수준으로서는 채굴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

    상황이다. 특히 셰일가스는 풍부한 매장량과 함께 최근 채굴기술이 급

    속히 발전하면서 다른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산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림 Ⅲ-2] 비전통가스 지역별 가채자원량 현황

    자료: IEA, World Energy Outlook 2013

    IEA에 따르면 전체 비전통가스의 가채자원량은 약 12,113tcf로 평

    가되며, 이 중 셰일가스의 가채자원량이 7,487tcf로 가장 많은 것으로

    평가된다. 셰일가스는 북미 및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유라시

    아 등의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치밀가스는 미국과 러시아

    가스가 탄층에 남은 것을 지칭한다.14)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극지방 등 항상 얼어 있는 지역, 즉 영구 동토나 심해저의

    저온 고압 상태에서 천연가스가 물과 결합해 생긴 고체 에너지원이다.

  • 16

    호주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과 캐나다, 유럽에도 일부 매장

    되어 있다. CBM은 러시아와 중국, 호주를 중심으로 매장되어 있고,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육지 인근 해저 및 동토 지역에 매장되어 있는

    데 전 세계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분동구/

    유라시아중동

    아시아태평양

    OECD 아메리카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OECD 유럽

    세계전체

    셰일가스

    물량 530 141 1,872 1,695 1,377 1,413 459 7,487

    비중 7.1% 1.9% 25.0% 22.6% 18.4% 18.9% 6.1% 100.0%

    치밀가스

    물량 388 318 742 388 353 530 141 2,860

    비중 13.6% 11.1% 25.9% 13.6% 12.3% 18.5% 4.9% 100.0%

    CBM물량 706 - 742 247 - - 71 1,766

    비중 40.0% - 42.0% 14.0% - - 4.0% 100.0%

    합계 1,624 459 3,355 2,331 1,730 1,942 671 12,113

    자료: IEA, World Energy Outlook 2013, Natural Gas Information 2012

    세계 비전통가스 가채자원량 현황

    (단위: tcf)

    그러나 비전통가스의 정확한 부존자원량 및 경제적 가채매장량에

    관해서는 아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북미지역 이외의 지역은 개발 기

    술이 부족한 상황이며, CBM이나 치밀가스의 경우 매장량 평가에 대

    한 연구도 셰일가스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가. 셰일가스

    미국에서 시작된 셰일가스 개발의 급증, 이른바 ‘셰일가스 혁명’은

    전세계적인 비전통가스 자원개발 붐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미

  •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17

    국은 1800년대부터 셰일가스 개발을 추진하고, 1825년 최초의 셰일가

    스 추출이 이뤄졌으나 기술 미비로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아 양산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1940년 수압 파쇄공법, 1970년 수평 시추기술 등

    혁신적인 시추기술이 잇따라 개발되면서 1990년대 후반 미국 바넷 지

    구에서 중소 규모의 에너지기업이 셰일가스 상업 생산에 성공하였으

    며, 이어 수평 시추 및 수압파쇄 기술의 발전으로 2000년대 중ㆍ후반

    부터는 셰일가스 개발 본격화되었다.

    EIA에 따르면, 2012년 미국 셰일가스의 생산량은 9.4tcf이며, (2007~

    2012년 최근 5년간 약 4.7배 증가), 전체 가스 생산량의 약 39%를 차

    지하였다. 2009년 말 에너지기업인 ExxonMobil이 2010년 XTO(미국

    최대 비전통가스 E&P 기업)를 인수하여, 대규모 셰일층 광구지분과

    함께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도 단기에 확보하면서 상업화에 성공하

    였다. 실제로 ExxonMobil은 셰일가스 개발회사를 인수하면서 급속한

    성장세를 기록하였는데, ExxonMobil은 2010년 매출액 기준으로 포천

    지 선정 ‘미국 500대 기업’ 중 3위, 2011년 1위, 2012년 미국 경제전

    문지 포브스 선정 ‘글로벌 2000대 기업’ 1위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지는 주로 북동부 및 남서부에 분포하고 있는

    데, 마셀러스(Marcellus), 헤인스빌(Haynesville) 등 북동지역, 파이예

    트빌(Fayetteville), 우드퍼드(Woodford) 등 중부지역, 바넷(Barnett),

    바넷․우드퍼드(Barnett-Woodford), 앤트림(Antrim) 등의 광구로 알려

    져 있다. 미국의 셰일가스 총 가채매장량은 848tcf이다. 가장 많은 부

    존량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은 마셀러스로 가채매장량이 410tcf이며,

    다음으로 앤트림이 248tcf, 헤인스빌이 75tcf, 바넷이 43tcf, 바넷․우

    드퍼드와 파이예트빌이 각각 32tcf이다.

  • 18

    셰일가스 생산 증대는 미국에 대외적으로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

    국이라는 명예를 준 동시에 내부적으로 국내 천연가스 가격 급락의

    효과도 가져왔다. 2008년 MMBtu 당 8.9달러였던 천연가스 가격은

    2012년에는 2.8달러로 4년간 1/3 수준으로 하락한 바 있다.

    [그림 Ⅲ-3] 미국의 주요 셰일가스 부존 및 생산지역

    출처: NEED.org

    셰일가스 생산 확대는 생산 관련 자재, 설비수요 증가, LPG 운용을

    위한 수요 증가뿐만 아니라, 제조업 생산비용을 낮추어 경쟁력 제고에

    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내 셰일가스 개발사업에는 Royal Dutch Shell(이하 Shell),

    ExxonMobil XTO Energy, Total 등 주요 메이저 석유회사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Shell은 미국 셰일 원유 및 가스 산업에 가장 많은 투

    자를 하는 기업으로, 텍사스, 오하이오 등 광범위한 지역에 셰일가스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최대 글로벌 석유 및 가스기

    업 중 하나인 ExxonMobil은 2009년 미국의 선도 석유․가스기업이었

  •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19

    기업 연도 투자내용투자액(달러)

    Shell(네덜란드-영국) 2012

    - Chesapeake사가 보유한 델라웨어주 Permian Basin의 61만 8천 에이커 매입 19.4억

    Statoil(노르웨이)

    2008 - Chesapeake사가 보유한 뉴욕주 Marcellus Shale 지분 32.5% 매입 33.7억

    2010 - Talisman사와 텍사스주 Eagle Ford shale 지역 합작투자

    ExxonMobilXTO Energy

    (미국)

    2010 - XTO Energy 인수 410억

    2011 - Philips Resources사와 TWP사가 보유한 뉴욕주 Marcellus shale 지분 인수 16.9억

    2011 - 오하이오주 Utica shale에 추가 대지 4.5만 에이커 확보

    Total(프랑스)

    2009 - Chesapeake사와 합작하여 개발한 텍사스주 Barnett shale 지분 25% 및 향후 채굴권 매입 22.5억

    2011 - Chesapeake사와 합작하여 개발한 아칸소주 Fayetteville shale 지분 25% 매입 20.3억

    BP(영국)

    2008 - Chesapeake사의 오클라호마주 Woodford shale 지분 100% 및 향후 채굴권 매입 17억

    2008- Chesapeake사와 합작하여 개발한 아칸소주

    Fayetteville shale 지분 25% 및 향후 채굴권 매입

    19억

    2012 - 셰일층 탐사를 위한 Utica/Point Pleasant shale 지역 수천 에이커 임대

    미국 내 셰일가스 관련 주요업체 및 활동

    던 XTO Energy사를 인수한 이후 적극적으로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XTO Energy사는 대부분의 비전통 천연가스 및 석유자원분야에서 전

    문성을 보유한 미국의 선도 석유․가스기업이었다. 프랑스 기업은 프

    랑스의 강력한 환경 관련 규제 때문에 자국보다는 미국 시장에서 에

    너지 개발과 관련된 사업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 20

    기업 연도 투자내용투자액(달러)

    Chesapeake(미국)

    2008~2011

    - CNOOC, Total, Statoil, PXP, BP 등과 맺은 공동투자협약에 따라, Chesapeake사는 과거에 확보했던 Niobrara, Eagle Ford, Marcellus, Barnett, Utica, Haynesville, Fayetteville, Bossier 등 셰일가스 지역의 일부 지분 및 향후 채굴권 매도

    16.1억

    Atlas Energy(미국) 2012

    - ARP, APL, Lightfood Capitals의 모기업으로서 각각 2% 지분보유, 합작회사로서 각각 43%, 8.7%, 12%에 달하는 지분 보유

    SH Energy & Chemical

    (한국)

    2008 - Frontier Midstream사 등과 Fayetteville shale gas 판매 및 시추계약 체결

    2008 - Operating Agreement 체결, SH Energy & Chemical(51%), Source Rock Energy(49%)

    2009 - SEECO와 Fayetteville 가스정 MOU 및 JOA(Joint Operating Agreement)체결

    2010- SH 에너지화학이 보유했던 Fayetteville

    shale의 45.7 net acres에 이르는 광권을 Chesapeake사에 매각

    5.8만

    자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북미 셰일가스 개발 동향 및 한국기업 진출전략』, p. 10.

    캐나다의 셰일가스 산업은 기술발전 덕분에 가채 자원보유량이 증

    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캐나다에서 새로운 저비용 에너지 공급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캐나다의 셰일가스 매장지역은 주로 서부 캐나다 퇴적

    분지 지역으로 2012년 기준 기술적 가채자원량은 573tcf, 생산량은

    109bcf로 적은 편이나, 향후 생산 잠재력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캐나다 셰일가스 주요 매장지는 서부지역인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

    의 혼강(Horn River), 몬트니(Montney), 코르도바(Cordova), 리어드

    (Liard) 지역으로 이들 지역 중심으로 개발활동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21

    기업 개발동향

    Apache Canada

    - Horn River 지역에 44.5천 에이커 규모 셰일가스전 시추 및 개발권 보유- 2003~2011년 기간 동안 72개 가스정 시추- Two Island Lake 지역에 집중투자 중- Horn River 지역에서 일당 최대 140MMcf(million cubic feet) 생산- Kitimat LNG 프로젝트 추진 중(지분비율: Apache 40%, Encana 30%,

    EOG Resource 30%)

    Encana- Horn River 지역에 42만 에이커 규모 셰일가스전 시추 및 개발권 소유- 2003~2011년 72개 가스정 시추, 95 MMcf/d 셰일가스 생산 중- Montney 지역 69.2만 에이커 규모 가스전 확보, 400MMcf/d 생산 중

    Nexen - Horn River 지역 8.9만 에이커 규모 가스전 보유, 최대 50MMcf/d 생산

    ExxonMobil - Imperial Oil사와 공동으로 Horn River 지역 32.1만 에이커 가스전 보유

    Shell Canada

    - Montney 지역에 59.3만 에이커 규모에 시추 및 개발권 보유- 225개 가스정에서 일당 최대 150MMcf 생산- LNG Canada 프로젝트 추진 등(총투자액: 120억 달러, 완공 시 생산규모: 연간 120백만 톤 LNG, 지분비율: Shell 405, 한국가스공사 20%, Mitsubishi 20%, PetroChina 20%)

    Murphy Oil - Montney 셰일가스 전 15.6만 에이커 개발권을 보유, 250MMcf/d 생산 규모

    캐나다 주요 셰일가스전 소유 회사

    최근에는 앨버타 주와 사스캐처완 주에서도 셰일가스 탐사가 일부 진

    행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본격적인 개발 및 생산이 확대될 것으로 전

    망된다.

    또한, 퀘벡(Quebec) 주의 애팔래치아(Appalachian), 온타리오

    (Ontario) 주의 미시간(Michigan), 뉴브런스윅(New Brunswick) 주의

    멍크턴(Moncton) 지역과 노바스코샤(Nova Scotia) 지역도 잠재부존

    지역으로 기초 탐사 개발 단계에 있으며, Shell Canada, ExxonMobil,

    Quicksilver 등 에너지 메이저들이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 22

    기업 개발동향

    Talisman Energy

    - Montney 지역에 21만 에이커 보유, Farrel Creek 지역에서 120MMcf/d 생산

    Progress Energy

    - 2010년 Suncor Energy 사의 Foothills 지역 개발권을 인수, Montney 지역 82.5만 에이커 소유, 70MMcf/d 생산

    Penn West Exploration

    - Cordova 지역 17.3만 에이커 개발권 보유, 2008년부터 Helmet North 지역을 집중 개발 중

    Devon Canada

    - Horn River 17.3만 에이커 규모 가스전 내, 향후 700MMcf/d 생산 잠재력 보유

    자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북미 셰일가스 개발 동향 및 한국기업 진출전략』, p. 33.

    기업 연도 투자내용투자액(달러)

    Sinopec(중국) 2011 - 캘거리 소재 Daylight Energy사 인수 21억

    Sasol(남아프리카) 2010

    - Talisman사의 BC주 Montney 셰일지대 자산 50% 소유권 획득 10.4억

    Petronas(말레이시아)

    2011 - Progress Energy Resource사 Foothills 가스전 지분 50%를 매입 10억

    2012 - Progress Energy Resource사 인수 55억

    KOGAS(한국)

    2010 - Encana사의 Horn River Kiwigana 지역 일부 셰일가스전 지분 50% 확보 3.24억

    2011- Encana사의 Horn River Kiwigana 지역,

    Montney West Cutbank 지역 셰일가스전 50% 지분 확보 및 공동개발 진행

    1.85억

    2011 - Hunt Oil Alberta사 보유 자산 5억 달러(C$) 인수 계약 체결

    5억(C$)

    2012 - Mitsubishi 소유 Cordova 지분 10% 매입

    STX Energy(한국) 2010

    - Encana사 Horn River 내 Maxhamish 지역 셰일가스 광구 인수

    1.5억

    Japex(일본) 2013

    - Petronas사 소유 Montney 셰일지대 자산 지분 10% 매입

    캐나다 셰일가스 프로젝트 해외기업 참여현황

  •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23

    기업 연도 투자내용투자액(달러)

    Mitsubishi(일본) 2012

    - Encana사 Cutbank Ridge 지역 가스전 40% 지분 인수

    29억

    Inpex(일본) 2011 - Nexen사 Horn River 가스전 지분 40% 인수 7억

    Shell(영국) 2008

    - BC주 Dawson Creek 인근 Montney 지역 가스전 소유한 Duvernay사 인수 60억

    캐나다에서는 기존 전통에너지자원 개발에서 비전통에너지 자원으

    로 에너지 생산의 중심이 이동 중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시장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캐나다 석유 및 천연

    가스 생산량은 국내수요량을 초과하고 있다. 또한 캐나다 서부지역인

    브리티시 콜롬비아 및 앨버타 주는 아시아 시장 진출에 적합한 지리

    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곳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과

    일본의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Ⅲ-4] 캐나다의 주요 셰일가스 부존 및 생산지역

    자료: Canadian Society for Unconventional Gas

  • 24

    중국의 셰일가스 가채자원량은 1,115tcf로 추정되고 있으나 생산량

    은 전체 천연가스 생산량의 1% 미만으로 매우 미미한 수준을 기록하